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F5B7CA2030382D3032303420C0CCBDC2BFAC2E687770>



Similar documents
<31315F D B1E8B3ADC8F1B1E8B5BFC1F85FC0FAC0DAB1B3C1A4BFCFB7E12DC3D6C1BEC6C4C0CF2E687770>

hwp

Lumbar spine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춍??숏

<30382EC0C7C7D0B0ADC1C22E687770>

012임수진

<30322EC6AFC1FD30342DC1A4B9AEC7F62E687770>

139~144 ¿À°ø¾àħ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03이경미(237~248)ok

Trd022.hwp

A 617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04조남훈

SIADH로 오인한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이차성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 1례 93 서 론 저나트륨혈증은 임상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흔한 전해질 불균형으로, 구역, 구토, 전신 쇠약감 등의 증상에서부터 두통, 경련, 의식변화 등의 신경학적 증상까지 다양한 증상으로 발현되

<30395F D D FC1F5B7CA2DC0CCC1F6B8ED2CC0AFBCF8C1FD28B0A3C7E0C0A7BFF8BCF6C1A4295FC0FAC0DAB1B3C1A4B9DDBFB52E687770>

Jung YH, et al. 228 증 례 진전은 없었다. 검사 소견: 말초혈액검사나 혈청 생화학검사는 정상이었고, 갑상 환자: 55세, 여자 선기능검사는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1.68 주소: 갑상선 우연종 µiu/ml (

433대지05박창용

°íµî1´Ü¿ø

<313720C1F5B7CA C0CCC1A4C8AF2DB1E8BCD2C7E D39342E687770>

388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 6. No COMMENT 1. (dysplastic nodule) (adenomatous hyperplasia, AH), (macroregenerative nodule, MR

<30372EC0CCC0AFC1F82E687770>

Kbcs002.hwp

±è¹ÎÁö


<30352EB0A3BAB4B8AE2E687770>

005송영일

untitled

패션 전문가 293명 대상 앙케트+전문기자단 선정 Fashionbiz CEO Managing Director Creative Director Independent Designer

13.김형관(08-247).hwp


< FB5B5BAF1B6F32C20B8F1C2F D34292E687770>

???? 1

16_이주용_155~163.hwp

109~120 õÃʾàħ Ä¡·á

untitled

440 /

충북의대학술지 Chungbuk Med. J. Vol. 27. No. 1. 1~ Charcot-Marie-Tooth Disease 환자의마취 : 증례보고 신일동 1, 이진희 1, 박상희 1,2 * 책임저자 : 박상희, 충북청주시서원구충대로 1 번지, 충북대학교

이신재 외: 자궁선근종의 자궁동맥색전술 후 장기 추적 자기공명영상 소견 angle, 80 ; matrix size, ; section thickness, 5 mm)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MRI에서 자궁선근종의 진단은 T2 강조 영상에서 자궁근층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Diabetic Ketoacidosis

03±èÀçÈÖ¾ÈÁ¤ÅÂ

목 차 회사현황 1. 회사개요 2. 회사연혁 3. 회사업무영역/업무현황 4. 등록면허보유현황 5. 상훈현황 6. 기술자보유현황 7. 시스템보유현황 주요기술자별 약력 1. 대표이사 2. 임원짂 조직 및 용도별 수행실적 1. 조직 2. 용도별 수행실적

(11+12.).pdf

김범수

<313320C1F5B7CA C0CCBDC2C1D62DB1E8BAB4C1D D E687770>

<30375F D D FC1F5B7CA2DBEC8B9CCBCB12CC1A4C0B1BCAE5FC0FAC0DAB1B3C1A4B9DDBFB528C8E6B9E9292E687770>

<30395F D F FB1E8B5BFC1F85FB1E8BDC5B0EF5FC1F5B7CA28C7CFB8AEBDBAC4DAB9DDBFB5292D28C3D6C1BEBCF6C1A42DB1E8B5CEB8B8292E687770>

Endocrinol Metab 25(4): , December 2010 DOI: /EnM ORIGINAL ARTICLE 비기능성뇌하수체선종환자에게서뇌하수체기능저하와자기공명영상검사소견과의상관관계 김현민 1 구철룡 1 이은영

