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홍수량은 20%, 가뭄기간은 3.4배 더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그러나, 댐적지 감소 및 신규 수자원개발에 대한 사회적 및 지역적 반대가 여전한 반면, 넉넉하고 맑은 물에 대한 국민적 및 지역적 요구는 증가하고 있어,



Similar documents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2 -

ㅇ ㅇ

05 ƯÁý

<31302DB1E8BDC2B1C72E687770>

<BBE7BEF7C1D6B9D7C0E5BED6C0CEB5EEBFA1C0B6C0DAC1F6BFF8B1D4C1A4B0EDBDC328BEC8295B325D5FC7D1B1B9C0E5C3D12E687770>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PowerPoint Template

발간등록번호 제정 2010 년 6 월 개정 2012 년 9 월 국립환경과학원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09콘텐츠산업백서_1 2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기후변화는 인류사회가 직면한 가장 거대한 불확실성 중 하나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특집 하천사업 제안공모 도시계획과 하천사업의 창조적인 연계 융합 2 양 병 우 서귀포시 박 상 수 국토교통부 환경도시건설국장 하천계획과 주무관 동홍천(제주 서귀포시) 도시하천 정비사업 로 되어있어 지금까지 강우로부터 안전지대로 여겨 왔으나 1. 추진배경 최근 하천 상류


12나라살림-예산표지 수정본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Æí¶÷4-¼Ö·ç¼Çc03ÖÁ¾š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C0CCBCF8BFE42DB1B3C1A4BFCFB7E12DB1E8B9CCBCB12DC0DBBCBAC0DAB0CBC1F5BFCFB7E12DB8D3B8AEB8BBB3BBBACEC0DAB0CBC1F52E687770>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녹색생활문화정착으로청정환경조성 2. 환경오염방지를통한클린증평건설 3. 군민과함께하는쾌적한환경도시조성 4. 미래를대비하는고품격식품안전행정구현 5. 저탄소녹색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A 목차

0001³»Áö

³»Áö_10-6

비점오염원관리지역목표수질달성을위한 이행평가및환류체계구축 임하호 - 물환경연구부수질총량연구과,,,,,,,,,, 2013

목 차 Ⅰ. 요약보고서 2 Ⅱ. 본보고서 4 1) 통합물관리배경및정의 4 2) 통합물관리선진사례 10 3) 통합물관리의필요성 17 4) 우리나라통합물관리수준 35 참고문헌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ICT EXPERT INTERVIEW ITS/ ICT?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2I) Nomadic 단말 통신(V2P) 차량 간 통신(V2V) IVN IVN [ 1] ITS/ ICT TTA Journal Vol.160 l 9

1.媛€議깊삎 [蹂€?섎맖]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학부모신문225호최종

월호 - 내지전체4

2ÀåÀÛ¾÷

지방재정투 융자사업심사매뉴얼 안전행정부 ( 재정정책과 )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 FC0FCB8C15FC3D6C1BEBABB2E687770>

CR hwp

주관연구기관명 :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문영일 연구원 :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김대홍 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문장원 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손찬영 서울시립대학교 석사과정 강원삼 기술위원 : 고려대학교 교수 김중훈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국지적피해가발생된지역별월강수량자료와가뭄피해발생과의관계에대한분석이필요 지역의가뭄 농작물 피해가발생한가뭄발생기간의월강수량을조사하고 이에대해지속기간개념을적용하여지역의가뭄피해발생특성을분석 월강수량에지속기간개념을도입하여강수량부족에따른가뭄대응을통하여농작물피해발생을최소화 피해 강우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¾Æµ¿ÇÐ´ë º»¹®.hwp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국토2_6장( )

