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이주환 (J.H. Lee) 스펙트럼공학연구팀책임연구원 심동욱 (D.W. Sim) 스펙트럼공학연구팀선임연구원 정영준 (Y.J. Chong) 스펙트럼공학연구팀팀장 스마트미디어시대의방송통신융합기술특집 Ⅰ. 서론 Ⅱ. 국제표준화및기술동향 Ⅲ. 국내고정업무용주파수이용방안수립 Ⅳ. 요약및결론 2012년 6월 30일자로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10~60GHz 대역의고정업무용주파수지정에관한입안예고를공고한바있다. 본고에서는이입안예고의배경이되는고정업무에관한국제표준화기구인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 Sector) 연구반의표준화동향에대해소개하고, 고주파대역, 고정업무시스템의국내외기술개발동향을소개한다. 또한, 국내외고주파대역이용현황을국내현황과비교하고, 이를통해입안예고된고정업무용주파수지정의개정방안에대해간략히소개하여, 향후국내전파통신망의미래상을전망할수있도록한다. 104 2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Ⅰ. 서론무선전송링크 (Fixed Wireless Systems: FWS) 란고정된지점에위치한무선국간의고정중계링크를의미하며, 종래에는무선중계 (radio-relay), 국간중계, 혹은 M/W(Micro-Wave) 중계등으로불려져왔다. 지상통신망에디지털전환이이루어지면서종래아날로그적의미를수반한여타의명칭들을새로이명명함으로써디지털시대의지상고정통신시스템을대변하는용어로개조한것이다. 따라서이무선전송링크는기존의고정중계링크와전송구조상으로는커다란차이가없다고할수있다. 그러나, 무선중계, 국간중계, M/W 중계등으로대표되는종래의고정중계링크는고정된지점에서지점으로만통신하는, 즉, 점대점 (Point-to-Point: P-to-P) 통신이일반화되어있어최근에급증하는이동통신백홀망과같은점대다점 (Point-to-Multipoint: P-to-MP) 통신의개념을포함하지않았다. 따라서새로이등장한무선전송링크는디지털통신망이라는의미외에도점대점, 점대다점, 다점대다점 (Multipoint-to-Multipoint: MP-to-MP) 통신을모두포함하는포괄적인용어라할수있다. 최근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10GHz 이상의주파수를대상으로, 기존의고정업무용주파수분배에관한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개정을입안예고한바있다 [1]. 이개정은이동통신백홀등향후증가할것으로예상되는다양한형태의고정업무용수요를해소하고, 지금까지대역별사용자가별도로구분되어있어주파수이용이효율적이못했던폐단을바로잡기위하여대역별사용자제한을폐지하는내용을담고있다. 이러한국내고정업무용주파수지정의변화는우리나라에만국한되지않고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 Sector) 을중심으로전세계적으로현재변모하고있는추세이다. 본고에서는고정업무용국제표준을주관하는 ITU-R 고정통신연구반 (SG5) 을중심으로국제적인기술동향과최근에개정한국내이용기준의변화에대해기술하기로한다. Ⅱ. 국제표준화및기술동향 1. ITU-R의국제표준화동향채널배치기준과같은고정업무의주파수이용에관한국제표준화는 ITU-R의 SG5에서주관한다. 보다정확히얘기하자면, ( 그림 1) 에나타낸 SG5 산하의분과중 WP5C 작업반에서담당한다. 2012년 10월현재, ITU-R SG5는 ( 그림 1) 에나타낸바와같이 5개의작업반혹은전담반으로구성되어있다 [2]. WP5A에서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를제외한육상이동업무와아마추어업무의주파수이용에관한국제표준을, WP5B에서는해상, 항공, 무선측위업무에관한제반기술표준을담당한다. WP5C에서는고정업무와 3~30MHz 범위의단파 (High-Frequency: HF) 를이용하는고정및이동업무에관한기술표준을담당하며, WP5D는 IMT에관한시스템특성, 채널배치, 주파수요구사항등제반표준을제 개정하는표준화작업반이다. 또한 JTG4-5- 6-7 은오는 2015년에개최될세계전파통신회의 (WRC- 15) 에서다루게될이동통신관련의제 (1.1 및 1.2) 수행을위해특별히개설된이동통신전담반이다. ( 그림 1) ITU-R SG5의구조 이주환외 / 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105
