¼Ò¸ñÀåÇ¥Áö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C3CAC1A DC1DFB1B92E687770>

*7¬˜≥ÌπÆ_9ø˘23¿œ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레이아웃 1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¹ßÇ¥¿äÁö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hwp

CB hwp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¼Ò¸ñÀåÇ¥Áö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歯이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B3EBC6AE322E687770>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 2 -

표1 고려불화의 本 地 : 직조방식 場 160 本 地 3 平 織 A 奈 良 國 博 明 代 1 a 善 導 寺 14 變 化 平 織 B b 鏡 神 社 1310 本 地 畵 幅 奉 安 4 A B 1 2 A 5 Ⅱ. 고려불화의 本 地 : 絹 織 物 의 조직 160 zoom B A

¼øâÁö¿ª°úÇÐÀÚ¿ø

토픽 31호( ).hwp


DocHdl2OnPREPRESStmpTarget

국사관논총103집(전체화일)

untitled

14 이용복 간단히 알아본다. 이어 고조선 강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유적과 발굴된 당시의 청동 기 유물을 통하여 천문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동기 유물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천문학적 요소나 흔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고조선의 역사 고려( 高 麗 ) 시

중국기본고적 데이타베이스 기능수첩


³»Áö_10-6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33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문 * 웅 입주자격소득초과 34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송 * 호 입주자격소득초과 35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나 * 하 입주자격소득초과 36 래미안신반포팰리스 59 최 * 재 입주자격소득초

나하나로 5호

jc0inb001a.HWP

수업내용 1 2 도자기란 무엇인가 도자기의 시대적 변천 2

국사관논총107집(전체화일)

Çѹ̿ìÈ£-197È£

´ëÇа¨»ç¹é¼Ł Á¦3ºÎ

1 3.,,,,.., ,, 1... KCDF.. ( 0 ). KCDF.. KCDF. KCDF ( 6 ).. 3.,,. 1 ( ) ~ KCDF. ( 11 )... ( 10 ) ,

untitled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1. 경영대학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01¸é¼öÁ¤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AB hwp

%±¹¹®AR

03 ¸ñÂ÷

국문초록 坦 齋 筆 衡 과 老 學 庵 筆 記 에서는 여요 성립의 계기로 정요백자의 有 芒 을 꼽 았다. 有 芒 의 芒 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것이 芒 口 를 가리킨다는 견해와 光 芒 을 가리 킨다는 견해가 있는데, 두 문헌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해본 결과 전자가 타당하다고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소식지수정본-1

20세기초 언양의 농민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01年度高年級聖誕節英語闖關遊戲活動計畫

I. 경기부양을 위한 지방채 발행 년 2월 국무원에서 발표한 2009년 지방정부 채권 발행에 관한 보고 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초읽기에 들어감 -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시행될 2009년 지방채 발행 규모는 2,00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며, 지방채로 조달된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39-0 머리말외.indd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º´¹«Ã»Ã¥-»ç³ªÀÌ·Î

µ¿¼�Çѹ溴¿øb60Ü¿ïÈ£š

Çʸ§-¾÷¹«Æí¶÷.hwp.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MYYQDNMQAOSB.hwp

<B0C5C1A620BFC1C6F7BCBA20B9DFB1BCC1B6BBE720BEE0BAB8B0EDBCAD2E687770>

<BFF9C2F7BAB8B0EDBCAD203132BFF9C8A C2F720BCF6C1A4BABB292E687770>

ÃѼŁ1-ÃÖÁ¾Ãâ·Â¿ë2

<B3F3BEF7BBE7C7D0C8B85F365F325FC3D6C1BE5F E687770>

< D313620B1E8C1A620BCF8B5BF20B3F3BEF7BFEBC3A2B0EDBDC5C3E0BACEC1F620B1B9BAF1C1F6BFF820B9AEC8ADC0E720C1F6C7A5C1B6BBE720BAB8B0EDBCAD2E687770>


와플-4년-2호-본문-15.ps

98 농업사연구 제 6권 1호, 한국농업사학회, 주요어 : 농업기술, 농서집요, 농상집요, 수도, 휴한법, 연작법 1. 머리말 한국사에서 14세기는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국가 지배체제가 크게 격변한 시기였다. 고려말 고려 사회 내부와 외부에서 발생한 여

