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김양례(4교1.27,2.1ok).hwp

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02- 김양례(4교1.27,2.1ok).hwp"

Transcription

1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책임연구자 : 김양례 ( 체육과학연구원 ) 공동연구자 : 이용식 ( 체육과학연구원 ) 송홍선 ( 체육과학연구원 ) 오연주 ( 대림대학 ) 이보나 ( 오하이오주립대학교 ) 최지현 ( 오스나브뤼크대학교 ) 자문위원 : 김영주 ( 수원여자대학 ) 장덕선 ( 한국체육대학교 ) 보조연구자 : 차진숙 ( 체육과학연구원 )

2

3 2009 년은우리체육과학연구원의창립 29주년인동시에국민체육진흥공단창립 20주년이되는뜻깊은한해였으며체육계의이곳저곳에서도경사스런일이많은의미있는한해였습니다. 특히피겨스케이팅에서김연아선수의연속우승쾌거와독보적인활약은스포츠인으로서뿐아니라일반국민에서도가장의미있게연상되는운동선수로등극하며국민들의가슴속에뿌듯한감동을전해주었습니다. 현대는국가간의스포츠경쟁이치열한시대로경기력향상을위한스포츠과학의필요성과중요성은날로증대되고있습니다. 이에따라각국에서는체육과학연구원을만들어스포츠과학지원을위한체계적인적용연구를진행하고있습니다. 우리연구원은 2009 년올한해도 28 건의자체과제와 46 건의수탁과제를수행해왔습니다. 국가대표선수등을대상으로한스포츠과학현장지원, 문화체육관광부와체육관련단체의주요현안을중심으로한체육정책지원, 꿈나무선수, 후보선수, 장애인체육진흥을위한행정적제도적지원, 스포츠산업체의당면문제에대해현장중심의해결방안을제공하고있는스포츠산업현장지원, 체육학술단체지원및체육학술진흥사업, 문화동반자사업, 경기및생활체육지도자연수, 스포츠용품인증등스포츠인프라확충을위한각종연수및지원사업역시연구원에부여된주요역할이기도하였습니다. 해마다반복되는일이기도하지만이제한해도 1년동안의모든노력과성과가집약된작지만의미있는결실을한권의책으로엮어연구원뿐아니라체육관련단체및동료여러분과함께나누고자합니다. 본원고에서는엘리트선수들의경기력향상을위한스포츠과학연구, 체육부문의진로와 - i -

4 방향을선도할미래지향적선도연구, 체육관련분야의현안과제해결을위한대책방안중심의심층연구, 시의성문제해결을위한현장중심적탐구연구등체육부문의현재와미래에대한깊은인식과고민, 의지와희망등을진지하고도충분하게담아보고자노력하였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체육부문의기대와바램을충분히반영하기에부족한면이있었다면, 그것은오로지우리연구원의역량과노력부족, 구조적제약과한계등에기인한것이며, 저희체육과학연구원에서는부족한부분의개선을위해각계의조언과고언을언제나마다하지않을것임을약속드립니다. 올한해도각연구과정에참여해주신외부의공동연구자와자문위원, 보조연구원들께다시한번감사의마음을전합니다. 그리고항상애정어린관심과지원을마다하지않은문화체육관광부, 대한체육회, 대한장애인체육회, 국민생활체육협의회, 한국체육학회, 인재육성재단, 스포츠산업체등체육부문의관계자분들께도이자리를빌어감사의인사를드립니다. 또한국민체육진흥공단본부와산하각운영본부의모든임직원들과도이결실을함께하고자합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의배려와지원이없었다면오늘의성과도없었을것입니다. 우리체육과학연구원은우리에게주어진사명과임무를항상잊지않겠습니다. 끊임없이새로운체육의새로운영역을개척하면서체육발전의등대가될것이며발전의견인차역할을해나가겠습니다. 특히내년에는우리연구원창립 30주년이되는해로한세대가끝나고새롭게다시시작하는원년으로좀더발전된연구성과물로여러분과만나뵐것을약속드리며, 인사에갈음하고자합니다 년 12 월 - ii - 국민체육진흥공단체육과학연구원원장김정만

5 본연구는유아체육의사회적편익을규명하여유아체육에대한정부개입논리를개발하고, 유아체육활성화의핵심요소인유아체육추진주체,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관련법률과정책등에관한문제점을규명함으로써유아체육진흥을위한정책방안을제시하는데목적이있다. 이러한목적을달성하기위해국 내외체육및유아관련법률, 조직, 사업현황등과유아의체육활동실태및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전문가의견등을종합적으로분석하였다. 그런다음, 이러한분석을토대로유아체육진흥을위해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과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보건복지가족부등이추진해야할정책대안을제시하였다.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에서는유아체육의개념과유아체육에대한정부지원의필요성을분석하였다.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에서는체육및유아교육, 그리고보육관련법인국민체육진흥법, 유아교육법, 영유아교육법을분석하였으며, 관련조직의구성과사업추진현황을분석하였다. 이외에도유아체육진흥과밀접히관련되어있는유아체육지도자, 시설, 프로그램관련정책을체육및유아관련법률등을중심으로분석하였다.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에서는독일, 미국, 일본등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및유아체육참여현황에대해분석하였다. 유아의체육활동관련의견조사에서는유아의체육활동실태를파악하기위해만 3세에서취학전까지의유아를둔부모와만 5세에서취학전까지의유아, 그리고유아체육지도자를대상으로 - iii -

6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사용한연구방법은문헌조사, 델파이조사, 전문가회의, 현장조사, 설문조사등이었다. 문헌조사는연구내용전반에걸쳐이루어졌으며, 델파이조사는유아와체육관련교수및전문가, 유아체육지도자, 유아교육담당자등총 20명을대상으로유아체육의목표, 주안점, 프로그램의문제점,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유아체육활성화방안등을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만 3세~취학전유아를둔부모, 조사대상부모중만 5세~취학전유아그리고유아체육지도자를대상으로지역별 성별 연령별인구수에따라시 도별표본수를비례할당한후할당된표본수의범위내에서무작위표본추출법을이용해표본을추출하여조사를진행하였다. 유아체육지도자대상조사는서면조사로이루어졌다. 주요조사내용은개인적특성을비롯하여유아체육활동현황, 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및지도현황등을조사하였다. 상기의분석내용을토대로유아체육활성화정책추진방향과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비전및목표를설정하고정책과제를도출하였다. 유아체육활성화의비전은체육활동을통해유아의전인적발달과생애체육기반구축으로설정하였다. 전인적발달은체육활동이유아의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신체적발달을조화롭게달성하도록한다는의미로서체육을통한학습과밀접히관련되어있다. 생애체육기반구축이란유아기체육활동입문기회를확대하여운동습관을형성케함으로써평생동안체육활동에참가할수있도록하자는의미로서, 체육활동자체를위한학습기회확대와밀접히관련되어있다. 이러한비전달성을위한목표는체육을통한학습기회확대와체육을위한학습기회확대로설정하였다. 전자는유아기관의교육과정과보육과정에체육교과확대를통해, 그리고후자는생활체육참가확대를통해달성하는방향으로설정하였다. - iv -

7 이러한목표달성을위한사업전략으로는유아관련제도개선, 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시설접근성강화, 프로그램확대, 인식개선을설정하였다. 유아관련제도개선을위한추진과제로는조직, 지도자, 시설, 프로그램관련법제도개선을설정하였으며, 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를위한추진과제로는전문성향상을위한교육과정개선, 보수교육및지원, 민간지도자양성과정관리, 표준지도자양성과정개발및보급을설정하였다. 유아의체육시설접근성강화를위한추진과제로는체육시설조정사업지원, 유아기관과체육시설의연계확대를위한정보제공, 유아맞춤형체육시설조성및용구개발을설정하였고, 프로그램확대를위한추진과제로는관주도프로그램확대, 유아기관의체육프로그램확대, 스포츠리그제운영및지원, 유아기관과체육시설간유아체육연계프로그램추진, 성장발달단계별프로그램개발및보급을설정하였으며, 유아체육에대한인식개선을위한추진과제로는유아기관종사자의유아체육연수확대, 유아체육참여기회확대와홍보를통한부모인식개선을설정하였다. - v -

8

9 Ⅰ. 서론 1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1 가. 연구의필요성 1 나. 연구의목적 4 2. 연구내용및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7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유아체육의개념 18 가. 유아의개념 18 나. 체육의개념 20 다. 유아체육의개념 유아체육에대한정부지원의필요성 25 가. 유아체육에대한정책부재 26 나. 유아체육에대한편향된접근경향 31 다. 유아체육대한사회적요구증대 33 라. 유아체육의긍정적효과 36 마. 유아체육의사회적편익 4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 45 - vii -

10 가. 유아체육관련조직 45 나. 유아체육관련사업추진현황 유아체육관련정책 62 가.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 62 나. 유아체육시설관련정책 78 다. 유아체육프로그램관련정책 80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독일 97 가.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 97 나. 유아체육관련정책 117 다. 유아체육참여현황 미국 135 가.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 135 나. 유아체육관련정책 139 다. 유아체육참여현황 일본 158 가.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 158 나. 유아체육관련정책 161 다. 유아체육참여현황 170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의견조사 173 가. 유아체육활동현황 173 나. 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현황 188 다. 유아체육지도자 viii -

11 라.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 206 마. 유아체육활성화방안 델파이조사 213 가. 1차델파이조사결과 214 나. 2차델파이조사결과 224 Ⅵ.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 유아체육활성화정책추진방향 유아체육활성화비전과목표 237 가. 유아체육활성화의비전 237 나. 유아체육활성화의목표 유아체육진흥을위한정책과제 239 가. 전략 1 : 유아체육관련제도개선 240 나. 전략 2 : 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251 다. 전략 3 : 시설접근성강화 260 라. 전략 4 : 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267 마. 전략 5 : 유아체육에대한인식개선 277 참고문헌 282 < 부록 > 1. 유아체육활성화에관한의견조사 ( 학부모용 ) 유아체육활성화에관한의견조사 ( 만 5세이상유아용 ) 유아체육활성화에관한의견조사 ( 지도자용 ) 차델파이조사 차델파이조사 ix -

12 < 표 Ⅰ- 1>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부모 ) 10 < 표 Ⅰ- 2>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유아 ) 11 < 표 Ⅰ- 3>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유아체육지도자 ) 12 < 표 Ⅰ- 4> 설문지구성지표 15 < 표 Ⅱ- 1> 발달적체육교육에서움직임교육의목적및목표 (Gallahue, 1996) 23 < 표 Ⅱ- 2> 국내유아교육및체육관련주요학회 33 < 표 Ⅱ- 3> 유아의연령별신체발달특징 37 < 표 Ⅲ- 1> 문화체육관광부체육관련담당업무 47 < 표 Ⅲ- 2>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지원과의유아교육관련업무 51 < 표 Ⅲ- 3> 보건복지가족부보육정책관의유아보육관련조직및업무 55 < 표 Ⅲ- 4> 기초자치단체 ( 시 군 구 ) 의유아체육관련사업현황 59 < 표 Ⅲ- 5> 유치원정교사 (2급) 교과목및학점기준 64 < 표 Ⅲ- 6> 보육교사교과목및학점기준 (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제12조제1항 ) 66 < 표 Ⅲ- 7> 수도권체육관련학과의유아체육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교 ) 69 < 표 Ⅲ- 8> 수도권체육관련학과의유아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 ) 70 < 표 Ⅲ- 9> 수도권영유아교육관련학과및체육관련교과목개설현황 ( 대학교 ) 71 < 표 Ⅲ-10> 수도권영유아교육관련학과의체육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 ) 73 < 표 Ⅲ-11> 유아체육지도교사자격종류및자격요건 76 < 표 Ⅲ-12> 유치원교육과정건강생활영역중체육관련내용및수준별체계 83 < 표 Ⅲ-13> 표준보육과정신체활동중체육관련연령별내용과목표 88 < 표 Ⅲ-14> 전국공공체육시설생활체육관의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현황 90 - x -

13 < 표 Ⅲ-15> 유치원의특별활동프로그램실시현황 96 < 표 Ⅳ- 1> 연방정부조직구성및업무 98 < 표 Ⅳ- 2> 오스나브뤼크시지역스포츠협회 (SSB) 의조직구성및업무 108 < 표 Ⅳ- 3>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의구조 119 < 표 Ⅳ- 4> 놀이와스포츠유치원의요일별프로그램 130 < 표 Ⅳ- 5>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유아체육학교의연령에따른스포츠반 133 < 표 Ⅳ- 6>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유아체육프로그램 133 < 표 Ⅳ- 7>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회비 134 < 표 Ⅳ- 8> 미국유아정책담당연방정부기관 138 < 표 Ⅳ- 9> 미국의연도별 PEP Program 펀드 144 < 표 Ⅳ-10> 미국의민간영 유아체육기관비교 145 < 표 Ⅳ-11> 짐보리의연령별프로그램의예 146 < 표 Ⅳ-12> 마이짐의연령별프로그램의예 147 < 표 Ⅳ-13> 맨하탄보육원 (Manhattan Nursery School) 의커리큘럼예 154 < 표 Ⅳ-14> Montgomery County 유치원성적표체육부분 155 < 표 Ⅳ-15> 일본의스포츠진흥기본계획이해 162 < 표 Ⅳ-16> 가나가와현유아대상운동능력측정항목및체력요소 165 < 표 Ⅳ-17> 일본의보육소보육지침중유아발달및체력관련내용 169 < 표 Ⅴ- 1> 유아체육의목표 214 < 표 Ⅴ- 2>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 215 < 표 Ⅴ- 3>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 216 < 표 Ⅴ- 4>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217 < 표 Ⅴ- 5>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218 < 표 Ⅴ- 6>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219 < 표 Ⅴ- 7>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xi -

14 < 표 Ⅴ- 8>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220 < 표 Ⅴ- 9>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221 < 표 Ⅴ-10>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222 < 표 Ⅴ-11>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223 < 표 Ⅴ-12> 유아체육활성화방안 224 < 표 Ⅴ-13> 유아체육의목표 225 < 표 Ⅴ-14>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 226 < 표 Ⅴ-15>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 227 < 표 Ⅴ-16>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228 < 표 Ⅴ-17>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229 < 표 Ⅴ-18>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230 < 표 Ⅴ-19>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231 < 표 Ⅴ-20>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232 < 표 Ⅴ-21>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233 < 표 Ⅴ-22>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233 < 표 Ⅴ-23>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234 < 표 Ⅴ-24> 유아체육활성화방안 xii -

15 < 그림 Ⅳ- 1> 교육과정내주요활동 170 < 그림 Ⅳ- 2> 교육과정외주요활동 171 < 그림 Ⅴ- 1> 유아체육의필요성 173 < 그림 Ⅴ- 2> 유아체육이필요한이유 174 < 그림 Ⅴ- 3> 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 175 < 그림 Ⅴ- 4> 유아체육비참가이유 175 < 그림 Ⅴ- 5> 유아체육참가연령 176 < 그림 Ⅴ- 6> 유아체육참가시기 176 < 그림 Ⅴ- 7> 유아체육참가이유 177 < 그림 Ⅴ- 8> 유아체육참가종목 178 < 그림 Ⅴ- 9> 주로참가하는유아체육종목 179 < 그림 Ⅴ-10> 1주평균유아체육참가횟수 179 < 그림 Ⅴ-11> 1회평균유아체육참가시간 180 < 그림 Ⅴ-12> 유아체육참가기간 180 < 그림 Ⅴ-13> 월평균유아체육활동지출비용 181 < 그림 Ⅴ-14> 유아체육활동지출비용의평가 182 < 그림 Ⅴ-15> 유료유아체육시설 ( 복수응답 ) 183 < 그림 Ⅴ-16> 무료유아체육시설 ( 복수응답 ) 183 < 그림 Ⅴ-17> 유아체육시설만족도 184 < 그림 Ⅴ-18> 유아체육프로그램만족도 185 < 그림 Ⅴ-19> 유치원 / 어린이집정규수업으로의유아체육필요성 xiii -

16 < 그림 Ⅴ-20> 유아체육의목표 187 < 그림 Ⅴ-21> 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 188 < 그림 Ⅴ-22>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유아연령 189 < 그림 Ⅴ-23>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인원 189 < 그림 Ⅴ-24>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종목 190 < 그림 Ⅴ-25>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장소 191 < 그림 Ⅴ-26>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장소만족도 192 < 그림 Ⅴ-27> 프로그램운영현황 - 주당지도횟수 192 < 그림 Ⅴ-28> 프로그램운영현황 - 1회지도시간 193 < 그림 Ⅴ-29> 프로그램운영현황 - 운영기관 194 < 그림 Ⅴ-30> 유아체육지도경력 195 < 그림 Ⅴ-31> 소속된유아체육관련기관 / 지도하고있는기관 195 < 그림 Ⅴ-32> 고용형태 196 < 그림 Ⅴ-33> 주출강유아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 197 < 그림 Ⅴ-34> 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적합한사람 198 < 그림 Ⅴ-35>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는사람 199 < 그림 Ⅴ-36> 유아체육지도자에대한만족도 200 < 그림 Ⅴ-37>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201 < 그림 Ⅴ-38> 유아체육지도자선정시중요한요건 201 < 그림 Ⅴ-39>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202 < 그림 Ⅴ-40> 유아체육전담지도자가필요한이유 203 < 그림 Ⅴ-41> 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및전공 203 < 그림 Ⅴ-42> 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및전공 - 전문성평가 204 < 그림 Ⅴ-43> 자격증및관련전공이전문성에충분하지않은부분 205 < 그림 Ⅴ-44> 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 xiv -

17 < 그림 Ⅴ-45>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유형 207 < 그림 Ⅴ-46>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종목 ( 복수응답 ) 207 < 그림 Ⅴ-47> 1주일동안유아체육프로그램참가희망횟수 208 < 그림 Ⅴ-48>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 1회참가시간 209 < 그림 Ⅴ-49> 1주일동안적합한유아체육수업횟수 209 < 그림 Ⅴ-50> 효과적유아체육수업을위한적정인원 210 < 그림 Ⅴ-51>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장소 211 < 그림 Ⅴ-52> 희망하는유아체육지도자 211 < 그림 Ⅴ-53> 유아체육활성화방안의필요성평가 212 < 그림 Ⅴ-54> 유아체육참가의향 213 < 그림 Ⅵ- 1>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비전, 목표, 전략, 추진과제 xv -

18

19 Ⅰ. 서론 1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가. 연구의필요성 1988 년제24회서울올림픽대회이후생활체육에대한관심이고조되면서이에부응하기위한정부차원의정책적움직임이활발히이루어졌다 년생활체육진흥계획인호돌이계획수립과생활체육진흥전담기구인국민생활체육협의회설립이그대표적예라할수있다. 이러한계획과협의회설립을계기로생활체육참여율확대를통한양적발전과생활체육동호인조직및생활체육대회확대를통한질적발전을도모하기시작하였다. 정부정책중제1, 2, 3차국민체육진흥5개년계획은생활체육의발전에획기적인전기를마련한것으로평가할수있다. 국민의생활체육활성화를위해구민체육센터, 지방스포츠센터, 농어촌체육센터, 국민친화형생활체육공간조성등과같은지역중심의생활체육시설을조성하였다. 또한생활체육참여일상화를위해다양한교실사업과생활체육광장사업및계층별생활체육프로그램개발사업등을수행하였다. 이외에도생활체육지도자를양성하여시 군 구생활체육협의회에배치함으로써주민의생활체육참여독려와생활체육참여의질향상에기여하였다. 이러한정부정책은주 2~3회이상규칙적생활체육참여율을 1994년 37.6% 에서 2006 년 44.1% 까지증가시키는견인차역할을했다 ( 정응근등, 2006). 그러나그동안생활체육진흥정책이주로성인층에국한된경향이있었다. 그이유는생활체육진흥의전담기구라할수있는국민생활체육협의회의태생이정치적판단에기인하고있어선거에영향을미치는성인층을

20 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주대상으로했기때문이다. 또다른이유는초등학교부터대학까지는주로학교체육이라는이름으로교육과학기술부가담당하고있기때문에, 생활체육담당부처인문화체육관광부에서성인층에초점을두고정책사업을추진했기때문이라할수있다. 그러나오늘날생활체육참여가국민의삶의질과행복에중요한영향을미치고 ( 강종구, 2003; 김양례등, 2008; 마석렬, 2001; 윤만수, 강진홍, 2000), 국민의기본권으로자리매김하고있다 ( 김상겸, 2005). 따라서생활체육정책대상을성인층이전인청소년과유아기까지확대하는것이필요하다. 유아와청소년대상생활체육진흥정책은생활체육기반구축이라는측면에서도매우중요하다. 어린시기의스포츠관련보상이성인의스포츠참가에영향을미치며 (Spreitzer 등, 1976), 유아가체육활동을처음에어떻게경험하고인식하는가가성장기이후체육활동참여결정의주영향요인이자동기로작용한다는연구결과 (Fox, 1991) 들은유아기체육활동입문이생애체육과밀접히관련되어있음을뒷받침해주고있다. 한편, 유아기생활체육은심신의조화로운발달등교육적효과가클뿐아니라, 증가일로에있는유소년의비만과생활습관병예방에도기여하기때문에평생건강의토대가된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유아기신체활동이유아의성장발육을돕고지적, 사회적, 인지적기능을발달시킨다는연구결과 ( 고승희, 2002; 송기문, 2005; 문희선, 2008) 는유아기체육활동의필요성을뒷받침하고있다. 유아기체육활동의중요성은 1969년제1차유치원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년제7 차교육과정에이르기까지기초운동능력향상등의건강관련내용이포함된것에서도알수있다. 특히, 2009년 3월 1월부터시행되는제7차교육과정에서는전인적성장의교육영역으로건강생활의중요성이

21 Ⅰ. 서론 3 더욱강조되고있다. 즉, 기존의교육과정과는달리, 걷기, 달리기, 뛰기등을통한움직임과공, 리본, 후프, 평균대, 매트등도구와놀이시설을활용한신체활동, 그리고규칙적으로바깥에서신체활동을하도록하는등의내용이포함됨으로써, 유치원에서체육활동이보다활발히이루어질것이란기대를갖게한다. 그러나제6차까지의유치원교육과정에서기초운동능력배양의중요성이강조되었음에도불구하고유치원에서체육활동교육이간과되었듯이, 제7차교육과정에서규칙적체육활동이배제될가능성은여전히높다. 서울특별시가 2009 년 3월 1일부터시행될유치원교육과정편성 운영지침에서체육활동을배제한것이그예가될수있다. 즉, 기본운동능력향상을위해 신체활동을즐기며규칙적으로참여한다 는교육내용달성을위해서 주변놀이터를적극활용한다 ( 서울특별시교육청, 2006) 고제시함으로써, 생활체육과연계될수있는체육활동보다는신체활동량증가수준의교육이이루어질가능성이높다. 따라서단순히신체활동수준이아니라전인적성장과평생체육에토대를구축할수있는유아체육활성화대책마련이필요하다. 그동안유아체육에대한사회적요구는꾸준히증가하고있지만이에부응하는유아체육정책이추진되지는못했다. 이로인해, 유아체육이사적영역에떠맡겨지면서부모의사교육비부담을가중시키고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보건복지가족부가유아와영유아교육및보육관련업무를담당하고있지만체육활동활성화계획은뒷전이며, 생활체육진흥을담당하는문화체육관광부또한유아의체육활동관련사업이전무한실정이다. 이는프랑스, 영국, 중국, 미국오리건주등에서체육을유치원교육과정에포함시켜실시하고, 일본과독일이건강영역에서체육활동을비중있게다루고있는 ( 손원호, 2004) 경향과대조를이룬다.

22 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은저출산, 주지교육위주의교육제도및문화, 학업과운동병행이불가능한교육현실등의이유로고갈일로에있는엘리트선수의저변확대라는측면에서도중요한의미를갖는다. 우리나라는현재까지국제대회에서상위권을유지하고있지만선수수급의문제로인해향후경기력약화가불가피할것이라는예상이지배적이다. 따라서엘리트선수수급을원활히하기위한대안모색이필요한실정이며, 유아기체육활동입문이지속적이고적극적참여유인에효과적이라는연구결과들은유아체육활성화가엘리트선수저변확대에효과적수단이될수있음을시사해주고있다. 그렇다면본연구의주대상인유아를어떻게규정할것인가? 현행유아교육법에서는유아를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의어린이로규정하고있으며, 영유아보육법에서는만 6세미만의취학전아동을영유아로규정하고있다. 상기의법에비추어볼때, 본연구의체육활동이유아의보육보다는개인및사회적차원의교육적가치등에초점을두고있기때문에교육대상연령으로규정되어있는유아교육법에입각해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를유아로규정하였다. 유아기체육활동은상기에서살펴본것처럼평생체육의기반구축과전인적발육발달및엘리트선수저변확대등에매우중요하다. 그러나그중요성에비해유아의체육활동활성화에대한연구가부족한실정이다. 나. 연구의목적본연구는유아체육의사회적편익을규명하여유아체육에대한정부개입논리를개발하고, 유아체육활성화의핵심요소인유아체육추진주체,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관련법률과정책등에관한문제점을규명함으로

23 Ⅰ. 서론 5 써유아체육진흥을위한정책방안을제시하는데목적이있다. 이러한목적을달성하기위해국 내외체육및유아관련법률, 조직, 사업현황등과유아의체육활동실태및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전문가의견등종합적으로분석하였다. 그런다음, 이러한분석을토대로유아체육진흥을위해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과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보건복지가족부등이추진해야할정책대안을제시하였다. 2. 연구내용및방법 가. 연구내용본연구의내용은크게다섯부분으로구성되었다. 첫째는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둘째는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셋째는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넷째는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다섯째는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등이다. 첫째,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에서는유아체육의개념과유아체육에대한정부지원의필요성을분석하였다. 유아체육은유아와체육의개념을토대로규정하였으며, 유아체육에대한정부지원의필요성은유아체육에대한정책부재, 편향된접근경향, 사회적요구증대, 긍정적효과, 사회적편익측면에서분석하였다. 이러한분석은유아기체육활동의개인및사회적효과등에대한이론적, 논리적근거를마련해줌으로써정부차원의유아체육개입의당위성과논리개발및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기본방향설정에주요자료를제공해주었다. 둘째,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에서는체육및유아교육,

24 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그리고보육관련법인국민체육진흥법, 유아교육법, 영유아교육법을분석하였으며, 관련조직의구성과사업추진현황을분석하였다. 이외에도유아체육진흥과밀접히관련되어있는유아체육지도자, 시설, 프로그램관련정책을체육및유아관련법률등을중심으로분석하였다. 이러한분석은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법제도와지도자, 시설, 프로그램정비방향에대한기초자료를제공해주었다. 셋째,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에서는독일, 미국, 일본등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및유아체육참여현황에대해분석하였다.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에서는체육및유아관련법률과조직의구성, 그리고유아체육관련지도자, 시설, 프로그램정책, 그리고유아체육참여현황에대해개괄적으로분석하였다. 이러한분석은국내의유아체육추진체계와정책등에관한비교근거를제공해줌으로써우리나라유아체육진흥의주요과제를도출하는데기초자료를제공해주었다. 미국과독일의유아체육관련자료는현지에서박사과정에재학중인대학원생을공동연구자로활용해조사가이루어졌으며, 일본의유아체육관련자료는인터넷및문헌을토대로조사가이루어졌다. 넷째,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에서는유아의체육활동실태를파악하기위해만 3세에서취학전까지의유아를둔부모와만 5세에서취학전까지의유아, 그리고유아체육지도자를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유아부모대상설문조사에는유아체육의필요성, 참여여부, 참가정도, 참여만족도, 유아체육목표등유아체육활동현황과유아체육지도자에대한만족도와자질,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등유아체육지도자관련내용이포함되었다. 자신의의견을상대방에게비교적명확히전달할수있는만 5세~취학전유아대상설문조사에는유아체육참가여부, 참가이유, 유아체육시설, 지도자, 프로그램만족도관련내용이포함되었

25 Ⅰ. 서론 7 다. 한편유아체육지도자대상설문조사에는지도유아연령, 지도인원, 지도종목, 지도장소만족도등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및지도현황과유아체육지도자의경력,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유아체육관련자격증및전공관련내용이포함되었다. 이러한분석은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유아체육지도자, 시설, 프로그램등제반정책과제도출에주요자료를제공해주었다. 다섯째,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에서는상기의연구내용분석결과를토대로유아체육활성화정책추진방향과유아체육활성화비전과목표및유아체육진흥을위한정책과제를도출하였다. 정책과제는과제별사업필요성과추진방안으로구분하였다. 사업필요성에서는문헌및설문조사, 선진사례조사, 의견조사등을토대로사업이추진되어야하는이유를제시하였으며, 추진방안에서는정책사업을추진할때필요한절차와방향등을개괄적으로제시하였다. 나. 연구방법 본연구의방법으로는문헌조사, 델파이조사, 전문가회의, 현장조사, 설 문조사등이사용되었다. 1) 문헌조사유아체육개념과정부지원근거, 국 내외유아체육추진체계와정책등연구내용전반에관한문헌조사가이루어졌다. 즉, 현행유아교육및보육관련자료와법규, 유아체육관련도서, 유아체육운영기관의내부문건, 외국의유아체육정책및사업현황등에관한문헌조사가이루어졌다.

26 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델파이조사델파이조사에서는유아체육의목표, 주안점, 프로그램의문제점,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유아체육을지도하고있는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와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의전문성부족부분,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유아체육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유아체육활성화방안등을파악하였다. 델파이조사는문화체육관광부의생활체육담당자 1명,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담당자 1명, 보건복지가족부유아보육담당자 1명, 유아교육과교수 1명, 체육관련전공교수 2명, 국민생활체육회임직원 1명, 어린이집및유치원원장 4명, 유아체육지도자 2명, 공공체육시설유아체육프로그램담당자 4명, 민간유아체육지도자협회 1명, 민간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자 2명등총 20명을대상으로델파이조사를실시하였다. 3) 전문가회의유아및체육관련교수및전문가, 유아체육지도자, 유아교육담당자등의전문가와회의를통해유아의체육활동참여확대를위한연구의기본방향과참여확대방안등에대해협의하였다. 1차전문가회의에서는유아의체육활동활성화의주요자료인설문조사와델파이조사내용, 그리고연구방향에대한논의가이루어졌다. 2차전문가회의에서는유아의체육활동참여확대방안에대한논의가이루어졌다. 4) 현장조사 국내출장은공공체육시설과민간체육시설등체육시설의유아체육운

27 Ⅰ. 서론 9 영우수시설과유치원과어린이집등유아교육및보육시설의유아체육운영우수시설등을방문하여유아체육운영실태를파악하였다. 이러한조사를통해우리나라체육시설과유아관련시설에서현실적으로추진가능한유아체육사업개발의경험적자료를확보할수있었다. 5) 설문조사가 ) 조사대상본연구의대상은만 3세~취학전유아를둔부모, 조사대상부모중만 5세~취학전유아, 유아체육지도자로구성되었다. (1) 유아부모유아를둔부모대상설문조사는 2009년현재전국의만 3세~취학전아동을모집단으로설정한다음, 지역별 성별 연령별인구수 (2008 년말주민등록인구기준 ) 에따라시 도별표본수를비례할당한후할당된표본수의범위내에서무작위표본추출법 (Random Sampling) 을이용하여표본을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역별할당표본수를기준으로지역별실사지점의수를결정하고 1개실사지점당 10명내외를조사하는것을목표로적정수의실사지점수를결정하였다. 그런다음결정된지역별실사지점수에따라행정구역리스트에서난수를발생시켜무작위로실사지점을추출하고, 특별시와광역시의경우는동단위까지실사지점을무작위로추출하였으며, 읍 / 면지역이포함된도지역의경우는읍 / 면지역과동지역을구분하여실사지점을무작위로추출하였다. 무작위로추출된조사지점에서조사를진행하였으며최초추출된지점에서조사가원활하지않은경우인근지역으로이동하여조사를진행하였다.

28 1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Ⅰ-1>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부모 ) 성별연령지역규모자녀성별자녀연령학력직업월평균수입 구분 응답자수 ( 명 ) 비율 (%) 전체 여자 여자 세이하 ~39세 ~39세 세이상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남자 여자 만 3세 만 4세 만 5세 만 6세 고등학교졸업 대졸이상 화이트칼라 블루칼라 주부 만원미만 ~350만원미만 만원이상 무응답 이런절차를통해전국적으로 500 명의조사대상자를추출하였다. 두 명의유아를둔부모가조사대상으로선정되었을경우첫번째출생한유아 에대해서만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본연구에서유아의체육활동을부모

29 Ⅰ. 서론 11 를대상으로조사한이유는유아의연령이만 3 세 ~ 취학전까지로조사문 항에대한이해도등에제약이있어, 신뢰로운조사자료를확보하는데 한계가있기때문이다. (2) 유아유아를둔부모 500 명의가구내만 5세~ 취학전까지의유아 250 명에대한조사대상표집절차는부모와동일하다. 부모와유아에게동일문항에대해반복하여의견조사를실시하는이유는부모와유아간의견차가발생할수있기때문에, 보다정확한자료확보차원에서반복조사가필요하다는지적이있었기때문이다. < 표 Ⅰ-2>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유아 ) 성별연령지역규모재원시설 구분 응답자수 ( 명 ) 비율 (%) 전체 남자 여자 만 5세 만 6세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유치원 어린이집 다니지않음 따라서조사대상연령인만 3 세 ~ 취학전아동중설문문항에대한이해 도가상대적으로높은만 5 세 ~ 취학전유아를대상으로체육활동참가

30 1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여부와참여만족도및참여이유등에대한조사를실시하였다. 유아의조사대상수를 250 명으로설정한이유는본연구의실제조사대상연령인만 3세에서취학전아동의연령대가만 3세, 4세, 5세, 6세이기때문에, 각연령대별조사대상수가 125 명이며만 5세~취학전까지의연령에해당하는유아의수가 250명정도이기때문이다. (3) 유아체육지도자 < 표 Ⅰ-3> 조사대상자의일반적특성 ( 유아체육지도자 ) 성별연령학력월평균수입소속기관주요지도기관 구분 응답자수 ( 명 ) 비율 (%) 전체 남자 여자 세이하 대 세이상 대학교졸업 ( 재학 ) 대학원졸업 ( 재학 ) 만원미만 ~200만원미만 ~300만원미만 만원이상 무응답 공공체육시설 유치원 어린이집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기타 공공체육시설 유치원 어린이집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31 Ⅰ. 서론 13 유아체육지도자대상설문조사는서면조사를통해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2009년현재전국의어린이집과유치원등보건복지가족부와교육과학기술부산하시설과공공체육시설및민간체육시설등체육시설의유아체육지도자를모집단으로설정하였다. 그런다음, 지역별 시설별지도자수에따라시 도별표본수를비례할당한후할당된표본수의범위내에서무작위표본추출법 (Random Sampling) 을이용하여표본을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지역별할당표본수를기준으로지역별실사지점의수를결정하고결정된지역별실사지점수에따라행정구역리스트에서난수를발생시켜무작위로실사지점을추출하였다. 그런다음유선으로조사대상에게연락을취한후이메일과팩스등을통해서면조사를실시하였다. 유아체육지도자를대상으로서면조사를실시하는이유는조사대상시설중유아대상프로그램이실시되고있지않는곳이많아, 대면조사를실시할경우비용과시간이많이소요되기때문이다. 다시말해, 대면조사의경우해당시설을직접방문하여유아체육실시여부를확인해야할뿐아니라, 특정지역의조사대상수가적기때문에한지역에서 1~2 명의지도자를조사한후다른지역으로이동하여조사를실시해야하는등조사시간과비용이지나치게많이소요된다. 따라서대면조사가아닌서면조사를실시하였다. 나 ) 조사도구본연구의조사도구는설문지이다. 설문지는만 3세~취한전유아를둔부모, 조사대상부모의만 5세~취학전유아, 유아체육지도자로구분하여구성하였다.

32 1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 유아부모부모대상설문조사내용은개인적특성, 유아체육활동현황, 유아체육지도자등세부분으로구성되었다. 개인적특성은성, 연령, 지역, 학력, 직업, 소득, 가족수등인구사회학적요인으로구성되었으며, 유아체육활동현황은유아체육의필요성, 참가여부및빈도, 참가연령, 참가이유, 참가종목, 시설및프로그램만족도, 유아체육의목표등으로구성되었다. 유아체육지도자는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지도자만족도, 지도자의자질, 지도자선정요건,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등으로구성되었다. (2) 유아조사대상부모의가구내만 5세이상취학전유아대상설문조사내용은개인적특성, 유아체육활동현황, 유아체육지도자등세부분으로구성되었다. 개인적특성은성과연령으로, 유아체육활동현황은부모대상조사문항중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 참가이유, 참가종목, 참가정도, 시설만족도등으로, 유아체육지도자는현재유아체육활동지도자와지도자만족도등으로구성되었다. 만 5세이상취학전유아대상설문문항은다각적인보완및수정을통해조사결과의신뢰성을담보할수있도록하였다. 먼저, 전문가회의를통해설문문항을수정및보완하였으며, 이후유아전공교수와어린이집원장등에의한설문문항보완및수정이이루어졌다. 또한면접자가설문문항에대해충분히이해토록하여 1:1 개별면접조사과정에서유아가설문문항을충분히이해할수있도록하였으며, 면접자가유아의응답내용을설문지에직접기입하도록하였다. 이러한설문조사신뢰성담보노력에입각해유아대상설문조사자료의신뢰도가 Cronbach's α=.76~.87로높게나타났다.

33 Ⅰ. 서론 15 (3) 유아체육지도자유아체육지도자대상설문조사내용은개인적특성, 유아체육활동현황,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현황, 유아체육지도자, 활성화방안등다섯부분으로구성되었다. 개인적특성은성, 연령, 직업, 소득등사회인구학적요인으로구성되었으며, 유아체육활동현황은유아체육의목표와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로,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현황은지도유아연령, 지도인원, 지도종목, 프로그램지도장소, 지도장소만족도, 주당지도횟수, 1회지도시간, 프로그램운영기관등으로구성되었다. 한편유아체육지도자는유아체육지도자의경력, 소속기관및주출장시설, 고용형태, 주출장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유아체육관련자격증및전공, 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등으로, 활성화방안은유아체육활동확대를위한사업으로구성되었다. < 표 Ⅰ-4> 설문지구성지표 구성지표세부내용부모유아지도자 개인적특성 성 연령 지역 학력 직업 소득 가족수 유아체육활동현황 유아체육의필요성 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 유아체육참가유아의연령및참여시기 유아체육참가이유 참여종목 참여정도 ( 횟수, 시간, 기간 ) 유아체육지출비용

34 1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시설 유아체육시설만족도 유아체육프로그램만족도 유치원 / 어린이집정규수업활동으로유아체육의필요성 유아체육의목표 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 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 / 지도현황 지도유아연령 지도인원 지도종목 프로그램지도장소 지도장소만족도 주당지도횟수 1 회지도시간 프로그램운영기관 유아체육지도자 유아체육지도자의경력 유아체육지도자의소속기관및주출강시설 유아체육지도자의고용형태 주출강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현재유아체육활동지도자 유아체육활동지도자만족도 유아체육활동지도자의자질 유아체육지도자선정요건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유아체육관련자격증및전공 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 활성화방안 유아체육활동확대를위한사업 유아체육참가의향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횟수및시간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장소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지도자 은관련내용의조사가이루어졌다는것을의미함

35 Ⅰ. 서론 17 다 ) 조사절차설문조사는전문리서치기관에의뢰하여 9월중순에서 10월중순에전국규모로실시하였다. 유아부모와유아대상조사는가구방문에의한 1:1 개별면접조사로이루어졌으며, 면접자가조사대상자의응답내용을설문지에직접기입하도록하였다. 한편유아체육지도자대상조사는조사대상자에게유선으로연락을취한후이메일과팩스등을통한서면조사로이루어졌다. 라 ) 자료처리회수된설문지는응답내용이부실하거나신뢰성이없다고판단되는자료를분석대상에서제외한후분석가능한자료를컴퓨터에입력시킨후 SPSS/PC+ WINDOW ⅤERSION 15.0 의기존프로그램을활용하여자료분석의목적에따라전산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을위해본연구에서사용한통계분석기법은빈도분석, χ 2, 변량분석등이다.

