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R SG4

Similar documents
Bluetooth

국문분배표.PDF

고정위성업무계획의 기술기준 및 규정 - 의제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y; 27(5),


제 3 편

PCN News

내용 q Introduction q Binary passand modulation Ÿ ASK (Amplitude Shift Keying) Ÿ FSK (Frequency Shift Keying) Ÿ PSK (Phase Shift Keying) q Comparison of

8-VSB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Carrier Phase Offset, CPO) (Timing Frequency Offset),. VSB, 8-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 DC 1.25V, [2

05 목차(페이지 1,2).hwp

½½¶óÀ̵å Á¦¸ñ ¾øÀ½

°í¼®ÁÖ Ãâ·Â

- 2 -

< C6AFC1FD28B1C7C7F5C1DF292E687770>

슬라이드 제목 없음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31312DB1E8BCB1BFEB4B D30342D F31C2F7BCF6C1A4B0CBC5E4BABB2E687770>

<3034B1E2B9DD32302DBAB8B0EDBCAD2D DC0FCC6C4C0DABFF BAB0C3A53420C8A8B3D7C6AEBFF6C5A9292E687770>

CS.hwp

(72) 발명자 정진곤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1동 이용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 한빛아파트 122동 1301 호 - 2 -

- 2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8(3),

Chapter4.hwp

05 목차(페이지 1,2).hwp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¼º¿øÁø Ãâ·Â-1

ICT À¶ÇÕÃÖÁ¾

Microsoft Word - SRA-Series Manual.doc


29 Ⅰ. 서론 물리학자들이 전파의 이론을 정립한 이후, 이를 기술적으로 실현함은 물론 적정 수준의 19세기 물리학자인 페러데이, 맥스웰, 헤르츠 등의 연구 결과로 인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변화 에 따른 전파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고, 인류에 게 있어 없어서는 안되

Microsoft PowerPoint - ch03ysk2012.ppt [호환 모드]

OMA Bcast Service Guide ATSC 3.0 (S33-2) T-UHDTV 송수신정합 Part.1 Mobile Broadcast (Open Mobile Alliance) 기반 Data Model ATSC 3.0 을위한확장 - icon, Channel N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7, no. 8, Aug [3]. ±90,.,,,, 5,,., 0.01, 0.016, 99 %... 선형간섭

歯3이화진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Nov.; 26(11),

DBPIA-NURIMEDIA

<3034B1E2B9DD32302DBAB8B0EDBCAD2D DC0FCC6C4C0DABFF BAB0C3A53720C0A7BCBA292E687770>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n.; 27(6),

Coriolis.hwp

○ 제2조 정의에서 기간통신역무의 정의와 EU의 전자커뮤니케이션서비스 정의의 차이점은

03 장태헌.hwp

슬라이드 제목 없음

그룹웨어와 XXXXX 제목 예제

À̵¿·Îº¿ÀÇ ÀÎÅͳݱâ¹Ý ¿ø°ÝÁ¦¾î½Ã ½Ã°£Áö¿¬¿¡_.hwp

Microsoft PowerPoint ppt

u-it

spectrum_policy_trend_&insight 제84호( ).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Jul.; 27(7),


2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26(10),

정보화정책 제12권 제4호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제반 투자비 용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의 여건에 따라 상당히 경제적인 가격으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위성선진국에서는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장의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Sep.; 27(9),

(JBE Vol. 23, No. 6, November 2018) (Special Paper) 23 6, (JBE Vol. 23, No. 6, November 2018) ISSN 2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2 PX-8000과 RM-8000/LM-8000등의 관련 제품은 시스템의 간편한 설치와 쉬운 운영에 대한 고급 기술을 제공합니다. 또한 뛰어난 확장성으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메인컨트롤러인 PX-8000의 BGM입력소스를 8개의 로컬지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Mar.; 26(3),

Slide 1

<4D F736F F F696E74202D20454D49A3AF454D43BAEDB7CEBCC52EBBEABEF7BFEBC6F7C7D428BBEFC8ADC0FCC0DA >

Microsoft PowerPoint Multiplexing

歯AG-MX70P한글매뉴얼.PDF

DIB-100_K(90x120)

< C0FCC6C4BBEABEF7B5BFC7E E687770>

FTTH 기술발표

±è¼ºÃ¶ Ãâ·Â-1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pp.71~92),.,.,., Support Vector Machines,,., KOSPI200.,. * 지능정보연구제 16 권제 1 호 2010 년 3 월

ITU-R JTG 4567

04-다시_고속철도61~80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8, no. 7, Jul (Sense And Avoid), ATC(Air Traffic Control),. I

., 3D HDTV. 3D HDTV,, 2 (TTA) [] 3D HDTV,,, /. (RAPA) 3DTV [2] 3DTV, 3DTV, DB(, / ), 3DTV.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8-VSB (8-Vesti

untitled

ecorp-프로젝트제안서작성실무(양식3)

untitled

歯김병철.PDF

전자실습교육 프로그램

- 2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Oct.; 27(10),

<23C0B1C1A4B9E65FC6EDC1FDBFCFBCBA E687770>

02 Reihe bis 750 bar GB-9.03

Microsoft Word - 1-차우창.doc

PCM/PSK/PM S-Band TC & R (GEO: Geostationary Earth Orbit) (GTO: Geostationary Transfer Orbit) (SSTO: Super Synchronous Transfer Orbit). SSTO S

4 : ATSC 3.0 UHD, HD, (Chang Ho Seo et al.: A Study on Delivery Integration of UHD, Mobile HD, Digital Radio based on ATSC 3.0) (Regular Paper) 24 4,

SLA QoS

(b) 미분기 (c) 적분기 그림 6.1. 연산증폭기연산응용회로

Microsoft PowerPoint - analogic_kimys_ch10.pp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목 차 제1장과제개요 1 1. 개요 1 2. 사업목표 1 3. 주요연구개발내용 1 4. 활용계획및기대효과 1 제2장항공기비행절차및공역설계프로그램개발 2 1. 연구의개요 2 2. 연구의필요성 3 3. 정부지원의타당성 7 4. 국내 외기술개발동향 8 5. 중복성검토결과 1

09È«¼®¿µ 5~152s

<32382DC3BBB0A2C0E5BED6C0DA2E687770>

untitled

11 주차 M 진디지털변조 (1) 통과대역신호의표현 (2)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3) Minimum Shift Keying (MSK) (4) M-ary Amplitude Shift Keying (M-ASK) (5) M-ar

Preliminary spec(K93,K62_Chip_081118).xls

, V2N(Vehicle to Nomadic Device) [3]., [4],[5]., V2V(Vehicle to Vehicle)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IEEE 82.11p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

歯A1.1함진호.ppt

Transcription:

2013

2013 년도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ITU-R SG4 위성업무분야 연구결과요약 총괄표세부수행결과위원명단제1장 ITU-R SG4 연구과제분석및대응방안연구제2장 ITU-R SG4 연구반중점과제연구결과제3장 ITU-R SG4 국제회의참가및기고서제출결과제4장 ITU-R SG4 회람문서검토결과제5장 ITU-R SG4 연구반회의및워크숍개최결과부록1 ITU-R SG4 회람문서검토의견서부록2 ITU-R SG4 국제회의제출기고서 3 4 11 13 51 87 95 103 119 131

연구결과요약 총괄표 연구과제명 담당위원회명 국제공식표준화기구 등 협력및대응연구 한국 연구위원회 위성업무분야 성명이황재전화 연구책임자 연구반장 소속단체국립전파연구원직위공업연구관 부서명전파환경안전과전문분야위성업무 연구기간 년 월 년 월 개월 활동내용구분계획실적완료율비고 주요 연구 건 건 ITU 총 55 개 연구반중점과제총 건총 건 ITU 총권고 : 445 건 연구활동 일반과제 국내규정과비교검토 심화과제 기준 정책 표준제안 건 건 제 개정권고 / 보고서검토 건 건 기타연구과제 건 건 용역과제 건 건 회람문서검토 건 수시진행 국제회의참가 회 회 세부 WP 포함 : 7 회 위원회활동 기고서제출 건 건 국가기고서 : 10 건 연구반회의 회 회 연구반워크숍 회 회 공동연구연구반원 명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

세부수행결과 가 주요 연구결과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고정및이동위성서비스에서의성능목표 영문 국문 이동위성업무내주파수공유및효율적인스펙트럼이용연구 영문 국문 이동위성통신시스템을위한전송특성 영문 국문 무선항행위성업무시스템특성및운용요구사항 영문 국문 국제민간항공기구글로벌항행위성시스템의무선항행위성서비스로의간섭연구 영문 국문 대역에서의이동위성비정지 업무의피더링크와 대역에서의비행무선항법업무간의공유연구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김수영계속 오대섭계속 이희경계속 오대섭계속 오대섭계속 이희경계속 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상위계층의프로토콜패킷또는인터넷의전송에대한고정위성업무의디지털링크의성능목표 영문 국문 이상에서운용되는고정위성업무네트워크의기술및운용특성 영문 국문 대역에서 네트워크를운용하는고밀도 지구국의기술적특성 영문 국문 발사전불요방사수준에대한평가를위한방법개발 영문 국문 광대역으로매우널리퍼지는신호를사용하는고정위성업무시스템 영문 국문 의도하지않은접근에의한위성뉴스수집 반송파사이의간섭 영문 국문 및 주파수대의우주연구업무와 사이의주파수공유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김수영완료 박종민완료 여경진완료 최상식계속 백형준계속 김희욱완료 박주홍계속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5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민간항공전파통신시스템의현대화와현재와계획된위성망으로정보통신의원격지및개발지역으로의확대지원 영문 국문 고해상 의위성방송 영문 국문 방송위성서비스와기타서비스내고해상텔레비전간공유연구 영문 국문 대역내방송위성서비스사운드 도입과관련된스펙트럼관리이슈 영문 국문 재난상황을위한방송위성의역할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최상식계속 유준규계속 유준규계속 이황재계속 김희욱완료 나 연구반중점과제수행결과 일반과제 국내규정과비교검토 권고번호권고명담당 연구위원 국문 및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업무의시스템과망에관련한 권고에대한지침 영문 오대섭 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번호권고명담당 연구위원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 우주대지구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영문 국문 에서무선항행위성서비스우주대지구 수신지구국과항공무선항행위성업무수신기의특성및보호기준연구 영문 국문 에서운용하고있는무선항행위성서비스우주대지구 수신지구국의특성 성능요구사항및보호기준연구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 우주대지구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위성을이용한디지털다중프로그램텔레비전시스템 영문 국문 디지털위성뉴스중계를위한단일운영절차 영문 국문 각변조및디지털반송파의최대전력밀도 또는 대역폭에서 계산 영문 오대섭 이희경 이희경 오대섭 유준규 여경진 박주홍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7

권고번호권고명담당 연구위원 국문 제 지역에서 대역을이용하는방송수신국을보호하기위해필요한고정및이동지구국의 값 영문 국문 지역의 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참조안테나패턴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 수색과구조기기의보호를위한기준 영문 국문 대역에서 사용자단말보호기준 영문 국문 무선항행위성업무의 우주대지구및우주대우주 시스템과망설명및 및 대역에서운영하는송신우주국의기술적특성 영문 유준규 유준규 오대섭 이희경 오대섭 심화과제 기준 정책 표준제안 NO. 구분제출처제안명관련권고연구위원 1 표준 2 표준 물리채널과물리채널전송채널매핑 다중화및채널코딩 김희욱 김희욱 3 표준 확산및변조 김희욱 4 표준 물리계층절차 김희욱 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다 국제회의참가및기고서제출결과 회의명기간장소참가자 기고서제출 반영 건 스위스제네바이황재등 명 스위스제네바이황재등 명 스위스제네바이황재등 명 라 회람문서검토결과 회람문서번호제목검토 회신 건 마 용역과제수행결과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9

