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04.hwp

Similar documents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할렐루야10월호.ps, page Normalize ( 할 437호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³»Áö_10-6

내지-교회에관한교리

* pb61۲õðÀÚÀ̳ʸ

- 4 -

allinpdf.com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3032BFF9C8A35FBABBB9AE5FC7A5C1F6C7D5C4A32E696E6464>

(중등용1)1~27

178È£pdf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02report hwp

Çѹ̿ìÈ£-197È£

152*220


#7단원 1(252~269)교

쌍백합23호3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5 291

¾ç¼ºÄÀ-2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003report hwp

- 2 -

나하나로 5호

- 2 -

CR hwp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연구노트

¼øâÁö¿ª°úÇÐÀÚ¿ø

01¸é¼öÁ¤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60

Jkafm093.hwp

»êÇÐ-150È£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With_1.pdf

(012~031)223교과(교)2-1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CC hwp

Drucker Innovation_CEO과정

ÁÖº¸

2ÀåÀÛ¾÷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20~151역사지도서3

10월추천dvd


1111

....pdf..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01정책백서목차(1~18)

0.筌≪럩??袁ⓓ?紐껋젾 筌

歯이

82-대한신경학0201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ok.

~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ÁÖº¸

통계내지-수정.indd

ROK-WhitePaper(2000).hwp

소식지수정본-1

041~084 ¹®È�Çö»óÀбâ

기본소득문답2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 89 -

°¨Á¤Æò°¡


전도정책자료집-1

2015년9월도서관웹용

CT083001C

±³À°È°µ¿Áö


È޴ϵåA4±â¼Û

CONTENTS 2011 SPRG Vol

2013_1_14_GM작물실용화사업단_소식지_내지_인쇄_앙코르130.indd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A 목차

º´¹«Ã»Ã¥-»ç³ªÀÌ·Î

¾Æµ¿ÇÐ´ë º»¹®.hwp

(......).hwp


2 Verse 2C E 전능 하신나의주하나님은?? j r j 2 0 r. fij fi j R = E2G 능치 Fm9 Cm M9 2C 못하실일전혀없네우리?? r. o R

01Àå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Transcription:

연구총서 00~04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김 병 로 통 일 연 구 원

요 약

본 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인 견해 이며 당 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주체사상과 김일성 수령 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획일화되어 있 는 북한사회가 일종의 종교적 특성을 띠고 있다는 주장은 최근 들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북한주민들의 생활양 태와 가치관이 기독교의 종교양식과 매우 유사하다는 사실은 방 북자나 귀순자들을 통해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북한사회의 종 교성이나 기독교적 유사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 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경험 적 관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주체사상을 기독교의 종교양식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북한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종교적 특성을 파 악해 보고자 한다. 1.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종교는 일반적으로 성스러운 것 에 대한 신앙이며 종교의식(ritual) 을 수행함과 동시에 일종의 사회공동체라는 세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종교경험은 언제나 어떤 개념들을 사용하는 사상으로 나타나 고, 말과 행동으로 짜여진 의례나 예식으로 표현되며, 또한 가입, 지 위의 점유, 역할의 분담으로 구성되는 조직체나 공동체로 나타난다. 종교에 따라서 이 세 가지 양식의 복잡성이나 제도화 정도는 다를 수 있지만 어떤 사회현상이 종교로 규정되기 위해서는 이론적 양식 인 교리, 실천적 양식인 예식과 의례, 그리고 사회적 양식인 공동체 혹은 단체라는 세 가지 표상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사회주의 자체를 종교의 하나로 생각해온 것은 최근 의 일이 아니다. 사회주의자들이나 공산주의자들은 종교를 인민의 아편 으로 규정하여 사회주의 사회 속에서 종교를 추방하였지만 아이 - 1 -

러니칼하게도 존재를 부정한 종교의 자리에 사회주의, 공산주의 이데 올로기가 종교로서 자리를 틀었다. 맑스 자신도 종교에 구현되어 있 는 적극적인 가치는 인간의 운명을 개선하는 주도적 사상이 될 것으 로 믿었으며 이런 점에서 인류의 적극적 자의식인 사회주의는 종교 아닌 종교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정치지 도자나 이념 또는 소속집단에 헌신하도록 강요한다는 점에서 종교적 성격을 띤다. 주체사상도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점차 종교성이 강화되어 왔다. 1950년대와 60년대에 주체사상은 대외자주성 원칙과 혁명적 군중노 선을 강조하는 이념으로 출발하였다. 1967년부터 김일성에 대한 개인 숭배가 대대적으로 진행되면서 지배구조에 대한 논리적 이념체계인 유일사상체계 를 발전시켜 1970년대에는 김일성주의화와 혁명적 수 령관이 매우 강조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는 사회주의적 가치와 주 체사상을 사회관계의 규범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인간개조사업 을 전개하고 혁명적 동지애와 의리, 집단주의 영웅주의를 강조하였다. 1982년에는 주체사상의 철학적 측면의 체계화가 일단락된 후 인간중 심 철학이 더욱 강조되었으며, 1986년에는 수령론과 집단주의 사회조 직원리를 결합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으로 발전되었다. 탈냉전 이후 민족개념을 부각시켜 조선민족제일주의를 주장하면서 타 사회주의 체제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우리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이론 화하고 있다. 주체사상은 단순한 이데올로기로 출발하여 종교적 신앙으로 발전 되고 있다. 주체사상이 종교적 차원으로 발전하는 계기는 수령론 이 대두하면서부터 시작되었으며 철학적 연구의 진전으로 종교성은 심 화되었다. 그러나 주체사상이 종교적 신앙으로 심화된 것은 바로 사 회정치적 생명체론이 완성되면서부터이다. 인간의 생명을 육체적 생 명과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구분하여 개인이 소유할 수 있도록 만들 - 2 -

었다는 사실은 주체사상이 종교로 발전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 다. 종교의 발전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영혼을 집단적 숭배의 대상으로 환원시킨 정신의 출현은 종교적 힘을 개인소지가 가능한 형태로 발전시킨 매우 중요한 국면이다. 수령관과 주체철학,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출현으로 이어지면서 주체사상 이데올로기는 종교적 신앙으로 진화하였다. 2. 교리 및 신념체계 기독교 교리와 신념체계를 설명하는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교회론, 구원론, 종말론으로 구분하여 주체사상이 각각의 영역에서 발전시킨 사상과 교리를 살펴본다. 우선, 주체사상은 유물론적 가치관과 진화 론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경험적 영역을 초월하는 추상 적인 신의 개념을 거부한다. 대신 공산주의의 도래에 대한 신념과 확 신이 형이상학적 하나님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형이상학적인 하나님이 예수라는 인간으로 성육신함으로써 보이는 하나님으로 환 원되었듯이 김일성은 공산주의라는 절대적 가치를 이 땅에 실현하는 중재자이면서 동시에 신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김일성이 기독교 의 하나님과 완전히 같다고 볼 수는 없지만 김일성이 사망한 이후 보이지 않는 김일성에 대해 점차 기독교의 하나님과 같은 존재로 주체사상의 신학이론을 발전시킬 가능성도 없지 않다.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김정일에 대해 아버지의 아들 로서 정통성과 신성을 강조 하고 있는데, 예수가 구약성서에 나타난 하나님과 인간과의 언약을 계승하고 성취하는 자로서의 위치를 확보했듯이 김정일은 김일성의 위업을 계승하고 성취하는 사람으로서 신적인 권위를 부여받고 있다. 북한이 김일성유일사상을 만들고 이것을 10대원칙 으로 명문화하 고 있다는 사실은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을 유일한 신으로 섬겨야 하 - 3 -

며 이를 십계명으로 명문화한 기독교의 유일신 사상과 일맥상통한다. 기독교인들에게 십계명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여 기며 신앙인으로서 지켜야할 최소한의 규칙을 명시한 것이다. 마찬가 지로 북한사람들의 모든 생활을 규제하는 것은 유일사상체계 확립 의 10대원칙 이며 모든 언행은 이 10대원칙 에 근거하여 평가받는다. 주체사상이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 으로 규정되어 김일성주의의 하 부형태로 존재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주체 사상과 김일성의 존재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김일성(혹은 김 정일)이라는 유일신은 기독교보다 더 엄격한 행동규율을 요구하며 신으로서 절대성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인간의 본질에 관한 내용은 아마도 기독교와 주체사상이 비 교될 수 있는 가장 유사한 영역일 것이다. 기독교의 신론을 접어두고 인간에 초점을 맞추면 기독교의 인간론은 주체사상에서 이론화하고 있는 인간론, 인생관과 뚜렷한 공통점을 갖는다. 주체사상은 사람을 단순한 생물학적 존재로 보거나 혹은 사회적 구성요소와 결합구조의 특수성으로 보지 않고 의식성을 가진 독특한 존재로 간주한다. 사람 을 물질과 의식으로 구분하지 않고 두 요소를 동시에 지닌 총체적 실체로 파악한다. 그러나 이러한 탈유물론적 인간관은 최근에 발전된 이론으로 북한사람들이 갖고 있는 실제 가치관은 세대에 따라 주체 사상의 이론과 상당한 괴리를 나타내고 있는 듯 보인다. 셋째, 기독교의 교리에서 예수의 존재가 필연적으로 요청되듯이 주 체사상의 교리에서도 수령의 존재는 필요불가결한 요소이다. 사회주 의 혁명과 건설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인민의 역량을 통일적으로 지 도할 수령의 존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노동계급을 비롯한 평범한 인민대중은 혁명의 위대한 수령을 모시고 수령의 세련된 영 도하에 투쟁해야 혁명과 건설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 이 노동계급의 혁명투쟁발전의 객관적 합법칙성이며 백수십년에 걸 - 4 -

친 국제공산주의 운동에 의하여 확증된 혁명적 진리라는 것이다. 수 령이 주체사상에서 하나님과 같은 절대적 지위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주체사상은 수령교 로 통칭될 수 있다. 넷째, 기독교의 구원과 영생의 사상은 주체사상에서도 동일하게 발 견된다. 북한은 수령인 김일성이 일제의 압제로부터 인민을 해방시키 고 구원했다는 일종의 신화를 갖고 있다. 우리 민족이 일제 식민통치 에 신음하고 있던 상태에서 항일무장투쟁을 통해 조선인민을 구원했 다는 것이다. 주체사상은 과거의 구원뿐만 아니라 미래의 구원, 즉 영생을 부여한다. 인간의 생명을 육체적 생명과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구분하고 사회정치적 생명의 영원성을 주장한다. 사회정치적 생명체 론은 맑스-레닌주의 이론이 제시하지 못하는 개인의 삶과 죽음의 문 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신앙 또는 인생관으로 내면화되 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다섯째, 기독교에서 신자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인 교회는 예수 그 리스도의 몸 으로 표현되며 인간실존은 그리스도의 몸, 즉 그의 백성 과 그의 교회 안에 포함될 때에만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하나는 전 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존재한다는 북한의 집단주의 교 리는 공동체적 교회의 교리와 일치한다. 이 사회정치적 생명체에서 김일성은 수령으로서 신체의 뇌수이며 당은 혈관이고 인민은 신체의 각 부분으로 간주된다. 수령, 당, 대중은 삼위일체의 통일체로서 개별 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기독교인들이 너무나 잘 아는 사도바울의 지체론과 동일하다. 여섯째, 기독교는 이 세상은 끝이 있으며 그 종말은 거대한 위기로 임하게 되는데 예수의 재림이 이러한 위기를 종식시키는 역사적 계 기가 되며 예수의 재림과 함께 전체적 부활이 진행되고 최후의 심판 과 더불어 하나님 나라 가 완성된다고 주장한다. 주체사상은 사회주 의, 공산주의의 종국적 승리를 믿고 있으며 동시에 이 땅에서 사회주 - 5 -

의, 공산주의 지상낙원이 도래할 것을 믿는다. 종말론적 사상은 언젠 가 도래할 낙원을 기대하고 종말론적 신앙의 종국적 승리를 내다보 면서 현재의 고난을 인내하도록 도와준다. 북한은 공산주의 사회의 도래를 기대하며 현재의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참도록 가르친다. 최근에는 강성대국 이라는 이상향을 제시하며 현재의 고난을 견디어 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이러한 낙원의 실현이 지연되는 상 황을 타개하기 위해 초기 기독교에서와 같이 이상적인 사회가 이 땅 에 이미 실현되었음을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기독교가 죄와 사탄의 세력과 투쟁해야 함을 강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체사상으로 무장 한 북한은 자본주의, 제국주의 세력을 사탄으로 규정하고 사탄의 세력 을 타도하기 위해 전투적 태도로 임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3. 종교의식과 행위규범 북한은 기독교의 예배당과 같은 김일성 그리고 김일성의 혁명사 상연구실 을 갖추고 그 안에서 모임과 학습 등 예배의식을 행한다. 김일성혁명사상연구실은 김일성의 혁명사상과 주체사상, 그리고 김일 성의 높은 덕성을 배우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북한 전지역의 당 및 국가기관, 공장, 기업소, 협동농장들과 교육문화, 과학기관, 인민군부 대 및 경비대 등 인민생활의 모든 부문에 갖추어져 있는 혁명사상 연구실은 행정기관, 산업기관, 군대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약 45만 여 곳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곳에서는 학습활동 이외에 각종 선서모임과 충성의 편지 전달모임, 축전전달모임 등의 여러 행 사를 진행한다. 이 곳은 일상적이고 세속적인 장소와는 구별되는 엄 숙하고 성스러운 장소로 김일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기 때 문에 주체사상의 성소로 간주된다. 기독교, 특히 개신교가 주일예배를 비롯하여 수요예배, 새벽기도회, - 6 -

