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Similar documents
untitled

~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7단원 1(252~269)교

服飾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02이용배(239~253)ok

¼øâÁö¿ª°úÇÐÀÚ¿ø

5,678,689 5,462, , ,679,338 5,462, , 증 )649 5,222,334 5,006, ,

* pb61۲õðÀÚÀ̳ʸ

<28BCF6BDC D B0E6B1E2B5B520C1F6BFAABAB020BFA9BCBAC0CFC0DAB8AE20C1A4C3A520C3DFC1F8C0FCB7AB5FC3D6C1BE E E687770>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01정책백서목차(1~18)

연구노트

¹ßÇ¥¿äÁö

쌍백합23호3

移대떎濡앹떆??0??2?쇰궡吏€-?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C7D1B9CEC1B7BEEEB9AEC7D03631C1FD28C3D6C1BE292E687770>

- 89 -

<34372DB5B5BCADC1F6BFAA2E687770>

278 경찰학연구제 12 권제 3 호 ( 통권제 31 호 )

2002report hwp

- 2 -

DBPIA-NURIMEDIA

CC hwp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B1A4B0EDC8ABBAB8C7D0BAB8392D345F33C2F75F E687770>

IKC43_06.hwp


304.fm

GS건설채용브로셔-2011

지표3권1-265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 (Jane Jacobs)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 (William Whyte) 1969 Street Life Project ,. 2.,.. (microclimate) (thermal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ÇÃà»ç¶û2¿ùÈ£-2»©´Ù

2003report hwp

[로플랫]표준상품소개서_(1.042)

나하나로 5호

동아시아국가들의실질환율, 순수출및 경제성장간의상호관계비교연구 : 시계열및패널자료인과관계분석

2. 한옥 건축기준과 특성 2. 한옥의 건축기준과 특성\ 않다. 다만, 여기서는 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원칙으로서 주택을 상정하고자 한다. 문화재 한옥은 역사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좁은 범위의 한옥이라고 할 수 있으 며, 많은 새로운 한옥들

ad hwp

XXXXXX XXXXXX

STATICS Page: 7-1 Tel: (02) Fax: (02) Instructor: Nam-Hoi, Park Date: / / Ch.7 트러스 (Truss) * 트러스의분류 트러스 ( 차원 ): 1. 평면트러스 (planar tru

09김정식.PDF

서론 34 2

CT083001C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FSB-12

433대지05박창용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4권6호-전체최종.hwp

歯kjmh2004v13n1.PDF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RVC Robot Vaccum Cleaner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4-Ç×°ø¿ìÁÖÀ̾߱â¨ç(30-39)

141018_m

ad hwp


2ÀåÀÛ¾÷

pdf 16..

미얀-내지-8차

愿묒쭊援??섏젙諛깆꽌?댁?0907

2009_KEEI_연차보고서

hwp

<303720C7CFC1A4BCF86F6B2E687770>

178È£pdf

000표지

01¸é¼öÁ¤

041~084 ¹®È�Çö»óÀбâ

2016년 신호등 3월호 내지A.indd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8, Vol. 28, No. 4, pp DOI: * A Research Trend

18-도2-베트남 :37 AM 페이지230 설계 감리사례 사업의 개요 1. 서론 - 사 업 명 : THE SECOND NORTHERN 본 사업은 ADB차관 사업으로 지역 내 도로 네 GREATER MEKONG SUB- 트워크와 운송 서

(

±³À°È°µ¿Áö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322DB3EDB9AE2E687770>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157~168-라오스


5권심층-양화1리-1~172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016, Vol. 26, No. 2, pp DOI: * Experiences of Af

4-Ç×°ø¿ìÁÖÀ̾߱â¨è(51-74)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DBPIA-NURIMEDIA

Transcription:

