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The Relationship of Cheongsanbyeolgok in Goryeo Dynasty and Gangbo in Joseon Dysnaty 정경란한국학중앙연구원 Kyung Rhan Chung(chung311@aks.ac.kr)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9.081 요약 < 청산별곡 ( 靑山別曲 )> 은고려시대에지어진작자미상의가요이며, < 강보 ( 降寶 )> 는조선세종이종묘, 조회, 공연에사용하기위해새로창제한 < 발상 ( 發祥 )> 11곡중의한곡이다. 세종실록 ( 世宗實錄 ) 에의하면 < 발상 > 은고취악과향악에의하여창제되었다고하였으므로이기록에근거하여이논문은 < 발상 > 중 < 강보 > 가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에근거하여창제되었음을밝힌논문이다.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을비교분석한결과 48행의 < 강보 > 는 10행의 < 청산별곡 > 을세번반복하였는데, 즉 < 강보 > 의 1-16행, 17-32행, 33-48행에서 < 청산별곡 > 이세번반복하여발췌되었고, < 청산별곡 > 과 < 강보 > 의선율은거의같거나유사함을알수있었다. 세종때 < 발상 > 중의 < 강보 > 가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을발췌하여신악 ( 新樂 ) 으로창제되었음을이연구에서밝혀냈다. 중심어 : 발상 강보 청산별곡 세종실록악보 시용향악보 Abstract Chongsanbyeolgok is one of Goryeo songs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the composer of which is not known as well as other Goryeo songs. Balsang songs is structured with eleven songs that has been composed newly by King Sejong in Joseon Dynasty for using at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Johoe (royal audiences), performance, Gangbo is one of 11 songs in Balsang. In Sejongsillok, it is written that Balsang was composed by taking the melody and rhythm of gochwiak (processional music) or hyangak. Thus, it is interesting to know how gochwiak and hyangak, especially Chongsanbyeolgok affected structure and rhythm of Gangbo. As an analytical result of Gangbo and Chongsanbyeolgok, Gangbo consisted of 48 Haeng(line) repeated Chongsanbyeolgok's melody (10 Haeng) by three times. That is, 1-16, 17-32, and 33-48 Haeng of Gangbo excerpted from Cheongsanbyeolgok's melody, and those melodies of Gangbo are same or similar to Chongsanbyeolgok. In this report, Gangbo, one of Balsang's musics in Jos대n Dynasty is proven to be excerpted from the melody of Chongsanbyeolgok in Goryeo Dynasty and repeated. keyword : Balsang Gangbo Cheongsanbyeolgok Sejongsillok-akbo Siyonghyang-akbo * 본논문은한국콘텐츠학회 2013 춘계종합학술대회우수논문입니다. 접수일자 : 2013년 06월 21일심사완료일 : 2013년 09월 12일수정일자 : 2013년 09월 04일교신저자 : 정경란, e-mail : chung311@aks.ac.kr
