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등록번호 주요국의핵심역량중심교육과정 운영실태조사연구 연구책임자 : 소경희 ( 서울대학교 ) 공동연구자 : 홍원표 ( 연세대학교 ) : 송주현 ( 신목고등학교 ) 연구보조원 : 강지영 ( 서울대학교 ) 연구협력관 : 이병승 ( 교육부 )
- 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 53 -
를 - 54 -
- 55 -
- 56 -
- 57 -
학교였다. 2층으로 구성된 학교 건물은 아담한 편이었으나, 비교 적 넓은 동물 사육장과 놀이터 를 가진 관계로 학교 공간은 학 생들이 뛰어놀기에 충분한 여유 가 있었다. 이 학교는 1970년대 지어진 것으로 연구진 방문 당 시에는 함부르크 시의 재정 지 원을 받아 대대적인 리모델링 [그림 Ⅳ-1] 모아플라겐 초등학교 현판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학교에 들어서자 연구진을 반갑게 맞이한 사람은 이 학교의 교장, 아이히 베르크에르트만(Gesine Eichberg-Erdmann)이었다. 교장은 60대 초반 정도의 여성으로 몸집은 왜소했으나 학교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는 넘쳐 보였다. 연 구진은 교장실에서 30분 정도 학교 전반에 대한 소개를 들은 후, 2개의 수업 을 관찰하고 다시 교장실로 돌아와 교장 및 수업을 보여주었던 교사들과 면 담할 기회를 가졌다. 가. 역량 중심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노력 모아플라겐 초등학교는 1995년부터 장애아를 통합한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 한 학교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이 학교는 학년당 2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어느 학년이든 한 학급은 장애아 통합 학급이다. 말하자면 학년별로 1개 학급씩 총 4개의 학급이 통합 학급인 셈이다. 학급당 학생 수는 평균 23 명 정도이며, 통합 학급의 경우에는 이 가운데 6-7명 정도가 정신적, 신체적,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 교사 수는 보조교사와 특수교사를 포함하여 총 22 명으로, 전체 학급 수가 8개인 것을 고려할 때 교사들의 수는 여유가 있는 편이다. 따라서 이 학교 교정이나 교실에서는 휠체어를 탄 학생들 못지않게, - 58 -
- 59 -
에 대해 이루어졌다. 두 수업에 대한 관찰 모두 장애아가 통합된 학급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3학년 읽기 수업 연구진이 관찰한 3학년 읽기 수업에서는 아동들이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의 텍스트를 제공받는 일종의 개별화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 다. 교실 공간의 배치 및 보조교사의 역할은 이러한 개별화 수업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 [그림 Ⅳ-2] 모아플라겐 초등학교 3학년 교실 [그림 Ⅳ-2]에서 볼 수 있듯이 교실 공간은 중앙에 원형을 형성하면서 놓 여있는 좌식 책상과 이 원형 바깥의 네 개의 교실 벽면을 마주한 모둠식 책 걸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중앙의 원형 공간의 좌식 책상 한 켠에는 다양한 텍스트 자료들이 늘어져 있었으며, 담임교사는 그 주변에 앉아 찾아오는 아 동들에게 그들 수준에 적합한 텍스트를 제공하고 있었다. 교사로부터 텍스트 를 받아든 아동들은 자유롭게 좌식 책상에 앉거나 벽면의 의자에 앉았으며, - 60 -
- 61 -
있다. 또한 함부르크 주는 하나의 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 규모가 작아서 주 수준의 상업용 교과서가 없다. 따라서 함부르크 교사들은 자체적 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만들어야 한다. 이 수업의 담임교사도 다른 주의 교 과서들을 비롯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활용하고 있었다. 요컨대 담임교사의 표현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수업 준비를 이전과 다 르게 해야 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2) 2학년 쓰기 수업 2학년 쓰기 수업은 글쓰기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이 수업은 연구진에게 상당히 인상적인 수업이었다. 쓰기 수업이었지만, 단순히 쓰기만이 아닌 여러 교과가 통합된 수업이었고, 2학년이라는 어린 아동들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모든 활동에 진지하게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림 Ⅳ-3] 모아플라겐 초등학교 2학년 쓰기 수업(1) 쓰기 수업은 [그림 Ⅳ-3]의 왼쪽 사진처럼, 지난 시간에 아동들이 자유롭게 그려놓은 그림을 교실 중앙에 모아놓고 그 주위를 빙 둘러 앉은 채, 그 날 할 일을 교사로부터 듣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 시간의 활동은 아동 각자가 - 62 -
