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시환경학회지제 17 권 1 호 19-24 (2017.3.30) ISSN 1598-253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2017) Vol. 17, No. 1, pp. 19-24 Production of Bioethanol via Sargassum horneri Fermentation Dong-yun Jeong 1 Da-In Jeong 1 Seung-Mi Jeong 2 Yong-Jin Kim 1 1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technology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2 Depart. Energy and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Received 9 February 2017 : Revised 8 March 2017 : Accepted 13 March 2017) 괭생이모자반에서바이오에탄올발효생산 정동윤 1 정다인 1 정승미 2 김용진 1 1 목포해양대학교환경 생명공학과 2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에너지 환경시스템공학과 (2017년 2월 9일접수, 2017년 3월 8일수정, 2017년 3월 13일채택 ) Abstract Recently, lots of Sargassum horneri were flowed in Jeju and south coast of South Korea from China by oceanic currents. The massive influx of S. horneri do not only damage human beings at sea, but also pile up on the coasts, consequently emitting an offensive odor by decay.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use as a biomass for bioethanol production of the collected S. horneri was examined. When comparing the bioethanol productivity of the S. horneri and other brown algae, a similar amount of reducing sugar was extracted from the S. horneri, while bioethanol was lower. Key words : Sargassum horneri, bioethanol, hydrothermal treatment, enzyme, brown algae 요약문 최근우리나라의제주와남해해안에중국에서발생한괭생이모자반이해류를따라대량유입되고있다. 대량유입된괭생이모자반은해상에서인간에게피해를입힐뿐만아니라, 해안에밀려와쌓여악취를풍기는원인이되고있다. 이에본연구에서는수거한괭생이모자반을바이오에탄올생산용바이오매스로써의활용가능성을검토하였다. 그결과, 괭생이모자반과다른갈조류로부터의바이오에탄올생산성을비교했을때,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비슷한양의환원당이추출되었으나, 바이오에탄올생산성은낮게평가되었다. 주요어 : 괭생이모자반, 바이오에탄올, 수열처리, 효소, 갈조류 I. 서론 바이오에탄올은화석연료와견주어연소시배출되는 CO 2 총량이대기중 CO 2 농도를증가시키지않는다는이점이있다. (1) 그러나보편화된바이오매스인사탕수수및곡류등은식량빈부격차로인한기아문 Corresponding author E-mail : yjkim@mmu.ac.kr Tel : 061-240-7315 제, 농산물물가상승, 생산여건등의문제점을안고있다. 특히우리나라의경우농경지면적이넓지않다는점에서더욱어려움이있다. 또한 2 세대바이오에탄올원료인폐목재등의섬유소계바이오매스는난분해성섬유소를함유하고있어가수분해과정에어려움을겪고있다. 이러한기존의바이오매스가갖는한계성을뛰어넘는 3 세대바이오에탄올의생산원료가해조류이다. (2-4) 해조류는생태학적으로거대조류 (macroalgae) 와미 19