8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9 I. 서론 < 청산별곡 ( 靑山別曲 )> 은고려시대에지어진작자미상의가요로 악장가사 ( 樂章歌詞 ) [1] 와 악학편고 ( 樂學便考 ) [2] 에악보없이 8연의가사가전하고,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 [3] 에악보와함께가사제1연이전한다. < 청산별곡 > 은고려때의무가인 < 대국 ( 大國 )> 과동일한곡으로언급하기도하였고, 1393년 ( 태조 2년 ) 에는정도전 ( 鄭道傳 ) 이 < 청산별곡 > 을발췌하여 < 납씨가 ( 納氏歌 )> 를만들었다고하였다 [4]. 조선세종때에는평조의 < 청산별곡 > 을계면조로고쳐서 < 정대업 ( 定大 業 )> 중의 < 휴명 ( 休命 )> 이만들어지고, < 휴명 > 은다시세조때남려궁에서청황종궁으로바뀌어 < 총유 ( 寵緌 )> 로전승된다 [5]. 세조때에는 10행의 < 청산별곡 > 에 2행을첨가하여 12행의 < 경근지곡 ( 敬勤之曲 )> 이만들어지기도하였다 [6]. 이처럼고려의 < 청산별곡 > 은고려의 < 대국 >, 조선의 < 납씨가 > < 휴명 > < 총유 > < 경근지곡 > 등에서선율이발췌되거나, 조 ( 調 ) 가바뀌고, 악곡의길이가증가되는등다양하게변모되어전승되었다. 또한조선세종때의 < 발상 ( 發祥 )> 은조상 ( 祖上 ) 이하늘에서내린상서 ( 祥瑞 ) 를받았다는것을노래와춤으로나타낸무곡 ( 舞曲 ) 으로모두 11곡으로이루어졌고, 남려 ( 南呂 ) 를중심음으로하는평조이다 [7]. < 발상 > 의 11곡은 < 희광 ( 熙光 )> < 순우 ( 純佑 )> < 창부 ( 昌符 )> < 영경 ( 靈慶 )> < 신계 ( 神啓 )> < 현휴 ( 顯休 )> < 정희 ( 禎禧 )> < 강보 ( 降寶 )> < 응명 ( 凝命 )> < 가서 ( 嘉瑞 )> < 화성 ( 和成 )> 이며, < 강보 > 는여덟번째곡이다. 세종은고취악과향악에인하여신악 ( 新樂 ) 인 < 정대업 > < 보태평 ( 保太平 )> < 발상 > < 봉래의 ( 鳳來儀 )> 를창제하였고 1 [8], 실제 < 정대업 > 과 < 보태평 > 의악곡들중 < 순응 ( 順應 )> 은 < 만전춘 ( 滿殿春 )> 에서, < 화태 ( 和泰 )> 는 <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에서, < 형광 ( 亨光 )> 은 < 귀호곡 ( 歸乎曲 )> 에서, < 보예 ( 保乂 )> 는 < 야심사 ( 夜深詞 )> 에서, < 융화 ( 隆化 )> 는 < 풍입송 ( 風入松 )> 에서발 1 世宗實錄 138 권. 1a2-4 : " 國朝鼓吹樂曰愛寶籙夢金尺覲天庭受明命皆各主一事未足以形容祖宗功德之盛大締造之艱難世宗因鼓吹樂及鄕樂創爲新樂曰定大業保太平發祥鳳來儀今謹錄云 " 췌하여세종의신악으로창제되었음이연구된바있다 [5]. 그러나 < 발상 > 과고려향악과의관계에대하여는아직연구된바가없으므로 [9][10], 이연구에서는 < 발상 > 중 < 강보 > 가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에서어떻게영향을받아창제되었는지를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시용향악보 에수록된 < 청산별곡 > 과 세종실록악보 에수록된 < 강보 > 의선율비교분석을통하여 < 청산별곡 > 과 < 강보 > 의관련성을살펴보았다. Ⅱ. 청산별곡, 발상, 강보의개요 2.1 청산별곡의개요 < 청산별곡 > 의제작시기는분명하지않으나대체로고려후기로알려져있으며, 작자에대해서도귀족계급, 농민, 유민, 농민반란군, 관기나관노, 평민등다양한계층으로추정되었다 [ 표 1]. 표 1. < 청산별곡 > 의창작연대및유행시기와그추정근거 [11] 악장가사 에는악보없이 < 청산별곡 > 의가사만모두 8연이수록되어있으며, 그가사와원문은 [ 표 2], [ 표 3] 과같다.
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83 표 2. 악장가사 의 < 청산별곡 > 가사 구성 1 연 2 연 3 연 4 연 5 연 6 연 7 연 가사 살어리살어리랏다쳥산靑山애살어리랏다멀위랑 래랑먹고쳥산靑山애살어리랏다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우러라우러라새여자고니러우러라새여널라와시름한나도자고니러우리노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가던새가던새본다믈아래가던새본다잉무든장글란가지고믈아래가던새본다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이랑공뎌링공 야나즈란디내와손뎌오리도가리도업슨바므란 엇디호리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어듸라더디던돌코누리라마치던돌코믜리도괴리도업시마자셔우니노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살어리살어리랏다바래살어리랏다 자기구조개랑먹고바 래살어리랏다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가다가가다가드로라에졍지가다가드로라사 미 대에올아셔 금을혀거를드로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표 4. 