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체첸분쟁 갈등요인.hwp



Similar documents
....pdf..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중등용1)1~27

<392EC0E5BAB4BFC12D32362D3228C3D6C1BE292E687770>


5 291

¹é¹üȸº¸ 24È£ Ãâ·Â

(012~031)223교과(교)2-1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178È£pdf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182 동북아역사논총 42호 금융정책이 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대외금융 정책의 기본원칙은 각 식민지와 점령지마다 별도의 발권은행을 수립하여 일본 은행권이 아닌 각 지역 통화를 발행케 한 점에 있다. 이들 통화는 일본은행권 과 等 價 로 연

allinpdf.com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ad 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È޴ϵåA4±â¼Û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2002report hwp

내지(교사용) 4-6부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³»Áö_10-6

ok.

Y Z X Y Z X () () 1. 3

나하나로 5호

C O N T E N T 목 차 요약 / 4 Ⅰ. 서론 Ⅱ. 주요국별대형유통망현황 / Ⅲ. 시사점및진출방안 ( 첨부 ) 국가별주요수입업체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º»ÀÛ¾÷-1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09콘텐츠산업백서_1 2

p529~802 Á¦5Àå-¼º¸í,Ç×ÀÇ

<BFACBCBCC0C7BBE7C7D E687770>

½Å½Å-Áß±¹³»Áö.PDF

광주시향 최종22

120~151역사지도서3

2ÀåÀÛ¾÷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118 제23권 1호 Ⅰ. 머리말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연합뉴스) 마이더스

CC 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03-교통이야기

CONTENTS

coverbacktong최종spread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04 Çмú_±â¼ú±â»ç

<B1B9BEEE412E687770>

Çѹ̿ìÈ£-197È£

340 法 學 硏 究 第 16 輯 第 2 號 < 국문초록 >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상설특별검사제를 도입하기 위한 논의가 국회에서 진행 중이 다. 여당과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 공약인 상설특별검사제도를 2013년 상반기 중에 도입 하기로 합의했다. 상설특검은 고위공직자비리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인도 웹해킹 TCP/80 apache_struts2_remote_exec-4(cve ) 183.8

141018_m

º´¹«Ã»Ã¥-»ç³ªÀÌ·Î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체첸

* pb61۲õðÀÚÀ̳ʸ

피해자식별PDF용 0502

2015년9월도서관웹용

- 2 -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한류 목차2_수정 1211

< C7CFB9DDB1E22028C6EDC1FD292E687770>

152*220

연구노트

기본소득문답2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¾ç¼ºÄÀ-2

歯kjmh2004v13n1.PDF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기호

는 1월 7일 성명을 통해 샤를리 엡도 공격은 범죄 라며 이슬람은 어떠한 폭력에 도 반대한다 고 밝혔다. 이런 테러 규탄 분위기 속에 아나 샤를리(나는 샤를리다) 라는 아랍어 구호도 등장했다. 유럽인들과 더불어 일부 세속적 무슬림들도 표현의 자유가 더 중요하다는 시각을

01-02Àå_»ç·ÊÁýb74öÁ¤š

에너지절약_수정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아태연구(송석원) hwp

DBPIA-NURIMEDIA

°¨Á¤Æò°¡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¾Æµ¿ÇÐ´ë º»¹®.hwp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Jkafm093.hwp

DBPIA-NURIMEDIA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30322DBDC5B8EDC1F72E687770>

Microsoft Word - NEW08_prof. Ma

< BBF3B9DDB1E228C6EDC1FD292E687770>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BFA9BCBAC0C720C1F7BEF7B4C9B7C220B0B3B9DFB0FA20C3EBBEF7C1F6BFF820C1A4C3A5B0FAC1A62E687770>

82-대한신경학0201

!¾Ú³×¼öÁ¤26ÀÏ

Transcription:

中 東 硏 究 2010년 제29권 1호, 31-51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장 병 옥 * 1) 차 례 Ⅰ. 서 론 Ⅱ. 분쟁의 배경과 원인 Ⅲ. 체첸-러시아 분쟁 발발의 과정 Ⅳ. 결 론 * 한국외국어대학교 이란어과 교수

32 중동연구 제29권 1호 <Abstract> The Cause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Chechen-Russian Conflicts Chang, Byung-Ock (HUF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development of the Chechen-Russian conflicts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these areas. Russia and Chechnya entered into a stage of war, which lasted over the past few years, when Chechnya advocated its independence. Even though Russia faced many internal or external problems at that time, the Russian government did not accept their independence. It is because their independence can cause the loss in Russian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and geopolitical interests. If Russia approves the independence, minor ethnic groups in Russian Federation may also require their independence. Moreover, Chenchnya is one of the countries which contributes to Russian economy with its massive oil deposits.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Chechnya is also an element which Russia cannot give up its right in Chechnya. Furthermore, Russia worried the spread of Chechen Islam in Russian Federation. Terrors against each other have been still continued even after the election of the President Khadyrov who is pro-russian figure. Thus, it is not certain when the conflict between both countries can be settled. Key Words: Chechen-Russian conflict, Chechen independence, Oil, Islam, Terror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33 Ⅰ. 서 론 체첸 민족을 위시한 북 카프카스 여러 소수민족들이 온갖 고초를 겪으면서 까지 2세기 이상에 걸친 對 러시아 무장투쟁을 줄기차게 전개해 온 이유는 무 엇이고 과연 그 힘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그들은 이교도 러시아인을 자신 들의 신성한 영토에서 몰아내고 독립된 조국 즉, 체첸 민족국가 를 건설하려 는 단순한 이유 이외에 다른 어떤 목적도 없다. 그리고 그들이 소비에트 공산 주의 치하에서의 민족말살 정책에 굴복하지 않고 오늘날까지 버텨온 힘은 이 슬람주의 와 민족주의 2) 를 양축으로 하는 그들의 정신적 구심점 때문일 것이 다.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정책으로 소연방이 붕괴되고 연방 내의 각 민족이 주권을 회복하자, 체첸 민족도 독립의 열망에 휩싸이면서 1991년 11월 독립 을 선포했다. 체첸 분쟁은 소연방 붕괴의 혼란기에 이슬람주의자들이 모스크 바 당국의 경고와 위협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이슬람 국가 수립을 선포 함으로써 시작된다. 또한 이 당시 체첸 민족주의자들 역시 탈러시아 체첸 민 족국가 수립을 위한 독립투쟁을 전개했는데, 그 중심에는 제2의 이맘 샤밀 로 추앙받은 체첸 민족의 전설적 영웅 두다예프(Zhoukhar Dudayev) 가 있 었다. 그러나 모스크바 정부는 체첸 자치 공화국의 독립선언이 소연방 내 다른 자치 공화국들에 분리주의운동을 확산시키고, 카스피 해저 광상의 경제 이권 을 상실할 것을 우려하여 체첸에 대한 무력 진압에 나섬으로써 1994~96년 과 1999~2000년에 걸쳐 두 차례나 체첸-러시아 분쟁이 발생하게 된 것이 다. 제1차 분쟁은 러시아가 평화협정을 맺고 군대를 철수하면서 종식되었으 나, 제2차 분쟁은 러시아가 강력한 군사작전을 펴 체첸의 대부분 지역을 장악 함으로써 끝났다. 그러나 체첸 역사에서도 반복되었듯이 체첸 남부의 카프카 스 산악지대로 피신한 체첸 저항군 3) 이 지하화하여 지속적으로 게릴라전을 펼 2) 민족주의와 이슬람에 대한 내용은 다음 논문을 참조할 것; Mirbagheri, F. Nationalism and Islam. The Iran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12, No. 4 (2000-2001).

