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1) 이 혁 화 ** 目 次 1. 서론 2. -는교 의 용법 3. -는교 의 기원 4. 결론 1. 서론 본고는 경상방언에서 의문형어미로 쓰이는 -는교 를 대상으로 하여 상대경어법상 등분을 중심 으로 하여 그 용법을 살펴보고, 이것이 -는 것(형식명사)-이(계사)-요( 하소 체의 의문형어미) 의 구성에서 기원한 어미임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경상방언에 나타나는 -는교 의 존재에 대해 서는 여러 논의들에서1) 언급된 바 있는데, 몇몇 예들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1) ㄱ. 사돈 와 그라는교? (=사돈, 왜 그러오?) (달성 7-14, 382) ㄴ. 하이고, 엄매도. 그거로 걱정하는교? (=하이고, 엄마도. 그걸 걱정하오?) (의령 8-11, 686) ㄷ. 새 서뱅임, 와 이리 초조하이 이라고 있는교? (=새서방님, 왜 이리 초조하게 이러고 있소?) (진주 8-3, 217) ㄹ. 여보소, 여보소, 그게 우리 안데 우째서 그카능교? (=여보오, 여보오, 그게 우리 아이 * 이 논문은 2008년 영남대학교 신임교원정착연구비(과제번호:208-A-054-002)의 지원을 받았다. 이 논문의 초고는 한글학회 대구지회의 월례논문발표회(2009.6.13)에서 발표했던 것으로 그 자리에서 좋은 의견을 말씀해주신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1) 小創進平(1924: 69-72)에는 -는기오, -닁기오, -능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천시권(1965: 6)에서도 -능교 를 보고함에 있어 -능게, -능기오 로 실현된다고 하였다. 최명옥(1980)에서도 -는기요 와 -는교 가 동시에 나타남을 보고하고 있다. 이 어미가 2음절로도 실현되고, 3음절로도 실현됨을 알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이를 일단 수의적 변이형이라 판단하고, 2음절 형식인 -는교 를 대표형으로 삼아 논의를 진행한다. 경우 에 따라 이 어미 첫음절의 종성을 -능교 와 -는교 와 같이 달리 표기한 자료도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는교 로 통일하여 가리키기로 한다. - 303 -
304 한국문화 47 [子]인데 어째서 그러오?) (성주 7-5, 317) ㅁ. 말 천 마리를 기리몬 안 되능교? 형님, 잠이나 자소. (=말 천 마리를 기르면 안 됩니 까? 형님, 잠이나 주무십시오.) (울주 8-13, 34) ㅂ. 아주무이요, 아주무이요. 왜 이래 우는교? (=아주머니, 아주머니, 왜 이리 웁니까?) 2) (영덕 7-7, 602) 2) (1)에서는 -는교 가 경북의 달성, 성주, 영덕 과 경남의 의령, 진주, 울산 에서 사용됨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사실 -는교 의 경상 지역 내에서 상당히 넓은 분포를 보인다. 천시권(1965: 6)에 서는 -능교 가 경북의 <대구,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군위, 영천, 경주, 포항, 청송, 영덕> 등지에서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김형규(1974: 414)에서는 경북의 <영덕, 의성, 군위, 김천, 포항, 영천, 경주, 경산, 청도> 경남의 <합천, 의령, 밀양, 함안, 울산, 양산, 김해, 창원, 마산>에서 하 능교? 먹능교? 책잉교? 가 쓰이며, 최학근(1978: 1613)에서는 머 하능교? 밥 묵능교? 가 경북의 <김천, 영덕, 포항, 경주, 군위, 의성, 영천, 경산, 청도> 경남의 <밀양, 울산, 양산, 김해, 창원, 마산, 진해, 함안, 의령, 합천>에서 쓰인다고 하였다. 최명옥(1976)에서는 경남의 창녕이, 황문환 (1993)에서는 경북 울진이 포함되어 있어, 이상의 보고를 토대로 -는교 의 (최대) 분포 지역을 지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1: 전국지도> <그림2: -는교 의 분포 지역> 2) (1)에 나타난 발화의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ㄱ)은 사돈끼리, (2)는 아들이 어머니에게, (3)은 길잡이가 새신랑 차림의 사람에게, (ㄹ)은 낯선 사람에게, (ㅁ)은 성인인 동생이 형에게, (ㅂ)은 길 손이 처음 보는 아낙에게 하는 대화이다. 이 자료의 중앙어 번역은 필자가 한 것으로 (ㄱ~ㄹ)은 중앙어 의 하오 체로, (ㅁ, ㅂ)은 하십시오 체로 각각 달리 하였다. 이렇듯 상대경어법상의 등분을 달리 번역한 이유에 대해서는 본 논문의 2.2에서 밝혀질 것이다. 발화 자료는 원 자료에서 취한 표기 방식을 크게 수 정하지 않고 그대로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출처에 대해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 의 권호수와 면 수를 끝에 밝혀 두었다. 출처를 밝히지 않은 자료는 필자가 구성한 것이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05 이렇듯 분포 지역이 넓은 -는교 에 대해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논의가 있어왔으나, 그 용 법과 기원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검토되지 못하였다. -는교 의 상대경어법상 등분은 경남 창원방 언을 다룬 김영태(1983)에서는 예사높임( 하소 체)으로, 경북 포항방언을 다룬 김태엽(1992)에서는 아주높임으로 처리되었다. 물론 같은 경상방언이라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상대경어법 체계의 차 이가 있을 수 있음은 짐작되는 바이지만, 개별 지역을 벗어나 전체 경상방언의 관점에서 -는교 의 용법을 다룬 논의는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는교 의 기원과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견해가 존재한다. 하나는 -는 것이오 > -는 게오 > -는 기오 > -는교 와 같이 형식명사 것 이 포함된 구성에서 발달한 형태로 보는 견해이고 (김태엽 1985: 299, 서정목 1987: 155-164), 다른 하나는 -는가요 에서 발달한 형태로 보는 견해 이다(신기상 1980: 213-214, 김태엽 1992ㄴ: 90-91, 이기갑 2003: 258-259). 본고에서는 우선 상 대경어법상 등분의 측면을 중심으로 -는교 의 용법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는교 의 기원을 추정 할 수 있는 몇 가지 근거를 찾아봄으로써 이 두 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고자 한다. 논의에 필요한 자료는 방언 구술 자료인 한국구비문학대계 의 경상도 편을 위주로 하되, 관 련 논의나 방언자료집의 자료도 필요한 경우 이용하기로 한다. 2. -는교 의 용법 1) 이형태 교체 의문형어미 -는교 의 이형태로는 -는교 와 -(으)ㄴ교 가 있다. 이형태 -는교 는 동사 어간 뒤, 있-, 없- 뒤, -었-, -겠- 등의 선어말어미 뒤에서 나타나고, 이형태 -(으)ㄴ교 는 있-, 없- 을 제외 한 형용사 어간 뒤, 계사 및 관련 어간인 이-, 아이-, 기- 뒤, 선어말어미 -더-, -(으)ㄹ라- 뒤에 서 각각 나타난다. 동사 어간 뒤에서 선어말어미 -(으)시- 가 결합되면 이형태 -는교 가, 형용사 어간 뒤에서 -(으)시- 가 결합되면 이형태 -(으)ㄴ교 가 나타난다. 이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ㄱ. 이형태 -는교 가-는교, 막-는교, 있-는교, 없-는교, 갔-는교, 가겠-는교, 가시-는교 ㄴ. 이형태 -(으)ㄴ교 크-ㄴ교, 많-은교, 책이-ㄴ교, 아이-ㄴ교, 가더-ㄴ교, 많더-ㄴ교, 갈라 -ㄴ교, 많을라-ㄴ교, 많으시-ㄴ교 이러한 이형태 교체의 양상은, 관형형어미 -는, 연결어미 -는지, 종결어미 -는가 등과 동일