가. 고정업무용채널배치표준개발동향고정업무의채널배치기준에대한국제표준화는아날로그전송방식이주류를이루던 1970년대부터지속적으로진행되어왔으며, 1990년대부터는디지털전송방식에기인한채널배치기준에대한국제표준화가진행되어왔다. 최근이동통신망의인프라구축을위해이동통신백홀등이대두되면서기가비트급의초고속전송이가능한밀리미터파대역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표준을마련하였다 [3]. 고정업무가활발히전개된 1990년대중반이전에는고정업무용국제표준은연구반단위로추진되었다. 즉, ITU-R 산하 SG9을편성하여고정통신망의성능목표및허용간섭기준, 고정업무용시스템의특성과채널배치방법, 단파대역시스템의표준화, 동일한주파수대역에서의타업무와고정업무간공유방안등다양한분야에걸쳐연구가수행되었다. 그러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IMT 를비롯한이동통신망의진화에따라고정업무의역할이다소감소되면서, 2007년 ITU-R의조직개편에따라고정업무에관한표준화연구는지상업무연구반인 SG5의산하작업반 (WP5C) 으로축소하기에이르렀다. 현재 WP5C에서관심을가지고의욕적으로추진하는연구이슈는밀리미터파대역등그동안주파수이용이미진했던 10GHz 이상의고주파수대역의고정업무활용방안으로국한되고있다. 이는이동통신망의진화를지원할수있는고정지점간초고속통신을이용한백홀망의역할이대두되었기때문이다 [4]. 나. 밀리미터파대역고정업무용채널배치표준 1) 추진동향 2012년세계전파통신회의 (WRC-12) 의제 1.6으로 71GHz 이상대역의능동업무와수동업무간공유검토의제가채택됨에따라, 71GHz 이상의고주파대역을대상으로개발이진행중에있거나도입을계획하고있 는고정업무시스템의전송재원에관한이슈가대두되었다. 그일환으로 2010년 5월제5차 WP5C 회의에제출된러시아제안서 [5] 를시작으로밀리미터파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에관한본격적인논의가시작되었다. 러시아제안서의경우, 50MHz 또는 100MHz 폭의점유대역폭을가지는 TDD(Time Divisional Duplexing) 혹은 FDD(Frequency Divisional Duplexing) 방식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을제안한것이며, 고려하는대상주파수범위는 92~95GHz 의주파수대역이다. 하지만이배치기준에관한논의는한국뿐만아니라미국, 캐나다, 일본등여러국가에서고려중이며 71~76 GHz 및 81~86GHz 대역의밀리미터파대역고정업무의채널배치기준도함께규명되어야한다는의견이있어, 추가의견을제출하는등관심있는국가의의견을요청하면서차기회의로표준화작업이이관되었다. 밀리미터파대역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에관한표준화논의는한국에서제출한 71~76GHz/81~86GHz 대역의기가비트급전송망관련채널배치기준제안서 [5] 가 2011년 6월제7차 WP5C 회의에제출되면서활기를띄기시작하여, 2011 년 10월제8차 WP5C 회의에추가로제출된한국 [6], 일본 [7], 프랑스 [8] 등의제안서를토대로잠정표준을채택하기에이르렀다. 또한, 러시아에서는 92~95GHz 대역과 71~76GHz/81~86GHz 대역의고정업무용채널은성격이달라동일표준에담기에는어려움이있다는의견을제시하여, 밀리미터파대역의채널배치기준에관한국제표준화는 70/80GHz 와 90GHz 대역에대해별도의표준으로추진하기로의견을모았다. 또한, 71GHz 이상고주파대역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외에도 6~40GHz 범위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에대해서도이탈리아를중심으로한유럽국가들의제안에따라재검토가이루어졌다. 이는이미디지털전송망으로의전환이이루어진후십여년의세월이흘 106 전자통신동향분석제 27 권제 6 호 2012 년 12 월