34 중동연구 제29권 1호 치고 있어서 체첸-러시아 분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09년 12월, 러시아 열차 테러에 체첸군이 개입한 것으로 밝혀졌을 뿐만 아니라, 2010년 들어서도 체첸 남부에서 러시아군과 체첸군 사이의 교전이 벌어져 인 명피해를 내기도 했다. 여기에서는 체첸-러시아 분쟁의 갈등 요인과 배경, 제1-2차 분쟁의 전개 과정, 그리고 분쟁 후 지금까지의 최근 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향후 이 분 쟁이 재발하여 제3의 체첸 전쟁으로 치달을 경우 이 지역 평화와 안보에 위 협이 될 것이므로 우리의 큰 관심사가 되지 않을 수 없다. Ⅱ. 분쟁의 배경과 원인 체첸 민족의 對 러시아 무장투쟁에서 이교도에 대한 지하드(Jihad)를 강조하 는 수피 이슬람의 영향을 받은 종교지도자들이 민족주의운동을 주도했다. 이 런 과정에서 수피 이슬람에 근거한 민족정체성을 중심으로 강한 민족의식이 고취되었다. 지배민족인 러시아인에 대한 뿌리 깊은 적개심과 문화적 동화에 따르는 이슬람 민족정체성의 상실감의 위험에 처한 이 지역 소수민족들의 이 러한 저항적 민족주의가 북 카프카스의 분쟁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 서 북 카프카스의 민족문제와 이슬람간의 관계의 규명이 이 지역 분쟁의 배 경과 원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3) 러시아 지역 연구학자들이나 언론에서는 주로 체첸 반군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 으나 이러한 표현은 다분히 강대국적 시각에서 바라본 용어이다. 이슬람 지역연구학 자인 신양섭 박사는 그의 논문에서 반군이라는 표현 대신에 보다 객관적인 체첸 저 항군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체첸인들은 그들의 무장 독립투쟁을 지하드 (Jihad: 성전) 또는 민족해방 전쟁 으로 규정한다. 반면 러시아 당국은 체첸 반군들 의 저항을 전쟁 이라 하지 않고, 반테러 작전 이라고 규정한다. 체첸을 정식 국가 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쟁 이란 용어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러시 아 시각에서 분쟁 이라는 용어 사용도 적합하지 않을 것이나, 본 논문에서는 체첸- 러시아 분쟁 이나 체첸-러시아 전쟁, 그리고 체첸 반군 과 저항군 또는 무장 독립 투사 라는 표현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35 1. 민족주의와 민족 간의 갈등 민족 간의 긴장과 갈등의 요인은 다양하다. 내부적 식민주의(internal colonialism) 이론 4) 에 따르면 지배민족과 종속민족간의 정치, 경제, 사회적 불평등, 산업화에 따라 상승하는 기대감과 현실의 불일치에서 나오는 상대적 박탈감, 다른 민족의 민족주의에 자극을 받아 생기는 심리적 반발과 저항, 역사적 사실에 기인한 민족 간의 증오심과 문화적 요인 등 민족분쟁의 원인 은 다양하다. 제국주의국가나 다민족국가에서 지배민족은 피지배 민족주의의 불씨를 제거할 목적으로 종속민족의 언어와 종교를 말살하기 위한 언어 문화 적 동화정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문화적 동화정책에 대하여 어떤 종속민 족이나 소수민족은 저항 없이 동화되고, 일부 다른 민족은 반발하여 모국어와 고유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민족주의운동을 펼친다.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 사회적 불평등 못지않게 문화적 동화정책도 민족주의운동의 한 원인이 된다. 민족주의적 경향이 강한 구소련의 소수민족 공화국들은 소련 통치 말기부 터 정치 경제적 권한 확대에서 시작하여 문화적 자치권의 획득, 주권선언, 분 리주의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민족주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민족이 민 족의 이익이나 가치를 어떤 다른 정치적 이익이나 가치보다도 우선시하는 정 치적 이념인 동시에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영토 또는 지역에 독립국가를 건설하려는 정치적 운동이다. 이러한 조상의 땅에 대한 연 고권에 대한 집착은 곧 타민족에 대한 배타성으로 발전될 수 있다(China& Kaiser 1996, 22-23). 또한 앞서 언급한 내부적 식민주의 이론에 따르면 다민족국가에서 소수의 지배민족과 다수의 피지배민족간의 지배와 종속의 관계가 확립됨으로써 양 민족 간의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 중심지역의 소수의 지배민족은 다수의 종 속민족이 거주하는 주변이나 변경지역을 식민지로 여기고 경제적 수탈을 자 행한다. 따라서 지배민족과 피지배민족간의 경제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기 4) 내부 식미주의에 대한 자세한 이론은 다음 책을 참조할 것; Hechter, M., Internal Colonialis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1975).