악학편고 의 < 청산별곡 > 가사 구성 1 연 2 연 3 연 4 연 5 연 6 연 7 연 8 연 가사 살어리살어리랏다靑山애살어리랏다멀위랑 래랑먹고쳥산靑山애살어리랏다얄리얄리얄랑셩야라리얄라 우러라우러라새여사고니러우러라새여널라와시름한나도자고니러우니노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가던새가던새본다믈아래가던새본다잉무든장글란가지고믈아래가던새본다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이랑공뎌링공 야이즈란지내와손뎌오리도가리도업슨바므란 엇지호리라얄리얄리얄라셩얄라리얄라 어듸라더디던돌코누리라마치던돌코믜리도괴리도업시마자셔우니노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살어리살어리랏다바 래살러리랏다 자기구조개랑먹고바 래살러리랏다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가다가가다가도로라에졍지가다가도로라사 미지대예올아셔奚琴 금을혜거를드로라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가다니 브른도긔설진강수를비조라조롱곳누로기믜와잡 와니내엇지 리잇고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8 연 가다니 브론도긔설진강수를비조라조롱곳누로기 와잡와니내엇디 리잇고얄리얄리얄랑셩얄라리얄라 표 5. 악학편고 의 < 청산별곡 > 원문 표 3. 악장가사 의 < 청산별곡 > 원문 또한 시용향악보 에는악보와함께 < 청산별곡 > 의가사제1연만실려있다. 시용향악보 의 < 청산별곡 > 은평조이고, 16정간 1행의 10행으로이루어져있으며, 가사와악보는 [ 표 6], [ 악보 1] 과같다. 악학편고 에도 악장가사 와마찬가지로 < 청산별곡 > 의 8연의가사가수록되어있으며, 그가사와원문은 [ 표 4], [ 표 5] 와같다. 표 6. 시용향악보 의 < 청산별곡 > 가사 구성 1 연 가사 살어리살어리라 靑山의살어리랏다멀위랑 래랑 먹고靑山의살어리랏다얄리얄리얄라얄라셩얄라
8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9 악보 1. 시용향악보 의 < 청산별곡 > 악보 < 청산별곡 > 에대해서는고려의 < 대국 >, 조선의 < 납씨가 >, 세종때정대업중의 < 휴명 >, 세조때 < 총유 >, < 경근지곡 > 과선율상관련이있음이밝혀진바있다. 2.2 발상의개요 < 발상 > 에대한기록은 세종실록 에처음나온다. 세종 29년 (1447년) 6월 4일기록에는 상서 ( 祥瑞 ) 의감응된바를취재 ( 取才 ) 하여따로한가지곡조를지었는데, 이름을 발상 ( 發祥 ) 이라하여, 악보 1권이있었다 2 고하였다. 또한세종 31년 (1449년) 10월 3일기록에는 종묘 ( 宗廟 ) 조회 ( 朝會 ) 공연 ( 公宴 ) 의음악에전조 ( 前朝 ) 의잡성 ( 雜聲 ) 을엮어넣음은심히타당하지못하오니, 지금새로정한제악 ( 諸樂 ) 과구악 ( 舊樂 ) 안에서쓸만한여러소리 [ 諸聲 ] 를다시더산정 ( 刪定 ) 하게하시되, 발상정재 ( 發祥呈才 ) 11성 ( 聲 ), 정대업정재 ( 定大業呈才 ) 15성, 보태평정재 ( 保太平呈才 ) 11성, 봉래의정재 ( 鳳來儀呈才 ) 5성, 외양선정재 ( 外羊仙呈才 ) 6성, 포구락정재 ( 抛毬樂呈才 ) 4성, 연화대정재 ( 蓮花臺呈才 ) 4성, 처용정재 ( 處容呈才 ) 3성, 동동정재 ( 動動呈才 ) 1성, 무애정재 ( 無㝵呈才 ) 1성, 무고정재 ( 舞鼓呈才 ) 3성, 향발정재 ( 響鈸呈才 ) 1성과제악 ( 祭樂 ) 으로초헌 ( 初獻 ) 1성, 아헌 ( 亞獻 ) 1성, 종헌 ( 終獻 ) 1성과여민락만 ( 與民樂慢 ) 1성, 치화평중 ( 致和平中 ) 2성, 진작사체 ( 眞勺四體 ) 4성등합계 75성 ( 聲 ) 으로써항상예습 ( 隷習 ) 하게하옵소서 3 라 2 世宗實錄 116 권 22a : " 又取瑞應別作一舞號發祥有譜一卷 " 3 世宗實錄 126 권 2a : " 庚戌 / 議政府據禮曹啓申宗廟 朝會 公宴之樂, 掇拾前朝雜聲, 深爲未便 今新定諸樂及舊樂之內, 可用諸聲, 更加刪定 發祥 呈才十一聲, 定大業 呈才十五聲, 保太平 呈才十一聲, 鳳來儀 呈才五聲, 外羊仙 呈才六聲, 抛毬樂 呈 고하여 < 발상 > 을종묘, 조회, 공연의음악에사용하였던것을볼수있다. 세조 6년 (1460년) 4월 22일기록에는 지금부터정대업 ( 定大業 ) 보태평 ( 保太平 ) 발상 ( 發祥 ) 봉래의 ( 鳳來儀 ) 의신악 ( 新樂 ) 을익히고구악 ( 舊樂 ) 을다폐지하라 4 하여세조때에는 < 발상 > 과같은신악을익히게하였음을알수있다. 송방송은 < 발상 > 정재가전승되지않은이유로 < 발상 > 11곡의내용이 < 보태평 > 11곡이나 < 정대업 > 15 곡과비슷하므로, < 보태평 > < 정대업 > 의정재공연으로충분했기때문이아닐까추정하였다 [9]. < 발상 > 은세종 29년 (1447년) 부터세조 6년 (1460년) 까지의기록에만나오고음악도전승되고있지않기때문에세종때창제되어세조이후언제까지전승되었는지는알수없다. 또한 대악후보 나 악학궤범 등에도모습이보이지않고오직 세종실록악보 에서만악곡을찾아볼수있다. 2.3 강보의개요 < 강보 ( 降寶 )> 는 < 발상 > 의 11곡중여덟번째곡이다. < 강보 > 는태조 ( 太祖 ) 의잠저 ( 潛邸 ) 때에, 어떤중이이상한글을바치면서, 지리산바위속에서얻었다고하는데, 그글에 목자 ( 木子 ) 가돼지를타고내려와서, 다시삼한 ( 三韓 ) 의땅을바로잡으리라 고하는귀절이있었다는것을노래한것으로, 이런이야기는용비어천가제86 < 여섯노루 > 장에도나오고, 또태조 ( 太祖 ) 5년에정도전 ( 鄭道傳 ) 이바친수보록 ( 受寶籙 ) 에도보인다 [7]. 세종실록악보 에수록된이곡의음계는남려 ( 南呂 ) 응종 ( 應鐘 ) 태주 ( 太簇 ) 고선 ( 姑洗 ) 유빈 ( 蕤賓 ) 의 5 음음계이며, 선법은남려궁평조이다. 4언절구의한문가사에서박 ( 拍 ) 이 4언 1구마다한번씩규칙적으로사용된다. 32정간의 1행의총 24행으로이루어졌고, 16정 才四聲, 蓮花臺 呈才四聲, 處容 呈才三聲, 動動 呈才一聲, 無㝵 呈才一聲, 舞鼓 呈才三聲, 響鈸 呈才一聲, 祭樂 初獻一聲 亞獻一聲 終獻一聲, 與民樂 漫一聲 致和平 中二聲 眞勺 四體四聲, 凡七十五聲, 常令肄習 " 4 世祖實錄 20 권 14b : " 自今肄 定大業 保太平 發祥 鳳來儀 新樂而盡廢舊樂 "
