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Similar documents
국가별 한류현황_표지_세네카포함

5 291

ìœ€íŁ´IP( _0219).xlsx

152*220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 4 -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 pb61۲õðÀÚÀ̳ʸ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3635B1E8C1F8C7D02E485750>

985-2.pdf

120~151역사지도서3

04_11sep_world02.hwp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 FC1F6BFAAC0CCBDB45FC1DFB3B2B9CC5FC6AEB7B3C7C15FC1A4BACEC0C75FB4EB5FC1DFB3B2B9CC5FC1A4C3A55FBAAFC8AD5FB9D75FC0FCB8C15FC3D6C1BE5FBECFC8A3C8ADC7D8C1A62E687770>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TransLatin 05호합본_ok.hwp

041~084 ¹®È�Çö»óÀбâ

10월추천dvd

82-대한신경학0201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CT083001C

Microsoft Word - PN _revA_ko.doc

IP 심화 라우팅프로토콜적용시 라우팅테이블에서 이니셜이있는네트워크를설정하는것 : onnected 직접연결된네트워크를의미한다. 그러므로라우팅은 나는이런네트워크와연결되어있다. 를직접연결된라우터들에게알려주는것 1>en 1#conf t 1(config)#router rip 1

_¸ñÂ÷(02¿ù)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세계메이저시멘트기업동향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I. 중남미화장품시장현황 / 3 Ⅱ. 주요국별시장정보 / 9 ( 트렌드 유통망 인증 ) 1. 브라질 / 9 2. 멕시코 / 콜롬비아 / 칠레 / 64 Ⅲ. 우리기업진출전략 / 79 # 첨부. 화장품관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중남미 자원인프라 주간동향 호_ hwp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Ⅰ. 메르코수르시장개황 / 남미의강호, 메르코수르 2. 국가별개황 Ⅱ. 바이어가뽑은한국의히트상품 / 자동차 2. 자동차용배터리 3. 중장비 4. 석유ㆍ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쌍백합23호3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지역개황-내지-i-4

2015년9월도서관웹용

ps

Untitled-1

µ¶¸³Á¤½Å46È£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015현엘 내지.indd

<3033C6AFC1FD5FC0CCB3B2C0CE2E687770>

<30365FC7D8BFDCC1F6BFAAC1A4BAB83528C1DFB3B2B9CC292E687770>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Á¤Ã¥¹é¼Ł_Ç¥Áö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Microsoft Word - release note-VRRP_Korean.doc

= " (2014), `` ,'' .." " (2011), `` ,'' (.)"

%±¹¹®AR


**09콘텐츠산업백서_1 2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도서관문화 Vol.51 NO.9(2010.9) 가을은 독서의 계절?! 16

융합인재교육 ( S T E A M ) 프로그램 2

2002report hwp

요람 교육과정편람 사범대학.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PowerPoint Presentation

< BFA9B8A7C8A32DBCF6C0BAC7D8BFDCB0E6C1A6B3BBC1F620C3D6C3D6C1BE2E706466>

Microsoft PowerPoint 웹 연동 기술.pptx

<BABBB9AE2DC7D5C3BC2E687770>

중국의 라틴아메리카 인프라 투자: 모두가 윈-윈하는 상황인가 라틴아메리카이슈

1220½É¹Ì¾Èâ27È£º»¹®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hwp

목차

2),, 312, , 59. 3),, 7, 1996, 30.

07

쿠바의 지정학적 가치와 한국의 실리 - 트랜스라틴 33호

10-이성훈(2007).hwp

2 인구절벽에대비한해외정책및사례연구

SIGIL 완벽입문

win8_1±³

2019 중남미지역기구개황 중남미개발은행 (CAF) (Development Bank of Latin America) - Banco de Desarrollo de América Latina - I 개요및기구특징 1. 설립경위ㅇ 1966년안데스지역 6개국 ( 콜롬비아, 칠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001HKT노안리플렛A4(20)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수입목재의합법성판단세부기준 [ ] [ , , ] ( ) 제 1 조 ( 목적 ) 제 2 조 ( 용어정의 ). 1.. 제3조 ( 대상상품의분류체계 ) ( ) 18 2 (Harmoniz

- 89 -

(초등용1)1~29


2016남서울_수시모집요강_단면.pdf

: < > ( 23) (, ) (,, ) (, ) (,, ),,,,

2019달력-대(판형키워)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번역 작품들 - 트랜스라틴 14호

과제번호 RR [ 연구결과보고서 ] 대학교양기초교육에대한 종합적분석연구 연구책임자 : 손동현 ( 한국교양기초교육원 )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치의학석사학위논문 치의학대학원학생의장애환자에 대한인식조사 년 월 서울대학교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박상억

1 중남미좌파민중주의정권의부상및특징 좌파민중주의의대두 년베네수엘라차베스집권이후 15년넘게이어져온중남미좌파민중주의 (Pink Tide) 1) 는대두는 1492년부터현재까지이어지는중남미수탈의역사로부터기원함. 스페인에의한아메리카발견이후 500년이지난현재, 아메리카

A 목차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연합뉴스) 마이더스

<C0FCB9AEB1E2BCFA20BFDCB1B9C0CEB7C220B3EBB5BFBDC3C0E520BAD0BCAE2E687770>

(......).hwp

Transcription:

