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42D30315FC0CCBDB4C6E4C0CCC6DB5F2DBFB5C8ADBBF3BFB5B0FC5FB0FCB6F7C8AFB0E65FBDC7C5C2C1B6BBE75FBAB8B0EDBCAD2E687770>



Similar documents
<31342D31345F B3E220BBF3B9DDB1E220C7D1B1B920BFB5C8ADBBEABEF720B0E1BBEA2E687770>

성인지통계

Contents iii

untitled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src.xls

1362È£ 1¸é


나하나로 5호

04 Çмú_±â¼ú±â»ç

『국가기술자격법시행규칙』 중 개정 규칙안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내지(교사용) 4-6부

Çʸ§-¾÷¹«Æí¶÷.hwp.hwp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2 -

10월 8~10일 베트남 메가스타를 탐방함 10월 8~10일 베트남 호치민을 방문하여 CJ CGV의 메가스타(Megastar)를 탐방했다. 메가스 타는 2005년 설립돼 현재 9개관 70개 스크린을 보유한 베트남 최대 멀티플렉스 사업자이다. 현재 직원은 800명에 이르

- 2 -

fl 2

60

학부모신문225호최종


I. 산업 분석 CJ CGV와 같은 문화 컨텐츠 산업은 다음에 소개하는 것이외에도 다양한 특징이 있지만 본 서에 서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특징만 설명하도록 한다. 독과점적 시장 문화 컨텐츠 산업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독과점적 시장이라는 점이다. 우리 모두가 다 알다

....pdf..

『국가기술자격법시행규칙』 중 개정 규칙안

2006

<C7D1B7F9C7F6C8B2B0FAC8B0BFEBC0FCB7AB28C3D6C1BE292E687770>

»ç¶ûÀÇ¿�¸Å7È£ÃÖÁ¾

PDF

Best of the Best Benchmark Adobe Digital Index | APAC | 2015

2013unihangulchar {45380} 2unihangulchar {54617}unihangulchar {44592} unihangulchar {49328}unihangulchar {50629}unihangulchar {51312}unihangulchar {51

일러두기 월별출생, 사망, 혼인, 이혼통계 우리나라국민이 통계법 및 가족관계의등록등에관한법률 에따라신고한출생, 사망, 혼인, 이혼자료를기초로집계하며, - 출생ㆍ사망 : 발생월기준으로지연신고등을추정하여합산함 ( 국내거주만집계 ). - 혼인ㆍ이혼 : 신고월기준으로집계함 (

hwp

??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10월추천dvd

BT.709 DCI BT [ 1] TTA Journal Vo

Special 신설 해외 법인 Relay Quiz 128 글_홍주의(홍보실) 두산의브랜드 에센스는 무엇일까요? 글로벌 두산 기치 아래 신흥시장 공략, 제2의 도약 나선다! 잇따라 법인 설립 -신흥 경제대국인 브라질 인도 중국에 -정보통신BU는 신설 미국법인 통해 글로벌

메디시티대구 실현촉진을위한 이벤트 ( 축제 ) 기획방안

0.筌≪럩??袁ⓓ?紐껋젾 筌

mo200706kor.hwp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bm hwp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No Title

0001³»Áö

2011

**09콘텐츠산업백서_1 2

±³º¸2012- ¾Ö´º¾ó-1218final

MRIO (25..,..).hwp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013지발-가을내지1004-4

<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3D6C1BEC0CEBCE2BABB2E687770>



스키 점프의 생체역학적 연구

¿¹»ê»ç¾÷Æò°¡(±âŸ)-¼öÁ¤.hwp

ÀÚ¿øºÀ»ç-2010°¡À»°Ü¿ï-3

±³º¸¸®¾óÄÚ-¾Ö´º¾ó


#³óÃÌ°æÁ¦ 64È£-Ä®¶ó¸é

¾Èµ¿±³È¸º¸ÃÖÁ¾

¾Ë±â½¬¿îÀ±¸®°æ¿µc03ÖÁ¾š



º»ÀÛ¾÷-1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31.[G ]사업장의 조명에 관한 기술지침.hwp

第 1 節 組 織 11 第 1 章 檢 察 의 組 織 人 事 制 度 등 第 1 項 大 檢 察 廳 第 1 節 組 대검찰청은 대법원에 대응하여 수도인 서울에 위치 한다(검찰청법 제2조,제3조,대검찰청의 위치와 각급 검찰청의명칭및위치에관한규정 제2조). 대검찰청에 검찰총장,대

더바이어102호 01~09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이제 CJ CGV는 영화 관람의 새로운 트렌드를 선도 하기 위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 일 환으로 CJ CGV는 프리미엄 상영관을 도입하며 라이 프 스타일적인 진보를 꾀했다. 세계 최초 리클라이닝 침대 영화관인 템퍼 시네마(Tempur Cinema),

연구노트


_1.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0CFB9DDB9E8C6F7BFEB292DC3D6C1BE2E687770>


CC hwp

<BFA9BCBABFACB1B8BAB8B0EDBCAD28C6EDC1FD292E687770>

3) 중국 시장은 현재 완다 등 7개의 주요 경쟁사가 있고 CGV는 현재 20개 사이트를 보유해 전체 18위다. 북경, 상해 등 1선급 도시에서는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관람객 보다 영화관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나면서 ATP가 정체될 가능성도 높다. 상해의 경우

단양군지

2015_학술 프로그램_2_4.21.indd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Transcription:

KOFIC Issue Paper_2014_Vol.01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 상영관 관람환경 표준화 지원사업 결과분석 총괄책임 : 최남식 (영화진흥위원회 기술지원부 부장) 책 임 연 구 : 조 성 민 (영화진흥위원회 기술지원부) 발행인 김의석 발행일 2014년 5월 30일 영화진흥위원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중앙로 55(우동) 경남정보대 센텀산학캠퍼스 13층 전화 (051)720-4853 / 팩스(051)720-4860 홈페이지 www.kofic.or.kr C 영화진흥위원회, 201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 상영관 관람환경 표준화 지원사업 결과분석 영화진흥위원회 기술지원부 조성민 / 영화진흥위원회 기술지원부

Contents 조사 개요 / 1 가. 조사 목적... 1 나. 조사 대상 상영관... 2 다. 조사 내용 및 범위... 8 실태조사 결과 / 11 가. 상영관 기본 정보... 11 나. 상영관 주요 조사 결과... 16 결론 및 제언 / 44 가. 주요 결과 요약... 44 나. 제언... 4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1. 조사 개요 영화상영관 1) 은 영리를 목적으로 영화를 공중에게 관람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법률적 정의를 거론하지 않더라도 상영관은 돈을 받고 거래되는 상품의 냉혹한 시장이며 영화라는 예술적 결과물을 관람객들에게 공개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관람객이 상영관을 찾는 목 적인 영화 관람이라는 결과적 차원에서 볼 때 중요한 점은 영화제작자가 관람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영상과 음향 등 영화를 구성하는 모든 것들을 상영관의 스크린의 크기, 시야각등 물리적 환경 과 영사 품질을 통해 최적의 상태로 구현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000년대 초반 복합 상영관의 등장으로 영화를 관람하는데 그치지 않고 외식, 물품 구매 등 관 람 문화의 변화를 고려해야겠지만 2013년 한 해 동안 상영관을 찾은 관람객은 2억명을 넘었으며 인구 1인당 연평균 영화 관람횟수 4.25회 2) 로 영화는 공중에게 쉽게 접근가능한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놀라운 성장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본 보고서의 범위를 벗어나는 일이지만 그중 몇 가 지 이유를 생각해 본다면 좋은 영화를 만들려는 제작자들의 노력과 영화를 사랑하는 관람객들이라 고 볼 수 있다. 이를 상영관에 국한하여 살펴본다면 관람객의 증가로 상영관 수익은 증가되었지만 그에 걸맞게 관람 환경이 개선되었는지 혹은 관람객은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디지털시네마로의 전환이 필름보다 나은 품질을 제공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가. 조사 목적 위원회 기술지원부는 복합상영관의 양적 팽창과 디지털시네마 도입으로 인해 상영관을 찾는 관 람객의 문화가 변화됨을 주목해 영화기술 표준화사업의 일환으로 필름과 디지털시네마의 국제규격 을 검토하여 상영관의 품질향상을 위해 기술적 요소에 집중한 상영관 관람환경 표준화 사업을 시 작하였다. 2005 3) 년 디지털시네마 도입 초기 전국에 디지털영사기가 설치된 7개 상영관을 시작으 로 2010년에는 본격적인 지원 사업을 시작하기 전 전국 상영관중 지역별로 10개 상영관을 선정하 여 세부적인 표준 측정 지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총 567개 상영관에 관람환경을 개선하는 지원 사업을 수행하였다. 이 조사는 그 중 최근 수행한 상영관 관람환경 표준화 사업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시네마로 자리 잡은 상영관의 실태를 파악하고 위원회 진흥사업 수립에 참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1)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0항 2) 2013년 한국영화산업 결산,p11 개관 3) 2005년(7개), 2010년(10개), 2011년(3D 상영관 전수조사), 2011년 ~ 2013년(567개) 상영관 지원사업 수행 1

나. 조사 대상 상영관 (1) 국내 상영관 현황 4) 2013년 전국 상영관 수는 전년도 314개에서 6.1% 증가한 333개를 기록했다. 2013년 스크린 수 는 최근 10년간 최고 수치인 2,184개로 지난해 대비 4.9% 증가하였다. 2013년 휴 폐관한 상영관은 9개, 스크린은 68개다. 또한 3D가 상영이 가능한 상영관 수는 2013년 859개관으로 지난해 830개관 보다 3.5%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4D가 상영가능한 관도 25개관으로 지난해 대비 4개관 늘었 는데, 이는 전체 상영관수 대비 40%에 달하는 비중이다. <표 1-1> 연도별 전국 상영관, 스크린 수 연도 총 관객(만 명) 상영관 수(개) 스크린 수(개) 좌석 수(개) 2004 13,517 302 1,451 297,584 2005 14,552 301 1,648 322,110 2006 15,341 321 1,880 354,691 2007 15,877 314 1,975 365,034 2008 15,083 309 2,004 362,657 2009 15,696 305 2,055 360,796 2010 14,681 301 2,003 349,640 2011 15,979 292 1,974 341,905 2012 19,489 314 2,081 358,659 2013 21,332 333 2,184 349,669 4) 2013년 한국영화산업 결산, 전국상영관 및 멀티플렉스 부분 재인용 2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그림 1-1] 연도별 전국 상영관, 스크린 수 2013년에 스크린이 늘어난 지역은 울산이 전년대비 38.5%로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광주가 21.6% 증가하며 107개의 스크린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충남(73개, 전년대비 10.6% 증가), 경북(94개, 전년대비 8.0% 증가), 전남, 대구, 서울에 이르기까지 대전(61개, 전년대 비 11.6% 감소)을 제외하고는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체 스크린 수 증가율은 지난해와 동일한 4.9%를 나타냈다. 서울은 15개의 스크린이 늘어 총 스크린 475개로 기록되었다. 이는 전년대비 3.3% 증가한 수치 다. 상영관은 전국적으로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부산과 세종, 강원, 충북 충남만이 변화가 없었 다. <표 1-2> 2013년 전국 상영관, 스크린 수 (단위 : 개) 상영관수 스크린수 좌석수 지역 2012 2013 전년 대비 전년 대비 전년 대비 2012 2013 2012 2013 증감수 증감률 증감수 증감률 증감수 증감률 서울 71 74 3 4.2% 460 475 15 3.3% 84,737 81,553-3,184-3.8% 부산 25 25 0 0.0% 182 183 1 0.5% 34,038 32,350-1,688-5.0% 대구 18 19 1 5.6% 125 131 6 4.8% 21,813 21,224-589 -2.7% 인천 16 17 1 6.3% 110 111 1 0.9% 18,425 18,327-98 -0.5% 광주 12 14 2 16.7% 88 107 19 21.6% 16,514 18,151 1,637 9.9% 대전 10 9-1 -10.0% 69 61-8 -11.6% 12,791 10,716-2,075-16.2% 울산 4 5 1 25.0% 26 36 10 38.5% 3,904 6,009 2,105 53.9% 경기 67 73 6 9.0% 453 486 33 7.3% 74,419 77,729 3,310 4.4% 3

