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TA SA] [2015 년도 ICT 표준화포럼최종연구보고서 ] 차세대방송표준포럼운영 포럼사무국한국방송공학회

Similar documents
OMA Bcast Service Guide ATSC 3.0 (S33-2) T-UHDTV 송수신정합 Part.1 Mobile Broadcast (Open Mobile Alliance) 기반 Data Model ATSC 3.0 을위한확장 - icon, Channel No.

ICT À¶ÇÕÃÖÁ¾

20주년용


( ) : ( ) ( ) : ( ) :,,,,,,,,,,,,,,,, 정보통신 방송연구개발관리규정제 35 조에따라보고서열람에동의합니다.

02본문

<445F30312E20C2F7BCBCB4EBB9E6BCDBC7A5C1D8C6F7B7B35FC0CFBACE20BCF6C1A42E687770>

MPEG-4 Visual & 응용 장의선 삼성종합기술원멀티미디어랩

< DB9DFC1A6B9AE28BCF6C1A4292E687770>

차세대방송표준포럼단체표준 ( 국문표준 ) 제정일 : 2016 년 4 월 14 일 UHD IBB 서비스 - 파트 4. 컴패니언스크린서비스 Standard for UHD IBB Service - Part 4. Companion Screen Service 본문서에대한저작권은

Contents Why DMB? When DMB? Where DMB? What DMB? Who DMB? How DMB? Demonstration Conclusion 2/ 27

3.스마트TV분야

KRNet 2005 DMB Visual Radio - The New Interactive Radio Show SBS 기술연구소 오건식

08연차보고서처음-끝

2010 방송통신산업전망컨퍼런스 3DTV 현황및기술전망 허남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V방송분야

슬라이드 제목 없음

TV방송분야


슬라이드 제목 없음

Ⅰ Ⅱ Ⅲ Ⅳ


Disclaimer 본 자료는 제안된 IP공모와 관련하여 기관투자가와 일반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presentation에서의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티브이로직 (이하 회사 )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이의 반출, 복사 또는 타인에 대한 재배포는 금지됨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목 차

02손예진_ok.hwp

그림 2.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의 최대 확장 가능한 내장 및 외장 메모리 용량 원한다. 예전의 피쳐폰에 비해 대용량 메모리를 채택하고 있지 만, 아직 데스크톱 컴퓨터 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용량이다. 또한, 대용량 외장 메모리는 그 비용이 비싼 편이다. 그러므로 기존

untitled

표준초안검토위 IBB 분과위원회원회표준안심의위원운영위원회회 성명소속직위 위원회및 직위 표준번호 표준 ( 과제 ) 제안 -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IBB분과 - - FBMF-STD- 008/R1 표준초안작성자 - 미래방송미디어표준포럼 IBB분과 - - FBMF-STD- 0

(JBE Vol. 21, No. 3, May 2016) HE-AAC v2. DAB+ 120ms..,. DRM+(Digital Radio Mondiale plus) [3] xhe-aac (extended HE-AAC). DRM+ DAB HE-AAC v2 xhe-aac..

(JBE Vol. 23, No. 6, November 2018) (Special Paper) 23 6, (JBE Vol. 23, No. 6, November 2018) ISSN 2

( ) () () Operation of Future Broadcast and Media Standards Forum ~ ( 9 ) 대기업 산업체 중소벤처기업 연구소학계총계 갯수 백분율 (%) 14

歯3이화진


02본문

HTML5* Web Development to the next level HTML5 ~= HTML + CSS + JS API

untitled

Slide 1

FMX M JPG 15MB 320x240 30fps, 160Kbps 11MB View operation,, seek seek Random Access Average Read Sequential Read 12 FMX () 2

19-3DTV방송기술

휴대용 기기 분야 가정용 영상 기기 분야 휴대 전화 USB, FireWire 등 PC PC TV DVD/Blu-ray 플레이어 게임 콘솔 휴대 전화 휴대전화, PMP 등 휴대용 기기 간 대용량 데이터 무선 전송 캠코더 Component, Display Port, DVI

방송통신기술이슈 & 전망 2013 년제 17 호 개요 UHDTV(Ultra High Definition TV) 는아직까지상용시장에영향력있는기술은아니지만, 다양한전자관련전시회를통해세간의관심을끌고있다. 특히우리나라의삼성전자, LG전자등이선도하는 TV시장이기때문에국내언론들의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8-VSB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Carrier Phase Offset, CPO) (Timing Frequency Offset),. VSB, 8-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 DC 1.25V, [2

<B9E6BCDBBFB5BBF3C4DCC5D9C3F7BBEABEF7BDC7C5C2C1B6BBE728352E37C1F8C2A5C3D6C1BE292E687770>



1 : MMT MPEG-2 TS (MinKyu Park et al.: An Overhead Comparison of MMT and MPEG-2 TS in Broadcast Services). MPEG-2 TS(Transport Stream) MPEG-2 (Part) [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Trend 및 HD 텔레비전 시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 영국의 HDTV 현황 2004년 여름, 영국과 아일랜드의 최대 유료 텔레비전 서비스 회사인 BSkyB(British Sky Broadcasting, 이하 Sky)와 BBC가 HD 방송을 계획

,,, 3D, 3D 3D. 3DTV,,, [1][2].,, (frame-compatible) 3D [3][4]. 3DTV, 3DTV, 3DTV DTV [5]. 3DTV,, 3. 3DTV MPEG-2 (ISO/IEC ) [6] 3DTV (dual

정보화정책 제12권 제4호 인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제반 투자비 용도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의 여건에 따라 상당히 경제적인 가격으로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위성선진국에서는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장의

(Microsoft PowerPoint - 5-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310\243\310\257 \270\360\265\345])

untitled

실감융합방송-종합1

서현수

참여전문가 실감방송 3 총괄자문 : IITP 강동욱 CP 분과장 : ETRI 조숙희책임 분과위원 : 디지캡고병수부장, ETRI 구한승박사, SBS 김상진부장, 한독미디어대김용구교수, KETI 김제우팀장, 서울과기대박구만교수, ETRI 신민수선임, ETRI 양규태책임,

<4D F736F F D203034BCADC0E7C7F628C6AFC1FD292DC3D6C1BE>

소수, 비트심도 (bit depth) 10~12bit 로색을표현하며, 컬러포맷 4:2:2 이상으로큰화면에서더욱섬세하고자연스러운영상의표현이가능하다. 또한동일디스플레이크기에서는물리적인화소의크기가더욱작아지게됨으로써시청거리가짧아져도화소간격 (pixel pitch) 을인지할수없

IBM blue-and-white template

BIZ STORY HOT TREND 1 3D 영상시대의전망 유지상 광운대학교전자공학과교수 HOT TREND 년 12 월개봉된아바타 3D 영화가대흥행을거두고 3D 영상물이초미의관심사가되고있다. 하지만 3D 영 상물의역사는 170 년이상이되었다. 이미오래전부터

○ 제2조 정의에서 기간통신역무의 정의와 EU의 전자커뮤니케이션서비스 정의의 차이점은

Hallym Communication Policy Research Center 47 C/P/R/C/칼/럼 네트워크에 종속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OTT는 네트 워크나 단말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가입자의 입장에서는 더 이상 네트워크나 단말에 구속받지 않 고 콘텐츠의

1 : MPEG-DASH MMT (MinKyu Park et al.: MMT-based Broadcasting Services Combined with MPEG-DASH) (Regular Paper) 20 2, (JBE Vol. 20, No. 2, Marc

BT.709 DCI BT [ 1] TTA Journal Vo

2013 <D55C><ACBD><C5F0><BC31><C11C>(<CD5C><C885>).pdf

장애인건강관리사업

Special Theme _ 모바일웹과 스마트폰 본 고에서는 모바일웹에서의 단말 API인 W3C DAP (Device API and Policy) 의 표준 개발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관 련하여 개발 중인 사례를 통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 2. 웹 애플리케이션과 네이

- 2 -

(JBE Vol. 22, No. 6, November 2017) (Special Paper) 22 6, (JBE Vol. 22, No. 6, November 2017) ISSN 2

ㅇ ㅇ

2009방송통신산업동향.hwp


그룹웨어와 XXXXX 제목 예제


°í¼®ÁÖ Ãâ·Â

1ºÎ-1

이도경, 최덕재 Dokyeong Lee, Deokjai Choi 1. 서론

DBPIA-NURIMEDIA

1 : MMT MPEG-2 TS (MinKyu Park et al.: An Overhead Comparison of MMT and MPEG-2 TS in Broadcast Services). MPEG-2 TS(Transport Stream) MPEG-2 (Part) [

<BBEABEF7B5BFC7E22DA5B12E687770>

차세대방송표준포럼단체표준 ( 국문표준 ) 제정일 : 2016 년 3 월 30 일 지상파 UHDTV 방송송수신정합 - 파트 1. 서비스및시스템요구사항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Servi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4D F736F F F696E74202D203137C0E55FBFACBDC0B9AEC1A6BCD6B7E7BCC72E707074>

<4D F736F F F696E74202D20BDBAB8B6C6AE545620C8AFB0E6BFA1BCADC0C720C4C9C0CCBAEDBBE7BEF720B9DFC0FCB9E6C7E >

목 차 Ⅰ. 정보기술의 환경 변화 Ⅱ. 차량-IT Convergence Ⅲ. 차량 센서 연계 서비스 Ⅳ. 차량-IT 융합 발전방향

(JBE Vol. 22, No. 5, September 2017) (Special Paper) 22 5, (JBE Vol. 22, No. 5, September 2017) ISSN

개요 초고속통신망의발달로고화질비디오서비스가가능해지면서, IPTV나스마트 TV 등의방송통신융합서비스가본격화되고있으며, 무엇보다 IPTV나스마트 TV를통해 TV 프로그램을언제든손쉽게접근해서보는기능이우선시되고있다. 이러한미디어환경의변화속에서최근지상파방송사들은인터넷기반의 하이

02이주영_ok.hwp

02본문

농림축산식품부장관귀하 본보고서를 미생물을활용한친환경작물보호제및비료의제형화와현장적용매뉴 얼개발 ( 개발기간 : ~ ) 과제의최종보고서로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 고려바이오주식회사 ( 대표자 ) 김영권 (

정치컴 23호-최종.hwp

i-movix 특징 l 안정성 l 뛰어난화질 l 차별화된편의성

미디어 역시 격동의 역사를 경험했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 통제에 이어 1981년 신군부는 역사적으로 유례없는 언론 통폐합 을 단행해 언론에 재갈을 물렸다. 그러나 1987년 민주화 운동으로 언론 기본법 이 폐지되고 정기 간행물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었다(198

< B8A65FC5EBC7D15FBBE7B1B3C0B0BAF15FC0FDB0A85FC8BFB0FABAD0BCAE2E687770>

- 2 -

KDTÁ¾ÇÕ-2-07/03

<C1B6BBE D303720B5F0C1F6C5D0C4DCC5D9C3F7C1A4C3A5B5BFC7E228B0A1C0BBC8A3292E687770>

Voice Portal using Oracle 9i AS Wireless

목 차 1. 개요 1 2. 규격의구성및범위 1 3. 관련표준및규격 국외표준및규격 국내표준및규격 기타 2 4. 정의 전자서명법용어정의 용어의정의 용어의효력 2 5. 약어 3 6. 사용자인증 3 7. 전송채널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TV HbbTV.. HbbTV. HbbTV. HbbTV HbbTV NEXT. HbbTV. 1. 유럽지상파방송사와글로벌가전업체들을중심으로 방송과인터넷의융합 을모토로추진됐던 HbbTV가시장확산단계에접어든것으

Transcription:

[TTA - 15067 -SA] [2015 년도 ICT 표준화포럼최종연구보고서 ] 차세대방송표준포럼운영 2015. 12. 15. 포럼사무국한국방송공학회

제출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귀하 본보고서를 차세대방송표준포럼운영에관한연구 의최종연구 보고서로제출합니다. 2015 년 12 월 15 일 포럼수행기관 ( 사무국 ) : 한국방송공학회 ( 대표자 ) 이상길 ( 인 ) 연구책임자 : 김용한 ( 인 ) 참여연구원 : 이상욱, 임태범, 김용제, 박근수, 박재홍, 신용우, 오건식, 유지상, 이근식, 이동준, 이상운, 정원식, 정제창, 조택일, 하태용, 허남호, 권오형, 김규헌 정보통신 방송연구개발관리규정제 35 조에따라보고서열람에동의합니다.