20 정동윤 정다인 정승미 김용진 세조류 (microalgae) 로분류되며, 거대조류는엽록소에따라갈조류 (brown algae), 홍조류 (red algae), 녹조류 (green algae) 로나뉜다. 이중갈조류는건조중량기준으로 36~60% 의탄수화물을함유하고있으며, 탄수화물의주요구성성분으로는셀룰로오스 (cellulose), 알긴산 (alginate), 후코이단 (fucoidan), 저장다당류인라미나란 (laminaran), 당알코올인만니톨 (mannitol) 등이있다. 거대조류중갈조류가바이오에탄올생산성을판단할수있는바이오매스의가수분해효율측면에서가장우수하다. (5) 셀룰로오스및알긴산은세포벽다당류로, 셀룰로오스는해조류 ( 갈조류, 홍조류및녹조류 ) 의탄수화물에공통으로높은비율을차지하고있으며, 알긴산은갈조류에다량존재한다. 이에박등은셀룰로오스 (Cellulose Microcrystalline) 를염산으로수열처리한결과, 반응온도 172.77 o C, 반응시간 28.41 분, 염산농도 0.067 N 의조건에서최대 369.14 mg/g-cellulose 의환원당을얻었다. (6) 또한알긴산 (alginic acid from brown algae, SIGMA-ALDRICH, USA) 을시판효소 (Alginate Lyase, 효소주입량 1%, 10 시간, ph 3, 70 o C) 로가수분해하여최대 483.1 mg/g-alginic acid 의환원당을얻었다고보고하고있다. (7) 갈조류인다시마의가공잔재물을대상으로수열반응 ( 반응조건 : 0.108 N-HCl, 144 o C, 22 분 ) 및혼합효소 (Celluclast 1.5 L, Alginate lyase, Saczyme 을 8:1:1 로혼합, 30% v/w-biomass) 로순차적가수분해하여최대 187.8 mg/g-biomass 의환원당수율을얻었다. (8) 하지만과다한효소구입비용문제때문에, 고효율의순차적가수분해조건으로산촉매수열반응 ( 반응조건 : 0.108 N-HCl, 144 o C, 22 분 ) 및단일효소가수분해 (Celluclast 1.5 L, 8% v/w, 42.6 o C, ph 4.1, 26 시간 ) 를제시하였다. (8-9) 한편, 2015 년부터본격적으로우리나라서 남해안에대량유입되고있는괭생이모자반 (Sargassum horneri) 은갈조식물문 ( 褐藻植物門, phaeophyta) 에속하는식물로써, 동중국해에서자연조락 ( 凋落 ) 및풍랑으로인해암반에서탈락하여대규모군락을이루어쿠로시오해류를따라국내연안으로유입된다. (10-11) 제주시관할해양수산과에따르면, 2015 년한해에 20,000 여톤이유입되었음을보고하였고, 2016 년에도 1 월부터 4 월까지 50 여톤이유입되고있는상황이다. (12) 이러한괭생이모자반군락은어선의입출항지장및선박스크루에감겨조업및항해에지장을초래한다. 뿐만아니라해상양식시설에걸려조류의소통방해및시설물파손, 양식물유실과같은피해를빚는다. (12) 처리를위해수거한괭생이모자반일부는농가에비료생산용으로제공하고있지만, 대부분소각또는매립으 로처리하고있는실정이다. (13) 이에본연구에서는매년다량유입될것으로예상되는괭생이모자반을이용하여바이오에탄올생산가능성및바이오매스로서의가치를평가하였다. 이를위해서첫째, 문헌및기초물성조사를통해괭생이모자반의물리 화학적특성을검토하였다. 둘째, 순차적수열처리및효소가수분해공정을통해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가수분해되는당의정성 정량분석을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괭생이모자반의가수분해물을기질로이용하여바이오에탄올의생산성을검토하였다. 1. 실험재료 II. 실험재료및방법 연구에이용한괭생이모자반은해양환경관리공단제주지사에서받았다. 괭생이모자반을 3 일간 70 o C 에서건조후, 2 mm 이하로분쇄하여연구에사용하였다. 효소가수분해에는 Celluclast 1.5 L(Novozymes, Denmark) 을이용하였다. Celluclast 1.5 L 는 Trich-oderma reesei 기원셀룰라아제이며, 생육온도및 ph 조건은각각 50~60 o C 및 ph 4.5~6 이다. 에탄올발효에사용한효모 (Saccharomyces coreanus) 는탁주효모로알려져있으며, 포도당 (glucose), 자당 (sucrose), 갈락토오스 (galactose), 멜리비오스 (melibiose), 라피노오스 (raffinose) 를기질로사용한다. 최적의생육온도조건은 30 o C 이며, 37 o C 까지폭넓게생육할수있다. (14) 2. 실험방법 2.1. 수열처리및효소가수분해수열처리는건조괭생이모자반 1g 에촉매제를각각 30 ml 넣고 144 o C 에서 22 분간처리하였고, 이때증류수와 0.108 N-HCl 을촉매제로사용하였다 (15) Celluclast 1.5 L 을이용한효소가수분해는수열처리후속공정으로실시하였다. 수열처리후 HCl 을이용하여 ph 를 4.1 로조정하였고, 121 o C 에서 15 분간멸균하였다. 멸균후효소 Celluclast 1.5 L 을 8%(v/w-biomass) 첨가하여, 42.6 o C, 100 rpm 으로 26.4 시간동안가수분해하였다. (16) 효소가수분해가완료된후, ph 를 4.5 로조정하여에탄올발효에이용하였다. 2.2. 에탄올발효먼저, 효모를배양하기위하여 YM배지 (yeast extract 3.0 g, malt extract 3.0 g, peptone 5.0 g, glucose 10.0 g, distilled water 1.0 L 기준 ) 50 ml를 121 o C에서 15분간