바 회의개최내역 회의차수일시장소참가자수주요회의안건 차 월 차 월 차 월 차 월 차 월 차 월 년 연구반연구계획수정 기준과회의실 명 년 월 산하연구반회의준비논의 년 월 산하연구반 명중회의실회의기고서초안검토 년 월 산하연구반 명중회의실회의기고서검토 년 월 산하연구반 명중회의실회의결과및 월회의준비논의 연구단제차정기회의결과 보고 명중회의실 년 월 회의기고서초안검토 년 월 회의기고서 명중회의실검토 사 워크숍개최내역 행사명일시장소참가자수주요행사내용 준비단 위성업무 및 연구단 분과합동워크숍 목 금 곤지암리조트회의실 명 국제회의주요현황파악및 년도 분과연구과제및 권고검토현황을점검 준비를위한 및주요국가의국제동향분석및우리나라입장을종합적으로검토 년 월스위스제네바에서개최되는 규제절차특별위원회 회의이슈사항분석및우리나라대응전략마련 년주관청간위성망조정회의수요조사회의 1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위원명단 성명소속직위전화 비고 위원회직책 이황재국립전파연구원연구관 반장 여경진국립전파연구원연구사 간사 이희경국립전파연구원연구사 김우영국립전파연구원주무관 채성철미래창조과학부사무관 강영흥군산대학교교수 구본산 주 에이알테크놀로지부장 구본준한국전자통신연구원팀장 김임진위성전파감시센터협력계장 권영모 주 에스에스글로벌상무 권영완 주 에스에스글로벌이사 김규철국방부부이사관 최대우위성전파감시센터주무관 김수영전북대학교교수 김희욱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류준규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박동일 주 텔레콤매니저 박세경 주 에이알테크놀로지전무이사 박종민한국전자통신연구원전문위원 박주홍 차장 백형준 과장 신천식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연구원 안도섭한국전자통신연구원부장 오대섭한국전자통신연구원선임연구원 조풍연 주 에이알테크놀로지연구원 최상식 팀장 김수학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선임연구원 은종원남서울대학교교수 박재성미래창조과학부주무관 이원철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주임연구원 계 명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11

주요 연구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고정및이동위성서비스에서의성능목표 영문 국문 이동위성업무내주파수공유및효율적인스펙트럼이용연구 영문 국문 이동위성통신시스템을위한전송특성 영문 국문 무선항행위성업무시스템특성및운용요구사항 영문 국문 국제민간항공기구글로벌항행위성시스템의무선항행위성서비스로의간섭연구 영문 국문 대역에서의이동위성비정지 업무의피더링크와 대역에서의비행무선항법업무간의공유연구 영문 국문 상위계층의프로토콜패킷또는인터넷의전송에대한고정위성업무의디지털링크의성능목표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김수영계속 오대섭계속 이희경계속 오대섭계속 오대섭계속 이희경계속 김수영완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15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이상에서운용되는고정위성업무네트워크의기술및운용특성 영문 국문 대역에서 네트워크를운용하는고밀도 지구국의기술적특성 영문 국문 발사전불요방사수준에대한평가를위한방법개발 영문 국문 광대역으로매우널리퍼지는신호를사용하는고정위성업무시스템 영문 국문 의도하지않은접근에의한위성뉴스수집 반송파사이의간섭 영문 국문 및 주파수대의우주연구업무와 사이의주파수공유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박종민완료 여경진완료 최상식계속 백형준계속 김희욱완료 박주홍계속 1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과제번호 과제명 국문 민간항공전파통신시스템의현대화와현재와계획된위성망으로정보통신의원격지및개발지역으로의확대지원 영문 국문 고해상 의위성방송 영문 국문 방송위성서비스와기타서비스내고해상텔레비전간공유연구 영문 국문 대역내방송위성서비스사운드 도입과관련된스펙트럼관리이슈 영문 국문 재난상황을위한방송위성의역할 영문 담당 우선순위 연구위원 진행상태 완료 계속 최상식계속 유준규계속 유준규계속 이황재계속 김희욱완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17

NO. 01 연구과제번호 Q.75-4/4 연구위원김수영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Performance objectives of international digital transmission link in the fixed-satellite and mobile-satellite services ( 국문 ) 고정및이동위성서비스에서의성능목표 1. 배경 국제간통신서비스를제공하여야하는경우에, 고정및이동위성서비스를지상망과연계하여 제공하여야할필요가있음. ITU-T 에서는지속적으로발전하고있는기술특성과변화하고있는사용자요구사항에 부응하여, 제공되는서비스종류및요구데이터율에따른성능목표를정의하고있으므로, 이를만족할수있는위성부분의성능목표정의가필요함. Question 75-3/4 는 1995 년에최종개정된이후추가개정이되지않아, 참고하고있는 ITU-T 권고서가적절하지않은점이있고, 이동위성서비스에대한사항및최신위성통신기술에대한 사항을포함하지않고있다는문제점이있었음. 이를보완하기위하여우리나라는 2012년제 33차 WP 4B회의에 Question 75-3/4에대한개정기고서를제안하여당해년도 SG 4에서승인된바있음. 개정된내용에따라관련 ITU-T 권고서가 G.826, G.828, Y.1541로변경됨. 이와같은개정에따라연구수행기간이 2018년까지로연장됨. 2. 주요쟁점사항 ITU-R 권고서 S.1062 에서정의되어있는성능목표가변화하는채널의특성에적응하기위한 적응형전송방식을사용하게되면적합하지않을수있으므로, 이에대한검토와새로운성능 목표정의필요성에대한연구 IP 기반위성서비스는 ITU-R 권고서 S.1062에서정의되어있는성능목표에적합하지않을수있으므로, 이에대한검토와새로운성능목표정의필요성에대한연구 Rec. ITU-R S.1062 (Allowable error performance for a satellite hypothetical reference digital path operating below 15 GHz, 15 GHz 이하주파수대역에서의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오류성능목표 ) 3. 국내외동향 국내에서는 2005 년이후관련연구를지속적으로수행하여디지털위성시스템에서의성능 목표를정의하고있는권고서 S.1062 및위성시스템에서의적응형강우감쇠보상기법을 1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정의하고있는권고서 S.1061를개정한바있음. Rec. ITU-R S.1061 (Utilization of fade countermeasure strategies and techniques in the fixed-satellite service, 고정위성서비스에서의감쇠보상기법 ) 2011년이후일본및한국은변화하는채널의특성에적응하기위한적응형전송방식을사용하는데에따른성능목표에대한연구결과를지속적으로기고하고있음. 2013년 35차 WP 4B에서무인항공기사용에따른위성링크에서발생할수있는단기간감쇠 (short-term fading) 에따른성능목표정의필요성이제기됨에따라미국등에서신규권고서작성을검토하고있으며, 한국의협조를구하고있음.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변화하는채널의특성에적응하기위한적응형전송방식을사용하는데에따른성능목표에대한추가연구결과가발생할경우지속적으로기고할예정임. 위성링크에서발생할수있는단기간감쇠에따른성능목표정의필요성에대한연구를수행하여향후기고할예정임.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19

NO. 02 연구과제번호 83-6/4 담당위원오대섭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Efficient use of the radio spectrum and frequency sharing within the mobile-satellite service ( 국문 ) 이동위성업무내주파수공유및효율적인스펙트럼이용연구 1. 배경 이동위성업무와타업무간주파수공유를위한스펙트럼이용기술연구의필요성 1613.8 1626.5 MHz 대역의이동위성업무주파수이용 이동위성업무스펙트럼이용효율을증가시키기위한기술연구수행 2. 주요쟁점사항 기술적운용적관점에서이동위성업무의상향및하향링크로적합한주파수대역연구 스펙트럼이용효율을증가시키는기술에대한장 단점분석 정지및비정지궤도이동위성업무의주파수재사용과같은효율적인스펙트럼사용전략 동일주파수대역내정지궤도와비정지궤도이동위성시스템간적용할수있는스펙트럼 이용방법 1613.8 1626.5 MHz 대역의이동위성업무이용을위한간섭계산방법및이용하기위한 기술적해결방안연구 3. 국내외동향 WRC-12 의제 1.7 AMS(R)S 스펙트럼우선권보장규정연구의후속조치로결의 422 에의해 L 대역타 MSS 업무와의스펙트럼조정시우선적으로보장받기위한 AMS(R)S 대역폭을 결정하기위해합의된계산방법연구가수행됨 1545-1555 MHz ( 우주대지구 ), 1646.5-1656.5 MHz ( 지구대우주 ) 대역내 항공이동위성업무 (AMS(R)S) 스펙트럼소요량결정을위한방법연구에대해 6 건의기고가 있었음 AMS(R)S 스펙트럼소요량계산방법을제공하기위해개발된권고서초안인 DRAFT NEW RECOMMENDATION ITU-R M.[AMS(R)S.METHODOLOGY] 이 10 월에개최된 ITU-R SG4 2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회의에서승인되었음 신규권고서가최종승인되었으나, 권고서가제공하는계산방법이너무복잡하여실제 AMS(R)S 와 MSS 간주파수조정시적용가능한지의문을제공하는국가들이일부있음 신규권고서에서제공하는 AMS(R)S 스펙트럼소요량계산방법의플로우차트는다음과같음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우리나라는 AMS(R)S-MSS 조정에직접적인연관없음 다만, L 대역 AMS(R)S 는항공기운항의안전에관련된업무이므로국내항공안전을위해 주파수조정및이용에대해동향을주시할필요있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21

