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2DC1F6BFAAB0FA20BFAABBE C3D6C1BE292E687770>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302DC1F6BFAAB0FA20BFAABBE C3D6C1BE292E687770>"

Transcription

1 제 37 호 ( ) 부경역사연구소

2

3 지역과역사제 37 호 차 례 연구논문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 백진재 5 ꡔ일본서기 ꡕ 계체 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 백승충 43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 이성호 85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 권영오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 이정수 김희호 151 -ꡔ 慶尙道彦陽戶籍大帳 ꡕ을중심으로 년 ~1950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 정선미 183 -부산지방법원의판례를중심으로 - 휘보

4

5 ꡔ 지역과역사 ꡕ 37, , 5~42 쪽 연구논문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 1) 백진재 ** 머리말 Ⅰ. 포상팔국전쟁전한반도동남부지역의대외교역 1. 한반도동남부지역교역권의양상 2. 교역품의품목과교역경로 Ⅱ. 관련기사의검토 1. 전쟁의대상국 2. 전쟁의주도국 Ⅲ. 전쟁의원인과결과 1. 전쟁의원인 2. 신라의구원과가락국의질자파견맺음말 머리말 ꡔ 三國史記 ꡕ 와 ꡔ 三國遺事 ꡕ 에동시에기록된浦上八國戰爭 1) 기사는加耶 * 이글은필자의석사학위논문 ( 白振在, 加耶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仁濟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14) 을기반으로요약및수정하였다. ** 인제대학교박물관조교 (jinjeaback@inje.ac.kr) 1) 浦上八國기사를 戰爭 또는 亂 으로병용하여사용하고있는데본고에서는 戰爭 이란용어를사용하고자한다. 亂 이라함은나라안에서일어난싸움을의미하는데, 이것은加耶가하나의정치체내지단일연맹체의성격으로규명함을의미한다. 하지만弁韓지역내에서聯盟의실체를확인할수있는증거는발견되지않았다 ( 이영식, 加耶諸國의國家形成問題 - 加耶聯盟說의再檢討와戰爭記事分析을중심으로 ꡔ 白山學報 ꡕ 32, 1985, 64~69 쪽 ). 따라서국가또는이에준

6 6 지역과역사 37 호 前期내부전쟁에관한유일한기록이다. 이전쟁기사는사료해석의관점에따라서다양한논의가이루어졌는데, 전쟁의시기, 전쟁대상, 포상팔국의위치등을골자로하고있다. 하지만전쟁의원인에있어서만큼은중국왕조의변동이나관계에초점이맞추어져있었다. 2) 즉중원지역의혼란은漢郡縣이있는요동지역까지영향을주었고그결과가포상팔국전쟁의주된원인으로본것이다. 그러나이와별개로加耶諸國과깊은관계가있는倭와의관계성은다소간과한측면이있다. 이글에서는 2세기말桓ㆍ靈之末이라는중원지역의혼란이요동지역에는크게미치지못하였다고보고 3세기전반발생한포상팔국전쟁의배경을재검토하고자한다. 오히려倭를두고철을매개로한加耶諸國의교역경쟁이대왜교역에변동을주었고 3) 倭國大亂의발생이철수출경쟁을더욱가중함으로써전쟁발생원인을제공하였다고생각한다. 이글에서는 Ⅰ장에서교역양상을통하여포상팔국전쟁前한반도동남부지역여러권역을개괄적으로살펴보고교역품의품목과교역경로를확인해보고자한다. Ⅱ장에서는포상팔국전쟁기사를검토해보고전쟁의대상국과주도국, 하는집단간의군사적충돌을의미하는 戰爭 이타당한해석이라고생각한다. 2) 이현혜, 4 세기가야사회의교역체계의변천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1, 백승충, 1~3 세기가야세력의성격과그추이 - 수로집단의등장과포상팔국의난을중심으로 ꡔ 釜大史學 ꡕ 13, 김태식, ꡔ 加耶聯盟史 ꡕ, 一潮閣, 이종욱, 가락국의소국형성과가야연맹의전개 ꡔ 서강인문논총 ꡕ 7, 강종훈, 4 세기백제 - 왜관계의성립과그배경 ꡔ 역사와현실 ꡕ 40, 남재우, ꡔ 安羅國史 ꡕ, 혜안, 정효운, 九州海岸島嶼와東아시아의戰爭 ꡔ 동아시아고대학 ꡕ 15, 백승옥, 포상팔국전쟁과지역연맹체 ꡔ 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 ꡕ, 주류성, 전덕재, 勿稽子의避隱과그에대한평가 ꡔ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ꡕ 31, ) 이영식은김해의駕洛國이철을매개로한對中國交易을주도하면서 1 세기중반부터 늑도교역 이쇠퇴하게되었다고하였다. 이러한駕洛國의교역독점에대하여늑도 ( 사천 ) 의史勿國을비롯한서부의 8 개국이반발한사건이浦上八國戰爭의발생원인으로이어졌다고보았다 ( 이영식, 김해대성동고분군출토외래계유물의역사적배경 ꡔ 금관가야의국제교류와외래계유물 ꡕ, 주류성, 2014, 30 쪽 ).

7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7 전시상황을여러모로분석해볼것이다. Ⅲ장에서는포상팔국전쟁의원인을 2세기본격적인철생산으로성장한駕洛國과이로인해발생한교역체계의변동, 倭國大亂의발생과加耶諸國의철수출경쟁등으로보고살펴볼것이다. 또한, 전쟁이후駕洛國과新羅의관계또한알아보고자한다. Ⅰ. 포상팔국전쟁전한반도동남부지역의대외교역 1. 한반도동남부지역교역권의양상일찍이 ꡔ 山海經 ꡕ 및 ꡔ 漢書 ꡕ에서倭의위치가기술된점은漢ㆍ한반도동남부지역ㆍ일본열도가교류하였음을시사한다. 본격적인교류는기원전 108년한군현의설치이후로보인다. 4) (A) 郡을따라서倭에이르려면, 해안을따라물길로가서, a 韓國을거쳐 남쪽으로가다가동쪽으로가면, 그북안의狗邪韓國에이름에 7000 여리이고, 처음바다하나를건너, 1000 여리에對馬國에이른다. 5) 사료 (A) 는기원후 3세기후반대방군으로부터일본열도까지의해로를기록한것이다. 비록후대의기록이지만사료 (A) 의 a는한군현과왜를이어주는중요교통로로써김해狗邪國을비롯하여동래, 창원, 고성, 거제, 사천, 늑도등이중간기착지나교역항으로발전하였음을보여준다. 6) 4) 정인성, 弁韓ㆍ加耶의대외교섭 낙랑군과의교섭관계를중심으로 - ꡔ 가야고고학의새로운조명 ꡕ, 혜안, 2003, 581~584 쪽. 5)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東夷傳韓傳倭人條. 6) 이현혜, 앞의논문, 1988, 164 쪽.

8 8 지역과역사 37 호 < 그림 1> 한반도동남부지역한일교역의거점 ( 李昌熙 2010a 수정후인용 ) 한편李昌熙는야요이토기의출토유적을중심으로사천ㆍ늑도권역, 김해ㆍ부산권역, 울산권역등 3곳의무역거점을분류하였다. 7) 이글에서는이창희의분류안을따르되변한지역이아닌울산권역은제외하고교역이가장활발하였던사천ㆍ늑도권역을시작으로한반도동남부지역의교역양상을살펴보고자한다. 사천ㆍ늑도권역의중심지였던늑도유적 8) 에서는다양한성격의유구에 7) 이창희, 토기로본가야성립이전의한일교류 ꡔ 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 ꡕ, 주류성, 2010a, 87 쪽 ; 단 3 곳의거점항구를중심으로한다고해서그장소만교역이이루어졌다고말하는것은아니다. 어디까지나 무역 의중심지또는교역거래가가장집중적으로열린장소를가리킴으로써당시의대외교역시스템전체를상징적으로말했을뿐이다 ( 久住猛雄, 日本出土の朝鮮半島系土器の再検討 - 弥生時代を中心に -, 第 59 回埋蔵文化財研究集会, 2010, 8 쪽 ). 8) 釜山大學校博物館, ꡔ 勒島住居地 ꡕ, 慶南考古學硏究所, ꡔ 勒島貝塚 A 地區ㆍ

9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9 서낙랑토기, 야요이토기, 반량전, 오수전, 漢鏡, 등漢ㆍ倭의유물이출토되었다. 이러한유물은늑도에서須玖 Ⅱ 式의야요이토기가집중적으로출토되는기원전 1세기 ~ 기원후 1세기대에확인된다. 9) 근래에는동시기를늑도의교역중심연대로보고토기및漢ㆍ倭의유물이상당량출토된점에근거하여늑도에 교역기구 가설치되었다는견해가주목된다. 10) < 그림 2> 늑도교역 의시작 ( 久住猛雄 2010 수정후인용 ) 住居群 ꡕ, 釜山大學校博物館, ꡔ 勒島貝塚과住居群 ꡕ, 東亞大學校博物館, ꡔ 泗川勒島 C1ꡕ, 慶南考古學硏究所, ꡔ 勒島貝塚 Ⅱ~Ⅴꡕ, 東亞文化硏究院, ꡔ 泗川勒島進入路開設區間內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 ꡕ, ) 이창희, 앞의논문, 2010a, 72~43 쪽. 이창희, 점토대토기의실연대 - 세형동검문화의성립과철기의출현연대 - ꡔ 文化財 ꡕ 43, 2010b, 74~77 쪽. 10) 白井克也, 勒島貿易と原の辻貿易 - 粘土帯土器ㆍ三韓土器ㆍ楽浪土器からみた弥生時代の交易 - ꡔ 弥生時代の交易 - モノの動きとその担い手 -ꡕ, 第 49 回埋蔵文化財研究集会, 2001, 69~71 쪽. 久住猛雄, 앞의논문, 2010, 3~5 쪽.

10 10 지역과역사 37 호 이글에서는기원전 1세기 ~ 기원후 1세기대 교역기구 로써 늑도교역 이형성되었다고본다. 물론다원적교역중심지가있었음은사료 (A) 와고고자료를통해서도확인할수있으나늑도유적에서물자의운반수단인須玖 Ⅱ 式단계의야요이토기가상당량출토된점은늑도가교역의중심지역할을한물적증거라고생각한다. 11) 한편늑도유적의下限에있어서는기원후 2세기전반으로보고 12) 漢ㆍ倭의유물이감소하는기원후 1세기중반부터 늑도교역 이쇠퇴하기시작한것으로추측된다. 그렇다면왜勒島가교역항으로써발달할수있었을까? 여기서는크게 3 가지요인을상정하고자한다. 첫째, 입지적인요인을꼽고싶다. 늑도유적은남해안의한가운데에위치하면서일본열도와가까운동남해안지역과서해안지역을연결하는루트상에있다. 또한, 늑도주변의조류는 6.5노트로배들이지나기엔대단히위험한속도이지만늑도쪽으로오면 2노트수준으로현저히떨어지는등안전한해로를통해배를정박할수있었다. 둘째, 한군현의설치와밀접한관련이있는것으로보인다. 기원전 108년낙랑군이설치된후에는삼한사회내의교섭관계의중심이크게변화하였다. 즉변진한지역을중심으로낙랑군을통해서수입된유물, 혹은이러한유물을모방하여현지에서제작된유물이급증하게된다. 이와반대로마한지역에서는낙랑군을통해입수되었다고판단되는유물이거의확인되지않 11) 토기의용도를제한적인물자에대한운반수단으로보는견해도있으나물자의원거리교역운반과정을보여주는것또한토기라는점은주목하여야할것이다. 또한토기의기종종류및출토양은동시기교역권의양상뿐만아니라교역루트, 해당집단의사회적, 정치적성격이어떻게다변화되는지알수있는주요한척도라고할수있다. 12) 이창희, 勒島遺蹟出土外來系遺物報告 - 勒島 Ⅲ 期의設定과함께 - ꡔ 勒島貝塚과墳墓群 ꡕ, 부산대학교박물관, 2004, 552~556 쪽. 이창희, 앞의논문, 2010b, 83 쪽. 寺井誠, 中繼地の形成 - 固城東外洞遺蹟の檢討を基に - ꡔ 九州と東アジアの考古學 ꡕ, 九州大學校考古學硏究室 50 周年記念論文集, 2008, 238~ 247 쪽.

11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11 아대조적이다. 이는낙랑군이설치된이후교섭의중심축이일거에마한지역에서변진한지역으로이동하였음을시사한다. 13) 셋째, 늑도유적을중심으로한철의수출을들수있다. 늑도유적에서는판상철부와 2개로포개진주조철부가須玖 Ⅱ 式토기와공반된점이주목된다. 즉철기의수출은단면주조철부가유행하기시작하는須玖 Ⅱ 式단계가중심이된것으로보인다. 14) 늑도유적에서노벽편, 송풍관, 단조박편, 소철괴등용해나정련, 단야에한정된제철공정이가능한유구가확인된점과야요이토기가출토된유구의 40% 가제철관련유물과함께출토된점 15) 은이를뒷받침하는물질증거라고할수있다. 이렇게늑도에서제작된철은漢의선진문물과교환하였던것으로파악된다. 倭또한철과漢의선진문물을얻기위해늑도와긴밀하게교류하였을것이다. 이점은문헌사료에서도확인할수있는데, ꡔ 三國志 ꡕ의진ㆍ변한철교역기사를통해서알수있다. 한편부산ㆍ김해권역또한漢ㆍ倭와교류하였는데, 일찍이흥동 1호주거지와회현리패총에서는야요이전기토기가출토되었다. 근래에는회현리패총 D지구 3호옹관에서 9점의銅鉈가확인되는데, 동사를삭도의용도로본다면 3호옹관의피장자는문자를사용하면서철을매개로한군현과왜를잇는역할을한것으로추측된다. 16) 이외에도 ꡔ 三國志 ꡕ 廉斯鑡기사를통해서도한군현과의교류양상을확인할수있다. (B) 王莽의地皇연간에, 廉斯鑡가辰韓의右渠帥가되어樂浪의토지가비옥하고주민들이풍요롭고즐긴다는소문을듣고망명하고자하였다. 읍락에서나와참새를쫓고있는한남자를보았는데, 그말은韓人의말이아니었다. 물으니남자가말하기를, 우리들은漢人으로이름은戶來입니다. b우리들천5백 13) 정인성, 앞의논문, 2003, 581~582 쪽. 14) 이창희, 앞의논문, 2010a, 85 쪽. 15) 이창희, 위의논문, 88 쪽. 16) 안지영ㆍ이양수, 김해회현리패총 D 지구 3 호옹관출토동사에대하여 ꡔ 김해회현리패총 ꡕ, 2015, 137 쪽.

12 12 지역과역사 37 호 명은村木을벌채하다가韓에게잡혀모두머리를깎이고노비가된지 3년이되었습니다. 라하였다. 鑡이, 漢에투항하러가는데같이가지않겠느냐 하니戶來가좋다고하였다. 鑡는戶來를데리고含資縣에갔다. 縣이郡에보고하자, c 郡은鑡을통역으로삼아芩中에서큰배를타고辰韓에들어가戶來와함께항복했던자들을찾았으나일천명만있었고 500 명은이미죽고없었다. 鑡가이때辰韓에따지기를, 너희는 500 명을돌려보내라. 만약그렇지않으면樂浪이만명의군사를파견하여배를타고와서너희를공격할것이다. 라고하니辰韓은, 500 명은이미죽었으니우리가마땅히그에대한보상을치르겠습니다. 하고는, 辰韓사람만 5천명과弁韓布만 5천필을내어놓았다. 鑡는그것을거두어가지고곧바로돌아갔다. 郡에서는鑡의功과義를표창하고, 冠幘과田宅을주었다. 그의자손은여러代를지나安帝延光 4년 (125) 에이르러서는그로인하여부역을면제받았다. 17) 사료 (B) 는王莽의地皇연간 (20~23) 에辰韓右渠帥廉斯鑡가낙랑과교섭하고있었음을보여준다. 여기서辰韓右渠帥廉斯鑡의경우渠帥의渠는 도랑, 해자 를뜻하고, 帥는 우두머리, 인솔자, 통치자 등을말한다. ꡔ 三國志 ꡕ 동이전예조에서는산천마다각각읍락의경계로삼았다고하였는데, 환호또한읍락의경계로볼수있다. 즉辰韓右 ( 지역 ) 환호취락廉斯마을의수장을의미하는것이다. 한편 ꡔ 三國志 ꡕ에서는辰韓이弁辰으로표현되거나풍속등유사한속성으로인하여꼭辰韓만으로단정할필요는없고, 右渠帥또한左渠帥에대한상대적표현으로본견해가주목된다. 즉 ꡔ 新增東國輿地勝覽 ꡕ에창원도호부의옛지명인염산고성은廉斯마을로볼수있으며이곳에있는다호리지역의수장을辰韓右渠帥로볼수있다는것이다. 18) 다호리유적 19) 에서는다양한분묘및유물이확인되었다. 그중다호리 1 17)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東夷傳 30 韓傳. 18) 西本昌弘, 樂浪郡治の所在地と辰韓廉斯鑡 ꡔ 朝鮮學報 ꡕ 130, 1989, 60~63 쪽. 백승충, 加耶의地域聯盟史硏究,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5, 65~66 쪽. 이영식, 앞의논문, 2014, 22~23 쪽. 19) 이건무外, 昌原茶戶理遺蹟發掘進展報告 Ⅰ ꡔ 考古學誌 ꡕ 1 ㆍ 3 ㆍ 5 ㆍ 7, 1989 ㆍ 1997 ㆍ 1993 ㆍ 國立金海博物館, ꡔ 昌原茶戶理遺蹟 ꡕ, 2011.

13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13 호분은기원전 1세기후반에속하는목관묘로써漢ㆍ倭이유물이함께출토되었다. 이러한유물의존재는다호리지역이기원전 1세기대에낙랑군과倭의중개지로써발전하였음을보여준다. 발전동력으로는수로교통과철의생산이라고생각한다. 다호리지역은本浦나루의수로를통하여내륙의변한지역과해안지역을연결하는지정학적위치에자리잡고있다. 낙동강을건너면바로창녕, 밀양등으로이어지고낙동강을따라내려가면김해를통하여한군현과왜로통할수있다. 김해구지로 10호 20) 나대성동 60호 21) 에서는철촉등의무기류가상당량확인되는반면판상철부와같은철소재품은대성동가야의숲 1호목관묘 22) 에서만 1점확인되었다. 이것은다호리지역의철소재품을수로를통하여김해지역이입수한후철기를생산하였을가능성이크다고생각한다. 철의생산은다호리 30호에서철괴 2점, 64호분에서자철광석이출토된점으로보아철생산과철기제작이동시에이루어졌음을보여준다. 23) 이뿐만아니라늑도유적과마찬가지로다호리유적에서도 2점 1조의주조철부가須玖 Ⅱ 式토기와출토된점에서늑도유적과비슷한시기부터철기가생산되었을것이다. 특히다호리 1호분의경우다종다양한철기가공반된점에서다호리 1호분의피장자가다호리고분군집단의수장으로서철기생산을장악하였다고볼수있다. 24) 한편양지역의교섭형태는정치체의발전이나주변의변동요인등을감안하여보아야할것이다. 교역장은침묵교역으로부터파생되거나그변이로써등장한중립적인기구였다. 25) 그러나시간이흐르면서점차국가적협 20) 경성대학교박물관, ꡔ 金海龜旨路墳墓群 ꡕ, ) 경성대학교박물관, ꡔ 金海大成洞古墳群 Ⅲꡕ, )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ꡔ 김해伽倻의숲造成敷地內遺蹟發掘調査報告書 ꡕ, ) 김양훈, 삼한시대변한권역철기생산의추이 ꡔ 역사와세계 ꡕ 44, 2013, 175 쪽. 24) 김양훈, 위의논문, 174 쪽. 25) Polanyi, Port Trade in Early Societies The Journal Of Economic

14 14 지역과역사 37 호 정이나원거리교역을수행하는유력자들간의합의와같은정치적교섭이주류를이루는등대외교역의성격은변화될수있다고생각한다. 사천ㆍ늑도권역을중심으로한 늑도교역 은교역장을중심으로한원거리교역이었을것이다. 원거리교역은정치적으로미성숙한단계로늑도유적에서는다호리 1호분에버금가는부장품이확인되지않았고출토품에서도운반수단인토기가주로출토되었다. 다만늑도유적의쇠퇴기에해당하는기원후 2세기전반경늑도나-139 호에서전한경편의확인되었고사료에서보이는史勿國의존재는정치적교섭의가능성을부정할수없다고생각한다. 한편부산ㆍ김해권역은한군현과왜에정치적교섭을한것으로보이는데, 다호리 1호분에서수장층의위세품인성운문경과각종칠기, 북부구주산중세형동모가출토되었기때문이다. 또한기원후 1세기로편년되는가야의숲 3호목관묘에서도소문경, 칠기부채 2점등이확인되었는데, 이러한위세품의착용및부장은수장층의특별한권력과신분을지닌이들임을확인해주는이데올로기의산물일것이다. 26) 다음사료 (B) 의 c에서는廉斯鑡를통역으로삼았음을기술하였는데廉斯鑡가대외교섭의주체로활동하였음을의미한다. 이외에도 ꡔ 後漢書 ꡕ 廉斯人蘇馬諟기사는서기 44년韓의廉斯人蘇馬諟가漢으로부터廉斯邑君이란칭호를수여받았음을확인할수있는데同書光武帝紀에서도樂浪內附에이르렀다고하여실제로廉斯人蘇馬諟가칭호를받으러왔음을알수있다. 27) 여기서漢이廉斯人蘇馬諟에게수여한읍군은소국의군장을위한작위로서중국적세계질서인책봉체제속에포함되었음을보여준다. 또한기사의연대를믿을수는없으나 ꡔ 日本書紀 ꡕ 崇神ㆍ垂仁條에서는任那의蘇那曷叱知가조공하였다는기사가보인다. 蘇那曷叱知는蘇那曷 + 叱知 ( 臣智 ) 로볼경우 ꡔ 後漢書 ꡕ 廉斯人蘇馬諟와이름이상당히유사하다. 28) History 23, ) Timothy K, Earle, ꡔ 족장사회의정치권력 ꡕ, 도서출판考古, 2008, 272~273 쪽. 27) 이영식, 앞의논문, 2014, 27 쪽.

15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15 기년상오류가인정되지만최초로확인되는駕洛國과倭의교섭이란측면에서재검토할여지가있다고생각한다. 이러한정치적교섭을통해부산ㆍ김해권역또한교역항으로써부상하기시작하였는데, 기원전 1세기후반 김해교역 이시작된것으로볼수있다. 다만부산ㆍ김해권역의 김해교역 은기원후 2세기전반까지사천ㆍ늑도권역의 늑도교역 으로인하여대외무역의주도권을가지고오지는못하였다. 늑도유적에서漢式遺物과야요이토기의집중화로보았을때한군현ㆍ왜양지역을연결해주는교역항으로써위상을유지하고있었다. 그러나늑도유적에서는기원후 1세기중반부터漢ㆍ倭의유물이급격하게감소하고있다는점은 김해교역 의영향으로파악된다. 2. 교역품의품목과교역경로한반도동남해안지역은漢ㆍ倭양지역에철을수출하여발전할수있었다. 이때주로생산된철제품은板狀鐵斧이다. 板狀鐵斧의용도에대해서는나무를베거나깎는기능을가진도끼와자귀의겸용으로사용한도구 29) 또는철기의중간소재나화폐의기능을하였던것으로추정하였다. 30) 한반도동남해안지역에서생산된철은중국에서철판으로유통되었다고본견해가있는만큼 31) 한군현을통하여중국의선진문물을입수하는데있어서弁辰의철은유용한소재가되었을것이다. 倭또한한반도동남부지역으로부터철을입수하였는데, 왜측의요청만강조되어일방적으로변진의鐵이유통되었다고보았다. 32) 하지만물질교 28) 이영식, 위의논문, 28 쪽. 29) 이건무外, 앞의논문, 1989, 48 쪽. 30) 송계현, 낙동강하류역의고대철생산 ꡔ 加耶諸國의鐵 ꡕ, 신서원, 1995, 135~ 140 쪽. 31) 東潮, 弁辰과加耶의鐵 ꡔ 加耶諸國의鐵 ꡕ, 신서원, 1995, 86~87 쪽. 32) 이성주, 南海岸地域에서출토된倭系遺物 ꡔ 古代東亞細亞와三韓, 三國의交涉 ꡕ, 복천박물관국제학술대회, 2002, 54 쪽 ; 가야 - 왜상호작용에대한고고학의해석 ꡔ 가야문화 ꡕ 16, 2003, 55~57 쪽.

16 16 지역과역사 37 호 류는양지역의문화ㆍ물질을수반하므로문제가있는지적이라고생각한다. 이글에서는왜로부터인력, 목탄또는자재용나무, 옥, 곡물등을입수하였을것으로본다. 사료 (B) 의 b에서는漢人이村木을벌채하는도중韓의습격을받고노예가되었다고기술하였다. 이것은노동력의확보뿐만아니라제철용연료를확보하기위한것으로도볼수있다. 33) 실제로목재의벌채와운반에는상당한노동력이소요될뿐만아니라제철과정에서도인력소모가상당하였을것이다. 34) 이글에서는인력의수급을倭로부터제공받았다고생각한다. 한반도동남부지역에서출토된하지키는 3세기중엽일본열도의일상토기인데아주동유적취락에서출토된하지키계고배의배신과대각의접합방식은영남지역에서아직사례가확인된바없고일본열도의하지키에서는보편적으로확인된다. 당시낙동강하류역에는와질토기등이생산되고있었는데하지키계토기가확인된다는것은왜계모방토기제작자가한반도거주왜인이었을가능성을시사하는것이다. 35) 다음 ꡔ 三國志 ꡕ에서는倭의특산물중하나로여러종류의나무가기록되어있다. 36) 여기서杼, 楺櫪등은목탄으로사용가능하므로제철용연료를제공받았을것으로추측된다. 뿐만아니라김해봉황동에서는기원후 3~4 세기로추정되는선박부재가출토되었는데 37) 수종분석결과녹나무로밝혀졌다. 豫樟가일본의특산품으로기록되어있는만큼나무자재또한왜로부터입수받았을가능성이있다. 38) 33) 鈴木靖民, 加耶 [ 弁韓 ] の鐵と倭 ꡔ 加耶諸國의鐵 ꡕ, 신서원, 1995, 48 쪽. 34) 이동완, 한국고대제철에대한연구 - 고대제철복원실험을중심으로 -, 한신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3, 33~38 쪽. 권병탁, 古代鐵産業의一硏究 - 隍城洞冶鐵遺蹟地를中心으로 - ꡔ 國史館論叢 ꡕ 42, 1993, 43 쪽. 35) 홍보식, 삼국시대의이주와생활유형 ꡔ 한국고고학보 ꡕ 87, 2013, 48~49 쪽. 36)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烏丸鮮卑東夷傳 30 韓傳倭人條. 37) 동양문물연구원, 김해봉황동 및 22-6 일원주택신축부지내유적 ꡔ 연구조사발표회 ꡕ, 영남지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13, 142~147 쪽. 38) 영남문화재연구원, 보존처리를통해확인된가야시대선박의실체 - 가야의대왜교역과해상활동의흔적을확인하다 -, 영남문화재연구원유물공개설명회, 2014,

17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17 다음 ꡔ 三國志 ꡕ에서는倭의특산품으로青玉이산출되었음을확인할수있는데, 39) 당시三韓社會에서玉에대한수효가상당하였음을고려한다면 40) 왜로부터옥을입수하였을가능성이크다고생각한다. 특히곡옥의경우산출이제한적인데한반도에서확인된점은일본열도로부터대부분곡옥을수입하였을가능성이높고 41) 탈해를왜의경옥제곡옥생산지인단파출신으로본견해 42) 가있는만큼한반도동남부지역과왜는철과옥을매개로교류하였던것으로보인다. 다음 ꡔ 三國志 ꡕ 왜인조에서는對馬國과一大國에서남쪽과북쪽으로곡물을나른다고기록하였는데사천ㆍ늑도권역과김해ㆍ부산권역등동남해안지역은해안가를따라분포하고있기때문에식량이부족하였을가능성도있다. 아마도壹岐, 對馬측으로부터곡물을받고鐵을수출하였을것이다. 43) 이외에도倭錦을비롯한견직물을생산하여조공품내지교역품으로활용하였다는견해 44) 가참고된다. 그렇다면倭는어떤경로를통하여弁辰의鐵을입수하였을까? 後藤直은기원전 1세기후반부터弥生社會측의교섭주체가개별소지역사회가아니라평야단위의광역통합체의수장층으로이동하며, 교섭의성격도문물의교환이아니라조공이라는정치적교섭으로변화되었다고보았다. 45) 이러한변화는倭로가는관문이었던對馬ㆍ壹岐ㆍ북부구주연안등에영향을주었고교역중개지로써발전한것으로보이는데, 기원전 1세기후반부터기원후 1세기전반에걸쳐漢및弁辰의유물이출토되고있기때문이다. 46) 1~2 쪽. 39)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東夷傳 30 韓傳倭人條. 40) ꡔ 後漢書 ꡕ 卷 85, 東夷列傳 75 韓傳馬韓條. ꡔ 晉書 ꡕ 卷 97, 列傳 67 四夷馬韓傳. 41) 門田誠一, ꡔ 海からみた日本の古代 ꡕ, 新人物往來社, 1992, 51~74 쪽. 42) 이근우, 고대낙동강하구와왜 ꡔ 역사와세계 ꡕ 41, 2012, 18~36 쪽. 43) 이현혜, 鐵器普及과政治權力의성장 - 辰弁韓지역정치집단을중심으로 - ꡔ 加耶諸國의鐵 ꡕ, 신서원, 1995, 14 쪽. 44) 이근우, 봉황동유적과대외교류 ꡔ 봉황동유적 ꡕ, 주류성, 2013, 150~155 쪽. 45) 後藤直, 朝鮮系舞文土器 ꡔ 三上次男先生頌壽記念東洋史ㆍ考古學論集 ꡕ, 1979.

18 18 지역과역사 37 호 原の辻遺蹟에서는다양한기종의낙랑토기가확인되고있다. 점토대토기또한함께공반된사례가많아교섭이弁辰과집중되었음을보여준다. 鐵器또한弁辰으로부터유입되었던것으로보인다. 이때늑도를시작으로북부구주로이어지는루트가성립된것으로보이는데, 勒島 對馬 壹岐 북부구주연안으로형성되었다. 이러한교역루트속에서 늑도교역 은한반도동남부지역의교역을주도한것이다. Ⅱ. 관련기사의검토 1. 전쟁의대상국 浦上八國戰爭기사는 ꡔ 三國史記 ꡕ 新羅本紀와같은책列傳勿稽子傳, ꡔ 三國遺事 ꡕ 避隱勿稽子條에서확인할수있다. (C) 14년가을 7월浦上八國이꾀하여加羅를습격하였다. 加羅왕자가와서구원을청하니, 왕이태자于老와더불어이벌찬利音에게명하여 6부의병사를거느리고가서구원하였다. 八國의장군을쳐죽이고 d포로로된바있는 6000 인을빼앗아보냈다. 47) (D) 勿稽子는奈解尼師今때사람이다. 그때八浦上國이함께꾀하여阿羅國을쳤다. 阿羅의사신이와서구원을청하니, 尼師今이왕손㮈音을시켜, 근처의郡및六部의군을거느리고구웠을갔다. 드디어八國兵이패하였다. 3년후骨浦, 柒浦, 古史浦 3국인이, 竭火城를와서쳤다. 왕이병사를거느리고나가구원하였고 3국의군은대패하였다. 勿稽子는수십여급을붙잡아베었으나함께그공을논함에또얻은바가없었다. 이에그의처에게말로말하기를, e 前日浦上과竭火의싸움이가히위태로움에이르렀고또어려웠다. 48) 46) 井上主稅, 嶺南地方출토倭系遺物로본한일교섭,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6, 57 쪽. 47) ꡔ 三國史記 ꡕ 卷 2, 新羅本紀 2, 奈解尼師今 14 年 7 月條.

19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19 (E) 제10 奈解王즉위 17년임진 (212) 保羅國, 古自國 ( 지금固城 ) 史勿國 ( 지금泗州 ) 등 8국이아울러힘으로변경을來侵했다. 왕이태자㮈音, 장군一伐등에게명하여, 병사를거느리고막게하여八國다항복했다. 奈解王 20년乙未 ( 서기 215 년 ) 에骨浦國 [ 지금의合浦다.] 등세나라왕이각기군사를이끌고와서竭火 [ 屈弗인듯한데, 지금의蔚州다.] 를쳤다. 그러자왕이친히군사를거느리고이를막으니세나라가모두패하였다. 그의아내에게말하였다. f 保羅 [ 發羅로생각되는데, 지금의羅州다.] 와竭火의싸움은진실로나라의환란이었고임금이위태로웠다. 49) 사료 (C) 는奈解尼師今 14년 (209) 에포상팔국이加羅를습격하였고, 新羅가 6부군을이끌고구원하였다는내용이다. 사료 (D) 는시기가불분명하지만奈解尼師今시기임을확인할수있고, 浦上八國이阿羅國을치므로阿羅의사신이新羅에구원을청하였다. 이에新羅는근처의郡및 6부의군으로구원하여浦上八國을물리쳤다. 3년후骨浦, 柒浦, 古史浦 3국연합군이新羅의竭火城을쳤으나패하였다는내용이다. 사료 (E) 는奈解王 17년 (212) 保羅國, 古自國, 史勿國등 8국이新羅의변경을來侵하였으나신라군에패배하였다. 하지만奈解王 20년 (215) 에骨浦國등 3국이新羅竭火를쳤고新羅가이를막았다고하였다. 사료 (C), (D), (E) 는같은전쟁기사를기록하고있지만, 사료상의여러가지차이가확인되는데이를정리하면아래 < 표 1> 과같다. 한편사료상의차이로인하여다양한의견이제시되었는데시기와내용면에서차이를보이고있다. 전쟁의대상국에대해서는加羅설, 50) 阿羅설, 51) 加羅ㆍ阿羅설 52) 이제기되었다. 이글에서는加羅설을지지하면서 3 48) ꡔ 三國史記 ꡕ 卷 48, 列傳 8, 勿稽子傳. 49) ꡔ 三國遺事 ꡕ 卷 5, 避隱 8, 勿稽子條. 50) 권주현, 阿羅加耶의成立과發展 ꡔ 啓明史學 ꡕ 4, 1993, 21 쪽. 김양훈, 앞의논문, 2013, 189 쪽. 김태식, 咸安安羅國의成長과變遷 ꡔ 韓國史硏究 ꡕ 86, 1994, 56~58 쪽. 백승충, 앞의논문, 1989, 130 쪽. 이영식, 앞의논문, 1985, 75 쪽. 이현혜, 위의논문, 1988, 185 쪽. 천관우, ꡔ 加耶史硏究 ꡕ, 一潮閣, 1991, 18 쪽. 51) 남재우, ꡔ 安羅國史 ꡕ, 혜안, 2003, 108~109 쪽. 선석열, 浦上八國의兒羅國침

20 20 지역과역사 37 호 < 표 1> ꡔ 三國史記 ꡕ 와 ꡔ 三國遺事 ꡕ 에보이는浦上八國戰爭의사료 (C) (D) (E) 사료시기대상국침략국구원군결과 ꡔ 三國史記 ꡕ 本紀 ꡔ 三國史記 ꡕ 烈傳勿稽子條 ꡔ 三國遺事 ꡕ 勿稽子條 奈解尼師今 14 년가을 7 월 (209) 加羅 浦上八國 불분명阿羅國浦上八國 八國이阿羅國침략 3 년후 奈解王 17 년壬辰 (212) 奈解王 20 년乙未 (215) 竭火城 新羅의邊境 竭火 骨浦, 柒浦, 古史浦 保羅國古自國史勿國等 8 國骨浦國等 3 國 太子于老, 伊伐飡利音이引率한 6 部軍 王孫捺音이인솔한주변郡및 6 部軍 奈解尼師今 太子㮈音, 將軍一伐등이引率한軍 奈解尼師今 八國장군을죽임. 포로 6000 인을돌려줌. 八國兵이패함 三國軍패함 八國모두항복 三國軍패함 세기초반에전쟁이발생한것으로생각한다. 53) 다만전쟁의원인에대해서는 Ⅲ장에서후술하고자한다. 한편정약용은駕洛國은김해에있고迦羅또는伽倻의이름을쓴도합여섯나라라고하였다. 54) 여기서加耶는 ꡔ 三國史記 ꡕ 초기기록에서김해駕洛國을상징할수도있고주변加耶小國을지칭할수도있다. 55) 또한 ꡔ 日本書紀 ꡕ 垂仁天皇 2년是歲條의意富加羅國에意富는大를뜻하는고대한국어이고加羅國은駕洛國으로볼수있고 56) 首露王이나라의이름을大駕洛이칭한점에서駕洛國으로볼수있다. 입에대한考察 -6 세기중엽남부가야제국의동향과관련하여 - ꡔ 伽倻文化 ꡕ 14, 1997, 66 쪽. 52) 노중국, 가야의대외교섭 -3~5 세기를중심으로 - ꡔ 가야의해상세력 ꡕ, 11 회가야사학술회의발표자료집, 2005, 40 쪽. 백승옥, ꡔ 加耶各國史硏究 ꡕ, 혜안, 2003, 110 쪽. 53) 이에대한정리는백승옥의논저에자세히언급되어있다 ( 백승옥, 위의책, 89~ 126 쪽 ). 54) 丁若鏞, ꡔ 疆域考 ꡕ 卷 1, 弁辰考, 卷 2 弁辰別考. 55) 이영식, 앞의논문, 1985, 74~76 쪽. 56) 이영식, 앞의논문, 2014, 28 쪽.

21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21 사료 (C) 는加羅는김해駕洛國이거나加耶諸國전체를뜻하는것으로볼수있다. 사료 (D) 와 (E) 는각각小國의國名이나오는점에서사료 (C) 加羅國은사료 (D) 와 (E) 로볼때광의적표현이라기보다는駕洛國을지칭하는것이다. 여기서문제는사료 (D) 에서전쟁대상으로그려진阿羅이다. 阿羅설논자들은茶山이阿羅를迦羅로誤記하였다고보고전쟁대상국을阿羅로설정하였다. 57) 하지만茶山의誤記로치부하기에는 ꡔ 疆域考 ꡕ에서빠지지않고함안을浦上八國속에포함하고있다. 정말誤記였다면함안을浦上八國에포함하지않은흔적도있어야할터인데茶山의신념은확고해보인다. 따라서誤記로보기에는무리가있다. 다음사료 (E) 의경우浦上八國이新羅의변경을來侵하였다고기술하였는데, 함안은 209년또는 212년경에新羅로부터너무떨어져있다. 115 년新羅와加耶는黃山河에서교전한것으로보이는데황산진구는지금의김해에서양산으로건너가는용당, 고암, 물금나루부근으로 ꡔ 三國遺事 ꡕ에서駕洛國이黃山江을동쪽의경계로하고있었다고하는것과통한다. 58) 2세기전반까지新羅와駕洛國이양산지역을경계로하여교전중이었다면, 新羅는아직양산지역을벗어나지못하였다고볼수있고 209년또는 212년에新羅가阿羅를지원하기는어렵다고생각한다. 결과적으로浦上八國兵이駕洛國을침공하였고사료 (D) 와 (E) 의竭火城을치기전단계는사료 (C) 와같은시기의기사임을알수있다. 다음 ꡔ 三國史記 ꡕ 新羅本紀奈解尼師今 17 年條기사에서는駕洛國이新羅에質子를파견하였음을확인할수있다. 59) 여기서 ꡔ 三國史記 ꡕ 勿稽子傳의阿羅는加羅와같으므로 1차전쟁은浦上八國軍이駕洛國을침공하였고新羅의구원군에의해패하였다. 그렇다면 3년뒤에발생하는骨浦등 3국의新羅竭火城전투는어느시기로보아야할까? 이역시質子의파견전인 212년봄 3월 57) 남재우, 앞의책, 2003, 109 쪽. 백승옥, 포상팔국전쟁과지역연맹체 ꡔ 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 ꡕ, 주류성, 2011, 113~117 쪽. 58) 이영식, 신라와가야제국의전쟁과외교 ꡔ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ꡕ 15, 1994, 102 쪽. 59) ꡔ 三國史記 ꡕ 卷 2, 新羅本紀 2, 奈解尼師今 17 年春三月條.

22 22 지역과역사 37 호 전으로보는것이타당하다고생각한다. 質子의파견은전쟁이종료되었음을보여주는증표라고할수있다. 2. 전쟁의주도국전쟁주도국의경우사료 (C) 에서는전쟁주도국의이름은확인할수없고공격주체로포상팔국만기술되어있다. 사료 (D) 는구체적인시기는없으나 1차전쟁의주도국은포상팔국이고 2차전쟁은骨浦, 柒浦, 古史浦임을알수있다. 사료 (E) 는전쟁의상황에대해서세세하게기록하고있는편인데 1차전쟁의주도국은保羅國, 古自國, 史勿國등 8국이고 2차전쟁은骨浦등 3국이다. 그렇다면 1차전쟁은사료 (E) 의保羅國, 古自國, 史勿國등을포함한 8 국이고, 2차전쟁은사료 (D) 의骨浦, 柒浦, 古史浦와 (E) 骨浦등 3국이므로 8국중국명을알수있는나라는古自國, 古史浦, 史勿國, 柒浦, 骨浦, 保羅國등 6 國이다. 여기서保羅國을제외하고, 古自國 ( 고성 ), 史勿國 ( 사천 ), 骨浦 ( 창원혹은마산 ), 柒浦 ( 칠원 ) 등 4 國의위치비정은학계에서대체로동의하고있다. 단 4 國의위치는茶山丁若鏞의 ꡔ 疆域考 ꡕ에浦上八國으로비정한위치와거의같다. 그렇다면保羅國또한茶山이비정한八國에포함되어있을가능성이높다. 하지만이에대한반대의견으로사료 (E) 의保羅國을전라남도羅州로비정하고있는데이는 ꡔ 三國志 ꡕ 東夷傳韓傳에나오는不彌國으로본견해이다. 즉保羅國은남해안에서서해안으로가는길목에위치한해상요충지로써교통로의이익을극대화하기위해浦上八國과동맹을맺고전쟁을벌였다는것이다. 60) 하지만위치비정이가능한 4 國과는거리가상당히떨어져있고, 保羅國이나주에위치하였다면어떠한방법으로浦上八國을지원하였을지도의문이다. 이글에서는保羅國은茶山이비정한八國가운데포함된것으로보고保 60) 노중국, 앞의논문, 2005, 41 쪽.

23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23 羅를阿羅로보고자한다. 그리고 1차와 2차전쟁의주도국또한다르다고생각한다. 기존의연구에서는 1~2 차전쟁을古自國이주도가되어수행하였다고보거나, 61) 八國을배후에서지휘한다른세력즉阿羅가있었다고보고있다. 62) 먼저保羅國은阿羅의異表記로볼여지가있고다른국명과는달리某羅式으로표현되어있다는점이다. 羅는某浦로표현되는浦上八國의지리적위치와는다르게존재했거나위상에서도차이가있었을가능성이높다. 63) 또한, 保羅國의保자는任, 守, 安의뜻을가진글자로써任羅 ( 那 ) 나安羅 ( 阿羅 ) 가保羅와같이표기되었을가능성이있다. 64) 다음사료 (E) 의 f는전쟁의한가운데서保羅와의싸움이가장힘들었다고勿稽子가회고하고있는데나주에保羅가있었다면이와같은기술은어려웠을것이다. 오히려당시대국이었던阿羅와의전쟁이야말로勿稽子가회고할만한대상이라고생각한다. 阿羅는臣智에게주는우대의호칭인安邪踧支로기술된점에서三韓의주요大國중하나였다. 阿羅가위치한함안은낙동강을통한내륙수로교통의요지로써남강을따라낙동강과통하는등내륙의중개무역지로자리잡고있다. 또한함안분지등의낙동강중하류지역은대규모범람원, 배후습지, 소택지들로구성되어있어농업생산력의근간이된것으로보인다. 65) 한편전쟁주도국의경우사료 (C), (D), (E) 에서 1차전쟁은八國이연 61) 백승옥, 固城古自國의形成과發展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11, 1997, 171~177 쪽. 이형기, 小加耶聯盟體의成立과그推移 ꡔ 民族文化論叢 ꡕ 17, 1997, 10~17 쪽. 62) 권주현, 앞의논문, 1993, 23~25 쪽. 김태식, 앞의논문, 1994, 58 쪽. 이형기, 앞의논문, 1999, 17~19 쪽. 63) 허재혁, 5 세기대남부가야의세력재편 : 포상팔국전쟁과고구려남정을중심으로,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8, 29 쪽. 64) 이영식, 安羅國과倭國의交流史硏究 ꡔ 史學硏究 ꡕ 74, 2004, 236 쪽 ; 노중국가야의대외교섭 -3~5 세기를중심으로 - 를읽고 ꡔ 加耶의海上勢力 ꡕ, 제 11 회가야사학술회의발표자료집, 2005, 63 쪽. 65) 남재우, 安邪國의성장조건과발전 ꡔ 지역과역사 ꡕ 5, 1999, 8 쪽.

24 24 지역과역사 37 호 합하여駕洛國을침공한것임을알수있다. 하지만阿羅가뒤에서배후조종을하였다는어떠한정황도확인할수없다. 다음 1~2 차전쟁을古自國이주도하였다는견해는 2차례의전쟁에古自國이모두참가하였던것이배경으로보인다. 그러나사료 (C) 의 d에서확인할수있듯이포상팔국연합군의피해가 6,000인이었음을주목해야할것이다. ꡔ 三國志 ꡕ에서는弁辰의인구규모에대해大國은四五千家, 小國은六七百家로구분하였다 인을피해보았다면 3년동안주도국으로서감당하기는어려웠을것이다. 이글에서는 1차전쟁의주도국은阿羅 ( 保羅 ) 로보고자한다. 사료 (D) 의 e에서는첫번째싸움은浦上과의싸움이가장힘들었다고기술하고있다. 여기서浦上은八國의대표자를뜻하거나八國전체를뜻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사료 (E) 의 f는첫번째싸움은阿羅 ( 保羅 ) 와의싸움이힘들었다고기술하였다. 그런데유독阿羅 ( 保羅 ) 싸움이힘들었다는것은당시변한사회에서阿羅 ( 保羅 ) 가대국인것으로볼때, 1차전쟁의주도국은阿羅로볼수있다. 또한, 八國이전쟁에참여하였음은사료 (C), (D), (E) 에서확인할수있지만, 대표적으로阿羅 ( 保羅 ) 와의싸움이힘들었다고기록한것은阿羅가직접駕洛國에육로로통하여침입하였음을의미한다. 駕洛國은당시大國이었던阿羅를포함한八國과의전투를자력으로해결하기에는어려웠을것이다. 그결과사료 (C) 에서확인할수있듯이新羅에구원군을요청하였고浦上八國同盟을막을수있었다. 2차전쟁은특별히주도국이있었다기보다는대등한國사이의동맹으로보아야할것이다. 그러나굳이주도국을선정하여야한다면古自國이었을가능성이높다. 2차례전쟁에참여하였을뿐만아니라일본열도와의잦은교류가확인되는赤色硬質土器가확인되고있고 3세기전반일본열도수장층과교섭관계를보여주는광형동모가고성동외동유적에서확인되기때문이다. 좀더자세한설명은 Ⅲ장에서후술하고자한다. 三國同盟軍은 1차전쟁패배의원인을新羅의구원군에있다고보았을것이다. 사료 (D) 와 (E) 에서는三國同盟軍이竭火城을침공한사실을알

25 加耶諸國의 對倭交涉과 浦上八國戰爭 25 <그림 3> 1 2차 浦上八國戰爭圖 수 있다. 竭火城은 울산으로 비정되고 있는데,66) 울산은 신라의 전략적 요 충지로써 울산과 경주의 거리는 30km 정도의 거리로 별다른 자연지형의 저 항 없이 왕래가 가능하였다. 또한, 시기적으로는 후대이지만 7세기경 울산 중구 반구동 동천에서는 토성과 목책 및 망루 등이 확인되었는데 울산이 신 라의 관문 항구이자 대외무역항으로 크게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67) 2차 전쟁을 일으킨 三國 同盟軍은 駕洛國을 거치지 않고 가장 빠르게 新 羅에 타격을 주는 방법으로 海路를 택하여 新羅의 관문인 竭火城을 쳤던 것 으로 보인다.68) 竭火城 침공은 新羅에도 엄청난 충격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사료(D)와 66) ꡔ三國史記ꡕ 卷34, 雜志3, 地理1. ꡔ新增東國輿地勝覽ꡕ 22 慶尙道 蔚山郡. 67)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ꡔ울산반구동 유적-중구 반구동 303번지 아파트신 축부지 발국조사 보고서ꡕ, 2009, 386쪽. 68) 허재혁, 앞의 논문, 1998, 33~34쪽. 이영식, 앞의 논문, 2014, 32쪽.

26 26 지역과역사 37 호 (E) 에서는奈解王이직접군을이끌고참전하였다는기사를통해서확인할수있다. 3국동맹군은竭火城에서新羅를위기에빠뜨렸던것으로보인다. 사료 (D) 의 e와사료 (E) 의 f에서는동시에勿稽子가竭火에서의전투가가장힘들었다고회고하였다. 하지만전투는新羅의승리로끝났고 3국동맹군은패배하였다.( 표 2) < 표 2> 1 2 차포상팔국전쟁 1 차전쟁 2 차전쟁 質子의파견 시기대상국침략국전쟁주도국 奈解尼師今 14 년 (209) 奈解尼師今 17 년 (212) 奈解尼師今 17 년 (212) 봄 3 월 駕洛國 新羅竭火城 浦上八國 骨浦등 3 국 구원군 阿羅國 新羅太子于老 ( 혹은太子㮈音 ), ( 保羅國 ) 伊伐飡利音이引率한 6 部軍 古自國 新羅奈解尼師今 결과 八國兵이패함 三國軍패함 駕洛國이新羅에質子파견 이때까지전쟁의대상국과주도국, 전쟁의상황등을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포상팔국전쟁의원인중하나인 2세기말桓ㆍ靈之末기사를분석해보고포상팔국전쟁의원인을재검토하고자한다. Ⅲ. 전쟁의원인과결과 1. 전쟁의원인 1) 김해교역 의대두와교역체계의변동기원후 1세기후반부터부산ㆍ김해권역의교역거점은다호리유적에서양동리유적으로이동한것으로보인다. 漢式遺物과倭系遺物등이양동리

27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27 고분군 69) 에서집중적으로부장되고있기때문이다. 漢式遺物로는傳김해양동리출토方格規矩四神鏡이나내행화문경鐵鍑등이확인되었다. 倭系遺物로는靑銅器가출토되었는데, 주로북부구주산동모, 동과, 소형방제경등이보인다. 한편 김해교역 은기원후 2세기駕洛國이본격적인철생산을시작하면서성장하게된것으로보인다. 김해지역은목관묘의늦은단계까지빈약한철기부장양상을보이고있을뿐만아니라, 판상철부가극소수부장된점에서철소재품의유통에중요한역할을담당하지는못하였다. 70) 이러한양상은목곽묘단계에들어서자변화를보이는데, 양동리 162호분에서다량의판상철부가부장된점이다. 양동리 162호이후김해지역에서는대형분묘에한정되어다른지역들보다훨씬우월한철기부장양상을보인다. 이러한철기부장양상의연속성으로보아기원후 2세기경이후부터김해지역에서철생산이본격화된것으로볼수있다. 71) 이것은 늑도교역 이쇠퇴하는시점이기원후 2세기전반이란점에서상당한연관성이있는것으로보인다. 김해교역 은활발한철생산을동력으로내륙지방과도활발한교류를하였던것으로보인다. 즉내륙의소국들은대외접촉을위한출구가駕洛國밖에없었기때문에낙동강하구를활용한관문항으로써성장하였다는견해 72) 는타당하다고생각한다. 69) 국립문화재연구소, ꡔ 김해양동리고분 - 발굴조사보고서 ꡕ, 東義大學校博物館, ꡔ 金海良洞里古墳文化 ꡕ, 東義大學校博物館, ꡔ 金海良東里古墳群 ꡕⅠ, ) 신동조, 嶺南地方原三國時代鐵斧와鐵矛의分布定型硏究,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7, 99~101 쪽. 71) 신동조, 위의논문, 108~109 쪽. 72) 이현혜, 앞의논문, 1988, 166 쪽.

28 28 지역과역사 37 호 < 그림 4> 김해교역 의성장 ( 久住猛雄 2010 수정후인용 ) 반면 늑도교역 은쇠퇴한것으로보이는데늑도는철기를대량생산하기에는많은한계를가지고있었다. 우선철의원료를육지에서입수하여야했을뿐만아니라대량의철기를생산하기에는섬의협소한환경이장애가되었을것이다. 또한, 제철을시행하기위해서는숯의조달이중요한관건이었을것인데늑도의경우대량의목재를구하기위한장소로는부적합한곳이다. 한편 김해교역 의성장은교역경로에서도변화를가져온것으로보이는데, 대왜교역의창구가늑도에서김해로차츰바뀌게된것이다. 단여기서염두에둘점은漢式遺物의수가급격하게줄어들었다는것이다. 이원인을桓ㆍ靈之末의혼란상으로보고한반도동남부지역의교섭관계에도영향을미쳐포상팔국전쟁의배경이되었다고보았다. 73) 73) 이현혜, 위의논문, 165~167 쪽. 백승충, 앞의논문, 1989, 27~28 쪽. 권주현, 앞의논문, 1993, 23 쪽. 이종욱, 앞의논문, 1997, 135 쪽. 이형기, 앞의논문,

29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29 이글에서는桓ㆍ靈之末의혼란상으로인한중국왕조의변동이포상팔국전쟁의직접적인원인으로는보기어렵다고생각한다. 물론이와같은상황을무시할수는없으나모든원인을중원의변동에맞추는것은무리가있다고본다. 그럼요동지역의지리적특징과한사군설치이후정세변동을검토해보고桓ㆍ靈之末기사를분석해보고자한다. 요동지역은중원과통하는통로가遼西走廊이유일할정도로격리되고고립된지역적특성을가지고있다. 그뿐만아니라漢의수도인長安이나洛陽으로부터너무멀리떨어져있으므로 ( 長安 2,009km ㆍ洛陽 1,608km) 郡縣制를유지하기에는문제가있었다. 74) 다음기원전 108년한사군이설치된이래로요동지역에는外部혹은邊部가개설되었으나직접적지배기반인인두세, 요역, 병역의징벌이제대로이루어지지못하였고 故俗 으로유지되는등군현제적통치가사실상불가능하였다. 75) 또한, 漢武帝末에는眞番, 臨屯郡이폐지된이후로後漢光武帝 6년 (30) 에邊郡都尉가철폐될때까지漢의요동지역지배범위는계속축소되고있었다. 이것은한사군내토착민들의저항이불러온결과로보인다. 76) 그뿐만아니라한군현주변의諸民族또한이해관계에따라서漢의책봉체제에들어가거나, 군현을침략하는등군현통치에어려움을겪었다. 77) 결과적으로요동지역은한사군설치이후인적ㆍ물적교류가빈번하였던것은사실이지만물리적거리와주변환경등으로인하여중원지역의정세변동에는큰영향을받지못하였다. 流移民의발생또한토착민의저항과諸民族의침입등요동지역내에오랜기간지속해서일어난것이며桓ㆍ靈之末의失政만을원인으로볼수는없다. 이와별개로한군현과弁韓지역의 1999, 17 쪽. 노중국, 앞의논문, 2005, 39 쪽. 74) 권오중, ꡔ 요동왕국과동아시아 ꡕ,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25~29 쪽. 75) 김한규, ꡔ 요동사 ꡕ, 문학과지성사, 2004, 190~192 쪽. 76) 김한규, ꡔ 한중관계사 Ⅰꡕ, 아르케, 1999, 127~128 쪽. 77) 이에대한정리는김한규의논저에자세히언급되어있다 ( 김한규, 앞의책, 2004, 201~227 쪽 ).

30 30 지역과역사 37 호 교류는계속유지되고있었다. 그렇다면韓ㆍ濊를郡縣으로억제하지못하였다는것은무엇일까? 桓ㆍ靈之末기사를재검토하고요동지역내의정세를확인해보고자한다. (F) 永初에이르러多難하여, 비로소외적이들어와노략질하였고, 桓ㆍ靈이失政하여, 점점불어나고만연하였다. 78) (G) 桓ㆍ靈말에韓과濊가강성하여, 郡縣이능히억제하지못하니, 많은백성이韓國에유입되었다. 79) (H) 靈帝末에, 韓ㆍ濊가모두성하여, 郡縣이능히억제하지못하였다. 백성은苦難하였고, 도망하여韓에유입된자가많았다. 80) 사료 (F) 는桓ㆍ靈이실정하여더욱어려워졌다고하였다. 구체적인기간이제시되었지만, 광의적표현으로볼수있는데, 시기를뜻하는初ㆍ中ㆍ末과같은용어는보이지않기때문이다. 또한, 韓ㆍ濊가강성하였다든지주변이민족의변동에대해서는기록하고있지않다. 사료 (F) 는당시중국의혼란상황을대표적으로보여주는사료로보아야할것이다. 사료 (G) 는처음으로桓ㆍ靈之末에韓, 濊가강성해졌음을기술하고있다. 또구체적인시기를뜻하는末이표현되어있으므로그기간이桓ㆍ靈帝의末이었음을추정할수있다. 이외에도사료 (F) 와는달리桓ㆍ靈之末의失政과는무관하게韓ㆍ濊가강성하였다고기록하였다. 사료 (H) 는靈帝末에, 韓ㆍ濊가모두강성하였다고기술하고있는데, 靈帝末이라는구체적인시기가나온다. 사료 (H) 또한사료 (F) 의桓ㆍ靈之末의失政에대한언급은없다. 사료 (F) ㆍ (G) ㆍ (H) 는같은사실을기술하고있으나시기와원인은미묘한차이를보인다. 먼저桓ㆍ靈之末의失政은사료 (F) 에서만언급될뿐 78) ꡔ 後漢書 ꡕ 卷 85, 東夷列傳 75 韓條. 79)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東夷 30 韓傳馬韓條. 80) ꡔ 後漢書 ꡕ 卷 85, 東夷列傳 75 韓條.

31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31 다른곳에서는보이지않는다. 사료 (F) 는사건의구체적인내용을담기보다는당시漢의상황만을나타내고있으므로단순히桓ㆍ靈之末의실정만으로韓ㆍ濊가강성해졌다고는보기는어렵다. 다음韓ㆍ濊가강성하였던시기에대해서는 ꡔ 三國志 ꡕ보다후대에기술되었다고는하지만사료 (H) 가後漢당대의상황을더욱정확하게기록했을가능성이크므로韓ㆍ濊가강성하여낙랑이위축된시기는靈帝末이라고해석할수있다. 여기서末은한군주의재위기간또는한연호의마지막시기를표현하는것이므로靈帝재위기간의말년이라고볼수있다. 그렇다면낙랑군이위축된하한연도가靈帝末이라면정확한상한연도를구하는것이중요하다. 이글에서는 187년漁陽郡을중심으로발생한張純ㆍ張擧의반란이야말로 군현이능히제어하지못한사건 이라생각한다. ꡔ 後漢書 ꡕ와 ꡔ 三國志 ꡕ에서는張純이 187년봉기하여오환족과연맹을맺고요동태수를죽이는등요동지역을혼란하게만들었으나 81) 劉虞에의해 189년진압될수있었다. 82) 그렇다면韓ㆍ濊가강성하여낙랑군이위축된시기는張純의반란사건이발생한 187년에서 189년 2년정도로한정지을수있다. 2년정도의혼란이변한지역의교역권에문제를일으키고교역권쟁탈전을벌였다는상황은다소납득하기어렵다. 83) 실제로낙랑을비롯한요동지역은 189년公孫度이요동태수로부임하면서이와같은혼란을수습한듯하다. 84) 다음고고학적으로漢式遺物의수가급격하게줄어든점또한桓ㆍ靈之末의영향으로보기어렵다. 예전부터변한사회로유입된漢式유물이선택적으로수용되었거나, 재지화됨으로써漢式유물이갖는위세품의가치가줄어든것이근본적인원인이라고생각한다. 85) 81) ꡔ 後漢書 ꡕ 卷 73, 列傳 63 劉虞傳. ꡔ 三國志 ꡕ 卷 8, 魏書 8 四張傳 8 公孫瓚傳. 82) ꡔ 後漢書 ꡕ 卷 73, 列傳 63 劉虞傳. 83) 이근우는靈帝제위기간의光和ㆍ中平연간으로보고있다 ( 이근우, 앞의논문, 2012, 138 쪽 ). 84) 권오중, 앞의논문, 2012, 59~63 쪽.

32 32 지역과역사 37 호 이와반대로왜계유물은큰폭으로증가하는데, 주가왜계청동기라고할수있다. 주로북부구주산왜계청동기가김해양동리유적에서집중적으로출토되었는데, 가락국과왜의수장층의정치적교섭을보여주는증거일것이다. 즉漢式遺物의감소와倭系遺物의증가는대외교역의중심이점차한군현에서북부구주를중심으로한왜로변모하였을뿐이며桓ㆍ靈之末의失政만으로는보기어렵다. 2) 왜국대란과가야제국의철수출경쟁기원후 2세기전반 김해교역 의성장은늑도유적의쇠퇴로이어졌다. 하지만늑도유적의쇠퇴가 늑도교역 의위축으로이어졌다고는볼수없다. 늑도유적이쇠퇴하는시점에서고성동외동유적 86) 이나창원성산유적 87) 이새롭게부상하면서늑도를대신하여교역항역할은한것으로보인다. 특히기원후 3~4 세기에비정되는製鐵遺構가이들유적에확인되는점에서철의수출을통하여성장한것으로보인다. 한편동외동유적에서는한반도서남부의대형옹구연부편과漢의細線式獸帶鏡片과倭의赤色硬質土器및광형동모가확인되었다. 특히赤色硬質土器는야요이토기와양식적으로높은상관성이있으므로잦은교류가있었음을짐작할수있다. 88) 외반구연고배의경우잔존높이는고식하지키의고배크기와가깝고脚部의축자국은각주부를뚫었던円孔의내면이일어나박리된흔적을찾을수있다. 이런박리는下大隈式후반기이후에北部九州의고배에서찾을수있다. 89) 85) 정인성, 앞의논문, 2003, 588 쪽. 이창희, 嶺南地方으로의鐵器文化流入에대한再考 - 鑣轡를중심으로 - ꡔ 考古廣場 ꡕ 1, 2007, 150~151 쪽. 86) 동아대학교박물관, ꡔ 上老大島附 : 東萊福泉洞古墳ㆍ固城東外洞貝塚 ꡕ, 국립중앙박물관, ꡔ 固城貝塚 ꡕ, 국립진주박물관, ꡔ 固城東外洞遺蹟 ꡕ, )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ꡔ 馬山外洞城山貝塚發掘調査報告書 ꡕ, 창원문화재연구소, ꡔ 昌原加音丁洞遺蹟 ꡕ, ) 이성주, 앞의논문, 2002, 58 쪽.

33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33 다음양동리 200호와마찬가지로북부구주산광형동모가고성동외동유적에서도확인되었는데. 이와같은광형동모의존재는수장층사이의정치적교섭을의미하는점에서駕洛國뿐만아니라古自國또한북부구주와긴밀한관계에있었음을보여주는것이다. 2세기전반부터 김해교역 과 늑도교역 은倭를상대로철수출경쟁을벌이고있었다. 이와같은경쟁관계는일본열도에서발생한倭國大亂을통하여중대한변화가발생하였다고생각한다. (I) 安帝永初元年 (107) 에倭國王帥升등이생구 160 인을바치고알현하기를원하였다. 90) (J) 桓ㆍ靈사이에倭國이크게어지러워더욱서로攻伐하여여러해에無主했다. 한여자가있어이름은卑彌呼라불리고, 나이가들어도시집을가지않고鬼神의道를섬겨능히무리를妖惑시켰다. 이에함께세워왕으로삼았다. 91) (K) 그나라는본래남자를왕으로삼았으나, 70~80 년동안, 왜국란에, 서로攻伐한지여러해가지나, 이에함께한여자를세워왕으로삼았고, 이름은卑彌呼라한다. 92) 사료 (I) 는倭國大亂발생전으로보인다. 倭國王帥升이北部九州의수장층을대표하여漢에알현하기원하였음을확인할수있다. 사료 (J) 는桓ㆍ靈帝사이에倭國이혼란에빠졌음을보여준다. 그결과卑彌呼를통치자로세움으로써혼란이종식되었다고기록하고있다. 또한, 시기를桓ㆍ靈帝기간사이로압축하였다. 사료 (K) 는倭國大亂의상황및기간을좀더구체적으로표현하고있다. 大亂전에는男王이통치를하였다는점, 그기간이 70~80년이었다는점, 89) 寺井誠, 앞의논문, 2008, 240~247 쪽. 90) ꡔ 後漢書 ꡕ 卷 85, 東夷列傳 75 倭傳安帝永初元年條. 91) ꡔ 後漢書 ꡕ 卷 85, 東夷列傳 75 倭傳. 92) ꡔ 三國志 ꡕ 卷 30, 魏書 30 東夷傳 30 韓傳倭人條.

34 34 지역과역사 37 호 사료 (J) 와마찬가지로卑彌呼를통치자로세웠다는점등을알수있다. 倭國大亂의발생시점은사료 (I) 의倭國王帥升이漢에외교사절을보낸 107년이후로해석할수있다고본다. 사료 (K) 에서는혼란의기간이 70~ 80년이라고하였다. 사료 (J) 의桓ㆍ靈의失政 (146~189년 ) 기간을조합하면대략 107년이후에倭國大亂이발생하였으며 177년에서 187년사이에이르러서야卑彌呼를통치자로세워倭國大亂이종결되었다고볼수있다. 이와관련된유물로는奈良縣天理市東大寺古墳에서출토된 中平刀 가있다. 이칼의명문중中平은後漢의연호로써 184~189년이다. 중국사서에는이기간에왜국이사신을보냈다는기록이보이지는않지만아마도大亂의종결이후倭國王이後漢에사신을보내어하사받은칼로추정된다. 93) 그렇다면전쟁이종결되는시기는 187년에서 189년사이로추정할수있다. 이글에서는약 70~80년간의倭國大亂원인을加耶諸國의철및선진적인문물의입수경로를둘러싼대립이었을것으로생각한다. 야요이시대후기후반부터무기, 농공구의철기화가일반화되는과정으로볼때加耶諸國이철소재의공급지로부상하였을것이다. 5세기이전에일본열도에서는아직확실한製鐵遺蹟이존재하지않으므로철기의원료를加耶諸國으로부터입수할수밖에없었다. 加耶諸國의철및선진문물의확보는北部九州가중심이된것으로보이는데前漢및後漢의中國鏡분포가이지역에집중되고있기때문이다. 그결과北部九州以東의畿內로부터瀬戸内연안각지의연합은加耶諸國의철및선진문물의입수경로지배권을탈취하기위하여북부구주세력과전쟁을벌였던것이다. 94) 이시기吉備에서는倉敷市楯築분구묘, 山陰과北陸의대형四隅突出분구묘가출현하고, 近畿式동탁과濃尾평야를중심으로한三遠式동탁이성립되는등각지에서독자의제사적, 정치적인그룹이나타나기시작했다. 93) 國立歷史民俗博物館, ꡔ 倭國亂る ꡕ, 朝日新聞社, 1996, 182 쪽. 94) 白石太一郞, 日本列島에있어서의國家形成과加耶 ꡔ 加耶의對外交涉 ꡕ, 5 회가야사학술회의발표자료집, 1999, 29~31 쪽.

