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PIA-NURIMEDIA

Similar documents
Microsoft PowerPoint Predicates and Quantifiers.ppt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3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한국발달심리학회

Microsoft PowerPoint - 26.pptx

OCW_C언어 기초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PowerPoint Presentation

Microsoft PowerPoint Relations.pptx

212 52,.,. 1),. (2007), (2009), (2010 ), Buzássyová, K.(1999), Bauer, L.(2001:36), Štekauer, P.(2001, 2002), Fernández-Domínguez(2009:88-91) (parole),

ok.

KCC2011 우수발표논문 휴먼오피니언자동분류시스템구현을위한비결정오피니언형용사구문에대한연구 1) Study on Domain-dependent Keywords Co-occurring with the Adjectives of Non-deterministic Opinion

Microsoft PowerPoint - 27.pptx

041~084 ¹®È�Çö»óÀбâ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슬라이드 1

자연언어처리

C# Programming Guide - Types

<33C2F DC5D8BDBAC6AEBEF0BEEEC7D02D3339C1FD2E687770>

Page 2 of 5 아니다 means to not be, and is therefore the opposite of 이다. While English simply turns words like to be or to exist negative by adding not,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3. 다음은카르노맵의표이다. 논리식을간략화한것은? < 나 > 4. 다음카르노맵을간략화시킨결과는? < >

<B3EDB9AEC1FD5F3235C1FD2E687770>

프로그래밍개론및실습 2015 년 2 학기프로그래밍개론및실습과목으로본내용은강의교재인생능출판사, 두근두근 C 언어수업, 천인국지음을발췌수정하였음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Vector Differential: 벡터 미분 Yonghee Lee October 17, 벡터미분의 표기 스칼라미분 벡터미분(Vector diffrential) 또는 행렬미분(Matrix differential)은 벡터와 행렬의 미분식에 대 한 표

<30352DC0CCC7F6C8F B1B3292DBFACB1B8BCD2B1B3C1A4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Microsoft PowerPoint - chap04-연산자.pptx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FGB-P 학번수학과권혁준 2008 년 5 월 19 일 Lemma 1 p 를 C([0, 1]) 에속하는음수가되지않는함수라하자. 이때 y C 2 (0, 1) C([0, 1]) 가미분방정식 y (t) + p(t)y(t) = 0, t (0, 1), y(0)

강의 개요

Microsoft Word - FunctionCall

이 장에서 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을 한다

Microsoft PowerPoint - chap06-2pointer.ppt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DBPIA-NURIMEDIA

<4D F736F F F696E74202D20C1A63036C0E520BCB1C5C3B0FA20B9DDBAB928B0ADC0C729205BC8A3C8AF20B8F0B5E55D>

step 1-1

KNK_C_05_Pointers_Arrays_structures_summary_v02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Microsoft PowerPoint - Java7.pptx

232 도시행정학보 제25집 제4호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가 다원화될수록 다양성과 복합성의 요소는 증가하게 된다. 도시의 발달은 사회의 다원 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화된 도시는 경제, 사회,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연 계되어 있어 특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0(2) 93 영어우향전위구문에대한소고 말뭉치자료를중심으로 김옥기 김종복 경희대학교 서론 영어에서흔히사용되는이른바전위구문 은아래 에서제시된좌향전위구문 과 와같은우향전위구문 으로구분될수있다 위예문에서알수있듯이두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gnu-lee-oop-kor-lec06-3-chap7

집합 집합 오른쪽 l 3. (1) 집합 X 의각원소에대응하는집합 Y 의원소가단하나만인대응을 라할때, 이대응 를 X 에서 Y 로의라고하고이것을기호로 X Y 와같이나타낸다. (2) 정의역과공역정의역 : X Y 에서집합 X, 공역 : X Y 에서집합 Y (3) 의개수 X Y

???德嶠짚

슬라이드 1

152*220

4번.hwp

Microsoft PowerPoint - chap05-제어문.pptx

Coherence Relations in the Book of Jeremiah 30-33

Çѹ̿ìÈ£-197È£

제 53 회서울특별시과학전람회 예선대회작품설명서 본선대회작품설명서 쓰나미의피해를최소화시키는건물과 건물배치에대한탐구 출품번호 S-504 출품분야학생부출품부문지구과학 학교명학년 ( 직위 ) 성명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1 경영학을 위한 수학 Final Exam 2015/12/12(토) 13:00-15:00 풀이과정을 모두 명시하시오. 정리를 사용할 경우 명시하시오. 1. (각 6점) 다음 적분을 구하시오 Z 1 4 Z 1 (x + 1) dx (a) 1 (x 1)4 dx 1 Solut

PowerPoint Presentation

#Ȳ¿ë¼®

Python과 함께 배우는 신호 해석 제 5 강. 복소수 연산 및 Python을 이용한 복소수 연산 (제 2 장. 복소수 기초)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이차적저작물을작성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

MATLAB and Numerical Analysis

Jkafm093.hwp

레이아웃 1

제 1 절 복습 \usepackage{ g r a p h i c x }... \ i n c l u d e g r a p h i c s [ width =0.9\ textwidth ] { b e a r. j p g } (a) includegraphics 사용의일반적인유형

Microsoft PowerPoint - chap03-변수와데이터형.pptx

5권심층-양화1리-1~172

1 1 장. 함수와극한 1.1 함수를표현하는네가지방법 1.2 수학적모형 : 필수함수의목록 1.3 기존함수로부터새로운함수구하기 1.4 접선문제와속도문제 1.5 함수의극한 1.6 극한법칙을이용한극한계산 1.7 극한의엄밀한정의 1.8 연속

Microsoft PowerPoint - additional01.ppt [호환 모드]

금오공대 컴퓨터공학전공 강의자료

Microsoft PowerPoint - ch07 - 포인터 pm0415

°í¼®ÁÖ Ãâ·Â

S - O I L M A G A Z I N E 2016 April Vol

조사연구 권 호 연구논문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의분석을위한패널가중치산출및사용방안사례연구 A Case Study on Construction and Use of Longitudinal Weights for Korea Labor Income Panel Survey 2)3) a

<B1B9BEC7BFF8B3EDB9AEC1FD5FC1A63234C1FD5FBFCF2E687770>

임베디드시스템설계강의자료 6 system call 2/2 (2014 년도 1 학기 ) 김영진 아주대학교전자공학과

KMC.xlsm

제 12강 함수수열의 평등수렴

Microsoft Word - PLC제어응용-2차시.doc

±³À°È°µ¿Áö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UI TASK & KEY EVENT

<303038C0AFC8A3C1BE5B315D2DB1B3C1A42E687770>

= Fisher, I. (1930), ``The Theory of Interest,'' Macmillan ,

문학석사학위논문 존밀링턴싱과이효석의 세계주의비교 로컬 을중심으로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비교문학 이유경

피해자식별PDF용 0502

[ 마이크로프로세서 1] 2 주차 3 차시. 포인터와구조체 2 주차 3 차시포인터와구조체 학습목표 1. C 언어에서가장어려운포인터와구조체를설명할수있다. 2. Call By Value 와 Call By Reference 를구분할수있다. 학습내용 1 : 함수 (Functi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2_안드로이드UI

Microsoft Word - [2017SMA][T8]OOPT_Stage_2040 ver2.docx

The mission minded church - Strategi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ministry – Die missions-bereite Kirche - Strategien zum Aufbau multikultureller Ge

º´¹«Ã»Ã¥-»ç³ªÀÌ·Î

슬라이드 1

泰 東 古 典 硏 究 第 24 輯 이상적인 정치 사회의 구현 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B9ABC1A62D31>

< FB1B9BEEEB1B3C0B0BFACB1B C1FD5FC3D6C1BE2E687770>

Transcription: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 ** 1) 염재일 ( 홍익대학교 ) 염재일. (2012).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Language Research 48.3, 435-462.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s of how nouns are used with the meaning of plurality in Korean and how they are interpreted. In Korean, countability is not fully established as a grammatical feature in two respects. DPs of the form [n N], which is a typical structure of a count noun, are used only with small numbers. And tul is used to mark plurality, but the meaning seems inconsistent. I divide the uses of tul into two cases. Only when DPs with tul have a definiteness or specificity marker is tul considered a real plural marker. Bare singulars or bare plurals can be interpreted as definite or indefinite. This is due to a free type shifting requir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there are some pragmatic factors like humanity o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which affect uses of tul. Keywords: plural marker, countability in Korean, definiteness, specificity, type shifting 1. 서론 국어에서복수어미 들 에대한연구가많이있었으나관찰자체가일관성이없고학자마다다른분석을하고있으며, 체계적인기술이가능한지조차가늠하기어려울정도로일관성을찾기가어렵다. 이를극복하기위한한방법은체계적인 ** 이논문은 2009 학년도홍익대학교학술연구진흥비에의하여지원되었음. 익명의세심사자의지적으로논문의많은오류를줄일수있었으며, 논지를분명히할수있었다. 남아있는오류는전적으로저자의무지내지부주의에의한것이다. ** 한심사자는 들 을어미라고하는것에거부감을느끼는것같다. 그리고국어학에서사용될수있는용어에대한제안도있었으나다음두가지점에서제안을받아들이기어려워 어미 를그대로사용한다. 우선, 명사에 들 이결합해도명사이고품사를바꾸지않는다는점과 들 이문법적자질 (grammatical feature) 을나타낸다는점에서다른보조사와다르다는점등으로해서 어미 라는용어를사용하였다. 복수표지라는용어가어떤식으로든복수의의미를담고있는형태소를모두포함한다는점에서더일반적이라고할수있으나, 결합하는표현과독립적인느낌을준다. 본논문에서는복수이면항상 들 이나타나는것에초점을맞추고있으며이러한 들 의문법적지위를강조하기위하여복수어미라고부르겠다.

