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n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s Co-working Space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Ⅱ. 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개념분석 1. 공- 창조적공간 으로서의공공도서관 2. 무한창조공간과코워킹스페이스 Ⅲ. 무한창조공간현황분석 < 목차> 홍소람 (So-Ram Hong) ** 박성우 (Seong-Woo Park) *** 1. 무한창조공간분석 2. 코워킹스페이스공간분석 Ⅳ. 코워킹스페이스로서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모델링 1. 개념적모델링 2. 실체적모델링 Ⅴ. 결론 초록이연구는창조에대한국가적관심으로인해대두된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개념이현행보다더욱확장될수있음을제안하였다. 따라서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개념을 Rombach 의 공( 共 )-창조적구조존재론 을바탕으로해석하였다. 현행의창조의개념은창조자와대상물을주체- 객체의단선적관계로봄으로써모든존재자가주체로서갖게되는 자가생성 (Autogenese) 의가능성을희석시킨다. 그러나 공- 창조적구조 는모든존재자들의상호소통과공유를통한자가생성의과정을설명한다. 공- 창조적구조의형성과정은공유와소통을통한자기성장을지원하는도서관의이념과상통한다. 공- 창조성의정신을반영시키는실체적상으로는현행의 메이커스페이스 보다 코워킹스페이스 가더욱적합하다. 따라서이연구에서는도서관무한창조공간과코워킹스페이스의현황을분석하고, 이를기반으로개념적모델링과실체적모델링을제시하였다. 키워드: 무한창조공간, 코워킹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공간, 무한상상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creative zone raised by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Creation' should be extended in public libraries. The concept of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Con-creative structure ontology' by Rombach. As we understand a creator and creation as the relation of 'subject'-'object', The current concept of 'Creation' dilutes the possibility of 'Autogenese' that all beings as a subject possess. But 'Con-creative Structure' describes the process of 'Autogenese' through sharing and mutual communication of all beings. The formation process of Con-creative Structure corresponds to the philosophy of the library that supports the self-growth through communication and sharing. 'Co-working Space' is more suitable for the substantive image of Con-creativity than 'Makerspa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ircumstances of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nd Co-working Space in business areas and provided the conceptive and substantive modeling for Co-working Space in public libraries. Keywords: Creative zone, Co-working space, Makerspace, Library space, Infinite imagination room * 본논문은국립중앙도서관에서주최한 제9 회도서관현장사례및대학( 원) 생논문공모 수상작을수정및보완한것임. ** 전남대학교일반대학원기록관리협동과정석사과정(tower_sun@hanmail.net) ( 주저자) *** 광주대학교문헌정보학과조교수(culturepark@gwangju.ac.kr) ( 교신저자) 논문접수: 2015년 11월 20 일 최초심사: 2015년 11월 24 일 게재확정: 2015년 12월 7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245-269, 2015. [http://dx.doi.org/10.16981/kliss.46.201512.245] - 245 -
2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Ⅰ. 서론 1. 문제제기 모방이창조의어머니라는격언에서알수있듯, 창조( 創造 ) 라는개념은개인의소산이아니다. 창조는외부의다른것이주체와만나영감을제공하는과정에서더욱폭발적으로발생한다. 따라서국민의창조성함양은국가경쟁력을제고할필수적인요소중하나로여겨지고있다. 국가경쟁력제고의필요성에입각하여, 2013년미래창조과학부와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는국정과제 16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강화 에입각한무한상상실운영을추진하였다. 이는국민의창의성과상상력을발현할수있는창의문화형성및확산을위한 국민문화운동의일환 으로써의무한상상실구축및운영의필요성을배경으로하고있다(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1). 특히도서관은 2015년현재전체 48개무한상상실중 13개가위치해기반시설유형중에는가장많은수의무한상상실을보유하고있어, 유관협력기관중가장활발하게무한상상실사업을진행하는기관중하나이다( 무한상상실홈페이지, cited 2015. 8. 15). 해외도서관무한창조공간사례는우리나라의미래창조과학부가구상하고있는무한상상실개념을모두포함하는훨씬폭넓은개념이며매우다양하게적용및활용되고있다( 노영희 2014, 54). 그러나현재우리나라무한상상실은 과학적인재양성 이라는한정적인측면에초점을맞추고있어, 도서관은본사업에서주도적이라기보다보조적인입장에서무한상상실을제한적으로운영하고있다. 13개도서관의무한상상실은모두소규모로운영되고있으며, 실험 공방형, 스토리텔링형, 아이디어클럽형, 초 중 고연계형등 4가지유형중스토리텔링형에만제한적으로적용되고있는사례에서잘드러난다. 무한상상실은 창조를위한공간 이라는무한창조공간으로서의개념을전제하고있다. 창조란자유로운지적활동을토대로한다. 도서관의이념은어떠한외부적제약없이자유롭게지식과정보를공유하는데있으며, 동일한전제하에서상통한다. 창조의근간에대한강조는개인의창의성발전을위한기회제공과아동및청소년의상상력과창의성자극을도서관의중요임무에포함시킨 IFLA/UNESCO 의공공도서관선언에서도잘드러난다(IFLA 1994). 따라서국내도서관에서수행되는무한상상실의개념은현재사업에서진행되고있는제약적인범주보다광의( 廣義 ) 의개념으로접근되어야한다. 이를위해본고에서는 창조 를지원하고사회전반에소통시킬수있는도서관의역할개념을철학자 Rombach 가언급한 공( 共 )-창조성 을기반으로해석하였다. 그리고현재도서관에서무한창조공간으로제공되고있는공간개념인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의개념을 - 246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3 분석하고그한계점을파악하여도서관의공-창조적특질에더욱적합한코워킹스페이스 (co-working space) 의개념을소개하였다. 