NO. 03 연구과제번호 87-4/4 담당위원이희경진행상태완료 과제명 ( 영문 )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for a mobile-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 국문 ) 이동위성통신시스템을위한전송특성 1. 배경 현재까지국제해사기구 (IMO) 가전세계해상조난안전시스템용이동위성통신 (INMARSAT) 서비스를제공하고있으며, 다른조직및기구에서국제적혹은국내적으로이동위성서비스를제공하거나제공할계획이있음 Fading 및 shadowing 환경에강인한변조방식및시스템이필요하며, 이동위성시스템에서궤도-주파수사용 (Orbit-spectrum utilization) 의효율은변조방식, 파라미터, 주파수재사용기술의효과혹은주파수캐리어의배치등과같은사용하는기술적특성에따라결정됨 2. 주요쟁점사항 육상이동위성업무, 해상이동위성업무, 항공이동위성업무및앞서언급한이동위성업무가두가지혹은그이상으로조합된이동위성업무시스템에서선호되는전송특성에대한연구 이동위성시스템에서기술적으로선호되는다원접속 (multiple access) 방법, 변조 (Modulation) 방법및코딩 (coding) 방법에대한연구 이동위성시스템의지구국과우주국에서선호되는성능특성 (performance characteristics) 에대한연구 3. 국내외동향 국내에서는동연구과제와관련된기고는없었으며국외동향으로관련기고로는 2008년 ITU- R SG4 WP4C에서일본이제출한기고서가있음 위성서비스에서 CI-OFDM(Carrier interferometry-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x) 전송기법을적용하고자하는신규보고서 - 위성부문에서의 IMT 향후과제에관한기고에서 OFDM을이용한연구가소개되었음 OFDM은주파수효율이높고고속디지털전송에서 multipath fading에강인한장점이있지만, OFDM의다중캐리어사용은 peak power을높이는문제점을야기 - 특히나위성통신에서 power나주파수효율관점에서 saturation 혹은비선형영역근처에서일반적으로 power amp. 를사용하기때문에 power reduction 문제는중요한사항임 - 이에 CI-OFDM 전송기법을이용한신규보고서에서는다양한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기법중에서 CI-OFDM(Carrier interferometry-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기법을이용한 PAPR reduction 방법을제안하고있음 22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2008년이후이동위성통신시스템을위한전송특성연구과제에관한기고서는제출되지않고있으나, 위성부문에서의 IMT future work에관한기고를우리나라에서제출하였으므로 MSS 전송기법에관한기고가추후에있는지연구동향을파악할필요는있음 NO. 04 연구과제번호 288/4 담당위원오대섭진행상태계속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of ( 영문 )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과제명 (space-to-earth,space-to-space,earth-to-space)systems ( 국문 ) 무선항행위성업무시스템특성및운용요구사항 NO. 05 연구과제번호 217-2/4 담당위원오대섭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 국문 ) Interference to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in the ICA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국제민간항공기구글로벌항행위성시스템의무선항행위성서비스로의간섭연구 1. 배경 연구과제 288/4, 217-2/4는무선항행위성업무관련내용으로 ITU-WP 4C회의에서두개의연구과제를같이다루고있음 현재다양한주파수대역에서무선항행위성업무 가운용되거나계획중에있음 일부대역은타업무역시 차업무로분배되어있으며 시스템과주파수양립성연구가진행되고있으므로이를위한 시스템특성및보호기준개발과같은연구가필요함 일부국가들은 에분배된주파수대역을고정업무로이용하거나이용할계획이있음 이러한고정업무는 시스템게간섭을야기할우려가있음 2. 주요쟁점사항 시스템과타업무또는시스템과의주파수공유및양립성연구를위해필요한기술적운용적특성에대한연구 대역에서고정업무가 시스템에해로운간섭을주지않는최대허용간섭레벨에대한연구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23

해로운간섭에서보호받을수있는 탑재항공기와고정업무간이격겨리계산에대한 연구 무선항행위성업무간섭보호기준연구 무선항행위성업무보호를위한대역외방사및 에대한연구 3. 국내외동향 미국은권고서 수정제안을통해본권고서에서다루고있는무선항행위성업무관련타권고서들의적용가이드라인에대해최신권고서내용을업데이트하였다 권고서 대역에서운용되는송신우주국의기술적특성및 시스템특성 우주대지구 우주대우주 수정 네트웍간또는타업무또는시스템과의간섭평가를위한시스템특성제공하고있다 일본은권고서수정제안을통해일본의 시스템특성을기존권고서에추가하고일부내용을변경하는작업을진행하였다 미국도권고서 수정제안을통해 시스템의정보를확인할수있는 을추가하고 일부 사항에대한수정작업을진행하였다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본연구과제는글로벌대상의무선항행위성업무시스템특성및간섭분석을위한요구사항에대한연구로우리나라역시 서비스를이용한각종서비스가제공되고있음 특히 대역의 서비스는지상위성이동업무주파수와인접해있는대역도있으므로 주파수간섭문제를해결하기위한시스템특성연구및간섭평가방법에대한연구동향을지속적으로분석할필요있음 2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06 연구과제번호 244/4 담당위원이희경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 국문 ) Sharing between feeder links of the mobile-satellite (non-geostationary) service in the band 5 091-5 250 MHz and the aeronautical radionavigation service in the band 5 000-5 250 MHz 5 091-5 250 MHz 대역에서의이동위성 ( 비정지 ) 업무의피더링크와 5 000-5 250 MHz 대역에서의무선항행업무간의공유연구 배경 글로벌스타의피더링크용인 GHz대역의 순위업무운용만료년 월 일에대비 이후에도 순위업무유지를위한항공무선항행업무 와공유가능성검토 년 월부터글로벌스타의피더링크는 MHz대역에서 순위업무로하향조정토록규정 관련결의로는 개정된결의 MHz대역에서항공무선항행업무용신규시스템과이동위성업무용비정지궤도위성의피더링크로사용하는고정위성업무 상향간양립성에관한연구 주요쟁점사항 현재 MHz대역을이용하는 시스템이존재하지않는다는점과향후운용예정인새로운 시스템과 피더링크간주파수공유가능성을검토하여 년 월 일이후에도 순위업무로계속분배유지될수있는방안을연구 년 월 일이후에도 순위업무로분배유지될수있는방안을연구 현재 MHz대역을이용하는 시스템이없다는것과향후운용할 시스템을 고려 피더링크간주파수공유가능성을검토 국내외동향 회의결과 중국은 대역에서 와 피더링크 간에공유가능한이격거리결정방법에대한연구결과를신규권고예비초안작업문서에제안 보고서초안작업문서에이격거리 용주파수사용기간연장 을포함하는 를추가제안 미국과캐나다는 대역에서 시스템의상향링크가 를포함한타시스템에간섭없이운용되고있는점을지적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25

해당대역에서는 만이운용중이며 자료에따르면인접대역에 시스템이없어추가공유연구가불필요하다는내용을 보고서초안작업문서에제안 프랑스는 대역에서 피더링크를 순위업무로분배하고 기존의주파수분배기간의제한을삭제하는 보고서초안작업문서를제안 회의결과 보고서초안작업문서에 와 피더링크 간의간섭방지방안으로이격거리 이포함된방안이포함 추진방향 우리나라대응방안 우리나라에도글로벌스타가입자가약 여명인것으로추정됨 글로벌스타피더링크이용기한연장여부필요성및규정검토가필요 이격거리가최소 일경우 그범위에우리나라가포함되어향후 관문국 의추가사용시중국의 보호를위해조정이필요한상황등우리나라에미치는영향여부를검토해야함 2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07 연구과제번호 Q.263-1/4 연구위원김수영진행상태완료 과제명 ( 영문 ) ( 국문 ) Performance objectives of digital links in the fixed-satellite service for transmission of Internet or higher layer Protocol packets 상위계층의프로토콜패킷또는인터넷의전송에대한고정위성업무의디지털링크의성능목표 1. 배경 IP 기반서비스가지속적으로증가함에따라위성시스템에서도 IP 기반서비스제공을고려한성능목표정의가필요할수있음. 위성에서의 IP 기반서비스제공을위한시스템설계시요구되는시스템용량및접속방식에대한정의가필요함. 연구수행기간이 2013년까지 (S1) 로정의됨. 2. 주요쟁점사항 IP 기반위성서비스제공을위하여필요한위성망의구조및성능개선방안에대한연구 IP 기반위성서비스제공을위하여요구되는성능목표에대한연구및 ITU-T 와의연계 필요성에대한검토 3. 국내외동향 미국위주로 IP 기반위성시스템에서의성능개선방식에대한연구결과가지속적으로기고된바있으며, 미국, 프랑스, 및한국의주도로위성시스템에서의 TCP/IP 성능개선방식을포함하여 2010년권고서 S.1711을개정한바있음. Rec. ITU-R S.1711 (Performance enhancements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over satellite networks, 위성망에서의 TCP 성능향상 ) IP 기반위성망의구조, 성능개선방안에대한기고서가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브라질등에서지속적으로기고된바있으며, 이러한결과를종합하여 2012년권고서 S.1879 및보고서 S.2222가신규개정된바있음. Rec. ITU-R S.1879/Report ITU-R S.2222 (Cross-layer QoS provisioning in IP-based hybrid satellite-terrestrial networks, IP 기반하이브리드위성-지상망에서의계층간 QoS 제공 ) 2013 년도에는관련기고서가제출된바없음 우리나라에서는관련연구결과에대한기고실적이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27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향후우리나라에서는구체적인연구계획이없음. 2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08 연구과제번호 Q.264/4 연구위원박종민진행상태완료 과제명 ( 영문 ) Technic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networks of the fixed-satellite service operating above 275GHz ( 국문 ) 275 GHz 이상에서운용되는고정위성망의기술및운용특성 1. 배경 우주업무가이용하는많은주파수대역에서의스펙트럼이점점부족해지고있으며, 이러한 현상은갈수록악화될것으로예상고있음. 275 GHz 이상주파수대역을위성간통신용으로몇몇위성시스템에서통신회선으로이용하거나이용할계획이있음. 현재전파규칙상의주파수분배표에는 275 GHz 대역까지분배되어있고, 다만각주 5.565를통해 275 1,000 GHz 대역은수동업무용으로, 1,000 3,000 GHz 대역은수동및능동업무로이용할수있도록되어있음.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825-1 및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Z136.1-1993 등을통해 275 GHz 이상주파수대역에서의복사영향에관한심도 있는연구가이루어졌음. 상기사항들을고려하여 2000년에개최된전파통신총회 (RA, Radiocommunication Assembly) 에서 275 GHz 이상주파수대역활용을위해본연구과제를채택함. 연구과제제안당시에는 S1 (2003년까지연구수행 ) 이었으나, S2(2014년까지연구수행 ) 으로최종승인됨 (2000년 5월 ). 2. 주요쟁점사항 비정지궤도및정지궤도를이용하는고정위성망에서 275 GHz 이상의주파수대역에서 지구대우주, 우주대지구및우주대우주회선의기술적, 운용적특성에관한연구 275 GHz 이상의주파수대역에서운용되는고정위성망에대한공유연구의필요성 3. 국내외동향 국내에서는 275 GHz 이상주파수대역에서의고정위성망활용에관한검토가이루어지지 않음. ITU-R 에서는 2001 년 10 월까지 20 375 THz 대역에서운용되는위성의기술적, 운용적특성에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29

관한연구를수행하여, 2002 년 9 월 ITU-R 권고 S.1590 을승인하였음. 이후, 본연구과제관련하여어떠한연구도이루어지지않았음.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현재우리나라는 275 GHz 이상주파수대역의이용에관한정책이결정되지않았으며, 본연구과제관련 ITU-R 연구도더이상이루어지지않을것으로예상되므로, 특별히대응해야할이슈는없는것으로판단됨. 다만, 향후본이슈에대한정책을고려할경우, 기존의 ITU-R 권고 S.1590을적절히참조할필요가있음. 3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09 연구과제번호 266/4 담당위원여경진진행상태완료 과제명 ( 영문 ) ( 국문 )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high-density fixed-satellite service earth stations operating with geostationary satellite orbit fixed-satellite service networks in the 20/30 GHz bands 20/30 GHz 대역의정지궤도위성고정위성업무망과운용하는고밀도고정위성업무지구국의기술적특성 배경 통신기술발전으로인하여고정위성업무도광대역초고속으로변화함에따라관련기술적특성 에대한연구가필요하며지구국관련사항도검토가필요함 주요쟁점사항 특별한쟁점제기가없으며논의가활발하지않으나 기고없음 향후지구국조정영역결정방 법등을재검토할경우관련지구국기술적특성에대한논란이있을수있음 국내외동향 는과거기초연구를통해 권고 등을개발완료함 ITU-R 권고 S.1594 (2002) 제목 30 GHz 대역고밀도고정업무지구국최대발사레벨 주요내용 o 주파수범위에따른대역내및대역외발사강도와 off axis EIRP 값등을수록 추진방향 우리나라대응방안 관련연구의수행이시급하지않으며타국이관련쟁점을제기할경우검토를시작할필요는있 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1