라틴아메리카문학과한국에서의수용과정 송병선 ( 울산대학교스페인 중남미학과 ) 1. 주변성의징후들 각국의문화는당대의사상과미학적선호도등으로구성된문화정전 (cultural canon) 을형성한다. 이런것들은오랜기간지속되기도하지만, 대부분다른나라로부터유입되는문화와충돌하거나새로운시각을지닌젊은세대들의해대체되기도한다. 이것은시간이흐름에따라문화정전이란특정문화에대한각국의선호도뿐만아니라반감도설명될수있는사회적현상임을의미한다. 특히문화정전이다른나라의문화에어떤반응을보였는지에관한문제는외부적으로명확하게나타나기때문에충분히기술가능한문제이지만, 이에관한연구는아직미진한상태이다. 여기에서는한국문학이라틴아메리카문학에어떤반응을보였고어떻게수용했는가를기술하려고한다. 이런수용속에는라틴아메리카문학의주변성의증상이뚜렷하게나타나며, 철저한이해의부족으로인한편향성이두드러진다. 주변성과관련된몇몇경우를지적해보자. 라틴아메리카문학은아직도관련작품의번역과비평들이부족하고, 심지어는유명한문인들의이름조차제대로소개되지않은상황이기때문에종종생소하게들리기까지한다. 이것은국내의식자층을비롯한전반적인문화상황이기때문에, 라틴아메리카문학을모른다고해서결코부끄럽게여기지는않는다. 심지어이런무지는용서받을수있기조차하다. 사실국내의문학인은세사르바예호 (César Vallejo), 호세마르티 (José Martí), 훌리오코르타사르 (Julio Cortázar), 세베로사르두이 (Severo Sarduy) 등이누군지모른다고해도얼굴을붉히지는않을것이다. 라틴아메리카문학의주변성을특징짓는또다른분야는번역에서발생한다. 라틴아메리카문학 ( 스페인문학을포함하여 ) 의번역을논할때, 70 여종의번역이나와중복출판의문제를야기하는 어린왕자 나 30종이넘는것으로추정되는 이방인, 갈매기의꿈, 젊은베르테르의슬픔 과같은경우는전혀해당하지않는다. 중역이건원문번역이건가리지않고 번역 이되었다는사실만으로도만족해야할상황이기때문에, 라틴아메리카문학의관점에서이런중복출판의문제는사치스런남의이야기로만들릴뿐이다. 이런양적인문제는구태여구체적인통계숫자를인용하지않더라도각대학의도서관에서고에비치된 스페인 라틴아메리카문학 분야를살펴보면그대로드러난다. 이것은스페인 라틴아메리카문학의수용이폭넓고체계적으로이루어진미국이나유럽의국가들과는달리, 우리나라에서는매우제한되어있으며, 그것마저매우자의적으로비전공자들에의해이루어져왔음을의미한다.

라틴아메리카문학연구가지연되고있는또다른증상은대학교육과고등학교교육에서도일어난다. 일제의영향을받아국내대학의어문학과는영문학, 불문학, 독문학이주조를이루고있다. 그리고갑작스런사회변화의 붐 을타고그뒤를러시아문학, 중문학, 일문학등이뒤를잇고있다. 그러나현재세계문학을주도하고세계 3대어에속하는스페인어는불행히도국내의십여개대학에만개설되어있는실정이다. 이런상황은고등학교에서도재현된다. 그러나이런주변성에도불구하고최근들어라틴아메리카문학에대한관심이증가되고있다. 왜이런현상이일어나고있을까? 이에대한구체적인자료는없지만, 아마도 1970년대와 1980년대의리얼리즘이종말을고하고, 포스트모더니즘과탈식민주의가고개를들면서라틴아메리카문학에대한새로운평가가이루어지고있기때문이라고보인다. 사실전공자의입장에서본다면주변성에머물러있던것이전면으로부각된다는사실은매우고무적인일이지만, 동시에이것은당대의 문화정전 이요구하는편향적인현상만을강조할수있다는우려를자아내기에충분하다. 이런것은국내의관심이라틴아메리카의텍스트를읽음으로써발생된것이아니라외국의문학이론에영향을받아이루어진것이라는사실을볼때, 서구적시각에서바라본라틴아메리카문학이그대로유입되고있으며, 따라서그런이론이함축하는편향성을그대로답습하고있음을보여준다. 이글은라틴아메리카문학에대한우리의문화정전은무슨문제를지니고있으며, 그것이실제로라틴아메리카대륙에서발생하는현상과어떤차이점을갖고있는지를서술하려고한다. 그리고이것을통해과연우리가제대로라틴아메리카문학을인식하고있는지검토함으로써앞으로보다바람직한라틴아메리카문학연구는어떻게이루어져야하는지에대한지표를제공하고자한다. 2. 라틴아메리카문학의국내출판현황 라틴아메리카문학이국내에출판된현황은고미진의석사학위논문 한국에서의중남미문학번역현황 ( 단국대학교, 2002) 과박병규교수가운영하고있는 www.latin21.com에비교적잘소개되어있다. 그러나고미진의논문과박병규교수의출판목록은단행본위주로작성되어있기에, 기타선집에포함된라틴아메리카단편들이누락되어있다. 가령대표적으로이문열의 세계명작산책 7권에는콜롬비아의작가에르난도테예스의 단지비누거품일뿐 이수록되어있으며, 국내 SF 전문가인박상준씨가번역 편집한 토탈호러 에는훌리오코르타사르의 정오의섬 이수록되어있다. 그러나앞의두자료에최근의자료를편의상장르와문학사조별로구분하면다음과같은작가들이국내에소개되어있음을알수있다.

