ⅩⅩ. 부 APPENDIX 록 1. 도서( 島 嶼 ) 현황 Status of Island 2. 문화재 현황 Cultural Properties 3. 자매결연도시 및 행정협정도시 현황 The Present Condition of Sister Cities and Friendship & Cooperation Cities 4. 구 군별 자매결연도시 및 행정협정도시 현황 The Present Condition of Sister Cities and Administrative Agreement Cities by Gu Gun ⅩⅩ
808 ⅩⅩ.. 부 록 ⅩⅩ. 부 록 1. 도서( 島 嶼 ) 현황 도 서 명 위 치 (번지) 면 적 (m 2 ) 지적공부 등록일자 유인 무인 합 계 76개 - 39 524 663-3개 73개 서 구 두 도 암남동 702 19 080 1978. 3. 13 동 섬 암남동 703 2 744 1981. 11. 30 거 북 섬 암남동 129-4 3 129 1996. 12. 10 영 도 구 생 도 동삼동 1116 8 088 1978. 3. 9 영 도 대교동 1가외 20개동 14 117 955 1912. 5. 20 암 초 동삼동 175-34(임야) 243 2009. 3. 30 남 구 흑 석 도(방패섬) 용호동 936 2 166 1998. 5. 26 등록사항(경계,면적)정정 흑 석 도(솔 섬) 용호동 937 5 505 오 륙 도(수리섬) 용호동 938 5 313 오 륙 도(송곳섬) 용호동 939 2 073 오 륙 도(굴 섬) 용호동 940 9 716 오 륙 도(등대섬) 용호동 941 3 416 나 암(거무섬) 용호동 942 2 728 1978. 5. 31 사 하 구 쥐 섬 다대동 산 146 53 455 1917. 10. 26 팔 봉 섬 다대동 1491 508 1978. 3. 16 동 호 섬 다대동 1492 2 024 동 섬 다대동 1493 2 026 고 래 섬(모자섬) 다대동 1494 3 322 오 리 섬 다대동 1495 326 금 문 도 다대동 1496 494 아 들 섬(자 섬) 다대동 산 1497 208 남 형 제 섬 다대동 산 149 1 908 1978. 12. 30 북 형 제 섬 다대동 산 150 6 464 나 무 섬 다대동 산 150 47 603 1921. 10. 25 솔 섬 다대동 371-6, -7 4 476 1969. 12. 19 맹 금 머 리 도 장림동 1150 139 636 1998. 10. 28 백 합 등 도 다대동 1597 410 310 1998. 10. 28 도 요 등 도 다대동 1597-1 349 124 2011. 6. 29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371-13 1 602 2011. 10. 10.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3-1 878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3-2 891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4-1 127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4-2 396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4-3 207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4-4 234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494-5 78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3 2 890 자료 : 토지정보과
ⅩⅩ. APPENDIX 809 ⅩⅩ. APPENDIX 1. Status of Island 도 서 명 위 치 (번지) 면 적 (m 2 ) 지적공부 등록일자 유인 무인 사 하 구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4 1 066 2011. 10. 10.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5 8 843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6 649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7 2 379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48 6 953 도서명 미지정 다대공 1649 1 260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0 717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1 233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2 862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3 115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4 212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5 249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6 297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7 407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8 271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59 105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0 2 181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1 62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2 909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3 1 506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4 283 도서명 미지정 다대동 1665 161 강 서 구 장 자 도 명지동 2985 463 197 1973. 6. 4 대 마 등 도 명지동 산 1외 6필 329 128 1978. 12. 30 토 도 성북동 산 190 24 496 1917. 11. 30 호 남 도 성북동 산 191 39 669 입 도 성북동 산 192 38 777 범 여 도(호 도) 천성동 산 265 992 1919. 2. 1 대 죽 도 천성동 산266 119 504 중 죽 도 천성동 산 267외5필 121 292 말 박 도 천성동 산 268 14 876 가 덕 도 동선동외 4개동 21 365 282 1913. 11. 5 진 우 도 신호동 179외 125필 996 595 1955. 6. 30 죽 도 동선동 산38외 1필 9 619 1917. 11. 30 신 자 도 명지동 3225 748 545 1997. 10. 18 모 서 도(모 도) 성북동 산 341 522 2003. 11. 17 망 상 도(망산도) 송정동 산 188 1 289 2007. 3. 2 유 주 암 송정동 산 189 198 2007. 3. 2 기 장 군 죽 도 기장읍 연화리 산 1-1 9 619 1931. 6. 11 Source : Land Information Div.
810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총 괄 계 Total 국 가 지 정 문 화 재 국 보 보 물 사 적 천 연 기념물 명 승 무 형 문화재 민 속 자 료 시 지 정 문 화 재 유 형 문화재 무 형 문화재 기념물 민 속 문화재 문화재 자 료 등 록 문화재 358 63 6 34 4 9 2 6 2 209 129 19 52 9 71 15 국가지정 문화재 제69호 제151-2호 제200호 제233호 제249호 제3107호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 沈 之 伯 開 國 原 從 功 臣 錄 券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 朝 鮮 王 朝 實 錄 太 白 山 史 庫 本 ) 금동보살입상 金 銅 菩 薩 立 像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 傳 山 淸 石 南 巖 寺 址 蠟 石 舍 利 壺 ) 동궐도 東 闕 圖 백자 달항아리 ( 白 磁 壺 ) 국 보 National Treasure 조선개국을 도운 공신에게 내린 녹권 으로 이두문 사용의 고문서 양식 및 활자발달을 규명할 중요자료임. 조선 태조 때부터 철종 때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에 의하여 편년체로 기록한 조선시대 역 사기록. 통일신라기의 금동불상으로 당시 불 교미술 및 조형예술의 극치를 보여주 는 작품임. 비로자나불을 봉안한 내력 및 조성자 관계를 새긴 납석제의 항아리로 불상 의 절대 연대를 밝힐 수 있는 좋은 자료임. 조선시대 정궁인 경북궁의 동쪽에 있 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합쳐 그린 궁 궐도.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항아리로서 모양이 둥그런 달처럼 생겼다고 해서 일명 달항아리라고 불리며, 보존상태 도 양호하여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조선백자의 정수로 평가됨. 국가기록원 부산역사기록관 부산광역 시립 1축 1962.12.20 848책 1,893책 1973.12.31 1구 1979. 4.30 1점 1986.10.15 남구 용호동 176-30 (개인소장) 1점 1995. 6.23 1점 2007.12.17 제250호 부산 삼층석탑 釜 山 梵 魚 寺 三 層 石 塔 제269-3호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제3 紺 紙 銀 泥 妙 法 蓮 華 經 卷 第 三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 三 國 遺 事 卷 四 ~ 五 보 물 Treasure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석탑으로 당 시의 불탑 및 조각수법의 연구에 중 요한 자료임 구마라집이 한역한 묘법연화경을 저 본으로 1422년에 비구 덕명이 어머니 의 극락왕생을 위해 발원하여 감지에 은니로 쓴 7첩중 권3의 1첩 14세기말(조선초) 경주에서 간행된 책 으로 를 대선찰로 중흥한 오성 월스님이 입수하여 에 기증함 경내 성보 1기 보호구역 : 22.385m 2 -석탑 최돌점에서30m이내 1963. 1.21 1첩 2007.10.24 1책 2002.10.19
ⅩⅩ. APPENDIX 811 2. Cultural Properties 제434호 부산 대웅전 釜 山 梵 魚 寺 大 雄 殿 통일신라때의 건물을 조선중기에 중창한 목조건물로 불당의 구조 및 양식이 잘 나타 나 있음. 1동 1966. 2.28 보호구역 : 5,700m 2 제569-6호 안중근의사 유묵 안중근의사의 정신세계와 호국정신을 잘 나 1점 1972. 8.16 安 重 根 義 士 遺 墨 타낸 글씨임. 제569-16호 안중근의사 유묵 安 重 根 義 士 遺 墨 안중근의사의 정신세계와 호국정신을 잘 나 타낸 글씨임. 남구 용호동 176-30 (개인소장) 1점 제574호 박만정 해서암행일기 숙종 22년 황해도 암행어사의 명을 받아 현 기장군 철마면 1책 1973.12.31 朴 萬 鼎 海 西 暗 行 日 記 지를 직접다니며 시찰한 65일간의 기록을 이곡리 475-3 직접 쓴 수필교본 (개인소장) 제592-3호 허목 전서 애군우국 許 穆 篆 書 愛 君 憂 國 현재까지 알려진 허목의 편액 글씨 중 가장 크며 보존상태도 양호, 획법이 경건하고 힘참. 남구 용호동 176-30(개인소장) 1점 2010.10.25 제595호 자수 초충도 병풍 刺 繡 草 蟲 圖 屛 風 신사임당의 작품으로 화초 벌레 등을 수놓은 병풍임. 1점 1975. 5.16 제597호 토기 융기문 발 土 器 隆 起 文 鉢 영도구 영선동 패총에서 출토된 신석기 중기의 토기 1점 제598호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陶 器 馬 頭 飾 角 杯 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로 말의 머리형태로 만든 토기 뿔잔 2점 제599호 쌍자총통 조선중기에 제작 쌍발총통으로 무기 1점 1975. 8. 4 雙 字 銃 筒 발달사의 귀중한 자료임. 제731호 의령보리사지 통일신라시대 불상으로 출토지가 확실하며 1구 1982. 3. 4 금동여래입상 신라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宜 寧 菩 리 寺 址 金 銅 如 來 立 像 제732호 조대비 사순칭경진 조선 후기 조대비의 생일 축하잔치를 그린 1점(8폭) 하도 병풍 궁중 풍속화의 8폭 병풍임. 趙 大 妃 四 旬 稱 慶 陳 賀 圖 屛 風 제733-1호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憲 宗 嘉 禮 陳 賀 圖 屛 風 조선 24대 헌종의 결혼 모습을 그린 8폭 병풍임. 1점(8폭) 제863호 지자총통 청동으로 제작되었으며 조선시대 화기발달 1점 1986. 3.14 地 字 銃 筒 연구의 귀중한 자료임 제894-2호 주범망경 수행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중요한 부분에 주해를 1책 2007. 9.18 主 梵 網 經 가한 책. 원대의 판본을 바탕으로 찍어낸 것으로 성보 매우희귀하며 자료적 가치가 높은문화재임. 제953호 조숭 고신왕지 태조 5년(1396) 3월에 려말 선초의 중신 조 해운대구 1장 1988. 6.16 趙 崇 告 身 王 旨 숭에게 가정대부 상의중추원사 도평의사사 중동1로 30 등의 관직을 제수하는 사령왕지임. (개인소장)