306 한국문화 47 3) 하다. 다만, 선어말어미 -(으)ㄹ라- 뒤에서 할라-는교~할라-ㄴ교, 묵을라-는교~묵을라-ㄴ교 (최학 3) 근 1978: 1613-1614)와 같이 두 이형태가 공존하는 양상이 보고된 바 있는데, 이러한 이형태의 공존 양상은 갈라-는 갑다~갈라-ㄴ 갑다, 갈라-는지~갈라-ㄴ지, 갈라-는가~갈라-ㄴ가(去) 에서도 그대로 되풀이되는 듯하다. 이러한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현재로서 명확하게 밝히기 어렵다. 여기에서는 우선 의문형어미 -는교 의 이형태 실현 양상이, 관형형어미 -는, 연결어미 -는지, 종 결어미 -는가 등의 이형태 실현 양상과 동일하다는 점을 확인하는 데에 그치기로 한다. 한편, 형용사 어간 뒤여서 이형태 -(으)ㄴ교 가 나타날 환경에서 이형태 -는교 가 나타나는 예 들도 몇몇 발견된다. (3) ㄱ. 그, 저, 어르신네는 뭐가 제일 무섭은교? (=그, 저, 어르신네는 뭐가 제일 무섭습니까?) (울주 8-13, 401) 그렇기 알고 싶은교? (=그렇게 알고 싶습니까?) (울주 8-13, 338) 4) ㄴ. 이기 안 수상받는교 그쟈? (=이게 안 수상스럽소? 그렇죠?) (구술자가 청중에게 의령 8-11, 142) 기어이 알고 젚는교? (=기어이 알고 싶습니까?) (울주 8-13, 142) 그래 온 동네, 이 춥은데, 정월달에 오죽 춥는교? (=그래 온 동네, 이렇게 추운데, 정 월달에 오직 춥소?) (의령 8-11, 140) 4) (3ㄱ)처럼 형용사 어간 뒤에서는 -(으)ㄴ교 가 주로 나타나지만, (3ㄴ)과 같이 -는교 가 나타나 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변칙적인 이형태 교체의 양상은 춥는데~춥은데(寒), 겉은데~겉는데(如), 마땅하는데~마땅한데(當然) 등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경상방언의 특징적인 현상으로 판단된다. 2) -는교 의 상대경어법상 등분 -는교 는 <지도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주로 경남의 중동부 지역과 경북의 남동부 지역에 걸쳐 나타난다. 그런데 상대경어법상 등분 체계가 하위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3) 관형형어미 -는 을 -느-+-ㄴ 으로 다시 분석하여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 -느- 를 인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느- 를 분석하지 않는 입장을 따른다. 즉 관형형어미 -는 은 형태론적으로 조건된 이형태로 서 -는 (동사 어간 뒤)과 -(으)ㄴ (형용사, 계사 어간 뒤)의 이형태를 갖는 것으로 파악한다. 4) 수상받- 이라는 표기와 같이 이 어간의 말음이 ㄷ 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모음어미와의 결합형이 제시되 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돌밧은 며느리라 쿰서 (의령2, 144)라는 예를 통해서는 형용사 당돌밧- 의 말음이 ㅅ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참고하면 어근 수상, 당돌 에 접사 -밧- 이 결합된 것으로 판단되므로, 잠정 적으로 이 어간은 경남 의령에서 수상받- 이 아니라 수상밧- 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접사 -밧- 의 말음은 같은 경상방언이라도 지역에 따라 -받-, -밪-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얼매나 성질이 깨끔받은 동 (경 북 청도, 이상규 2000:78) 게으르다 에 대응되는 경북 김천의 낄밪- 에 대해서는 이혁화(2005: 131)를 참 고할 수 있다. 김주석 최명옥(2001)에서는 경북 경주에서 사용되는 낄맞-, 낄밪- 를 확인할 수 있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07 -는교 의 상대경어법상 등분을 일률적으로 획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의 논의는 경남과 경 북의 하위 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의문형어미의 상대경어법상 등분을 설정한 논의의 결과를 정리 하는 것부터 시작하도록 한다. (4) ㄱ. 경남 창원방언, 김영태(1983: 64) 아주높임 -습니꺼/(으)ㅂ니꺼 예사높임 -소/요, -는교/(으)ㄴ교 예사낮춤 -는가/(으)ㄴ가/는고/(으)ㄴ고 아주낮춤 -가/고, -나/노 반말높임 -는가예/(으)ㄴ가예, -으까예/으꼬예 반말낮춤 -는가/(으)ㄴ가, -으까/으꼬 ㄴ. 경남 서남방언, 최명옥(1976) 하이소체 -ㅂ니까(꺼), -ㄴ가/고예(요)5),...5) 하소체 -소/오 하게체 -ㄴ가/고 해라체 -가/고, -나/노, -ㄴ가/고, -ㄹ가/고 6) (4)는 경남의 하위 방언을 다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4ㄱ)과 같이 김영태(1983)에서는 -는 6) 교 가 경남 창원에서 예사높임 즉 하소 체의 등분에서 쓰이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4ㄴ)을 통해 경남의 서남 지역에서는 -는교 가 잘 쓰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최명옥(1976=1998: 242) 에서는 이 -는교 가 경남 서남지역에서는 -소~-요 가 쓰일 자리에 나타난다고 하였다. 결국 김영 태(1983), 최명옥(1976)의 논의에 따르면 경남 지역에서 -는교 는 예사높임 혹은 하소 체의 상대 경어법 등분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5) 경상방언에서 반말체, 즉 해체 어미와 여기에 -요 가 통합된 해요체 어미의 처리 방안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김영태(1983)과 같이 중앙어에서와 같이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구분하고, 해체 와 해요체를 격식체와 구별되는 비격식체의 어미로 다루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구 분하지 않고 높임의 등분만을 기준으로 다루는 것이다(최명옥 1980, 김종택 1981, 이동화 1985, 김태엽 1992). 여기에서는 이혁화(2007)을 따라 경상방언에서도 격식체와 비격식체를 구분하여 다루기로 한다. 중앙어를 대상으로 한 격식체와 비격식체의 구분은 고영근(1974), 성기철(1985), 한길(200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6) (4ㄴ)의 경남 서남방언은 최명옥(1976)에서는 서남 경남방언 이라 부른 것인데, 해당 지역은 구체적으로 함양, 산청, 하동, 사천, 고성, 통영, 거제, 진양, 남해 등이다. 아울러 최명옥(1976)에서는 이 서남경남 지역과 달리 동북경남 지역에서는 하소체의 의문형어미로 -소 에 대응되는 것으로 -는교 가 쓰인다고 하 였다. 구체적으로 -는교 는 합천, 창녕, 함안, 창원, 밀양, 김해, 양산, 울산 등에서 쓰인다고 하였다.