NO. 10 연구과제번호 Q. 268/4 연구위원최상식진행상태계속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for the assessment of satellite ( 영문 ) 과제명 unwanted emission levels before launch ( 국문 ) 발사전불요방사수준에대한평가를위한방법개발 1. 배경 전파규칙부록 3의내용중, 송신기에서안테나송신선까지입력되는모든불요요소의평균전력레벨과관련하여, 유해간섭을수용함과동시에최대허용가능한불요방사의수준을명확히하기위함 과도한불요방사와대역외방사는수동형센서를사용하는안전서비스, 전파천문학, 우주업무에유해간섭을야기할수있으며우주국송신기에서방출되는불요방사, 특히발사후미조정된광대역증폭기역시유해간섭을야기할가능성이있음. 하지만현재전파규칙에는이에관련된제약이없음 대부분불요방사레벨은위성발사후변경불가능하고일반적으로발사전에는측정하지않기때문에사전에조정하기어려움 평균전력 이란다양한종류의방사의미를포괄하는용어이기때문에디지털변조광대역시스템, 펄스변조, 협대역고출력송신기의경우그의미가모호함 2. 주요쟁점사항 위성발사전, 유해한영향으로부터수동형서비스수신기 (Passive service receiver) 를보호하기 위한우주국의불요방사레벨을측정또는예측방법수립 3-1. 국외동향 다음그림은대역외영역과스퓨리어스영역을나타냄 32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ITU 는과거기초연구를통해 2013 년 8 월 ITU-R 권고 SM.1541-5 를개발함 ITU-R 권고 SM.1541-5 제목 대역외범위에서의불요방사 주요내용 o 9-300 GHz 주파수대역에서대역외송신기방사제한 o 대역외방사제한의적합성측정방법 아래권고서는 ITU-R 권고 SM.1541-5 를개발하기위한기초자료및참고자료로사용됨 ITU-R 권고 SM.329-12 ITU-R 권고 SM.328-11 ITU-R 권고 SM.1539-1 제목 스퓨리어스영역의불요방사 방사의스펙트럼과대역폭 ITU-R 권고 SM.1541 과 SM.329 에필요한대역외영역과스퓨리어스영역의경계편차 주요내용 o 스퓨리어스영역의불요방사를측정하는방법과이에적용되는제한 o 전송된고주파스펙트럼에서대역외영역과스퓨리어스영역을구분하는가이드제공 o 다양한방사유형의구성값정의와분석모델 o 스펙트럼효율성관점에서의방사구성값사용 o 전송된고주파스펙트럼에서대역외영역과스퓨리어스영역을구분하는가이드제공 3-2. 국내동향 전파연구소는 2005년 1400-1427MHz 대역에서고정위성업무피더링크의불요방사로부터수동업무보호를위한기준치를연구하였으며, 1390-1392 MHz 와 1430-1432MHz 대역의이동위성업무불요방사로부터 1400-1427MHz 대역의전파천문과지구탐사위성업무를보호하기위한연구를수행함. 2010년에는디지털고정업무시스템의점유대역폭계산방법을연구함 방송통신위원회는 2004 년스퓨리어스영역에서의불요발사로용어를개정하는등국내무선설 비규칙의불요발사규정을개정하여 2005 년부터개정된전파규칙을수행함.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국내에서항공, 기상, 측위레이더등많은레이더가사용되고있으므로마그네트론을 사용하는 1 차업무레이더에대한스퓨리어스영역에서의불요발사제한기준을검증하고 측정하는방법을정립하고선행연구해야함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3

NO. 11 연구과제번호 Q.270-1/4 연구위원백형준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Fixed-satellite service systems using very wideband spreading signals ( 국문 ) 광대역으로매우널리퍼지는신호를사용하는고정위성업무시스템 1. 배경 널리퍼지는광대역신호를이용하는새로운전송기술이고정위성업무상향 / 하향회선에서이 용될수있으며, 이러한기술로인해신규서비스또는어플리케이션이도입될수있음 널리퍼지는광대역신호를이용하는고정위성업무의어플리케이션은현재이용되고있는고 정위성업무용시스템과는다른특징을지니고있음 네트워크운용자및이용자들에게이러한시스템의특징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간섭영향에 대해새로이정의하는것이필요함 2. 주요쟁점사항 고정위성업무시스템에서널리퍼지는광대역신호를이용하기위한기술및구현방안에대 한연구필요 3. 국내외동향 널리퍼지는광대역신호를이용한새로운전송기술의효율적인이용을위한방법연구에대 해 3 건의기고가있었음 새로운권고서 ITU-R S.[WIDEBAND] 를개발하고있으며재난통신, CDMA 스팟빔을가진 FSS 시스템, 광대역위성시스템의상향회선 off-axis 출력에관한제한등몇가지이용방법들에 대한논의가지속되고있음 광대역위성시스템 (Wideband Satellite System) 은기존 FSS 주파수의변경없이추가적인정보 의전송이가능한시스템으로, 지진이나쓰나미와같은재난발생시긴급신호를전송하는데 이용될수있음 3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Satellite Emergency Traffic FSS signal tsunami Spreading signal FSS earth station Citizen Building Vehicle Ship 14/12GHz 대역에서광대역위성시스템의링크버짓 (Link Budget) 및성능계산은다음과같이계산할수있음 - FSS 시스템파라미터및 FDMA 캐리어의요구 C/I 값을통해하향 e.i.r.p. 값을확인하고, 수신 C/T 값을계산 Rx C/T=e.i.r.p. L p M rain +G/T db (L p : 자유공간손실, M rain : 강우마진 ) FDMA signals C I Wideband spreading signal Allocated bandwidth to transponder - 계산된 Rx C/T 값에따라, 얻을수있는정보율 R은다음과같이계산됨 R = Rx C/T (E b /N 0 ) req + 228.6 db 상기계산식으로 36MHz 대역중계기광대역위성시스템의정보전송율을계산할경우 27.7 kbps 값을얻을수있음 자연재해또는재난상황에서비상통신을이용하기위해서는낮은안테나이득을가지는수신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5

단말기를신속하게보급하는것이필요하며, 이경우광대역위성시스템을통해서재난경보또 는구호활동에필요한통신서비스를제공할수있음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본연구과제는규정또는정책적이슈에대한연구가아니라, 신규위성전송기술의이용을위한기술적연구를중심으로수행되고있어, 우리나라의판단을요구하는내용은없음 광대역위성시스템을이용한통신은향후활용가능성이높은새로운전송기술이므로기술적논의에대해지속적으로동향을파악하고연구내용을분석할필요가있음 3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12 연구과제번호 Q.271/4 연구위원김희욱진행상태완료 과제명 ( 영문 ) Interference between satellite news gathering (SNG) carriers by unintentional access ( 국문 ) 의도하지않은접근에의한위성뉴스수집 (SNG) 반송파사이의간섭 1. 배경 현재위성뉴스수집 (SNG) 서비스는몇몇무선통신위성을통해제공되고있으며서비스영 역이확장되고있는상황으로, 이에따라 SNG 지상국수가급증하게되어다른위성사용자에 게의도하지않은간섭을야기하고있음. 현재모든 SNG 운용자들이같은위성접속절차를따르고있지않기때문에, 간섭을주는 SNG 반송파를찾아내기어려운실정임. 2. 주요쟁점사항 간섭을주는 SNG 반송파식별을위한 SNG 운용자가사용하는위성접속절차권고개발필요 디지털반송파에효율적으로추가될수있는간섭을주는 SNG 반송파식별방법연구필요 3. 국내외동향 간섭을주는 SNG 반송파식별을위한 SNG 운용자가사용하는위성접속절차권고개발이미 국과일본주도로진행되었음. 2012 년부터 2013 년까지미국과일본에서제안한 4 건의기고서를바탕으로, 4/6 GHz 그리고 11-12/13/14 GHz FSS 대역에서정지궤도우주국으로의고정위성서비스비상시사용반송파지 구국전송을위한접속절차에관한권고개발을완료함. 개발완료된권고에는 4/6 GHz 그리고 11-12/13/14 GHz FSS 대역에서비상시고정위성서비스지상국운용자들이사용해야하는일반적접속절차를권고하고있으며, 지상국전력요구사항에대한가이드라인을제시하고있음. 본권고개발완료로인해기존의 SNG를위한접속절차에관한권고 ITU-R 권고 SNG.1710은본권고로대체됨.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본연구과제는규정또는정책적이슈에대한연구가아니라, SNG 사용으로인해위성서비스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7

사용자간간섭회피를위한접속절차연구를중심으로기술적연구가수행되었기때문에, 우 리나라의대응이크게요구되는내용은없음. 3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NO. 13 연구과제번호 Q. 272/4 연구위원박주홍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 국문 ) Frequency sharing between the FSS and the space research service in the 37.5-38 GHz and 40-40.5 GHz bands 37.5-38 GHz 및 40-40.5 GHz 주파수대역에서우주연구업무와고정위성업무간주파수공유 1. 배경 37.5~38 GHz 및 40~40.5 GHz 대역에서고정위성업무와우주연구업무는 1 차업무로분배되어있음 상기대역은달 / 행성기지와의통신을포함한우주연구업무용으로사용될예정이며, 이에정지 또는비정지궤도고정위성업무와의주파수공유연구가필요함 2. 주요쟁점사항 37.5~38 GHz 및 40~40.5 GHz 대역에서고정위성업무와우주연구업무간의주파수공유를위한적용가 능한기술및기준에대한연구필요 3. 국내외동향 38/40 GHz 대역을이용하는위성망이거의없어 ITU-R SG4( 위성업무 ) 에서의권고 / 보고서등의연구결과는없음 ITU-R SG7( 과학업무 ) 에서는 Question 211/7(Frequency sharing between the space research service and other services in the 37-38 GHz and 40-40.5 GHz bands) 에근거하여이하의권고로연구결과를도출함 권고제목주요내용 권고 ITU-R SA. 1396 37.5-38GHz 및 40-40.5GHz 대역에서우주연구업무보호기준 o 37~38GHz 대역에서우주연구업무용수신지구국의입력전력은 -217 db(w/hz) 기준으로하고, o 40~40.5GHz 대역에서우주연구업무용수신우주국의입력전력은 -193 db(w/20hz) 를기준으로함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우리나라는주파수분배표 K164 에따라 36.5~42.5 GHz 대역은무선전송링크용으로이용중이므로, 우 주연구업무와고정위성업무뿐만아니라고정업무와의주파수공유연구필요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39