812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954호 조서경 무과홍패 趙 瑞 卿 武 科 紅 牌 세종 17년(1435) 4월에 세종~세조때 의 무신 조서경에게 무과급제를 증명 하는 홍패왕지임. 해운대구 중동1로 30 (개인소장) 1장 1988. 6.16 제1189-2호 박문수 초상 朴 文 秀 肖 像 조선시대 초상화 및 공신도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작품임. 남구 용호동 176-30 (개인소장) 1축 2006.12.29 제1224-2호 불조삼경 佛 祖 三 經 인도에서 가장 먼저 중국에 전래된 경전으로 불설사십이장경과 부처의 최후 가르침인 불유교경 등 3종의 책 이 합쳐진 것. 성보 1책 2007. 9.18 제1461호 부산 조계문 釜 山 梵 語 寺 曺 溪 門 일주문은 사찰건물의 배치에서 경내 에 들어갈 때 제일 먼저 지나야 하는 문으로 일명 삼해탈문이라고 함. 경내 1동 2006. 2. 7 제1498호 조선후기 문인초상 朝 鮮 後 期 文 人 肖 像 18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주인공은 밝 혀지지 않았으나 초상화로서 뛰어난 회화성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정교하 고 화사하면서도 인물의 품성을 잘 드러내 주는 수작임. 남구 용호동 176-30 (개인소장) 1축 2006.12.29 제1501호 제1522호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李 德 成 肖 像 및 關 聯 資 料 一 括 영산회상도 靈 山 會 上 圖 제1525호 금장요집경 권1~2 金 藏 要 集 經 卷 一 ~ 二 제1526호 제1595-2호 제1599호 부산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釜 山 梵 漁 寺 木 造 釋 迦 如 來 三 尊 坐 像 목장지도 牧 場 地 圖 경상총여도 慶 尙 摠 輿 圖 동래부사를 역임하는 등 부산과 관계 가 깊은 이덕성을 그린 초상화로 18 세기 초엽의 정교한 작품으로 중요한 사례임.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 면을 그린 영산회상도로 제작 당시 불화화풍의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아 주 좋은 자료임. 북제의 승려 도기가 각 경전에서 불 교교화에 도움이 되는 인과응보에 관 한 설화를 중심으로 편찬한 것으로 희소성이 높은 문화재임. 대웅전에 봉안된 좌상으로 1661년에 제작되었으며,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매우 완 성도 높은 우수한 불상임. 동래부 절영도 의 목장에 대한 간략 한 내용과 위치를 표시한 지도가 포 함되어 조선시대 부산 지역 목장연구 의 좋은 자료임. 제작 시기는 18세기 후반으로 보이며, 지도 우측 하단에 대마도가 그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지도 발달사에 큰 의미가 있는 지도임. 부산광역 시립 성보 초상화 1축 고문서 121점 1축 2007. 7.13 2권 1책 2007. 9.18 3구 부산대학교 도서관 남구 용호동 176-30번지 (개인소장) 1첩(43면) 2008.12.12 1점 제1616호 예안 김씨 가전 계회도 일괄 禮 安 金 氏 家 傳 契 會 圖 一 括 16세기에서 17세기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예안 김씨 집안에서 전해 내려오던 것으 로 추정. 사실적인 묘사로 미술사뿐만 아니라 건축사적 의미도 깊은 작품. 3점 2009. 4.22
ⅩⅩ. APPENDIX 813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1733호 부산 국청사 청동북 釜 山 國 靑 寺 靑 銅 鼓 조선 후기 금고의 선형 양식을 잘 보여주 고 있으며, 조선시대 금고 연구의 귀중한 자료임. 성보 (위탁보관) 1구 2011.12.23 제1771호 기장 장안사 대웅전 ( 機 張 長 安 寺 大 雄 殿 )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원효대사가 창 건하여 쌍계사라 했다가 애장왕때 장안 사라 개칭함. 임진왜란 때 병화로 인해 불에 탄 것을 1657년 중창하였다.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85 장안사 1동 2012. 8. 6 제1809호 칠태부인경수연도 七 太 夫 人 慶 壽 宴 圖 1691년 宰 臣 과 從 臣 의 어머니 중 70세 이상인 태부인 일곱 명의 경수연을 치 른 후 기념으로 제작한 그림을 모본으 로 1745년 이전에 새롭게 제작한 작품. 부산 1축 2013.11.13 제1810호 황리현명 청동북 黃 利 縣 銘 靑 銅 金 鼓 1085년에 제작된 반자형 金 鼓 로, 명문이 있는 청동금고로서는 4번째로 오래된 조성연대를 지니고 있는 문화재적 가치 가 높은 유물. 1점 2013.11.13 사 적 Historic Site 제192호 부산 동래 패총 釜 山 東 萊 貝 塚 초기 철기시대의 패총으로 철기문화 성격의 규명에 중요한 유적임. 동래구 낙민동 100-1 일원 지정구역 : 728m 2 1970. 4.25 제215호 부산 금정산성 釜 山 金 井 山 城 신라시대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산성 으로 임란이후 현 규모로 조성된 국방 유적임. 금정구 금성동 금정산 일원 길이 18,845m 1971. 2. 9 제266호 부산 동삼동 패총 釜 山 東 三 洞 貝 塚 신석기시대 문화유적으로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큰 패총임. 영도구 동삼동 705-1 일원 지정구역 : 3,689m 2 1979. 7.26 제273호 부산 복천동 고분군 釜 山 福 泉 洞 古 墳 群 묘제 및 유물이 다양한 가야고분으로 가야문화 및 일본과의 관계규명에 중요한 유적임. 동래구 복천동 50번지 일원 45,576m 2 (7,900평) 지정구역 및 보호구역 1981. 6. 9 제168호 제176호 제179호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釜 山 楊 亭 洞 배롱나무 부산 등나무군락 釜 山 梵 魚 寺 藤 나무 群 落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洛 東 江 下 流 철새 渡 來 地 천연기념물 Natural Mounment 동래 정씨 시조인 정문도 공 묘의 좌 부산진구 2그루 1965. 4. 1 우에 식재된 노거수로 수령이 약800 양정동 산73 년으로 추정됨. 수령 약250년생의 등나무가 군생지를 경내 1966. 1.13 이루고 있음. 지리적 조건과 기후 및 생태계 등 여건 낙동강 하류 1966. 7.13 으로 세계적인 철새 서식지 및 도래지임. 공유 수면
814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267호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황령산 중턱에 형성된 암석군으로 지 구의 생성과정을 아는데 중요한 자료 부산진구 전포동 32,626m 2 1980. 10. 23 ( 釜 山 田 浦 洞 이며, 세계 최대규모. 산12 일원 球 狀 斑 糲 岩 ) 제270호 부산좌수영성지 곰솔 수령 약 400년으로 임란후 군사를 총 수영구 수영동 1그루 1982.11. 4 釜 山 佐 水 營 城 址 곰솔 괄 보호하는 군신목으로 불리고 있음. 50-4외 1 제309호 부산 구포동 당숲 수령 약 500년의 노거수로 마을의 북구 구포동 46 釜 山 龜 浦 洞 당숲 안녕과 평안을 지켜주는 당산목임. 제311호 부산 좌수영성지 수령 약 500년의 노거수로 좌수영 수 수영구 수영동 1그루 푸조나무 釜 山 佐 水 營 城 址 푸조나무 군과 함께 이 지역을 수호하는 신목 으로 불리고 있음. 271외 5필지 명 승 Scenic Sites 제17호 부산 영도 태종대 부산을 대표하는 암석해안의 명승지 영도구 동삼동 2005.11. 1 釜 山 影 島 太 宗 臺 로 울창한 수림이 파도와 어울려 절 경을 이룸 산29-1번지일원 제24호 부산 오륙도 釜 山 五 六 島 12만년 전까지는 육지에 이어진 하나 의 소반도였던 것이 파도의 침식작용 으로 육지에서 분리된 것으러 추정되 남구 용호동 936일원 2007.10. 1 며, 6개의 섬으로 형성된 부산의 상징 임. 중요무형문화재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제18호 동래야류 수영야류와 같이 전통가면놀이로 전 동래구 온천동 1967.12.21. 東 萊 野 遊 체 4과장으로 말뚝탈이 전국적으로 산 3-3 잘 알려져 있음. 제43호 수영야류 경남 합천 초계 계통의 전통가면놀이 수영구 수영동 1971. 2.26 水 營 野 遊 로 약 200년전부터 연희되어 왔음. 229-1 제45호 대금산조 남도 민요에서 기원된 무악계의 토속적 해운대구 1971. 3.29 大 笒 散 調 인 가락으로 대나무 젓대를 가로로 분다. 범천동 제62호 좌수영어방놀이 어로작업 과정을 수군조직에 맞추어 규율 수영구 수영동 1978. 4. 1 左 水 營 漁 坊 놀이 단결심 등을 고취키 위해 놀이화한 것임. 229-1 제80호 자수장 여러 색깔의 실을 바늘에 꿰어 바탕 금정구 1996.12.10. 刺 繡 匠 천에 무늬를 수놓아 나타내는 조형활 중앙대로 동을 하는 장인 1793번길 50 제82-1호 동해안별신굿 동해안 지역의 전통적 무속제로 어부 동래구 온천2동 1985. 2. 1 東 海 岸 別 神 굿 들의 안녕과 풍어 및 어로희생자의 954-4 넋을 기리기 위한 굿임.
ⅩⅩ. APPENDIX 815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지정번호 문화재명 내 용 또 는 특 성 소재지 규모 및 지정구역 등록일자 중요민속자료 Folklore materials 제274호 의왕 원유관 義 王 遠 遊 冠 고종과 귀인 장씨 소생인 의화군이 의 왕으로 책봉될 때 착용한 왕실용 관모 라고 전해지는 유물. 現 傳 하는 유일한 조선시대 원유관. 금정구 오륜대로 106-1 오륜대 한국 순교자 1점 2013.6.14. 제277호 전 순정효황후 주칠 나전가구 傳 純 貞 孝 皇 后 朱 漆 螺 鈿 家 具 조선왕조 마지막 황후인 순종비 순정효 황후가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나전가구. 1937년경 제작된 주칠 나전가구로, 품위 와 예술적 가치가 돋보이는 秀 作 임. 3점 2013.8.22. 등록문화재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제41호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釜 山 臨 時 首 都 政 府 廳 舍 우리나라 근대사의 정치 사회적 변화 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 건물로 역사 적 건축사적 가치가 있음 1동 2002. 9.13 제302호 부산 송정역 釜 山 松 亭 驛 1940년 12월 건립된 목조 단층기와 지붕형태의 건물로 1940년대의 전형 적인 驛 舍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 어 건축사적 가치가 있음 해운대구 송정동 6-4번지 1동 2006.12. 4 제327호 부산 복병산배수지 釜 山 伏 兵 山 配 水 池 1910년에 건설된 부산 최초의 배수지 로 이 배수지 준공으로 부산은 본격 적인 상수도 시대를 맞이하게 되어 근대 수도사에 중요한 가치가 있음. 중구 대청동1가 6-4번지 1기 2007. 7. 3 제328호 구 경남상업 고등학교 본관 舊 慶 南 商 業 高 等 學 校 本 館 1927년에 신축된 일본 보안대 건물로 일제강점기 이후 경남상업고등학교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서양고전 건축 을 재해석한 전형적인 관공서 건물임. 서구 서대신동3가 521번지 1동 제329호 제330호 한국전력공사 중부산지점 (구 남선전기)사옥 韓 國 電 力 公 社 中 釜 山 支 店 ( 舊 南 鮮 電 氣 ) 社 屋 부산 정란각 釜 山 貞 蘭 閣 1932년 건축된 부산에서 최초로 엘리 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현재 내부구 조, 엘리베이터 출입구 장식 등이 잘 보존되어 있어 근대 오피스빌딩의 전 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1939년에 건축된 고급 일식건물로 고 급 일식주택의 의장요소와 변화있는 실내공간 구성을 하고 있으며,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근대기 주 택사와 생활사의 자료로 가치가 높다. 서구 토성동1가 23-1번지 동구 수정1동 1010번지 1동 2007. 7. 3 2동
816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부산광역시 지정문화재 제349호 부산 초량동 일식가옥 釜 山 草 梁 洞 一 式 家 屋 1925년에 신축된 일식목조주택으로 주택의 내부 공간구성과 건축의장, 정 원구성이 우수하며 보존상태가 양호 하여 근대 주택사와 생활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임. 동구 초량3동 81-1번지 1동 2007. 9.21 제359호 재한유엔기념공원 在 韓 UN 記 念 公 園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의 유해 를 안장하기 위해 1951년 유엔군사령 부가 조성한 성지로 국제연합이 공식 적으로 인정한 세계 유일의 UN묘지 남구 대연동 779-1번지 2007.10.24 제376호 구 성지곡수원지 舊 聖 知 谷 水 源 池 부산의 이름난 경승지로 신라시대 유 명한 풍수지관이 전국의 명산을 찾던 중 경상도에서 가장 빼어난 골짜기를 찾고는 성지곡이라 명명하였다 함. 어린이대공원내 2008. 7. 3 제416호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한국전쟁시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 우리나라에 들여왔으며, 주로 역구내 입환용으로 사용함. 부산진구 범천동 1219번지 1량 2008.10.17 제474호 광복군가집 제1집 光 復 軍 歌 集 弟 1 集 총16곡의 광복군가가 실려 있으며, 일 제강점기에 발행한 현존가장 오래된 군가집으로 역사적, 사료적 가치가 높 은 유산임. 서구 아미동3가 8번지 1책 2011. 8.24 제494호 부산 전차 釜 山 電 車 부산에서 운행했던 전차 중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는 유일한 전차 부민캠퍼스 1량 2012. 4.18 제554호 해양조사연보 海 洋 調 査 年 譜 1928년~42년까지 발간한 해양조사요보총 9호와 1954년~67년까지 발간한 해양조사 연보 총 15호 등 24호의 한반도 주변 해 양환경 관측 결과를 편찬한 책 기장군 기장읍 국립수산과학원 24책 2013.8.27. 제568호 부산 경남고등학교 덕형관 釜 山 慶 南 高 等 學 校 德 馨 館 1956년 준공된 근대 모더니즘 양식의 원형 평면으로 구성된 지상 4층 규모의 교육시설. 한국 근대건축 1세대에 속하 는 이천승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음. 서구 망양로 111번길 65 1동 2013.10.29. 제573호 대한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 大 韓 聖 公 會 釜 山 主 敎 座 聖 堂 1924년에 지어진 화강석과 붉은 벽돌을 쌓은 벽돌조 건물로 외관은 로마네스크 양식을 가지고 있음. 우리나라 근대종교 변천사를 담고 있어 부산의 근대사에서 큰 의미를 지닌 건축유산임. 중구 대청로 99번길 5-1 1동 2013.10.29.
