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차례 제1장서론 과업의배경및목적 과업의범위및근거 과업의주요내용과추진방법 과업의추진사항 6 제2장기후변화현황및예측 일반현황 기후변화현황및영향분석 기후변화전망 70 제3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

Similar documents
05 ƯÁý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지역온천수의농업활용타당성연구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 2 -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최근 재해양상과 유형별 현황 및 특성

성인지통계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장애인건강관리사업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307\301\267\271\301\250\305\327\300\314\274\3071)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ad 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소식지수정본-1

01정책백서목차(1~18)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_report.hwp

Typhoon Damage Function의 개발 위 표와 같이, 재해 발생회수로는 호우가 4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태풍이 피해액과 피 해복구비에서 각각56%, 5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태풍이 우리나라에 많은 금전적 손해를

11+12¿ùÈ£-ÃÖÁ¾

2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CR hwp

Y Z X Y Z X () () 1. 3

최근날씨동향 (2015년 4월 ~ 6월 ) 4월 - 이동성고기압과따뜻한남서류가유입되어기온이크게올랐으나, 상순후반부터중순전반까지는대륙고기압과상층한기의영향을받아쌀쌀한날이있었음. 기온은평년보다높았음. 최고기온과평균최저기온은 18.7, 12.2 로각각 0.7, 1.4 높았음.

슬라이드 1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B4E3B9E8B0A1B0DD DB9E8C6F7C0DAB7E12E687770>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제주발전연구원포커스 제주발전연구원 FOCUS 2013년 12월 26일 Vol. 176 발행처 : 제주발전연구원발행인 : 공영민주소 :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아연로 253 ( 오라2동 ) TEL FAX 제주발전


hwp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B1B9BEEE412E687770>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보건분야 - 보고서연구원 직업성천식감시체계구축 운용 The surveillance to detect the occupational asthma in Korea 2011 년사업결과보고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hwp


Ⅰ Ⅱ Ⅲ Ⅳ


T hwp

Çʸ§-¾÷¹«Æí¶÷.hwp.hwp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 차 대구 봉안시설 확충방안 연구 - i -

eco-academy(....).hwp

- -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006

지도임자_1204_출판(최종).hwp

hwp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¹»ê»ç¾÷Æò°¡(±âŸ)-¼öÁ¤.hwp

master.hwp

PowerPoint Template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UDI 이슈리포트제 30 호 온실가스감축정책의문제점과대안 도시환경연구실이상현선임연구위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4 Ⅱ. 현황과문제점 7 Ⅲ. 울산시대응방안 15 Ⅳ. 결론 18

- i -

14년 광주신세계 추석.pdf

수정보고서(인쇄용).hwp


차례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ㅇ ㅇ

[10상예타]_광주도시철도2호선 건설사업_인쇄본_ 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어디서 찾지? TAAS(교통사고분석시스템)홈페이지를 클릭하면 교통사고통계가 한눈에 TAAS란? 도로교통공단은 교통안전법 제59조, 동법 시행령 제48조 제3항 에 따라 경찰 보험사 공제 조합 등의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통합(구



(연합뉴스) 마이더스


목 차

<B1E2C8C4BAAFC8ADC0CCC7D8C7CFB1E25FC0CEC3B55FC3D6C1BE5F E687770>

Transcription:

울산광역시 기후변화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수립보고서 2012. 2 울산광역시 제출문 울산광역시장귀하 본보고서를 ( 총연구기간 : 2011. 5. 3 ~ 2012. 2.24) 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2. 2. 울산발전연구원장

목차 표차례 제1장서론 3 1.1 과업의배경및목적 3 1.2 과업의범위및근거 4 1.3 과업의주요내용과추진방법 5 1.4 과업의추진사항 6 제2장기후변화현황및예측 9 2.1 일반현황 9 2.2 기후변화현황및영향분석 31 2.3 기후변화전망 70 제3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93 3.1 기후변화적응관련선행연구고찰 93 3.2 국내외기후변화적응대책수립사례 117 3.3 시사점도출 133 제4장기후변화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137 4.1 기후변화적응기반현황및설문조사 137 4.2 기후변화취약성평가 186 4.3 중점추진분야선정 303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09 5.1 비전및전략 309 5.2 추진전략별세부시행계획 310 5.3 소요예산및재원조달 505 참고문헌 509 부록 515 < 표 1-1-1> 과업의주요추진사항 6 < 표 2-1-1> 울산시지리적위치 10 < 표 2-1-2> 울산시의연도별기상현황 12 < 표 2-1-3> 2010월별평균기온및강수량 12 < 표 2-1-4> 울산시지목별토지이용현황 14 < 표 2-1-5> 울산시행정구역현황 (2010기준) 15 < 표 2-1-6> 울산시의인구특성 17 < 표 2-1-7> 울산시유형별주택현황 18 < 표 2-1-8> 산업구조현황 18 < 표 2-1-9> 울산시산업분류별사업체수 19 < 표 2-1-10> 울산시산업단지현황 20 < 표 2-1-11> 울산시지역내총생산 21 < 표 2-1-12> 연도별경제활동인구현황 22 < 표 2-1-13> 태화강일대국가단위생태조사현황 23 < 표 2-1-14> 과거태화강일대민간및울산시차원생태조사현황 24 < 표 2-1-15> 태화강의생물자원현황 25 < 표 2-1-16> 태화강의 IUCN 적색목록어류종 27 < 표 2-1-17> 태화강의 IUCN 적색목록조류종 28 < 표 2-1-18> 태화강의 IUCN 적색목록양서 파충류 29 < 표 2-1-19> 우리나라 IUCN 적색목록중태화강관찰종현황 30 < 표 2-2-1> 계절시작일의변화 48 < 표 2-2-2> 평균식물계절현상일과변화율 49 < 표 2-2-3> 평균기온극값 (1946~2010) 51 < 표 2-2-4> 최고기온극값 (1946~2010) 52 < 표 2-2-5> 최저기온극값 (1946~2010) 53 < 표 2-2-6> 1시간최다강수량극값 (1946~2010) 54 < 표 2-2-7> 10분간최다강수량극값 (1946~2010) 55 < 표 2-2-8> 최대순간풍속극값 (1946~2010) 56 < 표 2-2-9> 최심적설극값 (1946~2010) 57 < 표 2-2-10> 최심신적설극값 (1946~2010) 58 < 표 2-3-1> 울산시의미래기온예측 73 < 표 2-3-2> 울산시의미래 6~8월평균기온예측 74 < 표 2-3-3> 울산시의미래일평균기온이영하인날의횟수예측 75 < 표 2-3-4> 울산시의미래일최고기온예측 76 < 표 2-3-5> 울산시의미래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날의횟수예측 77 < 표 2-3-6> 울산시의미래일최저기온예측 78 < 표 2-3-7> 울산시의미래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날의횟수예측 79 < 표 2-3-8> 울산시의미래연간강수량예측 80 < 표 2-3-9> 울산시의미래 6~8월강수량예측 81 < 표 2-3-10> 울산시의미래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날의횟수예측 82 < 표 2-3-11> 울산시의미래연간풍속예측 83 < 표 2-3-12> 울산시의미래일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날의횟수예측 84 < 표 2-3-13> 울산시의미래연간상대습도예측 85 < 표 2-3-14> 울산시의미래실효습도가 35% 이하인날의횟수예측 86 < 표 2-3-15> 울산시의미래적설량예측 87 < 표 3-1-1> 모형에따른기온과식중독발생률관계 100 < 표 3-1-2> 질병별연령대별전염병발생예측건수 101 < 표 3-1-3> 분석에사용된지표목록 105 < 표 3-1-4> HEC-GeoRAS모형분석에사용된자료및결과물 110 < 표 3-2-1> 국내지자체의기후변화적응관련계획현황 121 < 표 3-2-2> 영국의부문별 (5개부문 ) 기후변화적응방안 123 < 표 3-2-3> 캐나다의부문별 (6개부문 ) 기후변화적응방안 125 < 표 3-2-4> 일본에서의기후변화적응에관한세부고려사항 128 < 표 3-2-5> 호주의부문별 (7개부문 ) 기후변화적응방안 130 < 표 3-2-6> 미국의부문별 (7개부문 ) 기후변화적응방안 131 < 표 4-1-1> 건강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38 < 표 4-1-2> 울산시건강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41 < 표 4-1-3> 재난 / 재해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42 < 표 4-1-4> 울산시재난 / 재해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45 < 표 4-1-5> 농업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47 < 표 4-1-6> 울산시농업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49 < 표 4-1-7> 산림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50 < 표 4-1-8> 울산시산림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51 < 표 4-1-9> 산림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51 < 표 4-1-10> 울산시해양 / 수산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53 < 표 4-1-11> 물관리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53 < 표 4-1-12> 울산시물관리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56 < 표 4-1-13> 생태계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57 < 표 4-1-14> 울산시생태계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58 < 표 4-1-15> 기후변화감시및예측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58 < 표 4-1-16> 적응산업 / 에너지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60 < 표 4-1-17> 울산시적응산업 / 에너지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62 < 표 4-1-18> 교육 홍보및국제협력분야중지자체연계가능사업현황 163 < 표 4-1-19> 울산시교육 홍보및국제협력분야기후변화적응사업현황 164 < 표 4-1-20> 응답자분포현황 166 < 표 4-1-21> 기후변화인식여부 167 < 표 4-1-22> 현재우리나라의기후변화현상심각정도 168 < 표 4-1-23> 기후변화현상으로인한영향인식여부 169 < 표 4-1-24> 기후변화적응개념들어본적있는지여부 170 < 표 4-1-25> 기후변화적응관련정보취득매체 171 < 표 4-1-26> 국가및지자체추진기후변화적응대책들어본적있는지여부 172 < 표 4-1-27> 국가및지자체추진기후변화적응대책관련정보취득매체 173 < 표 4-1-28> 울산시의취약한기후변화적응분야 ( 복수응답 ) 174 < 표 4-1-29> 울산시가중점적으로추진해야할기후변화적응대책분야 ( 복수응답 ) 175 < 표 4-1-30> 전문가설문조사결과 178 < 표 4-1-31> 건강분야취약성평가 179 < 표 4-1-32> 재난 / 재해분야취약성평가 180 < 표 4-1-33> 농업분야취약성평가 181 < 표 4-1-34> 산림분야취약성평가 182 < 표 4-1-35> 물관리분야취약성평가 183 < 표 4-1-36> 생태계분야취약성평가 184 < 표 4-1-37> 울산시가중점적으로추진해야할기후변화적응대책분야 ( 복수응답 ) 185 < 표 4-2-1> 폭염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190 < 표 4-2-2> 기타대기오염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194 < 표 4-2-3> 수인성매개질환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198 < 표 4-2-4> 한파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02

< 표 4-2-5> 미세먼지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06 < 표 4-2-6> 곤충및설치류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10 < 표 4-2-7> 산사태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16 < 표 4-2-8> 산불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21 < 표 4-2-9> 집중호우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25 < 표 4-2-10> 소나무와송이버섯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29 < 표 4-2-11> 산림생산성에의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33 < 표 4-2-12> 가뭄에의한산림색생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36 < 표 4-2-13> 벼생산성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41 < 표 4-2-14> 사과생산성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45 < 표 4-2-15> 가축생산성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49 < 표 4-2-16> 온도변화에따른수산 ( 양식 ) 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54 < 표 4-2-17> 홍수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59 < 표 4-2-18> 폭염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63 < 표 4-2-19> 폭설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67 < 표 4-2-20> 해수면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71 < 표 4-2-21> 수목생장과분포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77 < 표 4-2-22> 곤충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81 < 표 4-2-23> 보전구역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85 < 표 4-2-24> 치수에대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90 < 표 4-2-25> 이수에대한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93 < 표 4-2-26> 수질및수생태계의취약성평가규준및지표 297 < 표 4-3-1> CCGIS 취약성평가결과 304 < 표 4-3-2> 취약성평가결과 305 < 표 5-3-1> 울산시기후변화적응대책소요예산 505 그림차례 ( 그림 1-1-1) 과업의추진내용및방법 5 ( 그림 2-1-1) 울산시지형지세 11 ( 그림 2-1-2) 울산시연도별기온변화 13 ( 그림 2-1-3) 울산시연도별강수량변화 13 ( 그림 2-1-4) 울산시의인구추이 16 ( 그림 2-1-5) IUCN 적색목록범주 26 ( 그림 2-2-1) 연평균최고, 최저, 평균기온및일교차의변화 32 ( 그림 2-2-2) 울산의열대일일수변화 33 ( 그림 2-2-3) 울산의폭염일일수변화 34 ( 그림 2-2-4) 울산의열대야일수변화 35 ( 그림 2-2-5) 울산의영하일수변화 36 ( 그림 2-2-6) 난방도일과냉방도일의시계열변화 37 ( 그림 2-2-7) 울산의강수량변화 38 ( 그림 2-2-8) 울산의강수일수변화 39 ( 그림 2-2-9) 울산의무강우일수변화 39 ( 그림 2-2-10) 울산의최고연속무강우일수변화 40 ( 그림 2-2-11) 울산의호우일수변화 41 ( 그림 2-2-12) 울산의연평균풍속변화 42 ( 그림 2-2-13) 울산의평균풍속편차변화 42 ( 그림 2-2-14) 울산의강풍일수변화 43 ( 그림 2-2-15) 울산의상대습도변화 44 ( 그림 2-2-16) 울산의안개일수변화 45 ( 그림 2-2-17) 울산의결빙일수변화 46 ( 그림 2-2-18) 울산의황사일수변화 47 ( 그림 2-2-19) 울산의계절변화 48 ( 그림 2-2-20) 연평균식물계절현상일의변화 50 ( 그림 2-2-21) 장티푸스환자발병률 ( 인구10만명당 ) 59 ( 그림 2-2-22) 풍진환자발병률 ( 인구10만명당 ) 60 ( 그림 2-2-23) 알레르기질환의사진단율 61 ( 그림 2-2-24) 주요기반시설별피해액 (2003~2010) 62 ( 그림 2-2-25) 피해지역사진 63 ( 그림 2-2-26) 2011폭설현장 64 ( 그림 2-2-27) 도별최대강설량 ( 울산기상대 ) 64 ( 그림 2-2-28) 우리나라사과재배면적변화 65 ( 그림 2-2-29) 병해충발생건수와전국대비발생비 66 ( 그림 2-2-30) 울주군미역피해현장조사 67 ( 그림 2-2-31) 사연댐 COD 변화 68 ( 그림 2-2-32) 사연댐월별 COD 변화 69 ( 그림 2-2-33) 낙동강 ( 물금지점 ) BOD 변화 69 ( 그림 2-3-1) 기후변화시나리오개발과정 70 ( 그림 2-3-2) IPCC SRES의온실가스배출시나리오개념 71 ( 그림 2-3-3) 미래기온예측결과 73 ( 그림 2-3-4) 미래 6~8월평균기온예측결과 74 ( 그림 2-3-5) 미래일평균기온이영하인날의횟수예측결과 75 ( 그림 2-3-6) 미래일최고기온예측결과 76 ( 그림 2-3-7) 미래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날의횟수예측결과 77 ( 그림 2-3-8) 미래일최저기온예측결과 78 ( 그림 2-3-9) 미래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날의횟수예측결과 79 ( 그림 2-3-10) 미래연간강수량예측결과 80 ( 그림 2-3-11) 미래 6~8월강수량예측결과 81 ( 그림 2-3-12) 미래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날의횟수예측결과 82 ( 그림 2-3-13) 미래연간풍속예측결과 83 ( 그림 2-3-14) 미래일최대풍속이 14m/s 이상인날의횟수예측결과 84 ( 그림 2-3-15) 미래연간상대습도예측결과 85 ( 그림 2-3-16) 미래실효습도가 35% 이하인날의횟수예측결과 86 ( 그림 2-3-17) 미래적설량예측결과 87 ( 그림 2-3-18) 평균기온예측결과 88 ( 그림 2-3-19) 평균강우예측결과 89 ( 그림 3-1-1) 원인별사망자와열지수관계 95 ( 그림 3-1-2) 연간 10만명당기후변화관련질병발생률추이 98 ( 그림 3-1-3) 연령별기온에따른질병부담 (YLD) 102 ( 그림 3-1-4) 서울시자치구별홍수위험도분석결과 106 ( 그림 3-1-5) 홍수피해잠재능의평가요소및방법 108 ( 그림 3-1-6) CA-Markov 기법에의해예측된토지이용도 110 ( 그림 3-1-7) HEC-GecRAS를이용한침수범람도 111 ( 그림 3-1-8) 유럽 (EU 27개국 + 2개국 ) ESPON 프로젝트 113 ( 그림 3-1-9) CATS 자연재해 115 ( 그림 3-1-10) CATS 기술적재난 115 ( 그림 3-2-1) 국가기후변화적응종합계획의비전과전략 118 ( 그림 3-2-2)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2011 2015) 추진전략 119 ( 그림 3-2-3) 런던템즈강유역홍수위험지역 124 ( 그림 4-1-1) 기후변화인식여부 167 ( 그림 4-1-2) 현재우리나라의기후변화현상심각정도 168 ( 그림 4-1-3) 기후변화현상으로인한영향인식여부 169 ( 그림 4-1-4) 기후변화적응개념들어본적있는지여부 170 ( 그림 4-1-5) 기후변화적응관련정보취득매체 171 ( 그림 4-1-6) 국가및지자체추진기후변화적응대책들어본적있는지여부 172 ( 그림 4-1-7) 국가및지자체추진기후변화적응대책관련정보취득매체 173 ( 그림 4-1-8) 울산시가취약한기후변화적응분야 174 ( 그림 4-1-9) 울산시가중점추진해야할기후변화적응대책분야 175 ( 그림 4-1-10) 건강분야취약성평가 179 ( 그림 4-1-11) 재난 / 재해분야취약성평가 180 ( 그림 4-1-12) 농업분야취약성평가 181 ( 그림 4-1-13) 산림분야취약성평가 182 ( 그림 4-1-14) 물관리분야취약성평가 183 ( 그림 4-1-15) 생태계분야취약성평가 184 ( 그림 4-2-1) 전국폭염취약성평가결과 192 ( 그림 4-2-2) 울산시폭염취약성평가결과 193 ( 그림 4-2-3) 전국기타대기오염물질취약성평가결과 196 ( 그림 4-2-4) 울산시기타대기오염물질취약성평가결과 197 ( 그림 4-2-5) 전국수인성질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0 ( 그림 4-2-6) 울산시수인성질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1 ( 그림 4-2-7) 전국한파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4 ( 그림 4-2-8) 울산시한파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5 ( 그림 4-2-9) 전국미세먼지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8 ( 그림 4-2-10) 울산시미세먼지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09