나) 유적 유물현황 <표 121> 포석계 기암곡 유적 유물현황 유적명칭 제1사지 (장구절터) 유적내용 건물지 축대,초석,장대석,문지도리석 불상 탑 및 석등 기타 비고 석조여래좌상 국립경주박물관 탑1 일실 제2사지 (바둑바위아래절터) 대, 초석 다수 탑 2, 석등 1 買

Á¦190È£(0825).hwp

<C0FCC5EBBCF7B9DABDC3BCB320C0B0BCBAB9E6BEC820C3D6C1BEBAB8B0EDBCAD E687770>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untitled

CR hwp

2003report hwp

hwp

GB AV2š

<3429BFC0C1F8BCAE2E687770>

<303420B1E8B5BFC3B62E687770>

04 Çмú_±â¼ú±â»ç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2015년9월도서관웹용

Transcriptio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55 Somokjang (Somok furniture making)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장 이 록도서는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록과 보존전승 일환으로 발간한 보고서이다. 소장( 小 木 匠 )은 건 창호라든가 가구를 제작하는 수를 말하는데, 무늬가 있는 나무를 가지고 자연스런 미( 美 )를 살리는 전 통 공예법으로 자연환경과 주택구조 등을 고려하는 한국적 조 형양식을 만들어 낸다. 소장은 민속공예적 가치를 인정받아 1975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로 지정되었다. 이 책에서는 소장 능보유자 설석철과 전수교육조교인 이정곤, 김금철, 조화신 등 4인 전통 제작도구 및 제작공정, 전승현황 등 에 대한 록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글 김 삼 대 자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 장

중요무형문화재 록도서 를 발간하며 이 책은 중요무형문화재 원형을 보존하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중요무형문화재 록화 업 하나로 획된 것입니다. 무형문화재는 그 대상 형체가 없 때문에 람 능과 예능에 해 전승됩니다. 그런 까닭에 유형 문화재보다 쉽게 회적문화적 환경 변화에 노출되어 변형되거나 급격히 라져 가고 있습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1995년도부터 중요무형문화재 개별 종에 대 한 실연 전과정과 적 전승양상 등을 진 및 도면과 함께 수록하 여, 지정당시 보고서 한계를 뛰어 넘어 보다 학술적으로 보유자 예능을 록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소장 에는 소장 능보유자 설석철과 전수교 육조교인 이정곤, 김금철, 조화신 등 4인 전통 제작도구 및 제작공정, 전승현황 등 소장 전반을 상세히 수록하고 있습니다. 모쪼록, 중요무형문화재 록도서"가 전통문화유산을 지키고 유지하 는 한편 중요무형문화재를 올바로 전승해 나가는 초자료로 활용되어 전통문화 토대로 자리 매김될 수 있를 대합니다. 2003. 12. 국립문화재연구소 2 3

. 6 1.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7 2. 고려시대 9 3. 조선시대 소장과 그 술 보급 12 Ⅳ. 가구 제작과정 48 1. 경상(설석철) 49 2. 각게수리(설석철) 69 3. 이층농(김금철) 88 4. 이층문갑장(이정곤) 110 Ⅱ. 가옥 구조와 소 16 5. 걸이장(조화신) 132 1. 가옥 구조 16 2. 소 종류 19 Ⅴ. 소장 전승현황 152 Ⅲ. 가구 재료와 제작공구 28 1. 가구 재료 28 참고문헌 180 영문요약 181 2. 가구 제작공구 37