상영관수 스크린수 좌석수 지역 2012 2013 전년 대비 전년 대비 전년 대비 2012 2013 2012 2013 증감수 증감률 증감수 증감률 증감수 증감률 강원 9 9 0 0.0% 62 62 0 0.0% 9,694 9,703 9 0.1% 충북 9 9 0 0.0% 70 72 2 2.9% 12,099 12,341 242 2.0% 충남 12 12 0 0.0% 66 73 7 10.6% 9,560 10,419 859 9.0% 전북 13 15 2 15.4% 74 77 3 4.1% 12,129 11,904-225 -1.9% 전남 7 8 1 14.3% 49 52 3 6.1% 7,591 7,426-165 -2.2% 경북 15 16 1 6.7% 87 94 7 8.0% 15,396 7,835-7,561-49.1% 경남 20 21 1 5.0% 125 128 3 2.4% 20,979 21,237 258 1.2% 제주 5 6 1 20.0% 30 31 1 3.3% 3,832 2,007-1,825-47.6% 세종 1 1 0 0.0% 5 5 0 0.0% 738 738 0 0.0% 총계 314 333 19 6.1% 2,081 2,184 103 4.9% 358,659 349,669-8,990-2.5% 2013년 전국 상영관의 83.5%가 멀티플렉스 5) 상영관이다. 지난해 대비 전체 상영관수와 멀티플렉 스 수는 각각 333개, 278개로 증가하였지만 멀티플렉스 상영관 비중은 전년대비 오히려 0.2%p 감소 하였다. 하지만 멀티플렉스의 스크린 수 비중은 94.9%로 지난해의 94.5%보다 0.4%p 올랐다. 지역 별로는 충북, 전남, 세종시가 모든 상영관이 멀티플렉스였다. 충북은 9개 상영관의 72개 스크린이 멀 티플렉스였으며, 전남은 총 8개 상영관 52개 스크린이 멀티플렉스였다.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독립 적으로 집계된 세종시는 1개 상영관 5개 스크린이 멀티플렉스였다. 멀티플렉스의 시장 점유율은 총 관객 수의 98.4%를 보이고 있고, 총매출 점유율도 98.6%에 이른 다. 전북지역의 경우 전체상영관 대비 멀티플렉스의 비중은 가장 낮은 60.0%를 차지했지만 관객 점 유율의 경우는 98.9%로 대부분의 관객이 멀티플렉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지속 적으로 지역상영관의 폐관 휴관 또는 대기업 멀티플렉스 체인으로의 전환이 반영된 현상이며 따라서 멀티플렉스의 관객 수가 90%가 넘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5) 영화진흥위원회는 전국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너스, CJ CGV의 직영 및 위탁 경영 지점과 기타 7개관 이상 모든 상영관 을 멀티플렉스로 집계하고 있다. 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 1-3> 2013년 멀티플렉스 비중 상영관 수 (개) 스크린 수 (개) 관객 수 (천명) 상영관 매출 (천원) 지역 전체 상영관 수 멀티 플렉스 상영관 수 멀티 플렉스 비중 전체 멀티 스크린 플렉스 수 스크린 수 멀티 플렉스 비중 전체 멀티플렉스 관객 수 관객 수 멀티 플렉스 비중 멀티 전체 상영관 멀티플렉스 플렉스 매출 상영관 매출 비중 서울 74 59 79.7 475 456 96.0 60,089 58,962 98.1 460,370,350 454,036,218 98.6 부산 25 22 88.0 183 178 97.3 17,209 17,065 99.2 122,315,533 121,421,297 99.3 대구 19 17 89.5 131 129 98.5 12,720 12,570 98.8 89,275,774 87,798,406 98.3 인천 17 13 76.5 111 100 90.1 10,610 10,333 97.4 78,009,550 76,422,701 98.0 광주 14 12 85.7 107 105 98.1 8,323 8,293 99.6 57,499,026 57,290,260 99.6 대전 9 6 66.7 61 49 80.3 8,025 7,404 92.3 57,343,638 53,006,794 92.4 울산 5 4 80.0 36 34 94.4 4,216 4,216 100.0 31,170,904 31,170,904 100.0 경기 73 66 90.4 486 471 96.9 46,668 46,297 99.2 338,338,179 336,002,932 99.3 강원 9 8 88.9 62 61 98.4 4,791 4,782 99.8 33,932,676 33,880,619 99.8 충북 9 9 100.0 72 72 100.0 5,369 5,315 99.0 36,781,479 36,429,338 99.0 충남 12 8 66.7 73 61 83.6 6,016 5,833 97.0 42,862,516 41,547,788 96.9 전북 15 9 60.0 77 61 79.2 6,105 6,040 98.9 42,122,475 41,761,931 99.1 전남 8 8 100.0 52 52 100.0 3,625 3,625 100.0 24,644,742 24,644,622 99.9 경북 16 14 87.5 94 92 97.9 6,309 6,289 99.7 44,372,377 44,246,603 99.7 경남 21 17 81.0 128 116 90.6 11,107 10,679 96.1 77,115,572 75,033,637 97.3 제주 6 5 83.3 31 30 96.8 1,840 1,834 99.7 13,084,154 13,052,513 99.8 세종 1 1 100.0 5 5 100.0 302 302 100.0 1,925,777 1,925,777 100.0 합계 333 278 83.5 2,184 2,072 94.9 213,324 209,839 98.4 1,551,164,722 1,529,672,34 0 98.6 * 상영관 수와 스크린 수는 2013년 12월~2014년 1월 16일 영화진흥위원회 자체 조사 근거. 따라서 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의 상 영관 수치와 다를 수 있음. * 멀티플렉스의 관객수와 매출액은 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 기준 주요 멀티플렉스 체인은 CJ CGV(이하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6) 의 총 3개이다. 전체 상영관 중 3대 멀티플렉스 체인의 상영관 수는 270개로 81.1%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2012년 79.6%보다 약 1.5% 상승하였다.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스크린 수는 2,072개로 전체 2,184개 스크 린 가운데 94.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비중이 거의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체인 6) 메가박스와 씨너스는 2011년 합병했고, 명칭을 메가박스로 정했다. 5

상영관을 제외한 전국 멀티플렉스 상영관은 8개 상영관, 76개 스크린으로 2012년에 이어 지속적 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표 1-4> 2013년 3대 멀티플렉스 (단위 : 개) 2012 2013 구분 상영관 스크린 수 수 좌석수 상영관 수 증감 수 전년 대비 증감 (%) 스크린 수 증감 수 전년 대비 증감 (%) 좌석 수 증감 수 전년대 비증감 (%) 직영 상영 관수 운영 형태 위탁 직영 상영 비중 관수 위탁 비중 멀티 플렉스 3대 멀티 플렉스 CGV 112 858 148,593 116 4 3.6% 901 5.0% 43 147,725 7,058-0.6% 71 61% 45 39% 롯데 시네마 84 590 101,404 96 12 14.3% 657 67 11.4% 108,683 7,279 7.2% 64 67% 32 33% 메가 박스 54 403 67,229 58 4 7.4% 438 35 8.7% 70,891 3,662 5.4% 22 38% 36 62% 소계 250 1,851 317,226 270 20 8.0% 1,996 145 7.8% 327,299 10,073 3.2% 157 58% 113 42% 기타 멀티플렉스 13 116 23,030 8-5 -38.5 % 76-40 -34.5 % 13,751-9,27 9-40.3 % - - - - 중계 263 1,967 340,256 278 15 5.7% 2,072 105 5.3% 341,050 794 0.2% - - - - 비 멀티플렉스 51 114 18,403 55 4 7.8% 112-2 -1.8% 8,619-9,78 4 상영관 총계 314 2,081 358,659 333 19 6.1% 2,184 103 4.9% 349,669-8,99 0-53.2 % - - - - -2.5% - - - - 전국에서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한 상영관 상위 10위권은 모두 대기업 멀티플렉스가 차지했다. 서 울 메가박스 코엑스가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CGV가 7개 상영관, 롯데시네마가 2개 상영관 을 순위권에 올렸다. 작년 순위와 비교해보면 1위, 2위의 순위는 변동이 없었으나 롯데시네마노원이 지난해 3위에서 8위로 5계단 하락했으며 CGV죽전이 첫 10위권에 진입하면서 9위에 랭크되었다. 한 편 지난해 9위였던 멀티플렉스 천안의 야우리시네마는 올해 10위 순위 밖으로 밀려나간 것이 눈에 띈 다. 그러나 대기업체인 멀티플렉스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상위에 랭크되면서 관객동원력을 인 정받고 있다. <표 1-5> 2013년 관객 동원 상위 10위권 상영관 (단위 : 개) 순위 광역단체 지역단체 상영관명 스크린 수 좌석 수 1 서울시 강남구 메가박스코엑스16 16 3,798 2 서울시 광진구 롯데시네마건대입구11 12 2,143 3 서울시 용산구 CGV용산11 11 2,215 4 경기도 수원시 CGV수원8 8 2,236 5 서울시 성동구 CGV왕십리10 10 1,846 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6 서울시 영등포구 CGV영등포11 11 2,364 7 인천시 남동구 CGV인천14 14 3,390 8 서울시 노원구 롯데시네마 노원 10 1,758 9 경기도 용인시 CGV죽전8 8 1,819 10 충청남도 천안시 야우리시네마10 10 1,715 (2) 조사 대상 상영관 조사 대상 상영관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표 1-6>과 같다. 본 조사는 2011년부터 2013년 까지 전국에 위치한 총 567개 상영관중 중복되는 상영관을 제외한 557개의 상영관의 측정 결과값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11년은 102개, 2012년은 256개, 2013년은 199개의 상영관을 대상으 로 하였다. 지역별로는 경기지역이 124개(22.3%)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서울지역이 110개 (19.8%), 부산지역 56개(1.01%), 전남지역 49개(8.8%)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상 영관으로는 메가박스가 203개(36.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CJ CGV가 188개(33.8%), 롯 데시네마 108개(19.4%), 기타 58개(10.4%)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1-6> 조사 대상 상영관의 일반적 특성 구분 조사대상 수(%) 2011년도 102(18.3) 실시년도 2012년도 256(46.0) 2013년도 199(35.7) 합계 557(100.0) 7