철야기도회, 토요집회, 금요구역예배, QT(아침 묵상의 시간), 가정예 배 등 일주일 주기의 모임과 집회를 갖는 것처럼 북한에서도 일주일 을 단위로 여러 종류의 모임과 학습을 진행한다. 주간 생활총화, 수 요강연회, 아침독보회, 월요학습침투를 비롯하여 인민반학습, 철야작 업, 새벽참배 등의 집회를 유지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신앙을 유지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 토요일에 직장 각 조직단위에서 실시하는 생활총화는 일종의 자기반성적 종교집회로 매우 중요한 종 교의식이다. 생활총화는 공장과 기업소, 학교, 군대 등 북한의 모든 기관과 단 체가 소년단, 청년동맹, 직업동맹, 농업근로자동맹, 여성동맹, 당원 등 조직별로 나뉘어 전국적으로 진행된다. 생활총화는 초급단체 단위로 실시하는 것이 기본이며 일반 노동자들의 경우 기업소나 직장의 작 업반별로 실시한다. 총화는 주기에 따라 일일총화, 주간총화, 월간총 화, 분기총화, 연간총화 등으로 구분된다. 총화시 김일성 김정일의 교 시와 말씀을 먼저 인용하고 나서 자신의 생활을 비판하는 것은 기독 교에서 설교를 하거나 신앙교육을 할 때 먼저 성경을 인용하고 그것 을 기준으로 현실과 생활세계를 분석하거나 신앙생활을 점검해 나가 는 방식과 같다. 또한 자아비판은 기독교의 예배에서 하나님께 자신 의 잘못을 회개하고 결심하는 기도의 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북한 사회의 종교성을 유지하는 골간이며 북한체제를 다른 사회주의 체제 와 구별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기독교인들이 예수의 말씀인 성경을 소중히 여기며 모든 행동지침 을 성경으로부터 찾는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사회도 성경의 일종인 주체사상의 경전, 즉 김일성교시와 김정일말씀을 갖고 있고 이 교시 말씀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한다. 기독교인의 신앙을 유지하는데 있어 서 찬양이 중요한 수단이듯이 북한에도 김일성 김정일 찬양가가 공 식 비공식 행사에 동원되고 있다. 기독교인들이 일상생활의 대화와 - 7 -

학술문헌에서 성경말씀을 인용하듯이 북한에서도 생활의 모든 영역 에서 김일성 김정일의 교시 말씀을 반드시 인용해야 한다. 종교의식에 필요한 동의 감탄사가 사용되고 있다든가 기독교의 십자가와 같은 신 앙의 상징으로 김일성뺏지를 달고 다니는 행위, 은혜와 사랑, 믿음, 구속, 구원, 영생 등 기독교적 종교언어를 빈번하게 사용하는 현상들 은 주체사상이 종교성을 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식교인이 되 기 위해 공개적인 가입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행동규범은 주체사상과 기독교 신앙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4. 공동체의 윤리도덕과 조직체계 종교는 집단내 구성원들이 공통적 속성과 귀속감, 사회적 유대의식 을 공유하는 일종의 공동체로 존재한다. 주체사상은 지도적 원리 라 는 행동원칙을 개발하여 공동체의 실천적 규범으로 제시하고 있다. 주체사상이 실천을 강조함에 있어 도덕과 윤리를 중시한다는 것은 종교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음을 드러내며, 사람의 도덕품성을 선 과 악으로 평가하는 생각도 주체사상이 기독교와 공유하는 부분이다. 주체사상은 사회적으로 좋은 일하기 운동, 따라배우기 운동 등 각종 실천생활을 요구하고 있는데, 공산주의 도덕교양의 한 고리를 단단히 구성하고 있는 이 실천운동에 대한 강조는 주체사상의 중요 한 종교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집단주의는 정치경제 생활 에서 군중로선 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생활에서는 공 산주의적 미풍 의 발양으로 강조된다. 또 물질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금욕주의를 강조하는 윤리는 기독교와 유사한 점이다. 북한기독교가 신학적 측면보다는 윤리적 실천적 측면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도 종 교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다. 절대자에 대한 신앙이 어느 정도 강렬한지, 사회관계의 유형이 어 - 8 -

느 정도 집단주의를 추구하는지에 따라 공동체는 다양한 색채를 띤 다. 주체사상 신자들의 종교성 정도는 개인별로 각각 다르게 타나나 며 주체사상이 주장하는 세부 가치별로도 다르게 표출된다. 주체사상 의 공동체를 신앙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주체의 요구대로 하는 열렬한 신자, 믿기는 믿으나 회의를 동시에 갖고 있는 신자, 주체사 상의 교재 가 없이는 한마디도 하지 못하는 엉터리 신자, 주체사상 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불신자 등 크게 네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집단은 인구의 25%씩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 주체 사상 공동체의 신앙은 계층 계급별 및 세대별 차이를 보인다. 북한의 공동체 생활조직을 통제 관리하는 기관은 북한사회의 두뇌 에 해당하는 당 조직지도부와 선전선동부이다. 사제단이 교회공동체 가 유지될 수 있도록 사제의 충원과 신자들의 교육, 선교에 대한 문 제를 체계적으로 지도하듯이 당 조직지도부와 선전선동부는 공식 비 공식 통제채널을 이용하여 주민들의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관리하 며 주체사상 교육을 직접 담당한다. 기독교에서 주일학교 의 교육을 중시하듯 북한도 취학전 교육과 학교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함과 동 시에 조직별, 등급별 성인교육을 진행하고 학습교재를 1년 단위로 새 롭게 변경하는 등 체계적인 운영을 하고 있다. 조선노동당 중앙위원 회는 기독교의 신학대학과 같은 사제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조직활동을 통해 공동체의 정체성을 보존하며 유지시킨다. 5.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종교양식의 촉진 배경 북한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기독교적 영향은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 가. 많은 사람들은 그것이 김일성의 기독교적 가정환경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김일성이 독실한 기독교 신앙을 가진 가정에 - 9 -

서 태어나 소위 모태신앙을 갖고 성장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로운 대목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이 기독교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김일성의 기독교적 배경 때문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 아버지 김형직 과 어머니 강반석은 모두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김일성은 어린시절 어머니를 따라 주일학교에 착실하게 참석했던 사람이다. 중학교 때에 는 중국연변의 손정도목사의 보살핌을 받으며 교회생활을 하였고 학 생성가대 지휘를 맡을 정도로 교회활동을 활발하게 하였다. 아버지로 부터 기독교와 항일독립활동에 대한 영향을 받았고 어머니로부터는 개인적 관계 이외에 외가쪽의 강돈욱과 강양욱의 신앙적 영향을 받 으며 성장했다. 김일성은 기독교 신앙을 갖지 않았지만 주일학교에서 배우는 성경내용과 교회생활에 대해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었던 것 은 사실이다. 김일성은 해방 이후 정권구축 과정에서 기독교인들로부터 조직적 반대에 부딪히면서 강렬한 기독교 경험을 하였다. 특히 주일선거반 대운동 과 토지개혁 과정에서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1 97 0 년대에 주체사상의 종교화를 주도한 김정일의 기독교경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어머니를 일찍 여 읜 관계로 친척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라는 과정에서 기독교적 영 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김일성 김정일은 기독교신자 는 아니지만 일반적인 한국인에 비하면 기독교적 영향을 훨씬 많이 받았고 기독교에 대해서 체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일성 이 지니고 있던 민족주의, 사상과 신념의 중요성, 복음전파의 사명, 이상촌 건설 등의 사상과 김정일이 갖고 있는 의식성과 도덕성을 강 조하는 가치관은 기독교적 가정배경을 통해 형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기독교적 가정배경과 기독교인들과의 접촉, 그리고 기독교 세력의 도전 경험 등으로 김일성 김정일은 기독교 교리와 교훈, 생활방식을 - 10 -

접할 기회를 빈번하게 가질 수 있었다. 김일성은 어린시절에 기독교 경험을 바탕으로 그가 권좌에 있는 동안 의도적으로 기독교 방식을 이용했을 것이다. 설령 비의도적이었다 할지라도 김일성과 김정일의 기독교와의 접촉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북한사회를 통치하고 조직화 하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따라서 김일성 김정일은 종교를 민중 의 아편 이라고 공식적으로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기독 교 경험으로부터 기독교인의 생활양식과 조직원리, 그리고 중요한 교 리 및 교훈에 대해 충분히 배울 수 있었고 이를 적용했을 것이라는 가정을 추론하기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김일성 김정일의 기독교적 영향이 어떤 구체적인 과정을 통해 표출되었는가를 경험적으로 확인 하기는 쉽지 않다. 또한 그 과정이 과연 의도적인 것이었는지 아니면 잠재의식적인 것이었는지 하는 문제를 검증하는 작업은 더욱 어렵다. 주체사상이 지니고 있는 기독교적 종교양식과의 유사성이 반드시 김일성 김정일의 기독교적 배경에만 기인한다고 볼 수는 없다. 유교 와 같은 전통종교에 의한 영향과 전쟁과 같은 사회적 변화로부터 기 독교의 어떤 부분이 일종의 친화력을 가졌을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북한의 종교국가적 특성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사회적 환 경 속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북한은 전쟁경험과 전쟁의 위기의 식을 자극하여 권위주의적 군사문화를 지속했으며, 북한사회가 보이 고 있는 종교성은 전쟁의 위기적 상황과 같은 사회적 조건으로 촉진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전쟁의 위기 및 혁명과 같은 사회변화가 급격 히 발생하는 상황 속에서는 기독교적 종교양식이 친화력을 갖는 것 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공산주의 사상과 이론 자체가 다른 종교 보다 기독교의 사상과 유사성이 있다는 점도 주체사상이 기독교적 종교양식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년시기에 주일학교에서 성경을 배우고 기독교 사상을 접하였던 김일성은 출애 굽의 해방과 구원의 역사를 통해 일본식민통치의 억압으로부터 나라를 - 11 -

해방시켰다는 해방신화 를 쉽게 만들 수 있었을 것이며 평등, 이상사회 를 지향하는 기독교 사상을 자연스럽게 활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6. 결론 북한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종교생활을 통해 주체사상을 점차 종 교로 발전시켜 가고 있다. 주체사상에서 차지하는 수령의 존재와 역 할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주체사상을 수령교 라고 불러야 옳을 것이 다. 수령교는 아직 기독교와 같은 세계종교로 발전하지 못한 상태여 서 수령교가 과연 종교인가 아닌가 하는 점은 여전히 의문이다. 특히 신앙의 대상 및 성격에서 세계종교와의 본질적 차이는 이러한 의문 을 낳게 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수령인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우상화, 신격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수령교의 종 교적 색채는 점점 강화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주체사상은 단순한 국 가의 통치이념이나 사상을 넘어서 김일성과 김정일을 절대화, 신격화 한 수령교로 자리 잡고 있다. 북한사회의 이와 같은 종교적 특성은 통일과정에서 많은 사회갈등 과 심리적 상실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김일성에 대한 북한주민 들의 신앙은 하나님에 대한 일반 기독교인들의 감정과 유사하다고 볼 때 북한인들이 김일성 없이 살아가는 데서 생기는 심리적 공허감 이 있을 것이다. 김일성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사는 것은 무 언가를 잃어버린 목적 없는 삶과 같을 북한인들에게 종교생활과 신 앙을 통해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학, 상담학의 분야에서 이러한 심리갈등을 돕는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북한 수령교 신앙의 근원이 되고 있는 김일성신앙을 어떻게 주체사상으로부터 분리시키면서 공동체생활을 유지 발전시켜 - 12 -

나갈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북한이 수령교와 세계종교와의 신앙의 공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점에서 남한도 수령교 교주인 김일성 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역사적 평가와 수령교에 대응하는 신학적 이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김일성주의로부터 주체사상을 어떻게 분리 할 것인가, 해방신학의 입장에서 민족해방의 논리를 전개하면서도 김 일성의 신격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논리적인 비판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종교계는 주체사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통 일시대를 대비하는 사상적, 문화적 탐구를 심도 있게 추진해야 할 것 이다. - 13 -

- 목 차 - Ⅰ. 서 론 1 Ⅱ.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7 1. 종교의 유형과 종교양식 7 2.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상 13 3.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2 Ⅲ. 교리 및 신념체계 33 1. 신앙의 대상과 성격 33 2. 인간의 본질과 존엄성 51 3. 기독론과 수령론 63 4. 구원과 영생 70 5. 교회와 사회정치적 생명 75 6. 종말론적 신념: 사탄과 제국주의 79 Ⅳ. 종교의식과 행위규범 93 1. 예배당과 김일성혁명사상연구실 93 2. 종교집회와 모임 104 3. 예배와 생활총화 113 4. 언어사용과 행동양식 124 - i -