ⅩⅩ. APPENDIX 817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유형문화재 Tangible Cultural Property 제1호 제3호 제4호 제5호 동래부 동헌 충신당 東 萊 府 東 軒 忠 信 堂 다대포객사 多 大 浦 客 舍 망미루 望 美 樓 독진대아문 獨 鎭 大 衙 門 일명 아헌이라고도 하며 조선시대 동 래부사가 재임하던 곳. 조선시대 관아 건물로 수령이 초하루 와 보름에 망배를 드린 곳이며 사신 의 숙소로도 이용하였던 곳임. 옛동래부 동헌앞에 세워졌던 문루로서 일제침략시대에 현위치로 이건되었음. 동래부가 경상좌병영 휘하에서 독립 하여 독진이 되었음을 명시하고 있으며, 일제시대에 현 위치로 이건되었음. 동래구 수안동 421-7 사하구 다대동 산114 동래구 온천동 209 동래구 온천동 산20-2 1동 1972. 6.26 1동 1동 1동 제6호 동래향교 대성전 東 萊 鄕 校 大 成 殿 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으로 교육시설 규모와 양식 및 조선시대 건물양식을 아는 좋은 자료임. 동래구 명륜동 235 11동 제7호 충렬사 忠 烈 祠 임진왜란때 부산지방에서 순절한 호국선 열들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호국정신 함 양을 위해 1978년 현규모로 정화되었음. 동래구 안락동 838 1동 제8호 제9호 제10호 제11호 제12호 제13호 장관청 將 官 廳 오층석탑 五 層 石 塔 삼층석탑 三 層 石 塔 원효암 동편삼층석탑 元 曉 庵 東 便 三 層 石 塔 원효암 서편삼층석탑 元 曉 庵 西 便 三 層 石 塔 고려오층석탑 高 麗 五 層 石 塔 조선시대 동래부 청사의 하나로 군장 관 등의 집무소임. 전형적인 고려석탑으로 1층 4면에 각 천왕의 특징이 뚜렷한 사천왕상이 조각되어 있음. 고려말기 석탑으로 전체형태가 안정되고 간결하며, 소박한 미를 나타내고 있음. 신라말기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아담 하여 동 서 석탑이 다른 대조적 양 식을 나타내고 있음. 신라말기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아담 하여 동 서 석탑이 다른 대조적 양 식을 나타내고 있음. 전형적 고려삭탑으로 옥개선이 반전 되어 경쾌한 감을 주면서도 중후한 면도 보이고 있음. 동래구 수안동 510-1 부산대학교 경내 경내 동래구 온천동 301-15 (개인소유) 1동 1기 1972. 6.26 1기 1기 1기 1기 제14호 만덕사지 당간지주 萬 德 寺 址 幢 芉 支 柱 당간지주는 사찰에서 대형불화를 걸어 두는 지주로 본 지주는 정교한 편이며, 만덕사지 규모를 알 수 있는 자료임. 북구 만덕동 465-6 1기 제15호 당간지주 梵 魚 寺 幢 芉 支 柱 에서 법회나 의식이 있을 때 대형 기치를 걸어두는 기지로 장식이 전혀 없어 간결 소박한 멋을 나타 내고 있음. 경내 1기
818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16호 석등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 석등으로 각 경내 1기 1972. 6.26 梵 魚 寺 石 燈 부분이 8각으로 되어 있음. 제17호 수영성 남문 좌수영성 남문이며 홍예문으로 양측 수영구 수영동 1기 水 營 城 南 門 에 백견 한쌍이 설치되어 성문으로는 233 독특한 면을 보여주고 있음. 제18호 제19호 제20호 동모 銅 矛 동모 銅 矛 동파두 銅 把 頭 청동기시대의 창으로 창날 여러군데 이가 빠져 실제로 사용된흔적이 뚜렷한 무기임 복천 (위탁보관) 1점 1점 칼잡이 부분의 장식 또는 순을 보호 1점 하는 부분으로 4마리의 말머리 모양 이 장식된 형태임. 제21호 군관청 동래부 청사건물로 군관들의 집무소 충렬사 경내 1동 軍 官 廳 이며 원래는 현 동래시장 부근에 있 었으나 주변이 도시화됨에 현위치로 중건 제23호 범방동 삼층석탑 높이 2.7m 규모의 신라의 석탑양식을 강서구 범방동 1기 1989. 3.10 凡 方 洞 三 層 石 塔 충실히 계승한 고려 초기의 석탑 1345 제24호 동래부 동하면 고문서 1760~1950년대 동래부 동하면의 지 부산광역 30책 861면 1993.12.31 東 萊 府 東 下 面 古 文 書 방자치 행정문서로 해운대 지역의 역 시립 사, 문화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임. (위탁보관) 제25호 이안눌청룡암시목판 조선중기 동래부사를 역임한 이안눌 1판 1999. 9. 3 李 安 訥 靑 龍 巖 詩 木 板 이 자팔로 지은 시를 목판에 새긴 것 성보 제26호 천수 책판 모두 7판으로 된 천수경판으로 불교 7판 千 手 冊 版 신앙의 기본 경전임 제27호 어산집 책판 모두 30판으로 책은 1권 1책으로 구성 30판 魚 山 集 冊 版 되어 범음집( 梵 音 集 )의 일종임 제28호 기, 창건사적, 고적판 梵 魚 寺 紀, 梵 語 寺 創 建 事 蹟, 梵 語 寺 古 蹟 板 의 창건에 관한 기록을 새긴 목판으로 모두 3종류임 3판 제29호 선문촬요 책판 전반부에는 중국 역대 선사들의 저술을 2권 2책 禪 門 撮 要 冊 版 실어 상권으로 엮고, 후반부는 우리나라 고승들의 저술을 실어 하권으로 엮음
ⅩⅩ. APPENDIX 819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30호 권왕문 책판 (언문판) 조선말기 건봉사의 축전이 엮은 언문 (한글) 불교가사인 권왕가 서왕가 3편이 수록되어 있음 성보 20판으로 1권1책 1999. 9. 3 제32호 태전화상주심경 太 顚 和 尙 注 心 經 태전화상이 반야바라밀다심경 을 구절마다 상세히 해설을 붙인 책으로 1책의 목판본임 1책 1999.11.19 제33호 함허어록 函 虛 語 錄 조선초기 고승인 함허화상 기화의 시 문집으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34호 지공직지 指 空 直 指 인도의 승려인 지공선사 설법을 실은 것으로 1책의 목판본임 성보 1책 제35호 선종영가집 禪 宗 永 嘉 集 당나라 현각이 법문을 찬술하고 송나라 행정이 주석한 책으로 상하 2권 1책의 목판본임 2권 1책 제36호 불설대보부모은중경 佛 說 大 報 父 母 恩 重 經 한없이 크고 깊은 부모의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교경전으로 1권의 목판본임. 1권 제37호 육조대사법보단경 六 祖 大 師 法 寶 壇 經 선종의 6대조인 혜능의 수도 과정과 문인들을 위한 설법을 담고 있는 자 서전의 일대기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38호 금강반야바라밀경변상 金 剛 半 夜 波 羅 密 經 變 相 금강경의 내용을 삽화 형식으로 해설 한 책으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39호 불조역대통재 佛 祖 歷 代 通 載 원나라의 염상이 석가여래의 탄생에 서 1334년까지의 고승대덕의 전기를 편년체로 수록한 책임 22권 10책 제40호 몽산화상법어약록 夢 山 和 尙 法 語 略 錄 원나라 몽산화상 덕이의 법어를 요약 하여 수록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41호 묘법연화경 梵 魚 寺 妙 法 蓮 華 經 우리나라에 유통된 불교경전 가운데 가장 많이 간행된 경전으로 소중한 문헌사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음 약 160여종 제42호 진언집 眞 言 集 효종 9년(1658) 설악산 신흥사에서 간행한 1책의 목판본임 서구 서대신동 (내원정사) 1책 2000.12.21 제43호 조 상 경 造 像 經 숙종 46년(1720) 평안도 화장사에서 간행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44호 염불보권문 念 佛 普 勸 文 영조 41년(1765) 구월산 흥률사에서 간행한 1책의 목판본임 1책 제45호 내원정사 묘법연화경 內 院 精 舍 妙 法 蓮 華 經 인조 10년(1632) 삭령 용복사( 龍 腹 寺 )에서 간행된 7권 3책과 인조 27년(1649) 양산 통도사( 通 度 寺 )에서 간행된 7권 3책 등 총 14권 6책의 목판본임 14권6책
820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46호 명 유제시루 梵 魚 寺 銘 鍮 製 시루 1664년(현종 3) 제작된 2점의 대형 유제시루 로 시루의 제작과정과, 제작을 전후하여 범 어사 주지를 역임한 스님들의 이름 등 당시 의 상황을 알 수 있는 187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음 부산광역 시립 2점 2001. 5.16 제47호 목조관음보살좌상 木 造 觀 音 菩 薩 坐 像 장묵서( 腹 臟 墨 書 )를 통해 1730년(영조 6) 이라는 조성년대를 알 수 있어 동 시기 불상제작의 기준이 되는 작품임 서구 서대신동 (내원정사) 1점 2001.10.25 제48호 유원각선생매안감고비 柔 遠 閣 先 生 埋 案 感 古 碑 조선후기 대일외교의 실무관청이었던 유원각( 柔 遠 閣 )과 관련된 유일한 금 석문 자료로서 왜관및 조선후기~근 대의 부산역사와 대일관계사를 연구하 는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음 부산광역 시립 1점 제49호 포은시고 圃 隱 詩 藁 포은 정몽주선생의 시집으로 아들 정종성이 숙부인 정도가 초록한 사일본영시 등에 포 은선생의 시를 추가하여 세종21년에 간행 부산시립 시민도서관 1점 2002. 5. 6 제50호 가덕도 등대 加 德 島 燈 臺 가덕도 등대는 근대 서구 건축의 양식 건축재 료 의장수법 등이 최초로 사용되었던 건물임 강서구 대항동 산13-2 1동 2003. 9.16 제51호 사천왕도 梵 語 寺 四 天 王 圖 사천왕도는 세로 350cm가 넘는 두루마리 형의 비단 4폭에 천왕상 1구씩을 그렸다 성보 4폭 2003. 9.16 제52호 제석신중도 梵 語 寺 帝 釋 神 衆 圖 신중도는 대승불교에서 호법선신으로 봉 안되어 신앙의 대상이 된 신중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나타낸 예배용 불화임. 1폭 제53호 관음전 백의관음보살도 梵 語 寺 觀 音 殿 白 衣 觀 音 菩 薩 圖 관음전 관음불상의 뒤에 있는 그 림으로 자애의 이미지를 시각화한 관음 보살도임. 1폭 제54호 마하사 현왕도 摩 하 寺 現 王 圖 현왕도라 함은 사람이 죽어서 3일만에 만나서 심판을 받게 된다는 지옥의 왕과 그의 권속들을 그림으로 표현할 것을 말함. 성보 (위탁보관) 1폭 제55호 의상대사영정 梵 語 寺 義 湘 大 師 影 幀 신라시대의 승려인 의상대사 (625~702)의 초상화임. 성보 1폭 제56호 진재 김윤겸필 영남기행화첩 眞 宰 金 允 謙 筆 嶺 南 紀 行 畵 帖 영남 명승지를 그린 몇 안되는 작품중의 하나로 특히, 부산의 몰운대, 태종대, 해 운대 등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향토사 자 료 및 사라진 문화재의 규모나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임. 1첩(14폭) 2004.10. 4
ⅩⅩ. APPENDIX 821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57호 기영각 시첩 耆 英 閣 詩 帖 영조40년 영조 나이 70과 재위 40년을 맞아 태묘를 배알하고 기로소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것으로 당시의 역 사적 사실을 기록화와 함께 구성하였다 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임. 1첩 2004.10. 4 제58호 금강전도 12곡병 金 剛 全 圖 12 曲 屛 금강산에 대한 상세한 표현과 화려한 색채 효과로 그림지도의 역할을 하는 작품으로 19C 작품으로는 최고에 해당하는 것임. 1점(12폭) 제59호 동래 고지도 東 萊 古 地 圖 산, 하천, 성곽, 관아, 방파제, 선박 등이 세 밀하게 묘사되어 당시의 부산지역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고지명의 위치, 비정 등 향토사 연구의 실증적 자료로 가치가 높음. 1폭 제60호 대원군 초상화 大 院 君 肖 像 畵 대원군의 노년상으로 복식이 이국적이며, 전통적인 초상화 기법을 따르고 있는 등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임. 1폭 제61호 제62호 제63호 복천사 지장시왕도 福 泉 寺 地 藏 十 王 圖 복천사 아미타극락회상도 福 泉 寺 阿 彌 陀 極 樂 會 上 圖 팔상 나한 독성전 梵 語 寺 八 相 羅 漢 獨 聖 殿 조선후기 지장시왕도 도상 및 화승연구 에 자료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임. 영도구 신선동3가 산6번지(복천사) 1폭 2005.12.27 1892년 제작된 아미타여래불화임. 1폭 하나의 건물에 팔상 나한 독성전 등 세 불전을 모신 건물로 중앙에 위치한 독성전 입구의 뛰어난 의장과 초각수법 은 그 예가 극히 드문 정도로 문화재로 서의 가치를 충분히 갖추고 있는 건물임. 경내 1동 2006. 7. 3 제64호 대방광불화엄경 권제40 大 方 廣 佛 華 嚴 經 卷 第 四 十 조선시대 사경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충분한 문화재임. 1축 제65호 복천사 조상경 福 泉 寺 彫 像 經 여러 경전에 산재하여 있는 불 보살상의 조성에 따른 제반 의식과 절차에 관한 내용 을 모아 체계화한 불교의식집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매우 귀중한 문화재임 영도구 신산동3가 산6번지(복천사) 1책 제66호 복천사 선원제전집도서 福 泉 寺 禪 源 諸 詮 集 都 序 화엄종의 입장에서 선교일치를 주장한 대표적인 저술로 우리나라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영도구 신산동3가 산6번지(복천사) 1책 제67호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 梵 語 寺 大 雄 殿 釋 迦 靈 山 會 上 圖 대웅전 후불벽을 꽉 채운 채 걸 려 있는 족자형의 대형 탱화.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구도와 채색이 뛰어나며 불화 제작에 참여한 명단이 상세히 기록되어 조선후기 불화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1폭 2006.11.25
822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68호 대웅전 삼장보살도 梵 語 寺 大 雄 殿 三 藏 菩 薩 圖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작품의 규모도 큰 편이며, 조선후기 삼장도상과 신앙연구에 중요한 자료임. 1폭 2006.11.25 제69호 대웅전 제석신중도 梵 語 寺 大 雄 殿 帝 釋 神 衆 圖 조선후기 신중도 중 마혜수라천왕을 중심으로 범천과 제석천이 그려진 경우로는 그 사례가 드문 작품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작품의 규모도 크며, 특히 화면에 수많은 권속들이 등장하여 조선후기 신중도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는 문화재임. 제70호 관음전 목조관음보살좌상 梵 語 寺 觀 音 殿 木 造 觀 音 菩 薩 坐 像 1722년에 제작되었으며, 작풍이 뛰어나고 보존상태도 양호할 뿐 아니라, 특히 대좌 의 묵서명에 의해 제작시기, 봉안처, 제 작에 참여한 조각승 등이 확실히 밝혀져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임. 제71호 비로전 목조 비로자나삼존불좌상 梵 語 寺 毘 盧 殿 木 造 毘 盧 蔗 那 三 尊 佛 坐 像 비로전에 봉안되어 있는 본 목조 비로자나삼존불조상으로 비교적 규모가 큰 불상이며, 작풍도 뛰어난 작품임. 1구 제72호 미륵전 목조여래좌상 梵 語 寺 彌 勒 殿 木 造 如 來 坐 像 높이 169cm인 거구의 불상으로 조선후기 불상의 양식적 특징이 보이고 있으며, 범어 사에 봉안된 목조불상중 규모가 가장 크고, 조성시기도 이른 편에 속하는 불상임. 제73호 석조연화대좌하대석 梵 語 寺 石 造 蓮 花 臺 座 下 臺 石 폭이 147cm에 이르는 규모가 큰 8각의 하대석. 임진왜란 때 불에 탄 흔적을 간 직하고 있는 등 의 창건과 중수 기록과 일치되는 귀중한 유물임. 1폭 제74호 자수 책거리병풍 刺 繡 策 巨 里 屛 風 화면에 배경없이 책을 중심으로 문방구와 도자기, 고동기, 소과 등의 기물을 배치한 나열식 책거리그림을 본으로 하여 비단에 전통 자수로 제작된 8폭 병풍. 내용 구성이 우수하고 자수 기법이 다양하며 군더더기 없이 정제되어 있는 작품임. 수영구 황령산로15번길 12 1점 2006.11.25 제75호 남지기로회도 南 池 耆 老 會 圖 조선 인조대에 70세 이상의 고령 관리들의 사적인 계원모임을 그린 그림으로 개성적인 세부 인물 묘사와 자연스러운 경물( 景 物 )의 묘사 등 뛰어난 화풍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임. 1축 2007. 9. 7
ⅩⅩ. APPENDIX 823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76호 불설장수멸죄 아이들의 병을 없애거나 임산부의 순산 금정구 1책 2007. 9. 7 호제동자다라니경 을 도우는 것은 물론 낙태의 죄를 짓지 남산동 佛 說 長 壽 滅 罪 말 것과 이 경전을 지니고 항상 읽음으 금정중학교 護 諸 童 子 陁 羅 尼 經 로써 장수의 생명을 얻고 죽은 자를 천 도시키고 온갖 악도( 惡 道 )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설하고 있는 경전임. 제77호 어전준천제명첩 영조 36년(1760년)에 실시된 청계천준설을 부산광역 1첩 御 前 濬 川 題 名 帖 성공적으르 완공한 것을 기념하여 그린 시립 일종의 기록 서화첩임. 궁중행사를 기록한 그림 중 왕의 명령에 의해 제작된 화첨으 로는 가장 빠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됨. 제78호 천상열차분야지도 天 象 列 次 分 野 之 圖 1687년(숙종 13년)에 석각( 石 刻 )으로 제작된 천상열차분야지도(보물 제837호)를 기본으로 하여 하늘의 별자리를 종이에 필사한 천문도. 1축 천상열차분야지도란 하늘의 모양(별자리)을 차례대로 나눈 그림이란 뜻임. 제79호 이의양필 산수도 李 義 養 筆 山 水 圖 1811년 조선조 마지막 통신사인 제12차 통신사 김이교 사행( 使 行 )에 화사( 畵 師 )로 참여한 부사용 이의양이 당시 일본 수묵 1축 화의 대가로 불리운 다니 분초( 谷 文 晁 )의 그림을 보고 그린 수묵산수화임. 제80호 금강반야바라밀경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읽혀졌던 대표 1책 金 剛 般 若 波 羅 密 經 적인 불교 경전 중의 하나로서 금강경 성보 또는 금강반야경이라고도 불리는 경전. 제81호 보리달마사행론 달마의 선사상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으로 1권 1책 2007. 9. 7 菩 堤 達 摩 四 行 論 네 가지의 생활방식인 사행( 四 行 )의 수련에 성보 대해 설명한 책임. 고려시대 판본으로 현존하는 책이 거의 없어 희소가치가 있는 문화재임. 제82호 선문염송집 보조국사 지눌의 제자인 진각국사 혜심이 1책 禪 門 拈 頌 集 지눌에 의해 주창된 간화선( 看 話 禪 )의 선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제자들과 함께 염 송 사 당거화 등 중요한 말들을 모아 총30권으로 집성 편찬한 책으로 고려시대 판본임.