태국전통주택의평면적특성에대한고찰 - 중부, 북부지방을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of The Thai Traditional House - Focus on Central and Northern Region - 주서령 * 김보미 ** Ju, Seo Ryeung Kim, Bo Mi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hai houses are p ost-and-beam structure, lifted floor on p illars, and gabled roof as like as houses in other Southeast Asia countries. However 'charn', connective terrace among each room, is the most unique element in Thai houses which m ake the area under the ' charn' cool and useful. In Thailand, there are number of housing types caused by historic, social, cultural and geograp hic factors.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mp arative study of p lanning of traditional Thai houses of central and northern region, which have the biggest differences in betw een. Thai traditional house in central region has symm etrical arrangement on layout and when family members are added, they ex tend 'charn' and attach another building. While in Northern region, the 'charn' is located not in the center and in the front, and the direction of the m ain building is p 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veranda. This research has a lim itation to b e generaliz ed b ecause j ust two region in Thailand were analyzed and the numbers of case studies w ere few. Nev ertheless, w e ex pect this p aper to be a p rim ary guidance to understand Thai traditional houses and w e also exp ect that our research area w ill cover the all areas in Thailand and finally ex pand to conclude the comm onality and diversity of traditional houses in Southeast Asia in the future. K eyw ord : Thailand, Traditional House, Central region, Northern region 주요어 : 태국, 전통주거, 중부지방, 남부지방 Ⅰ. 서론 1. 연구의배경및목적다양한유형의전통주택은각민족의라이프스타일과기후적, 환경적영향의총체이며현대화된주택의평면구성원리에도그특성이남게된다. 동남아시아국가중에서도태국은유일하게서구세력의식민지배가없었던지역으로독자적인문화를고수하며전통에대한강한자부심을가지고있는국가이다. 국내에서는동남아시아지역연구중베트남과말레이시아주거에연구는다소진행되었지만, 아직태국주거에관한선행연구는찾아보기어렵다. 본연구는동남아시아주거에대한비교문화적고찰을위한단계적연구의일환으로, 태국의전통주거연구를시작하려하며, 가장기초단계가되는평면적특성을파악하는것을주요연구내용으로채택하였다. 태국의전통주택 1) 은기후와환경적조건이비슷한근접 * 정회원 ( 주저자 ), 경희대학교주거환경학과교수, 생활과학연구소연구원 ** 정회원 ( 교신저자 ), 경희대학교주거환경학과석사과정 1 ) 태국의전통주택의유형을구분하면수상주거 (the riverside raft house), 대가족의클러스터하우스 (the stem family s clustered houses), 숍하우스 (the shop house), 수도원 (houses for monks), 오두막 (rice-field shacks) 등으로나뉜다. 이중클러스터하우스가 국가와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고유의 사회문화 적 특성에 따라 태국만의 독자적인 조형적, 공간적 특성 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독자성은 태국 내의 지역에 따라, 그리고 역사적 배경에 따라서도 다양하게 나타난 다. 태국의 대표적인 전통주택은 중부지방의 주택으로, 아유타야 왕국의 관할에 소속되어 있던 북동지방, 남부지 방 등의 주택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북부지방의 주 택은 19세기까지 존속된 란나 (Lanna) 왕조의 영향으로 다 른 지역의 주거와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2)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태국의 대표적인 전통주택인 중부지방의 주택과, 독특한 주거형태를 보이는 북부지방의 주택을 비 교연구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중부와 북부로 설정하였 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태국 전통주택을 대상으로 그 평 면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생활양식 및 지역적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며, 향후 동남아시아의 주거 일반적인태국전통주택으로알려져있다. Chaichongrak(2000), The Thai House p11 본연구에서는클러스터하우스를주요연구대상으로하고있다. 2) 란나왕국이존속되었던북쪽지방은산과언덕, 계곡으로둘러싸여있어 1920년철도가생기기전까지문화적으로중부지방과는단절되어있었다. 이러한이유로건축에서도중부지방과구별되는독자적인건축양식을고수할수있었다. Shan Wolody (2002), Thailand Sketchbook; Portrait of a Kingdom. p66