시대 / 사조별 번역된작가혹은작품 신대륙발견이전 마야인의성서 ( 포폴부 ) 낭만주의 / 사실주의 ( 신소설이전 ) 마리아노아수엘라 ( 멕시코 ), 에두아르도카바예로칼데론 ( 콜롬비아 ), 호세호아킨페르난데스데리사르디 ( 멕시코 ), 로물로가예고스, 호르헤이삭스 ( 콜롬비아 ), 오라시오키로가 ( 우루과이 ), 마누엘로하스 ( 칠레 ), 호세솔레르푸익 ( 쿠바 ), 신소설 이사벨아옌데 ( 칠레 ), 미겔앙헬아스투리아스 ( 과테말라 ), 레네아빌레스 ( 멕시코 ), 아돌포비오이카사레스 ( 아르헨티나 ), 호르헤루이스보르헤스 ( 아르헨티나 ), 훌리오코르타사르 ( 아르헨티나 ), 폴리델라노 ( 칠레 ), 호세도노소 ( 칠레 ), 헤르만에스피노사 ( 콜롬비아 ), 라우라에스키벨 ( 멕시코 ), 카를로스푸엔테스 ( 멕시코 ), 에두아르도갈레아노 ( 우루과이 ), 가브리엘가르시아마르케스 ( 콜롬비아 ), 멤포지아르디넬리 ( 아르헨티나 ), 토마스엘로이마르티네스 ( 아르헨티나 ), 앙헬레스마스트레타 ( 멕시코 ), 알바로무티스 ( 콜롬비아 ), 실비나오캄포 ( 아르헨티나 ), 호세에밀리오파체코 ( 멕시코 ), 레오나르도파두라 ( 쿠바 ), 크리스티나페리로시 ( 우루과이 ), 마누엘푸익 ( 아르헨티나 ), 아우구스토로아바스토스 ( 파라과이 ), 후안룰포 ( 멕시코 ), 에르네스토사바토 ( 아르헨티나 ). 루이스세풀베다 ( 칠레 ), 안토니오스카르메타 ( 칠레 ), 오스발도소리아노 ( 아르헨티나 ), 마리오바르가스요사 ( 페루 ), 호르헤살라메아 ( 콜롬비아 ) 기타 ( 산문 ) 에두아르도바리오스 ( 칠레 ), 도미틸라바리오스데충가라 ( 볼리비아 ), 마르코스 ( 멕시코 ), 파울라페레스알론소 ( 아르헨티나 ), 에베르토파디야 ( 쿠바 ), 리고베르타멘추 ( 과테말라 ), 에르네스토카르데날 ( 니카라과 ), 아나마리아슈야 ( 아르헨티나 ) 시 에르네스토체게바라 ( 아르헨티나 ), 아리엘도르프만 ( 칠레 ), 호세에르난데스 ( 아르헨티나 ), 파블로네루다 ( 칠레 ), 니카노르파라 ( 칠레 ), 옥타비오파스 ( 멕시코 ), 세사르바예호 ( 페루 ), 루벤벨라 ( 아르헨티나 ) 여기서언급된작가이외에도라틴아메리카단편소설집을통해국내에소개된작가도 있다. 후안카를로스오네티 ( 우루과이 ), 알레호카르펜티에르 ( 쿠바 ), 아우구스토몬테로

소 ( 과테말라 ), 훌리오라몬리베이로 ( 페루 ), 라파엘움베르토모레노두란 ( 콜롬비아 ), 마갈리가르시아라미스 ( 푸에르토리코 ), 이사벨가르마 ( 과테말라 ), 클라리벨알레그리아 ( 엘살바도르 ), 비비아나메예트 ( 페루 ), 로사리오페레 ( 푸에르토리코 ), 엘레나포니아토프스카 ( 멕시코 ), 실비아몰리나 ( 멕시코 ), 안드레아마투라나 ( 칠레 ), 릴리아나에케르 ( 아르헨티나 ), 카르멘나랑호 ( 코스타리카 ), 기예르모카브레라인판테 ( 쿠바 ), 레이날도아레나스 ( 쿠바 ), 엘레나가로 ( 멕시코 ), 루벤다리오 ( 니카라과 ), 후안호세아레올라 ( 멕시코 ), 세넬파스 ( 쿠바 ), 미겔카네 ( 아르헨티나 ), 마리아루이사봄발 ( 칠레 ), 로사리오카스테야노스 ( 멕시코 ), 마리오베네데티 ( 우루과이 ), 세르히오라미레스 ( 니카라과 ), 호세루이스곤살레스 ( 푸에르토리코 ), 알베르토푸겟 ( 칠레 ), 루이사발렌수엘라 ( 아르헨티나 ) 등이그들이다. 한편각문학잡지에소개된작가들에관해서는아직구체적인연구가되어있지않다. 라틴아메리카문학에관심을보였거나보이고있는 < 세계의문학 >, < 외국문학 >, < 문학사상 > 등의국내주요잡지를비롯하여 < 시와반시 > 등지방에서출간되는잡지들을통해보다정확한서지를작성할필요가대두되고있다. 3. 1970 년대와 1980 년대민중문학의한계 : 라틴아메리카문학수용의편향성 이런수많은작가들이국내에소개되었지만, 라틴아메리카문학이국내에본격적으로언급되기시작한것은아마이시기일것이다. 특히, 관심을보이던민중문학계열인과테말라의미겔앙헬아스투리아스 (Miguel Angel Asturias) 가 1967년에, 그리고공산당계열의시인인칠레의파블로네루다가 1971년에각각노벨문학상을수상하면서, 민중문학계열은라틴아메리카소설속에서그들이찾고자했던 민중성 을보려고했던것같다. 이와더불어쿠바혁명과해방신학도민중문학비평가들의눈을라틴아메리카라는대륙으로돌리게했다. 이런성향은 80년대초반에도이어져산디니스타계열의시인인에르네스토카르데날 (Ernesto Cardenal) 이국내의잡지에소개되기시작한다. 그러나그들의의견을살펴보면실망을금할길이없다. 이미 1970년대말에백낙청씨는라틴아메리카문학을언급하면서, 네루다와같은시인은높이평가하지만가르시아마르케스나보르헤스같은작가들은민중성과괴리를이루고있다는성급한판단으로부정적인견해를밝힌다. 가령, 가르시아마르케스의 백년동안의고독 에관해백낙청씨는기법면에서나작가의관심의방향에서나지나치게고급스런일면을지니고있으며, 이작품에투영된토속세계라는것도넒은의미의지배층에속하는일가가그중심이되어있으며, 하나의전설또는신화의규모에이르는그작중인물들의고독의체험도아직껏그들이개척한신대륙의대지및그토착민들과하나로되지못한백인정착사회의소외상태를온전한리얼리즘에미달하는차원에서제시한것 ( 백낙청, 207-208) 으로평가한다.

