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이씨 ( 淸州李氏 ) 선조 ( 先祖 ) 관직 ( 官職 ) 해설 청주이씨 ( 淸州李氏 ) 는시조 ( 始祖 ) 태사공 ( 太師公 ) 휘 ( 諱 ) 능희 ( 能希 ) 께서고려 ( 高麗 ) 태조 ( 太祖 ) 를도와개국 ( 開國 ) 에참여하여성 ( 姓 ) 을하사받은이후현상양좌 ( 賢相良佐 ) 가배출되어특히조선 ( 朝鮮 ) 초기에매우빛나는문벌 ( 門閥 ) 이되었다. 시조께서는벽상삼한삼중대광 ( 壁上三韓三重大匡 ) 태사 ( 太師 ) 관직을역임하시고, 그이후선조 ( 先祖 ) 들께서평장사 ( 平章事 ) ㆍ판사 ( 判事 ) ㆍ지사 ( 知事 ) ㆍ좌정승 ( 左政丞 ) ㆍ전서 ( 典書 ) ㆍ영사평부사 ( 領司平府事 ) 등여러관직을역임하셨는데, 그관직의의미와역할을오늘날알수있도록풀이하여설명해야한다는논의가있게되었다. 이문제는지난봄에청주이씨대동보편찬위원회 ( 淸州李氏大同譜編纂委員會 )(2011년대동보발행 ) 위원장 ( 委員長 ) 남영 ( 南榮, 31세목천파 ) 씨께서특히거론하고, 선조의관직을해설하여대동보에실었어야할것을그당시에미처생각하지못했던아쉬움을토로하고, 이제라도이를해설하자고역설하였다. 그리고인터넷족보를정리하는이번기회를맞아서그해설을그족보에함께싣는것이좋겠다고하였다. 남영씨의논의는우리선조들에대한실상을보다깊게이해할수있는것이어서적극찬동하고틈을내어작업을하겠다고답하였다. 그리고는이사정저사정으로차일피일미루다가여름이끝나가는무렵인 9월초에야 1차작업을마치게되었다. 선조관직의전거 ( 典據 ) 는청주이씨대동보 ( 淸州李氏大同譜 )(2011년발행 ) 에표시된관직에의거하고, 이전족보 ( 族譜 ) 및청주이씨문헌록 ( 淸州李氏文獻錄 ) 등을참고하여보충하였다. 그리고그범위는시조부터 13세 ( 世 ) 까지로하여, 그관직명칭을간략히해설하였다. 선조의호칭 ( 呼稱 ) 을다루는일이라, 매우조심스러운태도로작업하여 3차 ( 次 ) 에걸쳐원고를작성하였으나소홀한점이많아두희 ( 斗熙, 32세홍성파 ) 씨께 2차에걸쳐교열 ( 校閱 ) 을받아고쳤다. 그래도어찌완벽하다고하겠는가! 종친 ( 宗親 ) 제위 ( 諸位 ) 의지도에의해더욱수정 ( 修整 ) 보완 ( 補完 ) 되기를기대한다. 2018 년 9 월 22 일충구 ( 忠九, 30 세목천파 ) 삼가씀 始祖 : 諱能希諡號安度公 ( 휘능희시호안도공 ) 高麗開國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太師 ( 고려개국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태사 ) 諱 는죽은사람의생전 ( 生前 ) 의이름이다. 당사자가살아있을때에는그이름을명 ( 名 ) 이라하고, 죽은뒤에는 諱 라고한다. 開國功臣 은나라를새로세울때, 공로가있는신하이다. 諡號 는당사자가죽은뒤에국왕으로부터받은이름으로, 왕ㆍ왕비를비롯해관리나학덕이높은선비들에게그의행적에따라이름을지어서수여한호칭이다. 諡 한글자로표시된경우가많은데, 시 ( 謚 ) 와통용한다. 조선 ( 朝鮮 ) 에서는정2품이상 - 1 -
의실직 ( 實職 ) 을지낸이에게수여하였다. 壁上三韓三重大匡 은고려시대정1품문관의품계이다. 壁上 은 벽에 라는뜻으로, 벽에화상등을그려놓은경우를말한다. 上 은명사 ( 名詞 ) 뒤에부쳐서표면 ( 表面 ) ㆍ처소 ( 處所 ) 등을나타내는말이다. 三韓 은상고시대에한반도 ( 韓半島 ) 남부에있던 3부족사회 ( 三部族社會 ) 인마한 ( 馬韓 ) ㆍ진한 ( 辰韓 ) ㆍ변한 ( 弁韓 ) 을말한다. 三重 은 세겹 이라는뜻으로, 방석을세겹으로놓는데에서유래하였는바, 중국고대에천자 ( 天子 ) 는 5중 ( 五重 ), 제후 ( 諸侯 ) 는 3중이었다. 大匡 은 큰일로임금을바르게하다 [ 以大事匡君 ] 라는뜻이다. 太師 는고려시대왕자 ( 王子 ) ㆍ부마 ( 駙馬, 임금사위 ) ㆍ비부 ( 妃父, 왕비아버지 ) 등의종실 ( 宗室 ) 과공신및고위관원에게내렸던벼슬이다. 태사 ( 太師 ) 는태부 ( 太傅 ) ㆍ태보 ( 太保 ) 와함께삼사 ( 三師 ) 라불렸는데, 이중가장높은벼슬이다. 太師ㆍ太傅ㆍ太保 는중국주 ( 周 ) 나라때부터있었다. 二世 : 諱謙宜 ( 휘겸의 ) 金紫光祿大夫刑官御事 ( 금자광록대부형관어사 ) 金紫光祿大夫 는고려시대종2품문관의품계이다. 金紫光祿大夫 라는명칭은중국진 ( 晉 ) 나라때부터있었는데, 金紫 는 금인자수 ( 金印紫綬, 황금인장과자색인끈 ) 라는뜻으로, 광록대부 ( 光祿大夫 ) 라야이를지닐수있기때문에또한 金紫光祿大夫 라고일컫게되었다. 光祿 은중국한 ( 漢 ) 나라때부터관직명칭으로사용하였는데, 광 ( 光 ) 은 밝다 [ 明 ] 라는뜻이고, 록 ( 祿 ) 은 작위 [ 爵 ] 라는뜻이다. 大夫 는중국주 ( 周 ) 나라때부터관직명칭으로사용하였다. 刑官御事 는고려전기형관 ( 刑官 ) 에속한관직이다. 刑官 은형벌을관장하였던중앙관청으로, 선관 ( 選官 ) ㆍ병관 ( 兵官 ) ㆍ민관 ( 民官 ) ㆍ형관 ( 刑官 ) ㆍ예관 ( 禮官 ) ㆍ공관 ( 工官 ) 의육관 ( 六官 ) 의하나이고, 뒤에형부 ( 刑部 ) 로고쳤다. 御事 는 일을다스리다 라는뜻으로, 육관의장관 ( 長官, 해당관청의최고책임자 ) 이다. 刑官 은중국주 ( 周 ) 나라때부터있었다. 三世 : 諱元審 ( 휘원심 ) 開府儀同三司太子太保 ( 개부의동삼사태자태보 ) 開府儀同三司 는고려시대의종1품문관의품계이다. 위진남북조 ( 魏晉南北朝 ) 시기부터 開府儀同三司 라는일종의고급관위 ( 官位 ) 가있었는데, 開府 는 관청을개설하여속관 ( 屬官 ) 을두다 라는뜻이고, 儀同三司 는 의장 ( 儀仗 ) 이삼사 ( 三司, 삼공 ( 三公 )) 와같다 라는뜻이다. 太子太保 는동궁 ( 東宮 ) 에속하여왕세자의교육을맡아보던관직이다. 四世 : 諱仲降 ( 휘중강 ) 政堂文學尙書右僕射 ( 정당문학상서우복야 ) 政堂文學 은고려시대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의종2품관직이다. 中書門下省 은고려시대최고의중앙정치기구로, 982년 ( 고려, 성종 1) 에내사문하성 ( 內史門下省 ) 을설치했다가 1061년 ( 문종 15) 에중서문하성이라개칭하고, 조선건국직후폐지될때 - 2 -