NO. 14 연구과제번호 Q.273/4 연구위원최상식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 국문 ) Support of modernization of civil aviatio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the extension of telecommunication systems to remote and developing regions with current and planned satellite networks 민간항공전파통신시스템의현대화와현재와계획된위성망으로정보통신의원격지및개발지역으로의확대지원 1. 배경 현재다양한주파수대역에서민간항공통신이운용중이며추가대역확보계획중에있음. 민간항공통신분야는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주도하에발전중이며 통신인프라가부족한개도국지역에서정찰, 감시매니지먼트업무를수행할예정 간헐적으로인구가분포된국가대상원거리통신활용및확대지원 2. 주요쟁점사항 민간항공전파통신의타업무또는시스템과의주파수공유및양립성연구를위해필요한 기술및운용적특성에대한연구 무선항행위성업무간섭보호기준연구 향후장기적으로항공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가능한추가주파수대역조사 3. 국내외동향 국내민간항공통신관련기고서제출및연구결과는아직없음. 국외항공운항준수규정이점차완화되고주파수할당요구가급격히증가함에따라, ITU 와 ICAO 는다양한주파수대역확보를통해항공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노력중. WRC-07 에서추가된할당된 ICAO 민간항공주파수대역 - 112-117.959 MHz, 960-1164 MHz, 5091-5150MHz [WRC-12 Agenda item 1.3]: WRC-07 결의 421 관련무인항공기의안정적인운행을위한주파수규정및할당연구. WRC-07 에서는기존사용하고있던주파수인 9000-9200 MHz 대역과 9300-9500MHz 대역의주파수대역폭을 200 MHz 추가확보및 9500-9800 MHz 대역의규제완화주장 4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WRC-12 Agenda item 1.4]: WRC-07 결의 413, 417, 420 관련새로운항공서비스인 AMS(Aeronautical Mobile Service) 에서사용할주파수대역의규정연구 WRC-07결의 413 WRC-07결의 417 WRC-07결의 420 AMS 112-117.975MHz 적용연구 AMS 960-1164 MHz 적용연구 AMS 960-1164 MHz 적용연구 [WRC-12 Agenda item 1.5] : 휴대가능한위성장비 (ENG) 를이용하여원거리지역의위성방송서비스제공에필요한스펙트럼개발 [WRC-12 Agenda item 1.7] : WRC-07 결의 222에따라현재이동위성업무용으로사용하고있는 1525-1559MHz 과 1626.5-1660.5 MHz 대역유지및향후장기적으로사용할주파수자원개발 [WRC-12 Agenda item 1.12] : WRC-07 결의 754 관련 37-38 GHz 대역의간섭문제 - 위주파수대역은고정, 이동, 조사업무가일순위임. 해당업무에간섭을주지않을수있는기술적연구검토 [WRC-12 Agenda item 1.21] : WRC-07 결의 614 관련 ICAO측에서새로운주파수대역확보예정인 15.4-15.7GHz대역은전세계적으로일순위업무로사용되고있는주파수대역으로간섭발생문제가예상되며이에따른해결방안요구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민간항공통신수요는점차전세계적으로증가할것이고, 이에따라 ICAO는서비스제공을위한사용가능한주파수대역폭넓혀가고있는추세. 사용주파수대역이다양하여우리나라운용또는국제등록중인위성및지구국에영향이없도록관련연구수행및관련 ITU 연구반에서적극입장제시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41

NO. 15 연구과제번호 Q.279/4 연구위원유준규진행상태계속 ( 영문 ) Satellite broadcasting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과제명 ( 국문 ) 고해상 TV의위성방송 1. 배경 위성방송전송기술의발달로하나의방송중계기로다채널의 HDTV 전송이가능해지고있음 막대한지상인프라구축없이도전국을대상으로한보편적서비스도입이일시에가능한위성방송을중심으로고화질 3DTV 및 UHDTV 등실감방송서비스도입이추세 또한, 위성중계기의수신장비및송신기술의발달로위성궤도및주파수사용의효율이향상됨 주요쟁점사항 위성 UIHDTV을위한전송기술및 21GHz 대역방송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참조안테나패턴연구 강우감쇠가심한 21GHz 대역을이용한 UHDTV 서비스의안정적인제공을위한강우감쇠극복을위한전송기술 3. 국내외동향 WRC-12 회의에서는향후 21GHz 대역을활용한안정적인위성방송서비스를위해동대역에서의지상국송신신호의인접국영토에서의전력속밀도를제한함현재 ITU-R WP 4A에서는 21GHz 대역을이용한고화질 TV 서비스제공을위한 ITU-R 보고서 BO.2007-1의개정을진행하고있음. 지난 WRC-12에서승인된 21GHz 대역의기술기준이본보고서에반영되도록개정진행중. 우리나라와일본은본보고서의개정을위해각국에서수행하고있는 UHDTV 위성방송서비스에대해기고하여 21GHz 대역을이용한위성방송서비스의기준을제시함일본은방송기술의경쟁력을지속적으로유지하기위한전략으로 95년부터 Super Hi-Vision 으로일컫는 UHDTV 기술개발을본격시작. 일본은 NHK 주도로개발된 UHD 영상포맷을 ITU-T에표준화추진하여, '06년 ITU-R BT.1769 로승인받음. 소니, 파나소닉등은 13년 1월현재 84인치 4k UHDTV를상용으로판매하고있음 42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미국 DirecTV는 07년부터 Ka대역위성 HDTV 서비스를제공중이고, 10년 6월부터는다채널 3DTV를제공하고있을뿐아니라 4k급 D-Cinema에대한연구개발을진행중임 영국은 08년 IBC에서일본 / 이태리와 UHD 위성전송서비스시연을하였고, 12년런던올림픽에서 UHD급방송중계를추진하고있으며 17년시험방송을계획중 우리나라는강우감쇠가심한 21GHz 대역에서안정적으로 UHDTV 위성방송서비스가가능하도록 VCM (Variable Coding and Modulation) 을적용한 Simulcasting 전송기술을연구중에있음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현재진행중인 ITU-R 보고서 BO.2007-1 의개정이 2014 년에완료되도록지속적인대응이필요 또한, 우리나라가 UHDTV 기술을선점할수있도록채널적응형위성방송전송기술개발을수 행함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43

NO. 16 연구과제번호 Q.283/4 연구위원유준규진행상태완료 / 계속 과제명 ( 영문 ) Sharing studies betwe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in the broadcasting satellite service and other services ( 국문 ) 방송위성서비스와기타서비스내고해상텔레비전간공유연구 1. 배경 ITU Radiocommunication Study Group 에서는 HDTV 신호의방송에관하여기술기준, 강우감쇠 극복기술, BSS 안테나패턴및 UHDTV 서비스규격에대해연구를수행 현재방송위성업무용으로활발하게이용중인 Ku 대역 (14/12 GHz) 은국제적으로고갈되어, 동 21 GHz 대역은향후 HDTV, 3DTV 등신규방송서비스수요에유효하게이용할수있는유 일한주파수자원으로부각됨 신규방송서비스에대비하여제 2 지역은 17.3 ~ 17.8 GHz 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 (BSS) 에 할당하였고, 제 1, 3 지역에서는 21.4 22 GHz 대역이할당됨 2. 주요쟁점사항 회의에서 GHz대역은방송위성업무용으로분배 발효 되었으며 방송위성망의이용절차및다른업무와의공유조건연구 3. 국내외동향 WRC-12 회의에서 21GHz 대역이방송위성망에 1 순위업무였으나, 방송위성망과지상망이상호 공유가가능한아래의기술기준을채택하여동일한 1 순위업무로지정됨 지상국의방송위성수신지구국보호조건 (ITU-R 권고서 BO. 1898). 지상국송신신호의인접국영토에서의전력속밀도는 120.4 dbw/m2/mhz를초과하지않아야함. WRC-12 이전에국제등록된지상국에 hard limit 소급적용하는방안은 2015년 12월 31일까지의유예기간을두고적용하기로결정 방송위성의지상국보호조건 (ITU-R 권고서 BO. 1776). 방송위성신호의지표면에서의전력속밀도는 105dBW/m2/MHz 를초과하지않아야함 제 1, 3 지역에서 21.4-22 GHz 대역을이용하는정지궤도방송위성업무시스템의동업무간공 4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유기준 (ITU-R 권고서 BO. 1785). free space 전파조건하에서다음과같은전력속밀도를공유기준으로이용 pfd wanted - 38.2 db(w/(m 2 MHz)) for 0 θ < 0.27 pfd wanted - 26.8 + 20 log θ db(w/(m 2 MHz)) for 0.27 θ < 1.18 pfd wanted - 29.7 + 3.12 θ 2 db(w/(m 2 MHz)) for 1.18 θ < 2.59 pfd wanted - 19.5 + 25 log θ db(w/(m 2 MHz)) for 2.59 θ < 6.03 pfd wanted db(w/(m 2 MHz)) for 6.03 θ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중국과의방송위성망조정시 WRC-12 이전에국제등록신청한빙송위성망에대해변경된최대전력속밀도 (pfd) 를반영하였는지확인하여야함 또한, 향후우리나라에서 21GHz 대역을이용하여위성방송서비스계획이수립되는경우에대비하여동대역의지상국 ( 마이크로웨이브망 ) 으로의무선국허가시상호간의간섭이발생할수있다는점을고려하여무선국허가를하여야할것임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45

NO. 17 연구과제번호 Q.284/4 연구위원이황재진행상태계속 과제명 ( 영문 ) ( 국문 ) Spectrum management issue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broadcasting-satellite service (sound) in the frequency range 1 3 GHz 1-3 GHz 주파수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 ( 음성 ) 도입에관한주파수관리이슈 1. 배경 WARC-92에서방송위성업무용 ( 음성 ) 및보조지상방송용으로 1.5, 2.3, 2.6 GHz 주파수대역을분배 결의 528(WRC-03 개정 ) 에따라방송위성업무용우주국과지상국, 방송위성업무용우주국과다른주관청의우주시스템과의공유에필요한기준을검토하고간섭평가에사용되는계산방법과간섭기준은결의 703(WRC-07 개정 ) 에따른 ITU-R 권고에근거하도록결정 2. 주요쟁점사항 방송위성업무용으로운용중인대역이 의제 의후보대역으로제안됨에따라 와위성업무간공유연구가필요 회의에서는 와위성업무간의공유연구결과를검토하여 신규보고서초안작업을진행 3. 국내외동향 회의에제출된 와위성시스템과의공유연구결과를업데이트하여다음과같은 개의대역위주로 신규보고서업데이트작업진행 MHz 위성하향 MHz MHz 위성상향 MHz 회의에 MHz대역에대한중국 일본및유럽공동기고핀란드 프랑스 영국 폴란드가제출되어공유연구작업문서및 텍스트를업데이트 일본은 의제 논의로부터도출된 GHz대역의방송위성의출력제한값 을기준으로 성능개선을고려하여 대역방송위성출력제한값을제안 러시아는 GHz대역과 GHz대역의주파수차이를고려되어야한다고의견을제기하여 에추가 4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프랑스는당초 단말보호규격을 MHz로제안하였으나 의 파라미터값을다시반영하여 MHz으로변경 중국은 MHz대역에서 기지국이방송위성지구국보호를위해동일채널에서약 인접채널에서는약 의 이필요하다고기고 스웨덴은제안기고들이방송위성지구국보호규격 수신잡음등적용한방송위성파라미터가다르다고지적하고이에대해 에연락문서를보내어확인을요청하기로함 연구결과를바탕으로작업문서와 보고서초안을보완 우리나라및러시아는추가논의의필요성을제기하여상기 값을 요청 프랑스가당초방송위성이기존또는 개월이내사용될지상업무에대해동의 를받아야하나아직사용예정인 의장기적인운용을위해방송위성에대한조정의무대신에출력제한값으로규정할것을제안 이란및러시아는 파라미터수정은의제 범주가아니라는입장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MHz대역에서중국이위성으로사용할계획이있으므로현재임시로정의된위성의 보호기준을현재 에서 으로완화될경우 해당대 역에서향후우리나라지상및위성에대한영향을검토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47