그러나문제는백낙청씨의개인적인의견이아니라, 그런의견이소위 민중문학 이라고불린대다수의비평가들에게파급되면서, 아무런비판의식없이그대로그의의견을답습한것이란점이다. 가령, 이계열에속하는김종철씨와채광석씨가쓴라틴아메리카문학에관한글을간단히살펴보자. 현대라틴아메리카의진보적인문학을대변하는네루다같은시인의뛰어난 초현실주의 예술이기실은그것이민중생활의실감을보다깊이호흡하는결과로서나온것이지단순한서구예술의모방의결과가아니라는점을주목하기때문이기도하지만, 네루다같은민중적인시인이있는가하면라틴아메리카예술은또보르헤스같은극단적으로서구화된시인이존재한다는착잡한문화적상황을가지고있다는점에생각이미치기때문이기도하다.( 김종철, 274) [ 가르시아 ] 마르케스의작품들등비교적빼어난제 3세계의리얼리즘소설들에대해백낙청이 제 3세계와민중문학 에서민중적뿌리로부터괴리된일면또는엘리트문학적고급스러움을지적한바있듯이이는우리민중문학의경우와마찬가지로제 3세계민중문학이참다운 민중문학 의경지에는이르지못한때문인지도모른다. ( 채광석, 140-141) 이런의견속에는 당대의역사적 사회적현실의모순의극복을향한주체적 객관적현실인식과그현실의본질이구체적 전형적 총체적표출 ( 채광석 136) 이라는일반화된의견이지배한다. 그러나문제는이런본질적개념이아니라, 그들이이런것을어떻게인식했는가에관한것이다. 그들은제국주의모더니즘과그것이보여주는퇴폐화에대한반대개념및검열 체포 추방등의물리적억압의시련속에서대의에헌신하는모습으로라틴아메리카문학을인식한다. 그러면서 가장민중적인것이가장민족적이고, 가장민중 민족적인것이제 3세계적인것이며, 가장제 3세계민중 민족적인것이세계적인것이다 라고간파한다. 그러나라틴아메리카문학이어떤식으로제국주의와투쟁하면서사회부정을고발했는가에관한주제만부각되어있을뿐, 소설의형식적문제는도외시하고있다. 그리고이런문학적문제이외에도과연그들이라틴아메리카문학을한국의눈이아닌제 3세계의작가들이본눈으로작품을보았는가에대한의문이남는다. 사실그들의글을읽으면, 토착적문화자산이곧민중 민족문학으로인식되는듯하다. 그러나라틴아메리카문학은 토착적 혹은좁은의미의 정체성 을말할때면커다란문제에직면한다. 그들은스페인어라는식민지언어를사용하고있을뿐, 그들자체의언어가없다. 이런상황에서과연타인의언어로기술된 토착문화 가무슨의미가있겠는가? 바로이런문제로인해라틴아메리카작가들은우선자신들의언어를찾는다. 그러나이런언어는단순히우리가말하는한국어, 일본어, 영어등의언어가아니다. 왜냐하면

