목차 Ⅰ. 강서구의상징물 Ⅱ. 강서구지역현황 지역특성

Similar documents

목차 Ⅰ. 관악구지역현황 지역특성 일반현황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목 차

GGWF Report는사회복지분야의주요현안에관하여정책의방향설정과실현에도움을주고자, 연구 조사를통한정책제안이나아이디어를제시하고자작성된자료입니다. 본보고서는경기복지재단의공식적인입장과다를수있습니다. 본보고서의내용과관련한의견이나문의사항이있으시면아래로연락주시기바랍니다. Tel

성인지통계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일러두기 년출생 사망통계 잠정 이자료는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 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시구청및읍면동사무소에접수한 출생 사망자료를기초로작성한잠정결과임 년에발생한출생사망중 년 월부터 년 월까지의 신고분및향후접수될것으로예상되는지연신고분을추정하여 집계분석한결과임 확정

복지백서내지001~016화보L265턁

건강친화개념도입과 건강도시조성을위한전략연구

hwp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C3D6C1BEBAB8B0EDBCAD5FB4E3B9E8B0A1B0DDC0CEBBF3B0FA20C0E7BFF8C8B0BFEBB9E6BEC82E687770>


untitled

별지 제4

T hw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 1 -

Ⅱ. 의주택현황 1. 주택재고 1. 주택재고 1.1. 주택유형별재고 주택유형의구분주택유형은단독주택과공동주택으로구분된다. 단독주택은독립된주거의형태를갖춘일반단독주택과, 여러가구가살수있도록구성된다가구주택으로나눌수있다. 다가구주택은 3개층이하, 연면적 6m2이하, 19세대이하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목차 Ⅰ Ⅱ (2013)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A634C0E52E687770>

2003report250-9.hwp

Jkafm093.hwp

목차 1. 인구특성지표 1 1) 연령별인구구조 1 2) 성별인구구조 2 3) 경제활동인구분포 3 4) 동별인구분포 4 5) 장애인인구 6 6) 인구추이 7 7) 전입 전출인구추이 8 8) 경제활동인구및비경제활동인구추이 9 9) 혼인상태 9 10) 인구동태 ( 출생, 사

이용자를위하여 1. 본보고서에수록된내국인통계는 2017 년 12 월 31 일현재 주민등록법 에의하여주민등록표에등재된세대와인구를집계한것입니다. 그리고외국인통계는 출입국관리법 에의하여외국인정보공동이용시스템에등재된인구를집계하여수록한것입니다. 2. 본통계자료는다음과같은사유로작

Y Z X Y Z X () () 1. 3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무배당신한유니버설 Plus 종신보험상품요약서

2014 년 5 월 16 일 부천시보 제 1044 호 부천시공유재산관리조례일부개정조례 참좋아! 햇살같은부천에별같은사람들이있어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질병 1 유병자 2 20 ~ 30대 환자 3 발생률 4 남성의 발생률 5 소아 발생률 6 환자 5년 생존율 7 고혈압 환자 8 뇌경색증 진료 인원 9 치매 증가율 치료비 1 소아 진료비 2 노인 월평균 진료비 사망 1 폐 사망률 2 3대 사망원인 3 여성 10대 사인

NYPI YOUTH REPORT VOL.48 _ 발행일 발행인 이재연 발행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주 소 서울시 서초구 태봉로 114 교총빌딩 9/1층 전화 팩스 제 작 계문사

일러두기 년출생통계 확정 이자료는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과 가족관계의등록 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시구청및읍면동사무소에신고한 출생자료를기초로작성한결과임 년에발생한출생사건에대해 년 월까지 개월 신고된자료를기준으로집계분석한결과임 이결과는확정치로 년 월 월까지지연신고분추정치가 반영된

The 3 rd Health Plan Trend Report Contents 16 개대표지표 І 개요 02 П 주요결과요약 04 Ш 세부내용분석 06 대표지표 1. 성인남자흡연율 06 대표지표 2-1. 성인남자고위험음주율 07 대표지표 2-2. 성인여자고위험음주율 08

II. 기존선행연구

공무원복지내지82p-2009하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수준및의료이용실태 사회경제적생활실태 주관적건강상태 건강상태가 좋음또는매우좋음이라고응답한비율은 로비장애인의 에비해 낮았으며 특히우울감경험률 자살생각률은비장애인에비해 배이상높았으며연령이높을수록심각한것으로나타났다 전반적생활만족도에대한긍정적응답율은지난 년실태조사이후지속적으로개

#遺€?됱궗?뚮뱾168?

< B4DCBFF8B1B8BAB8B0C7BCD22E687770>

<4D F736F F F696E74202D20BCD2BEE7BEE0BBE720C0E7C1A4BAF1C3CBC1F8C1F6B1B820C1A4BAF1BBE7BEF7C7F6C8B22E >

<5BB1E2BABB D20C0E5B9CCC7FD2E687770>

<B1B9BEEE412E687770>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 B3E2B1E2C1D85FC1D6B9CEB5EEB7CFC0CEB1B8C5EBB0E8BAB8B0EDBCAD2E687770>

<5BC7D0B1B3BAB8B0C7C1F8C8EFBFF85D B3E2B5B520C1A63437C8A320C7D0B1B3BAB8B0C7BFACBAB85FB3BBC1F62E687770>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Ⅳ. 가구구조 1. 가구구조의변화 1. 가구구조의변화 1.3 자치구가구수분포 1.1 가구수의변화 평균가구원수가가장큰구는양천구로 2.93 명, 가장작은구는관악구로 2.34 명 2010 년의가구수는 350 만가구로 1980 년보다 그림 4-1 과의가구규모의증가율 (1980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법령 고용상연령차별금지및고령자고용촉진에관한법률시행령 ( 제 2 조 ) 노인복지법 ( 제 28 조 ) 국민연금법 ( 제 61 조 ) 고령자또는노인의범위 고령자 : 55 세이상 준고령자 : 50 세이상 55 세미만 65 세이상인자 : 노인에대한복지도모대상으로규정 60 세

_ 김철수 내과, 김란희 산부인과 개원 _ 양지병원 (6개과 33실 51병상) 개원 _ 신관 별관 증축 종합병원 기틀 마련 _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 차트(OCS/EMR) 의료영상 시스템(PACS) 전자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08질병-건강하게-10.7

통계로본서울인구 가구변화 통계데이터담당관 ( 정보기획관 ) 목차 요약 ] 인구변화 인구변동요인 가구변화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ePapyrus PDF Document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Ⅵ. 기타 1. 교통사고 1. 교통사고 1.1 차종별교통사고 211년서울시전체교통사고건수는 168,353건이며, 승용차사고가 79,22건으로가장높은비중을차지 211년서울시전체교통사고건수는 168,353건으로집계되었으며 27년에비해 23,644건감소하였다. 원동기자전거이

제 2 기충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BBE7B8C120B9D720BBE7B8C1BFF8C0CE20C5EBB0E8B0E1B0FA E687770>

01정책백서목차(1~18)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BCBCB0E8C7D1B1B9C0CEB1B8C7F6C8B2332E687770>

각하는 등 환경문제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률이 높았고,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한다고 응답한 가구는 44.9%로 겨울철 녹색 생활 실천률은 인식률보다는 낮았다. 이밖에도 생활 속 서울시민의 녹색생활 실천정도는 친환경교통수단인 대중교통으로 통근하는 시민은 51.3%로

일러두기 호남지방통계청은제주특별자치도과거 여년간시도별통계자료를 수집하여사회변화상을작성함 제공된통계자료는각기관에서실시하는통계결과로서조사년도 조사대상 조사시점 조사목적등을고려하여이용바람 과거 년 년 년 의변화상을기본으로작성하였으나 일부항목은자료수급문제등으로기준년도가상이함


2015 군포시화재현황 화재건수 : 175 건 2014 년대비 : 6 건감소 ( 3.3%) 인명피해 : 6 명 ( 부상 6) 2014 년대비 : 4 명증가 (200.0%) 재산피해 : 1,514 백만원 2014 년대비 : 1,465 백만원감소 ( 49.2%) 1 개월평

2002report hwp

【표 1

src.hwp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3034C1DFB5BFC0C7B7E1B1E2B1E2BDC3C0E5B5BFC7E22E687770>

< B3E25FBBE7B8C1BFF8C0CEC5EBB0E85FB0E1B0FA F6D C3D6C1BE292E687770>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untitled

src.hwp

CONTENTS Ⅰ 건강상태 12 Ⅳ 보건의료이용 82 Ⅱ Ⅲ 1. 기대수명 2. 영아사망률 3. 암에의한사망률 4. 뇌혈관질환에의한사망률 5. 허혈성심장질환에의한사망률 6. 호흡기질환에의한사망률 7. 자살에의한사망률 8. 본인의건강상태가양호하다고생각하는비율보건의비의료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목차 Ⅰ. 사업개요 1 1. 사업목적 1 2. 사업목표 1 가. 단기목표 1 나. 중장기목표 ( 성과지표 ) 2 다. 산출목표 3 3. 주요사업내용및사업대상 4 가. 주요사업내용 4 나. 사업대상 5 4. 주요사업자체평가 ( 계획대비성과 ) 6 가. 중장기목표달성도 6

