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이저작물에적용된이용허락조건을명확하게나타내어야합니다. 저작권자로부터별도의허가를받으면이러한조건들은적용되지않습니다. 저작권법에따른이용자의권리는위의내용에의하여영향을받지않습니다. 이것은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이해하기쉽게요약한것입니다. Disclaimer
Early Korean Customary Law from the Perspective of Germanic Barbaricum
Early Korean Customary Law from the Perspective of Germanic Barbaricum
barditus palliative - iii -
folk polydoxy vapnatak - iv -
segmentary system - v -
origo gentis Wenskus - vi -
- vii -
R. Wenskus Lex Salica Lex Francorum Chamavorum Lex Frisionum Abstract - viii -
- ix -
Völkerwanderung Wenskus., 2). 1) 2) - 1 -
3), 4) 5) Barnes, 1988, Protohistoric Yamato Archaeology of the First Japanese Site, The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Japanese Studies 17, Ann Arbor; Rurarz J., 2001, Próba nowej interpretacji dziejów I tradycyjnej chronologii tzw. okresu trzech królestw na Półwyspie Koreańskim (na podstawie źrodel koreańskich), Uniwersytet Warszawski, rozprawa doktorska 223. - 2 -
Germania 6)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Warszawa 7) Strabo Geographica Caesar Commentari De Bello Gallico 8) - 3 -
R. Deacon 9)., M. Bloch comparative jurisprudence Idem per idem 9) Deacon, 1983, Social Policy and Socialism, Pluto Press 10) Bloch M., 1949, La société féodale, v. 2, 252 11) Gutteridge H.C., 1949, Comparative Law.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Method of Legal Study and Research, Cambridge Univ. Press 12) Karhu J., 2004, How to Make Comparable Things: Legal Engineering at the Service of Comparative Law, Hoecke van M. 편,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of Comparative Law, Katholieke Universiteit Brussel, Oxford and Portland Oregon; 13) circulus in definiendo ( : dasselbe durch dasselbe).. - 4 -
concept of multiple conditional punishments for one crime composite punishments talio spiegelende straffen retributive system restitutive system reciprocity territorial law strafen zu gesamter Hand unwritten law legal ritualism stare decisis, precedent law personal law 15) 14) B. Malinowski 1922,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Routledge&Sons;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Harcourt, Brace & Co, London). Pashtunwali Kanun i vjetër (Alef-Shah Zadran, 1977, Socio-Economic and Legal-Political Processes in a Pashtun Village, Southeastern Afghanistan, PhD diss., Department of Anthrop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Wilhelm-Stempin N. 2009, Das albanische Gewohnheitsrecht aus der Perspektive der rechtlichen Volkskunde. Grin Verlag) - 5 -
restitutio ad integrum estoppel 16), legal reciprocity K. Droysen 17) deductive-nomological method gewohnheitsrecht G. H. Puchta (1798-1846) 1828 Puchta customary law 15) Guterman S.L, 1990, The Principle of the Personality of Law in the Germanic Kingdoms of Western Europe from 5th to the 11th rc., NY, P. Lang 16) Kinsella N.S., 1996, Punishment and Proportionality: The Estoppel Approach, Journal of Libertarian Studies, 12:1 17) Droysen J.G., 1977, Historik. Vorlesungen uber Enzyklopadie und Metodologie der Geschichte, R. Oldenbourg Verlag, Munchen-Wien; Topolski J., 2006, Wprowadzenie do historii, Wydawnictwo Poznańskie, Poznań, 100. 18) 19) Iustitia est constans et perpetua voluntas ius suum cuique tribuendi [ ]. Institutiones I-1-6 -
H. Maine (1822-1888 law lego, legere leges barbarorum ewa forn sidr antiquae cawarfidae Germania XIX ibi boni mores valent quam alibi bonae leges 20) Sadler G.T., 1919, The Relation of Custom to Law, Sweet&Maxwell Limited, London, Reading, ii 21) Ajatane Moore E.A., 1906, Laws and Customs of the Yoruba People, Fola Bookshops, Abeokuta, Nigeria, Moore L., 1905, Malabar Law and Custom, Higginbotham edition, London 22) Szyszkowska가 (1993, Europejska filozofia prawa, PWN) 100-101쪽 23) Słupecki 2008, Forn sidr. Pogaństwo jako sposób życia dawnych Islandczykow, Słupecki, Bogowie i ich ludy, Chronicon, Wrocław - 7 -
mores leges Isidorus Hispalensis(560-536) Etymologiae mores longa consuetudo 24) 25) longa enim consuetudo pro lege habetur...nam lex est legendo vocata 26) Miller R., 1998, Chinese in Altaic: A Further Note, Journal of American Oriental Studies, 118; Chun Bong-Duck, 1960, Wesen und Strukur des Koreanischen Rechts, Koreanica: Festschrift fur Andre Eckardt zum 75, Geburtstag, Baden-Baden 27) 1989 Hart 2008, Punishment and Responsibility, Oxford University Press - 8 -
kanun K.Drew (1996a, The Burgundian Code, Uni. of Pennsylvania Press, 3 Customary law develops as the result of a mode of life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rather than as the result of a single legislative act... The very fact that customary law has been built up as the result of a long process of development means that it is accepted as a standard of judgment because it has received the time-honored acceptance of the people and as such should be strictly obeyed as any law decreed by an absolute ruler. Customary law (mos) is a body of moral practices established by the immemorial customs of a people and having a binding moral force rather than the arbitrarily enforced power of a statutory law (lex), which is a body of specific statutes supported by a positive legal authority...but even though mos is the broader and vaguer term, it is yet more fully obeyed than lex, for it has moral force enhanced by social acceptance...customary law is usually associated with personality of law- that is, the law by which a man should be judged is determined by his person, no matter where he happens to be at a given time...the law of the Germans...was a body of unwritten custom, customs according to which they had lived for hundreds of years and which they regarded as personally binding. [ mos lex - 9 -
opinio iuris sive necessitatis [ ] Sancti Adalberti vita priori 28) Gutteridge H.C., 1949, Comparative Law.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Method of Legal Study and Research, Cambridge Univ. Press, 80-81 쪽 29)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Warszawa, 457 30) Malinowski B.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58 Civil law, the...law governing all the phases of tribal life, consists than of body of binding obligations, regarded as a right by one party and acknowledged as a duty by the other, kept in force by specific mechanism or reciprocity and publicity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These rules... offer not only penalties for failure, but also premiums.... Their stigency is ensured through the rational appreciation of cause and effect by the natives, combined with a number of social and personal sentiments, such as ambition, vanity, pride, desire of self-enhencement by display, and also attachment, friendship, devotion and loyality to the kin. Gaius (130-180) (Quod vero naturalis ratio inter omnes homines constituit, id apud omnes populos peraeque custoditur vocaturque ius gentium, quasi quoiure omnes gentes - 10 -
opinio iuris utuntur.[ ] De iuri civili et naturali I). - 11 -
origo gentis ( : volksgeschichte, ) territorial law personal law apatropaic function restitutio in integrum propter metum/dolum [ / ] restitutio reciprocity 31) 祖宗 -. - 12 -
어야 할 의무도 마찬가지이다. 소위 應報主義32)(英: retributive justice) 개념으로서 광범위하게 알려져 있는 것이다. 본 사상에 있어서 범죄를 체험하였던 집단은 犯染(英: legal impurity)33)으로 인하여 神 으로부터 떨어져 위험에 빠지게 되며 예전(status quo ante)의 상태로 돌아오지 않으면 재앙을 당할 가능성이 높아진 다는 믿음이 생기게 된 것이다. 병에 걸린 사람에게 형벌을 가 하거나 臨時處分主義야말로 이러한 것을 토대로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34) 또 복고주의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것은 同害主義 (이른바 talio) 및 反映主義의 개념과 상호관계에 대해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법철학계에 있어서는 본 범주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토의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오해가 나타나고 있다. 행위학파 (英: praxeological school) 와 같은 경우에 同害刑은 talio로서 파악 의 오류라고 판단하고 있다. 즉, 관습법 사회에서는 동해하는 것은 禍를 적어도 두 배로 갚아야 할 것을 의무로 한다. 범죄 인은 venire contra fatum proprium ( 범죄를 거부할 수 없는, 책임을 져야 할 )의 태도를 취하면 우선 害損 자체를 지불하고, 다음 에 죄에 의한 부담금을 피해자에게 배상하면 된다36). 그래서 聖書나 Hammurabi의 법 중국법37)에도 나타나고 있는 talio의 개 35) 三國志, 魏書, 陳群傳에서는 본 개념이 殺人償命 이나 欠債環錢 으로 나타나고 있다 33) 불법행위를 통해 금기에 범하게 되어 수호신을 괴롭히므로 온 집단을 위태롭게 만들 수 있다는 믿음에 관한 개념이다. 유럽사학 에서는 이 개념이 비교적 잘 기재되고 있어 관습법의 추상적 요 소를 시사하고 있다 (Zaremska H., 1993, Banici w średniowiecznej Europie, Semper 11쪽). 한국에서 犯染이라는 용어는 이능화의 논문 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전체적인 문맥이 다르다 (1976 朝鮮巫俗 考 白鹿出版社, 195쪽). 34) 仁井田陞 1958 中国法制史研究 全4巻 東京大学出版会 32) 35) Rothbard M., 2010, Etyka wolności, Fijor Publishing, Woziński J., 2012, A 쪽 priori sprawiedliwosci. Libertariańska teoria prawa, 63 36) Kinsella S., 1996, Punishment and Proportionality: The Estoppel Approach 53쪽 - 13 -,
념은 이미 처벌을 減하는 것으로서 이해해야 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고에서는 反映主義의 관념에 대한 이해를 광범 위한 방식으로 파악하고 있다.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죄를 범 했을 때에, 사용한 신체의 일부에 직접 해악을 가하는 형벌제 로 이해되고 있는데38), 여기서는 범죄에 대해 적어도 두 배 지 불해야 할 의무까지 본 개념에서 제기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대 한국 관습법이 talio주의와 반영주의 중 어디에 더 가까운 지 그 여부를 검토하도록 한다. 이러한 사항을 알기 위해 사회에서 법을 누구에게 적용하였 는지, 국치기관이 형벌권 경비역할을 언제부터 행사하였는지, 속인법주의가 언제까지 유행하고 있었는지, 신분제에 있어서 비교연구의 수단으로 법적 책임능력(qualitas personae)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을 총괄하여 본고에서는 고대 관습법 존재의 여 부에 있어서 첫째: 구비적 형식의 조건, 둘째: 의례중심주의, 셋째: 판례주의, 넷째: 속인법적인 성격의 조건, 다섯째: 복고 주의 범주 등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상기의 요소는 관습법의 기본적 비교연구의 토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형벌제도를 제시하는 점에서는 기존 자료에 충분히 나와 있 어39) 본고에서 전면적으로 다루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논문 내 37) 38) 乃相與爲約 殺人者死 傷人者償創 後漢書 卷十一劉玄劉盆 子列傳第一. 후자의 경우에 사료 내용의 부분적인 성격으로 talio주의적인 모습을 가질 가능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고 여겨진 다. (Hulsewe 1955, Remnants of Han Law, J.Brill, 372쪽). 이 一罪多罰主 義에 관한 의문점은 법전과 다른 동시대 역사기록의 상호 비교를 통하 여 규범적인 규정이 최대한도의 형벌만을 가리키고 있었다는 점이 있다. 말하자면, 피해자의 집단 및 피고인의 집단 사이에는 법적인 틀에서 刑 罰加減에 대한 화의절차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었는지, 법적 절차에서는 피해자의 결정권 범위가 어떤지 확인해 보도록 한다. 예컨대 절도를 행한 경우 손을 자르는 규정 - 14 -
39) 40) - 15 -
우선, 구병삭은 고조선의 이른바 八 條 法禁41)을 중심으로 한 국법의 독자성 고유성에 대한 논문을 제시하였다42). 그는 중 국, 일본, 신라를 비교해 고대 한국 사회구조의 법적 양상을 검토하였다43). 한편, 노진곤44)은 범죄 형벌을 중심으로 본 高 句麗律의 유래와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는 增補文獻備 考, 中國正史를 분석하여 小獸林王代에 율령을 반포했던 과 정에서 도입하였던 中華文化의 諸요소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 한 점은 명동식과 김용태의 논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45). 그들 은 이병도나 김철준의 의견을 언급하면서 고대 한국법제에 대 한 진화를 이원적으로 보아 이른바 南北兩國論을 창출함으로 써 유사한 연구 성과를 얻게 되었다. 다음, 유성국의 논문46)에서는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고대한국 의 재판제도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영역공동체의 지도자가 독 자적으로 재판하는 것뿐만 아니라 民衆도 직접 절차과정에 참 여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을 제기했다. 그는 노중국, 노태돈, 김 기흥, 이옥, 한용근 등과 같은 역사가로부터 영향을 받아 적절 히 논문을 인용했다. 또한, 이종길47)은 藿田과 林野의 소유권 에 대한 한국고유성을 고려해 보는 논문을 제시했다. 정경희48) 김병준에 의하면 條 보다는 篇 이란 용어가 사실에 더욱 근접하 다고 보고 있다(金秉駿, 2006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 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보 189, 159쪽). 42) 구병삭 1984 한국고대법사 高麗大學校 出版部 43) 구병삭 1968 신라사회법제도사연구 저스티스 11:1 韓國法 學院; 1975 한국고대노비제도 법사학연구 1 한국법사학회 44) 노진곤 2001 高句麗律에 관한 연구 한국사학보 24 45) 김용태. 명형식, 1972 한국법제사연구(고대편). 논문집 6. 이리: 원광대학교 46) 유성국, 1986 韓國古代死刑制度硏究 연세대학교대학원 법학 과 석사학위 논문 47) 이종길 1998 한국사회의 소유권 형성과정에 대한 일연구 법사학연구 19 48) 정경희 1992 삼국시대 刑律과 사회 한국사학보 13 41) - 16 -
는 고구려법을 報復主義 的인 것으로, 백제법을 寬刑主義 的인 것으로 주장하며 상호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지적해 보고 있 다. 마지막으로, 조우영49)은 고조선에 대해서는 同害報復的인 성격을 지적하고 있다. 기타 논문은 단순히 사료를 언급하며 충분한 해석 없이 단순한 서술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많이 기여한 대표적인 법학계의 연구는 위에 언급한 것들이라 할 수 있다. 한국사학계에서 관습법만을 대상으로 하여 심도 있게 해석한 논문은 아직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고대 한국사회를 서술 할 때마다 관습법적인 요소를 조사하지 않을 수 없는 상태이 다. 한국의 고유성을 탐색하면서, 바바리아인과의 비교를 통하 여 한국인의 원시적인 모습을 복원시킨 연구가 있다. 대표적으 로 이병도50)의 健牟羅 에 대한 고유명사학적인(英: onomastics) 연구는 Barbaricum과 유사성이 보인다. 그는 大むら 의 파악에 있어 南堂과 같은 集會所나 共同體村落이 슬라브족의 mir, 색 슨족의 folk-mote, 게르만의 mark와 개념적인 연결성이 눈에 띈다 고 하였다. 그렇지만 그는 용어적인 면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 다. 즉, mir 라는 것은 평화질서란 의미가 있으며 民會(舊루테 니아어: вѣтъ[베트])에서 mir가 있었던 것이지만, 王의 後見權 下에 道, 市場, 개인의 집, 그리고 대표적으로 神殿나 성당에서 도 있는 요소이다. 이를 파괴하면 벌금을 지불하는데, 본고의 附錄에서 볼 수 있듯이 게르만인들도 이러한 범주는 fredus라고 하며 평화질서를 파괴하는 죄를 scandalum이라고 했다. Mark와 같은 경우는 의미가 프랑크족의 國境地帶 (예: marca Childeberti regis)나 邑境表 라는 뜻이며, 이 뜻은 換喩(英: methonymy)로서는 읍락규모의 法民會單位 로부터 온 것이다. 예컨대, Lex Ribuaria 조우영 2000 한서 지리지 에 나타난 고조선의 법 한국사학보 22 50) 이병도 1976 古代南堂考 한국고대사연구 栢文堂; 서영수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 1, 국사편찬위원회, 499쪽 49) - 17 -
제78조에 따르면 주인에게서 도망쳤던 동물을 찾게 되면 주변 읍락의 민회 세 군데에서는 이 동물을 돌려주기 위하여 거주 인들에게 보여줘야 하는 규정이 있다[per tres marchas ipsum ostendat, et hic postea ad regis stupulus].51) Kirstadt의 비석에서는 外部 人 을 aljamarkir라고 부르며 기타의 민회인 이라는 의미를 가지 고 있다. 본 범주는 동예의 읍락의 성격과 개념적인 관계가 있 지 않을까 여겨진다. 이병도의 健牟羅 는 영국의 moot (placitum, mallus, conventus)와 유사하게 보이는데 본 범주는 간략하게 설명 하기 어려워 후술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역사가는 신라와 고구려에서 未成年集 會의 존재를 짐작하였던 이기백52)이다. 그는 三品彰英53)의 화 랑에 대한 해석을 따르고 있는데, 게르만의 sögur에서 서술되고 있는 ulfheðnar과 유사성이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마지 막으로, 이기동54)의 于老傳說에 대한 해석에서 Niebelunglied와 공통점이 있어 英雄時代論的인 성격을 암시하고 있다. 본 문제 에 대하여 독일역사학계에서는 1902년 H. Schurtz가 이른 시기에 männerbund 연구를 제기해, 이는 앞으로 고대 한국과의 비교연 구를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또, 많은 역사가들이 관습법적인 개념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51) 주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대왕의 법정으로 가야하는 규칙이 있다. 제15 18조의 내용을 살펴보면 mark대신에 cвóд[즈버 드]란 단어가 나타난다. 奴隸逃亡과 贓物에 대한 내용이다. 제18조 는: A oжe ктo познaeт въ oдномъ гoродѣ, тo ити истцу дo кoнца т огѿ свoдъ по зeмаѧмъ, то нтн ещу дo третѧьчѿ свoдa...[무릇 어떤 자가 都內의 즈버드에 있었다면 이 즈버드의 국경까지 추적하면 되고, 즈버드 土內에 있었다면 3번째의 즈버드까지 추적하면 된 다.] 52) 이기백 1996 韓國古代 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53) 三品彰英 1974 新羅花郞の硏究, 平凡社, 東京 54) 이기동, 1985 于老傳說의 世界 - 신라사상 영웅시대 한국고 대 국가와 사회 일조각 Russkaya Pravda, - 18 -
데, 이를 살펴보려면 우선 蘇塗에 대한 연구의 계보를 보면 된 다. 손진태를 비롯하여 허회숙, 김정배, 서영대, 村山貞雄, 김두 진 등 많은 사람들이 연구한 주제이다55). 또한 노태돈은 責禍 및 사유지에 대한 연구로 호기심을 끌고 있으며56) 이강래는 신부값57) 과 지참금을 연구했다. Leges barbarorum에 있어서 혼인 계약에 대한 규정이 많이 나타나고 있지만, 본고에서 제시하지 않고 상기문제는 앞으로 토의해야 할 과제라는 점만 밝혀둔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점은 한국역사가들이 미국인류학의 연구 결과를 많이 인용한다는 것이다. N. Chagnon 의 유혈의 격투 이론이나 여성부족 이론은 문헌 고고학적 관점에서 고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상대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는 것 같지만 이러 한 연구에 있어서 그것의 신빙성에 대한 문제59) 및 인류학 전 체적인 방법론 문제60)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필자는 런던대학 58) 손진태 1940 蘇塗考町補 朝鮮民俗 3; 1981 손진태선생전 집 6, 대학사, 105-129쪽; 許回淑 1970 蘇塗硏究 慶熙大碩士 學位論文集; 김두진 1985 別邑社會의 蘇塗信仰 한국고대의 국가와 사회 역사학회, 일조각 56) 노태돈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68쪽 57) 이강래, 2009 한국 고대 혼인에 보이는 財貨의 성격 한국 사연구 147. 이 개념은 F. Engels가 1892년 Der Ursprung der Familie, das Privateigentums und des Staats에서 사료를 왜곡한 채 만들었던 것 이다. 이 글이 인류학계에서 광범위하게 언급된 것은 매우 유감스 럽게 여겨진다. 신부 값 대신에 상황에 따라 가장권/후견권 값이 나 상속재산 대신비라고 하면 더욱 史實에 가까울 것이다. 이것은 Leges Longobardorum에서 분명히 나오는 사실이다. 기타 법전에서 여 자의 인명금 9배로 지불해야 할 의무나 다른 무수한 법적 배려를 보면 고대인의 여성에 대한 인식은 Engels의 사견과 반대라고 생각 한다. 58) Chagnon, 1977, Yanomamö, the fierce people, Holt, Rinehart and Winson 59) K. Good과의 이론적인 대립은 미국학계에서 잘 알려진 논쟁이다. 인류학계에 있어서 우수한 학자로 인정받았던 M. Mead도 D.Freeman으로부터 상당한 비판을 받았다. 55) - 19 -
교의 B. Malinowski의 연구가 더 신뢰성이 있다고 보아 본 조사 에서는 그의 전체론(英: holism)61)을 언급하고 있다. 한국법제사로 돌아와 역사학계에서 국가형성 문제가 중요시 되고 있기 때문에 율령반포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제기되었 다. 山本孝文는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62)에서 본 연구사를 충분히 서술하고 있다고 보고, 필자는 신라 율령의 성격의 諸問題에 대해 연구한 두 명(전봉덕63), 홍승우64))의 연 구만 간단하게 언급한다. 한국 관습법 연구에서 벗어나, 여기에서는 서양의 연구사를 중심으로 제기하고자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유럽에서 게르만 관습법에 대한 연구는 16세기 초기부터 제기되고 있지만 과학 적인 성격을 가진 논문의 대다수가 라틴어로 작성되고 있어 한국 독자의 입장에서는 조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라틴어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18-19세기에 들어와서 바뀌게 되는데, 필자는 여기서 법학적인 주류의 측면이 서양 사상사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게 되었는지 세밀히 소개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현대 한국사학적인 추세와 비교한 과정에서의 공통점 및 차이 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또, 한국 민족역사관을 상대적으로 많이 비평하고 있는 서양 학자들이 19세기부터 바바리아에 대 한 조사 방식을 제시하는 것은 한국 독자들에게 특별한 관심 을 기울이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유럽에서의 게르만 관습법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중세기 단독으로 연구한 것이라서 검증이 불가능하다. 1922,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Routledge&Sons, London 62) 山本孝文 2006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39-48 쪽 63) 전봉덕 1948 朝鮮法의 構造와 性格 : 朝鮮法制史序論 법정사 64) 홍승우 2011 韓國 古代 律令의 性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60) 61) Malinowski - 20 -
consuetudiones loci ( : droit coutumier, droit ecrit ) J. Sicard Leges Ribuariorum, Baioriorumque, Item Alemmanorumque leges 1528 Basilea legitimism leges barbarorum Meaux J. Tilius 1573 Aurei veneradaeque antiquitatis libelli Salicam legem continensem. 16-18 J. Herold, F. Lindenbrog, Goldast, S. Balusius, J.G. Haineccius, P.Cianciani. 1740 Corpus juris feudalis Germanici antiqui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65) Sójka-Zielińska K., 2006, Historia Prawa, Lexis Nexis 66) Davoud-Oghlou, Pardessus, Hube, Pertz, Kemble, Brunner, Mauer, Waitz, - 21 -
민족 낭만주의적인 열정이 크게 비판을 받았다. 동시에 國治主 義 (英: etatism) 사상가도 자기 자신들은 고대 로마의 정통성을 높이 평가하면서, 바바리아 사회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 용하는 관점을 갖게 되었다는 또 다른 反對意見도 있었다. 이 것은 T. Hodgkin의 서술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그는 랑 거바르트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롬바르디아 침략자, 어린이처럼, 그들은 숲속의 자신의 조상에게서 배웠던 야만적인 법 규정을 우수한 라티움의 언어적 테두리에 이 를 많이 더럽히면서- 맞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물론] 그들은 로마 의 개념, 로마의 권리, 로마 인구의 존재 자체를 태연히 무시할 수 없었다. 훌륭한 시리아의 신전 기둥 사이에 지었던 베두인의 검은 텐트와 같이 Rothari의 법전도 유스티니아누스의 Codex, Institutiones, Digesta가 반포된 이탈리아의 신성한 땅에서 편찬되어 왔던 것이다. 그렇지만 거무스름한 야만인들이 그 파괴된 신전의 영광스러운 모 습이 이해되지 않았던 것처럼 이들이 마음속에서 [위대한 법적 범주 에 대하여] 반영한다는 것은 느낄 수 없었다. 67) 이 문장에서 바바리아법을 멸시하는 시각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주관적인 부분이 강하게 전달되는 느낌이다. 한편, 19세기 말기부터 Heinrich Brunner (1840-1915)의 영향으로 와 같은 연구자 Sohm 67) Hodgkin 1896, Italy and her Invaders, vol. IV, Clerdone Press, Oxford 238, Drew K.F., 1996, The Lombard Law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쪽 xxii. And so the Lombard invaders, like children, repeat the lessons which they have learned from their forefathers of the forest and try to fit in their barbarous law terms into the stately but terribly misused language of Latium. Throughout, Roman ideas, Roman rights, the very existence of Roman population, are not calmly ignored. The Code of Rothari, promulgated on the sacred soil of Italy, in the land which has once witnessed the promulgation of the Code, the Institutes, and the Digests of Justinian, is like the black tent of the Bedouin pitched amid the colonnades of some stately Syrian temple, whose ruined glories touch no responsive chord in the soul of the swart barbarian. - 22 -
Gemein-freienlehre Fedor Schneider Herrschaft leges barbarorum erimmanus G. Tabacco, H. Krause, H. K. Schulze, C Schott, Modzelewski, Tyszka 69) Matthews 70) Rodriguez-Martin 71) Collins 72) vernacular 68) Wass, Dannenbauer, Otto Brunner, Bosl, Mayer 69) Tyszka P., 2010, Prawa barbarzyńskie o czynach przeciw cialu i cielesnosci czlowieka (od końca V do początku IX wieku). Corpus hominis jako kategoria kulturowa, Lublin 70) Matthews J.F., 2001, Interpreting the Interpretationes of the Breviarium, Law, Society, and Authority in the Late Antiquity, ed. R.W. Marthisen, Oxford 71) Rodriguez-Martin J.D., 1999, A Handbook for Alaric s Codification, Revue internationale des droits de l antiquite, 46 72) Collins R., 1996, Europa wczesnośredniowieczna 300-1000, PIW, Warszawa - 23 -
sögur saga, Heldensagen) Sveinsson, Johannesson, S.Nordal Ture J. Arne Holger Arbman 73) Caesby R., Vigfusson G., 1975,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Clarendon Press, Oxford 74) Malinowski Ł., 2009, Berserkir i Ulfheðnar w historii, mitach i legendach, Nomos, Kraków - 24 -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한국 고대사의 고유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고대 한국 관습법에 대한 고유성을 찾아보는 관점 이외 에 법철학에 서 관습법에 대한 조사가 비교적 부족하다는 것75)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법철학계는 유기적으로 반포되지 않은 관습법 규정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Aquinas의 기 본계율(英: primary precepts)이나 mala in se 관념의 존재로 검증할 가능성이 희박하지 않아 실증주의와 汎실증주의의 상호대립에 있어서는 상당한 의문으로 인정될 수가 있을 것이다76).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제시하고 사료를 광범위하게 이용해 보면 대책 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 또, 새로운 역 사학 조사에 있어서, 전근대사회 일상생활의 중추적인 요소가 되는 관습법이 좋은 주제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많은 생활의 부분을 정리해 구체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법철 학계에서 憲法主義에 대한 연구는 위기를 맞이하게 되어77), 이 런 연구결과가 새로운 관습법에 준거된 이론으로 자리 잡고 서술되는 과정을 통해 한국사가 효율적으로 대중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물론, 새로운 이론을 세우기 위해서 새로 75) Perreau-Saussine A., Murphy J., 2007, The Nature of Customary Law: Leg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honey J., 2010, Revising General Theory in Historical 법실증주의파 에 대비하는 汎실증 주의파에 있어서는 자연법 개념을 讚揚한다. 이것에 대하여 가장 활 동적인 수긍자는 기독교 성당이다. 본 주제에 대한 대표적인 자료는 Adelard (1080-1152)의 De Eodem et Divereso이다. 또, H. Grotius (1583-1645), S. Pufendorf (1632-1894), L. Wittkenstein (1885-1951,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의 저자)등이 합리적 엄격주의의 관점에서 자연법론을 찬성하고 있다. 상기 이론의 토대로 F. von Kutchera는 (1985, Einfühung in die moderne Logik, Verlag Karl Alber, Freiburg, München) 윤리 측량 이론 (英: metric theory)도 제의하였다. 76) Sociology, EBSCO (Bentham, Dworkin, Raz, Gardner) 77) Hoppe H.H., 2006, Demokracja. Bóg, który zawiódł, Fijorr Publishing, Warszawa - 25 -
paradigm shift T. Kuhn R. David Major Legal Systems of the World 79) Zwiegert K. Einfuhrung in die Rechtsvergleichung 80) Tiknonov 81) 78) Choi Chongho, 2005, Law and Justic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Hahm Pyong-Choon, 1987, The Korean Political Tradition and Law, Royal Asiatic Society Korean Branch, Seoul 79) David R., 1978, Major Legal Systems of the World today: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study of law, Stevens, London 80) Zweigert K., Kötz H., 1996, Einführung in die Rechtsvergleichung auf dem Gebiete des Privatrechts, J.C.B. Mohr, Tűbingen 81) Tiknonov V., 2012, Doing Korean Research Outside of Korea: An Advantage of Looking from Outsid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15:1, 142 쪽 - 26 -
一. 史料와 硏究方法論 1. 史料紹介 1) 게르만 慣習法 史料 고대 관습법 비교연구에서는 후술된 Wenskus의 방법론을 잘 이용하기 위하여 사료의 신빙성과 다양성을 고려해 이를 四分 割해서 編纂史的인 배경을 간략히 소개하며 하나씩 검토하도 록 한다. 앞으로 한국에서 독단적인 관습법 비교연구가 지속되 기 위해서 가장 본격적인 관습법에 대한- 사료를 언급한다 면, 첫째, 법전 및 법적인 詔書, 둘째, 고고학 자료, 셋째, 북게 르만의 암송된 門閥史에 관한 sögur, 넷째, 역사기록82) 등을 들 수 있다. 첫 번째, 법전 및 법적인 조서에 있어서는 게르만 leges barbarorum 법전을 본고의 기본 자료로 삼고 있다. 무엇보다도 법전의 관습법적인 프리즘을 통하여 고대 한국관습법을 보는 것이 본고의 기본 전제라 할 수 있으니 만족할만한 결과를 기 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사료의 성격에 따라 다를 것이라 생각 한다. 기독교 사상과 卑俗로마법의 지향 정도에 의하면 leges를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한다. 고유한 특징이 가장 많은 사료 라면, 연대순으로 최초의 법전은 프랑크족의 Lex Salica이다. 가 장 오래된 편찬(508-511?)은 Pactus Legis Salicae라고 부르며 클러 비스 1세(466-511)가 조직한 법전이다. 이후에 나왔던 살리카 법과 비교하면 제14조에는 차이가 있다. 어떤 읍락에 있어서 82) 이 범주 안에 수도원 문서 및 성인 열전도 포함되고 있다. - 27 -
fontes iuris oriundi lex barbarorum Lex Ribuaria Lex Francorum Chamavorum Lex F.Chamavorum missi dominici leges barbarorum Lex Frisionum Lex Saxonum pagan ecclessia fanum Capitularae Additio Sapientium asegas 83) Nikodem J., Sikorski D.A., 2012, Vademecum historyka mediewisty, PWN, 334-350 - 28 -
Sachsenspiegel lex barbarorum Lex Thuringorum. Lex Angliorum et Werinorum, hoc est, Thuringorum hergewet gerada), Codex Euricianus(471-476?). 654 Lex Visigothorum. Collins,.. 501 Gundobad (452-516) Lex Burgundionum..,. Leges Longobardorum. Edictum Rothari 568 643... Liutprand (712-744). - 29 -
실패를 거듭하여 법을 교정해야만 했다. 법사학계에서는 神判 (英: ordeal)을 최초로 구체화시킨 왕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이 론은 진화론적인 전제하에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물론, 神判 決鬪에 대한 규정이 나타난 것은 사실이다. Aistulf대왕 때는 (756) 랑고바르트족이 로마 신하의 대다수와 융합된 사회 모습 을 보여 주고 있는 법이 내포되어 있다. 남게르만족의 알레마니족은 Dagobert 1세 시절(603-639) 프랑 크족의 지배하에 있었을 때 Pactus Alamannorum을 최초로 성문화 하였다. 이후에 반포된 Lex Alamannorum이라고 하는 법전은 프랑 크족의 지배가 약화된 시기(709-730)에 들어와 조직된 법이다. 모든 규정의 1/3 정도가 성당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맞추기 위 해 만든 제정(causae ecclesiae)이었다는 사실은 leges barbarorum의 부분적 決疑論(英: casuistry)的인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왕 (dux)을 반대하는 범죄도 많이 내포되어 있어 서고트족의 법전 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오로지 고문서 한 장만으로 카롤루스 대제를 조종한 흔적도 보인다. 마지막으로, 바브아르족의 법전(Leges Baiouvariorum)이 744-748 에 반포되었다. 전자와 마찬가지로 서고트족의 법전이 많은 영 향을 미쳤다. Tassilo 3세가 반란을 일으킨 이후의 시기에 들어 와 바이에른이 프랑크족의 종속왕국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법전에 프랑크족이 아니라 서고트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 이다. 이것은 법적 非獨占的인 사실을 잘 보여 주는 사실이다. 매매권에 대한 규정이 대표적이라 할 수가 있다. 상기의 법전은 라틴어로 (구게르만어로 된 註釋 glossae 제외) 작성된 것이지만 이외에 고유어로 된 바바리아의 법전이 있었 다. 본고에서는 앵글로색슨족의 법전은 참고하지 않고, 동슬라 브의 1054년 Pravda Yaroslavichey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1017년의 Правда русьская (로마자표기: Russkaya Pravda, 원고는 舊루테니아 어로 작성된 것이다)이 再編纂된 법전, 아이슬란드의 법전인 1260년의 Grágás, 노르웨이의 1250년의 Gulaþing 및 1260년대의 - 30 -
, 스웨덴의 1220년의, 13세기 독일무사단국 가에서 거주하는 폴란드인의 Elbinger Rechtsbuch란 법전도 보충 적으로 참고하였다. 후자의 법전만 직접 번역하지 않고84) 기타 언급했던 기록을 직접 번역해 보았다. 그리고 법전이외에 관습 법과 관련된 Capitularia (대왕이 지방민들에게 下敎했던 조서)도 언급하도록 한다. Frostaþing Westgötalagen 두 번째, 고고학적인 자료에 있어서는 많은 경우에서 연구 대 상과 연대적으로 대등한 자료로서는 본고에서 고고학 자료가 중요시된다. 게르만계에 있어서 銘文사료가 있는데도 법과 관 련된 내용이 허술해 보인다. 대신 형법을 연구함에 있어서 대 표적인 유물은 자연 미이라이다. 연대에 따라 귀납법(Bocksten 屍體)이나 연역법(Tollund 시체)으로 늪 속에 던져져 나뭇가지로 덮여 淀刑에 처해진 범인들의 시체가 상대적으로 분해가 되지 않고 현존하였던 경우가 많다85). 사형을 당하기 전에 받았던 처우를 문헌사료와 비교해 보면 관습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전 해주고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Sögur를 소개하고 분석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Saga 이라는 단어는 읊는다/말한다 (sagja) 란 動詞로부터 온 것이다. 12세기부터 고유어를 이용하여 기록된 가문의 역사다. 가장 오 래된 이야기는 아이슬란드의 정주과정(Landnásmabók에 의하면 860년대)을 서술하고 있어 많은 正史 기록(예컨대 Historia de antiquitate regnum Norwegiensum)이 편찬되었을 때는 신빙성이 있으 며 중요시되었던 것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Sögur는 Snorri Sturluson (1179 1241) 주교가 북게르만의 多神에 대해 유헤메로 (역, 1959, Najstarszy zwód prawa polskiego, PWN)의 번 역물을 인용한다. 84) J.Matuszewski 85) Plicht J., Sander W.A.B., Aerts A.T., Streurmann H.J., 2004, Dating bog bodies by the means of 14-CAS, Journal of Archeological Science, 31, Elsevier Inc. - 31 -
스說을 이용하여 최초로 소개하였다. 12세기 후에 편찬된 sögur 는 가치가 떨어져 Lygisögur ( 허위sögur )라 하기도 한다.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韻文은 þættir라고 하여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서 인정을 받는다. 그렇지만 kenning이라는 詩的 특징으로 구체적 인 의미가 없어져 분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예컨대 법적 책 임능력을 가지고 있는 특수집단에 있어서 Haraldskvæði 8에서는 詩體的인 비유로 berserkir 및 ulfheðnar란 인물을 단독적으로 보아 야 할지 동일하게 보아야 할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한편, sögur는 후대인에 의한 윤색이나 도덕적 판단이 없는 기 록이다. 고립된 지방에서 발생한 사건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절차법이나 법의 운영방식이 상대적으로 상세히 나타나고 있 으므로 생생한 관습법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라 틴어로부터 온 표현적인 왜곡도 없다. 게르만 관습법 고유개념 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척도가 된다. 본고에서는 바 바리아 법전 세 가지를 번역하여 附錄에 첨가하고, 중세 라틴 어, 구노르딕어, 구루테니아어로 된 기록을 논문 흐름의 필요 성에 따라 인용했다. Elbinger Rechtsbuch 번역은 제3언어를 통해 수행되었다. 86) 네 번째, 바바리아의 사서에 있어서는 살아 있는 법(英: living law)을 연구하기 위한 기본 사료이다. 한국사학계에 있어서 유 럽 바바리아 관습법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역사기록을 간략하 게나마 하나씩 소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필자가 많은 한국사 료와 비교할 때 분석방식의 유사성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이 다. 먼저, 타키투스의 De Germania Liber은 게르만 법문화 및 이 유 사한 문제는 색슨의 詩에서도 나타난다. 예컨대991년의 The Battle of Maldon안에 있는 woelwulfas란 표현은 비유이거나 인간단체로 이 해해야 할지 의문이다. 86) grenjuðu berserkir, guðr vas á sinnum, emjuðu ulheðnar ok isörn dúðu. - 32 -
Strategikon Historia Francorum. Gregorius Turonensis Ammianus Marcellinus Rerum gestarum libri Fredegarii chronicorum liber quartus cum continuationibus, Einhardi Vita Karoli Magni, Annales Fuldensis, Annales Bertiniani, Annales Xantenses St. Quentin Dudo Historia Normannorum Procopius De bello Gothico Isidorus Hispalensis Historia de regibus Gothorum, Vandalorum et Suevorum Jordanes Getica Paulus Diaconis Historia Langobardorum Origo Gentis Langobardorum - 33 -
생각한다. 그곳에는 종족기원설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앵글로색슨 역사에 대한 기록은 많지만, 본고에서는 Bede(673-735)의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을 인용하고, 역 사기록은 아니지만 Tribal Hidage라는 행정문서도 이용한다. 대륙 색슨족의 대표적인 기록은 Corvey수도원 Widukind (925-973)의 Res gestae Saxonicae라는 사료이다. 스칸디나비아의 사료 중에서 최초의 역사기록은 Saxo Grammaticus(1150-1220)의 Gesta Danorum 이란 것이다. 많은 구전으로 이어진 토포스87)(topos, 복수: topoi) 를 포괄하고 있으며, 덴마크에서 기독교가 퍼지게 된 과정을 밝힌 기록이다. 또, Magistri Adami Bremensis gesta hammaburgensi Ecclesiae Pontificum은 Hamburg에서 1075년에 완성된 연표기록이다. 대표적인 주제는 788년부터 스칸디나비아 반도로 파견된 선교 사에 대한 사서이다. 1018년의 Thitmari Chronicon, 1171년의 Helmoldi Presbyteri Chronica Slavorum이라는 기록은 Elbe강 지역에 거주하는 다신교 슬라브족 과 기타 서슬라브왕국의 고유법적인 의례에 대한 기록으로 Germania의 내용과 유사한 것이 눈에 띤다. 이러한 사서는 양쪽 모두 Merseburg의 전도 주교관할권 하에 기록된 것이다. 색슨족 과 신성로마제국 및 슬라브의 관계에 대한 모든 양상이 묘사 되어 있다. Gesta Hungaarorum, Annalia vestuste gentic Polonorum vel Kronice, Cosmae Pragensis Chronica Boemorum과 같은 기타 사서는 正 史書이며 파노니아 지역으로부터 발트해에 이르는 諸王國에 대한 초기 역사를 기록해온 것이다. 법전반포 및 관습법에 제 정법이 융합되는 과정이 잘 서술되어 있다. 루테니아의 북게르만인에 대한 아랍의 見聞記도 많이 현존하 고 있다. 본고에서는 Ahmad ibn Fadlān의 Risala를 언급한다. 앞으 로 한국어로 옮겨야 할 필요가 있는 사료이다. 또, D escriptio civitatum et regionum ad septenrionalem plagam Danubi는 87) 사료에서 몇 개의 모티프들이 자주 반복되어 이루어내는 한 문 구이다. 여기서는 문벌사적인 내용에 대한 말이다. - 34 -
Liber fundationis claustri Sancte Marie Virginis in Heinrichow Sancti Adalberti Pragensis episcopi et martyris vita altera auctore Brunone Querfurtensi, De Translationibus et Miraculis Sancti Filiberti, Translatio sancti Alexandrii, Viti Lebuini Antiqua, Sancti Adalberti Pragensis episcopi et martyris vita altera auctore Brunone Querfurtensi Modzelewski Hewald Hewald Bede 88) 89)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8 쪽 - 35 -
Qui uenientes in prouinciam intrauerunt hospitium cuiusdam uilici, petieruntque ab eo, ut transmitterentur ad satrapam, qui super eum erat, eo quod haberent aliquid legationis et causae utilis, quod deberent ad illum perferre. Non enim habent regem idem Antiqui Saxones, sed satrapas plurimos suae genti praepositos, qui ingruente belli articulo mittunt aequaliter sortes, et, quemcumque sors ostenderit, hunc tempore belli ducem omnes sequuntur, huic obtemperant; peracto autem bello, rursum aequalis potentiae omnes fiunt satrapae. Suscepit ergo eos uilicus, et promittens se mittere eos ad satrapam, qui super se erat, ut petebant, aliquot diebus secum retinuit. Qui cum cogniti essent a barbaris, quod essent alterius religionis...suspecti sunt habiti, quia, si peruenirent ad satrapam, et loquerentur cum illo, auerterent illum a diis suis, et ad nouam Christianae fidei religionem transferrent, sicque paulatim omnis eorum prouincia ueterem cogeretur noua mutare culturam. Itaque rapuerunt eos subito, et interemerunt; Album quidem Heuualdum ueloci occisione gladii, Nigellum autem longo suppliciorum cruciatu, et horrenda membrorum omnium discerptione; quos interemtos in Rheno proiecerunt. Quod cum satrapa ille, quem uidere uolebant, audisset, iratus est ualde, quod ad se uenire uolentes peregrini non permitterentur; et mittens occidit uicanos illos omnes, uicumque incendio consumsit. Historiam ecclesiasticam gentis Anglorum V, 10 Hewald - 36 -
市를 한 채 四肢를 잘라 시체를 Rhein강으로 던졌다. 지방 장관은 遊人들을 그에게 데리고 오지 않고 죽였다는 것을 듣고 그곳의 모 든 사람들을 沒殺시키고 취락을 불로 태웠다. 상기 사료에서 가장 눈에 뛰는 표현은 satrapae (지방 장관)라 는 단어이다. 성서 [다니엘 6: 2-4]에서 빌려온 단어인데, 관습 법 하의 사회와는 잘 어울리지 않는 것이었다. 하지만 다른 정 치체제 하에서 살고 있던 Bede는 대왕이 없는 상황에서 법을 운영하였던 자가 누구인지 모르지만 전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소왕 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여 지방 장관이라는 단어 를 이용하였다. 그 이외의 상기 자료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 정받고 있다. 여기서 환대의무90)를 지키려고 한 바바리아의 집 90) 본 임무는 Germania XXI 조에서 서술되고 있다: Convictibus et hospitiis non alia gens effusius indulget. Quemcumque mortalium arcere tecto nefas habetur; pro fortuna quisque apparatis epulis excipit. Cum defecere, qui modo hospes fuerat, monstrator hospitii et comes; proximam domum non invitati adeunt. Nec interest: pari humanitate accipiuntur. Notum ignotumque quantum ad ius hospitis nemo discernit. Abeunti, si quid poposcerit, concedere moris; et poscendi in vicem eadem facilitas. Gaudent muneribus, sed nec data imputant nec acceptis obligantur: victus inter 천병희(2012 게르마니아 도서출판 숲 66쪽)의 말을 빌어: [그들보다 더 연회와 환대에 탐닉하는 종족은 없다. 어떤 사람이든 문밖으로 내쫓는 것은 죄악시된다. 주인은 형편이 닿는 대로 한 상 잘 차려 손님을 환대한다. 식량이 떨어지면 지금 까지 주인 노릇을 하던 자가 다른 숙소로 안내하기 위해 손님과 동행한다. 두 사람은 초대받지도 않고 이웃집으로 간다. 초대를 받았느냐 받지 않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그들은 어차피 환대받 으니 말이다. 환대받을 권리에 관한 한, 아는 사람이냐 모르는 사 람이냐를 구별하지 않는다. 손님이 떠날 때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 든 주는 것이 관행이며, 주인도 아무 거리낌 없어 답례품을 요구 한다. 그들은 선물을 좋아하지만, 주었다고 해서 조건을 달지도 않고, 받았다고 해서 신세졌다고 느끼지도 않는다.] hospites comis. - 37 -
단은 外部人을 모셨지만, 다신교의 입장에서 보면 冒瀆罪를 범 할 가능성이 있어 外部人을 棄市와 같은 公衆刑에 처하여 이 환대의무를 위반했다. 따라서 선교사들의 시체를 훼손시키는 사형(다른 시각에서 보면 벌이 아니라 모살: mordrid, mordtotum) 을 집행했다는 기록이다. 이러한 모살의 범죄는 -Lex Saxonum XVIII조에 의하여- 人命金을 9배 지불하지 않으면 사형을 당하 게 된다. 따라서 읍락단위의 추장은 이러한 중죄에 대해 Bede 가 이해하지 못해서 기록되지 않았던 방식으로- 민회의 판결 에 따라 온 마을을 파괴시켜야만 했던 사건이다. 한국학계에서 는 이러한 형벌을 strafen zu gesamter Hand라는 표현 하에 仁井田 陞91)이 소개한 적이 있다. 관습법이 예방주의적인 성격을 갖지 않으므로 촌락이 벌을 받았다는 것은 합법적인 것이었다. 상기의 사료비판에 있어서 고대한국사에 관한 것도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한국문화에 관한 연구에서 고유성을 찾는 것 대신에 中華的인 문화의 요소를 더함으로써 위와 비슷하게 자의적으로 분석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김일권92)의 도교에 대한 논문을 보면 고고자료까지 그러 한 것을 볼 수 있다. 고구려 벽화에서 나타나고 있는 千秋之鳥 像 및 萬歲之禽像93) 등이 도교가 고구려에서 유행하였다는 것 으로 보는 분석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中華 문화적 수단으로 고유의 종교관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파악하는 가능성도 완전 히 배제할 수는 없다. 百濟 무령왕릉의 石獸(가설적 天鹿 )나 新羅 鳥面土偶도 도교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Bede의 satrapae 처럼 고유 개념이 도입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고 필 자는 추측한다. 이러한 漢唐文化의 요소로 쉽게 분석하는 법은 仁井田陞, 1958, 中国法制史研究 全4巻, 105쪽 92) 김일권, 2009 고구려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5 93) 김일권, 2009, 앞 논문, 259쪽 91) - 38 -
삼국시대의 형벌제도를 둘러싼 문제라고 인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94). 즉, 三國史記 제11권 경문왕 14년의 기록에 의하 면 近宗을 붙잡아 車裂刑에 처하였다는 것에 대한 기사가 있 다. 중국에서는 漢시대까지 작용하고 있는 형으로서 알려져 있 지만95), 신라 율령은 晉나라의 泰始律令의 직 간접적인 영향 하에 반포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진나라에서 轘刑을 실행한 경우는 기록되지 않았음에도 한반도에서 본 처벌을 실행하고 있었다는 기록은 더 있다96). 轘刑을 내포하고 있는 北魏와 北 齊에서 성립된 律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지만97) 이 가 능성은 비교적 희박하다. 오히려 反逆罪에 관한 反映主義的 刑 罰이라서 관습법적인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와 유사하게 赦免 기사를 해석하는 이근우(2002 사면기사 를 통해 본 한일 율령제 수용문제 청계사학 16 17, 728쪽)가 赦天下 와 같은 표현을 후대적인 용어로 윤색한 것으로 볼 수 있 다고 한다. 한편, 율령 이란 표현은 소급된 것이며 율령이 924년 까지 신라에 도입되지 않았다는 北村秀人 (1982 朝鮮における 律 令制 の變質 東アジアの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7 學生 社)의 의견은 틀린 것으로 보이나 모든 법적 요소가 고유 관습적 인 색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언제나 온당하다고 할 수는 없는 것 이다. 말하자면, 법적 양상 하나씩 정확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95) 그 내용도 刑志 에는 내포되지 않았다. 96) 高麗史節要 제29권 공민왕 23년 9月 갑신일, 高麗史 제113 권 列傳 崔瑩. 그렇지만, 이 내용은 시간적 틀에서 벗어나 고대한 국 관습법과의 연결성이 지적될 수가 없다는 것은 당연하게 여겨 진다. 후대의 만주지방이나 원나라에서 온 법의 영향으로 한국의 轘刑을 파악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가능성에 대한 조사가 없지만 참고 논문으로서 고병익의 글을 보아도 무방하다(1951 元代의 法制 -蒙古慣習法과 中國法과의 相關性- 서울대학교 석 사논문).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후기의 사료를 고대 관습 법의 요소에 대한 원형을 복원하는데 조심스럽게 보아야 하는 점 이다. 고대게르만 관습법 사료보다 훨씬 그렇다고 할 수 있다. 97) 北魏 431년 및 492년 및 北齊 564년에 성립된 律 속에서 環刑이 나타나고 있다. 北周의 563년 율 속에도 裂 이름하에 같은 형벌 이 보인다. (홍승우 2011 韓國 古代 律令의 性格 41쪽) 94) - 39 -
2) 古代韓國 慣習法 史料 고대 한국 관습법에 대한 연구 자료를 나누어 보면, 첫째, 고 고자료, 둘째, 중국사서, 셋째, 일본사료, 넷째, 국내 기록, 다섯 째, 인류학적인 자료 등이 있다. 본 사료를 하나하나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고대 한국의 경우에는 동시대의 사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 에 법의 고유성 및 율령의 성격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고학적 자료를 도구로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유감스러운 것은 금석문 이나 목간자료에는 누락된 부분이 많다는 점이다98). 게다가 당 시의 시대상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해석이 달라지는 경우99) 木簡의 판독과정에서 발생하는 이견도 어려움으로 작 용한다.100) 중국정사 분석법에 있어서는 역사를 대중화할 목적으로 작성 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 논문집101)을 보면 고대법이 기본적으로 中國正史에 기초해 서술되고 있다. 필자도 한국 기 록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東夷傳 에 나타나는 정보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중국정사의 해석방식에 대한 것이 예컨대, 丹陽新羅赤城碑의 경우는 가장 중요한 중간부의 거의 100字에 달하는 문자의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태이다. 99) 대표적인 예가 廣開土大王碑의 倭寇 의 정체, 고구려 臣民 적인 지위에 놓여 있던 집단의 성격에 대한 이해일 것이다. 100) 필자는 국립문화재연구소나 한국목간학회에 축적된 정보와 목 간 해석을 사용하였다. (주로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편, 2004 韓國의 古代木簡 藝脈出版社). 문서유물만 아니고 기타 발굴 보고서를 충분히 활용한 것은 필자의 의도이다. 101) 예컨대 이기백, 황수영 편, 1995, 한국사 4, 임기환의 글이 그 렇다(국사편찬위원회 215-220쪽). 98) - 40 -
다. 간략히 소개하면, 문제점을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째, 한국과 중국 사료의 표현상의 일관성 문제이다. 예를 들어 백제의 檐魯制는 어느 정도 郡縣制的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지 만, 신라 邑勒이 실제로 縣과 똑같은 지방단위였는지 아니면 유사한 단위였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고대 한국의 관습에 대한 기존 견해의 오판은 읍락이나 소국이나 노태돈의 삼국 (B)규모의 집단102)의 영역적인 성격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 서 비롯되었다. 둘째, 중국정사 해석과 관련된 문제는 문화개념수용과정 (英: inculturation )에서 오해를 불러온 내용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 한 변수는 편찬자의 기록을 왜곡시키는 褒貶사상이다. 낙관적 인 측면에서 작성된 것이라면 故孔子欲居九夷也 ( 後漢書 東夷列傳第七十五 )라는 서술이 가능한 한편, 優越觀의 측 면에서는 唐劉仁願紀功碑에서의 雖夷夏有殊, 長幼懸隔, 君綏和 接待, 恩若弟兄, 功業克就, 盖由於 와 같은 서술도 적지 않다. 셋 번째 문제점에 대해서는, 漢人 역사가들이 관심이 있는 대 목과 이것을 보는 시야에서 오는 문제를 들 수 있다. 예컨대 관습법을 운영했던 고대 韓人의 관점에서는 별로 중요치 않는 요소에 집중하여 기록되었던 것이 현존함과 동시에 당연한 것 이나 모순적으로 생각했던 주제를 포기한 면이다. Bede의 연표기록에서 지중해 문화권의 가치관이 분명히 나타 났듯이, 중국정사에서는 유교사상에 근거가 있는 관념에 집중 103) 노태돈 1974 삼국시대 部에 關한 연구 성립과 구조를 중심 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 과 쟁점 집문당 62-3, 79쪽. 본고에서 이 용어를 비교적 많이 이용하게 되어 단순화된 부연설명이 필요하다. 즉, 부내적으로 계 층 분화된 집단이 삼국(B)라는 용어이며, 기타의 각급 자치체와 연합되고 우월한 위치로 진전되었던 단위는 삼국(A)이다. 103) 원래는 기독교사에 있어서만 이용했던 본 개념은 본고에서 더 욱 넓은 의미로 이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102) - 41 -
하여 忠이나 孝와 관련된 서열이나 喪葬制 등을 기록했던 것 이다. 말하자면 고대 韓人의 안목으로는 관습법의 대표적인 범주를 서술하지 못했다는 점이다.104) 마지막으로, 중국 율령과 고대 한국 관습법이 유사한 점이 있 어 구별하기 어려운 점이다. 원래는 유교만 아니라 全體法制 사상이 중국 관습법적인 요소에 많이 내포되어 있다는 문제이 다. 예를 들어, 시대를 올라가- 祖宗成憲 사상이 중국 율령 의 영향으로 수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습법을 운영하는 사 회에서도 복고주의적인 점이 귀중하게 생각되었다는 것이다. 한국 고대사를 보면 법을 실시하는 것이 유교 율령의 영향으 로 된 것인지 고유의 관습법적 윤리를 따라 한 것이었는지 마 찬가지로 문제시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중국 사료를 고유명사학(英:onomastics) 적으로 규명해 보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宋四大書(특히 太平廣記 )와 秦 漢시대의 법적인 簡牘資料 (睡虎地 雲夢 孝感區의 秦簡, 敦煌漢簡, 懸泉置漢簡, 張家山漢簡)를 언급하면 된다. 앞으로 잘 알려진 列傳의 내용이 상기의 자료와 비교해 꼼꼼하게 재검토된다는 것이 기대된다. 또, 한국기록, 일본기록 과 금석문을 통하여 중국정사의 내용을 문맥적으로 검토해 보 는 것이 옳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각 중국 기록의 편견을 검 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예컨대 부여의 妬忌罪에 대해서는 七 出 사상105)의 영향 하에 있는 부분일 것이라는 가능성이 높다 중세기 초기 유럽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있었지만, 기록자의 인 식은 중국보다는 교화주의적이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지중해 문명 의 역사가들이 바바리아인만 아니라 자기와 같은 기독교신자를 교화시키기 위하여 기록 대상인 게르만인에 대해서 도덕이 엄하 며 정의에 대한 의식이 강하다는 방식으로 소개하고 있었다. 또한 음란죄를 일으키지 않고 순수하게 생활했다는 모티프(motif)가 오 랫동안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게르만인들이 多神敎나 아 리우스(250?-336)파 이단죄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하였다. 105) 妻를 합법적으로 내쫓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조건에 대한 것이 다. 본 문제에 대해서 이기백이 논문을 작성했다 (이기백, 1996 104) - 42 -
argumentum ex silentio Idem per idem - 43 -
마찬가지다. 이들이 어느 정도 왜족이나 기타 열도의 원주민과 법문화를 교류했는지 여부는 정확히 지적하기 어렵지만, 韓人 들이 대규모로 사는 지역에서 상호간의 관습법적 유사성이 다 른 곳보다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 관습법의 토대 중 하나인 고대 종교는 이런 공통점이 완 전히 없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楯縫 [たてつひ]이나 曾尸茂 利 의 지명은 牛首峴이나 牛頭山 崇拜와 관계성을 보여주고 있 다는 의견이 있다106). 종교 측면에서 보면 日本書紀 제6권 垂仁 3年 3月의 기사에서는 新羅王子 天日槍의 神物이 본국보 다 일본왕족한테서 숭배를 받은 것으로 고려할 수가 있다107). 그렇지만 관습법에서의 유사성을 더욱 분명히 하고 있는 기 사가 播磨風土記 400행에 기록되어 있다. (2) 神前郡...大川內 오오강에 의해서 이름을 붙였다. 노송나무, 느릅 나무가 난다. 또 異俗人이 30명 정도 있다.108) 여기서 異俗人은 일본학계에서 [あだしくにびと] 라고 부르고 있으며, 北坊으로부터 이주시켰던 佐伯 포로로서 이해된다. 播 磨國의 주변에 거주하는 城牟禮山의 百濟人(行412)이 異俗人으 로서 취급되지 않는다. 倭人들과 韓人의 관습법이 유사하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오오카후치의 마을에서 살고 있는 異俗人이 왕족의 권력을 인정치 않았다는 것이라면 본 가설의 타당성이 없어진다. 그렇지만 종속치 않은 경우에는 그러한 거주인들이 사서에서 異名인 遠荒人 으로 묘사되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109) 106) Aoki Y. Michiko 역, 1997, Records of Wind and Earth: Associacion of 115쪽 제1권 神代(上)의 기사에서 素盞嗚尊의 韓鋤之劍에 대한 서술이 본 가설을 입증해 보인다. 108) 神前郡...大川內 因大爲名 生檜枌 又有 異俗人卅許口 109) 日本書紀 제5권 崇神10年秋7月: 然遠荒人等 猶不受正朔 是未 Asian Studies, 107) - 44 -
일본 관습법적 유사성에 있어서는 의문시할 만한 요인이 하 나 있다. 그것은 倭國東北七千餘里 에 있는 文身國에 대한 기 사이고 본 기사가 신화적인 성격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徐榮洙가 文身國의 존재 여부에 대하여 의심스럽게 생각하고 있다.110) 그 이유는 梁書 諸夷 전체적으로, 지리적인 정 보가 왜곡된 것이 많기 때문이다. 이 한편, 文身國의 관습법적 인 기록이 비교적으로 자세하여 완전히 가공된 내용으로 보이 지 않은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다. (3) [文身國人들이] 犯輕罪者에게는 鞭杖刑을 처하고 死罪者를 맹수 에게 먹인다. 무릇 범죄인이 동물에게 먹히지 않았다면 판단상의 실 수로 처벌을 받았다고 [믿고 그를 無罪人으로 여긴다]. 하룻밤 지나 고 赦免을 받는다.111) 상기 기사는 韓人 관습법과의 관계성 여부를 검증할 수가 없 지만, 東夷의 사고와 더욱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렇다면 기사에서 나타나는 鞭杖刑과 猛獸가 법적인 절차 에 참여하는 것은 한국 관습법 성격에 대해 의문을 일으키게 한다. 첫째, 蔚珍鳳坪碑銘에도 의거된 杖刑과 달리 삼국사 기 17권 美川王條에서 실시된 竝科刑인 笞刑과 관계성을 완 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동물과 관련 된 神判은 형벌로서가 아니라 新羅 大臣會議의 儀式으로서 三國遺事 紀異第一眞德王의 기사에 의거하고 있는 것도 염 두에 두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4) 南山 亐知巖에 모여 國事를 議論하고 있었을 때 큰 호랑 이가 나타나 座間으로 달려들었다. 公들이 모두 놀라 일어났 習王化耳 其選群卿 遺于四方 令知朕憲 110) 서영수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 1, 457쪽 111) 梁書 제54권: 犯輕罪者則鞭杖 犯死罪則置猛獸食之 有枉則猛 獸避而不食 經宿則赦之 - 45 -
으나 閼川公은 조금도 움직이지 않고 自若히 談笑하면서 짐승 의 꼬리를 붙잡아 땅에 메어쳐 죽였다. 閼川公의 힘이 이와 같으므로 首席에 앉았으나 諸公은 모두 庾信의 위엄에 心服하 였다.112) 상기 기사는 신화적인 내용이 내포되어 있는데도 동물에 관 한 의례와 결투 의 승리자가 首席에 앉았다는 것만 확실히 나 타난다고 생각된다. 유감스럽게도, 梁書 기록의 유사성 정도 를 검증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또, (4) 기사의 반신화적인 내용에도 신빙성 문제가 있다. 이 것에 대해서 일본사서 뿐만 아니라- 고대 사료의 대부분이 半神話(英: mytho-history)的 내용으로 되어 있지만 이를 배제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유헤메로스 방법론(英: euhemerism) 113)을 이용하여 관습법에 관한 내용이 더욱 많아질 수가 있다 고 생각된다. 본 說의 토대는 신화에서 나오는 神이 옛적의 뛰 어난 인물이나 직계lineage의 조상이 신격화되었다는 해석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 신화를 암송하고 있는 사회의 윤리나 생활방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했던 素盞 嗚尊을 한반도에서 이주하였던 우두머리로서 받아들이면, 그의 속죄해야 할 의무나 추방하였다는 내용114)에 새로운 빛을 던 會于南山 亐知巖 議國事 時有大虎走入座間 諸公驚起 而閼 川公 畧不移動 談笑自若 捉虎尾撲於地而殺之 閼川公膂力如 此 處於席首 然諸公皆服庾信之威 (이병도 역, 1984 三國 遺事 217쪽에 따라 번역된 것이다. 무릇 본고에서는 사료 해석에 대한 이견이 있으면 문제시된 부분은 밑줄로 가리키게 된 다. 가첨된 譯文에 대한 각주가 없으면 필자가 직접 옮긴 내용이 라는 뜻이다.) 113) Euhemeros이란 고대 그리스 저작자가 만들었던 합리적 신화해석 이다. 이는 신화들을 과장 윤색된 옛 역사 사건의 잔영으로 해석 하고 있다. 114) 日本書紀 제1권의 모살죄에 대하여: 素盞嗚尊所行無狀 故 112) - 46 -
져주게 되며 관습법에 대한 기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고 생 각한다. 말하자면 필자가 일본 역사기록을 널리 언급할 수 있는 이유 를 두 가지로 구체화할 수 있다. 첫째, 韓人 및 倭人의 법 문 화적인 비교 유사성, 아니면 규범적인 윤리에 있어서 유사하였 음을 생각할 수 있다. 둘째는, euhemerism의 전제이다. 일본서 기 는 권1 2 3을 비판적으로 봐야 할 필요가 있지만, 완전히 이용할 수 없는 기록이 아니라고 인정된다. 제9권은 神功이 架 空人物로 보이지만 韓人 문화와 관련된 내용이 비교적 많아 보인다. 당연한 왜곡 및 연대적 조작(예: 제9권의 120년 인하 된 모습)을 배제하고 보면 일본 사서를 고대 한국 법사 연구 에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4) 기사와 같은 내용이 포함된 한국사서에 있어서는 상술 되었듯이- 규범적인 규칙보다 법의 실체적인 운영방식을 서술 하는 것이었다. 역사기록은 살아 있는 法 을 연구하기 위한 기 본 사료이다. 한국사서의 신빙성에 대해서는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115) 등이 이미 충분한 논문을 편찬하였으므로 사료를 따로 분석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중국역사기록과의 상호 관계는 주보돈116)이 잘 서술하고 있어 필자는 그 의견에 동의 한다. 다만 다시 주목해야 할 점 세 가지만 부각시키면 된다고 본다. 먼저, 관습법의 입장에서 조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본 사 료가 적어 몇몇 고문헌에 불과하고, 서술도 율령 사상 체제의 諸神 科以千座置戶 而遂逐之 是時 素戔嗚尊師其子五十猛神 降 到於新羅國 115)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편, 1994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하 116) Ju Bo Don 2009, Problems Conserning The Basic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 Samhan, M. Byington (ed.), Early Korea, vol. 2, The Samhan Period History - 47 -
입장에서 쓴 것임을 유념해야 한다. 그래서 관습법에 대한 내 용은 부분적이 될 수 밖에 없다. 대신 유념해야 할 것은 관습 을 묘사하는 (地理志와 같은) 기록이다. 또, 상기와 같은 한국 기록자들도 漢文을 빌어 중국적인 가치관을 따르는 표현을 사 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 째 사료 종류는 朝鮮巫俗考, 日本總督府의 보고서, 서구 인의 여행기와 같은 인류학적인 자료가 어느 정도 이용될 수 가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역사적인 연구에 있어서 현대 민속학적인 자료를 이용하는 것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필자의 의견으로는, 지금까지 한국 관습에 대한 논문 중에서 이능화의 글이 가장 가치가 높다고 보는데, 사료를 충분히 언급하고 있 어 그의 글을 확인하고 따라가 보면 오류가 없다고 본다. 한 편, 일본 관습법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서는 기타 일본의 기록 (예: 今村鞆117))과 모순되는 점이 내포되어 있어 이용할 수 없 을 것으로 여겨진다. 서양 기록에 있어서는 조선 사람들의 미신을 믿는 구조나 오 늘날 조선 사람들의 사실상의 종교는 불교의 영향에도 불구하 고 과거 2천년 동안 전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게 된다 라고 했던 Griffis의 巫俗에 대한 의견은 과언 으로 인식하면 된다118). 그렇지만 관습법의 요소를 하나하나 보며 정태성 여부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어떤 문화에 있 어서 전체적으로 많이 변화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119) 정확 今村鞆, 2011 조선풍속집 민속원, 원문은 1914년에 완성되었 다. 118) 그리피스, 1999, 은자의 나라 한국 한말 외국인 기록 3, 집문 당 419쪽 119) 관습법의 정의적인 틀에 들어가지 않지만 風葬에 대한 사서를 검토하고자 한다. 晉書 肅愼傳에서 死者其日卽葬之於野 란 기 사나, 日本書紀 8권 仲哀9年條에서의 天皇之屍...而殯于豊浦宮 117) - 48 -
한 경우를 지적만 하면 된다. 예컨대, 이종길120), 김용섭121)에 의하면 조세수취에 대한 논문의 토대로써 자치관리법에 따라 개별 부담을 나눈 채 자연취락의 단위로 藿稅122)와 같은 부담 이나 운영하였던 방식이 합리적이라서 고대에서도 적용되었다 는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추측된다. 그러한 것에 대해서는 서 양 기록도 잘 서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서양 여행기를 조사하고 나면 관습법적인 내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고대사를 연구하기 위하여 그것을 이용한다는 것은 제한적이다. 기타 자료가 완전히 부족한 경우에서만 추 측적이며 요구된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언급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본고에 서는 Clark C.A. 및 Sieroszewski 의 글만 관습법적인 양상이 많았으므 로 인용한다. 후자는 露韓번역물이 있지만 질적으로 떨어지 고 있는 편이다125). 원문은 폴란드어로 된 것이고 (그것을 참 123) 124) 爲无火殯斂 란 기사도 고대 한국에서 風葬의 관습을 거행하였다고 짐작된다(仲哀 장식의 경우는 假葬의 서술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20세기의 한국까지 초분이 확인되고 있는데 死亡에 관한 관습이 보수적이며 많이 변화하지 않는 편이다. 한편, 물질문화와 연결된 관습은 몇 세대만 지나면 대부분이 변모된다. 고대 한국에 있어서 대표적인 사례로서는 靑陽 長承里古墳群 A-25호분에서 멸망 후에 있었음에도 백제 토기가 발굴된 현상이다 (山本孝文 2003, 百濟滅亡에 대한 考古學的 接近 백제문화 32). 120) 이종길 1998, 한국사회의 소유권 형성과정에 대한 일연구 법사학연구 19, 71쪽 121) 김용섭, 1995 朝鮮後期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122) 미역을 따는 사람에게서 받던 세금. 123) Clark C.A., 1921, First Fruits in Korea, Fleming H. Revell&Co 124) Sieroszewski W., 1905, Korea klucz Dalekiego Wschodu, Naklad Gebethnera I Wolfa, 125) 김진영 역, 2006, 김진영 역, 바츠라프 세로셰프스키, 2006 코 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120쪽: 投石刑 의 누락, 179쪽: 換 刑 의 누락 - 49 -
- 50 -
2. R.Wenskus의 方法論 졸저의 논문구성에 있어서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기하도록 한 다. 그것은 Reinhard Wenskus 의 이론이다. 그는 유럽중세기에 집중되었던 바바리아의 관습법에 대한 모든 기록이 상대적으 로 공통성이 크다고 본다. 현대 중세사 연구자들이 19세기 민 족사학의 영향으로 분리학적(英: taxological)인 범위로서 주로 언 어나 종족을 인정하여 사료 분석을 못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러한 문서의 유사성은 토포스의 전파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점에 대해 그의 의견은 일치하지 않았다. 예컨대 타키투스 의 Germania가 포괄된 고문서는 오직 한권 밖에 없었으며 Hersfeld 수도원에서 830년에 복사된 다음에 1455년까지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었다. 사료가 완성되어 복사가 되는 과정까지 문체적인 기록으로- 오로지 한 번 Rudolph von Fulda(?-862)가 언 급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Germania의 2세기 기록은 서술되었 고 기록 대상 관습법의 특징은 켈트족으로부터 발트족까지 지 속적으로 많은 기록에 남아있어 게르만 법속에 대한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 두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두 가지 이유는 첫 째, 같은 시각에서 해본 분석이어서 바바리아인에 대한 편견적 인 모습을 전해주었다는 것이며, 둘째는 생태적인 요소127)나 126) 126) Wenskus, 1974, Probleme der germanich-deutschen Verfassung - und Sozialgeschichte im Lichte der Ethnosoziologie,Historische Forschungen fűr Walter Schlesinger, Koln 고대 한국의 고유법을 법제의 일환으로서 다루어 검토할 수 있 느냐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무릇 넓은 영역에서의 관습법에 관해 가정적 공통점이나 보편성이 존재하였다면, 그 이유에 대해 필자 는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어떠한 인간집단이 생존하기 위하여 사 회의 鞏固性을 지켜야 하나 법적 규정이 내포하는 합리적 특색을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능주의적인 관점에서 보면 관 습법에서의 초자연적 요인의 존재조차 상기와 같은 의견을 부인 하지 않는다. 한편, 지리적인 결정론의 토대로 만든 Wenskus의 생 태적 전제 는 동고트족 평야지역에서 오래 생활했던 사실을 보 127) - 51 -
관습법이 성문화되지 않은 성향에서 온 문화의 모습이 비교적 정태적이었다는 것이다. 이 전제가 옳다면 연대적으로나 지리 적으로 폭 넓은 시야에서 검토하는 방식이 새로운 Wenskus 비 교법의 토대가 되었다. 이것은 유럽에서 80년대부터 유행하고 있는 기본 전제이며 능력 언어학적으로 많은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방법론 이라고 이름을 붙여도 무방하다. 고대 한국의 관습법에 대해서도 유사한 관점을 이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도 록 하겠다. 즉, 한국 고대사 사료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 및 광범위한 영역의 기사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결 과를 얻을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그렇다면 Wenskus의 방법론을 어떻게 성립하였는지 따라가 보 고자 한다. 그것은 바바리아의 관습법에 있어서 Wenskus가 사형 집행, 전쟁 법에 관한 의식, 점치는 의식 등 에 대한 후술된 사서를 인용해 해석방식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우선, 死刑에 관한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문제 제기과정에서는 Germania가 기본적인 기록으로써 언급되어 왔다. (5) Licet apud concilium accusare quoque et discrimen capitis intendere. 128) Distinctio poenarum ex delicto. Proditores et transfugas arboribus suspendunt, ignavos et imbelles et corpore infames caeno ac palude, iniecta insuper crate, mergunt. Diversitas supplicii illuc respicit, tamquam scelera ostendi oporteat, dum puniuntur, flagitia abscondi. Sed et levioribus delictis pro modo poena: equorum pecorumque numero convicti multantur. Pars multae regi vel civitati, pars ipsi, qui vindicatur, vel propinquis eius exsolvitur. Germania XII 민회에서는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를 포함해 각종 범죄를 고발할 면- 법에 영향을 부분적으로만 미칠 수 있었다는 것으로 추측된 다. 이 문제는 제3장에서 상세히 다룰 예정이다. 또, 인간 조건이 있다. 즉, E. Aronson (2002 사회심리학 探求堂)에게서 묘사된 적당주의와 같은- 보편적인 사회 심리학적인 계수는 관습법 비교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28) 또, 민회 결판 절차에 대한 내용은 제3장에서 서술되었다. - 52 -
수도 있다. 범죄에 따라 형벌도 달라진다. 배신자와 탈주자는 나무 에 매달고, 겁쟁이와 병역 기피자와 性倒錯者를 늪지의 진흙에 빠 뜨려 나뭇가지로 덮친다. 형벌에 차이가 나는 까닭은 범죄행위는 공개적으로 처벌하되 수치스러운 행위는 은폐되어야 한다는 그들 의 원칙 때문이다. 그러나 덜 중대한 범죄에 해당하는 처벌도 있 다. 그런 범죄로 유죄선고를 받은 자들에게는 일정 수의 말이나 소가 벌금으로 부과되는데, 벌금의 일부는 왕이나 부족에게 귀속 되고, 일부는 고소인 또는 그의 친족이 지불하게 된다129). 이 기사에서는 형벌에 차이가 나는 까닭은 범죄행위는 공개 적으로 처벌하되 수치스러운 행위는 은폐되어야 한다는 그들 의 원칙 때문이다 라고 하는 문장을 통해 사형에 붙인 의미가 스토아(英: Stoic)파의 합리성의 개념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분 명해 보인다. 그렇지만 본 처벌은 -타키투스의 변명과 달리종교적인 성격이 있어 숭배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정설이 다130). 늪지에 빠뜨린다는 벌131)은 公衆刑이었다는 사실이 고 고학적인 증거를 통해서도 보인다. 1890년에 이른바 Bunsoh man 이란 자연 미이라가 자작나무 가지로 덮여 있었던 모습은 발굴조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Jührdenerfeld Man, 및 Windeby 미이라들도 그러하였다133). 연대는 6세기 말기에 淀殺 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던 것이다. 2-3세기의 Dätgen Man 은 늪지 에 빠뜨리기 전에 棄市를 당하여 몸통에서 毆打傷 칼의 重傷 이 많이 나타나 斬首까지 당하였다는 것이다. 3세기의 Neu Versen Man 와 같은 경우에 목을 자르며 화살의 상처와 부러졌 132) 천병희 역 2012 게르마니아 46쪽 22쪽 131) 雲夢 睡虎地의 D101秦簡에 의하면 본 벌을 淀殺 이라고 불렀다 129) 130)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132) Heinke A., Drews E., 2007, Die so genannte Halsschnur von Bunsoh. Experimentelle Archäologie in Europa Bilanz, 5 ed., Isensee Verlag 133) Sanden W., 1996, Through Nature to Eternity - The Bog Bodies of Northwest Europe, Batavian Lion International, Amsterdam - 53 -
던 팔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미이라가 천 점 이상이 있어 대부분이 地祇에게 희생이나 형벌을 받았던 범죄인으로 학계에서 널리 해석된다. 그리고 두 번째 주목할 것은 사형의 전체적인 모습이 병과형실시를 가리키는 것이다. 타키투스의 Germania를 모르면서 바바리아에 대한 후기의 사 서에서도 유사한 기사가 있다. 11세기의 Adam Bremensis의 주 교사 (I.8)에 있어서 Haec tulimus excerpta ex scriptis Einhardi de adventu, moribus et superstitione Saxonum, quam adhuc Sclavi et Sueones ritu paganico servare videntur [색슨족의 이민, 관습, 미신에 대하여 슬라브족과 스웨덴족이 다신교를 숭배하듯이 모든 기사는 Einhard의 기록으로부터 와 있다]라는 글에 따르면, 단지 Vita Karoli만 언급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렇지만 Wolfred란 색 슨 선교사가 Thyr의 神像을 저주해 파괴시켜 瀆神罪人으로서 형벌을 받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되어 있다. (6) Et ille quidem pro talibus ausis statim mille vulneribus confossus, animam laurea dignam martyrii transmisit in coelum. Corpus eius barbari laniatum post multa ludibria merserunt in paludem. Adamus Gesta Hammaburgensis ecclesiae pontificum II.60 그렇게 하고 나서 상처를 천 개나 얻어 훌륭한 순교자로서 천국 으로 돌아가셨다. 바바리아인들이 그의 시체를 찢어 욕을 보게 한 후에 늪지에 던져 버렸다. 부르군트족의 법에서도 유사한 관습법적인 내용이 남아 있다. 본 사료는 법전이라서 문헌적인 motif가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전혀 없다. 본 내용은: Si qua mulier maritum suum, cui legitime est iuncta, dimiserit, necetur in luto. Leges Burgundionum XXXIV-1[무릇 한 여 자가 자기와 합법적으로 결혼했던 남편을 버렸다면 늪지에 빠 뜨린다]. 부록에서 보듯이 Lex Frisionum의 Additio Sapientum XI조 에 따르면 유사한 형벌을 이용하여 음란죄에 처하게 했다. 신 령들을 위하여 공동체가 犯染을 당하지 않도록- 복수를 시 - 54 -
행하였으므로 죄인을 희생시켰다는 것이다. 문헌적인 토포스가 전파되지 않은 경우에도 또 몇 가지 지적 되고 있다. 이것은 관습법의 절차 및 전쟁법과 관련된 서술이 다. 우선, 사료를 언급해 보면 다음과 같다. (7) Reges ex nobilitate, duces ex virtute sumunt. Nec regibus infinita aut libera potestas, et duces exemplo potius quam imperio, si prompti, si conspicui, si animadvertere ante neque aciem agant, vincire, admiratione ne verberare praesunt. quidem Ceterum nisi neque sacerdotibus permissum, non quasi in poenam nec ducis iussu, sed velut deo imperante, quem adesse bellantibus credunt. Effigiesque et signa quaedam detracta lucis in proelium ferunt...germania VII 게르만족은 (대)왕들은 혈통에 따라, 軍長들은 용기에 따라 선출 된다. 그들의 대왕들에게는 절대적인 또는 전제적인 권한이 없다. 장군들은 권위에 의해서보다는 정력적이고 탁월하게 대열 앞에서 싸우는 등의 본보기를 보임으로써 대중의 호감을 산다. 게다가 사 제가 아니고서는 어느 누구도 사형을 명하거나 투옥하거나 태형을 언도할 수 없다. 그리고 사제들은 처벌하기 위해 또 군장의 명을 받고 행동하는 것이라, 말하자면 신의 명령에 따라 싸움터에 와 있다고 믿고 행동한다. 그래서 그들은 어떤 像이나 幡을 신성한 園林에서 옮겨와 싸움터로 가져간다. (8) Auspicia sortesque ut qui maxime observant: sortium consuetudo simplex. Virgam frugiferae arbori decisam in surculos amputant eosque notis quibusdam discretos super candidam vestem temere ac fortuito spargunt. Mox, si publice consultetur, sacerdos civitatis, sin privatim, ipse pater familiae...et... etiam...proprium gentis equorum quoque praesagia ac monitus experiri. Publice aluntur isdem nemoribus ac lucis, candidi et nullo mortali opere contacti; quos pressos sacro curru sacerdos ac rex vel princeps civitatis comitantur hinnitusque ac fremitus observant. Nec ulli auspicio maior fides, non solum apud plebem, sed apud proceres, apud sacerdotes; se enim ministros deorum, illos conscios putant... De minoribus rebus principes consultant; de maioribus omnes, ita tamen, ut ea quoque, quorum penes - 55 -
plebem arbitrium est, apud principes pertractentur. Coeunt, nisi quid fortuitum et subitum incidit, certis diebus, cum aut incohatur luna aut impletur; nam agendis rebus hoc auspicatissimum initium credunt...ut turbae placuit, considunt armati. Silentium per sacerdotes, quibus tum et coercendi ius est, imperatur. Mox rex vel princeps, prout aetas cuique, prout nobilitas, prout decus bellorum, prout facundia est, audiuntur, auctoritate suadendi magis quam iubendi potestate. Si displicuit sententia, fremitu aspernantur; sin placuit, frameas concutiunt. Germania X-XII 게르만족은 전조나 점괘로 吉凶을 간단하게 점치는 일을 신중히 생각하고 있다. 果樹에서 가지를 잘라내어 잘게 자른 뒤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하고 깔려있는 흰 천에 되는대로 아무렇게나 던진 다. 그러고 나서 공적인 일을 물을 때는 읍락의 사제가, 사적인 일 을 물을 땐 家長이 신들에게 빌어 점괘를 풀이한다...그리하여 말 에게서 전조와 경고를 구하는 것은 고유한 관행이다. 앞서 말한 숲과 원림에서는 한 번도 인간을 위해 일한 적이 없는 白馬를 邑 落費로 사육하는데, 이 말들이 신성한 車 앞에 매어지면 사제, 왕 이나 邑長이 그 뒤를 따라가며 말이 우는 소리와 콧김을 내뿜는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귀족과 사제들이 자신들을 神들의 종으로, 말을 신의 전령으로 여겼으므로 그렇게 점치는 방식을 - 群衆과 같이 가장 신뢰할 수 있다고 믿는다...사소한 일은 귀족들이 결 정하며 중대사는 온 공동체가 결정한다. 群衆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는 사안들도 귀족들이 사전 평의한다. 예기치 못한 사건이 갑자 기 일어나지 않은 한, 그들은 업무 처리를 위해 가장 상서로운 출 발점으로서 초하루나 보름날처럼 정해진 날에 집회를 연다... 군중 이 무기를 가지고 모여 앉게 된다. 복종을 강요할 권한이 있는 사 제들이 조용히 하라고 명령한 후에 나이, 신분, 군사적 업적, 달변 의 정도에 따라 왕이나 지도자의 말에 군중이 귀를 기울인다. 그 때도 命令力보다는 설득력이 더 중시된다. 어떤 제안이 마음에 들 지 않으면 고함을 질러 싫다는 뜻을 나타낸다. 그러나 마음에 들 면 槍으로 맞부딪친다. 는 사형 실시뿐 아니라, 또한 세 가지 요소에도 주목 하였다. 이는 후기의 사료를 통해서 바바리아 관습법의 정태적 Wenskus - 56 -
성격을 입증하려고 했던 것으로 첫째, 민회에서 歡呼나 창으로 맞부딪침으로 판결하는 방식, 둘째, 전쟁법에 있어서 종교적인 숭배의 양상, 셋째, 말을 神과 통화할 수 있는 매체(英: medium) 로서 이용해 점치는 절차 등이다. (9) Um dóma...en ef mann vill enn eigi ðom hallða. þa ʃculo ʃýʃlomenn ʃtemna honom þing. oc gera mann utlagan nema hann giallði ʃlict upp ʃem nu er ʃcilt. slict liggr oc við ef maðr rýfr ðom þann er ðomðr er a fróʃto þingi oc vapna tac at átt innan lögréttu oc utan... Frostaþing V 46 詔書134)[무시하는 사람을 상대로 하는 송사 의식]에 대하여...그렇 지만 무릇 어떤 자가 송사를 받아 오지도 않았다면 장관은 그를 민회로 데리고 가 이 사람이 추방되어야 하느냐고 물어본다. 그리 고 피고인은 속죄하지 않거나 Frosta[지명]의 민회 성원들이 民會所 內外에서의 바프나탁[창 맞부딪침]을 통해 결정하면 읍락에서 추 방된다. 상기하였듯이 Frostaþing의 법전은 1260년대에 성문화된 것이지 만, 절차에 관한 의식이 예전의 Germania의 서술과 비교해 보면 크게 변모한 것이 없어 보인다. 그리고 문헌적인 자료가 아니 라서 Germania로부터 토포스의 전파에 대한 가능성이 없다. 그 리고 2세기의 게르만족처럼 13세기의 노르웨이 민회에서도 민 회에 참석하는 群衆이 完全武裝한 모습이며 판결 여부에 대해 서도 동일한 의식을 거행했다는 것이 나타난다. (7)의 기사에서는 신성한 園林으로부터 神像 및 神幡을 옮기 는 것에 대한 내용이 내포되고 있다. Wenskus가 지적하였다는 것은 Heinrich 2세(973-1024)가 제3국을 침략할 목적으로 多神敎 的인 Liuzici(Veleti)족과 1003년에 맹약을 맺었는데 兩軍 사이에 마찰이 일어났던 사건 그리고 이를 둘러싼 多神敎에 대한 英: doom, 구색슨어: ǣ. 윗 조문에서 서술 된 詔書는 살인죄 및 음란죄를 규정하는 조서이다. 상기의 피고자는 詔書의 구속력으로 換刑에 처한 뒤에 속죄금을 지불하지 않았던 사람이다. 134) - 57 -
서술 을 설명한 것이다. (10) Post haec Liuzici nostris pridie, quam ad Oderam fluvium venirent, sotiantur, deos suimet precedentes subsequuti... Urbs estantiqua quedam, que Riedegost vocitata, in pago Rederirun, et est tricornis et tres in se continens portas, unaqueque per singula cornua, quam undique silva ab accolis intacta et venerabilis maxima circum dat. Due eius porte cunctis introeuntibus patent; tercia, que orientem respicit et minima est, tramitem ad mare iuxta positum et visu nimis horribile monstrat, que nulli facile patet. In eadem urbe nichil est aliud nisi fanum de ligno artificiose compositum, quod pro basibus diversarum bestiarum cornibus sustentatur. Huius parietes exterius ornant varie imagines deorum et dearum mirifice... interius autem dii stant manufacti, singuli nominibus suis in sculpti, galeis et loricis terribiliter vestiti, quorum primus Zuarasice dicitur et pre ceteris a cunctis gentibus veneratur et colitur. Vexilla quoque eorum, nisi ad expedicionis necessaria, et tunc per pedites, nullatenus moventur....sed Luitici redeuntes irati dedecus dee sue illatum deae suimet illatum queruntur. Nam haec in vexillis formata a quodam Herimanni marchionis socio lapide uno traiecta est; et dum hoc ministri eius imperatori dolenter retulissent, ad emendationem XII talenta perceperunt. Et cum iuxta Vurcin civitatem Mildam nimis effusam transire voluissent, deam cum egreio L militum comitatu alteram perdidere. Tam malo omine residui domum venientes a servicio caesaris se malorum instinctu abalienare nituntur; sed habito post communi suimet placito a prioribus suis convertuntur. Thietmari Chronicon VI 23, VII 64 我軍이 Oder江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 Liuzici족의 군대와 합쳐졌 다. 그리고 그 군대의 전위에는 그들의 神像이 있었다...이들에게 는 Redarii족의 소국에 三門이 있는 3각형 城이 있었다. 이 Rethra [波: Radogoszcz]라고 부르는 성은 무성한 수풀로 둘러싸여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다. 三門 중에 2개는 누구나 열고 들어갈 수가 있게 되어 있고, 세 번째 문은 가장 작고 무섭게 보이며 가까운 호수 쪽으로 東向하고 있다. 城內에는 神殿이 하나밖에 없다. 이의 토대 는 野獸의 뿔로 쌓아져 있고 건물 자체는 나무로 예쁘게 만들어졌 다. 벽에는 남신과 여신의 모습이 조각된 것이며...안에는 또 철구 와 갑옷을 걸치고 밑받침에 이름이 刻字되어 있는 神像이 있다. - 58 -