36 중동연구 제29권 1호 때문에, 종속민족은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민족주의운동을 벌이게 되는 것이다. 민족 간, 지역 간 경제 사회적 불평등이 다( 多 )민족 다( 多 )영토 국가에서 민족 간의 긴장을 증대시키는 촉매작용을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또 한 경제 사회적 요인외의 다른 심리적 문화적 요인도 민족주의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민족주의는 개인이나 집단의 기대감과 그것을 성취하려는 능력 간의 격차에서 생길 수 있다. 소련 시절의 대중교육 기회의 확대는 중앙아시 아 및 러시아 연방 변경지역 소수민족 젊은이들의 신분 상승의 기대감을 높 였지만, 그것은 이미 고위직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인들 때문에 좌절 되고 만다. 이러한 결과, 그들에게 러시아인에 대한 폭력을 행사하는 반발적 민족주의(reactive nationalism) 가 나타났다(문명식 2000, 68-72). 종속민족에 대한 지배민족의 행동은 수용, 동화, 회유에서 강제추방, 민족 청소, 대량살육에 이른다. 이에 대해 종속민족의 대응은 이주, 묵인과 적응에 서 심리적 정치적 거부, 주권선언과 같은 법률적 대항, 폭력적 저항, 분리주의 및 독립운동까지 포함한다. 종속민족으로서의 체첸 민족은 다음과 같이 지배민족인 러시아인에게 대응 했다. 먼저, 이들은 다른 민족이 경험하지 못한 강제 이주기간 동안의 쓰라린 고초를 통해서 러시아인에 대한 뿌리 깊은 증오심과 강한 민족정체성을 키웠 다. 게다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살펴보면, 그들은 이슬람 이 강조하는 이교 도 러시아인과의 지하드를 벌린 경험도 있다. 또한 체첸은 종속민족의 대응 중 하나인 분리 독립을 하기 위한 바탕인 경제적 자립의 재원이 될 수 있는 유전과 정유산업을 갖고 있다. 체첸은 100여 년 전 부터 석유생산으로 널리 알려진 바 있으며, 볼셰비키 혁명 이전,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의 석유생산 기지는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다음으로 러시아에 가장 중요한 지역이었다. 1980년 체첸은 1500개의 유정으로부터 연간 740만 배럴을 생산했고, 1991 년에 그로즈니 정유시설에서는 연간 1천 7백만 톤을 정제했다. 1993년에는 서시베리아산 석유를 정유하여 수입이 8억 달러에 달해 체첸 경제의 자립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혼란과 내전으로 이 정유 산업이 위협을 받으면서 경제난 이 가중되자 두다예프의 통치에도 타격이 되었다(Johnson 2007, 142), 그러나 체첸을 통과하는 주요 송유관으로부터 나오는 통행세도 상당하고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37 또한 체첸 지역 내에도 막대한 석유 매장량이 산재해 있다. 옐친은 두다예프 를 불신하고 있었던 것을 이유로 체첸을 침공했으나, 실제로는 체첸의 석유 통제권을 완전히 장악하고자 하는 의도 역시 있었다(Ibid. p.141). 또한 체첸이 러시아에게 보다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교통의 요지 라는 점이다. 이곳을 통하여 러시아와 트랜스카프카스에 철도가 운행되고, 1994년 9월에 안전상의 이유로 러시아 측에서 중단하기 전까지 매일 8회의 항공편이 연계수송을 맡았다. 교통의 중심지라는 장점은 체첸으로 하여금 근 동지역을 교역대상으로 하는 최대 무역지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체첸의 지리적 또는 경제적 중요성은 이곳을 둘러싼 주도권 다 툼으로 이어지게 했다. 오늘날 러시아로 운송되는 물자는 주로 두 가지 통로 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발틱 통로와 체첸을 경유하는 카프카스 통로이며 분쟁의 시작은 이 두 통로를 장악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 이것이 바로 체첸- 러시아 분쟁 원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 북 카프카스의 민족문제 옛 소연방의 민족문제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민족별 인구 구성비, 경제 사 회적 요인, 문화적 동화의 상태, 민족탄압 및 강제 이주 같은 역사적 사실에 기인한 민족 간의 증오심과 상대적 박탈감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러시아-체첸간의 정복과 저항으로 점철된 역사 속에서 형성된 반러시아 감 정 때문에 대체로 북 카프카스 민족들의 러시아 문화로의 동화수준은 매우 낮다. 그중에서도 러시아 제국과의 무장투쟁을 주도함으로써 강제로 이주 당 했던 경험을 갖고 있는 체첸인이 러시아어와 문화에 가장 적대적이다. 그 다 음으로 러시아어와 문화에 적대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민족은 잉구쉬인이 다. 그러나 다게스탄의 여러 소수민족은 소수비율로 인구를 구성하고 있기 때 문에 민족 간의 의사소통 언어로서 러시아어가 필요했고, 이 때문에 러시아어 와 그 문화를 어느 정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한편, 북 오세치아인의 러 시아 문화로의 동화수준은 북 카프카스 지역에서 가장 높아서 인구의 대부분