Transcription:

강서구건강도시기초프로파일 서울특별시강서구

목차 Ⅰ. 강서구의상징물 ---------------------------------------------- 6 Ⅱ. 강서구지역현황 ---------------------------------------------- 7 1. 지역특성 ----------------------------------------------- 7 2. 일반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3. 도시기반시설 -------------------------------------------- 13 4. 인구특성지표 -------------------------------------------- 14 Ⅲ. 건강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0 1. 생정통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0 2. 건강인식현황 -------------------------------------------- 23 3. 모자보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4. 유병율 ( 이환율 ) ------------------------------------------- 27 Ⅳ. 공중보건및의료서비스지표 ----------------------------- 28 1. 의료서비스및인력현황 ------------------------------------- 28 2. 사회복지기관현황 ----------------------------------------- 30 3. 예방접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2 4. 보건서비스 -------------------------------------------- 33 Ⅴ. 생활양식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1. 흡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2. 음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3. 비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4. 운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4 5. 식생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6 Ⅵ. 환경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7 1. 기온과강수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7 2. 쓰레기처리 -------------------------------------------- 48 3. 급수사용량 -------------------------------------------- 49 4. 녹지공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9 5. 수질오염도 -------------------------------------------- 51 6. 하수관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7. 대기오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Ⅶ. 사회경제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1. 경제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2. 교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3. 문화 체육시설 -------------------------------------------- 55 4. 교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7 5. 주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8 6. 도시안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0-1 -

그림목차 그림 1. 행정조직도 ---------------------------------------------------------- 12 그림 2. 예산규모 ----------------------------------------------------------- 13 그림 3. 5세간격인구분포 -------------------------------------------------- 14 그림 4. 연령별 ( 성별 ) 인구분포 ---------------------------------------------- 15 그림 5. 집단특성별인구분포 ----------------------------------------------- 16 그림 6. 1995년이후전체인구변화 ------------------------------------------ 16 그림 7. 1995년이후전체세대수변화 ---------------------------------------- 17 그림 8. 5세미만영유아인구추이 ------------------------------------------ 17 그림 9. 65세이상노인인구추이 ------------------------------------------- 18 그림 10. 혼인및이혼추이 ------------------------------------------------- 19 그림 11. 외국인구변화추이 -------------------------------------------------- 19 그림 12. 국가전체사망원인 ------------------------------------------------ 22 그림 13. 주관적건강인식상태 ----------------------------------------------- 23 그림 14. 양호한주관적건강수준인지율 -------------------------------------- 23 그림 15. 주관적스트레스인지율 ------------------------------------------ 24 그림 16. 건강검진수검율 ---------------------------------------------------- 24 그림 17. 연령별유산및사산경험률 ------------------------------------------ 25 그림 18. 수유현황 ---------------------------------------------------------- 26 그림 19. 의료보험별가입현황 ------------------------------------------------ 28 그림 20. 인구만명당의료인력수 ------------------------------------------ 29 그림 21. 장애등급별장애인수 ( 명 ) ------------------------------------------ 31 그림 22. 예방접종현황 ------------------------------------------------------ 32 그림 23. 연간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 -------------------------------------- 32 그림 24. 보건소의료서비스에대한인지율 ------------------------------------- 33 그림 25. 보건소이용경험 --------------------------------------------------- 33 그림 26. 보건소이용이유 --------------------------------------------------- 34 그림 27. 보건소이용하지않는이유 ------------------------------------------ 34 그림 28. 구강보건사업실적 --------------------------------------------------- 35 그림 29. 건강검진사업실적율 ------------------------------------------------ 36 그림 30. 정신보건대상자현황 ----------------------------------------------- 36 그림 31. 평생흡연경험율 --------------------------------------------------- 39-2 -

그림 32. 현재흡연율 --------------------------------------------------------- 39 그림 33. 매일흡연자의 1일평균흡연량 -------------------------------------- 40 그림 34. 가정내간접흡연노출율 --------------------------------------------- 40 그림 35. 첫음주경험연령 -------------------------------------------------- 41 그림 36. 현재음주자의평균음주량 ------------------------------------------ 41 그림 37. 비만도분포 ( 성별 ) -------------------------------------------------- 42 그림 38. 비만도분포 ( 성별 ) -------------------------------------------------- 42 그림 39. 비만도분포 ( 연령특성별 ) -------------------------------------------- 43 그림 40. 체중관리방법 ------------------------------------------------------- 43 그림 41. 본인인지평소운동실천율 ----------------------------------------- 44 그림 42. 규칙적중등도운동실천율 ------------------------------------------ 44 그림 43. 운동실천자의운동종류 -------------------------------------------- 45 그림 44. 3끼식사의규칙적섭취율 ------------------------------------------- 46 그림 45. 아침식사결식률 ---------------------------------------------------- 46 그림 46. 월별평균기온 ----------------------------------------------------- 47 그림 47. 월별평균강수량 ( 단위 ;mm) ------------------------------------------ 47 그림 48. 일일쓰레기배출량 ( 단위 : 톤 ) ---------------------------------------- 48 그림 49. 연간쓰레기수거처리 ( 단위 : 톤 ) ------------------------------------- 48 그림 50. 연간급수사용량 ( 단위 :1000m3) -------------------------------------- 49 그림 51. 가로수현황 -------------------------------------------------------- 50 그림 52. 녹지현황 ----------------------------------------------------------- 50 그림 53. 경제활동행태 ------------------------------------------------------ 53 그림 54. 월평균가구총소득 ----------------------------------------------- 53 그림 55. 연도별학생수현황 ------------------------------------------------- 54 그림 56. 공원면적 ----------------------------------------------------------- 56 그림 57. 연도별등록자동차현황 -------------------------------------------- 57 그림 58. 형태별주택보급률 ------------------------------------------------- 58 그림 59. 주택소유형태-------------------------------------------------------- 59 그림 60. 평균가구원수 ----------------------------------------------------- 59 그림 61. 거주지야간치안상태만족도 --------------------------------------- 61 그림 62. 도난, 성희롱, 괴롭힘, 위협, 폭행경험율 ---------------------------- 61-3 -

표목차 표 1. 세대별인구수및면적 ------------------------------------------------ 11 표 2. 강서구예산규모 ------------------------------------------------------ 13 표 3. 도시기반시설현황 ----------------------------------------------------- 13 표 4. 집단특성별인구 ----------------------------------------------------- 15 표 5. 서울시와강서구의연도별인구증가추계 -------------------------------- 17 표 6. 인구밀도 -------------------------------------------------------------- 18 표 7. 혼인및이혼현황 ----------------------------------------------------- 18 표 8. 외국인인구변화현황 ------------------------------------------------- 19 표 9. 조출생률 --------------------------------------------------------------- 20 표 10. 모의출생률 ---------------------------------------------------------- 20 표 11. 조사망률 -------------------------------------------------------------- 21 표 12. 서울시사망원인현황 -------------------------------------------------- 21 표 13. 연령별유산및사산경험률 ------------------------------------------- 25 표 14. 저체중출생아현황 --------------------------------------------------- 25 표 15. 수유현황 ------------------------------------------------------------ 26 표 16. 유병률 -------------------------------------------------------------- 27 표 17. 의료기관현황 -------------------------------------------------------- 28 표 18. 의료기관별병상수 --------------------------------------------------- 29 표 19. 의료인력 ------------------------------------------------------------- 29 표 20. 의료취약계층인구수 -------------------------------------------------- 30 표 21. 사회복지기관 --------------------------------------------------------- 30 표 22. 장애유형별등록장애인수 ------------------------------------------- 31 표 23. 전염병관리사업현황 ------------------------------------------------- 35 표 24. 방문간호사업실적 ---------------------------------------------------- 37 표 25. 모자보건사업실적 ---------------------------------------------------- 37 표 26. 건강친화적환경조성실적 --------------------------------------------- 38 표 27. 공원현황 ------------------------------------------------------------- 49 표 28. 녹지현황 ------------------------------------------------------------ 50 표 29. 안양천의수질오염도 (BOD) --------------------------------------------- 51 표 30. 하수시설 ------------------------------------------------------------ 51 표 31. 대기오염현황 -------------------------------------------------------- 52 표 32. 교육기관현황 -------------------------------------------------------- 54 표 33. 문화시설현황 -------------------------------------------------------- 55 표 34. 공공체육시설현황 --------------------------------------------------- 55 표 35. 자동차등록대수 ------------------------------------------------------ 57 표 36. 주택현황 ------------------------------------------------------------ 58 표 37. 5대범죄발생현황 ---------------------------------------------------- 60 표 38. 화재발생현황 -------------------------------------------------------- 60-4 -