( 그림 4-2-11) 전국곤충및설치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12 ( 그림 4-2-12) 울산시곤충및설치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13 ( 그림 4-2-13) 우리나라산사태발생현황및복구비용 215 ( 그림 4-2-14) 전국산사태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18 ( 그림 4-2-15) 울산시산사태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19 ( 그림 4-2-16) 상대습도와강수량, 강수이수의변화경향 220 ( 그림 4-2-17) 전국산불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23 ( 그림 4-2-18) 울산시산불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24 ( 그림 4-2-19) 전국집중호우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27 ( 그림 4-2-20) 울산시집중호우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28 ( 그림 4-2-21) 전국소나무와송이버섯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31 ( 그림 4-2-22) 울산시소나무와송이버섯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32 ( 그림 4-2-23) 전국산림생산성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34 ( 그림 4-2-24) 울산시산림생산성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35 ( 그림 4-2-25) 전국가뭄에의한산림색생의취약성평가결과 237 ( 그림 4-2-26) 울산시가뭄에의한산림색생의취약성평가결과 238 ( 그림 4-2-27) 전국벼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43 ( 그림 4-2-28) 울산시벼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44 ( 그림 4-2-29) 전국사과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47 ( 그림 4-2-30) 울산시사과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48 ( 그림 4-2-31) 전국가축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51 ( 그림 4-2-32) 울산시가축생산성의취약성평가결과 252 ( 그림 4-2-33) 전국해양 / 수산업의취약성평가결과 256 ( 그림 4-2-34) 울산시해양 / 수산업의취약성평가결과 257 ( 그림 4-2-35) 전국홍수에대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61 ( 그림 4-2-36) 울산시홍수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62 ( 그림 4-2-37) 전국폭염에대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65 ( 그림 4-2-38) 울산시폭염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66 ( 그림 4-2-39) 전국폭설에대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69 ( 그림 4-2-40) 울산시폭설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70 ( 그림 4-2-41) 전국해수면온도상승에대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73 ( 그림 4-2-42) 울산시해수면온도상승에의한기반시설의취약성평가결과 274 ( 그림 4-2-43) 전국수목생장과분포의취약성평가결과 279 ( 그림 4-2-44) 울산시수목생장과분포의취약성평가결과 280 ( 그림 4-2-45) 전국곤충의취약성평가결과 283 ( 그림 4-2-46) 울산시곤충의취약성평가결과 284 ( 그림 4-2-47) 전국보전구역의취약성평가결과 287 ( 그림 4-2-48) 울산시보전구역의취약성평가결과 288 ( 그림 4-2-49) 전국치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91 ( 그림 4-2-50) 울산시치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92 ( 그림 4-2-51) 전국이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95 ( 그림 4-2-52) 울산시이수에대한취약성평가결과 296 ( 그림 4-2-53) 전국수질및수생태계의취약성평가결과 299 ( 그림 4-2-54) 울산시수질및수생태계의취약성평가결과 300 ( 그림 4-2-55) 지역별기후변화키워드검색결과추이 302 ( 그림 4-2-56) 기후변화키워드검색결과 302 ( 그림 5-1-1) 울산시기후변화적응대책비전및전략 309 제 1 장서론 1.1 과업의배경및목적 1.2 과업의범위및근거 1.3 과업의주요내용과추진방법 1.4 과업의추진사항

제 1 장서론 제 1 장 서론 1.2 과업의범위및근거 1.1 과업의배경및목적 제 1 장서론 1.3 과업의주요내용과추진방법 1.4 과업의추진사항

제 2 장기후변화현황및예측 2.1 일반현황 2.2 기후변화현황및영향분석 2.3 기후변화전망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 기후변화현황및예측 2.1 일반현황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2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2.2 기후변화현황및영향분석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10) 울산기상대에서원시자료를제공받아가공한내용임.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2장 기후변화 영향 현황 및 예측 2) 집중호우 2008 8월 13일~15일 순간적으로 100 에 가까운 폭우가 쏟아지면서 약 31억원의 재산피해와 1명 사망, 516명의 이재민이 발생함. (그림 2-2-26) 2011 폭설현장 자료 : 경상일보, http://www.ksilbo.co.kr 두왕천 하천범람> < 3) < 옥동 도로유실> (그림 2-2-25) 피해지역 사진 폭설 2011 2월 14일 기상관측 이래 최대 적설량(21.4 )을 기록하여 대설경 보가 발령됨. 울산공항의 모든 항공기가 운항을 중단하였고, 무룡산 터널 입구 등 8 곳의 도로가 통제됨. (그림 2-2-27) 도별 최대강설량(울산기상대) 63 6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2장 기후변화 영향 현황 및 예측 다. 농업분야 1) 재배적지 이동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사과재 배면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해 사과의 재배적지는 서서히 북상할 것으로 예상함. 라. 산림분야 1) (그림 2-2-28) 우리나라 사과재배면적 변화 병해충 울산시의 산림 병해충 발생건수는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긴 하지 만, 전국 발생건수 대비 울산의 발생건수 비는 1%에 못미침. (그림 2-2-29) 병해충 발생건수와 전국대비 발생비 울산시는 사과재배면적이 크지 않으므로 배의 재배면적 변화를 살펴보 면, 1998 1,421ha에서 2007 1,147ha로 감소하였으며, 같은 기간 단 위면적당 생산량을 살펴보면 태풍 등의 외적요인으로 인한 생산량 변 화 이외에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추이는 확인되지 않음. 울산시의 대표적 농산물인 벼의 경우도 배와 마찬가지로 재배면적은 9,043ha에서 7,053ha로 감소하였으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큰 변동이 확인되지 않음. 65 마. 해양/수산업분야 2009 기준, 울산의 수산업 비중은 2.4% 이하로 전체 산업부분에서 차 지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임.(종사자 기준, 국가통계포털) 하지만 최근 울산 연안의 수온상승으로 인해 해조류와 규조류 성장이 빨라져 울주군 서생지역의 양식미역 종묘가 폐사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음. 66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2.3 기후변화전망

제2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제 2 장기후변화영향현황및예측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2장 기후변화 영향 현황 및 예측 5) 적설량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울산시의 적설량(일평균 적설량의 연간 평균) 전망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전반적으로 2000대 대비 2020대까지 증가하다가 2050대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2100대에 는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됨. 2000s 2020s 2050s 2100s 라. 의 기후변화 전망 결과 1) 평균기온 A1B시나리오를 이용한 울산시의 평균기온(일평균 기온온의 평균값)의 전 망결과, 2000대 대비 2100대에 4.2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됨. 평균기온은 대체로 북서부 산지쪽이 낮으며, 남동부 시가지와 공단지역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남구의 옥동, 신정동, 달동을 포함하는 지역 의 평균기온은 울산시 전체의 평균기온보다 약 1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2000s 2020s (그림 2-3-17) 미래 적설량 예측 결과 <표 2-3-15> 울산시의 미래 적설량 예측 구분 평균(cm) 최대(cm) 최저(cm) 대 대 대 대 2000 2020 2050 0.001647 0.002908 0.000517 0.00375 0.002042 ( ) 동구 0.011211 ( ) 울주군 0.001840 ( ) 울주군 0.001398 ( ) 0.000603 ( ) 0.000037 ( ) 0.000089 ( ) 0.000076 ( ) 북구 동구 동구 2100 울주군 2050s 동구 87 제2장 기후변화 영향 현황 및 예측 2) 강수량 A1B시나리오를 이용한 울산시의 평균강수량의 전망결과, 2000대 대 비 2100대에 연간 14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됨. 평균강수량은 대체로 북서부 산지쪽과 남부경계 쪽이 높으며, 동부 시 가지와 공단지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남구의 옥동, 신정동, 달동을 포함하는 지역의 평균강수량은 울산시 전체의 평균강수량보다 약 180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남. 2000s 2050s 2020s (그림 2-3-19) 평균강우 예측 결과 2100s 89 88 (그림 2-3-18) 평균기온 예측 결과 2100s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3.1 기후변화적응관련선행연구고찰 3.2 국내외기후변화적응대책수립사례 3.3 시사점도출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 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3.1 기후변화적응관련선행연구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a) 50 (b) 100 (c) 200 (d) 300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3장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고찰 HEC-GeoRA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Geospatial River 를 이용하여 홍수범람을 예측하였음 웅천천을 대상으로 HEC-GecRAS를 이용하여 횡단자료 구성, 자료를 접합하여 하도 구성 완료 후 홍수위 계산을 수행하여 하류 홍수범람 도 작성.37) Analysis System) 나. 국외 취약성 평가 사례 1) 유럽(EU 27개국+ 2개국) ESPON 프로젝트 하버드 Whartonry의 거대 위험도 관리프로젝트를 계기로 자연재해에 대해 세계적 규모의 재난과 대규모 손실 발생리스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임. 유럽의 ESPON 프로젝트(EU)는 전체적인 risk 종류에 대한 위험도를 정의하고 이에 취약도(vulnerability)를 결정하여 지도에 나타냄. Risk map과 Vulnerability map을 종합하여 통합재해지도(Integrated Risk Map)를 작성함. Hazards Cluster 단계에서 특정자연재해나 인적 재해들과 지역에 대한 상관관계를 통해 일부 지역에서 특정재해에 대 비하도록 함. ESPON에서는 유럽연합의 27개국과 이에 포함되지 않은 2개국(스위 스, 오스트리아)에 대해 위험도 평가를 실시 재해와의 연관성을 연구해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산불 위험도가 높아지는 연관성을 포함 이러한 결과가 반영된 통합재해지도를 통해 재해의 위험도와 취약도를 줄일 수 있고, 국가와 지방 정부 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정책을 제 안하여 위험관리(Risk Management)를 실시하고 있음. 38) (그림 3-1-7) HEC-GecRAS를 이용한 침수범람도 38) Geological Survey of Finland. 2006. The Spatial Effects and Managemen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in Europe Espon Monitoring Committee, Luxemburg. 37) 홍석현 등, 2009, HEC-GeoRAS를 이용한 홍수범람도 작성 실무적용 기법. 111 11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3장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고찰 를 이용한 평가 미국 FEMA의 강력한 재난위험 평가 도구인 HAZUS는 홍수(Flood), 지 진(Earthquake), 허리케인(Hurricane)의 영향력(Impact)을 화폐가치로 환 산하여 위험도를 보여줌. HAZUS는 취약지역을 판별하고, 이전에 발생하였던 재난과 비교하여 준비상황 정도 평가를 지원 또한, 특정 재난 사건들로부터 잠재적인 손실을 예측 가능하게 하며, 재난 대응 및 복구에 가장 효과적인 자원배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 원 HAZUS는 인벤토리(Inventory)와 해저드(Hazard), 함수(Function)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난의 특성과 피해대상 시설물이 데이터베이스이 고, 함수와 결합하여 재난피해를 산출 HAZUS의 기본 GUI는 GIS이고, FEMA와 협력하여 GIS 대표 업체인 ESRI에서 개발 HAZUS는 지진, 홍수, 허리케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직접 피해, 2차 피 해, 직접손실, 간접 손실을 예측함. 2) HAZUS 3) CATS 를 이용한 평가 Consequence Assessment Tool Sets(CATS)는 기반시설, 자원, 기술적 재해, 자연재해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는 시스템. CATS는 재해를 허리 케인,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와 산업사고, 테러리즘, 전쟁과 같은 기술적 재해로 구분함. 재난 관리자들에게 Training, Exercise, Contingency Planning, Logistical Planning 등의 심도 깊은 도움을 제공 (그림 3-1-8) 유럽(EU 27개국+ 2개국) ESPON 프로젝트 113 11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3장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고찰 기술적 또는 자연재해의 결과와 피해정도 관련성 분석을 통해 예측 평가함. 기술적 부분은 실시간 기상정보를 이용하며, 자연재해부분은 지진과 허리케인으로부터 결과값을 계산하여 제공함. 단지 재해 분포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결과값의 분석과 계산을 강 화시켜주는 시스템으로서 피해가능성을 공간적, 시간적으로 변화시키 는 특징이 있음. 이런 변화는 다양한 재해 시나리오의 생성과 효과적 으로 자원들을 위치시키고, 지속적인 응답 및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 록 지원함. CATS의 분석 툴은 사용자가 정보, 재해, 사망가능성의 복합 레이어들 의 결합 및 위험지역의 사람 수를 결정할 뿐 아니라 사회기반시설에 충격을 주는 이벤트와 재산피해의 확장 수준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됨. 넓은 범위의 사용자 특정 시설 데이터베이스들과 지리적 참조 벡터, 래스터, 사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유연성 제공함. 4) CVAT (그림 3-1-9) CATS 자연재해 를 이용한 평가 Community Vulnerability Assessment Tutorials(CVAT)는 미국해양대기 관리처(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의 재해취약성 평가를 위한 여러 가지 도구 중에 하나임. 미국해양대기관리처는 6단계의 절차로 커뮤니티에서 재해의 영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FEMA와 뉴 하노버 카운티 긴급상황 관리부(New Hanover County Department of Emergency Management)의 협업으 로 해안서비스센터(Coastal ServicesCenter)가 제작한 시스템임. (그림 3-1-10) CATS 기술적 재난 115 11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3장 국내외 선행연구 및 사례고찰 3.2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사례 1. 국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사례 가. 국가차원의 적응대책 수립 사례 1) 2)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 계획 2020까지 세계 7대, 2050까지 세계 5대 녹색강국 진입이라는 비전 으로 3대 추진전략 및 10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음. 3대 추진전략 및 10대 정책은 다음과 같음.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자립 : 효율적 온실가스 감축, 탈석유ㆍ에너 지 자립강화, 기후변화 적응역량 강화 신성장동력 창출 : 녹색기술개발 및 성장동력화, 산업의 녹색화 및 녹 색산업 육성, 산업구조의 고도화, 녹색경제 기반 조성 삶의 질 개선과 국가위상 강화 : 녹색국토ㆍ교통의 조성, 생활의 녹색 혁명, 세계적인 녹색성장 모범국가 구현 국가기후변화적응 종합계획(2009~2030)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 계획의 정책 방향에 따라 국가 적응정책 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기본계획임. 계획기간 : 2009~2030 단기 : 2009~2012 - 취약성평가 및 기반조성 등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업중심으로 추진 장기 : 2013~2030 -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업추진 - 기회 극대화 및 성장동력으로의 승화 117 (그림 3-2-1) 국가기후변화적응 종합계획의 비전과 전략 3) 118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 2015) 국가 기후변화적응 종합계획의 세부이행계획으로 환경부를 총괄부서로 하여 12개 부처(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 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국토해양부, 소방방재 청, 농촌진흥청, 산림청, )가 공동으로 건강, 재해 등 7개 부문별 적응대책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3개의 적응기반대책을 수립하였음.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3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3.3 시사점도출 제 3 장국내외선행연구및사례고찰