과제번호 요약문 ( 초록 ) 2015-FS-11 과제명방송통신표준화활동지원 - 사실표준화기구 ( 포럼 ) 협력대응및국제표준화전문가육성 포럼명 ( 국문 ) 차세대방송표준포럼 ( 영문 ) Advanced Broadcasting Standardization Forum 사무국한국방송공학회연구책임자김용한 당해년도사업기간 2015. 4. 1. ~ 12. 15. ( 8.5 개월 ) 참여기관 KBS, MBC, 서울대학교등참여기관책임자김용한 1. 포럼의목적및필요성 1) 연구의목적 o 제반디지털방송서비스및기기의국내표준화 o 디지털방송관련국내기술의국제표준화를위한국내외협력 - 국내기술의국제표준화를위한국내기관간협력 - 국제표준화활동결과의공동분석및대처 o 디지털방송표준 / 기술개발정보의수집및보급 - 워크숍및세미나개최 2) 연구의필요성 o 디지털방송서비스의도입에따라디지털방송의다양한응용과활성화를위해차세대디지털방송국제규격에대한기술정보의수집및제공이시급하며, 국외관련포럼에의공동대응전략수립및활동지원등을통해국내산업체의국제경쟁력의제고가절실히요구됨 2. 포럼표준화대상 (ToR) o 3DTV 및 UHDTV 방송기술 o UHD 오디오 / 비디오기술 o UHDTV 콘텐츠보호기술 o 차세대오디오기술 o 지상파하이브리드 TV(UHD IBB 서비스 ) 표준화

계속 3. 주요내용 o UHDTV 비디오신호규격국내표준화추진 o UHD 오디오신호규격국내표준화추진 o UHD 콘텐츠보호프레임워크규격국내표준화추진 o 3DTV 관련국내외표준화동향분석 o 3DTV 방송송수신정합규격표준화 o 하이브리드 / 비실시간 3DTV 방송을위한송수신정합규격표준화 o 차세대실감서비스관련기술분석 o 차세대오디오관련국내외표준화 o 지상파 UHD IBB(Integrated Broadcast Broadband) 서비스표준화 o 디지털라디오송수신정합표준연구 o 디지털라디오서비스연구 4. 포럼운영결과및성과 국제활동 건수건수구분구분 ( 계량치 ) ( 계량치 ) 국가기고서제안 2 국가표준제정 1 공적표준표준기고서반영 2 단체 TTA표준과제채택 2 국내기고서제정 - 표준 TTA표준제정 - 활동기고서제안 5 포럼표준제정 2 사실상포럼기고서반영 5 표준표준포럼표준개정 2 기고서제정 1 기타성과지표-1 5 기타성과지표-2 1 5. 활용방안및기대효과 o UHDTV 방송제작, 송출, 수신등모든분야의가술표준으로활용 o UHDTV 방송제작, 송출, 수신등에사용되는방송장비개발에활용 o UHD 오디오기술에대한국내외표준화를추진하여오디오관련산업화확대에기여 o 지상파 UHD 방송기반의인터랙티브콘텐츠서비스제공 o 디지털라디오기술검토및서비스발굴을통해디지털라디오조기정착에일조

SUMMARY ( 영문요약문 ) 1. Title : Advanced Broadcasting Standardization Forum Operation 2. Research Objectives and Importance Along with int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s, information gathering and its dissemina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for the various application and promotion of digital broadcasting. And the collaborative strategy and activity will promote domestic industry's competitiveness. 3. Research Topics o Collaboration in R&D and standardization of new media broadcasting o Collaboration in R&D and standardization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obile broadcasting o Contribution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3DTV and derivation of related service area in Korea. o Contribution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3DTV Broadcasting stand and derivation of related service area in Korea. o Contribution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3D safety guideline and derivation of related service area in Korea. o Contribution in domestic standardization of UHDTV and derivation of related service area in Korea. o Contribution in domestric standardization of UHD contents DRM/CAS and derivation of related service area in Korea. o Terrestrial UHD IBB(Integrated Broadcast Broadband) service standardization 4. Research Results o Realistic Broadcasting subcommittee develops Terrestrial 3DTV and UHDTV Draft Standards and submits the results to TTA (1 revised, 2 adopted as a project, 3 standards in total o UHDTV WG in Realistic Broadcasting SC have been working on image signal spec for UHDTV

o UHDTV SC have been working on UHDTV video & transmission specification and on UHD contents DRM/CAS o UHDTV SC have developed the first draft of UHDTV video & transmission specification o Next Generation Audio WG in Realistic Broadcasting SC develops audio standard for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service o UHD IBB draft specification document 5. Application of the Results o Forum contribution shall be adopted as TTA and the national standards o Proceeding papers could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rends 6. Expected Effects o R&D promotion in related broadcasting service technologies o To derive a new domestic 3DTV service and to work for standard leading a cutting edge of technology in 3DTV o To derive a new domestic UHDTV service and to work for standard leading a cutting edge of technology in UHDTV o UHD IBB service standardization discussion was initiated in the OHTV standardization division this year and will be finalized next year.

CONTENTS ( 영문목차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OPERATION OF THE FORUM CHAPTER 3. Summary of MAJOR ACHIEVEMENTS in 2015 CHAPTER 4. THE YEAR 2016 PLAN CHAPTER 5. CONCLUSION

- 목차 - 제 1 장서론 제 2 장차세대방송표준포럼운영 제 3 장 2015 년도차세대방송표준포럼활동결과 제 4 장 2016 년도주요수행계획 제 5 장결론

제 1 장서론 차세대방송포럼은 UHDTV, 3DTV, OHTV, 디지털라디오방송등국내방송서비스발굴및표준기술개발을주도하고있으며, 차세대방송기술의조기정착을위해노력하고있다. UHDTV분과위원회에서는현재의 DTV의크기를가로, 세로방향으로각각 2배또는 4배로키운텔레비전규격으로, 면적으로따지면 4배에서 16배의크기가되며, 이에걸맞는해상도를유지하기위해가로, 세로의화소수도각각 2배 (4K-UHD, 3,840 2,160) 또는 4배 (8K-UHD, 7,680 4,320) 로증가시켜, 가정에서 70mm 영화이상의초고선명비디오를즐길수있도록하는방송기술. 즉, 시청자의시청시야각대부분을화면이차지하게되면그만큼현장감과사실감이증가하게되고콘텐츠에몰입하게된다는개념이다. 그외에빠른동작이나빠르게움직이는물체를보다매끄럽고선명하게표현할수있도록초당프레임수를최대 120까지확대하고, 각화소의밝기와색상을보다폭넓고정밀하게표현할수있도록최대 12비트 ( 현재 8~10비트 ) 까지할당하고, 보다현장감있는최대 22.2채널의음향 ( 현재 5.1채널 ) 을제공할수있도록하고있다. 이와같은 UHDTV 서비스를제공하기위하여, TTA와함께비디오부복호화및전송표준을 1차로완성하여제출하였다. 또한, 이에따른 UHD 콘텐츠의보호화관련표준화가필요함에따라 UHD콘텐츠의 2차활용을방지하는표준화를진행하였다. 3DTV분과위원회에서는 3DTV 송수신규격 WG과차세대오디오 WG을구성하고 3DTV 와관련된표준화작업을진행하고있다. 각 WG은국내연구소, 방송국, 업계, 학계의 3D 전문가로구성이참여하여 MPEG, JCT-3V, ATSC 등국제표준화작업과국내 3DTV 방송서비스관련표준화작업에주도적으로참여하고있다. 3DTV 송수신규격 WG에서는고화질양안식 3DTV 방송표준에대한국내 / 국제표준화를마무리하였다. 현재는 UHD기반의양안식 3DTV 방송표준화작업을진행하고있으며, 이를 ATSC 표준규격에반영하기위한표준화활동을계속하고있다. 또한차세대오디오 WG은 TTA PG606을통하여기제정된포럼표준에대한국내표준화를진행하고있다. 하이브리드 TV 분과에서는지상파 UHD 방송을시청하는일반시청자들이수신기를통해실시간방송을시청하면서브로드밴드망을통해 UHD IBB(Integrated Broadcast Broadband) 서비스를이용하는데필요한표준화작업을진행중에있다. 이를위해국제표준화기구의표준화동향을조사하고표준에반영하였다.

제 2 장차세대방송표준포럼운영 제 1 절국내외현황 1. 핵심표준화대상기술 UHDTV 분과 o 지상파 UHDTV 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표준화를진행하였다. 표준화규격은비디오, 오디오및다중화규격은 Codec & Systems WG에서, 변조규격은전송 WG에서진행하였다. 각 WG별로각각의세부규격을 2015년에도출하였으며, 이를기반으로한통합본을 2016년도 1사분기에완성할예정이다. 또한, UHD콘텐츠의불법유통을막기위한규격을콘텐츠보호시스템 WG에서진행하였으며, 해당규격은 2016년 1월에해당규격을도출하고, 2016년 1사분기에최종본을완성할예정이다. 이와는별개로국제표준규격인 MovieLabs 기반콘텐츠보호규격을기반으로한콘텐츠보호규격을콘텐츠보호 WG에서진행하였다. ( 핵심기술 ) - UHDTV 방송서비스시나리오및서비스 / 시스템요구사항서도출 - UHDTV 비디오신호규격표준화 - UHDTV 오디오신호규격표준화 - UHDTV 다중화규격표준화 - UHDTV 변조규격표준화 - UHD 콘텐츠보호시스템규격표준화 - MovieLabs 콘텐츠보호규격분석서도출 3DTV 분과 o 3DTV 송수신정합규격 WG : 고화질 3DTV 방송서비스를위하여 3DTV 영상신호및송수신정합및 3DTV 수신기규격등에대한국내표준기술개발및국제표준화추진을목적 2010년부터활동중인 WG이다. 본 WG은 HD기반의 3DTV 방송표준규격에대한 TTA 표준화및국가표준제정을완료하였으며, 관련표준기술에대한 MPEG, ATSC 등국제표준화를완료하였다. 현재 UHDTV 기반의양안식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국내표준화및 ATSC 표준화를진행중에있다. ( 핵심기술 ) - 3DTV 방송송수신정합규격개발 3DTV 방송을위한스테레오스코픽비디오영상및전송포맷표준개발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표준개발

