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출 문 환 경 부 장 관 귀 하 본 보고서를 국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련 연구조사 및 평가 사업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년 12월 주관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과 연 구 책 임 자 : 김 승 규 / 서울대학교 연 구 원 : 김 종 성 / 고



Similar documents
03-2ƯÁý -14š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 D3135C8A35FC3D6C1BEBCF6C1A4BABB5F E687770>


년AQM보고서_Capss2Smoke-자체.hwp

최종보고서 /

<C1A4C3A5BFACB1B 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세계 비지니스 정보

2 PFC. 10 PFC.. PFC viii, PFC(C6) PFC(C8). PFC PFC. 1 PFC PFC. PFOA PFOS PFC. PFC. ix PFC,., PFC (polyfluorinated fluorotelomer alcohol(ftoh)) (sulfon

유해중금속안정동위원소의 분석정밀 / 정확도향상연구 (I) 환경기반연구부환경측정분석센터,,,,,,,, 2012

DBPIA-NURIMEDIA

목차 ⅰ ⅲ ⅳ Abstract v Ⅰ Ⅱ Ⅲ i


CONTENTS.HWP

INDUS-8.HWP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433대지05박창용


책임연구기관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00-1표지

발간등록번호 NIER-GP 어린이건강과환경에관한전국조사 ( 에코치르사업 ) 기본계획 - 일본환경성 (2010) -

연구진 연구책임 연 구 원 김운수 /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이명화 / 교통물류연구실 초빙연구원

<3130BAB9BDC428BCF6C1A4292E687770>

_ _ Reading and Research in Archaeology. _ Reading and Research in Korean Historical Texts,,,,,. _Reading and Research i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 B3E2BFF8BAB828C8AFB0E629312E687770>

03이경미(237~248)ok

경제통상 내지.PS

°æÁ¦Åë»ó³»Áö.PDF

우루과이 내지-1

목 차 Ⅰ. 조사개요 1 Ⅱ. 용어해설 13 Ⅲ. 조사결과 과학기술인력 양성 및 활용에 관한 거시통계 분석 결과 9 1 가. 과학기술인의 양성 현황 19 나. 과학기술인의 취업 현황 24 다. 과학기술인의 경제활동 현황 27 라. 과학기술인의 고용 현황 28

환경중잔류의약물질대사체분석방법확립에 관한연구 (Ⅱ) - 테트라사이클린계항생제 - 환경건강연구부화학물질연구과,,,,,, Ⅱ 2010

06김용표(59~74)ok

<C0CEC5CDB3DDC1DFB5B6BDC7C5C2C1B6BBE75FC0CEBCE2C5EBC7D5BABB5F E687770>

06.hwp

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 DC1A4BAB8C8AD20BBE7C8B8BFA1BCADC0C720C0CEB1C728C3D6C1BE292E687770>

µµÅ¥¸àÆ®1

02À±¼ø¿Á

제 출 문 한국산업안전공단 이사장 귀하 본 보고서를 2002 년도 공단 연구사업계획에 따라 수행한 산 업안전보건연구수요조사- 산업안전보건연구의 우선순위설정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3년 5월 연구기관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경영정책연구실 정책조사연구팀 연

[96_RE11]LMOs(......).HWP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 BACFC7D1B1B3C0B0C1A4C3A5B5BFC7E228B1E2BCFABAB8B0ED D D20C6EDC1FD2035B1B32E687770>

< C7D8BEE7BCF6BBEAC5EBB0E8BFACBAB82E687770>

08.fm

KAERI/RR-2245/2001 : 원전 주기적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방사선 안전성능 및 환경방사선 감시기술 개발


08최봉석ㆍ구지선.hwp

02ÇãÀÎÇý ~26š


<3036C7E2BCF6C3D6C1BEBABB2E687770>

2013국제학술대회-내지-최종.cdr

철도원 7,8 월

04_이근원_21~27.hwp

src.hwp

(종설)-139.hwp

입장

09È«¼®¿µ 5~152s

<B5B6BCADC7C1B7CEB1D7B7A52DC0DBBEF7C1DF E687770>

À̶õ°³È²³»Áö.PDF


GS건설채용브로셔-2011

한반도의남동해안에위치한울산만은서해안이나남해안의만과달리수심이비교적깊고곧바로외해와연결되는개방형만이다. 이러한지형조건으로인해울산만은일찍이대형선박이쉽게접근할수있어서항구로발전하였으며, 울산만주변육지는 1960년대초특정공업지역으로지정된이래로공업단지로크게발전해왔다. 그러나울산만의해

<C7D0B1B3C7F5BDC520BBE7B7CAB9DFB1BCB0FA20C8AEBBEAC0BB20C0A7C7D120B3D7C6AEBFF720B1B8C3E0B9E6BEC8BFACB1B D30362C20C0CEBCE2BABB292E687770>

<C0CEBCE2BABB2D33C2F7BCF6C1A420B1B9BFAAC3D1BCAD203130B1C72E687770>

E1-정답및풀이(1~24)ok

<C1B6BCB1B4EBBCBCBDC3B1E2342DC3D6C1BE2E687770>

민주장정-노동운동(분권).indd


최우석.hwp

과 위 가 오는 경우에는 앞말 받침을 대표음으로 바꾼 [다가페]와 [흐귀 에]가 올바른 발음이 [안자서], [할튼], [업쓰므로], [절믐] 풀이 자음으로 끝나는 말인 앉- 과 핥-, 없-, 젊- 에 각각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인 -아서, -은, -으므로, -음

untitled

0429bodo.hwp

伐)이라고 하였는데, 라자(羅字)는 나자(那字)로 쓰기도 하고 야자(耶字)로 쓰기도 한다. 또 서벌(徐伐)이라고도 한다. 세속에서 경자(京字)를 새겨 서벌(徐伐)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또 사라(斯羅)라고 하기도 하고, 또 사로(斯盧)라고 하기도 한다. 재위 기간은 6

교사용지도서_쓰기.hwp

< BDC3BAB8C1A4B1D4C6C75BC8A3BFDC D2E687770>

cls46-06(심우영).hwp

6±Ç¸ñÂ÷

時 習 說 ) 5), 원호설( 元 昊 說 ) 6) 등이 있다. 7) 이 가운데 임제설에 동의하는바, 상세한 논의는 황패강의 논의로 미루나 그의 논의에 논거로서 빠져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임제설에 대한 변증( 辨 證 )을 덧붙이고자 한다. 우선, 다음의 인용문을 보도록

177

<C3D6C1BE5FBBF5B1B9BEEEBBFDC8B0B0DCBFEFC8A C3D6C1BEBABB292E687770>

제주어 교육자료(중등)-작업.hwp

초등국어에서 관용표현 지도 방안 연구

¸é¸ñ¼Ò½ÄÁö 63È£_³»Áö ÃÖÁ¾

01Report_210-4.hwp

<C3D1BCB15FC0CCC8C45FBFECB8AE5FB1B3C0B0C0C75FB9E6C7E D352D32315FC5E4292E687770>



교육 과 학기 술부 고 시 제 호 초 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8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별책

시험지 출제 양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체험합시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집시다. 5. 우리 옷 한복의 특징 자료 3 참고 남자와 여자가 입는 한복의 종류 가 달랐다는 것을 알려 준다. 85쪽 문제 8, 9 자료

상품 전단지

::: 해당사항이 없을 경우 무 표시하시기 바랍니다. 검토항목 검 토 여 부 ( 표시) 시 민 : 유 ( ) 무 시 민 참 여 고 려 사 항 이 해 당 사 자 : 유 ( ) 무 전 문 가 : 유 ( ) 무 옴 브 즈 만 : 유 ( ) 무 법 령 규 정 : 교통 환경 재

2

DBPIA-NURIMEDIA

화이련(華以戀) hwp

ÆòÈ�´©¸® 94È£ ³»Áö_ÃÖÁ¾

Transcription:

최종 보고서 국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련 연구조사 및 평가사업 2011. 12. 환 경 부

제 출 문 환 경 부 장 관 귀 하 본 보고서를 국내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련 연구조사 및 평가 사업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년 12월 주관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과 연 구 책 임 자 : 김 승 규 / 서울대학교 연 구 원 : 김 종 성 / 고려대학교 연구보조원 : 박 진 순 / 고려대학교 보조원 : 오 초 / 서울대학교 홍 성 진 / 고려대학교 김 민 규 / 고려대학교 오 현 종 / 고려대학교

목 차 1.사업 기간 1 2.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2.국 내외 기술개발 현황 1 2.2.1.국내연구 현황 2 2.2.2.국외연구 현황 4 3.연구 목표 및 범위 6 3.1.연구 목표 6 3.2.연구 범위 6 3.3.과업 추진 체계 및 연구진 구성 6 4.연구 방법 6 4.1.조사대상 POPs물질 9 4.2.자료조사 방법 9 4.2.1.POPs관련 정부부처별 연구조사 사업 결과들의 취합 및 정리 10 4.2.2.국내 POPs관련 국내/외 연구논문의 취합 및 정리 13 5.연구 결과 13 5.1.POPs관련 연구조사사업 목록 13 5.1.1.POPs배출원 및 배출량 연구조사 목록(정부보고서) 14 5.1.2.POPs거동연구사업 목록(정부보고서) 15 5.1.3.환경내 다중 매체에서의 잔류농도 수준 연구조사 목록(정부보고서) 16 가.육상환경 16 나.해양환경 16 5.1.4.인체노출 연구조사 목록(정부보고서) 19 - i -

5.1.5.POPs관련 정부부처 보고서 조사목록 총괄 20 5.1.6.POPs관련 연구논문 조사목록 24 5.1.7.POPs독성 및 환경영향 자료 31 5.2.POPs배출 및 거동연구 31 5.2.1.배출량 조사결과 31 가.비의도적 다이옥신류 배출 32 나.비의도적 PCBs 배출 35 다.비의도적 HeCB 배출 36 라.의도적 PCBs 배출 36 마.의도적 OCPs 배출 38 바.PBDEs 배출량 39 사.PFCs 배출량 40 5.2.2.POPs 환경거동 연구 40 가.육상환경중 POPs거동연구 41 나.해양환경중 POPs거동연구 42 5.3.환경중 POPs오염현황 42 5.3.1.육상환경중 POPs오염현황 42 가.자료 분류 43 나.PCDDs/Fs의 환경잔류 현황 44 1 대기 44 2 토양 47 3 수체 50 4 퇴적물 53 5 생물체 56 다.co-PCBs의 환경잔류 현황 58 1 대기 58 2 토양 60 3 수체 62 4 퇴적물 64 5 생물체 66 라.HeCB의 환경잔류 현황 68 - ii -

1 대기 68 2 토양 71 3 수체 73 4 퇴적물 73 5 생물체 74 마.PCBs의 환경잔류 현황 74 1 대기 74 2 토양 75 3 수체 77 4 퇴적물 78 5 생물체 81 바.DDTs의 환경잔류 현황 83 1 대기 83 2 토양 86 3 수체 88 4 퇴적물 88 5 생물체 90 사. HCHs의 환경잔류 현황 91 1 대기, 토양, 수체, 퇴적물, 생물체 91 아. CHLs의 환경잔류 현황 94 1 대기 94 2 토양 96 3 수체 97 4 퇴적물 97 5 생물체 99 자. Drins의 환경잔류 현황 100 1 대기 100 2 토양 102 3 수체 103 4 퇴적물 103 5 생물체 103 차. PeCB의 환경잔류 현황 105 1 대기, 토양, 수체, 퇴적물, 생물체 105 카. PBDEs의 환경잔류 현황 107 - iii -