436 염재일 부분과그렇지못한부분을구분하는것이다. 어쩌면우리말의복수어미가단일한용법이아닐수도있는것이다. 본논문에서는이러한시각에서출발하되최대한체계적인분석의대상을넓히는방식을찾아보려고한다. 우리말에서 들 은단순한복수의의미가아니라는것은이미많이알려져있다. (1) a. 학생 {??Ø, 들 } 을들여보내라. b. 노인 {??Ø, 들 } 을내보내라. (2) a. 책 {{Ø, 들 } 을쌓아놓았다. b. 꽃 {Ø, 들 } 이일렬로피었다. (3) a. 물 {Ø, 들 } 이여기저기에튀었다. b. 사람들이많이 {Ø, 들 } 오고있다. 일반적으로학생이나노인, 책이나꽃들은셀수있을것으로생각되며 들 을사용하는것이자연스러울것으로생각된다. 물론여기에도약간의차이가있다. S.-C. Song (1975) 과송석중 (1993) 에서지적하듯이, 학생 과 노인 처럼사람인경우에는복수어미를사용하는것이선호된다. 반면에 책 과 꽃 과같은명사들은무생물이며이때는 들 의사용을꼭선호하지않는것같다. 반면에 물 과같은명사들은불가산명사처럼생각되는데 들 과함께쓰이고있다. 그리고, 많이 는복수가될이유가없는부사이지만 들 이사용되고있다. 이것을보면 들 이문법적인요소로서복수어미로확립되었다고하기어렵다는생각이든다. 이이외에도 들 의사용에영향을미치는요소로한정성과특정성이있다. 한정성이나특정성표지가붙는명사구는 들 이나타난다. (4) a. 철수가그책 ( 들 ) 을읽었다. b. 철수가어떤책 ( 들 ) 을읽었다. 여기서 그 와 어떤 이나타난명사구는각각한정성과특정성을띤다. 여기서 들 을쓰지않으면항상단수개체를나타내고 들 을붙이면복수개체를나타낸다. 그런데한정성을나타낸다고항상단수 / 복수의구분이명확한것이아니다. 다음의예에서두번째나오는 사과 는앞에나온것을가리키므로한정적명사구라고생각되고복수개체를나타내지만 들 이나타나지않았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37 (5) 영희는사과두개를샀다. 영희는사과를잘씻었다. 이것을보면한정성 ( 혹은특정성 ) 만으로단 / 복수의구분이설명되지않을수있음을알수있다. 이러한 들 의분포을보면 들 이정말문법적으로복수어미로서확립되었다고할수없는것같다. 하지만우리의인식속에 들 은복수를나타낸다고생각한다. 관찰과인식사이의차이를어떻게설명할것인가의문제가생긴다. 이를분석하는데있어서어떤기준이있어야할것같다. 들 이복수어미라고할때복수라는개념은문법적인것이다. 그리고문법적인현상은문법적인자질에의하여제약이생길것이고, 그제약은일반적으로범주적 (categorial) 이라고기대된다. 다시말하면, 한범주에속하면어떤특성이나타나고다른범주에서는그특성이나타나지않아야한다. 이런관점에서보면사람이냐아니냐혹은유정성의위계는문법적인자질이아니라고간주된다. 즉, 사람이면서복수일때 들 이항상나타난다면사람이아니면서복수이면 들 이선택적으로나타난다거나, 사람이면서복수일때 들 이선택적으로나타난다면사람이아닌경우 들 이나타나지않아야한다. 그러나국어에서이러한구분은없다. 직관적으로비문법적인특징이라하더라도그것에의하여좌우되는현상이만약범주적이라면문법의일부로보는것이옳을것이다. 그러나그것이단순히경향성만보인다면문법기술에서배제하는것이옳을것같다. 그리고불가산명사에도 들 이붙는다고할때이것역시문법현상일가능성이있지만전형적인복수의의미가아니라면어떤의미에서문법적현상으로서의복수어미의논의에서제외하는것이옳을것이다. 그리고비문법적인요인에의하여 들 이비범주적특성을보인다면그것들은문법적인범주에속하는복수어미와는다른특징을보일것이라고생각된다. 본논문에서는이러한구분을바탕으로최소한두개의 들 을제안하고, 유정성이라든가시공각적분산등의비문법적요소들에의하여사용이결정되는 들 과한정성과특정성에의하여사용이결정되는진정한의미의복수어미 들 의구분을필요로함을보이고자한다. 이를위하여본논문은다음과같이구성되어있다. 2절에서는 들 의사용의예들을봄으로써 들 이두가지의미를가질수있음을지적하고이에따라서두가설을세운다. 3절에서는사람이라든지시공간적분산등의요소가 들 의사용에영향을미치지만일관된관찰을보이지않고문법적구분으로서의단 / 복수의현상으로보기어려운반면에, 한정성과특정성표지가있는경우단 / 복수의구분이뚜렷함을보인다. 4절에서는무지시사명사구가한정성명사구로해석됨에도불구하고단 / 복수의구분이뚜렷하지않는경우를소개하고이것은별도의의미유형변환에의하여한정성해석이생기므로통사적으로는비한정적명사구라고

438 염재일 간주할수있음을보인다. 5 절에서는종류를나타내는명사구는원래명사가종류 를나타내는경우무지시사이지만의미유형변환이일어나지않는다는점을설명한다. 명사자체가종류를나타내면의미유형변환을통하여다시종류를나타내는표현을만드는것을막는효과가있다고가정한다. 반면에하위종류를나타내는경우는일반개체를나타내는명사구와동일하게한정성과특정성이 들 의사용에중요한역할을한다. 6절은지금까지의논의를요약정리한다. 2. 들 의사용과두가설 복수의두가지를 들 이있는복수형과 들 이없는복수형으로구분하는논의는많았다. 1) 그러나명사구에나타나는 들 이두가지의미를지녔다고주장한것은없었던것같다. 들 이하나가아니라는것을보이려면그근거를찾아야하는데, 형태적으로는모두 들 로나타나므로의미적인구분이필요하다. 이논의에앞서우선논의의범위를명사구에나타나는 들 로한정한다. 다음의예들에서는 들 이명사구에나타나지않지만, 들 을사용하고있다. (6) a. 아이들이떠들고들야단이다. b. 얘들아, 식기전에얼른들마셔라. 이것을명사구에문법적인요소로나타나는 들 과같이취급하기는어려울것이다. Lee (1992) 가지적하였듯이, 이것은사건의복수성과관련이있으며사건의복수는사건자체를복수로나타낼수없으므로이것을다른표현을통하여나타내는것이다. 이것은명사구의복수와는구분된다. 2) 따라서우선은명사구에나타나는 들 만을고려해야할것이다. 명사구에나타나는 들 도하나가아니라는것을보이려면형태에서는차이가없으므로 들 의의미가하나가아니라는것을보여줄필요가있다. 우선 들 이개체에사용되는경우를보자. (7) a. 영희는학생이다. 1) 임홍빈 (2000) 과백미현 (2002) 은인지의미론적테두리에서 Kwak(2003) 는형식의미론적테두리에서구분하고설명함. 2) 이것은명사구가종류를나타내는명사구총칭성과사건의총칭성을나타내는총칭문을구분하는것과같다. (3) 에서의 물들 도 물 이 들 과어울릴수없는말이므로오히려총칭문과관련이있을것이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39 b. 철수는변호사이다. (8) 학생들이찾아왔다. 학생 이나 변호사 와같은단어들은개별개체에대하여사용하는단어이다. 따라서여기에 들 을붙이면둘이상이라는의미를더하게된다. 그런데두개체이상으로구성된그룹을나타내는것같은단어들도개별개체에대하여사용하는것들이있다. (9) a. 영수는영희의가족이다. b. 철수는대한민국의국민이다. 여기서 가족 이나 국민 은분명히복수가아닌한개체즉 영수 와 철수 에대하여사용하고있으므로단수의의미로사용된다는것을알수있다. 그렇다면여기에 들 을붙이는것이복수라고간주될수있을것이다. (10) a. 철수는영희의가족들을만났다. b. 대한민국의국민들은활기에넘친다. 그래서이예들에서 들 은하나의개체보다많은것을나타낸다고할수있다. 그런데개체를나타내지않는명사에도 들 이나타난다. 다음의예들을보자. (11) a.?? 철수는청중이다. b.?? 창수는대중이다. c.?? 영수는출연진이야. 여기서 청중 / 대중 이나 출연진 은 철수 / 창수 나 영수 와같이단수개체에대하여사용할수없으므로 청중 이나 출연진 은이미둘이상의개체들로구성된것만을가리킨다고해야한다. 그런데이들명사에도 들 을붙일수있다. (12) a. 청중들이박수를보냈다. b. 그정치인은대중들로부터지지를받지못했다. c. 오늘은출연진들을모시고말씀을나누어보겠습니다. 그렇다면이들명사에붙은 들 은복수어미라고할수없을것이다. 만약복수어