제4장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4.1 기후변화 적응 기반현황 및 설문조사 4.2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4.3 중점추진분야 선정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나. 분야별 국가 대책과 기존 울산시 정책과의 연계성 검토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상에 제시된 사업들과 지자체 연 계사업이 가능한 부분을 연구진의 판단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분 야별로 정리하였음. 또한 울산시의 추진 또는 계획중인 사업들을 조사하여 기후변화 적응 사업과 연계 가능한 현황을 정리하였음. 제4장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건강분야 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4.1 기후변화 적응 기반현황 및 설문조사 1. 1) 적응관련 정책현황 조사 분석 가. 관련 정책현황 조사 울산시 2011 세입/세출현황사업에 대한 적응 관련성을 분석하여 시 행중인 178개 세부사업을 제시하였음. 현재 울산시 관련 부서별로 수립 추진하고 있는 적응관련 정책들의 현 황 분석 후 분야별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2011~2015) 상의 지자체 관련 정책들과 연계성을 검토하였음. 기 추진된 적응관련 사업 분석을 통한 보완 및 신규정책 발굴을 위해 적응협의체(TF) 및 관련부서 담당자들의 검토와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적응대책 방향 및 사업을 설정하였음. 울산시의 현황에 맞는 적응대책 비전 및 분야별 전략 설정 후 기후변 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을 추진 계획하였음. 137 <표 4-1-1> 건강분야 중 지자체 연계가능 사업 현황 대책 추진과제)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관련부처 가. 폭염 및 자외선 건강영향 평가 및 감시체계 구축 A. 폭염의 건강영향 감시 및 취약성 평가체계 구축 ⅰ. 폭염관련 주요 질병별 건강영향 분석 및 모니터링 ⅱ. 응급실 기반 폭염관련 노인환자 및 심폐질환자발생 감시체계 운영 복지부, B. 고온건강경보시스템에 따른 질병 감시체계 구축 ⅰ. 고온건강경보시스템(HHWS)을 활용한 질병 및 환자 발생 감시 C. 자외선의 건강영향평가 실시 ⅰ. 자외선의 건강영향 분석 및 모니터링을 통한 위해성 및 피해예측, 건강문제의 파악 나. 폭염 및 자외선 피해 저감대책 마련 A. 노인 등 취약계층 집중 보호대책 수립 및 추진 Ⅰ-1 ⅰ. 폭염 취약계층 도우미를 활용한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폭염 및 ⅱ. 유치원, 보육시설 폭염대비 대책 추진 자외선 적응 ⅲ. 복지시설과 민간시설에 대한 시설 지원 강화(지자체 협조) ⅳ. 무더위 휴식 시간제(Heat Break) 운영 및 무더위 쉼터 제공 B. 폭염 취약군 건강관리지침 및 폭염대응 매뉴얼 개발 보급 복지부, 환경부, ⅰ. 폭염 취약군 건강관리지침 및 폭염대응 매뉴얼 개발, 산림청 C. 폭염의 취약성을 고려한 건축물과 도시계획 모델 수립 연구 ⅰ. 폭염 취약 지역을 위한 사회적 기반 구축 및 강화 ⅱ. 생태면적률 지표개선 및 제도 활성화 방안 마련 D. 폭염저감을 위한 도시생태네트워크 개선 등 시범사업 추진 ⅰ. 도시 녹색길, 녹색지붕, 도시숲, 가로수 등 도시 녹지공간 확충 ⅱ. 국 공유지 자투리땅을 활용한 동네 도시숲 조성 ⅲ. 도시 생태공간 확충을 위한 제도개선 및 재원확보 가.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 및 저감대책 마련 A.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감시체계 구축 ⅰ. 홍수, 태풍 등 기상재해에 따른 손상 및 사망 변동 감시 Ⅰ-2 ⅱ. 주요 만성질환자, 어린이 등 취약계층에 대한 감시체계 구축 복지부 기상재해 적응 ⅲ. 기상재해 취약지역과 취약계층의 진단을 통한 DB구축 및 취약성 평가 B. 상습 침수지역 및 위험인구 실태 기초조사 ⅰ. 기초 지자체(시 군 구) 단위로 저지대, 연안지역의 최근 5간 침수지역 실태 파악 ⅱ. 재해 사망자 상해자 대상 재해 역학조사 ( 138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Ⅰ-3 Ⅰ-4 Ⅰ-5 C., ⅰ., ⅱ. 24 D. ⅰ.. A. ⅰ. ⅱ. ⅲ.,, ⅳ. B. ⅰ.,, ⅱ.. A. (VectorNet) ⅰ. ⅱ. ⅲ. B. ⅰ. (VibrioNet) ⅱ. (EnterNet) ⅲ. (PulseNet). A. ⅰ. B. ⅰ.,,, C. ⅰ.. A. ⅰ. POPs,,, ⅱ., ⅲ.. A. ⅰ. ⅱ.. B. ⅰ.,, ( ) ⅱ. ⅲ. -, -(), - ⅳ.,, C. ⅰ. ⅱ. ⅲ.,, () ⅳ. D., ⅰ. (, ) ⅱ.,,, ⅲ. ⅳ. E. ⅰ. ⅱ. ⅲ. ⅳ.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 120,000 120,000 10,287,502 5,986,260 10,545,200 1,769,313 4,897,960 2,846,000 307,742, 1,117,000 31,800 225,000 250,000 115 612,000 800,700 3,015,000 2,009,060 161,500 10,545,200 1,709,313 60,000 329,826 329,826 52,124 52,124 657,228 335,698 393,568, 263,660 11,5020 156,628 2,800 61,250 746,888 746,888 372,420 166,680 22,740 183,000 57,380 57,380 82,000 82,000 26,000 26,000 () Ⅱ-1 Ⅱ-2. A. ⅰ. (, ) ⅱ. ⅲ. ⅳ. B. ⅰ. ⅱ. ( ). A. ⅰ. ( ) ⅱ. ⅲ. ⅳ. B. ⅰ. C. ⅰ. ⅱ.. A. ⅰ. DB B. ⅰ. ⅱ. ⅲ. ⅳ. () C. ⅰ.. A. ⅰ., ⅱ. B. ⅰ. ⅱ. DB C. ⅰ. ⅱ.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A. ⅰ. ⅱ. B. ⅰ. (,, ) C. ⅰ. ⅱ. ⅲ. IT D. ⅰ. (, ) ⅱ.. A. ⅰ. ( ) B. ⅰ. C. ⅰ. ⅱ. ⅲ. D. ⅰ. ⅱ. IT. A. ⅰ. ⅱ. (pond ) ⅲ. ⅳ., B. ⅰ. ⅱ. C. ⅰ. ⅱ.. A. ⅰ. ⅱ. C. () ⅰ. ⅱ. ⅲ., D. ⅰ. ⅱ. ( ). A. ⅰ. () Ⅱ-3 ⅱ. ( ) ⅲ. ⅳ. B., ⅰ. ⅱ., ( ), ( ) ⅲ.. A. ⅰ. ⅱ. B. ⅰ. ⅱ. C. ⅰ. '30 50% ⅱ.. A. DB ⅰ. ⅱ., ⅲ. DB B. ⅰ. ⅱ. C. ⅰ. ⅱ. D. ⅰ.,,. A. ⅰ. ⅱ. ⅲ. ⅳ. ⅴ. B. ⅰ. C. ⅰ. ⅱ. D. ⅰ. ⅱ. A. ⅰ. ⅱ. ⅲ. B. ⅰ. ⅱ.,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C. ⅰ. ⅱ. ⅲ.. A. ⅰ. ⅱ. ⅲ. B. ⅰ. ⅱ. () () () 41,931 1,458 52,124 52,124 83,480 83,480 15,000 15,000 4,999,620 7,769,282, 1 4,775,830 40,000 45,000 117,000 11,790 10,000 (BTO) (BTO) 3,282,282 4,487,000 8,025,930 8,025,930 498,850 388,800 10,050 100,000 () () 97,000 97,000 12,000 12,000 51,810 11,430,962 31,810 20,000 11,067,000 290,000 () 30,573 141,993,, 141,993 108,728 108,728 25,000 25,000 1,069,730 1,069,730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Ⅲ-1. C. ⅲ.. A. ⅲ. ⅱ. B. ⅰ. ⅱ. ⅲ. ⅳ.. A. ⅰ. IT ⅱ., ⅲ. B. ⅰ. ⅱ. ⅲ. C. ⅰ. ⅱ. () Ⅲ-2. A. ⅰ. B. ⅰ. C. ⅰ.,. A. ⅱ. B. ⅰ. E. ⅰ. ⅱ.. A. ⅱ.,, ⅲ. DB ⅳ. B. ⅰ. ⅱ. ⅲ. ⅳ. ⅴ. C. ⅱ.. A. ⅰ. ⅱ.. A. ⅰ., ⅱ. ⅲ., ⅳ. DB C. ⅰ. ⅱ. ⅲ. ⅳ. D. ⅰ. ⅱ., ⅲ.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 () () 550,674 550,674 3,689,991 527,985 2,255,536 1,300,000 1,732,500 390,270 267,221 143,000 121,275 218,750 44,960 1,779,592 475,944 133,200 133,200 109,850 109,850 51,840 174,805 636,790 465,480 41,840 () 10,000 146,805 () 28,000 162,000 () 474,790 175,480 290,000 160,805 160,805 250,445 103,000 215,000 219,900 963,667 200,000 () () 50,445 103,000 215,000 96,900 108,900 4,500 (HACCP ) 9,600 142,363 375,764 85,700 359,840 803,598 316,076 () Ⅳ-1 Ⅳ-2 Ⅳ-3. A. ⅰ. B. ⅰ. (4). A. ⅰ.,, B. ⅱ.. /. B., ⅱ.. A. ⅱ. B. ⅱ. (Hazard map) 98,850 108,792 205,380 74,500., A. ⅱ. ⅲ., B. / ⅰ. ⅱ.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 () Ⅴ-1 2,845,984 185,350 2,660,634 57,930 57,930 6,817,758 () 607,784 3,699,520 1,498,001. A. ⅰ. ⅲ. B. ⅰ. ⅱ.. B. ⅰ. ⅱ. 1,012,453 () Ⅴ-2 Ⅴ-3. C. ⅰ. ⅱ.. A. ⅰ. ⅱ. - ⅲ. B. ⅰ. ⅱ., ⅲ.. A. ⅰ. ⅱ. ⅲ. ⅴ. C. ⅰ. ⅱ.. A. ⅰ. - (Biogeochemistry) ⅱ. ⅲ. B. ⅰ. C. ⅰ. ⅱ., D. ⅰ.. A. ⅰ.,,, ⅱ.. C. ⅰ.. B. ⅱ. ⅲ. C. ⅰ. ⅱ. ⅲ. D. ⅰ. ⅱ. ⅲ.,,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 () Ⅵ-1 802,960 802,960 3,491,480 442,269 1,004,160 729,560 37,500. A. ⅰ. ⅱ. ⅲ. (IT) 60,260 910,000 750,000 294,423 59,000 2,846 86,000, () Ⅵ-2 B. ⅰ. ⅱ., ⅲ. ⅳ. DB. A. ⅰ. ⅱ. ⅲ. DB B. ⅰ. ⅱ.. A. ⅰ. B. ⅰ. C., ⅰ. D. ⅰ. 12 ⅱ. ('08~'18). A. ⅰ. ⅱ. B. ⅰ. ⅱ. ⅲ.. A. ⅰ. B. ⅰ. C. ⅰ. ⅱ. D. ⅰ. - ⅱ., ⅲ.,. A. ⅰ. ⅱ. B. ⅰ. C. / ⅰ. ⅱ. D. ⅰ., ⅱ.,,,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Ⅵ-3. A. 4 ⅰ., ⅱ.,,, ⅲ. (620 km ), ⅳ. (929 km ), (15,686 m2 ), (35), ⅴ. B. 4 ⅰ. 4 3,814( 43, 3,771) 27,858km ⅱ. 4 4 ⅲ. C. ⅰ. ⅱ. ⅲ. D. ⅰ. ⅱ. E. ⅰ. 4 F. ⅰ. Eco-River, Green River R&D ⅱ. IT, BT. A. ⅰ. R&D ⅱ. Flagship ⅲ. ⅳ. ⅴ. ⅵ.,. A. ⅰ. ⅱ. B. ⅰ.,,, ⅱ. C. ⅰ., ⅱ. () () 272,940 1,197,150 18,408,204 112,395 20,204,400 5,000,000 265,440 7,500 7,805,600 ( ) 8,786,000 650,000 716,604 450,000 1,197,150 112,395 20,204,400 5,000,000 10,000,000 10,000,000 94,063 16,000,000 18,340 75,723 16,000,000 2,000,000 2,000,000 200,000 1,072,390 2010 200,000 36,000 40,000 21,390 975,000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 () 891,332 265,440, 1 1 722,732 150,000 18,600 265,440 () () 441,403 171,654 269,749 () Ⅶ-1 Ⅶ-2. A. B.. B. ⅱ.. // D. DB ⅰ.,, E. ⅱ.. C. ⅰ. ⅱ., ⅲ. E. ⅰ.,,,,,,,,,, () Ⅶ-1. 3 A. 3(,, ) ⅰ. ⅱ. ⅲ.,, 3,, B., ⅰ. C. ⅰ. ⅱ. ⅲ.. () A. ⅰ. ⅱ. B. ⅰ. ⅱ. ⅲ.,, C. ⅰ. ⅱ. Ⅶ-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 대책 추진과제) 예측자료 생산 Ⅶ-3 한국형 예측모델 개발 Ⅶ-4 감시예측정보 활용체계 구축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관련부처 동아시아 한반도 지역규모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검증 국제공동 지 역기후 상세화프로그램 사업과 연계한 동아시아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앙상블 실험 동아시아 지역 및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및 검증 수요자 맞춤형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부문별 농업 산림 생태계 보건 에너지 등 맞춤형 시나리오 개발 지역별 도시 산악 연안 평지 등 맞춤형 시나리오 개발 독자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및 검증 독자 지구시스템모델을 이용한 전 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기반조성 및 사 례실험 ⅱ. IPCC 6차보고서(AR6) 전 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ⅲ. 전 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및 검증 나. 지역 기후 및 극한기후 정보 생산 A. 한반도 지역(권역)별 분야별 맞춤형 기후변화 정보 생산 ⅰ. 지방별 관측자료를 이용한 관할구역 기후변화 정보 생산 ⅱ. 농업, 생태계 등 지역특화 산업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B. 한반도 지역(권역)별 분야별 미래 극한기후정보 생산 ⅰ. 폭염, 가뭄, 홍수 등에 관한 지역별 미래 극한기후 정보 생산 ⅱ. 지역별 극한기후를 활용한 상세 지역기후변화 영향 대응정보 생산 ⅲ. 미래 극한기후 정보 생산 및 이상기후 유발현상 상세영향 평가 C. 지역별 분야별 상세 기후정보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 ⅰ. 한반도 상세 지역 기후변화 정보 생산을 위한 통계적 지역 구분 및 상세화 기법 개발 ⅱ. 지역별 상세 극한기후정보 생산을 위한 통계기술 및 미래 극한기후 예측기술 개 발 가. 전 지구 기후변화예측모델 개발 B. 선진 지구시스템모듈 원천기술 개발 ⅰ. 대기-해양-해빙 물리과정 모수화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ⅱ. 통합 지구시스템모델 선진화를 위한 추가 모듈 개발 C. 해양 기인 중장기 기후변동 연구 및 예측모델 개발, 환경부, ⅰ. 한반도 연안역, 주변해, 북태평양 해양 순환모델 개발에 따른 엘니뇨 변화, 해수 교과부, 국토부 면, 수온, 순환, 성층 등 해양 예측정보 생산 ⅱ. 해양-대기 상호작용에 의한 기후변동 물리적 기작 이해 ⅲ. 한반도 주변 권역별 해수면, 수온, 성층, 해수 유동변화도 작성 ⅳ. 주요 연안역에 대한 기후변화에 따른 지형 지질환경 수질환경 변화 예측도 작성 및 국가경제 영향모델 수립 나. 한반도 지형에 적합한 지역기후모델 개발 A.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을 위한 지역기후모델 개발 ⅰ. 선진 지역기후모델 벤치마킹 및 모델 구성 환경(영역, 해상도 등) 최적화 ⅱ. 관측재분석자료를 이용한 모델 성능평가 및 물리과정 민감도 연구 ⅲ. 선진 지구시스템모델에 활용 가능한 지역기후예측모델 개선 ⅳ. 지역기후모델 불확실성 평가기법 개발 가. 극한 기후 조기 예 경보 기술 고도화 A. 재해대응을 위한 초단기 및 고해상도 조기 예 경보 자료생산 ⅰ. 초단기(6시간 이내)의 재해기상 예측전용 모델 개발 ⅱ. 정량적 강수예측기술 정교화를 통한 조기 예 경보 기술 개발 ⅲ. 차세대 관측기술(레이더, 위성 등)과 연계한 대기의 3차원 분석기술 고도화 ⅳ. 물관리, 돌발홍수예측 등의 수문방재를 위한 연계기술 개발 ⅴ. 극동아시아 기상환경 변화 감시를 위한 고해상도 재분석 자료 생산 B. 재해기상 집중관측을 통한 기상예측모델 물리과정 정교화 ⅰ. 구름레이더, 라디오미터 등을 이용한 구름-복사 상호작용 집중관측소 운영 ⅱ. 관측기반의 기상 기후모델의 구름물리 복사과정 정교화를 통한 재해기상 예측성 향상 ⅲ. 지표과정을 고려한 재해기상 규명 기술 개발 나. 기후 대기환경 통합 예측 모델링 시스템 구축 운용 환경부 ( B. ⅰ. CORDEX(COordinated Reginal climate Downscaling EXperiment: ) ⅱ. ⅲ. C. ⅰ. (,,,, ) ⅱ. (,,, ) D. ⅰ. 159 대책 추진과제) 나) 울산시의 관련 사업 울산시의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분야 기후변화 적응관련 사업을 조사 한 결과, 현재 기후변화 현상 감시, 감시예측정보 활용체계 구축 관련 대책은 부산지방 산하 울산기상대에서 진행하고 있음. 울산 지역의 특성에 맞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후변화 감시 관 리와 효과적인 적응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와 울 산기상대와의 긴밀한 협조체계구축이 필요함. 적응산업/에너지 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9) <표 4-1-16> 적응산업/에너지분야 중 지자체 연계가능 사업 현황 대책 추진과제)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가. 산업/에너지 분야 기후변화 영향 예측 및 취약성 평가 A. 산업분야별 기후변화 영향예측 및 취약성 평가 ⅰ. 2차 3차 산업으로 구분,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추진 B. 에너지 분야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Ⅷ-1 ⅰ. 에너지 공급계획사업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추진 영향 및 에너지 공급 계획에 기후변화 영향 반영 방안 마련 취약성 평가 C.ⅱ.기후변화로 인한 발전부문 효율 변화 평가 ⅰ. 기상 재난으로 인한 발전효율 영향 평가 ⅱ. 수자원 부족으로 인한 수력발전 효율 영향 평가 ⅲ. 화석연료 사용 증대로 인한 발전효율 영향 평가 Ⅷ-2 가. 산업분야별 적응대책 수립 유도 ( 대책 추진과제) 관련부처 지경부, 환경부 지경부, 문화부, 16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관련부처 산업분야별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마련 차 산업(광물 산업 부문) 및 2 3차 산업의 분야별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마 련 B. 산업분야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교육 홍보 ⅰ. 1차, 2차, 3차 산업별 적응대책 수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산업분야별 기후변화 적 응 교육 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ˊ11) ⅱ. 자동차, 철강,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별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적 응에 대한 교육 실시 환경부 ⅲ. 적응의 필요성, 산업분야별 영향 및 취약성, 국 내외 우수사례 등을 바탕으로 대 중매체, 언론사 등을 활용한 홍보활동 전개 ⅳ. 기후변화 적응 우수 기업 선정을 통하여 기업의 적응대책 수립을 유도하는 한편, 국민에게 기후변화에 안전한 기업 홍보 C. 국내 외 산업분야 적응 인벤토리 작성 및 활용시스템 구축 ⅰ. 국내 기업의 원활한 적응대책 수립을 위하여 관련 자료 등을 제공하는 웹기반 시스템 개발 운용 및 교육 방안 마련 나.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유망사업 발굴 및 지원 A. 분야별 기후변화 적응 신사업 유망사업 발굴 및 지원 기후변화 기후 예측 산업 및 응용 분야 산업, 기상 산업 발굴 및 지원 위기관리 및 ⅰ. 기후변화와 관련한 기상 재난 채권, 기상보험산업 등 녹색금융산업 발굴 및 지원 기회 활용 ⅱ. ⅲ. 다양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사업 및 기술 발굴, 지원 지경부, 환경부, ⅳ. 에너지 효율화 및 저장 장치 기술을 통한 안정적 에너지 공급 사업 국토부 ⅴ. 기후변화에 특화된 홍보 마케팅 산업 발굴 육성 ⅵ. 기후변화 적응산업으로서 생태관광 추진기반 확립 B.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전문인력 양성 ⅰ. 기후변화특성화 대학원 등과 연계, 적응정책 및 신사업 개발 지원을 위한 전문인 력 양성 추진 다. 기후변화로 인한 에너지 공급 안정성 확보 A. 국가 재난관리시스템 연동 에너지 공급시설 관리체계 구축 ⅰ. 국가 재난시스템 연동 에너지 공급시설 관리체계 구축 연구 ⅱ. 국가 재난시스템 연동 에너지 공급 부족비상 사태 대응 구축 방안 마련 및 대체 방안 수립 지경부 ⅲ. 기후변화 모델 최신화를 통한 에너지 공급 부족 방지 시스템 운영 체제 수립 B. 수온상승에 따른 발전시설 관리기준 개선 ⅰ. 수온상승에 따른 발전시설 관리방안 연구 및 관리기준 개선 C. 물 에너지 사업 추진을 통한 에너지 공급 확보 ⅰ. 수자원 부족에 따른 수력 발전시설 관리방안 연구 및 기준 개선 (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관련부처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 감시망 확대 기후변화유발물질 및 대기오염물질 동시감시 집중측정소 기능 확대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국제 공동 감시 확대 기후 대기환경 통합예측시스템 개발 및 운영 배출량시나리오에 대한 통합 예측 시스템 개선 및 운영 기후 및 대기환경 통합시스템을 이용한 기후변화 안정화 시나리오 모델 개발 수 행 다.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정보 서비스 강화 B. WEB GIS 기반의 기후변화 관련 정보 시스템 구축, 환경부 ⅰ. 한반도 실정에 맞는 기후변화 감시 예측 및 영향에 관한 모든 정보를 WEB GIS 기반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구축 제공 A. ⅰ. ⅱ. B. ⅰ. IPCC ⅱ. <표 4-1-17> 울산시 적응산업/에너지분야 기후변화 적응사업 현황 대책 A. ⅰ. 1 예산액(천원) 환경활동지원 250,000 신재생에너지보급 3,564,000 전략산업 육성 기반 구축 9,868,000 기후변화 위기관리 및 기회 활용 전략산업 기업지원 나) 울산시의 관련 사업 울산시의 적응산업/에너지분야 기후변화 적응관련 사업을 조사한 결과, 현재 기후변화 위기관리 및 기회 활용 관련 대책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음. 기후변화 위기관리 및 기회 활용 관련 적응대책은 환경녹지국 환경정 책과, 경제통상실 경제정책과, 산업진흥과에서 진행하고 있음. 161 적응관련 정책 162 8,273,600 세부사업 예산액(천원) 울산지역환경기술개발 250,000 센터운영 신재생에너지 사업 723,000 지역에너지 절약 사업 2,841,000 신화학실용화센터 건립 2,338,000 친환경청정기술센터 건립 4,530,000 바이오화학 실용화센터 1,400,000 구축 그린 자동차 연구기반 1,000,000 구축 저차원 탄소 혁신소재 600,000 연구센터 건립 화학신소재산업 육성 423,600 2단계 생태산업단지 500,000 구축사업 지역에코혁신사업 100,000 환경산업 기업지원 580,000 환경산업 인력양성 580,000 진략산업기획단 운영 1,470,000 지역혁신거점 육성사업 800,000 광역연계협력사업 1,130,000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490,000 (RIS 사업) 정밀화학 혁신기술개발 800,000 사업 지방기술혁신사업(정밀화 400,000 학) 환경산업 기술개발 100,000 지원사업 지역기반육성기술개발사 900,000 업 소관부서 환경정책과 경제정책과 산업진흥과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1-19> 울산시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분야 기후변화 적응사업 현황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 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표 4-1-18>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 분야 중 지자체 연계가능 사업 현황 10) 대책 추진과제) 세부과제 및 사업내용 가. 기후변화 적응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A. 기후변화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 및 체험 인프라 확대 ⅰ. 기후변화 적응 포럼 및 워크숍 등 개최 ⅱ. 기후변화 적응분야 전문인력 양성 Ⅸ-1 기후변화 교육 체험관 설치 운영 교육 홍보 및 나ⅲ. 적응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및 기반 구축 기반구축 A.. 기후변화 적응대책 추진 지원기반 마련 ⅰ. 분야별 지역별 적응계획 수립 및 이행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 C. 주요 당사자와의 기후변화 적응 협력 강화 ⅰ. 정부 지자체 적응 파트너십 구축 가.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 협력기반 구축 A. 국제사회와의 전문인력 및 연구 교류 활성화 Ⅸ-2 국제사회와의 적응 네트워크 확대 및 전문가 회의 개최 국제협력 B.ⅰ.국제사회 협력 확대 ⅳ. 적응 분야별 국제협력사업 추진 ( 대책 관련부처 환경부 관계부처 교육 홍보 및 기반구축 관계부처 예산액(천원) 자연형 하천조성 및 수변정화 880,000 환경홍보 및 교육 80,000 그린스타트 운동 498,000 연구용역 전염병 전문가교육 전염병 환자 격리 치료 농업인 복지 및 생활환경개선 나) 울산시의 관련 사업 울산시의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분야 기후변화 적응관련 사업을 조사 한 결과, 현재 교육 홍보 및 기반구축의 경우 관련 대책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국제협력분야의 경우 국제환경회의에 참석하는 수준 임. 교육 홍보 및 기반구축 관련 적응대책은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 복지 여성국 보건위생과, 경제통상실 농축산과, 그리고 교통건설국 민방위 재난관리과 등 다양한 부서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국제협력 관련 적응 대책은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에서 추진하고 있음. 163 농업인 소비자 교육 재난예방 자연재해 종합관리 국제환경 협력강화 국제협력 200,000 42,200 7,840 731,540 10,000 69,914 145,952 39,500 세부사업 예산액(천원) 소관부서 제10회 강의 날 개최 70,000 지원 울산4대강 생태문화 810,000 가꾸기 사업 환경홍보 및 교육추진 30,000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50,000 환경정책과 지원 그린스타트 운동지원 기후변화적응 대책수립 용역 전염병 전문가교육 전염병 환자 격리 홍보 녹색농촌체험마을조성 및 사무장 채용 농어촌 테마 공원 조성 녹색성장 농심체험 시범농장 자연재해예방 홍보 재난대응 및 안전문화 운동 홍보 국제환경회의 참석 498,000 200,000 보건위생과 42,200 7,840 187,540 농축산과 544,000 농업기술센터 10,000 69,914 145,952 39,500 민방위 재난관리과 환경정책과 16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2. 적응관련 정책 <표 4-1-20> 응답자 분포 현황 기후변화 적응관련 시민인식조사 가. 