괭생이모자반에서바이오에탄올발효생산 21 멸균하였다. 클린벤치에서실온까지방냉한후, S. coreanus 콜로니를 YM 배지에넣어 30 o C, 100 rpm 에서 24 시간동안배양하였다. 괭생이모자반의가수분해산물에배양된유리효모 3%(v/v) 를주입한후, 30 o C 에서 100 rpm 으로에탄올발효를실시하였다. 3. 분석방법 삼성분분석은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준하여실시하였다. 수분은건조기 110 o C 에서 4 시간건조후함수율을측정하였다. 가연분과회분분석은전기로 (Hanyang Science, MF-03, 3L) 를이용하였으며, 시료를 600 o C 에서 3 시간강열감량후측정하였다. (17) 탄소 (C), 수소 (H), 산소 (O), 질소 (N), 황 (S) 의원소는원소분석기 (Thermo Scientific, Flach EA 1112) 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 염소 (Cl) 는 Standard Test Method For Chlorine in Coal (D2361-02, ASTM international) 을이용하여분석하였다. (18) 환원당측정은 DNS(3,5-Dinitrosalicylic acid) 법을이용하였으며, 포도당측정은 A- 제약회사의측정용시약을이용하였다. 생산된에탄올의정성및정량분석은가스크로마토그래피 - 불꽃이온화검출기 (TL 6100, Korea) 를이용하여이루어졌으며, 사용된컬럼은 Nukol(30 m 0.25 mm 0.25 µm) 이었다. Table 1. Proximate and ultimate analyses of S. horneri used in this study Item Contents (%) Proximate analysis (dry basis) Ultimate analysis (dry basis) Moisture 85.23 Ash 5.48 Volatiles 9.29 Total 100 C 28.25 H 4.02 O 15.16 N 2.78 S 0.98 Cl 11.71 Ash 37.10 Total 100 III. 결과및고찰 1. 괭생이모자반의물리 화학적특성 괭생이모자반의삼성분과원소함량분석결과를 Table 1 에제시하였다. 괭생이모자반자체의수분은 85.23%, 회분은 5.48%, 가연분은 9.29% 였다. 원소분석결과, 건조된시료기준으로 C( 탄소 ) 는 28.25%, H( 수소 ) 는 4.02%, O( 산소 ) 는 45.16%, N( 질소 ) 는 2.78%, S( 황 ) 은 0.98%, Cl( 염소 ) 는 11.71% 의비율을보였다. 이를토대로도출된괭생이모자반의구성화학식은, 수분을제외한경우는 C 76.97 H 130.51 O 31.01 N 6.49 S 1 Cl 10.81, 수분을포함한경우는 C 76.97 H 437.95 O 185.96 N 6.49 S 1 Cl 10.81 이었다. 에탄올발효공정에쓰이는효모의탄소원을확인할수있었다. 원소함량중비교적높은괭생이모자반의염소함량을검토하기위해서, 괭생이모자반과미역및다시마의염소함량을비교하였다. 기존연구에서사용한미역및다시마에서는염소가검출되지않은것에비해본연구에서사용한괭생이모자반에서는매우높은염소함량을보였다 (11.71%, 건기준 ). (19) 이와같은차이는시 Fig. 1. Concentrations of reducing sugar (RS) and glucose (Glu) hydrolyzed from S. horneri after sequential hydrothermal and enzymatic hydrolysis using distilled water (DW) and 0.108 N-HCl (Acid) as catalysts. 료의전처리공정의차이에서유래된것으로보인다. 본연구의공정과달리, 기존연구에서는염분제거를위한세척공정을둔것으로나타났다. (19) 2. 가수분해공정별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생성되는당의변화 수열처리및효소가수분해공정별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생성되는환원당및포도당함량을 Fig. 1 에나타냈다. 증류수와염산을촉매로이용한수열처리후의환원당을비교해보면, 34.52 및 122.88 mg/g-dry biomass 로, 염산을촉매로사용한수열처리에서 3.6 배더높은환원당을얻을수있었다. 포도당의경우, 1.14 및 9.81 mg/g-dry biomass 로염산을촉매로한수열처
