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px
Start display at page:

Download ""

Transcription

1

2

3

4

5 서언 1 목 차 요약문 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13 제 1 절서론 13 제 2 절중국창업생태계발전현황 중국전체 베이징 상하이 청두 39 제 3 절중국글로벌혁신협력현황 베이징 상하이 청두 72 제 4 절한국- 중국혁신협력모델 ( 청두를중심으로 ) 혁신생태계비교분석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세부협력전략 8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86 제 1 절서론 86 제 2 절프랑스창업생태계발전현황 경제현황및산업구조 창업생태계현황 주요혁신주체 95 제 3 절프랑스글로벌혁신협력현황 116

6 2 1. 글로벌혁신협력현황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118 제 4 절한국- 프랑스혁신협력모델 혁신생태계비교분석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세부협력전략 12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32 제 1 절서론 132 제 2 절인도네시아창업생태계발전현황 경제현황및산업구조 창업생태계현황 주요혁신주체 148 제 3 절인도네시아글로벌혁신협력현황 인니글로벌혁신협력현황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159 제 4 절한국- 인도네시아혁신협력모델 혁신생태계비교분석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전략수립 세부협력전략 17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78 제 1 절서론 178 제 2 절케냐창업생태계발전현황 경제현황및산업구조 창업생태계현황 주요혁신주체 203 제 3 절케냐혁신협력현황 글로벌혁신협력현황 208

7 서언 3 2.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211 제 4 절한국- 케냐혁신협력모델 혁신생태계비교분석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세부협력전략 221 참고문헌 222

8 4 표목차 < 표 1-1> 중국제조 2025 의 10대핵심산업 18 < 표 1-2> 인터넷플러스발전목표 (~2018) 19 < 표 1-3> 중관촌지역창업지원인큐베이팅인프라현황 25 < 표 1-4> 베이징중관촌모바일네트워크클러스터발전현황 26 < 표 1-5> 베이징중관촌주요창업지원서비스플랫폼현황 (2015년기준 ) 28 < 표 1-6> 베이징시주요창업기업지원정책 31 < 표 1-7> 장장 ( 張江 ) 바이오의약산업클러스터현황 34 < 표 1-8> 상하이주요창업및인큐베이팅단지 35 < 표 1-9> 상하이시혁신창업주요지원정책 36 < 표 1-10> 고신구주요업종및발전현황 44 < 표 1-11> 중국주요지역창업플랫폼우대정책비교 48 < 표 1-12> 베이징, 상하이와청두시창업 / 취업관련비자정책비교 51 < 표 1-13> 청두시내대중창업공간 54 < 표 1-14> 징롱국제광장기업지원서비스내용 60 < 표 1-15> 주요도시창업투자현황 61 < 표 1-16> 베이징스타트업지원관련현지거점 76 < 표 1-17> 청두의기회요인과위협요인 79 < 표 2-1> 2010~12년부문별혁신비중 90 < 표 2-2> JEI 현황 (2014년기준 ) 92 < 표 2-3> 프로젝트기술분야에따라육성된혁신기업추이 (2000~2014년) 93 < 표 2-4> 주요디지털경쟁력클러스터 93 < 표 2-5> 주요인큐베이터 100 < 표 2-6> 주요액셀레이터 101 < 표 2-7> 지원조직및지원현황 103

9 서언 5 < 표 2-8> 디지털스타트업중심의크라우드펀딩 104 < 표 2-9> 단계별벤처캐피탈투자 (2015년기준 ) 105 < 표 2-10> 프랑스의디지털벤처캐피탈대기업 106 < 표 2-11> 대표적인공공재원 110 < 표 2-12> 대기업의지원내용 112 < 표 2-13> 주요교육기관 113 < 표 2-14> 프랑스주요스타트업현황 115 < 표 2-15> 프랑스의한국기업진출현황 121 < 표 2-16> 한국내프랑스기업진출현황 122 < 표 2-17> 한국-프랑스혁신협력 SWOT 124 < 표 3-1> 인도네시아의국가신용도 (2016년8월기준 ) 135 < 표 3-2> 2025년인도네시아경제전망 137 < 표 3-3> 2016년 2분기인도네시아산업별국내총생산성장률 (2010년가격기준 ) 137 < 표 3-4> 12차경제정책패키지주요내용 145 < 표 3-5> 부처별창업관련프로그램 147 < 표 3-6> 부처별창업플랫폼 150 < 표 3-7> 주요벤처캐피탈 151 < 표 3-8> 창업단계별인큐베이터및 VC 분포 (2015년기준 ) 152 < 표 3-9> Ciputra 재단운영기관 153 < 표 3-10> 10대스타트업 154 < 표 3-11> 대표적인대기업인수스타트업목록 154 < 표 3-12> 국별협력현황 156 < 표 3-13> 한-인니부처간협력현황 160 < 표 3-14> 한국기업부문별진출현황 (2015년기준 ) 162 < 표 3-15> ICT 분야한국기업진출현황 (2016년6월기준 ) 162 < 표 3-16> 국가별대인도네시아투자규모 170 < 표 3-17> One-Village-One-Product(OVOP) 프로그램 177 < 표 4-1> 케냐에대한주요기관별평가등급 180

10 6 < 표 4-2> 케냐실질 GDP 성장률 181 < 표 4-3> 2012~2016 케냐의글로벌경쟁력지수 183 < 표 4-4> 시장효율성지표 183 < 표 4-5> 케냐의금융시장발전지표 184 < 표 4-6> 시장규모지표 184 < 표 4-7> 비즈니스세련도지표 185 < 표 4-8> How economies in Sub-Saharan Africa(SSA) rank on the ease of doing business 185 < 표 4-9> 2014~2015 케냐의기업환경지수 186 < 표 4-10> 2010~2014년케냐의산업별 GDP 기여도 187 < 표 4-11> 비전 2030 주요과제 188 < 표 4-12> 2015년케냐산업혁신계획주요내용 189 < 표 4-13> 케냐의주요 ICT 현황 (2015년기준 ) 191 < 표 4-14> 사하라이남아프리카주요국과케냐 ICT 사용량비교 191 < 표 4-15> 케냐 1차 5년중장기계획 ICT 분야주요성과요약 199 < 표 4-16> 제 2차중기계획 (MTP) 목표이행달성을위한주요분야프로그램 200 < 표 4-17> ICT 마스터플랜비전 202 < 표 4-18> 케냐의대표인큐베이터및액셀러레이터 204 < 표 4-19> 케냐의주요투자자목록 204 < 표 4-20> 케냐의상위 50개스타트업기업 206 < 표 4-21> 중국의對케냐유상원조프로젝트 (2009년 7월~2012 년 6월 ) 209 < 표 4-22> 한-케냐협정체결현황 212 < 표 4-23> 한-케냐간양해각서체결목록 214 < 표 4-24> 한국의對케냐투자현황 (1980~2015) 215 < 표 4-25> 케냐진출업체현황 215

11 서언 7 그림목차 [ 그림 1-1] 스타트업진출선호국가 15 [ 그림 1-2] 중국의실질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16 [ 그림 1-3] 중국의소비자물가상승률 17 [ 그림 1-4] 중국의산업구조변화 17 [ 그림 1-5] 인터넷플러스와새로운생태계 20 [ 그림 1-6] 대중창업공간의발전추세 ( 개 ) 24 [ 그림 1-7] 2015년중국창업도시및업종분포도 ( 인터넷창업 ) 25 [ 그림 1-8] 베이징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27 [ 그림 1-9] 상하이천인계획창업혁신인재유형 39 [ 그림 1-10] 2015년청두우수산업기업업종분포도 41 [ 그림 1-11] 한중혁신협력모델 81 [ 그림 2-1] 부가가치기준산업별비중 (2014년기준 ) 88 [ 그림 2-2] 프랑스레지옹의스마트전문화목표시장 89 [ 그림 2-3] 창업추이 91 [ 그림 2-4] 프렌치테크테마네트워크운영방식 98 [ 그림 2-5] 스타트업의단계별 재원별지원 103 [ 그림 2-6] Bpifrance 지원구조 109 [ 그림 2-7] 한-프랑스협력모델 128 [ 그림 3-1] 아세안국가별인구및경제규모비교 (2015년기준 ) 133 [ 그림 3-2] 인도네시아국내총생산성장률추이 134 [ 그림 3-3] 인도네시아의국가경쟁력 135 [ 그림 3-4] 인도네시아월간지출별계층의변화 136 [ 그림 3-5] 인도네시아스마트폰시장점유율 167 [ 그림 3-6] 한국- 인도네시아산업협력의시대별특징 169

12 8 [ 그림 3-7] 혁신창출형협력모델 172 [ 그림 3-8] 인도네시아경제성장률 174 [ 그림 3-9] 인도네시아 ICT 산업구조 174 [ 그림 4-1] 2011~2017년케냐경제성장률 181 [ 그림 4-2] 케냐의국가경쟁력 182 [ 그림 4-3] 2015년케냐및사하라이남아프리카기업환경지수순위비교 186 [ 그림 4-4] FDI 유입현황 192 [ 그림 4-5] 케냐의스타트업생태계구성도 194 [ 그림 4-6] 케냐의스타트업기업, 액셀러레이터및인큐베이터위치도 207 [ 그림 4-7] 한-케냐혁신협력모델 220

13 요약문 9 요약문 1. 연구대상 창업생태계현황과정부의창업정책등을고려하여대륙별 4개국을선정하여국가별협력방향, 협력주체, 협력전략순으로고찰 4개국의경우, 우리스타트업의국내내수시장한계극복 * 및글로벌경쟁력제고 ** 가가능하다는점에서협력유인이높음 * 중국, 인도네시아는대규모내수시장을보유하여, 기업수익창출및경쟁력제고가능 ** 프랑스, 인도네시아, 케냐는각유럽, 동남아, 동아프리카지역의관문으로, 동지역의테스트베드로활용하여기업의글로벌진출확대및글로벌경쟁력확보가능 < 표 1> 특화형모델대상국가 구분창업생태계창업정책 중국 프랑스 인니 케냐 국내스타트업의중국진출수요, 중국의해 외스타트업유치기대높음 높은스타트업수준과정부의글로벌정책 * 으로기타유럽국가들의진입관문으로활용 *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 다양한업종의시장존재및동남아국가로 의진입테스트베드역할수행 IT 인프라수준이높고아프리카대륙진입 테스트베드역할수행 * MS 구글등아프리카진출거점지역 정부주도의창업생태계구축을통한한 중양국혁신협력관계발전가능성높음 * 한 중혁신 창업에관한 MoU 체결 ( 15.10) 정부주도의창업정책 * 을이용한한 - 불협 력관계고도화가능성높음 * 한 불창조경제분야협력에관한 LOI 체결 ( 16. 6) 창조경제청신설등정부의창조경제활성 화의지높음 * 印尼대통령방한계기창조경제논의 ( 16. 5) 콘자테크노시티건설등을통해창업국가 도약희망 * VIP 방문계기경제협력논의 ( 16. 5) 2. 중국형모델 정부의창업정책 ( 대중창업 만중혁신 ), 지역별창업단지건설에따른스타트업유치에

14 10 적극적이어서초기중국진출가능성높음 정부주도형창업생태계가조성중이자한 중협력수요 * 가높고청두지역을중심으로협력방향및전략도출 * 한 중혁신 창업에관한 MoU 체결에관한후속조치이행중 - ( 협력방향 ) 양국공공기관협업을통한스타트업진출과中정부의창업우대정책 ( 창업보육단지입주등 ) 을활용한시장진입 - ( 협력주체 ) 징롱국제광장플랫폼을중심으로창조경제혁신센터, 청두고신구등양국혁신기관협력 - ( 협력전략 ) 창조경제혁신센터와중국측혁신주체와의창업프로그램교류 * 및네트워킹구축 ** * ( 예 ) 인천센터는청두시과학기술국과 2016 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청두프로그램협업 ** ( 예 ) 인천 대구등혁신센터는각각청두시및스촨성과창업촉진을위한 MoU를체결 3. 프랑스형모델 창업지원정책 ( 프렌치테크 ) 및혁신플랫폼 ( 프렌치테크메트로폴 ) 이발전중인프랑스진출을통해유럽시장진출가능성확대 - ( 협력방향 ) 양국창업지원기관협력 * 에기반한스타트업교류및육성프로그램상호활용등을통한프랑스생태계진입 * ( 예 )( 韓 ) 대구센터 -( 佛 ) 그르노블간창조경제협력 MoU 체결 (16. 5) 을통한벤처스타트업인큐베이션프로그램교환추진등 - ( 협력주체 )( 韓 ) 혁신센터, 혁신기관 ( 창업진흥원 본투글로벌등 ), KOTRA 파리무역관,( 佛 ) 지역별프렌테크메트로폴등 - ( 협력전략 ) 한 불창조경제협력의향서 (LOI) 에기반한양국혁신기관연계 *, 스타트업상호진출지원 ** 및스타트업공동육성 *** 사업추진등 * ( 예 ) ( 韓 ) 혁신센터와 ( 佛 ) 지역별프렌치테크메트로폴협력사업추진등 ** ( 예 ) 프렌치테크티켓등양국스타트업현지화및시장확대를위한공동프로그램추진등

15 요약문 11 *** ( 예 ) 스타트업보육프로그램교환, 공동프로그램발굴및창업자연수프로그램 추진등 4. 인도네시아모델 인니정부의창업정책추진 *, 대규모내수시장, 아시아시장의테스트베드로활용가능성이높아인니진출기업유인높음 * 창조경제청시설 ( 15), 스타트업을위한정부주도프로그램발표 ( 16) - ( 협력방향 ) 양국혁신기관간협업및우리나라전담기업의인도네시아네트워킹 ( 유통및판로 ) 을활용한시장진입및동남아진출교두보확보 - ( 협력주체 )( 韓 ) 제주등혁신센터, KOTRA 무역관, 현지진출전담기업,( 印尼 ) 창조경제청, 지역민간혁신기관 * 등 * 워크아웃 ( 자카르타 ), 스타트업수라바야 ( 수라바야 ), 후봇 ( 발리 ) 등 - ( 협력전략 ) 현지시장진입인프라마련 *, 혁신센터 KOTRA 무역관 무역협회등국내 외거점지원기관간협업등 * 인니민간혁신기관과의업무협약체결을통한현지공동작업공간마련 5. 케냐모델 정부차원에서창업 혁신생태계를구축하고자하는케냐와의협력을통해현지사업기회탐색제공및현지화가능성제고 - ( 협력방향 ) 국제기구의아프리카관련이니셔티브및 ODA 사업을참조하여케냐정부주도의사업에기반한스타트업진출 - ( 협력주체 )( 韓 ) 혁신센터, KOICA, KOTRA 등현지진출기관및 ( 케냐 ) 정부, 민간혁신센터 (ihub, Nailab* 등 ), 나이로비대학 ** 등 * 나이로비에위치한민간혁신기관으로, 스타트업들에게사무공간및보육지원 ** 인텔, 오라클등다국적기업과의산 학협업을통한창업생태계발전중 - ( 협력전략 ) 한국의창업교육프로그램전수, ODA 사업 * 및케냐정부주도사업 ** 참여

16 12 * STEPI, KAIST 등旣진출기관의 ODA 인프라사업과혁신센터스타트업해외진출지원사업간협력추진, ICT분야스타트업진출거점활용 * ( 예 ) STEPI-케냐 ICT ODA MoU 체결, 현지 ICT 인프라구축계획, 미래부는동 MoU 통해 ICT 기술기업 스타트업진출거점으로활용계획제안 ** 다국적기업유치를통한민관협력사업인콘자테크노시티는중소기업및창업기업입주및보육이가능한인큐베이터개념보유

1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13 제 1 장 특화형 Ⅰ: 중국 제 1 절 서론 연구배경 ( 중국의창업정책 ) 중국은글로벌경기침체의장기화와인건비상승등으로인한세계의공장으로서의기능축소에따라시작된뉴노멀 (New Normal) 시대에대응하기위해혁신과창업두요소를통한신성장동력의발굴과산업구조전환추진 2014년 9월리커창총리는 대중창업, 만중혁신 ( 大众创业, 万众创新 ) 제창 년 1월 400억위안 ( 약 7조 2,000억원 ) 의국가신흥산업창업투자인도기금을조성하고, 3월 대중창업지도의견 * 을발표 * 대중창업지도의견 8개조항 : 1 대중창업공간확대 2 혁신창업문턱낮추기 3 과기인력과대학생창업장려 4 혁신창업공공서비스지원 5 재정자금창업으로유도 6 창업투자자금조달시스템완비 7 혁신창업행사다양화 8 혁신창업문화분위기조성 ( 중국창업생태계의성장 ) 중국의창업생태계는빠른속도로발전하여, 2016년현재, 세계유니콘기업 174개중, 중국기업이 35개를차지하고있으며, 전세계 113개유니콘기업중중국이 15개를차지했던전년도에비해매우빠른증가속도를보여주고있음 창업생태계에대한양적투입이질적성과로이어지고있으며, 이는중국이정부주도형의투입뿐아니라, 이를민간에서소화하고성과로이어내는메커니즘이형성되고있다는방증이며, 중국의거대한내수시장, 그리고풍부한자금이중국의생태계를선순환시키는윤활유의역할을하고있기때문 - 중국의넓은내수를바탕으로하는비교적안정적인스타트업의수익창출구조와스타트업에서출발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 대기업 1) 과스타트 1) 샤오미는현재 Fortune 이선정하는유니콘기업중우버의뒤를이어 2 위를차지하고있으며,

18 14 업의상생구조, 혁신주입구조가이를뒷받침 * 중국의기업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IPO) 2), 인수합병 (Mergers and Acquisitions, M&A), 수익률 이에따라, 중국의창업생태계는빠르게공간을확장하면서, 밀도있는메커니즘을형성해가는중 - 중국의창업투자 ( 벤처캐피털투자기준 ) 는 146억 9600만달러 ( 약 17조 4000억원 ) 규모로 2013년보다 3.7배늘어났고, 이중 ICT 분야투자비중이 68.8%(101 억 700만달러 ) 중국창업투자에서 ICT 산업이차지하는비중은 2010년 24.5% 에서 4년만에 44.3%p 증가 - 중국에서는 291만개의창업이이루어졌고, 창업성격도생계형에서기회형으로빠르게전환되는중이며, 정부의투입이주도하는요소주도형에서혁신주도형으로변모해가는중 (Global Entreprenuership Moniterng, 2015) ( 중국의혁신클러스터 ) 중국의창업생태계는베이징, 상하이, 선전에서시작된중국의창업열풍은점차동부연안에서중서부내륙지방으로옮겨가며, 3( 베이징, 상하이, 선전 )+2( 우한, 청두 ) 구도를형성하며, 내륙으로혁신이확산되기시작 특화형협력모델의필요성 ( 중국의혁신과성장 ) 중국은한국의최대수출국이자최대시장으로서, 한국과밀접한경제관계를형성해왔으며, 한국과가장커다란산업적이해관계를가진국가로, 중국의혁신속도가우리에게는위협이자기회요인으로작용할수있음 - 중국의도약식성장은이미우리에게큰위협으로간주되고있으며, 특히중국제조 2025나인터넷플러스등혁신산업관련정책의잇따른제출과함께관련분야의산업발전과스타트업팽창이가시화되는중 ( 중국의혁신에대한우리의대응 ) 이런상황에서, 중국은전통경제영역에서뿐아니라우리스타트업의진출수요가가장많은국가로부상하였으나중국의빠른혁신속도에대해우리가어떻게대응해야할것인가라는문제에대해서는심도깊은고민이진행 2) 기업공개 (IPO) 는기업설립후처음으로외부투자자에게주식을공개하고, 이를매도하는업무를의미

1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15 되어본적이없음 - 스타트업트렌드리포트 (2016) 에따르면, 중국에대한스타트업들의진출관심은급 격하게상승하여, 2016 년 1 위로상승하였음. [ 그림 1-1] 스타트업진출선호국가 자료 : 오픈서베이, 스타트업얼라이언스 (2016), 스타트업트렌드리포 (2016, p.13.) ( 연구의필요성 ) 따라서창업생태계를위시한중국의혁신현황과발전메커니즘을이해하고, 그과정에서우리가중국과의보완적관계형성을통해공동으로발전할수있는기반을다져야할필요가있음 - 본연구에서는이를창업생태계간교류와상호보완등혁신생태계간의교류활성화를통해중국의성장을우리의기회로활용할수있는방안을모색하고자함 ( 연구목적 ) 이를위해본연구에서는중국의전반적인창업생태계현황과관련정책을살펴보고, 한국과양해각서 (MOU) 를체결하여후속조치를이행하고있는지역인청두지역을중심으로협력모델을도출하여, 시범적이나효과적인협력전략을실행할수있는틀을구축할것임 - 중국전반과동부지역대표도시인베이징, 상하이의창업현황대비청두의차별성에대한 SWOT 분석을통해청두협력전략도출

20 16 제 2 절 중국창업생태계발전현황 1. 중국전체 가. 경제현황및산업구조 경제현황 ( 경제성장률 ) 중국의경제성장률은 2016년상반기기준으로세계경제평균성장률의거의 2배에이르는 6.7% 를기록하였으나, 성장률은지속적으로하락중. 2016년중국거시경제운용방향은안정적성장을추구하며공급측구조개혁, 적극적재정정책과안정적통화정책을통하여, 2020년 전면소강사회 건설을목표로설정하였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경제성장률을연평균 6.5~7.0% 로제시하고있음. [ 그림 1-2] 중국의실질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데이터를저자정리 (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는 2016년들어 2.3% 로비교적높았으나 5월부터하락하기시작하여 2016년 7월기준 1.8% 으로물가상승압력이약해지고있으며, 중국정부는소비자물가지수를안정적으로유도하기위해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CPI) 상승률억제선을 3.0% 로제시함.

2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17 [ 그림 1-3] 중국의소비자물가상승률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를저자정리 산업구조 ( 산업구조 ) 중국의산업구조는 2014년기준으로 1차산업, 2차산업, 3차산업비율이 9.1: 43.1: 47.8로 2005년 11.6: 47: 41.3의비율로 2차산업 > 3차산업 > 1차산업구도에서, 3차산업 > 2차산업 > 1차산업구도로전환되었음 [ 그림 1-4] 중국의산업구조변화 자료 : 중국국가통계국

22 18 나. 창업관련정책 중국제조 년 5월 8일중국정부는향후 10년간중국제조업육성전략의근간이될 중국제조 2025 를발표함. 중국제조 2025는제조대국에서제조강국으로, 자원집약형전통산업에서기술집약형스마트제조강국으로성장하기위한전략임 < 표 1-1> 중국제조 2025 의 10 대핵심산업 산업 내용 차세대 IT 고급수치제어공작기계및로봇항공우주설비해양엔지니어설비및첨단선박선진철도교통설비에너지절약 신에너지자동차전력설비농업기계설비신소재바이오의약및고성능의료기기 집적회로및전용설비 정보통신설비 운영체제및공업용소프트웨어 고급 NC3) 공작기계 로봇 ( 공업용, 특수로봇, 서비스형로봇등 ) 항공설비 ( 대형항공기, 간선항공기, 무인기등 ) 우주설비 ( 로켓, 신형위성, 유인우주기술등 ) 해양엔지니어설비기술 ( 해양탐사, 자원개발등 ) 첨단선박기술 ( 크루즈, 액화천연가스선박등 ) 신소재, 신기술, 신가공응용 안전관리및에너지절약시스템 제품의경량화, 모듈화, 시스템화 전기자동차 연료전지동력 저탄소자동차 핵심기술 ( 첨단변속기, 경량화소재, 스마트제어등 ) 고효율석탄전력정화설비, 수력 원자력발전등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설비등 첨단농기구및핵심부품 특수금속, 고성능구조재료, 기능성고분자재료등 바이오의약및고성능의료기기 바이오의약 ( 중대질병치료약품, 바이오기술응용신의약품등 ) 고성능의료기기 ( 영상설비, 의료용로봇등 ) 첨단의료기술 (3D 바이오프린터, 다기능줄기세포등 ) 자료 : KIEP 북경사무소 ( ), KOTRA(2015, p. 2) 3) numerical control 의약어로사람이이해할수있게작성된설계나도면을기계가받아들일수있도록 부호와수치로구성된고유언어로써, 기계의운전을자동제어하는것

2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19 인터넷플러스 ( 개요 ) 2015년 3월중국총리리커창은인터넷플랫폼과정보통신기술을활용하여인터넷과경제, 사회 11개분야의융합발전체제구축을목표로하는인터넷플러스행동계획을발표함 ( 중점분야 ) 창업 혁신, 제조, 농업, 에너지, 금융, 민생, 물류, 전자상거래, 교통, 생태환경, 인공지능등 11개의중점분야를선정하고분야별발전목표및행동계획제시 * 신흥산업을위한창업, 혁신시범구역건설, 크라우드소싱촉진, 스마트제조시범구역확대, 크라우드컴퓨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를확용한상품및서비스혁신촉진, 산업용로봇기술도입, 전자상거래활성화등의내용 < 표 1-2> 인터넷플러스발전목표 (~2018) 영역경제발전사회발전기초인프라환경조성 구체적목표 인터넷을통한제조업, 농업, 에너지, 환경보호산업분야의업그레이드와노동생산성제고 전자상거래및인터넷금융육성 건강의료, 교육, 교통등민생분야에서의인터넷응용확대 공공서비스의온 / 오프라인통합및서비스다각화 광대역, 차세대이동통신망구축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등신형인프라시설구축 인공지능기술의산업화촉진 인터넷융합혁신에대한인식제고 관련기준, 규범, 신용체계, 법률법규체계완비 ( 실행방안 ) 또한, 인터넷플러스의실행을위한 성장기반확보, 혁신촉진, 환경완화, 해외협력강화, 인재육성, 인센티브수립등지원책을마련해나가는중 * 기업주도의산업혁신네트워크나컨소시엄구축, 불합리한정책제도정비, 인터넷융합기업의해외진출촉진, 핵심공정프로젝트지정을통한사회자본유입유도, 인터넷융합기업에대한세제혜택, 융자서비스우대등지원책마련 ( 핵심산업육성 ) 클라우드, 사물인터넷등인터넷기반의융합의핵심산업에대한육성은꾸준히진행중

24 20 - ( 클라우드 ) 중국정부는 클라우드컴퓨팅혁신발전과정보산업신업태육성촉진에관한의견 을발표 ( ), 클라우드를전략적으로육성 - ( 사물인터넷 ) 사물인터넷시범단지조성 ( 09), 사물인터넷 12차 5개년발전계획 ( 12), 사물인터넷발전에관한 10개특별계획발표 (2013) 등사물인터넷활성화를위한다양한정책추진 [ 그림 1-5] 인터넷플러스와새로운생태계 자료 : 마화텅외 (2016, p. 45) 다. 창업현황 4) 창업의가속화 신규기업설립이빠르게증가하고있으며, 창업 혁신이사회전반에확산되고있음. 4) 중국창업생태계현황은주로중국공상행정관리총국 3 분기경제현황발표내용 ( ), 및중국발전개혁위원회가중국의창업생태계의현황과평가를내린첫번째결과물 인 2015 年中国大众创业万众创新发展报告 의정리를인용, 정리함

2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21 지속적인방관푸 ( 放管服 ) 개혁의심화에따라각급시장의주체인기업이빠르게성장하고있음 * 방관푸는정부권력의간소화, 공정한관리그리고서비스효율을높이는것으로중국정부의행정조직을개혁하는것 ( 신규창업증가 ) 신규기업설립수가급격하게증가, 2016년상반기중국신규등록기업수는 262만개사로, 동기대비 28.6% 증가하였으며, 이는매일평균 1만 4천개의기업이신규로설립된것임 - ( 창업분야 ) 신규기업들중신흥서비스업기업들의신규설립이지속적으로상승하고있음. 2016년 6월기준으로정보전송, 소프트웨어및정보서비스업분야의신규기업수는 2만 8천개이며, 이는동기대비 36% 가증가한것임 - ( 기업구조 ) 신규설립된기업의주체가최적화되고있으며, 산업구조도업그레이드도되고있음. 신규등록된기업의주체는기업, 개체공상호 5), 농민전업합작사 ( 중국의협동조합 ) 등이며, 이중기업의비중이가장크며지속적으로상승하고있음. ( 노동력수요증가 ) 스타트업의노동력수요가급격히상승하고있음 년상반기초기기업의인터넷사원초빙공고는 146만건으로, 스타트업의고용창출효과가가시화되는중 ( 대기업의창업지원증가 ) 대형기업의창업 혁신을지원하는플랫폼이큰폭으로증가 년상반기중앙기업의창업 혁신을지원하는플랫폼의숫자는 100여개로 2015년말과비교하여배로증가하였음 - 창업 혁신을지원하는플랫폼을통하여개방식혁신합작을확대하고대기업과소기업이자금공유와기술공유를실현하며, 소기업의창업 혁신역량을확대시킴으로서함께발전하고함께성장을고려함 ( 기술거래증가 ) 기술시장의거래가증가하고있으며, 전략성신흥산업의지속적성장그리고신삼판 ( 비상장중소기업들을대상으로한중국내전국적인지분거래플랫폼 ) 상장기업이빠르게성장함 5) 우리나라의개인사업자중간이과세자와비슷한제도 ( 올웨이즈, 2014)

26 년상반기기준, 중국국내특허출원건수는 144.5만건으로동기대비 37.8% 증가하였으며, 기술거래금액은 3,373억위안으로동기대비 11.6% 증가하였음 년상반기기준, 전략성신흥산업기업의주영업부문수입은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하였으며, 이윤총액은 18.9% 증가하였음 년상반기기준, 신삼판상장기업수는 2,559개이며, 이는 2014년동기의 5.7배, 2015년동기의 2.4배증가하여, IPO를통한회수의기회가빠르게확대 창업자그룹확대 최근창업 혁신에대한다양한정책이계속시행되어창업 혁신에대한환경이좋아짐에따라창업 혁신에대한이념이대학생, 귀국유학생, 과학기술인재및귀향농민공등다양한잠재력을보유하고있는계층에퍼졌음이에따라창업자그룹이성장하고있음 ( 대학생창업 ) 대학생들은다양하게창업에투신하고있음 - 대학졸업생창업인도계획의실시, 대학생혁신창업교육전문자금설립그리고대학졸업생취업창업촉진등은대학생들의창업열기를고조시킴 년기준창업및창업에참여한대학생수는 55만 8천명으로 2014년보다 16.9% 증가하였음 - 대학졸업생과재학생의창업에대한참여는지속적으로상승하고있으며, 2015년창업인구중에서대학졸업생이차지하는비중은 14.9% 임 ( 해외유학생창업 ) 많은해외유학생들이귀국하여창업을시도하며, 해외유학생이해외에서쌓은경험과네트워크는중국창업생태계발전의큰동력으로작용하는중 - 중국정부는 < 유학생귀국창업지원에대한의견 > 및 < 유학생귀국자주창업완성에관한유관문제의통지 > 등정책문건의시행과 천인계획 및 유학생귀국창업시작지지계획 등의지속적인실시로해외유학생의귀국창업이점점증가하고있음 년귀국유학생중창업자는 15% 이상으로매우높은비중을차지 벤처캐피탈 ( 엔젤투자및창업투자 ) 중국정부의적극적인지원하에창업 혁신의활성화를나타내는엔젤투자, 창업투자가빠른속도로성장하는중 - ( 엔젤투자 ) 2015년중국엔젤투자의모집자금은 억위안으로 2014년의약 3

2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23 배이며, 2010년의 15배로성장하였음. 모집펀드는 124개로, 2014년과비교하여 85 개가늘어났으며, 2010년의 15.5배임. 투자금액은 억위안이며, 투자건수는 2,075건임 - ( 창업투자 ) 창업투자역시폭발적인성장을나타내고있음. 창업투자모집자금은 1,996억위안이며, 투자금액은 1,293.34억위안, 투자건수는 3,445건으로나타남 년말현재, 중국엔젤투자, 창업투자기구총수는약 3천개사이며, 관리하는자본은 1조위안을초과하여미국다음으로세계제2위의창업투자집결지역이되었음 ( 정부주도투자 ) 대대적인국가신흥산업창업투자계획의실시로정부주도의펀드수와관리자본이증가하고있으며, 지역도전국으로확대되고있음 년전국창업투자주도펀드는 780개이며, 펀드총목표금액은 2.18억위안이며, 그중 2015년새로설립된정부주도펀드는 297개이며, 기금목표금액은 1.5억위안으로 2014년의각각 2.8배와 5.2배임 ( 투자경향 ) 성장기기업에대한투자위주로, 안정성을중시하던 VC 투자구조가초기단계로확산되고있으며, 투자업종은중국의정책적발전에따라인터넷과모바일, 바이오등으로집중되는중 - ( 성장단계 ) 2015년창업투자기구가투자한곳은시드 ( 种子 ) 투자가 22.3% 이며, 초기투자가 32.6% 임. 이는중국창업투자가안정적수익을창출할수있는성장기기업에서초기기업에대한투자로전환되었음을보여줌 - ( 업종 ) 투자영역은주로인터넷플러스업종, 바이오의약품등의산업에집중되어있으며, 인터넷, 정보및부가가치서비스, 바이오기술, 의료건강, 금융, 등의업종에엔젤투자와창업투자의 70% 이상이집중되어있음 대중창업공간 ( 중창공간, 中創空間 ) 의발전 중국의창업은정부주도형의과학기술형산업단지인 고신구 ( 高新区 ), 대학부설 과기원 ( 科技园, Science Park) 과민간이주도하고있는대중창업공간 ( 众创空间 ) 에서활발히진행 - 고신구내의창업단지, 과기원내의인큐베이터설립등을통한정부주도형창업플랫폼을구축하여창업자원을결집하고, 창업카페형태의대중창업공간에서민간의창업활동이활성화될수있는구조형성

28 년중국의중창공간은빠른속도로발전하여전국적으로 2300 개를돌파했고, 2016 년에는 4000 개를넘어설것으로보여, 창업생태계의규모와기반, 외연이크게 확장되고있음을알수있음 [ 그림 1-6] 대중창업공간의발전추세 ( 개 ) 자료 : 腾讯研究院 (2016) (2014) (2015) (2016) 2. 베이징가. 혁신생태계현황 ( 중관촌 ) 1988년중국최초로지정된첨단기술개발구가지금의중관촌의전신, 2011 년중관촌포함 16개단지가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2011~20 년 ) 로승인, 현재총 488km2면적에약 2만여개이상의기업이입주해있음 - ( 창업규모및분야 ) 중관촌에서창업한과학기술형기업수는총 15,645개로그중전자정보 8,541개, 바이오의약 1,123개, 신소재및응용기술 958개, 항공항천 110개, 현대농업기술 222개, 신에너지및에너지절감기술 1,017개, 환경보호기술 650개, 해양공정기술 10개, 핵응용기술 44개, 기타 1325개, 선진제조기술 1645개등으로점차늘어나는추세로하루평균 55개스타트업이생겨나고있음 - ( 중국내의비중 ) 중국인터넷창업플랫폼에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광조우등지역이전체창업지역중 60% 이상을차지하고있는것으로조사됨. 6) 6) IT 桔子 (2016) 참조

2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25 [ 그림 1-7] 2015 년중국창업도시및업종분포도 ( 인터넷창업 ) 자료 : IT Orange - ( 중관춘시범프로젝트 ) 2015년 2월 국가첨단기술산업개발구인터넷산업융합혁신중관춘시범프로젝트 (2015~2020 년 ) 를개시, 솔선수범창업지중관촌에서 인터넷플러스 전략을연계하여청년창업을지원할계획나. 주요혁신클러스터 : 중관춘 ( 중관촌사이언스파크 ) 중관촌사이언스파크는 1991년에허가된중국내첫번째국가급하이테크개발구로 중국의실리콘밸리 로인식 - 중관촌지역은 1990년중반이후 R&D와기술혁신의거점지역으로성장하였고, 특히 2001년중국이 WTO에가입하면서하이테크산업클러스터로그규모가확대되었고, 2011년에는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지 로승격되어약 2만개이상의기업이입주해중국최고의핵심클러스터로성장 < 표 1-3> 중관촌지역창업지원인큐베이팅인프라현황 민간 정부 구분 관련기관수 인큐베이터 / 액셀러레이터 64 유학인재창업단지 26 대학과학기술창업단지 16 창업입주시설 47 국가과학기술인큐베이션센터 30 국가대학과학기술원 14 국가유학인재창업원 8 총계 205 자료 : 중관촌사이트참조

30 26 - ( 전략적신흥산업 ) 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지의경우정부의전략적신흥산업분야에따라 1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2 차세대 ICT, 3 바이오및제약, 4 첨단설비제조, 5 신에너지, 6 신소재, 7 신에너지자동차등을포괄하는종합적인클러스터의개념 ( 특성화산업클러스터 ) 중관촌사이언스파크혹은자주혁신시범지와같이종합적인산업클러스터형태에서 베이징중관촌모바일네트워크, 펑타이丰台궤도교통산업클러스터, 이좡 ( 亦莊 ) 디지털 TV와디지털콘텐츠산업클러스터 등으로점차특성화된혁신산업클러스터로확대전이되고있음 - ( 자주혁신시범구 ) 자주혁신시범구는다싱 ( 大興 ) 바이오의약산업기지등 10개의서브파크로구성되며, 국가 SW산업수출기지, 국가바이오의약산업기지, 국가공학기술혁신기지및국가네트워크애니메이션산업발전기지등특성화된산업클러스터로성장발전 < 표 1-4> 베이징중관촌모바일네트워크클러스터발전현황 구분개요기업구성혁신활동 내용 베이징하이디엔위옌 ( 海淀园 ) 에위치한중관촌소프트웨어파크를기반으로 2013 년에설립 - 응용서비스, 네트워크운영, 단말 ( 소프트 / 하드웨어 ) 등을총망라한생태계구축, 모바일응용기술서비스 플랫폼외에모바일응용층, 모바일운영층및모바일단말층등으로 구성 - 국가급인큐베이터도다수설치되어있으며, 하이뎬위안클러스터의가장핵심이되는 지역 년기준, R&D 형기업 1 만 4,000 여개사입주 ( 국가급하이테크기업 5,100 개사 ), 기 업총수입은 1 조 5,000 억위안 2014 년기준, 중관촌사이언스파크내의기업수는 320 개사 - 소형기업이전체의 45% 를차지하고있으며, 외국기업은 50 개사가넘음 - 상장기업은 35 여개, 영업수입이 1 억위안이상인기업은 40 여개, 하이테크기업은 100 개여이상 중관촌소프트웨어파크의 2013 년총생산액은 1,213 억위안 ( 전년대비 10.7% 증가 ) 이며, 대기업생산액이파크전체총생산량의 96.4% 를차지 모바일응용계층중특히모바일페이, 모바일광고, 모바일검색, 모바일열람, 기업모바 일응용등의영역에서우위확보 2013 년파크내기업의연구개발비총액 115 억위안 특허출원 1 만 1,974 건, 특허취득건수 5,039 건, 국제특허취득건수 249 건, 상표출원 1,358 건, 등록상표 1,019 건, 소프트웨어저작권 2,972 건등창출

3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27 구분 혁신활동 목표 자료 : KIAT(2015) 내용 지적재산관련자금투입은 23 억위안, 수익은 31 억위안 12 개의전문적파크와산업기지, 35 개의기술형기업인큐베이터, 20 여개의대학사이언 스파크및유학생창업원등이소재 상기체계를중심으로다층적, 전문적인이노베이션창업시스템을구축 모바일네트워크기술연구개발플랫폼, 신제품검측인증플랫폼, 서비스플랫폼, 새로운 성과의전시, 거래플랫폼등을구비 중국유수의국제적영향력을가진모바일네트워크산업클러스터성장 중국내최대모바일응용개방적플랫폼, 모바일개발 응용, 모바일안전서비스플랫 폼형성, 모바일네트워크응용서비스센터로전국에서비스제공 ( 중관춘창업거리 ) 베이징시는청년창업과기술창업을활성화하고자 2014년 6월 200m 길이의 중관춘창업거리 (Innoway) 를조성하여미국의실리콘밸리와유사한형태로초기인큐베이팅, 투자플랫폼, 개방형창업공간, 창업미디어, 온라인커뮤니티를구축하고있음 년에설립된처쿠카페 ( 车库咖啡 ), 3W카페, 36커 ( 氪 ) 를비롯해 20개의창업지원서비스플랫폼이구축되어이곳은개방형창업플랫폼으로중국혁신창업공간의대표브랜드로성장 [ 그림 1-8] 베이징중관촌국가자주혁신시범구 자료 : 조선펍 ( ) 보도, 베이징시홈페이지 - ( 투자 ) 200 여개의펀드프로젝트, 400 여개창업가팀이활동중에있으며, 펀딩기회및

32 28 창업인프라활용을위해지방에서올라온젊은스타트업이지속적으로증가하는추세. 음료비용지불만으로인터넷, 프린터기등각종시설을무료로이용하도록하고있음 - ( 창업플랫폼의발달 ) 이러한창업공간에다양한창업자가몰리면서새로운창업플랫폼으로부상하고, 카페일부공간에서는기업 IR(Investor Relations) 과제품홍보기회를제공하여창업투자자들을끌어들임 - 약 400개의팀 ( 이중해외파출신창업팀 60개 ) 이이곳에서창업을준비하고있고, 그중 250개의창업프로젝트에투자가이루어짐 ( 창업생태계특성 ) 베이징은 ICT 생태계조성을위한기업들의적극적인투자 젊은창업자의높은비중 다양한지원기관등으로인해독특한창업생태계가형성됨 - ( 대표적기업 ) 대표적으로바이두, 샤오미는중관촌에서창업하여급성장하였으며, 그밖에일부기업은 IPO를통해대규모자본을유치하는데성공. 이러한기업들은창업혁신생태계구축을위하여스타트업에직접투자하거나, 자체벤처캐피털을통해스타트업을지원하고있음 < 표 1-5> 베이징중관촌주요창업지원서비스플랫폼현황 (2015 년기준 ) 초기인큐베이팅투자플랫폼개방형창업플랫폼창업미디어 창업온라인 커뮤니티 혁신공장 ( 创新工 场 ), 창칭텅창업원 ( 常青藤创业园 ), 윈 톈스후이 ( 天使汇 ), 베이징쥔롄투자 ( 北 京君联资本管理有 처쿠카페 ( 车库咖 啡 ), 3W 카페 (3W 咖 啡 ), Binggo Cafe 등 36 커 (36 氪 ), 창업가 ( 创业家 ), 라거우 ( 拉勾 ) 창토우췐 ( 创投圈 ) 기지 ( 云基地 ), 칭화경제관리창업자엑 限公司 ) 등 셀레이터 ( 清华经管 创业者加速器 ), 렌샹 즈싱 ( 联想之星 ) 등 자료 : 阿里云 ( ), 中关村创业报告 : 活跃度超过十年前互联网热潮, 中关村创중관춘창업거리사이트등을바탕으로정리.