Ⅴ. 공동체의 윤리도덕과 조직체계 145 1. 공동체의 윤리도덕 145 2. 개인의 종교적 열성도의 차이 157 3. 공동체의 조직운영 체계 161 Ⅵ. 주체사상의 기독교적 종교양식의 촉진 배경 173 1. 김일성 김정일의 기독교 경험 173 2. 김일성 김정일의 기독교관 184 3. 기독교적 친화력 192 Ⅶ. 결 론 199 참고문헌 205 부록: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 212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1974) - ii -

서 론 1 Ⅰ. 서 론 김일성 사망 당시 오열하며 애도하는 북한주민들의 모습은 21세기 통일시대를 꿈꾸는 우리들에게 너무나 충격적이었다. 모든 사람들이 한결같이 자기 부모를 잃은 것처럼 슬퍼하며 금식하는 것은 물론 어 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한 사람도 빠짐없이 김일성 동상 앞 에 나아가 추모와 숭배의 예를 갖추었다. 북한주민들의 김일성에 대 한 봉건적 숭배와 한 개인에 대한 전국민의 이 같은 집단적 참배행 렬은 공포와 세뇌에 길들여진 인간의 모습을 넘어서 종교의 근본주 의자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신앙행위를 연상케 한다. 주체사상과 김일성 수령 에 대한 숭배의식으로 획일화되어 있는 북한사회가 일종의 종교적 특성을 띠고 있다는 주장은 최근 들어 설 득력을 얻고 있다. 주체사상을 발전시켜 세계관과 인생관으로 제시하 는 한편, 창시자 김일성의 생가를 만경대고향집 으로 성역화하고 혁 명활동을 신성시함으로써 김일성의 존재를 성스러움과 경외의 영역 에 가져다 놓았다. 김일성 사망 3주기를 계기로 김일성이 태어난 1912년을 원년으로 하는 주체연호 를 제정하는가 하면, 김일성의 생 일인 4월 15일을 태양절 로 지정하는 등 김일성에 대한 신성화 작업 을 계속하고 있다. 노동당은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에 입각하여 위대 한 수령 김일성동지는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신다 라는 구호를 만들 어 김일성을 영생불멸의 존재로 각인시키고 있다. 김일성은 이제 북 한에서 역사적 영웅, 민족의 지도자의 지위를 초월하여 신적 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체사상과 김일성에 대한 성스러움의 종교적 체험은 북한사람들 의 다양한 행위규범과 공동체 의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주민들은 평 상시에도 김일성과 김정일 초상화를 각 가정이나 직장에서 가장 좋 고 깨끗한 방에 부착하고 사진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정성스럽게

2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보관하며, 김일성과 관련된 행적과 건물, 동상, 초상화 등 모든 것들 을 성스럽게 다룬다. 매일 이른 새벽 김일성동상에 나가 참배와 기도 를 드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김일성 김정일의 생일에는 초상화 아래 꽃병에 생화를 꽂고 그 앞에서 온 가족이 절을 올리며, 정월 초 하루와 같은 새해 첫날에는 세배를 올리고 찬양의 노래를 부르는 예 식을 갖는다. 북한사회의 이러한 종교성이 크게 부각된 것은 탈사회주의 세계적 변화가 시작된 1990년대 들어서이다. 전세계적으로 사회주의의 물결 이 퇴조하고 심각한 경제 군사적 위기를 겪으면서도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의 저력이 바로 주체사상에 기인하고 있다는 평가가 내려 지면서 북한사회의 종교성에 대해 보다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 었다. 북한은 동유럽 사회주의 붕괴 이후 급속히 악화된 경제난과 대 규모 기아사태로 야기된 사회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였다.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비서는 1997년 망명 당시 공화국 이 경제적으로 좀 난관을 겪고 있지만 정치적으로 잘 단결되어 있기 때문에 붕괴될 위험성은 없다고 생각한다 라며 북한사회의 이러한 분위기를 정확히 지적하였다. 극도의 식량난과 수십만이 아사하는 경 제적 한계상황 속에서도 주민들의 불만은 폭발하지 않고 고난의 행 군 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는 자세는 일종의 종교적 신앙행위로 비쳐 지고 있다. 남한에 들어와 살고 있는 탈북귀순자들은 북한사회를 떠나본 이후 에야 비로소 북한사회가 강한 종교성을 지니고 있음을 체험한다. 탈 북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은 김일성이란 이름을 위대 한 수령님 이라는 수식어 없이 사용하는 데 많은 부담을 느낀다는 것 이다. 탈북자 가운데는 내 가슴속에 있는 김일성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나는 죽을 때까지 김일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와지 지는 못할 것이다 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북한체제에 환멸을 느껴

서 론 3 전향한 사람들임에도 불구하고 김일성의 신적 권위로부터 벗어나는 데 짧게는 1~2년, 길게는 3~4년이 필요한 것을 볼 때 김일성은 북 한사람들에게 살아 있는 유일신으로 각인되어 있음이 분명하다. 무장 간첩으로 남파되었던 김신조씨는 자신의 경험으로 볼 때 김일성이란 존재를 극복하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로 귀순자들이 진정 으로 김일성 을 극복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북한주민들의 생활양태와 가치관은 여러 종교 가운데서도 기독교의 종교양식과 매우 유사하다. 북한의 김일성주의와 주체사상 의 종교적 특징을 기독교와 비교하여 설명하려는 시도는 방북자나 귀순자들을 통해 자주 있어 왔다. 북한을 방문한 사람들의 경우 김일 성이 인민으로부터 충성과 찬양을 받는 절대자이며 한울님 혹은 하 느님 으로 추앙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북한은 더 이상 평범한 사 회가 아니라 종교사회이며 특히 기독교와 상당히 유사한 종교사회라 는 점에 동의한다. 외형적으로 드러난 북한주민들의 조직적 일상생활 은 기독교인의 종교생활과 흡사하다는 느낌을 주며, 김일성을 이처럼 열렬히 찬양하는 북한사람들은 종교의 광신도와 다르게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KAL기 폭파사건으로 체포된 김현희는 북한에서 김일성을 하나님 으로 숭배했다고 고백하면서 자신의 삶 속에서 김일성의 존재를 빼 놓는다는 것은 기독교인에게서 하느님의 존재를 빼놓는 것과 마찬가 지라고 회고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숭배 때문에 기독교가 설만한 자 리가 없으며, 김일성과 북한주민들의 관계는 가히 신과 인간의 관계 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라고 그녀는 말한다. 김현희는 귀순과정 에서 성경을 읽으면서 성경이 어쩌면 그렇게도 주체사상과 비슷한 지 모르겠어요. 성경을 먼저 공부하고 주체사상을 배우면 이해가 빠 를 것 같아요. 성경에 나와 있는 예수님이란 이름 대신에 김일성이란 이름을 집어넣어도 될 것 같아요 라며 놀라워했다. 1) 성경의 하나님

4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아버지 자리에 어버이 수령 을 대신 집어넣는다면 이제까지 북한에 서 교육받아온 것과 다르지 않으며 성경을 읽는 데도 어려움이 없다 는 것이다. 그녀는 성경에 10계명이 있는 것처럼 주체사상에는 10대 원칙이란 것이 있어 늘 외우도록 하고 있고, 매주 드리는 주일예배는 북쪽에서 하는 주간생활총화, 즉 자아비판과 매우 비슷하며, 성령, 성 자, 성부의 삼위일체와 당, 인민, 수령의 전일제도 비슷하고 김일성의 무오류성은 하나님의 전지전능과 같다고 한다. 북한사회의 이념체계와 조직생활이 기독교와 유사하다는 이러한 경험적 체험과 설명에도 불구하고 북한사회의 종교성이나 기독교적 유사성들에 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주체사상 의 기독교적 특성 및 유사성은 대개 북한연구 중 광범위한 다른 주 제의 일부분으로 취급되거나 단편적인 관찰에 불과하였다. 1991년 5 월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북미기독학자회에서 북한 사회과학원 주체 사상연구소 박승덕 소장은 주체사상과 기독교가 사랑, 평화, 정의, 평 등을 공통점으로 강조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는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철학적 혹은 윤리적 차원에서 몇 가지 공통점을 찾는 데 한정되었으며 주체사상 이 지니는 종교성과는 거리가 있다.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유사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사회가 지니고 있는 종교적 특성을 연구하려 는 작업이 시도 2) 되었으나 아직 본격적으로 진행되지는 않고 있다. 이러한 경험적 관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는 북한사회에 스며들어 있는 종교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체사상을 기독교의 종교양식과 비교하여 분석 설명해 보고자 한다. 주체사상과 그에 기 1) 조갑제 정호승, 김현희의 하느님 (서울: 고시계, 1990), pp. 71, 103. 2 ) 김병로, 북한의 사회통합 방식과 기독교의 유사성, 민족통일을 준비 하는 그리스도인 (서울: 두란노, 1995), pp. 105~132; Richard Tait, 북한 통치술에 내포된 기독교적 교리 개념에 대한 연구, 서강대 공공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년 등이 있다.

서 론 5 초한 북한사회를 기독교의 교리와 상징체계, 의식과 행위규범, 공동 체의 윤리와 조직원리 등 기독교의 종교양식과 비교함으로써 북한사 회의 세계관과 주민들의 가치관, 삶의 방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동시에 북한사회에 이러한 종교적 특성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향후 예상되는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체사상과 기독교를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비교한 것이 아니라 기독교의 종교양식을 원용하여 주체사상의 특징을 분석한 것 이다. 즉 연구의 초점은 기독교가 아닌 북한사회이며 기독교적 관점 에서 주체사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독교에 대해서는 가능 한 한 내용을 함축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념 중심으로 요약하고 그 틀에 준하여 주체사상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 료로는 귀순자들의 수기와 귀순자 면담을 사용하였으며 종교의식과 행위규범에 관해서는 귀순자들의 의견을 주로 참고하였다. 귀순자들 가운데 특히 남한에서 기독교에 관심을 가지고 신앙생활을 시작한 사람들의 수기와 면담을 활용하였다. 귀순자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진 행한 면담자료는 그 출처를 가명으로 표기하였다. 본 연구는 제Ⅰ장 서론에 이어 제Ⅱ장에서는 주체사상과 기독교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기준으로 교리체계와 종교의식, 공동체 사회조직 이라는 세 가지 종교양식을 제시한다. 그리고 종교가 사라진 사회주 의 사회에서 대체종교로 등장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조명하고 북 한의 주체사상이 종교적 신념으로 발전하는 역사적 과정을 분석한다. 제Ⅲ장에서는 주체사상의 교리체계를 다섯 가지 기독교 종교양식 을 준거로 설명한다. 기독교 신학체계를 구성하는 신론, 인간론, 기독 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을 주체사상에 적용하여 어떻게 교리화되 고 있는지 살펴본다. 제Ⅳ장에서는 종교의식의 장소, 각종 집회와 모 임, 예배형식 등 종교의식을 비롯하여 교시인용, 언어사용 등 행위규 범에서의 유사성을 설명한다. 제Ⅴ장에서는 사회학적 측면에서 종교

6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를 구성하는 공동체의 윤리생활과 조직체계를 살펴보며 주체사상이 추구하는 종교윤리와 개인적 차원의 종교성, 그리고 공동체를 유지하 는 조직체계를 분석한다. 제Ⅵ장에서는 주체사상이 왜 기독교와 유사한 종교양식을 띠게 되 었는가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기독교적 가정배경 및 기독교 경험을 토대로 주체사상이 기독교와 친화력을 지니고 있 음을 밝힌다. 또한 유교의 문화적 전통과 한국전쟁의 사회적 경험도 기독교의 종교적 특성을 수용하는 배경이 된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 러나 주체사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기독교적 종교양식을 띠게 되었는지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하는 데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 을 아울러 밝힌다. 마지막 제Ⅶ장에서는 주체사상이 신앙과 행위의 본질에서 기독교 와 다르지만 기독교와 유사한 종교양식을 지니며 강한 종교성을 띠 고 있는 것으로 결론 내린다. 동시에 이처럼 강한 종교성을 띤 북한 사회가 통일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변화와 갈등의 요인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7 Ⅱ.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 종교의 유형과 종교양식 종교 사회학자들은 종교를 몇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개념적 틀로 활용하고 있다. 신앙의 대상에 따라 종교를 단순초자연신앙, 생령신 앙, 유신론적 신앙, 추상적인 이상 등의 네 범주로 구분하기도 하며, 일신교, 다신교, 윤리종교, 전래종교, 원시종교 등으로 구분하는 학자 도 있다. 3) 원시종교는 생령신앙 혹은 토템신앙과 같은 것이다. 생령신앙 (animism)이란 인간의 삶을 이롭게 또는 해롭게 하는 영혼이나 생기 를 믿는 것을 말한다. 모든 종교의 기원을 생령신앙으로 보는 타일러 (E. Tylor)에 따르면 죽음, 꿈, 환상 등과 같은 보편적인 경험들이 원 시인들로 하여금 육체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정신의 존재를 생각케 했 다고 한다. 원시인들이 생활에서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종교적인 의례 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것이다. 토템신앙(totemism)은 특정한 물체(일 반적으로 동식물)에 존재하는 성스러운 힘(mana)을 믿는다. 이러한 물체들은 의식( 儀 式 )을 통해 종교적인 숭배의 대상이 된다. 뒬껭(E. Durkheim)에 의하면 원시인들은 자신들의 토템인 뱀, 새 또는 나무 그 자체를 숭배한 것이 아니고, 이들 배후에 있는 성스러운 힘을 믿 으며 나무, 뱀, 새 등은 그 힘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다. 즉 토템을 통해 인간이 성스러운 영역에 참여하게 된다. 기독교인들의 상징인 3) Ian Robertson, Sociology (New York: Worth Publishers, Inc., 1981), pp. 403~406; 양춘 박상태 석현호, 사회학개론 (서울: 진성사, 1986), pp. 286~288에서 재인용.