1 대기 107 2 토양 109 3 수체 111 4 퇴적물 113 타. PFOA, PFOS의 환경잔류 현황 115 1 대기 115 2 토양 115 3 수체 118 4 퇴적물 121 5 생물체 124 5.3.2.해양환경 중 POPs오염현황 125 가.자료 분류 125 나. 수과원 POPs 장기모니터링 자료 125 1 해양퇴적물 125 2 해양생물(이매패류) 126 3 수산물 127 다. PCDDs/Fs (+ co-pcbs) 129 1 해양퇴적물 129 2 해양생물체(organism) 132 라. PCBs 134 1 해양퇴적물 134 2 해양생물체(organism) 137 마. OCPs 139 1 해양퇴적물 139 2 해양생물체(organism) 142 바. PBDEs 144 1 해양퇴적물 144 2 해양생물체(organism) 147 사. PFCs 149 1 해수 (seawater) 149 2 해양생물체(organism) 152 5.4.인체 POPs노출현황 154 - iv -

5.4.1.PCDDs/Fs 인체노출 현황 154 가.인체 시료 154 나.식품 시료 156 5.4.2.co-PCBs 인체노출 현황 158 가.인체 시료 158 나.식품 시료 160 5.4.3.PCBs 인체노출 현황 161 가.인체 시료 161 나.식품 시료 163 5.4.4.PBDEs 인체노출 현황 164 가.인체 시료 164 나.식품 시료 166 5.4.5.PFCs 인체노출 현황 168 6.결 론 169 7.참고문헌 172 8.부 록 190 - v -

표 차 례 표 1. 일본의 환경모니터링사업(FY 1974 - FY2009) 현황 결과표 5 표 2. 연구대상 기존 12종 POPs 및 신규 9종 POPs 목록 10 표 3. POPs 관련 부처별 역할 및 관련법령 11 표 4. POPs 관련 부처별 역할 주요 연구사업 목록 12 표 5. POPs 관련으로 출간된 국내/외 논문의 취합 및 정리 13 표 6. 본 연구조사사업에서 취합된 POPs 배출량 관련 연구사업 목록(국가보고서) 15 표 7. 본 연구조사사업에서 취합된 POPs 거동연구사업 목록(국가보고서) 15 표 8. 본 연구에서 취합된 육상환경 잔류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17 표 9. 본 연구에서 취합된 해양환경 잔류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18 표 10. 본 연구에서 취합된 인체노출관련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19 표 11. 우리나라 육상환경 및 인체노출 POPs 관련 SCI 연구논문 27 표 12. 우리나라 해양환경 POPs 관련 SCI 연구논문 28 표 13. POPs 독성 및 환경영향 자료 취합방법 31 표 14. POPs 육상환경 토지이용도별 분류체계 및 기준 43 표 15. 우리나라 해양 퇴적물 중 PCDD/F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5~2008년) 131 표 16. 해양 생물체 중 PCDD/F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2~2007년) 132 표 17. 우리나라 해양 퇴적물 중 PCB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1997~2001년) 136 표 18. 해양 생물체 중 PCB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5~2007년) 137 표 19. 우리나라 해양 퇴적물 중 OCP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1998~2006년) 141 표 20. 해양 생물체 중 OCP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1998~2006년) 142 표 21. 우리나라 해양 표층퇴적물 중 PBDE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3-2006년) 146 표 22. 해양 생물체 중 PBDE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1998~2006년) 147 표 23. 우리나라 해수 중 PFC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2-2008년) 151 표 24. 해양 생물체 중 PFCs 잔류 농도 수준 대표치 (2006~2008년) 152 표 25. 우리나라 환경에서의 POPs의 매체별 배출, 잔류, 노출저감 반감기 170 - vi -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사업의 주요 목표 8 그림 2. 연구사업의 세부 연구범위 8 그림 3. 연구추진 체계 9 그림 4. 본 연구에서 취합된 정부주도 연구사업 보고서 현황 20 그림 5. 환경부 연구사업 보고서에서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21 그림 6.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사업 보고서에서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22 그림 7.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결과로부터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23 그림 8.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사업결과로부터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23 그림 9. 해외논문, 국내학술지, 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POPs관련 물질별 문헌수 24 그림 10. 해외논문/국내학술지/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POPs 물질의 년도별 문헌수 25 그림 11. 해외논문/국내학술지/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해양환경 중 POPs의 물질별 문헌 수 및 각 POPs물질의 년도별 문헌수 26 그림 12. 다이옥신 실측사업을 통해 추정된 배출량 33 그림 13. 다이옥신 배출량의 국내외 비교 34 그림 14. 열공정을 통해 부산물로써 배출되는 PCBs 배출량 35 그림 15. 부산물로 배출되는 HeCB 배출량의 국내외 비교 36 그림 16. PCBs 소비량 및 함유제품으로부터의 배출량 37 그림 17. 우리나라에서 OCPs의 년도별 배출량 38 그림 18. PBDEs 소비량의 국내외 비교와 환경배출량의 나라별 비교 39 그림 19. 우리나라 PFCs 배출량 및 다른 나라 PFCs 배출량과의 비교 40 그림 20. 국내 대기에서의 PCDDs/F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45 그림 21. 우리나라 일반대기와 외국 일반대기 중 PCDDs/Fs 잔류량 비교 46 그림 22. 국내 토양에서의 PCDDs/F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48 그림 23. 우리나라 일반토양과 외국 일반토양 중 PCDDs/Fs 잔류량 비교 49 그림 24. 국내 수체에서의 PCDDs/F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51 그림 25. 우리나라 일반토양과 외국 일반토양 중 PCDDs/Fs 잔류량 비교 52 그림 26. 국내 퇴적물에서의 PCDDs/F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54 그림 27. 우리나라 퇴적물과 외국의 퇴적물 중 PCDDs/Fs 잔류량 비교 55 그림 28. 국내 생물체에서의 PCDDs/F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57 그림 29. 국내 대기에서의 co-pcb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59 그림 30. 국내 토양에서의 co-pcb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61 그림 31. 국내 수체에서의 co-pcb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63 그림 32. 국내 퇴적물에서의 co-pcb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65 그림 33. 국내 생물체에서의 co-pcb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67 - vii -

그림 34. 국내 대기에서의 HeCB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69 그림 35. 우리나라 일반대기와 외국 일반대기 중 HeCB 잔류량 비교 70 그림 36. 국내 토양에서의 HeCB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72 그림 37. 국내 수체에서의 HeCB의 시계열적 경향 73 그림 38. 국내 생물체에서의 HeCB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74 그림 39. 국내 토양에서의 총PCB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76 그림 40. 국내 수체에서의 총PCBs의 수계별 분포 77 그림 41. 우리나라 일반수체와 외국 일반수체 중 총PCBs 잔류량 비교 78 그림 42. 국내 퇴적물에서의 총PCB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79 그림 43. 우리나라 퇴적물과 외국의 퇴적물 중 총PCBs 잔류량 비교 80 그림 44. 국내 생물체에서의 총PCB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82 그림 45. 국내 대기에서의 총DDT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84 그림 46. 우리나라 일반대기와 외국 일반대기 중 총DDTs 잔류량 비교 85 그림 47. 국내 토양에서의 총DDT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반토양 중 총DDTs 잔류량과의 비교 87 그림 48.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총DDTs의 수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반 환경 퇴적물 중 총DDTs 잔류량과의 비교) 89 그림 49. 국내 생물체에서의 총DDT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90 그림 50. 대기, 토양, 수체, 퇴적물 중 총HCHs 농도의 국내외 비교 92 그림 51. 국내 일반환경 대기에의 총CHL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 반대기 중 총CHLs 잔류량과의 비교 95 그림 52. 국내 토양에서의 총CHL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96 그림 53.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총CHLs의 수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반 환경 퇴적물 중 총CHLs 잔류량과의 비교 98 그림 54. 국내 생물체에서의 총CHL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별 경향 99 그림 55. 국내 일반환경 대기에의 총drin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 반대기 중 총drins 잔류량과의 비교 101 그림 56. 국내 토양에서의 총drin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102 그림 57.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총drins의 수계별 분포(위-좌), 시계열적 경향, 외 국 일반환경 퇴적물 중 총CHLs 잔류량과의 비교 104 그림 58. 국내 대기, 토양, 수체, 퇴적물에서의 PeCB의 토지이용도별 분포 106 그림 59. 국내 대기에서의 총PBDE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대기 중 잔류농도의 국가별 비교 108 그림 60. 국내 토양에서의 총PBDEs의 토지이용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토양 중 잔류농도의 국가별 비교 110 그림 61. 국내 수체에서의 총PBDE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수체 중 잔류농 도의 국가별 비교 112 그림 62.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총PBDEs의 수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 반환경 퇴적물 중 총PBDEs 잔류량과의 비교 114 그림 63. 국내 토양에서의 PFOA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토양 중 잔류농도의 국가별 비교 116 그림 64. 국내 토양에서의 PFO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토양 중 잔류농도의 국가별 비교 117 그림 65. 국내 수체에서의 PFOA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수체 중 잔류농도의 - viii -

국가별 비교 119 그림 66. 국내 수체에서의 PFOS의 수계별 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및 수체 중 잔류농도의 국가별 비교 120 그림 67.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PFOA의 수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반 환경 퇴적물 중 PFOA 잔류량과의 비교 122 그림 68. 국내 일반환경 퇴적물에서의 PFOS의 수계별 분포, 시계열적 경향, 외국 일반 환경 퇴적물 중 PFOS 잔류량과의 비교 123 그림 69. 국내 육상수서생태계 생물체 혈액와 간에서의 PFOS의 수계별분포와 시계열적 경향 124 그림 70. 연안퇴적물에서의 PCDDs/Fs, PCBs, DDTs의 시계열적 경향 126 그림 71. 연안이매패류 중 PCDDs/Fs, PCBs, DDTs의 시계열적 경향 127 그림 72. 수산물에서의 PCDDs/Fs, co-pcbs의 어류, 두족류, 이매패류에서의 시계열적 경향 128 그림 73. 해양 퇴적물 중 PCDD/F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1996~2006년) 130 그림 74. 해양 퇴적물 중 PCDD/Fs의 시계열적 변화 130 그림 75. 해양 퇴적물 중 PCDD/Fs의 외국자료 및 환경기준과 비교 131 그림 76. 해양 생물체 중 PCDD/F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1996~2006년) 133 그림 77. 해양 퇴적물 중 PCB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1995~2002년) 135 그림 78. 해양 퇴적물 중 PCBs의 시계열적 변화 135 그림 79. 해양 퇴적물 중 PCBs의 외국자료 및 환경기준과 비교 136 그림 80. 해양 생물체 중 잔류 PCBs 농도 (1997~2007년) 138 그림 81. 해양 퇴적물 중 OCP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1996~2006년) 140 그림 82. 해양 퇴적물 중 OCPs의 시계열적 변화 140 그림 83. 해양 퇴적물 중 OCPs (DDTs) 의 외국자료 및 환경기준과 비교 141 그림 84. 해양 생물체 중 잔류 OCPs 농도 (1999~2007년) 143 그림 85. 해양 퇴적물 중 PBDE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2003~2006년) 145 그림 86. 해양 퇴적물 중 PBDEs의 시계열적 변화 145 그림 87. 해양 퇴적물 중 PBDEs의 외국자료 및 환경기준과 비교 146 그림 88. 해양 생물체 중 잔류 PBDEs 농도 (2003~2006년) 148 그림 89. 해양 물시료 중 PFCs의 잔류 농도 수준 비교 (2002~2008년) 150 그림 90. 해양 물시료 중 PFCs의 시계열적 변화 150 그림 91. 해수 중 PFCs (PFOS)의 외국자료 및 환경기준과 비교 151 그림 92. 해양 생물체 중 잔류 PFCs 농도 (2006~2008년) 153 그림 93. 국내 인체모유 중 PCDDs/Fs의 시계열적 경향 155 그림 94. 인체 모유 중 PCDDs/Fs의 국내외 비교 156 그림 95. 국내 식품들에서의 PCDDs/Fs의 시계열적 변화와 식품군별 분포 157 그림 96. 식품 중 PCDDs/Fs 잔류량의 국내외 비교 158 그림 97. 국내 인체모유 중 co-pcbs의 시계열적 경향 159 그림 98. 인체 모유 중 co-pcbs의 국내외 비교 159 그림 99. 국내 식품들에서의 co-pcbs의 시계열적 변화와 식품군별 분포 160 그림 100. 식품 중 co-pcbs 잔류량의 국내외 비교 161 그림 101. 국내 인체모유 중 PCBs의 시계열적 경향 162 - ix -