나무를 다루는 장인을 수라고 하는데, 수에는 대( 大 木 )과 소( 小 木 )이 있다. 대은 건축 가구( 架 構 )를 짜는 공정을 담당하고, 소은 조가구( 木 造 家 具 )나 조( 木 造 器 物 ) 등을 담당한다. 이러한 대과 소 분류는 중국 송( 宋 )나라 이계( 誡 : 明 仲 )가 1103년에 편찬한 영 조법식( 營 造 法 式 ) 에 따른 것이다. 영조법식 에는 총 12종류 제작제도 ( 製 作 制 度 )가 있는데, 이중 대소조작( 雕 作 )선작( 旋 作 )죽작( 竹 作 ) 등이 공과 관련된 분야이다. 1) 우리나라에서 공예품이 언제부터 용되었는지 그 명확한 시는 알 수 없으나 문헌 록과 출토 유로 미루어 적어도 2,000여 년 전으로 거 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중국 서인 후한서( 後 漢 書 ) 에는 우리 조상들 에 관한 내용이 다수 보인다. 이에 하면 동이( 東 夷 )들은 그릇으로 조두( 俎 豆 )를 용하였다. 부여국( 夫 餘 國 )에서는 장 지낼 때에 곽( 槨 )을 용하였고, 동옥저( 東 沃 沮 )에서도 장 지낼 때에 큰 나무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장이나 되었다. 그 한쪽 끝 부분을 열어 놓아 문을 만들고 식구들 유골 을 하나 곽 속에 안치하는데, 살아 있을 때와 같은 모습으로 새긴 상 ( 木 像 )을 람 숫자대로 하였다. 2) 1988년에 발굴 조된 경남 창군(창원) 다호리 유적(원전 1세 2 1) 이명중, 영조법식 2책, 법식 권6 12. 2) 후한서, 동이열전, 서; 부여국; 동옥저. Ⅰ. 세)에서는 통나무 관과 부장품을 담았던 죽협( 竹 : 대나무로 엮어 짠 상자)과 원형두( 圓 形 豆 )방형두( 方 形 豆 )유개통( 有 蓋 筒 ) 등 심칠가 발굴되었다. 이곳에서 칠가 발견되 전에는 우리나라 칠는 낙랑( 浪 )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그 형은 우리나라 남부지 후 무문토 흑색토류인 두형토( 豆 形 土 器 ), 통형토( 筒 形 土 器 ) 등 형과 유해 중국과는 다른 우리나라 동시대 형을 나타내 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1.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삼국시대 과 에 관한 문헌록은 삼국유( 三 國 遺 事 ) 와 삼 국( 三 國 史 記 ) 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신라 및 통일신라 록으로 는궤, 3) 금갑( 琴 匣 ), 4) 우자( 木 偶 獅 子 ), 5) 벚나무통( 櫻 筒 ), 6) 상( 床 ), 7) 궤장 ( 廓 杖 ) 8) 등 공예품 명칭을 들 수 있다. 백제 록으로는 서안( 書 案 ) 을들수있으며, 9) 고구려에는 부여신( 夫 餘 神 )인 하백( 河 伯 ) 딸과 고등신 ( 高 登 神 )인 주몽( 朱 蒙 ) 상( 木 像 )을 만들어 섬긴다는 록을 들 수 있 다. 10) 그 밖에 가야에도 탑( 榻 )과 상( 床 ) 공예품 명칭이 나오는 데, 이 를 통해 삼국시대에는 다양한 공예품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11) 3) 삼국유 권1, 이 1, 탈해왕; 삼국 권1, 신라본 1, 탈해이금. 4) 삼국유 권1, 이 1, 금갑. 5) 삼국유 권1, 이 1, 지철로왕. 6) 삼국유 권2, 이 2, 경덕왕충담표훈대덕. 7) 삼국유 권5, 감통 7, 선율환생. 8) 삼국 권6, 신라본 6, 문무왕 4년. 9) 삼국 권28, 백제본 6, 자왕 19년. 10) 삼국 권32, 잡지 1, 제. 11) 삼국유 권2, 이 2, 가락국. 6 7