36 1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1. 유아체육의개념 가. 유아의개념유아의개념은크게교육학이나발달심리학등의학문적측면과법률적측면으로구분하여접근할수있다. 전자는주로생애주기적관점에서연령에기반하고있으며, 후자는해당법률이지향하는목적대상의범주화라는측면에토대를두고유아의개념을규정하고있다. 먼저, 유아교육및발달심리학적측면에서살펴보면, Morrison 은출생에서 8세까지를, 그리고 Katz 와 Spodek 는출생에서초등학교저학년까지를유아로규정하고있다 ( 정관영, 2004). 한편발달학자인 Haywood 등 (2001) 은유아기를 0세부터만 7~8세정도까지로규정하고있으며, 인지발달을연구한피아제는유아기를 0세부터만 7세정도로규정하고있다. 피아제는유아기를감각운동기 ( 영아기, 만 0세~2 세 ), 전조작기 ( 만 2세~7세 ) 로구분하고, 전조작기를전개념기 ( 유아전기, 만 2세~4 세 ), 직관적사고기 ( 유아후기, 만 4세~7세 ) 로세분화하고있다. 운동발달측면에서 Gallahue(1996) 는운동발달단계를반사적동작기 ( 태내~1세 ), 초보적동작기 ( 출생~2 세 ), 기본적동작기 (2세~7 세 ), 전문화된동작기 (7년이상 ) 로분류하고있다. 이중에서기본적동작기가연령적으로유아기에해당되는데, 이기본적동작기를다시초기단계 (2 세~3세 ), 기초단계 (3세~5세), 성숙단계 (6세~7세) 로구분하고있다. 유아및유아체육관련법에는유아교육법, 영유아보육법, 아동복지법, 국민체육진흥법이있다. 유아교육법은 교육기본법제9조의규정에따라

37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19 유아교육에관한사항을정함을목적 으로하고있으며, 유아 를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의어린이로규정하고있다. 동법은유아의교육에초점을두고있으며, 이를위해유치원을설립 운영하도록규정하고있다. 영유아보육법은 영유아 ( 영幼兒 ) 의심신을보호하고건전하게교육하여건강한사회구성원으로육성함과아울러보호자의경제적 사회적활동이원활하게이루어지도록함으로써가정복지증진에이바지함을목적 으로하고있다. 동법에따르면, 영유아 란 6세미만의취학전아동으로규정하고있으며, 보육에중점을두고있다. 여기에서보육이란 영유아를건강하고안전하게보호 양육하고영유아의발달특성에맞는교육을제공하는보육시설및가정양육지원에관한사회복지서비스를말한다. 아동복지법은 아동이건강하게출생하여행복하고안전하게자라나도록그복지를보장함을목적 으로하고있다. 동법에따르면, 아동 이라함은 18세미만의자를말한다. 고규정하고있으며, 아동보호에초점을두고있다. 보호를필요로하는아동이라함은보호자가없거나보호자로부터이탈된아동, 또는보호자가아동을학대하는경우등그보호자가아동을양육하기에부적당하거나양육할능력이없는경우의아동을말한다. 고규정하고있다. 학계와법률적측면의유아개념검토결과, 유아를 0세부터초등학교저학년까지로폭넓게규정하는경향이있으나 2~3 세부터 7~8 세정도까지로규정하는경향이일반적이었다. 이러한유아의개념규정중본연구가우리나라유아의체육활동활성화를위한정부정책사업을개발하는데가장큰목적있다는점을감안해, 유아교육법에서규정하고있는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를유아로규정하였다. 다시말해, 본연구의체육활동이유아의보육보다는개인및사회적차원의교육적가치등에초점을

38 2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두고있기때문에교육대상연령으로규정되어있는유아교육법에입각해 만 3 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를유아로규정하였다. 나. 체육의개념체육의개념은학문적측면과법적측면으로구분하여살펴볼수있다. 먼저체육의학문적측면을살펴보면, 체육의과학적연구는 18~19세기초체조 (Gymnastics) 의개념에서시도되었다. 그러나체육에관한용어가문헌에기록된것은 18세기후반델사르트 (Delsarte) 의 Education Physique 에서부터이다. 이후 1840 년대신체와교육의합성어인 Physical Education 으로일반화되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8). 20세기에는 체육은신체활동을통하여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완전한인간을형성하는교육의한분야 라는주장이일반화되었다. 이러한전인교육론적정의는체육이학문적전문성을갖추게되면서신체운동자체에대한기본개념, 방향, 운동지각형성에대한관심과인간행동측면에서의운동현상연구로확대되면서 움직임교육 (movement education), 인간운동 (human movement), 운동학 (kinesiology), 인간운동학 (human kinetics), 운동과학 (excercise science) 등으로사용되고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9). 한편, 법적측면에서체육의개념은국민체육진흥법에잘나타나있다. 동법제2에따르면, 체육이라함은운동경기 야외운동등신체활동을통하여건전한신체와정신을기르고여가를선용하는것 이라정의하고있다. 이정의는그동안교육적측면에서출발한체육의범위를넓게확장한것으로사회변화에따른다양한신체활동현상과기능의확대를반영하고있다. 특히전문체육, 엘리트체육의급격한발달과더불어용어의부적

39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21 합성이대두되면서광의적개념에서체육활동이정의되고있으며, 스포츠, 게임, 놀이등의신체활동을포함하는것으로볼수있다. 여기서신체활동 (physical activity) 은생계를위한활동을제외한활동으로신체의움직임그자체를목적으로한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8). 상기의체육에대한정의를종합해보면, 체육은계획적이고의도적인신체활동을매개또는수단으로하여인간의잠재능력을발휘하도록함으로써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완전한인간을형성하고자하는교육의한영역이면서동시에, 운동경기 야외운동등신체활동을통하여건전한신체와정신을기르고여가를선용하는것으로규정할수있다. 이를종합해보면, 체육이란계획적이고의도적인신체활동을매개로전인적인간을형성하고심신의건강증진과여가를선용하는것으로규정할수있다. 다. 유아체육의개념유아체육의개념은유아외의국민을대상으로한체육의개념과는차이가있다. 그이유는유아의개념에서살펴보았듯유아기는다른시기와구별되는특징이있기때문에, 이러한특징을충분히반영해유아체육에대한개념규정이이루어져야하기때문이다. 체육개념에대한분석결과, 체육이란계획적이고의도적인신체활동을매개로전인적인간을형성하고심신의건강증진과여가를선용하는것으로규정할수있다고제시한바있다. 이러한체육의정의중유아의발달단계적특성을고려할때, 유아체육은신체활동을매개로전인적인간을형성하는교육적측면과심신의건강증진측면이강조된다고할수있다. 그러나신체활동을통한심신의건강증진은체육활동을통한지 덕 체의조화로운인간육성이라는측면에서신체활동의교육적측면에포함된

40 2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다고할수있다. 따라서여기에서는유아체육의개념을교육적측면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유아체육은동작교육 (movement education), 신체활동 (physical activity), 움직임교육 (movement education), 유아체육 (physical education), 무용 (dance) 등다양한용어로사용되고있다. 영국에서시작된움직임교육은우리나라에서움직임교육이나동작교육이란용어로사용되어왔다. 여기서움직임교육은기본운동능력과기본운동능력에기초한게임, 스포츠, 기구운동, 일상생활에서사용될수있는다양한움직임등을유아들이능동적으로탐구하는아동중심체육교육접근방법이다 (Gallahue, 1996; Picca, 1997). 움직임교육은 1960년경부터미국의체육교육에영향을미쳤으며, 1979년대에는유아와아동의신체발달에대한학문적접근이시도되어미국의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와 AAHPER(American association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에서체계적연구가시작되었다 ( 원영신, 윤용진, 1998). 이러한변화속에서움직임교육은전통적인체육교육방법의특징인모방과지시적방법에대한반성과함께유아와초등학교저학년에게적합한방법으로수용되기시작하면서발달적체육교육 (Development physical education) 이라고불리게되었다. 발달적체육교육이란발달에적합한체육을말하는것으로단계적인움직임기술의습득과개인의발달단계에기초한신체적기술증진을강조하는활동이다. 발달에적합한체육교육의커다란목표는아동이움직임을배우고또한움직임을통해배움으로써움직임문해자가되도록돕는것이다. 발달적체육교육에서는 4가지목적을포함하며, 그목적에는 움직임문해 (movement literacy), 체력문해 (fitness literacy), 인지문해

41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23 (cognitive literacy), 감정적문해 (affective literacy) 가있다. 발달적체육교육은움직임기술습득과신체적유능성을향상시키기위해다양한범위의적합한실제를사용하며, 인지와정서적발달이이루어질수있도록통합된개념으로구성된다 ( 이순례등, 2005; NASPE, 1995). Gallahue(1996) 는유아의발달과교육에있어서움직임교육을 움직임을위한학습 (learning to movement) 과 움직임을통한학습 (learning through movement) 으로분류했다. 여기서움직임을위한학습이란자신의신체를움직임으로써자신의발견을도모하고기본적인동작을배우며체력을증진하는학습활동이고, 움직임을통한학습이란신체를움직임으로써인지및정서를포함한전반적인발달을추구하고자하는목적하에여러가지다양한움직임을시도하고경험하게하는것이라할수있다. Gallahue 는기본적인움직임기술은유아기에반드시경험해야할중요한체육교육의기초적인내용으로비이동성동작, 이동성동작, 조작성동작을들고있다. < 표 Ⅱ-1> 발달적체육교육에서움직임교육의목적및목표 (Gallahue, 1996) 목적교육방법목표 움직임체력인지정서 움직임을위한교육 움직임통한교육 운동기술을가진사람, 표현력있는사람, 운동지식을가진사람 체력을갖춘사람, 운동정보를가진사람, 열심히운동하는사람 능동적학습자, 다지각적학습자 협동적인학습자, 자기발견적학습자 문화체육부 (1995) 에서는유아체육을 활발한신체의움직임을수반하 는놀이를통하여유아가가지고있는무한한잠재력을신장시켜개인적으

42 2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로행복하게하고나아가그들의역량을국가발전의자원이되도록건강한신체와건전한정신을기르는것 으로정의한바있다. 그동안유아체육에대한정의는주로유아의발달적특징을충분히고려한자기주도적신체움직임을수반한놀이중심의체육활동교육이며, 이를통해기본운동능력과체력을발달시키고, 나아가유아의지적, 정서적, 사회적발달을도모하기위한교육으로접근되어왔다. 즉, 움직임을위한교육보다는움직임을통한교육에편중된경향이있었다. 그러나이러한접근은유아체육활동을놀이중심의신체움직임수준으로만국한하는경향을낳고있다. 즉, 자기주도적놀이중심의신체움직임교육을지나치게강조함으로써, 유아의발달특성에부합하는계획적이고의도적인신체활동을매개로인간의잠재능력을발휘할수있는기회를제약하고있다. 다시말해, 움직임동작의수준이걷기, 뛰기, 달리기등과같은낱개동작의수준에머물러있어, 이러한동작들을연결하여종합된움직임, 예컨대에어로빅이나축구놀이로전이되지못했다는것이다. 물론낱개의움직임동작도신체및인지발달에정적영향을미치지만낱개동작을하나의고리로연결하여종합적인움직임으로학습해가는것이신체나인지발달측면에서도보다효과적일것이다. 이러한움직임교육, 즉체육활동교육은유아의생애체육참가로연결될수있다는점에서유아의평생건강의토대마련은물론잠재력개발에도긍정적영향을미칠수있다. 이러한움직임교육은움직임을위한교육적효과를높일수있다는점에서도매우의미있다고할수있다. 그러나유아가조직화된체육종목에참여하는것은유아교육측면에서지나치게간과되어왔다. 이는기존의조직화된체육활동종목교육이모방과지시적방법으로이루어져유아의자기주도성등을지나치게제약해왔다는것등에원인이있다고할수있다. 이런결과로우리나라유아대상

43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25 체육은초등학교체육이나생애체육으로연결되지못하는악순환을되풀이하고있다. 따라서기존의움직임중심의유아체육과운동기술학습중심의유아체육의한계를보완할수있는유아체육에대한접근이필요하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를유아로규정한유아의개념과계획적이고의도적인신체활동을매개로전인적인간을형성하고심신의건강증진과여가를선용하는것이라는체육의개념, 그리고유아의발달적특징을충분히고려한자기주도적신체움직임을수반한놀이중심의움직임교육을통해기본운동능력과체력을발달시키고, 나아가유아의지적, 정서적, 사회적발달을도모하고자한유아움직임교육의정의를종합해유아체육에대한개념을규정하였다. 즉, 유아체육은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의유아를대상으로계획적이고의도적신체활동 ( 대근육활동 ) 을매개로하여전인적인간을형성하고, 심신의건강증진과여가선용을꾀하면서동시에놀이중심적이면서자발적인참여가이루어질수있는체육활동으로규정하였다. 다시말해, 유아체육이란체육활동을통한교육과체육활동을위한교육이균형적으로이루어짐으로써교육적수단으로서의체육활동뿐아니라기술습득을위한체육활동을통해여가를선용할수있도록놀이중심적이면자발적참여로이루어지는체육활동이라할수있다. 2. 유아체육에대한정부지원의필요성 우리는흔히어린이는국가의미래이며건강은인류의염원이라고한다. 이는어릴때부터의교육과건강이한개인의삶뿐아니라한국가의존립과직결되어있음을의미한다. 이러한맥락에서유아의올바른성장과건강은개인차원의문제가아닌국가적차원의문제로귀결된다. 따라서유아

44 2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건강과전인적발달에정적영향을미치는유아체육활성화가중요하며, 국가적차원에서유아체육을지원해야하는이유이다. 그러나그동안정부의유아체육에대한지원은매우미흡했다고할수있다. 여기에는여러가지이유가있지만유아체육의중요성에대한인식부족으로사회적, 정책적관심에서벗어나있었기때문으로해석할수있다. 이에, 그동안유아체육에대한정부의관여도와학계의관심등은어떠했으며, 유아체육이유아의성장발달단계등에서얼마나중요한의미를갖고있는지등을구체적으로살펴보고, 이를토대로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을지원해야하는논리를개발하고자한다. 가. 유아체육에대한정책부재유아체육업무소관부처로는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가있다. 그러나그동안유아체육은이들부처의관심영역이되지못했으며이로인해유아체육관련정책은거의추진되지않았다. 이러한사실은유아관련부처의조직과정책분석을통해알수있다. 1) 문화체육관광부의유아체육관련정책국가체육정책의입안과추진의주체는문화체육관광부이며, 문화체육관광부에서추진하는체육정책은 문화체육관광부와그소속기관직제 에서구체화하고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그소속기관직제 제 17조에서는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의업무로생활체육 전문체육 스포츠여가산업및국제체육교류진흥, 선수및운동경기부의육성 지원및기타체육시설확충, 체육정보화등의다양한사무를관장하는것으로규정하고있다. 이러한규정에입각해 2009년 8월현재체육국은체육정책과, 체육

45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27 진흥과, 국제체육과, 장애인문화체육팀등 3과 1개팀으로구성되어있다. 따라서유아체육이별도의업무분장에포함되어있지는않다. 현재과별업무를고려할때, 유아체육과업무는체육정책중 장기계획수립및시행등의업무를담당하고있는체육정책과와체육지도자육성과생활체육의제반업무를담당하고있는체육진흥과의소관이라할수있다. 그러나그동안체육국에서는유아와청소년의체육진흥업무는거의담당하지않았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왜냐하면유아관련업무는주로교육과학기술부와보건복지가족부가담당했기때문이며, 청소년관련업무또한교육과학기술부가주로담당했기때문이다. 그동안문화체육관광부에서유아와관련된사업을추진한것은 1995 년에수행된 취학전아동의체격및체력육성을위한체육놀이프로그램개발 과 2000년 건강실천 100세프로그램개발 : 유아편 등극히일부에지나지않는다. 2) 교육과학기술부의유아체육관련정책유아체육등교육관련업무의주체는교육과학기술부이며,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유아를 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의어린이 로규정하고유치원교육과정에입각해유아체육사업이추진되고있다. 2009년 6월현재교육과학기술부의유아교육지원과에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으나, 유아체육관련업무는업무분장에포함되어있지않다. 우리나라유치원교육과정은 1969 년도에처음제정및공포되었다. 이후시대적요청, 유치원현장의요구, 사회여건의변화및지식의변화, 유아교육이론등을반영하면서계속적인평가와수정을통해 1979년, 1981년, 1987년, 1992년, 1998년, 2007년에이르기까지 7차례의개정이이루어져왔다.

46 2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를위한신체활동교육측면에서보면, 1980년대의유아교육진흥법과 1990 년대제정된영유아보육법을기초로유아교육에대한관심이증가되고양적팽창도가져왔다. 그러나그내용을들여다보면, 체육교육영역은언어및인지발달교육영역에비해상대적으로관심및실행이저조하였다. 다행히 1994년교육부의제5차교육과정개정서부터유아의신체활동의중요성이강조되어점차유아체육에대한제도적관심이증가하고있다. 2009년부터시행되는제7차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과더불어 건강생활 이포함되어있다. 이중유아의놀이또는체육관련영역이라할수있는 건강생활 영역에감각및신체인식, 이동및비이동동작, 도구및시설이용, 야외신체활동이포함되어있다. 한편, 신체활동과관련된제7차개정교육과정은유아의발달수준을고려하고, 유아의전인적성장발달과행복추구를위한유아중심의교육이며, 유아의일상생활과놀이속에서통합적교육이이루어져야함을강조하고있다. 이러한교육목적달성을위해첫째, 감각을통해자신의몸과주변세계를바르게인식하도록유아의발달수준에적합한도구와활동을제공하고, 둘째, 규칙적대근육활동을통한기본운동기능과기초체력배양을지향하도록하고있다. 이렇듯,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유치원교육과정의건강생활부분에유아체육을포함시켜추진토록하고있다. 그러나유아의움직임활동에초점이맞추어져있어유아의건강증진과전인적발달을견인할수있는체육활동에대한근거는매우빈약한실정이다. 특히상당수의유치원에서체육활동공간상의제약과전문지도자의부족등으로대근육활동을놀이터나야외활동등으로대치하고있다는점을고려할때, 교육과학기술부에서추진하고있는유아체육활동은그교육적중요성이나사회적요구와는

47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29 거리가멀다고할수있다. 3) 보건복지가족부의유아체육관련정책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영유아보육법에입각해 6세미만의취학전아동을대상으로 영유아의심신을보호하고건전하게교육하여건강한사회구성원으로육성함과아울러보호자의경제적 사회적활동이원활하게이루어지도록함으로써가정복지증진에이바지함을목적 으로보육차원에서유아체육사업이추진되고있다. 2009년 6월현재보건복지가족부보육정책관, 보육사업기획과, 보육기반과등에서영유아보육사업을추진하고있다. 그러나유아체육사업이업무분장에포함되어있지는않다. 우리나라의경우종래보육사업은저소득층취업모의사회참여를지원하기위해이들자녀에대한보호중심의서비스를제공하는탁아사업으로부터출발하였다. 그러나기혼여성의사회참여확대, 취업모의양적팽창, 여성의교육수준향상등으로사회적보육의필요성이제기되었다. 따라서이러한사회적요구에부응하기위해국가에서보육사업확충에노력해왔으며, 그결과전국에보육시설의양적증가를가져오게되었다. 그러나양적팽창에비해질적측면에서많은문제점이지적되어왔다. 최근까지각어린이집에서는일반적 보편적으로적용되는보육과정이없었으며, 각기관별로각각의유아교육프로그램을원용한보육과정이적용되어왔다 ( 오연주, 2007). 이에여성가족부에서는보육의질적기회균등을보장하고영유아의연령과발달수준에적합한보육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 표준보육과정 을개발하여 2007 년부터전국어린이집에보급하고있다 ( 여성가족부, 2007). 따라서유아체육또한표준보육과정에입각해추진되고있다.

48 3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표준보육과정은만 6세미만의영유아가건강하고바르게생활하는데필요한내용과신체, 사회, 언어, 정서등의전인발달을위해갖추어야할지식, 가치, 태도등을포함하고있다. 표준보육과정의보육내용은영유아의전인적인성장을도모하기위해건강 안전 바른생활태도를기르는 기본생활, 긍정적으로신체를인식하고기본운동능력을기르는 신체운동, 긍정적인자아개념을형성하고더불어살아가는능력을기르는 사회관계, 언어생활의기초가되는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능력을기르는 의사소통, 탐색및문제해결능력을기르는 자연탐구, 그리고예술적요소를경험하고즐기는 예술경험 등 6개영역으로이루어졌다. 유아체육관련보육내용은 신체운동 영역에서제시하고있다. 신체운동 에서는자신의신체를긍정적으로인식하고즐겁게신체활동에참여함으로써영유아기에필요한기본운동능력을기르는데목표를두며, 감각과신체인식, 신체조절과기본운동, 신체활동참여 의세가지내용범주로구성된다. 감각과신체인식 에서는영유아가감각능력을기르고감각기관을활용하며자신의신체를긍정적으로인식하도록한다. 신체조절과기본운동 에서는영유아가협응력과신체조절능력을기르고신체균형감을익히며이동, 비이동, 조작운동등의기본운동능력을습득하여, 자신의신체를유연하고활발하게움직이는의지와능력을키우도록한다. 신체활동참여 에서는영유아가신체활동을할때적극적으로참여하고, 다양한기구를활용하여안전하고즐겁게신체활동을하는경험을통해서기초체력을형성하고생활하면서규칙적으로운동할수있도록한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 영역에유아체육을포함시켜추진하고있다. 그러나유아의단순한신체활동증대에초점을두고있어, 유치원교육과마찬가지로유아의건강증진과전인적발달을견인할수있는체육활동에대한근거는되지못하고있다. 어린이집또한

49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31 체육활동공간의제약과전문지도자의부족등으로신체활동을위해놀이터나야외활동등을실시하는경우가많다. 유아관련업무를담당하고있는문화체육관광부와교육과학기술부, 그리고보건복지가족부의유아체육정책은거의부재한실정이다. 더욱이유아체육관련업무를추진할담당부서가부재한것은물론업무분장에도포함되어있지않아, 유아체육이정부정책의후순위에밀려있는것으로보인다. 이는정부부처의교육과정과보육과정에유아기신체활동이전인적발달에지대한영향을미치고유아기건강이평생건강의토대가된다는유아체육의중요성에반하는것이라하겠다. 이제부터라도유아체육과유아체육활동의교육적효과를충분히담보할수있는유아체육진흥에정부가적극개입해야한다. 왜냐하면유아가건강해야미래우리사회가건강해질수있기때문이다. 나. 유아체육에대한편향된접근경향유아체육을바라보는시각은유아교육계열과체육계열간에차이가있으며, 선호하는용어에도차이가있다. 국내의유아 아동교육계에서는 유아동작교육 또는 유아신체표현 을선호하고있으며, 체육및체육교육계에서는 유아체육 을선호하고있다. 그러나 1999 년 한국유아체육학회 가한국학술진흥재단에등재되고, 유아체육에대한연구및홍보가활성화되면서 유아체육 이란용어가전에비해보다널리통용되고있다고할수있다. 현재국내에서유아체육에관심을갖고연구하는학회는 < 표 Ⅱ -2> 와같다. 유아체육에대한유아 아동교육관련학회와체육및체육교육관련학회의시각은원론적인측면에서는어느정도일치하고있다고볼수있

50 3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다. 즉, 유아체육은성인체육과는구별되는것으로근본적으로는유아의전인적발달도모에중점을두며, 유아의행복과건강, 독립심향상, 문제해결력향상, 표현력향상, 움직임에즐거움부여등을위한교육으로인식하고있다 ( 김성재외, 2007). 그러나실제실행측면에서는유아 아동교육관련학회에서는유치원교육과정과표준보육과정에명시된바와같이유아의발달적측면을고려한통합적놀이중심의교육과인지적, 사회적, 정서적측면의발달을포함한교육으로인지하는반면, 체육및체육교육관련학회에서는전인적발달에초점을두면서도실제로는기본운동기능의발달및체격발달에주요관심을두며, 사회, 정서발달측면은상대적으로낮게평가되는경향이있었다 ( 김연경, 2007). 유아체육을교육적측면에초점을두고접근한유아교육관련학계와유아체육을운동기능습득에초점을두고접근한체육관련학계의접근은유아의체육활동을위한교육과체육활동을통한교육의균형을유지하지못하는결과를낳았다. 특히, 체육분야보다는유아교육분야에서유아체육에대한접근이활발히이루어지면서유아체육을교육수단으로서이해하는경향이지배적인것으로보인다. 이러한접근경향은체육활동을위한유아의권리를제약할가능성이상당히높다하겠다. 그러므로정부차원에서체육활동을위한유아체육교육과활동관련사업을확대하여유아의체육활동향유권이온전히보장될수있으면서, 동시에유아체육에대한다양한접근이이루어질수있는기반을조성하도록해야할것이다.

51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33 < 표 Ⅱ-2> 국내유아교육및체육관련주요학회 분야 유아 아동교육 체육및체육교육 학회명 한국유아체육학회, 한국유아교육학회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아동학회한국아동교육학회, 한국보육학회한국발육발달학회, 미래유아교육학회열린유아교육학회 한국체육교육학회,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여성체육학회, 한국특수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 한국사회체육학회한국특수교육학회한국운동재활학회한국레져스포츠학회 다. 유아체육대한사회적요구증대유아의체격은점차커지고있는반면체력은오히려저하되고있으며, 반사기능이저하되어부상을입는일이증가하고있다 ( 오연주, 2000). 아파트중심의주거환경과교통문제에따른놀이공간의감소, 핵가족화에따른형제및또래의감소, 조기재능교육을요구하는부모들의욕구, 실외활동에비해실내활동의상대적인증가등으로인해유아가신체및체육활동을할기회가감소되고있다. 놀이형태도실외에서의대근육활동보다는비디오, 컴퓨터, 전자오락등의실내에서이루어지는소근육을이용한정적게임문화가유아의주요놀이로자리매김하고있다. 또한불균형적인식습관과운동부족으로비만등생활습관병과체력저하가나타나고있다 ( 이만수외, 2006) 년부터 2006년 6월까지 10세이하어린이들의당뇨, 비만, 고혈압, 심장질환등생활습관병에들어간진료비는 114억 2000만원 ( 메디 & 팜스투데이, ) 이며, 이와관련된연평균진료비는 3.2% 증가한것으

52 3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로나타났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6). 이러한결과는생활습관병으로일컬어지는성인병이성인이아닌유아및어린이연령대까지확대되고있음을보여주며, 정부개입의당위성을뒷받침해주고있다. 유아기특성상신체활동은단순히신체및운동기능발달뿐아니라, 긍정적인자아개념및정서적안정감형성에정적영향을미쳐또래와의상호작용및사회성발달에중요한영향을미친다. 유아기의신체활동은운동능력향상뿐아니라인내심과협동심을길러주며 ( 김송화, 1995; 윤상숙, 1994; 이지선, 1994; 홍승규, 1995), 민첩성, 협응성, 균형성의 60% 는유아기에형성된다고보고되고있다 ( 문화체육부, 1995). 또한유아기에습득한기본운동능력이유아기이후의복잡한운동기능학습에많은영향을미치고 ( 김재은, 2000), 유아기와아동기, 청소년기에형성된신체활동습관은성인기의신체활동에영향을미치는주요요인이라는연구결과 (George, 1992) 가제시되고있어, 유아기신체활동의중요성을잘보여주고있다. 따라서기본운동기능을제대로발달시키지못한유아는놀이나신체활동의과정에서부적절한동작을나타내게되고, 후기아동기에접어들면서아동스스로가동작을수행하는데있어신체지각의한계및결점을인식하게되기때문에유아기신체활동은매우중요하다. 신체활동은신체발육이나운동능력발달이외의측면에서도그중요성이강조되고있다. 유아는여러가지형태의동작을통해스스로신체를조절하고움직일수있다는자신감과자기확신을얻게되며, 이러한자신감과자기확신은어떠한신체활동에참여하더라도스스로만족감과기쁨을얻도록해준다. 신체활동을통하여얻어지는성취감, 만족감등은유아의자아개념형성에중요한역할을한다. 어릴때운동능력이뛰어나면신체적인안정감을느낄뿐아니라집단에서리더십을발휘하게된다. 반면에운동기능의수준이낮을수록신체활동을통한즐거움과만족감을느끼

53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35 지못하며, 활동의욕이저하되어모험적인활동을기피하게된다. 또한운동경기에대한관심과의욕을거의갖지않게되며, 운동에참여할기회가주어졌을때기피하거나아픈체하며, 게임에몰두하지못하고쉽게흥분한다. 이와같이신체활동은정서순화에중요한역할을하며운동을통해유아들은억압된부정적인감정을해소하고불안과욕구불만에대한긴장을완화시킬수있다. 신체활동을통해얻어지는성취감은점차활동범위를확대하며, 자신과주위환경과의긍정적인관계를인식할뿐만아니라사회성발달을촉진시킨다 ( 고재곤, 1992; 김상국외, 1998; 박혜성, 1994; 홍지원, 1994). 이와반대로유아기에기본운동능력을적절히발달시키지못할경우놀이나활동에서신체적기능을발휘하는데제한을받게되고, 또래집단에동화되지못하는결과를초래할수있으며, 신체움직임에대하여거부감을가질수있다 (Romance, 1985). 초등학교와중학교에서학업성적이나사회적능력보다운동능력이또래와의상호작용및인기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기도하며 (Harter, 1982), 청소년기의열등의식은유아기 아동기의열등한운동기능에서기인하는경우가많다 ( 강상조 신선식, 1983; 하지원, 1994) 는결과는유아기의적절한운동기능발달의중요성을역설하고있다. 이처럼유아기의신체및체육활동은유아의신체발달및운동기능발달에정적영향을미치며, 긍정적인자아개념및정서적인안정감형성에영향을미치기때문에또래와의상호작용및사회성발달에중요한역할을한다. 이처럼사회 문화적으로유아의체육활동기회가감소됨에따라유아의건강문제가표면화되고, 아동기체육활동이전인적인간발달에정적영향을미친다는연구결과들이보고되면서유아체육에대한사회적요구가증가하고있다.

54 3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그럼에도불구하고현재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추진은여전히부족한상태여서유아체육에대한사회적요구를반영하고있지못하고있는실정이다. 이는아직까지유아의성장발달특성에부합하도록체육활동을지도할유아체육지도자가국가적차원에서양성되지못하고있다는사실에서알수있다. 라. 유아체육의긍정적효과유아체육은유아가성장단계에서요구되는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발달등에정적영향을미치고있다. 이러한유아체육및신체활동에대한효과는그동안다양한이론적, 실증적연구를통해검증되었다. 따라서여기에서는유아의신체및체육활동이유아의신체, 정서, 사회, 인지발달에미치는영향을선행연구를토대로구체적으로살펴보았다. 1) 신체발달인간은출생이후부터외부의환경과접촉하는과정에서개인이가지고있는잠재적능력을개발하고신체적 행동적으로성장 발달해나간다. 발육 발달이라는용어는대부분복합어로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발육은형태적측면의양적성장을의미하며, 발달은기능적측면에서질적성장을지칭한다. 신체발달에대한학자들의정의는약간상이하지만일반적으로신체적구조나기능그리고심리적기능의양적 질적 시간적변화라정의하고있다. 발달을결정하는요인으로는성장과성숙그리고학습이있다. 성장은주로신체가커지는양적변화를의미하며, 성숙은신체의구조나조직이좀더복잡해지고분화되어지는질적변화를의미한다. 이러한성숙과

55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37 성장은선천적발달에해당하며, 학습은환경과의관계에서이루어지는후천적발달에해당한다. 많은연구들에서는이러한선천적성숙과후천적학습이조화를이루어야신체가발달하고운동능력이향상될수있음을보여준다. < 표 Ⅱ-3> 유아의연령별신체발달특징 연령 1세 2세 3세 4세 5세 6세 신체발달특징 두뇌가가장급진적으로성장한다. 뼈와근육조직이급속히발달한다. 허리와몸통은굵고, 다리는짧으며, 팔은길다. 손발이작고다리가안쪽으로굽는다. 다리보다팔의성장이빠르다. 뇌가급속히발달한다. 숫구멍 (frontanel: 泉門 ) 이모두닫힌다. 뼈는느린속도로발달된다. 신장과체중의발달이빠르다. 체중이증가속도가느려진다. 머리의넓이가거의완성된다. 체격의발달은느린편이다. 가슴은둥글고배가튀어나와자루모양의체형을갖는다. 키는성인의 60% 정도에이른다. 심장의발달이느리다. 팔과다리는가냘프다. 원추형체형을갖기시작한다. 목이가늘어지고길어진다. 체중과신장의증가율이떨어진다. 머리의길이는성인의 91% 에이른다. 심장의발달이느리다. 얼굴윗부분이성인수준으로발달된다. 이를갈기시작하며 1~2 개의영구치가나온다. 배는들어가고무릎은곧게펴진다. 몸통의길이, 넓이가출생시의 2 배로된다. 심장의무게는출생시의 4,5 배가된다.

56 3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의신체적발달은다섯가지발달의일반원리에따른다. 첫째, 발달은대부분일련의순서에따라진행된다. 즉, 간단한것에서복잡한것으로, 구체적인것에서추상적인것으로의일련의순서에따른다. 둘째, 발달은연속적이지만항상고르고점차적으로이루어지는것은아니며, 발달의속도는개인의정서적 신체적기능에따라각기다르다. 셋째, 개개인의발달특성및능력은성숙과경험 ( 학습 ) 의상호작용에의해서이루어진다. 균형있는성장과발달은주로성숙에의해이루어지며, 운동능력발달은성숙과경험의상호작용에의해이루어진다. 넷째, 발달에는개인차가있어발달단계를거치는속도나양상에는많은차이가있다. 다섯째, 발달의각각영역은서로상호작용한다. 유아의신체능력이발달함에따라지적능력이향상되며사회적행동에도영향을미치게된다. 즉, 한영역의발달이다른영역의발달에직 간접적으로영향을미치게된다. 유아의연령별신체발달주요특징을살펴보면 < 표 Ⅱ-3> 과같다. 유아의체육활동은이러한유아의신체발달에긍정적영향을미치고있기때문에매우중요하다. 이외에도체육활동은유아의운동기능향상에도움을줌으로써신체발달에기여한다. 유아의체육활동은유아의감각기능과신체조절기능및신체균형유지기능의발달을돕는다. 또한문제상황에민첩하게대처하는능력을길러주고, 신체각기관의성장및기능발달에도움을주며, 신체기관간의협응력을배양하며, 신체기관의유연성 순발력 지구력을향상시켜준다. 2) 정서적발달 정서는유아의행동을일으키는근본적인역할을하는것으로흥미나 관심, 그리고인격형성의기반이되는중요한정신기능이다. 즉, 특정한

57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39 동기유발적특징이있어인간의지각, 사고, 행동을유발, 조절, 안내하는역할을한다 ( 정미라외, 1998). 또한정서는주어지는자극에대해주관적으로반응하고, 신체적, 생리적반응을동반한다. 정서는유아기동안에분화하여비교적어린시기에발달하는것으로알려져있으며, 대부분정서표현은출생후 3년이내에출현하고발달하게된다. 유아기정서는노여움, 두려움, 기쁨, 슬픔등의형태로나타난다. 이러한감정들은비교적급격하게일어나고사라지는일시적인양상을보이다 5세정도에이르면불쾌의정서가노여움, 혐오, 두려움, 불만, 실망, 수치심등으로나타나고, 기쁨의정서는애정과희망등으로분화되어성숙하며, 유아는자신의생각이모든사람의생각이같다고여긴다. 남들과어울리는것을어려워하며, 자아에눈을뜨기시작하여자애개념이급속히발달되어자기중심적사고를하게된다. 뒹굴고, 넘어지고, 구르는등거친행동을좋아하며, 높은곳에오르기를즐겨하고, 놀이에대한호기심이많다. 이러한정서발달은환경요인이되는육아방식과밀접히관계되어있다. 과잉보호, 수용적, 거부적, 이기적등의육아방식에따라서로다른성격특성이형성되게된다. 또한정서적안정성은유아의사회적기능에많은영향을미치게된다. 따라서유아에게집단의식, 귀속감, 우정, 동반자의식등을유발하는기회를마련하여사회적, 심리적안정감을갖도록해야되며, 특히부모가유아와같이흥미있는놀이에참여함으로써부모와유아간의애정과사랑을느낄수있도록해야한다. 이러한측면에서또래와집단을형성하여귀속감, 우정, 동반자의식을배울수있을뿐아니라, 부모와함께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은유아의정서발달에매우중요하다. 이렇듯유아의신체및체육활동은내면의부정적마음을해소시키는수단이되며, 이를통해정서적안정감을갖도록하는데도움을준다. 또한활발한활동을

58 4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통해성취감, 만족감을느낄수있고, 긍정적자아개념을발달시킬수있으 며, 인내심과참을성을길러주기때문에매우중요하다. 3) 사회적발달사회성이란유아가사회의한구성원으로성장발달해가는동안그사회에서공인된생활양식을학습하여타인과의상호접촉을통한건전한사회생활을할수있는성향을의미한다 ( 한국교육학회편, 1996). 유아는타인과상호작용을하고이를통해조망수용능력을발달시켜타인과자신에대한이해와태도, 행동범주들을배워간다. 또한사회적기술의발달로인한또래와의긍정적인상호작용과친사회적행동은유아의긍정적인자아감에정적영향을미치며, 나아가유아의학습태도와능력에도영향을미치게된다 ( 이미정, 1999). 유아는다양한사회관계속에서사회적행동, 성역할, 도덕성등사회화에관련된요소들을발달시켜나아간다. 유아는 2세가되면서부터언어와운동능력의발달등으로적극적대인관계가형성되어사회성발달이촉진되고, 3세정도가되면자기중심성이강해지고, 자아의식이생겨서순종성이적어지고, 저항하려는반항적인태도가나타난다. 유아에게또래란단순히연령이같은집단구성원을의미하기보다는행동의복잡성수준이비슷한수준에서상호작용하는구성원을말한다. 유아들은또래들과장난감을나누어사용하거나협동적또는경쟁적놀이를하면서서로에관해배우게되며, 대인관계의요령을습득하게된다. 사회성이부족한유아는자기자신에대해서뿐만아니라가족외의타인과의관계를형성하는데대해서자신감이없거나불안해하여원만한대인관계를이루기어렵다. 이러한유아에게는타인과의신체접촉놀이나체육활

59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41 동을통한실제경험이사회성발달에도움이된다 ( 김종령, 2006). 즉, 타인과함께이루어지는체육활동은유아의협동심을길러주고, 자신의주장이나욕구등을타인과의관계속에서조절할수있게도와준다. 또한집단체육활동에서규칙을준수하는활동을경험하게됨으로써질서의식과태도를형성하고, 타인의입장에서생각하고타인을존중하는사고력이발달되며, 근면성을길러주기때문에유아체육활동이유아의사회성발달에크게기여한다고할수있다. 특히최근 1자녀가족이증가하고있는사회적현상을고려할때, 유아의체육활동은사회성향상측면에서그중요성이더욱확대되고있다. 4) 인지적발달인지란지각, 판단, 추리, 결정, 이미지형성, 기억, 이해등외적세계및내적세계로부터의단서를근거로사물과사상에대한지식을획득할때작용하는능동적인정보수집및처리활동을일컫는다. 그과정은생득적내지경험적으로발전되어간다. Pieget 는인간의지적능력이란개인이환경에효과적으로적응할수있는능력을의미하며, 인지발달은인간의지적능력이환경과의상호작용을통하여적응발전되는것을의미한다고하였다. 이인지발달은발달순서가일정하고발달에의해사고의기본구조가질적으로향상된상태로변화되어간다고주장하였다. 즉, 가르침이나학습기법 ( 반복, 모방, 강화등 ) 을통한수동적전달보다는경험을통해능동적으로구성, 발전되어간다 ( 김현경, 2001) 는것이다 ( 김혜경, 2001). 인지발달은유아기에가장현저하게발달하기때문에, 유아기에어떻게교육하느냐가인지발달에매우중요하다. Pieget 는인지발달단계를제 1기는감각운동기 ( 출생~만

60 4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세 ), 제 2기는전조작기 ( 만 2~7 세 ), 제 3기는구체적조작기 ( 만 7세~ 12세 ), 제 4기는형식적조작기 ( 만 12~15 세 ) 로구분하여인지발달의개념화를설명하였다 ( 김재은, 1999). 유아기는발단단계상전조작기에해당되는시기로, 이시기에는언어와놀이에서상징사용능력이발달하며, 대표적인특징으로자기중심성, 물활론, 중심화와같은비논리적사고를하는것이특징이다. 유아의인지적사고는언어와상징을사용하는능력이증가함에따라이전의감각운동적인사고에서내현적인사고로발전되어간다. 따라서 Pieget(1960) 는유아기신체활동을통한지각발달이인지발달의기초가됨을역설하고있다 ( 변영신, 2005). 그는유아기의적절한감각, 지각의발달과운동능력발달은아동의전반적인인지발달구축에매우중요한요인임을밝히고있다. 또한 Gallahue(1996) 은아동의움직임을지도하는지도자는아동으로하여금다양한움직임을경험하게하여이를통해주변의세계를이해하며, 더불어정상적인지각및인지발달을도모하고나아가발달장애의예방이나치료적인목적도있음을염두에두어야할것이라고하였다. 그외에도많은연구에서놀이를통한능동적활동과인지발달간의긍정적관계가밝혀지고있다 ( 변영신, 2005, 홍금자, 1999). 이러한결과들은유아의인지능력발달측면에서체육활동의중요성을뒷받침하고있다. 이와같이유아기신체및체육활동은유아의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발달에정적영향을미친다. 그러므로유아의발달특성에적합한신체및체육활동기회를제공함으로써유아의전인적발달을도모할수있도록정부차원의노력이요구되고있다.

61 Ⅱ.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의필요성 43 마. 유아체육의사회적편익유아체육은유아의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발달등전인적발달뿐아니라평생의건강을담보하는운동습관형성과저출산등으로감소일로에있는엘리트체육기반조성측면에서의미가크다. 유아기체육입문이생애체육으로연결된다는사실은그동안선행연구들을통해입증되어왔다. Spreitzer와 Snyder(1976) 는어린시기의스포츠관련보상경험이성인의스포츠참가에영향을미친다고보고한바있으며, Fox(1991) 또한유아가체육활동을처음에어떻게경험하고인식하는가가성장기이후체육활동참여결정의주영향요인이자동기로작용한다고보고한바있다. 이외에도어린시절에민주적이고관용적이며독립심을강조하는부모밑에서부모의스포츠참여를격려받고성장한유아의경우청소년기와성인기에이르러스포츠참여가능성을현저하게높여준다고보고한연구결과 (Kenyon & Mcperson, 1973; Vander, 1971) 또한생애체육측면에서유아기체육활동의중요성을잘보여주고있다. 생활체육이활성화된선진국의경우, 국가에서사회간접자본으로서생활체육의가치를인정하고생활체육에적극적으로투자해왔다. 사회복지가발달한유럽의국가들은물론북미와일본등선진국의생활체육참여는세대간교류를통한사회통합과청소년교육의핵심수단으로각광받고있다. 체육의가치에대한이러한평가는유아체육진흥의원동력으로작용하며유아의체육활동을증가시키고있다. 독일은전체국민의 30% 가넘는 2,700 여만명이 8만 9,000 여개각종클럽에서활동하고있다. 이들클럽은평생체육의시발점을유아기로보기때문에유아를위한다양한체육활동을제공하고있다. 이외에도유아기체육활동이체육잠재력을개발하여우수선수양성기회를확대시켜주기때문에중요하다고전문가들은주장

62 4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한다. 이는독일의유명축구선수대부분이어린시기부터스포츠클럽에서축구에참여해왔다는사실을통해확인할수있다는것이다. 유아기의체육활동경험이엘리트경기력으로이어진다는사실은스포츠재능개발을위한발달단계등에관한선행연구를통해간접적으로뒷받침되고있다. Bompa(1985) 는스포츠의종합적인재능을 3단계를통해확인할수있는데그첫번째단계가 3세~8세라고주장함으로써유아기체육활동의중요성을뒷받침하고있다. Gimble(1976) 은대부분의스포츠에서최고수행은 18~20 세가량도달하게되는데 8~10 년가량의훈련이필요로되기때문에, 유망한운동선수는성장의가속화가시작되기전인 8~9 세에식별되어야한다고주장함으로써어린시기에스포츠재능이충분히개발될수있음을시사하고있다. 유아기체육활동입문이생애체육과밀접히관련되어있으며, 체육잠재력이유아기부터발현된다는선행연구들은유아기체육활동의중요성을뒷받침해주고있다. 이는유아체육이전인적발달이라는체육의교육적목적외에평생체육기반조성과잠재력개발을통한엘리트선수양성측면에서매우중요하기때문에정부차원에서적극개입하여지원할필요가있음을시사해주고있다.

6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4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에서는유아체육과유아교육및보육을담당하는정부조직과유아체육관련사업추진현황에대해분석하였다. 조직부문에서는유아체육관련업무에대한법률상규정과조직구성등에대해분석하였으며, 사업추진현황에서는유아체육과교육및보육담당정부조직의유아체육혹은유아와관련된사업들을분석하였다.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분석을위해국민체육진흥법, 유아교육법, 영유아보육법등에대한법률과해당조직에대한인터넷조사등이이루어졌다. 가. 유아체육관련조직 1) 체육관련조직가 ) 중앙정부 : 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 (1) 유아체육관련법률국민체육진흥법제1조에국민체육진흥법은 국민체육을진흥하여국민의체력을증진하고, 건전한정신을함양하여명랑한국민생활을영위하게하며, 나아가체육을통하여국위선양에이바지함을목적으로한다. 고규정되어있다. 또한국민체육진흥법제4조제1항에는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국민체육진흥에관한기본시책을수립및시행하도록규정되어있다. 국민체육진흥법제4조제1항의규정에의하여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수립 시행하는국민체육진흥에관한기본시책에는생활체육의진흥, 선수

64 4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및체육지도자의보호 육성, 체육시설의설치 유지 보수및관리, 체육과학의진흥, 여가체육활동의육성 지원, 기타국민체육진흥에관한사항등이포함되어야한다. 또한이러한시책에따라연도별국민체육진흥시행계획을수립하고시행하여야한다 ( 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제3조 ). 이외에도국가는회계연도마다예산의범위에서지방자치단체와학교등에대하여체육진흥에필요한경비의일부를보조하도록규정하고있다. 따라서국민체육진흥법상에유아체육을진흥하도록명기되어있지는않다. 그러나유아를포함한전국민대상체육진흥과관련된업무가포함되어있기때문에유아체육정책을수립하여추진할의무가있음을규정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2) 조직구성문화체육관광부내에유아체육정책추진을위한별도조직이구성되어있지않으며, 체육에관한제반업무를담당하고있는체육국이주관조직이라할수있다. 2009년 6월현재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에는체육정책과, 체육진흥과, 국제체육과, 장애인문화체육팀의 3과 1개팀이있다. 이중에서유아체육정책을업무분장에포함하여추진하고있는부서는없다. 다만부서업무분장을고려할때, 체육정책과, 체육진흥과, 장애인문화체육팀이넓은의미에서유아체육관련업무담당부서에해당된다. 체육정책과에서는체육정책개발, 중 장기계획수립 시행 평가, 법령제 개정등의업무를, 체육진흥과에서는체육지도자육성, 생활체육관련행사지원, 스포츠클럽육성, 생활체육시설확충사업, 공공체육시설확충및활용도제고등의업무를, 장애인문화체육팀에서는장애인체육진흥계획의수립및시행, 생활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지도자양성등의업무를담당하고있다.

6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47 < 표 Ⅲ-1> 문화체육관광부체육관련담당업무 구분체육정책과체육진흥과장애인문화체육팀 업무 체육정책개발, 중장기계획수립 시행 평가 인력양성및체육인재육성재단업무 국민체육진흥기금편성 운영 여성체육, 유소년축구육성 체육국법령제 개정, 규제개혁, 지방이양업무 체육통계, 체육종합정보망구축 체육바우처사업 체육지도자육성에관한사항 ( 법령개정 ) 체육지도자자격증재발급 스포츠클럽육성 생활체육관련실태조사 ( 국민체력, 생활체육참여실태 ) 생활체육관련행사지원 생활체육시설확충 ( 체육기금지원 ) 사업 공공체육시설확충및활용도제고 체육시설관련연구 조사 공공체육시설통계및안전관리 장애인체육진흥장 단기계획의수립및시행 장애인체육발전을위한법령 제도개선업무 장애인생활체육진흥계획의수립및시행 장애인생활체육대회및클럽교실지원 장애인체육활동프로그램개발 보급 장애인체육지도자등전문인력양성배치 장애인체육관련통계자료의수립, 분석및지표화 장애인관련법령제 개정, 제도개선사항 장애인관련통계및홍보업무 나 ) 지방자치단체 : 시 도및시 군 구 (1) 유아체육관련법률 지방자치단체는국민체육진흥법제 4 조제 1 항의기본시책에따라그지

66 4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방자치단체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및시행하도록규정되어있다. 시 도지사는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제3조제2항의규정에의거, 시달된기본시책에따라당해특별시 광역시또는도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하여야하며, 시 도지사의경우에는이를시장 군수 구청장에게시달하도록규정되어있다. 시장 군수 구청장은제1항의규정에의하여시달된체육진흥계획에따라당해시 군 구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 시행하여야하며, 지방자치단체의장은제1항및제2항의규정에의한체육진흥계획과그추진실적을문화체육관광부령이정하는바에의하여문화체육관광부장관 ( 시장 군수 구청장의경우에는시 도지사 ) 에게보고하도록규정하고있다. 이러한규정은지방자치단체가유아를포함한전국민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하고이를시행할의무가있음을의미한다. (2) 조직구성현재광역자치단체인각시 도에서는대체로문화체육관광국, 문화체육국등의국단위수준에서체육진흥과나체육청소년과의명칭을사용하고있으며, 그하부로체육진흥팀 ( 계, 담당 ) 과체육시설팀 ( 계, 담당 ) 이지방의체육진흥업무와시설관리운영을담당하고있다. 기초자치단체인시 군 구의경우에는문화체육과, 문화관광과, 문화공보과, 체육청소년과, 자치행정과, 주민생활지원과등에서생활체육팀, 체육시설팀, 주민자치팀, 생활환경정비팀등매우다양한형태로체육조직을운영하고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9). 이는중앙정부와마찬가지로유아체육관련업무를담당하는조직이별도로구성되어있지않으며, 생활체육진흥업무에유아체육이포함될수있는수준인것으로해석된다.

67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49 다 ) 국민생활체육회 (1) 유아체육관련법률국민생활체육회는 1991년 2월민법제32조에의한비영리사단법인으로설립되었다. 따라서국민체육진흥법상으로규정된유아체육관련업무는없다. 그러나 1986년제10 회아시아경기대회와 1988년제24회서울올림픽대회개최이후국민의체육활동참여요구와여가선용등에대한관심이증가하면서국민생활체육회가설립되었다. 즉, 국민생활체육회는민간차원에서범국민체육활동을확산하고다양한생활체육동호인활동을체계적으로지원및육성등을목적으로설립되었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9). 국민생활체육회는현재생활체육진흥을통한국민건강과체력증진, 국민의건강한여가선용과선진체육문화창달, 세계한민족의동질성과조국애함양을통한통일기반조성을통해국민의삶의질을향상시킬목적으로생활체육관련사업을추진하고있다. (2) 조직구성국민생활체육회는 2009년현재전국 16개시 도생활체육회, 55개전국종목별연합회가있으며, 시 도생활체육회는 232개시 군 구생활체육회와 72종목 605개시 도종목별연합회가있다. 또한 115종목 5,134개시 군 구종목별연합회와 95,075 개생활체육동호인클럽이있다. 이처럼국민생활체육회는국민의생활체육진흥을위한전국의조직망을구축하고있다. 국민생활체육회는전략기획실, 육성지원부, 개발진흥부, 경영관리부, 정보미디어부등 1실 4부가있다. 이중업무분장을고려할때, 국민생활

68 5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체육진흥과중 장기발전계획수립등을담당하는전략기획실, 생활체육 프로그램개발 보급과생활체육지도자관련업무를담당하고있는개발 진흥부가유아체육관련업무를담당한다고할수있다. 2) 유아교육관련조직가 ) 중앙정부 : 교육과학기술부교육복지국 (1) 유아체육관련법률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유아를 만 3세부터초등학교취학전까지의어린이 로규정하고있고있으며, 교육기본법제9조의규정에따라유아교육에관한사항 을정하고있는유아교육법에입각해유아교육을추진하고있다. 유아교육법의근간인교육기본법제9조학교교육에관한규정에서는제1 항에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및고등교육을하기위하여학교를두도록하고있으며, 제3항에서는 학교교육은학생의창의력계발및인성함양을포함한전인적교육을중시하여이루어져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또한교육과학기술부에중앙유아교육위원회를두어유아교육에관한정책, 사업의기획 조사등에관한사항을심의하도록유아교육법제5조 1항에규정하고있다. 상기의규정에입각해교육과학기술부는유아의교육을위해학교를설립하고유아의전인적교육관련업무를담당하고있다. 이는유아체육에관련내용이별도로규정되어있지는않으며, 유아의전인적교육의일환으로서체육활동이포함된것으로해석할수있다. (2) 조직구성 2009 년 6 월현재교육과학기술부교육복지국는교육복지정책과, 지방

69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51 교육재정팀, 유아교육지원과, 특수교육지원과로구성되어있다. 이중유아교육지원과에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다. 유아교육지원과에서는유아교육진흥기본정책의수립, 영유아기본학습능력발달교육지원수립 추진, 국 공 사립유치원설립및운영지원에관한사항, 유치원및유관기관교류 협력네트워크구축 운영, 교육과정특성화전문인력지원, 유치원교육과정운영지원등유아교육과관련된제반업무를담당하고있다. < 표 Ⅲ-2>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지원과의유아교육관련업무 업무 유아교육지원과 유아교육진흥기본정책의수립 영유아기본학습능력발달교육지원수립 추진 국 공 사립유치원설립및운영지원에관한사항 국제기구와의유아교육 보육정책관련교류 협력 유치원및유관기관교류 협력네트워크구축 운영 교육과정특성화전문인력지원 유치원의새로운역할모델구축 유치원교육과정운영지원 육아정책개발센터운영지원등에관한업무를지원 나 ) 유아교육 보육위원회 (1) 유아체육관련법률유아교육법제4조제1항에서는유아교육과영유아보육법제2조규정에의한보육에관한내용을심의하기위하여국무총리소속하에유아교육 보육위원회를하도록규정하고있으며, 제2항에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기본계획, 유치원및보육시설간의연계운영, 그밖에위원장이부의하는

70 5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사항에대해심의하도록규정하고있다. 여기에유아체육과관련된규정은 없지만유아교육과보육에관한제반심의내용에유아체육이포함될수 있을것으로해석된다. 나 ) 조직구성유아교육 보육위원회는위원장포함 11인의위원으로구성하되, 위원장은국무조정실장이된다. 위원은기획재정부차관 교육과학기술부차관 보건복지가족부차관및여성부차관으로구성되며, 교육과학기술부차관 보건복지가족부차관및여성부차관이추천하여국무총리실장이위촉하는유아교육계 보육계및여성계를대표하는자각 2인이위원에포함되도록규정되어있다 ( 유아교육법제4조1항 ). 유아교육 보육위원회에서는유아교육과보육관련기본계획등제반사항을심의하고있다. 그러나체육관련정부부처관계자나유아체육계대표자는포함되어있지않아, 유아교육및보육에서유아체육이중심부에위치해있지못하고있는실정이다. 이는유아기체육활동의커다란제약요인으로작용한다고할수있다. 다 ) 지방자치단체 : 시 도교육청 (1) 유아체육관련법률유아교육법제5조제1항에따르면, 유아교육에관한정책, 사업의기획 조사등에관한사항을심의하기위하여특별시 광역시 도교육청에시 도유아교육위원회를두도록되어있다. 따라서유아체육에대한법적근거는없지만유아교육의맥락에서유아체육정책이나사업이추진되는것으로해석될수있다.