440 염재일 미로간주하려면청중이여러집단이있어야하고, 출연진들이여러집단이있어 야한다. 그러나여기서는그러한의미는아니고청중이나출연진이라고불릴수있는집단이하나씩있는경우를가정하고있는것이다. 이와같은관찰에근거하면 들 은두가지의미가있다고해야한다. 하나는 단수의명사를복수의명사로만드는것이고, 다른하나는명사자체가복수의개체로구성되어있다는것을표시하는것이다. 3) 그러나후자의경우 들 은항상 의미적으로기여하는바가없다고해야한다. 이러한주장이부자연스러운것이므 로일부의학자들은이용법의 들 은다른의미가있다고주장한다. 예를들어, 임홍빈 (2000), 전영철 (2002, 2004), E. Kwak (2003) 등은복수인데도 들 을 사용하지않으면그룹해석이된다는주장이있었으나강범모 (2007) 에서지적하 였듯이, 실제예들을보면그렇지않은것들을찾을수있다. 4) (13) a. 군중 ( 들 ) 이큰원을형성했다. b. 관객보다출연진 ( 들 ) 이수가더많았다. 여기서 원을형성하다 나 수가더많다 는술어들은 Winter(1998) 가말하는단 위술어 (atomic predicate) 로서그룹을나타내는논항을취하는술어들이다. 그런데, Link (1983) 나 Landman (1996) 가말하는개체들의합 (sum) 형성과정을 가정하기어렵다. 이들의주장이면에는 들 을사용하면분산적해석을나타낼것이라는가정이깔려있는데, B. Kang(2008) 에서주장하였듯이분산적의미를위하여반드시 들 을사용하는것은아니다. (14) a. 시위군중 ( 들 ) 은모두집으로돌아갔다. b. 다음은출연진 ( 들 ) 이나와맡은역을소개하는시간입니다. 이예들에서 집으로돌아가다 나 맡은역을소개하다 는술어들은단수개체에 대한것이라고볼수있으므로분산적의미를요구한다고할수있는데, 들 을사 용할수도있고안할수도있다. 따라서 들 의사용이분산적의미를가지거나, 3) 많은학자들이 들 은이들중에한가지해석만가지는것으로가정하는경향이있다. 대부분의학자들은 들 이단수를복수로만드는의미를지니는것으로가정하고, 백미현 (2002) 은복수개체들의개별성을나타내는것으로보고있다. 본논문에서는이중적의미가있다는것을제안하는것이다. 4) 노은주 (2008) 은무표형이항상단수라고주장하는데, 이는일반적인가정이나우리의직관과거리가있어본논문에서는논하지않는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41 혹은 들 의미사용이그룹해석과관계가있지는않다고해야할것이다. 따라서결국 들 의의미는 (i) 단수를복수로만드는의미와 (ii) 명사가복수의개체가관여됨을나타내는의미, 두가지라고할수있다. 그리고배분적해석이나아니냐는술어에의하여결정되므로동사구를해석할때필요에따라서연산자를도입하면된다. 그러나 (i) 의의미의이면에는단수를나타내는명사의형태가항상단수를나타내야한다는전제가깔려있다. 그러나국어에서단수개체를나타내는명사도 들 없이복수를나타낼수있으므로이러한구분을아직은확정적으로하기는어려울것이다. 단수형이지만복수개체가관여될때 들 을사용한다고생각할수도있기때문이다. 즉, 어느경우든 들 은복수어미가아니고복수개체가관여될때선택적으로사용될수있다고할수있을것이다. 따라서이두가지가능성을생각하면다음의두가설을세울수있을것이다. (15) 두가설가. 가설 1: 들 이이중적의미가있다. 들1 : 단수명사와결합하여복수명사를만드는복수어미이다. 들2 : 명사가복수개체가관여됨을표시하는잉여적표지이다. 나. 가설 2: 들 은항상명사가복수개체가관여됨을표시하는잉여적표지이다. 여기서어느가설을취하든 들 이복수개체가관여됨을표시하는잉여적표지로의용법은이미국어에확립되었다고할수있다. 그렇다면, 이두가설중에서가설 1이채택되기위해서는단수형은단수개체가관여될때만, 들 은복수개체가관여될때만사용되는현상이확인되어야할것이다. 3. 들 의사용과제약 우선 들 의사용에대하여이론이많은이유중에하나가그사용에대한제약이명확하지않다는점일것이다. 그이면에는영향을미치는요소가있기는하나그것이문법이아닌경향적인것일가능성이있는것이다. 본절에서는 들 의사용에영향을미치는요소들을살피고그중에서문법의영역이라고볼수있는것을찾는데있다.

442 염재일 3.1. 비문법적인요소들 앞에서도간단히언급하였듯이유정성이높은개체를나타내는명사가복수개체를나타낼때는 들 을사용하는경향이강하다는것을지적하였다. 그래서실제로 (1) 에서보듯이 들 을쓰지않으면어색한예들이있다. 다음의예들은이를뒷받침하는예들이다. (16) a. 학생??( 들 ) 을일렬로세웠다. b. 아이??( 들 ) 을일렬로세웠다. (17) a. 자동차 ( 들 ) 을일렬로세웠다. b. 책 ( 들 ) 을일렬로정렬했다. 학생 과 아이 는사람이므로복수개체가관여될때는 들 을사용하여야자연스럽다. 반면에, 자동차 와 책 은사람이아니므로 들 을사용할수도있고사용하지않을수도있다. 만약사람인경우에사용되는 들 이복수표지라면, 들 이함께사용되지않으면단수개체를, 들 이함께사용되면복수개체를나타내야하지만실제로는그렇지않다. (18) 갑 : 내가그날학생 ( 들 ) 을인솔해야해. 을 : 몇명이나? (19) a. 철수를쫓아다니는여자아이가 / 여자아이들이 5 명은될거야. b. 철수와그친구들은모두의사 ( 들이 ) 야. (18) 의 학생 이나 (19a) 의 여자아이 와 의사 는복수개체가관여되는데복수를나타내는 들 을사용하지않을수있다. 그리고사람인경우 들 을사용하는것은다른일반적인문법적제약도어기는것같다. 일반적으로국어에서수를사용하는구조는다음세가지이다. (21) 에는 (20) 의각각의구조의예를들었다. (20) 수를사용하는구조 a. n Cl-의 N (n: 수, Cl: 분류사, N: 명사 ) b. N n Cl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43 c. n N (21) a. 세개의사과 b. 사과세개 c. 세사과 여기서 (20b) 의형태를쓸때는복수표지 들 을사용하지않는것이일반적인데, 여기서도사람이면좀나아지는것같다. (22) a. 학생 ( 들 ) 세명이찾아왔다. b. 사과 (?? 들 ) 세개를샀다. (22a) 에서 들 을안쓰는것이더좋은문장이되겠지만 들 을썼을때 사과들 처럼완전히이상하지는않은것같다. 이것은복수개념과는별개의다른요소가관여되는것으로여겨진다. 이것이순전히문법적인요소라면구조적인제약에따라서 들 의사용이결정되어야하고, 이구조는 들 을허용하지않는구조라면 들 이나타나지않아야할것이다. 이런점에서사람을나타내는명사구에 들 을잘허용하는것은문법의일부라기보다는경향성을보이는현상이라고생각된다. 즉, 들 이단수를복수로만드는것은아닌것같다. 따라서사람을나타내는명사들이기때문에사용되는 들 을통하여복수어미로서의 들 을논하는것은적절하지않은것같다. 또한가지 들 의사용에영향을미치는요소는시공간적분포가있다. 그예가 (3) 에주어져있다. 이것은사건이시공간적으로분산되어있는상황에서일어나는것으로보인다. 첫문장에서 물 은튀어서흩어진물을가리키지튀기전에한덩어리를이루었던물을가리키지는않으며, 둘째문장에서도사람들이한무리로오는상황을나타내지않는다. 이러한것을포착하기위하여일부의학자들이배분적의미가있으면 들 을사용한다는주장을하는것이다. 그러나이것도경우에따라서부자연스러운경우가있다. 물과같은액체인데홍차나커피는이런용법을허용하지않는것같다. (23) a. 홍차 (? 들 ) 이여기저기에튀었다. b. 커피 (? 들 ) 이여기저기에튀었다. 이와같이시공간적분포에대하여 들 을사용하는것도일관되지않다. 이런면