까지고려의국정을총괄하는기구로기능하였는데, 문하시중 ( 門下侍中 ) 이장관으로서수상 ( 首相 ) 의위치에있었고, 성재 ( 省宰, 중서문하성에속한 2품이상의관원 ) 는종1 품인중서령 ( 中書令 ) ㆍ문하시중과정2품인문하시랑평장사 ( 門下侍郎平章事 ) ㆍ중서시랑평장사 ( 中書侍郎平章事 ) ㆍ문하평장사 ( 門下平章事 ) ㆍ중서평장사 ( 中書平章事 ), 그리고종2품인참지정사 ( 參知政事 ) ㆍ정당문학 ( 政堂文學 ) ㆍ지문하성사 ( 知門下省事 ) 로구성되었으나, 중서령은치사 ( 致仕 ) 와추증 ( 追贈 ) 으로만수여하고실직 ( 實職 ) 이아니었으므로장관은문하시중이되었고, 특히문하시중ㆍ평장사ㆍ참지정사ㆍ정당문학ㆍ지문하성사등다섯관직을 5재 ( 宰 ) 라고하여재신 ( 宰臣 ) 또는재상 ( 宰相 ) 이라불렀다. 尙書右僕射 는고려시대상서성 ( 尙書省 ) 의정2품관직이다. 尙書省 은 3성 ( 三省 ) 의하나로백관을총령 ( 總領 ) 하던중앙관청이고, 상서도성 ( 尙書都省 ) 과그아래의상서이부 ( 尙書吏部 ) ㆍ상서병부 ( 尙書兵部 ) ㆍ상서호부 ( 尙書戶部 ) ㆍ상서형부 ( 尙書刑部 ) ㆍ상서예부 ( 尙書禮部 ) ㆍ상서공부 ( 尙書工部 ) 등상서육부 ( 尙書六部 ) 와상서고공 ( 尙書考功 ) ㆍ상서도관 ( 尙書都官 ) 등의속사 ( 屬司 ) 로구성되었으며, 중서문하성과함께양성 ( 兩省 ) 체제를이루면서행정실무를담당했고, 상서도성의최고관직인상서령 ( 尙書令 ) 은실직 ( 實職 ) 이아니라종친 ( 宗親 ) 에게주는명예직이었고, 그아래복야 ( 僕射, 좌복야 ( 左僕射 ) ㆍ우복야 ) 와지성사 ( 知省事 ) 역시한직 ( 閑職 ) 으로서품계는 2품이었으나재추 ( 宰樞, 재상 ) 의반열 ( 班列 ) 에들지못했다. 尙書 는중국전국 ( 戰國 ) 시대에처음두었는데, 문서발송을담당한 [ 主發書 ] 관직이었다. 尙 은 주관하다 [ 主 ], 담당하다 [ 執掌 ] 라는뜻이다. 고려때 尙書 는이후전서 ( 典書 ), 판서 ( 判書 ) 로바뀌게되는데, 典 은 맡다 는뜻이고, 判 은 판결하다 는뜻이다. 僕射 는중국진 ( 秦 ) 나라때부터두었는데, 활쏘기에복역하다 [ 僕役於射 ] 라는뜻이고, 僕 은복역 ( 僕役 ) 이외에 주관하다 [ 主 ] 로도풀이한다. 射 는활쏘기라는뜻이지만, 관명 ( 官名 ) 으로쓰일때는음 ( 音 ) 을변하여 야 ( 夜 ) 로읽는다. 복야는후세에점차직권 ( 職權 ) 이소중해져서한 ( 漢 ) 나라때에좌복야 ( 左僕射 ) ㆍ우복야 ( 右僕射 ) 로늘려두었다. 尙書 와 右僕射 를합하여 尙書右僕射 라는하나의관직은삼국 ( 三國 ) 위 ( 魏 ) 나라때두었고, 이명칭을고려에서사용한것이다. 五世 : 諱仁至諡號文正公 ( 휘인지시호문정공 ) 開府儀同三司檢校太傅 ( 개부의동삼사겸교태부 ) 檢校太傅 는고려시대검교직 ( 檢校職 ) 태부 ( 太傅 ) 관직이다. 太傅 는종실 ( 宗室 ) 과공신 ( 功臣 ) 및고위관원에게내렸던정1품관직이다. 檢校 는훈관 ( 勳官, 작호 ( 爵號 ) 만있고직무상의일이없는벼슬 ) 으로, 고위관직의자리는한정되어있는데승진대상자가늘어나는추세속에서실직의제수에한계가드러나자관리들의승진의욕을제고하고자실직이아닌훈직 ( 勳職 ) 을주어승진의기회를부여한관직이다. 六世 : 諱公升諡號文貞公 ( 휘공승시호문정공 ) 中書侍郞平章事 ( 중서시랑평장사 ) 中書侍郞平章事 는고려시대중서문하성의정 2 품관직이다. 中書 는 궁중의글 - 3 -
[ 內中之書 ] 이라는뜻으로, 궁중의글을총괄관장하는 ( 總掌禁中書記 ) 관직이고, 중국한 ( 漢 ) 나라때에생겼다. 侍郞 은 임금을모시는낭관 ( 郞官 ) 이라는뜻으로, 숙위 ( 宿衛, 숙직하며임금을호위함 ) 하며따름을관장하는 [ 掌宿衛侍從 ] 관직이고중국진한 ( 秦漢 ) 시대에생긴낭중령 ( 郎中令 ) 의소속관원이었다. 平章事 는 일을고르게밝혀다스리다 라는뜻으로, 2~3일에한번중서문하 ( 中書門下 ) 에나아와일을보는관직으로, 당 ( 唐 ) 나라태종 ( 太宗 ) 때에생겼다. 中書, 侍郞, 平章事 를합한 中書侍郞平章事 는당 ( 唐 ) 나라때부터있었고, 이명칭을고려에서사용한것이다. 七世 : 諱椿老諡號貞肅公 ( 휘춘로시호정숙공 ) 參知政事 ( 참지정사 ) 參知政事 는 정무에참여하여주관하다 라는뜻으로, 고려시대중서문하성의종 2 품관직이다. 七世 : 諱桂長 ( 휘계장 ) 太傅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同修國史 ( 태부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동수국사 ) 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는평장사 ( 平章事 ) 의하나로, 고려시대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에속했던정2품관직이다. 문종 ( 文宗 ) 때에문하시랑평장사 ( 門下侍郎平章事 ) ㆍ중서시랑평장사 ( 中書侍郎平章事 ) ㆍ문하평장사 ( 門下平章事 ) ㆍ중서평장사 ( 中書平章事 ) 가있었으며, 정원은각 1인이었다. 그러나실제문하평장사ㆍ중서평장사는두지않았고, 대신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 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 ) ㆍ중서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 中書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 ) 가설치되어있었다. 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 는역시당 ( 唐 ) 나라때부터있었고, 이명칭을고려에서사용한것이다. 門下省 은문하 ( 門下 ) 로약칭하기도하는데, 門下 는 궁문 ( 宮門 ) 밑 이라는뜻으로, 중국진 ( 晉 ) 나라때 궁문안의여러일을관장하는 [ 掌管門下衆事 ] 관청이므로, 門下省 이라고일컫고, 시중 ( 侍中 ) 이장관 ( 長官 ) 이고, 원 ( 元 ) 나라때폐지되었다. 同修國史 는고려시대사관 ( 史館 ) 의관직으로, 2품이상이었으며대개중서문하성의재상 ( 宰相 ) 이겸직하였고, 수상 ( 首相 ) 이겸직하는감수국사 ( 監修國史 ) 와역시 2품이상이겸직하는수국사 ( 修國史 ) 의다음에위치하였다. 同修國史 는 국사 ( 國史 ) 를함께편수 ( 編修 ) 하다 라는뜻으로, 修國史 에앞에감 ( 監 ) 이쓰이면 修國史 보다높은관직이고, 동 ( 同 ) 이쓰이면 修國史 보다낮은관직이다. 八世 : 諱粧 ( 휘장 ) 朝靖大夫殿中監 ( 조정대부전중감 ) 贈金紫光祿大夫知門下省事上將軍判禮曹事 ( 증금자광록대부지문하성사상장군판예조사 ) 朝靖大夫 는고려관직표에보이지않고종5품조청대부 ( 朝請大夫 ) 가있는데 請 을 靖 으로기록한것으로보인다. 殿中監 은고려시대전중성 ( 殿中省 ) 의종3품관직으로, 왕실과친족의족보에관한일을맡아보던관청이다. 殿中省 의 殿中監 은중국위 ( 魏 ) 나라때있었다. 殿中 은 전각안 이라는뜻이다. 監 은중국에서고대 ( 古代 ) 부터관명 ( 官名 ) 으로쓰였는데, - 4 -