그들 중에서 가장 높이 여기는 신을 Zuarasice[波: Swarożyc]라고 부 른다. 神殿 이내에 平和 시에는 어느 곳에도 가지고 오지 않았던 幡이 있다. 싸움터로 나가게 되면 이를 步軍만 들고 있을 수 있 다...그런데 Liuzici족은 대왕에게 불평하러 왔다. 왜냐하면 Hermann 공작의 追從者 한 명이 幡의 女神像에 돌을 던져 파괴시켰기 때문 이었다. Liuzici족 사제들의 불평으로 인해 대왕은 12탤런트의 속죄 금을 지불해야 했다. 그리고 Vurcin읍락 근처의 수위가 높아져 Milda강을 건너가고 있을 때 정예 부대 50명으로 둘러싸인 두 번 째 神像도 물속에 빠져 잃게 되어, 나쁜 전조 및 나쁜 사람의 영 향이 미친다고 하여 다른 무사들은 후퇴하고 싶은 생각에 빠졌다. 결국 집회를 통해서 君長들이 그러지 말자고 설득하였다. 사건을 직접 보았던 사람에 의해 기록된 내용이라 여기도 토 포스 전파에 대한 해석은 맞지 않다. (8) 기사에서 나타났던 卜筮 및 白馬에 관한 의식에 대하여 분석해 보도록 한다. (11) Praeterea peculiarem albi coloris equum titulo possidebat, cuius iubae aut caudae pilos convellere nefarium ducebatur. Hunc soli sacerdoti pascendi insidendique ius erat... In hoc equo opinione Rugiae Suantovitus (id simulacro vocabulum erat) adversum sacrorum suorum hostes bella gerere credebatur. Auspicia quoque per eundem equum huiusmodi sumebantur: Cum bellum adversum aliquam provinciam suscipi placuisset, ante fanum triplex hastarum ordo ministrorum opera disponi solebat, in quorum quolibet binae e transverso iunctae spatiorum magnitudine conversis ordines in terram cuspidibus disparante. Ad quos figebantur, equus aequali ductandae expeditionis tempore, sollemni precatione praemissa, a sacerdote vestibulo cum loramentis productus, si propositos ordines ante dextro quam laevo pede transscenderet, faustum gerendi belli omen accipiebatur; sin laevum vel semel dextro praetulisset, petendae provinciae propositum mutabatur, nec prius certa navigatio praefigebatur, quam tria continue potioris incessus vestigia cernerentur.ad varia quoque negotia profecturi ex primo animalis occursu votorum auspicia capiebant; quae si laeta fuissent, coeptum alacres iter carpebant; sin tristia, reflexo cursu propria repetebant. Nec sortium iis usus ignotus exstitit; siquidem tribus ligni particulis, parte altera albis, altera - 59 -
nigris, in gremium sortium loco coniectis, candidis prospera, furvis adversa signabant. Gestum Danorum XIV 39.9-11 또, 기이한 것은 흰색 말이 한 마리가 있었는데, 이 말의 갈기나 꼬리의 털을 뽑는 것은 중죄로 다스렸다. 그래서 사제만 동물을 사육할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자기 神聖性의 원수들과 싸우기 위하여 Suantovitus [波: Świętowit] 라는 신이 직접 탔다고 Rugia섬에서 믿고 있었다... 이 말에 관한 儀式을 통하여 占을 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어떠한 小國 연합체를 침략하려고 한다면 神殿 앞에서 從人들이 3가지 -槍鏃으로 땅에 꽂힌 창 2개씩으로- 防柵 을 마련하였다. 이들 사이 거리가 동일하였다는 것이다. 그렇게 해 서 사제는 말을 굴레에 씌워 神殿의 마당에 데리고 나와 말이 방 책을 넘도록 하였다. 모든 방책을 오른 굽으로 하나씩 넘어 갔다 면 吉徵兆라 여겨 계획대로 침공하였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말이 먼저 왼 굽으로 넘어갔다면 아무리 오른 굽으로 남아 있는 방책 을 한번이라도 넘더라도- 침공기회를 실행하지 않았다. 바다를 통 한 침략도 마찬가지로 馬占을 통하여 3번 오른 굽으로 槍防柵을 넘어가지 않았다면 침략치 않았다. 전쟁뿐 아니라 다른 판결의 여 부도 마찬가지로 하였다. 三番與馬右蹄占의 儀式은 [하루에] 최초 의 행동만 중요시되며 어디를 가거나 집에 돌아가거나 불가피했던 습관이었다. 卜筮도 알고 있었다. 吉凶을 알기 위해서 한쪽에 白 色, 다른 쪽에 黑色이 있는 제비 3자루를 던져 알아보는 것이었 다. 상기는 Saxo Grammaticus가 자기의 Absalon이라고 한 대주교가 직접 보았던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기록했다는 것이다. 주교가 1168년에 Arkona에서 神殿을 파괴시켰던 공략에 참석하 여 포로로부터 제사에 대한 기초 정보를 모아 사서를 작성시 켰는데, 신빙성이 있는 기록으로 여겨도 된다. 말과 卜筮에 관 한 의식에 대한 기타 기록이 상대적으로 많다. 1191년에 Livonia를 개종시키는 과정에서는 Henricus de Lettis(?-1259)란 기록 자 가 단독으로 유사한 서술을 하였다. 그리고 위에 언급된 135) 135) 사료의 명칭은 Heinrici Cronicon Lyvoniae이다. - 60 -
Thietmari Chronicon VI. Germania. - 61 -
二. 게르만 및 古代韓國 慣習法의 性格 필자는 본고에서 관습법적인 요인으로 의례중심주의 및 그 의례중심주의가 내포하는 법과 종교 숭배와의 관계성, 口頭文 化의 조건, 屬人法的인 조건, 판례주의의 조건, 復古主義의 範 疇 등이 있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 장에서는 위의 요소들이 유 럽 바바리아인에게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나서, 고대 한국에 서도 유사한 요소가 존재했는지 여부를 검증해 보려고 한다. 의례중심주의의 경우만 Wenskus 방법론에 대한 부분에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고대 한국에서 상응된 요소를 거론한다는 것 이다. 1. 儀禮中心主義 1) 死刑의 宗敎的 意味 (5)의 기사에서 나타났듯이 유럽 바바리아 사형은 배신자 와 탈주자는 나무에 매달고, 겁쟁이와 병역 기피자와 性倒錯 者는 늪지의 진흙에 빠뜨려 나뭇가지로 덮는다 라고 한 구절 이 언급되었다는 것을 통해 死刑의 종교적인 성격이 제기되 었다. 고대 한국에 있어서는 사형이 비슷한 사상적인 토대를 가질 수 있었지만, 고유 종교에 대해 충분히 알 수 없으므로 정확히 입증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게르만인의 종교처럼 부분적으로 왕 중심의 제사에 흡수된 것은 틀림없지만, 인류 학계에서 folk polydoxy 라는 이름하에 알려져 있는 제도이다. 136) 본 宗敎制는 4가지 요소가 포괄되어 있다: 1. 魔法的인 儀式의 效率性에 대한 신임 2. 亡人의 神靈에 대한 신앙 3. 자연숭배 4. 惡鬼에게 害損을 포기하는 대책으로 희생을 치르는 제사의 136) - 62 -
北史 高句麗傳에서의 其刑法 叛及謀逆者 縛之柱 爇而斬 之 籍沒其家 란 기사를 보면 火刑137)에 있어서 受刑者는 천 상의 신령에게 희생될 가능성이 있으며, 목을 자르는 것은 地祇에게 희생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비교적 많은 고대 한국 형벌의 竝存的(英: composite)인 성격을 설명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추정된다.138) 한편, 음란죄 에 관한 다음의 기사 2장은 화형과 개념적인 연결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2) 百濟의 池津媛은 天皇이 장차 부르려고 하는데도, 石川楯과 통하였다... 天皇이 크게 노하여, 大伴室屋大連에게 詔하여 來目部 로 하여금 부부의 사지를 나무에 묶어 매어 임시 자리위에 놓고, 불로 태워 죽였다.139) (13) 하루는 善德王이 南山에 놀러가는 것을 기다려 마당 가운데 나무를 쌓고 불을 질러 연기가 일어나게 했다. 王이 바라보고 무 슨 연기냐고 물으니, 左右가 아뢰기를 아마 庾信이 누이를 태우려 고 함인 것 같다고 하였다. 王이 그 연고를 물으니, 대답하되 그의 존재. 특히 마지막 양상은 수입된 규범적 윤리와 대립의 이유가 되었다는 것이다 (Urbańczyk P., 2008, Władza i polityka we wczesnym średniowieczu, Wydawnictwo Uniwersytetu Wrocławskiego). 그것은 駕洛 國記 에서 서술하길: 端午日廟謁之祭 英規之子俊必又發狂 來 詣廟俾徹間元之奠 以已奠陳享三獻未終 得暴疾歸家而斃 然古 人有言淫祀無福 反受其殃 前有英規後有俊必 父子之謂乎. 137) 바바리아인들에게 반역죄를 화형에 처했던 사건들에 대한 가강 자세히 서술된 사서는 1326년의 Petrus von Dusburg에게서 작성된 Chronicon terrae Prussiae III권 82 91 145조들이다. 138) 반증으로는 율령 측면에서 한국 고대 법제를 연구한 홍승우가 고구려 사형 기사를 棄市로 해석한다. (홍승우 2011 韓國 古代 律令의 性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쪽) 139) 日本書紀 第14卷 雄略 二年秋七月: 百濟池津媛 違天皇將辛 婬於石川楯... 天皇大怒 詔大伴室屋大連 使來目部張夫婦四支於木 置假庪上 以火燒死.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233쪽) - 63 -
누이가 남편 없이 妊娠한 까닭이라 하였다. 王이 가로되 이것이 누구의 所爲냐 하였다. 마침 公이 앞에 모시고 있다가 얼굴빛이 크게 변하였다. 王이 말하되 이것이 너의 所爲니 속히 가서 救하 라 하였다. 公이 命을 받고 말을 달려가서 죽이지 말라는 뜻을 傳 하고 그 후에 곧 婚禮를 행하였다.140) 유럽 중세기 중기의 규범적인 윤리에 대한 기본 사료인 Libri Poenitentiales의 정의에 따르면, 상기의 범죄는 corpore infames[淫亂 罪]라고 부르며 전자는 adulterium cum uxore seu sponsa aliena [기혼녀 와 간음죄], 후자는 fornicatio [미혼녀와 간음죄]라고 하였다141). 양자 에 처하였던 사형이 화형이었다는 사실을 보면 게르만 관습법 과 차이가 보이지만, 상호 차이는 다신교적인 사상에서만 있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12) 기사와 같은 경우를 보 면 관습법은 속인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池津媛은 왜왕 에게서 신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고대 한국 관습법이 서술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13)의 구절에서도 유사한 문제점이 보이지 않을까. 주목할 만 한 것은 이 사건이 고대 한국 법적 문화에 있어서 과도기에 진행된 것이라, 관습법이나 중앙권력의 제정법 규정에 따라 실 시된 벌인지 분명하지 않다. 그렇지만, 기록은 7세기의 것으로 시간적 범위에 내포되지 않는 점에 유의하여 귀납법을 사용함 으로써, 文姬가 어떤 정황에서 화형을 받게 되었는지 살펴보아 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이 내용에서 유신 가장권 하에 있는 文姬가 형벌을 당하였다 三國遺事 1 太宗春秋公 : 一日俟善德王遊幸南山 積薪於庭 中 焚火烟起 王望之問何烟 左右奏曰殆庾信之焚妹也 王問其 故曰 爲其妹無夫有娠 王曰是誰所爲 時公呢侍在前 顔色大變 王曰是汝所爲也 速往救之 公受命馳馬 傳宣沮之 自後現行婚 禮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222쪽 ) 141) Matwiejczuk P., 2007, Pokuta kościelna w świetle penitencjałow z terenów Francji i Italii z VIII i IX wieku, ed. Koczerska M., Karolińscy pokutnicy I polskie średniowieczne czarownice, Dig, 51쪽 140) - 64 -
는 것은 배우자의 정체를 알려주지 않았다는 것 때문에 그렇 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없다. 그리하지 않았다면 문벌의 체면손상이 되어 사통자가 합법적으로 여자 의 家長에게서 형벌을 당할 수 있는 규범적 가능성이 존재했 던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물론, (13)의 기사 주인공인 태종춘추 공이 새로운 법 체제 하에 살며, 사회 위치가 높고, 군주 앞에 서 사안에 대하여 알게 된 것도 두려워했는데, 이는 顔色大 變 했던 이유가 7세기의 신라 지배층에게 아직도 관습법 적인 가치관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하였기 때문일 것이 다. 그렇다고 하면, 중앙권력 집단과 관계가 없는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 어떤 사통죄인은 예전 시기에 관한 중 국정사의 기사에서 기록되었듯이 사형까지 당할 수 있다 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이런 가능성을 배제하면 處 容說話 조차도 이해할 수 없게 된다. 그러한 법적 행위에 대한 춘추공의 반응의 원형(英: archetype)을 예전 시대나 기타 고대 한국 지역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李奎報의 東明王篇 에서의 기사는 바로 상기 사건의 규범적 배경에 빛을 던져 줄 수가 있다. 여기서 사통자가 누구인지 알게 되어도 잡을 수 없으며 혼인시킬 수도 없 다면 가장권 하의 여자를 체형 명예형에 처하였는데 死 刑에 이르지는 않는 편이었다. 즉 柳花가 자기의 羞恥만 이 아니라 가문의 수치에 대하여 말할 수 없게 되자 河 伯한테서 挽吻三尺施 되었다는 해석은 온당할 것 같 다 142). 상기 상황의 또 다른 법문화적 토대는 고대 한국에서는 여자 의 貞節을 중요하게 여겼던 사회였다는 추정이 될 수 있는 것 이다. 그것에 대한 반증으로 파악할 수 있는 구절을 우선 재검 토해 보도록 한다. 隋書 靺鞨傳의 기사에 의하면 말갈족에게 142) Gardiner K.H.J., 42 쪽 1982, The Legends of Koguryǒ, Korea Journal 22, Feb. - 65 -
풍속이 음탕하고 투기가 많다. 남의 아내가 외간 남자와 간통 한 것을 어떤 사람이 남편에게 알려 주면 남편은 즉시 아내를 죽이는데, 죽이고는 후회를 하여 반드시 알려 준 자를 죽이곤 한다. 이로 말미암아 간음에 대한 일은 끝내 폭로되지 않는 다143). 라고 한다. 또, 北史 勿吉傳에 따르면 결혼 첫 날 밤에는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서 여자의 유방을 만져 보는 것으로 끝낸다. 144) 하지만 상기의 기사를 부분적 왜곡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中華 편찬자들이 물길을 오 랑캐 가운데에서도 가장 불결 하게 보고 있었는데 본 기사를 객관적 기록으로서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문제시된다. 필 자는 金九鎭과 달리145)- 본 구절은 물길 집단들이 여자의 貞節을 중요하게 여겼던 사회의 한 부분을 보여 주는 것이 아 닐까 지적하고 싶다. 게르만에게는 Lex Salica XXVI-4조를 보면 많은 관습법에 執女乳罪가 내포되어 있다. 관습법 하에 사는 집단들의 대부분이 이런 행위를 범죄로 인정하고 있었다는 것 이다. 勿吉에 있어서 범죄인이 벌을 받거나 혼인해야 하였다는 규 칙도 존재하고 있지는 않았을까 추측해 보는데, 이는 中華人들 이 유사한 사건에 대한 소문을 듣고 왜곡된 방식으로 관습법 규칙을 기록했다는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告者를 죽이는 것에 대한 일부는 가장권을 위반하는 것으로 파악하면 된다. 그리고 규범적인 법속에 따르면 사통녀가 사형 에 처해지고 말았다는 것은 중요하다. 즉, 집단이 犯染을 당하 지 않도록 남편이 벌을 실행하기 싫어했음에도 실행해야 한다 는 의무가 있었다는 것이다. 결국, 백제의 음란죄에서도 妻를 婢로 취급하였던 규정을 명예중심주의적 사회에서 死刑의 減 初婚之夕 男就女家 執女乳而罷 妬 其妻外淫 人有告其夫 夫輒殺 妻而後悔 必殺告者 由是姦淫事終不發 (서영수 편, 1987 中國正 史朝鮮傳 2 국사편찬위원회, 198쪽) 144) 初婚之夕 男就女家 執女乳而罷 (서영수 편, 1987, 앞 책, 108쪽) 145) 서영수 편, 1987, 앞 책, 213쪽 143) - 66 -
輕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의문이다. 그래서 본고의 문화권 영역 틀에 있어서는 법적인 규칙이 상대적으로 동질적이었다고 고 려하고 있다. 음란죄에 관한 사형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고대 한국 관습법 은 여성의 貞操를 잘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없는 반증자료가 있다. 한편, 日本書紀 第20卷 敏達 十二年冬十月 條에 의하면 이해 또, 吉備海部直羽嶋를 백제에 보내 日羅를 보려고, 혼자서 그 집의 문 앞까지 갔다. 조금 있다가 집안에 서 韓의 부인이 나타나서 韓語로 그대의 根을 나의 根속에 넣어라 라고 말하고 바로 집으로 들어갔다. 羽嶋는 그 뜻을 깨 닫고 곧 따라 들어갔다. 146)라고 한다. 이 문단은 외설 淫亂 的 인 성격을 가졌던 것으로 파악할 수가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는 않다고 추측된다. 즉,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295호 목간이 남근형을 가지고 있는데147), 본 기록은 이와 같은 유물들을 이 용한 의례를 통하여 약정을 맺은 것에 대한 기록으로 해석하 는 것이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추정된다. 또, 외설적인 의식이 비교적 많은 당시의 일본에서 특수한 것으로서 기재된 것이라 본 추측은 약간이라도 사실에 가까워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하여튼, 한국에서 음란죄는 화형과 관계가 밀접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고대 한국의 사형 의례를 또 다시 살펴보면, 溺死刑이 대표적 인 것으로 보인다. 이기백148)은 기본적인 三國史記 의 기사 를 넘어 고려시대의 사례까지 언급하고 있다. 그렇지만 후대에 是歲 復遣吉備海部直羽嶋 召日羅於百濟 羽嶋卽之百濟 欲先私日 羅 獨自向家門底 俄而有家裏來韓婦 用韓語言 以汝之根 入我根內 卽入家去 羽嶋便覺其意 隨後而入 (전용신 역, 2002 일본서기 일지사, 361쪽) 147)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편 2004 한국의 고대목간 예맥출판사 248-259쪽, 손환일 2011 한국 목간의 기록문화와 서체 서화미 디어 14쪽 148) 이기백, 1996 韓國古代 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36쪽 146) - 67 -
이르러 高麗史 129권 崔忠獻傳 및 太祖實錄 15권 7年 10 月 庚午條에 나오는 菊花의 死刑, 櫟翁稗說 前集二條에서 조차 본 형벌이 고대 한국 관습법과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받 아들이는 것149)은 과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것보다 익사형에 대해 정확히 나타나고 있는 기사는 高 句麗本紀 17권 中川王 4年 4月條150) 및 百濟本紀 26권 武寧王代 苩加蜂起(元年春正月)條에서 기록되고 있다151). 여기 에서 조사해야 할 대목이 두 가지가 있다. 상기의 溺死刑 실행 과 늪지로 던져버린 형벌 실행과의 관계성, 그리고 -결과적으 로 본 형벌의 종교적인 성격 존재 여부에 대한 의문이다. 의 방법론을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恐其加害 反讒后於王曰 王后常罵妾曰 田舍之女 安得在此 若不 自歸 必有後悔 意者后欲伺大王之出 以害於妾 如之何 後王獵于箕 丘而還 夫人將革囊迎哭曰 后欲以妾盛此 投諸海 幸大王賜妾微命 以返於家 何敢更望侍左右乎 王問知其詐 怒謂夫人曰 汝要入海乎 使人投之 [(貫那夫人)이 자기에게 해를 가할 것을 염려하여 거꾸 로 왕에게 왕후를 참소하였다. 왕후가 항상 저를 이렇게 꾸짖었 습니다: 田舍 여자가 어떻게 여기에 있을 수 있느냐? 만약 스스 로 돌아가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할 것이다 생각건대, 왕후가 대 왕께서 나간 틈을 엿보아 제게 해를 가하려고 하는 것이니, 어찌 하면 좋겠습니까? 훗날 왕이 箕丘로 사냥 나갔다가 돌아오니, 부 인이 가죽 주머니를 들고 왕을 맞이하여 울면서 말하였다. 왕후 가 저를 이 속에 담아 바다에 던지려고 하였습니다. 대왕께서는 저의 작은 목숨을 살려 주시어 집으로 돌려보내 주십시오. 어찌 감히 다시 곁에서 모실 것을 바라겠습니까? 왕은 주위에 물어보 고 그것이 거짓임을 알고 노하여 貫那夫人에게 네가 꼭 바다 속 으로 들어가야겠느냐? 고 말하고는 사람을 시켜 던져 버렸다] (한 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삼국사기 2, 326쪽) 151) 佐平苩加據加林城叛 王帥兵馬至牛頭城 命扞率解明討之 苩加出 降王斬之 投於白江 [좌평 苩加가 加林城을 근거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군사를 거느리고 牛頭城에 이르러 扞率 解明에게 명령하여 토벌하게 하였다. 백가가 나와 항복하자 왕은 그의 목을 베어 白江에 던져버렸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삼국사 기 2, 471쪽) 149) Wenskus 150) - 68 -
일단, 黑齒俊 墓誌銘에 의하면 백제를 澤國 으로 부르게 되 며, 늪지가 많은 나라 라는 분석은 가능했다는 것이다. 유감 스럽게도 이것은 경치 서술과 같은 것인지, 아니면 나라에서 늪에 관한 地祇 숭배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인 지 명료하지는 않다. 기타 사서에서 神泥洞 과 같은 지명도 적 지 않는 것은 후자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그렇지 만 상기와 같은 지명은 沼澤으로부터 褐鐵石을 채취했던 것에 준거할 수가 있어, 늪지의 초자연적인 양상을 지적하지 않는 다. 또한 기록을 통하여 이런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없 어 보인다. (14) 法師池: 현의 남쪽 18리에 있음. 가뭄이 들면 호랑이 머리를 [늪지에] 넣으면 곧 비가 왔다.152) 고대로 돌아오면 호랑이의 머리를 못에 넣은 의식은 유사한 방식으로 유행하지 않았을까 생각된다153). 그렇지만 본 기사는 기우제와 연결 짓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기록을 보면 늪지뿐만 아니라 溺死 의식도 종교 적인 뜻을 가졌다는 추정이 사실에 더욱 가까워지지 않을까 생각되어 살펴보고자 한다. (15) 바다 가운데 이르러 폭풍이 갑자기 일어나, 왕의 배는 표류 하여 건널 수가 없었다. 그 때에 왕을 따라온 여인이 있었다. 弟橘 媛이라고 한다. 穂積氏忍山宿禰의 딸이다. 왕에게, 천한 첩의 몸을 152) 新增東國輿地勝覽 제27권 靈山縣 山川: 法師池 在縣南十八里 天旱沉虎頭即雨 (민족문화추진회 편, 박종화 역 1971 新增東國 輿地勝覽 4, 36쪽) 153) 17세기 사료를 언급하면 淸陰集 28권 刑曹參議條에서의 다 음과 같은 羅公萬甲에 대한 銘文도 있다: 誰爲厲階 竟竄海濱 生 辱泥塗 死列星辰. 고대 관습법의 흔적에 대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 69 -
왕의 목숨에 대신하여 바다에 들어가려고 합니다 라고 말하였다. 말이 끝나자 파도를 헤치고 들어갔다. 폭풍은 곧 그쳤다.154) (16) 또 북쪽 내의 큰물을 막으려고 茨田堤를 쌓았다. 이때 쌓으 면 무너지는 막기 어려운 곳이 두 군데 있었다. 天皇이 꿈을 꾸니, 신이 가르치길 武藏人 强頸과 河內人 茨田連衫子 두 사람으로 하 여금 수신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하면 반드시 막을 수 있을 것이 다 라고 말하였다. 그래서 두 사람을 찾아내었다. 그리고 수신에게 제사를 지냈다.155) (17) 惠曇池...사람들에 의하면 연못의 바닥에는 토기와 항아리, 납 작기와 등이 아주 많이 있다. 옛날에는 가끔 사람이 물에 빠져 죽 었다고 한다.156) (18) 배가 鵠島에 이르렀을 때에 風浪이 크게 일어나 10여 일동안 묵게 되었다. 公이 근심하여 사람을 시켜 占을 치니, 가로되 섬에 神池가 있으니 제사지내면 좋겠다 하였다. 이에 못 위에서 祭典을 차려 놓으니 池水가 한길 以上이나 용솟 음쳤다. 그날 밤 꿈에 한 老人이 나타나 公에게 이르기를 활을 잘 쏘는 사람 하나를 이 섬에 머물게 하면 順風을 얻 으리라 하였다. 公이 꿈을 깨어 左右에게 물어 가로되 누구 를 머물게 하면 좋을까 하니, 衆人이 가로되 木簡 五十片에 154) 日本書紀 제7권 景行 40年 冬10月 壬子: 乃至于海中暴風忽起 王船漂蕩而不可渡 時有從王之妾曰弟橘媛 穂積氏忍山宿禰之女也 啓王曰今風起浪泌 王船欲沒是必海神心也 願賤妾之身 贖王之命而 入海 言訖乃披瀾入之 暴風即止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134쪽) 155) 日本書紀 제11권 仁德 11年 冬10月: 又將防北河之澇 以築茨 田堤 是時有兩處之築而乃壞之難塞 時天皇夢 有神誨之曰 武藏人强 頸 河內人茨田連衫子...二人以祭於河伯獲塞 則覓二人而得之 (전용 신 역 앞 책, 190쪽) 156) 出雲風土記 412-415: 惠曇池...俗人云 其底陶器瓺甀等類多有 也 自古時人溺死 - 70 -
우리들의 이름을 各各 써서 물에 넣어 제비를 뽑자 하였다. 公이 그대로 하였다. 군사 居陀知란 자의 이름이 물에 잠기 었다.157) 유감스럽게도 이 기록은 익사에 관한 인신희생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지만, (17)의 경우에만 형벌의 사건을 완 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18)의 기록에서는 제비를 뽑는 관 습이 법적인 절차로 마감되어 있는데, 사형과 관계가 없는 것이다. 말하자면 관습법에서의 의례중심주의를 검증하였음 에도 불구하고, 익사형의 종교 의식과의 연결성을 사료를 통 해 검증하기 힘들다. 늪지가 형벌과 관련성이 있는 것은 (19)의 기사만 해당이 된다고 본다. (19) 신의 죄는 죽어도 오히려 남음이 있어 南山의 대나무로도 신의 죄를 다 기록할 수 없고 褒斜의 수풀로도 신을 처벌할 형틀 을 만들기에 부족할 것입니다. 저희 종묘와 사직을 헐어 늪과 연 못으로 만들고 신의 몸을 찢어 죽이더라도 사정을 듣고 판단을 내 려주신다면 죽음을 달게 받겠습니다. 신의 관을 옆에 놓고 진흙 묻은 머리도 말리지 않은 채 피눈물을 흘리며 조정의 처분을 기다 려 삼가 형벌의 명을 따르겠습니다.158) 三國遺事 2卷 2紀異 眞聖女大王: 舡次鵠島...風濤大作 信 宿浹旬 公患之 使人卜之曰 島有神池祭之可矣 於是具奠於池 上池水湧高丈餘 夜夢有老人謂公曰善射一人 留此島中可得便 風 公覺而以事諮於左右曰留誰可矣 衆人曰宜以木簡五十片書 我輩名沈水而鬮之 公從之軍士有居陀知者名沈水中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廣曺出版社 259쪽) 158) 三國史記 7권 文武王 下 12年 9月: 臣之罪 死有餘刑 南山之 竹不足書臣之罪 褒斜之林未足作臣之械 瀦池宗社 屠裂臣身 事聽勅 裁 甘心受戮臣櫬轝在側 泥首未乾泣血待朝伏聽刑命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편, 1995 삼국사기 2, 157쪽) 157) - 71 -
이 기사에서 瀦 와 泥 兩字는 동일한 謝罪的인 문맥 내에 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沼澤 에 빠 뜨리는 벌은 익사형 및 종교적인 희생에 관한 것으로 생각하 면 오류가 아닐 것 같다. 여기에서 고대 한국의 미신 법에 대 하여 주목해야 할 점이 있다. 우선, 기타 집단과의 관계가 관 습법에 따라 결정되었다는 점이며, 두 번째로 법적 판결에 있 어서 종교적인 요소에 대한 점이다. 2) 戰爭法에 關한 儀式 전쟁의 법적양상을 입증하는 표현적인 토대부터 고찰하고자 한다. 관습법 지배하에 있는 집단에 있어서는 여러 범주 중에 서 전쟁도 있었다는 것을 G. MacCornack 이 제시했는데, 간 략하지만- 史記 로부터 新唐書 에 이르기까지 원수와 전쟁을 했다는 것은 대부분 경우에서 법적인 표현으로 서술되 어 있다160). 문학적인 이유로 그랬는지 관습법의 보편성으로 159) 40쪽 160) 그것에 대한 본격적인 내용은 漢書 권22 23에 내포되어 있다 (Hulsewe, 1955, Remnants of Han Law, J.Brill, 322쪽). 史記 東越 列傳 에서의 與其率从繇王居股谋曰 馀善首恶劫守吾属 今汉兵至 众彊 计杀馀善自归诸将 傥幸得脱 ; 舊唐書 蘇定方傳 및 劉仁願傳 에서의 破賊, 斬, 賊之巢穴 ; 新唐書 蘇定 方傳 : 賊, 唐紀 高宗中之上 조에서의 明賞重罰 以起士心 등과 같은 문체론에 대한 말이다. 그렇지만 유럽의 바바리아에서 도 전쟁에 대해서 법적인 양상으로서 감안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Annales Regni Francorum 753년조에서는 Eodemque anno Stephanus papa venit in Franciam, adiutorium et solatium quaerendo pro iusticiis sancti Petri. [금년에 Stephan교황님은 도움과 위안을 얻으러 프랑크족 왕국에 오셨다. 성Petro의 주교관구로부터 정의로운 판결 을 받으려고 오셨다.] 여기서 정의로운 판결 은 랑고바르트족의 159) MacCornack, 1990, Traditional Chinese Penal Law, - 72 -
그랬는지 정확히 검증해야 할 필요가 남아있지만, 고대 한국 사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쟁 자체도 관습법적인 복수제 안 에 내포되는 개념으로 주지된 것이다. 三國史記 25卷 蓋鹵 王 18年條에 舊怨 이란 표현과 廣開土大王碑에서의 殘不服義 敢出百戰王威赫怒 란 표현이 중국사서에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는 讐, 復, 恚 字에 대비하면 그렇게 작성된 사실이 표현 수입이 아니고 고유적인 전쟁의 법적양상을 제시한 것이라 감 안된다. 또, 전자의 비석에서 王以稗麗不貢 [人]躬率往討過富 山 [負]山至鹽水 上破其三部洛六七百營牛馬群羊不可稱數 을 살 펴보면 서술적인 방식으로 복수를 집행하거나 속죄금을 노획 물로 얻었다는 사실을 제기하고 있다. 본 내용을 작성하였다는 것은 중화적인 영향이 아니라고 추측된다. 한편, 원수의 군대 가 斬首, 殺虜 나 殺獲 되었다는 표현이 중국사서에서도 자 주 나타나는 편이다. 대표적인 사례로서 三國遺事 4권에서 나타나고 있는 山賊 도 그렇다. (20) 때는 太祖가 東征하여 淸道地境에 이르렀는데 山賊이 犬城에 모여, 교만하게 소리를 내며 항복치 아니하였다.161) 또, 전쟁법은 숭배적 의식과 관련된 행위였다는 것은 우선 고 구려 벽화의 안악3호분 行列圖 중간 부분을 보면 巫覡像162)이 나타나고 있다. 日本書紀 를 해석해 보면 관습법이 유사한 Aistulf왕을 敗하게 한다는 주지의 史實이다. 三國遺事 4권 寶壤梨木: 適太祖東征 至淸道境 山賊嘯聚于 犬城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390쪽) 162) 기병대 앞/북을 치는 人像 뒤에서 위치한 여성들은 묘지 주인 공의 관할권 하의 인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모 습은 무용총, 장천1호분, 수산리고분이나 삼실총 벽화에서의 女體 像과 다르며 군사적인 배경에서 의례용품을 손에 쥐고 있는 것도 상투머리에 장식을 쓴 巫覡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최광식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249쪽). 161) - 73 -
집단 사이에서 의식화된 수준이 상당히 높아 보였다는 것이 사실이다. (21) 百濟의 왕자 餘昌(明王의 자, 威德王이다)은 나라 안의 모든 군사를 일으켜 고구려에 가서 百合野의 요새를 쌓고 병사와 침식 을 같이하였다. 저녁에 멀리 바라보니, 넓고 기름진 언덕과 평평한 들에 인적은 드물고 개 짖는 소리도 끊어졌다. 그런데 홀연히 극 히 짧은 사이에, 북과 피리 소리가 들려왔다. 餘昌은 크게 놀라 북 을 치며 대응하였다. 밤을 새워 굳게 지켰다. 새벽에 일어나 광야 를 보니 푸른 산을 덮은 듯이 깃발이 가득하였다. 밝은 무렵에 머 리 부분에 갑옷을 입은 자가 1騎, 징을 가진 자가 (鐃는 미상) 2 기, 범 꼬리를 머리에 꽂은 자가 2기, 합해서 5기가 말고삐를 나란 히 하고 나와서, 부하들이 말하기를 우리 들판에 손님이 왔다라 고 하였다. 마중하여 예로 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원컨대 나와서 예로써 응답하는 사람의 성명, 나이, 지위를 속히 말하시오 라고 말하였다. 餘昌이 대답하여 姓은 同姓이고, 지위는 杆率, 나이는 29세 라고 말하였다. 다음 百濟측에서 물은즉, 전의 법도에 따라 대답하였다. 그래서 깃발을 세우고 合戰하였다. 백제는 창으로 고 구려의 용사를 말에서 찔러 내려 목을 베었다. 머리를 창 끝에 꽂 아들고 돌아와서 군사들에게 보였다. 고구려의 장병은 격노하였다. 이때 백제의 환성이 천지를 흔들었다. 또한 그 副將들이 북을 쳐 격렬하게 싸워 高句麗의 왕을 東聖山 위로 퇴각시켰다. 163) 日本書紀 第19卷 欽明 十四年 冬十月庚寅朔己酉: 百濟王子餘 昌 明王子 威德王也 悉發國中兵向高麗國 築百合野塞眠食軍士 是 夕觀覽鉅野墳腴平原瀰迤人跡罕見犬聲蔑聞 俄而儵忽之際聞鼓吹之 聲 餘昌乃大驚 打鼓相應 通夜固守凌晨起見曠野之中 覆如靑山旌旗 充滿 會明有着頸鎧者一騎 揷鐃者 鐃字未詳 二騎珥豹尾者二騎幷五 騎 連轡到來問曰 少兒等言於吾野中客人有在 何德不迎禮也 今欲 早知與吾可以禮問答者姓名年位 餘昌對曰 姓是同姓 位是杆率 年卄 九矣 百濟反問 亦如前法而對答焉 遂乃立標而合戰 於是 百濟以鉾 刺墮高麗勇士於馬斬首 仍刺擧鼓於鉾末還入示衆 高麗軍將 憤怒益 甚 是時 百濟觀呼之聲可裂天地 復其偏將打鼓疾鬪 追却高麗王於東 163) - 74 -
상기 내용에서 주목해야 할 점이 세 가지가 있다. 첫째와 둘 째는 전투마법 규정에 있어서 의례용품 및 祭力(英: sacerdotal power/function)이 있는 者의 존재여부, 세 번째는 점을 치는 규정 에 대한 것이다. 우선, 위의 내용 중 旌旗 라는 것은 예전 幡 [はた], 이후의 旗印 [はたじるし]이었다는 점이다. 싸움터에 있어서 각 영역 집단마다 자기의 幡만 아니라 風土記 에 나오는 謠/言舉[こ とあげ]도 가지고 있어서 이 전투마법적인 요인이 중요시되었 던 의식을 가르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20) 기사에서의 嘯 字가 謠 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면 된다. 또, 旗 에 돌아와 出雲에서의 因幡[いなば]이란 聖地의 稱名을 보면 종교적인 의미까지 내포하고 있는 성물이었다고 간주해도 좋을 것이다. 한국사서에 있어서 三國史記 24권 近肖古王24年冬11月조 의 大閱於漢水南 旗幟皆用黃 을 염두에 두고 음미해 보면 다 음과 같다. 본 내용을 세 가지 방식으로 분석하면, 우선 왕조 가 군대를 주관하는 것은 이미 4세기 중엽부터 권력이 中央集 權化되며 씨족마다 자기 幡 하에 싸우지 않고 동일하게164), 中 華로부터 백제의 독립성이 강조되는 旗幟하에 싸웠다는 모습 이 서술된다는 것이다. 이런 해석은 두 가지 약점이 있다. 왕 권의 군사적인 전제화가 너무 소급된 모습이다. 그리고 이 시 대에는 황제들이 이용하였던 黃旗와 동일한 기호를 쓰는 것에 대하여 강조할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4세기 중국의 정치적 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며 백제의 독립된 성격이 당연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한편, 山崎雅稔165)의 의견에 따르면, 당시 聖山之上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340쪽) 164) 홍승우, 2011 韓國 古代 律令의 性格, 92쪽 165) 山崎雅稔 저, 李鎔賢 역, 2002 廣開土王時代 高句麗의 南進 과 倭王權의 展開, 廣開土太王과 高句麗 南進政策 165쪽 - 75 -
백제는 倭王에게 七支刀를 보내는 등 小華的인 국제질서를 실 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것은 소급된 것으로 생각 한다. 오히려 三國史記 는 김부식의 국제질서에 대한 사견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두 번째 해석이 더욱 사실에 가깝다. 그렇지만 그가 현존하는 백 제 사료를 언급하며 기록하였던 내용이라면 旗幟에서의 黃 이 라는 것은 어떠한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았을까 파악하는 것이 순리라고 생각한다. 국가 개념이 아직 보편적인 것이 아 니었으며, 三國史記 의 신빙성을 부정하지 않는 해석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전쟁마법과 관련된 유럽 바바리아의 Radogoszcz에 관한 (10) 기사에서의 건물과 유사한 神殿이나 전쟁법에 관한 의례용품이 존재하고 있었을까 살펴보도록 한다. 고대 한국에 있어서는 소국 연합체 단위에게는 隧神 이나 日神 과 같은 숭 배대상이 있으며, 三國志 馬韓傳의 別邑爲蘇塗 에 대한 구절 을 통해 읍락 융합체 단위에서도 피난처인 聖地가 입증되고 있다. 이처럼 널리 알려진 내용은 군사적인 행위와의 관계성 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삼국사기 21권 보장왕 4 년 5월조에서 기록된 것 중, 요동성이 위기에 빠지자 미녀를 사당에 배알 시켰다는 사건에 대한 내용은 전쟁과 제사의 관 계성을 가리킨다. (21)의 기사로 돌아와, 儀官에 관한 요소를 살펴보면, 揷鐃者 에 관하여 갑옷을 입지 않았던 儀官을 가리키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된다. 한편, 왕의 전투 祭力에 대해 가장 잘 표현하 는 기사는 三國遺事 권1 紀異篇 善德王知幾三事條에서 나 타난다. 이것은 시간이 갈수록 태왕은 종전 天君의 기능을 얻 게 되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는 기록이다. 결국, 南山新城을 성립할 때도 作後三年崩破者罪 라고 하는 비 문이 현존된다. 본 율령의 규정이 관습법에서 온 것을 흡수했 - 76 -
던 것은 아닐까 생각된다. 大邱戊戌銘塢作碑나 明活山城作城碑 에서 볼 수 있듯이 단순한 威脅主義를 넘어 건축과정에서 참 석자의 정확한 명칭이 기록된 것보다 관습법에서 찾을 수 있 는 더욱 깊이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 앞으로 검토해보면 된다. 적어도 위의 비석들을 세우는 과정에서 예전 시대로부터 전해온 의례적 절차를 부분적이라고 해도- 밟을 수 있었던 연계성이 없지 않다. 여하튼 상술된 필자의 해석이 자의적인 것으로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군사행위를 보면 고유 종교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가 충분히 나타난다. 그것에 대한 규정은166) 종전의 관습법에 의거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암시 된다. 3) 節次行爲에 關한 占치는 儀式 (21)의 구절로 돌아와, 세 번째 문제점은 정치적인 판결을 둘 러싼 절차 규정이 占치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는 것이다. (21) 의 기사에서 의례적인 단계로 나누어진 神判 決鬪는 吉凶 前 兆的인 기능을 당연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Germania X의 서술과 유사성이 눈에 띤다고 생각된다.167) 기타 (7)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신판에 있어서는 더욱 깊은 비교연구가 필요하지만, 일단 다음 과 같은 기사를 언급한다: Est et alia observatio auspiciorum, qua 166) 167) gravium bellorum eventus explorant. Eius gentis, cum qua bellum est, captivum quoquo modo interceptum cum electo popularium suorum, patriis quemque armis, committunt: victoria huius vel illius pro praeiudicio 점치는 방법이 하나 더 있는데, 어려운 전쟁결과의 예측에 대 한 것이다. 싸우려고 하는 종족의 성원을 어떻게든 포로로 잡아 자기 부 족의 성원과 각자 자기의 대표적인 무기를 이용하여- 결투를 시킨다. 어느 편이 승리하든 그것이 징조로 여겨진다.] 북게르만에서의 결투 신 판은 hólmgang이라고 하여 그 규칙에 대해 가장 잘 묘사된 것이 accipitur. [ - 77 -
Kormaks saga X.30 에 나타난다: þat voru hólmgangulǫg at feldr skal vera V alna í skaut ok lykkjur í hornum; skyldi þar setja niđr hæla þá er hǫfuđ var á ǫđrum enda, þat hétu tjǫsnur; sá er um bjó skyldi ganga at tjǫsnunum svá at sæi himin milli fóta sér ok heldi í eyrasnepla međ þeim formála sem siđan er eptir hafđr í blóti því at kallat er tjǫsnublót. þrir reitar skulu umhverfis feldinn fets breiđir; út frá reitum skulu vera stengr iiij ok heita þat hǫslur; þat er vǫlr haslađr er svá er gert. Mađr skal hafa iij skjǫldu, en er þeir eru fyrnir, þá skal ganga, feld bóat áđr hafi af hǫrfat; þá skal hlifaz međ váþnum þadan frá, Sá skal hǫggva er á er scorat. Ef annar verdr sárr svá at blód komi á feld, er eigi skylt at berjaz lengr. Ef máđr stigr ǫđrum fæti út um hǫslur 'ferr hann á hæl', en rennr ef bálum stigr. Sinn mađr skal halda skildi fyrir hvárum þeim er berz. Sá [신 판결투의 규칙에 있어서 5평방 엘의 공간이내에 모서리에 고리를 잇는 망토를 펼치면 된다. Tjǫsnur이라고 부르는 쐐기로 망토를 고정시킨다. 망토를 고정시키는 者가 tjǫsnublót이라는 희생을 할 때는 다음과 같이 행동한다. 자기 귓집을 잡아들며 呪文을 암송한 채 결투장에 가까이와 망토를 고정시킨다. 망토를 에워싸야 할 1피트의 폭이 있는 고랑을 3군 데 끝에서 파면 된다. 고랑의 모서리에 hǫslur이라고 부르는 쐐기 4자루 를 고정시키면 된다. 그리하고 나면 공간이 vǫlr haslađr되었다는 것이다. 결투자 각자는 방패 3가지를 가지며 방패가 파괴되면 예전의 공간을 떠나게 되었다면- 공간 안으로 돌아와 공격무기만 들고 방어한다. [신 판] 송사를 받았던 자는 먼저 공격을 한다. 둘 중 한명이 피가 망토에 떨어질만큼 상처를 당할 때는 결투가 결정되었다는 뜻이다. 한 발로만 hǫslur의 한계를 넘으면 降服 이라는 뜻이며 양 발로 넘으면 逃亡 이라 는 뜻이다. 각자 이용하지 않은 방패를 들고 있는 사람이 있으면 된다. 더욱 심히 상처를 입었던 자는 銀마크 3개로 결투값을 지불하면 된다.] 또, Égils saga에 의하면 승리자가 결투자의 소유권과 가장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는 내용도 있다. 바바리아의 법전에서도 신판 결투의 규정이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한편, Leges Longobardorum에서의 소위 camphio에 대한 조17 가지가 묘사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전체적인 다 신숭배적인 양상이나 정신적인 파악이 바뀌었다는 모습이다. 예컨대, Edictus Rothari 198조를 보면: De crimen in puella iniectum qui in alterius skal gjalda hólmslausn er meir verđr sárr þrjár merkr silfrs í hólmlausn. mundium est. Si quis puellam aut mulierem liberam, qui in alterius mundium est, fornecariam aut strigam clamaverit, et pulsatus penitens - 78 -
점치는 의식에 대하여 三國志 夫餘傳 에서도 다음과 같 은 구절이 있다. (22) 전쟁을 하게 되면 그 때도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소를 잡아서 그 발굽을 보아 길흉을 점치는데, 발굽이 갈라지면 흉하고 발굽이 붙으면 길하다고 생각한다168). 約定法에 관련하여 말을 희생하는 의식에 대해서는 朴漢 濟169)가 충분히 조사한 적이 있어 본고에서는 생략한다. 동물 manefestaverit per furorem dixissit, tunc praeveat sacramentum cum duodecim sacramentalis suos, quod per furorem ipso nefando crimen adixissit nam non de certa causa cognovissit. Tunc pro ipso vanum inproperii sermonem, quod non convenerat loqui conponat solidos vigenti, et amplius non calumnietur. Nam si perseveraverit et dixerit se posse probare tunc per camphionem causa ipsa id est per pugnam ad Dei iudicium decernatur. Et si provatum fuerit, illa sit culpabilis, sicut in hoc edictum legitur. Et si ille qui crimen misit provare non potuerit, wergild ipsius [타인의 가장권 下에 처녀의 범죄를 告訴하였음에 대하여. 무릇 어떠한 者는 분명 히 성내면서 타인의 가장권 하의 처녀나 자유 부인을 私通女나 魔女로서 告訴하였다면 결백선서자 12명과 함께 정확한 증거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를 마녀라 불렀다고 고백하면 된다. 그 리하여 誣告罪를 범하였음에도 솔리도스 12개의 속죄로 송사는 판결된다. 그렇지만 증거가 있어 告訴했다는 것이 맞아 지속된다 면 천주님의 판결대로 신판결투를 통해 송사를 결정하게 된다. 즉, 고소자가 이기면 처녀가 이 法典대로 형벌을 받는다. 한편, 승 리를 통하여 고소가 맞았다고 증거해 줄 수가 없었다면 처녀의 신분에 따른 人命金을 지불한다.] 본 서술은 규범윤리적인 토대가 개종으로 변모했음에도 절차매체가 -예전 의식대로 작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168) 三國志, 30권 夫餘傳: 有軍事亦祭天 殺牛觀蹄以占吉凶 蹄解 者爲凶 合者爲吉 (서영수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 214쪽) 169)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317쪽 mulieris secundum nationem suam conponere conpellatur. - 79 -
을 의례용으로 이용하는 것을 인정해, 고대 한국에서는 우마를 非合法的으로 죽이는 것을 중죄로 다스렸는데, 이러한 인식은 관습법적인 규범적 윤리에 의거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말하자 면, 어떠한 물질적인 이유로 죄가 중요시되었다는 것이 아니 라, 점칠 때 의례품 이라서 그랬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것과 관련된 기록이 더 있다. (23) 牛馬를 죽인 자는 奴婢로 삼는다.170) (24) 一書에 말하였다. 처음에 都怒我阿羅斯等이 제 나라에 있을 때 황우에 농구를 싣고 시골에 갔었다. 황우가 갑자기 없어졌다. 그 자취를 찾아갔다. 자취는 어떤 郡衙 속에 머물렀다. 한 노인이, 그 대가 찾은 소는 이 郡衙에 들어갔다. 그런데 郡公들이 소가 지고 있는 물건으로 보니 반드시 잡아먹으려고 한 듯하다. 만일 그 주인 이 오면 물건으로 보상을 하려 한다 라고 말하고 잡아서 먹어버렸 다. 만일, 소 값으로 무엇을 가지려 하는가? 라고 물었다. 대답하기 를 노인이 말한 대로 하였다. 그들이 제사 지내는 神은 흰 돌이었 다. 그래서 흰 돌을 소 값으로 받았다. 그것을 가지고 와서 침실 속 에 두었다. 그 神石이 아름다운 소녀로 변했다.171) (25) 天皇이 淡路島에서 사냥을 하였다. 이날, 河內飼部들이 따라 와 고삐를 잡았다. 이에 앞서, 飼部는 눈언저리에 刺字가 다 낫지 않았다. 그때 섬에 있는 伊奘諾神이 祝[神官]에 지펴, 피 냄새 때 170) 舊唐書 高句麗傳 : 殺牛馬者 沒身爲奴婢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244쪽) 171) 日本書紀 6권 垂仁 2年10月: 一云 初都怒我阿羅斯等 有國之 時 黃牛負田器 將往田舍 黃牛忽失 則尋迹覓之 跡留一郡家中 時有 一老夫曰汝所求牛者 入於此郡家中 然郡公等曰由牛所負物而推之 必設殺食 若其主覓至 則以物償耳 卽殺食也 若問牛直欲得何物 莫 望財物 便欲得郡內祭神云爾 俄而郡公等到之曰 牛直欲得何物 對如 老夫之敎 其所祭神 是白石也 乃以白石授牛直 因以將來置于寢中 其神石化美麗童女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107쪽) - 80 -
문에 견디기 어렵다 고 말하였다. 점쳤더니, 飼部의 눈가의 刺字 를 싫어한다 라고 하였다. 그래서 그 이후로는 飼部의 刺字를 금 하였다. 172) 상기에서는 (24) 및 (25)의 구절만 부차적인 설명이 필요하 다고 생각한다. (24)조에서의 신화적인 색채가 배제되면 잡아 먹힌 황우 대신에 배상금으로서 童女( 風土記 에서의 采 女 [うねめ])를 얻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23)의 기사에서 나 타났던 牛馬殺罪에 身分的인 降等刑이 고구려만 아니라 고대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작용된 처벌이었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 하여 부채노예와 같이 즉시적인 강등이 아니라 대대로 전해진 연좌제적인 형벌이었다는 것은 (25)의 기사를 통해 나타난다. 즉, 飼部 는 말 떼를 사육하고 있는 종속집단이었다는 것이 가 능하다173). 관습법의 유추형벌적인 성격을 염두에 두면 범죄인 과 그의 후예들이 말 사육에 대한 役刑을 받은 것으로 추측될 수 있다. 黥刑을 부차적으로 당했던 것은 관습법에서의 신분적 降等刑과 가설적으로 관계가 있었지만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여튼, 占치는 과정에서 牛馬를 이용하였다는 것은 틀림없어 牛馬殺罪와 관련된 숭배적인 금기를 위반하는 것은 중죄로 여 겼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8)기사에 따라, 게르만족에게는 기타 점치는 의식은 卜筮를 행하는 관습법적인 절차였다는 것이다. 고대 한국에서는 상기 의 (18)의 구절을 보면 마찬가지였다고 본다. 고고학적인 자료 를 보면 삼한의 경우는 熊川貝塚에서 卜骨이 1점174) 출토될 日本書紀 12권 履中 5年秋9月: 天皇狩于淡路島 是日河內飼 部等 從駕執轡 先是飼部之黥昆未差 時居島伊奘諾神 託祝曰不堪血 臭矣 因以卜之 兆云惡飼部等黥之氣 故自是以後 頓絶以不黥飼部而 止之.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210쪽) 173) 한편, 일본서기 2권에서의 隼人[はやと]과 같이 한반도에서 이민했던 다른 騎馬 집단들의 사회적 위치는 아주 높아 보인다. 172) - 81 -
때부터 유사한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후엔 목간과 유사한 유물을 사용하였던 가능성이 없지 않다. 본 주제는 상대적으로 잘 묘사된 것이 있어175) 본고에서 따로 서술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고대 한국 會議에서는 虎嵓寺의 政 事嵓에서 볼 수 있듯이176) 대표자를 선임할 때, 상대적으로 많 은 경우에 제비 뽑는 것을 통해 거행되었다는 것이다. 오래 가 는 관습법의 요소로서 가장 잘 아는 것으로 여겨지면 오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金廷鶴, 1967 웅진패총연구 아세아연구 10:4 예컨대 任東權, 1967 三韓時代의 巫 巫占 백산학보 3 176) 三國遺事 卷第二 紀異第二 南扶餘 前百濟 北扶餘: 又虎嵓 寺有政事嵓 國家將議宰相 則書當選者名 或三四 函封置嵓上 須臾 取看名 上有印跡者爲爲相 故名之 174) 175) - 82 -
2. 慣習法의 口碑的 要素: 咀呪와 呪文 의 관습법에서의 口碑要所에 대한 대표적인 사료는 다음과 같다. (26) Celebrant carminibus antiquis, quod unum apud illos memoriae et Barbaricum annalium genus est, Tuistonem deum terra editum. Ei filium Mannum, originem gentis conditoremque, Manno tris filios adsignant, e quorum nominibus proximi Oceano Ingaevones, medii Herminones, ceteri Istaevones vocentur... Fuisse apud eos et Herculem memorant, primumque omnium virorum fortium ituri in proelia canunt. Sunt illis haec quoque carmina, quorum relatu, quem barditum vocant, accendunt animos futuraeque pugnae fortunam ipso cantu augurantur. Germania II-III [게르만인들은] 옛날부터 기억된 유일한 역사 및 전통을 노래로 전해오고 있었으며 대지에서 태어났던 투이스톤이란 신을 [노래로 찬송하고 있었다]. 투이스톤의 만이란 아들을 종족의 시조로서 생 각하며, 만에게서는 또 세 아들이 태어났는데 그들로부터 대양에 가장 가까이 사는 인게본족, 헬미온족, 이스트번족이라고 부르는 집단이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그들은 서로 헤라쿨레스가 산 적 이 있다는 기억을 하고 있는데 싸움터로 나갈 때마다 그를 용감한 영웅으로서 찬양한다고 한다. 게르만인들에게 barditus라고 부르는 기타 노래의 종류도 있다. 이를 부름으로써 자신들의 용기를 돋우 고, 그 노랫소리만으로도 임박한 전투의 결과를 점치곤 했다. (27) De gradibus cugnationum. Omnis parentilla usque in septimum geniculum nomeretur, ut parens parenti per gradum et parentillam heres succedat sic tamen ut ille qui succedere vult, nominatim unicuique nomina parentum antecessorum suorum dicat. Et si intentio fuerit contra curtis regis, tunc ille, qui querit, preveat sacramentum cum legitimus sagramentales suos dicat per ordinem: quod parentilla nostra sic fuit, et illi sic nobis fuerunt parentes, quomodo nos dicimus. Leges Longobardorum, Edictus Rothari 153 가족관계에서의 寸數에 대하여. 일곱째 관절 마디까지 온 씨족의 구성원들을 계측하면 된다. 그렇다면 세습규정에 있어 누구나 촌 - 83 -
수 및 씨족이내의 상호관계대로 세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세습하기를 원하는 자는 자신의 조상을 대대로 불러야 [할 조건만 있다]. 그리하여 王廷을 반대하는 [세습에 관한] 송사가 있었다면 고소인은 자기의 결백선서보조자를 모아 같이 말하기를: 나의 씨 족 (parentilla)은 다음과 같으며, 우리의 조상들이 우리의 말대로 [진심으로] 그러하오 라고 한다. (28) Praesentem vero dispositionis nostrae edictum, quem Deo propitio cum summo studio et summis vigiliis a celestem faborem praestitis, inquirentes et rememorantes antiquas legis patrum nostrorum quae scriptae non erant, condedimus, et quod pro commune omnium gentis nostrae utilitatibus expediunt, pari consilio pari - que consensum cum primatos iudices, cunctosque felicissimum exercitum nostrum augentes constituimus in hoc membranum scribere iussimus, pertractantes et sub hoc tamen capitulo reservantes ut quod adhuc, annuentem divinam clementiam, per subtilem inquisitionem de antiquas legis Langobardorum, tam per nosmetipsos quam per antiquos homines memorare potuerimus, in hoc edictum subiungere de beamus; addentes, qui etiam et per gairethinx secundum ritus gentis nostrae confirmantes, ut sit haec lex firma et stabelis: quatinus nostris felicissimis et futuris temporibus firmiter et inviolabiliter ab omnibus nostris subiectis costodiatur. Leges Longobardorum, Edictus Rothari 386 오래되고 非成文化된 우리 조상의 법을 회복하는데 있어서는 천주 님의 天國的 恩惠로부터 얻었던 명민한 시력과 기억으로 朕이 칙 령을 성문화하였다. 우리의 會議舊員, 最重의 參事官 및 모든 영예 로운 軍衆으로부터 얻었던 조언과 용납대로 -종족의 公益을 생각 한 채- 법이 변하지 않으며 공고화되기 위해서 이 羊皮紙에 법이 반포된다. 이것은 우리 종족의 옛 관습대로 gairethinx[槍民會]에서 확인되었다. 만약, 천주님의 은혜로서 랑고바르트족의 舊法을 진심 으로 조사하다가 직접적이거나 長老들 덕분에 어떤 규정을 기억하 게 되면 본 칙령에 보완하겠다. 우리의 행복한 현재와 미래에도 신하들이 이 공고하고 변화되지 않은 법을 잘 지키길 바라오. (29) Theodericus rex Francorum, cum esset Catalaunis, elegit viros sapientes, qui in regno suo legibus antiquis eruditi erant. Ipso autem dictante - 84 -
iussit a conscribere legem Francorum et Alamannorum et Baioariorum unicuique genti, quae in eius potestate erant, secundum consuetudinem suam, addidit quae addenda erant, et in provisa et inconposita resecavit; et quae erant secundum christianorum. consuetudinem Et quicquid paganorum, Theodericus mutavit rex secundum propter vetustis legem simam z paganorum consuetudinem emendare a non potuit, post haec Hildebertus rex inchoavit, sed Lotharius rex perfecit. Haec omnia Dagobertus rex gloriosissimus per viros illustres Claudio, Chadoindo, Magno et Agilulfo renovavit, et omnia vetera legum in melius transtulit, et unicuique genti scriptam tradidit, quae usque hodie perseverant. Factae sunt autem leges, ut earum metu tutaque humana cohercereturs audacia, sit inter inprobos innocentia, et in ipsis inprobis formido supplicia, et refrenetur nocendi facultas. Leges Baiuwariorum, Prologus 에 계셨을 때는 프랑크족의 대왕인 Theoderic이 왕국의 옛 관 습법들을 잘 아는 지혜로운 사람을 불렀다. 프랑크족, 알레마니족, 바이에른족, 대왕의 지배하에 사는 모든 종족들의 옛 관습법대로 법을 반포하게 만들었다. 朕이 보완해야 할 것을 보완했으며 원하 고 있었던 것을 배제했다. 그리고 多神崇拜的인 요소를 기독교 계 율대로 바꾸었다. 관습법이 오래되어 모든 것을 바꾸지 못하여 다 음에 Hildebert왕이 바꾸었다. 나중에 Lothar이 완성시켰다. 그리고 나서 영예로운 Dagobert왕이 모든 것을 재확인하여 Claudius, Chadoind, Magnus 및 Agilulf이란 준걸의 도움으로 舊法을 개선 교화 시켜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듯이 모든 종족에게 문헌적으로 전승시 켜 왔다. 인간의 교만이 용감한 것으로만 제한되지 않아 貞操를 惡으로부터 보호하게 하고, 유죄인들이 범하지 않도록 법이 반포 되었다. Châlon (30) Est insula qui dicitur Scadanan...in partibus aquilonis, ubi multae gentes habitant; inter quos erat gens parva quae Winnilis vocabatur. Et erat cum eis mulier nomine Gambara, habebatque duos filios, nomen uni Ybor et nomen alteri Agio; ipsi cum matre sua nomine Gambara principatum tenebant super Winniles. Moverunt se ergo duces Wandalorum, id est Ambri, et Assi, cum exercitu suo, et dicebant ad Winniles: 'Aut solvite nobis tributa, aut praeparate vos ad pugnam et pugnate nobiscum'. Tunc responderunt Ybor et Agio cum matre sua Gambara : Melius est nobis - 85 -
pugnam praeparare, quam Wandalis tributa persolvere. Tunc Ambri et Assi, hoc est duces Wandalorum, rogaverunt Godan ut daret eis super Winniles victoriam. Respondit Godan dicens: 'Quos soli surgente antea videro, ipsis dabo victoriam'. Eo tempore Gambara cum duobus filiis suis, id est Ybor et Agio, qui principes erant super Winniles, rogaverunt Fream, [uxorem Godam], ut ad Winniles esset propitia. Tunc Frea dedit consilium, ut sol surgente venirent Winniles et mulieres eorum crines solutae circa faciem in similitudinem barbae et cum viris suis venirent. Tunc luciscente sol dum surgeret, giravit Frea, uxor Godan, lectum ubi recumbebat vir eius, et fecit faciem eius contra orientem, et excitavit eum. Et ille aspiciens vidit Winniles et mulieres ipsorum habentes crines solutas circa faciem; et ait: 'Qui sunt isti longibarbae'? Et dixit Frea ad Godan: 'Sicut dedisti nomen, da illis et victoriam'. Et dedit eis victoriam, ut ubi visum esset vindicarent se et victoriam haberent. Ab illo tempore Winnilis Langobardi vocati sunt. Origo gentis Longobardorum I Scadanan Winnili Gambara Ybor Agio Winnili Ambri Assi Winnili Ybor Agio Gambara Ambri Assi, Godan Winnili Godan Winnili Gambara Ybor, Agio Godan Frea Frea Winnili Godan Winnili - 86 -
longibarbae Frea Godan Winnili... Tum Gothi haut segnes reperti arma capessunt primoque conflictu mox Romanos devincunt, Fuscoque duce extincto divitias de castris militum spoliant magnaque potiti per loca victoria iam proceres suos, quorum quasi fortuna vincebant, non puros homines, sed semideos id est Ansis vocaverunt. Quorum genealogia ut paucis percurram vel quis quo parente genitus est aut unde origo coepta, ubi finem effecit, absque invidia, qui legis, vera dicentem ausculta. Horum ergo heroum, ut ipsi suis in fabulis referunt, primus fuit Gapt, qui genuit Hulmul... Gethica XIV. 78-79 Fusc Ansi Gupt Humul... Sa þeirra, er gengr a görva satt, eþr vegr a veittar trygþir, eþr ræþr um viþ raþ bana annars, hann scal sva viþa vargr heita, sem viþast er veröld bygþ, oc vera hvarvetna rækr oc rekiun um allan heim, hvar sem hann verþr staþinn a hverio dögri. Nu liggrfe a bök, er N. hötir fyrir sic, oc fyrir sinn erfingia, borinn oc oborinn, oc tekr þarimot aldar trygþir oc ævinþrygþir, er æ scolo haldaz meþan mold er oc menn lifa. En nu scolo þeir vera sva settir oc samværir hvar sem þeir finnaz, landz eþrlagar at samförom öllum oc samvislum, oc at öllum viþrsciptum, sem faþir viþ son, eþr sonr viþ faþor. Nu leggi þeir hendur sinar saman, oc haldi vel trygþir, sva sem fyrir er mælt at vilia cristz, oc at vilni þeirra manna, er heyrþo trygþamal...grágás VXIII Trigþa-mal - 87 -
을 위반하는 者는 늑대처럼 쫓아내는 것이 옳다. 인간이 늑대 떼 를 쫓아내듯이 먼 데로 추방되어야 한다. 기독교신자들이 성당을 다니고, 다신 숭배자는 神殿으로 가고, 火가 火焰으로, 지면이 오 르고, 아들이 母親을 부르고, 母親이 아들을 출산하고, 사나이가 불을 타고, 船이 미끄러지고, 방패가 섬광을 발하고, 해가 빛나고, 눈 더미가 떠내려가고, Finn사람이 스키를 타고, 전나무가 자라고, 봄날에 매가 날아 바람을 이용해 올라가는, 등등. 지금 서로 손을 잡아 천주님의 恩惠 및 善意로 평화를 오래오래 상기의 모든 일 상이 지속되듯이 지키면 된다. 그리하는 자가 많은 축복을 받기 를 바라오. 우선, 관습법의 口碑的 양상에 유념하고자 한다. 성문문화가 들어오기 전에 사람의 기억력이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전승하는 매체였다는 것은 당연하다. 법전이나 율령뿐 아니고 모든 초기 의 역사기록은 長老가 기억하는 바에 따라 작성되고 있었다. 예컨대, 체코의 기록자인 Cosma(1045-1145)의 正史(Cosmae chronica Boemorum)에서는 perpauca quae didici senum fabulosa relatione...ne omnio tradantur relata oblivioni...pando [신화적인 長老의 이야기 줄거리 중 에서 배웠던 내용을 완전히 잊혀지지 않도록- 여기서 창출 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세르비아족 최초의 역사가인 Dukljanin(?~14세기)도 antiqui seniores[長壽老人]을 기본 사료 로서 여겼다는 것이다. Helmold와 같은 경우에서도 Narrat seniores Sclavorum, qui omnes barbarorum gestes in memoria tenent[모든 바바리아 인의 역사를 기억하고 있는 슬라브족의 노인이 말씀하시듯이] 라고 표현한 적이 없지 않다. 구-루테니아어로 된 사서에서도 cтapыe/мужи старии [스타르예/무쥐 스타리이]가 커다란 역할을 하 고 있었다는 기록이 많이 있다. 서슬라브의 Chronica Poloniae Maioris에서 desolantes in tantum fuerunt et sunt desolatae, quod nunquam aliquis meminerit vel a senioribus audierit[노인께서 귀가 들리지 않고 타인이 기억을 못했다는 것은 파괴되었다는 것이었다] 라는 기 록을 보면, 長老의 전승적인 역할이 내포되어 있는 토포스를 - 88 -
이용하였다는 것 자체가 적어도 14세기까지는 중요시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26)의 기사에서 옛날부터 기억된 유일한 역사 및 전통을 노래로 전해오고 있었으며 라는 구절을 살펴보 면 슬라브족뿐만 아니라 모든 barbaricum의 무리가 동일하게 長 老의 기억이 부족 정체성의 밑바탕으로서 그리고 예전 사건 에 대한 지혜로서- 영향력을 미쳤다는 것이다. 長老는 관습법에 대한 기본 내용을 전하는 역할만 아니고 관 습법의 절차에 있어서도 중요시된다. 즉, Lex Salica에서 tunginus 라는 判決賢人과 rachineburgii 7명도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法民 會에서 의례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그중에 범죄에 대한 규정사항을 노래처럼 읊어야 하는 의무도 들어가 있었다. 북 게르만에게는 그런 사람을 lögsögumaður178)이나 (읍락단위 민회 의) lagman이라고 불렀다. 프랑크족의 민회질서를 지키고 판결 을 정당화시키는 역할과 법을 읊는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자였다. 따라서 이런 口碑에 관한 의식이 없다면 법의 판결이 정당성이 없었다고 여겨지는 것이 옳다. 구두문화와 관습법의 연결성이 民會 (mallus)라는 단어에서도 보인다. 이의 어원은 구게르만어의 mahla (말하다)로부터 왔던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179). 또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전근대사회 성원의 대다수는 문맹 자였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법적 작용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는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면 된다. 이런 이유로 법이 반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口頭 문화의 요소는 오랫동안 177) 2008, Pamiętnicy. Ludzie sędziwi jako źrodla wiedzy o przeszłosci na ziemiach polskich (do końca XVI wieku), Europa barbarica, Europa christiana, DiG, 178) lögsögumaður Snorri Sturluson 177) Myśliwski G., 115쪽 가장 유명한 이 아이슬란드의 주교인 였다는 것은 성당이 비교적 포용하는 흡수주의를 보여주는 변수 로서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179)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37쪽 - 89 -
가장 중요한 관습법의 요소 중의 하나로 여겨졌다. 그것이 상 대적으로 명백히 반영되고 있는 법전은 부록에 포함된 lex Frisionum 및 lex Salica 이다. 前者의 구조를 보면 기본 내용인 22 조 이외에 Additio sapientium[長老의 附文]이라는 것도 있다. 여기 에 나와 있는 표현 중에서 haec iudicia Wlemarus dictavit, kaec iudicia Saxmundus dictavit, Wlemarus dicit 이란 것도 포함되어 있다. 고문서가 현존치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법전 속에 많은 모순(Tit. XXII 및 Additio II와 III조에서 賠償金의 값에 대한 차이 점, Tit. I 및 XV조의 人命金에서의 차이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은 완성된 법전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주게 된다. 諸읍락에 서 온 Wlemar 및 Sexmund라는 長老의 도움으로 -802년 민회의 판결대로- 반포하는 초기의 과정에 들어왔던 것이었다. 성문화 하는 과정에서 XI조에서의 qui fanum effregerit 와 같은- 당연히 다신교적인 내용을 변화시키거나 배제할 수도 있었는데, 원래 내용은 구두로 전해온 것임에 틀림없다. 한편, Lex Salica의 6세기의 Prologus를 보면, Rhein강 유역에서 온 Wisogast, Arogast, Salegast 및 Widogast라고 부르는 원로들 4명이 반 포과정에 참가하였다는 기사가 나타난다. 그들은 per tres mallos convenientes omnes causarum origines sollicite discutientes de singulis iudicium decreverunt in hoc modo 라고 하였다. 말하자면, 어떤 수도원에서 성문화하는 것이 아니고 민회에서 3가지 판결이 난 것을 받아 쓰게 하였다는 것이다. LXXXVI조의 Tunc tunzinus dicere debit 과 같은 표현을 감안해 보면 이 장로들이 문맹자들에게 법을 읊 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고 추측된다. 상기의 (28) 및 (29) 구절을 검토해 보면, 고유법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는 법전 뿐만 아니고 로마법이나 캐논법의 영향 하에 있는 법전도 마 찬가지로 元老 및 오랜 관습의 권위가 강조되었다는 것이다. 740년대의 Lex Baiuvariorum에서 대왕의 elegit viros sapientes qui in regno suo legibus antiquis eruditi erant 라는 표현을 살펴보면, 새로 반포된 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자기 부족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 90 -
구두로 전해진 법이 밑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Leges Longobardorum의 in quantum per antiquos homines didicimus 란 표현에 있어서도 새로운 법을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었다. 여기서 antiqui homines 는 Germania (26)기사의 노래를 전한 사람과 동일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두문화의 전수는 관습법에서의 형식적인 요 소만 아니고 기능적인 요인도 내포하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판결을 정당화시키는 절차로서 呪文暗誦의 요소, 둘째, 민회의 개시절차로서 origo gentis說을 암송하는 요소, 셋째, 소유권이나 세습권에 대한 송사에서 家門의 대대적 계보를 필수적으로 암 송하는 요소 등이다. Grágás의 (32)기사를 보면 어떤 약정을 하 려고 해도 암송해야할 呪文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기이 한 것은 사회가 개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커다란 변화 없이 본 절차가 계속해서 이행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만약 본 주문을 암송할 때 오류나 누락을 하였다면 합법적인 계약으로 여겨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본 문제는 주문에 관한 의례중심 주의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더 자세히 기술될 예정이다. 여기서 는 leges barbarorum에 이러한 종류의 呪文이 남아있는 것을 제기 하도록 한다. 본고의 부록에서 볼 수 있는 고유어로 된 mallobergo[ 민회언덕의 표현대로 ]의 註解(glossae)에 대한 말이다. Lex Salica XXVI조에는 이런 대표적인 glossa가 나타나고 있다. 보는 바와 같이 반자유인이나 노예는 해방절차에서 꼭 암송해 야 할 표현으로서 maltho thi afrio, letu! 및 maltho thi atomeo, theo! 란 구절이 제시된다. LXVI조에서의 ante regem aut in mallo publico legitimo, hoc est in mallobergo ante theoda aut thungino 란 표현이 고유 어와 라틴어의 副詞가 섞여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Edictum Rothari 224조에 의하면 반자유인이 가장권으로부터 해방 된 의식에서도 Et ipse quartus ducat in quadrubium, et thingit in gaida et gisil et sic dicat: de quattuor vias ubi volueris ambulare, liberam habeas potestatem[그리고 네 번째 사람이 사거리 쪽으로 반자유인을 인 - 91 -
] alliteration Origo gentis Leges Longobardorum Rothari in quantum per antiquos homines didicimus - 92 -
이]란 適當文을 붙여 자기의 문벌이 아니라도 모든 랑고바르 트족 왕에 대한 사항을 나타내고 있다. Rothari대왕도 Genere가문 의 구성원으로서 최초의 君主였으므로 자신의 계보도 포함하 여 만들었다. 그렇지만 그렇게 반포된 법전은 작용될 수가 없 었다. 종족왕의 계보가 아닌 원래의 Origo gentis란 부분이 부족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30년이 지나서 Origo gentis Longobardorum이란 기록을 복원시켜야 했던 것이다. 그것은 모든 현존하는 Origo gentis의 고문서가 랑고바르트족의 법전과 결합 되고 있다는 사실을 통해 아는 것이다. (30)의 기사에서 나타 나듯이 기독교신자인 랑고바르트족은 Godan이란 神에게서 새로 운 이름을 받는 과정에서 본 神에게서 상징적으로 입양된 집 단이 되었다는 이야기라도 그렇게 해야 했다. 이와 같은 半神 話的인 내용은 성문화된 법의 머리말로서 나타나지 않으면, 법 자체가 암송하는 관습법과 달리 합법적이지 아닌 것으로 여겨 지게 되었다. 모든 다신교적인 내용을 배제하려고 한 Rothari가 왕의 계보에서도 신화의 모든 주인공을 없애게 되어 계보에서 최초의 왕은 Agio의 아들인 Agilmund가 되게 만들었다. 이런 쓸 데없는 노력은 관습법의 정태적인 힘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 이다. 그리고 랑고바르트족뿐만 아니라 모든 바바리아인에게도 비슷한 관습법의 토대인 신화가 있다는 것이다. 수도사 Bede조 차 색슨의 조상인 Hengist 및 Horsa가 Wotan의 아들로서 취급하고 있어 많은 종족이 똑같다는 것을 Historiae ecclesiastica에서 인정 하고 있다. 관습법이 종족 정체성의 핵심으로서 어김없이 半神 話的인 유래부터 시작해야 하는 절차적 암송의 존재는 법학계 에서 professio legis(英: ethnic law) 개념 하에 있는 것이라고도 한 다. 따라서 고대 한국에서도 구두문화의 요소인 origo gentis의 성격에 대해 검증해 보면 관습법에 대해 파악할 수 있을 것이 다. 끝으로, 口碑的인 요인은 법적인 절차에서도 중요시되었다고 사료를 통해 알게 된 사실이다. 적어도 16세기까지 유럽 제정 - 93 -
testis Heinrichow Liber fundationis narravit...omnes antiquitates hereditatum circa huius claustri territorium Edictum Rothari parentilla Omnis parentilla usque ad septimum geniculum nomeretur, ut parens parenti per gradum et parentillam heres succedat[ parantella 180) Myśliwski ( Pamiętnicy. Ludzie sędziwi jako źrodla wiedzy o przeszłosci na ziemiach polskich (do końca XVI wieku), Masovia Quia multae litterae et privilegia reperiri solent, partim abusa, partim etiam incerta, statutum Serenissimi olim domini regis Alberti renovamus, ut videlicet limitationes bonorum fiant non secundum litteras et signa in eis descripta ad instantiam petentium, et re oculis non subiecta, sed iuxcta senum testimonia fieri debent. [ ( ) Albertus.,.] - 94 -
다] 라고 한 내용을 통해 입증된다. 여기서 내포된 씨족의 범위 가 부록의 lex Salica XLIV조에서 6촌수의 집단과 동일하며, 그곳 에서 헤아리고 있는 촌수에서 본인 만 제외한다는 것이다. 계 산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개념은 모든 바바리아에서 같았다는 것이다. 물론, 왕족과 같은 경우 신격화된 조상으로부터 -兩 系181)的으로 보아도- 20여世까지 기억되고 있었다는 것은 Cassiadorus로부터 전해진 사실이다. (31)의 기사 내용은 고트족 의 Amal왕족이 바로 그렇다는 것이며 본고에서는 형식적인 한 계가 있기 때문에 본 기사가 생략되었다. 그러면 고대 한국에 있어서 관습법적인 구두문화의 요소가 어느 정도 보이는지 검토해보도록 한다. 법을 반포하는 과정이 어떻게 되었는지 추측할 수밖에 없지만 風土記 의 내용을 살펴보면 古老曰 이라고 한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 다182).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風土記 가 편찬된 이유는 정보를 모아 중대한 기타의 신화를 흡수하면서 關西中心 王族 의 수호신에 대한 숭배심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제정법을 작성하기 위하여 지방의 경제력에 대한 정보를 한데 모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율령을 만들 때에도 이와 유사하게 元老의 기 억에 따라 이러한 과정을 밟았다는 것이 순리로 받아들여진다. 또, 반포되기 전 왕족집단의 법을 口宣 이라고 하였다. 유감 스럽게도 增補文獻備考 에서 頒布前期의 習律 개념183)과 관 계가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왕권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법이 어떻게 바뀌고 있었는지 어느 정도는 엿볼 수 있다. 이것은 바로 고구려의 origo gentis인 시조에 대한 게르만족에 있어서 가문구성이 父系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학계 에서 지속적으로 거론되는 것은 Engels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이다. 182) 중국정사에서도 상기와 유사한 표현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後漢書 東沃沮傳에서도 其耆老言.. 이란 말이 있다. 183) 구병삭 1968 신라사회법제도사연구 저스티스 11:1; 10쪽 181) - 95 -
설화에서 잘 나타났던 것이다. (33) 그 先祖가 부여에서 나왔다. 王이 일찍이 河伯의 딸을 붙잡아 방안에 가두어 두었는데, 햇빛을 받게 되어 몸을 돌려 피했으나 햇 빛이 다시 따라와 비추어 주었다. 얼마 후에 임신하여 알을 개에게 주었으나 개가 먹지 않았고, 돼지에게 주었으나 돼지도 먹지 않았 다. 길가에 버려두었으나 소와 말들이 피해 다녔다. 들판에 버려두 었더니 뭇새들이 깃털로 그 알을 덮어 주었다. 王은 그 알을 쪼개 려고 하였으나 깨뜨릴 수 없게 되자, 결국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고 말았다. 그 어머니가 물건으로 알을 싸서 따뜻한 곳에 놓아 두었 다...184) 상기 내용에 있어서는 暗誦文이 많이 나타나(특히 동물로부 터 거룩함을 인정받는 부분에서) 읊어야 할 기능이 강하여 고 유어로 된 모습이라면 頭韻法에 따라 작성된 내용도 많이 내 포될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본 기사의 내용을 보면, 廣 開土太王碑에서 출현된 始祖說보다 구두로 전해온 요소를 쉽 게 엿볼 수 있다. 후자에서는 윤색된 부분이 많아 神話가 성문 화되면서 고의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이 뚜렷하다. 그런 순리 로 법도 유사한 과정을 밟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하여튼, 廣 開土太王碑에서의 鄒牟說話에 내포된 수묘제에 관한 제정법 적인 내용이 관습법적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즉, 법적 행위 를 시작하기 전에 origo gentis란 부분을 읊게 되었다는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東明王篇 이나 기타의 문서에서 신화 의 주인공들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국가가 형 北史 東夷列傳 高句麗: 其先出夫餘 王嘗得河伯女 因閉於室 內 爲日所照 引身避之 日影又逐 旣而有孕 生一卵 大如五升 夫餘 王棄之與犬 犬不食 與豕 豕不食 棄於路 牛馬避之 棄於野 衆鳥以 毛茹之 王剖之不能破 遂還其母 母以物裹置處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54쪽) 184) - 96 -
성된 후에 많은 귀족들이 소급적으로 자기 가문의 정통성이 입증되기를 원하였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烏伊, 摩 離, 陜父나 葦花 및 萱花 등이 신화 줄거리에 있어서 아무 역 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扶餘隆墓誌銘에서도 河伯을 조상으로 생각했던 기록도 그렇지 않을까 싶다. 또, 늦은 시대 의 금석문을 보아도 가공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시조와 관련된 가문의 정통성을 간직하고 있었던 것을 추정할 수가 있다185). 帝釋神祀에 대한 서술을 살펴보면, 解夫婁가 조 상으로 취급된 것도 오랜 정통성에 의한 사실을 보여 준다186). (33)조문에 있어서 또 다른 가능성은 원래 고대 한국의 origo gentis說은 왕족이 시조의 중심으로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시간 이 갈수록 씨족에 대한 신화와 종족의 유래에 대한 신화가 혼 합되며, 왕권이 강화될 때 왕족설이 origo gentis說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 집단의 君長들이 인위적으로 원래 신화의 주인공과 관계성을 조작하게 된 것이다. 만약, 원래부터 왕족 의 시조인 주몽과 같은 개인에 집중해온 것이라면 유럽 바바 리아와 차이점으로 감안될 것이다. 여기서 유념해야 한 것은 자기 가문의 계보를 상기하는 것 은 관습법적인 기능이다. 상대적으로 늦은 자료에 따르면, 한 국 문벌에 있어서는 Sieroszewski의 말에 의하면 성원 각자가 친 척이 모욕죄, 더군다나 그가 당한 살인죄에는 무조건 복수하거 나 人命金으로 속죄시켜야만 하는 의무가 있었다는 것이 다187). 또, 송사에 연루된 일을 저지른 경우에서도 일단 친족 이면 그를 보호해야 하는 의무는 관례였던 것으로 간주된다. 바바리아인에게는 복수를 이행할 의무, 복수를 그만두면 선서 해야 할 의무(sacramentum), 인명금을 세습권의 규칙대로 나누는 박인호 2004 溫達을 통해 본 6世紀 高句麗 貴族社會 한국 고대사연구 36:12 186)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148쪽 187) Sieroszewski, 1905, Korea klucz Dalekiego Wschodu, 179쪽 185) - 97 -
의무, 송사를 받을 때 결백선서 보조자의 역할을 해야 할 의무 등의 법적 행위는 친족단위로 작용되었다. 고대 한국에 있어서 정도의 차이는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유사하지 않았을까 여 겨진다. 바로 그런 이유로 씨족의 범위가 중요시된 것이었다. 가문의 범위에 있어서는 木劦氏의 가문이 木氏와 劦氏로 분 화된 모습이나 扶餘氏가 黑齒氏와 鬼室氏로 분화된 것을 보면 문벌의 특정한 한계가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 뚜렷하다. 이러 한 사항에 대해서는 한국 역사학계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상세히 서술하지는 않는다. 가문의 범위에 대해 많이 인용되지 않은 사료 하나만 언급하도록 한다. (34) 즉 북쪽 바다에 毘売埼가 있다. 飛鳥의 浄御原宮에서 천하를 평정하신 천황의 674년 7월 13일, 語臣猪麻呂의 딸이 이 언덕에 와서 경치를 감상하면서 산보하는 중 갑자기 상어에게 습격을 당 하여 죽어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었다. 이때 아버지 猪麻呂 는 죽은 딸을 해변에서 부르며, 대단히 상심하여 한탄하며, 하늘을 보고 울부짖고, 발을 동동 구르며 서서는 신음하고 앉아서는 탄식 하면서 주야로 괴로워하며, 유해가 묻힌 곳에서 떠나지 않았다. 이 러고 있는 사이에 며칠이 지났다. 그러나 그 후에도 분하여, 활을 갈고 방패를 준비하여 기회를 노리고 장소도 준비한 뒤, 神에게 절하면서 호소하였다. 천오백만의 천신이여, 천오백만의 지신이 여, 또 이 땅에 진좌하고 계신 399개의 신사여, 그리고 바다의 신 들이여, 大神들의 평화스러운 和魂은 평정되고 용맹스러운 荒魂은 모두가 猪麻呂가 청원하는 바에 따라 주십시오. 진실로 신령이시 라면, 나에게 상어를 죽이게 하여 주십시오. 그때서야 신령의 불가 사의한 것을 알게 되겠지요. 라고 말씀드렸다. 잠시 후 백여 마리 의 상어가 조용히 하나의 상어를 둘러싸고 서서히 무리 지어 다가 와서 猪麻呂가 있는 곳에 와, 다가오지도 물러나지도 않고 빙빙 돌고 있을 뿐이었다. 이때, 猪麻呂는 창을 들어 중앙에 있는 한 마 리의 상어를 찔러 죽여 버렸다. 그러자 백여 마리의 상어가 뿔뿔 이 흩어졌다. 죽은 상어의 배를 갈라보니 딸의 허벅지가 하나 둘 굴러 나왔다. 그래서 죽은 상어를 갈기갈기 찢어서 막대기에 걸쳐 - 98 -
길가에 세워두었다고 한다.188) 여기에서는 口碑와 관련된 기록이 두 가지 있다. 첫째, 암송 자인 주인공은 語臣猪麻呂[かたりのおみのいまろ]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고, 둘째, 살인자 가문의 범위는 100여 명 정도였다 는 것이다. 이것은 피로써 복수를 한 부친을 응하는 7내지 8寸 단위의 집단이189) 범인의 친속집단이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을 염두에 두면 아무리 배타적이라 할지라도 평화를 지키기 위해 서 자기 집단의 성원에게 처녀의 家父長으로 하여금 四肢切斷 및 사형을 시키게 되는 일도 있었다는 것이다. 지금 생각하는 복수제와 관련된 혈연주의적인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렇 게 생각하는 이유는 Germania XXI조에 다음과 같은 서술을 오해 한 것으로 인한 오류이다: Suscipere tam inimicitias seu patris seu propinqui quam amicitias necesse est; nec implacabiles durant; luitur enim et homicidium certo armentorum ac pecorum numero recipitque satisfactionem universa domus, utiliter in publico, quia periculosiores sunt inimicitiae iuxta 부친이나 친족의 血讐와 우정이 대물림된다. 그렇지만 혈수가 지속되지 않고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살인사건도 정해 libertatem [ 出雲 風土記 89-103: 即北海有毘売埼 飛鳥浄御原宮御宇 大皇 御世 甲戌年七月十三日 語臣猪麻呂之女子 逍件埼邂逅遇和爾 所賊 不皈 爾時父猪麻呂 所賊女子歛浜上 大発苦憤 号天踊地行吟居嘆 昼夜辛苦無避歛所 作是之間経歴数日 然後興慷慨志 磨箭鋭鋒撰便 処居 即訴云天神千五百万地祇千五百万 当国静坐三百九十九社及海 若等 大神之和魂者静而 荒魂者皆悉依給猪麻呂之所乞 良有神霊坐 者 吾所傷給 以此知神霊之所神者 爾時有須臾而 和爾百餘静圍繞一 和爾徐率依来従於居下不進不退 猶圍繞耳 爾時挙鋒而刄中央 一和 爾殺捕已訖 然後百餘和爾解散殺割者女子之一脛屠出仍和爾 者殺割 而挂串立路之垂也. (김분숙 外 역, 1999 일본풍토기 동아대학 교 출판부 1999, 167쪽) 189) 성인 남자만 절차에 참석할 수 있다는 것에 의하면 후자가 더 가능성이 있다. 188) - 99 -
진 수의 牛羊을 바치면 속죄되는데, 이는 전 가족이 이런 보상 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공동체에게도 이롭다. 혈수는 자유질서가 유지되는 곳에서는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관습법문화에서는 적어도 새로 도입된 규범적인 윤리와 마찰이 생기지 않는 상태에서 調停的인 성격이 강하 였기 때문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친족집단은 아니지만 유럽 에서도 동일한 순리를 따라가고 있었다는 사실은 후술된 (58) 의 기록에 나타나고 있다. 어쨌든 자기의 계보를 알거나 문벌역사를 구두로 암송하는 것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이 없어, 이의 존재 여부는 유감스럽 게 추정적이 될 것이다. (34)의 기사에서 보이듯이 바바리아의 parentilla와 같은 6-8寸 집단에 대해 암시된 정보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비교연구에 있어서 세부적인 사항을 염두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지만, 촌수로 제한된 모습으로 金閼智부터 味鄒 王까지 7세대의 거리, 編年通錄 에 의하면 虎景부터 王建까 지 7세대의 거리 등의 사실은 쉽게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190). 상속제에 있어서는 이기백도 契王의 즉위에 대한 7寸이내 叔姪의 계승을 검토하면서191)- 촌수로 제한된 친족의 계보를 기억했던 가능성을 높이 보았던 것이다. 口碑的인 관습법의 양상으로 돌아와, 이를 둘러싼 儀禮中心主 義的인 특징은 적어도 두 가지 있다. 이것은 咀呪罪가 중요시 된 것이며 成文이 없어 言行에 특별히 주목해야 할 특징이다. 후자는 증거절차가 발전되지 않은 상태이었으므로 초자연적인 運에 의한 요소에 유념하는 양상도 포괄하고 있다. 兩者에 있 어서 고대 한국의 법문화 양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능화는 한국 저주( 巫蠱 )에 대해 많은 사례를 제기했 마종락, 1985, 고려시대 토지소유권 연구서설 진단학보 59, 23쪽 191) 이기백, 1996 韓國古代 政治社會史硏究, 132쪽 190) - 100 -
다192). 하지만 고대의 저주를 대상으로 한 심도 깊은 연구논문 이 아니라서 필자는 三國遺事 에서의 기록 두 가지만 언급 하도록 한다. (35) 두 여자가 內庭에 나와 아뢰기를, 저희들은 東池 靑池... 두 龍 의 아내인데, 唐使가 河西國사람 둘을 데리고 와서, 우리 남편 인 두 용과 芬皇寺 우물에 있는 용등 세 마리를 咀呪하여 작 은 고기로 變하게 하여 통속에 담아 가지고 갔습니다. 陛下는 그 두 사람에게 詔勅하여 우리 남편들인 護國龍을 여기에 머 무르게 하소서 하였다. 王이 河陽館에 쫓아가서 親히 宴會를 베풀고 河西人에게 詔勅해 이르길, 너희들이 어째서 우리의 三龍을 잡아 가지고 가느냐, 만일 事實대로 告하지 않으면 極 刑에 處하리라 하였다.193) (36) 盜賊이 벌떼와 같이 일어났으니 國人이 근심하여 陀羅尼의 隱語를 지어 써서 路上에 던졌다. 王과 權臣들이 얻어 보고 말하기를 이것은 王居仁 아니면 누가 이 글을 지으랴 하고 居 仁을 잡아 獄에 가두었다. 居仁이 詩를 지어 하늘에 호소하니 하늘이 그 獄에 벼락을 쳐서 免하게 하였다.194) (35)의 기사에서는 신화적인 윤색을 빼면, 咀呪罪에 처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124쪽 192) 三國遺事 紀異 2 元聖大王: 有二女進內庭奏曰妾等乃東池 靑池...二龍之妻也 唐使將河西國二人而來 呪我夫二龍及芬皇 寺井等三龍 變爲小魚 筒貯而歸 願陛下勅二人 留我夫等護國 龍也 王追至河陽館 親賜享宴 勅河西人曰爾輩何得取我三龍至 此 若不以實告 必加極刑.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250 쪽) 194) 三國遺事 紀異 2 眞聖女大王: 國人患之 乃作陀羅尼隱語 書投路上 王與權臣等得之 謂曰此非王居仁 誰作此文 乃囚居 仁於獄 居仁作詩訴于天 天乃震其獄囚以免之 (이병도 역, 앞 책, 158쪽) 193) - 101 -
했던 벌은 사형이다. 그렇지만 저주를 취소한 경우에는 형이 집행되지 않았다. (36)에서도 저주 의 성격을 밝히 지 못하면 피고인이 監刑에 처해졌다는 것이다. 궁궐을 저주하였다는 사실이 후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즉, 현 존된 사서 중에서 가장 세밀히 서술된 궁궐 저주사건은 1652년에 있었던 일에 대한 것이다 195). 고대와 정도의 차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것은 제웅[그림-3]의 사용여부, 예상 기능 및 제웅을 둘 러싼 제사에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다. 조선시대의 소위 媽媽神祀는 處容說과 관계도 있으며 관습법에서의 公衆 刑主義的인 특징을 밝혀주지 않을까 여겨진다. 말하자면, 범인을 잡을 수 없는 경우에 그를 都會에서 저주하고 있 으면서 제웅에게 상징적인 형벌을 처하는 규정이 검증되 어야 할 것이다. 口碑에 있어서는 본 절차에서 馬夫打令 을 암송하는 역할이 중요시 되었다고 한다. 日本書紀 분석을 통해 저주의 관습법적인 양상을 -고대 한국의 관 습법과 반드시 동일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은 아니지만강조하면 다음의 내용들을 들 수 있다. (37) 그때 [천신이] 그 화살을 잡고 저주하며 말하기를: 만 일 나쁜 마음을 가지고 쏘았다면, 天稚彦은 반드시 죽을 것이다. 만일 맑은 마음을 가지고 쏘았다면 아무 일도 없을 것이다 라 고 하면서 돌려 던졌다. 그 화살은 떨어져, 天稚彦에 가슴에 꽂 혔다. 바로 죽었다.196) (38) 나는 [倭迹迹日百襲姬命] 들었는데, 武埴安彦의 처 吾 田媛이 몰래 倭의 香山의 흙을 가지고 와서 領布 끝에 싸들고 195) 王朝實錄 孝宗 壬辰 3月. 乙亥日조의 기록이다. 196) 日本書紀 卷2 神代下: 乃取矢而咒之曰 若以惡心射者 則天 稚彦必當遭害 若以平心射者 則當無恙 因還投之 卽其矢落下中于天 稚彦之高胸 因以立死 (전용신 역, 앞 책, 39쪽) - 102 -
기도하며, 이것이 倭國을 대표하는 흙(物實, 이를 ものしろ라 한다) 이라고 말하고 흙덩이를 돌렸다. 이것으로 일이 있으리 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빨리 도모하지 않으면 반드시 후회할 것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얼마 아니 되어, 武埴安彦 및 그의 처인 吾田媛이 모반하려고 군사를 일으켜 갑자기 쳐들어왔 다.197) (39) 이달, 御馬皇子가 전부터 三輪君身狹과 사이가 좋아서 마음 을 즐겁게 하려고 그에게 갔다. 가는 길에 기다리고 있던 군사를 불 의에 만나, 三輪 磐井의 근방에서 서로 싸웠다. 오래가지 못해 붙잡 혔다. 처형에 임하여 우물을 가리키며 저주하기를, 이 물은 오직 백성만이 마실지어다. 왕은 마실 수 없다 라고 하였다.198) (40)虛空이 부름을 받고 와서, 前津室이 어린 여자를 天皇의 사람 으로 하고, 큰 여자를 자기 사람으로 하여 경쟁하여 서로 싸우게 하 고 있습니다. 어린 여자가 이기는 경우는 칼을 빼어 죽입니다. 또 작은 수탉을 天皇의 닭이라 불러 털을 뽑고 날개를 자르고, 큰 수탉 을 자기의 닭이라 부르며 방울, 쇠붙이를 달아 주고, 경쟁하여 싸우 게 합니다. 털을 뽑힌 닭이 이기는 경우는 또 칼을 뽑아 죽입니다 라고 말하였다. 天皇이 이 말을 듣고 物部의 군사 30인을 보내 前津 屋 등 일족 70인을 죽였다.199) 日本書紀 卷5 崇神 10年 九月 壬子...吾聞 武埴安彦之妻 吾田媛 密來之 取倭香山土 裏領巾頭而祈曰 是倭國之物實 則 反之 物實 此云望能志呂 是以 知有事焉 非旱圖 必後之...未 幾時 武埴安彦與妻吾田媛 謀反逆 興師忽至 198) 日本書紀 卷 14雄略 元年冬十月癸未: 是月 御馬皇子以 曾善三輪君身狹 故思欲遣慮而往 不意道逢邀軍於三輪磐井側逆戰 不久被捉 臨刑指井而詛曰 此水者百姓唯得飮焉 王者獨不能飮矣 (전용신 역 2002 日本書紀 230쪽) 199) 日本書紀 卷 14雄略 7年八月: 虛空被召來言 前津屋以小 女爲天皇人 以大女爲己人 競令相鬪 見幼女勝 卽刀而殺 復以小雄 鷄呼爲天皇鷄 拔毛剪翼 以大雄鷄呼爲己鷄 著鈴金距 競令鬪之 見 197) - 103 -
(41) 드디어 大伴大連이 스스로 대장이 되어 군사를 일으켜서 대 신의 집을 에워쌌다. 불을 질러 태웠다. 지휘를 받는 자가 구름같이 많았다. 眞鳥大臣이 일이 그릇됨을 알고, 몸을 피하기 어려움을 깨 달았다. 계책이 궁하여 절망하게 되었다. 여러 소금을 가리켜 저주 하였다. 드디어 살육 당했다. 그 자제들까지 미쳤다. 저주할 때 角 鹿의 소금은 天皇이 먹는 물건이 되고, 다른 바다의 소금은 天皇이 꺼리는 것이 되었다.200) 日本書紀 의 상기 자료에 대한 신빙성을 검토해 보 면, (37) 기사는 出雲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고, 본고의 영역적인 틀에 포함되어 있다. (41) 기사에 있어 서는 第16卷이 全面的으로 百濟에 관한 기사가 많아 武 烈에 대한 기록은 東城王의 治世條에 의거한다는 것이 坂本太郎의 의견이다 201). 물론, 이 의견이 옳다면 구절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38)~(41)까지의 기록은 關西地方에 서의 天照를 숭배하는 왕족의 권력이 강화돼 諸大臣의 가문을 파괴시키는 과정에서 저주의 문맥이 나타나고 있 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前事的이거나 여파적으로 정치제의 변화에 대한 정당화는 6세기의 한반도에서도 상대적으로 많았던 대규모 지방고분이 사라지고 있는 과 정을 보면 유추할 수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기록이 현존 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어 필자가 추정한 것뿐이다. 禿鷄勝 亦拔刀而殺 天皇聞是語 遣物部兵士卅人 誅殺前津屋幷族七 十人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240쪽) 200) 日本書紀 卷16 武烈 冬十一月 戊寅: 於是大伴大連率兵自 將圍大臣宅 縱火燔之 所撝雲靡 眞鳥大臣 恨事不濟 知身難免 計窮 望絶 廣指臨詛 遂被殺戮 及其子弟 詛時 唯忘角鹿海鹽不以爲詛 由 是角鹿之鹽爲天皇所食 餘海之臨爲天皇所忌 (田溶新 역 2002 日 本書紀, 280쪽) 201) Sakamoto Taro, 1991, The Six National Histories of Japan, UBC Press, University of Tokyo Press - 104 -
그것에 대해 입증할만한 사료의 하나로 (35) 및 (36)의 기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저주의 대상이 왕조였다는 것 이다. 따라서 (38)부터의 조문을 이용해 이에 해당하는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우선, (37)의 기록을 살펴보면 저주는 神判的인 절차의 일부로서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문제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첫째, 피고의 유죄를 주장하는 것과 같 은 법행위 및 초자연적인 요소와의 연결성의 존재이고, 둘째, 합법적으로 암송되었던 저주가 내포되는 의식이 존 재하는 것이다. 前者의 요소에 대해서는 유럽 바바리아의 사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출현한다. 예컨대, Sőgur중에서 Landnámabók 라는 역사기록은 860년대 아이슬란드의 섬에 정주하는 과정을 서술한 것이다. 그 주인공 중에 Ingolf Ornsson 이라는 家長이 있었다. 새로운 거주지를 찾기 위해 서 예전의 집으로부터 온 支柱(성주와 같은 신령이 사 는 곳)를 바다에 던져 배를 타고 조류로 움직이는 기둥 줄기를 따라가 아이슬란드에 도착해 새로운 집을 만들었 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02). 말하자면, 행운의 조건에 따라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얻었다는 줄거리가 된다. 이 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고대 탐라에 대한 후술된 기록 을 보도록 하자. (42) 三人이 나이 순서에 따라 세 여자를 나누어 아내로 삼 아 샘이 달고 땅이 비옥한 곳으로 가서 화살을 쏘아 땅을 占치고는 良乙那가 사는 곳을 第一都라 하였고, 高乙那가 사 는 곳을 第二都라 하였으며, 夫乙那가 사는 곳을 第三都라 하였다.203) 202) Morawiec J. 역, 2011, Saga o Hallfredzie skaldzie kłopotliwym, Chronicon 6쪽 高麗史 卷57 地理2 耽羅縣) 三人以年次 分娶之就泉甘 土肥處 射矢卜地 良乙那所居曰第一都 高乙那所居曰第二都 203) ( - 105 -
상기에 의하면, 영토에 대한 소유권은 세 가지 徒 의 집 단끼리 나누는 절차가 射矢卜 이라고 한 의식이다. 초자 연적인 요소에 따라 집단의 대표자가 화살을 쏘았다는 것을 고려해 보면 (37)의 기록과 유사한 것이 눈에 뛴 다. 그래서 저주나 기타의 呪文을 암송했던 부분도 의례 에 포함되었음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 리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射矢卜 의 관습이 고대 한국의 특징으로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사료에서도 다른 초자연적인 고대 한국 관습법 요 소에 대한 기록이 또 있다. (43) 그때 이름을 알 수 없는 어떤 사람이 당시의 정치를 거짓으로 비방하는 글을 지어 조회에 들어가는 길에 붙여 놓았다. 王이 사람들에게 명하여 찾아내게 하였으나 찾을 수 가 없었다. 어느 사람이 왕에게 말하였다. 이는 文人으로서 뜻을 얻지 못한 자가 한 짓임이 틀림없습니다. 아마 이는 大 耶州에 은거하고 있는 사람 巨仁이 아닐까 합니다. 王이 명 하여 거인을 묶어서 서울의 獄에 가두고 장차 형벌을 집행 하려고 하자, 거인이 분하고 원통하여 감옥의 벽에 다음과 같이 썼다. 于公이 통곡하자 3년 동안 가물었고, 鄒衍이 슬 픔을 머금으니 5월에 서리가 내렸도다. 지금 이내 가슴 속 깊이 품은 근심은 옛날과 비슷한데 하늘은 아무 말 없이 다만 푸르기만 하구나! 그날 저녁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끼고 천둥이 치 고 우박이 내렸다. 王이 두려워하여 거인을 석방하여 돌려보 냈다.204) 夫乙那所居曰第三都 三國史記 제11권 眞聖王 2年 春2月: 時有無名子 欺謗時政 構辭榜於朝路 王命人搜索 不能得 或告王曰此必文人不得志者所爲 殆是大耶州隱者巨仁耶 王命拘巨仁京獄 將刑之 巨仁憤怨 書於獄壁 曰于公慟哭三年旱 鄒衍含悲五月霜 今我幽愁還似古 皇天無語但蒼 204) - 106 -