노인정신의학회보14-1호

내시경 conference

74 /

878 Yu Kim, Dongjae Kim 지막 용량수준까지도 멈춤 규칙이 만족되지 않아 시행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MTD의 추정이 불가 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 SM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O Quigley 등 (1990)이 제안한 CRM(Continu

Korean Journal of Medicine : Vol. 59, No. 3, 2000 :,, 27 :,, : 6 56 thiazide 2,,., : : 120/60 mmhg, 70 /, 20 /, 36.2.,,. : 6,970/mm3, 13.2 gm/dl, 40.7

ºÎÁ¤¸ÆV10N³»Áö

À̱ٿµ

16(1)-3(국문)(p.40-45).fm

untitled

?

jaeryomading review.pdf

DBPIA-NURIMEDIA

( )Jksc057.hwp

<32322EC3D6C1D8C8A32E687770>

03-ÀÌÁ¦Çö

<31325FB1E8B0E6BCBA2E687770>

04-07도현수

<3231B1C732C8A32DB8F1C2F75B315DC3D6C1BE2E687770>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Ȳ¼º¼ö

09-감마선(dh)

스마일 contents 당신을 만나 기분이 좋습니다! 병원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힘듭니다. 환자는 환자대로, 보호자는 보호자대로, 의료진은 의료진대로. 아픈 환자가 제일 힘들 것 같다가도, 그들을 뒷바라지하는 보호자가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환자와 보호자를 상

<303120C0CCBBF3B8F12DC0CCB1D4BFEB2E687770>

YI Ggodme : The Lives and Diseases of Female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s Reconstructed with Cases in Yeoksi Manpil (Stray Notes w

表紙(化学)

KJOG Vol. 55, No. 12, 2012 내막증이 있는 경우. 골반유착으로 인한 해부학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 으며 이로 인해 난자의 배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막액내의 interleukin-1, prostaglandin, macrophage, pro


<313420C1F5B7CA D BFC0C7F6C1F82DC0CCC1A4B9CE2E687770>

01이정훈(113~127)ok

45-51 ¹Ú¼ø¸¸

<313620C1F5B7CA B1E8C1BEC7F62DB3B2BCF6B9CE D E687770>

Continuing Education Column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of Cervical Spine Ki Hong Cho,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jou

노영남

<3231B1C732C8A32DB8F1C2F75B315DC3D6C1BE2E687770>

γ

480제 생물Ⅰ 해설

본발표와관련된이해관계 없음 대한당뇨병학회학술위원회

Microsoft Word doc

81 F Epigastric discomfort after meals for 3 hours

Dementia2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December,

1)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 제 16 권제 1 호 2011 증례 특발성중추성요붕증이동반된터너증후군 1 례 인하대학교의학전문대학원소아과학교실 1, 영상의학교실 2 강빈 1 ㆍ성현우 1 ㆍ김복기 1 ㆍ박신영 1 ㆍ김순기 1 ㆍ권영세 1 ㆍ임명관 2 ㆍ이지은 1 A Case

<30375F D F DB0FBC0E7BFED2CC0B1B0C7C8A328C1F5B7CA292D28C3D6C1BEBCF6C1A42DB1E8B5CEB8B8292E687770>

<30365F D D FC1F5B7CA2DC1A4C1F8BFED2CC1A4C1F8BFED2DB0A3C7E0C0A7BFF8BCF6C1A45FC0FAC0DAB1B3C1A4B9DDBFB52E687770>

<313720C1F5B7CA C0CCBDC2C8A32DB1E8C3B6C8F12E687770>

¼Û±âÇõ

Transcription:

대한내과학회지: 제 78 권 제 5 호 2010 급성기 뇌하수체 졸중으로 나타난 요붕증 동반 쉬한증후군 1예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이승연 이만종 이광수 김소헌 홍성빈 남문석 김용성 A case of Sheehan s syndrome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showing hemorrhagic pituitary apoplexy Seung Youn Lee, M.D., Man Jong Lee, M.D., Kwang Soo Lee, M.D., So Hun Kim, M.D., Seong Bin Hong, M.D., Moonsuk Nam, M.D., and Yong Seong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cheon, Korea Ischemic necrosis of the pituitary gland, known as Sheehan s syndrome, can develop after massive postpartum bleeding. This condition is rarely accompanied by diabetes insipidus. An empty sella is a constant feature of Sheehan s syndrome in the later phase, but very few observation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eatures in the acute phase are available. We report a case of Sheehan s syndrome presenting with diabetes insipidus leading to severe hypernatremia, showing hemorrhagic postpartum pituitary apoplexy on acute MRI. (Korean J Med 78:630-634, 2010) Key Words: Sheehan s syndrome; Diabetes insipidus; Pituitary apoplexy 서 론 영상소견을 보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출산 후 일과성 허혈 상황에서 전엽의 괴사로 인한 쉬한 증후군 발생이 흔히 나타나지만 후엽의 기능 소실은 흔히 발생하지 않으며 요붕증이 쉬한증후군과 함께 나타나는 경 우는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쉬한증후군은 영상학 적으로 공터어키안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만 성적 쉬한증후군의 특징적 소견으로 생각되며 1,2), 급성기 쉬 한증후군에서의 뇌하수체 소견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3-5). 저 자들은 출산 후 과다 출혈 발생 이후 요붕증이 주 증상으로 발현되며 급성기 뇌하수체 출혈이 동반된 뇌졸중의 특징적 증 례 환 자: 이 주, 28세 여자 주 소: 출산 후 발생한 다뇨와 고나트륨혈증 현병력: 평소 건강하였으며 산전 진찰상 특이소견을 보이 지 않았던 임신 41주의 산모로 개인의원에서 정상 질식 분 만 후 발생한 자궁근무력증으로 출혈이 지속되는 소견을 보 여 본원 응급실로 전원되었다. 내원 후 혈압 강하와 기면 상 태로의 의식 변화가 발생하였고, 응급 자궁적출술을 시행받 Received: 2009. 7. 8 Accepted: 2009. 10. 7 Correspondence to So Hun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7-206 Sinheung-dong, Jung-gu, Incheon 400-711, Korea E-mail: shoney@inha.ac.kr *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HA University Research Grant (INHA-39260). - 630 -