38 중동연구 제29권 1호 이 러시아 정교를 믿고 있으며 공화국 내의 러시아인과 모스크바 중앙정부에 대하여 우호적이다(문명식 2000, 86). 전 세계적으로 민족문제와 민족에 대한 이해, 정책간의 괴리는 피지배 민 족에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었고, 바로 이러한 점들로 인하여 그 동안 억눌려 왔던 민족갈등은 소연방 붕괴 후 가장 터부시했던 개별 민족 독립국 가 설립의 욕구로 분출되어 나왔으며 체첸 분쟁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일어 났다.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분리주의운동은 무엇보다도 연방제도의 결함에 있 다. 소수민족에게 공화국의 지위와 그에 따른 정치적 지위를 제공한 볼셰비키 민족정책의 유산은 러시아 연방을 민족에 의해 분할된 제도로 만들었고, 자치 권을 가진 민족들은 민족국가로의 발전을 원하게 된다. 하지만, 모든 민족 공 화국이 연방으로부터의 탈퇴와 독립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러시 아 연방의 자치 공화국에서 소수민족이 다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체첸 민족은 자신들의 공화국에서 총인구의 2/3를 차지하고 러시아인은 1/5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소수민족들보다 분리주의운 동이 일어나기 더 유리한 입장에 있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체첸 사태를 모 두 설명하지는 못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체첸 분쟁을 분리주의운동의 결정 요인별로 살펴보게 되면 다음과 같다(고상두 1997, 94-95). 우선, 체첸 민족은 인종, 종교, 문화에서 러시아와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 니라, 역사와 심리 면에서 반러시아 감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분리 독립을 지향하는 강렬한 민족의식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체첸 민족은 부족 공동 체적인 전통적 구조에 의해 결속되어 있고, 이러한 조직이 두다예프에 의해 정치적으로 강화되고 동원되었다. 세 번째로 체첸 민족은 공화국의 지위를 가 지고 있었다. 초기에는 잉구쉬 와의 공동 공화국이었으나, 잉구쉬와의 분리를 시도하고 이것을 연방으로부터 승인받음으로써 보다 나은 협상력을 가지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체첸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에서 가장 먼저 옛 공산당 권 력구조를 무너뜨린 공화국이다. 새로운 계층이 지배 엘리트가 되면서 권력의 정통성을 토착민족으로부터 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분리주의운동을 해왔던 체첸 민족은 제2차 세계대전을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39 승리로 이끈 스탈린에게 보복의 첫 번째 대상이 되었다. 결국 스탈린은 1943 년 이들이 나치 독일군에 부역했다는 이유로 체첸 민족을 강제 이주시켰다. 1944년 2월 29일 당시 KGB의 전신인 NKVD 의장이었던 베리아가 스탈린 에게 보낸 전문에 의하면 이주는 2월 23일 고산지대의 소수를 제외한 대다 수 지역에 걸쳐 시작되어 2월 29일까지 잉구쉬인 91,250명 포함하여 총 478,479명이 강제 이주 특별 화물열차에 실렸다.180개 화물열차 가운데 159대가 새로운 정착지로 보내졌다. 이후 체첸-잉구쉬 자치공화국은 현재 체첸의 수도인 그로즈니의 한 구역으로 편입되어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유의 정 2000, 71-72).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한 후 체첸인들을 위시한 여러 소수민족의 자치가 복원되기 시작하였다. 스탈린 사후 체첸 민족이 강제 이주당한지 13년이 지 나서, 흐루시초프는 유화정책으로 체첸인들의 귀환을 허용했다. 1956년부터 흐루시초프는 스탈린 격하운동의 일환으로 그의 소수민족 탄압정책을 강력히 비난하며 이를 원상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더 나아가 그는 체첸족과 잉구 쉬족의 옛 영토를 회복시켜 다시 체첸-잉구쉬 자치 공화국 을 수립하도록 지 원하는 조치를 취했다. 소련 공산당 중앙위는 같은 해 11월 24일 불법적인 강제 이주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고 체첸인과 잉구쉬인의 귀환기간을 1957-60년 사이로 설정하였다. 1957년 1월 9일 흐루시초프에 의해 체첸- 잉구쉬는 소연방내 한 구역으로 정식 편입되었고 1957년 한 해에만 약 5만 가구의 체첸인들이 귀향했다. 이러한 사실들은 자연히 이후 체첸 지역으로 다 시 돌아온 체첸인들과 이주자들 간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58년 수도 그로즈니에서의 체첸인들과 러시아인들 사이의 충돌이었다. 모 스크바 당국은 체첸 민족의 불만을 인위적으로 봉합하면서 사태를 수습하려 했으나, 소연방 시기 체첸의 민족주의와 반러시아 감정은 밖으로 분출되지 못 한 채, 억눌려 있었다. 3. 이슬람 요인과 지하드 문화의 구성 요소 중 언어와 종교는 민족정체성의 근간을 이룬다. 언어는

40 중동연구 제29권 1호 민족구성원간의 의사와 감정, 사고를 교환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 히 종교는 특정 민족의 가치관, 사고방식, 윤리, 도덕, 관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민족정체성의 정신적 구심점이 된다. 지리적으로 체첸 지역은 동서양을 연결하는 문명의 교차로에 위치하고 있 기 때문에 여러 차례에 걸친 이민족들의 침략을 통해 종교적으로도 기독교 및 이슬람 세력의 영향을 각각 받게 되었다. 이슬람 이전, 카프카스 지역에 불교도 전파되었었지만 체첸 민족의 대부분은 자연-동물숭배 등의 토속 신앙 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고대 체첸 민족의 사원 벽면에서 십자가를 비롯한 기 독교 문양들의 흔적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기독교는 이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신양섭 1999, 32). 반면, 이슬람은 북 카프카스의 여러 민족을 결집시키는 정체성의 구심점이 되었다. 이들 소수민족들은 이슬람 지도자들의 종교적 명령에 따라 러시아의 침략에 대항하며, 지금까지 분리주의운동에 대중의 지지를 동원하기 위해 이 슬람의 종교적 유대감에 의존하고 있다. 이슬람은 체첸인들 사이에 민족적 문 화적 자아인식의 중심 요소가 되었다. 체첸 사회에는 계층이 존재하지 않으 며, 샤리아 즉, 이슬람법이 공동사회의 규율이 되었다. 이슬람은 체첸인들의 공식 종교이고 그 역할은 단지 신앙 면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들 의 의식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체첸인들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있다. 특히 이슬람은 체첸-러시아 전쟁 중에 보여준 체첸 민족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근의 정치, 경제, 사회적 영역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사실상 체첸의 정치권 내에 종교계의 영향이 구체화된 것은 소연방 붕괴로 인한 정치적 변화를 겪는 과정에서부터였다(유의정 2000, 67-68). 과거 공산당 지도자와 관료들이 불참한 가운데 치러진 1991년 10월 27일 체첸 대통령 및 의회선거에서 새로운 체첸 정부의 이념적인 부분은 바로 종 교에 기초했다. 오늘날의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종교계 지도자들 이 체첸 공화국의 많은 요직을 차지했다. 체첸 신정부는 대중 매체와 출판물 을 통해 이슬람 국가의 설립을 가장 먼저 공표하였다. 최근 발생한 대다수 지 역적 차원의 민족분쟁은 민족정체성 확립의 핵심토대가 되는 종교적 요인, 즉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41 이슬람 요인 과 직간접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박정호 2005, 48). 이처럼 탈 냉전기 신국제질서 환경 속에서 문명충돌의 핵심기제 로서 대두되기 시작한 이슬람 요인은 해당지역의 분쟁을 한층 더 첨예화시키는 갈등 변수로서 작용 하였다. 이슬람은 16세기 경 체첸을 위시한 북 카프카스 지역에 본격적으로 전래되 면서, 다양한 민족집단을 결집시키는 중심축의 역할을 했다. 1772년 러시아 군이 북 카프카스 지역의 정벌에 나섰을 때, 러시아군은 이슬람 정치 종교지 도자 만수르(Sheikh Mansur)가 이끄는 체첸과 다게스탄의 무슬림들의 조직 적인 저항에 직면했다. 만수르는 이슬람의 깃발 하에 모든 북 카프카스 종족 을 결속시켜 이교도 러시아군과의 전투를 벌려 큰 타격을 입혔다. 1791년 그 는 러시아군에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교도소에서 복역 중 2년 후인 1793년 옥사했다. 러시아군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북 카프카스의 무슬림 세력 의 저항은 수그러들었다. 5) 러시아 역사에서는 이것을 제1차 카프카스 전쟁 (1785-1791)이라 부르고, 그 후 종교지도자 이맘 샤밀(Imam S. Shāmil)의 주도로 일어난 강력한 對 러시아 무장투쟁을 제2차 카프카스 전쟁 (1834-1859)이라 부른다. 한편 이슬람 역사에서는 이러한 이교도에 대한 저 항이나 무장투쟁을 지하드(Jihad: 聖 戰 ) 라고 기술하고 있다. 제1차 러시아-오스만 터키 전쟁(1768-1774년)에 이어 일어난 제2차 러시 아-오스만 터키 전쟁(1877-78년)에서 살아남은 북 카프카스 지역의 이슬람 무장투사들 역시 對 러시아 지하드를 선포하고 결사 항전했으나 실패했다. 북 카프카스 이슬람계 민족의 이러한 러시아에 대한 지하드 운동의 전통은 지속 되어 소련 정권이 수립된 이후에도 잠재적인 위협이 되었다. 옛 소련 정치지 도자들은 마르크스의 무신론에 입각하여 종교탄압의 일환으로 이슬람 교세의 약화 및 이슬람계 민족의 단결을 차단하려고 노력했다. 공산주의 이데올로기 에 바탕을 둔 종교와 민족의 차이를 초월하여 소련의 다민족을 통합시킬 정 5) 북 카프카스 지역의 이슬람 전래과정과 무장투쟁의 상세한 역사에 대해서는 러시아의 이슬람 전래의 역사를 참조할 것. 체첸인들의 대러시아 무장투쟁의 역사에 관해서 다 음 문헌을 참조함: Muhammad Iqbal Khan, The Muslims of Chechnya: Struggle for Independence (Leicester, United Kingdom: The Islamic Foundation, 1995).