강서구휘장 Gangseo City Emblem 휘장의의미 21 세기지방화시대를맞아수도서울의새로운중심지로뻗어가는강서의밝은미래를담기위하여 1995 년만듬 디자인의미휘장의아랫부분의녹색은녹지공간과쾌적함을, 가운데청색부분은 강서 의첫자음인 ㄱ 과 ㅅ 을상징하며, 윗부분의붉은수도서울의새로운중심지로발전하고있는강서구의미래상을상징함 구색의의미초록색 /The Green 평화의탄생을의미하는초록색, 구민의씩씩한모습을나타냄 마스코트 Mascot 새로미 /Saeromi 친근감과따뜻한이미지를살려간결하게묘사되고있는 새로미 는강서구의기쁜소식을상징하는구민의영원한친구의의미다 구새 District bird 까치 /Bird 한국의전설이나설화에서좋은소식을전해주는길조 로구민들사이에사랑의다리를놓는강서구민의화합을상징함 구꽃 District Flower 국화 /Chrysanthemum 국화는청순, 평화, 고결등의꽃말을갖고있으며, 늦게피면서도서리가내릴때까지오래볼수있는특성은강서구의지속적인발전을의미함 구나무 District Tree 은행나무 /Gingko 은행나무는아름다울뿐아니라공해와병충해에강해수명이긴나무로꼽힌다. 나무가미려하고청량감을주며, 고목으로성장하는특성은강서의무한한발전을상징함 - 5 -

Ⅱ. 강서구의지역현황 1. 지역특성 강서구가서울특별시행정기구의명칭으로처음사용된것은 1977년 9월 1일구증설에따라영등포구의염창동, 목동, 등촌동, 화곡동, 신월동, 가양동, 마곡동, 내발산동, 외발산동, 공항동, 방화동, 개화동, 과해동, 오쇠동, 오곡동, 신정1동일부를통 합하여 16 개동 309,000 명으로부터이며, 이후여러차례의분동과 1988 년 1 월 1 일 양천구와분리편입과정을걸쳐현재의강서구는염창동, 등촌1동, 등촌2동, 등촌3동, 화곡본동, 화곡1동, 화곡2동, 화곡3동, 화곡4동, 화곡6동, 화곡8동, 우장산동, 가양1 동, 가양2동, 가양3동, 발산1동,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방화3동등 20개동의행정구역으로개편 2008년말현재 223,026세대 583,545명의주민이살고있는모습을갖춘도시다. 이전행정구역의변천과정을보면 1963년 1월 1일자법률제 1172호로경기도양동면과양서면및부평군오정면을영등포구에편입하여양동출장소와양서출장소등 2개출장소로신설하고 1967년 12월 13일두출장소를합병등여러차례의분동합병과정을걸쳐행정구역으로개편되어졌다. 처음강서구로불려진것은 1977년 9월 1일부터로영등포구에서분리, 별도의구로신설되면서 서울특별시강서구 로명명되어졌다. 강서구는서울특별시 25개구중 3번째로큰도시로서울의서남단한강이남에위치하면서동쪽안양천을경계로영등포구, 서쪽으로인천광역시, 경기도김포시, 남쪽으로는양천구와부천시와인접해있고북쪽으로는한강을경계로경기도고양시와마포구와인접하고있으며, 강서구는김포공항이위치하고있으며서울에서인천공항을이 어주는관문이다. 서북부광역교통의요충지이고, 특히, 최첨단마곡산업단지개발이 진행되고있는지역으로개발되면한국, 중국, 일본등황해경제권, 동아시아경제권 과축을이루며건강도시프로젝트개발및실천의잠재역량을두루갖춘최고의건강 도시가될것이다. - 6 -

강서구위치는최동단동경 126 52 북위 37 32 ( 염창동 286-4), 최서단동경 126 45 북위 37 23 ( 오곡동 654), 최남단동경 126 50 북위 37 31 ( 화곡동 951-4), 최북단동경 126 47 북위 37 35 ( 개화동 620) 에위치한총면적 41.4 km2의성장지향적도시다. Map of SEOUL 마곡지구도시개발계획강서구마곡지구도시개발사업을 3,665,336m2규모로서울의서남권에서마지막남은강서구의마곡동, 가양동, 공항동, 방화동, 내외발산동농업지역토대로김포공항과인천국제공항의관문이며지하철 5호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및공항로, 남부순환로, 올림픽대로과통과하는산업단지로교통의요충지이다. 강서마곡지구개발은잘갖추어진기존도시와도시민의삶의터와조화롭게조성하기위해최선의노력은기울여 2007~2031년까지 1단계로 2007~2015년까지기반시설, 국가단지, 국제단지, 산업단지공급완료할예정이며, 2단계로 2016~2020년까지산업단지, 주거단지추가공급완료, 3단계로 2024~2031년까지장래첨단산업조성및주택지확보할계획이다. - 7 -

2. 일반현황 (2008년 12월 31일기준 ) 인 구 : 223,026세대, 583,545명 ( 서울특별시전체 5.7%) 최대동 : 화곡1동 (20,296세대 51,983명 ) 최소동 : 가양3동 (7,765세대 20,058명 ) 외국인등록 6,697 ( 남3,246명, 여3,451명 ) 면 적 : 41,4km2 ( 서울시의 6.8%) 주 택 : 194,047동 ( 보급률 93.2%) 주민조직 : 20동 599통 4,739반 [ 표 1] 세대별인구수및면적 동별 인구세대수인구수 면적 인구수 ( 명 ) 20개동 223,026 583,545 41.4 염창동등촌1동등촌2동등촌3동화곡본동화곡1동화곡2동화곡3동화곡4동화곡6동화곡8동우장산동가양1동가양2동가양3동발산1동공항동방화1동방화2동방화3동 14,134 8,364 8,334 14,782 14,653 20,296 8,057 8,842 9,285 9,671 10,898 16,374 7,810 7,982 7,765 11,301 9,723 12,056 11,064 11,635 42,053 21,644 23,035 38,947 35,965 51,983 20,827 24,369 23,060 24,819 27,598 45,651 22,295 19,040 20,058 32,143 22,604 31,993 26,860 28,601 1.7 0.6 0.9 0.8 1.1 1.1 0.5 0.5 0.8 1.1 0.5 1.4 4.7 1.0 1.0 3.0 10.9 1.0 6.4 2.4 강서구면적 41.4km2로서울시전체면적의 6.8% 이다. 강서구전체면적중주거지역 13.9km2 (33.0%) 녹지지역 23.4km2 (56.5%), 상업지역 1.4km2 (3.5%), 공업지역 2.9km2 (7.0%) 을차지하고있어주민의건강한삶의질을높여주고있는녹지가 56.5% 로최 고의환경조건을갖추고있다. - 8 -

행정조직 : 5 국 1 담당관 30 과, 1 소 4 과, 20 동, 구의회 [ 그림 1] 행정조직도 추진반구성 : 보건위생과에팀으로 4 명 ( 팀장 1 명, 직원 2 명, 사무보조 1 명 ) - 9 -

예산 : 총 384,911 백만원 ( 일반회계 360,803 백만원, 특별회계 24,108 백만원 ) [ 표 2] 강서구예산규모 ( 단위백만원 ) 구분 2008 2009 예산액구성비예산액구성비 증감증감율 (%) 계 370,704 100 485,489 100 114,785 130 일반회계 348,792 94 447,053 92 98,261 128 특별회계 21,912 6 38,436 8 16,514 175 재정자립도 : 2007 년도 %, 2008 년도 % 2009 년도 % [ 그림 2] 예산규모 3. 도시기반시설 [ 표 3] 도시기반시설현황 구분 내역 구분 내역 도로 377km( 도로율 24.0%) 공원 132개소 ( 면적 2.7km2 ) 상수도 128,263전 ( 보급률 100%) 하수도 476km(100%) 도시가스 206,099가구 ( 보급률 99.6%) 지하철 연장 21.2km (5호선,9호선) 주택 194,047 동 ( 보급율 93.2%) - 단독 20,882 호, 다세대 33,707 호, 아파트 91,544 호, 연립등 47,914 호 - 10 -

4. 인구특성지표 1) 현재인구현황 2008년 12월 31일기준강서구현재인구는 223,026세대 583,545명이며. 남 녀간인구차이는남자는 288,063명전체인구의 49.4%, 여자는 295,482명으로 50.6% 로여자가조금더많으며외국인도 6,697명 (1.2%) 살고있다. 연령별인구분포는 25~29세가전체의 9.6% 로가장높은비율을차지했고연령별성비는전체적으로유사한분포패턴을나타내고있으나, 남성은 30대의비중이높고, 여성은 40~50대이상의비중이높은것으로남녀성비는 40대이상이되면여성의비중이높아지며, 이는연령이높아질수록컸다. [ 그림 3] 5 세간격인구분포 자료출처 : 제 24 회강서통계연보 (2009 년도발행 ) - 11 -

[ 그림 4] 연령별 ( 성별 ) 인구분포 자료출처 : 제 24 회강서통계연보 (2009 년도발행 ) 강서구의집단특성별인구분포를보면경제활동가능인구인 20~64 세인구가전체의 69.8%( 남자 70.0%, 여자 69.6%) 로상대적으로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고, 20 세미만 의유아및청소년과 65 세이상의노인은각각 22.4% 와 7.8% 이다. [ 표 4] 집단특성별인구연령집단전체남자여자 130,504 67,804 62,700 20세이하유아및청소년 (22.36%) (11,61%) (10.74%) 20세이상 ~ 407,279 201,700 205,579 경제활동가능인구수 65세이하 (69.79%) (34.56%) (35.23%) 45,762 18,559 27,203 65세이상노인 (7.34%) (3.18%) (4.66%) 자료출처 : 제24회강서통계연보 (2009년도발행 ) 분석 - 12 -