(43)의 기사는 888년이라서 본고의 연대적인 틀에 들어 가지는 않지만, 密告의 존재를 빼고 저주에 대한 염려 및 어떠한 초자연적인 존재가 인간의 법집행에 간섭할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한 믿음이 고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 다. 절도나 살인사건에 대한 절차과정이 비슷했다는 것이 다. 일본열도의 경우 日本三代実録, 887년 8월 17일자 여성 2명의 모살 사건에서 범인은 獨甲 들이었다. 한편, 이능화에 따르면 205) 나무속에 贓物을 걸어놓은 者는 서 낭 으로 인정할 때가 있었다고 한다. 관습법에 있어서 객관적인 증거에 의거한 절차가 비교 적 발달하고 있지 않아 저주나 기타 점조와 같은 요소가 고대인들에게 중요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인 까닭 은 犯染의 위험성에 대한 믿음 206) 및 소규모 관습법 하 에 집단의 조직적인 어려움으로부터 207) 온 臨時刑罰實施 의 範疇에 의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기 이능 화의 기록이 특수해서 인용된 사서에 포함되었을 가능성 이 희박하다. 바바리아의 절차에 있어서 증인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되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컨대, Elbinger Rechtsbuch 에 따르면 증인의 선서 증언이 신판보다 가치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다. 蒼 其夕 忽雲霧震雷雨雹 王懼 出巨仁放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三國史記 2, 247쪽) 205)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173쪽 206) 이것에 대한 상응한 기록은 夫婁壇地의 儀式에 관한 기사이 다. (이능화, 앞 책, 181쪽) 207) 후술된 (45)의 기사에서의 무릇 증인이 없다 라고 하면 그리고 참사관이 같은 날에 송사를 판결하기를 원하였다 면 流水 神判을 하면 된다 라는 부분 - 107 -
(44) W en der richter einen man gebutit zcu entwerten, obir den man claget, unde jenir spricht, her sie unschuldig, zo gebutit im der richter, daz her vechter Elbinger Rechtsbuch 23-1 무릇 參事官이 피고에게 유죄냐 는 질문에 대해 피고가 무 죄다 라고 答하였다면 그리고 증인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 답이 없다 라고 하였다면- 參事官이 신판 결투를 시킬 것이 다. 또, 많은 경우에서 潔白宣誓補助者(英: oath-helpers)의 도 움으로 신판을 당하지 않는 관례를 볼 수 있다. 누구나 친족의 집단에 들어가 있는 상황에서 신판과 같은 법절 차는 허물어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 (37) 기사의 두 번째 문제점은 -관습법적인 의식은 정 확히 거행되었다는 것에 대해서 의례중심주의와 관계 가 있어 어느 정도 검토되었다는 것이다. Elbinger Rechtsbuch 의 내용을 다시 언급해 보면 다음과 같다. (45) W enne ouch eyn man beclaget wirt unde im der richter gebutet zcu entworten unde jenir spricht, her zy unschuldig, zo vroget in der richter, ab her geczuge habe. II Spricht denne jenir, her moge ir nicht gehaben, unde wil denne der richter adir sache deszelben tages abekomen, zo irteilet her, daz man in uf iz wasser lose. III Zo sal der prister daz wasser alererst te, aqua, in nomine Dei...fac zeynen mit disme zeyne: Adiuro eum Rechtsbuch 25, 1-3 natare super te. Elbinger 또, 무릇 어떤 者를 송사하면서 參事官의 질문에 答하길 무죄다 라고 하였다면 증인이 있느냐 없느냐 질문하면 된 다. 2. 무릇 증인이 없다 라고 하면 그리고 참사관이 같은 날에 송사를 판결하기를 원하였다면 流水 神判을 하면 된 다. 3. 이러한 경우 신부님이 流水를 축복하면서 [물에게 ] 말 하길 : [라틴어기도 ] 천주님의 뜻으로... 그 사람이 [無罪人이 라면 ] 溺死하지 않게 해 주시옵소서 - 108 -
상기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저주나 다신교적 呪文을 암 송하는 대신에 기독교 기도문을 이용하게 되지만, 절차 자체의 관습법적인 요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 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도문을 읊고 있는 것도 그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독교 내용이 외면적으로 내포되는 양상 이 (32)의 기록에서도 출현된다는 점이 유사하다. 그리고 (37)의 기사 및 (45)의 기사와 같은 사실에서도 의례를 상당히 순차적으로 거행하기 위해서 많이 신경을 쓴 흔 적이 보인다. Leges Longobardorum 에 따르면 만약 법적인 의 식에 있어서 오류나 누락이 있으면 합법적인 효과성이 없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46) De testibus, Si qualiscumque causa inter conlibertûs aut parentis convenerit aut acta fuerit, et homines boni tres aut quattuor interfuerent, non reprovetur postea ipsa causa, nisi eorum testimonium ambe partis credant, qui fuerent inter; procuius autem causa testis illi testimonium reddederent, ipse homo causatori suo per sacramentum satisfaciat... Et si forsita rememorati testes veritatem ipsam celare voluerent, tunc per sacramentum satisfaciant princepi aut a missom eius, ut ipsa veritas non obfuscetur. Si quidem per wadia oblicatio facta fuerit, et intentio pro hoc fuerit excitata, in eo iudicio maneat, sicut in instituit. anteriori edicto legitur, quod Liutprandi leges, 8.II gloriosissimo Rothari rex 증인에 대하여, 무릇 3명이나 4명의 믿음직한 증인 앞에서 자유인이나 친속끼리 약정을 맺었다면 그리고 증인들이 실수하지 않았음을 양편이 인식하였다면- 본 약정의 위반은 금지된다. [약정의 해당성에 대한 해당성이 없는 경우에서 본 ] 증인들이 증언하신대로 계약자는 [아무 잘못이 없었다 면 ] 그는 原告에게 다시 선서시키면 된다...그렇지만 무릇 어떤 증인이 사실을 감추려고 하였다면, 왕이나 王人에게 더 이상 사실을 왜곡하지 않도록 선서토록 한다. 그렇지만 - 109 -
만약 명령을 받아 의례적인 선서를 하고 나서 판결 절차에 서 [증인의 왜곡 때문에 ] 어려움이 나타났으면 영예로운 Rothari 대왕의 규정대로 판결된다. 여기서 Liuthprandi 대왕이 언급했던 규칙의 판결은 Edictus Rothari의 363 조항에 나타난다. 이것은 선서나 맹약을 위 반한 것에 대한 규정인데, 선서의 의식을 규칙적으로 거 행치 않으면 합법적인 결과가 없다는 내용이 있다. 그리 고 본 의식에 대한 서술도 내포된다. 즉, 성경이나 무기 ( 그림 -1) 에 손을 올리고 조문을 암송하는 것이다. 한편, 고구려에서도 유사한 순리에 따른 의례적인 실수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47) 郊祭에 쓸 돼지가 달아나서, 왕은 託利와 斯卑를 시켜 쫓게 하였다. [그들] 長屋澤 가운데에 이르러 [교시를] 찾아내어 칼로 그 다리의 힘줄을 끊었다. 王은 이것을 듣고 노하여 하늘에 제사지낼 희생물을 어떻게 상하게 할 수 있는가? 하며 마침내 二人 을 구덩이 속에 던져 넣어 죽였다. 9월에 왕은 병에 걸렸다. 무당이 말하기를 託利와 斯卑가 빌미가 된 것입니다. 고 하였다. 王은 사람을 시켜 사과하니 곧 병이 나왔다.208) 또한 시간이 갈수록 국가제사에 대한 의례를 더럽힌 이 유로 모든 사형이 새로운 규범적 윤리의 수용으로 정의 롭지 않게 보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아니면 祭天에 대한 제사에 있어서 淀死刑에 처했던 것은 해당하지 않음으로 써 國人에게 용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쨌든, 고구려 의 儀禮中心主義의 존재를 입증하는 좋은 기록으로 인정 三國史記 卷13 瑠璃明王 19년 秋8月: 郊豕逸 王使託利斯 卑追之 至長屋澤中得之 以刀斷其脚筋 王聞之怒曰 祭天之牲豈可傷 也 遂投二人坑中殺之 九月 王疾病 巫曰託利斯卑爲崇王使謝之卽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三國史記 2, 275쪽) 208) - 110 -
된다. 한편 (45)의 기사에서 신판의 사건을 보면, 신라에 서 流水 神判에 관한 의례에 대한 기록도 209) 현존했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를 둘러싼 의식이나 口碑要素 존재의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관습법과 呪文이 저주암송과 연결성이 있었다는 것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또, (37)의 기사 이외에 (38)~(41)까지 기사의 저주에 대한 기록에서 나타난 기타 諸문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38) 및 (40)의 기사를 검토해 보도록 한다. 聖地에서 가 져온 흙덩이를 돌리고 있는 의식은 -문맥은 다르지만Lex Salica 의 C條 210)에서도 서술되고 있다. 人命金을 지불 할 수 없는 者가 거행해야 할 의례(즉, 흙덩이를 던지는 禮)는 (38)의 기사와 유사하다. 그리고 본 의례와 더불어 암송되었던 저주도 분명히 나타난다. 닭 두 마리나 采女 [うねめ] 2명이 싸웠다는 (40)의 기사를 통해 (38)의 기 사를 살펴보면 특징이 또 하나 제기되고 있다. 그것은 유 추적인 의식이다. 즉, 저주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의식에 서 거행하는 것 대신에 상징적인 유물이나 인물을 이용 朝廷花主聞之 遣使取益宣 將洗浴其垢醜 宣逃隱 掠其長子 而去 時仲冬極寒之日 浴洗於城內池中 仍合凍死 三國遺事 卷2 紀異篇 竹旨郞. 상기에 대해서는 홍승우의 가설대로, 본 사건 의 결과는 의도적인 洗浴死刑 이었다는 것이다.(홍승우 2003 신라율의 기본성격 형벌체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 원 석사논문 59쪽). 그렇지만 더욱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것 은, 父親의 죄로 더럽혀진 집단이 犯染을 당해서 집단 대표 자로서 범인의 아들을 洗淨시켜 우연히 죽였다는 것이다. 이는 流水 神判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도 인식된다. 210) 법전 최초로 간략히 출판된 Pactus Legis Salicae에서는 본 규정이 LVIII조에 나타나고 있다. 209) - 111 -
하고 있는 의례거행이다. 그것은 관습법의 儀禮中心主義 의 양상과 초자연적인 요소와 관계성을 뚜렷하게 보여주 고 있는 점이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葬禮儀禮에 있어서 殉葬者대신에 土偶를 매장하는 것도 이런 문화 양상에 뿌리가 있다는 것이다 211). 마지막으로, (39) 및 (41)의 기사를 살펴보면 조건 저주 의 존재와 죽임을 당하는 원수가 행하던 저주의 효율성 에 대한 믿음과 같은 주목해야 할 점이 두 가지 남아 있 다. 전자는, 토르브리안드 군도에서 관습법을 조사했던 B. Malinowski가 충분히 잘 설명한 개념으로 간단히 언급하 도록 한다. 여기서는 법의 기타 기관에 대해 지적하면 된다. 이들 중 하나는 조 건 저주를 통하여 소유를 보유하는 kaytapaku 수호 제도이다. 어떤 사람이 먼 곳에서 私有하고 있는 코코야수나 빈랑나무를 보호할 수 없었다면 나무줄기에 야수 잎을 붙인다. 이것은 도둑에게 자동적으 로 불행을 내릴 수 있는 呪文이 암송되었다는 것을 인지한다는 것 이다212). 유감스럽게도 순장의 관습법적인 양상은 본고에서 여지가 없으 므로 정확히 서술할 수 없다. 앞으로 더욱 정확한 연구를 위해 문 제점을 간단히 소개한다. 첫째, Risala에 대한 Duczko(2007, Ruś Wikingów, Trio, 116-128쪽)의 해석에 따라 순장된 노예나 반자유인 의 친족들의 신분적인 상승 가능성이 높으며, 이것은 고대 한국에 있어서 奴隸도 아니고 家臣도 아닌 것으로 보이는 殉葬者에 관한 발굴조사결과(지산동 황남동의 기이한 侍婢의 부곽, 김재현 1997 韓國의 殉葬硏究에 대한 檢討 문물연구 1, 113-115쪽)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양상은 노예나 家臣뿐만 아니라 罪囚도 순장을 받았다는 가능성에 대한 것이다 (손곡동 물천리에서 罪囚土偶를 발굴한 사실). 211) 212) Some other specific legal mechanisms may also be mentioned here. One of them is the kaytapaku, the magical protection of property by means of conditional curses. When a man owns coco or areca palms in distant spots, - 112 -
물론, 예상 범죄에 대한 보호만 아니고 역사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 인물(예:대왕) 한 명만이 제한된 저 주를 암송하고 있었다는 것도 가능하였다. 한국에서도 비 슷한 저주의식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제웅과 관련 성이 깊다 213). 고대 한국에 있어서 유사한 사고방식이 유 행했느냐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답해도 좋다. 그렇지만 三國遺事 神呪 卷6 密本摧邪條를 보면 범죄로써 나타 난 저주가 더욱 자주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 한 저주의 효과에 대한 믿음이 지배층까지 있었다는 것 을 (41)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기백이 언급한 Nibelungenlied의 근거인 Volsunga saga에서 나타나듯 이, 바바리아에서도 저주에 대한 두려움과 조심스러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즉, Sigurðr이란 주인공이 Fáfnir에게 致命 傷을 주었을 때 그의 咀呪力을 무서워하며 자기 이름을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Fárnir는 마지막 순간에 복수로서 훔치게 될 수 있었던 자기의 寶物을 저주한다는 것이다. (48) Ok er Fáfnir fekk bánasar, spurði hann: hverr ertu, eða hverr er þinn faðir, eða hver er aett pin, er pú vart sva djarfr, at þú þorir at bera vápn á mik? Sigurðr svarar: aett min er mǫnnum ókunnig, ek heiti gǫfugt dýr, ok á ek engan fǫður né mǫður, ok einn saman hefi ek farit...fáfnir svarar: ríða muntu þar til, er þú finnr svá mikit gull, at cerit er um þina daga, ok þat sama gull verbr þinn bani ok hvers annars... ok þa deyr Fáfnir. Volsunga saga XVIII Fáfnir가 치명상을 입고 묻기를: 자네는 누구냐? 아비의 이름이 where it is impossible to keep watch over them, he attaches a palm leaf to the trunk of the tree, an indication that a formula has been uttered, which automatically would bring down ailment on the thief.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Harcourt, Brace & Co, 213)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130-134쪽 - 113 - (1926, 60쪽)
뭔가? 자네가 무기를 들고 나를 반대하다니 [참 대단하네]. 강건 해서 자네의 가문이 어디에서 왔는지 궁금하네. Sigurðr가 答하길: 나의 가문에 대해 아무도 모르고 부모가 없이 짐승같이 살지만 짐 승 중에 가장 고귀합니다...Fáfnir가 말하길: 말을 타고 가시요. 자 네가 죽을 때까지 金이 모자라지 않을 걸. 그렇지만 이 금은 자네 의 저주가 될 거야. 누구나 이 금을 소유하게 되면 저주를 받게 될거야...그리고 나서 Fáfnir이 죽었다. 저주의 관습법적인 기능이 가장 잘 나타난 것은 약정을 맺는 사건들이다. 왜냐하면 본 약정의 보증은 자신에게 직접 했던 조건 저주이다. 부록에 있는 Lex Frisionum: Additio sapientium III조에 서 이러한 저주가 나타나고 있다(solus iuret in manu proximi). 더 욱이 Lex Saxonum VIII조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난다. (49) Quicumque gladio stricto super alterum cucurrerit et retentus ab alio fuerit XII solidos conponat vel in manu liti sui vel arma iuret. Lex Saxonum VIII 무릇, 어떤 者가 劍을 들고 타인을 공격하였다면 그리고 제3인에 게서 멈추게 되었다면 솔리도스 12개로 속죄하면 된다. 그리고 [더 이상 공격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는] 자기의 반자유인(家臣) 의 손이나 자기의 무기 에 손을 올리고 선서를 하면 된다. 상기에서 저주의 내용은 만약 선서를 위반하면 神의 특수 한 복수로서 상상할 수 없는 것을 당할 것이라는 뜻이다. 즉, 위증인의 토지에서 일하는 小作이나 家臣조차 그를 반대하 고 죽여 버릴 것이고, 그리고 자기의 무기가 그를 傷害할 것이 라는 의미이다. Lex Frisionum에 있어서 반자유인이 아니라 친속 의 손 조차 포함되어 있다. Modzelewski 는 -G. Landwehr을 언급 하면서 더 다른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그것은 동슬라브-비 잔티움의 971년 조약이다(1113년의 原初年代記, Повѣсть вр 214) 214)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 114-144쪽
I 52). 조약의 머리말을 보면 만약, 후술된 것 을 안 지켰다면...우리가 숭배하고 있는 神이 Perun 우리를 저주하도록 하시오[그림-1]. 우리는 자기 자신의 무기로부터 모살될 수 있도록 하시오 라는 기록이 있다. 이런 기사를 통하 여 다음과 같은 Helmoldi 기록의 뒷부분을 파악하기가 수월해질 것으로 여겨진다. еменныхъ лѣтъ (50) Illic inter vetustissimas arbores vidimus sacras quercus, quae dicatae fuerant deo terrae illius Proven, quas ambiebat atrium et sepes accuratior lignis constructa, continens duas portas. Preter penates enim et ydola, quibus singula oppida redundabant, locus ille sanctimonium fuit universae terrae, cui flamen et feriaciones et sacrificiorum varii ritus deputati fuerant. Illic omni secunda feria populus terrae cum regulo et flamine convenire solebant propter iudicia. Ingressus atrii omnibus inhibitus nisi sacerdoti tantum et sacrificare volentibus, vel quos mortis urgebat periculum, his enim minime negabatur asilum. Tantam enim sacris suis Slavi exhibent reverentiam, ut ambitum fani nec in hostibus sanguine polluisinant. Iuraciones difficillime admittunt, nam iurare apud Slavos quasi periurare est ob viudicem deorum iram. Helmoldi Pres. Chronica Sclavorum 84 저기서 [Elbe강 유역] 아주 낡은 나무로, 이 지역의 Prowe란 神을 위해 축성된 거룩한 참나무들을 우리는 보았다. 이 숲은 넓은 마 당과 大門이 2개가 있는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는 것이었다. 이 나 라에는 성주나 기타 多神이 읍락마다 많이 있는데 이 숲은 달랐 다. 왜냐하면 개별 사제도 있으며 특수한 제사까지 있었던 것이다. 그곳에서 月曜日마다 법적 민회가 열리고 있었다. 울타리를 넘을 수 있는 者들은 사제, 희생하고 싶은 者, 그리고 사망으로부터 逃 避한 者, 3명뿐이 아니다. 거주민들은 도피자들이 숲으로 들어갈 수 없게 만든 적이 없기 때문이다215). 그리고 원수의 피로 더럽힐 수 없을 만큼 자기의 聖地를 높이 여기고 있었다. 선서나 약정을 거의 하지 않은 편이다. 왜냐하면 슬라브족 끼리 약정했던 것은 성내고 있는 多神에게서 보복적 저주를 당하였다는 것과 마찬가지 215) 蘇塗와 유사성이 눈에 띠는 점이다. - 115 -
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내용을 염두에 두고 고대 한국으로 돌아와, 백제의 聖 王과 苦都의 대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日本書紀 欽明 15년條를 보면: (51) 이때, 新羅는 佐知村의 飼馬奴苦都에게, 苦都는 천한 종놈 이요, 明王은 이름 있는 왕이다. 지금 천한 종으로 하여금 군왕을 죽이게 하려 한다. 후세에 전해져 길이 그 이름이 남을 것이다 라 고 말하였다. 얼마 후 苦都가 明王을 붙잡아, 재배하며 王의 머리 를 베게 하여 주소서 라고 말하였다. 明王이, 왕의 머리는 종의 손에 맡길 수는 없다 라고 대답하였다. 苦都가, 우리나라의 법에 는 맹세한 것을 어기면 國王이라 하더라도 마땅히 종의 손에 죽습 니다. 라고 하였다. (一書에 明王이 의자에 걸터앉아 차고 있던 칼 을 풀어 谷知에게 주어 베게 하였다고 한다). 明王이 하늘을 우러 러보고 탄식하며 눈물을 흘렸다. 그는 허락하며, 과인은 매양 뼈 에 사무치는 고통을 참고 살아왔지만, 구차하게 살고 싶지 않다 라고 말하고 머리를 늘여 베임을 당하였다. 苦都는 참수하여 죽인 후에 구덩이를 파고 묻었다. (一書에 말하였다. 新羅는 明王의 두 골을 수습하여 두고, 예로서 나머지 뼈를 백제에 보냈다. 新羅王이 明王의 뼈는 北廳의 계하에 묻었다. 이 廳을 都堂이라 한다).216) 주목해야 할 문장은 我國法違背所盟 雖曰國王當受奴手 라는 것이다. 苦都가 이런 말을 이용하여 왕을 참사하였던 행위를 日本書紀 卷19 欽明 15年 冬十二月條: 是時新羅謂佐知村飼 馬奴苦都...曰苦都賤奴也 明王名主也 今使賤奴殺名主 冀傅後世莫忘 於口 已而苦都乃獲明王 再拜曰 請斬王首 明王對曰王頭不合受奴 手 苦都曰我國法違背所盟 雖曰國王當受奴手 一本云明王乘踞胡床 解授佩刀於谷知令斬 明王仰天大憩涕泣許諾曰寡人每念 常痛入骨髓 願計不可苟活 乃延首受斬 苦都斬首而殺 堀坎而埋 一本云 新羅留 理明王頭骨 而以禮送餘骨於百濟 今新羅王埋明王骨於北廳階下 名 此廳曰都堂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342쪽) 216) - 116 -
정당화하기 위해서 규범적인 규정을 인용하고 있다. 정확히 알 수가 없지만, 이 규칙은 從主의 관계에서의 문맥에서 적용할 수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런 밀접한 사이에서는 부하의 손에 의해 ( 奴手 ) 죽게 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없 는 상황이었으므로 당시에는 神의 저주의 작용으로써만이 가 능한 상황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관습법에 따른 판결임에 틀림 없다고 생각한다. 상기의 기록에서 정확히 알 수 없는 motif도 하나는 있는데, 그것은 자기의 칼로부터 목을 베게 된 기록이 다. 유럽 바바리아에서도 왕이 맹약을 위반하여 賤奴로부터 참형 을 받았다는 토포스가 유행하고 있었다. Sőgur중에 Fagrskinna란 기록이 있는데, 거기서 Hakon Sigurðson 노르웨이 왕은 그러한 이 유로 죽었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다217). 비슷한 경우 에 자신의 무기를 통해 목숨을 잃었던 바바리아인이 무척 많 아 보인다. 관습법의 口碑적인, 저주와 다른 특징은 상기와 관계가 있 었음에도 불구하고 약정에서의 再暗誦文 의식이다. 고대로 갈수록 약정은 구두로 되었다는 것이 당연하다. 그것은 晉 書 肅愼傳에서의 無文墨 以言語爲約 이나 梁書 東夷列 傳 新羅傳에서의 無文字, 刻木爲信218) 이라는 기록에 의거된 사실이다. 後者는 木簡을 이용하여 약정했다는 것이 아니라 우 217) Morawiec 역, 2011, Saga o Hallfredzie skaldzie kłopotliwym, Chronicon, 103쪽 이 기록은 포폄사상으로나 기타 東夷인 통보자에게서 악의적으 로 왜곡된 내용이라는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에 신라의 문필 문 화가 - 고고학적인 자료를 통해 - 검증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 다. 그렇지만 또 다른 가능성 하나는 편찬자들이 예전 시기에서 온 기초자료를 언급해 왔던 것이다. 따라서 梁書 당대에 관 한 내용 보다는 종전의 의례중심주의적인 관습법 하에 사는 집단 을 서술하였다는 것으로 적시하면 좋으리라 추정한다. 218) - 117 -
리가 모르고 있는 방식으로 맺었던 약정에 대한 기사일 가능 성이 없지는 않다. 왜냐하면 이 기록이 예전 시대에 대해서 전체적 신빙성이 있는 사료로서 인정한 경우- 중국에서는 그 런 簡牘 계약서 가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편찬자가 알아볼 수 있는 관습법의 요소일 것으로 추측된다. 백제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내용이 가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약정을 맺은 의 식이 상대적으로 잘 서술되어 있다. (52) 이에 그 왕인 肖古와 왕자 貴須가 또한 군사를 이끌고 와서 모였다. 比利, 辟中, 布弥支, 半古의 四邑은 스스로 항복하였다. 이리하여 백제왕 부자, 荒田別, 木羅斤資들이 같이 意流村에서 公 會하였다. 서로 보고 기뻐하였다. 예를 후하게 하여 보냈다. 다만 千熊長彦과 백제왕은 백제국에 이르러 辟支山에 올라, 같이 磐石 위에 앉았다. 그때 백제왕이 맹세하기를, 만일 풀을 깔고 앉으면, 불에 탈 위험이 있다. 또 나무를 잡고 앉으면, 물에 흘러갈 위험이 있다. 고로 반석 위에서 맹세하면 영원히 썩지 않을 것이다. 금후 천추만세에 끊임없이 무궁할 것이다. 항상 서번이라 칭하며, 춘추 에 조공하리다 라고 하였다.219) 북 바바리아의 地名을 통해 보면 이른바 선서바위 (edsten) 라는 것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王이 개입한 의례에서도 이런 바위를 이용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220)이다. 그렇지만 상 日本書紀 第9卷 神功 - 氣長足姬尊 卌九年春三月: 其王肖古 及王子貴須 亦領軍來會 時比利 辟中 布弥支 半古 四邑 自然降服. 是以 百濟王父子及荒田別 木羅斤資等 公會意流村 今云州流須祇 相見欣感 厚礼送遣之 唯千熊長彦與百濟王 至于百濟國 登辟支山盟 之 復登古沙山 共居磐石上 時百濟王盟之曰 若敷草爲坐 恐見火燒 且取木爲坐 恐爲水流. 故居磐石而盟者 示長遠之不朽者也 是以 自 今以後 千秋萬歲 無絶無窮 常稱西蕃 秋春朝貢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165쪽) 219) 220) (Boroń, 2008, Pogańskie motywy w ceremoniach społecznych dawnych - 118 -
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백제왕의 呪文이다. 그것은 고대 한 국의 樂浪무덤에서 출토된 壽如金石內行花文鏡에 나타나고 있 는 文과 유사성이 깊어 보인다. (53) 쇠와 돌처럼 오래 사시고 좋으시길. 쇠와 돌처럼 오래 사시 고 좋으시길. 오래 사시고 부모에게 좋으시길. 쇠와 돌처럼 오래 사소서.221) 상기에서도 돌 이 변화가 없다는 것의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 다. 추정적인 것이지만, 정약을 맺을 의례에서는 (52)의 기사 와 동일한 상징적 표현을 쓸 수 있었다는 것으로서 분석해도 될 것 같다. 유감스럽게도 자료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 다. 말하자면, 고대 한국에 대한 조문이 아니고 中華 문화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할 자료가 아닌지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만 만약- (52) (53) 양자의 기록 사이에 연결성이 검증될 수 있었다면, 그것은 고대 한국 관습법의 口碑를 둘러싼 의식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음은 대표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다는 것 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6세기 신라의 비문에서의 若更噵者 敎其重罪耳 나 若此者獲罪於天 이라는 일부도 呪文暗誦文의 흔 적이 있다고 생각한다. 주목할 만한 것은 고대 일본에서도 유 사한 법적 절차(판결 및 집행)인 천벌 에 관한 조문이222) 존 박물관에는 Karintia의 왕들이 썼던 소위 Fürstein이란 바위가 소장되어 있다. 221) 壽如金石且佳好兮 壽如金石佳且好兮 延壽萬利利父母兮 壽如金 石. 이 동경에 대해서는 金鍾太의 논문이 있다. (金鍾太 1979 樂 浪出土漢代銅鏡銘文考 全海宗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일조각) 222) 日本書紀 卷19 欽明 23年...若是實者必被天災 遂因苦問 伏 地而死 死未經時 急災於殿 廷尉收縛其子守石與中瀨氷...將投火中 投火爲刑 盖古之制也 咒曰非吾手投 以祝手投 咒訖欲投火 守石之 母祈請曰 投兒火裏 天災果臻 請付祝人使作神奴 乃依母請許沒神奴. [(법적 고문을 받는 馬飼首歌依가)...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반 Słowian, Bogowie i ich ludy, Chronicon). Klagenfurt - 119 -
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드시 천재를 입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 고문이 심하여 드디어 땅 에 엎드려 죽었다. 죽어서 얼마 안 되어 궁전에 화재가 일어났다. 형리는 그 아들 守石과 中瀨氷을 붙들고 묶어, 불 속에 던지려고 할 때...저주하여 내 손으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다. 神職의 손으 로 투입되는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저주를 마치자 불에 던지려고 하였다. 守石의 모친이 청하여, 아들을 불 속에 던지면 천재가 일어날 것이다. 제발 신직에 딸린 神奴로 하여 주소서 라고 말하 였다. 모친의 청에 의하여 용서하여 神奴로 하였다](전용신 역, 앞 책, 348쪽). 본 구절은 관습법과 구비문화만 아니고 상술했던 초자연적인 양상과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 - 120 -
3. 屬人法의 要素 바바리아에서는 관습법의 속인적인 성격을 쉽게 엿볼 수 있다. (54) Hoc autem constituemus, ub intra pago Ribuario, tam Franci, Burgundionis, Alammani, seu de quacumque natione conmoratis fuerit, in iudicio interpellatus, sicut lex loci contenit, ubi natus fuit, sic respondeat. Lex Ribuaria XXXI-3 한편, [朕은] 말하기를: 리부아리아의 대영역에 있어서 [기타의] 프 랑크족, 부르군트족, 알레마니족, 어떤 종족에서 온 사람들이라면 심판을 받을 경우에는 자기 탄생지에서의 관습법에 따르면 된다. (55) Ut omnes homines eorum legis habeant, tam Romani quam et Salici, et si de alia provincia advenerit, secundum legem ipsjus patriae vivat. Pippini capitulare Aquitanicum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법속이 있[으면 옳]다. 로마인이든 살리카[프랑 크]족이든, 다른 지방에서 온 누구나 이리로 오면, 本國의 법속대 로 살면 되는 것이다. (56) Interdiximus ut omnes Saxones generaliter conventus publicos nec faciant, nisi forte missus noster de verbo nostro eos congregare fecerit; sed unusquisque comes in suo ministerio placita et iustitias faciat. Et hoc a sacerdotibus consideretur, ne aliter faciat. Caputalaria de partibus Saxoniae 785년, XXXIV 朕의 뜻으로 使者를 통해 민회를 불렀음이 아니라면 모든 색슨족 에게 종합민회가 금지되고 있다. 법을 작용하는 기관이 민회대신 에 朕이 파견한 공작이다. 그가 달리 하지 않도록 신부님께서 보 시기를 바라오. (57) De incendio convenit quod nullus infra patriam presumat facere propter iram aut inimicitiam aut qualibet malivola cupiditate excepto si talis fuerit rebellis qui iustitiam facere noluerit et aliter districtus esse non poterit - 121 -
et ad nos ut in presentia nostra iustitiam reddat venire dispexerit; condicto commune placito simul ipsi pagenses veniant et si unianimiter consenserint pro districtione illius causa incendatur; tunc de ipso placito commune consilio facto secundum eorum ewa fiat peractum et non pro qualibet ira aut malivola intentione nisi pro districtione nostra; si aliter incendium facere ausus fuerit, sicut superius dictum est solidos LX conponat. Capitularia Saxonicum 797년, VIII 放火罪에 대한 명령은 朕의 왕국에서 어떠한 臣下라고 해도 惡意 慾心, 憤怒나 血讐로 [방화하면 안 된다]. 자기 이웃의 민회에서 온 송사이거나 朕의 재판 앞에 불려왔던 것을 輕視한 叛逆者에게 만 -옛날 관습법대로- 群衆은 읍락민회에 모여 滿場一致로 판결하 여 犯人의 집을 방화토록 한다. 이런 경우에서만 방화가 용납된다. 만약 어떤 자가 朕의 명령이 아니라 상기하다시피- 자신의 憤怒 나 惡意로 방화죄를 범하였다면 솔리도스 60개로 속죄하면 된다. (58)...Praefectus vero ad Griponem accedens, mulcere coepit animos eius de his quae gesta fuerant, ordinans, qualiter ad praesentiam imperatoris accederet. Qui veniens, narrata legatione, pro qua directus fuerat, exitum sociorum exposuit. Qua de causa imperator valde molestus, pollicitus est ulcisci mortem eorum iuxta id quod Childeberthi regis iudicium promulgaret... Historia Francorum, X. 2 관장은 Gripo쪽으로 와서 [使者의 친구가 살해된 사건에 대하여] 안정시키고 [비잔티움의] 대제에게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사자가 대제에게 와서 자기 使節의 일이 다 끝나고 친구가 살 해당했다는 事實을 대제께서 알려주었다. 대제는 성을 내고 Childeberth대왕의 재판 판결에 따라 법을 집행하기로 약속하셨다. (59) Ist ouch, daz keyn gebuer siczczit under eynem herren, unde beclaget wirt vor eynem andirn herren, so sal her sprechin, her ensulle nirgen entworten, den vor synem; do welle her im gerne entworten. II. Zo sal her in czu rechte nicht vorbastwingyn, zo mus im volgen vor synem herren, der hy uf in clagete, unde calgen do uf in, ab her rechtis bechemyn wil. - 122 -
Elbinger Rechtbuch VI-1,2 어떠한 小作人이 자기의 地主가 아니고 다른 귀족의 재판으로부터 송사를 받았다면 올 의무가 없다고 답하면 된다. 자기 지주의 재 판 앞에서 송사를 받으면 옳다고 해야 한다. 2. 그래서 원고가 강 제로 자기의 재판으로 이 小作人을 데리고 가면 안 되며, 贖을 합 법적으로 갚기를 원하였다면 피고인 지주의 재판으로 가서 송사하 면 된다. 그것은 상술된 (29), (54), (55), (58) 및 (59)의 기록에서 깊은 탐색 없이 바로 나타나고 있는 사실이다. (58)기사에서 만 의문이 나올 수가 있다. 그 이유는 살인자들이 바바리아인 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으며 피해자들도 使者였기 때문에 大 帝는 특수한 배려로서 형벌을 받을 수 있도록 프랑크대왕에게 범인을 보낼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속인법 요소에 대해서 각자마다 자기의 本國/本邑法에 따라 재판해야 할 관습적인 규정이다. 그것은 非獨占化된 법제에 근거가 있는 개념이고, 윤내현223)이 각 邑들은 강한 독립성을 유지하므로 형벌 또한 중앙집권화될 수 없으며 각 邑에서의 형벌은 완전한 공형법을 기대하기 어렵다 란 말과 동일하다. 이 속인법주의 및 법의 非독점화된 모습과의 관련에 대하여 더욱 명백하게 논증하면 좋을 것이다. 즉, 어떠한 개인이 어떤 집단에서 태어났다는 것은 초자연적인 것을 토대로 미리 결 정된 것으로 여겨졌던 편이었다. 그래서 권력자로부터 집중화 시키는 법적 간섭은 神 에게 모욕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어 당 시대의 사람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었다. 말하자면 법의 非독점화된 모습의 결정요소는 당시 결정론적인 사고였 다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각 집단마다 단독적으로 운영된 관 습법이 다양성을 가지게 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본 논거 윤내현 1998 한국열국사연구 지식산업사, 조우영 2000 한서 지리지 에 나타난 고조선의 법 한국사학보 22, 20쪽 223) - 123 -
가 간접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비독점화된 법제의 모습을 가리 키고 있는 사료를 통해 속인법주의 존재를 입증할 수 있는 것 으로 추측된다. 바바리아로 돌아와, Elbinger Rechtsbuch의 구성에 의하면 속인법 적인 흔적이 아직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법전 자체가 상술하듯이 독일무사단 국가에서 Elbing이 란 도시 근처에 사는 폴란드인의 읍락법이다. 읍락만 아니라 Elbing에 거주하는 소수의 폴란드인은 모두 유사한 관습법을 운 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쓰는 언어는 西슬라브어 이고 법적인 呪文에서 제시된 언어이다. 많은 註解는 당시 Elbing에서 이용했던 niederdeutch(底獨語)어로 되어 있는데 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접 참석하지 않은 중앙권력관리들을 위 하여 만들었던 것으로서 법전의 대부분이 hochpreussisch(中獨語 의 사라졌던 방언)어로 반포되고 있다. 물론, 이런 非독점화된 법적인 상태는 지배자의 입장에서 원 하지 않은 것이라서224) 차례로 속지법제로 변모를 시도했던 노력이 나타난다. (60) De waregang. Omnes waregang qui de exteras fines in regni nostri finibus advenerint, seque sub scuto potestatis nostrae subdederint, legibus nostris Langobardorum vivere debeant, nisi si aliam legem nostram meruerint. Si filius legetimûs habuerint, heredes sicut et filii Langobardorum... Edictum Rothari 367 ad pietatem eorum existant, 化外人에 대하여. 朕의 왕국 외부로부터 왔던 모든 化外人들이 朕 224) B. Malinowski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100쪽) 관습법의 비독점화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길: Primitive law in not... homogenous, perfectly developed into a consistent system...the law of natives consists of a number of more or less independent systems, only partialy adjusted to one another 라고 한다. 그 부분적인 調整 에 있어 서는 왕권의 입장에서 왕의 영예가 줄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정세였다. 변모시킬 수 있는 수단의 부족으로 어쩔 수가 없 이 용인되고 있는 편이었다. - 124 -
의 권력을 인정하였다면 랑고바르트족의 법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朕의 특별한 배려로 얻었던 특권으로만 本國法에 따르면 된다. 그리고 합법적인 子女를 가지고 있었다면 본 子[女]들이 랑 고바르트족의 子[女]와 같은 [법 지배하에] 살면 된다. (61) Igitur regressi Saxones in Italiam, adsumptis secum uxoribus atque parvulis suis vel omni supellectili, rursum ad Gallias deliberant redire, scilicet ut a Sigiberto rege suscepti, eius possint adiutorio ad patriam remeare. Certum est autem hos Saxones ideo ad Italiam cum uxoribus et parvulis advenisse, ut in ea habitare deberent; sed, quantum datur intellegi, noluerunt Langobardorum imperiis subiacere. Sed neque eis a Langobardis permissum est in proprio iure subsistere, ideoque aestimantur ad suam patriam repedasse. Historia Longobardorum III.6 [Mummulus라는 프랑크족의 君長에게 敗하여] 이탈리아로 돌아왔 던 색슨족이 妻子와 재산을 다 모아 Sigibert대왕에게 도움을 청하 여 갈리아로 다시 이민하였다. 이 (주北이탈리아) 색슨사람들이 妻 子와 더불어 이탈리아에 정주해 오래 거주하기를 원했지만, 랑고 바르트족의 支配下에 더 이상 있지 않게 되었다고 했다. 예전에 [색슨족의] 관습법을 적용할 수 있게 랑고바르트족으로부터 용납 되고 있었을 때는 왕국의 지배를 문제없이 받고 있었다는 것이었 다. 6세기 초기에 랑고바르트족이 이탈리아로 들어올 때 많은 기타 부족의 연합체로서 이주했다. 정주하고 나서 그 사람들 은 자기 관습법의 규정을 지키고 살았다. 그리고 왕국 인구 의 대다수인 로마인들이 卑俗로마법을 따라가고 있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본 정세를 조금이라도 바꾸려고 한 君主가 상기에서 보이듯이 실패하고 말았지만, Rothari조차 로마 인에게 바바리아의 관습법을 적용시킬 생각은 한 적이 없었 다. 기타 바바리아 왕국에서는 로마인들이 자기의 독단적인 법전을 가지고 있었는데, 부르군드왕국에서는 Lex Romana Burgundionum, 서고트족의 왕국에서는 Lex Romana Visigothorum이 - 125 -
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만약 로마인과 바바리아인이 서로 범 죄 사건을 일으켰다면 (Lex Salica XVI조의 경우), 대부분의 경 우 leges barbarorum에서의 인명금이나 배상금에 관한 해당규정 을 따랐을 것이다. 그 이유는 로마법에 인명금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예컨대, Lex Salica의 LXIX조에 의하면 Romanus homo는 아무리 대왕의 宴會同參者(conviva regis)라고 해도 왕조와 관계가 없 는 자유인인 프랑크사람의 인명금과 거의 동일하며, 같은 위 치( 관직 )의 프랑크 사람보다는 인명금이 두 배로 낮았다. 본문에서 벗어나, 이러한 법적책임능력에서의 차이는 고대 한국에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삼국사기 권25 辰斯王 2년조의 國內人 과 반대되는 (가설적) 지방민, 廣開土王陵 碑나 栢栗寺石幢記의 新民225) 이나 中原高句麗碑의 土內人 과 반대되는 고구려 舊民 과 관련해서는 위와 같은 법적인 차별이 반영되고 있다는 추정할 수 있다. 頭品制의 차등방식 도 본 법적차별에 근거가 되었을 것이다. 그 주제에 대한 개 별 논문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김기흥226) 이 이미 암시한 적이 있는 관념이며, 전덕재227)는 고구려의 경우에 반대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228). 실제 광개토왕릉비에서의 표현은 新舊守墓人 이란 것이다. 226) 김기흥 2003 한국고대 신분제 강좌한국고대사 3 227) 전덕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12쪽 228) 본 문제는 5部가 방위명 部로서 편제된 것에 대한 것이다. 본고 의 시대적인 틀에 있어서 기타의 고대 한국 왕국에서처럼 고구려 에서도 京位와 外位的인 지배제도가 그리고 그 안에서 제정법 의 간섭력에 따라 신하의 법적 책임능력도 달랐다는 인명금 제도 - 운영되고 있었다고 필자는 추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과 같 은 구절을 파악할 수가 없을 것이다: 三國志 高句麗傳 에서 는 其置官有對盧則不置沛者 有沛者則不置對盧 및 北史 高句 麗傳 에서는 官...分掌內外事, 등이 있다. 전자에서는 나타났던 沛者와 對盧가 어느 정도 儀官的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 225) - 126 -
속인법으로 돌아와, 본 관습법의 특색은 중국 법제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법의 관측에서 본 胡漢關係問題에 있 어서 김병준229)이 잘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 창출된 내용이 간독자료에 의거된 것이고, 이를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즉, 懸泉置漢簡에 의하면 현군제하에 지배의 대상인 羌人들 이 우선 자기끼리 정의를 찾고 있었고, (驢掌이란 사람이 아 들의 상처에 배상금을 빼앗았음) 예외적이지만 그것도 誣 告한 채 관부에서 소송하였다는 것이다230). 시기마다 관부 의 간섭이 달랐지만 낙랑에서도 유사한 법적인 胡漢 이색성 이 존재했다고 추측된다. 만일 중앙권력의 법적인 간섭이 심 하였다면, 단독적인 법 절차의 흔적을 보여주는 秥蟬縣神祠 碑와 같은 낙랑 내부의 縣 단위집단의 碑石은 평양 주변에 세우게 되거나 완전히 없을 것이다. 그리고 후대에 고대 한국으로부터 중국에 왔던 정주자들도 자신의 관습법을 적용하고 있었다는 것도 틀림없어 보인다. 왜냐하면 법 단독적으로 운영했던 노하우 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대 한국인들이 중국에 있었을 때 속인법 적인 규정231)을 따라가고 있는 율문이 있었다. 수는 없지만, 왕국의 지방을 두 가지 방식으로 치관하고 있었다는 것은 가능하다. 물론, 치관 이라고 해도 중국법제에 대한 松本善 海 (1948 舊中國社會特質論への反省 東洋文化硏究 9, 20 쪽)의 말을 빌어 국가도 농민이 [필자: 비유적인] 납세만 한다면 촌락자치에 손을 대고자 하는 정치적 욕망을 일으키지 않는다 라 고 한 말이 고대 한국의 비교적 많은 지방집단에서도 유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 완전히 없다고 할 수 없다. 229) 김병준, 2006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 배 역사학보 189 230) 김병준, 2006, 앞 논문, 143쪽 231) 최재영 (2004 8-9世紀 唐朝의 蕃坊 運營과 在唐 新羅人社 會 한국고대사연구 36 : 12, 261쪽)의 글에 따라 고대 한국 在唐 귀화인 들의 관습법에서 가장 중요시된 儀官은 官이나 村長 - 127 -
(62) 律文: 무릇 化外人이 자국인 간에 서로 범한 경우에는 각각 본국의 俗法에 의하고, 타국인 간에 서로 범한 경우에는 (중국의) 법률로 논죄한다. 疏議: 化外人이라는 것은 蕃夷의 국가로서 별도 로 君長을 세운 것을 말하며, 각각 俗法이 있고 법제가 다르다. 자 국인 간에 서로 범한 경우에는 반드시 본국의 제도를 물어 그 俗 法에 의하여 단죄한다. 타국인 간에 서로 범하였다는 것은, 예를 들면 高句麗人과 百濟人이 서로 범한 것과 같은 경우로, 모두 국 가의 법률로 논죄하여 刑名을 정한다.232) 열도에서도 속인법이 운영되고 있었다. 본 사실을 상대적으 로 세밀하게 제시한 사료는 후술된다. (63) 大帯日子命...摂津国의 高瀬 나룻터에서, 강을 건너려고 뱃사 공에게 부탁하였다. 그러자, 紀伊国 태생의 사공인 小玉은, 나는 天皇의 신하가 아니다. 라고 거절하였다. 이때 天皇이 친애하는 그대여. 사실은 그렇지만 반드시 건너게 해다오. 라고 말씀하자, 사공은 꼭 건너고 싶다면 뱃삯을 주시오. 라고 하였다. 그래서 여 행 복장으로 머리에 달고 있었던 弟縵를 뽑아서 즉시 배 안에 던 지셨다...233) 상기는 어떤 紀伊国人인 나룻배 사공이 關西地方에서 그리 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232) 唐律疏議 第48條 名例48 化外人相犯: 律文 諸化外人同類自 相犯者 各依本俗法 異類相犯者 異法律論 疏議曰 化外人 謂蕃夷之 國 別立君長者 各有風俗 制法不同 其有同類自相犯者 須問本國之 制 依其俗法斷之 異類相犯者 若高麗之與百濟相犯之類 昆以國法律 論定刑名 (金鐸敏 역, 1994 唐律疏議 한국법제연구원, 342쪽) 233) 播磨 風土記 6-9: 大帯日子命...到摂津国高瀬之済請欲度此河度 子紀伊国人小玉申曰我為天皇贄人否爾時勅云 朕公雖然猶度度子対 曰遂欲度者 宜賜度賃於是即取為道行儲之弟縵投入舟中...(김분숙 역, 1999 風土記, 87쪽) - 128 -
멀지 않는 곳에서 거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왕의 신하가 아 니라고 한 채 명령을 듣지 않았던 기록이다. 그리고 왜왕은 답을 듣고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강을 건너가기 위 해서 사공에게 弟縵 을 내리는 것이다. 사공이 율령이 아니 라 관습법 지배하의 반독립 집단으로부터 왔기 때문이라서 본 사건이 가능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대 한국에서는 그런 관습법적인 비독점화에 대한 기사가 몇 가지밖에 없다. 그들 중에서 (66)의 구절은 참고 자료이다. (64) 사자를 백제에 보냈다...任那의 日本縣邑에 있는 백제의 백성 중 도망해 온 자와 호적이 끊어진지 3, 4대 되는 자를 찾아내어 백제에 옮겨 호적에 올리게 하였다.234) (65) 東界 兵馬使가 보고하기를 威雞州에 거주하는 女眞의 仇屯 과 高刀化 두 사람이 그 都領인 將軍 開老와 재물을 다투다가 개 로가 술에 취한 것을 틈타 때려 죽였습니다 라고 하였다. 侍中 徐 訥 등이 議를 제시하기를 여진은 비록 다른 부류이지만 그러나 이미 귀화하여 이름이 판적에 실려 있어 일반 편호민과 같으니 마 땅히 우리나라의 법에 따라야 합니다. 이제 재물을 다투는 것으로 인하여 그 長을 때려 죽였으니 죄를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청컨 대 법대로 논하십시오 라고 하였다. 內史侍郞 黃周亮 등이 議를 제시하기를 이 무리들은 비록 귀화하여 우리의 屬邦이 되었지만, 그러나 사람의 얼굴을 하였다 하더라도 짐승의 마음을 가져 事理 를 알지 못하고 도덕 교화에 익숙하지 못하니, 刑을 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律文에 이르기를 왕의 교화에 감화되지 못 한 蕃國 출신에 化外人이 同類끼리 서로 범한 것은 각각 本俗法에 의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하물며 그 隣里의 老長이 이미 집으로 보 日本書紀 第17卷 繼禮天皇 - 男大迹天王 三年春二月 : 遣使于 百濟...括出在任那日本縣邑, 百濟百姓 浮逃絶貫 三四世者 並遷百濟 附貫也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288쪽) 234) - 129 -
내어 贖罪하였는데, 어찌 다시 논단을 하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왕이 황주량 등의 議에 따랐다.235) (64)의 기사는 백제왕의 권력이 강해져서 옛날 백제인의 후예 들은 백제 율령하에 살면 된다고 하고 있다. 이러한 본국법을 중심으로 한 생각은 기타지역에서 거주인을 이주시킬 수 있는 법적 정당성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그 정당성의 토대가 속인법적인 요소였다고 생각한다. 만일 이 해석이 맞으면, 당 시 백제 율령에서 관습법적인 속인법 요소가 포함되고 있었다 는 뜻이다. (65)의 기사는 고려시대의 女眞族 相犯 사건에 관한 율령 운영 여부에 대한 내용이다. 그리고 이들이 도덕 교화에 익숙하지 못했으므로 자기 관습법대로 판결을 하면 된다고 黃周亮과 靖 宗王이 하였다는 것이다. 만약, 고려시대까지 속인법적인 규정 이 적용된 적이 있었다면 고대 한국에서도 그러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물론, 한국 전종의 한국 법적 요소가 아니고 만주 법문화의 영향으로 결의된 해석은 충분한 설득력이 있는 것이리라 생각한다. 하여튼, 고대 한국에서 속인법주의가 존재 했음에 대한 더욱 가치 있는 논거가 있다. 우선, 扶餘官北里出土木簡에 있어서는 귀화인 의 집단거주지 가 몇 군데 나타나고 있는데236) (嵎夷城, 神丘城, 部夷 등) 집 高麗史 第84卷 志 38 刑法一 殺傷 靖宗四年五月: 東界兵馬 使報 威雞州住女眞仇屯 高刀化二人 與其都領 將軍開老 爭財 乘開 老醉 敺殺之 侍中徐訥等議曰 女眞 雖是異類 然旣歸化 名載版籍 與編氓同 固當遵率邦憲 今因爭財 敺殺其長 罪不可原 請論如法 內 史侍郞黃周亮等議曰此輩雖歸化 爲我藩蘺 然人面獸心 不識事理 不 慣風敎 不可加刑 且律文云 諸化外人 同類自相犯者 各依本俗法. 況 其隣里老長 已依本俗法, 出犯人二家財物 輸開老家 以贖其罪 何更 論斷 王從周亮等議 (채웅석 역 2009 고려사형법지 신서원 367 쪽, 참고: 514쪽) 236) 윤선태 2007,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194쪽 235) - 130 -
단이 자기 본국 관습법대로 살았다는 추정은 틀린 것이 아니 라고 생각된다. 이와 비슷하게 의성 塔里와 같은 고고학적인 특색이 강한 고대 지방237)도 독단적인 관습법을 운영했을 것 이라는 가능성의 여부도 앞으로 검증해야 할 것이다. 또 시간 적인 범위를 올라가, 扶安縣238)과 같은 지역에서 단독적인 origo gentis의 정통성이 전파되고 있는 것도 그러하였다고 한 해 석이 있다. 간접적인 논거로서, 고대 한국에 人質의 개념이 있었다는 것 으로부터 담보도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듯이 三國遺事 에 서의 伯嚴寺239)와 유사한 반자치적 집단이 존재했다는 것으로 부터 유추해석을 통해 고대에는 법적인 비독점화가 가능한 것 이었다고 인정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편 2006 義城 山雲里.水淨里遺蹟 : 義 城 塔里-水淨間 道路擴張區間 內 학술조사보고서. 여기서 주목 할 만한 것은 義城 塔里 고분에서 출토된 鳥羽形 금동관이다. 기 타 신라 금동관과 비교해 보면 특수점이 있는 이 유물은 특수한 우두머리의 기능에 따른 독단적인 법 성격을 가리킬 수 있지 않 을까 추측한다. 238) 新增東國輿地勝覽 권34조의 俗如蛋子 李奎報詩習 多如蛋子 縣 封誰信自蠶叢 란 구절을 유념해도 무방하다. 239) 권 3 伯嚴寺石塔舍利條에 따르면:又咸雍元年十一月 當院住持 得奧微定大師釋秀立 定院中常規十條. 예전 시대로 돌아와, 내부적인 규정을 가지는 집단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어느 정도 관례로 지속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은 중요한 의문이다. 237) - 131 -
4. 판례주의 (66) Dum hec ageretur, ut adserunt consilio regis factum fuisset, Waiofarius princeps Aquitanie a suis interfectus est. Praefatus rex Pippinus, iam totam Aquitaniam adquessitam, omnes ad eum venientes dictionis sue sicut antiquitus fuerat faciunt. Fredegarii Chronicum Liber Quartus cum Continuationibus 768년 대왕의 회의가 [國事를] 협의하고 있었던 순간에 아퀴타니아의 공작인 Waiofar가 자기의 [追從]者에게 살해되었다. 그래서 관장 [비잔티움 대제한테서 얻었던 封爵] Pippin대왕이 옛날부터 거행 되고 있던 儀式대로 [충성의 맹세를 얻도록] 아퀴타니아의 모든 [君長을] 불렀다. 판례주의는 사서를 통해 보면 전통적인 요소가 사라지거나 오래된 관습법의 규정을 위반해야 할 때야말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66)의 기사에 의하면 Pippin대왕이 메로빙고 가문에서 온 마지막 왕을 수도원으로 보내 권력을 강탈한 경 우로, 왕국 호족에게서 충성서약을 얻게 될 때는 옛날 관습법 대로 된 의식을 지키고 있었다. 왜냐하면 즉위의 정당성에 대 한 의심을 없애야 할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상술되듯이 유럽 바바리아의 법을 반포함에 있어서도 민회에서 실제로 판결한 것에 따라 법전을 만들었던 것이었다. 특히 Leges Lonogobardorum에서 君主들이 특수한 사건이 일어날 때에 새로운 조문을 포함하게끔 만들었다는 사실이 엿보인다. 본 사실을 잘 밝혀주고 있는 것은 721년에 부가했던 20.II조항 이다. Liutprand대왕이 규범적 윤리(기독교 및 다신교적 polydoxy) 의 대립으로 모든 법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생각으로, 살인죄에 대해 인명금 처분뿐만 아니라 모든 범인의 재산에 - 132 -
관한 沒收刑을 제기하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여파로 자연亡 人의 가문이 무죄인을 소송하여 신판을 통해 그의 재산을 몰 수하고 말았다. 그래서 신판을 금지할 수 없어- 731년에 (118.II조240)) 예전대로 살인죄를 人命金으로 판결하게 되었다. 그렇게 법이 변모하는 과정이 관습법의 판례주의적인 요소 때 문에 정확히 분석될 수 있다. 왜냐하면 반포된 모든 법이 보편 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견실하게 반포가 되어 무 조건 변화시켜야 했다면 세밀한 설명을 첨가해야 했다는 것이 다.241) 고대 한국에 있어서 왕권이 강화되어 관습법을 어겨야 할 사례가 상대적으로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古俗을 어기는 것은 신하의 안 목에서는- 지배자의 권력에 관한 정당성을 높이 평가하게 만 들었던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옛날부터 존재하고 있는 규칙 이나 계약에 대해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규범적인 윤리의 240) 여기서 대왕이 법조문을 다시 바꾼 이유에 대하여 quia incerti sumus de iudicio dei, et multos audivimus per pugnam sine iustitia causam suam perdere; sed propter cosuitutinem gentis nostrae langobardorum legem ipsam vetare non possumus [ 신판을 통해 무죄인의 판결이 잘못 미루어졌다는 사안이 많았다고 朕은 들어왔다. 그래 서 신판[결투]가 정의로운 것인지 정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 렇지만 우리 랑고바르트족의 관습이라니 신판을 폐지 못하였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241) 본문에서 벗어나지만, 고구려의 절도죄에 대한 규정도 시간이 갈수록 변화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즉, 형벌은 周書 에서는 盜者十餘倍徵贓 이란 구절이 나타나고, 隋書 에 의하면 배상은 10배로만 보상되며, 끝으로 舊唐書 에서는 다시 12배로 갚아야 할 금액으로 돌아온다. 朴性鳳(서영수 편, 1987, 앞 책, 2 267쪽) 은 본 변화가 오류로 파악하였지만, 상술된 Liutprand의 법을 변화 하였다는 것에 대한 기사를 보면 꼭 그랬다고 할 수는 없다고 추 정된다. 즉, 고구려에서도 중앙권력자들이 도입된 규범적인 윤 리에 따라 - 관습법적인 정통성을 변모시켰을 가능성이 없지 않 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 133 -
측면에서-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게 되며, 판례를 위반하였다는 사안을- 기타 권력자에게서 편찬시켰던 기록을 통해- 알 수밖 에 없는 것이다. (67) 만일 판례가 되는 것을 말한다면...蘇判이 칙을 받든다고 말하 는 것은 전의 일에 어긋난다. 또...그것을 지금 級飡으로써 조문함은 또 전의 일과 어긋난다. 또, 신라는 원래 奏하여, 우리나라는 일본 의 袁皇祖 대부터 뱃머리를 나란히 하고, 노를 말리지 않고, 받드는 나라입니다 라는 말을 하였다. 그것을 지금 배 한 척뿐이라는 것 또 한 옛 법과는 어긋난다...242) 본 羅倭事件에 대한 전체적인 문맥은 가공된 것이지만 왜 왕의 불평은 관습법에 근거하고 있다. 日本書紀 第30卷 持統 3年5月甲戌:...若言前事者...而言用蘇 判奉勅 卽違前事也...又...今以級飡奉弔 亦違前事 又新羅元來奏云 我國 自日本袁皇祖代 並舳不干檝 奉仕之國 而今一艘 亦乖故典也 (田溶新 역 2002 日本書紀, 571쪽) 242) - 134 -
5. 復古主義의 範疇 바바리아의 법전에서 가장 잘 보이는 특징은 합당한 속죄 금을 갚아야 하는 규정이다. 따라서 -부록에서 나타나듯이 내용의 대부분이 인명금(weregildus, 구-루테니아어: Ƅиpa, 랑고 바르트어: leod)과 賠償金(compositiones, 舊루테니아어: ypoк)의 지불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도 피해자 및 범인의 법적 책임능력(랑고바르트어로는 in angargathungi) 및 평화질서를 파 괴하는 죄(fredus)의 輕重에 따라 세밀히 계산했던 것이다. 이 러한 요소는 Lex Thuringorum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 다. 그 자료는 모든 벌금이 자유인(liberi)과 반자유인(adalingus) 으로 분리되어 각자 단독적으로 서술되고 있는 사항별 법전 이다. 또 주목해야 할 것은 parentilla에 있어서 血讐費로 받았 던 인명금을 세습제도에서의 촌수에 준하여 나누어야 할 규 정도 있었다는 것이다. 여기서는 換刑의 가장 잘 제시된 특 징은 상응주의적인 요소이다. Västgötalagen의 법전에 의하면 인명금을 양분하여 나누고 범인에게서 피해자의 主상속자에 게 지불되는 부분은 arvabot라고 부르고 범인의 가문으로부터 피해자의 主 상속자가 제외된 가문 성원에게 갚아야 할 부 분은 aettarbot라고 불렀다. 그것은 복고주의의 대표적인 사례 로서 간주된다243). 또, 관습법에 작용하고 있는 實施費 및 參事官의 料金(프랑 크어: wargida)도 벌금에 들어가게 만들었던 면도 있다. 마지 막으로, 경우에 따라 피해자 가문의 결정에 의해 범인에게 특수한 배려를 해줄 수 있었는데, 그것은 관습법의 융통성 243)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 135-148쪽
이 강한 성격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법전이 내포하고 있 는 규정이 최대의 형벌만 간략히 부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 래서 B. Malinowski의 이론대로 견제와 균형 제도244) 의 규칙 에 따라 피해자 및 범죄인의 兩 가문이 오히려 자기 위엄 이 높이 평가되도록 벌금을 비싸게 결정하였으므로 소송은 대부분 調整的인 결과로 (말하자면 상식적인 벌금으로) 끝났 다. 또, 인명금에 대한 사실도 법전에서는 나타났던 것이 부 분적이라서 분명치 않지만 세밀히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살인죄의 경우에는 속죄금으로 피해자의 인명금을 지불해야 했으며(Pactus Alemmanorum 136, 137조), 자신(이른바 homo faidosus로서)을 혈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자기의 인명금을 피해자의 가문에게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Edictus Rothari 188 조에서는 et propter faida alios viginti 라는 표현). 그런 벌금의 분리를 보면 행위학파의 반영주의에 대한 논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나타나고 있다. 복고주의가 왜 중요한지 상기에서 서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고대 한국에서의 복고주의의 제도 운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參事官의 요금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사료가 없지만, 시대적인 틀을 넘어 北風揚沙錄 에서는 女眞法에 대하여...又法令嚴 殺人者死 仍沒其家人爲奴婢 親戚欲得則 輸牛馬贖 之 盜一責十 以六歸主而四輸官 無輕重悉笞背 라고 한 기록이 있다. (儀-?)官과 같은 인물에게 도둑질한 물건의 4배를 돌 려주었다는 것이며 피해자의 가문은 6배를 보상금으로 얻었 다는 것이다. 松漠紀聞 에 의하면 배상금이 7배로 되어 244) (Malinowski,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Harcourt, 58쪽) the.. law governing all the phases of tribal life, consists then of a body of binding obligations, regarded as a right by one party and acknowledged as a duty by the other, kept in force by a specific mechanism of reciprocity and publicity inherent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These rules of civil law are elastic and possess a certain latitude. - 136 -
있는데 官에게 어느 정도 지불했는지 누락되어 있다. 그렇지 만 그 비율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기는 고대 한국과 관계가 있는 것은 추측일 뿐이지만, 勿吉族에게는 유 사한 분리방식이 유행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245). 여기서 제기된 문제점이 또 하나 있다. 즉, 고대 한국에 대한 기록에 있어서는 소위 箕子八條부터 고구려 살인죄에 대한 서술까지 규범적으로 살인자를 죽여야[혈수해야] 한다 는 규정만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내용을 그대로 받 아들일 수 있느냐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필자의 의견은 그 러한 homo faidosus[被血讐者]가 자기의 삶 값에 준하는 인명금 을 지불하고 자신을 구할 수 있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인명 금으로 속죄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형과 沒收刑에 처하였 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처자를 노비화하는 것과 재산을 몰수 한 것이 보응주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것에 대한 北史 및 新唐書 新羅傳 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68) 도둑질을 하면 贓額의 10배를 배상해야 한다. 무릇 가난하여 배상할 수 없는 자나 公私責負를 진 자에게는 모두 그의 아들이나 딸을 노비로 주어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246) (69) 곡식을 他人에게 빌려 주어서 늘리는데, 기간 안에 다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일을 시킨다.247) 상기를 보면 신분적인 降等刑은 임시적인 것이 아니었을까 서영수 편, 1987, 앞 책, 1, 372쪽 北史 高句麗傳 : 盜則償十倍 若貧不能償者樂及公私責負 皆聽評其子女爲奴婢以償之 ; 周書 高麗傳 에 따르면 본 내 용은 거의 동일하다. 247) 新唐書 新羅傳 : 息穀米於人 償不滿 庸爲奴婢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607쪽) 245) 246) - 137 -
간주된다. 빚을 갚고 예전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노예나 한 家臣인 반자유인을 보유 했던 것은 대부분의 경우 부담스러운 것이며248), 딸린 사위 도 사회적인 모욕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당했을 관습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의견은 아무리 틀린 것이 라고 해도 고대 한국에 있어서 인명금에 대한 기타의 사료 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그런 사실이 입증된 기록 중에서는 濊族의 責禍나 廉斯鑡 에 대한 조문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렇지만 사비기 백제 살 인죄에 처한 형벌249)도 보응적인 성격이 강해 보인다. 물론, 여기서는 그대로 노비 3명을 갚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노비 의 가치 3배 또는 범인의 가문에서 온 성원 3명이 노비가 되지 않도록 지불해야 할 3배의 人命金이라는 뜻이다. 또, 한중교섭에 있어서도 호혜성의 순리가 작용되었다250). 따라 서 戰事의 결과로 낸 지불금도 인명금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251). 인명금을 갚아야 할 정도는 규범적인 윤리에 의하여 계산 했던 것이라서 제한된 同害(talio)主義나 행위학파의 이론대로 파악된 反映主義가 더욱 많이 실시되고 있었느냐에 대해서 는 후자가 사서에서 더욱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특 수한 경우에 전자도 집행되었다. (70) 倭人이 [于老]를 붙잡아 나무를 쌓아 놓고 불에 태워 죽이고 는 떠나갔다. 그후에 왜의 사신이 내방하니, 우로의 妻가 왕에게 248) 적어도 유럽 바바리아에서 어떤 者의 책임능력이 떨어질수록 그의 주인은 새로운 의무를 지게 된다. 249) 新唐書 에서의 殺人者輸奴婢三贖罪 250) 北史 高句麗傳 : 後貢使相尋 歲致黃金二百斤白銀四百斤 251) 後漢書 高句麗傳 : 自今已後 不與县官战鬬而自以亲附送生 口者 皆與赎直缣人四十匹小口半之 - 138 -
사사로이 대접하기를 청하여, 그들이 술에 취하자, 사람을 시켜 붙 잡아 불태웠다.252) 그러면, 혈수나 인명금 문제에서 벗어나, 배상금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바바리아인의 입장에서는 인명금과 배상금의 구별이 중요시되었으며 노예와 같은 존재는 법적 책임능력 이 없었기 때문에 사망에 따라 지불해야 할 벌금을 바로 배 상금이라고 불렀다. 또, 재산 파괴나 절도죄에 처했던 것은 배상금이었다. 예컨대 新唐書 에서의 吏輸赇及盜三倍償 錮終身 이란 기사에 의하면 사비기 백제에서 뇌물죄에 처한 형벌에 있어서 절도에 관한 관습법적인 규정에 의거한 제정 법의 형벌이라면서도 보응적인 성격이 강한 것은 가능하다. 상처를 입을 때 속죄해야 할 책임이 이미 기자팔조의 규칙 에 의하면 작용되고 있었다는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신화적 인 윤색이 강해 장물에 관한 배상금을 상대적으로 많이 서 술하지 않았던 중국 기록이 후술되고 euhemerism법으로 해석 된다. (71) 鬼의 무리가 화를 내며 말하기를 이 놈이 우리 금방망이를 훔쳐간 자이다! 우리를 위해 쌀겨 3판을 빻겠느냐? 아니면 네 코 를 一丈으로 길어지게 해주길 바라느냐? 방이의 동생은 3판에 이 르는 양을 빻겠다고 청했는데 3일이 지나자 배고프고 피곤하여 [전부] 빻지 못 하였다. 그래서 鬼들에게 봐달라고 애원했더니, 鬼 들이 그의 코를 잡아 뽑았다. 결국 동생은 코끼리 같은 코를 들쳐 메고 歸家하였다. 國人들이 괴상해하면서 그를 구경하려고 몰려들 자 그는 부끄럽고 분통이 터져서 죽고 말았다.253) 252) 東國通鑑 권3 己巳年 : 倭人執之積薪焼殺之乃去後倭使來聘于 老之妻請於王私饗之及其醉使人執而焚之 (서거정 편, 1971 東國 通鑑 영인판, 176쪽) 253) 太平廣記 권 481 蠻夷2 (6766) 新羅 : [遇群鬼]怒曰 是竊 餘錐者 乃執之 謂曰爾欲為我築糠三版乎 爾鼻長一丈乎 其弟請築糠 - 139 -
여기서 주목해야 할 문제점이 세 가지 있다. 첫째, 복수 대 상이 될 인물은 반드시 범죄자(상기: 金旁㐌)가 아니었다. 범 인의 가문에서 책임능력이 유사한 성원이라면 복수의 대상 이 될 수가 있어 보인다. 둘째, 장물을 몇 배로 갚기 위하여 築糠三版刑에 처하였던 묘사이다. 이것은 勞役이나 임시 노 비형(英: temporary enslavement )에 처하였다는 것이다. 물론, 사 서에서의 糠 이 소급된 것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 지만254) 奴役으로써 만들어야 할 것은 뚜렷하다. 하여튼, 보 응주의가 분명히 제시된 조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一罪多 刑制에 있어서 본 기사를 통해 체벌이나 명예형을 당하지 않도록 피해자에게 보상시켰던 사실이 나타나고 있다. 상기 의 세 가지 점은 관습법의 양상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복고주의에 있어서 형벌뿐 아니라 기타의 관습법적인 범주 도 상응주의적인 측면에서 간략히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상호적 사고방식에 있어서 관습법적인 양상이 포함된 기록 은 三國遺事 에 비교적 많다. 제8권 勿稽子 에 있어서 군주가 정의로운 것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모든 부채를 갚아 야 하는 점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리고 주목해야 할 점이 또 하나 있다. Havamal이란 북게르만의 기록에서 나타나듯 이255) 생계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근대사회에서 상호의식 은 필수적 잔존도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상적으로는 초자연적 양상까지 내포되고 있는 개념이었다. 본 사실은 太宗春秋公 (72) 및 駕洛國記 (73)의 구절에서만 아니 三版 三日饑困不成求哀于鬼 乃拔其鼻 鼻如象而歸 國人怪而聚觀之 慚恚而卒 254) 김장환 (外 역, 2004 태평광기 중국팔기문헌번역총서, 149-150쪽)의견에 따라 糠 字는 傳寫로부터 온 오류이며 마땅한 字는 搪 字이다. 만약 그렇다고 하면 상기의 내용은 髡鉗城旦舂刑 (勞役刑)을 묘사하는 것으로 파악하면 옳다. 255) Guriewicz 2002 Jednostka w dziejach Europy, Marabut 42쪽 - 140 -
라 武寧王陵 出土買地券(74)에서도 보이게 된 것이다. 말하 자면, 신령에게 희생하거나 미신 법적인 의례를 거행하지 않 았다면 전체적인 약정이 비효율적인 것으로 여겨지게 된다. 그렇다고 하면 복고주의에 있어서 다시 한 번 의례중심주의 에 유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72) 文姬가 듣고 가로되 내가 이 꿈을 사겠다 하였다. 형이 무엇으로써 사려하느냐. 가로되 비단 치마를 팔면 되겠 어? 형이 좋다하였다. 아우가 옷깃을 벌리고 받으려하니 형 이 어제 밤 꿈을 너에게 준다 하였다. 아우는 비단 치마로 갚았다.256) (73) 높은 언덕에서 쉬며 입고 있는 비단바지를 벗어 그것을 선물로 삼아 산영에 주었다.257) (74) 錢 일만 매, 이상 1건. 乙巳年八月十二日 寧東大將軍 百濟斯 麻王은 상기의 금액으로 賣主인 土王, 土伯, 土父母 天上天下의 二 千石秩의 여러 관리들에게 문의하여 토지를 매입해서 陵墓를 만들 었기에 문서를 작성하여 明證을 삼으면서 律令을 구애받지 않았 다.258) 三國遺事 권1 太宗春秋公 : 文姬聞之謂曰 我買此夢 姉曰 與何物乎 曰鬻錦裙可乎 姉曰諾 妹開襟受之 姉曰疇昔之夢傅 付於汝 妹以錦裙酬之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221 쪽) 257) 三國遺事 권2 駕洛國記 : 解所著綾袴爲贄 遺于山靈也 (이병도 역, 1984, 앞 책, 288쪽) 258) 武寧王妃 買地券: 錢一万文 右一件 乙巳年八月十二日 寧東大 將軍 百濟斯麻王 以前件錢 詢土王 土伯土父母上下衆官二千石 買 申地爲墓 故立券爲明 不從律令 256) - 141 -
三. 古代慣習法 實行 機關 1. 게르만의 民會를 둘러싼 問題 관습법의 가장 기본적인 기관은 民會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원시적인 민주주의 의 대표적인 요소로서 민회가 파 악되는 것은 오류이다. 이것은 상술했던 H. Brunner의 Gemein-freienlehre 이론에서 온 역사학적 선입견으로부터 나오는 개념이고 현대 중세역사학의 패러다임과 동일하지 않는다. 타 키투스가 群衆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는 사안들도 귀족들이 사 전 評議한다 라고 한 (8)의 기사를 통해, 비교적 많은 경우에서 민회가 지배층에서 어떤 집단을 통치하는 매체였음을 알 수 있다. 의식적인 이유로 모든 법적 책임능력을 가지는 國人259) 의 참석이 필요했던 것이다. 본 의무도 충분한 영향력으로 인 식될 수가 있다고 해석해도 무방하다. 본고에서는 유럽 바바리 아의 민회에 대하여 (5), (7), (8), (30), (57), (58) 등의 기사에 서 몇 가지가 암시되어 있지만, 민회의 모습에 대한 서술을 완 성하기 위해서 기록을 몇 개 더 첨가하고 고대 한국의 민회에 대한 기사를 언급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관습법을 운영하 고 있는 수단으로서 본고의 형식적인 틀에 포함되고 있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75) Regem antiqui Saxones non habebant, sed per pagos satrapas constitutos; morisque erat, ut semel in anno generale consilium a agerent in media Saxonia iuxta fluvium Wisuram ad locum qui dicitur Marklo. Solebant 이 개념에 게르만에게는 모든 법적 책임능력자가 포함되고 있 다. 한편, 고대 한국에서는 본 어휘는 사료에 따라 의미도 달라져 가장 넓은 뜻으로는 下戶 층이 내포되고 있는 개념인지 앞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259) - 142 -
ibi omnes in unum satrapae convenire, ex pagis quoque singulis duodecim electi nobiles totidemque liberi totidemque lati... Igitur advenerat dies statuti consilii, advenerunt satrapae, assunt et alii, quos ad esse oportebat. Tunc in unum conglobati fecerunt iuxta ritum in primis supplicationem ad deos, postulantes tuitionem deorum patriae suae, et ut possent in ipso conventu statuere sibi utilia et quae forent placita omnibus diis. Deinde disposito grandi orbe concionari coeperunt Ecce autem subito beatus Lebuinus in medio orbe stetit, clericali habitu indutus, crucem in manibus, ut ferunt, et evangelium portans, elevataque voce: 'Audite'... Non tulerunt amplius silentium, sed elevato clamore: 'Hic', inquiunt 'hic est ille decursor et illusor, qui vadit cum deliramentis et fantasiis discurrendo per terram; capite eum, capite et lapidate.' Prohibentibus licet eis, qui sapientiores erant, accurrerunt ad vicinam saepem, raptos sudes acuerunt, ut more suo lapidarent eum cum sudibus. Reversi giraverunt eum, et ille inter eos stans subito non comparuit. Turn o vero isti confusi, alii, qui ante eos prohibebant, indignati, omnes iniquum factum condempnabant. Praecique concionator quidam Buto nomine conscendens truncum arboris sic clamabat omnibus: 'Audite, quae dico', ait, 'et iudicate. Nordmanni vel Sclavi, Fresones quoque seu cuius libet gentis homines si quando ad nos mittunt nuncios, cum pace u suscipimus ac modeste audimus. Dei autem nuncius nunc venit ad nos, et ecce, quibus eum insectabamur iniuriis!... Commoti itaque poenitudine statuerunt, ut nemo Dei nuncium illum laederet, si ulterius appareret, sed cum pace dimitteretur, quocumque vellet ire. Quo facto inter se agebant, quod coeperant. Vita Lebuini Antiqua 4; 6 舊 색슨족에는 대왕이 없다. 읍락마다 지방장관을 선출하고 있다. 1년에 한번 Wezer강변의 Marklo라고 부르는 장소에서 大民會가 있 는데 장관과 읍락마다 선출된 귀족 12명, 자유인 12명, 반자유인 12명도 본 민회에 참석하고 있다... 정기민회의 날이 왔다. 지방장 관 및 참석해야 할 모든 사람들이 와 있었다. 한 무리로 모여 옛 날 관습대로 多神에게 제사를 지냈다. 母國을 守護하고, 민회를 이 롭게 하며, 좋은 판결이 날 수 있게끔 신에게 빌었다는 것이다. 그 런 다음, 커다란 圓으로 둘러서서 판결이 시작되었다. 그때 갑자기 성Lebuin이 神父服을 입고 십자가와 성경을 손에 잡고 맨 가운데 로 나가서 큰 소리로 말하길: 들어라...群衆들은 그 말과 기이한 모습에 놀라서 침묵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떤 이야기를 전했는지 - 143 -
파악한 후에 소리치길: 미친 이야기를 하면서 온 누리를 두루 돌 아다니며 유혹하고 있는 化外人을 잡아 死刑에 처해야 한다! 그 때는 賢人들이 소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防柵으로 가서 쐐기를 잡아당기고 날카롭게 갈며 사형을 준비했다. 그렇지만 群衆들이 둘러싸고 있던 성인은 갑자 기 사라졌다. 그러자 사람들이 당황스러워하면서 성낸 채 나쁜 짓 을 저지를 뻔 했던 것을 후회하게 되었다. Buto라고 하는 發言者 한 명이 그루터기에 올라서 모두에게 말하길: 내 말을 듣고 직접 판단하세. 노르만인이나 슬라브인, 프리지아나 기타 부족영역으로 부터 使者가 우리에게 오게 되면 우리는 평화로이 말씀을 듣고 소 란을 일으키려고 하지 않는 편이다. 어떤 神의 使者가 와 있으면 괴롭혀도 되겠는가?... 群衆들이 말을 듣고 양심의 가책을 느껴, 성Lebuin이 어디를 가더라도 방해하지 않고 마음대로 할 수 있다 고 용납하는 판결을 했다. 그 일이 끝나고 민회가 평화롭게 지속 되었다. (76)...Hiis autem omnibus, qui communiter Liutici vocantur, dominus specialiter non presidet ullus. Unanimi consilio ad placitum suimet necessaria discucientes, in rebus efficiendis omnes concordant. Si quis vero ex comprovincialibus in placito hiis contradicit, fustibus verberatur et, si forinsecus palam resistit, aut omnia incendio et continua depredatione perdit aut in eorum presentia pro qualitate sua pecuniae persolvit quantitatem debitae. Thietmari Chronicon VI 25 모든 部族이 Liutici라고 불리며, 지배하고 있는 군주는 없었다. 중 요한 일은 민회에 모여 公論을 통해 판결되고 있었다. 판결을 실 시하기 위해서 滿場一致의 조건이 있었다. 무릇 어떤 원주민이 판 결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면 말뚝으로 鬪毆를[群衆에게] 당한 다. 민회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데에서도 판결을 비판하면 재산 沒 收刑을 받거나 집이 방화되는 벌을 받는다. 아니면 민회 앞에서 자기의 신분/책임능력에 따라 인명금을 지불하면 된다. (77) Inde ad castrum ducis Pirissam... propinquantes, ecce, illic hominum ad 4000 ex omni provincia confluxisse, ut eramus eminus, aspeximus; erat - 144 -
enim dies festus paganorum quem lusu, luxu cantuque gens vesana celebrans... Verum ubi eam sententiam tam bonam tamque salubrem diligenti retractatione probaverant, primo quidem apud se in conclavi, deinde vero cum legatis et Paulicio ad plenum vigorem laxiori consilio firmaverant cum eisdem ad populum egressi, qui contra morem sicut ad festum... confluxerat, indispersus Dei nutu in loco manebat Dein clamore magno et verbis nescio quibus conturneliose prolatis, silentium mandat loquenti, suaeque vocis grossitudine magnum tonans, sermonem inter pretis et episcopi pariter oppressit, populoque ait: Sic, insensati, stulti et inertes, quare decepti et incantati estis? Ecce, hostis vester, et hostis deorum vestrorum! Quid expectatis? Feretne impune contemptum et iniuriam? Omnes autem incedebant hastati. Ait ergo: Haec dies omnibus erroribus eius finem imponet! Omnesque adhortans, singillatim quosque de quorum malignitate certus erat, propriis nominibus compellabat. Et quicunque spiritu vesano agitabantur, quibusque familiare fuit audacter magis quam consulte rem agere, ad dicentis vocem inflammati, hastas levant. Quas dum ad iaciendum vibrant, actu rigent in ipso, mirumque dictu, nec hastas iacere, nec demittere dexteras, vel de loco moveri poterant. Stabant igitur ut simulacra immobiles. Herbordi Vitae Ottonis Episcopi Bambergensis II 14; III 18 년에 성Otto 및 기타 선교사들은] Pyrzyce城에 가까워지자 지방에서 4000명의 무리가 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날은 바로 다신교에 관한 제사 등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國人들이 즐거워하며 춤추고 노래도 하였다... 우선, 元老들이 [선교를 용납할 것인가 여부에 대해] 公論하고 있었다. 포교활동을 자기들끼리 수긍한 후에는 -판결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使者 및 Paulicio[라는 선교사]와 함께 群衆 앞에 나가서 민회를 통해 판결을 재확인했다. 왜냐하면 國人들이 보통 때와 달리 제사가 끝나고 천주님의 축복으로 집에 가지 않았고 元老의 말씀을 듣고 용납하려고 했다... [1128년에 Szczecin 민회에서] 소란이 일어나 다신교 사제가 群衆에게 조용히 하도록 말뚝으로 [發言臺의] 쐐기를 부딪쳐 말하길 여기 서 있는 者가 그대 및 그대 神들의 원수다! 모욕을 당하고 벌을 하지 않고 뭘 기다리고 있는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모든 민회의 참석자들이 창을 들고 있었다. 사제의 말을 듣고 성내며 창을 던질 뻔했지만 [1124-145 -
[천주님의 기적으로] 槍이 떨려 던지지 못 하였다는 것이다. (78) Qualiter et quando hoc negotium de Sconwalde est terminatum. Hiis omnibus scriptis transactis accidit, ut dominus dux Bolezlaus in campo iuxta Wratizlauiam celebraret generale et sollempne colloquium. In quo colloquio sedebat etiam Wladezlaus dux de Opol et ibi convenerat tota terra, divites et pauperes. In eodem colloquio loquebatur pro claustro Albertus cum Barba et Stosso, filius Leonardi, lequebatur pro Petro de Petrowiz. Hiis duobus inter se altercantibus vocavit dux Paulum de Slupoviz, qui tempore antiquorum ducum et tunc temporis, cum hec agerentur, erat multarum hereditatum circuitorauctoritate ducum. Hunc eundem Paulum interrogavit dux Bolezlaus publice sedens in iuditio: Quantum habet et per quas metas Petrus Stossowiz? Paulus dixit: A semita Bohemorum quercetum, in Polonico dambrow. Dux dicit: Cui dedit avus meus et pater nigram silvam? Paulus respondit: Domine, avus tuus et pater dederunt inter semitam Bohemie et presekam nigram silvam claustro de Heintrichow, Quo audito dux dixit: Precipio tibi sub obtentu oculorum tuorum, ut abbati de Heinrichow et suo claustro dictam silvam eisdem metis assignes. Hoc facto dux Bolezlaus dedit super hoc privilegium talibus verbis conscriptum...liber fundationis claustri Sancte Marie Virginis in Heinrichow I-106 언제 그리고 어떻게 Sconwalde의 소유권에 대한 소송이 끝났는가에 대해서. 그 후 Bolezlaus [波:Bolesław]왕이 Wratizlau[波:Wrocław, 獨:Breslau]城 근처에서 사람을 불러 大民會를 열었다. 참석자 중에 Opole왕인 Wladezlaus[波:Władysław]도 있었고, 온 나라의 사람들이 貧富에 관계없이 와 있었다. 우리 수도원 대표자로서 Albertus de Barba라고 부르는 발언자가 있었는데 Petro de Petrowiz의 대표자로서 Stosso란 사람이 있었다. 그들의 말싸움이 시작되었을 때 왕이 예전 왕들의 시대에 영토경계를 기억했던 Paulus de Slupoviz를 증인으로 불러 公共的으로 法民會의 先席에 앉으면서 물어보길: Petro de Petrowiz가 소유하는 영토는 어디까지인가? Paulus 答하길: 폴란드 원주민이 Dąbrowa라고 불렀던 체코에 가는 길까지 펼쳐져 있는 참나무 숲을 소유하고 있사옵니다 왕은: 그러면 朕의 할아버님 및 父親이 누구에게 黑林을 부여하셨나? Paulus: 예! 王의 할아버님과 父親이 체코 - 146 -
가는 길과 przesieka [숲속의 防柵] 사이에 있는 黑林을 Heinrichow 수도원에 부여 하셨습니다. 왕이 말을 듣고 말하길: 본 영역을 抉目刑을 당하고 싶지 않으면 Heinrichow 수도원에 돌려주라 고 하시며 다음과 같은 詔書를 내리셨다... 260) (75)기사는 대륙색슨 기독교 개종자에 의해 840-864년에 작 성되고 신빙성이 높은 사료로 여겨진다. 770년에 성Lebuin은 영 국의 선교사로서 Weser강변의 색슨지방으로 와서 Marklo에서 거 행된 大部族 규모의 민회에 참석한 것에 대한 기록이다. (77) 의 조문도 Vitae류 사료이며 Pomerania의 지역으로 파견된 성Otto 의 생활기이다. 본 기록 兩쪽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적 이 관례 로서 인정된다. 즉, 宴會가 끝나고 정기민회가 시작되는 사실 및 民會所에서는 犯染의 위협으로 피를 흘릴 수가 없다는 규 칙 (그래서 창을 던지지 않은 사실) 등이다. 그것은 민회의 평 화질서에 관한 관습법적인 요소가 중요시된 것이었기 때문이 다. 피난처인 蘇塗와 동일한 토대로 범인이라고 해도 사형을 할 수가 없었다. 상기의 왜곡을 일부러 했다기보다는 문화 차 이로부터 온 오해가 생겼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창 이 떨리는 모습은 vapnatak의 의식이라는 것임에 틀림없다. (77)의 기사로 돌아와, 상술된 오류를 배제하고, 기타의 기록 2가지를 통해 신빙성이 있는 기록으로 입증되고 있다. (75)기 사도 민회를 직접 봤던 使者의 말대로 작성된 연표기록이다. (78)기사는 왕 2명이 참석하고 있는 大民會에서 영토소유권에 대한 송사를 세밀히 서술한 기록이다. 고대 한국 절차에 있어 22조에서 슬라브인에 대한 조문에 의하면: tunc incole terre... portas lapideas edificaverunt et claustram magnam de arboribus per confinium regni facerunt.[이 영역의 원주민들이 石大門을 성립하고 王國境에서는 나무로 大防柵을 건축하였다] 여기서 przesieka는 claustrum magnum de arboribus이라고 부르고 바바리아의 읍락 연합체/소부족 영역 단위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어시설이었 다는 것이다. 고대 한국의 長城과 유사성 여부를 가설할 수 있을 뿐이다. 260) Gesta Hungarorum - 147 -
서 세습권에 대한 蔚珍鳳坪新羅碑의 내용이나 소유권에 관한 浦項中城里新羅碑의 내용과 전체적인 유사성을 배제할 수가 없어 가설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지만 여기서 가 장 중요시되는 대목은 邑境에 관한 부분이며 왕의 말씀이 민 회의 문맥에서 더욱 위엄 합법성을 얻었다는 내용이다(dux Bolezlaus publice sedens in iuditio). 상기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이 몇 가지 있다. 첫째, 민회 에 관한 의식이다. 그 문제는 이미 부분적으로 논급된 것이지 만 한 번 더 지적해야 할 점이다. 둘째, 民會所의 모습이다. 셋 째, 민회 절차와 제사 및 宴會와의 관계성이다. 넷째, 귀족층의 역할이다. 다섯째, 민회의 定期모임 시기이다. 여섯째, 판결할 때는 滿場一致의 필수조건이 존재하는 것이다. 일곱째, 민회의 규모이다. 이점은 관습법의 분절구조적인 모습과 관련된다. 우선, 민회의 의례에 대한 vapnatak, 참석자의 武裝된 모습, origo gentis 및 규정 암송 등이 요소의 하나로 첨가될 가능성이 있다. 그것은 (77)의 기록에서 나타났던 다신교 사제에게서 이 용했던 말뚝이다. 發言臺의 쐐기를 부딪쳐 민회 참석자를 조용 하게 만든 것은 외면적인 모습이 변했지만 오늘날까지 재 판장에서 거행되는 의식이다. 전근대사회에서 이런 말뚝을 corylus (cambuca, 西슬라브어로 lasca opolna)라고 불러 민회로 사람 을 모이게 하거나 결혼식을 거행할 때도 이용했던 의례용품이 었다. Lex Salica에서는 나뭇가지와 관련한 의식이 상대적으로 많이 제시되고 있는데 (예: LXXXI, XCIV조) 예전에 법적 말뚝 의 사용방식이 더 넓어졌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여겨진다. 民會所에 대하여는 가장 눈에 뛰는 요소인 터는 防柵으로 둘 러싼 모양이었다. (75)의 기사(accurrerunt ad vicinam saepem, raptos sudes acuerunt, ut more suo lapidarent eum cum sudibus)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전술적인 기능보다는 초자원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 는 장치였다. 그렇지 않으면 쐐기를 쉽게 잡아당길 수 없을 것 - 148 -
이다. 여기서부터 민회의 평화질서의 영역이라는 것을 가리키 며, 기타 범염을 포기해야 할 규칙을 지키면 되고 영역 이내에 서 범인조차 합법적인 혈수인 형벌에 처할 수 없을 만큼 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부록에 있는 Lex Frisionum, Additio sapientium I條에서도 보이는 범주이다. 그리고 (75)기사에서 성 당이나 神殿과 동일하게 종교적인 평화질서를 논의하게 된 것 이다. 북게르만에서의 大民會의 위치와 지명을 검토하면 민회 소와 聖地가 연결성이 있었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즉, 덴마크 에서 Viborg는 언덕 숭배 터 의 어원으로부터 왔으며, Odense는 Odin의 신전, Försön은 Frey의 섬, Saxo Grammaticus에서 세밀하게 묘사된 Uppsala 聖地에서도 Distingen라고 한 겨울 대민회가 있었 다261). 본고의 연대적인 틀에서 나아가, 전근대사회에서는 색 슨들이 자기 goding이라고 부르는 읍락규모의 민회소를 낮은 오리나무나 개암나무 담으로 둘러쌓아 만들었다262). 본 의식의 예전 의미가 사라지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잔영으로서만 지 속되고 있는 관습법의 요소라 할 수 있다. 또, 민회참석자들이 圓으로 둘러서 있는 모양은 신분적인 구별 없이 가운데 어떤 그루터기나 木材 쐐기가 있는 發言臺에 서 있는 者를 바라보 고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은 민회소는 Cassiadorus의 Gothiscandza라 는 Vistula강 하류 지역에서 많이 출토되었다[그림 5]. 가장 대 표적인 발굴 터는 Odry, Węsiory, Trątkownica, Leśno에 위치한 것들 이다263). 세 번째 문제를 살펴보면, (77)의 기사에서 정기민회에 있어 서는 우선 제사와 연회에 참석하고 나서 법을 운영하는 위상 으로 들어가는 절차에 대한 것이다. 사료를 통해 본 민회는 비 261) Sawyer B., Sawyer P., 1993, Medieval Scandinavia, The Nordic Series 17, University of Minnesota, 80-104쪽 274쪽 262)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263) Malinowska-Sypek, Przewodnik archeologiczny po Polsce, Arkady 422-461쪽 外, 2010-149 -,
교적 큰 모양새로 며칠 걸릴 가능성이 있다. 공공적인 제사를 끝내고 즐거워하면서 희생된 동물의 고기로 잔치를 벌이는 내 용이다. 이런 연회는 서슬라브어로 żertwa라고 했다. 타키투스의 (8)에 따르면 제사 자체가 점치는 의식을 내포하고 있었다. 여 기에 언급된 (75)의 기사에서 민회의 좋은 결과를 神에게 빌 었던 내용이 나타난다. 넷째로, 민회의 참석자의 신분에 대한 의문이다. 바바리아의 법전 중에서 그것을 가장 잘 대변하는 것은 Leges Longobardorum 371, 373조이다. 그 내용에서 범인인 노예의 주인264)에 대한 표현은 liber homo, quis longobardus, exercitalis, eremmanus 라는 방식으 로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법적 책임능력이 소유자, 자유인 및 무사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관습법 지휘 하에 자유 인이 틀림없이 무사(exercitus)가 되어야 했다. 8세기 들어와, 모 든 무사들이 대왕과 개인적인 충성약정(랑고마르트어: gasindiatu)을 맺어야 할 의무도 있었다. 이 시대는 집단을 방어 하고 모든 종족의 대표자 및 大親戚과 개인 宗主關係는 민회 에 참가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武裝한 채 민회에 참석해야 했다는 것이다. 법적 의식에 있어 서는 무기가 중요한 의례용품이었기 때문이다 (예: Lex Salica LXXXI조). Liutprandi leges 62조에서 서술된 minimi homines qui nec casas nec terras suas habent [자기 집이나 영토가 없는 빈곤한] 반 자유인들도 활만 가지고(Ainulf 2-3조) 전쟁터나 민회에 참석해 야 할 의무를 가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75)의 기사에서도 입 증된 사실이다. 본 관습이야말로 민회의 전면적 모습에 있어서 신분 등급적으로 조직된 바가 아니라 참석자가 둘러서 있는 모양을 어느 정도 대변한다. 그렇지만 Germania (8)의 기사에서 의 群衆에게 최종 결정권이 있는 사안들도 귀족들이 사전 評 議한다 란 부분 및 상기의 (75), (77)기사에서의 公 264) 그리고 이 노예가 한 짓에 대해 갚아야 할 책임자 - 150 -
評 (necessaria discucientes)해야 할 것은 귀족끼리 하였다는 것이었 다. 그리고 조종을 통해 (Vita Libuini Antiqua의 저자는 귀족이 國 人을 설득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sentenciam tam bonam quam salubrem...luculenti sermonis dulcedine[달고 우아하고 말 맞은 방식으 로] 라고 하였다) 집단을 움직이는 편이었다. 그리고 주목해야 할 것은 귀족들이 公論化되어야 할 문제에 대해 미리 판결을 내리고 있었다는 것이었다. 여기서야말로 회의의 유래를 찾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대왕의 권력이 강화될수록 독단적으로 행 했던 이 기관은 민회에 의거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7세기의 영 국의 색슨들이 이런 기관을 witenagemot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지 만 (대륙 바바리아에서는 curia아니면 concilium) 이른바 중앙 권 력이 민회를 무시할 수 없었으며, (78)의 기록에서 나타나듯이 어느 정도 민회제도로 부분적으로 흡수되었다는 것이었다. 주 목해야 할 점 또 하나는 법을 집행만 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의 정치적인 결정도 민회에서 내려지고 있었다는 관습에 집단 밖에서 온 사자들도 참석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77). 바로 이 러한 민회의 기능이야말로 curia가 수행되기 시작했다는 것이 다. 또, 다섯째로는 민회의 定期모임 시기에 대해서는 집단의 규 모에 따라 동일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읍락 민회의 경우에는 보름달 및 초승달이 뜨는 날마다 행하고 있었다. 그래서 (52) 의 기사에서의 그 곳에서 月曜日(omni secunda feria)마다 법적 민 회가 열리고 있었다 라는 조문에 있어서 눈에 띄는 Helmold의 파악이 오류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 오류는 문화차이로부터 온 무의식적인 것이다. Helmold는 바바리아인들이 시간을 계산 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모르고 月이 利롭게 하는 날 (타 키투스의 말을 빌어 auspicatissimum initium agendis rebus ) 대신에 월요일이라고 이해했다. 문화차이에 대한 오해의 요소에서 온 왜곡의 대표적인 사례이므로 고대 한국 관습법에 관한 연구에 - 151 -
있어서 바로 이와 유사한 중국사서의 문제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어쨌든 8세기 말기의 Lex Alammanorum에서도 이런 민회 가 2주마다 행해졌던 사실이 논증되고 있다. (79) Ut conventus secundum consuetudinem antiquam fiat in omni centena coram comite aut suo misso et coram centenario. Ipse placitus fiat de sabbato in sabbato, aut quale die comis aut centenarius voluerit de septem in septem noctes, quando pax parva est in provintia; quando autem melior, post 14 noctes fiat conventus in omni centena, sicut superius diximus Lex Alommanorum XXXVI 1 각 읍락마다 [國人들이] 민회에서 伯爵이나 그의 대표자, 아니면 元老 앞에 -옛날 관습대로 모이면 된다. 민회의 定期모임은 토 요일이지만 백작이나 원로가 가리키는 요일마다 하면 된다. 小國 에서의 평화질서가 약하면 일곱 번째 밤마다, 평화질서가 좋다면 열네 번째 밤마다 상술했듯이- 모이면 된다. 기타의 정기민회는 즉, 읍락 연합체 규모 이상의 大民會들 보통 1년에 한 번의 모임으로 선택되었다고 추측된다. 민회 를 표현하는 어휘 중에서 þing (英: thing)이란 말도 있는데, 그 단어의 어원은 (구-게르만어: tenkos) 時間 이라는 뜻이 내포되 어 있는 것이다. 여섯 번째 문제점에 있어서는 (75)의 기사를 통해 볼 수 있는 滿場一致의 조건이다. 이 관습법의 요소는 이미 (1) 및 (58)의 기사에서 나타난 것이다. 중앙권력이 없는 정치제도에서 집단 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민회의 판결을 반대할 수 있는 위험 성을 관대히 취급할 수가 없어 가르치는 기록들이다. 그리고 초자원적인 위험성에 대한 것도 유념해야 된다. 다신교의 세계 관에 있어서 혼란이 바람직하지 않는 정세이었기 때문이다. 이 러한 양상에서 무엇보다도- 公衆刑權 實施 및 連坐制 등에 대한 근거가 되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 상기의 (57) 및 - 152 -
(58)의 기사에 의하여 초기 중앙권력자들도 엄하게 집행된 만 장일치 판결제도 없이 지배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유의해야 할 점이 또 하나 있다. (5)의 기사에서 보이듯이 Germania XII에 따르면 proditores et transfugas [배신자 및 탈주자]라 는 표현에 대한 것이다. 양자는 집단을 반대하는 범죄로서 모 든 집단으로부터 만장일치로 벌을 받게 된다. 규칙적으로 권력 을 세습하는 왕이 없는 정치제도에서는 被背信者인 집단이 자 기의 鞏固性을 지키는 것을 염두에 두어 형벌이 상대적으로 엄했을 것으로 간주된다. 부록에서 Lex Salica XCI조도 이런 범죄 인을 취급했던 것에 대한 조항이라고 추정해도 오류가 아니다. 그리고 Germania의 표현으로 돌아와, 눈에 뛰는 것은 고대 한국 사서에서도 反叛退軍 이란 표현이 -범죄 2개가 竝科된 모습으 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여기서 군주에 관한 叛逆 이란 범죄는 문화 차이 때문에 생겼던 왜곡에 대한 의문을 염두에 두면 바 바리아의 규범적 윤리와 놀랍게도 유사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끝으로 민회의 규모에 대한 문제점을 부연 설명하고자 한다. (1)의 기사에서는 Hewald에게 사형을 내렸던 판결집단이 취락 이나 읍락단체였다는 것이다. (75)의 기록 ( 읍락마다 선출된 귀족 12명, 자유인 12명, 반자유인 12명도 본 민회에 참석하고 있다 )에 의하면 이러한 단체는 해마다 大民會로 30명 이상을 -부담 없이- 파견할 수 있는 경제력 및 인구가 있었다는 것이 다. 이 집단이 타키투스에 따르면 centena라고 부르고 있어 기타 바바리아 지역에서도 그 명칭이 나타나고 있다. 지명 연구를 통하여 회복할 수 있는 것은 영국 색슨에게는 hundredgemot, 프 리지아족에게는 hunt(d)ari, 노르웨이와 덴마크족에게는 haerad, 스 워덴에게는 hundare(i), 가장 널리 이용했던 것은 go/gau의 어미 였다는 것이다. 상기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천병희의 말을 빌어 Germania VI 및 XII을 살펴보도록 한다. - 153 -