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85 간 1행으로본다면총 48행으로이루어졌다고할수있다. 세종실록악보 에수록된 < 강보 > 는 [ 악보 2] 와같다. 표 7. 남려궁평조의율자보와오음약보비교 남려궁평조율자보㑲㒣太姑蕤南應汰오음약보下五下四下三下二下一宮上一上二 악보 2. 세종실록악보 의 < 강보 > 악보 [12] 시용향악보 의 < 청산별곡 > 과 세종실록악보 의 < 강보 > 악곡을비교해보겠다. < 강보 > 1-2행의 南蕤姑 ( 오음약보로는宮下一下二임 ) 의선율과거의동일한 < 청산별곡 > 의선율은 3행제14정간부터 4행제8정간의 宮下一下一下二 이다 [ 악보 3][ 악보 4]. 악보 3. < 강보 > 1-2 행과 < 청산별곡 > 3 행제 14 정간 -4 행제 8 정간의악보비교 < 발상 > 에대한음악적연구, 특히 < 발상 > 음악이창작된근원인고취악, 향악과 < 발상 > 과의관계에대한연구는아직찾아볼수없으며, 또한 < 강보 > 에대한연구도찾아볼수없다. 이연구에서는 < 발상 > 중 < 강보 > 와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의관계를살펴볼것이다. Ⅲ. 청산별곡과강보의악곡비교 세종실록악보 의 < 강보 > 는율자보 ( 律字譜 ) 로기보되어있고, < 청산별곡 > 이수록된 시용향악보 는오음약보로되어있다. < 발상 > 은남려궁평조 ( 南呂宮平調 ) 이므로 < 강보 > 역시남려궁평조로남려가궁이된다. 세종실록악보 의 < 강보 > 는 32정간 1행으로되어있으나, 시용향악보 의 < 청산별곡 > 은 16정간 1행으로되어있으므로 시용향악보 < 청산별곡 > 과의비교를위하여 세종실록악보 의 < 강보 > 도 16정간을 1행, 32정간을 2행으로간주하여비교한다. 또한오음약보의 < 청산별곡 > 과의비교를위하여율자보로만기보된 < 강보 > 를오음약보로도병기하여비교분석한다. 남려궁평조의율자보와오음약보의비교는 [ 표 7] 과같다. 악보 4. < 강보 > 1-2행과 < 청산별곡 > 3행제14 정간-4행 제8정간의선율비교 강보 1-2행 南蕤 姑 - 오음약보로바꾼악보 宮下一 下二 청산별곡 3행제14 정간-4행 제8정간 宮下一下一下二 < 강보 > 3-6행의 蕤南南應應南 ( 오음약보로는下一宮宮上一上一宮임 ) 과동일한 < 청산별곡 > 의선율은 下一宮宮上二上一宮 으로 5행제1정간부터제14정간까지에해당한다. < 강보 > 에서는 5행제1정간의 應 ( 오음약보로는上一임 ) 이 6행에이어한번더나오고있지만, < 청산별곡 > 5행 12정간에 上一 이나오고있어, 13 정간에는그 ' 上一 을계속끌어주는것으로볼수있다. < 청산별곡 > 의 5행제9정간에나오는 上二 를 < 강보 > 3-6행에서는볼수없다 [ 악보 5][ 악보 6]. 악보 5. < 강보 > 3-6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 정간 - 제 14 정간의악보비교
8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9 악보 6. < 강보 > 3-6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 정간 - 제 14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3-6 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5행제1정간 -제14 정간 蕤南南下一宮宮 下一宮宮上二上一 應應南上一上一宮 宮 악보 10. < 강보 > 10-12 행과 < 청산별곡 > 6 행제 14 정간 -7 행제 5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10-12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6행제14정간-7 행제5정간 太姑蕤應下三下二下一上一 下二下一宮 < 강보 > 7-9행의 蕤姑太姑 ( 오음약보로는下一下二下三下二임 ) 의선율과 < 청산별곡 > 5행제15 정간부터 6행제13정간의 下一下二下三下二 의선율은동일하다 [ 악보 7][ 악보 8]. < 강보 > 13-14행의선율은 蕤南蕤姑太 ( 오음약보로는下一宮下一下二下三임 ) 으로이러한선율은 < 청산별곡 > 의 8행제12정간부터 9행제8정간까지인 下一宮下一下二下三 의선율과동일하다 [ 악보 11][ 악보 12]. 