71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53 한편유아교육법상유아교육을담당하기는기관은유치원이기때문에시 도교육청의유치원관련사업규정을살펴볼필요가있다. 유아교육법상시 도교육청에유아교육위원회와관련규정외에는별도의법률이없는실정이다. 따라서시 도교육청규정을중심으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는유치원관련내용을살펴보면, 유치원교육과정편성 운영지침작성하고이를관내지역교육청과유치원에제시하고있다. 또한유치원이교육과정편성 운영에관한계획을세울수있도록교육과정편성 운영자료를개발, 보급하고있다. 이외에도관내지역교육청의교육과정운영지원실태및유치원의교육과정편성과운영실태를정기적으로파악하고, 교육과정의효과적인운영과질관리에필요한행 재정적지원, 지도, 조언을하도록하고있다. 이러한시 도교육청의역할을고려할때, 유치원교육과정에서체육수업의편성과운영이시 도교육청에의존하고있다고할수있다. (2) 조직구성유아교육법제5조제2항에따르면, 시 도유아교육위원회는유아교육전문가, 유치원대표, 유치원교사대표, 부모대표및관계공무원등으로구성되어있다. 그러나위원회성격이라하나의조직으로구성및운영되고있지않은실정이다. 한편유치원의교육지침등을제공하고있는시 도교육청의조직구성을살펴보기위해, 16개시 도교육청의조직도를홈페이지를통해조사하였다. 그결과, 16개시 도교육청중에서광주광역시를제외한 15개교육청에서교육국 ( 또는교육정책국 ) 산하초등교육과에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었으며, 광주광역시는교육국아래장학진흥과에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었다. 초등교육과와장학진흥과의주요담당업무로는유아관

72 5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련법규, 유아교육과정편성 운영, 유치원관련사업진행, 유아교육위원회조직운영등이있었다. 유아교육과정편성 운영, 유치원관련사업진행업무는유치원생활지도관련, 유치원자원봉사자연수, 유치원홍보교육, 유치원안전교육등과관련된사항이다. 1) 유아보육관련조직가 ) 중앙정부 : 보건복지가족부보육정책관 (1) 유아체육관련법률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영유아 ( 영幼兒 ) 의심신을보호하고건전하게교육하여건강한사회구성원으로육성함과아울러보호자의경제적 사회적활동이원활하게이루어지도록함으로써가정복지증진에이바지함을목적으로한다. 고규정된영유아보육법에입각해 6세미만의취학전아동인유아를대상으로정책을추진하고있다.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보육사업을원활하게추진하기위하여중앙보육정책위원회의심의를거쳐보육시설수급계획등을포함한보육계획을수립 시행하여야한다 ( 영유아보육법제11조 ) 고규정되어있다. 동법제29 조제1항에는 보육과정은영유아의신체ㆍ정서ㆍ언어ㆍ사회성및인지적발달을도모할수있는내용을포함하여야한다. 고규정되어있으며, 제2 항에는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표준보육과정을개발ㆍ보급하여야하며필요하면그내용을검토하여수정ㆍ보완하여야한다. 고규정되어있다. 제3항에는 보육시설의장은제2항의표준보육과정에따라영유아를보육하도록노력하여야한다. 고규정되어있다. 한편제30조제1항에는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보육서비스의질적수준을향상시키기위하여보육시설에대한평가인증을실시할수있다고규정되어있다. 이러한법규정에

7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55 입각해, 어린이집등의유아보육이표준보육과정에따라이루어지고있으 며, 유아체육또한표준보육과정에기반해추진되고있다. (2) 조직구성 2009 년 6월현재보건복지가족부보육정책관은보육정책과, 보육사업기획과, 보육기반과로구성되어있다. 보육정책관에서는보육관련종합계획수립과표준보육과정및보육프로그램개발 보급, 그리고보육시설종사자의양성및자격관리에이르는제반사항을담당하고있다. < 표 Ⅲ-3> 보건복지가족부보육정책관의유아보육관련조직및업무 조직보육정책관보육정책과보육사업기획과보육기반과 업무 보육에관한종합계획의수립및연도별시행계획의총괄 보육관련법령의관리 운영 보육시설종사자의양성및교육훈련 보육시설종사자의경력및자격관리에관한사항 표준보육과정및보육프로그램의개발 보급 국 공립등보육시설의확충및환경개선 중앙부처및지방자치단체의영유아정책 영유아정책에대한조사, 연구, 평가및제도개선 영유아정책에관한종합계획의수립및연도별시행계획의총괄 보육관련법령의관리, 운영 보육시설종사자처우개선에관한사항 보육시설종사자의양성및교육훈련의지원 보육시설종사자의경력및자격관리 국, 공립보육시설등보육시설의확충및지원계획수립 영유아보육법 에따른보육시설의설치, 인가기준의수립및해당시설의관리 보육아동의건강, 영양, 안전등의관리 표준보육과정및보육프로그램의개발, 보급 영유아이용시설의설치및지원

74 5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나 ) 보육정책조정위원회 (1) 유아체육관련법률영유아보육법제5조제1항에 보육정책에관한관계부처간의의견을조정하기위하여국무총리소속으로보육정책조정위원회 를둔다고규정하고있으며, 제2항에보육정책의기본방향, 보육관련제도개선과예산지원, 보육에관한관계부처간협조사항, 그밖에위원장이회의에붙이는사항등을심의ㆍ조정한다고규정하고있다. 유아체육과관련된규정은없으며, 보육정책의방향속에서유아체육이부분적으로포함될수있는것으로생각된다. (2) 조직구성보육정책조정위원회는위원장포함 12명이내의위원으로구성하고위원장은국무조정실장이되며, 교육인적자원부차관ㆍ보건복지부차관ㆍ노동부차관ㆍ보건복지가족부차관및기획예산처차관을위원으로구성토록규정하고있다. 또한보육계, 유아교육계ㆍ여성계ㆍ사회복지계ㆍ시민단체및보호자를대표하는자각 1명을위원으로구성하도록규정하고있다 ( 영유아보육법제5조 3항 ). 유아보육의기본방향을설정하는위원회에체육과관련된정부부처관계자등이포함되어있지않아, 유아보육에서체육활동이주요영역에서밀려나는주요원인중하나로작용하는것으로해석된다. 다 ) 지방자치단체 : 시 도및시 군 구 (1) 유아체육관련법률 영유아보육법제 6 조제 1 항에특별시ㆍ광역시ㆍ도ㆍ특별자치도및시ㆍ

7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57 군ㆍ구에지방보육정책위원회를두고, 보육에관한각종정책ㆍ사업ㆍ보육지도및시설평가사항등을심의하도록규정하고있다. 다만, 지방보육정책위원회는그기능을담당하기에적합한다른위원회가있고, 그위원회의위원이제2항에따른자격을갖춘경우에는시ㆍ도또는시ㆍ군ㆍ구의조례로정하는바에따라그위원회가지방보육정책위원회의기능을대신할수있다. 고규정하고있다. 한편, 영유아보육법제11조에서는시ㆍ도지사및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보육사업을원활하게추진하기위하여각지방보육정책위원회의심의를거쳐보육시설수급계획등을포함한보육계획을수립ㆍ시행하여야한다고규정하고있다. 이는지방자치단체는보육계획수립및시행의무가있음을의미한다. 영유아보육법상유아체육관련규정이별도로존재하지는않으며, 지방자치단체의전체보육계획내에유아체육이포함되는것으로보인다. (2) 조직구성어린이집등보육시설의보육정책등에대한제반심의를담당하고있는 16개시 도의조직구성을살펴보기홈페이지를통해조사하였다. 그결과, 유아보육을담당하는독립된부서는별도로구성되어있지않았으며, 대부분여성복지관련부서에서보육을담당하고있었다. 이는여성의사회참여기회확대를하기위해서는보육이문제가되기때문에여성복지관련부서에서보육을담당하는것으로생각된다. 상기에서유아체육, 유아교육, 유아보육관련법률과조직에대해살펴보았다. 유아체육에관한법률규정은없었으며, 조직의업무분장에서도유아체육에대한내용이전혀포함되어있지않았다. 이는유아기체육활동이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불가결한중요요인이라는학계와사회적

76 5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요구와는매우동떨어진것으로생각된다. 물론여기에는체육이란용어를사용하지는않았지만움직임이나신체활동교육이체육활동과같은의미이고, 따라서유아체육활동이이루어진다고반론이있을수있다. 그러나유아기움직임이나신체활동이중요함에도불구하고유아교육과보육의기본방향이나주요내용을심의하는유아교육및유아보육관련주요위원회에체육정부부처관계자나체육전문가가포함되어있지않다는것은유아체육활성화의상당한제약요인이라아니할수없다. 나. 유아체육관련사업추진현황 1) 유아체육관련조직가 ) 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문화체육관광부의유아체육사업추진현황을파악하기위해이명박정부가출범한 2008년과 2009년도주요업무계획을분석하였다. 그결과, 2008년도주요업무계획의향후정책추진방향에 장애인 유아 노인등스포츠소외계층의스포츠활동참여제고 내용이포함되어있었다. 이러한정책방향에입각해, 2008년주요업무추진계획중 국민생활체육참여를확대한다 는성과목표달성을위한주요과제로 스포츠클럽지원체계구축및확대 를설정하고있다. 여기의주요내용으로 성인회원중심동호회활동을유아 청소년 노인등다양한세대가참여하는주민중심형태로전환 한다는내용이포함되어있었다. 그러나 2009 년업무계획에유아체육관련사업이포함되어있지는않았다. 나 ) 지방자치단체 : 시 도및시 군 구 광역단체와기초자치단체에서추진하고있는유아체육관련사업을조

77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59 사하기위해홈페이지에게시된 2009 년주요업무와각부서별업무분장중유아, 어린이, 아동, 보육, 교육, 유치원, 어린이집등의키워드를중심으로분석하였다. 그결과, 16개광역자치단체중유아체육관련사업을추진하는곳은없는것으로나타났다. 한편기초자치단체의유아체육관련사업현황분석결과, 서울특별시의 3개구와부산광역시기장군에서만유아체육및신체활동사업을추진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표 Ⅲ-4> 기초자치단체 ( 시 군 구 ) 의유아체육관련사업현황 서울특별시 구분조직사업 영등포구 영등포구보육정보센터 ( 중앙대위탁운영 ) 유아 (4~6 세 ) 를위한동작활동밤동산놀이터 (31 개월 - 취학전아동 ) 양천구 문화체육과 유아축구무료교실 ( 대상 : 미취학아동, 엄마와함께 ) 도봉구 영유아플라자 실내놀이 ( 대상 : 24개월이상~취학전아동 ) 부산기장종합사회복지관기장군광역시 ( 복지관운영팀 ) 유 아동프로그램 ( 점핑클레이교실, 하바짐놀이 ) 다 ) 국민생활체육회국민생활체육회유아체육관련사업은 2009 년도사업계획 ( 안 ) 을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아체육과관련사업으로 생활체육소외계층용품및프로그램지원 사업내용중아동복지시설 200 개소에축구공, 농구공등 15종의스포츠용품 8,000 점지원사업과특수지역시설에거주하는도서 ( 島嶼 ) 아동에게스포츠용품을지원하는사업이포함되어있다. 국민생활체육회에서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사업을추진하고있지는않은실정이다. 이는국민생활체육회가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의생활체육사업을추진하는기관으로문화체육관광부체육국에서추진하는유아체육사업이없기때문으로이해된다.

78 6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유아교육관련조직가 )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의 2008 년과 2009 년업무계획에유아체육관련사업이포함되어있지않았다 년주요업무계획에포함된유아교육관련업무로는 교육서비스분야일자리창출및확대 의일환으로 종일제유치원 (7,500 개 ) 운영보조인력 (4,000 명 ) 확대, 유치원종일제확대및장애아특수교육지원강화 의일환으로 종일제운영을모든유치원으로확대 하는사업이포함되어있었다. 종일제유치원운영은 2008 년 90% 에서 2009 년 95%, 2010 년 100% 확대를목표로추진중인것으로나타났다. 이외에도 저소득층유아에게종일반비지원, 장애학생에게물리치료, 작업치료등치료지원을 2009 년유치원 초1~2 학년부터단계적으로확대제공 하는내용이포함되어있었다. 이러한유아교육관련사업중 유치원종일제확대 는유아가유치원에머무르는시간의증가를전제하기때문에, 그증가된시간에체육활동등다양한사업이검토될필요가있음을의미한다. 그러나이와관련된사업은현재추진되지않고있는실정이다. 나 ) 유아교육 보육위원회유아교육 보육위원회가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제반내용을심의하는조직으로영유아교육법상명시되어있기는하다. 그러나위원회활동에관한자료가거의제공되고있지않아사업내용을파악할수없었다. 이는위원회의활동이활발히이루어지지않고있음을반증하는것이라할수있다.

79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61 다 ) 지방자치단체 : 시 도교육청 16개시 도교육청의유아체육관련업무를조사하기위해웹사이트를통해 2009 업무계획을중심으로분석하였다. 그결과, 유치원교육과정과유아교육기회확대, 유치원지원체계강화, 유치원자원봉사제운영등유치원교육에대한사업은다수추진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유아체육관련업무가별도로추진되고있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3) 유아보육관련조직가 ) 보건복지가족부보건복지가족부의 2008 년과 2009 년업무계획에유아체육관련사업이포함되어있지는않았다. 2008년주요업무계획에는 영유아건강에대한지원확대, 6세미만모든영유아건강검진, 영유아교육중재프로그램, 학령전유아의건전매체이용습관형성지원점진적확대 등에관한유아관련사업이포함되어있었다. 한편 2009년주요업무계획에는 영 유아보육에대한국가책임강화 측면에서보육료지원확대및양육수당신규도입과보육서비스공급기반개선및민간보육시설질제고등의내용이포함되어있었다. 이는유아의건강과보육지원이확대일로에있음을의미한다. 나 ) 보육정책조정위원회보육정책조정위원회가유아보육의기본방향을설정하는조직으로법률상명기되어있으나위원회활동에대한자료는거의찾을수가없었다. 이는위원회활동이활발히이루어지지않고있는데주요원인이있다고할수있다.

80 6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다 ) 지방자치단체 : 시 도 16개시 도에서추진하고있는유아보육관련사업을 2009년업무계획을통해분석하였다. 그결과, 유아보육관련사업내용으로는공공보육시설의확충 환경개선, 저소득층의보육료지원, 맞벌이부부를위한보육서비스강화, 보육시설평가인증의확대등의사업이포함되어있었다. 이는보육서비스의지역간의불균형을극복하고저소득층유아들이혜택을받을수있게하며, 근본적으로보육시설을늘리고환경을개선하는것에정책적무게가실려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2. 유아체육관련정책 유아체육관련정책은유아체육활성화의주요 3대정책인지도자, 시설, 프로그램을중심으로분석하였다. 각정책에대한분석은관계부처의법률과정책을중심으로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은실제로이루어지고있는유아체육활동뿐아니라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교육및보육과정의지침서인유아교육과정과보육표준과정을포괄하는개념으로규정하고접근하였다. 가.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 1)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가 )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법에의거한유아체육지도자는현재양성되고있지않다. 국민체육진흥법제2조제6항에 체육지도자 란학교 직장 지역사회또

81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63 는체육단체등에서체육을지도하는자로서학교체육교사, 생활체육지도자, 경기지도자등을말한다고규정되어있어, 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지도자는양성되고있지않다. 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지도자양성을위해국민체육진흥법과시행령일부개정이국회에제출된상태이다. 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일부개정 ( 안 ) 에는 유소년스포츠지도사 가포함되어있으며, 제2조제9호에 유소년스포츠지도사는유소년의신체적 정서적특징을이해하고이에적절한스포츠를지도하거나건강관리능력을길러주는스포츠전문가를말한다. 고규정하고있다. 한편, 시행령제23조제4항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제3 항에따라자격을취득한 2급스포츠지도사또는 2급장애인스포츠지도사중에서문화체육관광부령이정하는구술시험을합격하고실무연수를이수한자에게추가로유소년스포츠지도사나노인스포츠지도사의자격을부여할수있다. 고규정하고있다. 상기의법이개정되면,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양성에대한요구가상당부분이해소될수있을것으로생각된다. 나 )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법에서는유치원의교원으로원장, 원감, 교사등을양성하고있다. 유아교육법제22조 ( 교원의자격 ) 에서원장및원감, 1급과 2급정교사및준교사는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검정 수여하는자격증을받아야한다고규정하고있다. 대학교나대학에서유아교육관련전공학과인유아교육과와아동학과졸업생은정교사 2급으로하며, 이후 3년이상의교육경력을갖고소정의재교육을이수한후정교사 1급자격을부여하고있다. 유치원정교사 2급자격증취득을위한교과목및학점은기본이수과목 7과목 (21 학점 ) 이상과교과교육 3과목 8학점을포함하여 50학점이상취

82 6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득을기준으로제시하고있다. 기본이수과목중유아미술교육과유아음악교육등다른예체능과목이별도로포함되어있는반면, 유아체육과관련된교과목은포함되어있다. 다만유아동작교육과유아놀이지도과목이유사과목선택과목으로포함되어있으나, 유아체육과목과는차이가있다. 이는유아교육교사양성시유아체육의중요성이간과되고있음을보여준다. < 표 Ⅲ-5> 유치원정교사 (2 급 ) 교과목및학점기준 영역기본이수과목이수과목 ( 학점 ) 기본이수과목 유아교육론, 유아교육과정, 영유아발달과교육, 유아언어교육, 유아사회교육, 유아과학교육, 유아수학교육, 유아미술교육, 유아음악교육, 유아교사론, 유아동작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아동복지, 유아건강교육, 유아관찰및실습, 부모교육 7 과목 (21 학점 ) 이상 교과교육 3 과목 (8 학점 ) 이상 전체 50 학점이상 한편제23조 ( 강사등 ) 제1항에서는교원외에강사, 기간제교사또는명예교사등을두어유아교육을담당또는보조하게할수있다고규정하고있다. 유아교육법시행령제27 조 ( 강사등 ) 에서는 법제23 조의규정에의한강사등은별표의자격기준에해당하는자로서국ㆍ공립유치원의경우에는원장이, 사립유치원의경우에는법인또는사립유치원경영자가각각임용한다. 다만, 사립유치원의경우에는법인의정관등이정하는바에따라그임용권한을원장에게위임할수있다. 고규정하고있다. 따라서

8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65 유아교육법상에는유아대상체육지도자에대한별도의규정이없는실정 이다. 다 ) 보건복지가족부영유아보육법에서는보육을영유아를건강하고안전하게보호 양육하고영유아의발달특성에맞는교육을제공하는사회복지서비스 ( 제2조제 2항 ) 로규정하고있으며, 보육시설의장및보육교사와그밖의종사자를보육시설종사자로규정하고있다 ( 영유아보육법제2조제5항 ). 보육시설의장은대통령령으로정하는자격을가진자로서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검정 수여하는자격증을받은자이어야하며 ( 영유아보육법제21조제1 항 ), 보육교사는영유아보육법제21조제 2항의각호의어느하나에해당하는자로서보건복지부장관이검정 수여하는자격증을받은자이어야한다고규정하고있다. 보육교사의등급은 급으로하고있으며, 등급별자격기준은대통령령으로정한다고규정하고있다. 대학교나대학에서보육관련필수학점을이수하고졸업한자를보육교사 2급으로하며, 이후 3년이상의보육경력을갖고소정의승급교육을이수한후보육교사 1급자격을부여하고있다. 보육교사 2급자격증취득을위한교과목및학점기준은 < 표 Ⅲ-6> 과같다. 필수과목을포함하여총 12과목 35학점이상이수하여야하지만유아체육관련과목은없다. 유아의신체활동과관련된과목으로영유아교육에 놀이지도 한과목이선택교과목으로포함되어있는정도이다.

84 6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Ⅲ-6> 보육교사교과목및학점기준 (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제 12 조제 1 항 ) 영역교과목이수과목 ( 학점 ) 보육기초아동복지 ( 론 ), 보육학개론, 아동발달 ( 론 ), 보육과정 발달및지도 영유아교육 건강 영양및안전 가족및지역사회협력등 보육실습 전체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아동생활지도, 아동상담 ( 론 ), 특수아동지도 놀이지도, 언어지도, 아동문학, 아동음악과동작, 아동미술, 아동수 과학지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영유아교수방법 ( 론 ) 아동건강교육, 아동간호학, 아동안전관리, 아동영양학, 정신건강 ( 론 ) 부모교육 ( 론 ), 가족복지 ( 론 ), 가족관계 ( 론 ), 지역사회복지 ( 론 ), 자원봉사 ( 론 ), 보육정책 ( 론 ), 보육교사 ( 론 ), 보육시설운영과관리 보육실습 12 과목 (35 학점 ) 이상 4 과목 (12 학점 ) 필수 1 과목 (3 학점 ) 이상선택 3 과목 (9 학점 ) 이상선택 2 과목 (6 학점 ) 이상선택 1 과목 (3 학점 ) 이상선택 1 과목 (2 학점 ) 필수 보육종사자보수교육은보육종사자의자질향상을위해실시하는교육으로써, 보육에필요한지식과능력을유지 개발하기위하여보육시설종사자가정기적으로받는직무교육과보육교사가상위등급의자격취득을위해받아야하는승급교육이있다 ( 영유아보육법제23조, 시행규칙제20 조~제 22조 ). 직무교육의경우일반직무교육은현직보육교사와시설장이 3년마다의무적으로받아야되는교육이며, 특별직무교육은영아, 장애아, 방과후보육을담당하는보육시설장과보육교사에게한번은의무, 그이후는권장되는교육이다. 특별직무교육에는 놀이를통한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언어발달, 인지발달 등의교육이 8시간편성되어있다. 특별직무교육에체육활동을포함하여우선추진하고동시에, 보육교사교과목에포함

8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67 시키는방안이적극모색되어야한다. 아동복지법에서는아동이건강하게출생하여행복하고안전하게자라나도록그복지를보장함을목적으로한다고 ( 아동복지법제1조 ) 규정하고있으며, 18세미만을아동으로정의하고있다. 동법에서는아동복지지도원을두어아동의보호, 지도, 상담등의역할을담당하도록하고있다 ( 아동복지법제7조 ). 아동복지지도원의역할은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담당하고있으며, 자격기타필요한사항은대통령령으로정하도록규정하고있다 ( 아동복지법제7조제2항 ). 여기에서아동복지지도원의역할은아동체육지도자의역할과는상이하며, 자격요건도상당한차이가있다. 상기에서살펴본바와같이, 유아관련법상에유아체육을지도할수있는지도자양성근거는현재마련되어있지않다. 그러나유아관련단체나시설등에서유아체육에대한요구가꾸준히증가하고있어대학과민간시장에서유아체육지도자가양성되고있는실정이다. 따라서대학과민간에서배출되고있는유아체육관련지도자의양성현황을교육내용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2) 유아체육지도자관련양성현황유치원교사와보육교사, 그리고체육지도자는양성되고있지만유아대상의체육지도자는정부차원에서현재양성되고있지않다. 따라서현재유아체육지도자는대학의유아교육과와체육관련학과, 그리고각종유아체육관련단체에서양성되고있다. 한국교육개발원 (2008) 의교육통계 DB자료에따르면, 2008년전문대학 306개체육계학과중에서유아및아동관련학과는아동놀이지도과, 아동무용지도자과, 아동스포츠과, 아동체육과, 유아체육전공과등 5개학과였으며, 학생수는 394 명인것으로나타났다. 한편체육계대학교중에서는유아 시니어스포츠전공 1개만이

86 6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있었으며, 학생수는 171명인것으로나타났다 ( 문화체육관광부, 2009). 그러나선행연구들에따르면, 유아교육현장의유아체육지도자들은유아교육학과, 아동학과, 아동복지학과졸업후유아교육기관에서근무하며유아체육을지도하는경우와체육관련학과졸업생이유아교육기관에서유아체육을전담하여지도하는경우, 그리고유아체육관련단체자격증취득후유아체육을지도하는경우로구분할수있다. 따라서아동교육및보육관련학과와체육관련학과, 그리고민간에서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을취득한사람을모두유아체육지도자로이해할수있다. 그러나현재유아체육관련지도자가어느정도양성되고있는지는정확히집계되고있지않아그수를파악하기어려운실정이다. 한편, 여기에서는유아체육지도자양성현황을체육관련학과와유아관련학과의유아체육관련교육내용을중심으로분석하였다. 이러한분석은유아체육지도자로서의전문성을가늠하는주요자료가될수있기때문에중요하다. 가 ) 체육관련학과와유아관련학과 (1) 체육관련학과체육관련학과의유아체육관련교과목개설현황을분석하기위해, 2008년수도권소재대학교와대학의교과목을분석하였다. 그결과, 대학교의경우 13개대학교의 13개학과또는전공에서유아체육관련교과목을개설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대학의경우 7개대학의 8개학과에서유아체육관련교과목을개설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4년제대학교의경우주로체육학과, 체육교육과, 생활체육학과, 사회체육학과에서유아체육관련교과목 1개정도를다양한명칭으로개설하고

87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69 있었다. 그러나유아체육관련내용으로간주되는놀이영역과관련된교과 목은전혀개설되어있지않았다. < 표 Ⅲ-7> 수도권체육관련학과의유아체육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교 ) 지역 학교명 학과명 유아체육 국민대학교 경기지도학전공 유아및아동스포츠지도 삼육대학교 생활체육학과 아동스포츠프로그램 서울산업대 스포츠건강학과 유아체육 서울 서울시립대생활체육정보학과유아및노인체육론광운대생활체육학과운동발달및아동체육 성신여자대학교 체육학과 유아체육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유아체육론 연세대학교 스포츠레저학과 유아및노인체육 강남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유아체육의이론과실제 경기대수원캠퍼스 레저스포츠과 유아레저스포츠론 경기 중앙대안성캠퍼스 사회체육학부 유아체육 한양대안산캠퍼스 생활체육학과 유아및노인체육 한신대학교 특수체육학과 유아체육 대학의경우사회체육과, 체육복지학과, 생활체육과등에서유아체육관련교과목을개설하고있었으나, 수원여자대학은아동체육과가독립적으로운영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유아체육 영역의과목이가장많이개설되어있었으며, 4년제대학과달리 놀이 영역의교과목도개설되어있었다. 아동체육과가있는수원여자대학에서는보육교사 2급과유치원체육전담교사자격증을자체적으로수여하고있었다. 따라서유아교육및유아체육에관련된다양한교과목을개설하고있었다.

88 7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Ⅲ-8> 수도권체육관련학과의유아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 ) 지역 학교명 학과명 유아체육 놀이 표현 명지전문대 사회체육과 유아체육 인덕대사회복지학과유아놀이지도서울숭의여자무용, 유아체육대학교레저스포츠과 경민대학교 생활체육과 유아체육 경기 대림대학교 수원여자대학 사회체육과 아동체육과 아동무용지도자과 유아체육론 유아체육실습 아동체육개론 아동체육 오산대학스포츠과학계열유아체육 아동레크레이션 유아놀이지도창작놀이지도체조, 특수체조 놀이지도 유아놀이지도 아동음악과율동 아동음악과율동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로유아에대한깊은이해와관심, 유아교육에대한광범위한지식, 유아의발달수준에부합한실기제공능력, 적절한언어사용등이제시되고있다 ( 이희선, 2002). 그러나체육관련학과의교육과정에는유아교육의중요교과인 유아의발육, 유아의성장, 유아의운동발달, 유아심리 등이포함되어있지않았다. 이는체육관련학과출신이유아체육지도자로서활동하기위해이와관련된부가적교과목의수강과교육의필요성을시사하고있다. (2) 유아관련학과 2008 년수도권소재대학교와대학의영유아교육관련학과의유아체육 관련교과목개설현황을분석하였다.

89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71 < 표 Ⅲ-9> 수도권영유아교육관련학과및체육관련교과목개설현황 ( 대학교 ) 지역 학교명 학과명 놀이 표현 경희대학교 아동가족전공 놀이지도 -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놀이지도 - 그리스도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서울 덕성여자대학교아동가정학과놀이지도놀이 발달치료 - 유아교육과 유아놀이이론과실제 -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놀이지도 - 놀이지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놀이이론과교육 아동음악과율동 놀이치료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서울교육대학교유아특수교육과놀이의이해와교육 신체활동의이해와교육 카돌릭대학교 아동학과 놀이지도아동놀이치료 아동음악과동작 서울대학교 아동가정학과 놀이지도 -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놀이지도 아동음악과동작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놀이이론과교육 -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놀이지도 - 숙명여자대학교아동복지학과유아놀이지도 - 놀이치료 놀이치료아동음악 동작교연세대학교아동 가족학과아동놀이와교육육이화여자대학교유아교육과놀이이론과교육유아동작교육 중앙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놀이지도 아동음악과동작 유아교육과 유아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유아교육과놀이지도유아동작교육 한국성서대학교영유아보육전공영유아놀이지도 -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아동복지학과 놀이지도아동음악과동작

90 7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분석결과, 유아체육관련교과목을개설한학과나전공은하나도없었다. 다만대학교의경우 20개대학교의 22개학과또는전공에서, 그리고대학의경우 28개대학의 40개학과에서놀이나표현활동영역으로분류된교과목을개설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4년제대학교의경우는주로유아교육과, 아동학과, 아동복지학과, 아동보육학과등에서 놀이 나 표현활동 영역으로분류되는교과목을개설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22개학과모두 유아놀이지도 영역에한과목또는두과목을개설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유치원정교사 2급자격조건과보육교사 2급자격을위한선택교과목에 놀이지도 가포함되어있기때문으로해석된다. 표현활동 영역에서는동작관련교과목을개설한학과가 12개였는데, 이는 유아동작교육 이유치원정교사 2급자격조건인기본이수과목에포함되어있기때문으로분석된다. 이러한사실은유아교육관련학과에서유아체육을체계적으로지도할수있는교육이전혀이루어지지않고있다고볼수있다. 현재 놀이 나 표현활동 영역이유아체육관련영역으로분리되는경향이있으나, 엄격히말하면활동성격이다르다고할수있다. 따라서유아기체육활동의교육효과등을감안할때, 유아체육관련내용이영유아교육과정에반드시포함되어야할것으로보인다. 대학의경우는유아교육과, 아동학과, 아동복지과, 영유아복지과, 보육과등에서 유아체육 을개설한학과는 10개학과에불과했다. 유아체육관련과목으로간주하고있는 놀이 영역이가장많이개설되고있었으며, 표현 영역이뒤를이었다. 놀이 영역에서 놀이지도 를개설한학과는총 40개학과중 37개학과, 표현 영역에서 동작교육 을개설한학과는 26개학과, 놀이지도 와 동작교육 모두를개설한학과는 27개학과로나타났다. 놀이지도 가많이개설된이유는유치원정교사 2급자격조건과보육

91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73 교사 2급자격을위한선택교과목에 놀이지도 가포함되어있기때문이며, 놀이지도 다음으로많이개설된 동작교육 은 유아동작교육 이유치원정교사 2급자격조건인기본이수과목에포함되어있기때문으로해석된다. 영유아교육관련학과의유아체육관련교과목분석결과, 유아체육을직접지도할수있는유아체육관련교과목을개설한곳은소수에불과했으며, 유아의 놀이 나 표현 영역에치우쳐교과목이개설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이는영유아교육관련학과의교과내용이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필요한전문성함양에문제가있음을의미한다. 이러한문제를해결하기위해서는유치원과보육교사자격취득시유아체육을기본이수과목에포함시킬필요가있음을시사해주고있다. < 표 Ⅲ-10> 수도권영유아교육관련학과의체육관련교과목개설강좌 ( 대학 ) 지역학교명학과명체육놀이표현 서울 남서울전문대 아동학과 - 놀이지도 아동음악과동작 명지전문대유아교육과유아체육 - - 서일대유아교육과 - 배화여자대학 숭의여자대학 한양여자대학 유아레크레이션지도 영유아놀이지도 유아교육과 - 놀이지도 유아교육과 유아체육교육 레크레이션유아조형놀이연구놀이지도 영유아음률활동 동요 율동반주 유아교육과 - 놀이지도 - 아동복지과 - 놀이지도 - 경기경기공업대아동보육복지과 - 놀이지도 - 아동음악과동작

92 7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경기 국제대학 경민대학 유아보육미술과 - 유아놀이지도 창작놀이지도 영유아보육과 - 놀이지도 - 유아동작교육아동음악과동작 아동미술과 - 놀이지도 - 복지보육학부 - 레크레이션 - 유아교육과 유아체육및레크레이션 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경복대학유아교육과 - 놀이지도유아동작교육 김포대학유아교육과 - 놀이지도유아동작교육 대림대학 동남보건대학 유아교육과 유아체육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유아교육과 - 놀이지도유아레크레이션 유아동작교육 보육과 - 유아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동서울대학아동보육과 - 유아놀이지도 동원대학아동복지학과 - 놀이지도 두원공과대학 아동음악과동작 놀이지도아동음악과아동복지학과 - 놀이치료율동유아교육과 - 유아놀이지도유아동작교육 부천대학 유아교육과 유아체육 유아놀이지도 유아신체표현 서정대학 유아교육과 - 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수원과학대아동보육과 - 놀이지도 아동체육과 아동체육개론 아동레크레이션 아동음악과동작 아동음악과율동 수원여자대학 유아교육과아동체육유아레크레이션유아동작교육놀이지도 아동보육과 아동체육 레크레이션 놀이지도 아동음악과동작

9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75 경기 레크레이션아동음악과아동보육복지과 - 놀이지도동작신구대학레크레이션유아교육과 - 유아동작교육유아놀이지도신흥대학영유아보육과 - 놀이지도 - 안양과학대학 여주대학 용인송담대학 유아교육과 - 레크레이션유아놀이지도 유아특수재활과 - 놀이지도 보육과 - 놀이지도 유아교육과 - 아동보육과 - 유아교육과 - 장안대학유아교육과유아체육 청강문화산업대학 유아교육과 유아체육및레크레이션 레크레이션지도법 극놀이지도놀이지도 유아레크레이션 놀이지도 극놀이지도 유아놀이지도 놀이지도 레크레이션지도 놀이지도 유아동작교육 아동음악과동작 - 아동음악과동작 - 유아동작교육 신체표현활동 국립한국재활복지대학장애유아보육과 - 놀이지도아동음악과동작 나 ) 민간의유아체육지도자교육내용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서는국가에서유아체육지도자를양성하고있지않기때문에민간에서양성된유아체육지도자를활용하는경우가증가하고있다. 따라서민간에서양성된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을가늠하기위해유아체육지도기관의교육내용을분석하였다.

94 7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민간의자격증발급협회는초기한두곳에불과하였으나지속적으로증가일로에있으며, 최근사이버교육을통해발급하는기관도나타나고있다. 따라서각협회에서발급한자격증수를파악하기어려울뿐아니라전문성또한가늠하기어려운실정이다. 이로인해정부차원의공인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에대한요구가증가하고있다. 민간의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수여기관의교육내용분석을위해, 지도자자격증수여가비교적오래된대표적기관이라할수있는한국유아체육협회와한국유아체육지도자협회의자격종류와자격요건을살펴보았다 ( 박대권등, 2005; 이혜숙등, 2005). < 표 Ⅲ-11> 유아체육지도교사자격종류및자격요건 기관한국유아체육협회한국유아체육지도자협회 교육기간 60 시간 48 시간 교육대상 유치원교사및원장, 체육관련종사자 유아교육및체육학과재학생과졸업생 고교이상학력일반인 체육학과재학생과졸업생 유아 / 보육관련학과재학생과졸업생 현직유아체육교사및유아 보육교사 기타유아체육관심자 교육내용 이론 실기 유아체육론 유아동작교육론 체육프로그램개발 신체표현놀이 유아레크레이션 창작율동, 유아무용 유아체육개론 유아체육지도론 유아발달심리 놀이와유아체육 유아체육실기지도 유아성장맛사지 유아율동 유아응급처방 자격검증이론및실기시험 이론, 실기, 출석, 과제물

9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77 분석결과, 두협회의교육시간과교육내용에차이가있으며, 교육대상은특별한제한이없이거의누구나가능하도록되어있다. 또한교육대상자의전공과무관하게동일한교육이이루어지고있다. 자격검증은이론및실기시험이실시되고있으며, 합격기준은협회에따라차이가있다. 자격검증은협회에서자체적으로실시하고있기때문에검증의객관성과전문성에문제가있음이지적되고있다. 상기의두협회에서이루어지고있는교육내용을유치원교사나보육교사자격취득을위한필수교과목과비교해보면, 영유아의발달을이해하기위한교과목의편성이미흡하며, 체육교육에편중된경향이있다. 유아체육지도교사자격증수여기관으로대학의평생교육원이나사회교육원등이있다. 이들수여기관에서는한학기단위로프로그램을운영한후자격증을수여하고있다. 이외에도협회에서단기연수, 사이버연수, 합숙연수, 1, 2급통합단기연수, 대학위탁연수, 전문강사과정, 최고교사과정등이다양하게이루어지고있다 ( 이혜숙등, 2005). 선행연구에따르면, 민간단체에서발급되고있는유아체육지도자양성의문제점으로네가지가지적되고있다. 첫째는양성기간이단체마다다르며전문성확보에필요한교육기간이짧다는것이며, 둘째는연수프로그램의틀과선정준거가제공되지않고재량에따른교과과정이구성되어정체성확립이어렵다는것이다. 셋째는평가와관리체계가미흡하여객관성이결여되어있다는것이며, 넷째는자격증급수의객관성이없다는것이다. 이러한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서는민간자격을정부차원에서관리하는방안과더불어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양성이필요하다.

96 7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나. 유아체육시설관련정책 1) 유아체육시설관련정책가 ) 문화체육관광부체육시설의설치 이용을장려하고, 체육시설업을건전하게발전시켜국민의건강증진과여가선용에이바지하는것을목적으로체육시설의설치 이용에관한법률이제정되어있다 ( 체육시설의설치 이용에관한법률제1조 ). 동법에서는체육시설을체육활동에지속적으로이용되는시설과그부대시설이라고규정하고있다 ( 제2조제 1항 ). 따라서동법에서규정하는모든체육시설에서유아의체육활동이이루어질수있다. 그러나유아체육이행해질수있는체육시설이별도로규정되어있지는않다. 한편전문체육시설, 생활체육시설, 직장체육시설이공공체육시설로분류되어있다. 이시설중에서유아의특성을고려할때, 생활체육시설이유아체육시설로활용가능하다고할수있다. 생활체육시설은국가와지방자치단체가국민이거주지와가까운곳에서쉽게이용할수있도록대통령령으로정하는바에따라설치 운영하여야한다고규정하고있다 ( 제6조제1항 ). 나 )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법상의유아체육가능시설로는유치원시설이있다. 유치원은국가가설립 경영하는국립유치원, 지방자치단체가설립 경영하는공립유치원, 법인또는사인이설립 경영하는사립유치원으로구분할수있으며, 공립유치원은설립주체에따라시립유치원과도립유치원으로구분할수있다고규정되어있다 ( 유아교육법제7조 ). 동법제8조제1항에서는 유치원을설립하고자하는자는시설 설비등대통령령이정하는설립

97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79 기준을갖추어야한다. 고규정하고있으며, 유치원시설 설비등은유치원의설립기준에관한사항은대통령령으로정하는것으로규정되어있다 ( 유아교육법시행령제8조 ). 유치원시설 설비기준은유아교육법시행규칙제3조제1항관련하여급식시설 설비기준만이제시되어있다. 다만유아교육법시행령제9조제1항에사립유치원의설립인가를받고자하는경우 체육장평면도 를기재하여교육감에게신청하도록규정하고있는정도이다. 그러나체육장규모나설치기준등에대한세부사항은규정되어있지않았다. 다 ) 보건복지가족부영유아보육법상의유아보육시설로는국공립보육시설, 법인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가정보육시설, 부모협동보육시설, 민간보육시설등의 6종류가있다. 국공립보육시설은국가나지방자치단체가설치 운영하는보육시설을, 법인보육시설은사회복지사업법에따른사회복지법인이설치 운영하는보육시설을, 직장보육시설은사업주가사업장의근로자를위하여설치 운영하는보육시설 ( 국가나지방자치단체의장이소속공무원을위하여설치 운영하는시설을포함 ) 을의미한다. 한편가정보육시설은개인이가정이나그에준하는곳에설치 운영하는보육시설을, 부모협동보육시설은보호자들이조합을결성하여설치 운영하는보육시설을, 민간보육시설은상기까지의규정에해당하지아니하는보육시설을의미한다 ( 영유아보육법제10조 ). 보육시설설치기준은보건복지가족부령이정하는기준에따르도록영유아보육법제15조에규정되어있으며, 보육시설설치기준은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제9조에입각해, 놀이터에대한시설구조및설비기준이규정되

98 8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어있다. 놀이터는보육정원 50명이상인시설은영유아 1명단 3.5 제곱미터이상의규모로옥외놀이터설치를원칙으로하고있으며, 업무용시설밀집지역등지역적특수성에따라옥외놀이터설치가불가능할경우옥내놀이터를설치하거나, 인근놀이터를활용할수있도록규정되어있다. 그러나체육시설이보육시설설치기준에포함되어있지는않다. 2) 유아체육시설관련현황체육시설에유아체육관련시설이별도로구분되어있지않고, 유아교육및보육시설에체육시설설치와관련된별도의기준이없는실정이다. 체육시설의경우남녀노소누구나사용할수있도록설치되어있기때문에, 유아체육시설로서대부분활용이가능하다고할수있다. 그러나유아교육및보육시설의경우체육활동이아닌교육과보육을목적으로설치된시설이기때문에유아체육활동을위해서는별도의체육시설설치가필요한실정이다. 유아교육법이나영유아보육법상체육시설설치기준이마련되어있지않기때문에이들시설에체육시설이어느정도설치되어있는지파악하기어려운상황이다. 여성부 (2005) 가 2004 년도전국보육 교육실태조사의일환으로실시한유치원실태조사에도체육시설설치관련내용은포함되어있지않다. 이는유치원의체육시설설치정도에대한정부차원의무관심을반영하는예라할수있다. 다. 유아체육프로그램관련정책 1) 유아체육프로그램관련정책 유아체육관련프로그램은체육진흥과관련된제반법률과유아가참여

99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81 하고있는체육수업이나체육활동뿐아니라, 유아교육및보육관련법에 포함된유아교육과정과보육표준과정을포괄하는폭넓은의미로규정하고 접근하였다. 가 )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법제4조제1항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국민체육진흥에관한기본시책을수립 시행한다. 고규정하고있으며, 제2항에는 지방자치단체의장은제1항의기본시책에따라그지방자치단체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 시행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동법시행령제3조제1 항에서는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수립 시행하는국민체육진흥에관한기본시책에생활체육의진흥, 체육시설의설치 유지 보수및관리, 여가체육활동의육성 지원, 기타국민체육진흥에관한사항등을포함하도록규정하고있다. 또한제2항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제1항의규정에의한기본시책을특별시장 광역시장또는도지사에게시달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으며, 제3항에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제1항의규정에의한기본시책에따라연도별국민체육진흥시행계획을수립 시행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이러한규정은중앙정부에서수립하는국민체육진흥계획에체육활동프로그램, 시설, 지도자등제반사항이포함되어야함을의미한다. 한편, 제4조제1항에는 시 도지사는제3조제2항의규정에의하여시달된기본시책에따라당해특별시 광역시또는도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하여야하며, 시 도지사의경우에는이를시장 군수 구청장에게시달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제2항에는 시장 군수 구청장은제1 항의규정에의하여시달된체육진흥계획에따라당해시 군 구의체육

100 8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진흥계획을수립 시행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또한제3항에는 지방자치단체의장은제1항및제2항의규정에의한체육진흥계획과그추진실적을문화체육관광부령이정하는바에의하여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게보고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이렇듯국민체육진흥법에서는중앙정부와지방정부가국민과해당지역민의체육진흥계획을수립및시행하도록규정하고있다. 이러한법에근거하여중앙정부는국민체육진흥5개년계획을수립하여국민체육진흥을꾀하고있다. 유아체육진흥프로그램에대한법규정은없지만전국민을대상으로하는국민체육진흥계획이기때문에유아체육진흥프로그램등의계획도포함되어있다고할수있다. 다시말해, 유아를포함한국민전체의체육진흥을위한계획을수립하고이를추진해야할의무가중앙정부와지방정부에있다는것을의미한다. 나 ) 교육과학기술부유아교육법제13조제 1항은 유치원은교육과정을운영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으며, 제2항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제1항의규정에따른교육과정의기준과내용에관한기본적인사항을정하며, 교육감은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정한소정의교육과정의범위안에서지역의실정에적합한기준과내용을정할수있다. 고규정하고있다. 한편제3항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유치원의교육과정운영을위한프로그램및교재를개발하여보급할수있다. 고규정하고있다. 유치원에서교육과정을운영하도록규정된유아교육법제13조에입각해유치원교육과정이 1969 년처음고시된이후제7차유치원교육과정이 2009년 3월부터적용되고있다. 유치원교육과정에대한분석은유아교육

101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83 에서체육의중요도를파악하는데주요근거를제공해줄수있다. 특히, 제6차유치원교육과정이후 6년만에개정된제7차교육과정이올해부터시행되었기때문에, 향후몇년간유치원교육에서체육활동의위치를가늠하는주요자료가될수있다 년교육인적자원부는 2009 년부터시행되는제7차유치원교육과정을개정하면서유치원교육과정의성격을 국가수준의공통성과기관및유아개개인의수준별교육, 유아의전인적인성장발달과행복을추구, 유아의자율성과창의성을신장, 유아의일상생활과놀이속에서통합적으로실현해가는교육과정, 교육청과지역사회, 유치원, 교원, 유아, 부모의참여, 유치원교육의질적수준을유지, 관리 로정의하고있다 ( 교육인적자원부, 2007). < 표 Ⅲ-12> 유치원교육과정건강생활영역중체육관련내용및수준별체계 내용 나의몸인식하기 나의몸움직이기 하위내용 감각기관을활용하기 나의몸을인식하고움직이기 이동하며움직이기 제자리에서움직이기 도구및놀이시설을활용하기 바깥에서신체활동하기 Ⅰ 수준별내용 감각기관을활용해본다. 감각기관을협응하여활동한다. 몸의각부분에관심을가지고움직인다. Ⅱ 몸의각부분의특성을활용하여움직인다. 자신의신체능력을긍정적으로인식하고움직인다. 걷기, 달리기, 뛰기등을하면서몸을움직인다. 제자리에서몸을다양하게움직인다. 걷기, 달리기, 뛰기등을하면서제시된조건에따라몸을움직인다. 제자리에서제시된조건에따라몸을균형감있게움직인다. 공, 리본, 후프, 평균대, 매트등도구와놀이시설을활용하여신체활동을한다. 규칙적으로바깥에서신체활동을한다.