3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29 ( 주식시장상장 ) 중관촌기업중 254개기업 ( 이중본토, 홍콩포함한중국기업이 156 개, 외국계 98개 ) 이주식시장에상장하였으며, ICT 기업은주로해외증시에상장 샤오미창업자레이쥔 ( 雷军 ) 은 UC Web, 판커 ( 凡客 ) 등유망스타트업에투자하고, 일부엑셀레이터프로그램을통해서도지원하고있음 레노버와중국과학원이공동으로 ' 롄상즈싱 ( 联想之星 )' 이라는전문창업지원기관을설립함 - 중국 30대이하창업자의절반이중관촌에서활동할정도로젊은창업자가많은데, 이들은과감한혁신을추구하고실패를두려워하지않고창업에매우적극적임. - 창업자출신의엔젤투자자, IDG, 인베스트투데이 ( 今日投资 ), 베이지광창투 ( 北极光创投 ) 등전문기관투자자및칭화대에서운용하는치디창투 ( 启迪创投 ) 등에서스타트업에투자, 또한실질적으로기술력은갖췄지만벤처캐피털로부터투자유치가쉽지않은스타트업을위해중관촌관리위원회에서벤처캐피털과공동으로 13억위안규모의엔젤투자기금을조성. 다. 창업관련정책 인재유치 ( 대학및연구소 ) 베이징에는베이징대학, 청화대학등 60여개의고등교육기관뿐만아니라중국과학원, 중국공정원등국책연구기관 206개, 국가급실험실 122개, 국가공정연구센터 38개,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 57개, 대학과학기술원 26개, 유학생창업센터 34개가소재하고있어, 중국내기술창업인프라가가장풍부한지역 7) - 주변에서고급기술인력을쉽게찾을수있다는장점과정부차원에서과학성과의산업화 / 시장화를적극장려하며산학연협력을유도하고있어기술클러스터가매우체계적으로구축되어있음. - 15년전체중관춘지역창업자중 35세이하창업자는 10,785명으로전체창업자의 70% 이상 ( 우수인력에대한인센티브 ) 2011년중국조직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NDRC) 를포함한 15개부처에서 중관촌인재특구화에대한의견 을발표하여, 우수기술인력에 7) 中关村 (2015) 참조

34 30 대한소득세면제등다양한인센티브를제공하고있음 ( 인재유치 ) 베이징으로귀국한해외우수두뇌가 1만 8,000명에, 창업한기업수는 6,000개에달하며, 베이징시정부는 천인계획 과 베이징해외인재유치프로젝트 를통해각각 874명, 368명의고급인력을유치하였고, 그중 70~80% 가중관촌에서근무하고있음. 투자 ( 투자 자본 ) 자금을지원하는벤처캐피탈, 금융사등도포진하여 2014년중관춘의엔젤투자건수는중국전체의 52.8%, 투자금액은전체의 61.2% 를차지 - ( 엔젤투자 ) 2012~2014 년사이중관촌내엔젤투자협회, 청년엔젤투자회, 엔젤백인회등엔젤투자관련조직이연이어등장하면서엔젤투자가본격적으로활성화되기시작 플랫폼, 서비스및세제지원 ( 창업지원정책 ) 베이징시는기술혁신창업중부딪칠수있는법률적인문제를해결해주고법인세감면, 토지사용비절감, 수출입절차간소화, 은행대출지원, 연구자에대해세금을공제하는등중관촌지역에대한정책지원의차별화 - ( 육성분야 ) 베이징은향후집적회로 (IC), 신소재, 장비제조, 항공, 신에너지및신에너지자동차등산업을육성 발전시킬계획임 - ( 세제지원 ) 베이징에서는우수한연구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R&D) 및금융관련우수인력확보를위해 100만위안규모의장려금지급과개인소득세면제등의파격적인제도를운영하고있으며, 인증된창업혁신기업에대해서는투자금액의 10% 를보조하고혁신적인아이디어에대한창업자금지원제도를운영중이며, 사무공간및기타부대시설임대등다양한지원을하고있음 - ( 플랫폼운영 ) 그밖에중관촌소프트웨어단지에는기업 R&D센터, 혁신플랫폼, 인큐베이팅, 엑세러레이팅, 멘토링및교육플랫폼등의지원사업을상시적으로운영중이고, 엔젤투자, 창업투자기금, 산업기금, 전략적투자, IPO, 다양한데모데이등다양한투융자기회가수시로개최운영 ( 자금지원 ) 정부가정책적창업촉진기금을집중하고있고, 은행및기타금융권도중소벤처기업을위한다양한대출상품을개발하고있으며, 중국국내외벤처캐피털기

3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31 업들이입주하여다양한창업지원자금이유입되도록제도의간소화, 간편화추진 - ( 국제협력강화 ) 베이징시정부는중관촌의창업혁신활성화및글로벌화를위해중관촌소프트웨어단지국제협력및기술이전플랫폼 ( 中关村软件园国际合作与技术转移的新平台 ) 을구축하여국제협력및교류강화 < 표 1-6> 베이징시주요창업기업지원정책 주요창업기업지원정책 우수창업인재확보 ( 高端领军人才聚集工程, 千人計劃등 ) 창업투자보조 ( 中关村国家资助创新示范区创业投资风险补贴资金管理方法 ) 중소기업창업인큐베이팅 자금지원 ( 中关村科技园区小企业创新孵化支持资金管理方法 ) 중소기업창업투자촉진기금 ( 支持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中小 科技型企业投资承接大建设工程项目的若干措施 ) 하이테크인증기업세수우대 ( 高新技术企业认定的税收优惠政策 ) 스마트하드웨어산업혁신 발전에대한지원정책 ( 中关村促进智能硬件产业创新发展的若干支持政策 ) 자료 : 搜狐 IT( ). 및기타자료정리. 주요핵심내용 혁신형창업인재로인정받을경우 100 만위안의기본정착장려금 지급및전년도개인소득세면제등다양 인증된창업투자기구및과학기술기업인큐베이팅센터, 엑셀러레 이팅센터는중관촌스타트업실제투자금액의 10% 를보조 - 혁신창의분야 35~200 만위안무상지원 - 유학생스타트업지원자금 : 10 만위안무상지원 - 유학생창업서비스기구지원자금 : 사용하는면적 1 m2당 0.5 위 안을최대 3 년간보조 담보회사가기업이시행하는주요건설공정에대한담보유동성 을확보, 담보비율우대, 중관촌관리위원회가기업이대출한이자의 40% 지원등 베이징시과학기술위원회가인정하는하이테크기업에대해 15% 의세율로소득세징수 - 하드웨어생태계구성을위해 5,000 만위안규모의기금조성 - 하드웨어관련중소기업에대한융자지원, 선도기업육성, 하 드웨어영역의교류협력지원추진 3. 상하이 가. 혁신생태계현황 ( 특성 ) 상하이는베이징과더불어고급기술인력이집적화된도시로, 2000년대부터해외유학파고급엔지니어와관리자들이귀국하면서 ICT 분야를중심으로 BT, ET 등다양한업종의창업이증가하기시작 - 상하이는우수대학및연구기관, 외국인과다국적기업이가장집중되어있는도시이

36 32 며, 은행및증권등금융산업이발전하여많은자금이집중되어있음 ( 창업분야 ) 상하이는실용주의적사고방식이강해 ICT 분야의창업에있어서도온라인및모바일게임과같이수익모델이확실한분야에집중되는경향을보임 - 상하이는중국게임산업의 1/3을차지하고있으며, 대기업으로성장한샨다, 쥔멍 ( 骏梦 ) 을포함한 75개의온라인 / 모바일게임기업 (74개) 이있음 - 또한호텔숙박, 티켓판매등을대행하는 Ctrip이나회원사의광고를수익원으로하는따종뎬핑등수익모델이어느정도구축된분야를위주로창업이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수익구조가불투명한검색서비스, 메신저, 쇼핑등은발달하지못함 ( 플랫폼 ) 베이징 ( 바이두, 시나닷컴, 소후닷컴등 ), 항저우 ( 알리바바 ), 선전 ( 텐센트 ) 등에는대형플랫폼업체가있으나, 상하이는중국전체에서영향력있는플랫폼업체를제대로구축하지못함 나. 주요혁신클러스터 ( 혁신시범구 ) 현재상하이에는자유무역시험구, 장장국가자주혁신시범구가형성되어있으며, 곧실시될전면적혁신개혁시범구까지더해져 4개의혁신시범구 ( 시험구 ) 가개혁을주도하고있음 - ( 신규혁신단지구축 ) 특히장장 ( 张江 ) 종합국가과학기술센터와중대혁신기능형플랫폼의건설을서두르고있고, 국가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 중요혁신기지건설, 중요한산업핵심기술공략관련프로젝트를적극추진중. 이에따라장장 ( 张江 ) 핵심구와즈주 ( 紫竹 ), 양푸 ( 杨浦 ), 자오허징 ( 漕河泾 ), 자딩 ( 嘉定 ), 린샹 ( 临港 ) 등에과학기술혁신센터를건설함으로써상하이시는중국과학기술혁신기지로서의역할을확대할계획

3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33 상하이자유무역시범구개황 출범 : 면적 : km2 범위 : 4 개보세구 ( 와이가오차오보세물류구, 와이가오차오보세지역, 푸동공항종합보세지역, 양산보세항구 ) + 3 개보세구 ( 루자주이금융지구, 진차오개발구, 장장산업단지 ) 목표 : 중국 31 개성시시장개방의시험무대. 금융및서비스업의다양한개혁개방조치시범운영후 전국적확대적용. 최종목표는홍콩을능가하는아시아금융 서비스허브구축 내용 - ( 목표 ) 1 금융업개편 개방 2 투자 ( 산업 ) 영역개방, 3 무역통관간소화 4 기업설립및운영관리감독제도개선 5 법제제도정비 - ( 주요내용 ) 금융 서비스업의다양한개혁 개방조치시범운영후, 전국적으로확대 ( 금융 ) 금리시장화, 자본계정자유화등점진적인금융업개방 ( 서비스업 ) 골프장등 122 개항목 ( 네거티브리스트 ) 제외, 외국인투자전면허용 ( 무역통관 기업설립 ) 통관시스템 기업설립소화로수출입및기업설립시간단축 - ( 기업현황 ) 15 년까지총기업수약 26,000 개 ( 신규투자기업 ) 총 16,921 개, 외자기업 3,004 개 ( 주요투자국 ) 홍콩, 대만, 미국, 일본, 싱가포르, 한국, 독일, 캐나다등 ( 주요업종 ) 70% 이상이무역 도매업, 컨설팅 기업관리 IT 서비스에집중되어있음 ( 한국기업 ) 50 여개사 ( 등록만해둔경우가대부분 ), 80% 이상이무역 도매업, IT 서비스 컨설팅등업종에편중되어있음 - ( 국가관운영 ) 호주관 ( 14. 7), 러시아관 (14. 12), 이탈리아관 ( 15. 2) 운영및칠레관건설 ( 장장하이테크단지 ) 장장하이테크단지는 1991년에인정된국가급하이테크산업개발구로 2002년장장하이테크개발공사 ( 张江高科技园区开发公司 ) 와공동으로창업생태계를구축하였음. 2006년에상하이하이테크산업개발구에서현재의명칭으로변경되었고, 반도체, 소프트웨어, 바이오제약등 3대산업분야가주축 - ( 반도체산업 ) 반도체의경우 SMIC의진출로인해집적회로 (IC) 분야가발달해있으며, 창업초기자금을받기가조금어려운편인데다정책관리등을포괄하는시스템이없어다소비효율적으로운영 - ( 장장과학성 ) 장장하이테크산업개발구는 장장과학성 ( 科學城 ) 을구축중에있으며, 장장과학성 은대학사이언스파크와유사하게대학을지역에유치하기위한것으로, 단순히대학이나연구기관을유치 집적시키는것뿐만아니라, 현지생산, 연구경험을활용하여산 학 연협력관점에서기술선도자의지위확보를목적으로추진 - ( 해외파인력 ) 중국으로귀국한해외파고급인력중 3분의 1 이상이상하이에거주하고있으며, 이들중상당수는미국및유럽등해외에서익힌선진화된기술과관

38 34 리경험을바탕으로장장하이테크단지 ( 张江高科技园区 ) 등에서창업을함 - ( 주요기업 ) 이시기에창업한기업은반도체파운드리 ( 위탁생산 ) 업체로유명한 SMIC( 中芯国际 ) 와샨다게임즈, 여행관련서비스를제공하는 Ctrip 등이있음 ( 장장바이오의약클러스터 ) 상하이장장 ( 張江 ) 바이오의약산업클러스터는 2011년 11 월에허가된육성단계구역으로, 장장하이테크산업개발구및장장국가바이오산업기지관리위원회가관할하며, 동개발구의장장국가바이오산업기지를기반으로설립 - ( 설립배경 ) 장장국가바이오산업기지는 2006년중국과학기술부, 국가위생부국가식품 약품감독관리국, 중국과학원과상하이정부가공동으로창설 - ( 위상 ) 장장바이오의약산업클러스터는상하이뿐만아니라중국국가급하이테크산업개발구에위치한자발적혁신형산업의대표주자 < 표 1-7> 장장 ( 張江 ) 바이오의약산업클러스터현황 구분개요기업구성혁신활동목표 내용 2009 년상하이시정부는 < 상하이바이오의약산업발전액션플랜 > 과 < 상하이바이오의약산업발전에관한약간의정책 > 을제정 공표하였고, 동정책에근거 < 장장바이오의약 산업클러스터 > 가구축 2007 년 4 월현재바이오제약기업 110 개, 화학제약기업 60 개, 의료기기업체 35 개, 전통 적한약재기업 15 여개사가입주했으며, 세계랭킹 10 위중 5 개사가이산업기지에서연 구개발센터를설치 년현재집적된바이오의약기업은 328 개 산업클러스터내상위 10 개바이오의약기업의 2013 년총생산액은 187 억위안으로, 푸둥 ( 浦東 ) 신구전체바이오의약총생산액의 47.6% 를차지 매출 1 억위안초과바이오기업은 18 개, 10 억위안초과바이오기업은 국가바이오산업기지로인정된이후에인큐베이터창설, 인력 자금 기술집적, 전문적 서비스플랫폼구축, 상하이지방경제와의협력추진중 우수한혁신형인력및기업의육성 집적과정, 제도적혁신등을연구 생명과학및바이오기술에초점을맞춘산업클러스터로 2017 년까지장장바이오의약산 업에서연간매출액 10 억위안초과기업 14 개, 5 억위안초과기업 30 개사, 1 억위안초 과기업 80 개사, 바이오의약하이테크기업 150 개사유치목표 2017 년까지연구개발신약 30 개를목표로하며 ( 그중한의약신약은 3 개 ), 연구 개발되 는의료기계제품 30 개. 바이오의약기업의연구개발기관 120 개목표 2017 년까지클러스터내총매출액 800 억위안, 총생산액 450 억위안, R&D 기술서비스 총수입 150 억위안이상을목표 * 자료 : 상하이장장첨단기술단지홈페이지참조

3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35 ( 기타산업단지 ) 상하이에서기술창업이가장빈번하게이뤄지는단지는장장하이테크산업단지이며그밖의창업지원기관으로멍샹톈디 ( 梦想天地 ), STEP, 텐센트창의산업단지등이있음 - ( 대학 대기업창업센터 ) 푸단대와연계하여창업서비스를제공하는멍샹톈디 ( 梦想天地 ), 상하이내대학교들이연합하여설립한창업기금회 ( 创业基金会 ) 에서운영하는 STEP은대학생창업에특화되어있고, 텐센트창업센터는인큐베이팅과투자가결합된모델로운영되며, 향후유사한창업센터를전국적으로확대할예정 < 표 1-8> 상하이주요창업및인큐베이팅단지 주요창업혁신단지소재지주요내용 장장첨단기술단지 ( 张江高科技园区 ) 푸동신구 국유기업에서운영하는창업단지로, 기존에반도체, 바이오의약부문의창업지원이많았으나인터넷, 모바일서비스관련창업지 원확대 멍샹톈디 ( 梦想天地 ) 양푸구푸단대학및투자사가연합하여설립한인큐베이팅센터 STEP( 上海接力 ) 양푸구 상하이대학생과학기술창업관리위원회에서설립 (2005 년 ) 한창업 기금회 ( 创业基金会 ) 산하의창업지원서비스회사로창업단지, 창업기금운영 Innospace( 创智空间 ) 양푸구민간운영인큐베이팅회사로한국창업진흥원과협력추진계획 치뎬촹예잉 ( 起点创业营 ) 민항구민항구정부, 소프트뱅크차이나 ( 软银中国 ), 엔젤투자자차리 ( 查立 ) 가공동으로설립한인큐베이팅센터 텐센트창업센터 ( 腾讯创业基地 ) 자료 : 新华网 ( ) 쉬후이구 모바일, O2O 8), 웨어러블디바이스등분야의스타트업지원 다. 창업관련정책 주요지원정책 ( 과학혁신도시발전계획 ) 상하이시정부는 2015년 5월소프트환경구축, 과학기술의산업화, 혁신인재유치등의내용을담은 과학혁신도시발전계획 ( 全球科创中心方案 ) 을발표하고, 혁신창업에대한지원을강화할계획 - ( 지원정책 ) 세부적으로는해외기술이민제도실시, 엔젤투자에대한세제혜택, 금융서비스모델의혁신, 지분위탁관리교역센터 ( 股权托管交易中心 ) 개혁등이포함됨 8) Onlie to offline

40 36 ( 과학기술혁신센터 ) 상하이시정부는세계적인과학기술혁신센터설립목표로 세계적으로영향력있는과학기술혁신센터건설에관한의견 ( 關于加快建設具有全球影響力的科技創新中心的意見 ) 을발표 - ( 시행계획 ) 의견 에따르면, 상하이시는창업과혁신을지원하기위해혁신창업인재유치, 혁신창업환경조성, 대중창업공간육성, 창업인큐베이터 / 액셀러레이터개선등관련조치를대거시행할계획 - ( 정책목표 ) 이러한조치를통해혁신경제를제약하는 4대문제, 기술혁신성과전환의어려움, 혁신기업자금조달난, 중소기업창업난, 지식재산권보호문제를해결하는데역점을두고있음 ( 협력방안 ) 상하이시정부는이의일환으로텐센트, 알리바바등과인터넷산업협력을체결하였으며, 향후과학기술혁신기업에대한혜택이강화될계획이고, 장장하이테크단지가정책지원의핵심이될가능성이높음 < 표 1-9> 상하이시혁신창업주요지원정책 지원대상대학생귀국유학생 혁신창업주요지원정책내용 2013 년전국일반대학교졸업생취업프로젝트 ( 국무원, 월 ) 대학생졸업당해연도창업에대한세수혜택 (8 천위안 ) 부여 대학생하이테크창업실습기지 내창업시 12 개월사무실임대료감면 전문기술서비스및자문, 공공시설및정보서비스비용혜택 행정심사시 원스톱서비스 제공 지역별창업대출지원 (10 만 ~100 만위안 ) 2015 년전국대학졸업생취업과창업에관한통지 ( 교육부. 15 년 ) 탄력적인학제도입 : 재학생휴학창업허용, 대학내창업전문커리큐럼개설등 기업가교수초빙 : 성공한창업자등을겸임교수로초빙, 학생창업멘토링및창업관련 IR 경연대회, 데모데이등다양한활동지원등 천인계획및백인계획등을통해해외우수창업인재유치 창업개시자금, 정착비용, 주택보조금일정지원 국가중점지원하이테크분야에대한유학생귀국창업시 25% 15% 로기업소득세감면 R&D 비용은실제금액의 150% 로확대계산하여세금공제 유학생기업의정부조달입찰지원 지역별경제기술개발구, 대학교과학기술단지, 유학생단지등을활용, 귀국유학생들의 창업기지조성 자료 : 기타자료를재정리

4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37 ( 창업 10대지원정책 ) 창업활성화를위해기업설립간소화, 자금지원등의주요창업 10대지원정책을발표 - ( 창업공간 ) 최근청년들의창업을지원하기위한공간인 촹커공간 ( 創客空間 ) 이이슈가되면서, 촹커공간이급증하고있음 - 그런데이러한대중창업을지원하는기업이공상부문에등록을하고자할때, 창업공간 이라는말을기업명칭과경영범위에넣을수없어, 경영범위가모호해지는문제점이생기자, 상하이시는최근 상하이시대중창업공간발전지원에관한약간의의견 ( 支持本市衆創空間發展的若干意見 ) 을마련해, 대중창업공간 ( 衆創空間 ) 과촹커공간 ( 創客空間 ), 창업인큐베이터 ( 創業孵化器 ) 를기업명칭으로사용할수있도록허용했으며, 정식으로하나의경영범위로서인정함 - 또한창업문턱을낮추기위해, 다수의창업기업이창업공간주소를이용해등록할수있도록허용. 동조치로창업기업의임대료부담이크게낮아졌을뿐만아니라, 현재유휴시설로방치되어있는기업의창고나물류창고등비거주용공간에대한활용도가높아질것으로기대 - ( 자금 ) 창업기업의자금조달문제를해소하기위해, 주식형사모펀드기업의등록을시범적으로운영하는방안을강구 외국인력유치및공동창업지원 ( 인재유치 ) 상하이시는 인재발전시스템개혁심화와글로벌영향력을갖춘과학기술혁신센터설립구축에관한시행의견 인소위 인재 30조 발표, 기존 인재 20조 정책의업그레이드버전 * 인재 30조 는혁신창업생태건설에착안해혁신창업환경개선, 혁신창업투자금융루트확대, 혁신창업서비스시스템구축, 인재의주거 고용환경개선을통해혁신창업인재를유치할방침 - ( 외국인취업자격 ) 상하이자유무역구와장장국가자주혁신시범구에등록된글로벌기업본부, 투자형기업및외국계연구 개발 (R&D) 센터는글로벌유명대학의학사이상학위소지자를고용할경우 2년간의근무경험제한을두지않으며바로상하이에서취업허용. 기존에는 2년간의근무경험이반드시있어야만취업이가능

42 38 - ( 호적정책 ) 상하이는그동안 거주증포인트- 거주증의상주후커우 ( 户口 ) 전환- 호적인재유치 로이어지는단계적호적정책운영. 하지만이런시스템이충분한효과를발휘하지못하는것으로파악되면서구체적인정책설계를전제로급여보상평가, 투자평가및제3자평가등시장과부합되는방안을통해인재유치 - ( 성과 ) 상하이는엄격하게인구를통제하면서도인재유치에는적극적인모습, 2015년말부터 2016년 8월까지과학혁신인재정책을통해유치된인재는 4638명 - ( 자율권부여 ) 과학혁신연구분야인재관리에자율권을보장하고과도한간섭배제, 조건에부합하는대학, 연구소등에대해서는인재관리와관련된권한을부여. 대학, 연구소는편제한도내에서자율적으로인재를유치하고주관부서는사전신청및승인하지않아도됨 ( 외국인력유치 ) 상하이시는혁신역량강화를위해적극적으로외국우수인력유치정책을시행하고있음 - ( 체류자격 ) 기술혁신형창업인재의해외인재거주증 ( 海外人才居住證, B증 ) 신청조건을줄이고, 연장기간을최대 10년으로연장등외국우수인력유치를위해취업비자규제를완화 - ( 외국전문가증발급 ) 장기간상하이에서근무한외국혁신형인재에게편의를제공하고, 장기근무가필요한외국계기업법인대표나외국고위관리인사, 또는핵심기술을보유한전문기술인력에게 2년~5년기한의 외국전문가증 ( 外國專家證 ) 을발급 - ( 창구일원화 ) 외국인취업증 ( 外國人就業證 ) 과 외국전문가증 처리업무를한곳으로일원화하여중복신청해야하는번거로움을없애고, 취업연령제한도폐지 - ( 경력요건완화 ) 외국유학생이상하이에서바로취업할수없는문제를해결하기위해, 졸업후 2년경력증명요구사항을폐지하고, 상하이지역내외국유학생에한해졸업직후취업을시범적으로시행 - ( 학력요건완화 ) 외국인유학생의상하이체류와취업을위해상하이자유무역구, 장장국가자주혁신시범구의직접고용조건을 상하이소재대학의석사이상학위소지자 에서 상하이소재대학의본과학력소지자 로낮춤 ( 상하이천인계획 ) 상하이시는해외우수혁신인재유치는크게중점영역및첨단기술 2가지형태로구분

4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39 - ( 중점영역 ) 첫째, 대형프로젝트, 중점혁신프로젝트, 중점학과및중점실험연구실, 프로젝트 ( 엔지니어링 ) 연구센터, 프로젝트실험실, 혁신창업기지등에의거한중대한발명창조또는중대한기술혁신업적이있는우수인재를유치. 상기중점영역의인재는다시 8개분야 ( 중점실험실, 중점학과, 중점혁신프로젝트, 대형프로젝트, 기업, 금융, 항운, 문화, 창업등 ) 로구분하여선정 - ( 첨단기술 ) 둘째, 첨단기술영역 9개분야 ( 신생에너지, 민용항공제조, 중장비, 생물의약, 전자정보, 신생에너지자동차, 해양공정장비, 신소재, 소프트웨어와정보서비스 ) 의핵심기술을가진인재를유치 [ 그림 1-9] 상하이천인계획창업혁신인재유형 4. 청두가. 혁신생태계현황 경제현황 ( 경제성장 ) 2015년기준청두 GDP는 위안으로, 전년도에비해 7.9% 증가, 중국평균성장속도를훨씬상회하며, 전체규모는중국 100대도시중 9위를차지 - ( 소비지출 ) 2015년청두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억위안 ( 전년대비 10.7% 증가 ) 으로, 그중에서도온라인판매총액이 207.2억위안 ( 전년대비 47.7% 증가 ) 으로빠

44 40 르게증가 - ( 가처분소득 ) 2015년청두의 1인당가처분소득은 28850위안으로,( 전년대비 8.5% 증가 ) 경제성장과소득증가율보다소비지출이빠르게나타남 산업구조 ( 산업구조 ) 청두는 3차서비스업이매우발전한도시로, 1차산업 : 2차산업 : 3차산업비율이 3.5: 43.7: 52.8(2015) - 산업별부가가치액의증가속도도 3차산업이가장빠름 * 1차산업부가가치액 :373.2억위안 ( 전년대비 3.9% 증가 ), 2차산업부가가치액 : 억위안 ( 전년대비 7.2% 증가 ), 3차산업부가가치액 : 억위안 ( 전년대비 9.0% 증가 ) - 3차산업 >2차산업 >1차산업구도가갈수록뚜렷해지고있음 * 2014년청두시산업구조는 3.7:45.3:51.0-3차산업가운데특히금융업, 소프트웨어및정보서비스업의발전이두드러지게나타남 ( 중점산업 ) 청두시는첨단제조업, 현대서비스업발전을중심으로하는산업정책을수립 - ( 첨단제조업 ) 1 전자정보, 철도, 자동차, 석유화학, 2 항공우주, 바이오의약, 신에너지, 신소재, 친환경에너지, 3 야금, 건자재, 식품, 경공업 - ( 현대서비스업 ) 1 현대금융, 현대물류, 과학기술서비스, 전자상거래, 실버산업및헬스케어, 2 상업무역, 비즈니스서비스, 관광, 회의전시, 문화창의 ( 우수산업 ) 2015년부터의청두우수산업추천명단분석결과, 청두시우수산업프로젝트및기업은식품, 경공업, 건축재료, 바이오의약, 기계등업종에집중 9) - 중관촌이전자정보산업중심으로발전하고, 선진제조기술과에너지절감기술등이그뒤를따르는것과는상이한구조 10) ( 혁신역량 ) 청두시의과학기술거래규모, R&D 지출, 특허출원건수등은매우높은편 9) 청두시고신구사이트참조 10) 중관촌에입주한총 15645개기업중전자정보 8541개, 바이오의약 1123개, 신재료및응용기술 958 개, 항공항천 110개, 현대농업기술 222개, 신에너지및에너지절감기술 1017개, 환경보호기술 650 개, 해양공정기술 10개, 핵응용기술 44개, 기타 1325개, 선진제조기술 1645개 (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서아트 )

4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41 [ 그림 1-10] 2015 년청두우수산업기업업종분포도 - ( 연구개발및특허 ) 2015년청두시의 R&D 지출경비는총 억위안, 발명특허신청수는 29791건, 특허출원수는 6,206건으로각각전국부성급도시중 3위와 5위 - ( 특허출원 ) 청두의특허출원건수는이미 4개 1선도시 (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 평균을훨씬상회 ( 그림참조 ), 시안, 항저우, 난징등기타 2선도시에비해높은특허출원건수를보유해왔음 - ( 거래규모 ) 과학기술수출과이전거래규모는각각 억위안과 억위안으로, 동기대비 59.8%, 24% 증가 창업현황 ( 중국의창업생태계 ) 중국창업업체수추이 (1일기준 ): 2013년 6,857개 2014년 10,002개 2015년 18,196개 (+57.99%) 로증가하며빠르게성장하는중. 2014년한해탄생한창업기업수는 365만개로집계 - ( 청두의창업생태계규모 ) 중국전체의창업기업중베이징이차지하는비중은약 51% 에달하며, 청두는상하이 (19.6%), 광둥 (12.9%), 저장, 장쑤의뒤를이은 6위 - ( 창업규모 ) 2014년중관촌기업수는 15,645개, 공업부가가치는 9078억위안으로청두의규모는이에못미치지만신규등록인큐베이팅기업수는 3,020개로전년도에비해 300% 증가하고, 창업업체수가빠르게늘어나는등스타트업생태계를위한환경과창업열기는상승중

46 42 - ( 성장속도 ) 창업기업증가속도방면에서청두는중국도시중 1위를차지하였으며, 2014년기준청두의창업기업증가속도는전국평균보다 19.3% 높음. 새로증가된고급창업인재는 343명으로전년대비 30% 증가 ( 창업분야 ) 신흥산업분야의창업이눈에띄게많으며, 그중차세대정보기술산업이가장높은수를차지한 4119만개이고, 그다음으로는첨단장비제조산업 2914만개, 바이오의약산업은 2432만개 ( 대학생창업 ) 중국정부의방침에따라, 청두에서도대학생창업이활발하게진행중 - ( 정부정책 ) 중국교육부는최근중국각대학에 2015년전국대학졸업생취업과창업에관한통지 를배포, 앞으로 4년내에 80만대학생창업 시대를목표로함 - ( 창업규모 ) 청두시의신증대학생창업프로젝트 160개, 대학생기업 105개, 청년 ( 대학생 ) 창업인 210명 - ( 보조금지원 ) 58개대학생기업이고신구의일회성창업보조금수령, 50개대학생기업은정부보조금 600만위안수령 인력및투자현황 ( 인력 ) 청두는쓰촨대학, 전자과기대학, 시난교통대학, 시난재정대학, 청두이공대학등쓰촨지역대학이밀집되어있으며, 동부지역에비해저렴한인력활용가능 - ( 졸업생규모 ) 청두에는 53개대학이밀집, 약 70만명의대학생이재학중이며, 매년 28만명의졸업생이배출 - ( 인건비 ) 청두의인건비는통상베이징과상하이에비해 30% 정도낮아, 아직까지양질의저렴한인력활용이가능 11) ( 투자 ) 청두는중앙정부의대중창업만중혁신정책에부응하며 200억위안의창업투자인도기금을조성하여, 이를통한엔젤투자와창업투자의활성화를독려, 민간자본유치에힘쓰는중 - ( 투자규모 ) 2015년 1월-11월까지총 138건의투자발생, 투자규모는약 24억6천만위안 ( 약 4,500억원 ) 에달하며, 엔젤투자와시드단계투자가전체투자의 60% 이상 11) 청두 IT 인력의연봉범위는 3000 위안에서 7000 위안사이인데비해, 베이징 IT 인력의평균임금은 9420 위안, 그러나청두의최고급인재는베이징등대도시에서유치해야할것이라는국내스타트업 들의의견이있음

4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43 을차지 - ( 성장단계별투자 ) 청두고신구의융투자플랫폼인잉촹동리에등록된기업투자현황분석결과, 청두의투자는초창기와성장기기업에집중되어있음 * 초창기투자 635건, 성장기 666건, 확장기 65건, 성숙기 40건, 상장준비 16건등 ( 월현재누적수기준 ) 나. 주요혁신클러스터 ( 청두고신기술개발구 ) 청두고신기술개발구는 2015년 6월시안과더불어서부지역국가급자주혁신시범구로선정, 청두의산업혁신과혁신창업발전을주도 * 국가급자주혁신시범구 (Self-dependent Innovation Demonstration Area): 자주혁신및하이테크산업발전을선도적으로견인하는역할. 전략적신흥산업가속화, 혁신견인형발전, 경제구조전환등에주도적역할을담당 - ( 주요업종 ) 바이오의학, 정밀기계제조업기업, SW개발, BPO 관련서비스 - ( 구성 ) 남구는청두시산업발전계획의중심으로, 전국최대의과학기술인큐베이터중하나, 서구는국제화된제조기지로, 전자정보와현대중약산업을중점적으로발전시키며, IT와바이오의약을핵심산업으로하는글로벌제조기지 - ( 발전현황 ) 매출액 10억위안이상기업 7개, 1억위안이상 50여개, 외상투자프로젝트 430여개, 총투자액 14억달러 - ( 고신구기업현황 ) 고신구내에는총 60,274개기업이입주, 글로벌 500강기업중총 102개가입주해있으며, 상장기업이 26개 ( 중관촌에이어전국 2위 ), 벤처기업 680개, 인큐베이팅중기업 6,730여개 - ( 고신구부화기지 ) 1996년에설립, 1998년국가급인큐베이터로승인된고신구기술혁신서비스센터는 4개의창업단지와 2개전문인큐베이터, 3개기술플랫폼을보유

48 44 < 표 1-10> 고신구주요업종및발전현황 업종구분 차세대정보, 인터넷산업 전자기초산업 첨단소프트웨어및 발전현황 델, 레노보, 폭스콘, 화웨이 ( 华为 ), 지멘스, ZTE 등국내외유명기업밀집. 중서부 신세대통신기술기업밀집도가제일높고생산능력도제일강력한산업으로전세계산업구도에일정한영향력보유. 폭스콘이청두에서생산한 IPAD 는전세 계절반이상차지 인텔, 텍사스인스트루먼트등세계 2 대선두기업보유. 청두제조 의마이크로칩 전세계절반이상의노트북에탑재. 중국내주요중, 소사이즈액정화면생산기지로서 BOE, 션톈마 ( 深天马 ) 등두회사의 4.5 대 TEF--LCD 생산라인을보유 년 5 월청두 BOE 가제 6 대 LTPS/AMOLED 생산라인구축을시작했고총 220 억위안투자 관련기업 1200 여개, 종사자수약 10 만, 전세계소프트웨어 10 강기업중 6 개기업, 전국소프트웨어 100 강기업중 22 개기업입주중. 디지털뉴미디어산업의 밀집으로인해 IT 혁신산업실험구역으로부상 톈푸소프트웨어단지는면적이 150 여제곱미터에달하는중국 11 개국가급소프 신흥정보서비스산업트웨어산업기지중하나. 기업수 500여개, 직원수약 5만명보유. 그중외국 바이오의약산업 바이오의약공학산업 항공장비산업 첨단환경보호산업 자본이 40% 차지중. 세계 500 강기업중 34 개기업이입주하면서국내외유명소 프트웨어및정보서비스기업의주요전략구조지역및전국유명창의 / 창업랜드마크로부상현대중의약, 화학약, 생물기술약물, 의약 FOB 서비스등관련특정산업밀집. 디아오 ( 地奥 ), 롱셩 ( 蓉生 ) 등중국첨단기술기업육성. 중의약 디아오심혈보호 캡슐 이네덜란드내에서치료목적약품으로출시. 본약품은비유럽연합국가가 최초로유럽연합국가에등록허가를받은식물약품. 국가중의약현대화기지등 3 개의국가급기지를보유하고있으며 22 만제곱미터크기의톈푸생명과학 단지를구축. 160 개의국내외유명의약기업및기관단지내입주중 국가생물의료용재료및의료기계첨단기술산업화기지보유. 아오타이의료 ( 奥 泰医疗 ), 마이커생물 ( 迈克生物 ), 시난의용 ( 西南医用 ), 난거얼 ( 南格尔 ), 디캉중커 ( 迪康中科 ) 등 200 여개기업보유. 아오타이의료는중국최초로완전자주지식재산 권을취득한초전도자석공진의학플레이트시스템연구개발및제조에성공 하이터 ( 海特 ) 등상장기업육성성공. 중디엔커 ( 中电科 ), 아이터항공 ( 艾特航空 ), 팀 켄등주요기업이밀집되어있으며항공전자, 항공수리및부속품제작등관련 특정산업형성돼있는상황 션란환보 ( 深蓝环保 ), 중즈웨이치 ( 中自尾气 ) 등주요기업밀집중. 현재국제저탄 소환경보호산업인큐베이터설립기획중. 인큐베이터내 100 개기업수용가능 금융업 비즈니스서비스업 진타이차이셴 ( 锦泰财险 ), 스촨산업진흥기금 ( 四川产业振兴基金 ), 청두 ( 촹창 ) 주주권무역센터 ( 成都 ( 川藏 ) 股权交易中心 ) 등각분야의금융기관및준금융기관 544 개보유. 총면적 5 제곱미터에달하는청두금융본부비즈니스구구축기획중. 중국공산은행, 건설은행, 조상은행, 우체국저축은행, 태평양보험등금융계대형 기업이본비즈니스구에배치될예정 GE, IBM, 필립스, 궈디엔따두허 ( 国电大渡河 ), 중국석유서남석유가스전회사 ( 中石 油西南油气田公司 ) 등수십개기업보유 년전자상거래무역총액 3300 억 위안돌파. 신세기국제회전센터는국제정상급회의 1 순위장소로부상

4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45 ( 톈푸 SW단지 ) 천부SW단지는 2005년설립된청두고신구집단의전자회사로, 청두의소프트웨어산업발전을위해고신구내에설립한중국 11개국가급소프트웨어산업기지중하나 - ( 기업현황 ) IBM, 지멘스, 텐센트, 미디어텍, 아마존, 알리페이, 화웨이, 퍼펙트월드등글로벌대기업들이 500여개입주해있으며, 그중외자기업비중이 40% - ( 주요업종 ) 서비스하청, 소프트웨어제품개발, 통신기술, 디지털엔터테인먼트, 모바일인터넷등이중점산업 다. 창업관련정책 주요정책 ( 주요정책 ) 청두는 3차창업서비스업발전가속화추진정책, 고신구 3차창업고급인력집중가속화정책, 3차창업전략적신흥산업기업발전가속화지원정책, 창업톈푸 ( 创业天府 ) 행동계획 (2015~2025) 등을통해서비스업과전략적신흥산업관련창업의방향성과전략, 지원내용기술 - ( 창업텐푸행동계획 ) 이중에서도창업텐푸행동계획은혁신창업도시로서청두의 10년간발전목표를제시 < 창업텐푸행동계획주요내용 > - 대학생창업, 고등교육기관및연구소과기인원, 해귀창업자, 연속창업자등과기창업자 20 만명형성 - 창업플랫폼 - 인큐베이터 - 액셀러레이터창업시스템구축하여중서부최대규모의인큐베이팅능력과 서비스수준전국일류의혁신창업집단, 혁신창업매개체 400 개, 면적 1500 만평방미터이상구축 - 창업자본고도집중. 창업투자 + 채권융자 + 상장융자 등다층적창업융자서비스시스템구축, 엔젤투 자와벤처투자기금 100 개이상신설, 창업투자기구관리자금규모 2000 억위안이상 - 창업서비스시스템완비. 창업전과정을아우르는종합서비스시스템구축, 창업서비스기구 1000 개 이상, 창업멘토 2000 명이상 - 창업성과제고. 과기기업 10 만개, 하이테크기술기업 2000 개, 하이테크산업총생산액 2 조위안이상, 신삼판 기업 300 개, 년도발명특허신청량 5 만건, 만명당유효발명특허 20 건이상 ( 우대정책 ) 청두시는주로세제혜택, 자금지원, 인재정책등을통한창업인재와기업에대한인센티브를통한창업도시화를도모 - 고신구에신규입주하는헤드쿼터에대해 1회 100만위안의지원금지급 ( 고신구주도산업일경우지원금기준 50% 상향조정 )

50 46 ( 인재유치 ) 우수인재유입을위해고신구는하이테크 SW, 정보서비스, 바이오의약, 항공장비등분야의인재유입및교육에매년 5억위안투입 - 창업자금, 엔젤투자, 대출보조, 재정장려등방식으로 5년내최고 500만위안보조금지원 - 고신구에창업한연구개발및기술능력을보유한인재는최대 100만위안창업자금지원, 200m2이하사무실 3년무료임대 - 스타트업인재에고신구창업엔젤투자기금지급 ( 최대 200만위안 ), 특별우수기업은최고 500만위안의엔젤투자연계 - 창업기업의고급인재에 3년동안매월인당 2,000위안, 총 7.2만위안의생활보조금지급 - 고급인재창업전문자금을설립하여, 10~100만위안의설립자금과 10만위안이내의주거비용보조를실시 ( 투자 ) 엔젤투자, 벤처투자와의연계를통한금융투자지원 - 예비창업단계, 창업초기단계기업은고신구의심사합격후최대 200만위안의고신구엔젤투자기금지원, 창업및초기단계기업은최대 2,000만위안의고신구정책성창업투자금지원 ( 보조금 ) 이외에도설비투자에대한우대, 자체연구개발결과로사업화를진행하는바이오기업에대한 1000만위안보조금지급, 이자보조금, 전략적신흥산업보증기금, 매출수익은낮으나성장률이높은기업에대한보조금지급등 ( 모바일인터넷창업정책 ) 청두시는 2012년 9월지방정부중최초로 청두시고신구모바일인터넷산업발전에관한약간의정책 ( 成都高新区加快移动互联网产业发展的若干政策 ) 을발표하고모바일인터넷관련창업독려 - 동종기업업력 3년이상, 중고급직무의관리인원, 핵심인원이청두고신구에창업시, 기업규모와성질에따라 100만위안에서 500만위안의창업자금지원 - 업계내에서대표적인, 플랫폼우수기업의본부가청두로이전할경우 3년임대료면제, 임원에대한 1회성보조, 기업이 1선도시, 고교밀집도시에서인재를고용할경우 50% 의활동경비지원 - 8,000만위안의엔젤투자기금설립, 창업형, 초창기모바일인터넷기업에게최대

5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만위안투자 - 또한, 모바일인터넷기업의유치를위해, 고신구입주관련기업에게 1면제 2 보조 3장려(1 免 2 补 3 奖励 ) 정책시행 * 고신구입주시 5년간사무실임대료를완전히면제 (1면제) 과쓰촨성외기업입주시관리직원과기술직원에게보조금을지원하고비 ( 非 ) 하이테크단지지역의사무실임대보조금을지원 (2보조), 입주기업에창업자금 100만위안지원과기업경영자에장려금 200만위안, 기업의시장활동경비의 50% 를지원 (3장려) ( 지재권보호 ) 중국정부가지식재산권보호를통한혁신창업활성화를추진하면서, 청두도이에부합하는정책을제출 - 중국정부는지식재산권관리체제혁신과공공서비스시스템을통해창업모델의변화를견인하고, 시장경쟁에적합한환경을조성하여혁신기회제공하기위한정책적지원을표명 * 지식재산권활용과보호강화및혁신창업지원에대한의견 ( 关于进一步加强知识产权运用和保护助力创新创业的意见 ) ( ) - 지식재산권침해행위에대한처벌강도강화, 법정배상상한선제고, 징벌적손해배상시행, 조기경보방지메커니즘구축등의내용을제시 * 새로운형세하의지식재산권강국건설가속화에대한의견 ( 关于新形势下加快知识产权强国建设的若干意见 ) - 국가지식재산권전략실행계획추진을위한부처간연석회의 를설치하여시행총괄 * 국가지적재산권전략실행계획 (2014~2020) 이런움직임에따라, 청두시인민정부는지식재산권업무강화에대한통지를공표하고, 권리인에대한합법적권익보호, 침해행위조사, 분쟁에대한신속한해결, 정보보호시스템설치를통한신고, 고소, 자문서비스제공등의지표명 - 그러나지재권보호관련처벌, 배상, 방지방법등에대해서는중관춘등이발표한내용에비해구체성이결여 * 중관춘은초소형기업이지식재산권소송에휘말릴경우받을수있는생존위협을최소화하고방어능력을배양할수있는교육과 1대1 지원활동, 지재권침해에대한

52 48 처벌을강화등의내용을담은지식재산권업무 24 조를발표 인적지원 < 표 1-11> 중국주요지역창업플랫폼우대정책비교 구분 내용 베이징 상하이 청두 해외 - 중관촌등의외국인창업 - 해외우수인재기술이민제 - 외국인영구거류증을가 인재 지원 인재 유입 정책 인재 자금 지원 인재에대해 5 년이내장 기거류허가및입국비자 편리제공 * 심사를받은외국인창업자및창업기업고급기술자 - 혁신인재로인정받을경 우 100 만위안의장려금 지급및전년도개인소득세면제 도실시, 영구거류증발급 - 외국인창업자는창업거 류증발급 - 외국유학생취업시 2 년근무경력폐지, 중국내창 업유도 - 해외인재에대해 100 만 위안장려금지급 진고급인재창업내국민 대우 - 청두하이테크단지는매 년 5 억위안규모의인재 업무전문기금설립 - 최대 100 만위안장려금지급 - 청두시는해외인재의출입국수속절차완화, 장기거류증발급등의우대가명시되어있지않음 - 우리창업인원에대한영구거류증발급, 2 년근무경력요건폐지유사제도도입, 창업인원의 출입국편리를위한비자간소화, 창업비자도입등필요 청두창업관련우대정책의객관적여건은다른도시보다우수하나, 외국인을포함한해외인재유치를위한제도적장치가동부지역보다상대적으로미비 - 베이징, 상하이, 선전등은이미해외창업인재유입을위한개방적이고유연한정책을펼치고있으나, 청두는외국국적창업자의원활한왕래, 안정적거주를위한출입국절차, 비자, 거류허가문제에제도적대응이늦은편 물적지원 구분내용베이징선전상하이청두창업 - 유학생창업서비 - 선전시가인증한 - 최대 1000m2사무 - 최대 200m2의사 창업 자금 지원 공간 스기구임대료면 적 1m2 당 0.5 위안보조 ( 최장 3 년 ) 창업시범기지 인 큐베이터에 창업 시, 첫해 80%, 두 번째해 50%, 셋째해 20% 임대보조 금지원 실제공 - 임대료매년일인당최대 2800 위안, 최대 3 년간지원 무실제공 정부소속기관건물 임대시 3 년간사 무실임대료면제 민간건물임대 시 40 위안 / m2의월임대 ( 최장 3 년 )

5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49 구분내용베이징선전상하이청두 창업자금지원세제혜택 자금 - 인증된창업기업에 - 최대 100만위안 - 우수창업프로젝 - 기업의 발전규모 지원 투자금액의 10% 창업자금지원 트에한해일정금 와사업성격에따 보조 액지원 라 10~100만위안 - 창업원입주시 10 만위안창업비용 의창업자금지원 - 모바일인터넷의 지원 경우 100만~500 만위안지원 - 사무공간제공및임대료지원규모는청두가가장큼 - 베이징은유학생, 대학생창업시를제외하고는별도로명시된임대료가없음 - 청두의 1회성창업자금지원규모는최대 100만위안, 모바일인터넷의경우 500만위안으로 동부지역에비해큰편 세금 - 베이징시에서인 - 기업허가증취득일 - 대학생, 실업자고 - 서부대개발 지역 감면 증받은하이테크 로부터 3년간매년 용시세수감면정 외자기업에게는 기업의 경우, 법 8000위안세금감면 책실시 법인세 15% 적용 인세 감면 (15%), - ( 광저우 ) 하이테 ( 통상 25%) 개인소득세 감면 크기업으로인증 ( 지방분 ) 된창업기업은법인세감면 (15%), 증치세지방분반환 - 중국의법인세는 25% 이나, 하이테크기업으로인정받을시, 법인세는 15% 로통일, 청두의경 우서부대개발지역외자기업우대정책에따라이와별도로 15% 의법인세우대적용 - 법인세외에도개인소득세, 증치세 * 등의추가우대요구필요 * 증치세는한국의부가가치세에상당하며, 중국의기업법인세, 개인소득세, 증치세등의세금 은중앙정부귀속분과지방정부귀속분으로구성. 이에, 지방정부가지방정부귀속분에대한 우대를적용할수있는여지가있음 사회 - 일정비율에따른 - 일정조건하사회 - 졸업 1 년미만전 - 전문대이상졸업생 보장 사회보장비용보조 보장비용보조 ( 최 문대이상졸업생 1 년이상채용시 비용 장 3 년 ) 1 년이상채용시, 사회보장비용 1 년 보조 기업 사회보장비 보조 용 1 년보조 현지취업 - 1년이상채용에고용에보조금대해 3인에 1만위대한안, 초과 1인증가보조시 2,000위안보조 - 선전호적졸업생 1년이상채용시취업보조금 ( 1 인 2000위안, 3인이 - 1년이상채용시인당 2000위안보조 ( 최대 10만위안 ) - 1년이상채용시인당 2000위안보조 ( 최대규모적시없음 ) ( 최대 10 만위안 ) 상 3000 위안, 최대 3 만위안 ) - 현지대학졸업생채용시사회보장비용보조를통해인건비절감이가능하고, 보조금규모확 대및보조기간장기화요구필요

54 50 구분내용베이징선전상하이청두 전문기금 엔젤투자및벤처투자 - 하드웨어기업에 5,000만위안규모의기금조성 - 기술력있으나투자유치가쉽지않은스타트업을위해중관춘에약 13 억위안규모엔젤투자기금조성 년선전시혁신창업관련 200 억위안규모기금조성 - 첨단기술단지 창 년 엔젤투자 업공간구축에 3 와 창업투자펀드 억위안의기금을조성 - 설립 1년이내스타트업은 50~200 자금규모는 2,000 억위안목표 - 모바일인터넷은 8,000만위안의엔 만위안엔젤투자 젤투자기금 설립, - 푸동 SW창업투자 창업형, 초창기모 기금에서업력 2~5 년기업에게 200~ 2,000만위안벤처 바일인터넷기업에게최대 200만위안투자 투자 - 청두의창업관련기금조성규모는중국수위수준으로, 창업기업의투자난해소에유리할것 청두의창업관련우대정책중정책자금을통한창업자금지원규모는다른지역보다큰편 - 이는청두가이미창업-기술사업화가정착된다른지역보다예비창업자나스타트업을유인해야할부담이상대적으로크기때문 - 이런환경은해외진출자금부족을해외진출의가장큰애로로꼽는우리초기기업들에게기회가되어줄수있음 - 역으로, 엔젤투자나벤처투자등로컬민간투자규모가타지역보다작아, 초기자금이외의실질적인기업성장단계에서필요한투자가원활하게연계될수있도록해야할필요. 제도적지원 ( 중국창업관련비자제도의개선 ) 12) 최근중국공안부는입경제도를완화하여외국 국적인재들의중국내창업을독려하는조치시행 12) 취업관련중국비자종류는기본적으로다음과같음 - S2: 취업, 유학등의사유로중국에체류및거류하는외국인을단기방문하는경우, 신청인은반드시해당외국인의가족구성원이어야함 / 기타개인적인사무로중국내에서체류할필요가있는사람 - Z: 중국국경내에서취업또는상업적인공연을할사람 - R: 중국이필요로하는해외고급인재와급히필요한전문인력상기취업관련비자를통한중국내창업, 취업은가능하였으나, 비자수령이어렵고, 기간이오래걸리며, 중국내외국인유학생의경우 2년이상의근무경력을인정받아야취업비자획득이가능

5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51 - 상하이및베이징중관춘에서시범시행중 기본적으로해외우수인재유치역량확대, 신규창업인력지원역량확대, 출입국전문화서비스를통한편리한출입국환경마련, 외국우수인재거류대우등의서비스제공을통한중국내혁신과창업활성화를도모 - ( 상하이 ) 상하이과기창업센터에서시범시행후, 2015년 7월부터상하이전역에서시행 - ( 베이징 ) 외국국적고급인재, 유학생귀국창업인, 외국국적청년학생및창업팀구성원을대상으로중관촌자주혁신시범구에서시행 청두도 2016년 2월, 외국국적인재의거류에대한 5가지조치를제출하였으나, 외국인창업자나유학생에대한직접적인우대사항은미흡 - 해외인재인증단위증가, 해외인재에대한도착비자서비스, 해외전문가에게 5년이내거류증발급, 영구거류증을가진해외인재에대한우선수속, 인재밀집지역에출입경서비스센터설립 < 표 1-12> 베이징, 상하이와청두시창업 / 취업관련비자정책비교 구분베이징상하이청두 영구 거류증 편의 제공 외국유학생 취업기회 - 연속만 4 년이상의베이징업무경력, 매년중국경 내실제거류시간 6 개월 이상, 4 년급여성수입 ( 세 전 ) 이 50 만위안이상, 매년납부한개인소득세 10 만위안이상의외국인 - 중관촌창업프로젝트외국인 구성원과기업이선발한외 국기술인재에게도착비자및장기거류허가편의제공 - 북경외지역대학외국학생 의중관촌단기실습허가 - 베이징고교외국유학생의 중관촌창업허가 - 상해에 4 년연속근무경력있고중국거주기간이 1 년 6 개월이상인외국인은영구거류증신청가능, 단, 4 년연속세전연소득 60 만 위안이상 - 상하이에서 혁신창업하는 외국인의입경과거류수속간소화 - 상해지역대학에서석사이상학위를받고상해자 유무역시범구, 장강하이테 크단지에취업한유학생은취업비자발급가능, 단, 소속단지관리위원회가 발급한증명서필요 - 해외인재영구거류증에대 한특정내용없음 - 해외인재도착비자서비스 및장기거류편의제공 - 관련내용없음

56 52 구분베이징상하이청두 외국유학생 취업기회 - 북경외지역대학외국학생 의중관촌단기실습허가 - 베이징고교외국유학생의중관촌창업허가 - 중국내대학을졸업한학 사이상유학생이상해에 서창업을할시 2 년기한 의개인사무취업비자발급 가능 ( 창업 주석 ), 기간내취업시규정에따라취업 비자로전환가능 * 2 년근무경력요구없음 - 관련내용없음 청두는창업인력이나특정혁신단지취업인력이아닌 해외인재 에대한우대를제공하며, 외국인창업인재에직접도움이되는정책내용이미비하므로, 다음과같은보완을요구할수있음 - 해외인재 는청두시가정한 25개단위의별도의인증이필요하므로, 소속기업이나단지의증명서를요구하는베이징, 상하이에비해절차가복잡, 해외인재 를청두에서혁신창업하는외국인으로변경 - 중국내외국인유학생창업, 외국인유학생의현지직접취업등에대한여건완화가필요하며, - 특히창업활동에필요한개인사무취업비자발급과, 유학생이졸업후직접취업이가능하도록취업비자발급시필요한 2년근무경력요구를철폐해야할것 비자문제는중국공안부와인력보장및사회보장부에서추진하는내용이므로, 청두의한국유학생이나창업기업들을특정대상으로개방을요구할수는없으나, - 혁신창업관련해외인재에대한중국정부의전반적인기조가규제완화로흘러가고, - 중국공안부에서관련정책을하달하고지방정부들이이를지방의특성에맞게조절하여조치를시행하기시작한만큼, 해외인재혁신과창업활성화를위한규제완화의필요성을설득할수있을것 - 청두시보다는중국과기부와협의하는것이목표달성에유리 라. 주요혁신주체 1) 정부 ( 정부유관부처 ) 청두시의창업관련정책마련및시행은다음과같은부처에서담당 - ( 청두시발전과개혁위원회 ) 중장기전반발전방향수립, 법률및정책초안마련