<C1A4C3A5BAB8B0EDBCAD2E687770>

....pdf..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464B4949B8AEC6F7C6AE2DC0AFBAF1C4F5C5CDBDBABBEABEF7C8AD28C3D6C1BE5FBCD5BFACB1B8BFF8BCF6C1A4292E687770>

hwp

에너지절약_수정

<322DB3EDB9AE2E687770>

제4장


Ⅰ Ⅱ Ⅲ Ⅳ


여수신북항(1227)-출판보고서-100부.hwp

ROK-WhitePaper(2000).hwp

¹é¼Ł sm0229-1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ITFGc03ÖÁ¾š

문제는이러한강수의패턴 ( 강수량의감소와함께 ) 이최근몇년동안심각하게변하였다는데있다. 여름철에발생되는장마전선은한철장사를위한우리나라의주요고객이나, 2014 년부터이주요고객이여름철에방문하지않고있으며이로인해우리나라의주요댐들은저수율이바닥을치고있다. 매년방문하던태풍이라는고약한고객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제 31회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 산문 부문 심사평.hwp

국가 주요사업의 분야별 중장기재정소요분석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나하나로 5호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장애인건강관리사업

- 1 -

04 Çмú_±â¼ú±â»ç

<52452D30342DB3F3C3CCB0E6B0FCB0A1C4A1C6F2B0A1BFCDB0FCB8AEB9E6BEC B1E8B1A4C0D32E687770>



T hwp

Land Transport and Maritime R&D Report

CONTENTS



참고 1 실시간관측부이설치위치및관측항목 참고 2 해운대이안류발생감시및상황전파

사업별평가결과종합 일반회계 산림자원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산림과학기술정보화 직접수행 보통