308 한국문화 47 (5) ㄱ. 경북 성주방언, 이동화(1985: 184) 하이소 체 하소 체 하게 체 해라 체 -읍/습니까 -소, -은/는기요, -을라요, -을까/꼬요 -은가/고, -는가/고, -은강/공, -는강/공 -가/고, -나/노, -을까/꼬, -지,... ㄴ. 경북 영덕 방언, 최명옥(1980: 92-93) 하소체 하게체 해라체 -니/이껴, -은/는 기요/교, -을까/꼬요, -은/는가요,... -은가/고, -는가/고, -은강/공, -는강/공 -가/고, -라/로, -나/노... ㄷ. 경북 포항방언, 김태엽(1992: 105-106) 아주높임법 예사높임법 안높임법 -ㄴ교, -ㄴ가요, -(으)꾜,... -ㄴ가, -(으)꼬,... -가, -고, -나, -노, -다, -도 (5)는 경북의 하위 방언을 다룬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5ㄱ)에 따르면 경북 성주방언은 네 단계의 상대경어법 등분을 갖추고 있으며, -는교 는 두 번째 등분인 하소 체에 해당된다. 이에 비하여 (5ㄴ, ㄷ)의 경북 영덕방언과 포항방언은 세 단계의 상대경어법 등분을 갖추고 있으며 첫 번째 단계인 하소 체 혹은 아주높임법의 등분에 해당된다. 우리는 경상방언의 상대경어법 등분에 대한 논의 결과를 비교함에 있어서 등분을 가리키는 용어가 통일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비슷한 등분을 가리킴에도 불구하고 등분에 대한 용어 자체 가 달라서 혼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관행에 따라 하이소-하소-하게-해라 체라는 등 분 명칭으로 통일하여 부르기로 한다. 다만, 최명옥(1980), 김태엽(1992)에서 보고한 경북 영덕 방언이나 포항방언과 같이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는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보이는 하이소 체와 하소 체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7) 비교 서술의 편의를 위하여 최고 등분의 명칭을 하이소-하소 체 7) 로 부르기로 한다. 7) 4등분 체계의 방언과 3등분 체계의 방언을 구별 짓는 가장 큰 특징은 평서형어미 및 의문형어미인 -소/ 요 의 유무(有無)인 것으로 판단된다.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존재하는 하소체의 어미로는 -소/요(평서), -소/요(의문), -(으)소(명령), -(으)ㅂ시더(청유) 등이 있는데,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는 대체로 -소/요(평 서, 의문) 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강신항 1978[안동], 최명옥 1980[영덕], 김태엽 1992[포항], 임지룡 1998[안동]). 물론 경북 울진방언을 다룬 황문환(1993)에서처럼 -소/요 가 존재하면서도 -니껴, -디껴; -니 더, -디더 가 존재한다. 종결어미의 대립 체계 와 화계 설정의 관계에 대해서는 황문환(1993)을 참조할 수 있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09 (6) 4등분 체계 하이소 체 하소 체 하게 체 해라 체 3등분 체계 하이소-하소 체 하게 체 해라 체 (6)과 같은 상대경어법 등분 체계를 상정할 때 먼저, 4등분의 상대경어법 등분 체계를 가지는 방언에서 -는교 는 하소 체 등분의 발화에서 주로 나타난다. (7) ㄱ. 하소체: 아이구, 맞소.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요.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집 깽이 아인교? 맞소. (=아이고, 맞소.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오. 내가 뒷집에 사니까 이게 뒷집 괭이잖소? 맞소.) (영감이 젊은 길손에게, 의령 8-11 453) (7) ㄱ'. 하소체: 아이구, 맞소.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요.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집 깽이 아이요? 맞소. (7) ㄴ. 하이소체: 아이구, 맞습니더.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삽니더.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 집 깽이 아입니꺼? 맞습니더. (=아이고, 맞습니다.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삽니다. 내가 뒷집에 사니까 이게 뒷집 괭이잖습니까? 맞습니다.) (7ㄱ)은 나이 지긋한 영감이 젊은 길손에게 말하는 장면에서 하소 체의 등분으로 대하는 말이 다. 초면이라서 상당한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함부로 하대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하소 체의 전형적인 쓰임이라 할 수 있다. 하소 체의 평서형어미인 -소/요 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는교 가 사용된다. 이 -는교 는 (7ㄱ')과 같이 하소체 의 의문형어미 -소/요 를 넣어 뒷집 깽이 아인교? 를 뒷집 깽이 아이요? 로 바꾸어도 상대경어법 등분의 측면에서는 전혀 차이가 없다. 이에 비하여 (7ㄴ)과 같이 하이소 체의 등분이 사용된다면 의문형어미는 -ㅂ니꺼 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는교 는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전형적인 하소 체의 등분 으로 쓰인다고 할 수 있다.8)8) (8) ㄱ. 하소체: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일 원도 없이 다 흩치 주뿌고, 몸만 나가머 피할 기요. 전부 너므 거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뺏든 기지, 땅띠기를 했소? 장사를 했소? 품 을 들었소? 그 죄 아인교?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1원도 (남김)없이 다 나눠줘 버리 8) (7)을 4등분 체계에서 하게체, 해라체 로 발화한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ㄱ. 하게체: 아이구, 맞네.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네.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집 깽이 아인가? 맞네. ㄴ. 해라체: 이이구, 맞다.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산다.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집 깽이 아이가? 맞다.
310 한국문화 47 고, 몸만 나가면 (그 벌을) 피할 거요. 전부 남의 것,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빼앗 은 거지, 땅파기를 했소, 장사를 했소, 품을 들였소? 그 죄지 않소?) (김해 8-9, 165) ㄱ'. 하소체: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일원도 없이 다 흩치 주뿌고, 몸만 나가머 피할 기요. 전부 너므 거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뺏든 기지, 땅띠기를 했소? 장사를 했소? 품 을 들었소? 그 죄 아이요? ㄴ. 하이소체: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일원도 없이 다 흩치 주뿌고, 몸만 나가머 피할 깁니 더. 전부 너므 거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뺏든 기지, 땅띠기를 했습니꺼? 장사를 했습니꺼? 품을 들었습니꺼? 그 죄 아입니꺼? (8ㄱ)은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하소 체의 등분이 사용된 발화이다. 이 발화는 딸이 대감인 자기 아버지에게 말하는 상황으로서 중앙어라면 하십시오 체를 사용할 법한 상황에 해당되지만, 9) 경상방언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서 하이소 체와 함께 하소 체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8ㄱ)에 있 9) 는 아인교 의 -는교 는 (8ㄱ')과 같이 -소/요 의 어미가 결합된 아이요 로 바꾸어도 상대경어법상 등분의 차이는 전혀 없다. 이를 (8ㄴ)과 같은 하이소 체의 등분으로 바꾼다면 아입니꺼 로 나타 나게 된다. 한편, 하이소 체와 하소 체가 별개의 등분으로 설정되지 않는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는교 는 -니더 와 같은 평서형 종결어미나 -니껴 와 같은 의문형 종결어미와 함께 동일한 상대경어법 등 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9) ㄱ. 하이소-하소체: 나는 꼭 가야 되니더. 그래 신랑하고 신부하고 나가 우애되는교? (= 나는 꼭 가야 됩니다. 그래, 신랑하고 신부하고 나이가 어찌됩니까?) (경주 7-1, 168) ㄱ'. 하이소-하소체: 나는 꼭 가야 되니더. 그래 신랑하고 신부하고 나가 우애되니껴? ㄴ. 하이소-하소체: 예? 언제 그랜 거 있니껴. 아부지 나기 전에 앤 그랬는기요( 그랬는 교)? (=예? 언제 그런 거 있습니까? 아버지 나기 전에 안 그랬습니까?) (경주 7-1, 362) ㄴ'. 하이소-하소체: 예? 언제 그랜 거 있니껴. 