에대한비교문화적연구에기초적자료를제공할것으로기대한다. 2. 연구의방법및대상본연구의지역적범위는태국의중부내륙지방 3) 과북부지방이며, 대상적범위는근현대에전통형식을따라지어진목조주택으로한정한다. 연구의방법은문헌연구와현장조사연구를병행하였다. 즉문헌조사 4) 를통하여태국전통주택의평면적특성에대한일반적특성을파악하고, 이를바탕으로태국을방문현장조사 5) 함으로서문헌조사를통하여이해된평면적특성이실제로타이전통주택에어떻게적용되어있는지자세히관찰, 스케치, 사진촬영등의방법으로기록하여자료를수집하였다. Ⅱ. 태국전통주거형성의사상적배경 동남아시아주거에서토착신앙적사상이주거행위나주거형태에매우중요한결정요소이다 6). 태국에서도주택건축행위시토착신앙적인요소를발견할수있다. 땅이나집을지키는신이있다고생각해서음식을받치거나, 건축행위는매우신성시여겨져점성가와승려에의해사전의식이주관되는데, 이것은신비주의, 점성주의그리고브라흐만에근거를둔다고알려져있다. 즉택지를정할때에도성스러운위치를중요시여겼으며, 집을지을때쓰이는주요목재 7) 를선택할때나이사날짜를정할때도, 모두이러한신앙적의식에의존하였다. 생활속에서도그해의기후나쌀생산량을예측하거나, 숫자에길흉의미 8) 를두는데도이러한토속적신앙또는관습에의존하였다. 토착신앙적사고는마을과주택의질서에도영향을주었는데, 주택정면의방향을결정할때, 향이나바람의방향을고려하기보다는반드시강가또는도로를향하도록했으며, 마을에서집을배치할때에도집들이한방향으로정렬되어야된다고생각하였는데, 이러한생각들은맹목적인신앙적사고가아니라, 전자는통행의주요수단인강이나도로와주택과의관련성을고려하는실용적측면과후자는마을주민들사이에불화를막고조화롭게사려는지혜로서이해할수있다. 한편동쪽은해가뜨는방향이라하여상서롭다고여겨, 3) 태국은지역적으로크게중부지방, 북부지방, 북동지방, 남부지방으로구분된다. 호라양쿠라 (Horayangkura et al., 2001) 의연구에따르면타이 중부지방 주택에관한연구들은주택의물리적외형에관한측량작업과체계적분석을통해이루어져있는반면다른지방에관한연구들은비체계적이고축적디테일도미흡하다고하였다. 4) 참고문헌분석에주로사용한문헌은 Chaichongrak et al(2002). The Thai House. USA: River Books 와 Chami jotisalikorn et al(2002). Classic Thai. Singapore: Periplus Editions. 이며, 이외참고문헌목록에수록된문헌을기초로분석하였다. 5) 2010 년 10 월 20 일 ~22 일현장방문하여사례조사를실시하였음. 6) 주서령, 김민경 (2010), 동남아시아토속주거특성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6) 7) 옹이가있는목재는사용하지않았다. 8) 음력 3,5,7,8,10,11 달은불길하고, 음력 1,2,4,6,9,12 달은길조의달로여겨졌다. 주택의 입구는 동쪽을 선호하고, 서쪽을 피하도록 하였 다. 또한 주택의 형상이나 위계를 사람에 비유하는 신인동 형론적 사고도 존재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경우 인체의 기준을 집의 안주인의 양팔을 벌린 길이에 두고 있는 반 면 9), 태국은 남자 집주인의 손끝에서 팔꿈치까지의 길이 를 기준하고 있다. 정면 문의 폭도 집주인의 발길이의 4 배로 설계되어져야 된다고 믿는데, 만약 이보다 넓어지면 집주인이아프게 된다는 미신이있다. Ⅲ. 태국전통주택의일반적특성 1. 주택의구조적 조형적특성태국의전통주택은 ruen Thai derm 으로칭하져지는데, 강우량이많고우기에는홍수가발생하기쉬운열대성기후대의영향으로고상식주거형태가가장뚜렷한특징이다. 이는동남아시아에위치하는전통주택의가장대표적인특징중하나이다. 하지만다른지역의전통주택은다른기능의공간들이개별적으로기단을가지고서로다른바닥높이를가지고공간들이직접연결되는반면에, 태국의전통주택은 charn 이라는플랫폼이기단위에형성되고, 이위에서로다른기능의공간들이독자적인질서하에위치하게된다. 즉 charn 은인공대지로써태국전통주택의가장특징적인요소이다. 그림 1. 플랫폼 (charn) 위에형성된공간출처 : Chaichongrak (2000) p52 태국전통주택의구조는기본적으로 기둥- 보 의목구조방식이며, 벽체와박공널등주요판재는목재패널을프리패브화하여현장에서조립하는방식이다. 이러한구조방식이주택을해체하여타지역으로이동, 재건립하는태국의문화적관습을대변하고있다. 10) 태국전통주택조형성을좌우하는요소는지붕이다. 지붕은비를빠르게흘러내리게하기위하여가파른경사의박공지붕형태이며, 이박공지붕끝에는처마의기능을하도록단순한지붕이연장되어전체지붕은 2단의경사를가진박공지붕형태이다. 윗단박공측면에는박공측면으로비가들이치거나구조의마감을아름답게하기위한기능으로박공널과박공장식인팬롬 (panlom) 이설치되었는데, 이요소가지붕의조형적특성을결정짓는 9) 주서령 고영은 (2010), 말레이시아전통주택의특성에관한연구, 루마펭훌루를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6) 10) 기본적공간구성은주침실채와부엌채로구성되는데, 가족수가증가하거나자녀가결혼할경우주침실채에대칭이나직교방향으로채를늘려간다. 또는딸이결혼을하면사위가살던집을옮겨와딸의부모집에연결하여사용하기도한다. 즉주택의구조는증축이가능해야한다.