악보 7. < 강보 > 7-9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5 정간 -6 행제 16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11. < 강보 > 13-14 행과 < 청산별곡 > 8 행제 12 정간 -9 행제 8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8. < 강보 > 7-9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5 정간 -6 행제 16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7-9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5행제15정간 -6행제13정간 蕤姑太姑下一下二下三下二 下一下二下三下二 < 강보 > 10-12행의 太姑蕤應 ( 오음약보로는下三下二下一上一임 ) 과유사한 < 청산별곡 > 의선율은 6행제 6정간부터 7행제5정간까지의 下二下一宮 이다. < 청산별곡 > 의 7행제4정간에나오는 宮 이 < 강보 > 12행에서는보이지않고, 應 ( 오음약보로는宮 ) 으로연주된다 [ 악보 9][ 악보 10]. 악보 9. < 강보 > 10-12 행과 < 청산별곡 > 6 행제 6 정간 -7 행제 5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12. < 강보 > 13-14 행과 < 청산별곡 > 8 행제 12 정간 -9 행제 8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13-14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8행제12정간-9 행제8정간 蕤南蕤姑太下一宮下一下二下三 下一宮下一下二下三 < 강보 > 15-16행의 㒣㒣 ( 오음약보로는下四下四임 ) 은 < 청산별곡 > 의 10행제1정간부터 13정간의선율인 下四下三下二下三下四 중 下四下四 를발췌하였다. < 청산별곡 > 의 10행에선下四다음에下五로종지하고있으나, < 강보 > 16행에서는 下四 로마무리하고, 다시 < 강보 > 17행에서 < 청산별곡 > 의처음선율로되돌아가서 < 청산별곡 > 의선율을반복하여발췌하고있다. 그러므로 < 강보 > 16행에서는 下五 로끝나는완전종지의모습은보이지않는다 [ 악보 13][ 악보 14]. 악보 13. < 강보 > 15-16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제 1 정간 - 제 13 정간의악보비교
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87 악보 14. < 강보 > 15-16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제 1 정간 - 제 13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15-16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10행제1정간-제13정간 㒣下四 㒣下四 下四下三下二下三下四 악보 18. < 강보 > 21-22 행과 < 청산별곡 > 3 행제 1 정간 - 제 11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21-22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3행제1정간-제11정간 南應汰應南宮上一上二上一宮 宮上一上二上一宮 < 강보 > 의 1행부터 16행까지는 < 청산별곡 > 의 3행부터 10행까지를간헐적으로한번연주하였다. 다시 < 강보 > 의 17행부터구체적으로살펴보도록하겠다. < 강보 > 의 17-20행은 上一 과 上二 가반복되는선율로 < 청산별곡 > 의 1-2행의선율과많이유사하다. < 강보 > 17-20행의선율이 應汰汰應應 ( 오음약보로는上一上二上二上一上一임 ) 으로 < 청산별곡 > 1행제4정간부터 2행제3정간까지의 上一上一上二上一宮上一 의선율중 宮 을제외한 上一上一上二上一上一 의선율과거의유사하다고할수있다 [ 악보 15][ 악보 16]. 악보 15. < 강보 > 17-20 행과 < 청산별곡 > 1-2 행의악보비교 < 강보 > 23-26행의선율은 蕤南南姑蕤 ( 오음약보로는下一宮宮下二下一임 ) 이다. 이는 < 청산별곡 > 5행의제1정간부터제8정간까지의 下一宮宮 의선율과 蕤南南 의선율이일치함을볼수있다 [ 악보 19][ 악보 20]. 악보 19. < 강보 > 23-26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 정간 - 제 8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20. < 강보 > 23-26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 정간 - 제 8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23-26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5행제1정간 -제8 정간 蕤南南姑蕤下一宮宮下二下一 下一宮宮 악보 16. < 강보 > 17-20 행과 < 청산별곡 > 1-2 행의선율비교 강보 17-20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1-2행 下一上一上一上二 應汰汰應應上一上二上二上一上一 上一宮上一宮上一上一 < 강보 > 21-22행의 南應汰應南 ( 오음약보로는宮上一上二上一宮임 ) 의선율은 < 청산별곡 > 3행제1정간부터제11정간까지의선율인 宮上一上二上一宮 과완전히일치한다 [ 악보 17][ 악보 18]. < 강보 > 27-29행선율은 蕤姑姑太 ( 오음약보로는下一下二下二下三임 ) 이다. 