(80) In universum aestimanti plus penes peditem roboris; eoque mixti proeliantur, apta et congruente ad equestrem pugnam velocitate peditum, quos ex omni iuventute delectos ante aciem locant. Definitur et numerus; centeni ex singulis pagis sunt, idque ipsum inter suos vocantur, et quod primo numerus fuit, iam nomen et honor est...eliguntur in isdem conciliis et principes, qui iura per pagos vicosque reddunt; centeni singulis ex plebe comites consilium simul et auctoritas adsunt. 전체적으로 보아 騎兵보다는 步兵에 강점이 있다. 기병전에 적합 하도록 빨리 달리는 젊은이 중에서 선발되는 前衛兵에 대해서는 싸울 때 기병대와 혼성부대를 이루고 있는 것이 그들에게는 어렵 지 않다. 그들의 수는 고정되어 있어 각 읍락에서 1백 명씩 선발 된다. 그래서 백인대 라고 불리고 원래는 숫자지만 갈수록 명예로 운 칭호가 된 것이다...민회에서는 또한 읍락과 취락에서 사법권을 행사하는 酋長들이 선출된다. 각자는 國人들 중에서 뽑은 보좌인 1백 명의 도움을 받는데, 이들은 조언을 하기도 하고 酋長의 위엄 을 높이기도 한다. 265) 우선, 당연한 왜곡을 가리키면 추장들의 사법권은 없었으며, 그리고 백인대를 젊은이의 군대적인 기능과 國人 대표자의 조 언적인 기능으로 동일하게 보는 것도 어렵다. 중앙권력이 약하 거나 임시적인 성격을 가지는 게르만 문화의 오해로부터 온 오류였던 것이 뚜렷하다. 그렇지만 정보의 근거에 대해서는 실 제로 존재하는 자연생활집단으로부터 온 것이 맞다. 물론, 바 바리아인들이 계산하는 방식이 달라 1백 명이 아니라 120명 (英: small gross)에 대한 기록이다. 그리고 타키투스가 묘사했듯 이, 본 숫자가 원래의 뜻을 잃었다는 것이 당연히 맞는다. Centena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지 먼저 바바리아인의 정주 유형을 살펴보고자 한다. Modzelewski266) 및 Łowmiański 의 연구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267) 천병희 역, 앞 책, 30쪽, 42쪽 265) 266) Modzelewski, 1987, Chłopi w społeczeństwie polskim, Ossolineum - 154 -
많이 정주했던 유형은 독단적인 戶(거주지 3기 쯤, 구-노르딕 어: bö, 구-루테니아어: гɣмно [굼노])에서의 核心 家族이나 大家 族, 아니면 10호~30호가 내포된 취락에서 살고 있는 모델이었 다. 그러한 유형은 경제 생태적인 토대가 있었다는 것이다. 즉, 바바리아의 농사는 二圃農制 (獨: zweifelderwirtschaft)에 의거한 것이었으며 그것의 영토는 遠-近田으로 나뉘어 近田은 2년마 다 田地로부터 草地로 바꾸어 흙의 질을 자연비료로 회복하도 록 하는 것이고 遠田은 취락을 둘러싼 황무지의 부분(exartum) 에서 火田을 준비하거나 나무를 베고 밭을 3년간만 이용해 약 20년 동안 자연회복을 기다리는 것이었다. 양자 사이에 세습 매매권을 동일하지 않다고 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여지가 없어 다루지 못하지만 앞으로 세밀한 조사 및 서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농업제도 하에 취락끼리 여러 가지 대립되는 사건을 일으켜서는 안 되는 것이고 調整이나 판결하는 기관 이 필요했다. 이 기관은 읍락규모의 민회이다. 그것에 대한 Lex Salica XLVI조 제외하고 법전조항이 현존되어 있다. (81) Si quis homo pratum vel agrum exaratum alterius contra legem malo ordine invaserit et dicit suum esse, propter presumptionem cum VI solidis conponat et exeat. Si autem suum voluerit vindicare illum agrum aut pratum [vel] exaratum, vel unde illa contentio est, taliter vindicet. Iuret cum VI sacramentales et dicat: Et ego in tua opera priore non invasi contra legem nec cum VI solidis conponere debeo nec exire, quia mea opera et labor prior hic est quam tuus. Tunc dicat ille qui querit: Ego habeo festes qui hoc sciunt, quod labor es de isto campo semper ego tuli nemine contradicente, exaravi, mundavi, possessi usque hodie, et pater meus reliquid mihi in possessione sua. Ille homo, qui hoc testificare voluerit, conmarchius eius debet esse et debet habere VI solidorum pecunia et similem agrum; tunc ille iuret testis taliter: Quia ego hoc meis auribus audivi et oculis meis vidi, quod istius hominis prior opera fuit in isto agro, quam tua, et labor es 267) Łowmiański, 1958, O identyfikacji nazw Geografa bawarskiego, Studia źródłoznawcze 3-155 -
fructuum ille tulit... Leges Baiuvariorum XVII 1-2 어떤 者는 법과 질서를 위반한 채 타인의 田地나 草地나 exartum [火田/舊-開墾地]을 자기의 소유지로서 인수하였다면 범죄를 솔리 도스 6개로 속죄하고 영토도 갚아주고 [그곳에서] 나가야 한다. 그 렇지만 본 전지나 초지나 exartum이나 기타 영토의 소유권에 대해 소송하려고 하였다면 방법이 후술된다. 宣誓補助者 6명과 함께 말 하길: 본 영토를 인수했다는 것에 있어서 나는 법을 위반하지 않 았다. 그리고 솔리도스 6개를 갚아주고 그곳으로부터 나가야 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본 영토에 나의 노력과 고생이 그대의 노 력과 고생보다 우선했기 때문이다. 그리 하고 나서 영토를 다시 얻고 싶은 者는 答하길: 그 영토에서 나온 작물을 바로 내가 수확 하고 있었다고 말하는 증인이 있다. 그리고 나만 아니라 나의 父 親도 -어떤 사람의 반대 없이- 지금까지 나무를 넘어뜨리고 소유 한 황무지를 개간하고 있었다. 본 영토는 내가 가지고 있는 相續 地이다. 그리고 불렀던 증인이 솔리도스 6개와 유사한 전지를 가 지고 있는 이웃이 안 되면 합법적이 되지 않는다. 그는 선서하길: 내가 직접 들었던 것이고 직접 보았던 것이다. 본 영토에서 저 사 람의 노력은 그대의 노력보다 우선이었던 것이다. 그의 수확물이 우선이었다는 것이다. 하여튼, 상술된 사안을 운영했던 민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하 여 자연취락 연합체인 읍락은 생태적인 환경의 착취 방식을 설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Wenskus의 의견을 따르면 그것들 중에서 돼지 사육법이 가장 중요하였다는 것이다. Wenskus가 유럽 바바리아의 경계를 가리키는 곳은 숲과 늪의 생태영역이었다는 것이다. 이 안에서 돼지 떼를 키우는 곳은 참나무 및 너도밤나무 숲이었다고 했다. 이런 숲의 위치는 읍 락민이 중요시하고 있어서 본 영역을 共有的인 착취를 합리화 시키기 위해서 민회를 기관으로서 이용하였다는 가설이다. 물 론, 물질적인 요소뿐 아니라 초자연적인 연결성도 존재하고 있 었다는 것이다. J. Baal의 의견268)에 따르면 이러한 특수한 영역 이 바로 이용되지 않도록 희생 및 제사를 통해 多神들과 약정 - 156 -
을 지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分節構造論家인 E. Durkheim 은 읍락을 제사공동체라고 불렀던 것이다. 바바리아의 읍락이 시간이 갈수록 평화질서를 방어하는 인간 집단의 뜻을 얻어 centena가 아닌 trustis(프랑크족에서는 druhti n )라고 부르기 시작하고, 마지막에는 comitatus(즉, 왕의 前衛 隊)로 바뀌게 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원래 법적인 공동체의 의 미를 가지고 있었음은 법전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예컨 대, 부록의 Lex Salica LXXIX LXXXI조에서는 필자가 읍락의 元 老로 번역했던 儀官이 라틴어로 centenarius라고 불리고 있다. 그 것은 centena에서 온 단어라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 시대에 는 읍락을 vicinia(부르군드와 Neustria지방에서만 pagus)라고 불러 西-슬라브어로는 opole 아니면 župa, 舊-루테니아어로는 вєpвиѧ [비에르뱌]라고 하였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관습법과 관련된 읍락의 의무는 적 어도 5가지 있었다는 것이다. 첫째로는 범인을 모르는 경우에 범죄사건이 일어나면 읍락이 속죄금을 지불해야 할 의무(살인 죄와 같은 경우: caput, homicidium), 둘째는 범죄를 보면 큰 소리 로 點呼해야 할 의무(clamor), 셋째는 읍락 영역으로부터 범죄 인을 추적해야 할 의무(vestigium, vestigia fugitivorum, indaganda), 넷 째는 왕국의 권력이 강화될수록 사냥하는 지배자에게 읍락의 公有地에서 야생동물의 棲息處를 보여 드려야 할 의무271), 다 섯째는 왕국이 부과했던 공납을 邑落民 끼리 나누어 내야 할 의무 등이다. 후술되는 내용을 보면, 집단이 범인을 추적하는 것에 대해 실패하면 連坐的으로 벌금을 갚아야 하는 것이었다. 269) 270) 268) Baal J., 1976, Offering, Sacrifice and Gift, Numen 23-3 269) Durkheim, 1893, De la division de travail social, Alcan; 정경희 1992, 삼국시대 刑律과 사회 한국사학보 13 16쪽 270) Pactus legis Salicae XIII조: puella sponsata dructe duc ente ad maritum 271) 그러한 역할은 서슬라브사람에게는 iskacze라고 하는 인물들이 하고 있었음 - 157 -
그것은 위의 첫째 및 셋째 의무를 반영하는 기사이다. (82) Ѿ Бópтѝ...Oжe... выдepeтъ...oлэќъ тo Є ќɣнъ. Hэ bɣдэтълѝ татѧ тo пacлѣднaжe нe bɣдэтъ cлѣдъ нaн къ ceлɣ нaн къ тoб opɣ...oжe пaгɣбнтъ... cлѣдъ нa гocтѝнцѣ a ceлa нe bɣдэтъ...тo нe плaтѝт ни пpoдaжи ни татьвы. Pravda Russkaya 51조 벌집에 대하여. 벌집을 盜竊하면 쿠나 [다람쥐의 皮] 5근으로 속 죄하면 된다. 그렇지만 도둑이 잡히지 않았다면 그를 뒤쫓아야 한 다. 그렇지만 어떤 취락이나 陣營으로 간 흔적이 없었다면...그리고 취락이 없는 평야에서의 길만 있는 데까지 추적되었다면 읍락집단 이 贓額도 속죄금도 지불하지 않는다. 여기서 읍락이내에 취락(ceлo[시에워])마다 거주민을 점호하고 절도자를 함께 추적해야 할 의무가 보인다. 그렇지만 caput 및 clamor에 대한 내용은 1253년 및 1256년에 주교에게 부여했던 특권에 대한 勅書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Modzelewski 의 번역272)에 따르면, 무릇 읍락이 시체를 찾아 살인자를 잡 을 수 있었던 이유로 caput벌금을 지불해야 하였다면 Głogów 주 교님의 지배 하에 있는 백성들이 자기의 몫을 주교님에게 지 불하면 된다. 그리고 이와 동일하게 强盜나 鬪毆 사건에 있어 서 점호를 듣고도 무시하였다면 지주에게 몫을 갚아야 한다. 양자의 경우에서 벌금은 평화질서를 파괴하는 죄 및 속죄금을 지불해야 하는 의무였다는 것이다. 또, 프랑크족의 경우에는 색슨족에게 패배를 하게 되어 부과 금을 징수할 때는 120 명마다 부담을 시키고 있었다. 그것에 대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83)...ad unamquamque ecclesiam curtem et II mansos terrae pagenses ad 272) Modzelewski,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368쪽 - 158 -
ecclesiam recurrentes condonant et inter CXX homines, nobiles et ingenuos similiter et litos, servum et ancillam eidem ecclesiae tribuant. Capitulatio de 년 읍락마다 자기 성당은 殿 하나 및 영토의 2 hufe [36ha 쯤]를 徵 收하면 된다. 그리고 각 120 口마다 귀족이나 자유인이나 반자 유인이나 할 것 없이- 奴 1명 및 婢 1명을 성당에 貢納으로 보내 면 된다. partibus Saxoniae 785 왕족 지배하의 폴란드 왕국에서도 읍락마다 많은 공납을 내야 했다(이른바 읍락의 소: krowa opolna). 프랑크 제국에서 로 마제국의 납세제가(iugatio-capitatio) 남아있지 않았거나 결코 존재 하지 않았던 지방에서의 부과금의 원형은 읍락의 공공적 목적 을 위해 지불한다는 징수의무에 의거하고 있었다. 그것은 사료 에서는 구-게르만어로 steura이거나 osterstuopha 라고 부르고, 라틴어로는 tributum이나 census regius라고 하였다. 프랑크족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지방에서 아직 comes를 둘러싼 관리제도가 운 영되지 않아 읍락마다 각자 자기 힘으로 본 부과금을 성원 의 경제력을 염두에 둔 채- 모으고 있는 편이었다. 부담에 관한 규정의 다른 하나는 읍락에서의 관습법 규정에 의거되고 있었다. 그것은 왕/대왕이 巡狩하고 있을 때는 王人 에게 숙박을 제공하는 부담이었다. 본 의무는 gistum(북게르만 에서는 weizla)이라는 이름하에 주지된 것이지만 슬라브 왕국들 의 표현에 특히 잘 묘사되어 있다(Pomerania에서는 gościtwa, 폴 란드에서는 stan, 체코에서는 nocleh, Ruthenia에서는 пoлљдe[폴루 뎨 ]). 그것은 옛날 관대의무로부터 유래되어 읍락민들 사이에 부여된 부담이었다. 그리고 화외인에 대해 특별히 모셔야 할 Piast 273) 본 표현은 887년에 Würtzburg수도원에게 특권이 부여되는 것에 대한 Arnulfi Diplomata에서 나타난다. 즉, decimam tributi, quae de 273) partibus orientalium Franchorum vel de Sclavis ad fiscum dominicum annuatim persolvere solebant, quae secundum illorum linquam steora vel ostarstuopha. - 159 -
배려가 군주에게 지속적으로 보유되어 있어 Lex Burgundionum XXXVIII조를 통해 보면, 관습법의 잔영에 대한 부담이라는 것 이 확실히 입증되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기능을 하기 위해서 읍락민만 할 수 있는 것 이 아니었다. 외교 및 방어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 읍락 연합 체로 조직해야 하였다는 것이다. 역사학계에서는 小部族 영역 이라는 개념이 유행하고 있었다. 라틴어로 된 사료에 의하면 이런 연합체가 provincia, partes, fines, natio라고 부르고 regio란 표 현도 기록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다274). 예컨대 Descriptio civitatum et regionum ad septentrionalem plagam Danubii 와 같은 사료가 그렇다. 그 사료는 지리지와 유사한 사서지만 부족을 서술하면 서 내포되어 있는 읍락(civitas)의 수를 정확히 작성하고 있다. 본 내용은 (77)의 기사에서 4000 명 민회를 운영한 정치단위 는 읍락이 40개 정도 있었다고 한다. 그렇지만 고고학 연구결 과와 Annales Bertiniani나 Annales Xantenses와 같은 기타 사서와 힐 문을 통해 보면, 어떤 읍락연합체/小部族 단위는 평균 10~20 여 읍락만 포함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Descriptio civitatum이 완전 자치적인 성격을 가지는 집단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는 Lex Salica I-III조에 있어서 가축 떼를 노략질했던 범죄에 대 한 규정이 존재했던 사실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가축 떼의 규 모를 보자면 양 읍락 사이에만 생길 수 있는 사건이며 집단 상호간 관계를 운영했던 기관은 바로 소부족 영역에서 소집하 고 있는 민회였다는 것이다. 소부족의 기능에 대하여 797년 Capitulare에 따르면 simulque congregatis Saxonibus de diversis pagis, tam de Westfalais et Angariis, quam et de Ostfalahis [Westfal족, Anglar족, Ostfal족 등 여러 부족에서 온 색슨인들을 (용납하였다)] 라는 기록이 나타나 각 소부족마다 274) Tyszkiewicz Wrocławskiego, 2007, 73쪽 Barbarzyńcy w Europie, Wydawnictwo Uniwersytetu - 160 -
카롤루스 대제와 독단적인 조약을 맺어, 독단적으로 자기의 王 을 人質로 파견했다는 사실이 있다. 그리고 각 소부족은 각자 자기의 관습법을 운영하고 있었다. 프랑크족에 있어서는 Salii 프랑크, Chamavi 프랑크, Ribuari 프랑크, Chatti 프랑크, Bructeri 프 랑크, Sicambri 프랑크, Ampsivarii 프랑크, Tencteri 프랑크, Tubattii 프랑크, Usipii 프랑크 등 小部族 중에서 세 가지 관습법이 반포 되어 존재하였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집단의 방어시설에 있어서는 상술된 przesieka[숲속의 防柵]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른바 脅威區域 이라는 것 이 있다. 그것은 Germania 최초의 구절에서 묘사된 구역이다. 즉, Germania omnis a Gallis Raetisque et Pannoniis Rheno et Danuvio fluminibus, a Sarmatis Dacisque mutuo metu aut montibus separatur [게르마 니아는 갈리족, Raetia족, Pannonia족과는 Rhein강과 Danube강에 의 해, 사르마티아족, 다키족과는 상호간의 협위구역과 산맥에 의 해 분리되고 있다]이라고 한 문서이다. 주목할 만한 내용은 a Sarmatis...mutuo metu...separatur이다. 그 문장은 게르만에 대한 신빙 성이 없는 사서(De bello Gallico)로부터 유래된 과장된 서술이지 만 협위구역 에 대해 파악하였으므로 도움이 되어 언급한다. (84) Civitatibus maxima laus est quam latissime circum se vastatis finibus solitudines habere. Hoc proprium virtutis existimant, expulsos agris finitimos cedere, neque quemquam prope audere consistere; simul hoc se fore tutiores arbitrantur repentinae incursionis timore sublato. De bello Gallico, VI 23 公事에 있어서 주위 부족을 멸망시켜 그들[Suevi족]의 거주영역 을 둘러싼 無人 황무지가 넓다는 정세가 가장 영예로운 것이라고 간주한다. 많은 종족들을 [패하게 하고] 이주시키거나 기타 부족 이 두려워해 근처에서 정주하지 않았다는 것은 그들의 용기의 증 거로 여긴다. 그리고 동시에 갑작스럽게 노략질 당하는 것도 어려 워져 그들의 안정성은 커진다고 생각한다. 상기의 구역은 군주의 권력이 강화될 때까지 존재하고 있어 - 161 -
그 안에 거주한 사람이 추방되는 것은 범인밖에 없었다는 것 이다. 그래서 중세기에 있어서 숲을 silve, latronum amice [賊의 친구]라고 부르는 사서가 비교적 많다275).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Lex Salica에서의 wargus[늑대] id est expellis라고 하는 추방 당해 온 사람들의 군사적인 역할은 읍락 연합체민의 입장에서 중요시되고 있어서 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대히 취급하였 다는 사실이 보인다. 그것은 Germania XXXI에 의해 Nulli domus aut ager aut aliqua cura: prout ad quemque venere, aluntur, prodigi alieni, contemptores sui [그들 가운데 집이나 농토나 업무가 있는 者가 없어 누구를 방문하든 형편에 따라 그에게서 얻어먹고 남의 재물은 낭비하고 자기 재물은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라는 Chatti족에 대한 구절에서 입증되고 있다. 또, 위협구역의 거주 민들이 집단의 未成年集會 훈련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었는데, 이 사실은 Volsunga saga VII-VIII에서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276). 275) 예컨대 ( 2009, Galli Anonymi Cronica III 19 Żmudzki Władca i wojownicy, narracje o wodzach, drużynie i wojnach w najdawniejszej historiografii Polski i Rusi, Monografie FNP, 276) VII Sigmund는 Siggeir 143쪽) 제 장 추방된 숲속에 살면서 의 아들 3명의 통과 의례에 있어서 그들을 지도하고 있었다. 그 후에 제VIII장에 따르면 þat er nü at segja, at Sigmundi þykkir Sinfjotli of ungr til hefnda með sér, ok vill nú fyrst venja hann meðnokkut harðraeði; fara nú um sumrum viða um skóga ok drepa menn til fjár sér [여름에는 Sigmund는 Sinfjotli를 너무 젊다고 여겨 그의 복수를 도와줄 수 있도록 어려움에 익숙해지도록 숲속에서 사람을 强盜 殺人하게 했다는 이야기가 남아 있다.]이라고 한 기록이 있다. 또, 동일한 saga에 서는 제I II장에서 위협구역에 대한 기록을 다음과 같이 하고 있 다. Sigi hefir drepit þraelinn ok myrðan; þa kalla þeir hann varg í veum...nú tekr Sigi at leggjaz í hernað með þat lið...at Rerir skal fara í leiðangr, sem siðvenja er til konunga, at friða land sitt [Sigi가 노예를 모살하였음으로 聖地에서 늑대가 되었다... 그래서 전쟁터로 나가 야 했고 크게 성공했다는 것이다...그렇지만 모든 왕의 관습대로 - 162 -
방어제도에 있어서는 군역도 마찬가지로 이런 部 연합체 집 단에서 부과되고 있었다. 그것은 앵글로색슨에서는 fyrd이라고 하고 대륙 게르만에서는 heribann이라고 불렀다. 공격을 받았던 지방민에 대해 서술된 사료에서 그것은 적어도 중세말기까지 rustici mordaces [잔인한 백성], gregaris militibus [地方兵卒], viros desertores [盜賊]이라고 계속해서 부르고 있어, 소부족의 방어 군 사적인 기능에 대한 잔영으로 인정된다. 또, 이상과 같은 사회 생활의 요인은 소부족 단위의 민회에서 운영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諸소부족이 또 다른 큰 연합체로 임시적으로 통일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학계에서는 大部族領域 (獨: Sammelbegriff)의 이름하에 주지된 융합체였다. 사서에서는 본 집 단은 terra, gens나 patria라고 부르고 있다 (예: terra Saxonum, Thuringionum). 프랑크족에 대해서만 populus라는 표현이 이용되었 다는 것도 논증된다. (75)의 기사에서 나타나듯이 대륙 색슨족 은 Marklo에서 일년에 한번 모이는 민회가 있었다는 것이다. 여 러 소부족이 대표자를 연합체 최대 집단의 기본적인 기관에 파견해 외교적인 판결을 했던 것 같다. 적어도 타키투스가 묘 사된 Suevi족은 대민회 및 가장 중요한 제사가 연합체 최강의 부족(Semnones)영역에서 운영하고 있었다는 것이고 후대의 색슨 족과 기타의 terrae도 마찬가지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277). 총괄하건대, 유럽 바바리아의 차층적인 구조가: 가문 자연 취락 연합체/읍락 읍락 연합체/소부족의 규모 집단 소부 족 연합체/大部族 규모의 집단으로 나누어 제기된다는 것이다. 아니면 後參者에 대한 Peschel 의 말을 빌어 waffengemeinschaft 278) 자기 영토의 평화질서를 지키기 위해서는 Rerir왕은 전쟁하러 나 가야 했다]. 상기는 추방형에 처한 者와 小部族을 방어해야 하는 제소국 상호간의 동력학을 잘 서술하는 기록이다. 277) quorum non una, ut Chattorum Tencterorumque gens... propriis adhuc nationibus nominibusque discreti, quamquam in commune Suebi vocentur... eoque omnis superstitio respicit, regnator omnium deus, cetera tamquam subiecta - 163 - inde initia atque parentia. gentis, ibi
- volkssplittern - zweckverband 의 집단으로 분리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여지가 없었으므로 가문집단에 대한 내용이 부족 하지만, 그것은 기본적으로 mundium(家長權)에 관한 관습법적인 기능 여부에 대해 검증한 것이라서 앞으로도 검토가 요구된다. 상술된 기타 집단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것은 본 구성을 진 화론의 단계적으로 보는 것은 오류라고 하는 점이다. 왜냐하면 읍락 없이 소부족이나 대부족 집단의 군사적인 목적으로 성원 을 동원하거나 경제력을 이용할 수 없었으며 대부분 경우에서 (諸)부족 없이 읍락이 방어하거나 他集團과 교섭하기가 어려웠 기 때문이다. 그리고 Tribal hidage에 의하면 연대적으로도 변모 된 것이 아니라 모든 구조의 층들이 동시에 작용되고 있었다 는 것이다. 그 문서에서 나타나고 있는 색슨 영국에서의 34집 단 가운데 300호(예: Wicca나 Fearfinga의 읍락)부터 1200호(예: Herefinna)까지의 집단을 읍락으로 보고 2000호(예: Oht gaga)부터 15000(Cant-warena, 후기의 Kent)호까지 소부족으로 여기고 3만호 (Myrcna, East-Engle 후기의 Mercia 및 East Anglia)부터 10만호 (West-Sexena, 후기의 Wessex)까지의 집단은 커다란 부족/소부족 연합체로서 파악해도 된다는 것으로 집단이 모두 같은 5세기 에 존재하고 있었던 정치상황이다. 말하자면, 전근대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 진화론적인 해석은 너무나 단순한 단서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279). 人口統計學的 으로나 물질적인 문화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 변 동이 동태적으로 파악되는 것이 옳지만 Wenskus의 비교학적인 면에서 관습법 성격의 정태성이 강하며 법의 구성에 있어서 순환적인 성격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양상에 있어서는 대부족 영역이 분리된 사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있다. Germania XXXIV에 의해서 2세기에 프리즈족의 연합체가 大프 1978, Die Sueben in Ethnographie und Archäologie, Klio 60 278) Peschel, 279) Urbańczyk 2008, Władza i polityka Wydawnictwo Uniwersytetu Wrocławskiego,, - 164 - we 84 쪽 wczesnym średniowieczu,
리즈족 및 小프리즈족으로 二分割되어 초기중세기에 들어와 다시 통합되었다. Heruli족은 종교적인 이유로 508년에 三分割 되어 3000口는 비잔티움, 3000口는 Gepidia 왕국으로, 7000口는 本國으로 북침하였다280). 고고학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아는 또 다른 사례는 540년대에 Gepidae족의 왕국도 마찬가지로 Tisza의 집단, Kőrős강, Maros강, Feher-Kőrős강, Fekete-Kőrős강 유역의 집단 및 Mezőfőld 평야의 소위 小Gepidia로 분리되었다는 것이다. 844 년에 강대한 슬라브 소부족연합체인 Obodrites족의 대집단은 적 어도 3가지의 부족으로 분해가 되어 중앙권력까지 없애고 말 았다. 10세기에 들어와 Veleti족도 대왕(rex)이 없어져 여러 regulus( 小王 ) 및 상술된 Radogoszcz 神殿의 사제에게 지배받게 되어 정치의 변화와 더불어 연합체의 이름까지 Liutici족으로 변 모되었다는 것이다. 환언하면, 공고화된 왕국이 건국될 때까지는 군주를 둘러싼 초기 중앙권력이 순환적으로 위기에 처하는 것으로부터 왕의 再擁立 위상까지 변동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상황에 상응한 관습법의 구조변모에 있어서 최고의 審級인 대민회의 운영 여부도 다시 바뀌었다는 것이다. 280) Bóna 1976, A L Aube de Moyen Age bassin des Carpates, Hereditas 29쪽 - 165 - Gépides et Lombards dans la
2. 古代韓國 民會의 差層的 構造 여기에서는 고대 한국의 민회의 존재 및 성격을 검증하고자 한다. 즉, 의식적인 양상, 민회소의 위치와 모양, 제사와 연회 의 관계, 귀족 會議와의 분리화 의미, 國人이 소집한 定期 모 임, 滿場一致의 범주 등의 문제점을 고대 한국에 있어서 살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특히 거론해야 할 것은 본 기관의 규모 를 검토하면서 部體制를 염두에 두고 관습법이 差層的 구조에 상응하는 것을 검증한다. 우선, 제시된 諸문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자. (85) 會合을 할 때에는 술잔을 주고 술잔을 닦는 禮가 있으며, 출 입 시에는 主客 사이에 揖讓하는 예가 있다. 殷曆 正月에 지내는 祭天行事는 國中大會로 날마다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는데, 그 이름을 迎鼓 라 하였다. 이때는 刑獄을 중단하고 죄수를 풀어 주었다.281) (86) 君長이 없고, 그 邑落마다 각각 大人이 있다. 그들은 山林 속에서 거주한다.282) (87) 鬼神 社稷 零星에 제사지내기를 좋아하며, 10월에 하늘에 제 사지내는 大會가 있으니 그 이름을 东盟 이라 한다. 그 나라의 동 쪽에 큰 굴이 있는데 그것을 禭神이라 부르며, 또한 10월에 그 神 을 맞이하여 제사지낸다. 그들의 공공 모임에는 모두 비단에 수놓 은 의복을 입고 金銀으로 장식한다. 大加와 主簿는 모두 幘을 쓰 는데 冠幘과 같기는 하지만 뒤로 늘어뜨리는 부분이 없다. 小加는 三國志 권 30 夫餘: 會同拜爵洗爵 揖讓升降 以殷正月祭天 國中大會 連日飲食歌舞 名曰迎鼓 於是時斷刑獄 解囚徒 (서영수 편, 1987, 앞 책, 213쪽) 282) 後漢書 권 85 挹婁: 無君长 其邑落各有大人 处于山林之间 (서영수 편, 1987,앞 책, 135쪽) 281) - 166 -
折风을 쓰는데 그 모양이 弁과 같다. 감옥이 없고, 범죄자가 있으 면 諸加들이 모여서 评议하여 곧 사형에 처하고 그 처자는 몰수하 여 노비로 삼는다.283) (88) 그 나라는 지역이 좁고 작은데다가 큰 나라들 사이에 끼어 있어서 마침내 고구려에 臣屬케 되었다. 고구려는 그 지역의 大人 을 뽑아 使者로 삼아서 읍락을 [土着民]과 함께 다스리게 하였으 며 租稅를 징수한다.284) (89) 大君長이 없고, 그들의 관직으로는 候와 邑君과 三老가 있 다... 그 풍속은 山川을 중요시하여 산천마다 각 읍락의 경계가 있 어서 함부로 서로 침범하지 않는다...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 를 지내는데, 주야로 술 마시며 노래 부르고 춤추니, 이를 舞天 이 라 한다. 또 호랑이를 神으로 여겨 제사지낸다. 집단을 함부로 침 범하는 사람이 있으면, 벌로 生口와 소 말을 부과하는데 이를 責 禍 라고 한다. 사람을 죽인 사람은 죽음으로 죄를 갚게 한다. 도둑 질하는 사람이 적다.285) (90) 諸加들은 四出道를 주관하는데, 큰 곳은 數千 家이며 작은 곳은 數百 家였다...활 화살 칼 창을 병기로 사용하며, 집집마다 자 체적으로 갑옷과 무기를 보유하였다......적군이 있으면 諸加들이 283) 後漢書 권 85 高句驪: 好祠鬼神社稷零星 以十月祭天大会 名 曰东盟 其国东有大穴号禭神 亦以十月迎而祭之 其公会衣服皆锦绣 金银以自饰 大加主簿皆著幘 如冠幘而無後 其小加著折风形如弁 無 牢狱有罪诸加评议便杀之 没入妻子为奴婢 (서영수 편, 1987, 앞 책, 138쪽) 284) 後漢書 권 85 東沃沮: 其土迫小 介于大国之间 遂臣属句骊 句骊復置其中大人为使者以相监领 责其租税 (서영수 편, 1987, 앞 책, 149쪽) 285) 後漢書 권 85 濊 : 無大君長其官有侯邑君三老...其俗重山川 山川各有部界不得妄相干涉...常用十月祭天 昼夜饮酒歌舞 名之为舞 天 又祠虎以为神 邑落有相侵犯者 辄相罚 责生口牛马 名之为责祸 杀人者偿死 少寇盗 (서영수 편, 1987, 앞 책, 155쪽) - 167 -
몸소 전투를 하고, 下戶는 양식을 가져다가 음식을 만들어 준다... 位居가 죽자, 諸加들이 함께 麻余를 옹립하여 왕으로 삼았다...옛 부여의 풍속에는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五穀이 영글지 않으 면, 그 허물을 王에게 돌려 王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 고 하거나 죽여야 한다 고 하였다.286) (91) 不耐濊王은 백성들 사이에 섞여 산다.287) (92) 馬韓은...나라마다 각각 長帥가 있어서, 세력이 강대한 사람 은 스스로 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邑借라 하였다. 산과 바다 사이 에 흩어져 살았으며 城郭이 없었다...臣智에게는 간혹 우대하는 호 칭인 臣雲遣支報 安邪踧支 濆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의 칭호를 더 하기도 한다...準은 그를 믿고 사랑하여 博士에 임명하고 圭를 下 賜하며, 百里의 땅을 封해 주어 서쪽 변경을 지키게 하였다...그 풍 습은 기강이 흐려서, 諸國의 도읍에 비록 主帥가 있어도 邑落에 뒤섞여 살기 때문에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였다...그 나라 北方의 郡에 가까운 諸國은 그런 데로 약간의 禮俗이 있지만, 먼 곳에서 머무는 자들은 죄수와 노비의 군중처럼 모여 있는 것이다... 辰韓 은... 말하기를...도적을 寇라 부른다. 288) 286) 三國志 권 30 夫餘: 諸加別主四出道大者主數千家小者數百 家...以弓矢刀矛爲兵 家家自有鎧仗...有敵諸加自戰下戶俱擔糧飲食 之...位居死 諸加共立麻余..舊夫餘俗水旱不調五穀不熟 輒歸咎於王或 言當易或言當殺 (서영수 편, 1987, 앞 책, 213-215쪽) 287) 三國志 권 30 濊傳 :...不耐濊王 居處雜在民間 (서영수 편, 1987, 앞 책, 276쪽) 288) 三國志 권 30 韓傳: 馬韓...各有長帥大者自名爲臣智其次爲邑 借 散在山海間無城郭...臣智或加優呼臣雲遣支報安邪踧支濆臣離兒不 例拘邪秦支廉之號...準信寵之[衛滿] 拜爲博士賜以圭封之百里令守西 邊...其俗少綱紀 國邑雖有主帥 邑落雜居 不能善相制禦...其北方近郡 諸國差曉禮俗 其遠處直如囚徒奴婢相聚[필자: 英 those located at a distance tend to assamble together as if they were throngs of prisoners or slaves ; 참가 논문: Byington M 역, 2009, Early Korea The Samhan Period in Korean History, Early Korea Project, 144쪽]...辰韓...名...賊 - 168 -
(93) 宮은 國人들이 미워하였다. 성장함에 따라 凶惡하고 사나워 져, 나라가 그로 말미암아 쇠잔해지고 파멸하게 되었다...풍속이 음 란하고 노래와 춤을 즐겨, 밤이면 남녀가 떼지어 어울려 노는데, 귀천의 구별은 없었다...머리에 折風을 쓰니 그 모양이 弁과 흡사 하였으며, 巾의 모서리에 새의 깃을 꽂는데 귀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289) (94) 병기는 중국과 대략 같다. 봄과 가을에는 王親이 참석하는 校獵이 있다... 10인이 공동으로 細布一疋을 바친다.290) (95) 國事가 있으면 반드시 사람들이 모여 의논하여 결정하는데, 이를 和白 이라 하며, 一人의 異議만 있어도 중지하였다.291) (96)...[거리가 어림잡아] 73리 32보 정도이지만 [토착민들이 妨 害하여?] 거리를 재는 바에 있어서 오류가 일어날 수가 있었 다.292) (97) 王이 六部를 정하고 나서 이를 반씩 둘로 나누어 왕의 딸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部 안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 어 편을 짜서 가을 7월 16일부터 매일 아침 일찍 大部의 뜰에 모 여서 길쌈을 하도록 하여 밤 10시경에 그치는데, 8월 15일에 이르 러 그 공적의 많고 적음을 헤아려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차려서 이 긴 편에게 사례하였다. 이에 노래와 춤과 온갖 놀이를 모두 행하 爲寇. 289) 魏書 高句麗: 國人惡之[宮] 及長凶虐 國以殘破...其俗淫好歌 舞 夜則男女群衆而戱 無貴賤之節...頭著折風 其形如弁 旁揷鳥羽 貴 賤有差. (서영수 편, 1987, 앞 책, 512-515쪽) 290) 北史 高句麗: 兵器與中國略同 及春秋校獵 王親臨之...十人共 細布一疋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62쪽) 291) 新唐書 新羅傳: 事必與衆議 號和白 一人異則罷 292) 出雲風土記 6-7행:...七十三里 卅二步 得而難可誤. 본 기사 는 많은 해석에 따라 未詳으로 나타난다. - 169 -
는데 그것을 嘉俳라 하였다. 이때 진 편에서 한 여자가 일어나 춤 을 추며 탄식해 말하기를 會蘇會蘇 라고 하였는데 그 소리를 따 라서 노래를 지어 회소곡이라 이름하였다.293) (98) 이때 이르러 基臨王이 죽고 아들이 없었으므로 群臣들이 의 논하기를 訖解는 어리지만 老成한 덕이 있다. 하고는 받들어 그 를 왕으로 세웠다.294) (99) 그 아이가 지팡이를 끌며 종 두 명을 데리고 吐含山에 올 라 石塚을 만들고 七日동안 머무르면서 城中에 살만한 곳을 보았다. 내려와 찾으니 바로 瓠公의 집이었다. 이에 모략을 써, 몰래 숫돌과 숯을 그 곁에 묻고 이튿날 이른 아침에 그 집 門에 가서 이것이 우리 祖上 때의 집이라 하였다. 瓠公은 그런 것이 아니라 하여 서로 다투어 결단치 못하고 官家에 告하였다. 官에서는 무엇으로써 너의 집임을 증명하겠느냐 하니, 童子 가로되 우리는 본래 대장장이였는데 잠시 이웃 시골에 간 동안 다른 사람이 빼앗아 살고 있으니 그 땅을 파보면 알 것이라 하였다. 그 말대로 파보니 果然 숫돌과 숯 이 있으므로, 그 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때 南海王이 脫解 의 슬기로움을 알고 맏公主를 아내로 삼게 하니 이가 阿尼 夫人이었다.295) 293) 三國史記 권 1 儒理尼師今 9年條: 王旣定六部中分爲二 使王 女二人各率部內女子 分朋造黨 自秋七月旣望每日早集大部之庭績麻 乙夜而罷 至八月十五日 考其功之多小 負者置酒食 以謝勝者 於是 歌舞百戱皆作 謂之嘉俳 是時 負家一女子 起舞嘆曰會蘇會蘇 其音 哀雅後人因其聲而作歌名會蘇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앞 책, 26쪽) 294) 三國史記 권 2 訖解尼師今元年條: 至是基臨薨無子 群臣議曰 訖解幼 有老成之德 乃奉立之 295) 三國遺事 1卷 紀異 脫解王: 其童子曳杖率二奴登吐含山 上 作石塚留七日望城中可居之地見一峰如三日月勢可久之地 乃下尋之卽瓠公宅也 乃設詭計潛埋礪炭於其側詰朝至門云此是 吾祖代家屋 瓠公云否爭訟不決乃告于官 官曰以何驗是汝家 童 - 170 -
(100) 개벽한 후로 이곳에 아직 나라의 이름이 없고 또한 君臣의 稱號도 없더니 이때...九干이 있어, 이들이 酋長이 되어 人民을 거 느리니 그 수효가 무릇 一百戶 七萬五千人이었다. 山野에 도읍하 여 우물을 파마시고 밭을 갈아 먹더니...그곳 북쪽 龜旨에서 무엇 을 부르는 수상한 소리가 났다. 衆庶 二三百人이 이곳에 모 이니...모두 기뻐서 歌舞하였다...[黃金 알을] 驚喜하여 百拜 하고 조금 있다가 다시 싸가지고 我刀의 집으로 돌아와 榻 위에 두고 각기 흩어졌다. 十二時를 지나 이튿날 平明에 衆 庶가 다시 모였다...그달 보름날에 처음으로 나타났던 자는 즉위하였다. 諱를 首露라 하였다...王이 대답하기를: 하늘이 나를 명하여 즉위케 하여 장차 中心國을 편안히 하고 下民 을 安堵케 함이니 감히 天命을 어기어 位를 주지 못 할 것 이고 또 우리나라와 백성을 너에게 맡길 수도 없다 하였 다...[불법으로 남의 토지를 나누고 싶은 量田使가] 어느 날 밤에 꿈을 꾸었는데 七八명의 鬼神이 밧줄과 칼을 가지고 와서 네가 큰 잘못이 있으므로 베어 죽이겠다 하였다...인 하여 病이 들어 남에게 알리지도 않고 밤에 도망쳐 나갔는 데 그 病이 조금도 낫지 않고 關門을 지나다가 죽었다. 그런 고로 量田使帳에 印이 찍히지 아니하였다.296) 曰我本冶匠乍出隣鄕 而人取居之 請掘地撿看 從之果得礪炭乃 取而居焉 時南解王知脫解是智人以長公主妻之 是爲阿尼夫人 (이병도 역, 1984, 三國遺事, 200쪽) 296) 三國遺事 2卷 紀異 駕洛國記: 開闢之後 此地未有邦國之 號 亦無君臣之稱 越有...九干者是酋長 領總百姓 凡一百戶 七 萬五千人 多以自都山野 鑿井而飮 耕田而食...所居北龜旨...有 殊常聲氣呼喚 衆庶二三百人 集會於此...衆人悉皆驚喜 俱伸百 拜 尋還裹著 抱持而歸乃我刀家寘榻上 其衆各散 過浹辰翌日 平明 衆庶復相聚集...其於月望日卽位也 始現故諱首路...王答 曰天命我俾卽于位 將令安國中而綏下民 不敢違天之命 以與之 位 又不敢以吾國吾民 付囑於汝...忽一夕夢見七八介鬼神 執縲 紲握刀劒而至云 儞有大憝 故加斬戮 其使以謂受刑而慟楚 驚 - 171 -
우선, 고대 한국에서 민회와 유사한 기관을 사료를 통해 찾아 보는 것은 상대적으로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상황이 벌 어지는 이유는 사료의 편찬자들이 따라가는 興亡史觀 때문이 다. 민회는 외면적으로나마 등급의 구별이 거의 없는 정치 사 법적인 기관이고, 유교 사상의 입장에 대비하고 있는 것이라서 그것에 대한 정보가 교화적인 기능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한 악의적인 측면은 (92) 기사에서의 其遠處直如囚徒奴婢相聚 이 라는 문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이유는 민회 가 너무 당연하게 널리 펴져있는 실정이라서 귀납법으로 해석 해야 할 (104) 기사의 내용297)처럼 예외적인 사례를 제외하며 문서 작성자들이 포기하고 있었던 주제였다는 것이다. 얼마 전 까지 영국학계에서도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신분제에 관한 연구가 포기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298). 그렇지만 고대 한국에서는 민회가 실체적이거나 前面的으로 관습법적인 기능을 발휘하고 있었던 토대가 적어도 네 가지 있다. 첫째, 중국사서에서 서술된 부여(85)와 고구려(87)에서의 大會 에 대한 내용이다. 유추 해석으로 고대 한국 및 기타의 정치단 위에서도 유사한 기관의 존재가 사서를 통해 입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적지 않다. 둘째, 5세기부터 세운 비석의 내용도 그러한 토대가 될 수가 있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문단은 적어도 두 가지가 있다. 中 原高句麗碑에서의 土內諸衆人 및 募人三百, 蔚珍鳳坪新羅碑 의 世中子三百九十八 이라는 표현이 관습법적인 문맥에서 많 懼而覺 仍有疾瘵 勿令人知之 宵遁而行 其病不間 渡關而死 是故量田都帳不著印也 (이병도 역 1984, 앞 책, 284-296쪽) 297)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기사에 대한 필자의 해석은 무척 추정적 인 것이라 유념해야 한다. 말하자면, 行鄕飮酒禮가 민회와 관계성 여부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 298) Zajączkowski 1993, Elity urodzenia, Semper 73쪽 - 172 -
은 國人들이 참가하는 모임에 대한 내용인 것이다. 아무리 衆 人이 영도권 없이 수동적인 기능만 하였다 하더라도 상기는 大會의 흔적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법적인 문맥에 있어서 고대 韓人들이 치렀던 희생제의 방법은 만주유목민의 민회 제사와 같다. 전덕재299)가 지적했듯 이, 碑文銘에서의 煞班牛 나 事牛拔 과 관련해 제사를 會盟하 는 경우뿐 아니라 匈奴나 高車의 大會에서도 유사한 희생제가 수행되었던 것 같다. 그것은 관습법의 측면에서 무릇 규정을 어길 경우에 희생물과 같이 도살되거나 좋은 판결을 얻도록 神에게 바친다는 의미로 행했던 의식이었다. 하여튼, 민회와 법적인 작용의 관계성을 입증한 사실이다. 넷째, 율령을 반포하기 전 시기에 군주 중심의 정치제가 비교 적 약했다는 점이다. 여기서 유의할만한 것은 초기 중앙 권력 이 약했다는 상태는 이병도300)의 말을 빌어, 권리 의무의 차 별이 없고 경제적으로는 自給自足의 생활을 營爲하였다 는 서 술이 너무나 목가적인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오히려 권세의 성격은 달랐다는 것이 더욱 사실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된 다.301) 말하자면, 권력을 행사하는 도구는 군주의 위치보다는 전덕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124-130쪽 이병도, 1972, 韓國史大觀 普文閣, 15쪽 301) B. Malinowski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11쪽)는 비슷한 시각에서 Rivers(1914 Kinship and Social Organization, Constable&Co, London)의 의견을 비판했다. 즉: Dr. Rivers, speaks in 299) 300) the book already mentioned of an unwitting or intuitive method of regulating social life, which is, according to him, closely connected with primitive communism. And he proceeds to tell us : Among such a people as the Melanesians there is a group sentiment which makes unnecessary any definite social machinery for the exertion of authority, in just the same manner as it makes possible the harmonious working of communal ownership, and insures the peaceful character of a communistic system of sexual relations (Social Organization, p. 169). Thus here again we are assured that unwitting or intuitive methods, instinctive submission and some mysterious group-sentiment account for law, order, communism and sexual promiscuity alike! This...is certainly not correct in reference to - 173 -
민회에 있었다는 해석이 옳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이 또 하나 있다. (86)의 구절, (88)의 구절, (90)의 구절, (100)의 가락국기 기사에서의 未有邦國 之號 亦無君臣之稱 이라는 motif는 중국사서로부터 온 토포 스가 아닐까라는 의문이다. 예컨대 史記 권116에서의 西南夷 에 대한 서술을 보면: (101) 西南夷에게는 君長들이 수십 명 있는데 그들 중에 가장 강 력한 者는 夜郎族의 우두머리이다. 夜郎 서쪽으로는 靡莫族의 君長 수십 명이 있으나 그들 중에서 滇족의 우두머리가 가장 강력하다. 滇 北쪽에도 수많은 군장이 있는데 그들 가운데 最强者는 邛都의 우두머리이다. 상기의 취락민들은 망치 모양의 상투를 좋아하며 취 락 읍락에서 거주한 채 耕田에서 농사짓고 있다. 또 멀리 서쪽에 가 면 -同師와 楪榆의 지역 사이에서- 巂族과 昆明族이 살고 있는 것이 다. 가축과 같이 움직여 머리는 編發하는 모양을 좋아한다. 그들에 게는 常處도 없고 군장도 없다.302) 기존의 논문에서 Rivers박사는 이 무의식적이거나 직관적인 [부족]사회 질서를 규 정화하는 방법은 밀접하게 원시 공산주의 와 연결성이 있다는 것 으로 보고 있다. 또, 멜라네시아인과 같은 인간 집단에게는 권력 을 행사할 수 있는 일정한 사회적 기관 대신에 집단 정서가 유행 하고 있다. 이 사고 방식 때문에 공동 소유권이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화로운 노동이 가능하며, 공산주의적인 평화로운 성 관계 도 보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Social Organization, p. 169). 따라 서 그는 여기서 다시 무의식적 이거나 직관적인 방법, 본능적 인 순종성 그리고 어떠한 신비로운 집단 정서 는 법 체제, 평화 질서, 공산주의와 외설적인 성행위조차 보장되고 있다는 것을 우 리에게 지적하고 있다! 이것은... 내가 잘 알고 있는 멜라네시아 사회와는 확실히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302) 西南夷君長以什數 夜郎最大 其西靡莫之屬以什數 滇最大 自滇以 北君長以什數 邛都最大 此皆魋結 耕田 有邑聚 其外西自 北至楪榆 名為巂 昆明 皆編發 隨畜遷徙 毋常處 毋君長 Melanesian societies, which I know at first hand. [ - 174 -
상기의 집단들이 諸君長 지휘 하에 있거나 毋君長 의 상태에 있는 모습을 찾아볼 수가 있다. 전체적인 내용은 (92)의 기사 에서 俗少綱紀 의 문단에 상응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자의 가치관적인 이유 때문인지 또는 상호간 정치제의 유 사성에서 오는 이유 때문인지 앞으로 또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92)에서의 舊夫餘俗水旱不調五穀不熟 輒歸咎於王或 言當易或言當殺 란 문단의 내용으로 보아 後者의 가능성이 더 욱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내용은 Ynglinga saga에서의 Aun왕 및 그의 아들 9명이 연루된 Uppsala神殿에서의 희생제 사건 묘 사와 유사성이 눈에 띄는 점에서, 왕국이 공고화되지 않은 사 회에서의 보편적인 사항으로 보인다. 고대 한국의 민회의 성격으로 돌아와, 판결의 용납방식, 참석 자의 성격, 의례용품의 모양 등에 유념하고자 한다. 한참 늦은 자료로서 고대 한국과 연결성은 의심스럽지만 토의의 始點으 로서 里규모의 민회에 관한 좋은 서술이라 여겨 C.A. Clark의 여행기를 인용하였다. [공동체의 成員은] 은행나무 아래에 가서 읍내 사람을 모으는데 사 용하는 징을 쳤다. 모두 다 모이자 그는 질문을 제시했다... 말하기 를 [개종된 조선인의] 집 둘레에 선을 그리며, 무엇이든지 그들과 거래 관계를 없애 그들을 化外人으로 취급하면 된다. 우리가 쓰는 우물 둘레도 선을 그려 그들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그들이 필 요로 하는 모든 물을 바위가 많은 가파른 강변으로부터 가져오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수확기와 잡초를 뽑아야 할 철에도 그들과 함께 하는 것을 거부하자. [그러다가] 환호를 통해서 그 제안은 받 아들여졌다.303) 303) He [공동체의 成員] went over under the Ginko tree, and pounded on the gong there, which was used for calling together the man of the town. When all were gathered, he brought the question before them... Let us draw a line around their houses, he said, and have no [개종된 조선인] - 175 -
상기는 1905년에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美文化된 기사이지만, 환호라는 의식의 존재 및 고을 민회의 징을 이용하는 것을 통 해 古木 밑에 소집시키는 의식도 검증되고 있다. 고대 한국에 서도 유사한 의례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지만 會 蘇會蘇 와 유사한 주문암송을 통해 衆人을 모으는 방법304)은 더욱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三國志 馬韓傳 에서 기록되었듯이 소도에서 걸어놓고 있는 鈴鼓 나 많은 곳 에서 출토된 동탁을 치고 그러하였다는 것을 추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그리고 판결의 용납방식에 있어서 vapnatak과 같은 의례로 용 납을 얻었던 것인지 민회의 참석자들이 武裝된 상태로 민회에 와 있었던 것인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그것에 대한 내용은 (87) 및 (92)의 기사에서 나타난다. 고구 려 귀족이 大民會에서 입었던 것에 대해서 其公会衣服皆锦绣 金银以自饰 大加主簿皆著幘 如冠幘而無後 其小加著折风形如 弁 이라고 나타나며 중국 의복제의 유사성에 집중되고 있다. 귀족이 아닌 신분에 대해서는 아무 이야기도 없다. 이들이 어 떤 방식으로 공회에서 모이고 있었는 게에 대해서는 三國 志 夫餘傳 에서 현출된 모순이 빛을 던져주고 있지 않을 까 생각한다. 즉, 하편 以弓矢刀矛爲兵 家家自有鎧仗 이란 문 단이 있는데 그에 대비하고 있는 기사는 有敵諸加自戰下戶俱 擔糧飲食之 이다. 이 피지배층의 武裝 보유 여부에 대한 모순 dealings with them whatsoever, treating them as strangers. Let us draw a line around our wells, forbidding them the use of them, and make them carry all their water from the river up the steep rocky bank. Let us refuse to join with them in harvesting and weed pulling. By acclamation the suggestion was adopted. ( First Fruits in Korea, Fleming H. Revell&Co, ) 304) 109쪽 1921, (97)의 시가에서 나타나듯이 - 176 -
은 노태돈305)이 설명하는 읍락민의 경제력에 따라 분리가 된 다는 것이다. 그런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견해도 생각해 볼 필 요성이 있다고 본다. 후대의 사료인 後漢書 에서는 이상의 정보가 정리된 부분에 의하여 부여의 건축-종족의 성품-무기 류-諸加-제천행사 및 대민회에 관한 서술들이 순차적으로 문 맥 하나로 나타나고 있어 下戶民이 가지고 있는 무기와 갑옷 이 전쟁에서 쓴 것이 아니고 민회의 의례용품으로 쓰고 있었 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동시에, 안악3호분의 대행렬 壁畫나 眞定師孝善雙美 에서 나타난 貧卒의 部役에 대한 기록에 따르면, 戰時에는 빈곤한 하호들이 활만 보유한 채 전투하는 諸加에게 양식을 만들어줄 수 있는 兵農一致制306)의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지 않은가 생각한다. 민회에 무장된 상태로 와 있 는 者에 대해서는, 古俗에 따라 군사적 침입에 대해 방어해야 할 임무로 민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정당한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적어도 랑고바르트족의 법전에서는 exercitus [軍衆]이라는 표현을 해석하는 것은 그렇다는 것이다. 그렇지 만 고대 한국 민회 참석자에 있어서는 무장된 모습으로 참석 하는 모습 및 창을 부딪치는 의례 존재 여부는 유럽 바바리아 와 달리 추측일 뿐이다. 민회의 의식에 있어서, lagman(英: law-speaker)과 같은 의관의 존 재를 검증하는 것과 민회 때 이용했던 의례용품의 성격을 검 토하고자 한다. 前者에 대해서는 가정적인 정보 하나만 남아 있다. 이것은 崔光植의 의견에 따른 鳳坪里碑의 立石碑人인 無 名 博士 이다307). 유감스럽게도 본 가설은 추정적인 성격이 강 노태돈,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69쪽. 집에 小倉鎧仗을 보유하는 여부에 따라 2 가지로 구별함. 305) 서영수 편, 1987, 앞 책, 228쪽 307) 최광식 1989 위진 봉평 신라비의 석문과 내용 한국고대 사연구 2, 103쪽, 이기백 1996 韓國古代 政治社會史硏究 226쪽 306) - 177 -
하다. 의례용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사서에 기사가 있다. 新增東國 輿地勝覽 卷4 開城府 上 風俗條에 의하면, 八關會의 古俗的인 요소에 있어서는 彩棚을 두 곳에 세웠던 것이며 百官이 조복 을 입고 笏을 들면서 禮式을 행하고 都城人들이 모두 나와서 구경하며 밤낮으로 즐기고 임금이 威鳳樓에 나와서 구경도 하 였다는 내용이다. 본 예식은 불교문화의 성격이 많이 포함되고 있었으며, 지배층도 크게 관료화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고대 한 국 관습법을 운영하는 의식과 연결성이 없어 보이지만, 민회의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고 생각된다.308) 그들 중 하나는 笏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고대 한국에서는 본 의례용품에 대해서 이중성이 나타난다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92)의 기사에서 나타난 封爵品으 로서 衛滿에게 내렸던 圭 의 中華的인 전통성을 반영하고 있 다. 그것은 고고학적 관측에서 보면 慶州 龍江洞古墳에서 보 이는 손으로 홀을 잡고 있는 人物俑309)으로부터 입증된 문화 적인 전파의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것은 진덕왕대 신라 진골 직위에 있는 자들이 牙笏을 쥐고 있는 것으로 볼 수가 있어 중국의 의관제를 시행하는 요소이다. 상기를 염두에 두 어, (99)의 기사에서의 其童子曳杖率二奴登吐含山上 이란 문단이 고유적인 제사에서 이용된 말뚝을 지적하고 있지 않을까 여겨진다. 麻立干 의 명칭에 있어서 이병도 및 鮎 貝房之進의 주지된 해석도 있지만,310) 麻立 의 본격적인 뜻은 사서대로 橛 로부터 된 어원이라는 의견에 대해 부 인하기 힘들다. 그리고 八關會로 돌아와 많은 都城人의 입 장에서는 가끔이라고 해도 백관들이 들고 있는 홀은 고유문화 이기백, 1987 新羅社會와 佛敎, 佛敎와 諸科學 24쪽 309) 山本孝文, 2006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348-351쪽 310) 鮎貝房之進, 1973 花郞攷, 白丁攷, 奴婢攷 圖書刊行會, 43쪽 308) - 178 -
의 요소로서 파악되고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하여튼, 민회에 서도 유사한 의례용품이 사용될 수 있었다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한국 민회소에 대한 가설은 추측적인 성격만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Clark이 서술했듯이 소규모의 민회는 古木 밑에서 소집 된 곳이었던 것 같다. 현대까지 고을의 모임을 이러한 장소에 서 수행하기도 하고(그림-2) 나무속에서는 서낭과 같은 숭배 해야 할 신령이 머물고 있었다는 믿음을 염두에 두면 초자연 적인 수호 하의 장소라서 가능하게 여겨진다. 고대로 돌아와 비슷하게 소도가 있는 광장311)에서 민회 참석자들이 모일 수 있었을 가능성이 없지 않아, 그것에 대해 한국 학계에서 기재 된 논문이 비교적 많이 있다.312) 또, 자연숭배와 관련된 장소에서 민회로 소집된 것은 和白會 議와 神遊林에서의 習戰會 행사를 통해 귀납법적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즉, 前者에 대해서는 申濚植313)는 4靈地(靑松山, 亐 知山, 皮田, 金剛山)가 공개된 장소가 아니었다고 하지만 본 의견은 근거가 없는 것이다. 물론, 國人 이라는 표현이 사라져 黎庶 로 바뀌며 대왕을 추대하는 者들도 群臣 이나 臣僚 란 명칭 하에 나타나며 和白會議도 갈수록 진골대표자회의적인 성격이 강해지게 되었다는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상기의 4 靈地는 공개된 舊-民會所로서 인정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神遊林에 있어서는 三國遺事 권2 文虎王法敏傳에 의하 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최종규, 1990 광장에 대한인식 서연 김영하교수 정년퇴임 기념 사학논총 역사교육논집 13 14 312) 이미 손진태는 소도 숭배에 관하여 기재한 적이 있다. (손진태, 1940 蘇塗考町補 朝鮮民俗 3; 1981 손진태선생전집 2) 313) 서영수 편 1987, 앞 책, 2 195쪽 311) - 179 -
(102) 明朗이 아뢰되, 狼山 남쪽에 神遊林이 있으니 그곳에 四天王寺를 세우고 道場을 開說하면 좋겠다고 하였다...[明朗 이 가로되 彩帛으로 절을 假構하면 좋겠다 하였다.] 王이 彩 帛으로 절을 꾸미고 풀로 五方神像을 만들고 瑜珈明僧 十二人 으로 하여금 明朗을 우두머리로 하여 文豆婁秘密의 법을 지으 니...314) 여기서 거론해야 할 것은 蘇塗가 葛蟠地로 변모한 과정에서 잘 반영했듯이315) 불교가 많은 고유기관을 흡수하였다는 사실 이다. 그래서 明朗이 道場을 세우게 되었다는 것은 왜곡으 로 밖에 볼 수 없는 것이다. 이 숲속에서 원래부터 제사 가 거행되고 있었으며 (94)의 기사와 일치한 習戰會도 위치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프랑크족의 해마다 3 월1일 날에 大民會(소위 marchfeld )가 습전적인 성격을 가졌 듯이 신라에서도 그럴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라는 의견은 설득 력이 있다. 또, 민회소는 종교 양상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적어도 상징적 으로 의식적인 범염의 지역으로부터 분리되어 담이나 기타의 시설로 둘러싼 모습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제례적인 구역 이 있었다는 것은 사서를 통해 알 수 있다. (103) 그 나라 남쪽에 從太山이 있는데...풍속에 그 산을 매우 공경 316) 하고 무서워하여 사람들이 산 위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보지 못하고, 그 산을 경유하는 사람은 물건에다 담아 가지고 간다. 산 위에는 곰 말곰 표범 이리가 있으나 모두 사람을 해치지 아니하며, 사람 역 朗奏曰 狼山之南 有神遊林 創四天王寺於其地 開設道場則 可矣...乃以彩帛營寺 草搆五方神像 以瑜珈明僧十二員 明朗爲 上首 作文豆婁秘密之法 315) 徐永大, 1973 蘇塗의 政治的 性格 서울대문리대학보 19 316) Hallsal 2003 Warfare and Society in the Barbarian West 450-900, 314) Routledge - 180 -
시 그들을 함부로 죽이지 아니한다.317) 의례적으로 毋濁된 諸場所는 반드시 민회소가 되었다는 의미 가 아니었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상기에 있어서는 신령 의 특수한 수호 하의 구역은 집단의 공유지에서 위치된 범주 는 존재하였다는 뜻을 가지는 기록이다. 적어도 유럽 바바리아 의 민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聖地의 犯染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면, 고대 한국 민회 절차는 어떻게 보일 수가 있었을까? 우선, 귀족들의 위치는 민회 기단의 어디에 있었을까를 검토해 보도록 한다. 사료를 통하여 모순적인 기록이 있다. 이 모순은 無貴賤之節 의 구절과 頭著折風 其形如弁 旁揷鳥羽 貴賤有差 의 구절 사이에 나타난다. 前者는 魏書 의 大民會의 문맥 내에서 작성된 부분인데 외면적으로 보면 고구려 國人의 모임 에 있어서 등급을 구별하지 않아 보일 수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조복에 대한 서술이면서 신분적인 차이가 보여 독단적으로 작성된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민회에서 귀족의 기능에 관한 의문에 있어서는 민회소의 모 습에 대한 문제점에 내포되어 있으므로, 發言臺의 여부를 검증 해 보도록 하자. 시간적인 범위를 넘어 八關會에 있어서 威鳳 樓와 같은 시설이 있었지만, 그것은 민회의 발언대와 관계가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읍락규모 이상의 민회 소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細長方形 주거지와 같은 특수 가옥 이 유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는 것은 완전히 틀린 것으 로 볼 수 없다고 추측한다. (100)의 기사에 있어서 수로왕이 추대를 받았다는 민회에 대해서는 衆人悉皆驚喜 俱伸百拜 北史 勿吉傳: 國南有從太山者..俗甚敬畏之 人不得山上溲汙 行經山者以物盛去 上有熊羆豹狼 皆不憲人 人亦不敢殺 (서영수 편, 1987 앞 책, 103쪽) 317) - 181 -
尋還裹著 抱持而歸乃我刀家寘榻上 其衆各散 過浹辰翌日 平明 衆庶復相聚集 이란 내용이 있다. 즉, 연회, 제사가 다 끝난 다음날 衆人들이 我刀干의 거주지로 오고 법적 민회가 개시되는 모양을 묘사하는 것으로서 파악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상기는 그러한 주거지에 대한 내용인지 알 수가 없 지만 고대 한국특수 가옥의 규모는 100 쯤 있었다고 하 여318) 함안 초원공원에서 출토된 高堂은 510 에 달하였다. 공 동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었다는 곳이고, 가락국기 에서 나 타났듯이 민회 전에 참석자의 일부는 이곳에서 제사 지낼 수 가 있었으며, 아니면 백제본기 권24 고이왕 29년조에서 기 록되었듯이 높은 신분들이 한 정사에 대해서 評議할 수 있었 다는 개연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것은 지역에 따라 다른 어떠한 순간부터 귀족층이 기타의 國人과 구별되어 자기 집단끼리 여러 사안을 풀어 광장에 있 는 낮은 신분의 衆人 앞으로 나와 판결을 공식적으로 용납하 도록 하는 유형이 아니었을까. 너무나 자의적인 해석인지 모르 지만 적어도 이러한 해석는 (98)의 기사, (87)의 기사의 有罪 诸加评议 및 (92)의 기사의 諸加共立麻余 라는 문단에 대한 파 악으로 밝힐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권력 집단 에 있어서 시간이 갈수록 분리된 豪民의 모임이 諸加會議나 諸率會議와 같은 기관으로 변모되었던 과정에 빛을 던져 준다 고 생각한다. 이 시간적인 변모 때문에 귀천의 구별에 대한 사 료적인 모순이 일어날 수도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95)의 기사에서 나타나듯이 어떠한 이유로 和白會議가 민회와 관련 된 만장일치의 필수 조건을 붙이게 되었는지 설명해 주고 있 문단 전체적인 문맥이 다르지만 권오영이 조사했던 가옥의 규 모에 있어서 (권오영, 1996, 三韓의 國 에 대한 硏究 서울대학 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66쪽)天安 白石洞에서의 특수 가옥은 89.6, 한양대 5호 84.2, 고려대 34호 100.3, 保寧 館山里 KC-004 13호는 110 를 넘고 있었다. 318) - 182 -
다. 또, 유성국319)이 인지했듯이 민회가 소집하는 기간에 따라서 즉시회의 및 정기회의로 민회 종류를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제 가회의320)에 대한 유추해석을 통해 알 수 있으며 후자는 사서 가 충분히 알려주고 있다. 그 사례들 중에서 봉평리비에 나오 는 正月十五 및 新唐書 新羅傳에서의 八月望日大宴賚官 吏射 라는 구절이 보름날에 소집시키는 관습이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三國史記 권 45 溫達列傳에서의 고구려 山川神에 대한 제사와 관련한 會獵이 3월3일에 거행되었다는 것을 보면 초승달에 뜨는 시기에도 민회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晉書 馬韓傳에 의하면 규모가 큰 민회는 씨 뿌리는 작업 (5월)과 추수를 마친 뒤(10월)에 행하였다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고구려의 東明, 부여의 迎鼓, 東濊의 舞天은 12월 에 벌어지고 있어, 그것은 서영수321)에 따르면 수렵사회의 전 통과 이어온 관습이었다는 것이다. 상기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 의 경우에는 제사로서 서술되고 있는 것이지만, 본 제사는 민 회의 흔적으로서 해석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렇지 않은 제사나 연회322)를 거행할 수 있었지만 관습법에서의 비 물질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면, 위에 묘사된 祈雨를 위한 연회 도 민회적인 양상으로 파악될 가능성이 있다. 또, 늦어도 6세 기에 大王中心의 정치제도가 성립되는 과정에서 비교적 규모 가 큰 민회의 성격을 종교적인 제례로 바꾸게 되었다는 가능 성이 없지 않다. 말하자면, 정치적인 기능은 다 없어지고 관습 법적인 기능은 줄어들었으며, 특히 고려시대 들어와서 가설적 유성국 2001 三國時代 裁判制度 한국사학보 24 320) 상기의 有罪诸加评议 의 문단 321) 서영수 편, 1987, 앞 책, 226쪽 322) 三國史記 권26 東城王 22년 5월조의 宴會처럼 319) - 183 -
으로 잔존할 수 있었던 소집회에 있어서는 외형적인 관습법적 의식만 남았다는 느낌이 든다.323) 또 제기되는 문제 하나는 고대 한국 민회의 규모나 차층적 구조와 관계성이 있는 것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전덕재가 지적 했듯이324) 大民會는 사형과 관련된 죄인을 심리하고 죄수를 풀어주거나 중죄인을 평결하고 벌해주는 것은 관습법 구조에 있어서 최고의 審級이었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규모의 민회 는 상술된 북위 고종 재위기간 중인 5세기 중엽 5부의 高車 의 대회에 대한 내용325) 및 魏書 권2 太祖紀 天興二年條 鮮卑의 諸軍同會 내용에 따르면- 數萬名을 모을 수가 있었는 데, 이것은 부체제론의 삼국(A)의 규모에 상응한다고 해도 무 방하다. 후기에는 新羅碑文에 의하면, 대왕이 참석하는 모든 민회들이 최고의 審級의 성격을 얻고 있었던 가능성이 있다. 문제시되지 않은 범죄는 기타의 심급에서 판결을 받고 있었 을 것이다. 전체적인 제도를 복위시켜 게르만 관습법의 분절구 성과 비교하기 위해서 우선, 사서와 고고학적인 연구결성 및 한국학계의 諸理論에 준하여 다음과 같이 가장 간략한 정치적 분절구조의 유형으로 분류해보았다. 집단의 규모 명칭의 근거 :自然聚落 II:小邑落 I III :邑落 : 小國a I:小國 (二三邑落 V: 小國b V聯合體 融體) IV 낙랑 동예 十餘丈木槨 (89)의 邑借 (89)의 邑借 (92)의 封 東部都尉/侯 南閭의 蒼 옥저에 관 葬禮共同體; 하의 집단; 하의 집단; 之 百 里 의 하의 七縣 海郡 二十八 소규모의 민회에서는 법적인 기능이 지속되었다고 생각된다. 전덕재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122쪽 325) 전덕재, 2002, 앞 책, 128쪽 323) 324) - 184 -
한 명칭 慶尙北道 三老 하의 迎日郡 新光 집단; 面 馬助里의 후한서 晉率善穢佰 玄菟郡의 戶 長 銅印 사 유자의 집단 貞栢里 夫 租薉君, 高 집단;(89)의 常賢印, 夫 侯 하의 집 집단 租長人 銀 단 印 사유자의 집단 (87)의 大 (87)의 小 (87)의 小 加 하의 집 加 ; (92)의 加 하의 집 단 단; (92)의 晋高句麗率 家小 ;者 數 百 大者主數千 雲南省 晉寧 善伯長印 사 晋高句麗率 家 縣 石塞山 유자의 집단 善 邑 長 印 滇王之印 晋高句麗率 사유자의 집 사유자의 집 善仟長印 사 단; 四出道 단 유자의 집단 의 각부 고구려 부 여에 관한 명칭 삼한의 영 역에 관한 명칭 광개토왕릉 비의 700村 의 대부분; 미사리유적 후한서 의 邑借 및 杀奚,(92)의 邑借 하의 소국, (100) 의 2/300인 의 민회집 단, 凡一百 戶 후한서 의 樊秖 및 俭侧 하의 소국; 진한 변한의 小 國六七百 家 ; (100)의 新 畓坪으로 이 민한 凡一 百戶 (?) 新羅의 漸梁 部, 漢岐部, 習比部 - 185 - 후한서 및 (92)의 臣智 하의 소국; 마한 의 小者数 千家 ; 진한 및 변한의 大國四五千 家 소국 己汶, 帶沙 의 집단 新羅의 邑勒 및 梁部, 沙 梁部, 本彼 部; 광개토 왕릉비의 58 城의 대부 분; 梁 職貢 圖 의 上己 文, 下枕羅 후한서 마한의 大 者萬餘户 ; 徐羅伐의 6 촌연합체의 중핵단위 (?), 十臣百濟國, (92)의 臣智 하의 소국; 월성/풍납/ 고령 지산동 /합천 옥전/ 함안 도항 리/고성 송 학동/김해 종발성(봉황 대/대송동여래리-관동 리-신방리) 을 둘러싼 萬人의 집단 (90)의 玉 璧珪瓚 및 濊王之印 사유자의 집 단 2세기의 고 구려 5부연 합체중에 계 루부, 연나 부, 비류부 각부의 3만 명 집단 (92)의 臣 智或加優呼 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 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 之號 하의 집단 3세기의 新 羅六部의 4 만명 (전덕 재 2002, 170쪽), (100)의 七 萬五千人 의 집 326) 단 ; 고령 여수 순천 광양 섬진강유역 연합체?;
부체제론 部內部, 集團隸民 초기 삼국B 의 各 部主 하의 집단 4세기의 북 부여, 동부 渠帥하 식읍인 集團 여, 의 동예/옥 隸民 저 集團隸民 들, 식읍인 집단 예민; 봉평비의 奴 人村 - 186 - 삼국B의 部 의 부분 地方侯國의 부분, 新唐書 新羅傳의 宰相家不絶 祿 奴僮三千 人 의 集團 隸民 집 단 들 (Park Cheun Soo 2009); 梁 職貢 圖 의 檐魯 및 叛波, 卓, 多羅, 前羅, 斯羅, 止迷, 麻連, 광개토왕릉 비의 豆比鴨 岑韓, 求底 韓, 舍蔦城 韓穢, 客賢 韓, 巴奴城 韓; 金銅冠의 사 유자 하의 집단 감무국, 소 문국, 이서 국, 사량벌 국; 出字型 금동 관 사유자의 집단, 냉수리비의 七王 의 각 각 하의 집 단; 日本書 紀 의 卓 淳國王 末錦 旱岐 ; 加羅 國王 己本旱 岐 등하의 出字型 金冠 의 사유자 하의 집단과 연합된 삼 국; 광개토왕릉 비의 百殘南 居韓?; 김 정 배 (1987)의 禮 山 중심 집 단 삼국B 산상왕대에 拔奇, 消奴 加, 適統大 人이 3萬 口 의 下戶가 내포된 집 단; 매금왕/갈 문왕/적성비 의 大王 直 接的인 揮下 의 집단
이현혜 (2008, Yi Hyunhae 2009) 권오영 (1995, 1997) 邑落의 中心 聚落 신대리유적, 경산 임당유 자연취락, 小別邑/ 적, 대구 팔 據點聚落, 독립묘역집 예: 죽동리 당동, 경주 단 조양동,덕천 유적 리유적, 황 성동, 사리 라유적 묘역 집단 창원 다호 리, 포항 옥 성리 유적 묘역집단, 조양동 구정 동지역 및 입실리 외동 읍 괘릉리 및 죽동리 지역을 융합 한 珍支村 水路施設이 있는 (양장 리)대규모 중심취락을 둘러싼 집 단; 주거지 90기 이상의 대곡 리 유적을 둘러싼 집단 (1995, 102-5, 86쪽) 우세한 그룹 은 하나가 아니라 복수 였음 (1995, 137쪽). 예: 반남면 신촌 리 덕산리 대안리의 집 단; 종양동 구정 동 죽동리유 적들을 觜山 鎭支村, 황 성동유적을 金山加利村; 사라리유적 (茂山 大樹 村)130호분 피장자의 지 역정치체 鎭海 龍院유 적 거주지 30기 이상의 집단, 昇州 洛 水 里 13-15기 정 도의 주거지 로 구성된 집단 (1995, 60, 87쪽) 環濠와 木柵 으로 감싸여 있는 취락 (1995, 81 쪽)의 부분 - 187 - 집단 國邑集團; 월성 조양 동 구정동 (A,B) 죽동 리 입실리 구어리 중산 리유적 등의 연합체, 九干狗倻國, 초기의安邪 國, 瀆盧國, 古資彌凍國 국읍내에 장 인들을 집단 거주시키는 경우가 있었 음: 鳳凰臺, 固城 東外 洞, 釜山 樂 民洞, 昌原 城山 加音丁 洞 유 적 (1995, 109 쪽) 多伐國: 대 구지역(西邊 洞, 睌村洞, 新川洞, 大 鳳洞, 池山 洞, 飛山洞, 砧山, 月城 洞, 八達洞 유적)을 둘 러싼 집단 연합체(壽昌 郡, 花園縣, 百濟國 乾馬國 新彌國 崎離營을 침 략한 臣憤沽 國/臣幘沾國 聯盟體
김구진(서 영수 편 F a l g a ( ~ 3 0 Mukun (약 家), 300人, Falga 1987, 578쪽) 大家族, 약 2~4개), 씨 80~120人 족 Shirokogoroff (1924) Mukun (300 河濱縣, 八 里縣, 1995, 147쪽) 여戶, Falga 커다란 Hala 2~4개), 大 (1000여戶, 씨족, 小 Mukun 2~4개) 姓 집단 小 Hala (약 姓 집단 1200 인) [표-1] 규모에 따른 고대 한국 정주유형 상기의 표는 한국학계에서의 어떤 개념을 소개하는 목적으로 했던 것이 아니라, 필자가 본격적인 분절구조를 만들기 위해서 고대 한국 自治體 단위의 규모에 상응되고 있는 학계의 개념 과 언급된 명칭을 재정리한 것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여러 정 치단위를 서열화하는 모델이 아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규모 의 변모를 반영한 단계 중심 모델이 아니라는 점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327). 상기의 많은 참고 논문에서의 단위 명칭은 이 가공의 문헌적 구성인 단위라고 해도 (V)류 집단으로서 지적된 것이다. 327) 이 문제점은 유럽과 고대 한국 집단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단 선진화론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느냐 하는 의문이다. 물론, 전덕재 가 서술한 鐵製農具 牛耕의 혁명 을 염두에 두면 많은 집단의 인 구가 상승될수록 규모도 단선적으로 변천할 가능성이 있지만, 언 제나 그렇게 볼 수 있는 과정이 아니라고 추정한다. 오히려 諸집 단은 분산되어 있는 사례가 많이 나타난다. 예컨대 부여에 있어서 는 시간이 갈수록 大莫盧國으로 변화된 유형으로 검증되고 있다 (서영수 편, 1987, 앞 책, 590쪽, 2, 119쪽). (92)의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부여 군주권력이 비교적 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토가 비교적 넓은 정치체제였는데 北史 勿吉傳에서의 축소된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물론, 四出道 를 행정단위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김철준 1964 韓國古代國家發展史 韓國文 化史大系, 서영수 편, 1987 앞 책, 226쪽), 長沙 출토 走馬樓 吳簡 과 고유명사비교연구를 통해(김병준, 2006, 중국고대 簡牘자료 326) - 188 -
러한 성격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라서 오해를 할 수가 있다. 이 표는 사서와 고고학 역사학적 이론을 통하여 복원할 수 있 는 정치체로 주장되는 규모 중심으로 만든던 것이다. 그리고 이상의 집단들이 정리화 되었던 것이 틀림없는 것은 아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역사인구학적인 연구가 아직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측성이 강한 이유로 필자 가 지적했던 단위가328) 옆단으로 옮겨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표에 대해서 설명해야 할 점이 두 가지도 있다. 첫째, 이상 집단을 통일화 시키는 요인에 대한 의문이다. 본 요인에 따라 관습법의 성격도 달라질 수가 있으며, 소규모 집단의 경우 민 회의 존재를 검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I)류 규모집단 을 제외하고 상기의 집단들이 혈연적인 요소가 상대적으로 약 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이것은 노태돈329)의 부체제론의 제2결 론점과 동일한 의견이다. 그렇지만 出雲風土記 (36)의 기 사에서 상술된 (II)류 규모의 집단은 영역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을 정확히 알 수가 없다. 토템이 하나를 가지고 있 다는 요인은 가문집단이라는 논거의 토대가 되는 것이지만, 그 것에 대해서 또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위에 논증된 續 日本記 770년조의 백제계 민회에서는 230인이 소집되어 (III) 류 규모의 집단이지만 참석자들이 여섯 가문(藤井氏, 津氏, 船 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보 189집) 중국에서 道 라는 단위는 자치권이 강한 蠻夷 복종영역으로 이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고고학연구를 통해 옥저가 남 북 집단으 로, 동예가 영동북부 및 남부로, 嶺西濊도 남북부로 정치적인 변 수 때문에 나뉘게 되었다는 것은 가능하다(김창석 2008 嶺西地 域의 종족과 문화 변천 한국고대사연구 51, 41쪽). 日本書 紀 에 따라 下哆呼唎縣 (권14 21년조)과 같은 기타의 정치단위 와 유사하게 上/下哆唎로 분리되었다고 추측도 있다. 본 상황은 (IV)규모 집단의 민회가 상기했듯이- 역할이 약해지는 실정에 상응되고 있어 가능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328) 특히 III IV V류 집단들 329) 노태돈,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79쪽 - 189 -
氏 등등)에서 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말하자면, 혈연집단으 로 구성된 지연집단에 대한 내용이라고 간주된다. 둘째로 설명해야 할 점은 (IV)류 규모의 집단은 中華 사서의 문헌전승에서 온 것이다. 즉, 太平廣記 紅綫 條의 三鎭 交爲姻娅使使日浃往來 에서 나타나듯이 百里 의 지역은 세 가 지의 읍락집단의 연합체로서 간주되어 본 토포스가 상대적으 로 많은 사료에서 나타나고 있는 편이다. 고대 한국에 있어서 는 (92)의 기사나 溫祚 建國說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서 주목해 야 할 것은 駕洛國記 에서도 그렇지 않은가 하는 의문이다. 일반적으로 (100)의 기사의 凡一百戶 七萬五千人 前後 부 분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토의된다. 1戶에서 750人을 포함하 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百戶 는 귀족 가문 만 지적하거나 편년적으로 소급된 후자의 부분이 전기의 문단 에 들어가게 되었다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세 번째의 가 능성은 오류가 된 戶 字대신에 里 字로 파악해도 되지 않을까 여겨진다. 왜냐하면 9개 취락이 내포된 읍락은 큰 편이고, 서 술된 사안이 4세기 말기(종발성을 築造)에 생겼던 것이라면 양동리에서의 목관묘역과 봉황대 지역의 二分割 大邑落이 존 재할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본 문제에 대해서 는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된다. 총괄하건대, 본고에서 제시된 사료를 통해 입증된 민회의 규 모는 혈연집단의 규모(I)를 제외하고 읍락의 규모(II~IV: 참 석자 數百名), 소국의 규모 (V: 참석자 數千名), 小(VI)/大 (삼국(A): 참석자 萬餘名) 列國-聯合體의 규모 등 세 가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고학 문헌자료 로 본 各 집단의 법적인 기능이 상기의 구별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간주된다. 권오영330)과 이현혜331)는 집단의 경제 군사 권오영, 1996 三韓의 國 에 대한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331) 이현혜, 2008 고고학자료로 본 사로국육촌 한국고대사연 330) - 190 -
사상적인 기능에 대해서 충분히 많은 묘사를 하고 있어 언급 된 논문에서 나타나지 않은 내용만 본고에서 제기하도록 하겠 다. 즉 첨가할 수 있는 것은 두 가지가 있다. 경제적인 기능에 대해서 자원을 착취하는 정도에 대한 집단 상호간의 약정은 민회에서 결정되어야 하며, 방어적인 기능은 협위구역과 관련 된 가능성이 희박하지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류 집단 성원의 합법적인 행위에 관한 의무에 대해서는 Malinowski가 다음과 같이 추론하고 있다. III IV 이 모든 경제적 규약이 정상적으로 그리고 매우 꼼꼼하게- 지켜 지는 진정한 이유는, 따르지 않으면 인간이 견딜 수 없는 위치에 놓 이게 되고, 이행에 게으르면 비난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또, 거래할 때에 법 규정을 지속적으로 어기는 사람은 곧 자신이 사회적 경제적 지위 밖에 있게 됨을 발견하게 되며, 정확하게 그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다수의 원주민이 게을러서 그런지, 유별나서 그런지, 아니면 진취적 기상이 부족한지 자기 지위의 책무를 무시하고 자동적으로 쫒겨나서 백인이나 다른 누군가의 식객이 되는 것을 선택했을 때의 사례들이 오늘날을 제공하고 있다. 명예로운 시민은 비록 그의 순종 이 어떠한 본능이나 직관적인 충동 또는 신비로운 집단 정서 에 기 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세하고 정교한 시스템의 작업 즉 모든 행 동이 자신의 위치를 가지고 있고 실수 없이 행해져야 하는- 에 기 인한다 할지라도 자신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아무리 현명하다 할 지라도 어떤 원주민도 일반적인 추상적 방법으로 일의 상태를 공식 화하거나 사회학적 이론으로 제시하지 못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은 그것의 존재를 잘 알고 있으며 모든 구체적인 경우로 결과를 예견 할 수 있다. 구 52 332) (Malinowski,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41쪽) The 332) real reason why all these economic obligations are normally kept, and kept very scrupulously, is that failure to comply places a man in an intolerable position, while slackness in fulfillment covers him with opprobrium. The man who would persistently disobey the rulings of law in his economic - 191 -
말하자면, 어떤 집단 성원들이 따로 민회 약정 없이 犯染을 두려워해서 법의 복고주의적인 요인을 자연적으로 지키고 있 으면서 영역 자원을 너무 착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배타주의적인 요소도 존재하고 있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고 생각한다. 즉, 자기의 거주공동체 중심으로 생각했고 共有 地 에서 온 천연자원은 고대 한국에서도 쉽게 대립대상이 되었 을 가능성이다. 그것은 유럽 바바리아에서의 cives (邑落民) 및 extranei ( 外部人 )에게 차별적인 취급333)은 당연한 시각으로 받 아들이며, 민회를 통해 자원을 절약하는 노력이 적어도 상술 된 Wenskus의 의견에 따라- 필요했다는 것이다. 고대 한국에서 본 관점도 유사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여기서 중요시해야 할 것은 집단의 경제적인 기능이 일상생 활의 일부로서 규범적인 윤리까지 영향을 미쳐 법적인 양상도 보일 수 있었다는 것이다. 新增東國輿地勝覽 을 토대로 하여 이 문제를 검토해보면 그러한 실정이 상세히 나타나고 있다. 제43권 甕津縣에 대한 내용에 따르면 동네의 집단들이 鹽釜로 생활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이유 두 가지를 보면, 유사한 광물 중에 납이 있었으며, 그리고 이 (III)규모의 읍락은 종전 dealings would soon find himself outside the social and economic order and he is perfectly well aware of it. Test cases are supplied nowadays, when a number of natives through laziness, eccentricity, or a non-conforming spirit of enterprise, have chosen to ignore the obligations of their status and have become automatically outcasts and hangers-on to some white man or other. The honourable citizen is bound to carry out his duties, though his submission is not due to any instinct or intuitive impulse or mysterious group-sentiment but to the detailed and elaborate working of a system, in which every act has its own place and must be performed without fail. Though no native, however intelligent, can formulate this state of affairs in a general abstract manner, or present it as a sociological theory, yet every one is well aware of its existence and in each concrete case he can foresee the consequences. 333) 동시에 환대의무가 위반되지 않은 채 - 192 -
의 集團隸民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후자는 東國 通鑑 249년 4월조에 의하면, 소금을 만드는 작업은 낮은 신분 이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여튼, 소금을 착취하는 대립 점이 민회의 판결로 해결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 근처에 있는 白川郡에서 배를 타고 무역중심의 생활을 하 였다는 기록이 있다. 고대에서도 수행된 것인지 아닌지 알 수 는 없지만, 만약 그랬다면 (VI)규모 집단의 민회에서 무역의 목적지나 토산품의 가격에 대한 결정은 제사와 결합된 민회를 통해 행해졌던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경제생활에 있어서 관습법 양상이 가지는 중요성을 충분히 강조해야 한다. 이것은 이웃 집단 상호간에 농업에 관한 여러 소유권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민회에서 정확히 조정 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고 본다. 여기서 관습법에 관해 검토할 수 있는 요소 두 가지는 첫째, (II-IV)규모 집단의 共有地에 대한 배타주의가 심화되고, 둘째, 먼저 사용해 온 사유권에 대 한 규정을 높이 평가하는 관습법의 요소가 제시되었다는 것이 다. 첫 번째 문제는 노태돈의 責禍 에 대한 연구334), (86), (89), (96)의 기사 및 三國遺事 권2 紀異 文虎王法敏條335) 등을 토대로 하여 뚜렷하게 검증할 수가 있다. 앞으로 조사해야 할 노태돈,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68쪽 335)以星浮山...下爲武珍州上守繞木田 禁人樵採人不敢近內外欽 羨之. 마종락(1985 고려시대 토지소유권 연구서설 진단학 보 59)의 말을 빌어 燒木田 으로 삼게 된 지역이라서 다른 사 람들이 거기에서 땔나무를 채취하지 못하게 했다는 내용이다. 한 편, 이능화(1976, 앞 책, 238쪽)도 - 牧民心書 를 언급하여 安東 에 鳥金簪神崇拜에 관한 제사를 묘사하면서- 信徒 수십 명이 떼 를 지어 읍락의 境內를 배회하다는 端午 관습을 제기한다. 상기의 경계선에 집중하는 사례 두 가지가 종전의 (II-IV)규모의 집단에 있어 배타주의의 잔영으로서 파악될 수가 있지 않을까 고려해도 무방하다. 334) - 193 -
것은 군주가 읍락의 공유지를 배타적으로 착취하는 것에 관한 특권을 얻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본 과정을 정당화하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럽 바바리아에 있어서 소위 ius ducale 의 발생에 대한 파악은 적어도 두 가지가 있다. 관습법적으로 군장의 약탈품을 분배할 수 있게 된 특권이거나, 모든 읍락민 의 가공적인 最高-親戚 으로서 공유지에 대한 이용권을 가지 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한국에서는 후자의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 먼저 사용해 온 사유권에 대한 내용이 (99) 및 (100)의 有古今所嘆息者 란 기사에서 나타나고 있어 상기의 (81)의 기록과 유사성이 눈에 띄고 있다. 유럽 바바리아나 고대 한국 양쪽에서는 어떤 읍락민이 공유지를 먼저 합법적으로337) 이용 했던 것에 따라 사유권을 얻게 되어 있는 관습법적인 규칙이 나타나고 있다. (V-VI)규모 집단 및 대민회의 집단에 있어서는 군사적인 기 능에 대해 부차적으로 서술하겠다. 그것은 위협구역과 관련된 것이다. 風土記 에 있어서는 (V)규모의 집단을 둘러싼 방 어시설은 이른바 剗 [せき]이라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건너 갈 수 있는 대문은 동음어가 되고 소치는 關 이라고 부른다.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하겠지만, 위협구역의 존재가 입증된다면 바바리아의 przesieka [숲속 木柵]와 유사성이 있지 않을까 추측 된다. 그것은 앞으로 부가적으로 고고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대 답해야 할 의문이다. 지금은 (92)의 散在山海間 無城郭 이라는 기사에서 시사되었듯이 마한 집단도 유사한 방어시설을 건축 했다는 가능성이 완전히 없지는 않다. 물론 본 기사에 대해서 는 유행하고 있는 설명338)도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여튼, 위협주의가 존재할 수 있는 시각에서 後漢書 高句 336) 무엇보다도 왕의 공유지에서 정주시키는 특권 말하자면 이웃사람의 허락을 받아 338) 中華式 성곽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설명 336) 337) - 194 -
驪傳에서의 其人性凶急 有氣力 習戰鬪好寇鈔 라는 기사를 보 면 그 내용에 새로운 빛을 던져주는 것일 수 있다. 즉, (84)의 기사에서 서술됐듯이 자기 안전을 위해서 거주지를 둘러싼 지 역을 황무지로 바꾸는 것에 대한 내용이 아닌가라는 문제가 남아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고구려만 아니라 기타 만주 종족의 생활이 비슷한 방식 이 있을 것이다. 예컨대, 庫莫奚에 대한 隋書 제84권의 기 사는 其俗甚爲不潔 而善射獵 號爲寇鈔 라고 한 기록이 있다. 전자의 서술과 표현적인 유사성은 전파된 토포스의 존재를 암 시하지만 반드시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통일신라 때 반란 이 일어날 때마다 이를 盜賊蜂起 라고 불러, 이런 표현이 종전 의 읍락 상호간의 침략을 지적하는 가능성이 있는 것이고 봉 기를 일으키는 실체의 이유를 숨기기 위해서 이용되었다는 것 이다. 그 표현 자체는 秥蟬碑에서의 盜賊不起 란 내용과 같은 전통과 관습적인 행위를 가리키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한다. (IV)류 규모 이상의 집단이 위협구역의 방어적인 기능을 가졌 다는 것을 추측할 수가 있다. (II~IV)규모의 읍락 공동체에 있어서는 거론해야 할 문제점 이 네 가지 더 남아 있다. 첫째는 바바리아의 centena/trustis와 유 사한 일상 작업집단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는 형벌에 대한 연좌적인 책임능력의 성격이고, 셋째는 읍락 민회 의 자치적인 한계가 어디까지 있었느냐 하는 문제이다. 넷째는 clamor의 의무 여부339)를 검증하는 것이다. 첫째, 風土記 에서는 餘戶[あまりべ]라는 50家를 넘지 않 은 집단이 있었다. 제정법에 따라 성원의 수는 변화하고 있었 지만, 일본 목간에 의하면 중앙권력이 시켰던 것을 잘 따라가 지 않은 편이며 옛날부터 잔존된 首[おびと] 휘하의 里[こざ 과 같은 임무는 본고의 (24) 기사를 통해 이미 간략히 339) vestigium 상술했다. - 195 -
と]의 규모가 다양할 수 있었다340). 가장 고유한 집단은 百八 十 [ももやそ]이라고 부르고 風土記 가 작성된 시기에 커 다란 무리 라는 의미만 가지고 있었다는 표현이다. 유사한 의 미의 변모과정은 서슬라브의 kopa(六十名)가 해당된다. 현재의 폴란드어 의미는 많다, 산더미 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동 양으로 돌아와, 日本書紀 에 의하면 土蜘蛛와 같은 토착민 (佐伯[さへき])의 자연생활 집단은 80명 쯤 되었다는 기록이 현존하고 있어341), 이 집단의 명칭이 kopa와 유사한 어의학 (英: semantics)적인 과정을 밟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韓人 집단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지만, 본 사서의 제10권 應神 14년조의 弓月君自百濟來歸 因以奏之曰 臣領己國之人夫百廿縣 而歸化 란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작업집단은 120명이 되었다. 여기서 縣 이라는 표현은 집단 규모로 보아 과언이라 할 수 있다. 弓月이란 인물이 百二十 의 私兵을 데리고 倭王쪽으로 올 가능성이 더 높지만,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신라 군대에 있 어서는 9誓幢이란 부대가 있었는데, 이를 나뉘면 誓幢 하나는 약 130~140명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숫자는 centena와 같은 읍 락에서 온 생활 집단의 후대의 모습이 아닐까하는 해석도 가 능하다. 여기까지 제기된 본격적인 집단은 (III)류 규모의 읍락에서 동원되고 주로 군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風土記 에 서의 山部 [やまべ]라고 하는 집단의 기능은 王朝에게 바치는 토산물을 모으거나 사냥까지 하였다는 가설이 있다342). 말하자 면, 서슬라브족의 iskacze와 같은 무리가 아닐까 추측해도 무방 할 것이다. 그것은 三國遺事 에서 金現感虎 에 대한 내용에 馬場基 2008 古代日本의 荷札 목간과 문화 2, 149쪽 제3권 神武 元年9月條의 倭國磯城邑有磯城八十梟帥 又高尾張 邑...有赤銅八十梟帥 342) Aoki 1997, Records of Wind and Earth: A Translation of Fudoki,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ies, 294쪽 340) 341) - 196 -
있어서 호랑이 사냥몰이가 존재하는 것을 통해 부차적으로 입 증할 수가 있다고 간주된다. 한편, 新羅碑文에 나타난 집단들은 노동부대와 같은 성격이 강하다. 예컨대, 永川菁提碑(貞元銘)에 따르면 合斧尺百卅六法 巭万四千百卌人 의 무리가 나타나고 있어 여기에서도 130~140 명의 독특한 집단을 쉽게 엿볼 수가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특이 사항은 본 집단의 규모는 바바리아와 달리, 아무리 늦은 시대라도, 계속해서 동일한 수로서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 두 가지 가능성은, 관습법에 준한 요소라서 그렇다고 할 수 있고, 아니면 6세기 후대의 제정법으로 생겨난 집단이라 서 그렇기 때문일 것이다. 부과된 집단이 따로 있었다는 것을 사료를 통해 볼 수가 있지만343), 그들이 자연생활 집단과 관계 성이 있는지 여부는 앞으로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읍락 민회에 관한 두 번째 문제점은 homicidium의 사건을 일으 키면 해결하는 기능에 대한 것이다. 환언하면, 읍락집단이 법 을 집행하는 과정에 참석하고 있었느냐에 대한 의문이고, 죄인 이 누군지 모르는 경우에는 피해자 가문에게 속죄금을 지불하 였느냐 하는 것이다. 三國遺事 後百濟甄萱 와 阿道基 羅 를 보면 읍락집단뿐만 아니라 (V)류 규모의 집단까지 법 적인 책임능력이 있어 연좌적인 벌을 받을 수가 있었으며344) 公衆刑主義的으로 개인을 처벌할 수도 있었다345). 유감스럽게 도 homicidium에 대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시간이 갈수록 읍락 이내에서 운영되지 않은 법적 규칙은 복수하려는 (I)규 모의 피해자 가문집단 및 王人들이 제정법을 집행하고 있었다 고 추정할 수가 있다. 관습법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으 고구려의 十名集團, 신라의 屯營과 部伍 344) 太祖赫怒 貶爲下枝縣 今豊山縣 345) 沙門墨胡子自高麗至一善郡 郡人毛禮... 於家中作堀室安置... 國人將害之 343) - 197 -
로 많은 조사가 요구된다. 세 번째 문제는 민회의 자치적인 성격에 대한 것이다. 資治 通鑑 권106 晉孝武帝 太元十一年條에 따르면 鮮卑諸族에 있 어서 영역을 양분하는 것과 다스리는 大人을 추대하는 것도 대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로서 제기된다는 것이다346). 中華人 의 오해인지 알 수는 없지만, 고대 한국에서 (IV~V)규모의 읍락 민회에서 대표자를 선임하였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 보인 다. 그리고 (86)의 기사를 보면, 邑君이 없는 경우에 (I~II)규 모의 읍락에서 大人이 있는 사실을 통해 민회의 규모가 작을 수록 대표자를 선임하는 관습이 더 오래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비교적 소규모 자치체의 존재는 이능화347)가 인용했던 五 洲衍文 에서 서술된 開城 德物山 崔瑩將軍祀를 토대로 연역 할 수 있다. 그것은 사당을 모시던 처녀가 늙어 죽으면 國人들 이 어린 처녀를 택하였다는 관습에 대한 내용이다. 여러 규모 의 민회에서 지배자를 추대하는 관습이 있었는데, 그들 중에서 처녀도 있었던 것은 중요시된다. 그것은 고대 한국에서는 일본 열도와 마찬가지로 姬彦制[ひめひこせい]가 운영되고 있었던 사실이 있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 은 이미 본고의 연대적인 틀에서 허물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clamor 임무의 존재를 검증하는 것이다. 그것은 (90)기사에서의 辰韓...名...賊爲寇 를 통해 엿볼 수 있는 관습법 의 요소로 여겨진다. 고유명사 다섯 개 중에서 본 단어가 나타 났던 것은 삼한에 무역을 위해 들어왔던 상인들이 반드시 알 아야 한 표현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양에서 불법행위를 보 大會於牛川 即代王位 改元登國 以長孫高爲南部大人叔孫普洛爲 北大人 分治其衆 347)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212쪽 346) - 198 -
- 199 -
origo gentis - 200 -
folk polydoxy vapnatak - 201 -
segmentary system - 202 -
barditus palliative Wenskus - 203 -
附錄 附錄의 목적은 가장 광범위한 내용이 포함되는 초기의 원고 를 선택하여 게르만족 법률 3개의 번역을 통하여 관습법 眞性 의 의미를 밝힌 것이다. 律文에서의 頭韻體, 律動構成, 俗談다 운 表現을 찾아 비교하는 연구는 매우 의문스러운 점이 많다. 그 이유는 문체론적인 참작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컨 대 많은 경우에서 라틴어의 Indicativus praesentis passivi형은 -하 면 된다 란 표현으로 바꾸게 되었다. 번역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르고 있다. 舊게르만어의 표시주의적인 절차의 표현(소위 말레베르고의 註解)은 한글표기가 불가능하다고 생 각하여 로마자표기를 그대로 이용하게 되었다. 官制의 위치도 적당한 한국어 단어를 찾기 어려워 마찬가지로 로마자표기만 했다. Rex 은 大王 으로, dux 은 公爵 으로, com(t)es 및 grafio 는 伯爵 으로 sagsbaronis 은 男 爵 으로 iudex 은 參事官 으로 tung(z)inus 은 判決賢 人 으로, centenarius 은 邑落의 元老 로 옮기게 되었다. 라 틴文에서 ( ) 표가 나왔다면 같은 版에서 기타의 고문서 를 인용하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國文에서의 [ ] 표에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加하였던 번역가의 辨明이 들어간다. 또한, 법의 回復的(英:restitutive)인 성격을 강조하기 위하여 iudicetur 이나 iudicio terminatur, (re)solvitur 이나 solvat 이 란 표현들 같은 경우에는 論贖된다 나 判決된다 가 아 니라 componat(ur) 과 같이 贖刑을 하면 된다 나 갚아주면 된다 란 방식으로 번역되었다. 負傷에 관한 條에서는 精密을 생각하면서 많은 몸 부위는 漢文으로 표현되었다. 몸값 이란 말을 사용하지 않도록 wergildus 이나 leodis 이나 de vita - 204 -
라는 표현은 人命金 으로 옮기게 되었다. 의미가 정확하지 않은 賠償金 이란 말을 포기하고 con(m)positio 는 贖罪金 으로 번역하게 된다. 기타의 呼稱이 있는 벌금이 다 른 방식으로 번역되었다 (예컨대 fredus : 평화질서를 파괴 한 벌금, capitalis : 장물값 이나 재물값, dilatur a : 지각벌금 등). occido 란 動詞는 살인하다 (interficio)보다는 살해하다 나 죽이다 로 사용하였다. expilo 는 强盜罪 나 强奪罪 로 번역했다. testis 및 iurationes 은 경우에 따라 證人들 이나 宣誓補助者들 로 번역되었다. (한편 sacramentales 는 宣誓補助者들 로 나 온다) 후술된 법률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른 兩面 意語, 新造語(예: 熱鋤神判 )나 單純化된 단어도 임의로 이 용되었으며, 본 부록에서는 原文도 포함되고 있으므로 독자께 부담이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componat) - 205 -
LEX SALICA 살리카법 Prologus 序言348) In Nomine Sanctae Trinitatis incipit prologus Lege Salica.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살리카법의 序言이 시작된다. 1. Gens Francorum inclita, auctorem Deo condita, fortis in arma, firma in pacis foedere, profunda in consilio, corpore nobilis, incolumna candore, forma egregia, audax velox et aspera, ad catholicam fidem conversa349), immunis ab herese, dum adhuc teneretur barbara, Deo inspirante [inqvaerens scientiam clavem], iuxta morem suorum qualitatem desiderans iustitiam, custodiens pietatem, 제1항 명성 있는, 천주께옵서 직접 창조한, 투쟁에서 훌륭한, 평화 조약을 잘 지키는, 깊은 충고를 주고 있는, 웅대한 몸체가 있는, 명예를 손상치 않았던, 특 명의 體型이 있는, 용기가 있는, 걸음이 빠른, 강인한, 카톨릭 교로 새롭게 개종 했던, 아리우스파의 이단으로 더럽히지 않는 프랑크족은 오랫동안 바바리아의 관습을 지키고 있었다. 그렇지만 천주님의 격려를 통하여 지혜의 열쇠인 정의 를 원하는 마음을 잘 알게 되며 본 관습을 지키면서도 자신의 능력에 준하여 敬虔도 상당히 지키고 있었다. 2. Dictaverunt Salicam Legem per proceris ipsius gentes, qui tunc tempore eiusdem aderant rectores electi de pluribus viris quattuor his nominibus: Wisogastis, Bodogastis, Salegastis [et Widogastis] in [loco cognominantia] Salchamae, Bodohamae, [Widochamae], qui per tres mallos convenientes omnes causarum originis sollicite discutiendo 본 서언은 Hube (1867) 版 및 MGH에서의 살리카법 D 原稿 을 종합하여 번역했다. 제1조, 제2조도 그렇다. 후술된 내용의 번 역은 MGH만 따라간다. Hube (1867) 版에서는 v 자가 들어가 conversa라고 쓰여 있다. 하지만 MGH에 포함된 原稿에 준하면 'v'대신에 u 가 나온다. 본 규칙은 다른 단어도 따라 간다 (즉 MGH에서의 conuersa, uiuat, 등이 나옴). 비슷하게 w 대신에 uu 라고 후술될 때가 많다. 어순도 바뀔 때가 있으며 (예: Dei inspiratione 대신 에 inspiratione Dei 등) 표현이 빠지거나 더해질 때도 있다 (이런 경우에 라틴 文에서 [ ] 표가 들어가게 되었다). 348) 349) - 206 -