아부지 나기 전에 앤 그랬니껴? (=예? 언 제 그런 거 있습니까? 아버지 나기 전에 안 그랬습니까?) (9)는 하이소-하소 체가 하나의 등분을 이루고 있는 3등분 체계로 추정되는 경북 경주의 발화 자료이다. (9ㄱ, ㄴ)을 통해 자식이 아버지에게 말하는 장면에서 -니더, -니껴 등의 평서형어미 나 의문형어미와 함께 -는교 가 사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는교 는 -니껴 와 바꾸어서 (9 9) 같은 부모를 대상으로 하더라도 이 발화의 주체인 딸 은 그 어머니에게는 해라 체를 사용한다. 오매는 구리가 되고 짚나? 푸막에 그거 여 빼 내 삐리뿌라. (=엄마는 구렁이가 되고 싶나? 품안에 그것 빼내 버 려라.)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11 ㄱ', ㄴ')과 같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상대경어법상 등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는교 가 -심 더, -니더, -(으)ㅂ시더, -(으)입시더 등의 평서형어미와 함께 동일한 상대경어법 등분으로 사용되 는 예를 하나 더 보이면 다음과 같다. (10) A: 사돈, 그런 게 아이라 사돈 잩에 할 말이 있심더. (=사돈, 그런 게 아니라 사돈에게 할 말이 있습니다.) (10) B: 사돈 머 이야기 하시라. (10) A: 그래이라, 오늘 나도 평소에 내가 혼자 있는 아들로 오랜만에 내가 장개를 시 킸는데....(중략)... 내가 잠시 아들로 한 번 보고 나오마 좋겠심더. (=다른 게 아니라, 오늘 내가 혼자 있는 아들을 오랜만에 장가를 들였는데, (중략) 내가 잠시 아들을 한번 보 고 나오면 좋겠습니다.) (10) B: 아, 그러머 사돈이 좋심더. 그러마 저 안채 안에 드갑시더. (=아 그러면 사돈, 좋습니 다. 그러면 저 안채 안에 들어갑시다.) (10) A: 사돈 그래이라, 이 방에 잔탕 기물이라 카는 거는, 우리 자부가 데려 올 때는 이 기물 로 지 방에 있는 거는 지가 다 가주고 오게 되능교? 안 가주고 오게 되능교? (=사돈, 이 방에 모든 기물(器物)이라는 것은, 우리 자부를 데려 올 때는 이 기물을 자기 방에 있는 것은 자기가 다 가지고 오게 됩니까? 안 가지고 오게 됩니까?) (10) B: 아마 이 기물으는 지가 가주고 가게 되니더. (=아마 이 기물은 자기가 가지고 가게 됩 니다.) (10) A: 그라마 어, 귀는 저거 어떻게 되능교? (=그러면, 저것 궤(櫃)는 어떻게 됩니까?) (10) B: 귀는 안 됩니더. 우리가 버러 삼사대로 내려오는 그 귀로 우리 살림에저 유전해 나오 는 귀로, 그 귀는 될 도리가 없심더. (=궤는 안 됩니다. 우리가 벌써 삼사대를 내려오 는 그 궤를, 우리 살림에 유전해 나오는 궤를, 그 궤는 될 도리가 없습니다.) (10) A: 아, 그라마는 천실로 아무래도 딸 방에 있으니, 이 버러 사돈이 첨에 다 가주 간다 하 고, 시방 그 와 못 가주고 간다 카는 택이 있는교? 그라마 사돈, 우리가 반씩 농구입 시더. 한 쪼가리는 사돈이 하고 한 쪼가리는 내가 해야 안 되겠는교? (=아 그러면 아 무래도 딸 방에 있으니, 벌써 사돈이 처음에 다 가져간다고 하고서, 지금 왜 못 가지 고 간다고 하는 턱이 있습니까? 그러면 사돈, 우리가 반씩 나눕시다. 한 쪽은 사돈이 하고 한 쪽은 내가 해야 안 되겠습니까?) (경주, 7-2, 694-695) (10)에서 A는 신랑 측에서 상객(上客)으로 따라간 사람이며 B는 신부의 아버지로서, A와 B는 처음 만난 사돈 사이이다. A와 B는 서로에게 각각 있심더, 좋겠심더, 농구입시더(=나눕시다) 와 좋심더, 드갑시더, 되니더, 됩니더, 없심더 등과 같은 종결어미를 사용하여 가장 높은 상대경어 법 등분으로 대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문형어미로 -는교 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이 방언
312 한국문화 47 에서 -는교 가 -심더, -니더, -(으)ㅂ시더, -(으)입시더 등과 같은 상대경어법상의 등분으로 기능 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즉 -는교 는 하이소-하소 체의 의문형어미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11) ㄱ. A: 아이, 그 저, 전하께서 그 저 저 그렇기 알고 싶은교? (=(= 아니, 전하께서 (그 사 람이 누구인지) 그렇게 알고 싶습니까? ) (11) ㄱ. B: 알고 싶으지르. (=알고 싶지.) (11) ㄱ. A: 그 오문연 도대장 마느래 겉습니더. (=(그 사람은) 오문연 도대장의 마누라 같습니 다. ) (울주 8-13, 338) (11) ㄴ. A: 큰아버임, 계시는교? (=큰아버님, 계십니까?) (11) ㄱ. B: 누고? (=누구냐?) (11) ㄱ. A: 저시더, 저시더....(중략)... 큰아버임 논문서 큰아버임 하소. 큰아버임 하소. (=접 니다, 접니다....(중략)... 큰아버님 논문서 큰아버님 하십시오.) (11) ㄱ. B: 질부, 참말로 날 주나? (=질부, 정말 나에게 주나?) (울주 8-13, 356) (11ㄱ)에서 신하인 A는 임금인 B에게 의문문으로 말할 때에 그 어미로 -는교 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임금인 B에게 하는 발화인 평서문에서는 겉습니더 와 같은 -ㅂ니더 의 어미를 사용하였 기 때문에 (11ㄱ)에서 -는교 는 이 방언의 최고 등분인 하이소-하소 체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11ㄴ)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질부(姪婦)인 A는 백부(伯父)인 B에게 저시더 와 같이 가장 높은 등분의 평서형어미인 -시더 를 사용하면서도 의문형어미는 -는교 를, 명령형어미는 (으)소 를 사용하였다. 즉 이들 어미는 모두 동일한 상대경어법상의 등분으로 파악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는교 의 상대경어법상 등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경상방언 중에서 하이소, 하소, 하게, 해라 체의 4등분을 가진 방언에서 -는교 는 두 번째 등분인 하소 체의 등분에, 하이소-하소, 하게, 해라 체의 3등분을 가진 방언에서 -는교 는 첫 번째 등분 인 하이소-하소 체의 등분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등분 체계를 아이가 지금 웁니까? 라는 의문문을 예로 들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1) ㄱ. 4등분 체계, 경남 창원, 경북 성주 등 하이소체 아가 지금 웁니꺼? 하소체 아가 지금 우요? 하게체 아가 지금 우는가? 해라체 아가 지금 우나? 아가 지금 우는교?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13 10) ㄴ. 3등분 체계: 경북 영덕, 포항 등10) 하이소-하소체 하게체 해라체 아가 지금 우니껴? 아가 지금 우는가? 아가 지금 우나? 아가 지금 우는교? ㄷ. 4등분 체계와 3등분 체계의 -는교 4등분 체계 -는교 하이소 체 하소 체 하게 체 해라 체 3등분 체계 하이소-하소 체 -는교 하게 체 해라 체 3. -는교 의 기원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는교 의 기원과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견해가 존재한다. 하나는 형식명사 것 이 포함된 구성에서 발달한 형태로 보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는가요 에서 발달 한 형태로 보는 견해이다. 편의상 전자를 형식명사 것 기원설, 후자를 어미 -는가요 기원설로 명명하고 -는교 의 발달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 ㄱ. 형식명사 것 기원설 ① -는 것이오 > -는 게오 > -는 기오 > -는교 (김태엽 1985: 299, 이상규 1991: 69) ② -는+것이+요 > 는+기요 > -는교 (서정목 1987: 156-164)11)11) 10) 김태엽(1992)에 따르면 경북 포항방언에서는 가장 높은 등분에 속하는 평서형어미로 -니더, -시더, -(으) 이더 가 나타나는 반면, 3등분 체계의 여타 경북방언에서 같은 둥분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의문형어 미인 -니껴, -이껴 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바람이 많이 부니더. 와 같은 평서문에 존재하는 지역에서 이 에 대당되는 바람이 많이 부니껴? 와 같은 의문문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특이한 현상이다. 반면 포항과 이웃한 경북 영덕의 경우, 집에 가니더. 와 함께 집에 가니껴? 형식의 의문형어미가 존재한다(최명옥 1980). 경북 안동(강신항 1979, 배대온 1979, 임지룡 1998), 경북 울진(황문환 1993) 등도 평서형어미 니더 와 함께 의문형어미 -니껴 가 동일한 상대경어법상의 등분을 표시하는 어미로 존재하는 지역이다. 11) ①과 ②의 차이는 계사 -이- 뒤에 연결된 요소를 -오 (의문형어미)로 파악하는가 아니면 -요 (의문형어 미)로 파악하는가에 있다. 경상방언에서 나타나는 하소체 의문형어미 -소/요 의 이형태 -요 를 -오 에 기 원한 것으로 파악하는지 여부에 따라 ①과 ②가 달라지지만, 여기에서는 모두 형식명사 것(>거) 를 포 함한 형식에서 기원한 견해라는 점을 중시하여 이들을 하나의 견해로 처리한다. 현대 경상방언의 하소 체 어미 -소/요 의 -요 가 -오 에 소급하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고찰이 필요하므로, 여기에서는 더 다 루지 않는다.