감찰 ( 監察 ) 을주관 ( 主管 ) 하는관원에많이쓰였다. 贈 은서거한뒤, 즉사후 ( 死後 ) 에받은관직이다. 知門下省事 는고려시대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의종2품관직으로, 문하성지사 ( 門下省知事 ) 이다. 知事 속에 門下省 관청이들어간관직명칭이다. 知事 는호칭이오늘날강원도지사 ( 江原道知事 ) 등에남아있다. 知 는 주관하다 [ 主 ] ㆍ담당하다 [ 掌 ] 는뜻이다. 知門下省事 는중국당 ( 唐 ) 나라때에있었다. 上將軍 은고려시대무관정3품의최고지휘관으로, 중국춘추 ( 春秋 ) 시대부터쓰였다. 判禮曹事 는예조판사 ( 禮曹判事 ) 이며. 고려시대상서예부 ( 尙書禮部 ) 의최고관직으로종1품이다. 判事 사이에 禮曹 관청이들어간관직명칭이다. 判事 는호칭이오늘날재판소판사 ( 裁判所判事 ) 에남아있다. 判 은 판단하다ㆍ판결하다 라는뜻이다. 曹 는중국고대에 분과 ( 分科 ) 하여일을처리하는관서 ( 官署 ) 이다. 八世 : 諱滉 ( 휘황 ) 大司諫領府事 ( 대사간영부사 ) 大司諫 은조선시대사간원 ( 司諫院 ) 의장관 ( 長官 ) 이다. 司諫院 은간쟁 ( 諫諍 ) 과논박 ( 論駁 ) 을관장하던관청이다. 司諫 은 간쟁을담당하다 라는뜻으로, 대사간아래의관직으로도사용되었다. 領府事 는부 ( 府 ) 관청의으뜸관직으로, 정1품이며영사 ( 領事 ) 라고도한다. 領 과 府事 사이에관청이들어간관직명칭이다. 예건대돈녕부영사 ( 敦寧府領事 ) 를영돈녕부사 ( 領敦寧府事 ), 중추부영사 ( 中樞府領事 ) 를영중추부사 ( 領中樞府府事 ) 라고한다. 領事 는호칭이오늘날외국주재외교관에남아있다. 領 은 다스리다 는뜻이다. 領事 는여러관청에있는데정1품이고, 그아래로는품계에따라호칭을달리하여중추부의예를들면판사 ( 判事, 종1품 ), 지사 ( 知事, 정2품 ), 동지사 ( 同知事, 종2품 ), 첨지사 ( 僉知事, 정3품 ) 로부른다. 이경우 동지사 는동지중추부사 ( 同知中樞府事 ) 로호칭되는것이다. 九世 : 諱昌祐 ( 휘창우 ) 版圖摠郞 ( 판도총랑 ) 贈匡靖大夫判密直司事上將軍 ( 증광정대부판밀직사사상장군 ) 版圖摠郞 은고려후기판도사 ( 版圖司 ) 에속한정4품관직이다. 版圖司 는고려후기호구 ( 戶口 ) ㆍ공부 ( 貢賦 ) ㆍ전량 ( 錢粮 ) 에관한일을관장하던중앙관청으로, 상서육부 ( 尙書六部 ) 의하나인상서호부 ( 尙書戶部 ) 를판도사 ( 版圖司 ) 로고치고, 그관원으로판서 ( 判書 ) 를두고그아래총랑 ( 摠郎 ) ㆍ정랑 ( 正郎 ) ㆍ좌랑 ( 佐郞 ) 을두었다. 版圖 의 판 ( 版 ) 은호적, 도 ( 圖 ) 는지도 [ 版戶籍圖地圖 ] 라는뜻이다. 匡靖大夫 는고려시대문관의정2품품계이다. 匡靖 은 임금을바르게인도하고난리를안정시키다 [ 匡君靖難 ] 라는뜻이다. 判密直司事 는고려시대밀직사 ( 密直使 ) 의으뜸벼슬로, 밀직사판사 ( 密直使判事 ) 이다. 密直司 는고려시대몽고 ( 蒙古 ) 의간섭하에서왕명의출납, 궁중의숙위 ( 宿衛 ), - 5 -
군기 ( 軍機 ) 의정사를맡아보던관청으로, 991 년 ( 성종 10) 에설치된중추원 ( 中樞院 ) 이 1095 년 ( 헌종 1) 추밀원 ( 樞密院 ) 으로바뀌었다가, 원 ( 元 ) 나라의간섭기인 1275 년 ( 충렬 왕 1) 밀직사로바뀌었다. 九世 : 諱天明 ( 휘천명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通政大夫 는조선시대정3품당상관 ( 堂上官 ) 품계이다. 通政 은명 ( 明 ) 나라때관직명칭으로쓰였는데, 명태조 ( 太祖 ) 주원장 ( 朱元璋 ) 이 정무는물과같으므로, 늘통하게해야한다 [ 政事如同水欲其常通 ] 라고한데에서그명칭이유래하였다. 당상관 ( 堂上官 ) 은조의 ( 朝議 ) 를행할때당상 ( 堂上 ) 에있는교의 ( 交椅 ) 에앉을수있는관원으로, 동반 ( 東班, 문관품계 ) 은정3품의통정대부이상, 서반 ( 西班, 무관품계 ) 은절충장군 ( 折衝將軍 ) 이상, 종친 ( 宗親, 왕의부계 ( 父系 ) 친속 ) 은명선대부 ( 明善大夫 ) 이상, 의빈 ( 儀賓, 임금의사위 ) 은봉순대부 ( 奉順大夫 ) 이상의품계를가진관원이다. 품계명칭은동반, 서반, 종친, 의빈에따라각각다르게불렀다. 九世 : 諱天奇 ( 휘천기 ) 兵部尙書 ( 병부상서 ). 兵部尙書 는병부 ( 兵部 ) 의상서 ( 尙書 ) 관직으로. 품계는정3품이다. 兵部 는고려시대상서성 ( 尙書省 ) 아래의 6부 ( 部 ) 의하나로, 무선 ( 武選, 무신들의인사 ( 人事 )) ㆍ군무 ( 軍務 ) ㆍ의위 ( 儀衛 ) ㆍ우역 ( 郵驛, 우체 ) 의일을맡아보던관청이다. 尙書 는상서성 ( 尙書省 ) 의정3품관직으로, 995년 ( 성종 14) 이부 ( 吏部 ) ㆍ병부 ( 兵部 ) ㆍ호부 ( 戶部 ) ㆍ형부 ( 刑部 ) ㆍ예부 ( 禮部 ) ㆍ공부 ( 工部 ) 의상서육부 ( 尙書六部 ) 의형식상으로는장관 ( 長官 ) 이지만, 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의재신 ( 宰臣 ) 이각부 ( 部 ) 의판사 ( 判事 ) 를겸임한탓에그기능은매우제한되어있어서, 상서육부가독립성을잃고중서문하성에예속되는결과가나타났으나, 상서성의좌우복야 ( 左右僕射 ) 와함께 8좌 ( 座 ) 라일컬어지면서곧재추의반열에오를수있는우위직으로인식되었고, 뒤에전서 ( 典書 ) 로바뀌었다가또판서 ( 判書 ) 로바뀌었다. 兵部尙書 라는명칭은중국수 ( 隋 ) 나라때부터쓰였다. 이태조 ( 李太祖 ) 4년에판사 ( 判事 ) 이천기에게원종공신 ( 原從功臣 ) 녹권 ( 錄券 ) 을내렸는데, 判事 는육부 ( 六部 ) ㆍ어사대 ( 御史臺 ) 등에둔관원이고, 原從功臣 은큰공훈이있는정공신 ( 正功臣 ) 이외에작은공을세운사람에게준칭호이고, 錄券 은공신도감 ( 功臣都監 ) 에서왕명 ( 王命 ) 을받아각공신에게발급한공신임을증명하는문서이다. 九世 : 諱元瑞 ( 휘원서 ) 果政校尉 ( 과정교위 ) 校尉 는고려와조선시대에 5품ㆍ6품무관의칭호이다. 校尉 는중국진 ( 秦 ) 나라때있었는데, 校 는 군영 ( 軍營 ) 이라는뜻이고, 尉 는 군관 ( 軍官 )[ 戎官 ] 이라는뜻이다. 十世 : 諱季堿諡號正憲公 ( 휘계감시호정헌공 ) 重大匡琅城君 ( 중대광낭성군 ) - 6 -