35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35 그리고농경에는부적합한丘陵과산정상에제2차고지성취락이이들지역간에확산된점은倭國大亂의증거라고생각한다. 이와같이倭國大亂의발생으로加耶諸國의철을얻기위한倭내부의경쟁은더욱가중되었을것이다. 단倭는사천ㆍ늑도권역보다는駕洛國가더욱긴밀한교섭을하였을것이다. 사천ㆍ늑도권역의고성동외동유적이나창원성산유적또한소규모공방의형태와입지적으로고립된지형조건을띄고있었기때문에철자원, 목탄, 인력등등물자의수급에한계가있었다. 반면가락국은 김해교역 의중심지로써철기를대량생산할요건을갖추고있었기때문에사천ㆍ늑도권역에비하여좀더잦은교섭관계를가졌을것이다. 한편倭國大亂이후倭는卑彌呼를공립함으로써邪馬臺連合를결성하게되는데이것은새로운교섭관계가성립되었음을의미한다. 즉 김해교역 의駕洛國은邪馬臺連合결성이후倭와의대왜교섭을주도하게된것이다. 고고학적으로 2세기후반에조영된양동리 162호분은대형목곽묘로써다량의철기및왜계청동기의부장되었는데, 당시駕洛國이철을매개로倭와교섭하였고북부구주수장층으로부터왜계청동기를입수하는등 2세기후반부터駕洛國이대왜교역의주도권을장악하였다고생각한다. 2세기전반 김해교역 의성장은사천ㆍ늑도권역의 늑도교역 과경쟁을하게된배경이되었다. 그러나 2세기후반駕洛國이대왜교역의주도권을장악하기시작하면서사천ㆍ늑도권역은위기상황에놓였을것이다. 최근시기적인차이는있으나서부경남에위치한왜계고분의입지가포상팔국과연관성이있다는연구가주목된다. 95) 결국사천ㆍ늑도권역은加耶諸國의大國중하나였던阿羅國과동맹을맺고浦上八國同盟의참가국으로駕洛國을견제하려하였을것이다. 특히함안에자리잡은阿羅國또한남강수계를이용하여부를축적할수있었는 95) 이주헌, 가야지역왜계고분의피장자와임나일본부 ꡔ 안라국 (= 아라가야 ) 과임나일본부 ꡕ, 경상남도함안군아라가야왕조계보정리를위한제 2 차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4, 125~129 쪽.

36 36 지역과역사 37 호 데, 駕洛國의성장은阿羅國에게도위기로다가왔을것이다. 그결과가 3세기전반대왜교역의주도권다툼이浦上八國戰爭의원인이라고할수있다. 2. 신라의구원과가락국의질자파견 2차례의浦上八國戰爭은八國의패배로끝을맺게되었다. 여기서중요한점은 1~2 차전쟁에직접관여하였던新羅의전쟁지원목적이라고할수있다. 일찍이新羅와倭는교류및교섭관계에있었던것으로보이는데경북지역에서는대구비산동, 만촌동에서기원후 1세기대로편년되는중광형동모가확인되었다. 왜계청동기의존재는신라와倭가철을매개한교류하였음을의미한다. 이미기원전 1세기전반무렵다양한형식의철기들이성주, 대구, 경주지역의분묘를중심으로부장되기시작하였고특히경주조양동 5호에서제형 Ⅱ식주조철부가출토되어이시기부터영남지방에서철생산이시작되었을가능성이있다. 96) 이와관련하여특히울산을주목하여야할것이다. 울산달천유적 97) 에서는채광유구및倭와의교류를확인할수있는須玖 Ⅱ 式의야요이토기가확인되는등, 울산이철의생산과관문항의역할을수행하였다고생각한다. 한편, ꡔ 三國史記 ꡕ에서신라에대한왜의침략기사가 2세기祗摩尼師今과倭가강화를할때까지총 4회확인되는데이때울산의관문항으로써기능이약화되었을가능성도있다. 또한, 기원후 2세기본격적인철생산을통한駕洛國의성장또한무관하지않다고생각한다. 하지만 173년卑弥呼가신라에使人을보내어來聘하였다는기사 98) 는주목해야할것이다. 倭國大亂이한참벌어지고있는시점에서卑弥呼가新羅에使人을보낸것은철을확보하기위한것으로보인다. 96) 신동조, 앞의논문, 2007, 106~107 쪽. 97) 울산문화재연구원, ꡔ 울산달천유적 ꡕ 1 ㆍ 2 ㆍ 3, 2007 ㆍ ) ꡔ 三國史記 ꡕ 卷 2, 新羅本紀 2, 阿達羅尼師今 20 年夏五月條.

37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37 그러나卑弥呼와화친을맺었음에도불구하고이시기신라와왜의교역양상을확인하기는어려운데邪馬臺連合과駕洛國의철을매개로한교섭권강화가근본적인원인이었을것으로생각한다. 浦上八國戰爭의발생으로인하여駕洛國은위기에빠지게되었고급히왕자를新羅에파견하였다. 이때교섭내용을확인할수는없으나아마도新羅는駕洛國과왜의교섭권일부를얻어倭와의교역증가를노린것으로보인다. 2차전쟁에서는三國同盟이울산竭火城을침공한것도이와같은맥락으로해석할수있다. 신라와왜의교역항이었던울산을공격함으로써대왜교역의약화를노렸을가능성이높다. 한편전쟁에서패한浦上八國同盟은일시적인발전동력을상실하였던것으로보인다. 1차전쟁의리더였던阿羅는고고학적으로 3세기대대형목곽묘가부재하다. 古自國이위치한고성또한 5세기가되어서야발전하는양상을보이고있다. 다음전쟁의결과가락국이왕자를 質子 로파견한이후에점차쇠퇴하였다거나신라에편입되었다는견해가있다. 그러나駕洛國과新羅는 201년화친을맺었고 99) 質子 파견에대한중국의예를볼때, 춘추전국시대의대등한제후국들사이에 質 의교환, 즉 交質 이행하여지는것은보통이었으며, 이럴때 質子 의파견이제후국간의상하관계를나타내는외교형식으로파악될수는없다. 100) 質子 의파견이통상적인외교형식에서대등한관계로이해되는만큼신라에 質子 파견역시이들국가간의통상적인외교형식에서크게벗어나지않는것으로봄이타당하다고할수있다. 101) 99) ꡔ 三國史記 ꡕ 卷 2, 新羅本紀 2, 奈解尼師今 6 年春二月條. 100) 平邦野雄, 倭と朝鮮三國間の外交形成 ꡔ 大化前代の政治過程の硏究 ꡕ, 吉川弘文館, ) 이영식, 앞의논문, 1994, 112~113 쪽.

38 38 지역과역사 37 호 맺음말 기원전 108년漢四郡설치이후漢ㆍ한반도동남부지역ㆍ倭의교류관계가본격적으로이루어졌다. 한반도동남부지역은漢郡縣ㆍ倭를이어주는지리적이점및철의수출을통하여사천ㆍ늑도권역, 부산ㆍ김해권역을중심으로성장할수있었다. 기원전 1세기부터사천ㆍ늑도권역은 늑도교역 을통하여대외교역의중심지로성장하였다. 기원후 2세기전반사천ㆍ늑도권역의늑도유적은쇠퇴하게되는데부산ㆍ김해권역이본격적인철생산을통해서성장한점이배경으로보인다. 한편포상팔국전쟁의발생배경은기원후 2세기桓ㆍ靈之末의영향으로보는설이있으나, 韓이직접적으로영향을받은樂浪을포함한요동지역은고립된지리적특징으로중원지역의변동에영향을크게받지는못하였다. 반면漢四郡설치이후요동지역은토착민의저항과諸民族의침입을받으면서도낙랑군과한반도동남부지역의교류가이어지고있었다. 결과적으로桓ㆍ靈之末의혼란은다소영향이있었던것은사실이나한반도동남부지역에교역권변동을일으킬만한동력으로작용하기에는어렵다고생각한다. 이와반대로倭系遺物은증가하는데, 주교역파트너가점차漢에서倭로교체된것으로볼수있다. 또한 2세기전반에倭에서발생한倭國大亂의발생으로인하여사천ㆍ늑도권역과부산ㆍ김해권역은倭에대한철수출경쟁을벌이게되었을것이다. 倭國大亂종결이후倭는卑彌呼를중심으로邪馬臺連合를결성하게된다. 이것은倭의새로운교류, 교섭관계가성립되었을가능성이있으며, 철생산에유리한환경을가졌던가락국이대왜교섭을주도하게되었다. 그결과사천ㆍ늑도권역과阿羅國은기존교역권의회복을위하여포상팔국동맹을맺고駕洛國을침공한것이다.

39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39 한편阿羅國을중심으로한 1차八國同盟軍은가락국을침공하였으나신라의군사원조를받은가락국에게패배하고만다. 한편, 八國同盟軍은전쟁의패배원인이신라의군사원조에있었다고보았다. 이에 3년후古自國을포함한三國同盟軍이결성되어당시新羅의전략적요충지였던竭火城을가락국을거치지않고바다를통하여침공하였으나결국三國同盟軍의패배로끝맺는다. 한편新羅가駕洛國에전쟁을지원한목적은당시대왜교역을주도하고있던부산ㆍ김해권역의교역권을분배받기위한것으로보인다. 즉부산ㆍ김해권역의교역권일부를신라의전략적요충지였던울산에분배나이양을요구하였을가능성이높다고생각한다. 참고문헌 권오중, ꡔ요동왕국과동아시아ꡕ, 영남대학교출판부, 권주현, 阿羅加耶의成立과發展 ꡔ 啓明史學 ꡕ 4, 김양훈, 삼한시대변한권역철기생산의추이 ꡔ역사와세계 ꡕ 44, 김태식, ꡔ 加耶聯盟史 ꡕ, 一潮閣, 김태식, 咸安安羅國의成長과變遷 ꡔ 韓國史硏究 ꡕ 86, 김한규, ꡔ요동사ꡕ, 문학과지성사, 남재우, 安邪國의성장조건과발전 ꡔ지역과역사 ꡕ 5, 남재우, ꡔ 安羅國史 ꡕ, 혜안, 노중국, 가야의대외교섭 -3~5 세기를중심으로 - ꡔ가야의해상세력 ꡕ, 11회가야사학술회의발표자료집, 백승옥, 固城古自國의形成과發展 ꡔ한국고대사연구ꡕ 11, 백승옥, ꡔ 加耶各國史硏究 ꡕ, 혜안, 백승옥, 포상팔국전쟁과지역연맹체 ꡔ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ꡕ, 주류성, 백승충, 1~3 세기가야세력의성격과그추이- 수로집단의등장과포상팔국의난을중심으로 ꡔ 釜大史學 ꡕ 13, 백승충, 加耶의地域聯盟史硏究,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ꡔ가야각국사의재구성ꡕ, 혜안, 2000.

40 40 지역과역사 37 호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ꡔ가야고고학의새로운조명ꡕ, 혜안, 신경철, 三國時代의韓半島南部와北部九州의相互交流에관한考古學的硏究 -특히嶺南出土土師器系土器를소재로 - ꡔ한국민족문화ꡕ 16, 신동조, 嶺南地方原三國時代鐵斧와鐵矛의分布定型硏究, 경북대학교석사학위논문, 이근우, 고대낙동강하구와왜 ꡔ역사와세계 ꡕ 41, 이근우, 봉황동유적과대외교류 ꡔ봉황동유적ꡕ, 주류성, 이성주, 소가야지역의고분과출토유물 ꡔ묘제와출토유물로본소가야ꡕ,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개소 10주년기념학술회의발표자료집, 이영식, 加耶諸國의國家形成問題 - 加耶聯盟說의再檢討와戰爭記事分析을중심으로 ꡔ 白山學報 ꡕ 32, 이영식, 신라와가야제국의전쟁과외교 ꡔ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ꡕ 15, 이영식, 김해대성동고분군출토외래계유물의역사적배경 ꡔ금관가야의국제교류와외래계유물ꡕ, 주류성, 이주헌, 가야지역왜계고분의피장자와임나일본부 ꡔ안라국 (= 아라가야 ) 과임나일본부ꡕ, 경상남도함안군아라가야왕조계보정리를위한제2차학술대회발표자료집, 이창희, 勒島遺蹟出土外來系遺物報告 - 勒島 Ⅲ 期의設定과함께- ꡔ 勒島貝塚과墳墓群 ꡕ, 부산대학교박물관, 이창희, 토기로본가야성립이전의한일교류 ꡔ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ꡕ, 주류성, 2010a. 이창희, 점토대토기의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성립과철기의출현연대- ꡔ 文化財 ꡕ 43, 2010b. 이현혜, 4세기가야사회의교역체계의변천 ꡔ한국고대사연구 ꡕ 1, 이형기, 小加耶聯盟體의成立과그推移 ꡔ 民族文化論叢 ꡕ 17, 인제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ꡔ가야제국의철ꡕ, 신서원, 인제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ꡔ가야의포구와해상활동ꡕ, 주류성, 인제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ꡔ봉황동유적ꡕ, 주류성, 인제대학교가야문화연구소, ꡔ금관가야의국제교류와외래계유물ꡕ, 주류성, 정인성, 弁韓ㆍ가야의대외교섭 -낙랑군과의교섭관계를중심으로 - ꡔ가야고고학의새로운조명ꡕ, 혜안, 허재혁, 5세기대남부가야의세력재편 : 포상팔국전쟁과고구려남정을중심으로, 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8.

41 加耶諸國의對倭交涉과浦上八國戰爭 41 홍보식, 삼국시대의이주와생활유형 ꡔ 한국고고학보 ꡕ 87, 久住猛雄, 日本出土の朝鮮半島系土器の再検討- 弥生時代を中心に-, 第 59 回埋蔵文化財研究集会, 鈴木靖民, 加耶[ 弁韓 ] の鐵と倭 ꡔ 加耶諸國의鐵 ꡕ, 신서원, 白石太一郞, 日本列島에있어서의國家形成과加耶 ꡔ 加耶의對外交涉 ꡕ, 5회가야사학술회의발표자료집, 白井克也, 勒島貿易と原の辻貿易- 粘土帯土器ㆍ三韓土器ㆍ楽浪土器からみた弥生時代の交易 - ꡔ 弥生時代の交易 -モノの動きとその担い手 -ꡕ, 第 49 回埋蔵文化財研究集会, 寺井誠, 中繼地の形成- 固城東外洞遺蹟の檢討を基に - ꡔ 九州と東アジアの考古學 ꡕ, 九州大學校考古學硏究室 50 周年記念論文集, 투고일 심사의뢰일 심사완료일

42 42 지역과역사 37 호 Abstract Negotiation between Kaya Nations and Wae, Posangpalguk War Baek, Jin-Jae After establish the Hangunhyun in B.C 108, Southeast of Korean peninsula can grow by geographical advantage which connects Hangunhyun and Wae and through export of iron centering around SacheonㆍNeukdo Area, BusanㆍGimhae Area. From B.C 1st SacheonㆍNeukdo Area grows as center of foreign trade and have golden age through so-called Neukdo Trade. From early A.D 2nd, Gimhae Trade Then, it grows through producing iron in earnest. From B.C 2nd relics of Han On the other hand, relics of Wae increases and intensively excavated in Garakguk. Moreover, Waegukdaeran occurs in early 2nd century in the Japanese Islands, This shows possibility of new exchange and negotiation of Wae, and Garakguk which grown by producing of iron stables negotiation with Yamadaeyeonhap Garakguk ask for aid to Shilla since it cannot stand against alone to 1st Palguk allied forces centered on Araguk and as a result, Posangpalguk lose. Therefore, 3 years later Samguk start a 2nd war and invade Galhwaseong which was a strategic location of Shilla at then through the sea. however allied forces lose. Keywords ㆍNeukdo Trade( 늑도교역 ) ㆍGimhae Trade( 김해교역 ) ㆍWaegukdaeran( 倭國大亂 ) ㆍYamadaeyeonhap( 邪馬臺連合 ) ㆍPosangpalguk War( 浦上八國戰爭 )

43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43 ꡔ 지역과역사 ꡕ 37, , 43~84 쪽 ꡔ 일본서기 ꡕ 계체 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 102) 백승충 ** 머리말 Ⅰ. 목씨관련인물 1. 麻那 ( 君 ) 와 木刕麻那 2. 木刕不麻, 木尹貴, ( 木刕 ) 麻鹵, 木刕眯淳 3. 紀臣奈率彌麻沙 4. 木刕今敦, 木刕文次 Ⅱ. 목씨활동의성격 1. 5 세기백제와가야ㆍ왜 2. 6 세기전반목씨와가야ㆍ왜맺음말 머리말 백제와가야의관계는 ꡔ일본서기 ꡕ의분주인 백제기 와 백제본기 의내용을근거로상호긴밀했던것으로이해하는것이일반적이다. 특히백제중심의해석은, 신공ㆍ응신대부터백제 목씨 가가야를지배했고, 흠명대 임나복건회의 에서정점을이룬것으로보는등양국을상하관계로규정했다. 가야사를 백제에의한지배사 로간주했는데, 이것은마치일제시기가야사를 임나일본부 중심의왜의대외관계사로본경향성과흡사하다. 근래일본학계에서는 왜의번국관 은부정하지만, 기본골격은그대로이다. 즉고구려남정ㆍ평양천도때의군사파견, 5세기왜왕권의백제왕위계승간섭과가야출병, 한성함락이후왜왕권의강성, ꡔ송서ꡕ 의 왜 5왕 * 이논문은 2013 년도부산대학교인문사회연구기금의지원을받아연구되었음. ** 부산대학교역사교육과교수 (schbaek@pusan.ac.kr).

44 44 지역과역사 37 호 기사등을근거로 가야를백제와왜왕권의피지배국 으로규정했다. 이것은종래의 왜에종속한임나 관념을상당부분계승한것인데, 왜국적천하관 등을전제로한 지배론 우위ㆍ맹주론 으로의변화를읽을수있다. 1) 백제와왜중심으로본이상의제견해는모두인식상의문제를애써도외시했고또한부분적인사료비판에도불구하고시각상의근본적인문제를안고있기때문에받아들일수없음은물론이다. 백제와가야상호관계를언급할때먼저거론될수있는것은백제 木羅斤資ㆍ木滿致 父子등 목씨 의활동임은분명하다. 목 ( 협 ) 만치 는한성함락후문주왕과함께웅진천도를주도한왕의측근으로서백제목씨를대표하는인물인데, 모종의사건 으로 5세기후반 도왜 한것으로추정된다. 그런데 목 ( 협 ) 만치 의도왜에도불구하고목씨는계체ㆍ흠명대에집중적으로보이고있어주목된다. 목씨와가야와의관계가가장구체적으로언급된것은, 내관가 관념으로점철된신공ㆍ응신대가아니라 복건임나 ㆍ 봉건임나 인식만탈각하면오히려사실성의바탕위에서술한계체ㆍ흠명대인것이확인되는셈이다. 즉백제목씨활동은계체대백제의섬진강유역진출과안라에대한영향력확대때가장두드러진다. 백제목씨기사는대체로 백제3 서 를바탕으로한것인데, 사실백제의내정ㆍ 임나일본부 활동ㆍ신라와가야지배ㆍ도왜ㆍ 임나의조 등의사안이복합적으로얽힌장기적ㆍ거시적인내용이다. 그러나계체ㆍ흠명기기사에국한해보면, 기문ㆍ대사병합 과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그리고 청군 문제에한정된단기적ㆍ미시적인내용이다. 이때의백제목씨의활동빈도나내용은다른시기를압도할정도로풍부하다. 특히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에대응하여백제는안라와왜왕권에여러사신과 왜계백제관료 를파견한다. 이가운데 목씨 와 기씨 의역할을주목할필요가있다. 반복적으로나오는 木刕不麻 등목씨 3인및 紀臣奈率彌麻沙 등의활동이대표적이다. 특히후자는 韓婦 소생으로유사한 1) 이재석, 소위任那問題의過去와現在 - 문헌사의입장에서 - ꡔ 전남사학 ꡕ 23, 2004, 59 ㆍ 쪽.

45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45 성격을가진안라주재 임나일본부 와비교되는데, 2) 모두 왜계관료 로서같은사안을놓고정반대의활동양상을보이고있어흥미롭다. 백제의왜왕권파견인물을제외하면, 주로안라와 임나일본부 관련활동에국한된다는점에서 목씨 는물론왜를출자로한인물로서는유일한 기신나솔미마사 등 왜계백제관료 와의공통점을확인할수있다. 3) 이것은전대신공 응신기분주 백제기 의목라근자ㆍ목만치활동이주로가야와관련되어있다든가, 계체기이전웅략기등의 기씨 의활동이주로가야와의관계속에서나온다는점등과형식적으로매우흡사하다. 필자는전고에서신공 현종기의목씨ㆍ기씨관련기사에대한기초적인검토를행한바있다. 4) 본고에서는그연장선에서계체ㆍ흠명기에집중된백제목씨 ( 기씨포함 ) 인물의특징과그성격을추출해보고자한다. 목씨의활동에는 안라회의, 임나일본부, 임나복건회의 등의 특화된사안 이있기때문에부분적으로는이들내용도언급할것이다. 다만실증적인분석을시도했지만, 자료의부족으로인해추론에그친부분이적지않다. 관련연구자들의많은질정을바란다. Ⅰ. 목씨관련인물 계체기이전의백제목씨관련인물은신공 ~ 현종기의본문과분주인 백 2) 최근 임나일본부 = 안라일본부 라는통설을부정하고, 양자를구분하여 임나일본부 의소재를고령가라국으로본신설이제기된바있다. 백승옥, 任那日本府 의所在와등장배경 ꡔ 지역과역사 ꡕ 36, 2015, 쪽. 3) 紀氏 의활동으로흠명대후반기에 紀男麻呂宿禰 가보이기는하지만 ( 흠명기 23 년추 7 월시월 ), 그활동목적이 임나를공격한신라를문책정벌하기위한것 으로서술하는등임나멸망이후의내용이고설화성이짙기때문에본고에서는다루지않는다. 4) 백승충, ꡔ 일본서기 ꡕ 木氏ㆍ紀氏기사의기초적검토 - 신공 ~ 현종기를중심으로 - ꡔ 한국민족문화 ꡕ 54, 목씨ㆍ기씨의성격에대한기존의연구논고는각주 3), 木氏ㆍ紀氏ㆍ蘇我氏상호관계에대해서는 쪽참조.

46 46 지역과역사 37 호 제기 에나오고, 백제신찬 에는보이지않는다. 다만무열기 麻那 ( 君 ) 용례의경우 木刕 氏가생략된것으로간주되는데, 이기사를제외하면목씨가집중적으로나오는것은 백제본기 가인용되고있는계체ㆍ흠명기이다. 먼저목씨 ( 기씨포함 ) 관련기사에나오는인물들을시기순으로정리하면아래 < 표 1> 과같다. < 표 1>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백제木氏 ( 紀氏포함 ) 관련인물 인물 시기 氏 파견목적 관련국 1 麻那 ( 君 ) 무열 6년동10월 7년하4 월 木? 백제의進調 왜 2 前部木刕不麻甲背 계체 10년하5월 木 왜인 物部連 의가야백제인솔 ( 반파ㆍ기문 ) 3 將軍君尹貴麻那甲背麻 계체 23년춘3월두번鹵等째시월 木 안라회의 참석 안라 4 中部奈率木刕眛淳紀臣奈率彌麻沙 흠명 2 년첫번째추 7 월 2 년두번째추 7 월 4 년하 4 월 5 년 2 월 紀 복건임나 도모 5 下部中佐平麻鹵城方甲가라 흠명 2년하4 월木 안라회의 회고背昧奴等 ( 안라?) 6 中佐平木刕麻那下佐平 흠명 4년 12월木尹貴德率木刕眛淳 木 백제군신회의 백제 7 中部德率木刕今敦 흠명 13년 5월 木 청병 왜 8 中部杆率木刕今敦 흠명 14년춘정월 木 귀국 왜 9 中部木刕施德文次 흠명 15년춘정월 15년 3월 木 청병 왜 ( 축자 ) 안라왜 계체ㆍ흠명기의백제목씨와기씨는외교사신으로각각시기를달리하면서안라와왜에파견되고있다. 異名同人이보이기는하지만, 주요인물을모두열거하면 木刕不麻甲背, ( 君 ) 中佐平 ( 木刕 ) 麻那, ( 將軍 ) 下佐平 ( 木 ) 尹貴, 下部中佐平麻鹵, 城方甲背昧奴, 紀臣奈率彌麻沙, 中部 ( 達率 德率 ) 木刕眯淳, 中部 ( 德率 杆率 ) 木刕今敦, 中部木刕施德文次 등이다. 목씨의경우전ㆍ중반기에각각안라와왜왕권에파견되고, 기씨는중반기에만안라와왜왕권에모두파견된다. 목씨는모두높은관등을가지고나오는데, 오직 紀臣奈率彌麻沙 (4) 만이기씨로서 왜계백제관료 이다. 목

47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47 씨의활동시기는두단계로확실하게구분되면서약 10년의시차가있는등그간극이상당히크다. 계체 10년하5월 흠명 4년 12월 (23456) 과흠명 13년 5월 흠명 15년 3월 (789) 이그것이다. 1. 麻那 ( 君 ) 와 木刕麻那 1) 麻那 ( 君 ) 본장에서는계체ㆍ흠명기제목씨인물의특징을구체적으로검토할것이다. 다만이에앞서목씨로추정되는무열기 麻那 ( 君 ) 의성격부터살펴보고자한다. 관련사료를제시하면다음과같다. < 사료A> 1 백제국에서麻那君 을보내조를올리다. 천황은백제가오랫동안공직을닦지않았다고하여머물게하고돌려보내지않다. (ꡔ 일본서기ꡕ 권16, 무열기 6년동10월 ) 2 백제왕이斯我君을보내조를올리다. 별도로표하여말하기를 앞서진조한사신麻那 는百濟國主의骨族이아닙니다. 이런까닭으로삼가斯我를보내조정에서일을받듭니다 라고하다. 마침내아들을두어法師君이라고하다. 이는倭君의선조이다. ( 위의책, 권16, 무열기 7년하4 월 ) 5) 5세기전반비유왕 2년 6) 이후昆支 (= 加須利君ㆍ軍君 ) 의도왜 7) 를제외하고왜왕권과는교류가없었던백제는 5세기후반동성왕때완전히단절되었다. ꡔ삼국사기ꡕ 백제본기에의하면, 백제와왜의교섭은비유왕 2년 (428) 倭國使至從者五十人 이후약 180년동안전혀보이지않다가무왕 9년 (608) 에 奉使倭國 하고있다. 8) 5세기중ㆍ후반과 6세기가공백기로남아있다. 5) ꡔ 일본서기 ꡕ 권 16, 무열기 7 년하 4 월. 6) ꡔ 삼국사기 ꡕ 권 25, 백제본기 3, 비유왕 2 년춘 2 월. 7)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5 년하 4 월. 8) ꡔ 삼국사기 ꡕ 권 27, 백제본기 5, 무왕 9 년춘 3 월. 반면왜와적대적인신라와의관계는請和, 물자교류, 遣使, 請兵, 救援兵파견, 군사연합, 來聘, 請婚등으로비유왕 동성왕대에활발하게전개된다 (ꡔ 삼국사기 ꡕ 권 3, 신라본기 3, 눌지마립간 17 년

48 48 지역과역사 37 호 ꡔ일본서기 ꡕ에도 곤지 의도왜이외에는공백기로남아있다. 9) 백제와왜왕권의교섭은무령왕 ( ) 초기즉왜왕권의계체천황 ( ) 즉위이전인 6세기초무열천황 ( ) 전ㆍ중반까지도본격적으로재개되지못한상태였다. ꡔ일본서기ꡕ 무열기 4년시세조분주에는 백제신찬 을근거로말다왕 (= 동성왕 ) 의폐위와도왕 (= 무령왕 ) 의즉위를서술하고있으나, 10) 왕위교체와관련된백제내정을전한것으로양국의교섭과는전혀무관하다고하겠다. 그런데무열천황말기인 6년ㆍ 7년 (504ㆍ505) 에백제는오랜공백기끝에왜에 麻那 ( 君 ) 와 斯我君 을연이어파견하여조를올렸다고한다 (A-1 2). 그러나이사례도양국의교섭이본격적으로재개된것으로보기는어렵다. 왜냐하면 마나 ( 군 ) 와 사아군 의파견은일회성으로끝나고, 그나마도주로 倭君 의선조를언급하기위해씨족중심으로다소설화적으로서술하는등한계가있는자료라는점은분명하기때문이다. 마나 ( 군 ) 의경우 사아군 으로교체된이후억류된것으로만서술할뿐 (A-1) 귀국혹은정착등의행적은전혀서술되어있지않다 (A-2). 아마기사의초점이 왜군 의시조인 사아군 에맞춰졌기때문에별도로언급하지않았던것이아닌가한다. 그러나만약 마나 ( 군 ) 가억류된상태로그대로왜에머물렀다면, 동일인물로추정되는바후술할계체ㆍ흠명기의 木刕麻那 와관련지을수없게된다. 따라서 마나 ( 군 ) 는얼마지나지않아백제로 추 7 월 ; 동 18 년춘 2 월ㆍ추 9 월ㆍ동 10 월 ; 동 39 년동 10 월 ; 자비마립간 17 년추 7 월 ; 소지마립간 3 년 3 월 ; 동 6 년추 7 월 ; 동 7 년 5 월 ; 동 15 년춘 3 월 ; 동 16 년하 4 월 ; 동 17 년추 8 월 ; 권 25, 백제본기 3, 비유왕 7 년추 7 월 ; 동 8 년춘 2 월ㆍ추 9 월ㆍ동 10 월 ; 권 26, 백제본기 4, 동성왕 7 년하 5 월 ; 동 15 년춘 3 월 ; 동 17 년추 8 월 ). 9) ꡔ 일본서기 ꡕ 의 곤지 기록은현재의 河內安宿郡 에모여살았던 곤지 의후예씨족들의가기류등을바탕으로재구성한것인데, ꡔ 新撰姓氏錄 ꡕ 의곤지는 河內飛鳥戶造 의선조이고 河內飛鳥戶造神社 에모신祭神으로나온다. 곤지 관련기록과정착지에대해서는다음의논고가참고된다. 서보경, 渡倭한百濟系韓人과河內 - 百濟王族의渡倭와관련하여 - ꡔ 史叢 ꡕ 68, 2009, 7 19 쪽. 10) ꡔ 일본서기 ꡕ 권 16, 무열기 4 년시세.

49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49 귀국했을가능성이높다. 물론또다른시각에서본다면, 이기사는백제의골족인 사아군 의도왜라는역사적사실을모티프로한 왜군 의씨족설화인데, 윤색과정에서도입부에계체ㆍ흠명대백제의대가야ㆍ왜관계특히 임나일본부 문제에깊이간여했던 木刕麻那 를모델로백제사신의파견과교체라는내용을작문하여삽입했을가능성도있다. 사실무열기의 마나 ( 군 ) 와계체ㆍ흠명기의 木刕麻那 가동일인물로인정하고할때, 양자의활동시기가다르다는불안요소가있기는하다. 그러나무열기의 마나 ( 군 ) 의파견과교체가사실이든후대작문하여삽입된것이든그리중요한문제는아닌것같다. 계체ㆍ흠명기에동명의인물이 木刕 씨를칭하기때문에 마나 ( 군 ) 와 木刕麻那 가동명이인이아니라면 마나 ( 군 ) 가 목씨 임은인정해야할것같다. 마나 ( 군 ) 가 木刕 씨이고왜왕권에파견된것이사실이라면, 백제의대표목씨인 목 ( 협 ) 만치 의도왜에도불구하고이후목씨집단은여전히백제의대가야ㆍ왜교섭관계에있어중요한역할을담당했음을시사한다. 2) 木刕麻那 계체ㆍ흠명기에보이는다수의목씨가운데 마나 ( 군 ) 와동일인으로추정되는바백제유력귀족으로서대표적인목씨인 木刕麻那 부터살펴보고자한다. 관련사료를제시하면다음과같다. < 사료B> 1 近江毛野臣을安羅에사자로보내다. 칙서로신라에게다시南加羅ㆍ㖨己呑을세울것을권하다. 백제는將軍君尹貴麻那 甲背麻鹵등에게安羅에가서이르게하여삼가조칙을듣게하다 ( 중략 ) 무릇수개월간에걸쳐재삼당상에서의논하다. 將軍ㆍ君등은그뜰에있는것을분하게여기다. (ꡔ 일본서기ꡕ 권17, 계체기 23년춘3월두번째시월 ) 2 ( 상략 ) 성명왕이이르기를 옛날우리先祖速古王ㆍ貴首王치세때安羅ㆍ加羅ㆍ卓淳의旱岐등이처음사신을보내상통하고친교를두텁게맺었다.

50 50 지역과역사 37 호 子弟가되어영원히융성하기를바랐다. 그런데지금신라에게속임을당해천황이노여워하고임나가원한을품게한것은과인의잘못이다. 나는깊이뉘우쳐下部中佐平麻鹵ㆍ城方甲背 昧奴 등을보내加羅에가서任那日本府를만나서로맹세하게했다. 이후생각이계속이어져임나를세우려는계획을조석으로잊지않았다 ( 하략 ). ( 위의책, 권19, 흠명기 2년夏 4월 ) 3 백제성명왕이또前詔를널리군신에게보이며말하기를 천황의조칙은이와같다. 어떻게하는것이복명하는것인가 라고하다. 上佐平沙宅己婁ㆍ中 佐平 木刕麻那 ㆍ下佐平木尹貴ㆍ德率鼻利莫古ㆍ德率東城道天ㆍ德率木刕眯淳ㆍ德率國雖多ㆍ奈率燕比善那등이함께의논하여말하다 ( 하략 ). ( 위의책, 권19, 흠명기 4년 12월 ) 위의사료에서는다수의목씨가보이는데, 마나 ( 군 ) 와同名을가진인물은 將軍君 麻那, 下部中佐平麻鹵ㆍ城方甲背昧奴, 中佐平木刕麻那 (B-123) 이다. 는후술할것이고, 는氏名이 ( 木刕 ) 麻那 임은분명하다. 將軍ㆍ君 호, 中佐平 관등, 그리고소속부의유무는활동시기혹은참고자료의차이에기인한것으로간주된다. 종래 麻那 라는동명을근거로앞서언급한 麻那 ( 君 ) 는원래 木刕 + 麻那 ( 君 ) 로서 木刕 성씨를가졌던것으로추정했던것이다. 11) 麻那 ( 君 ) 와 木刕麻那 는일단동명이고씨명을모두칭한 木刕麻那 용례 (B-3) 가확실하게보이기때문에양자를동일인으로보는것은타당성이있다고생각한다. 木刕 성씨를생략한경우는다른사례를통해서도확인할수있다. 즉 木刕麻那 와함께나오는또다른유력목씨외교사신인 木尹貴 의경우 將軍君尹貴 와 下佐平木尹貴 (B-13) 등으로각각달리표기되어나온다. 근강모야신 이왜사로서안라에처음으로파견된것은소위 안라 ( 고당 ) 회의 에참석하기위해서이다 (B-1). 이회의는남가라등남부가야 3국에 11) 坂本太郞等校注, ꡔ 日本書紀 ꡕ ( 下 ), 岩波書店, 1967, 16 쪽의頭注 5. 金鉉球, ꡔ 任那日本府硏究 - 韓半島南部經營論批判 -ꡕ, 一潮閣, 1993, 132 쪽. 한편백제의경우동일시기의이름끝자가같은경우돌림자로서동일성씨일가능성이높다고한다 ( 노중국, 百濟의姓氏와貴族家門의出自 ꡔ 大丘史學 ꡕ 89, 2007, 쪽 ).

51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51 대한신라의병합에직면한안라가자구책으로서새롭게 고당 을지어자국에서개최한 국제회의 인데, 12) 백제ㆍ신라ㆍ왜의사신이참가하고있다. 특히백제는 將軍君尹貴麻那甲背麻鹵 등 장군ㆍ군ㆍ갑배 를칭하는 3인의고위급관인을보냈는데, 이가운데 ( 木刕 ) 麻那 가포함되어있는것이다. 한편 麻那 의이표기로서동일인물일가능성이높은인물인 城方甲背昧奴 (B-2) 용례가있다. 昧奴 의경우, 전후목씨인물기사의등장추이 (< 표1> 참조 ), 음가, 관등, 칭호등을참고해볼때 麻那 와동일인물임은분명하다. 즉 麻那 와 昧奴 의音이모두 マナ 라는점 13) 과 麻鹵 (B-1 3) 와함께나온다는점등의공통점은두인물이동일인일가능성을뒷받침하는근거가된다. 근강모야신 기사는사실설화성이짙은영웅담으로신빙성에문제가있지만문장자체의해석도난해하다. 將軍君 尹貴麻那甲背 麻鹵等 (B-1) 구절에서 將軍ㆍ君 과 甲背 의경우, 앞뒤 3인의인명과끊어읽기가애매하다. ( 각각 ) 將軍과君인尹貴ㆍ麻那와甲背인麻鹵등 정도로끊어서해석하면무난하지않을까생각한다. 종래의통설과같이 麻那甲背 로읽으면, 14) 마지막인물인 麻鹵 의호칭이애매해지는문제점이있음을고려할필요가있다. 그런데 麻那ㆍ麻鹵 와함께나오는 ( 木 ) 尹貴 의경우기사의말미에는 百濟使將軍君等 將軍君等 恨在庭焉 (B-1) 이라고하여인명이생략되고있어 장군ㆍ군 및 갑배 의성격을어느정도파악할수있다. 즉 장군ㆍ군 은백제의중앙고위관인의미칭이고, 갑배 는백제지방관과관련된실직호일가능성이높다고생각한다. 한편 윤귀 와 마나 는 10여년후에다시보이는데, 이때는각각 하좌평 과 중좌평 으로관칭되고있다 (B-3). 다만 B-1 기사서두에보이는목씨의 장군ㆍ군 호와 갑배 를이와같이간주할때 下部中佐平麻鹵城方甲背昧奴 (B-2) 구절을어떻게해석할것 12) 白承忠, 任那復興會議 의전개와그성격 ꡔ 釜大史學 ꡕ 17, 1993, 쪽. 13) 坂本太郞等校注, 앞의책 ( 下 ), 1967, 71 쪽의頭注 10 ㆍ ) 坂本太郞等校注, 앞의책 ( 下 ), 1967, 39 쪽의頭注 22.

52 52 지역과역사 37 호 인가하는문제가있다. B-2 는 B-1을회고한내용이기때문에파견인물과관등은동일해야마땅한데, 그러나 3인가운데 윤귀 는생략되어있고 마로 와 매노 (= 마나 ) 는이전에는볼수없었던소속부와관등이부가되었다. 여기서특히주목되는점은인명의기술순서가바뀌어기술되어있다는점이다. 그러나앞서살펴본바와같이 甲背麻鹵 (B-1) 로볼수있고, 하부중좌평 은 麻鹵 가아니라 昧奴 즉 麻那 임은의문의여지가없다 (B-3). 따라서 下部中佐平麻鹵ㆍ城方甲背昧奴 는 下部中佐平昧奴 ㆍ城方甲背麻鹵 의오기로서인명의순서가바뀐것으로간주하는것이타당하다고생각한다. 즉 下部中佐平昧奴 가맞다면, 昧奴 (= 麻那 ) 는 中佐平木刕麻那ㆍ下佐平木尹貴 (B-2) 구절의 中佐平木刕麻那 표기와도정합적이된다. 그런데여기서잠시 갑배 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ꡔ일본서기ꡕ 에서 갑배 를칭한인물은 a 左魯那奇他甲背, b 前部木刕不麻甲背, c 將軍君尹貴麻那甲背 麻鹵, d 城方甲背 昧奴등네군데보인다. 갑배 에대해서는여러견해가있지만, 모두계체ㆍ흠명기에집중되고특히모두백제계통자료의가야관련백제인물만칭하고있다. 물론현종기의가야지배자 좌로나기타갑배 (a) 의용례가있지만, 후대백제중심으로가필한것이다. 위의네용례가운데전자 2인은인명뒤에, 후자 2인은인명앞에각각 갑배 를칭한것으로볼수있다. 여기서 將軍君尹貴麻那甲背 麻鹵 의경우 갑배 는앞서언급한바와같이 마나 가칭한것이아니라 마로 가칭한것으로보아야한다. 즉 갑배마로 로보면계체기의 麻那 는 將軍君尹貴麻那 + 甲背麻鹵 가되어 尹貴 와 麻那 는각각 장군 혹은 군 에대응한다 (B-1). 그러면 木刕麻那 는무열기의 마나 ( 군 ) (A-12) 와똑같이 군 을칭하고그성씨또한 木刕 가되어동일인물일가능성이한층높아진다. 다만기존설에서는 麻那 (B-1) 와 昧奴 (B-2) 모두 甲背 를칭한공통점이지적되었는데, 下部中佐平麻鹵ㆍ城方甲背昧奴 이 下部中佐平昧奴ㆍ城方甲背麻鹵 의오기라면이제그공통점도사라지게되고또한 갑배마로 로간주하는데아무런장애요소가없게된다.

53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53 한편 麻那 ( 君 ) ㆍ 木刕麻那 와동명의또다른인물로서흠명대백제사신인 德率汶休麻那 15) 가있다. 汶休 는백제의復姓으로간주하는것이일반적인데, 16) 下部固德汶休帶山 17) 의용례가보이기는하지만이외는사용례가극히드물다. 麻那 ( 君 ) 와 汶休麻那 를동일인물로보는견해도있다. 18) 그러나 汶休麻那 는 麻那 ( 君 ) 와동일인물로추정되는 木刕麻那 와파견지와활동목적이각각왜에의청군및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해소로서전혀다르고, 관등도각각 德率 과 中佐平 으로큰차이가나며, 활동시기도다르기때문에다른인물로간주하는것이타당하다. 2. 木刕不麻, 木尹貴, ( 木刕 ) 麻鹵, 木刕眯淳 계체ㆍ흠명기에는 마나 ( 군 ) 와동일인물로추정되는 木刕麻那 이외에도다수의목씨를확인할수있다. 木刕不麻, 木尹貴, ( 木刕 ) 麻鹵, 木刕眯淳 등이그들인데, 계체기 10년하5월ㆍ 23년추3월및흠명기 4년 12월조에보인다. 관련사료를열거하면다음과같다. 다만다음절에서살펴볼 紀臣奈率彌麻沙, 木刕今敦, 木刕文次 관련사료와중복되는것이있기때문에여기에서미리함께제시한다. < 사료C> 1 백제가前部木刕不麻甲背 를보내物部連등을己汶에서맞이하여위문하게하고인도하여입국시키다. 群臣이각각衣裳ㆍ斧鐵ㆍ帛布를내어나라의토산물을더하는것을도와서조정에쌓아놓고, 위문하는것이은근하다. 賞으로주는祿이넉넉하면서도법도에맞다. (ꡔ 일본서기ꡕ 권17, 계체기 10년하5월 ) 2 백제는安羅日本府와신라가통계한다는것을듣고前部奈率鼻利莫古ㆍ奈率宣文ㆍ中部奈率木刕眯淳 ㆍ紀臣奈率彌麻沙 등을보내 [ 紀臣奈率은紀臣 15)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8 년하 4 월. 16) 坂本太郞等校注, 앞의책 ( 下 ), 1967, 96 쪽의頭注 1, 17)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14 년 8 월. 18) 洪性和, 4 6 세기百濟와倭의관계 -ꡔ 日本書紀 ꡕ 내倭의韓半島파병과百濟ㆍ倭의인적교류기사를중심으로 - ꡔ 韓日關係史硏究 ꡕ 36, 2010, 26 쪽.

54 54 지역과역사 37 호 이韓婦를취해낳았고이런까닭에백제에머물러奈率이된자이다. 그의父는분명하지않다. 다른경우도모두이를따른다 ] 안라에서신라와임나집사를불러이르게해임나를세울것을도모하다 ( 하략 ). ( 위의책, 권19, 흠명기 2년첫번째추7 월 ) 3 백제는紀臣奈率彌麻沙 과中部奈率己連을보내下韓ㆍ任那의정사를주하고아울러표를올리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2년두번째추7월 ) 4 백제의紀臣奈率彌麻沙 등을파하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4년하4 월 ) 5 백제聖明王이다시前詔를널리군신에게보이며말하기를 재차천황의조칙은이와같다. 어느것과같이하는것이복명하는것인가 라고하다. 上佐平沙宅己婁ㆍ中佐平木刕麻那 ㆍ下佐平木尹貴 ㆍ德率鼻利莫古ㆍ德率東城道天ㆍ德率木刕眯淳 ㆍ德率國雖多ㆍ奈率燕比善那등이함께의논하여말하기를 신등은품성이우민하고모두지략이없습니다. 임나를세우라고조했습니다. 모름지기빨리칙을받들어야합니다. 지금마땅히任那執事와國國의旱岐등을불러함께책략을꾀하고표를올려뜻을말하겠습니다. 또河內直ㆍ移那斯ㆍ麻都등이아직안라에있으면임나를세우기어렵습니다. 따라서또한아울러표하여本處에옮기도록하십시오 라고하다. 聖明王은말하기를 군신이의논한바심히과인의마음과맞다 라고하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4년 12월 ) 6 백제는施德馬武ㆍ施德斯那奴次酒등을임나에사신으로보내日本府와任那旱岐등에게일러말하다. 나는紀臣奈率彌麻沙 ㆍ奈率己連ㆍ物部連奈率用奇多를보내서천황에게조알했다. 彌麻沙 등이日本에서돌아와조서로써선유하며말하기를거기에있는日本府와함께빨리좋은계획을세우는것이짐이바라는바와같다. 그대는그것을경계하라. 남에게속지말라 ( 하략 ) 하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5년 2월 ) 7 戊辰朔乙亥에百濟ㆍ加羅ㆍ安羅는中部德率木刕今敦 ㆍ河內部阿斯比多등을보내주하여 고구려와신라가연합하여세력을합쳐신의나라와임나를멸하려고합니다. 이런까닭에삼가구원병을청하여먼저불시에공격하려고합니다. 병의다소는천황의마음대로하십시오 라고하다 ( 하략 ). ( 위의책, 권19, 흠명기 13년 5월 ) 8 甲子朔乙亥에백제가上部德率科野次酒ㆍ杆率禮塞敦등을보내軍兵을청하다. 戊寅에백제사신中部杆率木刕今敦 과河內部阿斯比多등이일을파하고돌아가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14년춘정월 ) 9 戊子朔甲午에황자淳中倉太珠敷尊을세워황태자로삼다. 丙申에백제는中部木刕施德文次 와前部施德日左分屋등을筑紫에보내內臣ㆍ佐伯連등에게말하다 ( 중략 ) 이에내신은칙을받들어답하여말하기를구원군의

55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55 수는 1천, 말 100 필, 배 40척을보낸다고하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15 년춘정월 ) 10 丁亥朔백제사신中部木刕施德文次 등이일을마치고돌아가다. ( 위의책, 권19, 흠명기 15년 3월 ) 1) 木刕不麻 먼저계체기의 前部木刕不麻甲背 이다. 목 ( 협 ) 만치 도왜이후성씨가 木刕 임을확실하게명기한첫번째인물이다. 그는특이하게도백제관인으로서는처음으로 前部 라는소속부와 甲背 를관칭하고있어주목된다. 木刕不麻 는다른사료에서는전혀보이지않는인물인데, 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과정때가야의기문에파견되고있다 (C-1). 즉왜에서건너온 物部連 (= 物部至至連 ) 은 대사강 으로갔으나가야소속의 반파 의군사력에곤란을겪다가 汶慕羅 로도망갔다. 19) 이에백제는 木刕不麻 를파견하여 반파 가군사력으로위협하고있던 기문 에서그를위문하고백제에입국하도록했다 (C-1). 백제본기 에 물부지지련 인명이나오기때문에 木刕不麻 는일단가야파견백제사신으로서의사적배경이있었던것은분명하다. 木刕不麻 는계체기백제의 기문ㆍ대사 병합사건을해결하기위해가야에파견된유일한 木刕 씨이다. 이와관련하여종래주목되었던인물이 ꡔ신찬성씨록ꡕ 과 ꡔ속일본후기ꡕ 에나오는바백제가 三己汶 에파견한 塩乘津 이다. 흔히 기문 의위치와관련하여인용되는기사인데, 염승진 의경우씨명은다르지만동일시기에동일사안으로 ( 왜 ) 백제에서가야에파견된인물이라는점에서일단 木刕不麻 와비교될수있는부분이많다. ꡔ신찬성씨록 ꡕ에의하면옛날숭신천황때왜가임나의요청으로 塩乘津彦命 ( 異稱은 松樹君 ) 을 鎭守 로봉해 ( 임나와 ) 신라가상쟁하는 三己汶 에파견했고, 彼俗稱宰爲吉 한까닭에그후예의성이 吉氏 가되었으며, 이후왜왕권으로부터 吉田連 성을받고다시 宿禰 성을받았다고한다. 20) ꡔ속 19) ꡔ 일본서기 ꡕ 권 17, 계체기 9 년춘 2 월ㆍ동년시월ㆍ동년하 4 월.

56 56 지역과역사 37 호 일본후기ꡕ 에는始祖塩乘津은大倭人으로 三己汶 땅에살았는데백제에예속되고, 8세손 達率吉大尙 과弟 少尙 이내조하여의술을대대로전하고문예에도통했으며, 그자손은 吉田連 의성을받았다고한다. 21) 三己汶 은원래임나와신라가상쟁하는땅인데, 염승진파견이후결국백제에귀속되었다고한다. 그러나임나와신라가상쟁했다는것은후대신라에대한적대관이반영된것으로실제는임나즉가야와백제의충돌로보는것이타당하고, 22) 염승진은비록 대왜인 으로나오지만그후손 달솔길대상 이백제에서건너왔기때문에백제인으로보아야한다. 염승진 의 8세손 달솔길대상 은 663년佐平餘自信이무리를이끌고왜로망명할때함께건너왔던것으로추정된다. 23) ꡔ일본서기ꡕ 계체기에구체적으로서술하고있는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사건의한편린으로추정되지만, 염승진 관련내용은전혀보이지않는다. 다만백제무령왕대의 기문ㆍ대사병합 은분명한사실이기때문에위의기사는후대왜씨족 길전련 가기류에나오는전승자료를토대로이것을왜왕권중심으로재구성한것으로추정된다. 따라서이기사를신라의임나침입에대한왜왕권의개입으로해석하여왜왕권의임나지배를상정하는견해 24) 는따르기어렵다. 삼기문경영 기사를백제중심으로되돌려사적의미를찾자면, 백제의기문ㆍ대사병합 을서술한것으로이해하는것이타당하다. 이와관련하여, 6세기전반가야와신라의분쟁지인 삼기문 에가야의요청으로백제가 목씨 관료인 塩乘津 을파견함으로써가야에대한백제의경영이확립되었다고한다. 25) 그가목씨인근거는 임나경영 과관련된씨는대체로 목씨 이고 20) ꡔ 신찬성씨록 ꡕ 좌경황별하길전련. 21) ꡔ 속일본후기 ꡕ 권 6, 인명기承和 4 년 6 월기미. 22) 金泰植, 5 세기후반大加耶의발전에대한硏究 ꡔ 韓國史論 ꡕ 12, 서울대국사학과, 1985 ; ꡔ 加耶聯盟史 ꡕ, 一潮閣, 1993, 120 쪽. 23) ꡔ 일본서기 ꡕ 권 27, 천지기 2 년 9 월ㆍ 10 년정월. 24) 井上秀雄, ꡔ 任那日本府と倭 ꡕ, 東出版, 1978, 쪽. 25) 金鉉球, 앞의책, 1993, 쪽.

57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57 君 은왕족이외에 목씨 에게만붙여진점등을들고있다. 26) 그러나 염승진 이백제목씨였다는것은근거가희박하고, 그가 임나를경영 했다는주장은백제의 가야부용관 을그대로받아들인억측이다. 계체기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때는 염승진 과유사한인물은전혀보이지않는다. 이사건을주도한것은 穗積臣押山 이고, 木刕不麻 가기문에파견되고있을뿐이다. 君 도웅략기의 吉備弟君 과흠명기의 임나일본부 吉備弟君臣 27) 등의용례가보이기때문에 목씨 만이칭한것으로볼수없음은물론이다. 다만이기사를통해서는계체기의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사실을비록가기류이지만후대기록을통해서재차확인할수있는점이다. 물론 염승진 의활동시기는숭신기의사실은아닌데, 8세손 달솔길대상 으로소급해보면 6세기전후의인물로추정된다. 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때와일치한다. 아마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과정에서 木刕不麻 가기문에파견되었을때 염승진 도그일행으로함께파견되었는데, 후대 길전련 가기류에서 삼기문 에서의활동상을과장하여서술된것일뿐이다. 2) 木尹貴, ( 木刕 ) 麻鹵 백제목씨가본격으로나오는 將軍君尹貴麻那 甲背麻鹵 (B-1) 3인이다. 麻那는앞서 마나 ( 군 ) 를서술할때언급한바있는데, 어쨌든麻那, 尹貴, 麻鹵등은백제의상급관인으로 안라회의, 임나복건회의, 군신회의, 그리고 임나일본부 등의문제에직접간여하면서반복적으로등장한다. 계체ㆍ흠명기제목씨의대가야활동가운데서도그위상이나활동내용으로볼때이들 3인은가장핵심적인역할을하는등목씨활동의근간을이루고있음은두말할것도없다. 麻那, 尹貴, 麻鹵는 하부 라는소속부를가지고있고, 장군ㆍ군등의미 26) 金鉉球, 위의책, 123 쪽. 27)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7 년시세 ; 권 19, 흠명기 5 년 3 월.

58 58 지역과역사 37 호 칭을가지고있으며, 각각중좌평ㆍ하좌평ㆍ성방갑배등으로관칭되고있다. 특히전자 2인은 木刕 씨가운데는가장높은 平系 의고위관등을칭하고있고, 성왕주재의 군신회의 에도참석하고있다 (B-1, C-5). 윤귀 의경우다른목씨가 木刕 로칭해지는것과는달리 木 으로만칭해지고있음에주목하여복성인 木刕 [ 劦 ] 에서단성으로분화한 목씨 의근거로간주하기도한다. 28) 그러나같은시기에 木刕 와 木 씨가함께나오는등 刕 가생략되었을가능성이높기때문에단정적으로말하기는어렵다. 백제는남부가야 3국멸망이후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ㆍ반백제활동을제어하기위해진력했다. 즉이들 木 ( 刕 ) 씨 3인은 년대대가야진출에있어신라와경쟁하고있던백제의외교현안인 임나문제 를해결하기위해안라에파견되었는데, 시기적으로는동일한목적으로왜왕권에파견된 왜계백제관료 의활동과병행한다. 한편에서는 안라회의 참석백제사신의성격과관련하여, 君 이라는칭호와함께위의 3인을 안라회의 를주도한 백제목씨와임나와의특수한관계 즉 백제의임나경영 의관점에서이해하기도했다. 또한이들과함께나오는 근강모야신 을 백제책임자 의안라파견을 ꡔ일본서기 ꡕ 편찬과정에서왜왕권의파견인물로바꿔쓴것으로간주하기도했다. 29) 그러나이견해는신공ㆍ응신기해석의연장선에있는데, 후대백제의 가야부용관 에의해서술된계체ㆍ흠명기의내용을무비판적으로수용한것으로논거자체를받아들일수없다. 백제목씨는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외교문제를해결하기위해외교사신으로파견되었을뿐이다. 더욱이백제가윤귀등 3인의유력목씨를안라에파견한상태에서동일한시기에또다시 근강모야신 을파견한다는것은외교형식으로도전혀맞지않다. 尹貴, 麻那, 麻鹵등 3인의백제목씨는계체대말기에신라ㆍ왜관인과함께안라에서개최된 국제회의 인 안라 ( 고당 ) 회의 에초청을받았으나, 장 28) 盧重國, 百濟의貴族家門硏究 - 木劦 ( 木 ) 氏세력을중심으로 - ꡔ 大丘史學 ꡕ 48, 1994, 쪽. 29) 金鉉球, 앞의책, 1993, 132 ㆍ 141 쪽.

59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59 군ㆍ군ㆍ갑배로칭해지는고위관인임에도불구하고당상에도올라가지못하고당하의뜰에머무는등홀대받고있다 (B-1). 흠명대의승승장구하는모습과는전혀다른양상인데, 신라의남부가야 3국병합무렵의초기백제목씨활동은상당한어려움속에서출발했음을나타낸다. 이점은 제1차임나복건회의 에서백제성왕이계체대이들의안라파견을회고하면서 임나복건 을위한백제의제활동이흠명대초기당시까지도여의치못했음을말한것으로도방증할수있다. 즉성왕은이들의파견이후 이후다른일에얽매었으나임나재건을도모하는것을조석으로잊은적이없다 고말하면서, 신라와내응하지말것을주문하는등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을비판하고있다. 30) 3) 木刕眯淳 다음으로살펴볼목씨는 中部奈率木刕眯淳 이다. 木刕眯淳 은후술할 紀臣奈率彌麻沙 및 前部奈率鼻利莫古ㆍ奈率宣文 등과함께안라에파견되고있고, 중부 소속으로나온다 (C-2). 또한上佐平沙宅己婁ㆍ中佐平木刕麻那ㆍ下佐平木尹貴등과함께 군신회의 에참석하고있다 (C-25). 안라에의파견목적은 안라일본부 가신라와통계한다는말을듣고안라에서신라와임나집사를불러임나를세울것을도모하기위함이었다. 임나일본부 를직접부르지는않고관련국인신라와안라의집사를부른것이다. 木刕眯淳 은 奈率 (6위) 로안라에파견된이후 2년여만에개최된바 임나복건 문제를의제로한 군신회의 에는 德率 (4위) 의관등을가지고참석한다. 그는이회의에서 임나집사 와 국국한기 등을소집하여왕의뜻을말하고 하내직 등이안라에있으면임나를세우기가어렵기때문에본처로소환해야된다고주장했다 (C-5). 木刕眯淳 은관등 [ 奈率 (6위) 德率 (4위)] 이나활동양상으로볼때앞 3인의목씨에비해서는위상이떨어지는인물임은분명한데, 실무급관료에서시작하여점차그위상이높아진것으로추 30)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2 년하 4 월.

60 60 지역과역사 37 호 정된다. 3. 紀臣奈率彌麻沙 목씨의후예씨족가운데하나인 紀氏 의일원으로서, 백제목씨와함께활동한인물인 기신나솔미마사 (C-2345) 이다. 540년대전반목씨이외에 왜계백제관료 가운데안라에파견되어목씨와동일한목적인 복건임나 를위해대외활동을전개한유일한백제관인이다. 다른 왜계백제관료 는모두왜에만파견되고있는것과는달리이인물은왜는물론안라에도파견되고있고, 또한드물게도그출자까지밝히고있는점이특이하다. 기신나솔미마사 의父 紀臣 은왜왕권에서백제로건너와장기간거주한것으로추정되는데, 현지인백제에서 한부 를취해그를낳아백제에장기간머물게된까닭에 왜계백제관료 가되었다고한다 (C-2). 이점은왜인으로서거처 ( 주재 ) 한나라는다르지만, 한부 소생으로안라에서활동한 임나일본부 인하내직등의성격과흡사하다고하겠다. 기신나솔미마사 는 6세기초반백제에서태어났던것으로추정되는데, 왜계백제관료 로서의활동은흠명 2년 7월 동 5년 2월까지나온다 (< 표 1> 참조 ). 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을제어하려는백제목씨와다른 왜계백제관료 의외교적노력이극에달했던시기에함께활동했음을알수있다. 다만 기신나솔미마사 와목씨양자가직접관련된기록은전혀찾을수없다. 그러나그는오로지 임나문제 해결을위해가야와왜왕권을왕래하면서안라및 임나일본부 와대립한특별한존재이다. 특히왜왕권에파견된것은주목되는부분인데, 아마다른 왜계백제관료 와마찬가지로왜출자인물로서의특징을십분발휘했을가능성이높다. 기신나솔미마사 는백제목씨와는별도로활동하지만, 그출자나활동양상으로볼때목씨활동의연장선에서같은범주로묶어보아도무방하다.

61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木刕今敦, 木刕文次 백제목씨의외교사신으로서상당한시차를두고종래목씨의파견지인안라가아니라이제는왜왕권에파견된인물로서, 中部德率 ( 杆率?) 木刕今敦 과 中部木刕施德文次 가있다 (C-78910). 이들목씨는앞서살펴본 木刕眯淳 의안라파견 (543) 이후약 10년뒤에나오는데, 목씨의외교활동무대가전례없이왜왕권으로향하고있고, 파견목적도 청병 으로서전대와는전혀다른활동양상을보인다. 즉 木刕今敦 은 고구려와신라가힘을합하여자국과임나를멸하려하니구원병을청하여먼저공격하려고한다 고주장하고있고 (C-7), 뒤이어파견된 木刕文次 등은축자에파견되어구원병파견진행과정을구체적으로점검하고구원병의규모와기타지원내용등에대한확답을받아내고있다 (C-9). 임나문제 는전혀거론되지않고있음을알수있다. 백제는 木刕今敦 파견을통해목적한바 청병 은소기의성과를거두었다. 즉그가귀국한바로이듬해 中部木刕施德文次 와 前部施德日左分屋 은筑紫에가서內臣과佐伯連등으로부터구원군의수는천명ㆍ말백필ㆍ배사십척을보내겠다는약속을받아냈다 (C-910). 백제가왜왕권으로부터구체적인파병약속을받아낸것은그전해에 木刕今敦 과함께 上部德率科野次酒 와 杆率禮塞敦 (C-7) 등 왜계백제관료 를포함한보다관등이높은다른백제관인을파견한것이주효했을것이다. 이상에서계체ㆍ흠명기의제 목씨 와 기씨 를살펴보았다. 麻那 ( 君 ) 와 木刕麻那 에서부터 木刕文次 까지제인물가운데고위관등을가진목씨는 임나일본부 가사라지기전까지모두 임나문제 로활동하고있다. 장군ㆍ군ㆍ갑배칭호를가지고있고, 하부 ㆍ 중부 등소속부가있으며, 좌평급ㆍ덕솔 나솔급등전반적으로높은관등를가지고있다. 다만후반기의목씨활동은파견지가왜왕권으로향하고, 파견목적도 청군 문제로바뀌며, 관등도떨어진다. 목씨의활동과유사하게 왜계백제관료 가운데는 기신나솔미마사 가나오

62 62 지역과역사 37 호 고있다. 도왜한목만치의후예씨족의일원인데, 백제외교사신의일원이되어대가야문제를담당한것이다. 즉 한부 소생의혼혈인으로백제에서나서장기간거주한까닭에 왜계백제관료 가되어안라와왜왕권에파견되어활동했다. 왜왕권을사이에두고백제의 왜계백제관료 는안라의 임나일본부 와경쟁혹은대립관계에있음을알수있다. 31) Ⅱ. 목씨활동의성격 1. 5세기백제와가야ㆍ왜 6세기백제목씨 ( 기씨포함 ) 의대외활동은안라와 임나일본부 문제에서단연두드러진다. 물론대왜왕권활동도보이지만, 임나일본부 를통한간접적인것이라든지일부 청군 문제에국한된것이다. 그러면계체ㆍ흠명대이전의백제, 가야, 왜관계는어떻게전개되었을까? 이가운데특히가야와왜의관계는백제목씨와가야관계를이해하는데대단히중요하다. 왜냐하면가야와왜관계에는모두백제가개재되어있고, 백제와왜관계도대개는가야문제를중심으로전개되고있기때문이다. 한편에서제기되고있는바 임나문제 와 임나일본부 를분리해보아야하고 5세기대가 4 6세기가야문제를해명하는단서가된다는주장이있다. 32) 타당하다고생각한다. 다만 5세기대의역사상을재구성하는방법론으로서국제사상의제국관계를논하는것은정황에근거한것으로가야를주체로한사상의복원과는직접적인관련은없다는점이문제이다. ꡔ일본서기ꡕ에는 5세기부터한반도와교섭한제왜유력씨족이본격적으로나온다는점과 임나일본부 관련용례가 5세기후반에나온다는점이주목되는데, 31) 白承忠, 임나일본부 와 왜계백제관료 ꡔ 강좌한국고대사 ꡕ 4, ( 財 ) 駕洛國事蹟開發硏究院, 2003, 쪽. 32) 이재석, 앞의논문, 2004, 쪽.

63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63 이것은인식의문제인동시에사실을재구성하는단초가된다. 백제 목씨 및그후예씨족인 기씨 등과 임나 와의관계는신공ㆍ응신기의목라근자ㆍ목만치부자활동이래추고기의 임나의조 까지이어지기때문에역사상양자가밀접한관계에있었음은부정할수없다. 백제와가야의교류의시작은 4세기후반이전임은인정되고, 아신왕 6년 (397) 태자전지의파견과고구려남정 (400) 을전후하여군사적우호관계까지진전되었다. 33) 그러나백제와가야의교섭을어느때로보더라도양자가정치적상하관계에있었다든지, 가야지배를주도한백제의유력집단이 목씨 였다고단정적으로말하기는어렵다. 백제목씨관련자료가워낙빈약한탓이기도하지만, 6세기이전의가야와목씨의관계는지금까지그실상이거의밝혀진바가없다. 신공ㆍ응신기의백제ㆍ가야ㆍ왜관계내용은그주체를백제로돌려보더라도백제중심의시각이라는또다른걸림돌이있다. 목씨와가야의관계가언제시작되었으며, 계체ㆍ흠명이전의양자관계가어떠했는가하는점은단편적인사건이외에는잘알수없다. 따라서현재로서는 목 ( 협 ) 만치 의도왜를기준으로목씨및 기씨 와 임나 관계기사를보다면밀하게검토할수밖에없다. 목만치도왜이전의백제목씨의경우, 신빙성이희박한신공ㆍ응신ㆍ현종기의목씨ㆍ기씨의임나ㆍ가라국의정벌과지배, 사직복구, 목만치와가야의공모와백제에의반란, 도왜등의기사뿐이다. 그나마사적의미를가지는것은도왜이후 6세기전반계체ㆍ흠명대의안라와 임나일본부 그리고왜왕권에의 청군 관련기사가있다. 친신라적인안라와 임나일본부 문제를해결하기위해백제목씨가중추적인활동을전개했고, 신라에대응한왜왕권에의 청병 에도일부간여했다. 그런데 ꡔ일본서기 ꡕ 웅략기에는백제와가야ㆍ왜관계를전하는다수의 33) 李在碩, 5 세기백제와倭國의관계 ꡔ 百濟硏究 ꡕ 39, 2004, 44 쪽. 이와는다른시각에서태자전지파견이전백제와고구려의전쟁이반복되는 370 년전후부터백제와왜는군사동맹관계에있었고, 태자전지의파견은이전의관계를회복하기위한것이었다는견해도있다. 熊谷公男, 5 世紀倭ㆍ百濟關係와羅濟同盟 ꡔ 百濟硏究 ꡕ 44, 2006, 175 쪽의각주 3) 참조.

64 64 지역과역사 37 호 기사가있다. 목씨는아니지만왜유력제씨족가기류의영웅담을중심으로전하는데, 특히이전의신공ㆍ응신기에도보이지않던 임나 용례와 임나일본부 관련용례가처음으로보이는점이주목된다. 즉갈성씨ㆍ길비씨ㆍ난파길사씨의대한반도활동과함께 임나일본부 관련용례가나온다는점은, 적어도 ꡔ일본서기ꡕ 의인식으로는 5세기후반제왜와가야와의관계속에왜왕권의역할을찾은것이아닌가한다. 백제와의관계는논외로하더라도신공ㆍ응신기의葛城襲津彦, 응신기의平群木菟宿禰, 웅략기의吉備氏父子 ( 任那國司 吉備上道臣田狹과子弟君 ) ㆍ吉備上道采女大海ㆍ征新羅將軍吉備臣尾代등은모두신라를정벌하기위해파견되었지만공격하지않아비판받고있다. 34) 田狹은襲津彦의손녀사위로서吉備氏와葛城氏가통혼관계에있었는데, 35) 갈성 지역은목만치도왜이후정착한곳으로알려져있고 길비 지역은 5세기대한반도특히백제로부터건너온사람들이집단적으로거주한곳임은주지하는바와같다. 어쨌든이들씨족은모두천황의뜻을거스른것으로일단제왜지방수장세력의독자적인대외교섭활동으로상정할수있다. 물론제씨족가기류의설화담기사를통해 5세기대왜왕권에의한 신라정벌 이과연가능한상황이었고, 이를어긴제왜의행태를곧해당씨족의독자적인교섭활동의근거가될수있는지는의문이다. 왜왕권을중심으로한 5세기대한반도에서의세력구도를 신라- 갈성씨 와 백제- 목라근자- 왜왕권 양자의대립관계로설정하여제왜유력씨족의독립성과독자적인교섭가능성을제시한견해도있다. 36) 34) 신공기 5 년춘 3 월에 葛城襲津彦 이신라에가서 蹈鞴津 을치고 草羅城 을함락시켜포로들을데리고돌아왔다는기사가있다. 그러나이기사는기년은물론내용도신라의 5 세기초박제상ㆍ미사흔도왜사실을모티프로한씨족영웅담과桑原등 4 邑漢人시조설화담이합쳐진것으로신빙할수없다. 한편 吉備氏 는이후에도가야와관련하여다수인명이보인다. 吉備韓子那多利ㆍ斯布利 ( 계체기 24 년추 9 월 ), 任那日本府吉備臣 ( 흠명기 2 년하 4 월등 ) 등이그들인데, 임나일본부 가대표적이지만 540 년대후반까지가야내장기간거주한 吉備氏 의존재를확인할수있다. 35)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7 년시세.