또한공간개념이실제로현장에서적용되는상황을파악하기위해해외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와국내도서관의무한상상실현황을분석하고, 실제운영되는코워킹스페이스도면을통한공간사용분석을통해코워킹스페이스의공간배치특징을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선행된모든분석을아울러서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을코워킹스페이스의개념으로확장시키는개념적모델링및무한창조공간의단계적장기적 운영을위한실체적모델링을제안하였다. 2. 선행연구 무한상상실사업이 2013년을기점으로시행되었기때문에국내에서는관련연구가많이이루어지지않았으나, 주로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에대한연구가중점적으로이루어졌다. 노영희(2014) 는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역할모형을 12가지로분류하여다양한역할을제시하고그가능성의폭을넓혔다.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2014) 는무한창조공간의개념을정립하고프로그램을중심으로사례분석을하여운영에서의방향성을제시하였다.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2015) 는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에서실제프로그램을운영함으로써창의성이향상되었는지를평가하는연구를수행했다. 본연구들의가장큰공통점은무한창조공간의개념을메이커스페이스를중심으로해석하고있다는점이다. 그러나논문에서제시하는무한창조공간의역할모형과프로그램들의방향성은과학기술및기기의발전에기인한 ' 제작' 에초점을맞춘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보다공유와협업을통해창조성을이끌어내는개념에더욱밀접하다. 1) 따라서공유와소통을강조하는새로운형태의작업공간인코워킹스페이스개념이더욱적합하다고생각되나, 국내에는도서관과코워킹스페이스의개념을접목시킨연구는없었다. 해외의경우 Bilandzic과 Foth(2013) 가오스트레일리아의퀸즐랜드주립도서관의책없는도서관공간인 더에지 (The Edge) 를대상으로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도서관에관한연구를수행한바있다. 그러나이연구는실제운영되는공간의이용자중심사례연구로기술의발달에의해시공간을 뛰어넘은이용자상호간의사회적학습(social learning) 에초점을맞추고있어, 코워킹스페이스를통한이용자의자유로운창조행위에관한접근은이루어지지않았다. 결국도서관과메이커스페이스, 혹은코워킹스페이스에대한접근에서는그공간들이필 1) 노영희(2014) 의연구에서제시된 12 가지의역할모형에서는사회소통공간, 창조자원공유공간, 전문가멘토링및컨설팅공간, 창조중심협력공간등최소 5 개이상의역할모형이창조를위한시발점이자조력공간으로써, 그리고협업의공간으로의개념을내포하고있다. - 247 -
4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요한궁극적인이유, 즉창조와관련된도서관의역할에대한개념적해석이이루어지지않았다. 또한연구들이메이커스페이스나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도서관의역할모형에대해서이야기하고있으나이러한역할이효율적으로이루어질수있는공간배치에대해서는접근하고있지않으며, 설령있다고해도단순한언급수준에서그치고있다. 따라서본고에서는도서관에있어서의창조의의미에대한개념적분석과국내무한창조공간실정에맞는역할적모델링을중점으로제안하고자한다. Ⅱ. 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개념분석 1. 공- 창조적공간 으로서의공공도서관 일반적으로공공도서관은스스로관심있는분야의지식을쌓는개별적인평생교육공간으로서의역할을주로제공했다. 즉도서관은기본적으로지인이나친구, 가족등과함께자신의관심사를위주로활동하는강한유대의영역(high-intensive arena) 이다. 강한유대의영역 에서의활동은대부분개인적인경향으로특징되어, 약한상호작용으로나타난다(Aabo and Audunson 2012, 146). 하지만공공도서관은그명칭에서부터, 즉 공공 ( 公共 ) 이라는표현에서부터 공공공간 ( 公共空間 ) 으로서의함의를나타내고있다. 여기에서규정하는공공공간이란 18세기계몽주의와함께등장한시민계급을중심으로, 그들이국가에영향을미치기시작한데에서그시발점을찾는다. 즉다양한사람들이모여자신의의견을피력하는공론장의개념에서시작한것이다이상헌 ( 2008, 58-59). 상호작용을전제하는공공공간의공론장적인특성으로인해, 도서관은강한유대의영역임과동시에약한유대의영역(low-intensive arena) 으로서의특징을가지고있다. 다시말해, 공공도서관은불특정다수가만나는공간으로서자신의관심사외에다양성을함께만날수있는약한유대의영역(low-intensive arena) 으로도기능할수있다. 공공도서관이 약한유대 의만남의장으로서중요한측면중하나는사람들이다양한가치나문화, 흥미를가진타인에게노출될수있다는점이다. 비록사람들이각자자기일을하며개인적인공간에있더라도다른사람의존재를인식하고있기때문에, 공공도서관에서는대학도서관이나캠퍼스에서보다도훨씬다양성있는경험을제공받을수있다 (Aabo and Audunson 2012, 146). 이렇듯도서관은개인의지적성숙을위한토대와다양성과조우할수있는장으로서특성 을가지고있다. 이두가지의특성은모두상호작용을필연적으로전제하게된다. 도서관은 - 248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5 개인과개인이만나는공간, 도서관의장서와개인이만나는공간등, 그관계의종류를막론한상호작용을생산하는유대의공간이된다. 도서관이가진이복합적성질은 Rombach의존재론에서언급되는 구조 의 공( 共 )-창조적 성질과상통한다. 구조 란세계를설명하는근본낱말이다. 세계를이해하고설명하는근본적인용어는실체 (substanzen), 체계(system), 구조(struktur) 로변모하여왔는데, 기원전 500년에서부터기 원후 1500 년까지의시기를 실체 의시기로, 기원후 1500년에서부터 2000년까지의시기를 체계 의시기로, 그뒤를 구조 의시기로정의한다 (Rombach 2004, 13-14). 구조 는 본질적인것만을근저에놓여있는영속적인것으로보고, 혼란스러운구체적현상들은우연에맡겨두는 실체존재론이나, 이실체구상을대체하며 모든것이하나의유일한연관관계를형성하며모든것을단하나의체계로환원시키는 체계구상을대치하는구상이다 (Rombach 2004, 28). 구조는체계와는전혀달리자가생성( 自家生成, autogenese) 에의해특징지어진다. 즉나름대로의방식으로돌파(durchbruch) 하고자기를망아적으로구조화하며절정에이르고하강(untergang, 몰락) 하는자기구축(selbstaufbau) 에의해특징지어진다. 이과정을사람들은보통 삶(leben, 생명) 이라부른다. 하지만그것은 생명체 의생기형식일뿐아니라모든 존재자 의생기형식이다. 죽은존재 란없다. 모든것은살아있다. 모든것은자기형성과자기상승그리고자기완성이라는자가생성적인과정속에서자신을조직한다 (Rombach 2004, 28-29). 인간이세상을받아들이는방식인근본구조는시기마다변화해왔고, 근본구조는그시대마다 한시대의인간상과현실상을결정하며, 그때그때인간의 본질 을결정하였다. 그리고이근본구조의변화는생기사건 ( 生起事件 ) 을통해서이루어진다. 각각의시기마다있어왔던근본구조들은 결코인간만의업적이아니어서, 언제나자연과주위세계도함께작용한다. 따라서이근본구조를변화시키는, 즉새로운구조를형성케하는역사적인 생기사건 의주체또한인간만이아니다 (Rombach 2004, 122-125). 생기사건은 ( 그안에서는인간과자연, 가능성과현실이아직나뉘어지지않은채하나가되어있고, 이나뉘지지않음으로인해공동으로만성공에이를수있는그러한) 공동출현의구조생기사건(strukturgeschehen) 으로서생기한다. 우리는이생기사건을 근본역사 라고부른다. 왜냐하면그생기사건안에서역사의근본(fundament, 토대) 이형성되기때문이다. 이역사적근본이란인간적인것과신적인것, 현실적인것과가능한것, 자연과문화의아직너덜너덜뜯어지지않은총체적구조이다. 역사적근본, 즉총체적구조가형성되는이과정은 공창조적인 생기사건이다. 인간과자연모두의준비되어있음을전제로하는이러한생기사건은어느한편의준비성에의해설명될수있는것이아니라그들의 공창조성 이라는아직나뉘어지지않은총체적현상에의해서만설명될수있는것이다. 자연적 역사적으로출현하는이총체적현상에서비로소사람들의개별적재능과창조성이기인한다 (Rombach 2004, 126). - 249 -