NO. 18 연구과제번호 Q.290/4 연구위원김희욱진행상태완료 / 계속 과제명 ( 영문 ) Broadcasting-satellite means for public warning, disaster mitigation and relief ( 국문 ) 재난상황을위한방송위성의역활 1. 배경 재해재난으로인한지상인프라붕괴및위기상황발생시에도통신이가능한공공안전 / 재난 구호용긴급통신망필요 ITU 사무국은현재미래의가능한재난의영향을줄이기위한글로벌협정을장려하고있으며, 현재및앞으로의무선기기를가지고공공경고, 재해경감, 구조를위한무선통신시스템의 호환성이필요한상황임. 2. 주요쟁점사항 정보를전파하고, 잠재적으로국경지역에있는주민들에게경고할수있는방송위성시스템 정의필요 방송위성서비스로할당된주파수중에정보를전파하고, 잠재적으로국경지역에있는주민들 에게경고할수있는주파수대역정의필요 주요재난상황에서현재사용가능한위성방송장비정의필요 국제적수준에서위성방송사업자의협정을조율할수있는절차및공공경고, 재해경감, 구 조를위한미래위성방송시스템에대한기술요구사항정의필요 3. 국내외동향 현재공공경고, 재해경감, 구조를위한위성시스템사용을위한권고및보고서개발이진행중이며, 재해재난구조를위한고정위성및이동위성시스템사용연구는활발히진행되어현재권고및보고서개발이완료되었음. 그러나아직까지재해재난구조를위한위성방송시스템사용연구는현재미비한상황이며지금까지제출된기고서가없었음. 관련연구를 2013 년까지권고및보고서개발을완료하여마무리할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관 련연구활동이저조하여차기년도까지관련연구를지속할것으로예상됨. 상기연구는 ITU-T 연구반 SG2 와 ITU-D 연구반 SG2 와협력하여진행할예정임. 4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4. 추진방향 ( 우리나라대응방안 ) 본연구과제는규정또는정책적이슈에대한연구가아니라, 재해재난구조용으로활용가능한위성방송시스템에대한기술적연구가수행될예정이기때문에, 우리나라의대응이크게요구되는내용은없음. 그러나현재 ITU 차원에서재해재난시효율적대응하고미래의가능한재난의영향을줄이기위한글로벌협정을장려하고있기때문에, 관련연구결과를국내의재해재난통신망구축시활용가능할것으로예상됨.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49

일반과제 ( 국내규정과비교검토 ) 권고번호권고명담당 연구위원 국문 및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업무의시스템과망에관련한 권고에대한지침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 우주대지구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영문 국문 에서무선항행위성서비스우주대지구 수신지구국과항공무선항행위성업무수신기의특성및보호기준연구 영문 국문 에서운용하고있는무선항행위성서비스우주대지구 수신지구국의특성 성능요구사항및보호기준연구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 우주대지구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영문 오대섭 오대섭 이희경 이희경 오대섭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53

권고번호권고명담당 연구위원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위성을이용한디지털다중프로그램텔레비전시스템 영문 국문 디지털위성뉴스중계를위한단일운영절차 영문 국문 각변조및디지털반송파의최대전력밀도 또는 대역폭에서 계산 영문 국문 제 지역에서 대역을이용하는방송수신국을보호하기위해필요한고정및이동지구국의 값 영문 국문 지역의 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참조안테나패턴 영문 국문 대역에서운영하는 수색과구조기기의보호를위한기준 영문 국문 대역에서 사용자단말보호기준 영문 국문 무선항행위성업무의 우주대지구및우주대우주 시스템과망설명및 및 대역에서운영하는송신우주국의기술적특성 영문 유준규 여경진 박주홍 유준규 유준규 오대섭 이희경 오대섭 5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901-0 ( 영문 ) Guidance on ITU-R Recommendations related to systems and networks in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operating in the frequency bands 1 164-1 215 MHz, 1 215-1 300 MHz, 1 559-1 610 MHz, 5 000-5 010 MHz o 권고명 and 5 010-5 030 MHz ( 국문 ) 1,164-1,215 MHz, 1,215-1,300 MHz, 1,559-1,610 MHz, 5,000-5,010 MHz 및 5,010-5,030 MHz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위성업무의시스템과망에관련한 ITU-R 권고에대한지침 o 해당분과 ITU-R SG4 연구반 o 작성자오대섭 o 주요내용 o 1,164-1,215 MHz, 1,215-1,300 MHz, 1,559-1,610 MHz, 5,000-5,010 MHz 및 5,010-5,030 MHz 대역에서운용중이거나계획된 RNSS 수신지구국및송신우주국의기술특성및보호기준에관련된권고서들의적용지침제공 o 또한, 열거된주파수대역의 RNSS 권고서들의간략한정보제공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o 해당사항없음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RNSS (GPS) 수신기시스템특성파라미터검토후국내 GPS 수신기규격에필요한경우적용할수있는정책수립필요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55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902-0 ( 영문 )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eceiving earth stations in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space-to-earth) operating in the band 1 215-1 300 MHz o 권고명 ( 국문 ) 1,215-1,300 MHz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 위성 ( 우주대지구 )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ITU-R SG4 연구반오대섭 o 1,215-1,300 MHz 대역 RNSS 수신지구국특성및보호기준제공 o 권고서내표에다음의수신지구국에대한특성및보호기준제시 SBAS ground reference receiver (see 2.1 and Table 1-1, column 1). High-precision semi-codeless receiver (see 2.2.1 and Table 1-1, column 2) (Note that column 2 also applies to the L2C transitional high-precision, semi-codeless receiver; see 2.2.2). High-precision receiver using L2C (see 2.3 and Table 1-1, column 3). Air-navigation receiver (see 2.4 and Table 1-1, column 4). Indoor positioning (2 types) (see 2.5 and Table 1-1, column 5). Others (see 2.6 and Table 1-1, column 6). General-purpose (2 types) (see 2.7 and Table 1-1, column 7).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o 해당사항없음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국내에본권고서언급된 RNSS 수신지구국이운용될경우관련기준을적용하기위한정책수립필요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5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57 Parameter Signal frequency range (MHz) Maximum receiver antenna gain in upper hemisphere (dbi) Maximum receiver antenna gain in lower hemisphere (dbi) 1 2 3 4 5 6 7 SBAS ground High-precision High-precision Air-navigation Indoor General reference semi-codeless receiver using receiver Others positioning purpose receiver* receiver* L2C* (Note10) 1 227.6 ± 15.345 2.0 circular (Note 3) 5.0 circular (see Note 3) 1 227.6 ± 15.345 1 227.6 ± 15.345 1 246 + 0.4375*K ± 5.11, where K = 7,, +6 (Note 8) 1 227. 6 ± 12 1 246 + 0.4375* K ± 5.11 wherek = 7,.., +6 1 278.75 ± 21 1 227. 6 ± 12 3.0 circular 3.0 circular 7 (Note 11) 6 6 6 7 linear (<10 elev.) 7 linear (<10 elev.) 10 6 (Note12) 6 (Note12) 1 246 + 0.4375* K ± 5.11 wherek = 7,..,+6 6 (Note12) RF filter 3 db bandwidth (MHz) 24.0 24.0 24.0 30 32 30 64 32 30 Pre-correlation filter 3 db bandwidth (MHz) 20.46 20.46 20.46 20 2 20 50 2 20 Receiver system noise temperature (K) 513 513 513 400 645 645 645 Tracking mode threshold power level of aggregate narrow-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 Acquisition mode threshold power level of aggregate narrow-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 Tracking mode threshold power density level of aggregate wide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mhz)) Acquisition mode threshold power density level of aggregate wide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mhz)) 137.5 (P(Y)) (Note 1) 137.4 (P(Y)) (Note 1) See Note 4 See Note 5 147.5 (P(Y)) (Note 1) 147.4 (P(Y)) (Note 1) See Note 4 See Note 5 TABL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NSS receivers (space-to-earth) operating in the band 1 215 1 300 MHz 151.4 (Note 1) 157.4 (Note 1) 147.4 (Note 1) 147.4 (Note 1) 149 (Note 9) 155 (Note 9) 140 (Note 9) 146 (Note 9) 193 (Note1) 199 (Note1) 150 (Note1) 156 (Note1) 119 (Note2) 125 (Note2) 121 (Note2) 127 (Note2) 158 (Note1) 164 (Note1) 139 (Note1) 145 (Note1)