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태국의 전통주택은 단일채가 아 닌, 여러 채의 건물들이 질서있게 구성되는 군집형태 (cluster house) 를 나타내는데, 각각 채들이 독립된 지붕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멀리서 바라보면 박공지붕이 모 여 있으면서, 사이사이 아름다운 박공널과 팬롬이 화려한 자태를 나타내고있다. 베란다와 침실채 형성을 살펴보면, 중부지방은 베란다가 지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북부지방은 지붕의 방 향과 직교하여박공널 부분에 형성된다. a) 중부지방 b) 북부지방 베란다 (rabieng) 의배치출처 : Poomchai Punpairoj p12 재구성 베란다 (toen) 의배치출처 : 윤복자외 (2000) p162 재구성 그림 2. 중부지방과북부지방의베란다배치비교 2. 평면적특성 1 ) 평면의 배치특성 주택의 주진입은 계단을 통해서 플랫폼 (charn) 으로 올라 가게 되어 있다. 주택의 대지 역할을 담당하는 플랫폼 위 에는 기능별공간들이 독립채로 구성되어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과 기능별 공간의 배치 질서는 다양한 주 거유형을 만들어 내었다. 가장 단순한 유형은 단일가족의 주거로 플랫폼 (charn) 위에 주 침실채 (ruen norm) 와 부엌 채 (ruen khrua) 로 구성되었다. a) 확장형구성1 b) 확장형구성2 그림 4. 채연결을통한평면의확장 출처 : Chaichongrak (2000), p27 재구성 2) 플랫폼 (charn) 태국 전통주택이 가장 큰 특징은 기단위에 올려져 형성 되는플랫폼 기능의 찬 (charn) 이다. 각 실을 연결하는 테라스 역할을 담당하는 찬은 전체 바 닥면적의 40% 를 차지할 정도로 넓은데, 이는 덥고 습한 기후의 반영으로 야외공간 활동이 강조된 결과이다. 플랫 폼은 실내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며 다목적 개방공간 의역할을 한다. 플랫폼과 건물 배치와의 관계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 타난다. 플랫폼은 대부분 장방형 형태이며, 플랫폼 경계 를 따라 건물채가 위치하고, 중앙은 중정과 같이 개방공 간이다. 이러한 배치 특성은 한옥의 배치 방식과 매우 유 사하다는 생각이 들며, 매우 안정적인 공간 이미지를 제 공한다. 이 플랫폼 중앙에는 종종 과일나무를 심기도 하는데 11) 주택에 그늘공간과 볼거리를 제공한다. 플랫폼 주변으로 는 향기 나는 나무를 식목하고, 플랫폼에는 동양식 화분 위에식재하여 관상용으로 배치한다. 하지만 주로 플랫폼 위는 낮 시간동안은 비워져 있다고 한다. 왜냐하면 너무 더워서 플랫폼 위에서 생활하기가 어렵고, 주로 기단부 아래에서 휴식하거나 가사작업을 한 다고하며, 홍수 시기에만 플랫폼위로 올라와 생활한다. 하부 공간은 낮 시간에 실질적으로 일상생활이 가장 활 발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플랫폼 아래의 넓은 그늘 공간은 농기구를 보관하거나 소일거리를 하는 작업공간, 놀이공간, 손님 접대공간, 행사공간 등으로 이용되며 지 역에 따라서는 가축을 기르거나 닭장으로 사용하기도 하 지만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는 하부공간에 가축을 기르 는 것이 청결하지 않고 불쾌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건강 에좋지 않다고 여겨축사를 주택과 분리시킨다. 그림 3. 중부지방전통주택의기본구성출처 : Chaichongrak(2000), p27 재구성자녀가성장하여결혼하여가족이늘어나면, 기존주택을개조하여확대하는것은금기시되고, 독립채 (ruen khwang, ruen klang, hor klang) 를추가하여, 주택을확장하는방식을택한다. 즉확대가족 (stem family) 을위한주택으로그림 < 3-a> < 3-b> 의형태를나타낸다. 결국태국전통주거의유형은태국전통가족의가계도의다양성을반영한결과라고할수있다. 그림 5. 플랫폼중앙에위치한나무출처 : Chaichongrak(2000) p52 그림 6. 농기구를보관하고있는하부공간의모습출처 : Chaichongrak(2000) p48 11) 나무는플랫폼을관통하여지나가므로, 건물이들어서기전에식목한다.