조사개요 성별 울산시 기후변화 적응계획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울산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음. 1) 조사기간 : 2011 10월 31일 ~ 11월 11일 2) 설문대상 울산시에 거주하는 시민으로 직업별로는 공무원, 사무/기술직, 경영/관 리직, 판매/서비스직, 전문/자유직, 생산/운수직, 자영업, (전업)주부, 학생, 무직, 기타 등의 종사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함. 각 응답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거주지, 학력, 월소득의 분포현 황은 <표 4-1-20>과 같음. 3) 조사방법 울산시 5개 구ㆍ군 시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배포 및 면접을 통한 조사 를 시행하였음. 4) 설문항목 설문항목은 총 11항목이며, 설문내용은 시민이 느끼는 기후변화에 대한 일반적 인식조사, 국가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관련 조사 등으로 구성됨. 연령 거주지 직업 학력 월소득 165 166 항목 남 여 합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합계 울주군 남구 중구 동구 북구 합계 공무원 사무/기술직 경영/관리직 판매/서비스직 전문/자유직 생산/운수직 자영업 (전업)주부 학생 무직 기타 Missing 합계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Missing 합계 150만원 미만 150~300만원 300~500만원 500만원 이상 Missing 합계 빈 도(명) 비율(%) 466 534 1,000 42 107 264 376 149 62 1,000 182 301 201 156 160 1,000 33 127 40 109 72 62 89 315 86 37 30 1,000 73 500 427 1,000 318 381 249 52 1,000 46.6 53.4 100.0 4.2 10.7 26.4 37.6 14.9 6.2 100.0 18.2 30.1 20.1 15.6 16.0 100.0 3.3 12.7 4.0 10.9 7.2 6.2 8.9 31.5 8.6 3.7 3.0 100.0 7.3 50.0 42.7 100.0 31.8 38.1 24.9 5.2 100.0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구분적게받음 기후변화영향 많이받음점수 1 2 3 4 5 구분작음 적응능력 큼점수 1 2 3 4 5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4.2 기후변화취약성평가 대상대응변수의값 대응변수값중최소값 표준화식 대응변수값중최대값 대응변수값중최소값 취약성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 는가중치를의미함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① 기후노출 폭염으로 인한 실질 및 체감온도와 관련된 변수로 극심한 기온상승으 로 인한 기후노출을 적절히 반영하는 기온변수로 선정함. ② 민감도 인구특성 및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건강취약인구는 기후변화에 민감 한 집단이므로 건강 취약계층의 변수로 선정. 폭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사병/일사병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폭염으로 인한 특성을 반영하는 변 수이기에 민감도 지표로 선정. ③ 적응능력 건강 위험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보건의료체계와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적응능력변수로 선정. 현재 44)45)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현재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전라도와 경상도를 포함한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북부 지방에 비해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전국의 미래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내륙의 평야 지대에서 낮은 산지 로 또는 남부 지방에서 중부 지방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영남 내륙 지방에 비해 호남 지방의 취약성 증가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남. 울산의 현재 폭염 취약성 지수를 전국 지자체별 평균값과 비교해보면, 울산의 폭염 취약성 지수는 0.117로 전국 지자체 평균인 0.47 보다 낮 은 것으로 나타남. 2050 2020 2100 (그림 4-2-1) 전국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중구가 0.425로 가장 높았으며 산악 지역이 많은 북구의 경우 0.282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 미래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대부분의 구군에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음. 44) IPCC, 2007, Climate change : Physical science basis. Paris, France. 45) Jongsik Ha, Ho Kim, Shakoor Hajat, 2011, Effect of Previous-Winter Mortal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ummer Temperature and Mortality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Health Presepctives. 191 19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2-2> 기타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현재 2020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2050 2100 (그림 4-2-2) 울산시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자료명 일최고기온 CO(주거난방외 배출량) CO(산업 배출량) SOx(주거난방외 배출량) SOx(산업 배출량) NOx(주거난방외 배출량) NOx(산업 배출량) 65세이상 인구 13세이하인구 독거노인비율(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비율 호흡기질환 입원 환자수 심혈관질환 사망자수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건강보험 적용인구 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수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인력수 GRDP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자료 ① 기후노출 기타 대기오염물질의 노출 영향을 잘 대변하는 변수를 선정함과 동시 에 기온상승과의 교호작용 역시 고려하여 기후노출 항목을 세부 변수 로 선정함. ② 민감도 인구특성 및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건강취약인구는 기후변화에 민 감한 집단이므로 건강 취약계층의 변수로 선정. 기타 미세먼지 농도의 상승으로 인해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이 를 반영하는 변수를 민감도 지표로 선정함. 기타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기타 대기오염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3>과 같이 민감도, 노출, 적응 능력으로 구분됨. 2) 46)47)48)49) 46) Ren, C. Tong, S, 2006, Temperature modifies the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in Brisbane, Australia. Int J Biometeorol. 51(2): 87-96. 193 19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건강분야의 적응능력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의료체계 등의 의료 인프 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역 등 체계적인 사전적 대응 및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체계(surveillance)가 필요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공중보건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50)51)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지역별로는 경상도 지 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자동차 통행량이 많은 서울을 포함한 6개 광역 대도시에서 높게 나타났음. 전국의 미래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대기오염 취약성은 내륙지방 에서 해안지방으로 확대되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울산의 현재 기타 대기오염 취약성 지수를 전국 지자체별 평균값과 비 교해보면, 울산의 대기오염 취약성 지수는 0.03로 전국 지자체 평균인 0.81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장래 기타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의 경우 큰 변 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현재 205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2050 2100 196 <표 4-2-3> 수인성 매개질환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2020 2100 ② 울산시 울산시의 기타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남구가 0.97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구군의 경우 취약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남구의 경우 다른 도시에 비해 대규모 공단이 많이 있고, 특히 점오염 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 미래 대기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현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그림 4-2-3) 전국 기타 대기오염물질 취약성 평가 결과 47) Qian, Z. He, Q. Lin, HM. Kong, L. Bentley, CM. Liu, W. et al, 2008, High temperatures enhanced acute mortality effects of ambient particle pollution in the oven city of Wuhan, China. Environ Health Perspect,116(9):1172-1178. 48) Katsouyanni, K. Pantazopoulou, A. Touloumi, G. Tselepidaki, I. Moustris, K. Asimakopoulos, D. et al., 1993, Evidence for interac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high temperature in the causation of excess mortality. Arch Environ Health, 48(4): 235-242. 49) Ae Kyung Park, Yun-Chul Hong, Ho Kim, Effect of changes in season and temperature on mortality associated with air pollution in Seoul, Korea,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0) Marmot, M.G., Wilkinson, R. G, 2006,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51) Vincent, Katharine, 2004, Creating an index of social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or Africa. Tyndall Centre for Climate Change Research, Working Paper 56. 195 2020 자료명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 일최고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수 일최대강수량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의 수 65세이상 인구 13세이하인구 독거노인비율(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수인성 질환자 수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건강보험 적용인구 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수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인력수 GRDP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① 기후노출 수인성 매개질환은 온도와 습도가 밀접한 함수관례를 가지고 있는 질 환으로 특히 고온 다습한 조건을 조성하는 기후노출 요소들을 노출 변 수로 선정함. ② 민감도 건강 취약계층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구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 와 관련된 주요 변수를 민감도 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질병특이성을 반 영할 수 있는 민감도 변수로 수인성 질병 발병과 관련된 변수를 선정 함. (그림 4-2-4) 울산시 기타 대기오염물질 취약성 평가 결과 수인성 매개질환의 건강 취약성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수인성 매개질환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4>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됨. 3) 52)53) 52) 박윤형 등, 2006, 기후변화에 의한 전염병 발생 영향 통합관리체계 구축. 53) 신호성, 김동진, 2008, 기후변화와 전염병 질병부담. 197 자료 19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건강분야의 적응능력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의료체계 등의 의료 인프 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역 등 체계적인 사전적 대응 및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체계(surveillance)가 필요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공중보건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수인성 매개질환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산림지 역보다는 농촌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남. 울산의 현재 수인성 매개질환에 의한 지수를 전국 지자체별 평균값과 비교해보면, 울산의 수인성 매개질환에 의한 취약성 지수는 0.063로 전 국 지자체 평균인 0.44보다 낮게 나타남. 울산은 다른 시도에 비해 낮은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경상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장래 울산시의 수인성 매개질환에 의한 취약성을 예측한 결과, 점차 취 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199 현재 2020 2050 2100 (그림 4-2-5) 전국 수인성 질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수인성 매개 질환에 의한 취약성 평가결과, 울주군의 경우 상 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 중구, 남구, 동구, 북구는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하지만 장래 예측결과, 온도변화가 큰 북부지역인 북구의 취약성이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00에는 북구지역이 다른 구 군에 비해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0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2-4> 한파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자료명 일최저기온이 영하인 날의 수 일 평균기온이 영하인 날의 수 연속적인 무강사량일의 최대값 최대 풍속이 14m/s이상인 날의 수 적설량 65세이상 인구 13세이하인구 독거노인비율(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비율 호흡기질환자수 뇌혈관질환 사망자수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건강보험 적용인구 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수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인력수 GRDP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기후노출 (EI) 현재 2020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2050 2100 (그림 4-2-6) 울산시 수인성 질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자료 ① 기후노출 한파로 인한 실질 및 체감온도와 관련된 변수로 극심한 기온하강으로 인한 기후노출을 적절히 반영하는 기온변수로 선정함. ② 민감도 인구특성 및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건강취약인구는 기후변화에 민 감한 집단이므로 건강 취약계층의 변수로 서정. 한파 시 뇌혈관질환으 로 인한 사망의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이를 반영하는 변수를 민감도 지 표로 선정함. 한파에 의한 건강 취약성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한파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5>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됨. 4) 54) 54) Jongsik Ha, Joungho Yoon, Ho Kim, 2009, Relationship between winter temperature and mortality in Seoul, South Korea, from 1994 to 2006,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7):2158-2164. 201 20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건강분야의 적응능력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의료체계 등의 의료 인프 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역 등 체계적인 사전적 대응 및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체계(surveillance)가 필요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공중보건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한파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영하인 날의 수가 많은 강원도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한파에 의한 취약성은 0.223으로 나타나 전국 평균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음. 장래 울산시의 한파에 의한 취약성은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됨. 현재 2050 2020 2100 (그림 4-2-7) 전국 한파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한파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현재 울산시의 외곽지역인 울 주군과 북구가 높게 나타남. 하지만 장래 예측결과,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로 인해 장래 온도가 증 가하기 때문에 일최저기온이 상승하고, 일평균기온이 영하인 날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한파에 의한 취약성은 장래에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나 타남. 203 20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2-5> 미세먼지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현재 2020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2050 2100 자료명 일최고기온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시간 미세먼지 농도 0.1ppm이상이 존재하는 일수 65세이상 인구 13세이하인구 독거노인비율(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비율 호흡기질환자수 뇌혈관질환 사망자수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건강보험 적용인구 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수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인력수 GRDP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자료 ① 기후노출 미세먼지의 노출 영향을 잘 대변하는 변수를 선정함과 동시에 기온상 승과의 교호작용 역시 고려하여 기후노출 항목을 세부 변수로 선정함. ② 민감도 인구특성 및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건강취약인구는 기후변화에 민 감한 집단이므로 건강 취약계층의 변수로 선정. 미세먼지 농도의 상승 으로 인해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이를 반영하는 변수를 민감도 지표로 선정하였음. (그림 4-2-8) 울산시 한파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미세먼지에 의한 건강 취약성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미세먼지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5>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됨. 5) 55)56) 55) 박영옥, 2002, 실내 생활공간에서의 미세먼지 오염 특성 및 제어 기술. 56) Okhee Yi, Yun-Chul Hong, Ho Kim, 2010, Seasonal effect of PM10 concentrations on mortality and morbidity in Seoul, Korea: A temperature-matched case-crossover analysis, Environmental Research, 110(1): 89-95. 205 20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건강분야의 적응능력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의료체계 등의 의료 인프 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역 등 체계적인 사전적 대응 및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체계(surveillance)가 필요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공중보건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미세먼지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경주시, 안동 시, 상주시 및 의성군에서 높게 나타났음. 울산의 미세먼지에 의한 취약성은 0.081로 나타났으며, 장래 울산시의 미세먼지에 의한 취약성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2050 2020 2100 (그림 4-2-9) 전국 미세먼지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미세먼지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현재 울산시의 중부지역 인 중구와 남구에서 높게 나타났음. 하지만 장래 예측결과,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의 변화가 상 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207 20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전염병 취약성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6>과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으로 구분됨. 6) <표 4-2-6>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현재 2020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2050 2100 (그림 4-2-10) 울산시 미세먼지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적응능력 (AI) 209 210 자료명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 일최고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수 일최대강수량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의 수 65세이상 인구 13세이하인구 독거노인비율(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비율 연간 평균 말라리아 환자 발생수 연간 평균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수 지역내총생산 재정자립도 건강보험 적용인구 비율 인구당 보건소 인력수 인구당 응급의료기관 인력수 GRDP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 자료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① 기후노출 곤충 및 설치류 등을 매개체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고온과 강수량 등에 밀접한 상관관성이 밝혀져 있음. 온도와 습도의 상승은 매개 곤충의 번 식속도를 가속시키며 또한 서식지의 변화를 가져오는 등의 영향을 미치 며 홍수와 같은 많은 강우 이후 설치류에 의한 매개질환이 증가하는 것 으로 알려짐. 이에 따라 기온과 온도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② 민감도 건강 취약계층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구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주 요 변수를 민감도 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질병특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민감도 변수로 말라리아 및 쯔쯔가무시증의 발병과 관련된 변수를 선 정함. ③ 적응능력 건강분야의 적응능력은 사회경제적 요인 및 의료체계 등의 의료 인프 라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역 등 체계적인 사전적 대응 및 신속하고 정확한 감시체계(surveillance)가 필요로 하는 전염성 질환은 공중보건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이와 관련된 변수를 선정함.