하이브리드 3DTV 송수신정합표준개발 비실시간 3DTV 송수신정합표준개발 UHDTV 기반 3DTV 송수신정합표준개발 o 차세대오디오 WG : 3DTV를비롯한실감방송에서의오디오서비스는초고품질오디오, 다채널오디오개인화에최적화된오디오제어등에의해실현되고이에오디오를포함하는 AV 단말기출현, 오디오서비스제공등과관련된표준개발이필요하다. 본 WG 의활동목표는 UHDTV 오디오신호규격, UHDTV 오디오부호화및전송포맷, 3DTV 및 IPTV를위한오디오서비스규격, 3DTV 및 UHDTV를위한오디오시스템구성권고안을마련하는것이다. 현재, 실감음향용공간임펄스응답 (Room Impulse Response; RIR) 데이터베이스 (DB) 측정모델과실감음향용머리전달함수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 데이터베이스 (DB) 측정모델에대한포럼표준개발을완료하였으며, 이에대한 TTA 표준제정을앞두고있다. 향후에는음원메타데이터포맷에대한표준화를진행할예정으로있다. ( 핵심기술 ) - 3DTV 및 IPTV를위한오디오서비스규격 - 3DTV 및 UHDTV를위한오디오시스템구성권고안 - 실감음향용 RIR 데이터베이스측정모델 - 실감음향용 HRTF 데이터베이스측정모델 - 음원메타데이터포맷 하이브리드TV 분과 o 앱시그널링 : 애플리케이션시그널링과동기화정보등앱기반의콤포넌트구성정보를제공한다. 구성정보에는애플리케이션, 알림전송, NRT 콘텐츠, 온디멘드콘텐츠등으로구성된다. o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환경 : IBB 서비스를위한브라우저구동환경스펙을제공한다. 브라우저구동환경은크게 Markup language, Style, Graphic, Text, Fonts, Layout, Script, API 등으로구성된다. o 컴페니온스크린서비스 : 컴페니온스크린서비스란 TV 시청중스마트디바이스를같이사용하여연동형서비스를제공하는데필요한스펙을제공한다. 컴페니온스크린서비스스펙은 IBB 애플리케이션구동, 애플리케이션간통신, 컴페니온스크린애플리케이션구동모델로구성된다.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디지털라디오는 CD 수준의고음질과다양한채널및부가서비스 ( 교통, 기상, 프로그램정보등 ) 를청취자에게제공하며, 디지털라디오도입을통해 FM라디오주파수부족문제해소가능하다. 디지털라디오전송방식은 DAB 계열, HD Radio 및 DRM+ 3가지가있으며각각의방식이장단점이있다. 한편디지털라디오전송방식의채택에무관하게디지털라디오에적용될오디오코덱을무엇으로채택할지에대한선택이요구되고있다. o 디지털라디오방식중가장먼저개발된 DAB 에는 Musicam, DAB+ 에는 AAC+ 가탑재되었으나, 최근음성과고품질의음악방송용모두를지원하는 USAC이개발되었으며, 이를디지털라디오에채택하려는시도가있어이에대한고려및적용방안에대한연구가필요하다. o 디지털라디오는아날로그라디오대비음질이개선되지만, 단지음질만의개선만으로청취자들의다양한욕구를충족시키기에충분치않을수있다. o 디지털라디오는아날로그라디오와차별화되는다양한데이터서비스의제공이가능하며, 새로운서비스를제공할필요가있다. 2. 시장현황및전망 가. 국외시장현황및전망 UHDTV 분과 o 2012년현재영국,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등세계 50개이상의나라에서지상파디지털방송실시중 - 미국, 일본및독일, 프랑스등의유럽주요국은디지털방송으로의전환완료 o UHDTV 는 HDTV 이후의차세대방송기술로각광받으면서일본을중심으로 4K 수준의 LCD 패널과카메라, 스케닝장비, 4K 콘텐츠제작장비, 8K 인코더등의시제품이출시되고있음 o 대만 CMO에서는 06년 4K LCD 패널발표, 일본의미쯔비시, 소니, 샤프, 아스트로디자인에서 07년 4K 디스플레이세트상용품발표 o 일본의 JVC, 마쯔시다, 소니, 올림퍼스, 캐나다의 DALSA 등이 4K 해상도 (4,096*2,048) 의비디오데이터를획득할수있는 D-cinema 용카메라개발하여상용품으로출시 o 일본은 2000년초반부터 UHDTV 방송기술에대한기술개발을시작하여카메라, 부호화, 전송및디스플레이에대한시스템을모두개발하여 2006년경부터 UHDTV 전송시험, 표준화활동을본격화하였으며, 특히카메라기술분야에서는기술적우위를확보하고있다. o Thomson, IMAGICA에서는 35mm 필름에담긴영상을 4K 해상도의디지털비디오데이터

로변환하는고속스캐닝 (scanning) 장비출시 o 4K-UHD 콘텐츠를실시간으로저장하고재생하는시스템을 2011년 Astrodesign 사에서상용제품으로출시하였고, 2012년하반기에 AJA사에서도출시함에따라, UHDTV 콘텐츠보급이더욱확대될것으로예상 o 일본, 대만, 중국등에서 2012 년에 50 ~ 65 크기의저가형보급형 UHDTV 디스플레이를대거출시함 o 4K급 TV 시장은 07년 360만대에서 12년 3,939만대로연평균 61% 성장이예상 o 현재일본, 유럽이주도하고있는세계 UHD 기기 (TV+STB) 시장은 15년 66억달러에서방송이본격화되는 30년에는 985억달러규모로연평균 20% 성장예상 o TV 및방송장비와전송망등의전방산업시장은물론, 카메라, 콘텐츠기록 / 재생장치등후방산업까지포함하여천문학적인시장이형성될것으로전망됨 o 시장조사기관 IHS isuppli 가 2013년 2월에발표한 Television Market Tracker Report 에따르면, UHDTV 중에서도 4K UHDTV 의출하량이 2012년 4,000 대에서 2017년 210만대까지급증할것으로예상하였으며, 또다른업체 NPD Display Research 는세계 UHDTV 판매대수가 2013년 50만대에서 2016년 724 만대수준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 o 컨설팅사업자인 Futuresource Consulting 이 2013년 7월에발간한보고서에따르면, 4K 출하량이 2013년을기점으로급증할전망임 - 해당사업자는 2012년글로벌 4K TV 출하량이 6만2천대에불과했지만, 2017년에는 2,200 만대로증가할것이라고함 o 북미표준기구인 ATSC에서는 UHD방송표준규격을제정중에있으며, 2016년상반기에최종본을도출할예정이다. < 세계 4K-UHDTV 출하량전망 > ( 단위 : 만대 ) 출처 : Futuresource Consulting(2013.7)

3DTV 분과 o 세계 3D 산업은 3D 영화및테마파크가본격적으로성장하는한편 3D 휴대용단말기및스테레오스코픽 / 다시점 3D 디스플레이가시장에출시되고있고. 상용 3DTV 방송서비스가제공되고있음 o '08년전세계 3D 디스플레이시장은 1억 4천만달러수준으로의료용, CAD용, TV 부분등에활용되고있으나, 향후연평균 95% 의성장률을나타내며 2015년에는 158억달러의시장을형성하여전체디스플레이시장의 9.2% 를차지할것으로전망 o 세계 3DTV 시장의급상승 : 2010년전세계 3DTV 판매량은 400만대수준이며 2014년에는 1억대를돌파할것으로예상전망, 2012년현재판매되는 LCD TV에서 3DTV 가 25% 를차지하고있음 ( 출처 : NPD DisplaySearch) < 세계 3DTV 시장전망 > ( 단위 : 천대 )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RP 168 130 50 - - 유형별 OLED - - 50 380 1,200 PDP 935 5,234 9,996 13,532 14,454 판매대수 LCD 2,865 16,283 38,311 61,878 84,942 Total 3,968 21,647 48,406 75,790 100,596 출처 : DisplaySearch(2011.3), "Quarterly TV Design and Features Report o 헐리우드를중심으로 3D 입체영화서비스가본격화되면서북미지역의 3D 영화관은 07년말 1천개에서 11년에는 1만개이상이될것으로전망 o 03년이후국내영화관의 3D영상스크린도입이증가하면서 08년기준 3D 영화관 36개, 4K급영화관은 171개로확대되었으나 3D 및 4K로제작된콘텐츠는미미함 o 삼성전자에서 3D-Ready PDP TV를출시하여 10만대이상판매하였으며, 3D 방송서비스가본격화될경우 3D 기기및서비스산업은연평균 40% 수준의높은성장률을나타내며 '20년에 2조 9천억원규모로성장할전망 하이브리드TV 분과 o 유럽에서는 2009년설립된 HbbTV 협회 (Association) 에서 HbbTV 표준화작업이시작되었으며, 표준화기구인 ETSI에서표준으로제정되었음. HbbTV는 HTML 브라우저기반의표준을제정하고시청자들이방송프로그램을시청하는도중에직접방송사의추가적인비디오콘텐츠는물론부가정보를손쉽게접근할수있도록함. 현재서유럽을중심으로약 22개국에서서비스를하거나준비중에있으며점차전세계로그범위가확대되고있고있으며총 2500만대이상의수신기가보급된상태임.

<HbbTV 서비스국가 >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1987년유럽을중심으로여러국가가연합하여첨단기술공동개발계획인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 프로젝트를구성하였음 o 1991년까지 Eureka-147 DAB에대한기본적인시스템개발이이루어졌으며, 1992년부터 1994년까지표준화작업이진행되었음 o 시장글로벌 DAB/DAB+ 라디오수신기판매대수는 2008년 1,100만대에서 2015년 6,900 만대로 CAGR이약 30.1% 로증가할것으로전망 o 그중수신기가격은 82$ 로예상되며, 이중 50% 정도는영국시장이차지할것으로예상되어, 디지털라디오도입후 10년간생산유발 4조 3,8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1,800억원효과가있을것으로전망되고있음 ( 출처 : ETRI)

국가인구서비스방식커버리지단말기보급비고 영국 6,060 만 DAB 85% 1,100 만대 17 년까지디지털전환완료권고 호주 2,060 만 DAB+ 60% 40 만대 디지털라디오시행법률제정은 사업여건등을고려하여 2011 년까지 유예 벨기에 1,050만 DAB 100% 아날로그종료계획없음 덴마크 5,500만 DAB 90% 150만대 DAB+ 도입고려중 13. 9. 1까지차량용수신기를 프랑스 6,300 만 DMB 20% 독일 8,300 만 DAB (DAB+) 이탈리아 5,900 만 DAB/DAB+/ DMB 포함한모든수신기는디지털로 전환 70% 15 년도까지디지털전환목표 75% 방송사가 DAB/DAB+/DMB 중 하나를선택할수있음 노르웨이 490 만 DAB/DMB 80% 80 만대 기존아날로그상업방송라이센스 만료 : 2014 년 중국 13.2 억 DAB/DMB 8% 25 만대 ( 북경 ) 국가표준으로 DAB 채택 [ 표 ] DAB/DAB+/T-DMB 도입국가현황 나. 국내시장현황및전망 UHDTV 분과 o 한국은 LG와삼성에서 4K-UHDTV를상용제품으로출시하면서, 디스플레이기술개발에서기술적우위를확보하고있음 o 한국은또한 AV 부호화및전송기술분야에서JCT-VC, MPEG, ATSC, ITU-T 등의표준화기구에서표준화활동을적극수행하고있음 o 방송시스템에핵심요소인비디오 / 오디오압축및다중화기능을포함하는인코더를현재다양한국내기업에서제품을개발중에있으며, 2016년상반기에제품출시가가능할것으로예상되어진다. o 국내방송사는 UHD 본방송을 2016년 12월을목표로제시하였으며, 이에따라 UHD방송방식선정및규격도출을위해미래부주관하에 UHD방송방식선정협의체 를구성하여진행중에있다. 3DTV 분과 o 향후기술발전방향은고화질 3D 방송서비스를위해 3D 와 UHD 가결합하여더욱실감나는 3DTV 방송으로발전할전망

o 스마트 TV와결합된형태의 3D 스마트 TV로발전할전망 o 시장진입및육성전략 - 초기에는온 / 오프라인게임, 교육, 의료, 영화, 애니메이션등다양한콘텐츠활성화와이를이용하기위한디스플레이분야가시장을주도 - 3DTV 방송핵심기술개발및표준화, 차세대방송장비개발, 단말 / 수상기보급확산, 실험방송및시범서비스를통한활성화유도 방송서비스는개인형이동방송에서고화질방송으로접근하고, 매체는 DCATV/IPTV/ 위성등에서지상파DTV로확대 - 3DTV 방송프로그램제작지원및방송장비의국산화를추진하는한편, 디지털홈과같은댁내멀티미디어서비스분야와협력하여사업영역확산추진 < 국내 3D 방송시장전망 (2011-2020 년 )> ( 단위 : 억원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3DTV 7,503 8,067 8,979 10,475 12,716 15,098 17,647 20,125 22,091 23,470 3D방송서비스 - - 125 182 255 346 458 592 744 911 출처 : ETRI, 2011 하이브리드TV 분과 o 한국에서는지상파 UHD IBB 서비스를목표로현재표준화가진행중임. 표준화작업은 2016년상반기에완료될예정이며, 표준을바탕으로 2017년상반기부터출시되는 UHDTV에 IBB 기능이탑재될예정임. 지상파방송사는 UHDTV 출시에맞춰 UHD IBB 서비스를제공할예정임.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경제적효과 - 디지털라디오도입후 10년간생산유발 4조 3,8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1,800억원효과전망 (ETRI)