5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53 - ( 청두시경제와정보화위원회 ) 신에너지, 신소재, 바이오등신흥산업, ICT, 항공등하이테크산업, 기계, 자동차, 석유화학등선진제조업, 생산성서비스및 SW, 정보서비스등신흥공업화발전전략, 정책수립 - ( 청두시과학기술국 ( 지식재산권국 )) 시전체의하이테크산업, 현대농업, 현대서비스업, 과학기술규획의조직과실시, 바이오의약기술발전추진, 과학기술의응용시범 ( 과기원구, 인큐베이터, 공정기술연구센터, 공공기술플랫폼등과기혁신기지, 혁신서비스플랫폼건설및정책수립실시 ) 2) 혁신기관 청두는창업모포 + 인큐베이터 + 액셀러레이터간연계를통한창업시스템의완비를추진중 - 이에정부주도형창업플랫폼을중심으로대중창업공간을건설하고중국국내의저명한인큐베이팅기업과투자자들의입주를독려하여친시장적창업환경활성화를견인 - 정부지원하에창업비용절감, 창업융투자활성화, 혁신창업분위기를형성하여양호한창업생태계를구축 ( 인큐베이터 ) 2016년기준청두에는총 10개의국가급인큐베이터, 4개의국가급대학과기원, 18개의성급인큐베이터, 34개의시급인큐베이터가존재 (< 별첨 > 참조 ) - 이중에서도시급인큐베이터가 3개월사이에 20개에서 34개로, 빠르게증가하는중 ( 대중창업공간 ) 중국과기부에서 2015년 1월비준한 136개의대중창업공간중 10개가청두에소재 - 창업공간의유형은운영주체에따라티엔푸 SW파크, 티엔푸신구등기존산업단지에서운영하는곳 ( 톈푸SW 단지창업장, 롱촹차관 ), 공청단에서운영하는플랫폼 (8 호플랫폼 ), 교육기관운영플랫폼 ( 교대창업공간, 청촹공간 ), 민간기업운영플랫폼으로구분가능 - 대부분의창업플랫폼은소규모창업자를위한인큐베이터역할을수행, 액셀러레이터병행은십분까페, 청두게임공장, 톈푸SW 단지창업장등, 교대창업공간은인텔등과산학관계를수립 - 대부분의플랫폼이사무공간제공, 멘토링, 융자프로젝트제공을통한창업지원

58 54 < 표 1-13> 청두시내대중창업공간 창업플랫폼운영주체업무내용 1 청두촹커팡 청두즈능허즈과기유한공사 ( 成都智能盒子科技有限公司 ) - 로봇, 기계학습, IoT, 3D 컴퓨터중심의인큐베이팅 2 톈푸 SW 단지창업장 ( 天府软件园创业场 ), 3 E 촹공간 (E 创空间 ) 티엔푸 SW 파크 청두윈촹종횡과기유한공사 ( 成都云创纵横科技 ) - 누계 687 개입주프로젝트수행, - 인큐베이팅, 액셀러레이팅 - 초기자금지원 5 만 ~500 만위엔 ( 한화 약 1 천만원 ~1 억원 ), 엔젤투자연계 (200~500 만위엔 ( 한화약 3 억 7 천만 ~9 억 2 천만원 ) - ICT 특화, 한국인력비치 - 인큐베이터 - 시드펀드, 사무용지, 멘토링, 교류제공 4 청두게임공장청두게임공장과기유한공사게임스타트업액셀러레이팅 5 십분카페 ( 十分咖啡 ) 6 롱촹차관 ( 蓉创茶馆 ) 청두셩위투자관리유한공사 ( 成都盛裕投资管理有限公司 ) 티엔푸신구 ( 天府新谷 ) 22 년차인큐베이팅기업사천지역내최대민간 인큐베이터 7 8 호플랫폼, 청두창업살롱청두텐자오문화전파유한공사 ( 成都天骄文化传播有限公司 ) - 인터넷플러스혁신형인큐베이터, 액 셀러레이터 - 십분창업서비스전략연맹, 십분기금 - 차세대정보통신기술, 인터넷, 빅데 이터중심 - 10 명이내소규모모바일인터넷스타트업대상 - 미국현지스타트업, 벤처투자사교 류를위해보스턴에롱촹차관오픈 년공산당청년당청두시위원회, 청두미디어그룹산하의보루이투자 그룹 ( 博瑞 ) 연합으로설립 - 혁신창업기업투자교류및창업인큐 베이터, 성장플랫폼제공 여개융자프로젝트, 인터넷관련창업, 20 여개창업지원자입주, - 사업자등록을하지않은청년 ( 대학 생 ) 창업자 년민영문화투자기업인成都明 堂盛世投资有限公司을개조, 설립 8 밍탕청년문화창의센터 ( 明堂青年文化创意中心 ) 청두밍탕창의기업유한공사 ( 成都明堂意企业有限公司 ) - 초소형문화창의창업자대상의인큐베이터 여개기업이입주 - 문화창의와도시융합컨셉 9 교대창업공간 ( 交大创客空间, SWJTU Makerspace) 서남교통대학 ( 西南交通大学 ) - 서남교통대학안의창업공간 - 산학네트워크구축을통한인큐베이 팅, 액셀러레이팅

5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55 창업플랫폼운영주체업무내용 10 청촹공간 ( 成创空间 ) 청두정보공정학원 ( 成都信息工程学院 ) - 고등교육기관기술성과전환을위한 공간 - 정보, 전자, 물류, 소재, 전자상거래 등창업인재육성, 인큐베이팅 ( 민간창업지원조직 ) 청두의창업활성화에따라중국국내외의다양한민간창업지원조직들이청두로향하는중 - 36kr( 베이징 ), YOU+( 광저우 ), 光谷咖啡 ( 우한 ) 등의각종민간창업지원조직이청두입주혹은입주예정 * 光谷咖啡 : 창업자, 투자자간교류플랫폼 + 혁신인큐베이터 + 창업교육 + 엔젤투자 YOU+: 광저우의창업자거주공간임대스타트업 - 이외에도텐센트대중창업공간, 바이두창업센터등대기업창업지원공간이청두에입주해있으며, 알리바바, 아마존등도예정 * 바이두창업센터의예를보면, 인큐베이터와액셀러레이터를모두보유, 인큐베이터는무료사무실제공, 투자문제해소, 기술지원, 마케팅자원지원, 바이두사업과연계, 로드쇼등전방위적인창업과정을지원 - 중국인터넷대기업들의창업지원이가지는효과는매우큰것으로나타나는데, 특히대기업플랫폼및네트워크를통한업무연계, 투자유치, 생존률면에서우세 ( 中国互联网圈的 14 个创业派系 ) 청두의주요플랫폼은청두고신기술개발구에서구축한유수창업단지 ( 유학생창업단지, 대학생창업단지, 텐푸 SW단지창업장, 징롱국제광장 ) 로대별됨 청두고신구유학생창업단지 ( 개요 ) 고신구유학생창업단지는 1998년 8월에설립된고신구의해외고급인재창업을위한전문공간 13) - 청두고신구유학생창업단지는중국최초로인큐베이션개념을도입하였고, 설립이래 1,438명의고급인재가 908개기업을창업하는성과를달성 - 정부프로젝트자금지원, 사무실임대, 자금대출이자지원, 상장시이자지원등을실시 13) 해외유학생및 3 년이상해외업무경력자를대상으로함

60 56 청두톈푸SW 단지창업장 ( 개요 ) 톈푸SW 단지창업장은청두스타트업생태계의발전상을가장잘보여줄수있는공간으로, 2월대비빠른발전속도를보여주고있음 - 창업장인큐베이터는 16년 6월현재 90% 이상입주율을기록 - SW단지내입주기업을위한 480개청년아파트도모두입주완료 * 2인실과 4인실로구성되어있으며, 월 600위안의저렴한임대료 - ( 지원체계 ) 기업들은 1층의창업묘포공간에서트레이닝과멘토링을받은후, 일정기준의심사를거쳐인큐베이터로이동후졸업이후다시액셀러레이터로입주하는연쇄지원을받음 - ( 기업현황 ) 부화중기업 264개, 졸업기업 624개, 2015년입주기업총수입 21억위안, 인큐베이팅기업에대한 2015년벤처투자액 2억달러유치 * tap4fun, 카메라360, 테스트버드, 咕咚运动 货车帮 갤럭시엠파이어 三剑豪등국내외유명모바일인터넷회사들이입주 - ( 최근동향 ) 최근중국정부의인터넷플러스정책에조응하여, 모바일인터넷관련스타트업전문단지로전환해가는중 ( 우대정책 ) 톈푸SW 단지창업장은입주기업들을위해다음과같은우대정책을적용 - ( 업무공간 ) 창업초기프로젝트무료입주 (3개월~1 년 ) - ( 창업자금 ) 5만~500 만위안창업자금및우수프로젝트에 200만~500 만위안엔젤투자제공 - ( 공공기술플랫폼 *)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등공공기술플랫폼사용에소요되는비용의 20% 보조 ( 최고 30만위안 ) * 공공기술플랫폼 : IDC데이터센터, 모바일게임테스트플랫폼, 클라우드플랫폼, IC 설계실험실등 - ( 전문자금지원 ) 초창기, 성숙기기업에게최고 40만위안의전문자금지원 - ( 융자및대출 ) 창업기업대출이자우대, 기준금리에따라 40% 의이자보조, 담보비 40% 보증보조 - ( 창업서비스 ) 창업기본서비스 : 기업등록, 법률, 재세, 공상, 인재고용, 프로젝트신청등원스톱서비스제공

6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57 < 텐푸 SW 단지창업장주요지원내용 > 초창기프로젝트에대해최장 1 년무료입주 창업팀이최고 500 만위안의창업자금을얻을수잇도록지원 플랫폼은고신구의 8000 만위안의엔젤투자기금과직접연결, 최대 500 만위안의엔젤투자제공 공공기술서비스플래폼지원, 사용비의 20%, 최고 30 만위안보조 초청기, 성숙기기업에게최고 40 만위안의전문자금제공 창업기업대출이자보조, 기준이율의 40% 보조창업장은 3.5 만평방미터의창업플랫폼으로, 회사등록, 법률, 재세, 공상, 인재채용, 프로젝트등에대해 원스톱서비스제공, IDC 데이터센터, 모바일게임테스트플랫폼, 클라우드서비스플랫폼, IC 설계테스 트실험실등공공기술플랫폼제공 엔젤투자, 창업벤처캐피탈, 사모투자, 융자담보등서비스을진행하는잉촹동리 ( 盈创动力 ) 및국내외유 명투자기구가밀집한 ( 创投汇 ), 스타트업에투융자서비스제공 정기적인로드쇼등행사를통해인큐베이터프로젝트와투자연계 징롱국제광장 ( 개요 ) 징롱국제광장은톈푸SW 단지 F구에위치하며, 2016년 6월에실질적인가동을시작, 국제창업플랫폼을지향하며설립 - ( 발전방향 ) 기본적으로클라우드컴퓨팅, 3D프린터, 인터넷 + 금융, 인터넷 + 문화창의, 인터넷 + 공업제조, 바이오, 환경보호, 장비제조등신기술촉진을위한글로벌혁신스타트업유치공간 - ( 목표 ) 2018년까지기술형스타트업및창업팀 500개이상유치, 혁신형인큐베이터 10개이상, 창업서비스기구 50개이상을유치할계획 - ( 인프라 ) 징롱광장 1동에서 8동까지외관건물은모두완료된상황이며, 글로벌수준의통신네트워크환경구축 * 징롱국제광장 2동을 중한창업공간, 3동을 중한액셀러레이터, 8동을 중한교류센터 로구성할계획 - ( 편의시설 ) 구내식당내한국입주기업을위한한국음식코너구비, 한국문화거리조성, 한국기업전담원스톱서비스창구개설 ( 운영모델 ) 징롱국제광장은 혁신 과 창업 의이원화된운영정책하에, 외부관리회사합창신업과기복무유한공사 (United Innovation Services) 14) 에관리일체를일임 14) 이회사는대련 SW 단지등대형글로벌산업단지의설립과운영을진행한바있으며, 운영모델, 우대, 입주기업관리까지일체업무총괄

62 58 - ( 혁신 ) 혁신형스타트업의입주를통한신산업발전, 혁신창출 - ( 창업 ) 인큐베이터유치를통한창업의활성화 - 직접입주하는스타트업들은대부분이미성장기에들어선회사이며, 이외에민간인큐베이터유치를통해예비창업단계멘토링, 평가, 컨설팅등제반지원을담당하도록함 ( 기업입주현황 ) 징롱국제광장의기업입주는미비한상황이나, 청두고신구에서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한국드론협회등혁신기관과의협력을적극적으로추진하며점차입주기업이증가하는추세 - ( 한국기업 ) 현재한국기업은 1호입주기업인수닷컴, 베이징중관춘동승과기원에입주해있는 4ENS 등 6개기업이입주를완료했고, 총 28개기업이입주 ( 예정 )(2016년 10월기준 ) - ( 화한인큐베이션 ) 청두고신구에서한국인대표를영입하여설립한합작법인인 화한인큐베이션 이혁신기관과의협력을통한한국스타트업의유치를적극적으로진행중 - 중국의유명인터넷대기업 LeTV의자회사 LeEco Store가 2동입주예정 - 이외, 차이나텔레콤인큐베이터, 3W공간등중국국내외유명인큐베이터들이입주완료, 20여개중국스타트업이입주 ( 예정 ) ( 우대정책 ) 징롱국제광장은현재입주한국기업들을위한우대정책을제도화하하기위한법률검토를진행중이며, 기본적으로고신구와 SW단지기준보다더높은수준의우대가적용될것으로기대 - ( 입주기업우대 ) 사무공간무료임대는대외적으로 3년, 초기자금은 5만~500 만위안선이나, 한국기업의경우는실제로더높은수준의우대를적용받는것으로파악

6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59 < 징롱광장한국입주기업에대한우대 ( 검토중 )> 1. 입주스타트업우대정책창업자금 : 우수창업팀에게 10~100 만위안, 우수스타트업에게 100~500 만위안, 대기업본부이전시최고 100 만위안제공 ( 고신구정책에상당 ) 임대료 : 200~500 만평방미터사무공간제공, 3~5 년간임대료면제혹은일부정부보조 ( 현재입주기업들은 5 년간면제. 고신구보다높은수준 ) 인재장려정책 : 고신구에서인정하는해외고급인재의경우 5~10 만위안의장려금제공 정부기금 : 우수스타트업에게정부엔젤투자기금제공 ( 구체적인금액은없으나, 고신구정책기준최대 500 만위안으로예상 ) 투자지원 : 한국측투자기구및피투자기업에게투자액의 5% 를정부에서별도지원 가족지원 : 자녀취업및교육에대해우선안배거주지원 : 고급인재에대해 인재아파트 제공 ( 일반입주기업을위한주거공간에대한언급없음 ) 2. 한국인큐베이터입주정책임대료 : 스타트업과동일 운영비보조 : 면적에따라 50 만 ~150 만위안으로차등지급 ( 수닷컴등현재입주인큐베이터는전액보조중 ) 인테리어비용 : 평방미터당 1000 위안보조 ( 수닷컴등현재입주인큐베이터는전액보조중 ) 3. 징롱광장의지원서비스단지내서비스센터및제 3 자기구서비스 : 외부보다저렴한재무, 법률, 통번역, 인력자원등의전문서비스, 한국기업전문창구를통해전면적으로 통번역서비스제공 ( 본우대정책은 2016 년 7 월청두고신구의답변을정리한것이며, 현재본정책 +α 우대정책법률검토중 ) ( 창업지원서비스 ) 법인등록, 제반입주절차, 협력기업매칭, 허가증획득지원, 지재권관리등기업활동에필요한각종서비스를원스톱지원 - 정무서비스 ( 창업자문, 사업자등록, 특허지원, 인적자원서비스등 ), 중개서비스 ( 재무, 법률, 지재권, 기술표준, 기술이전, 언어번역, 자산평가 ), 플랫폼서비스 ( 정보자원, 공공기술, 과학기술금융, 지적소유권플랫폼, 혁신창업거래 ) 로분류, 체계적지원 - 또한한국기업을대상으로하는두개창구를마련하고, 한국어가능인력배치 ( 기업지원서비스로드맵 ) 입주부터회수, 신성장동력으로성장하기까지의 10단계서비스로드맵구축 - 한중양국입주기업들의인터뷰에따르면, 실제로지원서비스의수준이매우훌륭하여, 입주나프로젝트신청과정에서애로가없을정도 ( 입주기업수닷컴, 스마트유한회사인터뷰 )

64 60 < 표 1-14> 징롱국제광장기업지원서비스내용 1. 입주서비스 입주신청, 관리기구심사, 비준, 투자협약체결, 임대료협의, 관리비협의, 인테리어, 사무실입주 2. 정무정책서비공상, 세무등기, 정책자문, 프로젝트신청, 사회보험관련 3. 인프라서비스통신설비, 우정서비스, 교통등 4. 생활서비스택배, 마트, 시장, 카페, 창업시장, 창업학교등 5. 창업멘토서비스 교육, 창업활동 ( 로드쇼, 경진대회, 포럼, 징롱후이활동 ), 창업활성화 ( 프로젝 트매칭, 온라인마케팅, 미디어홍보 ) 등 6. 기술플랫폼서비스연구개발, 테스트, 실험, 설비등제공 7. 전문중개서비스 8. 과학기술금융서비스 9. 기업육성서비스 ( 법무대리, 재무대리, 지재권대리, 비즈니스서비스 ( 인력자원, 창의디자인, 컨설팅, 마케팅홍보서비스 ) 지분융자 ( 엔젤투자, 창업투자, 사모펀드투자, 크라우드펀딩 ), 채권융자 ( 창업 대출, 정책성신용대출, 상업대출, 온라인 P2P), 기타부가서비스 ( 과기보험, 창업보험, 신용평가 ) 등 유니콘기업, 고성장기업, 하이테크기업으로지속육성 ( 정책자금동원 ), 인수 합병, 회수등 10. 인큐베이팅서비스신성장동력으로육성 자료 : 징롱국제광장서비스센터 ( 자원투입 ) 아이디어 -창업플랫폼 -( 베타버전론칭 )-( 퍼블릭론칭 )-영향력있는기업배출의전단계를지원하며, 단계별로필요한기술자원, 금융자원, 인재자원등지원 - ( 기술자원 ) 청두지역에소재대학 ( 전자과기대학, 서남교통대학 ), MS산업응요애발기지, 국제기술이전서남센터등과연계 - ( 금융자원 ) 잉촹동리, 심천거래소서부로드쇼센터, 기타금융기구연계 - ( 인재자원 ) 고신구인력자원센터등과연계 3) 투자자 ( 투자현황 ) 청두는로컬투자기구발전이완만하며, 외부로부터의투자유치비중이높은편 년청두의투자기관은약 120여개로집계되며, 로컬투자기구비중은 10% 정도 ( 청두고신구통계 ) 15) 15) 중국최대의투자관련사이트인 evervc.com 에등록된청두투자기구수는총 104 개, 개인투자자수 는 86 개, 투자건수는 385 개로, 베이징, 상하이, 톈진, 심천, 절강, 우한에이은 7 번째규모 ( 투 자건수기준 )

6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61 < 표 1-15> 주요도시창업투자현황 투자인 ( 명 ) 투자기구 ( 개 ) 투자건수 ( 건 ) 베이징 1084명 상하이 톈진 선전 저장 우한 청두 자료 : evervc.com 사이트 ( 기준 ) 청두의주요투자자 - ( 로컬투자기구 ) 청두의로컬투자기구는대부분청두고신구에서창업활성화를위해조성한창업투자기금으로운영되며, 잉촹동리 ( 盈创动力 ), 청두고신구혁신투자유한공사, 인커 ( 银科公司 ) 등이대표적 잉촹동리 ( 盈创动力 ): 시드, 초창기기업의고구창업엔젤투자기금, 신흥창투기금, 잉촹동리창업투자기금, 청두창업액셀러레이터투자기금등보유. 성장기, 성숙기기업에투자하는인커창투나 vivo 펀드 ( 미 ), KTB 펀드 ( 한 ), 선창투 ( 深创投 ) 등국내외 40여개유명투자기구와투자관리기구가참여, 바이오의약, 정밀기계, 투자서비스, 중소기업, SW기업, 미디어투자청두고신혁신투자유한공사 ( 成都高新创新投资有限公司 ): 청두고신투자집단유한공사전자회사로, 등록자본 1억위안, 고신구중소기업투자, IT, 바이오, 정밀기계중심银科公司 : 2009년중국수출입은행, 청두투자지배그룹유한공사, 청두고신투자집단유한공사가 15억위안을출자해설립, 2015년까지청두인커는국내외저명기구와연합하여 18개합작자펀드설립, 총 59.96억위안규모, 기업성장단계전면포함, 의료건강, TMT, 에너지환경보호, 문화미디어등 - ( 외부투자기구 ) 청두에는레노보계열의자본 ( 레전드캐피탈, 레전드스타, 러펀드 ), 매트릭스파트너스, 세콰이어캐피탈, 우위에캐피탈 ( 선전 ), 인피니트그룹등청두외국내외의유명투자기구가로컬투자자보다활발한투자를감행중

66 62 4) 대기업 청두에는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JD닷컴, 시나, 소후, 치후360, 퍼펙트월드등중국의인터넷대기업과화웨이, BOE 등제조기술기업들이입주 - ( 바이두 ) 2013년 4월12일청두고신구 -바이두협력체결, 청두바이두클라우드개발자기술센터 설립, 고신구모바일인터넷창업빌딩에입주 - ( 알리바바 ) 2011년4월10 일청두톈푸SW 단지에알리페이입주. 베이징, 상하이, 선전에이어중국 4번째지사 - ( 텐센트 ) 2011년텐센트청두r&d 센터고신구입주 (UI엔지니어링, 모바일게임, 빅데이터등업무 ), 2015년12월쓰촨성인민정부와협력하에인터넷플러스정책전면합작, 취업서비스 사회보장 여행 의료 음식 전자상거래 현대금융서비스방면에서의협력전개예정 - (JD닷컴) 전자상거래기업인 JD닷컴은 2010년 3월24일청두에 R&D센터설립, 청두지사는 70억위안매출액, 세수 8000만위안을실현 - ( 샤오미 ) 2014년11 월19일샤오미와西山居 ( 중국최초게임개발상 ) 가합자설립한西米互动 ( 스마트TV 기반게임 ) 이청두고신구인큐베이터에입주 - ( 치후360) 2015년4월청두成都家商集团과전략적제휴체결및청두스타트업투자 - ( 시나 ) 2012년청두고신구와협력체결, 고신구에외상독자기업설립및시나모바일청두R&D 센터설립 - (b-ray 그룹 ) 중국최대의미디어상장그룹중하나로, 디지털콘텐츠운영상, 문화창의산업투자자로전국적영향력을가지고있음 - ( 화웨이 ) 화웨이는청두에약 9,000명규모의연구소를운영하며, NAS, SAN, 마이크로셀등의기술개발및상용화 - (BOE) 청두시정부와 청두-BOE 6대 LTPS/AMOLED 생산라인프로젝트 를체결하고, 하이엔드스마트폰과신형모바일디스플레이제품생산

6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63 제 3 절 중국글로벌혁신협력현황 1. 베이징 가. 글로벌혁신협력현황 기업진출현황 ( 외국기업진출현황 ) 베이징은글로벌 500대기업이대거진출해있는중국경제정책의입안지역할 - 베이징상무위원회 ( 北京市商務委 ) 에따르면, 2015년기준으로글로벌 500대기업중베이징에진출해있는기업은약 280개사로이중 3분의 1 이상이베이징에지역본부를두고있음 - 이중 Lenovo 등글로벌중국계기업이 46개사, IBM, Google 등미국계기업이 20개사, SONY 등일본계기업이 9개사, Siemens 등독일계기업 6개사등약 100개사가중관촌사이언스파크에입주해있음 - 중관촌의경우 Google, Microsoft, SAS 등외국회사및관련연구소가약 270개, 국제마케팅관련기관이 45개가입주하였으며, 외국인 25,000여명이근무하여글로벌혁신기술창업지구로부상하고있음 국가간협력현황 ( 개요 ) 베이징은베이징대및칭화대등우수한인적인프라를기반으로글로벌혁신의허브역할을하고있으며, 이를활용한글로벌기업의 R&D 센터가베이징과상하이에집중되어있음 - ( 업종 ) 업종별로전자, IT, 소프트웨어등 ICT 분야가 R&D 센터설립흐름을주도하고있으며, 그뒤를바이오, 제약, 화학, 식품등의글로벌기업과의협력을통해 R&D 센터를구축하고있음. - ( 마이크로아시아연구원 ) 마이크로아시아연구원은레노버연구원, 베이징우전 ( 郵電 ) 대학, 칭화 ( 淸華 ) 대학등과연계하여모바일네트워크산 학 연응용연합실험실을운영하고있음 ( 러시아 ) 러시아정부가설립한비영리조직인스콜코보이노베이션센터 (Skolkovo

68 64 Innovation Center) 와중국 Cybernaut 투자그룹간 2억달러규모의펀드를조성하여 중국-러시아창업인큐베이터 설립 - 로봇, IT 및통신기술분야의중국과러시아스타트기업에투자 - 또한러시아스콜코보기금회와중관촌관리위원회와협력하여베이징에과학기술인큐베이터및공동 R&D센터를설립하여바이오 / 의약, 에너지절약, 신소재등영역기업들의창업인큐베이터및자금지원 ( 이탈리아 ) 중국과학기술부와이탈리아과학기술부간정기적으로 중국-이탈리아혁신주간 을운영해오고있음 - 중국과학원역학연구소와이탈리아 Archimede ridge사는베이징에서 중국- 이탈리아 Archimede ridge 공동실험실협정서를체결운영 ( 영국 ) 중국교육부와영국교육부간 혁신창업교육협력프로그램 을위한 MOU 체결 - 중국과영국간각국대학생창업활성화를위해양국은중국베이징과영국런던에서정기적인대학생창업포럼개최및창업지원프로그램을운영하고있음 ( 미국 ) 중미기업혁신센터및중미과학기술혁신협력센터운영 년 1월베이징설립이래, 현재상하이, 청두, 심천등지역에설립되어운영중, 중국과미국혁신기업간교류및글로벌창업을위한인큐베이팅및엑셀러레이팅서비스지원 ( 독일 ) 중관촌- 독일과학기술혁신센터설립 - 베이징시와독일 heidelberg 시과공동으로설립한중관촌- 독일과학기술혁신센터가독일 heidelberg 시에개소. 중관촌입주기업들의유럽진출교두보역할을수행하고, 독일스타트업에대한인큐베이팅및엑셀러레이팅서비스를제공나.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베이징진출기업및투자자 ( 공공기관 ) 베이징에는대사관, KOTRA 베이징무역관, 한국무역협회베이징지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베이징사무소, 산업연구원베이징지부등국내정부유관기관대부분이베이징에지부및사무소를두고있음 - ( 산자부 ) 산업통상자원부와중국과학기술부는두나라의기업간기술협력을밀착지원하기위해 2014년 12월한 중기업협력혁신센터설립하여중국과의기술협력

6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65 을희망하는국내기업에게중국측파트너발굴, 기술동향정보제공, 공동연구과제기획등을무상으로지원하는등두나라기업협력의허브기능담당 - (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KIC)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는대중국과학기술협력의종합창구및거점역할을하고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한국연구재단지원아래최근베이징에설립된중국글로벌혁신센터 (Korea Innovation Center in China) 는국내기업현지창업과현지진출초기부터성공적안착까지맞춤형지원프로그램을개발하고서비스제공. 과학기술, ICT 분야글로벌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프로그램기획과운영등의역할을하고있으며, 시장정보제공, 기술사업화, 특허출원도지원 - ( 미래부 ) 미래창조과학부는중국내한국유학생창업을지원하기위해 2015년 한국유학생창업지원센터 를개소했고, 매년 중국현지창업전문인력양성프로그램 을운영. 동프로그램은베이징대외경제무역대학에창업교육을위탁하여진행하고, 창업액셀러레이터인중관촌동승과학기술원의인큐베이팅을받도록하고있음 ( 베이징진출국내기업 ) 한국수출입은행통계에의하면 2016년 6월말기준, 베이징시에투자한기업수는총 2,035개사로총투자금액은 68.7억불로강소성, 산동성이어 3위를차지하고있음 - ( 업종 ) 업종별로는제조업이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고, 금융및보험, 도소매, IT, 교육서비스업이최근급증하는추세 - ( 기업규모 ) 현대자동차, 삼성, SK, LG, 만도등주요대기업및북경콜마, 티맥스소프트, 넥서스커뮤니티, 바이오시스템, 바이엘등중소기업도현지진출 * 대교, 휴넷, 한솔등교육서비스기업의중국진출이가속화되고있으며, 보령제약, 한미제약등바이오 / 제약분야도진출확대됨 * 최근에는에너지절약및환경보호관련국내중소기업들의베이징진출 * 카페베네, 주커피, 미스터피자, 파리바게뜨등다수의국내프랜즈기업들이베이징에진출, 중국진출프랜차이즈기업중 43.5% 가베이징에진출 16) ( 한국투자자 ) 베이징에 KTB 네트워크, 한국투자파트너스, LB 인베스트먼트등많은국내벤처캐피탈사와창업투자사가진출해있으며, 대부분중국스타트업투자에집중 16) 산업통산자원부 (2016) 참조

70 66 - 그외에아주IB 투자, 스틱등의국내벤처캐피탈사가중국벤처투자진행, 중국기술력의급성장및투자분야의다양화, M&A의활성화등으로인해진출이더욱확대되는추세 창조경제혁신센터對베이징사업 ( 창조경제혁신센터사업 ) 전국 17개창조경제혁신센터는각지역별특성에맞게스타트업의중국진출지원, 그중인천은중국지역진출에특화되어다양한지원사업운영 - ( 인천센터 ) 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 차이나데이, 스타트업대상중국컨설팅, 중국온라인보부상인상교육, 공동브랜드지원등다양한대중국스타트업지원프로그램운영 - 베이징현지네트워크를활용하여한중스타트업베이징파트너링개최시전국센터및유관기관추천유망기업참여기회제공, 기타지역혁신센터중국사업진행시현지네트워크공유및파트너링협력지원 * 베이징 ( 중관촌동승과기원, 대외경제무역대학교국제학원, 중국국제기술이전센터 ) * 4ENs(10 월입주, 법인신청, 전시관구축예정 ), 아이리시스 (10월입주, 법인신청예정 ) - ( 경기센터 ) 중국최초의카페창업플랫폼인베이징처쿠카페 (Cheku Cafe) 및 48일만에시제품제조가가능한원스톱서비스를갖춘스타그릭 (STARGEEK) 등 8개액셀러레이터가참석하여, China Accelerator s Day 설명회개최 - ( 경북센터 ) 경북지역스타트업기업들의중국시장진출기회를찾기위해베이징에서 제1회 G-Star Global Demo Day 개최, 중국진출을희망하는기업들을중국투자자에게홍보하고, 투자유치기회마련. 중국투자은행인차이나르네상스가경북센터보육기업과중국내투자자를연결하는파트너로참여 (MOU) 창조경제혁신센터중경기, 인천이베이징에있는혁신기관과 MOU를체결하고있으며, 이외에도대기업등과의협력을 CNWS - ( 경기센터 -이노웨이 ) 엑셀러레이팅프로그램공유및행사공동주최등상호협력을위해韓경기센터 - 中이노웨이간 MOU 체결 - ( 인천센터 -칭화과기원 ) 칭화과기원과의 MOU를통해국내유망예비창업자와스타트업을발굴하여진출지원. 칭화과기원과의상호정보교류및행사상호협력

7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67 - ( 인천센터 -호강왕그룹앤츠플랜 ) 중국최대인터넷학습플랫폼회사인호강왕에서운영하는교육콘텐츠중심인큐베이터인앤츠플랜과한중창업정보교류및스타트업지원을통해기업가정신을갖춘인재양성, 상호현지진출지원 - ( 인천센터 -대외경제무역대학국제학원 ) 스타트업의기술연구개발및투자유치연계, JV 설립등상호진출을지원 - ( 제주카카오- 텐센트 ) 제주센터의입주 보육기업의중국진출자문및시장정보교류 - ( 대전 SKT-차이나유니콤 ) 양국벤처기업간교류및창업지원인프라를구축및공유하고맞춤식컨설팅등현지진출활성화 - ( 부산-롯데마트중국지사 -중국UL 17) ) 부산지역우수제품을발굴 육성하여해외 ( 중국 ) 판로개척지원사업, UL을통해중국수출상품검사업무및승인및 GB 표준에근거된검사를위한기술적인훈련지원 다. 협력가능성 ( 활용가능한자원 ) 베이징은한국의중소, 대기업을포함한글로벌대기업이중국에서가장많이진출해있는지역이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글로벌혁신센터 (KIC) 등공공혁신기관, 스마일게이트등민간창업지원기관이진출해있는지역 - 또한, 한국에서진행중인대중국프로그램이집중되어있으며, 인천을중심으로하는혁신센터들이다수의 MOU를체결중이므로, 공공혁신기관을통한접근가능성이높음 ( 진출현황 ) 현재베이징에진출한국내스타트업수는정확히파악되지않으나, 대부분한국유학생및국내에서진출한일방향 ( 한국 중국 ) 창업형태로서, 상업화및시장화를위한인큐베이팅및엑셀러레이팅은제대로진행되지못하고있는실정 - ( 협력방향 ) 따라서시장성확대와글로벌창업을위한한중양국의스타트업이공동창업하는형태의쌍방향 ( 한국 중국 ) 형태의창업이활성화되도록하는제도적마련이필요함 17) 글로벌안전과학회사, Underwriters Laboratories) 다양한분야에걸쳐안전테스트및인증, 검증등 제반서비스를제공하는독립된안전과학회사

72 68 2. 상하이가. 글로벌혁신협력현황 정부정책 ( 주요정책 ) 2014년상하이를시찰한시진핑은전세계에영향을줄수있는 글로벌혁신센터 화하겠다는목표를제시했고, 2015년 5월상하이시정부는이에대한구체적인정책 ( 中共上海市委上海市人民政府关于加快建设具有全球影响力的科技创新中心的意见 ) 발표 - 장쩌민이상하이푸둥신구개발전략으로중국경제성장을추동했다면, 시진핑은상하이의혁신역할을극대화한국가발전정책을시행중 ( 목표 ) 2015년 5월 25일, 상하이시는글로벌혁신센터성장의구체적인청사진을발표, 그첫단계로 2020년까지과학기술혁신센터의기본플랫폼을구축하고, 다음단계로 2030년까지과학기술혁신도시의핵심기능을수행한다는전략 - ( 분야별목표 ) 분야별목표는세계적인혁신인재양성, 첨단기술기업비율제고, 혁신적이고창조적이며창의적인성과창출, 과기혁신기반시설과서비스시스템이완비된종합적인개방형과기혁신도시건설, 국제적인혁신네트워크허브구축, 원천기술및첨단산업기술의국제적인원천지역할강화 기업진출현황 ( 외국기업진출현황 ) 상하이는중국최대의글로벌지역본부집산지로특히상하이푸둥은중국최대의글로벌기업지역본부밀집지로유명 년상반기상하이소재글로벌기업지역본부총 514개사, 지주회사 304개사, R&D 센터 388개사로글로벌기업의상하이시전체경제에차지하는비중이매우높음 - 주요진출기업은포드 ( 자동차 ), 히타찌 ( 전기 ), 바이엘 ( 의약품 ), 삼성 ( 반도체 ), LG( 화학 ), SK( 에너지 ) 등이있으며, 2014년현재세계적으로알려진 10대제약기업가운데 7개업체가장장바이오의약클러스터에투자 국가간협력현황 상하이는중국글로벌혁신의허브역할을하는곳으로, 다양한형태의글로벌혁신협력이진행되고있으며, 특히상하이장장첨단기술단지를중심으로여러국가와글

7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69 로벌혁신협력을진행중 ( 미국 ) 중미기업혁신센터및상하이장장 -보스톤기업단지운영 년 1월베이징설립이래, 현재상하이, 청두, 심천등지역에설립되어운영중, 중국과미국혁신기업간교류및글로벌창업을위한인큐베이팅및엑셀러레이팅서비스지원 년 2월상하이장장첨단기술단지는미국보스톤에 상하이장장 -보스톤기업단 를개소하여상하이장장첨단기술단지에입주해있는스타트업기업들의미국시장진출을지원하는역할을수행 - 중국과학기술부와상하이장장첨단기술단지가주최하는 중미과학기술단지혁신협력포럼 이정기적으로개최되고있으며, 양국간기술, 자본및지식협력에관한지속적인상호윈윈모델발굴 ( 독일 ) 중국-독일혁신센터가투자한 간세포은행 을상하이산업기술원내에설립하여간세포대규모배양과임상실험을진행중 - 현재중국- 독일혁신센터는강소성상주 ( 常州 ) 에설립되어있으며, 최근에는중국- 독일인더스트리 4.0 기술전시혁신센터가강소성소주시에설립되었음 (EU) 중국내최조중국-EU 궤도전차혁신센터설립 - 상하이도시건설설계원과 EU간공동으로설립한혁신센터로중국과 EU 국가간도시규획건설, 교통시스템스마트화및궤도전차시스템구축을위한공동기술협력및글로벌사업확대 ( 영국 ) 중국-영국하이테크혁신센터구축중 - ( 목적 ) 2015년 11월시진핑국가주석이영국방문시제의, 양국간스타트업간정기적인교류확대및양국혁신기업에대한인큐베이팅및엑셀러레이팅서비스지원 - ( 중점업종 ) 문화창의산업, 소매, 에너지, 위생및과학기술, 금융서비스, 항공기술및교육서비스영역나.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상하이진출기업및투자자 ( 공공기관 ) 상하이에는총영사관, KOTRA 상하이무역관, 무역협회상하이사무소등다수의국내기업지원유관기관이진출해있으며, 기술혁신관련협력도기타중국

74 70 도시에비해매우활발하게진행되고있음 중소기업청은상하이푸동지역에 코리아벤처창업투자센터 개소 - 중국시장진출을희망하는국내스타트업에대한현지인큐베이팅과함께중국투자자금유치및국내벤처캐피탈의중국진출등지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과중국상하이과학원 (SAST) 및상하이산업기술연구원 (SITI) 간맺은협력약정서 ( ) 에의거하여 2014년 10월, 글로벌혁신센터 ( 상하이 ) 개소 - 한국과중국양국간과학기술협력플랫폼마련및한중양국의산학연혁신주체들간체계적협력관계위한협력채널구축, 기술혁신주체들을유기적으로연결시켜산업기술혁신과첨단기술사업화추진 ( 상하이진출국내기업 ) 2015년기준, 한국의상하이에대한신규투자법인수는 141 개사, 신규투자금액은 304백만불로 2013년이후지속적인증가추세. 동기간투자금액은 4,781만달러, 전년동기대비 21.8% 하락 * 2016년한국의상하이지역투자전년대비감소추세로, 2016년 1분기기준신규법인설립수는 22개사, 전년동기대비 40.5% 하락 - 포스코차이나 ( 85), 상하이이미트 ( 97), 이랜드 ( 94), 상하이동방CJ 홈쇼핑 ( 94), 아모레퍼시픽 ( 00), 농심 ( 95), 한국타이어 ( 96), 삼성화재보험 ( 01) 등주요대기업의현지진출 - 상하이는 2,500만명의소비구매력파워로인해국내소비재기업들이가장선호하는지역으로, 최근들어의료및유통도소매, 금융, 프랜차이즈등서비스분야업종진출이급증하는추세 * 파리바게트, 카페베네, 투썸플레이스, 명동칼국수, 패리카나, 본가, 한스델리, BBQ 등 MF 프랜차이즈방식의현지진출이급증, 중국진출프랜차이즈기업의 50% 정도상하이진출 18) * 상하이자유무역구출범이후성형및금융등서비스업의진출확대 ( 한국투자자 ) KTB 네트워크, LB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 스틱인베스트먼트, 엠벤처투자,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아주IB 투자등다수의국내벤처개피탈 18) 산업통산자원부 (2016) 참조

7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71 및창투사가진출해있음 * LB 차이나펀드 1호 (370억원 ): 6개기업 152억투자,2개기업 CB상환 (10%) LB cross-border fund(715억원 ): 5개기업 206억원투자, 1개기업 IPO(4.7%) * 엠차이나펀드 1호 (425억원 ): 4개기업 223억투자아시아퍼시픽벤처투자조합 2호 (408억원 ): 30개기업 275억투자 *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 한중협력투자조합 (300억원 ), 4개기업 105억원투자, 1 개기업회수 (3자매각 ) * KTB 네트워크는 1,150억원의중국벤처투자를집행했고, 정책금융공사서추가펀드결성을위해 400억원을융자받는등적극적인행보 창조경제혁신센터對상하이사업 인천센터의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이나차이나데이등중국대상사업이상하이를포함하고있는것을제외하면, 상하이대상의혁신센터사업은미비한편 - ( 인천센터 ) 2015년 10월, 2016년 11월상하이파트너링부터 한-중비즈니스전문인재 파트너링연계사업진행 - ( 부산센터 ) 중국상하이롯데마트에 부산우수상품전용관 개소, 부산기업의우수상품을전시판매하는전용관개설 - ( 경기센터 ) 중국상하이에서열리는아시아최대규모의이동통신산업전시회인 Mobile World Congress Shanghai 2016 에국내 5G, IoT 분야의우수한기술력을가진스타트업들과협력사참여지원 - ( 제주센터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K-Global Connect@Shanghai 데모데이 -스타트업 ( 티엔디엔 )-중국서비스시작 (MOU)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부산지역중소기업제품의현지판로확대등을위해韓부산센터 부산경제진흥원 - 中롯데마트 ( 상하이점 ) 간 MOU 체결다. 협력가능성 ( 전망 ) 상하이에진출한국내스타트업의정확한통계는없으나, 상하이의우수한창업생태계및다양한혁신협력플랫폼을감안한다면향후지속적인진출이예상 - ( 애로사항 ) 그러나상하이는이미원가상승및토지 환경의제약과투자증가율하락, 치열한시장경쟁등을감안하면기업차원에서단독추진하기는어렵고, 특히중

76 72 소 벤처혁신기업의경우는더욱어려움이따름 - ( 접근방향 ) 그러나혁신센터차원에서상하이의카운터파트를활용한사업이나, 상하이대상의 MOU는매우저조한편. 이는상하이가중국에서가장대외개방도와시장화정도가높기때문일수도있지만, 장강하이테크파크등기존클러스터를활용한공공접근성을강화할여지는있음 3. 청두가. 글로벌혁신협력현황 청두는글로벌혁신허브로서의자리매김을하기위한노력을전개하고있으며, 이를위한글로벌협력을추진중 - 가장대표적인예로청두고신구내의중-싱가포르협력단지, 중-프랑스생태원, 유럽기업네트워크와의협력이있음 ( 독일 ) 중-독혁신협력플랫폼사업추진중 * 월메르켈총리방중시리커창총리가제의 ( 中상무부- 獨경제부 ), 한-중혁신산업단지와매우유사한것으로평가 ( 청두총영사관전문 ) - 중국측은관주도방식 ( 정부협의체구성후기업유치 ) 을, 독일측은기업수요에입각한민간주도방식희망 ( 프랑스 ) 청두중불생태원설립중 년 3월중국상무부와프랑스대외무역부간 MOU 체결 ( 중화인민공화국상무부와프랑스공화국국외무역부생태원구경제무역합작에관한 MOU) - ( 목적 ) 프랑스등 EU 국가의선진생태기술도입, 응용, 개방형, 글로벌화, 핵심경쟁력을가진현대첨단산업클러스터, 국제선진기술도입, 흡수, 소화, 집성및재흡수, 이용 - ( 주요기능 ) 자동차, 장비제조등산업화프로젝트, 에너지효율, 자연절약, 신환경보호기술, 투융자플랫폼등중국, 프랑스기업, 기구간투자, 기술과무역합작 ( 싱가포르 ) 싱가포르 -사천( 청두 ) 첨단혁신단지 ( 新川創新科技園 ) - ( 목적 ) 혁신중심의지식집약적기업에도움이되도록자리매김한싱가포르와사청성이공동으로설립한최초의대규모첨단기술산업단지

7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73 - ( 중점업종 ) Interactive Digital Media( 소프트웨어개발, 디지털미디어, 네트워크보안, 클라우드컴퓨팅 R&D), 생물의학 ( 바이오약품, 생명공학과의료기구 ), 환경기술 ( 선진환경보호 ), 첨단제조, 공급자서비스 ( 금융솔루션등 ) (EU) 톈푸신구국제혁신합작플랫폼 - ( 주요기능 ) EEN 19) 중국서부센터플랫폼및국제중소기업창업인큐베이터플랫폼구 축, 유럽, 이스라엘, 대만등유관기구와기업의국제혁신네트워크구축, 국제중소기업에게컨설팅, 교육, 융투자, 법률등전방위적인인큐베이팅서비스시스템구축 - 중국-유럽합작프로젝트로쌍방기술이전촉진, 중국기업의국제화발전지원, 유럽시장개척, 유럽하이테크관련프로젝트유치 - ( 중점업종 ) 식품안전, 환경, 건강, 에너지, 문화, 세수, 대외무역, 농업, 바이오, IT, 신소재, 항공항천, 에너지, 문화산업, 화학, 제조기술, 농업기술 ( 미국 ) 중미기업혁신센터서부센터 - 중국과기부와미국매사추세스주의협력하에중미양국에각각구축된과기서비스플랫폼으로, 글로벌인큐베이팅과액셀러레이팅을목표로구축 - 정부인도 ( 과기부 )-기업투자 (Hanhai 그룹 )-시장화운영 ( 민간주체연계 ) - 중미간기술, 자본, 시장을상호연결하는글로벌플랫폼으로, 청두에서는혁신창업을겨냥한선도기술성과개발과글로벌화를추진 * 2013년베이징, 상하이의뒤를이어 2015년청두에중국세번째로설립 나.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 청두진출기업및투자자 ( 개요 ) 청두에는총영사관, KOTRA 청두무역관, 무역협회청두사무소등다수기관이존재하나, 서부시장개척을위한유통관문, 소비재수출지역으로접근해왔기때문에, 우리혁신기업진출과혁신관련협력은매우저조 - 중국내창업생태계는투자자나창업지원기관등을통해특정지역에한정되지않고전국적네트워크로연결되어있으므로, 중국기타지역혁신주체와의협력네트워크사례와방안을청두에적용가능 19) 유럽기업네트워크사이트

78 74 ( 청두진출국내기업 ) 2014년기준, 청두시에는총 42개기업이진출해있는것으로파악 - 같은시기, 중국전체에약 3576개의진출기업리스트가존재함을감안할때, 우리기업의청두진출은상당히저조한편이며, 소규모자영업이많은비중을차지 - 현대자동차 ( 12 년 ) 20), 포스코강판 ( 14 년 ) 21), 롯데백화점 ( 13 년 ) 22) 등주요대기업의현 지진출 - 청두진출기업은서비스분야가다변화되며프랜차이즈 (MF형식), 요식업, 의료투자형태가동반증가추세 * 뚜레주르, 카페베네, 파리바게트 ( 잠정 ) 등 MF 프랜차이즈방식현지진입증가 * 의료투자 ( 성형, 병원 ), 금융등대외개방도가높아짐에따라진출활성화예상 ( 한국투자자 ) 청두에직접진출한한국투자자는아직부재한것으로파악되며, 청두고신구에의하면 KTB펀드가잉촹동리기금에참여 - 이외에도, 삼성벤처투자, LB인베스트먼트, 린드먼아시아, IDG 벤처코리아등이중국내창업투자업무를진행중 * LB인베스트먼트 : 815억원규모의글로벌익스펜션투자조합결성린드먼아시아 : 2015년 12월 500억원규모의투자조합결성, 중국전문 VC 창조경제혁신센터對청두사업 ( 협력현황 ) 아직까지청두대상혁신센터들의사업진행이활발한편은아님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의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사업이청두에서개최, 한중창업경진대회가청두에서개최되며각혁신센터기업들이참여, 부산센터는롯데의유통망과네트워크를활용한스타트업해외진출추진, 부산경제진흥원과협업하에상하이와청두롯데마트에수산가공품관련한국혁신상품전용매장오픈예정 20) 현대자동차의경우, 대표협력사 9개사현지동반진출등제조업기반진출활발 21) 포스코강판의경우, 서부지역의자동차생산량증가에따라쓰촨현지의 도요타 ( 豊田 ), 폴스바겐 ( 一汽大众 ) 의납품기간단축을위해 14년청두진출 22) 롯데백화점 ( 청두점 ) 13년 8월개장및콤플렉스 ( 놀이동산을제외호텔 + 쇼핑몰, 영화관등입주예정 ) 판청강프로젝트진행중 ( 17년완공예정 )

7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75 (MOU) 그러나, 청두가한중협력의지를내비치고한국스타트업유치를위한노력을기울이면서,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중심으로대청두 MOU가증가하면서, 혁신기관간협력플랫폼이조성중 - ( 대구-사천성혁신창업촉진회 ) 대구자매도시인청두와한중스타트업공동육성및지원기반구축을위해창업투자 창업보육및산업촉진영역의협력과교류, 혁신창업기업을위한서비스와사업발전에필요한업무수행 - ( 인천-청두시과학기술국 ) 양국스타트업의기술연구개발및투자유치연계, JV 설립등을위해스타트업및중소기업의상호시장진출관련정보교류및지원과한 중파트너링교류및지원 - ( 부산롯데마트청두점 ) 중국롯데마트 ( 청두점 ) 환구중심점내전시판매관운영을통해부산지역중소기업제품의현지판로확대와현지유통망진출을추진하는데필요한상호협력진행 현지거점비교 청두는베이징, 상하이에비해현지에서우리진출스타트업들의시장진입과네트워크확보, 판로개척등의지원에활용할수있는현지거점도부족한상황 - 베이징은 KOTRA, KIC 등이소재해있고, 우리대기업들도대거진출해있어현지네트워킹, 판로구축및인프라제공등에서다양한정책적지원을받을수있는반면, 23) - 청두는진출대기업수가현저히적고, KOTRA 무역관이존재하기는하나베이징에비해현저히적은인력과 ( 총 13명, 관장1, 본부3) 글로벌창업팀이나해외IT 지원센터등관련업무지원부서부재, 스타트업이활용할수있는마케팅, 행사등저조, 지재권관련업무담당부재등으로활용성이상대적으로낮음 23) 상하이는민간혁신지원기관들을중심으로접근중이므로비교대상에서제외