8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십자가와 마찬가지로 원시인들은 토템을 가지고 자기들의 종교적 일 체감을 찾은 것이다. 전래종교 또는 민족종교는 조상을 숭배하는 종교로 일본의 전통신 앙인 신도( 神 道 )는 대표적인 전래 민족종교이다. 제2차 세계대전 직 전까지 신도의 조상숭배는 천황으로 대표되는 국가에 대해 충성을 맹세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종전 후 신도는 개인과 집단생활을 보호 해 주는 조상들의 영령을 받드는 전래적인 믿음보다는 민족주의적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 일신교는 유대교와 유대교에서 파생된 기 독교, 이슬람교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일신 신앙의 종교를 말한 다. 유대교는 구약성서의 모세에게 나타난 야훼 하나님을 믿는다. 기 독교 개신교와 카톨릭, 그리스정교는 삼위일체를 믿으며 예수의 가르 침인 성경을 받아들인다. 이슬람교는 AD 6세기 경 예언자 마호메드 가 창시하고 성전인 코란에 계시된 알라신을 숭배하는 종교이다. 유 대-기독교적인 전통이 서구문화를 형성시켰던 것처럼 이슬람교는 아 랍문화를 이룩했다. 다신교는 지역신에서 카스트집단에 관련된 신에 이르기까지 신들의 위계체계로 구성된 힌두교가 가장 대표적이다. 힌 두교는 구석기시대에 출현한 가장 오래된 종교로 추측된다. 윤리종교는 위의 종교들과 다른 불교, 유교, 도교로 관념 대신에 윤리를, 변화보다는 조화를, 내세보다는 현세나 과거를 강조한다. 이 런 종교들은 인격신에 대한 관념이 없거나 약하며, 우주의 궁극적인 질서를 규정한 윤리로 구성된다. 이 원리에 입각한 신앙교리는 신자 들로 하여금 개인적, 사회적 생활에서의 조화와 궁극적 질서를 구현 하기 위해 윤리적인 생활을 할 것을 권장한다. 불교는 부처가 득도하 여 열반의 경지에 들어갔던 BC 6세기경 인도에서 창시되었다. 불교 의 여러 종파들은 불경을 서로 다르게 해석하며 나름대로 의식과 도덕 율을 갖고 있다. 유교는 모든 사물의 도덕적이고 물리적인 조화를 주 장하는 공자(BC 551~479)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하여 성립했다. 유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9 교에는 성직자나 신학체계 등 종교의 일반적인 특징을 결여하고 있 어 막스 베버(Max Weber)같은 학자들은 유교를 종교로 볼 것인가 또는 윤리체계를 가진 철학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기 도 했다. 중국의 제자백가 사상에서 비롯된 도교는 유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유교보다는 신비적 요소가 많다. 도교는 나름대로 경전과 윤리, 특히 정치이론을 가지고 있다. 다른 종교처럼 도교는 우주의 궁극적인 질서와 한 개인의 운명과 관련된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진다. 이희승의 국어대사전 은 종교를 초인간적인 숭고함이나 위대한 것을 외경하는 정의( 情 意 )에 의거, 이것을 인격화하고 신앙, 기원 및 예배함으로써 안심입명, 축복, 해탈 및 구제를 얻기 위한 봉사의 생 활을 영위할 때의 그 관계를 말한다 고 정의한다. 4) 인간의 종교경험 은 대체로 장소, 시간, 자연의 물체들, 그리고 인간 자신과 행동에 연 관되어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인간은 주변의 장소와 공간을 모두 동 질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특별하고 성스러운 장소와 일상적이고 세 속적인 장소로 구분해서 경험한다. 성스러운 장소는 성지, 성소라고 불리는 장소이며 그 장소가 그렇게 경험되는 이유는 그곳이 성스러 운 것과 어떤 양식으로든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어지기 때문 이다. 모든 종교들은 나름대로 성지를 갖고 있으며 하나의 종교는 정 도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수많은 성지와 성스러운 공간을 인정하 고 있다. 종교경험은 시간과 관련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것은 종교예식을 통해서 재생되고 신앙인들이 참여하는 시간으로서 궁극적인 사건이 일어난 시간, 인간이 성스러운 것과 만나는 시간이기도 하다. 종교는 주기적인 예식을 통해 성스러운 시간을 재생하여 시간에 대한 종교 4) 이희승,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982), pp. 3347; 오경환, 종교사 회학 (서울: 서광사, 1990), p. 44에서 재인용.

1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경험을 재생한다. 뿐만 아니라 자연의 물체에 대해서도 그것이 자연 의 물체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 즉 성스러운 것을 지적 해 주고 표시하는 것으로 일종의 종교적 경험을 한다. 종교경험의 표현양식들은 개인의 종교경험을 남에게 전달하는 매 개체와 수단이 되고 어떤 사람들에게 종교경험이 있는지 알려고 하 는 경우에 관찰의 대상과 근거가 된다. 종교경험은 대체로 세 가지 양식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5) 즉 이론적 양식인 교리, 실천적 양식인 예식과 의례, 그리고 사회적 양식인 공동체 혹은 단체이다. 종교경험 은 언제나 어떤 개념들을 사용하는 사상으로 나타나고, 말과 행동으 로 짜여진 의례나 예식으로 표현되며, 또한 가입, 지위의 점유, 역할 의 분담으로 구성되는 조직체나 공동체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6) 종교 에 따라서 이 세가지 양식의 복잡성이나 제도화 정도는 다를 수 있 지만 어떤 사회현상이 종교로 규정되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표상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개념규정에 근거하여 종교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성스러운 것 에 대한 신앙이다. 뒬껭은 모든 종교에 공통되는 특징은 성(the sacred)과 속(the profane)을 구 분하고 성스러움을 종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라고 한다. 성 이라고 하는 것은 일상의 경험을 초월하는 이상적 세계라든가 초자연적인 힘, 비상함, 경이로움을 불러일으키는 대상 등을 의미한다. 반면에 속 은 일상적이고 평범한 대상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을 의미한다. 여 기에서 구분한 성과 속은 대상 자체의 속성이 아니라 집단성원들이 공동의 의미를 부여한 바 성스럽다 혹은 속되다 고 간주되는 것을 말한다. 성스러움의 대상은 초자연적 존재일 수도 있고 알라와 같이 5) 요아킴 바흐, 종교의 보편적 요소들, 김승혜 편저, 종교학의 이해 (서 울: 분도출판사, 1986), pp. 115~141. 6) 오경환, 종교사회학, p. 49.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1 유일신일 수도 있으며, 일본의 신도( 神 道 )에서 처럼 조상의 숭배를 뜻할 수도 있다. 그 대상들은 인간과는 다른 신비성을 띠기도 하며 인간이 할 수 없는 일들을 할 수 있는 초능력적인 존재임이 강조된 다. 신앙의 대상인 초월적인 존재를 가짐으로서 인간의 힘으로 해결 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이들 성물은 종교를 신봉하는 이들에게 그 실체를 느끼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종교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앙은 자신들의 독특한 교의 또는 교리로 체계 화되며 그것은 교주나 초월적인 존재의 말씀, 계시 등으로 이루어진 경전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둘째, 모든 종교에 공통되는 요소는 의식(ritual)이다. 의식(ritual)은 존재 또는 가치의 궁극적 근원에 대한 적절한 응답의 형식을 신자들 에게 규정해 놓은 것이다. 7) 일정한 형식의 예배의식을 함께 갖고 같 은 교의를 신봉하기 위해 언어와 행위규범을 발전시킨다. 종교의식은 한마디로 말해 성스러운 대상에 대한 믿음의 표현이다. 종교의식은 신학의 범주를 초월하여 비합리적이라 여겨지는 상징까지도 포함한 다. 의식의 목적은 신에게 감사와 찬미를 드리며 특별한 은총을 청하 거나 신의 분노를 진정시키고자 하거나 비신앙적 행동에 대한 용서 를 구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혼자서 행하는 묵상이나 기도도 있 으며 설교나 미사 또는 제사 등과 같이 여럿이 행하는 것도 있다. 성 물에 명예를 부여함으로써 신심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신자와 믿음의 대상 사이의 관계를 돈독히 해준다. 의식은 신앙을 재확인하 는 수단으로서 집단에 열성적으로 참여하도록 조장한다. 셋째, 종교집단은 일종의 사회공동체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즉 집 단내 구성원들간에 지켜야 할 윤리와 도덕율을 갖고 있으며 공동체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갖고 있다. 원래 사람이 무리지 어 모이게 된 결과 그들 사이에 교류가 빈번해지고 그들 안에 결속 7) 이장현 외, 사회학의 이해 (서울: 법문사, 1983), pp. 228~235.

12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감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종교가 발생했다고 보는 것 은 가장 전형적인 사회학적 해석 가운데 하나이다. 도덕적 집합체인 종교집단은 종교집회에 참석하는 사람들 사이에 지켜야 할 규범을 포함한다. 구성원간에 탄생과 결혼의 기쁨을 함께 나눈다거나 병고와 죽음의 고통을 서로 위로해 주는 등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생활규범을 말한다. 동시에 종교는 집단의 중요한 체험을 영속화시키 고 보호하기 위해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다.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연령별, 지역별로 다양한 모임을 구성하고 전문가를 양성하여 교의를 가르치며 구성원 확보를 위해 전도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의식을 지도하고 성지의 설치와 유지, 사제나 기타 종교적인 일을 담당할 유 사들을 선발하고 성직자들의 위계체계를 규정하며 평신도의 역할을 규정한다. 이러한 조직상의 특징들은 공산주의 활동유형과 외형적으 로 많은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림-1> 종교를 구성하는 세 가지 양식 신념체계 종교의식 공동체적 사회관계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3 요컨대, 종교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숭배의 대상이 존재해야 하고, 의식이 갖추어져야 하며, 성원들 사이에 공동체적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숭배의 대상에 대한 성스러운 경험은 계시, 묵상 등으로 가능 하며 신념체계 또는 교리체계로 집대성된다. 묵상, 기도, 설교, 제사 등 각종 의식을 제정하여 신앙을 재확인하고 공동체적 참여를 유지 한다. 또한 공동체 내에서 윤리적 삶을 규정하는 도덕율을 적용하고 이것을 다른 종교공동체와 구별하는 윤리도덕을 발달시키며 공동체 가 유지되도록 교단조직과 각종 조직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을 통제하 고 관리한다. 2.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상 사회주의자들이나 공산주의자들은 종교를 인민의 아편 으로 규정 하여 사회주의 사회 속에서 종교를 추방하였다. 맑스(Karl Marx)는 종교가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비참한 상황에 대한 관심에 관심을 갖지 못하도록 하며 내세의 행복과 보상에 관심을 돌림으로써 불평 등과 불의로 점철된 현실세계의 비인간적인 사회질서를 용인하도록 만든다고 보았다. 따라서 종교는 사람들의 비판의식을 마비시키는 인민의 아편 으로서 사회주의 사회에서 사라져야 할 미신으로 간주 되었다. 사회주의 사회가 종교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19세기의 철학 사상, 특히 포이에르바하(Ludwig Feuerbach)의 종교관에 근거를 두 고 있다. 포이에르바하는 기독교의 본질 (The Essence of Christianity) 이라는 저서에서 종교는 인류의 문화발전 과정에서 인간이 신 혹은 신적 존재에 대해 잘못 만들어낸 사상과 가치의 체계라고 주장했 다. 8) 인간은 자신의 역사에 대해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8) Ludwig Feurerbach, The Essence of Christianity (New York: Harper