314 한국문화 47 ㄴ. 어미 -는가요 기원설 : -는가요 > -는교 (신기상 1980: 213-214, 김태엽 1992ㄴ: 90-91, 이기갑 2003: 258-259) (12ㄱ)의 형식명사 것 기원설은 김태엽(1985), 서정목(1987), 이상규(1991) 등에서 제기되었 다. 하지만 이 견해는 김태엽(1992)에 이르러 (12ㄴ)의 어미 -는가요 기원설로 수정되었는데, 는가요 > -는교 의 발달 과정이 이기갑(2003)에서 경상방언의 -(으)꾜 가 -으까요 에서 발달한 것 과 평행한 사실로 이해됨으로써 -는교 의 -는가요 기원설은 더욱 설득력을 가지게 되었다.12) 12) 으까요 에서 -으꾜(혹은 -으끼요) 가 발달하였다면 -는가요 에서 동일한 음운론적 축약 과정을 거 쳐 -는교 가 발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이기갑(2003)에서 제시한 -으 꾜(혹은 -으끼요) 의 분포와 용법을 먼저 검토해 보기로 한다. 13) (13) ㄱ. 물 더 디리꾜? (=물 더 드릴까요?) (최동주 1998) 13) (13) ㄴ. 볼살로 주끼요? 쌀로 주끼요? (=보리쌀을 줄까요, 쌀을 줄까요?) (경주 7-1, 348) (13) ㄷ. 아이, 내 바아 쫌 씰어 여 주끼요? (=아니, 내가 방아 좀 (옆에서) 쓸어 넣어 줄까요?) (경주 7-2, 116) (13) ㄹ. 찹쌀 합주(合酒)를 주끼요, 맵쌀 술을 주끼요? (=찹쌀 합주를 줄까요 멥쌀 술을 줄까 요?) (울주 8-12, 501) (13)은 모두 주어가 1인칭으로서 화자의 의도에 대한 청자의 의향을 묻는 용법(서정목 1987: 83)으로 사용된 것이다. 이런 구성에서 쓰인 -으꾜(혹은 -으끼요) 의 기원에 대해서는 -으까요 와 같이 어미에 -요 가 통합된 형식으로 파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왜냐하면 상대경어법의 측면에 서 (13)의 청자를 손아래 대상으로 상정한다면 각각 디리까?, 주까? 등으로 대치할 수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으까+요 > -으꾜 의 발달과 이때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음운론적 축약 과정은 인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운론적 축약 과정이 -는가+요 > -는교 의 과정에도 일어날 개연성이 인정된다. (14) ㄱ. 형님이 가모 머리 풀끼요? 안 풀끼요? (=형님이 가면 머리를 풀 거요, 안 풀 거요(진 12) 고광모(2004: 17)에서는 전라방언의 어디 가싱교? 진지 잡샀능교? 에서 보이는 어미 -(으)ㅇ교/-능교 가...(중략)... -(으)ㄴ가요/-는가요 로부터 발달했음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라고 하였다. 그러나 적어도 경 상방언에서의 -는교 는 -는가요 로부터 발달했다고 보기 어려운 몇몇 증거들이 존재한다. 전라지역 일부 (담양, 구례, 고창 등)에서 발견되는 -는교 와 경상방언의 -는교 가 어떤 연관성을 지니는지에 대해서 현 재로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앞으로의 과제로 삼는다. 13) 최동주(1998=2005: 508)에서도 울릉도방언의 -는교 를 -는가요 로부터 발달한 어미로 추정하였으나, 이 어미가 -은기요 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현상이 발음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기원상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실치 않다. 라고 하여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15 주 8-3, 137) (14) ㄴ. 다섯 밤 자고 올 끼요? (=다섯 밤 자고 올 거요?) (진주 8-3, 392) (14) ㄷ. 가면 우짤 끼요? 당신이 가몬 우리 집에 가든지 해 가 같이 살던가 하지 당신 가몬 우짤 끼요? (=가면 어쩔 거요? 당신이 가면 우리집에 가든지 해서 같이 살든지 하 지, 당신 가면 어쩔 거요?) (진주 8-3, 153) (14) ㄹ. 잘 데가 없는 데 우야끼요? (=잘 데가 없는데, 어쩔 거요?) (울주 8-13, 52) 그렇지만 (14)와 같이 -(으)ㄹ 것이요 에서 기원한 -(으)ㄹ끼요 역시 경상방언에 존재한다. 이 런 -(으)ㄹ끼요 역시 발화 조건에 따라 수의적으로 -으끼요(혹은 -으꾜) 로 축약될 수 있다. 이 러한 과정은 -는 것이요 > -는기요 > -는교 의 변화 과정과 평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음 운론적인 측면에서는 -는교 에 대한 (12ㄱ)의 형식명사 것 기원설과 (12ㄴ)의 어미 -는가요 기 원설, 두 견해 중 어느 것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1) -는가요 기원설에 대한 반대 증거 우리는 -는교 의 기원을 고찰함에 있어서 상대경어법 상의 등분을 판단 기준으로 삼을 수 있 다고 파악한다. -는교 의 기원에 대한 견해 중에서 형식명사 것 기원설(12ㄱ)과 어미 -는가요 기원설(12ㄴ)은 기원적인 어미의 상대경어법 등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12ㄱ)은 -는교 에 포함된 어미가 기원적으로 하소 체의 -소/요 라는 것이요, (12ㄴ)은 -는교 에 포함된 어미가 반말체인 해 체에 통합되는 보조사 -요 라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미 앞에서 -는교 가 4등분 체계의 경상 방언에서 정확히 하소 체의 등분에 해당하는 어미임을 분명히 하였다. (7, 8)의 예를 다시 가져 오면 다음과 같다. (15) ㄱ. 아이구, 맞소.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요. 내가 뒷집에 산께 이게 뒷집 깽이 아인교? 맞소. (=아이고, 맞소. 내가 이 사람 뒷집에 사오. 내가 뒷집에 사니까 이게 뒷집 괭 이잖소? 맞소.) (의령 8-11, 453) (15) ㄴ.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일 원도 없이 다 흩치 주뿌고, 몸만 나가머 피할 기요. 전부 너므 거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뺏든 기지, 땅띠기를 했소? 장사를 했소? 품을 들었소? 그 죄 아인교? (=오늘이라도 이 재산을 1원도 (남김)없이 다 나눠줘 버리고, 몸만 나가면 (그 벌을) 피할 거요. 전부 남의 것, 불쌍한 사람 약한 사람 돈 빼앗은 거지, 땅파기를 했소, 장사를 했소, 품을 들였소? 그 죄잖소?) (김해 8-9, 165) (15)에 쓰인 -는교 는 정확하게 하소 체의 등분에 해당되어 아인교 의 -는교 대신 하소 체의 의문형어미 -소/요 를 통합한 아이요 로 바꾸어도 상대경어법상 등분의 차이가 전혀 느껴지지 않