Receiver input compression level (dbw) 135.0 (Note 6) # # 80 70 70 70 Receiver survival level (dbw) 10.0 (Note 7) # # 1 20 20 20 Overload recovery time (s) TABLE (end) 1.0 10 6 # # (1 to 30) 10 6 30 10 6 30 10 6 30 10 6 * These table columns cover characteristics and thresholds for RNSS receivers that operate in the 1 215-1 300 MHz band. (Receivers of this type operate with the signals described in Annex 2 to Recommendation ITU R М.1787.) For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the receiver operation in the bands 1 559 1 610 MHz and/or 1 164-1 215 MHz, refer also to the associated table columns in Recommendations ITU R M.1903 and/or ITU R M.1905, respectively. # Pulse response parameters for these receiver types are subject to further study in conjunction with ITU R work on a general pulsed RFI evaluation method. NOTE 1 For P(Y) signal processing, including that using semi-codeless techniques, narrow-band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less than a 100 khz bandwidth and wideband interference has greater than a 1 MHz bandwidth. For L2C signal processing, narrow-band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less than a 1 khz bandwidth and wideband interference has greater than a 1 MHz bandwidth. For FDMA signal processing, narrow-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less than a 1 khz bandwidth, and wide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greater than a 500 khz bandwidth. Thresholds for interference bandwidths between 100 khz (for P(Y)) or 1 khz (for L2C and FDMA) to 1 MHz (or for FDMA to 500 khz) are undefined and may require further study. NOTE 2 Narrow-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less than 700 Hz. Wide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greater than 1 MHz. NOTE 3 The listed maximum upper hemisphere gain value applies for 30 elevation (i.e. maximum expected RFI arrival angle). The listed maximum lower hemisphere gain value applies for 0 elevation (i.e. at the horizon). NOTE 4 Signal acquisition is performed using the L1 C/A signal. See the appropriate acquisition threshold row in Recommendation ITU R M.1903 Annex 2, Table 2 2, SBAS Ground Reference Receiver column. NOTE 5 Signal acquisition is performed using the L1 C/A signal. See the appropriate acquisition threshold row in Recommendation ITU R M.1903 Annex 2, Table 2 2, High-precision column. NOTE 6 The input compression level is for power in a 1 MHz bandwidth. NOTE 7 The survival level is the peak power level for a pulsed signal with a 10% maximum duty factor. NOTE 8 This receiver type operates on several RNSS signal carrier frequencies simultaneously. The carrier frequencies are defined by f c (MHz) = 1 246.0 + 0.4375 K, where K = 7 to +6. NOTE 9 This threshold should account for the aggregate power of all interference. The threshold value does not include any safety margin. NOTE 10 Given values represent typical characteristics of receivers. Under certain conditions more rigid values for some parameters could be required (e.g. recovery time after overload, threshold values of aggregate interference, etc.). NOTE 11 Minimum receiver antenna gain at 5 degrees elevation angle is 4.5 dbi. NOTE 12 Because the antenna in some RNSS receiver applications could potentially be pointed in almost any direction, the maximum antenna gain in the lower hemisphere could (under worst-case conditions) be equal to that for the upper hemisphere. 5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903 ( 영문 )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eceiving earth stations in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space to earth) and receivers in the aeronautical radionavigation service operating in the band 1 559-1 610 o 권고명 MHz ( 국문 ) 1559~1610 MHz에서무선항행위성서비스 ( 우주대지구 ) 수신지구국과항공무선항행위성업무수신기의특성및보호기준연구 o 해당분과 ITU-R SG 4분과 o 작성자이희경 o 주요내용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o 1 559-1 610 MHz 에서운용하는무선항행위성업무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RNSS) 수신지구국과항공무선항행위성업무 (aeronautical radionavigation service, ARNS) 수신국의특성및보호기준을제시 o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에서는 RNSS 시스템및네트워크를포괄적으로포함하는위성측위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에대한기준을개발하고있으며, 국제해사기구 (IMO) 에서는좁은수로에서의항행과도킹 (docking) 을위한무선항행위성서비스 (RNSS) 를탑재된배가필요함 o ITU-R 권고 M.1787 에서는 1 164-1 215 MHz, 1 215-1 300 MHz, 1 559-1 610 MHz 에서운용하는송신우주국의기술적특성과무선항행위성서비스의시스템과네트워크에대한기술적특성을제공하고있음 o 5.362B, 5.362C 주석에서명시한주관청에서는 1559 1610MHz 의주파수대역을 2010 년 1 월 1 일까지 1 순위업무로고정업무에도분배, 이날짜이후에고정업무는이분배가더이상유효하지않은 2015 년 1 월 1 일까지 2 순위업무로계속운용할수있음이대역에서고정업무시스템에새로운주파수할당을허가하지않고무선항행위성업무및항공무선항행업무를보호하기위한모든실질적인조치를취할것을촉구 o Annex 1 에서무선항행위성서비스의안전응용 (safety applications) 을위한여유도 (margin) 를기술 - 항공무선항행응용의안전여유도 (M) 및 1559 1610MHz 대역에서의 GNSS 의안전여유도 : 6 db o Annex 2 에서는 1559 1610MHz 대역에서무선항행위성서비스 ( 우주대지구 ) 수신지구국의기술적특성과보호기준소개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관련규정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59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필요분야 o 필요성 - 국내에무선항행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및항공무선항행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이운용될때관련기준을적용하기위한정책수립필요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 타 o 해당사항없음 6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904 ( 영문 ) Characteristics,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eceiving earth stations of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space to earth) operating in the frequency bands 1 164-1 215 MHz, 1 215-1 300 o 권고명 MHz and 1 559-1 610 MHz ( 국문 ) 1 164-1 215 MHz, 1 215-1 300 MHz, 1 559-1 610 MHz에서운용하고있는무선항행위성서비스 ( 우주대지구 ) 수신지구국의특성, 성능요구사항및보호기준연구 o 해당분과 ITU-R SG 4분과 o 작성자이희경 o 주요내용 2. 국내관련규정 o 국내반영필요분야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o ITU-R 권고 M.1787 에서는 1 164-1 215 MHz, 1 215-1 300 MHz, 1 559-1 610 MHz 에서운용하는송신우주국의기술적특성과무선항행위성서비스의시스템과네트워크에대한기술적특성을제공하고있으며, M.1905 및 1902, 1903 에서는무선항행위성서비스의시스템과네트워크를위한수신단의기술적특성과성능특성을기술 o 1 164-1 215 MHz, 1 215-1 300 MHz, 1 559-1 610 MHz 대역은 1-3 지역에서무선항행위성업무 ( 우주대지구 ) 는 1 순위업무 (primary basis), 다른업무들도 1-3 지역에서 1 순위업무로분배되어있음 o RR No. 5.329A 따라 1 215 1 300MHz 및 1 559 1 610MHz 대역에서운용되는무선항행위성업무 ( 우주대우주 ) 시스템은안전업무응용으로사용하여서는안되며, 주파수분배표에따라서운용되는무선항행위성업무 ( 우주대지구 ) 시스템또는다른업무에추가적인제약을가하지못함 (WRC-07) o Annex 1 에서는 GLONASS spaceborne 수신기의특성 (carrier frequency, data bit rate, 안테나이득, 잡음온도등 ) 을기술, GLONASS : 미국의 GPS 에맞서러시아가쏘아올린위성항법시스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 Annex 2 에서는 Navstar Global Positioning system spaceborne 수신기의특성 ( 주파수대역, 안테나이득, 대역폭, 추적모드에서한계파워레벨등 ) 을기술 Navstar : 미국국방부가계획하고있는항공기, 미사일, 함정용항행원조위성 o Annex 3 에서는 Galileo spaceborne 수신기의특성 ( 주파수대역, 안테나이득, 대역폭, 추적모드에서한계파워레벨등 ) 을기술 Galileo : 미국의 GPS 독점에대항해유럽연합 (EU) 과유럽우주기관 (ESA) 이공동으로추진하고있는세계최초의민간용위성위치확인시스템 (GPS)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61

비 교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 무선항행위성서비스 ( 우주대지구 ) 수신지구국의특성, 성능요구사항및보호기준연구자료를제시, 참고자료로활용할수있음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 타 o 해당사항없음 62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905-0 ( 영문 )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eceiving earth stations in the radionavigation-satellite service (space-to-earth) operating in the band 1 164-1 215 MHz o 권고명 ( 국문 ) 1,164-1,215 MHz 대역에서운영하는무선항행- 위성 ( 우주대지구 ) 업무의수신지구국을위한보호기준및특성 o 해당분과 o 작성자 ITU-R SG4 연구반오대섭 o 1,164-1,215 MHz 대역 RNSS 수신지구국특성및보호기준제공 o 항공운항과같이사람의생명과직결된업무를위해간섭계산시 safty margin 을고려해야함 o 아래의수신지구국들에대한시스템특성및보호기준제시 o 주요내용 Air-navigation receivers (2 types) (see 2.1 and Table 2-1, columns 1 and 2). High-precision receivers (2 types) (see 2.2 and Table 2-1, column 3). Indoor positioning receivers (2 types) (see 2.3 and Table 2-1, column 4). General-purpose receivers (2 types) (see 2.4 and Table 2-1, column 5). ( 아래표참조 )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해당사항없음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국내에본권고서언급된 RNSS 수신지구국이운용될경우관련기준을적용하기위한정책수립필요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63

1 2 3 4 5 TABL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NSS receivers (space-to-earth) operating in the band 1 164 1 215 MHz Parameter Air-navigation receiver No. 1 Air-navigation receiver No. 2 (Note9) High-precision receivers (Note12) Indoor positioning receivers General-purpose receivers Signal frequency range (MHz) 1 176.45 ± 12 Maximum receiver antenna gain in upper hemisphere (dbi) Maximum receiver antenna gain in lower hemisphere (dbi) +3 (circular) (Note 2) 5 (linear) (Note3) 1 204.704 + 0.423K ± 4.095, where K = 7,, +12 (Note 10) 1 176.4 5 ± 12 1 204.70 4 + 0.423K ± 4.095, where K = 7,, +12 1 176.4 5 ± 12 1 204.704 + 0.423K ± 4.095, where K = 7,, +12 1 207.14 ± 12 1 176.45 ± 12 7 (Note11) 3.0 circular 3 3 10 7 (linear) (elev. +10 ) 9 10 RF filter 3 db bandwidth (MHz) 24.0 17 24.0 or 24.9 24 24 Pre-correlation filter 3 db bandwidth (MHz) 20.46 17 20.46 20.46 17 20.46 Receiver system noise temperature (K) 727 400 513 330 330 Tracking mode threshold power level of aggregate narrow-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 (Note1) Acquisition mode threshold power level of aggregate narrow-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 (Note1) 154.8 (Notes4,5) 158.7 (Notes4,6) 143 (Note13) 149 (Note 13) 157.4 193 150 157.4 199 156 1 204.704 + 0.423K ± 4.095, where K = 7,,+12 6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65 Parameter Tracking mode threshold power density level of aggregate wideband interference at the passive antenna output (db(w/mhz)) (Note 1) Acquisition mode threshold power density level of aggregate wideband interference at passive antenna output (db(w/mhz)) (Note 1) 1 2 3 4 5 Air-navigation receiver No. 1 144.8 (Notes4,5) 148.7 (Notes4,6) TABLE (end)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criteria for RNSS receivers (space-to-earth) operating in the band 1 164 1 215 MHz Air-navigation receiver No. 2 (Note9) High-precision receivers (Note12) Indoor positioning receivers General-purpose receivers 140 (Note 13) 147.4 150 140 146 (Note 13) 147.4 156 146 Receiver input compression level (dbw) 114 (Note 7) 80 100 100 Receiver survival level (dbw) 0 (Note 8) 1 17 17 Overload recovery time (s) 1 10 6 (1 30) 10 6 30 10 6 30 10 6 30 10 6 NOTE 1 Narrow-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less than 700 Hz. Wide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greater than 1 MHz. Thresholds for interference bandwidths between 700 Hz and 1 MHz are under study. NOTE 2 The maximum upper hemisphere gain applies for an elevation angle of 75 or more with respect to the antenna horizontal plane. NOTE 3 The maximum gain value in the lower hemisphere applies at 0 elevation. For elevation angles between 0 and 30, the maximum gain decreases with elevation angle to 10 dbi at 30 and remains constant at 10 dbi for elevation angles between 30 and 90. NOTE 4 When used in the Recommendation ITU R M.1318-1 interference evaluation model, the threshold value is inserted in Line (a) and 6 db (the safety margin, as described in Annex 1) is inserted in Line (b) of the evaluation template. NOTE 5 The continuous RFI threshold value applies to airborne receiver operations above 6 096 m (20 000 feet) altitude above MSL. The tracking mode values for airborne operations below 610 m (2 000 feet) altitude above ground level are 143.0 dbw (narrow-band) and 133.0 db(w/mhz) (wideband). NOTE 6 The continuous RFI threshold value applies to airborne receiver operations above 6 096 m (20 000 feet) altitude above MSL. The acquisition mode values for airborne operations below 610 m (2 000 feet) altitude above ground level are 143.1 dbw (narrow-band) and 133.1 db(w/mhz) (wideband). NOTE 7 The input compression level is for power in the 20 MHz pre-correlator bandwidth. NOTE 8 The survival level is the peak power level for a pulsed signal with 10% maximum duty factor.