6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즉, 공- 창조성은존재자가존재하는방식인 구조 의성질이다. 일반적인의미에서의창조가 누군가가 대상물을 만든다 는주체-객체적관계속에서형성되는것으로받아들여졌다면, Rombach 가제시하는창조의의미는모든존재자들과그들의행위자체를공( 共 )-창조 로규정짓는광의의개념이다. 2) Rombach 의입장에서봤을때, 현행의창조의의미란결국이미결정된, 내재된 실체 의반복에지나지않는다. 왜냐하면주체와객체로나뉘고무언가를만드는일방향의단선적인과정은그개체들의자기생성으로이어지지않고주체가가진자아의투영으로귀결되는과정이기때문이다. 도서관의기호학적기의는 모두를위한 공유와소통을위한공간을의미한다( 박성우 2015, 387). 그리고도서관의공유와소통은한주체의지적성장뿐아니라내면의성장까지아우르는, 끝없는자기성장의과정이자목표가된다. Rombach 의철학에근거하여, 창조행위를개별존재자가무언가를생산하는단선적과정이아닌 나 와 너 의소통, 인간이상으로의모든존재와의소통에서발생하는자가생성과정이자그구조의양태( 樣態 ) 로본다면, 도서관의외부적존재와내부에서일어나는모든행위는 창조 의행위가된다. 즉도서관그자체가 공- 창조적공간 이된다. 도서관은 도서관 으로인식될수있는관념적인상과어떠한목적을가지고존재하는실체적인상으로양분될수있다( 정준민, 박성우 2004, 270-271). 창조의입장에서도서관의관념적상은이렇듯 공- 창조적공간 이라는개념으로해석된다. 그렇다면창조와관련된도서관의실체적인상은무엇으로규정될수있는가? 현재도서관은 무한창조공간 이라는이름으로도서관의실체적역할을규정하고있다. 그러나무한창조공간은공-창조적공간이라는관념적상을담기에그범위가좁다. 따라서공유와협업을중심으로도서관의창조적역할을더욱적절하게실체화시킬수있는구조적차원의 코워킹스페이스 (co-working space) 를제시하고자한다. 2. 무한창조공간과코워킹스페이스 현재우리나라도서관에서사용되고있는무한창조공간의개념은메이커스페이스및핵커스페이스로통용되고있다. 3) 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을이해하기위해서는먼저메이커운동에대한이해가필요하다. 메이커운동은기존 DIY(Do It Yourself) 문화의발전된형태로, ICT 2) Rombach 는 창조성이라는유행어는공창조성이라는근본현상에대한안목을열어주기보다는오히려왜곡시킨다 (Rombach 2004, 126) 는표현으로, 공창조성 이라는단어가 창조성 보다광의임을말하고있다. 3) 창조경제의대표적인사례정책인미국오바마정부의융합교육정책인 STEM에서마련하고자하는창조적공간이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로규정되고있기때문이다. 우리나라의융합교육정책은예술과인문사회를포함시킨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으로정의되고있어그발전방향이다소차이가있다(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144). 그러나무한창조적행위를위한공간의마련이라는측면에서는그방향성이유사하다고할수있다. - 250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7 기술의발달및보편화로인해 2000년대중반부터활성화되기시작한오픈소스제조업운동의일환이다. 기존의 DIY 가개인적인취미에국한되었다면, 메이커운동은오픈소스 S/W와 H/W, 3D 프린터등의기술이비전문가의영역으로확대됨에따라개인취미와산업영역을아우르는형태를가진다(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16). 메이커스페이스는메이커운동의산물로, 메이커운동을하는공간을일컫는다. 이에관한다양한정의는다음과같다. 먼저메이커스페이스는공동의관심사를가진사람들이공공의장소에모여서무엇인가를만드는공간을미국에서부르는말로, 핵커스페이스라고도불린다 (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148). 또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 (maker) 가프로젝트를상상하고, 전문가를찾고, 무언가를만드는공간으로도정의된다(Graves 2014, 8). 한편으로메이커스페이스는도구를가진커뮤니티센터로, 커뮤니티의구성원들이개인이혼자서는손댈수없는자원과제작작업을수행할수있도록제작장비, 커뮤니티, 교육을결합한공간이라고정의된다 ( What s a Makerspaces? cited 2015. 11. 19). 메이커스페이스의정의들에서추출해낼수있는공통적인개념은 장비, 커뮤니티, 공간 이다. 메이커스페이스는혼자서는접하기힘든장비들을만지고작업들을수행하며실제적인생산물을구현하는데초점을맞추고있다. 여기서제시하는커뮤니티는장비를배우기위한교육의관점에서장비를구축한공간을중심으로, 강사와수강생, 수강생과수강생등이소통하는개념이다. 즉제작과생산의행위가메이커스페이스의가장주된활동으로나타난다. 그렇다면결과적으로제작과생산의행위를통해메이커스페이스가목표로하고자하는바는무엇인가? O'Reilly/DARPA Makerspace Playbook에서는메이커스페이스의목적으로이용자들이디자인, 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예술, 수학등에서의문해력(literacy) 을함양할수있기를예상하며, 무엇인가를만드는행위가이런다양한분야에서의문해력을더욱심도있게함양시켜주는관문으로기능할수있을것이라고본다. 그런데문해력을함양한다는목적은도서관이평생교육과지적활동의장으로써근대이후로수행해왔던핵심기능과일치한다. 즉어떤측면에서도서관은오래전부터메이커스페이스였던것이다 (Colegrove 2013, 2). 따라서무언가를 생산하는 행위는결국도서관의목적을수행하기위한하나의부차적기능이다. 특히공간적의미에서의메이커스페이스는장비를구비해두고이를구현하는역할이가장두드러진다. 그러나도서관에서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창조의행위는단순히장비로구현할수있는것에한정되지않는다. 그리고창조는전술했듯삶의일부분이며, 단순히개인의능력이발현되는것이아닌외부와상호작용하면서폭발적으로일어나는공유의과정전체를일컫는다. 따라서도서관의본질적개념에부합하는창조적공간의개념에는 공유와협업 을더욱강조하는코워킹스페이스의개념이더욱적절하다. 코워킹스페이스는다양한능력과가치관을가진사람들이대화와소통을통해노하우와 - 251 -
8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아이디어를공유하면서협업하는공간을의미한다( 이한재 2014, 54). 프리랜서와전문가등이혼자일하면서겪는외로움이나, 비즈니스를하기위한보다전문적인공간의요구에부응하기위해공간을공유하는것이다. 코워킹스페이스는협동작업을하고, 기술을공유하며때로서로업무를의뢰할수있는기회를제공하며, 이용자들이더욱생산적으로일할수있도록돕는다 (Cohen 2011, 9). 코워킹스페이스는공간을이용하는사람들사이의연대성과커뮤니티를통해존속될수있다. Cohen(2011) 은경제와커뮤니티의안정성을기준으로코워킹스페이스의시나리오를 4 가지로구축하였는데, 이러한시나리오들의공통점으로커뮤니티를꼽으며이것이구축되지않는다면존재하는협업체계는더욱악화되거나종래에는사라지게될것이라고예측하고있다. 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에도협업(co-working) 이내포되어있으나, 코워킹스페이스가본질적으로더욱광의의개념이되는것은바로커뮤니티를전제하기때문이다. 코워킹스페이스는장비를통한생산행위가갖는의미를포괄하며, 이를통시적으로적용시킬수있는공간개념이될수있다. 특히공공도서관에서의코워킹스페이스는도서관이본래커뮤니티속에서가지고있는의미와합쳐져그특성이더욱강화된다. 