42 중동연구 제29권 1호 체성을 확립하려는 그들의 정책은 성공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이슬람이 사라 지지 않고 급진주의화 되자, 이를 차단하기 위해 소비에트 정부는 친정부적인 공식적 이슬람(official Islam) 을 창안하고 국가가 인정한 물라(mullah) 제도 와 등록된 모스크 설립을 허용했다(Johnson 2007, 63). 소련 말 개혁 개방정책이 시작됨에 따라 다른 비러시아계 민족들처럼 북 카프카스의 이슬람계 민족들은 민족정체성의 회복과 민족문화의 부흥의 차원 에서 이슬람 부흥운동을 활발히 벌였다. 이슬람계 공화국에서는 모국어의 학 교 교육과 공용어 채택과 함께 이슬람 부흥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었다. 민족정 체성의 회복차원에서 민족문화의 일부인 이슬람은 민족주의자들과 정치지도 자들의 지원 하에 부흥되기 시작했다. 민족주의운동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모 으기 위해 민족주의자들은 대중의 종교적 유대감을 공유하고 있는 이슬람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 이슬람은 비이슬람계 민족 및 정치체제에 대한 민족주 의운동에 무슬림의 대중적 지지를 동원하는데 기여했다. 1990년대 초, 북 카프카스 지역의 다게스탄과 체첸 공화국에서 러시아로부 터의 정치, 문화, 민족적 분리 독립을 주장하는 지역 이슬람 단체들이 등장했 다. 예를 들면, 체첸 공화국의 이슬람 길당(Islamic Way Party), 다게스탄의 이슬람 민주당(Islamic Democratic Party) 등이 창당된 것이다(Aleksei 1995, 38). 이들 단체는 이슬람 교리와 가치관의 전파를 언급했지만, 결국에 는 소수민족과 지역주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치적 활동을 했다. 고르바초프 의 개혁정책이 실시된 후에 모스크 및 코란 전수( 傳 受 ) 학교가 신축되고 수피 이슬람이 더욱더 세를 확장하게 됨에 따라 체첸의 이슬람 민족주의자들은 지 지 기반을 넓히게 된다(문명식 2000, 77). 그들은 체첸의 독립을 저지하기 위해 침공한 러시아군과의 투쟁을 지하드 로 규정하고 세계 무슬림들의 지원을 호소했다. 또한 체첸의 두다예프 추종자 들 역시 소련 지역의 무슬림뿐만 아니라 세계 이슬람권 국가들의 지원을 얻 기 위해서 러시아군과의 전쟁을 이교도와의 지하드라고 선포했다. 실제로 체 첸 공화국 주위의 다게스탄 및 잉구쉬치아의 자발적인 이슬람 무장투사들이 체첸 이슬람 저항군에 가담하여 러시아군과 싸웠고, 이란이나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이 체첸군을 지원했다는 주장도 있다. 체첸-러시아 분쟁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43 초기에 양식있는 무슬림과 러시아 기독교도의 다수는 체첸 전쟁을 종교분쟁 으로 해석하기를 거부했다. 그러나 러시아와 서방의 언론매체들은 체첸 전쟁 의 민족적인 분쟁의 요인을 무시하고 종교적인 측면을 과장해서 보도하며 문 명충돌론적 시각으로 몰고 가는 경향도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역사적으로 이슬람은 러시아의 식민침략에 대 항하여 북 카프카스 여러 민족들을 단결시켜 무장 저항세력을 형성하는 구심 점이 되었다. 이슬람 지도자들은 러시아에 대한 무장투쟁을 지하드로 규정하 여 무슬림 민족들을 동원했는데, 이러한 지하드의 전통은 오늘날의 체첸 공화 국의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Ⅲ. 체첸-러시아 분쟁 발발의 과정 결코 양립할 수 없는 앙숙관계인 체첸과 러시아 간의 분쟁은 그 역사가 깊다. 이들 간의 역사는 대부분이 러시아의 지배와 체첸의 저항으로 점철되어 있다. 소연방 붕괴 이후 벌어진 체첸-러시아 간의 두 차례에 걸친 분쟁은 민 족 멸망의 위기에까지 몰렸던 체첸인들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무장투쟁에 기인한 것이다. 체첸에서의 유혈 충돌은 일차적으로 체첸-러시아 두 민족 간 언어, 인종, 종교, 풍습, 정치사회적 제도 등의 차이에서 비롯된 민족분쟁의 성격을 띤다. 그리고 그 발단은 오랜 기간 러시아 제국의 압제에 억눌려왔던 체첸인들이 자신들의 정치경제적 주권과 민족적 이익을 되찾기 위해 러시아를 상대로 조 직적인 저항을 하면서부터 야기된다(홍완석 2005, 238). 체첸의 민족 독립운 동의 배후에는 체첸인으로서는 최초의 유일한 소련군 장성이었던 두다예프 6) 6) 두다예프는 1944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정책의 시행이 시작되기 몇 주 전에 체첸의 산악지대에서 태어나 이주된 카자흐스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군사학교를 마치 고 시베리아, 우크라이나, 아프가니스탄, 에스토니아 등지에서 소련 공군으로 근무한 인물이다. 체첸에서 생활한 적도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첸 언어를 잘 구사하였 으며 강한 민족의식을 가진 강직한 성격의 인물로서 체첸 민족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44 중동연구 제29권 1호 라는 인물이 있다. 1990년 여름, 당시 소연방 에스토니아 공화국의 타르투 주둔 공군 사령관이었던 두다예프 장군이 같은 해 11월 예편하고 체첸으로 귀향해 체첸 민족회의 를 결성하여 강력한 정치단체로 발전시키며 체첸을 잉 구쉬와 분리하고 러시아 연방으로부터 탈퇴한다고 선언했다. 이와 같이 체첸 의 저항이 표면화된 계기는 1990년 11월 25일 체첸 민족회의 가 결성되고, 체첸-잉구쉬 자치 공화국이 11월 27일 주권 선언을 채택한데 있다. 체첸 민 족회의는 처음으로 체첸의 권익과 민주화를 위해 투쟁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 으나 두다예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고 난 이후에는 러시아 공화국으로부터의 완전 분리 독립을 표방하게 되었다. 두다예프는 1991년 6월 두 번째로 열린 체첸 민족회의의 의장으로서 선언문을 통하여 체첸은 소연방에도 러시아 공 화국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다 라고 선포했다. 이와 동시에 체첸 민족회의 의 최고위원회는 그들이 새로운 공화국 내의 유일한 합법적 최고 권력기관임 을 밝혔다(유의정 2000, 78). 1991년 8월 고르바초프 대통령을 축출하려던 쿠데타 발발 당시 두다예프 는 그로즈니에서 대규모 시위와 함께 총파업을 주도하였고, 9월 6일 공화국 정부 청사를 무력으로 장악하였는데, 이는 체첸의 국가권력이 기존의 공산주 의자 세력으로부터 민족주의자 세력으로 넘어감을 의미했다. 그해 가을까지만 해도 두다예프의 일방적 독립선언 움직임에 그 당시 러시아 정부는 별 신경 을 쓰지 않았다(Johnson 2007, 140). 그러나 1991년 10월 6일 체첸 민족회의 산하 국민방위대가 행정부 및 KGB 청사를 접수함으로써 사태가 심각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감지한 옐친의 수차례에 걸친 경고에도 불구하고 그로즈니는 완전히 두다예프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 27일 체첸 민족회의 의 최고위원회가 실시한 대통령 선거에서 두다예프가 압도적인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두다예프는 11월 2일 일방적으로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주권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옐친 대 통령은 체첸 공화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체첸-잉구쉬 자치 공화국에 경제 봉쇄를 단행하겠다고 위협하였다. 이에 대해 체첸 측은 자치 공화국 내의 러 시아 자산의 국유화를 선언했다. 옐친의 조치는 체첸 민족의 반러시아 감정을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45 격화시켰고, 두다예프를 체첸 민족의 영웅으로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 두다예프는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의 정체성을 이슬람에서 찾고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종교가 체첸 사회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 기 때문에 두다예프도 그의 권력기반을 다지기 위한 수단으로 이슬람에 의존 하였다. 그리하여, 1991년 11월 9일 그는 대통령 취임식에서 여타 이슬람권 국가의 수뇌처럼 코란에 손을 얹고 엄숙히 선서를 하였다. 당시 취임식에는 많은 종교 지도자가 그 자리에 참석하였는데, 심지어 멀리 요르단에서 온 종 교 지도자도 있었다. 이러한 상징적 행위를 통하여, 그는 러시아의 간섭이나 내부 반대세력을 반이슬람적 행위로 낙인찍고 규탄하였다(고상두 1997, 91). 두다예프는 독립국가의 기반을 강화하기 시작하였으며 1992년 3월 17일에 는 신헌법을 채택하였다. 신헌법은 모든 국민의 종교 자유를 인정하면서 정교 분리의 세속국가 건설을 명시하고 있다. 헌법은 각 민족 간 평등함과 러시아 어 및 체첸어를 공용어로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두다예프는 옐친 의 對 체첸 경제봉쇄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같은 해 3월 체첸을 관통하는 러시아 송유관을 폐쇄했다. 이에 러시아는 3월 25일 1억 5천만 루블을 체첸 에 제공했다(고재남 1996, 310). 그러나 체첸으로부터 러시아 기술자를 포함한 고급 인력이 추방되자, 체첸 의 경제는 급속히 악화되었고, 그 결과 반 두다예프 세력이 등장하여 정부에 반기를 들면서 폭력이 난무하여 체첸은 거의 내전 상태에 처해졌다. 모스크바 당국은 그 지역 불안정의 책임을 두다예프에게 돌렸다. 러시아군이 그 지역의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1992년 10월에 진주했을 때 거의 7만 명의 잉구쉬인 들이 탈출했다. 두다예프는 이것이 러시아의 對 체첸 침공의 전주곡이라고 주 장하며,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민 총동원령을 내렸는데 이는 자신의 지 도력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도 했다(Johnson 2007, 141). 체첸은 1993년 초 러시아 연방의 신헌법 승인과정과 12월 총선에 전면 불 참하면서까지 탈러시아 독립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하였다. 체첸의 독자적인 분 리주의 노선을 결코 묵과할 수 없었던 옐친 정부는 첫 번째 단계로 두다예프 의 반대세력에 대한 간접적인 군사지원을 계획했고, 이것이 실패할 경우, 두 번째 단계는 체첸에 대한 직접적인 무력 개입을 하고자 했다. 즉 크게 다음의