3) 주 침실채 (ruen norn, sleeping unit) 작은 작은 기본단위는 폭이 6~9 소크 12) (sork) 길이가 15~18 소크로, 침실채의 기본은 3칸으로 구성되며, 2칸은 침실, 1칸은 개방공간 (open hall) 으로 구성된다. 개방공간 에는 부처를 모시는 제단이 설치된다. 상류주택 (ruen khahabodi) 의 경우에는 침실채의 폭이 8~9 소크에 달한 다. 침실채 앞에는 베란다 13) 가 설치되는데, 벽은 없지만 처 마가 덮여져 있고, 기능적으로는 플랫폼과 침실채를 연결 시켜주는 현관역할을 하지만, 한옥의 대청과 같이 휴식 및 생활공간으로 중요하게 활용된다. 베란다는 플랫폼보 다 30~40cm 높은 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스럽게 걸 터앉기 용이하다. 베란다보다 침실은 바닥이 다시 30~40cm 높게 설치되 고 14), 높은 문지방으로 인하여, 베란다에서 침실로 들어 가는 문앞에는 나무로 만들어진기단이 놓여진다. 지붕이 덮인 베란다는 각 채의 진입로에 위치하며 중부 지방은 지붕의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북부지방은 지 붕의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공간과 함께 낮 시간대주생활 공간으로 활용된다. 4) 부속채 (ruen loog 15), ruen k hw ang, ruen klang, hor klang) 식구가 확장하면서 필요한 자녀공간이나, 별도의 특정목 적의 실이 필요한 경우에는 주 침실채와 평행되게 또는 대부분은 직교하는방향에 놓이게 된다. 주로 이 채들은 세 방향은 벽을 가지나 베란다 쪽 면은 벽이 없고 개방되어 있다. 주로 이 공간들은 휴식, 손님 접대, 식사, 종교행위, 때로는 top knot cutting 16) 작업 또 는 결혼식까지행해지는 공간이다. 이 채들은 중정을 완벽히 면하여 개방되지만 부속채가 여럿이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주 침실채 측면에 설 치되거나 때로는 장방형 플랫폼 밖으로 돌출되어 배치되 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베란다를 통하여 플랫폼과 연 결된다. 5) 부엌채 (ruen khrua) 부엌은 보통 2칸으로 구성되며, 한칸은 부엌, 한칸은 식 사공간이다. 부엌의 바닥은 대나무로 구성되고, 틈이 생 기게 되며,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연기를 급속도 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돕는다. 반면에 식사공간은 다른 공간처럼 목재바닥이다. 부엌은 때로는 별도의 플랫폼을 가지고 독립되거나 일 반적으로는침실채와 직교방향으로 측면에위치한다. 