65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65 그러나신라와갈성씨의관계는설화담이외에는근거가없고, 목라근자는그활동이영웅담으로기술되어있는등인물자체의신빙성에의문이많기때문에이같은세력구도설정자체는받아들이기어렵다. 37) 제씨족의독자성을강조하기위해서는왜왕권과의대립만을강조할것이아니라교섭의구체적인양상을살피는것이순리이다. 예를들면, 역사성이확실하고왜왕권과의 상대적인독자성 이보이는바 6세기전반의 임나일본부 길비신과하내직의존재가바로그것이다. 왜왕권을비롯한제왜씨족의대백제, 대가야활동을좀더구체적으로살펴보면, 웅략기 7년과 8년조각각에任那國司 吉備上道臣田狹 과 吉備弟君 父子의활동과 日本府行軍元帥 및膳臣斑鳩ㆍ吉備臣小梨ㆍ難波吉士赤目子등 일본부 관련인물이보인다. 38) 백제에대한우호관계와신라에대한적대감이표출되고있고, 임나왕 이직접거론되고있으며, 임나국사 와 일본부행군원수 용례가보이는등형식상ㆍ내용상으로모두 임나일본부 와연관되어있음을확인할수있다. 웅략기 8년조의 임나일본부 용례는관련내용이집중적으로보이는흠명대의사실을왜중심으로소급윤색하여창작한것임은의문의여지가없다. 일본부 용례는군사력보유유무는유보하더라도중앙귀족, 지방호족, 실무자 3자가모두등장하는등 6세기 일본부 구성원을그대로반영한다는견해도있다. 39) 제씨족의구체적인활동내용에대한해석은재고의여지가많지만, 형식분류의측면에서는일단타당성이있다고생각한다. 한편이에앞서웅력기 7년시세조에는 任那國司 로임명된 吉備上道臣 36) 仁藤敦史, ꡔ 日本書紀 ꡕ の 任那 觀 - 官家ㆍ日本府ㆍ調 - ꡔ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 ꡕ 179, 2013, 431 쪽. 37) 이와관련하여, 오늘날바람직하지않은것은씨족이야기로망각되기쉽고, 오늘날유리한이야기는사료비판을피하기쉽다 는견해 ( 森公章, 古代王權의成長과日韓關係 -4 6 세기 - ꡔ 제 2 기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ꡕ 제 1 권 ( 제 1 분과편 ),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10, 304 쪽 ) 는시사하는바가크다. 38)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7 년시세, 8 년춘 2 월. 39) 森公章, 앞의논문, 2010, 353 쪽.

66 66 지역과역사 37 호 田狹 과子 弟君 의활동을전하는데, 이를통해서는 5세기대 길비씨 가대백제ㆍ가야ㆍ신라교섭활동의대표적인씨족임을확인할수있다. 길비씨 가기류를바탕으로한것인데, 이들부자의주요활동내용은 吉備上道臣田狹 의 임나국사 임명과천황과의불화, 子제군의백제파견과모반, 여러재기의인솔과귀국, 그리고제군의죽음등으로이루어져있다. 40) 길비씨 의독자적인대한반도활동의편린이있었을것인데, 길비씨부자에대한왜왕권의개입은후대왜왕권중심의인식과대신라적대감으로윤색한것이다. 41) 특이한점은 목씨 기사는전혀없다는점인데, 2년뒤그후예씨족인 紀小弓宿禰 ㆍ 紀大磐宿禰 父子와 蘇我韓子宿禰 의대신라ㆍ가야군사활동이보인다. 42) 물론이들기사는목만치도왜이전의백제 목씨 의활동을왜 기씨 와 소아씨 활동으로바꾼것이고, 특히기소궁숙녜ㆍ기대반숙녜부자의활동은형식적으로신공ㆍ응신기 백제기 의 목라근자ㆍ목만치 부자의활동과대응관계에있다. 43) 길비씨 부자활동이듬해에고구려침입을받은신라가 日本府行軍元帥 에게도움을청하자 任那王 이膳臣斑鳩ㆍ吉備臣小梨ㆍ難波吉士赤目子을추천하여신라에보내돕게했다고한다. 44) 신라가가야에청병할때왜왕권과는별도로활동하던 일본부행군원수 에권하여고구려와싸운전승으로보기도하지만, 45) 일본부행군원수 용례자체를믿기어렵기때문에받아들일수없다. 다만이기사의사적의미를찾는다면, ꡔ삼국사기 ꡕ의고구려의신라침입에대한백제ㆍ가야의구원병파견 (481) 이다. 46) 고구려의침입에직면한신라의청병을 5세기후반의사건임을인정할 40)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7 년시세. 41) 吉備氏 의출자와가야등과의독자적인활동에대한전반적인이해는남재우, ꡔ 安羅國史 ꡕ, 혜안, 2003, 쪽참조. 42)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9 년 3 월, 동년하 5 월. 43) 백승충, 앞의논문, 2015, ㆍ 쪽. 44)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8 년춘 2 월. 45) 仁藤敦史, 앞의논문, 2013, 쪽. 46) ꡔ 삼국사기 ꡕ 권 3, 신라본기 3, 소지마립간 3 년 3 월.

67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67 때, 일본부행군원수 관련기사의기년은내려보아야하고, 이때의 임나왕 은고령가라국왕일가능성이높으며, 백제ㆍ신라와대등하게성장한 가라국 의실체도인정할수있다. 여기서주목되는것은신라에의구원군파견때함께파병한백제와가라국의관계이다. 백제의구원군이신라로향하는도중에가야제국을통과한까닭에가라국등이무사하지못했을것이라는견해도있으나, 47) 백제중심의상하관계를전제로한억측일뿐이다. 길비전협 과 제군 부자기사는모두신라를치지않고임나혹은백제에머물렀고, 왜와왕래하지않거나왕래하지말것을권한다. 48) 신라구원기사는가야및 임나일본부 가국력이약한신라를도와주었기때문에고구려를물리칠수있었던것으로윤색하고있다. ꡔ삼국사기 ꡕ 신라본기의신라구원 (481) 을모티프로한것이라면, 웅진천도이후의사실로보아야한다. 이어지는 기소궁숙녜 ㆍ 기대반숙녜 父子의신라정벌과가야의탁국지배기사는백제목씨와신라ㆍ가야의관계속에서보면사적의미가있다. 본고에서는일단기년문제는논외로하고, 웅략기 7ㆍ8ㆍ9년기사의백제, 가야, 신라, 왜길비씨ㆍ기씨등의상호관계를참고하여, 백제와가야의신라구원기사에서백제와가야의모종의연합관계를상정해보고자한다. 보다정확하게얘기하자면당시유력귀족으로서의위상이추락하여이를반전시킬계기가필요했던백제 목 ( 협 ) 만치 와신라의영향력아래놓인 남가라 를대신하여서부경남과섬진강유역진출을통해당시크게성장하고있던 가라국 과의결탁가능성을타진해보고자하는것이다. 49) 사실믿을만한자료에근거하는한백제목씨세력의기반과등장과정, 백제내활동상황, 웅진천도이후목 ( 협 ) 만치의도왜과정, 그리고목씨와가야관계등은잘알수없다. 이가운데특히 목 ( 협 ) 만치 의도왜와관련하 47) 大山誠一, 所謂 ꡔ 任那日本府 ꡕ の成立につぃて ( 中 ) ꡔ 古代文化 ꡕ 32-11, 1980; ꡔ 日本古代の外交と地方行政 ꡕ, 吉川弘文館, 1999, 26 쪽. 48) ꡔ 일본서기 ꡕ 권 14, 웅략기 7 년시세. 49) 481 년백제와가라국의신라구원때의백제 목 ( 협 ) 만치 와 가라국 의상호관계에대해서는 목만치의도왜원인 을주제로한별고를통해구체적으로밝혀볼예정이다.

68 68 지역과역사 37 호 여주목을끄는것이현종기 3년시세조의 기생반숙녜 의가야와의통계, 좌로나기타갑배 등의죽음, 그리고 귀국 기사이다. 즉동성왕재위시기 목 ( 협 ) 만치 는백제의이해와는상반되게가라국과군사ㆍ외교적으로관계가깊었고, 이것이실패하자도왜했던것이아닌가한다. 그러나무열기 6년 마나 ( 군 ) 파견이후이어지는계체ㆍ흠명기에는 기문ㆍ대사병합 및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등 임나문제 와관련하여고위관등을가진제목씨의대외활동이집중적으로보인다. 백제목씨의대표격인목 ( 협 ) 만치의 반란 과 도왜 에도불구하고 6세기전반백제내목씨의위상은그대로유지된것으로보인다. 즉적어도가야와왜를중심으로한백제의대외교섭의중추적인역할은인정된듯하다. 이하계체ㆍ흠명대목씨활동의성격을살펴보도록하겠다. 2. 6세기전반목씨와가야ㆍ왜백제동성왕은즉위하기위해왜에서귀국했음에도불구하고재위 20여년내내왜왕권과의교섭을일체단절했다. 백제와왜왕권이교섭을재개한것은무령왕즉위초 마나 ( 군 ) 를파견하면서부터였다. 실제 마나군 이조를올리자 백제가오랫동안공직을닦지않았다 는언급 (A-1) 은타당하다. 마나 ( 군 ) 의파견은이후무령왕 (504) 부터본격화되는양국의인적ㆍ물적교섭의시발점이되었다. 백제는 마나 ( 군 ) 를왜에보내조를바쳤으나, 천황은백제가오랫동안貢職을닦지않았다는이유로그를억류했다. 이에 백제국주 는그가골족이아니라고하면서골족인 사아군 을보냈다 (A-2). 외교형식 에대한백제와왜의시각차를드러내는데, 백제는 곤지 ( 군 ) 이후오랜만에 마나 ( 군 ) 를보내처음으로 관인외교 를시도했다. 그러나왜로부터큰호응을얻지못하자결국 사아군 을파견하여종래의 왕족외교 로돌아갔다. 마나 ( 군 ) 의행적을통해서는백제와왜의교섭재개가순조롭게진행되지못하는등종래의 왕족외교 의뿌리깊은전통을확인할수있다. 그러나

69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69 비록실패로끝났지만 마나 ( 군 ) 파견은 관인외교 의출발점으로서이후재개되는양국교섭의중요한발판이되었다. 사실 마나 ( 군 ) 는골족은아니지만 君 ( キシ ) 을칭하는 首長 50) 인유력귀족이었고, 더욱이그는계체ㆍ흠명대전단계의목씨외교의선봉장으로보아도손색이없다. 51) 한편골족 사아군 을무령왕의왕자로보고 513년왜에서사망한백제태자 淳陀 52) 와동일인으로간주하기도한다. 53) 타당성이있는데, 다만이기사는백제계자료가아니고또한그내용도 왜군 의선조에초점을맞추어 사아군 의子 법사군 을언급하는등 (A-2) 윤색한흔적이뚜렷하다. 따라서 사아군 파견의사적의미는인정할수있지만, 이기사의초점은역시앞서파견된백제관인 마나 ( 군 ) 에맞추는것이타당하다. 그러나무열기 마나 ( 군 ) 를 목씨 로볼때목씨가본격적으로등장하기시작하는계체대후반의 木刕不麻 에이어 마나 ( 군 ) 와동일인물로추정되는 木刕麻那 등장까지역산해보면약 25년한세대정도의시차가있는등사실활동기간의간극이결코작지가않다. 따라서 마나 ( 군 ) 의파견은인정하지만, 기사는기년을인하해보거나아니면계체ㆍ흠명대활동인물인 木刕麻那 를소급작문했을가능성도열어놓는것이합리적이다. 마나 ( 군 ) 와 木刕麻那 를동일인으로볼때자료계통의차이는있지만, 각각에대한평가가상반된다는문제점도있다. 전자에대한부정적인평가는목만치도왜직후라는점과 관인외교 로서종래의관행과어긋난다는점을원인으로꼽을수있다. 후자에대한긍정적인평가는백제관인으로 안라와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를위해주도적으로활동한점이 백 50) 坂本太郞等校注, 앞의책 ( 下 ), 1967, 16 쪽의頭注 5. 51) 마나 ( 군 ) 를왕족이지만골족의범위를벗어난인물로본견해도있으나 ( 노중국, 백제의骨族의식과골족範圍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50, 2008, 208 쪽. 金英心, 百濟의 君 號에대한試論的考察 ꡔ 百濟硏究 ꡕ 48, 2008, 9 쪽 ), 목씨 로서 관인외교 를전개한것이분명하기때문에받아들일수없다. 52) ꡔ 일본서기 ꡕ 권 17, 계체기 7 년추 8 월. 53) 山尾幸久, ꡔ 古代の日朝關係 ꡕ, 塙書房, 1989, 156 쪽. 연민수, ꡔ 고대한일관계사 ꡕ, 혜안, 1997, ㆍ 440 쪽.

70 70 지역과역사 37 호 제본기 의서술에영향을주었기때문으로추정된다. 한편 마나 ( 군 ) 다음으로나오는 木刕不麻甲背 는계체ㆍ흠명기에처음으로 木刕 씨를칭하면서등장한다. 백제는동성왕말 무령왕초에 무진주 등영산강유역을직접관장하고, 54) 이어동진하여섬진강유역의 기문ㆍ대사 를병합했다. 가야의 반파 는이에반발하여군사로써왜로통하는관문인 대사강 을차지하고, 백제를돕기위해수군 500명과함께건너온왜인 물부련 을공격했다. 55) 이에백제는 木刕不麻甲背 를기문에보내 물부련 을백제로인도하는책임을맡겼다. 木刕不麻甲背 의파견목적은이같이분명하다. 그러나가야의 기문 에파견한것에는이외에도다른목적도있었을것으로추정된다. 즉 기문ㆍ대사 병합의걸림돌이되는대사강에서의 반파 의군사행동을제어하고, 이지역을관장하는역할도주어졌을가능성이높다. 이점은그가군사적성격이강한 갑배 를칭하고있고, 몇달뒤 물부련 이왜로귀국할때백제가왜왕권에 州利即次 를보내 기문을하사 한것에감사를표하고있는것 56) 으로방증할수있다. 즉 木刕不麻甲背 는 6세기초백제의 기문ㆍ대사병합 당시이지역을 54) 6 세기전후백제의전남영산강유역과동남부해안진출과관련하여나주신촌리와고흥길두리에서 5 세기중ㆍ후반의금동관이출토된점이주목된다. 피장자는재지세력이아니라모두 왕ㆍ후 호를받은이지역출신의백제중앙귀족으로서중앙의통제를받은것으로이해하고있다 ( 盧重國, 百濟의王ㆍ侯號, 將軍號制와그運營 ꡔ 백제연구 ꡕ 55, 2012, 쪽 ; 백제의왕ㆍ후호제와금동관부장자의실체 - 歸葬을중심으로 -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70, 2013, 쪽 ). 또한동성왕대 (490 ㆍ 495) 面中王姐瑾은전남서남해안에봉해져이지역을복속한것으로보고있다 ( 文安植, 百濟의西南海島嶼地域進出과海上交通路掌握 ꡔ 百濟硏究 ꡕ 55, 2012, 284 쪽 ). 한편나주복암리고분군은 5 세기말 6 세기초금제관식이출토되어백제의간접지배에있었는데, 6 세기중반은제관식이출토되어완전히복속되었음을나타낸다고한다 ( 金洛中, 5 6 世紀榮山江流域政治體의性格 - 羅州伏岩里 3 號墳出土威勢品分析 - ꡔ 百濟硏究 ꡕ 32, 2000, 쪽 ). 55) ꡔ 일본서기 ꡕ 권 17, 계체기 9 년시월ㆍ동년하 4 월. 56) ꡔ 일본서기 ꡕ 권 17, 계체기 10 년추 9 월.

71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71 관장했던바 남방령 의초기모습이었을가능성이높다고생각한다. 城方甲背昧奴 (B-2) 의 성방갑배 는이점을잘보여주는데, 갑배 는방군성제하의 5방 의우두머리인 方領 에준하는군사적성격이강한 임시지방관 이었을것이다. 57) ꡔ주서ꡕ 에는 방령 을달솔 (2위) 로나오는데, 계체ㆍ흠명기에나오는다수의백제목씨의위상을이해하는데참고가된다. 무령왕대본격적으로재개된백제와왜왕권과의교류는양국간에 직교 한것이라기보다는종래왜와독자적으로교류했던바해상교통의요지인전남영산강유역을영유하여이지역을매개로한것이다. 58) 가야지역도교통로상에위치하여전략적인가치가컸는데, 기문ㆍ대사 병합을통해백제는왜로통하는요충지인 대사강 과 다사진 을차지했음은물론이곳에서인적ㆍ물적교류를위한사전지식을확보했을가능성이높다. 木刕不麻甲背 이후 6세기전반무령왕 성왕대높은관등을가진유력목씨가다시부각된다. ꡔ일본서기ꡕ 계체ㆍ흠명기에서목씨가이같이재등장할수있었던것은왜왕권과의교섭을단절한곤지계인동성왕계대신왜왕권과의교섭을재개한개로왕계의무령왕이즉위한사정과관련이있다고생각한다. 이런까닭에전대신공ㆍ응신기보다훨씬많은신빙성있는목씨관련자료도집중적으로남길수있었던것이다. 계체ㆍ흠명기에서술된백제목씨의활동은전반기는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 중반기는 청군 문제이다. 전ㆍ후자사이에는십여년의공백기가있는데, 목씨의핵심적인활동은대부분전자에집중되어있다. 木刕不麻 가 기문ㆍ대사병합 과정에서활동한이후제목씨는안라에파견되어 안라 ( 고당 ) 회의 와두차례의 임나복건회의 에참석하고, 복건임나 를위해여러차례안라에파견되었으며, 국내적으로는성왕이주재한 복건임나 관련 군신회의 에참석했다. 59) 57) 白承忠, 6 세기전반백제의가야진출과정 ꡔ 百濟硏究 ꡕ 31, 2000, 쪽. 58) 백제는한성함락으로전남서남해안에대한간접지배를상실함에따라이지역은독자적인대외활동이가능했다는견해도있으나 ( 文安植, 앞의논문, 2012, 쪽 ), 이지역의왜등과의독자적인대외교섭은 5 세기대들어이미활성화된상태였음은고고자료등으로서확인된다.

72 72 지역과역사 37 호 물론흠명대 임나복건회의 에참석한백제관인은알수없지만, 회의 의비중이나전후 복건임나 관련인물의면면을참고하면당연히다수의목씨들도참석했을것이다. 대표적인목씨인 木刕麻那 등 3인을보면, 남가라ㆍ탁기탄의재건 을위해안라에서개최된 안라 ( 고당 ) 회의 에파견되고 (B- 12), 이후 군신회의 에참여하여 복건임나 를주장했다 (B-3). 60) 기신나솔미마사 는안라에파견되어 임나복건회의 개최를위해활동했고, 왜왕권에도파견되어 下韓ㆍ任那 의정사를주하기도했다 (C-236). 제1차임나복건회의 (541) 에서성왕은이전에 복건임나 를위해안라에파견한백제목씨사신들의임무를상기하고이를관철시키기위한백제의의지를재차강조했다. 61) 또한 제2차임나복건회의 (544) 에서는 복건임나 를위한백제의세가지방안을제시했다. 62) 이에앞서개최된 군신회의 에서 木刕麻那 등은 복건임나 의당위성에대한자신들의의견을개진한바있다 (C-5). 물론이것은왜왕권의의지를빙자한백제의 가야부용관 을표출한것에다름아니다. 木刕麻那 등 3인은 장군ㆍ군ㆍ갑배 를칭하고있다. 장군ㆍ군 은유력귀족의미칭이고, 갑배 는실직호이다. ꡔ송서ꡕ 등에는 정로장군, 보국장군 등이보이는데, 백제의 장군 호는 5품을경계로대개는 3 4품이고, 8 9 품은허호라는견해 63) 도있다. 또한개로왕대에문주왕과곤지 ( 군 ) 이 우현 59) 본고에서는구체적인검토는유보하지만, 계체기 기문ㆍ대사사여 문제로개최된소위 왜국회의 ( 계체 7 년동 11 월 ) 의성격에대해서는그사실성보다는인식적인측면에서이후전개되는 안라회의, 임나복건회의 와비교할필요가있다. 이와함께신라 上臣伊叱夫禮智干岐 (= 伊叱夫禮知奈末 ) 의金官등 4 村초략의빌미가된바 근강모야신 이백제, 신라왕을불러개최하고자한소위 웅천회의 ( 계체 23 년하 4 월시월 ) 의성격도검토할필요있다. 60) 백제성왕이이에앞서下韓에배치한郡令ㆍ城主주둔문제로佐平內頭및諸臣 ( 三佐平 ) 을소집했을때도이들목씨가참석했을가능성도있다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4 년동 11 월 ). 61)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2 년하 4 월. 62)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5 년 11 월. 63) 盧重國, 앞의논문, 2012, ㆍ 237 쪽.

73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73 왕 ㆍ 좌현왕 으로봉해지는등 군 은왕족이나위상이높은유력귀족에게주어진것임을알수있다. 왕족을제외하고 군 을칭한것은모두 목씨 라는견해 64) 도있으나, 받아들이지않는다. 계체ㆍ흠명대백제목씨의관등은상당히높다. 540 년대후반 청군 을위해실무관료로축자에파견된 中部木刕施德文次 의 施德 (8위 ) 을제외하면, 중좌평ㆍ하좌평ㆍ간솔ㆍ덕솔 등모두 平系 와 率系 (1 6) 의관등을가지고있다. 백제의식읍, 왕ㆍ후호수작자는모두좌평급이라고한다. 65) 木刕麻那 와 ( 木 ) 尹貴 는 장군ㆍ군 호를가지면서각각 中佐平 과 下佐平 으로나온다 (B-2, C-5). ꡔ송서ꡕ 에개로왕 4년 (458) 龍驤將軍 에제수된 沐衿 과 ꡔ남제서 ꡕ에동성왕 17년 (495) 廣威將軍面中侯 에제수된 木干那 가있는데, 그위상으로는계체ㆍ흠명대의목씨와동열선상에있다고하겠다. 백제는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를위해 임나복건회의 개최를주장한다. 이를위해안라에파견된마지막목씨가 木刕眯淳 이다. 그는비록앞서나온尹貴, 麻那, 麻鹵보다는관등이떨어지지만 임나복건회의 를성사시키기위해가장활발하게활동했다. 처음에는 奈率 (6위) 이었으나 2년뒤 德率 (4위) 로나온다 (C-25). 이례적으로빠른승진인데, 임나문제 의해결에서그역할의중요성이반영한것이아닌가한다. 木刕眯淳 와함께나오는 奈率鼻利莫古 와 奈率宣文 은각각 2년뒤 德率鼻利莫古 (C-5), 6년뒤 德率宣文 으로승진하고있다. 66) 또한 奈率掠葉禮 67) 는 2년뒤 杆率掠葉禮 68) 로승진하고있다. 시간적인편차는있지 64) 金鉉球, 앞의책, 1993, 123 ㆍ 쪽의각주 30) 참조. ꡔ 일본서기 ꡕ 에보이는백제의 君 號의성격에대해서는다음의논고가참고된다. 金英心, 앞의논문, 2008, 쪽. 신유진, ꡔ 日本書紀 ꡕ 에보이는百濟의 君 號에대한考察 ꡔ 韓日關係史硏究 ꡕ 44, 2013, 쪽. 65) 노중국, 百濟의食邑制에대한일고찰 ꡔ 慶北史學 ꡕ 23, 2000, 22 쪽. 66)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8 년춘 4 월. 67)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7 년하 6 월. 68)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9 년하 4 월.

74 74 지역과역사 37 호 만奈率 (6위) 에서德率 (4위) 혹은杆率 (5위) 로승진하고있는데, 임나문제 에이어모두 청군 을위해왜왕권에파견된막중한임무를띤인물들이다. 다만 ( 科野 ) 次酒 도 施德 (8위) 에서 德率 (4위) 로빠르게승진하는데, 69) 이경우는 10년의시차를두고있고또한 왜계백제관료 이기때문에 순수백제관료 와상호비교하기는힘들다. 한편백제 木 ( 刕 ) 氏는흠명대부터는 중부 라는소속부를가지고있는점이눈에띈다. 물론계체대 木刕不麻 도 전부 를칭하고있으나, ꡔ일본서기ꡕ 백제의중앙 5부명은흠명대부터본격적으로나오기때문에그의소속부는인정하기어렵다. 또한흠명기의 木刕麻那 의경우 하부 로나오는데, 마로 등과의서술과정에서혼동을빚은결과 중부 의오기가아닌가추정해본다. 의문이있는 木刕不麻 와 木刕麻那 를제외한다른목씨인 木刕眯淳 ㆍ 木刕今敦 ㆍ 木刕文次 의경우소속부는모두 중부 이다. 즉계체ㆍ흠명대전반안라에파견된목씨는모두 중부 라는같은소속부와 좌평ㆍ솔계 의높은관등을가진백제의유력귀족인데, 백제내에서나안라파견때나 기문ㆍ대사병합 과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해소때까지 임나문제 라는동일사안으로백제의대가야외교를주도적으로이끈 특별한존재 라고할수있다. 물론후반에가면 청군문제 에도간여하고있지만, 임나문제 와비교하면그활동자체는전대와는비교할수없을정도로미미하고주도적이지도못하다. 다만 기신나솔미마사 는목씨와는달리소속부가없다. 이점은그가백제의관인으로안라와왜왕권을대상으로활동했지만, 근본적으로는백제와왜왕권모두에속한이른바양속성으로서의 경계인 의이미지를벗을수없는근본적인한계를가졌음을의미한다. 기신나솔미마사 가흠명대전반기에활동하고중ㆍ후반기에는보이지않는점도참고해야할것이다. 민달기의그유명한 일라 도 왜계백제관료 로서장기간백제에거주하면서 달솔 (2 위 ) 의높은관등을가졌으나소속부는없다. 69)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5 년하 5 월 ; 15 년춘정월.

75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75 물론 上部德率科野次酒 ㆍ 上部奈率科野新羅 ㆍ 上部奈率物部烏 등일부 왜계백제관료 의경우소속부가보이기도한다. 70) 소속부가모두 상부 라는점이특이하다. 8명의 왜계백제관료 가운데 3명이가졌는데, 그러나 科野次酒 의경우전반기에는소속부가없다가 71) 승진하면서나머지 2명과함께모두중ㆍ후반기에소속부를가진다. 임나일본부 를축출하는데큰역할을하고, 이제완전히백제관료의일원이되었음을의미한다. 72) 기신나솔미마사 은적어도형식적으로는그출자를백제가아닌왜왕권의 기씨 씨족에두고있다. 그러나 기씨 는실질적으로는백제목씨의후예씨족의일원이기때문에그활동에있어서목씨와의공통분모는분명히가지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즉 기신나솔미사사 의父 기신 은원래백제에서도왜한목만치의후예씨족인 기씨 의일원으로서목만치를기준으로하면 목씨 2세대 로서본향인백제와왕래했던것이다. 기신나솔미마사 의父인 紀臣 의출자는잘알수없다고하는데, 선조인목씨가백제의유력귀족으로여전히건재했기때문에연고지로보나족적으로보나왜왕권과백제를왕래하면서혹은백제에장기간거주하면서양국의인적ㆍ물적교류를확대하는데있어그역할상유리한조건을가진존재였을것이다. 이와중에그는백제에서 한부 를취하여 미마사 를낳았는데, 기신나솔미마사 가백제에서출생성장하여 왜계백제관료 가된것은어찌보면자연스러운과정이라고하겠다. 73) 그런데 기신나솔미마사 는 왜계백제관료 로서는유일하게안라뿐만아니라왜왕권에도파견되고있다. 기시나솔미마사 는적어도외교활동에있어 70)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14 년춘정월 ; 동년 8 월 ; 15 년 2 월. 71) ꡔ 일본서기 ꡕ 권 19, 흠명기 5 년하 5 월. 72) 白承忠, 앞의논문, 2003, 155 쪽. 73) 기신나솔미마사 이외의다른 왜계백제관료 인 物部施德麻哿牟 등도대개이런과정을통했을것으로추정하고, 기씨 등의활동을왜왕권이파견한인물의외정의일환으로간주하기도한다 ( 岸俊男, 紀氏に關する一考察 ꡔ 日本古代政治史硏究 ꡕ, 塙書房, 1966, 102 쪽 ). 왜계백제관료 의출현과정에대해서는동의하지만, 그활동은오로지백제를위한것으로서 왜왕권의외정 과관련시킨것은전혀받아들일수없다.

76 76 지역과역사 37 호 서는안라를거점으로활동한 임나일본부 와대립관계에있다는점에서주목하지않을수없는데, 목만치도왜를기준으로하면그는 목씨 3세대 인왜왕권출신의 기씨 이다. 왜계백제관료 와 임나일본부 는각각백제와안라에서활동한 경계인 으로서의다층성을확인할수있다. 다만여기서주목해야할것은백제목씨가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를위해안라에파견될당시왜왕권의대외정책방향은어떠했는가하는점이다. 왜왕권에서는 이와이의난 이후 대반씨 를대신하여 물부씨 세력이등장하고, 흠명천황의외척으로 소아씨 가부각되기시작한점은주지하는바와같다. 74) 같은시기백제에서는목씨의대안라활동과함께일부 왜계백제관료 가 임나문제 로왜왕권에파견되어적극적인외교활동을전개한다. 임나문제 로백제목씨의안라에서의활동과함께 왜계백제관료 의대왜왕권의외교활동이전개되었다는것은, 당시왜왕권의대외정책이일원적이지못했다는점을방증한다. 왜왕권에대한 왜계백제관료 의활동이적극적이었다는점은적어도 임나일본부 활동기간동안백제의기대와는달리왜왕권은그들의친신라활동을방관했음을나타낸다. 즉당시왜왕권의외교정책은종래의친백제일변도에서많이벗어나있었음을의미한다. 한편왜파견백제사신가운데 中部德率 ( 杆率 ) 木刕今敦 과함께 河內部阿斯比多 라는인물이보이고있어주목된다 (C-8). 河內部 ( 출자 )+ 阿斯比多 ( 인명 ) 으로볼수있을것인데, 출자는왜왕권의 하내 지역일가능성이높다. 그렇다면그는 하내 지역출신으로서친신라활동을전개한안라의 임나일본부 ( 하내직등 ) 와대립하는백제의 왜계백제관료 로활동한첫번째인물이자유일한사례로서확인되는셈이다. 74) 목만치의손자대로추정되는 蘇我稻目宿禰大臣 은흠명천황의즉위직후 大臣 이되었다. 蘇我氏 는이후내외의국정에깊숙하게개입했는데, 蘇我卿 은관산성전투에서패배한직후건너온백제왕자惠에게조상신에대한제사를지낼것을권하고 ( 흠명기 16 년춘 2 월 ), 蘇我大臣稻目宿禰 는吉備五郡에파견되어白猪屯倉을두기도하였다 ( 흠명기 16 년추 7 월 ). 蘇我稻目宿禰大臣 은흠명천황말년에죽는다 ( 흠명기 31 년춘 3 월 ).

77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77 왜왕권의 하내 지역출신자가정치적으로각각안라와백제를배경으로하여상호대립관계에있는 임나일본부 와 왜계백제관료 로모두활동했다는점은, 비록이지역이왜왕권의관장아래있었지만독자적인성격을파악하는데대단히중요하다. 즉 540년대전후라는단기간의특정시기에가야와백제는 5세기대이래한반도지역과연고가있는특정왜지역출신자들을관료로등용하여상호경쟁했음을확인할수있다. 기신나솔미마사, 하내직 등과같이왜출자父의 한부 소생인물이가진이같이독특한역할은 6세기전반남진정책을적극적으로추구했던백제및백제ㆍ신라로부터병합의위협을받고있던가야로부터긍정적으로받아들여졌을것임은당연하다. 이런까닭에백제와가야는각각 왜계백제관료 와안라의 임나일본부 의이같은특징을적극활용하는방안을강구했던것이다. 한편흠명대중반기목씨외교활동의마지막을장식하는인물로 木刕今敦 과 木刕文次 가등장한다. 이들과전반기목씨와크게차이가나는점은두가지이다. 첫째는파견대상이안라가아니라왜왕권이라는점, 둘째는활동목적이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가아니라신라의침공에대응한 청군 이라는점이다. 즉목씨의외교활동이안라의 임나일본부 문제에서왜왕권에의 청병 문제로전환되는등외교활동의대상과목적이완전히달라졌음을알수있다. 물론백제가 왜계백제관료 를파견하여왜에청병한사례는이전시기에도보이지만, 사실명분에불과하거나후대대고구려ㆍ신라적대의식을바탕으로윤색한것이다. 실제는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을제어하고신라의가야진출을견제하기위한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목씨가주도한 임나문제 해결의연장선에있다. 그러나 木刕今敦 등의파견에이르러서는실제신라에대응하여구원병이필요했던시기로서전대와는그성격을완전히달리한다. 75) 75) 흠명대백제의대왜파견사신을 문화사절 과 정치ㆍ걸사절충사절 로나누기도한다 ( 笠井倭人, 欽明紀における百濟の對倭外交 - 特に日系百濟官僚を中心として -

78 78 지역과역사 37 호 흠명대백제목씨의대외활동에있어서의이같은성격의변화는 木刕今敦 에앞서활동한 木刕眯淳 과 紀臣奈率彌麻沙 의주된임무가 임나일본부 의본처에로의송환과 복건임나 를위한회의개최에있었음에비추어보면보다분명해진다. 즉백제목씨의파견목적이약 10년의시차를두고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제어문제에서신라에대응하기위한 청병 문제로바뀌는변화양상을확실하게살펴볼수있다.(C-78). 木刕今敦 과 木刕文次 는각각왜왕권과축자에파견되었다. 두인물모두 중부 소속으로나오는데, 그러나관등은다른목씨와현격한차이를보인다. 木刕今敦 의경우 德率 (4위) 혹은 杆率 (5위) 등 솔계 로서 평계ㆍ솔계 의앞서나온다른목씨와별반큰차이가없으나, 木刕文次 는 施德 (8 위 ) 의 德系 로서가장위상이낮은 木刕今敦 등과비교해보더라도관등이현격하게떨어지는등계체ㆍ흠명기목씨가운데는가장낮은관등을가지고있다. 추정컨대, 木刕今敦 의경우긴급한현안인 청병 을성사시키기위해직접왜왕권에파견되었기때문에백제로서는고위관인으로사신단을구성할필요성을느꼈을것이다. 반면 木刕文次 는 前部施德日左分屋 과함께파견되는데, 이미구원병을약속한상황에서왜왕권이아니라군사가동원되는축자에가서그이행을점검하기위한것이었기때문에실무급의하위관인으로구성했을가능성이높다. 여기에더하여좀더근본적으로는, 종래목씨의외교활동으로특화된 임나문제 가아니라 청군문제 로전환하면서그활동목적이소멸했기때문이다. 안라와 임나일본부 친신라활동문제가해소된이후백제의대외정책은오로지신라에대응한왜왕권에의 청병 문제로향했다. 이점은 임나일본부 가종적을감춘후가야멸망때까지가야에서의목씨의활동이더이상 ꡔ 日本書紀硏究 ꡕ 1, 塙書房, 1964 ; ꡔ 古代の日朝關係と日本書紀 ꡕ, 吉川弘文館, 2000, 쪽 ). 그런데여기서보다주목되는것은전자는주로 순수백제관료 로구성된반면후자는 6 할이상이 왜계백제관료 로구성되고그역할도 임나문제 에서 청병문제 로옮겨왔다는점이다. 白承忠, 앞의논문, 2003, 쪽참조.

79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79 보이지않는것과무관하지않을터이다. 물론 청군문제 도상당히중요한사안이었지만, 목씨의역할은미미하다. 이상에서계체ㆍ흠명기의백제목씨에대해살펴보았다. 안라와왜왕권에파견된목씨는기문ㆍ대사, 임나일본부, 청병 등제문제에간여하고있다. 백제는같은사안으로왜왕권에도 기신나솔미마사 등 왜계백제관료 를파견한다. 그러나 임나일본부 소멸이후백제가신라에대응하기위해요청한 청병 문제는목씨가주도한사안은아니었다. 결국목씨의주된역할은거의전적으로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라는 임나문제 에국한되었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맺음말 ꡔ일본서기ꡕ 의 목씨 관련자료에는 4 6세기백제의가야ㆍ왜관계의실상을살필수있는중요한내용을담고있다. 그러나기년과내용의신빙성에문제에있는것은분명하고, 설령기년조정과왜의천황사관을걷어낸다고하더라도결국 백제기 와 백제본기 의백제중심의인식을서술한것일뿐이다. 따라서백제ㆍ왜중심의다층적인식인반영된이들자료를통해당대역사상에맞게가야의대외관계를온전하게재구성해내기는사실상불가능에가깝다. ꡔ일본서기ꡕ 계체ㆍ흠명기의본문은물론분주로인용되고있는 백제본기 는모두천황사관을전제로한 복건임나 를모토로삼고있는데, 특히백제의 가야부용관 이두드러진다. 다만분주인 백제본기 에신빙성이있는백제 목씨 관련내용이집중적으로서술되어있다. 신공ㆍ응신기의 백제기 와마찬가지로 목씨 활동이두드러지는데, 여기서의목씨는백제의유력귀족으로서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를위해핵심적인활동을전개하고, 왜왕권에는 청군 을위해파견된다. 그러나계체ㆍ흠명대백제목씨활동은전반기와중반기로확연하게구분

80 80 지역과역사 37 호 된다. 전자는 장군ㆍ군ㆍ갑배 등을관칭하는 평계ㆍ솔계 의최고위관등을가진관료로구성된목씨로서 임나문제 를위해안라에파견되어적극적으로활동했다. 후자는전자의문제가해소된이후 10여년의시차를두고신라에대응하여 청군 을위해왜왕권에파견되었다. 그러나목씨활동의중심은전자로서사실상종결되며, 후자의경우전자에비해관등이현저하게떨어지고주도적이지도않다. 즉계체ㆍ흠명기의백제목씨의활동은 임나문제 해결을위해대외활동을전개한특화된존재였다. 목씨가백제국내외에서적극적으로활동한목적인 임나문제 의해결은다름아닌안라와 임나일본부 의친신라활동의해소에있었다. 같은목적으로왜왕권에파견된인물군으로는 왜계백제관료 가있는데, 특이하게도 기신나솔미마사 만이안라와왜왕권모두파견되어활동하고있어눈에띈다. 아마목씨의후예씨족이었기때문에목씨와보조를같이했던것으로추정된다. 백제목씨의활동기간은 520년대후반부터 540년대중반까지약 20년정도된다. 임나일본부 와그시원적인형태의왜왕권파견사신인 근강모야신 의가야에서의활동시기와거의일치한다. 목씨의활동은모두 백제본기 를바탕으로전한다는점에서백제의안라및왜왕권에대한인식을나타낸다고볼수있다. 목씨활동이주로안라에서의 임나일본부 의축출에있었는데, 같은시기에활동한 왜계백제관료 는이와보조를같이하여왜왕권의친신라정책의철회에있었다. 참고문헌 金洛中, 5 6 世紀榮山江流域政治體의性格 - 羅州伏岩里 3 號墳出土威勢品分析 - ꡔ 百濟硏究 ꡕ 32, 金英心, 百濟의 君 號에대한試論的考察 ꡔ 百濟硏究 ꡕ 48, 金泰植, ꡔ 加耶聯盟史 ꡕ, 一潮閣, 金鉉球, ꡔ 任那日本府硏究 - 韓半島南部經營論批判 -ꡕ, 一潮閣, 1993.

81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81 남재우, ꡔ 安羅國史 ꡕ, 혜안, 盧重國, 百濟의貴族家門硏究 - 木劦 ( 木 ) 氏세력을중심으로- ꡔ 大丘史學 ꡕ 48, 노중국, 百濟의食邑制에대한일고찰 ꡔ 慶北史學 ꡕ 23, 노중국, 百濟의姓氏와貴族家門의出自 ꡔ 大丘史學 ꡕ 89, 노중국, 백제의骨族의식과골족範圍 ꡔ한국고대사연구ꡕ 50, 盧重國, 百濟의王ㆍ侯號, 將軍號制와그運營 ꡔ백제연구 ꡕ 55, 노중국, 백제의왕ㆍ후호제와금동관부장자의실체- 歸葬을중심으로- ꡔ한국고대사연구 ꡕ 70, 文安植, 百濟의西南海島嶼地域進出과海上交通路掌握 ꡔ 百濟硏究 ꡕ 55, 백승옥, 任那日本府 의所在와등장배경 ꡔ지역과역사ꡕ 36, 白承忠, 任那復興會議 의전개와그성격 ꡔ 釜大史學 ꡕ 17, 白承忠, 6세기전반백제의가야진출과정 ꡔ 百濟硏究 ꡕ 31, 白承忠, 임나일본부 와 왜계백제관료 ꡔ강좌한국고대사ꡕ 4, ( 財 ) 駕洛國事蹟開發硏究院, 백승충, ꡔ일본서기ꡕ 木氏ㆍ紀氏기사의기초적검토-신공 ~ 현종기를중심으로- ꡔ한국민족문화ꡕ 54, 서보경, 渡倭한百濟系韓人과河內 - 百濟王族의渡倭와관련하여- ꡔ 史叢 ꡕ 68, 신유진, ꡔ 日本書紀 ꡕ에보이는百濟의 君 號에대한考察 ꡔ 韓日關係史硏究 ꡕ 44, 연민수, ꡔ고대한일관계사 ꡕ, 혜안, 이재석, 소위任那問題의過去와現在 -문헌사의입장에서- ꡔ전남사학 ꡕ 23, 李在碩, 5세기백제와倭國의관계 ꡔ 百濟硏究 ꡕ 39, 洪性和, 4 6세기百濟와倭의관계 -ꡔ 日本書紀 ꡕ 내倭의韓半島파병과百濟ㆍ倭의인적교류기사를중심으로- ꡔ 韓日關係史硏究 ꡕ 36, 大山誠一, ꡔ 日本古代の外交と地方行政 ꡕ, 吉川弘文館, 山尾幸久, ꡔ 古代の日朝關係 ꡕ, 塙書房, 森公章, 古代王權의成長과日韓關係 -4 6세기- ꡔ제2기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ꡕ 제1권 ( 제1분과편 ),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岸俊男, 紀氏に關する一考察 ꡔ 日本古代政治史硏究 ꡕ, 塙書房, 熊谷公男, 5 世紀倭ㆍ百濟關係와羅濟同盟 ꡔ 百濟硏究 ꡕ 44, 仁藤敦史, ꡔ 日本書紀 ꡕの 任那 觀 - 官家ㆍ日本府ㆍ調 - ꡔ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

82 82 지역과역사 37 호 報告 ꡕ 179, 笠井倭人, ꡔ 古代の日朝關係と日本書紀 ꡕ, 吉川弘文館, 井上秀雄, ꡔ 任那日本府と倭 ꡕ, 東出版, 坂本太郞等校注, ꡔ 日本書紀 ꡕ ( 下 ), 岩波書店, 투고일심사의뢰일심사완료일

83 ꡔ 일본서기 ꡕ 계체ㆍ흠명기의백제 木氏 기사검토 83 Abstract Review of Baekje Moks Articles in the Keitai-Record and the Kinmei-Record on Nihonshoki Baek, Seung-Chu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the Moks[ 木氏, including the Kis( 紀氏 )] character, the Beakje people who centralized in the Keitai-Record( 繼體紀 ) and the Kinmei-Record( 欽明紀 ) on Nihonshoki( 日本書紀 ). Mok s articles in Nihonshoki contain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to materials, there can gauge the rea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加耶 ) and Ancient Japan( 倭 ) of 4-6 centuries Baekje. Especially, Baekje Moks of the activities are noted on the basis of the Baekjebongi( 百濟本記 ) in the Keitai-Record and the Kinmei-Record, merging of Gimun( 己汶 ) and Daesa( 帶沙 ) by Baekje, solution of pro-silla activity by Alla( 安羅 ) and Imnailbonbu ( 任那日本府 ), and requesting the military to Wai kingship, that is core. The first half 6th century Baekje dispatched several envoys and Japanese Baekje officials ( 倭系百濟官僚 ) Wai kingship and Alla in response to the activities of the pro-silla, Alla with Imnailbonbu. Among the activities of making Moks and Kis stands out Mokra, Bul-Ma and Moks 3 and a Ki, Mi-Ma-Sa [status is Nasol( 奈率 )]s activities, including a representative. The latter is found in both the throne and Alla and Wai kingship is among the only Japanese Baekje officials, the nature of the activity was presided over by Alla, Imnailbonbu competi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era of Japanese king Keitai and Kinmei, Baekje Moks activities is evident

84 84 지역과역사 37 호 in the first half and separated by a mid-year. The former consists of a Moks with the highest officials of the rank such as Pyeong( 平 ) and Sol( 率 ) system tube called General, Prince, and Gabbai, for the dissolution of the pro-silla activity of Alla and Imnailbonbu is sent to the Alla worked positively. The latter was dispatched to the throne for requesting the military response to the Silla staggering 10 years after the electronics it has been resolved. However, the center of activity Moks fly as the de facto end of the former. Beakje Moks was present specialized deploy the outreach to solve the problem Imna. Mok s activity period of the late 520 s to the mid-540 s, is about 20 years. All activities Moks is Baekjebongi in based on the point and can be seen to represent a recognition of the Alla and Wai royal power. If Moks activities were mainly in the extraction of Imnailbonbu in Alla, activities Japanese Baekje officials to Wai kingship, it was the policy of withdrawal of pro-silla kingdom at the same time. Keywords ㆍ The Moks( 木氏 ) ㆍ The Kis( 紀氏 ) ㆍ Mok(hyeop)Man-Chi[ 木 ( 劦 ) 滿致 ] ㆍ Imnailbonbu( 任那日本府 ) ㆍ Japanese Baekje Officials( 倭系百濟官僚 )

85 ꡔ 지역과역사 ꡕ 37, , 85~116 쪽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85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76) 이성호 * 머리말 Ⅰ. 입언의연원 Ⅱ.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입언관 1. ꡔ 계원필경집 ꡕ 2. 사산비명 3. 법장화상전 Ⅲ. 최치원입언관의의의맺음말 머리말 立言이란儒敎문화의전통속에서儒者가행할수있는매우의미있는일로인식되어왔다. 입언에입덕, 입공을포함한세가지를三立또는三不朽라고한다. ꡔ춘추좌전ꡕ 양공 24년조에처음언급된이삼불후는유학자들이삶에서추구할만한가치있는일을가리키는말인데, 삼불후중입언은입덕과입공에비해서상대적으로낮은단계의성취를의미하는것으로이해되어왔으며, 실제로무엇을가리키는가하는점은시대마다차이가있다고 1) 한다. 이는입언이출현한이후계속해서그의미가변화되어왔음을말하는것이다. 최치원 (857?) 자신도평생유자로서자부하고있었는데 2) 晩唐시대 * 부산덕문여고교사 (bsuhj3@chol.com). 1) 趙志衡, 세기 立言 ㆍ 立言垂後 에대한意識과受容맥락 ꡔ 語文硏究 ꡕ 38-3, ) 최치원은자신을칭할때小儒, 凡儒, 末儒, 腐儒, 尼父生徒, 玄菟微儒, 儒門末學

86 86 지역과역사 37 호 인물인그자신은입언을어떻게인식하였을까하는것이탐구의대상이다. 왜냐하면그는당대동방학자중에서입언에관해서가장풍부한기록을남긴저자이기때문이다. 그가남긴입언의용례와의미는당시우리사상계에도새로운시사점을주게되는데, 이는그가차지하는상징성과위상때문이다. 따라서그의저술에나타난입언관을살펴보고그의의를밝혀보고자하는것이본논문의목적이다. 이는최치원전체사상의일단을파악하기위한의도이기도하다. 사실최치원의立言에관해서는단편적으로언급한연구 3)4) 이외에는그동안학계의특별한관심을끌지못하고있었다. 다만立言垂後를宋代의載道論이나垂訓說과맥이통한다고언급한연구가있지만 5) 아쉽게도그이유를제시하지는못하였다. 한편중국에서는立言자체에대한연구가지속되어오고있어 6) 좋은참고가된다. 연구방향은다음과같다. 첫째, 최치원의입언관성립에영향을준요소를중국의입언관과연계해서찾아보고자한다. 특히당의孔穎達 ( ) 과韓愈 ( ) 를중점으로살펴보게될것이다. 그이유는立言의정의가변화되는과정과그속에사상성을부여하는과정을찾는것이목적이기때문이다. 둘째, 최치원의입언관이정립되는과정을그의저술을통해서살펴보고자한다. ꡔ계원필경집ꡕ, 사산비명, 법장화상전 의순서가될것이다. 이들저작에서입언에관한용례를뽑아서그의미를살펴보고자한다. 서술의중점대상은 사산비명 과 법장화상전 이다. 이중에서특히 법장화상전 등을사용하고있다. 3) 노평규, 최치원유학사상의특성연구 ꡔ 범한철학 ꡕ 20, 1999, 쪽. 4) 김주한, 崔孤雲文學觀의淵源 ꡔ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ꡕ 7, 1986, 쪽. 5) 이구의, 최고운의문학관 ꡔ 韓民族語文學 ꡕ 23, 1993, 쪽. 6) 張智虎, 論 立言不朽 作爲文學話語的曆史生成 ꡔ 寶雞文理學院學報 ꡕ 25-2, 方科平, 立言不朽論劉勰文學價值追求 - 讀 原道 征聖 宗經 ꡔ 前沿 ꡕ, 羅家湘, 論 立言不朽 ꡔ 河南師範大學學報 ꡕ 37-2, 2010.

87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87 은우리나라화엄과관련한연구에중요한자료를제공하고있다. 7) 하지만아직 법장화상전 과입언관을연계한연구가없다는점때문에필자는그에대한승전서술방식의특징에서최치원의입언관을추출하고자하는것이다. 부차적으로입언뿐만아니라입덕, 입공에대한인식도함께변화하고있다는점도살펴보고자한다. 셋째, 최치원입언관의의의를고문론과송대인물인蘇頌 ( ) 과대조하여살펴보고자한다. 이는소송도최치원과비슷한입언관을제시하고있기때문이다. Ⅰ. 입언의연원 立言이란文章의不朽적가치를추구하는것이다. 동아시아한자문화권의지식인들은이立言不朽를숙명처럼추구하게된다. 왜냐하면죽어서도사라지지않는문장을위한유학자들의태도및생각과관련있기때문이다. 하지만처음부터입언이문장불후의가치를가진것은아니었다. 그변화과정을먼저검토하고자한다. 입언이란 ꡔ춘추좌전ꡕ 양공 24년조에서叔孫豹가처음언급한내용이다. 불후적가치는입언뿐만아니라立德, 立功도포함하고있다. 이를三不朽또는三立이라고한다. 8) 그런데숙손표이후입언에대한정의는시대에따라변하고있다. 그과정은唐代에입언관을정리하는공영달과새로운입언관을제시하는한유를통해서살펴보도록하겠다. 공영달은훈고학을정리 7) 蔡尙植, 崔致遠의佛敎認識 ꡔ 孤雲의思想과文學 ꡕ, 新知書院, ) ꡔ 左傳 ꡕ 襄公二十四年春. 穆叔如晉范宣子逆之問焉曰古人有言曰死而不朽何謂也穆叔未對宣子曰昔丐之祖自虞以上為陶唐氏在夏為御龍氏在商為豕韋氏在周為唐杜氏晉主夏盟為范氏其是之謂乎穆叔曰以豹所聞此之謂世祿非不朽也魯有先大夫曰臧文仲既沒其言立其是之謂乎豹聞之大上有立德其次有立功其次有立言雖久不廢此之謂不朽若夫保姓受氏以守宗祊世不絕祀無國無之祿之大者不可謂不朽

88 88 지역과역사 37 호 한인물이고한유는신유학을제기한인물이었다. 구시대를마감하고새시대를열어주는최치원의사상적입장에서는 9)10) 두학자와의연계를살펴볼필요가있을것이다. 먼저공영달의입언관을살펴보자. 그는 ꡔ춘추좌전정의ꡕ 양공 24년조에서숙손표의三立에대해의미를덧붙여정의하고있다. 그가삼립을정의한가장큰특징은 3단계로설정하고있다는것이다. 즉, 입덕, 입공, 입언순으로차등을두는것이다. 처음입언을제시한숙손표의등급을계승하고있다. 분류는사람의 才知의얕고깊음 에따라서上聖之人, 大賢之人, 次大賢者등세등급으로나누고있다. 다시말하면 입덕 = 上聖之人, 입공 = 大賢之人, 입언 = 次大賢者 로입언이가장등급이낮다고할수있다. 11) 공영달은입덕의의미에대해서 創制垂法博施濟衆 이라고하였다. 이는제도를만들어본보기를드리우고, 널리베풀어대중을구제한다는뜻이다. 입덕에해당하는인물은이미공영달이전에복건과두예가선정하고있는데, 복건은입덕에해당하는인물로伏羲ㆍ神農을거론하였고, 두예는黃帝ㆍ堯ㆍ舜을거론하였다. 이를바탕으로공영달은禹ㆍ湯ㆍ文武ㆍ周公ㆍ孔子를추가하고있다. 12) 공영달은입공의의미에대해서 拯厄除難功濟於時 라고하였다. 이는재앙을건져어려움을제거하고, 공덕이시대를구제한다는뜻이다. 그에해당하는인물은거론하지않았지만勤民ㆍ定國ㆍ禦災ㆍ捍患하는경우는입공한것이라는 13) 사례를들고있다. 공영달은입언의의미에대해서 ꡔ춘추좌 9) 池斗煥, ꡔ 한국사상사 ꡕ, 역사문화, ) 李聲昊, 崔致遠의新儒學思想 ꡔ 한국사상과문화 ꡕ 75, 李聲昊, 홍석주의고문론과계원필경집중간의의미 ꡔ 한국사상과문화 ꡕ 78, ) ꡔ 春秋左傳正義 ꡕ 襄公二十四年. 正義曰大上其次以人之才知淺深為上次也大上謂人之最上者上聖之人也其次次聖者謂大賢之人也其次又次大賢者也 12) ꡔ 春秋左傳正義 ꡕ 襄公二十四年. 立德謂創制埀法博施濟眾聖德立於上代惠澤被於無窮故服以伏羲神農杜以黃帝堯舜當之言如此之類乃是立德也禮運稱禹湯文武成王周公後代人主之選計成王非聖但欲言周公不得不言成王耳禹湯文武周公與孔子皆可謂立德者也 13) ꡔ 春秋左傳正義 ꡕ 襄公二十四年. 立功謂拯厄除難功濟於時故服杜皆以禹稷當

89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89 전정의 ꡕ 에서다음과같이밝히고있다. 立言謂言得其要理足可傳ᄀ記傳稱史逸有言論語稱周任有言及此臧文仲既沒其言存立於世皆其身既沒其言尚存ᄂ故服杜皆以史佚周任臧文仲當之言如此之類乃是立言也ᄃ老莊荀孟管晏楊墨孫吳之徙制作子書屈原宋玉賈逵楊雄馬遷班固以後撰集史傳及制作文章使後世學習皆是立言者也此三者雖經世代當不朽腐故穆子歷言之雖久不廢此之謂不朽 14) 위의인용문에서입언의의미는 言得其要理足可傳 이라고하였다. 이는말이요체를얻고그이치가구비되어전할수있다는뜻이다. ᄀ의史逸은史佚로도쓴다. 사일은西周초기의사람으로成王때史官을지냈다. 또ᄀ에서周任에대한것은 ꡔ 論語 ꡕ의내용을언급하고있다. 즉, ꡔ논어ꡕ 권16 季氏 에있는것으로 구야, 周任이말하기를 힘을다하여반열에나아가서불능하거든그만두어야한다. 고했으니, 위태로운데도부지하지않고, 넘어지는데도붙들지않는다면장차저런상신을어디에쓰겠는가. 라고 15) 하였다. 이는공자가주임의말에대해칭찬한것이다. 사일과주임의공통점은둘다사관이면서 言 과관련한인물로이해하고있는것이다. ᄀ에서장문중의입언은 言 에해당된다고할수있다. 그러나공자에게는지혜롭지못하다는비평을듣기도하고, 16) 유하혜를등용하지않았다고비난을받기도하였다. 17) 왜냐하면공자의경우는 ꡔ논어ꡕ 헌문 에서 有德者必有言有言者不必有德 이라고해서 有言 을 말 = 言 으로설정하고있기때문이다. 18) 지혜롭지못하기때문에그의말도비판을받고있는것으로 之言如此之類乃是立功也祭法云聖王之制祭祀也法施於民則祀之以死勤事則祀之以勞定國則祀之能禦大菑則祀之能捍大患則祀之法施於民乃謂上聖當是立德之人其餘勤民定國禦災捍患皆是立功者也 14) ꡔ 春秋左傳正義 ꡕ 襄公二十四年. 15) ꡔ 논어 ꡕ 권 16, 季氏. 求周任有言曰陳力就列不能者止危而不持顚而不扶則將焉用彼相哉 16) ꡔ 논어 ꡕ 권 5, 公冶長. 臧文仲居蔡山節藻梲何如其知也 17) ꡔ 논어 ꡕ 권 15, 衛靈公. 子曰臧文仲其竊位者與知柳下惠之賢而不與立也 18) 공영달의 ꡔ 論語注疏 ꡕ 에서는 正義曰此章言有德有仁者之行也子曰有德者必有

90 90 지역과역사 37 호 생각된다. 공자가추구한것은 덕을바탕으로하는말 이라고할수있다. 공자는시기상으로숙손표보다약간후세대이기때문에숙손표의입언관을계승하여이런견해를표방하였을가능성이크다. 입덕을우위에두는입언관이라고할수있다. ᄂ에서복건과두예는숙손표의서술을계승하여사일, 주임, 장문중을입언의사례로채택하였다고공영달은이해하고있다. ᄃ에서공영달은여기에다가老子ㆍ莊子ㆍ荀子ㆍ孟子ㆍ管仲ㆍ晏嬰ㆍ楊朱ㆍ墨子ㆍ孫武ㆍ吳起ㆍ屈原ㆍ宋玉ㆍ賈逵ㆍ楊雄ㆍ司馬遷ㆍ班固를추가하고있다. 공영달은입언과관련하여사일ㆍ주임ㆍ장문중은 言 에해당하고, 老子ㆍ莊子ㆍ荀子ㆍ孟子ㆍ管仲ㆍ晏嬰ㆍ楊朱ㆍ墨子ㆍ孫武ㆍ吳起는 子書 에해당하고, 굴원ㆍ송옥ㆍ가규ㆍ양웅ㆍ사마천ㆍ반고는 史傳 과 文章 에해당한다고하였다. 이는穆子 [ 숙손표 ] 이래로입언에대한견해를자신이종합하게되었다는것을표방한것이라고할수있다. 즉입언은 言ㆍ子書ㆍ史傳ㆍ文章 이다. 19) 위의인용문에서언급한 ꡔ춘추좌전 ꡕ의경전주해자들의三立에대한견해를모아보면아래의 < 표 1> 과같다. < 표 1> 三立과경전주해자의견해 三立 주해자 인물, 사례 복건 伏羲, 神農 입덕 두예 黃帝, 堯, 舜 공영달 禹, 湯, 文武, 周公, 孔子 복건 禹, 稷 입공 두예 禹, 稷 공영달 勤民, 定國, 禦災, 捍患한인물 言者德不可以無言億中故必有言也有言者不必有德者辯佞口給不必有德也 라고하였다. 朱子의 ꡔ 論語集注 ꡕ 에서인글귀를해설하면서 有德者和順積中英華發外能言者或便佞口給而已 라고하였다. 19) 김학주, ꡔ 중국문학사 ꡕ 한국학술정보, 2001, 123 쪽에서는東周의문학을 紀事의글 은 ꡔ 서경 ꡕ, ꡔ 좌전 ꡕ, ꡔ 國語 ꡕ, ꡔ 戰國策 ꡕ 으로, 立言의글 은 ꡔ 논어 ꡕ, ꡔ 맹자 ꡕ, ꡔ 묵자 ꡕ, ꡔ 장자 ꡕ, ꡔ 순자 ꡕ, ꡔ 한비자 ꡕ, ꡔ 여씨춘추 ꡕ 로나누고있다. 이는문학에서바라보는관점이지만그근거가미약하다.

91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91 입언 복건두예공영달 史佚, 周任, 臧文仲史佚, 周任, 臧文仲老子, 莊子, 荀子, 孟子, 管仲, 晏嬰, 楊朱, 墨子, 孫武, 吳起, 屈原, 宋玉, 賈逵, 楊雄, 司馬遷, 班固 이들중입언에해당하는인물만을표로정리하면아래와같다. < 표 2> 공영달이분류한입언 연번 이름 시대 저술 분류 1 史佚 西周 없음 2 周任 춘추 없음 言 3 臧文仲 춘추 없음 4 老子 춘추 ꡔ도덕경ꡕ 5 莊子 전국 ꡔ장자ꡕ 6 荀子 전국 ꡔ순자ꡕ 7 孟子 전국 ꡔ맹자ꡕ 8 管仲춘추 ꡔ관자ꡕ 9 晏嬰춘추 ꡔ안자춘추ꡕ 子書 10 楊朱 전국 여러저서에散見 11 墨子 춘추말전국초 ꡔ묵자ꡕ 12 孫武 춘추 ꡔ손자병법ꡕ 13 吳起 전국초기 ꡔ오자병법ꡕ 14 屈原 전국말기 ꡔ 離騷 ꡕ, ꡔ 漁父辭 ꡕ 15 宋玉 전국말기 ꡔ 九辨 ꡕ 16 楊雄 전한 ꡔ 太玄經 ꡕ, ꡔ 法言 ꡕ 文章 17 賈逵 후한 ꡔ 左氏傳解詁 ꡕ, ꡔ 國語解詁 ꡕ 史傳 18 司馬遷 전한 ꡔ사기ꡕ 19 班固 후한 ꡔ한서ꡕ 위의표에서사일, 주임, 장문중은입언을 言 으로정의하였기때문인지저술은보이지않고있다. 言 아래항목으로는子書, 文章, 史傳이있다. 여기서공영달이분류한子書는위의표에서알수있듯이諸子百家인데, 일반적으로諸子라고도한다. 그런데공영달의분류에서子書가포함된것은남조의양나라劉勰과일맥상통한다. 그가지은 ꡔ 文心雕龍 ꡕ은문학이론서로서중요한의미를지니면서, 변려문의모범으로일컬어진다. 책의제1장은 原道, 제2장은 徵聖, 제3장은 宗經 을이루고있다. 책의 諸子 에서는제자백가를삼불후에포함하면서 20) 입덕다음에입언을두었다는게특

92 92 지역과역사 37 호 징이다. 그만큼입언의중요성을말한것이라고생각할수있다. 유협의 章句 에서는입언에대해좀더구체적으로언급하고있다. 사람의입언은글자를통해서문구를만들고, 문구가쌓여서문장이되고, 문장이쌓여서편명을이룬다고 21) 하였다. 유협은입언을한단계상승시켜 五經 으로확대하고 22) 있었다. 그래서한유가지향한고문운동의출발은유협이저술한 宗經 을존숭한것부터시작한다고 23) 하였다. 공영달의입언에문장이포함된것은魏文帝인曹丕 ( ) 와유사하다. 그는 典論 에서 文章은經國의대업이고不朽의성사이다. 年壽는때가되면다하고榮樂은그한몸에그친다. 이두가지는반드시정해진시기에이르게되니마치문장이무궁한것과는같지않다. 그런까닭에옛날의저자들이몸을한묵에맡기고뜻을편적에두었다. 良史의말을빌리지않고飛馳의형세를가탁하지않고도성명이스스로후세에전해진다. 라고 24) 하였다. 이는문학적가치를증대시킨일이고, 문장의불후적가치가 經典 과동등한가치를지니도록한것이라고 25) 한다. 또위의표에서제자백가를언급하면서 ꡔ논어ꡕ 가누락된것이특징이다. 이는아마공자가입덕한인물에포함되었고, 입덕한인물은성인의반열로이해할수있기때문에누락되었을것이다. 그런데공영달보다 1세기뒤의인물인한유에의해서입언에대한의미가 20) ꡔ 文心雕龍 ꡕ 諸子. 諸子者入道見志之書太上立德其次立言百姓之群居苦紛雜而莫顯君子之處世疾名德之不章唯英才特達則炳曜垂文騰其姓氏懸諸日月焉昔風后力牧伊尹咸其流也篇述者蓋上古遺語而戰代所記者也至鬻熊知道而文王諮詢餘文遺事錄為鬻子子目肇始莫先於茲及伯陽識禮而仲尼訪問爰序道德以冠百氏然則鬻惟文友李實孔師聖賢並世而經子異流矣 21) ꡔ 文心雕龍 ꡕ 章句. 夫人之立言因字而生句積句而為章積章而成篇篇之彪炳章無疵也章之明靡句無玷也句之清英字不妄也振本而末從知一而萬畢矣 22) 张智虎, 앞의논문, 69 쪽. 23) 罗联添, ꡔ 韩愈研究 ꡕ, 天津教育出版社, 2012, 200 쪽. 24) ꡔ 太平御覽 ꡕ 文部 15, 品量文章. 蓋文章經國之大業不朽之盛事年壽有時而盡榮樂止乎其身二者必至之常期未若文章之無窮是以古之作者寄身於翰墨見意於篇籍不假良史之辭不托飛馳之勢而聲自傳於後 25) 张智虎, 앞의논문, 쪽.

93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93 변화를보이게된다. 한유의 原道 는유협의 ꡔ문심조룡 ꡕ에실려있는 原道 를의식했을것이다. 유협이道를중시한것이한유에게도그대로영향을주었기때문이다. 한유는앞에서보았듯이 ꡔ문심조룡ꡕ 의宗經을참고하면서도한편으로는유협의 原道 를넘어서기위해자신도 原道 를지었을것이다. 그의도는경전을바탕으로하면서도변려문을극복하여古文으로복귀하겠다는뜻이다. 그래서한유는 答李翊書 에서고문이론을전개하고있다. 26) 구체적으로살펴보자. 그대가이른바立言이라고한것은옳다. 그대가행하는바와기약하는바는아주그럴듯하고이치에가깝다. 그러나그대의뜻이다른사람보다뛰어나서다른사람에게취하여지기를기대하는가? 장차옛立言한자의경지에이르려고하는가? 다른사람보다뛰어나서다른사람에게취하여지기를기대한다면참으로다른사람보다뛰어나서다른사람에게취하여질것이다. 그대가장차옛立言한자의경지에이르려고한다면, 빨리이루어지기를기대해서도안될것이요, 권세와이익의유혹에넘어가서도안될것이다. 우선그뿌리를길러서열매맺기를기다리고, 기름을부어서광채가나기를기대해야할것이니, 뿌리가무성하게퍼져야열매가여물고기름을부어닦아야광채가나는것이다. 27) 이글에서내면의덕에서立言이형성된다는의미를표방하고있다. 이것이한유가추진한고문운동의방법이었다. 계속하여 答李翊書 에서자신이문장을공부하기시작하면서三代兩漢의책이아니면보지를않았고성인의뜻이아니면마음에새겨두지않았다고 28) 하였다. 이는자신의고문운동의내용을표방한것이다. 한유의立言은결국고문운동으로귀결된다고할수있다. 이는내면의덕성함양을통한글짓기로변화한다는의미이기도하다. 26) 이장우, 한유의고문이론 ꡔ 동양학 ꡕ 14, 1984, 쪽. 27) ꡔ 別本韓文考異 ꡕ 권 16, 答李翊書. 生所謂立言者是也生所為者與所期者甚似而幾矣抑不知生之志蘄勝於人而取於人耶將蘄至於古之立言者耶蘄勝於人而取於人則固勝於人而可取於人矣將蘄至於古之立言者則無望其速成無誘於勢利養其根竢其實加其膏而希其光根之茂者其實遂膏之沃者其光曄仁義之人其言藹如也 28) ꡔ 別本韓文考異 ꡕ 권 16, 答李翊書.