그들의언어는이제인위적으로는바꿀수없는스페인어라는식민제국의언어이기때문이다. 그들은자신들의언어를기존언어관습과의차별화를통해새로운형식을모색한다. 국내의민중문학가들은바로이런상황을인식하지못하고, 단순히새로운형식의실험을 엘리트문학 으로성급하게규정지었던것이다. 하지만이런형식적실험성은라틴아메리카민중들의삶과밀접히관련되어있다. 가령민중문학가들이비판했던가르시아마르케스의 백년동안의고독 을살펴보자. 이작품이민중을도외시한 엘리트문학 적요소를지니고있다는점은이작품의독자들이구두닦이, 버스운전사등을비롯한사회각계층에골고루퍼져있다는것에서우선그오류를지적할수있다. 그들은이작품을읽으면서 그래, 우리삼촌이그랬어!, 아니면 우리할아버지가그랬어! 라고이해한다 (Palencia-Roth, 10). 이것은민중들의구어체로씌어진 ( 물론번역본들은그렇지않지만, 원텍스트는옛날이야기식의문체이다 ) 스토리텔링형식의 백년동안의고독 은라틴아메리카민중들과합일감을이루고있으며, 그들의주체적 객관적현실인식과더불어그현실의본질을구체적 총체적으로표출한작품인것을보여주는예이다. 그러나단지우리의눈에익숙하지않고, 서구의패러다임과공통점을갖는다고해서그것을단지 엘리트문학 으로치부한다는것은민중 민족적인것을통해 세계보편성 을추구하는민족문학가들의오류였다고보인다. 또한네루다를높이평가하면서도그의구체적인작품이무엇인지를다루지않고, 단지 뛰어난초현실주의예술이기실은그것이민중생활의실감을보다깊이호흡하는결과 라고평가한것역시매우애매모호하다. 물론네루다를아는독자라면이런언급이그의작품인 우리모두의노래 Canto general 를지칭하고있음을알수있다. 하지만네루다의작품에는이작품에담긴이데올로기와는전혀상관없는 스무개의사랑의시와하나의절망의노래 나그의아내인마틸데우르티아에게바치는사랑의시가상당부분있음을간과할수없다. 이렇듯 1970년대와 1980년대민중문학가들에게수용되었던라틴아메리카문학은우리의문화정전에서 ' 우리의눈 ' 으로만바라본결과이다. 다시말하면그들은라틴아메리카와라틴아메리카문학에대한깊은이해없이단지겉으로직접표출되는 주제성 문학현상에만눈을돌렸다고평가된다. 그러나주제적측면으로만다루어진잘못된인식속에서도백낙청씨와구중서씨가엮은 제 3세계문학론 에는흥미로운글이한편실려있다. 그글은바로김우창씨의글인데, 여기에서그는이렇게지적한다. 세계의소설의흐름이라는관점에서볼때, 라틴아메리카작가의대두는근래에있어가장중요한현상의하나이다. 이것은서양에있어서한동안많이이야기되던 소설의죽음 과흥미있는대조를이룬다. 그러면서이대조는소설이라는문학형식에대하여하나의중요한관찰을가능하게한다.( 김우창, 261)

1980년대말부터포스트모더니즘이국내에소개되기시작하면서재평가될라틴아메리카문학을예언이나하듯이김우창교수는라틴아메리카소설의형식에중요성을부과한다. 그러나 1980년대의입장에서는이런형식에의탐구가시기상조였음을보여주듯이불행히도김우창씨의글에서는이런관심이깊이있게진행되지는못한다. 이것은리얼리즘적구조가무너진 1990년대에들면서소설형식의탐구가새로운관점에서진행되면서밝혀지기시작한다. 4. 구미시각의한계 : 포스트모더니즘시대의라틴아메리카문학 80년대말부터민중문학이막을내리고드디어포스트모더니즘문학이활개를펴기시작한다. 그리고그동안입에도오르내리지못했던보르헤스와가르시아마르케스가주요관심사로등장하고, 덩달아카를로스푸엔테스 (Carlos Fuentes), 마리오바르가스요사 (Mario Vargas Llosa), 기예르모카브레라인판테 (Guillermo Cabrera Infante), 마누엘푸익 (Manuel Puig) 등의이름이등장하기시작한다 ( 김욱동, 16면 ). 이런현상은특히국내포스트모더니즘문학가들에게영향을끼쳤던것으로보이는린다허천 (Linda Hutcheon) 이라틴아메리카작품에많은관심을기울였던것에기인한것으로보인다. 그러나국내의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소개했던이들의이론은과연비판적으로수용된것인가? 이러한의문은국내의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언급하기시작한라틴아메리카문학의본질이제대로소개되었는가를밝혀줌과동시에국내에알려진외국의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한계를밝혀줄것이다. 린다허천은위에인용된라틴아메리카작가들을 사료적포스트모던메타픽션 이라는용어를사용하면서포스트모더니즘의가장중요한양식의예를보여준다고설명한다. 그녀는이런범주안에다양한서술적관점과자의식등을사용하는문학기법과더불어현재의역사를내포하는텍스트들및지나간과거나삶, 예술과대화를나누며 과거의현존 을드러내는텍스트들을포함시킨다. 그러면서사료적포스트모던메타픽션은사회로부터일탈하지않은채그안에서새로운사회를시작하는것을목표로삼고있다고말한다. 그러면서라틴아메리카소설들이바로이런소설의원천이라고지적한다. 그러나그녀가라틴아메리카텍스트들을언급하는데에는두가지전제조건이숨어있다. 첫째는명백하게라틴아메리카텍스트들의예를언급함으로써자신의이론을구체적으로제시하려는것이고, 둘째는라틴아메리카텍스트들의특성과출현을설명함으로써세계문학의성향을언급하려는암묵적인의도가숨어있었던것이다 (Colás, 2). 포스트모더니즘이미국에서강력하게부상하면서라틴아메리카문학을단순히포스트모더니즘문학으로간주하는데대해라틴아메리카문학가들은몹시비판적인입장을취해왔다. 특히 1980년대말부터이런성향은가시화되는데, 이것은포스트모더니즘이소위