[ 그림 5] 강서구의집단특성별인구분포 자료출처 : 제 24 회강서통계연보 (2009 년도발행 ) 분석 2) 인구구조및특성 강서구의인구는 1995 년대비 2008 년인구는 11.4% 로증가하였으며, 2000 년이후인구증가추세 로돌아서매년완만한증가세를나타내고있다 강서구의 2007 년전출인구는 11 만 5 천명, 전입인구는 12 만 7 천명으로각각전체인구의 20.23%, 22.37% 이이동하였으며, 지난 10 여년간강서구의인구이동은전입인구가전출인구보다 많아강서구인구증가현상이인구의사회적이동에의해발생한것으로해석됨 [ 그림 6] 1995 년이후전체인구변화 자료출처 : 강서구주민등록인구통계, 강서구, 2009-13 -

[ 그림 7] 1995 년이후전체세대수변화 자료출처 : 강서구주민등록인구통계, 강서구, 2008 향후서울시와강서구의인구는 2020 년까지조금감소추세를보일것으로예상되며, 강서구는서울시의감소율 5.5% 보다낮은 0.46% 로상대적으로낮은감소가예상 [ 표 5] 서울시와강서구의연도별인구증가추계 구분 2005 2010 2015 2020 인구증가율 (2020/2000) 연평균증가율 (2000~2020) 서울시 10.216 10.037 9.913 9.798-5.54-0.28 강서구 521 518 519 520-0.46-0.02 자료출처 : 서울시특별시, 2020 년서울도시기본계획 2006 계획년도별인구는주민등록통계상의인구를인용하여추계 5 세미만유아는조금씩감소하다가 2006 년부터조금씩증가하고있으며, 65 세이상의 노인인구는삶의질향상에힘입어수명이연장되면서점차증가하는것을볼수있다. [ 그림 8] 5 세미만영유아인구추이 자료출처 : 강서구구주민등록인구통계, 강서구, 2008-14 -

[ 그림 9] 65 세이상노인인구추이 자료출처 : 강서구주민등록인구통계, 강서구, 2008 서울시 25 개자치구중 3 번째로많은인구가거주하고있지만, 인구밀도는서울시평균 인구밀도보다낮고, 자치구중 4 번째로인구밀도가낮다. 세대당인구수는서울시평균 보다높다. [ 표 6] 인구밀도구분 인구밀도 ( 명 / km2 ) 면적 ( km2 ) 세대당인구 ( 명 ) 서울시 17,275 605.27 2.49 강서구 14,086 41.43 2.59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강서구, 2009 강서구민의혼인은 2002 년이후매년 4,000 건이상접수되었고. 혼인대비이혼율은 2005 년 36.4% 로최고치를정점으로 2008 년 12 월까지는 31.8% 로나타나점진적으로감소추세다. [ 표 7] 혼인및이혼현황구분 혼인 ( 명 ) 이혼 ( 명 ) 혼인대비이혼율 (%) 2005 3,900 1,422 36.4 2006 4,171 1,427 34.2 2007 4,233 1,393 32.9 2008 4,283 1,366 31.8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강서구, 2009-15 -

[ 그림 10] 혼인및이혼추이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8 강서구의외국인구변화추이를보면 2004 년 3,093 명에서 2008 년 12 월말 6,697 명으로 2 배의증가를보이며, 2006 년부터중국, 미국, 베트남인의증가추세를볼수있고, 기타 외국인도점차증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 표 8] 외국인인구변화현황 ( 단위 : 명 ) 구분 합계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기타 계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2004 3,093 1,633 1,458 883 1,046 135 84 41 52 43 95 531 181 2005 3,713 1,841 1,872 866 1,251 127 70 61 71 45 113 742 480 2006 4,900 2,440 2,460 1,291 1,785 136 87 120 61 45 110 848 417 2007 5,749 2,850 2,899 1,705 2,181 181 86 111 84 41 121 812 427 2008 6,697 3,246 3,451 2,039 2,628 203 86 80 130 38 142 886 465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 [ 그림 11] 외국인구변화추이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16 -

Ⅲ. 건강지표 1. 생정통계 우리나라전체의출생률은 1970 년대인구 1,000 명당 31.2 명에서이후꾸준히감소하여 2008 년에전국인구 1000 명당 9.4 명서울시는 9.3 명이며, 강서구는 1,000 명당 9.9 으로 서울시보다높으며, 자연증가율은 1.000 명당 6.2 명이다 [ 표 9] 조출생률 성별출생자인구 1,000 명당출생자수자연증가율 남 2,881 강서구 여 2,832 9.9 6.2 전체 5,713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홈, 2008 모의연령별출생아수는 2007년 30대초반 (30~34세) 연령층의출생아수는 205,704명으로 2006년보가 10,700명증가하였으며, 30대후반 (35~39세) 에서는 10,000명증가하였다강서구는 30~34세 1천명당 107.8명으로서울시 99.5명보다높고, 20대출산도서울시보다높은경향을보였다. [ 표 10] 모의출생률 전국서울시강서구 합계출생률 1,192 1,010 1,123 모의연령별합계출생율 (30~34 세 ) 모의연령별합계출생율 (25~29 세 ) 101,5 99,5 107.8 85.6 58.5 68,7 자료출처 : 통계청 2008 * 합계출생률 (TFR; Total Fertility Rate) : 여자 1 명이평생동안낳을것으로예상되는평균출생 아수를나타낸지표로서연령별출산율 (ASFR) 의총합이며, 출산력수준을나타내는대표적지표 - 17 -

우리나라전체의사망률은 1970 년대인구 1,000 명당 8 명에서꾸준히감소하여 2008 년 인구 1,000 명당 5.0 명이며, 강서구는이보다낮은 3.8 명이었다. 성별에따른사망자수를 보면남자 (1,137 명 ) 가여자 (1,009 명 ) 에비해높다. [ 표 11] 조사망률 강서구 성별 사망자 ( 명 ) 인구 1,000명당사망자수 남자 1,137 여자 1,009 3.7 전체 2,146 자료출처 : 통계청 2008 전국의 3 대사망원인은악성신생물 ( 암 ),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으로총사망자의 45.8% 를 차지하고있으며, 서울시역시 3 대사망원인은동일하며, 총사망자의 51,6% 를차지하고 있어전국보다높은수준을보이고있다. [ 표 12] 서울시사망원인현황 ( 2008) 주요사망원인 사망자수 ( 명 ) 구성비 (%) 사망률 ( 명 ) 인구10만명당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전국 서울시 계 246.113 38.298 100.0 100.0 498.2 375.6 악성신생물 ( 암 ) 68.335 11,867 27.9 30.7 128.9 120 뇌혈관질환 22.297 4.439 9.1 11.5 54.3 44.2 심장질환 ( 허혈성심장질환 + 기타심장질환 21.494 3.626 8.8 9.4 40.1 33.2 자살 12.174 2.045 5 5.3 23.9 19.6 당뇨 11.272 1.662 4.6 4.3 21 17.5 자료출처 : 통계청 2008 국가전체의사망원인은암 ( 악성신생물 ) 이 27.9% 로가장많았고순환기계통의질환, 질 병이완및사망의외인질환사망자수가 2, 3 위를차지했다. - 18 -

[ 그림 12] 국가전체사망원인 자료출처 : 통계청, 2008 * 연령표준화사망률 (Age-standardized death rate) : 인구구조가다른집단간의사망수준을비교 하기위해연령구조가사망률에미치는영향을제거한사망률 - 19 -

2. 건강인식현황 강서구민의건강인식상태조사결과대체적으로건강하다고생각하는사람이전체의 64.9% 로서울시의 63.7% 보다높았으며, 건강하지못함은 17.5% 가답하며서울시 14.4% 보다높게나타났다. 남자 11.9% 가건강하지못하며여자는 22.2% 가그렇다고답하여상대적으로남자가자신의건강에대해긍정적으로생각하는비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13] 주관적건강인식상태 자료출처 : 서울시지역사회건강조사 2008 양호한건강수준인지율은강서구 38.8% 로서울시 50.9% 보다낮고전체연령별수준 도서울시보다평균 10% 이상낮았다. [ 그림 14] 양호한주관적건강수준인지율 자료출처 : 서울시지역사회건강조사 2008 년 - 20 -