444 염재일 에서이런용법의 들 이문법적인요소로서의복수로보기는어려울것이다. 3.2. 한정성과특정성이구조적으로나타난명사구 송석중 (1993:359) 에서 명사나대명사를막론하고, 특별한지시를가지는경우에는복수표기가언제나의무적 이라고하여 들 복수형의한정성을다루고있 다. 그러나한정성명사구인가가중요한것이아니고한정성이구조적으로나타나 는것이중요하다. 그이후의논의에서도한정성을말하거나 지시사 + 명사 의구조를논의하기는하였으나한정성이구조적으로나타난경우와그렇지않은경우 를구분하여논의하지는않은것같다. 그리고지금까지의연구에서특정성명사 구에대한본격적인논의는별로없는듯하다. 본소절에서는한정성과특정성이구조적으로나타난명사구들을논하겠다. 한정성을나타내는표지에는 이 / 그 / 저 등의지시사들이있다. 그런데, 한정성 표지를사용할경우에는 들 을사용할수있는자리에서는단수와복수의구분이 들 의사용을통하여뚜렷하게나타난다. (24) a. 한명의아이가자리에앉았다. ( 그 ) 아이 (* 들 ) 는메뉴를정했다. b. 두명의아이가자리에앉았다. ( 그 ) 아이 *( 들 ) 은각자메뉴를정했다. 두문장에서아이가단수일때는 들 을사용하지않고복수이면 들 을반드시사용해야한다. 이런점에서한정적으로쓰일때단수형명사는단수, 복수형명사 는복수를나타내는것이뚜렷하다. 이것은최소한한정적표지가붙은명사구에 서는단 / 복수의구분이뚜렷하여 들 이없으면단수를, 들 이있으면복수를나타낸다. 이것은 들 이두개의의미를가지는증거가될수있다. 따라서가설 1 을지지하는증거가된다. 그러나전영철 (2004:39-41) 에서는 들 복수형뿐만이아니라무표형도한정성의관점에서는중의적이므로한국어에서복수성이한정성에일정한영향력을행 사하지는못하는것으로보았다. 한정성자체는그렇더라도 지시사 + 명사 형의경 우는그렇게주장하는것은논란의여지가있다. 우선, 이런관찰은다른다수의이전연구와관찰적으로배치되며, 그의설명은이론적으로도타당하지않다. 5) 그 는복수의사과를가리키며 이사과 라고할수있다고주장하는데, Chierchia (1998) 을논의를인용하면서이것은종류가개체들의집합이면서동시에원자이 5) 남기심 고영근 (1985), 송석중 (1993), 강범모 (1994), 백미현 (2002), Kwak(2003) 등은모두지시사뒤에단수형이오면단수, 복수형이오면복수를나타내는것으로관찰한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45 기때문에종류와집단이같은것이라고주장하고있다. 따라서 이사과 는종류이면서동시에집단이라고주장한다. 그러나집단과종류는다른유형에속한다. 즉, 종류는개체개념이다. 즉, 가능세계에대하여개체들의합이값으로주어지는함수이다. 즉 <s,e> 의의미유형을가진다. 반면에집단은주어진세계에서어떤종류에속하는단수개체들 ( 의일부 ) 로이루어진복수개체들이다. 즉, e의의미유형을가진다. 이를단적으로보여주는것이, 뒤에서다시논의하겠지만, 종류와술어사이의관계이다. (25) 주어진종류 d 와임의의가능세계 w W 에대하여 d 로부터얻어지는술어 : d = λx[x d(w)], if d(w) is defined; λx[false], otherwise 여기서, d(w) 는주어진세계 w에서종류 d에속하는개체들을모두합친복수개체이고 x는그전체집단과같거나그보다작은복수개체혹은단수개체들을값으로가질수있다. 즉, 종류는개체개념이고집단은개체인것이다. 이둘은다른의미유형이며각각에해당하는술어도종류수준 (kind-level) 의술어가있고개체수준 (individual-level) 의술어가있는것이다. 눈에보이는상자안에든사과더미를보면서 이사과가크다 고할때, 두가지해석이가능하다. 크다 는개체수준의술어이며, 이사과 가종류를나타내면문장은총칭문으로해석되어서이종류의사과는다른품종과는달리사과가크다는의미로해석된다. 즉, 눈에보이는사과뿐만아니라같은종류의다른사과들도포함하여말하는것이다. 반면, 이사과 가개체이면눈에보이는사과들만가리키며눈에보이는각각의사과가크다는의미로해석된다. 본논문에서는후자의의미로상자에있는사과전부를가리키지않는다는주장이다. 전영철 (2004) 은주장자체에오류가있으며종류와집단이다르므로둘중에어느의미인지분명히할필요가있다. 국어에서수를사용하는표현으로는 (20) 에서언급하였듯이세가지구조가있다. 그리고그들은모두비한정적으로쓰일수있다. 한가지공통적인요소는이러한구조에서는명사에 들 이나타나지않는다는것이다 (26) a.?? 세개의사과들 b.?? 사과들세개 c.?? 세사과들 이들모두에서 들 이나타나지않는데, 그이유는, (26a) 와 (26b) 는분류사를이

446 염재일 용하여세는구조이므로명사 N 자체는불가산명사로사용되는경우로간주할수 도있을것이다. (38-39) 의 Chierchia(1998) 논의참조. 반면에여기서도사람인경우 들 이나타날수있다. (27) a. 세명의의사 ( 들 ) b. 의사 ( 들 ) 세명 c. 세의사 ( 들 ) 6) 여기서 들 을허용하기는하지만오히려빼는것이자연스럽다. 그런점에서이런 구조를가지지않은경우에는사람일경우 들 을넣을때더자연스러운것과대 조된다. 이런점에서수와함께사용하는구조에는원칙적으로 들 이나타나지않는다고하는것이옳다. 그런데 (26c, 27c) 는명사가분류사와마찬가지로세는단위로서쓰여수바로 다음에온다. 이것은명사자체가단위를형성한다고할수있을것이다. 여기에일반적으로 들 이나타나지않는것은다른복수가확립된언어에서도나타나는 데, Krifka(2004) 의설명에의하면, 앞에수가있으면이미복수의의미가반영 되었으므로굳이명사까지복수어미를붙이지않는경우로간주하는것이다. 반면에수가없을때에는복수표지를사용하여야한다. 다음은헝가리어에서복수명사 가수와복수표지가배타적분포를보이는예이다. (28) (Hungarian) a. egy kutya b. két kutya c. kutyák one dog two dog dog.pl 6) 이구조가어색하게느껴지는경우가있는데, 그이유는이구조가특정성혹은한정성을가지는데, 이들은맥락에서만족되어야하는전제를가지고있다. 특히특정성의경우어떤특정한대상을다른것들과구분하여마음속에둔다는전제가있다. 이를위해서는한개체를다른개체들과구분하기쉬워야한다. 이런점에서한사과와다른사과를구분해서인식한다는것이쉽게받아들여지지않는것이다. 이것이쉽게수용 (accommodation) 되기위해서는적절한맥락이있어야한다. 세사과 가얼른떠올리기가쉽지않을수있으나다음과같은문장에서자연스럽게쓰일수있다. i) a. 식탁위에많은사과가있었는데유독세사과가매우컸다. b. 요즘두사과가화제가되고있다. 하나는시청앞에세워진모형사과이고다른하나는한농부가재배한수박만한사과이다. 마찬가지로 (27c) 에서제시하는 세의사 가어색하게느껴질수있으나다음과같은문장들은자연스럽다. ii) a. 세명의의사가수술을하고있었다. 세의사는서로의견이달랐다. ( 한정성 ) b. 옛날에한마을에세의사가있었는데, 서로자기가가장뛰어나다고주장했다. ( 특정성 )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47 one dog two dogs dogs 따라서 (26c) 의구조에서 들 이나타나지않는것은문제가없다. 우리말에서도일반명사가단위를나타내고복수가될때는수를사용하거나복수어미를사용하며이들이서로상보적분포를보인다고할수있다. 그런데 (20) 의세구조중에서 (20c) 의구조를가지는명사구는항상 ( 한정성이아니면 ) 특정성을가지나 (20a) 의구조를가지는명사구는항상비특정성을가진다. (20b) 는 (20a) 의변형이라고생각되며의미해석에서도 (20a) 와같다고할수있다. 이를확인하기위하여 아무나 라는표현을가지고확인해볼수있다. 다음의예에서 (20c) 의구조는 아무나 와어울리지않는것을보면 (20c) 의구조는항상특정한사물을가리키는것을알수있다. (29) a. 철수에게아무나세명의학생을데리고오라고했다. b. 철수에게아무나학생세명을데리고오라고했다. c.?? 철수에게아무나세학생을데리고오라고했다. 이것은직관적으로특정성을확인하는것이지만, 다른언어학적현상을통하여확인해볼수도있다. 일반적으로특정성의명사구는광영역을가지지만비특정성의명사구는협영역을가지는경향이있다. 이러한특성을이용하기위하여문장간의조응관계를시험할수있다. (30) { 세명의학생 }/{ 학생세명 }/{ 세학생 } 을만났다. 그래서그들을찾아갔다. (31) a.?? 이일을위해세명의학생이필요하다고생각했다. 그래서그들을찾아갔다. b.?? 이일을위해학생세명이필요하다고생각했다. 그래서그들을찾아갔다. c. 이일을위해세학생이필요하다고생각했다. 그래서그들을찾아갔다. (30) 에서보듯이일반술어들과함께쓰이면 세명의학생 이나 학생세명 모두다음문장에서의그것들을가리키는대명사사용을허락한다. (31) 에는 필요하다고생각했다 의술어가쓰였는데, 이와같은술어는명사구가그술어보다광