94 94 지역과역사 37 호 그래서 ꡔ구당서 ꡕ 권160의韓愈傳에서는한유의글쓰기가입언을통해서새로운문학을창조했다고 29) 하였다. 그내용은 抒意立言自成一家新語 이다. 近體 에반대하였다는것은고문에경도했다는평가임이분명하다. 위의 ꡔ구당서ꡕ 韓愈傳 에서알수있듯이, 한유가입언한인물로지칭하는경우는 遷雄 이었다. 곧사마천과양웅의氣格있는문장을지향한다는의미이다. 이미한유는대력 ( ) 과정원 ( ) 연간부터고학을추구하고있었는데그기준은양웅과董仲舒의저술도포함하고있다. 30) 또한유는 漢朝人莫不能爲文獨司馬相如太史公劉向揚雄爲之最 라고하여한나라문인중에서사마상여, 태사공, 유향, 양웅이최고라고하였다. 그렇다면한유가입언했다고지칭한인물로는양웅, 동중서, 사마천, 유향, 사마상여를꼽을수있을것이다. 이상에서입언을처음언급한숙손표는입언을 言 = 말 로정의하였다. 이를계승한공자도역시입언을 덕을바탕으로하는말 로설정하고있다. 공영달은입언을 言, 諸子百家, 文章, 史傳 으로정의하고있다. 공영달까지문장은고문과변려문을모두포함하고있었다. 그런데韓愈는文以載道論을펼쳐문장에사상성을부여하면서변려문을배격하고고문운동을전개하였다. 결국한유에의해서송대의立言垂後의관념이싹텄다고할수있다. Ⅱ.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입언관 1. ꡔ 계원필경집 ꡕ 최치원은헌강왕 11 년 (885) 에귀국한이후에 ꡔ 계원필경집 ꡕ 을올린다. 그 29) ꡔ 舊唐書 ꡕ 권 160, 열전 110, 韓愈. 常以為自魏晉已還為文者多拘偶對而經誥之指歸遷雄之氣格不復振起矣故愈所為文務反近體抒意立言自成一家新語後學之士取為師法當時作者甚眾無以過之世稱韓文焉 30) ꡔ 舊唐書 ꡕ 권 160, 열전 110, 韓愈. 大曆貞元之間文字多尚古學效揚雄董仲舒之述作而獨孤及梁肅最稱淵奥儒林推重愈從其徒遊鋭意鑚仰欲自振於一代

95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95 서문 에는그가지은책의이름이나와있는데 ꡔ사시금체부 ꡕ 5수 1권, ꡔ오언칠언금체시ꡕ 100수 1권, ꡔ잡시부ꡕ 30수 1권, ꡔ중산복궤집ꡕ 1부 5권, 雜篇章 5축, 陳情七言長句詩 100편, ꡔ계원필경집 ꡕ 1부 20권이다. 대개당에있을때저술한것이다. 이중에서 ꡔ계원필경집ꡕ 만남아있고나머지는현전하지않는다. ꡔ계원필경집 ꡕ의 1~15 권은고변을위한대작이고, 16~20권은대체로최치원자신의글이라고 31) 한다. ꡔ계원필경집ꡕ 에서그가사용한불후와관련된용례를살펴보면다음표와같다. < 표 3> ꡔ 계원필경집 ꡕ 의입언용례 용례 출전 제목 내용 문체비고 1 ꡔ계원필경ꡕ 2 謝立西川築城碑表 遂蒙陛下辱褒稱之重許刊勒之榮以爲事實可觀足得詞華不朽 表 불후 2 ꡔ계원필경ꡕ 8 西川柳常侍 以永傳不朽之譚先見未來之事可使美掩蜀別紙불후都之賦高齊劍閣之銘 3 ꡔ계원필경ꡕ 9 浙西周寶司空 許標不朽之規遠降非常之寵 別紙불후 4 ꡔ계원필경ꡕ 11 答浙西周司空書 且此三世立功無非報國 書 立功 5 ꡔ계원필경ꡕ 11 答襄陽郄將軍書 但保淮南之封疆協和浙右之師旅爲朕全吳越之地遣朕無東南之憂言其垂功固亦不朽 書 불후 6 ꡔ계원필경ꡕ 12 淮口鎭李質 況石碏傳芳於魯史日磾載美於漢書故事斯委曲불후存令名不朽 7 ꡔ계원필경ꡕ 16 祭楚州陣亡將士文然而功其可稱死且不朽 祭文불후 8 ꡔ계원필경ꡕ 16 寒食祭陣亡將士文生也有涯古今所歎名之不朽忠義爲先 祭文불후 9 ꡔ계원필경ꡕ 16 西州羅城圖記 公以寢處戎閫夢想扁舟將申遠慮於無窮豈立空言爲不朽 記 불후 10 ꡔ계원필경ꡕ 17 獻詩啓중岝口徑 濟物能廻造化心驅山偃海立功深安南眞得安南界從此蠻兵不敢侵 啓 立功 11 ꡔ계원필경ꡕ 17 獻詩啓중收城碑 功業已標征北賦威名初建鎭南碑終知不朽齊銅柱況是儒宗綴色絲 啓 불후 위의표에서용례 4와 10은立功에관한것이다. 나머지는表, 別紙, 書, 委曲, 祭文, 記, 啓와같은문체에서다양하게不朽를사용하고있다. 각각문체의특성에맞게文章不朽를추구한것이라고할수있다. 다만직접입언과연계된내용을발견할수는없기에각용례별로분석은하지않도록하겠다. 31) 장일규, ꡔ 계원필경집 ꡕ 의편찬과사료적가치 ꡔ 진단학보 ꡕ 112, 2011, 233 쪽.

96 96 지역과역사 37 호 한편文章不朽를추구하면서도최치원자신은 ꡔ계원필경집 ꡕ의 서문 에서 但以童子篆刻壯夫所慙 이라고언급하면서자기의글쓰기가篆刻과같아서장부로서는부끄럽다고한다. 전각은雕蟲篆刻의준말로글자를파고새기는것처럼미사여구로문장을꾸미기나하는자잘한재주라는뜻의겸사이다. 이는한의양웅이지은말에서빌려온것이다. 32) 자신의글이문장만을위한문장이아니라는것을표현한것이다. 유학자로서文章不朽에전념하는것을雕蟲篆刻으로여기고부끄럽다고하는것은그의의도와생각이지향하는바가달리있다는뜻이다. 사상이바탕이된문장을지향하는것이라고볼수있다. 그래서그는 ꡔ계원필경집 ꡕ 여객장서 에서 以詩篇爲養性之資以書卷爲立身之本 이라고 33) 하여詩篇과書卷을통해서養性과立身의바탕을삼도록하였다. 이는달리말하면시편ㆍ서권같은입언을통해서양성과입신하겠다는뜻이다. 반대로생각하면양성과입신에시편ㆍ서권이필요하다는의미이다. 이때의시편과서권은그의미를생각할필요가있다. 성현의말씀일때양성과입신에도움이된다고가정할수있다면최치원은성현의경전을통해서수양을한다는뜻이다. 사상이바탕이된성현의경전을입언으로이해하고, 이입언을통해서수양해야한다는것이다. 입언에대한이런개념은저술이진행되면서점차정립되어가는데, 다음장의 사산비명 과 법장화상전 에서구체적으로살펴보고자한다. 이상에서 ꡔ계원필경집ꡕ 을통해서는최치원의입언불후의문장관이형성되고있음을확인하였다. 그는문장을위한문장은배격하고養性과立身을위한경전을중시하고있었다. 이때의경전은사상성을바탕으로하는성현의글이란점에서그의입언관의시초는尊經을중심으로형성되고있었다. 그래서최치원이 ꡔ계원필경집 ꡕ에서추구한것은 經國文章 의이념을중심에두었다고이해하는경우도있다. 34) 32) ꡔ 法言 ꡕ 권 2, 吾子. 或問吾子少而好賦曰然童子雕蟲篆刻俄而曰壯夫不為也 33) ꡔ 계원필경집 ꡕ 권 19, 與客將書. 34) 심경호, 최치원과동아시아문학 ꡔ 고운학보 ꡕ 창간호, 2003, 122 쪽.

97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사산비명 최치원의 사산비명 의찬술과건립을살펴보면다음표와같다. 35) < 표 4> 사산비명 찬술및완성 명칭 찬술명을받은시기 완성하는시기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헌강왕12(886) 정월이후최치원 30세 정강왕2(887) 7월이전최치원 31세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진성여왕4(890) 11월최치원 34세 진성여왕6(892: 추정 ) 최치원 36세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 헌강왕11(885) 12월최치원 29세 진성여왕7(893) 겨울최치원 37세 대숭복사비 헌강왕 12(886) 봄진성여왕2(888: 추정 ) 가을전후최치원 30세최치원 40세 제일처음찬술명을받은것은지증의비명이지만오히려진감의비명을먼저완성하고, 지증의비명은 8년만에완성하고있다. 그사이에낭혜의비명을완성하기도하였다. 검토의순서는완성을기준으로하고자한다. 지증의비명처럼 8년을고민해서완성하는경우도결국생각이문장으로정리되었을때의미가있기때문이다. 최치원이 사산비명 을저술하면서사용한입언불후의용례를살펴보면다음표와같다. < 표 5> 사산비명 과입언용례 용례출전제목내용문체비고 1 ꡔ 고운집 ꡕ 2 眞監和尙碑銘 2 ꡔ 고운집 ꡕ 2 無染和尙碑銘 越三紀門人以陵谷爲慮扣不朽之緣於慕法弟子 抑心學者立德口學者立言則任安書太上立德其次立功其次立言 銘 銘 불후 三立立言 錫手敎曰縷褐東師始悲西化繡衣西使深喜 3 ꡔ고운집ꡕ 3 智證和尙碑銘銘불후東還不朽之爲有緣而至無悋外孫之作 4 ꡔ고운집ꡕ 3 大嵩福寺碑銘鰌壑雖渴龜珉不朽銘불후 35) 모든연대는다음책을따랐다. 곽승훈, ꡔ 중국사탐구와사산비명찬술 ꡕ, 한국사학, 2005, 58 쪽.

98 98 지역과역사 37 호 최치원은 진감화상비명 에서 36) 불후의비명을남기게되는과정을자세하게서술하고있다. 선사는입멸하면서 一心이근본이니, 너희들은힘쓸지어다. 塔을세워서육신을보존하려하지말고, 銘을지어서행적을기록하려하지말라. 라고 37) 하였다. 선종은心法을전하는것이기때문에구태여승탑의건립과비명의저술이필요치않을것이란의미이다. 하지만입적한지 36년이지나문인들이不朽할방도를찾게되자헌강왕이진감선사라고추시하고, 大空靈塔으로탑명을내려전각하게한다. 이에대해일부에서선사의유명을어기는게아니냐는의문을표시하게된다. 그러자최치원은 이름이드러나지않게하였는데도 [ 不近名 ] 이름이드러나는것은대개禪定의힘에의한결과로받는보답이다. 재처럼싸늘하게사그라지고번개처럼순식간에사라지게하는것보다는해야할일을해야할때에함으로써 [ 爲可爲於可爲之時 ] 그명성이대천세계에울려퍼지게하는것이낫지않겠는가. 라고 38) 하면서비명을통해불후하는게타당하다는의도를보인다. 이는다음문장에서도확인된다. 옛날孔子는문제자에게이르기를, 나는말을하지않으려한다. 하늘이무슨말을하던가. 라고하였다. 이는저유마거사가침묵으로문수보살을대하고석가모니가가섭존자에게은밀히전한것과통하는것이다. 그러고보면굳이언어를사용하지않고도서로마음을전할수있는방법이있다고도하겠다. 하지만하늘이야말을하지않는다고하더라도, 우리일반인들이야이언어를사용하지않고어떻게의사를표현할수가있겠는가. 멀리현묘한도를전하여널리우리나라를빛낸분이계시는데, 이분이또어찌우리와다른사람이겠는가. 禪師가바로그분이시다. 39) 언어를사용하지않으면의사를전달할수없다는뜻이다. 입언의중요성 36) 필자가논문에서 사산비명 을참고한서적은 ꡔ 고운집 ꡕ 이기때문에 비명 의제목과번역은다음책을따랐다 ( 이상현옮김, ꡔ 고운집 ꡕ, 한국고전번역원, 2009). 37) ꡔ 고운집 ꡕ 권 2, 眞監和尙碑銘竝序. 38) ꡔ 고운집 ꡕ 권 2, 眞監和尙碑銘竝序. 39) ꡔ 고운집 ꡕ 권 2, 眞監和尙碑銘竝序.

99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99 을간접적으로설명한것이라고할수있다. 그런데국왕은최치원에게 선사는행실로드러났고그대는문장으로진출했다. 그러니그대가銘을짓도록하라. 라고 40) 명하고있다. 그러자최치원은물러나오면서다음과같이생각한다. 그러고나서물러나와생각해보니, ᄀ그동안중국에서명성을낚으며章句사이에서살지고기름진작품들을咀嚼하였을뿐, 衢罇에대해서는만끽하며취해보지못한채, 오직우물안의개구리처럼진흙탕속에깊이빠져허우적거린것이부끄럽게여겨졌다. 더구나ᄂ佛法은문자를떠난것으로서언어를구사해볼여지가전혀없는데야더말해무엇하겠는가. 만약뭐라고말하기라도한다면그것은북쪽으로수레를몰면서남쪽에있는楚나라의郢으로가려고하는것이나다름없을것이다. 하지만ᄃ국왕의外護와문인의大願을생각한다면문자를사용하지않고서는사람들의눈을분명하게밝혀줄수가없을것이다. 41) 인용문의ᄀ에서중국에서이름을구하며章句만咀嚼하였을뿐, 衢罇을취해보지못한것을부끄럽게여긴다는뜻을보이고있다. 여기서衢罇은衢尊과같은뜻이다. ꡔ회남자 ꡕ 권10의 繆稱訓 에나오는말로聖人의도를말한것이다. 42) 즉최치원은문장을위한문장이아니라성인의도가바탕이된글을써야한다는취지를피력한것이다. ᄂ에서 불법은문자를떠난것 이란말에서이때의불법은선종을지칭하는것이다. 오히려선종은문자가아니고는뜻을표현할수없다는의미이다. ᄃ에서도역시문자를통하지않고는표현하여전달할수없다고생각한다. 不立文字의禪宗이라도立言에의하지않고는후세에전해질수없다는뜻이다. 40) ꡔ 고운집 ꡕ 권 2, 眞監和尙碑銘竝序. 41) ꡔ 고운집 ꡕ 권 2, 眞監和尙碑銘並序. 退而思之頃捕名中州嚼腴咀雋于章句間未能盡醉衢罇惟媿深跧泥甃 42) ꡔ 회남자 ꡕ 권 10, 繆稱訓. 聖人之道猶中衢而置尊邪過者斟酌多少不同各得所宜

100 100 지역과역사 37 호 무염화상비명 에서는그의立言觀을직접확인할수있다. 국왕이최치원에게무염화상의비명을지으라고명한이후에자신의생각을언급하면서표현하고있다. 復惟之ᄀ西學也彼此俱爲之而入中國受學則彼此同爲師者何人爲役者何人ᄂ豈心學者高口學者勞耶故古之君子愼所學抑心學者立德口學者立言ᄃ則任安書太上立德其次立功其次立言ᄅ彼德也或憑言而可稱是言也或倚德而不朽ᄆ可稱則心能遠示乎來者不朽則口亦無慚乎昔人爲可爲於可爲之時復焉敢膠讓乎篆刻 43) 위의인용문ᄀ에서무염화상과최치원자신은둘다중국에서유학한공통점을지니고있는데스승이된사람은어떤사람이고부림을받는사람은어떤사람인지에대해서불만을보이고있다. 이는최치원자신이결코무염화상에뒤떨어지는인물이아니라는자긍심의표현일수있다. ᄂ에서心學한자는무염화상을이르고, 口學한자는최치원자신을말한다. 피차중국에서공부한것은동일한데口學한자가心學한자를위해서수고로워야한다는사실에불만을나타내고있는것이다. 그래서옛날군자는배우는바에신중하였다고말하고있다. 이어서心學한자는立德한자이고, 口學한자는立言한자라고규정하고있다. 다시정리하면무염화상은심학하여입덕한자이며, 자신은구학하여입언한자로표현한것이다. 입덕다음에입언을두는순서로정리한이유를ᄃ에서설명하고있다. ᄃ에서는 ꡔ좌전ꡕ 의立德, 立功, 立言의순서를다시한번거론한다. 그이유는위에서언급하였듯이입덕 ( 심학 ) 과입언 ( 구학 ) 의차등에대한불만때문이다. 이는숙손표이래공영달까지입덕다음에입언을두는순서에대한문제제기라고할수있다. 한편으로자기자신은적어도立言은이루었다는자부심을표현한것이다. ᄅ에서 심학 = 입덕 과 구학 = 입언 의우열에대한해결책을제시하고있다. 그방법은德도言에의해서만일컬어질수있고, 言도德에기댈때不 43) ꡔ 고운집 ꡕ 권 2, 無染和尙碑銘竝序.

101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01 朽하게된다는것이다. 다시말하면선종의立德도결국유학자의입언에의해서만불후하게된다는뜻이다. 입언불후의문장관을표현한것이다. 이것은선종승려의비명저술에대한의미부여로서는가장타당한방법이라고생각한다. 선종이不立文字敎外別傳의전통을추구하고있기때문이다. ᄆ에서최치원은자신의입언불후의문장에의해서만무염의心學이멀리전해질수있다고하였다. 문장을통해서사람들의입에일컬어질수있어야만그마음이멀리까지전해질수있는것이고, 不朽해야만입으로한공부가옛사람들에게부끄럽지않다는것이다. 이것은입언불후의문장관이立言垂後또는立言垂訓과연결되는장면이다. 마지막문구에서그이유때문에자신이대사의비명을篆刻하기로결정했다고한다. 이를다시정리하면立德한心學者가결국立言한口學者인자신의문장에의해서만不朽하게된다는의미라고할수있다. 심학을다른말로하면道學이라할수있고구학은문학이라고할수있는데그는이심학과구학의관계가상호대립적인것이아니라보완적인것으로보았다. 문학과도학이서로별개의것이아니라는것이다. 44) 결국자신의입언은입덕을바탕으로한것이라는자긍심을우회적으로표현한것이다. 그의자부심은지증화상의비명을저술할때도자신의문장이불후하다는것을드러내고있다. 이에상이충직한신하이면서불교신자인陶竹陽에게명하여문인이작성한대사의행장을전해주게하고, 수교를내려이르기를, 누더기를걸친동방의聖師가서방정토로떠나서슬펐는데, 繡衣를걸친중국의詔使가동방으로돌아와서매우기쁘다. 不朽하게할일이이제인연이닿아서이르렀으니, 아낌없이外孫의글을지어대사의자비에보답하도록하라. 라고하였다. 45) 인용문은최치원에게지증화상의비명을지어서불후하게하라는국왕의명이다. 이에대해최치원은자신에대해 臣也雖東箭非才 라고하여비록 44) 이구의, 최치원문학에나타난현실인식 ꡔ 고운최치원의시문학 ꡕ, 문사철, 2011, 225 쪽. 45) ꡔ 고운집 ꡕ 권 3, 智證和尙碑銘竝序.

102 102 지역과역사 37 호 뛰어난인재는아니라고표현하였지만그명을받들어비문을짓게된다. 여기서주목할점은대사의 행장 을비문으로지어서 입언불후 하라는명이다. 이때최치원이지증의일생을정리하는방법을살펴보면나중에그가 법장화상전 을지으면서사용한방법과좋은비교가될것이다. 우선최치원은대사의행적을六異와六是로표현하고있다. < 표 6> 지증화상의생애와六異ㆍ六是 순서 六異 六是 1 誕生의기이함 行藏의올바름 2 宿習의기이함 知報의올바름 3 孝感의기이함 檀捨의올바름 4 勵心의기이함 開發의올바름 5 律身의기이함 出處의올바름 6 垂訓의기이함 用捨의올바름 위의표에서六異는탄생에서깨달음을얻는과정을거쳐서垂訓에이르기까지를서술하고있다. 六是는지증이국가의부름을받은이후의행적을묘사한것이다. 간략히말하면선종을통한깨달음과그것의실천이라고할수있다. 지증화상의생애를이렇게서술한것에대해서최치원은스스로흡족해하고있다. 그래서 六異와六是로글을지은것만은부끄러울것이없어남은용기를팔정도로자신이있다. 라고 46) 하였다. 즉, 지증의깨달음과실천을최치원이입언불후의문장으로잘표현하였다는自讚이다. 최치원은지증의선풍에대해 頓悟의禪風이발연히흥기하였다. 라고 47) 언급하고있다. 그宗趣는 닦되닦을것이없는것을닦고, 증득하되증득할것이없는것을증득하였다. 고요히있을때에는산처럼서있고움직일때에는골짜기처럼응하였으며, 無爲의유익함으로다투지않고도승리를거두었다. 라고 48) 하였다. 이는선종의심법을전수하는것을말한것이다. 지 46) ꡔ 고운집 ꡕ 권 3, 智證和尙碑銘竝序. 47) ꡔ 고운집 ꡕ 권 3, 智證和尙碑銘竝序. 48) ꡔ 고운집 ꡕ 권 3, 智證和尙碑銘竝序.

103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03 증화상이전하는선종의심법도결국자신의입언불후한문장에의해서만표현될수있다는의미이다. 선종과입언의관계에대해서는비록 사산비명 에포함된것은아니지만최치원의 선안주원벽기 에서도확인할수있다. 마침내도량을꾸밀뜻을품고서애오라지푸른산빛에빛나게하였으니, 入室하는자는법도에따라당에서부터대문까지가며 [ 堂基 ], 負牆하는자는機宜에맞게벽을바라볼수 [ 壁觀 ] 있게되었으면한다. 만약민첩하게할수만있다면공을세울수있을것이니, 죽더라도자연히썩지않게될것이다 [ 歿而不朽 ]. 그리하여 ꡔ춘추좌전ꡕ 과 ꡔ진승ꡕ에실릴수도있으리니, 천리마와顔回의무리가되기를소원하는사람들이어찌힘쓰지않을수있겠는가. 49) 인용문은 선안주원벽기 의결론부분에해당하는내용이다. 선안주원에입실하는자가壁觀즉, 참선을통해서수행하면그공이죽더라도불후하게될것이라는뜻이다. 그러면 ꡔ춘추좌전 ꡕ과 ꡔ진승ꡕ 과같은책에실릴수있고, 공자의수제자인안회와같은인물이될수있다는뜻이다. 선종의수행을통해서후대에立言垂訓할수있다는것이다. 이상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진감화상의비명에서는不立文字의禪宗이라도최치원의立言에의하지않고는후세에전해질수없다고하였다. 무염화상의비명에서는대사의 심학 = 입덕 과최치원자신의 구학 = 입언 이결합될때이상적인모델이될수있다는것을제시하고있다. 지증화상의비명에서는선종선사의비명을저술하면서六異와六是를활용하고있다. 이육이와육시를통해서대사의비명을저술한것을입언이라고할수있다. 또최치원자신은입덕을바탕으로입언을이룬학자로자부하고있다. 전체적으로 사산비명 에서최치원은선종선사의심학을자신이입언불후의문장으로표현하여후세에전달할수있다고생각한다. 이는선종이라는사상성을바탕으로하는立言垂後또는立言垂訓의입언관이다. 49) ꡔ 고운집 ꡕ 권 1, 善安住院壁記.

104 104 지역과역사 37 호 3. 법장화상전 현전하는최치원의저작중에서 신라수창군호국성팔각등루기 를제외하고는 법장화상전 이제일마지막에저술되었다. 이승전이외에 부석존자전, 석이정전, 석순응전, 보덕전 이있지만현전하지않아서아쉽게도검토의대상으로삼을수없었다. 그가지은法藏 ( ) 의승전인 법장화상전 에서는승격된최치원의입언관을파악할수있다. 최치원은효공왕 8년 (904) 에해인사에서법장의생애를법장의 ꡔ 華嚴三昧觀 ꡕ 가운데直心의十義에따라十科로분류하여서술한다. 전체구성은다음과같다. 50) < 표 7> 법장화상전 의전체구성 구분 내용 도입부 ꡔ사기ꡕ의열전서술방식 행적부 十科 ( 법장의생애 ) 결말부 三立 ( 입덕, 입언, 입공 ), ꡔ문심조룡ꡕ 인용, 법장의승전을쓰게된계기, 자신의은거 도입부에서는사마천의 ꡔ사기ꡕ 의열전서술방식을참조하여법장의승전을서술하게되었다고설명하고있다. 앞에서확인하였듯이 ꡔ사기ꡕ 는공영달도입언의사례로들고있었다. 행적부에서는법장의생애를십과로나누어서술하고있다. 마지막결말부에서는법장의생애를三立과연결시키고나머지부분은 ꡔ문심조룡ꡕ 등에대해서서술하고있다. 이중에서본론부분에해당하는행적부의십과만따로분류하면아래의 < 표 8> 과같다. < 표 8> 에서 51) 법장의일대기를십과로서술한내용을확인할수있다. 제 1과부터제10과까지를생애의순서대로서술하면서마치일반전기문과유사한구조를이루고있는듯한데, 이는그가 법장화상전 의도입부에서언급한사마천의열전서술방식을채택하였기때문일것이다. 52) 법장의생애 50) 이구의, 앞의논문, ) 표의내용은진화첸의논문을참조함. 52) 최영성, ꡔ 역주최치원전집 ꡕ 2( 고운문집 ), 아세아문화사, 1998, 365 쪽.

105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05 < 표 8> 법장화상전 과십과 십과 십심 내용 제1과 族姓廣大心 법장의가정환경및성과이름의기원 제2과 遊學甚深心 법장의학문수행과정 제3과 削染方便心 법장의출가 제4과 講演堅固心 법장의강의활동 제5과 傳譯無間心 법장의번역가로서의활동 제6과 著述折伏心 법장의저술활동 제7과 修身善巧心 법장의도덕적행위 제8과 濟俗不二心 법장의세속에대한구제활동 제9과 垂訓無碍心 동시대및후대에미친법장의가르침 제10과 示滅圓明心 법장의入滅 를십과로서술하는동시에이를결말부에서는다시三立으로규정하고있다. 이三立에서최치원의입언관을확인할수있다. ꡔ춘추ꡕ에이르기를, 죽어서도훌륭한명성을드리우는자는三立한것이있다고하니, 법사께서佛學에나아가고, 삭발하고緇衣를입어出家를하시고, 滅度를보이신것은三立德을수립하신것이요, 강연을하시고, 불전을번역하시며, 저술을남기신것은三立言을세우신것이다. 또한스스로의행실을닦으시고, 세속을제도하시고, 교훈을드리운것은三立功을세우신것이다. 이에법사께서설하신一乘의완전한뜻을推演하고, 대사께서저술로지으신十節의오묘한인연에근거하여널리기록하게자세히말하였다. 53) 인용문은최치원이법장의일대기를십과로서술한이후결말부에서삼립과연결한것이다. 말하자면일대기를십과로서술하였던것을요약한것이라고할수있다. 요약했을때세부분으로나누어설명할수있다는것이다. 즉, 三立德, 三立言, 三立功으로법장의생애를집약하고있다. 그런데십과중에서제1과인族姓廣大心은제외하고있다. 아마이것은출생과연관된것이기때문에혈통관념을부인하는현상이라고보아야한다. 최치원자신이 6두품출신으로골품제의폐쇄성에따른피해자라는점에서의미있 53) 최영성, 위의책. 麟史稱歿有令名者三立焉則法師之遊學削染示滅三立德也講演傳譯著述三立言也修身濟俗垂訓三立功也

106 106 지역과역사 37 호 는채택으로보인다. 최치원은삼립을立德, 立言, 立功순으로배열하고있는특징을보이고있다. 이순서의중요성은아래에서다시다루고자한다. 또특이한사항은법장화상의일대기를설명하면서三立德에는遊學ㆍ削染ㆍ示滅, 三立言에는講演ㆍ傳譯ㆍ著述, 三立功에는修身ㆍ濟俗ㆍ垂訓을배치하고있다. 제 1과를제외하고순서대로각각 3개과를배치한것이아니다. 아래표를살펴보자. < 표 9> 十科와三立 십과 명칭 三立 제2과 遊學 제3과 削染 三立德 제10과 示滅 제4과 講演 제5과 傳譯 三立言 제6과 著述 제7과 修身 제8과 濟俗 三立功 제9과 垂訓 입덕에제2과ㆍ제3과ㆍ제10과를배치하고, 입언에제4과ㆍ제 5과ㆍ제6 과를배치하고, 입공에제7과ㆍ제8과ㆍ제 9과를배치하고있다. 입덕의내용은유학, 삭염, 시멸이다. 시멸은제10과의것인데서술상앞으로끌어오고있다. 한편앞장에서검토한지증화상의생애서술방식과법장의생애서술방식은차이가있다. 지증은六異와六是로서술하였는데법장은三立으로서술하고있다. 아마선종승려와화엄종승려의차이때문이라고보인다. 선종승려는깨달음과실천으로설명할수있다면화엄승려는입덕, 입언, 입공의차례로생애를서술해야만그의飜經, 즉번역활동을두드러지게표현할수있기때문일것이다. 입언의내용은講演ㆍ傳譯ㆍ著述인데하나씩살펴보자. 먼저講演은 ꡔ화엄경ꡕ 강연을말한다. 傳譯은그가實叉難陀의 ꡔ화엄경ꡕ 과 ꡔ 大寶積經 ꡕ의飜經에참여하였던것을말한다. 著述은 ꡔ 探玄記 ꡕ, ꡔ 敎分記 ꡕ, ꡔ 指歸 ꡕ, ꡔ 綱目 ꡕ,

107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07 ꡔ 玄義章 ꡕ, ꡔ 策林 ꡕ, ꡔ 音義 ꡕ, ꡔ 華嚴經傳記 ꡕ 등을말한다. 54) 최치원은법장에대해서십과로구분하여서술하고는결말부에서다시 一乘의圓旨를演述한것은十節 ( 十科 ) 의奇妙한인연에의하였고, 폭넓게기록하고갖추어말한것도거의들어맞음이있을것이다. 라고 55) 하면서법장의전기서술에대해서자부하고있다. 하지만가상으로누군가최치원을비판하면서 옆에서비웃는자가 ꡔ 文心雕龍 ꡕ을인용하여다음과같이말했다. 말이란비록많다한들무슨소용이있겠습니까? 간결한것이귀한법입니다. 라고하자그는스스로다음과같이말하고있다. 나는실망한채바라보며다음과같이말했다. 또 史 라는것은시키는것이니, 좌우사람에게붓을잡혀기록하도록하는것이요, 傳이라는것은 轉 으로경전의내용을옮겨傳授하는것이니, 전은비문의간략함을넓혀후세사람들에게傳授되도록하는것입니다.[ 傳廣碑略使授於後 ] 56) 자신이 법장화상전 을쓴목적은후세에傳授하는것이라고분명히밝히고있는것이다. 이는자신의글쓰기가경전과같은가치를지니면서후세에垂訓하는것이라는뜻이다. 인용문의 傳廣碑略使授於後 가바로최치원의입언관이라고할수있다. 傳廣碑略使授於後 는 ꡔ문심조룡ꡕ 에서빌려온것이다. 57) 이상에서최치원은입언의가치를입덕ㆍ입공과동일한반열에두고있다. 그는공영달처럼三立에등급을나누지않았다. 이는화엄승려의일대기를三立에적용하였기때문에나타난현상이다. 말하자면 입덕 = 입언 = 입공 으로이해하면서三立에대해동일한의미를부여하는것으로一元論的입언관이라고할수있다. 이는덕을바탕으로하는문장을지향한다는입언관을정립한것이고, 송대立言垂後또는立言垂訓으로연결될수있는가 54) 진화첸, 앞의논문. 55) 최영성, 앞의책, 412 쪽. 56) 최영성, 위의책, 413 쪽. 57) 최영성, 고운최치원의역사의식 ꡔ 고운최치원의역사관 ꡕ, 문사철, 2010, 65 쪽.

108 108 지역과역사 37 호 능성을부여한것이다. Ⅲ. 최치원입언관의의의 최치원의입언관은덕을바탕으로하는입언관이란점은앞장에서확인하고나왔다. 최치원의입언관은사상성을바탕으로하고있기에당연히문체의변화를수반하게되어야한다. 그래서 지증화상비명 에서실제고문투의문체를사용하고있다. 이는변려문에서고문으로넘어가는과도기적문체라고 58) 한다. 그리고조선후기에 ꡔ계원필경집 ꡕ 중간서문에서홍석주는최치원의문체에대해아래와같이밝히고있다. 세상에서는간혹공의글이모두騈儷ㆍ四六으로서古作者의글과는완전히다르다고비평하기도한다. 그러나공이중국에들어가서활동한것이당나라의종과희종연간이었는데, 당시에중국의글이변려문을전문으로일삼았던것을감안할때공이그풍조에따랐던것은원래어쩔수없는점이있었다고해야할것이다. 59) 홍석주는최치원이당대의분위기때문에변려문을사용하였지만실제본마음은고문에있었다고생각하고있다. 특히조선시대古文의대가인홍석주의평가는유의미하다고생각된다. 홍석주와함께중간의서문을쓰는서유구의생각도유사하다. 최치원이중국에간시점은晩唐시기였고韓愈와李翶가활약하던시점은中唐시기였다. 만당때는한유와이고가잠시묻힌시기인데최치원이이때중국의당시작가들이추구하던변려체를쓰게되었다고 60) 한다. 서유구가최치원에대해서이렇게생각하고있는것은그가 58) 이구의, 앞의논문, ) ꡔ 계원필경집 ꡕ 校印桂苑筆耕集序. 60) ꡔ 金華知非集 ꡕ 권 3, 與淵泉洪尙書論桂苑筆耕書. 豈山川之所鍾毓風氣之所囿圉終戛戛乎一變至道之難歟抑韓李之蔽於暫而耀于後如歐陽子之云而孤雲適際

109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09 사륙변려체를어쩔수없이따르게되었다는것을강조하는것이다. 이는홍석주와서유구이전까지최치원의문장에대한평가에서그의문장이변려문이었기때문에제대로인정받지못한것을 61) 염두에두었기때문이다. 그래서홍석주는최치원에게서한유와유사한고문론을발견하게된다. 62) 홍석주는그의시에대해서도 平易近雅 하여 63) 晩唐의시인들이미칠수가없는높은수준이라고하였다. 서유구도앞의각주에서본바와같이 詩尤平易絶不類晩唐遺響 이라고하였다. 만당은당문종이후약 70년간 ( 년 ) 을이르는시기이다. 결국홍석주와서유구가최치원의시에대해서적극제시한것은만당풍과는다르다는것이다. 근래연구자들이최치원의시를적극적으로해석하여그의시를일방적으로만당풍이라는견해를비판하고있다. 64) 따라서한유의고문론을바탕으로하는입언관과무관하지않다고할수있다. 최치원입언관의의의를찾을수있는방법중하나는비교를통한것이다. 이때좋은대상이되는것이송나라초기인물인蘇頌 ( ) 이다. 소송은그의 小畜外集序 에서다음과같이말하였다. ᄀ혹자는言이功보다못하고, 功은德보다못하다고하는데이는그렇지않다. 行事에드러나는것을일러덕이라하고, 미루어서사물에미치는것을일러공이라고하는데, ᄂ이두가지가서는데말이아니면기술할수없고기술되지않으면후세가볼수없으니군자의道가거의없어질것이다. 때문에紀事와述志는반드시말에바탕하고일에계교하여야만일관될수있다. 예로부터能言하는부류에서대대로賢者들이나옴에부족함이없었는데, 만약ᄃ德과功을함께갖추고문장에도를갖추면, 아름다운계책과바른논의가時主에믿음을얻고, 遺風과餘烈이미래에사라지지않게될것이다. 65) 暫蔽之時則其不能捨世好而追作家之轍固其勢然歟詩尤平易絶不類晩唐遺響亦可異也 61) 최영성, 최치원과 ꡔ 桂苑筆耕集 ꡕ ꡔ 선비문화 ꡕ 2, 2004, 67 쪽. 62) 李聲昊, 앞의논문, ) ꡔ 계원필경집 ꡕ 校印桂苑筆耕集序, 홍석주. 64) 윤인현, ꡔ 桂苑筆耕集 ꡕ 所載崔致遠의漢詩小考 ꡔ 한국고전연구 ꡕ 15, 김동준, 歸國期崔致遠漢詩의自負와壯心에대하여 ꡔ 진단학보 ꡕ 112, 2011.

110 110 지역과역사 37 호 인용문은마치최치원의말을蘇頌이하는것처럼들릴정도이다. 구조상유사할뿐만아니라의미상에서도유사함을보이고있다. 소송은富弼 ( ) 로부터古君子의칭송을받은인물로북송구법당과정치적입장을함께하였다. 위의인용문을하나씩살펴보자. ᄀ에서言, 功, 德의등급을설정하는것에반대하고있다. 공영달의입언관을벗어나는논점을전개하고있는것인데, 마치 법장화상전 에서 입덕 = 입언 = 입공 을동일한위상으로설정한것과유사하다. 다만차이점은최치원은 덕, 언, 공 의순서라고하면소송은 언 을 공과덕 보다앞세우는것이특징이라고 66) 한다. ᄂ에서功과德은言이아니면기술될수없다고하였다. 그러면후세에전해질수없어서군자의도가사라질것이라고한다. 이는마치 무염화상비명 에서 德도言에의해서만일컬어질수있고, 言도德에기댈때不朽하게된다. 라고한것과일치하고있다. ᄃ에서德과功에다言으로이루어진文章을갖추어야만정책구현에활용될수있다는것이고미래에垂訓을내려줄수있다는것이다. 이것도 무염화상비명 에서 입덕 ( 심학 )= 입언 ( 구학 ) 으로서술한것과또 법장화상전 에서 입덕과입언에의해서입공하게된다. 라고서술한것과유사하다. 인용문의소송의글에대해서현대중국의연구자인杨挺은의심할여지없이혁명적이라고표현하고있다. 67) 杨挺은蘇頌이 입언 의가치를 입공및입덕 보다수위에놓았다고생각하였지만, 실제로소송의인용문을살펴보면입언의가치를입공및입덕과대등하게놓았다는것을알수있다. 한 65) ꡔ 蘇魏公文集 ꡕ 권 66, 小畜外集序. 或謂言不若功功不若德是不然也夫見於行事之謂德推以及物之謂功二者立矣非言無以述之無述則後世不可見而君子之道幾乎熄矣是以紀事述志必資乎言較於事爲其貫一也自昔能言之類世不乏賢若乃德與功偕文備於道嘉謨讜論見信於時主遺風餘烈不泯於將來 66) 楊挺, 語言與文籍的凸顯 - 宋代立言不朽觀念的革新與文集編刻的繁盛 ꡔ 中國文學研究 ꡕ , 68 쪽. 67) 杨挺, 위의논문, 68 쪽에서 苏颂的言论无疑是极具革命性的 이라고하였다.

111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11 편杨挺이최치원의 사산비명 과 법장화상전 의입언관을보았다면좋은비교사례로활용하였을것이다. 소송의이런입언관은송대상문정책과관계된다. 그것이당시사대부들에게자아실현의욕망을자극하였고, 입언불후에대한기대는사람들의마음속에깊이들어갔다고한다. 또입언불후의관념은송대인쇄술의발전에기여하였고문적을중시하도록하였다. 이로말미암아입언불후는작품의창작과작품의전파에공헌하게된다고 68) 한다. 최치원은 10세기초까지생존한인물이고소송은 11세기송대인물임에도불구하고비슷한입언관을볼수있다는점이특이하다. 입언관의승격은나말여초의문인들에게많은영향을주게된다. 특히최치원의종제인최언위는최치원이후의文翰을담당하게된다. 최치원의四山碑銘이후고려정종대까지건립되어현전하는비문이모두그의손에서나왔다. 69) 그의학문은최승로 ( ) 까지이어지고, 최언위의손자인최항 (? 1024) 과그의계승자인최충 ( ) 까지연결되면서고려의학문수준을송과대등하게유지시키는데공헌하게된다. 70) 이상에서최치원입언관의의의는고문론을바탕으로하고있고, 공영달과한유의입언관을뛰어넘어송대입언관과대비할수있다는점이다. 최치원은실제고문투의문장을사용하고있었고, 시에서도만당의시인들이미칠수없을정도로우수하다고하였다. 또최치원의입언관은송대소송의입언관과유사한구조와특징을보이고있다. 두인물모두입언관을승격시켜입덕ㆍ입공과대등한위치에두었다. 그것이최치원의입언관이지니는의의라고할수있다. 68) 杨挺, 위의논문, 摘要참조. 69) 김보경, 비문에새겨진최언위의삶, 사유, 문학 ꡔ 고전과해석 ꡕ 5, 2008, 135 쪽. 70) 李聲昊, 崔冲의政治ㆍ敎育活動과儒敎思想,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李聲昊, ꡔ 최충과신유학 ꡕ, 역사문화, 2014.

112 112 지역과역사 37 호 맺음말 立言이란동아시아한자문화권의지식인들이숙명처럼추구하던것이었다. 문인학자들은후세의모범이될만한훌륭한글을지어立言不朽하고자하였다. 당시최고의학자인최치원이추구한입언관은무엇이고, 그의의는무엇인지를파악하는것이본논문의목적이었다. 이런문제의식에따라연구를전개한결과다음몇가지를확인할수있었다. 첫째, 입언에대한정의는叔孫豹가제기한이래역사속에서꾸준히변화하여왔다. 그가처음제기할당시는입언을 言 = 말 로인식하였다. 이를계승한공자도역시입언을 덕을바탕으로하는말 로설정하고있었다. 孔穎達은입언을 言, 諸子百家, 文章, 史傳 으로정의하고있다. 이는문학, 역사, 사상ㆍ철학을포함하는것이다. 한편공영달까지의문장은고문과변려문을모두포함하고있었다. 그런데韓愈는문장에사상성을부여하면서변려문을배격하고고문운동을전개하게된다. 결국한유에의해서송대의立言垂後의관념이싹텄다고할수있다. 둘째, 최치원의입언관은그가저술한글속에서시대에따라변화ㆍ정립하였다. ꡔ계원필경집 ꡕ을통해서는최치원의입언불후의문장관이형성되고있음을확인하였다. 그는문장을위한문장은배격하고養性과立身을위한경전을중시하고있었다. 이때의경전은사상성을바탕으로하는성현의글이란점에서그의입언관의시초는尊經을중심으로형성되고있었다. 이때이미文章經國의의도를보이고있었다. 사산비명 중진감화상의비명에서는不立文字의禪宗이라도자신의立言에의하지않고는후세에전해질수없다고하였다. 무염화상의비명에서는대사의 심학 = 입덕 과최치원자신의 구학 = 입언 이결합될때이상적인모델이될수있다고하였다. 선종선사인지증화상의비명에서는그의생애저술에六異와六是를활용하고있다. 이육이와육시를통해서대사의비명을저술한것을입언이라고할수있다. 또최치원자신은입덕을바탕으로

113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13 입언을이룬학자로자부하고있다. 전체적으로 사산비명 에서최치원은선종선사의심학을자신이입언불후의문장으로표현하여후세에전달할수있다고생각한다. 유교식입언을통해서선종승려의생애을이해하는立言垂後또는立言垂訓의입언관이다. 법장화상전 에서는입언의가치를입덕ㆍ입공과동일한반열에둠으로써그지위를승격시키고있었다. 이는화엄승려의일대기를三立에적용하였기때문에나타난현상이다. 말하자면 입덕 = 입언 = 입공 으로이해하면서三立에대해동일한의미를부여하는것으로一元論的입언관이라고할수있다. 이는덕을바탕으로하는문장을지향한다는입언관을정립한것이고, 유협과공영달ㆍ한유의입언관을뛰어넘었다는것이다. 유교식입언을통해서화엄승려의생애을이해하는立言垂後또는立言垂訓의입언관이다. 셋째, 최치원입언관의의의는한유와유사하게고문을지향하였다는데있다. 그는실제로문장에서고문투의문체를사용하였고, 시에서도만당의시인들이미치지못할정도였다고한다. 그의입언관의또다른의의는입언의지위승격에있다. 입언관승격은송초인물과비교할때의의를지니는데, 송대蘇頌도입언의가치를상승시키고있었다. 결과적으로최치원과소송은시대를초월하여, 각자다른지역에서, 서로영향을주고받지도않으면서비슷한입언관을제시하고있었다. 넷째, 입언관의승격은나말여초의문인들에게많은영향을주게된다. 특히최치원의종제인최언위는최치원은퇴이후의文翰을담당하게된다. 그의학문은최승로까지이어지고, 최언위의손자인최항과그의계승자인최충까지연결되면서고려의학문을宋과대등한수준으로유지시키는데공헌하게된다. 이것이최치원의입언관이지니는궁극적의의라고할수있다. 결국, 최치원은동방입언의시초이자조종으로그의입언관은立言垂後를통해文章不朽를지향하면서이후역사속에서文章經國, 文章立國, 文章輔國으로계승될수있었다.

114 114 지역과역사 37 호 참고문헌 ꡔ계원필경집 ꡕ, ꡔ고운집ꡕ, ꡔ 舊唐書 ꡕ, ꡔ 金華知非集 ꡕ, ꡔ논어ꡕ, ꡔ 論語注疏 ꡕ, ꡔ 文心雕龍 ꡕ, ꡔ 法言 ꡕ, ꡔ 別本韓文考異 ꡕ, ꡔ 蘇魏公文集 ꡕ, ꡔ 左傳 ꡕ, ꡔ 春秋左傳正義 ꡕ, ꡔ 太平御覽 ꡕ, ꡔ회남자ꡕ 곽승훈, ꡔ중국사탐구와사산비명찬술ꡕ, 한국사학, 김동준, 歸國期崔致遠漢詩의自負와壯心에대하여 ꡔ진단학보ꡕ 112, 김보경, 비문에새겨진최언위의삶, 사유, 문학 ꡔ고전과해석 ꡕ 5, 김주한, 崔孤雲文學觀의淵源 ꡔ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ꡕ 7, 김학주, ꡔ중국문학사ꡕ, 한국학술정보, 노평규, 최치원유학사상의특성연구 ꡔ범한철학 ꡕ 20, 심경호, 최치원과동아시아문학 ꡔ고운학보ꡕ 창간호, 윤인현, ꡔ 桂苑筆耕集 ꡕ 所載崔致遠의漢詩小考 ꡔ한국고전연구 ꡕ 15, 이구의, 최고운의문학관 ꡔ 韓民族語文學 ꡕ 23, 이구의, 최치원문학에나타난현실인식 ꡔ고운최치원의시문학 ꡕ, 문사철, 이상현옮김, ꡔ고운집ꡕ, 한국고전번역원, 李聲昊, 崔冲의政治ㆍ敎育活動과儒敎思想,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李聲昊, ꡔ최충과신유학ꡕ, 역사문화, 李聲昊, 崔致遠의新儒學思想 ꡔ한국사상과문화 ꡕ 75, 李聲昊, 홍석주의고문론과계원필경집중간의의미 ꡔ한국사상과문화ꡕ 78, 이장우, 한유의고문이론 ꡔ동양학 ꡕ 14, 장일규, ꡔ계원필경집 ꡕ의편찬과사료적가치 ꡔ진단학보 ꡕ 112, 趙志衡, 16 17세기 立言 ㆍ 立言垂後 에대한意識과受容맥락 ꡔ 語文硏究 ꡕ 38-3, 池斗煥, ꡔ한국사상사ꡕ, 역사문화, 蔡尙植, 崔致遠의佛敎認識 ꡔ 孤雲의思想과文學 ꡕ, 新知書院, 최영성, ꡔ역주최치원전집ꡕ 2( 고운문집 ), 아세아문화사, 최영성, 최치원과 ꡔ 桂苑筆耕集 ꡕ ꡔ선비문화ꡕ 2, 최영성, 고운최치원의역사의식 ꡔ고운최치원의역사관ꡕ, 문사철, 羅家湘, 論 立言不朽 ꡔ 河南師範大學學報 ꡕ 37-2, 罗联添, ꡔ 韩愈研究 ꡕ, 天津教育出版社, 2012.

115 최치원의저술에나타난立言觀과그의의 115 方科平, 立言不朽論劉勰文學價值追求 - 讀 原道 征聖 宗經 ꡔ 前沿 ꡕ, 楊挺, 語言與文籍的凸顯- 宋代立言不朽觀念的革新與文集編刻的繁盛 ꡔ 中國文學研究 ꡕ 張智虎, 論 立言不朽 作爲文學話語的曆史生成 ꡔ 寶雞文理學院學報 ꡕ 25-2, 투고일심사의뢰일심사완료일

116 116 지역과역사 37 호 Abstract The Perspective and Significance of Choi Chi-Won s Ibeongwan( 立言觀 ) Appeared His Books Lee, Seong-Ho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investigating Choi Chi-Won s Ibeongwan( 立言觀 ), and finding the meaning of this. Based on the purpose, this study were shown three results as below. The definition of Ibeon( 立言 ), first of all, had been established by Shusun Bao ( 叔孫豹 ), Kong Ying-da( 孔穎達 ), and Han Yu( 韓愈 ) untill Tang Dynasty. Han Yu had suggested Gomunundong( 古文運動 ) with adding Sasangseong( 思想性 ) to article, instead of Byeollyeomun( 騈儷文 ). Secondly, Choi Chi-Won s Ibeongwan was changed and formed according to the times in his books. Thus, his the biggest goal was improve the worth of Ibeongwan with approaching the same level as Ipdeok( 立德 ), and Ipgong( 立功 ). This is Ibeongwan in monism, which was surpassed the Ibeongwan of Kong Ying-da, and Han Yu. Lastly, the importance of Choi Chi-Won s Ibeongwan, similar to Han Yu, is exsited to pursue Gomun( 古文 ). Futhermore, improvement of Ibeongwan had the significant meaning while comparing to personage in Song Dynasty. Su Song( 蘇頌 ), for instance, had tried to improve the worth of Ibeon. Keywords ㆍChoi Chi-Won( 崔致遠 ) ㆍHan Yu( 韓愈 ) ㆍIbeongwan( 立言觀 ) ㆍSu Song( 蘇頌 ) ㆍKong Ying-da( 孔穎達 )

117 ꡔ 지역과역사 ꡕ 37, , 117~150 쪽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17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71) 권영오 * 머리말 Ⅰ. 신라말시기설정과사회인식 Ⅱ. 신라말과후삼국과의관계맺음말 머리말 한국사학계에서관행적으로사용하는 나말여초 의시기는연구자에따라신라하대 (780~935) 에서부터시작하기도하고, 1) 진성여왕대 (887~897) 에서부터언급하기도한다. 2) 신라말의설정이 100년이상차이가나다보니신라말사회에대한인식에혼란이생기고, 신라하대를신라말과동질적으로파악하는결과론적해석도있었다. 필자는전고에서한국사학계에서인용하는신라말이라는시기계선이구체적검증에소홀한채모호하게사용되고있는것을지적하면서, 신라인들은진성여왕 3년 (889년) 농민봉기를계기로자신의나라가말기에들어섰다는시대전환을인식하게되었다고주장하였다. 3) 그렇다면고려인들의신라말인식은어떠하였을까? * 대저중학교교사 (stonenest@hanmail.net). 1) 조인성은학계의연구성과를정리하면서연구자들이대체로하대로부터고려초 ( 경종대 ) 까지를흔히나말여초라고부르며, 이시기를고대사회가해체되고중세사회가시작되는전환기로본다고하였다 ( 고대사회의해체 ꡔ 새로운한국사길잡이 ꡕ 상, 지식산업사, 2008, 183 쪽 ). 2) 전기웅, 나말여초정치사의연구와이해방향 ꡔ 지역과역사 ꡕ 1, 1996, 191 쪽. 3) 권영오, 신라하대와신라말 ꡔ 역사와경계 ꡕ 90, 2014, 58~62 쪽.

118 118 지역과역사 37 호 후삼국을통일한고려는앞시기왕조의역사를편찬하면서신라의멸망요인과말기적상황에대해언급하였다. 고려의대표적史書인 ꡔ삼국사기ꡕ 는王系를, ꡔ삼국유사ꡕ 는불교식왕명을기준으로각기신라사를三代와三古로나누었지만, 下代와下古시기가정치사적으로신라의쇠퇴기, 또는말기의의미로설정되지는않았다. 4) 그렇지만고려시대의기록에서는新羅之季, 新羅之末, 羅末, 羅季, 新羅政衰, 新羅數窮등신라말을언급한다수의표현들이등장한다. 본고의 1장에서는고려인들이신라말이라고인식한것은언제부터였으며, 그사회를어떻게평가했는지검토해보고자한다. 또한고려에서신라말을바라보는시각은고려의후삼국통일과정에대한인식과혼용되어나타난다. 이것은신라말과후삼국시대가동시적으로존재했기때문이다. 본고의 2장에서는고려인들이인식했던신라말과후삼국시대와의관계에대해고찰하고자한다. 신라말에대한고려인의평가는천년왕국신라의멸망원인을규명하고신라말의사회변동과, 신라에서고려로의왕조교체의역사적의미를찾는데에도시사점을줄것으로기대한다. Ⅰ. 신라말시기설정과사회인식 천년왕국신라의역사는 935년경순왕이고려에투항하면서막을내렸다. 5) 백제ㆍ고구려는신라ㆍ당연합군의공격으로무너졌으나, 신라는나라를보존할수없다고판단하여스스로항복하였다. 기존의연구에서신라멸망의원인으로다양한견해가제시되었다. 6) 그러나신라멸망의직접적인 4) 이에대해서는권영오, 신라사시기구분과 ꡔ 삼대목 ꡕ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45, 2007 참고. 5) ꡔ 삼국사기 ꡕ 권 12, 경순왕 9 년 11 월. 6) 신라멸망원인에대한연구사적정리는이기동, 신라쇠망사관의개요 ꡔ 한우근박사고희기념사학논총 ꡕ, 신호철, 신라의멸망원인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50, 2008 참고.

119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19 원인, 곧신라인들이국가보위전쟁을포기할만큼말기에이르렀다는인식이광범위하게전파되고, 이로인해내부적으로붕괴한신라가항복을선택하는과정에대한세밀한분석은많지않았다. 7) 신라의멸망후고려인들은후세인의시각에서당대신라인보다는좀더객관적으로신라의역사를조망할수있었다. 고려인들의신라말인식을추측해볼수있는것으로, 신라멸망원인을언급한것을들수있다. 신라를멸망으로이끌게한요인이광범위하게나타나는시기를곧신라말로인식했다고보아도크게틀리지는않을것이다. ꡔ삼국사기 ꡕ의신라본기경순왕말미에는다음과같은사론이있다. 또신라는王師 ( 당의군대 ) 의위령을빌어백제와고구려를평정하고그땅을취하여군현을삼았으니가히盛代라고할수있다. 그러나불교의법을받들어그폐해를알지못하고마을에는탑묘가벌어서고평민들은사찰로도망하여승려가되었으니, 병사와농민은점점줄어들고국가는날로쇠하여가니어찌어지럽게되어망하지않기를바라겠는가 (ꡔ삼국사기ꡕ 권12, 경순왕말미사론 ). 이에따르면불교의법을받들어그폐해를알지못했기때문에신라가망했다고하였는데, 이러한불교폐해론은고려시대에널리받아들여졌다. ꡔ삼국유사 ꡕ에도위의사론은거의전재되었으며, 8) 고려태조의언급이나훈요 10조, 9) 최승로와고려시대여러관료들의상서에서도거론되고있다. A-1 둘째로모든사원들은모두道詵의의견에의하여국내산천의좋고나쁜것을가려서창건한것이다. 신라말 ( 新羅之末 ) 에사원들을야단스럽게세워서지덕을훼손시켰고결국은나라를멸망하였으니어찌경계할 7) 신라왕실의고려귀부에대해서는전기웅, 고려초기의신라계세력과그동향 ꡔ 부대사학 ꡕ 17, 조범환, 신라경순왕의고려귀부 ꡔ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ꡕ 상, 일조각, 1994 참고. 8) ꡔ 삼국유사 ꡕ 권 2, 김부대왕. 9) 신호철은신라의멸망을불교와관련하여언급한최초의인물로최승로를들고있으나 ( 앞의글, 2008, 141 쪽 ), 태조왕건의언급 ( 사료 A-1, A-3) 에서이미보인다.

120 120 지역과역사 37 호 일이아니겠는가?(ꡔ고려사ꡕ 권2, 태조 26년 4월 ). A-2 신라말에불경과불상들에모두다금, 은을썼으며사치가과도하였기때문에끝내멸망하였으며 ( 新羅之季經像皆用金銀奢侈過度終底滅亡 ) 장사치로하여금불상을절취하고파괴하여이리저리옮기면서서로사고팔아서제살림을꾸리는지경에이르렀습니다 (ꡔ고려사ꡕ 권93, 열전최승로 ). A-3 우리태조는오래된폐해에의하여심각한교훈을받고후대의군신이함부로절간을짓는것을금하였습니다. 당시大師최응이불교의금지를제의하였으나태조는 신라말 ( 新羅之季 ) 에불교의설이사람들의골수에들어가서사람마다생사화복이모두다부처에의하여결정된다고생각한다. 그리고지금삼한이금방통일되어인심이아직안정되지않았는데만약갑자기불교를없애면반드시동요가생길것이다 라는견해를가지고 신라가불교행사를많이하여망하게된것을응당교훈으로삼아야한다 라고훈계하였습니다 (ꡔ고려사ꡕ 권120, 열전윤소종 ). 10) 사료 A에의하면신라말에는사원을남설하고, 불사에사치가과도했다고하였지만구체적인시기는적시하지않았다. 이러한인식은불교의현실적인부작용, 즉지나친불사 ( 多作佛事 ) 에대한비판으로, 불교의존재자체에대한비판은아니었다. 11) 고려시대신라말에대한인식은헌강왕대에서부터보이기시작한다. 10) 공양왕에게올린 A-3 의상서와같은인식은김자수가공양왕에게올린상서에서도보이며 (ꡔ 고려사 ꡕ 권 120, 열전김자수 ), 비슷한내용이 ꡔ 고려사 ꡕ 권 120, 김자수열전에수록된박초등이공양왕에게올린상서에도인용되어있다. 그런데 13 세기중엽에저술된최자의 ꡔ 보한집 ꡕ 상에서는 A-3 의태조의말을인용하면서도 신라가불교행사를많이하여망하게된것을응당교훈으로삼아야한다 ( 宜鑑新羅多作佛事以至於亡 ) 라는훈계는보이지않는다. 김영태는 ꡔ 보한집 ꡕ 에담겨있는내용이후대에내려옴에따라상당히변형되었다고지적하였다 ( 고려개국초의불교사상 ꡔ 한국사론 ꡕ 18, 국사편찬위원회, 1988, 138 쪽 ). 11) 최치원은불교의융성으로신라가삼국을통일하였다고하였고 ( 최치원, 지증대사비, 최영성, ꡔ 역주최치원전집 1 사산비명 ꡕ, 아세아문화사, 1998, 301~302 쪽 ), 元和년간 (806~820) 사문一念이지은 촉향분예불결사문 에서는불교의전래로말미암아삼한이합하여한나라가되고온세상은어울려한집이되었다 ( 由是倂三韓而爲邦掩四海而爲家 ) 라고하였다 (ꡔ 삼국유사 ꡕ 권 3, 원종흥법염촉멸신 ).

121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21 B-1 ( 헌강 ) 왕이또포석정에갔을때남산의신이왕앞에나타나춤을추었는데좌우의사람에겐그신이보이지않고왕만이혼자서보았다. 사람이나타나앞에서춤을추니왕자신도춤을추면서형상을보였다. 신의이름은혹祥審이라고도했으므로지금까지나라사람들은이춤을전해서御舞祥審또는御舞山神이라한다. 왕이또금강령에갔을때북악의신이나타나춤을추었는데, 이를玉刀鈐이라했다. 또동례전에서잔치를할때에는지신이나와서춤을추었으므로地伯級干이라했다. ꡔ 語法集 ꡕ에서말하기를 그때산신이춤을추고노래부르기를, 地理多都波都波 라했는데, 都波 라고한것은대개지혜로나라를다스리는사람이미리사태를알고많이도망하여도읍이장차파괴된다는뜻이다 했다. 즉지신과산신은나라가장차멸망할것을알기때문에춤을추어이를경계한것이나국인들은깨닫지못하고상서가나타났다고하여탐락이더욱심하여져나라가마침내망하였다 (ꡔ삼국유사ꡕ 권2, 처용랑망해사 ). B-2 이후신라의정교가침쇠하여궤망할조짐이있었다 ( 爾後新羅政敎寢衰有危亡之兆 ). 대사는장차천명을받아일어난성인이있을줄알고송악군에와서놀았다. 때마침우리세조가송악군에집을지어살았다. 대사가다시하는말이, ( 집을 ) 고친뒤 2년만에반드시귀자를낳으리라 하고, 한권의책을지어봉하여세조에게바치면서하는말이, 이글은장차그대가나을아들에게올리는것이다. 그러나나이가장년이되거든주라 했다. 이해신라헌강왕이서니당건부 2년 (875 년 ) 인데, 건부 4년 (877 년 ) 에는우리태조가과연앞서말한집에서태어났다 ( 崔惟淸, 白雞山玉龍寺贈諡先覺國師碑銘 ꡔ동문선ꡕ 권117). 헌강왕앞에산신이나타나춤을추면서 地理多都波都波 라고한말을놓고신라인과고려시대책으로보이는 ꡔ어법집ꡕ 12) 은서로다른해석을하였다. 신라인들은이를상서가나타났다고하여 ( 謂爲現瑞 ), 당시를안정된사회로보았다. 반면 ꡔ어법집 ꡕ에는지신과산신이나라가장차멸망할것을알기때문에춤을추어이를경계한것이라고하였다. 고려의종 4년 (1150 년 ) 에세워진 백계산옥룡사선각국사탑비 에는헌강왕이즉위하는건부 2년 12) 전기웅은 ꡔ 어법집 ꡕ 을신라가멸망한이후고려초기의어느시기에만들어진책으로, ꡔ 삼대목 ꡕ 과유사하게가무와관련된가사집이거나신과관련된종교적설화의모음집일가능성이크다고하였다 (ꡔ 신라의멸망과경문왕가 ꡕ, 혜안, 2010, 96 쪽 ).

122 122 지역과역사 37 호 (875 년 ) 에신라의정교가침쇠하여위망의조짐이있다 (B-2) 라고하였다. 13) 반면헌강왕대를가악이끊이지않는 14) 신라의전성시대 ( 新羅全盛之時 ) 로보기도하였다. 15) 필자는후자가고려시대의일반적인역사인식이라고보는데, 16) 실제로신라말에대한언급은대부분진성여왕 3년 (889 년 ) 이후에나타난다. ꡔ삼국유사ꡕ 전후소장사리조에서신라에불경이전래된사실을순서대로나열한사료를살펴보자. C-1 신라진흥왕때 ( 眞興王代 ) 인天嘉 6년을유 (565) 에陳나라사신劉思는明觀스님과함께불경의經論 1700 여권을가지고왔다. C-2 정관 17년 (643) 에는자장법사가三藏 4백여권을싣고와서통도사에안치했다. C-3 흥덕왕때 ( 興德王代 ) 인太和원년정미 (827) 에는유학승인고구려스님丘德이불경몇함을가지고왔으므로, 흥덕왕은여러절의스님과함께흥륜사앞길에서그를맞이했다. C-4 그리고大中 5년 (851 년, 문성왕 13년 ) 에견당사원홍이불경몇축을가지고왔다. C-5 신라말에보요선사 ( 羅末普耀禪師 ) 가두번이나오월국에가서대장경을가지고오니그가해룡왕사의개산조이다 (ꡔ삼국유사ꡕ 권3, 전후소장사리 ). 신라에불경을가져온시기를순서대로진흥왕대 (C-1), 정관 17년 (C-2), 흥덕왕대 (C-3), 대중 5년 (C-4) 으로나열하다가, 보요선사가오월에서대장경을가져왔을때를 羅末 (C-5) 이라고했다. 오월은錢鏐가후량으로 13) 사료 B 는당시를신라말로인식한것이아니라헌강왕대이후에신라가쇠퇴해질것을예언한것이다. B-1 은도읍이 장차 파괴되고 ( 都邑將破 ), 나라가 장차 망할것 ( 國將亡 ) 이라고하였고, B-2 에서는위망의 조짐 ( 危亡之兆 ) 이있다고하였다. 14) ꡔ 삼국사기 ꡕ 권 11, 헌강왕 6 년 9 월. ꡔ 삼국유사 ꡕ 권 1, 우사절유택. 15) ꡔ 삼국유사 ꡕ 권 1, 진한. 16) 이에대해서는권영오, 신라하대중기 (839~888) 왕위계승과정국의안정 ꡔ 지역과역사 ꡕ 24, 2009 ; 신라하대와신라말 ꡔ 역사와경계 ꡕ 90, 2014 참고.

123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23 부터吳越王에봉해진 907년부터 978년까지존재했다. ꡔ삼국유사ꡕ 에서신라말이라는시대인식은 851년 (C-4) 이후에야보이는것이다. 좀더시기를좁혀보면예종 17년 (1122년) 작성된朴景仁묘지명과의종 12년 (1158년) 작성된朴景山묘지명 17) 에서신라사회에대한고려인들의시대인식의변화를엿볼수있다. D-1 公의이름은景仁이고성은박씨이며자는今裕이다. 선조는北京都尉朴赤烏인데신라때竹州에들어와察山侯가되었고, 18) 또한平州에들어가十谷城등 13성을설치하고궁예에게귀부하였다. 그뒤자손이번창하여우리태조가통합한때부터지금에이르기까지후손이끊이지않고있다 ( 韓卽由, 朴景仁墓誌銘 ). 19) D-2 박씨의선조는계림사람으로, 대개신라시조혁거세의후예이다. 신라말 ( 新羅之季 ) 에그후손인察山侯積古의아들直㣧大毛達이平州로이주하여관내八心戶의邑長이되었다 ( 申膺龍, 朴景山墓誌銘 ). 20) 위묘지명에의하면북경도위박적오가죽주에들어가察山侯가된것은신라때 ( 自新羅入竹州 ) 라고하였고 (D-1), 察山侯積古 ( 朴赤烏 ) 의아들直㣧大毛達이平州로이주하여관내八心戶의邑長이된것은신라말 ( 新羅之季 ) 라고하였다 (D-2). 21) 이에의하면朴赤烏 (= 積古 ) 때는신라라고 17) 박경인ㆍ박경산의세계는朴赤烏 ( 積古 ) - 直㣧 ( 直胤 ) - 遲胤 - 守卿 - 承位 - 琮 ( 扑琮 ) - 忠厚 - 寅亮 - 景仁ㆍ景山으로이어진다 ( 묘지명및 ꡔ 고려사 ꡕ 권 95 열전박인량附박경인ㆍ박경백ㆍ박경산전참고 ). 18) 정청주는 自新羅入竹州爲察山侯 를 경주 ( 신라 ) 에서죽주로들어가서찰산후가되었다 라고하였지만 (ꡔ 신라말고려초호족연구 ꡕ, 일조각, 1996, 39 쪽 ), D-1 처럼해석하는것이설득력이있다 ( 김용선, ꡔ 역주고려묘지명집성 ꡕ 상, 한림대학교출판부, 2006, 70~71 쪽 ). 19) 김용선, 위의책, 70~71 쪽. 20) 김용선, 위의책, 253 쪽. 21) 박경인묘지명에는그의선조赤烏가평주에들어가십곡성등 13 성을설치한것으로전하나, 박경산묘지명에는평주에들어간사람이積古 ( 赤烏 ) 의아들直胤이라하였다. 박경산묘지명 (D-2) 의것이옳은것으로보고있다 ( 정청주, 앞의책, 1996, 41 쪽. 전덕재, 태봉의지방제도에관한고찰 ꡔ 신라문화 ꡕ 27, 2006, 160 쪽 ).

124 124 지역과역사 37 호 하는시대인식이그아들박직윤에이르러신라말이라고변화하고있다. 朴直胤 ( 朴直㣧 ) 이경덕왕 7년 (748 년 ) 에서헌덕왕 18년 (826 년 ) 사이에평주로이거하였다고보고, 그곳에서박직윤은군현의설치에참여하여平州管內八心戶의읍장이되었다고한연구도있다. 22) 그러나박직윤이신라북방수비의중심인패강진의본영이설치된것으로추정되는평주 23) 에서대모달이라는고구려관직을자칭할수있으려면신라정부의지배권에서벗어나독립적인세력으로성장했을때가능할것이다. 박직윤의손자박수경이 943년에 67세로생을마감한왕건에비해 21년이나더생존해있었다고지적하고, 박수경의나이로따져볼때할아버지박직윤이 889년이후의어느시점에평주에서대모달이라고지칭했을것으로본연구도있다. 24) 필자도왕건의생몰연대 (877~943) 와박수경의것 (? ~964) 을비교해볼때, 박수경의祖박직윤은왕건의아버지용건 ( 왕륭 ) 과비슷한연배일것으로생각한다. 송악군사찬으로있던용건이자신의군을들어궁예에게항복한것은왕건의나이 20살인 896년이었으며, 25) 평주관내八心戶의읍장인박직윤이궁예에귀부한것도이시기전후로추정된다. 26) 사료 D에의하면박적오가죽주에들어가찰산후가된때는신라시기이며, 그아들박직윤이대모달을자칭하고평주로이주하여관내팔심호의읍장이된시기를신라말이라고하였다. 그사이에신라말이라고시대전환을인식할만한사건이있었으며, 그것은진성여왕 3년 (889 년 ) 농민봉기이후의정치적변동이아니었을까한다. 이를구체적으로보여주는사료로다음기록을들수있다. 22) 정청주, 위의책, 45 쪽. 23) 이기동, 신라하대의패강진 ꡔ 신라골품제사회와화랑도 ꡕ, 일조각, 1984, 217 쪽. 24) 김명진, 고려태조왕건의통일전쟁연구,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9, 16~17 쪽. 25) ꡔ 고려사 ꡕ 권 1, 세가태조 1 머리말. 26) 신호철, 후삼국시대호족연합정치 ꡔ 한국사상의정치형태 ꡕ, 일조각, 1993, 175 쪽. 조인성, ꡔ 태봉의궁예정권 ꡕ, 푸른역사, 2007, 79 쪽.