80 76 < 표 1-16> 베이징스타트업지원관련현지거점 거점기관구성지원대상기능 KIC- 중국 KOTRA 베이징무역관 KOTRA 해외 IT 지원센터 ( 인력 ) 0 명 센터장 1 ( 공간 ) 입주공간 20 개 ( 인력 ) 46 명 관장 1, 본부 7 현지인력 38 ( 인력 ) 명 팀장 1 ( 공간 ) 입주공간 14 개 자료 : KOTRA 베이징무역관홈페이지 - 스타트업 - 중소기업 - 중소기업 - 스타트업진출및현지창업지원 인큐베이팅 ( 차이나夢 ) 액셀러레이팅 ( 차이나路 ) - 대외경제무역대학중국창업전문인력양 성프로그램연계 - 네트워킹, 투자유치지원 - 공간임대, 마케팅, 투자유치 - 시장정보제공 - K-Move 센터활용현지취 창업지원 - 공간임대, 마케팅, 판로개척지원 - 시장정보제공 다. 협력가능성 국내스타트업진출가능성 ( 단점 ) 현재까지청두에진출한스타트업의사례는많지않으며, 중국에기진출한스타트업들은청두로의사업확장에대해서는미온적 - ( 접근성 ) 대부분의스타트업들은접근성 (1일 1편직항항공편 ), 동부시장으로부터의먼거리 ( 시장개척에대한불확실성 ), 투자불확실성, 인적자원활용가능성에대한두려움, 기술수준에대한불신, 정주여건에대한불안감등의이유로청두진출을기피 24) - ( 레퍼런스부족 ) 동부는이미베이징, 상하이등대도시의형성과한국대기업, 중소기업등의진출성공경험이많으나, 서부에는레퍼런스가없어불안감존재 - ( 시장 ) 청두는소비성향이강한도시이므로소비재관련업종은유리하나, 기술기업은수요를찾기힘들것이라는우려 - ( 인프라 ) 스타트업들이인터넷이나모바일관련업종임을감안할때, 한국이나중국동부지역에비해열위인 ICT 인프라등도제약요인으로작용 25) 24) 스타트업간담회및인터뷰결과요약 ( , , ~24) 25) 청두의 ICT 인프라현황 : 인터넷보급률 58.9%( 베이징 75.3%), 4G 보급률이모바일이용자의 9.5% 로

81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77 ( 장점 ) 청두는정부의초기창업자금지원및우대정책풍부, 엔젤투자및시리즈 A 투자활성화, 국가급인큐베이터, 대중창업공간활성화, 중국외부투자자들및액셀러레이터들의집중초기라는장점보유 - ( 중국서부시장관문 ) 국내초창기스타트업들의중국진출시작점으로활용가능성높으며, 베이징이나기타동부대도시로선진출후, 청두에지사나사무소를설립하여청두시의우대정책을활용하며서부시장을 tapping할수있는근거지로활용가능 ( 전망 ) 중국측대기업과의연계를통한투자확보나판로확보가능성제고라는환경제공이가능하면스타트업의진출이활성화될것으로보임 - ( 접근방향 ) 현재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를중심으로청두입주가활발히진행되고있으며, 향후현지대기업네트워크확충및수요처연계, 서부지역스마트시티나인터넷플러스등정책과연계하여스타트업들의진출불안감과리스크를감소해줄수있는공공주도형, 수요연계형진출방안모색가능 제 4 절한국 - 중국혁신협력모델 ( 청두를중심으로 ) 1. 혁신생태계비교분석 가. 협력대상지역의특성 ( 위험요인 ) 청두는기타지역에비해우리스타트업에대한수요와한중협력에대한의지가높으며, 징롱국제광장이라는창업플랫폼이제공하는우대정책과사업지원우위가존재 - ( 낯선지역 ) 그러나아직까지한국스타트업들에게는상당히낮선지역이며, 스타트업지원전문성을가진기관이현지밀착지원이힘들다는단점이있음 - ( 제도개선 ) 비자등기타외국인의현지창업을유도하기위한제도적개방속도도베이징이나상하이등지에비해느리게진행되는편 - 또한징롱국제광장등현지창업단지도아직까지한국스타트업을대상으로하는발 매우낮아, 한국인프라에적합한기술, 서비스현지화에대한우려존재

82 78 전전략이나제도화가안착되지않은상태라기업들의불안감불식에애로 - ( 프로그램부족 ) 한국스타트업을위한자체프로그램이나중국액셀러레이터, 대기업, 스타트업등청두측혁신주체들과의연계를위한프로그램도부족한상황 - 징롱국광장이속해있는톈푸SW 단지의경우창업묘포 -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과정까지의단계별지원시스템이잘구축되어있는반면에, 한국스타트업을대상으로는이과정을제공하는주체들 ( 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등 ) 을한국기관들로구성하려다보니, 진행속도가더디고, 한국스타트업과기관들의고립이발생할우려가있음 - ( 우리거점지원기관부족 ) 청두는현지거점의활용도가낮고, 우리스타트업을위한현지프로그램과운영시스템이미비한상황이므로, 현지거점의활용도를높이고현지에서필요한자원을최대한확보하고, 우리측의지원을최대한늘리는방향으로의접근이필요 ( 기회요인 ) 그럼에도불구하고, 스촨성정부 청두시정부 청두시고신기술개발구의공공주도형창업플랫폼활성화를기반으로한중공공기관간협력을통한스타트업진출과보호, 정책적우대향유및서부시장개척이가능하다는점은활용해볼만한조건 - ( 중국진출의거점 ) 한국과청두간혁신창업관련협력은이제활성화시작단계로, 많은스타트업들의중국진출수요가존재하는바, 청두가가진다양한혁신요소와외부네트워크를활용하여장기적으로는중국전역과연결될수있는혁신의거점으로이용할필요가있음 - 우리진출대기업, 투자자를활용, 스타트업의중국전역시장창출을위한거점으로서의청두접근필요, 스타트업의진출과성과창출의지리적한계를청두로한정할필요는없을것 - 청두내의투자자와액셀러레이터, 대중창업공간등은베이징, 상하이, 그리고해외유명투자자와의접점이있으므로이를적극활용 - 우리스타트업보육, 투자를위해진입한중국투자자, 액셀러레이터와의네트워크활용 따라서스타트업들의청두진출을통해성과를창출할수있는메커니즘을징롱광장을중심으로혁신센터등의혁신기관이주체적으로구축해나갈필요가있음

83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79 < 표 1-17> 청두의기회요인과위협요인 기회요인 위협요인 거점 / 플랫폼 공공주도형창업플랫폼존재 우리거점지원기관부족 인프라 동부대비낮은인건비와인프라비용 동부대비열악한인프라와고급인력 정책및프로그램 강력한우대정책 우리스타트업대상운영시스템및프로그램취약 시장환경 서부시장의관문 낯선지역, 시장정보부족 나. 협력목표 한국혁신생태계와의연계분석 ( 혁신자산부족 ) 국내스타트업은내수시장의규모가부족하고, 중국혁신생태계는규모가크고하드웨어적인인프라는잘갖추어져있으나소프트웨어적인인프라및우수기술 인력, 시장의다양성이부족함 ( 혁신자산보완 ) 국내스타트업은거대한중국내수시장에접근해글로벌화를시도하고, 중국은공동프로그램운영, 스타트업유치등을통해자국혁신생태계를발전시키고투자기회확대 혁신자산의부족 ( 필요성 ) 혁신자산의보완 ( 협력을통한해결방안 ) 중국청두 혁신생태계인재 기술부족 해외인재 스타트업유치필요 한국 유망스타트업보유 스타트업해외진출 자금 시장 네트워크, 창업지원정책, 한국기업 기술 자금등혁신자산부족과 협소한시장으로성장제한, 현지네트 워크부족등으로해외진출어려움 해외시장진출을통한혁신자산보완과성장필요, 해외진출지원에대한요구 중국청두한국 창업플랫폼보유 보육 투자를통해스타트업의현지 진입도움 글로벌네트워크, 글로벌화 경험보유 중국플랫폼과의연계, 자금, 멘토링 등글로벌화지원 이를통해다음과같이각각의협력목표를도출함 협력목표도출 ( 중국청두 ) 우수스타트업유치를통한인재와기술보완. 자국혁신생태계의다양성증가및이로인한투자기회확대

84 80 ( 한국 ) 우수스타트업이해외진출을통해대규모의중국내수시장에접근, 이를토대 로글로벌기업으로성장 2.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가. 협력현황 주요협력유형 청두에직접진출한국내기업 투자자 스타트업은아직많지않음 - ( 공공기관현지거점 ) 총영사관, KOTRA, 무역협회등이존재하나소비재수출지역으로접근, 혁신관련협력은매우저조 - ( 중국진출국내기업 ) 한국기업의청두진출은상당히저조한편이며, 소규모자영업이많은비중을차지 - ( 한국투자자 ) 청두에직접진출한한국투자자는아직존재하지않으며일부한국투자자들이중국내투자업무를진행중 - ( 창조경제혁신센터 ) 아직청두대상사업진행이활발한편은아니나인천센터를중심으로對청두 MoU가증가하며혁신기관간협력플랫폼조성중 주요협력주체 청두지역과혁신협력을진행할경우한국의창조경제혁신센터, 중국에서는징롱국제광장, 청두고신구의혁신플랫폼이주요주체가될것이며, 그외에양국의대기업및투자자, 청두에진출한중국의액셀러레이터등을활용할수있음 나. 협력모델 ( 협력모델 ) 청두를중심으로하는한중협력모델은기본적으로징롱국제광장을플랫폼으로창조경제혁신센터등혁신기관과중국측이제공하는인적, 물적자산및네트워크가집결될수있는형태로고려 - 우리청두진출기업수가유한하고, 스타트업쪽으로전문화된현지거점기관이부재하므로, 우리측과중국측의협력지원이이루어져야할필요가있음 - 즉, 중국측이제공하는물적, 인적인프라를최대한활용하며, 우리측에서적극적으로청두측사업파트너를발굴, 연계하고

85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81 - 스타트업사업시청두에서발생가능한리스크에대해서는혁신센터와총영사관등 의연계하에청두시나스촨성, 중앙정부와의협력을통한예방과대응이필요 [ 그림 1-11] 한중혁신협력모델 ( 협력유형 ) 징롱국제광장플랫폼을중심으로양국의혁신기관과관련혁신주체들의협력하에다음과같은협력을지원 - ( 기본협력형태 )( 한국진출중국창업관련조직 + 한국창업관련조직 )-( 창조경제혁신센터 )-( 징롱광장플랫폼 )-( 중국현지혁신주체 ) 간연계 - ( 스타트업상호진출지원 ) 한국과청두스타트업상호교류 ( 사전교류포함 ) 및스타트업의중국네트워크구축및합작법인설립등의사업을원활히추진할수있도록, 청두스타트업의국내유치를적극유도. 청두와협력을체결하고있는인천, 대구등혁신센터를중심으로보육기업상호교류프로그램개설, 스타트업그랜드챌린지에청두스타트업의참여유도등 - ( 진출기반조성 ) 한국소재중국액셀러레이터와의협력을통해진출준비단계부터청두환경에대한이해도제고및현지네트워크구축기반을조성 26) 26) 한중양국의문화융성을위한 MOU 를체결하고 ( ), 중국의화샹싱푸 ( 산업클러스터건설및투

86 82 ( 협력방향성 ) 한중양국의혁신요소와인프라를징롱국제광장플랫폼에집중되도록하여, 스타트업중국진출지원기반마련하고플랫폼활용도를높일것 - 1 한중창업경진대회등을통한우리스타트업의청두입주및청두의정책적지원공유지원주요대상 ) 초창기기업 ( 엔젤투자단계, 창업기기업대상 ) - 2 한국과청두의혁신자원집결및상호이용 : 기진출대기업, 기진출투자자, 창조경제혁신센터및전담대기업과의연계를통한판로개척및시장창출 ( 주요대상 ) 초창기기업, 성장기기업 - 3 국내진출중국액셀러레이터, 투자자와의네트워크를통한진출지원기능을플랫폼에연계, 네트워크확산 ( 주요대상 ) 성장기기업, 확장기기업 - 4 청두입주중국대기업, 글로벌대기업및글로벌투자자와의연계를통한시장확대및글로벌진출시도 ( 주요대상 ) 전성장단계기업 - 5 창조경제혁신센터의기존중국진출지원관련사업에청두포함 ( 주요대상 ) 사업성격에따라결정. 현재진행되는판로개척이나마케팅관련일회성행사뿐아니라, 스타트업의청두진출에대한불안감을해소하고, 사전진출관련정보를얻고진출의사결정을내릴수있도록사전교류를확대하는방안도검토해야할것 ( 혁신주체의역할 ) 한국및중국의혁신플랫폼을적극적으로활용 - ( 징롱광장의플랫폼역할 ) 한중혁신자산및주체집결, 보육및투자, 시장개척지원 ( 우리진출대기업, 중국측대기업, 액셀러레이터, 투자자와의연계, 시장개척 ) - ( 창조경제혁신센터역할 ) 각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를중심으로진출의사를가진우수스타트업선발, 스타트업청두진출지원프로그램기획 운영, 우수스타트업의공동플랫폼입주지원 - 이과정에서, 청두관련사업을가장활발하게진행중인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에게 자기업 ), 테크코드 ( 인큐베이터및투자, 한국진출 ) 와우수콘텐츠스타트업공동육성과중국및글로 벌시장진출을지원하는한국콘텐츠진흥원의사례와방식참조가능

87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83 국내청두진출기관들의허브역할부여를고려해볼수있음 * 우수기업선발시, 한국에소재한중국투자자 액셀러레이터 27) 와연계하여현지화역량제고가능 - ( 청두고신구측 ) 양국혁신창업행위에대한인적, 물적인프라제공, 우수스타트업공동육성및투자 보육프로그램기획, 운영. 이외에, 특정업종간협력에대해서는징롱국제광장이외의고신구내관련업종부화기지및클러스터등과의협력적극지원 3. 세부협력전략가. 산업별혁신협력 ( 중점업종 ) 청두시의중점업종중우리대기업의바이오의약, 모바일인터넷관련, 에너지관련기술및서비스, SW, 자동차, 문화창의관련업종 - 또한, 소비도시로서의청두의성향을감안한아이디어소비재디자인및제작, 2차문화창의제품 ( 캐릭터상품등 ) 이유망할것으로판단되며, 전자상거래시범도시인청두가국경간전자상거래공공서비스플랫폼을출범함에따라 ( ), e-commerce 업종도유망한협력업종. - 창조경제혁신센터의특화업종에따라전담대기업과청두내관련클러스터간협력체결등검토가능.( 예를들어, 바이오의약의경우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LG-청두생물의약창신부화기지 MOU를통한우리바이오기업들과중국스타트업간공동연구혹은상호진출교류지원가능 ) 나. 유형별혁신협력 청두에서는판로와후속투자유치등의가능성에대한전망을제시하여우리스타트업들의불안감을해소해줄필요가있으므로, 청두진출국내대기업및중국측대기업과의연계를적극적으로추진하여초기부터수요연계형및판로연계형진출구도를만들필요가있음 27) 트라이벨루가, 테크코드, IDG 캐피탈, DT 캐피탈등중국창업지원기관과투자자들이한국스타트업 의중국진출지원및투자감행중

88 84 - 중국대기업의참여를끌어낼수있도록중국측카운터파트의협조가필요 ( 우리대기업연계 ) 청두의중점업종및유망산업, 우리진출대기업과의연계를고려한스타트업진출고려, 우리대기업이보유한네트워크와판로를활용하여시장지출지원 - ( 효과 ) 대기업은스타트업의기술을자사제조과정에직접활용및중국측협력사에네트워킹하여시장개척지원 - ( 사례 ) 청두에진출한현대자동차, 롯데와의연계를통한스타트업진출지원 * 현대자동차를통한청두자동차관련시장진출을위한관련기술, 서비스 ( 자동차관련 O2O 등 ) 스타트업, 롯데를통한청두현지소비재, 유통관련스타트업진출 ( 중국대기업연계 ) 청두입주중국대기업과의연계를통해현지에적합한기술, 서비스, 제품, 네트워크, 판로를직접활용, 이경우우리대기업을통하는것보다현지수요파악과판로개척에용이 - ( 효과 ) 청두진출성과와지리적범위확대가능 - ( 방식 ) 중국정부의협조하에, 청두입주중국대기업을한중창업공간에연계, 창조경제혁신센터모델의적용, 입주중국대기업은창업공간에입주한한중양국의스타트업과협업 * 스타트업제품및서비스의중국인터넷판매등 ( 양국대기업간연계 ) 혁신센터전담대기업과중국측관련업종대기업간의협력을통해청두내시장확대및스타트업의진출지원 - 양국이동시에발전중인신흥산업분야의공동연구개발및특허출원, 혁신기술및아이디어발굴 - ( 효과 ) 대기업간협업은새로운기술과시장창출에용이 * 현대자동차와현지자동차기업간컨소시엄을통한자동차관련스타트업진출, 롯데백화점 + 현지유통업체간협력을통한유통ㆍ소비재관련스타트업진출, 기타청두에수요에맞춰업종별전담대기업과중국대기업과의연계 ( 양국혁신기관간협력하프로그램활성화 ) 한국스타트업과업무파트너십구축을희망하는현지기업과 1:1 파트너링기회를제공하고, 지속적네트워킹지원 - ( 사전교류 ) 사전교류프로그램의온오프라인도입을통해한국스타트업과의협력을

89 제 1 장특화형 Ⅰ: 중국 85 원하는중국스타트업, 중국대기업, 투자자와의사전교류를활성화하고, 우리스타트업의진출준비에도움이되도록함. - ( 파트너링 ) 현지기술협력및합작법인설립, 투자유치, 판로개척목적의파트너링행사를세분화하여진행 * ( 합작법인 ) 한중스타트업합작법인파트너링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사업조정 ) ( 투자유치 ) Go To Market 데모데이 (Born2Global) 청두데모데이구축한중스타트업파트너링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청두고신구 ) 연계형 ( 판로개척 ) Go To Market 로드쇼, 글로벌수요연계창업지원사업을통해중국대기업과의 1:1 수요매칭행사 장기적으로는, 청두내의플랫폼형협력을기반으로 한중공동스타트업시스템 구축을확대시켜나가고, 중국내타지역과이를연계하여전반적으로한중협력시스템을확산해나가야할것 - 예를들어국내청년창업가와중국내스타트업간공동창업프로그램및모델혹은중국내한국유학생및중국학생간공동스타트업프로그램마련, 이를위해아이디어선정단계부터중국지향적인아이템을선정하고, 한중양국뿐만아니라공동으로제3국에창업할수있도록 한중스타트업인턴십프로그램 도입필요

90 86 제 2 장 특화형 Ⅱ: 프랑스 제 1 절 서론 ( 견고한기술기반과활성화된혁신생태계 ) 프랑스는기초과학기술과풍부한문화컨텐츠, 활성화되어있는혁신생태계를보유해한국스타트업이부족한자산을보완하고발전해나갈수있는환경을갖춤 - ( 기술기반 ) 프랑스는화학, 제약, 항공우주, 바이오등다양한기초과학기술분야의기반을보유하고있으며문화컨텐츠도풍부함. 특허수, R&D 투자등에서가장혁신적인국가중하나 - ( 혁신생태계 ) 파리및일드프랑스지역을중심으로많은스타트업이활동중이며세계적수준의스타트업도다수보유. 대기업, 대학교, 지자체등의참여도활발한편 ( 정부주도의혁신정책과유럽시장거점의가능성 ) 정부의강력한창업정책으로인해혁신생태계의성장이기대되며프랑스진출시유럽시장으로의진출이용이함 - ( 정부정책 ) 프랑스는유럽의대표적인스타트업생태계활성화정책을펼치는국가.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를발표 (2013) 하고정부주도의스타트업육성정책을펼치고있음 - 한국의창조경제혁신센터와 French Tech 모두지역정책과산업정책을결합한형태로국가간협력플랫폼구축이용이 - ( 유럽거점 ) EU의중심국가로자체적으로도큰시장을보유하고있으며, 다른유럽국가로진출할수있는지역거점으로활용가능 ( 적극적인혁신협력및협력애로사항 ) 최근한국과의혁신협력이활발하게논의되고있어이를활용한진출전략이요구되며, 언어적 문화적장벽등으로인한부담을경감할방안필요 - ( 혁신협력 ) 양국대통령협력을바탕으로미래부, 산자부, 중기청, 금융위등부처단위의혁신협력체결. 한국과는 2015년 9월프렌치테크와창조경제와의협력논의하였으며혁신협력을위한 프렌치테크허브서울 도있음

91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87 - ( 애로사항 ) 언어적 문화적장벽이높고지원제도 규제가복잡함 ( 협력모델의필요성 ) 프랑스의혁신생태계에대한분석과가능한협력유형들의분석을통해양국혁신생태계간의협력방향을설정하고협력분야및구체적인실행방안을도출하고자함 - 이를토대로한국스타트업이기술 시장 자본등프랑스혁신생태계의다양한자원및창업지원정책을활용하고프랑스를통한유럽시장에접근할수있도록지원 제 2 절 프랑스창업생태계발전현황 1. 경제현황및산업구조가. 경제현황 경제규모및성장률 ( 경제규모 ) World Bank에따르면 2015년기준프랑스의 GDP는 2,418,836백만달러로세계 195개국가운데 6위이고유럽국가가운데에서는독일, 영국에이어유럽 3위 ( 경제성장 ) 2015년프랑스의경제성장률은 1.3% 로 2014년 0.6% 에비해증가되었으나저성장 (1 인당소득 ) 2015 년기준 프랑스인구는 66,594.1 천명으로 1 인당국민소득은 32,013.1 유로 나. 산업구조 산업구조현황 ( 주요산업 ) 프랑스는유럽의대표적인산업국가이자농업국가 - ( 생명화학 ) 프랑스는바이오연료, 화학산업, 섬유기술등에서유럽제2위국가 - ( 항공우주 ) 세계최고수준을자랑하는항공우주분야는 35만명고용, 400억유로생산, 200억교역흑자. 드론산업에는 61개의드론제조업자와 1,300개의운영자가활동중으로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로봇과드론은대표적산업 - ( 철도 ) 세계 3위인철도산업은 66억유로생산, 21,000명직접고용및하청고용 84,000명

92 88 - ( 제조 ) 세계적규모의제조업기업들로 Renault-Nissan, PSA, Valeo, Faurecia, Plastic Omnium, Michelin, Schneider Electric, Bolloré 등 - ( 의료 ) 의료산업은 700억유로생산, 20만명고용, 바이오기술은유럽 1위 - ( 농업 ) 유럽제3위의농산물국가로 2014년기준농산물분야에 585,000명고용, 매출액 178십억유로, 수출 57.9십억유로 ( 산업구조 ) 프랑스는서비스업중심의산업구조로부가기치기준정보통신업 4.9%, 부동산 12.9%, 전문직, 과학, 기술, 행정및지원서비스 12.8%, 공공행정, 국방, 교육, 보건및사회서비스 23.2% 등이며에너지포함제조업은 13.8% 에불과 [ 그림 2-1] 부가가치기준산업별비중 (2014 년기준 ) ( 단위 : %) 자료 : OECD 산업정책 (Industrie du Futur) 2015년 4월올랑드대통령은 Industrie du Futur( 미래의산업 ) 을발표 년프랑스신산업 (Nouvelle France Industrielle) 을위한 34개의제조업회복계획 * 을출범시켰고, 미래의산업은프랑스의신사업화를위한 2단계 - 34개제조업회복계획의목표는지방에서새롭고경쟁적인공급을할수있는산업과경제의주체들을모으는것으로재생에너지, 소프트웨어와임베디드시스템, 의료바이오기술, 증강현실과나노기술등과관련

9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89-5개의축에의존 : 1 기술공급의발전 2 전환을하는기업에대한지원 3 근로자직업훈련 4 국제적협력강화 5 프랑스미래산업촉진 - 미래의산업을위해국가, 레지옹 (Régions),* 연구, 직업교육및교육기관, 산업관련조직및노동조합등과연합 * 레지옹은우리나라의광역자치단체에해당 (9대솔루션 ) 산업의현대화와디지털에의해기업의경제모델전환지원을통해새로운산업프랑스를위한 9개솔루션제시 - 1 신자원 2 지속가능한도시 3 생태적이동성 4 내일의교통수단 5 미래의학 6 데이터경제 7 인텔리전트오브젝트 8 디지털신뢰 9 인텔리전트식품 - 프랑스의레지옹들은스마트전문화를목표로정책추진중으로헬스와에너지가가장높은비중차지 [ 그림 2-2] 프랑스레지옹의스마트전문화목표시장 ( 단위 : %) 자료 : CGET 혁신역량 프랑스는특허수, 성공률, 국제적역량과영향력에서가장혁신적인국가의하나로미국, 일본에이어 3위로평가 년기준 GDP 대비국가연구개발지출비중은 2.34%, R&D 내부지출은 47,480 백만유로 (GDP 대비 2.2%), R&D 인력은 418,141명 ( 연구자는 266,222명 )

94 년기준특허는 16,533개 (16.5천유로 ), 상표는 114,950개, 디자인과모델은 64,490개 년기준주요특허출원기업은 PSA 푸조시트로엥 1,063개, Groupe Safran 717, 원자력에너지및대체에너지위원회 (CEA) 643, 르노그룹 529, 그룹 Valeo 473, 그룹로레알 SA 415, CNRS 409, 에어버스그룹 369, Robert Bosch GmbH 327, 그룹 Thales 302개 - 프랑스의유럽특허청에대한특허제출은 2014년기준 10,557개로 EU 67,059개의 15.7% 로독일 25,621개에이어 EU내 2위 - 혁신자본 (capital-innovation) 에대한투자액은 2014년 626백만유로로 2003년 332백만유로에비해 2배증가 ( 부문별혁신 ) 정보통신, 금융보험업, 과학기술활동이혁신기업이차지하는비중이높은편 - 소매업과교통및창고업이가장혁신의비중이낮은편 < 표 2-1> 2010~12 년부문별혁신비중 ( 단위 : 전체기업수대비 %) 기술혁신 분야조직화마케팅혁신전체제품혁신방식혁신유형 제조업, 채굴업및기타 소매업 교통및창고업 정보통신 금융보험업 과학기술활동 총계 자료 : INSEE 모든 2. 창업생태계현황 가. 창업현황 창업기업전반 ( 창업기업수 ) 프랑스는 2015 년기준창업기업수가 525,100 개로 2014 년 550,700 개보다

95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91 5% 감소 - ( 혁신클러스터 ) 전체창업의 27% 가수도권에해당하는파리를포함한일드프랑스 (Île-e-France) 지역이며수도권창업의 29% 가기업지원활동분야 - ( 창업자특성 ) 개별기업설립자의평균연령은 38세이며, 정보통신분야의설립자평균연령이가장낮아 33세이며, 미성년창업자도 130개로소기업창업 - ( 창업추이 ) 프랑스는 2008년글로벌금융위기이후창업기업수가급격하게증가 * - ( 창업환경 ) 프랑스는다른국가들에비해창업이쉬워, 창업은 5개의절차를거쳐평균 7일소요 (G20 는평균 22일및 8개절차 ), 창업비용은거주민당평균소득의 0.9%(G20는 9%) [ 그림 2-3] 창업추이 자료 : INSEE 혁신기업 (JEI) (JEI) 2004년에도입된젊은혁신기업 (Jeune entreprise innovante, JEI)* 제도는지난 11 년동안 7,400개의기업이총 1,195백만유로의사회적부담금면제와약 150백만유로의조세감면혜택 - ( 수혜요건 ) 젊은혁신기업의지위를얻기위해서는중소기업이고, 설립된지적어도 8년미만이고독립적이며연구에최소한의지출을하고있어야하며실질적으로새로운즉현존하는활동의조정이나인수가아니어야한다는 5가지조건츙족

96 92 - ( 혜택 ) 질병보험과노령보험의보험료, 특정근로자들과경영자들에게보상으로서지급되는가족수당등의면제를받으며기업설립후연속 7년간의마지막날까지즉최대한 8년이며 4년차와 7년차사이에지원이축소되어 4년차는 75%, 5년차는 50%, 6년차는 30%, 설립연도이후 7년차의마지막날은 10% 등 - ( 고용 ) 2014년기준 10개중 8개의 JEI가 10명미만의근로자를고용하고대부분의 R&D와혁신에영향을주고근로자의 85% 에대해사회적기여금면제 ( 단지 JEI의 36% 만혜택 )* - ( 매출 ) JEI는매출액의 1/3은투자를하며 10개기업중 3개기업은수출기업 - ( 분야 ) 2014년기준 JEI는 3,299개이며전문화, 과학기술활동과정보통신분야에가장많아이두분야의비중이 85.2%. 프로젝트기술분야를보면 2000년대비 2014 년정보통신기술과엔지니어기술의비중이높아지고인문사회과학 / 서비스분야는비중하락 < 표 2-2> JEI 현황 (2014 년기준 ) 분야 JEI 수실질근로자수 JEI 별실질근로자수 면제된 근로자수 면제된 근로자비중 (%) JEI 에의한사회적면제평균액 ( 유로 ) 전문화, 과학기술활동 1,424 10, , ,643 정보통신 1,388 10, , ,010 제조업 247 1, , ,341 상업, 자동차와모터사이 클수리 ,114 행정서비스와유지활동 ,069 금융보험활동 ,096 물생산과유통, 하수, 폐 기물관리및공해제거 ,816 교육 ,530 기타부문 ,616 합계 3,299 23, , ,927 자료 : INSEE

97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93 < 표 2-3> 프로젝트기술분야에따라육성된혁신기업추이 (2000~2014 년 ) ( 단위 : %) 분야 ~2014 정보통신기술 생명과학 ( 의료, 바이오, 작물학, 농식품...) 엔지니어기술 ( 화학, 기계, 소재..) 인문사회과학 / 서비스 합계 자료 : INSEE ( 고용 ) 프랑스혁신기업은 2014 년기준 10,676 개로 917,000 명을고용하고매출액은 총 243 십억유로. 기업규모별로혁신기업은상시고용 10~49 명인경우가다수 (Observatoire des Pme( 2015)) 나. 주요혁신클러스터 (Pôles de compétitivité) 71개의경쟁력클러스터가있고이가운데 18개는세계적수준의클러스터로평가 - ( 클러스터정책 ) 경쟁력클러스터정책은 2005년부터도입된지역경제개발전략이자산업정책으로각지역별성장거점을만들어지역균형발전과산업발전동시추진. 혁신을지원하고 R&D의협력적프로젝트를촉진하여중소기업과중견기업들의발전을통해세계적인클러스터로성장하도록지원 - ( 외국기업 ) 2015년 6월 Facebook 이미국외부로는처음으로파리에 R&D 시설입지 - ( 중소기업 ) 주요디지털경쟁력클러스터의경우중소기업의클러스터형성 < 표 2-4> 주요디지털경쟁력클러스터 독립적인중소기업클러스터지역비중과기업수 분야 비중 기업수 Minalogic Rhône-Alpes 74% 124 나노기술, 임베디드소프트웨어 Solutions communicantes sécurisées PACA 84% 184 이력추적가능성, 연결성, 이동성, 디지털정체성 System@tic 일드프랑스 80% 456 텔레콤, 교통, 보안과방어, 소프트웨 어공학, 자유소프트웨어

98 94 클러스터 지역 독립적인중소기업 비중과기업수 비중 기업수 Cap Digital 일드프랑스 89% 521 Images & Réseaux Bretagne/ Pays de Loire Imaginove Rhône-Alpes 93% 101 Transactions électro-niques sécurisées Basse Nor-mandie 81% 71 분야 비디오게임, 디자인, 멀티미디어, 로 봇공학, 교육, 서비스, 직업훈련 85% 151 텔레콤, 영상, 네트워크 비디오게임, 시청각, 인터렉티브멀티미디어 금융거래, 서류보안교환, 디지털정체성관리 Finance Innovation 일드프랑스 69% 162 금융서비스와지불수단 ( 파리 ) 파리에만 4,000 개의스타트업이있으며세계적으로두각을나타내는 153 개의 스타트기업이존재 - 프랑스스타트업의실패율은약 90% 다. 창업관련정책 프렌치테크 ( 대통령의정책우선 ) 2012년 5월취임한올랑드대통령은혁신과스타트업 * 지원에우선순위부여 - 프랑스의디지털경제를주도하고경제성장과일자치창출을위해스타트업발굴및성장지원을위해프렌치테크 (La French Tech) 시작 - 프렌치테크는스타트업과디지털기업들의국제적성공을지원하는수단으로민간부문에투자 - 프랑스정부의정의에따르면스타트업은견고하고신속한성장을보증하는모델로세계적목표를가지고성장하는기업들이며의료기술 (medtech), 녹색기술 (cleantech), 바이오기술 (biotech), 금융 (fintech) 또는제조업기업 ( 스타트업지원정책강조 ) 프랑스정부는스타트업지원에대해특히강조 - 혁신적기업들의자기자본을위한재원조달지원, 바이오기술, 의료기술, 녹색기술, 빅데이터등의부문별이니셔티브시작 - 혁신적기업을보호하기위해지적재산권, 특허, 표준화등지원

99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주요혁신주체가. 정부및공공혁신기관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 정부기관 (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 ) 프랑스정부는 2013년 11월스타트업생태계구축을위해혁신적공공이니셔티브로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 (Initiative French Tech) 시작 프렌치테크는프랑스정부가주도하여프랑스스타트업의해외창업과외국스타트업의프랑스내창업을돕는사업 - ( 목표 ) 지역스타트업생태계및글로벌네트워크조성을통한디지털경제성장추구. 프랑스스타트업생태계의구조를만들고기업서비스와관련된구체적인규정을통해성장을가속화하는것이목표 - ( 실현방법 ) 프랑스스타트업생태계를위한연합, 벤처자본투자에의한스타트업성장촉진, 프렌치테크의국제적확대등 - ( 참여주체 ) 프렌치테크에는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 펀드등스타트업생태계의다양한민간주체들이참여 - ( 재원 ) 프렌치테크의재원은가속화에 200백만유로, 국제적매력도에 15백만유로이며중앙정부가지원하는재원은 CDC가관리 - ( 주관부처 ) 경제부디지털국프렌치테크추진팀 (Mission French Tech) 이주도하고파트너는경제재정부기업국 (Direction générale des Entreprises), 재무국 (Direction générale du Trésor), 외무부국제경제국과기업국, CDC, Bpifrance 28) 와 Business France 프렌치테크실행계획 (3가지접근방식 ) 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실행계획은연합 (Fédérer), 가속화 (Accelerer), 확산 (Rayonner) 의 3가지접근방식 1 연합 : 프랑스전역에걸쳐가능한많은플레이어의참여를유도하고협력적모멘 28) Bbpifrance 는기업에대한자금지원과기업발전을목적으로하는공공그룹으로프랑스중소기업지 원기관 (OSEO), 예금공탁금고 (Caisse des dépôts et consignations, CDC) Entrepries, 전략투자기금 (Fonds Strategique d Investissement, FSI), 및 FSI Régions 등기존 4 개기관통합

100 96 텀을촉발하기위해개방형플랫폼구축, 우수생태계에일드프랑스 ( 파리포함 ) 와 13개메트로폴 * 생태계및 9개테마생태계네트워크구축 - 메트로폴 (Métropole) 은다수의꼬뮌들로구성된꼬뮌연합체로경쟁력강화와결속을위해관할구역의경제적 생태적 교육적 문화적 사회적발전프로젝트를함께수립 추진하는지역간연대를위한공간 2 가속화 - ( 스타트업가속화기금, Fonds French Tech Accélération) Bpifrance에의해운영되는민간스타트업액셀러레이터의발굴과육성을위해 5년동안 200백만유로가투자되며 IoT와헬스테크지원 - (Bourse French Tech) Bpifrance 에의해운영되는스타트업을위한시드펀드로지원부문별스타트업설립촉진을위해 2015년 1만~3 만유로655 개 Bourse로총 17백만유로가투자되어디지털프로젝트에 64% 가투자되었고 39% 는파리와수도권, 61% 는레지옹과해외영토, 2년간약 1,000개의프로젝트에총 26백만유로지원 - (Pass French Tech 프로그램 ) 파리와메트로폴프렌치테크의초고속성장기업 ( 출범 2년내 10만~5 천만유로매출액달성기업 ) 을위한프리미엄서비스제공으로 2014/2015년 48개기업 (58% 파리권, 42% 레지옹 ), 2015/16년 66개기업 (38% 파리권, 62% 레지옹 ) 등이디지털스타트업중심으로서비스를받았고보건과 IoT& 제조업기업에대해서시도중 3 확산 : 프랑스스타트업의국제적매력과가시성을촉진하여국제적매력플랫폼 (plateforme d'attractivité) 으로서의프렌치테크 (15백만유로 ) - (French Tech Hub 조성 ) 프렌치테크인증을받은커뮤니티의국제화로가장혁신적인도시에있는생태계에대한인증부여및글로벌진출목적으로 2016년말까지 20개허브조성 - (French Tech Ticket 프로그램운영 ) 프랑스에서스타트업프로젝트를개발하고자하는재능있는외국인기업가유치를위한서비스패키지로 2017년 1월부터 70개해외스타트업도착예정

101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97 메트로폴프렌치테크 프랑스정부는지역의스타트업활성화 * 를위해지역별네트워크를선정, 메트로폴프렌치테크 (Metropoles French Tech) 인증부여 - ( 참여주체 ) 주력산업과참여대기업은있으나일대일관계가아니유연한관계를유지하고있으며메트로폴협의체 ( 월1회 ) 를통한상향식의사결정채택 * 라벨링의목적은프랑스전역을거대한스타트업액셀러레이터로만드는데있음 - ( 참여기관 ) 정부부처 *, 공공기관 **, 민간액셀러레이터, 교육기관등과협업으로사업을추진함 * 경제 산업 디지털부산하프렌치테크추진팀 (Mission French Tech) 이주도하고파트너는경제재정부 (Ministère de l'économie) 의기업국 (Direction generale des Entreprises) 과재무국 (Direction generale du Tresor), 외무부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et du développement international) 의국제경제국 (Direction des entreprises et de l économie internationale) ** 투자위원회 (Commissariat General a l Investissement), 예금공탁금고 (Caisse des Depots et Consignations), 공공투자은행 (Bpifrance), 무역투자청 (Business France) - ( 운영조직 ) 경제 산업 디지털부산하프렌치테크미션팀과각메트로폴의운영팀이협업을통해프로젝트공동개발및관리 - ( 자금지원 ) 메트로폴의별도자금은없고가속화기금 *, 프렌치테크패스 (Pass French Tech)**, 프렌치테크장학금 (Bourse French Tech)*** 등을활용하여프로젝트별로자금지원 * 스타트업에투자하는펀드, 또는스타트업에서비스를제공하는회사에민간투자자들과공동투자. 미래투자프로그램하에 Bpifrance 를통해집행, 총 2억유로규모. 4~5년간 20개프로젝트에투자할계획 ** 고성장하는기업을위한프리미엄프로그램. 자금지원 (BpiFrance 이집행 ), 국제화, 혁신, 사업발달, 인지도증대를지원. 디지털, 제조업, 보건 ( 시범운영 ) 분야 *** 고성장하는개별기업의비용중 70% 를보조. Bpifrance 에의해집행되며건당 3 만~4.5 만유로한도 - ( 선정절차 ) 3단계의선정절차 ( 상시적모집 시범운영 성과평가 ) 의단계를거쳐신규인증부여, 갱신, 종료결정

102 98 - ( 상시모집 ) 프로젝트제안자 * 가프렌치테크미션팀에프로젝트를신청하여공동개발을진행하고외부위원회가프로젝트평가 ** * 메트로폴내의공공및민간주체들의연합으로구성 ( 공공 / 민간액셀러레이터, 대기업, 스타트업등 ) ** 심사통과하여 1년간라벨링자격부여, 공동개발단계로반려, 기각중결정 - (1년간시험운영 ) 확정적세부전략수립, 액셀러레이팅프로그램을운영하고프로그램총괄담당자가성과도출및 3년간운영계획수립 - ( 주기적갱신 ) 매 3년마다성과지표를기준으로평가를시행하고새로운구성발표를통해외부위원회에서인증갱신및종료결정 프렌치테크테마네트워크 주력산업별로특화된스타트업생태계를육성하기위해프렌치테크테마네트워크 (Réseaux Thématiques French Tech) 인증부여 - ( 참여주체 ) 파리인근인큐베이터, 13개메트로폴, 그외지역인큐베이터 산업협회 (ex. 프랑스보건협회 ) 등지역혁신주체가각테마별네트워크 * 에참여 * 각테마별로선출된사무총장은회의소집, 로드맵작성및실행을주도 - ( 운영방식 ) 법적구조없이공동의프로젝트를수행하는지역별혁신주체들의자율에따라운영 [ 그림 2-4] 프렌치테크테마네트워크운영방식

10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99 - ( 자금 ) 프렌치테크테마네트워크를위한별도의자금없이, 테마별추진프로젝트성격에따라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프로그램및자금활용 * 기존프렌치테크이니셔티브자금지원절차에준하여신청 평가 승인 활용 - ( 선정절차 ) 프로젝트공모후프렌치테크협력기관 * 으로심사자를선정하여서면및발표심사를진행하고 2년활동후재평가시행 나. 민간혁신기관 인큐베이터 인큐베이터는공공연구, 학교등다양한차원에서진행 - ( 공공연구연계공공인큐베이터 ) Agoranov(Paris), incuballiance(orsay), 국가, 레지옹, 데빠르트망, EU 등공공행정에의해스타트업은사무실, 멘토등지원 - ( 엔지니어전문학교연계 ) Télécom Paristech Entrepreneurs(Paris), Telecom & Management Sud Paris Entrepreneurs(Evry, Arcueil), Ecole Polytechnique(X Technologies 또는 X TECH), CentraleSupelec, Ecole des Mines de Paris, ISEN(Institut superieur de l electronique et du numerique, 툴롱 ) - (école 42) 2015년초학생들이만든자신들의기업가공동체로 Entrepreneur42, 액셀러레이터 42Valley - ( 상업전문학교연계 ) HEC Incubatuer, ESCP Europe, ESSEC, EDHEC, ESCEM, Novencia, IFAG, Campus Cluster Paris Innovation, Science Po, Sorbonne Entrepreneurs, Peego de Dauphin, D-incubateur 등 - ( 디자인학교및그래픽아트 ) Les Goblins, Strate College - 지방자치단체인큐베이터, 대기업내부인큐베이터 - (Full Booster) 디지털스타트업 - le Comptoir: Moovjee, JP Morgan, Seine Saint-Denis 공동지원

104 100 < 표 2-5> 주요인큐베이터 인큐베이터운영주체개요 EPITA 년초액셀러레이터 Startup42 츨범 : 학교및기업파트너클럽 - 4 개월간액셀러레이션 : 기술, 마케팅, 비즈니스, EPITA 내작업공간, 공공및민간재원과연계 - 10 여명의외부자원봉사지원자들에의해멘토링과코칭 - 스타트업선택은서류에근거 ( 팀에최소한개발자 1 명포함 ) - Econocom, Sales Force, Alcatel, Face-book, Amazon et France Télévisions 등 이지원 EPITECH IONIS 361 Startup in vitro Campus Cluster Paris Innovation CREATIS IONIS HEC 파리시 파리시, Bpifrance - Google, Push&Pull 과공동설립하고 Bouygues 와파트너 - 정보부문의 Epitech Innovative Projects(EIP): 4 학년과 5 학년학생그룹의혁 신적인프로젝트 년 10 여개의프로젝트선택 : 6 개월간인큐베이터 Creative Valley 와후 원자들에의한소프트웨어또는서비스 년에는 Forward 프로그램과함께 EIP 를 3 학년학생들에게도적용 : 프로 젝트아이디어유발을 1 주일동안하고 9 월학기시작때디지털기기로기 업문제의해결에몰두하고 10 월부터다음해 2 월까지학생들은사전프로젝 트작업, 3 월에프로젝트를학교생태계인 Makers Fair 에서발표 - melty.fr, Prestashop, Scope(Cybercar) 등의스타트업탄생 년초파리에최초의다수의학교들의국가인큐베이터설립 - EPITA, ISG, ISEG, Epitech, ESME Sudria, IPSA, e-artsup, ETNA, SUP'Internet, Executive MBA Epitech 등연계 - 프랑스의다른지역까지확대 : Bordeaux, Lille, Lyon, Marseille, Montpellier, Nancy, Nantes, Nice, Rennes, Strasbourg et Toulouse - HEC 학생이나출신으로이루어진네트워크와연계하여스타트업출발하며 공공이나민간부문연구실의혁신과연계 - 매넌마지막 3 학기때신청을받아기획가와실험실은선발위원회에서심의 - 기획자들은 HEC 인큐베이터의혁신기업지원교육을받고육성 년파리에서 3000 명의학생참여 - Innovation Factory 에위치하며기업, 기획자와학생들의만남의장소 - 주말마다 3 일간의 Startup Weekends, Las Vegas 여행등조직 - Innovation Factory 는 Bouygues Telecom, Accor, Pernod, le PMU et Bpifrance 등이지원 - 문화기획자들의거주지 - 문화분야의기업과혁신을위한플랫폼 : 미디어, 시청각, 애니메이션, 음악, 건축, 웹컬처, 광고, 비디오게임, 조형예술, 사진, 패션, 요리, 디자인, 출판, 라디오, 공연, 공공예술등 - 3/4 이상의프로젝트는디지털과결합 - 문화분야의기업설립과발전지원을위해개인화된전문가, 재원등생태 계와연결 - 40 개이상의기업이인큐베이터와공동작업

105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01 인큐베이터운영주체개요 1001Startups 년 10 월올랑드대통령제안으로 Xavier Niel 이 150 백만유로를투자 ( 부동산과공사 ) - 세계에서가장큰인큐베이터로 2017 년 Halle Freyssinet 에개장하며 1,000 개 의스타트업목표 개회의실과공동작업실, 식당, 컨퍼런스룸 (350 석 ), FabLab - Bpifrance 또는기업설립을위한서비스등국가서비스입주로경험이있는 기업가들의자문, 서비스와투자자연결등 - 스타트업은수년간입주가능 - 프랑스 Microsoft Ventures 가운영담당 액셀러레이터 다양한유형의액셀레이터가존재하며지역에거점을두고스타트업지원중. 액셀러 레이터는프렌치테크메트로폴, 테마네트워크등에참여하고있음 < 표 2-6> 주요액셀레이터 액셀러레이터 Idénergie NUMA TheFamily 개요 - 프랑스최초의액셀러레이터로 2007 년설립 년말, 18 개의프로젝트지원. 34 개스타트업과서비스수혜자들이 exit - Crédit Mutuel 이공동지원 - Le Camping 으로 2011 년 1 월 Paris 에설립 년이래복수의기금모금과국제적개발자 - 1,500 m2 에공동작업공간, 액셀러레이터, fablab, 스튜디오비디오 ( 구글후원 ), 컨 퍼런스룸, 오픈이노베이션을위해대기업들도참여 년 10 월, 104 개스타트업에대해 60 백만유로이상투자 - 7 개의산업에서 50 백만유로회수 - 현재 20 여개의스타트업이입주 (600 여개의신청에서선택 ) - 40 여명의멘토, 이용자공동체와제품을위해연합 - 스타트업은 4 개월동안대규모오픈스페이스에서작업하고금융, 마케팅, 대화법 등에대한다양한교육, 지원과정에서영어사용권유 년이래 NUMA 는 5% 까지액셀레이터하는스타트업에참여 - Cisco, BNP Paribas, Orange, Google, L Atelier BNP Paribas, SNCF 등지원 - 세계의인큐베이터들과파트너십 : 모스크바, 벵골. 카사블랑카, 바르셀로나등 12 개국가에서국제화 년 Alice Zagury, Oussama Ammar, Nicolas Colin 등이설립 - Marc Ménasé(MenInvest), Burckhardt Bonello(Found Fair Ventures), le fonds Index Venture 등민간자본지원

106 102 액셀러레이터 TheFamily L Accélérateur Capital Partners94 50 Partners 개요 백만달러 (6.6 백만달러는 2016 년 2 월스페인이시작하는국제개발지원 ) 자금 - 파리에서 1 년에 100 개이상의스타트업지원 - 지원기업에대해 3% 지분을획득하는금융지원 - 지원은단계별교육의형태 : 소매업, 금융, 의료, 교통과텔레콤 - Michel de Guilhermier, Juan Hernandez, Jona-than Lascar 등이설립 - 스타트업에 15 천유로투자, 4 개월코치후기획가들은액셀러레이터가공동투자 하는 Business Angels 와벤처자본에프로젝트소개 - evergreen 기금 : 5 년내에액싯하는것이아니라가능한장기적으로스타트업 자본유지 년 10 월 50 개스타트업 : 1001Menus, Pay-plug Citygoo, Web engineering, Smartpark et My Pop Corner 년파리에설립 (650m²) - 50 명의기업가들에의해설립 (Olivier Aizac(LeBonCoin), Frédéric Mazzella(Blablacar), Justin Ziegler(Priceminister), e Pierre Trémolières(delamaison.fr) 등 ) - 18 개월의멘토링프로그램, 기금모금, 파트너네트워크지원 - 50 명의파트너들은스타트업과정기적인회의에참여하고프로젝트의성공에자 본연계 - 파트너로는대기업인 Amazon, Google, Twitter, Uber, CapGemini, Publicis 등이기 술및지원 - 1 년에 5~7 개프로젝트, 우편함서비스 ( 프로그램비참여자도가능 ) 다. 투자자 ( 단계별지원 ) 프랑스는스타트업의계획부터확장단계까지민간과공공이다양한금융적지원을감행하고있으며, 개별기업은직접스타트업을지원함 - ( 민간재원 ) 자신과친지들로부터의 Love Money, 크라우드펀딩, Business Angels, 벤처캐피탈, 민간이구성한다양한기금 - ( 공공재원 ) Bpifrance, 지역기반의고용거점이나경쟁력클러스터, 유럽연합등의기금들이있고특히스타트업의계획과시작단계에지원집중