316 한국문화 47 는다. 반면 (15)의 -는교 를 -는가요 로 대치한다면 상대경어법상 등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는가요 는 형님, 당신, 보소 등을 부름말로 하여 하소 체를 쓸 수 있는 대상뿐만 아니라,14) 14) 선생님, 아버님, 보이소 등을 부름말로 하여 하이소 체를 쓸 수 있는 대상까지 포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등분 차이는 하소 체와 해요 체의 차이에 해당된다. 따라서 만약 -는가요 에서 -는교 가 발달한 것으로 보게 되면, 이 두 어미 사이에 존재하는 상대경어법상의 등분 차이를 설 명하기 어렵게 된다. 즉 해요 체의 -는가요 는 하이소 체와 하소 체를 넘나들면서 이 두 등분에 15) 걸쳐서 사용되는데, -는교 는 오로지 하소 체의 등분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는가요 로부터 15) 는교 가 기원하였다면 등분 상의 차이를 설명하기 어렵다. 반면 -는교 를 상대경어법상 등분이 동일한 하소 체 의문형어미 -소/요 가 포함된 -는 것이-요 에서 발달한 것으로 파악한다면, (15) 와 같이 -는교 가 하소 체 어미로 사용되는 현상은 당연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는교 의 기원을 -는가요 로 볼 수 없는 또 다른 근거는, 이른바 수사의문문으로 이해되는 경 상방언 특유의 구문에 있다. 이 구문에서 -는교 는 하소 체의 의문형어미인 -소/요 와 함께 자연 스럽게 사용되는 반면, -는가요 의 쓰임은 제약된다. 이러한 용법상의 제약 현상은 -는교 가 -는 가요 와는 무관한 어미임을 사실을 강하게 암시해 준다. (16) ㄱ. 하이소 체: ㄴ. 하소 체: ㄴ'. 하소 체: ㄷ. 하게 체: ㄹ. 해라 체: 할배요, 자는 밥 뭈다 아입니꺼?(=할아버지, 쟤는 밥 먹었잖습니까?) 형님, 자는 밥 뭈다 아이요? (=형님, 쟤는 밥 먹었잖소?) 형님, 자는 밥 뭈다 아인교? (=형님, 쟤는 밥 먹었잖소?) 김서방, 자는 밥 뭈다 아인가? (=김서방, 쟤는 밥 먹었잖은가?) 영식아, 자는 밥 뭈다 아이가? (=영식아, 쟤는 밥 먹었잖아?) (16)은 최명옥(1980: 87)에서 부가의문문의 일종으로 파악한 것으로서, 아이-(=아니-) 앞에 서 술된 문장의 의미가 사실임을 강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16ㄴ, 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소체 의 의문형어미 -소/요 와 함께 -는교 는 이러한 의문문에 사용되는 데에 전혀 어색함이 없다. 그 러나 어미 -는가요 는 이러한 의문문의 형성에 참여하지 못한다. (17) ㄱ. *할배요, 자는 밥 뭈다 아인가요? ㄴ. *형님, 자는 밥 뭈다 아인가요? 14) 서정목(1987: 166)에서는 하소 체에 대하여 손윗사람에게 사용하면 아주 불손한 표현이 된다. 그것은 하소 체가 청자를 그렇게 많이 높이는 어미가 아니기 때문이다. 라고 하였다. 15) 중앙어를 대상으로 하여 해요 체의 어미가 하십시오 체와 하오 체의 어미에 대해 뒤섞여 쓰이는 현상에 대해서는 한길(1991:41-42)를, 경북 서부방언을 대상으로 해요 체의 어미가 하이소 체와 하소 체 등분에 걸쳐서 사용되는 현상에 대해서는 이혁화(2007ㄱ: 346-348)을 참조할 수 있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17 (17)과 같은 수사의문문에 -는가요 가 사용되지 못하는 현상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는 분명하 지 않다.16) 여기에서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이 구문에서 -는교 는 자연스럽게 쓰이는 데 16) 비해, -는가요 는 그 쓰임이 제약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용법상의 차이는 -는교 가 -는가요 와 17)17) 는 다른 기원에서 출발한 어미임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는교 의 또 다른 지역적 변이형이라 할 수 있는 -는게~는개 형태를 -는가요 와 관련해서는 설명하기 어렵다. -는교 의 변이형 -는게~-는개 는 小創進平(1924: 69-72)에는 -능 18) 로, 천시권(1965: 6)에서 -능게, 최학근(1978: 1607)에서는 머 하능게? 의 예를 통해 -능게 로, 18) 이상규(1991: 70)에서는 -는게 로 보고된 바 있다. 16) 어미 -는가요 가 (16)과 같은 수사의문문에서 쓰임이 제약되는 현상에 대한 이유를 이 어미의 기원과 관 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는가요 는 하게 체의 의문형어미 -는가 에 -요 가 통합된 것이라 볼 수도 있 지만(서정목 1987: 156), 하게 체의 -는가 와 달리 단독적 장면(고영근 1974)에서 주로 사용되는 해 체, 즉 반말체의 어미 -는가 에 -요 가 통합된 것으로 판단된다. 단독적 장면에서 구체적인 청자를 상정하지 않은 자문(自問)이나 의문 제기 (박종갑 1986)로 쓰이는 -는가 에 요 가 통합된 -는가요 는 상관적 장면 에서도 쓰이면서, 의혹 (성기철 1985)이나 회의 (허웅 1995)의 의미를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단독적 상황에서 쓰이는 이게 철수 책인가? 라는 문장에서 파악되던 의혹 이나 회의 의 의미가, 상관적 상황에서 쓰이는 이게 철수 책인가요? 라는 문장에서는 더 이상 파악되지 않는다. 즉 -는가 는 자문 (自 問)과 같은 특수한 의문에 쓰이는 데 비해, -는가요 는 일반적인 의문에도 확대되어 사용된다. (16)과 같은 수사의문문은 상대방의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앞에 서술된 문장이 사실임을 강조하 기 때문에, 반드시 말을 듣는 상대방을 상정해야 하는 상관적 장면에서 사용된다. 즉 (16)과 같은 구문 은 해 체의 -는가 와 같이 단독적 장면에서 사용되는 어미가 애초에 나타날 수 없는 구문인 것이다. 따 라서 비록 -는가요 가 일반적인 의문에는 확대되어 사용되었으나, (16)과 같은 수사의문문에까지 확대되 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7) 중앙어에서 아니- 에 해체 종결어미 -어, 해요체의 종결어미 -어요 가 결합되면 각각 아니야~아냐, 아 니어요~아녀요~아니에요~아녜요 등의 형식이 되는데, 경상방언에서는 이들이 각각 아이라, 아이라요~아 이래요 에 대응된다. 그런데 이 구문에서는 해요체의 전형적인 형식인 아이라요~아이래요 대신 중앙어 와 형태가 동일한 아니에요~아녜요 가 사용되는 예들을 많이 목격할 수 있다. 자들 정말 열심히 했다 아니에요? (쟤들 정말 열심히 했잖아요?), 2학년 때 시작하면 너무 늦다 아니에요? (=2학년 때 시작하면 너무 늦잖아요?) 이러한 예들은 현대 경상방언의 젊은 화자들에게서 흔히 들을 수 있다. 중앙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문에 방언 차용(借用)한 아니에요~아녜요 형식을 이용한 것은 방언 혼합의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혼합의 양상과 전개 과정은 앞으로 면밀하게 고찰해야 할 것인 데, 우선 그 원인 중의 하나로 해요 체의 사용 확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경상지역 젊은 층의 화자들은 노년층 화자들과 상대경어법 등분이 다르다. 하소 체나 하게 체를 거의 쓰지 않는다는 점 외에도, 해요 체의 사용 빈도가 월등하게 높다. 이러한 해요 체의 사용 확대와 함께, 계사 이-, 아니- 등의 해요 체 활용형이 방언 차용되어 -이에요~-예요, 아니에요~아녜요 등도 빈번하게 사용된다. 또 하나 흥미로운 문제는 해요 체의 아니에요 를 위 구문에 사용한 문장은 자주 목격되는데,?자들 정말 열심히 했다 아 니야?,?2학년 때 시작하면 너무 늦다 아니야? 