22 정동윤 정다인 정승미 김용진 리에서조금높은값을보였으나, 두값모두환원당내에서차지하는비율은낮았다. 증류수또는염산촉매수열처리후순차적효소가수분해공정을통해얻은환원당은각각 88.62 및 146.51 mg/g-dry biomass 로, 염산촉매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에서더많은환원당을얻을수있었다. 포도당의경우, 66.54 및 60.41 mg/g-dry biomass 로증류수촉매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에서조금높은값을보였다. 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순차적처리후환원당내포도당이차지하는비율을살펴보면, 증류수수열처리 - 효소순차적가수분해공정에서는약 75.1% 이며, 염산수열처리 - 효소순차적가수분해공정에서는약 41.2% 를차지하고있었다. 이와같이수열처리만적용한단일공정보다수열처리와효소가수분해등의 2 가지공정이상을적용한순차적가수분해공정에의해환원당수율이높아졌음을박등의연구 (8) 나이등의연구 (20) 에서도확인할수있었다. 이상의결과들로부터촉매효율은증류수보다염산이우수하였음을알수있었고, 촉매종류와무관하게수열처리에의한포도당으로의전환율은매우낮았다. 그러나순차적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를통해 Saccharomyces 계효모에의해직접에탄올로전환가능한포도당으로의전환율이증가함을확인하였다. 3.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바이오에탄올생산 수열처리및효소가수분해공정에의해생산한가수분해물을대상으로 S. coreanus 에의해생성되는에탄올발효특성을검토하였으며, 그결과를각각 Fig. 2 와 Fig. 3 에나타내었다. 증류수또는염산을이용한순차적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물의바이오에탄올발효에서, 발효시작 24 시간동안환원당및포도당은급격히감소되었고, 포도당의경우모두소모되었다. 생성된에탄올의경우, 증류수촉매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발효산물에서발효시작 12 시간이경과한시점에서최대에탄올농도 5.17 mg/g-dry biomass 을나타내었다. 염산촉매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발효산물에서는발효시작 24 시간이경과한시점에서최대에탄올농도 5.94 mg/g-dry biomass 을나타내었다. 촉매상관없이최대에탄올을생산한후에는시간경과에따라에탄올농도가감소하는경향을띄었다. 증류수및염산촉매발효액의최대에탄올수율 ( 소모된포도당양기준 ) 은 0.09 및 0.14 이었다. 본연구에서얻은에탄올수율은해조류, 옥수수와옥수수대를이용한연구에서얻은에탄올전환율 0.185, 0.312, 0.236( 건조시료기 Fig. 2. Ethanol fermentation from S. horneri hydrolysate by sequential hydrothermal and enzymatic hydrolysis using distilled water as a catalyst. Data points and error bars repres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ree separated experiments. Fig. 3. Ethanol fermentation from S. horneri hydrolysate by sequential hydrothermal and enzymatic hydrolysis using hydrochloric acid as a catalyst. Data points and error bars repres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ree separated experiments. 준 ) 에비해낮다고할수있다. (21) 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물로부터에탄올발효특성은수열처리공정에서촉매종류와무관하게첫째, 발효시작 12 시간이내에약 60 mg/g-dry biomass 의글루코오스는전량소모되었으며, 둘째, 글루코오스외의환원당이존재하여도에탄올농도는증가하기보다감소하는경향을보였다. 이상의결과들로부터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순차적공정을통해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가수분해된환원당은효모 S. coreanus 에의해직접에탄올로전환될수없는당이포함되어있으며, 에탄올생산성을향상시키기위해서는가수분해된환원당의정성및정량적분석이선행되어야할것으로판단되었다. 4. 갈조류로부터의바이오에탄올생산성비교 다양한갈조류로부터의바이오에탄올생산성을비교