3. 기술개발및표준화현황 가. 국외기술개발및표준화현황 UHDTV 분과 o 2004년 ITU-R BT.1201 EHRI(Extremely High Resolution Imagery) 신호규격표준승인 o 2006년 ITU-R BT.1769 Expanded LSDI(Large Screen Digital Imagery) 신호규격표준승인 o 2007년 SMPTE 2036-1-2007 UHDTV 비디오신호규격표준제정. 2009년에표준개정 (SMPTE 2036-1-2009 UHDTV 비디오신호규격 ). o 2008년 SMPTE 2036-2-2008 UHDTV 오디오신호규격표준제정 o 2010년 SMPTE 2036-3-2010 UHDTV 인터페이스규격표준제정 o 2012년 ITU-R BT.2020 UHDTV 비디오신호규격표준승인 o H.264/MPEG-4 AVC를개발했던 ISO/IEC MPEG과 ITU-T의영상부호화전문가그룹 (Video Coding Experts Group) 이 2010년 1월 JCT-VC(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를결성하여표준화작업을추진, 2013년 1월스위스제네바에서 HEVC를차세대코덱최종표준안으로승인, ISO/IEC 표준번호는 ISO/IEC 23008-2 이며, 현재 FP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상태임. ITU-T 표준번호는 2013 년 4월 13일에 H.265로발행됨. 메인프로파일 (Main profile) 에대한내용은확정되어있으며, 이를기반으로계층적비디오코딩 (Scalable Video coding) 과 3D 비디오코딩기술이각각개발중임 o 2013년 9월 ATSC는차세대방송표준인 ATSC3.0의제안서 12건을접수완료하고, 2014년 6월물리계층평가및선택, 12월후보표준평가투표를거친후, 2015년말표준화완료를목표로진행중임 o ITU-T SG9은 2013년부터시작된연구회기부터 UHDTV 방송서비스를위한보안프레임워크표준개발을주요표준화아이템으로설정하고있으며, 2014년 9월부터본격적인표준화진행예정임 o DVB 표준화그룹의경우 DVB CM-SEG 및 DVB CM-CI-PLUS 그룹에서 UHDTV 방송서비스에대한콘텐츠보호기술에대한표준화논의가 2013년 12월부터본격적으로논의되기시작하였으며 UHDTV 콘텐츠보호요구사항개발의필요성에대한분석에들어가있는상태임 o UHDTV급화질을지원하는모바일스마트기기의등장에따라 ETSI ISG ECI그룹의경우 2014년 4월부터다양한모바일스마트기기에서 UHDTV와같은고품질방송콘텐츠보호를위한다운로더블보안프레임워크에대한표준화에대한논의를진행하고있음

3DTV 분과 o 디지털전환이후새로운방송시장창출및시장선점을위해미국, 유럽, 일본등기술선진국에서는 3DTV 방송기술개발및표준화, 시범서비스를위한노력본격화 o 미국은할리우드중심으로 3D 영화및 4K 디지털시네마를위한콘텐츠제작및상영관보급이확대되고있고, 가정내실감콘텐츠소비환경구축을위한기술표준화가진행중 o 할리우드영화사들은 09년부터매년 10편이상의 3D 영화를제작하고있으며, DCI(Digital Cinema Initiative) 는디지털시네마에대한표준수립및관련장비개발을통해디지털시네마보급확산중 o 미국위성방송사업자 DirecTV 는 ESPN3D 를통하여스포츠생중계및녹화방송중이며, Panasonic 과합작으로 n3d을통하여스포츠, 음악, 자연, documentary 등을 24시간방송중 o 미국케이블방송사업자 Comcast 는 10년 3D 시험방송을실시하였으며, 12년 2월부터 24시간 3D 채널인 Xfinity 3D 방송시작 o 유럽은 90년대부터 3D 핵심기술개발을추진하여상당한수준의기술을확보하고있으며, 최근에는실감방송및실감통신서비스를위한연구개발본격화 o 영국 BBC는 08년에위성기반의양안식 3D 방송시범서비스를실시하였음 o 영국위성방송사업자 BskyB는 10년 10월부터 3D 전용채널을통해영화, 스포츠, 엔터테인먼트분야의 3D 방송을개시하였으며, 이를위해 BskyB는 3D 서비스를위해 TV 제조업체, 3D 장비벤더, 3D 촬영전문사업자들과제휴 o 2011년 1월이탈리아최대민영방송사인 Mediaset은지상파채널을통하여 3D 콘텐츠를다운받은후시청하는 3D VoD 시범방송시작 o 2012년 7월 BBC는런던올림픽의일부경기를 3D로방송 o 일본에서는 11년디지털전환을완료하고, 20년실용화를목표로 3D 입체및초고화질방송을위한기술개발본격추진 o NTT, 소니, NHK 등 60여개단체가참여하는 초임장감커뮤니케이션산학관포럼 (URCF) 을 07년 3월에구성하여, 산학연공동으로연구개발, 실험, 표준화를진행중임 o 07년 12월부터위성방송 (BS11) 을통해양안식고화질 3D 방송서비스개시 o NHK/NTT는스테레오스코픽비디오를지상파방송과 IP회선을통하여가정으로전송하는 3DTV 방송실험시연 o 2011년 5월 NHK는 NTT와공동으로 1080p 해상도의좌우영상각각을지상파방송망과 IP망을통하여가정으로전송하는하이브리드 3DTV 방송실험시연 o 11년 Toshiba는 4K 패널기반의무안경다시점 3DTV 상용출시 o 12년 NAB show에서 Dolby, Philips, Sony 등에서 4K 패널기반의무안경다시점

3DTV 시제품을출품하여양안식 3DTV 이후를대비하고있음 o 12년 1월중국에서는 CCTV 외 5개방송사에서 3DTV 시험방송시작 o 스테레오스코픽비디오파일포맷기술은 MPEG 국제표준화완료후, 국내가전업체에서 2010년하반기 3D를지원하는스마트TV에적용하여제품출시 o SMPTE는 3D 영화를위한영상포맷표준화를추진중 o ATSC는 2011년 8월 3DTV NWIP(New Work Item Proposal) 을토대로 3DTV SG(Specialist Group, S12) 을발족하여본격적인지상파 3DTV 표준화를진행중에있으며, 서비스호환고화질 3DTV 방송서비스, 비실시간 3DTV 방송서비스및하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표준화를완료하였음. 또한, ATSC 3.0 기반의융합형 3DTV 방송서비스를위한표준화를진행하고있음 o SCTE는 2009년에 3D over Cable 프로젝트를시작하였으며, DCATV 3D 방송서비스제공과관련하여기존 SCTE 관련표준규격에미치는영향및추가적으로필요한규격들에대한조사를진행하여 2010년 6월관련보고서를제출하였음. 우선적으로 Frame-compatible 기반의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표준화를추진중에있으며 2011년 9월 ETRI/TTA는 Service compatible 3DTV 표준화에대한필요성을제안. 또한, SCTE 는풀해상도 (full-resolution) 3DTV 방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표준화논의중임 o DVB는 2008년 DVB-TM-3DTV 에서표준화작업을진행중에있으며 2011년 2월 Frame-compatible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표준화를완료하였고, 2011년 9월 Service compatible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상업적요구사항 (Commercial Requirements) 초안을작성하였으며 2012년 7월에표준화를완료하였음. 현재 Frame-compatible compatible 등새로운 3DTV 방송서비스에대한요소기술분석중에있음 o USAC 등의 3DTV 오디오부호화기술및신호규격은연구소및대기업을중심으로 MPEG 및 ITU-T 에서의국제표준화를위한기술개발추진중 o ISO/IEC MPEG은 2010년 10월 94차회의에서 Frame-compatible 및 Service-compatible 을포함한 MPEG-2 시스템기반시그널링관련하여표준화를시작하여, 2012년 2월 FDAM을완료하고, 2013년 6월최종국제표준을완성함 o ISO/IEC MPEG과 ITU VCEG의 Joint 그룹인 JCT-3V에서는 HEVC를기반으로한 3D 비디오압축기술표준화개발을진행중이며, ISO/IEC MPEG에서는 Super multiview video 압축방식에대한논의가진행중 하이브리드TV 분과 o 유럽의 HbbTV는표준은 2009년 9월 EBU에서하이브리드방송표준으로승인되었으며, 2010년 6월 ETSI에서범유럽표준으로 HbbTV 1.0 표준이제정되었음. 2012년 4월에는 DRM 기능과 MPEG-DASH 기능등이포함된 HbbTV 1.5 표준이발표되었으며 2015년 5월에는 HTML5과 Companion Screen 연계기능을포함하는 HbbTV 2.0 표준이제정되었음

o 미국에서는 IBB 서비스관련하여 ATSC 3.0 에서표준화작업이한창진행중이며대부 분이 CS(Candidate Standard) 문서가나온상태이며,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환경관 련표준만연기되어내년에표준문서가나올예정임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1995년에유럽의방송통신표준화기관인 ETSI에서유럽표준 (ETSI EN 300 401) 으로채택되었음 o ITU-R에서는 BO.1130-4의권고안에 System A로채택된바있음 o 미국은 2001년 HD Radio를자국표준으로채택함 o 유럽은 DAB의오디오크덱성능을개선하여 DAB+ 표준을제정하고호주가채택 o 단말및 AM 에적용하기위한 DRM 및 FM 라디오에적용이가능한 DRM+ 를추가개발함 나. 국내기술개발및표준화현황 UHDTV 분과 o 2015년 3월차세대방송표준포럼 UHD분과위에서는 2016년 UHD 본방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국내표준규격을도출하기로함 o 차세대방송표준포럼 UHD분과위은 Codec & Systems WG, 전송 WG, 보호시스템 WG 를구성하여국내표준규격을진행하기로함 o UHD분과위는 2015년 12월에각 WG별로표준초안을도출하고, 2016년 3월에통합본을도출하여포럼표준으로도출할예정 o 상기의포럼표준을기반으로국가표준을제정하기위한업무를진행할예정 3DTV 분과 o 2010년 10월부터 ETRI, 방송사및가전사가공동으로듀얼스트림방식으로지상파, 위성, 케이블방송을통하여고화질 3DTV 실험방송을실시. 2011년 8월에는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주요경기를지상파 / 위성을통하여고화질 3DTV를생중계하였고동시에삼성전자와 KBS는 IP망연동실시간 3D방송을실시하였음 o 2012년 5월부터 ETRI, 방송사및가전자가공동으로듀얼스트림방식으로지상파를통하여고화질 3DTV 시범방송실시 o 13년 11월부터한국은세계최초듀얼스트림방식으로지상파를통하여고화질 3DTV 상용방송실시

o LG전자에서지상파 NRT기반 3D VoD 서비스기술개발 o 삼성전자에서는방송망및 IP망기반의이종망연동 3DTV 방송서비스기술개발중 o 광운대와연세대등에서는 3D 휴먼팩터및 3D 화질평가기술연구진행 o ETRI, KBS, LG전자, 삼성전자, 광주과학기술원등을중심으로깊이정보기반 3D 비디오표준연구중 o ETRI에서는스테레오영상을받아무안경다시점으로보여주는기술개발중 o 차세대방송표준포럼 3DTV분과위원회에서는 3DTV, 실감오디오, 실감미디어관련기술검토및표준화작업중이며, TTA에서는매년 3DTV 방송기술표준화로드맵수립중 하이브리드TV 분과 o 국내에서는차세대방송표준포럼의하이브리드 TV 분과에서지상파 UHD IBB 서비스표준화작업을진행중에있음. 표준화는 2016년상반기에완료될예정이며표준을바탕으로 2017년상반기부터출시되는 UHDTV에탑재될예정임. 지상파방송사는 UHDTV 출시에맞춰 UHD IBB 서비스를제공할예정임.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2003년한국은 DAB 시스템에서동영상방송이가능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술을개발하고, 국내표준화를완료하였다. DMB는 DAB의 Stream mode 로 MPEG-4/H.264 동영상압축신호와, MPEG-4/BSAC 오디오압축신호를부가의데이터와함께 MPEG-2/TS 규격에의한 Multiplexting 하여전송하는방식이다. DMB는 2005년7월에유럽의표준화기관인 ETSI에서정식으로유럽표준으로등록 o 방송모니터링을위한장비는국내의 SM CNS사및 DTV Interactive사등에서개발된 ETI 레벨의모니터링시스템들이주로사용 o 그외에여러가지의 DMB 데이터방송을위한시스템들이사용되고있는데, 대부분의 Multiplexer 장비생산업체에서는 Data를삽입하기위한서버를출시하고있다. 최근에는동영상연동양방향데이터방송인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를위한시스템을 Net&TV와 OnTimeTek 등에서개발하였다. 추후교통정보데이터방송 (TPEG), DMB 미들웨어등다양한데이터방송을위한시스템들이개발된바있음