책이없는도서관을표방하는퀸즐랜드주립도서관의 더에지 (The Edge) 는가벽으로분리할수있는개인공간과모두가함께만날수있는공적공간인강당, 트여있는로비, 장비를구비해둔랩(lab) 등으로나뉜다(Bilandzic and Foth 2013, 258-260). 사람과사람간의공유를우선하는 더에지 의활동은도서관의자원과이용자를분리시키지않고, 그자체의상호작용을중시한다는측면에서도서관에적용된코워킹스페이스의이점을잘나타내고있다. 따라서현재국내및해외의무한창조공간을분석하여우리나라도서관이가지고있는문제점을분석하고, 이에대안으로코워킹스페이스의사례를소개하여우리나라에적용시킬수있는무한창조공간의모델을제시해보고자한다. Ⅲ. 무한창조공간현황분석 1. 무한창조공간분석 가. 조사개요 조사대상은국외와국내로나누어조사하였다. 국외의경우선행논문을참고하여가장활 발하게운영되고있는미국의사례를중점으로도서관내메이커스페이스 6 개를선정하였다. - 252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9 국내의경우 2015년현재국내도서관에서운영예정및운영되고있는무한상상실 13개를대상으로조사하였다. 조사는 2015년 8월 7일부터 22 일까지홈페이지, 이메일을통한서면문의및전화문의를통해이루어졌다. 중점적으로조사한내용은다음과같다. 1) 도서관내무한창조공간의프로그램이어떤경향성을가지고있는가? 2) 도서관내에이를위한공간을독자적으로마련하여운영하고있는가? 3) 도서관대비무한창조공간의면적은얼마나되는가? 특히프로그램의성향을분석하기위하여노영희(2014) 가제시한 12개의역할모형을중복대입하여분석하였다. 하나의프로그램이여러가지역할모형을동시에가지고있는경우가있기때문이다. 노영희가제시한역할모형은다음과같다. < 표 1> 도서관무한상상공간역할모형( 노영희 2014) 사회소통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공간및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및양성공간 모든계층간 지역사회소통을이룩해낼수있는핵심적공간비공식적학습의기회가주어지는참여적학습공간이용자들이모든것을함께공유하고창조할수있게하는역할평상시접하는주제와다른주제를심도있게접할기회제공본래의직업과, 제2의직장탐색공간 지역내작가커뮤니티구축및육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공간 전문가멘토링및컨설팅공간 장비체험및활용공간 창조중심협력공간 스토리텔링공간 자기스스로자기자신의책을출판할수있는공간협력적브레인스토밍과실을통해성공할수있도록돕는공간특정주제분야의관심이용자와전문가를연결하는공간다양한장비를제공하여체험할수있도록하는공간다양한기관과협력하여다양한주제의서비스를제공하는공간스토리텔러로서의능력을배양하고, 영상매체나콘텐츠등을생산하는공간 나. 국외무한창조공간분석 조사를위하여선정된도서관은존슨카운티도서관(Johnson County Library), 미줄라공공도서관(Missoula Public Library), 새크라멘토공공도서관(Sacramento Public Library), 페이엣빌무료도서관(Fayetteville Free Library), 웨스트포트도서관(The Westport Library), 브루클린공공도서관(Brooklyn Public Library) 이다. 먼저프로그램의경우, 국외도서관내의메이커스페이스관련프로그램은도서관내에마련한실제공간을중심으로 3D 프린팅이나프로그래밍, 재봉, 공예등의제작을주목적으로하고있었다. 주로장비를통해서활동하는과학및컴퓨터관련프로그램이나예술, 공예등의프로그램이주요골자를이루고있었다. 따라서 학습공간(20.3%) 과 장비체험및활용공간(18.1%) 의역할이차지하는비중이조사한모든도서관에서높은수치를나타내고있다. 이는미국의메이커스페이스가오바마정부의융합교육정책인 STEAM에배경을 두고있기때문인것으로보인다. 그에따라구축하고있는장비의수또한매우다양하고 - 253 -
10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폭넓었는데, 주로제작장치나컴퓨터하드웨어등이주를이루었다. 특히 3D 프린터의경우브루클린공공도서관을제외한 5 개도서관에서모두보유하고있었다. < 그림 1> 국외도서관내메이커스페이스프로그램분석 공간의측면에서보면메이커스페이스를운영하는해외도서관 6개중브루클린공공도서관을제외한 5 개도서관에서모두 메이커스페이스 만을위한공간을두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중페이엣빌무료도서관의경우에는타도서관에비하여약 10배정도의면적을메이커스페이스를위한공간으로사용하고있었으며, 전체도서관에서차지하는공간비율도 7.7% 로가장높은비율을차지했다. 페이엣빌무료도서관은메이커스페이스를세공간으로분리시켜 3D 프린팅과컴퓨터 HW/SW 등의과학기술관련, 영상촬영및스토리텔링관련, 아동관련등으로활동범위를다양하게했다는점에서메이커스페이스의개념폭을훨씬넓게적용하고있음을볼수있다. 특히위치접근성에있어서도, 메이커스페이스의독자적공간을마련하지않은브루클린공공도서관을포함해모든도서관이 1층에서메이커스페이스의활동을향유할수있도록했다는점이주지할만하다. - 254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11 < 표 2> 국외도서관내메이커스페이스공간분석 도서관명 메이커스페이스메이커스페이스메이커스페이스독자적공간면적 (sqft) / 전체면적(%) 메이커스페이스운영장소 존슨카운티도서관 전용 400(37 m2) 0.5 makerspace(1 층) 예정 미줄라공공도서관 전용 325(30 m2) 0.8 다목적실(1 층) 새크라멘토도서관 전용 480(44 m2) 3.7 아카이드도서관 1층 페이엇빌무료도서관 전용 3000(278 m2) 7.7 여러층의 3개공간 웨스트포트도서관 전용 320(29 m2) 0.7 Great Hall 내(1 층) 브루클린공공도서관 겸용 - - 중앙도서관 1층 또한, 메이커스페이스를구축하고있음에도많은도서관이메이커스페이스공간을상시개방하지않고있었다. 왜냐하면, 메이커스페이스는주로관련장비를구축하고이에맞는프로그램을운영하는형태로움직이고있기때문이다. 따라서개방시간또한프로그램관련시간이나하루에일정시간을정해놓고개방하는형태로운영되는경우가있었다. 4) 이는메이커스페이스를구축하는장비대부분이고가이며이를다루는데에전문적인인력이필요한경우가많기때문으로보인다. 다. 국내무한창조공간분석 미래창조과학부와한국과학창의재단은 2013 년시범운영기관 을선정하여그중, 공공도서관은광진도서관( 서울), 목포공공도서관( 목포) 2 개관에서시범적으로운영되었다. 2014년도에는광진도서관( 서울), 목포공공도서관( 목포) 을비롯하여부산시립시민도서관( 부산), 수성구립범어도서관( 대구), 율목도서관( 인천), 제천기적의도서관( 충북), 청주기적의도서관( 충북), 당진도서관( 충남) 의 8 개관에서무한상상실을개소하였고, 2015년도현황으로는서대문구립이진아기념도서관( 서울), 부산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부산), 달서어린이도서관( 대구), 천안시쌍용도서관( 충남), 광양시문예도서관사업소( 전남) 의 5 개관에서추가적으로개소하였다. 국내도서관의무한상상실은전체무한상상실의프로그램중스토리텔링형프로그램을구축하는것으로제한되어있다. 따라서해외도서관과달리, 국내도서관내무한상상실프로그램의기조는 스토리텔링형프로그램 (24%) 을중심으로구축되어있다. 여기에각도서관만의특색을더하여스토리또는영상물이나 UCC, 도서같은문화콘텐츠를제작할수있는공간으로운영되고있다. 주제적인측면에서는과학, 해양, 지역사회, 어린이등에초점을맞추어도서관내주제특성화와도연계되는측면을보여주었다. 특히이러한스토리텔링능력함양으로창업및인재양성에조력을도모하고자하는 인큐베이터공간 (20%) 으로서의특 4) 새크라멘토공공도서관의메이커스페이스인디자인스팟은 3D 프린팅랩으로운영되고있으나, 화 수토요일 등 3 일만개방하고있다. 웨스트포트도서관의경우 3D 프린터의사용을예약제로운영하고있어이용자의자유로운접근이제한된다. - 255 -