괭생이모자반에서바이오에탄올발효생산 23 Table 2. Sugar contents of brown algae species hydrolysates by sequential hydrothermal - enzymatic hydrolysis and ethanol fermentation Hydrothermal hydrolysis Enzymatic hydrolysis Ethanol Fermentation Biomass Reducing sugar Glucose Reducing sugar Glucose Ethanol Time Catalyst mg/g-dry biomass hrs DW 66.72 1.24 112.93 59.39 19.42 24 L. japonica (14) HCl 112.12 1.24 142.76 49.77 12.08 24 DW 80.70 ND 117.08 59.13 13.60 24 U. pinnatifida (14) HCl 139.95 ND 161.72 57.65 15.70 24 DW 34.52 1.14 88.62 66.54 5.17 12 S. horneri HCl 122.88 9.81 146.51 60.41 5.94 24 Note) DW: distilled water, ND: not detected 하기위하여발표된문헌등을조사하였으며, 본연구결과와비교 검토한결과를 Table 2 에나타내었다. 갈조류중다시마 (Laminaria japonica) 와미역 (Undaria pinnatifida) 을대상으로하였으며, 본연구조건과동일하게수행한연구에서의바이오에탄올생산성을비교하였다. 상이한점은에탄올발효공정에서본연구에서는유리효모 S. coreanus 를이용하였으며, 다시마와미역가수분해물에는담체에고정한효모 S. coreanus 를사용한점이다르다. (14) 가수분해공정후환원당함량을비교해보면, 괭생이모자반의증류수및염산촉매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물에서다시마및미역의가수분해물보다최대 1.3 배높은값을보였다. 포도당함량의경우, 다시마및미역보다괭생이모자반에서촉매종류와관계없이약 1.1 배높은것으로나타났다. 각갈조류의가수분해물을이용한바이오에탄올생산량을비교하면,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의에탄올생산량보다다시마에서는최대 3.8 배, 미역에서는최대 2.6 배높았다. 괭생이모자반으로부터의에탄올생산성이확연히낮은이유는시료의전처리과정에서세척유무와관련이있다고판단된다. 기존문헌의다시마와미역은세척과정을거쳐사용하였으나, 본연구에서는채취후세척과정을거치지않고바로건조하여사용하였다. 습윤상태의괭생이모자반을채반에받쳐제거한물기의전기전도도를측정한결과 13.5 ms/cm 이었다. 염분은에탄올발효에사용되는산업적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의비증식속도, 균체량, 기질소모등증식에많은영향을미치는것으로알려졌다. (22) 또한, 발효공정에서발효액의전기전도도는촉매상관없이 10 ms/cm 이었다. 에탄올발효에서 NaCl 0.01 N 농도부터서서히에탄올생산성이감소하여 1.0 N 에서는에탄올생산을확인할수없다한보고도있다. (23) 따라서 NaCl 0.2 N 에서의전기전도도값이 12.2 ms/cm 로, 발효액의전기전도도의값은효모에의한에탄올발효등일련의공정에영향을주었을것으로사료된다. IV. 결 론 본연구에서는최근우리나라서 남해안으로유입되어, 수거및처리에문제가되고있는괭생이모자반에대하여바이오에탄올회수를위한바이오매스원으로써의활용가능성을검토하였다. 그결과는다음과같다. 1. 삼성분및원소분석결과를토대로도출된괭생이모자반의화학식은, C 76.97 H 130.51 O 31.01 N 6.49 S 1 Cl 10.81 ( 수분제외 ) 과 C 76.97 H 437.95 O 185.96 N 6.49 S 1 Cl 10.81 ( 수분포함 ) 이었다. 이때, 건기준으로탄소함량은 28.25% 이였고, 염소함량은 11.71% 이었다. 2. 괭생이모자반에대해순차적수열처리및효소가수분해공정을적용하였으며, 그결과 88.6~146.5 mg/g-dry biomass 의환원당과 60.4~66.5 mg/g-dry biomass 의포도당을얻을수있었다. 이때수열처리에서촉매제로증류수및 0.108 N-HCl 을사용하였다. 3. 순차적수열처리 - 효소가수분해물을대상으로에탄올발효결과, 증류수촉매의경우최대 5.14 mg/g-dry biomass, 염산촉매의경우 5.94 mg/gdry biomass 의에탄올을얻을수있었다. 이때의에탄올수율은소모된포도당기준으로 0.09 및 0.14 이었다. 4. 따라서본연구에서얻은환원당에는효모 S.coreanus 가이용할수없는당이함유되어있음을알수있으며, 이에대한추가연구가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24 정동윤 정다인 정승미 김용진 5. 