서울 110(19.8) 부산 56(10.1) 대구 17(3.1) 인천 16(2.9) 광주 14(2.5) 대전 11(2.0) 울산 4(0.7) 경기도 124(22.3) 지역별 강원도 17(3.1) 충북 13(2.3) 충남 30(5.4) 전북 34(6.1) 전남 49(8.8) 경북 24(4.3) 경남 32(5.8) 제주도 5(0.9) 합계 556(100.0) CGV 188(33.8) 롯데시네마 108(19.4) 상영관별 메가박스 203(36.4) 기타 58(10.4) 합계 557(100.0) 다. 조사 내용 및 범위 본 조사에서는 상영관의 측정 범위를 2011년 3월 연구 완료한 상영관 품질인증 제도 및 지표개발 연구 에서 인증 기술 분야 지표 15개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 기준을 설정하였다. 주요 지표와 표준은 아래와 같다. (1) 스크린의 밝기 밝기(휘도, Brightness)란 광원 또는 반사면(스크린)의 단위면적에서 발산하는 빛의 세기를 의 미하며 이는 단위 면적의 광도 또는 빛의 밀도를 의미하는데 단위로는 cd/m²(candela per square metre) 또는 fl(foot lambert)를 사용한다. 8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 중심부 밝기는 16fL이며 디지털시네마에서 스크린 중심부 밝기는 영사기에 필름 미디어가 없는 것을 고려 14fL를 표준으로 한다. 위의 표준은 사이드 스크린과 탑 스크린 방식에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표 1-7> 스크린 중심부 밝기의 국내외 표준 비교표 SMPTE & DCI 국제표준 ISO 국내표준 항 목 SMPTE 431-1 SMPTE RP431-2 DCI Spec 1.2 (14 fl ± 3 fl) ISO 26431-1 ISO 26431-2 (14 fl ± 3 fl) KSAISO 26431-1 디지털 스크린 중심부의 밝기 14 fl (2.39:1, 1.85:1 동일) (Side, Top Screen Type 동일) SMPTE EG3 SMPTE 196M SMPTE RP98 (55 ± 7 cd/m², 16 fl ± 2 fl) ISO 2910-2007 (55 ± 10 cd/m²) KSAISO 2910 (55 ± 10 cd/m²) 필름 스크린 중심부의 밝기 16 fl (2.35:1, 1.85:1) (Side, Top Screen Type 동일) (2) 스크린의 균일도 밝기가 스크린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스크린 중심부와 모퉁이의 휘도를 측정 비교하여 스크린 중심부의 75%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표 1-8> 스크린 밝기의 균일도 국내외 표준 비교표 SMPTE & DCI 국제표준 ISO 국내표준 항 목 SMPTE 431-1 SMPTE RP431-2 DCI Spec 1.2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75 ~ 90 % ISO 26431-1 ISO 26431-2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75 ~ 90 % KSAISO 26431-1 디지털 스크린의 밝기 균일도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75 ~ 90% (2.39:1) SMPTE EG5 SMPTE 196M SMPTE RP98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75 ~ 90 % ISO 2910-2007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85 % KSAISO 2910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85 % 필름 스크린의 밝기 균일도 스크린 중심부 수치의 85 % (2.35:1, 1.85:1) (3) 스크린의 색온도 색온도(Color Temperature)란 흑체의 온도로 절대 온도인 273 와 그 흑체의 섭씨온도를 합친 9

색광의 절대온도를 말하며 표시 단위로 K(Kelvin, 캘빈)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푸른색, 낮아지면 붉은색을 띤다. 필름의 경우 5,800K, 디지털시네마의 색온도는 6,300K 이다. <표 1-9> 스크린의 색온도 국내외 표준 비교표 SMPTE & DCI 국제표준 ISO 국내표준 항 목 SMPTE 431-1 SMPTE RP431-2 DCI Spec 1.2 6300 K x=.3140, y=.3510 ISO 26431-1 ISO 26431-2 6300 K x=.3140, y=.3510 KSAISO 26431-1 디지털 스크린 중심부의 색온도 6300 K (2.39:1, 1.85:1 동일) x=0.3140, y=0.3510 (Side, Top Screen Type 동일) SMPTE EG3 SMPTE 196M SMPTE RP98 (5400 +600-200 K) ISO 2910-2007 (5800 ±400 K) KSAISO 2910 (5800 ±400 K) 필름 스크린 중심부의 색온도 5800 K (x=0.326, y=0.335) (2.35:1, 1.85:1) (4) 상영관 내부의 음압(dB SPL) 상영관 내부의 음압은 L, C, R이 85 ±0.5dB SPL, LS, RS가 82 ±0.5dB SPL, Sub-Woofer는 88~91dB SPL이 되어야 한다. 참고로 Sub-Woofer의 SPL 주파수는 150Hz 대역까지만 사용되므 로 룸의 발진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Screen Channel +10dB로 조정하는 것을 권장하고있다. <표 1-10> 상영관 내부의 음압 국내외 표준 비교표 SMPTE & DCI SMPTE 202M SMPTE RP200 SMPTE EG18 국제표준 ISO 국내표준 ISO 22234-2002 KSAISO 22234 항 목 상영관 내부의 음압 레벨 L, C, R : 85 db SPL LS, RS : 82 db SPL Sub-Woofer : 89 db SPL 각각의 ± 0.5 db이내 (5) 상영관 내부의 음향(X-CURVE) 상영관 내부의 음향은 25Hz~20kHz 대역이 안정적으로 재생되어야 한다. L, C, R은 69(-3)~75(+3)dB, LS, RS는 66(-3)~72(+3)dB, Sub-Woofer는 79(-3)~85(+3)dB를 권장하 고 있다. 10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 1-11> 상영관 내부의 음향 국내외 표준 비교표 SMPTE & DCI 국제표준 ISO 국내표준 항 목 SMPTE 202M SMPTE RP200 SMPTE EG18 ISO 2969-1987 KSAISO 2969 상영관 내부의 X-Curve 적용성 25Hz에서 20kHz까지 대역에서 L C R (69 ~ 75) LS RS (66 ~ 72) Sub-Woofer (79 ~ 85) 11

2. 실태조사 결과 가. 상영관 기본 정보 (1) 제조사별 영사기 현황 전체 상영관에 배치되어 있는 영사기 제조사를 살펴보면 <표 2-1>과 같다. Sony가 210대 (40.5%)로 가장 많이 배치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Christie가 203대(39.1%), Barco가 61대 (11.8%), Nec가 42대(8.1), 기타 영사기가 3대(0.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2-1> 제조사별 영사기 현황 구분 개수(%) Barco 61(11.8) Christie 203(39.1) Nec 42(8.1) Sony 210(40.5) 기타 3(0.6) 계 519(100.0) [그림 2-1] 제조사별 영사기 현황 12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2) 제조사별 영사기 서버 현황 상영관별로 사용하고 있는 영사기 서버 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표 2-2>와 같다. 영사기 서버 중 200대(40.2%)가 Sony의 제품이었고, 그 다음으로 GDC가 178대(35.7%), Qube가 66대 (13.3%), Doremi가 45대(9.0%), Dolby가 9대(1.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2-2> 제조사별 영사기 서버 현황 구분 개수(%) Doremi 45(9.0) Dolby 9(1.8) GDC 178(35.7) Qube 66(13.3) Sony 200(40.2) 계 498(100.0) [그림 2-2] 제조사별 영사기 서버 현황 13

(3) 상영관 크기(체적) 전체 상영관 크기(체적)은 <표 2-3>과 같다. 전체 상영관 크기의 평균은 1,874m3인 것으로 나 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000m3 이상 2000m3 미만이 295개(52.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 로 1000m3 미만이 120개(21.5%), 2000m3 이상 3000m3 미만이 90개(16.1%), 3000m3 이상 4000 m3 미만이 26개(4.7%), 9000m3 이상이 18개(3.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2-3> 상영관 크기(체적) 구분 상영관 수(%) M(SD) 1000m3 미만 120(21.5) 1000m3 이상 2000m3 미만 295(52.9) 2000m3 이상 3000m3 미만 90(16.1) 3000m3 이상 4000m3 미만 26(4.7) 4000m3 이상 5000m3 미만 2(0.4) 5000m3 이상 6000m3 미만 2(0.4) 6000m3 이상 7000m3 미만 1(0.2) 1874.0 (1720.637) 7000m3 이상 8000m3 미만 2(0.4) 8000m3 이상 9000m3 미만 1(0.2) 9000m3 이상 18(3.2) 합계 557(100.0) [그림 2-3] 상영관 크기(체적) 1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4) 좌석수 전체 상영관을 좌석수에 따라 살펴보면 <표 2-4>와 같다. 전체 상영관의 좌석수 평균은 180.54석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영관 중 100석 이상 200석 미만 이 317개 (57.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0석 이상 300석 미만 이 139개(25.2%), 100석 미만 이 69개(12.5%), 300석 이상 400석 미만 이 20개(3.6%)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700석 이상 800석 미만 과 800석 이상 900석 미만 의 큰 규모의 상영관은 각각 2개(0.4%)로 나타났다. <표 2-4> 좌석수 현황 구분 상영관 수(%) M(SD) 100석 미만 69(12.5) 100석 이상 200석 미만 317(57.4) 200석 이상 300석 미만 139(25.2) 300석 이상 400석 미만 20(3.6) 400석 이상 500석 미만 3(0.5) 180.54 (114.725) 700석 이상 800석 미만 2(0.4) 800석 이상 900석 미만 2(0.4) 합계 552(100.0) [그림 2-4] 좌석수 현황 15

나. 상영관 주요 조사 결과 상영관 주요 조사 결과 분석에는 기타 상영관 59개를 제외한 주요 멀티플렉스 체인인 CGV, 롯데 시네마, 메가박스 3개사의 자료만이 사용되었다. (1) 스크린 크기(면적) (가) 스크린 크기(면적) 대상 상영관의 스크린크기는 30m2 이상 60m2 미만이 249개(50.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60m2 이상 90m2 미만이 157개(31.7%)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 상영관의 평균 스크린크기는 55.01m2 로 나타났다. <표 2-5> 스크린 크기(면적) 구분 상영관 수(%) M(SD) 30m2 미만 53(10.7) 30m2 이상 60m2 미만 249(50.2) 60m2 이상 90m2 미만 157(31.7) 90m2 이상 120m2 미만 33(6.7) 55.01(21.167) 120m2 이상 4(0.8) 합계 496(100.0) [그림 2-5] 스크린 크기(면적) 1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나) 지역별 스크린 크기(면적) 스크린 크기의 평균면적은 53.15m2(가로 10.29m, 세로 5.14m)로 나타났다. 이를 각 지역별 평 균으로 비교해보면, 전남지역 이 65.98m2(가로 11.18m, 세로 5.92m)로 가장 넓었고, 그 다음으로 대구지역 이 63.13m2(가로 11.44m, 세로 5.31m), 광주지역 이 62.54m2(가로 11.85m, 세로 5.23m), 경북지역 이 62.04m2(가로 10.91m, 세로 5.40m), 서울지역 이 61.63m2(가로 10.79m, 세로 5.69m)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 2-6> 지역별 스크린 평균 크기(면적) 구분 상영관 수(개) 가로 평균(m) 세로 평균(m) 스크린 면적 평균(m2) 서울 87 10.79 5.69 61.63 부산 36 11.00 5.49 61.00 대구 16 11.44 5.31 63.13 인천 15 10.20 5.27 54.33 광주 13 11.85 5.23 62.54 대전 6 9.67 4.50 41.83 울산 4 10.50 5.25 55.50 경기도 121 9.60 5.10 50.03 강원도 16 9.13 4.31 39.13 충북 13 8.54 3.92 33.46 충남 29 9.48 4.83 46.45 전북 29 9.62 4.93 47.48 전남 49 11.18 5.92 65.98 경북 23 10.91 5.74 62.04 경남 31 10.39 5.29 54.10 제주도 5 10.40 5.40 51.80 합계 493 10.29 5.14 53.15 [그림 2-6] 지역별 스크린 크기 17

(2) 스크린 방식 (가) 스크린 방식 대상 상영관의 스크린방식을 살펴보면 <표 2-7>과 같다. 탑 방식을 가지고 있는 상영관은 347 개(70.8%)로 사이드 방식을 가지고 있는 상영관인 143개(29.2%)보다 2배 이상 많은 수를 차지하 고 있었다. <표 2-7> 상영관 스크린 방식 구분 빈도(%) Side 143(29.2) Top 347(70.8) 합계 490(100.0) [그림 2-7] 상영관 스크린 방식 (나) 지역별 스크린 방식 스크린 방식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표 2-8>과 같다. Side 방식은 경기도가 27개(18.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25개(17.5%), 충북이 11개(7.7%), 대구, 광주가 각각 10개 (7.0%)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op 방식에서도 마찬가지로 경기도가 94개(27.1%)로 가장 많 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61개(17.6%), 전남이 39개(11.2%), 부산이 29개(8.4%), 충남 과 경남이 각각 23개(6.6%)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8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 2-8> 지역별 상영관 스크린 방식(단위: 개, %) 구분 Side Top 합계 서울 25(17.5) 61(17.6) 86(17.6) 부산 8(5.6) 29(8.4) 37(7.6) 대구 10(7.0) 6(1.7) 16(3.3) 인천 5(3.5) 10(2.9) 15(3.1) 광주 10(7.0) 3(0.9) 13(2.7) 대전 4(2.8) 2(0.6) 6(1.2) 울산 1(0.7) 3(0.9) 4(0.8) 경기도 27(18.9) 94(27.1) 121(24.7) 강원도 9(6.3) 7(2.0) 16(3.3) 충북 11(7.7) 2(0.6) 13(2.7) 충남 6(4.2) 23(6.6) 29(5.9) 전북 7(4.9) 22(6.3) 29(5.9) 전남 8(5.6) 39(11.2) 47(9.6) 경북 4(2.8) 19(5.5) 23(4.7) 경남 8(5.6) 23(6.6) 31(6.3) 제주도 0(0.0) 4(1.2) 4(0.8) 합계 143(29.2) 347(70.8) 490(100.0) [그림 2-8] 지역별 상영관 스크린 방식 19