제 2 절포럼구성및운영 1. 목적및필요성 o 표준화과제의목표및범위의적정성판단 o 총회, 위원회활동등의포럼운영및기반조성활동 o 기고서제출등국제표준화회의참가활동 o 국내표준규격제안및표준화활동 o 워크숍, 세미나개최및인터넷을통한최신기술정보의수집및분석 보급 o 국가표준화정책수립에기여 2. 연혁 o 1993년 - 서울대학교고선명 TV 공동개발컨소시엄발족 o 1997년 : 차세대방송컨소시엄으로개칭 - 지상파디지털 TV, 디지털오디오방송표준화의견수렴등실시 o 2000년 4월 - 차세대방송컨소시엄해산 - 차세대방송표준포럼설립준비위원회구성 o 2000년 5월 24일 - 차세대방송표준포럼발족, 1차총회개최 - 의장선출및운영위원회구성 o 2000년 7월 - TVAnytime 분과위구성 o 2001년 - 3개분과위원회추가구성 - IPMP분과, Mobile Multimedia분과, DAB분과 o 2002년 - 각분과위표준화작업시작 o 2003년 - DMB 분과, TVAnytime 분과, IPMP 분과및 3DTV 분과의 4개분과위원회로개편 o 2004년 - IPMP 분과를멀티미디어프레임워크분과로명칭변경함. o 2007년 - 멀티미디어프레임워크분과를방송콘텐츠보호관리분과로명칭변경함. o 2007년

- MCM분과신설 o 2008년 - TVAnytime 분과를개인맞춤형방송분과로개칭 o 2009년 - 3DTV 분과를실감방송분과로개칭 - 개방형하이브리드TV 분과신설 o 2011년 - DMB 분과를모바일방송분과로개칭 - 방송콘텐츠보호관리분과폐지 o 2012년 - MCM분과폐지 - 개인맞춤형방송분과폐지 o 2013년 - 실감방송분과를 3DTV분과와 UHDTV분과로분할 o 2014년 -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신설 3. 조직구성및주요활동 가. 조직구성 ( 조직도포함 ) 및추진체계 포럼의전반적인조직구성은다음그림과같다. 포럼의사무국은경비절감및협력효율화를 위하여한국방송공학회사무국이대신하고있고운영위원회의주요기능은다음과같음 o 총회및운영위원회의장 : 서울시립대학교교수김용한 o 운영규정의재개정에관한의견수렴

o 분과위원회의구성, 표준화대상설정등포럼운영상의주요사항에대한결정 o 분과위원회가설립되지않은주요표준화및기술협력분야에대한의견수렴및표준화추진 나. 분과 (or 워킹그룹 ) 별주요활동 1) UHDTV 분과 o UHDTV 코덱및시스템 WG - UHD 방송서비스시나리오, 서비스및시스템요구사항서도출 - "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규격 ( 기술보고서 )" 의코덱및시스템파트작성완료 o UHDTV 전송 WG - UHD 방송서비스시나리오, 서비스및시스템요구사항서도출 - "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규격 ( 기술보고서 )" 의변조파트작성완료 o UHDTV 보호시스템 WG - UHD 방송서비스시나리오, 서비스및시스템요구사항서도출 - "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규격 ( 기술보고서 )" 의보호시스템파트작성완료 o UHDTV 보안 WG - DVB CM-SEG UHDTV Security Review 검토및토의 - MovieLabs UHDTV보안규격분석 - MovieLabs Specification for Enhanced Content Protection 1.0 검토및토의 - UHDTV보안요구규격작성논의 - MovieLabs Specification for Enhanced Content Protection Version 1.0 에대한엔지니어링가이드라인초안작성 o UHDTV 표준규격에대한내부세미나 지상파 UHDTV 방송표준기술워크 숍 (2015.9.7.-8, 여주썬밸리호텔 ) 을개최하여심도있는기술논의를진행함. 2) 3DTV 분과 o 3DTV관련차세대실감방송표준화작업을주도 o 2006년부터 3DTV 분과내에스테레오스코픽 Video AF WG, 3D 디스플레이 WG, 3D 코덱 WG을구성하고관련국내외표준화작업을진행, 이미수차례의회의를통하여스테레오스코픽 Video AF WG에서는 2009년 10월 MPEG에서표준안으로채택

o 2009년 4월 3D와 UHD 오디오부분표준화필요성이제기되어차세대오디오 WG 구성 o 2009년 9월에는 3D 품질평가 WG을구성하여 TTA내 PG806의 WG8062와공동으로품질평가기준안과안전시청기준을마련 o 2010년에는 3DTV 방송관련표준화를위하여 3DTV 송수신규격 WG를신설하고 TTA내 PG806의 WG8061과공동으로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표준화작업완료. 제안한 서비스호환 3DTV 방송서비스를위한시그널링 ( 서술자 ) 기술이 2013년 6월 IS로채택 o 2013년 9월 TTA WG8062 3DTV품질안전규격실무반을통해 3DTV 방송안전지침및 3DTV 방송콘테츠제작개정안을완료하였으며, 11월에는한국전파진흥협회에서는 3D 콘텐츠제작가이드라인 WG을통해서 3D 방송영상제작가이드를제작배포 o 2015년 2월 지상파 3DTV방송 에대한국가표준제정완료 o 2015년 4월하이브리드 3DTV 방송규격에대한 ATSC 표준화작업완료 o 관련기관과의긴밀한관계를유지하며 3DTV 상용서비스를위한정책기획에참여 o 국내외워크샵및기술세미나개최등을통하여실감방송에대한국민적홍보및저변확대 o 한국방송공학회 3DTV 연구회등과의긴밀한협력관계를구축하여표준화작업 Pool 구성 o 일본의 URCF, 3D 컨소시움, 미국의 3D@Home consortium, 유럽의 3DTV 프로젝트, 대만의 3DIDA, 중국의 C3D 등과의국제협력을통한국제워크샾개최및 3D 서비스도출를위한노력 3) 하이브리드TV 분과 o UHD IBB 서비스표준화를진행하고있으며표준문서는 UHD IBB 메인표준, 앱시그널링,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환경, 컴페인온스크린서비스파트로나눠작업중에있음. o 지상파 UHD IBB와같은방송프로그램기반의다양한뉴미디어서비스기술을심층적으로소개하는기술워크숍을진행하고관련저변을확대하는데기여하였음. 4)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2014 년내국내디지털라디오송수신정합표준안초안을개발을목표로

디지털라디오분과를운영중 o 국내디지털라디오후보기술방식을모두고려하여표준 ( 안 ) 초안을개발하고있으며, 국내디지털라디오방송방식이선정이지연되고있으나, 선정가능성이가장높은 DAB+ 기술을우선적으로고려하고있음 o USAC의디지털라디오적용방안에대한연구와 DRM+ 전송기술검토를통해국내디지털라디오기술및서비스제공을위한기술표준을개발중임 o USAC의 DAB+ 전송기술에의적용방안에대한연구및 USAC의음질비교시연을실시하였으며, USAC을 DAB+ 에전송하기위한기술표준안을적용한인코딩기술의검증을실험방송등을통해실시중임 o 디지털라디오표준개발뿐아니라방송협회산하의라디오방송 PD들의건의를수용하여하이브리드라디오표준화추진필요성등에대한검토를실시한결과 2016년부터하이브리드라디오표준화가수행될예정임 다. 회원사구성 산업체대기업중소벤처기업 연구소 학계 총계 개수 9 31 8 3 51 백분율 (%) 17.6% 60.8% 15.7% 5.9% 100%

제 3 장 2015 년도차세대방송표준포럼활동결과 제 1 절주요추진실적요약 국제활동 국내활동 공적표준 사실상표준 국가표준 단체표준 구분 계획건수 ( 계량치 ) 실적건수 ( 계량치 ) 기고서제안 3 2 기고서반영 - 2 기고서제정 - - 기고서제안 1 5 기고서반영 - 5 기고서제정 - 1 ( 표 : 12 월 30 일기준 ) 대표결과물 O Consideration on USAC transport for Digital Radio O Proposed Draft Revision of Recommendation ITU-R BT.2052-0 O SCMMH_with_VEI_WorkingDraft O Draft-Agenda 국가표준제정 1 1 O 지상파 3DTV 방송 TTA 표준과제채택 4 2 TTA 표준제정 - - - 포럼표준 포럼표준제 개정 6 2 - 기타성과지표 -1-5 O 지상파 UHDTV 방송규격도출 O 지상파디지털라디오방송송수신표준 기타성과지표 -2-1 O 지상파 3DTV 방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송수신기술 제 2 절활동결과 1. 포럼운영결과 UHDTV 분과 번호구분회의명개최일시개최장소주요내용 1 WG 방송콘텐츠보호기술 WG 2015-1 차회의 20150327 알티캐스트회의실 2015 년 WG 운영계획확립 2 WG 2015-1 차회의 20150408 에트리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을위한표준개발이슈논의 3 WG 전송 WG 2015-1 차회의 20150408 에트리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을위한표준개발이슈논의 4 WG 전송 WG 2015-2 차회의 20150430 MBC 상암 1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

시나리오및요구사항검토 5 WG 6 WG 7 WG 2015-2 차회의 과전송 WG 공동회의 2015-3 차회의 보안 WG 제 19 차 (2015-2) 회의 20150430 MBC 상암 20150512 TTA 20150520 8 WG 전송 WG 2015-4 차회의 20150521 9 WG 2015-4 차회의 20150521 알티캐스트회의실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10 WG 전송 WG 2015-5 차회의 20150604 삼성전자서초 11 WG 전송 WG 2015-6 차회의 20150615 LG 전자서초 12 WG 2015-5 차회의 20150623 13 WG 전송 WG 2015-7 차회의 20150629 14 WG 2015-6 차회의 20150710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시나리오및요구사항검토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시나리오및요구사항검토 신규표준화아이템 2 건채택 (HTML CA/DRM, Downloable Multi-CA/DRM) Input Formatting 에대한기술세미나및관련이슈논의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시나리오및요구사항검토 ATSC 3.0 BICM에대한기술세미나및시스템요구사항 1차검토 ATSC 3.0 FI/TI/Frame에대한기술세미나및시스템요구사항 2차검토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기고서리뷰및논의 ATSC 3.0 LDM/Waveform 에대한기술세미나및시스템요구사항 3 차검토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기고서리뷰및논의 15 WG 전송 WG 2015-8 차회의 20150714 ETRI 서울사무소 시스템요구사항 4 차검토 16 WG 2015-7 차회의 20150717 ETRI 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기고서리뷰및논의 17 WG 2015-8 차회의 20150727 ETRI 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기고서리뷰및논의 18 WG 19 WG 2015-9 차회의 2015-10 차회의 20150804 20150811 20 WG 전송 WG 2015-9 차회의 20150813 21 WG 보호 WG 제 21 차 (2015-4) 회의 22 WG 전송 WG 2015-10 차회의 20150901 23 WG 24 WG 25 WG 보호시스템실무반 1 차 (2015-1) 회의 오디오 SG 2015-1 차회의 비디오 SG 2015-1 차회의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20150825 알티캐스트 ETRI 서울사무소 20150904 TTA 20150917 20150917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기고서리뷰및논의 지상파 UHDTV 방송시스템요구사항검토, 향후표준추진방법논의 ATSC 3.0 MISO에대한기술세미나및시스템요구사항 5차검토 지상파 UHDTV 콘텐츠보호표준개발내용및방법논의 ATSC 3.0 MISO 에대한기술세미나및물리계층기술규격기고관련작업방향논의 실무반 ToR 논의및표준화추진마일스톤수립 마일스톤수립, 코덱선정기본원칙 & 추진계획 / 일정논의, 오디오코덱기술기고서리뷰 마일스톤수립, ToR 및운영방식논의, 비디오코덱기술기고서

