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이조선초기에부각되었던이유는의료혜택이국가구성원인일반백성모두에게까지미쳐야한다는의식때문이었다. 의료는성리학적인정론 ( 仁政論 ) 을실현하는주된통로였다. 이러한가운데눈길을끄는것이바로한증요법이다. 뜨거운증기를이용하여치료효과

Similar documents
152*220

Jkafm093.hwp

ok.

untitled

º´¹«Ã»Ã¥-»ç³ªÀÌ·Î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기본소득문답2

¼øâÁö¿ª°úÇÐÀÚ¿ø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10월추천dvd

2003report 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 2 -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120~151역사지도서3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나하나로 5호


hwp

src.xls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연구노트

<312E20C0AFC0CFC4B3B5E55F C0FCC0DAB1E2C6C720B1B8B8C5BBE7BEE7BCAD2E687770>

¹é¹üȸº¸ 24È£ Ãâ·Â

2019달력-대(판형키워)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레이아웃 1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내지완완

041~084 ¹®È�Çö»óÀбâ

~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bm hwp

소식지수정본-1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È޴ϵåA4±â¼Û

_¸ñÂ÷(02¿ù)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5년9월도서관웹용

..1,2,3,


Microsoft PowerPoint _Monthly InsighT 19년 1월.pptx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 89 -

ITFGc03ÖÁ¾š

ISSN 제 3 호 치안정책연구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 제29권제3호 ) 치안정책연구소 POLICE SCIENCE INSTITUTE

USC HIPAA AUTHORIZATION FOR


- 4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기업분석(Update)

untitled

CD 2117(121130)

~11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해외유학생보험3단팜플렛1104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연합뉴스) 마이더스

2ÀåÀÛ¾÷

....pdf..

The Scholars

새국어생활제 14 권제 4 호 (2004 년겨울 )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322DB3EDB9AE2E687770>

S - O I L M A G A Z I N E 2016 February Vol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MRIO (25..,..).hwp

141018_m

고 시 서울특별시고시제 호도시관리계획 [ 용산지구단위계획구역 ( 서부이촌동일대 ) 및계획 ] 결정 ( 변경 ) 및지형도면정정고시 구분 도면표시번호 지구명 지구의세분 위치 면적 ( m2 ) 연장 (m) 폭원 (m) 최초결정일 비고 기정 1 미관지구 역사문화미관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 " (2014), `` ,'' .." " (2011), `` ,'' (.)"

암센터뉴스레터1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동유럽의료기기시장개요 동유럽의료기기시장현황 2. 관련 EU 정책및지침 3. 시장전망 Ⅱ. 국가별의료기기시장동향 폴란드 2. 체코 3. 헝가리 4. 크로아티아 Ⅲ. 국가별유망품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Ä¡¿ì_44p °¡À» 89È£

Transcription: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김성수 1 1. 머리말 세종대는조선시대의료정비의절정기였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향약집성방 ( 鄕藥集成方 ) 과 의방유취 ( 醫方類聚 ) 의편찬을통해서보듯이학문적인면에서커다란발전이이루어졌다. 한편의료를전담하는기구들이점차로정비되었으며, 의과 ( 醫科 ) 의과목들이정해지고, 교육의내용들이확정되는등다양한면에서의료제도가정착되었다. 1 그리고치료에필요한약재를확보하기위하여여러정책들이마련된점도중요하다. 향약의이용을극대화하기위한조치로 향약채취월령 ( 鄕藥採取月令 ), 향약집성방 이편찬되었다. 중국산약재와비교하여향약의약성 ( 藥性 ) 을검토하였고, 지리지 ( 地理志 ) 의편찬과공납제 ( 貢納制 ) 정비를실행하여안정적으로전국의약재를조달할수있는장치들을만들었다. 2 이때향약의담론 이논문은 2015 년정부 ( 교육과학기술부 ) 의재원으로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된연구임 (NRF-2015-31-0683).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imsskim@snu.ac.kr 1 초기의연구만언급하자면대표적으로, (, 1993), 206-234 를들수있다. 김두종은세종대왕의 3 대업적으로, 향약 ( ) 의자립, 한의방 ( ) 의정리, 법의학재판의창설을비롯한의사 ( ) 제도의정비를들고있다. 2 향약재이용과향약의서편찬에대해서는다음의연구를참고., 여말선초 의형성과, 진단학보 87 (1996), 131-149; 이경록, 조선초기 의간행과향약의발전, 149 (2010), 327-371; 이경록, 향약집성방 의편찬과중국의료의조선화, 의사학 20:2 (2011), 225-262; 이경록, 에서 로 : 향약집성방

510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이조선초기에부각되었던이유는의료혜택이국가구성원인일반백성모두에게까지미쳐야한다는의식때문이었다. 의료는성리학적인정론 ( 仁政論 ) 을실현하는주된통로였다. 이러한가운데눈길을끄는것이바로한증요법이다. 뜨거운증기를이용하여치료효과를기대하는방법으로, 그원형은아마도목욕과온천의이용에서시작되었을것이다. 다만목욕을위해서는충분한물과연료가확보되어야하는문제가있었고, 온천은지역적인환경에구속되기때문에이용에있어서불편한점이많았다. 그와같은한계를극복하는한편비슷한의학적효과를기대할수있도록고안된것이바로한증소 ( 汗蒸所 ) 였다. 초창기의학사연구자김두종이한증소를부각시킨이유는새로운치료법의개발이라는측면에서찾을수있다. 3 전통의학에서주로이용하고있는약물과침구치료는그근원이오래되었을뿐아니라현재까지도널리이용되는방법이다. 그러나역사의전개과정에서의학의경향이변화하거나사회적환경이달라짐에따라사라지거나혹은그성격이변질된치료법도나타난다. 인조대에이형익 ( 李馨益 ) 에의해서행해진번침술 ( 燔鍼術 ) 이나, 4 조선후기까지이용되었던우각구법 ( 牛角灸法 ) 은이제는사라진치료법이다. 5 반면한증요법은그것들과는달리처음에는의학적치료로이용되다가현재에는그성격이변화된경우라고할수있다. 이글의문제의식은한증요법이세종대에집중적으로이용되다가어느순간정부의기록에서사라지는이유가무엇인지에대한의문에서시작한다. 그리고그이유가의학이론에대한검토가확대되고약재이용을둘러싼의료상황이변화함에기인하고있음을밝힘으로써조선시대의료의한단면을그려보 의의학이론과고유의술, 역사학보 212 (2011), 243-278; 김성수, 조선전기 정책과 의편찬, 한국사연구 171 (2015), 133-167. 3, 앞의책, 244-247. 김두종의연구에앞서 1930년 에의해한증에대한개략적인연구가이루어졌다., 의, 3:9 (1930), 16-18 와세다 ( ) 대학교수나카기리가쿠타로 (, 1872-1944) 가그에게한증에대한조사를요청한것을계기로요청받은 5가지조사항목을서술한다고하였지만, 일부만설명되고후속연구는진행되지못하였다. 그럼에도한증이개성지역에서가장유행하였으며, 지역적인편차에따라한증의형태역시다르게운영되었음을알려준다는점에서큰의미를갖고있다. 이에대해서는뒤에서다시서술한다. 4 김인숙, 인조의질병과번침술, 의사학 13:2 (2004), 198-218; 오준호외, 의계통과성격, 대한한의학회지 30:2 (2009), 46-55. 5 오준호, 조선의서에나타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7:1 (2011), 31-38.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11 고자한다. 조선초기거듭된향약정책에도불구하고질병치료대책은여전히부족하였다. 이에보다손쉽게이용할수있고값싼치료법으로서, 특히빈발하였던전염병대책의하나로한증이부각되었다고생각한다. 활인원중심의의학적요법이었던한증은새로운의학이론의수용과정에서위험성이재인식됨에따라국가적지원은점차축소되었다. 그러나한증은활인원이라는의료시설을벗어나민간의료의관점에서계속이용되어현재에까지이어지고있다. 2. 조선전기물리적발한 ( 發汗 ) 치료 1) 온천 ( 溫泉 ) 의유행동아시아전통의학에서주로이용하는치료법인탕약과침구의기원은매우오래전으로거슬러올라간다. 6 그이외에치료를위해서다양한방법들이강구되었는데, 때로는주술이동원되기도하였으며, 7 동의보감 에서의안 ( 醫案 ) 으로소개된심리적인요법도이용되었다. 8 물리적요법으로는좌훈 ( 坐燻 ) 도있었지만, 무엇보다널리유행하였던것이바로목욕과온천욕이다. 목욕이나온천욕의기원은정확히알수없지만, 고려말조선초에널리사용되고있었다. 단순히물로몸을씻는다는청결의의미이외에질병의치료내지의약의보조수단으로이용되었음은아래의사례에서찾아볼수있다. 월령 ( 月令 ) 을살펴보면인사 ( 人事 ) 가운데귀중하게여긴것은요절 ( 夭折 ) 함을 대비하는일이었다. 영위 ( 榮衛 ) 를잘흐르게하여건강 [ 大和 ] 을유지하게하는 6 야마다케이지 ( ), 윤석희ㆍ박상영옮김, 중국의학의기원 ( 수퍼노바, 2016), 19-184. 7 일례로후한 ( ) 무렵의태산관련의서 태산서 ( ) 에제시되어있는전녀위남 ( ) 혹은전남위녀 ( ) 법을들수있다. 그것은동기감응 ( ) 이라는원리에따라작동하기때문에, 당시의관점에서는당연내지는합리적이었다고할수있지만, 현재적관점에서는주술이라고할수있겠다. 김성수, 2014, 조선전기태교론 ( ) 의수용과전개, 인문논총 71:1 (2014), 51-82 중 54-55. 8 권1,, 에주로소개되어있는데, 분노함, 놀라게함, 광대의익살등 으로치료하는사례이다.