태국음식의 특성상 조리 과정에서 강한 냄새와 열기가 발생하므로, 부엌에서는환기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반영하여 부엌채의 벽은 대나무줄기를 직조하여 (woven bamboo matting) 만든 벽패널로 지어지며, 박공 패널은 침실채의 것은 폐쇄적인 형태인데 반하여, 부엌의 것은 개방적이고, 햇살을 형상화된 패턴으로 개구부를 만 들어 통풍이 가능하게 하였다. 부엌 뒤에 설치된 플랫폼 은 목욕을하거나 세탁하는 공간이다. 6) 곡식창고 (long khao) 곡식창고는 long khao 라고 부르며 메인하우스와 분리되 어 집 앞 동쪽에 위치한다. 창고의 크기는 가정의 부를 상징하여 창고가 클수록 많은 곡식을 소유한 것으로 간 주한다. IV. 중부지방전통주택의사례분석 ;M.R. Kukrit House 17) 1. 구조적 조형적 특성 20세기 후반에 건설된 이 주택은 태국의 중부지방 전통 주택의 구성 원칙에 입각하고 있지만, 태국 고위계층 주 택으로 사용되면서 기단부의 공간 증축, 현대식 가구 및 재료 사용, 현대적 기능실 ( 욕실 ) 추가, 접이식 문 설치 등 많은부분이 현대화되었다 18). 경사진 박공지붕을 가진 주침실채, 4개의 부속채, 정자가 기단 위에 ㄷ ' 자의 질서를 형성하며 배치되어있다. 멀리 서 바라보면 아름다운 지붕면과 팬롬과 나가장식이 태국 만의독자적인 조형성을 만들어낸다. 기단 위 플랫폼 위는 주침실채와 부속채로 둘러싸인 중 정이 형성되고, 중정을 향해 각 채들의 베란다들이 개방 되어공간의 중심성을 강조하고있다. 그림 7. Kukrit House의전경 그림 8. 타일을설치한플랫폼 (charn) 의변형 12 ) 집주인의손끝에서팔꿈치까지의길이를말하며길이는 20cm ~30cm 정도이다. 1 3 ) 중부지방의베란다는 rabieng, 북부지방의베란다는 toen 이라고한다. 14 ) 이단차는지역에따라만들지않기도하는데 Ayutthaya, Suphanburi, Ratchaburi, Kanchanaburi 등의지역은건축과정의효율성을이유로단차를만들지않는다. 15 ) ruen loog 은주침실채와평행하게반대편에배치되는실을말하며, 주로주침실채보다규모가작은편이다. 반면에 reun khwang 은주침실채와직교하는방향에위치된다. 16 ) 일종의성인식. 어린시절변발을유지하다가나이가들면 top knot cutting 이라는의식을하며머리카락을자른다. 17) M.R. Kukrit House 는 1974 년부터 1975 년까지태국의수상이었던 Kukrit 의주택이며현재는문화예술부 (the Department of Fine Arts) 에서 유명인사의집 (Home of Important Person) 으로지정하여박물관으로보존되고있다. 총 5 채로구성된이주택은동시기에건축된것이아니라, 중부의각지방에있는주택중아름다운부속채들을선별하여이동하여, 방콕의 South Sathon Road 에모아재조립하여한채의주택을완성한것이다. 18) 특히목재로조성되는것이일반적인플랫폼 (charn) 을타일로개조하여베란다와플랫폼사이의단차가현격히줄어들고전통적이미지를많이손상받았다. 하지만전통주거의공간구성이그대로잘재현되어있다.