824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83호 대방광불화엄경 권제41 大 方 廣 佛 華 嚴 經 券 第 四 十 一 감색의 저지( 楮 紙 )에 은니( 銀 泥 )로 쓴 권자본(두루마리) 형식의 화엄경 사경으로, 고려후기 사경의 양식과 서체를 살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임. 1축 2007. 9. 7 제84호 이덕성가 문적 李 德 成 家 文 籍 이덕성가는 양명학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조선조 사회에 정치적, 학술적으로 지대 한 영향을 끼친 집안으로 이 문적은 명문가 연구의 중요한 자료. 부산광역 시립 9종 12책 2008. 4. 2 제85호 장안사 응진전 석조석가삼존십육나한상 長 安 寺 應 眞 殿 石 造 釋 迦 三 尊 十 六 羅 漢 像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몸 전체에 호분( 胡 粉 )이 칠해져 있으며, 16나한상의 법의( 法 衣 )는 다양한 색깔로 채색되어 있어 불교조각승 연구에 도움이 될 것임.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장안사 23구 제86호 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시왕상 長 安 寺 冥 府 殿 石 造 地 藏 十 王 像 기문에 양공( 良 工 )으로 소개된 조각승들은 장안사의 응진전 불상의 조각기법이나 표현기법이 동일하며 중요한 문화재임. 23구 제87호 장안사 대웅전 석가영산회상도 長 安 寺 大 雄 殿 釋 迦 靈 山 會 上 圖 대웅전 삼세불상의 뒷면에 걸려있는 탱화로 전통적인 녹색과 적색을 주조 색으로 하여 부드러운 황토색을 넓게 채색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며, 조선후기 불화연구에 중요한 자료임 1폭 제88호 장안사 응진전 석가영산회상도 長 安 寺 應 眞 殿 釋 迦 靈 山 會 上 圖 장안사 응진전 석가삼존상의 뒷면에 걸 려 있는 석가모니후불탱화임. 1폭 제89호 장안사 명부전 지장보살도 長 安 寺 冥 府 殿 地 藏 菩 薩 圖 사찰 주전각의 중하단탱으로 봉안된 지장시왕도와는 달리 시왕상을 별도로 갖춘 명부전에 봉안된 사례임을 보여주고 있어 조선후기 명부전 지장보살도 연구 의 자료적 가치있는 문화재임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장안사 1폭 2008. 4. 2
ⅩⅩ. APPENDIX 825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90호 동종 梵 語 寺 銅 鐘 조선후기 동종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명문이 양각으로 새겨졌으며 보존상태가 양호.조선후기 범종의 대 표작으로 언급 경내 1구 2008. 9.11 제91호 운수사 대웅전 雲 水 寺 大 雄 殿 부산에서 유례가 드물만큼 잘 정제되고 뛰어난 기법의 목조건물.조선중기의 건축 기법을 두루 갖추고 있는 특이한 건물로서 건축사적으로 크게 주목됨. 사상구 모라동 5번지 1동 제92호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雲 水 寺 大 雄 殿 石 造 如 來 三 尊 坐 像 좌상의 재질은 조선후기 영남지역에서 사용 되던 불석으로, 다른 재료의 불상과는 다른 재료가 특징. 조선후기 조각승의 개인 양식, 지역성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평가됨. 3구 제94호 장안사 대웅전 석조삼세불좌상 長 安 寺 大 雄 殿 石 造 三 世 佛 座 像 특징적인 표현기법 뿐만 아니라, 대 화원 녹원이 1659년에 조성하였다는 절대연대를 가진 귀중한 작품.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장안사 3구 2008.12.16 제95호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 유물 일괄 仙 巖 寺 木 造 阿 媚 陀 如 來 坐 像 및 服 藏 遺 物 一 括 허리를 곧게 펴고 머리를 약간 숙여 결가부좌의 자세를 하고 있는 여래상. 보존은 양호한 편이며 작품 규모와 상태, 특징 등을 고려할 때 조선시대 불상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됨. 부산진구 부암동 628번지 선암사 1구 제96호 원효암 목조관음보살좌상 梵 語 寺 元 曉 庵 木 造 觀 音 菩 薩 坐 像 조선시대 17세기 불상 혹은 보살상에서 흔히 엿보이는 특징과 유사. 17~19세기 보살좌상과 유사한 양식 계보를 보여 불상조각 연구의 좋은 참고자료로 활용. 금정구 청룡동 525번지 (청룡암) 1구 제98호 동래향청 고왕록 東 萊 鄕 廳 考 往 錄 현재 전해지는 향교자료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고왕록은 필사본으로 유일한 자료이므로 부산(동래)의 지방사, 지역사 연구와 지방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 동래구 명륜동 235번지 동래향교 1책 제99호 동래향청 고왕록 東 萊 鄕 廳 考 往 錄 현재 전해지는 향교자료가 거의 없는 상황 에서 고왕록은 필사본으로 유일한 자료 이므로 부산(동래)의 지방사, 지역사연구와 지방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 동래구 명륜동 235번지 동래향교 1책 2008.12.16 제100호 대안원년명 반자 大 安 元 年 銘 半 子 현존하는 유일한 통일신라시대반자인 함통 6년명 반자와 크기가 유사하여 통일신라시대 반자 연구의 자료적 가치와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유물 1점
826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101호 흑유호 및 흑유정병 黑 釉 壺 및 黑 釉 淨 甁 청자 태토로 만든 후 산화철성분이 많은 흑유를 발라 구웠으며, 흑유호의 경우 몸체 4곳을 편편하게 한 후 능형으로 처리한 독특한 기형, 몸체 한면에 음각기법으로 인물상을 표현하고 있는 등 학술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문화재임 2점 2008.12.16 제102호 분청사기인화 국화문사이부태호 粉 靑 沙 器 印 花 菊 花 文 四 耳 附 胎 壺 내호와 외호로 구성되었으며, 외호의 외주 표면의 균열된 곳 접합한 부분을 제외하면 보존상태가 좋은편. 내호와 외호를 다 갖추고 있는 15세기의 귀중한 분청사기 항아리임 1점 제103호 갑인춘 친정도 甲 寅 春 親 政 圖 1폭의 그림과 좌목으로 구성, 인물이나 건물 등을 세필로 직접 그렸으며, 도화서 화원의 지극히 섬세한 계화 수준을 보임 1점 제104호 고려사 高 麗 史 방대한 분량인데도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잘 보존. 전해지는 사료가 부족하여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잇는 고려의 역사를 기록한 정사로 사료적 가치도 매우 높은 문화재임 총139권 75책 제105호 천안사 소장 송광사판 법어 天 安 寺 所 藏 松 廣 寺 板 法 語 1577년 간행한 목판본으로 세조13년에 간행된 간경도감본과 편찬체제와 표기법 이 다른 훈민정음형태를 보여주고 있어 조선전기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부산진구 백양산로54번길 72 (천안사) 1책 2011. 3.26 제106호 제107호 장안사 명부전 長 安 寺 冥 府 殿 장안사 응진전 長 安 寺 應 眞 殿 수공이 많이 드는 비교적 오래된 건 물에서 볼 수 있는 전통 목조건축의 가구 수법, 건축형식을 판단하는 중 요한 요소인 공포 형식의 변천사를 잘 보여주는 문화재임 석가모니부처와 나한을 모시고 있는 전각으로 나한전이라고 함. 화려함과 사실적인 조각 등, 익공식 건축의 변 천과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건축 사적 가치가 뛰어난 문화재임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482번지 (장안사)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482번지 (장안사) 1동 1동 제108호 선광사 석가여래성도기 仙 光 寺 釋 迦 如 來 成 道 紀 금속활자로 간행된 명 안되는 사실과 국내에는 동일본이 1종밖에 없는 희 귀본이라는 점에서 서지학적으로 매 우 귀중한 자료임 사상구 백양대로 804번길 42-123 (선광사) 1책 2011.12.22 제109호 김홍도필 산수인물도 金 弘 道 筆 山 水 人 物 圖 김홍도가 1800년 무렵 혹은 그 이후 에 그린 산수인물도로 김홍도의 만년 작 중 한 점으로, 김홍도 연구에 중 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 유물 부산광역 시립 1폭 2012. 5.17
ⅩⅩ. APPENDIX 827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110호 심사정필 산승보납도 沈 師 正 筆 山 僧 補 衲 圖 명나라 고병( 顧 炳 )이 1603년에 발간 고씨화보( 顧 氏 畵 譜 ) 에 있는 중국 명나라 화가 강은( 姜 隱 )의 보납도( 補 衲 圖 ) 를 심사정이 방작( 倣 作 )한 그림 부산광역 시립 1폭 2012. 5.17 제111호 류성룡필 진시무차 초고 柳 成 龍 筆 陳 時 務 箚 草 稿 서애 류성룡이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11월 평안도 정주( 定 州 )에 있 으면서, 국가의 시무( 時 務 )에 대하여 올린 차자( 箚 子 )의 초안 1축 제112호 백자철화용문호 白 磁 鐵 畵 龍 文 壺 백자 태토( 胎 土 )로 아래와 위의 몸체를 따 로 만든 후 접합한 둥근 항아리 형식에 몸 체 부분 전면에 철사( 鐵 砂 ) 안료로 용과 초 화문( 草 花 文 )을 그려 넣은 철화백자항아리 1점 제113호 백자대호 白 磁 大 壺 18세기에 생산된 입호 형식의 백자 항아리로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희소성 면에서도 가치가 상당히 높은 도자기 1점 제114호 곤여전도 坤 輿 全 圖 1674년에 제작된 곤여전도 북경판을 필사 로 모사한 세계지도로 당시 조선의 지식인 들의 세계관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당시 조선인들이 세계를 표상화 하는 내용 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 1점(8폭) 제115호 금정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金 井 寺 木 造 阿 彌 陀 如 來 坐 像 및 腹 藏 遺 物 ) 1667년( 康 熙 16년)에 조성하여 전라 도 고산현 대둔산 용문사에 봉안했던 것으로, 수화승 혜희( 慧 熙 )를 중심으 로 모두 7명이 불상 조성에 참여 동래구 우장춘로 157-59 (금정사) 1구 2012.10.30 제116호 취정사 묘법연화경 鷲 井 寺 妙 法 蓮 華 經 조선시대 명필가인 성달생과 성개 형제 가 선친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 한 법화경 을 판하본으로 하여 1405년 (태종 5)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에서 도 인 신문( 信 文 )이 주관하여 목판으로 새긴 것을 조선 전기에 후인( 後 印 )한 책 기장군 일광면 상곡길 55 취정사 1책 2012.10.30 제117호 해광사 선원제전집도서 海 光 寺 禪 源 諸 詮 集 都 序 중국 화엄종의 제5조인 규봉 종밀( 圭 峰 宗 密, 당, 780-841)의 만년작으로 자신의 선원제전집 101권에 대하 여 서문을 지은 책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340 해광사 1책 제118호 해광사 대방광불 화엄경 권제23 ( 海 光 寺 大 方 廣 佛 華 嚴 經 卷 第 23) 23장의 종이를 이어 붙여 제작한 권자( 卷 子, 두루마리) 형태의 백지묵서 사경( 白 紙 墨 書 寫 經 )으로 고려시대인 12~13세기 무렵에 제 작된 것으로 추정됨. 1축
828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119호 석조관음보살좌상 보살상의 신체적 특징은 고려시대 불상 양식 1점 2012.10.30 石 造 觀 音 菩 薩 坐 像 의 계승과 조선 초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특 징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어 보기 드문 사례임 제120호 목조보살좌상 조선 후기인 17세기에 제작된 불상 중에서도 1점 木 造 菩 薩 坐 像 작품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다양한 17세기 목조불상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적 가 치를 지니고 있는 작품임 제121호 시왕도 제1진광대왕도와 제2초강대왕도 2폭으로 조선 2폭 十 王 圖 후기 시왕도 중 제작연대가 가장 빠른 예로 생각되며, 작품의 크기도 다른 작품에 비해 큰 편으로, 제작연대와 작품성 등으로 볼 때 조선 후기 불교미술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매 우 중요한 자료 제122호 동제 동( 銅 )을 주조해서 접합하여 만든 4각 탁자로, 1점 화엄경변상도 경상 천판( 天 板 ) 윗면에 고려시대의 대방광불화엄 銅 製 경( 大 方 廣 佛 華 嚴 經 ) 변상도( 變 相 圖 )를 새긴 華 嚴 經 變 相 圖 經 床 독특한 금속제 기물( 器 物 )임 제123호 계사명 사리구 총 4개의 용기로 구성된 사리구로 명문 등을 4점 癸 巳 銘 舍 利 具 통해 적어도 17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 정되는 작품임 제124호 전 경주 출토 조선 후기인 16~18세기에 제작된 사리구로 추 3점 승사리구 정되며, 경상도 지역에서 출토된 비교적 완전 傳 慶 州 出 土 한 세트를 갖춘 조선 후기의 보기 드문 승사 僧 舍 利 具 리 장엄구임 제125호 박기종 유물 일괄 1978년 박기종 선생의 후손이 부산에 부산 3종 33점 2013.5.8. 朴 琪 淙 遺 物 一 括 기증한 유물로 부산 및 한국 근대사 연구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임. 제126호 칠보사 173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살상으 서구 해돋이로 1구 목조관음보살좌상 로, 전형적인 조선 후기 보살상의 특징을 지 109번길 17 복장물(3종 40점) 七 寶 寺 닌 작품으로 18세기 불상 조성 연구에 귀중한 木 造 觀 音 菩 薩 坐 像 자료임. 제127호 황련사 대방광원각 일체 중생의 本 來 成 佛 을 드러내는 원만한 깨 수영구 수영로 6권 2책 수다라요의경 달음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뛰어난 경전으 497번나길 25 黃 蓮 寺 大 方 廣 圓 로 조선 전기 불교 판본 연구에 소중한 자료 覺 修 多 羅 了 義 經 임. 제128호 동래향교 명륜당 1815년 건립된 건물로 평면형식, 입면구성 및 동래구 동래로 1동 東 萊 鄕 校 明 倫 堂 세부에서 조선 후기 향교 명륜당의 건축적 특 103 (정면 5칸, 측면 3칸) 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등 학술적 가치를 지 니고 있는 건축 문화재임.