( 그림 3) 71~76/81~86GHz 대역고정업무용채널배치에관한사례 지정한다는내용이다. 2011년제7차 WP5C 회의에국내밀리미터파대역의주파수이용기준을국제표준화로제안하여표준화를완료하였으며, 이표준에는국내에서도입하고있는 ( 그림 2) 밀리미터파대역고정업무용채널배치에관한 ITU-R 표준화추진현황렀음에도불구하고여전히종래의아날로그방식을고수하는채널배치기준에대한표준이남아있다는데서기인한것이다. 이들제안서를논의한결과디지털장비로의전환이거의완료된주파수대역의채널배치기준에대해서는개정을승인하고, 아직종래의기준으로사용하고있는국가가존재할지도모르는주파수대역에대해서는회원국의검토가충분히이루어지고난후개정하기로합의하였다 [9],[10]. 이상에서소개한 70/80GHz 대역고정업무의채널배치기준은우리나라의배치기준을국제표준으로등재한고정업무분야최초의표준문서 [3] 라하겠다. 이표준의제정에기여한국가별기고서내역을 ( 그림 2) 에서연차별로나타내었다. 2) 표준의주요내용 2009년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밀리미터파대역, 특히 71~76GHz 및 81~86GHz 대역에대한고정점대점통신용주파수이용기준을마련한바있다. 동기준은 5GHz 폭의점유대역폭기준을도입하여약 10Gbps 급의초고속전송시스템을지원토록하며, 향후기술개발진전에따라주파수유효이용기술의도입을예상하여 2.5GHz 및 1.25GHz 폭등다양한점유대역폭기준을 GHz 폭의광대역기준외에도유럽등아직은기술개발이미진한국가들을위하여 250MHz 간격의채널중심주파수를함께도입하자는내용을함께포함하고있다. 즉, 우리나라가제안한 GHz 폭의광대역채널배치기준에부가하여, 유럽국가에서희망하는약 250MHz 폭채널기준까지도신규표준에반영하기로한것이다. 71~76/81~86GHz 대역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에관한국제표준 [3] 의주요내용을요약하면다음과같다. 71~76/81~86GHz 대역은아래의수식으로산정된 125MHz 간격의정수배패턴에의한채널혹은블록배치를원칙으로함. fn=71.0625+0.125(n-1)ghz, 여기서, n=1~40 (71~76GHz 의경우 ), 81~120(81~86GHz 의경우 ) 또한, 일부국가에서는 250MHz의정수배에해당하는채널혹은블록배치를사용할수있음. 71~76/81~86GHz 대역고정무선시스템 (FWS) 의블록배치는부속서로상세히제시하며, 일례로다음 ( 그림 3) 의배치가적용됨. 2. 밀리미터파대역고정업무시스템의국내외기술동향가. 기술개발동향전송용량은가용한주파수대역폭에비례하며, 가용 이주환외 / 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107
( 그림 4) 고주파수대역의기술개발동향대역폭을확장하기위해서는주파수가높아야한다. 또한높은주파수일수록전송거리가짧아지는단점이있으나, 최근의전파통신서비스가소형셀단위의단거리전송링크로도변모하고있다. 세계각국은 10GHz 이상, 심지어 70/80GHz 에이르기까지높은주파수를이용하여대용량의초고속전송서비스가가능한기술개발에박차를가하고있다. ( 그림 4) 에서전송거리, 전송속도, 운용주파수의관계를도식적으로표현하였다. 1) 15~60GHz 대역의기술개발동향이동통신용주파수의폭증에따라전세계무선통신사업자들인 Ericsson, NEC Huawei, Alcatel-Lucent, Nokia Siemens 등에서는 15~60GHz 주파수를대상으로광대역무선백홀솔루션을제공하고있으며, 이미 56MHz 의채널대역폭으로 400~500Mbps급을전송할수있는무선통신솔루션을상용화한바있다. 또한, 미국의 Broadcom 에서는이동통신모바일백홀용으로사용가능한 1.25Gbps 급단일칩 (BCM85620) 을선보인바있다. 그러나이칩은 112MHz 의채널대역폭으로 102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의고변조방식을적용하여 1.25Gbps 급의용량을전송한다는것이나, 기술홍보자료일뿐실제로적용되지는못하는실정이다. 2) 60GHz 이상대역의기술개발동향고주파대역이용의장점은넓은주파수대역을하나 의채널로사용할수있다는것이다. 그러나이것은국가별로제도적상황이다르겠지만대부분의국가에서안고있는전파사용료문제와직결된다. 거의모든국가의전파사용료는최대점유대역폭의크기에비례하는형태이기때문에광대역폭을점유한다는것은곧많은전파사용료를지불해야한다는것이다. 이전파사용료문제해결을위해, 영국의 Ofcom, 미국, 일본등에서는 60GHz 이상의매우높은주파수대역에비면허개념을도입하고이를통해전파사용료를완화해보자는취지로 60GHz 이상대역시스템의개발에우선착수하였다. 그결과, 이스라엘 (Siklu), 일본 (NEC), 미국 (Bridgewave, Ceragon 등 ), 캐나다 (Dragonwave) 등에서는 60GHz 이상의주파수대역에서사용할수있는 1.25Gbps급백홀용장비를상용제품을출시한바있고, 나아가점유대역폭에구애받지않고 2.5GHz 의채널대역폭에 OOK(On-Off-Keying) 방식이나 1.25GHz 의채널대역폭에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을적용한 2.5Gbps 급제품개발을진행하고있다. 