그림 102. 인체 모유 중 PCBs의 국내외 비교 162 그림 103. 국내 식품들에서의 PCBs의 시계열적 변화와 식품군별 분포 163 그림 104. 국내 인체 모유(좌)와 혈액(우) 중 총PBDEs 잔류량의 시계열적 경향 164 그림 105. 인체 모유(위)와 혈액(아래) 중 총PBDEs 잔류량의 국내외 비교 165 그림 106. 국내 식품들에서의 총PBDEs의 시계열적 변화와 식품군별 분포 166 그림 107. 식품 중 총PBDEs 잔류량의 국내외 비교 167 그림 108. 국내 인체혈액 중 PFOS(좌)와 PFOA(우) 잔류량 비교 168 그림 109. PCDDs/Fs와 co-pcbs의 매체별 상대적인 저감속도 171 - x -

1.사업 기간:2011.03.09-2011.12.08(9개월) 2.연구 배경 및 필요성 2.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OrganicPolutants,이하 POPs)로부터 인간의 건강 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전지구적 노력의 일환으로 유엔환경계획(UNEP)주도로 2001 년 5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관한 협약(이하,스톡홀름협 약) 이 체결되었다.동 협약은 생산 사용 배출을 단계적으로 저감 및 근절을 위한 것 으로 2004년 5월 17일에 발효되었다.우리나라는 2007년 1월에 스톡홀름협약에 정식가 입(비준)하고 09년 4월에 국가이행계획서(NIP)를 제출하였다.또,동 협약을 체계적으 로 이행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고자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법을 제정( 08.1.27)하여 시행하고 있다.한편,스톡홀름 협약 제5조 및 제15조에 따라 비준 시점으로부터 5년 주기 로 국가 실행보고서를 제출해야하는 바,우리나라는 협약 이행을 위해 국내에서 추진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를 위한 조치 내용 및 성과를 반영한 국가 실행보고서를 2012 년에 사무국에 제출해야 한다. 99년부터 각 부처별로 POPs에 대한 오염 및 배출,그리고 노출에 대한 장기모니터 링사업들( 99-현재)이 진행되어왔으나 이들 조사결과들이 나타내는 국내 오염대표치나 추세 등에 대하여 각 부처별로 혹은 부처간 통합적인 평가가 진행되지 않았다.그 결 과로 배출,오염수준,노출 등에서의 정책집행의 효과가 평가된 바가 없다.그런 와중 에,종종 오염원(hot-spot)위주로 집중된 개별연구자들의 연구결과가 국내 POPs의 오 염 및 노출에 대한 대표치로써 간주되는 결과들이 있어왔는데(Kannan 등, 2004; Rostkowski등.,2006),이들 결과는 국내자료의 종합평가에 기반하지 않음으로 해서 잘못된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음이 제기되기도 하였다(Kim 등,2007;Kim 등 2011).즉, 1990년대 이후 국내의 POPs관련 부처 및 개별 연구자들이 수행한 연구 조사 자료들 의 통합적 고찰 및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료의 활용도가 떨어져 정책개발 및 적용 에 있어 효과가 미흡하였다.이에 반하여 국내 POPs연구 결과를 총괄조사 평가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일부 물질(김 등,2004)혹은 일부 자료(환경부,2005;김 등,2007)에 국한되거나,타부처 연구결과와의 연계없이 해석(식약청,2009)되기도 하였다.특히,최 근에 김 등(2007)이 개인연구결과물로써 기존 및 신규 POPs를 포괄하여 1990년대부터 - 1 -

최근까지의 국내 배출현황,오염 및 노출현황,국내환경에서의 POPs거동특성,그리고 국내 POPs 정책현황을 종합평가한 결과를 발표하였다.그러나,해당 연구결과에는 1990년대 말부터 2006년까지의 자료만 취합되었다는 것과 정부부처에서 발주한 연구결 과 자료들이 종합적으로 취합 검토되지 않은 제한점이 있다.결과적으로 우리나라 환 경에서의 POPs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검토 및 평가에도 불구하고 POPs배출,오염, 노출에서의 시계열적 추세나 국가대표값을 도출하는데까지는 달성하지 못하였다.따라 서, 07-11등 최근 5년의 연구성과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최근까지 국가 부처별로 진행되어온 POPs오염,배출 및 노출에 대한 장기모니터 링이 10년에 달함에 따라 장기추세를 분석하고 정책집행의 결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 다.또,스톡홀름협약 비준 5주년이 되는 2012년에 국가실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국내에서 수행된 최근 5년간의 POPs관련 주요 연구 조사 사업의 결과를 정 리 평가하여 향후 국가실행보고서 작성 및 국내 POPs관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 용할 필요가 있다. 2.2.국 내외 연구현황 2.2.1.국내 연구현황 우리나라 환경에서의 POPs에 대한 조사는 1999년 환경부의 내분비계장애물질 환경잔 류 실태조사 연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이 연구조사사업은 다이옥신 등 일부 POPs 를 포함하고 있으며 매년 전국단위의 측정망지점에서 채취된 대기,토양,수체,퇴적물,생물 체 등에서의 잔류수준을 조사,발표하였다.또,2001년부터 POPs배출량 조사사업을 실시하 여 다이옥신류(PCDDs,PCDFs,coPCBs)와 HCB에 대한 각 배출원별 배출량을 조사하여 발 표하고 있다.이와 함께 보건복지부의 식품의약품 안전청에서도 2000년부터 우리나라 사람 들의 생체시료 및 섭취식품에서의 다이옥신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하였고,농수산식품부 의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해양측정망을 운영하여 해양생물 및 퇴적물들을 대상으로 장기모 니터링을 수행해왔다.이러한 국가부처차원의 장기모니터링 사업들은 올해로 10여년에 달 해 우리나라 환경중 POPs의 배출,오염,노출 현황에 대한 종합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POPs는 환경에 배출된 이후 환경 다중매체에 이동,분포하는 특징을 갖는다.따라서,배출- 환경매체내 잔류수준-인체 및 생태 노출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그럼에도 불구하고,현 재까지 각 부처 및 부처간 연구조사결과의 통합적 검토 및 평가가 진행되어오지 못했다.그 러나,각 부처별로 혹은 개인연구자에 의해 환경 및 인체 노출수준에 대한 검토가 간헐적으 - 2 -

로나마 수행되었다.그 연구들을 아래에 정리하였다. POPs제품 폐기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연구(I),환경부,2005 환경부는 POPs제품 폐기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연구(I),2005 사업을 통 해 POPs농약,POPs폐기물,제품 PCBs의 실태를 조사하면서 당시까지 조사된 일반환 경(대기,수질,토양,퇴적물 등),인체(지방,혈액 등),생태(어패류 등),식품 등에서의 잔류수준 연구결과를 취합,검토하였다.그러나,해당 연구사업이 취합한 자료의 상당 부분은 국내 POPs분석방법 및 자료의 질관리가 확립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전 자료 들로써 우리나라 환경의 현황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국내 다이옥신류 관리 기준설정을 위한 위해성 평가 및 관리연구,환경부,2006 해당 연구과제는 당시 환경부에서 추진하던 다이옥신 등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 리에 관한 법률 제정 및 스톡홀름협약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다이옥신 노출에 의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고 합리적인 환경매체 관리기준 설정을 위해 추진되었다.이를 위 해 대기,먹는 물,토양,식품 등에서의 다이옥신 잔류수준이 수집,평가되었다.이 연구 의 주요 목적은 다이옥신에 대한 인체노출량 산정 및 환경 매체별 건강보호수준을 결 정하는 것으로써 과제에서 취합된 자료는 주요 환경매체에서의 대표 잔류수준을 결정 하는데 있었다.따라서,다른 POPs화합물이 고려되지 않았고 시계열적 추세등 국내 POPs관리에 따른 효과가 평가되지 않았다. 다이옥신 등 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관한 측정망 설치를 위한 연구,환경부,2007 다이옥신 등 POPs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하여 POPs측정망 설치 지점,측 정주기 및 방법 등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한 과제로써 국내외 POPs측정망 관련 자료수 집하면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해 온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잔류 실태조사 연구결과를 취합 분석하였다.해당 취합자료는 측정망의 위치와 측정주기를 재설정 하는데 활용되었다. 국내 폐기물소각시설 배출가스와 소각재,환경매질,식품 및 인체에서 검출된 다 이옥신 농도수준 및 이성질체 유형 특성 김 등(2004)은 해당 논문에서 다중 환경매체에서 측정된 다이옥신의 잔류수준에 대 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해당 논문은 환경 거동의 관점에서 오염원 지역과 비 오염원 지역에서 다이옥신,퓨란 화합물의 농도와 이성체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평가하였다.해당 논문은 오직 다이옥신에 대하여만 매체별 특성을 해석하였다. - 3 -