- Seung Youn Lee, et al. Sheehan s syndrome with central diabetes insipidus - 았다. 수술 직후 발생한 다뇨와 고나트륨혈증으로 내분비내 과로 전과되었다. 과거력: 특이 과거력 없음. 산과력: 총임신 1회, 만삭분만 1회, 조산 0회, 유산 0회, 생 존자녀 1명. 신체검사 소견: 응급실 내원 당시 생체 징후는 85/40-140- 24-36.2 로 저혈량성 쇼크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 후에는 혈 압은 110/70 mmhg, 맥박수는 100회/분, 호흡수는 수술 후 기 계호흡에 의해 16회 였으며 체온은 37.2 였다. 의식은 진정 상태였으며 결막은 창백했고, 공막 황달 소견은 없었다. 흉 부 및 복부 진찰상 특이소견은 없었고, 수술 상처의 감염이 나 출혈의 증거는 없었다. 검사실 소견: 전원 당시 수술 전에 시행한 혈액 검사상 Hb 4.9 g/dl, WBC 29,000/mm 3, Platelet 279,000/mm 3, BUN/Creatinine 9.8/0.97 mg/dl, albumin 1.4 g/dl, Na/K/Cl 138/3.9/106 meq/l 으로 심한 빈혈과 저알부민혈증을 보였다. 응급 자궁적출술 시행 중 대량 수혈(농축적혈구 32 U, 신선동결혈장 10 U)을 시행하였고, 수술 직후 혈액 검사상 Hb 10.4 g/dl, WBC 7,800/mm 3, Platelet 61,000/mm 3, BUN/Creatinine 9.0/0.87 mg/dl, albumin 2.1 g/dl, PT 17.2 sec (64%), aptt 36.0 sec, D-dimer 5.51 μg/ml, fibrinogen 74 mg/dl, Antithrombin Ⅲ 47%로 혈색소 수치는 교정되었으나 파종성 혈관내 응고 소견을 보였다. 또한 혈중 Na 농도가 수술 직후 158 meq/l로 상승되는 소견을 보였고, 이후 저장성의 적극적인 수액 투여에도 시간당 소변이 800 cc 이상으로 나오면서 혈청 Na 농도가 6시간 후 177 meq/l 까지 증가되었다. 당시 혈청 삼투압은 353 mosm/kg, 요 삼투 압 129 mosm/kg, 혈청 전해질 Na/K/Cl 177/3.3/147 meq/l, 요 Na/K/Cl 37/11.7/38 meq/l을 보였다. 중추성 요붕증 의심하 에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을 2 µg을 피하주사하였고, 투 여 30분 이내에 소변량이 시간당 100 cc로 감소하며 요삼투 압이 602 mosm/kg로 증가되는 소견을 보여 중추성 요붕증 에 의한 다뇨증, 고나트륨혈증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방사선 소견: 수술 7일 경과 후 시행한 뇌자기공명영상에 서 뇌하수체의 크기 증가와 뇌하수체 전반에 걸쳐 출혈이 의심되는 소견이 나타났고, 뇌하수체 후엽의 고신호강도 소 실을 보였다(그림 1A, 1B). 1개월 후 시행한 추적 뇌자기공명영상에서는 출혈은 모두 사라졌으며 뇌하수체 크기는 정상으로 보이며 뇌하수체 후 엽의 고신호강도 소실이 여전히 관찰되었다(그림 2A, 2B). 경과 및 치료: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뇌하수체졸증이 의심 되는 소견을 보였으나 뇌하수체선종을 의심할만한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두통이나 오심 구토의 증상이나 시야검 사상 이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중추성 요붕증이 A B Figure 1. Magnetic resonance imaging on day 7 postpartum. (A) The sagittal T1-weighted image shows high signal intensity (SI) at the anterior pituitary; in the dependent position, no definite posterior pituitary bright spot (PPBS) was seen. (B) The coronal fast spin-echo (FSE) T2-weighted image shows an enlarged pituitary gland with high SI. The pituitary gland extends into the suprasellar cistern, but does not compress the optic chiasm. - 631 -