tractandis de singulis iudicium decreverunt hoc modum. 제2항본살리카법은 Salchamae, Bodohamae 및 Widochamae란읍내에서차례로일어나는재판민회 3개동안에다양한소송을정리하여이의기원을찾아보면서논하게되었다. 많은사람중에서당시의酋長이지명했던元老 4명, 즉 Wisogastis, Bodogastis, Salegastis 및 Widogastis이모든사건을하나씩판결하면서이일을하셨다. 3. Ad ubi Deo favente rex Francorum Chlodovius [torrens et pulcher et inclitus primus recepit catholicum baptismum et quod minus in pactum habebatur edonii per praecelsos regis] Chlodovehi et Hildeberti [et Chlotarii] fuit lucidius emendatum. 제3항유력하며화려하고훌륭하신클로비스왕은천주님의뜻에따라최초의왕으로서카톨릭의세례를받으시며법의여러결함을보완시키셨다. 고위의대왕인클로비스, 힐데베르트및클러타르왕도이를지혜롭게향상시켰다. Vivat qui Francus diligit, Christus eorum usquam in sepiternum regnum costodiat, rectores eorundem lumen suae graciae repleat, exercitumque eorum protegat atque defendat, fidem muniat [munimenta tribuat], pacem atque felicitatem et sanitatem per infinita secua tribuat [paces gaudia et felicitatem tempora dominancium dominus Iesus Christus propiciante pietatem concedat] Haec est enim gens, valida [fortis dum esset robore valida] que Romanorum iugum durissimum de suis cervicibus discussit pugnando atque post agnicionem baptismi sanctorum martyrum corpora quae [quem] Romani igne cremaverunt vel ferro truncaverunt atque bestiis [vel besteis] lacerando proiecerunt, Franci [reperta] super eos aurum et lapides preciosos ornaverunt. 제4항프랑크족을공경하는모든자들에게만세! 바로그리스도는프랑크왕국을영원히지키시며그들의酋長들에게총애를베푸시며프랑크병사들을수호해도와주시며신앙을강화시키기를바란다. 왕들의왕이신예수그리스도가평화질서로부터온기쁨, 정의및지혜의시대를무한히베푸시도록부탁을드린다. 왜냐하면프랑크사람들이참된용기로부터자신의힘으로받게되었기때문이다. 그리하여투쟁을통하여로마지배의무거운속박에서벗어나게했다. 로마인의투기장에서불로그을리거나칼날로부상시키거나짐승한테서난도질하게된聖義士의성골을 -세례를얻은후에프랑크인들이- 찾아금이나보석으로장식시켜광채를더하였다. - 207 -
Explicit Prologus Legae Salicae. [Anno Ter XIII decimo regnate Domno Nostro Pipino Gloriosissimo Rege Francorum. Amen] 영광에 넘치시는 우리 Pippin 프랑크족 대왕께옵서 762년에 완성된 序言이다. 아멘. Incipiunt Capitula Legis Salicae 살리카법의 編의 사항이 시작된다.350) I.De manire. 告訴/提訴에 대하여 II.De furtis porcorum. 돼지 竊盜에 대하여 III.De furtis animalium. 가축 竊盜에 대하여 IV.De furtis ovium. 숫양 竊盜에 대하여 V.De furtis caprarum. 염소 竊盜에 대하여 VI.De furtis canum. 개 竊盜에 대하여 VII.De furtis avium. 새 竊盜에 대하여 VIII.De furtis arborum. 木材 竊盜에 대하여 IX.De furtis apium. 蜜蜂 竊盜에 대하여 X.De damno in messe vel in qualibit clausura. 수확물이나 다른 농장물의 손해를 입히는 것에 대하여 XI.De servis vel mancipiis furatis. 竊盜[略取]했던 반자유인[하인]이나 노예 에 대하여 XII.De furtis ingenuorum vel infractores. 자유인이 범했던 竊盜罪와 强盜罪 에 대하여 XIII.De furtis seruorum [vel effracturis] 노예가 범했던 竊盜罪와 强盜罪에 대하여 XIV.De raptu ingenuorum vel mullierum. 자유인인 여성의 誘拐罪에 대하여 XV.De his qui alterius mulliere tollit vivo marito. 살아 있는 가장의 여성을 잡았던 자에 대하여351) XVI.De superuentis vel expoliacionibus, qui hominem ingenuum expoliat 暴行이나 강도죄에 대하여, 자유인에게 강도질한 자에 대하여 XVII.Si quis villam alienam adsalierit [adsallierit] 어떤 사람이 타인의 집 을 侵入하였다면 XVIII.Si quis corpus inhumatu [hominem mortuum] exfoderit aut (1990) 版에서의 목차가 가장 잘 정리되어 번역되었다. 351) XIV조 및 XV조의 내용적 유사성은 살리카법의 구체화가 완성하지 않던 것을 지적한다. 350) Rozenkranz - 208 -
expoliaverit. 어떤사람이屍體를노출시키거나부장품을절도하였다면 XIX.Si quis corpus in furtu expoliaverit, antequam in terra mittatur. 어떤사람이시체를매장하기전에부장품을절도하였다면 XX.Si quis casa super hominem dormientem incenderit. 어떤사람이주인이잠을잘때집에방화했다면 XXI.Si quis spicarium aut mafolum cum annona incenderit. 어떤사람이저장고나곡식창고에방화했다면 XXII.Si quis alterum volverit occidere et colepus fallierit. 어떤사람이타인을살해하려고했지만실패하였다면 XXIII.Si quis hominem ingenuum de fuste percusserit. 어떤사람이자유인을곤봉으로구타했다면 XXIV.Si quis ad regem hominem innocentem absentem accusat. 어떤사람이대왕앞에있으면서결석하는無罪人을고발하였다면 XXV.De maleficis, qui alterius erbas dederit. 마술에대하여, 어떤사람이다양한나물로만든음료를타인에게주었다면 XXVI.De manu mullieris stringenda. 여성의손을할퀸죄에대하여 XXVII.De nave, qui sine permissu domini sui movent. 주인의허락없이배를타고출발한짓에대하여 XXVIII.De asco deinter clavem furaverit. 열쇠로잠겼던곳으로부터작은배의竊盜罪에대하여 XXIX.De furtis in molino conmissis. 製粉所에서竊盜하였다는것에대하여 XXX.De his qui alterius sclusa rumpit. 타인의水門을파괴시켰던자에대하여 XXXI.De homicidiis parvulorum. 어린이殺害罪에대하여 XXXII.De femina, postquam infantes habere coeperit, occiderit. 아기를낳을수있는여자殺害罪에대하여 XXXIII.De femina post media etate occiderit. 중년이상의여자殺害罪에대하여 XXXIV.De neglegentiis parvulorum. 범죄에대한소년의책임에대하여 XXXV.De puero tunsorato [ 입회식의 ] 이발의식을받았던소년에대하여 XXXVI.De adulteriis ancillarum. 婢女을淫亂시키는것에대하여 XXXVII.De libertis demissis ingenuis. 반자유인을해방시키는것에대하여 XXXVIII.De furtis diversis. 다양한竊盜에대하여 XXXIX.Si quis messem alienam metit. 어떤사람이타인의곡식을절취하였다면 XL.Si quis de campo alieno lino furaverit. 어떤사람이타인의밭으로부터 - 209 -
麻를竊盜하였다면 XLI.Si quis prato alieno (furaverit et) secaverit. 어떤사람이타인의초지로부터목초를절도하였다면 XLII.Si quis in orto alieno in furtum ingressus fuerit. 어떤사람이재물을절도하기위해서타인의정원에들어갔다면 XLIII.Si quis vineam alienam in furtum vindimiaverit. 어떤사람이재물을타인의葡萄園에서절도하였다면 XLIV.Si quis retem de anquilis de flumen furaverit. 어떤사람이長魚를잡기위한그물을강에서절도하였다면 XLV.Si quis screonam, qui clavem habet, infregerit. 어떤사람이열쇠로잠겨있는織工家에强奪하였다면 XLVI.Si quis campo alieno araverit et non seminaverit. 어떤자가타인의논밭을갈았지만播種치않았다면 XLVII.De elogacionibus. 誘引罪에대하여 XLVIII.De dibilitatibus. 負傷에대하여 XLIX.De conviciis. 侮辱罪에대하여 L.De via lacina. 막혔던길에대하여 LI.De ligaminibus ingenuorum. 자유인이묶이는것에대하여 LII.De venacionibus. 수렵에대하여 LIII.De sepibus. 울타리에대하여 LIV.Si quis per alienam messem erpice aut carro traxerit. 어떤사람이타인의수확물을써레나차로파괴시켰다면 LV.Si quis per alienam messem expalmitantem sine via semita fecerit. 어떤사람은타인의收穫物이자라는논밭을통하여길을만들게하였다면 LVI.Si quis in curte vel in casa per malo ingenio in furto aliquid miserit. 어떤사람이궁전이나집에고의로贓物을몰래놓아두었다면 LVII.De homicidiis servorum vel expoliacionibus. 노예殺害罪및强盜罪에대하여 LVIII.Si quis servum alienum battit. 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구타하였다면 LVIX.Si quis servus hominem ingenuum occiserit. 어떤노예가자유인을살해하였다면 LX.Si quis homo ingenuus litum alienum expoliaverit. 어떤자유인이반자유인에게강도짓을시켰다면 LXI.De quadrupedis (pecorum), si hominem occiserit. 네발가축에대하여, 짐승이사람을죽였다면 - 210 -
LXII.De vestigio minando. 짐승의追跡에대하여 LXIII.De furtis caballonun. 말의竊盜에대하여 LXIV.De caballo alieno extra permisso domini sui ascenso aut excurtato. 주인의허락없이말을타며사용하였던짓에대하여 LXV.De plagatoribus. 誘拐者에대하여 LXVI.Si quis servus alienus furatus fuerit. 괴하였다면 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유 LXVII.Si quis hominem ingenuum plagaverit, hoc est vendiderit. 람이자유인을略賣하였다면 LXVIII.Si quis servus in furtum fuerit inculpatus. 도로고발하였다면 LXIX.De homicidiis ingenuorum. 자유인殺害罪에대하여 어떤사 어떤사람이노예를절 LXX.De homicidio in contubernio facto. 동거인이랑함께범했던殺害罪에 대하여 LXXI.De homicidio a contubernio facto. 동거인들한테서당했던殺害罪에대 하여 LXXII.De homine in [h]oste occiso. 戰役者의殺害罪에대하여 LXXIII.De conposicione homicidii. 殺害罪로論贖人命金에대하여 LXXIV.De homine ab inimicis truncato et postea interfectum. 원수로부터 부상을입어살인을당했던사람에대하여 LXXV.De homine de bargo vel de furca demisso. 나뭇가지나교수대에서 시체를내리는짓에대하여 LXXVI.De basilica incenduta. 방화시켰던바실리카에대하여 LXXVII.De expoliata ecclesia. 성당의强奪罪에대하여 LXXVIII.De presbiteris vel diaconus interfectus. 장로신부나副祭의殺人罪 에대하여 LXXIX.De reipusse, ut solet homo moriens et viduam demiserit. Reipus 남편이죽은과부 352) 와혼인하기위한夫系친속에게지불해야할배상금에대 하여, [ 남편이죽은 ] 과부와혼인하려고하였다면 LXXX.De migrantibus. 遊人에대하여 LXXXI.De affatumire. 상속절차에대하여 LXXXII.De filtorto. 죄인을지적하는것에대하여 LXXXIII.De falso testimonio. 허위증거에대하여 LXXXIV.Si (quis) alicui fuerit inpotatum, quod periurasset. 어떤사람이 352) 이와같은불합리적인표현방식 ( 英 : pleonasm) 이법전에서상대적으로많이나타난것은살리카법작성자는바바리아인이었다는것을지적한다. - 211 -
불가능한것에대하여허위선서하였다면 LXXXV.De testibus, qui necessaria habuerit dare. 반드시선서보조자를세우는것에대하여 LXXXVI.De fides factas. 宣誓에대하여 LXXXVII.De eo qui grafionem ad res alienas iniusti invitaverit. 伯爵이타인의재산을불법으로몰수하도록하였다는자에대하여 LXXXVIII.De rem prestata. 借用物에대하여 LXXXIX.De mano de inio redemenda. 熱鋤神判으로자신의손을구하는것에대하여 XC.De eo qui grafionem occiserit. 伯爵을殺害하였다는자에대하여 XCI.De eo qui ad mallum venire contempserit. 민회고소 / 제소를태만히하는사람에대하여 XCII.De racemburgiis. Racemburgii[ 儀官중에하나 ] 들에대하여 XCIII.De alodis. 완전사유권에대하여 XCIV.De eo qui se de parentilla tollere vult. 씨족으로부터떠나기를원하는사람에대하여 XCV.De aroena. [ 기타의 ] 손에서재물의略取罪에대하여 XCVI.De ereburgio. 魔術師에대하여 XCVII.De eo qui filia aliena sponsaverit et se retraxerit. 타인의딸이랑약혼한후본약혼을파기하는자에대하여 XCVIII.De eo qui alterum in pucium aut in pellagum inpinxerit. 우물이나깊은물 [ 바다 ] 로타인을밀어버리는자에대하여 XCIX.De terra condemnata. 토지의詛呪罪에대하여 C.De chrenecruta, qui a paganorum teporae observabunt. 이교시대에서의흙덩이를던지는관습에대하여 Deo Gracias, expliciunt capitula [IN NOMINE DOMINI NOSTRI IESU CHRISTI. INCIPIUNT TITULUS LEGIS SALICAE.] 천주님께감사드립니다. 여기가目次의끝이다. 우리의主예수그리스도의이름으로살리카법이시작된다. I. De manire. 제1조고소 / 제소에대하여제1항 Si quis ad mallum legibus dominicis mannitus fuerit et non venerit, si eum sunnis non detenveri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 212 -
어떤사람이왕법에준하여민회로소송을당해오지않았다면, 그리하여그 를정지시키는일이정당치않았다면 ( 데나리우스 600 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Ille vero qui alium [alio] manet et ipse non venerit, si eum sunnis non detenveri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ei cui manuit conponat. 어떤사람이타인을고소 / 제소하였지만직접민회로오지않았다면, 그리하여그를정지시켰던일이정당치않았다면,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로피고소 / 제소자에게속형을하면된다. II. De furtis porcorum. 제2조돼지竊盜에대하여제1항 Si quis porcellum lactantem [de cranne] furaverit et exinde [ei] fuerit adprobatus [adprobatum], [mallobergo chranne chalti rechalti],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edos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젖으로기르는돼지새끼를우리에서절도하였다면, 그리하여이범죄의증거가있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nne chalti rechalti라고함 )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porcellum furaverit, qui sine matre vivere possit, et exinde [ei] fuerit adprobatus [adprobatus], [mallobergo hymnis thetica], (sunt dinarii XL qui faciunt) solidum 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어미없이살수있는돼지새끼를절도하였다면그리하여이범죄의증거가있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hymnis thetic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4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하나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bimum porcum furaverit, [mallobergo inzimus suiani id es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 2년된돼지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inzimus suiani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4 항 Si quis verrum furaverit, [mallobergo cristiano, sunt dinarii DCC qui faciunt] soledos XVIII [solidus XV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 213 -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수컷돼지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ristian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7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7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scrofam [scrovam] ducariam furaverit, [mallobergo reo dimia, sunt dinarii DCC qui faciunt] soledos XVIII [solidus XV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새끼를먹이는암퇘지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reo dimi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7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7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quis maialem sacrivum [maialo sacrivo], qui dictur votious, furaverit et ille qui ipsum [illi qui illum] perdidit hoc cum testibus potuerit adprobare, quo [quod] sacrivus fuisset, [hoc est votivus, mallobergo bartcho cahimo, sunt dinarii DCC qui faciunt] soledos XVIII [solidus XV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祭物의수컷돼지를절도하였다면, 그리하여피해자가宣誓補助者랑함께贓物이제물이었다는것을정확히선서를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bartcho cahim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7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7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quis maialum non sacrivum [maiale, qui sacrivus non fuerit,] furaverit, [mallobergo bartho sive baban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edos XV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제물이아닌수컷돼지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bartcho siue babani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8항 Si quis de grege[m] XV porcos [porcus] furaverit, [mallobergo taxaca,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dolidos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돼지떼에서 15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axac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 214 -
제9항 Si quis XXV porcus furaverit, [mallobergo sunnist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edos LXIII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돼지떼에서 25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unnist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 제10항 ] Quae [Qui lex] usque quinquaginta porcos [porcus]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uno iudicio [unum iudicium] terminantur. 어떤사람이 50마리까지절도하였어도장물값및지각벌금에동일한贖罪金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III. De furtis animalium. 가축의절도에대하여제1항 Si quis vitulum lactantem furaverit, mallobergo podor aut friocho,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은젖으로기르는송아지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podor이나 frioch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nnuculum usque ad bimatum furaverit, mallobergo thinzimus podor,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 1살이나 2살짜리동물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inzimus podor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bovem aut vacam furaverit, mallobergo podor,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황소나소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podor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4 항 Si quis taurum gregem regentem furaverit, hoc est trispellium, qui de tres villas communis vacas tenverit et numquam iunctus fuisset, - 215 -
mallobergo chegmeneteo,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세마을에서많은소를길로선도하며, 지금까지멍에를씌우지않았던황소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egmenete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XII animalia furaverit, mallobergo sonist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소 12마리의무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onist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6 항 Et usque ad XXV unum iudicium terminantur. 그리하여소 25 마리까지의竊盜罪에대하서동일하게속형을하면된다. IV. De furtis ovium. 양절도죄에대하여 제1항. Si quis agnum furaverit, mallobergo leve, dinarius VII (qui faciunt)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새끼양 1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ve 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7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nnuculum vel bimum veruicem furaverit, mallobergo inzimus,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 1살이나 2살의숫양 1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inzimus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Certe se duos aut tres furaverit, mallobergo fetus cheto,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양두세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etus chet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 216 -
35 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4 항 Qui numerus usque ad quadraginta veruices convenit observare. 그리하여양 40 마리까지를절도하였다면동일하게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quinquaginta veruices aut amplius furaverit, mallobergo fet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양 50마리나더많은수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et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62개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V. De furtis caprarum. 제5조염소를절도에대하여제1항 Si quis tres capras furaverit, mallobergo aper,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염소 3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per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super tres capras furaverit, mallobergo chanchurda, (sunt dinarii DG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염소 3마리보다더욱많은염소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anchurd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VI. De furtis canum. 개절도죄에대하여제1항 Si quis seusum magistrum furaverit, mallobergo fhuvuichvus cornu tunechan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사냥을위하여길들인개 1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huvuichvus cornu tunechan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2 항 Si quis veltrum agutario furaverit, mallobergo chuno uano,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 217 -
dilatura. 어떤사람이사냥몰이개인그레이하운드 1마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uno uan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canem pastoralem furaverit vel occis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n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牧畜을치는경비견을절도하거나죽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VII. De furtis avium. 새절도에대하여제1항 Si quis acceptorem de arbore furaverit, mallobergo hocticla,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나뭇가지에서앉아있는매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hocticl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cceptorem de pertica furaverit, mallobergo ueganus antete,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횃대에앉아있는매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eganus antete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acceptorem deintro davern furaverit, mallobergo orto fugia,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열쇠로잠가둔새장속으로부터매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orto fugi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800 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 4 항 Si quis sparvario furaverit, mallobergo sundelino, (sunt dinarii CCXL qui faciunt) solidus V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 218 -
dilatura. 어떤사람이새매 [ 학명 : Accipiter nisus] 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undelin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24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6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ansera domestica aut aneda furaverit, mallobergo sundelino,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거위나오리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undelin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quis coccum aut gallina furaverit, mallobergo cannas vivido et solampinam,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수탉이나암탉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annas vivido와 solampinam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quis grui aut cicino domestico furaverit, mallobergo orti fucla,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두루미나길들인황새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orti fucl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8항 Si quis aucellum de trappa furaverit, mallobergo hac falla, (sunt dinarii DC qui faciun)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타인의덫에잡혀있던새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hac fall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VIII. De furtis arborum. 목재절도죄에대하여 제 1 항 Si quis pomario domestico capulaverit aut involaverit,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 219 -
어떤사람이타인의사과나무를베어넘어뜨렸거나손해를입혔다면데나리 우스 12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pomario domestico intus curte aut in orto vel in vinea capulaverit aut involaveri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타인의궁전이나정원또는葡萄園동네에자라는사과나무를베어넘어뜨렸거나손해를입혔다면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in silva materium alienum capulaverit (aut furaverit) aut incend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숲속에서타인의나무를베어넘어뜨렸거나목재를절도했거나불로태워손해를입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IX. De furtis apium. 밀봉절도에대하여제1항 Si quis apem deintro clavem furaverit aut amplius, se tectus super eas fuerit, mallobergo antedio olecharde,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닫혔던곳이나지붕밑에있는밀봉통하나나몇개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tedio olecharde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unum vasum ab apis aut amplius foras tectum furaverit, mallobergo taxaca ab chratis,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그렇지만어떤사람이평야에있는벌통하나나몇개를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axaca ab chratis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 De damno in messe vel in qualibit clausura (inlatum fuerit). 수확물이나 울타리로둘러싼기타의農作物을손해를입히는것에대하여 - 220 -
제1항 Si quis animal aut caballum vel quemlibet pecus in messem suam invenerit, penitus eum vastare non debet; quod si fecerit et confessus fuerit, capitale in loco reddat; ipsum vero debilem secum retineat, quem percussit. Si vero confessus non fuerit et ei fuerit adprobatum, soledo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자신의논밭에서타인의말이나가축을찾게되었다면이동물을죽여서는안된다. 그렇지만본가축을죽이고게다가했던짓을털어놓았다면동물價格에준하여贖罪金을갚아주면되며죽였던동물의시체를반환치않아도된다. 그러나그사람이자인하지않았다면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nimal aut caballum vel iumentum punxerit, soledo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타인의말이든지소든지기타의가축에게낙인을찍었다면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 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in messem suam pastorem pecora aliena invenirit, qui pastorem non habet et eas inclauserit ut nulli penitus innotiscat, et aliquid ex ipsis pecoribus perierent, mallobergo taxaca,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감시하지않는타인의소몇마리를자기의논밭에데려다가숨겨놓고자인치않았다면, 게다가소의떼중에서몇마리가죽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axaca라고함 ) 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animal vel quamlibet pecus per sua neglegentia nocuerit et hoc domino ei confessus fuerit, capitale in loco restituat. Si vero negaverit et ei fuerit adprobatum, mallebergo leonardi, solido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자기의태만으로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의소나기타가축에게손해를입혔다면게다가유죄를자인하였다면주인에게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을갚아주면된다. 그렇지만유죄를부인하다가무죄가아니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및지각벌 - 221 -
금에 ( 데나리우스 600 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 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 다. 제5항 Si quis alicui porci aut quolibet pecora costodiente pastore in messe aliena incocurrerent et illo negante, si ei fuerit adprobatum, mallobergo andesito,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목동이감시하는돼지나소떼를타인의논밭으로이동시켰다면, 게다가유죄를부인했음에도불구하고무죄가아니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desito라고함 ) 동물가격에준한贖罪金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quis pecora de damno inclausa fuerint, damno stimato reddat et insuper X dinarius solvat. 어떤사람의소에손해를입혀피해자로잡혔다면주인은수확물손해에준한마땅한贖罪金에데나리우스 10개를추가하면된다. 제7항 Si vero aut per inimicicia aut per superbia pecora de damno, cuius messe vastaverit, aut inclausas fuerint, expellere aut excutere, dum ad domum illius minaverunt, presumpserit, mallobergo scuto,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복수하고싶어했거나교만하여피해자의수확물에손해를입히고, 잡혔던소를강제로도로얻거나몰래그소를빼앗았으며, 갇혀있던곳으로부터자신의집까지데려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cut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된속형으로論罪한다 제8항 Si quis sepem alienam aperverit et in messe aut in qualibet labore pecora miserit, se convictus cum testibus fuerit, ei cui labor est damnum stimatum reddat et insuper,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어떤수확물을파괴시키도록타인의울타리문을열어떼를이동시켰다면, 게다가피해자가자신의宣誓補助者와함께선서를통하여유죄를입증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손해贖罪金에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0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I. De servis vel mancipiis furatis. 竊盜 [ 略取 ] 했던노예나하인에대하여 - 222 -
제1항 Si quis servum (alienum) aut ancillam furaverit et ei fuerit adprobatum, mallobergo theos taxaca,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타인의奴나婢를절도하였다면, 게다가유죄가입증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s taxac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servum aut ancilla perdiderit valentes solidus XXV (furaverit), se porcario, se venatore, se fabro, se carpentario, se stratore, valentes solidus XXV furaverit aut occiserit, mallobergo theachro taxaca,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LX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솔리도스 25개의가치가있는奴나婢를절도하였거나타인의돼지牧者든지사냥꾼이든지獵師든지木工이든지차바퀴만드는하인이든지마구간지기를약취하거나죽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achro taxaca 라고함 ) 마땅한贖罪金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2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60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servus aut ancilla ad homine ingenuo de (se) res domini sui aliquid deportaverit in taxaca, qui hoc recipit, mallobergo theobardo,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奴나婢가주인의贓物을한자유인에게 taxata[ 절취물 ] 로서가져왔다면그리하여이자유인이贓物을수납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bardo라고함 ) 본자유인이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homo ingenuus servum alienum in taxaca secum involare duxerit aut aliquid cum ipso in taxaca neguciat, mallobergo theolasin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타인의노예에게 taxata라는짓을하도록誘引하거나이노예랑같이 taxata[ 절취 ] 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lasina라고함 ) 이런자유인은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II. De furtis ingenuorum vel efracturis 자유인이범했던竊盜罪와强盜罪에 - 223 -
대하여 제1항 Si quis (homo) ingenuus de foris casa, quod valent duo dinarii, furaverit, mallobergo taxac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타인의집마당에서데나리우스 2개의가치가있는贓物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axat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foris casa, quod valent XL dinarii, furaverit, mallobergo taxaca,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타인의집마당에서데나리우스 40개의가치가있는贓物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axata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homo) ingenuus aliquid deintus casa furaverit aut clavem infrigerit aut adulteraverit aut exinde aliquid in furtum portaverit, mallobergo anthedio,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자유인이강제로또는직접위조한열쇠를이용하여문을열어타인의집에들어와贓物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thedi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clavem effrigerit et nihil exinde portaverit, mallobergo norchlot,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자물쇠를파괴하고타인의집에들어왔지만안아무런장물도절도치않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norchlot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III. De furtis servorum vel effracturis. 노예가범했던竊盜罪와强盜罪에 대하여 제 1 항 Si quis servus de foris casa, quod valent duo dinarii, furaverit,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aut flagellus CXX ictus accipiat aut pro dorso - 224 -
suo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solvat. 어떤노예가타인의집마당에서데나리우스 2개의가치가있는贓物을절도하였다면장물값및지각벌금에 120대의笞刑을추가하여論罪하거나노예의등값으로는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구하면된다. 제2항 Si vero furaverit, quod valent XL dinarii, aut castretur aut (CCXL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VI reddat; domnus vero servi, qui furtum fecit, capitale in locum restituat. 노에가데나리우스 40개의가치가있는贓物을절도하였다면거세형을당하거나데나리우스 24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개를갚아주면된다. 게다가도둑인노예의주인은장물값으로속형을하면된다. XIV. De rapto ingenuorum vel mullierum 자유인인여성의誘拐罪에대하여. 제1항 Si quis tres hominis ingenua puella de casa aut de screona rapuerint, mallobergo antonio,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 3명이자유인처녀를집이나織工家로부터유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toni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Qui super tres fuerint, (ducentinos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V conponant (unusquisque eorum). 3명이상이범죄에가담하였다면이들은각각데나리우스 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Illi vero qui cum sagittas fuerint, ternus solidus conponere faciant (unusquisque eorum). 게다가활을들고본유괴에가담한자들은각사람마다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Raptor vero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게다가사건의선도자인유괴죄인은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 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 5 항 Si vero puella in verbo regis fuerit, qui traetur, fredus exinde - 225 -
solidus LXII semis cogatur exsolvere. 그리하여被誘拐女가대왕말씀의保護下에있었다면범죄인은평화질서를파 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62 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vero puer regi vel litus ingenua femina traxerit, (tunc) de vita conponat. 대왕의어떤하인소년이나반자유인이자유인여성을유괴하였다면사형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vero ingenua femina quicumque de illis sua voluntate secuta fuerit, ingenuitate sua perdat. 어떤자유인여성이납치죄인들중한명과함께임의로도망하였다면자기자유를잃게된다. 제8항 Si quis spunsa aliena tullerit et sibi in coniugium sociaverit, mallobergo andrathe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約婚女를誘拐婚하였다면 ( 이것은민회표현으로는 andratheo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9항 Si quis puella dispunsata dructi ducente ad maritum aliquis eam in viam adsallierit et ipsa violenter michatus fuerit, mallobergo gaugechaldo,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결혼식행렬에서신랑집으로가는약혼녀를길거리에서갑자기나와유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gaugechaldo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10항 Si quis ingenuus ancilla aliena priserit in coniugio, mallobergo bonimo, ipsi cum ea in servicio inplicetur. 어떤자유인이타인의婢와결혼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bonimo라고함 ) 자신도노예의위치까지格下된다. XV. De his qui alterius mulliere tollit vivo marito. 타인인여성의남편이살아있었을때그녀와혼인하는자에대하여 - 226 -
제1항 Si quis uxorem alienam tullerit vivo marito, mallobergo abteca, in alia mente abhacto velentemo,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부인과남편이살아있을때중혼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bteca라고함 ), 다시말하면살아있는남편한테서여자를유괴했다면, 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cum ingenua puella per virtute michatus fuerit, mallobergo vero vanum,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인처녀와강제로결혼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ero vanum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cum ingenua puella spunsata ambo partis convenerit et in oculto michati fuerint, mallobergo frila(s)ina,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인타인의約婚女한테서찬동을얻어서그녀와함께도망하여둘이몰래혼인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rilas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VI. De superventis vel expoliacionibus, qui hominem ingenuum expoliat. 暴行및강도죄에대하여, 자유인에게강도질한자에대하여제1항 Si quis hominem ingenuum in superventi expoliaverit, mallobergo mosid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폭행죄를통하여자유인을강도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osido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Romanus homo barbaro expoliaverit, mallobergo mosid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로마인이바바리아인 [ 프랑크족의사람 ] 을강도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osido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 3 항 Si vero Francus homo Romano expoliaverit, mallobergo mosido, - 227 -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프랑크인이로마인을강도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osido 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hominem, qui aliubi migrare disponit et de rege habet cartas et se habundivit in mallo publico, et aliquis extra ordinacionem regis testare aut adsallire eum presumpserit, mallobergo alachra et hii via lacina,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대왕으로부터공식문서를받았으며민회에서도권능을얻었으며여행하려고했던사람을王命을무시하고강도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lachra et hii et via lac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hominem ingenuum dorcnientem expoliaverit, mallobergo frio mosido, (sunt dinarii IVM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고있는자유인에게강도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rio mosid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VII. Si quis villam alienam adsallierit. 였다면 어떤사람이타인의집을침입하 제1항 Si quis villam alienam adsallierit, mallobergo alafalcio,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집을침입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lafalci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villam alienam adsallierit et ibidem hustia fregerit et canes occiserit aut homines placaverit aut exinde in carro aliquid duxerit, mallobergo turriphathio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집을침략하여문을부수고개를죽이거나사람에게부상을입혔다면게다가이집에서수레를이용하여贓物을실어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urriphathio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28 -
XVIII.Si quis hominem mortuum exfoderit aut expoliaverit. 屍體를출토시키거나부장품을절도하였다면 어떤사람이 제1항 Si quis corpus sepultum exfodierit et expoliaverit, vuargus sit, id est expellis set, usque in diem illum, quam ipsa causa cum parentibus defuncti faciat emendare et ipsi parentis rogare ad iudicem debeant, ut ei inter homines liciat habitare, si tamen auctor sceleris, mallobergo tumichal,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Et qui eum, antequam cum parentibus defuncti satisfaciat, ospicium dederi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매장된시체를노출시켜절도하였다면 [ 늑대가 ] 된다. 즉, 사망자의친족들에게속죄를할때까지추방된사람으로서살아야한다. 본친족들이용서해주려고한다면參事官께범죄인이사람들이랑같이거주할수있다고말하면된다. 본범죄는민회의표현으로 tumichal라고한다. 죄인이속죄금으로서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를속형하면된다. 그리하여죄인은사망자의친족에게속죄하기전에타인한테서손님으로서집에초대되었다면, 초대하는사람은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IX. Si quis corpus in furtu expoliaverit, antequam in terra mittatur. 어떤사람이시체를매장하기전에부장품을절도하였다면제1항 Si quis corpus occisi hominis, antequam in terra mittatur, in furtum expoliaverit, mallobergo chreo mard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사망자를매장하기전에 [ 부장품을 ] 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eo mardo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hominem mortuum super alterum in naufum aut in petra miserit, mallobergo hidulgus,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사망자를다른사망자의棺이나돌무덤으로매장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hidulgus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 3 항 Si quis arestatonem super hominem mortuum capulaverit, - 229 -
mallobergo chleobarbio, de unumquemque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사망자의묘비를파괴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leobarbi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 Si quis casa super hominem dormientem incenderit. 어떤사람이집안 에사람이자고있을때본집을방화했다면 제1항 Si quis casa quamlibet super hominem dormientem incenderit, ei cui casa est, mallobergo andeb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Illi vero qui exinde evaserint, unusquisque ex ipsis mallare eum debent per mallobergum seolando vev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qui incendium misit e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집안에서타인이자고있을때이집을방화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deba라고함 ) 집주인에게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5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방화된집에서살아남았던사람각각한명씩에게도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olando ueu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5개및금전의반을갚아주면된다. 제2항 Si quis ibidem ars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그리하여, 화재때누군가가사망하였다면 ( 이것은 leodardi라고함 ) 책임자가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로속형을하면한다. XXI. Si quis spicarium aut mafolum cum annona incenderit. 어떤사람이 저장고나곡식창고를방화했다면 제1항 Si quis spicario aut maflo cum annona incenderit, mallobergo deb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저장고나수확물을들어있는곡식창고를방화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deb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5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 230 -
제2항. Si quis concidem aut sepem capulaverit aut incenderit, mallobergo uiv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鹿砦나울타리를방화하거나파괴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iv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II..Si quis alterum volverit occidere et colepus fallierit. 타인을殺人하려고하다실패하였다면 어떤사람이 제1항 Si quis alterum uolverit occidere et colepus preterfallierit, mallobergo seolando uev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살인을시도하였다면, 그리하여죄인이打擊하여실패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olando vev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lterum de sagitta tuscata percutere volverit, mallobergo seolando uev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을독화살로찌르려고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olando uev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hominem in capite placaverit et exinde ossa exierint, mallobergo cusfredum,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머리에두개골이보일수있을정도로구타하여부상을입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usfredum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vero intra costas aut in ventre miserit vulnus et currat et non sanat, mallobergo cusfredum,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medicaturas solidus IX. 어떤사람이타인의복부나갈비사이를찔러낫지않게부상을입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usfredum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치료비로서솔리도스 - 231 -
9 개를갚아주면된다. XXIII. Si quis hominem ingenuum de fuste percusserit. 인을곤봉으로구타하였다면 어떤사람은자유 제1항 Si quis hominem ingenuum de fuste percusserit et sanguis non exierit, usque ad tres colepus, mallobergo vuidifalt, (sunt dinarii CCXL qui faciunt) solidus V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을곤봉으로구타하였지만피가나지않고, 타격이 3대이상넘지않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uidifalt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sanguis exierit, tali culpa conponat, quasi de ferramentum eum vulnerasset. 구타하여피가났다면, [ 철 ] 곤봉으로부상시켰던贖罪金과마찬가지로속형을하면된다. XXIV..Si quis ad regem hominem innocentem absentem accusat. 어떤사람이대왕께결석하는無罪人을고발하였다면 De cuique ad regem hominem innocentem absentem accusat, mallobergo seolando uev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대왕께결석하는無罪人을고발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olando uev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XXV. De maleficis 마술에대하여 제1항 Si quis alteri erbas dederit, ut moriatur, mallobergo co virgo,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謀殺하려고다양한나물을타인에게주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o virgo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 2 항 Si quis maleficium fecerit et qui eum priserit evaserit, mallobergo thooverpo acfad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 232 -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손해를입히기위하여마술을부렸다면, 그러나피해자에게본마술이효과가없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ooverpo acfado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mulliere erbas dedirit bibere, ut infantes habere non possit,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한여자에게나물을먹도록주었다면, 그리하여피해자가본마술의결과로애를낳을수없게되었다면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으로속형을하면된다. XXVI. De manu mullieris exstringenda. 여성의손을만진범죄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o ingenuos ad femina ingenua digitu aut manu extrinxerit, mallobergo chramen,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자유인여성의손이나손가락을만졌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men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brachium extrinxerit, mallobergo chrami,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여성의팔뚝을만졌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mi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Certe si super cubitum manum miserit, mallobergo chrannis malichardi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팔꿈치윗부분을자신의손으로잡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nnis malich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mulliere mamella extrinxerit, mallobergo item bracti,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은여성의가슴을만졌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item bracti - 233 -
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VII. De navibus 배에대하여 제1항 Si quis navem extra consilium domini sui movere presumpserit, mallobergo femire,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주인 [ 가장권소유자 ] 의허용없이배를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emire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ipsam furaverit, mallobergo femire,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배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emire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VIII. De asco deinter clave furato. 열쇠로잠겨있던곳으로부터작은배 를竊盜하였다는것에대하여 Si quis asco deintro davern furaverit, mallobergo chanzasco,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열쇠로잠긴곳으로부터작은배를竊盜하였다는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anzasc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IX.De furtis in molino conmissis. 製粉所로부터재물을竊盜하였다는것에 대하여 제1항 Si quis homo ingenuos in molino alieno annona furaverit, mallobergo anthedio hoc est, cui molinus es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타인의製粉所로부터곡식을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thedio라고함 ) 이製粉所주인에게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34 -
제2항 Si vero alicui annona furaverit, alius XV solidus culpabilis iudicetur. 범죄인이타인의곡식을절도하였다면이상의속죄금에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X. De his qui alterius sclusa rumpit. 타인의水門을파괴시키는자에대 하여 Si quis sclusa de farinario ruperit, mallobergo urbis via lacin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製粉所주위에있는水門을파괴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rbis via lac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 De homicidiis parvulorum vel mullierum 어린이나여자의殺害罪에대하여. 제1항 Si quis puerum infra XII annorum non tunsorato occiserit, mallobergo charcharo leodardi, {sunt dinarii XXIVM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 12살이안되었으며성인식인이발의식을받지않은소년을살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archaro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femina grave debatterit et ipsa exinde mortua fuerit, mallobergo anno ano leodinia, (sunt dinarii XIIM qui faciunt) solidus C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임신부를구타하여그녀를사망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no ano leodinia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infantem in utero matris sue occiserit, mallobergo anno uano, (sunt dinarii IVM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母胎안의소아를살인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no uan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 - 235 -
다. XXXII. De femina, postquam infantes habere coeperit, occiderit. 아기를낳 을수있는젊은처녀의殺害罪에대하여 Si quis femina ingenua, postquam infantes habere ceperit, occiserit, mallobergo leodinia, (sunt dinarii XXVIM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아기를낳을수있는나이가어린자유인처녀를살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inia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II. De femina post media etate occiderit 중년의여성및소녀殺害罪에 대하여 제1항. Si quis femina post media etate, hoc est quando iam infantes habere non potest, occiserit, mallobergo leodinia, (sunt dinarii VIIIM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중년보다나이가많아이미아기를낳을수없는여성을살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inia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ingenua puella occiserit, mallobergo smalcha ledi, (sunt dinarii IVM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소녀를살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malcha ledi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V. De neglegentiis parvulorum. 범죄에대한소년의책임에대하여 Si quis puer infra XII annus aliqua culpa comiserit, fredus ei non requiratur. 어떤나이 12살이하의소년이범죄를하였다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을갚아주지않는다. XXXV. De puero tunsorato. 성인식인이발의식을받았던소년에대하여 - 236 -
제1항 Si quis puero sine consilio parentum suorum tunsoraverit, mallobergo uvtchardo,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부모의허락없이소년에게성인식인이발의식을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utchardo 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puella sine voluntate parentum tunsoraverit, mallobergo theohichada,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부모의허락없이소녀에게이발의식을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hichada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VI. De adulteriis ancillarum. 婢와의姦通罪에대하여 제1항 Si quis cum ancilla aliena michatus fuerit, mallobergo evalisin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婢와陰通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evalis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cum ancilla regi michatus fuerit, mallobergo evalesina,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대왕의婢와陰通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eualis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servus cum ancilla aliena michatus fuerit,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노예가타인의婢와陰通을하였다면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 4 항 Si (quis) servus ancilla aliena extra voluntatem domini sui ad coniugium sociaverit, mallobergo anthamo,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 237 -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하인이타인의婢와주인의허용없이혼인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tham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servus cum ancilla aliena michatus fuerit et ex ipso crimine ipsa mortua fuerit, aut (dinarius CCXL qui faciunt) solidus VI domini ancille conponat aut castretur; dominus servi capitale de ancilla in locum restituat. 어떤노예가타인의婢와陰通을하다가본婢가결과적으로죽게되었다면, 주인에게는데나리우스 24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개로속형을하거나범죄자를거세하면된다. 게다가범죄인의주인은婢의주인에게장물값을갚아주면된다. XXXVII. De libertis demissis ingenuis. 자유인으로부터格下된半自由人에대 하여 제1항 Si quis litum alienum, qui aput domino suo in oste fuerit, extra consilio domini sui ante rege per dinario ingenuum demiserit, mallobergo maltho itho frio blito, (sunt dinarii IVM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Res vero ipsius lito legitimo domino reformetur. 어떤사람이戰役하는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을따라가는반자유인을대왕앞에서데나리우스를던지는의식을통하여해방하게하였다면, 그러나이반자유인의주인의허락이없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altho itho frio blit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반자유인의모든재산은정당한주인이갖게된다. 제2항 Si quis servum alienum per dinarium ante rege ingenuum demiserit, mallobergo maltho friatho meotho,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t capitale in loco restituat. 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대왕앞에서데나리우스를던지는의식을통하여해방하게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altho friatho meotho라고함 ) 장물값에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XVIII. De furtis diversis. 다양한竊盜에대하여 - 238 -
제1항 Si quis tentenno deinter porcus furaverit, mallobergo thuochapo,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돼지목으로부터방울목걸이를벗겨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uochap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petica de caballo furav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말의蹄를벗겨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tentenno involaverit de qualibet pecus preter porcus,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돼지를제외한기타의가축목으로부터방울목걸이를벗겨도둑질하였다면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X. Si quis messem alienam metit. 어떤사람이타인의곡식을수확하였다면제1항 Si quis messem alienam in furtum metere presumps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곡식을수확하려고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 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in navina, in fabaria, in lentiliaria in furtum ingressus fu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밭으로부터비트의뿌리, 蠶豆나扁豆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 Si quis de campo alieno lino furaverit. 어떤사람은타인의밭으로부터亞麻를절도하였다면제1항. Si quis de campo alieno lino furaverit et in carro dux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 239 -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밭으로부터亞麻를수레에실어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tantum presumpserit, quantum in dorsum suum portare potuerit,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범죄자가본亞麻를도둑질하여贓物을자신의등에지고이동시켰다면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Si quis prato alieno (furaverit et) secaverit. 地에서牧草를베어 ( 竊盜 ) 하였다면 어떤사람이타인의草 제1항. Si quis pratum alienum secaverit, opera sua perdat et insuper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草地에서牧草를베어 ( 竊盜 ) 하였다면자신의노력으로얻었던장물에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Et si exinde fenum in carro ad domum suam duxerit,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그리하여훔쳤던牧草를수레로실어자신의집으로이동시켰다면장물값및지각벌금에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 ) 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tantum presumpserit, quantum in dorsum suum portare potuerit, (sunt dinarii CXX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본범죄자가贓物을자신의등에지고이동시켰다면데나리우스 12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I. Si quis in orto alieno in furtum ingressus fuerit. 을절도하기위해서타인의정원에들어갔다면 어떤사람이재물 Si quis in orto alieno in furtum ingressus fu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 240 -
어떤사람이재물을절도하기위해서타인의정원에들어갔다면 ( 이것은민 회의표현으로 leodardi 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 개로 속형을하면된다. XLIII..Si quis vineam alienam in furtum vindimiaverit. 을절도하기위하여타인의葡萄園에들어갔다면 어떤사람이재물 제1항 Si quis (in) uineam alienam in furto uindimiav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재물을절도하기위해서타인의葡萄園에들어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in carro cargaverit et ad domum suam duxerit,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훔쳤던포도를수레에실어자신의집으로이동시켰다면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V. De retibus 그물에대하여 제1항 Si quis retem de anguilis de flumen furaverit, mallobergo obdubus,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長魚를잡기위한그물을강에서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obdubus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statuam aut trimaclem vel vertiuolo de flumen furaverit, mallobergo naschus taxaca,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강의조류에靜止하고있는그물이나, 3 角臺의그물이나, 강가에설치된그물을절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naschus taxac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V. De screonis effractis. 織工家强盜罪에대하여 제 1 항. Si quis screonam, qui davern habet, efirigerit, mallobergo strona - 241 -
anthidio,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열쇠로잠겨있는타인의織工家에들어가强盜짓을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trona anthidio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de screona davern efirigerit et nihil exinde tullerit, mallobergo leodardi, (sunt dinarii DC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잠겨있던織工家에들어와아무런물건도절도치않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VI. De eo qui alterius campo araverit. 타인의논밭을간자에대하여 제1항 Si quis campo alieno araverit, mallobergo leodardi,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논밭을갈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campo alieno araverit et semenaverit, mallobergo obrebus andappus, (sunt dinarii MCC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그리하여어떤사람이타인의논밭을갈아播種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obrebus andappus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aratrum cum aratore de campo alieno ostaverit aut iactaverit, mallobergo chvuarso,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논밭으로부터쟁기를가진경작자를도망하게하거나농기구를훼손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vuars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VII. De elogacionibus. 誘引罪에대하여 제 1 항 Si quis aliquid in furtum hominem locaverit, ut alium interficiet, - 242 -
mallobergo tu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을살인하도록몰래다른자를고용하거나誘引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u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ut dans, accipiens et portans,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unusquisque illorum conponat. 다른사람들도본범죄에참여를하여어떤재물을주거나얻거나들고있었다면그들중에서각 1명씩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으로속형을하면된다. XLVIII. De dibilitatibus. 負傷에대하여 제1항. Si quis alterum manum capulaverit, unde homo mancus sit et ipsa manus super eum pendat, mallobergo secti,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손을부상시켰다면, 그리하여피해자가손이마비되어쓸수없는장애인이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cti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ipsa excusserit, mallobergo chramere,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oculpabilis iudicetur. 그리하여이손을자르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mere라고함 ) 범죄인은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police de manu capulaverit, mallobergo chramine,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엄지손가락을잘라버렸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amine 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secundum digitum, unde sagitta trahitur, excusserit, mallobergo brioro,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화살을당기는집게손가락을잘라버렸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brioro라고함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개로속형을 - 243 -
하면된다. 제5항 Si medianum digitum, unde sagittatur, excusserit, mallobergo thaphano, (MC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中指를잘라버리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aphano라고함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quarto digito excusserit, mallobergo melagno, solidus XXV culpabilis iudicetur. 藥指를잘라버리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elagno라고함 ) 솔리도스 2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minimus digitus excussus fuerit, mallobergo menecleno,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새끼손가락을잘라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enecleno라고함 ) 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8항 Si vero pedis capulatus fuerit et ibidem mancus teniat, mallobergo chudachina chamina, (sunt dinarii MDCCC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부상을입혀발을찌르게되었지만이를자르지않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udachina cham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9항 Si vero pedis percussus fuerit, mallobergo chuldachina,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이발을자르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uldach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10항 Si quis alterum oculum eiecerit, mallobergo lichavina, (sunt dinarii IVM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안구를없애버리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ichau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 11 항 Si quis alterius nasum aut auriculam excusserit, mallobergo funne - 244 -
chleur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귀나코를벴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unne chleura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12항 Si quis alterius linguam capulaverit, unde loqvere non possit, mallobergo alchacio,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혀를베어피해자가말을할수없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lchaci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 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13항 Si quis alterius dentem excusserit, mallobergo inchlavin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치아를부러뜨리게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inchlav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14항 Si quis ingenuos ingenuum castraverit aut viriliam transcapulaverit, unde mancus sit, mallobergo uuidardi, (VI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다른자유인을거세하여남근을손상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ui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X. De conviciis. 侮辱罪에대하여 제1항 Si quis alterum cinido vocaverit, mallobergo quinte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 cinido[ 즉송아지라고하는상스러운표현 ] 라고불러모욕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quinte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 2 항. Si quis alterum falsatorem clamaverit et non potuerit adprobare, mallobergo ischrabo,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culpabilis iudicetur. - 245 -
어떤사람이타인을위조자라고불렀지만, 그유죄를증명하지못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ischrab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alterum concagatum clamaverit (et non potuerit adprobare,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 concagatum[ 상스러운표현 ] 라고불렀다면, 그러나이말대로실제로그렇다는것을증명하지못했다면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mullier ingenua seo vir mulliere meretricem clamaverit et non potuerit adprobare, mallobergo solistrabo,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인여자나남자가다른여자를娼女라고불렀다면, 그러나유죄를증명하지못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olistrabo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alterum vulpicula clamaverit,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 vulpicula [ 여우새끼 ] 라고불렀다면데나리우스 12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quis alterum lepore clamaverit,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 lepore[ 토끼 ] 라고불렀다면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L. De via lacina. 막혔던길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inem ingenuum de via sua ostaverit aut inpinxerit, mallobergo via lacin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을길에서돌려보내거나떨어뜨리게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ia lac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46 -
제2항 Si quis femina ingenua de via sua ostaverit aut inpinxerit, mallobergo via lacina,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여성을길에서돌려보내거나떨어뜨리게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ia lac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I. De ligaminibus ingenuorum. 자유인을묶는죄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inem ingenuum sine causa ligaverit, mallobergo andreppus,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을정당한이유없이묶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dreppus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ipso ligato aliqua parte duxerit, mallobergo andreppus,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어떤사람이묶었던피해자를異邦으로이동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ndreppus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II. De uenacionibus. 狩獵에대하여 제1항 Si quis (de) diversis uenacionibus furaverit aut celaverit, si cervo domestico signum abente furaverit aut occiserit, quem ad venacionem mansuetus est, et dominus suus per (tr(e)s) testibus potuerit adprobare, quod eum in venacionem habuisset et cum eum duas aut tres feras occississet, mallobergo trevuidio, (sunt DC dinarii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수렵때사냥한동물을절도하거나숨겼다면, 아니면인간이키워서사냥에이용하는烙印된사슴을훔쳤거나죽였다면, 게다가이사슴은과거에수렵에참여하여야생동물을두세마리잡을수있었던사실을사슴의주인이宣誓補助者 3명과함께증명할수있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revuidi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47 -