한편 삼국시대에는 나무와 관련된 관청이 존재했는데, 신라에서는 마전 ( 磨 典 : 梓 人 房 )궤개전( 机 槪 典 : 机 盤 局 )양전( 楊 典 : 司 扮 局 )칠전( 漆 田 : 食 器 房 ) 등이 있으며, 12) 백제에서는 11개 내직( 內 職 ) 중에 부( 木 部 )가 포 함되어 있었다. 13) 834년(흥덕왕 9)에 제정된 법령에 하면 신라는 신분에 따라 안장 길 마에 자단과 침향회양괴( 槐 木 :회화나무)산뽕나무 등을 쓰지 못 杓 子 形 漆 器 )봉두식주칠화각배( 鳳 頭 飾 朱 漆 畵 角 杯 )칠원반( 漆 圓 盤 )은 장주칠칠절반( 銀 裝 朱 漆 七 折 盤 )이, 황남대총에서는 칠잔마랑명칠잔( 馬 朗 銘 漆 盞 )원통형칠잔동명칠이배( 董 銘 漆 耳 杯 )절방합( 四 折 方 盒 )평 저칠합( 平 底 漆 盒 )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안압지에서는 호비칼로 판 두레 박과 벼루합반류 심칠가 출토되었는데, 이 칠들 심은 두 가지 제작 방식을 보인다. 첫째는 호비칼로 파거나 갈이틀로 깎는 경우이 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14) 또한 신분에 따라 자단침향회양느릅나 며, 둘째는 박판( 薄 板 )으로 테를 둘러 벽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호비칼 무 재을 용할 수 없다고 하여, 15) 나무 특징에 따라 가구 재료 우열 이 정해졌음을 알 수 있다. 또는 갈이틀로 제작하는 것은 두레박잔반이형배쟁반 등이며, 테 를 둘러 벽을 성형한 것에는 찬합벼루가 있다. 한편 고고학적 유로 쌍영총무용총신총각저총 등 고구려 고 분벽화에는 평상자탁자 등 그림이 있어 당시 고구려인 생활상 을 엿볼 수 있다. 또한 300년경으로 추정되는 서울 석촌동 대형 토광묘 출 2. 고려시대 토 심칠들은 쟁반반( 盤 )각반이배( 耳 杯 ) 등으로 재료는 향나무 로 확인되었으며, 외면은 흑칠( 黑 漆 ) 바탕에 주칠( 朱 漆 )로 거치문대( 鋸 齒 文 帶 )를, 내면은 흑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백제 무령왕릉( 武 寧 王 陵 ) 출토 두침( 頭 枕 )과 족좌( 足 座 )는 백제 공예 일면을 볼 수 있는 예라 하 겠다. 신라 것으로는 경주 금관총( 冠 塚 )에서 연화당초문칠합( 花 唐 草 紋 漆 盒 )이, 금령총( 鈴 塚 )에서는 칠잔평저칠발( 平 底 漆 鉢 )고배( 高 杯 ) 가, 식이총( 飾 塚 )에서는 이배가, 서봉총( 瑞 鳳 塚 )에서는 칠잔합이, 천 마총( 天 馬 塚 )에서는 주칠화잔( 朱 漆 畵 盞 )동명칠잔( 董 銘 漆 盞 )주칠조형 배( 朱 漆 鳥 形 杯 )압형배( 鴨 形 杯 )칠고배( 漆 高 杯 )유개표자형칠( 有 蓋 고려시대에는 소장( 小 木 匠 )이라는 직함이 있어 국가와 왕실 수요 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고려( 高 麗 史 ) 에는 이와 관련한 록이 다수 보 이는데, 문종 즉위년인 1046년 5월 돌아가신 임금( 靖 宗 )이 용하던 상( 倚 床 )과 답두( 踏 斗 )는 전부가 銀 으로 장식되었는데 그것을 동철( 銅 鐵 )로 고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라는 록 16) 과 그 밖에 찬반( 瓚 盤 )작 ( 木 爵 )변두( 邊 頭 )조( 俎 )향안교상( 絞 床 )포상( 鋪 床 )책함안( 冊 函 案 )과안( 果 案 )화안( 花 案 )소함( 詔 函 )책함( 冊 函 )표함( 表 函 )과함 ( 果 函 )과 함께 리상( 痢 箱 )즐상( 櫛 箱 )관상( 冠 箱 )필연안( 筆 硯 案 )고상 ( 高 床 ) 등 공예품 관련 록이 보인다. 17) 이 외에 황마포( 黃 麻 布 ) 두 상 12) 삼국 권39, 잡지 8, 직관 중. 13) 삼국 권40, 잡지 9, 직관 하. 14) 삼국 권33, 잡지 2, 거. 15) 삼국 권33, 잡지 2, 옥. 16) 고려 권7, 세가 7, 문종총서 해. 17) 고려 권5960, 길례대; 권65, 빈례; 권6667, 가례. 8 9