1. 경영대학

?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1_cover

Transcription: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심 순 보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한국대댐회 원로회원 한국수자원학회 원로회원 K-Water 원로정책자문위원 shimsb2100@dreamwiz.com 1. 우리나라 물문제 현실 기본적 물관리 여건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로 세계평균의 1.6배이나, 좁은 국토에 사람이 많이 살고 있어 1인당 강수총량은 세계평균의 1/6로 기본적으로 가용수자원이 적은 물스트레스 국가 표 1. 우리나라와 세계의 수자원 현황 구 분 우리나라 세계평균 비 교 연강수량 1,277mm 807mm 1.6배 1인당 연강수총량 2,629m3 16,427m3 1/6배 더욱이, 연도별, 시기별 및 지역별 강수량의 편차가 커, 매년 가뭄과 홍수의 걱정 속에 살고 있는 전세적으로 몇 손가락에 들어가는 물관리 여건이 매우 불리한 국가중 하나 표 2. 우리나라의 수자원 불균형 실태 연도별 강수량 시기별 강수량 지역별 강수량 754(최저)~1,756(최고)mm 홍 수 기 3개월 65% 비홍수기 9개월 35% 남해안 영동지역 1,400mm이상 낙동강 중류지역 1,100mm이하 기후변화와 최근 물관리 환경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 피해액이 2000년대 들어 1980년의 5.3배로 증가하였으며, 전국단위 극한가뭄도 과거 14년에서 7년 주기로 단축되는 등 홍수와 가뭄 등의 물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앞으로도 50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홍수량은 20%, 가뭄기간은 3.4배 더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그러나, 댐적지 감소 및 신규 수자원개발에 대한 사회적 및 지역적 반대가 여전한 반면, 넉넉하고 맑은 물에 대한 국민적 및 지역적 요구는 증가하고 있어, 기존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 직면 2. 통합물관리(IWRM) 시급성 물관리 패러다임 변화 전세계적인 물관리 패러다임은 시대적인 이슈에 따라 변천하여 왔으며, 1990년대 들어 기후변화 인구증가 수질오염으로 물위기 확산, 물재해가 심각해짐에 따라 2000년대에는 물안보(Water security)라는 국가차원 과제로 발전 표 3. 물관리 이슈 및 패러다임의 변화 경과 구 분 70년대 80년대 90년대 2000년대 이 슈 수 질 환 경 물위기 물안보 패러다임 깨끗한 물 지속가능 개발 통합물관리 이러한, 물위기 및 물안보 측면에서 물 문제 극복을 위한 새로운 물관리 패러다임으로 통합물관리(IWRM)가 등장하였으며, 통합물관리는 깨끗한 물(수질)과 지속가능개발(환경)에 효율성 공평성 지속가능성(안전, 미래대응)이 강조된 물관리의 종합적 최종방향으로 평가 * 통합물관리시스템은 전세계 약 70%의 국가와 지역이 도입(UN Water) 통합물관리의 개념과 정의 통합물관리에서의 Integrated는 일반적 통합외 공평 및 연계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물관리를 통합 공평 연계하여 시행하면 효율성 공평성 지속가능성이 확보됨 따라서, 통합물관리란 수량 수질 생태 문화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효율이 극대화되고 공평 및 지속가능토록 유역단위로 물을 관리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음 통합 및 연계 대상은 기능적으로는 수량-수질, 공간적으로는 상 하류 및 유역, 운영적으로는 관련시설 주체간의 계획-자료-기술, 기반적으로는 법률-제도-거버넌스 등이 고려되어야 함 표 4. 통합물관리를 위한 통합 및 연계 대상 기능적 : 수량, 수질, 생태, 문화 시설간 : 댐, 보, 저수지, 수 도 기반적 : 법률, 제도, 거버넌스 공간적 : 상류, 하류, 유역 주체간 : 중앙부처, 지자체, 관리기관, 주민, 사용자 등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51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우리나라 통합물관리 중요성 우리나라는 그동안 급속한 경제발전 및 사회성장 단계에서 차질없는 지원을 위해 개별적인 개발위주 추진이 불가피했으나, 이제 경제 사회 안정적 성장돌입 및 신규개발 한계, 기후변화 대응 막대한 비용의 최소화, 소외된 지역과 환경의 배려 시점으로 통합물관리에 역량을 집중할 시점 아울러, 물은 유역단위 유기체로 통합적으로 연계성있게 관리되어야 하나, 지금까지 기능별 시설별로 개별적으로 계획 관리됨에 따라, 중복 과잉 투자 발생, 지류하천의 홍수패해 증가, 다목적댐 및 광역상수도 위주 물이용부담금 부과 등 효율성 및 공평성 측면 등 많은 부문에서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 표 5. 