512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데에의약 ( 醫藥 ) 의공 ( 功 ) 이있다. 탕욕 ( 湯浴 ) 도도움이된다고하지만어찌의약보다더하겠는가 이에건물을세워이름붙이기를약원 ( 藥院 ) 이라고하였으니, 바로이루어졌다. 동쪽건물은 3칸으로탕욕을할수있게하였고, 서쪽건물도 3칸으로약 [ 藥餌 ] 을제공하도록하였다. 9 홍백정 ( 洪栢亭 ) 10 이안동 ( 安東 ) 에부사로부임하여약원을건립한사실을우왕 ( 禑王 ) 3년이색 ( 李穡 ) 이서술한것이다. 약원이고려의지방의료기관인약점 ( 藥店 ) 인지는알수없으나, 주목할것은목욕을할수있는별도의시설이마련되어있었다는점이다. 약원의구성요소로탕욕시설이포함되었으므로, 목욕이치료의한방편으로이용되었다고하겠다. 그러나목욕을치료의수단으로이해한이론적설명이나구체적인방법등에대해서는확인할수없다. 위의목욕요법이인위적방법이었다면, 자연약수나온천을이용하는목욕법도있었다. 약수는자연적으로용출되는초수 ( 椒水 ) 나약성 ( 藥性 ) 이있는물을사용하며, 11 온천은탕욕 ( 湯浴 ) 과약수욕 ( 혹은냉천욕 ) 이결합된형태라고할수있다. 특히온천욕은조선초기부터국왕을비롯하여조관 ( 朝官 ), 일반인들이널리이용하였다. 태조와태종은온천욕을위해평주 ( 平州, 혹은平山 ) 나이천 ( 利川 ) 에종종행차하였다. 특히의학에식견이있었던태종은자신의풍병 ( 風病 ) 치료에온천을시험하고자하였다. 그러나온천욕으로질병을고칠수있는지확신하지는못했다. 의서에서그근거를찾아보기어려웠기때문이다. 12 온천욕을권한의원의의견에찬성한조말생 ( 趙末生 ) 도풍병의원인이근심에있으니목욕이효과가있을것이라고주장하는정도였다. 13 그럼에도병을고친사례가있다는기대감에의원을비롯한많은식자들이동조하였다. 온천을이용하는대열에조관들도참여하 9 권1,.,,.,,.,,.,,,. 10 홍백정은 향약간이방 ( ) 집성마우의방 ( ) 의편찬에직접참여했던권중화 ( ) 와함께활동한인물이다. 11 김두종, 앞의책 ( 각주 1), 243-244. 12 권36, 18년 (1418) 7월 19일 ( ).,,,,,,.,,,. 태종이의학에조예가있었음은기사에서도확인된다. 13 권35, 18년 (1418) 3월 8일 ( ).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13 였는데, 질병이있으면휴가를내고온천에가서치료를구하는사례가종종있었다. 14 온천을적극적으로이용하고개발하려고노력한사람은세종이었다. 자신의질병도문제였지만, 세종은온천개발이위민 ( 爲民 ) 정치의하나라고표현했다. 이조에전지하기를, 온수 ( 溫水 ) 가여러가지질병을치료하는데자못신비로운 효험이있으므로, 내가이를구하는것은실로백성을위하는것이요, 옛사람들 이신선을구하는뜻과는다르다. 15 온천의개발을통해질병에시달리는백성들을효과적으로치료할수있으리라는기대감이있었던듯하다. 세종은재위 20년이후로온천을발견 ( 개발 ) 하는일에적극적으로나섰고, 특히한양근교에온천이있는지유독관심을두었다. 왜냐하면국왕이나왕실에서온천에행차할때마다백성들에게미치는폐해가상당했기때문이다. 거리가멀면왕래에불편할뿐아니라, 수많은수행원을대접해야하는백성들의부담도증가한다. 그리하여온천을찾기위한여러가지장려책을내놓았지만, 기대한만큼의성과를거두지는못했다. 세종은온천을발견하여신고하면효과를검토하고효험이좋은경우읍호 ( 邑號 ) 를승격하며개인에게는포상하는등의조치를취하겠다고약속하였다. 16 그러나조선사회는철저히신분제에근거한국역체제로작동되었다. 따라서온천의발견은소재지의백성들에게부담으로작용하였기때문에협조를얻기어려웠다. 17 그럼에도온천을찾기위한노력의결실은상당했던듯, 세종실록지리지 중총 29곳의행정구역에온천이기재될정도였다. 18 이처럼세종이온천발굴에노력을기울인데에는애민 ( 愛民 ) 이라는정치적 14 권3, 원년 (1419) 2월 20일 ( ) 기사는조관이었던허지 ( ) 의사례이다. 한편 권4, 원년 (1419) 5월 1일 ( ) 기사는온천에서목욕하는병자에게쌀과소금과장을주도록했다고전하는데, 당대인들이온천의치료효과를기대하고자주이용하였음을살펴볼수있다. 15 권83, 20년 (1438) 10월 4일 ( ).,,,,,. 16 권81, 20년 (1438) 4월 18일 ( ). 17 부평 ( ) 의경우에는아전과백성들의비협조가원인이되어부 ( ) 에서현 ( ) 으로강등 되기도하였다. 권 83, 세종 20 년 (1438) 11 월 8 일 ( ). 18 권 149-155, 지리지 참조.

514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수사도있었지만, 자신의질병치료라는개인적인이유도있었다. 세종은당뇨병으로볼수있는소갈 ( 消渴 ) 을앓고있었으며, 눈병과임질 ( 淋疾 ) 로도고통을받았다. 19 치료의성과가드러나지않는상태에서온천은마지막가능성이었던듯여러차례온천에행차하였다. 그러나기대한결과를거두지못하자, 세종은온천의효과에대해회의적으로변하였다. 세종이승하하고문종이즉위한이후대신ㆍ종친들의온천왕래폐단을금지하기위한조치를논의하는가운데, 문종은의미심장한말을남겼다. 세종께서일찍이그폐단 ( 온천에가는대신들을접대하는폐단 ) 을알고하교 ( 下敎 ) 하시기를, 다른물로써탕욕 ( 湯浴 ) 하여땀을흘린다면온천에목욕하는것과다름이없다. 다만온천이조금안온 ( 安穩 ) 할뿐이다 라고하시고, 드디어법을세워이를금지하였다. 20 세종이 땀을흘린다 는전제아래온천과탕욕사이에별반차이가없다고말했다는것이다. 21 땀을낼수있는가가치료의성패요인으로중요시될뿐이었다. 따라서멀리온천을이용하기보다는효과적으로땀을낼수있는방법을강구하는편이적절하였다. 적어도발한 ( 發汗 ) 이라는관점에서온천보다는탕욕이효율적이었고, 게다가한증은땔나무만있으면충분하다는장점이있었다. 2) 세종대한증소 ( 汗蒸所 ) 운영 탕욕과온천이물리적치료법으로널리이용되는상황에서, 세종대에새롭게 주목을받아운영되었던것이한증이었다. 한증은뜨거운증기혹은열기로땀 을내게하는치료법으로, 장중경 ( 張仲景 ) 이 상한론 ( 傷寒論 ) 에서제시한한 19 권 86, 21 년 (1439) 7 월 4 일 ( ). 세종의눈병과임질은당뇨합병증으로의심되는데, 특히안막 ( ) 으로인하여왼쪽눈은실명에가까웠고오른쪽눈도어두워졌다. 권 85, 21 년 (1439) 6 월 21 일 ( ). 이선복의연구에따르면, 세종의임질은석림 ( ) 으로요로결석으로볼수있다., 와세종의 에대하여, 178 (2003), 59-81 중 70-78. 20 권 4, 문종즉위년 (1450) 10 월 23 일 ( ).,,,,,. 21 온천과목욕의효과가크게다르지않다는점은철저히세종의견해이다. 이와다르게세종대에편찬된 향약집성방 에서는온천물에함유된유황이약효를발휘하며, 특히풍냉증 ( ) 에가장좋다고말한다. 권 4,,.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15 ㆍ토ㆍ하의치료원칙가운데하나로시작되었다고할수있다. 다만발한제 ( 發汗劑 ) 가포함된탕약을이용하지않고, 뜨거운열기를이용한물리적치료법이라는점에서다를뿐이었다. 한증의기원은정확하지않지만, 중국에서는당 ( 唐 ) 대의의사인손사막 ( 孫思邈 ) 이저술한 천금방 ( 千金方 ) 에서처음등장하는것으로보인다. 22 조선의의서에기록된바로는세종 15년 (1433) 편찬된 향약집성방 이처음이라고할수있다. 23 그러나그보다이른시기부터한증이이용되고있었음을세종 4년 (1422) 의다음기사에서알수있다. 예조에전지 ( 傳旨 ) 하였다. 병든사람이한증소 ( 汗蒸所 ) 에와서, 처음에는땀을내서병을치료하고자하지만그로인하여사망한경우가흔히있다. 좋은것인지나쁜것인지를널리물어보아, 한증에과연이익이없다면폐지시킬것이다. 만일병치료에이로움이있다면, 좋은의원을선택하여매일가서보도록하라. 환자가오면병의증세를진단하여, 땀낼병이면땀을내게하고, 병이심하고기운이약한자는그만두게하라. 24 즉세종 4년이전부터한증소가운용되고있었음은확실하다. 그런데환자를치료하리라는기대와는달리사망자가발생하는일이빈발하였다. 이에효과의여부와한증으로인한부작용을정확히파악하여한증소의존폐 ( 存廢 ) 를판단하겠다고세종이명령한것이다. 다만효과가있더라도의원을파견하여환자의증세에따라한증실시를검토하도록하였다. 세종의명령이있은지한달쯤후, 한증소에의원을배치하여한증요법의금기나주의사항을가리는후속조치가내려졌다. 예조에서한증소설치장소와개수, 의원의배정방법, 처벌조항등을구체적으로건의하였고, 세종은그대로따랐다. 22,,, 권 29,,. 같은내용이 의방유취 에도실려있다. 권 28, 2,,. 이는의서만을한정할때이며, 손사막에앞서위진남북조시대의의사인서지재가한증요법을시행한사례가있다. 이에대해서는각주 84 를참조. 23 권 5,,. 24 권 17, 4 년 (1422) 8 월 25 일 ( ).,,,.,,.,.,,.