- 대한내과학회지: 제 78 권 제 5 호 통권 제 597 호 2010 - A B Figure 2. Magnetic resonance imaging 1 month postpartum. (A) The sagittal T1-weighted image shows that the pituitary hemorrhage has nearly disappeared and there is no evidence of PPBS. (B) The coronal gadolinium-enhanced T1-weighted image shows that the pituitary has regressed spontaneously to a normal size and no longer protrudes into the suprasellar cistern. 있어 수술 후부터 데스모프레신을 2일간 투여하면서 소변량 이 50 cc/hr 정도로 감소되고 경정맥 수액투여를 하면서 나 트륨 농도는 정상으로 교정되었다. 이후 소변양이 정상보다 오히려 감소되고 나트륨 농도가 감소되는 등 수분이 저류되 는 현상을 보여 데스모프레신을 중단하였으나 수일 후부터 다시 소변양이 하루 3 L로 증가되는 소견을 보였다. 중추성 요붕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수술 후 17일째 수분제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수분 제한 요농축능 검사(표 1) 결과상 수분을 제한하여 혈청 삼투압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요농축이 일 어나지 않았고 데스모프레신 투여 후 요삼투압이 300% 이 상 증가되는 소견을 보여 완전 중추성 요붕증을 진단할 수 있었다. 이후 중추성 요붕증에 대한 치료를 위해 경구 데스 모프레신 투여를 유지하였다. 또한 저혈압과 과다출혈로 인 한 쉬한증후군 발생 가능성으로 수술 직전부터 부신피질 호 르몬을 사용하였었고, 환자 안정된 수술 후 12일째 복용 중 이던 부신피질 호르몬을 2일 중단 후 시행한 복합 뇌하수체 자극 검사(표 2)상 범뇌하수체저하증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 자는 부신피질 호르몬과 갑상선 호르몬 및 데스모프레신을 투여하며 외래 추적 중이다. 고 찰 정상 임신에서 뇌하수체 전엽은 임신 중 프로락틴 분비 세포의 비대와 증식으로 크기가 증가되지만 혈류 공급의 증 가가 동반되지 않고 문맥과 모세혈관상을 통해서만 혈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출산 후 일과성 허혈 상황에서 손상을 받 아 기능 소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쉬한증후군 이라 부른다. 이는 출산 후 수유가 불가능하고, 정상적인 월 경주기가 회복되지 않는 특징적인 병력을 나타내고 중증 정 도에 따라 임상증상의 발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경증의 경우 수십 년간 진단이 지연되기도 하는 것은 괴사가 비교 적 완만히 진행되어 전엽의 50% 이하가 괴사될 때까지는 임 Table 1. Water deprivation test with vasopressin stimulation Water restriction DDAVP injection Basal 1 hour 2 hours 3 hours 30 min 60 min 90 min Serum osmolality (mosm/kg) 274 297 302 303 300 301 295 Urine osmolality (mosm/kg) 91 102 121 139 233 348 419 Osm, osmoles; DDAVP, 1-deamino-8-d-arginine vasopressin (desmopressin acetate) - 632 -