102 8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교육과정은 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생활 의 5개영역으로구성하였다. 이들영역중에서유아체육관련영역으로 건강생활 을들수있다. 건강생활 영역은감각및신체인식, 이동및비이동동작, 도구및시설이용, 야외신체활동으로구성된다. 건강생활 영역에는 긍정적자아개념형성, 일상생활에필요한기초체력배양, 심신의조화로운발달 에목표를두고있다. 감각기관을활용하여나의몸인식하고움직이기를하위내용으로하는 나의몸인식하기 와 비이동 이동동작, 도구 놀이시설활용, 야외에서의대근육활동 의하위내용으로하는 나의몸움직이기 가포함된다. 유치원교육과정중건강생활영역에포함된이동하며움직이기와도구및놀이시설을활용하기등은유아의대근육체육활동을비교적구체적으로제시하고있다. 그러나상당수의유치원기관에서는체육활동공간의부족과언어영역및탐구영역과같은특정영역에치중된읽기, 쓰기, 말하기등의인지발달을위한교육으로 ( 이광옥, 2008; 이석순, 2004) 체육활동이제대로이루어지지않고있다. 특히, 교육과정에대한평가가이루어지지않고있기때문에이동하며움직이기나도구및놀이시설을활용하기등의체육활동놀이가대신바깥에서신체활동하기등으로대체되는경우가일반적이라할수있다. 따라서현재건강생활영역에포함된교육과정이유치원에서충실히이루어질수있도록관리할수있는장치마련이필요하다. 건강생활영역에서교사가지도시유의할점으로, 첫째, 유아의발달수준을고려한다양한수준의도구와활동제공, 둘째, 야외에서규칙적활동을통해유아기에필요한기본운동기능과기초체력배양, 셋째, 체계적대근육활동을통해신체를조절하고성취감을맛볼수있도록지도하는등의내용을제시하고있다.

10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85 유치원교육과정에서영역별독립적활동에비해통합적신체활동프로그램이긍정적효과를가져온다는사실은여러연구에의해보고되고있다. 통합적활동은신체적자아개념과지각운동능력을증진시키며 ( 황순각, 2000; 임성혜, 2005), 기본운동능력과창의적표현향상에긍정적영향을미친다고보고되고있다 ( 이만수, 2006). 또한현장의교육담당자들은유아의전인적발달을위한통합교육의필요성을인지하고있으며, 이를위해관련프로그램의개발및보급, 교사의전문성제고, 교육환경의개선등을제시한것으로보고하고있다 ( 김영주, 2005). 이와같이유아의체육활동은통합적교육으로이루어져야하지만현재유아교육기관에서는언어영역및탐구영역과같은특정영역에치중되어읽기, 쓰기, 말하기등의인지발달을위한교육으로편중되어있다 ( 이광옥, 2008; 이석순, 2004). 유아의신체활동교육현황에관한연구 ( 김민정, 2000; 김영주, 2003; 이만수, 2006) 에서는유아의특성과발달단계에적합하지못한프로그램운영과타교육영역과의연계성부족, 미진한신체활동및교육환경때문에통합적교육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다는점이지적되고있다. 또한대부분의교사가여성이어서유아체육에대한자신감이낮고전문지식도부족하여양적, 질적측면에서미흡하며 ( 김은심, 2005; 윤애희, 박정민, 1999), 외부체육교사에의해실행되는체육교육은대부분생활주제와연계성이없이단순히운동기술만을교육하므로한계가있다고지적하고있다 ( 이광욱, 2008). 이러한한계를보완하기이해서는유아체육을지도할수있는교사의자질향상과교사가적용하기쉬운통합적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 보급이필요하다는주장이제기되고있다 ( 이광욱, 2008).

104 8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다 ) 보건복지가족부영유아보육법제29조제1항에따르면, 보육과정은영유아의신체 정서 언어 사회성및인지적발달을도모할수있는내용을포함하여야한다. 고규정되어있으며, 제2항에는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은표준보육과정을개발 보급하여야하며필요하면그내용을검토하여수정 보완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제3항에는 보육시설의장은제2항의표준보육과정에따라영유아를보육하도록노력하여야한다. 고규정하고있다. 영유아보육은영아보육법제29조와시행규칙제30조에규정된표준보육과정에준해이루어진다. 표준보육과정은보육시설영유아의보육목적과보육목표달성을위해국가수준의보육과정으로보육시설에서운영해야할보편적보육과정을제시한것이다. 표준보육과정의목적은영유아의전인적성장과발달을돕고민주시민으로서의자질을길러영유아가심신이건강하고조화로운사회구성원으로자랄수있도록하는데있다 (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제30 조별표 8의2). 보육과정의목표중 자신의신체에대해긍정적으로인식하고기본운동능력을기른다 는내용이유아체육과관련된부분이라할수있다. 표준보육과정의구체적보육내용은영유아의전인적인성장을도모하기위해건강 안전 바른생활태도를기르는 기본생활, 긍정적으로신체를인식하고기본운동능력을기르는 신체운동, 긍정적인자아개념을형성하고더불어살아가는능력을기르는 사회관계, 언어생활의기초가되는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능력을기르는 의사소통, 탐색및문제해결능력을기르는 자연탐구, 그리고예술적요소를경험하고즐기는 예술경험 등 6개영역으로구성되어있다. 또한각영역은만 2세미만, 만 2세,

105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87 만 3~5 세영유아등연령집단별로구분하며, 각연령집단별보육내용은각각의수준으로나누어서만 2세미만보육내용은 수준, 만 2세보육내용은 1 2수준, 만 3~5세보육내용은 수준으로구분한다. 이러한표준보육과정의보육내용중유아체육과관련된 신체운동 은유치원교육과정에비해더구체적으로기술하고있다. 신체운동 영역은자신의신체를긍정적으로인식하고즐겁게신체활동에참여함으로써영유아기에필요한기본운동능력을기르는데목표를두고있다. 신체활동영역의세부목표는첫째, 기본적감각능력을키우고, 자신의신체를긍정적으로인식, 둘째, 신체를조절하고기본운동능력배양, 셋째, 신체활동에즐겁게참여를지향하는데있다. 신체운동영역은감각과신체인식, 신체조절과기본운동, 신체활동참여의세가지내용범주로구성되어있다. 감각과신체인식의목적은영유아가감각능력을기르고감각기관을활용하며자신의신체를긍정적으로인식하도록하는데있으며, 신체조절과기본운동의목적은영유아가협응력과신체조절능력을기르고신체균형감을익히며이동, 비이동, 조작운동등의기본운동능력을습득하여, 자신의신체를유연하고활발하게움직이는의지와능력을키우도록하는데있다. 신체활동참여의목적은영유아가신체활동을할때적극적으로참여하고, 다양한기구를활용하여안전하고즐겁게신체활동을하는경험을통해서기초체력을형성하고생활하면서규칙적으로운동할수있도록하는데있다. 영유아보육을위한표준보육과정의신체활동참여목적은유아의체육활동의중요성을잘보여주고있다. 실제로어린이집평가인증에신체활동과수업시수가포함되어있어, 유치원에비해상대적으로유아체육활동에대한체계적관리가이루어지고있다고할수있다.

106 8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Ⅲ-13> 표준보육과정신체활동중체육관련연령별내용과목표 내용범주 만 2 세미만만 2 세만 3~5 세 감각과신체인식 감각적자극에반응하기 감각기관으로탐색하기 신체탐색하기 감각능력기르기 감각기관활용하기 신체를인식하고움직이기 감각능력기르기 감각기관활용하기 신체를인식하고움직이기 신체조절과기본운동 대근육조절하기 소근육조절하기 협응력기르기 균형감기르기 이동운동시도하기 비이동운동시도하기 신체조절력기르기 신체균형감기르기 이동운동하기 비이동운동하기 조작운동하기 신체조절력과균형감기르기 이동운동하기 비이동운동하기 조작운동하기 움직임의요소를인식하고움직이기 신체활동참여 몸움직임즐기기 기구를이용하여신체활동시도하기 신체활동에참여하기 기구를이용하여신체활동하기 안전하게신체활동하기 자발적으로신체활동에참여하기 여러기구를이용하여신체활동하기 안전하게신체활동하기 표준보육과정에서는영역별교사지침에서표준보육과정의영역에따른연령집단별교사지침은연령별보육목표와내용뿐아니라교사가각영역에서알아야할영유아에대한발달지식, 바람직한물리적환경구성과지도방법, 지도할때유의할점등을제시하고있으며, 보육교사는보육과정을계획하고운영할때교사지침의내용을숙지하여환경구성및영유아지도시이를반영하고교사와영유아간바람직한상호작용이이루어질수있도록해야함을강조하고있다.

107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89 2) 유아체육프로그램관련현황가 ) 체육관련시설의프로그램현황체육관련시설에서유아체육관련프로그램이어느정도이루어지고있는지에대한조사가아직까지이루어진적은없다. 무수한형태의체육시설에서유아체육이어느정도실시되고있는지를파악하는것은현실적으로어려움이많다. 이는새로이설치및운영되는체육시설이많기때문이다. 이에본연구에서는전국공공체육시설생활체육관에국한해유아체육시설프로그램을파악하였다. 생활체육관은수영장과체육관등유아기에참여할수있는다양한시설이갖추어져있어유아의체육활동프로그램이다른체육시설에비해이루어질가능성이높다. 또한 2008년말기준으로전국에 228개소가설치되어있어,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실시현황을파악하는데유의한자료를제공해줄수있다 년 8월현재 228 개생활체육관에서실시하고있는유아체육프로그램을조사하기위해인터넷조사와전화조사를병행하였다. 전화조사는인터넷상에프로그램이게시되어있지않은시설에대해서만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프로그램명칭중유아, 아동, 어린이, 초등, 엄마와함께하는등의용어가들어간프로그램을선택, 세부연령대를파악한후본연구의유아연령대인만 3세에서취학전연령이포함된프로그램을모두분석하였다. 따라서유아연령대부터초등학생까지를포함하는체육프로그램도유아체육프로그램에포함되어분석되었다. 예컨대유아및어린이수영등이그예가될수있다. 유아체육프로그램을실시하고있는생활체육은총 101개소로나타났으며, 유아체육프로그램으로는수영 (82개소) 이가장많았고, 유아체능단 (45개소), 축구 (22개소), 인라인 (15개소)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시도별

108 9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로유아체육프로그램실시현황을살펴보면, 서울 68개소중 58개소, 경기 19개소, 부산 5개소, 대구 5개소, 인천 3개소, 광주 2개소, 대전 2개소, 강원 1개소, 충북 3개소, 전남 1개소, 경남 3개소에서유아체육관련프로그램을실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그러나울산, 충남, 전북, 경북, 제주지역에서는유아체육프로그램이전혀실시되고있지않은것으로나타났다. < 표 Ⅲ-14> 전국공공체육시설생활체육관의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현황 시 도 서울 시 군 구 시설명 수영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강남스포츠문화센터 1* 수서청소년수련관 2* 강남주민편익시설 1 송파구 송파구체육문화회관 1* 강동구 온조대왕문화체육관 1 1 강북구강북웰빙스포츠센터 1 1 청소년수련관 2* 강서구 관악구 광진구 강서구민올림픽체육센터 2* 1 공항동문화체육센터 1 마곡레포스센터 2* 관악구민종합체육센터 2* 신림체육센터 1 광진문화예술회관 2* 광진구민체육센터 1 서울여성능력개발원 1 태권도 유아체능단 기타

109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91 시 도 서울 시 군 구 시설명 수영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구로구 구로청소년수련관 3* 1 구로구민체육센터 금천구민문화체육금천구센터 2* 금천청소년수련관 1* 1 동대문구민체육센터 이문체육문화센터 ) 동대문구 S 동대문청소년수련관 보드 동작구 서울여성플라자스포츠센터 마포구마포아트센터 2* 1 1 성동구 노원구 양천구 성동청소년수련관 2* 성동구민종합체육센터 2* 열린금호교육화관 1 1 노원구민체육센터 2* 시립노원청소년수련관 양천구민체육센터 태권도 신월문화체육센터 3* 양천주민편익시설 2* 목동청소년수련관 영등포구문래청소년수련관 영등포구민체육센터 2* 1 서대문청소년수련관 1 1 서대문구서대문체육회관 유아체능단 기타

110 9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시 도 시 군 구 시설명 수영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은평구은평청소년수련관 은평구민체육센터 2* 성북구 서초구 용산구 서울시립성북청소년수련관 태권도 성북종합레포츠타운 2* 1 개운산스포츠센터 1 성북구민체육관 1 서초구민체육센타 1* 1 1 언남문화체육센터 1 2) 용산문화체육센터 3* 1 효창종합사회복지관 1 갈월종합사회복지관 1 유아체능단 기타 용산청소년수련관 1 1 종로구 중구 중랑구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3* 종로구민회관 3* 종로문화체육센터 3* 1 충무아트홀스포츠 2 센터손기정문화체육센터 2 중랑문화체육관 2* 1 중랑구민체육센터 4* 1 1 시립망우청소년수련관 특공무술

111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93 시 도 부산 시 군 구 시설명 수영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금정구금정구국민체육센터 2* 1 해운대구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태권도 1 1 연제구 곰두리스포츠센터 1 서구 부산국민체육센터 2 1 사하구 사하구국민체육센터 2* 1 배드민턴 달서구청소년수련관 유아체능단 기타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올림픽기념국민생달서구 1 1 활관대구광역시청소년 1 수련원동구동구문화체육회관 1 수성구수성구처소년수련관 1 1 남동구올림픽기념국민생 활관 1 1 부평구 부평국민체육센터 1 계양구 계산국민체육센터 북구청소년수련관 1 서구서구문화센터 서구서구국민체육센터 1 유성구구즉국민체육센터 1 성남시 분당스포츠센터 1 1 3) 탄천종합운동장체육관 1

112 9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시 도 강원 충북 시 군 구 시설명 수영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수정청소년수련관 정자청소년수련관 1 고양시 일산올림픽스포츠센터 2* 1 고양어울림누리내몸과마음닦음터 1 과천시 과천시청소년수련관 1 광명시 광명국민체육센터 1 구리시 구리시민체육센터 1 김포시 통진문화회관 1 남양주시종합운동장체육문화센터 1 시흥시 시흥시국민체육센터 1 1 안산시 용인시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용인시여성회관 YMCA 스포츠센타 2* 용인시청소년수련관 1 1 의왕시의왕시국민체육센터 1 의정부시의정부스포츠센터 1 하남시하남국민체육센터 1 1 수원시서수원체육관 영흥체육관 1 철원군철원문화복지센터 청원군청원국민체육센터 1 청주시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1 태권도 유아체능단 기타 4)

113 Ⅲ. 국내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95 시 도 전남 시 군 구 아산시 시설명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수영 1 리듬체조 체조 줄넘기 신체놀이 목포시국민체육센터 1 유아프로그램 인라인 유아체육 축구농구요가풋살 태권도 유아체능단 기타 경남 김해시 장유스포츠센터우정관 1 동부스포츠센터 1 진해시 종합사회복지관 1 1 창원시 시민생활체육관 1 전국합계개소 / 프로그래램수 82 / / / * 모자수영포함, 1) 오감발달창의놀이터, 실내놀이터드림짐, 2) 베베맘휘트니스, yoyo!play&gym 3) 피겨스케이트, 검도, 4) 유아스포츠 ( 수영, 발레 / 축구 ) 나 ) 유아관련시설의프로그램현황여성부 (2005) 가전국 764개유치원의교사를대상으로유치원의중점교육내용에조사한결과, 전인적유아발달 (59.9%), 인성지도 (32.5%), 안전한보호 (3.4%), 자유놀이중심활동 (2.6%) 순이었으며, 체육활동내용은포함되어있지않았다. 한편중점교육과정생활영역에대한조사결과, 사회생활 (16.3%), 언어생활 (16.7%), 표현생활 (16.3%), 건강생활 (16.2%), 탐구생활 (3.9%) 순으로나타나, 다른영역에비해건강생활에대한중요성이상대적으로낮게나타났다. 체육이교과과정의일환으로이루어지고있는유치원은없는것으로나

114 9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타났으며, 특별활동프로그램으로이루어지고있었다. 특별활동프로그램은별도의강사를초빙하여별도의비용을받고실시하고있는프로그램을의미하는것이다. 전국 767 개유치원원장을대상으로특별활동프로그램을한가지이상하고있는지를조사한결과, 33% 인 252개에서프로그램을실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실시하고있는특별활동프로그램으로는미술 (19.3%), 외국어 (16.8%), 체육 (12.0%), 음악 (9.5%) 순으로나타났다 ( 여성부, 2005). 이러한결과는체육이특별활동프로그램으로비교적선호되고있다고해석할수있다. 그러나한편으로는특별활동프로그램이교육적측면에서유아의발달을도모하기위해특별이제공되는활동이라기보다는특기교육중심으로되고있다는우려의목소리가높은실정이다. 여성부조사결과, 사립유치원의 73% 가특별활동프로그램을실시하고있는반면공립유치원의 5% 만이실시하고있는이유는특별활동프로그램이유치원운영과직결되기때문이다 ( 여성부, 2005). 다시말해사립유치원이부모가부담하는교육비에의해운영되기부모의요구를무시할수없고이러한현실이특별활동프로그램을실시하는가장큰이유가된다는것이다 ( 김규수외, 2002). < 표 Ⅲ-15> 유치원의특별활동프로그램실시현황 ( 단위 : %) 구분 미술 외국어 체육 음악 과학 교구이용 한글 컴퓨터 공립 사립 전체 출처 : 여성부 (2005) 년도전국보육 교육실태조사유치원실태조사보고.

11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9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 독일 가.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독일은 16개의주로이루어진연방공화국으로연방정부아래각주마다주정부가있는데, 각주정부마다연방법을바탕으로독립적으로법을제정하고지침서를만들수있는권한이있다. 스포츠정책사업은주정부와지방자치단체, 그리고다양한시민단체에의해수행되는데연방정부에서제시한기본틀하에주정부끼리경쟁을하도록하고있다. 따라서유아체육의추진체계를분석하기위해서는주정부차원과지방자치단체를분석할필요가있다. 이에여기에서는 16 개주중에서니더작센주 (Niedersachsen) 와이주에속해있는오스나브뤼크를중심으로유아체육관련조직의추진체계를살펴보았다. 1) 유아체육관련조직가 ) 체육관련조직 (1) 정부조직 ( 가 ) 연방정부 : 연방내무부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1 정책사업독일연방차원에서의스포츠정책및사업은 19개의정부부서중내무부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에서주로담당하고있다. 내무부는연방스포츠정책중주로엘리트스포츠육성에관한스포츠정책과사업을

116 9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계획하고있다. 따라서연방차원에서유아체육정책과관련된사업은거의추진하고있지않으며, 비정부조직인독일올림픽체육회를중심으로주스포츠협회와스포츠클럽에서이루어지고있다. 한편, 연방내무부외에연방정부의 10개부서즉, 연방외무부, 연방재무부, 연방노동사회부, 연방국방부, 연방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부, 연방보건부, 연방교통주택건설부, 연방환경자연보호핵안전부, 연방교육, 연구부, 연방경제기술부에서각부처가담당하는영역에관련된스포츠업무를담당하고있다. 2 조직구성연방정부의조직은내무부, 연방외무부, 연방재무부, 연방노동사회부, 연방국방부, 연방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부, 연방보건부, 연방교통주택건설부, 연방환경자연보호핵안전부, 연방교육, 연구부, 연방경제기술부등 11 개부서가있다. 이부서중내무부가연방정부차원의스포츠업무를추진하고있으며, 나머지 10개부서는해당부서의업무와관련된스포츠업무를담당하고있다. < 표 Ⅳ-1> 연방정부조직구성및업무 조직 내무부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연방외무부 (Auswärtiges Amt) 연방재무부 (Bundesminist erium der Finanzen) 업무 엘리트스포츠, 경쟁스포츠, 장애인스포츠, 스포츠의학, 스포츠과학에대한업무를담당 국제업무와엘리트스포츠를위한스포츠시설건설 연방경찰의엘리트스포츠를지원 스포츠를통한이주민과외국인, 비행청소년과의통합지원 외교문화정책적스포츠육성을담당 스포츠세금문제와세관청의스포츠, 우체국스포츠 (Postsport)

11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99 연방노동사회부 (Bundesministerium für Arbeit und Soziales) 연방국방부 (Bundesminist erium der Verteidigung) 연방가족 노인 여성, 청소년부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und Jugend) 연방보건부 (Bundesminist erium für Gesundheit) 재활과직장생활에서의스포츠영역에서의장애인스포츠육성 연방방위군의엘리트스포츠육성 연방의아동과청소년계획에서의청소년스포츠를육성 여성체육, 가족스포츠, 연령에따른운동, 놀이, 스포츠지원, 공익근무로서의스포츠를담당 건강과관련된의미로서스포츠를육성을담당 연방교통주택건설부 (Bunde sministerium fü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 철도스포츠클럽을지원 연방환경자연보호핵안전부 (Bundesministerium für Umwelt, Naturschutz und Reaktorsicherheit) 연방교육, 연구부 (Bundesministerium für Bildung und Forschung) 연방경제기술부 (Bundesministerium für wirtschaftliche Zusammenarbeit und Entwicklung) 방자연보호법과같은법적규정과관련하여스포츠와환경에관한재정적문제와프로젝트에대한영역을담당 학교체육지원과대학스포츠 개발정책적스포츠육성을지원 ( 나 ) 주정부 : 니더작센주의내무 스포츠 통합부 (Niedersächsisches Ministerium für Inneres, Sport und Integration)

118 10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 유아체육관련법률독일연방정부헌법 (Grundgesetz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제1조제3항에따르면, 스포츠정책의재정적지원은주의책임하에이루어지도록규정되어있으며, 주스포츠협회와스포츠클럽등지역공동체를경유해집행된다. 니더작센주의스포츠진흥정책은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에서담당하고있다. 지역스포츠협회와그와협력관계를이루고있는스포츠조직과스포츠클럽의재정적지원은니더작센주로터리법 (Niedersächsisches Gesetz über das Lotterie-und Wettwesen- NLottG) 제8조에근거하고있다. 로터리법에는겜블사업으로부터발생한수입의 25% 를체육진흥과같은비영리목적의사업에기부하도록규정하고있는데, 니더작센주는이법에의해스포츠지원금을받고있다. 한편, 지역스포츠협회에대한지원은체육진흥법 (Sportförderungsrichtlinien) 에근거하고있다. 그러나유아체육과관련된별도의법률은규정되어있지않으며, 전국민의스포츠진흥차원에유아가포함되어있다고할수있다. 2 조직구성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의주요업무는스포츠클럽과스포츠협회의체육활동을제반지원업무를담당하고있다. 스포츠지원금은니더작센주로터리법 (NLottG) 8조에명시된체육진흥조항을기반으로계획된다. 지역스포츠협회의다양한지원영역에대한규정이명시된체육진흥법 (Sportförderungsrichtlinien) 에입각해사회체육 ( 사회체육지도자보조금지급 ) 지원, 경기스포츠지원, 체육전공자교육에대한지원, 스포츠클럽시설건설지원이이루어지며, 지도자교육과스포츠아카데미운영및재정적지원업무를담당하고있다. 이는니더작센주차원에서유아

11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01 대상체육진흥사업을별도로추진하고있지는않다는것을의미한다. 이렇듯국가스포츠행정기관은스포츠자치조직을재정적으로지원하고, 주정부는체육진흥의실질적업무를스포츠자치조직에게위임하며스포츠조직에대한서로의자유와책임을존중하고조직적으로협력하는관계이다. 이런협력시스템의구축은벌써오래전부터스포츠클럽과스포츠협회의점점증가하는회원수를보더라도독일체육진흥의긍정적인효과로충분히인정받고있다. ( 가 ) 기초자치단체 :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사무국 (Sportamt Osnabrueck) 1 유아체육관련법률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사무국은오스나브뤼크시시민들의스포츠활동을행정적 재정적으로지원해주고, 시민에게스포츠기관과스포츠프로그램에대한정보를제공하고있다. 또한스포츠시설과장소를제공함으로써경기스포츠활성화와생활체육저변확대를도모하고스포츠클럽운영및시설에대한보조금을지급하고있다. 이러한지원은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법 (Sportförderungsrichtlinien - SpFördR.) 에근거하여이루어지고있다. 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법에는스포츠클럽소유의시설설립, 스포츠시설운영을위한지원, 경기스포츠지원, 장애인스포츠지원, 체육지도자양성교육과체육지도자를위한보조금, 스포츠기구, 체육진흥프로젝트등에대한지원이포함되어있다. 오스나브뤼크시는스포츠클럽의유지비및운영비에대한보조금을적극지원하고있으며, 스포츠클럽의스포츠시설운영및유지비에대한시보조금승인은학교위원회와스포츠위원회에서결정한다 ( 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법 - SpFördR. 15조 1항 ). 지역스포츠협회의스포츠용품지원은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법제21 조에입각해이루어지고있다. 이규정

120 10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에의하면, 영구적스포츠용품구입시, 기본적으로최대만유로까지전체금액의 3분의 1을보조해줄수있다. 상기에서살펴본것처럼, 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법에유아체육과관련된별도규정이포함되어있지는않다. 그러나스포츠클럽에가입하여체육활동에참가하는유아가많기때문에스포츠클럽지원의유아의체육활동지원으로연결된다고할수있다. 2 조직구성관광및여가를전담하는부서에서스포츠에대한전체적인업무를담당하고있다. 이부서의업무로는수영장, 스포츠시설, 스포츠클럽, 스포츠지원등이있다. 유아체육을담당하는독립부서는없지만유아및청소년들이함께사용할수있는시설유지및건설업무를주관하며, 유아체육수업이이루어지는스포츠클럽의지원및육성을돕고있다. 오스나브뤼크시는오스나브뤼크지역스포츠협회를중심으로오스나브뤼크시의스포츠클럽건설및운영지원을담당하는데, 이는오스나브뤼크체육진흥법에상세히규정되어있다. 스포츠용품구입시재정을지원하고있다. (2) 비정부조직 ( 가 ) 연방조직 : 독일올림픽체육회 (Deutschen Olympischen Sportbund: DOSB) 1 유아체육관련법률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 (Deutsche Sportjugend: dsj) 는비영리민간체육행정기구인독일올림픽체육회 (DOSB) 에소속된아동및청소년스포츠를담당하는기관으로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의지원을받으

12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03 며, 16개의주청소년스포츠협회및 90,000 개가넘는스포츠클럽, 53개의전문스포츠협회그리고 10개의청소년관련스포츠협회가회원으로등록되어있는유럽에서가장큰유아및청소년복지를위한연방청소년스포츠연맹이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비정부조직인사회시민단체이지만, 정부의과제를위임받아, 연방정부의지원을받으며, 청소년스포츠지원을위한중심지원조직체를역할을하고있다. 청소년스포츠협회의사업법규 (Geschaeftordnung) 제10조제1항에도명시되어있듯,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유아및청소년복지법 (Kinder und Jugendhilfegesetz KJHG) 에의거한전체청소년단체의이익을내 외적으로대표한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 (dsj Jugendordnung) 제2조제1항에는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스포츠를통해서, 그리고스포츠안에서발생되는모든청소년관련업무를지원하고촉진한다고규정되어있다. 그리고유아및청소년복지법을토대로구성된청소년을위한조직으로업무수행에있어그과제를고려해야한다고규정되어있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전국연맹으로서회원조직의이익을대변하며, 스포츠에관심있는모든유아및청소년들의요구를수렴하며, 사회정책과청소년정책에영향을미친다. 유아및청소년의인성발달에공헌하며. 사회행동능력을촉진시키고, 유아및청소년의사회활동을권장하고지원한다고규정되어있다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제2조제2항 ). 유아체육정책에관한사항은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제2조제4항에규정되었다. 이규정에따르면,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회원조직뿐아니라스포츠와관련되거나일반적인청소년관련사회단체와협력하여발전시키고, 스포츠를통해유아및청소년의교육과보육, 그리고

122 10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양육을지원함으로써유아및청소년정책과제를해결해나가는데공헌하 도록하고있다. 2 조직구성독일올림픽체육회는 2006년 5월 20일독일체육회와독일올림픽위원회가통합되면서새롭게사용하게된명칭이다. 독일올림픽체육회는비정부조직으로 16개의주스포츠협회, 60개의전문스포츠협회, 20개의스포츠관련단체가회원으로있는연방스포츠상부조직이다. 독일올림픽체육회조직은크게경기스포츠, 스포츠개발, 청소년스포츠로나뉜다. 이중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에서청소년스포츠관련업무를수행하는데, 전국청소년스포츠상부조직으로서전체적인틀을조직하고, 다양한프로젝트및모델을실행및지원하는역할을한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유아및청소년지원법을기초로독일연방과독일주의연방조직시스템으로 16개의주청소년스포츠협회들과소통하고연방정부및주정부와협력하여유아및청소년스포츠단체를지원한다. 청소년스포츠에대한지침서제정이나청소년법개정등에관한총회관련사항을주업무로하고있다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제5조제2 항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스포츠진흥부, 사회통합부, 국제활동부, 사회봉사부로구성되어있다. 스포츠진흥부는유아체육과, 청소년스포츠과, 스포츠와학교에서의유아및청소년지원과, 환경및스포츠과, 도핑예방과로구성되어있으며, 사회통합부는스포츠및통합과, 프로젝트과, 기타활동과로구성되어있다. 국제활동부는국제적인청소년스포츠활동지원을담당하고있으며, 사회봉사부는시민들의자원활동및자원봉사, 쥬니어팀등에관한업무를담당하고있다. 이러한조직중스포츠진흥부유아

12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05 체육과에서유아체육에관한다양한모델프로젝트를주청소년스포츠협회 및청소년스포츠클럽과협력하여추진하고있다. ( 나 ) 주조직 : 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 (NIedersaechsische Sportbund: NSB) 1 유아체육관련법률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 (NSB) 는독일올림픽체육회하부조직인 16개의주스포츠협회중니더작센주를담당하는스포츠협회로, 약 9,600 개의스포츠클럽과 2007 년 1월기준으로 280 만명의회원을확보하고있으며, 니더작센주회원조직의이익을대변하고있다. 유아및청소년스포츠관련업무는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소속청소년조직인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 (Sportjugend Niedersachsen) 주관으로이루어지고있다.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역시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의하부조직으로,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의지원을받으며,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에서추진하는다양한프로젝트및모델을협력하여실행하고있다.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는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에명시된아동및청소년복지법에입각해유아및청소년을지원하는단체이며, 독일청소년스포츠의전체틀내에서자율적으로운영되고있다 (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제1조 ).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는니더작센주아동및청소년의스포츠저변확대와학교외교육과발달및사회복지를지원하는것을목적으로하고있다. 이러한목적달성을위한기본원칙으로는첫째, 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의회원들과모든담당기관및조직의이익대변, 둘째, 어린이들의인성발달과사회성을개발하고, 활발한사회활동지원, 셋째, 다른사람들과의책임감있는교제지원, 넷째, 아동및청소년에게스포츠교육

124 10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의장제공, 다섯째, 국제적청소년업무와여가선용, 사회통합, 스포츠를통한사회활동등의업무담당, 여섯째, 청소년교육기관과캠핑장소의운영담당등이있다.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는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청소년법제2조입각해, 아동과청소년이그연령과흥미에맞게스포츠를배우고즐길수있는장을마련해주고, 다양한경험의기회를제공해주고있다. 2 조직구성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는위원장실을중심으로감사실, 법무팀, 니더작센주올림픽기지, 연맹교류팀이구성되어있고, 사업영역은크게 2개로구분되어있다. 제 1사업영역에는스포츠진흥부, 조직육성부, 예산부가포함되어있고, 스포츠진흥부는프로그램개발팀, 환경및시설팀, 스포츠선수육성팀, 통합및스포츠와사회복지팀으로세분화되며, 조직육성부는스포츠행정특별교육팀, 조직관리및발전과정팀그리고예산부는기획예산팀, 경영전략팀, 토지관리팀으로이루어져있다. 제 2사업영역은청소년스포츠부 교육부 행정부로구성되어있으며, 청소년스포츠부는청소년정책팀 유치원 학교, 스포츠클럽체육팀, 니더작센주청소년협회교육기관관리팀으로, 교육부는스포츠아카데미팀, 스포츠관련자격증관리팀으로, 행정부는일반행정팀, 정보관리팀으로세분화되어있다. 유아체육은제 2사업영역의청소년스포츠부소속청소년정책팀과유치원, 학교, 스포츠클럽팀에서업무를담당하고있다. ( 다 ) 기초자치조직 :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 (Stadtsportbund Osnabrueck:SSB) 1 유아체육관련법률

12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07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 (SSB) 는니더작센주에속한기초자치조직중하나로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의지원과자문을받으며, 오스나브뤼크시의모든회원스포츠클럽과스포츠조직의이익을대변하는역할을한다.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체육진흥규정 (SSB-Sportfoerderrichtlinien) 에는오스나브뤼크시에서지원받는보조금및시설사용규정이상세하게명시되어있다. 오스나브뤼크시는시자체내의체육진흥명목으로배정된보조금의일부를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에지원해주는데, 특히생활체육지도자의활동과지도자교육, 스포츠클럽의기념일, 독일선수들의교통비, 장애인스포츠, 특별프로젝트, 공공스포츠기관및시설의사용등을지원하고있다.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에소속되어있는오스나브뤼크청소년스포츠협회 (Sportjugend im SSB) 는오스나브뤼크시아동및청소년을위한조직으로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의회원중아동과청소년으로이루어져있으며, 자율적으로운영되고있다 (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체육진흥규정제18조제 1항 ). 청소년법의기본원칙에따라청소년스포츠최고위원회에서는 2년에한번씩총회를개최하여청소년스포츠협회의운영계획에대한논의와평가가이루어진다. 오스나브뤼크시청소년스포츠협회는아동및청소년의스포츠활동과학교외아동및청소년교육및사회활동을담당하며, 오스나브뤼크의모든회원스포츠클럽과담당조직및기관에대해아동및청소년의이익을대변한다 (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체육진흥규정18조제4항 ). 2 조직구성

126 10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Ⅳ-2> 오스나브뤼크시지역스포츠협회 (SSB) 의조직구성및업무 조직스포츠정책개발부이익대변과협력부정보제공과상담부교육 / 행사부중재부홍보부행정부기타부 업무 스포츠클럽자문과정보제공, 스포츠정책적행사등의업무 전문협회와의협력, 행정관청과의협력, 스포츠이외의조직과의협력및자문 시민, 스포츠클럽, 전문협회관련상담과정보제공 지도자교육, 세미나, 학술회의조직과운영, 여가활동과여가프로그램의계획및조직, 운영, 스포츠프로그램의계획및스포츠행사의계획및조직을담당 전문적중재업무, 전문가와상담자를위한정보제공, 프로그램주선, 스포츠지도자중개업무를담당 미디어를통한홍보 시와지역스포츠협회에서지원하는보조금, 스포츠클럽접수, 스포츠클럽회원비, 정보업데이트, 재무조사를담당 독일스포츠인증제, 지역스포츠협회행사조직및진행 지역스포츠협회는스포츠정책개발부, 이익대변과협력부, 정보제공과상담부, 교육 / 행사부, 중개부, 홍보부, 행정부, 기타부로구성되어있다. 유아체육관련업무는유아교육기관과의협력지원프로그램, 유아체육교사양성및중개, 스포츠클럽운영지원및자문등을통해큰의미에서거의모든부서에서이루어진다고볼수있다. 유아체육에관한업무를주로담당하는청소년스포츠협회는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교육관련업무를담당하고, 여러스포츠클럽에서의다양한유아체육프로그램에대한정보를제공한다. 나 ) 유아교육및보육관련조직 독일의유아교육제도는독일유치원교육목적인공동생활을통한유아

12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09 의전인적발달지원과가정교육의보충임에따라보육 (Kinderbetreuung) 을중심으로이루어진다. 따라서교육부가아닌사회복지부인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 (Bundesministerin für Familie, Senioren, Frauen und Jugend) 에서유아의교육및보육을동시에담당하고있다. 독일은유아교육기관과유아보육기관관련조직을분리해담당하는한국의경우와는달리보육시설이라는커다란개념의범주안에 0세부터 3세까지를담당하는유아원 (Kinderkrippe), 3세부터 6세까지를담당하는유치원 (Kindergarten), 6세부터 12세까지의방과후보육을담당하는호르트 (Hort) 가포함되어있다. 3세부터학령기이전까지의연령을담당하는유치원을중심으로이루어지지만, 혼합연령집단에서의교육적가치에더무게를두고 0~6 세, 0세~12 세등의어린이들을연령에관계하지않고함께보육하는, 가정같은형식의사회교육적모델이늘어나고있는추세이다. 가정의상황에따라종일반혹은반일반으로운영되며, 연령과수준에상관없이교육과보육이함께이루어지고있다. 유아교육을교육부에서담당하지않고사회복지부에서담당하는이유는수년간의프로젝트와연구결과로유아기에는공부와같은학습시스템의교육과정보다는인성교육과기본생활습관교육, 친구사귀기를비롯한사회성교육이더적합하다는결론이도출되었기때문이다. 즉, 무엇인가를많이가르치기보다는친구를사귀어함께놀도록함으로써전인적인성장을돕고타고난개성을신장시키는데더역점을두는것이중요하다는결론때문에, 사회복지부에서유아교육을담당하고있다. 이렇듯독일의유아교육및보육은가정교육을보충하고부모가양육과직업활동을병행할수있게지원해주는보육의성격이강하다. 독일은연방국가이기때문에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정책과행정도연방정부와주정부에의해체계적으로추진되고있다. 연방정부에유아교

128 11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육및보육에관한정책과행정을관장하는중앙행정부처가있고주정부에도이에상응하는부처가있다. 또한자치단체에도유아교육이나보육을담당하는기관이있어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정책의전달체계가유치원이나유아원과같은유아교육및보육시설까지효율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독일의유아보육및교육체계를국가차원에서살펴보았을때 3단계로구성되는데, 첫번째단계는유치원이나보육원같은자치단체 ( 지역 ) 시설이고, 두번째단계는지역, 세번째단계는연방이다. 세번째단계인연방과두번째단계인지역은유아교육과보육의지원과관련된법규를제정하고지역은지역법에따라연방으로부터그권한을위임받아자율적으로행정적인업무를처리할수있다. 연방과지역은함께협력해서모델개발이나프로젝트를계획하며, 실제유아교육및보육사업은첫번째단계인유아교육및보육기관관련자치단체에서실행하고있다 (1) 연방정부 : 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 (Bundesministerium für Familie, Senioren, Frauenund Jugend) ( 가 ) 유아체육관련법률독일의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는별도의유아교육정책이나유아보육정책추진을위한행정조직으로청소년정책과행정을담당하는청소년행정부처에서유아교육과보육을담당하고있다. 연방정부차원에서는유아교육과보육에관련된전체적인틀만잡고, 각주에서지역실정에맞게법을제정한다. 독일의청소년정책은연방정부의사회복지법VIII(Sozialgesetzbuch VIII: SGB VIII) 에기반을두고있는데, 이법을아동및청소년복지법 (Kinder und Jugendhilfe Gesetz-KJHG) 이라고도칭한다. 이는유

12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11 아교육과양육및보육제도가사회복지의부분으로이해되기때문이다. 사회복지법 VIII 에는모든어린이는자신의발달에지원을받고, 책임감있고, 사회성있는사람으로교육받을권리가있다고규정되어있다. 이외에도아동의건강한발달과관련하여, 어린이의돌봄, 교육, 그리고양육을포함하는지원과제는어린이의사회적, 심미적, 신체적, 그리고정신적발달을도모하며, 이러한지원은어린이들개개인의연령과발달수준그리고언어능력이나그밖의능력, 그리고생활환경, 흥미와적성을고려하도록규정하고있다 ( 사회복지법VIII 제22조제3항 ). 이는연방정부의아동교육및보육관련법에유아체육내용이별도로규정되어있지는않으며, 건강한교육과보육차원에서신체적발달이강조되고있음을의미한다. ( 나 ) 조직구성독일행정부는국방부, 내무부, 교육과학부등총 18개부처로구성되어있다. 이중보육관련업무는청소년 가족 여성복지부에서담당하고있으며, 청소년정책, 민간봉사, 가족정책, 여성정책, 보건정책, 보건사회정책, 노인정책등에관한제반업무를관장하고있다. 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는가정및공공복지과, 노인과, 남녀평등지원과, 아동및청소년과, 방위사업과로구성되어있으며, 이중아동및청소년과에서유아교육및보육지원을담당하고있다. 모든연령의어린이들에게양질의환경과교육을제공하며, 부모들이양육과직업을병행할수있게지원해주는등독일전역에걸친유아교육및보육관련정책을담당한다. 사회복지법에유아체육관련법률이규정되어있지않기때문에연방정부조직에유아체육관련업무가명시되어있지않다.

130 11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주정부 : 니더작센주교육부 (Niedersaechsisches Kultusministerium) ( 가 ) 유아체육관련법률니더작센주아동및청소년정책은다른주와마찬가지로독일연방정부의아동청소년지원법에기반을두고, 주의특성과법률에따라자치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지역차원에서유아교육, 보육및양육담당부서가명확히정해져있지않지만, 대부분의주가교육부에서담당하고있으며, 일부주는복지부에서담당하고있다. 유아원과유치원의경계구분은지방법에준하고있기때문에 ( 유아보육강화법 : TAG), 주마다자율적으로지방법과지침서를제정할수있는권한이있다. 니더작센주의경우니더작센주사회 여성 가족 보건부내에서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관리감독, 조언및상담을담당했던청소년청 (Jugendamt) 은 2006년 10월 17일주정부의결정에따라, 2007년 1월 1월부터니더작센주문교부 (Niedersaechsisches Kultusministerium) 에서담당하고있다. 그러나재정적지원은지역학교청에서관리하고있다. 니더작센주문교부에서는니더작센주안의유아기관사업및운영에관하여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지침서인유아기관법 (Gesetz über Tages-einrichtungen für Kinder: Kitbag) 을제정하여, 니더작센주안의모든유아기관의유아보육및교육을위한지침서로활용되고있다. 이는니더작센주유아관련법에체육활동관련내용이별도로포함되어있지않음을의미한다. ( 나 ) 조직구성니더작센주교육부는 4개분과로구성되어있으며, 제 1분과는중심업무, 제 2분과는학교형태의시스템의업무와개혁, 제 3분과는일반학교와유아교육및보육기관, 제 4분과는직업교육을담당하도록조직되어있다.

13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13 이중제 3분과에서유아보육및교육을담당하고있다. 주정부는유아보육및교육시스템및내용의개선을위해개혁적인프로젝트나모델개발을지원하고, 니더작센주유아교육기관의유아교육및보육에관한지침서를제정하며, 연방정부와협력하여유아교육정책을실시하고, 유아교육에관련된재정을관할하고있다. (3) 지역자치단체 : 유아보육기관및교육기관유아보육및교육기관은유아기관법 (Kitbag) 에입각해일상적인교육, 의료, 사회적방침, 사고예방, 영양등제반측면을운영하고있다. 유아기관법에서는영유아교육에서놀이의중요성을크게강조하고있으며, 모든유아기연령에적합한방법으로독립적이면서도활동적으로놀수있는기회를제공하도록규정하고있다. 연방정부가발표한유치원운영기본지침에 각그룹은큰방하나와작은방하나를쓸수있어야하며, 각각의다른활동을할수있는공간이확보되어야한다. 또한, 신체활동을위해꾸며진독립된방이있어야만한다 는내용이포함되어있어놀이와신체활동의중요성을강조하고있다. 유아기관은교육의의무를실현시키기위해다른어린이들과함께어울리고싶은욕구를충족시켜줄수있는신나는생활공간과놀이, 움직임, 휴식, 안정감, 새로운경험이정당화될수있도록계획을수립하여한다고유아기관법제2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13조에규정되어있다. 2) 유아체육관련사업추진현황가 ) 유아체육관련조직 (1) 연방조직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전국스포츠연맹단체로청소년정책이나스포

132 11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츠정책에영향력을행사한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회원단체들의과제와업무에대한자문과지원을하며, 지침서및자료를제공한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의주업무는청소년스포츠에대한지침서제정, 청소년법개정등에관한총회이기때문에독일청소년스포츠사업법규의내용은의원선출, 청소년법개정, 사업법규에대한건의, 총회절차등총회에관한사항이대부분이다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사업법규제5조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의청소년법제5조제2항 a)-j) 에도총회를최상위기관으로규정하고, 독일청소년스포츠에대한사무와기본적인사항에관한자문, 독일청소년스포츠협의회, 업무지침서, 청소년법개정등의업무를담당한다고규정하고있다. 유아체육을담당하고있는부서인체육진흥부에서는매년다양한프로젝트와모델을계획해주청소년스포츠협회와지역청소년스포츠클럽과협력하여실행하며, 재정을지원해주고있다. 유아체육지도자양성을위한교육지침서를개정하고, 독일전역에체육지도자양성학교를세워이를재정적으로뒷받침해주고있다. ( 가 ) 스포츠클럽의재정적지원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지금까지 3회에걸쳐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 미래의상 프로젝트를통해, 스포츠클럽에재정을지원하였다. 움직임, 놀이, 스포츠를통해어린이회원들의일상생활에서의중요한능력의발달을돕고, 좋은교육환경을제공받지못하는어린이들이움직임, 놀이, 스포츠를통해사회적으로통합되고, 사회구성원으로서다양한기회를제공받을수있도록길을열어주는역할을하는스포츠클럽은이프로젝트에지원할수있으며, 채택된스포츠클럽은 12,000 유로의지원금을받을수있다 년도독일청소년스포츠 미래의상 프로젝트에는지역자치단체에서교육자로서활동적인역할을하고, 어린이눈높이에맞춘방법으로접근

13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15 하며, 어린이들에게의식적으로맘껏뛰어놀수있는공간과다양한프로그램을제공하고있는스포츠클럽은누구나지원할수있으며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 2009), 이프로젝트를통해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캠페인 어린이세상은움직임세상 (Kinderwelt ist Bewegungswelt) 을활성화시키는데목적이있다. 이캠페인은현대사회의움직임부족현상과줄어드는움직임공간그리고증가하는미디어매체속에서스포츠클럽을통해어린이들과청소년들의움직임욕구를해소시켜주고, 건강한발달을지원해준다는취지에서시작된운동이다 ( 청소년스포츠협회, 2009). ( 나 ) 오스나브뤼크학술대회 움직이는아동기 (Bewegte Kindkeit) 1981 년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가첫번째학술대회를개최한이래 2009 년 3월 12일~14 일까지 6번째오스나브뤼크학술대회 움직이는아동기 (Bewegte Kindkeit) 가개최되었다. 유아심리운동발달전문가인오스나브뤼크대학교 (Universitaet Osnabrueck) 레나테찜머교수 (Prof. Dr. Renate Zimmer) 가주최하였으며, 움직이는아동기 영역중독일에서가장큰학술회로 2,500명의유치원교사와움직임전문가, 움직임, 놀이, 스포츠영역종사자가참가하였다. 주제는움직임, 건강, 놀이공간을통한유아발달, 언어발달이며, 100 개가넘는워크샵과수십개의발표및강연이있었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학술위원회를통해학술회조직에참여했으며, 내용적인측면에서의자문과재정적지원을하였다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 2009). 정기적으로개최되는 움직이는아동기 학술대회는유치원교사들과유아체육교사, 그리고유아교육영역의여러전문가들이만나정보를공유하고, 새로운교육교재와내용을접할수있는교육의장이되고있다.