107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03 [ 그림 2-5] 스타트업의단계별 재원별지원 자료 : Olivier Ezratty(2016) ( 다양한지원프로그램 ) 공공과민간은스타트업을지원하기위해다양한분야에서지원 프로그램에따라투자나대출 < 표 2-7> 지원조직및지원현황 조직활동분야지원수지원프로젝트수 투자또는대출총액 ( 백만유로 ) Bpifrance 의투자에대한지원및대출전부문 - 4,582 1,091 중소기업과스타트업에대한 Bpifrance 의 자본투자 투자기금 (fonds d'investissements) 내에 Bpifrance 투자 전부문 전부문 혁신기업인증을받은중소기업에대한 Bpifrance에의한기금접근 전부문 277 i-lab( 혁신기술기업의창업에대한지원을위한국가콩쿠르 ) 혁신기술 Paris&Co ICT, 의료, 디자인 - >600 Bpifrance와 PIA Réseau Initiative France 전부문 - 16, Réseau Entreprendre 전부문 Scientipôle Inititative 하이테크, 의효기술, 그린기술, 소재 Business angels en France 전부문 Paris Business Angels 전부문 Capital Risque(VCs) 하이테크, 바이오, 그린 >3, ,047

108 104 ( 크라우드펀딩 ) 디지털경제의재원조달방식으로대두되고있는크라우드펀딩은초기 자금의모금에기여 < 표 2-8> 디지털스타트업중심의크라우드펀딩 대출에의한크라우드펀딩 SPEAR(Société Pour une Épargne Activement Responsable) - 연대금융협동조합으로 HEC, Centrale Paris, Dauphine 출신의 3 명의청년이창업 - 개인저축자들이프로젝트선택하며이자율은은행보다 1% 낮은편 - 저축자들은리스크가없이파트너은행계좌에저축을하여협동조합에가입되므 로리스크는은행이부담 - 이러한저축은소득세 18% 공제, 자산에대한연대세 50% 공제, 100 유로이상한도없이가능, 평균은 2,300 유로 - 창업, 기존기업과연합체등 - 중소기업에게 500천~5 백만유로를모금 Origin Investing - 상업투자, R&D, 인력채용, 국제발전등에장기간참여 (7년) 자본에의한크라우드펀딩 WiSeed OCP Finance Fundme LoveMoney.org Anaxago Smart Angels - 툴루즈에기반을둔스타트업으로젊은혁신기업들의시작에대한재원조달 - 수백만유로모금, 1,000 명이상의투자가 - 약 700 유로에서 900 유로, 100 유로와 30 천유로등 - 스타트업이사이트에제안되기전에이들의서류를분석하고선택하며이를위 해몇주일소요 - 스타트업은특화된블로그에서류를제출하고기금모금을위한비디오촬영 - 자금모금은최대 3 개월이며운영비용은모금된자금의 1.5% - 1 년에 10 여개, 평균 300 천유로 (100 천 ~800 천유로 ) - 플랫폼 Cap Angel 이라는기업가들이친구들에게투자권유하는사이트에서출발 - 자금모금의 6% 를공제하며 3% 는투자가 3% 는기업가가담당 년 7월기준 300개이상제안, 1/3은디지털산업 - 스타트업과투자가들이연계하며 500개이상스타트업지원 - 인터넷을통한스타트업과중소기업지원으로설립이후리스크축소가목적이며 디지털에특화된것은아님 유로부터투자 - 1 개의프로젝트에 150 개투자까지가능 - 회사는자금모금에 5% 커미션 년 9월에설립되었고개인이인터넷으로투자 - 관리비용은 2500유로까지는 100유로, 그이상은투자의 4% UstartMe Sowefund 년에만들어진기업가들의사회적네트워크 - 기업가들이서비스수혜자들과관계를가지며자금을지원하는지원자나투자가 들과도연계 년 3 월, 143 개의스타트업과 34 개의투자가 - 자본이취약한스타트업들이 Paris Business Angels 과 IT Angels 과같은비즈니스 엔젤의네트워크에참여가능

109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05 ( 벤처캐피탈 ) 프랑스는유럽에서벤처캐피탈투자가활발한편 - 벤처캐피탈투자금액은 9,451 백만유로로영국에이어 2 위, 투자금액의 GDP 대비비 중은 0.433% 로영국, 덴마크에이어 3 위로스타트업단계에가장많이투자 < 표 2-9> 단계별벤처캐피탈투자 (2015 년기준 ) ( 단위 : 백만유로, 개 ) 금액 투자시작단계스타트업단계 GDP 대비 % 기업수금액기업수금액기업수금액기업수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덴마크 1, 독일 5, ,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1, 프랑스 9, 이탈리아 1, 룩셈부르크 헝가리 네덜란드 1, 오스트리아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핀란드 스웨덴 1, 영국 20, 노르웨이 1, 스위스 자료 : EUROSTAT 프랑스는 1980 년대부터벤처캐피탈이발전하기시작하여벤처캐피탈대기업들이디 지털분야스타트업육성에투자

110 106 < 표 2-10> 프랑스의디지털벤처캐피탈대기업 기업설립연도규모분야 Exit 2000년바이오기술을네트파트너, - 제외한모든 2007년 360 Capital Partners Alven Capital Amundi Private Equity Funds A Plus Finance Auriga Partners 현형태 Ardian 1996 Banexi Ventures Elaia Partners i-source Gestion ID-Invest Partners 150 백만유로 2.5 십억 유로 220 백만 유로 이상 분야 전자상거래, 미디어, 인터넷, 응용기술, 모바일, 소프트웨어등 모든부문 e- 비즈니스, 녹색기술, 소프트웨어, 서비스, 영화 Adomos, enenis, Freever, Leetchi, SelfTrade, Smartjog, Soamat 등 Boursier.com, BIME, Bi-Sam, Companeo, Dioranews, eaccess, emos, filao, Compren-dreChoisir.com, hi-media, liligo.com, Mandriva, Manreo, Meiosys, NetBooster, Polyplan Technolo-gies, Realviz, Se-Loger.com, sports.fr, voxmobili, wanimo, webhelp, WMI Sarenza, Darqroom 정보통신기술 Neolane), Open-Plug 백만 유로 100 백만 유로 인터넷, 소프트웨어, 디지털미디어, e-서비스인터넷 ( 선도세대에초점 ), 전자솔루션, - Adverline, Anuman, Arkadin, Cartesis, Digiplug, GotoSoftware, Illiad, Harvest Indom, Photonis, Prod-Ware, Seloger, FRA, Meninvest, Modelabs, OutremerTelecom, Ulike.net, Indom Kelkoo, Kewego, Keljob, Inventel, Tedemis 이상의료기기기업애플리케이션, 80 임베디드백만 Calendra, Criteo, Inforsense, JWare, Mirane, OpenTrust, Ornis. 소ㅡ트웨어, 유로범용솔루션소프트웨어, Advestigo, Akazi, Aldebaran Robotics, b-process, 멀티미디어, Bionatics, Calendra, Etiam, Isotools, Jware, Jobpartners, 185 텔레콤, K-Mobile, Letitwave, matvpratique, NotreFamille, 백만비디오게임, 부품, Memscap, Movea, Netia, Octogone, OpenPlug, Polyspace, 유로임베디드시스템, Realeyes 3D, Rhapso, UDCast, Screen Tonic, Smartjog, 생태기술 Streamezzo, Trace One, Xcalia, Webjam 3 십억 유로 인터넷, 소프트웨어, 온라인게임, 텔레콤 1999 년이래 32 개양도, Cos-mosBay, Criteo, Deezer, Erenis, Lea, Leetch, Sarenza, Travel Price, Sefas Innovation, Steek, Telisma, DailyMotion

111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07 기업설립연도규모분야 Exit Innovacom 백만유로 네트워크, 텔레콤, 기업소프트웨어, 인터넷, 소재, 개발도구, 디지털미디어, 디지털기술 Alapage, Atrica, Business Objects, aufeminin, Chorus, Coheris, Da-Light, Device Anywhere, Digitick, Gemplus, HighWave, InfoVista, Innovacard, Inventel, Jabber, Kelkoo, Kynogon, Maximiles, Memscap, NetCentrex, Qosmetrix, RightVision, SLP, Soitec, Steek, Streammezzo, Trusted Logic, Telisma, XCalia IRIS Capital Newfund Capital Omnes Capital 백만 유로 70 백만유로. 400 백만 유로 이상 텔레커뮤니케이션, 미디어, 인터넷, 서비스 디지털 ( 하드웨어, Saas, 전자성거래 ), E- 의료, 생명과학 ( 바이오, 의료, 진단 )). France Animation, Everbee, Letitwave, Netatmo, OpenTrust, OpenWave, Paris Premiere, Reportive, SLP Infoware, Smart Trade, SFR, Soft2You, SwapCom, Varioptic, VoxMobili, Wavecom, Wavecom, WStore, Xcalia 등. 200 개의투자에대해모든범주의 170 개졸업 AdenClassified, Aldebaran Robotics, Bizanga, DibCom, Egencia, Erenis, Es-mertec, Meiosys, Miyowa, Musiwave, Oclio, Open-Trust, Sparus, TraderForce, 3D Plus, Adamance, Aquafadas, Ariane, Temis, Envivio Systems, ExaProject, ESL, Soamaï, Direct Ener-gie, SI Automation, Ornis, Fovea, Bizanga Store, PanGenetics, Biovex, 3Dplus, MonSho-wroom, Aldebara, Aquafadas, EVE, Novaled, Circulite, Plista. 51 개투자, 30 개이상의엑싯, 13 개상장 OTC Assets Management 텔레콤, 오픈소스포함소프트웨어, 비디오게임, 보안, 오디오비주얼서비스 Business Interactif, Casanova, Codasystem, Digiplug, ESI Group, iscool Entertainment, Intoan, Modelabs, movie system, Travel Price, Risc Group. Partech International 백만 달러 인터넷, 전자상거래, 사회미디어, 임제디드솔루션 Apsylog, Business Objects, Cartesis, Dibcom, Daily Motion, Brand-forfriends, Digitick, Job Partners, La Fourchette, Pertinence Serena Capital 백만 유로 인터넷, 미디어, 소프트웨어, 텔레콤, 모바일, 전자소비재 Sequans Seventure Partners 백만 유로 텔레콤, 전자상거래, 인터넷, 소프트웨어, Anevia, Assurone, Vistraprint, Parrot, Pixium Vision, Santaris Pharma 팹리스반도체

112 108 기업설립연도규모분야 Exit Siparex 1977 Sofinnova Truffle Capital 1972, ( 프랑스에서 가장오래된벤처 ) 2002 Ventech 1998 Xange Private Equity 2008 약 420 백만 유로 십억 유로 500 백만유로 510 백만 유로 200 백만 유로 이상 모든부문 정보기술, 생명과학, 환경공학 유럽의에너지, 디지털, 생명과학 Ipanema Technologies Vision, Movetis, Sensitive Objects, Sprice, Streammezzo, Varioptic, VistaPrint, Qosmos. 유럽에서 460 개기업지원 AS Group, ISIS, Keyo, Momac. 웹, 모바일, Alapage, Altitude Télécoms, b-process, Business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반도체, 전자소재 Décision, Calendra, Internext, Inmac Wstore, K-Mobile, Meilleurtaux, Musi-wave, Racinglive, Telisma, Virtools, Wengo 기업소프트웨어, CRM, 협력작업, 커뮤니케이션솔루션, 인터넷, 서비스, 비물질화, 콘텐츠 Abaxia, BBSP, Acticall, Kiala, MixCommerce, Neolane, Quaternove, RunMypro-cess, Sefas, Variop-tic, Vision Objects ( 공공재원 ) 프랑스는다양한공공재원이있으며재원은주로레지옹등지역기반이나지역정책과관련되어조달가능 - (Bpifrance) 스타트업도일종의중소기업이기때문에많은공공재원들이 Bpifrance 를통해배분 공공투자은행 (Bpifrance) ( 설립배경 ) 2012 년 12 월 31 일법 (loi du 31 décembre 2012) 에의해설립된공공투자은행 (Bpifrance) 은 프랑수아올랑드대통령이대선후보시절내건 60 개공약중제 1 순위 - 올랑드후보는공공투자은행을설립하고지역기금들을운용하여중소기업들의발전을도모하고레 지옹들이지방발전과프랑스의경쟁력을위한전략적기업들의지원에참여하도록하여레지옹이 경제활성화의중심점이되게하고, 재원의일부분은사회적 연대적경제의발전을지원하겠다고제안 - Bbpifrance는기업에대한자금지원과기업발전을목적으로하는공공그룹으로프랑스 중소기업지원기관 (OSEO), 예금공탁금고 (Caisse des dépôts et consignations, CDC) Entrepries, 전략투 자기금 (Fonds Strategique d Investissement, FSI), 및 FSI Régions 등기존 4 개기관통합 년 7 월 12 일 Bpifrance 는 210 억유로의자본을가진공공그룹으로출범 - Bpifrance 는국가와 CDC 가각각 50% 의지분을보유하고전체그룹의운용책임

11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09 ( 설립목표 ) Bbpifrance 의목적은중소기업, 중견기업및혁신기업에게총체적인금융지원을하는것이우선순위 - Bpifrance 는각레지옹 (région) 내단일창구 (guichets uniques) 를통해기업들의혁신과수출에대해지원 - 중소기업과중견기업의국제화를강화하기위해수출을지원하고국제화를원하는기업들을좀더 효율적으로지원하기위해 Bpifrance Export 인증 ( 주요임무 ) Bbpifrance 는혁신기업의 R&D 를지원하고민간투자에의해위험을커버할수없는가장위험한단계나다른금융기관과함께리스크를공유해야하는미래의투자에개입 - Bpifrance 의주요임무는중소기업의재원조달에장애가되는시장실패완화, 산업의디지털화및 생태적이고에너지적인전환, 사회적 연대적경제등미래의전략적부문의발전에대한투자, 레 지옹과의연계하에전국토의발전을위한강력한개입수단구성등 ( 운영방식 ) 레지옹들은 Bpifrance 의모든거버넌스에참여 - ( 이사회 ) 이사회는 EPIC BPI-Groupe, Bpifrance Financement, Bpifrance Investissement, Bpifrance Régions 등을대표하는사람들이참여하며 1 명의의장과 12 명의이사로구성 - ( 자문위원회 ) 자문위원회 (comités d orientation) 는국가및레지옹위원회로 3 명의레지옹대표들이 국가자문위원회 (Comité national d orientation, CNO) 에참여하며 CNO 는 bpifrance 의전략과개입원 리에대한의견 - 레지옹자문위원회 (Comités d orientation régionaux,cro) 는지역차원에서 CNO 와동일한임무를가지며, Bpifrance 의활동과국가의전략적방향사이의일관성에대한레지옹의의견제시 [ 그림 2-6] Bpifrance 지원구조

114 110 < 표 2-11> 대표적인공공재원 고용거점 (Pôle Emploi) 무이자신용대출 (Prêts d honneur) Statut Jeune Entreprise Innovante - 창업단계에있는기업간부출신들에게실업수당과함께보상허용 : 50 살미만창 업자에게는 24 개월까지실업수당유지또는 50 살미만창업자에게 12 개월수당 ( 최고 ) 에해당하는그의권리의절반에상응하는자본제공 ( 창업지원 ) - Entreprendre et Initiative France 네트워크연합이창업자에게제안 - 대출은개인별차별없이스타트업의자기자본을확대하고 R&D, 판매, 마케팅지원 - 4~5 년동안이자율 0% 대출 - Bpifrance 는 2 개의주요한네트워크 1) Réseau Initiative France - 지방주도의 230 개플랫폼에서대출을하고기업사장들이기업창업자들을코칭 년 16,000 개대출, 평균 7800 유로 Scientipôle Initiative 년에출범한 Réseau Initiative France 의일드프랑스지역구성원으로혁신적기업창업에초점을맞추고일드프랑스, CDC, 일드프랑스의회, 유럽사회기금, 다양 한은행과 25 개민간산업파트너 (HP, Oracle, etc) 로구성 - 2 만유로를제공하고최고 6 만유로 년 457 개스타트업을지원하였고그중 65% 가상업과엔지니어그랑제콜인 큐베이터출신 년 120 개스타트업에게 6.8 백만유로를 0% 이자율로대출하여평균 57,000 유로를대출하였고 90 개는상업적가속화서비스 년민간이지원하는 2 개의기금을창설 ( 실버경제와미래교통수단 ) 하여 3 만 -12 만유로를지원 년 Scienti-pôle 지원을받은스타트업들은총 151 백만유로의자금을모아스타 트업당 300,000 유로이상모금 - Scientipôle 은전문가역량 ( 유급 ) 과기업기술지원강조 - 신정보기술, 생태기술과의료등에집중하며재정지원은받지만공공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인방식으로운영 년에출범한 Scientipôle Croissance 는 Scientipôle Initiative 의지원을받는기업을가능한빨리매출액이수백만유로가되도록서비스지원. 코칭, 교육, 산업화, 재산권보호와가치화, 국제적발전등지원 2) Réseau Entreprendre - 기업사장들의네트워크로중소기업창업자들을돕고 (15,000~90,000 유로 ), 무상으로 3200 개기업경영자를코칭 - 파리의경우 170 개기업의사장이스타트업코칭하며 1 년에 300 개의사업계획을 수령하여 40% 는자금모금을하며국가적차원에서약 500 개의새로운계획이지원되고 15~20% 는고기술분야 ( 디지털, 바이오테크 / 의료, 환경 ) 년에시작하여 2016 년말까지시행 - 5 가지조건 : 설립 8 년미만, 중소기업 (250 명미만, 매출액 50 백만유로미만 ), 50% 이상이자연인에의해소유, 실질적인새로운기업. 기업비용중적어도 15% 를연구개발에지출 - 조세면제혜택은 7 년, 2008 년 6 월 15 일설립은 8 년

115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11 Statut Jeune Entreprise Innovante Crédit Impôt Recherche Pôles de compétitivité 미래투자프로그램 (Programme Investissements d avenir ) Société d Accélération du Transfert de Technologies (SATT) 기술연구기관 (Institut de Recherche Technologique, RT) 시작을위한 국가기금 (Fonds national d amorcage, FNA) 기업혁신유럽센터 (Centre Européen d Entreprise et d Innovation,CEEI) - 법인세감면은첫번째감면은 100%, 두번째감면은 50% - 부동산세와지역경제기여금 (Contribution Economique Territoriale) 은지자체에의해감면 년에만들어진 CIR 은민간연구를지원하는핵심적인공공정책으로기본적인 연구지출이나실험적개발운영을하는기업에게조세감면혜택 - CIR 은지출과세대상의 30% 년정부는혁신을위해 Crédit Impôt innovation(cii) 을도입하여중소기업의 신제품과관련된운영에적용 : 인건비지출, 혁신과정중감가상각비용, 특허, 디자 인또는모델과관련된지적재산권의보호관련지출, 혁신협약에의한민간기관산하하청, 400,000 유로가한도이며지출의 20% 년 Crédit d'impôt Compétitivité et Emploi 도입 : 근로자에게지불된총보상에 조응하여 2013년에는 4%, 2014년에는 6% 적용 년부터시행 - 소기업과대기업, 연구실들과교육기관등이일정하게주어진주제하에동일한 지역에집적하여혁신을지원하고 R&D의협력적프로젝트발전촉진 - PIA는 2009년프랑스의미래를준비하기위해탄생된프로그램으로수월성, 혁신 과협력추구 : 수월성이란지원을받는대학, 기관, 실험실, 산업등이독립적인평 가나전문가들의의견에따라수월성에근거한선택의미, 혁신은 PIA 의수혜를 받기위해서는새로운기여를해야한다는것, 협력은프랑스의미래를가져올수있는모든총체적인것을추구한다는의미 년부터 350 억유로가프랑스경제의전략적부문인산업, 정보화, 교통수단, 에 너지, 보건등의고등교육, 연구, 가치화와혁신에투여 년부터는 120 억유로가더확대되고 2016 년 3 차 PIA 를위해 100 억유로가추가 투자되어교육과연구의발전, 연구의활용과기업의현대화가속화등추진 - SATT 는기술이전가속화를위한회사로혁신잠재력과산업의경쟁력을강화하고 혁신기업의설립과숙련기술자고용을촉진하기위해기업에대한기술이전을가속화하는것이목표 - 경쟁력클러스터에의해형성된생태계를강화하기위해산업부문과공공연구를 결합하여혁신의전과정을포함하는혁신의거점 - 공동투자를통한산업발전을위해공공과민간연구능력을재편하여새로운시장 에서프랑스가국제적우월성을확보하는것이목표 - FNA는기업들이혁신을위해다른투자가들을찾을수있을때까지지원하며 CDC가기금실행을담당하고 CDC Entreprises에의해관리 - 연구혁신국가전략 (strategie nationale pour la recherche et l innovation, SNRI) 에의 해결정된우선순위의기술부문에서창업한혁신중소기업들의자기자본의재원조달개선이주요목적 - 우선순위는보건, 식품과바이오테크놀로지, 정보, 통신과나노테크놀로지, 환경적 긴급성과환경공학등 - 유럽집행위원회가설치한것으로기업의혁신을위해지방차원에서경제적역동 성을촉진하는것이목표

116 112 라. 대기업 ( 대기업의다양한프로그램 ) 대기업, 특히디지털경제와관련되는대기업들은스타트업창업생태계에직접참여 - 대기업은스타트업기업에대한기술지원부터투자까지다양한형태로참여 < 표 2-12> 대기업의지원내용 기업기술지원마케팅 / 비지니스보육대회지원등투자 Orange 인큐베이션 SFR SFR Jeunes Talents Startup Innovacom, IRIS Capital SFR Développement Bouygues Télécom 인큐베이터 Bouygues Télécom Initiatives Microsoft Oracle Google Facebook 액셀러레이터 ( 파리 ) Finance Le Camping 상황에따라 비정기적 Launchpad IBM HP Nokia / Alcatel-Lucent SAP Partech Shaker 파트너 Microsoft Ventures Scientipôle Initiative 후원 Google Ventures Intel Intel Capital Apple Programme développeur standard AppStore Kleiner Perkins & Caufield( 미국 ) 과 공동투자기금 nvidia 가능 EY 자문과감사 Deloitte 자문과감사 Fast 50 L Express Canal+ 오프싸이트인큐베이션

117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13 기업 기술지원 마케팅 / 비지니스 보육 대회지원등 투자 M6 Media for equity France Télévisions Crédit Agricole BNP-Paribas Société Générale Allianz Groupe Seb 자료 : Olivier Ezratty(2016) 혁신스탠드 (Roland Garros, Futur en Seine) Village de l Innovation à Paris WAI (Paris, Massy) Player와 Institut Open Innovation 지원액셀러레이터 (Nice) Hackathon 에 부정기참여 Hackathons 투자기금 마. 연구기관 - ( 고등교육 ) 프랑스는수월성기반교육을하는전문화된그랑제콜 (Grands Ecoles) 부터평준화된대학까지있어고등교육수준이높은편 - 그랑제콜의경우학교내부에인큐베이터를통해스타트업육성 < 표 2-13> 주요교육기관 기관및프로그램 grandes écoles 혁신, 이전과기업가를위한학생계획 (PEPITE, Plan Etudiant Pour l'innovation, le transfert et l'entrepreneuriat) Statut National Etudiant Entrepreneur - 엔지니어또는상업 주요내용 - HEC, Essec, Centrale Paris, Mines de Paris, ESPCI 등 - 창업이학교내인큐베이터와연계 - 고등교육 연구부 (Ministère de l Enseignement Supérieur et de la Recherche) 에의해 2014 년에시작된프로그램 - 고등교육학생들이기업가정신과혁신에대한관심을가지도록교육 - 여러교육기관간전통적교육과상호연계 - D2E(Diplôme d établissement Etudiant Entrepreneur, 학생기업가학위 ) 를부여 하고 PETITE 프로그램의 29 개기관참여 - 학생들은공동작업공간무료, 프로그램출신의기획가들과학생공동체 - 매년 PEPITE 상부여 - 대학입시 ( 바칼로레아 ) 이후학생들과학위자들을대상으로공부와기업을동 시에시작 - 기업설립으로공부마지막시기대체가능 - 28 세미만의기업설립자는장학금과사회적학생체제가능

118 114 기관및프로그램 평생교육센터 MBAs 상공회의소 혁신학교 (école de l innovation) 기술과인터넷유럽학교 (Ecole Européenne des Métiers de l'internet) WebSchool Factory Audace Founder Institute Startup Leadership Program Leeaarn TVdesentrepreneurs 주요내용 - 창업을원하는기업간부들에게창업교육 - INSEAD, HEC, Institut Télécom - 파리지역 Advanciat Negocia 2 개의학교는상업과기업교육 - 연구자들과기획자들이실험실들과파트너로공동연구를하면서프로젝트 수행 - 경쟁력클러스터가있는레지옹에서진행 - 민간기관으로 Xavier Niel, Meetic, Jacques-Antoine Granjon 이 2011 년 9 월파 리에서설립 - 바칼로레아를거친최대 350 명학생을서류로모집하여 3 년동안인터넷과창업교육을하며교육 : 영어, 법, 경제학등 - 교수들은인터넷기술측면에서전문가들이며기업에서견습 - 기업가학교라기보다개발자가생산되어스타트업과인터넷서비스기업으로 진출 년창설되어 Campus Campus Cluster Paris Innovation 에위치하며 Strate College( 디자인 ), pôle ESG(e 비지니스 ), Hétic( 디지털기술 ) 과연계하여 3 개학 사과정 - 5 년과정 ( 예비학교 1 년포함 ) - 기업학교는아니만디자인, e 비즈니스, 기술분야에서스타트업관심 - 10 주간의기업가교육사이클을조직하는 1901 연합체 - 창업을원하는근로자들과임원들대상 - 교육은대부분경험있는기업가들이담당 - 비용은약 3000 유로이고고용보조금이나이자율 0% 의 prêt d honneur 가능 년말프랑스분야가설립되어 4 개월에스타트업설립가능 - 고기술분야에서기업가들을위한학교로캘리포니아에설립되어 3 개월의고강도인턴 ( 저녁에 12 개세션 ) - 프랑스와미국에서성공한기업가들이프로젝트의선택, 투자가와의협상, 인력채용, 지적재산권과파트너탐색등교육 - 교육비는 600 유로및등록비 50 유로 - 이들이프로젝트를가지고기업을설립하면 3.5% 지분참여 년부터실시된국제프로그램으로젊은스타트업지원 년보스턴에서시작하여 2015 년초 11 개국 21 개도시 - 6 개월의교육과지원 - 시뮬레이션, 케이스연구, 기업프로젝트에서제기되는질문에대한구체적인 답변 - 직업전문가들과자원봉사전문가가교육 년세계적으로 1300 개프로젝트지원, 1100 개스타트업, 500 백만유로이 상의자금모금, 산업적액싯도다수 - 교육비는 400유로 - 과목별선택으로과목당약 30~40유로 - 웹 TV 로 150 명의전문가들에의한 800 개교육비디오와 2013 년말 1,000 개프 로그램 - 1 주당 9.5 유로 ( 세금별도 ), 1 년 249 유로 ( 세금별도 )

119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15 기관및프로그램 Startup Pirates Paris European Innovation Academy OpenClassrooms et l'école polytechnique Agence Régional de l'innovation de la région PACA 주요내용 - 16~21 세의 30 명을대상으로하며파리지역기업생태계의다양한인물들에 의해주도되는하나의프로젝트에일하면서스타트업창업을교육하는 1 주 일프로그램 년 6 월말부터시행 - 기업가프로그램으로니스에서 7 월에 3 주간실시 - 전세계에서수백명이참여 ( 멘토, 투자가, 기업가, 실리콘벨리등 ) - 고성장혁신중심 : 모바일애플리케이션, 웹, 빅데이터, 커넥티드오브젝트, 3D 프린팅, 정보보안등 - 3 번째주에는고객획득에노력 년초만들어진 MOOC 형태의교육과정으로 1 단계는기업가로서의재능발견, 2 단계는사업기회와아이디어확인, 3 단계는하나의아이디어가현실 가능하고지속가능한지결정 년봄에만들어진 MOOC - 혁신분야, 국토의매력, 국제협력또는수출 - 생태계촉진, 신뢰형성, 시장확장지원등 - 8 주간프로그램 바. 스타트업 ( 활발한스타트업 ) 파리에만 4,000 개의스타트업이있으며세계적으로두각을나타내 는 153 개의스타트기업이존재 < 표 2-14> 프랑스주요스타트업현황 스타트업자금 Bpi 해외투자가비고 Blablacar 335 백만달러 Sigfox 151 백만달러 Accel Partners, Index Ventures, Lead Edge Capital, Vostok New Ventures Intel, NTT Docomo, Samsung, SK Telecom, Telefonica 툴루즈기반 Talend 101 백만달러 Balderton Capital, Silverlake Partners 빅데이타 Vestiaire Collective 69 백만달러 Balderton Capital, Conde Nast 전자상거래 Criteo 63 백만달러 Bessemer Venture, Index Ventures, Softbank Capital 년나스닥에상장 Prêt d Union 52 백만달러 개인대출 Drivy 백만유로 Index Venrtures, Cathay Innovation, Nokia Growth Partners

120 116 스타트업자금 Bpi 해외투자가비고 Aledia 44 백만달러 IKEA, ATI Technologies, Braemar Energy Ventures. LED 산업 Devialet 39 달러 하이파이 Netatmo 385 달러 커넥티드오브젝트 Withings 33 백만달러 커넥티드오브젝트 Cedexis 32.2 달러 Foxconn, Citrix, Nokia 등 CDN 최적화 Qwant 32 백만달러 Springer, BCE 검색모터 Voluntis 32 백만달러 Qualcomm e- 의료 Dashlane 30 백만달러 Bessemer Ventures, FirstMark Capital, Rho Capital Uniplace 29 백만달러 Atomico, Chester Capital 등온라인임대차 Innov8 24 백만유로초과 Doctolib 백만달러 Accel Partners Lick 마크와연결된리테일 오브젝트 Stuart 25 백만달러 GEopost actionnaire Mirakl 23 백만달러 Greylock Partners 소프트웨어시장 Happn 22 백만달러 Fabrice Grinda, Raine Venture 모바일데이팅 Algolia 22 달러 Accel, Index Ventures, Storm ventures, Y combinator 샌프란시스코위치 Melty 15 백만유로 온라인미디어 iadvize 173 달러 낭트기반 Prestashop 14.8 달러 전자상거래소ㅡ트웨어 Molotov 112 달러 TV OTT 서비스 제 3 절 프랑스글로벌혁신협력현황 1. 글로벌혁신협력현황 가. 공공주도의글로벌혁신협력 (Business France) 프랑스경제의국제화를지원하는공공기관 - 기업의글로벌발전과해외진출, 프랑스에서국제투자의시장조사와안내등담당 년 1월 1일에창설되어 70개국에해외지점과프랑스에 1,500개의협력기관이있는공공과민간네트워크 (French Tech) 프랑스정부주도의프랑스스타트업해외창업과외국스타트업프랑스내창업지원

121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국제화와관련되어 French Tech Hub, French Tech Ticket 추진 (Netva) 미국기업문화에대한교육과전시및미국과캐나다의잠재적시장에대한접근을위한프로그램 - 미국시장에대한접근성과미국기술파트너들의발전에대한교육세미나및미국의혁신적인지역생태계에서 1 주일간체류경험 년부터 2015년말까지 65개스타트업지원 (Coface) 수출에있어서프랑스기업들의리스크보호 - 주로대기업과관련 (Agence Régionale de Développement) 지역개발청은외국기업들을레지옹이나도시등프랑스로유치하는임무 - 파리의경우 2015년 1월파리개발청과파리레지옹랩이 Paris & Co로통합되고 2015년말 Plug & Start in Paris Region, Now! 이선언 - 일드프랑스에서활동하는하이테크기업지원하기위해 1인당세금제외 200유로로 3개월까지사무실, 업무지원, 일드프랑스공공과민간생태계와관계형성, 네트워킹행사참석등가능 - 해외스타트업특히프랑스와유럽에서상업활동을하거나지역 R&D팀유치 ( 해외프랑스상공회의소 ) 해외프랑스상공회의소는네트워크발전, 프랑스기업들에대한지원 (Douanes Françaises) 프랑스세관은스타트업들이그들의제품과상품을해외로어려움없이가져갈수있도록지원나. 민간주도의글로벌혁신협력 ( 민간주도 ) 해외에소재한협회, 기업가모임등을통해글로벌혁신협력추진 - (Silicon-Valley.fr) 실리콘벨리의프랑스공동체로프랑스중소기업및스타트업과실리콘벨리스타트업과의관계형성지원 - (Export Impulse) 2015년말 Syntec Numérique와 Systematic 경쟁력클러스터가시작한프로그램으로스타트업이국제적으로발전하는것을지원하기위해공동웹을구축하여해외에서사무실탐색, 상업적발전과지역에서의직업종사자네트워크구성등지원

122 118 - (Z-Garage) Nestadio Capital투자기금의가속화프로그램으로미국시장에대한접근을용이하게하는것을지원하며, 2012년과 2014년사이에미국에서 10여개의프랑스스타트업지원 - (FrenchFounders) 해외, 특히미국에서성공한기업가들과최고위층프랑스임원으로구성된클럽으로뉴욕, 샌프란시스코, 런던, 상하이, 싱가포르, 홍콩, 상파울로등에있으며주로. 하이테크와럭셔리산업관련 - (The Refinery) 2016년초 Géraldine(Fleurence) Le Meur에의해프랑스기업의해외안착을가속화하는인큐베이터로시작 2.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가. 정부부처협력현황 양국대통령협력을바탕으로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금융위원회등각부처는산업별프랑스부처와의혁신협력체결 - ( 산자부 ) 2015년 11월산업통상자원부는프랑스재정예산결산부와양국간글로벌창업교류증진을위해창업기업교류협력의향서 (LOI) 체결 - ( 금융위 ) 2016년 5월금융위원회핀테크지원센터와프렌치테크허브서울은핀테크분야상호교류 협력지원을위한 MOU 체결 - ( 미래부 ) 2016년 6월미래창조과학부는프랑스경제산업디지털부와창조경제분야협력에관한의향서를체결하고양국협력위를구성하여창조경제혁신센터와프렌치테크허브서울의교류및양국스타트업지원프로그램연계추진 - (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 ) 2016년 6월중소기업청과창업진흥원은유망스타트업의프랑스현지창업지원을위해프랑스창업기관인파리스엔코 (Paris&co), 유라테크놀로지 (Euratechnologies) 와 MOU 체결 * - 양국가는각 5개의창업기업을선발해한국과프랑스창업기업을교류해보육하며창업진흥원은유망스타트업으로 스마트벨트제조사 웰트 쇼핑플랫폼 위시플랫폼 패션디자이너들의구매를돕는플랫폼 프릿어모드 센서를활용한실시간주차예약서비스 파킹투어스 약초 처방검색엔진 허브허브 등 5개선발 - ( 프랑스지자체 ) 2016년 6월프랑스 Cernay시 Emile MOUHEB 부시장은아마다스

12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19 (IoT를활용한스마트도어락 ) 와 MOU 체결나. 혁신기관협력현황 창조경제혁신센터, KOTRA, 창업진흥원, KAIST 등공공혁신기관, 연구기관, 산업협회등이프랑스와협력을체결하고스타트업교류, 공동연구등추진 - ( 프렌치테크허브서울 ) 2016년 3월프랑스스타트업창업을지원하는 프렌치테크허브서울 이중구문화창조융합벨트와역삼동팁스타운에개소되어프랑스 IT업체의교육 기술을지원 - (KOTRA-Business France) 2016년 6월 KOTRA와프랑스 Business France가 MOU를체결하여상호비즈니스협력추진 년 6월오송및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유럽최대바이오클러스터의하나인 제노폴 을운영하는 GIP GENOPOLE 과공동연구추진등협력을위한전략적협약 (SEA) 체결 - ( 대구센터 -그르노블 ) 2016년 6월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는벤처인큐베이팅교환프로그램추진을위해프랑스그르노블지역의창업지원을담당하는디지털그르노블 (Digital Grenoble) 과 MOU 체결 * * 헬스케어, 에너지, 전자상거래, 사물인터넷, 디지털전환등 5개분야를중심으로양국간스타트업교류를합의하고향후디지털그르노블의전기자동차시범사업및헬스케어실증단지와대구지역특화사업인스마트자동차, 헬스케어실증단지, IoT 실증단지를연계한스타트업교환프로그램등을통해협력구체화 - (KAIST- 에꼴폴리텍 ) 2016년 6월 KAIST는프랑스에꼴폴리텍 (Ecole Polytechnique) 와의협력약정을통해창업맞춤형교육프로그램운영및공동연구센터 (G-Core)* 설치등혁신협력추진 - (G-Core) Global Center for Open Research with Enterprise - ( 창업진흥원 ) 2016년 7월한국청년창업사관학교및창업진흥원이프랑스 Creative Valley와 MOU 체결 다. 대기업협력현황 ( 대기업직접협력 ) 삼성전자, 네이버등국내대기업은프랑스스타트업투자, 스타트

124 120 업양성기관과의협력체결등양국스타트업활성화를위한협력체결 - ( 삼성전자 -시그폭스 ) 2015년 6월삼성전자는프랑스 IoT 네트워크기술스타트업기업시그폭스 (Sigfox) 에투자하여시그폭스는커넥티드오브젝트를개발하여상용화하고삼성전자는초소형반도체하드웨어플랫폼인아틱 (Artik) 을통해협력 - ( 웰트 뷰노코리아 드림스퀘어 ) 2016년 6월복부비만관리지원스마트패션벨트를개발한웰트는프랑스몽블랑과제품공동개발및판매협력을위한 MOU 체결, AI 기반자동진단 SW를개발한뷰노코리아와 AI기반온라인인재플랫폼인드림스퀘어는 YorkShire 액셀러레이터로부터 10만달러의투자유치와현지액셀러레이팅프로그램에무상 ( 사무실, 컨설팅, 투자유치등 ) 참여특전획득 - ( 네이버 ) 2015년 11월네이버는프랑스문화통신부와스타트업육성협약을체결하여프랑스스타트업및비즈니스인큐베이터들과협력관계를구축하고프랑스에멘토링과창업행사지원 ( 전통산업협력 ) 철도 자동차 항공 화학분야부터금융 보험 호텔업까지 170여개의프랑스기업들이한국에진출해약 2만 4,000명의고용창출 - ( 항공산업 ) 대한항공과프랑스에어버스와의오랜협력관계 년대한항공이비유럽국가항공사중처음으로프랑스에어버스의신기종 A300 항공기를구입한이후우리나라항공산업은프랑스와의긴밀한협력을기반으로발전. 2009년부터 A320 항공기의날개구조물인 샤크렛 을개발해에어버스사에납품했고, A330네오항공기의샤크렛도 2016년부터양산해공급. 2008년부터 A350 항공기의화물용출입물인카고도어도제작 - ( 철도산업 ) 1993년프랑스대통령최초로미테랑대통령이방한했고우리나라는아시아에서 2번째로고속열차인 KTX를프랑스와의기술협력으로건설 ( 연구개발 ) 공동프로젝트, 연구인력교환등시행중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 2003년부터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서는국내대학들과프랑스연구자들이공동으로매년 30여개의생명과학및바이오테크놀로지분야의프로젝트진행 년부터한불양국은기술정보및연구인력교환, 기술정책협력, 국제공동 R&D 컨소시엄구성등추진

125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재단은양국과학연구소간신소재및나노기술, 생명과학및보건, 바이오테크놀로지, 정보통신과학, 기초과학, 항공 우주, 환경과학분야의공동연구지원 ( 신산업협력 ) 신산업육성을위해주행자동차, 나노전자, 디지털헬스케어등기술협력 년우리나라와프랑스는신산업육성과제조업활성화를위한기술협력을선언하고자율주행자동차, 나노전자, 디지털헬스케어등 3개분야의기술협력추진 - 양국정부는프랑스와한국의중소기업간바이오테크노로지, 에너지와환경, 로봇과자동차, 나노기술등의기술협력을적극지원 ( 방위산업 ) 프랑스는미국다음으로한국에군비를많이공급하는국가 - ( 한국우주항공산업 ) 2005년말부터추진된한국형헬기사업에한국우주항공산업과프랑스에어버스헬리콥터가공동으로참여해최초의국산기동헬기 수리온 을개발해우리나라는세계에서 11번째헬기개발국가 년부터에어버스헬리콥터는 214대의소형무장헬기를 2022년까지, 100여대의소형민수헬기를 2020년까지개발 운영목표 - ( 휴니드 ) 국내방산업체인휴니드는에어버스헬리콥터의핵심기술과노하우를전수받아 2017년부터헬기용전기체계생산예정 ( 프랑스진출한국기업 ) 전자, 이동통신, 자동차등기술관련대기업이다수진출해있으나전반적으로유통 영업조직이다수 < 표 2-15> 프랑스의한국기업진출현황 투자연도 회사명 투자내역 금액 ( 천 $) 1974 외환은행 금융업 미상 1975 대한항공 항공운송서비스 미상 1977 삼성물산 섬유, 정보기기, 경공품종합상사 30, LF Corp(LG패션 ) 패션유통업 미상 1983 현대종합상사 일반공산품판매업 미상 1988 삼성전자 ( 삼성메디슨통합 ) 전자제품, 이통통신단말기, 의료기기판매 37, LG전자 이동통신, 가전제품유통업 9, /2011 아모레퍼시픽 제조업 / 향수, 향수업체인수 80, 한진해운 해운운송업 미상 1996 동부대우전자 TV, 냉장고유통업 미상

126 122 투자연도 회사명 투자내역 금액 ( 천 $) 1999 카스프랑스 전자저울유통업 미상 2000 현대상선 해운운송업 홍진크라운 오토바이헬멧, 장갑유통업 5, 한국타이어 타이어유통업 1, LG실트론 반도체부품유통업 미상 2003 제일기획 광고, 홍보 500, 기아자동차 자동차유통업 5, 범한판토스 물류, 운송 현대중공업 건설, 공사업 휴스톤글로벌 건설서비스업 232, DHC France 화장품유통업 미상 2008 이우테크놀로지 의료장비 미상 2008 금호타이어 타이어유통업 아시아나항공 항공운송서비스 미상 2008 LS전선 자동차모터용전선제조업 750, 한국수력원자력 프랑스우라늄농축공장지분인수 245, KCC France 실리콘유통업 미상 2011 현대자동차 자동차판매및공급업체인수 미상 2011 EXR Korea Co. Ltd. 의류매장인수 미상 2011 Tj Media Dream 반도체업체인수 미상 2013 CSLI Systran 소프트웨어업체인수 미상 2013 Investor Group Docks Lyonnais 빌딩인수 미상 2013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식품유통 미상 2013 이노션월드와이드 유통 미상 2014 파리바게트 유통 미상 자료 : KOTRA 파리무역관 ( 외국기업 ) 프랑스는유럽국가중네덜란드에이어 2 번째로우리나라에투자를많이 한국가. 항공 / 자동차, 통신, 에너지, 전자, 제약, 소프트웨어등기술분야의기업을다 수포함 < 표 2-16> 한국내프랑스기업진출현황 회사명 AFFIVAL KOREA AGENCE FRANCE PRESSE AIR FRANCE KOREA AIR LIQUIDE KOREA 분야철강언론사항공운송산업용가소, 엔지니어링

127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23 회사명 ALCATEL KOREA ALDES KOREA ALSTOM KOREA ANAM LEGRAND CO., LTD. AVENTIS PHARMA KOREA BEAUFOUR IPSEN KOREA BIC SUN CO. BIOMERIEUX KOREA BNP-PARIBAS BONNET NÉVÉ SA BOURJOIS YH KOREA BUREAU VERITAS CELINE KOREA LTD CHANEL YH CHRISTIAN DIOR COUTURE KOREA CLARINS KOREA LTD. CLASQUIN KOREA CLUB MED VACANCES(KOREA) COGEMA KOREA LTD DASSAULT SYSTEMES KOREA DONG-IL DEVANLAY INC. FRAMATOME A.N.P. KOREA GALDERMA KOREA INC. GECI KOREA GROUPE SEB KOREA GUERBET KOREA HACHETTE NEXTMEDIA CO. LTD. HANGLAS GROUP HANWHA-TOTAL HERMES KOREA INERGY AUTOMOTIVE SYSTEMS L'ORÉAL KOREA LTD. LAFARGE HALLA CEMENT CORP. LAINIERE DE PICARDIE SEOUL LOBEL KOREA LVMH VUITTON KOREA LTD MERIAL KOREA MICHELIN KOREA CO., LTD. MOET-HENNESSY KOREA NEXANS KOREA NINA RICCI KOREA NOVOTEL AMBASSADOR 분야통신기기 BTP 에너지및운송전자장비의약품, 백신제약문구의료기기은행냉장, 냉동및난방화장품보증패션럭셔리 / 화장품, 패션럭셔리 / 화장품, 패션화장품운송리조트원자력소프트웨어의류원자력의약품항공우주가전기기의약품잡지, 매체자동차유리화학럭셔리자동차장비화장품건축자재, 시멘트직물의료럭셔리 / 화장품, 잡화동물건강기계주류케이블화장품, 패션호텔

128 124 회사명 PIERRE FABRE DERMO-COSMÉTIQUE KOREA POSEDO PROTEX KOREA RENAULT SAMSUNG MOTORS RHODIA KOREA RICHEMONT KOREA LTD SCHLUMBERGER SISLEY KOREA SOMFY THALES INTERNATIONAL KOREA VSL KOREA 자료 : 한불협회홈페이지발췌 분야화장품용기전기전자자동차플라스틱, 화학, 폴리머쥬얼리전기전자잡화전기모터정밀전자 BTP 제 4 절 한국 - 프랑스혁신협력모델 1. 혁신생태계비교분석 가. 협력대상국가의특성 (SWOT 분석 ) 한국과프랑스는연계할수있는혁신협력플랫폼이잘갖추어져있고 ICT-문화컨텐츠등시너지를기대할수있으나, 동시에언어적 문화적장벽이높고지원제도 규제가복잡함 < 표 2-17> 한국 - 프랑스혁신협력 SWOT 강점 (Strength) - 한국과프랑스의시너지극대화 한국의 ICT 와프랑스의문화콘텐츠결합 한국의역동성과프랑스의창의성에기반한창조경제실현 한국은제조업강국이고프랑스는서비스강국이므로제조업과서비스의융 복합 - 한국과프랑스양국모두정부의역할이강하고역량있는관료들이정책추진 정부간유기적협력을통해일관된정책추진가능 - 한국에는지역마다창조경제혁신센터, 프랑스에는지역마다프렌치테크가각각있 어지역기반혁신협력을할수있는협력주체들이존재 - 한국과프랑스는대학등고등교육기관에대한진학률이높아고급인력이풍부 - 항공산업과철도산업의협력을통해상호신뢰기반이견고 - 프랑스는한국인들이가장가고싶어하는국가이고한류및한식은프랑스에서인 기가높아협력을위한국민들의상호호감도가높은편

129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25 약점 (Weakness) - 문화적 언어적장벽은혁신협력에대한장애 한국은미국문화에익숙하고프랑스는한국문화에대한이해가부족하여양국간 문화적격차가큰편 한국에서는프랑스어에대한언어적장벽이큰편 - 한국과프랑스의제도적불일치 프랑스는지원정책과관련기관들이매우다양하고복잡하여외국인이이해하고 활용하기가쉽지않은편 - 한국과프랑스는정부의역할이강하기때문에양국모두정책이정치적변화에좌 우되어정책의지속성에대한우려 - 한국과프랑스는복잡하고다양한규제가많아기업활동저해우려 특히한국은입지규제가강한편이고프랑스는환경규제가강한편 - 프랑스는기업의노동비용부담이매우높고한국은노동시장의경직성이커서혁 신협력저해우려 기회 (Opportunity) - 제 4 차산업혁명으로인한신산업의등장으로새로운글로벌시장확대를통한새로 운시장진출기회확대 - 양국은상호협력을통해광대한 EU 시장과중국을포함한아시아시장에대한상호 접근성제고가능 - 프랑스문화의명성과한류를결합시켜제품별, 산업별로한불공동브랜드를개발하 면세계시장진출가능 위협 (Threat) - 세계경제의지속적인침체로인한한국과프랑스의협력유인약화 - 저성장과고실업의프랑스경제의내적역동성이높지않아프랑스시장자체에대 한한국기업의유인은낮은편 - 프랑스의우선순위는 EU 내협력이고프랑스의경제질서가 EU 의영향을받기때 문에한국과의협력에 EU 가위협요인 - 한국과프랑스의산업적이해관계충돌우려 나. 협력목표 한국혁신생태계와의연계분석 ( 혁신자산부족 ) 한국과프랑스의스타트업은기술 자금 시장 컨텐츠등자국내에서얻지못하는혁신자산이있을수있으며양국의혁신생태계는다양한아이디어와인재, 기술을필요로함 ( 혁신자산보완 ) 한국과프랑스의혁신생태계연계를통해스타트업들은해외시장에접근하여이를토대로성장하고양국의혁신생태계는글로벌화를꾀할수있음