3) 국내기술개발동향국내의레이시스테크놀러지사에서는 18GHz(17.7~ 19.7GHz) 대역에서 155Mbps 급백홀장비를상용화한바있고, 60~90GHz 의주파수를대상으로디지털변조방식을이용한기가비트급이더넷 (1.25~10Gbps) 백홀장비를 ETRI와공동개발중에있다. ( 주 ) 코모텍에서는 OOK 방식으로 60/70/80GHz 대역에서 1.25Gbps 급의백홀망장비를개발하여상용화하였으며, ETRI에서는밀리미터파 (70/80GHz) 대역시스템개발을추진하여, 5GHz 폭채널에 16-QAM 방식을적용한 10Gbps 급전송시스템을개발하고있다. 우리나라의경우 15~60GHz 대역시스템개발기술은보유하고있으나, 지금까지의규정적제한 ( 대역폭및전파사용료 ) 으로인해투자가미흡한실정이다. 108 전자통신동향분석제 27 권제 6 호 2012 년 12 월
나. 주파수이용동향유럽의경우, 기술력이상이한국가들의간섭분쟁을해소할목적으로유럽자체표준을제정하여적용하고있으며, 전세계타지역에비해 20GHz 이상의고주파대역이비교적활발하다. 특히유럽의고정통신이용에관한채널대역폭규격은 3.5 n MHz 의산식이적용되며, 한정된전파자원의효율적이용을목적으로최대 112MHz 폭을초과하지않도록권장하고있다. 미국을비롯한미주지역의경우, 20GHz 이상의주파수대역에광대역폭채널을도입하자는추세이나, 전파사용료문제를해소할수있는밀리미터파대역을우선적으로추진하고있다. 미국에서권장하는채널대역폭규격은 5.0 n MHz 의산식을적용하며, 15GHz 이 하대역은최대 40MHz 폭, 그이상대역은채널대역폭에제한을두지않는게특징이다. 특히, 미국의경우 60GHz 이상의밀리미터파대역외에, 27.5~28.35GHz 대역에최대 850MHz 폭의광대역채널을도입하는등 고주파수대역은광대역화 라는기본적인주파수이용에대한인식을가지고있다. 일본의경우도미국과유사하게고주파대역의광대역화기술도입입장이며, 전파사용료등부가적장해가없는밀리미터파대역에기술력을우선적으로투자하고있다. 특히, 소요대역폭에비례하여책정되는전파사용료로인해 Gbps 급의광대역채널은 60GHz 이상대역을비면허기반으로활용하는방안을수립하여전파사용료에따른경제적부담을덜어주고있다. < 표 1> 국내외고주파대역의고정업무이용현황 국가 / 지역 사용현황 (15~45GHz) 국제표준 (ITU) 표준대역 최대 BW 220MHz 112MHz 112MHz 50/112MHz Variable 표준대역 미국최대 BW 220MHz 50MHz 40MHz 850/150MHz 150MHz 50MHz 특기사항 24.25~25.25GHz 대역은 pair-band 로사용할경우채널대역을제한하나, pair-band 로사용하지않는경우인접채널을합쳐사용하거나블록전체를사용할수도있음. 표준대역 유럽최대 BW 110MHz 112MHz 112MHz 112MHz 28MHz block block 특기사항 유럽의경우위에표시한대역외에 48.5~50.2GHz, 51.4~52.6GHz, 55.78~57.0GHz 등도디지털 FWS( 고정무선전송시스템 ) 용으로사용 일본 사용대역 최대 BW 일본의경우 21.01~23.12GHz, 31.2~31.8GHz, 36.43~36.5GHz 은전파천문업무보호를위해타업무의사용을제한하고있음. 우리나라 현재 이주환외 / 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109
< 표 1> 은고정업무를사용하는국외이용주파수와시스템에대한비교이다. 또한우리나라의경우, 최근개정되기까지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11] 에고정업무용으로지정된각각의주파수대역도함께나타내었다. Ⅲ. 국내고정업무용주파수이용방안수립 1. 필요성 10GHz 이상의주파수범위에서국내고정업무는국제적으로고정업무로분배된대역을사용하도록지정하고있었으며, < 표 2> 에나타낸바와같이, 해당대역별로세부용도가지정되어해당주파수의사용자를제한하는효과를가져왔다 [11]. 그결과일부대역을제외하고는그이용이극히적었으며, 특히 20GHz 이상의주파수에대해서는도입된고정업무용시스템이거의없었다. 앞서기술한것과같이, 향후의고정업무에서는현재폭증하는이동통신의인프라지원을위하여, 이동통신 백홀등의수요가증가할전망이다. 따라서, 2012년 8 월에는고정업무의미래도입서비스를충분히고려하고, 부분적으로그수요를가진여러사업자에게고주파대역을사용할수있도록요도를통합하는방안검토되었다. 즉, 고주파수대역의이용활성화방안 을마련하기위한연구반을구성하여, 국내외기술동향및시장동향, 여타의기술적사항들을종합적으로검토하였다. 2. 