제2항 Si vero cervo domestico, qui in venacione adhuc non fuisset, furaverit aut occiserit, mallobergo trio iobio amestall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인간이키워서아직까지수렵에아직까지참여하지않았던사슴을절도하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rio iobio amestall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cervo aut abro lasso, quem alterius canis movunt, occiserit aut celaverit, mallobergo acuvern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사냥개가따라가잡은사슴이나멧돼지를죽이거나숨겼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cuver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III. De sepibus. 울타리에대하여 Si quis tres uirgas, unde sepis superlegata est, vel retortas capulaverit aut ipsa sepe aperverit, mallobergo leodardi,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울타리를받치는기둥 3대나연결시키는매듭을파괴하였거나울타리의문을열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IV. Si quis per alienam messem erpice aut carro traxerit. 써레나수레로타인의논밭을통하여지나가면서수확물을파괴하였다면 어떤사람이 Si quis per aliena messe erpice aut carro traxerit et sine via transierit, mallobergo leodardi,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써레나수레로타인의논밭을통하여지나가다수확물을파괴하였다면, 본논밭외에지나갈길이없었음에도불구하고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V. Si quis per alienam messem expalmitantem sine via semita fecerit. 어떤사람이收穫이자라는타인의논밭을통하여길을만들었다면 - 248 -
Si quis per messem aliena (iam) expalmitantem sine via aut sine semita vias fecerit, mallobergo leodardi, (DC dinarius qui fac이收穫이자라는타인의논밭을통하여수레로지나갈수있는길이나밟아서생긴小路를만들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VI. Si quis in curte vel in casa per malo ingenio in furto aliquid miserit. 어떤사람이타인의궁전이나집에서재물을故意로몰래숨겨놓았다면 Si quis in curte vel in casa vel in qualibet in furtum aut per malo ingenio aliquid miserit nesciente domino, cuius domus est mallobergo ferimbera, (sunt dinarii MMD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궁전이나집이나또다른곳에서재물을 [ 惡 ] 故意로몰래숨겨놓았다면, 그리하여건물의주인이이사실을몰랐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erimber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5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LVII. De homicidiis servorum vel expoliacionibus. 노예에대한殺害罪나强 盜罪에대하여 제1항 Si servus servum aut ancillam occiserit, mallobergo theodilinia, id est homicida ille solidus 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노예가다른노예나婢를죽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dilinia라고하며즉, 殺害罪 ) 솔리도스 2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ingenuos servum alienum expoliaverit, mallobergo rincus modi,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타인의노예에게강도짓을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rincus modi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VIII. Si quis servum alienum battit. 어떤사람이노예를구타하였다면 Si quis servum alienum battit et super XL noctis opera trigaverit, - 249 -
mallobergo daus,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 40일밤이지났음에도불구하고일할수없을정 도로구타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daus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 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LIX. Si quis servus hominem ingenuum occiserit. 어떤노예가자유인을殺 害했다면 Si quis servus hominem ingenuum occiserit, ipso homicida pro medietate parentibus tradatur et illa alia medietate domnus servi, si nolverit servitutem, aut si intellexerit, de lege si obmallare potit, ut ipsa leode non solvat. 어떤노예가자유인을살해했다면, 人命金의반액으로서피해자의친족들에게죄인을보내주면된다. 게다가나머지반액으로서노예의주인이금전으로속형을하면한다. 그렇지만이주인이노예를죽은것으로치고斷念하거나그렇지않고법대로살인에대한책임을거부하려고했다면人命金을갚아주지않을수도있다. LX. Si quis homo ingenuos litum alienum expoliaverit. 자유인에게강도짓을시켰다면 어떤자유인이반 Si quis homo ingenuos litum alienum expoliaverit, mallobergo letus modi, (sunt dinarii MCCCC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반자유인에게강도짓을시켰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tus mo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I. De quadrupedis (pecorum), si hominem occiserit. 네발짐승에대하여, 짐승이사람을죽였다면 Si quis homo ex quolibet pecu occisus fuerit et hoc parentes illius cum testibus potuerint adprobare, dum ille dominus pecoris antea legem non adimpleverit, medietate de ipsa leode conponat et pro illa alia medietate ipso quadrupede donet. Si enim domnus intellexerit, per lege se defendere potit, ut nihil pro ipso pecore solvat. - 250 -
어떤사람이짐승때문에죽게되었다면, 그리하여본사실을피해자의친족들이宣誓補助者의도움으로증명할수가있었다면이짐승의주인이법적선서를통하여부인하지못했다면人命金의반액을갚아주면된다. 게다가나머지반액으로서네발짐승을보내주면된다. 짐승의주인은마땅한결백선서를통하여본사망에책임을거부하면서법적으로변호하려고하였다면그리할수있다. 그때는금전으로人命金의반액을갚아주지않아도된다. LXII. De vestigio minando. 追跡에대하여제1항 Si quis bovem aut caballum vel quemlibet pecus in furtum perdiderit et ipsum, dum vestigio sequitur, consecutus fuerit usque ad tres noctes, et ille, qui ipsum furtum in potestatem camiasset dixerit vel proclamaverit, ille, qui per vestigio sequitur, res suas per tercia mano adchramire debet. 어떤사람이소나말이나다른가축을절도로잃고, 贓物을다시찾기위하여 3일밤이내에도둑을추적하였다가가축을데려오는자가이동물이매매나교역을통하여자신의소유품이되었다고말하거나선고하였다면追跡人은제3 인 [ 手 ] 을통하여贓物을돌려받으면된다. 제2항 Si vero tres noctis exactis qui res suas querit eas invenerit, ille, apud quem invenitur, eas emisset aut camiasset dixerit, ei liceat adchramire. 그렇지만 3일밤을지나, 가축을추적하던주인이자신의짐승을알아보더라도이가축을데려오는자가짐승을매매나교역하였다고하면그가가축을갖게된다. 제3항 Quod si ille, qui (res suas) per vestigio sequitur, res suas, quas agnuscere dicit, ille alio reclamante nec offerre (re) per tercia manu volverit vel solem secundum legem culcaverit, se violenter hoc, quod se agnuscere dicit, tollisse convincitur, mallobergo mithio frasitho,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그렇지만무릇자신의짐승을추적하는자가이를알아본다고하였으나, 상대방이 [ 소유권을부정한채 ] 제3자 [ 手 ] 를통해주인에게돌려주길원하지도않고 법에따라- 晝間에돌려주기를거부하였다면, 자신의가축이라고생각하는사람한테서본贓物을강제로빼앗으면된다. 게다가죄인은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mithio frasith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를갚아주면된다. - 251 -
LXIII. De furtis caballonum 말도둑질에대하여 제1항 Si quis caballum, qui carruca trait, furaverit, mallobergo chana zascho,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수레를끄는말을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ana zascho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admissario ad homine Franco furaverit, mallobergo uvadreto,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프랑크인으로부터種馬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vadret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admissario cum grege ad XII equas furaverit, mallobergo uvadreto,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종마및암말 12마리의떼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vadret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poletrum furaverit, mallobergo uvadreto,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망아지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uvadreto라고함 ) 贖罪金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및금전의반을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quis poletrum annuculum furaverit, mallobergo naboho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 1살망아지를도둑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nabohot 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 252 -
제6항 Si quis iumenta aliena trabatterit et euaserit, mallobergo sitabahim,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수레를끄는짐승을구타하여본짐승이먼장소까지뛰게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itabahim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Et) si exinde mortua fuerit, mallobergo sitabahim,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그리하여구타당한본짐승이죽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itabahim라고함 ) 훼손물의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LXIV. De caballo alieno extra permisso domini sui ascenso aut excurtato aut excorticato. 주인의허용없이말을타거나괴롭히거나가죽을벗기는것 에대하여 제1항. Si quis caballum alienum extra consilium domini sui ascenderit aut caballicaverit, mallobergo leodardi, in alia mente borio sito,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말을주인의허용없이말올라타거나승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하거나 borio sit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caballum alienum excurtaverit, mallobergo leodardi,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말을괴롭혔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caballum mortuum sine permisso domini sui excorticaverit, mallobergo leodardi,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죽은말의가죽을주인의허용없이벗겼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V. De plagatoribus. 誘拐者에대하여 - 253 -
Si quis mancipium alienum solicitaverit, mallobergo theolasina,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하인을유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las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VI. Si quis servus alienus furatus fuerit. 邦으로유괴하였다면 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異 제1항 Si quis servus alienus furatus fuerit et ipse trans mare fuerit ductus et ibidem a domino suo peruentus fuerit et ipsi, qui in patria aliena placatus est, in mallo publico nominaverit, (et) tres testes ibidem collegere debit. Iterum cum servus ipse detrans mare fuerit revocatus, in alio mallo iterum nominare debit et ibi tres testes debet collegere edonius; ad tercio vero mallo similiter faciat, ut novem testes iurent, quod servum ipsum equaliter per totus tres mallus super plagiatorem dicere audissent, sic postea, qui eum plagavit, hoc est uvargaverit, mallobergo malo vieridario, (MC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노예를異邦으로유괴하여해외까지이동시키게되었다면, 게다가노예의주인이장물인노예를찾게되었다면, 유괴및해외로이동시킨짓에대한책임자는민회로부르며宣誓補助者 3명과함께오면된다. 그렇지만이노예를주인이찾고나서미리귀국시키게되었다면자신의宣誓補助者 3명과함께다른민회로오며, 피고인들도마찬가지다른민회에제소하면된다. 그리하여다음민회에서는이노예가被誘拐者라는것을宣誓補助者 9명과함께선서를통하여, 이전의민회때는 3명과함께선서했듯이증명하면된다. 제 3의민회에서도똑같은절차를밟게되며죄인은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alo vieridario라고함 ) 장물값및지각벌금에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Qui confessio servi usque ad tres plagiatores ascendit, sed eam tarnen racione, ut nomina hominum vel villarum equaliter per totus tres mallus debeat nominare. 被誘拐者의진술은제3의유괴자까지포함할수있으며, 3번이어지는민회동안 오류없이- 범인과마을의이름까지도밝힐수있다. - 254 -
LXVII. Si quis hominem ingenuum plagaverit, hoc est vendiderit 람이자유인을略賣하였다면 어떤사 Si quis hominem ingenuum plagaverit vel uindederit, mallobergo frio falcino, (VI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유인을略賣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frio falcino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VIII. Si quis servus in furtum fuerit inculpatus. 죄로고발되었다면 어떤자의노예가절도 제1항. Si quis servus in furtum fuerit inculpatus, si talis fuerit causa, unde ingenuos solidus XV conponere debeat, servus super scamno tensus CXX ictus accipiat. 어떤사람의노예가속죄금으로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해야할정도심한절도죄로자유인으로부터고발되었다면, 이노예는좌판위에서笞刑 120대를당하면된다. 제2항 Si vero, antequam torquatur, fuerit confessus et ei cum domino suo convenerit, solidus III pro dorsum ipsius servi accipiat, capitale domino servi reddat. 이노예가태형을받기전에자신이유죄라는것을주인앞에서자인하였다면주인은노예의등값으로서솔리도스 3개로구하면된다. 제3항 Si tamen maior culpa fuerit, unde ingenuos solidus XXXV solvere debeat, similiter servus CXX ictus accipiat; et si confessus non fuerit illi qui eum torsit, si adhuc ipsum servum torqvere volverit, et nolente domino, pignus dominus servi dare debeat; et si postea ipsi servus ad maioribus suppliciis tradatur et si confessus fuerit, nihil super domino credatur; ipsi vero illum servum erit habiturus, qui eum torsit; dominus servi, unde iam pignus accipit, precium pro suo servo accipiat. 그렇지만이노예가贖罪金으로서솔리도스 35개로속형을해야하는심한절도죄로자유인으로부터고발되었다면이노예는태형 120대를당하면된다. 게다가계속유죄의自認을거부했다면, 그리하여고문하는사람이노예의주인허용없이자인할때까지이노예를拷問하려고한다면주인에게충분한擔保 - 255 -
를미리주어야한다. 게다가더욱심한고문의결과로노예가유죄를자인하였다면이후에이노예는주인이선서하였음에도신뢰를받지못한다. 게다가고문하는자가이노예의주인이되어擔保를받았던옛주인에게노예의값을갚아주면된다. 제4항 Si vero infra prioribus suppliciis, id est CXX ictus, fuerit confessus, aut castretur aut solidus VI reddat; dominus vir servi capitale restituat requirentes. 그렇지만본노예가태형 120대인고문을당하고있는중에유죄를자인하였다면거세형을당하거나솔리도스 6개로구하게된다. 게다가이노예의주인이장물값을피해자에게갚아주면된다. 제5항 Si iam vero in maiore crimine fuerit inculpatus, unde ingenuos XLV solidus conponere debuerit, dominus servi, si eum non presentaverit, ad ipso numero eum teneatur, ut ipsum numerum reddat et capitale in locum restituat. 그렇지만이노예가위보다더욱심한, 贖罪金으로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해야할절도죄로자유인으로부터고발당하였다면, 이노예가민회로오지않는경우에노예의주인은바꾸지않는다. 대신에노예의주인은장물값에노예의값을추가하여갚아주면된다. 제6항. Si adhuc maior causa fuerit, que servo requeretur, dominus servi non ut servus sed ut ingenuos totam legem super se soluiturus suscipiat. 노예의죄가위보다더욱심하였다면그리고노예의주인이자신의노예를救하려고하였다면노예가갚아야할贖罪金대신에자유인이갚아야할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servus absens fuerit, cui aliquid inpotatur, dominus servi a repetenti tribus testibus (in) presentibus secrecius admonere debet, ut servum suum infra septem noctis debeat presentare. Et si infra septem noctis eum nolverit presentare, tunc repetens solem culcaverit, illi cum testibus culcare debet et sic ad alias septem noctes placitum faciat. Si nec ad alias septem noctes ipsum servum presentaverit, tercia vice adhuc septem noctes spacium illius dare debet, id est ut totus numerus ad XX et una nocte veniat; quod si post placitum ipsum servum nolverit ligatum suppliciis dare et ei per singulus placitus solem culcaverit, tunc - 256 -
dominus servi omni repeticione, sicut superius diximus, non sicut servus sed, quasi ingenuos admisisset, tale conposicione repetendi restituat. 그리하여고발당한노예가민회에결석했다면고발인은宣誓補助者 3명과함께 7일밤이내에노예를민회로데려다주도록이노예의주인에게요구하면된다. 노예의주인이그렇게하지않으면고발인은다시한번宣誓補助者와함께晝間을선택하여또다른 7일밤이내에노예를데려다줄것을요구하면된다. 노예의주인이또다시이시간이내에노예를데려다주지않는다면고발인이모든기간을더하여 21일밤이될때까지또다른 7일밤을기다리면된다. 이시간이내에노예의주인이자신의노예를묶어고문을당하도록데려다주지않았다면, 그리하여고발인이선택하였던晝間이적당하였다면노예의주인은노예의贖罪金이아니라자유인이갚아야할贖罪金으로고발인에게속형을하면한다. 제8항. Si vero ancilla in tale crimine invenitur, unde servus castretur, (CCXL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VI pro ipsa dominus reddat aut CXLII ictus accipiat flagellorum. 그렇지만어떤婢는奴가거세형을당해야할절도죄로고발당하였다면그녀의주인은데나리우스 24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개로본婢를救하거나笞刑 142대를당하면된다. LXIX. De homicidiis ingenuorum. 자유인殺害罪에대하여 제1항 Si quis ingenuos Francum aut barbarum, qui Salica lege vivit, occiserit, mallobergo leodardi, (VI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프랑크인이나살리카법통치하에있는다른바바리아인을살해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dardi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eum in pucium aut sub aqua miserit, mallobergo mathdaleo,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본피해자의시체를우물이나다른물속에빠지게하여숨겼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athdaleo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 3 항 Si vero eum de allis aut de ramis super cooperverit aut eum - 257 -
incenderit, mallobergo modileodi,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본피해자의시체를덤불이나나뭇가지밑에숨기거나불에태워버렸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odileodi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quis antruscione dominico occiserit. mallobergo malchom, (XXIVM dinarius qui facin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대왕의朝臣을殺害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alchom 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Si vero eum in aqua aut in pucium miserit aut de allis aut de ramis vel quislibet rebus celaverit, mallobergo morcherter, (LXX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MDCCC culpabilis iudicetur. 본朝臣의시체를물속이나우물에빠지게하거나덤불이나나뭇가지나다른것밑에숨기게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morcherter라고함 ) 데나리우스 7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8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6항 Si Romanus homo, conviva regi, occissus fuerit, mallobergo leoti, (X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C qui eum interficit culpabilis iudicetur. 대왕의연회동참자인로마인이살해당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leoti라고함 ) 죄인은데나리우스 1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7항 Si vero Romanus homo possessor occisus fuerit, qui eum occiserit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많은재산을점유한로마인이살해당하였다면죄인은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8항 Si quis Romanus tribudarium occiserit, (M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X culpabilis iudicetur. 被殺害者가대왕께조공을드리는로마인이었다면죄인은데나리우스 28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7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 De homicidio in contubernio facto. 동거인과함께범했던살인죄의책 - 258 -
임에대하여 제1항. Si quis collecto contubernio hominem ingenuum in domo sua adsallierit et eum occisserit, mallobergo besitalio, si antruscio dominicus fuerit, ille qui eum occiserit (LXX(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MDC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자신의집동거인을모아서자유인피해자의집에침략하여殺害罪를범하였다면, 그리고피해자가대왕의朝臣이었다면살해자는데나리우스 7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8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antruscio dominicus non fuerit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interfector cupabilis iudicetur. 피해자가대왕의朝臣이아니었다면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corpus occisi hominis tres vel amplius habuerit plagas, tres quibus inculpatur, qui in eo contubernio fuissent se conprobatur, legem superius conprehensam cogantur ex solvere. 그렇지만사망자의시체에서부상이 3개이상나타났다면이동거인들 3명이증거를통하여사건에가담했다는것을확인하여殺害罪에책임을지며이贖罪金을갚아주면된다. 제4항 AlIi vero tres de eo contubernio (IIIM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C componant, et tres adhuc in tercio loco de ipso contubernio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solvant. 그리하여사건에가담한동거인 3명은데나리우스 3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90개를갚아주면되며또다른동거인의 3명은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5항 De Romano vero vel lito occissis, qui in tale contubernio interfecti fuerent, haec lex ex medietate solvantur. 타인의동거인한테서살해당했던사람이로마인이나반자유인이었다면본벌금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LXXI. De homicidio a contubernio facto. 동거인들한테서당했던殺害에대 하여 - 259 -
제1항 Si quis in convivio, ubiqumque dui vel tres aut amplius fuerint et unus ex ipsis fuerit interfectus, mallobergo seolantis thadio, hoc est illi qui remanent aut uno convicto dare debent aut toti mortem illius conponant. Qui lex usque ad septem fuerint in convivio observantur. 어떤사람이두세명이나더많은연회동참자와같이있으면서살해를당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eolantis thadio라고함 ) 타인들이죄인을지적하거나殺害罪에대한책임을지면된다. 이법은책임자 7명까지만포함하고있다. 제2항. Si vero in convivio illo plus quam septem fuerint, non omnis teneantur obnoxius, si duobus fuerint, ille secundum legem conponant. 이연회의동참자가 7명이상있었다해도 7명만범죄에책임을지면된다. 2명만있었다면법대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vero foris casa vel iter agens sive in agro a contubemio fuerit interfectus et tres vel amplius habuerit piagas, mallobergo drochlidio, hoc est ut tres de eo contubernio, qui adprobati fuerint, singuli mortem illius conponant; tres adhuc, si fuerint de ipso contubemio, XV solidus conponant. 어떤사람이집을나가거나여행이나농사를하는중에동행인한테서살해를당하였다면, 게다가책임자가 3명이상있었던사실이확인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drochlidio라고함 ), 동거인중에서책임자셋이각각 1명씩마땅한人命金을갚아주면된다. 3명을제외한다른동거인들 3명이있었다면한명씩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받으면된다. LXXII. De homine in [h]oste occiso. 戰役者殺害罪에대하여 Si quis hominem ingenuum, qui lege Salica 인ivit, dum in oste est, occiserit, (VI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살리카법하에있는戰役자유인을살해하였다면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III. De conposicione homicidii. 殺害罪로贖刑할人命金에대하여 Si quis cuiuscumque pater occisus fuerit, medietatem conposicionis filii - 260 -
collegant, et illa alia medietate, qui propinquioris sunt tam de patre quam de matre, dividant; quod si de una parte, seu paterna seu materna, nullus parens fuerit, illa porcione fiscus adquirat. 어떤사람이타인의부친을살해하였다면갚아야할人命金의반액을자손들이받으면되며, 나머지반액을부계및모계친족들이나누어받으면된다. 부계나모계친족들이없다면이人命金의부분을王의國庫로보내면된다. LXXIV. De homine ab inimicis truncato et postea interfectum. 원수로부터 고문을받았던자를살인한죄에대하여 Si quis hominem ingenuum sine manus et sine pedis, quem inimici sui in via truncatum relinquent, occisserit, mallobergo vuasbucho,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원수로부터四肢가잘려길거리에내버려두었던자유인을살인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uasbuch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V. De homine de bargo vel de furca demisso. 나뭇가지나교수대에서 시체를내리는것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inem de bargo vel de furca abattere presumpserit sine uoluntate iudicis, mallobergo sabancheo, (MD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L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參事官의허락없이나뭇가지나교수대에서교수형을당했던죄인의시체를내렸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sabancheo라고함 ) 데나리우스 18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caput de homine, quem suus inimicus in palo misisset, aliquis eum exinde sine permisso iudicis aut illius, qui eum ibidem misit, tollere presumpserit, mallobergo banchal,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參事官이나복수했던집행자의허용없이원수로부터周牢로찔러넣은타인의머리를내려놓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banchal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VI. De basilica incenduta. 바실리카성당방화에대하여 - 261 -
Si quis basilica incenderit, mallobergo alatrudva, (VI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바실리카를방화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alatrudva라고함 ) 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VII. De expoliata ecclesia (Si quis basilica expoliat) 성당强奪罪에대 하여 Si quis basilica expoliaverit, mallobergo chrotarsino,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어떤사람이바실리카를강탈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chrotarsino 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VIII. De presbiteris vel diaconis interfectus. 장로신부나副祭의살인죄 에대하여 제1항 Si quis presbiterum interficerit, mallobergo theorzine,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장로신부를살해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rzine라고함 ) 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diaconum interficerit, mallobergo theorgiae, (X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副祭를살해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theorgiae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IX. De reipusse. 레이푸스 [ 남편이죽은과부와혼인하기위하여夫系친 족에게지불해야할것 ] 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o moriens et viduam demiserit, qui eam volverit accipere, antequam eam accipiat, tunzinus aut centenarius mallum indicant et in mallo ipso scutum habere debent et tres hominis tres causas demandare debent; et tunc illi, qui viduam accipere debet, tres solidus equi pensantis et dinario, et tres erunt, qui solidus pensare vel probare debeant; et hoc factum, si eis convenerit, accipiat. Si vero istud - 262 -
non fecerit et sic eam acciperit, mallobergo reipus nicholessinus,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돌아가 [ 그의아내는 ] 과부가되었다면, 게다가타인은이과부와혼인하려고하였다면, 결혼식전에는 tunzinus[ 判決賢人 ] 이나 centenarius [ 邑落의元老 ] 가민회를소집하면된다. 이민회에그들이방패를가져오면된다. 그리하여 3명으로부터받았던질문 3개에답하면된다. 그때 [ 과부와 ] 혼인하려고한자는동일한가치로된솔리도스 3개및데나리우스 1개를지불하면한다. 위의 3명이금전의질을보다가승낙을한다면과부와혼인이가능하다. 이철자를밟지않고과부와혼인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reipus nicholessinus라고함 )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5개및금전의반을갚아주면된다. 제2항 Si vero, quod superius diximus, omnia secundum legem impleverit, tres solidus et dinario ille, cui reipe debentur, accipiat. 과부와혼인하려고한자가법률상의절차를밟아솔리도스 3개및데나리우스 1개를지불하였다면적당한사람이이값을받으면된다. 제 3 항 Si nepus, sororis filius, fuerit senior, ipse accipiat. 이적당한사람에대해서는생질은, 자매의아들은, 나이가가장많다면그사 람이이값을받는다. 제 4 항 Si nepus non fuerit, neptis filius senior ille accipiat. 생질이없었다면조카딸의장남이이값을받으면된다. 제 5 항 Si vero neptis filius non fuerit, consubrine filius, qui ex materno genere venit, ipse accipiat. 조카딸의장남도없었다면이모의장남이이값을받으면된다. 제 6 항 Si vero consubrine filius non fuerit, tunc avunculus, frater matris, reipus accipiat, 이모의장남이없었다면, 모친의형제가레이푸스의값을받으면된다. 제7항 Si vero adhuc nec avunculus fuerit, tunc frater illius, qui eam mullierem habuit, se in hereditatem non venturus est, ipse ipsius reipus accipiat. 모친의형제가없다면과부의돌아가신남편의형제가 - 재산을상속하지않 - 263 -
았다는경우에서만 - 값을받으면된다. 제8항 Si (quis) nec ipse frater fuerit, qui proximior fuerit extra superius nominatus, ipse reipus accipiat. 남편의형제가없었다면이상의친족들을제외한가장가까운친족이값을받으면된다. 제9항 Si nec isti fuerint, in fisco reipi ipse vel causa, quem exinde orta fuerit, collegatur. 이상의친족이없다면대왕의국고가이값이나다른유사한사건과관련된값을징수한다. LXXX. De migrantibus. 遊人에대하여 제1항 Si quis super alterum in villam alienam migrare volverit et se unus vel aliqui de ipsis, qui in villam ipsam consistent, eum suscipere volverint, et se unus exteterit, qui contradicat migrante, ibidem licenciam non habeat permanere. 어떤유인이한邑落에서정착하려고하였다면, 본마을의거주민들이 1명또는더많은거주민들이정착하는것을허용하려고하나, 1명이라도반대하였다면본유인은정착할수가없다. 제2항 Si vero contradictum fuerit et unus vel duorum in villa ipsa et ipse adsedere presumpserit, tunc testare illum debit; et si nolverit exire, ille, qui eum testat, cum testibus ei debit testare, ut iterum in decem noctis exinde exiat; et si adhuc post decem noctis steterit, iterum ad ipsum cum testibus debit venire et ei similiter testare debit, ut iterum inter alias decem noctes exinde debeat exire. (Et) si nolverit, iterum tercium placitum ad decem noctis addat et sic treginta noctes impleantur; et si nec tunc volverit exire, tunc maniat eum ad mallum et tres testis suos, qui in singulis placitus fuerunt, secum habeat pristus; et se ipsi, cui testatum est, non venerit aut nolverit venire, se eum aliqua sunnis non detenverit, et ipsa, que superius diximus, secundum legem Salica testatum est, tunc ipse, cui testavit, super furtuna sua ponat (manum) et roget grafionem, ut accedat in loco et ipsi eum exinde expellat, quia lege nolverit audire. - 264 -
邑落거주민 1명이나 2명이반대하였으나유인이그들의허용없이정착하였다면, 게다가불평이많아도계속해서읍락에서나가는것을싫어하였다면본유인을상대로반대하면된다. 그때는반대하는자가증인앞에서유인이 10 일밤이내에나가도록요구하면된다. 그런데도이유인이이런대응을받고도고집을부려 10일밤이내에나가지않았다면반대하는자가증인을모아유인에게가서또다른 10일밤이내에나가도록요구하면된다. 유인이다시한번요구를무시하여그리하지않았다면반대하는자가세번째의 10일밤이내에이동하도록요구하면된다. 결국 30일밤을지나서도유인이계속나가지않는다면반대하는자는이전에세번증인의역할을한 3명을모아민회에서그유인을제소하면된다. 그때는피고인이민회에중요한이유없이오지않고, 제소자가살리카법대로정착을반대하였다면제소자는자신의모든재산을보증으로이용하여법을어겼다는이유로유인을추방시키기위하여백작을부르면된다. 제3항 Quod si ibidem aliquid laboraverit, amittat et insuper, mallobergo vuidrositelo, (MD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culpabilis iudicetur. 본유인은정착된장소에서자신이勞役으로재산을얻었다면본재산은없어지게되며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 vuidrositelo라고함 ) 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i vero quis admigrauit et ei aliquid infra XII mensis nulli testatus fuerit, ubi admigravit, securus sit et sicut alii vicini maneat. 어떤사람이邑落으로와서정착하며 12개월동안반대하는사람이없었다면다른거주민처럼정착된장소에서안전하게거주할수가있다. LXXXI. De affatumire. 불규칙적인상속절차에대하여제1항 Hoc convenit observare, ut tunzinus aut centenarius mallum indicant et scutum in ipso mallo habere debent et postea tres hominis tres causas demandare debeant; postea requirant homine, qui ei non perteniat, et fistucam in lesum suum iactit et ipse, in cuius lesum fistucam iactaverit, dictum verbum, quantum de furtuna sua ei volverit dare, sicut a furtuna alicui volverit dare. Postea ipse in casa ipsius manere debit et tres hospites ibidem suscipere debit et de tota facultate sua, quantum ei datur, in potestate sua habere debit; et postea ipsi, cui istum creditum est, ista omnia cum testibus collectis agere debit. (Et) postea aut ante rege aut in mallo legitimo illi, cui furtunam suam - 265 -
depotavit, ei reddere debit. Accipiat fistucam in mallo ipso, ante XII mensis ipsi, quos heredis depotavit, in lesum suum iactit et nec minus nec maius nisi quantum ei creditum est. 어떤사람이상속하기를원하지않았다면判決賢人이나邑落의元老는민회를소집할때방패를가져오는규칙을반드시지키면된다. 게다가 3명의사람에게의문을물어보면된다. 그리하여본민회의지배를받지않는相續財産의所有者를부르며나뭇가지를相續人의가마니에넣게하며, 이가마니의주인에게자신의재산으로부터얼마정도주고싶어한다고말하게한다. 이후에는이사람을재산의주인의집에서거주하게하여손님 3명을초대하면된다. 받은相續財産전부를그들에게보여주면된다. 이러한절차를증인의눈앞에서밟는다. 게다가대왕앞에서나법적민회에서는이相續人이받았던재산을원래주인에게갚아주면된다. 본민회에서는받았던나뭇가지를가져오면된다. 그리하여 12개월이내에새롭게선택했던상속인의방향으로이를던지면된다. 이재산에아무것도추가하거나아무것을減하면안되며이전에받았던상속재산과동일하면된다. 제2항 Et si contra hoc aliquid dicere volverit, debent tres testes iurati dicere, quod ibi fuissent illo, quem centenarius vel tunzinus indixerunt, quomodo vidissent hominem illum, qui furtuna sua dare voluit, in lesum, quem elegit, fistuca iactare; et denomerare debent, qui furtunam suam in lesum iactavit; et sic ille, cuius lesum iactatus, et illum, quem heredis appellant, similiter nominant; et alteri tres testes iurati dicere debent, quod in casa ipsius, qui furtunam suam donavit, ille, in cuius lesum fistucam iactavit, ibidem mansissent et tres hospites aut amplius collegissent et pavissent eum et ibidem gracias egissent eum et in beodo suo pultes manducassent et testes collegissent; (et) illi alie tres testes ista omnia iurati dicere debent, et quod in mallum vel ante rege illi, qui accipit, in lesum furtunam ipse aut ante regem aut in mallum publicum legitimo, hoc est antheoda et tunzinio, furtunam suam, quem heredem apellavit, publice coram bonis hominibus fistucam in lesum ipsius iactasset, et hoc novem testis ista omnia debent adfirmare. 그렇지만누군가가이사건의결과에반대하였다면증인 3명은다음과같이선서하면된다. 判決賢人및邑落의元老가주인이지적했던상속인의방향으로나뭇가지를던지게했던상속재산의원래소유자를보았으며, 이나뭇가지를만졌던상속인이라고부르는자도보았다고민회에서말한다. 게다가또다른증인 3명은상속재산의주인의집에서나뭇가지를만졌던상속인이거주하 - 266 -
다가감사한마음으로자기집의식탁에앉아수프를먹었던손님 3명과더많은사람들을이집으로부르게되었다는것을선서하면된다. 또다른증인 3 명은정당한법적민회에서 ( 즉酋長이나判決賢人의눈앞에서 ) 또는대왕앞에서상속재산을받았던자가많은올바른사람에게받았던나뭇가지를다시한번던져새로운재산의상속인으로마음씨고운사람을선택하였다는것을선서하면된다. 이사실은모두합하여증인 9명의선서를통하여증명되어야한다. LXXXII. De filtorto. 죄인을지적하는것에대하여 제1항 Si quis, qui lege Salica vivit, servum aut ancillam, caballum vel bovem vel quemlibet rem super alterum agnoverit, mittat eum in tercia mano; et ille, super quem agnuscitur, in noctes XL placitum faciant; et in ipso placito, quanti fuerint, qui rem vindederunt vel camiaverunt aut furasse hominis cummoneantur, hoc est ut unusquisque de neguciantibus suis alter alterius conmoneant; et si conmonitus fuerit et eum sunnis non detenverit et ad placitum venire distullerit, illi, qui eum neguciauit, mittat tres testes, quomodo ei nunciasset, ut ad placitum venire debuisset, et alterus tres testes, quod publice aput eum neguciasset; istud se fecerit, exivit se de latrocinio; et illi, qui non venerit, ille erit latro illius, qui res suas agnuscit, et precium reddat illius, qui eum eo neguciavit, et ad illum secundum legem conponat, qui res suas agnuscit (et pre(c)ium reddat); ista omnia facere debit in illo mallo, ubi ipse amallus esse dinuscitur, super quem res illa agnita fuerit aut interciata. 어떤살리카법하에있는사람의노예나婢는자신의주인이잃었던소나말, 다른재물을다른사람이데려가는모습을보았다면贓物을이들과무관한사람에게임시로드려야된다. 게다가이주인및피고인이 40일밤후에贓物을매매하거나교역하거나절도하였다는모든사람을찾아적당한날에출정시키면된다. 그리하여불려온자들은자신이누구한테서贓物을얻었는지이사람들이아무리많더라도그들을지적하면된다. 게다가이사람들을제소하여민회에중요한이유없이출정치않은사람의장물에대한계약자가증인 3명을부르면된다. 이증인들이贓物을얻었던계약이나방법을확인함으로써계약자가결백하다는것을증명한다. 그리하여민회에결석하였다는자는절도죄인으로서자신의재물을알아본주인에게마땅한贖罪金을갚아주면되며, 증인 3명을불러제소를받았던계약자에게장물값으로속형을하면된다. 이절차는소송중인양측의사람들및贓物의임시이용자가참여하는하나의민 - 267 -
회안에서완료하면된다. 제2항 Quod si trans Ligere aut Carbonaria manent, illi, cum qui res agnuscitur, in noctes LXXX lex ista costodiatur. 제소자는 / 고소인은르와르강 [ 北 ] 邊이나아든산맥동부지역에서거주하였다면장물의주인은본법률상의절차를 80일밤이내에밟으면된다. LXXXIII. De falso testimonio. 허위증거에대하여 제1항 Si quis falsum testimonium prebveri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허위증거나선서를하였다면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aliquis alicui iure inpotaverit, quod periurasset, et non potuerit adprobare, qui inpotavi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가누군가의민회에서허위선서를한것을증명할수없이고발하였다면본告發人은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XIV. Si (quis) alicui fuerit inpotatum, quod periurasset. 허위선서하는자를고발했다면 어떤사람이 제1항. Si (quis) alicui fuerit inpotatum, quod periurasset, et hoc qui inpotat potuerit adprobare, qui periuravi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허위선서하였다는것을증명할수있다고고발했다면허위선서한자가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alicui fuerit inpotatum, quod periurasset, et hoc qui inpotat potuerit adprobare, iuratoris sui quinus solidus condempnen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허위선서죄로증명할수있다고고발했다면이죄인의宣誓補助者들이동일한贖罪金을갚아주면된다. - 268 -
제3항. Ipsi vero, cui adprobatum fuerit, excepto capitale et dilatura aut que causa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증명이있는허위선서죄로고발된被告發人은장물값, 지각벌금및사건에준한贖罪金에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LXXXV. De testibus, qui necessaria habuerit dare. 필수적인증인을세우는 것에대하여 제1항 Si quis testes necesse habuerit, ut donit, et fortasse ipsi testis nolverint ad placitum venire, illi, qui eus necessario habet, mannire illus debit cum testibus ut eum, quod viderunt, testimonium prebeant. 어떤사람이증인을필수로하였으나이증인들이민회에참여하기를원하지않았다면필요로하였던사람이기타증인의눈앞에서많은사람들이사건에대한사실을들을수있도록이들을민회로소환하면된다. 제2항 Si vero nolverint et eos sunnis non detenveri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unusquisque illorum. 소환된증인들이민회에중요한이유없이출정치않았다면이들각각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presentis fuerint in testimonio vocati, iuraverint ea, que viderunt et audierunt, testimonium preberent, ferbanniti fuerint,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이증인들이사건에대해보거나들었던것을선고하기위하여민회에출정하였다가선서를하지않았다면이런사람은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LXXXVI. De fides factas. 負債와관련된선서에대하여 제1항 Si quis ingenuos aut litus alteri fidem fecerit, tunc illi, cuius fides facta est, in XL noctes, aut quomodo placitum fecerit, cum testibus venire debit vel qui precium adpreciare debeant, et si nolverit fidem facta solvere,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자유인이나반자유인이타인으로부터負債를받아갚아줄것을선서하였다면被宣誓者가 40일밤이지나거나다른미리선택된마땅한시간에증인이나負債를헤아릴수있는타인들과함께오면된다. 그러나채무자가負債 - 269 -
를갚길원하지않았다면데나리우스 6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 개로속형을 하면된다. 제2항 Si adhuc nolverit cumponere debitum, debit eum admallare et nestigante huius rei mallare: Rogo te, tunzino, ut nestigante gassacionem meo illum, qui mihi fidem fecit, legitimum mihi debitum debet et nominare debit, que debitum vel unde fidem fecit. Tunc tunzinus dicere debit: estigante ego gassacium tuum illum in hoc mallo, quod Salica lex habet. Et tunc ipse, cuius est fides facta, debit testare, ut nulli alteri nec solvat nec pignus solucionis donit, ante quod ei impleat, quod fidem fecit; et sic festinanter ad domum illius, qui ei fidem fecit, cum testibus ambulare debit et roget ibi debitum suum solvere. (Et) si hoc nolverit, solem ei culcet; et si ei solem culcaverit, (CXX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III super debitum (adhuc) addat; et sic usque ad tres vices per tres manitus facere debit. Et super ista omnia facta, si nolverit adhuc conponere, usque ad solidus ix debitus ascendat. Istud per singulus dies, quod ei sol culcavit, terni solidi de die ad die crescant. 贖罪金도갚길원하지않았다면제소를제기하면된다. 제소자는말하길 : 判決賢人이오! 負債를받아갚아줄것을선서하였던當事者에게법률상의負債를갚도록해주시오. 게다가이負債가어느정도인지어떤경우에선서를얻었는지알려주면됩니다. 判決賢人은말씀하시길 : 이민회에서當事者가살리카법의규칙에준하여負債를갚도록한다. 게다가被宣誓者는이負債를받을때까지타인에게贖罪金이나擔保를드리지아니할것이라고선고하면된다. 그리하여증인들과함께빌렸던재산을돌려주러선서자의집으로가면된다. 그렇지만죄인이負債를못갚으면적당한날을선택하여負債에데나리우스 12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3개를추가하면된다. 이절차를 3번날을선택해 3회거쳐도된다. 계속해서負債를돌려줄수없다면선서자에게추가했던贖罪金으로써솔리도스 9개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이날부터負債의전액에하루솔리도스 3개를추가하면된다. 제3항 Si nec si fides facta ad placitum legitimum solvere volverit, tunc ille, cuius fides facta est, ambulet ad grafionem illius loci, in cuius pago manet, et prendat fistucam et dicat verbum: Tu, grafio, rogo tibi, homo ille, qui mihi fidem fecit, quem legitimum habeo adiectiuum et admallatum, in quo lex Salica continet, et ego super me et super furtuna mea pono, quod securus mitto super furtunam suam manum"; et dicat - 270 -
causam aut de quantum ei fidem fecit. Tunc grafio colligat secum septem racemburgiis idonius et sic cum eos ambulet ad causam illius, qui fidem fecit, et roget illum, si presens est, qui fidem fecit, et dicat ei: Voluntatem tuam solve homine illo, quod ei fidem fecisti, et elige tecum duos, quos volveris, idoneus cum racemburgi(i)s istus, de quod solvere debis, quod adpreciare debeant, et hoc, quod debis, secundum iustum precium satisfacias. Quod si audire nolverit, presens aut absens, tunc racemburgiae adpreciatum precium, quantum valverit debite, quem debit, (et) hoc de furtunam illius tollant; et ipsa lege, quantum debet, duas partes illius, cuius causa est, ad se revocet, tercia parte grafio ad se recolligat. Si tamen si fredus iam antea de hac causa non fuerit solutus. 그렇지만죄인이마땅한시간에負債를갚길원하지않았다면피선서자는손에나뭇가지를잡으면서거주하고있는취락의伯爵께가서말하길 : 폐하! 저자신및저의재산을두고부탁드립니다. 저에게선서하였다는살리카법률상의본피제소인의재산을몰수해주십시오. 게다가본사건을소개하며宣誓者에게어느정도신뢰하였는지알려드리면된다. 그때伯爵은 racemburgii 7명과함께선서자의집으로가집에있느냐고물어보면된다. 그리하여말씀하시길 : 이사람에게선서하였던負債를갚아주기를원한다. 여기계신 racemburgii 중에서 2명을지명하여負債및贖罪金을다시한번같이헤아리도록하라. 이죄인이집에있거나없거나상관없이伯爵의말씀을듣기싫어하더라도 racemburgii는갚아야할負債를헤아리며그의재산으로부터몰수하면된다. 게다가모든贖罪金을합쳐 2부분으로나누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이미리지불되지않은경우에전액의삼분의일은伯爵께남겨두며제소인은贖罪金의삼분의이에해당하는몫을갚아주면된다. 제4항 Si grafio invitatus fuerit et ibidem non venerit, si eum sunnis non detenverit aut certa racio dominica, et se distullerit, ut ibidem non ambulet neque alium transmiserit, de vita sua grafio conponat aut se redemat, quantum valet. 이伯爵이대왕께해야할어떤중요한의무가없고, 제소인을도와주어야할의무가있었음에도죄인의집에직접가지도않았거나대표자도보내지않고, 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을하지않았다면사형을당하면된다. LXXXVII. De eo qui grafionem ad res alienas iniusti inuitaverit. 伯爵께서 타인의재산을불법으로몰수하도록하였다는자에대하여 제 1 항 Si quis grafionem ad res alienas iniuste tollendas invitaverit, - 271 -
antequam gassacionem suum per lege habeat mallatum, ille qui eum rogat, ut iniuste tollat, antequam legitime admallatus fuerit aut fides ei facta fuerit, et iniuste invitaverit, (vmi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 culpabilis iudicetur, ille qui grafionem rogat iniuste aliquid confiseare. 어떤사람이伯爵으로하여금타인의재산을불법으로몰수하도록하였다면, 즉債務者를법률상으로제소하기전또는負債를갚는다는선서가없는경우에피해자의재산을몰수하도록공작을불러負債를불법으로요구하였다면데나리우스 8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grafio inuitatus supra legem aut debitum iustum aliquid amplius tollere presumpserit, aut se redemat aut de vita conponat. 불렀던공작이負債및贖罪金의전액보다더욱많은재산을몰수하였다면, 人命金으로속형을하지않을경우사형을당하면된다. LXXXVIII. De rem prestata. 借用物에대하여 Si quis alteri de rebus suis aliquid prestaverit et ei nolverit reddere, sie eum debit mallare, ut cum testis ad casa sua, cui res prestavit, accedat et sic contestatur: Quia res meas noluisti reddere, quas tibi prestavi, in hoc eas tene, ut super nocte proxima, sicut lex Salica est; et sic ei solem culcaverit; et si tunc eas nolverit reddere, ad alias septem noctis adhuc cum testibus venire debit et roget eum, ut debitum suum reddat; et si nec tunc redderit, iterum ei solem euleit; quod super tres vices solem ei culcaverit, semper per singulas vices terni solidi adcrescant; et si tunc nolverit reddere nec fidem facere, super debitum, quem ei prestiterat, et super illus novem solidus, qui per tres admoniciones adereverunt, mallobergo nectanto,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가지고있는재산중에서어떤재물을타인에게빌려주었다가돌려받을수없었다면피고인을제소하면된다. 즉, 증인과함께피고인의집으로가서말하길, 살리카법에준하여나한테서빌렸던재물을갚아주려고하지않았으므로夜間하루는본재물을이용해도된다. 그리고재물을갚아줄晝間을선택하면된다. 그리하여재물을계속해서돌려주지못하였다면 7일밤을지나증인과함께피고인의집에다시가서재물을갚아주도록하면된다. 그때도재물을돌려받을수가없었다면갚아줄晝間을두번째선택하면된다. 게다가 3번째晝間을선택하게되었다면본晝間부터하루마다솔리도스 3개를 - 272 -
贖罪金에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그리하여재물을계속해서못받고피고인이갚을것이라고선서도하지않았다면, 장물값및 3번의晝間선택을무시하였으므로속형해야할솔리도스 9개에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는 nactanto라고함 ) 데나리우스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LXXXIX. De mano de inio redemenda. 熱鋤神判으로부터자신의손을구하는것에대하여제1항 Si quis ad inio mallatus fuerit, forsitan convenerit, ille qui mallatus est, ut manum suam redemat et iuratores donet. 어떤사람이증거절차에서신판을당해야하였다면자신의손을救하기위해宣誓補助者와함께했던결백선서를통하여무죄를증명할수있다. 제2항 Si talis causa est, unde legitimi solidus XV conponere debeat, solidis III manum suam redemat; quod si amplius dederit, fredo solvat, tamquam se de causa convictus fuisset. 법률상가상의유죄로는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해야할사건에서신판으로결백하였다면솔리도스 3개로손을救할수있다. 가언적인贖罪金으로써더많이지불해야하지만贖罪金이솔리도스 35개를넘지않으면이죄로인해지불해야할값에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의전액을추가하면된다. 제3항 Si vero maior causa est, unde XXXV solidus solvat, et convenerit, ut manum suam redemat, solidus VI donet; quod si amplius dederit, fredo solvat, quantum se de causa illa convictus fuisset. 솔리도스 35개의贖罪金이된중대사건으로신판을통하여결백하였다면자신의손을솔리도스 6개로救할수있다. 가언적인贖罪金으로써더욱많이지불해야하였다면이죄로인해지불해야할값에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의전액을추가하면된다. 제4항 Si vero leodo alteri repotavit et ad inio illum habet mallatum et volverit manum suam redemere et iuratores dare, solidus XXX donet; quod si amplius dederit, fredus de ipsa lege conponat. 人命金을갚아주어야할중대사건으로신판을통하여결백하였다면자신의손을솔리도스 30개로救할수있다. 이런경우에서宣誓補助者들과같이선서하면된다. 가언적인贖罪金으로써人命金보다더욱많이속형을해야하였다면이상의값에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의전액을가하면된다. - 273 -
XC. De eo qui grafionem occiserit. 伯爵을살해한자에대하여제1항 Si quis grafionem occiserit,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백작을살해하였다면데나리우스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quis sagsbaronem aut grafionem, qui puer regi fuerit, (XII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C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남작이나대왕의侍童인伯爵을살해하였다면데나리우스 12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quis sagsbaronem, qui ingenuos est, (et) alio sagsbaronem posuit, aliquis eum occiserit, (XX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D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이남작이될수있도록자유인인남작을살해하였다면 2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4항 Sagsbaronis in singulis mallis plus quam tres esse non debent; et si de causa aliqua ante illus (aliquid) factum fuerit, penitus grafionem removere non posset. 한민회에는남작 3명이상이참여하면안된다. 그리하여이男爵앞에서어떤사건이판결되었다면伯爵에게上告하면안된다. XCI De eo qui ad mallum venire contempserit. 민회고소 / 제소를태만히하 는자에대하여 제1항 Si quis ad mallum venire contempserit, aut ei racemburgiae iudicatum fuerit, adimplere distullerit, si nec de conposicione nec de neo nec de ulla lege facere voluerit, tunc ad reges presencia eum mannire debet, ut ibi XII testes erunt, qui per singulas vices iurati tres dicant, quod ibi fuerunt, ubi racemburgiae iudicaverunt, aut de neum ambulaverit aut fidem de conposicionem fecerit, et ille dispexerit. Iterum alii tres iurare debent, quod ibi fuissent post illa die, quando racemburgiae iudicaverunt, aut per neum aut per conposicionem se ducerit, hoc est de illa die in XL noctes in mallobergo iterum ei solem culcaverit et - 274 -
nullatenus voluit legem adimplere; tunc eum debit mannire ante regem, hoc est in noctis XIV, et trea testimonia iurent, quod eum manissent. Et si nec tunc venerit, ista nove testimonia iuratis, sicut superius diximus dicant similiter. Illa die, se non venerit, culcit ei solem, illa trea testimonia, quomodo culcavit solem. Tunc se ista omnia impleverit, qui eum mallat, et ille, qui admallatur, ad nullum placitum venerit et per lege se ducere noluerit, tunc rex, ad quem manitus est, extra sermonem suum ponat eum. 어떤사람이고소 / 제소를무시하여민회에출정치않았거나 racemburgii의판결을棄却하였거나법률상의贖罪金이나신판, 다른판결에대하여선서하기를원하지않는다면증인 12명과함께대왕앞으로출정명령을받는다. 이증인중 3명은 racimburgii들이피고인에게신판이나贖罪金과관련된판결에대한선서를시켰음에도무시당하였다고민회에참여하여선서하면된다. 그리고다른증인 3명은 racimburgii들이 40번의夜間이내에선택된晝間에신판이나贖罪金으로결백을시켰으나다시한번무시당하였다고민회에참여하여선서하면된다. 게다가또다른증인 3명은피고인이적당한판결을무시하여 14번의夜間이내에대왕앞으로출정명령을받아고소 / 제소당하였다는것을선서하면된다. 그렇지만當事者가계속해서고소 / 제소를태만히하였다면이상의증인 9명은모든선서를다시한번하면된다. 그리하여나머지증인 3명은마지막으로선택된晝間으로부터새로운晝間을선택하여피고인을고소 / 제소하였음을선서하면된다. 고소 / 제소인이본절차를다밟았음에도피고소 / 제소인이모든적당한晝間을무시하고결백하기를바라지않는다면본대왕은자신의법적지배하에서이를배타시키면된다. 제2항 Tunc (eum) ipse culpabilis et omnes res suas erunt. Et quicumque eum aut paverit aut (ad) ospitalem collegerit, etiam se uxor sua, propterea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donec omnia, que ei legibus inpotantur, conponat. 그렇게되면이사람은추방되며그의재산은몰수된다. 그리고어떤타인이나그의妻가죄인에게식사를주었거나집으로초대하였다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하여죄인은법률상으로주어진모든의무를완수할때까지그렇게살아야한다. XCII..De racemburgiis. Racemburgii 들에대하여 제 1 항 Si racemburgiae legem nolverint dicere in mallo resedentes, eum - 275 -
causas inter duus discusserint, debit eis dicere, qui causam querit: Dic nobis legem Salica. Si illi nolverint dicere, tunc iterum ipse debit dicere:,ego uos rogo, ut mihi et isto gassacionem quo (mihi) legem dicatis; bis aut tres hoc debit dicere; tunc illi, qui aurem repetit, debit dicere: Ego uos tancono, usque quo mihi legem dicatis Salica. Quod si dicere nolverint, septem de illis racemburgiis culcati sole ternus solidu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고소 / 제소를무시하여민회에출정치않았거나 racemburgii의판결을棄却하였거나법률상의贖罪金이나신판, 다른판결에대하여선서하기를원하지않는다면증인 12명과함께대왕앞으로출정명령을받는다. 이증인중 3명은 racimburgii들이피고인에게신판이나贖罪金과관련된판결에대한선서를시켰음에도무시당하였다고민회에참여하여선서하면된다. 그리고다른증인 3명은 racimburgii들이 40번의夜間이내에선택된晝間에신판이나贖罪金으로결백을시켰으나다시한번무시당하였다고민회에참여하여선서하면된다. 게다가또다른증인 3명은피고인이적당한판결을무시하여 14번의夜間이내에대왕앞으로출정명령을받아고소 / 제소당하였다는것을선서하면된다. 그렇지만當事者가계속해서소송을태만히하였다면이상의증인 9명은모든선서를다시한번하면된다. 그리하여나머지증인 3명은마지막으로선택된晝間으로부터새로운晝間을선택하여피고인을고소 / 제소하였음을선서하면된다. 고소 / 제소인이본절차를다밟았음에도피고소 / 제소인이모든적당한晝間을무시하고결백하기를바라지않는다면본대왕은자신의법적지배하에서이를배타시키면된다. 제2항 Tunc (eum) ipse culpabilis et omnes res suas erunt. Et quicumque eum aut paverit aut (ad) ospitalem collegerit, etiam se uxor sua, propterea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donec omnia, que ei legibus inpotantur, conponat. 그렇게되면이사람은추방되며그의재산은몰수된다. 그리고어떤타인이나그의妻가죄인에게식사를주었거나집으로초대하였다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하여죄인은법률상으로주어진모든의무를완수할때까지그렇게살아야한다. XCII..De racemburgiis. Racemburgii들에대하여제1항 Si racemburgiae legem nolverint dicere in mallo resedentes, eum causas inter duus discusserint, debit eis dicere, qui causam querit: Dic nobis legem Salica. Si illi nolverint dicere, tunc iterum ipse debit dicere: - 276 -
,Ego uos rogo, ut mihi et isto gassacionem quo (mihi) legem dicatis; bis aut tres hoc debit dicere; tunc illi, qui aurem repetit, debit dicere: Ego uos tancono, usque quo mihi legem dicatis Salica. Quod si dicere nolverint, septem de illis racemburgiis culcati sole ternus solidus culpabilis iudicetur. 민회에참여하는 racemburgii들이양측의사건을맡아속형을알려주려고하지않았거나법적판결을하려고하지않았다면제소자는말하길 : 살리카법을우리에게알려주시오. racemburgii들이계속해서속형을알려주길원하지않았다면고소 / 제소인이말하길 : 저와當事者에게살리카법을알려주시기를바랍니다. 이말을두세번정도하면된다. 나아가말하길 : 본사건에대한살리카법을알게될때까지主張을굽히지않겠습니다. 그래도계속해서말하지않았다면 racemburgii들중에서 7명은선택된晝間에한명씩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Quod si nec (sic) legem dicere nolverint nec ternus solidus fidem facere, unusquisque XV solidus culpabilis iudicetur. 이晝間을지나가계속해서살리카법을알려주지않았거나솔리도스 3개를지불하지않았다면한명씩솔리도스 15로속형을하면된다. 제3항 Si vero illi racemburgiae legem dixerint, eis contradixerint, quod legem non dicant, contra unumquemque de illis racemburgiis (D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 racemburgii들이살리카법을알려주었음에도불구하고그렇지않았다고허위고발을하였다면 6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CIII. De alodis. 완전사유권에대하여 제1항 Si quis mortuos fuerit et filius non demiserit, si pater aut mater superfuerit, ipsi in hereditatem succedant. 어떤사람이사망하여子가없었다면, 그리고그의부모님은계속살아계셨다면그들이사망자의재산을상속한다. 제 2 항 Si pater aut mater non fuerint, si fratres aut sororis demiserit, ipsi in hereditatem succedant. 부모님이없고사망자의형제자매가있었다면그들이재산을상속한다. - 277 -
제 3 항 Si vero isti non fuerint, tunc sororis matris in hereditatem succedant. 형제자매도없었다면사망자의이모들이상속한다. 제 4 항 Si vero sororis matris non fuerint, sie sororis patris in hereditatem (patris) succedant. 이모도없었다면사망자의고모들이상속한다. 제 5 항 Et postea de illis generacionibus, quicumque proximioris sunt, ipsi in hereditatem succedant, qui ex paterno genere veniunt. 다음에상속할수있는자들이父系최근의친족이다. 제6항 De terra vero Salica nulla in mulliere hereditatis transeat porcio, sed ad virili sexus tota terra proprietatis sue possedeant. 살리카법에준하여여성들이영토를상속을하면안된다. 모든영토는친족의남자가소유할수있도록상속된다. XCIV. De eo qui se de parentilla tollere vult. 씨족으로부터떠나기를원하는자에대하여제1항 Si quis de parentibus tollere voluerit, in mallo ante tunzino ambulare debit et ibidem quattuor fustis alninus super caput suum frangere debit et illus in quattuor partis iactare debitet ibi dicere debit, quod se de iuramento et de hereditatem et de tota racionem illorum aut, si aliquis de suis parentibus aut moriatur aut occidatur, nulla ad illum nec hereditas nec conposicio perteniat. 어떤사람이씨족으로부터떠나기를원하였다면민회로나와서判決賢人앞에서자신의머리위에오리나무가지 4자루를쪼개며네방향으로던지면된다. 그리하여宣誓補助權이든지세습권이든지다른씨족과관련된권리를끊어버리고, 어떤친척이사망이나살해된후의상속재산도人命金의마땅한몫도안받을것을인정한다고선언하면된다. 제2항 Si vero ille aut occidatur (aut moriatur), conposicio aut hereditas ad fisco perveniat. 그리하여이신청자는자신이사망하였거나살해를당하였다면그의재산은대왕의國庫가상속한다. - 278 -
XCV. De aroena. 다른손으로부터재물을略取한罪에대하여제1항 Si quis de manu ad ira aliquid per virtutem tullerit aut rapuerit vel expoliaverit, ((M)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 e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손으로부터재물을略取하였거나빼앗았거나절도하였다면데나리우스 12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제2항 Si vero quicumque desuper hominem aliquid in tercia manu miserit et per virtutem aliquid ei tullerit, mallobergo aroena, (MCCCC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xxxv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에게제3자 [ 手 ] 를통하여재물을주고나서다시略取하였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는 aroena라고함 ) 데나리우스 14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35개로속형을하면된다. XCVI. De Hereburgio. 魔術師에대하여 Si quis alterum hereburgio clamaverit, hoc est strioporcio aut illum, qui inio portare dicitur, ubi strias cocinant, et probare volverit et non potuerit,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을魔術師라고불렀다면 ( 즉마술을할수있거나마녀들이국을끓이는솥을가지고다니는자 ) 게다가유죄를원했으나증명을하지못하였다면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XCVII. De eo qui filia aliena sponsaverit et se retraxerit. 타인의딸과약 혼했다가이약혼을파기하는짓에대하여 Si quis filiam alienam spunsaverit et se retraxerit et eam nolverit prendere, mallobergo frifastina,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딸과약혼하였다가약혼을파기하고결혼하기를원하지않게되었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는 frifastina라고함 ) 데나리우스 2500 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XCVIII. De eo qui alterum in pucium aut in pellagum inpinxerit. 우물이나 깊은바다물에타인을밀어빠지게한자에대하여 - 279 -
Si quis hominem in pucium aut in pelago inpinxerit vel in periculum mortis, et ipse exinde vivus evaserit et ipse causam suam possit mallare, mallobergo challis obduplio, (IVM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C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을우물이나깊은물에밀어빠지게하였거나다른사망의위험에빠뜨렸다면그리하여피해자가죄인을제소할수있게살아남았다면 ( 이것은민회의표현으로는 challis obduplio라고함 ) 데나리우스 40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XCIX. De terra condemnata. 토지를詛呪한罪에대하여 Si quis terram alienam condempnaverit et ei fuerit adprobatum, (MMD dinarius qui faciunt) solidus LXII semis culpabilis iudicetur. 어떤사람이타인의토지를詛呪하였고게다가유죄가증명되었다면데나리우스 2500개에상당한솔리도스 62개및금전의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C. De chrenecruta, qui a paganorum teporae observabunt. 이교시대에서의 흙덩이를던지는관습에대하여 제1항 Si quis hominem occiserit et facultatem non habuerit, unde totam legem conponat, XII iuratoris donet, quod nec super terra nec subtus terra amplius non habeat, nisi quantum donavit de terra facultate. 어떤사람이타인을살해했지만人命金을갚아줄수없을정도로재산이없었다면동급의宣誓補助者 12명을부르며속형을하였던토지를제외하고땅위나지하에아무재산도소유하고있지않다는것을선서하면된다. 제2항 Et postea debit in casa intrare et per quattuor angulus terre in pugno collegere et sic portit in duropelle, hoc est in limitare stare debet, intus (in) casa aspiciat et sic de sinistra manu de illa terra trans suas scapulas iactare super illum, quem proximiorem parentum habet; quod si iam pro illo pater aut mater vel fratris (non) solverint, tunc super sororis matris aut super suus filius debit illa terra iactare, id est super generacionem aut matris, qui proximioris sunt. 게다가자신의집에들어와서 4구석에서파온흙한줌씩을모아입구쪽에가서, 문지방에서있으며집안쪽으로살펴보면서자신이생각하였던가까운친척들방향으로왼손으로어깨너머로흙덩이를던지면된다. 그리하여이사람 - 280 -
대신에그의부친이나모친, 형제들이속형을아직하지않았다면, 이모나이모 의아들, 모계의다른가까운남성친척들의방향으로흙덩이를던지면된다. 제3항 Sic postea in camisa discinetus, disculcius, palo in mano sepem psallire debit et pro medietatem, quantum de conposicionem dederit aut quantum lex dicat, illi tres solvant, hoc est illi alii, qui de generacione paterna veniunt, facere debent. 게다가이죄인은맨발로끈을매지않았던手織옷만입으며막대기를손에잡고울타리를넘으면된다. 그리하여민회에서贖罪된반액을 3명, 즉父系친척중 3명이갚아주게된다. 제4항 Si vero de illis quicumque pauperior fuerit et non habeat, unde integrum debitum solvat, quicumque de illis plus habet, iterum super illum crene cruda ille, qui pauperior est, iactit, ut illi tota lege persolvat. 이친척중에서가장가난한자는제외시키면된다. 남아있는 2명중에서더욱빈곤한자는더욱많은재산을가지고있는사람의방향으로흙덩이를던지면된다. 그사람이論贖된벌금의몫을마땅히지불하면된다. 제5항 Quod si vero nec ipse habuerit, unde tota lege persolvat, tunc illum, qui homicidium fecit, qui eum sub sua fide habet, in mallo presentare debit, et sic postea per quattuor mallus ad suam fidem tollat; et si eum in conposicionem nullus ad fidem tullerit, hoc est ut eum redemant, de quod non persolserit, tunc de vita conponat. 그렇지만이사람도법이정한벌금으로재산이부족하여속형을못하였다면자신의임시가장권의지배하에있는살해자를민회로데려오도록하면된다. 그리하여민회 4차례가지났음에도불구하고아무도본죄인을자신의가장권지배하에받기를꺼려하였다면 [ 다시말하면갚아주어야할人命金으로 ] 그를救하는것을원하지않았다면죄인이사형을당하면된다. EXPLICIT LEX SALICA. DEO GRACIAS AMEN. 살리카법의끝이다. 천주님께감사드립니다. 아멘. LEX FRANCORUM CHAMAVORUM 하마브프랑크족의법 Notitia vel commemoratio de illa euua, quae se ad Amorem habet - 281 -
아모르강유역 353) 에서의관습법을후세에전하였던문서다. I. In primo capitulo de causis ecclesiae et de illis servis Dei, qui ibidem deserviunt, sic habemus, quomodo et alii Franci habent. 제1항에서성당에관한사건이나봉사하였던천주의신부에대한내용은다른프랑크족의법과동일하다. II.De banno dominico similiter habemus, sicut alii Francii habent. 제 2 항대왕을위한戰役에대하여다른프랑크족과마찬가지로한다. III.Qui hominem Francum occiderit, solidus DC componat. Ad opus dominicum (et) pro fredo solidos CC componat. 제3항어떤사람이귀족인프랑크인을살해하였다면솔리도스 6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대왕의執行費및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200개를갚아주면된다. IV. Qui hominem ingenuum occiderit, solidus CC componat, et exinde in dominico terciam partem componat. 제4항어떤사람이자유인을살해하였다면솔리도스 200개에대왕의몫으로이人命金의삼분의일을추가하여갚아주면된다. V. Quit lidum occiderit, componat C, et exinde in dominico terciam partem. 제5항어떤사람이반자유인을살해하였다면솔리도스 100개에대왕의몫으로이人命金의삼분의일을추가하여갚아주면된다. VI. Quit servum occiderit, solidos L componat. Exinde in dominico, sicut diximus, terciam partem. 제6항어떤사람이노예를살해하였다면솔리도스 100개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대왕의몫으로이贖罪金의삼분의일을추가하여갚아주면된다. VII.Si quis comes in suo comitatu occisus fuerit, in tres weregildos, sicut sua nativitas est, componere faciat. 353) 현대 : Utrecht, Dorestad, Nijmegen 의주변및가설적으로 Hamaland 지역이다. - 282 -
제 7 항어떤사람이자신의취락의伯爵을살해하였다면자신의출신신분에준 한人命金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VIII.Si quis missum dominicum occiderit, quando in missatico directus fuerit, in tres weregildos, sicut sua nativitas est, componere faciat. 제8항어떤사람이대왕께서파견한사신을살해하였다면자신의출신신분에준한人命金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IX.Si quis wargengum occiderit, solidos DC in dominico componat. 제 9 항어떤사람이 wargengus [ 대왕의연회동참자 ] 를살해하였다면대왕께솔 리도스 600 개로속형을하면된다. X.Si quis hominem ingenuum ad servitium requirit, cum XII hominibus de suis proximis parentibus in sanctis iuret, et se ingenuum esse faciat, aut in servitium cadat. 제10항어떤사람이한자유인을자신의노예로하였다면, 본자유인이친척인선서보조자 12명과함께결백선서를하여자유인으로인정을받는다. 선서를못하였다면제소인의노예가된다. XI. Qui per hantradam hominem ingenuum dimittere voluerit, sua manu duodecima ipsum ingenuum dimittere faciat. 제11항어떤사람이 handradam[sohm, 1875: 神聖한선서 ; Eckhardt, 1966: 손의가치를가진선서 ] 를통하여자유인을자신의가장권지배하로부터해방하려고하였다면동급의宣誓補助者와같이 12배의가치를가지는자신의손으로선서해야한다. XII.Qui per cartam aut per hantradam ingenuus est, et se ille foris de eo miserit, tunc ille leodis in dominicum veniat, et suus peculiaris traditum iam dicto domino non fiat. 제12항어떤사람이特許나 hantradam을통하여해방이되었다면게다가옛주인으로부터떠난후다시돌아왔다면자신의재산을본주인에게드리지않아도된다. XIII.Qui per cartam est ingenuus, sic debet in omnia pertinere sicut alii Franci. 제 13 항어떤사람이특허를통하여해방되었다면다른자유프랑크인의의무 - 283 -
및특권과동일하게된다. XIV.Qui de mundeburgio aliquid habuerit, ad illum seniorem, qui eum ingenuum dimisit, sua peculia reverti faciat. 제14항어떤사람이婢의주인으로서그녀에대한가장권으로부터해방시켰다면이解放者는자유인이된옛婢의재산을갚아주면된다. XV.De quali causa quod sacramentum permiserit, et ad placitum non iuraverit, ipsam causam reddere faciat. 제15항어떤사람이선서할때이용할수있는유물을소유하였다면, 그리고민회에서선서하기원하지않는다면본유물을갚아주면된다. XVI.Qui homini alio adframivit per wadium, et ipse homo eum dampnum incurrere dimittit, ille, qui suo wadio adhramivit, de suo omnia componat super noctes VII. Ille, qui precat(ur) adhramire, duplum componere faciat. 제16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 wadium[ 擔保宣誓 ] 하였다면, 그러나선서를어기게되어타인과고소하다가고소를取下하게되었다면宣誓者는모든贖罪金을갚아주면되며선서를시켰던자는이贖罪金의 2배로속형을하면된다. XVII. Si quis hominem Francum sine culpa ligaverit, solidos XII componat, et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17항어떤사람이무죄의귀족인프랑크인을묶었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XVIII.Qui per capillos Francum priserit, solidos XII, et in dominico solidos IV. Et qui ei sanguinem sine culpa effuderit, solidos XII componat, e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18항어떤사람이귀족인프랑크인의頭髮을손으로잡아당겼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또한어떤사람이無罪人을다치게하여下血이나게했다면속형을해야할贖罪金및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이동일하다. XIX.Si quis hominis Franci casam infregerit, solidos XII componat, et in dominico solidos IV. 제19항어떤사람이귀족인프랑크인의집을강탈하였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 - 284 -
를갚아주면된다. XX.Si quis hominis Franci curtem infregerit, solidos VI componat, in dominico solidos IV. Suam manum aut suum pedem aut suum oculum pro quarta parta de sue leode, et in fredo dominico semper de unaquaque re solidos IV. 제20항어떤사람이귀족인프랑크인의궁전을강탈하였다면솔리도스 6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어떤사람이타인의손이나발, 또는안구를다치게했다면죄인의人命金의사분의일로속형하면된다. 그리고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언제나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XXI.De ingenuo homine in emendatione sua solidos VIII, nisi, sicut superius diximus,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21항이상의사건에서피해자가귀족이아니라자유인이었다면죄인이솔리도스 8개로속형을하면된다. 윗 [ 제20항 ] 律文에서만그렇지않다. 그리고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XXII. De lido in emendatione solidos IV,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 22 항피해자가반자유인이었다면죄인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되고 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 개를갚아주면된다. XXIII.De servo in emendatione solidos II,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 23 항피해자가노예였다면죄인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되고대왕께 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 개를갚아주면된다. XXIV.Quidquid involant, IX geldos componere faciat, et de unoquoque latrocinio in dominico fredo solidos IV. 제24항누군가가절도죄를범하였다면贓物값 9배로속형을하면되고절도죄를한번할때마다하였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XXV. Quicquid in casa furaverit, in wirdira solidos VII. De warnione in wirdira solidos VII. De spadato caballo solidos VII. De servo solidos VII. De spata VII. De iumenta solidos IV. De bove solidos II. De vacca solidos II. De porcis et vervecis et animalibus iuvenibus et de capris - 285 -
tertiam partem quantem valet in wirdira. 제25항누군가의집에서강도짓을하였다면 wirdira[ 贓物이없었으므로주인에게損害額을갚아주는지각벌금 ] 로싸솔리도스 7개로속형을하면된다. 種馬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7개, 去勢馬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7개, 노예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7개, 劍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7개, 짐싣는동물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4개, 황소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2개, 소에대한지각벌금은솔리도스 2개, 돼지, 양, 짐승의새끼나염소에대한지각벌금은재물값의삼분의일이된다. XXVI.Quicquid in Amore in alterum furatum habent, in duos geldos componere faciat, in wirdira uncias duas, in fredo solidos IV. 제26항아모르강유역에서는어떤사람이타인에게절도를시켰다면贓物값 2 배로갚아주면된다. 게다가지각벌금으로써온스 2개및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VII. Et quicquid in Mashau furaverit, duos geldos componere faciat, in wirdira uncias duas,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27항 Maas 지역에서는어떤사람이절도죄를범하였다면贓物값 2배로갚아주면된다. 게다가지각벌금으로써온스 2개및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써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VIII. Quicquid in Amore Fresiones iniuste tulerint, per aliud tantum componere faciat, in fredo solidos IV. 제28항아모르강유역에서어떤프리지아인이略取罪를범하였다면贓物값에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IX. Quicquid Saxones contra rectum tulerint, cum alio tantum eum emendare faciat, in fredo solidos IV. 제29항어떤색슨인이불성실하게略取罪를범하였다면贓物값에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XXX.Si quis infra pagum latronem comprehenderit, et ante illum comitem eum non adduxerit aut ante suum centenarium, solidos LX componere faciat. 제30항어떤사람이邑落영역이내에서도둑을잡았다가伯爵이나자신의邑落의元老에게데려오지않았다면솔리도스 60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86 -