448 염재일 영역을가지지않으면조응관계를허용하지않는특성이있다. 여기서 세명의 학생 이나 학생세명 은뒤에서 그들 로가리킬수없지만 세학생 은그러한조응관계를허용한다. 따라서 (20c) 만이특정성을가지게되어광영역으로해석되 는것을확인할수있다. 그런데이러한특정성명사구는복수이면항상복수형이어야한다는것을관찰 할수있다. 7) (32) a. 두개의사과를샀다. 그것 ( 들 ) 을물에씻었다. b. 사과두개를샀다. 그것 ( 들 ) 을물에씻었다. c. ( 남은 ) 두사과를샀다. 그것 *( 들 ) 을물에씻었다. 앞의 두개의사과 나 사과두개 는분류사를허용하므로셀수없는명사와같 이행동한다고간주할수있다. 그래서두개이지만단수 그것 으로가리킬수있 다. 반면, 두사과 는반드시 그것들 이라고해야한다. 이것은 두사과 는반드시복수여야한다는것을보여준다. 사과는사람이아니라는것에도주의할필요 가있다. 따라서특정성이라는문법적자질과복수표지의사용이경향적요소에 의존하지않음을보여준다. 7) 한심사자는이것을보면서 그 와같은지시사가있어도복수의미를단수형으로나타낼수있다고주장하였다. 심사자가그러한관찰을하는것은논란의여지가있을것같다. 우선많은이전의연구에서 지시사 + 명사 가단수형인경우단수를, 복수형인경우복수를가리킨다고주장한다. 송석중 (1993), 백미현 (2002), Kwak(2003) 등. 이점에서심사자의관찰은다른학자들과다르다는점을지적할수있다. 심사자의관찰이일반적으로받아들여지는관찰인지모르겠다. (32a,b) 에서 그것을 이라고할때단 / 복수의구분이무시될수있다. 그것 이한정명사구이므로단 / 복수의구분이분명해야하는데, 여기서는이구분이없어진것이다. 이에대한설명이있어야할것같다. 국어에서 것 을사용하면심지어는사람인경우에도단 / 복수의구분이중립화되는경향이있다. i) 불량배둘이철수를공격했다. 그것을옆에있던친구가두들겨패주었다. 하지만, 지시사 + 명사 의형태는그렇지않은것같다. 다음의예에서단수형은좀어색하다. ii)?? 철수는사과를두개샀다. 그사과를물에씻었다. 만약심사자가이것을쉽게받아들인다면그것은사과가개체성을쉽게잃기때문일수있다. 사과를요리를시작하면재료로인식되면서각각을개체로인식하지않을수있다. 이것이 (32a,b) 를더욱쉽게하는것같다. 이런가능성을없애기위하여의자를예를들자. 우선심사자가든예는뒤에오는 그의자 가종류를나타낼수있다. iii) 심사자의예 : 나는의자두개를샀다. 그의자는유럽에서들여온것이다. 앞에나온두개의의자는어떤하위종류의의자에속하고이두의자를포함하여더많은의자들이유럽에서들여온것으로이해할수있다. 다음과같이종류의해석이배제되는경우단수형은어색하다. iv) a.?? 나는두의자를샀다. 그의자는흰색이었다. b. 나는두의자를샀다. 그의자들은흰색이었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49 그런데염재일 (2007) 에서지적하였듯이, n N 구조는 n Cl 과같은구조이 지만그사용이작은수에국한된다. n N 구조를가지는명사구는 넷 까지는자연스러우나다섯이상이되면어색해지는경향이있고큰수는이구조를가지 지않는다는것이다. 반면에 n Cl 구조는이러한제약이없다. (33) n Cl: 세명, 네명, 다섯명,... 백명,... n N: 세의사, 네의사,?? 다섯의사,...?? 백의사,... Cl 도 N 의범주에들어가는것은분명하지만, 혼자쓰이지않고반드시수와함께 쓰이는것은그것이단위이기때문이다. 일반명사가 Cl 과같이쓰인다는점에서 일반명사도수와함께단위로쓰일수있다는것을의미한다. 8) 그리고단위이므로 들 이나타나면단수와결합하는것이다. 그런데일반명사의경우수는다섯 이상이되면이상해지는것은 Cl 이외의명사들은가산명사로서의사용이극히 제한되어있다는것을보여준다. 이런점에서우리말에서가산명사의용법은아주제한적이며아직일반적인문법으로서확립되지않았다는것을의미하는것같다. 그런데이것은 n N 구조의명사구가한정성이나특정성을지니는것과무관 하지않다. 한정성이나특정성은개별화와관계가있다. 9) 개체들을개별화할때하나하나의개체가별도로인식이되면서그것들의집합이이루는그룹이그그룹 밖의다른개체들과구분이되어인식될수있기때문이다. 그런데수가커지면 그그룹내의개체들을개별화해서인식하기가어려워질것이라는생각을할수있고, 그래서작은수에국한되어쓰인다고할수있다. 그리고개별화된경우그 것들이복수라는것은더욱현저한특성이되므로복수의특성을어떤식으로든 나타내야할것이다. 그래서 들 을한정성이나특정성을나타내는구조를가지는경우반드시사용하는것같다. 그리고이것은진정한의미에서복수라고할수 있다. 국어에서특정성은구조에의하여표현되기도하지만특정성명사구를만드는표지도있다. 염재일 (2007) 에서 어떤 과 한 이국어에서특정성표지라는것을 보여주었다. 이것들이명사앞에사용될때명사구는특정한사물을가리킬수있 다. 이것을위의조응관계를이용하여시험해볼수있다. (34) a.?? 이일을위해학생이필요했다. 그는춘천에살았다. 8) 이점을착안하여 Krifka(2004) 는가산명사는수를논항으로취하는명사로취급하고있다. 그리고논항이될수있는것으로복수어미도논항을채우는역할을한다고할수있다. 그래서수나 들 이반드시필요하다는것을설명할수있다. 9) 임홍빈 (2000) 도개별화에대한지적을한바있다.