자( 二 籠 )라는 록과 최이( 崔 怡 )가 임금을 위해 연회를 베풀면서 설치했다 는안( 案 ) 18) 이 보인다. 또 1391년(공양왕 3) 3월에 중랑장( 中 郞 將 ) 방랑 ( 房 士 良 )이 이제부터 구리와 쇠로 만든 그릇을 금하고 오로지 자와 를 써서 습속을 고치도록 하소서. 하여 이를 가납하였다 는 록도 있다. 19) 한편 1272년(원종 12)에 설치한 전함조성도감( 鈿 函 造 成 都 監 ) 록 20) 은 현재 일본을 위시하여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지에 소장되어 있는 경함 ( 經 函 )을 제작했던 관으로 추정된다. 고려도경( 高 麗 圖 經 ) 공예품 명칭은 제5권 왕부( 王 府 ) 탑( 榻 ), 도 하였고 후에 선공 시( 繕 工 寺 )에 합쳐졌 다. 공조서에는 소 장마장( 磨 匠 )이 있 어왕이쓰는구와 장식 등 을 제작하였는데, 중상 서( 中 尙 署 )라고도 하 제21권 산원( 散 員 ) 반( 盤 ), 제22권 잡속( 雜 俗 ) 1 조두( 俎 豆 ), 향음 ( 鄕 飮 ) 상탁( 牀 卓 )좌탑( 坐 榻 )소조( 小 俎 ), 제23권 잡속( 雜 俗 ) 2 였으며 최종적으로 공조서라 하였다. 진 1. 경패 (고려시대, 송광 소장) 함지박, 제26권 연( 燕 儀 ) 탁( 卓 ), 하절석( 下 節 席 ) 상탁( 牀 卓 ) 소조( 小 俎 ), 제27권 도할제할위( 都 轄 堤 轄 位 ) 탑( 榻 ), 제28권 공장( 供 帳 ) 좌탑( 坐 榻 )연대( 燕 臺 )단칠조( 丹 漆 俎 )흑칠조( 黑 漆 俎 )와탑 ( 臥 榻 ), 제32권 명( 器 皿 ) 3 등비( 藤 扮 )도필( 刀 筆 ), 제33권 주즙 ( 舟 楫 ) 궤식( 饋 食 ) 반( 盤 ) 등이 있다. 고려 에 하면 300일 이상 복무한 자에 대한 급료는 중상서 소속 소장 지유승지( 指 諭 承 旨 )와 소장 행수교위( 行 首 校 尉 )가 쌀 10섬이며, 도교서 업지유( 木 業 指 諭 ) 20섬, 업행수교위가 10섬이었다. 21) 한편 고려시대 중국으로부터 받은 공예품으로는 945년 진( 晉 )나라에 서 보내온 다리를 은으로 싸고 네 모와 머리를 금으로 장식한 백책안( 栢 고려도경 제19권 민서( 民 庶 ) 에는 산림이 지극히 많고 넓고 평평한 木 冊 案 )이 있고, 22) 1078년 송( 宋 )나라로부터 받은 금은엽장칠갑( 銀 葉 裝 땅이 적 때문에 경작하는 농민이 공장이를 따르지 못한다. 고 하였고, 또 공( 工 技 ) 에 고려는 공장이 술이 지극히 정교하여 그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이는 다 관아에 귀속되는데 라고 록되어 우수한 공장 인을 국가에서 수용관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공예와 관련된 부서로는 도교서( 都 校 署 ), 공조서( 供 造 署 ) 漆 匣 )요화판주칠갑( 腰 花 板 朱 漆 匣 )이 있으며, 23) 1079년 7월에 약재를 담 아 보내 온 홍칠명금조화상( 朱 紅 漆 明 雕 花 箱 )이 있다. 24) 현존하는 고려시대 공예품으로서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것으로 보조 국 원불인 조3존불감( 佛 龕 )경패( 經 牌 )나전경함홍무 21년(1388) 명 수궤( 竪 櫃 :장)탁잔( 托 盞 ) 등이 있다. 가 있었다. 도교서에는 업 담당 장인이 있었으며 잡작국( 雜 作 局 )이라고 18) 고려 권129, 열전 42, 반 최충헌 최이. 19) 고려 권85, 지 39, 형법 금령 3. 20) 고려 권27, 세가 27, 원종 13년 2월. 21) 고려 권9, 세가 9, 문종 32년 6월. 22) 고려 권9, 세가 9, 문종 33년 7월. 23) 고려 권9, 세가 9, 문종 32년 6월. 24) 고려 권9, 세가 9, 문종 33년 7월. 10 11