516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예조에서아뢰었다. 동서활인원 ( 東西活人院 ) 과서울안에있는한증소 ( 汗蒸所 ) 에서승인 ( 僧人 ) 이병의증상 ( 證狀 ) 은묻지않고모두땀을내게하여, 왕왕사람을죽이는데까지이르게하니, 이제한증소를문밖에한곳과서울안에한곳을두고, 전의감 ( 典醫監 ), 혜민국 ( 惠民局 ), 제생원 ( 濟生院 ) 의의원을한곳에두사람씩차정 ( 差定 ) 하여, 그병의증세를진찰시켜땀을낼만한사람에게는땀을내게하되, 그들이상세히살피지않고사람을상해시킨자는의원과승인 ( 僧人 ) 을모두논죄하게하소서. 이를그대로따르고, 동ㆍ서활인원과서울안의한증소는전처럼두도록명령하였다. 25 예조의건의에따라한증실시로발생한인명손상의책임을파견된의원이나한증승 ( 汗蒸僧 ) 에게부과토록하였다. 한달여전에내려진방침에따라한증의효과를보다면밀하게파악하기위한조처였다. 그런데당시한증소가설치된곳이한양안과동ㆍ서문밖에있었던동서활인원이었음도파악된다. 활인원은대민의료기관의하나인혜민서와달리환자혹은기민 ( 饑民 ) 을수용ㆍ치료하는역할을하였다. 정도전 ( 鄭道傳 ) 이기획한혜민전약 ( 惠民典藥 ) 의규정에따르면혜민서는약재만판매하였고환자를수용하지않았다. 26 반면활인원은전염병발생여부나환자의다소 ( 多少 ) 에따라규모의정비가필요하였다. 정부에서는한증소운영도감안하면서동서활인원에재정지원을계속해서유지하는한편시설의확대ㆍ정비를꾀하였다. 한증소운영을지원하기위한조처중의하나는보 ( 寶 ) 의설치였다. 세종 9 년 (1427) 한증소에서일하던대선사 ( 大禪師 ) 천우 ( 天祐 ), 을유 ( 乙乳 ) 는한증이인정 ( 仁政 ) 의하나이며, 27 치료효과가있음을들어한증소이용자의부담경감책을제안하였다. 그들은세종 5년 (1423) 명호 ( 明昊 ) 의건의에따라설치가결정된탕욕과한증소설치사업을명호의사후에계승한인물들이었다. 25 권 18, 4 년 (1422) 10 월 2 일 ( ).,,,,,,,,,,,,,.,,. 26 권 7,,,.,,.,,. 27 권 36, 9 년 (1427) 4 월 24 일 ( ).,,,.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17 저희들은그일을계속하기위하여널리시주를받아연전 ( 年前 ) 에욕실 ( 浴室 ) 을증설한바, 한증으로병을고친자가계속하여끊이지아니합니다. 그러나가난한병자는땔나무를준비하기어려울뿐아니라, 쑤어먹을죽과소금, 간장따위도마련하기가쉽지아니하므로, 저희가비록안타깝고민망하오나공급할길이없사오니, 엎드려바라옵건대성상께서아시게되어쌀 50섬과무명 50필만주시면그것으로밑천삼아이식만을가지고쓰면서본래밑천은다시나라에반납하고영구히보 ( 무릇쌀이나베를가지고본전삼아두고서이식만따서영구비용을마련함을보라고한다 ) 를세워가지고그것으로병자들을구제하는것이소승들의지극한소원이옵니다. 28 기본적으로국가에서는한증소를만들고이용환자들의상태를파악하기위해의원을파견하는일을맡았으며, 한증을위한제반비용은환자들이부담했다. 그런데한증소를이용하는인원이계속해서증가하였지만, 불을피기위한땔나무와한증이후영양을보충하기위한음식물을환자가직접부담하는문제가있었다. 그해결을위해보의설치를건의하였고세종의허락을받았다. 이후로도이용자증가에따라동활인원에는존비 ( 尊卑 ) 와남녀를구분하기위해한증실을세곳더짓고, 29 서활인원에땔나무를지원하는조치가취해짐으로써환자들의부담이점차경감되었다. 30 그러나활인원을중심으로재정지원이늘어나고한증소설치가확대될가능성이제기되면서, 정부에서는그확대에제동을걸었다. 세종 27년 (1445) 묵사 ( 墨寺 ) 31 에서한증소정비를위한지원을요청하자, 예조에서한증과목욕요법이효과가없음을들면서오히려철폐를주장하였다. 28 권 36, 9 년 (1427) 4 월 24 일 ( ).,,,,.,,,,,,,,,,, [,,, ],,. 29 권 44, 11 년 (1429) 6 월 27 일 ( ).,,,,,,,,. 30 권 48, 12 년 5 월 19 일 ( ). 땔나무수송에사재감 ( ) 의배를이용할수있게건의하였는데, 이를통해땔나무의보급이난제였음을파악할수있다. 31 묵사는현재서울성북구성북동과중구묵정동 ( ) 에각각있었는데, 김두종의연구에서참조된한증소의소재는성북구돈암동이라고하였다. 김두종, 앞의책 ( 각주 1), 245-246. 따라서성북동의묵사일가능성이크다고생각한다.