평상시생활중에느끼는스트레스정도를보면강서구가 31.2% 로서울시30.4% 보다높고스트레스를거의느끼지않는다는강서구 14.7.3% 로서울시 13.3% 보다높았다스트레스를 매우많이받음, 많이받음 에남자가 85.7%, 여자가 84.6% 로남자가여자에비해스트레스를많이느끼고있었다. [ 그림 15] 주관적스트레스인지율 자료출처 : 서울시지역사회건강조사 2008 년 건강검진수검율은강서구가 53.5% 로서울시 51.2% 보다높았으며, 40 대에서 60 대까 지는검진율이 60% 이상이었으며, 70 세이상은검진율이감소하였다 [ 그림 16] 건강검진수검율 자료출처 : 서울시지역사회건강조사 2008 년 - 21 -

3. 모자보건 19 ~49세사이기혼여성중지난 2년간유산혹은사산을경험한서울시비율 ( 인구 1,000명당 ) 은자연유산이 17.6명, 인공유산 13.8 이며, 사산은 1.2명이다. 이들은연령별비율로 25~29에서자연유산이가장많이발생하여가임여성 1,000명당 52.1명, 다음이 30~34세 33.2명으로나타났다. 인공유산은 19~24세에서54.5명으로가장많고, 다음이 30~34세 (33.2명) 로두번째이다. 따라서인공유산은젊은연령층에서, 자연유산은 30-34세층에서많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13] 연령별유산및사산경험률 ( 단위 : 인구 1,000 명당 ) 연령 19~24 세 25~29 세 30~34 세 35~39 세 40~44 세 45~49 세 자연유산 ( 명 ) 18.2 52.1 33.2 20.6 6.5 2.0 인공유산 ( 명 ) 54.5 18.4 33.2 13.3 5.6 1.5 사산 ( 명 ) 0 1.5 1.1 2.6 0 0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 그림 17] 연령별유산및사산경험률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서울시저체중아출생아는 년 4.0% 에서 04년에는 4.2% 로증가하였으나, 08년 4.9% 로매년증가하고있다. [ 표 14] 저체중출생아현황 년도 2002 2004년 2006년 2008년 % 4.0 4.2 4.4 4.9 자료출처 : 통계청, 2008-22 -

서울시에서 2년간출생한막내아의생후 24개월간모유수유실태는생후 1개월까지모유수유율은 49.8%, 생후 6개월까지모유수유율은 36.8%, 생후 12개월까지모유수유율은 28.8% 이며 6개월시점에서수유형태는모유만수유 36.8%, 분유만수유 21.8%, 섞어서수유 41.3% 로나타남 [ 표 15] 수유현황 수유기간 ( 개월 ) 모유만수유 (%) 혼합수유 (%) 분유만 수유기간별누적 수유 (%) 출생아수 ( 명 ) 수유기간 ( 개월 ) 모유만 혼합수 수유 (%) 유 (%) 분유만 수유기간별누적 수유 (%) 출생아수 ( 명 ) 1 49.8 28.8 21.4 669 13 24.2 55.9 19.9 306 2 45.8 32.8 21.5 638 14 21.8 60.2 18.0 284 3 43.0 34.9 22.1 605 15 19.4 64.0 16.6 253 4 39.2 39.0 21.8 577 16 14.8 73.5 11.7 223 5 38.5 39.9 21.6 546 17 14.6 73.7 11.7 205 6 36.8 41.3 21.8 513 18 13.4 75.9 10.7 187 7 34.2 43.9 21.9 488 19 10.4 81.0 8.6 163 8 33.5 44.2 22.3 457 20 10.4 80.6 9.0 134 9 32.8 45.3 21.9 433 21 9.2 85.3 5.5 109 10 31.7 46.2 22.0 413 22 8.8 86.3 5.0 80 11 28.6 49.2 22.2 378 23 8.3 85.4 6.3 48 12 28.8 49.0 22.2 347 24 5.3 94.7 0.0 19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 그림 18] 수유현황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23 -

4. 유병률 ( 이환율 ) 강서구의평생의상진단유병율이가장높은질환은고혈압 (1,000명당 120.0명 ) 이었으며, 다음이요통 (1,000명당 66.1명 ), 알레르기성비염 (1,000명당 65.1명 ), 치질 (1,000명당 53.3명 ), 당뇨병 (1,000명당 52.0명 ), 백내장 (1,000명당 51.9명 ) 의순이었다. [ 표 16] 유병률 구분 질병명 2008년지역사회건강조사 암질환 암 25.2 구분 2008년질병명지역사회건강조사고혈압 120.0 골관절염 47.4 고지혈증 46.5 근골격계질환 류마티성관절염 18.1 순환기계 뇌졸중 ( 중풍 ) 11.9 골다공증 41.3 질환 심근경색증 8.9 요통 66.1 협심증 11.5 내분비대사성질환소화기계질환 당뇨병 52.0 치질 ( 치핵 ) 53.3 갑상선장애 32.7 백내장 51.9 위십이지장궤양 29.7 눈, 귀질환 녹내장 6.6 B형간염 9.5 중이염 25.1 호흡기계질환 천식 14.4 기타질환 빈혈 35.0 아토피피부염 19.7 알레르기성비염 65.1 요실금 19.5-24 -

Ⅳ. 공중보건및의료서비스지표 1. 의료서비스및인력현황 강서구의의료보험가입현황은총인구 583,545 명중 98.5% 인 575,089 명이의료보험에가입되어있었다. 그중직장의료보험이 60.8%(349,427 명 ) 로가장큰비중을차지했으며, 지역의료보험자는 32.4%(186,094 명 ) 였다. 그외공 교의료보험은 6.8%(39,568명 ), 인구비례의료보호대상자가 3.2%(18,780 명 ) 이다. [ 그림 19] 의료보험별가입현황 자료출처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2009 의료기관수는종합병원 1 개소, 일반병원 12 개소, 의원 293 개소, 치과 164 개소, 한의원 130 개소로총의료기관수는증가하는추세이다. [ 표 17] 의료기관현황 총계종합병원일반병원요양병원의원치과한의원보건소 606 1 12 5 293 164 130 1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9 또한의료기관병상수는종합병원이 100 개, 일반병원 1,139 개, 의원 1,008 개, 요양병원 678 개, 한방병원 38 개이다 - 25 -

[ 표 18] 의료기관별병상수 전체종합병원일반병원의원요양병원한방병원 2,963 100 1,139 1,008 678 38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2009 1) 의료서비스인력현황 의료인력현황을보면의사 560 명, 치과의사 198 명, 한의사 143 명, 간호사 ( 간호조무사 제외 ) 797 명, 의료기사는 465 명이다. [ 표 19] 의료인력 년도의사치과의사한의사간호사의료기사 2008 560 198 143 797 465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2009 인구 10,000 명당의료인력수를보면의사 9.5 명, 치과의사 3,4 명, 한의사 2.5 명, 간호사 13,6 명이다 [ 그림 20] 인구만명당의료인력수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2009-26 -

2. 사회복지기관현황 강서구의취약계층은전체인구 (583,545 명 ) 의 7.94% 로총 46,385 명이며, 취약유형별로보 면등록장애인이 24,916 명으로전체의 4.26% 에해당하여, 기초생활보장대상자 19,067 명 으로 3.26% 큰비율을차지하고있다 [ 표 20] 의료취약계층인구수취약계층 인구수 전체인구중차지하는비율 독거노인 ( 저소득노인 )( 명 ) 2,381명 0.40% 장애등록자 ( 명 ) 24,916명 4.26% 기초생활보장대상자 ( 명 ) 19,067명 3.26% 소년소녀가장세대 ( 가구 / 명 ) 21명 - 합 계 46,385명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2009 사회복지기관은총 655 개소로아동 노인 장애인을위한복지시설을주축으로점차적으로 종합사회복지기관의기능을확대하고경로당을복지수요에맞추어복지인프라를지속적 으로확충하고있는상태이다 [ 표 21] 사회복지기관 시설구분 개소수 아동복지시설 ( 어린이집 ) 353 노인복지시설 ( 경노당포함 ) 238 사회복지관 10 청소년수련관 1 아동복지원 2 장애인복지시설 45 여성복지시설 6 합 계 655 자료출처 : 강서구정백서 ( 2009 년도 ) - 27 -

등록장애인은 24,916 명으로전체인구의 4.26% 이었다. 이중지체장애가 50.8% 로제 일큰비중을차지하고있다. [ 표 22] 장애유형별등록장애인수 등록유형별장애분류 년도 총계 지체뇌병변시각청각언어장애 신장심장지적장애 정신장애 호흡기장애 기타 2009 24,916 12,658 2,562 2,450 2,836 804 155 1,482 1,374 188 407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9 장애등급별비율을살펴보면 1 급중증장애인이 2,453 명으로 9.8%, 2 급장애인이 4,536 명으로 18.2%, 3 급장애인은 4,565 명, 4 급장애인은 3,517 명,5 급장애인은 4,518 명 6 급 장애인은 5,327 명으로 3,4,5, 등급의비율이비슷함을알수있다. [ 그림 21] 장애등급별장애인수 ( 명 )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9-28 -

3. 예방접종 강서구예방접종현황은인플루엔자가 42% 로가장큰비율을차지하고있고그뒤로 B 형간염 13%, P.D.T( 백일해, 디프테리아. 파상풍 ) 12%, 소아마비 10%, 일본뇌염, 홍역, 결핵 순이다. [ 그림 22] 예방접종현황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9 연간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은전체 24.9%, 남자 19.8%, 여자 29.7% 로여자가높았다. 연령대별로 70 대이상에서가장높았고, 20 대에서가장낮았다 [ 그림 23] 연간인플루엔자예방접종률 (%)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9 년지역사회건강조사 - 29 -