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전국에 대해 실시한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전라북 도 및 부산광역시에서 높게 나타났음. 울산의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은 0.03으로 나타났으며, 장래 울 산시의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57)58) 59) 현재 2050 2020 2100 (그림 4-2-11) 전국 곤충 및 설치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57) 박윤형 등, 2006, 기후변화에 의한 전염병 발생 영향 통합관리체계 구축. 58) 신호성, 김동진, 2008, 기후변화와 전염병 질병부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9) UNDP, 2005,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211 21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 평가 결과, 중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장래 예측결과, 곤충 및 설치류에 의한 취약성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남. 현재 2050 2020 2100 2. 산림 부문 가. 산사태 1) (그림 4-2-12) 울산시 곤충 및 설치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산사태 발생 현황과 기후변화가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IPCC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온실기체 배출량의 증가로 인해서 최근 100 간(1906~2005) 전 지구 평균기온은 약 0.74 ±0.18 정도 증가하였 음. 이러한 지구온난화에 따라 호우, 태풍, 한파, 폭염 등의 극한 기상 현상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음.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의해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재해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임.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약 90% 이상이 기상과 관련되어 있 으며, 통계에 따르면 이 중 호우, 태풍, 폭풍에 의한 것이 80% 이상을 차지함. 산사태 재해는 일차적으로 인명피해를 유발하며, 이차적으로는 주택, 도로, 및 농작물 파손 등의 재산피해와 같이 사회적으로 큰 경제적 손 실을 야기함. 지난 10간 산사태로 인해 261명의 인명피해와 연평균 6,000억원의 재 산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피해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소방방재청(2005) 통계에 따르면 1996~2005 사이에 자연재해로 인 해 1,204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중 산사태 등 사면붕괴로 인해 301명이 사망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전체사망자의 25%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지난 2002 8월의 태풍 루사 의 영향으로 5조 7,000억원의 재산 손실과 18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이중 산사태로 인한 직접적인 인명피해는 무려 56명에 달하였음. 60) 박덕근 등, 2008, 2008 집중호우로 발생된 급경사지 재해 사례분석 및 방재대책. 61) 소방방재청과 국립방재연구소의 자료를 이용함. 213 214 60)61)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100~200에 한 번꼴로 발생하던 초강력 태풍이 2000대 이후에는 연 달아 발생하고(2002 루사, 2003 매미, 2005 나미) 있으며 과거 주 요 호우 및 태풍 피해 상위 20개 중 11개가 최근 10간 발생함. 2011 여름 전국적으로 발생한 집중호우로 곳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함. 이로 인해 총 3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큰 피해가 나타남. 이때, 우면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1건으로 무려 1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 고 복구소요금액은 약 780억으로 추정되고 있음. <표 4-2-7> 산사태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자료명 일 강수량의 최대값 6-8월의 강수량 5일 주기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의 수 산림내 평균경사 침엽수림 식생면적 무립목지 면적 임도의 거리 산림대 평균고도 산림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 : ① 기후노출 집중호우를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강수량의 집중을 보여줄 수 있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의 횟수, 일 강수량의 최대값(mm), 여름철 강수량(mm), 5일 주기 최대 강수량(mm) 에 이르는 다양한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산사태의 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특성들을 반영한 대용변수들로, 산림 내 경사와 고도가 높은 곳, 산사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침엽수림 면 적, 나무가 심겨져 있지 않아 산사태 발생확률이 높은 무립목지의 면적 을 민감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그림 4-2-13) 우리나라 산사태 발생 현황 및 복구비용 산사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 지표로 구분함. 2) 4-2-7> 자료 과 같이 민감도, 62)63)64) 62) 홍원표, 1990, 우리나라의 자연재해상황통계, 대한토목학회, 7(1) : 93-99. 63) Oliver, M., F. G. Bell, and C. A. Jemy, 1994,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Proceedings 7th international Cong. IAEG, 3 : 1629-1636. 64) 박종민 등, 2010,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발생 특성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4) : 9-20. 215 21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4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특히 산림에 관련된 대용변수로서 산림 공무원 수와 지역내 총생산을 선정하였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산사태 취약성 평가 결과, 강원도가 타 지역에 비해 취약성이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산사태 취약성 지수는 전국 지자체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음. 현재 2050 2020 2100 (그림 4-2-14) 전국 산사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17 21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산사태 취약성 평가 결과, 산악지역인 울주군이 높게 나 타났고, 남구가 낮게 나타났으며, 미래 산사태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 시 전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 2020 나. 산불 1) 기후변화에 의한 산불영향 IPCC 3차 보고서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 빈도가 증가할 것으 로 예측되며, 산불 발생의 시기도 점차 더 당겨진다고 예측하였음.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발생의 가능성은 시공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증가 및 강수 패턴 변화로 산불의 발생율 증가 및 강도 강화 등이 나타남. 65) (그림 4-2-16) 상대 습도와 강수량, 강수 이수의 변화 경향 2050 2100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기온 증가 및 습도 감소 경향이 산불 발생 빈도 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유도한다고 보고 있음. (그림 4-2-15) 울산시 산사태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65) 성미경 외, 2010, 기후 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pp.27-35. 219 22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1973 이후로의 우리나라 기후 변화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산불 발생 이 비교적 빈번한 늦가을-이른 봄 시기에 우리나라의 기후는 기온은 상 승하고, 상대습도는 감소하며, 강수량, 강수일수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즉, 한반도에서 전반적으로 산불 발생에 취약한 방향으로 기후가 변화하고 있음. 2) 취약성 평가 방법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8>과 같이 민감도, 기 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표 4-2-8> 산불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연중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횟수 연중최대풍속이 14m/s이상인 날의 수 연중 실효습도가 35%이하인 날의 수 연속적인 무강수일의 최대값 활엽수림 식생면적 침엽수림 식생면적 혼효림식생면적 연평균 토양수분 10cm 산림내 평균경사 총인구 산림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① 기후노출 산불을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최고기온일 횟수와 풍속, 습도, 무강수일의 최대값을 보여주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산불의 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특성들을 반영한 대용변수들로, 침엽수, 활엽수림, 혼효림의 식생면적 연평균 토양수분과 산림내 경사도, 총인 구 항목을 파악함으로써 산불에 의한 취약성을 파악할 수 있음. ③ 적응능력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 로, 4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66)67)68)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산불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의 산불 취약성 지수는 전국 지자체 평균보다는 높게 나타났음. 그러나 미래에 전국적으로 산불 취약성이 조금 낮아지고, 울산의 경우 에도 현재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자료 66) 이시영 등, 2002,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 : 20-26. 67) 원명수 등, 2010, 천장산 의릉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임상과 지형인자를 고려한 산불위험성 평가-, 한 국전통조경학회 28(1) : 59-65. 68) 곽한빈 등, 2010,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9(3) : 259-266. 221 22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산불 취약성 평가 결과, 북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남구가 낮게 나타났음. 울산시 전체적으로는 산불 취약성이 낮게 나타남. 현재 2020 현재 2050 2100 2020 2100 (그림 4-2-17) 전국 산불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18) 울산시 산불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23 22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① 기후노출 집중호우를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강수량의 집중을 보여줄 수 있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의 횟수, 일 강수량의 최대값(mm), 여름철 강수량(mm), 5일 주기 최대 강수량(mm) 에 이르는 다양한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산사태의 발생률이 높은 지역의 특성들을 반영한 대용변수들로, 산림 내 경사와 고도가 높은 곳, 산사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침엽수림 면 적, 나무가 심겨져 있지 않아 산사태 발생확률이 높은 무립목지의 면적 을 민감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4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특히 산림에 관련된 대용변수로서 산림 공무원 수와 지역내 총생산을 선정하였음. 다.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취약성 평가 방법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집중호우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9>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표 4-2-9>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일 강수량의 최대값 6-8월의 강수량 5일 주기 최대 강수량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의 수 산림내 평균경사 침엽수림 식생면적 산림내 평균고도 무림목지의 면적 산림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집중호우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가 경기도에 비해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의 집중호우 취약성 지수는 0.198로 나타났음. 그러나 미래에 전 국적으로 집중호우에 의한 취약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강원도 의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225 22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집중호우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북구, 동구, 중구, 남구 순으로 나타남. 미래 집중호우 취약성 평가 결과,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2020 현재 2050 2100 2020 2100 (그림 4-2-19) 전국 집중호우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20) 울산시 집중호우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27 22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① 기후노출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6~8월 강수량과 평균기온, 연간 강수량과 연속적인 무강수일의 최대값을 보여 주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는 민감도 대용변수는 소 나무의 면적, 산림 내 고도, 산림 부산물의 생산량으로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소나무와 송이버섯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 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4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 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라.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취약성 평가 방법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0>과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표 4-2-10> 소나무와 송이버섯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여름철 평균강수량 여름철 평균기온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토양수분 10cm 연속적인 무강수일의 최대값 소나무 면적 산림 부산물 생산량 산림내 평균고도 산림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자료 69)70)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지수는 0.328로 나타났음. 그러 나 미래에 전국적으로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울산시의 경우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69) 강안석 등, 1988, 송이버섯 발생과 관련되는 기후특성 분석 연구, 한국균학회지 추계학술대회. 70) 박용우 등, 2010, 속리산 국립공원의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6), 657-679. 229 23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소나무와 송이버섯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 북구가 높게 나타남. 미래 소나무와 송이버섯의 취약성 평가 결과, 상대적으로 울주군, 북구 가 높게 나타남. 231 2050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최고기온 연평균 최저기온 연속적인 무강수일의 최대값 침염수림의 면적 활엽수림의 면적 혼효림의 면적 산림공무원 수 자연휴식제 실시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천연림 보육면적 2100 (그림 4-2-22) 울산시 소나무와 송이버섯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마.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취약성 평가 방법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산림생산성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1>과 같이 민 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23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규준 (그림 4-2-21) 전국 소나무와 송이버섯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표 4-2-11> 산림생산성에 의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2020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가 평균수준임. 울산시의 산림생산성 취약성 지수는 0.226로 나타났음. 그러나 미래에 강원도 및 경기도의 취약성은 큰 차이가 없지만, 울산시의 경우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남. 자료 ① 기후노출 산림생산성의 취약성에 대해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요소들로 연평균 강수량,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연속적 무강수일수의 최대값을 선정하 였음. ② 민감도 산림생산성에 대한 민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는 산림을 구성 하는 주요 요소인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의 면적을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적응능력의 측면에서는 산림생산성이 취약해졌을 경우에 대응할 수 있 는 요소들을 선정하였음. 233 현재 2050 2020 2100 (그림 4-2-23) 전국 산림생산성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3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산림생산성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동구, 북구가 높 게 나타났음. 미래 산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동구와 북구가 높게 나타났음. 바.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취약성 평가 방법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2> 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표 4-2-12>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자료명 연평균 강수량 연중 실효습도가 35%이하인 날의 수 연속적인 무강수일의 최대값 침염수림의 면적 활엽수림의 면적 혼효림의 면적 조림지의 면적 산림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천연림 보육면적 기후노출 (EI) 현재 2020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2050 2100 ① 기후노출 가뭄을 대표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연평균 강수량, 무강수일, 실효 습도에 대한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산림식생을 대표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 산림을 구성하는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조림지의 면적을 선정하였음. (그림 4-2-24) 울산시 산림생산성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35 23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가뭄이 발생할 경우, 적응능력으로서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로 산림 공무원 수, 산림방제 면적,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 천연림 보육면 적을 선정하였음.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북구와 동구 가 높게 나타남. 미래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북구와 동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울산시 전체적으로 보면, 북구, 동구가 장래에 취약성이 개 선되지 않고,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가 다소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지수는 0.187로 나타났음. 그 러나 미래에 울산시의 경우 취약성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현재 2020 자료 2020 2100 2050 (그림 4-2-26) 울산시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2100 (그림 4-2-25) 전국 가뭄에 의한 산림색생의 취약성 평가 결과 237 238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과 북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도 울주군과 북구가 높 게 나타났음. 현재 2020 현재 2050 2100 2020 2100 (그림 4-2-27) 전국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28) 울산시 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243 24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평균기온은 8~11 이며, 10월 평균기온이 높으면 착색이 불량하며, 4~8 월 평균기온이 높으면 쓰가루의 경우 과육의 경도가 낮아지며, 8월 평 균기온이 높으면 쓰가루의 경우 당함량이 높아짐. 4~8월 일최고기온의 평균값이 높으면 후지의 경우 과형지수가 낮아지며, 4~10월 강수량이 많으면 당도가 떨어짐. 강풍의 경우는 낙화와 낙과에 영향을 줌. ② 민감도 민감도 변수에는 평가 대상인 사과 재배면적과 기상재해에 대한 낙화 및 낙과 가능성에 관한 요인을 고려하였음. 낙화 및 낙과 가능성은 과 거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 발생 통계자료에 근거하였으며, 밭 면적 당 농작물 전작 피해면적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음. ③ 적응능력 재배면적당 사과생산량, 재배면적당 과수 주종사자수, 농경지면적당 농 기계보유대수, PC활용 농가수/총 농가수, 인구당공무원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 재정자립도의 변수를 선정하였음. 과원관리 가능 인력과 관 련된 변 수는 사과품목에 대한 통계자료의 부재로 과수 재배 면적 당 과수 주종사자수로 하 였으나, 가능하면 사과 재배 면적 당 사과재배 주종사자수(또는 사과재배 농가의 농작업 가능 농업인수)로 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으로 판단됨. 농기계보유능력 역시 농경지 면적당 농기 계 보유대수로 나타냈지만, 가능하다면 사과재배면적 당 사과재배 농가 의 농기계 보유 대수로 나타내는 것이 타당함. 정보수집능력의 경우 에 는 총농가수 대비 PC농업활용 농가수를 사용하였으나, 자료의 구축이 가능하면 사과 재배농가수 대비 그들 농가의 PC농업활용 농가수로 하 는 것이 더욱 타당함. 이외에 고려할 수 있는 중요한 적응능력변수로는 농작물재해보험가입 비율 및 방풍망 설치 면적 비율 등을 들 수 있 음. 다.