46 중동연구 제29권 1호 두 가지 직 간접적인 정책방안을 통해 체첸 사태를 수습하고자 하였다 7). 첫째, 두다예프 반대세력에 대한 군사지원을 통한 체첸 사태 해결의 정책 방안이다. 이는 체첸 내부 파벌간의 역학관계에 따른 권력투쟁을 적절히 활용 한, 반 두다예프 세력을 결집하여 친러시아 정권의 수립을 통해 체첸의 분리 주의운동을 차단하려는 소위 이이제이( 以 夷 制 夷 ) 정책 이라 할 수 있다. 전통 적으로 씨족단위의 이슬람 공동체에 생활을 영위해 왔던 체첸에는 험준한 산 악 지대에 160여개의 족벌들이 군웅할거하면서 병존해 왔다. 체첸 저항군 지 도자 마스하도프, 바사예프, 하타브 등이 對 러시아 항쟁에서 독자적인 군사작 전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에 이는 체첸 저항군들의 결속력을 저해시키는 요인 이 되고 있다(1994 홍완석 2005, 245). 둘째, 러시아 연방군의 직접적인 무력개입 방안이다. 이것은 두다예프의 반 대세력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정책의 실패로 인해 야기된 갈등상황을 해소하 기 위한 강공책이었다. 옐친 정부는 의회 및 행정부의 반대파 세력과 1993년 4월 경제난에 따른 수도 그르즈니에서의 대규모 군중시위로 인하여 한때 수 세적 분위기에 몰려 있었다. 그러나 옐친 정부는 같은 해 10월 의회를 강제 해산하고 12월의 러시아 연방 신헌법 승인을 통하여 체첸 무력 침공의 길을 열었다. 1994년 8월부터 11월까지의 체첸의 두다예프 정부 전복을 위한 친 러시아파의 반란이 실패로 돌아가자, 샤밀 바사예프 및 라만 살두예프가 저지 른 인질 사건 등을 구실로 옐친은 두다예프를 제거할 최후의 기회로 삼아 직 접적인 對 체첸 무력 침공에 나선다. 이것이 제1차 체첸-러시아 전쟁의 계기 가 되었다. 그러나 제1차 전쟁은 국내외의 여론의 악화에 따라 1996년 하사뷰르트 (Khasavyurt) 협약에 의해 잠정적으로 중단되었다. 모스크바 당국이 평화협 정을 체결하고 군대를 철수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 배했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다수이다. 1999년 8월 체첸 저항군이 다게스탄의 7) 두다예프를 실각시킴으로써 체첸의 분리주의운동을 약화시키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1994년 8월 모스크바에서 관계 장관들이 모여 비밀회의를 열었다. 러시아는 체첸 북부지역에 있는 반군에게 무기와 장비를 제공하였고, 11월 26일에 이들이 수 도 그로즈니를 공격하도록 했다. (고상두 1997, 92)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47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과 연대하여 북 카프카스 이슬람 공화국 의 건국을 선 언하자 이것이 또 다른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9월부터 모스크바를 비롯 한 러시아의 주요 도시에서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에 의한 연쇄 자살폭탄 테러 가 일어나자 러시아가 체첸 공화국에 군사작전을 감행하면서 제2차 체첸-러 시아 전쟁으로 비화되기 시작했다. 제1차 전쟁과 달리 제2차 전쟁은 러시아 의 대권 경쟁과 맞물려 옐친의 뒤를 이은 푸틴 정부가 강력한 군사작전을 펴 체첸의 대부분 지역을 장악함으로써 끝났다. 체첸에 대한 제2차 공격을 감행 한 이유에 대해서는 외환위기와 모라토리움 선언 이후 지지도가 급락한 옐친 정부의 인기를 끌어올려서 예정된 1999년 12월 총선과 2000년 대선에서 승 리하여 정권을 재창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감행되었다는 분석이 많다. Ⅳ. 결 론 체첸 분쟁은 세계 여러 곳에서 발발한 분쟁들과 몇 가지 면에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이 분쟁은 아프리카에서의 상황과 같이, 약소국이 지역의 강대국 또는 지배국에서 독립하려는 데에서 기인한 분쟁이다. 한편, 이 분쟁 은 코소보나 걸프전과도 유사한데, NATO를 위시한 연맹세력이 분쟁의 대의 명분으로 인도주의를 끌어들였다는 것이다. 셋째로, 분쟁으로 인한 사상자의 대부분이 일반 시민이었다는 점에서도 동티모르나 코소보, 아프리카 여러 지 역에서의 분쟁과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지정학적인 이권과 관계된다는 점에 서, 우리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모든 분쟁들과도 일맥상통한다. 8)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1-2차 체첸-러시아 분쟁은 본질적으로 민족독 립의 쟁취라는 점에서 기본 목표는 동일하다. 18세기부터 전개된 체첸의 對 러시아 항쟁과 20세기말과 21세기 들어서면서 일어난 체첸-러시아 분쟁의 최후 목표는 체첸 이슬람 민족독립국가의 건설로 귀결된다. 그러나 러시아 측 은 체첸의 독립투쟁과는 전혀 다른 러시아 연방의 붕괴를 막는 국가안보 차 8) www.globalissues.org/article/100/crisis-in-chechnya