4. 보건소서비스보건소의료서비스에대한인지율을조사한결과, 예방접종이 98.0% 로가장높았고전염병질환관리75.8%, 환자독거노인방문서비스 67.2%, 보건교육프로그램65.9%, 건강검진 60.6% 순으로나타났다 [ 그림 24] 보건소의료서비스에대한인지율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보건소를이용한적이있는사람은 33.5% 로이용도가가장높은보건소서비스는단연 예방접종 (80.9%) 이었으며, 다음으로는건강검진 (13.0%), 서류증명서발급 (7.3%) 순이었 다. [ 그림 25] 보건소이용경험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30 -

보건소를이용하는이유는대부분 저렴해서 (82.4%) 였고, 가까워서 (8.4%) 라는응답이 그다음이었다. [ 그림 26] 보건소이용이유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보건소를이용하지않는이유는너무멀거나교통불편 (29.3%) 가가장많았고, 그다음 으로신뢰할수없어서 (22.0%), 건강해서 (19.5%) 등의순이였다. [ 그림 27] 보건소이용하지않는이유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31 -

1) 전염병관리강서구의전염병관리사업은급성전염병관리, 예방접종, 결핵, 에이즈, 성병관리의 5개단위사업별계획에의거추진하고있으며, 또한김포일산인접지역으로지역특성상방화동에유문들을확대설치하여예방홍보활동에노력을하고있다. [ 표 23] 전염병관리사업현황 전염병관리사업내용사업내용비고 급성전염병관리 예방접종관리 ( 명 ) 결핵관리 ( 명 ) 45,197 명 108,706 명 1,895 명 에이즈관리 ( 가구 / 명 ) 1,676명 성병관리 17,823명 합 계 175,297명 2) 구강보건강서구의구강보건사업은구강보건교육 (35%) 과치아홈메우기 (19%), 불소도포 (21%), 노인의치, 보철 (2%), 기타검진 (23%) 으로특히홍보교육과치아홈메이우기등의사업에역점을두고진행을하고있는상황이다.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9-32 -

3) 건강검진강서구의건강검진사업의종류로는국민건강검진 ( 의료보험관리공단검진대상자 )1,415명, 전의경검진131명, 어르신건강검진81명, 무료급식아동건강검진321명, 여성결혼이민자건강검진40명, 비취학청소년검진4명, 구민건강검진110명, 암표지자검진185명으로건강검진의나이와목적에맞게검진하도록구민의건강을체크하고알맞은사후조치를하고있다. [ 그림 29] 건강검진사업실적율 자료출처 : 2009 년강서구건강검진실자료 4) 정신보건강서구의정신보건대상자는정신분열증 653명, 기분장애 159명, 중독성장애 81명, 소아청소년정신장애 41명, 신경증 기질성장애등의기타 208명으로써정신건강돌봄사업, 정신건강증진사업, 정신건강환경개발사업을실시하며, 구민의정신건강장애의만성화예방및정신건강증진을도모한다. 그림 30 정신보건대상자현황 ( 총원 : 1,142 명 ) ( 기타 : 신경증, 기질성장애, 미상포함 ) 자료출처 : 강서구정신보건센터자료 (2009.12.31.) - 33 -

5) 방문건강관리지역내건강수준향상및건강형평성확보와가구원의생애주기별건강위험요인, 질환등에대하여자기관리능력향상을통한삶의질을향상시키기위한사업이다. 65세이상의허약노인, 만성질환자, 장애인, 산모와영아, 위기가족등을대상으로방문간호, 환자관리, 보건교육지역사회연계등체계적으로관리하고있다. [ 표 24] 방문간호사업실적 등록가구수 ( 가구 ) 방문실적 ( 가구 ) 환자관리 ( 명 ) 계방문진료암환자등록무료건강검진지역사회연계자원 ( 건 ) 4,461 13,352 4,848 683 316 615 3,234 방문건강관리대상 4,461 명에 13,352 회방문하여환자관리실적은전체 4,848 명에방문 진료 683 명, 암환자등록관리 316 명, 무료건강검진 615 명과지원사업으로연계서비스지 원 3,234 건으로나타났다. 6) 모자보건사업모자보건사업은임신 출산모성인임산부 3,032명과영유아건강관리사업영유아 7,024 명을대상으로미숙아선천성이상아지원 88명에 214,234천원, 선천성대사이상검사 6,594명에 138,329천원, 산모신생아도우미지원에 484명 243,813천원, 불임부부 208명 290,701천원을지원하였으며, 장애아 ( 신생아 ) 예방사업으로모체혈청검사 434명, 신생아청각선별검사 309명, 혼전건강검진 264명을대상으로지원사업을펼치고있다 [ 표 25] 모자보건사업실적 ( 명 / 천원 ) 모자보건대상의료비지원장애예방 임산부영유아미숙아선천성대상검사 산모신생아 도우미지원 불임 부부 모체 혈청 기형 신생아혼정건강청각선별검진검사 3,032 7,024 88/ 214,234 6,594/ 138,329 484/ 243,813 208/ 290,701 434 309 264-34 -

7) 건강증진 흡연, 절주, 비만, 영양, 운동등생활습관개선건강증진서비스를제공하는사업으로 지역주민의건강행태개선유도, 개인의건강생활실천의지향상사업이다. [ 표 26] 건강친화적환경조성실적 ( 단위 : 개소 ) 금연, 금주시설지정학교주변식품공급체계개선계어린이금연놀이터계건강매점스쿨존금연음식점버스공원정류장 금연 아파트 22 10 12 585 1 181 126 285 2 금연 금주구역지정 22개소 ( 어린이공원 10개소, 놀이터 12개소 ) 와학교주변환경개선사항으로어린이가즐겨먹는식품에대하여공급체계개선을추진총 585개소 ( 매점1개소, 스쿨존 181개소, 금연음식점 126개소, 금연버스정류장 285개소, 금연아파트 2개소 ) 을관리하고있다. 그밖에홍보교육으로어린이집 7개소 319명, 금연교실 45회 9,214명, 비만관리 74명에게운동프로그램을운영하고사업장에는 출장금연클리닉 22개사업장 163회 2,257명에게실시하고건강걷기프로그램 107명을운영하였다. - 35 -

Ⅴ. 생활양식지표 1. 흡연 19 세이상강서구주민의평생흡연경험율 ( 과거흡연자와현재흡연자 ) 은 41.9%. 남자 78.9%, 여자는 6.9% 이며. 가장높은평생흡연율을보인연령대는남자 60 대 90% 여자 20 대 9.5% 이다. [ 그림 31] 평생흡연경험율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평생 5 갑 (100 개피 ) 이상흡연한사람으로현재흡연률은전체 26.1%, 남자 48.6%, 여자 4.9% 이며가장높은현재흡연률을보인연령대는남자 30 대 60.3%, 여자 60 대 7.8% 이다 [ 그림 32] 현재흡연율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 36 -

흡연인구중하루평균흡연량을조사한결과, 하루 20~39 개피가 45.8% 로가장많았 고, 하루에 10~19 개피 30.2%, 10 개미만 21.8% 로평균 15.1 개피이다. [ 그림 33] 매일흡연자의 1 일평균흡연량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가정내간접흡연노출율은전체 28.5, 남자 30.9, 여자 26.2 로남자가높으며가족중 가정의실내에서일상적으로담배를피우는사람은평균전체 1.2 명, 남자 1.2 명, 여자 1.2 명으로성별에차이가없었다 [ 그림 34] 가정내간접흡연노출율 40 35 30 25 20 15 10 5 0 전체연령 19~29 세 30~39 세 40~49 세 50~59 세 60~69 세 70 세이상 전체 남 여 전체연령 19-29 세 30-39 세 40-49 세 50-59 세 60-69 세 70 세이상 전체 28.5 29.6 24.1 32.2 34 22.6 21.5 남 30.9 35.6 29.8 31.3 32.8 22.3 20.1 여 26.2 23.6 18 33 35 22.8 22.1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 37 -

2. 음주 처음으로음주를경험한연령은평균 22.0 세였고, 남자 19.9 세, 여자 24.3 세였다. 서울시 전체조사에서음주시작연령이남자 20.2 세, 여자 23.6 세로큰차이는없었다. [ 그림 35] 첫음주경험연령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한번의술자리에서마시는술의양을소주로환산할때소주 1~2 잔이 39.7% 였고, 3~4 잔이 27.1% 였다. 반면소주 1 병이상 ( 소주 7 잔이상 ) 을마시는경우가전체 15.8% 로남 자 28.0% 여자 2.1% 로남자가월등이높다. [ 그림 36] 현재음주자의평균음주량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38 -