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1)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사과생산성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4>와 같이 민 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표 4-2-14>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연평균기온 평균기온(10월) 평균기온(4-8월) 평균기온(8월) 일최고기온(4-8월) 강우량(4-10월) 강풍 사과재배면적 낙과 가능성 사과 생산기술력 과원관리 가능인력 농기계 보유능력 정보수집능력 지원행정인력 생산창출력 재정자립도 72) 자료 73) ① 기후노출 사과의 생산력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조건들로 변수를 선정하였 으며, 전국적인 평가를 위해서 재배기간을 4월에서 10월로 하였음. 각 지자체에서 품종을 구분하여 평가할 경우에는 후지 는 4~10월, 쓰가 루 는 4~8월로 재배기간을 조정할 필요성이 있음. 사과의 재배가능 연 245 74) 72)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0, 과수분야 기후변화연구를 위한 기상자료 활용현황. 73) 국가재난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safekorea.go.kr/dmtd/index.jsp 74)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0, 과수분야 기후변화연구를 위한 기상자료 활용현황. 24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2)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사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중구, 남구, 동구가 높 게 나타났으며, 미래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도 중구, 남구, 동 구가 높게 나타났음.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사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0.170로 나타났으며, 미래에 울산시의 경우 취약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현재 현재 2050 2020 2100 2050 247 ② 민감도 민감도 변수에는 평가 대상인 가축 사육두수, 기상재해에 대한 사육시 설의 직접적 피해 가능성, 가축병 발생 위험의 요인을 사용하였음. 본 연구에서는 가축병 발생 위험 변수로서 최근 문제가 된 구제역 발생 두수를 대표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나, 각 지자체에서는 가축병해충 발생 현황을 참조하여 변수로 활용할 것을 권장함. 이외에 민감도 변수로 고 려할 수 있는 것은 사육밀도(사육시설 면적 당 사육 두수)가 있음. ③ 적응능력 사육시설면적당 축산 주종사자수, 축산폐수처리 능력, PC활용 농가수/ 총 농가수, 인구당공무원수,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재정자립도의 변수를 선정하였음. 이외에 중요한 적응능력변수로는 농작물재해보험가입 비 율, 환기 및 송풍장치 설치 비율, 사육 두수 당 수의사 수 등이 고려될 수 있음.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가축생산성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5>와 같이 민 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 지표로 구분함. <표 4-2-15>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1)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라.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기후노출 2100 248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자료명 상한임계온도 온습도 지수 폭설 강풍 가축사육두수 축사시설강도 가축병발생위험 축산폐수 처리능력 가축관리 가능인력 정보수집능력 지원행정인력 생산창출력 재정자립도 (그림 4-2-30) 울산시 사과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그림 4-2-29) 전국 사과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규준 2020 자료 76) 77)78) 2) ① 기후노출 가축의 상한임계온도와 온습도지수를 비롯하여 사육 시설에 직접적으 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폭설과 강풍의 요인을 변수로 선정하였음. 한 육 우, 젖소, 돼지, 닭의 상한임계온도는 각각 30, 27, 27, 30 임. 온 습도지수(THI)는 1.8 온도( )+32-0.55(1-상대습도/100) (1.8 온도-2)로 계산되며, 축종별 젖소 72-79, 비육우 72-75, 돼지 72-74, 닭 70-78의 임 계수치를 나타냄.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가축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는 강원도 및 경상남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지수는 0.102로 나타났으며, 미래에 울 산시의 경우 취약성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75) 75) 류일선, 2010, 여름철 폭염시 온습도지수를 활용한 가축위생 및 질병관리 방안을 알아보자. 249 76) 양돈타임스, 2011.3.29, 구제역이 남긴 불명예 기록들. 77) 국립축산과학원, 2010, 폭염을 이겨내기 위한 고온기 가축 및 축사관리 기술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78)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04, 축산폐수 처리 통계. 25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가축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이 높게 나타났 으며, 미래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도 울주군이 가장 높게 나 타남.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020 2100 (그림 4-2-31) 전국 가축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32) 울산시 가축 생산성의 취약성 평가 결과 251 25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4. <표 4-2-16> 온도변화에 따른 수산(양식)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해양/수산업 부문 규준 가. 기후변화에 의한 해양/수산업영향 기후변화로 인하여 해양/수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 중 이산화 탄소 농도 증가 및 온도상승 등에 의한 수온 상승, 해수면 상승, ph 감 소, 파고 증가, 해류의 변화 등의 1차적 영향과 이에 의해 유발되는 생 태계 먹이망 구조 변화, 유해생물의 이상발생과 외래종 유입, 어류자원 변동 등의 2차적 영향으로 구분됨. 기후노출 (EI) 나. 해양/수산업부문 취약성 평가 1)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해양/수산업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민감도 (SI) 79) 4-2-16> 과 같이 적응능력 (AI) 자료 ① 기후노출 해수면상승의 원인이 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해수온의 변화와 강수량, 강풍을 기후노출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해수면 상승에 의한 기반시설/연안지역의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반영한 대용변수들로, 지형높이와 해안평균경사도, 연안침식 율과 같이 지형에 따른 요소와 태풍, 폭풍, 파고, 조석의 차와 같이 자 연적인 요소들의 값이 클수록 해수면상승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대용변 수로 선정하게 되었음. 79) 조광우 등, 2009,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효과적인 대응정책 수립 I : 해안침식 영향평가, 한 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53 자료명 해수면온도 해수온상승률 일평균기온이 영하인날의수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수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의 수 해파리 피해 발생횟수 양식사육시설면적(어가-해상가두리) 양식사육시설면적(사업체-해상가두리) 양식사육시설면적(어가-축제식) 양식사육시설면적(사업체-축제식) 양식어가현황(해상가두리) 양식어가현황(축제식) 제정자립도 인구당 공무원수 양식사육시설면적(어가-육상수조식) 양식사육시설면적(사업체-육상수조식) 양식어가현황(육상수조식) 25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해수면 상승 시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 변수로, 5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특히 해양에 관련된 대용변수로서 제방면적비율, 정주위치, 해안 도로망 구축과 같은 피해에 적응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을 선정하였음. 2) 현재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해양/수산업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는 강원도보다는 다소 높으나, 경상남도보다는 낮게 나타남. 수산업이 발달한 경상남도, 전라북도의 경우 다소 높게 나타남. 2050 2020 2100 (그림 4-2-33) 전국 해양/수산업의 취약성 평가 결과 255 25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해양/수산업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해양/수산업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울주군, 종구, 북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 전체적으로 보면, 시간이 지나갈수록 동구, 남구, 북구가 취약성 이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 2050 2020 2100 5. 가. 기후변화에 의한 재해 영향 지난 세기에 인구는 두 배로 증가한 반면 물 사용은 6배나 늘어났으며, 지구 전체의 수자원량의 제한으로 인해 인구의 증가에 인구의 성장, 산 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물자원 부족 현상으로 인해 일인당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의 감소와 환경피해는 날로 심각한 상황임. IPCC 보고서에 따르면, 화석연로에 의존한 대량소비 사회가 계속된다 면 평균온도가 1 정도 상승하는 2020대에는 대략 4~7억명이 물 부 족에 시달릴 것이라 예측됨. 또한, 2~3 정도의 기온 상승이 예상되는 2050에는 10~20명이, 3 이상 상승하는 2080대에는 11~32억 명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이라고 예측함. 이에 지속가능한 물관리를 위해서는 홍수와 가뭄과 같은 재해에 대한 대책 및 이수와 치수를 통한 수자원관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2000대 연평균 강수량은 1,470 로서 세계평균보다 부족하진 않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뭄피해가 빈발하고 있음. 따라 서 우리나라는 물 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함(이덕배 등, 2010)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발생과 오염에 대한 압력이 가 속화되면서 수질과 수생태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극심 한 기후변화는 국가 물안보(national water security; 한국환경정책ㆍ평 가연구원, 2009) 측면에서 관리전략을 수립하여 사전 예방적으로 대응 이 필요함. 2003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세 계 153개 국가 중에서 129위로 물 부족국으로 분류되었음. 우리나라는 지난 35간 연강수량이 198 증가하였는데, 1970대에 비해서 2000대에는 여름철 강수량이 1.27배 증가된 반면, 겨울철에는 오히려 10%나 줄어서 여름철에는 홍수피해, 겨울철에는 물 부족현상이 반복되고 있음. (그림 4-2-34) 울산시 해양/수산업의 취약성 평가 결과 257 재해 부문 25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태풍, 호우 등으로 발생되는 홍수피해 및 이를 복구하기 위해 최근 10 (1997~ 2006)동안 연평균 약 2조 8천억원이라는 막대한 국가예산이 투입되었음. ① 기후노출 홍수를 반영할 수 있도록 강수량의 강도를 보여주는 지배적인 기후요 소를 지표로 선정하였음. 호우주의보 기준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일강수량 80 이상인 날의 횟수, 일최대강수량의 대용변수를 선정 하였음. ② 민감도 지자체 기반시설 민감도 지표는 재해별 취약지역 내 취약한 기반시 설 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 먼저 재해별 취약지역을 나타내는 지표를 1 차적으로 도출하였음. 각각의 지자체마다 취약지역을 선정하는데 데이 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적인 민감도 대용변수로 침수건물수를 선정하고, 홍수로 인해 영향을 받는 도로면적, 수도공급설비면적, 전기 공급설비면적, 가스공급설비면적, 열공급설비면적, 유류저장 및 송유설 비면적, 하수도면적, 수질오염 방지시설면적을 민감도 대용변수로 선정 하였음. ③ 적응능력 홍수가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 용변수로 3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지자체의 경제적 적응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변수로 1인당지역내 총생산과 인구당 공무원수를 대용변수로 선정하고, 하천개수 또는 하수 도는 홍수예방 기능이 있으므로 하천개수율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나. 재해 부문별 취약성 평가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7>과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표 4-2-17>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자료명 이상 강우일수 일최대강수량 도로면적 수도공급설비면적 전기공급설비면적 가스공급설비면적 열공급설비면적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면적 하수도면적 수질오염방지시설면적 1인당 지역내총생산 1인당 공무원수 하천개수율 80mm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 259 26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산시의 경우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평야가 발달한 경상남도의 경우 다소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지수는 0.084로 나타났음. 강 원도는 증가하나, 미래에 울산시의 취약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 동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북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 전체적으로 보면, 시간이 지나갈수록 동구, 중구지역을 중심으 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현재 현재 2050 2020 2100 2050 2020 2100 (그림 4-2-36) 울산시 홍수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그림 4-2-35) 전국 홍수에 대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61 26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폭염이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3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지자체의 경제적 적응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변수로 1인당지역 내총생산과 인구당 공무원수를 선정하고, 녹지는 수자원함양기능을 가 지고 있으므로 1인당녹지면적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8>과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2) <표 4-2-18>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자료명 일최고기온 33 이상인 날의 수 일최저기온 25 이상인 날의 수 도로면적 1인당 지역내총생산 1인당 공무원수 1인당 녹지면적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경기도를 제외한 전 국이 낮게 나타남. 울산시의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지수는 0.005로 나타났으며, 경 상남도의 경우는 증가함. 한편 미래에 울산시의 취약성은 다소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남. ① 기후노출 폭염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온상승을 보여주는 지배적인 기후요소를 지표로 선정하였음. 폭염은 매우 심한 더위를 뜻하므로, 폭염주 의보 기준을 활용한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횟수, 열대야 일수 를 나타내는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횟수를 대용변수로 선정 하였음. ② 민감도 지자체 기반시설 민감도 지표는 재해별 취약지역 내 취약한 기반시 설 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 먼저 재해별 취약지역을 나타내는 지표를 1 차적으로 도출하였음. 각각의 지자체마다 취약지역을 선정하는데 데이 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적인 민감도 대용변수로 불수투지역면 적을 선정하고, 폭염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도로면적을 민감도 대용변 수로 선정하였음. 263 26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이 높 게 나타났으며, 미래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남구 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현재 2020 현재 2050 2100 2020 2100 (그림 4-2-37) 전국 폭염에 대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38) 울산시 폭염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65 26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폭설이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2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음. 지자체의 경제적 적응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변수로 1인당지역 내총생산과 인구당 공무원수를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19>와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3) <표 4-2-19>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자료명 연적설량 도로면적 철도면적 공항면적 1인당 지역내총생산 1인당 공무원수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적설량이 큰 강원 도, 경기도, 전라북도가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지수는 0.07로 나타났음. 울 산시의 장래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는 큰 변화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남. 자료 ① 기후노출 폭설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적설량의 집중을 보여주는 지배적인 기후요 소를 지표로 선정하였음. 폭설은 기후요소가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려하 여 일최대적설량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도출되었으나, 자료 구축 및 획득의 어려움으로 적설량을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지자체 기반시설 민감도 지표는 재해별 취약지역 내 취약한 기반시 설 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 먼저 재해별 취약지역을 나타내는 지표를 1 차적으로 도출하였음. 각각의 지자체마다 취약지역을 선정하는데 데이 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적인 민감도 대용변수로 폭설피해액을 선정하고, 폭설로 인해 영향을 받는 도로면적, 철도면적, 공항면적을 민 감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267 26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이 높 게 나타났으며, 미래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도 울주 군이 가장 높게 나타남. 현재 2020 현재 2050 2100 2020 2100 (그림 4-2-39) 전국 폭설에 대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그림 4-2-40) 울산시 폭설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69 27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③ 적응능력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로, 3가지 요소가 모두 값이 클수록 적응능력이 뛰어나 다고 할 수 있음. 지자체의 경제적 적응능력을 파악하기 위한 변수로 1 인당 지역내총생산(GRDP)과 인구당 공무원수를 선정하고, 해수면 상승 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방조설비면적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해수면 상승에 대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해수면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20> 과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4) <표 4-2-20> 해수면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기후노출 자료명 연해수온도상승률 도로면적 항만면적 수질오염방지시설면적 1인당 지역내총생산 1인당 공무원수 방조설비면적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온도상 승률이 큰 경기도와 부산광역시가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지수는 0.09로 나 타났음. 울산시의 장래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 취약성 평가 결과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① 기후노출 해수면 상승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인 해수온도 를 고려하여 지표로 선정하였음. IPCC 4차 보고서(2007)에 의하면 해수 면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해수 열팽창과 빙하와 빙모, 빙하의 해빙 등 을 제시하고, 각 원인에 대한 해수면 상승률을 분석하였음. 따라서 연 해수온상률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지자체 기반시설 민감도 지표는 재해별 취약지역 내 취약한 기반시 설 이 취약한 것으로 보고, 먼저 재해별 취약지역을 나타내는 지표를 1 차적으로 도출하였음. 각각의 지자체마다 취약지역을 선정하는데 데이 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적인 민감도 대용변수로 연조위상승률 을 선정하고,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도로면적, 항만면적, 수질오염방지시설면적을 민감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271 27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020 2100 (그림 4-2-41) 전국 해수면 온도상승에 대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남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 약성 평가 결과도 남구가 가장 높게 나타남. 273 (그림 4-2-42) 울산시 해수면 온도상승에 의한 기반시설의 취약성 평가 결과 274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100 (그림 4-2-43) 전국 수목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279 (그림 4-2-44) 울산시 수목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수목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과 북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수목생장과 분포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북구와 동구가 높게 나타남. 곤충의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곤충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2) 4-2-22> 와 같이 민감도, 28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2-22> 곤충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자료명 1-3월 평균기온 일평균기온이 영하인 날의 수 4월 기온 4월 상대습도 기후노출 (EI) 연속적이 무강수일수의 최대값 증발산량 일사량 6-8월 평균기온 산림해충 산림병원균 꿀벌농가수 민감도 꿀벌사육규모 (SI) 곤충매개전염병 병충해 피해벌체면적 병충해 피해 벌채량 병해충방제시기 산림방제면적 병해충 방제 고용인력 적응능력 (AI) 바이오산업체수 친환경 과수 농가수 친환경 특용작물 농가수 2020 ② 민감도 기후변화에 따라 기존 해충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활동량이 증가할 수 있음. 외래 해충의 경우 지역별 적절한 대처가 없으면 큰 피해를 유발 할 수 있음. 해충 종류와 개체수의 증가는 과수 피해 면적이 확대되는 결과를 낳고, 기온의 상승으로 병원균 발생 빈도가 높아지면 발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나비, 벌과 같은 생태계에서 수분매개체 역할을 담당하는 곤충의 분포역과 활동시기가 변화하게 되면 식물 수분에 영 향을 미침으로써 생태계에 전반적인 교란을 유발할 수 있음. ③ 적응능력 과수와 병해충 생태 변화를 파악하여 적절한 대처 방안을 수립할 필요 가 있음. 