물관리 기능별 부처별 관련법 현황 및 시설물별 운영관리 주체 구분 국토부 환경부 농림부 지경부 안행부 물 확 보 국 토 기본법 댐법, 지하수법 수 도 법 농어촌 정비법 전원개발 촉진법 소하천정비법 온 천 법 물 보 전 하천법 지하수법 공유수면관리법 환경정책기본법, 하수도법, 수계법 수질 및 수생태계보전법 농어촌 정비법 소하천정비법 온 천 법 물 재 해 하천법 농어업 대책법 소하천정비법 자연재해대책법 지 표 수 하천법, 댐법 공유수면관리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법 내수면 어업법 수계법 소하천정비법 지 하 수 지하수법 주택건설촉진법 온 천 법 민방위기본법 또한, 물문제의 개별적 접근으로 인한 물관련 갈등과 현안의 누적, 기후변화 등 불확실성 증대로 물관리 리스크 증대, 유역관리 중요성 증대 등에 직면하고 있음 - 물 값 분 쟁 (서울,경기,인천 등), 물배분갈등(부산 경남, 구미 대구 경산 울산 등), 하류민원(광양만, 사천만, 강진만, 이사천 등) 등 - 설계홍수량 초과 빈번( 80년대 1회 2000년대 15회), 수문변화 등으로 댐 용수공급능력 감소, 댐 건설후 30년이상 비율이 62%로 댐시설 노후화 심각 - 도 시 화 (불투수율) 및 산림 증가로 도시침수 증가 및 건천화 발생, 댐 유역의 비점오염원 비율은 1998년 27%에서 2010년 68%로 증가(2020년 72%)-댐 저수지 녹조발생의 주원인, 비효율적 관리 상태 실측자료 및 신기술의 중요성 통합물관리에는 기능, 자료, 기술, 시설, 복지, 제도, 거버넌스 등 7가지의 기본적 구성요소가 있으며, 이중에 기능은 통합물관리 목표, 자료와 기술은 통합물관리 수단, 시설과 복지는 통합물관리를 위한 대책, 제도 및 거버넌스는 통합물관리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음 52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이중 실측자료와 신기술은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 현장의 물관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정확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단 중 장기 미래를 정확 신속하게 예측하는 통합물관리에 있어 가장 핵심적 사항임. 이러한 실측자료와 신기술은 하루 아침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꾸준한 투자와 물관리 관련기관간의 인내심있는 협력과 가치공유 등이 핵심 그림 1. 통합물관리 요소별 관계정립 3.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 통합물관리를 위한 자료와 신기술 개발 추진방향 기본적 방향 - 유역전체 물순환 정보에 양적 질적인 확대 및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 기관간 수문 및 물이용 등의 정보공유 확대를 위한 국가적 물정보 공유 거버넌스 구축 - 해당기관 필요 위주의 자료생산 및 제한된 정보만 공개하고 있으나, 물순환 전반(강우-수질-수량)을 고려한 추가자료 공유 생산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로의 변화 시급 - 막대한 SNS 자료 중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한 물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선별 활용하고, 자체 통계 분석 기능을 확보하여 물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 신뢰성있는 대국민 물 정보 제공 실시간 유역정보 활용, 신속 정확한 예측을 위한 물관리 기술의 고도화 - 기상 수량 수질 등 기능별 기술 고도화 및 융 복합을 통한 One-Stop 분석체계 구축 - 관 계 기 관 (국토부, 환경부, 지자체) 협의를 통한 탄력적인 상 하류 연계운영 방안 설정 및 선제적 댐-보 운영을 통한 재난대응(홍수, 가뭄, 수질 등)체계 강화 사물인터넷(IoT)을 접목한 물정보 체계의 선진화 사물인터넷의 개념 - 사물인터넷이란 사람,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53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의사결정 등으로 활용되는 기술을 통칭하는 개념 - 최근 세계 주요국과 구글 및 오라클 등 글로벌 기업은 적극적으로 사물인터넷 분야에 투자중으로 사물인테넷(IoT) 센서넷트웍을 통한 상수도 누수방지, 하천의 수질-유해독극물 자동 감지 및 즉각조치 등이 대표적인 활용사례(이스라엘, 네델란드 등 물관리 선진국) - 이러한 사물인터넷은 사람이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 자동 대처 하므로, 문제발생을 원천차단이 가능하므로, 수질오염사고 미연방지 등, 경제-사회적인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즉시 적응력있는 정확한 현장 정보로 통합 물관리의 획기적인 효율성 증대 계기가 될 것임 선진국 물관리분야 적용 사례 - 네덜란드 서북쪽의 소도시 렐리스타트의 교통 공공 물관리부(RWS)에서는 2008년부터 IBM, 델타레스 등 9개 기업이 참여하는 홍수통제 프로그램(Flood Control 2015)을 준비하면서, 먼저 정교한 센서를 제방에 설치하고, 이를 네트워크화해서 강과 운하, 댐, 저수지 등 총 2200km에 이르는 물길의 흐름을 측정함으로써 홍수예측 정확도 및 정보처리 속도를 2배 향상(IBM의 정보기술과 네덜란드 물관리 노하우가 접목) 그림 2. 