14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신의 활동에 대해 사회적으로 만들어낸 가치와 규범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주었다는 10계명 은 유태인과 기독교인들의 삶을 지배하는 도덕적 교훈을 신화한 것에 불과하다. 인간이 만들어낸 이와 같은 종교적 상징의 본질을 이해하 지 못하면 인간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역사적 힘의 포로가 되고 만다. 즉 종교는 인간을 소외 시키는 철폐되어야 할 환영에 불과하다. 사회주의 사회는 실제로 종교를 척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반종교 정책을 추진했다. 옛소련의 경우 공산정권의 초기 문맹퇴치의 계몽활 동과 병행하여 반종교 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법적으로는 정교분리 정책에 의해 양심과 신앙의 자유, 종교의식 수행의 자유 등이 선언되 어 공적 조직에서는 종교활동이 배제되었지만 사적으로는 종교활동 이 가능했다. 정권초기에는 국민들의 대부분이 그리스정교를 믿는 신 앙인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전략적 차원에서 종교를 허용하고 헌법에 도 종교의 자유와 반종교선전의 자유를 동시에 인정하였다. 특히 이 슬람권을 소비에트화하기 위해 종교의 용인이 불가피했다. 9) 그러나 실제로는 행정기관을 통해 종교활동에 대한 조직적인 압력과 탄압을 가하였다. 10) 공산당 산하 선전부서에는 무신론 홍보를 전담하는 인원 을 배치하여 무신론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하는 반종교 정책을 추진했다. 11)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반종교 학습을 도입 실시 하는 한편, 반혁명의 편에 선 성직자를 투옥, 살해하거나 강제로 교 회를 폐쇄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옛소련 사회주의 체제는 종교를 사 and Row, 1957); Anthony. Giddens, Sociology (Oxford: Polity Press, 1989), p. 457에서 재인용; 박영호, 교회와 공산주의 (서울: 기독교문 서선교회, 1984), pp. 27~32. 9) 紫 田 敏 夫 편, 편집부 역, 정치와 종교 (서울: 교양사, 1988), p. 168. 10) Leonard Schapiro,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New York: Vintage Books, 1971), pp. 351~352. 11) Jerry F. Hough and Merle Fainsod,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p. 423.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5 회주의 이념에 맞지 않는 반혁명적 요소 로 간주하여 정책적으로 배 격하였다. 중국은 종교에 대해 옛소련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옛소련은 법적으 로 종교금지 정책을 취하지는 않았으나 중국은 공산화 초기 종교는 인민의 의식을 마비시키는 마약이며 아편 이라는 관념 때문에 종교 금지 정책을 선언하였다. 교회를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교회지도자와 교역자를 교회로부터 추방하였다. 그에 따라 종교활동은 자연히 위축되었고 표면상 종교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정 부에 협조를 약속했거나 정부정책에 배치되는 내용을 전파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1976년 이후 중국은 종교금지를 해제하고 자립, 자치, 자전의 원칙에 입각한 종교활동을 허용함으로써 정부의 통제하 에 교회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급속히 신장한 파룬궁의 활동 에 대해서도 사이비 종교로 규정하여 억압하는 등 종교활동을 정부 의 통제하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북한도 종교를 반동적인 것 으로 규정하고 반종교 정책을 실시했 다. 북한의 현대조선말사전 은 종교를 하느님 등과 같은 자연과 사람들을 지배하는 그 어떤 초자연적이고 초인간적인 존재나 힘이 있다고 하면서 그것을 맹목적으로 믿고 그에 의지해서 살게 하며 이 른바 저승에서의 행복한 생활을 꿈꿀 것을 설교하는 반동적인 세계관 또는 그러한 조직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12) 종교에 대한 북한 의 이해는 북한이 즐겨 인용하는 김일성의 종교에 대한 언급에 잘 나타나 있다. 즉 김일성은 종교는 반동적이며 비과학적인 세계관입 니다. 사람들이 종교를 믿으면 계급의식이 마비되고 혁명하려는 의욕 이 없어지게 됩니다. 결국 종교는 아편과 같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 습니다 라며 종교를 반동적이며 비과학적 세계관으로 규정하였다. 13) 1 2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 p. 1831.

16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이런 점에서 불교, 기독교, 회교 등 어떤 형태의 종교이든 현실이 인 간의식에 환상적으로 왜곡되어 반영된 허위의식이다. 세계와 사람의 운명이 초자연적인 힘에 의하여 지배된다는 종교적 주장은 비과학적 이며, 사람이 신 에 의존되어 있고 사람의 운명이 하느님 에 의해 미 리 결정되어 있다는 설명은 반동적이다. 이러한 종교적 관념은 다분 히 원시사회의 산물로 간주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종교는 지배계급이 인민을 기만하여 착취억압하 는 사상적 도구 이며 인민들의 자주의식과 계급의식을 마비시키는 데 이용되었다고 주장한다. 14) 종교는 자연적인 힘이나 사회적 힘에 대한 그릇된 인식에 기초하고 있는 환상적인 것으로서 역사적으로 지배계급이 인민을 속이고 억압착취하는 도구로 이용되었으며 근대 에 와서는 제국주의자들이 뒤떨어진 나라들을 침략하는 사상적 도구 로 이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종교는 인민대중의 혁명의식을 마비시 키고 착취와 억압에 무조건 굴종하는 무저항주의를 고취하는 아편으 로 인식하고 있다. 15) 북한의 반종교 정책은 한국전쟁 이전까지는 명분상으로는 종교를 허용하면서 행정적인 통제와 토지개혁, 노동정책을 통한 외형적인 탄 압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1958년 중앙당이 집 중지도 사업의 일환으로 사상검토사업을 벌이면서 종교는 철폐되었 다. 해방 전 북한지역에는 400여 개의 사찰과 3만5천의 신도, 1,600여 명의 승려가 있었고, 기독교의 경우 1,500여 교회와 30여만명의 신자 가, 천주교의 경우 3개의 교구와 5만여명의 신도가, 그리고 천도교의 경우 12만여 신도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주장에 의하면 불교는 현재 60개의 사찰에 300여명의 13) 김일성, 문화선전사업을 강화하며 대외무역을 발전시킬데 대하여, 김 일성저작집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p. 154. 1 4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p. 490. 15)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현대조선말사전, p. 1831.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7 승려(대처승)과 1만명의 불자가 있으며, 개신교는 2개의 교회(450명 교인)와 5백여 개의 가정교회, 20여명의 목사와 1백30여명의 전도사 (책임지도원) 및 1만명의 신자가 있고, 천주교는 1개의 성당(100명의 교인)과 8백 명의 신자가 있을 뿐이다. 북한은 종교가 지배계급에 의 해 억압과 착취의 도구로 이용되어 왔으며 제국주의자들의 침략도구 로 사용되어 왔다는 판단 아래 특히 한국전쟁 이후 종교말살정책을 추진하였다. 1970년대 들어 잠복했던 중앙종교조직들이 활동을 재개하였고 1972년에는 헌법에 반종교선전의 자유 를 명기함으로써 사실상 종교 의 자유를 전면부정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그러나 1980년대 들 어와 남한을 비롯한 서방세계로부터 북한에 종교의 자유가 없다는 거센 비난에 부딪친 북한은 반종교정책을 완화하기 시작했으며, 북한 의 종교인들을 해외에 순방시키거나 국제종교회의에 참석시켜 북한 에도 종교가 있음을 홍보하였다. 1981년에는 해외동포 기독교지도자 와 접촉을 시작하여 1986년에는 스위스 글리온에서 남한기독교 지도 자와 회동하고 교류를 활성화하였다. 16) 1990년대 들어 김일성종합대 학 내에 종교학과를 설치하고 미주기독학자의 초청강의를 개설하는 한편, 북미주 기독학자와의 대화를 통해 주체사상과 기독교에 공통점 이 있음을 주장하는 등 종교개념의 순화된 해석을 시도했다. 1992년 에 개정된 헌법에서는 이전의 반종교 선전의 자유 란 문구를 빼고 그 대신 종교건물을 짓거나 종교의식 같은 것을 허용 한다는 내용 을 삽입함으로써 종교활동의 자유를 형식적나마 인정하는 조치를 취 하였다. 그러나 누구든지 종교를 외세를 끌어들이거나 국가사회질서 를 해치는 데 이용할 수 없다 고 단서를 달아 정치적 판단에 따라 종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이 단서조항은 1998년 16) 이만열, 한국기독교 통일운동의 전개과정, 민족통일을 준비하는 그리 스도인 (서울: 두란노, 1994), pp. 48~52.

18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9월 헌법개정시 앞부분의 누구든지 라는 말을 삭제함으로써 법률상 종교의 자유는 이전보다 신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1994년에는 단군릉을 조성하고 대종교의 부흥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당국의 이러한 정책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반주민들은 종교 를 여전히 미신으로 생각하고 있다. 기독교에 대해서는 피를 빨아먹 고 사람을 죽이는 흡혈귀 로 인식하며 기독교의 붉은 십자가를 보면 두려움을 갖는다. 북한의 일반인들은 교회는 잔인하고 끔찍한 일을 서슴치 않고 행하는 곳으로 알고 있으며 특히 교회 지하실에는 피를 뽑고 죽인 사람들의 뼈가 수북히 쌓여 있다고 알고 있다.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북한사람들에게 두렵게 각인된 것은 아마도 한국전쟁 의 엄청난 피해로 인해 생겨난 미제국주의 에 대한 혐오감과 미제국 주의의 앞잡이 로서 기독교에 대한 반감이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보인 다. 북한사람들은 대부분 선교사나 교회라는 말만 들어도 소름이 끼 칠 정도로 기독교를 잔인하고 두려운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17) 그러나 아이러니칼하게도 존재를 부정한 종교의 자리에 사회주의, 공산주의 이데올로기가 종교로서 자리를 틀었다. 종교의 자리에 사회 주의 이념과 공산주의 사상이 대체종교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게 된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다. 포이에르바하나 맑스의 주장을 유심 히 들여다보면 그들이 종교의 폐단을 인식하였지만 사회체제 내에서 종교적 기능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하고 있다. 맑스 자신도 종교가 지니는 보수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비판한 것이지 자체를 부정한 것 은 아니었으며, 18) 전통적인 형태의 종교의 소멸을 주장한 것이었다. 그가 종교를 인민의 아편 이라는 부정적 시각으로 본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인민으로부터 아편을 강제로 빼앗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아니다. 그 보다는 사회경제적 생활수준을 높임으로써 인민들이 17) 한화룡, 4대신화를 알면 북한이 보인다 (서울: IVP, 2000), pp. 46~48. 18) Anthony Giddens, Sociology, p. 458.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19 스스로 아편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 다. 19) 오히려 종교에 구현되어 있는 적극적인 가치(positive values) 는 이 지구상에서 인간의 운명을 개선하는 주도적 사상이 될 것으로 믿었다. 이런 점에서 사회주의는 인류의 적극적 자의식(positive self-consciousness) 20) 으로 종교아닌 종교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맑스에게 사상적 영향을 끼쳤던 포이에르바하도 소외현상으로서의 종교를 이해하면 소외나 종교를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 다고 강조했다. 오히려 미래에 대한 희망을 약속한다고 보았다. 종교 에 투사한 가치관이 정말 자신의 신념이 된다면 그 가치는 사후세계 로 미루어지는 것이 아닌 이 땅위에 실현될 수 있는 가치가 되기 때 문이다. 기독교에서 하나님이 소유하고 있다고 믿는 능력을 신앙인 자신들의 능력으로 환원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사회주의 자체를 종교의 하나로 생각해온 것은 최근의 일은 아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공산주의자를 무신론을 종교처럼 믿는 사 람들 이라고 하였으며, 러시아 공산주의 혁명운동에 참여했던 루나 차르스키도 생산력을 성부로,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성자로, 과학적 사회주의를 성령 으로 비교하면서 사회주의를 하나의 종교현상으로 파악하였다. 21)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사회주의, 파쇼주의, 공산주 의, 민족주의 등을 유사종교(quasi-religion)로 묘사한다. 22) 이러한 이 데올로기들은 신에 대한 충성과 헌신을 정치지도자나 이념 또는 소 속 집단에 헌신하도록 강요한다는 점에서 종교적 성격을 띤다. 종교 19) Leonard Schapiro,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p. 351. 20) Robert C. Tucker, ed., The Marx-Engels Reader, 2nd Edition (New York: W.W. Norton & Company, 1978), p. 93. 21) 고태우, 북한의 종교정책 (서울: 민족문화사, 1988), pp. 30~34. 22) Paul Tillich, 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the World Relig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4), pp. 14~25; 전호진, 선교학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9), p. 179에서 재인용.

2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현상을 세속화(secularization)의 과정으로 본다면 사회주의 사회에서 사회주의 이념은 체제변혁기에 인간이 느끼는 공동체로부터의 분리 또는 해체를 하나의 감정으로 묶어보고자 하는 대안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사회주의의 종교적 속성은 내면적 교리체계뿐만 아니라 외형적 행위규범에서도 종교적 형태와 흡사한 경우가 많다. 사회주의 는 단순히 외형적 사회제도를 변혁하는 혁명운동이 아니라 기존종교 의 영역을 대체하는 일종의 종교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실체론적 입장에서 종교를 파악하는 사람들은 종교는 종교적 체험 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공산주의, 파시즘, 민족주의, 과학주의 등이 과연 종교에 포함될 수 있는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다. 실체론적 관점에서는 종교의 가장 기본적 요소를 신에 대한 믿 음 혹은 내세에 대한 믿음 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정의는 다분히 기 독교적 관점에서 만들어진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정의 에 따르면 불교나 유교는 종교로 분류하기 곤란해진다. 그러나 종교 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신에 대한 믿음이나 내세에 대한 믿음이 전 제될 필요는 없다. 실체론적 관점을 따른다 하더라도 뒬껭의 분석처 럼 신의 개념을 성스러운 것 (the sacred)에 대한 체험으로 정의하면 여러 이념과 사상도 종교가 될 수 있다. 뒬껭은 종교를 성스러운 것 에 대한 신념과 행위의 통일된 체계 로 정의하며 이 신념과 행위체 계를 바탕으로 교회라고 불리는 하나의 집단적인 도덕공동체 를 형 성한다고 설명한다. 23)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종교를 구성하는 기본요 소는 인격화된 초인간적이고 위대한 것에 대한 믿음 이며 사회주의 이념도 종교가 될 수 있다. 공산주의뿐만 아니라 파시즘, 민족주의, 과학주의 등과 같이 인간 23) Emile Durkheim,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The classic sociological study of primitive religion (New York: Collier Books, 1961), p. 62.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1 의 궁극적인 문제와 한계상황에 대하여 의미를 제공하기만 하면 종 교에 포함될 수 있다는 입장이 기능주의자들의 주장이다. 베버에 의 하면 종교는 의미의 문제 와 관련된다. 즉 인간은 고통과 죽음의 문 제에 직면하여 정서적 조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인지적 확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4) 인간은 기대와 실제 발생하는 일 사이 의 간극을 이해하려고 하며, 인간의 운명, 도덕적 요구, 그리고 불의 와 고통, 죽음과 같은 악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끊임없이 노력한다.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합리적이며 체계적인 해답을 주고자 시도한다. 그것이 전통적인 종교이든 아니면 전통종교를 대체한 어떤 이념이든 간에 모든 사회는 우연과 무기력, 희소성 등 인간상황을 해석하는 기제를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베버 는 이러한 보편적 기제를 세계종교 (world religion)라 부른다. 기능적으로 볼 때 종교는 궁극적 문제에 대한 의미를 제공한다. 궁 극적 질문이란 죽음과 같은 한계상황이나 혹은 무질서한 현상으로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궁극적인 설명을 요구한다. 한계상황 가운데는 고통의 문제와 악의 문제도 포함된다. 사람들은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서는 견디지 못하는 존재라고 본다. 종교는 인간이 당하는 문제에 관하여 궁극적 해석의 틀을 제공 하고 동시에 설명을 제시한다. 이런 점에서 종교는 인간의 경험과 사건에 관한 궁극적 해석의 틀이고 설명체계 라고 볼 수 있다. 25) 종 교는 인간의 고통스러운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것들을 참아 견 딜만한 것으로 만든다. 종교는 신앙인이 한계상황을 궁극적 질서와 대우주의 관점에서 보도록 인도한다. 그 세계 안에서 신앙인은 자신 이 겪고 있는 구체적 경험의 정체 혹은 참모습을 발견하고 의미를 24) Thomas F. O'Dea, The Sociology of Relig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66), p. 11. 25) 오경환, 종교사회학, p. 67.