자신이 그려놓은 그림에 대한 글쓰기를 하는 것이었다. 교사는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아동들에게 묻고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글쓰기의 구성 요소를 이해 시키는 데 일정 시간을 할애했다. 아동들은 교사의 글쓰기 안내를 받은 후, 자신의 그림을 가지고 [그림 Ⅳ-3] 오른쪽 사진에서처럼, 모둠별 자리로 돌아 가 다음 활동을 준비했다. 이 수업에는 장애 정도가 심한 아동들이 있어서 3 명의 보조교사가 해당 아동들이 있는 모둠에서 이들을 도왔다. [그림 Ⅳ-4] 모아플라겐 초등학교 2학년 쓰기 수업(2) 담임교사는 아동들이 모둠별 자리에 돌아가 앉은 것을 확인한 후, 교실 앞 쪽에 놓인 오디오 플레이어로 가서 음악을 켰다. 흘러나오는 음악과 가사는 아동들에게 양 손을 책상 위에 올리고 마치 피아노 건반을 누르 듯, 양 손의 손가락을 가사에 맞추어 번갈아 가며 책상 위에서 움직이도록 했다. [그림 Ⅳ -4]의 왼쪽 사진에서처럼, 아동들은 조용히 흘러나오는 음악과 가사에 집중하 면서 자신들의 손가락을 틀리지 않게 누르려고 애썼다. 담임교사와 3명의 보 조교사도 각 모둠에 흩어져서 아동들과 함께 했다. 아동들은 이러한 학습활 동을 매우 흥미로워 했으며, 교실은 아동들의 음악과 이에 따른 손가락 율동 에 대한 집중으로 한동안 매우 고요했다. 오디오의 음악이 끝나자 아동들은 [그림 Ⅳ-4]의 오른쪽 사진에서처럼, 자신들이 그려놓았던 그림이 담겨있는 도화지 위에 그 그림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음악과 율동으로 마음과 - 63 -
- 64 -
- 65 -
- 66 -
- 67 -
- 68 -
- 69 -
- 70 -
- 71 -
- 72 -
오모아 중등학교에서의 수업 관찰은 위에 제시된 교육과정 편제에서 8학년 의 자율학습 과 역사 수업에 대해 이루어졌다. 이 두 수업의 교수 학습 방식 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8학년 자율학습 수업 연구진이 관찰한 8학년 자율학습은 학생들의 범교과적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수업이었다. 담당교사인 가터만에 따르면, 범교과적 역량은 처음에는 모 든 교과 수업에서 발달시켰으나, 지금은 별도의 시간을 확보하여 다루고 있 다. 자율학습은 학교에서 수업시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현재 이 학 교에서는 5-9학년은 일주일에 1시간, 10학년은 일주일에 2시간 이루어지고 있다. [그림 Ⅳ-7] 오모아 중등학교 8학년 자율학습 수업 연구진이 관찰한 자율학습 수업에서 담당 교사는 학생들 각자가 하고 싶은 것을 하도록 했다. 학생들은 특정 교과의 숙제를 하는 경우도 있었고, 다음 시간의 수업 준비를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부족한 교과의 수업을 보충하는 - 73 -
- 74 -
규정한 범교과적 역량, 즉 자아 역량, 사회적-의사소통적 역량, 학습방법 역 량을 발달시키고 있었다. (2) 8학년 역사 수업 8학년 역사 수업은 2시간 블록타임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담당 교사인 가 터만은 영어로 수업을 하였다. 이 학교에서는 5학년부터 일부 교과에 이중언 어 수업을 도입하고 있으며, 역사도 8학년부터는 영어로 수업을 듣게 되어 있었다. 담당 교사는 본 수업에 들어가기 전에 학생들이 수업 목표에 집중할 수 있 도록 다양한 행동을 취했다. 즉 교사는 씹고 있는 껌을 뱉도록 하고, 목소리 톤을 묵직하게 조정했으며, 한동안 침묵을 한다거나 산만한 학생들에게 눈짓 을 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이 교사가 설명하는 오늘의 학습과제에 집중하도록 했다. 수업의 내용은 절대주의에 대한 것으로 루이 14세 때의 권력 이동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었다. [그림 Ⅳ-8] 오모아 중등학교 8학년 역사 수업 - 75 -
- 76 -
- 77 -
- 78 -
- 79 -
- 80 -
- 81 -
- 82 -
- 83 -
- 84 -
- 85 -
- 86 -
- 87 -
- 88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 100 -
- 101 -
- 102 -
- 103 -
- 104 -
- 105 -
- 106 -
- 107 -
- 108 -
- 109 -
위의 표에 나타난 마이클 스트렘비스키 초중학교의 인간상은 일부 주 교 육부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중복되기도 하지만, 훨씬 풍부하고 구체적 인 내용을 담고 있다. 주 교육부가 추구하는 인간상이 학교 수준에 맞게 구 체화되어 있는 것이다. 이 학교의 관계자들에 의하면 교사들 사이의 토론과 대화를 통해, 그리고 필요하면 학부모들의 검토를 통해 이러한 인간상이 도 출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인간상이기 때문 에, 그만큼 구체적이고 실제 학생 지도나 교실 수업에 적용될 가능성도 높은 것이다. 이 학교에서 또 하나 인상적인 것은 주 교육부가 제시하는 핵심역량에 대 하여 학교 자체적으로 20여 쪽에 이르는 학생 역량지표를 상세화하고 이를 각 교사들의 수업 계획과 연계하도록 안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림 Ⅵ-4]는 이러한 노력의 일부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자료는 수업 방향에 대한 교직원 토론이나 회의에서 사용되었던 것인데, 핵심역량의 개발이라는 주 교육부의 방향이 학교 교육과정에 실제 녹아들고 있다는 점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그림 Ⅵ-4] 마이클 스트렘비스키 초중학교의 21세기 역량 수레바퀴 - 110 -
- 111 -
- 112 -
- 113 -
- 114 -
- 115 -
- 116 -
- 117 -
- 118 -
- 119 -
- 120 -
- 121 -
- 122 -
- 123 -
- 124 -
- 125 -
- 126 -
- 127 -
- 128 -
- 129 -
- 130 -
- 131 -
- 132 -
- 133 -
- 134 -
- 135 -
- 136 -
- 137 -
- 138 -
- 139 -
- 140 -
- 141 -
- 142 -
- 1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