문학테크닉의실험성과역사의문제를접목시키기위한도구로 붐 문학만을사용할뿐, 다른성향의문학이공존하고있는현상을무시하고있다는점에기인한다. 사실허천이말한 사료적포스트모던메타픽션 은대부분의 붐 문학에해당하며, 심지어는이사벨아옌데 (Isabel Allende) 나안토니오스카르메타 (Antonio Skármeta) 와같은 포스트붐 작가에게도해당한다. 그러나문제는이런성향이라틴아메리카문학의일부분이라는점이다. 60년대이후의라틴아메리카문학에는 붐 문학만이존재하는것이아니라 증언소설 이란범주가어엿이건재하고있었다. 즉, 리고베르타멘추의 나는리고베르타멘추 (1982), 미겔바르넷의 어느도망친노예의일생 (1966), 엘레나포니아토프스카의 우리가다시만날때까지 (1969) 등이또다른문학흐름을형성하고있었으며, 이것은아직도 포스트붐 의주요맥을이루며이어져내려오고있다. 물론이런작품이영어로번역되지않아그녀가읽을수없었다고생각할수도있다. 하지만이런작품들은바르넷의 어느도망친노예의일생 이출판즉시영어로번역된것을비롯하여 70년대에대부분번역되어있었다. 이런현상은포스트모더니즘문학가들이주장하는것과는달리, 라틴아메리카내에는문학적기교와더불어과거의역사적사실허구적관점에서서술하는 붐 문학이외에도역사와역사성의문제를어떻게소설속에서직접적인방법으로구성할수있는지를보여주는문학이공존하고있었음을시사한다. 이런것은허천이라틴아메리카문학의경향을자의적으로해석했을뿐만아니라, 라틴아메리카문학텍스트들을세심하게읽지않았음을보여주는증거이다. 그러나문제는그녀의독서량이부족했다는것이아니다. 진정한문제는텍스트들이편파적으로읽혔으며, 이런편파적독서에의해설정된이론적범주는제한적이기마련이며, 따라서그녀가말하는라틴아메리카텍스트들의출현과특성역시한계를지니고있음을보여준다는것이다. 그리고증언소설이라는주요흐름을제외하더라도, 그녀의이론에는 붐 문학및증언소설이탄생했던사회 정치적과정을그녀의이론속에서배제하고있다는점이비판의대상이된다. 물론이렇게그녀가사회 정치적과정을배제한것은그녀의이론의한계에서파생된것이다. 사실 붐 문학의실험성은라틴아메리카작가들의치열한역사의식에서비롯된것이다. 그러나그녀는 포스트모더니즘의시학 의머리말에서 여러분들은여기에서급진적인혁명적변화나후기자본주의아래에서발생하는서구의몰락에관한종말론적탄식을발견할수없을것이다. 그런것을찬미하거나비웃는대신에, 내가시도하려는것은최근의문화현상을연구하려는것 (Hutcheon, ix) 이라고말한다. 이렇게함으로써그녀는포스트모던문화가구체적인정치적결과이자정치와긴밀히결부되었다는논쟁을거부한다. 즉, 그녀는자신이천명한포스트모더니즘의모태가사회적 역사적 정치적결과라는사실을다루지않는허점을보여주는것이다. 린다허천의이론이이런한계와문제점을지니고있음에도불구하고, 국내에서는그녀

의이론에무비판적으로수용된것같은인상을지울수가없다. 특히그녀의이론처럼아무런역사적고찰없이라틴아메리카현대소설을단지 포스트모더니즘 으로규정하려는태도는수정되어야한다. 그렇지않으면 70년대와 80년대에민족주의자들이 민중문학 이란이름으로저질렀던실수를 포스트모더니즘 의이름으로다시범하는것이되기때문이다. 5. 환상의문제 : 라틴아메리카에대한또다른편견 1980년대말에들면서국내의젊은작가들은국내에소개되기시작한포스트모더니즘이론을접하면서종래의리얼리즘소설관을버리고환상적문학관을구사하기시작한다. 즉, 그들은포스트모더니즘문학의핵심인메타텍스트, 쓰기와읽기에대한문학적문제화, 대중예술과전통문학의접합을통해가짜사실주의와세계주의를추구하면서대중예술을소설문학속에차용하고그것을환상적사실주의와상호텍스트성기법을통해소설화하고자한다. 이런환상문학의구현과정속에서라틴아메리카작가들은젊은작가들에게동경의대상이된다. 그러면서작가들은라틴아메리카문학을 환상문학 이라는규정된틀로이해하려고한다. 특히그들은 1990년대부터본격적으로국내에소개되기시작한가르시아마르케스와보르헤스에게서그가능성을발견한듯싶다. 가령어느비평가는 환상문학 을논하면서이렇게지적한다. 광범위한환상적요소작용의현실은이제영화, 미술등의특정한예술영역에만이아니라현대예술일반의특징으로돼가고있다고할수있습니다. 사정은소설에서도마찬가지라는것입니다. 우리는남미소설을잘모르지만, 가령마르케스나, 보르헤스, 이런류의작품을환상적리얼리즘이나마술적리얼리즘등으로이해한다는것아닙니까. 보르헤스문학의특징을 도서관환상 으로이해한다더군요.( 한기, 97) 라틴아메리카문학을 환상문학 으로규정하려는또다른편견은문학작품을쓰는작가에만한정되는것이아니다. 이것은출판사들의기획에도반영된다. 라틴아메리카소설의국내시장의가능성에대해논하면서 문화일보 에실린어느기사는 라틴아메리카권소설의최대특징인환상성이우리소설에서제대로개발되지않은데다소설 천년의사랑 의성공에서환상성에대한대중적가능성이엿보이면서최근라틴아메리카권소설은숨겨진보석이라는이야기가나오고있다 (16) 고지적한다. 그러나불행하게도이것은문학성에바탕을두고있는것이아니라, 독자들의취향이변모한현대의소설시장과깊이관련된듯이보인다. 그러나여기에서우리는질문을던져야한다. 과연우리에게각인된환상성이라틴아메