리뷰 26 WG 시스템 SG 2015-1 차회의 20150922 ETRI 서울사무소 마일스톤수립, ToR 및운영방식논의, 시스템기술기고서리뷰 27 WG 2015-11 차회의 20150922 28 WG 전송 WG 2015-11 차회의 20150923 29 WG 30 WG 방송콘텐츠보호기술실무반 22 차 (2015-5) 회의 보호시스템실무반 2 차 (2015-2) 회의 20150923 20150923 ETRI 서울사무소 삼성전자서초사옥 알티캐스트회의실 ETRI 서울사무소 오디오 / 비디오 / 시스템서브그룹경과보고, 의장 / 간사교체등 차세대방송시스템을위한전송기술 에대한의견검토및물리계층기술규격기고관련작업방향논의 Downloadable Multi-CA/DRM 요구사항및시스템구조표준안개발 지상파 UHDTV 방송콘텐츠보호시스템요구사항검토 31 WG 비디오 SG 2015-2 차회의 20151005 삼성전자사초사옥 312 회의실 기고서리뷰 / 검토, 자막표준화추진방안논의 32 WG 오디오 SG 2015-2 차회의 20151005 ETRI 서울사무소 후보코텍의요구사항만족확인, 싱글코덱 / 멀티코덱지지여부확인, 코덱선정의기준및방법기고논의, 등 33 WG 시스템 SG 2015-2 차회의 20151006 ETRI 서울사무소 기고서리뷰 / 논의, 기술규격 ( 안 ) 작성논의 34 WG 보호시스템실무반 3 차 (2015-3) 회의 20151007 삼성전자서초사옥 지상파 UHDTV 방송콘텐츠보호시스템요구사항검토및확정 35 WG 전송 WG 2015-12 차회의 20151013 36 WG 37 WG 38 WG 39 WG 40 WG 오디오 SG 2015-3 차회의 시스템 SG 2015-3 차회의 2015-12 차회의 비디오 SG 2015-3 차회의 오디오 SG 2015-4 차회의 20151013 20151020 20151022 20151022 20151026 41 WG 전송 WG 2015-13 차회의 20151027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물리계층기술규격기고검토 기고서리뷰 / 검토, 코덱선정 (MPEG-H 를단일후보코덱으로선정 ) 기고서리뷰 / 논의, 기술규격 ( 안 ) 작성현황논의 서브그룹경과보고, 기술규격 ( 안 ) 목표범위논의 기고서리뷰 / 검토 ( 기술규격안취합본기반 ),HDR 표준화추진방안논의돌비 (AC-4) 추가소명발표, MPEG-H 코덱의기술제약논의 ( 프로파일링 ), 오디오시그널링파라미터논의 물리계층기술규격기고검토 42 WG 보호시스템실무반 4 차 (2015-4) 회의 20151102 삼성전자서초사옥 지상파 UHDTV 방송콘텐츠보호시스템기술기고서검토 43 WG 시스템 SG 2015-4 차회의 20151103 ETRI 서울사무소 기술규격안작성논의, 기고서리뷰 / 검토등 44 WG 비디오 SG 2015-4 차회의 20151105 ETRI 서울사무소 기고서리뷰 / 검토 ( 기술규격안리뷰 / 검토 ), HDR 추진방안정리 45 WG 시스템 SG 2015-5 차회의 20141110 ETRI 서울사무소 기술규격안현황논의, 기고서리뷰 / 검토등 46 WG 전송 WG 2015-14 차회의 20151110 ETRI 서울사무물리계층기술규격기고검토

소 47 WG 비디오 SG 2015-5 차회의 20151112 ETRI 서울사무소 기술규격안 ( 비디오 / 자막 ) 리뷰 / 검토 48 WG 오디오 SG 2015-5 차회의 20151112 ETRI 서울사무소 기술규격안검토, 프로파일링논의등 49 WG 보호시스템실무반 5 차 (2015-5) 회의 20151116 삼성전자서초사옥 지상파 UHDTV 방송콘텐츠보호시스템기술기고서검토 50 WG 시스템 SG 2015-6 차회의 20151117 ETRI 서울사무소 기술규격안현황논의, 기고서리뷰 / 검토등 51 WG 2015-13 차회의 20151119 ETRI 서울사무소 서브그룹경과보고, 서브그룹간이슈논의, 기술규격취합일정논의 52 WG 시스템 SG 2015-7 차회의 20151124 상암 MBC 기고서리뷰및검토, 1 차기술규격문서리뷰및검토 53 WG 전송 WG 2015-15 차회의 20151124 ETRI 서울사무소 물리계층기술규격초안마련및검토 54 WG 오디오 SG 2015-6 차회의 20151124 ETRI 서울사무소 1 차기술규격리뷰및검토 55 WG 비디오 SG 2015-6 차회의 20151126 ETRI 서울사무소 1 차기술규격리뷰및검토 56 WG 보호시스템실무반 6 차 (2015-6) 회의 20151130 삼성전자서초사옥 지상파 UHDTV 방송콘텐츠보호시스템기술기고서검토 3DTV 분과 번호 1 WG 2 WG 3 WG 4 5 구분회의명개최일시개최장소주요내용 차세대오디오 WG2015 년 1 차회의 차세대오디오 WG2015 년 2 차회의 차세대오디오 WG2015 년 3 차회의 3DTV 분과위원회 2015 년 1 차 회의 3DTV 분과위원회 2015 년 2 차 회의 20150205 20150402 20150709 20150722 20150915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ETRI 서울사무소 UHD 2015 표준화안건논의 방송을위한오디오코덱논의 음악 DB 및음향효과표준화논의 활동경과보고, 차기 WorkItem 논의 UHD 기반 3DTV 송수신정합표준관련논의 6 WG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0151 차회의 2015100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지상파 UHD3DTV 서비스요구사항정의논의 7 WG 8 WG 9 WG 차세대오디오 WG2015 년 4 차회의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0152 차회의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0153 차회의 20151008 20151016 20151104 ETRI 서울사무 소 LG 전자 R&D 캠 퍼스 ETRI 서울사무소 음원데이터포맷 ' 포럼표준기고서검토 시스템요구사항논의 기술기고안 1 차검토및향후일정논의 10 WG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20151113 ETRI 기술기고안 2 차검토및향후일정논의

11 12 WG 13 WG 14 WG 0154 차회의서울사무소 3DTV 분과위원회 2015 년 3 차 회의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0155 차회의 차세대오디오 WG2015 년 5 차회의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WG2 0156 차회의 20151119 20151127 20151203 20151204 ETRI 서울사무소 LG 전자 R&D 캠 퍼스 ETRI서울사무 소 LG전자R&D캠 퍼스 WG 활동경과보고, 포럼표준안검토 기술기고안 3 차검토및표준초안논의 표준화현황검토및추진방안논의 표준초안검토및논의 하이브리드 TV 분과 번호구분회의명개최일시개최장소주요내용 1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113 SBS 목동 UHDTV 부가서비스표준화추진방향협의 2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205 삼성전자서초 HbbTV 2.0 표준내용및현황관련협의 3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226 삼성전자서초 ATSC 3.0 표준내용및현황관련협의 4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323 삼성전자서초 ATSC 3.0 Runtime 표준화내용및현황관련협의 5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515 삼성전자서초 UHDTV 부가서비스표준화방향협의 6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608 삼성전자서초 UHDTV 부가서비스시나리오, 웹환경프로파일링협의 7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727 삼성전자서초 HbbTV 2.0 CS Profiling 초안, ATSC 3.0 표준화현황검토 8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821 삼성전자서초 Application Signaling 검토및 UHDTV 부가서비스표준문서작성역할분담 9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901 삼성전자서초 Browser Environment, Companion Screen 등요구사항작성 10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0918 삼성전자서초 CS 관련추가내용, 브로드밴드 A/V 전송방법, 앱시그널링표준화작업 11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1002 삼성전자서초 Web Environment 표준화일정공유및표준화작성내용검토 12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1020 삼성전자서초 ATSC 3.0 표준화일정관련의견취합정리및표준문서명칭변경 13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1124 삼성전자서초 UHD IBB 서비스표준초안작성및검토 14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1208 삼성전자서초 UHD IBB 국내표준화목표일정검토및표준화이슈협의 15 개방형하이브리드 TV 분과위원회 20151223 삼성전자서초 UHD IBB 서비스파트별표준문서작성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번호구분회의명개최일시개최장소주요내용 1 디지털라디오분과위제 7 차회의 20150114 SBS DMB 수신기인증시험문제점및방안검토 2 디지털라디오분과위제 8 차회의 20150204 SBS 디지털라디오송수신표준 ( 안 ) 초안검토 3 디지털라디오분과위제 9 차회의 20150312 SBS 디지털라디오송수신표준 ( 안 ) 초안 1 차수정본검토 4 디지털라디오분과위제10차회의 20150409 ETRI 서울사무소 USAC 기반의 DAB+ 전송기술검토 5 디지털라디오분과위제11차회의 20150507 MBC 디지털라디오송수신표준 ( 안 ) 초안 2 차수정본검토 6 디지털라디오분과12차회의 20150821 KBS 기술연구소 디지털라디오부가데이터서비스표준안추진방안논의 7 디지털라디오분과위 13 차회의 20150918 ETRI 서울사무소 디지털라디오부가데이터서비스표준화외 8 9 10 디지털라디오분과위회의 20151023 ETRI 서울사무소회의실 디지털라디오분과위회의 20151117 본원 KETI 분당 디지털라디오분과위회의 20151211 ETRI 서울사무소회의실 하이브리드라디오표준화논의, 디지털라디오국가표준 ( 안 ) 검토외디지털라디오데이터서비스현황및요구사항논의, 디지털라디오국가표준 ( 안 ) 검토외디지털라디오데이터서비스팔로우잉서비스표준, 오디오부가데이터서비스표준 ( 안 ) 검토외