하천제방 센서설치(네덜란드 사례) - 카타르 도하, 브라질 상파울루 및 중국 베이징 등 주요 도시는 펌프와 상하수도 시스템에 적정 센서를 설치, 이를 통해 물이 새는 것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면서, 해당지역의 40 5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됨 사물인터넷(IoT)를 접목한 물정보 체계의 선진화 추진방안 -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는 센서,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로, 센서는 다분야 센서기술을 사용하여 한층 더 지능적이고 고차원적인 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며,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은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WPAN, WiFi, 3G/4G/LTE, Ethernet, 위성통신, Microwave, Serial-com., PLC(Power Line, Com.) 등이 있음 - 센서기반의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형 수자원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기존 하천 운영관리 방식과 달리 IT(IoT, M2M) 융합기술을 이용하여 모든 시설요소, 공간요소, 연계요소, 활동요소, 위험요소에 이르기까지 지능형 센서와 스마트 디바이스의 융합을 통하여개체 별 목적, 빅 데이터 마이닝 및 분석, 기능 최적화 구현이 가능 54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그림 3.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물정보 유통체계 구축방안(심순보-기존자료종합 편집) 물정보 표준플랫폼 개발 및 Big Data 구축 현황 및 문제점 - 물관리 주체가 다양함에 따라 분야와 범위가 방대한 현실적 어려움이 있으나, 물순환 전반(강우-수량- 수질)을 고려한 기관별 추가자료 공유 생산에 소극적으로 기관별 자료공유가 미흡하고, 통합물관리를 위한 필요자료가 절대적 부족한 현상.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55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표 6. 통합물관리를 위한 미공유 및 미생산 자료 사례 분 야 기 관 미공유 및 미생산 자료 사례 강 우 기상청 국지기상 예측자료(1.5km 1.5km) 수 량 홍수통제소 농어촌공사 생공용수 하천 취수량 관측자료 미생산 농업용수 하천수 취수량 관측자료 미생산 물관리시설 농어촌공사 농업용 저수지 관측 및 운영자료 (방류량 자료 미생산) 수 질 지역 수문자료 환경과학원 환경공단 방재청 (지자체) (하천수질) 월단위 관측자료 제공중이나, 주기단축 필요 (하수자료) 하수처리장 방류수자료 미공유 (수문관측소) 설비 노후화 관리 부실 등으로 신뢰도 부족 - (강우) 전국 1,785개소 중 39%(700개소)만 수신 중 - (수위) 전국 315개소 중 19%(60개소)만 수신 중 - 아울러, 설비 노후화 및 관리 부실, 지류하천 유량측정 부족(예경보를 위한 수위 위주 관측 하천 유량흐름에 대한 자료관리 부족), 통신망의 이중화 부족으로 잦은 결측, 정부 주도의 일방향 정보제공에 편중됨으로써 국민과의 양방향 소통공유 미흡 등 자료의 신뢰도 측면에서도 많은 부문에서 미흡함. - 또한, 기관별 자료를 공유하는 국가적 표준 시스템(플랫폼) 부재로 인하여, 단위자료 수준의 다수 시스템이 기관별로 중복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며 자료통합을 위해서 다양한 시도가 추진중이나, 기관별 시스템을 Link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음 WINS (물관리 정보유통시스템) 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RIMGIS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 GIMS (국가지하수 정보센터)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RAWRIS (농촌용수 종합정보시스템) 물환경정보시스템 토양환경정보시스템 (국토부) (국토부) (국토부) (환경부) (농림부) (환경부) (농림부) 그림 4. 