이는 < 청산별곡 > 5행제15정간부터 6행제8정간까지의선율인 下一下二下三 의선율을발췌하였다고할수있다 [ 악보 21][ 악보 22]. 악보 21. < 강보 > 27-29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5 정간 -6 행제 8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17. < 강보 > 21-22 행과 < 청산별곡 > 3 행제 1 정간 - 제 11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22. < 강보 > 27-29 행과 < 청산별곡 > 5 행제 1 정간 -6 행제 8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27-29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5행제15 정간-6행제8정간 蕤姑姑太下一下二下二下三 下一下二 下三
8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9 < 강보 > 30행의선율인 姑蕤姑太 ( 오음약보로는下二下一下二下三임 ) 와 < 청산별곡 > 의 7행제6정간부터 16 정간까지의선율인 下二下一下二下三 은완전히동일한선율이다 [ 악보 23][ 악보 24]. 악보 23. < 강보 > 30 행과 < 청산별곡 > 7 행제 6 정간 - 제 16 정간의악보비교 ( 오음약보로는上二上一宮 ) 이고, 이는 < 청산별곡 > 의 1 행제9정간부터제16정간의선율인 上二上一宮 과동일하다 [ 악보 27][ 악보 28]. 악보 27. < 강보 > 33 행 -35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1 행제 9 정간 - 제 16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24. < 강보 > 30 행과 < 청산별곡 > 7 행제 6 정간 - 제 16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30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7행제6정간-제16정간 姑蕤姑太下二下一下二下三 下二下一下二下三 악보 28. < 강보 > 33-35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1 행제 9 정간 -16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33-35행제8정간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1행제9정간-제16정간 汰應南上二上一宮 上二上一宮 < 강보 > 31-32행은 < 청산별곡 > 을두번째반복하는마지막선율이다. < 강보 > 31-32행의선율은 應太太 ( 오음약보로는下四下三下三임 ) 이고, 이는 < 청산별곡 > 10행중의제1정간부터제12 정간까지의 下四下三下二下三 을발췌한것이다 [ 악보 25][ 악보 26]. 악보 25. < 강보 > 31-32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제 1 정간 - 제 12 정간의악보비교 < 강보 > 35행제9정간부터 38행제8정간의선율은 應南應應 ( 오음약보로는上一宮上一上一임 ) 으로 < 청산별곡 > 2행의선율인 上一宮上一上一 과완전히일치한다 [ 악보 29][ 악보 30]. 악보 29. < 강보 > 35 행제 9 정간 -38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2 행의악보비교 악보 30. < 강보 > 35 행제 9 정간 -38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2 행의선율비교 악보 26. < 강보 > 31-32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제 1 정간 - 제 12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31-32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10행 應太太下四下三下三 下四下三下二下三 < 강보 > 33행부터는다시 < 강보 > 의세번째단락이시작된다. < 강보 > 33-35행제8정간의선율은 汰應南 강보 35행제9정간-38행제8정간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2행 應南應應上一宮上一上一 上一宮上一上一 < 강보 > 38행제9정간-40 행의선율은 南蕤蕤姑 ( 오음약보로는宮下一下一下二임 ) 으로 < 청산별곡 > 3행제 14정간부터 4행제8정간까지의선율인 宮下一下一下二 와완전히일치한다 [ 악보 31][ 악보 32].