2. 국제표준화활동결과 가. 기고서실적 ( 제안 / 반영 ) NO 표준구분 1 반영 2 반영 기고서명 Consideration on USAC transport for Digital Radio Proposed Draft Revision of Recommendation ITU-R BT.2052-0 3 반영 SCMMH_with_VEI_ WorkingDraft 4 반영 SCMMH_with_VEI_ WorkingDraft 기구명 표준화회의명 기고자 표준화단계 MPEG SG29 WG11 백승권 제안서표준 승인 ITU-R SG6 WP6A 양규태 ATSC ATSC 5 반영 Draft-Agenda ATSC ATSC TG1/S12 ATSC TG1/S12 ATSC TG1/S12 김성훈 김성훈 임영권 6 반영 S12-Status-Report ATSC ATSC TG1 임영권 7 반영 Updated information of Korea Digital Radio World DAB 양규태 표준제안서승인 연월일 문서번호 기고반영기고반영 20150216 20150220 M35492 20150205 20150209 6A/533 표준제안서승인 20150108 20150115 S12-237r 3 표준제안서승인 20150115 20150115 S12-237r 4 표준제안서승인 20150115 20150115 S12-241r 0 표준제안서승인표준제안서승인 20150806 20150806 20151126 20151126 S12-243r 0 나. 기고서실적 ( 제정 ) NO 표준구분 1 제정 국제표준명 3DTVTerrestrialBroadcasting, Part4 ServiceCompatibleHyb riddelivery3dusingbroadban doratscnrt 기구명 ATSC 표준화회의명 기고자 이진영, 정원식, 윤국진, 이광순 표준화단계 제정연월일 Standard 20150413 표준제정번호 ATSC A/104 Part4 다. 대표기고서실적 3. 국내표준화활동결과 가. 표준개발실적 ( 포럼 / 단체 / 국가 ) 번호제개정 표준 ( 초안 ) 명 표준화기구 1 제정지상파 3DTV 방송 회의명 KCS 표준심의위원회 구분 과제채택연월일 표준제정연월일 KCS 20150227 과제채택번호 표준제정번호 KCS.KO-0 7.0100 나. 대표표준개발및활용실적 UHDTV 분과 o 기술정의 : 지상파 UHDTV 방송규격도출

o 주요내용 : 지상파 UHDTV 방송송수신정합표준 개발 o 활용분야 : 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 o 기대효과 : UHD방송산업활성화 o 예상제품 : 지상파 UHD 인코더, 변조기, UHD TV 3DTV 분과 o 지상파 3DTV 방송 - 기술정의 : 지상파 3DTV 방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송수신기술 - 목적 : 지상파 3DTV 방송서비스송수신정합규격정의 - 주요내용 : 기존 DTV와의호환성을유지하면서고화질의 3DTV 방송서비스를지상파를통하여제공할수있도록하는듀얼스트림방식의지상파 3DTV 방송규격 - 산업적활용 : 지상파를통한서비스호환 3DTV 방송서비스를송수신하기위한정합규격을제정함으로써시청자에게좀더사실적이고현장감있는 3D 입체영상서비스를제공하며, 한국의 3DTV 방송서비스의경쟁력및시장의활성화에기여할것으로기대됨 하이브리드 TV 분과 o 차방포럼 OHTV 분과표준화활동을통해지상파 UHD IBB 서비스표준문서작성중 디지털라디오방송분과 o 대표표준개발및활용실적작성 o 지상파디지털라디오방송송수신표준 - 기술정의 : 디지털라디오송수신기술 - 목적 : 지상파디지털라디오방송의오디오및데이터서비스규격정의 - 주요내용 : DAB+ 방식의디지털라디오에 USAC 오디오코덱을적용하여라디오서비스를제공함 - 산업적활용 : 디지털라디오방송시스템및수신기개발에적용하여고품질, 고효율의디지털라디오서비스를가능케하고국내서비스수요에대응하고국외수출등관련산업활성화 4. 기타활동결과 하이브리드 TV 분과 o 미국 ATSC 3.0 IBB 서비스관련표준화일정준수를위한차방포럼명의의 Liaison Letter 발송및 ATSC 표준화그룹에서검토중임 (2015.11.16.)

제 4 장 2016 년도주요수행계획 제 1 절 2016년도차세대방송표준포럼연구목표 o 차세대방송표준포럼의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표준 규격도출 o 차세대방송표준포럼의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표준 규격국내표준화진행 o UHD 방송서비스관련비디오코덱및시스템규격 Phase 1 및 2 추진 o UHD 콘텐츠보안관련표준화추진 o UHD 방송서비스관련변복조규격추진 o 다시점 / 초다시점 3D, 파노라마방송등향후고실감방송서비스에대한 study 그룹운영및관련표준화진행 o 차세대오디오 WG, 3DTV 송수신규격 WG 등에서관련표준화작업진행 o 고실감방송서비스관련기술세미나및워크숍개최를통한미래방송기술소개 o 다시점 / 초다시점 3D, 파노라마방송등콘텐츠의형태및단말기형태를고려한서비스모델확보 o 지상파 UHD IBB 서비스표준제정 o 디지털라디오표준요구사항연구 o 디지털라디오송수신표준방식연구 o 디지털라디오응용서비스연구 o 하이브리드라디오서비스연구및표준개발 제 2 절수행과제내용 o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표준 도출 o UHDTV 보호 WG: UHD 콘텐츠보호를위한국내표준추진일정및규격안도출 o 3DTV 송수신규격 WG: UHD 방송기반의 3DTV 방송규격에대한표준화진행및무안경식다시점 / 초다시점 3DTV 방송서비스, 파노라마방송등차세대고실감방송을위한표준화논의시작 o 차세대오디오 WG : 관련전문가 10여명으로구성, 고실감방송서비스를위한오디오분야표준안마련, 차세대오디오서비스표준안마련등관련표준화작업진행 o 3차원입체영상컨텐츠의획득, 가공, 편집, 전송, 디스플레이등 3DTV 선진국의관

련기술표준화현황수집 분석 제공및국내 / 외표준화추진과컨텐츠 / 단말기형태별서비스모델유도 o OHTV 서비스및수신기개발의편의성을위한 Test Suite 구축및구현가이드라인제정 - Test Suite 시스템구축 - 구현가이드라인제정 o 지상파 UHD IBB 파트별표준화작업및서비스- 수신기송수신정합 - UHD IBB 메인표준 - 앱시그널링표준 - 브라우저애플리케이션환경표준 - 컴페니온스크린서비스표준등 o 재전송을통해수신하더라도 OHTV 서비스에접근할수있도록하는 ACR 관련기술표준화 - ACR 인터페이스표준화및코어알고리듬검토 o UHDTV 부가서비스표준화추진및 OHTV 2.0 표준화검토 - HTML5 관련기술 - 프로그램메타데이터기반서비스, TV 커머스등 UHDTV 부가서비스기능 - Companion Screen 서비스연계기능 o 디지털라디오표준요구사항연구 - 라디오매체의차별성 - 라디오매체의기능성 - 라디오매체의수익성등 o 디지털라디오송수신표준방식연구 - 국내디지털라디오기술방식결정전제 - 방송송출과수신기제조에필요한송수신기본기능도출 - TTA 표준안작성 o 디지털라디오응용서비스연구 - 재난서비스 - TPEG - 위치정보 - 양방향서비스 - 보이는라디오등 o 디지털라디오오디오코덱적용방안연구및검증실시 - USAC 방식의오디오코덱을 DAB+ 방식에적용

- 전송규격개발및실험실시중 o 디지털라디오서비스팔로우잉기술표준화연구 - 디지털라디오, FM 라디오등권역별이동, 라디오채널별이동, 프로그램선택등지원 - 기술규격초안작성 o 디지털라디오오디오부가데이터서비스표준화연구 - Active AudioPrint 기반으로디지털라디오오디오에데이터를부가하여전송하는기술의표준화방안연구 제 3 절수행과제방법 o 각 WG별로도출한규격초안을통합하고, 검토하여최종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표준 규격도출 o UHDTV 콘텐츠보안 WG에서는 DVB 및 MovieLabs 규격에대한비교검토를수행하고이를바탕으로국내표준안도출계획을수립함. o 차방포럼의 3DTV분과위의 WG들과 TTA내 PG802 등과의공동작업으로표준화속도를가속화함. o 스테레오스코픽 3DTV 방송표준화뿐아니라무안경식다시점 / 초다시점 3DTV 방송및파노라마방송에대한표준화작업도고려하여작업을진행함. o 차방포럼의하이브리드 TV 분과표준화활동을통해표준안작성 o 차방포럼표준화진행 o 경우에따라차방포럼하이브리드 TV 분과이외의단체표준화추진 o 방송사, 연구기관, 업계, 학계의관련전문가들로구성된디지털라디오연구반 (KBS, MBC, SBS, ETRI, KETI, 프라운호퍼, 남서울대학교등 ) 을중심으로상기에서제시된연구목표및내용을수행토록하며, 연구보고서및국내외표준화제안을위한기술표준 ( 안 ) 및추진을위한기고서등을작성하여 TTA 및 EBU, ITU 등에제출토록함

제 5 장결론 제 1 절결론 지상파 UHDTV 방송은 2016년 12월본방송을목표로관련업무들이진행되고있다. 해당일정에맞추어, UHDTV분괴위에서는 2016년 1사분기를목표로 지상파 UHDTV 송수신정합표준 규격을현재개발중에있다. 또한, UHD 콘텐츠보안 WG에서는 2015년도에수립한국내표준화추진계획을기반으로국내및국제표준을진행할예정이다. 추가로, 2015년도에는 UHD 변복조 WG을신설하여, 대용량 UHD 콘텐츠의효율적전송및주파수효율화를위한기술검토를 DVB 및 ATSC 활동을기반으로추진하고이를기반으로국내표준화추진일정을검토하고자한다. UHD 방송시점에맞춰방송시청중에다양한인터랙티브방송서비스를제공하는 IBB 서비스표준화작업을진행해왔으며, 내년상반기에표준이제정될예정이다. 표준이제정되면이를바탕으로방송사서비스와수신기간송수신정합과정을거쳐 2017년상반기 UHDTV가출시될때 UHD IBB 서비스기능도탑재되어함께보급될예정이다. 2013 년 12 월미래창조과학부에서발표한방송발전산업종합계획에서는차세대방송인프라 / 전송네트워크고도화관련하여디지털라디오도입을명시하였다. 올해디지털라디오방식이결정될것으로전망되며, 방식결정이후기술기준및기술표준재정이요구되어진다. 2014 년방송사, 연구기관, 업계, 학계의관련전문가들로구성된디지털라디오연구반이구성되어디지털라디오도입에필요한표준화항목도출및연구를착수하였으며, 2015 년에는디지털라디오송수 신표준화및응용서비스개발등을위한보다구체적인연구결과가도출가능할것으로판단된다. 제 2 절기대효과 지상파 UHDTV 표준규격을발빠르게선정하고, 이를기반으로세계최초로지상파 UHDTV 방송서비스를제공함으로써국내기업들의전체 UHDTV 시장을선점할수잇는발판을마련할수있게되었으며, 본포럼을통해관련업계의애로사항수집및관련기술반영, 그리고워크샵을통해선진기술을공유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국내스마트 TV는연간 100만대이상판매되고있다. UHDTV가본격적으로출시될때 IBB 서비스기능이탑재된 UHD 스마트TV가보급된다면 TV기반의인터랙티브서비스산업도지금보다활성화될전망이며, 이경우 TV시청중심의새로운스마트미디어서비스발전을견인할것이다.

붙임 표준화추진과제 ( 표준 / 기고서 ) 요약서작성 1. 2015 년도국내표준화활동실적 - 표준 표준 ( 안 ) 명 - 국문 : 지상파 3DTV 방송 - 영문 :Terrestrial 3DTV Broadcasting 1 포럼표준제정 2 TTA 표준제정 3 국가표준제안 / 채택, 표준상태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표준의목적 - 본표준의목적은종래의지상파디지털 TV 방송매체를통하여기존채널기반서비스호환 3DTV 방송서비스를송수신하기위한정합규격정의 2. 추진경위 1 포럼표준개발시작일, 제정일 : 2014.05 ~ 2015.02.12. 2 국가표준채택일및문서번호 - 표준채택일 : 2015.02.27. - 문서번호 : KCS.KO-07.100 3. 대상및범위 - 기존채널기반지상파 3DTV 방송서비스송수신정합 - 스테레오스코픽비디오영상포맷, 부호화, 시그널링및다중화 / 역다중화기술규격 4. 내용요약 - 기존 DTV 채널기반 3DTV 방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요구사항및기술규격 5. 기대효과 ( 표준활용 ) - 시청자에게좀더사실적이고현장감있는 3D 입체영상서비스를제공하며, 한국의 3DTV 방송서비스의경쟁력및시장의활성화에기여할것으로기대 - 3DTV 국가표준마련을통한세계표준기술선도가능 Reference 참고자료 국내외표준과관련성 지상파 3DTV 송수신정합 제 1부 : 기존채널 ISO/IEC 13818-1:2013 ATSC A/104 Part 2, 3DTV Terrestrial Broadcasting, Part 2 Service Compatible Hybrid Coding Using Real-Time Delivery