450 염재일 b. 이일을위해한 / 어떤학생이필요했다. 그는춘천에살았다. 여기서 한 이나 어떤 을사용하면조응관계를방해하는 필요하다 라는술어의보어로쓰였음에도불구하고뒤에서대명사로가리킬수있다. 이것을보면 한 이나 어떤 은명사구에특정성을부여하여 필요하다 보다광영역을가지게하는것을확인할수있다. 이러한특정성표지가붙은명사구도복수일경우 들 을반드시사용함을확인할수있다. 아래예들에서학생과책이두개이상이라고가정할때, 반드시 들 을사용해야한다. (35) a. 어떤학생 {??Ø, 들 } 을모두인솔해가야한다. b. 어떤책 {??Ø, 들 } 을한권도빠짐없이읽어야했다. 이것을보더라도특정성과단 / 복수구분은분명히문법적인현상이라고할수있다. 지금까지논의를정리하면 n N 의구조를가지는경우그명사구는항상그자체가이미수가있으므로 들 이없어도복수를나타내는것으로간주할수있고, 실제로이것을대명사로가리킬때는항상복수표지를사용해야함을확인할수있다. 그리고한정성표지 그 등이나특정성표지 어떤 이사용될때도단 / 복수의구분이뚜렷하고복수인경우복수표지 들 을사용하는것을보았다. 그리고이것은가리키는대상이사람이냐아니냐와같은비문법적요소에관계없이한결같이나타나는것을보았다. 이런점에서한정성과특정성의명사구에서는단 / 복수의구분이분명하게나타난다고할수있다. 한정성이나특정성이문법적인개념이고복수표지 들 의사용이이문법적인개념과유관하다는점에서더욱이들사용에있어서복수개념이문법적지위를확고히하고있다고생각할수있다. 따라서 (15) 에서의가설 1을받아들여야할것이다. 즉, 한정성 / 특정성을나타내는구조 (n N) 나한정성표지인지시사가나타나거나특정성표지 어떤 이나타나면그명사구의 들 은정말로단수를복수로만드는복수어미로간주할수있지만, 다른명사구에서의 들 은관여되는개체가복수개체인것을나타내는잉여적 들 로간주해야할것이다. 4. 무지시사명사구의한정성 지금까지의복수에대한많은논의를혼란스럽게했던요소중에하나는한정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51 성과 지시사 + 명사 의한정기술을구분하지않은것이다. Kwak(2003) 은 지시사 + 명사 형태의명사구가단수 / 복수의구분이분명하다는것을지적하였으나, 명사구가지시사없이한정적으로쓰였을경우왜그구분이없어지는것인지설명하지않았다. 본장에서는국어의일반적인언어분류적특성에서부터시작하여무결정사명사구들의해석원리를제시함으로써국어에서의명사구해석체계를설명하고그로부터추론되는원리에따라무지시사명사구의해석과 들 의사용을설명하겠다. 4.1. 비총칭문에서의명사구의해석 앞에서한정성표지나특정성표지가있는경우단 / 복수의구분이분명하다고하였다. 그런데국어에서한정성은영어와는달리특정한표현에의존하지않는경우가있다. 다음의예를보자. (36) 세명의아이가구석에자리를잡았다. 세명의아이는각자다른메뉴를골랐다. 여기서처음나오는 세명의아이 는비한정적표현이라고할수있다. 그러나두번째나오는 세명의아이 는앞에서소개된아이들을가리키므로한정적이라고할수있다. 앞에서도보았지만 세명의아이 는형태상으로는한정적표지가없고비특정적이지만실제사용에서는한정적으로사용될수있음을알수있다. 이것은구조에서오는해석과는다른것이라고생각된다. 따라서국어에는비한정적표현이한정적으로사용되는경우를허용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그런데한정성표지나특정성표지가나타나지않으면한정적으로사용된다고하더라도 들 을사용하지않는것이가능하다. (37) a. 나는두의자를모두들었다. 그의자들이 /* 의자가무겁지는않았다. b. 나는두의자를모두들었다. 의자들이 / 의자가무겁지는않았다. 한정사 그 를사용할경우에는반드시복수어미 들 을사용해야하지만, 그 가나타나지않을때에는 들 을사용할수도사용하지않을수도있다. 한정적으로사용되면서도 들 을사용하지않는것은문제가될수있다. 그러나 (36) 에서처럼비한정 / 비특정명사구가한정적으로사용될수있음을고려할때, 한정적의미로사용되는무지시사명사구는원래한정명사구가아니라는것을의미한다. 그러면

452 염재일 어떻게한정적의미를지니게되는가? 이것은구조에의존하지않는해석과정에서도입되는의미라고생각할수있다. 이것을설명하기위해서는독립적인증거를찾을필요가있다. 이를위해서우선명사자체에대한가정이필요하다. Carlson(1977), Krifka(1995), Chierchia(1998) 등에서명사의기본의미는종류를나타내는것으로가정한다. 특히 Chierchia(1998) 는인간의언어를 [+/-arg] 와 [+/-pred] 의두개의특질로분류하였다. +arg의특질을가지는언어는명사의기본의미가 <s,e> 유형의종류를나타냄으로써결정사등다른도움없이명사혼자서논항으로사용될수있는언어이고 arg는그렇지않은언어이다. +pred의특질을가지면명사의기본의미가 <s,<e,t>> 의의미유형을가져서개체들의특성을나타낸다고가정한다. 즉, 명사가기본적으로술어로사용되는언어라는것이다. 그리고, 특성과종류사이에자유로운의미유형변환이다음과같이일어난다. (38) 에서 d는종류인데이것이술어 P로변환될수있고반대로술어 P가종류 d로도변환될수있다. 이변환은비용이발생되지않는자유변환으로가정된다. (38) d P: d = λx[x d(w)], if d(w) is defined; λx[false], otherwise (=25) P d: P = λwιp(w). if λwιp(w) is in K; undefined otherwise. (K; 종류들의총집합, d: ( 한개의 ) 종류, P: 특성, w: 가능세계, d(w): w 세계에서 d 종류에속하는모든개체로구성된복수개체, P(w): w 에서특성 P 을가진것들로구성된개체에대하여참값을주는함수 ) d 에서 P 로의변환은 up( ) 변환을말하는데, 종류 d 가개체개념 ( 즉, <s,e> 유형 ) 이므로이로부터술어 (<s,<e,t>> 유형 ) 를도출하는것은각가능세계에서종류 d 에속하는모든개체들의 ( 공집합을제외한 ) 부분집합으로이루어진단수 / 복수개체에대하여참값을부여하고그렇지않고그종류에속하지않는개체들을포함하는단 / 복수개체들에대해서는거짓값을주는함수가된다. d(w) 가정의된다는것은 w의세계에 d종류에속하는개체가하나라도있다는것을의미한다. 술어 P에서종류 d로의변환은 down( ) 변환을의미하는데, P가 <s,<e,t>> 유형, 즉 [ 각가능세계에서종류에속하는개체들의부분집합으로이루어진개체이면참, 그렇지않으면거짓이되는함수 ] 이므로이것으로부터각가능세계에대하여술어가참이되게하는개체들을모두포함하는복수개체 ιp(w) 를할당하는함수, 즉 <s,e> 유형으로변환하는것이다. <s,e> 유형의의미가바로개체개념이다. 모든술어에대하여자연스런종류 (natural kind) 가정의되는것은아니므로이변환을통해종류가정의되지않는경우도있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53 중국어와같이분류사 (Cl) 가발달한언어는 [+arg, -pred] 유형에속한다고하 면서이들언어의특징을다음과같이기술하고있다. 10)11) (39) a. 무결정사명사구가논항으로사용되는것이일반적이다. b. 모든명사는물질명사이다. c. 복수표시가나타나지않는다. d. 분류사들의사용이일반화되어있다. 이와같은기준에서보면국어도상당히중국어와유사한특성을지니고있다. 우 리말에서한정성 / 특정성이구조적으로나타나는경우를제외하면, 들 이복수표 지가아니고복수가관여됨을나타내는잉여적표지라고가정할수있기때문이다. 이들언어에서는명사의기본의미가 <s,e> 유형의종류를나타낸다고주장 한다. 그래서국어에서는의미적으로명사는 <s,e> 타입의의미를가진다고가정할수있다. 이런명사가무지시사의명사구를형성하면여전히 <s,e> 타입의의미 를가지게된다. 그런데이것이종류수준의술어 (kind-level predicate) 가아닌 개체수준의술어 (individual-level predicate) 의논항의자리에쓰이면술어와의미유형이맞지않으므로그자체로는해석이이루어지지않고, 의미유형변환 (type-shifting) 을거쳐서 <s,<e,t>> 유형의술어로변형되어야한다. 앞에서언 급하였듯이종류에서술어로변환되는것은자유롭게일어난다. 그러나술어가되었다고하더라도의미유형이맞는것은아니다. 왜냐하면문제의명사구는특성의 의미유형인데논항의자리에오기때문이다. 여기에또다른의미유형변환이관여 된다. Partee(1987) 에서주장하듯이명사구가가지는의미유형은 e,<e,t>,<<e, t>,t> 세가지가있다. 그렇다면 (<s,<e,t>> 에서한가능세계만고려하여 s 를 무시하고 ) <e,t> 에서 e 나 <<e,t>,t> 로의미유형변환이일어날수있다. 따라서 다음의의미유형변환의규칙을가정할수있다. (40) ι : <e,t> e λwιx[p(x) C(x)] 10) 이이외에도 [-arg, +pred] 유형에속하는언어들은무결정사명사는전혀논항으로사용되지않고항상결정사와함께논항자리에쓰이는데프랑스어가여기에속한다. 이런언어에서는모든명사가특성을나타낸다고주장한다. 그리고 [+arg, +pred] 유형에속하는언어는결정사도발달되었지만무결정사명사구도논항자리에사용되는언어이다. 영어나많은독일어족에속하는언어가여기에속한다. 이런언어에서는물질명사는종류를가산명사는특성을기본의미로간주한다. 11) 중국어의분류사에대한논의는 Krifka(1995) 참조.