重大匡 은고려시대종1품의문관품계이다. 琅城君 은군 ( 君 ) 이라는작호 ( 爵號 ) 로, 琅城 은청주 ( 淸州 ) 의옛이름이다. 이러한작호는종실 ( 宗室 ), 외척 ( 外戚 ), 공신 ( 功臣 ) 에게주었는데, 공작 ( 公爵 ), 후작 ( 侯爵 ), 백작 ( 伯爵 ) 이있었다. 十世 : 諱次堿 ( 휘차감 ) 개성이씨 ( 開城李氏 ) 로분적 ( 分籍 ) 하였다. 十世 : 諱季珹 ( 휘계성 ) 判樞密院事 ( 판추밀원사 ) 報恩伯 ( 보은백 ) 判樞密院事 는고려시대추밀원 ( 樞密院 ) 의으뜸관직으로, 추밀원판사 ( 樞密院判事 ) 이다. 추밀원은왕명의출납과궁중의숙위 ( 宿衛 ) ㆍ군기 ( 軍器 ) 를맡아보던중추원 ( 中樞院 ) 의후신으로. 뒤에밀직사 ( 密直司 ) 로바뀌었다. 判樞密院事 라는명칭은중국오대 ( 五代 ) 때부터있었고, 樞密 은 중추 ( 中樞 ) 기밀 ( 機密 ) 이라는뜻이다. 報恩伯 은백 ( 伯 ) 이라는작호 ( 爵號 ) 이다. 十世 : 諱模全 ( 휘모전 ) 奉常大夫 ( 봉상대부 ) 奉常大夫 는고려시대정4품의문관품계이다. 奉常大夫 는중국당 ( 唐 ) 나라때에있었다. 奉常 은 기 [ 常 ] 를받들다 라는뜻으로, 중국진 ( 秦 ) 나라때관직이고, 태상 ( 太常 ) 은왕 ( 王 ) 의기인데해와달을그렸다. 왕에게큰행사가있으면세우고가는데예관 ( 禮官 ) 이주장하여받들어쥐므로봉상 ( 奉常 ) 이라고한다.[ 太常王者旌旗也畫日月焉王有大事則建以行禮官主奉持之故曰奉常也 ] 라고설명되었다. 조선시대의문관품계는 4품이상을대부 ( 大夫 ) 라고하고, 5품이하를낭 ( 郞 ) 이라하였다. 十世 : 諱茂 ( 휘무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信校副尉 ( 신교부위 ) 副尉 는조선시대에 7품ㆍ8품ㆍ9품무관의칭호이다. 조선시대의무관품계는 4 품이상을장군 ( 將軍 ) 이라고하고, 5품이하를교위 ( 校尉 ) 라고하고, 7품이하를부위 ( 副尉, 버금교위 ( 校尉 )) 라고하고, 그리고종2품이상은별도칭호가없이문관품계칭호를공동으로사용하였다. 다. 十世 : 諱基 ( 휘기 ) 參奉 ( 참봉 ) 參奉 은조선시대각관청의종 9 품관직이다. 參奉 은 참배 ( 參拜 ) 하다 라는뜻이 十世 : 諱墰 ( 휘담 ) 十世 : 諱潤孫 ( 휘윤손 ) 進勇校尉 ( 진용교위 ) 進勇校尉 는조선시대정 6 품무관품계이다. 進勇 은 나아가용감히일하다 라는 - 7 -
뜻이다. 十一世 : 諱挺諡號文簡公 ( 휘정시호문간공 ) 光祿大夫刑部尙書 ( 광록대부형부상서 ) 贈門下右政丞西原伯 ( 증문하우정승서원백 ) 光祿大夫 는고려시대정2품문관품계이다. 刑部尙書 는고려시대형부 ( 刑部 ) 의관직이다. 門下右政丞 은도첨의부 ( 都僉議府 ) 에속한종1품관직첨의우정승 ( 僉議右政丞 ) 을충혜왕 ( 忠惠王 ) 때첨의우시중 ( 僉議右侍中 ) 으로고치고, 뒤에문하우시중 ( 門下右侍中 ) 으로고치고, 조선태조 ( 太祖 ) 3년 (1394) 에 門下右政丞 으로고친것이다. 政丞 은 정무를돕다 라는뜻으로, 丞 은중국고대 ( 古代 ) 부터관직명칭으로사용되었다. 西原伯 은백 ( 伯 ) 이라는작호 ( 爵號 ) 로, 西原 은청주 ( 淸州 ) 의옛이름이다. 十一世 : 諱邦直 ( 휘방직 ) 進賢館大提學 ( 진현관대제학 ) 琅城君 ( 낭성군 ) 進賢館大提學 은고려시대진현관의장관 ( 長官 ) 인대제학관직이다. 進賢館 은고려시대학문기관인관전 ( 館殿 ) 의하나이다. 여러관전에는숭문관 ( 崇文館 ) ㆍ홍문관 ( 弘文館 ) ㆍ문덕전 ( 文德殿 ) ㆍ수문전 ( 修文殿 ) ㆍ연영전 ( 延英殿 ) ㆍ집현전 ( 集賢殿 ) ㆍ우문관 ( 右文館 ) ㆍ진현관등여러관청이있었는데, 문신 ( 文臣 ) 중재학 ( 才學 ) 이있는자를뽑아겸관 ( 兼官 ) 으로왕을시종 ( 侍從 ) 하게하였다. 진현관이처음기록에나오는것은충렬왕 ( 忠烈王 ) 때이지만확실한설치연대는알수없고, 1308년충선왕 ( 忠宣王 ) 이정권을잡고예문춘추관 ( 藝文春秋館 ) 에병합하였다가곧다시설치하여종2품의대제학 ( 大提學 ), 정3품의제학 ( 提學 ), 정4품의직제학 ( 直提學 ) 을두었고, 1356년 ( 공민왕 5) 집현전 ( 集賢殿 ) 으로고쳐대학사 ( 大學士 ) ㆍ직학사 ( 直學士 ) 를두었다. 進賢 은 현인 ( 賢人 ) 을진취시키다 라는뜻이다. 大提學 은제학 ( 提學 ) 에대 ( 大 ) 를더해제학보다윗자리를표시한것이다. 提學 은 학교행정을다스려감독하다 [ 提督學政 ] 의생략으로, 중국송 ( 宋 ) 나라의제거학사사 ( 提擧學事司 ) 관청을둔것에서유래하였다. 琅城君 은 10세 ( 世 ) 휘 ( 諱 ) 계감 ( 季堿 ) 과같은군 ( 君 ) 이라는작호 ( 爵號 ) 이다. 十一世 : 諱松固 ( 휘송고 ) 版圖判書 ( 판도판서 ) 版圖判書 는판도사 ( 版圖司 ) 의장관 ( 長官 ) 인판서 ( 判書 ) 로, 고려중엽의관직이다. 31대공민왕 ( 恭愍王 ) 11년 (1362) 호부상서 ( 戶部尙書 ) 를고친이름이며, 뒤에호조전서 ( 戶曹典書 ) 로바뀌었다가조선 3대 ( 代 ) 태종 ( 太宗 ) 때에호조판서 ( 戶曹判書 ) 로바뀌었다. 十一世 : 諱芳固 ( 휘방고 ) 行中郞將版圖判書 ( 행중랑장판도판서 ) 中郞將 은고려시대정5품의무관관직이다. 行 은 中郞將 이라는정5품의직책보다품계가높은종4품이상관원이재임한경우를나타낸것이다. 지금으로말하면별둘소장 ( 少將 ) 이사단장을하는데계급이높은별셋중장 ( 中將 ) 이사단장을하는 - 8 -
