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 Microdebrider 를이용한아데노이드절제술의임상적효과 문지호 송영호 신승엽 박기환 홍남표 안회영 Clinical Efficiency of Adenoidectomy U

Similar documents
012임수진

( )Kjhps043.hwp

황지웅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노영남

이형석외

12이문규

Kbcs002.hwp

Microsoft Word doc

Lumbar spine

Fig. 1. Laryngoscopic findings according to Yonekawa Fig. 2. possible etiologic factors. 2A Smoking, 2B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2C Skin

04조남훈

001-학회지소개(영)

( )Jkstro011.hwp

<342EBEC8BCBABFAD2CB9DAC7E2C1D82E687770>

원위부요척골관절질환에서의초음파 유도하스테로이드주사치료의효과 - 후향적 1 년경과관찰연구 - 연세대학교대학원 의학과 남상현

Microsoft Word doc

( )Ksels001.hwp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 )Jksc057.hwp

( )Kju269.hwp

Can032.hwp

???? 1

Table 1. Distribution by site and stage of laryngeal cancer Supraglottic Glottic Transglottic Total Stage Total 20

hwp

A Problem for Government STAGE 6: Policy Termination STAGE 1: Agenda Setting STAGE 5: Policy Change STAGE 2: Policy Formulation STAGE 4: Policy Evalua

歯1.PDF

CASE REPORT J Rhinol 2015;22(2): pissn / eissn 비인두에서발생한원발성결핵

00약제부봄호c03逞풚

( ) Jkra076.hwp

대상및방법 결과 Table 2. Total numbers of operations Corrective Rhinoplasty 56 Augmentation Rhinoplasty 86 Reduction Rhinoplasty 39 Nasal Tip Surge

1..

歯5-2-13(전미희외).PDF

김종빈 외 Fig.. Comparison of postoperative day pain intensity among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a

KISEP Otology Korean J Otolaryngol 1999;42: 측두골에발생한사구종 6 예 남정권 윤태현 이광선 Six Cases of Glomus Tumor Jeoung Kueon Nam, MD, Tae Hyun Yoon, MD and Kwa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2, pp DOI: IPA * Analysis of Perc

Kjhps016( ).hwp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27 2, 17-31, , * ** ***,. K 1 2 2,.,,,.,.,.,,.,. :,,, : 2009/08/19 : 2009/09/09 : 2009/09/30 * 2007 ** *** ( :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14.531~539(08-037).fm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 / pissn / eissn

433대지05박창용

Ⅰ. 서 론 鼻 茸 은 비강과 부비동의 점막이 염증성, 부종성 변 화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교적 흔하며 그 표면이 매끄럽고 회백색 혹은 회적색을 띠고 있다. 감 염과 알레르기가 중요한 발병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 며, 치료 후에도 잘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

제5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심포지엄 Program 1 ANESTHESIA (Room 2층 대강당) >> Session 4 Updates on PNB Techniques PNB Techniques for shoulder surgery: continuou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3 * The Effect of H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Ȳ¿ë¼®

골화범위의 측정 Fig. 1. Schematic illustration for division of thyroid lamina and calculation of ossification height in thyroid cartilage. Ossification heigh

16_이주용_155~163.hwp

untitled

09구자용(489~500)

서강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대학중점연구소 심포지엄기초과학연구소


09권오설_ok.hwp

±èÇ¥³â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2, pp DOI: : Researc


김범수

- 2 -


Trd022.hwp

Microsoft Word - KSR2016S168

KISEP Rhinology Korean J Otolaryngol 2002;45: 이개연골과측두근막의자유복합이식을이용한비중격천공의비내재건술 홍순관 1 민양기 2 Repair of Nasal Septal Perforation by Intranasal Appro

<C1A63534C8B820BCBCB9CCB3AA2DC6EDC1FD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9, Vol. 29, No. 1, pp DOI: (LiD) - - * Way to

Jkbcs012( ).hwp

Â÷¼øÁÖ

Kaes025.hwp

DBPIA-NURIMEDIA

300 구보학보 12집. 1),,.,,, TV,,.,,,,,,..,...,....,... (recall). 2) 1) 양웅, 김충현, 김태원, 광고표현 수사법에 따른 이해와 선호 효과: 브랜드 인지도와 의미고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8권 2호, 2007 여름