130 126 혁신자산의부족 ( 필요성 ) 혁신자산의보완 ( 협력을통한해결방안 ) 혁신생태계인재 다양성부족 해외인재 스타트업유치필요 유망스타트업보유 스타트업해외진출 프랑스 스타트업의성장기회제한 해외진출의필요성 한국 자금 네트워크 시장, 창업정책및창 업플랫폼보유 프랑스스타트업의한 국진출지원 한국 기업 기술 자금등혁신자산부족과 협소한시장으로성장제한, 현지네트 워크부족등으로해외진출어려움 해외진출을통한기술 자금보완및 성장필요, 해외진출지원에대한요구 프랑스 한국 자금 네트워크 시장, 창업정책및창 업플랫폼보유 한국스타트업의프랑 스진출지원 자금, 글로벌화경험보유 자금, 멘토링, 플랫폼연계등을통해글로벌화지원 이를통해다음과같이각각의협력목표를도출함 협력목표도출 ( 프랑스및한국 ) 양국모두가스타트업과해외진출및해외스타트업의유치를통해혁신생태계의성장및글로벌화를추구 - ( 혁신생태계의확대 ) 한국과프랑스의혁신플랫폼을연계하여상호간의혁신자산을보완하고유럽, 아시아시장에대한접근성도향상시켜양국혁신생태계확대 - ( 스타트업해외진출 ) 연계된협력플랫폼을기반으로상대국시장에진출 2.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가. 협력현황 주요협력유형 정부부처와공공혁신기관간의혁신협력이추진되고있음 - ( 프랑스의글로벌혁신협력 ) 프렌치테크, Business France 등공공지원조직이프랑스스타트업해외창업과외국스타트업프랑스내창업지원, 프랑스에서국제투자의시장조사와안내등담당. 그외해외에소재한협회, 기업가모임등을통해민간부문의글로벌혁신협력추진 - ( 정부부처간협력 ) 양국대통령협력을바탕으로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금융위원회등각부처는산업별프랑스부처와의혁신협력체결 (2015~2016). 미래창조과학부는프랑스경제산업디지털부와창조경제분야협력에

131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127 관한의향서를체결하고양국협력위를구성하여창조경제혁신센터와프렌치테크허브서울의교류및양국스타트업지원프로그램연계추진 - ( 혁신기관간협력 ) 중소기업청과창업진흥원은프랑스창업기관인파리스엔코 (Paris&co), 유라테크놀로지 (Euratechnologies) 와 MOU 체결 ( ), 스타트업교환프로그램을진행중 - ( 개별적진출 ) 프랑스 Cernay시 Emile MOUHEB 부시장은아마다스 (IoT를활용한스마트도어락 ) 와 MOU 체결 ( ) - ( 연구기관간협력 ) KAIST는프랑스에꼴폴리텍 (Ecole Polytechnique) 와의협력약정을통해창업맞춤형교육프로그램운영및공동연구센터 (G-Core)* 설치등혁신협력추진 ( ). 한국연구재단은양국과학연구소간신소재및나노기술, 생명과학및보건, 바이오테크놀로지, 정보통신과학, 기초과학, 항공 우주, 환경과학분야의공동연구지원 주요협력주체 현지에는공공 민간혁신주체들이활발히활동하며한국의지원기관도있음 - ( 현지혁신기관 ) 공공부문의프렌치테크 ( 혁신기관 ), BpiFrance( 투자자 ), 그외다수공공 민간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 투자자가활동함 - ( 현지대기업 ) 대기업은스타트업기업에대한기술지원부터투자까지다양한형태로참여 - ( 국내혁신기관 ) 해외현지거점으로는 KOTRA 등이있으며, 해외진출지원프로그램에서는아직중점적으로고려되지않음 나. 협력모델 ( 민관협력을통한플랫폼연계 ) 창조경제의정신에맞게민간이주도하고관이지원. 프랑스의경우재정적인지원을제외하고대부분민관협력거버넌스혹은민간주도로운영 - ( 기존의혁신플랫폼활용 ) 창업정책과혁신정책의결합. 새로운정책을만들기보다양국이가지고있는중소기업및혁신지원정책의수단과조직을최대한활용 - ( 지역기반의협력 ) 지역과부문을양축으로하여협력생태계를구축하되기본적으

132 128 로는지역기반의글로벌협력생태계조성. 프랑스는지역을중심으로혁신생태계가구축되어있기때문에원활한협력을위한실질적인업무단위는지역이되어야한국과프랑스의효율적협력가능 - ( 지역정책과산업정책의결합 ) 창조경제혁신센터나 French Tech 모두지역정책과산업정책의결합 - ( 네트워크방식 ) 개별기업지원정책이아니라네트워크방식으로생태계의구조화와가속화중심으로추진 - ( 제도 규제의개선 ) 기업과인력들의양국시장진출확대를위한제도적장벽제거, 규제발굴및해소 [ 그림 2-7] 한 - 프랑스협력모델 ( 혁신주체별역할 ) 공공 민간부분합동으로혁신협력추진위원회설립하여, 이를기반으로혁신기관등이공동플랫폼, 지자체간협력등추진하는것을고려 - ( 한불글로벌협력생태계추진위원회 ) 민 관합동위원회로전략적컨트롤타워역할을하며혁신생태계정책관련관계부처들과기관들의회의체이며연간 2회정도의미팅을통해기본방향만결정

133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 한불글로벌협력생태계추진단 ) 실무추진단으로실제한불글로벌협력생태계의실질적본부이자사업추진체이며, 핵심활동주체는창조경제혁신센터 ( 한국 ) 와프렌치테크 ( 프랑스 ) 이며산업별대표, 기업별대표, 전문가, 경제단체등민간을중심으로구성 - 추진단산하에 4개의분과를업무별로설정 ( 스타트업지원, 공동플랫폼, 글로벌인재양성, 지자체간협력 ) 3. 세부협력전략 가. 산업별혁신협력 ( 창조경제의확산 ) 창조경제를세계무대에알리고미래창조산업의발전을가속화를목적으로프랑스와의경제협력강화 - 파리에 창조경제혁신센터 Paris 를프랑스대기업과협력하여개소하여한국형창조경제혁신모델확산 ( 창조산업 ) 프랑스문화의명성과한류를결합시켜제품별, 산업별로한불공동브랜드를개발하면세계시장진출 - 프랑스의디자인과패션산업에대한투자확대와공동사업추진으로한국의건강한디자인생태계조성및한국디자인과패션산업의세계명품화추진 - 한불영화공동제작지원 - 프랑스예술시장진출추진을통해한국예술산업육성 : 한불공동전시회활성화, 양국예술작품시장상호진출을통한한국예술의유통활성화, 예술인력상호교육및교류를통해예술단체의경영전문화및종사자역량강화등 ( 문화콘텐츠산업 ) ICT강국과문화강국의결합추진 - 한국의첨단기술과프랑스의문화콘텐츠를결합하는문화산업협력을통해새로운비즈니스모델창출 - 게임산업과애니메이션공동제작활성화지원 : 프랑스의스토리와한국의기술을결합하여세계시장공동진출 - 프랑스문화유산을한국의기술로디지털화

134 130 ( 항공우주산업 ) 한국의항공우주산업은아직미미한단계이므로프랑스항공우주산업에대한투자와상호협력을비약적발전의계기로활용가능 - 프랑스의 3개의항공우주혁신클러스터에한국기업들이입주하고프랑스의항공우주관련엘리트훈련프로그램을통한한국전문인력양성. 기술자나엔지니어뿐만아니라매니저양성 - 인공위성연구등관련 R&D 공동추진 ( 디지털산업 ) 프랑스의핵심적인산업정책방향인디지털화와한국의디지털기술결합 - 디지털헬스케어등디지털기술의상용화확대 - 프랑스의디지털기술수요가급증하고있으므로기술인력교류및디지털시장진출확대 ( 바이오및환경관련산업 ) 프랑스는세계에서 4번째로손에꼽히는바이오테크산업강국이며기후변화대응체제에적극적으로대응하기위해환경산업발전지원 - 프랑스에는 Lyon Biopole, Medicen( 파리지역 ) 등 7개의바이오혁신클러스터가있어제약, 생명과학등프랑스의발전된바이오산업을활용한한국바이오산업의발전필요. 바이오농업등바이오식품시장도급성장중 - 기후변화대응정책의하나로프랑스클린에너지산업및친환경교통분야의기술노하우습득하여한국의 ICT기술과결합하여 EU시장진출 ( 실버산업 ) 실버산업협력및실버시장진출 - 프랑스의고령층은연금제도의혜택으로소비수준이높은편이며고령친화적산업이발전 - 한국고령관련산업의프랑스진출을확대하고공동사업으로프랑스의노하우습득 (R&D) 공동연구개발정책추진 - 프랑스의화학, 제약, 항공우주, 바이오등과한국의 ICT 등에대한한불공동 R&D 센터를상호양국에설립 ( 뷰티산업 ) 프랑스와의협력으로프랑스의브랜드파워를얻어뷰티산업의수출산업화 - 한국미용재료의프랑스수출과한국미장원의프랑스진출및현지화전략 - 프랑스의명성과한류를결합하여한국과프랑스의화장품산업이같이세계시장진출

135 제 2 장특화형 Ⅱ: 프랑스 한국화장품이취약한프랑스의바이오화장품및약국화장품, 천연화장품산업등과공동사업추진 - 프랑스시장을넘어동남아시장을타겟으로하여프랑스와의공동브랜드추진 ( 관광산업 ) 호텔, 복합리조트등관광산업협력 - 한국과프랑스의명품식당들의협력및상호진출 ( 스타트업 ) 한국과프랑스의스타트업의상호진출지원 - 한국과프랑스의스타트업들이양국에모두진출할수있도록지원및관련법제도정비와규제를완화하고공동의지원방안마련나. 유형별혁신협력 - ( 스타트업지원 ) 한국과프랑스의스타트업상호교류및스타트업의글로벌네트워크구축, 한국과프랑스스타트업의양국에서의현지화지원등과관련된법적 제도적지원등스타트업활성화를위한공동정책추진 - ( 공동플랫폼 ) 스타트업육성을위한한국과프랑스의공동크라우드펀드플랫폼구축, 재정및금융지원을위한양국공동의지원플랫폼, 양국의벤처캐피탈등민간자본의기금모금을위한플랫폼등추진 - ( 글로벌인재양성 ) 스타트업인력교육관련분과로양국교육프로그램교환, 공동프로그램운영, 한-프랑스스타트업인력양성공동프로그램을한국과프랑스대학내에서공동운영, 공동학위인정, 프랑스와한국의청년고용및인턴십프로그램을혁신생태계사업와연계하여청년고용활성화사업공동추진, 양국언어및문화연수를위한장학금지원등 - ( 지자체간협력 ) 프랑스의산업별거점지역을해당산업별한국의지역들과협력하여지역별로협력사업, 프랑스혁신클러스터와한국의주요산업단지간협력

136 132 제 3 장 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제 1 절 서론 아세안최대경제규모의경제규모와내수시장 - ( 경제규모 ) 인도네시아는세계 4위의인구대국이자아세안국가중유일한 G20국가로서 2008년도금융위기기간을제외하고최근연평균 5% 이상의높은경제성장을달성 - ( 내수시장 ) 1인당국민소득 3,000달러이하의저소득층이중산층으로이동하고있으며 35세미만인새로운경제활동인구가증대되어향후 10년간내수시장이지속적으로확대될전망 정부중심의창업정책및지역별혁신플랫폼 - ( 창업정책 ) 창조경제청신설 (2009), 스타트업육성을위한 BEKUP( 정부주도프로그램 ) 발표 (2016) 하였으나인프라투자중심의정부예산투입으로실질적인효과는낮음 - ( 협력현황 ) 인도네시아는한국의 ODA 중점협력국중하나로인도네시아의전자정부, ICT 인프라구축및인력양성등을지원하고있음 - ( 혁신플랫폼 ) 정부주도의혁신클러스터인 BIC(Business Innovation Center) 와자카르타, 반둥, 수라바야, 발리등각지역을중심으로민간자본의참여가늘어나고있음. 기업지원서비스및인프라미흡 - ( 기업지원서비스 ) 창업및투자인허가절차복잡, 투명한신용평가및회계서비스부재로인해기업의경영환경이매우열악하고해외자본에대해세금납부계약불이행및투자제한업종이존재 - ( 인프라 ) 전력및 ICT 인프라투자부족으로전력공급시스템이열악하고유 무선인터넷보급률이낮음. ( 특화형협력모델의필요성 ) 인도네시아는높은소득불평등, 도농격차, 인종및종교의다양성으로인해내수시장이세분화되어있으나, 국가적인혁신생태계활성화의지와정책적지원등을고려했을때동남아시아시장진출을위한테스트베드로서의역할을할

137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33 수있음. 이를위해한국과인도네시아혁신생태계간의협력모델을개발하고관련규제, 투자와인프라등의애로사항을보완할방법을모색 제 2 절 인도네시아창업생태계발전현황 1. 경제현황및산업구조 가. 경제현황 [ 그림 3-1] 아세안국가별인구및경제규모비교 (2015 년기준 ) 자료 : AESEAN Secretariat 사이트 ( 경제규모 ) 세계 4위의인구대국이자동남아최대의경제규모를가진 ASEAN 국가중유일한 G20 회원국 - 인도네시아는수마트라, 칼리만탄, 자바, 슬라웨시, 파푸아주요 5개섬을비롯하여총 18,508개섬으로구성된세계최대열도국가 년기준인구수는 2억 5,518 만명으로세계 4위로많은인구를바탕으로거대한내수시장을보유 - 1인당국민소득은 3,500달러미만의낮은수준이나많은인구수로인해 2015년인니 GDP는 IMF 기준약 8,726억달러 (World Bank 기준 8,619.3억달러 ) 로세계 16위를차지함

138 134 ( 경제성장률 ) 2008 년금융위기기간을제외하고지난 10 년간연평균 5% 이상의높은 경제성장을달성하고있음 [ 그림 3-2] 인도네시아국내총생산성장률추이단위 : (%) 자료 : Statistics Indonesia(BPS) 사이트 년 3분기이후중국경제의성장둔화와원자재가격의하락으로인한광공업의부진으로 5% 미만의경제성장률을기록함 - 세계경제의부진에도지속되고있음에도불구하고견고한내수시장의성장과해외투자증가를바탕으로인니경제성장률은 2015년 2분기를저점으로반등하여경기회복국면으로진입하고있음 ( 성장잠재력 ) 인도네시아는경제성장이둔화되고있은 BRICs 29) 지역을대신하여향후 10여년간가장유망한시장 (VIPs) 중하나로주목받고있으며개발도상국가중상대적으로안정적인국가신용도를유지하고있음 30) - ( 국가경쟁력 ) 인도네시아는견고한내수시장의확장을기반으로최근 5년간연평균 5% 이상의경제성장과발전을통해국가경쟁력이가파르게상승하고있음 29) 브라질 (Brazil), 러시아 (Russia), 인도 (India), 중국 (China) 의 4개국, 그리고 + 남아프리카공화국 (South Africa) 의머릿글자를따서부르는명칭 30) 2000년대높은경제성장을이룩한국가인 Brazil, Russia, India, China의머릿글자를모아 BRICs로지칭하여새로운신흥시장으로주목하였으나최근 BRICs의경제성장이둔화되면서동남아시아 Vietnam, Indonesia, Philippine을 VIPs라고지칭하면서향후세계경제의성장과발전을견인할신흥시장으로주목하고있음.

13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35 [ 그림 3-3] 인도네시아의국가경쟁력 자료 : Klaus Schwab(2015) * 인도네시아의국가경쟁력은 140개국가중 12년 50위에서 13년 38위 14년 34위 15과 16년 38위로상승하고있음 * 다른아시아개발도상국과비해시장규모면에서월등하게높은비교우위를가지고있으나, 노동시장의효율성은상대적으로열악한것으로평가됨 - ( 국가신용도 ) 재정적자를 GDP대비 3% 미만으로유지하여국가신용등급은안정적 (stable) 으로평가됨 < 표 3-1> 인도네시아의국가신용도 (2016 년 8 월기준 ) 신용평가기관 등급 現등급부여최초갱신 Moody s Investor Service Baa Standard & Poor s BB Fitch Ratings BBB Japan Credit Rating Agency BBB 자료 : 인도네시아중앙은행 ( 내수시장성장률 ) 2016 년 2 분기까지인니경제의소비지출은전년동기대비연평균

140 % 가성장하였으며약 8,000만명의중산층기반으로견고한내수소비가지난 5년간경제성장을견인 31) - 성장형인구구조로인해매년 500만명이상의중간소득층이증가하면서내수시장의규모를가파르게확대하고있으며 2020년약 1.41억명까지확대될것으로전망됨 32) - 급증하는연소득 2,000달러이상중산층기반으로가계지출이확대되면서세계경제의부진에도불구하고향후 10여년간높은경제성장이기대되고있음 ( 내수시장잠재성장력 ) 인도네시아경제의가장큰비중을차지하는견고한내수시장의성장을바탕으로향후 10여년간연평균 4% 의시장규모가확대될것으로기대됨. - 인구의 61% 가 35세미만이며, 경제활동인구 (15~64세 ) 의비율이 68% 로높아소득증가에따른구매력의증가가기대됨 - BoP(Base of Pyramid) 층은 2012년 1.1억에서 2020년 0.98억명으로감소하고중산층은 2020년까지 1.41억명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되어내수시장의성장잠재력이높음 33) [ 그림 3-4] 인도네시아월간지출별계층의변화 단위 : (%) 자료 : BCG(2013) 31) 인도네시아의가계지출은 2015년기준국내총생산 (GDP) 의지출별구성비중중가장높은 56.8% 를차지하며견고한내수의확대로인한향후 5년간 4% 이상의경제성장이가능할것으로전망됨. 32) BCG(2013) 참조 33) BoP(Base of Pyramid) 는 1인당연간소득이 3,000달러미만의저소득층및빈곤층을지칭하며소득의증가가소비로직결되기때문에신흥시장을진출시중요한지표로사용됨.

141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37 ( 향후전망 ) 인도네시아는 2025년까지세계 8위의경제규모의거대시장으로성장할것으로기대하며자국산업의부가가치를높이기위해적극적으로해외투자유치와기술협력을추진할것으로전망됨 - 인도네시아의국내총생산규모는 1조 6,335억달러로증가하여세계 8위규모이고 1 인당연간국민소득은 5,615달러까지높아질것으로전망됨 < 표 3-2> 2025 년인도네시아경제전망 구분 2015년 2025년 ( 전망치 ) 연평균성장률 (CAGR) GDP($B) , % GDP(capita, $) 3, , % GDP(capita, ppp, $) 11, , % Population % 자료 : 인도네시아중앙은행 나. 산업구조 ( 산업구조 ) GDP의산업별비중은 1차산업 ( 농수산업, 임업등 ) 13.6%, 2차산업 ( 광업및제조업 ) 42.8%, 3차산업 ( 서비스업 ) 43.6% 로구성되어있고 2차산업의경우저임금을바탕으로한저부가가치산업의비중이높음 - 제조업은 GDP의 20.48% 로가장큰비중을차지하고있으나저임금노동력을바탕으로한단순조립생산이위주로하는부가가치가매우낮음. 주요생산품은의류, 가죽제품, 고무및플라스틱, 전자기기등 < 표 3-3> 2016 년 2 분기인도네시아산업별국내총생산성장률 (2010 년가격기준 ) 분류 2016년 2015년 1분기대비변화율 (%) 2분기대비변화율 (%) 구성비 (%) 1. 농림어업 광업 제조업 전력 가스 수도 폐기물 재활용서비스업 건설업

142 138 분류 2016년 2015년 1분기대비변화율 (%) 2분기대비변화율 (%) 구성비 (%) 7. 도소매업 운수업및창고업 음식점및숙박업 정보통신업 금융및보험 부동산및임대업 사업서비스 공공행정및국방 교육서비스 보건및사회복지서비스 문화및기타서비스 총부가가치 국내총생산 (GDP) 자료 : Statistics Indonesia(BPS) 사이트 ( 산업정책 ) 조코위도도 34) 정부는이전유도요노정권과의정책적차별성을강조하기 위해 2015 년 1 월 해양강국 (Global Maritime Axis) 을비전으로국가중기발전계획 (RPJMN) 을발표 - 인니산업부는인니산업의국제경쟁력강화와기술수준의향상을목표로국가산업발전계획 (RIPIN) 를통해중장기산업발전계획을발표 ~2019 국가중기개발계획 (RPJMN) 은 1 지역간연결성확보 2 물류비용절감 3 에너지생산및보급시설확충등인프라확대가주요내용인반면에 RIPIN 6대핵심산업으로 1 ICT 2 전력 3 식량 4 화장품및의약 5 섬유 6 교통 물류산업의육성을목표로함 * 인도네시아정부의산업정책은조코위정부이후이전유도요노정권이추진하던인도네시아경제발전의가속과확장을위한마스터플랜 (Masterplan for Acceleration and Expansion of Indonesia's Economic Development, MP3EI) 를대신하여 RPJMN을중심으로추진되고있으나궁극적으로핵심내용은부가가치의향상을위해산업구조고도화, 글로벌경쟁력강화및기술혁신에초점을두고있어맥락은일치함 34) 조코위라는별명으로알려진인도네시아의정치인, 수카르타시장, 자카르타의주지사등을지냈으 며인도네시아의현대통령

143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국가중기개발계획 (RPJMN) 과국가산업발전계획 (RIPIN) 을고려할때인니정부의 경제및산업정책은 ICT 및교통 물류산업을가장높은우선순위를두고있음. < 인니국가중기발전계획 (RPJMN) 2015~2019 의비전과미션 > 국가비전 : 자주 (Sovereignty), 자립 (Self-Reliant) 및협동 (Mutual-Assistance) 7 대미션 (Mission) 1 군도국가로서의자주와경제자립을통한국가안보의확보 2 법치주의를기반으로선진화되고평등한민주사회의건설 3 외부로부터의자주및해양국가로서의정체성강화 4 삶의질적수준향상과경제적번영 5 국가경쟁력향상 6 국가정책으로강한독립해양국가건설 7 국가적인특성과문화를기반으로한지역사회건설 9 대발전아젠다 (Development Agenda) 1( 국가안보 ) 국방, 안보, 자주를통해국민의안전과보호를제공하는국가의무 2( 민주정부 ) 정치제도개혁을통한투명하고효율적이며신뢰할수있는정부구현 3( 지역발전 ) 지역의발전을기반으로하는통합국가의건설 4( 행정개혁 ) 부정부패가없는신뢰할수있는법집행제도 5( 삶의질향상과토지개혁 ) 교육, 보건, 의료, 사회복지프로그램제공과토지소유권확립 6( 국가경쟁력강화 ) 아시아의대표국가로서의발전을위한생산성및경쟁력강화 7( 자립경제 ) 핵심부문의지방경제이전을통한경제적인자립 8( 국가관확립 ) 애국심고양, 역사교육및교육구조개혁을통한국민성혁신 9( 국민통합 ) 국민소통과다양성을기반으로한사회적관계복원 (ICT산업 ) 인도네시아 ICT산업은 2001년부터 2014년까지연평균 19.02% 씩성장하고있으며동기간경제성장률과비교하여약 3.51배이상높으며인도네시아정부는 ICT 산업의육성을통해경제발전과산업구조고도화를적극적으로추진하고있음 - ( 모바일및브로드밴드확산 ) ICT기술의보급및확산으로모바일전화와브로드밴드사용자가증가하면서인도네시아정보통신산업중정보통신서비스섹터가가장빠르게성장하고있음 * 인도네시아정보통신부에따르면 2014년 6월까지모바일전화가입자수는총 2억 2,000만으로보급률은전체인구의약 92% 에달하고있으나자카르타및대도시를중심으로통신인프라 (3G 및 4G 통신망 ) 가구축되면서스마트폰의사용자가급증하고전자금융거래, 전자상거래및광고시장이확대되고게임, 영상및음악등콘텐

144 140 츠소비도늘어나고있음 - ( 정보통신 2025 계획 ) 인도네시아정부는정보통신 2025 계획 (ICT 2025) 을발표하고정부주도의전자상거래도입, 전자정부구축, 소프트웨어산업육성등을통해 2020 년까지 ICT 기반을건설하고 2025년에지식기반사회를실현을주요목표로추진되고있음 * ICT 2025 계획을성공적으로추진하기위해정부 ICT 인프라구축프로젝트 (Palapa Ring Project) 를발표하고 IT 분야외국투자에대한규제를완화하고있음 ( 혁신역량 ) 2015 세계혁신지수 29.8점으로 97위로낮은편이나, R&D 지출규모, 특허출원건수등은증가하는추세 - R&D 지출경비는 2013년기준 GDP의 0.08% 로베트남 태국등주변국에비해낮음. 특허출원수 2014년기준 7,450건 ( 국내 663건 국외 6,787건 /38위, 15위 ), 지재권수익 2014년기준 59억6천1 백만달러 (42위) 로증가추세 * 현재인도네시아국가혁신시스템재원센터 ( 온라인 ) 를통해혁신정책, 프로그램등통합관리중임 2. 창업생태계현황가. 창업현황 창업규모및분야 2015년인니의창조경제산업은 GDP의 7.1% 차지, 500만개일자리창출, 1,200만명을고용 - 정부는 2015년창조경제청을신설하여 15개산업을규정하여산업육성정책을수립하여지원중 - 인도네시아창조경제의 15개산업은건축, 예술, 공예, 디자인, 패션, 영화, 게임, 음악, 공연예술, 출판, 컴퓨터서비스및소프트웨어, TV 및라디오, 연구개발, 요리로규정하고있음 년기준의류및봉제업의성장으로인해패션산업이 36% 으로창조경제의가장큰비중을차지하고있으며강력한스크린쿼터제로인해영화산업이가장높은성장률 (25%) 을달성함

145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41 창업업체수는 2015년총 890개로, 인니정부는 2020년까지 1,000개의스타트업창출을목표하고있으며창업유형은 On Demand 서비스와 e커머스, 투자분야는핀테크와 e커머스부문이활성화되고있음 - IT 기반의교통분야가가장빠르게성장하고있으며 Go-jek, Grab Bike, Grab Taxi, Uber, Blue-Jek 및 Lady-Jek은공유경제의성공사례로평가됨 - 그러나인니창조경제관련기업은 2015년기준으로 5인이하의영세기업이전체비중의 98% 이상을차지하여매우취약한상태임 2016년기준인니의기업환경순위는 (Ease of doing business index) 109위로전년 120 위보다상승하였으나여전히창업절차 건축인허가절차의복잡성과세금납부 계약이행등의어려움으로기업환경이취약한상황 - 또한정부차원의스타트업지원, 법적보호등이취약하고, 투자분야에있어 외국인투자제한업종 (DNI; Daftar Negatif Investasi) 의제약존재 년외국인투자제한업종을완화하고사업허가절차를간소화하는등우호적인해외투자환경조성중 * 식당업, 영화산업 ( 극장 ), 전자상거래등외국투자제한업종개방 인적자원 ( 인력 ) 조코위도도정부는국가예산의 20% 를교육에배정하고, 고등교육 기술교육을우선과제로두는등인적자본의육성에집중 - 인니창업생태계는종합대학이밀집한자카르타지역, 반둥공대가위치한반둥지역등지역별대학의창업인재교류를바탕으로조성중 - 인니에는약 600만명의대학생이재학중이며, 2020년 7,800만명의대학졸업자를배출하여중국, 인도, 미국, 브라질의뒤를이어다섯번째로큰고등교육인재를양성할것으로예상 년인니스타트업대상 이슈및문제점 에관한설문조사결과에따르면전체 46% 가인력자원부족을주요이슈로지적하고있어, 우수인재대상스타트업교육등인력자원확보를위한방안필요 * 본설문결과 35% 는자본활용, 19% 가인프라및정부규제를주요이슈로지적

146 142 투자 ( 투자 ) 조코위도도대통령은투자동력을창출하기위한해외투자우호정책을실행계획발표하고대기업의스타트업투자 지원독려 - 부족한정부예산으로인해정부의투자는부진하나, 국내 외벤처투자기업의활동이증가하고, 엔젤투자자가대거등장하는등전년대비민간투자가활성화되고있음 - 인니의창업투자 ( 벤처캐피털투자기준 ) 는 2014년 36건에서 2015년총 78건으로크게증가, 주요투자분야는 e커머스 (33건), 핀테크 (6건) 로나타남 - 주요투자가외국계자본 ( 일본, 싱가포르및중국 ) 에의해이루어졌으며투자기업도기존대기업의새로운사업에집중됨. - 투자의유형을살펴보면시드단계투자가전체투자의 53건 (67%) 로가장높은비중을나타내며, 전략적투자는전체투자의 1% 만을차지하여개선이필요하다는인식이높음 나. 주요혁신클러스터 정부주도의혁신클러스터 정부주도대표혁신클러스터는 BIC(Business Innovation Center) 로, 2008년연구기술부주관기업, 연구기관등의 R&D 협업을목표로설립 - 국내 외정부기관, 연구기관, 재단, 비정부기구등과협력적파트너십을맺고기업후원. 워크샵, 중소기업포럼, 혁신박람회등프로그램진행 - 파트너해외기관으로 Global innovation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GIST),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USAID), and German: Centrum fuer Internationale Migration und Entwicklung(CIM) 등이있음 민간주도의혁신클러스터 그외자카르타, 반둥, 수라바야, 발리등각지역을중심으로시정부기반의또는자생적인스타트업생태계조성 ( 자카르타 ) 시주관거주민대상 ICT 기반서비스제공및스타트업지원목적의스마트도시구축, Comma East Ventures Hive WorkOUT 등 8개의민간협업공간존재

147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 스마트도시 ) 자카르타시청내스타트업협업공간제공, 스마트시티프로그램공동추진. 창업도시화를목표로시자체예산을활용해자금지원 보육프로그램등계획 * 2015 Jakarta s street vendors 프로그램진행. 자카르타시청중소기업담당자, 스마트시티담당자지원과스타트업 (Zomato, Porter, Go-Jet) 협력으로자카르타시내거리음식점데이터수집후온라인판매시스템구축 - ( 협업공간 ) Comma, East Ventures Hive, WorkOUT 등 8개의협업공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등글로벌대기업, East Ventures Fenox 등주요투자기업, 종합대학이밀집하고있어창업인재교류가높음 ( 반둥 ) 반둥시테크노폴리스건립추진, 반둥스타트업커뮤니티 ( 온라인 ) 및반둥공대를중심으로 IT 중심의혁신공간존재 - ( 테크노폴리스 ) 온라인허가시스템 시정활동모니터링시스템구축등현재추진중인반둥시의스마트프로그램일환으로국내 외 ICT 기업유치를목적으로 2016년현재건립중. 혁신, 기술, 정보통신분야에초점 - ( 반둥스타트업커뮤니티 ) 크라우드펀딩세미나, 스타트업위캔드개최 ( 수라바야 ) 32개스타트업활동, 인도네시아유일의창업특성화대학인 Universitas Ciputra를통해창업을지원하고스타트업인큐베이터 (Start Surabaya) 기관을통해창업자양성 - (Start Surabaya) 수라바야지역내 Tech 분야아이디어를지닌 18~30세대상, 별도심사후정기멘토링교육 스타트업설립지원 ( 발리 ) Ubud Sanur Kuta Gianyar 을중심으로협업공간존재, 국내 외디지털노마드결집하며창업생태계구축중 - (Ubud) 8개협업공간, 협업공간내다양한인큐베이팅프로그램, 국내 외 Tech 창업인재간교류, 저비용 (1,060달러 / 동일한조건의서부권비용 2,533달러 ) 등의이점으로규모확장중. 대표협업공간 Hubud이전세계개발자들의인도네시아유입중 다. 창업관련정책 창업정책 인니창업혁신정책과프로그램은여전히기업가정신강화에초점을맞추고있고

148 144 최근투자규제완화 창업절차개선등정부가창업환경개선에나서고있음 - 인도네시아의청년실업률이높아지면서정치적으로일자리창출을목표로실질적인창업지원정책이발표되고있음 - 급성장하고있는내수시장과통신기술의보급을기반으로창업육성을유도하고있음 (e커머스로드맵 ) 인도네시아정부는 2016년 1월 e커머스로드맵발표와 4월외국인투자제한리스트개정을통해동사업및투자활성화를위한세부계획추진 - 31개 e커머스관련이니셔티브를제안하고, 스타트업을위한재정지원, 하이테크스타트업대상면세기간 (tax holiday) 혜택제공, e커머스관련교육지원등계획 * 7대주요조항 : 1 물류서비스확대 2 스타트업재정지원 3 소비자보호 4 통신인프라구축 5 면세기간제공 6 인적자원확보 7 사이버안보강화 ( 핀테크인도네시아 ) 2015년 9월핀테크인도네시아 (Fintech Indonesia) 협회설립. 인도네시아정부, 스타트업, 투자자등관련기관이협업하여핀테크산업이성장할수있는에코시스템창출도모 - 현재핀테크스타트업기업, 은행, 보험사, 벤처투자자, 정부관계자등이참여하는포럼을개최하며핀테크산업관련주체간협업유도 * Bareksa.com, Cekaja.com, Kartuku, Veritrans, Doku 등의인도네시아핀테크기업들, 만디리은행, Indosat 등의기존금융 신서비스기업, 맥킨지등의연구기관이회원으로참여, 2015년 10월인도네시아금융서비스감독원 (OJK) 핀테크산업활성화를위한전문가패널개최 ( 규제완화정책 ) 2015년 9월부터 2016년 4월까지경제정책패키지진행. 외국인투자제한리스트 (10차), 기업환경개선 (12차) 등스타트업투자및허가절차완화 - 10차외국인투자제한리스트 (DNI) 개정 ( ). 전자상거래, 영화, 냉장저장, 제약등총 32개업종의외국인출자 100% 개방, 유통, 여행등업종은 67% 지분취득허용함으로써인도네시아대상해외투자확대기대 * 2016년 1분기기준인도네시아의외국인직접투자금액약 96조1000억루피아 ( 약 69억달러 ) 로전년동기대비 17.1% 상승. 국내직접투자와외국인직접투자를합산하면전년 1분기대비 24.6% 상승 ( 인도네시아투자청발표 ) - 12차기업환경개선을위한절차, 허가, 비용개정 ( ). 창업절차간소화,

14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45 창업소요시간단축, 비용감소로인도네시아국내창업활성화뿐만아니라해외 창업자의국내유입활성화를기대할수있음 < 표 3-4> 12 차경제정책패키지주요내용 부문 개정전 개정후 12개허가과정 7개허가과정 사업허가 47일소요 10일소요 680만~780 만루피아 270만루피아 17개허가과정 14개허가과정 건축허가 210일소요 52일소요 4개허가에 8,600만루피아 3개허가에 700만루피아 세금 54개 10개, 온라인납부 - 또한 2012년투자법에근거외국인에대해최소투자 ( 약 12억원 ) 규모를정해놓고있어매매, 무역, 요식업, 여행안내, 컨설팅등소규모투자진출기업은애로사항이많음. * 이전에는현지인과의합작투자가필수조건이었으나, 제도개정후외국인자체투자법인설립이가능한상황으로개선되었다는평가와투자금액의상향으로오히려더욱어려워졌다는평가가혼재함 ( 지재권보호 ) 특허권, 상표권, 판권등지식재산권관련법령이있으나위반시벌칙조항이유명무실하여지적소유권침해사례가매우빈번함 - 창조경제산업이활성화되면서지재권보호의중요성이증대함에따라, 지식재산권및상표권관련법개정을위한국회특별위원회 를구성하고창조경제청주관지재권세미나를진행하는등관련제도개선을위해노력중 * 창조경제청은창조경제산업활성화를위한지식재산권제도의개선필요성을절감하고조직내관련부서를설립 ( 기업의사회적책임 ) 2016년인도네시아국회는 기업의사회적책임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활동을의무화하는법안을추진, 9~10월중국회통과예정이며법안의주요내용으로는수익의일정비율을 ( 순이익의 2~3% 가고려 ) CSR 자금으로지출, CSR 펀드의조성비율, CSR 펀드에부과되는세금, CSR 프로그램수행

150 146 절차등상세지침포함됨 - 법안의통과를대비하여인도네시아현지에진출한대기업은기업경영의일환으로 CSR 사업을이미실행하고있음 창업정책의성과 인도네시아정부의강력한창업정책및지원계획의발표에도불구하고정책의실질적인효과는매우낮음 - 인도네시아정부의예산부족으로창업지원정책의대부분이예산부족으로발표이후실행되는경우가전무함 * Rudiantara 정보통신부장관은인도네시아정부디지털스타트업지원을위하여 10 억달러를출자할계획을가지고있으며, 이와관련된자금은국내대기업을통하여모집할계획을발표함 ( 후속조치가전무함 ) * 자카르타, 수라바야, 반등지자체에서스마트시티, 디지털이니셔티브등발표하였으나구체적인지원프로그램이없음. * 인니창조경제청 (Badan Ekonomi Kreatif) PT. Telkom Indonesia 와인니 IT 통신창조산업협회 (Indonesia Digital Creative Industry Community, MIKTI) 공동으로스타트업육성을위한 BEKUP (Pre-startup) 정부프로그램발족하였으나창조경제청의조직구성이완료되지않아구체적투자나지원금액은알려진바없음. - 주관부처와기관에따라상이하고이들간정보교류가부족하여실효성은매우낮음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14) 창업정책에대한발표이후예산부족으로구체적인프로그램이전무하고높은법인설립에대한규제장벽과높은법인세로인해싱가폴에본사를수립하는경우가다수발생함 창업관련프로그램 ( 정부 ) 기술습득과창업교육에집중되어있고창업인프라, 창업기회등의창업활동지원은미미한편임. 또한부처별프로그램이중복운영되어창조경제청을중심으로개선이필요한상황 년조코위도도정권출범이후인니창조경제청 (Badan Ekonomi Kreatif) 이신설되었으나 2016년현재인력배치및조직구성이완료되지않아예산이거의거의

151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47 전무한상태로현재창조산업의발전계획수입에주로집중하고있음 < 표 3-5> 부처별창업관련프로그램 분야프로그램명주관부처지원대상지원내용 교육 보육 Entrepreneurship Training Entrepreneurship Program Training for SME Consultancy Trainer Scholarship Program for Trainer Community Entrepreneurship Program Youths Agriculture Generations Startup Incubator Program National Entrepreneurship Movement 노동 이민부 다분야창업가 기업훈련기술훈련 관리기술교육 산업통상자원부다분야창업가기업가정신교육멘토링 산업통상자원부인큐베이터, 훈련가중소기업컨설팅교육 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훈련가중소기업컨설팅교육 교육부다분야기업가정신교육 농업부 협동조합 중소기업부 협동조합 중소기업부 농업분야의 글로벌감각을견지한창업자 다분야지역스타트업 다분야 ( 예비 ) 스타트업 기업문화기업가정신교육 지역스타트업과대규모투자기관등이해관계자연계 기술교육 VC 네트워킹 자금지원 KURs 경제부, 정보통신부중소기업저리대출을포함한자금지원 * 2016 년 5 월 KURs 프로그램관련정보통신부장관은 KURs 에배정된국가예산이벤처캐피탈을통해스 타트업에지원되는방향을고려중임발표 ( 민간 ) 민간기관을중심으로벤처투자를기반으로한창업지원프로그램이활성화되고있음 - National Entrepreneurship Network: Wadhwani 재단이설립. 600개대학, 4,000명멘토, 3,200명교수진으로구성. BIC와공동프로그램운영, 인니전역대학교대상기업가정신프로그램진행 - 초기일본계중심글로벌벤처캐피탈, 현지대기업벤처캐피탈, 중소형인니창업투자등이주도함 - 최근 2년간 EXIT를경험한 1세대창업자및해외유학파출신엔젤투자도증가하

152 148 고있으며글로벌및인니벤쳐캐피털투자도증가하면서네트워킹이벤트등 IR 행사의개최도급증하고있음 * Global Entrepreneurship Program Indonesia(GEPI) 세미나, 인도네시아엔젤투자자 (Angel Investment Network Indonesia) 등 - 대기업창업주의 2 혹은 3세를중심으로 IT 및전자상거래분야의사업다각화를위한투자도증가하고있음 * ( 예 ) 자륨그룹 CVC GDP 社 blibli.com, kaskus.com 투자등 3. 주요혁신주체가. 정부 ( 개요 ) 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농업부, 협동조합 중소기업부 ( 주정부 ) 등부처별중소기업 ( 스타트업 ) 대상교육프로그램시행하고있으며 2015년창조경제산업관련전담조직으로창조경제청설립하였으나여전히인도네시아스타트업프로그램관련전부처통합기능미미한실정 ( 창조경제청 ) 인도네시아창업관련정책마련및시행 - ( 설립과정 ) 2009년관광창조경제부 (Ministry of Tourism and Creative Economy) 설립이후, 창조경제산업육성전담조직의필요성에따라 2015년대통령직속기관으로창조경제청 (Creative Economy Agency) 설치. 교육, 연구개발, 펀딩, 인프라, 마케팅, 지적재산권, 지원팀 (inter-sectoral affairs) 으로구성 - ( 역할 ) 혁신생태계구축을위하여정부, 학계, 산업계와협력하여스타트업성장을위한인큐베이팅프로그램개발, 해외투자및진출을위한박람회 포럼등개최하고있음 * 2016년 4월 KUR(micro-credit guarantee program) 을통해 7천6백만달러스타트업에지원 /2016년 4월온라인마켓 Bukalapak.com과업무협정체결, 10만개의소규모스타트업에온라인시장등록, 상품개발, 지재권보호등지원 /2016년 4월 Echelon Indonesia 개최, 국내 외 IT스타트업, 투자자, 연구기관워크샵, 세미나, 박람회진행 ( 정보통신부 ) e커머스로드맵, 핀테크인도네시아계획및추진, 관련분야스타트업

153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49 관련지원정책을포함하여 ICT분야스타트업활성화도모 ( 산업통상자원부 ) 중소기업성장을위한제도개선, 산업표준화및기술경쟁력강화를위한정책수립, 기업가정신구현을위한교육프로그램실시, 국내 외전시회에인니기업참여지원 - 중소기업대상웹사이트운영 ( 현재 1,200여개의중소기업이등록후정보기술교육등무료수강 * IBC(Incubator Business Center), RICE(Regional IT Center of Excellence), Entrepreneurship Program, Training for SME Consultancy Trainer, Training for SME Consultancy Trainer, Scholarship Program for Trainer ( 교육부 ) 센터운영, 중소기업대상기업가정신교육프로그램및공립대학들이운영하는보육프로그램 (PMW) 계획및지원 * Community Entrepreneurship Program, Center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 협동조합 중소기업부 ) 중소기업대상역량강화교육, 보육프로그램시행 * Startup Incubator Program, National Entrepreneurship Movement, 그린비즈니스센터 나. 혁신기관 BIC, TBIs, RICE, 그린비즈니스센터등정부주도기관및민간기관존재. 아직한국의창조경제혁신센터와같이창업허브및혁신거점역할을담당하는공공기관은없으며, 자카르타 반둥시에서혁신플랫폼건립추진중인상태. 유사플랫폼으로자생적민간플랫폼인발리의 Hubud이존재 년 2월창조경제청은 ICUNC(Indonesian Creative Incorporated), ICDC(Indonesian Creative Design Center) 설립계획을발표하며창업플랫폼구축의지를표명 년 6월조코위도도대통령방한시인니내창조경제혁신센터유사기관설립논의

154 150 < 표 3-6> 부처별창업플랫폼 주관부처기관명지원대상지원내용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기술 고등교육부 교육부 IBC (Incubator Business Center) RICE ( Regional IT Center of Excellence) BIC (Business Innovation Center) 정보통신분야 ( 예비 ) 창업자 텔레마틱스분야스타트업 기업, 연구기관 등의 R&D 협업 Center for Learning 정보통신기술분야 Community Activities 스타트업 기업가정신교육 세미나, 포럼, 전시회 (RICE EXPO), 훈련, 네트워킹, 멘토링 국내 외정부기관, 연구기관, 재단, 비정부기구등과협력적파트너십구축을바탕으로중소기업에네트워킹연계, 워크샵, 중소기업포럼, 혁신박람회등개최 기업가정신, 기술교육, 마케팅 ( 그린비즈니스센터 ) 2011년인니자카르타에건립, 인니중소기업부와한국중소기업청공동출자, 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가운영중 - ( 대상 ) 수자원, 태양광, 태양전지, 의료기기등친환경 신제조기반친환경사업관련중소기업및스타트업 - ( 지원내용 ) 업무공간, 통 번역, 세무, 법률, 행정서비스등 ( 인큐베이터 ) 자카르타스마트도시, 반둥테크노폴리스, 수라바야인큐베이터등 2016 년현재시정부주관보육기관설립추진중. 대학 연구기관등 50여개의민간인큐베이터존재 - 민간인큐베이터와대학 연구기관간연계지점 : 특별히 Skystar Ventures( 설립 ) 는 UMN(Multimedia Nusantara University) 내위치한스타트업인큐베이터및협업공간. 인큐베이터프로그램에참여하는대부분의스타트업은 UMN대학생으로구성되어대학내창업활성화에일조 ( 민간기관 ) 대표적으로 Hubud이존재, 외국 IT 개발자 ( 스타트업 ) 유입통해인도네시아 IT 개발자와의교류를유도하는등창업생태계조성중 - (Ubud) Hubud, Kumpul 등 8개협업공간, 협업공간내다양한인큐베이팅프로그램구성

155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Hubud) 2013년 Ubud 내작업, 문화, 휴양이결합된 IT 협업공간설립, 협업공간내저렴한공간제공, 커뮤니티프로그램, 인큐베이팅프로그램구성. 설립후전세계 1000명이상의개발자체류, 현재세계 30개국 250여명개발자가참여중. 가상화폐비트코인개발중심지로명성 다. 투자자 ( 투자현황 ) 2015년인니의투자기관은약 100여개로스타트업대상국내 외투자는상승세, Tech in Asia의발표에따르면인니스타트업대상투자건수는 2014년 36건에서 2015년 78건으로크게증가 * 2014년토코피디아 (Tokopedia) 가 1억달러의투자를감행한뒤, Lippo group의 MatahariMall 에 5억달러투자등스타트업투자규모확대중 주요투자자 - ( 로컬투자자 ) 민간투자기관으로 Mt. SEA Ventures, Ideocource, GDP Ventures등이대표적. 그외인도네시아대기업도주요투자자로활동중 * Sinar Mas Group, Lippo Group, SB-ISAT Fund, EMREK Group 등대기업벤처투자 - ( 외부투자자 ) 미국, 싱가폴, 일본의유명투자기업이활발한투자를감행중. 외국인투자제한리스트의영향으로주로인니내기업과합작회사를설립하는방식으로사업을진행해옴 * 500 Startups( 미국 ): 2015년인도네시아스타트업대상 8건투자 /East Ventures( 일본 ): 2015년인도네시아스타트업대상 18건투자 - ( 엔젤투자자 ) 100개이상의엔젤투자자가활동, ANGIN과 Angel-Q 엔젤클럽을결성하고스타트업대상투자를활발히감행 < 표 3-7> 주요벤처캐피탈 주요벤처캐피탈 투자분야 웹사이트 CyberAgent Ventures 인터넷등창업및유망기업 Mountain SEA Ventures 바이오, IT외, 창업및유망기업 Grupara Inc 스타트업, 아이디어 Ideocource 벤처인큐베이터 Rebright Partners 유망스타트업

156 152 주요벤처캐피탈투자분야웹사이트 GREE Ventures IT Fenox Venture Capita IT, 인터넷, 하이테크 < 표 3-8> 창업단계별인큐베이터및 VC 분포 (2015 년기준 ) Incubator Seed Series A Later stage Acquirors Merah Putih Inc East Ventures Ideosource Indosat Kompas Ideoworks Ideosource Sinar Mas Capital Telkom XL Axiata EV Alpha MT.SEA Ventures Cyber Agent Ventures XL Axiata Batavia incubator Grupara IMG Investments GDP Ventures Skystar Venturs 500 Startups 500 Startups Ideabox Convergence Accel Corfina Capital Ardent Labs Indigo-Fenox Convergence Accel GDP Ventures 라. 대기업 ( 로컬대기업 ) 인니정부의대기업의스타트업지원독려분위기와함께 Lippo, Sinar Mas, EMTEK 그룹등굴지의대기업들이최근빠른속도로확대되는 e커머스분야에적극적으로참여 - (Lippo Group) 방송 쇼핑몰 보험 은행 유통분야등사업활동추진외인니창업생태계의주요투자기관으로 2015년 MatahariMall 에 5억달러투자포함한스타트업대상 5건투자진행 - (EMTEK Group) 미디어, 통신기술, IT 분야사업추진. 2016년 e커머스에중점을둔온라인분야스타트업투자지속계획을발표하였으며지난 2015년 Rumah.com 등 8 건의온라인분야투자실시 - (Sinar Mas Group) 부동산, 금융서비스, 통신, 광산등다양한분야사업추진. 그룹내벤처투자회사설립후스타트업투자실시, 2015년 Happy Fresh( 식료품쇼핑앱 ) 등 4건투자 - (Djarum Group) 은행, 담배제조, 복합쇼핑몰, 호텔분야사업추진, 2015년 e커머스스타트업블리블리투자

157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SB-ISAT Fund) 소프트뱅크와인니 Indosat의합작기업으로 Qerja.com( 인도네시아기업정보공개온라인사이트 ) 등 3건투자 - ( 만디리은행 ) 인도네시아최대자산규모은행, e-money Card와 e-cash 부분의서비스등핀테크분야사업추진, 2016년 1월자회사 PT. Mandiri Capital Indonesia에약 2600만달러를투입하고핀테크스타트업지원계획발표 마. 연구기관 국공립대학교의인큐베이팅프로그램, Cipura 재단에의해운영되고있는 Universitas Cipura, UCEC(Universitas Ciputra Enterpreneuship Center) 가대표적 - (PMW 35) ) 교육부계획및지원하에공립대학들이함께운영하는보육프로그램으로학생창업을위한교육, 훈련, 펀딩등제공 - ( 스타트업랩 ) 인도국립대학교내혁신기업인큐베이터부서에서운영. 2016년부터기업과정신및혁신관련강좌를개설하고아이디어의사업화, 재정관리등창업과관련된교육진행예정. 더불어연구기술고등교육부의추가지원을바탕으로프로젝트운영 - (Cipura) Universitas Cipura, UCEC(Universitas Ciputra Entrepreneurship Center) 을통해인도네시아창업문화의약점으로지적되고있는기업가정신배양을위한프로그램을지원 < 표 3-9> Ciputra 재단운영기관 기관주요역할웹사이트 Universitas Ciputra UCEC (Universitas Ciputra Enterpreneurship Center) 인도네시아의유일한창업특성화대학기업가정신교육을공개강좌로진행학생들의벤처창업을지원미국카우프만재단글로벌기업가정신네트워크공식파트너창업및기업가정신관련교육과실무훈련제공 학생기업가정신과정, 단기창업훈련과정운영 ) PMW 는 Program Mahasiswa Wirausaha 의약어로, Student Entrepreneurship Program