와 같이 해체 의 아니야~아냐 를 차용한 문장은 거의 찾 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상 지역의 젊은층 화자들은 오히려 해라 체의 자들 정말 열심히 했 다 아이가?, 2학년 때 시작하면 너무 늦다 아이가? 와 같은 문장으로 발화하는 듯하다. 이와 같은 방언 혼합이나 상대경어법 등분의 세대간 차이 등은 우리에게 좋은 연구 주제가 될 것이다. 18) 최학근(1978: 1607)에서는 이 -능게 가 경북의 <군위, 왜관, 경주, 영천, 경산, 청도>와 경남의 <김해, 창 원, 마산, 진해, 함안, 의령> 등에서 사용된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는게 의 분포 지역은 앞에서 살펴 본 -는교 의 분포 지역 속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318 한국문화 47 (18) ㄱ. 어무이는 그 무신 노래로 사시로 그래 하는개? (=어머니는 그 무슨 노래를 사시사철 그렇게 하오?) (대구 7-13, 107) ㄴ. 오메. 날한테 못말 말이 머 있는개? 오메 이야기 하소. (=어머니, 나한테 못할 말이 뭐 있소? 어머니, 이야기하오.) (대구 7-13, 108) ㄷ. 아이구, 야동댁이 밤에 여 왔는개?...(중략) 야동댁이 머시 묵고 싶은게? (=아이고, 야동댁이 밤에 여기 왔소? (중략) 야동댁이 뭣이 먹고 싶소?) (대구, 7-13, 182) (18)은 성인인 화자가 자기 어머니에게 하는 발화로서 하소 체의 발화이다. (18ㄱ, ㄴ)에 나타 나는 -는게~-는개 는 小創進平(1924) 이하의 논의들에서 보고된 형식과 동일한 것으로서, -는교 의 변이형이 분명하다. 이 -는게~-는개 를 -는가요 로부터 발달한 형식이라 파악하는 것은 음운 론적으로 상당한 무리가 따르게 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는 -는교 의 -는가요 기원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는교 는 격식체의 의문형어미인 -ㅂ니꺼, -소/요, -는가, -가/고, -나/노 등과 함 께 격식체 중에서 하소 체의 어미로 사용되고, -는가요 는 -아요, -지요, -거든요 등과 같은 비격 19) 식체의 해요 체 어미로 사용된다. 둘째, 경상방언 특유의 수사의문문 구성에서 -는교 는 사용되 19) 는 데 비하여, -는가요 는 사용이 제약된다. 셋째, -는교 의 지역적 변이형이라 할 수 있는 -는 게~-는개 를 -는가요 가 발달하여 형성된 형태로 볼 수 있는 음운론적 과정은 상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는교 가 -는가요 에서 기원을 둔 어미라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2) 형식명사 것 기원설에 대한 옹호 이제 우리는 -는교 가 형식명사 것 이 포함된 -는 것이요 에서 기원한 것이라는 (12ㄱ)의 주장 을 검토할 단계에 이르렀다. -는교 가 하소 체 어미임이 분명하므로, -는교 의 기원으로 추정되는 -는 것이요 에서 포함된 -요 가 경상방언에서 하소체 의문형어미로 기능하는 -소/요 임은 틀림없 다. -는 것이요 에서 -는교 에 이르는 과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9) 20) 20) 기원적 구성: -는 것(형식명사)-이(계사)-요( 하소 체 의문형어미) 19) -는교 는 격식체인 하소 체로, -는가요 는 비격식체인 해요 체로 사용된다. -는가요 가 발달하여 -는교 가 되었다면 현재도 경상방언에서 쓰이고 있는 해요체의 -는가요 는 -는교 와 기능상 분화를 일으켰다고 보 아야 한다. 즉, 해요 체가 상대높임의 등분이 축소되면서 하소 체로 변형되면서 동시에 해요 체로도 남 아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울 것이다. 20) 여기에 포함된 하소 체 의문형어미 -요 가 다시 -오 로 소급하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 -는교 의 변이형인 -는게~-는개 를 고려한다면 -오 로 소급할 가능성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 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경상방언에서 *-오>-요 의 과정이 일어나게 된 이유, 또 다른 이형태인 -소 와의 관련성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 아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19 통시적 변화 과정: -는 것이요 > -는 거이요 > -는 게요 > -는 기요 > -는교 (것>거) (거이>게) (게>기) (기요>교) (19)와 같은 형식명사 것 기원설에 대해 김태엽(1992)에서는 김태엽(1985)에서의 입장을 번 복하고 -는가요 기원설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 김태엽(1992)에서는 저거는 머하는 긴교? 하마 갈라 카는 긴교? 와 같은 문장에서 -는교 의 기원을 형식명사 것 이 포함된 구성으로 파악할 경우, 긴교? 에 대한 설명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는교 를 -는가+요 로 재분석한다고 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구성에서 나타나는 -는교 역시 형식명사 것 이 포함된 구성에서 기원한 것이라 파악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기원적으로 형식명사 것 에서 출발하였 다 하더라도 -는교 가 완전히 문법화하여 의문형어미로 쓰인다면, 또 다시 형식명사 것 과 계사 가 포함된 구성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 이거는 암매 철수도 아는 길 끼라. (=이거는 아마 철수도 아는 것일 거야.) (20)의 -(으)ㄹ끼- 는 기원적으로 -(으)ㄹ 것(형식명사)-이(계사)- 의 구성에서 출발한 것으로, 화자의 추측을 나타낸다. 이 -(으)ㄹ끼- 는 동사, 형용사, 계사 어간 뒤에 두루 통합될 수 있으며 (갈끼다~가끼다, 많을끼다~많으끼다, 책일끼다~책이끼다), 뒤에 각 상대경어법 등분에 해당하는 평서형어미와 의문형어미가 두루 통합될 수 있다(책일낍니더, 책일끼요, 책일끼네, 책일끼다 등). (18)에서 보듯이 기원적으로 형식명사 거 가 포함된 구성인 -(으)ㄹ끼- 에 다시 형식명사 거 가 연결되는 것은, 문법화의 완성되면 충분히 가능한 현상으로 판단된다. 이는 -는교 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21) ㄱ. ㄴ. ㄷ. ㄹ. (가)류 자가 와 웁니꺼? 자가 와 우요? 자가 와 우는고? 자가 와 우노? (나)류 자가 와 우는 깁니꺼? 자가 와 우는 기요? 자가 와 우는 긴고? 자가 와 우는 기고? (21)의 (가)류는 동사 어간+의문형어미 의 구성이고, (나)류는 동사 어간+관형형 어미 기(<거 [형식명사]+이[계사 어간])+의문형어미 의 구성이다. (21ㄱ~ㄹ)은 각각의 구성에서 하이소 체, 하 소 체, 하게 체, 해라 체의 등분에서 사용되는 의문형어미가 통합된 것이다. (21)의 (가)류와 (나) 니므로, 우선 과거 어느 시기에는 반드시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하소체의 의문형어미 -요 가 통합 되는 형식을 기원적 구성으로 처리한다.