22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찾게 된다. 기능적으로 볼 때 사회주의 이념은 의미의 문제에 대한 궁극적 해답을 제공하는 종교인 것이다. 3.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주체사상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알맹이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양파와 같이 껍질을 벗기면 벗길수록 여러 겹으로 둘러 싸여 있는 다차원적 개념이다. 이는 주체사상이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과정 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변화 발전되었기 때문이다. 북한의 철학사 전 에서도 주체사상을 정의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철학사전 은 주 체사상을 주체사상 김일성동지혁명사상 으로 표시하여 주체사상 에 대해 직접적인 설명을 하는 대신 김일성동지혁명사상을 찾아보라 고 서술하고 있다. 즉 주체사상을 김일성동지의 혁명사상 으로 정의 하며 김일성 혁명사상의 진수를 이루는 것을 주체사상이라고 설명하 고 있다. 26) 그런데 이러한 정의는 주체사상을 협의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북한의 사상체계는 맑스주의 또는 레닌주의와 같이 김일성주의로 자 리잡고 있다. 북한은 김일성주의를 김일성의 혁명사상, 혁명이론, 혁 명방법의 세 영역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주체사상은 넓은 의미에서 사상, 이론, 방법을 포괄하며, 이 세 분야는 각각 철학 적 원리, 사회역사원리, 영도원리로 설명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넓은 의미에서 주체사상은 김일성주의를 가리킨다. 즉 주체사상 = 김일성 주의 라는 등식이 성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은 대외적으로 주체 사상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대내적으로는 김일성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인다. 북한이 김일성주의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주체사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김일성주의가 국제 사회주 2 6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p. 109.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3 의 운동과 사회주의 체제의 지도사상인 맑스-레닌주의를 대체 하는 새로운 사상이론, 불완전한 맑스-레닌주의를 완성시킨 최고의 사상 이론이라는 북한노동당의 주장과 견해를 외부에 명시적으로 드러내 놓지 않으려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27) 김일성주의, 즉 넓은 의미의 주체사상 가운데 한 분야인 김일성의 혁명사상을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 혹은 주체철학이라 부른다. 따라서 좁은 의미의 주체사상은 철학적 세계관, 주체철학을 가리킨다. 사람 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 는 사람 위주의 철학적 세계관은 주체사상의 출발점이다. 이로부터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역 사원리와 자주적 입장 및 창조적 입장에 기초한 지도적 원칙이 도출 된다. 이와 같은 의미의 주체사상에 대한 포괄적 개념은 1982년 김정 일에 의해서 체계화되었으며 그 후 계속해서 변화 발전되어 오고 있 다. 28) 이런 점에서 주체사상은 고정불변한 이념이 아니며 시기에 따 라 그 내용을 달리한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 시각에서 볼 때 주체사상은 1950년대와 60년대에 대외자주 성 원칙과 혁명적 군중노선을 강조하는 이념으로 출발하였다. 1955년 1 2월 28 일 김일성이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데 대하여 라는 연설에서 처음으로 주체 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김일성이 주체를 강조한 것은 소련에 대 한 맹목적 모방과 소련의 영향권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성격이 강 하였다. 김일성의 탈소련화의 이같은 의도는 김일성이 주체를 내세우 면서 중국의 사례를 적시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발견된다. 즉 김일성 은 중국의 청년운동인 5 4운동과 중국공산당의 정풍운동을 언급하면 서 북한에서도 광주학생운동을 주체성 있게 바라보며 주체적인 무엇 27) 한호석, 황장엽류의 주체철학 해석에 대한 북(조선) 내부의 비판, http://www.onekorea.org/research/t22.html, p. 4. 28) 主 體 思 想 의 이론적 발전과정에 관한 통시적 분석은 金 聖 哲, 主 體 思 想 의 理 論 的 變 化 (서울: 民 族 統 一 硏 究 院, 1993)를 참조.

24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인가를 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한 것이다. 29) 이 시기의 주체사상은 주 로 자주성에 기초한 사회주의 발전전략을 의미하였다. 김일성정권이 점차 안정됨에 따라 1967년부터 김일성에 대한 개인 숭배가 대대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때부터 당의 유일사상체계 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주체사상에 기초한 정치사상적 통 일이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이와 같은 지배구조에 대한 논리적 이 념체계를 발전시켜 1970년대에는 김일성주의화와 혁명적 수령관을 매우 강조하였다. 남한에서 유신체제가 들어선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 에서도 수령유일지배체제를 합리화하는 지배권력의 통치담론으로 주 체사상이 발전한 것이다. 특히 1 9 74 년 김정일의 온 사회의 주체사상 화 와 유일사상체계확립의 10대원칙이 선포되면서 주체사상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정치교양학습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주체사상은 수령 론으로 발전되었다. 1 9 70 년대 중반부터는 사회주의적 가치와 주체사상을 어떻게 사회 관계의 규범으로 정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 사람 과 사람과의 관계를 주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새로운 필요성이 대 두되었다. 이를 위해 소위 인간개조사업 을 전개하고 혁명적 동지애 와 의리, 집단주의 영웅주의를 강조해 나갔다. 1975년에는 주체형의 공산주의자 라는 슬로건을 공개적으로 사용하였고, 30) 1979년에는 숨 은 영웅들의 모범을 따라배우는 운동 으로 이어지면서 주체형의 인 간을 만들어 내고자 시도하였다. 1980년대에는 주체사상의 철학적 측면의 체계화가 일단락된 후 인 간중심 철학이 더욱 강조되었다. 김정일은 1982년 3월 주체사상에 대하여 라는 논문에서 철학적 원리, 사회역사원리, 지도적 원리를 종 29) 김병로, 김일성저작 해제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4), p. 53. 30) 李 鐘 奭, 조선로동당의 指 導 理 念 과 構 造 變 化 에 關 한 硏 究 : 主 體 思 想 과 唯 一 指 導 體 系 를 중심으로, 成 均 館 大 學 校 政 治 外 交 學 科 博 士 學 位 論 文, 1993, p. 122.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5 합적으로 정리하면서 주체사상의 철학체계를 발전시켰다. 그 이전까 지 주체사상은 인간의 본질을 자주성만으로 규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근본입장으로 자주적 입장과 창조적 입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그쳤다. 31) 이는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주체사상이 인간의 속 성을 자주성이라는 하나의 차원으로 설명하였고 부차적으로 사상의 식을 강조하는 등 체계화되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김정일은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을 인간의 본질적 속성으로 개념화하였다. 특 히 김정일은 사상의식의 강화에 대해서 의식성 이 인간의 본질적 속성이라고 주장하고 구체적인 지도방침으로서 사상개조선행과 정치 사업선행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김정일은 의식성, 즉 사상의식 강 화를 통한 인민대중의 자각성을 혁명과 건설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 로 매우 강조한다. 남한에 널리 알려진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에 입 각한 인간중심의 철학으로서의 주체사상은 이 시기에 체계화된 것이다. 주체사상은 1986년 7월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으로 발전되었다. 사회 정치적 생명체론이란 인간사회를 살아있는 생물유기체에 비유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북한사회는 수령과 노동당, 인민대중이 하나가 되 는 일사불란한 조직체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 수령은 생물유기체의 두뇌(뇌수)에 해당하며 노동당은 심장(혈관)이고 인민대중은 몸의 각 부분에 해당한다. 한 개인은 죽으면 육체적 생명은 없어지지만 집단 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정치적 생명은 영원히 살게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사회정치적 생명체에서는 인민의 모든 행동을 지시하는 뇌수 가 가장 중요하다. 뇌수(수령)없이는 생명체가 기능할 수 없기 때문 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김일성 김정일에 충성하는 수령관과 집 단주의 사회조직 원리를 이론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1980년대 말 동구 및 소련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된 시점부터는 민 31) 리승복 편, 변증법적 유물론 1 (평양: 고등교육도서 출판사, 1978), pp. 33~39.

26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족개념을 부각시켜 조선민족제일주의를 주장하면서 타 사회주의 체 제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우리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이론화 하였다. 이에 따르면 조선민족은 일제와 미제를 타도하고 수령을 보 유하고 있는 우수한 민족이라고 주장한다. 민족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군신화를 복원하고 고구려 왕릉을 개축하는 등 전통문화의 발굴과 민족주의를 강조하고 있다. 탈냉전 이후 주체사상은 사회역사 발전원리에 민족의 개념을 포괄하여 설명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나 방 법론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 체계적인 이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했다. 북한은 김일성주의가 새로운 사상, 이론, 방법의 전일적 체계를 정 립함으로써 맑스-레닌주의를 대체했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김일성주의, 즉 주체사상은 맑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켰다고 주장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세계 사회주의 사상사 에 등장했던 여러 경험, 특히 맑스-레닌주의와 확연하게 차별화하고 있다.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김일성주의는 맑스-레닌주의와는 다른 독창적이고 우월한 철학적 세계관을 세웠다고 한다. 또 구성체계와 전개 내용에 있어서도 김일성주의는 맑스-레닌주의와는 다르게 정립 되었으며 맑스-레닌주의를 단순히 계승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새롭 고 독창적인 사상이라고 주장한다. 32) 이러한 변화는 북한의 헌법에 반영되어 나타난다. 북한은 1972년 12월 27일 개정된 사회주의 헌법에서 맑스-레닌주의를 창조적으로 적용한 조선로동당의 주체사상 을 지도이념으로 언급(제4조)하였다. 이것은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개정된 당규약에서 김일성동 지의 주체사상 을 지도이념으로 강조함으로써 주체사상을 맑스-레닌 주의로부터 완전히 분리 독립시켰다. 1992년 4월 개정된 헌법에서는 32) 김정일, 사회주의 사상적 기초에 관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1990.5.30), 김정일 선집 1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pp. 88~115.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7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은 사람중심의 세계관이며 인민대중의 자 주성을 실현하기 위한 혁명사상인 주체사상을 자기활동의 지도이념 으로 삼는다 (제3조)라고 선언함으로써 주체사상은 명실상부한 북한 의 지도이념으로 확립되었다. 1998년 9월에 개정된 헌법은 김일성을 사회주의 조선의 시조이며 공화국의 창건자 로 언급하며 김일성헌 법으로 규정하였다. 주체사상은 단순한 이데올로기로 출발하여 종교적 신앙으로 발전 되고 있다. 주체사상이 종교적 차원으로 발전하는 계기는 먼저 수령 론 이 대두하면서부터 시작된다. 33) 1974년 김정일이 주체사상을 김일 성주의로 정식화한 이후 당의 유일사상체계확립의 10대원칙 이 선 포되고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 과 숨은영웅들을 따라 배우기 위 한 운동 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주체사상은 종교적 색채를 띠기 시작 했다. 김일성에 대한 충실성은 새로운 차원으로 심화되어 신념과 의 리로 간직하도록 요구되어졌다.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지키기 위해 신격화, 신조화, 절대성, 무조건성 으로 이루어진 충실성의 4대원 칙 이 통용되었다. 김정일은 1978년부터 혁명영화에 김일성을 영화의 주인공으로 내세웠고 그에 충실했던 항일빨치산들을 따라 배우기 위 한 운동을 전개했다. 어린이들에게는 충성동, 효성동으로 자랄 것을 강요했고, 일반인들은 자기 부모를 모시고 받드는 것처럼 수령을 모 셔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령론은 김일성이 주체사상의 창시자로서 칭송되어야 할 위대한 지도자라고 주장한다. 김일성은 항일혁명을 주도하여 조국해방을 성 취했고 제국주의 전쟁으로부터 나라를 보위한 수령이기 때문에 수령 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하고 철저히 충성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34) 수 33) 김명세, 주체사상의 인간개조론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침례신학대학 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년, pp. 32~36. 3 4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pp. 379~383.