134 11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나 ) 유아교육및보육관련조직 (1) 연방정부 : 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연방정부는유치원과유아원의질향상을위해주와자치지역그리고교육기관에두가지프로그램을시행및지원해주고있다. 한가지는유아교육을위한포룸 (Forum) 으로, 모든어린이를위한가능한지원과교육, 그리고유아기관의유아교육수준발달등에관해전문가들이모여토론하는장으로서유아보육자리의확장뿐아니라그지레대하요구역시지원을받는다. 다른한가지는유아원홍보프로그램을시행및지원해주고있다. 이는유아보육교사의교육이어떻게이루어지는지, 그리고직업전망에대한정보를알려주기위한홍보프로그램이다. 200 개의모델기관에서시행했으며, 이를통해유아보육교사라는직업에대한관심을이끌어낼수있다 ( 연방가정 노인 여성 청소년부, 2009). 이는연방정부의유아교육및보육관련조직에서유아체육사업을별도로추진하고있지않다는것을의미한다. (2) 주정부 : 니더작센주교육부니더작센주에서유아교육및보육과관련사업은부모의재정부담을줄여주는곳에집중되어있다. 실제로 2007년 8월부터니더작센주에거주하는모든유아들의학교입학전 1년동안의유치원비를면제해주고있다. 니더작센주의이러한재정지원은부모의재정부담을줄여주고, 가족과직업을병행할수있게하는더나은조건과모든어린이들에게같은교육의기회를부여해주기위한정책으로추진되고있다 ( 니더작센주교육부, 2009).

13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17 (3) 지방자치단체지방자치단체도주정부와마찬가지로유치원교육비를지원하는등재정지원사업을추진하고있다 년 8월부터베를린 (Berlin), 라인란트-팔츠 (Rheinland-Pfalz), 자룰란트 (Saarland), 헤센 (Hessen), 니더작센 (Niedersachsen) 주에서는학교입학전 1년동안의유치원교육비를무상으로지원하는정책을추진중이다. 교육적기본원리에따라외국어로진행되는언어유치원이있는데, 프랑스유치원, 이태리유치원, 스페인유치원등이있다. 또움직임교육원리에따라움직임과놀이를강조한움직임유치원과스포츠유치원은정책적으로도지원을받으며, 전지역에걸쳐확대되고있는유치원형태이다. 다양한유아기관의증가와더불어연령에따른대상을구분하여운영하는유아기관대신혼합연령으로이루어진통합된형태의유치원이생겨나고있는추세이다. 나. 유아체육관련정책 1)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가 ) 체육관련조직연방정부와주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지도자가양성되고있지는않다. 그러나연방정부의위임을받아스포츠사업및정책에실질적역할을담당하고있는독일올림픽체육회를중심으로유아체육지도자양성사업이추진되고있다. 독일올림픽체육회는각주가서로경쟁하되서로비슷한수준을유지하고, 전체적인틀을잡을수있도록통합교육지침서를제공하는역할을하고있다. 또한주스포츠협회와전문스포츠협회와협조체제속에독일전역에스포츠학교를세워유아체육지도자양성교육을전적으로주

136 11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관하며, 유아체육전문지도자를배출하고있다. 독일에서는스포츠나유아에관심이있는사람이면누구나유아체육지도자교육을받을수있으며, 자격시험에합격하면유아체육지도자로활동할수있다. 체육지도자자격획득을위한스포츠협회의체육지도자양성과정은시에서인정받을수있으며, 자격시험요강과허가요건은전문기관의승인이필요하다. (1) 독일올림픽체육회독일올림픽체육회는 2005 년 12월퀼른에서열린임시회의를통해기존의통합교육지침서를스포츠산업의발달과변화된사회경제적조건그리고협력조직의기대에맞게새로개정하였다. 생활체육지도자및트레이너를위한교육의기본방향과행정지도자의통합교육및시험ㆍ보수에대한기본방향을결정하고지도자의역할과제에따른역할영역의세분화그리고자격증부여제도와교육에필요한교과과정에대한통합교육지침서를완성하였다. < 표 Ⅵ-3> 의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의구조를살펴보면,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은 1급부터 4급까지로나뉘며, 1급 (C) 은사회체육지도자C급,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C급,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C급, 유아및청소년체육지도자, 행정지도자 C급이속하고, 2급은일반사회체육지도자B 급, 예방스포츠지도자 B급, 재활스포츠지도자 B급,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B급,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B급, 행정지도자 B급이속한다.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A급,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A급은생활지도자자격증 3급으로더세분화되고전문화된지도자교육을받으며, 그위 4급으로올라가면디플롬트레이너와 DSB 스포츠심리치료사자격증에속한다. 행정지도자와 DSB 스포츠심리치료사자격증취득을제외한

13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19 다른모든자격증코스는자격증준비단계에해당하는최소 30수업단위이상의수업을이수해야하며, 그이후지도자과정이세분화되기전에사회체육지도자, 트레이너, 유아및청소년지도자를위한스포츠통합기초자격증을취득해야그상위단계의지도자과정에참가할수있는자격이부여된다. 보통 2년동안자격증이유효하며정해진기간이경과하면재교육을받아자격증유효기간을매번연장해야한다. < 표 Ⅳ-3>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의구조 4 급 3 급 (A) 최소 90 수업단위이상 1 수업단위 = 45 분 2 급 (A) 최소 60 수업단위이상 1 급 (A) 최소 120 수업단위이상 일반사회체육지도자 -B 생활체육지도자 예방스포츠지도자 -B 일반사회체육지도자 -C 재활스포츠지도자 -B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 A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 B 일반실기지도자트레이너 -C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디플롬트레이너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A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B 전문실기지도자트레이너 -C 유아및청소년체육지도자 유아및청소년체육지도자 생활체육지도자, 트레이너, 유아및청소년지도자를위한스포츠통합기초자격증 ( 최소 30 수업단위 ) 행정지도자 행정지도자 -B 행정지도자 -C DSB 스포츠심리치료사 DSB 스포츠심리치료사 자격증준비단계 ( 최소 30 수업단위이상 )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취득을위한준비단계 트레이너자격증취득을위한준비단계 유아및청소년체육지도자자격증취득을위한준비단계

138 12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을취득하기위해서는유아및청소년스포츠관련수업중적어도 120수업단위 (1수업단위 = 45분 ) 를이수해야하며, 교육과정은다양한스포츠활동의계획, 프로그램작성, 수업실행과평가에대한내용으로이루어지며. 유아및청소년행사및프로그램을지원하고조직하는교육과정도이에포함된다 ( 독일올림픽체육회, 2009). 주스포츠협회는독일올림픽체육회에서개정한통합교육지침서를바탕으로주청소년스포츠협회, 주전문스포츠협회, 스포츠아카데미, 지역스포츠협회와협력하여생활체육지도자양성학교를세워각지역주민에게다양한자격증코스를제공하고있다. 나 ) 유아교육관련조직 (1) 연방주정부 : 가족 여성 노인 청소년부유치원및유아원교사양성교육및지원은교육및양육계획을중심으로이루어진다. 이는연방주가연방의권한을위임받아독립적으로관할하고있지만, 기본적으로평생교육으로이끌며, 전인적발달을도모하고자율적이지만책임감있는즉, 함께사는사회를위한기초능력을개발시키는것을목적으로하고있다. 연방은유치원교사를사회교육전문학교나사회교육전문아카데미, 교육직업콜레그스 (Berufkollegs) 직업학교출신의학생이유치원교사자격시험을준비하기위해다니는학교에서인정하는교육 ( 양육 ) 교사 (Erzieher/Erzieherin) 를양성하고있다. 일반적으로 교육 으로해석되어지나, 양육의성격이더강하다. 교육 ( 양육 ) 교사교육의직업영역은아동과관련된영역뿐아니라청소년양육, 노인이나정신지체자, 정신병이있는사람을돌보는영역까지도포함된다. 교육 ( 양육 ) 교사는유치원, 유아원, 교육지원시설이나청소년사

13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21 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아동및청소년회관에서일을할수있다. 독일전체약 25만명이넘는교육 ( 양육 ) 교사중약 5% 정도만이 3살이하의어린이를담당하는유아원에재직하고있다. 유아움직임교육에대한중요성이강조되면서, 교육과정에움직임영역강조되고있으나전문유아체육교사양성에대한언급이없는실정이다. 유아체육교사양성은대부분독일올림픽체육회를중심으로생활체육지도자양성교육기관에서이루어진다. (2) 주정부 : 니더작센주문교부유아기관법과아동및청소년지원법에유치원교원과관련된자격요건이규정되어있으나유아대상체육지도자에대한별도의규정은없는실정이다. 2004년 2월부터니더작센주문교부에서추진하는 움직이는유치원 이라는프로젝트에유치원교사교육이포함되어있어, 세미나교육을통해모델유치원에서의움직임을통한유아교육및발달을지원하고있다. 또한유치원교사를양성하는직업학교와사회교육전문학교의교육과정에유아체육과관련된움직임교육내용을확대및강화시키고있다. 교육학적관찰방법을통한어린이의운동발달지원과운동도구및기구를통한움직임프로그램, 상황적이고구조적인움직임활동의계획, 움직임교육을주제로한부모교육등이여기에해당된다. 이계획은 3년동안니더작센주에속해있는지역을 6개월씩옮겨다니면서실행되기때문에 롤계획 (Rollplan) 이라한다. 지금까지하노버 (Hannover) 를시작으로니더작센남부알펠트 (Alfeld), 졸타우-팔링보스텔 (Soltau-Fallingbostel), 베히타 (Vechta) 등의도시가참여했으며, 링엔 (Lingen) 에서실행되고있다 ( 니더작센주문교부, 2009).

140 12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유아체육관련시설가 ) 체육관련조직 (1) 연방정부 : 연방내무부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연방내무부는연방재정법 (Bundeshaushaltsordnung) 제23와제44 조에근거하여, 엘리트스포츠시설건립과연방정부스포츠협회의훈련기관의설립을지원한다 ( 스포츠시설설립에대한지원규정 1, 2: Foerderrichtlinien Sportstaettenbau). 이외에연방정부는국민체육진흥계획의하나로, 특별지원프로그램인 동쪽황금계획 을추진하고있다. 연방은베를린의통일전동독이었던지역의생활체육저변의확대를위하여, 생활체육시설건립을지원한다. 국민체육진흥업무는주정부소관업무이지만 동쪽황금계획 정책을시작으로연방내무부가국민체육진흥을위한스포츠기관설립지원에동참하게되었다 년부터 2007 년까지체육관, 스포츠시설, 수영장등의설립을위해서연방자금중 67백만유로를지원하였다 ( 연방내무부, 2005). 이러한시설지원으로비교적낙후되어있는통일전동독의생활체육시설확충되면서유아나어린이들또한더나은환경에서스포츠를접할수있게되었다. (2) 주정부 : 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 (Niedersächsisches Ministerium für Inneres, Sport und Integration) 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 (MI) 는연방과지역이기초자치와 지역의미래투자와관련된법률 (Zukunftsinvestitionsgesetzes NZuInvG) 을실행하기위해체결된행정협약을기초로스포츠시설확립을위한정부 의재정적지원을보장한다. 스포츠시설의재건지원보장규정에따르면,

14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23 지역은스포츠시설건립및운영에대한지원을보장해야한다고규정되어있다 ( 스포츠시설의재건지원보장규정제1조 ). 이규정에따라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는매년스포츠시설설립및보수를위해 25만유로을지원하고있다. 니더작센주의공공수영장, 체조장등의모든스포츠시설의설립및재건을지원하며, 무엇보다도체육관의재건을우선적으로지원한다 ( 니더작센주내무 스포츠 통합부, 2009). 스포츠클럽에서제공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은대부분스포츠클럽내의체육관이나공공체육관에서이루어지므로, 규정에따라확충되거나재건된체육관및스포츠시설은유아체육시설로도활용이가능하다. 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의아동및청소년스포츠담당행정기구인니더작센청소년스포츠협회또한니더작센주의스포츠시설확충을지원하고있는데, 이는니더작센청소년법에청소년스포츠협회는청소년을위한캠핑장소, 청소년교육기관과시설의운영및관리를담당한다고규정되어있기때문이다. (2) 기초자치조직오스나브뤼크시체육진흥규정 (SSB-Sportfoerderrichtlinien) 제2 조제3항에는공공스포츠기관및시설의사용지원등에대한규정이명시되어있다. 오스나브뤼크시의스포츠클럽시설건립지원을받기위해서는네가지조건을충족시켜야한다. 첫째, 적어도 20 년이상은계속스포츠기관으로사용될수있는장소이고, 둘째, 지역스포츠협회와학교체육이동일한목적을갖고있으며, 스포츠개발을지향해야하며, 셋째, 지원계획은스포츠활동과직접적인연관이있어야하며, 스포츠를위한공간과스포츠인들의소통의장이제공되며, 자전거를보관할공간과주차할공간을보유하고있어야하고, 넷째, 비영리목적으로이루어져야한다는것이다.

142 12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에관한규정제 8 조회원의권리 b 항에따라 오스나브뤼크시스포츠협회회원은시스포츠협회에서건립한공공기관도 관련규정에따라사용할수있은권리가있다. 나 ) 유아교육관련조직 (1) 연방정부 : 가족 여성 노인 청소년부유치원에서의체육은대부분유치원내의체육관이나신체놀이방에서이루어진다. 이는연방정부가발표한유치원운영기본지침에따라유치원내에체육관이나신체놀이방이구비되어있기때문이다. 연방정부의유치원기본지침에서는유치원은 15명~205 명내외로구성된각그룹은큰방하나와작은방하나를쓸수있어야하며, 그그룹이다른활동을하기위해나뉘어질수있어야하고, 신체활동을위해꾸며진독립된방이있어야만한다고규정하고있다. 독일유치원은어린이의안녕에대한보장과아동발달에맞는시설, 교육질의수준이표준규격에맞는기관만이운영허가를받을수있기때문에 ( 아동및청소년지원법-Kinder und Jugendhilfe Gesetz-KJHG 45조 1항 ), 유아의신체활동을위한공간이충분히확보될수있다. 그러나한국의영유아보육법과유아교육법에는신체활동공간확보를위한규정이마련되어있지않다. 3) 유아체육관련프로그램 ( 가 ) 체육관련조직 (1)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 2009년주제를 스포츠는교육한다 로정하고, 교육정책적으로유아체육및청소년체육진흥을위한조직을지원할

14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25 계획이다. 움직임, 놀이, 스포츠는운동발달촉진을통해무한히지원될수있는교육적잠재력을갖고있다. 스포츠를통해서사회성과자율성, 자존감, 책임감등을발달시킬수있다. 연방정부의아동및청소년보고서 (Zwölfte Kinder- und Jugendbericht der Bundesregierung) 에따르면, 스포츠의결정적인교육효과 는신체경험, 신체미학, 신체표현등과같은신체와직접적으로관련된능력뿐아니라스포츠와간접적으로연관된능력인사회적, 인지적영역도포함한다. 스포츠를통한교육이내포하고있는특별한잠재력은예를들어스포츠클럽에서나여가활동중에비조직적으로일어나는비형식적학습이다.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는프로젝트 스포츠클럽에서의아동및청소년업무와교육의기회 를계획하고, 뮌스터빌헬름대학교 (Wilhelms-Universitaet Muenster) 와노드라인베스트팔렌주청소년협회 (Sportjugend Nordrhein-Westfalen) 와협력하여추진하고있다 ( 독일청소년스포츠협회, 2009). (2)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니더작센주교육부와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소속청소년스포츠협회가협력하여추진하는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지원프로그램은니더작센주의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협력프로젝트로유아체육활동을지원하는것이다. 유아및아동의움직임욕구를충족시켜주고, 아동발달에긍정적인영향을미치는스포츠, 놀이, 운동프로그램을규칙적으로제공하기위한공간과인력을지원해주고자정부와비정부조직이함께계획한프로젝트이다. 이협력프로그램추진을희망하는유치원원장은독일올림픽체육회에서인정하는유효한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최소 1급을보유하고있어야하며, 유치원과스포츠클럽모두니더작센주스포츠협회회원이어야한다.

144 12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활동의지원을받고자하는유치원과스포츠클럽은신청서를제출해서위의조건에부합하고, 결격사유가없으면교육부와스포츠협회로부터협력프로그램을시행할수있다는허가서를받는다. 협력프로그램이시행되면파트너스포츠클럽에서유아체육교사를지원받으며, 파트너스포츠클럽시설과기구도함께사용할수있다. 유아체육수업은 45분을채워야하며, 유아체육수업의횟수에따라보조금을받는데, 한번의유아체육수업당 5유로를지원받는다. 1년에 80번까지유아체육수업을시행할수있으며이경우최대 400유로를지원받을수있다. 유아체육수업은유치원교사의참석아래독일올림픽체육회에서인정하는유아및청소년스포츠지도자자격증을소지하거나이에상응하는조건의유아체육교사에의해이루어지며, 스포츠클럽과함께주관하여 기초영역에서의움직임교육 이라는주제로부모교육도함께실시한다 ( 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 2009). 이협력프로그램을모델로더많은유치원과스포츠클럽이서로상호협력하여아동발달을위해더나은조건을만들어줄뿐아니라미래스포츠클럽의회원으로스포츠의생활화를실현할수있는평생체육의기회를제공해주고있다. 나 ) 유아교육및보육기관 (1) 유아교육과정아동의책임감과사회성발달은아동보육, 교육그리고양육의중요한목적이라고연방복지법 (SGB VIII) 에명시되어있으며, 이러한목적은니더작센주유아기관법제2조와제3조에도명시되어있다. 니더작센주유아기관의기초영역에서의교육과보육을위한지침계획은 2005 년 1월 12일니더작센주문교부에서발표되었다. 이러한계획은교회와지역단체, 지역

14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27 부모단체, 그리고니더작센주유아기관대표단체와문교부가효율적으로함께협력하기위해서개발된것이다. 유아교육과정은교육목적에따라학습영역과경험공간등 8개부문으로구분하고있다. 구체적으로살펴보면, 첫째, 감정발달과사회적학습, 둘째, 지적능력발달과배움의즐거움, 셋째, 신체-움직임-건강, 넷째, 언어와말하기, 다섯째, 실제생활능력, 여섯째, 수학적개념이해, 일곱째, 미학적교육, 여덟째, 자연과생활환경, 아홉째, 윤리적종교적물음 : 인간탄생의기초경험등이다. 이중 신체-움직임-건강 영역의내용이유아체육과관련이깊다고할수있겠다. 신체-움직임-건강 영역에서는다양한신체활동과움직임등을통해건강을유지및증진시키는데중점을두고있다. (2) 유아체육관련장기계획 : 움직이는유치원 2004년 2월주정부에서유아교육과관련된정책으로기초영역에서의움직임교육을주제로 움직이는유치원 이라는프로젝트를계획하였다. 문교부의책임아래의사협회, 사고보험연합, 부모협회, 니더작센주청소년협회, 니더작센주체조협회, 사회복지연합, 지역자치단체, 하노버대학교와오스나브뤼크대학교등유아교육과, 건강, 발달에관련된여러단체들이각자의전문영역에관계된다양한의견과제안을바탕으로협력프로젝트를계획하고, 이프로젝트내에세가지의주요구성요소를발전시켰다. 그것은첫째, 유아교육에있어서절대로필요한구성요소로서의집중적움직임교육의확장이고, 둘째, 유치원에서의움직임교육 이라는유아체육교사자격증을위한교육과정과내용발달, 셋째, 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협력프로젝트개발및시행등이다. 이러한구성요소들을충족시키기위해서, 사회보조나유치원교사교육범위에서움직임과스포츠영역을더확장하고심화시켜야하기때문에유

146 12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아체육에서큰의미를갖는다. 협력프로젝트의제안을토대로 니더작센롤계획 (Rollplan): 모델유치원을위한아동의운동발달지원및관찰에대한교육, 움직임유치원인증제, 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협력프로그램 프로젝트가시행되고있다. 첫번째로롤계획 (Rollpaln) 이라불리는유치원교사교육은니더작센주에속해있는모든지역을아우르며실행되는세미나형태의강습으로모델유치원에서의움직임을통한유아교육및발달을지원한다. 두번째로움직임유치원인증제를실시하여, 협력단체의전문가들이개발한인증유치원의조건을토대로움직임유치원교육의질을표준화시킨다. 유치원프로그램과시설및공간, 시간표그리고교육내용등이인증수준에부합해야하며, 인증제에흥미있는유치원기관은인증제를획득할때까지심의기관의전문적인지원과자문을받는다. 심의기관으로는니더작센주청소년스포츠협회와체조협회, 하노버전문학교, 멜레지역체조학교, 세인트라우렌티우스니엔하겐 (St. Laurentius Nienhagen) 유치원, 치료교육학적유치원, 사고보험협회단체가있다. 세번째로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협력프로그램은학교와스포츠클럽의협력프로그램을모델로니더작센문교부와니더작센청소년스포츠협회가스포츠클럽과유아교육영역의결합을위해시작한프로젝트이다. 유치원과스포츠클럽의협력하여유아수준에맞는스포츠및움직임활동을일주일에한두번씩 6개월에서 1년동안제공하게된다. 이프로그램은유치원의운영시간에제공되며, 자격증을소지한유아체육교사가실행한다. 해당어린이들은협력스포츠클럽의회원이어야하며, 부모는 기초영역에서의움직임교육 을주제로한부모교육에참가해야한다. 각각의협력프로그램은선택된기간동안재정적지원을받게된다. 유아교육, 체육, 건강과관련된여러단체의협조로이루어지는 움직이

14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29 는유치원 프로젝트는움직임을통한유아의전인적발달을목적으로한움직임유치원의확산을지원하며, 유치원교사교육과정의움직임교육에대한심층적교육내용을통해, 유치원교사들의전문적인유아체육및움직임교육을개발시킨다. 다. 유아체육참여현황독일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참여조사가이루어지지않고있기때문에, 참여현황을파악할만한자료가없는실정이다. 따라서유치원과스포츠클럽을중심으로유아체육참여현황을살펴보았다. 1) 유치원학교체육시간에대한규정은법으로정해져있는데반해, 유치원에서의유아체육시간은법으로규정되어있지않다. 교육부협의회에서는일주일의 3시간이상의유아체육시간을권장하고있지만, 평균적으로유치원에서유아체육시간은일주일에 1.5시간씩이루어진다. 유아의전인적발달과교육측면에서움직임의중요성이대두되면서, 주정부에서정책적으로움직임유치원확산프로젝트를추진하고있다. 니더작센주오스나브뤼크시에위치한놀이 + 스포츠유치원은니더작센주문교부에서실시한 움직임유치원인증제 를통해보통유치원에서움직임유치원으로인증받은유치원이다. 놀이 + 스포츠유치원 (Spiel +Sport Kindergarten) 은오스나브뤼크체조클럽 (Osnabruecker Turnerbund- OTB) 과건물이나란히붙어있어, 오스나브뤼크체조클협회와의협력하에오스나브뤼크체조클럽의체육관, 수영장, 체조장등의시설과도구들을함께사용할수있다.

148 13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Ⅳ-4> 놀이와스포츠유치원의요일별프로그램 월 구분 체육시간 내용 장소 : 오스나브뤼크체조클럽의체육관 시간 : 45 분 그룹별로순서대로체육관으로옮긴다. 내용 : 다양한소기구, 대기구, 도구등을통해스스로자신의신체를경험하고자신감을키우며, 자신과주변환경을알아간다. 전문체육선생님지도, 담임선생님참여 화 무용시간 장소 : 오스나브뤼크체조클럽의체조실 시간 : 45 분 그룹별로순서대로체조실로옮긴다. 내용 : 음악의리듬과소리에맞춰자신의신체를움직이며, 협응력과공간감각을키운다. 자신의신체를느끼고다양한감각을체험하며, 또래친구들과의신뢰를키운다. 전문체육선생님지도, 담임선생님참여 수 만들기, 놀이하기 장소 : 유치원놀이방, 야외놀이터 내용 : 어린이들의기분과요구에따라그날의주제를정하고, 어린이들은놀이도구와놀이친구를자유롭게정하고각자의흥미에따라그림그리기나만들기, 놀이등을즐긴다. 날씨가좋으면야외놀이터에서아침식사를하고하루종일야외놀이터에서맘껏뛰어논다. 목 롤러스케이트타기 장소 : 오스나브뤼크체조클럽의롤러스케이트장 시간 : 45 분 그룹별로순서대로롤러스케이트장으로옮긴다. 내용 : 빠르게타기, 느리게타기, 멈추기등, 롤러스케이트를신고음악과함께다양한놀이를하면서균형감각과협응력을키운다. 전문체육선생님지도, 담임선생님참여 금 수영시간 장소 : 오스나브뤼크체육대학수영장 - 유치원에서부터오스나브뤼크체육대학수영장까지셔틀버스운행 시간 : 45 분 그룹별로순서대로수영장으로옮긴다. 내용 : 수영튜브나물놀이기구와함께물과친해지는것을목적으로한다. 전문체육선생님지도, 담임선생님참여

14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31 놀이와스포츠유치원의원장은유아체육교사자격증을소지하고있어야하며, 각반마다담임교사 1명과보조교사 1명등 2명이담당을하고, 전문체육교사가체육시간및다양한움직임프로그램을담당하고있다. 놀이와스포츠유치원의요일별프로그램을살펴보면위의 < 표 Ⅳ-4> 와같다. 2) 스포츠클럽독일생활체육전반에걸쳐전국적으로활성화되어있는스포츠클럽은유아를위한다양한유아체육프로그램제공과함께어린이들을위한여가선용의장으로서큰역할을하고있다. 스포츠클럽활동은학령기이전에시작되는경우가많다. 독일전체 6세이전의유아중 23% 의여아와 24.8% 의남아가정식스포츠클럽회원으로등록이되어있다 ( 독일올림픽체육회, 2007). 이들대다수는 부모-자녀-체육시간 (Eltern-Kinder- Turnen) 이라는유아체육프로그램에참가하며, 약 35만명의여아와약 29만 5천명의남아가프로그램에규칙적으로참여하고있다. 부모-자녀-체육시간 은스포츠클럽에서제공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으로여러명의부모가자녀와함께유아체육교사가준비해놓은시설과도구들을가지고운동하고놀이하는시간이다. 학령기이전부터스포츠활동참가가스포츠활동에대한긍정적인식형성에영향을미침으로써, 스포츠클럽참여율상승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보고되고있다. 독일올림픽체육 (2007) 에따르면, 7세부터 14세까지연령의아동중 60,2% 의여자어린이와 79.0% 의남자어린이가스포츠클럽의회원으로등록하여활동하고있다고한다. 스포츠크럽에서시작하는첫번째스포츠종목을살펴보면, 여자어린이는체조 (Turnen)(30%),

150 13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수영 (19%), 승마 (10%), 남자어린이는축구 (46%), 수영 (11%), 체조 (7%) 나개인경기 (7%) 순으로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이외의유아체육활동은대부분스포츠클럽을통해이루어지고있다. 따라서니더작센주오스나브뤼크시에위치한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 (Osnabruecker Sportclub: OSC) 에서제공하고있는유아체육활동프로그램과시설을살펴보았다.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은 30년이넘는역사를가지고, 7천명이상의회원을보유하고있는오스나브뤼크시에서제일큰스포츠클럽이다. 현재스포츠클럽과스포츠센터를함께운영하는독일의추세에따라스포츠클럽옆에스포츠휘트니스센터를건립해회원들에게저렴한회비로이용할수있도록하고있다. 스포츠클럽의스포츠종목으로는배드민턴, 발레, 농구, 펜싱, 축구, 체조, 핸드볼, 유도, 가라데, 육상, 사이클, 롤러스케이트스포츠, 수영, 스키. 태권도, 댄스스포츠, 테니스, 체조, 테이블축구, 탁구, 배구, 윈드서핑, 경보, 노인스포츠, KISS-Kinder 유아체육이있다. 스포츠클럽의운영시간은 7시 30분부터 22시까지이다.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의유아체육학교 (Kindersportschule-KISS) 는유아를대상으로, 전문유아체육교사가연령과발달수준에따라다양한스포츠및움직임프로그램을제공하고있다. 5개의스포츠반으로나뉘며, 운동을통한신체교육, 다양한공놀이, 물과의친화력기르기, 놀이 움직임놀이, 근력과유연성기르기, 기어오르기, 기타등의요소를토대로반특성에부합하는프로그램을계획한다. 유아는연령과발달정도에따라 1부터 5까지의스포츠반으로구성되며, 스포츠및움직임프로그램을유아의요구와흥미에따라다양하게개발할수있다. 한반에최대 15명의유아로이루어져있으며, 유아체육교사는개개인의특성과요구에맞게전문적으로지도를한다.

15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33 < 표 Ⅳ-5>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유아체육학교의연령에따른스포츠반 반연령횟수 / 주내용 MiniKI SS 3~ 스포츠적기초발달지원, 감각과인지를통한운동능력발달 KISS 2 5~ 스포츠적기초발달지원, 움직임과이완 KISS 3 6~ 스포츠적기초발달강화, 휘트니스 KISS 4 8~ 규칙적인스포츠운동교육 KISS 5 10~ 스포츠의생활화 한편, 기타스포츠종목에서의유아체육프로그램으로는발레, 무용, 수 영등이이루어지고있으며, 다양한시설과연계하여프로그램을진행하고 있다. < 표 Ⅳ-6>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유아체육프로그램 수영 구분 연령 횟수 / 주 분 장소 유아발레 6세 주1회 60 댄스홀 무용 4세주1회 45 댄스홀 5세주1회 45 댄스홀 재즈 3~4세주1회 45 댄스홀 5~6세주1회 45 댄스홀 신생아반 3~12개월 주1회 45분 시립병원수영장 유아반 5~6세 주1회 45 병원수영장 물과친해지기해마반 주1회 135 치료교육지원센터 기초반 주1회 90 네테바드수영장 중급반 주1회 90 네테비드수영장 해마반 주1회 60 오스나브뤼크체육대학수영장

152 13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의유아체육프로그램은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회원에게만제공되며, 소정의회원비로다양한프로그램을무료로이용할수있다. 단신생아수영과유아수영그리고발레는별도의회비가부가된다.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의회비는대상에따라최소 6유로에서최대 23유로까지책정되어있다.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에는크고작은체육관이여러개조성되어있으며, 댄스스포츠실, 휘트니스룸, 건강스포츠센터, 테니스장, 축구장, 육상경기장, 인조하키잔디구장, 축구잔디구장등이조성되어있다. 상기에서살펴본것처럼, 독일의유아체육은스포츠클럽의중심으로활발히이루어지고있다. 그러나유아교육및보육기관과스포츠클럽이협력체계를구축하는프로젝트도입등을통해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서의체육활동을진작시키고있다. 특히이러한협력프로젝트에대한정부의재정지원등은유아체육활성화에큰동력이되고있다. < 표 Ⅳ-7> 오스나브뤼크스포츠클럽회비 대상 성인 부부회원 가족회원 18 세이하의어린이와청소년 ( 한가정에 18 세이하자녀가여러명일경우최대 16 유로의회비만내면됨 ) 학생 (35 세이하 ), 군인, 실업자, 생활보호대상자, 중급장애자 심장스포츠 수동적회원 회비 14유로 20유로 23유로 8유로 8유로 12유로 6유로

15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미국 가. 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미국은 50개주로이루어진연방체제를갖추고있으며, 각주에는각각의헌법과정부가있고초고의통치자로주지사가있다. 또한각주는여러가지서비스를책임지는지방정부단위로나누어져있다 ( 나정, 장영숙, 2002). 지방자치적교육제도를운영하고있는미국은각주마다혹은각교육구마다제공되는교육의형식과내용이상이하다 ( 최의창, 1994). 다시말해, 미국에는국가적으로통합된유아교육과보호의정책적틀이없기때문에 50개주가가지고있는의무교육이전의유아서비스에대한접근법이모두다르다 ( 나정, 장영숙, 2002). 따라서유아체육의추진체계와정책을파악하는데한계가있기때문에, 유아체육관련조직과프로그램등을개략적으로살펴보았다. 1) 체육관련조직미국의스포츠정책철학은모든국민의평등한스포츠및레크리에이션참여에있다고할수있다. 그러나미국의체육행정조직은최소한의행정기구로존재하고있으며, 연방정부몇개의부처에서체육과스포츠관련업무를분산하여담당하고있다. 따라서미국의스포츠행정을총괄하여담당하는집행기관은없다. 미국연방정부내의스포츠행정에관계하는기관으로는대통령및스포츠자문위원회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s) 가있고, 체육활동및레크리에이션관련시설에관해자문을하는공원및레크리에이션자문위원회가있는정도이다. 한편각주정부의교육국산하에체육과또는보건체육과가있으며,

154 13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최근주지사직속의주체력향상위원회및자문위원회를설치하고있다. 미국생활체육의특징중하나는공원체육시설을강조한다는것이다. 미국의해수욕장, 캠프장, 피크닉장등지역사회에서건립하기힘든시설은주로주정부에서건립한다. 또한각지방도시의생활체육은각도시의공원, 레크리에이션국에서담당하고있다. 이렇듯미국의생활체육은도시나지역사회를중심으로형성되었으며, 이러한생활체육문화에주정부나각지방자치단체가과감한투자를함으로서가능해졌다고볼수있다. 즉, 정부와민간단체의유기적인협조체제하에무수히많은공원, 각급학교의체육시설, 지역체육시설등을효율적으로활용하여스포츠저변인구를확대시키고있다. 이렇듯미국은연방정부나지방정부차원에서체육관련조직이크게구성되어있지않기때문에유아체육에관한별도의조직이나사업이거의이루어지지않고있다. 2) 유아교육및보육관련조직가 ) 교육관련정책담당부처미국은미연방영토내의모든학교들에공통적으로적용되는교육시스템이존재하지않으며, 모든학교에서가르치는내용의틀을제공하는교육과정역시없는 고도의지방분권적시스템 을가지고운영되고있다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4). 미합중국헌법 (1787) 의제10차개정안 (1791) 에보면, 헌법에의해주어지는권한과힘은연방정부가아닌각주들과그주민들에게있다고명시되어있다. 이에기초하여미국공립학교들은연방정부가아닌각주정부에의해설립및관리된다. 유아교육관련정책은만 5세이상과만 4세미만영 유아로분리되어추진되는경향이있으며, 연령에따라연방정부와지방정부가관여하는

15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37 정도에차이가있다. (1) 만 5세이상아동을대상공교육추진체계연방정부가큰국가차원의계획및방향을제시하고, 주정부와지방정부가그테두리안에서크고작은정책결정을내리며체계적으로운영및추진하고있다. 연방정부는교육에있어중요한역할을담당하고는있지만실제로학교를설립하고인가및관리하는업무는각지방정부에서맡고있다. 대부분주헌법에교육에대한내용이명시되어있고, 주의회의원들이교육정책및관련재정에대한결정권한을갖고있다. (2) 만 4세미만영유아에대한유아교육추진체계만 5세이상을대상으로하는공교육정책에서는연방정부, 주정부와지방정부가체계적으로역할을분담하여운영하고있다. 그러나만 4세미만을대상으로하는서비스및정책은저소득층아동을대상으로한헤드스타트를제외하고연방정부차원의정책은전혀없다고할수있다. 만 4세이하의영 유아관련정책은각주별로이루어지며, 관련서비스역시공교육기관, 영리기관, 종교기관, 자선단체등여러기관을통해이루어지고있다. 나 ) 유아보육관련정책담당부처미국의아동및가족관련정책들은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차원에서계획및실행되고있으며, 여러정책분야에걸쳐이루어지고있다. 연방정부기관중에서육아정책을담당하는기관은보건복지부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HHS), 노동부

156 13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Department of Labor), 농무부 (Department of Agriculture), 주택부 (Department of Housing), 재무부 (Department of the Treasury), 사회보장관리국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등이있으며, 각자관할영역의아동및가족관련정책을추진및관리하고있다. 육아정책을담당하는주정부기관들은주에따라명칭이다르지만일반적으로복지부혹은사회부 ( 복지담당 ), 고용및사회부 ( 보육담당 ), 교육부, 건강부, 정신건강부, 혹은주에따라아동및가족부등의부서들이담당하고있다. 다양한아동및가족정책들이여러연방및주정부기관을통해이루어지고있으나, 미국연방정부는통합적인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주무부처 ( 주로보건복지부와교육부 ) 를협력체제로이끌어서상호자료를교환하고이를바탕으로정책을운영하려는노력을기울이고있다. 이러한미국연방정부기관중유아체육과관련이높은기관으로는보건복지부와교육부라할수있다. < 표 Ⅳ-8> 미국유아정책담당연방정부기관 연방정부기관 보건복지부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교육부 (Department of Education) 노동부 (Department of Labor) 농무부 (Department of Agriculture) 주택부 (Department of Housing) 재무부 (Department of Treasury) 사회보장관리국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정책건강, 보육, 아동복지교육및특수교육출산휴가및육아휴직푸드스탬프주택바우처세금 (tax) 혜택유가족혜택, 장애아동혜택

15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39 나. 유아체육관련정책미국의행정조직이체육이나교육및보육사업을위해별도로구분하여추진하는체계보다는통합적서비스를제공하는방식으로구성되어있다. 따라서유아체육관련사업도유아체육과유아교육및보육조직으로구분하여제시하기는무리가있다. 이에, 유아를대상으로추진되는사업성격에따라체육과유아교육및보육사업으로구분하여미국의유아체육관련사업을분석하였다. 1) 체육관련조직가 ) 연방정부지원프로그램미국에서유아체육과관련된사업을추진하고있지는않다. 다만미국국민의비만율증가와이로인한성인병발병률이높아지면서정부차원에서비만억제를위한전국민대상체육활동촉진등의정책이추진되고있는정도이다. 따라서유아체육도이러한정책흐름속에포함되어추진되어있다고할수있다. (1) 비만을막기위한영양및체육활동프로그램미국의대표적비만프로그램으로는보건후생부산하질병예방통제센터 (CDC) 에서주정부와함께추진하는영양및체육활동프로그램 (the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Program) 을들수있다. 영양및체육활동프로그램은연방정부의재정을지원받아추진중에있다. 이프로그램의 6대목표는모유수유, 과일야채섭취증가, 가당음료섭취제한, 에너지고밀도음식감소, 신체활동증진, TV 시청시간감소이며, 비만관리를관장하는주립보건기구 (State Health Department) 를설

158 14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립 운영하도록권장하고있다. (2) 안전한등 하교길만들기프로그램미국교통부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와미국연방도로관리청 (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 은안전한등 하교길만들기 (Safe Routes to School: SRTS) 프로그램법에입각해연방정부예산을지원받으며, 안전한등 하교길만들기프로그램을추진하고있다. 이프로그램은도보나자전거로안전한등교를하는어린이들이많아지게함으로써신체운동을늘리고대기오염은줄이는데목적이있다. 이러한목적을달성하기위해학생들이등 하교길에걷거나자전거타기좋은주변환경을조성하고, 보행자도로및자전거도로건설 확장하고, 자동차도로를정비하고자동차속력에제한을두는프로그램을확대시키고있다. 일례로미주리주콜럼비아의 West Boulevard 초등학교의유치원부터 5학년까지의학생들이있는데, 이프로그램에참여하면서학교는연방정부기금을지원받고, 학생들은지역대학으로부터워킹보조자 (buddies /mentors) 를얻는등의혜택을받았다. 미국의공교육시스템은공립초중등학교가대개 K to 12( 유치원부터 12학년까지 ) 로되어있기때문에 West Boulevard 초등학교에유치원대상연령인 5세가포함되어있다. 따라서안전한등 하교길만들기사업대상에유아가포함되어있다고할수있다. (3) Healthy People 2010 미국연방정부의보건후생부 (DHHS : Department of Human and

15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41 Health Severies) 주도로국가보건의료정책의틀을사전예방적건강증진사업으로전환하기위해구체적인목표를설정하고장기적인건강증진사업비전과장기계획을수립하여시행하고있는데, Healthy People 2010 ( 이대표적인사업이다. 이사업의목표는건강하게사는날을늘리고, 건강수준의불균형을제거하는데있다. 이목표중건강수준의균형해소를위해유아를포함한인구집단별별도의목표를설정하여추진하고있다. Healthy People 2010 은과체중및비만, 흡연, 약물남용, 정신보건등 10 가지주요보건지표를두고하위에 28 개사업영역을두고있다. 총 28개분야중과체중과비만등신체활동과관련된항목은 2가지가포함되어있으며적정체중인구의증가, 비만인구의감소, 과체중이거나비만한아동및청소년수감소등의내용을포함하고있다. 따라서연방정부는가이드라인을만들어 비만관리 를실행하고있다. 각종비만지표를바탕으로오는 2010년까지추진할비만감소목표를구체적으로설정및추진중이며, 이프로젝트에따르면 6~11 세나이의어린이중비만어린이가차지하는비중을전체의 5% 로줄이는것이목표다. 또한매일의신체활동을통해건강, 신체건강및삶의질을향상시킬것을권장하고있다. 이는연방정부의유아체육관련정책이신체활동확대를통한비만감소와건강증진에있음을의미한다. (4) President's Challenge 프로그램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s) 의 President's Challenge( org) 프로그램은삶의질과건강을원하는모든연령을대상으로하는신체활동프로그램이다. 모든연령의사람들이재미있고, 활동적이고건강

160 14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한삶을누리기위한인증제 (Award) 프로그램을제공하고있다 년부터시행되어온대통령스포츠상 (Presidential Physical Fitness Award) 은 30년넘게미국의어린이와청소년의체육활동을성취하기위해시행되어오고있다. 유아들의건강하고활기찬생활을돕기위해대통령체력스포츠자문위원회 (President's Council on Physical Fitness and Sports), 국가체육스포츠협회 (National Association for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캘로그사 (Kellogg Company) 는생후부터 5세까지의영 유아를위한책 (Kids In Action : Fitness for Children) 제작및배포하고있다. 이책자에서는생후부터 18개월까지의영아, 18개월 ~36 개월까지의유아, 3세~5 세까지의취학전아동등 3그룹으로구분하여신체활동지도와관련된내용을제시하고있다. 나 ) 유치원및초등학교체육미국의학제는유치원과정부터초 중 고까지 13년의과정으로되어있다. 미국교육은유치원과정인 Kindergarten 과 1학년부터 12학년까지를총칭하여 K-12 시스템이라고도한다. 그러나미국은 만 5세의무교육 을시행하기때문에학령기는유치원에들어가는만 5세부터시작된다. 따라서모든유아는만 5세가되면유치원에입학하게되며, 만 6세가되면자동적으로초등학교 1학년으로올라가게된다. 한국의초등학교가 1학년부터시작하는것과는달리미국의초등학교는유치원부터시작한다고볼수있다. 따라서유치원부터정규교육과정이실시되며, 많은초등학교가유치원을가지고있다. 초등학교 ( 유치원~5 학년 ) 에는일반적으로 예체능전담교사 가배치되어있다. 체육수업은체육전담교사가담당하고, 체육전담교사는일반적

16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43 으로대학에서체육교육을전공한자격증소지자가맡는다. 따라서유치원에다니는학생들역시체육전담교사 (Gym teacher) 에의해정규교육을받을가능성이높아지는것이다. 체육교육과정은각주마다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0분짜리수업을일주일에두번정도한다 ( 최의창, 1994) 유치원부터 3학년까지의교육과정은대부분쉬운게임, 기초체조, 그리고무용으로구성되어있다. 이밖에도미국초등학교에는교내체육프로그램은물론이고, 방과후스포츠클럽도활성화되어있다. 미국의질병예방통제센터 (2006) 에서실시한학교건강정책과프로그램연구 (School Health Policies and Programs Study) 에따르면, 전국초등학교 69.3%, 중학교 83.9%, 고등학교 95.2% 가졸업혹은학년을올라가거나학교레벨을높이기위해체육교육을이수해야하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유치원의경우에는 49.7% 가체육교육을요구하는것으로나타났다. 한편초등학생의교내 / 스포츠클럽상위 10종목으로는농구 (38.3%), 축구 (28.6%), 달리기 / 조깅 (28.6%), 야구 (27.7%), 배구 (24.6%), 심순환계운동 (23.9%) 순으로나타났다. 연방정부가지역사회및학교체육교육을지원하기위해마련된 The Carol M. White Physical Education Program(PEP program) 장학금이 2001 년도부터시행되어오고있다. 이프로그램은유치원부터 12 학년까지학생들을위해, 방과후체육활동을포함한체육교육프로그램의신설, 확대, 강화를위해연방정부로부터펀드를제공받는것이다. 펀드는장비를제공하거나체육교육활동참가를장려하기위해사용되며, 스태프나교사교육을위해서도사용된다. 2006년도까지총 790 지역사회및초, 중, 고등학교교육기관에예산이집행되었다.

162 14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Ⅳ-9> 미국의연도별 PEP Program 펀드 회계연도 펀드 2008 $75,654, $72,674, $72,673, $73,408, $69,587, $59,610, $50,000,000 출처 : 다 ) 민간의영 유아체육기관생후부터영 유아의발달단계에적합한전문적신체활동을도와주는체육프로그램을갖춘사립체육전문기관이미국에는많이있다. 여기서는대표적인기관인짐보리, 마이짐, 리틀짐의사례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이기관들은대부분프랜차이즈형식으로유아교육및체육전문가들이개발한프로그램을교육하고있다. 음악과체육의혼합을이루는짐보리의프로그램을제외하고, 마이짐과리틀짐의프로그램은비슷한형식으로구성되어있다. 이들 3개의기관은모두한국에가맹점을갖고있다.