518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의정부에서예조의정문에의거하여상신 ( 上申 ) 하였다. 지금묵사 ( 墨寺 ) 의중 [ 僧 ] 이병자가한증하고목욕하는기구를수리할것을청하였으나, 동서활인원이이미설치되어질병을다스리고, 묵사는여염 ( 閭閻 ) 에끼어있어중들이살기에적당하지아니하고, 또한증과목욕이본래특이한효험이없사오니, 청하옵건대묵사를헐어버리고한증과목욕하는기구및입보 ( 立寶 ) 한미포 ( 米布 ) 는동서활인원의노비에게나누어주고, 형조로하여금재목과기와를조처하여왜관 ( 倭館 ) 을수리하게하소서. 왕이그대로따랐다. 32 예조에서부정적인의견을제시한이유는크게세가지였다. 첫째활인원에서운영하고있는한증소만으로도충분하며, 둘째중이도성내에서사는것이합당치않고, 셋째한증의효과가크지않다는점이었다. 앞서한증으로병을고친사람들이줄을이었다는평을얻어지원이확대되다가, 20여년이흐른이후효능에강한의문이제기되면서제동이걸렸다. 그렇다고한증소자체가완전히폐지된것은아니었다. 문종원년 (1451) 에는서활인원의요청에따라홍제원 ( 洪濟院 ) 소재석불 ( 石佛 ) 에바쳐진물품을한증소에서일하는군인 ( 軍人 ) 들에게제공하는일이논의되었다. 33 그리고성종때에는왕실에서한증소를이용한짧은기사가등장한다. 34 다만이후로는한증소운영과관련한기사를더이상찾을수없는데, 이는의료정책에서차지하는역할이점차축소되었기때문이라고생각된다. 3. 한증성행의요인과운용법 1) 전염병대책과한증요법 세종 27 년한증요법의효과에대한부정적인의견이강하게제시되기전까지 한증소의운영을위한지원은확대되고있었다. 효능에대한의학적검토와상 32 권 110, 27 년 (1427) 11 월 6 일 ( ).,,,,,,,,,,,,,,,,,.. 33 권 6, 원년 (1451) 3 월 13 일 ( ). 34 권 126, 12 년 (1481) 2 월 27 일 ( ); 권 138, 13 년 (1482) 2 월 7 일 ( ).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19 관없이치료의효과가경험적으로주장되었기때문에가능했다. 그리고약재를사용하기어려운일반백성들에게의료의이름으로치료수단을제공한것도분명하다. 그렇지만한증소가국가의료정책의일부로서주목받고지원을얻었던데에는보다근본적인요인이있었을것이다. 그연유를밝혀줄자료를찾기어렵지만, 한증소가설치된곳과관련하여생각할필요가있다. 처음부터한증소는정확한지역을알수없는한양안쪽에한곳, 동서활인원에각각한곳씩설치되었다. 또한한증소의운영은철저히활인원과관계하여이루어지고있었다. 그리고세종 27년묵사의한증소를철폐할때예조에서제기한세가지사유가운데첫번째가 동서활인원이있어서질병을치료하고있다는점 이었다. 따라서한증소와활인원사이에밀접한관계가있다고추정할수있다. 그런데활인원의주요기능이전염병치료였으므로, 한증요법이전염병치료와직간접으로연결될수있다. 당시자주발병하였던온역 ( 瘟疫 ) 의치료법을 향약집성방 에서는 상한문 에붙여설명하고있었으며, 한증의방법에대한설명도함께포함되어있었다. 한증을온역의치료법으로단정하기어렵지만, 적어도상한치료법의하나로서온역에응용될가능성이높았다. 35 세종대에는원년 (1419) 부터시작해서온역 ( 瘟疫 ) 을비롯한전염병이여러차례유행하여, 한증소가처음언급된 4년 8월이전까지매년전염병이발생하여피해를주고있었다. 원년에는각도에역질 ( 疫疾 ) 이성행하였고, 36 세종 2년 (1420) 3월에는경외 ( 京外 ) 에역병이돌아백성들을적극적으로치료하도록명령을내리기도하였다. 37 특히 3년 (1421) 겨울부터 4년봄까지도성의건축이예정되면서역병발생의우려가크게일었다. 서활인원제조 ( 西活人院提調 ) 한상덕 ( 韓尙德 ) 이아뢰었다. 내년봄에성을쌓을군사가많이모이면반드시역려 ( 疫癘 ) 가있을것입니다. 태조께서나라를세운초기에비로소도성 ( 都城 ) 을쌓으매, 역려가크게일어났는데, 화엄종 ( 華嚴宗 ) 의중탄선 ( 坦宣 ) 이여질 ( 癘疾 ) 을두려워하지않고마음을다하여구휼하였 35 권 8,,. 이항목에서는돼지소변을술과섞어복용하고는한증의방법과마찬가지로바닥을뜨겁게하고이불을덮어땀을내는치료법을소개하고있다. 36 권 4, 원년 (1419) 5 월 1 일 ( ). 37 권 7, 2 년 (1420) 3 월 28 일 ( ).

520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습니다. 지금탄선이경상도신령 ( 新寧 ) 에있사오니, 역마 ( 驛馬 ) 로써불러올려, 그로하여금구호하기를원합니다. 왕이그대로따랐다. 38 세종 3년 12월, 한상덕은도성의건축으로사람들이운집하면결국역병을초래할것임을사전에경고하였다. 또한대책의하나로과거역병치료에활약했던탄선을등용하고자건의하였다. 그러나사전준비에도며칠후한양에역병이유행하였다. 39 정부에서는보다본격적인전염병대책으로구료소 ( 救療所 ) 네곳을도성의동 서에각각설치하였다. 혜민국제조였던한상덕의진료감독아래의원 60명이동원되었으며, 또한탄선이중 300명을거느리고이를도왔다. 40 하지만이러한대책에도불구하고봄이되자서울과지방에서다시큰역병이돌아많은사람들이죽었다. 41 그리고같은해 8월한증소운영을알려주는첫기사가등장한다. 42 구료소의배치와함께한증소가동서활인원안에설치되었음을고려할때, 둘사이에밀접한관계가있을가능성이높다. 즉전염병구료기관인활인원을중심으로구료소와한증소가인접하여운영된것이다. 한편전염병이지방에서발생하면대책의일환으로의원을파견하고치료약물을내려주기도하였다. 가령세종원년 5월전염병이발생했을때에는각도의감사에게몇가지치료약을보내어구료토록지시하였다. 왕이말하였다. 이제들으니, 각도에역질이성행한다하니, 수령에게교유하여, 구료 ( 救療 ) 에힘쓰지아니하면, 요사 ( 夭死 ) 하게될것이니, 내가심히민망히여겨서향소산 ( 香蘇散 ), 십신탕 ( 十神湯 ), 승마갈근탕 ( 升麻葛根湯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등의약을여러도의감사에게하사하여, 본처방에의하여구료하라. 43 38 권 14, 3 년 (1421) 12 월 18 일 ( ).,,,.,,,,,.,,.. 39 권 14, 3 년 (1421) 12 월 29 일 ( ). 40 권 15, 4 년 (1422) 정월 15 일 ( ).,,,,,,,. 41 권 15, 4 년 (1422) 3 월 29 일 ( ). 42 권 17, 4 년 (1422) 8 월 25 일 ( ). 43 권 4, 원년 (1419) 5 월 1 일 ( ).,,,,,,,,,.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21 세종은향소산ㆍ십신탕ㆍ승마갈근탕등을제조토록하여감사들에게나눠주었 다. 그리고같은약들을이용한치료는세종 6 년 (1424) 전염병발생때에도다 시나타난다. 44 차이가있다면원년에는중앙에서약을제조하여내려보냈지 만, 6 년에는처방만을알려주고직접제작하여이용토록한점이다. 그런데세종 16 년 (1434) 발생한역병을구제하기위해내린처방은세종원 년, 6 년의경우와는다른양상을보여준다. 이때세종은지방관들에게역병구 료를당부하면서, 약물대신의서들을검토하여유용한처방을정리해서알려주 었다. 태평성혜방 ( 太平聖惠方 ), 천금방 ( 千金方 ), 경험양방 ( 經驗良方 ) 의전염예방법과간단한치료법이었다. 예컨대 태평성혜방 을전거로두시 ( 豆豉 ) 와복룡간 ( 伏龍肝 ) 을아이의소변에달여서복용하는예방법, 도지엽 ( 桃 枝葉 ), 백지 ( 白芷 ), 백엽 ( 柏葉 ) 을가루내어서목욕하는치료법등이었다. 특히 천금방 과 경험양방 전거의전염병예방법은매우간단한단방 ( 單方 ) 이었 다. 우물안에 3 일간넣어둔붉은팥을먹거나, 솔잎가루를술에타서복용하 고, 우물에넣어둔콩을먹는식이었다. 그리고동쪽으로자란복숭아나무가지 를넣어끓인물로목욕을하거나, 세수직후코안에참기름을바르고, 종이심 지를콧구멍에넣어재채기하는방법이었다. 45 세종원년에직접내려주고다시 6 년에알려준향소산등은모두완성된복 방 ( 複方 ) 이었다. 게다가수입에의존하는감초 ( 甘草 ) 가모두포함되었으며, 십 신탕의경우에는발한제인마황 ( 麻黃 ) 도필요하였다. 46 반면세종 16 년의처방 은주로단방이면서철저히중국의약재를배제하였고, 의원의진찰이사실상 필요하지않았다. 16 년의조치가예방요법위주였다고는하지만, 이전과는매 우다른양상이었음을알수있다. 대응의방식이달라진이유는무엇보다약재상황과밀접한관련이있었다. 특히감초나마황이중국에서수입해야만하는약재였다는점을고려한다면, 전 44 권 23, 6 년 (1424) 2 월 30 일 ( ).,,,,,,,. 45 권 64, 16 년 (1434) 6 월 5 일 ( ). 46 이들처방과감초와의관계를주목한이경록의연구를참조할수있다. 이경록, 조선전기감초의토산화와그의미, 의사학 24:2 (2015), 423-455 중 432-433. 상기의처방은 동의보감 에서도온역치료의대표적처방들로소개되고있다., 권 7,,. 그런데이와함께주목할것은십신탕에사용된마황인데, 마황은대표적인발한제이다.