454 염재일 : <e,t> <<e,t>,t> λwλq x[p(x) Q(x)] ι연산에서 C는발화상황을말하며, P만으로유일한 x를결정하기어려울때발화상황으로부터의정보를이용하는유일한 x를정할수있을것이다. 그래서 C를도입하였다. ι연산은모든무지시사명사구에적용되고, 연산은비주제논항에적용된다고가정한다. 일반적으로결정사가발달된언어에서는결정사를통하여한정성을나타내는장치가마련되어있기때문에무결정사명사구에 ι연산을적용하여한정성의미를도출하는것은막는효과가있다고가정한다. 대표적인언어가영어같은것이다. 즉한정성을나타내는결정사 the가있기때문에무결정사명사구로는한정성명사구의의미를가지지않는것이다. 국어에는결정사가발달하지않아서이두연산에대한장애가되는것은없다. 단지 연산은의미적특성상독립된이유에의해주제어에는적용되지않는다. 주제는문장의나머지와독립적으로가리키는대상이결정되어야하는데, 연산이적용되면 x[p(x) Q(x)] 와같은의미가되고존재양화의대상이되는 x가가리키는범위가주제에서온 P뿐만아니라문장의나머지에해당하는 Q에의해서도제약이되므로주제가될수없다. 이것으로부터주제는항상한정적으로사용될것이라는것을예측할수있다. (41) 학생은일찍찾아왔다. (42) 학생이일찍찾아왔다. 여기서 (41) 은 학생 이한정적으로사용되어이미알려진특정한학생을가리킨다. 반면에 (42) 에서 ' 학생 ' 은이미알려진특정한학생일수도있고처음소개되는찾아온비한정적인학생을말할수도있다. 해석은한정적으로해석되나그해석은조정과정의하나로서의의미유형변환에의하여생기는의미이고, 명사구자체는한정적명사구가아니므로 들 을사용하지않고도복수개체에대하여쓸수있는것이다. (43) 철수는사과를샀다. 여기서사과를하나를샀을수도있고여러개를샀을수도있다. 그리고 들 없이여러개를사는상황에서이미앞에등장한특정한사과를샀을수도있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55 (44) 할머니는바구니에두개의사과만남겨놓고있었다. 철수는사과를샀다. 여기서둘째문장에서 사과 는앞문장에서언급한 두개의사과 를가리킨다. 이런점에서무지시사명사구에 들 이나타나면한정적이든비한정적이든항상 들2 가되는것이다. 이것이올바른분석인지를확인하려면이러한과정을거치는명사구의특성이무엇이며위의명사구들이그런특성을보이는지확인할필요가있다. Chierchia (1998) 가말했듯이이렇게해석되는명사구는항상협영역을가진다. 그이유는의미유형이맞지않는것은항상술어와논항사이의불일치에서오므로항상의미유형변환은국지적으로만일어나기때문이다. 예를들어문장 (45a) 에서 spots on the floor가 (45b) 에서처럼 LF에서이동하여앞으로갔다고가정하자. (45) a. I didn t see spots on the floor. b. spots on the floori [I didn t see ti] 이문장을해석하면다음과같다. (46) λx [see(i)(x)]( spots on the floor) [see(i)( spots on the floor)] ( 의미유형불일치 ) x[ spots on the floor(y) see(i)(y)] ([ ] 내에서 DKP 연산적용 ) (47) 도출종류술어화 (DKP): P(k) = x[ k(x) P(x)] (P: 개체에적용되는술어, k: 종류 ) 즉, see(i)( spots on the floor) 에서 see는목적어로개체를취해야하는데, 실제목적어로종류가왔으므로의미유형불일치가발생한다. 그러면이부분에대하여 DKP연산을적용하게되고따라서존재양화사가부정연산자보다안쪽에나타나게되어협영역을가진다. 그렇다면국어에서도무지시사명사구가협영역을가지는지확인할필요가있다. 그런데여기서주의할사항이있다. 영어에서는결정사가발달하였고한정성을결정사를사용하여나타낸다. 그리고한정성결정사의발달은도출종류술어화에서 ι연산을하는것을막는효과가있다고가정한다. 그래서영어에서는도출종류술어화를통하여항상존재양화의해석만을도출한다. 반면에국어에서는결정

456 염재일 사가발달하지않았으므로도출종류술어화의과정에서 ι연산을통하여한정성의의미도도출하는것을허용한다. 이를확인하기위하여 (48) 을보자. (48) 철수는사과 ( 들 ) 을먹지않았다. (49) i. 철수가먹은사과는없다. ii. 철수가안먹은사과가있다. iii. 그사과 ( 들 ) 을철수는안먹었다. (49i) 는 (48) 의정상적인해석으로명사구는 DKP를통하여존재양화해석을받아야하는데, 부정연산자보다협영역을가져서부정이된다. (49ii) 은존재양화해석을받는명사구가광영역을가지는경우인데위문장은이의미로는사용되지않는다. 이것을실제다른양화사와비교해보자. (50) 철수는모든사과 ( 들 ) 을먹지않았다. 이문장의전형적인의미는모든사과를안먹었다는의미로 모든사과 가광영역을가지는해석이다. 억지로협영역을가지게하려면 모든사과를먹지는 이라고해야할것이다. 이것을보면의미유형이맞지않아서의미유형변환을통하여존재양화해석을받는명사구는특별히협영역을가지는것을확인할수있다. 그리고 (49iii) 은명사구 사과 ( 들 ) 이한정명사구로해석한경우인데, 이것은광영역을가지는경향이있으며이것은단순한영역현상이아니라한정명사구가전제를유발하고그전제가투사되어결국부정연산자보다광영역을가지게되는경우이다. 다음을보면전제는광영역을가지는경향이있음을확인할수있다. (51) a.?? 철수는집이필요하다고생각했다. 그집을찾았다. b. 철수는영희의집이필요하다고생각했다. 그집을찾았다. (51a) 에서처럼전제를유발하지않는 집 과는달리 (51b) 에서처럼전제를유발하는 영희의집 은광영역을가져서다음문장에서그것을가리킬수있음을확인할수있다. 따라서 (49iii) 에서한정적해석을받는명사구가광영역을가지는것은본논문의주장에대한반론의근거가될수없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57 4.2. 총칭문에서의무지시사명사구 무지시사명사구는비한정적으로해석되면항상협영역을가진다. 하지만총칭문은 Krifka et al. (1995) 에서가정하듯이한영역이아니라제약부와핵영역두부분으로되어있다. (52) GEN[ 제약부 ][ 핵영역 ] 명사구는제약부에서해석될수도있고핵영역에서해석될수도있다. 따라서협영역으로해석된다고하여도제약부에서협영역으로해석된다면결국핵영역에있는것보다는광영역을가지는효과를가진다. 단지 GEN보다광영역을가지지않으면되는것이다. 이것은명사구가한정적으로만해석되지않으면보장되는것같다. 그런데무지시사명사구가제약부에서해석되는경우일반적으로종류로해석된다. 그리고종류를논항으로취하는술어가아니면종류는항상제약부에서해석되게마련이다. 그리고종류전체를나타내는경우에는 들 을허용하지않는다. (53) 철수가사과 (? 들 ) 은 / 는먹지않는다. GEN s, x [ 사과 (x) & 철수 in s][not[ 먹 ( 철수,x) in s]] 이것은의미유형변환과는다른이유에서나타나는관찰로다음절에서논하겠다. 여기서도사람인경우는 들 이사용되는경향이있다. (54) 철수가의사 ( 들 ) 은 / 는믿지않는다. 사람인경우 들 을사용하는경향이여기에도뚜렷이나타난다고할수있다. 반면, 무지시사명사구가핵영역에나타나면 들 이안나타날이유는없는것같다. (55) 철수는심심하면책 ( 들 ) 을모은다. GENs[ 심심 ( 철수 ) in s] x[ 책 (x) & 모으 ( 철수,x) in s] 그리고핵영역에나타날때에도단수 / 복수의구분은문장의의미에영향을미치지않는것같다. 왜냐하면핵영역내에서단수든복수든관계없이궁극적으로