병해충 예보체계를 구축하여 종류별 방제시기를 조절하고 근 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야 함. 이러한 예방 조치는 기존의 방제법 뿐만 아니라 곤충의 천적을 이용하여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안 등이 종합적 으로 모색되어야 함. 특히 벌 등의 경제곤충의 성패는 기후에 영향을 받으므로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강원도가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곤충의 취약성 지수는 0.19로 나타났으며, 울산시의 장래 곤 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0.156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① 기후노출 현재 지구온난화에 의해 곤충의 분포 범위와 생육 기간이 변화하고 있 음. 세계적으로 곤충 생태의 이상 현상이 발생하고, 한반도의 경우 외 래곤충의 정착에 있어 겨울철 기온과 습도가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됨. 특히 겨울을 이주한 지역에서 월동한 이후 번식기에 해당하는 4월의 기후가 곤충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81 28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100 (그림 4-2-45) 전국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과 북구가 높게 나타났 으며, 미래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2020에 중구과 남구에서 취약 성이 약간 증가하나 장래 2100에는 전체적으로 감소한 비슷한 결과 를 보임. 283 (그림 4-2-46) 울산시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보전구역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23>과 같이 민감 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3) 28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표 4-2-23>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규준 자료명 연평균 강수량 연속적인 무강수일수의 최대값 열평균기온이 영하인 날의 수 기후노출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 (EI) 봄, 여름, 가을, 겨울철 강수량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의 수 최대풍속이 14m/s이상인 날의 수 국립공원 내 동물종수 탐방객 수 탐방객 전대비증감 민감도 식물멸종위기종수 (SI) 동물멸종위기종수 국립공원 관리를 위해 연계해야 하는 행정구역 국립공원 내 식물종수 국립공원 직원 및 조직수 국립공원 사무소 수 국립공원 면적증감 적응능력 (AI) 국립공원 해설 운영횟수 국립공원 사찰면적 자연휴식제 실시면적 및 거리 2020 ② 민감도 법적으로 보호되는 면적의 크기는 기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취 약생물종과 생태계에 있어 매우 중요함. 보호 면적이 넓고 연결성이 높 을 경우 생물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따라서 생태네트워크의 범위를 확대하고 인접 생태네트워크와의 연결성을 높일 필요가 있음. ③ 적응능력 보전구역 면적이 증가하면 생태계는 안정되고, 감소하면 불안정해짐. 보전구역 내 개발에 의한 파편화(단편화)는 생태계에 불리하게 작용하 고 일부 경우에는 생태계 파괴를 유발함. 보전구역 내에 생태통로 등이 있으면 생태계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결과, 특별한 우위차가 없이 전국적으 로 유사하게 나타남. 울산시의 보전구역의 취약성 지수는 0.211로 나타났으며, 울산시의 장 래 곤충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0.210으로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음. ① 기후노출 자연적인 기후변화와 인위적인 개발은 모두 생태계 내부의 변화를 초 래함. 최근 기후변화 추세에 맞추어 생물종, 생태계, 유전자원의 다양성 을 높여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할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음. 특히 한반도의 백두대간, 민통선, 해안림, 습지 등의 지역은 독특한 생태계로 구성되고 이러한 지역이 파괴되었을 때 복구가 힘들기 때문에 우선적 으로 보호, 관리될 필요성이 있음. 285 286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100 (그림 4-2-47) 전국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287 (그림 4-2-48) 울산시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결과, 울주군과 북구가 높게 나 타났으며, 미래 보전구역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2020에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2050 북구의 취약성이 증가하나 장래 2100에는 군 구의 취약성이 현재와 비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임. 28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7. 2020 <표 4-2-24>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물관리 규준 가. 기후변화에 의한 물관리 영향 물 관리 부문에서 여러 지표를 이용하여 취약성을 분석 평가한 결과가 많이 축적되어 있음. 국외에서는 Camegie Mellon University에서는 2004에 지표를 Waste supply, Waste water, Storm water에 따라 구분하여 시설 및 용수사용 량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고, Kumambala 등은 2008에 Hydrology Indicator, Human Health Indicator, Environment으로 3가지 요소로 지 표를 구분하여 Water Sustainability Index(WSI)를 이용하여 물 관리를 평가하였음. 국내에서는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에서는 다양한 평가지표를 선정 하여 물 관리 달성도 및 9등급 평가를 실시하였음. 국외 연구 사례는 정량적인 지표를 사용하였으나 자료 구축이 어렵고 국내 여건에 적합하지 않았고, 국내 연구 사례에서 사용한 지표가 정량 화적인 요소보다 물 관리를 위한 노력, 적정성, 실적위주로 선정되어 객관적인 평가가 어려운 상황임.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 ① 기후노출 치수 분야에서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강수량의 집 중을 보여주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홍수 피해가 발생할 확률과 피해액이 커질 수 있는 대용변수들과 홍수 가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인자들 및 과거 홍수 피해 실적을 반영 할 수 있는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홍수가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과 치수를 위해 설치된 대응책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나. 물관리 취약성 평가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치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24>와 같이 민 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1) 289 자료명 일최대강수량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 5일주기최대강수량 지면유출 여름철 강수량 10m이하 저지대면적 및 가구 국토이용면적 중 제방사용면적율 인구밀도 및 총인구 지역평균경사도 도로면적비율 최근 3간 홍수피해액 최근 3간 홍수피해인구 재정자립도 및 지역내 총생산 인구당 공무원 수 및 면적당 물관리공무원수 제방개수율, 내수배제시설, 저수지홍수조절능력 29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남구(0.165)와 동구 (0.156)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도 남구 (0.170)와 동구(0.159)가 높게 나타났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부산광역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의 치수에 대한 취약성 지수는 0.135로 나타났으며, 울산시의 장 래 수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는 0.141로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남. 현재 현재 2020 2020 2100 2050 (그림 4-2-50) 울산시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2100 (그림 4-2-49) 전국 치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291 29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이수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4-2-25>와 같이 민 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표 4-2-25>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2) 규준 기후노출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자료명 겨울강수량 봄 강수량 겨울증발산량 봄 증발산량 연속적이 무강수일수의 최대값 지하유출 인구밀도 총인구 상수도 급수량 면적당곡물생산 면적당축산물생산 지하수이용량, 하천수 이용량 생활, 공업, 농업용수 이용량 재정자립도 인구당 공무원수 지역내 총생산 면적당 물관리 공무원수 상수도 보급률, 지하수 가용량 단위면적당 용수공급저수지용량 및 물재이용량 ① 기후노출 이수 분야에서 취약성을 반영할 수 있는 대용변수들로서 강수량의 균 등한 분포를 보여주는 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가뭄 피해가 발생할 확률과 피해액이 커질 수 있는 대용변수들과 가 뭄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인자들 및 가뭄으로 인해 실적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대용변수들을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가뭄이 발생할 경우, 적응할 수 있는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과 이수를 위해 설치된 대응책들이 반영된 대용변수를 선정하였음.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충청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음. 울산시의 이수에 대한 취약성 지수는 0.2로 나타났으며, 울산시의 장래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는 0.147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93 294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050 295 (EI) 민감도 (SI) 적응능력 (AI)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3) 기후노출 2100 296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가) 취약성 평가 인자 선정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표 같이 민감도, 기후노출, 그리고 적응능력으로 구분함. <표 4-2-26>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규준 및 지표 (그림 4-2-52) 울산시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동구가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미래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취약성이 개 선되는 것을 나타남. 자료명 최고기온 일최대강수량 연속무강수일수 최대값 일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 일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의 수 일강수량이 80mm이상인 날의 수 지역평균경사도 하천개수율 축산업종사인구 축산물생산현황 경작지당 비료 사용량 주요동식물 분포 산림면적율 및 관리 토지율 하수도보급률 인구당 공무원수 인구밀도 도로면적비율 단위면적당 도로길이 (그림 4-2-51) 전국 이수에 대한 취약성 평가 결과 규준 2020 4-2-26> ① 기후노출 값이 크고 빈도가 많을수록 기후변화로 인하여 수질을 악화시키거나 수생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는 기상변수를 기후노출의 대용변수 로 선정하였음. ② 민감도 오염원 유입 속도 및 도달시간을 비교하기 위해 지역평균 경사도를, 수 질의 악화 요소로서 비료사용량과 축산 관련 변수를, 기후변화의 영향 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을 대변하기 위해 주요 동식물종의 분포를, 자연 상태의 교란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천개수율, 산림면적율, 관리되는 토지율을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③ 적응능력 지자체별 사회적, 경제적 여건을 적응능력의 대용변수로 선정하였음. 인구밀도, 도로면적비율, 단위면적당 도로길이는 가중치를 음수(-)로 이 용함. 과 자료 나) 취약성 평가 결과 ① 전국 현재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 충청남도와 서울시가 가 장 높게 나타남. 울산시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지수는 -0.013으로 나타났으며, 울 산시의 장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전반적으로는 다 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남. 297 298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현재 2050 2020 2100 현재 2100 (그림 4-2-53) 전국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 2050 299 (그림 4-2-54) 울산시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 ② 울산시 울산시의 현재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 동구가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미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취약성 평가 결과는 2020까 지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다 2100에는 현재보다 울주군과 동구가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300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제4장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평가 및 중점분야 선정 8. 2020 체감 취약성평가 가. 평가 방식 울산시민들이 정보를 취득하는 보편적인 수단인 지역언론을 통해 기후 변화와 관련된 키워드를 검색하여 울산시민이 체감하는 기후변화 영향 분야를 검토하였음 대상언론은 울산의 대표적 지역신문인 경상일보로 국한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01부터 2010까지이며,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18,373건을 조사하였음 자료는 키워드 기후변화 를 검색한 후, 적응, 취약성, 대응 등을 결과내 재검색하여 수집하였음 또한, 기후변화와 관계가 밀접하다고 판단되는 홍수, 가뭄, 폭염, 폭설, 외래종, 해수면 상승 등의 키워드로 자료를 수집하였음 (그림 4-2-55) 지역별 기후변화 키워드 검색결과 추이 기후변화와 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키워드 검색결과, 수질 이 약 3,400건으로 가장 많은 기사 수를 기록하였으며, 태풍, 방재, 산불, 홍 수, 침수, 수자원, 전염병, 가뭄, 폭우 등의 순으로 검색되었음 검색 키워드를 취약성평가 7개 분야로 구분해 보면, 물관리, 재난/재해, 건강분야가 울산시민들에게 많이 노출되었음을 알 수 있음 나. 평가 결과 (그림 4-2-6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후변화 키워드로 검색된 기사 수 는 10간 1,000건이 넘었으며, 2001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9에 306건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한 후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 났음 기후변화 관련 기사 중 약 45%가 기후변화 대응에 관련된 내용이었으 며, 기후변화 대응 키워드 역시 2001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9 에 156건으로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한 후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이 나 타났음 기후변화 관련 기사 중 기후변화 적응 혹은 기후변화 취약성 과 관련 된 기사는 4.2%에 불과했으나,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음 (그림 4-2-56) 기후변화 키워드 검색결과 301 302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4.3 중점추진분야선정 제 4 장기후변화영향 취약성평가및중점분야선정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1 비전및전략 5.2 추진전략별세부시행계획 5.3 소요예산및재원조달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제 5 장 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1 비전및전략 5.2 추진전략별세부시행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1. 건강안전도시울산조성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민방위재난관리과 Ⅰ-1-가산업도시형통합방재시스템구축소방본부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7. 기대효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환경정책과 Ⅰ-1-나 취약계층기후복지시스템구축 보건위생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보건위생과 민방위재난관리과 Ⅰ-2-가 기후변화안전관리기반구축 복지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도시계획과 Ⅰ-2-나기후적응형도시개발사업수립교육도시협력관실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Ⅰ-2- 다 세부과제명 대기오염피해저감관리체계구축 환경정책과 2. 사업개요 1. 배경및필요성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7. 기대효과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보건위생과 Ⅰ-2-라 감염병예방및진단체계구축 보건환경연구원 1. 배경및필요성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보건위생과 Ⅰ-2-마환경성질환관리체계구축환경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7. 기대효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환경자원사업소 Ⅰ-2-바 폐기물방재체계확립 환경자원과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농업기술센터 녹지공원과 Ⅰ-3-가 폭염저감도시생태인프라구축 태화강관리단 1. 배경및필요성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민방위재난관리과 Ⅰ-3-나기후재해위험지역정비 1. 배경및필요성 7. 기대효과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 Ⅰ-3- 다 세부과제명 집중호우대응기반조성 민방위재난관리과 1. 배경및필요성 7. 기대효과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6. 소요예산 ( 백만원 ) 4. 연차별사업내용 7. 기대효과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환경정책과 Ⅰ-4-가기후변화적응이해도제고사업울산기상대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세부과제번호 Ⅰ-4- 나 세부과제명 건강관리매뉴얼보급및교육 보건위생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7. 기대효과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5. 12 추진계획 2. 물순환생태도시울산조성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하수관리과 경제정책과 Ⅱ-1-가 Eco-water project 추진 산업진흥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7. 기대효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Ⅱ-1- 나 세부과제명 스마트하수처리통합시스템구축 하수관리과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1. 배경및필요성 4. 연차별사업내용 2. 사업개요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7. 기대효과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녹지공원과 기후변화에따른산림 생태 물관리영향분석 환경정책과 Ⅱ-2-가 연구사업 상수도사업본부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Ⅱ-2- 나 세부과제명 홍수피해저감체계구축 민방위재난관리과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세부과제번호 Ⅱ-2- 다 세부과제명 빗물재이용사업및식물공장시범사업 환경정책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환경정책과 태화강관리단 Ⅱ-2-라 수환경감시및조사체계구축 상수도사업본부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Ⅱ-2- 마 세부과제명 산림피해저감체계구축 녹지공원과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 Ⅱ-3-가홍수피해감소를위한기반조성 1. 배경및필요성 건설도로과 7. 기대효과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 Ⅱ-3-나맑은물공급기반강화 1. 배경및필요성 상수도사업본부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7. 기대효과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상수도사업본부 Ⅱ-3-다 물이용효율화기반조성 환경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농축산과 하수관리과 Ⅱ-3-라 수환경기초시설개선 환경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Ⅱ-3- 마 세부과제명 도시생태복원사업 녹지공원과 2. 사업개요 1. 배경및필요성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 Ⅱ-4- 가 세부과제명 물절약교육및홍보강화 환경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7. 기대효과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3. 기후적응친화도시울산구현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Ⅲ-1- 가 세부과제명 산업분야별기후변화취약성예측평가체계구축 환경정책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7. 기대효과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환경정책과 Ⅲ-1-나 기후변화적응신산업조사발굴 투자지원단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7. 기대효과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농축산과 Ⅲ-1-다기후친화형농축산업육성농업기술센터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Ⅲ-2- 가 세부과제명농업기술센터기후변화에따른농업 해양 수산업영향분석항만수산과연구사업 2. 사업개요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농축산과 Ⅲ-2-나농축산피해예방체계구축농업기술센터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농축산과 Ⅲ-2-다 가축질병예방체계구축 보건환경연구원 1. 배경및필요성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 Ⅲ-2- 라 세부과제명 수산업피해예방체계구축 항만수산과 1. 배경및필요성 7. 기대효과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Ⅲ-2- 마 세부과제명 국제환경협력강화 환경정책과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 Ⅲ-3-가전략산업육성기반구축 1. 배경및필요성 산업진흥과 7. 기대효과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세부과제번호 Ⅲ-3- 나 세부과제명 에너지공급안정성확보 민방위재난관리과 7. 기대효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농축산과 Ⅲ-3-다농업기반시설확충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Ⅲ-3- 라 세부과제명 수산자원확보기반구축 항만수산과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4. 연차별사업내용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7. 기대효과 세부과제번호세부과제명농업기술센터 Ⅲ-4-가농업분야적응기술지원시스템구축 1. 배경및필요성 2. 사업개요 제5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5. 12 추진계획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세부과제번호 세부과제명 농축산과 Ⅲ-4-나 친환경농어업홍보기반확충 항만수산과 1. 배경및필요성 3. 그간추진실적 / 사업추진경위 2. 사업개요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4. 연차별사업내용 5. 12 추진계획 6. 소요예산 ( 백만원 ) 7. 기대효과 제 5 장기후변화적응대책세부시행계획 5.3 소요예산및재원조달