3. 비만 주관적비만인지율은전체 30.2%, 남자 29.3%, 여자 31.2% 로여자에서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에서가장높았고, 70대이상에서가장낮았다. 강서구주민의 BMI에의한비만인구율은전체 21.6%, 남자 29.0%, 여자 14.4% 로남자에서높았으며연령대별로는 50대에서가장높았고, 20대에서가장낮았다. [ 그림 37] 비만도분포 ( 성별 )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주민의 BMI 에의한비만인구율은전체 21.6%, 남자 29.0%, 여자 14.4% 로남자에서높았 으며, 연령대별로는 50 대에서가장높았고, 20 대에서가장낮았다. [ 그림 38] 비만도분포 ( 성별 )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 39 -

[ 그림 39] 비만도분포 ( 연령특성별 )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최근 1 년간체중관리방법을살펴보면체중을줄이거나유지하려는노력을하지않는경 우가 52.4% 였다. 반면체중관리를하는사람들이사용하는방법은운동 (75.4%) 과식사 조절 (59.9%) 이대부분이었다. [ 그림 40] 체중관리방법 자료출처 : 서울특별시강서구지역사회건강통계, 2008 년지역사회건강조사 - 40 -

4. 운동 평소운동을하는강서구인구비율은전체 47.5% 로서울시전체 42.6% 보다높았으며 남자는 45.7%, 여자는 40.3% 였다. [ 그림 41] 본인인지평소운동실천율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운동은숨이가쁘고땀이날정도로해야하며, 하루 15 분이상, 주 3 일이상계속할때를 기준으로하여운동을실천하는경우는 5.0% 로서울시전체 11.4% 보다많이낮다. [ 그림 42] 규칙적중등도운동실천율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41 -

운동실천자의주운동종류는걷기 35.3%, 헬스 16.5%, 달리기 15.3%, 등산 10.6%, 라켓운동 9.4%, 수영 3.5%, 순이었다. [ 그림 43] 운동실천자의운동종류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42 -

5. 식생활전체인구중 49.3% 가하루 3끼식사를규칙적으로하는것으로나타났으며, 17.7% 는 2끼를먹고있었고, 27% 는 3끼를먹지만불규칙한식사를하는것으로나타났다. 여자 (48.6%) 보다는남자 (50.1%) 가 3끼를규칙적으로먹는경우가약간많았다. [ 그림 44] 3 끼식사의규칙적섭취율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아침식사결식률을살펴보면아침식사를먹지않거나 주 1~2 회만먹는 경우는 25.6% 였 다. 남자의아침결식률은 24.6%, 여자는 26.4% 였다. [ 그림 45] 아침식사결식률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43 -

Ⅵ. 환경지표 1. 기온과강수량 강서구의월별평균기온을살펴보면월별평균기온은 12.9 이며, 8 월이 25.3 로가 장덥고 1 월이 -1.7 로가장추운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46] 월별평균기온 14.1 17.7 21.5 25.1 25.3 22 16.1 7.3 7.6-1.7-1.2 1.1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 강서구의 2008 년한해강수량은 1,356 mm이며 6~8 월여름장마철에집중되어있다. 장 마철은 6 월부터 8 월말까지석달정도이며총강수량의 69.8% 이고겨울철강수량은전체 강수량의 4.3% 에불과하다. [ 그림 47] 월별평균강수량 ( 단위 : mm ) 530.8 165 251.2 17.7 15 53.9 38.5 97.7 99.2 41.8 19.6 25.9 1 월 2 월 3 월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44 -

2. 쓰레기처리 일일쓰레기배출량과처리량은 2003년 2,762톤이었다. 2004~2005년쓰레기배출량은크게증가하다가 2006년 2,624톤으로감소하고, 2007년부터다시크게증가하였으며, 쓰레기배출량은재활용량과비례하여증가하고감소함 [ 그림 48] 일일쓰레기배출량 ( 단위 : 톤 )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 강서구의쓰레기수거율은 100% 이다. 전체쓰레기수거처리율을살펴보면재활용, 소각이많았고, 해역배출은매립의절반수준이었다. [ 그림 49] 연간쓰레기수거처리 ( 단위 : 톤 ) 3080 1513 883 220 464 재활용전체해역배출매립소각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45 -

3. 급수사용량 우리나라는연간강수량의 2/3 가여름철에집중해서내리고경사가가파른산악지형이 많아빗물이그냥바다로흘러들어가서물관리가어려운나라이다. 강서구의연간급수 사용량은 2003 년이후점차로조금씩증가하고있다. [ 그림 50] 연간급수사용량 ( 단위 :1000 m3 ) 50795 51429 52438 52084 52852 49264 2003 년 2004 년 2005 년 2006 년 2007 년 2008 년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 4. 녹지공간 강서구의면적은 41.42km2로서울시전체면적의 6.8% 이다. 그중임야가 3.31km2로전체의 7.98%, 대지가 10.15km2로전체의 24.51% 이며, 강서구는전체면적의 56.5% 가녹지지역인반면에상대적으로상업및공업지역은 6.3% 에불과하여지역경제의기반이취약하고, 유통시설및구민편익시설이부족한실정이다. 강서구내에는어린이공원 111개소, 근린공원 19개소, 체육공원1개소가있다, 특히봉제 산근린공원은총면적이 917,190m2로서강서구내공원으로는가장넓고, 수려한자연경 관을가지고있다. 우장산, 개회산, 까치산등명산이있으며, 다양한시설확충을통한이 용객에게는편의를주민에게는쾌적한공원을제공하고있다. [ 표 27] 공원현황 구분 체육공원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소공원 총계 개소 1 6 73 7 87 면적 ( km2 ) 10,42 0.4 0.07 0.0096 10.90 자료출처 : 강서구정백서, 2009-46 -

[ 그림 51] 가로수현황 자료출처 : 강서구구정백서 (2009) 강서구내녹지는총 598,139 m2으로시설 일반녹지 90.33%, 수림대 0.04%, 자투리녹지등 9.63% 이었다. [ 표 28] 녹지현황 계 ( m2 ) 시설 일반녹지수림대분리대수벽기타 598,139 540,271 22,440 12,276 4,454 118,698 자료출처 : 강서구구정백서 (2009) [ 그림 52] 녹지현황 시설, 일반녹지 수림대분리대수벽 기타 자료출처 : 강서구정백서 (2009) - 47 -

5. 수질오염도 강서구는한강과지류천인안양천 ( 유로연장총 32.2km 중 0.52km, 유연면적총 286km 2, 3.18km), 굴포천 ( 공항동, 방화동지역 ) 에접해있으며, 하천의하류에위치하고있어자체에서발생되는수질오염물질보다상류지역에서유입되는오염물질로인한수질변화가크다. [ 표 29] 양천의수질오염도 (BOD) 단위 (mg/l) 환경기준 1997 (1) 1998 (2) 1999 (3) 2000 (4) 2001 (5) 2002 (6) 2003 (7) 2004 (8) 2005 (9) 2006 (10) 2007 (11) 2008 (12) 2009 (13) 10 이하 13.5 11.0 11.2 11.7 17.9 12.6 9.6 9.7 8.0 8.8 8.2 7.9 8.5 자료출처 : 서울시청물관리국 (2010), 강서구정백서 (2009) 6. 하수관리 강서구는하수도관리체계는지역관로는강서구에서담당하고있으며, 하수처리와분류하 수관로는서울시에서담당하고있으며, 강서구에서발생되는하수는서남물센터 ( 구서남 하수처리장 ) 로유입되며하수관거는합류식관거이다. [ 표 30] 하수시설 하수도 (m) 하수시설 ( 개소 ) 계암거개거하수관 U 형측구계맨홀빗물받이 463,641 79,062 2,652 377,171 4,756 32,085 8,625 23,460 자료출처 : 강서구정백서 (2009) 하수도총연장은 463.6km(99.8%) 이며하수발생량은연간 53,402,494m 3 이며, 하수도보급 률은 100% 이나관거의파손, 이음부불량으로지하수가유입되거나하수가지하로침투 되고있어하수처리장의효율을저하시키는요인으로작용하고있다. - 48 -

7. 대기오염 강서구에는공한과준공업지역이있어비교적오염발생원은많으나서울의서쪽평야지대에위치하고있어편서풍에의한오염물질의이동이빠르며외부로부터유입되는대기오염물질의양도다른구에비하여많지않은것으로판단하고있다. 2008년현재연평균대기오염도를보면모든항목에서환경기준을준수하고있다. 아황산가스, 미세먼지,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와같은대기오염원으로선택된물질들의평균수준을조사해본결과, 아황산가스0.006ppm, 먼지 57μg / m3, 오존 0.017ppm, 이산화질소 0.04ppm, 일산화탄소 0.5ppm, 전반적으로강서구의대기환경오염수준은환경부보다낮고전체서울시평균과비슷한수준이다. [ 표 31] 대기오염현황 아황산가스 (ppm/ 년 ) 먼지 ( μg / m3 / 년 ) 오존 (ppm/8 시간 ) 이산화질소 (ppm/ 년 ) 일산화탄소 (ppm/8 시간 ) 환경부기준 0.020 50 0.06 0.03 9 서울시 환경기준 0.010 50 0.06 0.03 9 서울시평균 0.006 55 0.019 0.038 0.6 강서구 0.006 57 0.017 0.040 0.5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8), 강서구정백서 (2009) - 49 -