Chapter2.Emission,contaminationand exposure,fateand transport,and nationalmanagementstrategyofpersistentorganicpolutantsinsouthkorea Kim 등(2007)은 2006년까지 출판된 우리나라 POPs관련 문헌들(국내 보고서 40편, 국내논문 57편,학위논문 4편,해외논문 91편 등)을 수집하여 POPs관련 국내정책의 변 화,POPs배출량 및 현황,각 환경매체별 농도수준,인체 노출수준,우리나라 환경에서 의 거동특성을 종합 기술하였다.따라서,해당 문헌은 국내 POPs에 대한 그동안의 연 구결과를 최초로 집대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그러나,국내 각 정부부처별 연구보고서 의 통합적 수집이 불가능했고 자료수집기간의 한계로 우리나라 POPs현황에 대한 시 계열적 추세나 정책집행의 효과 등이 분석되지 못했다.특히,이 논문의 원저 POPsin Asia'의 각 chapter는 아시아지역 각국의 모니터링 결과들을 종합한 논문들이 실려있 어 아시아지역의 POPs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하고 있다.하지만,여전히 이들 자료가 2006년 이전 자료들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적이다. 이러한 국내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국내 각 정부부처별 주요 연구보고서 및 개인연 구자 연구결과의 취합 이 필수적이며 장기모니터링 자료의 해석을 통한 우리나라 환경에서 의 POPs현황에 대한 추세와 정책집행의 효과가 평가 될 필요가 있다. 2.2.2.국외 연구현황 우리나라처럼 전국규모의 모든 환경매체에 대하여 POPs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한 대표적 인 나라는 일본이다. 화학물질의 제조등의 조사와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화학물질관리법) 에 기초해서 1974년부터 일반환경에서의 기존화학물질의 잔류량에 대한 화학물질의 환경 조사 및 모니터링(EnvironmentalSurveyandMonitoringofChemicals) 프로그램을 시작 하였다.이후 우선대상물질(prioritylist)을 선정하는 체계가 확립되고, 야생동물 모니터링, 비의도적 발생 화학물질 모니터링, 수체 및 퇴적물 모니터링, 특정 화학물질 조사 등의 프 로그램들과 병행되었다.이 조사 프로그램들에 POPs가 포함되어 조사되고 있다. EnvironmentalSurveryandMonitoringofChemicals'프로그램을 통해 대기,수체,퇴 적물,생물체,토양 등의 매체들에 잔류하는 PCDDs/DFs,PCBs,HCB,DDTs,Chlordanes, Heptachlor,Aldrin,Dieldrin,Endrin,Toxaphene,Mirex등의 POPs농도가 측정되고 있다. 다만,토양에서는 다이옥신만 측정되고 다른 POPs물질은 측정되고 있지 않다.2009년부터 는 Pentachlorobenzene,HBB,PBDEs,PFOS/PFOA에 대해 각각 대기, 수체/퇴적물/생물 체, 대기/수체/퇴적물, 수체/퇴적물/생물체 농도가 측정되고 있다.이들 조사결과는 매 년 일본 환경청 웹싸이트(htp://www.env.go.jp/chemi/kurohon/index.html)에 업로드되 고 있다.1974년부터 2009년까지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조사된 화학물질수는 1,208개이며 - 4 -

이중 671개가 검출된 것으로 알려졌다.2002-2009년 자료에 따르면,수체와 퇴적물에서 POPs농도수준은 전체적으로 변화가 없거나 점차적으로 감소하지만 항구나 큰 도시가 인 접한 반폐쇄성 만등과 같이 인간활동의 영향이 큰 지역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가 빈번 하게 발견되었다.야생동물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관측되었는데 PCBs와 DDTs농도는 인구 수가 큰 도시인접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같은 기간 동안 대기중 POPs농도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겨울철 농도보다 여름철 농도가 높은 경향 또한 관측되었다.모니터링 프로그램과 함께 다이옥신 배출량조사사업을 통해 확정된 국가다이옥신 배출목록을 199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표 1. 일본의 환경모니터링사업(FY 1974 - FY2009) 현황 결과표 일본외에도 POPs모니터링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국가인 캐나다는 자국내 모니터 링뿐만아니라 국제적인 POPs모니터링 활동에도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주요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Nothtern ContaminantsProgram (NCP),IADN (Integrated Atmospheric DepositionNetwork),NAPS(NationalAirPolutionSurveilance)등이다(환경부,2007). NCP는 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으로 인한 북극 거주민들의 건강영향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북극의 대기 및 생물체내 POPs,중금속,방사선핵종 농도와 경향을 모니터링한 다.IADN은 GreatLakes에 대한 POPs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의 부하량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모니터링에 국한되어 있으며,NAPS는 캐나다 도시중심지 주위에서의 대기질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다.이들 국가외에도 영국,스웨덴 등이 POPs장기모니터 링을 수행해오고 있으나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다중매체(대기,수체,퇴적물,토양,생물체)에 - 5 -

대하여 전국규모의 모니터링을 하는 나라는 드물다. 대부분 국가들의 POPs배출,오염,노출현황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특정매체나 특정시공 간적 규모로 국한된 단편적인 논문으로 제시되어 있어 해당국가 POPs현황을 대표할 수 없 다고 판단된다.따라서 본 연구사업에서는 국내 연구결과를 외국의 현황과 비교할 때,조사 의 대상물질 및 시공간적 규모 면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하고 국가 POPs현황에 대한 대표성 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 자료와 주되게 비교하였다. 3.연구 목표 및 범위 본 연구사업의 최종목표는 스톡홀름협약 가입 당사국으로써 2012년 실행보고서를 제출해야하는 바 이와 관련하여 국내환경에서의 POPs배출,거동,오염,노출 현황을 종합적 검토하고 평가하는 것이다.이를 위해,1)국내환경중 POPs에 대한 정부부처 연 구사업 및 개인연구자들의 연구결과물을 취합정리하고,2)해당 자료의 종합결과를 바탕 으로 국내 배출-오염-노출 현황을 평가하여,3)향후 스톡홀름협약 실행보고서에 활용토 록 하는 것이다. 3.1연구 목표 POPs관련 국내 연구 사업의 조사 국내 POPs연구 현황 평가 및 향후 연구방향 제시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황 보고서를 발간해 스톡홀름협약 실행보고서 작성에 활용 3.2연구 범위 본 연구사업의 세부 과업범위는 <그림 1>과 <그림 2>에 제시되었다. POPs관련 국내 연구사업의 조사 1 관계 4개 정부부처 연구사업 결과 조사 및 취합 국토해양부,농림수산식품부,보건복지부,환경부 주요 장기모니터링 사업위주 2 개인 연구자가 수행한 국내 POPs관련 연구조사 사업 조사 및 취합 해외 SCI논문출간 자료 혹은 국내 학회발표 논문 등 3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POPs연구현황 분석 - 6 -

국내 POPs연구현황 평가 및 향후 연구방향 제시 1 국내 POPs배출원 및 거동 평가 연구결과 분석 POPs배출원 및 환경으로의 배출 현황 평가 외국의 배출현황과의 비교 검토 국내 POPs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환경거동 연구사업 현황 2 다양한 환경매체에 대한 국내 POPs관련 오염현황(2005~) 육상환경 및 해양환경에 대하여 국내 다양한 매체(ex;대기,수체,토양,퇴적 물,생물체)를 대상으로 한 POPs오염현황 평가 각 환경매체별 POPs오염수준의 시간별 경향 외국의 오염현황과의 비교 검토 3 POPs에 대한 인체노출 현황(2005~) 혈액,모유,지방 등 인체시료 중 POPs노출현황 인체노출경로 중 식품등에서의 POPs오염도 현황 외국의 노출현황과의 비교 검토 4 POPs의 환경 영향 관련 연구결과 취합 POPs의 환경에 대한 영향 관련 연구 취합 해외 유수기관의 POPs독성 및 영향자료를 취합하여 부록에 제시 5 국내 POPs연구현황 평가를 통해 향후 수행 연구과제 도출 및 관리방향 제시 국내 POPs오염 및 노출에 대한 총괄평가 향후 연구방향 제시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황 보고서 발간 - 7 -

그림 1. 연구사업의 주요 목표 그림 2. 연구사업의 세부 연구범위 - 8 -

3.3.과업 추진 체계 및 연구진 구성 연구총괄책임: (서울대학교) 자문단 운영(7인 이내) 배출/거동/인체영향/육상환경 잔류수준 (서울대학교) 물질별/배출원별 배출량연구 조사 환경거동평가 연구조사 육상환경매체들 잔류수준연구조사 인체노출수준 연구조사 해당 연구별 외국연구와의 비교 해양환경 장기모니터링 자료분석 독성/생태영향/해양환경 잔류수준 (고려대) POPs독성자료 검색 및 정리 해양환경매체들 잔류수준연구조사 해양환경연구의 외국연구와의 비교 그림 3. 연구추진 체계 4.연구 방법 4.1조사대상 POPs물질 2001년 체결되고 2004년 발효된 스톡홀름협약에서 관리대상이 되고 있는 POPs는 12종으로 의도적 POPs(농약류 9종, 산업용 PCBs, HCB)와 비의도적 POPs(공정에서 발 생하는 물질 4종-PCDDs,PCDFs,PCBs,HCB)로 구분하여 관리해왔다.이들 12개 POPs를 편의상 기존 POPs(existingPOPs) 라 불러왔다.한편,2009년 5월 제4차 당사국 총회(COP) 에서 새롭게 9가지 유해화학물질을 POPs목록에 추가하였는데,이들 신규 POPs(emerging POPs) 에는 5종의 농약류(a-HCH,b-HCH,Lindane,Chlorodecone,Pentachlorobenzene)와 4종의 산업용 물질(Tetra-BDE및 Penta-BDEs,Hexa-BDEs및 Hepta-BDEs,HBB,PFOS및 그 염과 PFOSF)이 포함된다.본 조사연구에서는 이들 기존 및 신규 POPs2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 9 -

표 2. 연구대상 기존 12종 POPs 및 신규 9종 POPs 목록 구 분 용도/배출 주요 연구사업 종류 기존 POPs (12종) 신규 POPs (9종) 의도적 POPs 비의도적 POPs 농약류/살충제 산업용 알드린(Aldrin), 클로르단(Chlordane), 디엘드린(Dieldrin), 엔드린(Endrin), 헵타클로르(Heptachlor), 미렉스(Mirex), 톡 사펜(Toxaphene), 헥사클로로벤젠(HeCB)*, 디디티(DDT), 다염소화비페닐(PCBs)* ( HeCB, PCBs는 또한 비의도적 부산물로도 발생. PCBs는 산업용/기타는 농약류) 다이옥신(Dioxin), 퓨란(Furan), PCBs, HCB 클로데콘(Chlordecone), 린단(Lindane), Alpha-헥사클로로사이 클로헥산(alpha-HCH), Beta-헥사클로로사이클로헥산 (beta-hch), 펜타클로로벤젠(PeCB)* ( PeCB은 연소부산 물등 비의도적으로도 배출가능) 4브롬화 및 5브롬화디페닐에테르 (Tetrabromodiphenyl ether & Pentabromodiphenyl ethers), 6브롬화 및 7브롬화디페닐에 테르 (Hexabromodiphenyl ether & Heptabromodiphenyl ethers), 6브롬화비페닐(Hexabromobiphenyl), 과불소화옥탄설폰산 및 그 염과 과불소화옥탄설폰산불소(PFOS, its salts & PFOSF) 4.2 자료조사 방법 앞서 제시했던 것처럼 본 연구사업은 POPs연구사업들의 조사 와 해당 연구사업들의 결과들로부터 도출된 국내 POPs현황 평가 라는 2개의 축으로 구성된다.POPs연구사업들 의 조사는 1)정부부처에서 중장기적으로 추진된 모니터링 사업결과,2)SCI등 해외저널에 수록된 연구결과,3)국내 각 관련 학회지에 실린 연구결과,4)학위논문 연구결과 등으로 구 성된다. 4.2.1.POPs관련 정부부처별 연구조사 사업 결과의 취합 및 정리 국내에서의 POPs 물질은 1990년에 제정된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을 통해 화학물질 의 일부로 POPs를 관리해왔으며, 스톡홀름 협약 비준에 맞춰 POPs관련 통합 법 률인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을 제정하여 2008년 1월 28일부터 시행 중이다. 따라서, POPs 관련 업무수행을 위한 기본바탕이 되는 가장 대표적인 법령은 잔류성 유기오염물질관리법(2008.1.27.제정, 환경부) 이다. 한편, 스톡홀름협약에 대한 범국 - 10 -