16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45 < 표 Ⅳ-10> 미국의민간영 유아체육기관비교 구분 짐보리 (Gymboree Play & Music) 마이짐 (My Gym ) 리틀짐 (the Little Gym) 특징 우리나라에처음생긴미국계유아체육교육기관 (0 세부터 5 세의영 유아대상 ) 국내최초어린이전용피트니스센터 ( 생후 3 개월에서부터 10 세대상 ) 생후 4 개월부터 13 세까지나이별성장과정에따라 10 단계로되어있으며단계별프로그램 창설 1976 년켈리포니아 Marine 에오픈 1983 년켈리포니아주의 Santa Monica 와 Van Nuys 에오픈 1976 년, 위싱턴주의시에틀에오픈 프랜차이즈수 30 개국 550 이상지점운영중 25 개국 200 개이상의지점운영중 미국내 33 개주와 21 개국 300 이상의지점운영중 교사자격요건 ( 한국 ) 4 년제졸업 / 졸업예정자유아교육관련자격증소지자, 유아 / 아동학관련전공자우대 체육계열, 무용계열유아및아동교육과 유아체육관련자격소지자및체조전공자우대 교사자격요건 ( 미국 ) 대학재학이상 아름다운목소리를가진사람 ( 음악읽는능력 ) 노래부르는것을좋아하고음악을만들고가르치는것을좋아하는사람 유아를대상으로일해본경험자우대 유아교육전공및 gymnastics 우대 능숙한말하기쓰기능력언어능력, 좋은기억력, 기본컴퓨터기술을가진사람 gymnastics 경험자우대 파트타임은방과후교사, 대학생가능 (1) 짐보리 (Gymboree) 우리나라에처음생긴미국계체육교육기관으로, 생후 60개월까지 6단계로구분되며주 1회씩 3개월단위로교육을실시한다. 짐보리는출생부터 60개월까지의영유아와부모를위한세계적인놀이 음악교육프로그램이다. 안전하고창의적인환경에서놀이교육을통해아이의감각통합

164 14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능력및신체기능의발달을촉진하고, 인지 정서 사회성 언어발달을도모하는데목적이있다. 프로그램은플레이, 뮤직, 아트등 3가지로구분되는데, 수업은 1인담임제로운영되고있으며, 한클래스당정원은 12명내외이다. < 표 Ⅳ-11> 짐보리의연령별프로그램의예 연령짐베이비 (0 6 개월 ) 짐크롤러 (6 12 개월 ) 짐워커 (10 18 개월 ) 짐러너 (14 28 개월 ) 짐보리뮤직베이비 (6 18 개월 ) 짐보리뮤직 Ⅰ (16 30 개월 ) 짐보리아트 Ⅰ (18 30 개월 ) 프로그램 소도구를이용한감각탐구활동으로신생아의오감각을발달시킨다. 터널, 미끄럼, 오름판등으로기기시작하다가자신있게앉을수있는시기에적절한활동이전개된다. 짐보리에서고안한놀이기구로공간지각, 근력강화, 균형감등의발달시켜걸음마와걷기기술을촉진한다. 미끄럼, 오름판, 공, 터널등기구활동으로언어능력과자신감을길러주고, 운동기술을발달시킨다. 스카프활동, 아기춤, 공놀이등으로리듬, 음악적규칙을배우고, 다양한소리와경험한다. 무릎타기, 댄싱타임, 악기연주등으로박자감과리듬을인식하고, 고저와음색을탐색해듣기능력을키워준다. 다양한미술활동과역할놀이, 블록을이용한조형물구성등종합적인아트활동을한다. (2) 마이짐 (My Gym) 유아전용피트니스센터라고불리우는유아전문신체활동프로그램으로서미국내 130개이상의프랜차이즈가있다. KOTRA LA 무역관에따르면, 톱 10 프랜차이즈중 9위를차지한마이짐은미국켈리포니아를중심으로하는아기의발달단계에따라체력과감성을키워주고스스로

16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47 느끼고배우게해주는신체활동교육기관이다. 마이짐은음악, 댄스, 릴레이, 게임, 놀이기구, 체조, 스포츠등을즐기면서균형감각, 조정력, 협력, 운동기능숙달, 민첩성, 유연성, 사회성등을키워나간다. 마이짐의시설과기구는아기의체력과기능을고려해주문설계됐고, 매주새로운모습으로바뀌어특별한흥미를제공한다. 또한한클래스당 3명의전문교육을받은숙련된교사들이배치되어아이의학습정도와교육과정을꼼꼼하게체크해아이의가능성을발견하고자한다. 프로그램은크게 엄마와함께하는반 과 혼자서도잘하는반 으로구성되어있으며, 연령에따라더세부적인프로그램이제공된다. 수업은생후 3 24 개월은주 1회 50분, 생후 25개월부터는주 1회 60분수업으로구성되어있다. < 표 Ⅳ-12> 마이짐의연령별프로그램의예 연령 타이니타이크 (3 11 개월 ) 와들러 (12 18 개월 ) 짐스터 (19 24 개월 ) 프로그램 기어다니고, 오르고, 뒹굴고, 흔드는등부모와함께아이들이잠재된운동능력을찾아나간다. 막걷기시작한아기가움직임에적응할수있도록해주고또래와의사회성을길러준다. 독특한게임과놀이를통해협응력과조정력을키워주고, 그룹활동으로스스로에대한소중함을느낄수있다. (3) 리틀짐 (the Little Gym) 리틀짐은생후 4개월부터 13세까지나이별성장과정에따라단계별로프로그램을주는성장단계별어린이신체발달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다. 이프로그램은매주다른테마와교구를사용하여신체능력을향상시키는것이다. 아이들은체계적인프로그램을통하여스스로자신의신체를효율

166 14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적으로사용하는법을배우며자신감과독립심을키워새로운도전과성공에대한확신을가지게된다고한다. 한국리틀짐에서교사로활동하기위해서는미국본사에서 3주간의교육을마친후국내에서양성프로그램을다시이수하고 1년에 2번현지훈련을다시받아야한다. 나 )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미국에서스포츠지도자는지역공원, YMCA나보이및걸스카우트, 스포츠클럽코치, 방과후지도자, 직장의전문지도자혹은병원및특별한대상자를위한지도자등다양한분야에종사한다. 특히이들전문가를칭하여 Recreator 라고칭하는데, Recreation Leaders 는일일단위의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을조직및진행하고, Recreation Supervisors 는레크리에이션강사들을감독하고다양한필요에따라다양한활동을개발, 경영하는사람들이며, Directors of Recreation and Parks 는공원이나운동장을포함하는프로그램들을관리한다. Recreator 의교육수준은고졸부터대학원졸까지다양하다. 공공레크리에이션의지도자의경우풀타임직업전문인으로종사하기위해서는 Parks and Recreation 이나 Leisure Studies 분야에서학부이상의학위를가져야하나, 일부사설기관에서는전공에관계없이학사학위만을요구하기도한다. 유아체육지도자의자격요건의경우, 비록공립학교의경우각주에서요구하는교사자격을갖춘교사에의해서이루어질지라도, 특별히유아체육지도자가되기위해서연방정부가정해놓은법은존재하지않는다. 특히유소년스포츠클럽의코치는부모들에의한자원봉사로이루어지는경우가많다. 또한민간사설영유아체육시설의경우, < 표 Ⅳ-10> 에서와같이

16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49 대부분대학재학이상의학력을요구한다. 또한대부분전공을불문하고, 유아를사랑하는사람이라고자격요건은되어있지만, gymnastics 나유아교육전공자를우대하는것으로나타났다. 그밖에, 계절별로는캠핑, 승마, 하이킹등주로청소년들의야외활동을지도하는캠프카운슬러 (Camp Counselors) 가있고, 캠프카운슬러를감독하고캠프프로그램을계획하며레크리에이션과관련해행정적기능을하는 Camp Directors 등다양한직업들이존재하기도한다. 그러나비록, 연방정부가관리하는유소년체육기관은없을지라도, 미국유소년스포츠코칭협회 (The National Youth Sports Coaching Association :NYSCA) 와미국체육학회 (AAHPERD) 는각각지도자를위한프로그램과가이드라인을만들어유아체육지도자양성을위해노력하고있다. 다 ) 유아체육시설관련정책미국은체육시설의기준을국가가나서서정하거나제시하는일은거의없다. 대부분각지방자치단체가자율적으로스포츠시설의관리및확충에따른재정지원을실시한다. 그러나미국체육의특징중하나는각지방도시에공원, 레크리에이션을담당하는행정부서가따로배치되어있을만큼공원스포츠시설이발달해있다는것이다. 대부분공원내의시설은주로각종구기경기장 ( 농구, 배구, 소프트볼, 테니스등 ) 과함께때로는수영장시설등이포함되어있다. 따라서실제로미국에수많은공원에서는평일오후나주말에는아이들의스포츠경기를쉽게관람할수있다. 또한생활체육을위해공립학교의시설들이개방되고있고, 이외에도 YMCA 나민간스포츠클럽등의시설에서유아체육프로그램서비스가시행되고있는모습을발견할수있다.

168 15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유아교육및보육관련정책가 ) 유아체육관련정책유아교육및보육분야의유아체육관련정책은주로재정지원에초점을두고있다. 미국의육아비용은가족이 60%, 연방, 주, 지방정부가 39%, 사업체와자선기관지원 1% 정도부담하고있다 (Mitchell, Stoney, & Dichter, 2000). 연방정부와주정부는헤드스타트와공립 Pre-K 프로그램및다양한유아교육및보육기관을지원하는데쓰인다. 연방정부주도로추진되는유일한유아교육프로그램인헤드스타트는저소득층아동을지원하기위해각지역의공 사립기관에서운영하는헤드스타트기관 (Head Start grantees) 에직접재정을지원한다. 정부지원금은헤드스타트프로그램에있는아동들의예방접종, 건강검진, 치과검진, 치료및영양서비스등의건강서비스와교육서비스등을위해사용된다, 미국에서만 5세이상은공립학교시스템을통해교육을받기때문에, 유치원및초등학교가하나의지원체계내에서정부로부터지원금을받고있다. 공립학교는일반적으로 90% 이상이주정부 (50%) 및지방정부 (41%) 로부터지원되며, 연방정부 (7%) 및기타사립기관 (2%) 에의해서도지원되고있다. 주정부및지방정부차원의재정지원비율은각주에따라상당한차이가있다. 따라서몇몇주에서는 교육재정평준화 법을제정및시행하고있는데, 이법은주내의모든학교들이지역에상관없이학생일인당교육비용으로지정된최소한도의금액을반드시보장받도록규정하고있다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04, 재인용 ).

16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51 나 )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미국의유치원교사자격기준은주마다상이하다. 전체 50개주및콜롬비아특별구에서공립학교교사로활동하기위해선면허를취득해야하며, 사립학교의경우보통면허없이도근무할수있다. 대개면허증은주교육위원회나자격자문위원회에서수여하고있으며, 면허의종류는초기아동등급 ( 유치원 ~ 초등3학년 ), 초등교사 ( 초등1~6 또는 8년 ), 중학교교사 (5학년 ~8학년 ), 고등학교교사 (7~12학년 ), 읽기또는음악과같은특수과목 ( 유치원에서 12학년 ) 으로구분된다. 거의모든주에서는교사면허증지원자에게독서나작문, 교수법과같은기본기술을테스트한다. 또한자기분야에서전문성을요구한다. 여기에서는뉴욕주의뉴욕시의유치원교사자격기준을살펴보았다. 유치원교사가되는방법은크게두가지가있다. 첫째는대학교때부터유아교육을선택해서유치원교사가되는것이다. 한국과는달리미국의뉴욕시에서는 4년제유아교육학과를졸업해야하며, 2년제대학에서유아교육학을전공하면보조교사 (assistant teacher) 자격증밖에취득할수없다. 4년제대학에서유아교육을전공한뒤자격취득을위한세가지시험을본다. 자격증시험은크게 LAST(Liberal Arts Skill Test), CST (Content Special Test), ATS-W(Assessment of Teaching Skill-Weiting) 로나뉜다. 이러한자격증시험역시주마다다르다. 기본자격 (Initial Certificate) 취득후, 2년의경력을쌓으면뉴욕시에영구자격증 (Permanent Certificate) 을신청할수있는자격이부여된다. 2년간본인이수업했던내용을녹화테이프에담고사진과함께제출하면, 심의후뉴욕교육청에서영구자격증을발급해준다. 유치원교사가될수있는두번째방법은유아교육비전공자와관련된

170 15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것이다. 유아교육비전공자도 4년제대학교를졸업해야한다. 대학졸업후교육대학원에진학하여대부분의교육대학원에서비전공자를위해제공하고있는프로그램을수강해야한다. 석사학위를취득한뒤, 전공자와마찬가지로기본자격을위한세가지테스트를통과하면자격증을취득할수있다. 이외에도유치원교사자격취득을위해서는미국시민권자또는영주권자여야하고, 뉴욕연방정부 FBI에지문검사를통해범죄기록조회후범죄기록이없어야한다. 이상에서살펴본보아같이유치원교사양성과정에유아체육지도자양성이포함되어있지는않다. 다 ) 유아체육시설관련정책미국의아동보육시설에관련한제안된지침을살펴보면, 최소한의보호와안전에중점을준지침이주를이룬다. 예를들어, 건강안전실천기준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Standards) 중보육프로그램지침 (Guidelines for Out-of-Home Child Care Prgrams) 에따르면, 보육원최저시설의경우에는 Head Start 설치기준및 NAEYC 가제시한아동 1인당 3.25 m2를제안하고있다. Ramsey와 Reid(1998) 는 1인당면적이 3.25m2미만이면부정적인효과들이발생한다는결론을내린바있는데, 미국중앙정부및대다수의주에서는동일하게최소수준을 3.25 m2로규정하고있다. 또한미국헤드스타트, NAEYC 등은실외놀이터로 1인당최소 6.9m2을제안하고있다. 그밖에도건강안전실천기준은입지조건으로공기오염, 소음, 교통혼잡, 불안한건물, 절벽, 방사등을고려할것을규정하고있고, 건물의층수는목조건물에한하여 1층으로한정하고있으며, 지하는 2세이상아로한정하여 2세미만아는이용을금할것을제안하고있다. 미국의주에따라

17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53 보육시설에대한기준은다양하겠지만, 미국의아동보육시설에관련한 제안된지침에유아체육시설에대한별도의기준이제시되어있지는않다. 라 ) 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프로그램 Manhattan Nursery School 은뉴욕멘하탄에있는공립보육원으로서아침 8시부터밤 7시까지운영된다. 유치원진학전에유아들을대상으로유치원진학을돕기위한학교이다. 이학교의교과과정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New York City Universal Pre-kindergarten Program은뉴욕시에서지원하는프로그램으로뉴욕주에거주하는모든 4세어린이에게성공적인유치원진학을위해꼭필요한능력개발에도움을준다는것을목표로하고있으며무료이다. 학기동안아이들은학교에서배우는모든것을이해하고습득하며사회성, 창의성, 사고력, 신체영역및감성적인영역의발달을위한교과과정을공부하게된다. 시간은오전시간은아침 9시부터 11시 30분까지이고오후시간은오후 1시부터 3시 30분까지이다. 그밖에특별교육활동 (extracurricular activities) 으로는음악놀이, 동작놀이, 체조놀이, 테니스등을시행하고있다 ( com/programs.asp).

172 15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Ⅳ-13> 맨하탄보육원 (Manhattan Nursery School) 의커리큘럼예 시간오전 8시오전 9시오전 9시 30분오전 10시오전 11시 30분오후 12시오후 2시오후 2시 30분오후 3시오후 3시30분오후 5시오후 5시 30분오후 6시오후 7시 일정 아침인사및시작 (Greeting) 아침식사오전만남 / 집단활동 (Circle Time) 소그룹활동 (Small Group Activities) 과센터타임 (Center Time, Indoor Playground) 점심낮잠기상간식오후만남 / 집단활동 (Circle Time) 소그룹활동 (Small Group Activities) 과센터타임 (Center Time,Indoor Playground) 간식테이블선택놀이 (Table Top Choices) 자유시간및청소귀가 메릴랜드의 Montgomery County 지역의카운티에서추천하는교육과정을살펴보면, 교과과정은크게미술, 수학, 음악, 체육, 읽기 / 언어영역, 과학, 사회로나눈다. 미국의경우유치원의경우대다수초등학교에서필요한능력개발에도움을주는것을목표로하고있다. 또한이지역에서는각과목의성적을유치원부터기록한다 ( 체육의경우 1학기, 2학기로나누어, 신체적건강 / 발달을체크하는데. 크게 4부분으로나뉜다.

17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55 < 표 Ⅳ-14> Montgomery County 유치원성적표체육부분 첫째 자립심을키우는과제를독립적으로할수있다. 둘째 기본적건강과안전규칙을따른다. 셋째 소근육운동을통한과제를수행하고자눈과손의협응기능을사용한다. 넷째 대근육운동을통한과제를수행하고자균형과콘트롤기능을사용한다. 다. 유아체육참여현황미국에서는어려서부터스포츠를접하고있다. 미국유아및어린이들의체육활동을살펴보기위해미국대표종목인야구와유아및초등학교에서인기있는축구 (soccer) 클럽을중심으로살펴보았다. 1) 리틀야구와소프트볼 1939년 Carl Stotz에의해서만들어진리틀야구연맹은 1939년 6월 6일첫게임을시작되었다. 현재는 102개국 176,000 팀, 2백만명 (2 million) 이넘는유소년들이리틀리그에참여하고있다. 리틀리그 (Little Leaque) 는수많은유소년야구리그중하나에불과하다. 리틀리그이외에도포니리그 (Pony League), 디지딘야구 (Dizzy Dean Baseball), 미국지역야구 (American Legion Baseball), USSSA 야구, 립컨야구 (Ripken Baseball), 베이브루스리그 (Base Buth League), 코리리그 (Khoury League) 등많은유소년야구리그가있다. 미국에서유소년야구 (youth baseball) 는주로유치원에다니는 5세, 6세부터시작되며, 나이에따라세부리그를구성하여운영하고있다. 지역단체의유소년야구단에서는 2세간격으로세부리그를나누어야구팀

174 15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을운영하고있으며, 최근에는 1세간격으로세부리그가나누어져야구팀이운영되기도한다. 리틀야구리그에서는유아들을대상으로티볼 (Tee Ball) 경기를개최한다. 리틀야구리그에서티볼 (Tee Ball) 은주로야구의기초를배우기를원하는 5~6 세 ( 지역에따라 7~8 세 ) 를대상으로한다. 타자는투수가던진공을치는대신 배팅티 라고불리우는막대위에놓은공을치게된다. 티볼의우선목표는아이들에게야구의기초를가르치고, 팀워크의가치를경험시키는것이다. 정식야구를배우기위한첫번째프로그램인티볼은간혹 4~6세부터시작하기도한다. 유소년야구팀운영은선수등록에서시합및행사일정작성, 야구지도, 야구기록, 야구장관리, 청소, 매점관리에이르기까지모든활동들이대부분부모들의자원봉사로이루어진다. 대부분의야구팀은감독, 2~3명의코치, 1명의담임어머니 (Team Mom), 11명~15 명의선수들로구성되어있다. 직업감독및코치들이중심인한국유소년야구와달리, 미국유소년야구감독과코치들은모두해당야구팀에속해있는선수들의부모들로구성되어있는경우가많으며보수가전혀없는자원봉사로활동하지만, 대부분이전직야구선수들로해박한전문지식을가지고있다. 이렇듯운영은대부분부모들의자원봉사로이루어지는것을알수있다. 2) 유소년축구 (Youth Soccer) 미국에서유치원과초등학생을포함한유소년들의참여율이가장높은스포츠종목은축구 (soccer) 이다. 만 4세부터고등학생까지다양한프로그램으로운영되고있는유소년축구시스템은일반레벨에서부터최고엘리트레벨까지다양하다. 특히축구 (soccer) 가미식축구 (football) 보다비용도저렴하고간단하며, 남학생뿐아니라여학생도차별없이참가할수있다

17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57 는장점이부각되며, 미식축구뿐아니라축구도함께가르치는학교들이증가했다. 미국유소년축구를대표하는기구는 American Youth Soccer Organization(AYSO) 라고할수있다. 1964년 LA서조직되어현재전국적으로 5만여팀, 65만명의선수들을양성하고있다. 4세~19세까지의유소년축구리그를운영하고있으며, 여자선수가전체선수중약 40% 를차지하고있다. 미국유소년축구연맹 (US Youth Soccer Association) 은 1974년발족했으며, 미국전역에걸쳐주마다한개이상의지부를두고있는데등록된회원수가 3백만명을넘는다. 회원들은 5세~19 세사이어린이와미성년자들이다. 미국유년축구연맹 은현재 미국축구연맹 의가장큰산하기구이다. 미전국에걸쳐가장광범위하게체계적으로운영되는아마추어레크리에이션레벨은유소년축구시스템이다. 만 5세이상어린이들을선착순모집하며, 매년 9월에서 11월까지축구시즌이고, 1월~3 월봄시즌으로나눠운영된다. 저렴한가격에주로부모님들이자원봉사로코치를하고어린이들을일찍축구와접하게하고재미있게운동하는것이목표이다. AYSO 의축구철학은 축구하고싶은사람은누구나능력에맞게참가할수있고, 선수는모두경기에참여하며, 격려를통한긍정적인지도로아이들에게자신감을주며, 훌륭한스포츠맨정신을심어준다 는것이다. 특히 모두경기에참여한다 는예를들어 10분씩 4쿼터로경기가진행된다면, 2쿼터끝나고휴식후그날참가다른선수로교체해모두경기에참가하게한다는것이다. 한편, 미국에사커맘 (Soccer Mom) 이란용어가있다. 우리말로직역하자면 축구엄마 가될이표현은미국에서널리퍼진사회현상중하나이다.

176 15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사커맘 은밴이나 SUV 로자식들을방과후축구장에실어다나르는엄마를가리키는말로시작되었다. 미국에서아이를키우며, 일주일에두번씩축구연습에따라다니고, 토요일마다의시합에따라다니며먹을것도준비하고응원도열심히하는등등여가시간을많이빼앗겨사커맘이라고부른다. 이러한현상은미국의아이들에게스포츠활동이일반적이며, 엄마를포함한부모에게아이들리그가많은부분을차지하고있음을단적으로보여준다고할수있다. 3. 일본 가. 유아체육추진체계 1) 체육관련조직가 ) 중앙정부 : 문부과학성스포츠 청소년국 (Sports and Youth Bureau) 일본의체육관련업무는문부과학성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의스포츠 청소년국 (Sports and Youth Bureau) 을중심으로이루어지며, 지자체의일본체육협회, JOC, 도도부현 ( 都道府縣 ) 의체육협회, 일본체육협회의가맹단체, JOC가맹의스포츠단체, 도도부현교육위원회에스포츠담당과를산하에두고국고보조제도를매개로한권한 재원을통해서관리 감독하고있다. 문부과학성의스포츠 청소년국 (Sports and Youth Bureau) 을중심으로기획 체육과 (Policy Planning Division) 가학교체육에관련된행정을분장하며, 학교건강교육과 (School Health Education Division) 는학교보건안전학교급식등에관한행정을담당한다. 생애스포츠 (Sports-for-all Division) 와경기스포츠과 (Competitive Sports

17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59 Division) 는사회체육을담당하며, 청소년과 (youth Division) 는청소년들의체력향상을담당하고있다. 문부과학성체육 스포츠행정에관한소관사항은문부성조직령 ( 제 64 조 ) 에의거하고있으며, 문부과학성스포츠청소년국의임무는학교체육, 스포츠충실, 생애스포츠사회실현, 경기력향상과국제경기대회개최지원등과각종스포츠진흥시책추진, 학교보건, 학교급식등, 건강교육충실, 청소년교육을비롯하여청소년건전육성시책추진등국민의심신을건전하게육성하기위한시책을통합하는데있다. 현재일본의스포츠및체육정책은 2001 년부터 10년간계획하고있는 스포츠진흥기본계획 에입각해추진되고있다. 스포츠진흥기본계획은스포츠활동기회를제공하는공공및민간단체와이용주민이나경기자가혼연일체가되어적극적으로전개함으로써스포츠진흥을도모, 밝고풍요하고활력찬 21세기사회를실현하는데목적을두고추진되고있다. 나 ) 민간 : 재단법인일본레크리에이션협회일본은새롭게반영된체육진흥을통한어린이체력향상이최우선사항임을명시하며민간에서는유아체육관련사업을활발히추진하고있다. 여기에서는재단법인일본레크리에이션협회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일본레크리에이션협회는문부과학성홈페이지에서제공하고있는어린이체력향상관련홈페이지를위탁운영하고있다 ( go.jp/a_menu/sports/tairyoku/ htm). 이홈페이지에서체력향상을위한지식, 자신의운동능력을체크, 실제신체움직임방법등을소개하고있다. 운동능력을체크하는부분에서는신체력테스트가있지만 6세이상으로실질적으로초등학생이상이대상이되고있다. 신체움직임부분에서는 NHK 에서유치원생을대상으로하는신체움직임동작

178 16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실시방법을소개하고있다. 2) 유아교육및보육관련조직가 ) 유아체육관련사업일본의유아교육업무는체육과마찬가지로문부과학성에서담당하고있다. 문부과학성의초 중등교육국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Bureau) 에서는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시각장애인학교, 농아학교, 정신적 신체적장애인, 그리고유치원에대한교육과정기준, 수업및학생지도에관한지침서등을제공한다. 유치원교육은학교교육법제22조를근거로유아기특성에부합하는환경속에서교육을실시하도록하고있다. 문부과학성에서는유치원교육요령에서체육활동과관련된내용을제시하고있다. 유치원체육활동의목적으로자신의몸을충분히움직이고, 스스로운동하는등의내용을제시하고있다. 문부과학성의유치원교육요령에입각해지역의특성에맞게유치원교육을실시하고있다. 일본의유아교육에서체육활동이유아의교육을위한수단으로그의미를부여받고있다. 나 ) 유아보육관련사업일본의유아보육관련정책은후생노동성에서담당하고있다. 후생노동성은보육원운영을위한아동복지시설최저기준 ( 후생성령제63호제 35 조 ) 에입각하여보육원의보육내용이나운영등에관한사항을보육소보육지침으로규정하고있다. 일본에서의보육은원칙적으로각보육원의보육이념이나목표에기초를두고어린이나보호자의상황이나지역의실정등을토대로이루어지는것이며, 그내용에대해서는각보육원의독자성과

17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61 창의성이일차적으로존중되어야한다고보고있다. 그러나모든어린이가최선의이익을얻을수있도록어린이의건강이나안전의확보, 발달의보장등의관점에서각보육소공통의보육내용이필요성을인식, 이를보육의기본사항으로정하고, 각보육소에서일정수준의보육을유지하도록하고있다. 전국의보육소는이러한보육지침을근거로어린이의건강및안전을확보, 어린이의하루의생활이나발달과정을전망, 보육의내용을조직적 계획적으로구성및실시하게된다. 이는일본의보육관련조직에서유아체육을보육과정의일환으로추진하고있는것으로해석할수있다. 나. 유아체육관련정책가 ) 체육관련조직 (1) 유아체육관련정책 ( 가 ) 문부과학성문부과학성에서는 1985 년경부터어린이의체력 운동능력의저하경향과비만등생활습관병의증가가심각한사회문제로부각됨에문부과학대신은문부과학성의자문기관인중앙교육심의회의 어린이의체력향상을위한종합적인대책 자문을받아 2003 년도부터어린이의체력향상추진사업을실시하고있다. 스포츠진흥기본계획 을토대로문부과학대신의자문기관인중앙교육심의회는첫째, 스포츠, 바깥놀이, 자연체험활동등어린이가보다신체를움직이고, 운동과친하게지내게되기위한대책둘째, 어린이의체력향상을위한바람직한생활습관을확립하기위한대책을마련하도록하였다. 스포츠 청소년분과회에서는이러한내용을모든국민들에게이해시키

180 16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고, 어린이의체력향상을위해행정, 가정, 학교, 지역사회등이서로연계하여추진할수있도록노력하고있다. 이중에서유아체육과관련된내용은 유아교육의충실 이라는내용으로추진되고있다. 유아교육의충실과관련된내용을살펴보면다음과같다 ( 문부과학성중앙교육심의회, 2002). 유아기는체력을기르는동시에서대단히중요한시기이기때문에운동이나놀이속에서충분히몸을움직이는것이필요하다. 이러한경험에의해체력이길러지는것은평생동안건강을유지하고적극적학습활동이나사회활동, 그리고풍요로운인생을보내는데있어중요한요소가된다. 유아기의체력은유아의흥미나생활경험에따른놀이속에서유아스스로가충분히몸을움직이는즐거움을경험하게하는것에서부터유치원등유아교육에서유아가몸을움직이는기회나환경을충분히제공하는것이필요하다. < 표 Ⅳ-15> 일본의스포츠진흥기본계획이해 기획 문부장관 ( 현문부과학장관 ) 자문기관인보건체육심의회에자문하여스포츠진흥법제 4 조에문부대신은스포츠의진흥에관한기본적계획을정하는것으로되어있지만그 스포츠진흥기본계획 이실현되지않아그기능을충실히하고자기획 배경 청소년의체력 운동능력의저하경향 친밀한스포츠환경의정비충실의필요성 국제경기력의장기적 상대적저하등의전반에적절히대응 스포츠에대한국민의관심및기대증가 저출산, 고령화등의사회환경변화 스포츠진흥투표법의실시등에관한법률의제정등새로운환경에부응할수있도록스포츠진흥시책을보다체계적 계획적으로추진 21 세기일본스포츠진흥도모, 생애스포츠 경기스포츠진흥, 학교체육과의연대를고려하면서스포츠진흥법제 4 조에근거하여 2000 년 9 월 13 일 스포츠진흥기본계획 을효과적으로추진

181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63 목적주요과제성격실행 스포츠활동기회를제공하는공공및민간단체와이용주민이나경기자가혼연일체가되어적극적으로전개함으로써스포츠진흥을도모, 밝고풍요하고활력찬 21 세기사회실현 스포츠진흥기본계획의목적을근거로다음세가지로설정 생애스포츠사회실현을위한지역스포츠환경의정비충실대책 일본의국제경기력의종합적인향상대책 생애스포츠및경기스포츠와학교체육스포츠와의제휴를추진대책 스포츠진흥법에근거하여장기적 종합적시점에서국가가목표로하는향후의스포츠진흥의기본방향을나타내는것 동시에지방공공단체가지방의여건에맞은스포츠시책을주체적으로추진하는데지침이되는것 2001 년도부터 10 년간에실현해야할정책목표설정, 그정책목표를달성하기위해필요한시책을나타낸것으로적절한추진상황파악노력과 5 년후재검토를도모 계획의추진에필요한재원확보에노력, 동시에국가예산, 스포츠진흥기금, 스포츠진흥투표권사업의수익금등다양한재원의배분에있어각종재원의역할을명확하게하여효율적자금활용에노력 심신의건강이서로밀접히관련되어있기때문에유아기에는운동을지도하는것이중요하다. 운동을지도할때는유아가자발적으로몸을움직이도록하는것이중요하다. 또한몸을움직이는것이유치원등에서일과성으로이루어지지않도록어린이의체력향상에대한보호자의의식을개선시켜가정과연계하여가정에서도적극적으로바깥놀이의기회를제공하는등몸을움직이는습관을기르는것도중요하다. 이를위해유치원등에서부모와자녀가함께하는운동이나체력향상에관한강좌등을개최하는것이필요하다. 시설측면에서는유아가몸을움직이고옥외에관심을가지도록유치원등에운동장, 잔디, 앞뜰등을정비하거나놀이기구의설치, 실외운동장의잔디화가적극적으로추진되고있다. 상기에서살펴본바와같이문부과학성에서는전국민을대상으로추진하고있는스포츠진흥기본계획의토대위에서유아교육측면에서체육활

182 16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동의중요성과그추진방향을구체적으로제시하고있다. 한편, 문부과학성은어린이의체력향상홈페이지를설치하여새로운체력시험실시요강, 전국체력운동기능, 운동습관등의조사등에관한내용을제시하고있다. 이외에여러가지놀이나스포츠, 종합형지역스포츠클럽, 스포츠소년단등에대한소개와문부과학성이실시하는사업에대한정보를전달하고있다. ( 나 ) 지방자치단체일본지방자치단체중가나가와현 ( 神奈川縣 ) 에서추진하고있는사업에대해분석하였다. 가나가와현에서는어린이의체력저하와비만등의문제가갈수록심각해지자유아의체력 운동능력의현황을파악하고건강 체력에대한기초자료를확보하며, 유치원이나보육원지도자의건강 체력에대한관심을제고하고지도자와보호자의인식을개선함으로써보다효과적으로어린이체력문제에대응할수있도록 유아의운동능력측정사업 을실시하고있다. 가나가와현에서는 2006 년과 2007 년유아를대상으로유아의운동능력을측정하고놀이공간과운동빈도, 운동강도및보육시간외과외활동등에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이러한조사결과는해당유치원및개인에게피드백해주고있다. 이외에도가나가와현에서는유아들을위한운동프로그램을제공해주고있다. 가나가와현에서실시한유아의운동능력측정항목에는 25m달리기와제자리멀리뛰기등 7가지가있으며, 이러한측정을통해달리기능력, 순발력, 근력, 민첩성등다양한체력정도가파악된다.

183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65 < 표 Ⅳ-16> 가나가와현유아대상운동능력측정항목및체력요소 측정항목 체력요소 25m달리기 달리는능력, 순발력 제자리멀리뛰기 도약능력, 순발력 테니스볼던지기 던지기능력 양쪽발로연속뛰어넘기 조정력, 민첩성 각신력 근력 (2006년옵션으로측정 ) 뒤로손집고걷기 조정력, 민첩성 (2007년도측정 ) 전신반응시간 민첩성 (2006년도만실시 ) 한편설문조사는유치원, 담임, 보호자대상조사가병행되었으며, 유치원조사내용에는정원의넓이, 원아수, 활동방침등이포함되었고, 담임조사에는담당유아의운동놀이의빈도, 강도등이, 그리고보호자에의조사에는형제수, 보육시간외의운동놀이, 운동배우기등이포함되었다. 이러한조사를기존결과와비교하여유아의지속적체력관리를위한방향등에대해제시해주고있다. (2) 유아체육지도자관련정책일본은정부차원에서유아체육지도자가양성되고있지는않다. 따라서민간단체에서유아체육지도자를양성하고있다. 여기에서는 ( 사 ) 유소년체육진흥협회의유아체육지도자양성과관련된내용에대해살펴보았다. 유아체육지도자는유치원이나보육원, 초등학교혹은스포츠시설등의유아부터초등학교저학년까지의아동을대상으로체육을가르치는전문가를말한다. ( 사 ) 유소년체육진흥협회의유아체육지도자는 1 5급으로구분되어있고, 1급상위에프로페셔널이라고하는급이있다.

184 16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998년부터유아체육지도자가양성되고있으며, 학과를수강해실기시험에합격해야자격을취득할수있다. 유아체육지도자자격을취득한사람은 12,000 명에이르고있으며, 전국에서유치원이나보육원등유아시설에서지도자로활동하고있다. 최근의유아체육지도자검정시험에유치원과보육원교사뿐아니라스포츠시설이나유아교실의전임강사의참여가두드러지고있다.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교육은하루이틀은강의를듣고, 3일째는실기시험을보게된다. 강의내용에는발육발달, 유아체육론, 지도프로그램, 리듬체조, 줄넘기, 맨손체조, 기본동작, 매트운동, 볼, 볼놀이, 뜀틀등이포함되어있다. 17세이상이면유아체육지도자과정에응시가가능하다 ( 나 ) 유아교육관련조직일본의유아교육업무는학교교육법에입각해문부과학성에서담당하고있다. 학교교육법제26조에따르면, 만 3세로부터초등학교취학시기에이를때까지의유아를대상으로, 유치원에서는의무교육및그후의교육의기초를기르고유아를보육하며, 유아의건강한성장을위해적당한환경을제공해주고심신의발달의도모하는데목적 ( 학교법제22 조 ) 을두고교육을실시하고있다. 새로운유치원교육요령에포함된체육활동관련내용은밝고자유롭게행동하고, 충실감을맛보고, 자신의몸을충분히움직이고, 자발적으로운동하며, 건강및안전한생활에필요한습관이나태도를익히는데목적을두고있다. 이러한목적달성을위해여러가지놀이속에서유아의흥미, 관심, 능력에따라전신을사용해몸을움직이는즐거움을맛보도록하고있다. 또한유아가자연속에서자유롭게몸을움직여신체의모든기능의

185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67 발달을촉진하도록하고, 옥외놀이를권장하고있으며, 이때유아의수준에적합한정원이나놀이기구의배치등을고려하도록하고있다. 이는우리나라유치원교육과마찬가지로유아의자발적신체활동의중요성과체육의전인적발달효과에중요한가치를두고있음을의미한다. 유치원교원등의자격을살펴보면, 유치원교사면허는원칙적으로단기대학졸업이상이어야하는데, 여기에유치원교사양성기관이포함된다 년 4월 1일부터초등학교등과같이교원면허갱신제가시작되어 10 년마다 30시간의면허갱신강습을수강하고인정시험을치루어야한다. 다 ) 유아보육관련조직유아보육은보육소보육지침을토대로이루어지고있다. 일본에서는보육은원칙적으로각보육원의보육의이념이나목표에기초를두고어린이나보호자의상황이나지역의실정등을토대로이루어지고있다. 그러나모든어린이가최대의이익을얻을수있도록전체보육지침을제시함으로써일정수준의보육이이루어질수있도록하고있다. 보육소보육지침에는보육환경의기준즉, 시설설비나직원배치기준 ( 아동복지시설최저기준, 후생성령제63호 ) 과보육에종사하는보육사자격기준, 보육소보육의질을담보하는내용등이포함되어있다. 또한보육지침은다른보육시설이나가정보육의가이드라인으로활용되고있다. 특히제5장에건강및안전중유아의체력육성을위하여 한사람한사람의발육 발달상태나매일의건강상태에배려하면서일상적인놀이나운동놀이등을통해서체력육성을할수있게고려하는것이필요하다 라고규정하고있어유아체육의중요성을명확히하고있다. 보육소보육지침중유아발달및체력관련지침내용에는어린이의발달과정과건강및안전에대한내용이포함되어있다. 먼저어린의발달과정

186 16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에관한내용을살펴보면, 어린의발달과정은약 6개월~1 세 3개월미만, 약 1세 3개월~2세미만, 약 2세, 약 3세, 약 4세, 약 5세, 약6세등크게 7 단계로구분하고있다. 이러한발달과정구분은동연령대가아닌각어린이의발달과정이고려되어야한다고제시하고있다. 또한보육사등은유아개개의발달과정과심신의상태에따라적절한원조및환경을조성하여보육을실시하는것이중요하다고명시하고있다. 한편, 유아의건강및안전에관한내용을살펴보면, 유아의건강및안전은유아의생명유지와건강한생활의기본이며, 보육소는개개유아의건강유지, 증진및안전확보와함께보육소전체의건강및안전의확보에노력해야한다고제시하고있다. 또한유아가자기의몸과건강에관심을갖고심신의기능을향상시키는것에대한중요성을강조하고있다. 특히유아한사람, 한사람의발육 발달상태나매일의건강상태를배려하면서일상적인놀이나운동놀이등을통해서체력육성을할수있게고려하는것이필요하다 ( 厚生労働省雇用均等 児童家庭局保育課, 2008 年 ) 고제시하고있다. 보육사자격은양성코스가있는학교에서취득하는방법외에고등학교졸업이상이라면자격시험에의해자격을취득할수있다. 보육사자격은당초보모로서여성에게한정되어있었지만, 쇼와 ( 昭和 ) 52년부터남자보모도인정을받게되어, 1999년부터남녀모두보육사라는명칭으로변경되었다.

187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69 < 표 Ⅳ-17> 일본의보육소보육지침중유아발달및체력관련내용 발달과정 약 6 개월 ~ 1 세 3 개월미만 약 1 세 3 개월 ~ 2 세미만 약 2 세 약 3 세 약 4 세 약 5 세 약 6 세 운동발달앉기에서걷기 운동기능관련 걷기를시작, 손을사용, 친한사람및자기자신의주위의것에자발적으로다가간다. 걷기, 뻗기, 잡기, 구르기등이다양한운동기능발달 걷기, 달리기, 뛰기등기본적운동기능과손가락기능이발달 기본적인운동능력이발달하여걷기, 달리기, 뛰기, 뻗기, 당기기, 던지기, 구르기, 매달리기, 차기등의기본적동작이가능 전신밸런스를유지할수있는능력이발달하여신체움직임이정교하게됨 운동능력이향상됨, 성인이실시가능한움직임이거의가능, 줄넘기, 볼놀이등몸전체를협응시켜복잡한운동이가능, 심폐기능이향상, 손의기능이향상향상됨 신체적인성숙과기능의발달과더불어전력질주, 도약등자신감을가지고활동, 전신운동이가능하여볼드리블, 뜀뜰뛰기, 말타기등운동에도전, 손의기능도정교해지며, 다이나믹한표현과섬세한가능 라 ) 유아체육과교육및보육관련협력조직일본의유아체육과교육을담당하는문부과학성과보육을담당하는후생노동성그리고내각부가공동으로 취학전의유아에관한교육 보육등종합적인제공의추진에관한법률 에입각해 인정어린이집 제도를운영하고있다. 인정어린이집 사업은유치원및보육소등에있는초등학교취학전의유아에대한교육및보육과보호자에게대한육아지원을종합적으로제공할목적으로추진되고있다. 유치원과보육소중일정기능을갖추고인증기준에도달할경우도도부현 ( 都道府縣 ) 지사로부터 인정어린이집 으로인정받게된다. 인정어린이집 교사는 0세부터 2세까지는보육사자격이요구되며, 3

188 17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세부터 5세까지는유치원교사와보육교사자격모두가능하다. 최근 인정어린이집의본연의모습에관한검토회 에서는유치원과보육소의기능을병행한인증어린이원의보급을촉진하기위하여, 2011년도에는인정어린이원수가 2,000 개소이상으로증가할수있도록하는긴급정책방안을마련을도모하였다 ( 다. 유아체육참여현황유아체육참여현황에관한자료가없는관계로유치원교육과정중체육활동참여를중심으로살펴보았다. 원아가 30인이상되는국공립 401곳과사립 1,203곳유치원을대상으로우편조사를통해교육과정내활동과교육과정외활동을조사한결과, 원내활동및원외활동모두체육활동이많은부분을차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これからの幼児教育を考える, ベネッセ次世代育成研究所, 2008) (%) 국공립 (401) 사립 (1203) 활동 0 체조 음악활동 영어 쓰기 읽기 계산 컴퓨터 한자 < 그림 Ⅳ-1> 교육과정내주요활동

189 Ⅳ. 국외의유아체육관련추진체계와정책 171 교육과정내에서이루어지는활동에대해조사한결과, 국공립과사립모두체조, 음악활동, 영어순으로높게나타났다. 체조는국공립이 29.7%, 사립은 75.0% 실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음악활동은국공립이 18.2%, 사립은 57.4%, 영어는국공립에서는 16.7%, 사립에서는 47.6% 실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100 (%) 80 사립 (1203) 스포츠클럽 ( 체조교실 ) 영어 ( 어학 ) 음악 ( 피아노바이올린 ) 유아용음악 그림교실 발례 수영 쓰기 한자 읽기 수학 ( 계산 ) 주산 학원 < 그림 Ⅳ-2> 교육과정외주요활동 출처 : これからの幼児教育を考える, ベネッセ次世代育成研究所 2008 秋号 교육과정외주요활동에대한조사결과, 스포츠클럽 체조교실이 59.9% 로가장많았으며, 영어회화등의어학의교실이 35.2%, 악기 ( 피아노, 바이올린등 ) 개인레슨이 31.9% 로나타났다. 심상섭 (2005) 이조사한일본의공공체육기관유형별유아체육프로그램을살펴본결과, 유아를위한프로그램에있어서가장높은운영비율을나타낸프로그램은스포츠교실형으로분류되는수영이약 80% 의기관에

190 17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서실시되고있는것으로나타났으며, 모자수영과캠프등은 40%, 리듬체조와모자수영 30%, 체조 20%, 신체조와그라운드미니골프, 개구쟁이종합기구체조, 수영과스포츠, 볼게임, 매트운동, 트램플린, 자전거등은각 1% 의기관에서실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 심성섭, 2005). 이러한결과는일본유아의경우유치원교육과정과교육과정이외의활동영역에서도체육활동이가장많이이루어지고있음을의미한다.