28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령론에 근거하여 북한은 4대신화 를 만들었고 북한주민들은 이를 믿 고 있다. 35) 김일성은 항일무장투쟁을 성공적으로 주도함으로써 일제 식민압제로부터 나라를 해방시킨 위대한 수령 이다. 이것을 북한은 해방신화 로 간직하고 있다. 또한 김일성은 미제의 침략으로부터 나 라를 지킨 불멸의 지도자로서 추앙받는다. 이것은 북한이 전승신화 로 간직하고 있다. 또한 주체사상의 창시자로서 북한을 지상의 낙원 으로 발전시킨 낙원신화 를 일구어낸 장본인이다. 이러한 신화의 토 대 위에 김일성은 통일 이라는 미래의 낙원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안내자라고 선전된다. 주체사상의 종교성은 주체사상의 철학적 연구의 진전으로 뒷받침 되었다. 주체사상은 사람중심의 철학이라고 일컬어진다. 지금까지 서 양철학에서는 무엇이 우주의 본질인가를 논쟁하는 과정에서 의식이 먼저인가 물질이 먼저인가를 밝히려고 노력해 왔다. 관념론적 철학이 나 유물론적 철학은 의식이 본질인가 물질이 본질인가를 놓고 대립 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적인 논쟁은 불필요하다. 왜냐하면 인간 은 의식과 물질 가운데 어느 것이 먼저인가를 따질 수 없고 의식과 물질을 변증법적으로 동시에 지니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주체사 상은 이러한 이분법적이고 분석적인 접근은 잘못되었다고 비판하면 서 의식과 물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람 을 기본단위로 설정하고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실, 물질과 의식, 존재와 사유의 관계를 어느 정도 유물론에 근거하여 해석하고 있지만 인간과 세계와의 관 계에 대해서는 물질과 의식을 동시에 지닌 사람을 세계의 중심에 놓 고 사상을 펼친다. 따라서 사람을 기본단위로 놓고 사람과 세계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인간의 가치와 본질을 규명해 나간다. 주체사상은 이것을 새로운 세계관으로 제시하고 있다. 주체사상은 세계관을 전체로서의 세계에 대한 통일적인 견해, 관점과 립장의 전 35) 한화룡, 4대신화를 알면 북한이 보인다, pp. 27~69.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29 일적인 체계 라고 정의한다. 36) 세계관은 자연과 사회에 대한 견해의 총체로서 현실을 대하는 사람들의 입장과 태도를 규정한다. 북한은 세계관을 크게 종교적 세계관과 철학적 세계관으로 구분하고 주체사 상의 철학적 세계관은 비과학적이며 환상적인 종교적 세계관과 달리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고 설명한다. 세계관은 자연과 사회에 대한 지 식, 과학의 발전에 따라 역사적으로 변해왔는데 관념론적 세계관은 종교적 세계관의 외피를 쓴 비과학적이며 전근대적인 세계관이다. 유 물론적 세계관은 이러한 비과학적인 세계관을 비판하고 세계의 본질 과 그 변화발전에 대한 과학적인 견해를 확립했다고 한다. 이러한 바 탕 위에 주체의 세계관은 사람중심의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 다고 주장한다. 주체사상이 사람중심의 철학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주 체의 세계관이 세계에서 사람이 차지하는 지위와 역할 문제를 세계 관의 근본문제로 새롭게 제기하고 그에 가장 과학적인 해답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인간중심의 이러한 세계관은 릿출(Albrecht Ritschl)의 종교관과 일 치하는 것이다. 릿출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연구하는 기존의 종교는 신비적이며 허망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종교론의 일차적 문제는 인간 과 세계의 관계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37) 영적 존재이 며 인격적 존재인 인간은 모든 자연세계보다 고등한 가치를 가지고 세계를 통치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육체적으로 자연상태의 한 부분 인 인간은 영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자연상태로부터 끊임없이 방해를 받는다. 여기에서 사람은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에 부딪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은 영혼이 자연세계보다 우월한 위치 에 있다는 사실을 믿고 싶어하며, 그 결과 자연세계에 대한 영혼의 3 6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p. 418. 37) 박형룡, 기독교 현대 신학난제 선평 (서울: 은성문화사, 1975), pp. 161~165.

3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지위를 공고히 하려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다. 릿출은 이러한 시도가 합리적 추론이나 직관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단순한 가정에 불과하 다고 주장한다. 사람과 세계와의 관계에서 영적 혹은 정신적 측면의 우월성을 강 조한다는 점에서 주체사상은 매우 종교적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주 체사상은 자연세계에 대해 초월적인 것으로서의 정신세계를 추구하 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을 찾는 기성종교와는 다르다. 그러나 릿출의 신학처럼 신을 가정하지 않는 영적, 정신적 세계의 탐구가 좀더 진전 된다면 주체사상도 종교적 이론체계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주체사상의 세계관은 사람이 모든 것의 주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 다는 철학적 원리와 사람이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을 가진 사회적 존재라는 사람에 대한 철학적 견해를 확립하였다. 사람이 자기 운명 의 주인 이며 자기 운명을 지배하고 개척하는 결정적 요인 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주체사상의 종교적 성격을 드러내는 부분이다. 자기 의 운명은 자기 자신이며 자기 운명을 개척하는 힘도 자기 자신에게 있다는 주체사상은 사람이 기독교의 하나님의 자리를 대신한 종교적 성향을 갖고 있다. 38) 주체사상이 종교적 신앙으로 심화된 것은 바로 사회정치적 생명체 론이 완성되면서부터이다. 수령에 대한 충실성과 사회정치적 생명체 론은 주체사상의 종교적 변신을 가져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수 령에 대한 충성심은 다시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으로 강화되어 수령 은 전사에게 영원한 정치적 생명을 안겨주는 은인으로, 어버이로 강 조되어 어버이 수령께 충성하는 것은 생명을 받아 안은 전사의 응당 한 본분으로 여기게 되었다. 인간의 생명을 육체적 생명과 사회정치 적 생명으로 구분하여 개인이 소유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사실은 주체사상이 종교로 발전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종교의 발전 38) 맹용길, 기독교의 미래와 주체사상 (서울: 기독교문사, 1990), p. 43.

사회주의 사회의 종교현 상과 주체사상의 종교화 과정 31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영혼(soul)을 집단적 숭배의 대 상으로 환원시킨 정신(spirit)의 출현은 종교적 힘을 개인소지가 가능 한 형태로 발전시킨 매우 중요한 국면이다. 39) 수령관과 주체철학, 사 회정치적 생명체의 출현으로 주체사상 이데올로기는 종교적 신앙으 로 진화되었다.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북한의 주체사상은 종교적 기능을 하고 있음 은 분명하다. 죽음과 고통, 악의 문제에 대한 궁극적 해답을 주고 있 기 때문이다. 한계상황은 사람에게 불안, 공포심, 혼돈의 심리를 자극 한다. 이에 대해 인간의 육체적 생명은 죽음으로써 끝이 나지만 보이 지 않는 정신인 사회정치적 생명은 육체적 죽음을 초월하여 영원히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사람의 죽음에 대한 궁 극적 해답을 제공한다. 또 인간생활에서 직면하는 고통과 악의 문제 에 대해서도 해답을 준다. 인간생활에서 고통을 당하는 것은 사회주 의를 압살하려는 제국주의자들의 약탈 때문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자 신들에게 고통을 가져다주는 세력을 악으로 규정하는 논리로 발전한 다. 양심과 도덕을 지키면서 사는 사람이 때때로 가난과 고통과 무시 를 당하는가 하면, 반대로 양심을 속이고 악덕한 사람이 승승장구하 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 악의 문제이다. 악의 문제는 부당한 불공평 의 문제이다. 자본주의, 제국주의에서는 자본가들의 악랄한 착취가 악의 근원이며, 사회주의에서는 제국주의자들의 군사적, 경제적, 문화 적 침투와 파괴공작이 악의 근원이다. 실체론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주체사상은 종교로서 충분히 간주될 수 있다. 기독교의 신과 같은 신학체계는 없지만 주체사상은 수령의 신격화, 신비화를 통해 인격화된 초인간적이고 위대한 것에 대한 믿 음 을 형성하고 있다. 김일성에 대한 초인간적인 숭고함이나 경외하 39) Emile Durkheim,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pp. 309~333.

32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는 것은 신에 대한 믿음 과 같은 것이다. 나는 힘들고 어려울 때마 다 수령님을 생각하면서 새 힘과 용기를 얻군 합니다. 우리가 너무 고생을 하니 수령님께서 금수산기념궁전에서 내려다 보시고 도와주 실 것만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나는 어떤 고생을 무릅쓰고라도 수령님의 생전의 뜻을 기어이 실현하여 이 땅 우에 사회주의 강성대 국을 건설하려고 합니다 40) 라고 한 김정일의 말에서 김일성은 북한 주민들의 머리 속에 보이지 않는 절대자로서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 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북한이 발전시킨 주체사상은 위에서 분류한 여러 종교적 성향을 담지하고 있다. 샤마니즘 같은 원시신앙의 현상도 나타나고 윤리종교 적 특성, 일신교의 유일적 신앙도 발견된다. 그러나 주체사상은 단순 한 윤리체계는 아니며 강렬한 숭배를 요구하는 측면이 개입되어 있 다. 윤리종교는 유신종교에 비해 배타적이 아니지만 주체사상은 유신 종교에 비유될만큼 배타성을 지니고 있다. 윤리종교가 지배적인 동양 에서는 신자들이 동시에 여러 종교를 믿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북한 에서는 오직 주체사상만을 믿도록 요구하고 있다. 사회정치적 생명체 론에 입각한 북한주민들의 가치관과 조직생활은 신앙체계와 공동체 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종교조직과 매우 흡사하다. 40) 로동신문 1999.5.26; 한호석, 고난의 행군을 이겨내고 강성대국 건설 의 총진군을 이끄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http://www.onekorea.org /research/000916.html, p. 10.

교리 및 신념체계 33 Ⅲ. 교리 및 신념체계 본 장에서는 주체사상이 발전시킨 교리(dogma)와 신념체계(belief syst e m) 를 기독교 신학교리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기독교는 예수를 신으로 숭배하는 종교로서 신앙과 신학체계의 내용은 전적으 로 성경에 근거한다. 기독교 각 교파에 따라 성경을 평가하는 기준과 입장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성경의 무오성, 즉 성경은 틀림 없는 하나님의 말씀임을 믿는 데서 출발한다. 신학은 성경의 내용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며, 이 가운데 조직신학은 특히 성경에 나 타난 하나님에 관한 지식과 인간의 구원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기독교의 교리와 교의는 신학으로부터 도출되며 교리와 교 의로부터 신조와 윤리가 추출된다. 기독교의 교리와 신념체계를 포괄 하는 조직신학의 내용은 크게 여섯 분야로 구성된다. 41) 즉 신론, 인 간론, 기독론, 교회론, 구원론, 종말론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독교 진리체계의 내용을 기준으로 주체사상이 각각의 영역에서 어떤 사상 과 교리를 발전시켰는지 살펴본다. 1. 신앙의 대상과 성격 가. 하나님과 공산주의 일반적으로 종교는 신의 개념을 갖고 있으며 신을 숭배한다. 기독 교는 만물의 창조자이며 전지전능한 하나님을 유일한 신으로 믿는다. 기독교의 하나님은 인간과 다른 신으로서의 절대적 속성 혹은 비공 41) Louis Berkhof 지음, 권수경 이상원 옮김, 조직신학 상, 하 (서울: 크 리스챤다이제스트, 1998).

34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유적 속성을 지님과 동시에 보편적 속성, 즉 인간과 공유할 수 있는 속성을 갖고 있다. 42) 하나님은 존재와 모든 덕과 행위에 있어서 독립 적이며 외부의 어떤 것에 그의 존재를 의존하지 않는 자존성 (self-existence)을 지닌다. 또 하나님은 그의 내적 존재와 속성, 목적, 행동의 동기 및 약속에서 일관성이 있는 불변적 존재이다. 뿐만 아니 라 하나님은 지식과 지혜, 선과 사랑, 의와 거룩, 주권과 능력에서 무 한하며 시간을 초월하는 영원성과 공간적으로 무소부재한 존재로 간 주된다. 동시에 기독교의 하나님은 인간이 갖고 있는 속성을 똑같이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된다. 하나님 은 지식과 지혜의 근원이며, 완전히 거룩한 선이고 긍휼과 은총과 인 내를 베풀기 원하시는 사랑의 원천이다. 하나님은 피조물과는 구별되 며 무한한 위엄으로 그들을 초월하는 거룩하고 의로운 분이다. 죄를 미워하며 불경한 모든 것에 대해 자신의 의를 드러내는 분이며, 거짓 된 만물에 대하여 사물을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고 그 실재를 파악하 며 모든 언약적 약속을 충실히 지키는 진실성이 있는 분이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어떤 계획과 의지를 가지고 사건을 이끌어 가는 주 권을 가진 분으로 설명된다. 또한 기독교의 하나님은 본질적 존재에 있어서는 한 분이지만 이 한 분 안에 성부, 성자, 성령이라 불리우는 삼위(세인격)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는 자연신론에서 말하는 초월적 존재 혹은 범신 론이 주장하는 내재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절대적인 인격체이 며 삼위일체의 인격체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43) 실제로 많은 신학자 들은 삼위일체 교리가 기독교 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교리 혹은 기 42) Louis Berkhof, Manual of Christian Doctrine, 신복윤 역, 기독교신학 개론 (서울: 은성문화사, 1974), pp. 59~70. 43) Cornelius Van Til, 신국원 역, 변증학(The Defense of the Faith)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pp. 21~26.