48 중동연구 제29권 1호 원에서 분리주의를 차단해야만 한다 는 절체절명의 국가수호라는 사명감으로 체첸의 독립을 용인할 수 없는 입장에 있다. 따라서 러시아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체첸 독립운동을 저지할 수밖에 없었다. 체첸에서의 러시아 정책 과 행위에 대해 공개적인 비판을 한 것으로 유명한 러시아 언론인 폴리트코 프스카야 (Anna Politkovskaya)가 2006년에 살해된 것은 모스크바 당국이 소위 더러운 전쟁 을 은폐하려한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러시아 정부가 국내외의 많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체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는 주요 원인은 정치 경제 문화 지정학적 국가 이익의 요인 때문이다. 첫째, 정치적으로 체첸의 독립을 허용하면 러시아 연방 내의 150여개의 소 수민족들이 연이어 독립을 요구하는 도미노 현상을 초래하여 러시아 연방체 제 마저 해체될 수 있는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 최악의 상황에서 러시아는 현재 소유분의 25%까지 손실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9) 둘째, 경제적으로 카스피해 연안은 에너지 자원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카스 피해는 21세기에 중동을 대체할 수 있는 막대한 원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국익의 사활지대이다. 특히 체첸을 경유하는 송유관은 러시아 연방의 경 제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셋째, 문화적으로 체첸은 기독교 세력과 이슬람 세력이 충돌할 수 있는 최 전선으로서, 이슬람 원리주의 확산을 막는 최후의 보루이다. 체첸을 위시한 카프카스가 이슬람권으로 재편될 경우 러시아 연방 내 3천여만명의 무슬림의 동요를 초래해 문명충돌 로 비화될 소지가 있다. 넷째, 지정학적으로 체첸 공화국은 카스피해와 러시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체첸 영토 자체 내의 수많은 유전은 러시아의 경제에 중요하다. 러시아 남부벨트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체첸은 양도할 수 없 는 국익의 사활지대이다. 체첸의 저항세력은 인접 카프카스 무슬림 공화국으로 분쟁지역을 확산시키 는 전략을 사용하여 외부의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개입을 유도하고 있다. 지 하드주의자(Jihadist)들은 기독교인 아르메니아, 그루지아, 그리고 러시아에 9) http://rehmat1.wordpress.com/2009/02/02/chechnya-without-chechens/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49 대항하여 범 카프카스 성전 을 일으키기 위해서 이 지역의 영토분쟁을 확산 시키고자 열을 올리고 있다. 체첸인들의 고통은 러시아 연방 내에 이슬람을 신봉하는 소수민족인 다게스탄, 잉구쉬치아, 타타르스탄 등의 분리 독립운동 을 촉발시켜 북 카프카스 전 지역이 혼란에 몰아넣어 러시아 남부 카프카스 지역의 안정과 안보를 해칠 것은 명약관화하다. 이 경우 러시아는 18세기부 터 시작하여 거의 3세기에 걸쳐 이 지역을 합병하여 연방을 형성하는데 들인 희생과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것이기 때문에, 체첸의 분리주의운동을 막기 위 해 군사력의 사용 등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것은 자명하다. 체첸에 대한 외세 침략의 역사에서도 반복되었듯이 제2차 분쟁 이후에도 지금까지 여전히 체첸 남부의 카프카스 고산지대로 피신한 체첸 저항군은 러 시아군을 상대로 계속 테러와 산악 게릴라전을 펼치고 있어서 체첸-러시아 분쟁의 불씨는 아직도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불안한 평화는 언제 깨질지 모른다. 주제어 : 체첸-러시아 분쟁, 체첸 독립, 원유, 이슬람주의, 민족주의 참고문헌 고상두(1997), 러시아 연방주의 현실과 체첸분쟁, 국제정치논총 37(2). 고재남(1996), 구소련 민족분쟁의 해부, 경남대학교 출판부. 문명식(2000), 체첸전쟁과 북 카프카스 지역의 민족문제, 유라시아연구 1(1). 박정호(2005), 북 카프가스 지역분쟁의 정치경제적 요인 분석, 슬라브연 구 21(2). 신양섭(1999), 중앙아시아의 러-체첸 분쟁연구, 중동연구 18(2). 유의정(2000), 체첸-러시아 분쟁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 16(2). 현승수(2009), 체첸 테러리즘과 이슬람 사이버 지하드, 대테러정책 연