표준 ( 안 ) 명 - 국문 : 실감음향용머리전달함수측정데이터베이스모델 - 영문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measurement database model for auralization 1 포럼표준제정 2 TTA 표준제정 3 국가표준제안 / 채택, 표준상태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표준의목적 - 실감음향을위한머리전달함수 (HRTF) 의데이터베이스를수집하는데활용하는메타데이터와측정포맷에 표준참조모델을명시 2. 추진경위 1 포럼표준개발시작일, 제정일및문서번호 : 2015.01. ~ 2015.11.26., NGBF-STD-003 2 TTA 표준 TTA표준과제채택일, TTA 표준완료일및문서번호 - 표준제안일 : 2014.11.02. - 과제채택일 : 2015.03.18. - 표준완료일 : 표준화진행중 - 문서번호 : 3 국가표준채택일등을자세히기재하여주십시오. - 해당사항없음 3. 대상및범위 - 머리전달함수데이터베이스를수집하기위한항목정의. HRIR 파일정보, 측정대상정보, DB 정보 4. 내용요약 - 실감음향을위한머리전달함수 (HRTF) 의데이터베이스수집 / 활용을위한메타데이터와측정포맷 5. 기대효과 ( 표준활용 ) - 본표준은입체음향과관련된연구에활용될수있으며, 해당산업발전에필요한기초정보수집을 용이하여해당산업의발전에기여 Reference 참고자료 AES69-2015, AES standard for file exchange - Spatial acoustic data file 국내외표준과관련성 format, 2015

표준 ( 안 ) 명 - 국문 : 실감음향용공간임펄스응답측정모델데이터베이스 - 영문 :Room impulse response measurement model database for auralization 1 포럼표준제정 2 TTA 표준제정 3 국가표준제안 / 채택, 표준상태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표준의목적 - 실감음향을위한공간임펄스응답 (RIR, Room Impulse Response) 를측정하는데필요한표준기술 요소를정의하고이를이용하여실제입체음향시스템을구현하기위한표준모델을제시 2. 추진경위 1 포럼표준개발시작일, 제정일및문서번호 : 2015.01. ~ 2015.11.26., NGBF-STD-004 2 TTA 표준 TTA표준과제채택일, TTA 표준완료일및문서번호 - 표준제안일 : 2014.11.02. - 과제채택일 : 2015.03.18. - 표준완료일 : 표준화진행중 - 문서번호 : 3 국가표준채택일등을자세히기재하여주십시오. - 해당사항없음 3. 대상및범위 - 공간임펄스응답의데이터베이스를수집하는데활용하는메타데이터와측정포맷에표준참조모델을명시. RIR 파일정보, 측정공간정보, DB 정보 4. 내용요약 - 실감음향을위한공간임펄스응답을측정하는데필요한표준기술요소정의및표준모델제시 5. 기대효과 ( 표준활용 ) - 본표준은입체음향과관련된연구에활용될수있으며, 해당산업발전에필요한기초정보수집을 용이하여해당산업의발전에기여 Reference 참고자료 AES69-2015, AES standard for file exchange - Spatial acoustic data file 국내외표준과관련성 format, 2015

2. 2015 년도국제표준화활동실적 - 기고서 포럼명 기고서명 작성자인적사항 제출표준화기구 기고서상태 차세대방송표준포럼 - 국문명 : S12-237r3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 영문명 : S12-237r3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성명 김성훈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 연락처 42-860-5444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회 S12 회의명 S12 회의기간 2015.1.15 장소 미국, 워싱턴DC 1 기고서제안, 2 기고서반영, 3 기고서제정,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작성배경및목적 ATSC2.0 8-VSB & MH 기반의고정 / 이동방송융합형 3DTV 서비스방식 (A/104 Part5) 에서 VEI(Video Enhancement Information) 을이용한부가영상화질개선에대한기고서임 2. 기고서주요내용 In SC-M M H System, supplem ental inform ation called Video Enhancem ent Inform ation (VEI) should be utilized to enhance the 3D visual quality when the spatial resolutions of the 1 st viewand2 nd view arequitedifferent.veicanhelptheviewersw hom aybeinterferedduetothequalitygapw henthedifferenceofresolutionsbetweentwoviewsistoolarge. VEI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enlarged im age of the 2 nd view(atscm obiledtv)withlowerresolution.w henveiisused,veishould be generated at 3D encoding step and then transm itted to the 3DTV receivers. A SC-MM H receiver supporting VEI decodes VEI and thereby generates the 3D im ages with better quality. W hen VEI is not used, the intact im ages from ATSC m obile service is used for 3DTV service without this enhancem ent process.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S12-237r3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국내표준화여부해당사항없음

포럼명 기고서명 작성자인적사항 제출표준화기구 기고서상태 차세대방송표준포럼 - 국문명 : S12-237r4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 영문명 : S12-237r4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성명 김성훈 소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급 책임연구원 연락처 42-860-5444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회 S12 회의명 S12 회의기간 2015.1.19 장소 미국, 워싱턴DC 1 기고서제안, 2 기고서반영, 3 기고서제정,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작성배경및목적 ATSC2.0 8-VSB & MH 기반의고정 / 이동방송융합형 3DTV 서비스방식 (A/104 Part5) 에서 VEI(Video Enhancement Information) 을이용한부가영상화질개선에대한기고서임 (S12-237r3 editorial issue revision) 2. 기고서주요내용 In SC-MMH System, supplem ental inform ation called Video Enhancem ent Inform ation (VEI) should be utilized to enhance the 3D visual quality when the spatial resolutions of the 1 st viewand2 nd viewarequitedifferent.veicanhelptheviewerswhom aybeinterferedduetothequalitygapw henthedifferenceofresolutionsbetweentwoviewsistoolarge. VEI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enlarged im age of the 2 nd view(atscm obiledtv)withlowerresolution.w henveiisused,veishould be generated at 3D encoding step and then transm itted to the 3DTV receivers. A SC-MMH receiver supporting VEI decodes VEI and thereby generates the 3D im ages with better quality. W hen VEI is not used, the intact im ages from ATSC m obile service is used for 3DTV service without this enhancem ent process.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S12-237r4_SCMMH with VEI Working Draft 국내표준화여부해당사항없음

포럼명 기고서명 차세대방송표준포럼 - 국문명 : S12-241r0_Draft-Agenda - 영문명 : S12-241r0_Draft-Agenda 작성자인적사항 성명임영권소속삼성전자직급수석연구원연락처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회 S12 제출표준화기구 회의명 S12 회의기간 2015.1.15 장소 미국, 워싱턴DC 기고서상태 1 기고서제안, 2 기고서반영, 3 기고서제정,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작성배경및목적 ATSC2.0 8-VSB & MH기반의고정 / 이동방송융합형 3DTV 서비스방식 (A/104 Part5) 에서 VEI(Video Enhancement Information) 을이용한부가영상화질개선에대한기고서제안내용이기입되어있는 S12 회의 agenda 2. 기고서주요내용 Draft Agenda of ATSC TG1 S12 meeting for SC-MMH VEI TG1 ballot discussion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S12-241r0_Draft-Agenda 국내표준화여부해당사항없음

포럼명 기고서명 차세대방송표준포럼 - 국문명 : S12-243r0_S12-Status-Report (S12) - 영문명 : S12-243r0_S12-Status-Report (S12) 작성자인적사항 성명임영권소속삼성전자직급수석연구원연락처 기구명 ATSC 관련기술위원회 S12 제출표준화기구 회의명 S12 회의기간 2015.8.6 장소 미국, 워싱턴DC 기고서상태 1 기고서제안, 2 기고서반영, 3 기고서제정, 관련항목에체크하여주십시오.( 복수항목체크가능 ) 표준화내용요약 ( 주요표준화대상및범위 ) 1. 작성배경및목적 ATSC2.0 8-VSB & MH기반의고정 / 이동방송융합형 3DTV 서비스방식 (A/104 Part5) 에서 VEI(Video Enhancement Information) 을이용한부가영상화질개선 Working Draft 내용및 TG1 ballot status(candidate standard, proposed standard etc..) 현황을상위기관인 TG1에보고함 2. 기고서주요내용 Status report of ATSC S12 to TG1 about SC-MMH VEI TG1 ballot status 3. 중요도 Comment Reference 참고자료 S12-243r0_S12-Status-Report (S12) 국내표준화여부해당사항없음

3. 회원사명부작성 o 기관회원 : 52 기관 구분 NO 회원사명 비고 1 KBS 2 MBC 3 SBS 4 LG전자산업체 5 삼성전자 ( 대기업 ) 6 한국통신 7 한국교육방송공사 8 LG유플러스 9 현대자동차 10 넷코덱 11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12 아이큐브 13 아스텔 14 알티캐스트 15 에어코드 16 ( 주 ) 픽스트리 17 ( 주 ) 엔스퍼트 18 창해에너지어링주식회사 19 지어소프트 2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1 주식회사엑스씨이 22 SK텔링크주식회사 23 이데토코리아 24 ( 주 ) 인프라웨어산업체 25 ( 주 ) 코어트러스트 ( 중소 벤처 ) 26 YTNDMB 27 메리테크 28 모다정보통신 29 카이미디어 30 디지캡 31 엘컴텍 32 엠엠비주식회사 33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34 DTS코리아 35 돌비코리아 36 넥스트팩토리 37 한국퀄컴주식회사 38 디에스브로드캐스트 39 테크니칼라 ( 톰슨 ) 40 마크애니 4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기관 42 전자부품연구원 4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학계 44 서울대학교 45 한양대학교 46 광운대학교 47 서울시립대학교 의장사 4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49 경희대학교 50 KAIST 51 국민대학교

o 개인회원 : 47 명 NO 성명 소속 직책 비고 1 김형중 고려대학교 교수 2 호요성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3 이광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4 김용한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5 정제창 한양대학교 교수 6 김문철 KAIST 교수 7 이규환 자일릭스 팀장 8 김진영 실트로닉 팀장 9 정승환 LG전자 과장 10 박구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11 최윤호 삼성전자 연구원 12 장경아 삼성전자 선임연구원 13 정경임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14 유광현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15 김윤상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16 신효섭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17 구길모 삼성전자 선임연구원 18 이혜수 삼성전자 연구원 19 이동호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20 방경일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21 이문호 전남대학교 교수 22 이흥규 KAIST 교수 23 김혁만 국민대학교 교수 24 박병진 EBS 선임연구원 25 김영수 ETRI 책임연구원 26 양규태 ETRI 책임연구원 27 김기환 LG전자 과장 28 노만기 EBS 소장 29 조성도 EBS 연구원 30 박성환 EBS 차장 31 하지원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2 정기호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3 이혜영 삼성전자 연구원 34 김형관 삼성전자 연구원 35 이병대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6 김현수 삼성전자 과장 37 김영집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38 안호성 이지인터페이스 이사 39 김규헌 경희대학교 교수 40 이재욱 넷앤티비 선임연구원 41 경일수 KBS 책임연구원

42 박성택 ETRI 책임연구원 43 박재홍 한양대학교 교수 44 김대현 인와이저 대표 45 김지균 IITP 선임연구원 46 김관철 LG전자 책임연구원 47 이경근 LG전자 차장 4. 약어표 ACR API ATSC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CEA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NS Domain Name Server EPG ETS ETSI Electronic Program Guide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HbbTV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HLS HTTP Live Streaming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IBB Integrated Broadcast Broadband OHTV OIPF OTA Open Hybrid TV Open IPTV Forum Over The Air PMT Program Map Table SDDS Software Download Data Service SMT Service Map Table

5. 참고문헌등. [1] Open IPTV Forum, Release 2 Specification, Volume 5 Declarative Application Environment [2] Open IPTV Forum, Release 2 Specification, Volume 5a Web Standards TV Profile, V2.3, 2013.08.13 [3] HbbTV Association, HbbTV 2.0 Specification, 2015.05.01 [4]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3.0 Standard, TBD [5]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Companion Device Communication Protocol, TBD [6] W3C, HTML5, A vocabulary and associated APIs for HTML and XHTML, REC, 2014.10.28, http://www.w3.org/tr/2014/rec-html5-20141028/ [7] TTA, TTAK.KO-07.0099/R1, 지상파개방형하이브리드 TV, 20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