158 154 바. 스타트업 2015년기준총 890개스타트업존재하고있으며창업유형은 On Demand 서비스와 e 커머스위주로활성화됨. 정부의지원이기초단계에머무르는등미미한편이라민간중심으로자생적인클러스터를조직하고스타트업간교류를바탕으로성장중 < 표 3-10> 10 대스타트업 국내순위 세계순위 스타트업 분야 1 63 Lazada Indonesia 온라인쇼핑 2 65 Tokopedia 온라인쇼핑 Bukalapak 온라인쇼핑 Blibli 온라인쇼핑 Traveloka.com 항공예약웹사이트 Elevenia 온라인쇼핑 Zalora Indonesia 온라인쇼핑 ( 패션 ) Tiket 여행상품웹사이트 Urbanlndo 온라인부동산 Urbanlndo 여행상품웹사이트 자료 : Startup Ranking Indonesia 사이트 규모가큰국내 외기업에인수되는방식으로규모확대 < 표 3-11> 대표적인대기업인수스타트업목록 스타트업 분야 해외기업 시기 Fimela Network 미디어 Kapanlagi Network Kapanlagi 미디어 Mediacorp Propertykita 광고 ( 디지털마케팅 ) Lamudi Adplus 광고 ( 디지털마케팅 ) Yellow Mobile Rajapremi.com 금융 Fatfish Internet Group Ayopay 전자결제 Mol Global Pricearea 검색엔진 Yellow Mobile 자료 : Nadine Freischlad( )

15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55 제 3 절 인도네시아글로벌혁신협력현황 1. 인니글로벌혁신협력현황 가. 부처협력현황 ( 개요 ) 창조경제글로벌협력강화를위해조코위도도대통령의국가간양허각서체결, 창조경제청등부처간양허각서체결등 MOU 체결을중심으로협력추진 - 특별히공적개발원조기금을활용하여혁신강화를위한인프라구축지원하는방안을논의등의협력방식확인됨 ( 행정부 ) 한국, 미국, 영국등창조경제선진국과협력논의. 대통령해외순방시국내스타트업동행, 정부주도하혁신생태계방문및주요벤처캐피탈면담진행 - ( 한국 ) 2016년, 인니-한창조경제협력추진협의를중심으로진행. 인도네시아조코위도도대통령은창조경제산업관련기관인창조경제청설립당시, 한국의창조경제산업을언급했던만큼한국과의교류에관심이높음. 이를반영하여타국에비해각부처, 기관간업무협의가많은편임. 자세한내용은한-인니혁신협력현황에서다룰것 - ( 영국 ) 2016년, 인니-영창조경제협력추진양허각서, 영국은인도네시아와유럽의전략적창조경제파트너십을전폭지원을약속하며최근영-인니창조협력센터를건립하여운영중 - ( 미국 ) 2015년 9월, 대통령순방시인도네시아우수스타트업대동. 인니대통령과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페이스북대표면담. 2016년 2월, 미 아세안정상회담후실리콘밸리방문, 페이스북, 구글, 플러그앤플래이, 트위터본사방문, 인도네시아디지털경제발전을위한지원논의 ( 부처 ) 중소기업부, 창조경제청을중심으로창조경제선진국가의부처및기관과협력. 협력형태는정부간협약후후속 MOU 체결, 센터건립등을통해협력 - 새로인신설된창조경제청은전시회, 박람회를지원하고선진국의창조경제를발전노하우를전수받기위해인도네시아스타트업의해외교류확대하고있음

160 156 < 표 3-12> 국별협력현황 국가협력기관협력분야협력형태 영국 ( 인니 ): 창조경제청 ( 영국 ): 문화창조산업부전분야 다국 ( 인니 ): 국가개발계획부투자 (MOU) 16 인니 - 영정부간창조경제협력추진에따 라텔레비전, 라디오, 디지털, 상품디자인, 홍보, 영화등창조산업 17 개분야 MOU 체결 ( 포럼 ) 인니 5 차사모펀드벤처포럼 (The 5th Annual AVCJ Indonesia Private Equity & Venture Forum) 개최. 10 개국국가개발계획장관의투자유치정책설명 및국제기구, 정부기관, VC, 스타트업간인도네시아에 코시스템발전방향논의 ( 지방정부 ) 해외정부, 혁신센터, 원조기관등의자문을바탕으로창업생태계구축중 - ( 자카르타 ) 2016년 USAID, 세계은행, JICA, 36) 인도네시아현지기업및다국적기업, 비정구기구관계자, 자카르타스마트시티관계자, 2015 Jakarta Urban Challenge 우승자는자카르타에서스마트시티활성화방안논의. 공적개발원조기금이스마트시티활성화에활용될수있는방안, 스마트시티인프라구축을위한사업지원방향등논의 나. 혁신기관 혁신플랫폼협력현황 (Hubud) 외국기관과 MOU 체결, 공동프로그램운영하여인도네시아스타트업의해외교류확대, 해외스타트업의인도네시아유입도모. 선진국가의인큐베이터시스템도입보다는자체프로그램의해외안내, 유사한협업공간간의협의체설립등주도적인창업생태계를형성하는중 - 인턴십제도 : 창업에관심있는세계젊은이대상기관모집, 전세계유수대학생참여중 - CAAP(Coworking Alliance of Asia Pacific): 아시아태평양협업공간업체들과협력하여 CUAsia,(Coworking Unconference Asia) 글로벌온 오프라인회의개최, 외국기관과네트워크연계등을통해 Hubud 내스타트업의글로벌협력기회제공 * CUAsia: 2년마다개최, 30여개국의협업공간관리자, 교육기관, 미디어기업, IT기업, 디지털노마드, 투자자등이모여개최국가창업환경학습, 협업아카데미, 창업 36)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일본국제협력사업단으로개발도상국에대한기술협력을주로함

161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57 관련논의진행. 창업혁신주체의글로벌네트워크구축 - 그외, 한국의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한양대학교, 한빛 HR 과교류하며 Hubud 프로 그램제공 다. 투자자협력현황 ( 로컬투자자 ) 외국기관박람회, 상담회참석하여해외스타트업의인도네시아유입유도 ( 외국투자자 ) 주인니대사관통해인니기업대상세미나개최하여인도네시아투자기회마련 년 5월호주무역투자진흥기관과주인니호주대사관의지원으로 ICT 분야액셀러레이터 Telkomtelstra, muru-d는인도네시아 ICT 분야스타트업, VC 등 60개기업을대상글로벌진출세미나진행 라. 기업협력현황 ( 로컬기업 ) 초기일본계벤처투자가주로이루었으나최근인니대기업을중심으로사업다각화를위한창업투자가활성화되고있음 - 대규모투자금액은현지대기업의사업다각화를위해진행된경우가많고소규모창업투자가대다수를차지하고있음. - ( 로컬기업의스타트업투자협력사례 ) blibli.com은 Open형전자상거래회사로 Diarum그룹자회사인 GDP Venture에서출자하여 2011년설립되어현재모기업의 3 세가경영하고있으며 Diarum그룹은인니최대전자상거래업체인 KASKUS 외 10 여개 E-commerce 업체에투자를하고있음 ( 외국기업진출현황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등글로벌대기업이진출 - 최근인도네시아정부가 IT 분야외자규제를완화하고 ICT 인프라구축프로젝트를진행하는등이동통신분야에적극적으로지원하고있어해외기업의진출이확대되는경향 - 또한인도네시아지리적특성상, 금융서비스보급률이낮고금융소외계층이많아모바일을활용한핀테크중요성이부각됨에따라관련분야외국계기업의진출확대추세

162 158 - ( 외국기업의인니스타트업투자사례 ) GRABBIKE는말레이시아 GRABTAXI의자회사로모바일플랫폼을기반으로오토바이배차서비스를제공하고있으며중국투자공사, 일본소프트뱅크, 싱가폴 Tiger Global Management로부터투자를유치함 - traveloka는 2012년일본 East Venture로부터지원을받아설립되어 2014년 2월서비스를개시하여현재인니 1위의항공권및호텔예약, 구매대행업체로성장함 마. 연구기관협력현황 ( 대학간협력 ) 미국등선진국대학교창업프로그램참여하여인도네시아스타트업의글로벌역량강화 - ( 가자마다 -MIT) 2013년, 반둥지역가자마다대학교 (Universitas Gadjah Mada) MIT 주관 GSL(Global Startup Labs) 프로그램공동운영하고인도네시아 ( 예비 ) 창업자대상글로벌스타트업역량배양. 기술, 기업가정신, 사업전략등교육진행 바. 스타트업협력현황 ( 인도네시아스타트업의해외진출 ) 대통령해외순방동행, 국제박람회참석등을통해해외기업투자유치, 글로벌진출기회마련 - ( 대통령해외순방동행 ) 2015년 9월, 2016년 2월인도네시아스타트업은미국의실리콘벨리방문하여인도네시아스타트업생태계소개, 미국주요벤처캐피탈과공식면담 - ( 국제박람회참석 ) 인도네시아패션위크및자카르트패션위크를통해자국의디자인산업을홍보하는국제박람회를개최중이며매년 10월산업제품박람회를자카르타에서개최하고있음 ( 해외스타트업의인도네시아진출현황 ) 개인경험및네트워크기반시장진출, 박람회참가등의경로로진출 - ( 시장진출 ) 2015년 5월미국비트코인대출 투자기업블라썸은샌프란시스코에서이주하여글로벌대출 투자서비스제공중 - ( 박람회참가 ) Startup Asia Jakarta 2014 참가, 인도네시아에기술선보임

163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가. 정부의對인도네시아전략 인도네시아는한국의 ODA 37) 중점협력국중하나에속하며, 한국은인도네시아의국가개발계획을고려하여 1 공공행정역량강화 2 경제인프라확충 3 환경 자원관리강화에초점을두고지원중 (2015CPS전략 ) - ( 전자정부 ) 정부의투명성 효율성제고를위한공공행정역량강화관련전자정부인프라구축을위한정책자문, 기술협력, 시스템구축사업지원 * 한-인니전자정부혐력센터가 2016년 8월자카르타에설치되어운영중이며인니정부와의사업추진을논의하고있음. 인도네시아 ICT 분야인프라구축을지원함으로써관련산업창업인프라기반제공. 또한동사업을진행하면서국내기관, 기업의인도네시아진출이확대됨에따라향후 ICT분야스타트업동반진출기대됨 - ( 교통 에너지 농산업인프라 ) 지역균형성장을위한경제인프라확충관련교통, 에너지, 농산업인프라확대사업추진. 구매력평가 (purchasing power parity, PPP) 방식의사업개발추진계획을고려할때, 관련민간투자기관의진출기회가될수있음. 또한 ICT 기술을접목한교통시스템설계, 신재생에너지등의지원을바탕으로동분야스타트업진출기대됨 - ( 환경 자원관리 ) 친환경적인지속가능한성장기반마련을위한환경 자원관리강화수자원관리시스템구축사업지원 2016년 6월미래창조과학부는정보보호산업진흥계획 ( K-ICT 시큐리티 2020 )* 의일환으로정보보호투자확대, 신시장창출, 글로벌시장진출및확대를추진중임. 동남아지역의인도네시아를 4대전략거점으로선정되었으며해당국가에디지털포렌식, 침해대응모델등수출확대계획 - ( 창업활성화전략 ) 침해대응시설 인력양성기관등을집적한정보보호클러스터조성을추진하고, 글로벌펀드및액셀러레이터와연계해유망스타트업의발굴에서사업화까지전단계지원. 관련국내스타트업의인도네시아전격진출이기대됨 37)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의약자로개발도상국의발전을위해유 무상자금을 지원하는국제프로그램으로한국은 2010 년 OECD 산하개발원조위원회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에가입하여수원국에서공여국으로전환한최조의국가가됨.

164 160 * 이번진흥계획을통해 2020년까지정보보호창업기업 100개, 글로벌강소기업 10개를육성하는한편, 현재 1.6조원규모인정보보호수출규모를 4.5조원으로확대하고, 스타트업창업, 해외시장진출기업확대, 정보보호투자확대등을통해약 1만 9천개의일자리창출할수있을것으로기대 나. 부처협력현황 ( 창조경제관련 ) 2016년인니-한창조경제협력추진협의를중심으로인도네시아창조경제관련부처와협력하고있으며, 협력형태는정부간협약후후속 MOU 체결, 센터건립등의방식 < 표 3-13> 한 - 인니부처간협력현황 국가협력기관협력분야협력형태 ( 인니 ): 창조경제청 ( 한국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 (MOU) 인니대통령방한중, 창조산업협력 MOU 체결 ( 인니 ): 창조경제청, 무역부 ( 한국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 박람회 ) K-Cinema 글로벌네트워킹 in 인도네시아개최 한국 ( 인니 ): 창조경제청 ( 한국 ): 산업통상자원부 전분야 ( 회담 ) 제 6 차한 - 인니경제협력실무 TF 개최. 무역투자, 산업, 에너지및창조산업분과개설후협력 방안협의 ( 인니 ): 투자청 ( 한국 ): 중소기업청 무역 ( 센터건립 ) 08 Korea Desk 건립 ( 대사관 ) 대사관규모는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 (EU) 외가장큼. 현재경제분야 ( 기업 ) 지원주재관은 8명으로임무관, 관세관, 노무관, 상무관, 국세관, 행자관, 건교관, 방산관등각부처에서진출기업관련업무를담당 ( 협력경제사무국 ) 한-인니경제협력사무국은 2012년양국정상의합의로인니경제조정부의공동사무소로자카르타에설치되어인니의경제및산업발전계획수립을지원하고있음 - 한-인니경제협력사무국은매년경제협력위원회를통해양국간협력사업을발굴하고있으며 2016년 4월경제협력위원회실무자급회의를통해창조경제분야의분과위를신설하여협력사업을발굴및지원하고있음

165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61 ( 정부산하기관 ) 정부산하기관으로는인도네시아자카르타총영사관,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무역협회자카르타센터등이존재. 인도네시아와의협력방식은한국기업 투자자의인도네시아진출및인도네시아투자자의한국스타트업투자등지원을위한세미나, 박람회등개최 년 5월한국 KOTRA와인도네시아진출스타트업파트너링상담회개최. BP, Investidea, Cyberagent Ventures, Ango Ventures 등인니주요투자자참석, 혁신기술보유 IT 스타트업대상투자및인니진출주선 다. 혁신기관 혁신플랫폼협력현황 창조경제혁신센터는인도네시아창업민간기관과 MOU 체결, 공동프로그램운영하여한국스타트업의인도네시아진출지원. 특별히인도네시아 Hubud과의업무협력시, Hubud의커뮤니티프로그램을도입하여한국의디지털노마드유입을기대 년 6월한국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와 MOU 체결, 커뮤니티프로그램 공동이벤트등협업진행.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는 Hubud과제휴를통해후붓의환경, 커뮤니티노하우를접목하고교류프로그램을진행함으로써글로벌인재를발굴해디지털노마드제주로거듭날것계획 라. 기업및투자자협력현황 ( 한국기업진출현황 ) 2015년 7월기준인도네시아투자진출한국기업약 2,000개사 ( 미등록업체포함시 3,000개추정 ). 제조업, 자원 에너지, 봉제등노동집약적산업과유동, IT 등다분야기업으로약 80만명이상의인도네시아근로자고용 인도네시나진출대기업은주력사업및사회공헌활동을병행하여지역사회의긍정적인식을확대하고지역일자리창출에일조하고있음. 또한대규모건설, 에너지분야진출기업의경우장기간프로젝트를운영하는과정에서한국중소기업이동반진출할기회를얻기도함 - 현재포스코, CJ, 롯데그룹, 현대건설, SK텔레콤및한전의발전자회사등대기업진출중 * 포스코현지대학생봉사단및컴퓨터교실, 현대건설인도네시아아체지역학교보건위생사업등다양한사회공헌활동추진중

166 162 < 표 3-14> 한국기업부문별진출현황 (2015 년기준 ) 부문 수 부문 수 부문 수 농업 21 종이 5 금융 보험 15 수산업 6 가구 21 통신업 IT 50 조림업 3 금속 금형 54 공기관 공기업 19 축산업 2 산업용기계 부품 57 컨설팅 36 광업 자원개발 46 전자제품 부품 94 법률사무소 4 식료품 9 조선 2 음식점 101 사료 7 자동차 부품 22 가라오케 6 의약품 1 악기 13 관광 42 의류 섬유 454 악세사리 9 항공 2 고무 14 가발 인공모발 22 기타서비스 36 가죽 피혁 33 건설 시공업 16 교육 28 생활용품 10 무역 도소매 판매유통 472 의료 3 목재 25 물류 배송 49 총계 1809 자료 : KOTRA 최근인도네시아규제완화, 중점사업추진등을반영하여최근한국대기업의현지진 출분야는건설, 에너지분야에이어 ICT 분야로확대중 < 표 3-15> ICT 분야한국기업진출현황 (2016 년 6 월기준 ) 한국기업 SK 텔레콤 엔트릭스 (SK 텔레콤자회사 ) SK 플래닛 인도네시아 협력기업 텔콤 텔콤 - 협력내용 ( 조인트벤처 ) 피티멜론인도네시아 (PT Melon Indonesia) 를설립 음악파일, 게임, 동영상등다양한콘텐츠를제공 (MOU) 기술개발협력 MOU 씽플러그 (ThingPlug) 기반의 IoT 플랫폼, LPWA(Low Power Wide Area) 기반의 IoT 네트워크, 미디어솔루션 클라우드스트리밍, 라이프웨어디바이스 UO 브랜드 진출등여러분야에서협력 (MOU후속) SK텔레콤 MOU SK텔레콤자회사인 엔트릭스 (ENTRIX) 가보유한미디 어솔루션 클라우드스트리밍 을통해텔콤가입자를위 한클라우드기반 TV서비스개발 ( 런칭 ) 11번가런칭 패션, 전자제품, 외식및관광등다양한분야에대한판 매활동진행 시기 2010년 5월 2016년 6월 2016년 6월 2014년 3월

167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63 한국기업 인도네시아 협력기업 협력내용 KT 트랜스비전 (MOU) 미디어사업전반 2015 년 11 월 KT 엠하우스 (KT 그룹모바일마케팅전문기업 ) LG 유플러스 MGN - (MOU) 모바일쿠폰서비스구축 KT 엠하우스는 MGN 에기프티쇼 API 솔루션을제공하고 모바일쿠폰발송, 구매데이터관리업무지원. MGN 은 상품조달과판매채널발굴, 기업영업, 고객관리등포괄 적사업운영 ( 경진대회 ) IT 경진대회개최 인도네시아의 IT 접근성향상과자사브랜드인지도제고 시기 2015 년 7 월 카카오패스 (Path) ( 인수 ) 인도네시아진출 2015 년 6 월 우리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뱅크메트로 익스프레스 ( 런칭 ) 위비뱅크 모바일이용대출상담, 환전신청서비스제공 인도네시아특화모바일상품을개발완료 2007 년현지은행인수후, 올하반기원큐뱅크진출, 모바 일금융서비스제공예정 ( 인수 ) 신한인도네시아은행으로명칭변경, 금융서비스 제공및핀테크서비스개발예정 2016 년 1 월 2016 년 하반기 2016 년 6 월 ( 한국기업및투자자의스타트업투자사례 ) 인도네시아스타트업에직접투자, 인도네시아에사회적기업을설립하여일자리직접창출, 국내스타트업과동반진출등의경로로인도네시아와혁신협력창출 년 6월한국의사회적기업아름다운가게, JP모건, SK 행복나눔은인도네시아사회적기업육성과활성화를위해현지사회적기업육성기관인 언리미티드인도네시아 에 2억원의기금전달 년 2월, 한국네이버와인도네시아오토바이 택시스타트업 Go-JEK 제휴, 택시운송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출시및 비즈니스커넥트 (Business Connect) 개발 년한국한빛HR 과프로그램제휴및운영. 2016년 1월한국글로벌 ( 예비 ) 창업자대상 Hubud 체류, 공동협업창업모델구상을위한현지스타트업과의교류프로그램및 Hubud 고유프로그램참여지원 년 KOICA 와포스코재단은사회적기업인 KPSE.SI(KP Social Enterprise Services Indonesia) 설립. 인도네시아찔레곤지역청년들에게일자리를제공하고, 회사경영을통한수익금은지역사회에환원함으로써지역사회일자리창출과환경관리품질향상 * 선발된훈련생들은 6개월간자원재활용과배수로관리등제철소내환경관리업무

168 164 수행및컴퓨터교육등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에참여마. 연구기관협력현황 인도네시아기관과 MOU 체결을바탕으로창업프로그램공동개발및운영, 국제박람회참석을통한현지판로확보 - ( 강원대 ) 2015년 10월강원대지역특화청년무역전문가양성사업단은 (GTEP사업단 ) 인도네시아 2015 코스모뷰티인도네시아 참가, 5,600달러현장판대, 30여명의유력바이어확보 - ( 한양대 ) 2016년 3월한국한양대와 MOU 체결, 7월부터학생창업자의인도네시아창업인턴십프로그램및스타트업해외진출을위한소프트랜딩패키지를공동개발및운영예정바. 스타트업협력현황 개인경험및네트워크기반, 대기업과의협력, 국제박람회참가등의경로로인도네시아현지진출 ( 개인자본기반 ) 현지근무경험등바탕으로현지네트워크를통해진출 - (JakPat) 2014년 8월한국모바일리서치플랫폼 JakPat은인도네시아에서개시. 창업주강성연대표는 2009년~2012 년인도네시아군복무대체해외봉사등현지경험및네트워크기반인도네시아진출스타트업런칭 - ( 잡플래닛 ) 2015년 5월한국기업정보공유사이트잡플래닛은자카르타에법인설립, 기업대표의현지업무경험및네트워크기반으로런칭 ( 박람회참가 ) 인도네시아현지박람회, 국내박람회참가하여현지관계자와네트워크구축, 향후진출발판마련 - ( 애드오피 ) Startup Asia Jakarta 2014에한국스타트업중유일하게애드오피 ( 미디어광고 ) 참석, 구글파트너십상품과함께자체광고솔루션네거티브필터링및미디에이션기술시연 년 5월한국 KOTRA가주최한인도네시아진출스타트업파트너링상담회에는실제현지투자자들이참석하여현지시장, 투자전략등을안내하였으며우수스타트업선정뒤현지네트워크연계함

16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 토탈에너지원 ) 2016년 6월대구시제16회다푸드식품산업전에참가한 ( 주 ) 토탈에너지원은인도네시아바이어와매주 40피트컨테이너 2개 (5천만원상당 ) 를수출하는계약을체결 ( 국내대기업협력진출 ) 국내대기업의글로벌영업네트워크와스타트업의혁신역량을바탕으로진출 - 웨어러블스타트업인포마크는 SK텔레콤과어린이전용단말기 T키즈폰 의해외진출을공동으로추진하기로양해각서 (MOU) 를체결, 인포마크와인도네시아통신사인도셋 (Indosat) 은 5만대의키즈폰공급 MOU 체결, 현지시장에유아용웨어러블단말인키즈폰 JooN1 3,000대를공급완료 제 4 절 한국 - 인도네시아혁신협력모델 1. 혁신생태계비교분석 가. 협력대상국가의특성 인도네시아시장의 SWOT 분석 (SWOT 분석 ) 한국의인니시장진출시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를파악하여한 인니협력사업추진시타당성과리스크를분석 ( 강점 :Strength) 우리나라의높은혁신역량과발전경험 - ( 혁신역량 ) 정부의정책및제도지원과민간의창의적인역량을기반으로단기간경제발전및산업구조고도화에성공함 - ( 발전경험 ) 국가적인혁신의추진을위한제도및정책을통한발전경험축척 ( 약점 :Weakness) 대인니협력경쟁국들 ( 일본및중국 ) 에비해절대적으로부족한투자규모와협력사업의경험부족 - ( 투자규모 ) 09. 창조경제청신설, 16. 스타트업육성을위한 BEKUP( 정부주도프로그램 ) 발표. 및외국인투자에대한규제완화 - ( 경험부족 ) 국가적인혁신을개발도상국에전파할혁신협력모델및전문가가부족하고인도네시아시장을중장기적으로접근하는양국간협력체계미비

170 166 ( 기회 ) 인니정부의적극적인창업및혁신정책추진, 경제발전을통한내수시장의성장과확대, 아세안경제공동체 (ASEAN Economic Community) 출범 - ( 창업정책 ) 09. 창조경제청신설, 16. 스타트업육성을위한 BEKUP( 정부주도프로그램 ) 발표. 및외국인투자에대한규제완화 - ( 내수시장 ) 세계 4위의인구대국이자동남아시아유일의 G20국가로최대의경제규모로내수시장이지속적으로확대 - (AEC 출범 ) 동남아시아시장은 2016년아시아경제공동체의출범으로되면서동남아시아시장진출을위한테스트베드로활용가능 ( 위협 ) 정부의낮은효율성, 높은정부규제, 기업경영및활동을위한기반미비 - ( 정부비효율 ) 낮은정부의투명성과정책의일관성부족으로국가및기업간사업개발과추진이어렵고중앙뿐만아니라지방정부의규제장벽도높고복잡함. - ( 기업경영기반미비 ) 창업및투자에대한규제장벽이높고기업경영에필요한신용및기술평가와회계서비스등이낙후함. 한국 ICT 기업의 SWOT 분석 (ICT SWOT 분석 ) 한국 인도네시아의혁신협력업종으로유망한정보통신서비스업을위주로한국스타트업의진출시고려해야할여러가지요건들을 SWOT분석 38) - (Strength) 정보통신기기제조에관한한국의기술력과자본력은타경쟁국에비해비교우위에있음 * 삼성전자는인도네시아스마트폰시장에서높은인지도와가격경쟁력을바탕으로 2014년까지압도적인 1위를차지하고있으며 2015년중국 (ASUS, Lenovo) 및현지업체들 (Smartfren, Advan) 의저가폰판매가늘어나시장점유율이다소낮아짐 38) 인도네시아산업중성장성과협력가능성이높은업종에대한한국의역량을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로나누어분석함. ( 강점 : Strength) 인도네시아와의혁신협력을위해다른경쟁국가에대한한국의절대및비교우위, ( 약점 : Weakness) 인도네시아와의혁신협력을위해다른경쟁국가에대한한국의절대및비교열위, ( 기회 : Opportunity) 인도네시아와의협력사업을추진시한국의기회요소,( 위협 : Threat) 인도네시아와의협력사업을추진시한국의위험요소

171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67 [ 그림 3-5] 인도네시아스마트폰시장점유율 ( 단위 : %) 자료 : IDC Indonesia - (Weakness) 통신서비스와시스템소프트웨어분야는산업의시장구조와기술력에있어비교열위에있음 * 통신서비스의경우독과점적시장구조로인해진입장벽이높고시스템소프트웨어의경우미국및일본의비해자본력과기술력이현저히낮음 - (Opportunity) 최근시스템소프트웨어분야에서한국대기업의진출 ( 네이저 라인, 다음카카카오 카카오톡 등 ) 이활발히진행되고전자정부분야의정부간협력이활성화되고있음 - (Threat) 중국의대규모투자와수출이급격히증가하고있으며정보통신인프라에대한투자를통해중국기업의혁신협력이가파르게진행되고있음 * 인도네시아정부는유무선통신망을구축하기위해 PPP방식의투자를적극적으로유치하고있으며중국업체가저가물량공세로통신망인프라프로젝트의대부분을수주하고있음 * ( 중국의대인도네시아투자전략 ) 인도네시아의대형통신사 XL Axiata와안테나공급계약을체결한중국화웨이 (Huawei) 는 첫 3년동안안테나의무료제공을제시하여장기계약을수주함. 화웨이는저렴한가격을내세워인프라를구축해놓고향후발생하는수익을챙긴다는전형적인중국의투자전략을구사하고있음

172 168 나. 협력목표 한국혁신생태계와의연계분석 ( 혁신자산부족 ) 국내스타트업의인니시장진출시신뢰할수있는시장및투자정보가부족하고시장조사비용도매우높음. 인도네시아혁신생태계는혁신생태계의발전을위한노하우및기반 ( 인력, 자본및인프라 ) 가부족함 ( 혁신자산보완 ) 국내스타트업의인니진출을지원하기위해인도네시아정부와의공동연구및협력사업 ( 발전경험전수, 혁신프로그램공동운영, 인력양성및교류등 ) 을지원하여인도네시아혁신생태계를발전시키고향후동남아시아시장진입을위한거점국가로활용 혁신자산의부족 ( 필요성 ) 혁신자산의보완 ( 협력을통한해결방안 ) 인니 창업지원정책의낮은실효성, 우수스 타트업 인력 기술부족, ICT 인프라 부족 우수스타트업유치및창업정책전수를통한혁신생태계발전의필요성 한국 발달된혁신생태계, 창업정책경험, ICT 인재육성노하우보유 스타트업진출, 혁신모델전파, 프로그 램공동운영, ICT 인프라구축지원 한국 기업 내수시장의한계, 시장정보부족, 네트 워크부족문제등으로현지창업활동이 어려움 안정적인시장진입에대한요구 인니 한국 큰내수시장과높은성장잠재력, 정부지원정책보유 외국인투자제한완화, 절차간소화등 창업인프라개선 국가 혁신기관 대기업의개도국네트 워크보유, ODA 등자금 공공기관 대기업사업연계진출, 혁신 기관 지자체간네트워크를활용한진출지원 이를통해다음과같이각각의협력목표를도출함 협력목표도출 ( 인도네시아 ) 한국의창업정책및지원제도에대한발전경험을공유하고우수스타트업유치를통해자국의창업생태계를발전시킴 ( 한국 ) 국내스타트업의글로벌화 ( 동남아시아시장개척및투자유치등 ) 를통해정체된국내시장의한계를탈피하고매출확대를통한고속성장기회마련

173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전략수립가. 협력현황 주요협력유형 ( 협력현황 ) 정부간, 공공 민간차원의혁신협력추진중 - 양국의정부간협력사업은주로한국정부의개발공여사업 (Official Development Assist) 을중심으로이루어져주로 1회성사업으로종결됨 - 기존협력사업이시장의공급자중심으로추진되었기때문에시장경쟁력을확보하지못함 * 2000년대한류를기반으로인도네시아자카르타지역에한인타운건립을추진하였으나시장조사부족으로인한경쟁력의상실로실패함 - 인니정부의적극적인협조와지원을획득하기위해양국간의윈-윈전략수립이필수적임 ( 시대별한-인니협력방향성 ) 한국과인도네시아의산업협력은주요업종의투자목적에따라 1) 자원토목건설 - 2) 생산거점확보 - 3) 내수공략및시장발굴로나누어짐 [ 그림 3-6] 한국 - 인도네시아산업협력의시대별특징 자료 : 한 - 인니경제협력사무국 - (1950~70 년대자원토목건설 ) 한국의경제개발초기에인프라건설에필요한목

174 170 재를확보하기위해주로산림자원을중심으로천연자재개발에투자가활성화됨. - (1980~90 년대생산거점확보 ) 한국의임금이가파르게상승하면서노동집약적인봉제 신발산업의가격경쟁력을확보하기위해투자가이루어짐. - (2000년대이후내수시장공략 ) 인도네시아의경제발전으로인한중산증의증가로확대되는내수시장을공략하기위해한국기업의투자가대형화및다각화되고있음. 한국의대인도네시아투자는 14년도대인니투자규모는전년대비약 50% 규모로크게감소하였으나최근금융업 ( 신한은행 ) 의진출로인해다시증가하고있음 - 14년대인도네시아투자는포스코, 롯데및한국타이어의현지투자가완료되면서총금액은감소하였으나총투자건수는오히려 42% 가증가함. < 표 3-16> 국가별대인도네시아투자규모 ( 단위 : 백만USD, 괄호안은순위 ) 싱가폴 5,565.0(1) 5,123.0(1) 4,856.4(1) 4,670.8(2) 5,832.1(1) 일본 712.6(4) 1,516.1(2) 2,456.9(2) 4,712.9(1) 2,705.1(2) 말레이지아 472.1(7) 618.3(6) 529.6(8) 711.3(8) 1,776.3(3) 네덜란드 608.3(5) 1,354.4(4) 996.5(5) 927.8(6) 1,726.3(4) 영국 276.2(9) 419.0(8) 934.4(6) 1,075.8(6) 1,587.9(5) 미국 930.9(3) 1,487.8(3) 1,238.3(4) 2,435.8(3) 1,229.5(6) 대한민국 328.5(8) 1,218.7(5) 1,949.7(3) 2,205.5(4) 1,126.6(7) 중국 173.6(10) 128.2(10) 141.0(10) 296.9(10) 800.0(8) 자료 : 인도네시아투자청 (BKPM) ( 협력여건의변화 ) 2016년 5월인도네시아조코위도도대통령방한을기점으로새로운일자리와부가가치의창출을위해창조경제산업중심의혁신창업관련협력이활발하게논의되고있음 - 인도네시아정부는투자제한리스트를개정하고세금감면제도를제공하여적극적인투자유치에나서고있으며한국의창업지원정책에관한노하우를벤치마킹하고자함 * 13년~15 년 4년간한-인니경제협력사무국은인니경제조정부의요청으로중소기업및창업제도에관한연구사업을수행함 - 가파르게성장하는인도네시아내수시장에진출하기위해한국스타트업기업의

175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71 진출도증가하고있음 * 2015년부터한국의대인도네시아투자건수는중소기업및창업기업의인니진출로인해전년도에비해약 40% 가증가함 ( 최근양국간협력방향 ) 인도네시아창업생태계가초기단계에머물러있으나, 한국의창업정책과지원제도에대한노하우를전수받기희망하므로한국정부, 공공기관및대학등다양한분야에서구축된협력네트워크를활용하는것이필요함 - 조코위도도정부의출범이후신설된중앙부처인창조경제청은한국의창조경제육성정책을전수받고협력사업을발굴하기위해한-인니경제협력위에창조분과를신설함. - 자카르타이외낙후된지역의지방정부는지역경제를활성화하기위해인프라사업과창업센터에대한관심이높으며 25개경제및관광특구와관련된인프라에대해한국의투자를요청하고있음 - 민간창업생태계는대학의창업혁신센터가중심으로형성되었고최근대기업의투자가늘어나면서발전이가속화되고있으며한국대학과의교류도활발히이루어지고있음 주요협력주체 양국혁신기관, 지자체를중심으로협력 - ( 한국측 ) 창조경제혁신센터, KOTRA 무역관, 무역협회, KOICA 현지사무소, 현지진출대기업 - ( 인도네시아측 ) 창조경제청, 중소기업부, 지역별혁신도시개발담당부서나. 협력모델 ( 협력모델 ) 혁신모델전파, 정부 대기업 ODA 사업, 혁신기관간프로그램연계 ] 운영을통해스타트업진출지원및동남아진출교두보확보 - ( 혁신모델전파 ) 인도네시아는한국의혁신정책및인프라투자에관심이많고정부, 공공기관, 민간및대학에구축된다양한네트워크가있으므로이를이용하여혁신모델을전파 - ( 종합적지원시스템 ) 중소스타트업의역량부족으로부실한현지시장조사, 마케팅, 경영관리등지원하기위해정부의역할이필요함. 중소스타트업의경우인니

176 172 시장진출을위해경제적 비경제적비용이높으므로정부의창조경제혁신센터수립을통한종합적인지원시스템구축이필요함 - ( 현지진입인프라마련 ) 도시내혁신공간에국내기업및스타트업진출이용이하도록업무협약체결, 현지에서스타트업이성장할수있는기회제공 * 자카르타 ( 스마트시티 ), 반둥시 ( 테크노폴리스 ), 발리 ( 후붓 ) 등 - ( 국내거점지원간연계 ) 혁신센터의인니중점산업스타트업의선발 인도네시아코트라무역관, 무역협회를통해현지박람회등정보공유로현지투자유치, 혁신센터연계대기업과협력진출 - (OVOP 사업 * 과창업지원프로그램연계 ) OVOP 사업과혁신센터창업지원프로그램연계, 스타트업 (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 의현지진출지원 * (One Viliage One Product) KOICA-KOTRA- 대기업 ( 롯데, 포스코 ) 이협력하여, 인도네시아낙후지역의특산물을상품화하여해당지역의소득증대에기여하는조합사업 [ 그림 3-7] 혁신창출형협력모델 ( 혁신주체별역할 ) 주요혁신협력주체는인니진출을추진하는중소스타트업이며이 를지원하기위한정부및공공기관 (KOICA, KOTRA 무역협회등수출및투자진흥

177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73 기관 ), 창조혁신센터, 대학및대기업의지원이중요함 - ( 정부 지방자치단체역할 ) 중앙정부의경우정부간협력사업발굴및인도네시아창조경제혁신센터유사기관설립을위한한국의경험전수 * 현지한국지방자치단체에서인도네시아에파견한인력은소수가존재하고있으나예산, 네트워크및전문인력이부족하므로사업추진의어려움이매우어려움 - ( 창조경제혁신센터역할 ) 각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를중심으로인니진출의사를가진우수스타트업을선발하여인도네시아진출지원프로그램을 KOICA, KOTRA, 무역협회와공동기획 운영하거나대기업연계진출지원지원프로그램을통해인니현지진출을지원 - ( 인도네시아측 ) 창조경제혁신센터유사기관설립시, 한국스타트업진출을위한기초인프라제공및인허가절차간소화 3. 세부협력전략 가. 산업별혁신협력 ( 중점혁신협력업종도출 ) 양국의비교우위를기반으로인도네시아정부가중점적으로육성하는분야를중심으로창업생태계기반을구축하는것이효율적 - ( 중소기업중심 ) 최근한 인니양국간교역및투자는대기업중심의대규모투자에서중소기업중심으로전환되고있음 - ( 유망분야 ) 새로운혁신협력을위한업종으로최근증가하고있는서비스산업중유통및물류서비스, 금융서비스산업과정보서비스산업이유망할것으로판단됨 - ( 대기업CSR) 인니진출대기업의경우의무적으로 CSR사업을추진해야하기때문에이미여러가지사업을추진하여진행하고있음 ( 정보통신산업 ) 인도네시아의정보통신산업은많은인구와최대군도국가로서의지리적여건으로인해가장빠르게성장하고있으며최근스마트폰보급의증가로관련산업의수요가급증하고있음 - ( 성장률 ) 인도네시아 ICT산업은 2001년부터 2014년까지연평균 19.02% 씩성장하고있으며동기간경제성장률과비교하여약 3.51배이상높음

178 174 [ 그림 3-8] 인도네시아경제성장률 ( 연간기준, ( 단위 : %)) 자료 : Statistics Indonesia(BPS) 사이트 ( 정보통신산업의산업구조 ) 인도네시아 ICT 산업구조는모바일중심의정보통신서비 스, 하드웨어중심의기기및장비, 소프트웨어로구성되어있으며통신서비스회사는 상대적으로자국내시장에서독과점적지위를확보하고있음 [ 그림 3-9] 인도네시아 ICT 산업구조 자료 : Statistics Indonesia(BPS) 사이트 - ( 통신서비스 ) 시장지배력이높은 3 개사모두정부의지분소유가높아안정적인수익 구조를통해발전하고있음 - ( 하드웨어 ) 자본과기술부족으로자체생산에불가능하여해외수입에의존하고있으

179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75 며 2015 년 7 월부터시행된인도네시아정보통신부령 27 호를통해인도네시아정보 통신기기의국산부품사용요건을강화하고있음 < 참고 > 인도네시아정보통신부령 27 호 4 조 2015 년 (1)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기반정보통신기기의경우, 다음과같은국산부품사용규정을충족할의무를지님. a. Base Station( 기지국 ) 의경우, 최소 30% b. Subscriber Station( 단말기 ) 의경우, 최소 20% (2) (1) 항에서정의된국산부품사용규정 (TKDN) 을준수했다는것을산업부문행정을관할하는장관부에서발행한증명서혹은공식서류를통해증명받아야함. (3) 주파수대가 2100 MHz, 1800 MHz, 900 MHz, 800 MHz인 LTE 기술기반정보통신기기는 2017 년 1 월 1 일부터, 주파수대가 2300 MHz인 LTE 기술기반정보통신기기는 2019 년 1 월 1 일부터제 (1) 항에서명시된국산부품사용규정이다음과같이변경적용됨. a. Base Station 의경우최소 40% b. Subscriber Station 의경우최소 30% (4) 이부령은공표된날짜부터유효함. * 인도네시아국산부품사용요건 (TKDN, Tingkat Komponen Dalam Negeri) 은인도네시아자국산업을보호하기위한기술무역장벽중의하나로, 정부사업입찰에참여시지정품목에대해서현지생산제품을사용하거나현지에서직접제조해사용함을규정함 - ( 시스템소프트웨어 ) 개발인력의부족으로낙후되어있으나인도네시아조코위도도정부는창조산업으로육성하기위해스마트폰앱및콘텐츠의 40% 로의무적으로탑재하도록규제를신설하여강화함 - ( 전자상거래 ) 인도네시아의급증하는스마트폰의보급을기반으로인니정부가중점육성하는전자상거래 (e커머스로드맵 ), 모바일상거래, 핀테크 ( 핀테크인도네시아 ), 문화콘텐츠 (2015년조코위도도대통령창조경제청창설시 K-pop 등한국창조경제산업벤치마킹언급 ) 중전자상거래분야및관련업종이적합함 * 인니정부는세계최대군도국가로서자국의지리적환경으로발생한물류비용을낮추고새로운일자리를창출하기위해전자상거래를적극적으로육성하기위해관련외국인투자제한리스트및규제를완화하거나철폐함.

180 176 나. 유형별혁신협력 ( 진출방식 ) 진출스타트업을중심으로주요혁신협력주체들을연계할수있는 1) ODA 프로그램을통한진출, 2) 창조경제혁신센터 현지무역관또는진출희망대기업을통한진출, 3) 현지진출대기업 CSR 사업을통한진출, 4) 지방자치단체간협력을통한진출등이유망함 (ODA 프로그램 ) KOICA는 ODA 프로그램과지방자치단체, 창조경제혁신센터의창업프로그램을연계한 혁신기술기반의창의적가치창출프로그램 (CTS: Creative Technology Solution) 을개발하여운영중 ( 창조경제혁신센터 현지무역관 진출희망대기업연계 ) 인도네시아중점업종스타트업육성에특화된창업지원기관 ( 창조경제혁신센터 ) 이관련분야스타트업의성장, 아이디어의사업화지원하고, 인도네시아코트라무역관, 무역협회를통해현지박람회등정보공유로현지투자유치혹은혁신센터연계대기업과협력진출 * ( 예시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는전국유일의핀테크지원센터운영중, 인도네시아중점산업인핀테크산업을고려해 1 경기센터핀테크지원센터에서의우수스타트업육성 (Finstart Hub Program) 선발 2 KOTRA, 무역협회인도네시아센터에서주도하는현지투자자유치, 기술설명회참석하여투자유치, 또는 3 현재핀테크진출계획중인국내은행, 대기업과연계하여진출 ( 핀테크지원센터는국내금융회사와스타트업멘토링제도를진행하는등자체네트워크를구축한것으로보임 ) ( 현지진출대기업 CSR 사업참여 ) 인도네시아현지에진출한대기업 ( 포스코, 현대, 롯데 ) 이진행하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사업에국내스타트업이기술, 인력제공하여현지네트워크를자체적으로구축하고관련시장을탐색할수있는기회제공 * ( 예시 ) 포스코에서운영중인스마트교실에국내 ICT, 빅데이터관련스타트업이진출하여운영 ( 지방자치단체간협력 ) 자카르타 ( 스마트시티 ), 반둥 ( 테크노폴리스 ) 시와도시내혁신공간에국내기업및스타트업진출이용이하도록업무협약체결, 현지에서스타트업이성장할수있는기회제공 (OVOP 프로그램 ) One-Village-One-Product(OVOP) 프로그램과창업지원프로그램을

181 제 3 장특화형 Ⅲ: 인도네시아 177 연계하여사회적기업, 적정기술기업등스타트업의현지진출지원 < 표 3-17> One-Village-One-Product(OVOP) 프로그램 프로그램정의대상지원내용개요 한국에서운영되고있는 1 촌 1 사운동을발전시켜현지진출대기업이인니낙후지 역의특산물을상품화 (One Viliage One Product) 하여해당지역의소득증대에기여하는조합사업 기술기반예비창업자, 스타트업, 기술집약적중소기업, 소셜벤처, 사회적기업등 현지출장, 기술개발비용등예산지원하며현금지원은원칙적으로금지 3 년이내모든지원이제한되어사업성확보를통한자립운영을강조함. KOTRA 와 KOICA 가공동으로운영하고있는국제협력개발프로그램으로 물고기 보다물고기잡는법을전수해야한다 는원칙을바탕으로현지낮후지역의특산품을상업화를지원하여지역소득증대및경제적자립을도모함. - 지원 3 원칙 : 현금지원금지, 사업화를기초로조건부지원, 3 년이내 2013 년 KOTRA 에서본사에서직접선발하였으나현재 5 개사 6 개조합이운영되고있음. 추진현황 후원기업 OVOP 품목 조합소재 CJ 인도네시아 코코넛설탕 족자카르타 삼성전자 전통수공예품 롬복 롯데마트 코코넛오일 (VCO) 족자카르타 하나은행 오거닉 (Organic) 커피 발리 Eagle 현재 OVOP에서공익사업으로전환중

182 178 제 4 장 특화형 Ⅳ: 케냐 제 1 절 서론 전통적산업구조와미비한인프라 - ( 농업중심의전통적경제구조 ) 케냐는농업중심의경제구조를가지고있으며이제제조업을활성화하려는단계 - (ICT 인프라 ) 케냐의정보통신발전지수는세계수준과비교했을때는미비하나아프리카평균이상이며동아프리카공동체 (EAC, East African Community) 중가장높은수준 * * 2016년국제전기통신연합 (ITU) 의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기준 2.99, 총 166개국가중 129위 ) - ( 기타 ) 낮은문해율과중등교육취학률로숙련된노동인력이부족하고부정부패, 불안한치안등의위험요인이있음 높은성장잠재력과거점국가로서의가능성 - ( 성장잠재력 ) 최근지속적으로 4~6% 대의경제경장률을기록하였으며, 케냐는아프리카에서남아공, 모로코, 이집트에이어 4번째로투자자선호도가높은지역 * * Earst & Young 투자매력도지수기준 - ( 모바일중심의창업생태계 ) 엠페사 (M-Pesa) 의성공이후인터넷및모바일앱중심으로보건, 농업, 금융등다양한분야의스타트업발달 - ( 거점국가로서의가능성 ) 동아프리카공동체 (EAC) 주도국으로지역통합강화및동아프리카국가간무역거래를촉진시키는데주요역할을수행. 외국인직접투자도활발하며여러다국적 ICT 기업들이진출 정부의정책의지및최근강화된한국과의협력 - ( 비전 2030) 1, 2차중기계획을통해케냐정부는케냐의정치, 사회, 경제발전에대한목표를추진중이며이러한개발계획에는 ICT 인프라구축및 ICT 산업발전을위한노

18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79 력이포함됨. 1차중기계획으로 3개의해저광케이블네트워크및지역광케이블구축, 총전력량 22% 증가를달성함 - ( 정부의창업정책 ) 창업정책인 Entreprise Kenya Initiative, 혁신클러스터인콘자테크노시티건설등으로혁신생태계활성화를위한정부의노력 - ( 최근강화된한국과의협력 ) 케냐는 1964년수교이후국제무대에서친한국적입장을유지하고있으며, 무역활성화, 세제협력, 투자보호, 개발원조관련협력이이루어져옴. 2016년한국-케냐정상회담을계기로과학기술협력, 과학기술혁신금융협력, 전자정부협력등총 20건의 MOU를체결. 이를토대로기관들간의보다긴밀한협력체계를구축할수있을것으로보임 ( 특화형협력모델의필요성 ) 인프라및창업생태계가아직미비함에도불구하고정부의적극적인창업정책, 높은성장가능성, 아프리카시장으로접근할수있는거점국가로서의가능성을고려할때케냐와의협력가능성을적극적으로검토해볼필요가있음. 최근강화된한국과의협력을적극적으로활용 제 2 절 케냐창업생태계발전현황 1. 경제현황및산업구조가. 경제현황 경제규모 ( 경제규모 ) 동아프리카공동체 (EAC) 주도국으로지역통합강화및동아프리카국가간무역거래를촉진시키는데주요역할을수행하고있음 39) - ( 지리적위치및인구규모 ) 케냐는아프리카동부인도양연안에위치하고있으며, 한반도면적의 2.6배에달함. 2015년기준인구수는 46.1백만명으로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남수단, 탄자니아, 우간다국경과접하고있음 39) 동아프리카공동체 (East African Community, EAC): 동아프리카 5개국 (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 으로구성된지역협력체임. 2005년에역내관세동맹을출범시키고 2009년에단일공동시장창설협약을체결하였으며, 2010년엔역내공동관세율의적용함. 궁극적으로동아프리카권역의경제및정치통합을추진하고있음

184 180 - ( 소득수준 ) 케냐의 1인당 GDP는 2015년기준 1,386달러로사하라이남아프리카국가평균 1,792달러에못미치는수준 - ( 신용등급 ) 경제협력개발기구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는 2003년 6월케냐에대하여 6등급을부여하였고, Fitch는 B+, Moody s는 B1의국가신용등급 40) 을부여하고있음 (< 표 4-1> 참조 ) < 표 4-1> 케냐에대한주요기관별평가등급 평가기관 최근평가등급 종전평가등급 OECD 6 ( ) 6 ( ) Fitch B+ ( ) B+ ( ) Moody's B1 ( ) B1 ( ) 자료 : 수은해외경제연구소케냐국가신용도평가리포트 (2016) p.11 재인용 - ( 재무구조 ) IMF에따르면현재케냐는투자비용이증가하는만큼부채또한증가하는추이를보이고있고, 경제가안정된시기인만큼부채관리의필요성있음을권고하고있음. 2016년초케냐의국가부채는 GDP의절반을초과해 51.3% 를기록하였으며, 2016년말에는그보다높은 52.7% 를기록할것으로전망됨 성장가능성 ( 경제성장 ) IMF 경제동향보고서따르면케냐는아프리카 22개원자재비수출국중하나로분류되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평균실질 GDP 성장률과 2016년예상성장률이유사한수치를기록함 ( 아래 < 표 4-2> 참조 ) - 케냐는유류 / 원자재비수출국으로서국제유가및원자재가격변동의영향을덜받고, 산업기반시설에지속적인투자유치가이루어져, 앞으로도 6% 이상의경제성장률을유지할것으로예상됨 40) 신용등급기관들이 A, B, C 문자를이용하여등급을매김등급기준은가장높은것부터가장낮은 것까지 AAA, AA+, AA, AA-, A+, A, A-, BBB+, BBB, BBB-, BB+, BB, BB-, B+, B, B-, CCC+, CCC, CCC-, CC, C, D 순

185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81 < 표 4-2> 케냐실질 GDP 성장률 연도별 성장률 (%) 주 : 2016 년예상수치자료 : IMF(2016) - [ 그림 4-1] 에서볼수있듯이케냐의경제성장률은 2012년 4.6%, 2013년 5.7%, 2014년 5.3%, 2015년 5.6% 를기록하였으며, 이는사하라이남아프리카지역평균치보다높은수준임. 경제성장의주요이유로는중산층증가에따른소비증대, 인프라등에대한지속적인투자, 외국인투자의증가를들수있음. 2016년, 2017년은각각 5.5%, 6.0% 성장률이전망됨 [ 그림 4-1] 2011~2017 년케냐경제성장률 주 : 2016 년, 2017 년은전망 자료 : Economist Intelligence Unit 사이트 - ( 물가상승률 ) 2015년소비자물가상승률은 6.6% 로추정되며, 2016년과 2017년은 5% 수준의상승률을기록할것으로전망됨 - ( 재무구조 ) 2015년제정수지적자비율은 2014년대비 7.2% 에서 8.1% 로커짐 ( 성장잠재력 ) 2015년 Ernst & Young의투자매력도지수 ( Investment Attractiveness Index) 에따르면케냐는남아공, 모로코, 이집트에이어아프리카대륙에서 4번째로투자자들의선호가높은투자국가로선정됨

186 182 - 동지수에따르면케냐는인프라분야성장, 높은경제성장및경제성장기회등의장점을가지고있다언급됨 국제비교지수 ( 글로벌경쟁력지수 ) 2015~2016 년국가경쟁률은 144개국가중 99위를차지하고있으며, 2014~2015 년 148개국가중 90위에서하락한순위임 [ 그림 4-2] 케냐의국가경쟁력 자료 : Klaus Schwab(2015) - 글로벌경쟁력지수는세계경제포럼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41) 에서제시 한총 12 개의지표를가지고평가한것임. 42) 케냐는 2012 년이래로글로벌경쟁력지 수 (GCI) 43) 3.7~3.9 사이를유지하면서 140 개국가중에서 90 위에서 106 위사이의 41) 저명한기업인, 경제학자, 저널리스트, 저이인등이모여세계경제에대해토론및연구하는국제민간회의 42) 주요평가요소로는기본요소 (60%), 효율성강화 (35%). 혁신및전문요소 (5%) 등이있으며, 각요소마다하위지수가있음. 1이가장낮음을의미하며 7이가장높은지수로, 총 140개국가의순위가매겨짐.