(3) 시야각 (가) 시야각 상영관의 시야각 실태를 살펴보면 <표 2-9>와 같다. 먼저 수직 시야각을 살펴보면, 수직시야 각의 전체평균은 45.31로 적정시야각(35 미만)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시 야각 중 적정시야각(35 미만)을 가진 상영관은 66개(13.3%)에 불과했고 비적정시야각(35 초 과)을 가진 상영관은 429개(86.7%)로 분석되었다. 반면 수평 시야각은 전체평균이 84.05로 적정 시야각(90 미만)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평 시야각 중 적정시야각(90 미만)을 가진 상영관이 393개(79.9%), 비적정시야각(90 초과)을 가진 상영관이 99개(20.1%)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9> 시야각(수직, 수평) 현황 구분 빈도(n) 백분율(%) M(SD) 적정시야각 (35 미만) 66 13.3 수직 시야각 수평 시야각 비적정시야각(35 초과) 429 86.7 합계 495 100.0 적정시야각(90 미만) 393 79.9 비적정시야각(90 초과) 99 20.1 합계 492 100.0 45.31(.340) 84.05(.401) [그림 2-9] 수직 시야각 [그림 2-10] 수평 시야각 (나) 지역별 수직, 수평 시야각 지역별로 수직, 수평 시야각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 2-10-1>과 같다. 먼저 수직시야각에 대해 살펴보면, 적정시야각(35 미만)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지역은 서울이 16개(24.2%)이고, 그 다음으로 경기도가 15개(22.7%), 부산이 10개(15.2%), 전남이 8개(12.1%), 강원도가 5개 (7.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적정시야각(35 초과)은 경기도가 105개(24.5)로 가장 많 20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71개(16.6%), 전남이 41개(9.6%), 부산, 경남이 각각 30개(7.0%), 전 북이 27개(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평시야각을 살펴보면, 적정시야각(90 미만)을 가진 상영관은 경기도가 90개 (24.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68개(18.6%), 전남이 41개(11.2%), 부산이 36개 (9.8%), 전북이 28개(7.7%), 충북이 27개(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적정시야각(90 초과) 을 가진 상영관도 경기도가 29개(23.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남이 24개(19.0%), 서울 이 16개(12.7%), 대구 13개(10.3%), 인천 10개(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 수직과 수평시야각에 대한 조합을 살펴보면, 수직과 수평시야각 모두 적정시야각 으로 판별된 상영관은 부산이 10개(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두 개의 시야각이 모두 비적정 시야각으로 판별된 상영관은 서울이 6개(30.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0-1> 지역별 수직, 수평 시야각 비교(단위: 개, %) 수직 시야각 수평 시야각 M(SD) 구분 적정시야각 비적정시야각 적정시야각 비적정시야각 합계 (35 미만) (35 초과) (90 미만) (90 초과) 합계 수직시야각 수평시야각 서울 16(24.2) 71(16.6) 87(17.6) 68(18.6) 16(12.7) 84(17.1) 41.83 82.62 (8.21) (13.78) 부산 10(15.2) 30(7.0) 40(8.1) 36(9.8) 4(3.2) 40(8.1) 54.50 83.60 (20.)00 (8.91) 대구 2(3.0) 14(3.3) 16(3.2) 3(0.8) 13(10.3) 16(3.3) 44.19 86.00 (8.87) (5.55) 인천 0(0.0) 15(3.5) 15(3.0) 5(1.4) 10(7.9) 15(3.0) 46.53 90.27 (5.71) (12.2) 광주 1(1.5) 12(2.8) 13(2.6) 10(2.7) 3(2.4) 13(2.6) 49.38 87.31 (6.74) (3.90) 대전 1(1.5) 5(1.2) 6(1.2) 4(1.1) 2(1.6) 6(1.2) 51.33 82.83 (8.15) (9.02) 울산 0(0.0) 4(0.9) 4(0.8) 3(0.8) 1(0.8) 4(0.8) 58.75 85.50 (18.83) (7.23) 경기도 15(22.7) 105(24.5) 120(24.2) 90(24.6) 29(23.0) 119(24.2) 42.45 85.16 (7.81) (10.23) 강원도 5(7.6) 11(2.6) 16(3.2) 10(2.7) 6(4.8) 16(3.3) 42.06 88.19 (8.25) (13.15) 충북 2(3.0) 11(2.6) 13(2.6) 12(3.3) 1(0.8) 13(2.6) 54.62 83.54 (13.28) (9.51) 충남 3(4.5) 26(6.1) 29(5.9) 27(7.4) 2(1.6) 29(5.9) 41.28 81.52 (4.19) (7.67) 전북 2(3.0) 27(6.3) 29(5.9) 28(7.7) 1(0.8) 29(5.8) 45.55 77.17 (11.08) (8.34) 전남 8(12.1) 41(9.6) 49(9.9) 41(11.2) 8(6.3) 49(10.0) 45.02 82.96 (12.26) (7.38) 경북 0(0.0) 22(5.1) 22(4.4) 17(4.6) 6(4.8) 23(4.7) 51.26 85.87 (12.94) (8.58) 21

경남 1(15) 30(7.0) 31(6.3) 7(1.9) 24(19.0) 31(6.3) 제주도 0(0.0) 5(1.2) 5(1.0) 5(1.4) 0(0.0) 5(1.0) 합계 66(13.3) 429(86.7) 495(100.0) 366(74.4) 126(25.6) 492(100.0) 44.19 (4.13) 59.4. (6.50) 45.31 (.340) 86.61 (6.60) 81.20 (4.86) 84.05 (.401) <표 2-10-2> 지역별 수직, 수평시야각 조합(단위: 개, %) 구분 수직시야각: 적정 수평시야각: 적정 수직시야각: 적정 수평시야각: 비적정 수직시야각: 비적정 수평시야각: 적정 수직시야각: 비적정 수평시야각: 비적정 서울 3(14.3) 5(71.4) 7(24.1) 6(30.0) 부산 10(47.6) 2(28.6) 12(41.4) 3(15.0) 대구 1(4.8) 0(0.0) 2(6.9) 0(0.0) 인천 0(0.0) 0(0.0) 1(3.4) 0(0.0) 광주 1(4.8) 0(0.0) 0(0.0) 1(5.0) 대전 2(9.5) 0(0.0) 0(0.0) 1(5.0) 울산 0(0.0) 0(0.0) 13.4) 1(5.0) 경기도 1(4.8) 0(0.0) 1(3.4) 3(15.0) 강원도 0(0.0) 0(0.0) 0(0.0) 1(5.0) 충북 0(0.0) 0(0.0) 0(0.0) 0(0.0) 충남 1(4.8) 0(0.0) 0(0.0) 1(5.0) 전북 1(4.8) 0(0.0) 2(6.9) 1(5.0) 전남 0(0.0) 0(0.0) 0(0.0) 1(5.0) 경북 1(4.8) 0(0.0) 0(0.0) 0(0.0) 경남 0(0.0) 0(0.0) 3(10.3) 1(5.0) 제주도 0(0.0) 0(0.0) 0(0.0) 0(0.0) 합계 21(100.0) 7(100.0) 29(100.0) 20(100.0) (4)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디지털) (가)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을 <표 2-11>에서 살펴보면, 1.85:1의 비율에서는 364개관(76.5%)이 손실없음 으로 나타났고, 112개관(23.5%)이 손실있음 으로 나타났다. 2.39:1의 비율에서는 252개관(53.2%)이 손실없음 으로 나타났고, 222개관(46.8%)이 손실있음 으로 나타났다. 22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 2-11>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디지털) 구분 빈도(n) 백분율(%) 손실없음 364 76.5 1.85 손실있음 112 23.5 합계 476 100.0 손실없음 252 53.2 2.39 손실있음 222 46.8 합계 474 100.0 [그림 2-11]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 (나) 지역별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 지역별로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2-12>와 같다. 먼저 1.85:1에서 손실없음 으로 조사된 지역은 경기도가 81개(2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서울이 73개(21.5%), 전남이 39개(11.5%), 부산이 27개(7.4%), 충남이 25개(7.4%)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손실있음 으로 조사된 지역도 마찬가지로 경기도가 33개(29.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11개(9.8%), 충북, 전북, 경남이 각각 10개(4.5%)로 높게 나타났다. 2.39:1에서 손실없음 으로 조사된 지역은 경기도가 57개(22.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서울이 50개(19.8%), 전남 28개(11.1%), 경남이 21개(8.3%), 부산이 17개(6.7%)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손실있음 으로 조사된 지역도 경기도가 56개(25.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서울이 34개(15.3%), 전남이 21개(9.5%), 부산이 17개(7.7%), 전북이 14개(6.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3

<표 2-12> 지역별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단위: 개, %) 구분 1.85:1 2.39:1 손실없음 손실있음 계 손실없음 손실있음 계 서울 73(21.5) 11(9.8) 84(17.6) 50(19.8) 34(15.3) 84(17.7) 부산 27(7.4) 7(6.3) 34(7.1) 17(6.7) 17(7.7) 34(7.2) 대구 15(4.4) 1(0.9) 16(3.4) 4(1.6) 12(5.4) 16(3.4) 인천 6(1.8) 9(8.0) 15(3.2) 1(0.4) 13(5.9) 14(3.0) 광주 8(2.4) 5(4.5) 13(2.7) 2(0.8) 11(5.0) 13(2.7) 대전 5(1.5) 1(0.9) 6(1.3) 5(2.0) 1(10.5) 6(1.3) 울산 1(0.3) 3(2.7) 4(0.8) 1(0.4) 3(1.4) 4(0.8) 경기도 81(23.9) 33(29.5) 11423.9) 57(22.6) 56(25.2) 113(23.8) 강원도 12(3.5) 4(3.6) 16(3.4) 11(4.4) 5(2.3) 16(3.4) 충북 12(3.5) 10(4.5) 13(2.7) 7(2.8) 6(2.7) 13(2.7) 충남 25(7.4) 4(8.9) 29(6.1) 18(7.1) 11(5.0) 29(6.1) 전북 24(7.1) 5(7.1) 29(6.1) 15(6.0) 14(6.3) 29(6.1) 전남 39(11.5) 10(8.9) 49(10.3) 28(11.1) 21(9.5) 49(10.3) 경북 15(4.4) 8(7.1) 23(4.8) 12(4.8) 11(5.0) 23(4.9) 경남 18(5.3) 10(8.9) 28(5.9) 21(8.3) 7(3.2) 28(5.9) 제주도 3(0.9) 0(0.0) 3(0.6) 3(1.2) 0(0.0) 3(0.6) 합계 339(76.5) 112(23.5) 479(100.0) 252(53.2) 222(46.8) 474(100.0) [그림 2-12] 지역별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 2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5) 스크린 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 (가) 스크린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 일치성의 차이 스크린 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2-13>과 같다. 1.85:1인 경우를 살펴보면, 스크린 방식에 따라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 2 =5.244, P<.05). 2.39:1인 경우에는 스크린 방식에 따라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3> 스크린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 일치성의 차이(단위: 개, %) 구분 스크린 영사비율의 일치성 손실없음 손실있음 합계 Side 94(26.3) 42(37.5) 136(28.9) 1.85:1 Top 264(73.7) 70(62.5) 334(71.1) 합계 94(100.0) 112(100.0) 206(100.0) X 2 =5.244, df=1, p<.05 Side 64(25.8) 72(32.7) 136(29.1) 2.39:1 Top 184(74.2) 148(67.3) 332(70.9) 합계 94(100.0) 210(100.0) 304(100.0) X 2 =2.709, df=1, p>.05 (나) 지역별 스크린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 일치성 지역별로 스크린 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비율의 일치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2-14>와 같다. 먼저, 1.85:1인 경우에 스크린 방식을 통틀어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에 대한 손실없음 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81개)로 나타났고 다음은 서울(72개)로 나타났다. 2.39:1인 경우에도 스크린 방식을 통틀어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에 대한 손실없음 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56개)로 나타났고 다음은 서울(49개)로 나타났다. <표 2-14> 지역별 스크린방식에 따른 스크린 영사 비율의 일치성(단위: 개, %) 구분 1.85:1 2.39:1 손실없음 손실있음 계 손실없음 손실있음 계 Side 21(29.2) 3(27.3) 24(28.9) 13(26.5) 11(32.4) 24(28.9) 서울 Top 51(70.8) 8(72.7) 59(71.1) 36(73.5) 23(67.6) 59(71.1) 합계 72(86.7) 11(13.3) 83(100.0) 49(59.0) 34(41.0) 83(100.0) 25