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89 악보 31. < 강보 > 38 행제 9 정간 -40 행과 < 청산별곡 > 3 행제 14 정간 -4 행제 8 정간의악보비교 정간부터 9행제12 정간까지의선율인 宮下一下二下三下二 의선율과거의유사하다 [ 악보 35][ 악보 36]. 악보 35. < 강보 > 45-47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8 행제 14 정간 -9 행제 12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32. < 강보 > 39-40 행과 < 청산별곡 > 3 행제 15 정간 -4 행제 8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38행제9정간-40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3행 14정간-4행제8정간 南蕤蕤姑宮下一下一下二 宮下一下一下二 < 강보 > 41행부터 44행의선율은 姑太姑蕤南 ( 오음약보로는下二下三下二下一宮 ) 로, < 청산별곡 > 6행제1 정간부터 7행제5정간까지의선율인 下二下三下二下二下一宮 과거의일치하는선율이다. < 강보 > 43행에서는 姑 ( 오음약보로는下二임 ) 가제1정간에기보되어있지만, 8정간에걸쳐연주되고있는것으로볼수있고, < 청산별곡 > 6행제9정간과 14정간에 下二 가들어가있어, 결국 < 강보 > 43행의 姑 과 < 청산별곡 > 6행제9정간과 14정간의 下二 를동일선율지속으로볼수있다 [ 악보 33][ 악보 34]. 악보 33. < 강보 > 41-44 행과 < 청산별곡 > 6 행 -7 행제 5 정간의악보비교 악보 36. < 강보 > 45-47 행제 8 정간과 < 청산별곡 > 8 행제 14 정간 -9 행제 12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45-47행제8정간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8행 14정간-9행제12 정간 應蕤姑太姑上一下一下二下三下二 宮下一下二下三下二 < 강보 > 47행제9정간부터 48행의 㒣㑲 ( 오음약보로는下四下五임 ) 의선율은 < 청산별곡 > 의 10행의선율인 下四下三下二下三下四下五 의선율중간음을제외한 下四 와 下五 를발췌하였다. < 강보 > 도 45행부터 48행까지를보면, 고려향악곡인 < 청산별곡 > 과마찬가지로 下一 - 下二 - 下三 - 下四 - 下五 로종지하는하행종지형을갖고있다 [ 악보 37][ 악보 38]. 악보 37. < 강보 > 47 행제 9 정간 -48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의악보비교 악보 34. < 강보 > 41-44 행과 < 청산별곡 > 6 행 -7 행제 5 정간의선율비교 강보 41-44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6행-7 행제5정간 姑太姑蕤南下二下三下二下一宮 下二下三下二下二下一宮 < 강보 > 45-47행제8정간은 應蕤姑太姑 ( 오음약보로는上一下一下二下三下二임 ) 로 < 청산별곡 > 8행제14 악보 38. < 강보 > 47 행제 9 정간 -48 행과 < 청산별곡 > 10 행의선율비교 강보 47행제9정간-48행 - 오음약보로바꾼악보청산별곡 8행 14정간-9행제11정간 㒣下四 㑲下五 下四下三下二下三下四下五
9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 Vol. 13 No. 9 지금까지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관계를연구해본결과 < 강보 > 총 48행은 < 청산별곡 > 1행부터 10행까지의선율을세번반복하였고, < 강보 > 역시총 48행의선율이 1-16행, 17-32행, 33-48행의세단락으로나눠진다고할수있다.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관계를나타내면 [ 표 8] 과같다. 표 8.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비교표 [ 표 8] 의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을살펴보면, 세종때 < 발상 > 중 < 강보 > 는고려향악곡인 < 청산별곡 > 에서발췌된곡임이확인되었다. 이는세종이고취악과향악에기하여 < 정대업 >, < 보태평 >, < 발상 >, < 봉래의 > 를만들었다는기록에근거하여 [9], 실제세종이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에서선율을발췌하여 < 발상 > 중의 < 강보 > 를만들었다는것이이번연구를통해서확연하게증명된다. 