XXXI.Si quis latronem viderit cum furtu ambulentem et cognitum non feceri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solvere faciat. 제31항어떤사람이贓物을가져간도둑을보고도알리지않았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I.Si quis in sanctis reliquiis se periuraverit, manum suam perdat, aut eam redimat quarta parte de sua leode in dominico. 제32항어떤사람이聖遺物에손을얹어허위선서하였다면이손을잘라버리면된다. 그렇지만손을구하려고하였다면대왕께자신의人命金의 4분의 1로속형을하면된다. XXXIII.Quicquid contra rectum fecerit, cum solidis IV in fredo dominico componere faciat. 제33항어떤사람이不誠實하게하였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IV.Si quis cum armis bannitus fuerit, et non venerit ibi, solidos IV in fredo dominico componere faciat. 제34항어떤사람이무기를소유하였으면서도戰役을나가지않았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V.Si quis cum caballo bannitus fueri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componere faciat. 제35항어떤사람이말을소유하였으면서도戰役을나가지않았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VI.Si quis wactam aut wardam dimiserit, quando ille comes ei cognitum feceri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componere faciat. 제36항어떤사람이夜警이나警護勤務를태만히하였다가伯爵이그를알아보셨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XXVII.Quisquis audit arma clamare et ibi non veneri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componere faciat. 제37항누군가가무기를맞부딪치는소리를듣고도확인하러현장으로가지않았다면대왕께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 287 -
XXXVIII. Si quis sclusam dimiserit, quando suus comes ei commendat facere, in fredo solidos IV componere faciat. Quando rumpit et eam emendare noluerit, solidos IV in dominico componere faciat. 제38항어떤사람이伯爵께서명령하신水門에서의警備勤務를태만히하였다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본水門이수리할수없을정도파괴되었다면대왕의몫으로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XXXIX.Si quis ad pontem publicam bannitus fuerit et ibi non venerit, solidos IV in fredo componat. 제39항어떤사람이公橋에서戰役하기위한명령을받았음에도가지않았다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Si quis comes ad placitum suum hominem bannit et ibi non venerit, in fredo solidos IV. 제40항어떤사람이伯爵으로부터민회로출정하기를명령받았음에도불구하고출정치않았다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Si quis viam publicam clauserit, in fredo dominico solidos IV. 제 41 항어떤사람이公路를막았다면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XLII.Si quis Francus homo habuerit filios, hereditatem suam de sylva et de terra eis dimittat et de mancipiis et de peculio. De materna hereditate similiter in filiam veniat. 제42항어떤프랑크인에게아들이있었다면그의숲이나영토, 하인들, 다른모든재산이그들한테상속된다. 모친에게상속된재산은딸쪽으로간다. XLIII.De ingenuis hominibus, quomodo aut qualiter ad placitum per bannum debeant venire. Ingenuus, si per comitem aut per missum suum bannitus fuerit infra comitatum de maxima causa, super noctes XIV ad placitum veniat. Si minor causa extiterit, super noctes VII ad placitum veniat. 제43항어떤자유인이이유없이민회의부름을받으면그대로출정하면된다. - 288 -
본자유인이伯爵이나그의대표자한테서중대사건으로출정명령을받았다면 14 일밤후에출정하면된다. 경미한사건으로출정명령을받았다면 7 일밤후 에출정하면된다. XLIV. Si quis de lido suo pro aliqua causa in ratione fuerit inventus, super noctes XIV ipsum lidum ad placitum adducat, si senior suus in ipso comitatu est. Si in alio comitatu est, ipse lidus suum seniorem ad placitum adducat super noctes XXV. Si in tercio comitatu est, super noctes XLII. Si in alio ducato est, super noctes LXXXIV cum suo seniore veniat ad ipsum placitum. 제44항어떤사람이자신의가장권지배하에반자유인이관계가있는어떠한사건으로출정명령을받았다면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가같은 comitatus [ 伯爵의지배하에행정적단위나戰士의집단 ] 에서거주한경우에는이반자유인을 14일밤후에민회로직접데려오면된다. 이민회와다른 comitatus에서거주한경우에는이반자유인이자신의가장권소유자를 25일밤후에민회로데려오면된다. 더욱먼다른 comitatus에서거주하였다면 42일밤후에출정하면된다. 그리고다른公爵지배하의지역에서거주하였다면 84일밤후에민회로출정하면된다. XLV.De raptu. Si quis ingenuus cum lidis raptum fecerit, cum uno wadio et una manu emendare studeat. 제45항유괴죄에대하여. 어떤자유인이자신의반자유인들과함께유괴죄를범하였다면 wadium선서한번및자신의손의가치로속형을하면된다, XLVI.Si quis hominem in mordro occiderit, tunc exeat ad iudicium, aut suus senior per sacramentum eum liberet. 제46항어떤사람이타인을모살하였다면제소를당하여판결을받거나, 이사람의주인 [ 가장권소유자 ] 의결백선서로구하게된다. XLVII.Si cuius puellam sponsatam alius priserit, solidos CC componere faciat, in fredo solidos LX. 제47항어떤사람이타인의婢와결혼하였다면솔리도스 200개로속형을하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60개를갚아주면된다. XLVIII.Si fur de VII latrociniis comprobatus fuerit, exiet ad iudicium. Si ibi incenderit, tradant eum ad mortem. Et posteaquam ad iudicium - 289 -
ambulaverit, si ibi non incenderit, tunc liceat suo seniori wadio suo illum adhrammire et pro emendare ac de morte liberare. 제48항어떤도둑이절도죄를 7번범하였다면신판을당하면된다. 부상이심하였다면사형을당하면된다. 시간이지나서민회로다시출두한다. EXPLICIT. [ 법률이 ] 끝났다. LEX FRISIONUM 프리지아족법 Tit. I De Homicidiis 제1조故殺에대해서 Si nobilis nobilem occiderit LXXX solidos componat; de qua mulcta duae partes ad heredem occisi, tertia ad propinquos eius proximos pertineat. 제1항귀족이귀족을죽였다면솔리도스 80개로贖刑을하며, 그贖罪金의 2/3는사망자의상속인들에게주어야한다는의무가있고贖罪金의 1/3은다른친척들에게주어야한다는의무가있다. Et si negaverit, se illum occidisse, adhibitis secum XI eiusdem conditionis hominibus iuret. 제2항그렇지만 [ 피고인 ] 이유죄를거부하는경우에는동급의사람 11명과함께 [ 무죄라는것 ] 을선서하면된다. Si nobilis liberum occiderit, solidos LIII et unum denarium solvat; et si negaverit, cum VII sacramentalibus iuret. 제3항귀족이자유인을죽였다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하나로속형하며, [ 피고인이유죄를 ] 거부하는경우에는동급의宣誓補助者 7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Inter Laubachi et Wisaram cum V, et cis Fli similiter. Lauwers 강및 Weser 강의중간지역과 Vlie 강東邊에서 [ 동급의사람 ] 5 명과 함께선서하면 [ 충분 ] 하다. - 290 -
Si nobilis litum occiderit, XXVII solidos uno denario minus componat domino suo, et propinquis occisi solidos IX excepta tertia parte unius denarii; et si negaverit, cum tribus iuratoribus se excuset. 제4항귀족이반자유인을죽였다면반자유인의주인에게데나리우스 1개를감해솔리도스 27개로속형하며, 반자유인의친척에게데나리우스의삼분의일을감해솔리도스 9 개로속형한다. 그리고거부한다면동급의宣誓補助者 3명과함께선서하여贖罪金을면제할수있다. Inter Laubachi et Wisaram, et cis Fli, cum duobus. Lauwers강및 Weser강의중간지역과 Vlie강東邊에서 [ 동급의사람 ] 2명과함께선서하면 [ 충분 ] 하다. Si liber nobilem occiderit, LXXX solidos componat, aut si negaverit, cum XVII iuret. 제5항자유인이귀족을죽였다면솔리도스 80 개로贖刑하며, 그렇지만 [ 피고인이유죄를 ] 거부하는경우에는 [ 동급의사람 ] 17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Inter Wisaram et Laubachi, et cis Fli, cum XXIII iuret. Lauwers강및 Weser강의중간지역과 Vlie강東邊에서 [ 동급의사람 ] 23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Si liberum occiderit, solidos LIII et unum denarium solvat, et si negaverit, cum undecim sacramentalibus iuret. 제6항 [ 자유인이 ] 자유인을죽였다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하나로속형하며, [ 피고인이유죄를 ] 거부하는경우에는동급의宣誓補助者 11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Si litum occiderit, solidos XXVII uno denario minus componat domino suo, et propinquis occisi solidos IX excepta tertia parte unius denarii, et si negaverit, cum quinque sacramentalibus iuret. 제7항 [ 자유인이 ] 반자유인을죽였다면반자유인의주인에게데나리우스 1개를감해솔리도스 27개로속형하며, 반자유인의친척에게데나리우스의삼분의일을감해솔리도스 9 개로속형한다. 그리고유죄를거부한다면동급의宣誓補助者 5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Si litus nobilem occiderit, similiter LXXX solidos componat, aut si negaverit, cum triginta quinqtie iuratoribus suae conditionis se excuset. - 291 -
제 8 항반자유인이귀족을죽였다면솔리도스 80 개로贖刑하며, 하는경우에는동급의宣誓補助者 35 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유죄를거부 Inter Laubachi et Wisaram, et cis Fli, cum XLVIII iuret. Lauwers 강및 Weser 강의중간지역과 Vlie 강東邊에서 [ 동급의사람 ] 47 명과 함께선서하면된다. Si liberum occiderit, solidos LIII et unum denarium solvat, et si negaverit, cum XXIII sacramentalibus iuret. 제9항 [ 반자유인이 ] 자유인을죽였다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하나로속형하며, [ 피고인이유죄를 ] 거부하는경우에는동급의宣誓補助者 23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Si litum occiderit, solidos XXVII uno denario minus componat domino suo, et propinquis occisi solidos IX excepta tertia parte unius denarii, et si negaverit, sibi duodecimus iuret. 제10항 [ 반자유인이 ] 반자유인을죽였다면반자유인의주인에게데나리우스 1 개를減해솔리도스 27개로속형하며, 반자유인의친척에게데나리우스의삼분의일을減해솔리도스 9 개로속형한다. 그리고유죄를거부한다면동급의사람 12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 Inter Fli et Sincfalam weregildus nobilis C solidi, liberi L, liti XXV (solid. denarii III novae monetae). Vlie강및 Zwin강의중간지역에서는귀족의 wergild( 人命金 ) 가솔리도스 100 개가되며, 자유인의人命金은솔리도스 50개가되며, 반자유인의인명금은솔리도스 25개가된다. ( 솔리도스 1개는새로운통화로헤아리면데나리우스 3개가된다 ) Inter Laubachi et Wisaram weregildus nobilis CVI solidi et duo denarii, liberi LIII solidi et denarium, liti XXVI solidi et dimidius, et dimidius tremissis. Lauwers강및 Weser강의중간지역에서는귀족의人命金이솔리도스 106개및데나리우스 2개이며, 자유인의인명금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 1개이며, 반자유인의人命金이솔리도스 26개와반및트레미쎄 [tremisse: 데나리우스에상당 ] 의반이된다. - 292 -
Si quis homo, sive nobilis, sive liber, sive litus, sive etiam servus, alterius servum occiderit, componat eum iuxta quod fuerit adpretiatus, et dominus eius ipsius pretii eum fuisse sacramento suo iuraverit. 제11항어떤사람이귀족인지, 자유인인지, 반자유인인지, 노예인지상관없이타인의노예를죽였다면사망된노예의가격에준하여주인에게속형을해야한다. 그리하여노예의주인은원하는배상금이타당한배상금에대해선서한다. Quod si quaelibet ex praedictis personis hoc homicidium se perpetrasse negaverit, iuxta quod summa precii occisi mancipii fuerit aestimata, maiori vel minori sacramento se excusare debebit. 제12항그렇지만피고인이유죄를거부하는경우에는주인이타당하다고생각했던노예의가격에준하여부분선서나완전선서로자신의결백을증명하면된다. Inter Laubachi et Wisaram suam habet compositionem. Lauwers 강및 Weser 강의중간지역에서는 [ 노예를 ] 위한배상금이 [ 미리 ] 계 산되어있다. Si servus nobilem, seu liberum, aut litum, nesciente domino occiderit, dominus eius, cuiuscunque conditionis fuerit homo qui occisus est, iuret hoc se non iussisse, et mulctam eius pro servo, bis simplum, componat. 제13항노예가귀족, 자유인이나반자유인등을죽였다면노예의주인은이죄에대하여몰랐다는것을선서하는경우에자신의노예대신에사망자의인명금을 2배로贖刑한다. Aut si servus hoc se iussu domini sui fecisse dixerit, et dominus non negaverit, solvat eum sicut manu sua occidisset, sive nobilis, sive liber, sive litus sit. 제14항그렇지만노예가주인의명령을받아범죄를했다고하고, 노예의주인이명령하였다는것을인정한다면, 피해자가귀족인지, 자유인인지, 반자유인이었던것에따라주인은자신의손으로살해한것과마찬가지로타당한인명금으로직접贖刑을해야된다. Et si servus hoc se perpetrasse negaverit, dominus eius iuret pro illo. - 293 -
제 15 항그리고노예가유죄를거부했다면노예의주인은이노예대신에결백 선서를해야된다. Si nobilis erat qui occistis est, et nobilis ille cuius servus est, cum tribus sacramentalibus iuret. 제16항사망자가귀족이었다면, 그리고노예의주인이귀족이었다면, 이주인은 [ 동급의 ] 宣誓補助者 3명과함께潔白宣誓를해야된다. Si liber erat qui occisus est, duas partes praedicti sacramenti cum duobus nobili et uno libero iuret. 제17항그렇지만사망자가자유인이었다면, 노예의주인은이선서의兩부분으로귀족인선서보조자 2명및자유인인선서보조자 1명과함께潔白宣誓를해야된다. Si litus erat, ipse medietatem sacramenti cum uno lito iuret. 제18항사망자가반자유인이었다면 [ 노예의주인은 ] 선서의반으로만반자유인 1명과같이潔白宣誓를해야된다. Si dominus servi liber est, et nobilis qui occisus est, sua sexta manu pro servo sacramentum perficiat. 제19항노예의주인이자유인이고사망자가귀족이었다면, 이노예의주인은 6배의가치를가지는자신의손으로潔白宣誓를해야된다. [ 동급의宣誓補助者 5명과함께潔白宣誓를해야된다는뜻 ]. Si litus erat, cum uno libero sacramentali iuret. 제 20 항그렇지만 [ 피해자가 ] 동급의반자유인이었다면이주인은자유인인선 서보조자 1 명과함께潔白宣誓를해야된다. Inter Laubachi et Wisaram dominus servi non iuret, sed componat eum ac si ipse eum occidisset. Lauwers 강및 Weser 강의중간지역에서는노예 의주인은선서치않으며자신이죽인것과마찬가지로속형을하면된다. Tit. II Foresni 제2조범죄를하도록誘引하는죄 ( 당률소의 에서의정의는 和誘 이다 ) Si nobilis nobilem per ingenium alio homini ad occidendum exposuerit, et is qui eum occidit patria relicta profugerit, qui eum exposuit tertiam partem leudis componat. - 294 -
제 1 항어떤귀족이나쁜성질로타인을죽이도록유인했다면, 그리고직접살 해했던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다면, 이유인자는피해자인명금의 1/3 로贖刑 을해야한다. Si vero homicida non fugerit, nihil solvat, sed tantum inimicitias propinquorum hominis occisi patiatur, donec quomodo potuerit eorum amicitiam adipiscatur. 제2항그러나만약살인자가도주치않았다면유인자는어떤人命金으로도속형을못하며, 대신에다른수단으로피해자의친척과선린관계를회복할때까지그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autem hoc fecisse dicitur, et negaverit, cum tribus sacramentalibus iuret, si ille qui hominem occidit profugium fecit; sin vero homicida infra patriam est, expositor nihil iuret, sed tantum inimicitias propinquorum occisi hominis patiatur, donec cum eis quoquo modo potuerit in gratiam revertatur. 제3항하지만, 유인했던자가죄를부인하고살인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을경우에, 피고인은선서보조자 3명과함께潔白宣誓를하면된다. 그렇지만살인자가도주치않고국내에서계속있었을경우유인자는선서도못하며다른수단으로피해자의친척으로부터용서를받을때까지그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nobilis liberum hominem exposuisse dicitur, tertiam partem leudis eius componat, si extra patriam fugit qui hominem occidit, si vero infra patriam est, nihil solvat; quod si negaverit, similiter sicut de nobili sacramentum iuret, tertia sacramenti portione adempta propter viliore personam liberi hominis. 제4항귀족이자유인을죽이도록유인했다고할경우살인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다면유인자가자유인의人命金 1/3로처벌한다. 그렇지만은만약살인자가국내에서계속있었다면유인자는어떤人命金으로도속형을못한다. 하지만피고인이유죄를부인했다면자유인의권리능력은귀족의권력능력보다가치가떨어져선서의 1/3을減했던귀족의선서로결백을증명하면된다. Si de lito idem scelus ei imputetur, et homicida defuerit, ut superius de libero sacramentuni perficiat, adempta ipsius sacramenti dimidia portione; solvens tertiam portionem leudis eius, si negare non potuerit; et si is qui eum occidit infra patriam fuerit, sicut superius diximus, expositor nec - 295 -
iuret, nec leudem solvat, sed inimicitias propinquorum occisi patiatur, donec se cum eis reconciliet. 제5항반자유인이이상과같은죄를씌우고피해자도반자유인이었다면, 그리고살해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다면피고인은선서의반액으로減하여자유인의선서로결백을증명하면된다. 반자유인이유죄를인정했다면, 그리고살해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다면, 유인자는결백선서도못하며속형도못하게된다. 그리하여피해자의친척과선린관계를회복할때까지그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liber in nobilem hominem tale scelus dicitur perpetrasse, similiter ut nobilis sacramento se excuset, addita super sacramentum quod nobilis iurare debet, ipsius sacramenti tertia portione; aut si negare non potuerit, et homicida defuerit, solvat tertiam partem leudis eius; si vero homicida infra patriam fuerit, nec iuret, nec aliquid solvat, sed tantum inimicitias propinquorum occisi patiatur, donec cum eis in gratiam revertatur. 제6항자유인이이상과같은죄를씌우고피해자가귀족일경우, 피고인이유죄를부인한경우에는귀족처럼자신의선서및귀족의선서의 1/3로결백을증명하면된다. 유죄를인정하고살해자가국내로부터도주하였다면유인자는속형을못하며결백선서도할수없으며, 피해자의친척들에게서용서를받을때까지그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vero de libero idem scelus ei imputetur, sibi quarto sacramentum iuret, vel si homicida profugerit, tertiam portionem leudis eius componat, si negare non potuerit; si vero homicida infra patriam est, nec iuret, nec aliquid solvat, sed tantum ut superius faidosus permaneat, donec in gratiam cum propinquis occisi revertatur. 제2항 [ 원본의오류 ] 자유인은이상과같은죄를씌우고피해자가다른자유인이었다면피고인은동급의宣誓補助者의 4명의가치를가진선서로결백선서 [ 선서보조자 3명과함께선서하면된다는뜻 ] 를하거나인명금의 1/3로속형하면된다. 유죄를인정했으며, 살해자가국내에계속있었다면선서도못하며人命金도못갚아주며, 피해자친척에게서용서를받을때까지이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de lito idem auitur, adempta sacramenti dimidia portione, iurare debebit; aut si negare non potuerit, et homicida profugium fecit, ut - 296 -
superius diximus tertiam portionem leudis eius, componat; si vero homicida profugium non fecit, expositor nec iuret, nec aliquid solvat, sed tantum ut superius inimicitias propinquorum occisi patiatur. 제7항또는, [ 자유인이 ] 같은죄를행했으며, 피해자가반자유인이었다면, 반액으로감해결백선서를하면된다. 그렇지만피고인이부인하지못하고, 살해자가국내로부터피난했다면이상의항에서기록되었듯이유인자가피해자의人命金의 1/3로贖刑을하면된다. 그렇지만살해자가국내로부터도주치않았다면유인자는선서도못하며人命金도못갚아주며피해자의친척들의被復讎者가된다. Si litus de nobili homine eodem scelere fuerit incriminatus, iuret medietate maiori sacramento, quam liber de nobili iurare debeat; aut si negare non potuerit, et homicida defuerit, omnia ut superius de aliis personis scripta sunt impleat; quod si de libero idem scelus ei imputetur, medietate maiori sacramento iuret, quam liber de libero iurare debeat, aut si negare non potuerit, et homicida profugerit, tertiam portionem leudis componat, et omnia ut superius dicta sunt implere compellatur. 제8항반자유인이이상과같은죄를씌우고피해자가귀족이었다면피고인은귀족에게죄를씌웠던자유인의선서의이분의삼으로결백증명하면된다. 유죄를부인하지못하고살해자가국내로부터도주했다면, 본법률에서는동일한경우에있었던다른유인자처럼형벌을당하면된다. 그리하여피해자가자유인이었다면 [ 이반자유인이 ] 다른자유인에게죄를씌운자유인의선서의이분의삼으로결백을증명하면된다. 피고인이부인하지못하고살해자도국내로부터도주하였다면피해자의人命金의 1/3로贖刑을하면되며위에서논하였듯이사건을판결하면된다. Si de lito fuerit incrimitatus, sua quarta manu sacramentum perficiat, aut si negaverit, et homicida profugerit, ea quae superius scripta sunt per ordinem impleat. 제9항반자유인이유인죄를씌우고피해자가반자유인이었다면피고인은손 4 개로 ( 동급의선서보조자 3명과같이 ) 결백선서를하면된다. 그렇게하기를꺼려살해자가국내로부터피난했다면위에서논하였듯이판결하면된다. Haec Wulemarus addidit 여기서 Wlemar[ 이란원로 ] 가기록하길 Si quis servum, aut ancillam, caballum, bovem, ovem, vel quiuscunque - 297 -
generis animal, vel quodcunque homo ad usum necessarium in potestate habuerit, arma, vestem, utensilia quaelibet, et pecuniam, alii ad auferendum exposuerit, si ille qui abstulit patria profugerit, expositor tertiam portionem compositionis exsolvat, aut si negare voluerit, maiori vel minori sacramento, prout qualitas pecuniae fuerit, se excusare debet; si qui abstulit, non profugit, epositor nec iuret, nec solvat, sed tantum inimicitias portet eius cuius pecuniam abstulit. 어떤사람이奴든지, 婢든지, 말이든지, 소든지, 양이든지다른동물이든지, 아니면무기, 의복, 도구, 돈과같은타인의필수품을절도하도록유인하고, 그도둑이국내로부터도주하였다면유인자는贖罪金의 1/3로속형하면된다. 피고인은유죄를부인하면贓物의가격에따라서완전선서나부분선서로결백을증명하면된다. 그렇지만도둑이국내로부터도주치않았다면, 유인자는선서도못하며贖罪金도못갚아주며대신에贓物주인의被復讎者가된다. De Thiubda 절도죄 Tit. III 제3조 Si nobilis furtum quodlibet dicitur perpetrasse, et negare voluerit, cum quinque sacramentalibus iuret. 제1항절도죄를받게된귀족이유죄를부인하면宣誓補助者 5명과함께결백을증명하면된다. Aut si negare non potuerit, quod abstulit, in duplum restituat, et ad partem regis LXXX solidos pro freda componat, hoc est weregildum suum. 제2항그렇지만이귀족이유죄를부인하지못하였다면贓物가격의 2배로속형을하며, 그리고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 (freda) 으로는大王의몫으로귀족의人命金인솔리도스 80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liber furti arguatur, et negare voluerit, sua sexta manu cum aeque liberis iuret, aut si confessus fuerit, rem quam abstulit in duplum restituat, et ad partem egis pro fredo weregildum suum. 제3항절도죄를받게된자유인이유죄를부인하면자유인인宣誓補助者와같이 6배의가치를가지는손으로潔白宣誓를해야된다. 그렇지만피고인이자수하였다면贓物가격의 2배가되는贖罪金을갚아주며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을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속형을하면된다. - 298 -
Litus conditionem suam per omnia similiter faciat, id est sua sexta inanu iuret, vel quod abstulit in duplum restituat, et weregildurn suum ad partem regis pro freda componat. 제4항반자유인이피고인이라면이상과같은방식으로반자유인의신분에맞게 [ 벌을받아야 ] 한다. 즉, 동급의宣誓補助者와같이 6배의가치를가지는손으로결백선서를하면한다. 아니면贓物가격의 2배가되는贖罪金을갚아주며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을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servus furti reus esse dicatur, dominus eius in vestimento suo sacramentum pro illo perficiat. 제5항노예가절도죄를받게되었다면그의주인은자신의의복의가치를가지는선서로 [ 이노예가 ] 결백선서를하게한다. Aut si res grandis erat, in reliquiis iuret; aut servum ad iudicium Dei in aqua ferventi examinet. 제6항그렇지만훔쳤던贓物의가격이높았다면주인은聖遺物에손을얹어결백선서를하면된다. 아니면노예가끓는물의신판 [ 沈水神判?] 을당한다. Quod si servus in iudicio probatus apparuerit, vel confessus fuerit, quanti res, quae ablata fuerit, aestimabitur, tantum dominus pro servo componat, et servus vapulet, nisi dominus eius quatuor solidis corium eius redimere voluerit. 제7항그러나노예의유죄가 [ 신판을통하여 ] 증명되거나직접자수했다면그의주인은贓物의가격에준하여贖罪金으로속형을하며노예가杖刑을받아야한다. 그렇지만주인이자신의노예를구하기를원한다면솔리도스 4개로갚아주어야한다. Si quis in furto deprehensus fuerit, et ab ipso qui eum deprehendit furti arguatur, et negaverit, iuret uterque solus, et ad examinationem ferventis aquae iudicio Dei probandus accedat; si ille qui fur esse dicitur fuerit convictus, componat weregildum suum ad partem regis, et manum LX solidis redimat, et in simplo furti compositionem exsolvat. 제8항어떤사람이절도사건현장에서잡히고, 그리고잡은사람으로부터제소를당했을때유죄를부인했다면, 양측은한사람씩선서하며침수신판을당하면된다. 피고인은 [ 신판을통하여 ] 무죄를증명할수없었다면大王의몫으 - 299 -
로자신의人命金인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솔 리도스 60 개가된贖罪金을내고자신의손을구한다. 게다가贓物의가격으로 贖罪金을 1 배갚아주면된다. Si vero is, qui alium furem interpellavit, falso eum calumniatus est, et in iudicio ferventis aqua fuerit convictus, LX solidis manum suam redimat. 제 9 항그렇지만어떤사람이허위로告發을하고이사실이 [ 신판을통하여 ] 알게되었다면이죄인은솔리도스 60 개가된贖罪金으로자신의손을구하면 된다. De Servo aut iumento alieno occiso 타인의노예나동물을죽이는것에대해서 Tit. IV 제4조 Si quis servum alterius occiderit, componat eum, iuxta quod a domino eius fuerit aestimatus. 제1항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죽였다면이노예의주인이생각했던타당한가격의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militer equi, et boves, oves, caprae, porci, et quicquid mobile in animantibus ad usum hominum pertinet usque ad canem, ita solvantur, prout fuerint a possessore earum adpretiata. 제2항마찬가지로어떤사람이말이나, 소, 양, 암퇘지, 수퇘지, 개등상관없이타인이소유했던가축을죽였다면주인이생각했던타당한동물의가격을갚아준다. Aut si negaverit, iuxta quod iudex dictaverit, iuret. 제 3 항그러나피고인이유죄를부인했다면參事官이결정한것에따라서선서 를하면된다. Hoc inter Laubaci et Sincfalam. 이것은 Lauwers 강및 Zwin 강사이의지역에서 [ 행하는관습 ] 이다. Canem acceptoricium, vel braconem parvum, queni barmbraccum vocant, IV solidis componat. 제4항사냥개나 barmbraccum라고부르는 [ 특별한 ] 사냥개를죽였다면솔리 - 300 -
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Eum autem, qui lupum occidere solet, tribus solidis. 제5항늑대를죽일수있는보통개를 [ 죽였다면 ] 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Qui lacerare lupum, et non occidere solet, duobus solidis. 제6항늑대를죽일수없으며상해만줄수있는 [ 보통 ] 개를죽였다면솔리도스 2개로속형을하면된다. Canem custodem pecoris solido componat. 제 7 항가축을지키는경비견을죽였다면솔리도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Trans Laubaci canem acceptorem VIII, barmbraccum XII, custodem pecorum vel domus IV, qui lupum lacerat VIII. Lauwers강東邊의지역에서는사냥개의 [ 주인에게돌아가야할 ] 가격은솔리도스 8개가되며, barmbraccum란 [ 특별한 ] 사냥개의가격은솔리도스 12개, 집이나가축을지키는경비견의가격은솔리도스 4개, 그리고늑대를죽일수있는개의가격은솔리도스 8개가된다. Illum vero, qui nihil facere solet, sed tantum in curte aut in villa iacet, uno tremisse componat. 제8항懶怠에빠져마당이나집 [ 바닥 ] 에드러눕기만하는개일경우트레미쎄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Tit. V De his qui sine compositione occidi possunt 제5조人命金을갚아줄필요가없는被殺害人에대해서 Campionem; et eum, qui in praelio fuerit occisus; et adulterum; et furem, si in fossa, qua domum alterius effodere conatur, fuerit repertus; et eum, qui domum alterius incendere volens, facem manu tenet, ita ut ignis tectum vel parietem domus tangat; qui fanum effregit; et infans ab utero sublatus et enecatus a matre. 제1항결투자, 결투신판을통하여죽었던자, 通姦者, 타인의집밑에구멍을파는중에잡혔던자, 타인의집의지붕이나벽에서불을켜면서횃불을손에잡고있었던放火罪人, 神殿을파괴시킨자, 그리고출산후아이를굶겼던모친은 [ 人命金으로속형하는것없이죽여도된다.] - 301 -
Et si hoc quaelibet foemina fecerit, leudem suam regi componat, et si negaverit, cum V iuret. 제2항 [ 아이를그렇게죽였던 ] 여자는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유죄를부인했다면宣誓補助者 5명과 [ 함께결백선서를하면된다.] Tit. VI De coniugiis ignoratisi 제6조 [ 상대방에게자신의신분을비밀로한 ] 婚姻사건에대해서 Si libera foemina lito nupserit, nesciens eum litum esse, et ille postea de capite suo, eo quod litus sit, fuerit calumniatus, si illa sua sexta manu iurare poterit, quod postquam eum litum esse rescivit, cum eo non concumberet, ipsa libera permaneat, et filii quos procreavit. 제1항어떤자유인인여자가반자유인과혼인할때, 상대방의 [ 낮은 ] 신분위치를미처몰랐던경우, 이후어떤사람한테서반자유인으로誹謗을당했다면 [ 다음과같이해야된다 ]. 이여자는상대방이반자유인이란사실을알게된때부터부부생활을하지않았다는것을 [ 동급의 ] 宣誓補助者와함께 6배의가치를가지는손으로潔白宣誓를하였다면여자와이전에출산했던그녀의자 [ 녀 ] 들도변함없이자유인으로한다. Si vero iurare non possit, in compositionem mariti sui una cum filiis suis transeat. 제 2 항이런선서를하지못했다면, 남편의신분으로자식들과함께格下된다. Tit. VII De Brand 제7조방화에대해서 Si quis domum alterius incenderit, ipsam domum, et quicquid in ea concrematum est, in duplo componat. 제1항어떤사람이타인의집을방화했다면이집의가격및방화된재물의가격에준하여 2배로갚아주면된다. Si autem dominum domus flammis ex ipsa domo egredi compulit, et egressum occidit, componat eum novies, cuiuscunque fuerit conditionis, sive nobilis, sive liber, sive litus sit. Haec constitutio ex edicto regis processit. 제2항그렇지만은어떤사람이집주인을내몰아죽이기위해집에불을질렀다면피해자의신분은귀족이건자유인이건반자유인이건상관없이피해자의 - 302 -
마땅한人命金의 9 배로속형을하면된다. 이상의律文은大王의勅令에따라 서그렇다. Trans Laubaci et in fredam novies componit weregildum suum. Lauwers 강東邊의지역에서죄인은자신의人命金의 9 배가되는평화질서를 파괴한벌금으로처벌한다. Tit. VIII De Notnumfti 제8조강도죄에대하여 Si quis rem quamlibet vi rapuerit, in duplum eam restituere compellatur, et pro freda solidos XII componat, hoc est XXXVI denarios. 제1항어떤사람이강도죄를지었다면곡물가격의 2배로속형을하며, 그리고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데나리우스 36개에상당하는솔리도스 12개를갚아주면된다. Trans Laubaci in simplo componat. Lauwers강東邊의지역에서곡물의가격으로 [ 만 ] 속형을하면충분하다. Et pro freda weregildum suum. 제2항그리고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는범죄인의人命金을갚아주면된다. Tit. IX De Farlegani 제9조淫亂罪에대하여 Si foemina quaelibet homini cuilibet fornicando se miscuerit, componat ad partem regis weregildum suum; hoc nobilis et libera faciant. 제1항어떤여자가음란죄를범하였다면이여자의人命金을大王의몫으로갚아주면된다. 본律文은귀족및자유인여자끼리범했던죄에대한것이다. Lita vero ad partem domini sui. 제 2 항그렇지만반자유인인여자가이상과같은죄를지었다면그녀의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에게人命金을갚아주면된다. Si vero ancilla et virgo erat, cum qua quislibet homo moechatus est, componat is, qui eam violavit, domino eius solidos IV, hoc est denarios XII. 제3항그렇지만처녀인婢가어떤남자한테서강간을당하였다면범죄인이데 - 303 -
나리우스 12 개에상당한솔리도스 4 개로그녀의주인에게속형을하면된다. Si autem ab alio prius fuerit constuprata, solidos III. 제4항 [ 본婢 ] 가타인한테서이미한번더럽혀졌다면범죄인은솔리도스 3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vero tertius hic erat, qui tunc eam violavit, duos solidos. 제 5 항죄인이그녀를범한세번째강간범이었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 면된다. Si vero quartus, solidum unum. 제 6 항네번째강간범이었다면, 솔리도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ntus, tremissem unum; et quotcunque postea accesserint, tremissem unum tantum component, id est culpabilis tremissem. 제7항다섯번째강간범이었다면트레미쎄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이후본婢를강간하였던각남자는트레미쎄 1개만갚아주어도된다. Si quis puellam virginem rapuerit et violatam dimiserit, componat ei weregildum eius, sive nobilis sive libera fuerit, ad satisfactionem, et ad partem regis similiter. 제8항어떤사람이처녀를납치하여강간한후에그녀를내버려두었다면, 귀족이건자유인이건피해자의人命金으로갚아주어야하며, 그리고大王의몫으로도이상과똑같은금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Tertium weregildum patri sive tutori puellae. 제 9 항본人命金의 1/3 을처녀의부친이나家長에게갚아주면된다. Si autem puella lita fuerit, satisfaciat ei similiter solutione weregildi sui, et domino eius decem solidos componat. 제10항그렇지만이처녀가반자유인이었다면그녀의人命金을갚아주며, 게다가이여자의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에게솔리도스 10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liberam foeminarn extra voluntatem parentum eius, vel eorum qui potestatem eius habent, uxorem duxerit, componat tutori eius solidos XX, - 304 -
id est denarios LX. 제11항자유인인여자를부모님이나家長權을갖고있는자의허락없이강탈혼인을하여 [ 妻로삼게되었 ] 다면범죄인은데나리우스 60개에상당한솔리도스 20개로가장에게속형을하면된다. Si autem nobilis erat foemina, solidos XXX. 제 12 항그렇지만납치된여자가귀족이었다면타당한벌금은솔리도스 30 개가 된다. Si lita fuerit, solidos X domino eius persolvere cogatur. 제13항그녀가반자유인이었다면범죄인은그녀의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에게솔리도스 10개를갚아주면된다. Inter Laubachi et Wisarum fluvium talis est consuetudo Lauwers강및 Weser강사이의지역에서다음과같은관습이있다. Si nobilis seu liber libero vi aliquid abstulerit, aut ipsum aut aliud simile in locum restituat, et XXIV solidos pro facti scelere componat, et weregildum suum ad partem regis cogatur exsolvere. 제14항귀족이나자유인은다른자유인에게서어떤것을빼앗았다면범죄인은동일한것이나빼앗았던贓物의가치를가지는것으로이贓物을대신에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贖罪金으로는솔리도스 25개를갚아준다. 그리하여자신의人命金의금액을大王의몫으로갚아주면된다. Si autem nobilis, vel liber, nobili vi aliquid abstulerit, medietate maiori compositione facinus cogatur emendare, et weregildum suum, ut superius, ad partem regis exsolvat. 제15항귀족이나자유인이다른귀족에게서어떤것을빼앗았다면아상의律文에서인용된贖罪金에반액을추가하여갚아주면된다. 그리하여大王의몫으로이상의律文과마찬가지로자신의人命金을갚아주면된다. Inter litos vis facta, medietate minori compositione solvenda est; insuper et weregildum suum ad partem regis. 제16항반자유인끼리생겼던사건이었다면 [ 제14항律文에서인용된贖罪金에 ] 반액을減하여속형을하면된다. 그리하여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을갚아주면된다. - 305 -
Si servus vi aliguid sustulerit, dominus eius pro illo quantitatem rei sublatae componat, ac si ipse sustulisset, et pro weregildo servi IV solidos, hoc est denarios XII, ad partem regis componat. 제17항범죄인이노예였다면이노예대신그의주인은직접贓物의가격으로속형을하며, 그리고노예의人命金을대신해데나리우스 12개에상당한솔리도스 4개가된贖罪金을大王의몫으로갚아주면된다. Tit. X De Testibus 제10조宣誓補助者에대하여 Si quis homo super reliquiis sanctorum falsum sacramentum iuraverit, ad partem regis weregildum suum componat, et alio weregildo manum suam redimat; de coniuratoribus eius unusquisque weregildum suum persolvat. 제1항어떤사람이聖遺物에서손을얹으면서허위 [ 결백 ] 선서를하였다면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을갚아주며, 게다가두번째의人命金으로자신 [ 의손 ] 을구한다. 그리고범죄인의宣誓補助者가한명씩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을해야한다. Tit. XI De Lito 제11조반자유인에대하여 Si liber homo spontanea voluntate, vel forte necessitate coactus, nobili, seu libero, seu etiam lito, in personam et in servitium liti se subdiderit, et postea se hoc fecisse negare voluerit, dicat ille, qui eum pro lito habere visus est: "Aut ego te cum coniuratoribus meis sex, vel septem, vel decem, vel duodecim, vel etiam viginti, sacramento meo mihi litum faciam, vel tu cum tuis coniuratoribus de mea potestate te debes excusare". Si ille tunc iurare velit, iuret, et servitute liberetur; si autem iurare noluerit, ille qui eum possidere videbatur, iuret, sicut condixit, et habeat illum sicut caeteros litos suos. 제1항어떤자유인은의지력이나필요에의하여귀족이건자유인이건다른반자유인이되어야하였다면, 그리고나중에그리되는것을거부했다면, 그의추정된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은말하길 당신은자신의宣誓補助者와함께선서하여나의權力下로부터해방될수있다. 나는나의宣誓補助者 6명이나 7명이나 10명이나 20명과함께당신을나의반자유인으로만들겠다. 그리하여 [ 반자유화된 ] 자는선서하려면그렇게할수있으며반자유인의의무로부터해방된다. 그렇지만선서를거부하고그의추정된주인 [ 非血緣者인가장 - 306 -
권소유자 ] 이미리말했듯이선서를하면 [ 선서를못했던자 ] 가주인의기타 반자유인무리에포함된다. Si litus semet ipsum propria pecunia a domino suo redemerit, et unum, vel duos, vel tres, vel quotlibet annos in libertate vixerit, et iterum a domino de capitis sui conditione fuerit calumniatus, dicente ipsi domino: "Non redemisti, nec ego te libertate donavi". Respondeat ille: "Aut tu cum iuratoribus tuis sex, vel duodecim, vel viginti, vel etiam si triginta dieere voluerit, me tibi sacramento tuo ad servitatem adquire, aut me cum meis iuratoribus tantis, vel tantis, ab hac calumnia liberare permitte". Si ille, qui dominus eius fuerat, cum totidem hominibus, quot ei propositi sunt, iurare velit, conquirat eum sibi ad servitutem; sin autem, iuret alter, et in libertate permaneat. 제2항반자유인이주인에게돈을주고이주인의지배하로부터해방되어 1 년, 2년, 3년동안자유인으로살아왔다면, 그런데어느날옛주인에게서다시반자유인으로 [ 誹謗을당하여 ] 이주인이말하길 당신은돈을치르고자유를구하지않았으며나에게서자유를받지않았다. 그때被告發人은답하길 각하는자신의宣誓補助者 6명이나 12명, 20명, 아니면 ( 그리말하기를원한다면 ) 30명과함께선서하셔서저를각하의반자유인의위치로강등시키시거나저는미리정했던마땅한數의宣誓補助者와함께각하의고소를기각할수있도록허락해주시오. 주인이이상과같이결정했던마땅한數의宣誓補助者와함께선서했다면이자를반자유인으로만들어이기게된다. 그렇지만 [ 추정된 ] 주인 [ 非血緣者인가장권소유자 ] 이선서하기를거부했다면이자는자신의宣誓補助者와함께선서하여자유를구할수있게된다. Si aut calumniator, aut ille cui calumnia irrogata est, se solum ad sacramenti mysterium, perficiendum protulerit, et dixerit: "Ego solus iurare volo. Tu, si audes, nega sacramentum meum, et armis mecum contende". Faciant etiam illud, si hoc eis ita placuerit: iuret unus, et alius neget, et in campum exeant. Hoc et superiori capitulo constitutum est. 제3항고발인도피고발인도신성한선서를혼자서하겠다는것을제안하려고하면서말하길 : 혼자서선서하기를원한다. 당신이감히나의선서를거부하려고하면무기를준비하여나랑결투하도록합시다. 그다음에그들이결투하기를원하면다음과같이한다. 한사람은선서를하고상대는이선서를거부한후에결투장에들어온다. 제2항律文에서서술했던사건에서도위의절차를 - 307 -
밟아도된다. Tit. XII De Delicto servorum 제12조노예의범죄에대하여 Si servus rem magnam quamlibet furasse dicatur, vel noxam grandem perpetrasse, dominus eius in reliquiis sanctorum pro hac re iurare debet. 제1항노예가귀한贓物을절도했거나중대한죄를범했다면, 그의주인이聖遺物에손을얹으며선서하여노예를결백시킨다. Si vero de minoribus furtis et noxis a servo perpetratis fuerit interpellatus, in vestimento vel pecunia iurare poterit. 제2항그렇지만, 노예가저지른죄가경미하였거나贓物이그리귀하지않았다면본노예의주인은의복이나 [ 타당한 ] 금액의가치를가지고선서하면충분하다. Tit. XIII De stupro ancillarum 제13조婢와의음란죄에대하여 Qui cum ancilla alterius, quae nec mulgere nec molere solet, quam bortmagad vocant, moechatus fuerit, solidorum XII mulctam domino eius cogatur exsolvere. 제1항어떤사람이젖을짜지도않으며 [ 곡물을 ] 빻지도않았던, bortmagad [ 식탁의하녀 ] 라고하는타인의婢와음란죄를지었다면이婢의주인에게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Tit. XIV De Homine in turba occiso 제14조騷擾殺害에대하여 Si homo quislibet in seditione ac turba populi fuerit interfectus, nec homicida poterit inveniri propter multitudinem eorum qui aderant, licet ei qui compositionem ipsius quaerere vult, de homicidio usque ad septem homines interpellare, et unicuique eorum crimen homicidii obiicere, et debet unusquisque eorum sua duodecima manu obiecti criminis se purificare sacramento. Tunc ducendi sunt ad basilicam, et sortes super altare mittendae, vel si iuxta ecclesiam fieri non potuerit, super reliquias sanctorum. Quae sortes tales esse debent: duo tali de virga praecisi, quos tenos vocant, quorum unus signo crusis innotatur, alius purus dimittitur, et lana munda obvoluti super altare seu reliquias mittuntur; et - 308 -
presbyter si adfuerit, vel si presbyter deest puer quilibet innocens, unum de ipsis sortibus de altari tollere debet; et interim Deus exorandus, si illi septem, qui de homicidio commisso iuraverunt, verum iurassent, evidenti signo ostendat. Si illum qui cruce signatus est sustulerit, innocentes erunt, qui iuraverunt; sin vero alterum sustulit, tunc unusquisque illorum septem faciat suam sortem, id est tenum, de virga, et signet signo suo, ut eum tam ille quam caeteri quicircumstant cognoscere possint; et obvolvantur lana munda, et altari seu reliquiis imponantur, et presbyter si adfuerit, si vero non ut superius puer innocens, unumquemque eorum singillatim de altari tollat, et ei qui suam sortem esse cognoverit, rogat. Cuius sortem extreman esse contigerit, ille homicidii compositionem persolvere cogatur, caeteris quorum sortes prius levatae sunt absolutis. 제1항어떤사람이길거리에서군중에게騷擾殺害를당했을경우, 사건참여자가많아범죄인을찾을수없었다면人命金을요구하는자가사건의참여자중에 7명을지적하여그사람들에게살해죄를씌운다. 그리하여피고인은각각동급의宣誓補助者와같이 12배의가치를가지는자신의손으로결백선서를해야한다. 그다음에피고인을성당으로데려오며이성당안의제단위에제비를두게된다. 아니면성당근처에서본절차가불가능하였다면성골위에제비를두면된다. 이제비는다음과같다. 부러졌던버드나무잔가지로만들었는데, talos라고부르는막대기 2자루가있으며하나는십자가의기호가있고두번째자루는아무기호가없어야한다. 제비는羊毛로포장되어있고제단이나성골위에놓이게된다. 신부나 ( 신부님이안계시면 ) 순수한소년이제비하나를뽑는다. 그동시에천주에게피고인 7명의선서는신뢰할수있었다는확인표적으로승인하실수있도록부탁기도를드린다. 뽑았던제비에십자가의기호가있었다면피고인들의결백이증명이된다. 그렇지만뽑았던제비에기호가없었다면이 7명이모두잔가지로새로운제비를준비한다. 각피고인은자신의제비에동네사람들이알아볼수있는기호로서명하며이제비를羊毛로포장하여제단이나성골위에두면된다. 그다음에신부나, 그가없었다면, 순수한소년이제비하나씩뽑아이를피고인에게보여주고자신의기호를알아보는자가누군지물어본다. 마지막으로뽑았던제비의기호를알아본자가殺害의책임자로서벌금을갚아준다. 이전에제비를뽑았던피고인들은무죄자로인정된다. Si autem in prima duarum sortium missione, illam quae crucis signo notata est, sustulerit, innocentes erunt, sicut praediximus, septem qui iuraverunt, et ille, si velit, alios de eodem homicidio interpellet, et - 309 -
quicunque interpellatus fuerit sua duodecima manu perfectorio sacramento se debet excusare, et in hoc interpellatori sufficiat, nec ulterius ad sortem quem libet compellere potest. 제2항 그렇지만 제비를 뽑는 두 차례의 절차에 있어서, 첫 번째 차례에서 십자 가의 기호가 있는 잔가지를 뽑았다면 이상의 律文에서 적었듯이 피고인 7명이 모두 무죄이다. 人命金을 요구하는 자가, 그렇게 원한다면, 타인에게 죄를 씌울 수 있다. 그리고 각 피고발인은 동급의 宣誓補助者와 같이 12배의 가치를 가지 는 자신의 손으로 선서하여 결백을 증명한다. 제비를 뽑고 있는 절차를 더 이 상 밟지 않으므로 본 선서가 고발인을 만족시키면 된다. Haec lex, inter Laubachi et Flehum custoditur. Caeterum inter Flehum et Sincfalam fluvium pro huiusmodi causa talis est consuetudo. Lauwers강 및 Vlie강 사이의 지역에서 이상과 같은 법이 있다. Vlie강 및 Zwin강 사이의 지역354)에서[騷擾殺害의] 사건을 다음과 같은 관습대로 裁判했 다. Is qui compositionem homicidii quaerit, in reliquiis sanctorum iuret, se non alium de hac re interpellaturum, nisi eos qui ei ipsius homicidii suspecti sint; et trunc unum, vel duos, vel etiam tres, aut quatuor, vel quotlibet fuerint, qui eum qui occisus est vulneraverunt, de homicidio interpellet. Sed quamvis viginti aut etiam triginta fuerint, non tamen amplius quam septem interpellandi sunt, et unusquisque eorum qui interpellatus est sua duodecima manu iuret, et se post sacramentum iudicio Dei examinandum ferventi aqua innocentem ostendat. Qui primus iuravit, primus ad iudicium exeat, et sic per ordinem. Qui in iudicio probatus inventus fuerit, cornpositionem homicidii persolvat, et ad partem regis bis weregildum suum; caeteri coniuratores sicut superius de periuris dietum est. 제3항 살해로 인한 벌금을 요구하였던 자는 혐의를 받은 사람을 제외하고 타인 을 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성골에 손을 얹고 선서하면 된다. 그 다음에 상해 를 입혔던 것으로 인하여 피해자를 殺害했던 사람의 수는 2명이 되든 3명이 되 든 4명이 되든 몇 명이 되든 상관없이 지적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아무리 혐 의를 받는 사람이 20명이나 30명이 되더라도 7명만을 규칙적으로 고발할 수 서부 프리지아, Lauwers강 및 Vlie강 사이의 지역은 중부 프리지아로, Lauwers강 및 Weser강 사이의 지역은 동부 프리지아로 표현 할 수도 있다. 354) - 310 -
있다. 그리고각피고발인은宣誓補助者 12명과함께선서하며침수신판을통하여결백을증명하게한다. 처음에선서했던자는신판도먼저당하며순서가이순리대로된다. 신판을통하여유죄로증명된자는殺害人으로서벌금을갚아주어야하며, 게다가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의 2배로처벌한다. 그리고그의宣誓補助者들이허위선서를한죄로처벌당한다. De eadem re inter Laubachi et Wiseram fluvium talis consuetudo est. Lauwers강및 Weser강사이의지역에서이상의사건에대한또다른관습이있다. Ille qui compositionem homocidii quaerit, unum hominem interpellet, homicidam eum proximi sui vocans, et eum leudem occisi debere persolvere. Et ille si responderit et dixerit: se velle cum coniuratoribus suis sacramento se purgare, dicat ille gui homicidam eum interpellavit, se in placito publico eum interpellare velle, et ita faciat: interpellet eum in placito coram iudicibus, ei ille qui interpellatus est, si negare non poterit, alium quod sibi obiectum est homicidii reum ostendat. Quod ita facere debet. 제4항殺害로人命金을요구하는사람이어떤사람을피해자의人命金을갚아주어야할친척의살인자라고하면서고발한다. 그리고피고인은宣誓補助者와함께결백선서를통하여결백함을증명하고싶다고답했다면, 그리고고발인은공판을통하여고발하려고했다면자신이말한대로한다. 법원에서參事官들앞에서피고인을殺害人으로고발하고피고발인이부인하지못했다면타인을지적하여殺害罪를씌운다. 이후에다음과같이해야한다. Producat hominem quem voluerit, ei iuret: "Quod ille homicidii, de quo ego interpellatus sum, reus est," tenens eum per oram sagi sui. llle autem, si hoc sacramentum negare velit, iuret ei contra ipsum cum armis suis in campum procedat. Et uter in ipso certamine convictus fuerit ei sibi concrediderit, solvat leudem occisi. 제5항지적했던자를데려와그의외투의끝을잡으면서선서하길 : 이자는제가말한殺害의책임자다. 그러나이자가결백선서를통하여유죄를부인하고싶다면그리할수있으며, 자기의무기를준비하여결투를개시한다. 이결투에서항복한자는殺害人으로서피해자의人命金으로처벌한다. Si autem occisus fuerit, haeres eius proxirnus homicidii compositionem exsoluat. - 311 -
제 6 항하지만 결투했을때죽게되었다면죽은자의최근의상속인은살해인 으로서피해자의人命金을갚아주어야한다. In hac tamen contentione licet uniquique pro se campionem mercede conducere, si eum invenire potuerit. Si campio qui mercede conductus est occisus fuerit, qui eum conduxit LX solidos, id est libras III ad partem regis componat, insuper et leudem occisi hominis exsolvat. 제7항본결투에있어서각자가대표하는결투자를찾을수있으면이를돈으로고용하게된다. 이결투자가결투에서죽게되었다면그의고용주는 3 파운드 [ 즉 36온스 ] 에상당한솔리도스 60개를大王의몫으로속형을하며피해자의人命金도갚아주면된다. Et hoc eadum regione taliter observatur. 이상의절차는 [ 동부프리지아이다 ] 의관습이다. De Compositionibus wergildi 제15조人命金에대해서 Tit. XV Compositio hominis nobilis, librae Xl per veteres denarios. 제1항귀족의人命金은舊데나리우스로계산하면 11 파운드이다. Compositio liberi, librae V et dimidia per veteres denarios. 제 2 항자유인의人命金은舊데나리우스로계산하면 5 파운드및이분의일파 운드이다. Compositio liti, libra II et enciae IX, ex qua duae partes ad dominum pertinent, tertia ad propinquos eius. 제3항반자유인의人命金은 2파운드및 9온스이다. 이금액의삼분의이를주인에게갚아주며 1/3로반자유인의친척에게속형을하면된다. Compositio servi, libra I et unciae IV ei dimidia. 제 4 항노예의贖罪金은 1 파운드및 4 온스이다. Inter Laubaci et Sincfalum. 이상은 Lauwers 강및 Zwin 강사이의지역에서갚아야할금액이다. - 312 -
De Fredo 제 16 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에대하여 Tit. XVI De homicidio ad partem dominicam pro freda XXX solidi componuntur, qui solidus tribus denariis constat. 제1항살해죄는大王의몫으로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인솔리도스 30개로속형을하면된다. 솔리도스 1개에상당하는것은데나리우스 3개이다. Tit. XVII Hic Bannus est 제 17 조다음과같은 [ 평화질서를파괴시키는짓은 ] 금지되고있다. Si quis in exercitu litem concitavrit, novies damnum quod effecit componere cogatur, et ad partem dominicam novies fredam persolvat. 제1항어떤사람이군사훈련에서싸움을걸었다면그대상인타인에게손해배상 9배로속형을하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에있어서는大王의몫으로보통보다 9배로갚아주면된다. Qui in curte ducis, in ecclesia, aut in atrio ecclesiae hominem occiderit, novies weregildum eius componat, et novies fredam ad partem dominicam. 제2항어떤사람이公爵法院이나성당, 성당의안마당에서타인을살해하였다면그의人命金을 9배로갚아주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 9배를大王의몫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legatum regis vel ducis occiderit, similiter novies illum componat, et fredam similiter novies ad partem dominicam. 제3항어떤사람이大王이나公爵의使臣을살해하였다면위와같이그의人命金을 9배로갚아주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도大王의몫으로 9배갚아주면된다. Qui manu collecta hostiliter villam vel domum alterius circumdederit, ille qui caeteros collegit et adduxit weregildum ad partem regis componat, et qui eum secuti sunt, unusquisque solidos XII, et ei cui damnum, si etiam damnum illatum est, in duplo emendetur. 제4항원수들이어떤집을집단으로둘러쌌다면, 타인을誘引해모았던主導 - 313 -
者는자신의人命金으로大王의몫으로써속형을하며, 그리고그를따라갔던사람들도한명당솔리도스 12개를大王의몫으로갚아주면된다. 게다가被害者에게는, [ 둘러싸였던집의주인이 ] 어떤훼손을입은경우에는, 책임자들이손해배상금을 2배로갚아주어야한다. Ultra Laubachi vero in simplo. Lauwers 강東邊의지역에서는손해배상금을한번만갚아주면된다. Qui mancipium in paganas gentes vendiderit, weregildum suum ad partem regis solvere cogatur. 제5항어떤사람이이교도집단에게노예를畧賣하였다면이노예의贖罪金으로大王의몫으로써속형을하면된다. Tit. XVIII De die Dominico 主日에대하여 Qui opus servile die dominico fecerit, ultra Laubachi solidos XII, in caeteris locis Fresiae IV solidos culpabilis iudicetur. 제1항어떤사람은주일에하인이보통하는일을하였다면 Lauwers강東邊의지역에서솔리도스 12개로, 프리지아의다른지역에서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한다. Si servus hoc fecerit, vapuletur, aut dominus eius IV solidos pro illo componat. 제2항노예가이와같은짓을하였다면杖刑을받거나그의주인은솔리도스 4개로그를구하면된다. Tit. XIX De Parricidiis 친척殺害에대하여 Si quis patrem suum occiderit, perdat hereditatem, quae ad eum pertinere debebat. 제1항어떤사람이부친살해죄를범하였다면 [ 관습대로 ] 받을수있는재산에대한상속권을잃게된다. Si quis fratrem suum occiderit, solvat eum proximo heredi, sive filium aut filiam habuerit, aut si neuter horum fuerit, solvat patri suo vel matri suae vel fratri vel etiam sorori suae; quod si nec una de his personis - 314 -
fuerit, solvat eum ad partem regis. 제2항어떤사람이兄弟살해죄를범하였다면자녀든지부이든지다른형제자매든지피해자의최근의상속인에게속형을하면된다. 이와같은상속인이없다면大王의몫으로속형을하면된다. Tit. XX De mordrito 제20조비밀로했던謀殺에대하여 Qui obsidem occiderit, novies eum componat. 제1항어떤사람이인질을謀殺하였다면속형을 9배로하면된다. Si quis hominem occiderit et absconderit, quod mordritum vocant, novem weregildos componat, aut si negaverit, cum XXXV iuret. 제2항어떤사람이타인을謀殺하여시체를숨겼다면 ( 본죄도 mordrit이라고한다 ) 人命金의 9배로속형을하거나유죄를부인하였다면동급의宣誓補助者 35명과함께결백선서를하면된다. Si servus dominum suum interfecerit, tormentis interficiatur; similiter et litus. 제3항노예가자신의주인을謀殺했다면고문을통하여사형을받게된다. 반자유인의형벌도마찬가지다. Tit. XXI De Plagio 誘拐罪에대하여 Si quis hominem, vel nobilis nobilem aut liberum, vel liber liberum, vel liber nobilem extra patriam vendiderit, componat eum ac si ab ipso fuisset interfectus, aut eum ab exilio revocare studeat; si vero, qui venditus fuit, reversus fuerit, et eum qui se vendiderat, de facinore convenerit, componat ei bis iuxta quod fuerat adpretiatus, et solidos XII ad partem regis componat. 제1항어떤사람은귀족이든지자유인이든지관계없이귀족이나자유인을異邦으로略賣하였다면, 殺害罪와관련된벌금으로속형을하면된다. 그렇지않으면피해자를이방으로부터구해내면된다. 그렇지만팔려간자가스스로귀국을하다면, 그리고판사람에게죄를씌웠다면죄인은팔려간사람에게人命金 2배로속형을한다. 게다가솔리도스 12개를大王의몫으로갚아준다. Ultra Laubachi vero weregildum suum. - 315 -
Lauwers 강東邊의지역에서죄인은자신의人命金 1 개를갚아주면충분하다. Tit. XXII De Dolg 제22조 [ 毆打罪 ] 負傷에대하여 Si quis alium per iram in capite percusserit, ut eum surdum efficiat, XXIV solidos componat. 제1항어떤사람이화가나서피해자가청각장애자가될만큼그의머리를구타하였다면솔리도스 24개로속형하면된다. Si mutus efficiatur, sed tamen audire possit, XVIII solidos componat. 제 2 항피해자가들을수있기는하지만구타로인해말못하는장애자가되었 다면죄인은솔리도스 18 개로속형하면된다. Si quis alium ita percusserit, quod durslegi vocant, dimidium solidum componat. 제3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 durslegi라고하는타박상을입혔다면, 솔리도스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autem sanguinem fuderit, componat solidum I. 제 4 항그렇지만죄인이구타하여하혈을하게하였다면솔리도스하나로속형 을하면된다. Si eum percusserit ut testa appareat, cum duobus solidis componat. 제 5 항죄인이구타하여피해자의상처를통하여頭骨이보이게되었다면솔리 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os perforatum fuerit, duodecim solidos componat. 제 6 항죄인이골절시켰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membranam, qua cerebrum continetur, gladius tetigerit, XVIII solidos componat. 제7항죄인이뇌를둘러싼粘膜을劍으로건드렸다면솔리도스 18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psa membrana rupta fuerit, ita ut cerebrum exire possit, XXIV solidos componat. - 316 -
제 8 항죄인은뇌가밖으로드러날수있을만큼피해자의점막에부상을입혔 다면솔리도스 2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teri aurem absciderit, XII solidos componat. 제 9 항어떤사람이타인의귀를벴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nasum absciderit, XXIV solidos componat. 제 10 항코를벴다면솔리도스 2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summam rugam frontis quis ictu transversam inciderit, duobus solidis componat. 제11항 [ 어떤사람이 ] 타인이마의아랫주름을잘랐다면솔리도스 2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subteriorem inciderit, IV solidis componat. 제 12 항 [ 어떤사람이 ] 이마의윗주름보다아래에있는주름을잘랐다면솔리 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tertiam, quae iuxta oculos est, duobus solidis componat. 제 13 항 [ 어떤사람이 ] 이마의세번째, 눈바로위에있는주름을잘랐다면솔 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supercilium inciderit, duobus solidis componat. 제 14 항 [ 어떤사람이 ] 눈썹을잘랐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palpebram, aut superiorem aut subteriorem, vulneraverit, duobus solidis componat. 제15항 [ 어떤사람이 ] 위또는아랫눈꺼풀에부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2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nasum transpunxerit, XV solidis componat. 제 16 항 [ 어떤사람이 ] 타인의코를찔렀다면솔리도스 15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Si granonem ictu percussam praeciderit, duobus solidis componat. 제 17 항어떤사람이콧수염을잘랐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 317 -
Si maxillam inciderit, VI solidis componat. 제 18 항 [ 어떤사람이 ] 타인의턱을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 된다. Si unum dentem de anterioribus excusserit, duobus solidis componat. 제 19 항 [ 어떤사람이 ] 앞치아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Si unum ex angularibus dentibus excusserit, tribus solidos componat. 제 20 항 [ 어떤사람이 ] 송곳니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3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Si de molaribus unum excusseit, IV solidis componat. 제 21 항 [ 어떤사람이 ] 어금니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Si iugulum incisum fuerit, IV solidis componat. 제 22 항 [ 어떤사람이 ] 타인의鎖骨을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 면된다. Si costam transversam inciderit, XII solidis componat. 제23항 [ 어떤사람이 ] 칼날로타인의肋骨을관통해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brachium ietu supra cubitum confractum fuerit, XII solidis componat. 제 24 항 을하면된다. [ 어떤사람이 ] 타인의上腕骨을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 Si infra cubitum unum ossium confractum fuerit, VI solidis componat. 제 25 항前膊骨이부러졌다면죄인은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utraque ossa fracta fuerint, XII solidis componat. 제 26 항 [ 이상의 ] 兩骨이부러졌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 318 -
Si manus in ipsa iunctura qua brachio adhaeret abscissa fuerit, XLV solidis componat. 제27항 [ 어떤사람이타인의 ] 팔뚝부위에서손을잘라냈다면솔리도스 45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pollicem absciderit, XIII solidis et uno tremisse componat. 제 28 항 [ 어떤사람이타인의 ] 엄지손가락을잘라냈다면데나리우스하나를추 가하여솔리도스 13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dicem absciderit, VII solidis componat. 제 29 항집게손가락을잘라냈다면솔리도스 7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medium absciderit, uno tremisse minus VII solidis componat. 제30항中指를잘라냈다면데나리우스하나를감해솔리도스 7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annularem absciderit, VIII solidis componat. 제 31 항藥指를잘라냈다면솔리도스 8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minimum absciderit, VI solidis componat. 제 32 항새끼손가락을잘라냈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totos V digitos absciderit, XLI solidis componat. 제 33 항모든손가락 5 개를잘라냈다면솔리도스 41 로속형을하면된다. Palma manus abscissa, IV solidis componatur. 제 34 항베어냈던손바닥의배상금으로는솔리도스 4 개를갚아준다. Si quislibet digitus ex quatuor longioribus in superioris articuli iunctura ita percussus fuerit, ut humor ex vulnere decurrat, quod liduwagi dicunt, uno solido componatur. 제35항긴손가락 4개중윗마디하나를구타하여부상시켰다면, 그리고 liduwagi라는액체가나왔다면책임자는솔리도스하나를갚아주면된다. Si in subteriori articulo hoc contigerit, duobus solidis componatur. - 319 -
제 36 항 [ 손가락의 ] 중간관절을구타하여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 을하면된다. Si in tertio articulo fuerit, tribus solidis componatur. 제 37 항손가락의밑동마디를구타하여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3 개로속형을 하면된다. Si in iunctura manus et brachii hoc evenerit, quatuor solidis componatur. 제 38 항부상시켰던관절이팔목마디였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cubito idem evenerit, IV solidis componatur. 제 39 항팔꿈치의관절에같은부상을시켰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 된다. Si in summitate, qua brachium scapulae iungitur, evenerit, IV solidis componatur. 제 40 항어깨의관절을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pollicis superioris articuli iunctura fuerit, duobus solidis componatur. 제 41 항엄지손가락의윗마디를구타하여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 하면된다. Si in inferiori, tribus solidis componatur. 제 42 항엄지손가락의밑동마디를 [ 구타하여부상시켰다면 ] 솔리도스 3 개로 속형을하면된다. Si ad iuncturam brachii et pollicis fuerit, IV solidi componatur. 제 43 항손목 [ 原文 : 엄지손가락및팔뚝사이 ] 의관절을구타하여 [ 부상을 ] 입 혔다면솔리도스 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cubito IV, si in iunctura scapulae simili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44 항팔꿈치나어깨를 [ 구타하여부상을입혔다면 ] 각각솔리도스 4 개로속 형을하면된다. - 320 -
Si quis oculum alterius ita percusserit, ut eo ulteriu videre non possit, XX solidos et duos tremisses componat. 제45항어떤사람이타인의눈을멀게할만큼안구를구타하였다면데나리우스 2개를더한솔리도스 20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totum oculum eruerit, medietatem weregildi sui componat. 제46항 [ 어떤사람이타인의 ] 안구전부를없앴다면자신의人命金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pectus foraverit, XII solidos componat. 제 47 항어떤사람이타인의가슴을찔렀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Si praecordia, id est herthamon, gladio tetigerit, XVIII solidos componat. 제 48 항 [ 어떤사람이 ] herthamon, 즉심장을둘러싼점막인橫隔膜을劍으로 건드렸다면솔리도스 18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praecordia perforaverit, XXIV solidos componat. 제 49 막횡격막을찌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2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membranam qua iecor et splen pendent, quod mithridri dicunt, vulneraverit, XVIII solidos componat. 제50항 [ 어떤사람이 ] 肝臟및脾臟을둘러싼 midriff라고부르는점막을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18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llud perforaverit, XXIV solidos componat. 제 51 항본점막을찌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24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ventrem vulneraverit, XII solidos componat. 제 52 항 [ 타인의 ] 복부에부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botellum vulneraverit XVIII, si perforaverit XXIV solidos componat. 제 53 항 腸에부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18 개 [ 로속형을하면된다 ]. 그리고 장을찌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24 개를갚아주면된다. - 321 -
Si contra stomachum vulneraverit, XII solidos componat. 제 54 항타인의胃를부상시켰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stomachum tetigerit gladio, ut vulneretur, XVIII; si perforatus fuerit, XXIV solidos componat. 제55항 [ 죄인의 ] 칼이위에닿아부상하였다면솔리도스 18개로속형을하면된다. 위를찔렀다면솔리도스 24개를갚아주면된다. Si botellus de vulnere processerit, et iterum interius remittitur, IV solidis supra compositionem vulneris componatur; si de adipe aliquid processerit ut praecidatur IV solidis componatur. 제56항부상을통하여腸이밖으로나와서안에다시밀어넣게되었다면부상贖罪金에솔리도스 4개를추가하면된다. [ 복부로부터 ] 지방이밖으로나올정도로베었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veretrum quis alium absciderit, weregildum suum componat. 제 57 항어떤사람이타인의陰莖을베었다면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을하면 된다. Si unum testiculum excesserit, dimidium weregildum, si ambo, totum componat. 제58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睾丸하나를부상시켰다면반액을減한人命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兩睾丸를부상시켰다면人命金의전부를갚아주면된다. Si testiculus exierit per vulnus, et iterum remittitur in locum suum, VI solidis supra compositionem vulneris componatur. 제59항부상을통하여睾丸이밖으로나와서안에다시밀어넣게되었다면부상贖罪金에솔리도스 6개를추가하면된다. Si coxam supra genu vulneraverit, et os transversum fregerit vel praeciderit, XII solidos componat. 제60항 [ 무릎위의 ] 大腿를다치게하여大腿骨을부러뜨렸거나이를부분적으로베었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tibia subtus genuculo media incisa fuerit, VI solidis, si tota, XII solidis componatur. - 322 -
제 61 항脛骨을부분적으로만자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 다. 그러나경골이완전히둘로잘리게되었다면솔리도스 12 개로속형을하면 된다. Si pes totus abscissus fuerit, XLV solidis componatur. 제 62 항발이완전히베어졌다면솔리도스 4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pollicem pedis absciderit, VIII solidos componat si proximum digitum VII, si tertium VI, si quartum V, si quintum IV solidos componat; reliqua pars pedis, quae inter tibiam et digitos est, XV solidis componatur. 제63항어떤사람이타인의엄지발가락을베었다면솔리도스 8개로속형을하면된다. 두번째발가락을베었다면贖罪金이솔리도스 7개가되며, 세번째발가락을베었다면贖罪金이솔리도스 6개가되며, 네번째발가락을베었다면贖罪金이솔리도스 5개가되며, 새끼발가락을베었다면贖罪金이솔리도스 4개가된다. 경골및발가락사이의발부위를잘랐다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humor per articulos digitorum decurrerit, sicut superius de manu scriptum est, ita et in pede componatur. 제64항발가락마디로부터액체가나와있었다면손가락에대한위의내용과같은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ratus per capillos comprehenderit, duobus solidis componat, et pro freda IV solidis ad partem regis. 제65항어떤사람이분노하여타인의頭髮을손으로잡아당겼다면솔리도스 2개로속형을하면되고, 게다가大王의몫으로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Vulnus quod longitudinem habeat quantum inter pollicem et complicati indicis articulum spannum impleat, IV solidis componatur; quod integrae spannae longitudinem habuerit, hoc est quantum index et pollex extendi possunt, VI solidis componatur. 제66항부상의길이가 spanne 하나정도가아니며엄지손가락및구부린집게손가락관절사이의거리가되었다면贖罪金으로솔리도스 4개를갚으면된다. 부상의길이는완전한 spanne 하나정도라면, 즉집게손가락및엄지손가락의공간이널리펴질만한거리가되었으면솔리도스 6개로속형을하면된다. - 323 -
Quod inter pollicem et medii digiti spannum longum fuerit, VIII solidis componatur. 제67항 [ 부상의길이가 ] 엄지손가락및中指사이의거리가되는긴 spanne 정도라면부상속죄금으로솔리도스 8개를갚아주면된다. Quod a cubito usque ad iuncturam manus longitudne fuerit, duodecim solidis. 제68항팔꿈치및팔목사이의거리가되었다면부상贖罪金으로솔리도스 12 개를갚아주면된다. Quod a cubito usque ad summitatem pollicis longum fuerit, XVIII solidis componatur. 제69항팔꿈치및엄지손가락끝사이의거리가되었다면부상속죄금으로솔리도스 18개를갚아주면된다. Quod pleni cubiti, id est ad summos digitos manus extensae, longitudine fuerit, XXIV solidis componatur; quod supra est, non componitur. 제70항완전한팔꿈치거리인팔꿈치와中指끝의거리가되었다면부상속죄금으로솔리도스 24개를갚아주면된다. 더긴부상이있었다면 [ 더욱많은속죄금으로 ] 贖刑되지않는다. Si de vulnere os exierit tantae magnitudinis, ut iactum in scutum trans publicam viam sonitus eius audiri possit, IV solidis componatur. 제71항부상으로인해튀어나온뼈가매우커서, 公道의건너편에서방패를향해던졌을때소리를들을수있으면부상속죄금으로솔리도스 4개를갚아주면된다. Si duo ossa exierint, duo solidi adiiciantur, id est VI. 제 72 항부상으로인해뼈 2 개가밖으로나왔다면부상배상금에솔리도스 2 개 를추가한금액으로솔리도스 6 개 [ 를갚아주면된 ] 다. Si tria exierint, unus solidus adiicitur. 제73항뼈 3개가밖으로나왔다면추가부상속죄금으로솔리도스 1개를추가하면된다. - 324 -
Si minora fuerint, quam ut in scuto iacta trans publicam viam audiri possint, dimidio minore compositione solvatur. 제74항부상으로인해튀어나온뼈가작아公道의건너편에서방패를향해던졌을때소리가들리지않았다면부상贖罪金이반액으로줄어든다. Vulnera tria, vel quatuor, vel eo amplius uno icti facta mensurantur, et iuxta quod eorum fuerit longitudo, compositio persolvatur; si vero tria, vel quatuor, vel quotlibet vulnera totidem ictibus fuerint facta, quod ex his maximum fuerit, iuxta sui longitudinem componatur, caetera vero remaneant. 제75항한毆打로부상이서너군데, 아니면더욱많은수의부상을입혔다면이부상의길이를잴때는가장긴부상의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서너군데아니면더욱많은수의부상이똑같은수의구타로발생되었다면나머지부상을무시하고가장긴부상의贖罪金을갚아주면된다. Si manus percussa manca pependerit, dimidio componatur, quo debuit si fuisset abscissa; pes similiter; digittis similiter, qualiscunque fuerit; digitus pedis similiter. 제76항구타했던손이축늘어져 [ 못쓰게 ] 되었다면이를완전히자른경우의贖罪金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그리고발이든지, 손가락이든지 ( 아무리상태가심하였음에도불구하고완전히잘리지않았다면 ) 발가락도마찬가지 [ 똑같은순리에준하여재판하면된다 ]. Si brachium iuxta scapulam abscissum fuerit, quinquaginta tribus solidis et tremisse componatur. 제77항 [ 어떤사람이타인의 ] 어깨를베었다면솔리도스 53 및데나리우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Si brachium mancum pependerit, medietate, si abscissam fuisset componatur. 제78항구타로인해팔이축늘어졌다면위贖罪金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d de brachio atque manu, ita de coxa ac pede iudicatum est. 제 79 항股및발에대한贖罪金에있어서는팔및손과관련된律文에준하여 판결이동일하다. - 325 -
Si per vulnus pulmo exeat, quatuor solidi supra quanititatem vulneris componantur. 제80항부상에서肺하나가밖으로나와있었다면부상贖罪金에솔리도스 4 개를추가하면된다. Si spiritus per ipsum vulnus exierit, VIII solidis componatur. 제 81 항호흡바람이부상을통하여밖으로나가고있었다면솔리도스 8 개로 속형을하면된다. Qui libero homini manus iniecerit, et eum innocentem ligaverit, XV solidos componat, et duodecim solidos pro freda ad partem regis componat. 제82항어떤사람이무죄인자유인의손을묶어체포하였다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되며, 게다가大王의몫으로솔리도스 12개를갚아준다. Si quis alium iuxta aquam stantem impinxerit, et in aquam, ita ut submergatur, proiecerit, IV solidos componat, et pro freda solidos II. 제83항어떤사람이물가에서있는타인을밀어 [ 피해자가 ] 완전히물에빠지게되었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되고, 게다가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2개를갚아준다. Si quis brachium vel coxam alterius transpunxerit, VI solidos componat. 제 84 항어떤사람이 [ 타인의 ] 팔이나다리를찔렀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 하면된다. Qui maxillas utrasque cum lingua sagitta vel quolibet telo transfixerit, XV solidos componat. 제85항어떤사람이화살이나기타投射物로타인의아래턱및혀를찔렀다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Qui utramque coxam cum folliculo testium telo traiecerit, similiter XV solidos componat. 제86항어떤사람이타인의양쪽허벅지및陰囊을찔렀다면위와같이솔리도스 15개로속형을하면된다. - 326 -
Si quis hominem casu quolibet in aquam prolapsum liberaverit, IV solidorum remunerationem accipiat. 제87항어떤사람이過失로물에빠진타인을구조하였다면솔리도스 4개의포상을받으면된다. Si quis liberam foeminam, et non suam, per mamillam strinxerit, duobus solidis componat et dus solidos pro freda. 제88항어떤사람이자유인인여성의가슴에손을댔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되며, 게다가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2개를갚아준다. Si per verenda eius comprehenderit, IV solidis componat et duos solidos pro freda. 제89항 [ 어떤사람이 ] 여자의성기를만졌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되며, 게다가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솔리도스 2개를갚아주면된다. Epilogus 跋文 Haec omnia ad liberum hominem pertinent. Nobilis vero hominis compositio, sive in vulneribus et percussionibus, et in omnibus quae superius scripta sunt, tertia parte maior efficitur. Liti vero compositio, sive in vulneribus, sive in percussionibus, sive in mancationibus et in omnibus superius descriptis, medietate minor est, quam liberi hominis. 이상의律文에서는피해자가자유인이라면그렇다. 하지만귀족에게입힌부상이든지구타죄 [ 에대한律文 ] 이든지위 [ 제22조 ] 에기록된모든내용을기준으로贖罪金의반액을추가하면된다. 게다가반자유인에게입힌부상贖罪金은부상이든지구타죄든지, [ 四肢가축늘어져못쓰게될정도로 ] 痲痺化시켰던짓 [ 에대한律文 ] 에대하여위 [ 제22조 ] 에기록된자유인에게갚아야할贖罪金에대한내용보다반액을減하면된다. Additio sapientum: Wlemarus 원로들의추론 : Wlemar 은 [ 말하길 ] Add. I De Pace Faidosi 제 1 차추론 : 복수를당할때안전을시키는것에대하여 Homo faidosus pacem habeat in ecclesia, in domo sua, ad ecclesiam eundo, de ecclesia redeundo, ad placitum eundo, de placito redeundo. - 327 -
Qui hanc pacem effregerit, et hominem occiderit, novies XXX solidos componat. 제1항被復讎者에게성당안이나자신의집안이나, 성당과법원을오가는길은 [ 성역으로생각하여 ] 무사히다닐수있도록해야된다. 어떤사람이본규칙을위반하여被復讐者를죽였다면 9배로늘어난솔리도스 30개를갚아주면된다. Si vulneraverit, novies XII solidos componat ad partem regis. 제 2 항被復讐者에게부상을입힌죄인은 9 배로늘어난솔리도스 12 개를大王 의몫으로갚아주면된다. Si quis caballum furaverit aut bovem, aut screonam effregerit, capitali sententia puniatur, vel vitam suam pretio redimat. 제3항어떤사람이 [ 被復讐者의 ] 말이나소를절도했거나 screona[ 織工家 ] 를몰락시켰다면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하지않으면사형을당하면된다. Add. II Compositio Vulnerum 부상贖罪金 Si quis alteri manum absciderit, XXV solidos et V denarios componat. 제 1 항어떤사람이타인의손을잘라버렸다면솔리도스 25 개및데나리우스 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dicem ad inium membrum praeciderit, VI solidos componat. 제 2 항집게손가락의맨밑指骨을베었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medium in eadem iunctura praeciderit, IV solidos et dimidium. 제 3 항中指의 [ 밑동 ] 관절을베었다면솔리도스 4 개및 [ 금전의 ] 반으로속형 을하면된다. Si annularem, VII solidos; si minimus fuerit, solidos V. 제 4 항藥指를잘라버렸다면솔리도스 7 개로, 새끼손가락을베었다면솔리도스 5 개로속형을하면된다. - 328 -