참고문헌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참고문헌 부록

부록 부록 1. 기후변화적응시민의식설문지 기후변화적응시민인식설문지 2 기후변화적응시민인식설문지 1 SECTION 1 기후변화에대한일반적인식조사 울산광역시기후변화적응계획을위한시민인식조사 ID 안녕하십니까? 저희울산발전연구원 (http://www.udi.re.kr) 은울산광역시출연연구기관으로서지역현안에대한해결방안을모색하고, 지역특성에맞는시책과비전을제시하기위한다양한연구를수행하고있습니다. 본설문조사는 연구의일환으로기후변화적응에관한시민들의일반적인식조사를실시하고있습니다. 이제기후변화는현실이되어우리삶전반에많은영향을끼치고있습니다. 그리고실제혹은예측되는기후변화로인한악영향이나타나기전에위험을최소화하고새로운기후환경에적응하는대책의수립이시급합니다. 귀하께서응답해주신내용은기후변화적응대책의수립및개선안마련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며, 설문에응답하신내용은통계법제33조와제34조에의거철저히비밀로보장됩니다. 바쁘시더라도잠시만시간을내어응답해주시면대단히감사하겠습니다. 2011 10월울산발전연구원장조사관련문의처 : 울산발전연구원도시환경연구실연구책임자 : 이상현선임연구위원 Tel : 052) 283-7732 Fax : 052) 289-7447 e-mail : shlee@udi.re.kr A1. 성별 1 남 2 여 1. 귀하께서는기후변화에대해알고계십니까? 1 자세히알고있다 2 어느정도알고있다 3 들어는봤다 4 전혀모르고있다 2. 귀하께서는현재우리나라의기후변화현상이얼마나심각하다고생각하십니까? 1 매우심각하다 2 다소심각한편이다 3 별로심각하지않다 4 전혀심각하지않다 5 모른다 3. 기후변화로인해한파 / 폭염 / 장기기온상승 / 홍수 / 태풍 / 가뭄 / 장기기후변화등이나타납니 다. 귀하께서는이러한기후변화현상으로인한영향에대해알고계십니까? 아래각 각의영향별로인지여부를체크해주십시오. 기후변화영향 알고있다 몰랐다 1. 고온으로인한사망및질병악화, 각종전염성질환증가 1 2 2. 태풍, 호우등의자연재난재해로인명피해와재산피해발생 1 2 3. 농작물재배지대북상, 월동병해충피해증가 1 2 4. 폭우로인한산사태와토사붕괴, 임도유실및산림병해충확산 1 2 5. 근해표면수온상승으로난류성어종증가, 해수면상승으로연안위험 1 2 6. 강수량변동폭증가로가뭄위험증대, 수온상승으로오염물질증가 1 2 7. 생태계교란, 생물종개체수변화, 생물서식처파괴및훼손 1 2 8. 에너지소비증가로인한정전잦음 1 2 만 ( ) 세 A2. 연령 1 10대 2 20대 3 30대 4 40대 5 50대 6 60대이상 A3. 거주지 1 울주군 2 남구 3 중구 4 동구 5 북구 4. 문 3. 에나타난기후변화영향중에서장래가장빈번히발생될것으로생각하는영향 은무엇입니까? 생각하시는영향을 3 가지만선정해주십시오. (,, ) 부록 기후변화적응시민인식설문지 3 기후변화적응시민인식설문지 4 SECTION 2 국가및지자체기후변화적응대책관련조사 5. 기후변화적응은기후변화로인한악영향이나타나기전에위험을최소화하고새로운 기후환경에적응한다는개념입니다. 귀하께서는이에대해서들어본적이있습니까? 1 들어본적이있다 2 들어본적이없다 6. 귀하께서는문5. 에대해들어본적이있다면관련정보를어디에서주로얻었습니까? 1 TV 2 라디오 3 신문 4 인터넷 5 잡지 6 교육 ( 학교 ) 7 기타 ( 구체적으로 : ) 7. 귀하께서는국가및지자체에서추진하고있는기후변화적응대책에대해서들어본 적이있습니까? 1 들어본적이있다 2 들어본적이없다 8. 귀하께서는문7. 에대해들어본적이있다면관련정보를어디에서주로얻었습니까? 1 TV 2 라디오 3 신문 4 인터넷 5 잡지 6 교육 ( 학교 ) 7 기타 ( 구체적으로 : ) 9. 귀하께서생각하시는울산광역시가취약한기후변화적응분야는어디라고생각하십니 까? 다음에서생각하시는분야를 3가지만선정해주십시오.(,, ) 기후변화적응분야 예시 1. 건강 폭염, 전염병, 대기오염, 알레르기 2. 재난 / 재해 태풍, 게릴라성집중호우, 산사태 3. 농업 아열대병해충유입 확산, 이상기후로작물생산량감소 4. 산림 대규모산사태, 산불, 병해충 10. 귀하께서는울산광역시가추진해야할기후변화적응대책중울산광역시와시민을 위해우선적으로개선노력을기울여야할분야는어디라고생각하십니까? 다음에서 생각하시는분야를 3가지만선정해주십시오.(,, ) 기후변화적응분야 예시 1. 건강 폭염 대기오염등으로부터국민생명보호 2. 재난 / 재해 방재기간강화및사회기반시설구축 3. 농업 기후적응농업생산체제전환및기회창출 4. 산림 산림건강성향상및산림재해저감 5. 해양 / 수산업 해수면상승대응및안정적수산자원확보 6. 물관리 홍수, 가뭄등으로부터안전한물관리체계구축 7. 생태계 생태계보호 복원을통한생물다양성확보 8. 기후변화감시및예측 적응기초자료제공및불확실성최소화 9. 적응산업 / 에너지 기후변화적응신사업 유망사업발굴 10. 교육 홍보및국제협력 대내 외적응소통강화 11. 심각하게진행되는기후변화에원활하게적응하기위해서는다양한대책이마련되어 야할것입니다. 대책수립에도움이될참신하고새로운의견을제시해주시면대단 히감사하겠습니다.( 예시 : 여름철폭염시 65세이상노인, 독거노인, 심 뇌혈관질환 자, 빈곤층등폭염에취약한계층의건강상태를고려하여집중방문관리등 ) ( ) 다음으로통계처리를위해개인적인사항에관한질문입니다. SECTION 3 응답자특성 5. 해양 / 수산업해수면상승으로인한연안위험증가, 수산업재해 6. 물관리홍수, 침수, 가뭄, 단수, 수질오염 D1. 직업 1 공무원 2 사무 / 기술직 3 경영 / 관리직 4 판매 / 서비스직 5 전문 / 자유직 6 생산 / 운수직 7 자영업 8 ( 전업 ) 주부 9 학생 10 무직 11 기타 ( ) 7. 생태계 외래종출현으로인한생태계교란, 생태계서식처파괴및훼손 8. 기후변화감시및예측 기후변화모니터링자료미비, 불확실성 9. 적응산업 / 에너지 기후변화적응사업발굴, 정전등에너지수급불안정 10. 교육 홍보및국제협력 도민기후변화홍보및교육등정보전달체계미비 D2. 학력 1 중졸이하 2 고졸 3 대졸이상 1 150만원미만 2 150 300만원 D3. 월소득 3 300 500만원 4 500만원이상응답해주셔서대단히감사합니다.

부록 부록 2.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1 SECTION 1 적응능력평가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2 울산광역시기후변화적응계획을위한전문가인식조사 ID ***** 전문가평가기준및배점 ***** 안녕하십니까? 평소울산시정발전을위해수고해주시는여러분들게감사드립니다. 저희울산발전연구원 (http://www.udi.re.kr) 은울산광역시출연연구기관으로서지역현안에대한해결방안을모색하고, 지역특성에맞는시책과비전을제시하기위한다양한연구를수행하고있습니다. 본설문조사는 연구의일환으로기후변화적응에관한전문가분들의적응능력인식조사를실시하고있습니다. 이제기후변화는현실이되어우리삶전반에많은영향을끼치고있습니다. 그리고실제혹은예측되는기후변화로인한악영향이나타나기전에위험을최소화하고새로운기후환경에적응하는대책의수립이시급합니다. 귀하께서응답해주신내용은기후변화적응대책의수립및개선안마련을위한기초자료로활용될것이며, 설문에응답하신내용은통계법제33조와제34조에의거철저히비밀로보장됩니다. 바쁘시더라도잠시만시간을내어응답해주시면대단히감사하겠습니다. 2011 10월울산발전연구원장조사관련문의처 : 울산발전연구원도시환경연구실연구책임자 : 이상현선임연구위원 Tel : 052) 283-7732 Fax : 052) 289-7447 e-mail : shlee@udi.re.kr 1. 개요 본설문평가는울산광역시의기후변화적응대책수립및개선안마련을위한기초자료조사차원에서시행되는것임 2. 설문평가방법 설문평가는기후변화영향과적응능력으로구분하여시행하며, 시점은현재와미래로구분하여시행함 기후변화영향은기후요소와기후요소영향정도의크기를조절하는변수로정의할수있으며, 적응능력은기후변화영향을감소시킬수있는변수로정의할수있음 3. 평가배점기준 평가항목및배점기준은기후변화적응관련과거연구자료를참고하여본연구진에서결정하여정함 기후변화영향평가는상대평가로각항목에대한울산광역시의기후변화영향을 5개등급으로구분하여, 영향을적게받으면 1점, 많이받으면 5점을부여함구분적게받음 기후변화영향 많이받음점수 1 2 3 4 5 A1. 성별 1 남 2 여만 ( ) 세 A2. 연령 1 20대 2 30대 3 40대 4 50대 5 60대이상 A3. 직업군 1 학계 2 연구직 3 공무원 4 기타 적응능력평가는상대평가로기후변화에대한울산광역시의적응능력을 5개등급으로구분하여, 역량이작으면 1점, 크면 5점을부여함구분작음 적응능력 큼점수 1 2 3 4 5 부록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3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4 건강분야 산림분야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폭염에의한건강취약성 5 병해충에의한산림취약성 5 대기오염물질에의한건강취약성 5 임업에의한산림취약성 5 전염병에대한건강취약성 5 산사태에의한산림취약성 5 식품안정성에대한건강취약성 5 산불에의한산림취약성 5 재난 / 재해분야 수물관리분야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태풍에의한재해취약성 5 하천유량변화에대한취약성 5 집중호우에의한재해취약성 5 홍수에대한취약성 5 폭설에의한재해취약성 5 가뭄에대한취약성 5 해수면상승에의한재해취약성 5 수질오염에대한취약성 5 농업분야 생태계분야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세부항목 배점 현재 미래 기후영향적응능력기후영향적응능력 농가자산의취약성 5 홍수, 산사태에의한생태계취약성 5 벼생산성의취약성 5 생물다양성의변화에대한취약성 5 배생산성의취약성 5 외래종유입에대한취약성 5 대체작물생산성의취약성 5 유해생물의유입에대한취약성 5

부록 기후변화적응전문가설문지 5 부록 3. 1 차 TF 및자문회의 SECTION 2 기후변화적응대책관련조사 귀하께서는울산광역시가추진해야할기후변화적응대책중울산광역시와시민을위 해우선적으로개선노력을기울여야할분야는어디라고생각하십니까? 다음에서 생각하시는분야를 3가지만선정해주십시오.(,, ) 기후변화적응분야 예시 1. 건강 폭염 한파 대기오염등으로부터국민생명보호 2. 재난 / 재해 방재시스템강화및방재관련기반시설구축 3. 농업 기후적응농업생산체제전환및기회창출 4. 산림 산림건강성향상및산림재해저감 5. 물관리 홍수, 가뭄등으로부터안전한물관리체계구축 6. 생태계 생태계보호 복원을통한생물다양성확보 7. 기후변화감시및예측 적응기초자료제공및불확실성최소화 8. 적응산업 / 에너지 기후변화적응신사업 유망사업발굴 9. 교육 홍보및국제협력 대내 외기후변화적응관련소통강화 심각하게진행되는기후변화에원활하게적응하기위해서는다양한대책이마련되어야할 것입니다. 대책수립에도움이될참신하고새로운의견을제시해주시면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예시 : 여름철폭염시더위를피할수있는무더위쉼터제공, 온난화를이용한아열대작물 시범재배, 상습침수지대국가매입과주민이주추진등 ) ( ) 응답해주셔서대단히감사합니다. 부록 부록 4. 2 차 TF 및자문회의 기후변화적응대책수립추진상황보고회개최결과보고 회의개요 회의주요내용 향후계획

부록 붙임 1 의견수렴내용 부록 붙임 2 참석자명단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부록 부록 5. 최종보고회 붙임3 회 의 록 보고회사진 및 언론보도 사항 주 제 :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최종보고회 일 시 : 2012 2월 22일(수) 17:00~ 장 소 : 울산광역시청 본관 7층 상황실 참석자 : 24명(TF팀 17명, 녹색성장위원 등 7명) 연번 소 속 직 위 성 명 비고 1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교 수 김종설 2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 수 조홍제 3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교 수 최성득 4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교 수 강태호 5 울산과학대학 환경화학공업과 교 수 서정호 6 춘해보건대학 간호과 교 수 오혜경 7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소 장 안두해 8 울산기상대 대 장 김현종 9 녹색에너지촉진시민포럼 사무국장 황인석 10 농업기술센터 기술지도 과장 윤주용 11 울산광역시 환경정책과 자연환경담당 이훈환 12 울산광역시 녹지공원과 녹지담당 이상구 13 울산광역시 보건위생과 질병관리담당 강희애 14 울산광역시 민방위재난관리과 재난안전담당 류석희 15 울산광역시 농축산과 농정담당 변동구 16 항만수산과 수산행정담당 김영훈 17 울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급수담당 최황림 18 울산광역시 하수관리과 하수시설담당 서인보 19 울산발전연구원 도시환경실 실 장 김석택 20 울산테크노파크 정밀화학사업단 단 장 남두현 21 친환경청정기술지원센터 센터장 김억수 22 울산환경기술인연합회 회장 권삼철 23 SK Chemical 차 장 박광수 24 울산광역시자연보호협의회 학술위원장 김일배 531 532 울산광역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수립 부록 자문의견 보고회사진 및 언론보도 사항 위원명 의견수렴 내용 - 대기오염경보시스템과 연계한 전달시스템, 피난경로 홍보 병행 울산자연보호협의회 - 소규모 식수댐 추가 건설 검토 학술위원장 - 식물공장의 관광자원 이용 검토 김일배 - 모니터링의 지속적인 추진이 중요 - 농업 농어업 선택적 용어사용 울산기상대 대장 김현종 - 의식개선 위한 홍보활동이 중요 한국자연보호협의회 전문위원 박거환 - 첨단기술을 활용한 농업육성 지원대책 ex) 로봇버섯공장 녹색에너지촉진 시민포럼 사무국장 황인석 울산과학기술대학 교수 이명인 - 다양한 과제를 차별로 진행해가면서 필요한 부분을 수 정 보완해 가는 것이 필요 저감과 적응의 상호보완적 진행 예측정보를 좀 더 정교화한 후 장기적인 대책 추진 필요 ex) 해수면 상승 등으로 상습침수지가 발생 사용제한 도시계획 반영 등 - 산업부분 취약성의 검토 필요 - 울산과학대학 교수 서정호 - 빗물관련 사업들의 담당부서 다양 조정 필요 춘해보건대학 교수 오혜경 - 표준화된 감염병 관리 중요, 주요감염병 모니터링 필요 교육 홍보에 다양한 방법 이용(온라인, SNS 등) 환경기술인연합회 - 노약층을 위한 실내 사회체육시설 확충 필요 회장 권삼철 친환경청정기술지원센터 - 교육 홍보분야 강화 필요 센터장 김억수 533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