522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염병빈발에따라이용량이증가하면서국가보유량에문제가발생하였을가능성이높다. 세종원년과다르게 6년에처방만을알려준이유도그때문이었을것이다. 특히세종 16년전염병대책은그러한추정의신빙성을더욱높여준다. 세종은이미 1년전역병발생의가능성이높다고판단하여활인원과전의감, 혜민국, 제생원등으로하여금치료법을미리살피고약재를준비토록하였다. 47 두달뒤당약 ( 唐藥 ) 이다떨어졌음을파악하고무역할방안을논의하였고, 48 다시한달후에상호군허지혜 ( 許之惠 ) 를북경으로파견하여약재를무역하였다. 49 그럼에도역병창궐시에국가에서제공한것은단방위주의예방법뿐이었다. 오한발열 ( 惡寒發熱 ) 을특징으로하는상한 ( 傷寒 ) 과유사증상을동반하는전염병 [ 瘟疫 ] 을치료할때사용되는발한제나해표제 ( 解表劑 ) 를대신할치료법의강구가필요하였다. 세종 4년전염병발생대책으로구료소설치와함께한증이용기사가처음등장하였다는사실에서, 전염병치료의한가능성으로한증소가부각되었다고생각한다. 물론향약재를개발ㆍ이용하는방법도있겠지만, 50 계속된전염병으로인해발생할수있는약재부족의대책으로한증소를이용하는것역시매우효율적이라고할수있기때문이다. 2) 한증의방법한증의구체적인방법을알려주는가장이른시기의자료는 향약집성방 이다. 향약집성방 에서는 천금방 이아니라 태평성혜방 ( 太平聖惠方 ) 을인용하여소개ㆍ설명하고있다. 태평성혜방 의내용이더구체적이고개량된형태였기때문일것이다. 그런데 태평성혜방 이이미고려에전해졌음에도 향약집성방 이전의의서에는발견되지않는다. 정종때에편찬된 향약제생집성방 ( 鄕藥濟生集成方 ) 의경우상한부분이빠진채로전해지고있어서한증이소개되었는지알수없다. 51 47 권 60, 15 년 (1433) 6 월 15 일 ( ).,,,,,. 48 권 61, 15 년 (1433) 8 월 26 일 ( ). 49 권 61, 15 년 (1433) 윤 8 월 25 일 ( ). 50 세종 14 년의기록에서제생원으로의향약재상납이부족하다는지적이있음을감안할때, 향약재로완전히대체하는것도어려운일이었다. 권 56, 14 년 (1432) 6 월 29 일 ( ). 51 향약제생집성방 은 4 ㆍ 5 ㆍ 6 권만전해지고있다. 이에대해서는이경록역주, 국역향약제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23 향약집성방 에서소개하고있는구체적인한증요법은 태평성혜방 을그 대로인용한것이다. 52 땀을내기위해서땅위에불을오래피우고는, 불을치워버리고물을조금뿌린다음누에똥 [ 蠶沙 ], 복숭아나무잎 [ 桃葉 ], 측백나무잎 [ 柏葉 ], 쌀겨 [ 糠 ], 밀짚 [ 麥䅌 ] 등을 땅위에 2-3촌두께로깔고그위에자리를펴고는이불을덮고땀이날때까지눕는데너무뜨겁지않게조절하면서온몸에땀이푹나도록하는것이좋다. 꽤지나서도땀이계속나면몸에분을발라땀이지나치게나지않게한다. 53 이에따르면땅을뜨겁게달군이후에자리를깐다음, 환자가누우면이불을 덮어땀이나게하는방식이었다. 그리고약재를자리아래에일정두께로깔아 서효과를더하도록하였다. 이는손사막이동료인장묘 ( 張苗 ) 에게서듣고기록 한방법을개량한것으로, 그는애초에복숭아나무잎만을사용하였다. 54 손사막의방법이나 태평성혜방 의한증법은필요에따라일시적인장소에 불을피워서한시적으로이용하는형태였다. 때문에이불을덮어열기가빠져 나가지않도록조치하였다. 발한제복용과함께보조적인조치로이불을덮어 땀이나도록촉진하는것은일반적인방법이었다. 향약집성방 에소개된상한 의처방가운데, 총백탕 ( 蔥白湯 ) 이나백룡환 ( 白龍丸 ), 우엉뿌리등의설명에서 이불을덮으라고하였다. 55 그러나한증소에서는건물을마련하여항시적으로 이용하였기때문에이조항은필요하지않았을것이다. 현재까지한증소구조를설명한기록은발견되지않았다. 그러나서울에남 아있었던한증소를조사한김두종의연구에따르면 4-5 평정도의내부규모를 갖는돔형태였다고한다. 돌을쌓고외벽에는진흙을발라서마감하였으며, 돔 생집성방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3), 3-18 참조. 52 권 8,,. 53 권 5,,. [ ],,,, 䅌,,,,,,,,.,,. 54 권 28, 2,,.,,,,,,,,,,,,,,.,,.,,,. 55 권 5,,.

524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보다대략 6 척높은배기실이있어불을땔수있게하였다. 56 구조는한증소마 다의사정에따라약간씩다를수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대동소이했을것이 다. 57 그리고같은한증이라고불렸지만운영방식에서약간의차이들도나타났 다. 손사막이제시한방법은물의사용을최소화했던반면에뒤에서살필최충 성의사례는증기를이용한것으로보이기때문이다. 한증이용에서가장조심해야할일은땀을내도무방한증상인지판별하는 것이었다. 세종은의원을파견하여이를면밀히검토하도록하였으며, 향약집 성방 에서는 태평성혜방 을인용하여상세히설명하였다. 상한 ( 傷寒 ), 특히 태양병 ( 太陽病 ), 표증 ( 表證 ) 인경우의치료항목에서봄과여름에사용하는것 이좋으며, 손발까지축축할정도로만땀을내야하고, 병이나으면그만두어야 한다고말한다. 58 땀을지나치게흘리면양기 ( 陽氣 ) 가다하여오히려환자가허 약해지기때문이다. 향약집성방 에서는이어서땀을내서는안되는증상도차례로설명한다. 금기시된것은대체로병이인체의바깥에있지않고안으로침투한경우였다. 이외에도맥이더디거나미약한경우등도해당되는데, 이런경우는양기 ( 陽氣 ) 나혈기 ( 血氣 ) 가부족하기때문이었다. 그밖에도오장 ( 五臟 ) 에열이몰려있거 나, 설사를할때등다양한이유가있었다. 59 이와같은금기사항은한증소운영초기부터충분히인식되지못했던것으 로보인다. 왜냐하면세종 4 년의기사와같이한증으로오히려사망하는사례가 빈번히발생했기때문이다. 물론처음에는한증승이운영을담당했다는이유도 있겠지만, 발한 ( 發汗 ) 의위험성을알려주는 태평성혜방 이조선초기부터이 56 김두종, 앞의책 ( 각주 1), 245-246. 57 뒤의최충성사례도김두종의설명과유사하다. 다만돔의형태였는지는분명하지않다. 아울러이선근의보고에따르면지역별로차이가있다고하는데, 이는다시설명한다., 앞의글 ( 각주 3), 17-18. 58 권 5,,.,,.,,,.,,. 59 권 5,,.,,,,.,,,.,.,.,,.,,,.,,,,.,,,.,.,,.,,,.,,,,,.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25 용되었다는점을고려하면납득하기어려운문제이다. 정종때편찬된 향약제생집성방 은 천금방 을비롯하여 태평성혜방, 성제총록 ( 聖濟總錄 ) 등을바탕으로한의서였다. 만약 향약제생집성방 에서발한의위험을경고했다면, 그에적절한조치가취해졌을것이기때문이다. 그렇게본다면 향약제생집성방 편찬이전까지한증이널리이용되지않았던듯하다. 그러나한증이점차로보급되고세종 4년한증의효과를검증하는조치가강화되면서, 향약집성방 을편찬하는시점에서한증의방법과발한요법의금기등이더욱구체적으로명문화된것으로보인다. 그럼에도한증요법이유행하면서새로운부작용이나타났다. 의원이파견되었던국가운영의한증소와는달리, 의서의금기사항을정확히파악하지못한상태에서개인적으로한증을이용하면서발생한문제였다. 이어서살펴볼최충성의사례는한증요법의위험성을잘보여준다. 4. 한증의위험성 1) 최충성 ( 崔忠成 ) 사례한증은발한요법으로주목받으면서도한편으로그위험성도의서를통해점차로부각되었다. 의학적고려가없는상태에서이용하는한증의위험은최충성 (1458-1491) 의사례에서극명하게나타난다. 최충성은사용 ( 司勇 ) 최별 ( 崔潎 ) 의아들로, 김굉필 ( 金宏弼 ), 정여창 ( 鄭汝昌 ) 의문인이며김안국 ( 金安國 ), 남효온 ( 南孝溫 ) 과는동문 ( 同門 ) 이었던인물이었다. 60 무엇보다그는질병을치료하기위하여한증실을직접마련하여이용하고서실패담으로 증실기 ( 蒸室記 ) 를남겼고, 이는한증이용실태와당대인의이해를살펴볼수있는흥미로운사례이다. 한증을이용하게된병력 ( 病歷 ) 은그의나이 32세무렵인성종 20년 (1489) 에서부터시작되었다. 그는질병에걸린원인을학업으로전국을다니다가결국기력이쇠진하고풍한 ( 風寒 ) 을피하지못했기때문이라고이해하고있었다. 그런까닭에 20대중반이후자신의유랑을상세하게기록하였다. 그가거쳐간곳은성종 14년 (1483) 월출산 ( 전남 ), 성종 15년 (1484) 용암산 ( 경기 ), 성종 16년 60 권4,, [ ].