19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7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 의견조사 가. 유아체육활동현황 1) 유아체육의필요성유아체육의필요성을조사한결과, 매우필요하다 (23.8%), 필요하다 (66.8%) 가 90.6% 로보통이다 (8.2%) 와필요없다 (1.2%) 의 9.4% 보다 81.2% 높게나타났으며, 5점만점에평균점수는 4.13점이다. 한편부모성별로는여성 ( 평균 =4.14) 이남성 ( 평균 =3.97) 보다약간높게나타났으며, 자녀연령별로는 3세 ( 평균 =4.00), 4세 ( 평균 =4.10), 5세 ( 평균 =4.22), 6세 ( 평균4.19) 로 3~4세보다는 5~6세를둔부모가유아체육의필요성을더높게인식하는것으로나타났다. 매우필요하다 (23.8%) 필요없다 (1.2%) 보통이다 (8.2%) (n=500, 전체학부모 ) 5 점평균 4.13 점 필요하다 (66.8%) < 그림 Ⅴ-1> 유아체육의필요성

192 17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이필요한이유에대해조사한결과, 성장및발육발달 (50.3%), 건강및체력증진 (39.1%), 지 / 덕 / 체의조화로운발달 (9.3%), 체육활동습관형성 (1.3%) 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자녀연령이낮을수록성장및발육발달에대한필요성이높게나타났으며, 자녀연령이높을수록건강및체력증진에대한응답률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지 / 덕 / 체의조화로운발달 (9.3%) 체육활동습관형성 (1.3%) (n=453, 유아체육필요 학부모, 단위 : %) 건강및체력증진 (39.1%) 성장및발육발달 (50.3%) < 그림 Ⅴ-2> 유아체육이필요한이유 2) 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를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일주일에 1번 (26.6%), 참가하지않는다 / 일주일에 1번미만 (26.0%), 일주일에 2번 (16.8%), 일주일에 5번 (12.4%), 일주일에 3번 (12.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는일주일에 1번 (22.4%), 일주일에 5번 (19.6%), 일주일에 2번 (18.4%), 일주일에 3번 (15.6%), 참가하지않는다 / 일주일에 1번미만 (14.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19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75 전체학부모 ( n = 50 0 ) 전체유아 (n=250) ( 단위 : % ) 참가하지않는다 / 일주일에 1 번미만 일주일에 1 번 일주일에 2 번 일주일에 3 번 일주일에 4 번 일주일에 5 번 일주일에 6 번 매일 < 그림 Ⅴ-3> 유아체육참가여부및빈도 3) 유아체육비참가이유유아체육에전혀참가하지않거나일주일에 1회미만참가한다는응답자를대상으로비참가이유를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는적당한프로그램이없어서 (32.3%), 적당한시설이없어서 (20.8%), 아이가싫어해서 (15.4%), 경제적부담 (13.1%)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유아의경우는싫어해서 (45.9%), 적당한프로그램이없어서 (24.3%), 유아체육에관심이없어서 (10.8%), 경제적부담 (10.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 단위 : %) " 유아체육비참가 " 학부모 ( n = ) " 유아체육비참가 " 유아 (n=37) 적당한프로그램이없어서 적당한시설이없어서 아이가싫어해서 경제적부담 유아체육에관심이없어서 시간이없어서 아이가건강하지못해서 기타 < 그림 Ⅴ-4> 유아체육비참가이유

194 17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4) 유아체육참가연령및참가시기유아체육참가유아의연령은만 6세 (30.0%), 만 5세 (28.9%), 만 4세 (24.1%), 만 3세 (17.0%) 순으로나타났으며, 평균 60.5개월, 약만 5세인것으로나타났다. (n= 370, 유아체육참가 학부모, 단위 : %) 평균 60.5 개월 만 3 세만 4 세만 5 세만 6 세 < 그림 Ⅴ-5> 유아체육참가연령유아체육에처음참가한시기는만 3세 ~ 만 4세미만 (31.1%), 만 4세 ~ 만 5세미만 (25.1%), 만 2세 ~ 만 3세미만 (7.6%), 만 5세이상 (17.6%) 등의순으로나타났으며, 평균참가시기는 41.3 개월로약만 3세 5개월정도인것으로나타났다. (n= 37 0, 유아체육참가 학부모, 단위 : %) 31.1 평균 41.3 개월 만 2 세미만만 2 세 ~ 3 세미만 만 3 세 ~ 4 세미만 만 4 세 ~ 5 세미만 만 5 세이상 < 그림 Ⅴ-6> 유아체육참가시기

19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77 5) 유아체육참가이유유아체육에참가하게된이유로는부모의경우건강및체력증진 (51.9%), 기초운동능력향상 (19.2%), 아이가좋아해서 (17.3%), 전인적교육을위해 (7.6%)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도건강및체력증진 (39.9%) 이가장높게나타났으며, 기초운동능력향상 (20.2%), 체육활동을배우고규칙을지키며, 친구를사귀는것에도움을주기때문에 (19.2%), 체육활동이좋아서 (19.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 단위 : %)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건강및체력증진 기초운동능력향상 아이가좋아해서 전인적교육을위해 운동기술향상 기타 < 그림 Ⅴ-7> 유아체육참가이유 6) 유아체육참가종목참가하고있는유아체육종목을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공놀이 (40.8%), 체조 (34.6%), 자전거 (29.5%), 매트운동 (25.7%), 태권도 (24.6%), 줄넘기 (23.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는공놀이 (31.9%), 체조 (30.5%), 줄넘기 (28.2%), 자전거 (27.7%), 태권도

196 17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7.2%), 매트운동 (25.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자녀성별에따른참가종목을살펴보면, 자전거, 태권도, 축구등의경우는남아의참가율이높고, 줄넘기, 수영, 요가등은여아의참가율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자녀연령별로는공놀이, 체조등은만 3~4 세유아의참가율이만 5~6세보다높았고, 태권도, 줄넘기, 수영등은나이가많을수록참가율이높았다. 상위 10 개항목만제시함 ( 단위 : %, 복수응답 )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공놀이 체조 자전거 매트운동 태권도 줄넘기 기구운동 수영 육상 축구 < 그림 Ⅴ-8> 유아체육참가종목 주로참가하는종목을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태권도 (21.4%), 자전거 (15.4%), 공놀이 (12.4%), 체조 (12.4%), 매트운동 (8.1%), 수영 (7.6%), 줄넘기 (6.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태권도 (24.4%), 자전거 (13.6%), 체조 (9.9%), 줄넘기 (9.9%), 수영 (9.4%), 공놀이 (8.9%)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남아의경우는태권도와자전거가높은반면, 여아의경우는체조, 공놀이, 줄넘기, 수영등이높았다.

19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79 상위 10 개항목만제시함 ( 단위 : % )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태권도 자전거 공놀이 체조 매트 수영 줄넘기 육상 댄스 요가 운동 스포츠 < 그림 Ⅴ-9> 주로참가하는유아체육종목 7) 유아체육참가정도 1주평균유아체육참가횟수에대한조사결과, 부모의경우 1회 (37.0%), 2회 (23.2%), 3회 (16.5%), 5회 (16.2%) 순으로평균 2.5회로나타났으며, 유아의경우 1회 (29.6%), 2회 (22.5%), 5회 (22.1%), 3회 (18.3%) 의순으로평균 2.8 회로나타났다. 한편남아가여아보다평균참가횟수가약간많았고, 연령별로는나이가많을수록평균참여횟수가많게나타났다. ( 단위 : %)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학부모평균 2.5 회 유아평균 2.8 회 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 그림 Ⅴ-10> 1 주평균유아체육참가횟수

198 18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 단위 : %) 45.7 학부모평균 45 분 유아평균 49 분 분미만 30 분 ~ 1 시간미만 1 시간 ~ 1 시간 30 분미만 1 시간 30 분이상 < 그림 Ⅴ-11> 1 회평균유아체육참가시간 1회평균체육참가시간을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 30분~1시간미만 (45.7%), 1시간~1 시간 30분미만 (34.3%), 30분미만 (14.3%) 등의순으로평균 45분으로나타났으며, 유아의경우는 1시간~1시간 30분미만 (41.8%), 30분~1 시간미만 (41.3%), 30분미만 (10.3%) 등의순으로평균 49분으로나타났다. 한편 1회평균유아체육참가시간역시여아보다남아가약간길게나타났으며, 연령이높을수록평균참가시간도길게나타났다.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 단위 : %) 학부모평균 10.9 개월 유아평균 13.5 개월 개월미만 6 개월 ~ 1 년미만 1 년 ~ 1 년 6 개월미만 1 년 6 개월 ~ 3 년미만 3 년이상 < 그림 Ⅴ-12> 유아체육참가기간

19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81 참가기간에대한조사결과, 부모의경우, 6개월 ~1년미만 (35.1%), 1년 ~1 년 6개월미만 (26.5%), 6개월미만 (20.5%), 3년이상 (11.6%) 의순으로평균 10.9 개월정도로나타났으며, 유아의경우, 6개월 ~1 년미만 (31.9%), 1년 ~1 년 6개월미만 (28.2%), 3년이상 (18.8%) 의순으로평균 13.5 개월정도로나타났다. 8) 유아체육지출비용유아체육관련지출비용을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별도의지출비용이없음 (60%), 3만원미만 (11.4%), 3만원 ~5만원미만 (7.0%), 5만원 ~7만원미만 (9.2%), 7만원 ~10만원미만 (9.2%), 10만원이상 (3.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전체유아체육참가자의평균지출비용은 20,200 원이며, 비용지출자의평균지출비용은 50,500 원으로나타났다. 남아가여아보다유아체육관련지출비용이많았으며, 연령이높을수록지출비용도높게나타났다. (n=370, 유아체육참가 학부모, 단위 : %) 60.0 전체평균 : 20,200 원지출자평균 : 50,000 원 원 / 없음 3만원미만 3만원 ~ 5만원미만 5 만원 ~ 7 만원미만 7 만원 ~ 10 만원미만 10 만원이상 < 그림 Ⅴ-13> 월평균유아체육활동지출비용

200 18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관련지출비용이적당한가에대해서는보통이다 (44.6%), 매우적당하다 (2.0%), 적당하다 (34.5%), 비싸다 (18.9%) 의순으로나타났으며, 5점만점중평균 3.20 점이었다. 한편자녀성별이남아인경우는 5점만점중평균이 3.08 점으로여아 3.37 점보다낮게나타나남아의지출비용부담이낮았다. 적당하다 (34.5%) 매우적당하다 (2.0%) (n=148, 유아체육비용지출 학부모 ) 비싸다 (18.9%) 5 점평균 3.20 점 1 점 : 너무비싸다 5 점 : 매우적당하다 보통이다 (44.6%) < 그림 Ⅴ-14> 유아체육활동지출비용의평가 9) 유아체육시설비용을지출하면서이용하는유아체육시설의경우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37.2%), 어린이집 (26.4%), 공공체육시설 (20.3%), 유치원 (13.5%),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8.1%)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0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83 (n=148, 유아체육비용지출 학부모 )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어린이집 공공체육시설 유치원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기타 < 그림 Ⅴ-15> 유료유아체육시설 ( 복수응답 ) (n=370, 유아체육참가 학부모 ) 어린이집집근처유치원가정 공공체육시설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초 / 중 / 고학교시설 없음 < 그림 Ⅴ-16> 무료유아체육시설 ( 복수응답 ) 별도의비용을지출하지않고이용하는유아체육시설은어린이집 (37.0%), 집근처의공원 / 공터 / 놀이터 / 산책로등 (34.9%), 유치원 (22.2%),

202 18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가정 (6.8%), 공공체육시설 (5.4%),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2.2%), 초 / 중 / 고 등학교시설 (2.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10) 유아체육시설만족도유아체육시설에대한부모의만족도를살펴보면, 체육시설은편안히수업할수있도록안전하다 ( 평균 =3.67), 체육수업시환기나조명밝기가적당하다 ( 평균 =3.66), 적합한체육용구는적절히준비되어있다 ( 평균 =3.60), 체육시설의구조와방음등이적절하다 ( 평균 =3.58), 체육시설공간은충분하다 ( 평균 =3.57)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유아체육시설에대한유아의만족도는체육수업시환기나조명밝기가적당하다 ( 평균 =3.98), 체육시설은편안히수업할수있도록안전하다 ( 평균 =3.91), 적합한체육용구는적절히준비되어있다 ( 평균 =3.82), 체육시설공간은충분하다 ( 평균 =3.79), 체육시설의구조와방음등이적절하다 ( 평균 =3.77) 등의순으로나타났다.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 유아체육참가 " 유아 ( 단위 : 점 ) 체육시설의구조와방음등이적절하다 체육수업시환기나조명밝기가적당하다 체육시설공간은충분하다 체육시설은편안히수업할수있도록안전하다 적합한체육용구는적절히준비되어있다 < 그림 Ⅴ-17> 유아체육시설만족도

20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 유아체육프로그램만족도유아체육프로그램에대한부모의만족도조사결과, 유아가체육활동을즐거워한다와유아체육은유치원 / 어린이집의정규수업활동으로필요하다 ( 평균 =4.19), 유아체육프로그램은교육적효과가있다 ( 평균 =4.08), 체육활동시간은적당하다고생각한다 ( 평균 =3.92) 순으로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만족도가높게나타났다. 유아의경우체육활동이즐겁다 ( 평균 =4.30), 유아체육프로그램은체육활동을배우고규칙을지키며, 친구를사귀는것등에도움을준다 ( 평균 =4.14), 유치원 / 어린이집수업시간에유아체육을할필요가있다 ( 평균 =4.14), 체육활동시간은적당하다 ( 평균 =4.0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유아체육참가 " 학부모 (n=370)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 단위 : 점 ) 체육활동시간을즐거워한다 유아체육프로그램은교육적효과가있다 유아체육은유치원 / 어린이집의정규수업활동으로필요하다 체육활동시간은적당하다고생각한다 < 그림 Ⅴ-18> 유아체육프로그램만족도

204 18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2) 유치원 / 어린이집정규수업으로의유아체육필요성 매우필요하다 (25.0%) 전혀필요하지않다 (0.2%) 필요하지않다 (0.4%) 보통이다 (5.8%) (n=500, 전체학부모 ) 5 점평균 4.18 점 필요하다 (68.6%) < 그림 Ⅴ-19> 유치원 / 어린이집정규수업으로의유아체육필요성 유아체육이유치원및어린이집의정규수업활동으로이루어질필요가있다고생각하는지에대한조사결과, 필요하다 (68.6%), 매우필요하다 (25.0%), 보통이다 (5.8%), 필요하지않다 (0.4%), 전혀필요하지않다 (0.2%) 의순으로나타났으며 5점만점중평균은 4.18점이었다. 13) 유아체육의목표유아체육의목표를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건강및체력증진 ( 평균 =4.40), 건강한생활습관형성 ( 평균 =4.36), 기초운동능력향상 ( 평균 =4.30), 지 / 덕 / 체조화로운발달 ( 평균 =4.30), 건강한정신고취 ( 평균 =4.22), 사회성발달 ( 평균 =4.27), 지적능력발달 ( 평균 =4.18), 신체인식 ( 평균 =4.1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0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87 ( 단위 : 점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지도자 (n=370) 신체인식 건강및체력증진 기초운동능력향상 지 / 덕 / 체조화로운발달 건강한정신고취 사회성발달 지적능력발달 건강한 체육활동에 생활습관 대한흥미 형성 유발및증진 < 그림 Ⅴ-20> 유아체육의목표 유아체육지도자의경우, 건강및체력증진 ( 평균 =4.43), 체육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 평균 =4.41), 사회성발달 ( 평균 =4.36), 건강한생활습관형성 ( 평균 =4.33), 기초운동능력향상 ( 평균 =4.31), 신체인식 ( 평균 =4.24), 지 / 덕 / 체조화로운발달 ( 평균 =4.15), 건강한정신고취 ( 평균 =4.14), 지적능력발달 ( 평균 =3.8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14) 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를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유아체육전문기관 (51.0%), 유아교육 / 보육기관 (40.2%), 인근체육시설 (8.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체육지도자의경우, 유아체육전문기관과유아교육 / 보육기관협력후체육시설 / 유아시설 (48.0%), 유아체육전문기관 (27.5%), 유아교육 / 보육기관 (19.5%), 체육시설 (4.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06 18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n=500, 전체학부모 ) (n=200, 전체지도자 ) 체육시설 (8.8%) 유아체육전문기관 (51.0%) 유아체육전문기관과유아교육 / 보육기관협력후체육 / 유아시설 (48.0%) 무응답 (0.5%) 유아체육전문기관 (27.5%) 유아교육 / 보육기관 (40.2%) 체육시설 (4.5%) 유아교육 / 보육기관 (19.5%) < 그림 Ⅴ-21> 유아체육활동에적합한장소 나. 유아체육프로그램운영현황 1) 지도유아연령조사에참여한유아체육지도자 200 명이지도하고있는유아체육프로그램의수는총 529 개였으며, 이들프로그램에서유아체육지도자들이지도하고있는유아의연령은 5세 (29.7%), 4세 (25.0%), 6세 (19.7%), 3세 (16.1%), 혼합 (9.6%) 으로나타났다. 한편공공체육시설, 민간상업시설,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등체육위주시설의경우 5세와 6세의비율이비교적높게, 유치원과어린이집등보육관련시설의경우 3세와 4세의비율이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다.

20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89 ( 단위 : %) 연령혼합 6 세 5 세 세 세 전체 (n=529) 공공체육시설 (n=130) 유치원 (n =134) 어린이집 (n=101) 민간 / 상업시설 (n =42)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n=122) < 그림 Ⅴ-22>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유아연령 2) 지도인원프로그램에참여하는유아의인원을조사한결과, 6~10명 (36.5%), 11~15명 (19.2%), 21~25명 (12.5%), 1~5명 (8.7%) 등으로나타났으며, 프로그램당평균 15명을지도하고있었다. 한편 3세대상프로그램의경우평균 14 명, 4세대상프로그램은평균 15 명, 5세대상프로그램은평균 16명, 6세대상프로그램은평균 15명으로나타났다. ( 단위 : % ) 전체 (n=529) 3 세 (n = 85) 4 세 (n=132) 5 세 (n=157) 6 세 (n=104) 1 ~ 5명 6 ~ 10명 11 ~ 15명 16 ~ 20명 21 ~ 25명 26 ~ 30명 31명이상 평균 15명 14명 15명 16명 15명 < 그림 Ⅴ-23>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인원

208 19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3) 지도종목프로그램종목으로는수영 (13.4%), 기구운동 (8.3%), 축구 (7.6%), 매트운동 (6.4%), 줄넘기 (5.5%), 체조 (4.7%), 태권도 (4.2%), 요가 (4.0%), 인라인스케이트 (3.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단일종목중상위 10 개항목만제시함. (n=529, 단위 : %) 수영 기구운동 축구 매트운동 줄넘기 공놀이 체조 태권도 요가 인라인 스케이트 < 그림 Ⅴ-24>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종목 4) 지도장소프로그램을지도하는장소는공공체육시설 (25.0%), 유치원 (24.8%), 어린이집 (23.8%)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16.6%),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5.3%)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공공체육시설과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등의경우는 6세유아가참가하는프로그램에서높은비율을차지했으며, 3세와 4세유아가참가하는프로그램의경우는어린이집의비율이높게나타났다.

20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91 ( 단위 : %) 공공체육시설 유치원 어린이집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초 / 중 / 고등학교시설 공원 / 공터 / 놀이터등 < 그림 Ⅴ-25>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장소 5) 지도장소만족도지도장소에대한만족도조사결과, 매우만족 (23.4%) 과만족 (39.7%) 이 63.1% 로, 매우불만족 (0.2%) 과불만족 (9.6%) 의 9.8% 보다 53.3% 높게나타났으며, 5점만점에평균점수는 3.77점이었다. 지도장소별만족도를살펴보면,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 평균 =4.40), 민간 / 상업시설 ( 평균 =4.18), 공공체육시설 ( 평균 =4.03), 유치원 ( 평균 =3.41), 어린이집 ( 평균 =3.46) 등의순으로나타나, 유아교육및보육관련시설이체육시설에비해만족도가낮게나타났다.

210 19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단위 : %) 5 점평균 ( 점 ) " 만족 + 매우만족 " 응답률 (%) 전체 (n= 529) 공공체육시설 (n=132) 유치원 (n=131) 어린이집 (n= 126) 민간 / 상업시설 (n=28)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n=88) 초 / 중 / 고학교시설 (n=18) 공원 / 공터 / 놀이터등 (n =6) < 그림 Ⅴ-26> 프로그램운영현황 - 지도장소만족도 6) 주당지도횟수 ( 단위 : %) 61.1 평균 1.7 회 회 2회 3회 4회 5회 6회 < 그림 Ⅴ-27> 프로그램운영현황 - 주당지도횟수 총 529 개프로그램중주당 1 회지도하는프로그램이전체프로그램의 61.1% 를차지했으며, 2 회 (19.7%), 3 회 (12.9%), 5 회 (5.1%) 등평균

21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회로나타났다. 프로그램참여연령에따라주당지도횟수가큰차이를보이지않았으나, 프로그램운영기관별로는공공체육시설에서운영하는프로그램의경우주당평균지도횟수가 2.6회로다른기관에서운영하는프로그램에비해많은것으로나타났다. 7) 1회지도시간프로그램당 1회지도시간은 30분 (31.6%), 50분 (19.8%), 40~45 분 (19.5%), 60분 (13.6%), 30분미만 (11.5%), 60분초과 (4.0%) 등의순으로나타났으며, 평균 41분이었다. (N=529, 단위 : %) 31.6 평균 41 분 분미만 30분 40분 ~ 45분미만 50분 60분 60분초과 < 그림 Ⅴ-28> 프로그램운영현황 - 1 회지도시간 유아의연령별로는 3세대상프로그램의경우평균 34분, 4세대상은평균 40분, 5세대상은평균 41분, 6세대상은평균 52분으로나타났다. 프로그램운영기관별로는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에서운영하는프로그램이평균 51분으로가장길었으며, 공공체육시설 49분, 민간 / 상업스

212 19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포츠시설 43 분, 어린이집 33 분, 유치원 31 분등의순으로나타났다. 8) 운영기관프로그램의운영기관은유치원 (25.3%), 공공체육시설 (24.6%),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23.1%), 어린이집 (19.1%),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7.9%) 등의순으로나타났다. 3세대상프로그램의경우어린이집에서운영하는프로그램의비율이가장높았으며, 4세와 5세대상프로그램은유치원, 6세대상프로그램은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과공공체육시설이높게나타났다. (n=529, 단위 : %) 유치원 공공체육시설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어린이집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 그림 Ⅴ-29> 프로그램운영현황 - 운영기관 다. 유아체육지도자 1) 유아체육지도자의경력 유아체육을담당한지도자의경력에대한조사결과, 10 년이상 (29.0%),

21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년 ~10 년미만 (27.0%), 2 년 ~5 년미만 (26.5%) 의순으로나타났으 며, 지도자의평균경력은 92.1 개월이었다.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평균 92.1 개월 년미만 2 년 ~ 5 년미만 5 년 ~ 10 년미만 10 년이상 < 그림 Ⅴ-30> 유아체육지도경력 2) 유아체육지도자의소속기관및주출강시설 소속된유아체육관련기관 주로지도하는시설 공공체육시설 유치원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어린이집 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기타 < 그림 Ⅴ-31> 소속된유아체육관련기관 / 지도하고있는기관

214 19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유아체육지도자가소속된유아체육관련기관에대한조사결과, 공공체육시설 (27.5%). 유치원 (26.5%),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24.0%), 어린이집 (16.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유아체육지도자가주로유아체육을지도하고있는기관으로는유치원 (30.0%), 공공체육시설 (27.5%), 어린이집 (23.0%), 유아스포츠클럽 / 유아체육전문기관 (15.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3) 유아체육지도자의고용형태유아체육지도자의고용형태를조사한결과, 정규직 (74.0%), 계약직 (18.5%), 시간강사 (7.5%) 순으로나타났다. 한편비정규직유아체육지도자중에서 65.4% 는유아체육지도활동이외다른직업이없는것으로나타났다. 비정규직유아체육지도자가다른직업이있는경우, 대학생 / 대학원생 (9.6%), 일반사무직과판매 / 서비스직 (5.8%), 경영 / 전문 / 관리직 (3.8%), 자영업 (3.8%), 강사 (3.8%) 의순으로나타났다. (n=200, 전체지도자 ) (n=52, 비정규직 지도자, 단위 : %) 정규직 (74.0%) 계약직 (18.5%) 65.4 시간강사 (7.5%) 없음대학생 / 일반대학원생사무직 판매 / 서비스직 경영 / 자영업 강사 무응답 전문 / 관리직 < 그림 Ⅴ-32> 고용형태

21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97 4) 주출강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주출강유아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조사결과, 그렇다 (32.0%), 매우그렇다 (16.5%) 의긍정적인평가가 48.5% 로전혀그렇지않다 (2.5%) 와그렇지않다 (14.0%) 의부정적인평가에비해 16.5% 높게나타났으며, 5점만점에평균점수는 3.46 점이었다. 주지도기관별점수는민간 / 상업스포츠시설 ( 평균 =4.22), 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 ( 평균 =3.90), 공공체육시설 ( 평균 =3.80) 등의순으로높았으며, 유치원 ( 평균 =3.00 점 ) 과어린이집 ( 평균 = 3.22) 은상대적으로만족도가낮게나타났다. 매우그렇다 (16.5%) 전혀그렇지않다 (2.5%) 그렇지않다 (14.0%) (n=200, 전체지도자 ) 5 점평균 3.46 점 그렇다 (32.0%) 보통이다 (35.0%) < 그림 Ⅴ-33> 주출강유아체육시설에대한만족도 5)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적합한사람에대한조사결과, 부모의경우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는사람 (30.2%),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사람 (29.6%), 유아체육전공자 (24.2%),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7.2%) 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체

216 19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육지도자의경우,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사람 (37.0%),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사람 (32.0%), 유아체육전공자 (17.0%),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7.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자녀의성별이남아인경우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사람의응답률이가장높은반면, 여아인경우는유아교육 / 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사람의응답률이가장높게나타났다. 자녀연령별로는 3세와 6세의경우, 유아교육 / 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사람의비율이가장높고, 4~5세의경우는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사람의응답률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났다. ( 단위 :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지도자 (n=200) 체육을주유아교육 / 전공으로보육을주하고전공으로유아교육을하고체육을받은사람교육받은사람 유아체육전공자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유아교육 / 유아보육전공자 체육전공자 체육관련자격증소지자 중등교사자격증소지자 < 그림 Ⅴ-34> 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적합한사람 6)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는사람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는사람에대한부모의응답결과를살펴보면, 체육전담지도자 (57.6%), 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 (26.8%) 순으로

21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199 나타났다. 유아의경우, 체육전담지도자 (61.5%), 일반유치원교사 / 보 육교사 (25.4%), 가족 / 친지 (13.1%) 등의순으로나타났다. (n=370, 유아체육참가 학부모 ) (n=213, 유아체육참가 유아 ) 기타 (2.7%) 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 (26.8%) 특별히지도받지않음 (13.0%) 체육전담지도자 (57.6%) 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 (25.4%) 가족 / 친지 (13.1%) 체육전담지도자 (61.5%) < 그림 Ⅴ-35>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는사람 7) 유아체육지도자만족도유아체육지도자에대한부모의만족도조사결과, 지도자는수업을흥미롭게진행한다 ( 평균 =3.98), 지도자와유아의상호작용이충분하다 ( 평균 =3.79), 지도자는유아특성에적합하게지도한다 ( 평균 =3.78), 지도자는유아체육에대한전문성이있다 ( 평균 =3.75), 지도자의지도방법은효율적이다 ( 평균 =3.74) 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 지도자는수업을재미있게진행한다 ( 평균 =4.15), 지도자는우리에게알맞게잘지도한다 ( 평균 =4.08), 지도자와유아체육에대해잘알고잘가르친다 ( 평균 =4.02), 지도자와얘기가잘통한다 ( 평균 =4.02), 지도자의지도방법은좋다 ( 평균 =4.01) 의순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전반적으로유아의유아체육지도자에대한만족도가부모보다높다는것을의미한다.

218 20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한편부모의경우현재자녀를지도하고있는지도자가체육전담지도자인경우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에비해전반적으로만족도가높게나타났다. 유아역시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보다체육전담지도자에대한평가가더높게나타났다. ( 단위 : 점 ) " 유아체육활동지도 " 학부모 (n=322) " 유아체육참가 " 유아 (n=213) 지도자의지도방법은효율적이다 지도자는수업을흥미롭게진행한다 지도자는유아체육에대한전문성이있다 지도자와유아의상호작용이충분하다 지도자는유아특성에적합하게지도한다 < 그림 Ⅴ-36> 유아체육지도자에대한만족도 8)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에대한중요도조사결과, 부모의경우유아의발달특성이해 ( 평균 =4.47),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 평균 =4.46),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 평균 =4.44),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 평균 =4.43), 유아교육이해 ( 평균 =4.31), 체육활동지도능력 ( 평균 =4.2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체육지도자의경우,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 평균 =4.61),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 평균 =4.59), 유아의발달특성이해 ( 평균 =4.47),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 평균 =4.46), 체육활동지도능력 ( 평균 =4.21), 유아교육이해 ( 평균 =4.1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1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01 ( 단위 : 점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지도자 (n=200)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체육활동지도능력 유아의발달특성이해 유아교육이해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 그림 Ⅴ-37>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 9) 유아체육지도자선정요건유아체육지도자의선정요건에대한조사결과, 지도력 (51.6%), 교육신념및철학 (34.2%), 경력 (11.4%), 학력 (1.0%), 용모 (0.4%) 의순으로나타났다. (n=500, 전체학부모, 단위 : %) 지도력 교육신념및철학 경력학력용모기타 < 그림 Ⅴ-38> 유아체육지도자선정시중요한요건

220 20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0)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에대해서는부모의 89,6%, 유아체육지 도자의 89.5% 가필요하다고인식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다. (n=500, 전체학부모 ) (n=200, 전체지도자 ) 필요하지않다 (10.4%) 필요하지않다 (10.5%) 필요하다 (89.6%) 필요하다 (89.5%) < 그림 Ⅴ-39> 유아체육전담지도자의필요성 유아체육전담지도자가필요한이유를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유아에게양질의체육수업기회제공 (27.0%), 유아의기초운동능력향상 (23.7%), 유아체육수업의효과극대 (21.2%), 유아의전인적발달 (14.3%), 유아의체육수업에대한흥미제고 (13.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체육지도자의경우유아에게양질의체육수업기회제공 (43.0%), 유아체육수업의효과극대화 (23.5%), 유아의체육수업에대한흥미제고 (13.4%), 유아의전인적발달 (12.8%), 유아의기초운동능력향상 (7.3%)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2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03 " 전담지도자필요 " 학부모 (n=448) " 전담지도자필요 " 지도자 (n=179) ( 단위 : %) 유아에게양질의체육수업기회제공 유아의기초운동능력향상 유아체육수업의효과극대화 유아의전인적발달 유아의체육수업에대한흥미제고 < 그림 Ⅴ-40> 유아체육전담지도자가필요한이유 11) 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및전공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복수응답 ) 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 유아교사자격증 보육교사자격증 유아교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중등교사자격증 체육교사자격증 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5.0 기타 0.5 자격증및경력없음 < 그림 Ⅴ-41> 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및전공 유아체육지도자의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소지여부및관련전공 경험을조사한결과, 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55.5%), 생활체육지도

222 20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자자격증 (42.5%),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 (39.0%), 유아교사자격증 (35.5%), 보육교사자격증 (27.5%), 유아교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26.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자신이갖고있는자격증및관련전공이유아체육을지도하기위한전문성을갖추기에어느정도충분한가에대한조사결과, 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 평균 =3.97),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 ( 평균 =3.93), 유아교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 평균 =3.92),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 ( 평균 =3.85), 중등교사자격증 ( 평균 =3.72), 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 평균 =3.70), 체육교사자격증 ( 평균 =3.68)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이는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생과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취득자가유아체육지도의전문성을상대적으로더많이갖추고있다고인식하고있음을의미한다. 한편유아교사자격증 ( 평균 =3.45) 과보육교사자격증 ( 평균 =3.49) 의경우는다른자격증및전공에비해평가점수가상대적으로낮게나타났다. ( 단위 : 점 ) 유아교사자격증 보육교사자격증 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 생활체육지도자자격증 체육교사자격증 중등교사자격증 유아교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 기타자격증 / 경력 < 그림 Ⅴ-42> 유아체육지도관련자격증및전공 - 전문성평가

22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05 자신이갖고있는관련자격증및전공경험이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전문성을갖추기에충분하지않은부분에대한조사결과, 단순한운동기술이아니라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22.5%),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21.0%),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18.5%), 유아의발달특성이해 (16.0%),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12.0%), 체육활동능력 (8.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체육관련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유아의발달특성이해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체육활동능력 없음 < 그림 Ⅴ-43> 자격증및관련전공이전문성에충분하지않은부분 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있어자신이갖고있는자격증또는관련전공이전문성을갖추기에충분하지않은부분을조사한결과, 유아교사 보육교사자격증과유아교육 보육관련학과재학및졸업자는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에대한전문성이충분하지않다는응답률이높았으며, 유아체육, 생활체육자격증소지자의경우는대부분유아의발달특성이해에대한전문성이부족하다는응답률이높게나타났다.

224 20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2) 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에대한조사결과, 유아특성에부합하는체육활동효과 (35.5%), 유아교육의통합적관심 (33.5%), 유아의흥미와관심 (29.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유아특성에부합되는체육활동효과 유아교육의통합적관점 유아의흥미와관심 관련기관의철학과목적 관련기관에서제시해주는프로그램 < 그림 Ⅴ-44> 유아체육수업계획기준 라.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 1)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유형부모들이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유형의중요도를조사한결과, 체력및건강증진프로그램 ( 평균 =4.38), 기초운동능력향상프로그램 ( 평균 =4.34), 지 / 덕 / 체발달프로그램 ( 평균 =4.32), 생활체육참여로연계가능한프로그램 ( 평균 =4.09), 운동기술향상프로그램 ( 평균 = 3.96)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체육지도자들의경우, 체력및건강증진 ( 평균 =4.37), 기초운동능력향상 ( 평균 =4.34), 지 / 덕 / 체발달 ( 평

22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07 균 =4.26), 생활체육참여로연계 ( 평균 =3.86), 운동기술향상프로그램 ( 평균 =3.55) 등의순으로나타났다. ( 단위 : 점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지도자 (n=200) 기초운동능력향상프로그램 지 / 덕 / 체발달프로그램 체력및건강증진프로그램 생활체육참여로연계가능한프로그램 운동기술향상프로그램 < 그림 Ⅴ-45>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유형 2)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종목 참가종목상위 10 개만제시함 ( 단위 : %) 56.6 전체학부모 (n=500) 전체유아 (n=250) 수영태권도댄스줄넘기공놀이축구요가체조매트운동스포츠 ( 맨손체조, 생활체조 ) 검도 < 그림 Ⅴ-46>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종목 ( 복수응답 )

226 20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종목을조사한결과, 부모의경우수영 (56.6%), 태권도 (31.2%), 댄스스포츠 (17.8%), 줄넘기 (17.2%), 공놀이 (15.4%), 축구 (14.8%), 요가 (13.2%) 매트운동 (10.2%) 등의순으로나타났다. 유아의경우, 수영 (39.8%), 태권도 (25.8%), 축구 (21.2%), 댄스스포츠 (16.8%), 공놀이 (10.4%), 줄넘기 (10.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수영, 댄스스포츠, 줄넘기, 요가등은여아의선호도가높았으며, 태권도, 축구, 야구, 검도등은남아의선호도가높았다. 3) 유아체육프로그램참가희망횟수및시간 1주일평균유아체육프로그램참가희망횟수는부모와유아모두평균약 3회정도로나타났으며, 1회참가시간은부모의경우평균 52분, 유아는평균 53분으로나타났다. ( 단위 : %) 전체학부모 ( n= 500) 전체유아 (n=250) 학부모평균 2.8 회 유아평균 3.0 회 회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 그림 Ⅴ-47> 1 주일동안유아체육프로그램참가희망횟수

22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09 ( 단위 :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유아 (n=250) 학부모평균 52 분 유아평균 53 분 분미만 30 분 ~ 1 시간미만 1 시간 ~ 1 시간 30 분미만 1 시간 30 분이상 < 그림 Ⅴ-48> 희망하는유아체육프로그램 1 회참가시간 유아체육지도자들을대상으로 1 주일평균유아체육적합수업횟수를 조사한결과, 2 회 (48.0%), 3 회 (28.5%), 1 회 (14.5%) 등의순으로나 타났으며, 평균 2.4 회로나타났다.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48.0 평균 2.4 회 회 2회 3회 4회 5회 6회 < 그림 Ⅴ-49> 1 주일동안적합한유아체육수업횟수

228 21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4) 효과적유아체육수업을위한적정인원유아체육지도자들의효과적인유아체육활동을위한적정인원을조사한결과, 10~15명미만 (31.0%), 15~20명미만 (23.0%), 20명이상 (20.0%), 10명미만 (16.0%) 등의순으로평균 13명으로나타났다. 한편소속기관별로는어린이집평균 15명, 공공체육시설평균 14명, 유치원과유아스포츠클럽 / 전문기관은각각평균 13명으로나타났다. (n=200, 전체지도자, 단위 : %) 41.0 평균 13 명 명미만 10 명 ~ 15 명미만 15 명 ~ 20 명미만 20 명이상 < 그림 Ⅴ-50> 효과적유아체육수업을위한적정인원 5)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장소유아를대상으로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장소를조사한결과유아체육전문기관 / 스포츠클럽 (45.2%), 체육관 / 스포츠센터 (28.8%), 유치원 / 어린이집 (25.6%)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2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11 (n=250, 전체유아, 단위 : %) 유아체육전문기관 / 스포츠클럽 체육관 / 스포츠센터 유치원 / 어린이집 기타 < 그림 Ⅴ-51> 희망하는유아체육활동장소 6) 희망하는유아체육지도자유아들이희망하는유아체육지도자에대해조사한결과, 체육전담지도자 (76.8%) 가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 (20.4%) 보다매우높게나타났다. (n=250, 전체유아, 단위 : %) 체육전담지도자 일반유치원교사 / 보육교사 가족 / 친지 < 그림 Ⅴ-52> 희망하는유아체육지도자

230 21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마. 유아체육활성화방안 1) 유아체육활성화방안의필요성평가유아체육활성화방안의필요성에대한부모의평가결과는유아체육시설의확충과유아체육활동참가비인하 ( 평균 =4.25), 유아체육활동프로그램개발및보급 ( 평균 =4.17), 유아체육시간을정규수업시간에포함 ( 평균 =4.16) 등의순으로나타났다. 한편유치원교사및보육교사가유아체육실시에대한평가는평균 3.83 점으로다른방안에비해필요성이낮게나타났다. ( 단위 : 점 ) 전체학부모 (n=500) 전체지도자 (n=200) 유아체육지도자파견후 체육수업실시 유치원 / 보육교사가 유아체육실시 협력체육시설에서유아체육 지도자가실시 체육시설의유아체육 프로그램확대 유능한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유아체육시설의확충 유아체육의중요성홍보 부모의유아체육중요성인식 유아체육시간을 정규수업시간에포함 유아체육활동참가비인하 < 그림 Ⅴ-53> 유아체육활성화방안의필요성평가 지도자의경우,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 평균 =4.34), 유아체 육시설의확충 ( 평균 =4.24), 부모의유아체육에대한중요성인식 ( 평균 =4.23), 유아체육의중요성홍보 ( 평균 =4.20) 등의순으로나타났다.

23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13 한편, 유치원교사및보육교사가유아체육실시 ( 평균 =3.08), 유아체육활동 참가비인하 ( 평균 =3.5 점 ) 는다른항목에비해필요성이상대적으로낮으며, 부모의필요성평가에비해서도낮게나타났다. 2) 유아체육참가의향유아체육참가의향에대해조사한결과, 의향이있다 (71.4%), 의향이많이있다 (22.8%), 보통이다 (5.2%), 전혀의향이없다 (0.4%), 의향이없다 (0.2%) 순으로나타났으며, 5점만점에평균점수는 4.16 점이었다. 의향이많이있다 (22.8%) 전혀의향이의향이없다없다 (0.2%) (0.4%) 보통이다 (5.2%) (n=500, 전체학부모 ) 5 점평균 4.16 점 의향이있다 (71.4%) < 그림 Ⅴ-54> 유아체육참가의향 2. 델파이조사 델파이조사에서는유아체육의목표,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 유아 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자질, 유아체육교사 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적합

232 21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한유아체육지도자,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현실적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유아체육활성화방안을조사하였다. 델파이조사는총 20명을대상으로구조화된개방형설문지를통해이루어졌으며, 각항목별로다양한의견을조사하는방식으로이루어졌기때문에복수응답형태이다. 가. 1차델파이조사결과 1차델파이조사에서는유아체육과관련된제반사항을분석하는데목적이있다. 따라서각종유아체육관련선행연구를토대로작성된조사내용을전문가회의를통해검토한후개략적인내용을작성한다음이를토대로조사가이루어졌다. 1) 유아체육의목표유아체육의목표는사회성발달 (20), 건강및체력증진 (19), 기초운동능력향상 (19), 체육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19), 신체인식 (18), 지적능력발달 (18)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1> 유아체육의목표 요 소 응답수 사회성발달 20 건강및체력증진 19 기초운동능력향상 19 체육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19

23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15 건강한생활습관신장 18 신체인식 18 지적능력발달 18 건강한정신고취 17 지 덕 체조화로운발달 16 긍정적자아개념형성및자신감함양 4 소근육 대근육의조화로운발달 1 신체균형잡기 1 스트레스해소 1 잠재능력개발 1 체육활동의생활화로비행청소년행동장애예방 1 의사소통능력향상 1 2)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은기초운동능력향상 (20), 체력및건강증진 (19), 체육의생활화및생활체육참여로연계 (16), 운동능력및기술향상 (15), 지 덕 체발달 (14)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2>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 요 소 응답수 기초운동능력향상 20 체력및건강증진 19 체육의생활화및생활체육참여로의연계 16 운동능력및기술향상 15 지 덕 체발달 14 신체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2 사회성향상 2

234 21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신체균형잡기 1 스트레스해소 1 신체인식 1 긍정적자아형성 1 심신의조화로운발달 1 근력강화 1 놀이형태의스포츠기술습득동작구성 1 3)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은유아의발달특성을고려한유아맞춤형프로그램부족 (19),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를위한표준지침서부족 (17), 유아의전인적발달에기여할수있는프로그램부족 (17), 유아체육프로그램의다양성부족 (16), 유아거점기관인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15), 공공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15), 공급자중심적프로그램시행 (13)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3>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 요 소 응답수 유아의발달특성을고려한맞춤형프로그램부족 19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를위한표준지침서부족 17 유아의전인적발달에기여할수있는프로그램부족 17 유아체육프로그램의다양성부족 16 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15 공공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15 공급자중심의프로그램시행 13 국가적차원의인증프로그램부재 1 유아체육활용도구부족 1 놀이시간에이루어질수있는유아체육프로그램의부재 1 유치원교육과정및생활주제와연결된프로그램부족 1 사립유치원은체육강사에의존해프로그램이이루어짐 1

23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17 4)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유아체육지도자가갖추어야할자질로는유아의발달특성이해 (20), 유아교육이해 (19), 체육활동지도능력 (19),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18),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17),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16)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4>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요 소 응답수 유아의발달특성이해 20 유아교육이해 19 체육활동지도능력 19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18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17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16 유아지도에대한적성 1 체육을즐길줄아는태도 1 연령별 수준별로지도할수있는능력 1 유아들에게적합한언어사용 1 단정한외모와복장 1 체육활동에대한제반지식 1 지도자의교양 1 유아체육지도자로서의사명감 1 교육자로서의윤리적태도 1 5)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고있는교사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가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있어부족한부분은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16), 체육활동능력 (16), 단순한운동기술이아니라생활

236 21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15),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15),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14), 유아의발달특성이해 (13) 등의순으 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5>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요 소 응답수 체육관련내용에대한지식 16 체육활동능력 16 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15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15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14 유아의발달특성이해 13 수업진행능력 1 수업태도 1 체육활동의가치에대한인식부족 1 움직임교육의효과에대한전반적이해 1 연령에적합한체계적인체육활동지도능력 1 6)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현재유아체육을지도하고있는지도자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가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있어서부족한부분은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19), 유아의발달특성이해 (19),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17), 단순한운동기술이아니라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17),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12)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3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19 < 표 Ⅴ-6>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요 소 응답수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19 유아의발달특성이해 19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17 단순한운동기술이아니라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17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12 체육활동능력 9 유아체육과학교체육과의차이점인식 1 교과진도에따른학교체육과달리유아의흥미존중 1 적극적수업진행 1 유아라는특수성에따른계획및활동진행 1 교육적언어및대처능력 1 유아들의사회성및타인과의관계능력에대한파악능력 1 유아와의상호작용방법에대한지식및경험 1 지도자로서의프로의식부재 1 유아체육의가치와필요성에대한인식 1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능력 1 기초체력증진능력 1 7)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를위한방안으로는대학의체육관련학과에유아교육및보육관련필수과목확대 (17), 유아체육관련지도자의연수교육확대 (16), 유아체육전담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15), 민간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15), 대학의유아교육및보육관련학과에유아체육관련필수과목확대 (14)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238 22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Ⅴ-7>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요 소 응답수 대학의체육관련학과에유아교육및보육관련필수과목확대 17 유아체육관련지도자의연수교육확대 16 유아체육전담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15 민간유아체육지도자의자격제도보완 15 대학의유아교육및보육관련학과에유아체육관련필수과목확대 14 유아체육과신설 3 유아와의효과적인상호작용방법교육구체화 1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1 지도자의소양과자질향상프로그램연구 교육시행 1 유아체육지도자양성연수시유아교육전공자를강사로위촉 1 8)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유아체육을지도하는데적합한사람은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자 (15),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사람 (15), 유아체육전공자 (14),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14), 체육관련자격증소지자 (11),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 (11), 체육전공자 (1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8>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 요 소 응답수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자 15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자 15 유아체육전공자 14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14

23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21 체육관련자격증소지자 11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 11 체육전공자 10 중등교사자격증소지자 9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로유아체육을교육받은자 1 유아교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체육과목을이수한자 1 유아에대한폭넓은이해를습득한자 1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부전공으로이수한자 1 유아교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을취득한자 1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대학원에서유아교육전공을취득한자 1 민간유아체육지도자 1 유아교육과체육교육을복수전공한자 1 9)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유아체육을지도하기좋은곳은유아교육기관 보육 체육기관 (17), 유아교육기관 보육기관 (15), 체육기관 (15), 유아체육전문기관 (14)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9>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요 소 응답수 유아교육기관 보육기관 체육기관 17 유아교육기관 보육기관 15 체육기관 15 유아체육전문기관 14 아이들이안전하게뛰어놀수있는공간이면어디든가능 1 안전장비, 전문지도자가있는시설 1

240 22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0)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예산이나현실적제약요인등을고려할때, 유아체육시설확보를위한대안으로는유아체육전문기관 시설과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체육시설사용협력 (17),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시설조성 (17), 체육시설을이용한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17), 유아체육전문기관의시설활용 (15)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10>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요 소 응답수 유아체육기관 시설과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체육시설사용협력 17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시설조성 17 체육시설을이용한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17 유아체육전문기관의시설활용 15 체육시설과유아체육전문기관과의시설활용연계사업 3 지역단위별유아체육거점기관선정및확대 1 11)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은유치원및어린이집평가인증항목으로체육수업시간포함 (18), 교사대상유아체육연수확대 (17), 유아교육및보육기관관계자의유아체육필요성교육및홍보 (16), 유아부모대상유아체육필요성홍보 (16)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23 < 표 Ⅴ-11>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요 소 응답수 유치원및어린이집평가인증항목으로체육수업시간포함 18 교사대상유아체육연수확대 17 유아교육및보육기관관계자의유아체육필요성교육및홍보 16 유아부모대상의유아체육필요성홍보 16 프로그램의전문성과질향상 3 각교육청에유아체육전담교사배치및순회근무 1 유아교육기관에유아체육지도자인력제공 1 유아전문체육시설과상호연계 1 유치원및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에대한체육전공자의컨설팅 1 유아체육활동을위한다양한시설및기구지원 1 체육활동여건이좋지않은유아기관의주변체육시설사용허가 1 정부차원의유아체육교육지원 1 유아체육의정규프로그램화 1 12) 유아체육활성화방안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방안으로는부모의유아체육에대한중요성인식 (18),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협력확대 (18), 유아체육시간을정규수업시간에포함 (18),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18),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17), 유능한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 (17), 유아체육시설의확충 (17), 유아체육의중요성홍보 (17)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2 22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Ⅴ-12> 유아체육활성화방안요 소 응답수 부모의유아체육에대한중요성인식 18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의협력확대 18 유아체육시간을정규수업시간에포함 18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18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17 유능한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 17 유아체육시설의확충 17 유아체육의중요성홍보 17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유아체육지도자파견후체육수업실시 16 유치원 / 보육기관과체육시설의협력체결및체육지도자의지도 16 유치원교사및보육교사가유아체육실시 15 유아체육활동참가비인하 13 유아체육의긍정적효과지속적연구및홍보 1 유아교육전공과목에유아체육교과목신설 1 유아교육기관과체육대학협력체제구축 1 운동기술발달피라미드에의한성장단계별프로그램개발및보급 1 대학의유아교육전공의체육활동확대의무화 1 체육기구구입등에국가보조금지급 1 나. 2차델파이조사결과 2차델파이에서는각평가영역별로전문가들의유사한응답을분류한후 1차델파이문항을수정, 보완, 첨가, 삭제하였다. 그런다음 1차에서도출된유아체육관련제반의견에대한상대적중요도를분석하기위해 5점척도로응답하도록하였다.