ⅩⅩ. APPENDIX 829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129호 폭포사 묘법연화경 1477년 서평군 한계희 일족이 발원하여 불명 해운대구 4권 1책 2013.10.23. 瀑 布 寺 妙 法 蓮 華 經 사 화암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연화질, 간기 장산로 등은 서지학, 인쇄사, 불교학 등의 연구에 귀 331-112 중한 자료임. 제130호 금천선원 1477년 서평군 한계희 일족이 발원하여 불명 금정구 금샘로 7권 2책 묘법연화경 사 화암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연화질, 간기 271 金 泉 禪 院 등은 서지학, 인쇄사, 불교학 등의 연구에 귀 妙 法 蓮 華 經 중한 자료임. 제131호 고불사 묘법연화경 1450년 세종이 동궁으로 있던 문종의 중병을 기장군 철마면 7권 3책 古 佛 寺 妙 法 蓮 華 經 불력으로 고치기 위해 주자소로 하여금 인출 고촌로28번길 케한 갑인자본을 저본으로 번각한 것으로, 권 77 말의 간기, 발문, 시주질 등은 서지학, 인쇄사, 불교학, 국문학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제132호 백운사 묘법연화경 조선시대 명필가인 성달생과 성개 형제가 선 해운대구 3권 1책 권1-3 친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한 법화경 운봉길 白 雲 寺 妙 法 蓮 華 經 을 판하본으로 1405년 도솔산 안심사에서 목 315 卷 1-3 판으로 새긴 판본과 매우 흡사함. 제133호 백운사 묘법연화경 1443년 조성된 화암사판으로 성달생의 글씨와 4권 1책 권4-7 발문, 시주질들, 연화질, 간기 등은 서예사, 서 白 雲 寺 妙 法 蓮 華 經 지학, 인쇄사, 역사학, 불교학 등의 연구에 귀 卷 4-7 중한 자료임. 제134호 진주성도 진주성과 주변에 위치한 주요 건물과 시설, 1점(10폭) 晋 州 城 圖 남강 등의 자연 경관이 부감시의 방법으로 자 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총 10폭의 병풍으로 구 성되어 있음. 무형문화재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제2호 수영농청놀이 모심기 등 농촌공동 작업에 수반되는 농요를 수영구 보유자 4명 1972. 2.18 水 營 農 廳 놀이 중심한 민속놀이 수영성로 42 수영민속예술관 제3호 동래학춤 학의 생태를 모방한 전통 민속무용임 동래구 우장춘로 보유자 3명 1972. 9.19 東 萊 鶴 춤 부산민속예술관 제4호 동래지신밟기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축원하기 위해 옛부터 보유자 7명 1977.11.13 東 萊 地 神 밟기 음력 정초에 행해오던 부락놀이임. 제5호 충렬사제향 忠 烈 祠 祭 享 임진왜란때 순절한 분들을 유교 제례에 따라 충렬사에 제향 동래구 안락동 충렬사안락서원 보유자 4명 1979. 2. 2
830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6호 부산농악 농경작업의 고달픔을 달래기 위해 춤과 노래를 서구 대신공원로 보유자 5명 1980. 2.12 釜 山 農 樂 곁들여 놀이화 한 전통농악임. 구덕민속예술관 제7호 다대포 후리소리 어로작업에 곁들이 노래를 중심으로 놀이화한 사하구 다대동 보유자 3명 1987. 7. 2 多 大 浦 후리소리 민속임. 468-6 제8호 가야금산조 강산제 경조 우조로 된 가락이 많아 애조를 동래구 금강로 보유자 1명 1989. 7. 6 伽 倻 琴 散 調 띠지 않고 담백하며 장단이 불규칙한 것이 특 151번길 24-6 징임. 제9호 부산영산재 노래와 춤을 통해 부처님의 덕화를 봉찬하며 사상구 보유자 4명 1993. 4.20 釜 山 靈 山 齋 일체 중생들의 성불을 염원하는 사찰의 대중의 백양대로950번 식으로 독창적이며, 간결 소박하게 행해짐. 나길(관음사) 제10호 동래고무 동래관아 행사시 각종 연회와 함께 행해졌던 동래구 보유자 1명 1993.12.28 東 萊 鼓 舞 북춤의 일종으로 동래지역의 고유한 춤임. 우장춘로 부산민속예술관 제11호 구덕망께터다지기 서구 대신동을 중심으로 큰건물이나 집을 지을 때 망께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담장이나 기둥을 세울 곳의 지반을 다지던 작업(망께질)과 작업 과정에서 소리꾼이 부르는 노동요(망께소리)가 포함된 전통민속 서구 대신공원로 구덕민속예술관 보유자 5명 2001.10.25 제12호 주성장 전통적인 사형 주조 공법으로 우수한 소리와 기장군 정관면 보유자 1명 2004.10. 4 鑄 成 匠, 鑄 鐘 아름다운 문양으로 극찬 받는 한국 종의 신비 용수공단1길 14 로움을 계승한 금속범종 제작기술. (홍종사) 제13호 사기장 조선 후기 지방 가마의 특성과 전통 기법을 계 기장군 일광면 보유자 1명 2005. 3. 3 沙 器 匠 승하고 있으며, 모든 제작과정이 조선 후기 전 기장대로 통적 생산양식을 따르고 있는 백자제작 기술 1201-20 (상주요) 제14호 동래한량춤 東 萊 閑 良 춤 동래의 지역색이 강하고, 독특한 춤가락이 가미 된 남성춤으로 일정하게 정해진 춤의 형식이 나 구성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량들이 놀 동래구 우장춘로 195-46 보유자 1명 2005.12.27 이판에서 흥이 고조되면 즉흥적으로 추는 개인 부산민속예술관 적인 춤인 허튼춤(입춤)을 중심으로 한 호방하 고 선이 굵은 춤임. 제15호 불화장 佛 畵 匠 전통불화제작에 있어 경전내용을 도상화, 전통 적인 제작방법을 전승 보존하는 보유자로 평가 북구 구남로15번길 36 보유자 1명 2008.12.16 제16호 아쟁산조 牙 箏 散 調 우리 민족의 독창성이 빚어낸 악기이며, 판소리 못지않게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될만한 음악임 동래구 온천장로 102 보유자 1명 2009.12.07 제17호 화혜장 조선말기 조부 때부터 대대로 전통적인 제작 사하구 보유자 1명 2010. 9.20 靴 鞋 匠 방법을 충실히 지키면서 화혜 제작 암남공원로
ⅩⅩ. APPENDIX 831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18호 부산 고분도리걸림 서대신동의 옛지명인 고분도리에서 정초에 좋 서구 기수, 악사, 잡색 등 2011. 3.26 釜 山 古 墳 도리걸림 은 일만 있기 기원하는 뜻으로 했던 걸림굿으 대신공원로 총 37명 로 민속적, 문화재적 가치가 높음 구덕민속예술관 제19호 선화 禪 畵 선화는 승려의 禪 修 行 의 과정이자 결과로 화 법이나 서법의 구애를 받지 않는 자유로운 경 지를 형상화 한 한국 선 불교의 유산임. 수영구 민락수변로 9-1 보유자 1명 2013.5.8 제20호 목조각장 木 彫 刻 匠 나무로 불상이나 보살상 등을 만드는 목 조각 장 보유자 이희옥은 조각승으로서 법맥과 조 선 후기 조각승의 계보를 계승하고 있음. 강서구 신노전로 63 보유자 1명 기 념 물 Monument 제2호 연산동고분군 蓮 山 洞 古 墳 群 부산지방에서 유일하게 외부 봉분형태가 남아 있는 삼국시대 분묘임. 연제구 연산동 일대 지정구역 : 60,187m 2 1972. 6.26 제3호 만덕사지 고려시대 사찰지로 주변의 석등, 석탑, 당간지 북구 만덕동 보호구역 : 14,233m 2 萬 德 寺 址 주 등으로 보아 규모가 보다 큰 사찰로 일대 -석축기단에서30m 추정되고 있음. 제4호 배산성지 망미동에 소재했던 동래고읍성의 진소로 추정되 연제구 보호구역 : 9,348m 2 1972. 6.26 盃 山 城 址 며 신라 특유의 나선형태의성지임 연산동 -성곽내부전부외부30m 제5호 동래읍성지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 사이에 쌓은 전형적인 동래구 명륜동 보호구역 : 103,717m 2 東 萊 邑 城 址 평산성 형식으로 축조된 성으로 산성과 평지 복천동,안락동 성의 장점을 두루 갖춘 대표적인 읍성임 일원 제6호 구포왜성 임진왜란때 명나라의 참전과 더불어 후퇴하던 북구 덕천동 보호구역 : 29,202m 2 龜 浦 倭 城 왜군이 해안에 성을 쌓고 장기전 태세를 갖추 산72-1 기 시작한 1593년에 쌓은 일본식 성임 제7호 부산진 지성 선조26년 왜장 모리부자가 쌓은 일본식 성으로 동구 범일동 보호구역 : 24,198m 2 釜 山 鎭 支 城 일명 자성대라고도 함 690-5 제8호 좌수영성지 左 水 營 城 址 1652년(효종3)부터 1894년(고종31)군제개혁으로 수영이 혁파되기까지 243년간 현재의 위치에 있었으며, 성에는 사대문이 있었는데 동문을 수영구 수영동 일원 보호구역 : 9,006m 2 영일문, 서문을 호소문, 남문을 주작문, 북문을 공진문이라 하였음 제9호 윤공단 尹 公 壇 임진왜란때 순절한 다대첨사 윤홍신공과 민관 군의 넋을 기리고 제향을 봉행하기 위해 1765 년(영조41) 다대첨사 이해문이 다대포객사의 사하구 다대동 산24 보호구역 : 12,890m 2 동쪽에 설치하였으며 1970년 지금의 자리로 옮 겼음
832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10호 정공단 鄭 公 壇 1766년(영조42) 부산첨사 이광국이 임진 왜란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민관군을 이끌고 왜적에 맞서 싸우다 성과 운명 동구 좌천동 473 일원 보호구역 : 2,445m 2 1972. 6.26 을 같이한 부산첨사 충장공 정발장군 이 순사한 부산진성의 바깥쪽에 설치 한 단으로서 정발장군과 그를 따라 전 사한 여러 사람을 모신 곳임 제11호 송공단 宋 公 壇 임진왜란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공 이하 군관민을 향사키 위해 쌓은 제단 임. 동래구 복천동 229-78 3필지 2,762m 2 담장에서 10m 제12호 25의용단 25 義 勇 壇 임진왜란시 수영지역에서 7년간 유격전 으로 왜군에 항전한 25인의 의병을 향 사키 위한 제단임. 수영구 수영동 364외 17 7,518m 2 담장에서 30m 제13호 임진동래의총 壬 辰 東 萊 義 塚 임진왜란때 동래성에서 순절한 군관민 의 유해를 거두어 만든 무덤. 금강공원내 봉분 1기 경역 1600m 2 제14호 온정개건비 溫 井 改 建 碑 1766년 동래온천을 정비하면서 유래와 효험 등에 대해 기록한 기념비임. 동래구 온천동 135-26 1기 339m 2 1기 지대석에서 10m 1972. 6.26 제15호 금정산성부설비 金 井 山 城 復 設 碑 1808년 금정산성을 개축한 후 이에 대 한 공사관계 사항 등 면모를 새롭게 한 금정구 장전동 산 131-4 1기 337m 2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임. 제16호 내주축성비 萊 州 築 城 碑 1741년 임란으로 폐허가 된 동래읍성을 수축하고 그 내력을 새겨 놓은 비 동래구 복천동 3-2번지 1기 보호구역 : 3,209m 2 제17호 약조제찰비 約 條 制 札 碑 1683년 동래부사와 대마도주 사이에 왜 관의 운영을 위한 금조 조항 5가지를 부산광역 시립 1기 알리기 위해 세운 비석임. 제18호 척 화 비 斥 和 碑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의 강화와 국민 의 각성을 촉구하기 위해 세운 비석임 1기 제19호 부산진지성서문 성곽우주석 釜 山 鎭 支 城 西 門 城 郭 隅 柱 石 부산진성의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서 문성곽 양축에 끼워 세운 입석임. 동구 범일동 321-29 2기 제20호 정운공 순의비 鄭 運 公 殉 義 碑 임란때 부산포 해전에서 순절한 정운공 의 사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임. 사하구 다대동 산 144 (몰운대) 1기
ⅩⅩ. APPENDIX 833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21호 동래남문비 1670년 동래읍성에서 순절한 송상현공의 충 부산과역 1기 1972. 6.26 東 萊 南 門 碑 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임. 시립 제27호 몰운대 낙동강 하구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안개와 사하구 다대동 492300m 2 沒 雲 臺 구름이 끼는 날은 보이지 않는다 하여 몰운 산 114 일원 유원지 부지 대로 불리어지고 있음. 제29호 신선대 용당동 해변에 위치하며 최치원 선생이 신 남구 용당동 412,707m 2 1972. 6.26 神 仙 臺 선이 되어 놀았다고 전해지고 있음. 185 일원 유원지 부지 제33호 이섭교비 利 涉 橋 碑 1964년 동래 안락동과 연산1동을 연결하는 다리를 목교에서 석교로 고치면서 세운 기 동래구 낙민동 86-2번지 1기 1980. 6. 3 념비임. (온천천시민공원) 제34호 천성진성 天 城 鎭 城 일본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선 중기에 쌓은 포소진성으로, 전체 성벽이 질 남아 있어 조선시대 포소진성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강서구 천성동 1613번지 일원 49,983m 2 전장 870m 성곽내외전부 성곽기단외 20m 1989. 1. 1 제35호 가덕도 척화비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의 강화와 국민의 각 강서구 성북동 1기 1993. 2. 1 加 德 島 斥 和 碑 성을 촉구하기 위해 세운 비석임. 56-1 보호구역 : 25m 2 최돌출점으로부터사방5m 제36호 가덕도 자생동백군 가덕도 남단동쪽해안 절개지위에 자생동백 강서구 대항동 2,500본 加 德 島 自 生 冬 栢 群 군이 군생 해안의 기암괴석과 조화를 이루 산 13-2일원 보호구역 : 98,500m 2 고 있어 학술적 연구가치 및 보존가치가 큼. 제38호 기장 아이봉수대 機 長 阿 爾 烽 燧 臺 서생포 방면의 군사정보를 중앙으로 알리는 통신시설의 하나로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1기 1995.12.15 보호구역 : 2,358m 2 빛으로 신호함. 산 51-1 제39호 기장향교 機 長 鄕 校 광해군 9년(1617)에 기장현의 유림들이 건 립한 향교건물로서 대성전, 신삼문, 명륜당, 기장군 장안읍 교리 52 일원 보호구역 : 담장10m 내외 4,222m 2 1996. 5.25 동재, 서재, 풍화루, 세심문 등 7동의 건물 이 있음. 제40호 기장읍성 고려 공민왕 5년(1356)에 축성된 읍성으로 기장군 보호구역 : 성곽하부 機 長 邑 城 임진왜란 때 이 성을 방패삼아 항전하여 장안읍 대라리 기단 10m 이내 기장을 지켰던 유서 깊은 성임. 454-1 일원 제41호 기장 척화비 고정3년(1886)의 병인양요와 고종 8년(1891) 기장군 장안읍 1기 機 長 斥 和 碑 의 신미양요를 겪은 대원군이 서양 열강 대변리 608 의 침략에 대한 국민의 경각심을 일깨우기 (대변초등학교) 위해 세운 비석. 제42호 노포동 고분군 1983년에 발견된 삼한시대 또는 삼국시대 금정구 19,693m 2 1996. 5.25 老 圃 洞 古 墳 群 초기의 분묘 유적 노포동 142-1