Side 2(8.0) 3(42.9) 5(15.6) 0(0.0) 5(29.4) 5(15.6) 부산 Top 23(92.0) 4(57.1) 27(84.4) 15(100.0) 12(70.6) 27(84.4) 합계 25(78.1) 7(21.9) 32(100.0) 15(46.9) 17(53.1) 32(100.0) Side 10(66.7) 0(0.0) 10(62.5) 4(100.0) 6(50.0) 10(62.5) 대구 Top 5(33.3) 1(100.0) 6(37.5) 0(0.0) 6(50.0) 6(37.5) 합계 15(93.8) 1(6.2) 16(100.0) 4(25.0) 12(75.0) 16(100.0) Side 1(16.7) 4(44.4) 5(33.3) 1(100.0) 4(30.8) 5(35.7) 인천 Top 5(83.3) 5(55.6) 10(66.7) 0(0.0) 9(69.2) 9(64.3) 합계 6(40.0) 9(60.0) 15(100.0) 1(7.1) 13(92.9) 14(100.0) Side 6(75.0) 4(80.0) 10(76.9) 0(0.0) 10(90.9) 10(76.9) 광주 Top 2(25.0) 1(20.0) 3(23.1) 2(100.0) 1(9.1) 3(23.1) 합계 8(61.5) 5(38.5) 13(100.0) 2(15.4) 11(84.6) 13(100.0) Side 3(60.0) 1(100.0) 4(66.7) 3(60.0) 1(100.0) 4(66.7) 대전 Top 2(40.0) 0(0.0) 2(33.3) 2(40.0) 0(0.0) 2(33.3) 합계 5(83.3) 1(16.7) 6(100.0) 5(83.3) 1(16.7) 6(100.0) Side 1(100.0) 0(0.0) 1(25.0) 1(100.0) 0(0.0) 1(25.0) 울산 Top 0(0.0) 3(100.0) 3(75.0) 0(0.0) 3(100.0) 3(75.0) 합계 1(25.0) 3(75.0) 4(100.0) 1(25.0) 3(75.0) 4(100.0) Side 14(17.3) 12(36.4) 26(22.8) 11(19.3) 15(26.8) 26(23.0) 경기도 Top 67(82.7) 21(63.6) 88(77.2) 46(80.7) 41(73.2) 87(77.0) 합계 81(71.1) 33(28.9) 114(100.0) 57(50.4) 56(49.6) 113(100.0) Side 8(66.7) 1(25.0) 9(56.3) 8(72.7) 1(20.0) 9(56.3) 강원도 Top 4(33.3) 3(75.0) 7(43.7) 3(27.3) 4(80.0) 7(43.7) 합계 12(75.0) 4(25.0) 16(100.0) 11(68.8) 5(31.2) 16(100.0) Side 10(83.3) 1(100.0) 11(84.6) 7(100.0) 4(66.7) 11(84.6) 충북 Top 2(16.7) 0(0.0) 2(15.4) 0(0.0) 2(33.3) 2(15.4) 합계 12(92.3) 1(7.7) 13(100.0) 7(53.8) 6(46.2) 13(100.0) Side 6(24.0) 0(0.0) 6(20.7) 5(27.8) 1(9.1) 6(20.7) 충남 Top 19(76.0) 4(100.0) 23(79.3) 13(72.2) 10(90.9) 23(79.3) 합계 25(86.2) 4(13.8) 29(100.0) 18(62.1) 11(37.9) 29(100.0) Side 4(16.7) 3(60.0) 7(24.1) 4(26.7) 3(21.4) 7(24.1) 전북 Top 20(83.3) 2(40.0) 22(75.9) 11(73.3) 11(78.6) 22(75.9) 합계 24(82.8) 5(17.2) 29(100.0) 15(51.7) 14(40.3) 29(100.0) Side 4(10.8) 4(40.0) 8(17.0) 2(7.1) 6(31.6) 8(17.0) 전남 Top 33(89.2) 6(60.0) 39(83.0) 26(92.9) 13(68.4) 39(83.0) 합계 37(78.7) 10(21.3) 47(100.0) 28(59.6) 19(40.4) 47(100.0) Side 2(13.3) 2(25.0) 4(17.4) 2(16.7) 2(18.2) 4(17.4) 경북 Top 13(86.7) 6(75.0) 19(82.6) 10(83.3) 9(81.8) 19(82.6) 합계 15(65.2) 8(34.8) 23(100.0) 12(52.2) 11(47.8) 23(100.0) 2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Side 2(11.1) 4(40.0) 6(21.4) 3(14.3) 3(42.9) 6(21.4) 경남 Top 16(88.9) 6(60.0) 22(78.6) 18(85.7) 4(57.1) 22(79.6) 합계 18(64.3) 10(35.7) 28(100.0) 21(75.0) 7(25.0) 28(100.0) Side 0(0.0) 0(0.0) 0(0.0) 0(0.0) 0(0.0) 0(0.0) 제주도 Top 2(100.0) 0(0.0) 2(100.0) 2(100.0) 0(0.0) 2(100.0) 합계 2(100.0) 0(0.0) 2(100.0) 2(100.0) 0(0.0) 2(100.0) (6) 스크린 재질 (가) 스크린 재질 상영관별 스크린 재질을 살펴보면 <표 2-15>와 같다. 스크린 재질에 대해서는 Pearl, Perlux의 스크린을 사용하고 있는 상영관이 274개(55.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Silver가 213개 (43.0%), White가 9개(1.8%)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2-15> 스크린 재질 구분 빈도(n) 백분율(%) Silver 213 43.0 White 9 1.8 Pearl, Perlux 274 55.2 합계 496 100.0 [그림 2-13] 스크린 재질 (나) 지역별 스크린 재질 지역별로 스크린 재질을 조사한 결과는 <표 2-16>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Silver를 가장 많이 사용한 지역은 경기도가 46개(21.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서울이 40개(18.8%), 전 27

남이 23개(10.8%), 부산이 14개(6.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White를 사용한 상영관이 그리 많 지 않으나 경기도에서 5개(55.6%)로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상영관 중 Pearl, Perlux 재질을 사용한 상영관이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경기도가 70개(25.5%)로 가 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울이 45개(16.4%), 전남이 26개(9.5%), 부산이 25개(9.1%), 경남이 21개 (7.7%)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 2-16> 지역별 스크린 재질(단위: 개, %) 구분 스크린 재질 Silver White Pearl, Perlux 합계 서울 40(18.8) 2(22.2) 45(16.4) 87(17.5) 부산 14(6.6) 0(0.0) 25(9.1) 39(7.9) 대구 9(4.2) 0(0.0) 7(2.6) 16(3.2) 인천 6(2.8) 1(11.1) 8(2.9) 15(3.0) 광주 6(2.8 0(0.0) 7(2.6) 13(2.6) 대전 2(0.9) 0(0.0) 4(1.5) 6(1.2) 울산 3(1.4) 0(0.0) 1(0.4) 4(0.8) 경기도 46(21.6) 5(55.6) 70(25.5) 121(24.4) 강원도 7(3.3) 1(11.1) 8(2.9) 16(3.2) 충북 5(2.3) 0(0.0) 8(2.9) 13(2.6) 충남 21(9.9) 0(0.0) 8(2.9) 29(5.8) 전북 14(6.6) 0(0.0) 15(5.5) 29(5.8) 전남 23(10.8) 0(0.0) 26(9.5) 49(9.9) 경북 7(3.3) 0(0.0) 16(5.8) 23(4.6) 경남 10(4.7) 0(0.0) 21(7.7) 31(6.3) 제주도 0(0.0) 0(0.0) 5(1.8) 5(1.0) 합계 213(42.9) 9(1.9) 274(55.2) 496(100.0) [그림 2-14] 지역별 스크린 재질 28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7) 스크린 밝기 (가) 스크린 밝기 전체 상영관의 스크린 밝기를 조사한 결과는 <표 2-17>과 같다. 전체 상영관의 스크린 밝기 평균은 10.51로써 11-17fL 이내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크린 밝기가 11-17fL 이내(표준)인 상영관은 155개(32.3%)에 불과했고, 그 외(비표준)인 상영관이 325개(67.7%)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7> 스크린 밝기 구분 빈도(n) 백분율(%) M(SD) 11-17fL 이내(표준) 155 32.3 11-17fL 이외(비표준) 325 67.7 10.51(6.919) 합계 480 100.0 [그림 2-15] 스크린 밝기 (나) 지역별 스크린 밝기 지역별로 스크린 밝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 2-18>과 같다. 스크린 밝기가 11-17fL 이내 (표준)인 상영관은 경기도가 32개(20.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28개(18.1%), 경 남이 23개(14.8%), 부산이 14개(9.0%), 전북과 전남이 각각 11개(7.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 났다. 또한 스크린 밝기가 11-17fL 이외(비표준)인 상영관도 경기도가 83개(25.5%)로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으로 서울이 59개(18.2%), 전남이 38개(11.7%), 부산과 충남이 20개(6.2%), 전북이 18개(5.5%)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9

<표 2-18> 지역별 스크린 밝기(단위: 개, %) 구분 스크린 밝기 11-17fL 이외(비표준) 11-17fL 이내(표준) 합계 M(SD) 서울 59(18.2) 28(18.1) 87(18.1) 9.69(4.94) 부산 20(6.2) 14(9.0) 34(7.1) 10.53(4.41) 대구 12(3.7) 4(2.6) 16(3.3) 10.88(6.53) 인천 15(4.6) 0(0.0) 15(3.1) 4.27(2.21) 광주 10(1.5) 3(1.9) 13(2.7) 8.77(3.80) 대전 5(1.5) 1(0.6) 6(0.6) 7.17(3.92) 울산 3(0.9) 1(0.6) 4(0.8) 5.25(4.30) 경기도 83(25.5) 32(20.6) 115(24.0) 10.77(10.20) 강원도 10(3.1) 6(3.9) 16(3.3) 10.81(5.00) 충북 9(2.8) 4(2.6) 13(2.7) 11.77(6.50) 충남 20(6.2) 9(5.8) 29(6.0) 13.72(8.50) 전북 18(5.5) 11(7.1) 29(6.0) 12.90(6.24) 전남 38(11.7) 11(7.1) 49(10.2) 8.71(3.50) 경북 16(4.9) 7(4.5) 23(4.8) 9.91(3.43) 경남 5(1.5) 23(14.8) 28(5.8) 14.32(4.40) 제주도 2(0.6) 1(0.6) 3(0.6) 11.67(2.90) 합계 325(67.7) 155(32.3) 480(100.0) 10.51(6.919) [그림 2-16] 지역별 스크린 밝기 30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8) 스크린 밝기 균일도 (가) 스크린 밝기 균일도 스크린 밝기 균일도를 조사한 결과는 <표 2-19>와 같다. 전체상영관의 스크린 밝기 균일도는 평균은 68.21%로써 표준균일도인 75-9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상영관 중 표준균일도를 가진 상영관은 10개(2.1%)에 불과했고,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가 302개(63.6%),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63개(34.3%)로 높게 나타났다. <표 2-19> 스크린 밝기 균일도 구분 빈도(n) 백분율(%) M(SD) 표준균일도 10 2.1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302 63.6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63 34.3 68.21(15.30) 합계 475 100.0 [그림 2-17] 스크린 밝기 균일도 (나) 지역별 스크린 밝기 균일도 지역별로 스크린 밝기 균일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표 2-20>과 같다. 스크린 밝기 균일도 중 표준균일도에 해당하는 상영관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은 경기도(4개, 40.0%) 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전라북도가 (2개, 20.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준보다 낮거나 높은 균일도에 해당하는 상영관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지역도 경기도(64개, 21.2%/ 46개, 28.2%)로 나타났다. 31