12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성또한두드러졌다. 많은프로그램이스토리텔링을위한교육프로그램을개설하는형태였기때문에, 학습공간 (13%) 으로서의역할또한동시에대두되었다. < 그림 2> 국내도서관내무한상상실프로그램분석 공간적인측면에서보면, 위치접근성에서는제천기적의도서관과청주기적의도서관을제외한모든곳에서 2층이상에무한상상실을위치해놓아상대적으로접근성이약화되는것을볼수있다. 이는국내도서관특성상상대적인지대( 地代 ) 부족으로인한결과로보인다. 특히국내도서관은무한상상실만을위한공간을따로편성한경우가 6 개관이었다. 주로도서관내기존다목적실이나열람실등을개조하여무한상상실을위한용도로개편해활용하여, 다른용도로함께공유하는경우가많았다. 5) 다른 8개도서관의경우에는문화강좌실이나소극장, 동아리실등의공간을활용해서무한상상실을프로그램으로운영하였다. 특별한장비를마련한경우는광진정보도서관의경우에한정되었는데, 도서관공간유용의문제및현실적예산의문제때문인것으로보인다. 따라서국내도서관무한상상실의경우완전히독자적인공간을배정받아상시개방한다기보다다용도공간에서프로그램을위한공간으로활용되는경우가압도적이라고할수있다. 5) 광진정보도서관의경우도서관열람실을개조하여녹음실, 영상편집실, 소강의실을신설하였다. 목포공공도서관의경우해양과학자료실과해양과학상상교실등에무한상상실프로그램전용공간을배치하였다. 서대문구이진아기념도서관의경우 3 층에있는강의실을무한상상실이운영되는개별공간으로활용하고있다. - 256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13 따라서국내무한상상실현황에서는도서관의본래역할인사회소통공간및창조중심협력공간, 창조자원공유공간의역할은상대적으로약화되는경향을보인다. < 표 3> 국내도서관내무한상상실공간분석 도서관명 무한상상실무한상상실무한상상실 / 독자적공간면적 ( m2) 전체면적 (%) 무한상상실운영장소 광진정보도서관 전용 90.51m2 1.2 무한상상실 (2 층) 부산시립시민도서관 전용 575m2 4.6 무한상상실 (3 층) 수성구립범어도서관 겸용 - - 문화강좌실 (4 층) 국제자료실 (2 층) 율목도서관 겸용 - - 소극장(2 층) 제천기적의도서관 전용 39.6m2 0.8 무한상상실 (1 층) 청주기적의도서관 겸용 - - 동아리실(1 층) 당진도서관 겸용 - - 다목적실(3 층) 목포공공도서관 전용 52.65m2 0.9 해양과학교실(3 층) 서대문구이진아기념도서관 전용 73.77m2 2.7 무한상상실 (3 층) 부산광역시중앙도서관 겸용 - - 시청각실(4 층) 달서어린이도서관 겸용 - - 강의실 천안시쌍용도서관 전용 165m2 3.4 무한상상실 (2 층) 광양시문예도서관사업소 겸용 - - 시청각실(3 층) 라. 무한창조공간분석 무한창조공간의분석은 < 표 4> 와같으며 2 가지의주된특성을가지고있다. < 표 4> 국내및국외무한창조공간특성 공통점 프로그램위주의활동 상시개방하지않음 해외 위치접근성강함(1 층) 과학및기술관련프로그램 장비중심의시설구축 차이점국내 위치접근성약함(2~4 층중심) 스토리텔링중심프로그램 장비구축어려움 첫째, 해외와국내모두프로그램위주의활동이이어지고있다는점이다. 해외의경우과학기술을중심으로, 국내의경우스토리텔링을주제로하여도서관프로그램을운영하는형태로이루어지고있다. 주로 창조 라는주제를한도서관프로그램이무한창조공간의현실적인구현형태로여겨지고있다. 이는자율적인소통이아니라개개인의능력발현을지원하고이를위한교육을진행하는형태이다. 둘째, 그렇기때문에도서관무한창조공간이있다고해도상시적으로개방하지않는다. 장비나프로그램의문제, 혹은강의실및다목적실로겸용되는공간이기때문에상시적으로공간을개방할수없는것이다. 그결과프로그램으로서의성질이더욱강해진다. 특히우리나라도서관의경우현실적인차원에서해외와같은과학기술및장비위주의메이커스페이스 - 257 -
14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는애초에구현하기어려우며, 스토리텔링중심의프로그램은도서관의기존프로그램과유사하게운영되어다른프로그램과의차별성이모호하다. 특히프로그램중심성으로인해, 무한상상실이상상과창조를위한자유로운공간으로기능하는것이아니라기능적인성질을띠게된다. 그결과모두가자유롭게왕래하는 1층에무한상상실을위치시킴으로써약한유대의만남의가능성이상대적으로높은해외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와는달리국내의무한상상실은주로 2~4층에위치해있어강한유대의만남이더욱중점적으로이루어진다. 따라서국내의무한상상실이가지고있는기조는국내도서관의현실과밀접하게어울리지않는다고볼수있다. 2. 코워킹스페이스공간분석 가. 분석대상및기준 Symmetry50 6) 이선정한 100개의코워킹스페이스중상위 20개를대상으로하여연구목적으로평면도 (floor plan) 를요청하였다. 그중답장을통해평면도를제공해준임팩트허브오클랜드 (Impact Hub Oakland), 이지스페이스(EZ Space), 워크프로그레스 (Works progress) 등 3 개코워킹스페이스를대상으로공간사례분석을수행하였다. 민간코워킹스페이스의경우사적공간대여를포함한다양한공간을마련하고있으나, 주분석의대상으로는협업을위해배치된공간을대상으로한다. 코워킹스페이스는다양한기능이혼재된복합화공간이다. 코워킹스페이스의복합적역할이도서관에어떻게구축되어야할지를알아보기위해, 김세영(2013) 의논문에서제시된공공공간의프로그램복합화에따른특성분류를기준으로분석하였다. 분석에표기된 기능 의기호는모두논문에서발췌한것이다. 논문을기반으로제시된중점분석내용은다음과같다. 1) 코워킹스페이스사용자의경험은어떤특질에기반을두는가? 2) 코워킹스페이스는여러공간의다양한기능들을어떤방법으로복합화하고있는가? 3) 코워킹스페이스는공공공간으로서의특성을어떻게가지고있는가? 6) 년에만들어져스타트업과인사업자프리랜서등을위한부기서비스를제공하 2014 1, (bookkeeping service) 는업체.(Symmetry50. <http://www.symmetry50.com/about/> [cited 2015. 8. 22]) - 258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15 < 표 5> 사용자중심의공공공간분석기준( 김세영 2013, 55-57) 사용자경험유형 프로그램복합화기능 공공공간특성 사용자의움직임에반응. 물리적경험 물리적공간의구조와형태가사용자의반응, 행위, 정보에따라다양한결과도출. 경험및참여중심의효과가극대화. 유희적경험 공간자체가주는정보및사건및이벤트에의해사용자의전개및변화. 전시및상업공간에서영상, 동작인식반응시스템에의한움직임의극대화효과. 감성적경험 시각적이미지통한디지털아트의다양한기술과미술양식융합새로운경험창출 여러감각과매체복합으로사용자가이전공간에서경험할수있는범위와대상을넓히는것 분리 (A, B) 각각의독립된공간의기능이존재 통합 (A+B) 두개의분리된기능을한공간으로의병합 가변 (A or B) 공간내상황에따른공간통합및분리가능 연속 (A B C) 복합프로그램기능의연속적연결 단일흐름에의한공간의유동성, 가변성 열림 (A+B) 시각적으로완전히오픈된공간에의한통합, 가변, 연속, 침투기능이잠재되어있음 침투 (A>B or A<B) 공간의기능혹은공간의배치규모에의한상호침투에의한공간의기능변화가능 복합성 내부및외부, 기능과기능의고정된공간에서중심을분산하고분산배치된프로그램들사이의새로운관계를제공하는것 가변성 고정되어진경계에대한공적공간과사적공간의매개적역할을하며공간의활용적측면이다양하게제공됨. 커뮤니티시설로서상호작용가능한활성화방안을가능케함 개방성 모든사용자에게물리적, 시각적으로쉽게접근할수있어공간계획에유용한요인으로작용 나. 분석내용 < 표 6> 임팩트허브오클랜드(Impact Hub Oakland) 공간분석 이름 개요 임팩트허브오클랜드 (Impact Hub Oakland) 2005년영국런던에서시작하여전세계적으로퍼진코워킹스페이스의지점 현재전세계에 7,000명이상의회원과 50개이상의지점을보유 극장, 연회장, 소규모회의실등비즈니스활동을위한다양한공간을제공및대여 도면 공간 공간분석 분석내용 특징 개인작업공간, 휴식공간, 접대공간, 식사공간이공간구분없이하나의홀에존재 작업공간의테이블이개인작업및협업이자유롭게가능한형태 용도가자유로운구조물: 우측반원형계단. 휴식장소혹은자유로운자세의업무장소로활용가능. 명확히용도가규정되어있지않아자유로운전용가능기능특성사용자경험유형복합성 경험유형특징 통합 가변성 개방성 물리적경험 명확한용도가정해져있지않아자유롭게공간을전용할수있음 이용자의도에따라공간의활용성을극대화시킬수있음 - 259 -