834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43호 생곡동 가달고분군 김해평야의 최남단에 위치한 삼국시 강서구 10,993m 2 1996. 5.25 生 谷 洞 加 達 古 墳 群 대의 고분유적 생곡동 산 93 제44호 범방동 패총 신석기시대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는 전 시 강서구 6,137m 2 凡 方 洞 貝 塚 기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패총유적으로 범방동 198-1 동삼동 패총에 버금가는 우리 지역의 대표 적인 패총 유적. 제45호 해운대석각 海 運 臺 石 刻 신라말의 대시인이자 학자인 최치원선생이 주변의 경관이 아름다워 암석에다 해운대 해운대구 우1동 (동백섬 내) 보호구역 : 2,347m 2 석각에서 1999. 3. 9 란 글자를 음각함으로써 지명이 되었다고 전해오는 석각임. 제46호 해운대 동백섬 현재 해운대구의 일반 통칭으로 최치원 선 해운대구 우1동 보호구역 : 149,678m 2 海 運 臺 冬 栢 島 생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유적지일 뿐 아니 라 경관이 매우 뛰어나 유명한 시인묵객 들이 즐겨찾던 곳임. 제47호 김해 죽도왜성 金 海 竹 島 倭 城 일명 가락성 또는 죽도성이라고 하며 임진 왜란 때 왜장 니베시마가 축조한 전형적 강서구 죽림동 787번지 일원 보호구역 : 79,822m 2 인 왜성임 제48호 기장 죽성리왜성 機 張 竹 城 里 倭 城 임진왜란 당시 왜군의 장수인 구로다가 축 성한 것으로 임진왜란, 정유재란중 왜군이 조선.명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방어하고 남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601번지 일원 보호구역 : 38,253m 2 해안에 장기간 주둔하기 위해 쌓은 성중 하 나임 제49호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1920년대 건립된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서구 양식이 도입되는 당시 건축의 경향을 알 수 중구 대청동 (부산근대 1동 보호구역 :1465.5m 2 2001.5.16 舊 東 洋 拓 植 株 式 會 社 있는 몇 남지 않은 건물로서, 일제의 대표 역사관) 釜 山 支 店 적인 경제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부 산지점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근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축물로 문화 재적 가치가 높은 자료임 제50호 기장 죽성리해송 機 張 竹 城 里 海 松 본 해송은 6그루의 나무가 모여 마치 한 그 루의 큰 나무처럼 보이는 노거수로 수령은 약 250년~300년으로 추정되며 빼어난 수형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249번지 6그루 보호구역 : 942m 2 2001.5.16 및 민속적인 유래도 깊어 문화재적 가치가 있음 제51호 부산지방기상청 釜 山 地 方 氣 象 廳 기상청이 생긴지 100년에 가깝다는 사실만 으로도 충분히 기념적 가치 이상의 역사성 을 내포하고 있으며, 르네상스적 기풍이 특 중구 대청동 1동 보호구역 : 9,145.1m 2 2001.10.25 징임
ⅩⅩ. APPENDIX 835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52호 사처석교비 四 處 石 橋 碑 1781년(정조 5) 동래부사 李 文 源 의 기부금 과 東 萊 府 유지들의 모금을 바탕으로 동래 부의 남문 밖에 있던 4개소의 나무다리를 돌다리( 石 橋 )로 바꾼 것을 기념하여 세운 기념비 부산광역 시립 1기 2001.10.25 제53호 임시수도 대통령관저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지사의 관사로 사용 되었으며 한국전쟁기에는 임시수도 대통령 서구 부민동 (임시수도기념관) 1동 2002.5.6 臨 時 首 都 大 統 領 官 邸 관저로 사용되었던 건물 제54호 정과정유적지 鄭 瓜 亭 遺 蹟 地 고려시대 문신인 정서가 유배생활을 할 때 정자를 짓고 오이밭을 일구며 임금을 그리 워하는 내용의 고려가요인 정과정곡 을 수영구 망미1동 17번지 일원 17필지 (3,129m 2 ) 2003. 5. 2 지은 곳임. 제55호 부산진 일신여학교 釜 山 鎭 日 新 女 學 校 1905년 호주장로교 선교회에 의해 건립된 건축물로 비례와 균형미가 돋보이는 훌륭한 건축물로서 우리나라 초기 학교 건물로는 동구 좌천동 768-1번지 1동 손꼽을 만큼 희소가치를 지니고 있어 건축 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임. 제56호 영도대교 影 島 大 橋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도개교로 희소 가치가 매우 높은 교량이며, 일반적인 도개 중구 중앙동 ~ 1기 2006.11.25 보호구역 1,489.5m 2 교와는 달리 안벽부에 도개장치를 설치하고 영도구 대교동 있는 등 도개교량의 형식에서도 특이성이 인정되는 등 근대 교량사 연구에 대단히 중 요한 교량임. 제57호 망산도 유주암 望 山 島 維 舟 巖 수로왕이 허왕옥을 맞이하기 위해 유천간 ( 留 天 干 )을 보내 기다리게 한 섬으로, 지금 강서구 송정동 산188번지 일원 2개소 2008. 4. 2 의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앞 바다에 있음. 제58호 기장 동부리 회화나무 회화나무는 선조들이 최고의 길상목으로 집 안에 심으면 가문이 번창하고 큰 인물이 나 기장읍 기장읍 동부리 216번지 1그루 2008.12.16 며 좋은 기운이 모여든다고 알려진 나무임. 제59호 기장산성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대라리와 철마면 안 기장군 기장읍 2012. 5.17 機 張 山 城 평리에 걸쳐 있는 수령산 정상부에 위치한 대라리, 서부리, 다. 성벽을 산 능선을 따라 쌓은 부정형의 철마면 안평리 포곡식산성임. 일원 제60호 동래부 동헌 조선시대에 동래부를 관할하는 중심이 자 동래구 명륜로 건물 4동 2013.5.8. 東 萊 府 東 軒 수령이 직접 공무를 처리하던 곳으로 이청, 112번길 61 일원 보호구역 : 4,176m2 무청, 향청 등 각종 관아 건물의 중심이 되 는 곳.
836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61호 동래향교 조선시대에 지방재정에 의해 설치 운영된 동래구 동래로 건물 8동 2013. 5. 8. 東 萊 鄕 校 공립 중등학교격인 교육기관, 1813년 현재 103 일원 보호구역 : 6,195m2 의 위치로 옮겨왔음. 제62호 금정산 금샘 金 井 山 金 井 금정산 고당봉 아래 위치한 바위군으로 금 정산이라는 산 이름과 라는 절 이름 의 배경이 되는 설화를 지닌 대표적인 명소 임. 금정구 청룡동 산2-1 1기 보호구역 : 8,837m2 2013. 9.25. 제63호 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 金 谷 洞 栗 里 巖 陰 遺 蹟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청동기시대까지 거주 공간으로 이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바 위 그늘 주거와 패총이 복합된 유적. 북구 금곡동 산24 1기 보호구역 : 3,359m2 민속문화재 Property 제1호 황실축원장엄수 黃 室 祝 願 莊 嚴 繡 1902년 10월 의 산내 암자인 계명암 에서 나라의 안녕과 왕실의 번성을 위한 국 성보 2점 1999. 9. 3 제를 거행할 때 황실에서 에 하사한 한 쌍의 장엄수 제2호 다대첨사영 갑주 多 大 簽 使 營 甲 冑 윤공단 제향시 착용한 祭 服 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실전용일 가능성이 높은 갑옷과 투 동래구 안락동 충렬사기념관 갑옷 1, 투구 1 2004. 5. 8 구로서 武 官 服 연구에 귀중한 자료임. 제3호 동래영 갑주 東 萊 營 甲 冑 송공단 제향시 착용한 祭 服 으로 전해지는 갑옷과 투구로서 갑옷은 홍색과 아청색의 2 종류가 있으며, 武 官 服 연구에 귀중한 자 홍색갑옷 6, 아청색 갑옷 1, 투구 1 료임. 제4호 동래영 구군복 東 萊 營 具 軍 服 戰 服, 동다리, 속옷, 戰 笠, 木 靴, 요대 등으 로 구성된 조선시대 무관의 최고 장속으로 조선 후기 무관복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제5호 장안사 연 長 安 寺 輦 불교의식을 행할 때 불상이나 경전 등을 실 어 나르는 작은 가마로 세부적인 조각 및 장식 수법이 뛰어난 조선 후기 불교공예의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1개 2008. 4. 2 대표적 유물. 제6호 장산 마고당 천제단 萇 山 麻 姑 堂 天 祭 壇 마고당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는데 1922년에 중건하였으며, 천제단은 자연석 반석으로 돌단을 쌓고 3기의 입석으로 신단을 조성하 해운대구 우동 산148-1번지 당집 1동 제단 1기 2009.12. 7 였음 제7호 박기종 관복 일괄 부산의선각자인 박기종 선생이 착용했던 관 부산광역 단령 2 2012. 5.17 朴 琪 淙 官 服 一 括 복으로 조선 후기의 거의 마지막 시기의 유 시립 관모 1 물로 당시의 단령과 사모, 대( 帶 )의 모습을 각대 1 잘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임 관복함 1
ⅩⅩ. APPENDIX 837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8호 박기종 대례복 일괄 朴 琪 淙 大 禮 服 一 括 박기종 선생이 문관 칙임관(정1품~종 2품 관료) 시절에 착용하였던 것으로, 1900년 제정된 문관복장규칙 의 칙 임관 2등에 해당하는 복장임 부산광역 시립 대례복 상의 1 대례복 함 1 예모, 예모함 각1 예도, 예도띠 각1 2012. 5.17 제9호 박기종 통상복 일괄 朴 琪 淙 通 常 服 一 括 박기종 선생 착용했던 통상복 일괄 유물은 1907년에 개정된 문관대례복 규칙 의 소 례복과 같은 형태로, 일습으로 제작된 복식 자료로써 대한제국시기의 복식제도를 확인 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상의(프록코트) 1 조끼 2 바지 1 2012. 5.17 문화재자료 Others Cultural Property 제1호 반송 삼절사 盤 送 三 節 祠 임진왜란 때 순절한 3인의 양씨를 모시고 향사를 지내기 위해 세운 사당임. 해운대구 신반송로 182번길 24 1동 1986. 5.29 제2호 기장 남산봉수대 機 長 南 山 烽 燧 臺 고려 성종 4년에 설치되었다고 전하며, 해발 228m의 산정에 위치하여 남으로는 동래, 북쪽으로는 임랑과 연결되는 봉수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폐지됨.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산 52 1기 1995.12.15 보호구역 : 28,165m 2 제3호 순치8년명 청동은입사향완 順 治 8 年 銘 靑 銅 銀 入 絲 香 盌 예불을 드릴 때 향을 피우기 위해 청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당시 조선시대 향완 양색을 고찰할 수 있는 좋은 자료임 성보 1점 1999. 9. 3 제4호 도광명 유제양이부대발 道 光 銘 鍮 製 兩 耳 附 大 鉢 사찰에서 바루 공양을 할 때 밥통으로 사용 하던 식기의 일종으로 조선후기 사찰에서 행해진 바루공양 의식의 단면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임 1점 제5호 동치원년명 금고 同 治 元 年 銘 梵 魚 寺 金 鼓 청동으로 만든 쇠북으로 금구 또는 반자 등 으로 불리는 절에서 사용된 의식 법구임 1점 제6호 선방 축성패 禪 房 祝 聖 牌 사찰에서 선방에 모셔놓고 스님들이 아침 저녁으로 예불을 드릴 때 기원하던 것으로 사용됨 제7호 마애지장보살좌상 磨 崖 地 藏 菩 薩 坐 像 17~18세기에 조성된 마애보살상으로서 부 산지역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마애보살상 임 수영구 민락동 (옥련선원) 1점 2001. 5.16 제8호 동래부사 유심선정비 東 萊 府 使 柳 淰 善 政 碑 전체적으로 비신에 비해 이수와 귀부가 다 소 작은 편이나 조각 기법이 조선시대의 서 민적이고 해학적인 면을 잘 나타내고 있어 비석의 건립 시기인 1651년 당시의 조각 양 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임 부산광역 시립 1기 2001.10.25