526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1485) 삼각산, 백악산 ( 한양 ) 과천마산, 성거산 ( 개성 ), 성종 17년 (1486) 서석산 ( 광주 ), 성종 18년 (1487) 지리산이었다. 특히성종 19년 (1488) 에는지리산에서영남으로, 다시영월 ( 강원 ) 과완산 ( 전북 ), 옥천 ( 충북 ), 운산 ( 충남 ), 창평 ( 전남 ), 김제 ( 전북 ) 등을돌아다녔다. 61 이러한피로때문인지발병이후그의증세는계속해서악화되었다. 성종 20 년해수 ( 咳嗽 ) 에서시작된증상은중풍으로사지가구부러지지않으며오관 ( 五關 ) 62 이막히고정신이혼미할지경까지이르렀다. 형인최대성 ( 崔大成 ) 의구료덕분에잠시차도가있었지만, 다음해봄이되자다시발병하여말을더듬고시력도나빠졌다. 지팡이에의지해야겨우걸음을옮길정도였다. 63 그때문에전라도관찰사에게도움을청하기도하였고, 64 치료에도움이되리라는기대에직접한증소를만들어이용하였다. 그러나효과를보지는못하고, 결국 34세로짧은생애를마감하였다. 그가한증을택한이유는약을구매할경제적능력이부족하였으며, 무엇보다한증이빠른효과가있다고사람들이말해주었기때문이었다. 온지역에많은약들이있지만, 여력이없었다. 그러던차에사람들이한증을하면바로효과를볼수있다고말했고, 나는믿을만하다고여겼다. 이에한증실두칸을세웠다. 한칸은휴식을취하는곳이고, 한칸이한증실이었다. 사방을두껍게벽을발라서바늘이들어갈틈도없게하고, 돌을쌓아구들을만들고모래와돌로틈을메웠는데서너명은앉을만하였다. 땔나무를많이넣어열이높아지도록하고는아궁이입구를막아, 뜨거운기운이새나가지않도록하였다. 창포 ( 菖蒲 ), 창이 ( 蒼耳 ), 길경 ( 桔梗 ), 생쑥 [ 生艾 ] 을구들위에쌓아두고는, 물동이를한쪽으로기울여물을흘려보낸다. 바로옷을벗고그안으로들어가면, 증기가연무와같이위로올라갔다가물방울로응결되었다. 그와함께땀이빗물처럼흐르고턱아래로떨어지는데마치갑작스런폭우로처마에서물이떨어지는듯하였다. 열기가밖에서치솟으니호흡하여숨쉬기를마음대로할수없어서, 반드시수건으로입을가린이후에야숨을쉴수가있다. 65 61 권 2,,. 62 통상오관 ( ) 이라고하여, 감각기관을말하는것으로보인다. 이들감각기관은오장과연결되므로, 오관이막혔다는것은단순히눈, 코, 입, 귀등이막혔다는것이외에도오장의기운이통하지못하는상태가되었음을말한다고봐야한다. 63 권 2,,. 64 권 2,,.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27 그는한증실의열기가빠져나가지않도록주의하면서건축하였는데, 아궁이에불을때서온도를높이는방식으로기본적인구조는김두종의연구에서소개된형태와유사하다. 다만 향약집성방 에서소개된방식과다르게한쪽에서물을흘려보내증기를발생시키는방식으로운용하였다. 한증실건축과운영에서당시의유행을따랐다고한다면, 습식사우나와비슷한이러한방식이조선에서일반적인형태였을것으로보인다. 한증실의온도는정확히알수없지만, 상당히높았음은분명하다. 그의말에따르면함께이용한사람들가운데인내심이강한사람은밥먹을정도의시간을버텼고, 약한사람은백보를걸을정도의시간이며, 심한경우에는잠깐도참기어려웠다고한다. 그리고그자신도한유 ( 韓愈 ) 가지은 원도 ( 原道 ) 1편을외울정도의시간으로정했지만, 참기어려우면빨리외우고나왔다고할정도였다. 66 한증할때에는효과를높이기위해서창포, 창이와같은약재들을이용하였다. 향약집성방 에따르면창포는풍한 ( 風寒 ) 으로인한마비 [ 痺症 ] 와해역 ( 咳逆 ) 의증상등을치료하고오장을보호한다고한다. 67 창이는풍한으로인한두통이나전신의저림 [ 周痺 ], 사지의경련 [ 拘攣 ] 등을치료하고눈도밝아진다고하였으며, 68 길경은풍한으로인한열증 ( 熱症 ) 이나마비, 인후통을치료하고오장을고르게하고혈기를보호한다고하였다. 69 그런데그가사용한약재들은 향약집성방 에서한증때필요하다고소개한 누에똥, 복숭아나무잎, 측백나무잎, 쌀겨, 밀짚 과는다르다. 오히려자신이앓 65 권 2,,.,.,,.,.,.,,,,.,,.,.,,,.,,,.,,,. 66 권 2,,.,,,.,,,,. 67 권 78,,.,,,. 68 권 79,,.,,,,,,,. 69 권 79,,.,,,,,,.

528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았던증상과매우밀접한관련이있다는점을생각해볼때, 의도적으로증상에맞춰약재들을이용하였다고할수있다. 그렇다면단순히땀을내는것에만치중하였던 향약집성방 의한증법과는달리증상에따라약재를이용함으로써발한이외의부수적효과를기대한것으로판단할수있다. 한증을마치고나오면염탕 ( 鹽湯 ) 으로몸을씻고옷을두껍게하고서는, 양치를하고죽을먹고나서오랫동안쉬었다가다시들어가기를반복하였다. 양기의소모가상당하기때문이었다. 이를하루에 4, 5차례반복하였고, 9일동안계속해서한증을하였다. 70 그러나병은낫지않고오히려더욱심해졌다. 그이유를그는나중에서야알았다. (9일동안한증한 ) 이래, 날로병이심해지고, 기운도날로불편해서오히려병이심해졌다. 단지질병을더욱심하게할뿐이었으니, 이른바무익할뿐만아니라해롭다고한것이었다. 내가일찍이의서를보니, 토ㆍ한ㆍ하 ( 吐汗下 ) 세가지방법이온천하의병을치료하는원칙이라고하였다. 한증은땀을내게하는것인데, 땀을내서치료할수있는것은갑작스레풍한에상해냉기가피부사이에있어깊이들어가지않았을때이지, 나의병과같은경우를말한것은아니었다. 오호라. 삼대가의사가아니면그약을먹지않으며, 계강자가약을줌에공자께서약을드시지않았다. 고인께서질병을삼갔음이이와같은데, 지금나는처음부터조심하지않아서이렇게병을불러왔다. 71 땀을내서치료하는방법은질병이초기였을때가능한것이며, 자신처럼병이이미진행되었을때에는함부로행해서는안됨을나중에서야깨달은것이다. 실제로장중경이 상한론 에서한ㆍ토ㆍ하삼법 ( 三法 ) 을사용하였던원칙도그와같았다. 병이가장얕은상황일때한법을사용하고, 그다음부터는토법과하법을차례로이용하였다. 결국맞지않는치료로인해병세는더욱악화되었고, 뒤늦게치료를조심해야했음을후회했다. 70 권 2,,.,,,,,.. 71 권 2,,.,,,.,,.,.,,,,,..,,.,,.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29 그의표현대로배꼽을물어뜯을정도로후회스러웠지만, 땔나무를하는아이 [ 樵童 ] 와시골사람 [ 野夫 ] 의말을쉽게믿은자신의탓으로돌렸다. 72 최충성이자신의증상에맞는약재를선별하여이용하는주도면밀함을보였지만, 의서에서의경고를미처알지못한이유는알수없다. 그렇지만이를통해한증의효과가초동과야부들도익히알정도로널리유포되어있었음을분명하게파악할수있다. 그리고이는조선후기민간요법의하나로정착할수있는배경이되기도하였다. 2) 의서의새로운경고조선초기, 특히세종대에한증요법이널리이용된것과는달리이후로는한증을적극적으로이용한사례를찾아보기어렵다. 정책적으로금지한것도아니었지만, 이런현상이나타난데에는이유가있을것이다. 첫번째가능성은약재를확보하는길이수월해짐으로써한증을이용할필요가줄어들었기때문일것이다. 한증을정책적으로지원하는한편유해성을검토하도록지시한세종은당재 ( 唐材 ) 를대체하기위한향약개발에끊임없이노력하였다. 세종 13년 (1431) 편찬된 향약채취월령 ( 鄕藥採取月令 ) 에이어 향약집성방 을편찬하였고, 세종실록지리지 의완성을통해약재의산지또한상세하게정리하였다. 그러나세종 16년전염병발생의경우를볼때, 그한계역시분명히나타난다. 이후로도향약권장책이계속되었지만, 73 약재보급이충분해져서한증유행에영향을주었다고보기는어렵다. 물론발한에사용되는대표적인약재중하나인마황이세종 29년 (1447) 조선에서발견되고, 육종책이추진되었음도주목할수있다. 74 발한제인마황이 72 권2,, 한편최충성이 약계 를지어질병과의사를꺼리는태도가갖는문제점을적절하게지적할수있었던것도자신의경험에서나온산물이었다. 권 1,,. 73 권1, 즉위년 5월 25일 ( ); 권6, 원년 6월 29일 ( ); 권15, 3년 2월 6일 ( ) 등. 74 권80, 20년 3월 24일 ( ).,,,.,,,,,,,,,,,,,.