경우 行 이된다. 中郞將 은중국진 ( 秦 ) 나라때에설치되었다. 十一世 : 諱贒卿 ( 휘현경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守司憲府大司憲 ( 수사헌부대사헌 ) 司憲府大司憲 은종2품의사헌부의장관 ( 長官 ) 대사헌관직이다. 司憲府 는감찰담당기관이다. 司憲 은 법을맡다 라는뜻이다. 守 는 大司憲 이라는종2품의직책보다품계가낮은정3품이하관원이재임한경우를나타낸것이다. 行 과반대이다. 지금으로말하면별둘소장 ( 少將 ) 이사단장을하는데계급이낮은별하나준장 ( 准將 ) 이사단장을하는경우 守 가된다. 앞의행 ( 行 ) 과여기의수 ( 守 ) 를행수법 ( 行守法 ) 이라하는데, 行守法 은품계가높은사람을낮은관직에임명하거나품계가낮은사람을높은관직에임명하는경우에대한규정이다. 이를 계고직비행 ( 階高職卑行, 품계가높고직책이낮으면行 ), 계비직고수 ( 階卑職高守, 품계가낮고직책이높으면守 ) 로정리할수있다. 이규정은 모든직함은계 ( 階, 품계 ) 를먼저쓰고, 사 ( 司, 관청 ) 를다음에쓰고직 ( 職, 직책 ) 을다음에쓴다. 품계가높고직책이낮으면 行 을일컬으며, 품계가낮고직책이높으면 守 를일컫는다. 行 자와 守 자는관청위에붙인다 ( 凡職銜先階次司次職, 階高職卑則稱行, 階卑職高則稱守, 行守字在司上.) ( 大典會通吏典京官職 ) 에보인다. 직함표시는 階, 司, 職 의 3가지의순서인데 階 와 職 이균형을이루면 行ㆍ守 를쓰지않고, 불균형일때품계가높으면 階, ( 行 ) 司, 職, 직책이높으면 階, ( 守 ) 司, 職 으로표현하는것이다. 모든관직에는그에따르는품계가일정하게정해져있으나, 경우에따라서어떤관직에는그관직자체의품계보다더높은품계의관원, 또는반대로더낮은품계의관원을임명할수있다. 그중품계가높은사람을낮은직책에임용하는계고직비 ( 階高職卑 ) 의경우를 行, 반대로품계가낮은사람을높은직책에임용하는계비직고 ( 階卑職高 ) 의경우를 守 라한다. 예를들면, 정2품의자헌대부 ( 資憲大夫 ) 가종2품의낮은직책인대사헌 ( 大司憲 ) 에임용되면자헌대부 행 사헌부대사헌 ( 資憲大夫 行 司憲府大司憲 ) 이라표현하고, 반대로종2품의가선대부 ( 嘉善大夫 ) 가정2 품직책인높은호조판서에임용되면가선대부 수 호조판서 ( 嘉善大夫 守 戶曹判書 ) 라표현하였다. 품계와직책이균형을이루어정2품의자헌대부 ( 資憲大夫 ) 가정2품직책인호조판서에임용되면자헌대부호조판서 ( 資憲大夫戶曹判書 ) 라표현하여, 行ㆍ守 를쓰지않는다. 資憲大夫 는 階 이고, 戶曹 는 司 이고, 判書 는 職 이다. 행수법은중국에서일찍부터시행되어 계급이높고관직이낮으면 行 을일컫고, 계급이낮고관직이높으면 守 를일컫는다 ( 階高官卑稱行, 階卑官高稱守.) ( 事物紀原經籍藝文守官 ) 라고하였는바, 중국의제도를답습한것이다. 그리고 송나라제도는 < 계급이관직보다 > 1품이높으면 행 ( 行 ) 을일컫고, 1품이낮으면 수 ( 守 ) 를일컫고, 2등이낮으면 시 ( 試 ) 를일컫는다.( 宋制則高一品爲行, 下一品爲守, 下二等爲試.) 라고하여, 試 도쓰였던것이다. 행 ( 行 ) 은행수법 ( 行守法 ) 의행 ( 行, 계고직비 ( 階高職卑 ) 행 ) 이있고, 또행증법 ( 行贈法 ) 의행 ( 行, 생전관직행 ) 이있다. 11세 ( 世 ) 문간공 ( 文簡公 ) 의관직은 光祿大夫刑 - 9 -
部尙書贈門下右政丞西原伯 인데, 앞부분에 행 ( 行 ) 이생략된것이다. 이리하여 ( 行 ) 光祿大夫刑部尙書贈門下右政丞西原伯 이완전한표시인데, ( 行 ) 光祿大夫刑部尙書 는생전에받은관직이고, 贈門下右政丞西原伯 은사후 ( 死後 ) 에받은관직을나타내는바, 이때행 ( 行 ) 은계급 ( 階級 ) 앞에쓴다. 다른용례를더들어보면 증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영경연감춘추관사 행 숭정대부의정부우찬성겸판의금부지경연사권공행장 (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監春秋館事 行 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兼判義禁府知經筵事權公行狀 ) ( 退溪先生文集제49권權橃行狀 ) 에는권벌 ( 權橃, 1478년 1548) 의관직이표시되었는데, 行 이 崇政大夫 라는계급앞에있어증행법의 행 임을판별할수있다. 행 ( 行 ) 은계고직비 ( 階高職卑 ) 의행수법과생전관직을표시한증행법이있는데, 行 이계급뒤에오면계고직비를표시하고, 계급앞에오면생전관직을표시하는것이다. 두가지경우행 ( 行 ) 의쓰인위치가다르게나타나는바, 행수 ( 行守 ) 의 행 은 계 ( 행 ) 사직 ( 階 ( 行 ) 司職, 계급 ( 행 ) 관청직책 ) 의순서에의해계급뒤에표시하고, 증행 ( 贈行 ) 의 행 은 ( 행 ) 계사직 (( 行 ) 階司職, ( 행 ) 계급관청직책 ) 의순서에의해계급앞에표시한다. 즉 階 ( 行 ) 이면행수의 행 이고, ( 行 ) 階 면증행의 행 이다. 十一世 : 諱碩根 ( 휘석근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彰信校尉 ( 창신교위 ) 中嶺仕職 ( 중령사직 ) 彰信校尉 는조선시대종5품무관의품계이다. 彰信 은 신의를드러내다 라는뜻이다. 中嶺仕職 은미상이다. 十一世 : 諱碩芬 ( 휘석분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十一世 : 諱碩健 ( 휘석건 ) 進士 ( 진사 ) 進士 는조선시대소과 ( 小科 ) 의하나인진사시 ( 進士試 ) 에합격한사람이다. 진사와동등한시험으로생원 ( 生員 ) 이있었다. 진사와생원은자격 ( 資格 ) 의명칭으로성균관 ( 成均館 ) 에입학할수있으며, 대과 ( 大科, 文科 ) 에응시할할수있었다. 시험은생원시 ( 生員試 ) 와진사시 ( 進士試 ) 로나뉘어져있었다. 생원시는오경의 ( 五經義 ) 와사서의 ( 四書疑 ) 의제목으로유교경전 ( 儒敎經典 ) 에관한지식을시험하고, 그리고진사시는부 ( 賦 ) 와시 ( 詩 ) 의제목으로문예창작의재능을각각시험하였다. 그리하여합격자에게 생원 또는 진사 라고하는일종의학위 ( 學位 ) 를수여하였다. 十一世 : 諱碩俊 ( 휘석준 ) 十一世 : 諱陽根 ( 휘양근 ) 參奉 ( 참봉 ) - 10 -
十一世 : 諱泰根 ( 휘태근 ) 十一世 : 諱昔根 ( 휘석근 ) 參奉 ( 참봉 ) 十二世 : 諱由信 ( 휘유신 ) 文林郎持平 ( 문림랑지평 ) 慶尙道按察使 ( 경상도안찰사 ) 中直大夫 ( 중직대부 ) 刑部郞中 ( 형부낭중 ) 文林郎 은고려시대문관의종9품품계이다. 文林郎 이라는명칭은중국수 ( 隋 ) 나라때에있었다. 文林 은 문사의숲 [ 文士之林 ] 이라는뜻으로, 많은문인이모인곳을말한다 [ 謂眾多文人聚集之處 ] 라고설명한다. 持平 은고려후기사헌부 ( 司憲府, 고려말에생긴관청 ) 의정5품관직이다. 持平 은 공평을유지하다 라는뜻이다. 慶尙道按察使 는경상도담당안찰사이다. 按察使 는고려시대각도 ( 道 ) 의행정을맡았던으뜸관직이다. 按察使 라는명칭은중국당 ( 唐 ) 나다때부터사용되었다. 按察 은 순찰 ( 巡察 ) 하다 라는뜻이다. 中直大夫 는조선시대, 종3품문관의품계이다. 中直 은 정직하다 는뜻이다. 刑部郞中 은형부 ( 刑部 ) 의낭중 ( 郞中 ) 으로, 고려시대육조 ( 六曹 ) 에딸린정5품관직이다. 郞中 은중국전국 ( 戰國 ) 시대부터있었고 궁문 ( 宮門 ) ㆍ거기 ( 車騎, 임금수레 ) 등의일을관장한 [ 掌管門戶車騎等事 ] 관직으로청 ( 淸 ) 나라말기에폐하였다. 