현행 기관별 물관리 자료 공유체계(WINS) 현황 물정보 표준플랫폼 개발 및 Big Data 구축방안 - 현 정부의 운영 패러다임이 정부3.0 으로 변화됨에 따라 기관 간 재난 정보 공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빅 데이터 구현 기술의 발전으로 정형화된 재난정보 뿐만 아니라 SNS 등 비정형화된 정보를 재난예방과 대응 업무에 활용 56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 민간 및 국가기관의 거버넌스를 활용한 재난정보 연계 및 활용하여 低 비용, 高 효율의 통합물관리(IWRM) 실현 가능. - Big-Data 기반 물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자료공유체계 마련 및 물정보 통합관리시스템(플랫폼) 구축 (기관별 필요자료 수집) 기관별 산재된 물정보 확보를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와 연계하여 자료공유 창구 일원화(협의체 구성 등) 추진 (대국민 SNS 자료수집) SNS(페이스북, 트위터 등)를 실시간 수집, 생활 속 물 정보를 실시간 취득하고, 장기적으로 통계 분석기능 강화하여 물관리에 활용 (통합시스템 구축) Big Data 추진계획(플랫폼 통합DB)에 따라 통합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되, 모니터링 중심의 시범시스템 구축 운영후 확대 시행 - 관측시설 및 자료관리 전문화 및 대국민 정보공유 강화 (지자체) 전문기관에 의한 관측시설 및 자료관리 시스템의 체계적 정비 (각기관) 정보통신 기술을 활요한 통신망 이중화 등 투자확대, 전담인력 및 조직 확충 (정 부) 수신율 관리 등을 통한 인센티브제(예산지원) 도입 그림 5. 물정보 공유 개방형 표준플랫폼 및 빅데이터 구축방안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57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그림 6. 물정보 공유 개방형 표준플랫폼(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사례(K-water) Big Data기반 통합물관리(IWRM) 융복합 시스템 구축 융복합 시스템 필요성 - 통합물관리(IWRM)의 기술적 목표는 자연현상 속에서 물의 순환과 흐름 특성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댐 등 수자원시설물의 최적 의사결정을 통하여 물이용 효율은 극대화하고 물재해 리스크 최소화에 있음 - 유역 물순환 측면에서 공간적으로 [기상예측 - 유역 유출 - 저수지 운영 하천관리]를 연계하고, 수량- 수질을 통합하는 물관리기술이 요구되며, 통합물관리기술이 정확한 결과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유역 전반에 대한 신뢰도 있는 과학적 다양한 자료가 필요 58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 결국, 국가적으로 고정밀의 물 자료(Data) 가 서로 공유되고, 신뢰성있는 표준 통합물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물 정보(Information) 의 기관 및 대국민 공유가 이루어져야 바람직한 통합물관리(IWRM)가 실현될 수 있음 - 특히,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해서는 유역단위 물순환 전반에 대해 수량-수질을 통합하여 해석할 수 있는 자료통합 연계 및 기술 확보가 반드시 필요함. 현황 및 문제점 - 우리나라의 그간 물관리 정책은 수량-수질을 분리하여 추진됨에 따라, 기관별 소관분야에 대해서만 필요 물관리기술을 개발, 활용해 오고 있음. 이에 유역단위 통합물관리에 대한 접근 및 적용성은 미흡한 실정 표 7. 기관별 주요 물관리 기술 및 시스템 현황 기 관 기술분야 활용 시스템 홍수통제소 하천 홍수예보 하천 용수공급 통합홍수예보시스템 용수공급시스템(RWSS) 한 수 원 수력댐 운영 발전수계운영시스템 (PAROS) 농어촌공사 농업용저수지 운영 농촌홍수관리시스템 환 경 부 수질예측 수질예보시스템 K-water 기상 예측 실시간 자료관리 치 수 수력발전 수질 예측 강우예측시스템 (PFS) 실시간수문정보시스템(H-DAPS) 홍수분석시스템 (FAS) 발전통합운영시스템(GIOS) 통합수질대응시스템(SURIAN) - 필요 및 목적에 따라 기관별(홍수통제소, K-water, 한수원, 농어촌공사 등)로 시스템을 개발 활용하고 있으나, 유역단위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표준모형 구축이 시급히 필요함. - 모형 알고리즘 매개변수의 차이에 따라 동일 입력자료 적용시에도 모의결과가 상이함에 따라 표준화된 토탈솔루션 필요함, - 현재 물관리 주체의 다원화 및 제도적 기반 미흡으로 연계체계 구축 한계 Big Data기반 통합물관리(IWRM) 융복합 시스템 구축방안 - 통합물관리 기반 구축을 위한 물관리 요소기술 고도화 수자원 활용 극대화, 안정적 홍수관리, 물관리 여건변화를 고려한 물관리 요소기술 개선 및 고도화, 해외 물관리 시장 진출 및 기술 자립을 위한 국제기준에 부합된 자체기술 확보가 절실함. - 수자원 효율 극대화, 안정적 물관리을 위하여 공간적 특성(유역, 저수지, 하천 등) 및 목적(이수, 치수, 수질 등)에 부합하는 유역단위 통합물관리 표준모형 구축이 절실함.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59