<표 2-20> 지역별 스크린 밝기 균일도 구분 스크린 밝기 균일도 표준균일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합계 M(SD) 서울 0(0.0) 48(15.9) 36(22.1) 84(17.7) 70.92(15.70) 부산 1(10.0) 27(8.9) 7(4.3) 35(7.4) 63.54(13.34) 대구 0(0.0) 11(3.6) 4(2.5) 15(3.2) 62.07(20.00) 인천 0(0.0) 9(3.0) 6(3.7) 15(3.2) 68.77(21.11) 광주 0(0.0) 9(3.0) 4(2.5) 13(2.7) 59.54(20.34) 대전 0(0.0) 4(1.3) 2(1.2) 6(1.3) 69.33(15.00) 울산 0(0.0) 4(1.3) 0(0.0) 4(0.8) 32.75(15.65) 경기도 4(40.0) 64(21.2) 46(28.2) 114(24.0) 70.74(15.42) 강원도 1(10.0) 7(2.3) 8(4.9) 16(3.4) 71.88(17.01) 충북 0(0.0) 9(3.0) 4(2.5) 13(2.7) 57.31(19.51) 충남 1(10.0) 24(7.9) 4(2.5) 29(6.1) 66.17(10.26) 전북 2(20.0) 22(7.3) 4(2.5) 28(5.9) 66.71(8.90) 전남 1(10.0) 26(8.6) 22(13.5) 49(10.3) 73.04(12.15) 경북 0(0.0) 21(7.0) 2(1.2) 23(4.8) 62.41(9.71) 경남 0(0.0) 14(4.6) 14(8.6) 28(5.9) 71.41(9.50) 제주도 0(0.0) 3(1.0) 0(0.0) 3(0.6) 60.33(13.60) 합계 10(2.1) 302(63.6) 163(34.3) 475(100.0) 68.21(15.30) [그림 2-18] 지역별 스크린 밝기 균일도 32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9)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 (가)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크린 재질에 따라 스크린 밝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 2 =4.291, p<.05). 스크린 재질이 Silver인 상영관 중 스크린 밝기가 비표준인 상영관은 136개이고, 표준인 상영관은 75개로 나타났다. 스크린 재질이 White인 상영관 중 스크린 밝기가 비표준인 상영관은 3개,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은 4개로 나타났으며, Pearl, Perlux 재질의 상영관중 비표준인 상영관은 186개, 표준인 상영관은 76개로 나타났다. <표 2-21>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단위: 개) 구분 스크린 밝기 11-17fL 이외(비표준) 11-17fL 이내(표준) 합계 Silver 136(41.8) 75(48.4) 211(44.0) 스크린 재질 White 3(0.9) 4(2.6) 7(1.5) Pearl, Perlux 186(57.2) 76(49.0) 262(54.6) 합계 150(100.0) 90(100.0) 218(100.0) X 2 =4.291, df=2, p<.05 (나) 지역별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 지역별로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를 분석한 결과는 <표 2-22>와 같다. Silver 가운데 스크린 밝기가 표준이내에 들어온 상영관 수는 경기도가 15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White 가운데 스크린 밝기가 표준이내에 들어온 상영관 수도 경기도가 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earl과 Perlux 가운데 스크린 밝기가 표준이내에 들어온 상영관 수는 경남이 17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22> 지역별 스크린 재질에 따른 스크린 밝기(단위: 개, %) 구분 스크린 재질 Silver White Pearl, Perlux 합계 11-17fL 이외(비표준) 27(45.8) 2(3.4) 30(50.8) 59(67.8) 서울 11-17fL 이내(표준) 13(46.4) 0(0.0) 15(53.6) 28(32.2) 합계 40(46.0) 2(2.3) 45(51.7) 87(100.0) 33

11-17fL 이외(비표준) 8(40.0) 0(0.0) 12(60.0) 20(58.8) 부산 11-17fL 이내(표준) 5(35.7) 0(0.0) 9(41.2) 14(41.2) 합계 13(38.2) 0(0.0) 21(61.8) 34(100.0) 11-17fL 이외(비표준) 7(58.3) 0(0.0) 5(41.7) 12(75.0) 대구 11-17fL 이내(표준) 2(50.0) 0(0.0) 2(50.0) 4(25.0) 합계 9(56.3) 0(0.0) 7(43.8) 16(100.0) 11-17fL 이외(비표준) 6(40.0) 1(6.7) 8(53.3) 15(100.0) 인천 11-17fL 이내(표준) 0(0.0) 0(0.0) 0(0.0) 0(0.0) 합계 6(40.0) 1(6.7) 8(53.3) 15(100.0) 11-17fL 이외(비표준) 3(30.0) 0(0.0) 7(70.0) 10(76.9) 광주 11-17fL 이내(표준) 3(100.0) 0(0.0) 0(0.0) 3(23.1) 합계 6(46.2) 0(0.0) 7(53.8) 13(100.0) 11-17fL 이외(비표준) 2(40.0) 0(0.0) 3(60.0) 5(83.3) 대전 11-17fL 이내(표준) 0(0.0) 0(0.0) 1(100.0) 1(16.7) 합계 2(33.3) 0(0.0) 4(66.7) 6(100.0) 11-17fL 이외(비표준) 3 0(0.0) 0(0.0) 3(75.0) 울산 11-17fL 이내(표준) 0(0.0) 0(0.0) 1(100.0) 1(100.0) 합계 3(75.0) 0(0.0) 1(25.0) 4(100.0) 11-17fL 이외(비표준) 31(37.3) 0(0.0) 52(62.7) 83(72.2) 경기도 11-17fL 이내(표준) 15(46.9) 3(9.4) 14(43.8) 32(27.8) 합계 46(40.0) 3(2.6) 66(57.4) 115(100.0) 11-17fL 이외(비표준) 4(40.0) 0(0.0) 6(60.0) 10(62.5) 강원도 11-17fL 이내(표준) 3(50.0) 1(16.7) 2(33.3) 6(37.5) 합계 7((43.8) 1(6.3) 8(50.0) 16(100.0) 11-17fL 이외(비표준) 3(33.3) 0(0.0) 6(66.7) 9(69.2) 충북 11-17fL 이내(표준) 2(50.0) 0(0.0) 2(50.0) 4(30.8) 합계 5(38.5) 0(0.0) 8(61.5) 13(100.0) 11-17fL 이외(비표준) 13(65.0) 0(0.0) 7(35.0) 20(69.0) 충남 11-17fL 이내(표준) 8(88.9) 0(0.0) 1(11.1) 9(31.0) 합계 21(72.4) 0(0.0) 8(27.6) 29(100.0) 11-17fL 이외(비표준) 7(38.9) 0(0.0) 11(61.1) 18(62.1) 전북 11-17fL 이내(표준) 7(63.6) 0(0.0) 4(36.4) 11(37.9) 합계 14(48.3) 0(0.0) 15(51.7) 29(100.0) 3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11-17fL 이외(비표준) 16(42.1) 0(0.0) 22(57.9) 38(77.6) 전남 11-17fL 이내(표준) 7(63.6) 0(0.0) 4(36.4) 11(22.4) 합계 23(46.9) 0(0.0) 26(53.1) 49(100.0) 11-17fL 이외(비표준) 3(18.8) 0(0.0) 13(81.3) 16(69.6) 경북 11-17fL 이내(표준) 4(57.1) 0(0.0) 3(42.9) 7(30.4) 합계 7(30.4) 0(0.0) 16(69.6) 23(100.0) 11-17fL 이외(비표준) 3(60.0) 0(0.0) 2(40.0) 5(17.9) 경남 11-17fL 이내(표준) 6(26.1) 0(0.0) 17(73.9) 23(82.1) 합계 9(32.1) 0(0.0) 19(67.9) 28(100.0) 11-17fL 이외(비표준) 0(0.0) 0(0.0) 2(100.0) 2(66.7) 제주도 11-17fL 이내(표준) 0(0.0) 0(0.0) 1(100.0) 1(33.3) 합계 0(0.0) 0(0.0) 3(100.0) 3(100.0) (10)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 (가)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표 2-23>과 같다. 균일도는 표 준, 표준보다 낮음, 표준보다 높음 으로 구분하고 스크린 밝기는 표준과 비표준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균일도가 표준일 때, 스크린 밝기가 비표준인 상영관은 4개이고 표준인 상영관은 6개로 나타났다. 균일도가 표준보다 낮은 경우,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은 101개, 균일도가 표준보 다 높은 경우,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이 47개로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 균일도에 따른 스 크린 밝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23>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단위: 개) 구분 11-17fL 이외(비표준) 스크린 밝기 11-17fL 이내(표준) 합계 표준 균일도 4(1.3) 6(3.9) 10(2.1) 스크린 균일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200(62.5) 101(65.6) 301(63.5)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16(36.3) 47(30.5) 163(34.4) 합계 320(67.5) 154(32.5) 474(100.0) X 2 =4.599, df=2, p>.05 (나) 지역별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 35

지역별로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의 <표 2-24>와 같다. 우선 균일도가 표준일 때,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은 경기도가 4개로 가장 많았다. 또한 균일도가 표준보다 낮은 경우에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은 서울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균일도가 표준 보다 높은 경우에는 스크린 밝기가 표준인 상영관은 경기도가 13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24> 지역별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단위: 개, %) 구분 스크린 밝기 11-17fL 이외(비표준) 11-17fL 이내(표준) 합계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서울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32(56.1) 16(59.3) 48(57.1)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25(43.9) 11(40.7) 36(42.9) 합계 57(67.9) 27(32.1) 84(100.0) 표준 균일도 0(0.0) 1(7.1) 1(2.9) 부산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15(75.0) 11(78.6) 26(76.5)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5(25.0) 2(14.3) 7(20.6) 합계 20(58.8) 14(41.2) 34(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대구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8(72.7) 3(75.0) 11(73.3)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3(27.3) 1(25.0) 4(26.7) 합계 11(73.3) 4(26.7) 15(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인천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9(60.0) 0(0.0) 9(60.0)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6(40.0) 0(0.0) 6(40.0) 합계 15(100.0) 0(0.0) 15(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광주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6(60.0) 3(100.0) 9(69.2)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4(40.0) 0(0.0) 4(30.8) 합계 10(76.9) 3(23.1) 13(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대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4(80.0) 0(0.0) 4(66.7)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20.0) 1(100.0) 2(33.3) 합계 5(83.3) 1(16.7) 6(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울산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3(100.0) 1(100.0) 4(100.0)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0(0.0) 0(0.0) 0(0.0) 합계 3(75.0) 1(25.0) 4(100.0) 3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준 균일도 0(0.0) 4(12.5) 4(3.5) 경기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49(59.8) 15(47.0) 64(56.1)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33(40.2) 13(40.5) 46(40.3) 합계 82(71.9) 32(20.1) 114(100.0) 표준 균일도 1(10.0) 0(0.0) 1(6.3) 강원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2(20.0) 5(83.3) 7(43.7)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7(70.0) 1(16.7) 8(50.0) 합계 10(62.5) 6(37.5) 16(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충북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5(55.6) 4(100.0) 9(69.2)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4(44.4) 0(0.0) 4(30.8) 합계 9(69.2) 4(30.8) 13(100.0) 표준 균일도 0(0.0) 1(11.1) 1(3.4) 충남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19(95.0) 5(55.6) 24(82.8)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5.0) 3(33.3) 4(13.8) 합계 20(69.0) 9(31.0) 29(100.0) 표준 균일도 2(11.8) 0(0.0) 2(7.1) 전북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11(64.7) 11(100.0) 22(78.6)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4(23.5) 0(0.0) 4(14.3) 합계 17(60.7) 11(39.3) 28(100.0) 표준 균일도 1(2.6) 0(0.0) 1(2.0) 전남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17(44.7) 9(81.8) 26(53.0)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20(52.6) 2(18.2) 22(45.0) 합계 38(77.6) 11(22.4) 49(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경북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15(93.8) 6(85.7) 21(91.3)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6.2) 1(14.3) 2(8.7) 합계 16(69.6) 7(30.4) 23(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경남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3(60.0) 11(47.8) 14(50.0)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2(40.0) 12(52.2) 14(50.0) 합계 5(17.9) 23(82.1)) 28(100.0) 표준 균일도 0(0.0) 0(0.0) 0(0.0) 제주도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 2(100.0) 1(100.0) 3(100.0)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0(0.0) 0(0.0) 0(0.0) 합계 2(66.7) 1(33.3) 3(100.0) 37