458 염재일 GEN의영역하에서는자연히복수개체가관여되게되므로단수 / 복수의구분이의미가없는것이다. 5. 종류술어와쓰이는무지시사명사구 종류를논항으로가지는술어의경우 들 을사용하지않으면항상종류전체를나타낸다. (56) a. 호랑이가멸종했다. b. 철수가자동차를발명했다. c. 쥐는 1770년에오스트레일리아에들어왔다. 이경우호랑이중에한종류나자동차중에한종류를말하지않는다. 둘째문장을자연스럽게받아들인다면그것은문장을다소유연하게받아들여추론을통해새로운자동차라고이해하는것일것이다. 만약한종류의하위종류를나타내려면 어떤, 한, 수식어, 혹은여러종류이면 들 과함께사용되어야한다. (57) a. 어떤호랑이가멸종했다. b. 철수가빠른자동차를발명했다. c. 물고기들이멸종했다. d. 쥐들은오래전에오스트레일리아에들어왔다. 어떤 이나 빠른 과같은표현이분명히원래명사가나타낼수있는종류전체중에하위종류를나타내는표현임은분명하다. 특히세번째문장의경우 들 을사용하여물고기들중에일부종류의물고기들이멸종했다는의미로사용될수있다. 모든종류의물고기가멸종한것을배제하지는않지만그런의미로사용되는것은아니다. 이것도역시술어에서의미유형변환이일어나는것을협영역을가지는것을통하여확인할수있다. (58) 물고기들이멸종하지않았다.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59 이문장은멸종한물고기종류가없다는의미로해석된다. 따라서협영역을가짐 을확인할수있다. 물론이문장에서 물고기들 을한정적으로해석이가능하다. 따라서 연산과 ι 연산이모두가능함을알수있다. 그러면왜 들 이없을때종류전체만을나타내는지설명이필요하다.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중국어나국어에서종류가명사의기본의미라고가정하였다. 그러면종류를나타내는경우에원형의명사를우선적으로사용하게되므로다른형태의것을사용하는것을막는효과를가진다고할수있다. 즉, 호랑이 라는말로이미종류를나타낼수있는데굳이 호랑이들 이라는복수형을사용하여이미종류인것을특성으로변환시킨후 (d P), 이것으로부터다시종류를나타내기위한변환 (P d) 을시켜서종류를나타낼이유가없는것이다. 결정사가발달하면 ι연산을차단하는것과같은원리인것이다. 이런이유로종류전체를나타낼때는복수형을사용하지않는다고설명할수있다. 즉, 종류의기본어휘의미가있음으로해서다른방식으로종류를나타내는방식을차단하는효과가있는것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종류전체를나타내는데 들 을사용하는경우들이있다. (59) a. 자동차들이우리의생활을바꾸어놓았다. b. 공룡들이널리분포해있다. 여기서 들 이하위종류를나타낼수도있으나이에대해서는앞에서논의하였고, 여기서는단순히자동차를하나의종류로, 공룡을하나의종류로보아도위문장들은쓸수있을것이다. 12) 이때 들 이허용되는것은해당되는개체들이시공간적으로펴져여러곳에서사건이일어나는것을나타낸다고할수있다. 6. 결론 본논문에서는국어에서수와 들 의사용이진정한의미에서복수의의미를나타내는문법적요소로서확립된부분과그렇지않고비체계적 / 경향적요소를구분하려고노력하였다. 이를통해한정성이나특정성이구조적으로분명히나타나는명사구에서는단수 / 복수의구분이분명한것으로확인되었다. 따라서한정성이 12) 한심사자의지적대로 들 이하위종류를도입하는것으로해석할수도있다. 그러나여기서는그런의미가논의대상은아니다. 그리고위예문들이하위종류가아니고한종류로해석할때어색하다면본논문의논지를뒷받침해주는것이라할수있다.

460 염재일 나특정성이구조적으로분명히나타나는경우 들 은 들1 에해당한다. 그러나의미적으로만한정적인해석을가지는무지시사명사구는의미해석과정에서한정성을가지게되는데이경우에는형태상단 / 복수의구분이명확하지않다. 따라서무지시사명사구에 들 이나타나면그것은 들2 인것이다. 그리고, 종류전체를나타내는경우에는 들 이나타나지않는것은명사의기본의미가종류인데서생기는차단효과로설명할수있다. 이와같이 들 의사용을설명하려면한정성 / 특정성을나타내는구조적인측면과의미해석과정, 그리고기본의미에의한차단효과등다양한장치를사용하여야한다는점이 들 의지금까지의연구가일관된설명을하기어렵게한것으로생각된다. 여러장치를사용하는것은자의적이라는생각을할수있으나, 이것은국어에만국한되지않는일반적인원리를따르고있다는점에서정당화될수있는것이다. 이와같이체계적인설명이가능한부분을체계적이지않은부분과구분하고, 또한체계적이지않은부분에서도국어라는언어체계가어떤기본원리들을가지는가를논의함으로써다른경향적요소가작용하기이전의단계에서언어체계가제공하는형태가어떠해야하는가를제시할수있다고생각한다. 따라서언어체계의일부로서작용하는요소와기타경향적요소를구분하는것도중요하다. 이런점에서이전의논의보다진일보한것이고앞으로의논의의기틀을마련하는것이될수있다. 참고문헌 강범모. (2007). 복수성가복수표지 : 들 을중심으로, 언어학 47, 3-31. 남기심 고영근. (1985)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노은주. (2008). 한국어무표형과 들 -복수형의의미, 담화와인지 15.1, 43-62. 백미현. (2002). 한국어복수의미연구, 담화와인지 9.2, 59-78. 송석중. (1993). 한국어문법의새조명 : 통사구조와의미해석. 지식산업사. 서울. 염재일. (2007). 두특정성표지 어떤 과 한 에대한고찰, 언어정보 11.2, 23-47. 임홍빈. (2000). 복수표지 들 과사건성, 애산학보 24, 3-50. 전영철. (2002). 한정성제약과비한정성제약, 언어정보 6.2, 83-103. 전영철. (2004). 한국어의복수성과총칭성 / 한정성, 언어정보 8.2, 27-44. Carlson, Greg N. (1977). Reference to kinds in English, University of Massachusetts, Doctoral Disseration. Also 1978, Indiana University Linguistics Club. Carlson, Greg N. & Pelletier, Francis J. (eds). (1995). The generic book. Chicago,

국어에서의수와복수어미의사용 461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erchia, Gennaro. (1998). Reference to kinds across languages. Natural Language Semantics 6, 339-405. Kang, Beom-mo. (2008). On the semantic differences of the two plural forms in Korean. Language and Information 12.2, 115-137. Krifka, Manfred. (1995). Common nouns: a contrastive analysis of Chinese and English. In Carlson & Pelletier, 398-411. Krifka, M. (2004). Bare NPs: Kind-referring, Indefinites, Both, or Neither?. Proceedings of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SALT) XIII,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Edited R. B. Young & Y. Zhou, CLC Publications, Cornell. Krifka, Manfred, Pelletier, F. J., Carlson, Greg N., ter Meulen, Alice, Chierchia, Gennaro, and Link, Godehard. (1995). Genericity: An introduction. In Carlson & Pelletier, 1-124. Kwak, E. (2003). Interpretations of Plural Nouns Phrases in Korean.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Enehak) 35, 3-36. Landman, F. (1996). Plurality. In S. Lappin (ed.). The Handbook of Contemporary Semantic Theory. Blackwell, Oxford, 425-457. Lee, Han-Gyu. (1992), The Pragmatics and Syntax of Pragmatic Morphemes in Korea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 Link, G. (1983). The Logical Analysis of Plural an Mass Terms: A Lattice Theoretic Approach. In R. Bäuerle, C. Schwarze, an A. von Stechow (eds.). Meaning, Use, and Interpretation of Language. Walter de Gruyter, Berlin, 302-323. Partee, Barbara. (1987). Noun phrase interpretation and type-shifting principles. In Studies in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and the Theory of Generalized Quantifiers, ed. J. Groenendijk, 115-143. Dordrecht: Foris. Song, Seok.-Chung. (1975). Rare plural marking and ubiquitous plural marker in Korean. Language Research 11, 77-86. Winter, Yoad. (1998). Atom predicates and set predicates: towards a general theory of plural quantification. In Proceedings of Semantics and Linguistic Theory, SALT8.

462 염재일 염재일 121-791 서울시마포구상수동 72-1 홍익대학교문과대학영어영문과전자우편 : jiyeom@hongik.ac.kr 접수일자 : 2012. 10. 15 수정본접수 : 2012. 12. 06 게재결정 : 2012.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