Ⅶ. 사회경제지표 1. 경제활동강서구주민들의경제활동행태를조사한결과자영업은 25.5% 였으며, 피고용자는 63.5% 를차지하고있다. [ 그림 53] 경제활동행태 경제활동행태 70.00% 60.00% 50.00% 40.00% 30.00% 강서구서울시 20.00% 10.00% 0.00% 자영업고용자피고용자파트타임비임금근로기타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 월평균가구총소득은월 50 만원이하의가구가 3.7% 이며,301 만원이상 500 만원고소득 층은 34.4%, 501 만원이상의초고소득층은 7.4% 로서울시평균 6.7% 보다높게나타났다. [ 그림 54] 월평균가구총소득 월별가구총소득 8% 4% 6% 7% 50 만원이하 13% 51-100만원 101만원-150만원 151-200 만원 36% 201-300 만원 301-500 만원 26% 501 만원이상 자료출처 : 서울시보건지표조사결과. 서울특별시, 2006-50 -

2. 교육 강서구내학교는총 129 개소로대학교 1 개교, 일반계고등학교 16 개교, 전문계고등학교 7 개교, 중학교 21 개교, 초등학교 36 개교, 유치원 36 개그리고기타학교 1 개교가있다. [ 표 32] 교육기관현황 전체유치원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계 전문계 전문 대학 대학교기타 129 47 36 21 16 7 0 1 1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 교육기관별학생현황을살펴보면, 총학생수는 101,420 명으로초등학교학생수가 30,051 명으로전체학생수의약 29.6% 를차지하고있다. 또한 2003 년 42,456 명이던초등 학생수가 2009 년에는 36,291 명으로 14.5% 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 그림 55] 연도별학생수현황 연도별학생수현황 45000 40000 35000 30000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강서구, 2009-51 -

3. 문화 체육시설 강서구의관광지로는의성 ( 醫聖 ) 구암허준과화성 ( 畵聖 ) 겸재정선의 두거목을기리는 허준박물관과겸재정선기념관과구암공원을중심으로의성허준축제, 체험이가능한 방화근린공원, 우장산축구장, 700 석규모의공연장등문화시설을갖춘강서구민회관, 공공체육시설과공원시설을갖추고있다. [ 표 33] 문화시설현황 구분 강서구 최다보유 ( 자치구 ) 서울시평균 종합공연장 (1,000석이상 ) 0 3( 광진구 ) 0.48 일반공연장 (300~999석) 1 14( 중구 ) 2.36 소공연장 (300석미만) 0 47( 종로구 ) 3.56 영화관 1 11( 종로구 ) 2.88 박물관 1 31( 종로구 ) 4.92 미술관 - 14( 종로구 ) 1.24 문화예술회관 - 2( 종로구 ) 0.52 자료출처 : 서울시통계연보, 서울시, 2006 강서구통계연보,2009. 강서구내공공체육시설현황은올림픽체육센터등체육관 4 곳과테니스장, 수영장등 다양한시설들이있어주민들의건강증진에기여하고있다. [ 표 34] 공공체육시설현황 년도 체육관 테니스장 수영장 축구장 야구장 골프연습장 2005 3 4 2 2 - - 2006 3 0 2 2 - - 2007 4 3 3 2 1 1 2008 4 3 3 2-1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2009. - 52 -

여가및공원현황을살펴보면서울시 1 인당공원면적이 15.4 m2이나강서구는 6.0 m2로서 울시평균의절반에도미치지못하는것으로나타났으나, 인근양천구와비교시근린공 원과기타공원에서강서구민의휴식면적이넓게나타났다. [ 그림 56] 공원면적 공원면적 3000 2500 2000 1500 강서구양천구 1000 500 0 도시공원어린이공원근린공원체육공원기타공원 - 53 -

4. 교통 강서구에등록된자동차대수 ( 자가용, 영업용및관용모두포함 ) 는 2003년이후해마다증가하는추세를보이며 2008년 12월 31일기준으로 172,385대이었다. 이중승용차대수가 138,071대로가장많았으며승합 11.589, 화물 22.567대, 특수차량은 158대이다. [ 그림 57] 연도별등록자동차현황 연도별등록자동차현황 150000 100000 50000 0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승용차승합차화물차 2 륜차 자료출처 : 강서구구정백서, 2009 강서구의인구대비자동차등록대수는 28.9% 로서울시의 27.2% 보다높고, 이에따라 강서구주민의대중교통의존은타구에비해낮다. [ 표 35] 자동차등록대수 구분서울시강서구 총합 ( 대 ) 2.803.135 162,234 인구대비등록비중 (%) 27.2 28.9 자료출처 : 서울시,2006. 강서구통계연보 2006( 인구대비비율 = 자동차등록대수 / 인구수 ) - 54 -

5. 주택 강서구의주거환경은연립, 다가구, 다세대및아파트밀집지역주택지가많다. 최근 발산택지지구및화곡저밀도아파트지구가개발되어주거여건이어느정도향상되었다. [ 표 36] 주택현황 구분 연도 2005 2006 2007 2008 계 169,967 171,778 173,639 180,946 단독 45,691 45.478 45,182 44,810 아파트 81,601 83.635 85,211 90,268 연립다세대 42,675 42.665 43,246 45,868 자료출처 : 강서통계연보, 2008 강서구의주택현황은총 150,236 호로아파트가 91,052 호 (60.6%) 로인근관악구 44.291 동 (42.7%) 으로비해아파트비중이높고, 단독주택이 20.958 호 (13.9%) 이며연립및다 세대주택이 38.22 호 (25.4%) 로강서구는주변타구에비해주거환경이좋다. [ 그림 58] 형태별주택보급률 아파트, 91062 단독, 20958 다세대, 33265 단독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연립주택, 4961 자료출처 : 강서구구정백서,2009-55 -

주택의소유형태를보면전체 781 가구중 60.3% 의가구가자가형태로살고있 으며, 전세가구는 27.4%, 월세형태가 11.4% 로서울시의 7.4% 보다월세비중이 높으며, 무상으로살고있는가구가전체주택점유형태의 0.9% 를차지했다. [ 그림 59] 주택소유형태 주택소유형태 1 1. 4 0 % 0. 9 0 % 2 7. 4 0 % 6 0. 3 0 % 자가전세월세무상 자료출처 : 서울시통계연보, 서울시, 2006 주택의평균가구원수는 4 인가족이 47.6% 로서울시의 40.3% 보다높았고,1 인가 구는 5.9% 로서울시의 9.3% 보다낮았으며, 8 인이상가구도 0.1% 로나타났다. [ 그림 60] 평균가구원수 평균가구원수 50.00%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00% 1 명 2 명 3 명 4 명 5 명 6 명 7 명 8 명 강서구서울시 자료출처 : 서울시통계연보, 서울시, 2006-56 -

6. 도시안전 강서구의 5대범죄발생현황은서울시전체발생건수의약 4.88% 를차지하며, 사가화면적대비인구밀도가유사한관악구와비교했을때살인, 강도등의중범죄건수가다소많은편임. 이는저소득층거주율이서울시타구에비해높아생활수준이낮은원인으로분석됨. [ 표 37] 5 대범죄발생현황 구분계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 서울시 107.609 220 948 2.221 28.914 74.306 관악구 5,249 10 33 121 1.561 3.524 강서구 4,949 18 36 85 1,323 3,487 자료출처 : 서울지방경찰청홈페이지자료 (2008 년자료 ), 서울강서경찰서홈페이지 (2008 년자료 ) 화재발생현황은 2006 년부터해마다급격히증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고, 특히실화로 인한발생건수가큰폭으로증가하고있음. [ 표 38] 화재발생현황 구분 계 실화 방화 기타 2003 271 238 30 3 2004 229 187 18 24 2005 229 178 22 29 2006 244 183 18 43 2007 381 212 31 138 2008 388 347 23 18 자료출처 : 강서구통계연보 (2008) - 57 -

강서구민들이현재살고있는동네의치안상태에대한만족도는 10 만점에 5.84 점으로 서울시평균 6.09 점보다낮게나타났다. [ 그림 61] 거주지야간치안상태만족도 거주지야간치안상태만족도 60.00% 50.00% 40.00% 30.00% 20.00% 강서구서울시 10.00% 0.00% 안전보통위험 자료출처 : 서울시통계연보 (2006), 서울서베이 지난 1 년간사고경험율 ( 도난, 성희롱, 괴롭힘. 위협, 폭행 / 상해 ) 에대한사고경험사 례중폭행 / 상해부분에서강서구는 1.02% 로서울시의평균 0.64% 보다높게나타 났다. [ 그림 62] 도난, 성희롱, 괴롭힘. 위협. 폭행경험율 도난, 성희롱, 괴롭힘. 위협, 폭행경험율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0.50% 0.00% 도난성희롱괴롭힘. 위협폭행, 상해 강서구서울시 자료출처 : 서울시통계연보 (2006), 서울서베이 - 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