十二世 : 諱居仁諡號恭節公 ( 휘거인시호공절공 ) 密直副使慶尙道都觀察黜陟使檢校左政丞 ( 밀직부사경상도도관찰출척사검교좌정승 ) 淸川伯 ( 청천백 ) 密直副使 는고려시대밀직사 ( 密直司 ) 의관직으로, 1275년 ( 충렬왕 1) 추밀부사 ( 樞密副使 ) 를고친이름인데, 처음에는종2품의부사 ( 副使 ) 를두었다가 1311년 ( 충선왕 3) 에부사의품계를정3품으로낮추어고려말까지이어졌다. 密直 은 기밀 ( 機密 ) 숙직 ( 宿直 ) 이라는뜻이다. 慶尙道都觀察黜陟使 는경상도담당도관찰출척사이다. 都觀察黜陟使 는 모두살펴강등ㆍ승진시키는사신 이라는뜻으로, 고려말과조선초각도 ( 道 ) 의외관직 ( 外官職 ) 이다. 1388년 ( 창왕즉위년 ) 에안찰사 ( 按察使 ) 의품질 ( 品秩 ) 을높여도관찰출척사로이름을고쳤고, 1466년 ( 세조 12) 1월관제를개혁할때관찰사 ( 觀察使 ) 로이름을바꾸었다. 檢校左政丞 은고려시대도첨의부 ( 都僉議府 ) 에속한관직으로, 1275년 ( 충렬왕 1) 에원 ( 元 ) 나라의영향아래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이상서성 ( 尙書省 ) 을병합하여첨의부 ( 僉議府 ) 로개편하고장관으로좌우 ( 左右 ) 의첨의중찬 ( 僉議中贊 ) 각 1인을두었으며, 뒤이어이를도첨의사사 ( 都僉議使司 ) 로고쳤고, 충선왕 ( 忠宣王 ) 이개혁정치를하면서첨의중찬을도첨의시중 ( 都僉議侍中 ) 으로고쳤다가다시중찬 ( 中贊 ) 으로고치고, 1308 년에충선왕이재즉위하면서중찬을정승 ( 政丞 ) 으로고쳐 1인으로하였다가충혜왕 ( 忠惠王 ) 때이를우정승 ( 右政丞 ) 과좌정승 ( 左政丞 ) 으로개편하고, 1362년에첨의우정승 - 11 -
( 僉議右政丞 ) 과첨의좌정승으로고쳤고, 1369년에도첨의부를문하부 ( 門下府 ) 로고치면서이를문하좌시중 ( 門下左侍中 ) 과문하우시중 ( 門下右侍中 ) 으로고쳤다. 檢校 는훈관 ( 勳官 ) 이다. 淸川伯 은백 ( 伯 ) 이라는작호 ( 爵號 ) 로, 청주 ( 淸州 ) 의 淸 을사용한것이다. 공절공은전 ( 前 ) 판개성 ( 判開城, 개성부판사 ) 의직함으로조선 ( 朝鮮 ) 개국원종공신 ( 開國原從功臣 ) 에녹훈 ( 錄勳 ) 되었다. 十二世 : 諱居義 ( 휘거의 ) 正憲大夫工曹典書 ( 정헌대부공조전서 ) 正憲大夫 는조선시대정2품문관품계이다. 正憲 은 법을바르게하다 라는뜻이다. 工曹典書 는공조의전서 ( 典書 ) 이다. 工曹 는 산택 ( 山澤 ) ㆍ공장 ( 工匠 ) ㆍ영조 ( 營造 ) 의일을관장하는관청 으로, 중앙관아인육조 ( 六曹 ) 의하나이다. 고려초에는공관 ( 工官 ) 이라칭하다가뒤에상서공부 ( 尙書工部 ) 라고쳤으며, 또다시공조 ( 工曹 ) 라칭하였다. 典書 는고려후기와조선초기의정3품관직으로, 충선왕 ( 忠宣王 ) 이상서 ( 尙書 ) 를전서로바꾸고, 공민왕 ( 恭愍王 ) 이전서를판서 ( 判書 ) 로바꾸고, 조선은고려시대의관제를그대로계승해서이조 ( 吏曹 ) ㆍ호조 ( 戶曹 ) ㆍ예조 ( 禮曹 ) ㆍ병조 ( 兵曹 ) ㆍ형조 ( 刑曹 ) ㆍ공조 ( 工曹 ) 의육조 ( 六曹 ) 를설치하고, 이육조의장관을전서라하였으나품계가정3품이어서직위가낮기때문에 1405년 ( 태종 5) 관제를개혁하면서육조의전서를판서로고치고, 정2품으로승격시켜의정부 ( 議政府 ) 에서관장하던실권을맡게하면서전서는이후다시쓰이지않았다. 典書 는당 ( 唐 ) 나라때홍문관 ( 弘文館 ) ㆍ비서성 ( 秘書省 ) 등에두어도서 ( 圖書 ) 를담당하게하였던관직이다. 十二世 : 諱居易諡號文度公 ( 휘거이시호문도공 ) 管軍萬戶 ( 관군만호 ) 右散騎常侍 ( 우산기상시 ) 平安道兵馬節制使 ( 평안도병마절제사 ) 參知門下府事 ( 참지문하부사 ) 參贊門下府事 ( 참찬문하부사 ) 判漢城府事 ( 판한성부사 ) 條例詳定都監判事 ( 조례상정도감판사 ) 門下侍郞贊成事 ( 문하시랑찬성사 ) 判門下府事 ( 판문하부사 ) 判尙瑞司事 ( 판상서사사 ) 門下左政丞 ( 문하좌정승 ) 領議政府事 ( 영의정부사 ) 領司平府事 ( 영사평부사 ) 領議政 ( 영의정 ) 西原府院君 ( 서원부원군 ) 定社功臣 ( 정사공신 ) 佐命功臣 ( 좌명공신 ) 管軍萬戶 는조선초기절제사 ( 節制使 ) 관할아래에있는지방군사행정단위인제진 ( 諸鎭 ) 을지휘하던만호 ( 萬戶 ) 이다. 管軍 은 군사를관장 ( 管掌 ) 하다 라는뜻이다. 萬戶 는고려ㆍ조선시대외침방어를목적으로설치된만호부 ( 萬戶府 ) 의관직으로, 본래그가통솔하여다스리는민호 ( 民戶 ) 의수에따라만호 ( 萬戶 ) ㆍ천호 ( 千戶 ) ㆍ백호 ( 百戶 ) 등으로불리다가차차민호의수와관계없이진장 ( 鎭將 ) 의품계와직책등으로변하였다. 右散騎常侍 는고려ㆍ조선초기의관직으로, 고려시대에는중서문하성 ( 中書門下省 ) 에두어서좌산기상시 ( 左散騎常侍 ) 와함께낭사 ( 郎舍, 고려시대중서문하성에소속된정3품이하관원의총칭 ) 를구성하는관직가운데최고직이었다. 중국진 ( 秦 ) 나라때 - 12 -
산기 ( 散騎 ) 관직과중상시 ( 中常侍 ) 라는관직이있었는데, 위 ( 魏 ) 나라때 散騎常侍 로합하여하나의관직이되고, 당 ( 唐 ) 나라때좌ㆍ우산기상시 ( 左右散騎常侍 ) 로나누어두었다. 散騎 는 임금을따르는기사 ( 騎士 ) 라는뜻이고, 中常侍 는 궁중에서늘모시다 라는뜻이다. 平安道兵馬節制使 는평안도담당병마절제사이다. 兵馬節制使 는조선시대정3품수령이겸직한서반 ( 西班 ) 관직이다. 節制 는 지휘 ( 指揮 ) 하다 라는뜻이다. 參知門下府事 는 參知事 속에 門下府 가들어간관직으로, 문하부의일을참여하여관장하다 라는뜻인데, 고려시대문하부의종2품관직이다. 門下府 는고려시대의최고행정관청으로, 1369년 ( 공민왕 18) 부터 1401년 ( 태종 1) 까지존속하여국정을총괄하였다. 고려는초기에당 ( 唐 ) 나라의관제 ( 官制 ) 를모방하여문하성 ( 門下省 ) ㆍ중서성 ( 中書省 ) ㆍ상서성 ( 尙書省 ) 등을두어 3성 ( 省 ) 6부제 ( 部制 ) 를채택하였으나, 통폐합ㆍ개편과정을거치면서말기에문하부로정착하였다. 관원으로는영문하 ( 領門下 ), 문하좌ㆍ우시중 ( 門下左右侍中 ), 문하찬성사 ( 門下贊成事 ), 참지문하부사 ( 參知門下府事 ), 지문하부사 ( 知門下府事 ), 좌ㆍ우산기상시 ( 左右散騎常侍 ), 좌ㆍ우간의대부 ( 左右諫議大夫 ), 문하사인 ( 門下舍人 ), 좌ㆍ우사간 ( 左右司諫 ), 문하녹사 ( 門下錄事 ), 문하주서 ( 門下注書 ) 등이있었다. 