Water Policy Vision 수자원 정책비전 이수, 치수, 환경(수질, 생태, 친수) 전반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물관리 요소기술의 융 복합 연계체계 구축과 목적(이수, 치수, 수질 등)에 따른 단위 시스템의 선택적 적용 기반마련이 절실함 구분 분 야 단위시스템 1 2 3 4 저수지 운영 기상예측 유역유출 이수 치수 홍수관리 용수공급 표 준 모 형 5 6 7 하천 운영 이수 치수 수질 수질예측 구 축 그림 7. 통합물관리 융복합시스템 구축방안 그림 8. 통합물관리 융복합시스템 추진방안 사례(K-water) 4.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 정책제언 물관리 여건이 기본적으로 불리한 우리나라는 전세계 어느나라 보다도 기후변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로, 홍수 및 가뭄 등의 물재해는 국가 사회적으로 가장 치명적인 리스크가 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스마트한 통합물관리 실현이 시급함. * 물은 대체수단이 없는 필수 자원이자 SOC로 물부족 및 홍수피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지대 이러한 통합물관리 실현의 가장 기본적 요소가 효율적인 물관리 의사결정의 수단인 자료와 기술로, 보다 정확하고 보다 신속함을 목표로 시스템적으로 구축 및 운영되어야 함 60_한국수자원학회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관리시스템 혁신방안 * 최첨단 정보통신 시대에 하천의 유량 및 취수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 1m3/초의 유량의 오차가 수천억원의 돈과 직결 시스템적인 구축이란 유역전체 물순환 정보에 양적 질적인 확대 및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러한 실시간 유역정보를 활용하여 신속 정확한 물관리 예측이 가능하도록 물관리 기술이 고도화되어야 함 물관리시스템의 혁신을 위해서는 앞에서 제시한 사물인터넷(IoT)를 접목한 물정보 체계의 선진화, 물정보표준플랫폼 개발 및 Big Data 구축, Big Data기반 통합물관리 융복합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 우리는 물관리 기초자료와 신기술의 중요성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으면서도, 유독히 물관리 분야는 정부와 국회가 재정 투자에 인색해 왔다고 할 수 있으며, 물관리 기본자료실측 및 예측 데이터의 오차가 얼마나 지대하게 물관리 효율성 및 국가 경제에 미치는 지를 간과해 왔다. 이제는 물관리에 있어서 기초 실측자료와 신기술도 돈이자 나와 가족의 안전과 삶의 질을 높혀, 국민 모두가 물로서 더 행복한 사회가 이룩된다는 진실을 바로 인식할 절박한 시점임. <참고자료> 1.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11 2020)-국토해양부, 2011 2. 댐건설장기계획 - 2012, 국토해양부 3. 기후변화 대응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 - 2011, 국무총리실 4.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국토해양부 5. 국가 미래 수자원전략(정책제안서) - 2012, 한국수자원학회 6.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전략 - 2010. 국토해양부 7. 홍수재해관리시스템 기능 확대방안 - 2014. K-water 8. 초연결시대 사물인터넷(IoT)의 창조적 융합 활성화 방안 - 2014. 산업연구원 9. IoT 플랫폼 개발 동향 및 발전방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30권 제8호 - 2013. 김재호/ 윤재석/최성찬/류민우 10. 한국수자원공사. 통합물관리(IWRM) 대토론회 발표자료? 2014. K-water 11. IT기반 미래사회 기반연구 - 2012. 행정안전부/한국정보화진흥원 12. 정부3.0 추진 기본계획 - 2013. 관계부처 합동 13. 과학기술 빅데이터 공유 융합체제 구축 - 2013. 미래창조과학부/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4. 빅테이터 산업 발전전략 - 2013. 관계부처 합동 15. 빅테이터와 공공정책(서울경제) - 2013. 전승우 수자원정책 비전 제4호_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