50 중동연구 제29권 1호 구논집 제6호, 국가정보원. 홍완석(2005), 험난한 여정, 러시아의 체첸분쟁:원인과 경과, 그리고 전망, 한국정치학회보 39(3). Avtorkhanov, A.(1992), The Chechens and Ingush during the Soviet Period and its Antecedents, Marie Bennigsen Broxup et al., The North Caucasus Barrier. New York: St. Martin's Press. Blank, S(2000), "From Kosovo to Kursk", Korean J. of Defense Analysis, XII. No. 2. China, J. & R. Kaiser(1996), Ethnicity and Nationalism in the Soviet Successor States: Russians as the New Minority, Colorado: Westview Press, Inc. Dumlop, J. and R. Menon(2006), "Chaos in the North Caucasus and Russia's future", Survival vol.48 No.2. Hechter, M.(1975), Internal Colonialism,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Johnson, R.(2007), Oil, Islam and Conflict: Central Asia since 1945. London: Reaktion Books Ltd. Khan, M.I.(1995), The Muslims of Chechnya: Struggle for Independence, Leicester, United Kingdom: The Islamic Foundation. Maleki, A.(2001), Increased Political Risks in the Caucasus: Factor Analysis. Amu Darya : The Iranian Journal of Central Asian Studies Vol.5, No. 7, Tehran: IPIS. Mirbagheri, F.(2000-2001), Nationalism and Islam. The Iran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12, No. 4. Nemirovic, T.(2002), Leaders of Moscow War Party Nest in the Kremlin and Dream of World Revenge, Chechen Press. http://www.globalissues.org/article/100/crisis-in-chechnya

체첸-러시아 분쟁의 원인과 전개과정 51 http://rehmat1.wordpress.com/2009/02/02/chechnya-without-chechens/ http://www.swisspeace.ch/typo3/fileadmin/user_upload/pdf/fast/updates /2007/FAST_Update_Chechnya_1_2007.pdf http://news.bbc.co.uk/2/hi/europe/3293441.stm http://news.bbc.co.uk/2/hi/europe/6528427.stm http://foreignaffaris.org/20000301faessay26/rajan-menon-graham-e-fulle r/russia-s-ruinous-chechen-war.html http://terrorism.about.com/od/originshistory/tp/russia--chechnya--terro rism.htm http://www.infoplease.com/spot/chechnyatime1.html#2006 장병옥 소 속: 한국외국어대학교 이란어과 교수 연락처: 02) 2173-3141 이메일: changbo49@hanmail.net 투 고 일:2010.04.26 심 사 일:2010.05.10 게재확정일:201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