320 한국문화 47 류는 형식명사 거 의 포함 유무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형식명사 거 의 형식적인 의미가 극대화할 경우에는 (가)류와 (나)류의 의문문이 실질적인 의문 내용에 있어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나)류의 동사 어간+관형형 어미 기(<거[형식명사]+이[계사 어간])+의문형어미 구성 은 동사 어간+의문형어미 구성과 유사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데, 깁니꺼, 긴고, 기고 등과 같은 여타의 상대경어법 형식과 달리 하소 체의 구성인 기요 는 음운론적으로도 교 로 축약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어 -는 기요 가 -는교 의 의문형어미로 문법화되는 과정을 가속시켰다 고 할 수 있다. 4. 결론 이제 우리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상방언의 -는교 는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는 하 소 체의 의문형어미로,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는 하이소-하소 체의 의문형어미로 기능한다. -는교 는 하소 체의 의문형어미인 -소/요 가 통합된 -는 것(형식명사)-이(계사)-요(의문형어미) 의 구성에 서 기원하였다. -는교 가 어미 -는가요 에서 기원하였다는 주장은, 첫째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는교 와 -는가요 의 상대경어법상 등분이 서로 상이하고, 둘째 -는교 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는 가요 의 쓰임이 제약되는 수사의문문이 존재한다는 점에 비추어 받아들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하 였다. 본고에서는 3등분 체계 방언에서 사용되는 -는교 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해서는 미처 논의 하지 못하였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추정에 그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하이소체, 하소체, 하게체, 해라체 의 4등분 체계 방언과 하이소-하소체, 하게체, 해라체 의 3등분 체계 방언의 영향 관계나 선후 관계를 명확히 밝힐 만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4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독립적인 등분으로 존재하는 하이소 체와 하소 체가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는 하나의 등분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즉, 3등분 체계 방언의 하이소-하소 체에는 4등분 체계 방언의 하소 체에 해당 하는 평서형어미와 의문형어미 -소/요 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 명령형어미인 -(으)소 만이 존재한 21)21) 다. 이러한 사정은 경상방언의 상대경어법 체계 전반에 걸쳐 있는 커다란 문제를 제기한다. 우선, 멀지 않은 과거에 경상방언은 모두 4등분 체계였다가 하이소 체와 하소 체가 통합되어 하나의 등분인 하이소-하소 체로 바뀌는 변화가 일부 지역(현재의 3등분 체계 방언)에서 일어났을 가능 21) 최명옥(1980)에서 경북 영덕 방언의 상대경어법 체계를 하소체, 하게체, 해라체 의 3등분으로 파악하고, 가장 높은 등급의 명칭을 하소 체라 부른 것은 명령형어미 -(으)소 의 존재 때문이었다.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21 성이 있으며, 또 달리는 멀지 않은 과거에 경상방언은 모두 3등분 체계였다가 하이소 체와 하소 체가 독립적인 별도의 등분으로 바뀌는 변화가 일부 지역(현재의 4등분 체계 방언)에서 일어났 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이 문제를 자세하게 다룰 수 없지만, 현재 모든 경상 지역에 서 명령형어미 -(으)소 와 -(으)이소 가 존재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전자의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추정된다. 전자를 전제한다면 3등분 체계의 방언에서 평서형어미와 의문형어미 -소/요 는 점차 소멸되는 반면 명령형어미 -(으)소 는 유지되는 방향으로 변화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경북 안동을 비 롯한 경북 북부방언에서는 이러한 변화 결과 -니더(평서), -니껴(의문), -(으)소(명령), -(으)이소 (명령), -(으)시더(청유), -(으)이시더(청유) 등은 가장 높은 등분인 하이소-하소 체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한편 경북 영덕, 포항 등에서는 -는교 가 하소 체의 의문형어미로 기능하다가 하소 체의 평서형어미와 의문형어미가 소멸하는 과정에서 -소/요 와 형태 자체가 구별되기 때문에 -는교 만 이 살아남아, -니껴(의문) 등의 어미와 함께 가장 높은 등분인 하이소-하소 체로 자리를 잡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안동 등의 경북 북부방언에서는 하소 체의 모든 평서형어미와 의문형어미 가 소멸한 반면, 영덕, 포항 등의 일부 방언에서는 -는교 만이 살아남아 명령형어미인 -소 와 함 께 하이소-하소 체의 어미로 기능하게 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주제어 : -는교,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상대경어법, 용법, 기원 투고일(2009. 7. 7), 심사시작일(2009. 7. 8), 심사완료일(2009. 7. 27)
322 한국문화 47 참고문헌 강신항(1978), 안동방언의 서술법과 의문법, 언어학 3, 한국언어학회, 9-27. 고광모(2004), 전남 방언의 상대높임법 조사 -(이)라우, -(이)람닌짜, -(이)람니야, -(이)랑가 와 -이다 의 기원과 형성 과정, 언어학 38, 한국언어학회, 3-42. 고영근(1974), 현대국어 존비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0-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66-91. 김영태(1983), 창원지역어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종택(1981), 국어 대우법 체계를 재론함 -청자대우를 중심으로-, 한글 172, 한글학회, 3-28. 김주석 최명옥(2001), 경주 속담말 사전, 한국문화사. 김태엽(1985), 의문형어미 {-ㄴ교}의 형성, 백민 전재호박사 화갑기념 국어학논총, 289-302.,(1992), 영일 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2), 경북말의 서술어미와 의문어미, 우리말글 24, 우리말글학회, 1-22. 김형규(1974), 한국방언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종갑(1986), 의문법 어미의 종류에 따른 의문문 유형의 의미기능, 영남어문학 13, 영남어문학회, 397-419. 배대온(1979), 경북 안동지역어의 경어법 연구, 영남어문학 6, 영남어문학회, 23-46. 서정목(1987), 국어의문문연구, 탑출판사. 성기철(1985),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신기상(1980), 동부경남의 존대소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84, 국어국문학회, 212-215. 이기갑(2003), 국어방언문법, 태학사. 이동화(1985), 성주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영남어문학 12, 영남어문학회, 173-185. 이상규(1991), 경북 방언의 경어법, 새국어생활 1-3, 국립국어연구원, 59-72.,(2000), 경북방언사전, 태학사. 이혁화(2005), 무주영동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7ㄱ), 경북 서부방언의 종결어미 -어여,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335-360.,(2007ㄴ), 경북 서부방언의 상대경어법, 정신문화연구 30-4, 한국학중앙연구원, 251-278. 임지룡(1998), 안동방언의 청자대우법, 방언학과 국어학, 태학사, 461-484. 천시권(1965), 경북 지방의 방언 구획, 어문학 13, 한국어문학회, 1-12. 최동주(1998=2005), 울릉도 방언의 문법, 울릉도독도의 종합적 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81-521. 최명옥(1976), 현대국어의 의문법 연구 -서부 경남방언을 중심으로, 학술원논문집 (인문사회) 15, 최명 옥(1998)에 재수록.,(1980), 경북 동해안 방언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1998), 한국어 방언연구의 실제, 태학사. 최학근(1978), 한국방언사전, 현암사.
경상방언 의문형어미 -는교 의 용법과 기원 323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1981), 한국구비문학대계 7 8, 정화인쇄문화사. 한길(1991), 국어 종결어미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2002),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역락. 황문환(1993), 경북 울진방언의 친족호격어와 화계, 국어학 23, 국어학회, 191-213. 小創進平(1924), 南部朝鮮の方言, 朝鮮史學會.
324 한국문화 47 <Abstract> The usage and origin of -neungyo, the interrogative ending of the Gyeongsang dialect 22)Lee, Hyeo-khwa * The -neungyo, the interrogative ending of the Gyeongsang dialect, is used as the haso degree or haiso-haso degree on the honorific system for hearer. This usage aspect is confirmed by actual conversational data. The former opinion on the origin of -neungyo, that it was originally the ending --neungayo, is denied from some grounds, i.e. disagreement of degree on the honorific systems for hearer, appearance at unique sentence construction of Gyeongsang dialect. The -neungyo is regarded that it originally started from the construction -neun geos(formal noun)-i(copula)-yo(ending), and underwent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Key Words : -neungyo, Gyeongsang dialect, interrogative ending, honorific system for hearer, usage, origin.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Yeu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