530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외에도온역의치료에반드시필요했던감초역시재배시도가진행되었다. 75 그러나이들은한증에대한정책이부정적인방향으로선회한이후였다. 그리고약재육종노력에도불구하고중국산을완전히대체하기도어려웠다. 그나마 동의보감 의단계에이르러서야감초와함께마황이강원ㆍ경상도지역에서재배되고유통될정도였다. 76 따라서 16세기까지수요에비해공급이부족할수밖에없었고, 이들약재의가격은높게책정되어일반백성들이이용하기는어려웠다. 앞서최충성이한증이용의계기로빠른효과와함께경제적이유를꼽았던이유이다. 두번째로생각할수있는요인은한증이갖고있는위험성이었다. 향약집성방 에서도발한의위험성을경계하고있었지만, 중국으로부터들어온최신의의학을정리하였던 의방유취 에이르면두드러진변화가나타난다. 땀을내서는안되는증상을단순히나열하던 향약집성방 과달리 의방유취 에서는한증의유용성과함께생명을단축한다고강하게경고하는대목이등장하였다. 의방유취 는세종 27년 (1445) 10월에편찬되었는데, 77 묵사 ( 墨寺 ) 의한증시설정비를위한지원요청을거절하기열흘전이었다. 그렇다면 의방유취 를편찬하는과정에서한증의위험성이새로이인식되어, 묵사의요청에 특효가없다 는거절이유를제시하였을가능성도있다. 의방유취 에서제시한위험성은금원사대가중의한사람인주진형 ( 朱震亨 ) 의제자로서명나라의의사인유순 ( 劉純, 자宗厚 ) 이지은 옥기미의 ( 玉機微義 ) 를인용한부분에서극도로표현된다. 유종후가음식ㆍ노권상, 잡병등으로인한경우표허 ( 表虛 ) 의증상에섣부르게마황탕을써서땀을내면더욱악화된다는동원이고 ( 李杲 ) 의말을인용하면서개진한의견이었다. 내가살펴보니, 장중경이상한을설명하면서땀을내지말아야할 30여조목의예를들었다. 한가지증상에세가지금기가있는때도있으니, 한열 ( 寒熱 ) 이왕래하면서혈기가허약한경우다. 잡병이야더말할것이있겠는가? 그러므로잘못하면병이거슬러서화 ( 禍 ) 가아주빨리이른다. 이른바한번잘못해도치료기 75 이경록, 앞의글 ( 각주 46), 423-455 중 438-449 참조. 감초의재배는세종 30 년에가서야본격화되는데, 전년에발생한전염병이영향을준것으로보인다. 권 116, 29 년 (1447) 5 월 1 일 ( ); 6 월 24 일 ( ). 76, ( ), ;, ( ),. 77 권 110, 27 년 (1445) 10 월 27 일 ( ).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31 일이늦어진다고하는데, 다시잘못하면틀림없이생명을단축할것이다. 78 유종후뿐만아니라주진형, 이고의의학이론은 향약집성방 편찬이후 의방유취 를통해본격적으로소개된다. 그렇다면 의방유취 편찬을위해중국의선진의학을정리하는과정에서한증에대한인식이새로워졌다고볼수있다. 그리고실제오용된한증의위험은세종 4년의기사이외에최충성의사례에서도드러난다. 한증이위험하다는인식을더욱고착시킨것은 동의보감 이었다. 동의보감 잡병편에는치료방법을설명하는가운데, 발한의방법과함께 땀을급하게내면수명이짧아진다 [ 促汗夭壽 ] 는소제목으로강한경고를덧붙였다. 발한은병기가인체의표피에있는표증 ( 表證 ) 일때에만가능하며, 79 기본적으로약을이용해야한다고말한다. 80 그리고한증을두고는 병이몹시위급할때쓰는것이므로조심해야하고, 두번은쓰지말아야한다. 왜냐하면수명이짧아질수있기때문이다 라고경고한다. 81 땀을과하게흘리게되면망양증 ( 亡陽證 ) 이되고, 82 망양증은인체의신기 ( 腎氣 ) 를부족하게만든다. 83 신기가인체원기 ( 元氣 ) 의근원인까닭에땀을자주내게하면수명이줄어들게되는부작용이생긴다는것이다. 그대표적인사례가중국에서있었다. 상한병에땀을내려면표리 ( 表裏 ) 와허실 ( 虛實 ) 을살펴서적당한시일에해야한다. 만일순차적으로하지않으면잠시편안하다고하더라도오장 ( 五臟 ) 을상하게하며수명을단축하게하니, 어찌좋은치료라고하겠는가? 옛날남조의범운 ( 范雲 ) 이진무제의속관으로있었는데, 상한병에걸려왕이주는영예를받지못할까염려하여서문백 ( 徐文伯 ) 을청하여땀을빨리내줄것을간청하였다. 문백 78 권42,,,.,,,.,,..,.,. 79 권1,,.,,.,,.,,,. 80 권1,,.,,,.,,. 81 권1,,.,, < >. 82 권3, ( ),.,,. 83 권3, ( ),.,,,,,.

532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이말하기를 지금당장낫게하는것은아주쉽지만, 2년후에죽을것이염려된다. 고하였다. 범운이 아침에도를깨달으면저녁에죽어도좋다고하였는데, 어찌 2년후의일을가지고두려워하겠는가? 고말하자, 문백은곧방을덥힌다음복숭아잎을펴고범운을그위에눕혔다. 얼마쯤있다가땀이푹난다음온분을몸에뿌려주니다음날병이나았다. 범운이매우기뻐하였다. 문백이기뻐할것이아니라고하더니, 과연 2년만에범운이죽었다. 84 남조의유명한의사였던서문백, 즉서지재 ( 徐之才 ) 가범운의간곡한요청을이기지못하여한증을이용하여치료하였지만, 서지재의경고대로 2년만에범운이사망에이른다는고사였다. 동의보감 의이경고는조선의학계에크게영향을미쳤다. 동의보감 이조선후기에널리유행하여의사를비롯하여의학에관심은둔식자들에게필독서로이해되던상황이었기때문이다. 마침내범운의고사가말해주듯이한증을이용한발한의방법은매우위험한치료로인식되기에이르렀다. 가령유만주 ( 兪晩柱, 1755-1788) 가준제 ( 峻製 ) 의사용을경계하면서, 범운과서문백의일화를 동의보감 전거로자신의일기인 흠영 ( 欽英 ) 에기록한이유도그때문이었다. 85 그러나한증의위험성은약을구매하여이용할수있는사람들에게만통용되었다. 약의사용이어려운일반백성들에게한증은치료법의하나로꾸준히애용되었다. 5. 조선후기민간요법으로의정착 한증요법의위험성이 동의보감 을통해제고되었지만, 한증요법이완전히사라진것은아니었다. 특기할사실은조선후기까지서북지역에서꾸준히남아있었으며, 주로약을이용하기어려운하층민들이이용하였다는점이다. 가장먼저소개할것은정약용이 흠흠신서 ( 欽欽新書 ) 에서기록한평안도지역 84 권 3, ( ),.,,.,,,,.,,,,,.,,,.,,,,,.,,..,.. 85 권 4, 42 ( 서울대학교규장각, 1997). 이에대해서는김성수, 18 세기후반의학계의변화상 : 으로본조선후기의학, 한국문화 65 (2014), 99-134 중 118 참조.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33 의한증막이다. 정조 22년 (1798) 정약용이곡산부사로재임했을당시, 황해도신천 ( 信川 ) 에사는최특적 ( 崔特赤 ) 에게구타를당했던사노 ( 私奴 ) 섭상 ( 葉尙 ) 이치료차한증막을이용했다가죽은사건을조사하는과정에서그실태가드러난다. 서북에는한증 ( 汗蒸 ) 의방법이있는데, 땅을파서움집을만들고돌을깔아마루를만들고아궁이 [ 煖炕 ] 를내서땔나무를태워쇠붙이를달구듯이불을지핀다. 흙으로만든집을단단히밀폐하여구멍이하나도있지않게한다. 이내병자를들여보내땀을내게하는데, 기운이답답하고땀이흥건할때움집을나와바로얼음물로들어가면정신과기운이상쾌해지고병이씻은듯이사라진다. 노약자가운데죽는사람이많지만, 그것때문이라고여기지않는다. 이는대개예맥 ( 穢貊 ) 의풍속으로, 우리나라에들어왔다. 86 섭상이구타를당했다면찰과상이나출혈등으로기혈 ( 氣血 ) 이허약한상태였을것이다. 의서에서말한대로라면당연히한증을해서는안되었지만, 결국참변을당하였다. 마찬가지로노약자가운데한증으로죽는경우도많았다고한다. 즉한증의위험성을경고한의학적관점과는상관없이민간에서운용되고있었다. 그이유는무엇보다그들이다른치료를받기어려운하층민이었기때문이었다. 다산의묘사에서그리멀지않은순조 2년 (1802) 이인행 ( 李仁行 ) 이이가환의무리로탄핵당하여, 위원 ( 현재자강도, 압록강인근지역 ) 으로유배를가서남긴기록에서평안도지역의한증막이묘사되어있다. 성내에한증 ( 汗甑 ) 이있다. 흙을쌓아서방을만들고, 바람이통하지못하게한 다. 네모난문을하나만들어겨우사람이출입할수있도록한다. 그가운데에 불을땐다음치워버린다. 병자가풀을깔고옷을벗고앉는다. 땀을흠뻑흘리면 머리를가볍게하고, 기운이되살아나도록할수있다. 손발이저리고위축된사 람은바로부드러워졌다고하고, 배가더부룩하고변을보지못하던사람은막힌 기운이열리고통하게되었다고말한다. 87 86 권 6,, [ ].,,,,,.,.,,,,,,.,.,.