125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25 E-1 淸泰을미년 (935 년, 경순왕 9년, 고려태조 18년 ) 우리태조는흉악한무리를제어해야할운이있었고, 난을평정해야할때였다. ( 태조는 ) 훌륭한장수에게명하여전군사를주고, 백제의하룻강아지같은굴과올빼미같은새집을가리키며六韜의기이한꾀와특이한전략을펼치도록하였다. 북을치니산하에번개가진동하듯하였고, 깃발을날려풀과나무가안개처럼사라지게하였다. 우리들은매가하늘을날듯이용맹스럽고, 그들은모두생선썩은듯부패하였다. 은나라주왕을목야에서쫓아내고, 초나라항우를오강에서패배시키듯이바닷물을말려고래를잡고, 숲을기울여외뿔난들소를베었다. 4 紀동안혼란스럽고어둡더니, 하루아침에소탕되어남은것이없었다 ( 李夢游, 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 ). 27) E-2 제자 ( 왕건 ) 가스님의인자한얼굴을대하고평소품은바생각을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날나라의원수가점차어지럽히고이웃한적이번갈아침략하니, 楚漢이서로버티고있는것과같아자웅의겨룸이끝나지않은것이 3 紀가되었습니다. 항상두흉악한무리가있어비록好生之心이간절하나점차로서로죽임이깊어가고있습니다 ( 최언위,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 ). 28) E-3 당소종경복원년은신라진성왕재위 6년인데, 이때총애받는신하들이왕의곁에있어국정을농간하니기강이문란하고해이해졌다. 기근이더하여백성들이流移하고도적들이벌떼처럼일어났다. 이에 ( 견훤은 ) 은근히분수에넘치는생각품고무리를모아서울서남쪽주현들을진격하니, 가는곳마다호응하여무리가한달사이에 5천인에이르렀다. 드디어무진주를습격하여스스로왕이되었으나, 그래도감히공공연히왕이라일컫지는못하고自署하여新羅西面都統行全州刺史兼御史中丞上柱國漢南郡開國公이라했으니, 龍化 ( 紀?) 원년己酉였다. 혹은景福원년壬子라고도한다 (ꡔ삼국유사ꡕ 권2, 후백제견훤 ).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에서는 935년당시를 4 紀 (48년 ) 동안혼란스럽고어두웠다 ( 四紀而塵氛有暗 ) 라고하였는데 (E-1), 이는진성여왕 3 년 (889년) 의농민봉기를혼란의시작으로본것이라할수있다. 937 년해주의광조사에세워진진철대사비에는왕건이당시를 초한이서로버티고 27) 이인재,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353~ 354 쪽. 28) 심재석,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27 쪽.

126 126 지역과역사 37 호 있는것과같아자웅의겨룸이끝나지않은것이 3 紀 (36년 ) 가되었습니다 라고한표현이있다 (E-2). 이사료는진철대사가개경의舍那內院에머물때태조왕건과나눈대화인데, 930년쯤의일로생각된다. 29) 후삼국의분열과대립상을표현해 楚漢相持雄雌未決 이라하여진의멸망후중국천하가유방과항우를각각중심으로해서각축하고있던상황과같다고하였는데, 30) 농민봉기직후를후삼국시대로인식한것이다. E-3 의龍化는龍紀의오기로보아견훤이용기원년기유 (889년 ) 에신라서면도통운운으로자서했다고보는견해도있다. 31) 견훤이 889년에신라서면도통운운한사실여부를떠나진성여왕 3년을후삼국시대의시작으로인식하고있었음을알수있다. 후술하겠지만고려인들은후삼국과신라말을동일한시기로인식하였다. 고려인들이언급한신라말의사회상황을살펴보자. F-1 신라가쇠약해진말기에정치가잘못되고백성들이흩어져왕기밖의주현들이반란세력에따라붙은자가거의반에이르고, 먼곳과가까운곳에서뭇도적이벌떼처럼일어나그아래백성이개미처럼모여드는것을보고선종은이런혼란기를타서무리를모으면자신의뜻을이룰수있겠다고생각하여진성왕즉위 5년, 대순 2년신해 (891 년 ) 에죽주의도적괴수기훤에게의탁하였다 (ꡔ삼국사기ꡕ 권50, 열전궁예 ). F-2 신라는운수가다하고 ( 新羅數窮 ) 도를잃어하늘이돕는바가없고백성이돌아갈바가없었다. 이에뭇도적이틈을타서일어나기를마치고슴 29) 이어지는기록에, 그후대사가서울에머물면서부터해가바뀔때마다매양산천에눈을돌려모습을마칠땅을가리고자하였다. 안개속에숨고자하는뜻을임금에게간절히말하니, 임금은道人의마음을막을수없어속으로는살아서의이별을근심하였지만, 한참생각하다가오랜만에떠날것을허락하였다. 그러므로長興 3 년 (932 년, 태조 15 년 ) 에교를내리어개경서북쪽해주의남쪽영봉을선택하여정사를짓고, 절이름을廣照寺라하여거주하기를청하였다 ( 심재석, 위의글, 쪽 ) 라고하였으므로, 932 년이전인 930 년을전후한시기로추정된다. 30) 노태돈, 삼한에대한인식의변천 ꡔ 한국사연구 ꡕ 38, 1982, 142 쪽. 31) 신호철, ꡔ 후백제견훤정권연구 ꡕ, 일조각, 1993, 쪽. 배재훈, 입당유학생최승우와후백제견훤정권 ꡔ 신라사학보 ꡕ 26, 2012, 271 쪽.

127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27 도치털과같았다. 그중에심한자가궁예와견훤두사람이었다 비록항우와이밀의뛰어난재주를가지고도한나라와당나라의일어남을대적할수없었는데하물며궁예와견훤같은흉악한사람이어찌우리태조와서로겨룰수있겠는가? 단지백성들을몰아다주는일을한사람들이었다 (ꡔ삼국사기ꡕ 권50, 견훤열전의사론 ). F-3 9주가관할하는군현은무려 450 개소였으니, 신라지리의범위가이렇듯극하였다. 그러나衰하게되어서는 ( 及其衰也 ) 정사가거칠고백성들이흩어지니강토가날로줄어들었으며, 末王김부가나라를들어우리태조에게귀의하니, 그나라로경주를삼았다 (ꡔ삼국사기ꡕ 권34, 지리1 신라 ). F-4 또서로전해이른다. 옛날시주에게두딸이있었는데, 天女ㆍ龍女라했다. 부모는두딸을위해절을세우고그것으로인하여天龍寺라이름했다. 境地가이상하며, 불도를돕는도량이었는데신라말에파괴된지오래되었다 ( 羅季殘破久矣 )(ꡔ삼국유사ꡕ 권3, 천룡사 ). F-5 지난날신라의정치가쇠퇴하여여러도적들이다투어일어나고 ( 新羅政衰群盜兢起 ) 백성들은유리분산하여그들의백골이거친들판에널렸었다. 前主 ( 궁예 ) 가온갖분쟁을평정하고국가기초를닦았으나말년에와서는무고한백성들에게해독을미쳤으며사직이전복되었다. 내가그위급한뒤끝을이어새나라를창건하였는데도탄속에서신음하여온백성들에게고된노역을시키는것이어찌나의본의이겠는가 (ꡔ고려사ꡕ 권2, 태조 17년 5월 ). 궁예가기훤에게의탁한大順 2년신해년 (891년) 을신라가쇠약한말기 ( 新羅衰季 ) 라고하고, 이때에정치가잘못되고왕기밖의주현들의반부가거의반에이르고, 도적들이벌떼처럼일어났다고하였다 (F-1).F-2의사론에서는신라의운수가다할때에 뭇도적들이고슴도치털처럼일어났다 고하고있다. 32) F-3에의하면신라가쇠퇴하게되자 정사가거칠고백성들이흩어지니강토가날로줄어들었다 고하였다. 천룡사는중국사신악붕귀가 이절을파괴하면곧나라가망할것이다 고예언한절인데, F-4 에서는신라말 ( 羅季 ) 에천룡사가파괴되었다고하였다. 태조 17년 (934년) 32) 사료 F-2 는 ꡔ 삼국유사 ꡕ 후백제견훤조에도중복되어게재되어있다. 다만사론가운데 歐民者 를포함한마지막문장은생략되어있다 ( 이강래, ꡔ 삼국사기인식론 ꡕ, 일지사, 2011, 223 쪽 ).

128 128 지역과역사 37 호 5월에왕건이예산진에가서내린조서에서는신라의정치가쇠퇴하자 ( 新羅政衰 ) 여러도적들이다투어일어나고백성들은유리분산하여그들의백골이거친들판에널렸었다 고하였다 (F-5). 최치원이활동한시기를표현한기록을살펴보자. G-1 신라의왕칭에는거서간이하나, 차차웅이하나, 니사금이열여섯, 마립간이넷의용례가있다. 신라말의유명한유학자최치원 ( 羅末名儒崔致遠 ) 이지은 ꡔ제왕년대력ꡕ 에는모두 某王 이라하고거서간등은말하지않았으니, 이는그말이비야하여족히일컬을만하지못하다고여겼던때문은아닐까?(ꡔ삼국사기ꡕ 권4, 지증마립간즉위년조의사론 ). 33) G-2 ( 최 ) 치원이서쪽으로유학하여소득이많았고, 돌아와서자기의뜻을실현하려고하였으나쇠퇴하는말기여서의심과시기를많이받아 ( 衰季多疑忌 ) 용납되지못하고, 나가대산군태수가되었다 ( 최 ) 치원이서쪽에서大唐을섬길때부터동으로고국에돌아와서까지모두난세를만나 ( 皆遭亂世 ) 행세하기가자못곤란하고걸핏하면비난을받으니, 스스로불우함을한탄하고다시벼슬에나갈뜻이없었다 (ꡔ삼국사기ꡕ 권46, 열전최치원 ). G-3 처음에우리태조가흥기할때치원은비상한인물이반드시천명을받아개국할것을알고, 인하여글월을보내어 鷄林黃葉鵠嶺靑松 이라는글귀가있었다. 뒤에그의문인들로국초에내조하여높은벼슬에이른사람이하나둘이아니었다 (ꡔ삼국사기ꡕ 권46, 열전최치원 ). G-4 우리태조가일어났을때신라최치원은천명을받았음을알고글을올렸는데 鷄林黃葉鵠嶺靑松 이란말이있었다. 신라왕이이를듣고미워하니, 그는가족을이끌고가야산해인사로들어가은거하며세상을마쳤다라고하였다 ( 최자, ꡔ보한집ꡕ 권상, 성종 15년 8월 ). 34) 사료 G-1에의하면최치원을신라말의명유 ( 羅末名儒 ) 라고하였다. ꡔ삼국사기ꡕ 최치원열전에는최치원이활동했던시기를 衰季 라고하거나 33) 이기사는 ꡔ 삼국유사 ꡕ 권 1, 제이남해왕조에도 史論曰 이라고하여그대로인용되어있다. 34) 최자는三都賦 (ꡔ 동문선 ꡕ 권 2, 賦 ) 에서도 앞서崔孤雲이란자가일찍이말하기를, 聖人의기운이산북쪽에서려있으니, 鷄林黃葉鵠嶺靑松 라고, 자줏빛구름이일기전에흥망을미리예언했네 라고읊었다.

129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29 난세 라고하였다 (G-2). 최치원이 鷄林黃葉鵠嶺靑松 라고하여고려에密贊祖業했다는글은대체로부정되고있다. 35) 이글은최치원당대의것이기보다는고려인들이최치원당대를黃葉, 곧신라말로인식했다고해석하는것이타당할것이다. 36) ꡔ삼국유사ꡕ 에서는이때활동한인물들의시기를어떻게표현했을까? H-1 신라말에忠至匝干이란자가있었는데金官高城을쳐서빼앗고城主將軍이되었다 (ꡔ삼국유사ꡕ 권2, 가락국기 ). H-2 병신년정월에견훤이그아들에게말하기를, 老夫 ( 견훤 ) 가신라말에후백제를세워 ( 新羅之季立後百濟名 ) 지금여러해가되었다. 군사는北軍보다배나되면서오히려이기지못하니, 아마하늘이고려에게손을빌리는것같다. 어찌北王 ( 고려왕 ) 에게귀순하여생명을보전하지않을수있겠는가? 하였다 (ꡔ삼국유사ꡕ 권2, 후백제견훤 ). H-3 신라말 ( 羅季 ) 天成중에正甫최은함이오랫동안자식이없었으므로이절 ( 중생사 ) 를찾아관세음보살앞에와서기도했더니태기가있어아들을낳았다. 석달도차지못하여백제의견훤이서울을습격하여성안이크게혼란하게되었다 (ꡔ삼국유사ꡕ 권3, 삼소관음중생사 ). H-1에서말한충지잡간은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에나오는 金海府蘇公忠子知府, 즉김해지방에토착하던호족蘇忠子로서, 효공왕 10년 (906년 ) 전후에호족으로등장하여효공왕 15년 (911년 ) 이전에물러났는데, 37) 이때를신라말 ( 新羅季末 ) 로표현하고있다. ꡔ삼국유사ꡕ 후백제 35) 최경숙, 최치원연구 ꡔ 부산사학 ꡕ 5, 1981, 38 쪽. 최영성, ꡔ 최치원의사상연구 ꡕ, 아세아문화사, 1990, 16~18 쪽. 김주성, 신라말ㆍ고려초의지방지식인 ꡔ 호남문화연구 ꡕ 19, 1990, 70 쪽. 이재운, 최치원의생애연구 ꡔ 전주사학 ꡕ 3, 1995, 32~37 쪽. 김창겸, 고운최치원에대한후대인의평가 ꡔ 신라최고의사상가최치원탐구 ꡕ, 주류성, 이현숙, 나말여초최치원과최언위 ꡔ 퇴계학과한국문화 ꡕ 35, 2004, 211 쪽. 36) 이기백은최치원은중앙정부에서뜻을펴지못하면사직을하고은둔생활을할지언정호족과결탁하여독립된정부를세우는데관심이없는인물이었다고하였다 ( 신라골품제하의유교적정치이념 ꡔ 신라사상사연구 ꡕ, 일조각, 1986, 235 쪽 ). 37) 최병헌, 신라말김해지방의호족세력과선종 ꡔ 한국사론 ꡕ 4, 서울대학교국사

130 130 지역과역사 37 호 견훤조에는견훤이후백제를세운것을신라말 ( 新羅之季 ) 이라고하였는데 (H-2), 사실여부가의심스러운점도있다. 38) H-3 에서최승로가출생한신라말 ( 羅季 ) 은후백제군의신라왕경침입이있은 927년이다. 대체로진성여왕 3년농민봉기이후부터활동한인물들의기록에는이때를신라말이란표현을쓰고있는데, 견훤을언급하면서도삼국시대라고하기보다는 H- 2에서처럼新羅之季라고한점을주목할필요가있다. 39) 고려시기간행된문집속에서신라말을찾아보자. I-1 또살펴보면, 본조의문사金寬毅가지은 ꡔ 王代宗錄 ꡕ 2권에신라말의신라대덕석충 ( 羅末新羅大德釋冲 ) 이태조에게진표율사의가사한벌과계간자 189 개를바쳤다고기록되어있으니지금동화사에전해오는간자와같은것이었는지다른것이었는지알수없다 (ꡔ삼국유사ꡕ 권4, 심지계조 ). I-2 師는北岳의법통이다. 옛날신라말에 ( 昔新羅之季 ) 가야산해인사에華嚴司宗이두분계셨다. 한분은觀惠公으로백제거괴견훤의복전이되었고, 또한분은希朗公으로우리태조대왕의복전이되었다 ( 赫連挺撰, ꡔ 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均如傳 ꡕ 권4, 立義定宗分者 ). 40) I-3 왕명을어기면정벌하는것은본래司馬의九伐法이며, 所在의군대를주관하는것은太一의十眞의위엄입니다. 옛날신라가쇠퇴해갈무렵 ( 昔新 학과, 1978, 405~408 쪽. 38) 이강래는견훤의발언가운데 新羅之季 라한것은, 935 년에경순왕이고려에투신한것을고려할때이미신라의왕조실제가종결된이후시점에서있음직한표현방식인지라, 이점에서도후대의윤색이간취된다고보았다 ( 앞의책, 2011, 230 쪽 ). 신검이견훤을금산사에가두고내린교서에는견훤이쇠퇴하여진말기 ( 衰季 ) 에태어나백제의옛나라를부흥하였다 (ꡔ 삼국사기 ꡕ 권 50, 열전견훤 ) 라고하였는데, 이것이당대의시대인식이었을것이다. 39) 김태식은일연의고려초기에대한역사인식을고찰하면서태조의고려개국에대한인식에대하여볼때일연은전대인신라의정통이고려에의하여포용되었다는점과태조가불법을옹호하여건국및후삼국통일에도움이되었다는점을지적하고있다고하였다 ( 삼국유사에나타난일연의고려시대인식 ꡔ 울산사학 ꡕ 1, 1987, 26 쪽 ). 40) 동국대학교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ꡔ 한국불교전서 ꡕ 4,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512 쪽.

131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31 羅之向衰 ) 백제의횡포에곤욕을받았는데, 바야흐로甄氏의銳卒에게포위되었을때에태조의구원병이아니었더라면거의살아남은백성이없었을것입니다 ( 이규보, 太一醮禮文 ꡔ동국이상국집ꡕ 권38). ꡔ삼국유사ꡕ 에인용된김관의의 ꡔ왕대종록 ꡕ에는왕건에게진표율사의가사한벌과계간자 189개를바친석충을 ( 후 ) 삼국시대의신라대덕이라고하지않고신라말의신라대덕 ( 羅末新羅大德 ) 이라고하였다 (I-1). 41) ꡔ균여전ꡕ에의하면百濟渠魁甄萱과 ( 고려의 ) 我太祖王建을언급하면서도관혜와희랑이해인사에주석한시기를삼국시대라하지않고新羅之季라고하였다 (I-2). 최충헌의집권기인고려신종때경주에서신라부흥운동이일어났다. 이때이규보는이를진압하는征東軍으로참가하면서 I-3과같은초례문을지었다. 42) 이규보는신라가후백제의침입을받은시기를신라가쇠퇴해갈때 ( 新羅之向衰 ) 라고하였다. 고려시기금석문에서신라말을언급한것은다음과같다. J-1 지금이절에는옛선사의法碣이있다. 신라말 ( 新羅末 ) 에前進士최치원이라는자가글을썼다. 그돌역시南海로부터왔다 ( 이몽유,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 43) J-2 효공대왕이멀리곡성을향하여편지를띄워지혜의눈을열어국가의사직을도와주기를원하였다. 이때는신라의운세가기울어병화가자주일어났다. 궁예가기강을어지럽히며견훤이이름을도적질하였다. 천명이돌아가는곳이있어나라의기반을새로이이루어야했으나, 봉홧불이흔들리어오고가는것이寺門에게는혹독한괴로움이어서끝내왕에게도움이되지못하였다 ( 손소, 대안사광자대사비 ). 44) 41) 조인성은이를신라말기의대덕석충으로번역하기보다, 석충을후삼국시대신라의승려였다고해석하였다 ( 미륵신앙과신라사회 ꡔ 진단학보 ꡕ 82, 1996, 45 쪽 ). 42) 이때이규보가지은여러제문에대해서는이정신, 고려시대경주민의항쟁과제사 ꡔ 신라문화 ꡕ 32, 2008 참고. 43) 이인재,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368 쪽. 44) 김혜원, 대안사광자대사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255~256 쪽.

132 132 지역과역사 37 호 건덕 3년 (965 년, 고려광종 16년 ) 에건립된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에는봉암사에신라말 ( 新羅末 ) 에前進士최치원이쓴옛선사의법갈이있다고하였다 (J-1). 이에말한선사의법갈은최치원이찬한지증대사비로진성여왕 7년 (893 년 ) 무렵찬술되고, 경애왕원년 (924 년 ) 에건립된것으로추정되는데, 45) 이때를신라말이라하였다. 고려광종 1년 (950 년 ) 에세워진 대안사광자대사비 에서는효공왕당시를 신라의운세가기울어병화가자주일어났다 ( 于時羅運傾否兵火頻起 ) 고하였다 (J-2). 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고려인들이신라말로언급한것은대부분진성여왕 3년농민봉기이후의신라사회였다. 그리고고려인들은이때를단순한정치적혼란이아니라신라말, 곧신라사회체제의붕괴로인식하였다. Ⅱ. 신라말과후삼국과의관계 한편으로는당대를 ( 후 ) 삼국으로표현한시대인식도있었다. 해동에국가가있는지는오래였다. 기자가주왕실에서책봉을받음으로부터한나라초위만이칭왕할때까지연대는구원하나문헌이소략하여상고할수는없다. 삼국이정치함에이르러세상에전함이더욱많아지니 ( 至於三國鼎峙則傳世尤多 ) 신라는 56왕 992 년이고, 고구려는 28왕 705 년, 백제는 31왕 678 년이다. 그시종을가히상고할수있으므로삼국의연표를만들었다 (ꡔ삼국사기 ꡕ 권29, 연표상 ). 위사료에보이는것처럼 ꡔ삼국사기ꡕ 에서언급한삼국의하한은신라의 56대경순왕대까지이다. 46) 그리고 ꡔ삼국사기ꡕ 연표는대순 2년신해 (891 년 ) 에 弓裔始起投賊, 경복원년임자 (892년) 에는 後百濟甄萱自稱王 을 45) 남동신, 봉암사지증대사비 ꡔ 역주한국고대금석문 ꡕ 3,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74 쪽. 46) ꡔ 삼국사기 ꡕ 신라본기는고려경종 3 년 (978 년 ) 경순왕의죽음까지기록하였다.

133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33 고구려와백제칸에다시기입하여, 청태 3년병신 (936년) 견훤 45년 甄萱出奔錦城投太祖 까지기록하였다. 47) ꡔ삼국유사ꡕ 왕력에서도대순경술년 (890년) 에後高麗弓裔, 경복임자년 (892년) 에後百濟甄萱의기록이麗ㆍ濟의칸에나타나기시작하여, 병신년에삼국을통일했다 ( 丙申統三 ) 는기록으로마무리하고있다. 48) ꡔ삼국사기 ꡕ 연표와 ꡔ삼국유사ꡕ 왕력에서는 890 년또는 891년부터 936년까지신라ㆍ고구려ㆍ백제가모두기록되는삼국시대였다. 49) 성종원년 (982년) 최승로가성종에게올린시무책 28조의첫부분에는 우리나라가삼국을통일한이래 47년이되었습니다 ( 我國家統三以來四十七年 ) 50) 라는시대인식이나온다. 統三이라는표현에서알수있듯이앞시기를삼국시대로인식한것이다. 이러한인식은아래사료에서도볼수있다. K-1 신라이래로이 ( 청도 ) 군의절로서작갑사와그이하중소사원이삼한의난리통 ( 三韓亂亡間 ) 에대작갑사ㆍ소작갑사ㆍ소보갑사ㆍ천문갑사ㆍ가서갑사등다섯갑사가모두없어져서, 다섯갑사의기둥만대작갑사에모아두었다. 祖師知識 ( 보양 ) 이중국에서불법을전해받고돌아오다가, 서해중간에이르러용이그를용궁으로맞아들여불경을염송하게하고, 금라가사한벌을베풀어주며, 또아들璃木을시켜조사를모시고돌아가게하고는부탁했다. 지금삼국이요란하여 ( 三國擾動 ) 아직은불법에귀의하는임금이없지만, 만약내아들과함께본국으로돌아가서작갑에다가절을짓고있으면적을피할수있을것이며, 또한몇년안에반드시불법을보호하는어진임금이나와서삼국을평정 ( 出定三國 ) 할것입니다 라고하였다 (ꡔ삼국유사ꡕ 권4, 보양이목 ). K-2 태조는즉위한후아직김부가와서복종치않고견훤역시붙들지못하였 47) ꡔ 삼국사기 ꡕ 권 31, 연표하. 48) ꡔ 삼국유사 ꡕ 왕력. 49) 이강래는 ꡔ 삼국사기 ꡕ 의 삼국 은전후의삼국을모두포괄하지만후백제와후고 ( 구 ) 려의역사가본기가아닌궁예와견훤의열전에수록되었음을지적하였다 ( ꡔ 삼국사기 ꡕ 의삼국인식 ꡔ 한국사학보 ꡕ 41, 2010, 47~48 쪽 ). 50) ꡔ 고려사 ꡕ 권 93, 열전최승로.

134 134 지역과역사 37 호 으나자주西都 ( 평양 ) 에나아가친히북변을순행하였다. 그뜻또한東明의옛땅으로써吾家의靑氈을삼아반드시휩쓸어차지하려한것이니어찌계림을취하고鴨綠을빼앗는데만그치겠는가 (ꡔ고려사절요ꡕ 권1, 태조 26년이제현의사찬 ). K-3 ( 신우 ) 14년 (1388) 8월에憲司가상소하기를, 여러섬에서나오는어염의이익과축목의번성, 해산의풍요로움은국가에서없어서는안될것입니다. 우리神聖 ( 태조 ) 께서아직신라와백제를평정하지못하였을때 ( 我神聖之未定新羅百濟也 ) 먼저水軍을다스려친히누선을타고금성에내려가그곳을점령하니여러섬의이익이모두국가의자원으로속하게되었고, 그재력으로마침내삼한을하나로 ( 一三韓 ) 하였습니다 (ꡔ고려사ꡕ 권82, 지36 병2 둔전신우 14년 8월 ). K-4 삼가듣건대, 예악은필히백년이되어야일어나고, 제왕은만세에응해일어납니다. 오직우리태조께옵서하늘의신령스런운을받자와삼국의말기에나셔서 ( 生當三國之季時 ), 一王의大統을이루시고자아래로는인망을따르시고위로는천심에순응하시어, 한고조처럼의기를드시고운명과흥망을걸고시름을하옵시고, 순임금처럼문덕을퍼시어干舞와羽舞를두섬돌에서춤추게하시었습니다 ( 林宗庇, 燈夕致語 ꡔ동문선ꡕ 권 104, 치어 ). 보양이중국에서귀국할때서해용은護法賢君이나와서삼국을평정할것 ( 出定三國 ) 이라고하여 (K-1) 당시를삼국시대라고하였다. K-2 에서이제현은태조가즉위할당시가 ( 신라의 ) 김부와 ( 후백제의 ) 견훤이재위하고있는삼국시대임을말하고있다. 고려말憲司의상소에서도왕건의활동시기를신라, 백제를평정하지못한 ( 未定新羅百濟 ) 시기라고하였다 (K-3). 의종대 (1146~1170년 ) 에활동했던임종비 51) 가쓴 등석치어 에는왕건이삼국의말기에태어났다 ( 生當三國之季時 ) 라고하였다 (K-4). 후삼국시대에는삼한을각각삼국과대응시켜분립적으로의식하였던면과삼한이我邦이라는인식이함께보여지고있었다. 52) 이것은사료 K-1 51) 임종비의개인행장은전하지않으나, 무신란때가족이모두몰사하고유일하게살아남았다고하는그의조카임춘의기록으로미루어의종대활약한인물로추측한다 ( 안지원, ꡔ 고려의불교의례와문화 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개정판 ), 83 쪽 ).

135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35 에서같은시기를 삼한의난리통 ( 三韓亂亡間 ) 과 삼국이요란한 ( 三國擾動 ) 시기 로달리표현한것에서도알수있다. 묘지명에서도이시기를 平定三韓 (L-2) 라고하거나, 統合三國 (L-4) 이라고하기도하였다. L-1 우리나라는삼한이서로맞버티어피차간에진위를모르다가일국이웅비하여홀연히전쟁의우열이가려졌다 ( 태조 ( 왕건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 53) L-2 ( 朴翛의 ) 玄祖는공신인삼중대광守卿으로, 태조가삼한을평정할때 ( 當大祖平定三韓 ) 몸소화살과돌을무릅쓰고공을이루어종묘에배향되고, 평주를식읍으로받아마침내고향으로삼으니, 후손들도본향으로삼았다 ( 僧靈偉, 박소묘지명 ). 54) L-3 나도역시일개의로운평민으로서그릇되게여러사람들의추대를받았다. 더위와추위를무릅쓰고 19년동안노심초사한끝에 3한을통일 ( 統一三韓 ) 하여외람스럽게왕위에있은지가 25년이나되었고몸도벌써늙었다 (ꡔ고려사ꡕ 권2, 태조26년 4월 ). L-4 처음공신仁允이태조를섬겨삼국을통합하는데공로가있었으므로 ( 統合三國有功 ) 태조를따라서울로올라와가문을일구었다. 김씨집안이대대로벼슬하여현달하였으니, 김씨성이이로부터비롯하였으며지금에이르러서도貴姓으로불린다 ( 金之祐묘지명 ). 55) L-5 옛날신라선사두운 ( 昔新羅禪師杜雲 ) 이梵日國師와함께배를타고당에들어가법을전해받고돌아와, 이에이곳을점지하여나무를베어내비로소草庵을짓고정근한지오래되었다. 우리태조가義旗를들고삼국을아우를뜻을가지고병사를일으켜정벌하려할때 ( 我太祖擧義旗有幷呑三國志興兵吊伐 ), 산아래에이르러師의명성을듣고골짜기로찾아가암자앞에수레를세우고예를올리며밀약을하였다. ( 李知命, 重修龍門寺記 ). 56) 흥법사진공대사탑비 는진공충담의입적 (940 년, 태조 23 년 ) 직후세 52) 노태돈, 앞의글, 1982, 142 쪽. 53) 안영근,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123 쪽. 54) 김용선, ꡔ 역주고려묘지명집성 ꡕ 상, 한림대학교출판부, 2006( 개정판 ), 236 쪽. 55) 김용선, 위의책, 190 쪽. 56) 중수용문사기 에대해서는서성희ㆍ권영오, 중수용문사기에나타난예천용문사의사격변화 ꡔ 지역과역사 ꡕ 22, 2008 참고.

136 136 지역과역사 37 호 운것으로태조가직접비문을쓴것이다. 이비의음기에는 L-1에서처럼, 당시는세나라가각축전에서어느나라가승리할지승패가정해지지않은시기 ( 我國家三韓角立未知彼此之眞僞 ) 라고하였다. 왕건은삼한을통일하였다는말을많이썼는데 (L-3) 이는원삼한이아니라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삼국을지칭한용어로사용되었다. 57) 금석문에서도삼국으로표현한것이보인다. 김인윤은태조의삼국통합에공이있어서울로올라왔다고하였고 (L-4), 1185년 ( 명종15년 ) 에세워진 중수용문사기 에는태조가삼국을병합할뜻을가지고있다고하였다 (L-5). 이상의사례들을살펴보면이시기태조왕건의후삼국통일전쟁과관련이있을때는삼국시대라고하였고, 그외다른인물들을언급할때는대체로신라말이라고하였음을알수있다 (2장의사료 G, H, I 참고 ). 전쟁중이라도태조와직접관련이없을때에는신라말 ( 羅季, 1장사료 F-4) 이라고하였다. 그런데중국은 907년당이망하고이른바 5대 10국과거란의요등의분열시기가전개되었지만, 우리의경우는신라가존속하면서고려ㆍ후백제와통일전쟁을벌이는삼국시대였다. 곧중국은당말과 5대 10국의시기가구분되지만, 우리의후삼국에는신라가존재하였다. 때문에고려에서는이시기가신라말또는 ( 후 ) 삼국으로혼용된시대인식이나타난다. 58) M-1 신라말에서부터우리나라건국초기에이르는기간에 ( 自新羅之季至我國初 ) 서북국경지방백성들은매양여진의기병들이왕래하면서침탈하는피해를당하였으므로태조는자신의마음으로용단을내리시고한명의유능한장군을파견하여지키니군대를조금도움직이지않고도오히려미개인들로하여금귀순하게하였으며이때로부터국경밖이고요해지고변경에근심이없어졌습니다 (ꡔ고려사ꡕ 권93, 열전최승로 ). M-2 신라말 ( 新羅之末 ) 에토지는고르지못하고부세는중하여도적들이떼지어일어났습니다 이때를당하여삼국이정립하여군웅이서로자웅 57) 정구복, 고려초기의 삼국사 편찬에대한일고 ꡔ 국사관논총 ꡕ 45, 1993, 185 쪽. 58) 권영오, 신라하대와신라말 ꡔ 역사와경계 ꡕ 90, 2014, 68 쪽.

137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37 을다투므로 ( 三國鼎峙群雄角逐 ) 재정이한창긴박한형편임에도불구하고우리태조는군사상문제는뒤로미루고백성들을구제하는것을선차적으로하였으니, 이는곧천지가만물을생장육성하는마음이요, 또요ㆍ순ㆍ문ㆍ무왕과같은聖王이한좋은정치와같은것입니다. 삼한이통일되고난뒤에는즉시로토지제도를정하여관리와백성들에게나누어주었고 (ꡔ고려사ꡕ 권78, 식화지녹과전공양왕 3년 7월조준상서 ). 이른바나말여초는 M-1의최승로의상서문에서이미보인다. 59) 이에의하면 新羅之季 때부터서북국경지방백성들은매양여진이침탈하는피해를당했다고하였다. 태조는즉위 3년 (920 년 ) 에북계골암성일대의北狄을방어하기위해유금필을파견하였는데, 60) 최승로는이때를 國初 라고하였다. 그런데최승로가말한新羅之季와我國初는단절된시기가아니라공존하고있었다. 공양왕때조준의상서 ( 사료 M-2) 에서보듯도적이떼지어일어난新羅之末과군웅이자웅을다투는三國鼎峙는같은시기였다. 이처럼신라말과삼국시대가혼용되어사용되었지만, 태조왕건의통일전쟁을직접언급할때는삼국이라고하였고, 그외는주로신라말이라는표현을썼다. 61) 전자에는고려가고구려를계승하여삼국을통일하였다는 59) 학계에서사용하는나말여초의시기설정에서 麗初 의계선도분명한것은아니다. 김철준은나말여초시기를신라하대기부터고려경종말년 (981) 까지 202 년간으로설정한다 ( 한국고대사회의성격과나말여초의전환기 ꡔ 한국사시대구분론 ꡕ, ꡔ 한국고대사회연구 ꡕ,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재수록, 392 쪽 ). 하현강은 ( 고려 ) 국초라함은태조왕건이고려왕조를세운이후제 4 대광종에의해왕권이강화되기까지의기간을의미한다고하였다 ( 高麗國初權力構造의性格 ꡔ 史學會誌 ꡕ 16, ꡔ 한국중세사론 ꡕ, 신구문화사, 1989 재수록, 60 쪽 ). 김복순은나말여초의전환기는신라진성여왕 3 년 (889) 상주지방에서일어난농민반란을시점으로해서고려의집권체제가정비되는성종대 (981~997) 까지의 100 여년을말한다고하였다 ( 나말여초전환기와경순왕 ꡔ 한국고대사연구의현단계 ꡕ( 석문이기동교수정년기념논총 ), 주류성, 2009, 924 쪽 ). 麗初라는시기도연구자에따라광종 (949~975 년 ), 경종말년 (981 년 ), 성종대 (981~997 년 ) 까지달리사용되고있는것이다. 60) ꡔ 고려사 ꡕ 권 82, 병지 2 진수태조 3 년 3 월. ꡔ 고려사절요 ꡕ 권 1, 태조 3 년. 61) 이경우의신라는삼국의하나로서가아니라후삼국분립이전의통일왕조로서의신라이다 ( 윤경진, 후삼국의통일과역사계승의식의전환 ꡔ 내일을여는역

138 138 지역과역사 37 호 國系의식을, 62) 후자에는고려가신라의전통을계승한왕조라는인식으로연결할수있는二元的계승의식을볼수있다. 63) 고구려계승의식이드러난사료를살펴보자. 64) O-1 궁예휘하의인심이문득변하여태조를왕으로추대하고, 궁예는부하에게살해되었다. 태조가왕위에올라원년이라칭하였다 (ꡔ삼국사기 ꡕ 권31, 연표하 ). O-2 서희가말하기를 그렇지않다. 우리나라는바로고구려의후계자이다. 그러므로나라이름을고려라고부르고평양을국도로정하였다. 그리고경계를가지고말하면귀국의동경도우리국토안에들어와야한다 (ꡔ고려사ꡕ 권94, 열전서희 ). O-3 어느날태조가최응에게말하였다. 옛날에신라가 9층탑을만들고드디어통일의위업을이룩하였다. 이제개경에 7층탑을건조하고서경에 9층탑을건축하여현묘한공덕을빌어여러악당들을제거하고삼한을통일하려하니그대는나를위하여발원문을만들라 고하였다 (ꡔ고려사 ꡕ 권92, 열전최응 ). O-4 삼가살펴보니우리태조신성대왕께서왕위에오르신시기는난세에해당하였고운수는천년에합치하였습니다 ( 時當百六運協一千 ). 처음에난을평정하고흉악한무리를정벌할때, 하늘이임시로그일을맡을군주를내어그의손을빌리었고, 그뒤에도참비기의예언에따라천명을받고서왕의자리에오르니사람들이태조의덕망을알고서따르고복종하 사 ꡕ, 2000 년가을, 92 쪽 ). 62) 최근영, 고려건국이념의국계적성격 ꡔ 한국사론 ꡕ 18, 국사편찬위원회, 1988, 46~62 쪽. 63) 하현강은고려는건국에서후삼국통일까지는고구려를계승한왕조임을표방하였고, 그후무인정권성립까지는신라, 고구려의계승왕조라는二元的인역사계승의식을가졌다고하였다 ( 앞의책, 1988, 382~389 쪽 ). 신형식은고려왕실의입장에서는맥락상으로신라를이어온나라이기때문에스스로사직을넘겨준신라왕통을계승하는것은역사의필연적인과정이지, 굳이신라를고구려와떼어서계승했다는뜻은아닐것으로보았다 ( 고려전기의역사인식 ꡔ 한국사학사의연구 ꡕ, 을유문화사, 1985, 42 쪽 ). 64) 고려의고구려계승의식에대해서는김광수, 고려조의고구려계승의식과고조선인식 ꡔ 역사교육 ꡕ 43, 박한설, 고려왕실의기원 ꡔ 사총 ꡕ 21 ㆍ 22, 1977 ; 고려의고구려계승의식 ꡔ 고구려연구 ꡕ 18, 박용운, ꡔ 고려의고구려계승에대한종합적검토 ꡕ, 일지사, 2006 참고.

139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39 였습니다. 곧신라가스스로멸망하고고려가다시일어나는운 ( 金鷄自滅之期丙鹿再興之運 ) 을타서고향을떠나지않고궁궐을일으켜遼水와浿水의놀란물결을진정시켰으며, 진한의옛땅을얻어 19년만에천하를통일하였으니, 가히공은이보다높음이없으며덕은이보다더큼이없다고하겠습니다 (ꡔ고려사ꡕ 권93, 열전최승로 ). 태조가왕위에올라원년을칭하였다 ( 太祖卽位稱元 ) 라는기록이연표에서고구려칸에기록된것 (O-1) 은 ꡔ삼국사기ꡕ 의찬자가고려는고구려를계승한나라라고인식하였음을보여준다. 65) 또한 ꡔ삼국유사 ꡕ 왕력에서 태조가철원경에서즉위하였다 ( 太祖卽位于鐵原京 ) 와 병신년에삼국을통일했다 ( 丙申統三 ) 는기록이고구려의칸에기입 66) 된것도고구려를계승한고려에의해삼국이통일되었다인식한것이다. 그리고소손녕의요구에대해서희는고려가고구려의후계자라고말하고있다 (O-2). 사료 O-3에서왕건은신라의사례에따라후삼국을통일하기위해개경에 7층탑, 서경에 9층탑을세우려하면서최응에게발원문을지을것을명하였다. 서경에개경보다높은 9층탑을건립하려하였음은왕건이내면적으로고구려계승이념을갖고있었음을증명하는것으로보고있다. 67) 최승로는성종이즉위하던 982년에시무28조와함께 5조정책평을올렸는데, 태조정적평 (O-4) 에의하면태조즉위때를百六에해당한다고하였다 ( 時當百六 ). 百六이란災厄의歲또는亂世를뜻하는말이다. 68) 또한 金 65) 노명호는이승휴가 ( 제왕운기에서 ) < 고구려기 > 에이어 < 후고구려기 > 를배치하여그계승관계를나타내고, 후고려의궁예가폭정으로백성을태조에게몰아주었다고하여, 고려가고구려를계승한국가임을나타내었다고하였다 (ꡔ 고려국가와집단의식 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105 쪽 ). 66) ꡔ 삼국유사 ꡕ 왕력. 67) 김갑동, 고려의건국및후삼국통일의민족사적의미 ꡔ 한국사연구 ꡕ 143, 2008, 127 쪽. 조인성은이를태조는삼국 - 통일신라가후삼국중의고려로이어진다고생각하였던것으로해석하였다 ( 고려초ㆍ중기의역사계승의식과발해사인식 ꡔ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ꡕ 상, 일조각, 1997, 729 쪽 ). 68) 최병헌, 신라하대선종구산파의성립 ꡔ 한국사연구 ꡕ 7, 1971, 84~85 쪽. 김영미, 나말여초최언위의현실인식 ꡔ 사학연구 ꡕ 50, 1995, 160 쪽.

140 140 지역과역사 37 호 鷄自滅之期丙鹿再興之運 은대구로써金鷄는신라를말하고丙鹿은麗字의破字니고려를말한다. 신라는저절로망하고고려는다시일어난다는뜻으로, 69) 고려가고구려를계승했음을내세우고있다. 그리고신라의말기 = 金鷄自滅之期와고려의부흥기 = 丙鹿再興之運는단절되지않고동시기에존재했다. 태조나건국세력의주류가신라계승의식을가졌다는것을보여주는자료는없는반면, 고구려계승의식을가졌던것을보여주는자료는여럿이발견된다고하는주장 70) 도있지만, 고려에게신라는계승의대상인동시에극복의대상이었다. 71) P-1 太相檢校尙書前守執事侍郞左僕射兼御使大夫上柱國知元鳳省事賜紫金魚袋臣崔彦撝奉敎撰 ( 地藏禪院故國師朗圓大師悟眞之塔碑銘 ). P-2 太相檢校尙書左僕射前守兵部侍郞知翰林院事臣崔彦撝 ( 淨土寺敎諡法鏡大師慈燈之塔碑銘 ). P-3 훗날고려왕이신라정벌을꾀하다가말하였다. 신라에는세가지보물이있어침범할수없다고하는데, 무엇을말하는가? 황룡사의장륙존상이하나요, 그절의 9층탑이둘이요, 진평왕의천사옥대가셋입니다. 이에 ( 고려왕은 ) 그계획을멈추었다 (ꡔ삼국유사ꡕ 권1, 천사옥대 ). P-4 처음에신라의사신김률이왔을때왕이묻기를, 들으니신라에세가지큰보물이있다는데장육금상과 9층탑과聖帝帶라고하였다. 삼보가없어지지않으면나라도망하지않는다하니탑과상은아직남아있거니와성대가지금도아직있소? 라고하였다. 김률이대답하기를, 신은일찍이성대를들어본적이없습니다 고하였다. (ꡔ고려사ꡕ 권2, 태조20 년 5월 ). 69) 문경현, ꡔ 고려태조의후삼국통일연구 ꡕ, 형설출판사, 1987, 299~300 쪽. 70) 노명호, 앞의책, 2009, 72 쪽. 박용운은고려가적어도건국당시로서는신라를계승한면이매우박약한나라였다고이해하고있다 ( 앞의책, 2006, 73 쪽 ). 71) 조범환, 고려태조왕건의대신라정책 ꡔ 고문화 ꡕ 55, 2000, 125 쪽. 이강래는태조왕건은거의모든면에서신라의일통관념을답습하였다고보았으며 ( 앞의글, 2010, 46 쪽 ), 고려가고구려의계승국임을내세우는것은정치적인것으로, 문화적인면이나실제적으로영토나주민등의면에서대체로통일신라의계승자로보는견해도있다 ( 진단학회편, ꡔ 한국고전심포지움 1ꡕ, 일조각, 1980, 80~81 쪽의이병도발언. 조인성, 앞의논문, 1997, 737 쪽 ).

141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41 P-1 은태조 23 년 (940) 에건립된 지장선원낭원대사비문 이며, P-2 는태조 26년 (943) 에건립된 정토사법경대사비문 으로, 고려초에문병을잡은최언위가왕명으로선사들의비문을찬술하면서적은자신의관직이다. 최언위는 守執事侍郞, 守兵部侍郞 이라는신라의관직을떳떳하게밝히고, 고려의것을이어가고있다. 72) 사료 P-3,4 는후백제의침입을받고구원요청을위해고려에온신라사신김률에게왕건이신라삼보에대해물었던내용이다. 왕건은집요한추궁끝에신라 3보의하나인천사옥대도찾아내어받았다. 73) 이는신라를부정하기보다는신라왕조의상징물을왕건이전수받아신라의정통이고려에이어짐을드러낸것으로볼수있다. 이러한시대인식은후백제견훤이나고려의왕건모두신라에대해존왕의예를표하면서한편으로는자국중심의통일전쟁을벌이던때부터찾아볼수있다. 927 년후백제군의포석정습격직후신라의멸망이가시화되는때에견훤과왕건이주고받은편지 74) 에서도이들은신라를부정하고자국중심의삼국시대를언급하기보다는신라에대한존왕의義를내세우고있다. 견훤과왕건의존왕론에대해서는이중적인성격이나양면성을지적하기도하지만, 75) 대외적으로여전히신라에대해군신관계를표방한것이 72) 김영미는태조 23 년 (940) 에이루어지는일련의조처들이고려조정에자신감을갖게하고신라계승의식이대두하게된데기인하는것으로여겨진다고하였다. 고려조정의이러한안정감과자신감이최언위로하여금신라의관직을다시쓸수있도록했던것으로보고있다 ( 앞의글, 1995, 169 쪽 ). 73) 청태 4 년정유 (937 년 ) 5 월에정승김부가금으로새기고옥으로장식한허리띠하나를바치니, 길이가 10 위, 새겨넣은장식이 62 개나되었는데, 이것이진평왕의天使帶라했다. 태조는이것을받아서내고에간수했다 (ꡔ 삼국유사 ꡕ 권 1, 천사옥대 ). 김상현은이를왕건이이념적으로신라왕조를계승한다는후삼국통일정책과연관시키고있다 ( 신라삼보의성립과의의 ꡔ 동국사학 ꡕ 14, 1980, 65 쪽 ). 이현숙은신라의정통성이고려로넘어갔다는하나의상징물로서고려측의요구로인해이같은옥대헌납의의례가행해진것으로파악하였다 ( 나말려초최언위의정치적활동과위상 ꡔ 이화사학연구 ꡕ 22, 1995, 26 쪽 ). 74) ꡔ 삼국사기 ꡕ 권 50, 열전견훤. ꡔ 고려사 ꡕ 권 1, 태조 11 년봄정월. 75) 조범환, 앞의글, 2000, 118 쪽. 신성재, 궁예정권의군사정책과후삼국전쟁의전개,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6, 158~159 쪽. 정선용, 고려태조의대신라정책수립과그성격 ꡔ 한국중세사연구 ꡕ 27, 2009, 153~154 쪽.

142 142 지역과역사 37 호 다. 76) 고려의이러한二元的인계승의식은시대적상황에따라부침은있었으나, 77) 고려시대동안지속되었다고생각된다. 그렇지만신라말의시기설정이나시대인식에는큰변화가없었다. 한편이시기의사료에보이는이른바말세라는표현을주목하는연구도있지만, 78) 말세또는말계라는인식은신라중고시기에도나타나기때문에신라말의특정시기를지칭하는역사인식으로보기는어렵다. 79) 뿐만아니라후삼국통일직후건립된고려의비석에는시대인식이일변하여당시를성인이나중흥의시대로칭송하기도하였다. 80) 고려태조 22년 (939 년 ) 찬술된대경대사여엄의비문에서는여엄이왕건의초청을받고개경에가서는, 아직후삼국이통일되기전인데도 81) 고려가 76) 신호철, 후백제의역사적성격 ꡔ 한국고대사연구 ꡕ 74, 2014, 21 쪽. 77) 이우성은고려건국에서 12 세기중엽삼국사기가출현할때까지는고구려계승의식이, 그후고려말까지는신라계승의식이역사인식에지배적인방향이었다고하였고 ( 삼국사기의구성과고려왕조의정통의식 ꡔ 진단학보 ꡕ 38, 1974, 12 쪽 ), 이기백은 ꡔ 삼국사기 ꡕ 가고려에있어서의고구려적전통을거부하고신라적전통을강조했다고하였다 ( 삼국사기론 ꡔ 문학과지성 ꡕ 가을, ꡔ 한국사학의방향 ꡕ, 일조각, 1978 재수록, 27 쪽 ). 노명호도김부식이삼국사기를편찬하면서고구려계승의식을거부하고신라계승의식을정면으로대두시켰다고하였다 ( 앞의책, 2009, 82 쪽 ). 그러나필자는연표에서알수있듯이 ꡔ 삼국사기 ꡕ 의편자들이고구려의전통을거부했다고보지는않는다. 78) 김철준, 한국고대정치의성격과중세정치사상의성립과정 ꡔ 동방학지 ꡕ 10, 조인성, 신라말농민반란의배경에대한일시론 ꡔ 신라말고려초의정치ㆍ사회변동 ꡕ, 신서원, 곽승훈, 신라하대후기미륵하생신앙의성행과그의의 ꡔ 한국사상사학 ꡕ 15, 장일규, 신라금석문의말세의식과미륵신앙 ꡔ 금석문을통한신라사연구 ꡕ,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실사회의혼란에따른末世인식과불교의末法시대를서로구분하기도하지만, 일반적으로말세라고하는것은불법이쇠퇴하는것이외에도인심이악화되며온갖나쁜일이일어나는시대라고해석하기도한다 ( 조인성, 앞의책, 2007, 157 쪽 ). 79) 권영오, 앞의글, 2014, 50 쪽. 80) 이에대해서는이현숙, 앞의글, 1995, 29~33 쪽참고. 81) 대경대사여엄의비문에의하면, 여엄은 930 년 ( 태조 13 년 ) 보리사에서입적하였다.

143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43 이미나라가부유하고백성들은편안하며, 왕건은요와순처럼어질고덕스럽다고말했다하였다 ( 國富民安不讓於骨庭之境堯仁舜德唯侔於華夏之朝 ). 82) 958 년 ( 광종 9년 ) 김정언이찬한 옥룡사동진대사보운탑비 에서는왕건의후삼국통일로 다시군자의나라를평안히하였고, 佛法을존숭하게되었다 ( 加復輯寧君子國瞻仰梵王家 ) 라고하였다. 83)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의후기에는현덕원년 (954년, 광종 5년 ) 을 4군을평정하고 3 한을바로잡은때 로좋은인연이있다고하였다. 84) 태조에대한용비어천가는여러곳에서보인다. ꡔ삼국유사ꡕ 에는 護法賢君이나와서삼국을평정할것입니다 고하여, 왕건을호법성군으로표현하였다. 85)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에는고려가후백제군을물리치고후삼국을통일한이후의사실을기록하면서 道人들이폭주하고선승 ( 禪侶 ) 들이구름처럼몰려들어어른에게받은은덕의종지에대해다투어논하였고, 태평스런일을높이찬양하였다 고하였다. 86) 940년최언위가찬한 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 에서는태조가백성들을진휼하여 이미중흥의운세를이루었다 ( 已致中興之運 ) 고하였다. 87) 고려광종원년 (950 년 ) 손소에의해지어진곡성대안사의광자대사윤다의비명에는태조의위엄이양나라원제와같고덕업이순임금보다뛰어나다고하고있다. 88) 비로암진공 82) 최언위,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 윤영호,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60~62 쪽. 83) 김정언, 옥룡사동진대사보운탑비. 심재석, 옥룡사동진대사보운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309~314 쪽. 84) 순백,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후기. 윤영호,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289~290 쪽. 85) ꡔ 삼국유사 ꡕ 권 4, 보양이목. 86) 道人輻湊僧侶雲臻爭論上德之宗 ( 이몽유,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이인재,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354 쪽 ). 87) 최언위, 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 이인재, 지장선원낭원대사오진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106 쪽. 88) 伏今上大王威齊兩曜蒞政而道叶乾坤德秀重瞳治民而令無邪黨 ( 손소, 대안사광자대사비. 김혜원, 대안사광자대사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258 쪽 ). 남동신은선승으로서국왕에게칭신한최초의사례로동리산

144 144 지역과역사 37 호 대사보법탑비 에서는진공대사 雲이 937년통일을축하하기위해태조를찾아갔을때를설명하면서, 신라와후백제를두적으로, 89) 태조를성인에비유하고있다. 90) 이러한표현에따른다면신라말과후삼국의혼란은왕건과같은성인에의해중흥과태평의세상으로바뀐것이다. 그렇지만고려시대에도이른바말법, 말계라는표현은다시나타났다. R-1 망극한은혜를추억하면, 종신의한만공연히절실해질뿐이었습니다. 이에스스로무상함을탄식하며말법을붙들어일으키려고밝은스승을찾아서모진마음으로고국을떠났던것인데 ( 爰自無常興嘆末法扶顚是務名師忍難故國 ), 지금광음이머물지않아祥日이마지막을고하기에, 霜露의비통함을안고서문득蘋蘩의제사를받들어올립니다 ( 義天, 祭文王文 ꡔ 大覺國師文集 ꡕ 제16권 ). 91) R-2 무자일에관풍전에나가서다음과같은교서를내리었다 둘째로불교행사를존중해야한다. 지금末季를당하여불교가점점쇠퇴하여간다. 대체로우리조상때에창건하였거나중수한사찰신사들과예로부터상례로의식을거행하여온사원과특별히복을기원하는사찰, 신사들로서만일퇴락한개소가있거든이를주관하는관청에서는즉시수리할것이다 (ꡔ고려사ꡕ 권18, 의종 22년 3월무자 ). R-3 지원갑자 (1264 년 ) 이래로원나라의사신과본국의사신들이다투어와서예배하고사방의행각승들도몰려와서참례하였데, 더러는 ( 돌뚜껑을 ) 들기도하고, 들어보지않기도하였다. 진신의사리 4개외에도변신사리가모래처럼부셔져서돌함밖으로나타났는데, 이상한향기가짙게풍기며여러날동안없어지지않는일이종종있었으니이는말세에나타난한지방의기이한일이었다 (ꡔ삼국유사ꡕ 권3, 전후소장사리 ). 문의윤다를들고있다 ( 나말여초국왕과불교의관계 ꡔ 역사와현실 ꡕ 56, 2005, 105 쪽 ). 89) 김주성, 신라말ㆍ고려초의지방지식인 ꡔ 호남문화연구 ꡕ 19, 1990, 92~93 쪽. 김영미, 나말여초최언위의현실인식 ꡔ 사학연구 ꡕ 50, 1995, 165 쪽. 90) 此時二敵氷銷三韓霧廊先慶除兇之策更申賀聖之儀 ( 최언위, 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 배종도, 비로암진공대사보법탑비 ꡔ 역주나말여초금석문 ꡕ 하, 혜안, 1996, 82 쪽 ). 91) 의천지음, 이상현옮김, ꡔ 대각국사문집 ꡕ,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309 쪽.

145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45 의천이살던시대는고려의전성기라고할수있음에도의천은말법시대의절망감을느끼고있었다 92) (R-1). 고려의사원정책이개경중심주의로바뀌게되자지방ㆍ변경의사원들은쇠락ㆍ폐사하는경우가많이발생하였다. 1168년의종이관풍전에행차하여敎를내리는가운데, 지금末季를당하여불교가점점쇠퇴하여간다 ( 時當末季佛法漸衰 ) 고하였다 (R-2). 일연은원간섭기에불사리를넣은통도사의돌함을참배할때나타나는이적을서술하면서, 이를말세에나타난한지방의기이한일 ( 末季一方之奇事 ) 이라고하였다. 말세또는말계라는표현은특정시기의사회적현상을나타내는현실인식이라기보다는불교의관념적인표현으로보는것이타당할것이다. 오늘날학계에서관행적으로사용하는 나말여초 라는시대명칭에대해 후삼국시대 를독립적인하나의시기로인식하기보다는오로지신라왕조에서고려왕조로넘어가는과도기적시기로인식하고있을뿐이라는지적이있었다. 93) 시대구분은시대적특성을명확히하여역사의모든과정에서어느특정시대가갖는위치와의의를드러내는작업이라고한다. 94) 그러나나말여초는편의적인왕조사적구분이라는한계뿐아니라후삼국의한축이었던후백제의역할을배제하는것으로적절한시대구분용어라고하기어렵다. 신라사내부적으로는이른바 신라말 의시간적범주와정치적성격을분명히하고, 신라말을하대시기와동일시하는시각은지양되어야할것이다. 95) 나말여초라는시대구분이후백제를배제하고신라를무력화시킨다면, 결국이시기는고려의역할만이남게되고, 왕조교체의과도기라는좁은의미밖에찾을수없을것이다. 889 년이후의시대상황은단순히통일 92) 허흥식, 천태종의형성과정과소속사원 ꡔ 고려불교사연구 ꡕ, 일조각, 1986, 276 쪽. 93) 신호철, 후백제견훤왕의역사적평가와그의미 ꡔ 후백제와견훤 ꡕ, 서경문화사, 2000, 11 쪽. 94) 조인성, 앞의글, 2008, 191 쪽. 95) 권영오, ꡔ 신라하대정치사연구 ꡕ, 혜안, 2011, 39 쪽.

146 146 지역과역사 37 호 신라에서고려로왕조가교체되는과정에나타난과도기적상황으로보는것이상으로역사적의미를충분히검토하는연구가필요하며, 96) 신라와후백제, 태봉 ( 고려 ) 내부의개혁과외부로의대응등을총체적으로고찰해야할것이다. 맺음말 천년왕국신라멸망의직접적인원인은신라가말기에이르렀다는인식이내외에광범위하게전파되고, 이로인해신라의상하가국가보위전쟁을포기하고항복한데에있었다. 고려인들은전왕조신라의멸망과정을좀더객관적으로파악할수있었고, 후세의관점에서구조적으로신라멸망을조망할수있었다. 고려의대표적인역사서인 ꡔ삼국사기 ꡕ에서는三代로, ꡔ삼국유사 ꡕ는三古로신라사를나누었지만, 下代와下古시기가정치사적으로신라의쇠퇴기, 또는말기의의미로설정되지는않았다. 고려인들은신라가쇠퇴하는말기에는정치가혼란하고농민이봉기하였으며사원이파괴되고신라의영토가축소되었다고하였다. 그조짐을왕건이출생한헌강왕대에서찾는시각도있지만, 대체로신라말을 889년농민봉기이후로파악하였다. 고려인들은이때를단순한정치적혼란이아니라신라말, 곧신라사회체제의붕괴로인식하였다. 이것은정치사적으로신라하대부터를신라의쇠퇴기로파악하려는현재의학계연구동향과차이가있다. 중국은 907년당이망하고이른바 5대 10국과거란의요등의할거정권이출현하였지만, 우리는신라말과후삼국이단절되지않고동시에존재했다. 고려시대에는신라말과후삼국시대를같은시기로인식하였다. 고려에서는 889년농민봉기이후활동한인물들의시기를언급할때대부 96) 채웅석, 통일신라에서고려로의왕조교체를어떻게평가할것인가 ꡔ 한국사시민강좌 ꡕ 40, 2007, 91 쪽.

147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47 분신라말로표현하였으며, 왕건특히통일전쟁과직접관련이있는사건의시기를언급할때는삼국이라고하였다. 이시기를신라말이라고할경우고려는신라를이은왕조로, 삼국을강조할경우고려의고구려계승의식을표현했다고보여진다. 이것은후백제견훤이나고려의왕건모두신라에대해존왕의예를표하면서도한편으로는자국중심의통일을이루려는정책을펼친때부터찾아볼수있다. 고려의二元的國系意識은어느한쪽의강약정도는있겠지만고려시대동안지속되었다. 그렇지만진성여왕 3년농민봉기이후의사회를신라말로인식하는것에는큰변화가없었다. 고려시대의금석문에서는신라말 = 후삼국의혼란을말세로표현하기도하였지만, 후삼국통일이후는성인의시대와성대가되었다고하기도하였다. 그렇지만그후에도고려당대를말세라고한것이보인다. 때문에말세라는불교의관념적인식은신라말이라는역사적시기와직결시키기어렵다. 고려인들의신라말사회인식을바탕으로신라말의시기를설정한다면진성여왕 3년이후의농민봉기부터이며, 이는후삼국시대와중복된다. 신라말의시간적범위와정치적성격을분명히하고, 신라말을하대시기와동일시하는시각은지양되어야할것이다. 또한학계에서관행적으로사용하는나말여초라는용어에는편의적인왕조사적구분이라는한계뿐아니라후삼국시대의한축이었던후백제의역할도배제하고있어적절한시대구분용어라고할수없다. 참고문헌 권영오, ꡔ신라하대정치사연구 ꡕ, 혜안, 권영오, 신라하대와신라말 ꡔ역사와경계ꡕ 90, 김명진, 고려태조왕건의통일전쟁연구,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영미, 나말여초최언위의현실인식 ꡔ사학연구ꡕ 50, 김용선편저, ꡔ고려묘지명집성ꡕ, 한림대학교아세아문화연구소, 1993.

148 148 지역과역사 37 호 김용선역주, ꡔ역주고려묘지명집성ꡕ 상, 한림대학교아세아문화연구소, 노명호, ꡔ고려국가와집단의식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노태돈, 삼한에대한인식의변천 ꡔ한국사연구ꡕ 38, 문경현, ꡔ고려태조의후삼국통일연구ꡕ, 형설출판사, 박용운, ꡔ고려의고구려계승에대한종합적검토ꡕ, 일지사, 신호철, 후백제견훤왕의역사적평가와그의미 ꡔ후백제와견훤 ꡕ, 서경문화사, 신호철, ꡔ후삼국사 ꡕ, 개신, 의천지음, 이상현옮김, ꡔ대각국사문집ꡕ, 동국대학교출판부, 이기동, 신라쇠망사관의개요 ꡔ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ꡕ, 전기웅, ꡔ신라의멸망과경문왕가ꡕ, 혜안, 정청주, ꡔ신라말고려초호족연구ꡕ, 일조각, 조범환, 고려태조왕건의대신라정책 ꡔ고문화ꡕ 55, 조인성, ꡔ태봉의궁예정권ꡕ, 푸른역사, 조인성, 고대사회의해체 ꡔ새로운한국사길잡이 ꡕ 상, 지식산업사, 이강래, ꡔ삼국사기ꡕ의삼국인식 ꡔ한국사학보ꡕ 41, 이현숙, 나말려초최언위의정치적활동과위상 ꡔ이화사학연구ꡕ 22, 이현숙, 나말여초최치원과최언위 ꡔ퇴계학과한국문화 ꡕ 35, 정구복, 고려초기의 삼국사 편찬에대한일고 ꡔ국사관논총ꡕ 45, 채웅석, 통일신라에서고려로의왕조교체를어떻게평가할것인가 ꡔ한국사시민강좌ꡕ 40, 최영성, ꡔ역주최치원전집 1 사산비명ꡕ, 아세아문화사, 한국고대사회연구소편, ꡔ역주한국고대금석문ꡕ 3,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한국역사연구회편, ꡔ역주나말여초금석문ꡕ 상ㆍ하, 혜안, 허흥식, ꡔ고려불교사연구 ꡕ, 일조각, 투고일 심사의뢰일 심사완료일

149 고려시대의신라말에대한인식 149 Abstract Perception of the Closing Years of Silla during the Koryo Dynasty Kwon, Young-Oh During the period of the Goryo Dynasty( 高麗 ), People grasped that the period after the 2nd ruling of the Queen Jinseong( 眞聖女王 ) of Silla was the closing years, just like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新羅 ). They knew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fall of the Silla to be the peasant uprising and its consequent social disorder. During the closing period of the Silla Dynasty it s politics was chaotic. Peasants rose up against the ruling class, temples were destroyed and the domination of Silla was reduced. In China s history,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Wu-Tai Shoh-Kuo( 五代十國 ) and the late Dang dynasty( 唐 ).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後三國 ) and the late Silla closing years. There were two sorts of succession consciousness of the kingdom in Koryo: one was the consciousness of the Three Kingdom( 三國 ) that were unified by succeeding to Goguryo( 高句麗 ), and the other was the consciousness of Koryo that was succeeded to Silla dynasty. The tombstones set up during th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expressed the closing days of Silla as the degenerate age. But it s difficult for the Buddhist ideological perception of the degenerate age to be directly linked with the historical period of the closing days of Silla. The term, Late Silla Dynasty and the early Goryo Dynasty( 羅末麗初 )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by Korean historian circles cannot be an appropriate term for periodization. The reason for this is not

150 150 지역과역사 37 호 only because it has a limited division of dynasties for convenience s sake but because it also excludes the role of Later Baekje( 後百濟 ) which used to be a mainstay of the Later Three Kingdoms( 後三國 ). Keywords ㆍLate silla dynasty and the early koryo dinasty( 羅末麗初 ) ㆍThe Closing Years of Silla( 신라말 ) ㆍThe Later Three Kingdoms( 後三國 ) ㆍDegenerate age( 末世 ) ㆍHistorical Description and Perception( 역사인식 ) ㆍThe Peasant uprising( 농민봉기 )

151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51 ꡔ 지역과역사 ꡕ 37, , 151~181 쪽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 -ꡔ 慶尙道彦陽戶籍大帳 ꡕ 을중심으로 - 97) 이정수 ** ㆍ김희호 *** 머리말 Ⅰ. 언양현노비의노동특성 1. 노비의인구비중변화 2. 노비의성별과나이 Ⅱ. 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의출입사유와소유형태 1. 노비의출입사유 2. 노비소유형태 3. 노비와고공의대체관계맺음말 머리말 조선후기사연구에서큰쟁점가운데하나는신분변동론이다. 이문제는호적대장의연구를통해밝혀진바와같이 19세기중후반양반층의급증과노비층의급감현상을주요특징으로하고있다. 특히조선시대전체인구가운데노비의비중은 15 17세기의경우 30 40% 정도이었지만, 1) 19세 * 이논문은 년경북대학교학술연구비에의해지원되었음. ** 교신저자, 동서대학교역사학전공교수 (jsl1598@dongseo.ac.kr). *** 주저자, 경북대학교경제통상학부교수 (kimhh@knu.ac.kr). 1) 조선전기에있어서노비층이전인구에서점하는비중을韓永愚교수는 25%, 金鴻植교수는 30%, 李榮薰교수는 30~40% 정도로추정하고있다 ( 韓永愚, ꡔ 朝鮮前期社會經濟硏究 ꡕ, 을유문화사, 1983, 403 쪽. 金鴻植, ꡔ 朝鮮時代封建社會의基本構造 ꡕ, 박영사, 1981, 205 쪽. 李榮薰, 한국사에있어서奴婢制의추이와성격 ꡔ 노비ㆍ농노ㆍ노예 - 隸屬民의比較史 -ꡕ, 일조각, 1998, 365 쪽 ).

152 152 지역과역사 37 호 기에와서는 5% 이내로급격히하락하였다. 이들노비의급격한감소와경제적성격에대한규명은조선후기의사회와경제를이해하는중요한과제이다. 기존연구는 19세기에노비가급격히감소한원인으로서대체로세가지사실에주목하였다. 첫째, 국가의노비에대한우호적인방향으로정책변화, 둘째, 노비의자기성장노력으로인한노비의태업과도망등저항과이로인한노비관리비용증가에따른노비생산성하락, 그리고軍功ㆍ納贖등으로인한신분상승, 셋째, 농업경영방식의변동등에서찾고있다. 노비제의해체원인에대해첫째와둘째부분은어느정도견해의일치를보이고있지만농업경영방식에대한것은상반된시각을보이고있다. 한쪽은이앙법보급과시비법발전등농업생산력의발전으로인해토지의광작경영과상업적경영이확대되면서보다효율적인농업경영을위해노비보다는雇工이나임노동자층을많이사용했을것으로본다. 이경우노비수요가줄어들고대신고공이나임노동자층에대한수요가증가했을것이라고이해한다. 2) 다른쪽은농업생산력의발전으로인해노비가소농으로성장하고토지소유의하향평준화가진행되었다. 이러한소농경영의발달은농업생산에서노비를이용하기보다는주로가족노동력을이용하게되면서노비수요가감소되었다는점을강조하고있다. 3) 특히, 노비매매문서를활용한연구에의하면 1731년노 2) 허종호, ꡔ 조선봉건말기의소작제연구 ꡕ, 사회과학원출판사 ( 북한 ), 金容燮, ꡔ 朝鮮後期農業史硏究 ꡕ Ⅰ ㆍ Ⅱ, 일조각, 1970 ㆍ 윤용출, ꡔ 조선후기의요역제와고용노동 ꡕ, 서울대출판부, 이정수ㆍ김희호, ꡔ 조선시대노비와토지소유방식 ꡕ, 경북대출판부, 2006 ; 조선후기奴婢價변동의원인 - 생산성과노비관리비용을중심으로 - ꡔ 지역과역사 ꡕ 23, 2008a. 全炯澤, ꡔ 朝鮮後期奴婢身分硏究 ꡕ, 일조각, 1989 ; 朝鮮後期奴婢勞動에있어서의雇立制의전개 ꡔ 邊太燮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ꡕ, 삼영사, 金容晩, ꡔ 朝鮮時代私奴婢硏究 ꡕ, 집문당, 鄭奭鍾, 朝鮮後期奴婢賣買文記分析 ꡔ 金哲埈博士華甲記念史學論叢 ꡕ, 지식산업사, 崔潤晤, 조선후기 和雇 의성격 ꡔ 忠北史學 ꡕ 3, 1990 ; 18 ㆍ 19 세기농업고용노동의전개와발달 ꡔ 韓國史硏究 ꡕ 77, 宋贊植, 朝鮮後期農業에있어서의廣作運動 ꡔ 李海南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ꡕ, 朴成壽, 雇工硏究 ꡔ 史學硏究 ꡕ 18, 朴容淑, 18 ㆍ 19 세기의雇工 - 慶尙道彦陽戶籍의分析 - ꡔ 釜大史學 ꡕ 7, 1983.