같은갈조류에속한미역및다시마로부터의에탄올생산성과비교한결과, 괭생이모자반의당함량이더높게확인되었으나, 에탄올수율이낮았다. 이는시료의세척유무에따른염분함량의차이에서기인한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시료의전처리 ( 세척 ) 에의해에탄올수율은향상될것으로기대된다. 사 사 본연구에서사용한괭생이모자반을제공해주신한국해양환경관리공단목포지사및제주지사관계자에게깊은감사의말씀을전합니다. References 1. 문동현, 고갈되는화석연료, 떠오르는바이오연료, 특허청 (2012.05.04.). 2. 김금모, 바이오에너지와바이오가스플랜트기술현황, 유니슨 ( 주 ) 기술연구소. 3. 정승미, Saccharomyces coreanus와 Pichia stipitis를이용한음식물류폐기물기원육탄당및오탄당의에탄올발효, 서울시립대공학박사학위논문 (2011). 4. 박재일, 우희철, 이재화, 해양조류로부터바이오에너지생산 ( 현황및전망 ), 한국화학공학회, 46(5), 833-844 (2008). 5. 박은영, 정승미, 김용진, 이동훈, 바이오에탄올생산을위한해조류의가수분해방법에대한고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9(4), 323-333 (2012). 6. 박은영, 정승미, 김용진, 이동훈, 반응표면분석법을이용한셀루로오스의산촉매수열가수분해최적화,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0(2), 181-188 (2013). 7. 박은영, 김용진, 정승미, 이동훈, 갈조류구성탄수화물의효소가수분해반응조건최적화 -알긴산시약을이용한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0(4), 304-318 (2013). 8. 박은영, 김용진, 정승미, 이동훈, 산촉매수열반응및효소에의한다시마가공잔재물의순차적가수분해,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1(7), 707-712 (2014). 9. 박은영, 김용진, 정승미, 이동훈, 다시마부산물의 산촉매수열가수분해특성,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0(8), 813-823 (2013). 10. 이용필, 제주의바닷말, 아카데미서적 (2008). 11. 백재민, 괭생이모자반유조대량유입당분간지속예상, 국립수산과학원 (2015.06.03.). 12. 해양수산부, 괭생이모자반처리를위한워크숍 (2015.11). 13. 조상윤, 불청객괭생이모자반피해최소화총력, 한라일보 (2016.03.30.). 14. 정승미, 백도현, 황다혜, 김용진, 이동훈, 미역및다시마로부터고정된효모를이용한바이오에탄올생산, 한국도시환경학회지, 15(3), 235-240 (2015.12. 31.). 15. 박은영, 김용진, 정승미, 이동훈, 다시마부산물의산촉매수열가수분해특성,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0(8), 813-823 (2013). 16. 박은영, 바이오에탄올생산을위한다시마가공잔재물의가수분해최적화, 서울시립대공학박사학위논문 (2014). 17. 법제처, 폐기물공정시험기준 (2016). 18.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D2361-02 Standard Test Method for Chlorine in Coal (2008). 19. 김정민, 이영호, 정성훈, 이진태, 조무환, 해조류의혐기성발효를이용한메탄생산, 한국청정기술학회, 16(1), 51-58 (2010.3). 20. 이성목, 김재혁, 조화영, 주현, 이재화, 물리 화학적가수분해에의한갈조류바이오에탄올생산, 한국공업화학회, 20(5), 517-521 (2009). 21. 이신엽, 안재우, 황형진, 이선복, 한국의해조류바이오매스자원현황, 한국생물공학회, 26(4), 267-276 (2011). 22. Watson, T. G.,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teadystate growth and metabolism of saccharomyces cerevisiae, Journal of General Microbiology, 64, 91-99 (1970) 23. Lee S. M. and Lee, J. H., Influence of acid and salt content on the ethanol production from Laminaria japonica,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1(2), 154-16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