리카소설의전부일까? 그리고그환상성은우리문학이대안으로추구하는리얼리즘의반대개념일까? 물론라틴아메리카현대문학에서수많은작가들이환상적기법을사용하고있다는것은어느정도사실이다. 하지만그중에서도우리에게가장널리알려진보르헤스와가르시아마르케스를살펴보면, 그들은환상문학가이지만성향은판이하다. 그럼, 그들은왜환상이라는기법을사용할까? 보르헤스의환상소설은사회적현실로부터유리된서술성의힘만으로도완벽한질서를그린다. 그의환상소설은현실세계의재현이라는종래의구속으로부터해방된상상력의힘에바탕을둔가정 ( 假定 ) 의세계를제공한다. 익히알려진바와같이환상성이란것은텍스트의내적필요성에의존한다. 혹자는리얼리즘문학도가정의세계를제시하고, 따라서환상문학과리얼리즘소설은가정이어느정도인가라는정도의차이만있을뿐이라고주장할지도모른다. 그러나보르헤스는항상리얼리즘문학에반대한다는입장을표명해왔다. 이런그의입장은문학계에서는익히잘알려진사실이다. 또한보르헤스는도덕성과미학적구조를지닌소설의독립성을주장한다. 그는도덕성을완벽한구성을지닌작품으로이해하며, 따라서완벽한구성을저해하거나지역적색채를드러내는불필요한표현의제거를바탕으로이루어진다. 그러나이런보르헤스의환상문학은 1930년대비이성의주변에서서성이던무질서한세계에대한반발이었다. 보르헤스의이성적환상주의문학의옹호는당시서구사회가당면했던비이성에대한창조적반응이었다. 당시파시즘, 공산주의, 대중민주주의, 독재주의라는비이성에대한반발이었던것이다. 즉, 이런보르헤스의환상문학은비이성주의와현대문화의위기에대한간접적이고비유적으로이해될수있는것이다. 이렇게그의환상성의질서는악몽처럼보이지만집요할정도로완벽하고혼란속의질서안에조직된세계를제시한다. 그리고이것이보르헤스가무질서하다고간주했던세계에서자신에게부과한임무인것이다. 이제가르시아마르케스의 마술적사실주의 는환상문학인지아니면리얼리즘인지구체적으로알아보자. 흔히가르시아마르케스는마술적이고환상적인소설재료를사용하는작가로각인되어있다. 그러나아이러니컬하게도가르시아마르케스는 환상적 혹은 마술적 이란용어를거부하면서, 수차례에걸쳐자기자신을 리얼리즘작가 로규정한다. 가르시아마르케스에게있어서 현실 이란매일일어나는일상사와경제적인고통만이아니라, 민중신화, 신앙과민간요법까지도포함한다. 즉, 사실 만이아니라그런사실에대해일반적인사람들이말하거나믿는것을의미한다. 특히콜롬비아의대서양해안의삶은민간전설과미신으로점철된곳이다. 그리고그것은가르시아마르케스가자신의예술속에서포착하여사용하는대상중의하나이다. 이런것을사용하면서그는 이성주의자들과스탈린주의자들이항상강요하려고했던현실의한계 를극복하여보다광범위하고다채로운라틴아메리카현실을다룬다. 이렇듯가르시아마르케스작품속에서의 환상성 은바로대부분라틴아메리카인들의산경험인 현실 에서유래되