153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53 비종량제의실시이후노비숫자가급격히줄었으며, 19세기들어서노비는연소화, 여성화되어서더이상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하지못했다는결론을보여주고있다. 4) 본고에서는기존연구를보완한다는측면에서노비제가거의해체된 19 세기중후반의노비의사회경제적특성을검토해보고자한다. 특히 19세기중후반의노비의특성을검토하고자한이유는기존연구결과와달리대구와언양지역의 19세기중후반호적대장에서몇가지흥미로운사실을확인할수있었다. 우선, 이들지역에서 19세기중후반에전체호수가운데노비호는급감하고있는데반해노비인구는오히려증가되었으며, 둘째노비매매문서의분석결과에는해당시기의노비는점차연소화, 여성화되었는데반해이들지역호적대장에는오히려장년화, 남성화되고있는상반된사실을확인할수있었다. 이결과는 19세기중후반에호적대장에서나타나는노비는매매노비와달리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했다는것을보여준다. ( 뒤의 < 표 7> 참조 ) 대구와언양지역의 19세기중후반호적대장에서노비숫자가증가하는원인에대해서기존연구는단순히호적기재상의변화이거나착오로인한것으로간주하여 5) 크게관심을두지않았다. 3) 李榮薰, 韓國史에있어서近代로의移行과特質 ꡔ 경제사학 ꡕ 21, 1996 ; 한국사에있어서奴婢制의추이와성격 ꡔ 노비ㆍ농노ㆍ노예 - 隸屬民의比較史 -ꡕ, 일조각, 김재호, 自賣奴婢와인간에대한재산권, ꡔ 경제사학 ꡕ 38, ) 이정수ㆍ김희호, 조선후기奴婢賣買자료를통해본奴婢의사회ㆍ경제적성격과奴婢價의변동 ꡔ 韓國民族文化 ꡕ 31, 2008b. 5) 四方博, 李朝人口に關する身分階級別的觀察 ꡔ 京城帝國大學法學會論集 ꡕ 10, 김건태, 조선후기호적대장의인구기재양상 단성호적을중심으로 ꡔ 역사와현실 ꡕ 45, 2002 ; 조선후기私奴婢파악방식 ꡔ 歷史學報 ꡕ 181, 2004.

154 154 지역과역사 37 호 < 표 1> 대구와언양지역의노비인구비중변화 ( 단위 : %) 식년 대구의노비비중 (%) 언양의노비비중 (%) * 출전 : 대구의노비자료는四方博 (1938) 과언양의경우는언양호적대장 본연구는이러한상반된결과를발생시킨주요이유의하나가 고공의노비화현상 이라고추론하였다. 이것은 19세기중후반호적에입안된고공은사라지고노비의매득과신솔이거의없는데도불구하고언양지역에서노비숫자가증가했다는사실을통해서도짐작할수있다.( 뒤의 < 표 8> 참조 ) 이시기호적대장에서양반 ( 특히유학 ) 신분기재가급증하면서, 대가를받고노동을하는모든부류를노비로분류했을가능성이높다고보인다. 특히, 이시기의노비는신분적예속노비보다는다수가매득한노비였으며고공도노동을매개로임금을받는계층으로서, 고공과노비사이의구분이거의사라졌기때문이다. 이러한사실은 18 19세기양반가의일기 ( 승총명록, 단계일기, 노상추일기등 ) 에서 6) 고공을노비와큰구분없이雇, 雇奴, 노비등으로혼용하여기록한것에서도확인할수있다. 본고에서는고공의노비화현상을구체적으로검증하기위해첫째, 생산노동력의측면과둘째, 호적대장의신분변화측면에서파악해보고자한다. 1장에서언양의노비인구비중과노비의성별과나이등노동특성을살펴보고, 노비가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했는지파악해보고자한다. 노비의특 6) 단성에거주한金麟燮 (1827~1903 년 ) 의일기인 ꡔ 端磎日記 ꡕ( 년 ) 에서보이는 22 명의노비중에서 5 명이고공으로혼용해서불렀고, 72 명의고공중에서 42 명이노비로혼용해서불렀다 ( 鄭震英, 19 세기중반 -20 세기초반在村兩班地主家의농업경영 - 경상도단성金麟燮家의家作地경영을중심으로 ꡔ 대동문화연구 ꡕ 62, 2004, 117 쪽 < 표 5> 참조 ).

155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55 성은나이, 성별, 가족구성여부를기준으로노비가농업생산에필요한노동력을갖추고있는지를살펴보는것이다. 2장은호적대장에서노비의출입사유와주호의노비소유형태등노비의신분적변화를살펴보고자한다. 또한호적대장에서노비와고공이서로노동대체적이었는지를분석해보고자한다. 본연구는신분제가본격적으로해체되는 19세기에노비의특성이어떻게변화되고있는지를살펴본다는점에서관련연구에일정정도기여할수있다고생각된다. 본연구는조선후기노비의특성과신분변화를시기별로파악하기위해언양호적대장의모든지역과식년자료를발췌하여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노비는외거와솔거노비가있는데, 노비가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했는지를파악하기위해솔거노비만을그대상으로하였다. Ⅰ. 언양현노비의노동특성 대구, 울산, 단성, 언양, 상주, 산음, 진해등여러지역의호적대장이존재하고있지만언양현호적대장은특정한연대 ( 식년분 ) 에현내모든지역의호적을포함하고있고, 여러식년에걸쳐같은지역의노비와고공, 협호를비교할수있는거의유일한자료이다. 현재전해지는언양호적대장의자료는 1711년, 1777년, 1795년, 1798년, 1813년, 1825년, 1858년, 1861년의 8개식년이며, 7) 호적대장이작성된지역은上北, 中北, 下北, 上南, 中南, 下南 ( 三同 ) 面등 6개面이다. 8) 18세기의언양현호적은 1711년 ( 숙종 7) ꡔ 慶尙道彦陽縣戶籍大帳 ꡕ 上ㆍ下 ( 釜山大學校韓國文化硏究所, 1989) 에는 1711 년, 1795 년, 1798 년, 1813 년, 1825 년, 1858 년, 1861 년의 7 개식년분만이조사수록되었지만이후이훈상ㆍ손숙경 (1999) 에의해 1777 년식년분 ( 丁酉式 ) 이추가조사됨에따라현재는 8 개식년분이존재한다 ( 李勛相ㆍ孫淑景編著, ꡔ 朝鮮後期彦陽의鄕班昌寧成氏家門과天主敎受容者들그리고이에관한古文書 - 附 : 彦陽縣丁酉式戶籍臺帳 ꡕ, 釜山敎會史硏究所, 1999). 8) 박용숙, ꡔ 조선후기향촌사회사연구 ꡕ, 혜안, 2007, 32 쪽.

156 156 지역과역사 37 호 37) 과 1777년 ( 정조 1), 그리고 1798년 ( 정조 22) 의경우는전체邑面이남아있으며, 1795년 ( 정조 19) 의경우는 6개面가운데상북, 중북, 하북면등 3개면만남아있다. 19세기의호적은 1861년 ( 철종 12) 의경우만전체 6개면이남아있고, 1813년 ( 순조 13) 의경우는상남, 중남, 삼동면등 3개면, 1825년 ( 순조 25) 의경우는상북면 1개면만남아있다. 언양지역은호구수가적은고을이기도하지만양반사족의영향력도크지않은평범한산악, 농촌지역이었다. 9) 또한 년경상도전체토지와노동생산성의평균을각각 100으로할때, 언양의토지와노동생산성은각각 94.1, 84.5로상대적으로낮았다. 10) 언양의호당인구수는 년사이에 8 9명정도이며, 매식년마다조금씩증가하다가, 19세기중후반이후호당인구수가 5.9명으로감소하였다. 이러한언양의인구수는전국이나단성ㆍ대구의평균치와비교해볼때매우높은수치이다. 당시전국의호당평균인구수는 4.24명정도, 단성의경우는 4.57명정도였다. 11) 이처럼언양의생산성이타읍에비해낮고, 평균인구수는상대적으로많은것은언양의토질이척박하여농업생산에서노동집약도가높게나타나는현상이거나, 다른지역과는차별된호적의기재방식과관련있는것으로보인다. 12) 여기에서는언양지역의노비인구비중과노비의성별과나이등의변화를살펴보고자한다. 9) 金錫禧, 朝鮮後期의慶尙道彦陽縣戶籍大帳에關하여 ꡔ 釜大史學 ꡕ 7, 1983, 쪽 ( 김석희, ꡔ 조선후기지방사회사연구 ꡕ, 혜안, 2004, 재수록 ). 10) 이영훈, 조선후기농민경영에있어서主戶 - 挾戶관계 ꡔ 조선후기사회경제사 ꡕ, 한길사, 1998, 443 쪽. 11) 박용숙, 앞의책, 2007, 쪽. 12) 타읍에비해언양의평균인구수가특별히많은이유에대해언양의경우다른호적에보이지않는협호의등재와관련있을것으로추측된다. 이에대해이영훈은언양호적에主戶 - 挾戶관계를표시하고있는것은언양에서의국역체제의지역적인특수성에기인하는것으로보고있다. 언양의호역과군역의부담에서오는상대적인차이, 즉戶摠과口摠의괴리에기인한다고보았다. 호총을구성하는原戶, 즉主戶이외에그예하의협호들에게도군역의부담이불가피한데서온결과로보는것이다 ( 이영훈, 앞의책, 1988, 쪽 ).

157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노비의인구비중변화조선후기호적대장에따르면호단위의구성은호의대표자를주호로하며, 그이하가족과친인척, 노비, 고공, 협인, 보인등을개별자격으로등재하는것이원칙이며, 주호안에별도의호를두지않는다. 따라서현실적으로한주호안에여러가족이개별로동시에포함되어있을수있다. 여기에서는먼저언양호적대장에서나타나는노비와고공의인구비중을살펴보고자한다. 언양현노비와고공의인구비중은 < 표 2> 에나타나있다. 주호는호적대장에등재된대표호를말하며, 이들주호가운데노비를거느린호를 노주호, 고공을거느린호를 고주호 라고지칭하기로한다. 이는주호가운데는노비와고공을거느린경우도있지만그렇지못한주호도있기때문이다. < 표 2> 언양현호적대장에나타난고공과노비의인구비중 ( 단위 : 명, %) 식년주호인구노주호노비고주호고공호당노주호고주호노비고공구수비중비중비중비중 인구 / 주호 노비호 / 주호 고주호 / 주호 노비 / 人口 고공 / 인구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언양현主戶와人口의숫자는시기별지역별로다르게나타나고있지만, 대체적으로 19세기초까지는조금씩증가했지만 19세기중반이후점차감소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언양에서노비를보유한주호 ( 노주호 ) 는 19 세기초반까지조금씩증가했으며, 19세기중후반에도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다. 전체호가운데노주호의비율이 년사이에는 51

158 158 지역과역사 37 호 75% 정도로주호 2호당 1호이상이노비를보유하고있었으며, 전체인구에서노비의비율도 15 17% 정도로적지않은수였다. 하지만 19세기중후반에전반적으로노비가급속히줄고있는상황에서언양의경우는노비를보유한주호의비율은 87% 으로오히려증가했고, 언양현전체인구에서노비가차지하는비율도 29% 로증가하고있다. 한편, 고공을보유한고주호의비율은 년사이에는 20% 정도로주호 5호당약 1호가고공을보유하고있었다. 하지만 1813년과 1825 년에는그비율이 18% 로감소했고, 그이후에는더이상나타나지않게되었다. 흥미로운사실은 1825년이후고공은호적에서사라지게되었고, 언양의전체호구가감소하는데반해노주호와노비의비중은오히려늘고있다는사실이다. 19세중후반조선전체에서신분제의약화와노비의급감추세에서왜언양지역에서는노주호와노비가증가한이유는무엇인지가의문이다. 그것은 19세기중반이후국역수취방식의변화보다는언양지역의특수한지리경제적환경과관련이있을것으로여겨진다. 왜냐하면국역수취방식의변화가그원인이라면언양의인구감소와함께노비인구도자연스럽게감소했어야했을것이다. 조선후기언양호적대장에서주호는가구의대표자로서남성이일반적으로기재되었다. 노비를보유한주호의평균나이는 년까지 45 47세, 1858년과 1861년에는 51세로서약간증가하였으나, 급격한고령화현상은나타나지않았다. 언양호적대장에서나타난노비를보유한주호의신분은 < 표 3> 과같다. 주호의신분에대한분류는일반론에따라직역을기준으로크게양반, 중인, 상인, 노비로구분하고자한다. 13) 다만, 단성호적대장등호적연구에의하면 18세기중반이전과이후의유학이포괄하는신분의범위가달라진다. 18세기중반까지는유학이면대체로양반이었지만, 18세기후반이되면 13) 여기서분석한언양호적대장의직역별신분구분은李俊九의분류기준을대체로따랐다 ( 李俊九, ꡔ 朝鮮後期身分職役變動 ꡕ, 一潮閣, 1993, 32 쪽 < 表 1-2> 참조 ).

159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59 상민상층도점차유학을칭하게되고 19세기후반이되면호적에등재된직역자는대부분이유학을칭하면서양반의수가급증하고있다. 14) 따라서 18 세기후반이후에는호적대장에서양반신분의모칭이나상향이동으로인해양반의수가점차증가하기시작함으로써 15) 직역과신분의상관관계가점차약해지기때문에본고에서도이를염두에두고제한적인해석을가하고자한다. < 표 3> 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를보유한주호의신분변화 ( 단위 : %) 식년 노주호의신분비중양반중인상민노비 계 % % % % % % %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언양현의경우 1777년노비를보유한주호의신분중에서그비중은양반 61%, 상민 22%, 중인 16%, 노비 1% 의순서이었으며, 1825년에는양반 55%, 중인 28%, 상민 12%, 노비 5% 의순서로서중인의비중이증가하였다. 하지만, 1861년에양반의비중은 91% 을차지했으나, 중인과상민의비중이각각 7%, 2% 에불과하였다. 19세기초반까지주호의신분은양반비중이크지만, 양반이외에중인과상민등다른신분층의비중도적지않은편이었다. 하지만, 19세기중후반에와서는거의대부분의주호신분이양 14) 호적대장연구팀편, ꡔ 단성호적대장연구 ꡕ, 성균관대대동문화연구원, ) 단성호적대장의유학호의분포와성격을검토한심재우의연구에의하면 18 세기후반 ~19 세기초반시기에와서신흥세력이직역상향이동을통해호적에유학을칭하는현상이나타나고호적대장상의직역과신분의불일치가시작된다고하였다 ( 심재우, 조선후기단성현법물야면유학호의분포와성격 ꡔ 역사와현실 ꡕ 41, 2001).

160 160 지역과역사 37 호 반층으로구성되고있는데, 이는당시의호적기재의신분모칭과관련있을것이다. 특이하게도 1861년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를보유한주호의비율은 87% 로증가했으며, 노비의인구비중도 29% 로증가하였다. 이는노비를보유한주호당평균구수 5 6명가운데노비가 1 2명에달한다는결과이다. 2. 노비의성별과나이노비의노동특성을정확하게파악하기위해서는이시기노비의나이, 성별, 가족구성여부등현대의노동경제학적기준을적용하여분석해보는것도유용한방법이다. 언양호적대장에서식년별노비의성별비중은 < 표 4> 에나타나있다. < 표 4> 언양호적대장노비와고공의성별비중 ( 단위 : 명, %) 식년 노비의성별고공의성별남자여자계남자여자미정계 (43%) (57%) (100%) (25%) (70%) (5%) (100%) (44%) (56%) (100%) (32%) (59%) (9%) (100%) (44%) (56%) (100%) (40%) (57%) (3%) (100%) (44%) (56%) (100%) (13%) (87%) (0%) (100%) (37%) (63%) (100%) (42%) (45%) (13%) (100%) (36%) (64%) (100%) (35%) (65%) (100%) - * 출전 : 언양호적대장 노비의성별구성은 1777년에노비 2110명중에서남자가 908명, 여자가 1202명으로각각 43%, 57% 로여자가조금많았다. 1795년과 1798년,

161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년에도노비중에서남자가 44%, 여자가 56% 이었으며, 비의비중이조금많게나타났다. 하지만, 1825년의경우노비중에서남자가 37%, 여자가 63% 으로여자의비중이조금더높아졌으며, 이같은추세는 1861년까지이어졌다. 특히 1825년에노비의수가급감했지만그이후 1858년과 1861년에는재차증가하였음을볼수있다. 한편, 고공의성별구성은 1777년에고공남자와여자의비중은각각 25%, 70% 로여자가압도적으로많았다. 1795년에는고공남자와여자의비중은각각 32%, 59% 이었으며, 1798 년에는 40%, 57% 로이전에비해고공남자의비중이조금늘었지만여전히고공여자의비중이높았다. 하지만 1813 년의경우에는고공남자와여자비중이각각 13%, 87% 로여자의비중이재차급증하였다. 결국, 년동안고공은여자비중이지속적으로높았으며, 이러한고공의남녀성별비중은노비의추이와비슷하였다. 이같은 19세기중후반노비의숫자증가와비의비중증가현상은언양현모든지역에서공통으로나타나고있다. 조선후기신분제의해체과정에서언양에서노비숫자가오히려늘고있는현상은상당히흥미로운시사점을가진다. 그럼, 노비의노동특성을좀더구체적으로살펴보기위해언양호적대장에나타난노비의성별과나이에따른변화를시기별로살펴보자. 그결과는 < 표 5> 에정리하였다. < 표 5> 언양호적대장노비와고공의남녀평균나이 ( 단위 : 세 ) 식년 노비고공남자여자남녀평균남자여자남녀평균 * 출전 : 언양호적대장

162 162 지역과역사 37 호 언양현노비의평균나이는 1777년에남자 28.5세, 여자 29.6 세이며, 1795년에는남자 31.2 세, 여자 29.1 세이었다. 1798년에는남자나이는평균 32.2 세, 여자는 28.6세로남자나이가조금상승했으나, 여자나이는조금낮아졌다. 1813년에는남자는평균 32.2 세, 여자는평균 30.1 세였으며, 1825년의경우남자는평균 32.5 세, 여자는평균 32.3세이었다. 이처럼 19세기초반까지언양현노비의남자와여자의평균나이는 20대후반 30대초반으로농업생산노동력에적합한나이이며, 비의비중이상대적으로높았음을볼수있다. 노와비의나이차이에는특정한일관성이없어서노와비가서로가족관계 ( 부부 ) 가아니라는것을보여준다. 이러한언양현노비의나이추세는 1861년에도일정하게유지되고있어서언양현에서노비가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지속했다는것을알수있다. 그리고고공의평균나이는 1777년에남자 31세, 여자 16세이며, 1795 년에는남자 30세, 여자 16세로서양식년모두남자가여자보다약 살정도많았다. 1813년에남자평균 33세, 여자평균 15세이었으며, 1825 년의경우도남자는평균 32세, 여자는평균 22세로남녀간나이차이는약 10살정도였다. 결국 19세기초반까지언양현고공남자와여자의평균나이차이는 10 15세정도로차이가많이났다. 특히, 남자고공은농업생산에적합한나이인 30대이었으나, 여자는나이가비교적어린 10대중후반이었다. 이는남자고공과여자고공이서로다른목적을가진노동력으로사용되었다는것을의미한다. 특히고공가운데가장큰비중을차지했던나이가어린여자고공은가사나생계를목적으로, 남자고공은생산노동력을목적으로서로다르게사용된것으로보인다. 한편, 언양에서노비의평균나이가생산노동력으로서적합한 30세정도이었다는사실은매매문서를사용하여노비의평균나이를추정한기존연구와는 16) 상당한차이를보인다. 이들연구에의하면, 19세기에들어노비의나이는 15 17세로연소화되고성별구성도여성노비로거의구성되는, 16) 이정수ㆍ김희호, 앞의논문, 2008b.

163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63 노비의연소화, 여성화현상을보였다. < 표 6> 시기별매매노비의평균나이변화 ( 단위 : 세 ) 시기 노 비 평균 평균 * 출전 : 이정수ㆍ김희호 (2008b) < 부록표노비매매자료 > < 표 6> 은시기별로매매노비의평균나이를세분화하여나타내었다. 흥미로운사실은 18세기이후매매되고있는노비나이가점차낮아지고있다는것이다. 특히 19세기초반이후에는매매노비의평균나이가 15세이하로낮아지면서노비가농업노동력을목적으로거래되었다고보기힘들다. 17) 이는생계가어려워진빈농이나유민들이농업노동력보다는생계유지를목적으로가내사역을위해매매되었을것으로추측된다. < 표 7> 은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가농업생산에적당한노동력으로서역할을할수있는연령대였는지를살펴보기위해이들나이를연령별로세분화하여분포도로나타내었다. 농업생산에서노동력으로서적당한나이는 16 40세까지의연령대로볼수있으며, 노비의나이가이연령대의분포가많다면이들은생산노동력으로사용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 표 7> 에서 1777년에노비는 16 30세까지의연령대비중이 28% 로가장많았으며, 1 16세의연령대가 13%, 31 40세의연령대의경우 11%, 41 50세의경우 7% 의순서이었다. 1795년의경우 16 30세까지의연령대비중이 33% 로증가하였으며, 1 16세의연령대도 38% 로크게증가하였다 ) 久間健一, ꡔ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ꡕ, 目黑書店 ( 東京 ), 1935, 쪽에의하면, 우리나라농촌에서남자가한사람몫의노동능률을발휘할수있는연령을보통 세전후로보고있다.

164 164 지역과역사 37 호 40 세의연령대의경우 17%, 세의경우 4% 이었다. 이같은추세는 1861년까지꾸준하게이어져서노비의연령은 16 30세사이가가장비중이크고그다음이 1 16세, 31 40세의순서이었다. 구분식년 < 표 7> 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의연령별분포비율 ( 단위 : %) 1 15 세 세 세 세 세 61 세이상미정노비노비노비노비노비노비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요약하면, 노비는 16 40세의연령대의비중이커서생산노동력을제공한것으로보이며, 고공이사라진 1825년이후에도비의비중이증가했지만, 연령대는생산노동력에적합한나이였다. 고공은 15세미만의나이가어린여성고공이그중심부에있으며, 이들은생산노동력보다는가사나생계를목적으로주호에기탁한것으로보인다. 하지만, 남자고공의경우생산노동력으로사용되었다는것을알수있다. Ⅱ. 언양호적대장에서노비의출입사유와소유형태 1. 노비의출입사유여기에서는노비의재래, 유고, 가현등호적대장에서노비의호적등재여부와그등재변동을나타내는자료를바탕으로노비와주호의관계를좀더구체적으로파악해보고자한다. 이러한작업을통해 19세기중후반신분제가해체되는과정에서언양노비의성격변화와노비숫자의증가원인을유

165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65 추할수있을것이다. 언양호적대장에기재된노비의출입은크게在來, 加現, 有故奴婢로구분하여살펴볼수있다. 노비의逃亡, 移居, 死亡등有故의원인을분석해보면노비의사용목적을어느정도추정할수있다. 가현은전식년 (3년전 ) 에없다가현식년에새로등장한자이며, 유고는전식년호적작성이후에발생한사망, 이거, 도망등으로현재는주호의호적대장에없는자이다. 재래는전식년과현재에계속해서존재하는자이며재래의비율이가현과유고의비율보다증가할수록노비보유가장기화된다는것을의미한다. < 표 8> 은언양현호적대장에서노비의재래, 유고, 가현의추이를정리한것이다. 먼저, 노비의유고사유는남자의경우 1777년과 1795년에각각도망 (40%, 32%), 이거 (46%, 25%), 사망 (14%, 43%) 등의순으로도망비율이가장높았다. 하지만 1825년이후노비의도망비율은더욱증가하고이거비율은낮아졌다. 특히, 노비의도망비율은 1825년 48%, 1858년 74%, 1861년 66% 로지속적으로증가하였다. < 표 8> 노비의재래, 유고, 가현의추이 ( 단위 : 명, %) 식년 재래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유고 이거 도망 사망 계 (46%) (40%) (14%) (100%) (25%) (32%) (43%) (100%) (37%) (42%) (21%) (100%) (40%) (42%) (18%) (100%) (36%) (48%) (17%) (100%) (13%) (74%) (13%) (100%) (1%) (66%) (33%) (100%) 가현매득 방량 유고노비의숫자는 1777 년과 1798 년에가장많은수를보였는데, 각각

166 166 지역과역사 37 호 606명, 520명이었다. 하지만, 그이후에노비의유고는점차감소하는추세를보인다. 재래노비의숫자는 1825년 350명을기점으로 1858년 684명, 1861년 1264명으로급증하였다. 또한, 가현노비의경우는매득에의한사유가대부분인데 1777년에 105명, 1795 년 137명, 그리고 1798년에 199명으로 18세기말까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다. 하지만 1825년이후에는매득에의한가현은급속히감소하여 1825년에 5명, 그리고 1858년과 1861 년에는한명도없게된다. 결국 1825년이후에노비의유고와가현의숫자는줄고재래노비는증가하고있음을알수있다. 이는노비가장기적으로주호의집에오랫동안머물고있는현상이증가함을의미한다. 특히, 고공이사라지는 1825년이후새로운노비의매득과신솔, 가현은거의없는데, 재래노비가증가하는현상은아주흥미롭다. 둘째, < 표 9> 는노비의재래, 유고, 가현비율을나타내고있다. 노비의도망 / 이거비율은 18세기말 19세기초의경우 1777년 0.88에서 1795년 1.28, 1798년 1.14, 1813년 1.04로점차감소하였지만, 1825 년도망 / 이거의비율이 1.33으로다시증가한후계속급격히증가하였다. 이는신분이자유로운이거의비중이낮아지고, 예속적인신분을나타내는도망의비중이높아졌다는것을나타내며, 노비의특성에서예속적인성격이높아졌다는것을나타낸다. 한편, 1777년, 1795년, 1798년에비해 1813년과 1825 년, 1858년, 1861년에재래 / 유고의비율이급격하게증가하였는데, 각식년에 3.66과 8.33, 9.77, 13.17이었으며, 재래 / 가현의비율도 1777년, 1795년, 1798년에각각 13.25, 4.13, 4.10 이었으나, 1813년, 1825년에는각각 26.88, 70.00으로급격히높아졌다. 특히, 1858년과 1861년에는새롭게들어오는신솔노비는한명도없으나, 재래는 684명, 1264명으로급격히증가하였다. 이는새롭게유입되는노비는거의없는데, 노비의장기보유경향이심화되고있다는것을나타낸다. 또한언양에서가현 / 유고노비의비율은 1795년이후점차감소하는데, 이는신규노비의유입은거의없고유고비율이높다는것을보여준다.

167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67 < 표 9> 언양노비의재래, 유고, 가현비율 식년 도망 / 이거 재래 / 가현 재래 / 유고 가현 / 유고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요약하면언양지역에서고공이사라지는 1825년이후노비는유고사유중에서도망비율이증가하지만, 노비의유고숫자자체가크게감소하고계속적으로같은주호에서머물러있는재래노비가증가하여노비의장기보유현상이나타나고있다. 특히, 1825년이후노비의새로운신솔이나가현이없는상태에서노비의숫자가증가하는것은새로운노비가증가한것이아니라기존의고공이노비로전환된것으로보인다. 특히, 고공의노비화 현상을좀더구체적으로추정할수있는사례로다음盧尙樞 (1746~1829년) 의 ꡔ 盧尙樞日記 ꡕ 기사가주목된다. 복만은방면되어雇食하기를원하는고로이를허락했다. 18) 이날앙역노최삼이그어머니와처자식을버리고부질없이나갔다가하니, 가히애통하다. 19) 廊下최삼의둘째아들복대가 28일에사망하였다고하니, 애처롭다. 20) 위의 에서노복만은방면되어스스로고공이되기를원하자아무런조건없이허락하고있다. 또한崔三의경우도 ㆍ 기사처럼처음에는仰 18) ꡔ 盧尙樞日記 ꡕ 1803 년 1 월 20 일. 奴崔三在逃還現故仰役卜萬則願放雇食故許之. 19) ꡔ 盧尙樞日記 ꡕ 1802 년 5 월 13 일. 是日仰役奴崔三棄其母及妻子女空然出去云可痛. 20) ꡔ 盧尙樞日記 ꡕ 1828 년 9 월 2 일. 廊下崔三之次子福大二十八日物故云慘矣.

168 168 지역과역사 37 호 役奴라고기록되다가일기후반부에는행랑인즉雇奴로표현되고있음을볼수있다. 이를통해노비의고공화현상을엿볼수있다. 21) 이러한현상은 18세기의일기자료인月峯具尙德 (1706~1761년) 의 ꡔ 勝聰明錄 ꡕ의기사에서도확인된다. 雇奴洪石才가晋州東山에서왔다. 22) 雇奴홍석재가진주에서固城으로일을찾아왔다는것이다. 노비가더좋은환경이나임금을많이주는곳으로자유롭게옮겨다니고있음을알수있다. 이러한노동의이동성증가는 노비의고공화 혹은 고공의노비화 를가능하게하는시장기능중의하나이다. 이러한 고공의노비화 현상은 19세기들어서신분제사회가흔들리면서노비의신분자체보다는노비의생산노동력기능이중요하다는것을나타낸다. 조선후기신분제의갈등은 17 18세기에노비의도망과신분상승에대한욕구등으로나타나고있으며, 그갈등의주체가노비자신이었다. 하지만, 19세기중후반신분제의변화는노비자신이아닌노비를사용하는주호이며, 노비주는생산노동력을매개로노비와고공을선택한다는점에서상당히의미가다르다. 언양지역에서고공의노비화는호적대장에서고공이사라진후생산노동력으로서노비의기능을강조하는현상으로볼수있다. 앞에서추론한 고공의노비화 현상을좀더구체적으로확인하기위해언양고공의재래, 유고, 가현비율을노비의경우와비교해서살펴보고자한다. < 표 10> 은언양호적대장에서고공의재래, 유고, 가현의비율을나타낸다. 21) 단성호적대장을통해고공의신분변화를검토한연구에의하면, 17 세기말까지고공의신분구성에서양인의비중이제법높았으나 18 세기들어와양인비중은점차감소하다가 1780 년이후에는양인은급감한반면노비의비율이급증하였음을밝혔다. 이는고공의노비화, 혹은노비의고공화현상을나타낸다 ( 이정수ㆍ김희호, 세기雇工의노동성격에대한재해석 ꡔ 경제사학 ꡕ 47, 2009). 22) ꡔ 勝聰明錄 ꡕ 3 冊, 1742 년 1 월 17 일 (365 쪽 ).

169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69 < 표 10> 언양호적대장에서고공의재래, 유고, 가현추이 ( 단위 : 명, %) 식년재래언양고공의유고이거도망사망유고총계 가현 남 녀 남 녀 남 녀 남 녀 남 녀 남 녀 (38%) (8%) (50%) (38%) (12%) (54%) (100%) (100%) (28%) (6%) (54%) (47%) (18%) (47%) (100%) (100%) (28%) (4%) (49%) (46%) (23%) (50%) (100%) (100%) (75%) (25%) (25%) (19%) (0%) (56%) (100%) (100%) (56%) (0%) (22%) (6%) (22%) (94%) (100%) (100%) 0 0 계 (35%) (6%) (47%) (37%) (18%) (57%) (100%) (100%)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언양호적대장에서고공의유고사유는남자의경우 1777년과 1795년에각각도망 (50%, 54%), 이거 (38%, 28%), 사망 (12%, 18%) 등의순으로도망비율이가장크게나타났다. 하지만그이후점차도망의비중이낮아져서고공이사라지는 1825년에는 22% 정도에이르고있다. 여자고공의경우 1777년과 1795년에사망 (54%, 47%), 도망 (38%, 47%), 이거 (8%, 6%) 의순으로사망과도망비율이가장높게나타났다. 하지만, 19세기에들어와도망비율은점차감소하여 1825년여자고공은도망비율이 6% 에그치고있으며, 나머지는거의사망으로인한유고비율 (94%) 이가장높다. 이는 1798년을기점으로고공의도망비율이높아서고공이예속적인신분인경우가많은것으로보이나그이후 1825년까지고공의도망은거의사라지고있어서고공의신분적예속성이많이사라진것으로보인다. 그이유는신분제가본격해체되면서고공에대한신분적예속성이많이완화되었기때문으로보인다. 또한빈곤등으로생계가어려워진빈농이나유민들이장기적으로고공관계를맺었기때문으로보인다. 유고고공의숫자는 1777년에가장많았으며, 남자 32명, 여자 117명이었다. 그이후고공수의감소와더불어유고고공의숫자도점차감소하는추세를보인다. 재래

170 170 지역과역사 37 호 고공의숫자는 1798년남자와여자가각각 58명, 94명을정점으로그이후에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지만, 유고고공에비해그비율은오히려꾸준히증가하고있다는것을볼수있다. 이는고공이주호와장기적으로고공관계를맺고있다는것을의미한다. 요약하면언양고공은 18세기에예속적인신분으로장기적계약을나타내고있었으며, 19세기들어서고공의예속성은감소하였지만장기적고공관계가여전히유지되었다. 점차어린여성고공이다수를차지하면서가내사역등의목적으로주호와장기적인관계를형성하였음을볼수있다. 흥미로운점은이같이고공의재래비율증가와도망비율의증가는노비와유사한추세를나타내고있다는점에서고공의노비화경향을간접적으로증명하고있다. 2. 노비소유형태여기에서는주호가노비와고공, 두가지노동형태중에서어느노동형태를선호해서보유했으며, 이들노동력이서로대체적이었는지를살펴보고자한다. 먼저고공과노비의소유현황과대체관계를살펴보기위해, 년동안주호가고공과노비를얼마나동시에보유했는지를파악해보았다. < 표 11> 은주호가고공과노비를동시에어떻게보유하고있는지를노동형태별비중으로나타내었다. 조선후기언양에서주호는고공이나노비를각각보유하거나또는고공과노비를동시에보유하는경우가많았다. 주호가고공과노비를보유한숫자는호당 1777년에약 1.54명, 1795년 1.47명 1798년 1.32명, 1813년 1.20명, 1825년 1.08명으로점차감소했다. 하지만, 고공이호적에서사라지는 1858년과 1861년에는다시호당노비의보유가 1.56명, 1.39명으로증가하게되었다. 흥미로운점은 년동안주호는고공을 20 30%, 노비를 70 80% 의비율로보유했으나, 그이후에는고공이사라지

171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71 고노비만남게되었다. 1825년이후고공이호적에서사라지고주호의숫자도점차감소하는데, 호당노비보유가증가하는것은고공이노비로대체되었기때문에나타나는현상으로보인다. 이는실제고공이사라졌다기보다는호적대장의기재방식변화나지역적특성등여러이유로인해장기고공이사라지고이들고공이노비화되었거나, 아니면호적에나타나지않는단기고공화되었기때문으로생각된다. < 표 11> 주호의노비및고공보유비중 ( 단위 : 명, %) 식년 고공과노비보유비중및호당숫자고공남고공녀노비계 (%) 호당노비와고공숫자 * 출전 : 언양호적대장 18 19세기에주호의노비보유비율은고공에비해거의두배이상으로서고공보다는노비를선호해서많이보유한것으로보인다. 이는앞에서설명한것과같이노비는주로생산노동력으로서, 고공은보유비중이낮은장년남성의경우는생산노동력의역할을했지만보유비중이높은여자고공의경우는가내사역등의노동력으로주로활용되어서그역할이서로다르기때문이다. 고공의경우여성비율이남성보다거의두배정도더많았던것이다. 여성노동력을선호했던경제적이유로는여성노동의유용성, 생산성, 낮은관리비용등을들수있을것이다. 한편, 노비경우는여성비율이남성보다크지만농업생산에적합한연령대가다수여서주호가여비를보유하는목적이순수한가사노동력을목적으로하기보다는, 여비의생산노동력기능을목적으로보유했을가능성이높다. 주호가남노와여비를어떠한비중으로보유하였는지를구체적으로살펴

172 172 지역과역사 37 호 보자. 그자세한노비의남녀구성비율은 < 표 12> 에나타나있다. 주호가보유한노비의성별구성비율은 1777년부터 1825년까지호당 1명의노비를보유하는것이일반적이었으며, 이경우여비만보유하는비율이 35 61% 으로가장많고, 남노만보유한비율이 20 30% 대이었다. 한편, 두명이상의노비를보유하는경우는주로여비만두명이상보유하는비율이가장높았으며, 그비중은 1777년 13%, 1795년 11%, 1798년 5%, 1813년 2%, 1825년 2%, 1858년과 1861년에각각 5%, 4% 이었다. 이같은노비의보유형태는고공의보유형태와유사하게나타나서주호는고공과노비 ( 특히, 여성노동 ) 를서로대체적으로사용했다는것을알수있다. 결국, 주호는호당 1명의고공과노비를보유하고있었으며, 남성노동력보다는여성노동력의비중이더많았다. < 표 12> 주호가보유한노비의남녀비중 ( 단위 : %) 주호가보유한노비의남녀비중 식년 (1, 0) (0, 1) (1, 1) (0, 2+) (2+,0) (1,2+) (2+,1) (2+,2+) 계 (%) % % % % % % % * 출전 : 언양호적대장 흥미로운사실은 19세기에주호는고공보다노비를생산노동력으로서현저하게많이사용하였으며, 고공의경우여자노동력의보유비중이특히높게나타났다. 이는주호가노비는생산노동력으로, 고공은노비와달리여성을중심으로가사노동이나생계형노동을목적으로한것으로보인다. 마지막으로남는의문점은 1825년이후고공이사라지고, 인구는감소했는데, 이시기생산노동력을누가제공했을까하는점이다. 결국, 고공이노동력으로서사라졌다기보다는고공이노비로전환되었거나, 호적에나타나지않는

173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73 단기고공으로되었기때문으로보인다. 3. 노비와고공의대체관계앞에서는주호의노비소유비율을살펴보았으며, 이를통해주호는고공과노비를서로다른노동목적으로보유하고있다는것을알수있다. 여기에서는주호가보유하고있는노비와고공의보유비율을통해두노동이서로직접적인대체관계를보이는지를파악해보고자한다. 본연구에서직접적인대체관계에대한기준은호적대장에서주호가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유한비율이노비또는고공만보유할때의비율보다커진다면두노동은서로보완적이며, 반면에보유한비율이작아진다면대체적이라는것을알수있다. < 표 13> 은주호의고공과노비를동시에보유하고있는현황을나타내고있으며, 두노동형태가서로대체노동력이었는가를살펴보고있다. 먼저, 노비를보유하고있는노주호는 1777년 621호인데, 이가운데노비만보유하고있는경우는 429호이며, 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유하고있는경우는 148호로약 3배정도줄어들었다. 이는노비를보유한호는고공을동시에대체적으로보유하고있다는것을나타낸다. 1797년에노비호는 395호가운데노비만보유하고있는경우는 177호이며, 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유하고있는경우는 87호로약 2배정도줄어들었다. 이같은추세는고공이사라지는 1825년까지지속되었다. 이는주호가노비와고공을대체적으로보유하고있다는것을나타낸다. 반면, 고주호의경우 1777년전체 261호가운데고공만보유한경우는 74호이었으나, 고공과노비를동시에보유한호는 148호로오히려증가하였다. 이는고공을보유한주호가추가적으로노비를동시에보유할비율이높아진것을나타내며, 고공과노비는서로보완적인노동관계라는것을알수있다. 1795년에도고공만보유한경우는 28호인데, 고공과노비를보유한경우는 87호로각각증가하였다. 이같은추세는 1825년까지지속적으로

174 174 지역과역사 37 호 나타나고있는데, 이는노동력의대체측면에서고공을보유한주호는노비를보완적노동으로사용했다는것을말해준다. < 표 13> 언양호적대장에서고공및노비의대체관계 ( 단위 : 명, %) 식년 주호 고주호 노비호 둘중한가지노동형태만보유 두노동형태모두보유 기타 ( 미상 계 고공 노비 고공ㆍ노비 포함 ) (6%) 429(35%) 148(9%) 50% 100% (5%) 177(29%) 87(5%) 39% 100% (3%) 344(28%) 164(7%) 38% 100% (2%) 224(36%) 69(4%) 42% 100% (2%) 112(36%) 42(6%) 44% 100% * 출전 : 언양호적대장 이같은결과는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노비는생산노동력으로서적합한역할을하였으며, 노비를보유하고있는주호는고공을생산노동력으로서노비를대체하는목적으로사용하였던곳으로보인다. 하지만, 가사노동력을제공하는역할로서여자고공을보유하고있는주호는노비를농업생산노동력으로서보완적으로필요로했던것으로보인다. 따라서노비와고공을보유하고있는주호에따라한편으로는생산노동력으로서대체적으로, 다른한편으로는가사노동력으로서보완적으로사용하여두노동형태가서로대체적, 또는보완적관계를보였던것이다. 이는고공의성격이크게 15 세이하의어린여자고공이거나, 30 40세의남성장년고공으로구분되어노비의생산노동력과서로보완적, 대체적관계를각각동시에보여주고있기때문이다. < 표 13> 의 5째부터 9째칼럼에는주호의노동형태별보유비율을나타내며, 주호가어떤노동형태를가장선호하고있는지를비율로나타낸것이다. 주호가가장높은비중으로보유했던노동형태는노비만을보유할때이며전체주호에서약 28 36% 정도였다. 그다음이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

175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75 유하는경우인데, 전체주호중에서 4 9% 의비중을보이고있다. 그다음이고공만을보유한경우로전체주호중에서 2 6% 의비중이었다. 고공과노비이외에기타알려지지않는노동력을보유한주호의경우모두기타로처리하였다. 결국, 조선후기언양지역에서주호는농업생산에서노비혹은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유하는노동형태를가장선호하였으며, 고공은노비등에대체적으로사용했을것으로보인다. 특히, 고주호의경우고공만을보유한경우보다고공과노비를동시에보유한경우가많았다. 맺음말 노비매매문기를사용한기존의노비연구는 1731년종량제로변환된후노비숫자가급격히줄었으며, 19세기들어서노비는연소화, 여성화되어서더이상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하지못했다는결론을보여주고있다. 하지만대구와언양의호적대장을분석한본연구는 19세기중후반노비인구는오히려증가되었으며, 노비는장년화, 남성화되었다는사실을보여주고있다. 본연구는이러한상반된결과가발생한가장큰이유의하나로 고공의노비화현상 에주목하여이를구체적으로검증하였다. 이를위해언양호적대장의노비자료를사용하여첫째, 생산노동력의측면과둘째, 호적대장의신분변화측면에서파악해보았다. 먼저, 언양의노비인구비중과노비의성별과나이등노동특성을살펴보고, 노비가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했는지파악해보았다. 노비의특성은나이, 성별, 가족구성여부를기준으로노비가농업생산에필요한노동력을갖추고있는지를살펴보았다. 둘째, 호적대장에서노비의출입사유와주호의노비소유형태등노비의신분적변화를살펴보았다. 또한호적대장에서노비와고공이서로노동대체적이었는지를분석해보았다. 본연구의결과를간략히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19세기중후반에신분제가본격해체되는과정에서고공은감소하나, 노비는오히려증가하

176 176 지역과역사 37 호 는현상을보여주고있다. 노비를보유한노주호비율이 년사이에 60% 정도이었으며, 노비인구의비중도 15 24% 정도이었다. 그런데 1861년에와서는노비를보유한주호의비율은 80% 이상으로급격히증가하였으며, 전체인구에서노비가차지하는비율도 29% 로증가하였다. 이처럼 1825년이후고공이호적에서사라지고난이후노비의숫자가오히려증가한원인은고공이노비로전환된 고공의노비화 현상으로인한것으로보인다. 19세기중후반고공은사라지고, 매득과신솔노비가없는데도불구하고언양에서노비숫자가증가했다는사실은고공의노비화현상을뒷받침해준다. 특히, 이시기대다수노비는새로태어난신분노비가아닌매득노비여서그신분이당대에그치는경우가일반적이었기때문에, 고공과노비사이의신분구별과노동특성의차이가거의없었다. 이러한사실은이시기양반일기 ( 승총명록, 노상추일기, 단계일기 ) 에서고공을노비와거의구분없이雇, 雇奴, 奴婢로혼용해서사용한많은사례를통해서도짐작할수있다. 둘째, 노비의성별과나이, 노비의유고사유등을분석해볼때고공과매우유사하다는점을확인할수있는데, 이는고공의노비화현상을간접적으로보여주고있다. 언양노비의성별구성은 년까지남녀비중이각각 45%, 55% 로여자가조금많았지만, 1825년이후남노가 37%, 여비가 63% 으로여자비중이더욱높아졌다. 그리고노비의연령구성을보면, 16 40세의비중이가장높게나타났다. 이는 19세기중후반에언양호적대장에서나타나는노비는매매노비와달리생산노동력으로서역할을했다는것을보여준다. 셋째, 언양지역에서 1825년이후도망노비의총숫자는감소하고, 재래노비의숫자는오히려증가하여노비에대한장기보유현상을확인할수있다. 특히, 1825년이후노비의새로운신솔과가현이없는상태에서노비숫자가증가한것은기존고공이노비로전환됨으로인한원인으로생각된다. 넷째, 노비와고공이서로노동력측면에서대체혹은보완관계에있다는사실을보여주고있다. 조선후기언양지역에서주호의노비보유비율은고

177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77 공에비해거의두배이상으로서고공보다는노비를선호해서많이보유한것으로보인다. 노비와고공의직접적인노동대체관계를확인하는작업에서노비를보유하고있는노주호가운데노비만보유한것에비해노비와고공을동시에보유한경우는약 3배정도줄었다. 이는노비를보유한주호는고공을동시에대체적으로보유하고있다는것을나타낸다. 이같은결과는앞에서살펴본바와같이노비는생산노동력으로서적합한역할을하였으며, 노비를보유하고있는주호는고공을생산노동력으로서노비를대체하는목적으로사용하였던곳으로보인다. 하지만, 가사노동력을제공하는역할로서고공을보유하고있는주호는노비를농업생산노동력으로서보완적으로필요로했던것으로나타났다. 19세기중후반에나타난고공의노비화현상이내포하고있는주요의미는신분제가본격해체되면서노비신분자체보다는노비의노동력기능이강조된다는점이다. 즉, 노비제도의신분갈등은 17 18세기에노비의도망과저항, 신분상승에대한욕구등으로나타났으나, 19세기중후반에는갈등의주체가노비가아닌주호가노동력을매개로노비를선택한다는점에서그의미가다르다. 본연구는신분제가본격해체되는 19세기중후반에노비의특성이어떻게변화되고있는지를보여주고있다는점에서조선후기노비연구에기여를할수있다. 특히, 고공이사라지고, 노비의숫자가급격히감소하는시기에누가생산노동력을담당했을까하는근본적문제점에대한해답을찾고있다. 참고문헌 ꡔ 備邊司謄錄 ꡕ, ꡔ 朝鮮王朝實錄 ꡕ, ꡔ 承政院日記 ꡕ, ꡔ 日省錄 ꡕ, ꡔ 慶尙道彦陽戶籍大帳 ꡕ, ꡔ 端磎日記 ꡕ, ꡔ 盧尙樞日記 ꡕ, ꡔ 勝聰明錄 ꡕ, ꡔ 秋官志 ꡕ, ꡔ 大典通編 ꡕ, ꡔ 審理錄 ꡕ 권내현, 조선후기호적, 호구의성격과새로운쟁점 ꡔ 한국사연구 ꡕ 135, 2006.

178 178 지역과역사 37 호 김건태, 조선후기호적대장의인구기재양상- 단성호적을중심으로 ꡔ역사와현실ꡕ 45, 金建泰, 조선후기私奴婢파악방식 ꡔ 歷史學報 ꡕ 181, 김건태, ꡔ조선시대양반가의농업경영ꡕ, 역사비평사, 金錫禧, 朝鮮後期의慶尙道彦陽縣戶籍大帳에關하여 ꡔ 釜大史學 ꡕ 7, 金錫禧, 18, 19세기戶口의實態와身分變動 ; 新例彦陽縣戶籍大帳을중심으로 ꡔ 人文論叢 ꡕ 26, 釜山大, 김석희, ꡔ조선후기지방사회사연구ꡕ, 혜안, 金容晩, ꡔ 朝鮮時代私奴婢硏究 ꡕ, 집문당, 金容燮, ꡔ 朝鮮後期農業史硏究 ꡕ ⅠㆍⅡ, 일조각, 1970 ㆍ1971. 金容燮, 朝鮮後期兩班層의農業生産 - 自作經營의事例를중심으로- ꡔ 增補版朝鮮後期農業史硏究 ꡕ Ⅱ, 일조각, 金容燮, 朝鮮後期의經營型富農과商業的農業 ꡔ 增補版朝鮮後期農業史硏究 ꡕ Ⅱ, 일조각, 김재호, 自賣奴婢와인간에대한재산권, ꡔ경제사학ꡕ 38, 金鴻植, ꡔ 朝鮮時代封建社會의基本構造 ꡕ, 박영사, 김희호ㆍ이정수, 조선후기협호와고공의비교 ꡔ경제사학 ꡕ 57, 노영구, 朝鮮後期戶籍帳籍硏究現況과電算化의一例 ꡔ 大東文化硏究 ꡕ 39, 朴成壽, 雇工硏究 ꡔ 史學硏究 ꡕ 18, 朴容淑, 18ㆍ19세기의雇工 - 慶尙道彦陽戶籍의分析 - ꡔ 釜大史學 ꡕ 7, 朴容淑, 朝鮮後期의挾戶 ; 彦陽戶籍의事例를중심으로 ꡔ 釜山大學校師大論文集 ꡕ 14, 박용숙, ꡔ조선후기향촌사회사연구ꡕ, 혜안, 손병규, ꡔ호적 호구기록으로본조선의문화사-ꡕ, 휴머니스트, 宋贊植, 朝鮮後期農業에있어서의廣作運動 ꡔ 李海南博士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ꡕ, 일조각, 심재우, 조선후기단성현법물야면유학호의분포와성격 ꡔ역사와현실ꡕ 41, 심재우, 조선후기사회변동과호적대장연구의과제 ꡔ역사와현실ꡕ 62, 安承俊, 16~18 世紀海南尹氏家門의土地ㆍ奴婢所有實態와經營 - 海南尹氏古文書를中心으로- ꡔ 淸溪史學 ꡕ 6, 安承俊, ꡔ 朝鮮前期私奴婢의사회경제적성격ꡕ, 경인문화사, 윤용출, ꡔ조선후기의요역제와고용노동ꡕ, 서울대학교출판부, 李榮薰, 古文書를통해본朝鮮前期奴婢의經濟的性格 ꡔ 韓國史學 ꡕ 9, 李榮薰, 朝鮮後期農民經營에서主戶 - 挾戶關係 ꡔ 朝鮮後期社會經濟史 ꡕ, 한길사,

179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李榮薰, 韓國史에있어서近代로의移行과特質 ꡔ경제사학 ꡕ 21, 李榮薰, 한국사에있어서奴婢制의추이와성격 ꡔ노비ㆍ농노ㆍ노예- 隸屬民의比較史 -ꡕ, 일조각, 李榮薰, 18~19세기奴婢世襲原理의변화- 江原道原州牧權氏兩班家의事例分析 - ꡔ 李樹健敎授停年紀念韓國中世史論叢 ꡕ, 이정수, 조선후기盧尙樞家의재산변동과농업경영 ꡔ지역과역사ꡕ 29, 이정수ㆍ김희호, ꡔ조선시대노비와토지소유방식ꡕ, 경북대출판부, 이정수ㆍ김희호, 조선후기奴婢賣買자료를통해본奴婢의사회ㆍ경제적성격과奴婢價의변동 ꡔ 韓國民族文化 ꡕ 31, 이정수ㆍ김희호, 조선후기奴婢價변동의원인- 생산성과노비관리비용을중심으로- ꡔ지역과역사 ꡕ 23, 이정수ㆍ김희호, 세기雇工의노동성격에대한재해석 ꡔ경제사학ꡕ 47, 李俊九, ꡔ 朝鮮後期身分職役變動 ꡕ, 一潮閣, 李海濬, 朝鮮後期湖西地方한兩班家의奴婢所有實態 - 公州中湖慶州李家所傳戶口單子分析 - ꡔ 湖西史學 ꡕ 8ㆍ9, 李勛相ㆍ孫淑景編著, ꡔ 朝鮮後期彦陽의鄕班昌寧成氏家門과天主敎受容者들그리고이에관한古文書 - 附 : 彦陽縣丁酉式戶籍臺帳 ꡕ, 釜山敎會史硏究所, 林學成, 朝鮮後期戶籍台帳에보이는私奴婢의二重登載相에대하여 ꡔ 古文書硏究 ꡕ 3, 장경준, 조선후기호적대장과 戶 의성격- 경상도지역사례-,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全炯澤, 朝鮮後期奴婢勞動에있어서의雇立制의전개 ꡔ 邊太燮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ꡕ, 삼영사, 全炯澤, ꡔ 朝鮮後期奴婢身分硏究 ꡕ, 일조각, 鄭奭鍾, 朝鮮後期奴婢賣買文記分析 ꡔ 金哲埈博士華甲記念史學論叢 ꡕ, 지식산업사, 鄭震英, 19세기중반-20세기초반在村兩班地主家의농업경영 -경상도단성金麟燮家의家作地경영을중심으로 ꡔ대동문화연구 ꡕ 62, 최승희, 조선후기幼學ㆍ學生의신분사적의미 ꡔ국사관논총 ꡕ 1, 崔潤晤, 조선후기 和雇 의성격 ꡔ 忠北史學 ꡕ 3, 崔潤晤, 18ㆍ19세기농업고용노동의전개와발달 ꡔ한국사연구ꡕ 77, 朝鮮總督府, ꡔ 朝鮮ノ小作慣行 ꡕ 上卷ㆍ下卷, 1933.

180 180 지역과역사 37 호 韓榮國, 朝鮮後期의雇工 -18ㆍ19 世紀大邱府戶籍에서본그實態와性格 - ꡔ 歷史學報 ꡕ 81, 韓永愚, ꡔ 朝鮮前期社會經濟硏究 ꡕ, 을유문화사, 허종호, ꡔ조선봉건말기의소작제연구ꡕ, 사회과학원출판사 ( 북한 ), 호적대장연구팀, ꡔ단성호적대장연구ꡕ, 성균관대대동문화연구원, 久間健一, ꡔ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ꡕ, 目黑書店, 四方博, 李朝人口に關する身分階級別的觀察 ꡔ 京城帝國大學法學會論集 ꡕ 10, 투고일 심사의뢰일 심사완료일

181 19 세기중후반언양지역노비의노동성격변화 181 Abstract A Study on Nobi in the 19 th Century from the Official Household Register Record of Eonyang Lee, Jung-Soo and Kim, Hee-Ho Using Nobi s trading document of Nobi, the previous studies found that Nobi decreased in number, and most of them became to be very young female over the 19 th century. Nobi seemed not to work on farmland as laborers, but did some houseworks for living costs. In contrast to the literature, this paper using the official household register shows that Nobi increased in number, and large portion of them were middle-aged male in the 19 th century Eonyang area. That is, Nobi were farmhands as laborers in agricultural economy in the 19 th century. These surprising results might arise from the disappearance of Kogong and their enslavement in the official register. Kogong should have been counted as Nobi in the official household register. Keywords ㆍNobi( 노비 ) ㆍKogong( 고공 ) ㆍTrade of Nobi( 매매노비 ) ㆍLabor Characteristics( 노동특성 ) ㆍOfficial Household Register of Eonyang( 언양호적대장 )

182

183 ꡔ 지역과역사 ꡕ 37, , 183~226 쪽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 부산지방법원의판례를중심으로 - 23) 정선미 * 머리말 Ⅰ. 국가보안법의제정과변화과정 1. 국가보안법제정 2. 국가보안법개정과정 3. 국가보안법사범의급증 Ⅱ. 6 ㆍ 25 전쟁이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 부산ㆍ경남의정치상황과좌익의쇠퇴 2. 전쟁이전부산ㆍ경남지역국가보안법판례의특징 Ⅲ. 6 ㆍ 25 전쟁과국가보안법 1. 전쟁발발과이승만정권의정치범대책 2. 부산형무소내의학살과국가보안법맺음말 머리말 국가보안법은단독정부수립직후내란행위방지라는이름으로발의된법이다. 혼란한해방정국과신생국가건설초기정권반대세력을제압하기위한목적으로제정되었기에, 탄생과정에서부터많은논란을동반하였다. 제정과동시에수많은정치범을양산하면서그위력을떨친국가보안법은 6ㆍ25전쟁을거치면서남한에굳건한반공이데올로기형성에법적기제로뿌리를내리게되었다. 이러한국가보안법에대한초기연구는정치사회적제약으로인해관변 * 부산대학교사학과박사과정 (jokuk75@nate.com).

184 184 지역과역사 37 호 측의실정법적해석또는실무지침서로의해설 1) 에서시작되었다. 국가폭력 2) 의제도적장치로인식하여폐지론의입장에서선연구는 6월항쟁이후에야가능하게되었다. 법조계나법학연구자들은존ㆍ폐론의입장에서국가보안법의조항과운용에서의입장을두고서로대립해왔다. 3) 그당위성을뒷받침하기위해국가보안법의역사적뿌리에대한연구도폐지론에입각하여연구가진행되었다. 4) 또한국가보안법의법계열로서치안유지법에대한연구와국가보안법과의연관성을검토한연구가있다. 5) 그 1) 오제도, ꡔ 국가보안법실무제요 ꡕ, 문인구, ꡔ 국가보안법실무제요 ꡕ, 오탁근, ꡔ 공안판례집 ꡕ, 염정철, ꡔ 국가보안법해설 ꡕ, 이수엽, ꡔ 안보형사법 ꡕ, 한옥신, ꡔ 국가보안법ㆍ반공법개설 ꡕ, 1970 ; ꡔ 사상범죄론 ꡕ, 등 ( 박원순, ꡔ 국가보안법연구 ꡕ 1, 1989, 64 쪽인용 ). 그리고대표적으로대검찰청수사국, ꡔ 좌익사건실록 ꡕ 1-12, 1965~1981 이있다. 2) 국가폭력이란강제수단을동원해개인이나사회제집단을억압하고통제하는근대국가의행위내지활동을가리킨다 ( 변동명, 제 1 공화국초기의국가보안법제정과개정 ꡔ 민주주의와인권 ꡕ 7-1, 2005, 86 쪽 ). 3) 존치론의입장 : 정경식ㆍ이외수, ꡔ 신국가보안법 ꡕ, 이진우, ꡔ 국가보안법의허와실 - 자유민주주의수호를중심으로 ꡕ, 서문당, 채병용, 국가보안법존폐론에관한연구,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폐지론의입장 : 조국, 한국근현대사에서의사상통제법 ꡔ 역사비평 ꡕ 여름호, 남궁호경, 국가보안법의해석론적고찰 ꡔ 대한변호사협회지 ꡕ, 홍성우, 국가보안법의운용실태와기본적인권의침해, 위의책, 국순옥, 국가보안법폐지와그이후의문제들, 위의책, 박원순, 사상억압의구조와법제, 사상의자유를위한공청회, 한기해, ꡔ 국가보안법 ꡕ, 공동체, 전상숙, 사상통제정책의역사성 ꡔ 한국정치외교사논총 ꡕ 27-1, ) 박원순, ꡔ 국가보안법연구 ꡕ 1,2,3, 1989~1992. 박원순은국가보안법의제정에서부터오늘날까지의개정과정을역사적으로개괄하고그부당한적용사례들을집대성하여오늘날까지그에필적할만한연구가없다고할만큼연구사적의의가크다. 서중석, 정부수립후반공체제확립과정에대한연구 ꡔ 한국사연구 ꡕ 90, ) 한인섭, 치안유지법과식민지통제법령의전개 ꡔ 한국법사학논총 ( 박병호교수환갑기념논문집 )ꡕ, 박영사, 장신, 1920 년대민족해방운동과치안유지법 ꡔ 학림 ꡕ 19, 1998 ; 1930 년대전반기일제의사상전향정책연구 ꡔ 역사와현실 ꡕ 37, 조국, 앞의논문, 지승준, 1930 년대일제의사상범대책과사회주의자들의전향논리 ꡔ 중앙사론 ꡕ 10 ㆍ 11, 전상숙, 일제전향정책의성격 ꡔ 한국외교사논총 ꡕ 24-1, 2002 ; 사상통제정책의역사성 ꡔ 한국외교사논총 ꡕ 27-1,

185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85 리고제헌의원들과사상검사집단에대한연구가있지만 6) 국가보안법체제를형성케한주체로서검토한연구는부족한편이다. 최근의연구에서기존의선행연구가폐지론에입각해당위성을강조해실증적연구가부족하다고비판하였다. 이연구는초기국가보안법의제정과 1ㆍ2차개정과정에서보이는국회내논의과정을당시정세와사회적분위기를살펴, 그정치적함의를심층적으로살펴보고자했다. 7) 이연구를통해국가보안법이이승만과부일협력세력들의합작에의한통제수단으로이용되며, 좌익세력에대한척결과더불어국회내민족주의세력마저제거하면서반공체제구축에일조하였음을보여주고있다. 그러나필자가지적한선행연구의문제의식은완전히해소시키지못한것같다. 국가보안법이제정되고개정되는과정에서실제그운용이어떠하였는지그로인한사회변화에대해서는주목을돌리지못하고있기때문이다. 또한 6ㆍ25전쟁전후정치범에대한법제들의종류와그운용과정을주한유엔민간원조사사령부자료를통해분석한연구도있다. 8) 국방경비법이나계엄법등이당시법적근거가없음에도자의적으로실효된과정을밝히면서, 법의폭력적인면모를보여주고있다. 이연구는기존국가폭력의제도적장치가국가보안법이외에도다양하게존재했으며, 그법들의운용이어떠했는지를보여준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황민호, 전시통제기조선총독부의사상범문제에대한인식과통제 ꡔ 사학연구 ꡕ 79, 강성현, 한국사상통제기제의역사적형성과보도연맹사건, ,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문준영, 한국검찰제도의역사적형성에관한연구,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4 ; ꡔ 법원과검찰의탄생 - 사법의역사로읽는대한민국 ꡕ, 역사비평사, 강성현, 1945~50 년검찰사법의재건과사상검찰의반공사법, ꡔ 기억과전망 ꡕ 25, 박원순, 앞의책 1, 서희경, 한국제헌국회의정치세력형성에관한연구 : 일제식민지시기의사회세력과의연관성을중심으로 ꡔ 한국정치외교사논총 ꡕ 26-1, 박철규, 부산ㆍ경남지역의제헌국회의원분석 ꡔ 항도부산 ꡕ 24, ) 변동명, 앞의논문, ) 김득중, 6 ㆍ 25 전쟁전후정치범관련법제의성립과운용 ꡔ 사림 ꡕ 33, 2008.

186 186 지역과역사 37 호 한편으론 6ㆍ25전쟁전정치범을양산하게한법령들의계보를찾아한국에서의정치범ㆍ사상범관계법의역사적형성과그성격및특징, 정치범에대한인식의변화를분석한연구도있다. 9) 특히기존의제정국가보안법과치안유지법의유사성에주목하던종전의연구와는달리, 국가보안법 1차개정안분석을통해 1941년치안유지법전부개정과국가보안법의개정안이같은맥락이라는것을밝혀냈다. 또한좌익수들에대한규정이미군정시기부터전쟁전까지정치범이란의미가퇴색되고, 반국가적비도덕적인존재로인식되어가는과정을보여주고있다. 이연구는전쟁발발직후정부에의한학살이어떻게용인될수있었는지를관련법들의법계열의측면과그대상자였던정치범들을어떻게인식하고있었는가의측면에서고찰했다는점에서의의가있다. 그러나기존의연구들에서사용된근거자료들은주로신문기사와정부간행물들을이용했기에, 제ㆍ개정의논란이나국가보안법자체내용의비교분석으로, 국가보안법의역사적성격을추론하거나당시정치세력의역관계에주로주목해왔다. 반면국가보안법의운용측면을역동성있게보여주지못하는한계를가지고있다. 가장중요한 1차사료라고할수있는공소장을비롯한수사기록, 판결문을비롯한재판기록이남아있지않거나일반연구자들이접근하기곤란하기때문이다. 10) 이글은먼저국가보안법체제의형성이시작된 1949년과 1950년의부산지방법원의국가보안법판결문이라는사료를활용했다는점에서기존연구와는다르다. 판결문이라는사료가가지는의의는첫째기록된범죄사실을통해당시좌익세력들의활동양태와지역을상세히살펴볼수있다는점이고, 둘째, 국가보안법중어떤조항이주로활용되었는지그로인해국가보안법의적용성격을파악할수있다는점이다. 다음으로전쟁발발연도인 ) 강성현, 한국전쟁전정치범양산 법계열 의운용과정치범인식의변화 ꡔ 사림 ꡕ 36, ) 박원순, 앞의책 1, 1989, 66 쪽. 본인의경우에도사료입수까지수월하지않았고이후추가자료를얻고자했으나공개불가라는답변을받았다.