(11) 색온도 (가) 상영관 색온도 색온도 기준에 대한 결과는 <표 2-25>와 같다. 상영관의 색온도가 기준(6300 K ) 보다 낮은 상영관은 320개(67.4%)로, 기준보다 높은 상영관 155개(32.6%) 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표 2-25> 주요 3사 상영관 색온도 구분 빈도(n) 백분율(%) M(SD) 기준(6300 K )보다 낮음 320 67.4 기준(6300 K )보다 높음 155 32.6 6110.1(563.67) 합계 475 100.0 [그림 2-19] 상영관 색온도 (나) 지역별 상영관 색온도 지역별 상영관 색온도에 관한 조사결과는 <표 2-26>과 같다. 전체적으로, 색온도의 기준보다 낮은 곳이 320개(67.44%)로 기준보다 높은 155개(32.6%)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기준보다 낮은 색온도를 지닌 상영관은 경기도가 73개(22.8%)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이 59개(18.4%), 전남이 26개(8.1%), 부산과 충남이 24개(7.5%), 경북이 19개(5.9%), 전북 17개(5.3%), 경남 15개(4.7%), 대구 14개(4.4%), 인천과 광주가 각각 10개(3.1%)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기준보다 높은 색온도를 지난 상영관은 역시 경기도가 42개(27.1%)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26개(16.8%), 전남이 23개(14.8%)로 높게 나타났다. 38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표 2-26> 지역별 상영관 색온도 구분 색온도 기준보다 낮음(0) 기준보다 높음(1) 합계 M(SD) 서울 59(18.4) 26(16.8) 85(17.9) 6127.2(472.7) 부산 24(7.5) 8(5.2) 32(6.7) 5864.8(617.7) 대구 14(4.4) 2(1.3) 16(3.4) 6159.7(505.5) 인천 10(3.1) 5(3.2) 15(3.2) 6025.1(481.4) 광주 10(3.1) 2(1.3) 12(2.5) 6087.8(253.4) 대전 3(0.9) 3(1.9) 6(1.3) 6006.8(342.6) 울산 4(1.3) 0(0.) 4(0.8) 5601.0(354.9) 경기도 73(22.8) 42(27.1) 115(24.2) 6018.2(791.0) 강원도 12(3.8) 4(2.6) 16(3.4) 6178.8(170.7) 충북 8(2.5) 5(3.2) 13(2.7) 6147.5(311.7) 충남 24(7.5) 5(3.2) 29(6.1) 6095.4(359.8) 전북 17(5.3) 12(7.7) 29(6.1) 6306.0(585.9) 전남 26(8.1) 23(14.8) 49(10.3) 6229.5(398.3) 경북 19(5.9) 4(2.6) 23(4.8) 6062.1(353.5) 경남 15(4.7) 13(8.4) 28(5.9) 6398.3(488.8) 제주도 2(0.6) 1(0.6) 3(0.6) 6023.7(332.1) 합계 320(67.4) 155(32.6) 475(100.0) 6110.1(563.67) [그림 2-20] 지역별 주요 3사 상영관 색온도 (12) 음압재생력(상영관 내부의 음압) (가) 음압재생력 L, C, R, Ls, Rs, Lfe 음압재생력을 L, C, R, Ls, Rs, Lfe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2-27>과 같다. 먼저 음압재생력이 39

표준인 경우를 살펴보면, 음압재생력 L은 430개(86.7%), 음압재생력 C는 439개(87.9%), 음압재생력 R은 421개(84.9%), 음압재생력 Ls는 409개(82.5%), 음압재생력 Rs는 410개(82.7%), 음압재생력 Lfe는 403개(84.1%)로 나타났다. 또한 음압재생력이 표준을 초과하거나 표준 미만인 경우를 살펴보면, 음압재생력 L은 66개(13.3%), 음압재생력 C는 60개(12.1%), 음압재생력 R은 75개(15.1%), 음압재생력 Ls는 87개(17.5%), 음압재생력 Rs는 86개(17.3%), 음압재생력 Lfe는 76개(15.%)로 나타났다. <표 2-27> 음압재생력 L, C, R, Ls, Rs, Lfe (단위: 개, %) 구분 초과 또는 미만 표준 합계 L 66(86.7) 430(13.3) 496(100.0) C 60(12.1) 439(87.9) 499(100.0) 음압재생력 R 75(15.1) 421(84.9) 496(100.0) Ls 87(17.5) 409(82.5) 496(100.0) Rs 86(17.3) 410(82.7) 496(100.0) Lfe 76(15.9) 403(84.1) 479(100.0) [그림 2-21] 음압재생력 L, C, R, Ls, Rs, Lfe (13) x- 커브(상영관 내부의 음향) (가) X-커브 L, C, R, Ls, Rs 40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X-커브의 L, C, R, Ls, Rs별로 살펴본 결과는 <표 2-28>과 같다. X-커브 L은 표준인 상영관 이 245개(49.7%), 비표준인 상영관이 248개(50.3%)로 나타났고, X-커브 C는 표준인 상영관이 237개(48.1%), 비표준인 상영관이 256개(51.9%)로 나타났다. X-커브 R은 표준인 상영관이 230 개(46.7%), 비표준인 상영관이 262개(53.3%)로 나타났으며, X-커브 Ls는 표준상영관이 98개 (20.9%), 비표준인 상영관이 370개(79.1%)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X-커브 Rs는 표준인 상영 관이 104개(22.3%), 비표준인 상영관이 363개(77.7%)로 나타났다. <표 2-28> 상영관 X-커브 L, C, R, Ls, Rs(단위: 개, %) 구분 비표준(27개 미만) 표준(27개 이상) 합계 L 248(50.3) 245(49.7) 493(100.0) C 256(51.9) 237(48.1) 493(100.0) R 262(53.3) 230(46.7) 498(100.0) Ls 370(79.1) 98(20.9) 468(100.0) Rs 363(77.7) 104(22.3) 467(100.0) [그림 2-22] X-커브 L, C, R, Ls, Rs (14) 음압재생력에 따른 x- 커브의 차이 음압재생력에 따른 X-커브의 차이를 교차분석 한 결과는 <표 2-29>와 같다. 먼저 음압재생력 L을 살펴보면, X-커브 중 Rs를 제외한 L, C, R, Ls 모두 표준과 비표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41

타났다. 다음으로 음압재생력 C를 살펴보면, X-커브 중 Ls와 Rs를 제외한 L, C, R에서 표준과 비 표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압재생력 R을 살펴보면 X-커브 중 R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압재생력 Ls를 살펴보면 X-커브 중 Rs에서만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음압재생력 Rs에서는 X-커브 중 R에서만 표준과 비표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2-29> 음압재생력에 따른 x커브의 차이(단위: 개, %) L 구분 초과 또는 미만 x-커브 L C R Ls Rs 비표준 표준 합계 비표준 표준 합계 비표준 표준 합계 비표준 표준 합계 비표준 표준 합계 47 (19.0) 표준 201 (81.0) 합계 248 (50.3) 19 (7.8) 226 (92.2) 245 (49.7) 66 (13.4) 427 (86.6) 493 (100.0) 44 (17.2) 212 (82.8) 256 (51.9) 22 (9.3) 215 (90.7) 237 (48.1) 66 (13.4) 427 (86.6) 493 (100.0) 45 (17.2) 217 (82.8) 262 (53.3) 20 (8.7) 210 (91.3) 230 (46.7) 65 (13.2) 427 (86.8) 492 (100.0) 44 (11.9) 326 (88.1) 370 (79.0) 9 (9.2) 89 (90.8) 98 (21.0) 53 (11.3) 415 (88.7) 468 (100.0) 40 (11.0) 323 (89.0) 363 (77.7) 11 (10.6) 93 (89.4) 104 (22.3) 51 (10.9) 416 (89.1) 467 (100.0) C 초과 또는 미만 X 2 =13.325, df=1 p<.001 41 (16.5) 표준 207 (83.5) 합계 43 (50.3) 17 (6.9) 228 (93.1) 17 (49.7) 58 (11.8) 435 (88.2) 60 (100.0) 40 (15.6) 216 (84.4) 42 (51.9) X 2 =6.632, df=1 p<.01 18 (7.6) 219 (92.4) 18 (48.1) 58 (11.8) 435 (88.2) 60 (100.0) 41 (15.6) 221 (84.4) 43 (53.3) X 2 =7.681, df=1 p<.01 16 (7.0) 214 (93.0) 16 (46.7) 57(11.6 ) 435 (88.4) 59 (100.0) X 2 =6.632, df=1 p<.01 37 (10.0) 10 (10.2) 333 88 (90.0) (89.8) 39 10 (79.1) (20.9) 47 (10.0) 421 (90.0) 49 (100.0) 33 (9.1) 330 (90.9) 35 (77.7) X 2 =.566, df=1 13 (12.5) 91 (87.5) 13 (22.3) 46 (9.9) 421 (90.1) 48 (100.0) X 2 =10.927, df=1 p<.001 X 2 =7.645, df=1 p<.01 X 2 =9.034, df=1 p<.01 X 2 =.004, df=1 X 2 =.1.058, df=1 R 초과 또는 미만 42 (16.6) 표준 211 (83.4) 합계 45 (51.3) 32 (13.3) 208 (86.7) 17 (48.7) 74 (15.0) 419 (85.0) 62 (100.0) 45 (17.6) 211 (82.4) 44 (51.9) 29 (12.2) 208 (87.8) 18 (48.1) 74 (15.0) 419 (85.0) 62 (100.0) 48 (18.3) 214 (81.7) 45 (53.3) 25 (10.9) 205 (89.1) 16 (46.7) 73 (14.8) 419 (85.2) 61 (100.0) 48 (13.0) 322 (87.0) 41 (79.1) 9 (9.2) 89 (90.8) 10 (20.9) 57 (12.2) 411 (87.8) 51 (100.0) 44 (12.1) 319 (87.9) 37 (77.7) 12 (11.5) 92 (88.5) 13 (22.3) 56 (12.0) 411 (88.0) 50 (100.0) X 2 =1.450, df=1 X 2 =2.753, df=1 X 2 =5.381, df=1 p<.05 X 2 =1.040, df=1 X 2 =.026, df=1 42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Ls 초과 또는 미만 43 (17.3) 표준 205 (82.7) 합계 256 (50.3) 43 (17.6) 202 (82.4) 225 (49.7) 86 (17.4) 407 (82.6) 481 (100.0) 46 (18.0) 210 (82.0) 255 (51.9) 40 (16.9) 197 (83.1) 226 (48.1) 86 (17.4) 407 (82.6) 481 (100.0) 51 (19.5) 211 (80.5) 259 (53.3) 34 (14.8) 196 (85.2) 221 (46.7) 85 (17.3) 407 (82.7) 480 (100.0) 56 (15.1) 314 (84.9) 363 (79.1) 17 (17.3) 81 (82.7) 99 (20.9) 73 (15.6) 395 (84.4) 462 (100.0) 49 (13.5) 314 (86.5) 356 (77.7) 23 (22.1) 81 (77.9) 105 (22.3) 72 (15.4) 395 (84.6) 461 (100.0) Rs 초과 또는 미만 50 (20.2) 표준 198 (79.8) 합계 248 (50.3) X 2 =.004, df=1 X 2 =.102, df=1 X 2 =1.879, df=1 X 2 =.288, df=1 36 (14.7) 209 (85.3) 245 (49.7) 86 (17.4) 407 (82.6) 493 (100.0) 50 (19.5) 206 (80.5) 256 (51.9) 36 (15.2) 201 (84.8) 237 (48.1) 86 (17.4) 407 (82.6) 493 (100.0) 54 (20.6) 208 (79.4) 262 (53.3) 31 (13.5) 199 (86.5) 230 (46.7) 85 (17.3) 407 (82.7) 492 (100.0) 56 (15.1) 314 (84.9) 370 (79.1) 14 (14.3) 84 (85.7) 98 (20.9) 70 (15.0) 398 (85.0) 468 (100.0) 57 (15.6) 309 (84.4) 363 (77.9) X 2 =4.603, df=1 p<.05 11 (10.6) 93 (89.4) 104 (22.1) 68 (14.5) 402 (85.5) 467 (100.0) X 2 =2.558, df=1 X 2 =1.611, df=1 X 2 =4.360, df=1 p<.05 X 2 =.044, df=1 X 2 =1.707, df=1 43