는것이다. 가르시아마르케스의경우에도사실상서구 포스트모더니즘 의오류가발견된다. 서구에서이용어는의식적이건무의식적이건간에여러상이한글쓰기와여러정치적관점을붕괴시키면서단하나의도피주의적개념으로사용되어왔다. 유럽과미국의비평가들은상상속에서라틴아메리카라는다양한세계를상상함으로써자신들의 고갈된문학 의현실에서벗어나려고했으며, 몇몇라틴아메리카작가들은도저히수용할수없는부당하고폭력적인라틴아메리카현실에서벗어나글쓰기에만안주하려고했던것이다. 그러나 마술적사실주의 속에는현실에대해과학적비전과비과학적비전의변증법이존재하고, 작중인물들의신화적인믿음이 20세기독자의의식과결합하는것이분명하게제시된다. 이처럼 마술적사실주의 는허구적세계를창조하는추진력이면서동시에라틴아메리카현재역사의 지칠줄모르는창조의샘 (García Márquez, 60) 과동일한궤를형성하고있다. 이렇듯라틴아메리카문학은도피적개념으로서의 환상문학 으로인식되어서는안된다. 이것은바로현실과환상의경계선을없애며, 동시에환상은그들의투철한역사관에서파생된것이고, 국가를초월해상상과현실의언어를조화시키려는노력으로평가되어야한다. 바로이런점이토니모리슨, 나딘고디머, 나이폴, 살만루시디, 밀란쿤데라, 이탈로칼비노, 나집마흐푸즈, 치누아아체베등이라틴아메리카현대문학의현실과환상개념에영향을받아세계적작가로발돋움하게된주요동기가되는것이다. 6. 한국문학과라틴아메리카문학전공자들의역할 이미살펴보았듯이우리나라에는많은라틴아메리카작가들이소개되어있다. 그러나그들이우리문학의정전의변화에어떤역할을했느냐는문제로들어가면, 작가들의수는급속히줄어든다. 정확한통계는없지만, 아마도국내문학의지평변화에지대하거나어느정도의영향을끼친작가는소설에서호르헤루이스보르헤스, 가브리엘가르시아마르케스, 마누엘푸익, 마리오바르가스요사정도로한정될것이다. 그리고시분야에서는파블로네루다와세사르바예호정도에그친다. 그러나라틴아메리카문학은 1980년대말부터국내에서급속한발전을한다. 이를단적으로보여주는것이 서울대권장도서 100권 에보르헤스의 픽션들 과가르시아마르케스의 백년동안의고독 이포함되어있으며, 두사람의작품은이제교양인이라면읽어야할필독서로간주된다. 또한동아일보사에서마련한 21세기신고전 50선 에도카를로스푸엔테스의 아르테미오크루스의죽음 이선정되기도했다. 불과 20여년전까지만해도국내독자와국내신문사문학담당기자들에게홀대를받아왔던라틴아메리카문학은지금그들이가장관심을보이는분야로탈바꿈되어있다. 이런정전의점차적변화에따라최근에는민음사, 책세상, 새물결, 문학동네, 이룸, 나

남출판사등많은출판사들이라틴아메리카문학에관심을보이고있다. 이제는앞으로한국문학이라틴아메리카문학을어떻게수용해야할것인지를탐구해야하는시기가되었다. 물론이것은전공자의몫일뿐만아니라문학을하는모든사람의과제이기도하다. 우선라틴아메리카문학의전공자들은국내의침체된문학에빛을던져줄수있는작품을선별하여번역 소개해야할의무가있다. 물론이것은좋은번역을전제로한다. 그리고번역자는라틴아메리카권의작품이우리의문화와문학을살찌울수있도록단순히라틴아메리카적시각에서보아서도안되며, 또한구미의편향적인시선으로보아서도안된다. 그리고우물안개구리식으로단순히우리의눈으로바라보아서도안된다. 그는이런세가지시각을자신의비판적시각에서바라봄으로써지금한국문학이무엇을요구하고있으며, 라틴아메리카문학이어떤식으로이런요구에부응하고바람직한길로들어설수있을것인가를부단히탐구해야한다. 또한문학비평가들도단지외국이론에만의지하여라틴아메리카문학을논하는입장을버려야한다. 이론이란추상화단계는작품들이라는구체적성과물위에서이루어지는것이다. 따라서이론의수용에만급급할것이아니라텍스트를읽고대화를나누어야만한다. 이것이바로문학을사랑하는행위이며, 서구의편견을비판적으로바라볼수있는시각을제공하는길일것이다. 우리는이분화된사고방식을축출하자고외친다. 그러나이분화된사고방식을거부하는라틴아메리카문학은아직도우리안에서는대화를거부당한채이분화된틀속에서수용되고있다. 우리가진정으로이런사고방식을버릴때라틴아메리카문학은우리의문화속에서흡수 용해될수있을것이다. 참고문헌 고미진. 한국에서의중남미문학번역현황 ( 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 2002. 김우창. 제 3세계소설의가능성, 백낙청, 구중서외. 제 3세계문학론 ( 한벗 ), 1982, 261~265면.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이해 ( 문학과지성사 ), 1990. 김종철. 제 3세계의文學과리얼리즘, 염무웅편. 한국문학의현단계 ( 창작과비평사 ), 1982, 269~314면. 백낙청. 인간해방의논리를찾아서 ( 시인사 ), 1979. 벤야민, 발터. 발테벤야민의문예이론 ( 민음사 ), 1983. 채광석. 제 3세계속의리얼리즘, 성민엽편. 민중문학론 ( 문학과지성사 ), 1984 년, 131~142면. 중남미 붐 소설한국서도붐일까 문화일보 (1996년 5월 27일 ), 16면. 한기. 현실에서환상으로, 환상에서현실로 문학정신 (1995년겨울호 ), 90~98면.

Colás, Santiago. Postmodernity in Latin America: The Argentine Paradigm. (Durham: Duke UP), 1994. García Márquez, Gabirel. La soledad de América Latina, in Marquínez Argote, Germán. Macondo somos todos. (Bogotá: El Buho), 1984, 60~66면. Gnutzmann, Rita. El comienzo, epitome de la novela? Cuadernos para la Investigación de la Literatura Hispánica. Nos. 2-3, 1980, 189~205면. Hutcheon, Linda. A Poetics of Postmodernism: History, Theory, Fiction. (New York: Routledge), 1988. Palencia-Roth, Michael. Gabriel García Márquez. (Madrid: Gredos), 1983. Siebenmann, Gustav. Ensayos de literatura hispanoamericana. (Madrid: Taurus),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