Pollex ex toto abscissus sic componitur, sicut IV digiti si omnes abscindantur, id est solidis XXII et dimidio. 제5항엄지를완전히잘라버렸다면다른손가락 4개를베었던贖罪金에상당한, 솔리도스 22개및 [ 금전의 ] 반으로속형을하면된다. Abscissio palmae IV solidis componatur; si manus abscissa terram cadens tetigerit, ipse casus IV solidis componatur. 제6항손바닥을잘라버렸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잘려진손이땅에내려닿았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digitus quilibet superiori articulo praecisus fuerit, tertia portio compositionis eius exsolvatur. 제7항손가락이윗쪽마디에서잘리게되었다면본贖罪金의 1/3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subteriori praecisus fuerit, duae partes compositionis solvantur. 제8항손가락이중간관절에서잘리게되었다면본贖罪金의삼분의이로속형을하면된다. Si in ima iunctura, id est ex toto abscissus fuerit, tota solutio componatur. 제9항손가락이밑동마디에서잘리게되었다면, 즉 [ 손가락이 ] 완전히잘려졌다면, 贖罪金의전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non praecisus, sed debilitatus et inutilis pependerit, medietas. 제 10 항손가락이완전히잘리지는않았지만축늘어져못쓰게되었다면贖罪 金의반액으로 [ 속형을하면된다 ]. Add. III Hoc totum in triplo componatur 제 3 차추론 : 다음과같이모든贖罪金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Pes ex toto abscissus componatur ut manus, id est tribus et L solidis et tremisse. 제1항완전히잘려진발은손처럼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오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 329 -
Pollex pedis undecim solidis et quarta parte solidi componatur. 제 2 항 [ 완전히잘려진 ] 엄지발가락은솔리도스 11 개및솔리도스사분의일로 속형을하면된다. Proximus digitus pollici tribus solidis componatur. 제 3 항둘째발가락이 [ 완전히잘렸다면 ] 솔리도스 3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ecundus duobus solidis et duabus partibus solidi componatur; tertius similiter; quartus similiter. 제4항셋째발가락이 [ 완전히잘렸다면 ] 솔리도스 2개와삼분의이로속형을하면된다. 넷째발가락이나새끼발가락의경우에도동일한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tertia pars digiti fuerit abscissa, tertia pars solutionis componatur. 제 5 항발가락의 1/3 을잃게되었다면贖罪金도 1/3 로속형을하면된다. Si duae partes, similiter duae partes componantur. 제 6 항발가락의 2/3 을잃게했다면贖罪金도 2/3 로속형을하면된다. Si totus, tota solutio componatur. 제 7 항발가락이완전히잘렸다면贖罪金의전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ta in caput percusserit, ut surdus et mutus efficiatur, ter L. tribus solidis et tremisse componat. Si alterum et non utrumque fuerit, medietas mulctae componatur. 제8항어떤사람이타인의양쪽눈을멀게하거나청각장애자가될정도頭部를구타하였다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피해자가둘중한장애만가지게되고다른장애를입지않았다면본贖罪金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auris ex toto abscissa fuerit, ter duodecim solidis componatur. 제 9 항귀완전히잘렸다면솔리도스 12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nasus abscissus fuerit, ter XX. duos solidos et tremisse componat. 제 10 항코잘렸다면솔리도스 22 개및데나리우스하나, 3 배로속형을하면된 다. - 330 -
Si nasus una parte perforatus fueri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11 항코의한쪽잘렸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et cartilago perforata fuerit, ter VIII solidi componantur. 제 12 항코의軟骨도되었다면솔리도스 8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etiam ex altera parte telum exierit, ita ut tria foramina facta sint, ter XII solidi componantur. 제13항코의한쪽에들어왔던화살이다른쪽으로나오게되어코에서구멍 3개를찌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maxilla perforata fueri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14 항아래턱을찌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supercilium in transversum praecisum fueri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15 항눈썹을가로자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ex percussione deformitas faciei illata fuerit, quae de XII pedum longitudine possit agnosci, quod wlitiwam dicun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16항구타를하여 [ 타인의 ] 안면에 12 步떨어진거리에서볼수있는 wlitiwam [ 안면의손상 ] 이라는심한훼손을가했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 형을하면된다. Si granones praecisi fuerin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17 항콧수염을잘라버리게되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 다. Si oculus vel os ita percussa fuerint, ut torqueantur,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18항어떤사람이타인의눈이나입에타박상이생길만큼구타를했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 331 -
Si palpebra praecisa fuerit, ter IV solidi componantur. 제 19 항눈꺼풀을잘라버리게되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Rugae frontis tres, si in transversum incisae fuerint, ter XII solidi componantur. 제20항이마의주름 3개를가로자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una, ter IV solidi. 제 21 항단한주름만 [ 자르게되었다면 ] 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 다. Si homo ab alio ita in caput percussus fuerit, ut nec frigus nec calorem pro vulneris impatientia sufferre possit, ter IV solidi componantur. 제22항어떤사람이타인의頭部를구타하였다면, 그리고피해자가본부상탓으로추위나더위를참을수없게되었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n caput ita percusserit, ut testa perforetur, ter XII solidis componat. 제23항어떤사람이타인의두골을부러뜨릴만큼頭部를구타하였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ossa de vulnere exierint tantae magnitudinis, ut in scutum iactum, XII pedum spatio distante homine, possit audiri, unum ter IV solidis componatur, aliud ter duobus, tertium ter uno solido. 제24항부상으로튀어나온뼈는 12 步떨어진거리에서방패를향해던져소리를들을수있다면뼈하나는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되고, 뼈 2 개는솔리도스 2개, 3배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되며, 뼈 3개는솔리도스 1개, 3배를추가하여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percusserit, ut ferrum in osse figatur, ter tribus solidis componat. 제25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날이뼛속에서움직이지않을정도로부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3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 332 -
Si os apparuerit, non tamen incisum fuerit, ter solido et tremisse componat. 제26항부상을통하여뼈가보이지만뼈를만질수없게되었다면솔리도스 1 개및데나리우스 1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Os quodcunque ferro praecisum fueri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 27 항뼈가쇠로잘렸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Costa si praecisa fuerit, ter tribus solidis componatur. 제 28 항肋骨이잘렸다면솔리도스 3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non praecisa, sed incisa vel confixa fuerit, ter solido et semisse componatur. 제29항肋骨이잘리지는않았지만늑골에서흠이나타박상이나오게되었다면 [ 죄인은 ] 솔리도스 1개및세미쎄 [ 즉솔리도스의반 ],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trans costam ita percusserit, ut vulnus ad interiora venerit, ter XII solidos componat. 제30항어떤자가타인에게肋骨사이를구타하여몸의내부 [ 시관 ] 에부상을일으켰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한다. Si stomachus vel botellus perforatus fuerit, ita ut stercus per vulnus exierit, ter XXIV solidis componatur. 제31항복부나내장을찌르게되었다면, 그리고부상으로인해고름이나오게되었다면솔리도스 2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in iunctura membrum cuiuslibet ita percusserit, ut humor ex vulnere decurrat, quem liduwagi dicunt, ter IV solidos componat. 제32항어떤사람이부상으로인해 liduwagi라는액체가나오게될만큼타인의다리를구타하였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ta percusserit, ut osse inciso medulla decurrat, ter IV solidos componat. 제33항어떤사람이骨髓가뼛속에서나오게될만큼타인을구타하였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 333 -
Si quis alium vulneraverit, et ipsum vulnus sanatum cicatricem depressam et non reliquae carni aequam duxerit, qaod sipido dicunt, ter IV solidos componat. 제34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부상을입혀, 부상이낫게된후에 sipido라고부르는, 피해자의살색과비슷하지않아쉽게구별할수있는깊은흉터가남아있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brachium aut crus percussum fuerit, et ex ipsa percussione decrescerit a sua grossitudine, quam prius habuerit, quod smelido dicunt, ter IV solidis componatur. 제35항부상으로인해팔이나脛骨의너비가좁아지게되었다면 - 본상태는 smelido라고한다 - 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Qui de anterioribus dentibus unum excusserit, ter duos solidos componat. 제 36 항어떤사람이앞치아중하나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2 개, 3 배로속 형을하면된다. Si de angularubis, ter III solidos componat. 제 37 항어떤사람이송곳니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3 개, 3 배로속형을하면 된다. Si de molaribus, ter IV solidos. 제 38 항어금니를부러뜨렸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crinem alteri de capite abstraxerit, ter IV solidos componat. 제 39 항어떤사람이타인의頭髮을잡아뜯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 하면된다. Si illum per capillos comprehenderit, similiter ter IV solidos componat. 제40항어떤사람이 [ 타인의 ] 頭髮을손으로잡아당겼다면마찬가지로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Qui alium in aquam impinxerit, ita ut mergatur, ter IV solidos componat. 제 41 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완전히물에잠기게밀어넣었다면솔리도스 4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 334 -
Qui alium fuste percusserit, ut lividum fiat, ter solidum et semissem componat. 제42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곤봉으로타박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1개및세미쎄 1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tantum sanguinem dimiserit, ter solidum componat. 제 43 항피해자가출혈하게되었다면 [ 죄인은 ] 솔리도스 1 개, 3 배로속형을하 면된다. Si quis alium unguibus crataverit, ut non sanguis sed humor aquosa decurrat, quod cladolg vocant, ter X denarios Fresionicos componat. 제 44 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출혈은시키지않았으나물과같은액체가나올 만큼 cladolg[ 할퀸傷害 ] 이란부상을입혔다면 [ 銀錢인 ] 프리지아의솔리도스 10 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n tergum aut pectus ita vulneraverit, ut vulnus sanari non possit, sed per fistulas sanies decurrat, ter XII solidos componat. 제45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가슴이나등에고름이나오는, 낫게되지않는부상을입혔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Quodcunque membrum percussum ita debilitatum fuerit, ut ibi inutile pendeat, medietate componatur, qua componi debuit, si penitus fuisset abscissum. 제46항다리를구타하여마비시켜못쓰게되었다면이다리를완전히잘라버릴경우에갚아주어야할贖罪金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oculum excusserit, ter XL solidos componat. 제47항어떤사람이안구를상실하게되었다면솔리도스 40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non oculum excusserit, sed pupillos, ter XX solidos componat. 제48항안구전부가아니며瞳孔만상실하게되었다면솔리도스 20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 335 -
Si quis alii duo, aut tria, aut eo amplius vulnera uno ictu intulerit, et negare voluerit, quod uno ictu tot vulnera fecisset, liceat ei, qui vulneratus est, sua solius manu sacramentum peragere, quod tot vulnera uno icta ei fuissent illata, et componat iuxta quod vulneris fuerit magnitudo; unum quodque vulnus secundum suam longitudinem componendum est. 제49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한번의구타로부상이두세군데이상발생하고, 그리고이모든부상을한꺼번에시켰다는것을부인한경우피해자는그렇게많은부상이한번의구타로생기게되었다는것을 [ 손하나의가치를가지는선서로 ] 혼자서결백을입증하면된다. 게다가부상당한부위마다하나씩부상의길이에준하여 [ 마땅한 ] 賠償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 longum fuerit, quantum summus articulus indicis est, uno solido componatur. 제50항부상의길이가집게손가락의윗쪽指骨정도라면솔리도스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antum duo articuli indicis sunt, duobus solidis. 제 51 항부상의길이가집게손가락의 [ 중간관절부터손가락의끝까지 ] 거리라 면솔리도스 2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antum duo articuli et tertius dimidius, tribus solidis. 제 52 항부상의길이가집게손가락의 [ 중간관절부터손가락의끝까지 ] 거리에 셋째指骨의半을더하게된길이라면솔리도스 3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antum totus index, IV solidis. 제53항부상의길이가전부집게손가락하나정도라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supra longitudinem indicis spatium, quod inter indicem et pollicem est, fuerit adiectum, V solidis. 제54항부상의크기가집게손가락의길이에엄지및집게손가락사이의거리를더하게된길이라면솔리도스 5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adiectus fuerit inferior articulus pollicis, VI solidis. 제 55 항부상의길이가집게손가락의길이에엄지의밑동指骨의거리를더하게 - 336 -
된길이라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et superior adiiciatur, quod vocant smelo, hoc est unius spannae longitudinem habuerit, ter VIII solidis componatur. 제56항부상의길이가 spannae의하나라면, 즉 [ 집게손가락의길이에 ] smelo 라고부르는엄지의윗쪽지골의거리를더하게된길이라면솔리도스 8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antum inter pollicem et medium extendi potest, longum fuerit, ter XII solidis componatur. 제57항부상이엄지로부터넓게편中指의끝까지거리라면솔리도스 12개, 3 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longius fuerit, iterum ad indicis articulos recurrat et metiatur, et sicut superius, adiiciatur et solidorum compositio. 제58항부상이길이가더욱길다면집게손가락의지골의길이를다시한번더하면서贖罪金에 [ 마땅한 ] 솔리도스의수를계산하게된다. Apud occidentales Fresionea inter Flehi el Sincfalam quot unciarum fuerit longitudo vulneris, tot solidorum compositione persolvitur, donec ad quinquaginta el tres solidos perveniat, et unum tremissem; ibi nobilis homo centum el sex solidis el duobus tremissis simpla compositione solvitur. Similiter inter Wisaram et Laubachi. Similiter manum ac pedem. Vlie강및 Zwin강사이의지역에살고있는서프리지아인법에서는부상의길이에준하여마땅한온스의수를추가하여솔리도스로贖罪金을계산하게된다. 극한부상贖罪金은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하나이다. [ 부상이더욱크다면, 그리고 ] 피해자가귀족이었다면솔리도스 106개및데나리우스 2개로단일속형을하면된다. Weser강및 Lauwers강사이의지역에서는법이동일하다. 손이나발도마찬가지다. Haec iudicia Saxmundus dictavit 다음과같은판결은 Saxmund 가말하길 Oculum (ter) XXV solidis debere componi; similiter manum ac pedem. 제 59 항안구하나를상실하거나, 손이나발을잘라버리게되었다면솔리도스 25 개 (3 배 ) 로속형을하면된다. - 337 -
Qui testiculos alii excusserit, ter quinquaginta tres solidos et tremissem. 제60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睾丸하나를훼손시켰다면솔리도스 53개및데나리우스 1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brachium supra cubitum aut coxam transpunxerit, ter VI solidos componat. 제61항어떤사람이타인의上腕骨이나大腿骨을찔렀다면솔리도스 6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Si brachium sub cubito aut tibiam transpunxerit, ter III solidos componat. 제 62 항어떤사람이타인의前膊骨이나脛骨을찔렀다면솔리도스 3 개, 3 배로 속형을하면된다. Si nasum transpunxerit, ter XII solidos. 제 63 항어떤사람이타인의코를찔렀다면솔리도스 12 개, 3 배로속형을하면 된다. Si unam parietem transpunxerit, VI. 제 64 항어떤사람이타인의담을뚫었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unam maxillam transpunxerit, VI solidos. 제 65 항타인의아래턱을찔렀다면솔리도스 6 개로속형을하면된다. Qui alium in flumine, vel in qualibet aqua, in profundum impinxerit, ut pedibus terram langere non possit sed natare debeat, ter XII solidos componat, 제66항어떤사람이바닥에발이닿을수없으며수영해야할정도의깊은물에타인을밀어넣었다면솔리도스 12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Qui alium in periculo aquae liberaverit, IV solidorum mercedem accipiat. 제67항어떤사람이위험한물에빠졌던타인을구조하였다면솔리도스 4개의포상을받으면된다. Si caballus aut bos aut quodlibet animal homini vulnuis intulerit, dominus eius, iuxta qualitatem vulneris in simplo componere iudicetur, et tres - 338 -
partes de ipsa mulcta componantur, quarta portione dimissa. Inter Wisaram et Laubachi tota compositio in simplo persolvitur. 제68항어떤사람이타인의말이든지소든지다른가축에게부상을입혔다면부상의속성에준하여주인에게단일부상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이贖罪金의세부분을반드시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되며, 속죄금의사분의일인네번째부분이면제된다. Weser강및 Lauwers강사이의지역에서단일贖罪金의전액을갚아주면된다. Si homo quislibet telum manu tenet, et ipsum casu quolibet inciderit super alium, extra voluntatem eius qui illud manu tenet, in simplo iuxta qualitatem vulneris componat. 제69항어떤사람이투사무기 [ 던지는창이나화살이란뜻 ] 를손으로잡으면서이무기이용자가타인에게과실로부상을입혔다면傷害의속성에준하여단일부상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Similiter et puer qui nondum XII annos habet, si cuilibet vulnus intulerit, in simplo componat. 제70항이상과마찬가지로나이 12세이하의소년이타인에게부상을입혔다면단일부상贖罪金으로속형을한다. Haec omnes compositiones liberi hominis sunt. 제 71 항위의부상贖罪金은자유인의贖罪金이다. In nobili homine dimidio maiores. 제 72 항귀족속죄금은자유인의배상금에반액을추가하면된다. In lito medietate minores. Inter Flehi et Sincfalem solidus est duo denarii et dimidius, ad novam monetam. Inter Wisaram et Laubaci duo denarii novi solidus est. 제73항半自由人贖罪金은 [ 자유인배상금의 ] 반액을減한다. Vlie강및 Zwin강사이의지역에서새로운통화로계산된솔리도스하나는데나리우스 2개및 [ 금전의 ] 반에상당하다. Weser강및 Lauwers강사이의지역에서새로운솔리도스 1개는새로운데나리우스 2개에상당하다. Si lingua praecisa fuerit, medio weregildo componatur. 제 74 항혀를잘라버렸다면人命金의반액으로속형을하면된다. - 339 -
Si quis hominem mortuum effodierit, et ibi aliquid tulerit, ut caetera furta componatur. 제75항어떤사람이무덤을파헤쳐屍體를노출시켰다면, 그리하여 [ 부장품을 ] 취득하게하였다면盜罪로논하여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Wlemarus dicit Wlemar가말하길 Si quis liber uxorem alterius contra legem tulerit, reddat eam facinus ter quinquaginta tribus solidis et tremisse componat, et pro freda ad partem regis weregildum suum. 제76항어떤자유인이타인의처를불법으로유괴하였다면그녀를돌려보내며솔리도스 53 및데나리우스 1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게다가大王의몫으로자신의人命金이되는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으로갚아주면된다. Si quis illicitas nuptias contraxerit, separabitur ab uxore sua, et liceat tam ei quam et uxori legitime nubere. 제77항어떤사람이불법혼인을하였다면妻와이별하게되며 [ 죄인은 ] 처와법에준하여혼인을할수있도록한다. Si vero separati fuerint, et iterum ad invicem fuerint reversi, weregildum suum uterque componat. 제78항그렇지만이들을이별시킨후에도 [ 예전처럼 ] 다시 [ 불법으로 ] 지내고있었다면이 2명은자신의人命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Inter Laubachi et inter Flehi tres denarii novae monetae solidum faciunt. Lauwers 강및 Vlie 강사이의지역에서새로운데나리우스 3 개는솔리도스 1 개 가된다. Lex Thuringorum, Tit. VI Haec iuditia Wlemarus dictavit 355) 투링족법제 6 조다음과같은판결은 Wlemar 가말하길 Si contra stomachum vulnus factum claudi non potuerit, XII solidos pro ipsa apertione componat. 355) E.T. Gaupp (1832) MGH - 340 -
제 14 항腹部의부상이아물지않았다면이부상의贖罪金으로솔리도스 12 개 를갚아주면된다. Si ipse stomachus perforatus fuerit, nec vulnus medicamento claudi potuerit, pro vulneris apertione totidem solidos componat, quot pro ipso vulnere composuit. 제15항腹部가찔렸다면, 그리고부상이약으로발라도아물수없었다면부상길이에준한贖罪金에부상이벌어진모습으로서위의贖罪金을추가하면된다. Si intestina vel botelli perforati claudi non potuerint, similiter faciant, id est totidem solidis apertionem vulnerum componat, quot pro ipsis vulneribus composuit. 제16항내장이나창자를찔러, 그리고이부상이아물지않았다면마찬가지로속형을하면된다. 즉, 부상 [ 길이에준한 ] 贖罪金에부상이벌어진상태로서벌금을추가하면된다. Si utraque coxa ferro vel quolibet telo traiecta fuerit, VI solidos componat. 제17항어떤사람이타인의양쪽허벅지를날이나투사무기로찔렀다면솔리도스 6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folliculus testiculorum cum coxa, IX solidos componat. 제18항양쪽허벅지뿐만아니라陰囊도 [ 훼손 ] 되었다면솔리도스 9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utraque coxa cum testiculis fuerint perforata, XV solidos componat. 제 19 항양쪽허벅지와睾丸도자르게되었다면솔리도스 15 개로속형을하면 된다. Si quis alium in facie percusserit, ut oculus vel os torqueatur, IV solidos componat. 제20항어떤사람이타인의안면을구타하여안구하나나입술을훼손시켰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quis alium in brachio vel in crure percusserit, ut ipsa membra - 341 -
decrescant, et ita fuerit subtiliatum, ut duos digitos minuatur, IV solidos componat. 제21항어떤사람이타인의팔이나다리를毆打하여손가락 2개정도허벅지길이가줄었거나살이없어지게되었다면솔리도스 4개로속형을하면된다. Si unum, duos solidos; si digitus dimidius, solidum; si sexta pars digiti est, unum tremissem. 제22항이허벅지가손가락 1개정도줄었다면솔리도스 2개로갚아주면된다. 손가락의반만줄었다면솔리도스하나로, 손가락의육분의일로줄었다면트레미쎄하나로속형을하면된다. Qui harpatorem, qui cum circulo harpare potest, in manum percusserit, componat illud quarta parte maiore compositione, quam alteri eiusdem conditionis homini. Aurifici similiter. 제23항어떤사람이둥글게 [ 앉아있는청취자가운데에 ] 하프를치고있는연주자의손을구타했다면동급의타인贖罪金보다는사분의일을추가하면된다. [ 피해자가 ] 금세공사였을경우도마찬가지다. Feminae fresum facienti similiter. 제 24 항 Fresum[ 프리지아의모피로된직물 ] 을짜는여성에게도똑같이하면 된다. Add. III De eo qui alteri viam contradixerit 제3차추론 : 타인의길을막는자에대하여 Si liber libero in via manus iniecerit, et contra legem viam contradixerit, aut aliquid tollere voluerit, ter IV solidos componat, aut si negaverit, solus iuret in manu proximi. 제1항자유인이다른자유인의길을막고그 [ 의어깨 ] 에손을놓으며불법으로방해하거나절도를하려고했다면솔리도스 4개, 3배로속형을하면된다. 유죄를부인하였다면친척 [ 동급의 ] 손의가치를가지는선서로혼자서결백을입증하면된다. Add. IV De eo, qui alterum de caballo iactaverit 제 4 차추론 : 타인을落馬시키는자에대하여 Sic ei componat, quasi eum fuste percussisset; dimidium solidum - 342 -
componat. 제 1 항 [ 그리하는사람은피해자에게 ] 곤봉으로구타했을때의贖罪金과동일 하게솔리도스반액으로속형을한다. Add. V De Muliere occisa 제5차추론 : 旣婚女殺害에대하여 Si quis mulierum occiderit, solvat eam iuxta conditionem suam; similiter sicut et masculum eiusdem conditionis solvere debet. 제1항 [ 어떤사람이 ] 旣婚女殺害를범하였다면신분에준하여속형을하면된다. 동급의남자를살해했을경우와판결이마찬가지이다. Add. VI Saxmundus. De Flumine obtruso 제6차추론 : Saxmund가 [ 말하길 ]. 강을막는죄에대하여 Si quis in flumine viam publicam occluserit, XII solidos componat. 제1항어떤사람이강을통하는公路를막았다면솔리도스 12개로속형을하면된다. Add. VII Wlemarus. De Rebus fugitivis 제7차추론 : Wlemar가 [ 말하길 ]. 도망한것에대하여 Si servus, aut ancilla, aut equus, aut bos, aut quodlibet animal, fugiens dominum suum, ab alio fuerit receptum, et quarenti domino negatum, et iterum depublicatum, reddat aut ipsum quod suscepit, aut aliud simile, vel pretium eius, et pro furto weregildum suum ad partem regis componat. 제1항奴든지婢든지말이든지소든지다른가축등이주인으로부터도망쳤던경우에, 타인한테잡히게되었다면, 그리하여잡혔던사람이그리했다는사실을 [ 옛 ] 주인에게부인하였다면, 게다가이사실이이후에밝혀졌다면죄인은취득했던것을갚아주거나, 다른동일한것으로나동일한가격을가지는것으로주인에게속형을하면된다. 그리하여절도법과마찬가지로자신의人命金을大王의몫으로갚아준다. Add. VIII De Pignoribus 제8차추론 : 담보물에대하여 Si quis in pignus susceprit aut servum, aut equum, et ille servus aliquod damnum ibi fecerit, ad illum pertineat cuius servus est, non ad illum qui eum in pignus suscepit. 제1항어떤사람이노예나말을담보물로받았다면, 그리고이노예가타인 - 343 -
에게손해를입혔다면贖罪金을갚아주어야할사람은담보물을받는자가아 니라이노예의주인이다. Si vero quitslibet servum alterius per vim sustulit pignoris nomine, qoud pant dicunt, et ille damnum aliquod ibi commiserit, ille qui eum sustulit, pro damni qualitate mulctam cogatur exsolvere. 제2항그렇지만어떤사람이타인의노예를담보물로써강제로畧取하였다면 ( 이런약탈죄는 pant라고부른다 ) 게다가이노예가제3자에게손해를입혔다면略取者야말로이손해에준하여 [ 마땅한 ] 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Add. IX De compositione 제9차추론 : 贖罪金에대하여 Vis aut furtum in duplo componitur, et ad freda weregildum. 제1항暴行이나절도와관련된贖罪金은贓物의가격 2배로갚아주면되며평화질서를파괴한벌금은人命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Add. X De re praestita 제10차추론 : 재물을빌려주는것에대하여 Si homo alii equum suum praestiterit, vel quamlibet aliam pecuniam, talem qualis ei praestita est reddat domino eius; et si forte peioratum reddiderit, componat ei iuxta quantitatem, qua rem eius inpeioravit. 제1항어떤사람이타인에게자신의말이나다른재물을빌려주었다면이재물을받았던자는빌린만큼갚아주면된다. 재물이손해를입었다면손해에준하여마땅한贖罪金으로속형을하면된다. Quod si caballus, qui praestitus erat, ipsum qui illum habuit calcibus percussit, aut forte occidit, nullus eum solvat. Hoc trans Laubachi. 제2항그리하여빌렸던말이차용자를굽으로차서그를과실로죽였다면아무도속형을하지않는다. 이것은 Lauwers강동변지역 [ 에서관습이다 ]. Add. XI De Honore templorum 제11차추론 : 神殿冒瀆에대하여 Qui fanum effregerit, et ibi aliquid de sacris tulerit, ducitur ad mare, et in sabulo, quod accessus maris operire solte, finduntur aures eius, et castratur, et immolatur Diis quorum templa violavit. - 344 -
제1항어떤사람이神殿에들어가聖遺物을절도하였다면, 이사람을바닷가로데려와갯벌에서귀를 [ 둘로 ] 쪼개며去勢刑을하며모독된殿의神에게바치면된다. Explicit lex Frisionum 프리지아족법의끝이다. - 345 -
참고문헌 사료 東明王篇, 增補文獻備考, 朝鮮史略, 東國通鑑, 新增東國輿地勝覽, 三國史記, 三國遺事, 東國輿 地勝覽, 東史綱目, 中國正史, 日本六國史, 高麗史, 高麗史節要, 高麗圖經, 王朝實錄, 記言, 通 典, 舊 風土記, 大宋四書, 淸陰集, 北風揚沙錄, 松 漠紀聞, 五洲衍文 Germania, Annales Fuldenses, Annales Xantenses, Annales Bertiniani, Chronicon terrae Prussiae, Gesta Francorum, Historia Francorum, Einhardi Vita Karoli Magni, Getica, De bello Gothico, Historia Langobardorum, Origo gentis Longobardorum, Slavorum, Magistri Thirtmari Chronicon, Helmoldi Presb. Chronica Historia Gothorum, De Translationibus et Miraculis Sancti Filiberti, Adami Bremensis gesta hammaburgensi Ecclesiae Pontificum, Translatio sancti Alexandrii, Strategikon, Viti Lebuini Antiqua, Magistri Adami Bremensis gesta hammaburgensi Ecclesiae Pontificum,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Res gestae Saxonicae, Gesta Danorum, Descriptio civitatum et regionum ad septenrionalem plagam Danubi, Gesta Hungarorum, Annalia vestuste gentic Polonorum vel Kronice, Sancti Adalberti Pragensis episcopi et martyris vita altera auctore Brunone Querfurtensi, Cosmae Pragensis Chronica Boemorum, Liber fundationis claustri Sancte Marie Viginis in Heinrichow, Historia Normannorum, Libri Poenitentiales 법전 및 가타의 법적 문서 唐律疏議 Leges Longobardorum, Lex Frisionum, Lex Salica, Lex Ribuaria, Lex Burgundionum, Lex Thuringorum, Lex Baiuvariorum, Capitulare Saxonicum, Frostaþing, Edictus Ædmundi Reges, Prawda Russka. Codex Euricianus, Leges Alamannorum, Leges Visigothorum, Elbinger Rechtsbuch, Grágás, Westgotalag - 346 -
http://www.dmgh.de/ http://www.ling.upenn.edu/~kurisuto/germanic/oi_cleasbyvigfusson_about.html http://www.thelatinlibrary.com/ http://www.perseus.tufts.edu/hopper/collections http://hbar.phys.msu.su/gorm/chrons.htm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http://ctext.org/ Alef-Shah Zadran, 1977, Socio-Economic and Legal-Political Processes in a Pashtun Village, Southeastern Afghanistan, PhD diss., Department of Anthrop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Ajatane Moore E.A., 1906, Laws and Customs of the Yoruba People, Fola Bookshops, Abeokuta, Nigeria Aoki Y. Michiko, 1997, Records of Wind and Earth: A Translation of Fudoki,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ies, Associacion of Asian Studies, Michigan Aronson E., 2002 Ball J., 1976, Offering, Sacrifice and Gift, Numen 23-3, Utrecht Barnes, 1988, Protohistoric Yamato Archaeology of the First Japanese Site, The University of Michigan Center for Japanese Studies 17, Ann Arbor Bastiat F., 1863, La Loi, Oevres completes de Frederic Bastiat, tome IV, Guillaumin, Paris Bloch M., 1949, La société féodale, v. 2, Paris Michel L'Évolution de l'humanité, Bobrzyński M., 1876, Historia prawa niemieckiego w zarysie, t. 1-4, Drukarnia Uniwersytetu Jagiellonskiego, Kraków Bodde D., 1957, Evidence for 'Laws of Nature' in Chinese Thought, HJAS 20 Bóna I., 1976, A L Aube de Moyen Age Gépides et Lombards dans la bassin des Carpates, Hereditas, Corvina, Budapest Boroń P., 2008, Pogańskie motywy w ceremoniach społecznych dawnych Słowian, Bogowie i ich ludy, Chronicon, Wrocław Byington M, 2009, Early Korea The Samhan Period in Korean History, Early Korea Project,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Chagnon N.A., 1977, Yanomamo, the fierce people, Holt, Rinehart and Winson Caesby R., Vigfusson G., 1975,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Clarendon Press, Oxford - 347 -
Choi Chongho, 2005, Law and Justic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Chun Bong-Duck, 1960, Wesen und Strukur des Koreanischen Rechts, Koreanica: Festschrift fur Andre Eckardt zum 75, Geburtstag, Baden-Baden Clark C.A., 1921, First Fruits in Korea, Fleming H. Revell&Co, NY, Chicago, London, Edinburgh Collins R., 1996, Europa wczesnośredniowieczna 300-1000, PIW, Warszawa David R., 1978, Major Legal Systems of the World today: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study of law, Stevens, London Davoud-Oghlou G.A., 1845, Histoire de la legislation des anciens Germains, G. Reimer, Librere-Editeur, Berlin Deacon, 1983, Social Policy and Socialism, Pluto Press Drew K.F., 1996, The Lombard Law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6a, The Budgundian Co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Droysen J.G., 1977, Historik. Vorlesungen uber Enzyklopadie und Metodologie der Geschichte, R. Oldenbourg Verlag, Munchen-Wien Duczko W., 2007, Ruś Wikingów, Trio, Warszawa Durkheim E., 1893, De la division de travail social, Alcan, Paris Firth R., 1966, Element of Social Organization, Baecon Press, Boston Ha Tae-Hung, Mintz G.K, 1972, Samguk Yusa, Yonsei University Press, Seoul Hart L.A., 2008, Punishment and Responsibility, Gardiner K.H.J., 1969, The Early History of Kore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Canberra 1982, The Legends of Koguryǒ, Korea Journal 22, Feb. Griffis W.E., 1907, The Hermit Nation, W.H.Allen&Co, London Grodecki R., 1991, Księga Henrykowska, Muzeum Archidiecezjalne, Wrocław Guriewicz A., 2002, Jednostka w dziejach Europy, Marabut, Gdańsk-Warszawa Guterman S.L, 1990, The Principle of the Personality of Law in the Germanic Kingdoms of Western Europe from 5th to the 11th c., NY, P. Lang Gutteridge H.C., 1949, Comparative Law. An Introduction to the Comparative Method of Legal Study and Research, Cambridge Univ. Press Hahm Pyong-Choon, 1987, The Korean Political Tradition and Law, Royal Asiatic Society Korean Branch, Seoul Hallsal G., 2003, Warfare and Society in the Barbarian West 450-900, - 348 -
Routledge, London Heinke A., Drews E., 2007, Die so genannte Halsschnur von Bunsoh. Experimentelle Archäologie in Europa Bilanz, 5 ed., Isensee Verlag, Oldenburg Hodgkin T., 1896, Italy and her Invaders, vol. IV, Clerdone Press, Oxford Hoff H.H., 2012, Hafliđi Masson und die Einflusse des rőmischgen Rechts in der Grágás, De Gruyter, Gőttingen Hoppe H.H., 2006, Demokracja. Bóg, który zawiódł, Fijorr Publishing, Warszawa Hube R. 편, 1867, Prawo Salickie, podług textu rękopisu Biblioteki głownéj Warszawskiej Hulsewe A.F.P., 1955, Remnants of Han Law, J.Brill, Leiden 1985, Remnants of Ch in Law, J.Brill, Leiden Jedlicki M.Z., 2002, Kronika Thietmara, Universitas, Poznań Johnson W., 1997, The T'ang Code,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Ju Bo Don, 2009, Problems Conserning The Basic Historical Documents Related to the Samhan, Samhan Period History, M. Byington (ed.), Early Korea, vol. 2, The Early Korea Project,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Karhu J., 2004, How to Make Comparable Things: Legal Engineering at the Service of Comparative Law, Hoecke van M. 편,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of Comparative Law, Katholieke Universiteit Brussel, Oxford and Portland Oregon Kinsella N.S., 1996, Punishment and Proportionality: The Estoppel Approach, Journal of Libertarian Studies, 12:1, Llewellyn H. Rockwell, Jr., Ludwig von Mises Institute, Auburn Kmietowicz A., Kmietowicz F., Lewicki T, 1985, Źrodla arabskie do dziejów Slowiańszczyzny, Prace Komisji Orientalistycznej, 18, Wrocław Kokowski A., 2007, Goci od Skandzy do Campi Gothorum, Trio, Warszawa Korczewska M., 2007, Karolinscy pokutnicy I polskie czarownice. Konfrontacja doktryny chrześcijańskiej z życiem społeczeństwa średniowiecznego, Instytut Historyczny UW, DiG, Warszawa Kramer M., 2010, Złoczyńcy. Przestęczość w Koronie w drugiej połowie XVI i w pierwszej połowie XVII wieku (w świetle ksiąg sądowch miejskich), Neriton, PAN, Warszawa Kutchera F.von, 1985, Einfühung in die moderne Logik, Verlag Karl Alber, Freiburg, München Labuda G., 2002, Fragmenty dziejów Słowiańszczyzny Zachodniej, Poznańskie - 349 -
Towarzystwo Przyjaciół Nauk, Poznań Landwehr G., 1982, Die Liten in den altsachsischen Rechtsquellen. Ein Diskussionsbatrag zur Textgeschichte der Lex Saxonum, Studien zu den germanischen Volksrechten.Gadachnitsschrift fur Wilhelm Ebel, Rechtshistorische Reihe 1 Lichaczow D.S., 1950, Повѣсть временныхъ лѣтъ, Moskwa-Leningrad Liman K., ks. Richter T., Sikorski D., 2002, Grzegorz z Tour - Historie Historia Franków, Tyniec Wydawnictwo Benedyktynów, Kraków Łowmiański H., 1958, O identyfikacji nazw Geografa bawarskiego, Studia źródłoznawcze 3 MacCormack G., 1990, Traditional Chinese Penal Law, Edinburgh, Edinburgh Univ. Press Maciejowski A., 1835, Historya prawodawstw słowiańskich, t. 1-4, Ksiegarnie Sennewalda i Hinrichsa, Warszawa - Lipsk Mahoney J., 2010, Revising General Theory in Historical Sociology, EBSCO Malinowska-Sypek A., Sypek R., Sukniewicz L., Brzeziński W., 2010, Przewodnik archeologiczny po Polsce, Arkady, Warszawa Malinowski B., 1922,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Routledge&Sons, London 1926, 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Harcourt, Brace & Co, London Malinowski Ł., 2009, Berserkir i Ulfheðnar w historii, mitach i legendach, Nomos, Kraków Matthews J.F., 2001, Interpreting the Interpretationes of the Breviarium, Law, Society, and Authority in the Late Antiquity, ed. R.W. MArthisen, Oxford Marciniak A., 1983, Sagi islandzkie, Towarzystwo Przyjaźni Polsko-Islandzkiej, Warszawa Matuszewski J., 1959, Najstarszy zwód prawa polskiego, PWN, Warszawa Matwiejczuk P., 2007, Pokuta kościelna w świetle penitencjałow z terenów Francji i Italii z VIII i IX wieku, ed. Koczerska M., Karolińscy pokutnicy I polskie średniowieczne czarownice, Instytut Historyczny Uniwersytetu Warszawskiego, Dig, Warszawa Miller R., 1998, Chinese in Altaic: A Further Note, Journal of American Oriental Studies, vol. 118 Mises von L., 2012, Teoria a historia. Interpretacja procesów społeczno-gospodarczych, Instytut Ludwika von Misesa, PWN, Warszawa - 350 -
Modzelewski K., 1987, Chłopi w społeczeństwie polskim, Ossolineum, Wrocław, Warszawa, Kraków, Gdańsk, Łódź 2000, Zemsta, okup i podmiot moralny w prawach barbarzyńskich, red. Manikowski H., Bartoszewicz A., Fałkowski W., Aetas media, Aetas moderna, studia ofiarowane prof. Henrykowi Samsonowiczowi, IHUW 2004, Barbarzyńska Europa, Iskry, Warszawa Moore L., 1905, Malabar Law and Custom, Higginbotham edition, London Morawiec J., 2011, Saga o Hallfredzie skaldzie kłopotliwym, Chronicon, Uniwersytet Ślaski w Katowicach, Wrocław Murray A.C., 1983, Germanic Kinship Structure. Studies in Law and Society in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Toronto-Ontario Myśliwski G., 2008, Pamiętnicy. Ludzie sędziwi jako źrodla wiedzy o przeszłosci na ziemiach polskich (do końca XVI wieku), Europa barbarica, Europa christiana, DiG, Warszawa Nelson S., 2004, Korean Social Archeology, Korean Studies Series no.27, Jimoondang, Seoul Nikodem J., Sikorski D.A., 2012, Vademecum historyka mediewisty, PWN, Warszawa Pak M.N., Koncevich L.R., 1959, 1995, 2002, Самгук саги, Korea Foundation Park Cheun Soo, 2009, Kaya and Shilla in Archeological Perspective, (ed.) Byington, Early Korea II,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Park Pyong-ho, 1976, Characterics of Traditional Korean Law, KJ 16: 7 Perreau-Saussine A., Murphy J., 2007, The Nature of Customary Law: Legal,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eschel K., 1978, Die Sueben in Ethnographie und Archäologie, Klio 60 Pietruszczak H., 2002, Historia Longobardów, Ga-Bis, Zgorzelec Pilch B., 2008, Europa Barbarica, Europa christiana, DiG, Warszawa Plicht J., Sander W.A.B., Aerts A.T., Streurmann H.J., 2004, Dating bog bodies by the means of 14-CAS, Journal of Archeological Science, 31, Elsevier Inc. Pollock F., Maitland W., 1898, The History of English Law before the Time of Edward I,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Pospisil L., 1971, Anthropology of Law - A comparative theory, NY, Evanston, San Francisco, London - 351 -
Radzicki B., 2008, Pruthenia, IV, OBN im. Wojciecha Kętrzyńskiego, Olsztyn Rivers W., 1914, Kinship and Social Organization, Constable&Co, London Rodriguez Martin J.D., 1999, A Handbook for Alaric s Codification, Revue internationale des droits de l antiquite, 46 Rothbard M., 2010, Etyka wolności, Fijor Publishing, Warszawa Rozenkranz E., 1990, Tekst prawa salickiego, Uniwersytet Gdański, Wydział Prawa i Administracji Rurarz J., 2001, Próba nowej interpretacji dziejów I tradycyjnej chronologii tzw. okresu trzech królestw na Półwyspie Koreańskim (na podstawie źrodel koreańskich), Uniwersytet Warszawski, rozprawa doktorska Sadler G.T., 1919, The Relation of Custom to Law, Sweet&Maxwell Limited, London, Reading Sakamoto Taro, 1991, The Six National Histories of Japan, UBC Press, University of Tokyo Press, Vancouver, Tokyo Sanden W., 1996, Through Nature to Eternity - The Bog Bodies of Northwest Europe, Batavian Lion International, Amsterdam Sawyer B., Sawyer P., 1993, Medieval Scandinavia, The Nordic Series 17,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London Schott C., 1979, Der Stand der Leges-Forschung, Fruhmittelalterichte Studien, 13 Schirokogoroff S.M., 1924, Social Organization of the Manchus, Royal Asiatic Society, Shanghai Sieroszewski W., 1905, Korea klucz Dalekiego Wschodu, Naklad Gebethnera I Wolfa, Warszawa Sikorski D.A., 2010, Instytucje władzy u Prusów w średniowieczu, Towarzystwo Naukowe, Ośrodek Badań Naukowych im. W. Kętrzyńskiego, Olsztyn Słupecki L.P., 1998, Wyrocznie I wróżby pogańskich Skandynawów, Studium do dziajów idei przeznaczenia u ludów indoeuropejskich, IAiE PAN, Warszawa 2008, Forn sidr. Pogaństwo jako sposób życia dawnych Islandczykow, Słupecki, Bogowie i ich ludy, Chronicon, Wrocław Strzelczyk J., 1981, Hiszpańskie państwo Swewów, Przegląd Historyczny LXXII, zesz.1 2005, Wandalowie I ich Afrykanskie Państwo, PIW, Warszawa Sohm R., 1883, Lex Ribuaria et Lex Francorum Chamavorum, Impensis - 352 -
Bibliopolii Hahniani, Hanoverae Sójka-Zielińska K., 2006, Historia Prawa, Lexis Nexis, Warszawa Szyszkowska M., 1993, Europejska filozofia prawa, PWN, Warszawa Taylor J., 2009, A Comparative Study of Death Penalty in Customary Law of Paekche Based Leiden upon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ources, AKSE, Tiknonov V., 2012, Doing Korean Research Outside of Korea: An Advantage of Looking from Outsid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15:1 Topolski J., 1998, Jak sie pisze I rozumie historię, Tajemnice narracji historycznej, Oficyna Wydawnicza Rytm, Warszawa 2006, Wprowadzenie do historii, Wydawnictwo Poznańskie, Poznań Turner K., 1993, War, Punishment, and the Law of Nature in Early Chinese Concepts of the State, HJAS 53-2 Tyszka P., 2010, Prawa barbarzyńskie o czynach przeciw cialu i cielesnosci czlowieka (od końca V do początku IX wieku). Corpus hominis jako kategoria kulturowa, Lublin Tyszkiewicz L., 2007, Barbarzyńcy w Europie, Wydawnictwo Uniwersytetu Wrocławskiego, Wrocław Urbańczyk P., 2004, Zdobywcy Północnego Atlantyku, Monografie FNP, Wrocław 2008, Władza i polityka we wczesnym średniowieczu, Wydawnictwo Uniwersytetu Wrocławskiego, Wrocław Wenskus R., 1974, Probleme der germanich-deutschen Verfassung - und Sozialgeschichte im Lichte der Ethnosoziologie, (ed.) H. Baumann, Historische Forschungen fur Walter Schlesinger, Koln Wilken E., 1912, Die Prosaische Edda, Druck und Verlag von Ferdinand Schöningh, Paderborn Wilhelm-Stempin N. 2009, Das albanische Gewohnheitsrecht aus der Perspektive der rechtlichen Volkskunde. Grin Verlag Wipszycka E., 1999, Barbarzyńskie zbiory praw, Vademecum historyka starożytnej Grecji i Rzymu, t.3, Warszawa Woziński J., 2012, A priori sprawiedliwosci. Libertariańska teoria prawa, Wydanie własne, Poznań Yi Hyunhae, 2009,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mhan, (ed.) Byington M., Early Korea II,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Yu Insun, 1990, Law and society in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 353 -
Vietnam, Asiatic Research Center, Korea University, Seoul Zajączkowski, 1993, Elity urodzenia, Semper, Warszawa Zaremska H., 1993, Banici w średniowiecznej Europie, Semper, Warszawa Zerbillo J. 역, 2006, Kronika Jana z Czarnkowa, Universitas, Kraków Zweigert K., Kötz H., 1996, Einführung in die Rechtsvergleichung auf dem Gebiete des Privatrechts, J.C.B. Mohr, Tűbingen Żmudzki P., 2009, Władca i wojownicy, narracje o wodzach, drużynie i wojnach w najdawniejszej historiografii Polski i Rusi, Monografie FNP, Wrocław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편, 2006 義城 山雲里.水淨里遺蹟 : 義城 塔里 - 水淨間 道路擴張區間 內 학술조사보고 서 고경석 1992 삼국 및 통일신라기의 노비에 관한고찰 한국사론 28 구병삭 1968 신라사회법제도사연구 저스티스 11:1 韓國法學院; 1975 한국고대노비제도 법사학연구 1 한국법사학회; 1984 한국고대법사 高麗大學校 出版部; 1984a 한국고대법사 학술연구총서 18 고병익 1951 元代의 法制 -蒙古慣習法과 中國法과의 相關性-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편, 2004 慶州 蓀谷洞 勿川里遺蹟 : 慶州競馬場豫定敷地 A 地區 學術硏究叢書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편, 2004 韓國의 古代木簡 藝脈出版社 권연응, 2000 Korean Historiography in the 20th Century Korea Journal 40:1 권오영, 1996 三韓의 國 에 대한 硏究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7 사로육촌의 위치 문제와 수장의 성격 신라문화 14 그리피스 작, 신복룡 역, 1999 은자의 나라 한국 한말 외국인 기록 3, 집문당 - 354 -
今村鞆, 2011 조선풍속집 민서원 김기흥, 2003 한국고대 신분제 강좌한국고대사 3, 고대국가의 구조와 사회 (2), 가락국사전개발연구원 김광옥, 2000 History, Power, Culture and Anthropology in Korea Korea Journal 40:1 김두진, 1985 別邑社會의 蘇塗信仰 한국고대의 국가와 사회 역사학회, 일조각 金秉駿, 2006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보 189집; 2008 樂浪郡 初期의 編戶科程과 胡漢稍別 목간과 문자 연구 1, 주류성출판사 김분숙, 강용자 역, 1999 일본풍토기 동아대학교 출판부 김성룡 역, 2009 櫟翁稗說 고전선집 김세신 1986 서양법제사론 법문사 金榮煥 1999 北齊 鮮卑政權의 創建背景考 - 北齊書 列傳 의 인물을 중심으로- 선비, 몽고, 거란, 여진 관계사 논고 백산학회 편, 백산자료원 김용선, 1989 新羅 法興王代의 律令頒布를 둘러싼 몇 가지 問題 가라문화 1, 경남대학교박물관 라문화연구소 金容燮, 1995 朝鮮後期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김용태. 명형식, 1972 <한국법제사연구(고대편)>. 논문집 6. 이리: 원광대학교 김인덕, 조규태, 1996 독립운동 사상연구 신채호를 중심으로 보훈연수원 김일권, 2009 고구려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5 김장환, 이민숙, 이주해, 정민경 역, 2004 태평광기 1-21, 중국팔기문헌번역총서, 학고방 김재현, 1997 韓國의 殉葬硏究에 대한 檢討 문물연구 - 355 -
1,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김정권, 1996 고구려 법제사 연구 광주대인류학과석사논문 김정배, 1979 한국고대국가의 기원론 백산학보 14; 1987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金鍾太, 1979 樂浪出土漢代銅鏡銘文考 全海宗博士 華甲紀念史學論叢 일조각 金廷鶴, 1967 웅진패총연구 아세아연구 10:4 김종열, 1990 월성로 출토 치아 및 인골 감정서 경주시월성고분군 김증한, 1968 한국민법의 법제사적 및 비교법적연구 서울대 출판사 김진영 역, 바츠라프 세로셰프스키 작, 2006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김찬영, 1947 朝鮮法制史 법정사 김창걸, 허문섭, 림휘, 이해산 역, 1988 이규보작품집 조선전문학선집 3 민족출판사, 북경 김창석, 2008 嶺西地域의 종족과 문화변천 한국고대사연구 51, 한국고대사학회 金哲埈, 1964 韓國古代國家發展史 韓國文化史大系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김철영, 1947 조선법제사 법정 김탁민, 임대희 편, 1994 당률소의 1 한국법제연구원 김태식, 1993 加耶聯盟史 일조각 노명호, 2003 한국고대가족 강좌한국고대사 3, 고대국가의 구조와 사회 (2), 가락국사전개발연구원, 서울 노중국, 2008 백제의 骨族 의식과 골족 範圍 한국고대사연구 50:6-356 -
노진곤, 2001 高句麗律에 관한 연구 한국사학보 24 노태돈, 1974 삼국시대 部에 關한 연구 성립과 구조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0 초기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 한국고대사연구 17; 한국고대사학회 편, 2003 강좌 한국고대사 3, 고대국가의 구조와 사회 2009 한국고대사의 이론과 쟁점 집문당 동국대학교박물관 편, 2002 慶州 蓀谷洞 勿川里(2) 墳墓群 : 競馬場豫定敷地(史蹟 430號) B地區 東國大學校 慶州캠퍼스 博物館 硏究 叢書 第12冊 藤大岡拙 편, 2005 荒神谷博物館 展示ガイドブツク 雲出敎育委員會 마장기, 2008 古代日本의 荷札 목간과 문화 2, 한국목간학회 마종락, 1985 고려시대 토지소유권 연구서설 진단학보 59, 진단학회 명동식, 김용태, 1975 한국법제사연구 (고대편), 문교부, 圓光大學論文集 민족문화추진회 편, 1968 고려사절요 第1-5卷 편, 1969 신증동국여지승람 1-6, 고전국역총서 박광춘, 2006 일본 九州북부지역의 신라 가야계 유물 유적 -土器와 墓制를 중심으로- 새롭개 보는 가야고고학 학연문화사 박노자, 2010, 거꾸로 보는 고대사 한겨레출판 박병호, 1960 한국법제사특수연구 - 이조시대의 부동산매매급담보법 한국 연구총서 1976,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Law Korea Journal 16:7-357 -
박선미, 2009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화폐 학연문화사 박인호, 2004 溫達을 통해 본 6世紀 高句麗 貴族社會 한국고대사연구 36:12 박종화, 이병도, 최현배 역, 1971 新增東國輿地勝覽 1-8, 민족문화추진회 박천수, 2011 일본속의 고대한국 문화 한빛문화연구총서, 진인진 北村秀人 1982 朝鮮における 律令制 の變質 東アジアの世界における日本 古代史 講座7 學生社 山崎雅稔 작, 李鎔賢 역, 2002 廣開土王時代 高句麗의 南進과 倭王權의 展開, 廣開土太王과 高句麗 南進政策 高句麗硏究會, 安建社 山本孝文 2003 百濟滅亡에 대한 考古學的 接近 백제문화 32,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6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三品彰英, 1974 新羅花郞の硏究, 平凡社, 東京 서거정 편, 1971 東國通鑑 1-8, 영인판 서영대, 1973 蘇塗의 政治的 性格 서울대문리대학보 19 徐榮洙 편, 1987 中國正史朝鮮傳 1-5, 국사편찬위원회 손진태, 1940 蘇塗考町補 朝鮮民俗 3 1981 손진태선생전집 1-6, 대학사 손환일, 2011 韓國木簡의 記錄文化와 書體 서화미디어 송기호, 1988 For Popularization of History Korea Journal 26:8 김주원, 이선복, 2004 우리민족의 기원과 형성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동아시아의 역사분쟁 솔출판사 宋本善海, 1948 舊中國社會特質論への反省 東洋文化硏究 9號, 東京 신석호, 1961 조선시대의 지방제도 1, 대한지방행정공제회 - 358 -
신채호, 1995 역사론설립: 독사신론 외 35편 현대실학사 辛虎雄, 1995 고려법제사연구 국학자료원 梁秉祐, 1968 Synoikismos考 史叢 12-13 合輯 역사학회 편, 1985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一潮閣 일조각 延正悅, 1984 韓國法制史 학문사 1997 韓國法典史 학문사 오영찬, 2005 낙랑, 대방군 지배세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성국, 1986 韓國古代死刑制度硏究 연세대학교대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三國時代 裁判制度 한국사학보 24 윤내현, 1998 한국열국사연구 지식산업사 윤선태, 2007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이강래, 2009 한국 고대 혼인에 보이는 財貨의 성격 한국사연구 147 이경향, 1991 고려시대의 계보관념과 친족, 한국의 사회와 역사 최채석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총 간행위원회 이근우, 2002 사면기사를 통해 본 한일 율령제 수용문제 청계사학 16, 17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이기동, 1985 于老傳說의 世界 - 신라사상 영웅시대 한국고대 국가와 사회 일조각 1987 新羅社會와 佛敎, 佛敎와 諸科學 東國大學校 出版部 이기백, 황수영 편 1995, 한국사, 1-7, 국사편찬위원회; 1996 韓國古代 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이능화, 1976 朝鮮巫俗考 白鹿出版社 이병도, 1972 韓國史大觀 普文閣; 1976 古代南堂考 한국고대사연구 栢文堂; 역, 1977 三國史記 乙西文化社; - 359 -
역 1984 三國遺事 廣曺出版社 이복규, 김기서 편역, 2004 조선총독부 기관지 일어판 조선지의 민속 국문학 자료 이선근, 1949 花郞道 硏究 東文化社 이영훈, 1998 한국사에 있어서 奴婢制의 추이와 성격 노비, 농노, 노예 - 비교사적 검토 일조각 이종구, 1982 고구려 초기의 중앙정부 조직 東方學志 33 이종길, 1998 한국사회의 소유권 형성과정에 대한 일연구 법사학연구 19 이종철, 2003 한국의 성숭배 민속원 이현혜, 1990 한국고대사회의 국가와 농민 한국사시민강좌 6, 일조각; 2008 고고학자료로 본 사로국육촌 한국고대사연구 52, 한국고대사학회 仁井田陞 1958 中国法制史研究 全4巻 東京大学出版会 임대희, 김탁민 편, 1997 당률소의 (상), 한국법제사연구원 편 1998 당률소의 (하), 한국법제사연구원 임동권, 1967 三韓時代의 巫 巫占 백산학보 3 전덕재, 1996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전봉덕, 1948 朝鮮法의 構造와 性格 : 朝鮮法制史序論 법정사, 1956 新羅律令考 서울대논문집 인문사회과학 4 전용신 역, 2002 일본서기 일지사 전재경, 정긍식, 배승희, 1992 관습법조사연구-예비조사편- 한국법제연구원 전호태, 2004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鮎貝房之進, 1973 花郞攷, 白丁攷, 奴婢攷 圖書刊行會 정경희, 1990 한국고대사회문화연구 일지사; 1992 삼국시대 刑律과 사회 한국사학보 13-360 -
정긍식 편 역, 2000 관습조사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정구복, 노중국, 신동하, 김태식, 권덕영 역, 2003 삼국사기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鄭文吉 역, 1980, 막스 베버의 政治思想, 三英社 鄭炳俊, 1988 중국율령의 백제 전래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동걸, 한영우, 박찬승 편, 1994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상 하, 창작과비평사 조법종, 1994 한국고대신분제연구 국사관논총 52; 2003 신라왕권과 노비제 신라문화 22; 2003a 한국 고대사회 노비제의 특성 한국사학보 15 조우영, 2000 한서 지리지 에 나타난 고조선의 법 법사학연구 22 주강, 1979 지산동 44호분, 45호고분 출토 인골에 대한소견 대가야 고분발굴조사보고서 주보돈, 1984 신라시대의 연좌제 대구사학 25 中橋政吉, 1936 朝鮮舊時の刑政 治刑協會 池培善, 1999 鮮卑族 초기단계 씨족분열에 대하여 선비, 몽고, 거란, 여진 관계사 논고 백산학회 편, 백산자료원; 1999a 鮮卑族 突厥氏의 分裂過程에 대하여 선비, 몽고, 거란, 여진 관계사 논고 백산학회 편, 백산자료원 채웅석 역, 2009 고려사형법지 신서원 천병희 역, 2012 게르마니아 도서출판 숲 村山貞雄, 1956 魏志韓傳に 見える 蘇塗の 一解釋 조선학보 9 村山智順, 1931 朝鮮の 風水 朝鮮總督府, 京城 최광식, 1989 위진 봉평 신라비의 석문과 내용 한국고대사연구 2; - 361 -
편 2005 한국 고대의 Global Pride, 고구려 고려대학교 박물관 최길성 역, 1990 조선의 풍수 민음사 최재석, 1983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각사 崔宰榮, 2004 8-9世紀 唐朝의 蕃坊 運營과 在唐 新羅人社會 한국고대사연구 36:12 최정필, 1994 신진화론과 한국상고사 해설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6 최종고 편, 1991 박병호교수환갑기념 (II), 한국법사학론총 최종규 1990 광장에 대한인식 서연 김영하교수 정년퇴임 기념 사학논총 역사교육논집 13 14 하일식, 2001 한국 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카넷 霞信彦, 漆原徹, 浜野潔 편, 2005 日本法制史 史料集 慶應義塾大學出版社, 東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5 삼국사기 1-5, 朝銀文化社 한용근, 1989 삼국시대의 형률연구 용암 차문섭교수 화갑기념 사학논총 許回淑, 1970 蘇塗硏究 慶熙大碩士學位論文集 홍승우, 2003 신라율의 기본성격 형벌체계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11 韓國 古代 律令의 性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362 -
[Abstract] Early Korean Customary Law from the Perspective of Germanic Barbaricum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research conducted on ancient Korean customary law, but for the few exceptions of descriptive papers on law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To some extend it is caused by the scarcity of literary sources, but they are not likely to be replenished, and it will always be a main reason of the postulatory character of any studies of this kind. On the other hand, lack of interest in the topic is due to the focus of Korean academia on statutory law, and the lack of proper methodology required in the scrutiny on historical legal systems. The paper had 3 objectives. The first one is to reconstruct some elements of Korean customary law, and hopefully point out it s original features with a reasonable degree of possibility. The 2 nd and 3 rd objective have introductory character. Author tried to present the concept of customary law and it s universal characteristics. Lastly, an attempt to present the R. Wenskus methodology has been made. The introduction of these two later elements was used as a constructional frame of the paper. In order to counterweight the lack of the literary materials the ancient Korea was treated as one entity with a similar normative ethics, despite linguistic and political differentiations. Moreover, the western regions of Japanese Archipelago and to lesser extend parts of Manchuria were also put under scrutiny due to some similarities of material (archeological) and probably religious nature. This allowed author to use a wider range of sources. Especially - 363 -
ko-fudoki and their description of local communities of Peninsular origin turned out to be very useful. The sources of mytho-historical character were deciphered with the use of euhemeristic method. Many Korean sources of later periods were analysed with the use of inductive method. It must be reminded that it does not allow a researcher to simply place a certain feature of customary law into the context of an earlier period, it only helps to find the archetypes of the chronologically later features, and as such, is speculatory. The use of inscriptions and wooden tablets was also attempted. A more complex approach towards the official Chinese chronicles has been made. Until now they were treated as a main source of the legalistic material but after the scrutiny (elements of linguistic and conceptual inculturation, bāobiăn doctrine, elements of customary elements in Chinese legal system itself, etc.) it has been decided, they should be referred to with much more criticism. Firstly, rather than to treat them individually, they should be considered as one historiographic tradition with migrating and overlapping topoi. An example of such interpretation was shown with the use of the Koguryŏ and Paekche s fragments on law. Also, an onomastic comparison with the bamboo-strips and encyclopaedic sources has been suggeste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stomary law author prepared the translations of 3 leges barbarorum, which are included in the Annex, and many other fragments written in Medieval Latin, Old-Nordic, and Old-Ruthenian, placed wherever was considered necessary throughout the narration. Translation from Middle Law-German was done through the third language. Also, the brief introduction of European historiographical tradition was made, in order to show how much must still be done in the respect of translational work, not only of sources, but of scholarly material as well. Besides the use of the comparative method of R. Wenskus, the anthropological theories of B. Malinowski and theories of praxeological school on restitutive justice has been recommended. On Wensus methodology: when it cam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arbaricum, Wenskus distanced himself from the mainstream post-war theories - 364 -
in Medieval Studies in two ways. Firstly, he disregarded linguistic typological approach towards the object of study. That allowed him to compare new materials on the law of the barbarians from different linguistic groups, especially Germanic and Slavic leges barbarorum. Until then, it was a common practice to teleologically approach one s national history without much consideration about the obvious universalia in the history of another contemporary historiographic tradition. Secondly, he largely discontinued the topoi-migration theory as a means to comprehend the similarities of legal regulations throughout time. Author followed his observation on the literary lieu commune when comparing the Tacitus Germania with other - sometimes much later and very diversed - legal sources.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originality of the Korean customary law system, as seen through the prism of medieval European sources, had been made: 1.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轘刑 (dismemberment penalty) and the judiciary use of 笏 (scept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many interpretations of legal elements, presented as - supposedly - imported Chinese regulations, could be nothing but interpretation of native Korean law encoded in Chinese scripture or normative ethics. 2. The most frequent death penalty described in the sources is 溺死刑 (death by drowning) and 火刑 (death by burning), both of which -based upon the interpretation of similar penalties within barbaricum- are strongly connected with the religious practices. In Barbaricum 火刑 was rather inflicted by the whole community for treason, while in Korea numerous examples of the punishment for the crime of corpore infames imposed by a family memberhas been additionally presented. On the other hand, Korean 溺死 possessed a lot of elements of sensu stricto sacrificial nature, unlike the similar punishment inflicted by the Germanic people. 3. The law of war was a part of customary vengeance system and in most cases was highly ritualized. The ceremonial law concerning the use of religious standards and battle cries could have been present on the Peninsula as well as on the Archipelago. The relationship - 365 -
of the later element with the barditus war songs is unknown. 4. One of the best preserved element of customary system in Korea was the recognition of the horse- and cow-killing as a crime. It was punished with some sort of a palliative of the death penalty, even if -at the same time- such rule was contrary to the norms of statutory law. 5. The use of judiciary ordeals was likely. The unique type of Korean ordeal appears to include bow-shooting. It could have been a method to devide a property or to establish one s innocence. 6. The use of repetition in the procedural formulae and curses appear to be in existence throughout the described period at least from the times of Han Dynasty. Among the judicial universalia of the compared systems of law are: 1. A high possibility that many executions of the capital punishment took place on a boggy area affiliated with religious rituals. Within the rules of either system death by burning 火刑 was inflicted as a composite penalty. 2. An existence of sacerdotal figures and ritual objects in the legal procedure in both European barbaricum and in early Korea; The nature of the kingship was also to some extend sacerdotal. 3. A use of composite penalties described as a complex ritual within the system of folk polydoxy. They could be understood as the offerings to the uranic and chthonic dieties, and used as an appeal to remove ritual impurities. 4. A system of penalties for the crime of corpore infames, understood not only as a crime against chastity but also against the family honor. 5. A possibility of compensating for most crimes, as far as the prestige of the victim s kin-group was not harmed. This feature is understood, as one that did not come with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of the system, but as an element of in integrum restitutio way of thinking. 6. An existence of judiciary combat and trial by water. 7. A system of divination which was not only a part of the religious but also of legal system. The use of the lots and of some animals in divination is a common feature of both early Korea and the barbaricum. 8. A procedure within the moot which -possibly- included the acclamation and a vapnatak-like ritual. - 366 -
9. A use of lots or compulsion to maintain the group s unanimity. 10. An existence of a system of conditional and judiciary curses. The formula of the curse could include the element of betrayed loyalty of a tenant or a weapon (!) in case of perjury. Per analogiam way of thinking was the source of such rituals as the turning of a clod of earth. 11. A presence of a concept of limited lineage group, which was in Korean case: hypothetically in charge of vengeance (private execution of penalty), oath-helping system, division of weregeld and inheritance, finally: rational distribution of obligations towards the state. 12. A lack of efficacy of the evidential process. Immediate execution of penalty or the dismissal of the case were preferable to the prolongation of the judicial procedure. 13. A strong relation of the customary law with the 3-stages segmentary system. Smaller scale legal communities could have been oriented towards the rational exploitation of resourc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stigium and caput responsibilities for the crime, while the larger groupings could have had a defensive and diplomatic character. 14. A pivotal role of the social elites within the moot deliberations. The political function of the moot was transferred to the curia-like judicial body. 15. A fact, that the moots were linked with the offerings, feasting and the places of religious nature, which also had a function of judicial sanctuaries. The last feature suggests the existence of the concept of fredus. 16. A performance of the regular local gatherings, which were taking place during the days after the half moon and after the new moon. 17. A private ownership obtained and maintained via the prior provable use of land. 18. Some transactions performed on a ritual rock and secured with a self-cursing oath. 19. Two legal aspects of the practice of the burial human sacrifice 殉葬 have been hinted at: the social advancement of the family of some of the sacrificed, and the use of the culprits in the ritual. It has been concluded that an early customary law fulfills the following criteria: - 367 -
1.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legal ritualization was the oral tradition of the law. It was deduced from the importance of seniores antiquae both as testis (witnesses) and as the law-speakers. The declamation of the origo gentis as a prologue to the judiciary procedure is possible due to the presence of alliteration, as visible in the older versions of Ch umo 鄒牟 volksgeschichte. 2. The personal character of the law is possible and does not contradict the strong territorial aspect of the community. System was decentralized despite the encroachments of statutory law. 3. There appear to be some elements of the precedence. 4. The system of reciprocity, retribution and compensation as the part of 復古主義 (in integrum restitutio) approach to law is well documented. A corresponding system of repayment (at least double amount of the value of obtained damage) for the crime was in more frequent use than talionic repayment. 5. The system of conditional execution of penalty in most cases suggests the mediatory character of the law. 6. The character of penalties corresponds in many cases with the character of a crime. Such symbolic thinking about the legal procedure can also be considered a feature of customary law. 7. It has been briefly suggested that the universal theories of evolutionary provenience - are generally not helpful in research on pre-modern customary law. The other characteristics await further scrutiny. To sum up, it could be said that the paper is the first step in describing the concept of customary law with the use of Korean historical material,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sources on European barbaricum. This dissertation was motivated by the author s impression that the recent historiography on early Korea is focusing either on newly discovered archaeological finds or on the elements of Chinese culture and it s influence on the Peninsula. The first trend is indeed welcomed and needed, but for the fact, that the more general approach to history as a science is relatively neglected. As for the second trend within academia, although the cultural - 368 -
influence of China is a historical fact, focusing on it will not help to popularize Korean history abroad, and Koreans do display a healthy ambition to have their history known without their borders. Such a task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impact of new general theories in Human Studies, such as that on the customary law, which deserves to be treated as a pivotal element of a pre-modern society. The inclusion of Korean elements in such discourse on law could benefit Korean Studies but to achieve that,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native Peninsular legal system is required. Ancient Korean law could be helpful in creating a more general theory in jurisprudence, which appears to be possible by abandoning the well-established existing constitutionalism-based paradigms, and by rediscovering/re-interpreting the historic materials (ex. on Germanic barbaricum), those paradigms were once built upon. Keywords: Customary law, barbaricum, early Korean law, ritualism, unwritten law, personal law, precedent, estoppel, moot - 369 -
[그림 1] Радзивилловская летопись (Radzivill 호족의 기록서) 51페이지에 나 오는 多神敎 信者들이 Perun 神像 밑에서 무기를 성물로 쓰고 盟約하고 있는 그림. 반대편에서는 基督敎 信者들이 聖엘리야성당에서 맹약하고 있다. 관습법적인 특징 인 儀禮中心主義를 보여주는 微細畵임. [그림 2] 의령읍 경산리의 옛날 민회터이다. 지금도 옆에 있는 쉼터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모임을 가진다. - 370 -
[그림 3] 제웅. 조건적 저주에 관한 유물이다. 옥포2동 거제도박물관에서 촬영. [그림 4] 의령읍 신포리의 입석이다. 20세기까지 유사한 입석은 더불어 7점이 있었다. 마을을 둘러싼 前狀이라서 수호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 폴란드 Odry의 읍락규모 民會所 터. 2012년의 모습. - 3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