가적 차원의 대응을 위하여 각 부처별로 관련법령을 제정하여 정책집행의 근거로 삼고 있다(<표. 3>). 우리나라 POPs관리는 기본적으로 환경부,국토해양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청), 농림수산식품부(농촌진흥청)등 4개부처가 관여하고 있으며 각 부처는 소속기관으로 국립 환경과학원,국립수산과학원, 국립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국립농업과학원,국립수의과학 검역원 등을 두어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각 부처별 정책집행영역은 <표.4>와 같다.이 들 사업들은 주로 중단기 모니터링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개인연구자들에 의한 조사들 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점에서 일정한 시점에 전국적으로 조사되었다는 장점이 있다.따라서,이들 4개부처에서 추진된 중단기 모니터링 사업들의 결과는 본 연구조사사업 에서 목표하고 있는 국내 POPs현황 으로써 토지이용도별 잔류 및 오염수준 과 시계열 적 변화양상 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리라 판단된다.따라서,각 부처별 중장기모니터링 사업 들의 결과보고서를 취합ㆍ정리하는데 집중하였다. 표 3. POPs 관련 부처별 역할 및 관련법령 관계부처 역할 관계법령 환경부 (환경과학원) 국토해양부 (국립수산과학원) 보건복지부/식품의약 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 원/독성과학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농촌 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수의과학검역원) 환경측정망 구성 및 운영 POPs 함유폐기물 처리/관리 UPOP배출목록 작성/관리 협약관련 POPs 관리정책 총괄 해양환경측정망 구성운영 해양오염저감대책수립 및 배출원 조사 식품/의약품 안전관리 인체모니터링/역학조사 민감군 및 위해발생 노출량의 규 명 축산물 잔류허용기준설정, 축산물 잔류분석/체내동태 농약 등록/관리/독성평가 농식품 안전관리기준설정 작물군 모니터링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등 해양환경관리법 식품위생법 약사법 농약관리법 축산물가공처리법 - 11 -

표 4. POPs 관련 부처별 역할 주요 연구사업 목록 구 분 환경부 (환경과학원) 국토해양부 (국립수산과학원) 보건복지부/식품의약 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 원/독성과학연구원) 농림수산식품부/농촌 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수의과학검역원) 주요 연구사업 종류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망 사업에 의한 환경매체 오염조사 PCBs 오염 폐기물 및 기기의 환경친화적 처리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배출원 배출량 조사 -1800여개 소각시설 다이옥신('01) -다이옥신배출실측사업(철/비철금속 등 290개 산업시설; '01-'05), HCB ('05-) 과불화합물의 환경 중 배출량 추정연구 신규POPs의 환경중 시공간적 분포조사 다이옥신 측정기반 구축사업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측정망 사업에 의한 환경매체 오염조사 (POPs 포함) ('02~) 국가 해양환경 측정망 사업추진('07~) -전국연안 25개지점에서의 해양환경 매체별 오염현황파악 모 니터링 -수산물(다소비어종) 잔류실태 연구 -유입경로 및 해양생태계 내 거동연구 -생물영향 실태 연구 해양생태계내 POPs 잔류량 조사연구 식품등에서의 POPs 잔류 모니터링과 위해성평가 -식품중 다이옥신('00~), PCBs('02~), 잔류농약 등 식품 및 인체시료에서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연 구사업 추진 -인체시료(모유, 혈액 등)에서의 다이옥신/PCBs ('99~), PBDEs('08~) 모니터링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농약오염현황 파악 및 조사 ('07; 10년 연 구결과 정리)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농약 오염지역 복원 농작물/농경지 PBDEs 잔류실태('08-'09) 가축, 사료에서의 모니터링 - 12 -

4.2.2. POPs 관련 국내/외 연구논문의 취합 및 정리 본 연구의 내용인 POPs조사사업 취합의 목적 중 하나는 정부부처에서 수행된 조사 의 결과와 일반연구자들의 연구결과의 일치성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즉, 두 조사결과 가 다를 경우 국내 POPs현황에 조사자료의 신뢰성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 러서, 본 연구조사에서는 국내 POPs에 대한 개인연구자들의 연구자료도 모두 취합하였 다. 이들 자료는 1) 국외 저명저널에 출간된 SCI논문, 2) 국내 관련학회지들에 수록된 국내논문, 3) 학위논문 등이다. SCI논문은 주요 SCI논문 통합검색서비스나 해당 저널의 온라인 웹싸이트들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국내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논문검색 서비스를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관련 학회의 온라인웹사이트의 검색을 통해 얻어졌으 며, 학위논문은 국회도서관 검색을 통해 이뤄졌다(<표. 5>). 표 5. POPs 관련으로 출간된 국내/외 논문의 취합 및 정리 구 분 주요 관련학회 주요 연구사업 종류 국내논문 국외논문 학위논문 관련 학회지 논문검색 웹주소 주요 저널 논문검색 웹주소 국회도서관 자료 검색 대한화학회, 대한환경공학회, 한국환경분석학회, 한국대기 환경학회, 대한분석과학회, 한국물환경학회, 환경독성보건 학회, 대한환경위해성보건과학회, 한국수산과학회, 한국식 품과학회, 한국해양학회, 한국해양환경공학회 등 각 학회 웹주소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index.do) Environmental Health and Perspectives (EHP),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ES&T), Environmental Pollution (EP), Chemosphere, Journal of Environmental Monitoring (JEM), Marine Pollution Bulletin (MPB),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AECT),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ETC), Environment International (EI) 등 각 저널 웹주소 통합검색주소 1) www.sciencedirect.com, 2) http://scholar.google.co.kr/schhp?hl=ko, 3) www.scopus.com 4) http://www.scirus.com/ http://www.nanet.go.kr/main.jsp - 13 -

5. 연구 결과 5.1. POPs 관련 연구조사사업 목록 5.1.1. POPs 배출원 및 배출량 조사연구사업 목록(정부보고서) 우리나라 POPs 배출 및 관리를 위한 주된 정책 및 집행은 환경부의 POPs관련 업 무내용이다. 주된 관리정책은 비의도적인 POPs의 저감과 POPs 폐기물 처리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되었다. 비의도적 POPs 배출목록 작성을 위해 다이옥신 실측사업 을 통 해 2001년부터 다이옥신과 PCBs의 주요 배출원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으며 2005년부 터는 해당사업에 HCB도 추가되었다. 해당 실측사업을 통해 선정된 점 비점오염원 배 출시설로부터의 배출원별 배출계수와 배출량 정보를 산정하여 2005년부터 다이옥신 국가배출목록(emission inventory)을 작성 발표하고 있다. 해당 실측사업은 2008년부 터 POPs 배출원 및 배출량조사 사업 으로 변경되어 매년 중 소형 소각시설 100여개 소, 철 비철 금속, 화학산업 등 290여개 사업장에 대한 다이옥신 배출량 조사가 실시 되고 있다(<표. 6>). 한편, POPs 폐기물에 대한 관리는 PCBs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추진되어왔다. 2015 년까지 PCBs 근절을 목표로 이해당사자간의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고, PCBs 정책협의 회 및 PCBs 안전처리 평가단을 구성하여 PCBs 사용실태 조사 및 처리방법 등에 관한 연구사업을 진행해왔다. 특히, POPs 함유 제품 및 폐기물 배출량조사로써 POPs 제 품 폐기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연구(I,II,III) 를 통해 국내 유입식 변압기 사용 실태 및 목록을 작성하고 변압기 중 PCBs 농도등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의도적 POPs 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유기염소계농약은 1970년대 말 이후로 등록취소 및 유통이 금 지된 관계로 우리나라 환경에서 더 이상의 배출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 다. POPs 제품 폐기물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마련연구 에서 해당 물질들에 대한 이전 의 배출량에 대한 자료가 취합 정리된 바가 있다. 신규 POPs에 대한 배출량조사 연구로서 브롬화난연제의 국제적 규제방향과 대응 방안연구 에서는 우리나라의 브롬화난연제 수출입현황과 소비량을 제시하였지만 배출 량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반면에, 과불소화화합물에 대한 국내 배출량으로써 주요수계 하천수를 통한 배출량이 PFOS 조사체계 구축 및 위해성평가기법 개발 사업 에, 그리고 하폐수처리장을 통한 국가배출량추정이 과불화화합물 환경중 배출량 추정 연구 를 통해 선행적으로 연구되어 발표된 바가 있다(<표. 6>). - 14 -

표 6. 본 연구조사사업에서 취합된 POPs 배출량 관련 연구사업 목록(국가보고서) 구분 구분 사업년도 사업 목록 기존POPs 신규POPs 1999-2000 중소형 소각시설에 대한 다이옥신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 다이옥신 실측사업 (1차-5차) -철강, 비철금속, 비금속분야 -비금속광물부야 / 비철금속 분야 2001-2005 비의도적POPs -추가실측분야 / 화학제품제조 분야 -이동오염원 및 추가실측 -비점오염원 및 폐수처리시설 2006 부산물 POPs 배출목록 작성을 위한 연구 2008-2010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조사 (1차-3차) 의도적POPs 2004-2006 POPs 제품/폐기물실태조사및 관리방안연구(1차-3차) 2005 브롬화난연제의국제적 규제방향과대응방안연구 의도적POPs 2005-2008 PFOS 조사체계구축및위해성평가기법개발 2010 과불화화합물환경 중배출량추정연구(I) 5.1.2. POPs 거동연구사업 목록(정부보고서) 국내 POPs 배출량 산정 및 잔류수준 모니터링 연구에 비해 POPs 거동연구는 상대 적으로 빈약하게 진행되었다. 본 연구사업에서는 다매체환경 중 거동특성, 물질수지 관 점에서 통합적으로 해석하거나 배출원별 기여도에 대한 평가 등을 목적의식적으로 수 행한 사업들만을 고려하였다. 육상환경에 대한 거동연구는 크게 내분비계장애물질 환 경거동연구, 배출원 규명 및 기여율 평가에 대한 연구 등이 이에 속하며 해양환경 에 대한 거동연구는 내분비계장애물질의 해양내 거동연구 를 참고하였다(<표. 7>) 표 7. 본 연구조사사업에서 취합된 POPs 거동연구사업 목록(국가보고서) 구분 사업년도 사업 목록 내용 육상환경 2001-2004 2006-2007 내분비계장애물질 환경중 거동 연구(1-4차) 배출원 규명 및 기여율 평가에 대한 연구(1-2차) PCBs, OCPs등에 대한 다매체 환경중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다매체 환경거동모형개발 및 적용 배출원(폐기물소각로, 화학업, 제지업, 금속제련 등등)별 배가스 중 다이옥신, 먼지조성, VOCs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일반대기 잔류 대기오염물질들에 대한 배출원별 기여도 평가 해양환경 2007-2008 특정해역으로의유입경로(하천수, 대기침적 내분비계장애물질해양내거동연구(1-2차) 등)와제거(퇴적) 경로에대한연구 - 15 -