3. 조선시대 소장과 그 술 보급 조선왕조를 건국한 태조는 문무백관 관제를 정하였다. 이 중 공에 관련된 부서로는 공조와 선공감, 공조서 등이 있었다. 공조는 공장( 工 匠 ), 조작( 造 作 ) 일을 관장하였고, 선공감은 재, 영선 일을, 공조서는 죽 ( 竹 物 ) 일을 관장하였다. 25) 경국대전 에는 공 능을 지닌 장인을 대장과 소장으로 분류 하지 않고 장( 木 匠 )이라는 명칭으로 통합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소 장을 분리하였음을 조선왕조실록 과 각종 궤( 儀 軌 ) 록으로 확인할 수있다. 경공장은 1415년 태종이 선공감에 명하여 숙련된 수 100명을 선발하 여 장부에 올리게 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다. 26) 한편 세종은 공조에 있는 각색장인 수가 부족하므로 양민, 공천( 公 賤 ), 별호( 別 戶 ) 천이라도 재주 있는 자는 공장( 工 匠 )이 스스로 고하여 채워 정하게 하되 로이 배운 자가 없으면 각 관청 노자( 奴 子 )로 견습생으로 두었다가 결원이 생 면 보충하도록 하는 것을 법식으로 삼았다. 27) 1434년(세종 16)에는 병조와 군감 제조가 공장 인원을 증가할 것을 건하여 소장이 9인이 있는 것을 11인을 증원하여 20인으로 하여줄 것 을 요구하여 그대로 따랐다고 하였다. 28) 세종 초에는 주자( 鑄 字 )하는 일 과 같은 중한 일을 하는 장인에게는 처자 월료(가족수당)를 주고 그 공 에 따라 서반군직( 西 班 軍 職 )에 임명하고 행랑살이하는 공장 납세를 감면 해 주고 적으로 공장을 부리는 관료를 옥에 가두는 등 장인에 대한 처우 가 좋았다. 그러나 병조와 정부 등에서 공장 서반군직 임명은 옳지 않 으며 상림원( 上 林 園 )에 예속시켜 양천을 구별하자는 건로 이후 공이 많 은 장인들은 상림원에만 속하게 하여 신분상승 길을 막았다. 또 국가 경에 많은 여러 관직에 가자하였으나 천구와 공장은 제외하는 등 열외 대접을 받았다. 문종은 공조 공장들이 체아직( 遞 兒 職 )을 줄 것을 요구하 였으나 윤허하지 않았다. 29) 1460년(세조 6) 병조 소장은 21인이며, 선공감 수는 100인이었 다. 30) 그러나 1480년(성종 11) 경국대전( 經 國 大 典 ) 을 편찬할 당시, 경공장 중 장은 군시에 4인, 교서관에 2인, 선공감에 60인, 조지서에 2인, 귀 후서에4인등총72인에불과하였다. 31) 이러한 인원은 1786년(정조 10) 대전통편( 大 典 通 編 ) 을 작성할 당시에는 귀후서가 혁파되어 장 숫자 는 더 줄었다고 보여진다. 경국대전 이 편찬될 당시 각 지방에 속한 외 공장 중 장은 경 37인, 충청 56인, 경상 69인, 전라 59인, 강원 28인, 황해 26인, 영안 22인, 평안 26인 등 총 323인 이었다. 32) 그러나 1746년(영 조 22) 속대전( 續 大 典 ) 을 편찬할 때에 이미 외공장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 았음은 그 말미에 록된 원전( 原 典 ) 때에는 각도각읍에 공장 명색( 名 色 )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외공장은 그 성적( 成 籍 )을 본도( 本 道 )에 비장 ( 備 藏 )하는 법이 없이 관에서 이 있을 때에는 공을 임용한다. 고로 속 전( 續 典 ) 때에도 시 여에 대해서는 거론이 없다. 지금은 원전을 좇아 도 내 각읍 공장 명색( 名 色 ) 액수( 額 數 )를 계( 計 )하여 록함으로써 번잡을 생략하고 구제( 舊 制 )를 보존하는 것이다. 라는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33) 25) 태조실록 권1, 태조 1년 7월 정미. 26) 태조실록 권29, 태종 15년 4월 정축. 27) 세종실록 권28, 세종 7년 4월 정묘. 28) 세종실록 권64, 세종 16년 6월 병진. 29) 문종실록 권5, 문종 즉위년 12월 정축. 30) 세조실록 권21, 세조 6년 8월 갑진. 31) 경국대전 권6, 공전, 경공장. 32) 경국대전 권6, 공전, 외공장. 33) 국 대전회통 권6, 공전, 외공장. 12 13