04-07도현수

Jkbcs016(92-97).hwp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29, no. 10, Oct ,,. 0.5 %.., cm mm FR4 (ε r =4.4)

Microsoft Word - KSR2012A021.doc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도비라

1. KT 올레스퀘어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개발.hwp

04-다시_고속철도61~80p

(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KISEP Case Reports Korean J Otolaryngol 1999;42:232-6 경미로접근법으로제거한거대소뇌교각종양 4 예 박찬민 황보철 신종헌 손수준 Four Cases of Large Cerebellopontine Angle Tumors Remove

상악측절치(dh)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7, Vol. 27, No. 3, pp DOI: (NCS) Method of Con


종골 부정 유합에 동반된 거주상 관절 아탈구의 치료 (1예 보고) 정복이 안된 상태로 치료 시에는 추후 지속적인 족부 동통의 원인이 되며, 이런 동통으로 인해 종골에 대해 구제술이나 2차적 재건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2) 경종골 거주상 관절 탈구는 외국 문헌에 증례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0;43: 라인케부종의 Videostrobokymography 소견 김광현 성명훈 김동영 이동욱 이상준 이승신 박민현 김정준 Videostrobokymographic Analysi



Analyses the Contents of Points per a Game and the Difference among Weight Categories after the Revision of Greco-Roman Style Wrestling Rules Han-bong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online ML Comm Case Report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5;58(11):793-7 / pissn / eissn

Jkcs022(89-113).hwp


A 617

?

. 45 1,258 ( 601, 657; 1,111, 147). Cronbach α=.67.95, 95.1%, Kappa.95.,,,,,,.,...,.,,,,.,,,,,.. :,, ( )


Transcription:

KISEP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 Microdebrider 를이용한아데노이드절제술의임상적효과 문지호 송영호 신승엽 박기환 홍남표 안회영 Clinical Efficiency of Adenoidectomy Using Microdebrider Ji Ho Moon, MD, Young Ho Song, MD, Seung Youp Shin, MD, Gi Hwan Park, MD, Nam Pyo Hong, MD and Hwoe Young Ahn, MD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Remnant adenoid tissue after adenoidectomy or immoderate procedure result in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bleeding, damage to the mucosa of posterior nasopharyngeal wall or orifice of Eustachian tub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conventional adenoidectomy with microdebrider-assisted adenoidectomy based on postoperative outcome and intraoperative effectiveness. Materials and Method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thirty cases of adenoidectomy using conventional approach with fifteen cases of transoral microdebrider adenoidectomy using an indirect laryngeal mirror. Skull lateral radiographs and a symptom scale were used to evaluat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tes.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postoperative outcome between the conventional group and the microdebrider adenoidectomy group. However, it was found that more adenoid tissue could be removed in the microdebrider group. Postoperative nasopharyngeal endoscopic views revealed that microdebrider removed adenoid tissue precisely and preserved the posterior nasopharyngeal wall better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roup. Conclusion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cedure, adenoidectomy using the transoral microdebrider with an indirect laryngeal mirror was similar in achieving symptom improvement and postoperative outcomes, but removed more adenoid tissue with higher precision.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using microdebrider with indirect laryngeal mirror is another valuable method of adenoidectomy in the aspect of precision.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 KEY WORDSIndirect laryngeal mirror Microdebrider Adenoidectomy. 164