- 이승연 외 6인. 요붕증 동반 쉬한증후군 1예 - Table 2. Combined pituitary stimulation test Basal 30 min 60 min 90 min 120 min Glucose (mg/dl) 88 26 146 56 107 Growth hormone (ng/ml) 0.29 0.22 0.18 0.18 0.36 ACTH (pg/ml) 35.6 15.7 33.7 14.0 14.1 Cortisol (μg/dl) 17.7 14.2 11.2 10.7 9.17 Prolactin (ng/ml) 5.5 8.4 7.0 6.5 5.5 TSH (uiu/ml) 3.72 5.12 4.60 4.49 3.71 LH (miu/ml) 0.58 0.53 0.62 0.60 0.58 FSH (miu/ml) 0.62 0.87 0.85 0.70 1.00 T3, 57.4 ng/dl; free T4, 0.77 ng/dl; estradiol (E2), 32.79 pg/ml. ACT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FS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H, luteinizing hormone. Growth-hormone-releasing hormone (GHRH) test: GH>3 ng/ml.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test: prolactin>2 ng/ml and increase>200% of baseline, TSH should increase by>5 miu/l unless the thyroid hormone levels are increased.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 test: basal ACTH increase 2-to 4-fold and peaks at 20~100 pg/ml, cortisol levels>20~25 μg/dl.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test: In most adults, LH should increase by 10 miu/l and FSH by 2 miu/l. 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현저한 임상증상은 90% 이상 괴 사가 진행할 때 나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6). 최근 산과적 진료와 수혈, 수액 치료의 발전으로 선진 사회에서 쉬한증후 군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이는 범뇌하수체저 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치료 방법도 부족 호르 몬을 보충하는 것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7). 뇌하수체 후엽은 하하수체동맥으로부터 직접 혈류 공급을 받고 임신에 따른 크기 변화도 없기 때문에 전엽보다 허혈 상황에 민감하지 않아 출산 후 저혈량성 쇼크 이후에 요붕증의 발현이 동반 된 경우는 드물다. 국내에서도 2예로 매우 드물게 보고되었 다 8-11). 하지만 허혈 발생 시 뇌하수체 전엽뿐만 아니라 후엽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쉬한증후군 환자에서 후엽 기능의 동반 손상 여부를 확인한 소규모 환자 대조군 연구 들을 살펴보면 임상적으로 다뇨증이나 고나트륨혈증 등의 임상 증상이 발현되거나 탈수 검사상 완전 중추성 요붕증을 나타내는 경우는 없었지만 쉬한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30~ 80%에서 삼투자극에 둔화된 항이뇨호르몬 반응을 나타내었 다 12-14). 이는 간과되고 있지만 뇌하수체 후엽도 허혈 상황에 서 손상을 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증례도 허혈 수 시 간 이내에 발생한 요붕증을 통해 광범위하며 급격한 뇌하수 체의 괴사의 발생을 예상해 볼 수 있었던 경우이다. 또한 저 자들은 전형적이지 않은 환자의 임상 증상으로 다른 기질적 원인의 배제를 위하여 급성기 자기 뇌 공명영상을 시행하였 으며 이는 쉬한증후군의 초기 방사선학적 소견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3-5)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매우 의미가 있 었다. 정상 임신에서 임신 후기부터 출산 후 수일까지 증가된 뇌하수체의 크기와 늘어난 호르몬 합성으로 인하여 T1 강조 영상에서 뇌하수체 전엽의 신호강도 증가가 관찰되지만 15,16) 현재까지 보고된 소수의 급성기 쉬한증후군 환자에서의 뇌 자기공명영상에서는 경색으로 인한 괴사로 뇌하수체 전엽의 신호강도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이로 인하여 비출혈성 괴사 를 시사하는 소견이 쉬한증후군의 급성기 관찰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3-5). 그러나 본 증례에서는 급성기 출혈을 시사하 는 소견이 뇌하수체 전반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이는 공간 점 유성 병소나 부분적 조영의 증거가 없어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뇌하수체 졸중의 소견과 다르며, 이전 급성기에 동반된 다고 생각되는 저음영의 괴사 소견과도 일치하지 않아 특징 적이다. 이렇게 영상학적으로 출혈 동반 뇌하수체 졸중으로 나타난 본 증례의 환자가 의미가 있는 것은 쉬한증후군의 치료는 호르몬 보충 요법의 대증적 치료이나 시야 결손이나 두통 의식저하의 증상이 동반된 뇌하수체 졸중의 경우 치료 를 위해 수술적 접근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00년 박 등이 발표한 뇌하수체 선종에 의한 뇌하수체 졸중으로 오인 된 쉬한증후군의 사례에서도 조영제에 의해 조영 증강이 되 는 국소적 부위를 자기 공명영상에서 발견, 기존 선종의 경 색과 뇌하수체 졸중 의심 하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17). 병리학 적 소견상 괴사된 조직만 발견되었고, 이는 쉬한증후군의 환 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로 이를 통해 급성기에 전 엽의 병변은 다양한 방사선 소견을 보일 수 있으며 치료의 - 633 -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8, No. 5, 2010 -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매우 드물게 보고된 요붕증 동반 쉬한증후군이 뇌하수체 졸중으로 나타난 본 증례의 경우 산후 출혈 수 시간 이내에 급격히 발생한 요붕증의 발현이 광범위하고 심한 허혈로 인 한 전후엽의 괴사와 동반하여 출혈성 경향에 의한 뇌하수체 출혈로 이미 커져있는 뇌하수체가 제한된 뇌하수체와에서 압박을 받으며 뇌하수체경의 손상이 함께 나타나며 급격한 임상 증상이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다. 