16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이름 개요 < 표 7> 이지스페이스(EZ Space) 공간분석 이지스페이스 (EZ Space) 존마흔과데본딕킨슨이 2012년애리조나에만든코워킹스페이스 1 인사업가, 프리랜서, 독립적전문가들을위해만든공간 커피숍, 도서관, 레스토랑및기본적시설을제공하며비즈니스를지원 도면 공간 공간분석 이름 개요 분석내용 특징 개인작업공간중심으로주변에비즈니스를위한공간 ( 미팅룸, 폰부스등) 배치 업무기능을중심으로배치한구조 사적업무공간 ( 미팅룸) 등을유리벽으로둘러개방적느낌을주고, 가변적인느낌을줌기능특성사용자경험유형복합성 경험유형특징가변성 업무기능이라는이용자공통의목적을기반으로개별적행동수행가능물리적경험개방성 필요에따른기능별공간유용( 미팅룸, 개인가변작업공간, 폰부스등) 을통한경험수행 < 표 8> 워크프로그레스(Works progress) 공간분석 워크프로그레스 (Works progress) 제시림프와마니추아가 2012년만든코워킹스페이스 자유롭게전용가능한협업공간과개인오피스등을공유하는소규모커뮤니티 요리프로그램과소수자및여성들을위한비즈니스프로그램등개최 공간 도면 공간분석 분석내용 특징 로비를중심으로코워킹스페이스를두곳으로분할 개인작업을위한분리된전용사무실(private office) 를코워킹스페이스내에별개로위치시킴 업무기능중심의다른코워킹스페이스와달리커뮤니티기능중심의프로그램활성화기능특성사용자경험유형경험유형특징복합성 개인업무따라공간을물리적이용할시발생하는경가변성 경험 침투연결분리 개방성 유희적경험 험의총화 커뮤니티성이강조된프로그램등에기반한경험 - 260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17 다. 분석결과 3 곳의코워킹스페이스공간을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다. < 표 9> 코워킹스페이스공간분석 기능 공공공간특성 사용자경험유형 복합성 사용자중심의공간제공 제공되는이벤트 프로그램은 가변성 물리적부차적요소경험 전체건물내에서가장기본적 통합 가변 침투 코워킹스페이스가전체시설으로제공되며, 자유로운공간개방성에서중앙홀처럼기능할경우으로기능 첫째, 코워킹스페이스들은대표적으로복수의공간기능을통합이나가변, 침투등을통해구현한다. 개인의업무공간을중심으로주변의보조공간기능들이함께있는형태로비동일적인공간기능의적용을보여준다. 아예기능별구분을두지않거나( 임팩트허브오클랜드 ) 유리벽등을통해구분해두면서( 이지스페이스) 공간전체가하나의공간이라는일체감을제공한다. 둘째, 코워킹스페이스들은복합성과가변성을가지며, 주로전체건물내에서코워킹스페이스가가장핵심적인위치에자리해있다. 도서관이나폰부스, 미팅룸등의공간등은코워킹스페이스를중심으로주변에부차적으로붙어있는형태이다. 따라서특정한기능이나이벤트중심이라기보다, 이용자가공간을통해경험하는물리적경험이중심이된다. 개방성또한코워킹스페이스자체가전체시설에서가장접근성이뛰어난위치에있는경우 7) 누구나왕래할수있는개방성을가지게된다. 그러나기본적으로민간코워킹스페이스는개별적업무행위수행을위한회원제의느낌이강하기때문에개방성은소속된사람들이아니라면상대적으로약화된다. 이를통해도서관에시사할수있는점은다음과같다. 첫째, 코워킹스페이스는전체시설의중심에자리해야한다. 약한유대의만남과강한유대의만남이동시에이루어질수있는코워킹스페이스는그자체로도서관이용자의핵심적인활동공간이되며, 여기에서발생하는활동이도서관의기능으로연결될수있는통로가되어야한다. 둘째, 도서관의코워킹스페이스의공간배치는달라야한다. 현재분석한코워킹스페이스의형태는일견도서관열람실의형태와유사하다. 그러나도서관의열람실은공부나독서등극히제한적인활동에만적용되어, 공간의자율성에비하여오히려더욱제한적인기능을 7) 임팩트허브오클랜드의경우 1 층에코워킹스페이스가위치해있고, 2층에발코니와같은형태로미팅룸등이위치해있다. 유리벽으로되어있고, 중심부를비워두어모두가공유할수있게된공간이다. - 261 -
18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가진공간으로인식되고있다. 만일코워킹스페이스의공간구성을그대로도서관에적용할경우, 기존의도서관기능에익숙한사람들에게코워킹스페이스는오히려또다른독서실열람실로취급될수있다. 따라서상기에언급한코워킹스페이스의특징, 즉공간의기능적통합및가변을통해물리적경험을최대한활용할수있는방향을살려, 도서관만의코워킹스페이스공간설계를새로이적용해야할것이다. Ⅳ. 코워킹스페이스로서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모델링 1. 개념적모델링 기존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은창조를개인의소산이자 만듦 의수준에서만바라보았다. 그결과무한창조공간의프로그램은교육의관점에서제작을후원하고장비를지원하는수준에서이루어졌다. 그러나도서관의본질이공유와소통이며, 지적창조를위한시발점임을고려해야한다. 따라서무한창조공간은이용자의자유로운활동을보장하는코워킹스페이스로서모든도서관기능의중심이되며또한그기능이발원하는공간이어야한다. < 그림 3> 은공공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에대한개념적모델링이며, 노영희(2014) 가제시한무한창조공간의역할모델 12개를 3개의수평적층위에나누어개별도서관층위에전사시킨것이다. 이에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은역할과기능에따라 3가지층으로다음과같이설명할수있다. 첫번째공간은도서관의중심에위치하는 공- 창조적공간 이다. 이곳은만인이공유하며영감을얻을수있는공간으로, 도서관내에존재하는 개인간공- 창조적공간 과도서관간의교류를촉진하는확장된구조의 도서관간공- 창조적공간 으로나뉜다. 개인간공-창조적공간 은이용자들이협업과소통, 그리고개인적업무까지다양하게볼수있는코워킹스페이스를기반으로한다. 따라서이공간은사회소통공간, 창조자원공유공간, 창조중심협력공간으로서의역할을한다. 도서관간공- 창조적공간 은주체를개인이아닌도서관으로봄으로써, 도서관상호간의공유와소통을촉진하는네트워크관계로구성된다. 이경우 도서관간공- 창조적공간 은문제해결의공간이자네트워크의공간, 그리고상호연결의공간으로서존재하는개념적 가상적공간으로존재한다. 두번째공간은도서관내부에서 공- 창조적공간 의바깥쪽에위치하는 기능적공간 이다. 기능적공간 은자신의행위에몰두하며공- 창조적공간을보조하는공간이다. 따라서 기능적공간 에는이용자들이 필요로하는실질적인기능 을지원하기위한장비및프로그램등 - 262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19 이존재한다. 이두번째공간에메이커스페이스등이가지고있는과학적기술과장비구축등기능적으로창조행위를지원해줄수있는요소를구축해야한다. 이공간은자가출판공간, 작가발굴양성공간, 장비체험및활용공간, 인큐베이터공간, 직업탐색및창업지원공간등의역할을한다. < 그림 3> 공공도서관에서의무한창조공간개념적모델링 상기에서언급한 2 가지의공간은도서관의핵심이며직접적인 무한창조공간 으로정의된다. 이층위의바깥에세번째공간, 즉우리가일반적으로인식하고있는도서관의기능이존재한다. 이 일반적도서관공간 은무한창조공간을지원해주며, 스토리텔링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학습공간, 전문가멘토링및컨설팅공간의역할을한다. 그러나이일반적도서관공간또한도서관전체의관점에서는 무한창조공간 으로확장되며, 도서관의창조적구조를구성하는요소가된다. 즉 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 개념은도서관바깥에서보면 무한창조공간적도서관 이라는확장된구조가되는것이다. 이는 도서관간공- 창조적공간 의개념에서처럼, 주체를 이용자 나 사서 등의제약적관점이아닌확장된관점으로제시한다. < 그림 3> 에서나오듯개별도서관을 L 로, 그들간의관계가구축되는도서관간의공-창조적공간을 NL 로, 이네트워크 - 263 -