문지호 외 및 비인두 손상 정도 등을 비교하여 그 임상적 효과를 평가 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0년 1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구호흡, 코골이, 만성 비폐색 등의 증상을 주소로 경희대학교 이비인후과학교실에 내원한 환자 중에서 Fujioka가 제시한 술전 두개골측면 사 진상 adenoidal-nasopharyngeal 비(이하 AN 비)8)가 현저 히 증가하여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받은 45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45명의 환아 중 아데노이드 절제술만을 시행받은 환아는 2명,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아는 43명, 고막절개술 또는 고막 환기관 삽입술을 함께 시행받 은 환아는 5명이었다. 남녀비는 1.14 1 이었으며 평균연령 은 6.2세(3 12세)이었다. Fig. 1. Indirect laryngeal mirror (arrow head) and microdebrider (arrow) were passed intraorally to visualize and remove the adenoids. 방 법 대상 중 30명은 아데노이드 큐렛 및 아데노이드 절제도를 사용하는 고식적 술식을 시행하였고(이하 고식적군), 15명은 간접후두경 및 microdebrider를 사용한 술식을 사용하여(이 하 microdebrider군) 술후 경과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Microdebrider군에서의 아데노이드 절제술은 전신마취하 에 환자를 Rose위로 위치시키고 개구기를 삽입한 후 8 french nelaton 카테터를 양 비강에 각각 1개씩 통과시켜 연 구개를 전방 견인한 후 왼손으로 간접 후두경을 이용하여 비 Fig. 2. Surgical tools a microdebrider, 4.0 mm RADenoidTM (XOMED, USA) blade for microdebrider-assisted adenoidectomy and indirect laryngeal mirror. 인강의 아데노이드 조직을 확인하며 오른손으로 microde- Table 1. Symptom score brider를 이용하여 분당 6000의 회전속도로 아데노이드 조 Score 1 No symptoms 직을 제거하였다(Fig. 1). Microdebrider는 RADenoidTM (XOMED, USA) blade를 사용하였다(Fig. 2). 평가방법은 수술전과 수술후 외래관찰 1개월째에 동일한 아데노이드 증상점수를 사용하여 증상호전도를 평가하였다. 이 증상 점수는 Crepeau가 제시한 방법으로 구호흡, 코골이, 만성비폐색을 주증상으로 하였고, 재발성 상기도 감염, 재발 2 No major symptoms one or more minor symptoms 3 One major symptom (with or without minor symptoms) 4 Two major symptoms 5 Three major symptoms Major symptoms 1. Mouth breathing, 2. Snoring, 3. Chronic nasal obstruction Minor symptom 1. Repeated upper airway infections (RUAI), 2. Recurrent otitis media or serous otitis or both (diagnosed by a physician), 3. Rhinolalia 성 중이염 또는 삼출성 중이염, 비성을 부증상으로 하였다 (Tabel 1).9) 객관적 지표로 수술전날과 수술후 1개월째의 두 강 후벽 쪽의 아데노이드 조직의 크기를 나타내는 supero- 개골 측면 사진을 이용하여 아데노이드 크기를 측정 비교하 inferior 직경(이하 SI diameter)을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 였고 크기는 세가지로 측정하였다. 첫째로 AN 비를 사용하 로 아데노이드 전면과 후비공 후방까지의 거리를 표시하여 여 접형후두골접합부(spheno-occipital synchondrosis)로 후비공 부위의 기도 너비와 최상부위 아데노이드 조직의 크 부터 경구개의 후상방 모서리까지의 비인강 거리에 대한 두 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antroadenoid 직경(이하 AA 직 개저로부터 가장 돌출된 아데노이드 부위까지의 거리의 비율 경)을 사용하였다(Fig. 4).9) 수술시간은 nelaton 카테터를 을 측정하였고(Fig. 3)8) 둘째 측정방법으로 아데노이드 크 삽입한 이후부터 아데노이드 제거후 지혈을 위해서 비인강에 기를 인두결절(pharyngeal tubercle)로부터 측정하여 비인 거즈 압박을 시작한 시간으로 정하였고, 지혈시간은 아데노이 165