24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25 1) 유아체육의목표유아체육의목표에대한조사결과를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분류및분석하였다. 그결과, 운동능력향상 ( 평균 =4.6) 을위한신체적발달, 건강한정신고취 ( 평균 =4.1) 를위한정서적발달, 사회성발달 ( 평균 =4.1%) 순으로유아체육목표가높게나타났다. < 표 Ⅴ-13> 유아체육의목표 신체적정서적사회적기타 요 소 평균 기초운동능력향상 4.6 신체인식 4.4 건강및체력증진 4.3 체육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4.2 신체균형잡기 3.8 소근육 대근육의조화로운발달 2.6 평균 4.0 건강한정신고취 4.1 긍정적자아개념형성및자신감함양 3.8 지적능력발달 3.7 스트레스해소 3.4 평균 3.8 사회성발달 4.1 체육활동의생활화로비행청소년행동장애예방 3.9 의사소통능력향상 3.1 평균 3.7 지 덕 체의조화로운발달 4.5 건강한생활습관신장 3.9 잠재능력개발 3.4 평균 4.0

244 22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2)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에대한조사결과기초운동능력향상 ( 평균 =4.4) 을위한신체적발달, 스트레스해소 ( 평균 =4.2) 을위한정서적발달, 사회성향상 ( 평균 =4.2) 을위한사회적발달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14> 유아체육프로그램의주안점 요 소 평균 기초운동능력향상 4.4 신체균형잡기 3.7 신체인식 3.7 신체적 체력및건강증진 4.0 신체활동에대한흥미유발및증진 3.5 운동능력및기술향상 3.5 근력강화 3.3 놀이형태의스포츠기술습득동작구성 3.2 평균 3.7 정서적 스트레스해소 4.2 긍정적자아형성 4.1 평균 4.2 사회적 사회성향상 3.9 평균 3.9 체육의생활화및생활체육참여로연계 4.4 기타 심신의조화로운발달 4.0 지 덕 체발달 3.5 평균 4.0

245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27 3)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에대한조사결과,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를위한표준지침서부족 ( 평균 =4.4), 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 평균 =4.3), 유아의전인적발달에기여할수있는프로그램부족 ( 평균 =4.2), 유아체육프로그램의다양성부족 ( 평균 =4.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15> 유아체육프로그램의문제점 요 소 평균 유아체육프로그램지도를위한표준지침서부족 4.4 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4.3 유아의전인적발달에기여할수있는프로그램부족 4.3 유아의발달특성을고려한유아맞춤형프로그램부족 4.2 유아체육프로그램의다양성부족 4.0 공급자중심적프로그램시행 4.0 공공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부족 3.9 국가적차원인증프로그램부재 3.5 사립유치원은체육강사에의존해프로그램이이루어짐 3.5 유치원교육과정및생활주제와연결된프로그램부족 3.4 유아체육활동도구부재 3.2 놀이시간에이루어질수있는유아체육프로그램의부재 3.1 4)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유아체육지도자가자질에대한조사결과, 체육활동지도능력 ( 평균 =4.7), 유아의발달특성이해 ( 평균 =4.5), 유아교육이해 ( 평균 =4.4),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 평균 =4.4) 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6 22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Ⅴ-16> 유아체육지도자의자질요 소 평균 체육활동지도능력 4.7 유아의발달특성이해 4.5 유아교육이해 4.4 유아의호기심및흥미유발 4.4 유아에대한관심과이해 4.3 유아와원활한상호작용 4.3 교육자로서의윤리적태도 4.1 유아지도에대한적성 4.1 연령별 수준별로지도할수있는능력 4.1 유아들에게적합한언어사용 4.0 체육을즐길줄아는태도 3.9 유아체육지도자로서의사명감 3.9 지도자의교양 3.9 체육활동에대한제반지식 3.7 단정한외모와복장 3.5 5)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가유아체육지도자로서전문성이부족한이유에대한조사결과,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 ( 평균 =3.8),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 평균 =3.7),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 평균 =3.6), 연령에적합한체계적인체육활동지도능력 ( 평균 =3.6)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7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29 < 표 Ⅴ-17>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유아및보육관련전공자 ) 요소평균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 3.8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3.7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3.6 연령에적합한체계적인체육활동지도능력 3.6 유아의발달특성이해 3.4 움직임교육의효과에대한전반적이해 3.3 체육활동능력 3.2 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3.1 체육활동의가치에대한인식부족 3.1 수업진행능력 2.9 수업태도 2.9 6)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가유아체육지도자로서전문성이부족한이유에대해조사한결과,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 평균 =4.0), 유아의발달특성이해 ( 평균 =3.8), 체육활동능력 ( 평균 =3.5),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능력 ( 평균 =3.3), 교육적언어및대처능력 ( 평균 =3.3)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8 230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Ⅴ-18> 유아체육교사및지도자의전문성부족부분 ( 체육및사회체육관련전공자 ) 요소 평균 유아의전인적발달에필요한내용 4.0 유아의발달특성이해 3.8 체육활동능력 3.5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능력 3.3 교육적언어및대처능력 3.3 유아와의상호작용방법에대한지식및경험 3.2 체육관련내용에대한포괄적지식등총체적내용 3.2 유아라는특수성에따른계획및활동진행 3.2 유아체육과학교체육과의차이점인식 3.1 유아들의사회성및타인과의관계능력에대한파악능력 3.1 단순한운동기술이아니라생활주제와연계된통합적유아체육 3.0 유아체육의가치와필요성에대한인식 2.9 지도자로서의프로의식부재 2.8 교과진도에따른학교체육과달리유아의흥미존중 2.7 적극적수업진행 2.7 기초체력증진능력 2.5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2.3 7)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에대한조사결과, 민간유아체육지도자자격제도보완 ( 평균 =4.3), 대학의유아교육및보육관련학과에유아체육관련필수과목확대 ( 평균 =4.1), 지도자의소양과자질향상프로그램연구 교육시행 ( 평균 =4.1) 순으로높게나타났다.

249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31 < 표 Ⅴ-19> 유아체육지도자의전문성확대방안 요 소 평균 민간유아체육지도자자격제도보완 4.3 대학의유아교육및보육관련학과에유아체육관련필수과목확대 4.1 지도자의소양과자질향상프로그램연구 교육시행 4.1 유아와의효과적인상호작용방법교육구체화 4.0 유아체육관련지도자의연수교육확대 4.0 대학의체육관련학과에유아교육및보육관련필수과목확대 4.0 유아체육과신설 3.9 유아체육전담지도자양성및배치확대 3.8 유아체육지도자양성연수시유아교육전공자를강사로위촉 3.6 유아교육영역과의연계성 3.3 8)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에대해조사한결과,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자 ( 평균 =4.3), 유아체육전공자 ( 평균 =4.2),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자 ( 평균 =4.1),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로유아체육을교육받은자 ( 평균 =4.0),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대학원에서유아교육을전공으로학위취득자 ( 평균 =4.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250 232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 표 Ⅴ-20> 적합한유아체육지도자요 소 평균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받은자 4.3 유아체육전공자 4.2 유아교육및보육을주전공으로하고체육을교육받은자 4.1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로유아체육을교육받은자 4.0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대학원에서유아교육학위를취득한자 4.0 체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교육을부전공으로이수한자 3.9 유아교육및유아보육전공자 3.9 유아교육과체육교육을복수전공한자 3.9 유아교육을주전공으로하고유아체육지도자자격증을받은자 3.8 유아를주전공으로하고유아체육과목을이수한자 3.7 체육관련자격증소지자 3.2 국가공인유아체육지도자 3.2 체육전공자 3.0 민간유아체육지도자 2.7 유아에대한폭넓은이해를습득한자 2.6 중등교사자격증소지자 2.4 9)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유아체육을실시하기에적합한장소에대한조사결과, 유아체육전문기관 ( 평균 =4.3), 유아교육및보육기관 ( 평균 =4.2), 유아교육, 보육, 체육시설모두 ( 평균 =4.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251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233 < 표 Ⅴ-21> 적합한유아체육실시장소 요 소 평균 유아체육전문기관 4.3 유아교육기관및보육기관 4.2 유아교육기관 보육기관 체육기관 4.0 체육시설 3.8 안전장비, 전문지도자가있는시설 3.6 아이들이안전하게뛰어놀수있는공간이면어디든가능 )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유아체육시설을확보하기위한현실적방안에대한조사결과,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시설조성 ( 평균 =4.3),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 평균 =4.2), 유아체육전문기관의시설활용 ( 평균 =3.9)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22> 유아체육시설확보방안 요 소 평균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시설조성 4.3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4.2 유아체육전문기관의시설활용 3.9 유아체육기관 시설과유아교육및보육기관의체육시설사용협력 3.8 체육시설의유아체육전문기관의연계사업을통한시설활용 3.4 지역단위별유아체육거점기관선정및확대 3.0

252 234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11)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유치원과어린이집의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에대한조사결과, 유치원및어린이집평가인증항목으로체육수업시간을포함 ( 평균 =4.3), 유아교육및보육기관관계자의유아체육필요성교육및홍보 ( 평균 =4.2), 각교육청에유아체육전담교사를배치 순회근무 ( 평균 =4.1), 유아체육활동을위한다양한시설및기구지원 ( 평균 =4.0), 유아부모대상유아체육필요성홍보 ( 평균 =4.0)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23> 유치원과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확대방안 요 소 평균 유치원및어린이집평가인증항목으로체육수업시간포함 4.3 유아교육및보육기관관계자의유아체육필요성교육및홍보 4.2 각교육청에유아체육전담교사를배치 순회근무 4.1 유아체육활동을위한다양한시설및기구지원 4.0 유아부모대상의유아체육필요성홍보 4.0 교사대상유아체육연수확대 3.9 정부차원의유아체육교육지원 3.8 유아체육의정규프로그램화 3.7 유아교육기관에유아체육지도자인력제공 3.6 체육활동여건이좋지않은유아기관의주변체육시설사용허가 3.6 유치원및어린이집유아체육활동에대한체육전공자의컨설팅 3.5 유아전문체육시설과상호연계 3.4 프로그램의전문성과질향상 2.9

253 Ⅴ. 유아의체육활동관련조사 ) 유아체육활성화방안유아체육의활성화방안조사결과, 유능한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 ( 평균 =4.4), 유아체육활동참가비인하 ( 평균 =4.4), 유아체육시설의확충 ( 평균 =4.3), 유치원 / 보육기관과체육시설이협력체결및체육지도자의지도 ( 평균 =4.2) 등의순으로높게나타났다. < 표 Ⅴ-24> 유아체육활성화방안요 소 평균 유능한유아체육지도자양성및배치 4.4 유아체육활동참가비인하 4.4 유아체육시설의확충 4.3 유치원 / 보육기관과체육시설이협력체결및체육지도자의지도 4.2 부모의유아체육에대한중요성인식 4.1 유아체육의중요성홍보 4.1 체육시설의유아체육프로그램확대 4.1 유아체육프로그램개발및보급 4.0 유아교육및보육기관에유아체육지도자파견후체육수업실시 4.0 유아체육시간을정규수업시간에포함 3.8 운동기술발달피라미드에의한성장단계별프로그램개발및보급 3.8 유아체육의긍정적효과지속적연구및홍보 3.8 유아교육전공과목에유아체육교과목신설 3.6 유아교육기관과체육대학협력체제구축 3.5 체육기구구입등에국가보조금지급 3.4 유치원교사및보육교사가유아체육실시 3.3 대학의유아교육전공의체육활동확대의무화 3.3 문화체육관광부,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의협력확대 3.1

254 236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Ⅵ.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 1. 유아체육활성화정책추진방향 유아체육활성화는유아의체육활동참가율제고를의미한다. 그러나유아의체육활동참가율제고를통해추구하는목적은다른연령대와차이가있다. 일반적으로국민대상체육활동참가는여가선용을통한건강유지및증진과삶의질향상등의목적이강조되고있다. 그러나유아의체육활동참가는유아기발육발달을위한교육수단으로의목적에무게중심이실려있다. 이는인간의신체적발달뿐아니라인지적, 정의적, 사회적발달이상당부분유아기에이루어져, 이의수단으로체육활동의중요성이강조되고있기때문이다. 이와더불어체육활동의보편적목적인건강및체력증진과여가선용등체육활동참가와관련된기술습득을통해궁극적으로삶의질을제고하는데도목적이있다. 따라서체육활동참가율제고또한유아기특성에부합하는체육활동효과와가치를충분히발현할수있는방향으로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유아체육의목적은 Gallahue(1996) 가발달적체육교육에서움직임교육의방법을 움직임을위한학습 (learning to movement) 과 움직임을통한학습 (learning through movement) 이라고주장한것과맥을같이하고있다. 움직임을위한학습 이란자신의신체를움직임으로써자신의발견을도모하고기본적인동작을배우며체력을증진하는학습활동이며, 움직임을통한학습 이란신체를움직임으로써인지및정서를포함한전반적인발달을추구하고자하는목적하에여러가지다양한움직임을시도하고경험하게하는것이라할수있다.

255 Ⅵ.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과제 237 움직임교육에대한 Gallahue(1996) 의접근방식은스포츠로의사회화 (socialization into sport) 와스포츠를통한사회화 (socialization via sport) 와같은맥락에서이해할수있다. 스포츠로의사회화란스포츠에참가하는그자체를의미하는것이며, 스포츠를통한사회화는스포츠활동에참가하면서학습된기능, 가치, 지식, 태도등이다른사회현상으로전이또는일반화되는과정이라할수있다 ( 임번장, 1994). 여기에서스포츠로의사회화는운동기술등을학습하기위해스포츠에입문하는것으로해석할수있으며, 스포츠를통한사회화는스포츠활동을통해학습된가치나태도가다른사회상황에전이되어일반적으로바람직한사회인이되는데정적영향을미치는것을의미한다. 상기의움직임교육및스포츠사회화접근방법과유아의발달특성을고려할때, 움직임이나스포츠참가를위한학습측면과움직임혹은스포츠참가를통한학습측면이동시에고려된유아체육진흥방향설정이필요한것으로판단된다. 따라서유아체육활성화의방향을체육활동을통한학습과체육활동을위한학습으로설정하고, 유아체육의전인적발달이라는교육적효과와체육활동자체를습득하여생애체육기반을조성하는측면에서다양한정책사업을개발하였다. 2. 유아체육활성화비전과목표 가. 유아체육활성화의비전유아체육활성화의비전은체육활동을통해유아의전인적발달과생애체육기반구축으로설정하였다. 전인적발달은체육활동이유아의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신체적발달을조화롭게달성하도록한다는의미로서,

256 238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정책방안 체육활동을통한학습방향과부합하는것이다. 생활체육기반구축이란유아기체육활동입문기회를확대하여운동습관을형성하게함으로써평생동안체육활동에참가할수있도록하자는의미로, 체육활동을위한학습기회확대방향에부합하는것이다. 나. 유아체육활성화의목표유아체육활성화의목표는크게두가지로구분할수있다. 하나는체육을통한학습기회확대를위해유아기관의교육과정과보육과정에체육교과를확대하는것이며, 다른하나는체육을위한학습기회확대를위해생활체육참가기회를확대하는것이다. 유아체육활성화정책은유아체육 < 그림 Ⅵ-1> 유아체육활성화를위한비전, 목표, 전략, 추진과제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Ta www.sen.go.kr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 시설 설비및교구기준연구 2012. 10. 학교교과교습학원 ( 예능계열 ) 및평생직업교육학원의시설 설비및교구기준적정성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Facilities, and Equipment Analysis in Private Academy and It's Developmental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목 차 2012-5 - 7) - 6 - - 7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1 사업명 - 8 - 2 필요성및목적 - 9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0 - - 11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2 - - 13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2-1 필요성 - 14 - 2-2 목적 3 사업내용총괄 3-1 사업개요 - 15 - 직업교육의메카,

More information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 년 ~ 2018 년 전라남도 제출문 보건복지부장관귀하 전라남도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15-2018) 을제출합니다. 2014. 12. 20. 전라남도지사 - 목차 - - i - - ii - - 표차례 - - iii - - iv - - v - - vi - - 그림차례 - - vii - 제 3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More information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01 02 8 9 32 33 1 10 11 34 35 가족 구조의 변화 가족은 가족 구성원의 원만한 생활과 사회의 유지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능 사회화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행동 가구 가족 규모의 축소와 가족 세대 구성의 단순화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 1인 또는 1인 이상의 사람이 모여 주거 및 생계를 같이 하는 사람의 집단 타나는 가족 구조의

More information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세미나자료집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세미나자료 전국초 중 고성교육담당교사워크숍 일시 2007.12.27( 목 ) 10:00~17:00 장소 : 한국교원대학교교원문화관 워크숍일정표 시간주제사회 10:00-10:20 등록 10:20-10:30 개회사축사 : 신인철과장 ( 교육인적자원부폭력대책팀 ) 10:30-11:10 기조강연 : 학교성교육과교사의역할

More information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장애인건강관리사업 2013. 20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1장. 연구개요 1 제2장. 1세부과제 : 장애인건강상태평가와모니터링 10 - i - 제3장. 2세부과제 : 장애인만성질환위험요인조사연구 117 - ii - 4장.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2003report hwp

2003report hwp 2003 연구보고서 220-13 교사의성인지적교육활동능력제고를위한프로그램개발 () 한국여성개발원 교사의성인지력향상프로그램개발진 발간사 년 월 한국여성개발원원장 연구요약 ,,,', 20 60 ( 1). Ⅰ Ⅰ. 서론 교사의성인지적교육활동능력제고를위한프로그램개발 Ⅰ. 서론 교사의성인지적교육활동능력제고를위한프로그램개발 Ⅰ. 서론 교사의성인지적교육활동능력제고를위한프로그램개발

More information

차 례. 서론. 선행연구고찰. 학교생활기록부신뢰도제고를위한설문조사결과. 학교생활기록부신뢰도제고를위한면담조사결과 Ⅴ. 학교생활기록부신뢰도제고를위한개선방안제언 169 Ⅵ. 결론 195 참고문헌 부록 표차례 그림차례 서 론 1 Ⅰ. 서론 Ⅰ. 서론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3 학교생활기록부신뢰도제고방안연구 4 Ⅰ. 서론 2. 연구의내용및범위 5 학교생활기록부신뢰도제고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계획수립등전력수급안정에도최선의노력을기울이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하는 2016년발전설비현황은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40-13 이혼여성의부모역할및자녀양육지원방안에관한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1. 연구의필요성및목적 2. 연구내용및방법 가. 연구내용 나. 연구방법 3. 연구결과 (1) 설문조사결과 (2) 심층면접조사결과 4. 이혼여성의부모역할과자녀양육지원을위한정책과제 가. 기본방향 나. 정책과제 목 차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More information

2002report220-10.hwp

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

ad-200200004.hwp

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2010-14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목 차 경상북도와시 군간인사교류활성화방안 요약,,,, 4, 5, 6,,,,, 5 58 1:1 34, 24 ( 13, 11 ) 2010 2017 8 i (5 8 ),.,, 74 (4 3, 5 19, 6 52 ) (4~6 4,901 ) 1.5% 5% ii 제 1 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과목적 2 연구범위와방법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20-11 초 중등교육과정의성인지적개편을위한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진 연구요약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 3. 7 차교육과정및교과서내용분석 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4. 각교과별양성평등교육내용개발가. 도덕과 나. 사회과 다. 실과 / 기술 가정과 5. 결론 목 차 Ⅰ 서론

More information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2018-20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2018-204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2018-20 호 충청북도의교과교육및창의적체험활동 1. 목표 2. 교과역량 3. 내용체계및성취기준 4. 교수 ᆞ 학습및평가의방향 차 례 Ⅰ. 교과 1 Ⅱ. 창의적체험활동 111 Ⅰ 교과 Ⅰ. 교과 바른생활 바른생활 3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More information

A000-008목차

A000-008목차 1 농어촌 지역과 중소도시 및 대도시 낙후지역에 150개의 기숙형공립 고교를 설립하여 학생의 80% 정도가 기숙사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준비하겠습니다. 농어촌 지역과 중소도시 등 낙후지역에 150개의 기숙형공립고교를 설립 학생의 80% 정도가 기숙사에 입주할 수 있는 시설을 준비하고, 기숙사비는 학생의 가정형편을 반영한 맞춤형 장학금으로 지원하여 더 이상

More information

2002report hwp

2002report hwp 2002 연구보고서 210-23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실효성확보방안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연구요약. 연구의목적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및면접교섭권제도의내용 1. 친권에관한검토 2. 양육권에관한검토 3. 면접교섭권에관한검토 4. 관련문제점 . 가족법상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제도의시행현황 1. 공식통계를통해본시행현황 2. 친권 양육권 면접교섭권관련법원실무

More information

01정책백서목차(1~18)

01정책백서목차(1~18) 발간사 2008년 2월, 발전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출범한 새 정부는 문화정책의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로 설정하고, 그간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권한과 책임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고, 효율의 원리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과감한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란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과 풍요로움을

More information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 국가기술자격검정시행계획 2015. 11. 2016 - 4 - 1. 근거 2. 기본방침 - 1 - 3. 세부시행계획 - 2 - - 3 - - 4 - 4. 검정별시행계획 - 5 - - 6 - - 7 - 기술사 종목별시행회 108 110 108 110 108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109 110 108

More information

2012. 경상남도교육청지정창의적체험활동연구학교 ( 시범 ) 운영보고서 2SC1 을통한 나눔과배려의교육기부활용 창의적체험활동활성화 을통한창의적 하동초등학교 - 경상남도하동군하동읍남당길 47 교장실 055)883-5201 교무실 055)883-5202 행정실 055)883-5203 F A X 055)883-6201 홈페이지주소 : http://www.hadong.es.kr

More information

- 2 -

- 2 - 보도자료 미래부 - 부산시,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 ( 가칭 ) 설립공동협력키로 - 부산콘텐츠마켓 과함께아시아공동체의방송발전에크게기여할것 - - 1 - - 2 - - 3 - [ 붙임 1]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MOU 체결 ( 안 ) ㆍ 2 7 6 10 5-4 - 참고 1 상호협력양해각서 (MOU) ( 안 )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운영을위한 상호협력양해각서

More information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제1차 양성평등정책_내지_6차안 www.mogef.go.kr www.mogef.go.kr C O N T E N T S C O N T E N T S 0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008 009 0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010 01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More information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freesem.kedi.re.kr CONTENTS 01 연속기획① : 협업기관에 가다! 예술 체육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국민체육진흥공단 에 가다! 02 협업기관을 찾아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폴리텍대학 03 자유학기제 자율과정 자료집 소개 04 알림 교육부 자유학기제지원센터, 협업기관 소식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자유학기제 Newsletter 알림

More information

allinpdf.com

allinpdf.com 이책은북한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통일교육원에서발간한교재입니다. 각급교육기관등에서널리활용하여주시기바랍니다. 차례 Ⅰ. 북한이해의관점 Ⅱ. 북한의정치 차례 Ⅲ. 북한의대외관계 Ⅳ. 북한의경제 Ⅴ. 북한의군사 Ⅵ. 북한의교육 차례 Ⅶ. 북한의문화 예술 Ⅷ. 북한의사회 Ⅸ. 북한주민의생활 차례 Ⅹ. 북한의변화전망 제 1 절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More information

- 2 - 음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있음. 그러나 국내에서는 바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낮아짐에 따라 지속 적으로 바둑인구가 감소되고 있는바, 세계적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 는 바둑의 지속적인 발전과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강화를 위하여 국 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 2 - 음으로써 국제적 위상을 제고하고 있음. 그러나 국내에서는 바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낮아짐에 따라 지속 적으로 바둑인구가 감소되고 있는바, 세계적으로 저변이 확대되고 있 는 바둑의 지속적인 발전과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강화를 위하여 국 가적 차원의 적극적인 바둑 진흥법안 (이인제의원 대표발의) 의 안 번 호 6551 발의연월일 : 2013. 8. 27. 발 의 자 : 이인제 배기운 최규성 박상은 김성찬 원유철 노영민 정우택 김기선 김민기 유인태 오제세 의원(12인) 제안이유 바둑은 우리의 대표적 두뇌스포츠이자 전통문화로서 고유한 정신 가치 체계를 차세대에 전승하여 사회통합에 일조하고 있으며, 국제적 으로 경쟁력과

More information

CRM 2010-65-11 2010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순회토론회 ( 전라북도교육청 ) 2009 개정교육과정의현장적합성제고를위한방향과과제 일시 : 2010년 11월 10일수요일 15:00 ~ 17:30 장소 : 전라북도교육청종합상황실주최 : 전라북도교육청 교육정책네트워크 * 주관 : 한국교육개발원 세부일정 15:00~15:10 : () - - ( ) 15:10~15:40

More information

나하나로 5호

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 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고용노동부 16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요약 17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소상공인대학창업학교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시작년도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고용노동부인적자원개발과 고용보험법제 조및동법시행령제 조 국가기간 전략산업인력수요부족 증대직종인력양성 세이상의실업자등

More information

ⅰ ⅱ ⅲ ⅳ ⅴ 1 Ⅰ. 서론 2 Ⅰ. 서론 3 4 1) 공공기관미술품구입실태조사 Ⅰ. 서론 5 2) 새예술정책미술은행 (Art Bank) 제도분석 3) 국내외사례조사를통한쟁점과시사점유추 4) 경기도내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정책수립및활용방안을위 한단기및장기전략수립 6 7 Ⅱ. 경기도지역공공기관의미술품구입실태 및현황 1) 실태조사의목적 ž 2) 표본조사기관의범위

More information

<3635B1E8C1F8C7D02E485750>

<3635B1E8C1F8C7D02E485750> 역사로 읽는 우리 과학 교사용 지도서 자연 6-1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STS 프로그램이 중학생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관찰 분류 측정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학교 아동의 과학 탐구능력과 태도 향상을 위한 실 험자료의 적용 과학사 신론 중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과

More information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BBE7C8B8C0FBC0C7BBE7BCD2C5EBBFACB1B820C3D6C1BEBAB8B0EDBCAD2E687770> 국립국어원 2007-01-42 사회적의사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연구 국립국어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출문 국립국어원장귀하 국립국어원의국고보조금지원으로수행한 사회적의사 소통연구 : 성차별적언어표현사례조사및대안마련을위한 연구 의결과보고서를작성하여제출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백영주, 양애경, 강혜란, 윤정주 목 차 연구개요 선행연구의고찰

More information

T...........hwp

T...........hwp 성인 미성년자 25.0% 20.0% 15.0% 10.0% 5.0% 0.0% 21.6% 22.4% 18.2% 17.5% 10.5% 6.3% 3.5% 백분율 어린이 청소년 회원 일반시민 환경지도자 초중등교사 기타 50.0% 40.0% 30.0% 20.0% 10.0% 0.0% 23.8% 45.2% 11.9% 7.2%

More information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에듀데이터_자료집_완성본.hwp 단위학교성과제고를위한 교육여건개선방안탐색 모시는글 2012 년도에듀데이터활용학술대회프로그램 목차 n n [ 주제 1] 교육지원청수준에서기초학력결정요인분석연구 천세영 이성은 3 [ 주제 2] 비용함수모형에의한국 공립중학교적정교육비및가중치산출연구 오범호 윤홍주 엄문영 37 n n [ 주제 1] 토론 김영애 67 [ 주제 2] 토론 김성식 73 n n [ 주제

More information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Àç°¡ »êÀçÀå¾ÖÀÎÀÇ ÀçÈ°ÇÁ·Î±×·¥¿¡ °üÇÑ¿¬±¸.HWP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 산재보험사후관리실태및개선방안 - 한국노동연구원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ii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i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Ⅰ) v 재가산재장애인의재활프로그램에관한연구

More information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 서울여성취업자수 ' 40~50 대가 20~30 대첫추월 - 1 - 미혼으로 1 인가구에거주하는여성 1) 2011 경제활동인구조사는통계청에서실시하는조사로서울지역은표본조사구약 4,140 가구 ( 약 9 천여명정도 ) 내에상주하는자로서, 매월 15 일현재만 15 세이상인자를대상으로조사하며, 매월 15 일이포함된 1 주간 ( 일요일 ~ 토요일 ) 을조사대상주간으로하며,

More information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 1-1) 아직까지도우리나라는 resilience' 이라는용어가적응유연성 ( 권태철, 2002; 김미승, 2002; 박현선, 1998, 1999a, 1999b; 양국선, 2001; 유성경, 2000; 이선아, 2004; 윤미경, 2002; 조혜정, 2002; 장순정, 2003), 탄력성 ( 김승경, 2004; 김택호, 2004), 또는자아 - 탄력성 ( 구자은,

More information

2009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http://www.kedi.re.kr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3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4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5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6 Ⅰ. 학교평가추진개요 7 2009 년도학교평가사업보고서

More information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성신여자대학교_2차년도_계획서.hwp 목차 - 1 - - 2 - Ⅰ. 사업추진배경 (2007~2011) (2009~2013) 3H (warm Heart), (creative Head), (competent Hands) 3H, (warm Heart), (creative Head), (competent Hands) (warm Heart),,, (creative Head) /,, - 3 - (competent

More information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목차 i 목 차 iv 목차 표목차 목차 v vi 목차 목차 vii 그림목차 viii 목차 요 약 요약 1 요 약 제 1 장사업개요및조사방법 4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 * ( 15 ) 요약 5 : 6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요약 7 8

More information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ⅰ ⅱ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ⅲ ⅳ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ⅴ ⅵ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2ÀåÀÛ¾÷

2ÀåÀÛ¾÷ 02 102 103 104 105 혁신 17과 1/17 특히 05. 1부터 수준 높은 자료의 제공과 공유를 위해 국내 학회지 원문 데이 >> 교육정보마당 데이터베이스 구축 현황( 05. 8. 1 현재) 구 분 서지정보 원문내용 기사색인 내 용 단행본, 연속 간행물 종 수 50만종 교육정책연구보고서, 실 국발행자료 5,000여종 교육 과정 자료 3,000여종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More information

본연구결과는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에대한고용노동부의학술연구용역사업에의한것임 일의미래와노동시장전략연구 연구기관 / 한국노동연구원 2017. 3. 고용노동부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More information

1. 표준보육과정 해설서-영역별 목표와 내용-(2007).hwp

1. 표준보육과정 해설서-영역별 목표와 내용-(2007).hwp 발간등록번호 11-1060100-000259-01 연구보고 2007-62 여성가족부 2007-62 2007. 12 : : ( ) : ( ) ( ) 여성가족부 . 2007 12 이옥 1 2 3 Ⅰ. 표준보육과정해설서의추진목적및추진과정 1. 추진목적및기대효과 2006 11 2007 1..,,.,.,.. 2007 1. 6 (,,,,, ),. ( 2, 2, 3~5

More information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 주제 의식의 원칙 논문은 주제 의식이 잘 드러나야 한다. 주제 의식은 논문을 쓰는 사람의 의도나 글의 목적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협력의 원칙 독자는 필자를 이해하려고 마음먹은 사람이다. 따라서 필자는 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이 나 표현을 사용하여 독자의 노력에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3) 논리적 엄격성의 원칙 감정이나 독단적인 선언이

More information

- 89 -

- 89 - - 89 - - 90 - - 91 - - 92 - - 93 - - 94 - - 95 - - 96 - - 97 - - 98 - - 99 - 있다 장정임 ( 2009). Toylor 와 Betz(1983) 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와 및 등이 개발 (career 와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단축형 은 미래계획수립 문제해결과 같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사회복지관운영안내 3 목 차 4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Ⅰ. 기본방향 5 6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Ⅱ. 사회복지관운영 7 04 05 06 07 08 370 391 397 407 410 8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Ⅲ. 사회복지관사업 9 10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Ⅲ. 사회복지관사업 11 12 사회복지관운영관련업무처리요령안내

More information

목 차 교원양성교육선도사범대학지원사업 ( : ) (%) 1 ㆍ 2 3 4 5,, 1 0.4 0.4 0.4 100 2 : 3 (MDI) 4 / (MPI) 5 (MAI) - - - % 20 20 60 300.0 % 50 55 55.7 101.3-20 20 100.0 6 3H % 60 - - - 7 40 - - - 8 22 22 72 327.3 9-50 55 -

More information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2 012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목차 Ⅰ. 일자리창출및성장동력확충 1 고용창출지원강화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More information

발간등록번호 11-1342000-000039-01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1 - - 2 - - 3 -

More information

< >, 2(2012~2013) 8,474( , , ,781). 3,846( , ,615)., (2012 9, ,628) 149 ( 109, 40 ), ( ,99

< >, 2(2012~2013) 8,474( , , ,781). 3,846( , ,615)., (2012 9, ,628) 149 ( 109, 40 ), ( ,99 이슈페이퍼 2014-13 지방자치단체비정규직실태와개선과제 - 2012~2013 년무기계약전환및임금실태를중심으로 - 2014 년 5 월 김종진 (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연구위원 ) 서울시마포구백범로 169-9, 502( 공덕동 257-3 국민서관빌딩 502 호 ) 전화 : 02-393-1457 팩스 : 02-393-4449 www.klsi.org www.facebook.com/klsiedit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목 차 Ⅴ. 광교지구택지개발사업지구단위계획결정 ( 변경 ) 도서 1. 지구단위계획구역결정 ( 변경 ) 조서 가. 총괄 ( 변경없음 ) 도면표시번호 구역명위치 기정 면 적 ( m2 ) 변경후 변경 계 1단계 2단계 비고 - 수원시영통구매탄동, 이의동, 광교지구원천동, 하동, 팔달구우만동, 제1종지구단위계장안구연무동일원획구역용인시수지구상현동,

More information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2012. 9 목 차 추진배경 1 주요성과와반성 3 정책과여건 11 추진체계 16 세부추진과제 21 1. 어린이기호식품안전판매환경조성 23 1-1.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지정및관리강화 26 1-2. 어린이기호식품판매환경개선 30 2. 어린이식생활안심확보를위한안전공급체계구축 39 2-1. 어린이단체급식의안전관리및품질개선

More information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Contents - 목차 - 1.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2.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관리및운영지침 3. 공급인증서발급및거래시장운영에관한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촉진법령 신 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PS) 제도 5 법률시행령시행규칙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이용 보급촉진법 신에너지및재생에너지개발

More information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요약본) 2015. 4. 지방공기업평가원 제주관광공사가부족한쇼핑인프라를보완하고, 수익을제주관광진흥에재투자하여 관광산업활성화와관광마케팅재원확보 라는양대목적달성에기여하고공기업으로서사회적책임을다하고자시내면세점사업에투자하려는의사결정에대한타당도는전반적으로볼때 긍정 으로평가할수있음 역할및필요성 대내 외환경 정책및법률 경제성기대효과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 1 -

- 1 - - 1 - - 2 - - 3 - - 4 - 연령 전공 경력 구분참여자수비율 20대 31 33.0% 30대 37 39.4% 40대이상 26 27.7% 특수교육 37 39.4% 사회복지 35 37.2% 직업재활및치료 22 23.4% 3년이하 35 37.2% 4-6년 31 33.0% 7년이상 28 29.8% - 5 - - 6 - 운영영역행정적 재정적지원 구성요인지원기관지원법률지원항목편성이용자부담금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2009-8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Ⅰ. 서론 Ⅱ. 구조화금융의미시적시장구조 2 조사보고서 2009-08 요약 3 Ⅲ. 서브프라임위기의현황과분석 4 조사보고서 2009-08 Ⅳ. 서브프라임위기의원인및특징 요약 5 6 조사보고서 2009-08 Ⅴ. 금융위기의파급경로 Ⅵ. 금융위기극복을위한정책대응 요약 7 8 조사보고서 2009-08

More information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조사 2009 년도연구용역보고서 그린홈이용실태및 만족도설문조사 - 2009. 11.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정순희 그린홈이용실태및만족도 설문조사 2009. 11. 책임연구원 정순희 ( 이화여자대학교소비자학과교수

More information

- 3 - - 4 - - 5 - - 6 - - 7 - - 8 - 최종결과보고서요약문 - 9 - Summary - 10 - 학술연구용역과제연구결과 - 11 - - 12 - - 13 - - 14 - 질병관리본부의공고제 2012-241 호 (2012. 10. 15) 의제안요청서 (RFP) 에나타난주요 연구내용은다음과같다. 제안요청서 (RFP) 에서명시한내용을충실히이행하고구체적이고세세한전략방안을제시했다.

More information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2015 간호학과 D ept. of N ursing < > Ⅰ., 1. 1 2. 1 3. 2 Ⅱ. 1. 3 2. 3 3. 4 4. 5 5. 5 6. 6 7. 7 (1) 2015 7 (2) 2014 10 (3) 2013 14 8. (2015 ) 18 Ⅲ. 1. 29 2. 30 3. 31 4. 3 4 33 5. 35 6. 4 3+1 36 7. 39 8. 42 9.

More information

목 차

목     차 폐기물처리시설국고융자사업의 경제적타당성검토보고서 2011. 7 목차 Ⅰ. 요약보고서 1 Ⅱ. 검토배경 4 1. 국가재정의합리적인지원방안모색 4 2. 민간투자사업의개선방안검토 4 Ⅲ. 무상보조 (BTO) 와무이자융자사업방식의경제성검토 5 1. 현행사업방식의검토 5 2. 제 3 섹터개발방식의검토 6 3. 사례검토 ( 광주광역시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을사례로검 토

More information

이수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선수 사회체육학개론 3 3 선수 트레이닝방법론 3 3 3 3 0 3 3 0 3 3 0 석사 3 3 0 교과목학점강의실습수강대상 스포츠경영학 Sport management 3 3 0 해양스포츠론 Marine Sport 3 3 0 석사 해양스포츠소비자행동론 Marine Sport Consumer Behavior 3 3 0 교과목학점강의실습수강대상

More information

한국정책학회학회보

한국정책학회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181~20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 대통령에대한신뢰와정부정책에대한평가비교를중심으로 * - 주제어 : 민주화이후정부신뢰, 대통령신뢰, 정부정책만족도 Ⅰ. 서론 182 한국정책학회보제 22 권 2 호 (2013.6) 정부신뢰에대한연구 183 Ⅱ Ⅲ Ⅳ Ⅴ Ⅱ. 정부신뢰에대한이론적논의 184 한국정책학회보제 22

More information

Ⅰ Ⅱ Ⅲ Ⅳ

Ⅰ Ⅱ Ⅲ Ⅳ 제 2 차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국토교통부 Ⅰ Ⅱ Ⅲ Ⅳ Ⅴ - 4 - 1 배경및법적근거 2 계획의수립방향 - 3 - 3 계획수립의성격및역할 4 계획수립경위 - 4 - Ⅱ 1 국내외여건변화 가. 현황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나. 문제점및기본방향 - 14 - 2 국내 U-City 현황 가. 현황 -

More information

제 2 기충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

제 2 기충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 제 2 기충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 목차 < 표목차 > < 그림목차 > 1. 제 2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1.1 제1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07-2010) 실행결과분석및개선과제 1.2 제2기지역사회복지계획의특징및방향 1. 제 2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1. 제 2 기지역사회복지계획개요 1.1 제 1 기지역사회복지계획 (2007-2010) 실행결과분석및개선과제

More information

1

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9 2.7 제주국제자유도시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91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D + 1.500

More information

1. 2. 3. 추진배경및경과 추진배경 추진경과 2012년도추진실적및성과 정부투자 인력양성및교육프로그램운영 단계별성과 2013 년도추진계획 기본계획 4 대전략별 13 년도투자계획 구분 미래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해수부 4 대전략별투입계획합계 ( 단위 : 백만원 ) 전략 1 전략 2 전략 3 전략 4 10,704.85 6,310.6 6,029.4

More information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2011년 제 9회 최우수상.hwp 1) 고려대학교교육학과석사과정 (nayoung725@yahoo.co.kr) 2) 고려대학교교육학과박사과정 (seo2jin@hanmail.net) 3) 고려대학교교육학과석사과정 (premier110@hanmail.net) 성별지역계열학업진행여부 총사례수 일주일평균아르바이트시간 ( 시간 ) 남 1510 8.9 여 1457 8.4 동지역 2573 8.5

More information

Layout 1

Layout 1 대대대대대대대대 :Layout 1 2014-07-15 대대 1:40 Page 1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연구보고서 2013-04 http://hrd.koreatech.ac.kr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오창헌편저 지은이 오창헌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엄기용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부교수 )

More information

<BDC3BEC8BFEB2E706466>

<BDC3BEC8BFEB2E706466>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안산시 승인일 : 2017. 12. 15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 1 - - 2 - - 3 - - 4 - Ⅰ. 2018년도기금운용계획 1. 기금개요 관련법규 지방자치법제142 조 ( 재산과기금의설치) 지방자치단체기금관리기본법제8 조 ( 기금운용계획및결산) 운용방침 기금운용의성과분석을통한기금운용계획수립 기금운용의투명성및효율성제고

More information

09³»Áö

09³»Áö CONTENTS 06 10 11 14 21 26 32 37 43 47 53 60 임금피크제 소개 1. 임금피크제 개요 2. 임금피크제 유형 3. 임금피크제 도입절차 Ⅰ 1 6 7 3) 임금피크제 도입효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① 중고령층의 고용안정성 증대 연공급 임금체계 하에서 연봉과 공헌도의 상관관계 생산성 하락에 맞추어 임금을 조정함으로써 기업은 해고의

More information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vii 요 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으며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 동은 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정책은 기존의 정책 방향과 내용을 유지 변화시키면서 정책을 계승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 변화 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과 조직,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

ad-200400012.hwp

ad-200400012.hwp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제17대 총선과 남녀유권자의 정치의식 및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여성후보 출마 선거구 조사를 중심으로 - 2004. 7 여 성 부 연구요약 표 주제 및 연도별 여성유권자 연구 현황 표 출마한 여성후보 인지시기 투표후보여성

More information

hwp

hwp 사회학습망구축방안 ii 요약 요약 i iv 요약 요약 v vi 요약 학교교육체제 정규학교교육의공식교육 평생학습체제 사회학습망체제 평생교육기관의공식, 비공식교육 사회제도를통한공식, 비공식, 무형식학습 요약 v 회사 언론 학습망 기업체 평생교육기관, 단체 도서관박물관 NGO 공공기관대학 사설학원 종교 학습공동체 제도 지역사회 가정 학교교육체제평생학습체제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12.hwp

2003report250-12.hwp 지상파 방송의 여성인력 현황 및 전문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Ⅰ....,.,....... .. Ⅱ. :...... Ⅲ.,,. ..,.,.... 9 1 1.. /.,. PD,,,,, / 7.93%. 1%... 5.28% 10.08%. 3.79%(KBS MBC), 2.38 %(KBS MBC) 1%...,. 10. 15. ( ) ( ), ( ) ( )..

More information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016. 3 GPS 2020 본과업은대학발전 TASK FORCE 팀에 의하여연구되었습니다. 2016. 3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Ⅰ 1. 8 2. 8 3. 12 4. 13 5. 14 6. 16 7. 17 Ⅱ 1. 20 2. 21 3. 24 4. 25 Ⅲ 1. 28 2. 29

More information

발 간 등 록 번 호 11-1341000-002339-0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ㆍ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82호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6호ㆍ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82호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차 례 제 1부 개요 Ⅰ. 누리과정의 도입 배경 006 Ⅱ. 누리과정 제정

More information

2017 년장애인실태조사결과 2018. 4.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목 차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1. 조사개요 1 2. 총괄표 1 3. 주요실태조사결과 5 장애인구및출현율 5 일반특성 8 건강특성 11 사회적특성 18 일상생활및돌봄특성 22 경제적특성 25 복지서비스수요 31 2017 년도장애인실태조사주요내용 조사개요 총괄표 268 273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9.hwp

2003report250-9.hwp 2003 연구보고서 250-9 여성의 IT 직종교육훈련후취업현황및취업연계방안 : () : ()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2003 12 연구요약 1. 2. 전체정부위탁훈련기관의취업관련서비스제공정도에서, 취업정보, 취업상담, 취업알선을 적극적이며많이제공 한다가각각 76.6%, 70.3%, 65.6% 로알선기능이약간떨어지며, 취업처개척 개발 (50.0%) 이가장낮다.

More information

감사회보 5월

감사회보 5월 content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동정 및 안내 상장회사감사회 제173차 조찬강연 개최 상장회사감사회 제174차 조찬강연 개최 및 참가 안내 100년 기업을 위한 기업조직의 역 량과 경영리더의 역할의 중요성 등 장수기업의 변화경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윤정구 이화여자대학교

More information

°æÁ¦Àü¸Á-µ¼º¸.PDF

°æÁ¦Àü¸Á-µ¼º¸.PDF www.keri.org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3 4 5 6 7 8 9 10 11 12 13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7 48 49 50 51 52 53

More information

일정표 13:30 ~ 14:00 등록 14:00 ~ 14:20 개회식 사회 : 강경석 ( 대교협정책연구부장 ) - 개회사 : 윤형원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충남대총장 ) - 축사 : 이종훈 ( 중앙대학교총장 ) 14:20 ~ 15:05 주제발표1 : 대학별입학전형방법

일정표 13:30 ~ 14:00 등록 14:00 ~ 14:20 개회식 사회 : 강경석 ( 대교협정책연구부장 ) - 개회사 : 윤형원 (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충남대총장 ) - 축사 : 이종훈 ( 중앙대학교총장 ) 14:20 ~ 15:05 주제발표1 : 대학별입학전형방법 제 6 회대학교육정책포럼 대학학생선발방식의다양화방안모색 일시 : 2000년 9월 28일 ( 목 ) 13:30~ 17:30 장소 : 중앙대학교중앙아트센터대극장 주최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후원 : 중앙대학교 한국대학신문 EBS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일정표 13:30 ~ 14:00 등록 14:00 ~ 14:20 개회식 사회 : 강경석 ( 대교협정책연구부장 ) - 개회사

More information

.....6.ok.

.....6.ok. Ⅳ 성은 인간이 태어난 직후부터 시작되어 죽는 순간까지 계속되므로 성과 건강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청소년기에 형성된 성가치관은 평생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그러므로 성과 건강 단원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피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성매매와 성폭력의 폐해, 인공임신 중절 수술의 부작용 등을 알아봄으로써 학생 스스로 잘못된 성문화를

More informatio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1998~2008 1998~2008723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728 729 60-Year History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730 731 60-Year

More information

2015 학년도 수시모집요강 ( 세종캠퍼스 )

2015 학년도 수시모집요강 ( 세종캠퍼스 ) 2015 학년도 수시모집요강 ( 세종캠퍼스 ) Ⅰ. 모집안내 1. 전형일정 3 2. 모집단위및모집인원 5 3. 전형요약 6 4. 대학수학능력시험지정응시영역및최저학력기준 7 5. 지원자유의사항 8 6. 전형료 9 Ⅱ. 전형안내 1. 일반전형 10 2. 학생부전형 13 3. 특별전형 15 사회공헌자 15 교육기회균등 18 체육인재 21 글로벌스포츠인재 23 Ⅲ.

More information

Untitled-1

Untitled-1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3 장애인영역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1 202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2 3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3 204 _ 평택복지재단 영역별 욕구조사 설문지 예시 자료 2 3 4 평택시 사회복지시설 욕구조사 실무도움서 _ 205 2 3 4 5 6 7

More information

다운 2015겨울

다운 2015겨울 사회복지법인 다운회 경영지원팀 치료 교육지원팀 전략기획팀 직업능력개발팀 평생교육지원팀 사례관리지원팀 사회서비스센터 다운주간보호센터 다운누리 아름다운 공동생활가정 1. 조기개입의 의의 2. 영유아 발달의 전반적 이해 3. 다운 영유아 발달 특징 4. 조기 치료 및 감각운동 활동 소개 5. 실습 제5회 사회복지법인다운회와 함께하는 송년음악회 2015년 송년감사잔치

More information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표지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2010. 12.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2010. 12.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차세대창의발명교육모델구축연구

More information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