NOTE 9 Given values represent typical characteristics of receivers. Under certain conditions more rigid values for some parameters could be required (e.g. recovery time after overload, threshold values of aggregate interference, etc.). NOTE 10 This receiver type operates on several carrier frequencies simultaneously. The carrier frequencies are defined by f c(mhz) = 1 204.704 + 0.423K, where K = 7 to +12 (RNSS signals). NOTE 11 Minimum receiver antenna gain at 5 degrees elevation angle is 4.5 dbi. NOTE 12 This table column covers characteristics and thresholds for receivers that operate in the band 1 164-1 215 MHz. For characteristics and thresholds for receivers that also acquire and track RNSS signals in the 1 215-1 300 MHz and/or 1 559-1 610 MHz bands, refer also to Recommendations ITU R M.1902 and/or ITU R M.1903. The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levels provided in this column also apply to RNSS receivers that are designed to operate in specialized RNSS applications(see 2.2 high-precision definition above). Pulse response parameters for this receiver type are subject to further study in conjunction with ITU R work on a general pulsed RFI evaluation method. NOTE 13 This threshold should account for all aggregate interference. The threshold value does not include any safety margin. For FDMA signal processing, narrow-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less than 1 khz. Wideband continuous interference is considered to have a bandwidth greater than 500 khz. 66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ITU-R BO.1516-1 ( 영문 ) Digital multiprogramme television systems for use by satellites operating in the 11/12 GHz frequency range ( 국문 ) 11/12 GHz 대역에서운영하는위성을이용한디지털다중프로그램텔레비전시스템 ITU-R SG4 분과 유준규 o 본권고서는 11/12GHz 대역을이용한 4 가지의디지털다중수신을위한공통의기능요구사항을서술한권고서임 o 본권고서에서는위성방송다중화전송을위한 Physical layer, Transport layer, Conditional access, Network service, Presentation layer, Customer service 의 5 계층으로분류하여각계층에사용되는요소기술에대해제안함. o 또한, 본권고서에서는 4 가지위성방송전송시스템을분류하여각전송시스템별전송규격을정의하였음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TTAK.KO-07.0008/R5 o DVB-S 및 DVB-S2 규격을기반으로개발된국내디지털위성방송시스템에대한표준으로, 프로그램을구성하는비디오및오디오신호에대한규격을정의하고다중화를위해필요한 MPEG-2 TS 패킷구조와패킷화기본스트림 (PES, Packetized Elementary Stream) 구조를정의한다. 또한, ETSI TS 101 547[12] 에서정의하는 3DTV 기반의위성 3D 방송서비스규격을정의하였다. o 권고서에서제안하는위성방송다중화기술규격및차세대방송기술인 3DTV 서비스규격을포함하고있음 o 권고서에서미래의위성방송전송규격으로제안한시스템 D(Simulcasting 기술을적용한채널적응형규격 ) 은포함하고있지않음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o 필요성 o 추진계획 기술기준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본권고서에서소개한시스템 D(Simulcasting 기술을적용한채널적응형규격 ) 에대해분석을수행하고, 우리나라에맞는채널적응형규격에대한연구가필요로함 o DVB-S2 기반의채널적응형기술에대해연구추진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67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ITU-R SNG.770-2 ( 영문 ) Uniform operational procedures for digital satellite news gathering ( 국문 ) 디지털위성뉴스중계를위한단일운영절차 ITU-R SG4 분과 여경진 o 위성을이용한방송중계가활발하며디지털위성중계를위한단일절차를수록 1. 운용특성 - 임시적으로만운용, 모니터링기능등상향링크특성이필요 2. 방송중계를위한성능과상호접속 - 대역폭, 채널계획, 가변빔, 서비스영역등방송중계에사용할위성의기술적특성을수록 3. 디지털방송중계를임시승인하기위한단일운용절차 - 지구국승인, 주파수할당과조정, 위성자원예약, 보조설비등관련절차를수록 4. 정보, 안내및승인을위한연락처 - 24 시간이용가능해야하며, 주관청에제공하거나주관청으로부터받아야하는정보목록을나열 o 상세절차가아닌일반적지침이나참고자료로활용될수있음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해당사항없음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추진계획 o 권고사항을국내규정에반영할필요는없으며, 뉴스중계등을위한위성운용시권고내용을참고할수는있을것임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68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ITU-R SF.675-4 ( 영문 ) Calculation of the maximum power density(averaged over 4 khz or 1 MHz) of angle-modulated and digital carriers ( 국문 ) 각변조및디지털반송파의최대전력밀도 (4 khz 또는 1 MHz 대역폭에서 ) 계산 ITU-R SG4 연구반 박주홍 o 4 khz 또는 1 MHz 대역폭을가지는다양한형태의반송파에대한최대전력밀도계산방법에대한권고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해당사항없음 o 규정내용 o 해당사항없음 o 권고와의비교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o 해당사항없음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일반적인전력밀도계산은단위 Hz 당전력 (W/Hz) 으로하고있으며, 위성망조정에서도별도의계산방법을정의하지않은한상기의방법으로간섭분석을수행하고있어동권고는단순참고용으로이용가능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69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ITU-R BO.1898 ( 영문 ) Power flux-density value required for the protection of receiving earth stations in the broadcasting-satellite service in Regions 1 and 3 from emissions by a station in the fixed and/or mobile services in the band 21.4-22 GHz ( 국문 ) 제 1, 3 지역에서 21.4~22GHz 대역을이용하는방송수신국을보호하기위해필요한고정및이동지구국의 PFD 값 ITU-R SG4 분과 유준규 o 주요내용 o 본권고서는방송위성업무용수신지구국보호를위해동일주파수대역을이용하는지상국송신신호의다른국가영토내에서의전력속밀도세기가 120.4 db W/ m2 / MHz를초과하지못하도록강제적적용 (hard limit) 할것을권고함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o 권고와의비교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o WRC-12 의결정에따라본권고서에서제안한방송위성업무용수신지구국보호를위해동일주파수대역을이용하는지상국송신신호의다른국가영토내에서의전력속밀도세기가 120.4 db W/ m2 / MHz를초과하지못하도록강제적적용 (hard limit) 할것을반영하였음 o 개정 2012. 12. 5. 방송통신위원회고시제 2012-100 호와같이권고서의내용이반영됨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추진계획 o 향후 21.4~22GHz 대역을이용하는지상국에대한허가시본권고안에따라지상국전력속밀도세기에대한검토가필요함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70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ITU-R BO.1900 ( 영문 ) Reference receive earth station antenna pattern for the broadcasting-satellite service in the band 21.4-22 GHz in Regions 1 and 3 ( 국문 ) 1, 3 지역의 21.4-22 GHz 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의수신지구국참조안테나패턴 ITU-R SG4 분과 유준규 o 본권고서는 21.4-22 GHz 대역에서방송위성업무에서 D/λ 32인경우, 수신지구국참조안테나의 co-polar 및 cross-polar 패턴에대해권고하고있음 2. 국내관련규정 o 구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규정내용 관련규정없음 o 해당사항없음 o 권고와의비교 o 해당사항없음 3. 향후처리방향 o 국내반영필요분야 기술기준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필요성 o 추진계획 o 향후 21.4-22 GHz 대역을이용한위성방송서비스를대비하여본권고서를반영한방송수신전용안테나에대한개발이필요함 o 국내유일한위성방송사업자인 Skylife 에본권고서내용전달하여검토하도록함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71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ITU-R M.1478-2 ( 영문 ) Protection criteria for Cospas-Sarsat search and rescue instruments in the band 406-406.1 MHz o 권고명 ( 국문 ) 406-406.1 MHz 대역에서운영하는 Cospas-Sarsat 수색과구조기기의보호를위한기준 o 해당분과 ITU-R SG4 연구반 o 작성자오대섭 o 정지궤도, 중궤도, 저궤도에서운용중인 Cospas-Sarsat 탐색구조장치의보호기준및 406 406.1 MHz 대역에서운용중인긴급위치식별무선장치 (EPIRBs) 와기타재난무선장치수신신호의보호기준제공 o 아래열거된 10 가지의 SARP(Search and Rescue Processor) 및기타탐색구조장치의허용간섭량을제공하여, 인접대역및동대역타업무와의간섭연구시기준으로고려해야함 1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Sarsat SARP 장치의최대허용 spfd : 198.6 db(w/(m2 Hz)); 2 협대역스퓨리어스방사로부터 Sarsat SARP 장치의최대 pfd 값 : 166.2 db(w/m2/19 Hz); 3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Cospas SARP 장치의최대허용 spfd : 198.6 o 주요내용 db(w/(m2 Hz)); 4 협대역스퓨리어스방사로부터 Cospas SARP I장치의최대 pfd 값 : 170.6 db(w/m2/40 Hz); 5 405 406 MHz 대역의 MSS 시스템으로부터 Cospas-Sarsat non-gso 장치로의영향은최대 20 khz 의도플러천이를이용해야함 6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Sarsat LEO repeaters의최대 spfd : 181.3 db(w/(m2 Hz)); 7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GOES GEO repeaters의최대 spfd : 201.1 db(w/(m2 Hz)); 8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MSG GEO repeaters의최대 spfd : 206.4 db(w/(m2 Hz)); 9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Electro GEO repeaters의최대 spfd : 198.7 db(w/(m2 Hz)); 10 인접대역간섭으로부터 GLONASS MEO repeaters의최대 spfd : 205.2 db(w/(m2 Hz)). 2. 국내관련규정 o 구 분 기술기준 표준 법 / 제도 기타 ( ) 관련규정없음 o 관련규정 o 해당사항없음 o 규정내용 o 해당사항없음 o 권고와의비교 3. 향후처리방향 o 해당사항없음 72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

o 국내반영필요분야 o 필요성 기술기준 ( 제 / 개 ) 표준 ( 제 / 개 ) 법 / 제도 ( 제 / 개 ) 정책수립 해당사항없음 o 406 406.1 MHz 대역의 Cospas-Sarsat 탐색구조시스템은전세계적으로이용되고있는업무이므로국내에도동대역의탐색구조시스템이운용되는경우보호를위한본권고서의허용간섭량을적용하기위한정책이필요함 해당사항없음에체크한경우에도사유기재 o 추진계획 o 해당사항없음 o 기타 o 해당사항없음 ITU-R SG4 ( 위성업무분야 )Ⅰ73

1. 권고주요내용 o 권고번호 o 권고명 o 해당분과 o 작성자 o 주요내용 권고와국내규정과의비교검토서 ITU-R M.1731-2 ( 영문 ) Protection criteria for Cospas-Sarsat local user terminals in the band 1 544-1 545 MHz ( 국문 ) 1 544-1 545 MHz 대역에서 Corpas-Sarsat 사용자단말보호기준 ITU-R SG 4분과이희경 o 406-406.1 MHz 대역에서운용중인구조장치및긴급위치표시무선장치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s, EPIRBs) 로부터 Electro 및 GLONASS 위성을통해신호를수신하는 Cospas-Sarsat GEOLUTs(Geostationary Earth Orbit Local User Terminals)/MeOLUTs(Medium Earth Orbit Local User Terminals) 을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보호기준을제시하고있음 o 2011 년 ITU-R 에서는정저궤도위성 (Geostationary satellites, GOES and Electro) 및항법위성 (GLONASS) 각각에서운용되는 Cospas-Sarsat GEOLUTs/MEOLUTs 의간섭평가를추가연구하였음 o GOES 위성을통해구조장치및긴급위치표시무선장치 (EPIRBs) 신호를수신하는 Cospas-Sarsat GEOLUTs 을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간섭보호기준 - 최소 BER 성능 : 5 10-5 - 1 544.5 MHz ± 100 khz 에서최대광대역잡음신호레벨 : -206.4 db(w/(m2 Hz)) o Cospas 와 Sarsat 위성으로부터 SARP(Search And Rescue Processor) 2.4 kbit/sec 처리된데이터를수신하는 LEOLUTs 을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간섭보호기준 - SARP channel downlink 의최소 BER 성능 : 1 10-6 - 1 544.5 MHz ± 100 khz 에서최대광대역잡음신호레벨 : -209.0 db(w/(m2 Hz)) o 광대역방사로인한간섭에대하여 Sarsat 406 MHz repeater SARR(Search And Rescue Repeater) 서비스를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보호기준 - 최소 BER 성능 : 5 10-5 - 1 544.5 MHz ± 100 khz 에서최대광대역잡음신호레벨 : -206.2 db(w/(m2 Hz)) o MSG(Meteo-sat Second Generatoin) 위성을통해구조장치및긴급위치표시무선장치 (EPIRBs) 신호를수신하는 Cospas-Sarsat GEOLUTs 을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보호기준 - 최소 BER 성능 : 5 10-5 - 1 544.5 MHz ± 100 khz 에서최대광대역잡음신호레벨 : -220.5 db(w/(m2 Hz)) o 406 MHz 대역에서운용중인구조장치및긴급위치표시무선장치 (EPIRBs) 로부터 Electro 위성을통해신호를수신하는 Cospas-Sarsat GEOLUTs 을위한 1 544 1 545 MHz 대역에서의보호기준 74Ⅰ2013 년도 ITU-R 표준화활동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