경구강적 Microdebrider를 사용한 아데노이드 절제술 Fig. 3. Adenoidal-nasopharyngeal ratio represents the ratio of a-a to n-n. a-a adenoidal measurement taken roughly on the point of maximal thickness of the adenoid. n-n' nasopharyngeal measurement taken on the line between the postero-superior edge of the hard palate and the base of skull (antero-inferior edge of sphenobasio-occipital synchondrosis). Fig. 4. AA and SI diameter. AA (antroadenoidal diameter)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end of the adenoids and the posterior choana. SI (supero-inferior diameter) perpendicular distance between the base of skull on the pharyngeal tubercle and anterior margin of adenoid shadow. 드 절제 후부터 압박한 거즈를 제거하여 출혈이 없음이 확인 있었고, 이로써 microdebrider군에서 더 많은 조직이 제거되 된 시점까지로 정하였다. 다른 지혈 방법은 사용하지 않았고 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인강 후벽쪽의 아데노이드 크기를 출혈이 계속될 때는 다시 거즈로 압박하였다. 통계학적 처리 나타내는 SI 직경에서는 고식적군과 microdebrider군에서 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이하로 정 술후 각각 5.00 mm와 7.25 mm의 변화를 보여 더 많은 아 하였다. 데노이드 조직이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두 군간의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후비공 부위의 기도 너비와 후비공 쪽 결 과 의 아데노이드 크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AA 직경은 수 술전과 수술후의 변화치가 고식적군과 microdebrider군에서 수술후의 증상호전 면에 있어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에 양 각각 2.50 mm와 3.62 mm 넓어졌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 군 모두에서 증상이 크게 호전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고식적 었으나 통계학적으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 군과 microdebrider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2). ble 3). 수술시간과 지혈시간은 고식적군이 각각 평균 3.1분, AN비로 평가한 아데노이드의 전체적인 크기는 수술전 수치 8.5분이고 microdebrider군은 평균 3.8분, 10.2분으로 mi- 에 대한 수술후 변화량의 비율이 고식적군과 microdebri- crodebrider군에서 수술종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다소 길었 der군에서 각각 27.5%와 35.8%를 보여 통계학적 유의성이 지만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66 Korean J Otolaryngol 2002 ;45 :164-8

Table 2. Changes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ymptom scale in conventional group and microdebrider group Conventional group n30 Microdebrider group n15 Preop value Postop value* Preop value Postop value* 4.700.46 1.260.44 4.730.45 1.260.45 p0.05, Mean1.0 s. d. Table 3. Changes of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denoidal size in conventional group and microdebrider group Conventional group n30 Microdebrider group n15 Preop value Postop value Change ratio % Preop value Postop value Change ratio % AN ratio* 0.819.5 0.550.1 27.57 15.8 0.7615.3 0.460.1 35.8 25.7 SI diameter* 18.3 4.5 13.3 3.9 27.4 16.1 17.0 4.9 9.8 4.7 42.4 21.1 AA diameter 3.5 1.4 6.0 1.7 90.9 112.2 3.8 1.7 7.4 2.0 137.9108.2 Change ratiodifferences in pre- and post-operative value to pre-operative value. ANadenoidal-nasopharyngeal, SI supero-inferior, AAantroadenoidal mean1.0 s.d., p0.05 Fig. 5. Postoperative endoscopic view of the nasopharynx. Aendoscopic view of residual adenoid tissue arrow at the postero-superior choana after conventional adenoidectomy. Bendoscopic view of nasopharynx after microdebrider assisted adenoidectomy shows complete removal of adenoid. A B 167

REFERENCES 1) Becker SP, Robert N, Coglianese D. Endoscopic adenoidectomy for relief of serous otitis media. Laryngoscope 1992;102:1379-84. 2) Cannon CR, Replogle WH, Schenk MP. Endoscopic-assisted adenoidectom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1:740-4. 3) Setliff RC III. The hummer: A remedy for apprehension in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Otolaryngol Clin North Am 1996; 29:93-104. 4) Janzen VD. How Ido it: Transnasal endoscopic approach to assist in difficult adenoidectomies. J Otolaryngol 1997;26:213-4. 5) Huang HM, Chao MC, Chen YL, Hsiao HR. A combined method of conventional and endoscopic adenoidectomy. Laryngoscope 1998; 108:1104-6. 6) Yanagisawa E, Weaver EM. Endoscopic adenoidectomy with the microdebrider. Ear Nose Thorat J 1997;76:72-4. 7) Rhyoo C, Kim SS, Jun JH, Lim HS, Kim MS. Transoral endoscopic adenoidectomy with the microdebrider. Korean J Otolaryngol 2000;43:1346-9. 8) Fujioka M, Young LW, Girdany BR. Radiographic evaluation of adenoidal size in children: Adenoidal-nasopharyngeal ratio. Am J Rhoentgenol 1979;133:401-4. 9) Crepeau J, Patriquin HB, Poliquin JF, Tetreault L. Radiographic evaluation of the symptom-producing adenoid.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2;90:548-54. 10) Randall DA, Hoffer ME. Complications of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8;118:61-8. 168 Korean J Otolaryngol 2002;45: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