교리 및 신념체계 35 독교의 핵심 이라고 말한다. 44) 즉 기독교가 믿는 하나님은 성부 하나 님과 성자 예수, 그리고 성령의 세 위( 位 ) 혹은 특질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유대교, 이슬람교와 더불어 기독교가 갖고 있는 유일신 사상 은 타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특징을 띠고 있다. 기독교는 다른 종교와 는 달리 유대교의 여호와 하나님을 유일신으로 믿으며 다른 숭배의 대상을 허용하지 않는다. 기독교 신앙을 교리화한 십계명 의 첫 계 명이 바로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 라는 교리로 오직 여호와 하나님만을 섬길 것을 강조한다. 여호와 하나님 이외의 다른 신은 잡 신이거나 이방신이라고 여기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삼위일체로 기능하는 하나님만이 참된 신이라고 주장한다. 주체사상은 기독교와 같은 신의 개념은 갖고 있지 않다. 주체사상 은 유물론과는 차별성이 있으나 유물론적 가치관과 진화론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경험적 영역을 초월하는 추상적인 신의 개 념을 거부한다. 주체사상은 인간은 가장 발달된 물질 이라는 유물론 적 사고에 입각하여 기본적으로 숭배대상으로서 기독교에서와 같은 추상적 신의 존재에 대해서는 부정한다. 반면 사람이 모든 것의 주 인이며 모든 것을 결정한다 는 주체사상 가치관을 따른다. 그 결과 실제로 많은 북한사람들은 보이는 것도 믿기 어려운데 보이지 않는 것을 어떻게 믿겠는가 라고 말한다. 신의 개념에 있어서 주체사상은 기독교와 결정적인 차이를 보인다. 대신 공산주의의 도래에 대한 신념과 확신이 형이상학적 하나님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형이상학적인 하나님의 존재는 경험적으로 확 신할 수 없는 허구이지만 공산주의는 역사법칙에 의해 경험적으로 보증할 수 있는 과학적 실체라고 주장한다. 주체사상이 공산주의의 도래에 대해 확신하는 것은 기독교에서 하나님의 존재와 섭리를 확 4 4 ) 웨인 그루뎀, 노진준 역, 조직신학(상) (서울: 은성출판사, 1997), p. 326.

36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신하는 것과 같다. 공산주의에 대한 신념은 혁명적 세계관의 정당성 에 대한 확신, 공산주의 사회에 대한 열렬한 동경심과 사랑의 감정, 그리고 노동계급의 혁명위업이 종국적 승리를 이룩할 때까지 대를 이어 굴함없이 싸워나가는 강의한 의지로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북한 은 공산주의에 대한 신념은 과학적으로 공고하며 가장 고상한 신념 이라고 주장한다. 김일성은 공산주의에 대한 신념은 공산주의자들의 고상한 정신적 풍모입니다. 공산주의자들은 인류의 최고 리상인 공산 주의의 승리를 굳게 믿고 그것을 위하여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쳐 투 쟁하는 고상한 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고 말한다. 45) 주체사상에 의하면 신념이란 자기의 사상과 견해를 옳은 것으로 확고하게 믿으며 자기사업이 정당하고 꼭 승리한다는 것을 확신하는 사상의식 이라고 정의된다. 46) 신념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기의 견해 원칙에 맞게 변함없이 행동하도록 추동하는 체계화된 요구로 어떤 복잡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동요 없이 자기가 믿는 것을 굳게 지키고 그것을 꾸준히 실현해 나가게 한다. 47) 주체사상이 신념에 대 해 확고하게 믿으며 또는 확신 이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고, 자기 의 모든 것을 바쳐 투쟁하는 고상한 품성 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 은 신학적으로 볼 때 종교적 색채를 띠는 부분이다. 확신은 어떤 대 상을 놓고 믿는 것으로서 이미 종교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의 모든 것을 바칠 수 있다는 것은 궁극적인 관심사로서 종교적인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48) 기독교에서도 현대신학자들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기독교의 하나님 45) 김일성, 교육사업에서 사회주의 교육학의 원리를 철저히 구현할데 대 하여, (전국교원대회에서 한 연설, 1971.12.27) 김일성저작집 26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p. 570. 4 6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p. 397. 47) 위의 책, p. 397. 48) 맹용길, 기독교의 미래와 주체사상, p. 42.

교리 및 신념체계 37 을 인정하지 않고 하나님을 절대적인 미래 혹은 실존의 궁극적 근 원과 방향 등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 49) 현대신학자들은 전통 기독교 에서 주장하는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 범신론을 주장하거나 혹은 기존의 신학은 신화에 불과하다며 하나님의 존재를 실존주의적으로 해석한다. 50) 특히 해방신학과 민중신학은 인간의 개인적 구원 외에 사회적 구원을 더욱 강조하게 되고 인간의 신비적이고 내세적인 구 원이 아니라 역사적이고 정치적 경제적 구원을 부각시킴으로써 하나 님은 현실사회와 민중의 구원을 실현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51) 북한 주체사상 연구소의 박승덕은 주체사상과 민중신학, 통일신학 은 민족통일 민족해방의 차원에서, 민중구원과 민중해방의 차원에서, 인도주의와 평화의 차원에서 적극 대화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52) 예 수를 해방자로서 조명하고 예수의 삶과 하나님 나라 를 소외계층의 인간회복과 인간화를 실현하는 데서 찾으려는 신학적 탐구는 주체사 상의 신학세계와 비슷하다. 53) 박승덕은 또 현대 기독교 신학이 래세 천당으로부터 현세천당으로, 현실도피로부터 현실참여로, 개인구원으 로부터 집단구원으로 자기 주장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는 것은 현대 기독교 신학의 전진적 방향 54) 이라고 평가한다. 이는 보수기독교 신 학이 주장하는 하나님이 아닌 현세적 천국의 실현과 사회구원을 신 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대신학의 신관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즉 주체사상은 사회구원을 강조하고 내세가 아닌 현실세계를 해석하는 49) 제임스 벤틀리, 김쾌상 옮김, 기독교와 마르크시즘 (서울: 일월서각, 1987), p. 204. 50) 박아론, 현대신학연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pp. 9~144. 51) 위의 책, p. 271. 52) 박승덕, 기독교에 대하는 주체사상의 새로운 관점, 기독교와 주체사 상 (서울: 신앙과 지성사, 1993), pp. 85~86. 53) 송기득, 민족통일에 대한 신학적 과제: 인간화를 바탕으로, 기독교와 주체사상, pp. 31~49. 5 4 ) 박승덕, 주체사상의 종교관, 기독교와 주체사상, p. 192.

38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실천적 종교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주체사상이 신봉하는 신은 공산 주의라는 절대적 미래이며 역사적 과학적 필연으로서 도래할 공산주 의에 대한 신념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주체사상은 신론에 있어서 자 유주의 현대신학의 교리양식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나. 하나님과 김일성 김정일 기독교에서 신론은 기독론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대단히 중요하다. 형이상학적인 하나님은 예수라는 인간으로 성육신 함으로써 보이는 하나님으로 환원된다. 예수가 바로 형이상학적인 그 하나님이라는 사실에서 주체사상과 기독교는 접점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주체사상은 형이상학적인 신학체계를 공산주의 도래라는 이론 과 신념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기독교의 예수와 같은 살아 있는 하 나님, 즉 김일성이 바로 공산주의를 이 땅에 실현시키기 위해 살아 있는 하나님 으로 온 예수인 셈이다. 김일성은 공산주의라는 절대적 가치를 이 땅에 실현하는 중재자이 면서 동시에 신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북한사람들에게 김일성은 주체사상을 창시하고 사회주의 조국을 건설한 조선민족의 시조이며 절대적으로 숭배해야 할 신적인 존재이다. 김일성은 육체를 가진 인 간으로 신을 대신하는 기독론적 성격을 지닌다. 이런 점에서 김일성 은 출생부터 성장과정 및 정치활동에 이르기까지 모두 신성화된다. 김일성이 출생한 만경대와 혁명전적지의 성역화 및 각종 상징물을 제작하는 등 신성화한다. 김일성이 솔방울로 폭탄을 만들 수 있었다 든가 낙엽을 타고 강을 건넜다는 것, 그리고 천리 밖을 내다볼 수 있 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김일성을 신격화한다. 백두산의 정 기를 타고나 천지조화를 다 알고 축지법을 써 하늘을 마음대로 날아 다니며 모래로 쌀을 만들고 솔방울로 총알을 만들며, 가랑잎을 띠우

교리 및 신념체계 39 고 대하를 건너가는 만고의 영웅, 한번 노려보면 사나운 원수도 가 을 풀같이 쓰러지며 미소로 바라보면 마른 나무에도 잎이 돋고 꽃이 핀다 55) 고 믿는다. 주체사상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위업은 노동계급의 수령에 의하여 개척되고 수령과 그 위업계승자의 령도 밑에 발전 완성된다 56) 고 주 장함으로써 수령에 대한 신앙과 신념이 교리화된다. 이러한 논리적 토대 위에 수령과 그 위업계승자에 대한 충실성이 혁명적 세계관의 핵 이 되며 수령과 그 위업계승자에 대한 충실성을 신념화하는 것 은 공산주의적 신념의 가장 중요한 기본요구 라고 강조하게 된다. 57) 주체사상을 확고부동한 신념으로 만들고 수령 김일성과 그 위업계승 자 김정일에 대한 충실성을 신념으로 간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 체사상에서 신념과 신앙의 대상은 공산주의이며 동시에 그 길로 인 도해주는 수령, 즉 김일성이라고 볼 때, 공산주의는 이미 신의 자리 를 차지하고 있고 김일성과 김정일도 신과 동일시되는 지위를 확보 하고 있다. 공산주의와 김일성이라는 숭배대상의 존재에 대한 믿음과 신념을 강조하는 것은 주체사상이 신념체계에서 기독교적 종교양식 을 띠고 있음을 말해준다. 58) 신적인 존재로서의 김일성의 위상은 그의 결정이 언제나 옳다는 소위 김일성 무오설에도 여실히 나타난다. 김일성의 생각은 언제나 옳고 오류가 없다는 것이다. 김일성의 생각과 결정이 항상 옳다고 믿 는 것은 김일성의 신격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잘못한 일에는 언제나 악역 을 따로 두어 김일성의 무오류성과 자애로운 성품을 보호한다. 김일성의 결정이 항상 옳다는 김일성 무오설은 기독교에서 하나님은 55) 내외통신사, 내외통신 171호, 1980.4.16. 5 6 ) 사회과학출판사, 철학사전 p. 397. 57) 위의 책, p. 397. 58) 맹용길, 기독교의 미래와 주체사상, p. 42.

40 북한사회의 종교성: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실수하지 않으며 오류가 없다는 하나님 무오설과 같은 것이다. 59) 종 교개혁 이후 개신교는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캐톨릭에서는 교회는 무오하기 때문에 교회가 공적으로 확증한 교의(dogma)는 오류가 없 으며 교회의 권위는 절대적이라고 믿는다. 캐톨릭에서 교회의 무오설 과 권위를 인정하듯이 개신교는 성경의 무오설과 권위를 믿는다. 종 교적 신앙은 교리 혹은 성경의 무오설과 절대적 권위를 인정하는 것 을 토대로 한다. 주체사상도 수령 김일성의 결정에는 오류가 없으며 그 권위를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일성은 기독교의 하나님과 같은 존재에 해당한다. 이처럼 신성을 가진 하나님은 다른 한편으로 인간과 공유할 수 있 는 속성이 있어 인간적으로 친근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기독교는 하 나님에 대해서도 전지전능하고 무소부재한 실체로 설명하는가 하면 완전한 인격체로 묘사한다. 기독교에서 하나님은 신으로서 절대적 속 성과 인간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예수도 그 러한 하나님의 속성과 인간의 특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 기독교의 이 러한 논리에 입각하여 예수는 참 하나님이면서 동시에 완전한 인간 이라고 주장된다. 예수는 육체를 가진 인간으로 슬플 때 눈물을 흘리 고 고통당할 때 괴로워하는 완전한 인간이다. 그러나 동시에 예수는 각종 질병에 걸린 사람들을 기적적인 능력으로 치료하며 물위를 걷 고 죽음에서 부활한 신적인 존재이다. 마찬가지로 신적인 김일성은 동시에 정이 넘치는 인간으로 묘사된 다. 백성이 고통당할 때 같이 괴로워하고 슬플 때 눈물을 흘리는 인 간이다. 이것은 예수가 신적 존재임과 동시에 완전한 인간으로 믿는 기독교 이론과 같다. 하나님의 속성 가운데 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측 면은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을 준다. 기독교 신앙은 59) Richard Tait, 북한 통치술에 내포된 기독교적 교리개념에 대한 연구, pp. 23~28, 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