838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9호 혜원정사 팔상도 慧 苑 精 舍 八 相 圖 석가모니 부처가 탄생부터 열반에 들때까지 의 일대기를 8단계로 나누어 그린 그림으 로,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18세기 팔상도의 전통도상 계승과 변화를 살필 수 있는 자료 임. 연제구 연산동 1131-1 (혜원정사) 8폭 2002. 5. 6 제10호 아미타극락회상도 梵 魚 寺 阿 彌 陀 極 樂 會 上 圖 서방극락세계를 주관하는 아미타여래와 보 살, 신중 등을 그린 불화로서, 제작시기가 뚜렷하고 19세기 불화 도상의 흐름을 연결 하고 있으며, 민중불화의 흐름을 이은 작품 으로 조선후기 불교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 료임. 성보 1폭 2003. 9.16 제11호 청풍당 아미타극락회상도 梵 魚 寺 淸 風 堂 阿 彌 陀 極 樂 會 上 圖 서방극락세계를 주관하는 아미타여래와 보 살, 신중 등을 그린 불화로서, 민중불화의 흐름을 이은 작품으로 조선후기 불교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임. 1폭 제12호 석가26보살도 梵 魚 寺 釋 迦 26 菩 薩 圖 상단 중앙의 석가상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상하 3단으로 26보살을 배치한 이 작 품은 제작시기가 뚜렷하고 조선후기 영남지 역 화승의 계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19세 기 불화 도상의 흐름을 연결하는 작품임. 제13호 비로자나불회도 梵 魚 寺 毘 盧 舍 那 佛 會 圖 화면 중앙에 크게 강조된 비로자나불을 중 심으로 여러 보살과 제자상들이 섬세한 인 물 묘사와 선명한 색채 등이 돋보이는 조선 후기 불화임. 1폭 제14호 칠성도 梵 魚 寺 七 星 圖 중앙에 여래 1구를 중심으로 좌우에 3구씩 의 여래를 배치하고, 하단에는 동자를 상단 에는 군상을 표시한 칠성도는 제작시기가 뚜렷하고 조선후기 불화의 도상의 흐름을 연결하는 작품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음. 1폭 제15호 마하사 영산회상도 摩 訶 寺 靈 山 會 上 圖 석가여래가 깨달음을 얻은 후 영취산에서 보살, 사천왕 등 청중, 제자 등에게 설법하 는 장면을 나타낸 불화. 마하사 (위탁보관) 1폭 제16호 마하사 응진전 영산회상도 摩 訶 寺 應 眞 殿 靈 山 會 上 圖 석가여래가 깨달음을 얻은 후 영취산에서 보살, 사천왕 등 청중, 제자 등에게 설법하 는 장면을 나타낸 불화. 연제구 연산동 (마하사) 1폭 제17호 마하사 응진전 16나한도 摩 訶 寺 應 眞 殿 一 六 羅 漢 圖 석가여래의 제자인 나한을 소재로 한 불화 로서, 산수를 배경으로 나한상이 다양한 모 습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총4폭으로 구성되 어 있음. 연제구 연산동 (마하사) 3폭 2003. 9.16
ⅩⅩ. APPENDIX 839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18호 제19호 마하사 대웅전 석조석가여래삼존상 摩 訶 寺 大 雄 殿 石 造 釋 迦 如 來 三 尊 像 마하사 응진전 목조석가여래좌상 摩 訶 寺 應 眞 殿 木 造 釋 迦 如 來 坐 像 중앙의 석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상이 1구씩 안치된 삼존상으로, 마하사 대웅전 內 유리상자 안에 봉안되어 있음. 마하사 응진전의 주본불로서 결가부좌한 목 조석가여래좌상으로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조선후기 부산 경남 지역 불교 미술의 양식과 계보를 살필 수 있는 작품임. 3구 2003. 9.16 1구 제20호 마하사 응진전 석조나한상 摩 訶 寺 應 眞 殿 石 造 羅 漢 像 응진잔 나한도 앞에 봉안된 12궁의 나한상 으로 화강석 위에 백토를 바른 후 기름을 발라 처리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함. 12구 제21호 목조시방삼보자존패 梵 魚 寺 木 造 十 方 三 寶 慈 尊 牌 조선시대 불전의 불단 위에 많이 봉안되어 졌던 불교의식구의 하나인 願 牌 로서 조선 시대 원패의 일반적인 형태를 따르고 있으 며, 특히 조각 의장이 돋보이는 작품임. 성보 1점 제22호 제23호 목조석가여래위패 梵 魚 寺 木 造 釋 迦 如 來 位 牌 목조옴마니 반메훔소통 梵 魚 寺 木 造 옴마니 반메훔 疏 筒 부처와 보살의 名 號 를 적어 불단에 봉안하 던 패로서, 조선후기 불단 봉안 목패의 기 본형태가 잘 드러나 있는 작품임. 사찰에서 불교의식을 행한 후 다 읽고 난 발원문이나 疏 文 을 넣어두기 위해 불단의 좌우에 안치하던 소통으로 크기가 1.3m를 넘는 대작일 뿐 아니라 섬세하고 다양한 조 각의장,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채색기법 등 현존하는 조선 후기 소통 중에서도 돋보이 는 작품임. 1점 1점 제24호 목제어피인통 梵 魚 寺 木 製 魚 皮 印 筒 사찰에서 사용하던 각종 인장을 보관하던 인통으로 조선후기 정교한 불교공예의 진수 를 보여주는 자료임. 1점 제25호 연 梵 魚 寺 輦 사찰에서 불교의식이나 불상을 운반할 때 사용하는 가마로 조선 후기 연의 형태를 고 찰할 수 있는 자료임. 1점 제26호 제27호 제28호 바라 梵 魚 寺 바라 선암사 괘불탱 仙 巖 寺 掛 佛 撑 변관식필 영도교 卞 寬 植 筆 影 島 橋 바라는 바라춤을 출 때 향을 공양할 때 經 을 열람할 때, 설법이나 큰 집회를 행할 때, 장례의식을 할 때, 새 주지를 맞이할 때 등 불교의식에 사용하는 타악기임. 주선후기~말기 탱화양식을 계승하고 있으 면서 1920년대 괘불제작 양식을 알 수 있는 작품임. 1948년 당시 부산 근대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변곽식이 직접 영도다리를 보고 그린 실경 산수임. 성보 부산진구 부암동 628번지 (선암사) 1점 2003. 9.16 1폭 2004.10. 4 1폭
840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29호 안적사 지장시왕도 安 寂 寺 地 藏 十 王 圖 명부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을 그린 불화 임. 성보 (위탁보관) 1폭 2005. 3. 3 제30호 안적사 아미타극락회상도 安 寂 寺 阿 彌 陀 極 樂 會 上 圖 서방극락정토를 주관하는 아미타여래를 그 린 불화임. 1폭 제31호 대원사 독성탱 大 願 寺 獨 聖 幀 천태산에서 호로 수행하고 있는 나반존자를 그린 불화로, 조선 후기 불화로는 화격이 높은 그림임. 부산진구 가야동 산40번지 (대원사) 1폭 제32호 미인도 美 人 圖 조선후기 우수한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 되는 미인도임. 1폭 제33호 연등사 석가영산회상도 燃 燈 寺 釋 迦 靈 山 會 上 圖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불법을 설법하는 장 면을 그린 불화임. 동구 좌천동 839-3번지 (연등사) 1폭 2005.12.27 제34호 청량사 석가모니후불탱 淸 凉 寺 釋 迦 牟 尼 後 佛 幀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불법을 설법하는 장 면을 그린 불화임. 강서구 명지동 445번지 (청량사) 1폭 제35호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 福 泉 寺 釋 迦 靈 山 會 上 圖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불법을 설법하는 장 면을 그린 불화임. 영도구 신선동3가 산6번지(복천사) 제36호 금정진 관아터 金 井 鎭 官 衙 址 조선후기 왜적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축 조된 금정산성을 관리하던 관방시설의 유적 지로 관아의 성격과 관군 및 승군들의 생활 상 등을 조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임. 금정구 금성동 280번지 일원 2006. 7. 3 제37호 선암사 금고 仙 巖 寺 金 鼓 사찰의 법당에 비치하여 법회의 시작을 알리거나 사람을 모으기 위해 치는 의식 법구. 선암사 금고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부산진구 부암동 628번지 (선암사) 1구 2006.11.25 제38호 복천사 독성도 및 복장유물 일괄 福 泉 寺 獨 聖 圖 및 服 裝 遺 物 一 括 1892년에 제작된 본 작품은 천태산에서 수 행하고 있는 나반존자를 그린 불화로 뒷면 중앙에서 다라니 진언 기문 등의 복장물 이 확인됨 영도구 신선동 산6번지 (복천사) 1폭 2007. 9. 7 제39호 복천사 현왕도 및 복장유물 일괄 福 泉 寺 現 王 圖 및 服 裝 遺 物 一 括 사람이 죽어서 3일 후에 받는 심판을 주재 하는 현왕(염라대왕)을 중심으로 묘사한 불 화로 법당 안의 현왕단에 봉안됨. 1폭
ⅩⅩ. APPENDIX 841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40호 동래부산도병 東 萊 釜 山 圖 屛 20세기 초 동래 즉, 현재의 부산 시역을 그린 회화에 지명을 부기한 10폭 병풍으로 동래부 의 각 면과 釜 山 府 의 釜 山 面 을 망라하고 있음. 부산광역 시립 1종(10폭) 2007. 9. 7 제41호 척판암 석조여래좌상 擲 板 庵 石 造 如 來 坐 像 신체에 비해 비교적 큰 방형의 얼굴, 대의 와 수평상의 승각기에서 보이는 도식적이 고, 딱딱한 옷주름 표현 등에서 전형적인 조선 후기 불상 조각의 표현이 엿보임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산53-1 (척판암) 1구 2008. 4. 2 제42호 묘관음사 오여래탱 妙 觀 音 寺 五 如 來 幀 화기와 그림이 분리되고 작품에 덧칠하여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으나, 18세기 부산 및 영남 지역 화사연구 등에 자료적 가치가 있는 불화임.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산1번지 (묘관음사) 5폭 제43호 운수사 아미타삼존도 雲 水 寺 阿 媚 陀 三 尊 圖 아미타삼존을 그림 족자형 불화로 화기를 통해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알 수 있어 당시 의 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 높은 문화재 임. 사상구 모라동 5번지 (운수사) 1폭 2008. 9.11 제44호 국청사 금정산성승장인 國 淸 寺 金 井 山 城 僧 將 印 놋쇠로 만든 인장으로 손잡이 부분과 함께 한 틀에 주조되어 있으며, 국청사의 성격과 금정산성의 승병관계를 실증적으로 알려주 는 소중한 자료. 성보 (위탁보관) 1점 제45호 자수수복문 병풍 梵 魚 寺 刺 繡 壽 福 文 屛 風 돌이나 부모 회갑에 다복장수를 기원하며 여러 가지 전서( 篆 書 )를 변형하여 백가지 글자로 수( 壽 )와 복( 福 )자를 쓴 것으로 일종 의 기원문임 1점(10폭) 제46호 묘관음사 불자 妙 觀 音 寺 拂 子 삼이나 짐승의 털을 묶어서 자루 끝에 맨 것으로 원래는 벌레를 쫒는데 쓰는 생활용 구이나, 불가에서는 수행자가 마음의 티끌 이나 번뇌를 털어내는 상징적 의미의 불교 용구임.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 산1번지 (묘관음사) 1점 제47호 기장 장관청 機 張 將 官 廳 동래부의 장관청과 함께 전국적으로 유래가 드문 군관용 관아건물. 17세기 후반 이후 기장 지역 관아건축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유구임. 기장군 기장읍 동부리 216번지 1동 2008.12.16 제48호 내원암 석조보살좌상 梵 語 寺 內 院 庵 石 造 菩 薩 坐 像 조선 후기에 흔히 찾아볼 수 없는 두건형 보살상으로 중요성이 인정되는 문화재임. 금정구 청룡동 571번지 (내원암) 제49호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福 泉 寺 石 造 釋 迦 如 來 및 菩 薩 坐 像 금속으로 별도로 만들어 불보살상에 끼운 고리 형태의 두광은 일본의 헤이안 후기 조 각에서부터 유행하였던 외래요소가 새롭게 차용되었다는 점이 흥미로움 영도구 신선동 산6번지 (복천사) 2구