2. 평면적특성 1 ) 평면의배치적특성 Kukrit House 는총 5채와하나의파빌리온으로이루어져있다. 형태적으로는전통주택과유사하지만실제거주자가상주하기위하여방콕으로이전된후에는현대적쓰임에맞게개조되었다. 각채의배치는메인하우스를중심으로좌우에직교방향으로배치되어있으며전통주택과는달리변용되어응접실, 침실, 독서실, 전시실, 기도실로구성되었다. 이라고도부른다. 이중에서도지역사회지도자층의주택인 ruen kalae 는박공지붕의꼭대기에뿔모양의 kalae 를화려하게조각하는것이특징이며, 보통두채가연결된형태로지어진다. 길이방향의벽은중부지방의벽과다르게바깥쪽으로기울어져있다. 그림10. 두채가연결된 ruen norn 출처 : Clarence Aasen 1998 p237 그림 11. 뿔모양 kalae 그림 9. Kukrit House의평면다이어그램 2) 주 침실채 (ruen norn) 전통주택에서 주 침실채로 사용되던 채는 Kukrit House 에서는 접객실로 사용되었다. 소파와 테이블 등의 가구를 배치하여 내부는전통주택과는 다르게 구성되어있다. 3) 부속채 이 주택에는 총 4채의 부속채가 있는데, 주침실채 전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두채의 부속채는 주침실 ( 좌 ) 와 독서실 ( 우 ) 로 사용되고 있다. 두채의 베란다 모두 전면에 접이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주침실에는 베란다 공간에 욕 실이 증축되었다. 주침실채 측면에 위치한 두채의 부속채는 기도실 ( 좌 ) 과 전시실 ( 우 ) 로 사용되고 있는데, 플랫폼은 부속채의 입구 부분만 연결되어 있어 건물은 플랫폼에서 독립된 구조를 띄고 있다. 2. 평면적특성 1 ) 평면의배치적특성란나주택은중부지방에비해채나눔이간소하다. 가장기본적인평면구성으로는주침실, 부엌, 곡식창고가있으며이외에도성령을모시는성소 (spirit house), 현세를지키는네명의신을모시는사당, 조상신을모신사당, 등으로구성되어있다. 각각의집은보통독자적인마당을가지고있으며마당에는필요에따라우물을만들기도했다. 란나지역의계단 ( sao laong m a) 은주택의정면에위치하기도하고오른쪽에위치하기도한다. 두개의기둥이지붕을받치고있는형태이며이는거주자를보호하는개를형상화한것으로심리적안정감을주기위한형태이다. 계단은메인입구에하나, 부엌쪽에하나가설치되어우물에서물을길러올때에는부엌쪽의계단을사용한다. V. 북부지방 19) 전통주택의사례분석 ;Kam Thieng House 1. 구조적 조형적특성란나 ( Lanna) 주택 20) 은 Tai Yuan 혹은 Khon Muang 1 9 ) 태국북부지방은상부북부와하부북부지방으로나뉜다. 하부북부지방은중부지방과거의흡사한형태를보이는반면에상부북부지방은란나 (Lanna) 라고불리는독특한문화적성격과주택의형태를보인다. 이는역사적배경에의한것으로 13~19 세기태국의북쪽지방에서발전한란나왕국의독자적인문화가기원이되어지금까지도중부지방과차별되는문화를보전해가고있다. 란나지역은서부미얀마일부지역과치앙라이 (Chiang Rai), 매홍손 (Mae Hong Son), 파야오 (Payao), 치앙마이 (Chiang Mai), 난 (Nan), 람푼 (Lamphun), 람팡 (Lampang), 프레 (Phrae), 탁 (Tak) 등의도시들이핑강 (Ping River), 욤강 (Yom River), 난강 (Nan River) 등의강줄기를따라산재되어있는태국의최북단지역을칭한다. chaichongrak. (2000). The Thai House. p99 2 0 ) 북부지방의전통주택은모양에따라, 재료에따라다시각각두가지로분류한다. 주재료에따른분류에서는목재로지어진주택을 ruen mai ching 이라고하며이때지붕은테라코타타일을얹은기 그림 12. Kamthieng house 평면다이어그램 2) 플랫폼 (charn) 플랫폼은 중부지방과 같이 개방된 다목적 공간의 역할 을 한다. 그러나 북부지방의 플랫폼은 채로 둘러싸여 있 지 않고 주 침실채의 앞쪽에 중부지방보다 작은 규모로 형성되며부엌채와 침실채를 연결해준다. 입구의 계단을 올라가면 지붕이 씌워진 작은 선반 (raan nam) 이 있으며 이곳에는 물병에 빗물을 받아 식수로 사 용한다. 와지붕이다. 대나무로지어진주택은 ruen mai bua 라고하며, 지붕은넓은야자수잎을이은초가지붕이다. Ruen mai ching 은다시두가지로나뉘는데집단의지도자주택인 ruen kalae 와 kalae 가없는일반주택으로분류한다. Chaichongrak. (2000). The Thai House. p99