5.1.3. 환경내 다중매체에서의 잔류농도수준 연구조사 목록(정부보고서) 가. 육상환경 국내 육상환경에서의 POPs의 잔류실태에 대한 조사는 환경부, 농촌진흥청으로 나뉘 어 진행되었다. 환경부는 일반환경내 대기, 토양, 퇴적물, 수체, 생물체 등 다중매체에 대한 전국적 규모의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해왔다. 주된 연구사업으로는 1999년부터 수 행되었던 내분비계장애물질 조사 연구사업, 대기환경 중 잔류실태조사,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한 생태영향조사 를 들 수 있다(<표. 8>). 각각의 사업은 토양 수체 퇴 적물, 대기, 수서생물을 조사대상으로 POPs를 비롯한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의 잔류수준 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육상수서생태계 모니터링은 7차까지, 대기 토양 수체 퇴적 물에 대한 모니터링은 10차까지 진행되었으나 마지막 해의 연구는 프탈레이트류와 PBDEs만 조사하였다. 2008년부터는 기존 POPs만 별도로 떼어내어 잔류성유기오염물 질 측정망설치 운영사업 을 통해 전국규모의 다매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2010 년부터 신규POPs의 환경중 시공간적 분포조사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전술한 POPs 장기모니터링사업외에 별도로 우리나라 주요 수계 하천퇴적물내 POPs 잔류수준에 대 한 조사로써 하천퇴적물 POPs 축적도 모니터링 사업, 4대강 표층퇴적물중 브롬화방 염제(PBDEs) 분포도조사 이 진행되었다. 한편, 소각로 인근 환경의 다이옥신 오염실태 에 대한 조사가 별도 사업으로 진행되었고, PCBs 함유제품 폐기물을 다루는 업체 주 변환경의 오염우려로 PCBs 토양오염실태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PBDEs를 대상물 질로 3년간(2008-2010년) 정부부처간 공동사업을 진행하였다(<표. 8>). 농업진흥청에서는 시료 중 다이옥신 오염도 조사,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작물 재배환경 중 잔류분석 및 위해성평가연구,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환경생물 영향평 가연구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본 연구사업에서는 해당 연구보고서들을 취 합할 수 없었다. 대신, 1999년-2002년에 다양한 농작물 재배토양 중에 잔류하는 유기염 소계농약과 다이옥신/퓨란에 대한 측정자료와 2010년 과수중에 잔류하는 다이옥신/퓨란 에 대한 측정자료를 협조받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나. 해양환경 국토해양부에서는 해양환경측정망을 활용하여 매년 POPs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있 는데 측정망 및 조사 항목 방법 절차 등은 국립수산과학원에 위임하여 수행해왔다. 2001년부터 매년 연안퇴적물 및 해양생물체에 대하여 PCDDs/DFs, PCBs, OCPs 등의 잔 류실태를 조사하였다. 또, 해양생태계내 내분비계장애물질 연구 사업을 통해 2007년 -2009년 기간동안 수산물 섭취에 따른 다이옥신류, 유기염소계농약류, PAHs 등의 인체 - 16 -

표 8. 본 연구에서 취합된 육상환경 잔류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사업년도 사업 목록 주요 내용 2001-2008 2001-2008 2001-2008 대기환경중 잔류실태조사 (1차 -10차) 내분비계장애물질 환경중 잔류 실태조사 (1차-10차) 내분비계장애물질에 의한 생태 영향조사 (1차-10차) 2008-2010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 측 정망 설치 운영사업 2005-2008 하천퇴적물 POPs 축적도 모니 터링 사업 ㆍ년도별 15-35개지점 일반대기에 대하여 다이옥신/퓨 란, co-pcbs, HeCB 잔류수준 조사 ㆍco-PCBs는 4차부터 추가됨. ㆍ7차부터 기존 조사와 달리 산업단지 위주 조사 ㆍ10차-POPs중 PBDEs만 조사 ㆍ토양, 물, 퇴적물에 잔류하는 POPs수준 조사 ㆍ4차-PBB가 제외되고 co-pcbs가 추가됨 ㆍ5차-기존 조사대상 OCPs중 aldrin, endrin, dieldrin, heptachlor epoxide, oxychlordane, HCHs가 제외됨. ㆍ6차-aldrin, endrin, dieldrin이 다시 추가됨 ㆍ7차부터 산업단지 위주의 조사 ㆍ8차부터 PFOA, PFOS 포함 ㆍ10차-POPs중 PBDEs만 조사 ㆍ주요수계 어류, 양서류 체내잔류 POPs수준 조사 ㆍ환경잔류실태조사와 년도별 동일한 POPs 목록 ㆍ3차때는 POPs가 조사되지 않음 ㆍ5차-기존 조사대상 OCPs중 aldrin, endrin, dieldrin, heptachlor epoxide, oxychlordane, HCHs가 제외됨. ㆍ7차-4개지점에서 PCDDs/DFs, co-pcbs, PCBs만 측정 ㆍ8차부터 POPs 조사하지 않음 ㆍ대기, 토양, 물, 퇴적물에서 기존 POPs (PCDDs/DFs, co-pcb, HeCB, PCBs, OCPs)에 대한 모니터링 ㆍ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의 표층퇴적물 중 기존POPs(PCDDs/DFs, co-pcbs, Drins, Chlordanes, DDTs, HeCB) 잔류수준 조사 2009 4대강 표층퇴적물중 브롬화방 염제(PBDEs) 분포도 조사 ㆍ4대강 표층퇴적물 시료로부터 PBDEs 오염도 조사 2008-2010 PBDEs 환경중 잔류실태조사 (1차-3차) 2007-2009 토양중 PCBs 오염실태조사 ㆍ관계부처 공동사업 ㆍ1차-시화안산, 울산온산 등 2개 지역 대상 ㆍ2차-여천광양 공단지역을 추가하여 3개 지역 대상 ㆍ3차-여천광양 지역만 대상 ㆍ토양잔류 POPs관리방안연구 ㆍPCBs 토양오염 기초실태조사 ㆍPCBs 토양오염 우려지역의 토양영향조사 2003-2006 2005-2007 ㆍ소각시설 주변환경(배가스, 대기, 토양, 방류수, 퇴적 폐기물소각시설 주변환경중 다 물)에 대한 다이옥신 모니터링 이옥신 잔류실태조사 (1차-4차) ㆍ금호환경(2003년), 동원제지(2005년) 조사 포함 PFOS 조사체계 구축 및 위해 성 평가기법 개발 ㆍ주요수계 물, 퇴적물, 생물체, 일부해역 해수, 퇴적물 중 PFCs 잔류실태조사 - 17 -

노출수준을 평가보고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근해에서 서식하는 해양포유류 에 잔류하는 POPs 축적도가 조사된 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사업에는 2001-2007 년의 표층퇴적물 및 이매패류 중 PCDDs/DFs, PCBs, DDTs 잔류수준 자료와 2007-2009년의 수산물 중 PCDDs/DFs, co-pcbs 잔류수준 자료만이 사용가능하였다 (<표. 9>). 국립수산과학원과 별도로 한국해양연구원은 POPs에 대한 다양한 연구사업들 을 진행해왔다(<표. 9>). 하지만, 이들 보고서의 대부분은 측정시점과 지점에서 진행된 연구과제였고, 보고서 취합이 이뤄지지 않아 본 연구사업에서는 목록만 확인하는데 그 쳤다. 표 9. 본 연구에서 취합된 해양환경 잔류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구분 연도 사업 목록 한국해양 연구원 국립수산 과학원 2008 황해환경오염특성평가및감시체계개발:지속성유기오염물질중심 으로 2007 연안해역 건강도 평가 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2007 해외 과학기술협력센터 운영-해양의 화합물 오염 연구: 홍합 감시 프로그램 2006 남해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II 2006 남해특별관리해역의환경위해성평가연구1:마산연안중심연구 2006 폐기물해양배출종합관리시스템구축3 2005 해양오염퇴적물조사정화 복원체계구축2 2005 폐기물해양배출종합관리시스템구축2 2005 폐기물해양배출종합관리시스템구축1 2005 황해연안오염저감대책,6차년도 2004 내분비계장애물질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4 해양오염퇴적물조사정화 복원체계구축,1 2004 내분비계장애물질이연안생태계에미치는영향연구 2004 런던협약제출용보고서작성을위한배출해역정밀모니터링:서해 병,1 2004 황해연안오염저감대책,5차년도 2003 남해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I 2003 황해연안오염저감대책,4차년도 2003 수산물 소비형태에 따른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잔류실태 및 섭 취경로 연구 2002 황해연안오염저감대책,3차년도 2002 전국 연안의 지속성 오염물질 오염실태 조사 2001 내분비장애물질이유용수산자원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2001-2007 연안환경내 이매패류 및 해양퇴적물중 POPs잔류수준 실태조사 2007-2009 해양생태계내 내분비계 장애물질 연구 2010 해양생태계내 유해물질 안전성 평가연구 - 18 -

5.1.4. 인체노출 연구조사 목록(정부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민건강영양조사 를 참고하여 다소비식품군 등을 대상으로 다이옥신에 대한 모니터링과 노출량 평가 연구를 매년 수행해왔으며, 2002년부터는 식 품중 PCBs 잔류수준도 조사하고 있다. 신규POPs로써의 PBDEs는 2008년 부처공동사업 으로 3개년동안 조사되었다. 한편, 인체시료에 대해서는 주로 모유에 잔류하는 다이옥 신류에 대하여 2000년부터 모니터링을 수행해왔는데, 2003년 PCBs와 2007년부터 PBDEs를 추가로 조사하고 있다. 신규POPs에 대해서는 혈중에 잔류하는 PBDEs와 과불 소화화합물에 대한 조사가 비교적 최근인 각각 2008년, 2006년 이후부터 조사되었다 (<표. 10>). 표 10. 본 연구에서 취합된 인체노출관련 POPs 모니터링사업 목록(국가보고서) 구분 사업년도 사업 목록 주요 사업내용 2001-2002 한국인 지방, 간 및 혈액중 PCBs 및 OCPs 분포 ㆍ사체 시료에서 검출된 POPs 농도 인체 2000-2008 인체시료중 다이옥신 및 내분비계장애물질 모니터링(1차-9차) 2008-2010 혈중 PBDEs 노출수준 조사(1차-3차) ㆍ인체 모유, 지방에서 다이옥 신류, PCBs 등 잔류수준 조 사 / 7-9차에 PBDEs 포함 ㆍ부처간 공동사업 (1차-서울, 안산, 울산; 2차-안산,울산; 3 차-여수,광양) 2006-2009 PFOA, PFOS 인체노출 조사 ㆍ생체지표 물질연구 ㆍ인체노출량 조사 ㆍ인체노출조사 2000-2003 식품중 다이옥신 모니터링 ㆍPCDDs/DFs, copcbs 2004 식품중 다이옥신에 대한 안정성 평가 ㆍPCDDs/DFs, copcbs 2002-2004 식품중 PCBs 모니터링 ㆍPCBs 62종 식품 2005-2010 식품중 PCBs, dioxins 모니터링 2008-2010 식품중 PBDEs 잔류조사 (1차-3차) ㆍPCDDs/DFs, copcbs, PCBs 62종 ㆍ부처공동사업 (1차-서울,안 산,울산; 2차-안산,울산; 3차- 여수,광양) 2002-2010 유통식품중 PBDEs ㆍ유통식품 5개품목 - 19 -