세종이 < 정대업 > 중의 < 휴명 > 을 < 청산별곡 > 에서 [7], < 화태 ( 和泰 )> 를 < 서경별곡 ( 西京別曲 )> 에서 [5], < 보태평 > 중의 < 형광 ( 亨光 )> 을 < 귀호곡 ( 歸乎曲 )>[13] 에서, < 보예 ( 保乂 )> 를 < 야심사 ( 夜深詞 )>[14] 에서발췌하여신악을창제하였던것처럼, < 발상 > 중의 < 강보 > 도고려향악인 < 청산별곡 > 에근거하여창제하였음을이연구에서확인할수있었다. Ⅳ. 결론 < 청산별곡 ( 靑山別曲 )> 은고려시대에지어진작자미상의가요로 악장가사 ( 樂章歌詞 ), 악학편고 ( 樂學便考 ) 에악보없이 8연의가사가전하고, 시용향악보 ( 時用鄕樂譜 ) 에악보와함께가사제1연이전한다. < 청산별곡 > 은고려의 < 대국 >, 조선의 < 납씨가 >, < 휴명 >, < 총유 >, < 경근지곡 > 등에서선율이발췌되거나, 조 ( 調 ) 가바뀌고, 악곡의길이가증가되는등다양하게변모되어전승되었다. 즉 < 강보 > 와 < 청산별곡 > 의선율을비교분석한결과 48행의 < 강보 > 는 10행의 < 청산별곡 > 을세번반복하였는데, < 강보 > 의 1-16행, 17-32 행, 33-48행이그세부분이다. < 청산별곡 > 과 < 강보 > 의선율비교결과거의선율이같거나유사함을알수있었다. 세종때 < 발상 > 중의 < 강보 > 가고려 < 청산별곡 > 을발췌하여신악으로창제되었음을이연구에서밝혀냈다. 그동안문헌에만기록되어있고, 연주가전승되지않아 < 발상 > 의음악을전혀알수없었으나, 이번연구를통하여 < 발상 > 의연주재현이가능해졌다. 왜냐하면 < 강보 > 와관련이있는 < 청산별곡 > 이현재재현되어연주되고있으므로, < 청산별곡 > 의연주에비추어이연구를토대로 < 강보 > 의연주를재현할수있기때문이다 [15][16]. 세종때의 < 발상 > 음악과고려음악과의관계는아직까지많은연구가이루어지지않았으나, 이번연구를통해서 < 발상 > 의나머지악곡들에대한고려음악의전승고리를풀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참고문헌 [1] 樂章歌詞 [2] 樂學便考 [3] 時用鄕樂譜 [4] 張師勛, 國樂論攷, 서울大學校出版部, p.72, 1980. [5] 장사훈, 증보한국음악사, 세광음악출판사, p.276, 1986. [6] 李惠求, 韓國音樂論叢, 秀文堂, pp.55-70, 1976. [7] 이혜구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 2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p.206-207, 1973. [8] 世宗實錄
고려 < 청산별곡 > 과조선 < 강보 > 의관계 91 [9] 송방송, " 조선왕조건국초기의정재사 ( 呈才史 ) 연구 ", 민족과음악, 제23호, pp.193-232, 2002. [10] 신대철, " 세종대이후연산군대의향악과당악 ", 한국음악연구, 제29집, pp.99-100, 2001. [11] 정경란, " 고려청산별곡 ( 靑山別曲 ) 의현대적습용 ( 襲用 )", 고조선단군학, 제26호, pp.384-387, 2012. [12]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자료총서제20집, pp.79-80, 1986. [13] 정경란, " 고려 < 귀호곡 > 과종묘제례악 < 형가 > 의관계 ", 국악원논문집, 제26집, pp.291-323, 2013. [14] 정경란, " 고려야심사의조선종묘제례악전승 ", 人文科學, 제96집, pp.141-184, 2012. [15] 서은숙, " 한국문화콘텐츠개발의필요성과방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417-427, 2009. [16] 김지원, 류지성, " 전통춤디지털콘텐츠에관한문화예술정책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2권, 제9호, pp.156-171, 2012. 저자소개 정경란 (Kyung Rhan Chung) 정회원 1984년 2월 : 서울대학교음악대학국악과 ( 학사 ) 1988년 8월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과음악학전공 ( 문학석사 ) 2011년 8월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과음악학전공 ( 문학박사 ) 1989년 10월 ~ 현재 : 한국학중앙연구원책임연구원 < 관심분야 > : 고려및조선시대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