20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의연결을 NNL 로기호화하였을때, 각각의기호는그주체의변화만바뀔뿐동일한구조의확장으로존재하게된다. 2. 실체적모델링 무한창조공간적도서관의개념적상을실체에적용시키기위해서는실체적인역할이제시되어야한다. 그렇지않은상태에서무작정도서관에무한창조공간을구축한다면기존의도서관공간담론에서벗어나지못한채또다시몇가지의기능에얽매인공간으로구성될수밖에없다. 따라서무한창조공간적도서관을위한코워킹스페이스의개념을실현시키기위해서는 3 가지의역할이필요하다. 가. 무한창조공간의상시개방 도서관의사상을아우르고관통하는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무한창조공간개념을적용시키기위해서무한창조공간은지금과같이필요에의해서만개방되는것이아닌상시개방된공간이어야한다. 도서관이규정한목적이아닌자신의목적의식을가지고자유롭게방문할수있는공간으로구축되어야한다. 하지만새로운개념의무한창조공간이별다른준비과정없이곧바로열렸을경우열린작업공간은단순한열람실처럼이용될위험을가지고있다. 따라서곧바로무한창조공간을개방하는것은적절하지않다. 대신지역주민들에게무한창조공간의목적과이용방법을제시하기위한방법론중하나로기능적작업공간을단계적으로공개하는역할모델링을구축할수있다. < 표 10> 도서관코워킹스페이스의개방에대한역할제안 프로그램연계운영단계 제한적개방단계 완전개방단계 대상 도서관관련프로그램강사 일반인중신청자 일반이용자 제공 수업관련공간 분기별자유활동공간 개방운영및자유로운전용 내용 도서관프로그램상설화 공간활용결과물공유및토론 공간활용자간친목도모행사 이용자에따른공간활용지원 효과 도서관프로그램과코워킹스페이스개념인식접목 전문가간협업촉진 무한창조공간역할인식확장 도서관의능동적이용활성화 나. 개인간공-창조적공간과기능적공간의연결 개인간공- 창조적공간과기능적공간은구분되지않고서로연결되어야한다. 가벽이나 홀딩도어, 유리창등의도구는이러한공간적연결을가능케만든다. 이미충분히많은기능 - 264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21 을가지고있고이에따라세분화된도서관공간에서사적몰입공간을이이상독립적으로구축하는것은자칫잘못하면독서실로악화될여지가있으며, 공간을더욱복잡화시킨다. 따라서이용자들이지인과자기관심사를탐구하기위한강한유대의만남과다양성을접하게되는약한유대의만남을자유롭게전용할수있도록, 그리고나아가필요에따라공간전체를유용할수있도록공간을연결시켜야한다. 다. 창조행위의간접적지원 도서관은이제까지프로그램을주도하는형태로이용자들에게무한창조공간을제공해왔다. 그러나그접근방식을간접적으로바꿔야한다. 즉장비이용, 학습, 관심주제탐색, 전문가컨설팅등의기능을주도적인프로그램으로구축하는것이아니라, 이용자의요청과연계하여구축하는등의방식을고려해야한다. 즉프로그램을제공함에있어서도도서관의임의적입장이아닌이용자의무한창조공간이용동향을우선적으로고려후판단해야한다. Ⅴ. 결론 도서관에무한창조공간의개념이들어선것은 2013년미래창조과학부의정책에의거한것이었다. 유관기관으로서협력적관계에있는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은스토리텔링이라는극히제한적인분야에머무를수밖에없었다. 하지만도서관이창조를위한공간으로서가진가능성은훨씬크다. 따라서국내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에대한다른방식의접근이필요하다. 창조라는개념이단순히제작이나스토리텔링등무언가를 생산 해내는행위에그친다고규정할경우, 그것은생산자와생산물을주체- 객체적계층관계로해석하는데그치게된다. 하지만창조는일방향적이거나단선적인관계가아니며, 인간이상으로의모든존재와의소통에서발생하는자가생성과정이자그구조의양태( 樣態 ) 이다. 이러한공-창조성의논조에입각하여창조의시원을소통과공유로삼는다면, 이는도서관이가지고있는본질적가치와일치한다. 또한무언가를제작하는행위의목적이사물및현상을관통하는문해력을획득하기위한과정임을고려했을때무한창조공간은결국본질적으로도서관그자체가된다. 따라서도서관의무한창조공간에는기존에접근하던장비와제작중심의메이커스페이스개념이아닌, 협업과공유의관점을중심으로하는코워킹스페이스의관점이더욱적절하다. 코워킹스페이스는메이커스페이스가제작이라는목적아래에서의커뮤니티구축과협업을지향점으로삼고있다는점에서메이커스페이스의광의로해석된다. 코워킹스페이스는공간적으로중심부에개인이자유롭게개별적작업및협업을구가할수있는공간을제공하고주변에 - 265 -
22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미팅룸, 폰부스, 독립사무실등기능별로분화된보조공간을제공한다. 공간의다양한기능을합칠때구분을두지않거나투명한유리벽혹은가벽을설치해두는형태로공간의경계를허물며가변성과복합성을높인다. 특히코워킹스페이스는전체건물의중간에위치해있으면서만인이아이디어를공유하고이를통해상상력을촉발시킬수있는공간으로기능한다. 따라서창조를위한공간으로서의도서관은코워킹스페이스를중심으로운영되어야한다. 가장핵심적으로는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 공- 창조적공간 을, 그다음으로개인의구체적인활동을지원할수있는메이커스페이스의기능을포함한 기능적공간 을운영한다. 이무한창조공간을보조하는역할로도서관의일반적기능을전사시켜야한다. 이용자중심의공간배치와창조행위지원을중심으로한무한창조공간의개념은결국단순한 도서관내무한창조공간 이아닌, 무한창조공간적도서관 으로도서관내부에서나아가도서관간의관계로도구축될수있어야한다. 본연구의한계점은다음과같다. 먼저코워킹스페이스에대한공간분석에초점을맞추면서, 프로그램분석을제대로수행하지못했다. 코워킹스페이스의프로그램은이용자들간의친목을도모하고이들의창조성및생산성을끌어올릴수있는방향으로운영되므로, 프로그램분석측면에서의연구가필요하다고본다. 또한본연구는도서관을건축하는과정에서참고될수있으나, 이미건축되어활용할수있는공간이부족한도서관에대해서는실질적으로활용될수있는가능성이매우적다. 도서관은공( 公 ), 공( 共 ), 공( 空 ) 등세가지공을모두가진공간이다. 사회적인차원에서공익을위한공간이며, 동시에모두를위한공간이기도하다. 그렇기때문에비어있고, 무엇으로든지전용할수있는공간이될수있다. 이제까지도서관은장서를중심으로한기능주의적공간구성에힘써왔고, 그것은실제로도서관에대한공간적이미지를하나로고착화시키는데기여했다. 그러나앞으로건축할새로운도서관은외연을더욱확장하는방향으로나아가야한다. 특정한기능을중심으로하기보다사회적패러다임의변화에유연하게적응할수있는공간이되어야한다. 그리고이런 무한창조공간적도서관 은도서관의지속가능성을증명할수있는시발점이될것이다. 따라서향후의도서관은무한창조공간을단순한정책적협력의입장이아닌개념적 공간적차원에서접근해야할것이다. 참고문헌 김세영. 2013. 사용자중심의공공성실현을위한공공도서관의공간계획및특성에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2(3): 52-60. - 266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23 김영환. 2015. 창업지원코워킹스페이스현황및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 STEPI Insight, 164: 1-35.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프로그램과창의성간의관계에대한평가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6(2): 71-111. 노영희. 2014. 도서관무한창조공간구축및운영모형제안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53-76. 무한상상실홈페이지. <http://www.ideaall.net> [ 인용 2015. 8. 15].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무한상상실매뉴얼.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박성우. 2015. 공공도서관다문화서비스를위한상호문화관점의수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71-392.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무한창조공간의개념및프로그램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 이상헌. 2008. 공공영역과공공디자인 - 공공영역과공공건축, 공공디자인. 건축과사회, 11: 57-65. 이한재. 2014. 한국형코워킹스페이스실내건축에관한연구. 