187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87 년도부산교도소교정통계를통해당시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수와학살가능성을유추할수있었다. 이러한사료를바탕으로이글에서는국가보안법제정과변화, 그리고좌익세력의활동양상과이를제어한국가보안법의적용특징을살펴보고자한다. 그리고대다수수감중이었던국가보안법사범들이 6ㆍ25전쟁을거치면서학살되었고부산경남지역에서좌익세력의소멸이라는결과를초래하였음을주장하고자한다. Ⅰ. 국가보안법의제정과변화과정 1. 국가보안법제정정부가수립된이후에도정권기반이취약했던이승만정권은내전을방불케하는좌익을비롯한민중의저항에정권을유지하는데심각한위협을느끼게되었고, 이를통제할법적장치의필요성을절감하게되면서국가보안법발의를도모하게되었다. 1948년 12월검찰총장권승렬 11) 이사상, 경제범에대한온정적이고관대한처분이도리어건국치형에역효과를초래할우려가있다면서사상범과테러범을정치범이라하거나모리간상배를경제범이라하여온정적인조치를취하는것을일소하고, 건국을방해하는일종의반역도배 로취급하여철저준열하게처단하고사찰과범죄예방에전력을다하라고지시했다는것에서당시정권의정치범에대한입장을엿볼수있다. 12) 그러나실제경제범들에대해서는엄벌주의방침은자주흔들려 11) 권승렬 (1895 년 ~1980 년 ) 은일제시기변호사로항일변론활동을하며독립운동에기여하였고, 해방이후미군정기에는사법부차장 ( 법제처장 ), 법전기초위원회위원, 사법요원양성소 ( 부 ) 소장, ꡔ 권승렬헌법초안 ꡕ 작성, 그리고대한민국정부수립후에는반민특위특별검찰부장, 초대검찰총장, 법무장관 (2 대ㆍ 10 대 ) 등한국법조계최고위직인사로활동하던인물이다 ( 서용태, 1920~1930 년대권승렬의변호사활동 ꡔ 지역과역사 ꡕ 25, 2009, 238 쪽 ). 12) 건국에방해되는범죄처벌에관한건 1948 년 12 월 16 일대검비제 66 호 ꡔ 검찰

188 188 지역과역사 37 호 인재확보 라는명분으로기소유예의범위를확대하고경제사범, 일반사범, 경찰관의범죄처리시에는 애국자 논리로비호되는경우가많았다. 13) 결국엄정방침은정치범에게유효한것이었고, 국가보안법의제정으로탄력을받게되었다. 국가보안법은신생대한민국이출범한후얼마되지않아국회를통해제정되었다. 제헌국회의원들의대다수성향이우익임에도국가보안법의제정은일사천리로진행될수없었다. 14) 이승만의정치적동반자였던한민당에서도국가보안법의악용에대한우려가많았는데, 이는향후정치적탄압으로활용될것을우려하였기때문이다. 제헌국회내소장파의원들을중심으로국가보안법제정반대론을펼쳤는데그이유를정리하면크게 4가지정도이다. 15) 예규에관한기록 ꡕ, 1948( 문준영, ꡔ 법원과검찰의탄생 ꡕ, 역사비평사, 2010, 649 쪽 ). 13) 문준영, 위의책, 649 쪽. 14) 당시제헌국회의원들의당적을정리하면다음과같다. 당적 수 당적 수 무소속 85 한국독립당 1 대독촉국회 55 교육협회 1 한국민주당 29 전도회 1 대동청년단 12 단민당 1 조선민족청년단 6 대성회 1 대한노동총연맹 1 민족통일본부 1 대독촉농민 2 조선공화당 1 조선민주당 1 부산일오구락부 1 대한청년단 1 합계 200 ( 김득중, 제헌국회의구성과성격,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3, 80 쪽표 3-1 재구성 ). 표를보면무소속이 42.5% 의비중을가진 85 명으로가장많고다음으로대한독립촉성국민회, 한국민주당이 29 인이고대동청년단이 12 명기타정당및사회단체가 19 명이다. 그러나당시자료에의하면한민당관련자가 60~80 명으로사실상원내최대세력이었다고한다. 15) 제헌국회내한민당세력및이승만세력과구별되는제 3 원내세력에대해초기에는 무소속파 혹은 무소속세력 으로지칭하다가차츰 소장파 라는지칭이통용되었다 ( 백운선, 제헌국회소장파의활동과역사적재평가 ꡔ 역사비평 ꡕ 24, 1993,

189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89 첫째는적용에있어서의자의성문제이다. 즉정치적악용의우려를나타내는의견이다. 특히제1조조항의애매성으로인한문제제기가많았다. 16) 둘째는과거치안유지법의잔재인반민주악법이라는견해이다. 17) 셋째는남북통일에장애가된다는견해이다. 18) 넷째는법적용의중복성과사상에대해서는사상으로대응해야한다는논리이다. 19) 그러나여러이유중에도자의적적용문제가가장크게대두되었는데이는언론사설과기사들에서도다루어졌다. 20) 반면에폐기하자는의견에반대하는대다수의국회의원 21) 들의주장은여순사건, 대구반란사건등정부수립이후연일폭동이일어나는원인이이들을막을강력한법제의부족에있다고보았으며, 22) 국가보안법제정을통해좌익세력들의준동을뿌리뽑아야한다고보았다. 그리고반대편에서지적된자의적적용에대한우려에관해서벌어질수있음을일정인정하면서도그것은법제정이후보완하면된다고보는입장으로맞섰다. 23) 그럼제정까지의과정을간략하게살펴보자. 제105차국회본회의에서신익희의장의경과보고 24) 에따르면 9월 3일김인식의원외 32명의의원이 234 쪽 ). 16) ꡔ 서울신문 ꡕ, , 제 1 회 108 차국회본회의, 국가보안법심의에서각의원의발언요지, 신성균의원의발언. 만약원안 1 조가통과된다면법의집행자가애국자나비애국자를다함께처벌할수있게된다. 특히남북통일을위하여정신적으로비상히노력하는진정한애국자를처단할우려가있으며, 동조항을여하히수정하더라도꼭같은결과를가져올것이며어떤층을탄압하기위한동법안이내일오히려그어떤층이권력을잡으면반대의결과를가져올것이아닌가? 누가권력을잡더라도공통될만한진정한민주적법을제정해야한다. 17) 앞의속기록, 1 회 105 차 ( ), 948 쪽, 노일환의원발언. 18) 위속기록, 1 회 108 차 ( ), 996 쪽, 박윤원의원발언. 19) 위속기록, 1 회 105 차 ( ), 951 쪽, 박해정의원발언. 20) ꡔ 동아일보 ꡕ , 운용에신중을기하라. ꡔ 세계일보 ꡕ , 국가보안법에대한각계여론. 21) 앞의속기록, 1 회 105 차 ( ), 948 쪽 ~949 쪽, 조한식의원발언. 22) 위속기록, 1 회 105 차 ( ), 958 쪽, 이주형의원발언. 23) 위속기록, 1 회 105 차 ( ), 948 쪽 ~949 쪽.

190 190 지역과역사 37 호 내란행위처벌법 제정에관한동의안을제출하였다. 25) 9월 30일법제사법위원회 ( 이하법사위 ) 에법안의작성을부탁하여 10월 28일법사위에서법안작성을최촉하는결의를하였다. 11월 9일본회의에서전문 5조의국가보안법초안 26) 이작성되어제출했으나, 많은국회의원들의문제제기가이어졌다. 심지어국회에출석한법무부장관과검찰총장도문제점을지적하는바람에법제사법위원회안을폐기하고신안을작성할것을결의하게되었다. 11월 16일제105차회의에서다시상정된법안에대해김옥주의원을비롯한 47명의의원이 국가보안법폐기에관한동의안 을상정해제정론을주장하는의원들과의설전이벌어졌으나, 결국폐기동의안은 37대 69로부결되고말았다. 이어 11월 18일제107차회의에서글자만수정되어상정한법안에대해제 1독회가시작되었으나처리과정에대한입장차이로토론끝에, 19일제108차회의에서제 2독회가시작되었다. 여기서는각조항에대한축조심의가되는데, 신성균의원외 20명에의하여제1조자체에대한삭제수정동의안이제출되었고격렬한토론끝에이안은부결되고만다. 이후제 3독회는생략하고 11월 20일제109차회의에서일부자구만수정된국가보안법은보고ㆍ접수되어 1948년 12월 1일법률제10호로정식공포시행되었다. 2. 국가보안법개정과정 국가보안법제정이후그목적을유감없이발휘하기시작했다. 이는법무부의수장이었던권승렬의발언에서도알수있다. 24) 위속기록, 1 회 105 차 ( ), 945~953 쪽. 25) 원래는서북청년단출신으로우익청년단들의통합흐름으로탄생된대동청년단을당적으로황해도해주옹진을에서출마해당선된인물이다 ( 김수자, 대동청년단의조직과활동 ꡔ 역사와현실 ꡕ 31, 1999). 26) 당초내란행위특별조치법이라는명칭이기존의내란죄와중복된다는이유로이때부터국가보안법이라는명칭으로불리게된다 ( 앞의속기록, 1 회 108 차회의록, 993 쪽 ).

191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91 작년 12월 1일날법률 10호로국가보안법을제정해가지고이법률로서사법당국에서는좌익공산분자를박멸하는소재로써왔습니다. 그공로는지극히큽니다. 이법으로서적색좌익공산도배들을집어넣어서구속한수는무려 3만에가깝습니다. 27) 라고하듯국가보안법제정이후형무소의수용인원이급격히늘어났다. 당시수용자의약 8할은좌익수였기에이런증가는검찰과법원의업무과중으로이어질수밖에없었다. 28) 정부는이를명분을내세워개정안제안배경으로제시하였지만, 실제로는처음발의시킬때처럼처벌조항을더욱강화시키고시행절차를간소화해반대세력들을통제하기위한목적을더욱강화했다. 국가보안법 1차개정안은정부안으로제출되어국회법사위의검토를거쳐, 1949년 12월 2일국회본회의에서제1독회에상정되었다. 1차개정안의주요내용은정부참칭, 국가변란목적의결사또는집단을구성한자에대하여사형이가능하도록한점, 미수죄의신설, 외국인이외국에서범한범죄라도이법의적용이가능한보호주의의채택, 단심제로의전환, 교화가능한자에대한보도구금소수용규정, 법의소급적용등이다. 29) 이는제정국가보안법보다인권유린의요소가더욱강화된것임에도불구하고심의과정은일사천리로진행되었다. 그것은제정국가보안법제정과정에서반대론을펼친대다수의의원들이국회프락치사건으로의원직을박탈당했기때문이었다. 그러나 1차개정이 1949년 12월 19일법률제 85호로공포된지두달도되지않아정부로부터 2차개정안이국회에제출되었다. 이법률은실제대통령령을제정하지않아시행도되지못한상황이었다. 그이유는단심제등의인권유린조항에대한사회적비난이격렬해지자이를무마하기위한것이었다. 30) 국회역시 1차개정안에대해정부안에문제제기없이통과시켜 27) 위속기록, 제 5 회제 56 차회의록 (1949 년 12 월 2 일 ), 1382 쪽. 28) 위속기록, 제 5 회제 56 차회의록 (1949 년 12 월 2 일 ), 1389 쪽. 29) 박원순, 앞의책 1, 1989, 105 쪽.

192 192 지역과역사 37 호 국내여론이악화되자, 2차개정안심의에신경을쓸수밖에없었기에독자적인수정안을제출하였다. 국회본회의에서는정부안과법사위수정안을두고격론이벌어졌으나법사위수정안에대한지지가높아거의그대로통과되었다. 국가보안법은그초기법안명칭이 내란행위특별처벌법 내지는 내란행위방지법 으로불리던것이법사위에서기초를거치면서국가보안법으로명명되었는데그배경에는기존형법상내란죄처벌규정과구별할필요가있었던데다, 31) 북한정권과경쟁구도에있던이승만정권은초창기부터내란운운의법을제정하는데에대한대외적부담감이컸기때문일것으로판단된다. 또한명칭뿐만아니라그내용에도변화가있었다고보는데, 내란행위특별처벌법 이국가보안법으로개명되면서반국가단체나정당등의조직과활동을사전에봉쇄함으로써내란을미연에방지하기위한법안으로그성격이바뀌었다는것이다. 32) 그러나여기에대해서는이법의초기제안때부터이미위와같은의도가담겨있다는견해도있다. 33) 이는기존형법상내란행위는단심에다그최고형이사형이었던엄중처벌방침이있었음에도굳이별도의특별처벌법을제정하려할필요가있었는가에문제의식을가졌다. 이법이내란행위방지법이라지칭된것을볼때아마내란행위의예방목적즉단체의조직과활동을사전봉쇄할의도가있었다고보는것이다. 그근거로 1차초안이언론에보도되었을때내란행위나예비음모를처벌하는조항과함께목적ㆍ결사ㆍ집단을구성하거나혹은가입또는선동ㆍ선전내지방조하는행위를처벌하는조항이모두포함되었다고한다. 34) 두 30) ꡔ 한성일보 ꡕ , 정부의국가보안법개정안중單審制방안에대해각계가반발 ; , 단심제에대한疑義. ꡔ 서울신문 ꡕ , 權承烈법무부장관, 국가보안법개정으로인한인권유린의염려는없다는담화를발표. 31) 당시형법은일제강점기의구형법을그대로쓰고있었다. 대한민국형법은 1953 년에법률 293 호로써제정되었다. 32) 박원순, 앞의책 1, 1989, 80~81 쪽. 33) 변동명, 앞의논문, 2005, 93 쪽. 34) ꡔ 자유신문 ꡕ , 국회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국가보안법을기초중이던바, 수일전전문 9 조로된동법초안의작성을완료 자유신문에게재된

193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93 견해모두국가보안법의성격이반정부적성향의단체들의조직과활동을사전봉쇄하는데목적이있었다는것을인정하는것이며실제판결문의판례분석에서도이와같은결과를유추할수있었다. 3. 국가보안법사범의급증 국가보안법은공포된이후제정의목적을유감없이발휘하기시작했다. 첫번째는좌익세력의척결에큰공헌을하였다. 서울의경우는공포후 6일만에국가보안법위반으로 100여건의영장이발부 35) 되었으며, 춘천, 36) 광주, 37) 부산 38) 등각지역에서국가보안법사범들이급증하기시작했다. 최초의국가보안법재판은민애청원최선기에대한공판 39) 으로오제도검사로부터징역 1년을구형받았으며, 제1조 3항의비밀정치단체가입의죄가적용되었다. 첫공판이보여준것처럼이후국가보안법에서가장많이적용되는조항이바로이제1조 3항으로국가보안법제정목적인좌익세력척결을상징적으로보여주는공판결과라고할수있다. 1949년한해이법에의하여검거투옥된사람만 118,621명이고, 1950 년초 4개월동안총 32,018명이체포되었으며 40), 그해 9~10월사이 132 개의정당과사회단체가해산되었다. 이런대량구속사태는전국의형무소의과포화상태를초래했는데, 정부수립당시 18개형무소와 1개형무소지소와 3,372명의형무직원이있었다. 정치범의증가로 1949년 10월 27일 이초안은국회에서제출된 1 차초안과는차이가있는데법사위에서 11 월 1 일 1 차기초한내용이언론에보도되면서파문이일자조항을수정한것으로본다 ( 변동명, 앞의논문, 2005, 93~94 쪽 ). 35) ꡔ 서울신문 ꡕ ) ꡔ 강원일보 ꡕ , 춘천경찰서, 보안법포고후위반자 30 명을검거. 37) ꡔ 호남신문 ꡕ , 광주지방검찰청등의국가보안법위반자처리숫자격증. 38) ꡔ 부산신문 ꡕ , 부산형무소의수감자실태. 39) ꡔ 서울신문 ꡕ ) 국회도서관입법조사국, ꡔ 국제연합한국위원단보고서 ꡕ(1949 ㆍ 1950), 1965 ( 김득중, 앞의논문, 2008, 168 쪽재인용 ).

194 194 지역과역사 37 호 형무소설치에관한건 을제정공포하여부천형무소와영등포형무소를신설하기도했지만, 늘어나는정치범을감당할수없었다. 당시연도별형무소수용인원을정리한표는다음과같다. < 표 1> 연도별각형무소수용인원 연도 경성 마포 춘천 대전 청주 공주 대구 부산 마산 진주 광주 소록도 목포 전주 군산 개성 김천 안동 인천 1638 총계 17,324 19,831 22,329 35,119 * 최정기 해방이후 6ㆍ25 전쟁전까지형무소실태연구-행형제도와수형자의경험을중심으 로,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하계워크숍, 2007, 21~22쪽에서 < 표 4> 와 < 표 6> 을재구성. 대부분의형무소에서국가보안법제정이후형무소재소자가 2배이상늘었다. 이러한수용인원의급증은형무인원의부족과열악한환경으로재소자들의불만을불러일으키게되었고, 심지어사상범들이형무소내에서활동하면서형무소집단탈옥사건이발생하기도하였다. 41) 41) 1949 년 6 월 22 일춘천형무소파옥음모사건, 1949 년 9 월 14 일목포형무소탈옥사건, 1949 년 11 월 18 일마산형무소탈옥사건, 1949 년 12 월 13 일광주형무소반란봉기적발사건 ( 최정기, 앞의논문, 2007, 16 쪽 ).

195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95 한편, 국가보안법관계범의급증으로재판관등인력부족에시달리며사건처리가늦어지게되었다. 그중에는기소된지 1년이가까이되도록공판에회부되지못한피의자도있는형편이었다. 법무부사법행정처발표에의하면 1949년 1월부터 9월까지남한전역에기소된재판사건은총계 3만 2,329건인데, 그중처리된건수는 2만 5,917건이며미처리로남아있는건수는 6,402건으로총건수의 20% 에해당하였다. 42) 전해동기간내의통계를보면총건수 2만 6,047건중처리건수가 2만 3,242건인데미처리건수는불과 12% 정도였다는것을볼때미처리건이 8% 나증가했다는것을알수있다. 이러한현상은부산ㆍ경남지방판결문에서도유추할수있었는데판결문의대다수는구속수감이후선고까지 2달이상이걸렸고, 이중에는항소심까지걸리는재판기간이 330일이걸리는경우도있었다. 43) 두번째로, 국가보안법은좌익세력을척결할뿐아니라이승만정권의정책에제동을거는정치권에대해서도칼날을겨누게되었다. 대표적인사건이바로국회프락치사건이었다. 44) 1949년 5월 30일검찰은소장파의원인이문하, 이구수, 최태규의원을남로당과의연계혐의로체포구속을시작하면서, 총 15명의소장파의원들을체포구속하였다 45). 이사건이발생하자때를기다린듯전국적으로는반공관제시위가벌떼처럼일어났으며이규탄시위들이점차반민특위파괴로이어졌다. 친일문제에민감했던여론을반 42) ꡔ 자유민보 ꡕ , 1949 년 1~9 월기소된재판건수현황. 43)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제 124 호 ( ) 이사람의형은고작 1 년 6 개월이었고민애청가입이죄목이었다. 44) 당사자뿐만아니라적지않은연구자들이국회프락치사건이조작내지정치적사건이라는의견을내놓았다. 관련연구는다음과같다. 서용길, 제헌국회프락치사건의진상 ꡔ 민족통일 ꡕ 1-2, 박원순, 국회프락치사건사실인가 ꡔ 역사비평 ꡕ 가을, 서중석, 정부수립후반공체제확립과정에관한연구 ꡔ 한국사연구 ꡕ 90, 김정기, ꡔ 국회프락치사건의재발견 ꡕ 1 ㆍ 2, 한울아카데미, ) 체포된의원들의명단은앞서구속된이문하, 이구수, 최태규외노일환, 김옥주, 강욱중, 박윤원, 황윤호, 김병회, 김약수, 서용길, 신성균, 배중혁, 오택관, 박윤원이다.

196 196 지역과역사 37 호 공이데올로기공세로일시에정국을뒤엎게되었고친일에자유롭지못했던이승만정권의지지세력은힘을얻게되었다. 결국이사건으로제헌국회내소장파의원들은당시한민당의후신인민주한국당이나대한노동당등으로뿔뿔이흩어지면서몰락했으며, 46) 이승만정권의옹호세력들은강력한반공체제구축에힘을실을수있게되었다. Ⅱ 전쟁이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 부산ㆍ경남의정치상황과좌익의쇠퇴부산ㆍ경남지역은해방을맞이하면서퇴각하는일본군과귀환동포들의귀국행렬로장사진을이루었고치안문제가급격히나서게되었다. 이러한혼란에해방당일치안대가조직되어치안질서를유지해나갔고, 이틀뒤인 8월 17일해방이후공백상태인국가기관수립을위한첫단계였던건국준비위원회가부산ㆍ경남지역에서도결성되었다. 경남도처의지방대표와일반청중들이동운관에모여조선건국준비위원회경남도지부 ( 이하건준경남도지부 ) 를결성하였던것이다. 일제하관공리또는일제에협력한자는배제시킨다는원칙에 47) 건준경남도지부의참가자들은사회주의나민족주의자, 언론인등으로구성되었는데, 대체로좌익들이주도권을쥐고있었다. 48) 건준경상남도지부는기존의치안대조직을학생과노동자들로구성해일본인 46) 김득중, 제헌국회의구성과정과성격,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3, 120 쪽. 47) 부산시사편찬위원회, ꡔ 부산략사 ꡕ, 1965, 312 쪽. 48) 당시지도부는위원장 : 노백용, 총부부장 : 강대홍, 조직부장 : 박용선, 기획부장 : 최천택, 조사부장 : 홍보용, 지방부장 : 신덕균, 문화부장 : 박희창, 건설부장 : 김칠성, 후생부장 : 이춘남, 치안부장 : 배덕수였는데이중노백용, 강대홍, 박용선, 홍보용. 신덕균, 이재봉, 박일형, 배덕수는좌익인사로분류되었다 (40th Infantry Dvision G-2 Periodic, Report. ibed. 신종대, 해방직후부산경남지방의변혁운동 ꡔ 한국근현대지역운동사 - 영남편 ꡕ, 역사문제연구소, 1993, 205 쪽, 주 49 인용 ).

197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97 들로부터시민을보호하며, 일본인이물자를빼돌리는것을막고, 식량확보및해방을맞아귀환한동포들을구호하는등치안질서확립을위해노력하였다. 미군은부산에도착한후건준과인민위원회탄압방침을선택하면서일제시기복무한경험이있는자들을군수로임명하고군정지사의고문회의를설치했다. 그리고도군정은일제한인관리와경찰들을그대로유지복구시키고주민들에의해자치적으로선출된군, 면관리들을축출하고투옥시키면서대중의지지를얻고있던인민위원회를무력화시키고자하였다. 그러나일제에복무했던관리들을재임용하는방침은여론의반감을사게되면서미군정의의도대로되지않았다. 그러자미군정은 1월 22일읍ㆍ면장선거방침을결정했다. 49) 그리고그동안숨죽여있던우익세력들도한민당을설립하기위한행보에들어갔다. 중앙은 9월 16일, 부산은 12월 5일결성을선포하였고, 이승만의독립촉성중앙협의회경남지부가 11월 21일에발족되면서본격적인우익의결집이이루어졌다. 중앙과는달리지방에서는우익의결집이상대적으로늦었는데, 이는지방의인민위원회와대중단체들의역량이우익을앞서고있었기때문이었다. 이런이유로지방우익세력들의단체설립은미군정에의한지방인민위원회파괴공작으로그힘이약화된시기에등장할수있었다. 50) 그리고신탁통치문제가불거지면서순식간에그힘을규합해좌익세력과의첨예한대결을치룰역량으로성장할수있었다. 신탁통치문제를둘러싼전국적인좌우대립의양상은부산ㆍ경남지역에서도나타났다. 우익은 비상국무회의 -민주의원 이라는민족통일전선을, 좌익은조선공산당을중심으로한 민주주의민족전선 ( 이하민전 ) 을결성하였다. 부산경남지역도 1946년 3월 6일민전경남도위원회를결성시켰으며각지역으로민전지부들을건설하였다. 그러나미군정의탄압으로민전단체들 49) 그선거는보통선거가아닌미군정의승인을받아야하는제한적선거였다. 우익세력들의합법적등용을노린도군정의의도와는달리선출된 50% 가인민위원회인사들이었다. ꡔ 민주중보 ꡕ ; ) 김창진, 8.15 직후광주지방에서의정치투쟁에관한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6.

198 198 지역과역사 37 호 에대한일대검거선풍이몰아쳤고, ꡔ민주중보ꡕ, ꡔ대중신문ꡕ, ꡔ인민해방보 ꡕ, ꡔ신한일보 ꡕ 등좌익성향의신문사들은우익세력들에게습격당하기도하였다. 51) 부산지역에서는 1947년 7월 27일공위경축및민주임정수립촉진인민대회가공설운동장에서수만명의참여속에개최되었고, 52) 다른지역에서도이와같은인민대회가열렸음을아래고성지역여성동맹원의판결문을통해발견할수있었다. 가. 단기 4280 년 (1947 년 ) 익일오전 10시경에고성읍공설시장에서개최된소위인민대회석상에서군중만여명에대하여피고인은고성군여성동맹을대표하여 (1) 막부3상회의결정을반대하는정당단체는미소공위협의대상으로부터제외하여야한다 (2) 반동거두이승만, 김구와그반동테로의소굴인한민당을타도하라 (3) 인민의벗이요위대한지도자박헌영선생의체포령을즉시취소하라등결의문을낭독하여 중략 53) 고성지역에서만만여명의군중이모였다는것은부산ㆍ경남지역에서인민위원회나민전의소속단체들의활동이활발했다는반증이기도할것이다. 그러나결국미소공위가결렬되면서남한만의단정수립의길로치닫게되자, 민전소속단체들은단선단정수립반대를위한투쟁에돌입하게되었다. 그러나 5.10 총선은실시되었고이승만정권이들어서게되었다. 나-1. 단기4281년 (1948 년 ) 10월중순 ( 日不詳 ) 오후 9시경 미군철퇴남한정부타도 등내용불온삐라약 4백매를동을살포하고 중략 54) 나-2. 단기4282년 (1949년 ) 1월 16일오전 9시경부산진시장에서 유엔허수아비입국반대 의프랑과인공기를들고데모를하여서 중략 55) 51) ꡔ 민주중보 ꡕ, ; ) 박철규, 미군정기부산지역의대중운동 ꡔ 한국근현대지역운동사 - 영남편 ꡕ, 역사문제연구소, 1993, 368 쪽. 53)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17 호 ( ), 고성여성동맹원의판결문. 54)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730 호 ( ). 55)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25 호 ( ).

199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199 위의두판결문의내용을보면단정수립이후에도좌익세력들은줄기차게이승만정권반대, 미군철퇴, 유엔승인반대내용의삐라와벽보를부착하는등반미반유엔선전등의반정부활동이지속되었다. 그러나부산지역의경우에는극한적인투쟁과조직의내부갈등, 정권의탄압으로인해점차대중운동이쇠퇴되었다. 게다가 1948년남한에단독정부가수립되었고여순사건이촉발되면서좌익활동에큰타격을입게되었고, 국가보안법의제정과함께남로당의경우에는정당등록취소처분이취해져합법적영역에존속할수없게되었다. 56) 그러자좌익세력들은야산대를조직해 57) 인근산을중심으로무장활동에돌입하게되었다. 2. 전쟁이전부산ㆍ경남지역국가보안법판례의특징국가보안법이제정공포되자전국적인추세에발맞추어부산ㆍ경남지역에서도구속자가증가하였다. 부산ㆍ동래ㆍ울산ㆍ양산의 4부군내에있어서매일 20명이란사람이피검되고있는데 49년 1월부터 3월 8일까지부산지방법원의구속영장발포매수는 1,300에이르렀으며이중다수의범죄종목은절도였고, 다음은약 20% 를차지하는국가보안법위반이었다. 58) 입수한판결문은개인신상정보가삭제되어있어정확한주소지파악은불가능하지만부산지방법원이관할지역이부산시, 김해군, 동래군, 양산군, 울산군이라는점과판결문범죄사실기술에서유추할수있는활동지역을정리해세분해보니당시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주요활동무대가어디였는지를파악할수있었다. 활동지역에따라분석해보면다음과같다. 56) 이경, 남로당의게릴라전 ; 남북한통합의역사적준거,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9, 147 쪽. 57) 야산대는당의무장부대이기에도당에는야산대도사령부를설치하고사령관은도당부위원장이겸했다. 각지구블록에는야산대지구사령부를각시ㆍ군당에는 야산대를두는 3 단계로조직ㆍ구성되었다 ( 김행선, ꡔ 해방정국청년운동사 ꡕ, 선인, 2007). 58) ꡔ 부산일보 ꡕ

200 200 지역과역사 37 호 < 표 2> 활동지역에따른분석 지역 부산 59) 울산김해마산양산함안통영진주밀양산청고성함양창녕기타총계진영창원 전체 전쟁전 위표는 815명의판결중활동지역이나와있는것들을추려서분석한표이다. 대다수부산과울산지역을중심으로활동한자들이대다수를차지하고있다. 기타에는경북지역이나여순사건이후피신해온자들이검거되어재판을받은자들이었다. 전체판결문에서활동무대가부산인사람들은전체 77.6.% 를전쟁전에는 83.8% 차지하고있는데이는부산ㆍ경남지역에서부산이가장큰대도시였고일제강점기부터해방이후까지정치활동이활발히벌어졌던지역이기에정치범의숫자도타지역에비해높았을것으로보인다. 그렇다면부산에서주로활동한지역은어떠하였는지살펴보자. 다-1. 단기4282(1949) 년 2월 7일부산남항동일대에 11일오후 4시 < 유엔위원단입국반대인민공화국만세 > 불온삐라수백매를살포 60) 다-2. 단기4282(1949) 년 1월 16일오후부산진시장에서 < 유엔허수아비입국반대 > 플랑과인공기게양 61) 다-3. 단기 4281(1948) 년 2월 26일 < 조선을미국에팔아먹을라는이승만단정을때려부시자 > 불온삐라 400 매를받아영도시장중심으로살포 62) 다-4. 불온삐라약 5천매를온천동공설시장에, 삐라약 30매를살포하고약 20 매를자유시장부근에살포 63) 다-5. 2월초순 7월 28일 2회에걸쳐김상철, 최병렬과영도뒷산에서봉화투쟁을감행하고 2월하순, 5월 8일 2회에걸쳐김영효로부터남로당선전내 59) 이시기에는동래군과부산부로나뉘어져있었다 년 8 월 15 일부산부는부산시로승격되는데여기에서부산의의미는현재부산의행정구역을기준으로기장, 철마등도부산으로보고집계하였다. 60)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47 호 ( ). 61)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25 호 ( ). 62)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52 호 ( ). 63)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619 호 ( ).

201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01 용불온삐라 80 매를받아영도로타리살포 64) 위의사례들은주로삐라살포등선전활동을벌인곳을나타내는데, 주로부산에서열린공설시장이나사람들의왕래가많은로타리등지에서이루어졌다. 또한인근산위에서봉화를올리는등의선전활동도많았다. 다음으로국가보안법상 국헌을위배하여정부를참칭하거나그에부수하여국가를변란할목적으로결사또는집단 은어떤단체들이었는가를살펴보고자한다. 당시검찰의규정을보면 8.15 해방직후소위좌익단체인남조선노동당,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 민주주의민족전선,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 조선교육자동맹, 조선민주학생연맹, 전국농민연맹, 남조선민주여성동맹, 조선문화단체총연맹, 조선협동조합중앙연맹, 반일운동자구원회등의결사기타상기결사에가입한각부분의산하단체또는동결사및단체의재건준비와지원하기위한단체라고하고있다. 65) 이규정에속한단체들은당시이승만의단정에반대하여남북통일정부수립을주장했던 66) 민전소속단체와거의일치하는것으로보아국헌을위배한다는것은이승만의단정에반대하는세력전체를좌익으로규정한것이라할수있다. 67) 64)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790 호 ( ). 65) 오제도, ꡔ 국가보안법실무제요 ꡕ, 서울지방검찰청, 1949, 46 쪽. 66) 민전에서는 우리들의강장중요한목표는두말할것도없이정권의장악에있다 고하면서한반도를외래의독점자본앞에상품시장으로예속화시키려는국내외의반동세력및정책을물리치고한반도의자주독립과민주개혁이실천될수있는 인민정권 수립을수립하려는데최대의목표가있는것이라고표명했다 ( 김행선,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의노선과제 2 차미소공동위원회추진운동 ꡔ 국사관논총 ꡕ 103, 180 쪽 ). 67) 1946 년 2 월 15 일민전결성대회에대의원을파견함으로써민전에소속된단체는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독립동맹 3 개정당과노동조합전국평의회, 농민조합전국총연맹, 청년총동맹, 공산청년동맹, 청년독립동맹, 부녀총동맹, 문학가동맹, 연극동맹, 음악동맹, 미술동맹, 영화동맹, 조선문화협회, 학술원, 과학기술동맹, 조선의사회, 조선약학회, 과학자동맹, 사회과학연구소, 조선산업노동조사소, 보건협회, 산업의학회, 좌익서적출판협회, 조선약제사회, 과학자회, 조선신문기자회, 법학자동맹, 재일본조선인연맹, 협동조합전국연합회, 반일운동자구원회, 인민원호, 실업자동맹, 응징사동맹, 반파쇼공동투쟁위원회, 중앙인민위원회,

202 202 지역과역사 37 호 부산ㆍ경남지역판결문에서보이는단체별분포에서는어떠했는지를살펴보자. 남로당 민애청및청년단체 전평인민위원회 인민공화당 < 표 3> 단체별분류 민학련 여성 ( 부녀 ) 동맹 농민조합 해원동맹 문화동맹미술가동맹 반일운동자구원회 68) 전체 전쟁전 북로당 기타 69) 없음 합계 위의표를보면남로당이전체 817명에서 416명으로 50.91% 를차지하고있다. 여기에서 21명은중복가입자로주로민애청과남로당의중복가입형태가많이보이고있었다. 판결문에서보이는모든이들이해당단체실제가입을했는지는알수없으나 1949년후반기교수와언론인및판ㆍ검사같은사회지도층인사수십명이거의무고하게국가보안법위반혐의로체포구속되었던사례 70) 도보이는것과또한일부판결문에서도무죄판결이남아있는것으로보아서는 71) 무고한이들에게혐의를씌운사례도적지않았을것으로판단된다. 그러나대부분의좌익세력의주축은남로당이었을것임은틀림없다. 판결문상에는남로당을제외한단체들을모두남로당의외곽단체로인식하고국가변란을 천도교청우당등이었다 ( 김남식, ꡔ 남로당연구 ꡕ, 돌베개, 1984, 197~198 쪽 ). 68) 원래는 조선혁명자구원회 라는이름으로 1945 년 10 월 5 일에결성되었다가 1946 년 1 월에명칭을변경하였다. 진주, 마산, 통영지회가결성되고기타지방은조직준비중이었는데부산지부는본동 18 번지에있었다고한다 ( 박철규, 앞의논문, 1993, 각주 91 번참고 ). 69) 기타에는근로인민당, 야산대, 단심회, 치안대, 보도연맹가입자등이있다. 70) ꡔ 서울신문 ꡕ , 서울지방검찰청, 판사와검사 4 명을국가보안법위반혐의로구속 , 법조계사찰확대로충주지방법원판사등이구속. 당시김진홍이후무죄판결로대다수풀려났다. 71)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697 호 ( ), 제 851 호 ( ), 제 1075 호 ( ), 제 1108 호 ( ), 제 229 호 ( ), 제 1323 호 ( ), 제 52 호 ( ).

203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03 도모하는결사나조직으로보고있다. 없음은단체나조직에가입되지않은채식량이나물품, 정보제공등으로도움을준사람들이다. 다음은적용된법조항에대한분석이다. 판결문에서가장많이적용된법조항은국가보안법과형법, 포고2 호, 법령19호이다. 이조항들은하나의판결에여러번쓰이기도하는데, 먼저각법조항에대해간단히소개하고자한다. 국가보안법의경우에는처음제정된법에의해주로처벌받았는데, 제1 조, 제3조, 제4조가가장많이적용되었다. 제1 조국헌을위배하여정부를참칭하거나그에부수하여국가를변란할목적으로결사또는집단을구성한자는左에의하여처벌한다. 1. 수괴와간부는무기, 3년이상의징역또는금고에처한다. 2. 지도적임무에종사한자는 1년이상 10년이하의징역또는금고에처한다. 3. 그정을알고, 결사또는집단에가입한者는 3년이하의징역에處한다. 제3 조전2조의목적또는그결사, 집단의지령으로서그목적한사항의실행을협의선동또는선전을한자는 10년이하의징역에처한다. 제4 조본법의죄를범하게하거나그정을알고총포, 탄약, 도검또는금품을공급, 약속기타의방법으로자진방조한자는 7년이하의징역에처한다. 포고 2호의정식명칭은 태평양미국육군총사령부포고제2호 이며, 1945년 9월 7일에태평양미국육군최고지휘관인맥아더의명의로선포된것인데그내용은다음과같다. 72) 항복문서의조항또는태평양미국육군최고지휘관의권한하에발한포고명령지시를범한자미국인과기타연합국인의인명또는소유물또는보안을해한자공중치안질서를교란한자정당한행정을방해하는자또는연합군에대하여고의로적대행위를하는자는점령군군율회의에서유죄로결정한후동회의의결정하는대로사형또는他형벌에처함. 72) 한국법제연구회편, ꡔ 미군정법령총람 ꡕ, 1971, 2 쪽.

204 204 지역과역사 37 호 군정법령 19호는 1945년 10월 30일에공포되었는데제1조국가적비상시의선언제2조노무자의보호, 제3조폭리에대한보호, 제4조중의복리에반한행위에대한공중의보호제5조신문기타출판물의등기, 제6조벌칙제7조본령의시행기일로구성되어있는데국가보안법판결문에주로등장하는법조항은 4조특히 ( 나 ) 항에대한것인데그내용은다음과같다 73). 朝鮮民衆의幸福을爲한朝鮮軍政廳의計劃에反하여行爲, 陰謀, 恐喝, 買受又는贈賄로朝鮮軍政廳의命令又는布告한計劃에妨碍, 妨碍하랴하는企圖又는違背 포고 2호와군정법령 19호는포괄적인내용으로구성된만큼, 확대적용되어미군정시기수많은정치범을양산하였다. 그러나이는대한민국정부수립이후에도헌법부칙제100조에의해계속유지되다가, 74) 1950년 4월 21일법률 130호 군정법령폐지에관한법률 이공포되면서그효력을다하게되었다. 75) 입수한판결문에서도포고 2호와군정법령 19호가국가보안법과함께적용되어판결되었음을볼수있었는데법령 19호는전체 815명중 47 명이, 포고 2호는 121명이국가보안법과더불어적용되었음을찾을수있었다. 마지막으로포고 2호의적용을받은판결문은 1950년 2월 13일자제 1334호였다. 76) 여기에서는동시에적용된형법조항이나법령, 포고2 호위반에대해서는생략하고국가보안법적용만을두고분석하겠다. 선고받은 815명중 618명약 75.8% 가좌익단체가입처벌조항인국가보안법 1조 3항의적용을받았다. 이중 206명은활동에대한처벌조항인제3조가없이제1조 3항을중심으로적용을받았는데그비율은전체인원의 25% 정도이고제1조 3항적 73) 한국법제연구회편, 위의책, 쪽. 74) 헌법부칙 100 조, 현행법령은이헌법에저촉되지아니하는한효력을가진다. (ꡔ 대한민국헌법 ꡕ- 제 1 호헌법에서제 10 호헌법까지, 투멘출판사, 113 쪽 ). 75) 강성현, 앞의논문, 2010, 75 쪽. 76) 이판결문의주인공은남로당가입과야산대활동으로징역 2 년을선고받았다.

205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05 용자들중 33% 의비중이다. 이것은결사단체의활동의결과로처벌받는것이아니라불순한의도를가진집단에가입을했기에그개인도불순한의도를가진다고판단하는논리였다. 이것은국가보안법의적용이실제는이승만정권의정책과노선에반대하는입장에서있는단체들에대한탄압의의미가가장컸음을알수있다. 나머지 77% 의사람들은가입과활동조항을모두적용받았다. 그리고제1조 2항은단체에서간부직을수행하는등지도적임무를띠고활동한자들에대한적용조항으로 54명에게이조항이적용되었는데이는전체 815명중 54명으로 6.6% 만을차지하였다. 이들은주로당의주요직책을맡아회합을주도하고연락선을만들어지령을하달하는역할을수행하였다. 제4조는 84명, 제5조는 1명, 제6조는 2명이었다. 다음으로이들이주장하는내용에대해살펴보자. 라-1. 단기 4281(1948) 년 2월 26일 < 조선을미국에팔아먹을라는이승만단정을때려부시자 > 불온삐라 400 매를받아영도시장중심으로살포 77) 라-2. 단기 4281(1948) 년 8월하순반여동에서공출반대삐라를살포하고반여동뒷산에서봉화 78) 라-3. 단기4282(1949) 년 2월 7일부산남항동일대에 11일오후 4시 < 유엔위원단입국반대인민공화국만세 > 불온삐라수백매를살포 79) 라-4. 단기4282(1949) 년 1월 21일 < 미소양군즉시물러가라 > 불온삐라 50매동아조선소앞에주택일대에투입 80) 이들은크게단독선거반대나정부수립이후에는북한정권인조선인민공화국을지지하는주장을펼쳤으며미군정의식량공출제도를반대하거나북한의토지개혁을찬양하는형태의주장들을삐라나벽보를이용해대중들에게선전했다. 특히식량문제는부산지역에서는심각했다. 해방이후귀한동 77)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52 호 ( ). 78)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008 호 ( ). 79)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47 호 ( ). 80)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386 호 ( ).

206 206 지역과역사 37 호 포가부산으로몰려들면서미군정의식량공출제는심각한미곡부족현상을낳았고식량부족으로 1946년 7월 6일에부산에서유사이래최초의쌀소동이발생할정도였다. 81) 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주요활동사항은무엇이었는지정리해보면 679명이가입과회합, 선전활동, 물품이나금품, 정보제공등이대다수였다. 그리고가입을하지않고도활동한죄로제3조에의해처벌되기도하였다. 선전활동의주요내용들은주로이승만정권에대한반대와미소양군철퇴, 북인민공화국지지등이었다. 이는전쟁전판결대상자 635명중 139명이해당되었다. 선전의방식은삐라를제작해서살포하거나, 벽보부착, 봉화, 낙서등의방법이었다. 그렇다면선전물제작을위한자금은어떻게조달했을까? 마-1. 제 년 2월 20일오전 1시경민애청활동자금을조달코저금품을강탈할목적으로 송 가에이르러 강복도는순사용장도를피고인은곤봉을각휴대, 침입하야同家人에게이를제시하면서 우리는빨갱이다. 돈을있는대로내라안내면죽인다 고협박하여 명주 2필외 6점 ( 시가 10만원상당 ) 및현금 2만원을강탈취하고, 제2 생활고를타개코자 1949 년 11월 17일부터동월 23까지사이에전후 23회에걸쳐흑색중절모자, 흑색목면내의로서복면을하고 김해해은사주지집을비롯하야 이 家외 21개소에침입하여그때마다소지한모의권총, 식도, 회중전등을제시하여 13개소에서회중시계, 양복상하의 2벌. 단도등 ( 시가37,100 원상당 ) 과현금 55,900 원을강탈하고김 외 7개소에서는소지금품이없어강도의목적을달성치못한것이다. 82) 마 년 2월초순경남로당원 에게당비조로 5백원을제공. 83) 마 년 3월중순남로당에가입하여 2월말 4월말 2회걸쳐당비로 500 원씩 1000 원을납부하고. 84) 마-4. 제1 피고인 은 1948 년 4월중순경日不詳정모로부터자본가를간선하여줄터이니사업을경영하여그이익금을남로당자금에제공하 81) ꡔ 중보 ꡕ )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22 호 ( ). 83)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268 호 ( ). 84)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659 호 ( ).

207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07 라는 부산시부평동국제시장 식당에서상피고인이차호와연결되여 그후수차에걸쳐융자에관하여상호모의하였으며남로당활동자금으로서동인에게금오천원을제공하였으며. 85) 마-5. 제2 피고인이차호는김용출, 김 출, 김수생, 윤석등을남로당재정위원으로획득하고동년 8월경김 출로부터금오천원, 동년 9월초순경김수생으로부터금 2천원을당자금조로수납하여이를매월 5일을기준으로부산시부산진소재회생병원전노상에서장성국과연결하여당상부에납부하였으며, 동년 9월경윤석과 2회에가두에서회합하여당자금갹출하라는지시를하였으며동월 25일김용출로부터당자금만원을갹출할것을상호약속하여서남로당이목적하는사항의실행을협의하고. 86) 위의사례를보면대다수는마-2, 3의경우처럼당비로회합마다일정액을제공하거나마-5의경우처럼찬조금으로당자금을조달하는형태였다. 마-1의경우는지역유지나반동분자의집에침입해현금을강탈해활동자금으로사용했다. 이후야산대로활동해반동분자의집에들어가현금및물건을강탈하는형태로이어지기도했다. 특이한경우는마-4의사례인데자본가를알선해사업경영으로이익금을당자금으로쓰려는방침이다. 이렇게여러형태로모아진자금으로삐라나프랑등선전물을제작하고, 정보원들의차비나활동비를지원하는등다양한활동에쓰이게되었다판결문내용에서각집회나밀회시당비마련을위한안건이많이등장하였다. 그리고이를해결하기위해당원이나단체회원들에게당비를갹출하는지시가많고격렬하게는강도나절도등의극한적인방법을취하기도했다. 바. 제2. 피고인송태모는 (1)1949 년 3월 25일오후 5시경자택에서부산시명륜동거주남로당동부지구야산대대원이 에의권유에의하여남로당동래군당에당원으로가입하고동년 7월동래군야산중대유격대책 의권유에의하여同隊에가입하여소위부산시반여동장산아 85)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144 호 ( ). 86)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144 호 ( ).

208 208 지역과역사 37 호 지트에입산하고 8월초순경부산시반여동에출동하여同당조직추진을독려하였으며 (3) 동년 8월 5일오후 7시경동래군야산중대장아지트에서피고인조창문과같이사상역습격대에편성되어남로당경남동부지구야산대유격대원이하 18명동래군야산중대유격대책서 이하 4명총 22명과더부러카빙총, 99식장총, 38식장총을소지하고동일오후 12시경사상사상역을습격하여同역사무실에서숙직역원 6명을결박현금 2만원역원제복, 모자등을갈취하고동역에휘발유를살포방화하여이를전소케하고, (4) 同년 8월 8일오후8 시30분경동래야산중대장산아지트에서피고인조창문과같이동해남부선기장역습격대에편성되여야산중대수명과더부러사제수류탄 2개를소지하고익일 8월9일오전1시40분경기장역을습격하여 현금 50,795 원외철도모자제복등시가금5만원상당탈취한후방화할목적으로 경찰관에인하여그목적을달성치못하고제3. 피고인조창문은 (1)1948 년 8월초순경 의권유로남로당가입하고 1949 년 7월 4일경남로당야산중대책김기만의권유에의하여동대에가입동월부터아지트생활을하고동월 6일김기만의지령으로서야산중대유격대원으로편입되었으며 (2) 상피고인송태모와제2의 (2)(4) 기재시행을감행하고 (3) 동래야산중대유격대원 5명과같이 1949 년 8월7일오후 12시경동래군장장안면성명불상모반장가에침입하여소지중인권총 1정으로서同人및同가족을협박하여백미3 斗를탈취하여남로당동래군장안면위에보급하고 (4) 8월 9일오후 7 시경동래야산중대장산아지트에서동래경찰서승관지서습격대에편성되여남로당경남동부지구야산대유격대원이하 20명동래야산중대유격대원 10여명과더부러 동일오후 9시10 분경동지서를습격난사한후동지서를완전점령하여카빙총 4정, 99식장총4 정, 실탄 500 발, 경찰관제모제복등을탈취한후동지서근처에휘발유를살포방화하여이를전소케하고귀로중민보단원정의득을사살하고동오후9 시 40분경 면사무소를습격하여휘발유를살포하여방화전소시키고동일오후 10시경 면장김00 가를습격하여같은방법으로방화전소시키고제4. 피고인김덕찬은 1949 년 7월 2일송인덕의권유에의하여동래야산중대에가입하여당일부터동래반여동장산아지트생활을하였으며동래야산중대는부산시우동김 가에이르러 권총으로서협박하여백미6 斗, 시가 2만원상당을탈취 87) 87) 부산지방법원, 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 제 171 호 ( ).

209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09 위의판결문은극렬한활동을보여주는대표적인사례이다. 야산대로활동하던이들은습격대를조직해경찰지서를습격하고방화하거나식량을탈취하였으며반동분자로지목한이를사살하는등구체적활동을감행하였다. 위와같이반동분자살해기도ㆍ협박, 경찰서나관공서습격, 전신주나철도등의운송이나통신시설파괴기도가있기도했지만 88) 전체 817명중 39 명으로 4.7% 정도에지나지않았다. 1948년에서 6ㆍ25전쟁까지부산ㆍ경남지방의좌익활동이미진한이유도있었지만이승만정권의단체해산명령 89) 으로인해대부분불법화되어활동의제약을가져온것이큰이유였을것으로보인다. 그리고부산지역은여순사건이나대구군반란사건만큼사회적이슈가되는사건들이별로없는지역이었기에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대부분은형량이많지않았다. 앞서열거했듯이가입, 선전활동, 물품이나정보제공의수준이었다. 그렇다면이들의형량은어느정도였을까? 형량이가장높은사람은위의제171호의사례로국가보안법이외의법제들에준거해송태모와조창득은무기징역을선고받았다. 그리고위 4.7% 에해당하는사람들의형량이일반국가보안법사범들에비해형량이높았는데작게는 1년에서많게는 10년까지였다. 이외국가보안법의적용에따른형량은예상에비해경미한수준이었다. 가입은대다수징역 8개월에서 2년사이에실형과그에상응하는집행유예선고가많았다. 아래의표는국가보안법 1조 3호만적용한사례를중심으로 1949년과 1950년사이형량변화를나타낸것이다. 대다수판결문이여러조항이한꺼번에적용되고있어비교가쉽지않은관계로제1조 3호만적용된사례를발췌해서비교해보려고한다. 88) ꡔ 부산일보 ꡕ , 부산발화물열차, 유격대의선로철거로탈선전복. 89) 1949 년 9 월 ~10 월사이 132 개정당과사회단체가국가보안법 2 조대통령의단체해산권에의해해산되었다 ( 조국, 앞의논문, 1988, 332 쪽 ).

210 210 지역과역사 37 호 < 표 4> 동일조항형량변화 90) 재판번호 가입단체 가입날짜 선고날짜 적용조항 형량 제1182 호 남로당 48년8월 보안법1조3호징역6월집행유예2년 제253 호 민애청 48년 12월 보안법1조3호징역8월 제253 호 민애청 48년 12월 보안법1조3호징역8월 제253호 민애청 48년12월 보안법1조3호징역8월집행유예3년 제253호 농민조합 48년12월 보안법1조3호징역8월집행유예3년 제222호 남로당 48년5월 보안법1조3호징역10월집행유예3년 제752호 남로당 46년7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집행유예3년 제752호 남로당 46년7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집행유예3년 제1216 호 민애청 47년 8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 제627 호 민애청 47년 7월 보안법1조3호징역1년 제663 호 전평 47년 7월 보안법1조3호징역1년 제45호 남로당 47년 12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 제752 호 해원동맹 47년 8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 제140 호 민주학생연맹 48년 3월 보안법1조3호징역2년 제정초기즉 1949년초반에비해 1950년이후로형량이높아지고있었다. 단체가입날짜와체포되어선고를받은날짜를비교해봤을때가입한지오래되었을수록형량이높다. 즉가입에의해처벌을받았지만활동연수가높을수록더높은형량을받았던것이다. 그러나반드시그렇지만도않은것이전쟁이전의판결문인제752호는가입시기가 1946년이고선고년도가 1949년임에도집행유예를선고받은데반해, 전쟁이후의판결문인제627호, 제663호, 제45호, 제752호, 제140호는가입시기가더늦은 1947년이후에서 1948년이고선고일이 1950년 10월이후인데이들은모두실형인징역1 년이상을받았다. 즉전쟁이후의판결에서는가입만으로도실형을선고받는다는것이다. 전반적으로는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형량은동시대에존재했던국방경비법이나계엄법에비해형량이높지않았다. 그러나단순가입만으로도실형을선고할수있었고, 앞서보았듯이실제가입한것인지증거가명확하지않음에도처벌되는상황이었으므로자의적적용은좌익세력들의활동을제약하는데큰역할을했을것이다. 이같은추세로인해형무소에는 90) 같은재판번호라도여러사람의판결이동시에이루어졌기에표에서는한사람씩선고받은것으로집계하였다.

211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11 정치범들이넘쳐나게되었고전쟁이라는변수가발생하자적은형량에도불구하고학살이라는비극적결말을맞이하는이들도생겨나게되었다. Ⅲ 전쟁과국가보안법 1. 전쟁발발과이승만정권의정치범대책 1950년 6월 25일 6ㆍ25전쟁이발발하자긴급히내무부치안국은 전국요시찰인단속및전국형무소경비의건 이라는제목의비상통첩을전국도경찰국에경찰무선전보형식으로내려보냈다. 주요내용은 전국요시찰인전원을경찰에구금할것 그리고인원수용관계를고려하여 각지서에서는요시찰인중특히의식계급으로써사찰대상이된자에한하여우선구속하고성명, 연령, 주소를명기하여보고할것 등의내용이었다. 91) 경남경찰국은인민군의대전침공이임박한 1950년 7월 11일경, 관하경찰서에수합되어있던불순분자를일제히검거할것을지시하는통첩 불순분자일제검거의건 에따른처리방침인 불순분자처리의건 을도내경찰서로다시하달하였다. 그내용은 예외조치 중인불순분자에대하여 1구속할것 2훈련을실시하는등거처를명백히파악, 엄중감시하고소집에불참하는자는계속검거할것 3헌병대에서본건구속자와이미구속된불순분자의신병인계를요청하는때에는이를인도할것이었다. 92) 이러한방침으로인해전국각지에서는경찰서에보도연맹원들로넘쳐나게되었고예비검속차원에서학살되기시작하였다. 93) 다른한편으로는형 91) 전국요시찰인단속및전국형무소경비의건 ( 城署査제 1799 호, 6 월 25 일 14:50). 진실화해위에서입수한경찰문서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 이하진실화해위 ), ꡔ2009 하반기조사보고서 ꡕ, 101~102 쪽 ). 92) 진실화해위, 위의책, 32 쪽. 93) 학살의정의에대해김동춘은정당한법적절차나재판절차를거치지않고서국가권력및그와연관된정치적이유에의해자신과적대하는비무장민간인집단을

212 212 지역과역사 37 호 무소재소자들에대한학살이이감을명목으로전국형무소에서공통적으로자행되었다. 당시형무소는국가보안법위반자들이정치범의주를이루었고적은형량에도전쟁이라는상황속에잠재적인적으로간주되어처형되기시작했다. 무차별적학살이진행된법적환경은 1950년 6월 25일이승만이비상사태하의 범죄처벌에대한특별조치령 ( 이하범죄처벌특조령 ) 을발표하면서조성되었다. 94) 범죄처벌특조령은살인, 방화뿐만아니라타인의재물을절취한행위까지도사형, 무기, 10년이상의장기징역에처할수있는엄중한처벌을규정하고있었다. 또한재판은단심으로하고공판은기소후 20일이내에열어야하며 40일이내에판결도록하고범죄입증을위한증거생략도할수있었다. 그리고 7월 8일계엄이선포되면서그지역내군사재판을신속하고간략하게진행하기위해 7월 26일대통령긴급명령제5호로 계엄하군사재판에관한특별조치령 ( 이하군사재판특조령 ) 도공포하였다. 이특별조치령은판사가군법무관의역할을수행하고군검찰관이검사와동등한지위를가질수있었으며, 군법회의기소권한을검사와군법무관에동시에부여하여군법회의가신속하게진행될수있게하였다. 이로인해민간재판과군법회의의경계를허물어버리고오히려군법회의의위상이더높아지는결과를초래하였다. 계엄은 11월 7일해제되었으나중공군의참전으로 12 월 7일에다시선포되는등종전까지수차례선포와해제를반복하였다. 그러나군법회의는계엄이해제된이후에도그권위가계속되어민간인에대한재판도관할하게되었다. 95) 이특별조치령은내용을볼때국가보안법과유사하여처벌규정을강화한 일방적으로살해하는것으로보았다 ( 김동춘, ꡔ 전쟁과사회 ꡕ, 선인, 2000, 205 쪽 ). 94) 비상사태의시작일이 1950 년 6 월 25 일로규정되어있으나실제제정공포일은 6 월 28 일로보는의견이다수이다. 그이유는관보가 6 월 28 일자였다는것과 1950 년 12 월 23 일김준연법무장관의발표에서 6 월 28 일대전에서공포된비상사태범죄특조령에의해처형되었다는것에고해외언론과미국문서들은 6 월 28 일로보고있다 ( 강성현, 앞의논문, 2012, 359~360 쪽 ). 95) 김득중, 앞의논문, 2008, 170~175 쪽인용정리함.

213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13 특별법적성격을지니고있었다. 즉, 전쟁이라는상황에서보다강력하고도신속하게적용할수있는업그레이드버전으로변신하였다고볼수도있을것이다. 진실화해위의보고서에서는특별조치령으로언도받은형은대략 15 년형으로중형이었으며형무소에서희생되었던것이다. 96) 그러나문제는국가보안법위반으로체포되어미결수내지는기결수로형무소에서지내던이들도그결말이그리다르지않았다는점이다. 특히전쟁발발이후전세에따라부산형무소로이감오는국가보안법사범들이늘어났기에형무소재소자학살사건의가장큰피해자가될가능성이농후하였다. 그렇다면부산형무소재소자학살사건과국가보안법사범들의연관관계를 1950년교정통계라는자료를통해구체적으로살펴보자. 2. 부산형무소내의학살과국가보안법당시부산형무소는서면지소와김해농장을가지고있었는데직원은 180 명이었으며재소자 1,500~1,600명을수용하는것이가능하였다. 97) 부산형무소는한방에 10명이최대정원이었으나전쟁직전에는한방에 20~30명까지수용했다. 98) < 표 5> 는 1950년부산형무소의수형자들의출입표를월별로정리한것이다. 전쟁발발이전인 6월까지는큰변화가없으나전쟁발발이후 7월부터신수형자, 이감자, 타소로이송된자의수에큰변동이있었다. 이변동의의미가무엇인지에대해, 진실화해위의부산형무소재소자희생사건을다룬보고서에서는이시기 3차례의학살이있었다고보았는데, 그내용은다음과같다. 96) 진실화해위, ꡔ 부산ㆍ경남지역형무소재소자희생사건진실규명결정서 ꡕ, 2009, 186 쪽, < 표 19> 신청사건희생자행형기록. 97) 법무부, ꡔ 한국교정사 ꡕ, 1987, 537 쪽. 98) 진실화해회, 앞의결정서, 2009, 50 쪽, 참고인진술조서 ( ).

214 214 지역과역사 37 호 입소 출소 < 표 5> 1950 년 (1-11 월 ) 수형자출입표 월 신수형자 형집행정지취소 가출옥취소 도주체포 타소로부터이입 본지소로부터이입 기타 계 만기 가출옥 은사 ( 恩赦 ) 우량석방 형집행정지 타소로이송 본지소로이송 도주 1 사망 기타 계 현재 * 부산형무소, ꡔ 교정통계 ꡕ,1950 의자료를바탕으로재구성. ꡔ 교정통계 ꡕ 에계산의오류가있다. 1,526 명인데 1,527 명으로표기되어있어다른통계표와대조 1,526 명이맞음을확인해정정해표기했다. 1차학살은일반사범에대한가석방과함께 1950년 7월 26일 ~30일형무소에파견되었던헌병대와 CIC가양형이중한좌익사범들부터처형하기시작했다. 이러한사실은부산형무소수감중이었던고봉원 ( 제주 4.3사건관련수형인, 국방경비법제32조제33조위반으로 15년형선고 ) 의진술에서확인할수있었다. 밤 11시쯤, 차소리가부릉부릉났습니다. 차소리는군용트럭소리가틀림없었습니다. 한, 5일간그런소리가났습니다. 그리고한 5일이지나니까, 이제차소리가안났습니다. 당시한방에 27~28 명씩수용되어있었으니까사람이없어졌습니다. 계속한방씩마다사람이없어지다가, 내가수감되어있는감방바로옆에서멈췄습니다. 99)

215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15 그리고이러한사실은부산형무소자료에서도확인된다. 부산형무소 ꡔ교정통계 ꡕ에따르면 7월 26일에서 30일사이수용인원중 474명이감소하였고이중 468명의재소자가타형무소로이송되었다고기록되어있다. 100) 그러나 ꡔ재소자인명부 ꡕ 기록에서는 101) 1950년 7월부산형무소의재소자들이타형무소로이송되었다는기록은찾을수없었다고한다. 102) 만약교정통계에기록된 468명이다른형무소로이송되었다면당시그들이이송될수있는곳은인민군미점령지역인마산형무소와대구형무소뿐이다. 103) 그러나마산형무소 1950년재소자인명부와대구형무소 1950년과 1951년재소자인명부에는이재소자들의기록이확인되지않았다. 그리고사실당시전황상재소자이감은불가능했다. 이는당시형무소형무관들이공통적으로진술하였다고한다. 104) 따라서이들은모두학살되었을가능성이높다. 2차학살은 1950년 8월 1일북한 7사단과 8사단이낙동강도하를시작하면서전세가더욱악화되자부산형무소는일반사범들을대규모로석방 105) 하고남은재소자들을분류하여이들중내란, 국방경비법, 포고령위반, 국가보안법위반등 109명의좌익사범들을헌병대와 CIC에게인계하였다. 이들중일부는군법회의에회부되어헌병대에게총살당하고나머지는집단살해되었다. 99) 참고인고봉원진술조서 ( ), 진실화해위, 위의결정서, 56 쪽. 100) 부산형무소 ꡔ 교정통계 ꡕ, 1950, 7 월분수형자출입표. 101) 해당년도형무소에수감되었던재소자들의성명, 나이, 형명, 형기, 수감일, 석방여부등이기록되어있는영구보존문서이다 ( 진실화해위, 앞의결정서, 2009, 40 쪽 ). 이문서는국가기록원에소장되어있으나비공개문서이다. 102) 진실화해위, 위의결정서, 57 쪽. 103) 7 월말전선은이미인민군 6 사단이진주점령을앞두고있었으며, 인민군 2 사단은김천공격을앞두고있는시점이었다 ( 육군사관학교, ꡔ6 ㆍ 25 전쟁사부도 ꡕ, 황금알, 1981( 진실화해위, 앞의보고서, 2009, 57 쪽, 주석 82 재인용 )). 104) 진실화해위, 앞의결정서, 2009, 57~58 쪽. 구체적인진술조서가첨부되어있지는않지만각주에참고인 3 명이공통적으로진술했다고나온다. 105) ꡔ 교정통계 ꡕ 에의하면이때일반사범들에대한석방이대규모있었다. 평소 5 명을넘지않았던형집행정지자가 8 월에만 246 명이나기록되어있다.

216 216 지역과역사 37 호 3차학살은수복직전인 1950년 9월 25일에이루어졌다. 이날재소자중 1,450명이감소되었는데기록에는타형무소로이관된것으로기록되어있다. 그러나당시전황상이송가능한형무소는마산과대구뿐이었다. 그러나당시수용능력을고려하고관련기록을검토한결과 950여명의행방이묘연했다. 석방에대한기록도되어있지않았기에희생될개연성이높다고보았다. 106) 부산형무소재소자들에대한 3차에걸친학살과정과국가보안법사범들과는어떤연관관계를지니고있을까? 이를살펴보기위해 1950년당시형무소에복역중인정치범과이들의입ㆍ출소의변화과정을분석해보았다. 먼저, 당시부산형무소정치범수형자들을정리하면다음 < 표 6> 과같다. < 표 6> 1950 년 (1-11 월 ) 부산형무소정치범수형자 월전체법령국방경비법 107) 육군형사법 포고령반란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위반자비율 정치범수형자비율 % 41.25% % 41.97% % 42.53% % 39.78% % 41.02% % 41.26& % 49.68% % 73.79% % 55.77% % 40.85% % 37.41% * 출처 : 부산형무소, ꡔ교정통계ꡕ, 1950 의자료를바탕으로재구성. 이 < 표 6> 은부산형무소 1950 년도교정통계중특별법위반으로분류된 106) 진실화해위, 앞의결정서, 2009, 60~61 쪽. 107) 제정공포시기가불명확하여유령법이라는비판이제기되고있다. 여순사건이후국방경비법제 32 조 ( 이적죄 ), 제 33 조 ( 간첩죄 ) 위반혐의로군법회의에회부되어중형을선고받기시작하는데 6 ㆍ 25 전쟁시기군인에게만적용되던국방경비법의민간인적용이많아진다. 그이유는군법회의를통해신속하게재판을

217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17 것을모아정리한것이다. 6ㆍ25전쟁이발발하기전인 6월까지는전체수형자중국가보안법위반자의비율이 20% 안팎이었으나전쟁발발이후급증하게된다. 또한앞서증언에따라국방경비법사범은 7월부터급감하기시작하고국가보안법사범들은 7월부터그수가늘어나 8월에는전체수용인원의과반을훨씬넘는수준을이루다가 9월에는그수가급감했다. 더구나이표는형을확정받은기결수에대한것만을모은것이다. < 표 5> 의수용자출입표와비교해보면 8월부터국가보안법위반자의비율이높아지는것은 6ㆍ25전쟁발발후타형무소의재소자들이전세에따라부산형무소로이감되면서그비율이높아졌음을유추할수있다. 그런데학살이이루어지던시기와때를같이하여국가보안법사범들의비중이줄어들었다는점이다. 이감의기록이있으나이감된타교도소에이들의흔적을찾을수없어희생되었을개연성이높다고보는것이다. 다음으로는전쟁발발이후급증한피의자와형사피고인의수가가지는의미를분석해보고자한다. < 표 7> 1950 년 (1-11 월 ) 부산형무소전체재소자월별수 월수형자피의자형사피고인노역장전년의携帶兒석방할자총계유치자현재 1 1, ,426 1, , ,351 1, , ,276 1,834, 4 1, ,165 1, , ,153 1, , ,091 2, , ,864 2, ,824 2, ,264 2, ,551 2, ,495 2, , ,305 2, , ,053 2,090 * 출처 : 부산형무소, ꡔ교정통계ꡕ, 1950 의자료를바탕으로재구성. < 표 5> 와 < 표 6> 를비교해보면전쟁발발이후부산형무소내수감중인 처리할수있으면서중형을선고할수있었기때문이다 ( 김득중, 앞의논문, 2009, 158~160 쪽 ).

218 218 지역과역사 37 호 국가보안법위반사범들이급증하였음을유추해볼수있다. 전쟁발발이후의국가보안법위반수형자의비율이높은만큼 < 표 7> 의피의자급증의원인을무엇으로볼것인가. 하나는국가보안법위반자의증가가그한원인으로볼수있을것이다. 피의자는기소가되지않은상태로타지역의국가보안법피의자들이이송해옴에따라피의자수가늘어난것일수도있을것이다. 또다른의미로는예비검속으로들어온보도연맹원들의신분이피의자로분류되었다는사실을볼때예비검속자들일가능성도있다. 1950년 8월, CIC, 헌병, 경찰들이보도연맹원과예비검속자들에대한소집과연행을대대적으로단행하였고연행된이들은부산형무소에수감되었다. 이는여러진술에서뒷받침된다. 이들은대부분공소가제기되지않은피의자신분으로서분류되었기에피의자수가기하급수적으로늘어난것으로추정할수있으며이들은상당수희생되었을것으로보고있다. 108) 그러나아이러니컬하게도형사피고인은훨씬줄어있다는것이흥미롭다. 형사피고인들은기소중인미결수를지칭하는것으로전쟁이발발하자기소중인이는피의자들의기소가줄었다는의미인데이것을어떻게볼것인가? 이는전쟁이라는비정상적인환경이라는점을감안하면실제집행할검찰이나법원인력이부족했기때문으로볼수있을것이다. 또한실제민간재판도군법회의로이송되었던정황을본다면피의자들대다수가즉결심판으로형을언도받아기소가이루어지지않았던것일수도있다. 아래는진실화해위보고서의부산ㆍ마산ㆍ진주형무소희생된재소자들중신청자들만정리한죄명과형기이다. 전체상황을보여주지는못하지만당시학살의주된대상이누구였는지를유추할수있는자료라고할수있을것이다. 108) 진실화해위, 앞의결정서, 2009, 63~64 쪽.

219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19 < 표 8> 신청사건희생된재소자의죄명 109) 죄명별 국가보안법특별조치령포고령위반및강도살인방화위반위반소요 군형법위반 계 희생자수 ( 명 ) 비율 (%) < 표 9> 신청사건희생된재소자의형기 110) 형기별 무기 징역 15년징역 10년징역5년징역3년이상이상이상미만 계 희생자수 ( 명 ) ) 비율 (%) < 표 8> 과 < 표 9> 을보면당시다른법들에비해상대적으로형기가적었던국가보안법위반자들이대다수희생되었다는점을추론할수있다. 종합해보면 1950년전쟁이전의부산형무소국가보안법사범은 20% 내외였다. 그러나전쟁이발발하고 8월과 9월사이점차부산형무소에는재소자가급증하게되었다그이유는두가지이다. 하나는타형무소로부터이감이많아지면서그비중이높아졌고국가보안법위반자비율이높아진것을보면그상당수가국가보안법위반자들로추정할수있다. 다른한편, 부산지역의보도연맹원들이예비검속되면서재소자가늘어난것으로보인다. 이들의신분이피의자였으므로피의자수가급증한것이이들에대한검속의결과로보인다. 그리고이들은부산형무소에서벌어진 3차례의학살과보도연맹원들에대한예비검속으로다수희생되었다. 그리고이런상황은부산뿐만아니라전국적으로자행되었기에전세에따라날짜는다를지라도부산의상황과비슷한형태였을것으로추정할수있을것이다. 판결문상에서는국가보안법위반자들의형량이국방경비법이나비상계엄조치령처럼과중하지는않았지만좌익으로의심할수있는이들도가입조항 109) 진실화해위, 위의결정서, 140 쪽. 110) 진실화해위, 위의결정서, 141 쪽. 111) < 표 8> 의합계와다른이유는 13 명의행형기록이없기때문이다.