문하부는조선시대에그대로계승되어한동안존속하다가 1401년 ( 태종 1) 7월의정부 ( 議政府 ) 와그기능이중복된다고하여철폐되었다. 參贊門下府事 는 參贊事 속에 門下府 가들어간관직으로, 문하부의일을참여하여돕다 라는뜻인데, 문하부의정2품관직이다. 조선태종원년 (1401) 에문하부를없애고의정부 ( 議政府 ) 에그일을맡기면서참찬의정부사 ( 參贊議政府事 ) 로바뀌었다. 判漢城府事 는 判事 속에 漢城府 가들어간한성부판사 ( 漢城府判事 ) 로 한성부일을판결하다 라는뜻인데, 조선초기한성부의으뜸벼슬로, 품계는정2품이고, 세조 ( 世祖 ) 12년 (1466) 에한성부윤 ( 漢城府尹 ) 으로고쳤다. 條例詳定都監判事 는조선정종 1년 (1399) 에각종조례 ( 條例 ) 를제정하기위해설치한임시관청인 條例詳定都監 의판사 ( 判事 ) 이다. 都監 은 모두감독하다 라는뜻으로중국삼국 ( 三國 ) 시대부터관직으로쓰였다. 門下侍郞贊成事 는조선초기문하부 ( 門下府 ) 의관직으로, 조선태조 ( 太祖 ) 원년 (1392) 에두었다가, 태종 ( 太宗 ) 원년 (1401) 에문하부를폐함에따라의정부 ( 議政府 ) 로붙였다. 贊成事 는 일을도와이루다 라는뜻으로, 고려후기첨의부 ( 僉議府, 都僉議使司 ) 의정2품관직이었는데. 조선건국직후인 1392년 ( 태조 1) 에는문하부의종1품관직으로시랑찬성사 ( 侍郎贊成事 ) 와찬성사가 1인씩두어졌으며, 이후 1414년 ( 태종 14) 에동판의정부사 ( 同判議政府事 ) 로개칭되고같은해에다시좌참찬 ( 左參贊 ) ㆍ우참찬 ( 右參贊 ) 으로바뀌었다가다음해에좌참찬은찬성 ( 贊成 ) 으로, 우참찬은참찬 ( 參贊 ) 으로개편되었다. 判門下府事 는 判事 속에 門下府 가들어간관직으로, 문하부의일을판결하다 라는뜻인데, 고려후기문하부의종1품관직으로, 우왕 ( 禑王 ) 때에영문하부사 ( 領門下府事 ) 를고쳐부른명칭이다. - 13 -
判尙瑞司事 는 判事 속에 尙瑞司 가들어간관직으로, 상서사의일을판결하다 라는뜻인데, 고려후기상서사의장관관직이다. 상서사는제배 ( 除拜, 인사이동 ) ㆍ부인 ( 符印 ) 등을관장하는관청이었는데, 1466년 ( 세조 12) 상서원 ( 尙瑞院 ) 으로개칭되어 1894년 ( 고종 31) 까지존속되었으나, 조선시대의상서원은인사의기능을상실한이조의속아문 ( 屬衙門 ) 으로새보 ( 璽寶, 도장 ) ㆍ부패 ( 符牌, 부절과패 ) ㆍ절월 ( 節鉞, 장군에게주는부절과도끼 ) 을담당하는관청이다. 尙瑞 는 상서로움을높이다 라는뜻이다. 門下左政丞 은조선초기문하부 ( 門下府 ) 의정1품관직으로, 태조 ( 太祖 ) 3년 (1394) 에문하좌시중 ( 門下左侍中 ) 을고친이름이다. 領議政府事 는 領事 속에 議政府 가들어간관직으로, 의정부의일을다스리다 라는뜻인데, 의정부영사 ( 議政府領事 ) 이며, 조선초기의정부의으뜸관직으로, 품계는정1품이고, 태종 ( 太宗 ) 14년 (1414) 에처음으로두었으며, 세조 ( 世祖 ) 12년 (1466) 에영의정 ( 領議政 ) 으로고쳤다. 議政府 는 정무를논의하는관부 ( 官府 ) 라는뜻이다. 領司平府事 는역시 領事 속에 司平府 가들어간사평부영사 ( 司平府領事 ) 로 사평부의일을다스리다 라는뜻인데, 조선초기사평부 ( 司平府 ) 의으뜸관직이며, 품계는정1품이다. 司平府 는조선태종 ( 太宗 ) 원년 (1401) 에삼사 ( 三司 ) 를고친명칭으로, 전곡 ( 錢穀 ) 에관한일을맡아보았는데, 태종 5년 (1405) 에철폐되어호조 ( 戶曹 ) 에합쳤다. 司平 은 공평함을맡다 라는뜻인데, 중국당 ( 唐 ) 나라때공부 ( 工部 ) 관청을사평으로바꾸어불렀다. 西原府院君 의부원군 ( 府院君 ) 은공신 ( 功臣 ) 에게내린작호 ( 爵號 ) 인데, 종친 ( 宗親 ) ㆍ부마 ( 駙馬, 임금사위 ) 에게도내렸고, 뒤에는왕비 ( 王妃 ) 의친부 ( 親父 ) 에게내렸다. 西原 은문간공 ( 文簡公 ) 의 서원백 ( 西原伯 ) 에쓰인바가있다. 定社功臣 은조선초기 1차왕자의난을평정한공신들에게내린훈호 ( 勳號 ) 이다. 1398년 ( 태조 7) 방석 ( 芳碩 ) 의난때정도전 ( 鄭道傳 ) ㆍ남은 ( 南誾 ) ㆍ심효생 ( 沈孝生 ) ㆍ장지화 ( 張至和 ) ㆍ이근 ( 李懃 ) 등을죽이고난을평정해서사직을바로잡았던신하들에게내린공신호칭인데, 문도공은참찬문하 ( 參贊門下 ) 의직함으로 1등공신에녹훈되었다. 定社 는 사직 ( 社稷 ) 을안정시키다 라는뜻이다. 佐命功臣 은제2차왕자의난을평정하는데공을세운사람에게내린훈호이다. 1400년 ( 정종 2) 방간 ( 芳幹, 방원의동복형 ) 과그를추종하던박포 ( 朴苞 ) 가이방원 ( 李芳遠, 뒤의태종 ) 의위세를시기하여그를제거하려고난을일으켰는데, 이에이방원이난을평정하고왕위에오른다음공을세운신하들에게내린공신호칭인데, 문도공은문하좌정승 ( 門下左政丞 ) 의직함으로 1등공신에녹훈되었다. 佐命 은천명 ( 天命 ) 을도왔다는뜻이다. 문도공은전서 ( 典書 ) 의직함으로조선 ( 朝鮮 ) 개국원종공신 ( 開國原從功臣 ) 에녹훈 ( 錄勳 ) 되었다. 그리하여문도공은개국공신 ( 開國功臣 ) ㆍ정사공신 ( 定社功臣 ) ㆍ좌명공신 ( 佐命功臣 ) 의세가지공신에녹훈된것이다. 원종공신은정공신 ( 正功臣, 친공신 ( 親功臣 ) 이라고도함 ) 의자제나측근으로서작은일에공훈을세운공신이지만, 공신은정공신으로본인자신이공을세운공신으로부원군 ( 府院君 ) 이라고호칭하였다. - 14 -
十三世 : 諱德潤 ( 휘덕윤 ) 忠佐衛護軍 ( 충좌위호군 ) 忠佐衛護軍 은충좌위군대의호군관직이다. 忠佐衛 는조선시대군대편제인오위 ( 五衛 ) 의하나로, 전위 ( 前衛, 앞서서먼저나가는호위 ) 부대이며충의위 ( 忠義衛 ) ㆍ충찬위 ( 忠贊衛 ) ㆍ파적위 ( 破敵衛 ) 등이이에속하였다. 護軍 은조선시대오위의정4품무관관직이다. 忠佐衛 는 충성으로보좌하는위 ( 衛 )) 라는뜻으로, 衛 는원래 숙위 ( 宿衛 ) 라는뜻으로부터명 ( 明 ) 나라때에 군영 ( 軍營 ) 이라는뜻으로쓰이게되었다. 護軍 은 군사를총령 ( 總領 ) 하다 라는뜻으로, 중국진 ( 秦 ) 나라때부터있었다. 十三世 : 諱富潤 ( 휘부윤 ) 特進 ( 특진 ) 中直殿中 ( 중직전중 ) 通訓大夫 ( 통훈대부 ) 知沔州事 ( 지면주주사 ) 特進 은고려시대문관의위계 ( 位階 ) 제도로, 1076년 ( 문종 30) 정2품으로정하여져서전체 29등급중제2계였다. 特進 은 조정에서존경을특이하게할사람 [ 朝廷所敬異者 ] 이라는뜻으로, 중국한 ( 漢 ) 나라때부터있었다. 中直殿中 은전중경 ( 殿中卿 ) 을말한듯하다. 전중경은조선초기왕실친속 ( 親屬 ) 의보첩 ( 譜牒 ) 과전내 ( 殿內 ) 의급사 ( 給事 ) 일을맡아본전중시 ( 殿中寺 ) 의경 ( 卿 ) 이다. 