5.1.5. POPs 관련 정부부처조사사업 목록총괄 전술한 각 부처별 연구 및 조사사업들을 총괄취합하여 본 연구사업에서 국내 POPs 현황을 분석하는데 활용되었다. 환경부에서 취합된 자료가 77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주된 보고서가 30개 등으로 우리나라 일반환경과 인체노출에 대한 연구조사결과가 대부분 반영될 수 있었다(<그림 4>). 한편, 해양환경에 대한 국가보고서의 경우 취합된 보고서와 별도로 2001년부터 진행된 우리나라 연근해 환경의 모니터링자료가 추가로 분석되었다. 이들 각 부처보고서는 개인연구자들의 연구결과들과 달리 전국적 규모에 서 장기기획과제로 진행된 것들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자료가 국내 POPs의 토지이용도 혹은 품목별 농도수준이나 시계열적 변화양상을 분석하는데 활용되었다. 해당 연구과제 보고서상에 제시된 개별물질들에 대하여 년도별 조사시점 수나 시료 품목 수를 <그림 5> ~ <그림 8>에 제시되었다. 그림 4. 본 연구에서 취합된 정부주도 연구사업 보고서 현황 - 20 -

PCDDs/DFs PBDEs 조사지점수 (n) 70 60 50 40 30 20 10 대 기 토 양 수 체 저 질 생 물체 조사지점수 (n) 4 5 4 0 3 5 3 0 2 5 2 0 1 5 1 0 5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 체 0 19 99 2000 2001 20 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 0 0 19 99 2000 2001 2 002 20 03 2004 2005 2 006 2007 2008 2 009 20 10 copcbs PFCs 조사지점수 (n) 조사지점수 (n) 60 50 40 30 20 10 0 70 60 50 40 30 20 10 19 99 2000 2001 20 02 20 03 2004 20 05 HCB 200 6 2007 20 08 200 9 2010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체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체 조사지점수 (n) 조사지점수 (n) 12 0 10 0 8 0 6 0 4 0 2 0 0 5 0 4 5 4 0 3 5 3 0 2 5 2 0 1 5 1 0 5 19 99 2000 20 01 200 2 2003 20 04 PBBs 200 5 2006 20 07 2008 20 09 20 10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 체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 체 0 1999 20 00 200 1 20 02 20 03 2004 2005 20 06 200 7 20 08 200 9 2010 0 1999 200 0 2001 2002 20 03 2004 200 5 2006 2 007 2008 20 09 2010 PCBs PeCB 조사지점수 (n) 70 60 50 40 30 20 10 0 60 19 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 05 OCPs 2006 2007 2008 2009 2010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체 대기 조사지점수 (n) 25 20 15 10 5 0 1999 20 00 2001 2002 2003 2 004 200 5 2006 2007 2008 2009 2010 대기 토양 수체 저질 생물체 50 토양 수체 조사지점수 (n) 40 30 20 저질 생물체 10 0 19 99 2000 200 1 2002 2 003 2004 20 05 2006 200 7 2008 2 009 2010 그림 5 환경부 연구사업 보고서에서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 21 -

PCDDs/DFs OCPs (drins, HCHs, DDTs) 조사지점수 (n) 100 90 80 70 60 50 40 3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조사지점수 (n) 25 20 15 1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20 5 10 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copc Bs PBDEs 조사지점수 (n)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조사지점수 (n) 700 600 500 400 300 200 10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PCBs PFCs 조사지점수 (n) 100 90 80 70 60 50 40 3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조사지점 수 (n ) 900 800 700 600 500 400 300 식품 인체 혈액 인체 모유 인체 지방 인체 기타 20 200 10 100 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그림 6.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사업 보고서에서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 22 -

PCDDs/DFs co-pcbs 조사지점수 (n)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해양수체 해양퇴적물 해양생물체 수산물 조사지점수 (n) 140 120 100 80 60 40 20 0 해양수체 해양퇴적물 해양생물체 수산물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PCBs DDTs 조사지점 수 (n) 30 25 20 15 10 해양수체 해양퇴적물 해양생물체 수산물 조사지점수 (n) 30 25 20 15 10 해양수체 해양퇴적물 해양생물체 수산물 5 5 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그림 7.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업결과로부터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PCDDs/DFs co-pcbs 조사시료수 (n) 40 35 30 25 20 15 10 5 0 1999 2000 농산물 과일 농토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조사시료수 (n) 16 14 12 10 8 6 4 2 0 2007 2008 2009 2010 OCPs 조사시료수 (n) 40 35 30 25 20 15 10 5 0 1999 2000 농산물 과일 농토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그림 8.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사업결과로부터 취합된 물질별 조사지점 수 농산물 과일 농토 - 23 -

5.1.6. POPs 관련 연구논문 조사목록 SCI와 같은 해외 유명저널 혹은 국내의 학회지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연구결과를 <그림 9>에 정리하였다. 1997년부터 2011년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POPs, 지속성 유기오염물질, 내분비계장애물질, EDCs 및 POPs 각 물질의 영어명, 한국 명, 약어명 등을 키워드로 사용해 검색된 POPs 관련 총문헌수는 564개였다. 문헌중 에는 다이옥신류가 236개로 가장 많았고 PCBs 169개, OCPs 99개 등이었다. OCPs에 포 함된 각 농약류 화합물은 20편내의 상대적으로 작은 문헌수를 보여 이 물질들에 대한 연구결과가 상대적으로 빈약함을 보였다. 기존 POPs에 대한 문헌이 전체 문헌의 89% 인 504개인 반면, 신규POPs인 PBDEs는 34개, PFCs는 25개였고 OCPs중 2009년 신규 POPs 목록에 추가된 HCHs에 대한 문헌은 21개였다. 한편, 조사된 문헌들을 각 물질에 대하여 년도를 기준으로 나열한 그림을 <그림 10>에 나타냈다. 기존POPs의 경우 1990년대 말부터 문헌수가 증가하기 시작해 2000년 대 말까지 꾸준히 조사되어왔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전술한 것처럼 다이옥신류와 PCBs 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존POPs에 비해 PBDEs, PFCs와 같은 신규POPs에 대한 문헌수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급격히 증가되고 있어 현재의 연구경향을 반영 하고 있다. 그림 9. 해외논문, 국내학술지, 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POPs관련 물질별 문헌수 - 24 -

(a) PCDDs/DFs (b) PCBs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c) DDTs (d) HCHs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e) Chlordanes (f) drins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g) PBDEs (h) PFCs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25 20 15 10 5 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ocean multi ocean air ocean water ocean organism ocean food ocean sediment inland waste inland soil inland water inland multi inland organism inland human inland food inland sediment inland air 그림 10. 해외논문/국내학술지/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POPs 물질의 년도별 문헌수 - 25 -

해양환경에 대한 문헌만 따로 떼어보면, 물질별 문헌이 PCBs가 41건으로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으로 OCPs(39건), PCDD/Fs(22건), PBDEs(17건), PFCs(13건) 순이었다. 년도 별로 문헌수의 분포는 <그림 10>에서처럼 우리나라 해양환경 중 POPs 자료 또한 1990 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여, 초기에는 PCDD/Fs, PCBs, OCPs 등과 같은 기존 POPs 물질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나 점차 PBDEs, PFCs 와 같은 신종 POPs에 대한 연구가 늘고 있는 추세가 관측된다(<그림 11>). 그림 11. 해외논문/국내학술지/학위논문을 통해 발표된 해양환경 중 POPs의 물질별 문헌 수 및 각 POPs물질의 년도별 문헌수 - 26 -

우리나라 환경중 POPs를 조사한 국내외 논문들 대부분의 경우 연구보고서 혹은 논문 상호간에 중복된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학외논문에 수록된 자료는 대부분 SCI논문에 출 간되었다. 한편 국내논문의 경우 원자료가 제공되지 않거나 QA/QC등에 대한 서술이 부족 해 본 연구사업의 자료로 취합되지 않았다. 즉, 본 사업에서는 자료의 질관리가 확인된 SCI논문만 취합하여 자료를 정리하였다. 우리나라 육상환경 및 인체노출 등에 대해 보고 한 SCI논문 목록은 <표 11>에, 우리나라 해양환경에 대해 보고한 SCI논문 목록은 <표 12>에 수록하였다. 표 11. 우리나라 육상환경 및 인체노출 POPs 관련 SCI 연구논문 논문 번호 제 목 연도 학술지/권/호/페이지 kp-1 The evaluation of PCDD,Fs from various Korean incinerators 1999 Chemosphere 38, 2097-2108 kp-2 Gas/particle partitioning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atmosphere; evaluation of predicting 2001 Atmospheric Environment 35, 4125-4134 models kp-3 The survey of PCDDs and PCDFs in the ambient air of the urban and industrial sites in Korea, 1998-99 2001 Chemosphere 43, 501-506 kp-4 Regional measurements of PCDD/PCDF concentrations in Korean atmosphere and comparison with gas particle 2002 Chemosphere 49, 755-764 partitioning models kp-5 A case study of dioxin monitoring in and around an industrial waste incinerator in Korea 2005 Chemosphere 58, 1589-1599 kp-7 Assessment of variations in atmospheric PCDD/Fs by Asian Atmospheric Environment 41, 2007 dust in Southeastern Korea 5876-5886 kp-8 Formation and emission status of PCDDS/PCDFS in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in korea 2001 Chemosphere 43, 701-707 kp-9 PCDD/DF concentrations at the inlets and outlets of wet scrubbers in Korean waste incinerators 2007 Chemosphere 66, 370-376 kp-10 Influence of a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on ambient air and soil PCDD/Fs levels 2006 Chemosphere 64, 579-587 kp-11 National monitoring of PCDD/DFs in environmental media around incinerators in Korea 2008 Environment International 34, 202-209 kp-12 Survey of PCDDs and PCDFs in air and soil around Bull Environ contam Toxicol. 2009 Various vncinerators in Korea, 2003-2007 83, 435-439 kp-13 Characteristics of dioxins and metals emission from radwaste plasma arc melter system 2004 Chemosphere 57, 421-428 kp-15 Evaluation of Polychlorinated Environ.Sci.Technoi. 33, Dibenzo-p-dioxin/Dibenzofuran(PCDD/F)Emission in Municipal 1999 2657-2666 Solid Waste Incinerators In vitro toxicity assay using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kp-16 Beas-2B, for the screening of toxicological risk of dioxin-like compounds sampled from small sized Korean waste 2007 Chemosphere 70, 20-28 incineration plants kp-21 Characteristics of major dioxin/furan congeners in melted Microchemical Journal 80, slag of ash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2005 171-181 kp-22 PCDD/DF in leachates from Korean MSW landfills 2006 Chemosphere 63, 1353-1360 kp-23 Background levels and dietary intake of PCDD/Fs in domestic and imported meat in South Korea 2007 Chemosphere 69, 479-484 kp-24 kp-25 kp-26 Human exposure to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associated with seafood consumption in Korea from 2005 to 2007 Seasonal variations in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urban and rural areas of Korea Survey on organochlorine pesticides, PCDD/Fs, dioxin-like PCBs and HCB in sediments from the Han river, Korea 2009 2004 Environment International 35, 279-284 Atmospheric Environment 38, 4779 4788 2009 Chemosphere 75, 580 587 kp-27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lorinated persistent organic 2009 Chemosphere 74, 441 447-27 -