이와 같이 관에 예속된 장인 수가 감소하게 된 것은 장인 천시 상 에 인한 것으로 보인다. 1537년(중종 32) 중종은 정원에 전교하를 세 종조에서는 백공 예를 장려하여 장인들이 일에 정진하도록 독려하여 백공들 예가 지극히 정교하였다. 그러므로 법을 세워 장인들 술 에 전력하도록 하였으나 유( 攸 司 )가 그대로 거행하지 않아 없어진 분야 가 많으며 있다 하더라도 한 분야에 한 람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자신 업에 충실하도록 해야 한다. 34) 고 하여 장인 분야 및 수를 늘리도록 하였으나 그대로 시행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다음 록 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1625년(인조 3)에는 각 공장과 군병은 헛된 장부만이 간직되어 있다고 하였다. 35) 1613년(광해군 5) 헌부에서 난리를 겪은 뒤 군민 피해, 부 폐단 등을 금지하를 청한 내용은 해변 방어를 위해 통제영을 설치하였으나 군( 軍 器 )를 갖춘다는 핑계 하에 삼 로열읍( 三 路 邑 ) 재능 있는 공장들을 모두 모아 각종 구를 제작하게 하여 남에게 뇌을 써 명예를 구할 터전을 삼고 있다. 36) 하여 통제영에서 공예품이 양산되고 있음을 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제영에서 공예 품 양산은 민심서( 牧 民 心 書 ) 장작( 匠 作 ) 에서도 볼 수 있다. 그 내용 은 이수일이 통제가 되었다. 종래에 이 직임을 맡은 자는 날마다 직공 들을 시켜서 괴하고 요스러운 건을 만들어 권력이 있거나 귀현( 貴 顯 )한 자들을 섬어 그 비용이 달마다 천( 千 )으로 계산하게 되었다. 와 청비속록 을 인용한 글에 손이 관부 책방에 들어가 보니 바야흐로 형 ( 荊 司 :싸리상자) 5, 6짝을 만들고 있는데 중으로 하여금 바르고 또 깎고 한 다. 한쪽에는 교가 좋은 공이 두어 람 앉아서 남자 교자여자 교자벽롱( 檗 籠 :황벽나무농)칠소반 등을 만드는데 톱질하고 또 조각하 곤 하여 구름 모양을 새고 있다. 곧, 주공( 主 公 ) 탐욕스런 창자와 먹 같은 뱃속이 여자 청알( 請 謁 )에 빠진 것을 알 수 있다. 37) 하여 위 록을 뒷받침하고 있으며, 아울러 통영이 우리나라 공예품 산지가 된 연유를 알 수 있게 한다. 1617년(광해군 9) 선수도감이 아뢰를 서울에 는 재주 있는 공장이들은 모두 다 대부 집으로 들어가서 도감에서는 부릴 수가 없다. 38) 고 하였으며, 그나마 영건도감에서는 공장을 로이 민가에 빌려주는 일을 자행하도 하여 이를 엄히 다스리도록 하였다는 록 39) 은 장인이 하는 일 수요가 막대하며 장인을 이용한 부정이 횡횡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대이다. 이와 같이 국가에 속한 장인들은 더 이상 국가에 예속되지 않고 재신 및 명관 집으로 투탁하여 일을 하면서 판매도 겸하여 부를 축적하게 되어 18세 말경에는 칠전전 등이 생게 되었고 그곳에서 장 농소반 등 상품화된 을 판매하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는 서울 극히 일부 우수한 장인에 불과하였고 대부분 소장인 들은 마을 집수리와 혼가 있는 집안 가구 짜 등으로 생계를 이었 으며, 주문이 없는 경우 연장통을 메고 전국을 다니며 일을 하였다. 공 장인들 능전수는 일을 배우고자 찾아오는 어린아이들에게 보수 없이 몇 년 동안 잔심부름을 시키면서 능을 전수한 후 수년 세월이 지나 스 승으로부터 장인으로서 능과 능력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면 연장 한 벌 을 주어 독립을 시켰다. 34) 중종실록 권84, 중종 32년 4월 신유. 35) 인조실록 권9, 인조 3년 5월 병자. 36) 광해군일 권69, 광해군 5년 8월 계묘. 37) 정약용, 민심서 권12, 공전6조, 장작(민족문화추진회, 국 민심서 Ⅲ, 1971, 187 189쪽). 38) 광해군일 권113, 광해군 9년 3월 무자. 39) 광해군일 권128, 광해군 10년 5월 계축.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