그림 13. 북부지방의플랫폼 그림 14. 식수구비용선반 raan nam 3) 베란다 (toen) 침실에 들어가기 전에 거쳐 가는 공간인 지붕이 있는 공간을 베란다 (toen) 라고 부른다. 이곳은 다목적 공간으로 아기가 탄생하는 공간인 동시에 장례를 위해 시신이 안 치되는 곳이기도 하다. 한쪽 벽에는 선반을 설치하여 제 단을 만들며 다른 벽에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물을 걸어놓거나 출생과 관련된 사진을 걸어 놓는다. 천장에 격자무늬 선반 (khwan) 은 물병 등 각종 집기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다. 보통 베란다는 남향으로 형성되는데, 신성한 의미를 갖 는 건축물들은 동-서 방향으로 배치하므로 그렇지 않은 건축물들은 남-북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베란다는 남 쪽을 향해있게 된다. 그림 15. 베란다 (toen) 그림 16. 격살무늬선반 (khwan) 4) 주 침실채 (ruen norn) 침실로 들어가는 문 위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작은 명판 (hamyon) 이 있다. 이는 내부의 가족공간과 외부의 공용 공간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조상 혹은 가장의 힘에 의한 보호부적이며 암묵적으로 외부인을 통제한다. 이 명판은 새 집을 지을 때 가장의 발 치수에 3 또는 4를 곱한 치 수로 제작되며 새 집을 짓거나 집의 가장이 바뀌게 되면 완전히 부수고새 가장의 발치수에 맞춰 새로제작한다. 베란다를 지나면 넓은 방이 있다. 침실은 개방형으로 지 어지고 특별한 칸막이벽이 없으며 최소한의 가구만 구비 한다. 그림 17. 명판 그림 18. 다양한문양의명판 VI. 결론 태국의 전통주택은 고상식주거라는 측면에서 동남아시 아 주거와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나, 플랫폼 (charn) 형태 의 인공대지를 형성하여 이 위에 주택을 구축하는 방식 은 태국만의 가장 독자적인 특성이다. 또한 전통주택의 가장 중요한 평면적 특성은 기능별 공간이 채로 분화되 어, 플랫폼 (charn) 위에 주 침실채 (ruen norm), 부속채 (ruen loog, ruen khw ang) 그리고부엌채 (ruen k hrua) 로독립구성되어있다는점이다. 주택에서가족구성의변화가발생하면, 실을확장하는대신부속채를추가하는방식을채택하고있다. 또한가지특징은주침실채나부속채전면에베란다 (rabieng, toen) 가있다는점이다. 이는고온다습한기후에서더위를피할수있는개방적인공간에대한필요성을부각시켜주는공간으로써, 말레이시아전통주거의안정 (anjung) 이나세람비 (serambi) 와유사한접대, 휴식, 행사등의기능을담당하고있다. 각기능별공간을플랫폼위에배치시키는방식은토속신앙적믿음에의거한규율에입각한다. 이규율은기본적원칙은유사하나지역별로배치질서방식은다소다르게나타난다. 이상의내용을결론짓는다면, 단일채로구축되는다른동남아시아지역의전통주택에비하여, 기능별분화된독립채로구성하는방식면에서우리나라와같은동아시아의평면구성방식과매우유사하다할수있다. 하지만고온다습한기후에적응하기위하여고상식주택을채택하고, 환기를중요시한매우개방적인평면및입면형태면에서그리고풍요로운목재를활용한조립식목구조방식이라는방식은동남아시아전통주거의특성과일치하는면이다. 본연구에서는태국의주택평면특성을이해하기위한초기연구단계로서연구범위가중부와북부에국한하는지역적한계및조사사례가매우한정되었다는한계를가지고있다. 향후연구범위를확대하여태국내의다른지역까지확대하고, 사례조사를더욱확충한다면, 태국내의공통성과다양성을포괄할수있는전통주택의평면적특성에대한명확한학문적정의를제시할수있으리라기대한다. 참고문헌 1. 최병욱 (2007). 동남아시아사 ; 전통시대. 서울 : 대한교과서 2. 박순관 (1996). 태국근대건축의역사적배경과초기형성과정고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지 ). 5(2) 3. 윤복자외. (2000). 세계의주거문화. 서울 : 신광출판사 4. 주서령 김민경 (2010). 동남아시아토속주거특성에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 1 (6) 5. 주서령 고영은 ( 20 1 0), 말레이시아전통주택의특성에관한연구, 루마펭훌루를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 9 (6) 6. Chaichongrak et al.,(2 0 02 ). The Thai House; History and Evolution. USA: River Books 7. Chami jotisalikorn et al.,(2002). Classic Thai. Singapore: Perip lus Editions 8. Clarence Aasen (1998). Architecture of Siam. Newyork: O xford Univ ersity Press 9. Poom chai Punpairoj, Transforming and reproduction vernaculars, Tham masat U niversity 10. San Wolody (2002). Thailand Sketchbook; Portrait of a Kingdom. Singapore: Archip el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