고주파대역이용활성화방안가. 10~60GHz 주파수대역의용도통합대역별특정용도로만개방되어급변하는고정업무의주파수이용을제한하고있는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의세부용도를통합하도록하였다. 즉, ( 그림 5) 에나타낸것과같이, 종래의고정업무서비스를내포하는자가통신, 방송중계, 통신사업, 국간중계등의다양한용도를 무선전송링크 로통합함으로써, 통신및방송사업자뿐만아니라국가기관이나자치 < 표 2> 15~60GHz 범위의국내고정업무의용도별지정현황 대역주파수범위세부지정현황 18GHz 대 17.7~19.7GHz 22GHz 대 21.2~23.6GHz 26GHz 대 24.25~27.5GHz 38GHz 대 36.5~42.5GHz 110 전자통신동향분석제 27 권제 6 호 2012 년 12 월
( 그림 5) 고주파수대역의세부용도통합단체, 그리고개인사업자에이르기까지누구나지정된주파수대역을활용할수있도록그기틀을마련하였다. ( 그림 6) 은이러한지정용도의통합에대해각대역별현황을나타낸것이며, 동계획에서 24.25~27.5GHz 대역의가입자회선 (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B-WLL) 및 CATV 전송용지정은삭제하는것으로계획하였다. 이대역은방송통신위원회에서검토중에있는미래전파통신서비스도입을위하여잠정적으로그용도지정을유보하였다. 나. 20GHz 이상주파수에서광대역서비스를위한채널재분배기존 40MHz 대역폭제한으로인해 Gbps급전송이불가능했던 20GHz 이상의대역에광대역기준을도입 하여최근의단거리, 대용량서비스추세를반영할목적으로, 광대역채널 (250MHz 점유대역폭이상 ) 을도입하는방안이검토되었다. 이방안의주요개념을 ( 그림 7) 에요약하였으며, 500MHz 단위의채널블록을지정하고, 그블록내에서서비스특성에맞게광대역혹은소용량채널을도입할수있는유연한채널배치방안을마련하였다. 이상의고정업무용채널배치기준은주파수분배표개정이아닌전파지정기준의개정으로추진하며, 사업자, 제조사, 정부등관계기관별의견을충분히반영하여향후적절한방안이수립될것이다. Ⅳ. 요약및결론본고에서는고정업무에관한국제표준화를담당하는 ITU-R SG5( 특히 WP5C) 의최근에수행된국제표준화동향을소개하였다. 2000년이전까지의고정업무가점대점통신위주의중계용서비스였다면이후의고정업무는폭증하는이동통신인프라지원을위한통신망의역할을수행하게될것이다. 짧은전송경로를갖는핫스팟 (hot spot) 지역에 ( 그림 6) 대역별용도통합의세부내용 이주환외 / 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111
( 그림 7) 점유대역폭제한완화내용 서수기가비트에달하는초고속전송서비스를 20GHz 이상의고주파대역고정업무로지원한다는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9년기가비트급고정전송시스템의도입을위하여, 국내기술기준으로반영된 71~76/81~86GHz 대역광대역고정업무용시스템의국제채널배치기준을제안하여반영한바있다. 또한최근의급증하는이동통신인프라지원을위하여, 주파수이용이극히부진했던 20GHz 이상주파수의활성화를도모하기위하여, 최대 500MHz 폭의광대역전송이가능하도록주파수이용기준을마련중에있고, 그일환으로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개정에관한입안이예고되어있다. 이입안예고의내용중에는대역별로별도의사용자가구분되어비효율적인주파수이용경향을보이던 20GHz 이상의고주파대역을누구나이용할수있도록사용자제한을폐지함으로써주파수이용의활성화를도모하고있다. 국제적인전파통신서비스의발전추세에근거하여국내의관련규정을개선함으로써, 이동통신분야의백홀망지원, 고화질방송신호의무압축전송을지원하는 등광회선에필적하는초고속전송시스템으로의응용분야개척을통해그수요를반전시킬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용어해설 무선전송링크 (FWS) 고정된지상의두지점을무선으로연결하는통신링크를의미하며, 지상통신및방송분야에디지털전송시대가도래함에따라 ITU에서통용되는신조어채널배치 (channel arrangement) 가용주파수대역에여러사용자가함께사용할수있도록일정한간격으로무선국주파수를지정하는것으로전파통신장비표준화의기초가됨. 약어정리 B-WLL 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FWS Fixed Wireless Systems FDD Frequency Divisional Duplexing HF High-Frequency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Sector JTG Joint Task Group M/W Micro-Wave MP-to-MP Multipoint-to-Multipoint 112 전자통신동향분석제 27 권제 6 호 2012 년 12 월