220 220 지역과역사 37 호 을내세워처벌할수있었다. 무엇보다가입의증거없이공술에의한것이라더욱자의적운용이가능했다. 그리고전쟁이라는긴박한상황속에언제든적이될수있을것이라고의심이되는자들은정부에게불안요소가되었기에학살이라는극단적방법을취하게되었다. 이는국가보안법이라는법제뿐만아니라보도연맹처리문제에서도동일하게나타난다. 비록전향을했더라도정부는이들을믿지않았고전쟁이발발하자가장조직적으로장악되어있는보도연맹가입자들에대한예비검속을즉각적으로실행하였다. 결국부산지역의좌익세력은 6ㆍ25전쟁을거치면서소멸되어갈수밖에없었다. 맺음말 민족의분단과좌우의격렬한대립, 그리고내전과국제전의성격을지닌 6ㆍ25전쟁의발발은해방이후산적해있던민족의과제를뒤로한채각기정권을수립하고그체제를안정적으로구축하는방향으로흘러갔다. 특히분단된남쪽의이승만정권은기반이취약했던관계로정권초기부터크고작은저항이끊이지않았다. 따라서정권을안정화시키고반대세력을제압할강력한통제수단이필요하게되었고그산물로탄생한것들중의하나가국가보안법이다. 국가보안법은처음발의될때내란행위방지라는이름이었으나그내용은실제내란행위를한뒤처벌을하는것뿐만아니라가능성이존재하는뿌리를제거하기위한법이었다. 때마침남한을뒤흔든여순사건이발생하자국회를통해일사천리로제정작업에착수하게된다. 제헌국회소장파의원들을중심으로반대론자들은국가보안법의남용을우려하며폐지안과수정동의안을제출하였지만결국은국가보안법의제정을막을수는없었다. 그리고대부분의반대론자들은이듬해이법에의해국회의원직을박탈당하고구속되는수모를겪기도하였다. 국가보안법이제정시행되자그위력은실로대단했는데전국의형무소는

221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21 검거구속된국가보안법위반자들로포화상태에이르러새로운형무소건설과인원확충을불러일으켰고, 법집행기관들은업무과중으로계류상태가지속되면서처리가늦어지기도하였다. 그러나초기제정국가보안법으로처벌된형량이높지않았다고판단한정부는국가보안법사범들에대한보다과중한형량을부과시키고, 이들에대한추후관리를위한조치를취하게되었다. 이러한정권의의도는 1차개정과정에서그대로드러나게된다. 최고형에사형제를도입하고효율적집행을위한단심제제안, 복역후에도국가가관리하겠다는보도구금제실시등이바로그것이다. 1차개정은국회프락치사건으로정치적반대자가없는상황에서일사천리로진행되어법률제 85호로공포된다. 하지만무리한개정법률에대한내외비난여론이거세어지자시행되지도못하고 2차개정으로이어지게되는데국회내에서정부안과법사위안으로분리되어앞서논란이되었던조항에대한격렬한토론이벌어졌으나당시이승만정권의지지세력에서이탈하여민주한국당으로변모한한민당세력의우세로법사위안으로개정되게되었다. 국가보안법은제정된이후이승만정권의정치적안정화를이루는데공헌하게되는데이는부산지방법원판결문의분석을통해알수있었다. 내란행위가있지않아도그가능성을지니고있다는정권의판단에의해남한의수많은정치사회단체들이불법화되고해산시켰으며이단체들에가입하여활동했다는죄목으로수많은이들이검거또는구속되었다. 대부분이국가보안법제1조 3항과제3조에의해적용받아실형을선고받았으며이들의형량은초기에비해점차높아지는추세를보였다. 이러한상황들은 6ㆍ25전쟁이발발하면서변화를가져오게된다. 6ㆍ25전쟁이발발하자전국의형무소는잠재적적이될수있는정치범들을학살하기에이른것이다. 부산형무소의경우 1950년 7월에서 10월까지 3차에걸친학살이발생하였고그대상자들중에국가보안법사범들이주를이루고있었다. 국가보안법의적용상에형량이낮았던이들이전쟁발발이후미래의적이될수있는가능성으로인해죽임을당한것이다.

222 222 지역과역사 37 호 당시국방경비법이나특별조치령, 계엄법등국가보안법보다훨씬강력한법제들도많았지만이러한법제들은전쟁과혼란시기에한시적으로적용될수밖에없었고, 법적근거도불확실하면서사라지게되었지만국가보안법은제정이후부터 60여년이넘는시간동안한국사회에서맹위를떨쳐왔다. 초기 6조의법조항으로시작한국가보안법은최근 1998년까지개정을통해오늘날 3장 25조와부칙으로구체화되었다. 112) 법률조항은늘어났지만그기본뼈대와법정신은제정국가보안법에기초하고있다. 참고문헌 ꡔ강원일보 ꡕ, ꡔ경향신문 ꡕ, ꡔ동아일보 ꡕ, ꡔ민주중보 ꡕ, ꡔ부산신문 ꡕ, ꡔ세계일보 ꡕ, ꡔ자유신문ꡕ, ꡔ한성일보ꡕ, ꡔ호남신문 ꡕ 국가법령센터, ꡔ국가보안법법률제5454호ꡕ. 국회, ꡔ제헌국회속기록ꡕ, 여강출판사, 법무부, ꡔ한국교정사ꡕ, 부산교도소, ꡔ교정통계ꡕ, 부산교도소, ꡔ재소자인원일표ꡕ, 부산시사편찬위원회, ꡔ부산략사 ꡕ, 부산지방법원, ꡔ1949년 ~1950년국가보안법위반판결문ꡕ. 부산지방법원, ꡔ부산지방법원 100년사ꡕ,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위원회, ꡔ2009년하반기조사보고서ꡕ, 강성현, 1945~50년검찰사법의재건과사상검찰의반공사법 ꡔ기억과전망ꡕ 25, 강성현, 한국사상통제기제의역사적형성과보도연맹사건, ,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국사편찬위원회, ꡔ자료대한민국사ꡕ, 김남식, ꡔ남로당연구ꡕ, 돌베개, 김동춘, ꡔ전쟁과사회ꡕ, 돌베개, ) 국가법령센터, ꡔ 국가보안법법률제 5454 호 ꡕ( 시행 1998 년 1 월 1 일 ).

223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23 김득중, 제헌국회의구성과성격, 성균관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득중, 여순사건과이승만반공체제의구축,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김득중, 6ㆍ25전쟁전후정치범관련법제의성립과운용 ꡔ사림ꡕ 33, 김득중, 부역자처벌의논리와법의외부 ꡔ사회와역사ꡕ 103, 김선호, 국민보도연맹사건의과정과성격, 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수자, 대동청년단의조직과활동 ꡔ역사와현실 ꡕ 31, 김영범, 6ㆍ25전쟁과양민학살 ꡔ동아시와근대의폭력2-국가폭력과트라우마ꡕ, 삼인, 김영수, ꡔ한국헌법사ꡕ, 학문사, 김정기, ꡔ국회프락치사건의재발견ꡕ 1ㆍ2, 한울아카데미, 김창진, 8.15 직후광주지방에서의정치투쟁에관한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학재, 정부수립후국가감시체계의형성과정 : 1948~1953 정보기관과국민반, 국민보도연맹의운영사례,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학재, 한국전쟁기대통령긴급명령과예외상태의법제화 ꡔ사회와역사ꡕ 91, 김행선, 조선민주애국청년동맹의노선과제2차미소공동위원회추진운동 ꡔ국사관논총ꡕ 103, 김행선, ꡔ해방정국청년운동사ꡕ, 선인, 노영기, 민간인학살에관한자료실태와연구현황 ꡔ역사와현실ꡕ 54, 문준영, ꡔ법원과검찰의탄생ꡕ, 역사비평사, 문혜경, 한국전쟁기민간인학살연구-대전형무소학살사건을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석사학위논문, 박원균, ꡔ부산의고금 ꡕ, 태화출판사, 1967, 박원순, ꡔ국가보안법연구ꡕ 1,2,3, 역사비평사, 1989~1992. 박이준, 미군정기전국주요형무소집단탈옥사건연구 ꡔ담론201ꡕ 9-4, 박철규, 부산ㆍ경남지역의제헌국회의원분석 ꡔ항도부산ꡕ 24, 백운선, 제헌국회소장파의활동과역사적재평가 ꡔ역사비평ꡕ 24, 변동명, 제1공화국초기의국가보안법제정과개정 ꡔ민주주의와인권ꡕ 7-1, 부산매일신문, ꡔ울부짖는원혼ꡕ, 서용길, 제헌국회프락치사건의진상 ꡔ민족통일ꡕ 1-2, 서울대한국현대사연구회, ꡔ해방정국과민족통일세력ꡕ, 세계, 서중석, ꡔ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민족국가건설운동과통일전선 1ꡕ, 역사비평사, 서중석, 정부수립후반공체제확립과정에관한연구 ꡔ한국사연구ꡕ 90, 1994.

224 224 지역과역사 37 호 신복룡, ꡔ한국분단사연구 1943~1953ꡕ, 한울아카데미, 신종대, 부산ㆍ경남지방인민위원회의결성과와해과정 ꡔ한국과국제정치ꡕ,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 심지연, 해방후주요정치집단의통치구조와정책구상에대한분석 ꡔ한국정치학회보ꡕ, 역사문제연구소, ꡔ한국근현대지역운동사-영남편 ꡕ, 여강, 오유석, 한국사회균열과정치사회구조형성연구: 제1공화국총선거를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오제도, ꡔ국가보안법실무제요ꡕ, 南光文化社, 윤덕영, 해방직후사회주의진영의국가건설운동 ꡔ학림ꡕ 14, 이경, 남로당의게릴라전 ; 남북한통합의역사적준거, 경북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헌종, 6ㆍ25전쟁당시의부산사회연구 ꡔ항도부산 ꡕ 16, 이혜숙, ꡔ미군정기지배구조와한국사회ꡕ, 선인, 전상숙, 사상통제정책의역사성 ꡔ한국정치외교사논총ꡕ 27-1, 조국, 한국근현대사에서의사상통제법 ꡔ역사비평 ꡕ 여름호, 채병용, 국가보안법존폐론에관한연구,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최정기, 해방이후 6ㆍ25전쟁전까지형무소실태연구- 행형제도와수형자의경험을중심으로,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하계워크숍, 투고일 심사의뢰일 심사완료일

225 1949 년 1950 년국가보안법판례분석 225 Abstract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Precedent(1949~1950) -The Case of Pusan Local Court- Jung, Sun-M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Security Law(NSL) from its early management form through research on the written judgement of new historical records and aspects of the target. Most of them were sentenced to imprisonment in accordance with Clause 3, Article 1 and 3 of the NSL, with a tendency of longer prison sentences.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political prisoners were massacred in prisons of the whole country because it was believed that they could be latent enemies. In the case of Pusan prison, some of them were massacred three times from July to October in Most of them were the NSL-related offenders. It shows that they were slain as enemies who should be killed after the war broke out even though they had got off with light sentences for the first time. Moreover, their bodies were buried near the sea and mountains of Pusan. At that time, there were strict and strong laws such as the Korean articles of war, the special measure order, and martial law, but these laws were temporarily applied during the war and soon disappeared with a lack of a legal ground. On the other hand, it has raged for more than 60 years in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SL, and finally it contributed a lot to the settlement of an anticommunism.

226 226 지역과역사 37 호 Keywords ㆍ National Security Law( 국가보안법 ) ㆍ Anticommunism( 반공 ) ㆍ Lee Seung-Man Government( 이승만정권 ) ㆍ Korean War ( 한국전쟁 ) ㆍ Massacre( 학살 )

227 휘보 227 휘보 (2015 년 5 월 1 일 ~2015 년 10 월 31 일 ) Ⅰ. 연구소인적현황 1. 임원구성 (2015 년 10월 31일현재 ) 소장 : 오인택 ( 부산교대교수 ) 연구실장 : 차철욱 ( 부산대교수 ) 기획실장 : 정용범 ( 동서대강사 ) 사무국장 : 하유식 ( 울산대강사 ) 출판국장 : 우정임 ( 부산대강사 ) 감사 : 남재우 ( 창원대교수 ) 최연주 ( 동의대교수 ) 2. 연구원 (119 명, 2015 년 10 월 31 일현재 ) Ⅱ. 연구소주요활동 1. 심포지엄 주제 : 한일역사연구의쟁점 - 해방 70년공동학술심포지엄 - 일시 : 2015년 9월 18일 ( 금 ) 13:00~18:00 장소 : 부산대인덕관대회의실, 인덕관소회의실, 약학관 ( 구관 ) 101호 주최 : ( 사 ) 부경역사연구소, 부산대한국민족문화연구소, 효원사학회, 부산대사학과, 부산대역사교육과 후원 : 부산대산학협력단

228 228 지역과역사 37 호 - 일정 - 등록 : 13:00~13:30 개회식 : 13:30~13:40 장소 : 부산대인덕관대회의실 사회 : 차철욱 ( 부산대 ) 개회사 : 오인택 (( 사 ) 부경역사연구소장 ), 김동철 ( 부산대한국민족문화연구소장 ) 조흥국 ( 효원사학회장 ) 기조강연 13:40~14:20 제2 차세계대전후일본에서신세대연구자들의발자취강연 : 요시다미츠오 ( 일본방송대 ) 14:20~14:40 휴식 1세션 : 고대사 ( 인덕관대회의실 ) 좌장 : 정효운 ( 동의대 ) 14:40~15:10 한사군의위치비정과한일관계발표 : 윤용구 ( 인천광역시청 ), 토론 : 백승옥 ( 부경대 ) 15:10~15:40 백촌강전투의史的의의발표 : 이재석 ( 한성대 ), 토론 : 선석열 ( 부산대 ) 15:40~16:10 한일양국의 임나일본부 를바라보는시각변화의추이발표 : 이연심 ( 부산시사편찬위원회 ), 토론 : 남재우 ( 창원대 ) 16:10~16:30 휴식 16:30~18:00 종합토론 2세션 : 중세사 ( 인덕관소회의실 ) 좌장 : 오인택 ( 부산교대 ) 14:40~15:10 임진왜란을바라보는두가지시선발표 : 김강식 ( 한국해양대 ), 토론 : 양흥숙 ( 부산대 )

229 휘보 :10~15:40 15:40~16:10 16:10~16:30 16:30~18:00 조선후기사회성격을어떻게이해할것인가 : 내재적발전론과소농사회론발표 : 염정섭 ( 한림대 ), 토론 : 이정수 ( 동서대 ) 통신사연구의회고와전망발표 : 이와가타히사히코 ( 전남대 ), 토론 : 심민정 ( 신라대 ) 휴식종합토론 3세션 : 근현대사 ( 약학관 ( 구관 ) 101호 ) 좌장 : 홍순권 ( 동아대 ) 14:40~15:10 식민자와피식민자사이, 재조일본인연구동향과쟁점발표 : 전성현 ( 동아대 ), 토론 : 차철욱 ( 부산대 ) 15:10~15:40 일제강점기공업사연구의쟁점과과제발표 : 배석만 ( 고려대 ), 토론 : 김명수 ( 계명대 ) 15:40~16:10 일제식민책임청산에관한한일조약체제의과제발표 : 도시환 ( 동북아역사재단 ), 토론 : 최영호 ( 영산대 ) 16:10~16:30 휴식 16:30~18:00 종합토론 2. 연구발표회 * 제88연구발표회 (2014년 5월 22일, 부경역사연구소 ) 중세 1 연구부 : 高麗와唐 宋의姦非律비교 ( 발표 : 김현라 / 부산대, 토론 : 이정희 / 부경대 ) 중세 1 연구부 : 崔致遠의立言觀 ( 발표 : 이성호 / 덕문여고, 토론 : 권영오 / 대저중 )

230 230 지역과역사 37 호 * 제89연구발표회 (2015년 10월 2일, 부경역사연구소 ) 중세 2 연구부 : 16세기중 후엽각官戰船의설치와운영 ( 발표 : 한성일 / 해군사관학교, 토론 : 김강식 / 한국해양대 ) 근현대연구부 : 6.25전쟁시기부산지역피복공장생산실태 ( 발표 : 조봉휘 / 동명대, 토론 : 성강현 / 동천고 )

231 휘보 231 부경역사연구소편집위원회규정 제1조 ( 목적 ) 이규정은부경역사연구소편집위원회의조직과운영에관한제반사항을결정하는데그목적이있다. 제2조 ( 구성 ) 편집위원회의구성목적과조직은다음과같다. 1) 편집위원회는학회지의심사및편집업무를담당하기위해구성된다. 2) 편집위원회는 15명내외로한정한다. 3) 편집위원에는편집위원장과상임편집위원을둔다. 4) 각편집위원의임기는 2년이며연임할수있다. 5) 편집위원장 : 편집위원회에서호선하여소장이위촉한다. 편집위원회의회의를주재한다. 학회지의편집과간행에관련된제반사항을총괄한다. 6) 상임편집위원 : 편집위원장이선임하여소장이위촉한다. 학회지의편집과간행에따르는실무를담당한다. 7) 편집위원 : 본연구소의각분과에서학문적역량이뛰어나다고인정하여추천한이를연구위원회의심의를거쳐소장이위촉하되, 박사학위를소지하고대학의전임교원이거나이와동등한자격을갖추어야한다. 제3조 ( 활동 ) 편집위원회의심의 의결사항은다음과같다. 1) 본연구소에서간행하는 ꡔ지역과역사 ꡕ( 이하 학회지 라약칭 ) 의편집 2) 학회지에게재할논문의기획과심사 1 투고문에대한 1차심사 2 투고문에대한 2차심사를맡을심사위원의위촉 3 2차심사를거친투고문의게재여부확정 3) 학회지에게재할연구동향, 자료소개, 지역인물소개, 서평등의기획과심사 4) 기타필요한사업

232 232 지역과역사 37 호 제4조 ( 회의 ) 편집위원회의회의절차와방식은다음과같다. 1) 월 1회정기적으로개최함을원칙으로한다. 2) 개회선언, 위원장인사, 전회회의록낭독, 업무보고 ( 논문신청상황, 편집기획및기타연구회활동상황 ), 토의사항, 폐회선언순으로회의를진행한다. 3) 상임편집위원은편집위원회의회의록을작성하여보관한다. 제5조 ( 의결 ) 편집위원회는출석위원 3분의 2 이상으로의결한다. 유, 무선통신수단을이용한회의도같은효력을발휘한다. 제 6 조 ( 기타 ) 본규정에명시되지않은사항은관례에따른다. 제7조 ( 부칙 ) 이규정은 2012년 4월 1일부터시행된다. 제정 : 1995년 7월 1일제1차개정 : 1999년 2월 15일제2차개정 : 2002년 4월 1일제3차개정 : 2002년 12월 1일제4차개정 : 2005년 12월 1일제5차개정 : 2006년 1월 1일제6차개정 : 2011년 4월 1일제7차개정 : 2012년 4월 1일

233 휘보 233 ꡔ 지역과역사 ꡕ 간행및심사규정 제1조 ( 목적 ) 이규정은부경역사연구소에서발간하는 ꡔ지역과역사ꡕ( 이하 학회지 라약칭 ) 의간행및심사에관한제반사항을결정하는데그목적이있다. 제2조 ( 간기및매수 ) 1) 학회지는매년 4월 30일과 10월 31일총 2회발간한다. 2) 학회지는매호 300쪽내외의분량으로간행한다. 단, 특집호는예외로한다. 제3조 ( 투고 ) 1) 연구소의연구원및회원은학회지에논문을투고할수있다. 2) 논문을게재하고자하는자는투고문 ( 지면 ) 을간행 2개월전에편집위원회에제출해야한다. 3) 투고문은학회지의 원고작성원칙 을따라야한다. 4) 다음과같은논문을학회지에투고할수있다. 1 공동연구논문은반드시본연구소에서주관하는연구발표회를거친다음, 연구위원회의동의를얻어편집위원회에제출한다. 2 개별연구논문은해당분과에서주관하는분과발표회나본연구소에서주관하는연구발표회를거쳐편집위원회에제출하는것을원칙으로한다. 3 연구동향, 자료소개, 지역인물소개, 서평등은편집위원회에서협의하여게재여부를결정한다. 4 기타학문적으로우수하다고판단되는논문은편집위원회에서협의하여게재여부를결정한다. 5) 논문을게재하고자하는자에게일정한심사료와게재료를요구할수있다.

234 234 지역과역사 37 호 6) 논문의매수초과시추가조판료를요구할수있으며, 논문의분량은 200자원고지 180매로제한한다. 다만심사위원이초과게재가필요하다고인정할때는예외로한다. 제4조 ( 심사목적과방법 ) 1) 학회지의적정수준을유지하기위해투고문은두차례의심사를거친다. 단, 기획논문이나비평논문은예외일수있다. 2) 투고문에대한 1차심사는편집위원회에서담당한다. 3) 1차심사를거친논문은별도로위촉된심사위원에의해 2차심사를받는다. 4) 편집위원회는 2차심사결과를받고편집회의를열어재심사와게재여부를결정한다. 5) 편집위원회는재심사대상으로판정된논문을투고자에게보내수정하게하고, 수정된논문을다시심사위원에게보내재심사를받도록한다. 단, 동일논문의재심사는 1회에한한다. 6) 학회지에게재하는논문은심사에서통과된투고문에한정한다. 7) 논문의심사과정에관한구체적상황은대외비로한다. 제5조 ( 심사위원 ) 1) 투고문의 2차심사를위해심사위원을위촉한다. 2) 심사위원은해당분야의전문연구자로편집위원회에서위촉한다. 단, 필요한경우편집위원도심사위원이될수있다. 3) 심사위원은 3인으로한다. 4) 심사위원은투고문의내용및수준에대해심사서양식에따라심사하고, 심사결과를지정된기간이내에편집위원회에제출해야한다. 5) 심사위원은편집위원회의요청에따라재심할수있다. 6) 심사위원의위촉은대외비로한다.

235 휘보 235 제6조 ( 심사기준 ) 1) 편집위원회은다음의항목에대해심사한다. 1 논문의분량및투고규정적합성여부 2) 심사위원은다음의항목에대해심사한다. 1 논문제목의적절성 2 논문의형식및체제의적절성 3 논지의일관성및명료성 4 논문의학술적가치및독창성 5 표현과용어및개념의정확성 6 인용자료및참고문헌활용의적절성 3) 심사위원은수정없이게재 (A), 수정후게재 (B), 수정후재심사 (C), 게재불가 (D) 의 4등급으로심사결과를판정한다. 게재불가로판정한경우에는별도로그사유를명시한다. 제7조 ( 논문게재판정 ) 편집위원회는심사위원의심사결과를종합하여다음과같이논문의게재여부를판정 처리한다. 심사위원 1 심사위원 2 심사위원 3 최종판정 1 A A A 게재 2 A A B 게재 3 A A C 수정후게재 4 A B B 수정후게재 5 B B B 수정후게재 6 A A D 수정후게재 7 A B D 수정후재심사 8 A B C 수정후게재 9 A C C 수정후재심사 10 B B C 수정후재심사 11 B C C 수정후재심사 12 A C D 수정후재심사 13 A D D 게재불가 14 B B D 수정후재심사

236 236 지역과역사 37 호 15 B C D 게재불가 16 B D D 게재불가 17 C C C 게재불가 18 C C D 게재불가 19 C D D 게재불가 20 D D D 게재불가 제8조 ( 심사결과통보 ) 1) 논문의심사결과는투고자를제외하고외부에공개하지않는다. 2) 편집위원회는논문투고자에게심사결과를통보한다. 3) 게재가결정된논문투고자는편집위원회의수정또는보완요구를존중해야한다. 제9조 ( 이의신청과처리방법 ) 1) 학회지에논문을투고한자는심사와논문게재여부에관해이의를신청할수있다. 2) 본연구소의이의신청서양식에따라신청서를작성하여편집위원회에보내야한다. 3) 심사결과가통보된날로부터 2주일이내에이의를신청해야한다. 제10조 ( 저작권 ) 학회지에게재된모든글은부경역사연구소에그저작권이있다. 제 11 조 ( 기타 ) 본규정에명시되지않은사항은관례에따른다. 제 12 조 ( 부칙 ) 이규정은 2012 년 4 월 1 일부터시행된다. 제정 : 1997년 3월 21일제1차개정 : 1999년 2월 15일

237 휘보 237 제2차개정 : 2002년 4월 1일제3차개정 : 2003년 6월 1일제4차개정 : 2005년 12월 1일제5차개정 : 2006년 1월 1일제6차개정 : 2011년 4월 1일제7차개정 : 2012년 4월 1일

238 238 지역과역사 37 호 부경역사연구소연구윤리규정 제1조 ( 목적 ) 본규정은부경역사연구소의 ꡔ지역과역사ꡕ 에게재한연구성과의연구부정행위에대한취급규정을정하는데목적이있다. 제2조 ( 정의 ) 연구부정행위란 ꡔ지역과역사ꡕ 에게재된연구성과가위조, 변조, 표절, 중복게재, 부당한논문저자표시등에해당되는경우를말한다. 1. 위조및변조는연구자료를근거없이저자의임의대로작성하는경우 2. 표절은다른사람의연구성과를적절한출처를명시하지않고사용하는경우 3. 중복게재는자신의기존연구성과를그대로게재하는경우 4. 부당한논문저자표시는연구성과에공헌한사람에게정단한이유없이논문저자자격을부여하지않거나, 반대로연구성과에전혀기여하지않은사람에게예우등을이유로논문저자자격을부여하는행위 5. 기타역사학계에서통용되는범위를벗어난행위 제3조 ( 접수 ) ꡔ지역과역사ꡕ 발간후연구부정행위로판단되는연구성과에대한제보는본연구소와편집위원회로할수있다. 제보된안건은편집위원회가접수한다. 제4조 ( 제보자보호 ) 1. 제보자란부정행위를확인한사실또는관련증거를본연구소에알린자를말한다. 2. 제보자는다양한방법으로제보가가능하며, 실명제보를원칙으로한다. 만약부득이한이유로익명제보를한경우편집위원회에서사실여부를확인하여처리방침을결정한다. 3. 제보자의신원은절대공개하지않으며, 만약편집위원회가이를위반

239 휘보 239 하였을때는제보자가입은무상 유상의피해를보상해야한다. 4. 제보내용이허위이거나사전에허위임을알면서제보한경우제보자를보호할책임은없다. 제5조 ( 판정절차 ) 1. 편집위원회는접수된안건에대해해당분야전공자 3인이상의심사위원을선정하여조사위원회를구성한다. 2. 조사위원회는제보내용에따라연구부정행위의종류및내용을구체적으로밝혀야한다. 3. 조사위원회는부정행위의내용을해당연구자에게보내, 사실여부를확인한다. 4. 조사위원회는검토결과를 60일이내편집위원회로회송하여야한다. 5. 조사위원회의결정내용을토대로편집위원회는부정행위에대한최종심의를하여공개여부와공개수준을결정한다. 제6조 ( 담당조직및책임자 ) 연구부정행위에대한조사총괄은편집위원회가선정하는조사위원회가담당하고, 그내부에서책임자를선정한다. 제7조 ( 부정행위자에대한질의 ) 1. 조사위원회는심의결과연구부정행위가있다고결정한경우, 이내용을해당연구자에게질의서를보낸다. 2. 해당연구자는질의서를수령한후 15일이내에조사위원회에답변서를제출해야한다. 그렇지못할경우질의서내용을모두인정하는것으로판단한다. 제8조 ( 부정행위자징계 ) 1. 편집위원회는이와관련한내용을회의록은물론연구소홈페이지, 다음호 ꡔ지역과역사ꡕ 에공개한다.

240 240 지역과역사 37 호 2. 편집위원회는부정행위자가투고한웹상의논문을삭제한다. 3. 해당부정행위자는향후 10년간 ꡔ지역과역사ꡕ 에투고할수없도록한다. 제 9 조 ( 시행 ) 이규정 ( 지침 ) 은발령한날로부터시행한다. 제 10 조 ( 기타 ) 본규정이외의사항에대해서는일반적인관례에따른다. 제정 : 2007 년 3 월 20 일

241 휘보 241 ꡔ 지역과역사 ꡕ 원고작성원칙 부경역사연구소에서간행하는 ꡔ지역과역사ꡕ에논문을게재하고자할때는다음의원고작성원칙을지켜주시기바랍니다. 1. 논문의분량은본문, 목차, 그림, 도표, 외국어초록, 외국어주제어, 참고문헌을포함하여 200 자원고지 150 매를원칙으로한다. 원고매수가 200 자원고지 200 매를넘을경우, 원고지 5매당 5,000 원을저자가부담한다. 2. 논문의체제는, 논문제목- 필자명-차례-본문- 참고문헌-외국어초록- 외국어주제어 (5개 -한글한자병기 ) 로한다. 3. 논문은아래와같은방식으로작성한다. 1) 논문은한국어로작성함을원칙으로한다. 2) 원고의첫면에는논문제목, 필자명 ( 각주 ; 소속, e-메일주소 ) 을쓴다. 단, 논문이연구비에의한것이면필자명의각주난에이를표시한다. 3) 공동집필의경우에는제1저자와공동저자, 교신저자등의구분을명확히한다. 4) 논문의구성은제목, 목차, 본문순으로하고, 장과절및항의배열은 Ⅰ 1 1) (1) 1 ᄀ a 순서로한다. 단목차에는장과절만표시한다. 5) 머리말과맺음말에는기호를붙이지않는다. 6) 논문끝에는영문초록을첨부한다. 단, 필요시기타다른외국어로초록을작성할수있다. 초록의분량은 200 자원고지 3~4 매이내로제한하며, 주제어 (keyword) 5단어를선정하여영문으로적고괄호하여국문혹은한문을병기한다. 7) 제목, 본문, 인용문, 각주의형식은 글문서프로그램의기본형식

242 242 지역과역사 37 호 에따라다음과같이규정한다. (1) 글꼴은신명조, 1줄 70칸, 줄간격 180% 를기본으로한다. 단인용문과주석은줄간격 150% 이다. (2) 글자크기와문단정렬방식 1 본문 : 글자크기 10, 들여쓰기 2 2 인용문 : 글자크기 9, 왼쪽 2, 들여쓰기 2 3 각주 : 글자크기 9, 내어쓰기 (shift tap 사용 ) 4 < 표 1> < 그림 1> 제목 : 글자크기 10, 중간정렬 8) 각주의처리는다음과같은예시의형식으로통일한다. (1) 논문명과저서명의기호는모두겹낫표를사용하고, 각주맨끝에는마침표를찍는다. (2) 논저인용 1 번호 )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 ꡕ, 출판사, 출판년도, 0~00 쪽. 번호 ) 저자명, 논문명, 00 대학교박사학위논문, 출판년도, 0~00 쪽. 2 번호 ) 저자명, 위의책 ( 위의논문, 위의박사학위논문 ), 0~00 쪽. 번호 ) 저자명, 앞의책 ( 앞의논문, 앞의박사학위논문 ), 출판년도, 0~00 쪽. 3 번호 )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재수록 ), 0~00 쪽. 4 번호 ) 주 00) 참조. 5 번호 )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0~ 00쪽 ; 주석내용. 번호 ) 주석내용. ;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0~00 쪽. 6 인용논고가여러편일때 ( 동일저자는 ; 로연결 ) 번호 )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 논

243 휘보 243 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저자명, 논문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7 번역서일경우번호 ) 저자명, 역자명, ꡔ저서명ꡕ, 출판사, 출판년도. (3) 사료인용 : 원문을그대로인용할때는 를사용하고, 국역하여인용할때는 ; 를사용한다. 원문내용 에는띄어쓰기만하고다른부호는사용하지않는다. 1 번호 ) ꡔ 三國史記 ꡕ 권4, 新羅本紀 4, 法興王 11년 9월조. 2 번호 ) ꡔ 高麗史 ꡕ 권1, 太祖 5년 11월조.( 혹은 11월辛巳.) 번호 ) ꡔ 高麗史 ꡕ 권111, 列傳 24, 洪彦博傳 3 번호 ) ꡔ 太祖實錄 ꡕ 권1, 원년 8월庚戌 (1). 原文 번호 ) ꡔ 太祖實錄 ꡕ 권13, 7년 3월辛亥 (4) ; 국역. 번호 ) ꡔ 太祖實錄 ꡕ 권13, 7년 3월辛亥 (4) ; 국역 ( 원문 ). 4 번호 ) ꡔ 日本書紀 ꡕ 권17, 繼體天皇 23년 3월조. 5 번호 ) ꡔ 釜山日報 ꡕ ( 면 ) 단, 기사제목. 제정 : 1999년 2월 15일제1차개정 : 2002년 4월 1일제2차개정 : 2004년 9월 24일제3차개정 : 2006년 1월 1일제4차개정 : 2011년 4월 1일

244 부경역사연구소 사단법인부경역사연구소는우리터전의역사를올바르게연구하고그성과를대중과함께함으로써우리역사와지역문화의발전에기여하고민족사에대한자긍심을높이는데튼튼한밑거름이되고자합니다. 연구소활동안내 사단법인부경역사연구소는 1994년출범이후 ꡔ시민을위한가야사ꡕ 와 ꡔ시민을위한부산의역사ꡕ, ꡔ한국사와한국인ꡕ( 전근대 근현대편 ), ꡔ10세기인물열전ꡕ 등대중교양서를발간하는한편그외에도다음과같은활동을하고있습니다. 1. 연구발표회 ( 연 4회 ) 2. 학술심포지엄 ( 연 1회 ) 3. 초청강연회 ( 연 2회 ) 4. 역사기행 ( 연 4회 ) 5. 공동연구와학습 6. 회지 ꡔ지역과역사ꡕ 발간 7. 기타 연구원회원가입안내 1. 연구원연구원은연구소의연구활동및사업에참여하는사람들로소정의절차를거쳐가입할수있습니다. 자격은한국사를전공하는대학원재학이상의전문연구자와중등학교교원이상입니다. 2. 특별회원 1) 후원회원 : 본연구소의사업에관심을가진분은누구나가입이가능하며, 그권리는연구소가발간하는각종자료의구독과행사에있어특별대우를받습니다. 연회비는 5 만원이상입니다. 2) 일반회원 : 본연구소의사업에관심을가진분이면누구나환영하며연회비는 2 만원입니다. 일반회원에게는연구소가발간하는자료의구독및각종행사의참여시우선권을드립니다. 주소 : ( ) 부산광역시금정구장전 3동 번지사단법인부경역사연구소전화 : (051) 팩시밀리 : (051) homepage : * pkh6401@hanmail.net 온라인번호 : 부산은행 ( 사 ) 부경역사연구소농협 ( 사 ) 부경역사연구소

245 제 37 호 편집위원이윤상 ( 창원대학교 ) 최윤오 ( 연세대학교 ) 홍영기 ( 순천대학교 ) 권오영 ( 서울대학교 ) 채웅석 ( 가톨릭대학교 ) 한기문 ( 경북대학교 ) 홍순권 ( 동아대학교 ) 백승충 ( 부산대학교 ) 장지연 ( 대전대학교 ) 김경남 ( 전주대학교 ) 발행인오인택편집인백승충발행일 2015년 10월 31일펴낸곳도서출판선인 (02) 사단법인부경역사연구소 부산광역시금정구장전3동 (2층 ) (051) FAX (051)

김해퇴래리 280 번지국비지원 지표조사보고서

김해퇴래리 280 번지국비지원 지표조사보고서 김해퇴래리 280 번지국비지원 지표조사보고서 2016. 3 조사명 : 조사경위 : 조사지역및범위 : 조사면적 : 535 조사기간 : 조사의뢰기관 : 조사단구성 東西文物硏究院 1 1. 자연 지리적환경 1) 지리 지형 조사지역및주변일대위성사진 1) 昌原文化財硏究所 東亞大學校博物館, 1993, 金官加耶圈遺蹟精密地表調査報告書 115~116 쪽. 한국정신문화연구원,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AB000032-01.hwp

AB000032-01.hwp 1 다호리 48호분(계층3/ 馬 刀 모선 形 ) 2 다호리 32호분(계층4/ 刀 모선 形 ) 3 다호리 18호분(계층4/ 刀 모 形 ) 4 다호리 37호분(계층4/ 唯 刀 形 ) 5 다호리 47호분(계층5/모선 形 ) 6 다호리 67호분(계층6/ 唯 선 形 ) 그림1. 다호리 고분군의 계층성 1 다호리 25호분(계층5/ 唯 모 形 ) 2 임당 A-Ⅰ-145호분(계층3/

More information

¹é¹üȸº¸ 24È£ Ãâ·Â

¹é¹üȸº¸ 24È£ Ãâ·Â 2009.가을 24호 2_ . 02 03 04 08 10 14 16 20 24 28 32 38 44 46 47 48 49 50 51 _3 4_ _5 6_ _7 8_ _9 10_ _11 12_ _13 14_ _15 16_ _17 18_ 한국광복군 성립전례식에서 개식사를 하는 김구(1940.9.17) 將士書) 를 낭독하였는데, 한국광복군이 중국군과 함께 전장에

More information

3 4 5 6 7 8 2/25 26 27 28 2 3 3. 2 3. 2~8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15 3.28 3.29~30 1 8 15 2 9 16 3 10 17 4 11 18 5 12 19 6 13 20 7 14 21 4. 2~5 4.18

More information

¹ßÇ¥¿äÁö229-286

¹ßÇ¥¿äÁö229-286 5. 정비계획의 기본구상 5.1 유적 및 유구 정비 복원 사례연구 5.1.1 미륵사지(彌勒寺址) 미륵사지는 삼국유사 백제 무왕조에 왕이 부인과 함께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길에 용화산 밑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하여 이곳을 메우고 3개의 불당과 탑, 회랑 등을 세웠 다는 기록이 있으며, 미륵사의 배치는 삼원병렬식(三院竝列式)으로 동 서

More information

1 연번 1 2 문화재명 용덕리오항유물산포지 2 3 소재지 김해시한림면용덕리 370 번지일원 4면적 5시대 6종류 6,946 m2 삼국시대 고분관련유적 7 유적구분 조사의견 기존신규 8 9 10사유의견구분조사면적현장에서유구및유물확인되 표본 조사 6,946 m2 지않았으나, 주변에유적이다 수분포하므로사업시행전에 표본조사필요함 11 비고 ㅇ ㅇ ㅇ ㅇ ㅇ ( 사전조사및보고서작성

More information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 목차 > 2011 년 1/4 분기지역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1 > [ 전년동분기비, %] 시 도 ( 권역 1) ) 광공업생산지수 2)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3) 취업자수 10.2/4 3/4 4/4 11.1/4 p 10.2/4 3/4 4/4 11.1/4 p

More information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제4절 조선시대의 감사제도 1. 조선시대의 관제 고려의 문벌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하여 붕괴되고 고려 후기에는 권문세족이 지배층으 로 되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새로이 신흥사대부가 대두하여 마침내 조선 건국에 성공 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조선양반사회의

More information

¼øâÁö¿ª°úÇÐÀÚ¿ø

¼øâÁö¿ª°úÇÐÀÚ¿ø 13 1. 객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8호) 객사는 영조 35년(1759년)에 지어진 조선 후기의 관청 건물입니다. 원래는 가운데의 정당을 중심으로 왼쪽에 동대청, 오른쪽에 서대청, 앞쪽에 중문과 외문 그리고 옆쪽에 무랑 등으로 이 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당과 동대청만이 남아있습니다. 정당에서는 전하 만만세 라고 새 긴 궐패를 모시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날,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120~151역사지도서3

120~151역사지도서3 III 배운내용 단원내용 배울내용 120 121 1 2 122 3 4 123 5 6 124 7 8 9 125 1 헌병경찰을앞세운무단통치를실시하다 126 1. 2. 127 문화통치를내세워우리민족을분열시키다 1920 년대일제가실시한문화 통치의본질은무엇일까? ( 백개 ) ( 천명 ) 30 20 25 15 20 15 10 10 5 5 0 0 1918 1920 ( 년

More information

allinpdf.com

allinpdf.com 이책은북한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통일교육원에서발간한교재입니다. 각급교육기관등에서널리활용하여주시기바랍니다. 차례 Ⅰ. 북한이해의관점 Ⅱ. 북한의정치 차례 Ⅲ. 북한의대외관계 Ⅳ. 북한의경제 Ⅴ. 북한의군사 Ⅵ. 북한의교육 차례 Ⅶ. 북한의문화 예술 Ⅷ. 북한의사회 Ⅸ. 북한주민의생활 차례 Ⅹ. 북한의변화전망 제 1 절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More information

4 7 7 9 3 3 4 4 Ô 57 5 3 6 4 7 Ô 5 8 9 Ô 0 3 4 Ô 5 6 7 8 3 4 9 Ô 56 Ô 5 3 6 4 7 0 Ô 8 9 0 Ô 3 4 5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 선거의 의미와 필요성 ① 선거의 의미`: 우리들을 대표하여 일할 사람을 뽑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선거의 필요성`: 모든 사람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일을 의논하고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 UDI 이슈리포트제 20 호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2009. 12. 7. 도시계획연구실정현욱연구원 052) 283-7752 / jhw@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서론 3 Ⅱ.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현황및문제점 4 Ⅲ. 외국의개발제구역대안적관리사례 10 Ⅳ.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16 Ⅴ. 결론 21 울산권개발제한구역의효율적관리방안

More information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B9AEC8ADC0E7C3A2766F6C2E31325FBDCCB1DB2E706466> 2012 44 45 2012 46 47 2012 48 49 추억의 사진 글 사진 최맹식 고고연구실장 죽음을 감지하고 미리 알아서 죽은 미륵사지 느티나무 이야기 느티나무가 있던 자리 미륵사지는 가장 오랫동안 발굴 작업이 이뤄진 곳 미륵사지는 발굴 종료 당시, 우리나라 발굴 역사상 가장 오랫 동 안 발굴했던 유적이다. 1980년 7월 7일 발굴을 시작해 1996년

More informa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VOL.13 No.4 2011 08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CONTENTS XXXXXX XXXXXX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3 XXXXXXXXXXXXXXX XXXXXXXXXXXXXX 4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5 6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More information

속표지(도큐)

속표지(도큐) 인묘(유 소아묘)와 성인묘 양자가 뚜렷이 구분되어지는 객관적 기준(점)이 설정된다면, 이러한 기 준을 이용하여 인골이 출토되지 않는 다른 유적에 적용 가능하지 않을까한다. 먼저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인골이 양호한 상태로 출토되어 연령 및 성별에 따른 고분의 성격 을 가장 잘 파악 할 수 있는 예안리고분군 목곽 석곽 유 소아묘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More information

(012~031)223교과(교)2-1

(012~031)223교과(교)2-1 0 184 9. 03 185 1 2 oneclick.law.go.kr 186 9. (172~191)223교과(교)2-9 2017.1.17 5:59 PM 페이지187 mac02 T tip_ 헌법 재판소의 기능 위헌 법률 심판: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면 그 효력을 잃게 하거 나 적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 탄핵 심판: 고위 공무원이나 특수한 직위에 있는 공무원이 맡

More information

src.xls

src.xls xml 선언부에한글처리 (utf-8) 인코딩선언 - 주간예보열기 - 지역, 구역헤더열기 전국육상주간예보 주간예보제목태그열고닫기 201003080600 발표시각 :yyyymmddhhmm 시간태그열고닫기 - 기상전망열기

More information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KOTRA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중국경제 현안문제 가.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 논의 2003년 중국경제가 9.1%의 고성장을 달성하는 가운데 통화량(M2) 증 가율이

More information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120330(00)(1~4).indd

120330(00)(1~4).indd 도시개발법시행규칙 [ 별지제 5 호서식 ] 색상이어두운란은가작성하지않습니다. 접수번호 접수일자 성명 ( 법인의명칭및대표자성명 ) 주민등록번호 ( 법인등록번호 ) 전화번호 구역명 동의내용 구역면적 ( m2 ) 사업방식 시행자에관한사항 본인은 도시개발법 제4조제4항및영제6조제6항에따라환지방식의도시개발계획에대하여시행자등에게설명을듣고위내용 ( 개발계획수립과정에서관계기관협의및도시계획위원회의심의결과등에따라개발계획이변경되는경우를포함합니다

More information

5 291

5 291 1 2 3 4 290 5 291 1 1 336 292 340 341 293 1 342 1 294 2 3 3 343 2 295 296 297 298 05 05 10 15 10 15 20 20 25 346 347 299 1 2 1 3 348 3 2 300 301 302 05 05 10 10 15 20 25 350 355 303 304 1 3 2 4 356 357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Microsoft PowerPoint - MonthlyInsighT-2018_9월%20v1[1] * 넋두리 * 저는주식을잘한다고생각합니다. 정확하게는주식감각이있다는것이맞겠죠? 예전에애널리스트가개인주식을할수있었을때수익률은엄청났었습니다 @^^@. IT 먼쓸리가 4주년이되었습니다. 2014년 9월부터시작하였으니지난달로만 4년이되었습니다. 4년간누적수익률이최선호주는 +116.0%, 차선호주는 -29.9% 입니다. 롱-숏으로계산하면 +145.9% 이니나쁘지않은숫자입니다.

More information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간호8급 창원시 16 223 13.9 160 71.7% 18 81.00 간호8급 진주시 2 49 24.5 39 79.6% 2 77.00 간호8급 통영시 7 68 9.7 52 76.5% 7 71.50 간호8급 사천시 6 101 16.8 82 81.2% 7 80.00

More information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2 목차 편집자의 말 ------------------------------------------------------------------------------------- 3 한국의 * 상1 개괄 한국의 병역거부운동 -------------------------------------------------------------------------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10-23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실효성확보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연구의목적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내용 1. 친권에관한검토 2. 양육권에관한검토 3. 면접교섭권에관한검토 4. 관련문제점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제도의시행현황 1. 공식통계를통해본시행현황 2. 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관련법원실무

More information

......-....4300.~5...03...

......-....4300.~5...03... 덕수리-내지(6장~8장)최종 2007.8.3 5:43 PM 페이지 168 in I 덕수리 민속지 I 만 아니라 마당에서도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장팡뒤의 구조는 본래적인 형태라 고 할 수는 없으나, 사회가 점차 개방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해 폐쇄적인 안뒤공간에 위치하던 장항 의 위치가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방향으로 이동해가는 것이 아닌가 추론되어진다.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60000-000017-10 낙뢰연보 ANNUAL LIGHTNING REPORT. 2 0 1 4 일러두기 1. 이연보는전국에설치된 7 대의 IMPACT ESP 센서로관측된대지방전자료중에서, 3 개 이상의센서에서동시에관측된낙뢰자료만분석하였다. 2. 대지방전중전류의세기가 10 ka 이하인정극성낙뢰는구름내방전으로간주하여분석에 서제외하였다.

More information

#7단원 1(252~269)교

#7단원 1(252~269)교 7 01 02 254 7 255 01 256 7 257 5 10 15 258 5 7 10 15 20 25 259 2. 어휘의 양상 수업 도우미 참고 자료 국어의 6대 방언권 국어 어휘의 양상- 시디(CD) 수록 - 감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04년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제주 방언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이라고 할 때,

More information

국비지원 ( 복권기금 ) 지표조사 [ 학술적또는공공의목적을위하여지표조사보고서를공개하는데동의함 ] 문화재지표조사결과서 1 도덕리유물산포지 2 의성군안계면도덕리 804 전 18,090 m2 삼국 ~ 조선시대 유물산포지 표본조사 116 m2 추정고분관련할석및고묘확인. 2 도덕리고묘군 1 ( 추가 ) 위성군안계면도덕리산 144 9,880 m2려말선초고묘군 표본조사

More information

2019달력-대(판형키워)

2019달력-대(판형키워) 조국개황 72 주년 2019 4352 오직나에게덕이있어야항상향기롭다 興聖爲伍 성인과짝이되고성인의대열에들어가야한다. 1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2 23 24 30 35 26 27 28 29 2019 1January 2 24 25 26 27 28 3 4 5 6 7 8 9 10 11 12 13

More information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윤리적입장에따른학교상담자의 비밀보장예외판단차이분석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구승영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학부모신문225호최종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2 04 10 11 06 15 2 225 2010.06.05 Q Q Q Q Q Q Q Q Q Q Q 2010.06.05 225 3 Q Q Q Q 4 225 2010.06.05 2010.06.05 225 5 6 225 2010.06.05 2010.06.05 225 7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Q A

More information

MD-C-035-1(N-71-18)

MD-C-035-1(N-71-18) MD-C-035-1(N-71-18) KEPIC 적용사례 : MD-C-035-1(N-71-18) ( 승인일자 : 2010. 8. 31) 제목 : 용접으로제조되는 KEPIC-MNF 의 1, 2, 3 및 MC 등급기기지지물의추가재 료 (KEPIC-MN) 질의 : 품목이용접으로제작될경우, KEPIC-MDP의부록 IA, IB, IIA, IIB 및 VI에나열된것이외에추가로어떤재료가

More information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대하여 AB=BA 1 가성립한다 2 3 (4) 이면 1 곱셈공식및변형공식성립 ± ± ( 복호동순 ), 2 지수법칙성립 (은자연수 ) < 거짓인명제 >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요약본) 2015. 4. 지방공기업평가원 제주관광공사가부족한쇼핑인프라를보완하고, 수익을제주관광진흥에재투자하여 관광산업활성화와관광마케팅재원확보 라는양대목적달성에기여하고공기업으로서사회적책임을다하고자시내면세점사업에투자하려는의사결정에대한타당도는전반적으로볼때 긍정 으로평가할수있음 역할및필요성 대내 외환경 정책및법률 경제성기대효과

More information

È޴ϵåA4±â¼Û

È޴ϵåA4±â¼Û July 2006 Vol. 01 CONTENTS 02 Special Them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Beautiful Huneed People 03 04 Special Destiny Interesting Story 05 06 Huneed News Huneed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1 10 11 12 13 14 부여는 그 도장에 예왕지인( 濊 王 之 印 : 예왕의 인장)이라고 새겨져 있다. 그 나라에는 오래된 성이 있는데, 이름을 예성( 濊 城 )이라 고 한다. 본래 예맥의 지역인데, 부여가 그 가운데 왕으로 있었다. 1 15 16 17 18 19 20 1 2 21 2 22 1 2 23 24 1 2 25 26

More information

기본소득문답2

기본소득문답2 응답하라! 기본소득 응답하라! 기본소득 06 Q.01 07 Q.02 08 Q.03 09 Q.04 10 Q.05 11 Q.06 12 Q.07 13 Q.08 14 Q.09 응답하라! 기본소득 contents 16 Q.10 18 Q.11 19 Q.12 20 Q.13 22 Q.14 23 Q.15 24 Q.16 Q.01 기본소득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세요. 06 응답하라

More information

i - ii - iii - 1 - 연도 보험급여 총계 (A) 장해급여 유족급여 일시금연금일시금연금 연금계 (B) 연금비중 (B/A, %) 기타 급여 1) 1998 14,511 3,377 979 1,657 30 1,009 7.0 8,467 1999 12,742 2,318 1,120 1,539 38 1,158 9.1 7,727 2000 14,563 2,237 1,367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041~084 ¹®È�Çö»óÀбâ

041~084 ¹®È�Çö»óÀбâ 1998 60 1 1 200 2 6 4 7 29 1975 30 2 78 35 1 4 2001 2009 79 2 9 2 200 3 1 6 1 600 13 6 2 8 21 6 7 1 9 1 7 4 1 2 2 80 4 300 2 200 8 22 200 2140 2 195 3 1 2 1 2 52 3 7 400 60 81 80 80 12 34 4 4 7 12 80 50

More information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남북교류 접경벨트 서 해 안 동 해 안 내륙벨트 신 산 업 벨 트 에 너 지 관 광 벨 트 남해안 선벨트 Contents Part I. 14 Part II. 36 44 50 56 62 68 86 96 104 110 116 122 128 134 144 152 162 168 178 184 190 196 204 Part I. 218 226 234 240 254 266

More information

º´¹«Ã»Ã¥-»ç³ªÀÌ·Î

º´¹«Ã»Ã¥-»ç³ªÀÌ·Î 솔직히 입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왜 그렇게까지 군대를 가려고하냐, 미친 것 아니냐는 소리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그 때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내가 선택한 길이기에 후회는 없다. 그런 말을 하던 사람들조차 지금의 내 모습을 보고 엄지 손가락을 치켜세운다. 군대는 하루하루를 소종하게 생각 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고, 점점 변해가는 내 모습을 보며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한국사 문제1급

한국사 문제1급 1 2. 1. 3. 2 4. 5. 6. 7. 8. 3 9. 10. 11. 12. 4 13. 다음 중에서 고려 시대 문화재를 모두 고른 것은? [2점] 15. 다음 주장을 입증하는 근거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을 받기 전까지는 제도 운영, 국왕 및 왕실 구성원 명칭, 국가 의례에서 실질적인 황제국을 지 향하였다. ① 원구단을 만들어 하늘에

More information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발간사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목차 / 김광석 / 김적교 / 사공일 / 송희연 / 남상우 / 문팔용 / 김윤형 / 사공일ㆍ송대희 / 김수곤 / 김영봉 / 이규억 / 민재성ㆍ박재용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 황인정 / 남상우 / 양수길 / 고일동 / 김준경ㆍ조동철

More informa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ÃѼŁ1-ÃÖÁ¾Ãâ·Â¿ë2 경기도 도서관총서 1 경기도 도서관 총서 경기도도서관총서 1 지은이 소개 심효정 도서관 특화서비스 개발과 사례 제 1 권 모든 도서관은 특별하다 제 2 권 지식의 관문, 도서관 포털 경기도 도서관 총서는 도서관 현장의 균형있는 발전과 체계적인 운 영을 지원함으로써 도서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간되 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를 통해 사회전반의 긍정적인

More information

ITFGc03ÖÁ¾š

ITFGc03ÖÁ¾š Focus Group 2006 AUTUMN Volume. 02 Focus Group 2006 AUTUMN 노랗게 물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 나는 두 길 모두를 가볼 수 없어 아쉬운 마음으로 그 곳에 서서 한쪽 길이 덤불 속으로 감돌아간 끝까지 한참을 그렇게 바라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는 다른 쪽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무성하고, 사람이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Layout 1

Layout 1 3-9 _Layout 1 2018. 5. 23. 2:57 Page 300 함안말이산고분군 _ 13 호분출토새모양장식미늘쇠, 삼강문화재연구원 3-9 _Layout 1 2018. 5. 23. 2:57 Page 301 09 가야철생산 Vol. 3 Ⅰ. 머리말 Ⅱ. 가야철생산 1. 철생산유적 2. 목탄생산유적 Ⅲ. 가야철정과유통 1. 철정의분류 2. 가야철정과유통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보고제 2017-36 집 금산군북면외부리 685-1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8. 금산군북면외부리 685-1 번지일원태양광발전시설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7. 8.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유지순외 7인이의뢰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를거쳐국비지원으로실시한 금산군북면외부리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2) 2호 주거지 주거지는 해발 58.6m의 조사지역 중앙부 북쪽에 3호 주거지와 중복되어 위치하고 있다. 주거지는 현 지표층인 흑갈색사질점토층(10YR 2/3)을 제거하자 상면에 소토와 목탄이

More information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210 법학논고제 50 집 ( ) 경북대학교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 50 집 (2015.05) 209~236 면.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Vol.50 (May 2015) pp.209~236. 주제어 : 산업재해보상보험, 급여지급체계, 업무상재해, 휴업급여, 장해급여, 상병보상연금, 중복급여, 급여의조정 투고일 : 2015.04.30 / 심사일 : 2015.05.15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 2012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2012. 5. 12( ) 2012 1. 1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2012. 7. 4( ) ~ 7. 6( ) 3 등록시간 : 09:00 ~ 18:00. : 2 ( 1 ). 1 3 (A4 1매, 워드작성 붙임서식

More information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2011-49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차례 표차례 요약. 5.,,.,.,..,..,,. 2010 7 2011 8 244 227. 2011 6 i 2011 6 221 (www.reis.or.kr) 8 224. 23 2010 100%, 5 2011. 5 224,025 13. 33,536 8, 10,219. 21,499 1/3. 8,796 21,872,

More information

= " (2014), `` ,'' .." " (2011), `` ,'' (.)"

=  (2014), `` ,'' ..  (2011), `` ,'' (.) 학습목표 Finance Lectue Note Seies 파생금융상품의 이해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제강 화폐의 시간가치 연금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annuity): 일정기간 매년 동일금액을 지급하는 연금의 시간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조 승 모 3 영구연금의 시간가치(time value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154 동북아역사논총 55 호 포함된동이전 ( 東夷傳 ) 에는당시중국인중심의세계관과중화주의적관념이반영될수밖에없다. 이와관련하여 삼국지 ( 三國志 ) 동이전은편찬당시고대중국인의이민족에대한편견과중국중심적편향성, 그리고부족한정보와불철저한견문의한계등이지적되었다. 3 ) 후한서

154 동북아역사논총 55 호 포함된동이전 ( 東夷傳 ) 에는당시중국인중심의세계관과중화주의적관념이반영될수밖에없다. 이와관련하여 삼국지 ( 三國志 ) 동이전은편찬당시고대중국인의이민족에대한편견과중국중심적편향성, 그리고부족한정보와불철저한견문의한계등이지적되었다. 3 ) 후한서 삼국지 한전 ( 韓傳 ) 의 삼한 ( 三韓 ) 인식 153 삼국지 한전 ( 韓傳 ) 의 삼한 ( 三韓 ) 인식 문창로 / 국민대학교한국역사학과교수 I. 논의의방향 사기( 史記 ) 이래로고대중국사서는 술이불작 ( 述而不作 ) 의편찬태도를견지했기때문에, 1 ) 정사 ( 正史 ) 에대한편사 ( 編史 ) 작업시에는가급적기존사료들의원문 ( 原文 ) 과원의 ( 原意 )

More information

152*220

152*220 152*220 2011.2.16 5:53 PM ` 3 여는 글 교육주체들을 위한 교육 교양지 신경림 잠시 휴간했던 우리교육 을 비록 계간으로이지만 다시 내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으니 우 선 반갑다. 하지만 월간으로 계속할 수 없다는 현실이 못내 아쉽다. 솔직히 나는 우리교 육 의 부지런한 독자는 못 되었다. 하지만 비록 어깨너머로 읽으면서도 이런 잡지는 우 리

More information

1362È£ 1¸é

1362È£ 1¸é www.ex-police.or.kr 2 3 4 5 6 7 시도 경우회 소식 2008年 4月 10日 木曜日 제1362호 전국 지역회 총회 일제 개최 전남영광 경우회 경북구미 경우회 서울양천 경우회 경남마산중부 경우회 경북예천 경우회 서울동대문 경우회 충남연기 경우회 충남예산 경우회 충남홍성 경우회 대전둔산 경우회 충북제천 경우회 서울수서 경우회 부산 참전경찰회(부산진)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

ꡒ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ꡔ ꡕ

More information

< 목차 > 동남지역실물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 [ 전년동분기비, %] 생산 소비 고용 시 도 < 광공업생산지수 1) > <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2) > < 취업자수 > p p 전국 -1.0-0.1-1.7-0.8 1.8 2.0-2.0 0.9 2.1 1.4 1.1

More information

WHY JAPAN? 5 reasons to invest in JAPAN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www.investjapan.org Copyright (C) 2014 JETRO. All rights reserved. Reason Japan s Re-emergence 1 다시 성장하는 일본 아베노믹스를 통한 경제 성장으로 일본 시장은 더욱 매력적으로 변모하고

More information

지도학발달06-7/8/9장

지도학발달06-7/8/9장 3 1 7 17 95101G 421d 221 2 3 4 1971 34 12 1804 1866 1972 31866 4 1 5 33 1866 3 6 31866 3 1803 1877 1804 1866 2 02333 318 4 51 633 3 6 2022 222 31866 1955 1931 3 916 7 1925 1925 10 9 1862 65 8 7 2 1931

More information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 3.2 함수의정의 Theorem 6 함수 f : X Y 와 Y W 인집합 W 에대하여 f : X W 는함수이다. Proof. f : X Y 가함수이므로 f X Y 이고, Y W 이므로 f X W 이므로 F0이만족된다. 함수의정의 F1, F2은 f : X Y 가함수이므로성립한다. Theorem 7 두함수 f : X Y 와 g : X Y 에대하여, f = g f(x)

More information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5BB0EDB3ADB5B55D32303131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28322920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3031292D3135B9AEC7D72E687770> 고1 융합 과학 2011년도 1학기 중간고사 대비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빅뱅 우주론에서 수소와 헬륨 의 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4 서술형 다음 그림은 수소와 헬륨의 동위 원 소의 을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 우주에서 생성된 수소와 헬륨 의 질량비 는 약 3:1 이. (+)전하를 띠는 양성자와 전기적 중성인 중성자

More information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6) 송승종길병옥, ' 군용무인기개발의역사와그전략적함의에대한연구,' 군사 제 97 호, ) 최근공개된자료에따르면주한미군은기간중 268 회의무인기비행을수행한것으로알려졌다. 목차 I. 서언 II. 북한무인기능력과발전추세 III. 대남도발양상과예상피해수준전망 IV. 군사선진국들의무인기운용 V. 우리군의대응방향 VI. 결언 1) 공군사관학교졸업. 영국 Hull University 국제정치학박사. 국방대학교안보대학원군사전략학부장. 2) 자유북한방송, 2014. 5. 9. 3) Reudiger Frank, 'A Guide to Kim

More information

1. 경영대학

1. 경영대학 [ 별표 1] 1. 교육과정의영역구성및이수점표 경 영 농 업 생 명 과 동물생명과 과 ( 부 ) 명 경영 회부 ( 경영전공 ) 교 최소전공필수선택 심화점 7 12 1 18 38 18 27 45 0 45 47 단일전공 27 72 20 경영 회부 0 45 47 7 12 1 18 38 21 24 45 ( 회전공 ) 단일전공 27 72 20 경제 무역부 0 45 47

More information

....(......)(1)

....(......)(1) Finance Lecture Note Series 창업설계(캡스톤디자인)(1) 제1강. 강의소개 조 승 모1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 2015학년도 2학기 Copyright 2015 Cho, Seung Mo 1 영남대학교 상경대학 경제금융학부 조교수; (우) 712-749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 영남대학교 상경관 224호; choseungmo@yu.ac.kr;

More information

*074-081pb61۲õðÀÚÀ̳ʸ

*074-081pb61۲õðÀÚÀ̳ʸ 74 October 2005 현 대는 이미지의 시대다. 영국의 미술비평가 존 버거는 이미지를 새롭 게 만들어진, 또는 재생산된 시각 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 정의에 따르 면, 이미지는 사물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혹은 이미지를 창조하는 사람의 믿음이나 지식에 제한을 받는다. 이미지는 언어, 혹은 문자에 선행한다. 그래서 혹자는

More information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제 3강 역함수의 미분과 로피탈의 정리 제 3 강역함수의미분과로피탈의정리 역함수의미분 : 두실수 a b 와폐구갂 [ ab, ] 에서 -이고연속인함수 f 가 ( a, b) 미분가능하다고가정하자. 만일 f '( ) 0 이면역함수 f 은실수 f( ) 에서미분가능하고 ( f )'( f ( )) 이다. f '( ) 에서 증명 : 폐구갂 [ ab, ] 에서 -이고연속인함수 f 는증가함수이거나감소함수이다 (

More information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B3EDB4DC28B1E8BCAEC7F6292E687770> 1) 초고를읽고소중한조언을주신여러분들게감사드린다. 소중한조언들에도불구하고이글이포함하는오류는전적으로저자개인의것임을밝혀둔다. 2) 대표적인학자가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1990 을저술한 MIT 의 A. Amsden 교수이다. - 1 - - 2 - 3) 계량방법론은회귀분석 (regression)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 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 A Time Series and Spati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Housing Prices in Seoul Ha Yeon Hong*Joo Hyung Lee** 요약 주제어 ABSTRACT: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apartment price are

More information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조사구번호 가구번호 - 한국종합사회조사 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종로구성균관로 전화 srckgss@skku.edu http://src.skku.edu http://kgss.skku.edu 인사말씀 안녕하십니까 저희성균관대학교서베이리서치센터 에서는지난 년이래해마다한국종합사회조사 를시행하고있습니다 이조사는한국사회를종합적으로파악하고세계의주요국가들과비교연구하는데필요한자료를만들어내는목적이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지표조사보고제 2018-22 집 서산부석면강당리산 189 번지태양광발전시설 B 부지내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8. 7. 서산부석면강당리산 189 번지태양광발전시설 B 부지내 국비지원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 2018. 7. 재단법인 동방문화재연구원 - 일러두기 - 1. 이보고서는 JKS태양광발전소 ( 정기상氏외 16인 ) 이의뢰하고, 한국매장문화재협회와협의를거쳐국비지원으로실시한

More information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22 2저널(2월호)0327.ok 2013.2.7 8: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터빈 진동저감 및 IP 1 단 HVOF Coating 등을 설계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More information

»êÇÐ-150È£

»êÇÐ-150È£ Korea Sanhak Foundation News VOL. 150 * 2011. 12. 30 논단 이슈별 CSR 활동이 기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별 및 산업별 비교분석 최 지 호 전남대 경영학부 교수 Ⅰ. 서론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및 가설 개발 2. 1. 호혜성의 원리에 기초한 기업의 사회적 투자에 대한 소

More information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운영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과 참여로 정책을 함께 만들 수 있었고 그 결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정책 개선안을 도출하며 정책의 완성도를 제고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각 기관별 정부3.0 과제에 적용하여 국민 관점의 서비스 설계, 정책고객 확대 등 공직사회에 큰 반향을 유도하여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More information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3235B0AD20BCF6BFADC0C720B1D8C7D120C2FC20B0C5C1FE20322E687770> 25 강. 수열의극한참거짓 2 두수열 { }, {b n } 의극한에대한 < 보기 > 의설명중옳은것을모두고르면? Ⅰ. < b n 이고 lim = 이면 lim b n =이다. Ⅱ. 두수열 { }, {b n } 이수렴할때 < b n 이면 lim < lim b n 이다. Ⅲ. lim b n =0이면 lim =0또는 lim b n =0이다. Ⅰ 2Ⅱ 3Ⅲ 4Ⅰ,Ⅱ 5Ⅰ,Ⅲ

More information

- 89 -

- 89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있다 장정임 ( 2009). Toylor 와 Betz(1983) 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와 및 등이 개발 (career 와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 은 미래계획수립 문제해결과 같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건설이슈포커스 4.0 3.0 경제성장률 4.0 민간소비 3.0 2.0 2.0 1.0 1.0 0.9 0.8 0.9 0.0 0.0 0.3-1.0 09 년 1/4 분기 3/4 분기 10 년 1/4 분기 3/4 분기 11 년 1/4 분기 3/4 분기 12 년 1/4 분기 100.0 80.0 60.0 40.0 20.0 83.1 84.0 82.4 5.9 6.4

More information

이 장에서 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을 한다

이 장에서 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 비교적 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 작성하여 실행을 한다 이장에서사용되는 MATLAB 명령어들은비교적복잡하므로 MATLAB 창에서명령어를직접입력하지않고확장자가 m 인 text 파일을작성하여실행을한다. 즉, test.m 과같은 text 파일을만들어서 MATLAB 프로그램을작성한후실행을한다. 이와같이하면길고복잡한 MATLAB 프로그램을작성하여실행할수있고, 오류가발생하거나수정이필요한경우손쉽게수정하여실행할수있는장점이있으며,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최종결과보고서요약문 - 9 - Summary - 10 - 학술연구용역과제연구결과 - 11 - - 12 - - 13 - - 14 - 질병관리본부의공고제 2012-241 호 (2012. 10. 15) 의제안요청서 (RFP) 에나타난주요 연구내용은다음과같다. 제안요청서 (RFP) 에서명시한내용을충실히이행하고구체적이고세세한전략방안을제시했다.

More information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고3-02_비문학_2_사회-해설.hwp 비문학 기출 제재별 문제 모음 (2007~2011학년도 학력평가) 정답 및 해설 사회 2 비문학 사회 01 사회 2011 학년도 10 월학력평가 정답과해설 사회 1 2012 학년도 11 월모의평가 ( 대전 ) 1. 이해한내용으로추론하는능력을파악하는문제이다. 1 7. 유사한사례를파악한다. 5 [ 오답풀이 ] 2. 이해한내용을바탕으로적용할수있는능력을파악하는문제이다.

More information

DocHdl2OnPREPRESStmpTarget

DocHdl2OnPREPRESStmpTarget 자르는 선 5 월 월말 성취도 평가 국어 2쪽 사회 5쪽 과학 7쪽 자르는 선 학년 5 13 4 47 1 5 2 3 7 2 810 8 1113 11 9 12 10 3 13 14 141 1720 17 15 18 19 1 4 20 5 1 2 7 3 8 4 5 9 10 5 월말 성취도평가 11 다음 보기 에서 1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찾아 쓰시오. 각 나라마다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총서20-0앞붙이-5

총서20-0앞붙이-5 20 20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이성규 중국 군현으로서의 낙랑 존재였고, 이것을 낙랑군의 다른 지역까지 확대할 수는 없다. 이에 비해 魚 魚 魚 魚 빴魚 魚의 특산지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2010-1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요약,,,, 4, 5, 6,,,,, 5 58 1:1 34, 24 ( 13, 11 ) 2010 2017 8 i (5 8 ),.,, 74 (4 3, 5 19, 6 52 ) (4~6 4,901 ) 1.5% 5% ii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목적 2 연구범위와방법

More information

문화재이야기part2

문화재이야기part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100 No.39 101 110 No.42 111 문 ᰍℎ᮹ šᯙŝ $* ᗭ} 화 재 이 야 기 De$** 남기황 ᰍℎ šᯙŝ $* ᗭ} 관인은 정부 기관에서 발행하는, 인증이 필요한 의 가족과 그의 일대기를 편찬토록 하여 그 이듬해 문서 따위에 찍는 도장 이다. 문화재청은 1999년 (1447) 만든 석보상절을 읽고나서 지은 찬불가(讚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