534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이인행이시루 [ 甑 ] 라고표현할정도로한증의열기는뜨거웠다. 그런데사람들이고통스러워하면서도날마다가는이유가그에게는의문이었다. 이유는다름아닌 1문 ( 文 ) 만내면여러질병을고칠수있기때문이었다. 섭상이다른치료를받지못하고한증을선택했던이유이기도했다. 88 저렴한가격을내세운것이기는하지만, 한증이상업적으로운영되었다는점에서상업화가급속하게전개되는조선후기사회의한단면도보여준다. 한편위에서제시된병증을검토하면사지의저림이나경련, 기운이울체되어나타나는창만 ( 脹滿 ) 등이포함되었다. 이들은한증에적절한증상들이었기때문에민간요법으로이해되었다고하더라도의학적고려가전혀없었다고할수없다. 그밖에어떠한증상일때한증을이용하였는지더자세히제시되어있지않지만, 그고장사람들이한증을단방 ( 單方 ) 으로여길정도로자주이용하여침이나뜸을하는경우가드물었다고설명한다. 무엇보다이인행은위원지역민들의한증애용을매우이례적으로이해하였다. 그래서변경이주는위험함에상시노출되어있던까닭에이들이겁이없기때문이라거나, 89 태어날때받은기운이달라서뜨거운불에가까이하는것도꺼리지않는다고생각했다. 90 이러한점을보면이인행이다른곳에서한증을접한적이없었거나, 유만주가한증을경계했던것처럼위험하다고인식한측면이있다고생각한다. 정약용과이인행의언급에따르면서북지역에서한증은일상적으로행해지고있었고, 저렴한치료수단으로이해되었다. 그와같은풍습은홍경모 ( 洪敬謨 ) 가순조 19년 (1819) 함경북도안변부사 ( 安邊府使 ) 로부임하였을때지은읍지인 학성지 ( 鶴城志 ) 에서도나타난다. 저자의질문에학성의어떤선비가답하는구성의글에서, 그지역에한증막과유사한형태가있음이언급된다. 87 권 12,..,.,...,.,. 88 세종대한증소이용의어려움은땔나무를구하는데있었고, 그때문에땔나무운반을위한지원도강구되었다 ( 각주 30 참조 ). 한양은도회지여서땔나무확보가문제였지만, 이들지방에서는땔나무보급은큰문제가아니었기때문에저렴한치료법이될수있었다. 89 권 1,,.,,,,,,,,,,,,,,,,,,,. 90 권 12,.,,.

조선시대한증요법의운영과변천 535 곳곳에움집을만들어장작을태워뜨겁게하는데, 병이약간있는사람들이항상그가운데들어가땀을내는데, 관서의한증막과같았다 고전한다. 91 그런데이를두고평안도지역의한증막과유사하다고하는것을보면, 조선후기사람들에게한증은평안도지역의특징으로널리인식되었음을알수있다. 조선후기평안도를제외한다른지역에서도한증을이용하였는지여부는불분명하다. 이와관련하여 1930년한증막을조사한이선근의보고는매우흥미로운사실을알려준다. 개성과같이한증이유행하는곳에서는집안에한증소가축조되어있는데, 안악 ( 安岳 ) 도개성처럼집안에있었다. 한편황해도재령 ( 載寧 ) 에는울타리안에있고, 평안남북도에서는산곡 ( 山谷 ) 이나천변 ( 川邊 ) 에조성한다고하였다. 그리고남쪽지방에서는다른지방처럼특정지역에설치하는것이아니라임의로한증막을짓는다고하였다. 92 20세기초반한반도각지에서한증이널리이용되었음은분명하다. 다만 19세기까지서북에서만유행하던것이전국적으로보급된것인지, 아니면다른지역에서도꾸준히이용되어왔는지는확인하기어렵다. 6. 맺음말 조선전기의학의발전상을설명할때, 세종대는매우중요한의미를갖는다. 국가중심의의료기구가점차로완비되어가고있었으며, 관련한여러제도들도정비되고있었기때문이다. 무엇보다 향약집성방 과 의방유취 의편찬에서보이는학문적축적은후대에가장큰영향을미쳤다. 그러나의료를실행하기위한장치로서향약의검증및약재조사, 육종등에기울인노력역시빼놓을수없다. 특히세종은실제적이며민간에서실행할수있는효과적치료법에도관심을기울였는데, 그가운데하나가한증이었다. 오한과발열을동반하는상한이나전염병의일차적치료인발한을위해서는약재가필요했다. 그러나마황과같은대표적발한제는국내에서공급하기어려웠고, 전염병이빈발하는상황에서저비용이며효과적인치료방법으로한증은 91 책 24,,.,,,,. 92, 앞의글 ( 각주 3), 18.

536 한국과학사학회지제 38 권제 3 호 (2016) 주목받았다. 그래서동서활인원주변에한증소를설치하고다양한국가적지원책을마련하여한증의효과를기대하였다. 향약재개발을꾸준히권장하고마황과감초같은약재들을국산화하기위하여노력하였지만, 약재의공급상황이급격히개선되기는어려웠다. 여전히한증의필요성은강하게존재하였지만, 그위험성이새롭게부각되면서정책적지원은더이상확대되지못했다. 의방유취 편찬과정중에한증은위험한치료라는사실을새롭게인식하였기때문이다. 특히 동의보감 에서는한증이란불가피한선택이며수명을단축한다고강하게경고하였다. 그러나한증은조선후기에도여전히이용되었다. 무엇보다한증이갖고있었던장점, 즉저렴한비용때문이었다. 준열한약재의이용을꺼려하는조선후기의의학적경향속에서도, 약재의사용이어려운계층을중심으로한증은민간요법의하나로서북지역을중심으로꾸준히명맥을이어나갔다. ( 투고 : 2016 년 10 월 31 일, 심사완료 : 2016 년 12 월 22 일, 게재확정 : 2016 년 12 월 23 일 )

The Steam Bath (hanjeung) Treatment in the Joseon Dynasty KIM Seong Su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King Sejong's reign in the Joseon period witnessed a great advancement in medical systems.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s in medicine were made as can be seen in the publications of such medical texts as Hyangyak jipseong bang 鄕藥集成方 and Euibang ryuchui 醫方類聚. Formal medical systems were also established during this time. In addition, King Sejong s government promulgated policies to secure medicinal materials that were essential for treating illnesses. To maximize the use of domestic medicine, or hyangyak, the government commissioned the publications of Hyangyak chaechui wolryeong 鄕藥採取月令 and Hyangyak jipseong bang, carried out systematic comparisons between the efficacy of domestic medicine and that of Chinese medicine, and devised various measures for stabilizing the supply of medicinal materials from different regions of the country. As it was proven difficult to immediately increase the supply and use of medicinal materials, however, efforts were also made to develop alternative treatments. One notable example was the use of steam bath, or hanjeung 汗蒸. Steam bath refers to the treatment by sweating, and appeared first in Qianjin fang 千金方, a medical text published in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King Sejong supported the steam bath treatment and allow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team bath places, or hanjeungso 汗蒸所, as a way to treat contagious diseases. Later, as more advanced medical theories were introduced and the risks of steam bath treatment became known, and as it became easier to get medicinal materials, the government gradually lost interest in the steam bath treatment. However, due to its affordable price, the steam bath treatment remained popular as a folk remedy, particularly in the northern parts of the kingdom until late in the Joseon Dynasty. Keywords. steam bath (hanjeung), Hyangyak jipseong bang 鄕藥集成方, Uibang ryuchui 醫方類聚, Dongui bogam 東醫寶鑑, folk reme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