OOK On-Off-Keying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to-MP Point-to-Multipoint P-to-P Point-to-Point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SG Study Group TDD Time Divisional Duplexing WP Working Party WRC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참고문헌 [1] 방송통신위원회,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고시개정 ( 안 ) 입안예고, 주파수정책과, 2012. 6. 30. [2] www.itu.ch [3] ITU-R Rec. F.2006, Radio-frequency Channel and Block Arrangements for Fixed Wireless Systems Operating in the 71-76 and 81-86 GHz bands, Mar. 2012. [4] ITU-R WP5C, Working Document towards a Preliminary Draft New Report ITU-R F.[FS USE- TRENDS] - Fixed Service Use and Future Trends, WP5C/47 (Annex 1), June 2012. [5] Republic of Korea, Radio-frequency Channel Arrangements for Fixed Service Systems Operating in the 71-95 GHz Range, WP5C/506, May 2011. [6] Republic of Korea, Radio-frequency Block Arrangements for Fixed Wireless Systems Operating in the 71-76 and 81-86 GHz Bands, WP5C/566, Oct. 2011. [7] Japan, Radio-frequency Channel Arrangements for Fixed Wireless Systems Operating in the 71-76 and 81-86 GHz Bands, WP5C/590, Oct. 2011. [8] France, Radio-frequency Channel Arrangements for Fixed Wireless Systems Operating in the 71-76 and 81-86 GHz Bands, WP5C/537, Sept. 2011. [9] ITU-R WP5C, Preliminary Draft Revision of Recommendation ITU-R F.1509-1 - Technic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That Facilitate Sharing between Point-to-multipoint Systems in the Fixed Service and the Inter-satellite Service in the Band 25.25-27.5 GHz, WP5C/47 (Annex 2), June 2012. [10] ITU-R WP5C, Preliminary Draft Revision of Recommendation ITU-R F.1249-2 - Technic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That Facilitate Sharing between Point-to point Systems in the Fixed Service and the Inter-satellite Service in the Band 25.25-27.5 GHz, WP5C/47 (Annex 3), June 2012. [11] 고시제2011-45 호, 대한민국주파수분배표, 개정, 방송통신위원회, 2011. 10. 이주환외 / 고주파수대 (10GHz 이상 ) 무선전송링크이용기술표준화동향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