842 ⅩⅩ.. 부 록 2. 문 화 재 현 황 (계속) 제50호 관음정사 석존상 觀 音 精 舍 石 尊 像 보존상태가 양호한 석존상으로 조선시대 두 건조각상이 대체로 목재인데 반해 석재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음. 해운대구 반여3동 131-5번지 (관음정사) 1구 2009.12. 7 제51호 교린수지 交 隣 須 知 일본에서 조선과의 외교 및 교역에 필요한 조선어 통역관 양성을 위해 편찬 간행되었 던 조선어 교재로 국내에 보존되어 있는 유 일한 초간본임 부산시립 시민도서관 4책 (67항목으로 구성) 제52호 석조여래좌상 石 造 如 來 坐 像 불석으로 조성된 소형 불상으로 조선 후기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19세기말 석조 불상 양식과 제작의 좋은 자료임. 금정구 중앙대로 2104 (금정중학교) 1구 2010. 5.24 제53호 선암사 삼층석탑 仙 巖 寺 三 層 石 塔 기단부와 탑신석 및 상륜부가 소실된 채 옥 개석만 남아있어 전체적인 원형은 갖추고 있지 않으나, 선암사의 역사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임. 부산진구 부암동 628번지 (선암사) 1기 제54호 쌍구장경호 雙 口 長 頸 壺 2개의 아가리를 가진 삼국시대 도질토기로 가야 토기의 양상을 해명할 수 있는 자료이며, 2개의 아가리가 있는 토기가 출토된 예가 드물어 삼국시대 토기 연구의 좋은 자료임 1점 2010. 9.20 제55호 마문장경호 馬 文 長 頸 壺 전체적인 형태와 문양 등으로 볼 때 5세기 후반에 제작된 신라토기로 추정되며, 아가리 부분의 일부 수리된 점 외에는 보존상태가 매 우 좋으며, 신라토기 연구의 중요한 자료임. 1점 제56호 전 이순신 초상 傳 李 舜 臣 肖 像 이순신 장군 관련 초상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며, 초상을 극세화로 그리기 어려운 비 단에 그려 작품 자체 수준이 매우 높음. 1점 2010. 9.20 제57호 고려삼층석탑 梵 魚 寺 高 麗 三 層 石 塔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지니고 있으나, 석탑의 전체적인 규모와 옥개받침의 양식 등으로 볼 때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삼층석탑임. 경내 1기 (높이 1.8m) 2011. 3.26 제58호 신흥사 치성광삼존도 新 興 寺 熾 盛 光 三 尊 圖 한 폭의 비단에 치성광여래와 협시보살 및 성군과 천자를 묘사한 치성광삼존도 형식의 불화로 1885년에 제작되었음.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77-20 (신흥사) 1폭 2012. 5.17 제59호 용적사 독성도 龍 積 寺 獨 聖 圖 1909년이라는 정확한 제작 연대를 가지고 있으며, 구한말~20세기 초에 경상도 지역에 서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화승의 작품임. 강서구 한적로 41-56 (용적사) 1폭 제60호 관음사 묘법연화경 觀 音 寺 妙 法 蓮 華 經 조선시대 명필인 성달생, 성개 형제가 선친 의 명복을 기원할 목적으로 정서한 법화 경 을 板 下 本 으로 하여 1405년)에 전라도 도솔산 안심사에서 도인 신문( 信 文 )이 주 관하여 목판 으로 새긴 것을 후쇄한 책임. 사하구 제석로 79번길 (관음사) 1책
ⅩⅩ. APPENDIX 843 2. Cultural Properties (Cont'd) 제61호 백련사 석조여래좌상 白 蓮 寺 石 造 如 來 坐 像 1906년에 편수 문혜산( 文 惠 山 )이 제작한 것 으로 20세기 초 부산 경남 지역의 불상 제 작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큰 유물임. 남구 이기대 공원로 85-74 (백련사) 1구 2012. 5.17 제62호 취정사 석조여래좌상 鷲 井 寺 石 造 如 來 坐 像 조선 후기 불석재 석조불상의 전형적인 특 징인 머리와 일체인 나발( 螺 髮 ), 양 손을 무 릎 위에 내린 수인( 手 印 ), 면적( 面 的 )인 법 의 조각 기법 등을 보여주는 불상임 기장군 일광면 상곡길 55 (취정사) 1구 2012.10.30 제63호 기장향교 풍화루 機 張 鄕 校 風 化 樓 19세기 중엽에 지은 장식성이 강한 1출목 이익공식의 건물로 조선 말기의 건축특징적 인 경향을 잘 보여 주는 건축 문화재임.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417번길 35 (기장향교) 1동 제64호 홍제사 보광암명 범종 弘 齊 寺 寶 光 庵 銘 梵 鍾 1935년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범종으로 종신 에 있는 조성기를 통해 조성연대, 봉안처, 제작자, 시주자 등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 며, 남아 전하는 사례가 드문 일제강점기 금속공예품임. 부산진구 진남로 304번길 34 (홍제사) 1구 제65호 동래향교 반화루 東 萊 鄕 校 攀 化 樓 동래향교 정면에 위치하는 남루로 동래향교 경내의 문 가운데 건축적으로 가장 위계가 높은 樓 門 임. 동래구 동래로 103 (동래향교) 1동 정면 3칸, 측면 2칸 2013.5.8. 제66호 안심사 삼세불회도 安 心 寺 三 世 佛 會 圖 1879년에 금어 春 澤 堂 奉 恩 이 제작. 제작시 기, 제작자가 뚜렷하고, 삼세불도상 하단에 관음상과 천부상이 상하로 배치된 독특한 구성을 지닌 불화. 북구 공해4길 98-100(안심사) 1폭 제67호 원각사 현왕도 圓 覺 寺 現 王 圖 19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보존상태가 매 우 양호하고, 조선 후기 현왕도 중에서도 섬세한 표현기법이 엿보이는 작품 해운대구 장산로 427-291(원각사) 1폭 제68호 승학사 석조여래좌상 乘 鶴 寺 石 造 如 來 坐 像 전형적인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인 신체에 비해 머리가 코고, 상반신에 비해 하반신이 약간 넓은 신체 비례를 보이는 작품임. 사상구 학감대로49번길 54-36(승학사) 1구 제69호 금강사 묘법연화경 ( 金 剛 寺 妙 法 蓮 華 經 ) 계환이 주해한 것을 저본으로 하여 1646년 통도사에서 간행하였으며, 7권 7책의 완질 본으로 經 匣 이 갖추어져 있어 전체적인 보 존상태가 양호함. 동래구 우장춘로 211 금강사 7권 7책 2013.5.8. 제70호 구 한국은행 부산본부 ( 舊 韓 國 銀 行 釜 山 本 部 ) 1963년 건축된 한국건축가 1세대 이천승선 생이 설계한 건물로 금융건축의 전형적인 평면형식을 갖고 있으며, 근대적 조형과 기 능성이 돋보이는 대표적인 금융 건물임. 중구 대청로 112 1동 (지하 1층, 지상 6층) 보호구역 : 3,028m2 2013.9.25. 제71호 삼강행실도 ( 三 綱 行 實 圖 ) 백성을 대상으로 한 조선시대의 윤리 도덕 교과서이며, 가장 먼저 편찬 간행 되었을 뿐 아니라 가장 많이 읽힌 책. 사례마다 삽화가 수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삽화본의 대표적 예로도 유명함. 부산대학교 도서관 2책 2013.10.23.
844 ⅩⅩ.. 부 록 3. 자매결연도시 및 행정협정도시 현황 자매결연도시(Sister cities) 단위 : 인구 - 천명, 면적 - km 2 Unit : population - thousand person, area - km 2 국 가 별 Nation 도 시 별 City 결연일자 Date of establishment 인 구 Population 면 적 Area 기 온 Temperature 주 요 산 업 Major industries 도 시 특 성 Characteristics of the city 대 만 Taiwan 카오슝( 高 雄 ) (Kaohsiung) 66. 6.30 1,520 154 25.7 철강, 조선, 석유산업 대만 제2의 도시 대만 최대의 항만도시 미 국 U.S.A. 로스엔젤레스 (Los Angeles) 67.12.18 3,849 1,290 20.3 우주 항공방위산업 영화산업 태평양 연안의 최대 항구도시 미국 제3의 도시 서부지역의 교통 상공업중심지 일 본 Japan 시모노세키 ( 下 關 ) (Shimonoseki) 76.10.11 300 716 16 수산업(냉동 통조림 어망 등) 일본의 주요 항구도시 부산간 정기 고속여객선운행 ( 釜 關 페리호 : 71.6) 스페인 Spain 바로셀로나 (Barcelona) 83.10.25 1,605 100 16.1 시멘트, 섬유, 의약품, 기계 등 2천년 역사의 스페인 제2의 도시 지중해연안 주요 항구도시 92 올림픽 개최지 브라질 Brazil 리우데자네이로 (Rio de Janeiro) 85. 9.23 6,000 1,356 24.1 농업, 상업 브라질 제2의 도시 세계 3대 미항 러시아 Russia 블라디보스톡 (Vladivostok) 92. 6.30 595 600 10 어업 및 수산가공업 극동의 관문으로서 연해주수도 러시아 최대의 항구 군사도시 중 국 China 샹하이( 上 海 ) (Shanghai) 93. 8.24 18,580 6,340 16 화학, 철강, 섬유, 기계, 전기, 전자 중국 제1의 도시로서 상업 금융 무역의 중심지 국제관문으로 항공, 철도, 해상교통이 발달 인도네시아 Indonesia 수라바야 (Surabaya) 94. 8.29 3,100 329 27.8 무역, 제조, 제지, 수산, 조선업 등 인도네시아 제2의 도시 최대 항만도시 서비스업, 관광자원 및 풍부한 에너지 자원 보유 오스트레 일리아 Australia 빅토리아주 (Victoria) 94.10.17 5,205 237,629 22 농업 및 에너지관련 산업 항만, 공항, 전철 등 호주의 교통중심 항만도시 맬버른이 주도시 멕시코 Mexico 티후아나 (Tijuana) 95. 1.17 1,286 637 21 관광, 식품, 의료, 금속가공 등 나프타권 멕시코 공업무역중심 미국 중부지역 연결 교통중심 베트남 Vietnam 호치민 (Ho Chi Minh) 95.11. 3 8,400 2,098 27.3 농업, 공업, 선박업, 무역업, 금융업, 관광업 베트남내 경제성장 1위 베트남내 3개 특별시중 하나 뉴질랜드 NewZealand 오클랜드 (Auckland) 96. 4.22 380 295 18 관광, 해양스포츠, 목축 등 뉴질랜드 제1의 항만도시 산업경제의 중추도시 칠 레 Chile 발파라이소 (Valparaiso) 99. 1.27 277 326.3 10 어업, 농업 칠레 최대 항구도시 칠레의 입법수도 남아프리카공화국 South Africa 웨스턴케이프주 (Western Cape) 2000. 6. 5 4,110 129,370 16 석유정제, 자동차조립, 화학제품, 선박수리 등 항구도시 케이프타운을 중심 남아공 제2의 주 캐나다 Canada 몬트리올 (Montreal) 2000. 9.19 1,620 365 6.2 철도관계, 항공기, 목재 등의 공업 캐나다 제2의 무역중심도시 터어키 Turkey 이스탄불 (Istanbul) 2002. 6. 4 11,373 1,830 20 섬유, 식품가공, 농기구, 고무 등 공업 터어키 제1의 경제중심도시 EU, 동유럽 재수출 전진기지
ⅩⅩ. APPENDIX 845 3. The Present Condition of Sister Cities and Friendship & Cooperation Cities 자매결연도시(Sister cities) 단위 : 인구 - 천명, 면적 - km 2 Unit : population - thousand person, area - km 2 국 가 별 Nation 도 시 별 City 결연일자 Date of establishment 인 구 Population 면 적 Area 기 온 Temperature 주 요 산 업 Major industries 도 시 특 성 Characteristics of the city U.A.E 두바이 (Dubai) 2006.11.13 2,262 4,114 30 관광, 항만 중동의 경제, 통상, 정보산업 중심지, 중동지역 최대의 무역항 일 본 Japan 후쿠오카 (Fukuoka) 2007. 2. 2 1,420 340 16.3 강철, 시멘트, 화학, 고무제품 등 일본큐슈 동북단에 위치한 서일본 거점도시 미 국 U.S.A. 시카고 (Chicago) 2007. 2. 2 2,900 590 9.4 금융, 통신, 자동차, 기계산업 등 미국 제2의 도시, 전시 컨벤션 도시, 세계 선물시장의 중심지 러시아 Russia 샹트페테르부르크 (St. Petersburg) 2008. 6.11 4,600 1,439 4.2 관광, 항만, 문화 등 러시아 제2의 도시,제1항만도시, 관광 문화 행정 공업중심도시 캄보디아 Cambodia 프놈펜 (Phnom Penh) 2009. 6.11 1,320 375 27 관광, 상업, 농업, 어업 등 항구도시, 세계7대 불가사이 앙코르와트유적지가 있음 인 도 India 붐바이 (Bumbai) 2009.11.19 18,000 438 27 금융, 상업 등 영화산업발달, 인도기업의 본사가 많음 - 상업도시 그리스 Greece 데살로니카 (Thessaloniki) 2010. 3. 8 350 18 15 항만, 가구, 관광 등 관광 컨벤션도시 세부항, 국제공항 보유 모로코 Morocco 카사블랑카 (Casablanca) 2011. 4.26 3,672 324 22 항만, 공업, 관광 모로코 제2도시 수출입 무역중심지 필리핀 Philippines 세부주 (Cebu) 2011.12.16 2,500 4,933 31 항만, 가구, 관광 컨벤션 동남아시아 최대 관광휴양도시 미얀마 Myanmar 양곤시 (Yangon) 2013. 1.14 7,000 599 27.3 항만, 상업, 농산품 미얀마 최대 항구소재 미얀마 경제,상업 교역 중심지 우호협력도시(Friendship and Cooperation Cities) 단위 : 인구 - 천명, 면적 - km 2 Unit : population - thousand person, area - km 2 국 가 별 Nation 도 시 별 City 결연일자 Date of establishment 인 구 Population 면 적 Area 기 온 Temperature 주 요 산 업 Major industries 도 시 특 성 Characteristics of the city 중 국 China 심천( 深 圳 ) (Shimchun) 2007. 5.17 12,000 2,020 18 하이테크 과학기술 세계4위 항만(중국2위) 중국 최초의 경제 특구 중 국 China 천진( 天 津 ) (Chunjin) 2007. 7.23 11,150 11,900 16 기계, 전자, 야금, 화학공업 중국 4대 직할시 중 하나로 북방의 최대 상업무역중심지 일 본 Japan 오사카( 大 坂 ) (Osaka) 2008. 5.21 2,630 221 15.5 상업, 경공업, 금속, 기계, 화학 등 중공업 일본 제2의도시, 간사이중추도시, 세계주요도시 서미트회, 의장도시 중 국 China 충칭( 重 慶 ) (Chongqing) 2010.12. 2 35,000 82,400 18 관광, 문화 등 4대 직할시중하나, 세계 최대면적, 인구보유, 중국 서부대개발의 중심 태 국 Thailand 중 국 China 방콕 (Bangkok) 북경( 北 京 ) (Bejing) 2011. 7.11 5,700 1,568 28 2013. 8.14 20,693 16,410 11.8 관광, 제조업 등 태국 중부, 태국의 수도 관광 문화중심시, TPO회원도시 기계, 전자, 화공, 방직 도시순번은 결연날짜순으로 기재되었음. 기초통계의 기본 자료는 세계대도시비교통계연보( 93, 94. 일본동경도)를 참고하였음. 그 외 기타자료는 국제협력과의 자료를 참고하였음. 중국의 수도 중국 정치 문화 국제교류의 중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