通訓大夫 는조선시대문관의정3품당하관 ( 堂下官 ) 의품계이다. 당하관은조의 ( 朝議 ) 를행할때당상 ( 堂上 ) 의교의 ( 交椅 ) 에앉을수없는관원으로, 동반 ( 東班 ) 은정 3품 ( 正三品 ) 의통훈대부 ( 通訓大夫 ) 이하, 서반 ( 西班 ) 은어모장군 ( 禦侮將軍 ) 이하, 종친 ( 宗親 ) 은창선대부 ( 彰善大夫 ) 이하, 의빈 ( 儀賓 ) 은정순대부 ( 正順大夫 ) 이하의품계를가진관원이다. 通訓 은 정무를훈계 ( 訓誡 ) 하다 로이해된다. 知沔州事 는면주지사 ( 沔州知事 ) 로, 면주의일을맡아보다 라는뜻이며, 충청도면주지역을다스리는관직이다. 十三世 : 諱寬道 ( 휘관도 ) 司憲府持平 ( 사헌부지평 ) 司憲府持平 은사헌부 ( 司憲府 ) 소속의정 5 품관직이다. 十三世 : 諱完道 ( 휘완도 ) 司正 ( 사정 ) 司正 은오위 ( 五衛 ) 에소속된정 7 품무관관직이다. 司正 은 바름을맡다 라는뜻 이다. 十三世 : 諱宏道 ( 휘굉도 ) 司水監丞 ( 사수감승 ) 司水監 은전함 ( 戰艦 ) 의수리와운수에관한일을맡던관청이다. 승 ( 丞 ) 은종5 품관직이다. 司水 는 물을맡다 라는뜻인데, 중국당 ( 唐 ) 나라때공부 ( 工部 ) 의수부 ( 水部 ) 를바꾸어 司水 라고한적이있다. - 15 -
十三世 : 諱崑崙 ( 휘곤륜 ) 通訓大夫 ( 통훈대부 ) 知泰州事 ( 지태주사 ) 司憲府監察 ( 사헌부감찰 ) 通訓大夫 는정3품당하관 ( 堂下官 ) 품계이다. 知泰州事 는태주지사 ( 泰州知事 ) 로 태주의일을맡아보다 라는뜻이며, 평안도태주지역을다스리는관직이다. 泰州 는평안북도태천 ( 泰川 ) 의옛지명이다. 司憲府監察 은사헌부에속한관원으로, 종6품관직이다. 監察 은 살펴보다 라는뜻이다. 十三世 : 諱薆諡號景肅公 ( 휘애시호경숙공 ) 崇政大夫 ( 숭정대부 ) 議政府贊成事 ( 의정부찬성사 ) 判戶曹事 ( 판호조사 ) 判左軍都摠制府事 ( 판좌군도총제부사 ) 判義勇巡禁司事 ( 판의용순금사사 ) 上黨府院君 ( 상당부원군 ) 定社功臣 ( 정사공신 ) 佐命功臣 ( 좌명공신 ) 경숙공은초명 ( 初名 ) 이백경 ( 伯卿 ) 이고, 뒤에저 ( 佇 ) 로바꾸었다가또애 ( 薆 ) 로바꾸었다. 이태조 ( 李太祖 ) 의딸경신공주 ( 慶愼公主 ) 와혼인하였다. 崇政大夫 는종1품의문관품계명칭이다. 崇政 은 정무를존중하다 라는뜻이다. 議政府贊成事 는의정부의소속관원이다. 贊成事 는뒤에찬성 ( 贊成 ) 과참찬 ( 參贊 ) 으로개편되었다. 判戶曹事 는호조판사 ( 戶曹判事 ) 이며. 고려시대상서호부 ( 尙書戶部 ) 의책임자로종 1품관직이다. 戶曹 는중국한 ( 漢 ) 나라때부터있었는데, 민호 ( 民戶 ) ㆍ제사 ( 祭祀 ) ㆍ농상 ( 農桑 ) 을담당하는관청 이었다. 判左軍都摠制府事 는삼군도총제부 ( 三軍都摠制府 ) 의좌군도총제부 ( 左軍都摠制府 ) 의판사 ( 判事 ) 이며, 중군 ( 中軍 ) ㆍ좌군 ( 左軍 ) ㆍ우군 ( 右軍 ) 의 3군 ( 軍 ) 의편제에각군 ( 各軍 ) 도총제 ( 都摠制 ) 인데, 그아래에총제 ( 摠制 ) ㆍ동지총제 ( 同知摠制 ) 가있었다. 都摠制 는 제도 ( 制度 ) 를모두모으다 라는뜻이다. 총 ( 摠 ) 은총 ( 總 ) 과통용하는데, 총제 ( 總制 ) 는총독 ( 總督 ) 의다른호칭으로, 중국명 ( 明 ) 나라때관직으로쓰였다. 判義勇巡禁司事 는의용순금사 ( 義勇巡禁司 ) 의판사 ( 判事 ) 이다. 義勇巡禁司 는감옥을다스리던관청으로, 뒤에의금부 ( 義禁府 ) 로바뀌었다. 義勇 은 의기 ( 義氣 ) 와용맹 ( 勇猛 ) 이라는뜻이고, 巡禁 은 순찰하여금지시키다 라는뜻이다. 上黨府院君 은친공신 ( 親功臣 ) 의작호 ( 爵號 ) 로, 上黨君 으로약칭하기도하는데, 上黨 은청주 ( 淸州 ) 의옛이름이다. 경숙공은정사공신 ( 定社功臣 ) 의 1등공신이고, 좌명공신 ( 佐命功臣 ) 에도 1등공신이다. 정사공신에녹훈될때에는상당후 ( 上黨侯 ) 직함이었는데종실 ( 宗室 ) 은공작 ( 公爵 ) 이고, 사위는후작 ( 侯爵 ) 이었다. 그리고좌명공신에녹훈될때에는상당군 ( 上黨君 ) 직함이었다. 그리하여문도공 ( 文度公 ) 과경숙공두분부자 ( 父子 ) 는정사공신ㆍ좌명공신에모두 1등공신으로녹훈된것이다. 그리고경숙공의아우정절공 ( 이백강 ) 도좌명공신에녹훈되어 3부자가공신이된것이다. 十三世 : 諱伯寬 ( 휘백관 ) 僉知中樞府事 ( 첨지중추부사 ) 僉知中樞府事 는중추부첨지사 ( 中樞府僉知事 ) 이다. 中樞府 는특정한관장사항이 - 16 -
없이문무의당상관 ( 堂上官 ) 으로서소임이없는자들을소속시켜대우하던기관이다. 僉知事 는 일을모두주관하다 라는뜻으로, 생략하여 僉知 라고도하는데, 정3품관직이다. 中樞 는 사물의중심이곳 이라는뜻으로, 군사ㆍ기밀등의관청에이용어를많이사용한다. 十三世 : 諱伯臣 ( 휘백신 ) 資憲大夫 ( 자헌대부 ) 吏曹判書 ( 이조판서 ) 行蔚山郡事 ( 행울산군사 ) 겸권농사 ( 兼勸農使 ) 資憲大夫 는문관의정2품품계이다. 資憲 은 법에의지하다 라는뜻으로보인다. 吏曹判書 는이조의판서로, 이조의장관 ( 長官 ) 이다. 行蔚山郡事 는갑자보 ( 甲子譜, 1864년에만든족보 ) 에는 지울산군사 ( 知蔚山郡事, 蔚山郡知事, 울산군일을맡아보는관원 ) 로되어있다. 兼勸農使 는겸직권농사로, 권농사는농경을권장하고관개 ( 灌漑, 농지에물대기 ) 업무를관장하는관직이다. 十三世 : 諱伯剛諡號靖節公 ( 휘백강시호정절공 ) 大匡輔國崇祿大夫 ( 대광보국숭록대부 ) 淸平府院君 ( 청평부원군 ) 佐命功臣 ( 좌명공신 ) 綏祿大夫 ( 수록대부 ) 淸平尉 ( 청평위 ) 정절공은이태종 ( 李太宗 ) 의딸정순공주 ( 貞順公主 ) 와혼인하였다. 大匡輔國崇祿大夫 는문관의정1품품계이다. 輔國 은 국가를돕다 라는뜻이다. 崇祿 은 녹위 ( 祿位, 녹봉과작위 ) 가높다 라는뜻이다. 淸平府院君 은공신 ( 功臣 ) 의작호 ( 爵號 ) 로, 淸平君 으로약칭하기도하는데, 청주 ( 淸州 ) 의청 ( 淸 ) 을따서만든호칭이다. 綏祿大夫 는의빈 ( 儀賓 ) 정1품품계이다. 綏祿 은 녹위 ( 祿位 ) 에편안하다 라는뜻이다. 淸平尉 의 尉 는임금의사위에게주는호칭이다. 정절공은궤장 ( 几杖, 임금이국가에공이많은늙은신하에게주는안석과지팡이 ) 을하사받았다. ( 끝 ) 十三世 : 諱伯儇 ( 휘백현 ) 通政大夫 ( 통정대부 ) 僉知中樞府事 ( 첨지중추부사 ) -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