kp-28 kp-29 kp-30 kp-31 kp-32 kp-33 kp-34 kp-35 kp-36 kp-37 kp-38 kp-39 kp-40 kp-41 kp-42 compounds and PAHs in sludge in Korea Atmospheric levels and distribution of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the vicinity of an iron and steel making plant Levels and regional trend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s and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in Asian breast milk demonstrate POPs signatures unique to individual countries Concentration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human blood samples from Korea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in blood from Korean incinerator workers and general population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synthetic musks in umbilical cord Serum, maternal serum, and breast milk from Seoul, South Korea Evaluation of the fate of perfluoroalkyl compound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Levels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and perfluorooctanoic acid in female serum samples from Japan in 2008, Korea in 1994 2008 and Vietnam in 2007 2008 Congener-specific approach to human PCB concentrations by serum analysis Distribu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human serum from urban areas in Korea Relative importance of polychlorinated naphthalenes compared to dioxin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human serum from Korea: Contribution to TEQs and potential sources Occurrence of perfluorooctanoate and pefluoroocanesulfonate in the Korean water system: Implication to water intake exposur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derived national discharge load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Watershed-based riverine discharge loads and emission factor of perfluorinated surfactants in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of perfluorochemicals between sera and milk from the same mothers and implications for prenatal and postnatal exposures Indoor and outdoor poly- and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s) in Korea determined by passive air sampler 2008 2009 2005 J. Atmospheric Environment 42, 2479 2488 J. Environment International 35, 1072 1079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36, 45-56 2007 Chemosphere 67, 489 497 2010 Chemosphere 80, 116 122 2010 water research 44, 3476-3486 2010 Chemosphere 79, 314 319 2007 Chemosphere 68, 1699 1706 2008 Chemosphere 73, 1625 1631 2010 2011 2012 Environmental Pollution 158, 1420-1427 Environmental Pollution 159, 1167-1173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1-202, 82-91 2012 Chemosphere (submitted) 2011 2012 Environmental Pollution, 159, 169-174 Environmental Pollution, 162, 144-150 표 12. 우리나라 해양환경 POPs 관련 SCI 연구논문 논문 번호 IJ-1 IJ-2 IJ-3 IJ-4 IJ-5 IJ-6 IJ-7 제 목 연도 학술지/권/호/페이지 Polychlorinated dibenzo - p - dioxins and polychlorinated dibenzo furans in shell fishes from south coast of Korea. Characterization and distribution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from Masan Bay, Korea. 1. Instrumental analysis Alkylphenol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organochlorines in sediment from Lake Shihwa, Korea: Instrumental and bioanalytical characterization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organochlorine residues in bivalves from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Instrumental and bioanalytical measure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s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from Korean coastal waters Accumulation profile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s in water birds from an estuary in Korea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and water from Ulsan Bay and its vicinity, Korea 1998 Chemosphere 37(5):951-959. 1999 1999 2002 2000 2001 2001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3 (23), pp. 4199-4205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8 (11), pp. 2424-2432 Marine Pollution Bulletin 45 (1-12), pp. 268-279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39 (3), pp. 360-368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1:353-363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 28 -

IJ-8 IJ-9 IJ-10 IJ-11 IJ-12 IJ-13 IJ-14 IJ-15 IJ-16 IJ-17 IJ-18 IJ-19 IJ-20 IJ-21 In vitro bioassay determination of dioxin-like and estrogenic activity in sediment and water from Ulsan Bay and its vicinity, Korea Distribu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diments from Kyeonggi Bay and nearby areas, Korea Contamin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sediments from Kyeonggi Bay and Nearby Areas, Kore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CBs in the sediments of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 Sources and disribu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 furans in sediments from Masan Bay, Korea. Analysis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pore water, and water samples from Onsan Bay, Korea: Instrumental analysis and in vitro gene expression assay PCBandPCDD/Ftotals,TEQs,andcongenerpatternsinKoreancoast almarineenvironments,1987,1988,1990,and1996-1999.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PCBs and chlorinated pesticides in sediments from Masan Bay, Korea Asia-Pacific mussel watch: Monitoring contamination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compounds in coastal waters of Asian countries Instrumental and bioanalytical measures of dioxin-like and estrogenic compounds and activities associated with sediment from the Korean coast A preliminary report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pollutants in the Yellow Sea Levels of persistent organochlorine contaminants in fish from Korea and their potential health risk Congener-specific survey for polychlorinated biphenlys in sediments of industrialized bays in Korea: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sources A survey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furans in Korean seafood- A congener-specific approach 2001 2001 2001 2001 2002 2002 2003 2003 2003 2005 2005 2005 2005 2005 IJ-22 A global survey of perfluorinated acids in oceans 2005 IJ-23 IJ-24 IJ-25 IJ-26 IJ-27 IJ-28 IJ-29 IJ-30 Nationwide monitoring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diments from coastal environment of Korea Characterization o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marine sediment from Yeongil Bay, Korea: 1. Instrumental analyses Dietary intake of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due to the consumption of various marine organisms from Korea Characteriza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different particle size fractions of marine sediments Perfluorinated compounds in streams of the Shihwa industrial zone and Lake Shihwa, South Korea Asian mussel watch program: Contamination status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organochlorines in coastal waters of Asian countries Spatial distribution and accumulation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blue mussels (Mytilus edulis) from coastal waters of Korea A congener-specific survey for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polychlorinated dibenzofurans (PCDFs) contamination in Masan Bay, Korea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sediment and bivalves from Korean coastal water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in marine sediments from industrialized bays of Korea 2006 2006 2006 2006 2006 2007 2007 2007 40 (2), pp. 141-150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40 (2), pp. 151-160 Environmental Pollution 114 (2), pp. 207-213 Marine Pollution Bulletin 42 (4), pp. 273-279 Chemosphere 44 (6), pp. 1403-1411 Environ. Toxicol. Chem. 21(2):245-252.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1 (9), pp. 1796-1803 Arch. Environ. Contam. Toxicol. 44:224-236. Marine Pollution Bulletin 46 (2), pp. 244-253 Marine Pollution Bulletin 46 (3), pp. 281-300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61 (3), pp. 366-379 Marine Pollution Bulletin 50 (2), pp. 217-222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48 (3), pp. 358-366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9 (19), pp. 7380-7388 Marine Pollution Bulletin 50 (10), pp. 1121-1127 Marine Pollution Bulletin 51 (8-12), pp. 658-668 Chemosphere 64 (9), pp. 1479-1488 Environmental Pollution 142 (1), pp. 39-47 Chemosphere 62 (7), pp. 1142-1152 Environmental Pollution144 (2), pp. 554-561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5 (9), pp. 2374-2380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1 (13), pp. 4580-4586 Environmental Pollution148 (2), pp. 562-56 Chemosphere 68 (9), pp. 1613-1622 IJ-31 2007 Chemosphere 66 (2), pp. 243-251 IJ-32 2007 Marine Pollution Bulletin54 (9), pp. 1402-1412 IJ-33 Archives of Environment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the sediment core of 2008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Gwangyang Bay, South Korea 54 (3), pp. 386-394 IJ-34 The characterization of PCDDs, PCDFs and coplanar PCBs Journal of Hazardous 2008 Materials 154 (1-3), pp. during the past 50 years in Gwangyang Bay, South Korea 756-765 IJ-35 Concentration of bioactive compounds in mussels Mytilus 2008 Chemosphere 73 (6), pp. - 29 -

IJ-36 IJ-37 IJ-38 IJ-39 IJ-40 IJ-41 IJ-42 IJ-43 IJ-44 IJ-45 IJ-46 IJ-47 IJ-48 IJ-49 IJ-50 IJ-51 IJ-52 IJ-53 IJ-54 IJ-55 IJ-56 IJ-57 IJ-58 IJ-59 galloprovincialis as an indicator of pollution 938-944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as a source of Chemosphere 73 (6), pp. sediment contamination by toxic organic pollutants and fecal 2008 880-889 sterols in a semi-enclosed bay in Korea Congener-specific characterization and source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marine sediments from industrialized bays of Korea Perfluoroalkyl acids in the egg Shihwa, Korea yolk of birds from Lake Persistent organochlorine pollutants in Korean offshore waters: Squid (Todarodes pacificus) as a biomonitor Human health risk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resulting from seafood consumption in South Korea, 2005-2007 Human exposure to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associated with seafood consumption in Korea from 2005 to 2007 Polybrominated, polychlorinated and monobromo-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dibenzofuran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marine surface sediments from Hong Kong and Korea Historical trends of PCDDs, PCDFs, dioxin-like PCBs and nonylphenols in dated sediment cores from a semi-enclosed bay in Korea: Tracking the sources PCDD/F, PBDE, and nonylphenol contamination in a semi-enclosed bay (Masan Bay, South Korea) and a Mediterranean lagoon (Thau, France) Perfluoroalkyl acids in marine organisms from lake Shihwa, Korea Occurrence and biological fate of persistent organic Contaminants in yellow sea fish Understanding the accumulation features of POPs in squid from the offshore waters of southeast Korea Organohalogen contaminants in finless porpoises (Neophocaena phocaenoides) from Korean coastal waters: Contamination status, maternal transfer and ecotoxicological implications Chlorinated and brominated contaminants including PCBs and PBDEs in minke whales and common dolphins from Korean coastal waters Concentrations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in cetaceans from Korean coastal waters Mussel watch program for organic contaminants along the Korean coast, 2001-2007 Temporal trend, spatial distribution, and terrestrial sources of PBDEs and PCBs in Masan Bay, Korea Contamination status and accumulation features of PCDDs, PCDFs and dioxin-like PCBs in finless porpoises (Neophocaena phocaenoides) from Korean coastal waters Perfluorinated compounds in water, sediment, soil and biota from estuarine and coastal areas of Korea Perfluorinated compounds i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and long-beaked common dolphins (Delphinus capensis) from Korean coastal waters Spatial distribution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hexabromocyclododecanes in sediments from coastal waters of Korea PBDEs, methoxylated PBDEs and HBCDs in Japanes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from Korean offshore waters Sources and distribution of polychlorinated-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soil and sediment from the Yellow Sea region of China and Korea Perfluorinated compounds in South China, and Korea coastal waters of Hong Kong, 2008 2008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09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0 2011 2004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27 (2), pp. 323-333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2 (15), pp. 5821-5827 Marine Pollution Bulletin 58 (8), pp. 1238-1244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7 (8), pp. 1819-1825 Environment International35 (2), pp. 279-284 Environmental Pollution157 (3), pp. 724-730 Chemosphere 75 (5), pp. 565-571 Chemosphere 77 (6), pp. 854-862 Archiv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57 (3), pp. 552-560 EnvironmentAsia 3 (1), pp. 20-31 Fisheries Science 76 (2), pp. 325-331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5), pp. 768-774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9 (1-3), pp. 735-741 Chemosphere 79 (7), pp. 733-739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69 (1-4), pp. 473-485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10), pp. 1836-1841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83 (1-3), pp. 799-805 Environmental Pollution158 (5), pp. 1237-1244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7), pp. 1130-1135 Chemosphere 79 (7), pp. 713-719 Marine Pollution Bulletin60 (6), pp. 935-940 Environmental Pollution159 (4), pp. 907-917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8 (15), pp. 4056-4063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