3. 결론 및 제언 가. 주요 결과 요약 본 조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조사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에 위치한 총 567개 상영관 중 중복된 상영관을 제외한 557개의 상영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도 별로는 2011년 102개, 2012년 256개, 2013년 199개의 상영관으로 구성되었고, 지역별로는 경기 지역이 124개(22.3%), 서울지역이 110개(19.8%), 부산지역이 56개(1.01%)로 구성되어 있다. 전 체 557개 상영관을 대상으로는 기본적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메가박스, CGV, 롯데시네마의 3개 상영관만을 중심으로 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분석은 2011년 연구 완료한 상영관 품질인증 제도 및 지표개발 연구 에서 제시한 인증 기술 분야 지표 15개 항목을 중심으로 실시하 였다. 전체 557개 상영관에 대한 분석 결과, 상영관에 가장 많이 배치되어 있는 영사기는 Christie가 203대(39.1%)로 가장 많았고 영사기 서버는 Sony가 200대(40.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상영관의 크기(체적)는 1,000m3 이상 2,000m3 미만이 295개(52.9%)로 가장 많았고, 전체 상영관의 평균은 1,874m3로 나타났다. 상영관의 좌석수는 100석 이상 200석 미만 이 317개 (57.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좌석수의 평균은 180.5로 나타났다. 기타 상영관 59개를 제외한 메가박스, CGV, 롯데시네마의 3개 상영관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분 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영관의 스크린크기를 살펴보면 30m2 이상 60m2 미만이 249개(50.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60m2 이상 90m2 미만이 157개(31.7%)로 높게 나타났 다. 전체 상영관의 평균 스크린크기는 55.01m2 로 나타났다. 상영관의 스크린 방식은 탑 방식을 많 이 사용하고 있는데(70.8%) 이는 90 를 넘지 않게 수평 시야각을 확보하는데 유리한 방식이다. 그 러나 스크린 높이가 높은 탑 방식의 경우 맨 앞 열의 좌석에 앉아 스크린을 바라볼 때 시선 각도가 35 를 초과(86.7%)하게 된다. 이는 앞좌석에 앉아 영화를 보는 관람객의 경우 고개를 조금은 들고 보게 되어 다소 불편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스크린에 제작자가 의도한 영상이 잘리지 않고 구현되는 영사 비율의 일치성을 보면 손실 있음 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상영관의 스크린 방식은 2가지의 화면비(1.85:1,2.39:1)를 하나의 상영관에서 구현하기 위해 검정 커튼으로 스크린을 가리는 것으로 탑 방식의 경우 2.39:1 화면비 의 영화를 상영하기위해 커튼을 아래로 내리게 되는데 맨 앞줄의 의자와 영사막과의 평균거리를 스크린 너비의 2분의 1 이상을 것을 규정한 시설기준을 충족하고 보다 많은 관람석을 확보하기 위 해 국내 상영관이 탑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대상 상영관의 스크린 밝기 평균은 10.51로써 표준인 11-17fL 이내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스크린 밝기가 11-17fL 이내(표준)인 상영관은 155개(32.3%)에 불과했고, 그 외(비표준)인 44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상영관이 325개(67.7%)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 상영관의 스크린 밝기 균일도는 평균은 68.21%로써 표준균일도인 75-9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전체 상영관 중 표준균일도를 가진 상영관은 10개(2.1%)에 불과했고, 표준보다 낮은 균일도가 302개(63.6%), 표준보다 높은 균일도 163개(34.3%)로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 결과 스크린 재질의 비율을 보면 편광 방식의 입체영화 상영을 위한 실버 스크린과 펄 스크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실버 스크린은 관람자가 앉아 있는 좌석 위치에 따라 스크린 중심부에 주변부보다 밝은 원형(hot spot)이 형성되어 밝기와 균일도에 영향을 준다. 재질에 따른 밝기의 비율을 보더라도 스크린 중심부의 밝기 기준(14fL ± 3 fl)에 포함된 실버 스크린 상영관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심부만 밝고 주변부의 밝기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전체적인 균일도 기준에 못 미치는 경우도 있다. 이 조사에서도 스크린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균일도에 따른 스크린 밝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크린 재질 한 가지만 놓고 보는 것 보다는 밝기와 균일도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스크린과 영사기가 일직선으로 설치되어 있는지와 상영관의 건축학적면도 함께 고려해 분석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스크린 중심부의 색온도는 6300k로 매우 정밀한 값을 요구하고 있다. 기준값보다 낮은 상영관 (67.4%)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화이트 패턴을 영사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띤 스크 린을 보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는 스크린, 렌즈, 영사창 등의 외부적인 요인과 영사기의 내부 반 사경, 프리즘 등의 열화를 들 수 있다. 실내 공간이라는 한정된 재생 환경을 전제로 하는 상영관의 음향은 전기적인 재생음과 현실감을 일치시키기 위해 적정 음압 재생력과 X-커브를 사용하여 관람객들이 거부감 없이 사실적인 음향 을 들을 수 있도록 측정되고 있다. 조사된 상영관의 결과 값인 음압 재생력과 X-커브 많은 상영관 이 표준에 부합하지만 복합 상영관으로 변화됨에 따라 협소함과 인접성에 기인하는 소음기준의 만 족, 옆 상영관에서의 유입음, 체적(공간의 크기)를 고려해 좀 더 세부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반되어 정리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관람환경 표준화 도달율 상위 10위권 상영관을 조사한 결과는 <표 3-1> 과 같다. 관람환경 표준화 도달율 1위부터 3위를 살펴보면 1위는 부산시에 있는 CGV 센텀 3관, 2 위는 경상남도 롯데시네마 양산 5관, 3위는 경기도 CGV 동백 7관으로 나타났다. <표 3-1> 2011년-2013년 관람환경 표준화 도달율 상위 10위권 상영관 (단위 : 개) 순위 지역 상영관명 스크린 측정년도 1 부산시 CGV 센텀 3관 2011 2 경상남도 롯데시네마 양산 5관 2012 3 경기도 CGV 동백 7관 2012 4 경상남도 CGV 거제 3관 2013 45

5 경기도 CGV 동백 6관 2013 6 충청남도 롯데시네마 서산 3관 2013 7 충청남도 롯데시네마 서산 4관 2013 8 서울시 메가박스 센트럴 4관 2013 9 전라남도 메가박스 여수 9관 2013 10 전라남도 메가박스 첨단 6관 2013 나. 제언 매년 실시하는 영화소비자조사에 의하면 관람객이 상영관을 선택하는 요인 중 위치와 접근성 다음으로 화면의 밝기, 음향 등 상영관의 설비가 23.5% 7) 로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고 있다. 즉 관람객은 영화를 선택할 때 상영관과 연계해 생각할 수 있는 시설(교통의 편의성, 상영관 근처 편의시설 등)뿐 아니라 그 영화가 상영되는 상영관의 시설(스크린의 크기, 음향, 화질, 의자, 주차장, 이벤트 개최 등)을 함께 고려한다는 것이다. 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의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영관의 품질 향상을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 국내 상영관의 대부분은 상영을 목적으로 한 건축 설계가 아닌 기존 공간을 리모델링한 시설이기 때문에 물리적 환경 자체에 제약이 있고, 이는 영사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많은 상영관들이 자금 및 투자부족(12.5%) 8) 으로 인해 주기적으로 스크린과 램프를 교체해야 하는 비용을 지출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람객들이 상영관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상영관 시설의 품질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상영관 품질 향상을 위한 비용 지출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상영관 차원에서 관람환경 표준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전국의 모든 상영관을 대상으로 위원회의 관람환경 표준화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이지만, 이는 많은 시간과 예산을 필요로 한다. 물론 상영관에서 스크린의 밝기, 색온도, 음압 재생 력 등을 조정 관리하기 위해 측정 장비를 구입하여 스스로 관람환경을 개선할 수도 있다. 하지만 측정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모든 상영관에서 이를 구입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 서 상영관에서 관람환경 개선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위원회에서 측정장비를 대여하고 영사기사를 재교육함으로써 각 상영관의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상영관의 관람환경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관람객에게 영화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상영관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좋 은 상영관에 대한 기준은 관람객마다 다르겠지만, 현재는 관람객이 생각하는 좋은 영화를 항상 그 들이 원하는 좋은 조건에서 관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람객은 영화를 직접 관람하기 전에는 상영관의 특성을 알 수 없고 관람한 후에야 비로소 평가할 수 있다. 만약 상영관에 대해 불만족한 관람객이 있다면 아무리 좋은 영화를 관람했다고 할지라도 최적의 관람을 하였다고 볼 수 없고, 관 7) 2013년 영화소비자조사 결과보고서, 상영관 선택기준 중복응답 결과 8) 2012 한국영화산업 실태조사와 한국영화 투자 수익성 분석, p100 경영상의 애로점 46

영화상영관 관람환경 실태조사 람객이 겪는 실망감은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관람객에게 영화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상영관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장기적으로는 상영관에 대한 품질인증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향후 본 조사에서 제외된 기타 상영관(단관, 독립, 예술, 작은) 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복합상영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관람환경을 가지고 있는 상영관에 대한 개선과 지원책을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2013년 한 해 동안 상영관을 찾은 관람객 수가 2억명을 돌파하였으며 인구 1인당 연평균 관람 횟수는 4.25회로 영화 관람은 문화 향유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로 잡고 있다. 영화 티켓을 구매하는 소비자로서의 관람객은 영화를 제대로 된 환경에서 볼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영화제작자가 의도한 영상, 음향 등이 관람객들에게 여과 없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제반적인 기술 환경을 조성하 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영관은 이미 필름에서 디지털시네마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같은 콘텐츠를 관람함에도 불구하고 상영관의 영상과 음향시설의 차이로 인해 관람객이 상이한 품질서비스를 제공 받는 상황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상영관의 질적 개선을 위해 위원회 관람환경 표준 화 지원사업을 비롯해 산업계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욱이 영화를 관람하는 창구가 IPTV, 온라 인 등 다양화 되고 있고 UHD 등 거실의 시청환경과도 차별화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최적의 디지털 영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상영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