2014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2014년 11월 21 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54-55. 전동진. 2007. 구조존재론 - 인간과자연의공창조성의철학 -. 하이데거연구, 15: 439-470. 정준민, 박성우. 2004. 정보의유비쿼터스적해석을통한도서관본질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265-27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국내외메이커운동사례조사및국내메이커문화활성화방안정책연구. 서울 : 동연구원, 2014- 정책연구과제. Aabo, Svanhild. and Ragnar Audunson. 2012. Use of Library Space and the Library as Pla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138-149. Bilandzic, Mark and Marcus Foth. 2013. Libraries as Co-working Spaces: Understanding User Motivations and Perceived Barriers to Social Learning. Library Hi Tech, 31(2): 254-273. Cohen, A. M. 2011. Four Scenarios for Co-working: Sharing Workspace Offers Potential Benefits in an Uncertain Economy. The Futurist, 45(4): 8-10. Colegrove, T. 2013. Editorial Board Thoughts: Libraries as Makerspace?. Information Technology & Library, 32(1): 2-5. EZ Spaces Homepage. <http://www.ezspaces.com/about.php> [cited 2015. 8. 22]. Graves, C. 2014. What is a Makerspace?. Knowledge Quest, 42(4): 8-13. - 267 -
24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6권제4 호) IFLA. 1994.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http://www.ifla.org/publications/ iflaunesco-public-library-manifesto-1994> [cited 2015. 8. 18]. Impact Hub Oakland - About Us. <http://oakland.impacthub.net/coworking-space-oakl and-our-story-2/> [cited 2015. 8. 22]. Kelly, A. 2013. Why Do We Need One of Those?: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in Creating and Promoting Makerspaces. In: ALIA National Library & Information Technicians' Symposium 2013 waves of change. pp.1-13. Rombach, Heinrich. 2004. 살아있는구조. 전동진옮김. 서울: 서광사. Symmetry50 - about. <http://www.symmetry50.com/about/> [cited 2015. 8. 22]. What's a Makerspace?. <http://spaces.makerspace.com/> [cited 2015. 8. 22]. Works Progress Homepage. <http://www.worksprogressseattle.com/en> [cited 2015. 8. 22]. 국한문참고문헌의영문표기 (English translation / Romanization of reference originally written in Korean) Ahn, In-Ja, Sang-Ki, Choi, and Younghee, Noh.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43-171. Chun, Dong Jin. 2007. Strukturontologie - Philosophie der Konkreativität von Mensch unt Natur -. Heidegger Study, 15: 439-470. Chung, Jun-Min and Seong-Woo Park. 2004. A Study on the Libraries' Quintessence by Interpreting Information as Ubiquitou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265-279. Kim, Seyoung. 2013.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 Space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3): 52-60. Kim, Younghwan. 2015. Present Condition of Co-working Spaces to Assist to Business Starters and Policy Object for Activation of Co-working Space. STEPI Insight, 164: 1-35.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4. Maker Movement Case Study and Research for the Domestic Maker Culture Activation Plan. 2014-Policy Research Object. - 268 -
코워킹스페이스로서의공공도서관무한창조공간개념분석 25 Korea Infinite Imagination Room Hompage. <http://www.ideaall.net.> [cited 2015. 8. 15]. Lee, Han-Jae. 2014. Studies on the Interior Architecture of a Korean Co-working Space. Proceedings of 2014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4(2): 54-55. Lee, Sang-Heon. 2008. Public Area,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Design. Architecture and Society, 11: 57-65.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4. Infinite Imagination Room Manual. Seoul: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oh, Younghee, Jung-A, Kang, and Eun-Ji, Jung. 2015. A Qualitative Evaluati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and an Infinite Creative Space Progra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71-111. Noh, Younghee. 2015.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53-76. Park, Seong-woo. 2015. Accepting the Interculural Perspective for Multicultural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371-392. - 2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