급성기에 뇌자기공명 영상에서 뇌하수체의 출혈 소견이 동반된 뇌하수체 졸중을 보였으나 명료한 의식상태와 시야 결손의 동반이 없어 수술 적 접근이 아닌 코티솔과 갑상선 호르몬, 데스모프레신 등의 부족 호르몬을 보충하는 내과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1개월 후의 추적 뇌자기공명 영상에서는 뇌하수체의 크기 감소와 뇌하수체경의 정상적 유지가 관찰되고 다른 이상 소견은 발 견되지 않아 다른 기질적인 원인이 아닌 산후 과다 출혈과 동반된 뇌하수체 졸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에 보고된 쉬한증후군 동반 중추성 요붕증 환자에서 요붕증의 예후가 수개월 사이에 가역적 호전을 보인 경우가 있으나 8,9), 본 환 자의 경우는 급성기부터 지속되는 후엽 밝은점의 소실 소견 을 보였고 18), 허혈성 괴사로 인한 후엽의 완전 손상 가능성 도 있어 향후 추적하며 중추성 요붕증의 가역성 여부를 살 펴볼 필요가 있다.. 요 약 출산시 과다 출혈 발생 후 요붕증이 주증상으로 발현되며 쉬한증후군이 나타나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급성기 뇌하수 체 출혈이 동반된 뇌하수체 졸중의 특징적 소견을 보인 증 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중심 단어: 쉬한증후군; 요붕증; 뇌하수체 졸중 REFERENCES 1) Dash RJ, Gupta V, Suri S. Sheehan's syndrome: clinical profile, pituitary hormone responses and computed sellar tomography. Aust N Z J Med 23:26-31, 1993 2) Lee HC, Lee EJ, Lee KW, Ahn KJ, Jung TS, Kim DI, Huh KB. Computed tomographic correlation with pituitary function in Sheehan's syndrome. Korean J Intern Med 7:48-54, 1992 3) Kaplun J, Fratila C, Ferenczi A, Yang WC, Lantos G, Fleckman AM, Schubart UK. Sequential pituitary MR imaging in Sheehan syndrome: report of 2 cases. AJNR Am J Neuroradiol 29:941-943, 2008 4) Dejager S, Gerber S, Foubert L, Turpin G. Sheehan's syndrome: differential diagnosis in the acute phase. J Intern Med 244:261-266, 1998 5) Lavallée G, Morcos R, Palardy J, Aubé M, Gilbert D. MR of nonhaemorrhagic postpartum pituitary apoplexy. AJNR Am J Neuroradiol 16:1939-1941, 1995 6) Sheehan HL. The recognition of chronic hypopituitarism resulting from postpartum pituitary necrosis. Am J Obstet Gynecol 111:852-854, 1971 7) Kovacs K. Sheehan syndrome. Lancet 361:520-522, 2003 8) Lee SK, Yun JH, Kang YS, Kim DJ, Choi YY, Hwang HY, Park HY, Kang MH. A case of diabetes insipidus in patient with Sheehan's syndrome. J Korean Soc Endocrinol 11:108-113, 1996 9) Kim DJ, Kim NH, Park JR, Yang SJ, Kim HS, Yoo HJ, Park SY, Ryu OH, Lee KW, Kim HY, Seo JA, Kim SG, Choi KMi, Baik SH, Choi DS. A case of Sheehan's syndrome presenting central diabetes insipidus. J Korean Soc Endocrinol 21:333-337, 2006 10) Kan AK, Calligerous D. A case report of Sheehan's syndrome presenting with diabetes insipidus. Aust N Z J Obstet Gynaecol 38: 224-226, 1998 11) Weston G, Chaves N, Bowditch J. Sheehan's syndrome presenting post-partum with diabetes insipidus. Aust N Z J Obstet Gynaecol 45:249-250, 2005 12) Atmaca H, Tanriverdi F, Gokce C, Unluhizarci K, Kelestimur F. Posterior pituitary function in Sheehan's syndrome. Eur J Endocrinol 156:563-567, 2007 13) Iwasaki Y, Oiso Y, Yamauchi K, Takatsuchi K, Kondo K, Hasegawa H, Itatsu T, Niinomi M, Tomita A. Neurohypophyseal function in postpartum hypopituitarism: impaired plasma vasopressin response to osmotic stimuli. J Clin Endocrinol Metab 68: 560-565, 1989 14) Arnaout MA, Ajlouni K. Plasma vasopressin responses in postpartum hypopituitarism: impaired response to osmotic stimuli. Acta Endocrinol 127:494-498, 1992 15) Miki Y, Asato R, Okumura R, Togashi K, Kimura I, Kawakami S, Konishi J. Anterior pituitary gland in pregnancy: hyperintensity at MR. Radiology 187:229-231, 1993 16) Bonneville F, Cattin F, Marsot-Dupuch K, Dormont D, Bonneville JF, Chiras J. T1 signal hyperintensity in the sellar region: spectrum of findings. Radiographics 26:93-113, 2006 17) Park SH, Park DJ, Park KS, Kim SY, Cho BY, Lee HK. A case of Sheehan's syndrome misdiagnosed as pituitary apoplexy due to pituitary adenoma. J Korean Soc Endocrinol 15:107-112, 2000 18) Tien R, Kucharczk J, Kucharczk W. MR imaging of the brain in patients with diabetes insipidus. AJNR Am J Neuroradiol 12: 533-542, 1991-6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