187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83 순위를유지하고있음 < 표 4-3> 2012~2016 케냐의글로벌경쟁력지수 연도 2012~ ~ ~ ~2016 순위 106 / / / / 140 점수 (1~7) 자료 : WEF(2015a, p.220) - 대체로시장효율성지표항목에서낮은순위를유지함. 하지만현지시장경쟁력은총 140국가중 23위로높은순위를유지함 - 비즈니스개시시작을위한단계수및날짜수관련항목은각각 116위, 112위를차지하며최하위순위로분류됨 - 금융시장발전지표에서는 3개분야에서상위권순위를유지함. 케냐는법적권리지수분야에서 24위, 현지주식을통한재원투자 28위, 대출편의성 34위를기록함 - 시장규모관련하여 GDP의 16.7% 가수출이며총 140국가중 130위로하위임 < 표 4-4> 시장효율성지표 하위항목 지수 (1~7) 총 140국가중순위 현지시장경쟁력의강도 시장독재의강도 반독점규제의효과성 투자인센티브에대한세금의영향력 총세금율 ( 이익대비 %) 비즈니스시작을위한단계수 비즈니스시작을위한날짜수 농업정책비용 비관세장벽유지여부 무역관세 (%) 외국인소유여부 )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세계경제포럼에서매년각국의노동시장효율성, 거시경제의건전성 등 12 개부문을평가해해당국가안에서기업들이얼마나효율적으로경제활동을할수있는지를 보여주는지수

188 184 하위항목 지수 (1~7) 총 140국가중순위 FDI 44) 규제로인한비즈니스영향력 세관절차의영향력 총 GDP의수입비율 (%) 고객지향제공여부 구매자의세련성 자료 : WEF(2015a, p.221) < 표 4-5> 케냐의금융시장발전지표 하위항목 지수 (1~7) 총 140국가중순위 금융서비스이용가능성 금융서비스이용능력가능성 현지주식을통한재원투자 대출편의성 벤처자산유효성 은행의재무건전성 증권거래에대한규제 법적권리지수 (0~12) 7 24 자료 : WEF(2015a, p.221) < 표 4-6> 시장규모지표 하위항목 지수 (1~7) 총 140국가중순위 내수시장규모지수 외국시장규모지수 GDP( 천만달러 PPP 기준 ) 총 GDP의수출비율 (%) 자료 : WEF(2015a, p.221) - 비즈니스세련도부분에서는현지공급자양적수준, 클러스터개발, 가치사슬, 권 위양도관련하여, 각각 21 위, 37 위, 44 위, 37 위를기록해상위권을유지함 - 비즈니스세련도지표에서최하위순위는 68 로, 대부분항목이상위권을유지함 44) 외국인직접투자 [foreign direct investment], 단순히외국인이국내에자산을운용하는것이아니라경 영참가및기술제휴등국내기업과의지속적인경제관계를수립할목적으로투자하는것

189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85 < 표 4-7> 비즈니스세련도지표 소항목 지수 (1~7) 총 140국가중순위 현지공급자양적수준 현지공급자질적수준 클러스터개발상황 비교우위상황 가치사슬강도 국제공급관리 생산과정세련도 마케팅강도 권위에대한양도여부 자료 : WEF(2015a, p.221) - ( 기업환경지수 ) 세계은행기업환경지수 (Ease of Doing Business Index) 2017 에따르 면케냐는전세계국가중 92 위를차지하고있음 (< 표 4-8> 참조 ) < 표 4-8> How economies in Sub-Saharan Africa(SSA) rank on the ease of doing business Note: The rankings are benchmarked to June 2015 and based on the average of each economy s distance to frontier(dtf) scores for the 10 topics included in this year s aggregate ranking. The distance to frontier score benchmarks economies with respect to regulatory practice, showing the absolute distance to the best performance in each Doing Business indicator. An economy s distance to frontier score is indicated on a scale from 0 to 100, where 0 represents the worst performance and 100 the frontier. For the economies for which the data cover 2 cities, scores are a population-weighted average for the 2 cities. 자료 : Doing Business database.

190 186 ( 투자환경 ) 케냐의투자환경관련, 세계은행의기업환경지수 (Ease of Doing Business Index) 가지난 1년동안의상승세로나타남 년 137위에서 2015년 136위로 1단계상승함 - 케냐의기업환경평가지수는사하라이남아프리카 (142) 보다높으나탄자니아 (131), 나미비아 (88), 보츠와나 (74), 르완다 (46), 모리셔스 (28) 보다낮은순위를차지함 < 표 4-9> 2014~2015 케냐의기업환경지수 ( 총 189국가중순위 ) 평가분야 사업시작 건설허가 전력확보 재산신고 신용도확보 소수투자자보호 세금납부 국경간교역 계약준수 파산상태해결 전체순위 자료 : 김정민외 (2015, p.86) 재인용 [ 그림 4-3] 2015 년케냐및사하라이남아프리카기업환경지수순위비교 ( 단위 : 총 189 국가중순위 ) 자료 : 김정민외 (2015, p. 87) 재인용

191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87 나. 산업구조 산업구조현황 ( 산업구조 ) 2014년기준케냐는 1차산업인농업이 GDP의 27% 를차지하며높음비중을차지함 - 제조업 10%, 교통 8.6%, 부동산 7.8%, 금융및보험 6.7%, 교육 5.2%, 건설 4.8%, 국방및공공행정 4.5% 등이나머지주요비중을차지함 45) < 표 4-10> 2010~2014 년케냐의산업별 GDP 기여도 산업별 연도별 GDP 기여도 농업 광업 제조업 건설 교통 숙박업및식당 정보통신 금융및보험 부동산 전문직, 과학기술서비스 행정직서비스 공공행정및국방 교육 자료 : 김정민외 (2015, p.279) 저자재구성 ( 중점산업 ) 케냐는농업중심의경제구조를가지고있으며, 정부는제조업활성화를위해노력중임 년기준농업이전체 GDP의 27% 를차지하며, 제조업은 10% 를차지하고있음. 케냐의주요경제활동분야는농업, 관광, 무역및금융등이며, 차, 관광, 원예 (Horticulture), 화훼 (Floriculture) 가주요소득상품으로들수있음 45) 2016 년 1/4 분기분야별경제성장률은 4.8% 농업. 6.9% 광산업, 3.6% 제조업, 8.5% 전력및식수, 9.9% 건설, 7.3% 도매업, 12.1% 호텔및식당, 8.4% 교통, 9.7% 정보통신업, 8.0% 금융과보험업으로 제조업은약세를보였고호텔및식당, 건설, 정보통신업이강세를보였음

192 188 - 주요수출국으로는영국, 네덜란드, 우간다, 탄자니아, 미국등이며, 주요수입국으로는인도, 중국, 미국, 남아공등임. 주요수출입품목으로는차, 원예, 제조품, 화학제품등이있으며주요수입품목으로는기계및수송장비, 석유, 제조품, 화학품등이있음 년 1인당 GDP 약 1,400여달러미만으로사하라이남아프리카국가평균약 1,800 달러에는미치지못하고있음 산업정책 ( 비전 2030) 케냐는 비전 2030 을통해 2008년부터 2030년까지중소득국으로발전하고자하는계획이있으며 10개의주요과제를제시함 - 10개주요과제는 1. 거시경제안정, 2. 지속적인거버넌스개혁, 3. 빈곤계층의동등한부의창출기회확대, 4. 인프라육성, 5. 에너지개선, 6. 과학, 기술및혁신, 7. 토지개혁, 8. 인적자원개발, 9. 치안강화, 10. 공공분야개혁임 - 산업통상자원부문별발전계획으로는 1) 관광산업, 2) 농업 / 축산업, 토지개혁, 토지관리데이터베이스화, 3) 경제특구, 4) ICT 발전과비즈니스프로세스아웃소싱, 5) 도소매업, 6) 은행, 연금개혁, 해외송금절차간소화등이있음 < 표 4-11> 비전 2030 주요과제 주요과제 1. 거시경제안정 2. 지속적인 거버넌스개혁 3. 빈곤계층의동등한부의창출기회확대 4. 인프라육성 세부내용 비전의이행기간동안낮은물가상승률, 공공분야부채감소, 환율안정, 저 금리가안정적인거시경제환경구축을위한목표로제시됨 비즈니스환경개선과케냐국민의인권향상을위해더나은수사및기소 절차개선, 정부의정책결정과정개선, 공교육및사법제도개혁등을통해 반부패프로그램실행하고자함 또한의회, 시민사회, 언론역할강화등정부의권력남용방지를위한제도를 강화시키고자함 비전 2030 은건조및반건조지역 (ASAL, Arid and Semi-Arid) 및빈곤률이높은커뮤니티, 실업상태의청년, 여성및취약계층을중심으로경제, 사회, 정 치프로그램의형평성개선을포함함 도로, 철도, 항구, 공항, 위생시설, 통신등의인프라개선을통해케냐내소 외된지역을철거해나가고자함 경제분야의주요프로젝트실행을위해인프라분야에대한투자를최우선 과제로선정함

19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89 주요과제 5. 에너지개선 6. 과학, 기술및혁신 7. 토지개혁 8. 인적자원개발 9. 치안강화 10. 공공분야개혁 세부내용전력가격인하및에너지소비의효율성증가를달성하고자함 민간부문의에너지발전장려등을통한에너지분야의제도개혁, 재생가능 한에너지원발굴등도목표로제시됨 경제발전을위한 R&D 역량을강화하고 STI 정책실행과과학연구, 노동자의기술역량강화, 학교및대학교의수학, 과학및기술교육을향상시키고자함 커뮤니티, 개인및회사의토지소유권강화및토지행정, 토지등록의전산 화등국가토지사용정책을개선하고자함국가인적자원활용개선을위한인적자원데이터베이스구축, 국제적수준의 노동생산성향상, 기술훈련기관설립등을통해인적자원을개발을도모함 투자위험감소와안전한근무환경제공등을위해커뮤니티의치안유지활 동개선, 경찰훈련향상등전략을수립함으로써위험과공포로부터자유로운사회를건설하고자함 시민중심, 결과지향의공공서비스를구축하고투명하고신뢰가능한공공서 비스전환을위한노력을기울이고자함 자료 :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2007, p.6~9) 저자재정리 ( 중점산업발전계획 ) 케냐는제조업, 관광산업, 석유산업발전을중심으로경제성장을꾀하고있음 - ( 제조업 ) 케냐정부는 2015년산업개발계획발표를통해제조업에대한우선순위를높게하여총 GDP 중제조업을 25% 으로증가시키고, 100만개일자리를창출하며, 외국인투자를약 5배가량증가시킨다는목표를설정함 - ( 관광산업 ) 케냐정부의국가발전계획인 비전 2030 에는주요도시의문화유적지개발, 컨벤션센터건립, 홈스테이, 보건및의료분야를통해관광산업개발에중점목표를둠 - ( 석유산업 ) 2014년 1월에최초로석유가발견된이후외국기업들에의해유전블록에대한탐사가진행되고있으며, 케냐정부는빠르게는 2016말이나 2020년부터원유수출을계획하고있음 < 표 4-12> 2015 년케냐산업혁신계획주요내용 중점목표 GDP 중제조업비율 25% 100 만개일자리창출 외국인투자유치약 5 배증가 2020 년까지세계은행의사업환경지수의 50 위내진압

194 190 이행프로젝트 투자환경구축계획 차, 커피, 원예, 농작물, 섬유, 피혁등의수출확대 농수산물가공산업단지활성화건설및석유 - 천연가스개발투자유치확대 IT, 관광, 도소매업등비제조업분야활성화 케냐중소기업역량강화및포괄적육성 비즈니스환경개선각종산업단지육성및경쟁력강화 기술양성에투자 자료 : 김정민외 (2015, p.80.) 재인용 국내외투자유치 산업육성펀드조성 다. 혁신자산 정보통신인프라 ( 혁신역량 ) 케냐는사하라이남아프리카지역의혁신기업의중심허브국가로성장중에있음인프라부족에도불구하고세계적인모바일뱅킹플랫폼인엠페사 (M-PESA) 성공사례를바탕으로모바일부분에서경쟁력을유지하고있음 - 기술혁신분야의경쟁력과가능성을바탕으로케냐수도나이로비는실리콘사바나라고불림. 창업을위해정부차원에서인큐베이터혁신센터및액셀러레이터설립하여운영하고있음 년에모바일을포함한정보통신기술분야의스타트업가운데 62개가 US$5억 7,380만규모의자금을조성함 - 정부차원에서과학기술혁신및 ICT 선두국가로나아가기위해정부국가발전계획에중요한요소들로선정됨 ( 정보통신인프라 ) 케냐는정보통신인프라부분에서사하라이남아프리카주요국과비교했을때다소높은수준의 ICT 인프라를보유하고있음 - 케냐인구 100명당 81명이모바일가입자이며이는남아공, 세네갈에비해높고나이지리아에비해높은수준 - 인구의 46% 가개인별인터넷을사용하고있으며, 이는남아공보다다소낮고나이지리아와비슷한수준임

195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91 < 표 4-13> 케냐의주요 ICT 현황 (2015 년기준 ) 목록 지수 100명당유선전화가입자수 명당모바일가입자수 명당유선브로드밴드가입자수 명당모바일브로드밴드가입자수 15.5 컴퓨터소유가정 13.1% 가정용인터넷사용 19.6% 개인별인터넷사용 45.6% 자료 : ITU ICT Eye 사이트 ( 검색일 : ). < 표 4-14> 사하라이남아프리카주요국과케냐 ICT 사용량비교 국가 모바일가입자수 (100 명당 ) 인터넷사용률 (%) 데이터전송속도 (Mbps) 기업간인터넷사용 (0~7:best) 도시지역인터넷사용률 (%) 전자상거래이용률 (%) 전자정부서비스 (0~1:best) 세네갈 남아공 케냐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자료 : ITU ICT Eye 사이트 ( 검색일 : ). 재인용 인적자원 ( 교육과정 ) 2015년까지초등학교 100% 취학률을목표하고있음. 케냐는 7개의국립대학, 사립대그리고종합기술대학교, 17개의기술전문대학교, 12개의기술훈련대학이있음 - 전체인구중에서 30세미만의인구는 73% 에이르며, 경제활동인구대비일자리수요가없는상황이며일자리창출이절실히필요함 ( 문해율 46) ) 2007년케냐성인인구의절반가량은읽고쓰는데어려움이있음. 케냐의문해율은 2007년기준약 70% 이며 2012년기준중등교육취학률은 67%, 성인 (15~ 64세 ) 의중등교육취학률은 15% 로매우낮음 46) 특정나이대의사람들이읽고쓸줄아는능력

196 192 - 케냐성인문해율조사 (KNALS, Kenya National Adult Literacy Survey) 에서발표한 2007년통계에따르면, 성인문해율이 61.5% 로, 38.5%(780 만명 ) 는문맹이며완전한문해가가능한성인인구는 29.6% 에지나지않음. 청소년 (15~19 세 ) 문맹율은 29.9%, 성인 (45~49 세 ) 문맹률은 49% 로성인인구절반가까이가읽고쓰는데어려움이있음 자본 ( 외국인집적투자유입현황 ) 케냐는무역통상분야에서동부아프리카의허브국가로자리매김하는등동부아프리카지역에서중요한역할을하고있음. 2015년기준케냐는 14억 8,900만달러로역대최대치의외국인직접투자규모를기록함 - 2번째최대 FDI 유입량은 2007년기록된 7억 2,900만달러였으며, 2008년주춤하였으나 2009년에회복하였음 47) [ 그림 4-4] FDI 유입현황 ( 단위 : 백만달러 ) 자료 : UNCTADSTAT 사이트 ( 검색일 : ). - ( 분야별현황 ) 2014 년기준케냐로유입된외국인직접투자는농업분야 (39%) 가가 장많았고그외에너지, 제조분야가각각 35%, 20% 를차지함 - ( 주요투자국가현황 ) 2014 년케냐의최대투자국은 1 억 2,954 만달러규모의투자 47) 케냐의 2015 년총 ODA 수혜액은 25 억 3,950 만달러로 44 억 7,750 만달러였던 2013 년과 32 억 7,600 만 달러였던 2014 년에비해증가한금액임

197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93 를한그리스임. 그외탄자니아, 인도, 중국이뒤를이었음 - ( 유망투자분야 ) 케냐의주요유망투자기회분야로는농업, 관광업, 건설업, 인프라, 에너지, 제조업, 금융, ICT 등이있음. 이중 ICT 관련은콘자테크노도시 (Konza Techno City) 개발 2. 창업생태계현황가. 창업현황 ( 정부주도의창업생태계 ) 케냐의스타트업생태계는현재진행형으로볼수있음. 케냐정보통신부를중심으로 ICT 분야의스타트업을진행하고있으며, 이를촉진시킬수있는콘자테크노시티 (Konza Techno City) 개발에집중하고있음 - ( 창업에대한인식 ) 2015년우후루케냐타 (Kenyatta) 대통령은대국민연설에서케냐를창업국가 (Startup Nation) 라표현함. 케냐타대통령은창업이케냐경제성장에있어서중요한원동력으로보고있음 - ( 창업관련정책 ) 케냐타대통령은케냐의창업생태계활성화를주요목표로하는정부주도의 Enterprise Kenya 이니셔티브를통해 1년이내 50개의창업기업을창출하는목표이행을정보통신부에지시함 - ( 혁신플랫폼 ) 지난 4년간케냐정부는혁신센터, 액셀러레이터, 인큐베이터구축을비롯해, 창업의필요한인프라구축지원을통해적극적인활동을함. 케냐정부지원에대표적인인큐베이터인 Nailab는정부지원을바탕으로현지창업창출에활발한역할을함 - ( 민간과의협력 ) 케냐정부는마이크로소프트등민간기업등과의협력을통해창업생태계구축에대한노력을다하고있음. 정부는창업및소규모기업이활동할수있는규제환경을구축하고, 민간기업은인프라및기술분야에서부족한부분을지원하는역할을함 - ( 혁신클러스터 ) 2019년완공예정인콘자테크노도시를통해창업에필요한인프라가제공될것으로기대. 콘자테크노도시건설이아직완성되지않은시점에서도나이로비에서는창업이활발하게이루어지고있어서콘자테크노도시가완성되면더욱창업활성화에기여할것으로기대됨

198 194 - ( 향후과제 ) 창업혁신부분의활성화에도불구하고, 재원의부족및정부부처및민간기업간에역할에있어서부조화등이존재하여향후케냐정부가이러한문제를해결해야할주요과제로보임. 정부차원에서는창업및혁신프로그램들에대한조화를이루기위한노력이진행되고있지만, 정부부처및민간기업간에소통이원활치못하여이에대한해결책이필요함 ( 창업규모 ) Startupranking 웹사이트의따르면케냐의스타트업수는 2016년기준 121개임 - 121개의수는빠른속도록창출된것을감안하였을때추가될것으로예상됨 ( 창업분야 ) 주요스타트업창업분야로는 ICT 분야가주목받고있으며그중에서도모바일중심플랫폼에중점을둠 - 케냐의스타트업의주요특징은현재당면한경제 사회적문제를뛰어넘는것보다필수적이고기초적인서비스에해당하는빈곤, 위생, 분쟁, 보건, 금융분야에집중함으로써나중에성장을위한발판을제공하는데초점을두고있음 - 케냐의스타트업은미래에대한장기적인투자보다현재상황을더욱편리한서비스를제공하는데있다고보여짐 - 이와더불어나이로비내대학에위치한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를통해우수한스타트업기업들이활성화되고있음 [ 그림 4-5] 케냐의스타트업생태계구성도 자료 : 저자구성

199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95 나. 주요혁신클러스터 콘자테크노시티 ( 개요 ) 콘자테크노시티 (Konza Techno City) 는 2019년에오픈할계획으로건설중임 - 콘자테크노시티사업은 2008년발표된케냐경제발전계획인 비전 2030 의일환으로케냐가지식중심의국가로성장할수있도록도모하는국가핵심사업으로진행되고있음 년 1월착공한콘자테크노시티는케냐기업및다국적기업유치를바탕으로한민관협력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형태의사업이며케냐정부와국제금융공사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투자유치를주도함 - 콘자테크노시티의구축은미국의실리콘밸리와비슷한형태로, 케냐의중소기업및창업기업들이입주를통해성장할수있은인큐베이션센터의개념을가지고있으며각혁신솔루션들에대한인큐베이션을제공하는역할을할것이라기대됨 ( 투자 ) 착공당시투자를희망한기업수는 200여개에달하였으며 14개에달하는케냐내국및다국적기업들이투자신청을한바있음 - 투자를신청한케냐기업으로는사파리콤 (Safaricom) 이동통신사, 멀티미디어대학 (Multimedia University), 나이로비대학, 조모케냐타농업기술대학, 나이로비병원등임 - 케냐의다국적 / 외국계기업중에서는미국의구글, Craft Silicon, Telemac, 중국의화웨이 (Huawei), 인도의 Shapoorji Palonji, 일본의도요타, 대만의텔레맥스테크놀로지 (Telemax Technology) 등이투자신청함 - 투자기업들은사업계획서를마스터개발사에제출, 개발사는사업계획서를바탕으로투자자들에게가이드, 자본유치및양도가능한 99년기간에토지장기임대등이있음 ( 인프라 ) 2015년 5월부터 132 KV 전력공급소구축이완료됨에따라 50MW 규모의전력공급이가능하게되었으며콘자시티개발 1단계를완성시킴으로써기초인프라구축이완료됨 - 전력공급개시를통해데이터센터및혁신및인큐베이션센터등필요한인프라를제공하게됨

200 196 - 국가광케이블백본인프라 (National Optic Fibre Backbone Infrastructure, NOFBI) 를통해 3개의초고속인터넷인프라에연결및해저광케이블연결을가능케함으로써하나의온라인연결인프라가구축될것으로보임 - 전력및인터넷인프라구축을바탕으로투자유치를위한모집활동이속도를내어진행될것으로보임 ( 전망 ) 향후나이로비에위치한많은창업기업, 혁신및인큐베이션허브들도입주할것으로기대되며케냐가당면한문제들과국제적인이슈와관련한문제들을케냐의혁신생태계를바탕으로해결하는데목표를두고있음 - 혁신연구소및비즈니스설립을통해케냐의농업, 제조업, 관광업등발전가능성이높은경제분야를지원하는데중요역할을할것이라기대됨 - 콘자시티의유망투자자로는민간기업, 대학, 연구소등이있으며, 특히대학과기업간에연계를통해과학기술전문인력을양성하고, 케냐경제성장에중요한인력으로활약할수있도록함 ( 교육 ) 케냐의초, 중, 고등학교등의회원학교들로구성된케냐사립학교협회 (Kenya Private School Association, KPSA) 와케냐국제학교협회 ( International Schools Association, ISA) 도관련교육기관들은참여하겠다고의사를표명한바있음 - 케냐사립학교협회및국제학교협회는콘자시티에개별, 민간기업, 또는협회차원에서의투자를통해스마트스쿨을구축해나갈예정임 - IT를활용한서비스 (IT Enabled Service, ITES), 생물과학및공학부분과관련된연구, 교육및상업관련투자유치를기대하고있음 ( 지식보호및각산업분야의전문가를양성 ) 나이로비및몸바사 ( 나이로비 ) 콘자테크노신도시가건설되는와중에나이로비 (Nairobi) 에있는응공로드 (Ngong Road) 지역일대에서인큐베이션, 허브, 액셀러레이터등은정보, 투자, 동종업계이해관계자들과의모임의장을제공을통해활발한활동을하고있음 ( 몸바사및케냐 ) 동부해안에위치한몸바사 (Mombasa) 와케냐서부지방, 빅토리아호수에위치한키수무 (Kisumu) 시에각각 1개의가상공간 (Virtual Space) 과허브센터를제공함

201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97 다. 창업관련정책 ( 정부추진력 ) 케냐정부는 2015년글로벌기업가회의 (Global Entrepreneurship Summit) 개최를통해케냐의기술분야창업의성장가능성을보여줌 - 오바마대통령은동기간케냐를방문하여, 본회의의개회식기조연설을하였고엠코파 (M-Kopa) 등전력관련전시장을방문한후케냐를혁신이불타오르는곳으로극찬한바있음 년 3월제 1회 ICT 혁신포럼을개최하여, 정부, NGO, 학계, ICT 혁신가및창업가들이한자리에모일수있는장을구축함 - 또한케냐최초의혁신포럼개최계기를통해비즈니스와혁신생태계분야에서활성화를꾀하는역할을할수있기를기대함 ( 대통령중심의창업정책 ) 케냐의창업에대해서는우후루케냐타 (Uhuru Kenyatta) 대통령도많은관심을가지고있으면서케냐를창업국가라고지칭하고있고, 창업에대한높은기대를가지고있음 - 케냐타대통령은 2015년상반기국회연설에서창업설립을토대로한케냐의청년층을중심으로활발한창업활동이진행되고있으며이런활동은세계적수준이라고언급함. 이에따라각정부부처및산하기관및민간기업들은케냐청년들의혁신을잘활용할필요가있다고설명함 - 케냐타대통령은케냐가가지고있는경제 사회문제에대한해결책을외국인들로찾을것이아니라케냐청년들스스로해결책을찾을수있도록지원할필요가있다고언급함 - 케냐타대통령은 ihub 등케냐의주요혁신허브센터를방문하여창업프로그램등관련내용에대해심도있게청취하면서케냐의과학기술혁신에대한관심을지속적으로보이고있음 - 케냐의인큐베이션센터중 Nailab의일부예산은정부가지원하고있음 Enterprise Kenya 정책 ) 2015년 3월제1회 ICT 혁신포럼개최를계기로케냐의정보통신부와정보통신청은창업환경활성화를장려시킬수있도록 Enterprise Kenya Initiative 를발표, 케냐내기술창업생태계조성구축및지원에대한발판을마련함 - 케냐정보통신부와정보통신청은 Enterprise Kenya를통해공동혁신 (co-innovation),

202 198 R/D 및 IT 수출확대에대한지원을할것이라발표하였고, 또한인큐베이션센터와액셀러레이터발전에집중할것이라발표한바있음 - 또한 Enterprise Kenya는지속적인인적자원확보를통해다양한배경의지식과기술을겸비한인력을구성하고, 이를바탕으로한혁신장려에대한노력을아끼지않을것이며, 정보통신부장관에따르면 Enterprise Kenya는향후 50개의창업기업들을창출하는목표를가지고있음 (Presidential Digital Talent Programme 정책 ) 케냐정보통신부와정보통신청에서추진한대통령디지털인적양성프로그램 (PDTP, Presidential Digital Talent Programme) 을통해 ICT 전공자양성, ICT 분야에인적자원에대한역량을강화시켜나갈것임 년출범한이양성프로그램은 2년이내졸업한 ICT 및공대최우수및우수졸업생을대상으로진행한인턴프로그램임 - 케냐의 ICT 분야의인적자원활용을통해정부및민간서비스의효율성과효과성을제고시키고, 본프로그램참여자들에게리더십및기술양성에기여함 - 동프로그램은세계적경쟁력을갖고자하는케냐국가발전계획인비전 2030과케냐의 ICT 발전계획목표가있는 ICT 마스터플랜과일관성을가지고추진되는것임 - 민관협력일환인이프로그램은 2016년에 400명에달하는인턴을선발하여기술분야에대한교육기회를제공할것임. 선발된인턴들은 1주일교육, 9개월중앙정부및지방정부부처, 2개월민간기업에서근무하며인턴들은과정동안공공분야의 ICT 서비스및서비스제공에관한개선점을파악하고혁신방안을제고하는역할을할것으로기대되고있음 - 정보통신청은 2015년첫해는 100명의인턴들을양성하였고, 2016년에는 400명을선발하였으며, 2017년에는 800명을선발할계획임 ( 케냐의주요 ICT 및스타트업관련주요계획 ) 케냐의스타트업은 ICT 활용중심의창업이며정부는 ICT 분야및과학기술혁신발전을위한계획이있음. - (1차중기계획 ) 비전 2030 에는 ICT분야가지식경제를바탕으로한국가발전의중요한기둥역할을할수있을것으로보고주요하게포함되어있음. 2008년부터 2013 년까지 5년간의 1차중기계획기간동안에인터넷가입률의증가및정보데이터센터설립운영등 ICT 분야에서성과가크게나타남

20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199 < 표 4-15> 케냐 1 차 5 년중장기계획 ICT 분야주요성과요약 모바일플랫폼을통한세계상위권수준의전자금융활성화 국가인프라개발계획의 60% 계획달성을통한 ICT 서비스의보편적접근 SEACOM, TEAMS, EASSY, LION 광케이블을통한국제브로드밴드신호진입 국가광케이블대량전송네트워크 (NOFBI, National Optic Fibre Backbone Infrastructure), 정부통합코어네트워크 (GCCN, Government Common Core Network) 인터넷가입률증가로인한비즈니스활성화및일자리창출 Tier 2 정부데이터센터 (GDC, Government Data Center) 인프라구축을통한정부데이터및어플리케이 션보안확보 정부브로드밴드밴드위스 (Bandwidth) 48) 증가 (80MB 100 MB) 를통한정부통신시스템개선 온라인시스템개발를통한정부공공서비스전달개선을 비즈니스프로세싱아웃소싱 (Business Processing Outsourcing) 인터넷중심서비스체제 (Internet enabled services), 소프트웨어개발, 데이터센터구축, 재난관리센터구축등을포함한콘자테크노시티 (Konza Techno City) 에대한비즈니스개발및입주용건물구축계획 오픈데이터포털 (Open data portal) 구축을통한세계 22 위수준의오픈데이터이니셔티브확보 2009 년케냐정보통신법안, 2010 년케냐정보및커뮤니케이션개정안발효를통한 ICT 서비스개선 자료 : 김정민외 (2015, p.204) 재인용 - (2차중기계획 ) 2013년부터 2017년까지계획된제 2차중기계획은총 9개주요분야를다루고있는데 ICT와과학기술혁신 (Science & Technology Innovation) 이포함되어있음 - (ICT) 지식경제의기반이되는 ICT 로부터지식창출, 적용, 활용등이성장의주요요소로간주되고있고 ICT 관련인프라구축및인적자원개발을위한프로그램및프로젝트수행이매우주요하게다루어지고있음 - ( 과학기술혁신 ) 과학기술혁신은민관협력, 산학협력을통해모든경제분야에서생산성및효율성제고시키는데그목적을두고있으며나노기술, 자연과학, 공학, 전기통신및전자기기관련한프로그램및프로젝트이행에초점을두고있음 48) 헤르츠 (hertz) 로나태낸주파수번위폭측정

204 200 < 표 4-16> 제 2 차중기계획 (MTP) 목표이행달성을위한주요분야프로그램 분야정책및전략기조주요 (Flagship) 프로그램및프로젝트 인프라 ICT 과학기술혁신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효율적이고접근가능한인프라구축을통한지속적 경제성장및빈곤감소 인프라구축을통한비즈 니스비용감소, 안보강 화, 국가의글로벌경쟁력 강화 인프라개발을위한제도 개선 공공프로젝트의민간투 자장려를위한민관협력 법안 (PPP Act) 활성화 케냐개발은행 (KDB, Kenya Development Bank) 을설립 하여인프라개발을위한 민간투자재원확보 인프라프로젝트이행효 율성및질제고 지식경제를바탕으로한케 냐의비전에서는지식의창 출, 적용, 활용이성장의주 요요소로간주됨 ICT 는인적역량강화에필수적이며, 정보및지식의 창출, 분배활용에기반함 민관협력, 산학협력, 가치사 슬분석, 기관간시너지효 과등다양한지원이니셔티 브채택모든경제활동분야에서생 산성과서비스향상분야에 서필요한기술보장 - 나이로비국제공항제 2 터미널재건축및활주로추 가건설 - 케냐항공및기타국적기의노선확장을위한추가양자항공협정 (Bilateral Air Agreement Services, BAAS) - 5,000 만톤의물류를저장할수있는 2 차컨테이너 터미널구축및화물선서비스강화를위한몸바사 항구개선 - 몸바사를기점으로우간다와르완다를잇는철도시 스템구축 - 북부지역및동부아프리카도로네트워크를포함한 5,500km 에달하는도로구축및 200,000km 의도로 유지보수 - 라무항, 남수단, 에티오피아를잇는물류수송인프라프로젝트 (LAPSSET Corridor) 실행 - 디젤, 수력, 지열, 풍력및액화천연가스를통해 2017 년까지 5,538MW 의전력공급 - 교통마스터플랜구축 - 케냐해외공관개선및국제기구및각해외공관들 의허브로나이로비역할활성화 병원, 학교, 경찰서등공공서비스기관의광케이블구축, 국가 ICT 센터설립, PKI( Public-Key Infastructure) 이행등을통한국가 ICT 인프라개선 전자정부시스템강화, 디지털토지관리시스템, 오픈 데이터 (KODI, Kenya Open Data Initiative), ICT 와교육 의통합등을포함한공공서비스개선 콘자과학기술도시 (Konza Technology City) 를기반으 로아프리카의 ICT 허브로도약지방정부차원에서의 ICT 분야육성센터구축을통해 창업관련청년훈련제공 국가주소시스템구축 ICT 분야의인적자원개발 나노기술, 자연과학, 새로운생산기술연구를위한연 구기관 원자력의평화로운적용을위한센터및석유, 가스, 광 산및지질학연구소설립을통한에너지기술프로그램이행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및훈련, 과학기술센터설 립등을통한과학, 기술, 공학및수학프로젝트실행 지식관리정보시스템및혁신적기술이전시스템구축

205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01 분야정책및전략기조주요 (Flagship) 프로그램및프로젝트 민관협력, 산학협력, 가치사 슬분석, 기관간시너지효 과학기술혁신과등다양한지원이니셔티 (Science, Technology 브채택 and Innovation) 모든경제활동분야에서생 산성과서비스향상분야에 서필요한기술보장 케냐국가혁신처설립및지방정부과학기술및혁신 자문및탐사센터설립을통한지방정부의과학기술 혁신전달서비스프로그램구축생명공학기술연구및개발지원 전기통신, 전자기기및컴퓨터기술프로그램관련프 로젝트이행 토지개선 식량안보및외국인투자자 유치, 일자리창출, 외화획 득, 산업발전및전반적인 사회 경제발전을위한토지접근성보장, 지속가능한 토지활용기획및공평한 토지분배의중요성인식 국가토지정보관리및국가부동산권리증서등록대 장등토지관리관련시스템구축 토지등록현대화, 국가토지공간계획, 지방토지활용계획, 국가토지데이터인프라 (KNSDI, Keny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등제도개선 국가토지정책, 케냐국가공간데이터인프라정책구 축완료및제도개혁등정책및제도개선 공공부문개선 헌법과비전 2030 에따른공 공부문개선 서비스전달의효율성, 평등 함, 편리함을보장하고세계 경쟁력을갖춘서비스전달체계로전환 공공서비스전환전략추구를통해도덕가치및윤리 기준, 효율적인공공서비스전달을위한인적역량강화 목표공공서비스의결과중심의관리제도화통합조세관리시스템 (ITMS, Integrated Tax Management System) 체계구축 모바일뱅킹을통한세금납부 매출세 (Turn over tax) 체계개선 단일관세징수지역 (SCT, Single Customs Territory) 구축전자화물추적시스템 공무원대상역랑개발프로그램 통합인적자원정보시스템 전자입찰 (E-procurement) 시스템개발 케냐외교원 (KFSI, Kenya Foreign Service Institute) 개편 노동 효율적이고의욕적인인적 자원은국가경쟁력, 경제 성장과발전에있어서중요 한역할을함질적으로우수한노동, 적절 한근로소득및사회보장은 헌법에명시됨 국가고용정책및전략에대한보고서작성인턴십및산업연수증진 국가기술감사및통합국가인적자원발전전략실행 국가노동시장정보시스템구축 고용서비스의현대화추진 국가노동력조사실시 각지방지역별직업훈련센터및청소년경력개발센터구축 2012 중소기업법안설립이행을통한중소기업발전 장려 산업과교육훈련기관의연계강화국가사회보장제도 (NSSF, National Social Security Fund) 를연금시스템으로전환하는작업실시

206 202 분야정책및전략기조주요 (Flagship) 프로그램및프로젝트 국가가치 (Values) 및윤리 (Ethics) 가뭄 비상사태종료 안보, 평화구축 및분쟁해결 국가가치와윤리는헌법에서강조하고있는부분이며, 케냐에서다양성을기반으로 관용문화구축을가능케함 가뭄관련시민들의회복역량강화및가뭄관리향상 을통한기후재해관리우선 순위부여 국가안보는외국인투자유치에있어중요한역할을수행함 평화롭고안전한환경구축을 통한비전 2030 의목표달성 국가자부심증진, 종족간화해, 다양성을이해하는제 도구축 시민교육및대중인식교육실시 각지방통합과조화구축을위한지역가치시스템프로그램구축 국가가치및거버넌스원칙통합을위한법적, 제도적 검토 시민서비스제공구축 국가가치및국가통합에대한감독및평가실시 국가자연재해비상기금 (The National Drought and Disaster Fund) 설립을통한재난대응시간최소화통합된가뭄초기시스템구축 (Integrated Drought Early Warning System) 및가뭄관련통합지식시스템구축 기아대책프로그램구축 법의학실험실완성 각도시주요지역에 CCTV 카메라설치치안과관련한인프라현대화를포함한치안및경찰 개선사업 국가안보데이터센터설립 정책, 법적, 제도적부분에서의개선추구 자료 : 김정민외 (2015, p. 38~40) 재인용 - (2013~2017 ICT 마스터플랜 ) 케냐정부는 2013~2017 ICT 마스터플랜을바탕으 로 ICT 분야에대한장기적인발전계획을수립하여추진하고있음 < 표 4-17> ICT 마스터플랜비전 비전 (Vision) 주제 (Theme) 케냐를동부아프리카지역의 ICT 분야의거점국으로써의역할및디지털경제분야 의경쟁력이있는국가로발전시키는데있음 디지털을향한케냐 (Towards digital Kenya) 지도원리 (Guiding principles) 자료 : 김정민외 (2015, p.205.) 재인용 - 파트너십 (Partnership) - 공평성과차별금지 (Equity and non-discrimination) - 기술의중립 (Technology neutrality) - 환경보호및보존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nservation) - 굿거버넌스 (Good governance) - 인센티브부여 (Incentivization)

207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주요혁신주체 가. 정부 ( 정보통신부주도의창업정책및프로그램주도 ) 2016년기준케냐의주요혁신및창업관련프로그램을지원 년기준정보통신부외의창업관련을추진하는기관은없음 나. 혁신기관 ( 정부기관 ) 정부주도의혁신기관은없는상태이나민간기관인 Nailab에대한지원을하고있음 ( 민간기관 ) ihub, Nailab, m:lab, Growth Africa 등인큐베이터및액셀러레이터제공등을통해정보통신기술관련엔지니어들과정보, 투자, 동종업계이해관계자들과의모임의장을제공하고있음 - ( 나이로비중심 ) 주요인큐베이터와액셀러레이터는나이로비에위치해있음 년기준나이로비중심으로창업기업, 인큐베이터및액셀러레이터등이있으나지방에도 1~2개씩활성화되고있음 - 케냐나이로비의 ihub, Nailab, m:lab, Growth Africa 등혁신센터, 인큐베이터, 및액셀러레이터등으로포함한허브들을중심으로창업기업들양성을하였으며주요창업기업들은인터넷및모바일앱중심으로보건, 농업, 금융등다양한분야에있는아이템들을창출하고있음 - (ihub) 특히 ihub는케냐의대표적인혁신센터로자리매김하여, 2010년 3월설립후스타트업기업들에사무실공간들을제공을하여창업생태계형성에기여. 케냐의주요혁신센터 - (Sote Hub) Sote Hub는동부항구도시인몸바사 (Mombasa) 인근에있는타이타타베타 (Taita Taveta) 지역에위치에있으며지방에서의인큐베이션및공간제공에중요한역할을함 - 각액셀러레이터, 인큐베이터허브들은나이로비도시에인접한지역및대학들에위치함

208 204 < 표 4-18> 케냐의대표인큐베이터및액셀러레이터 액셀러레이터 88Mph Nailab Savannah Fund Sinapis Group GrowthHub ilab Africa M:lab 설명 케냐, 남아공, 나이지리아등에위치함. 2011~2014 년동안총 36 개스타트업기업 에투자하였으며 2015 년부터는투자성과점검을위해신규투자는하지않음 케냐정부의일부지원을받고있으며 3~6 개월기간에창업과정제공 시드자본펀드 (seed capital fund) 를제공하면 25,000~500,000 달러규모의펀드를 제공 년부터케냐, 우간다, 가나, 나이지리아, 짐바브웨등아프리카주요국 가에서 1,300 만달러규모, 20 개의투자를진행함 스타트업을원하는청년대상을혁신적인비즈니스아이디어제공 케냐를비롯한동부아프리카지역에서의비즈니스기회제공 인큐베이터 케냐의스트라스모어대학 (Strathmore University) 내 ICT 혁신및개발우수센터에 위치하고있으며, MDGs 및케냐의 Vision 2030 달성에기여하기위해설립됨. 기술혁신및비즈니스지원을위해여러학문분야가포함된연구, 정부와민간분야 와협력이이루어지고있음 emobilis, 전세계웹재단, 나이로비대학 (University of Nairobi) 과 ihub 로구성된컨소시엄으로 2011 년에창립된이후에기업가양성, 혁신촉진, 저비용의고가치의 모바일솔루션구축에힘쓰고있으며, 남수단및소말리아를포함한동부아프카 지역에서의역할을강화해나가고있음 자료 : UNCTADSTAT 사이트 ( 검색일 : ). 다. 투자자 ( 투자현황 ) 2015년기준케냐는아프리카의총 1억 8500만달러의창업투자액중 14% 에달하는 4,700만달러규모의투자액을확보하였음. 남아공은 5,400만달러 (36%), 나이지리아는 4,900만달러 (24%) 규모의투자액을확보함. 케냐의스타트업들이확보하는자금은사하라이남아프리카전체규모중 3번째로많음 ( 주요투자자 ) 대부분의자금은외국인투자자금임 < 표 4-19> 케냐의주요투자자목록 - Kenya Angel Investors - Startup Angels Nairobi - Savannah Fund - Investeq Capital - Kenya Angel Investors - The TBL Mirror Fund

209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evafund - Jacana Partners - East Africa Capital Partners - Venture capital - Invenfin Venture Capital - Fanisi Venture Capital Fund - The Africa Media Ventures Fund - PrivCo - Kenya Women Investment Company - Kenya Women Microfinance Bank Limited - Venture Capital firms in Kenya 자료 : 저자정리 라. 대기업 케냐의창업관련주요기업들은 KCB( 은행 ), 케냐항공, Chase Bank( 은행 ), Equity Bank( 은행 ) 등이있음 - 각기업들은창업기업들에게비즈니스자문, 금융및기술지원등을통해청년층에일자리확보에기여를하고있음 마. 연구기관 ( 대학 ) 케냐의주요대학들은대학내연구소를통해허브및액셀러레이터로써역할을하며케냐의창업생태계에발전에지속적으로기여할것을기대됨 - Strathmore 대학, Nairobi 대학, Jomo Kenyatta 대학등은젊은청년층을대상으로인큐베이터및액셀러레이터등을제공함 - Strathmore 대학은 ilab, Nairobi 대학은 C4DLab을제공하고있음 바. 스타트업 케냐는 2007년엠페사의 (M-Pesa) 성공이후적극적으로인큐베이터, 액셀러레이터및창업기업을조성 - 특히엠페사플랫폼을기반으로한선불태양열에너지서비스를제공하는엠코파 (M-Kopa) 는 2015년기준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가나등지에총 650명의사무소직원및 1,000여명의대리점직원고용및 5천 2백만달러규모의벤처케피털자본을확보함

210 206 ( 주요기업들 ) 케냐의 178여개의스타트업기업들은웹및 SNS상에서중요한역할을통해영향력을행사하고있음 - ( 주요업종 ) 주요스타트업들은인터넷및모바일앱중심으로보건, 농업, 금융등다양한분야에있는아이템들을창출하고있음. 주요업종은보건, 농업, 금융, 정보통신, 재난안전, 교육등 - 케냐의재난관리앱인 Ushaidi, 이동형무선을다루는스타트업기업들은세계적인스타트업들로자리매김하면서지속적인발전가능성에기대를모으고있음 < 표 4-20> 케냐의상위 50 개스타트업기업 순위 기업이름 업종 SR 점수 전세계순위 1 Kopo Kopo 중소기업전자결제 71,999 1,467 2 Pesa Pal 전자결제 70,476 1,658 3 Soft Kenya 종합정보 70,286 1,678 4 Gateway Technologies 직업교육프로그램 66,041 2,099 5 BuyRentKenya.Com 부동산 65,927 2,112 6 Rupu 온라인마케팅 65,379 2,159 7 Futaa.com 스포츠관련 64,958 2,195 8 Ushahidi 분쟁지역관리 63,899 2,293 9 Soko Huru 전자상거래 56,075 3, Kenya Yote 교육 51,744 3, Shopsoko 전자거래 48,768 3, Buni TV 영상 48,411 3, Afritorial 뉴스 48,300 3, Yum 음식배달주문 48,084 3, Ma3Route 대중교통정보 46,459 3, M-Farm 농업관련 45,774 3, Amazing Kisumu 키수무도시홍보 44,410 4, Eneza Education 교육 42,380 4, Magazine Reel 대학캠퍼스뉴스 41,280 5, Kashless Enterprises 마켓팅플랫폼 40,702 5, Nabaleka 디지털솔류션 40,605 5, ipay 신용카드결제 40,436 5, Kejahunt 부동산 40,361 5, Ogezo.com 전자기기거래 40,250 5, TrueHost Kenya 인터넷도메인 40,129 5, M-Changa 모바일기부금관리 38,875 6,010

211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07 순위 기업이름 업종 SR 점수 전세계순위 27 elimu 교육 38,806 6, Graduate Farmer 농업정보 36,788 6, Bunifu Technologies 앤드로이드앱개발 36,280 6, InsureAfrika.com 보험사정보 34,512 7, Lipisha 모바일결제 33,988 7, Esaccco 소액금융관리 33,923 7, Wanasoko 전자상거래 33,867 7, Forex.co.ke 환전거래 33,860 7, Savo Store 택배 33,302 7, Sematime 문자중심서비스 32,734 7, Uhasibu 클라우드회계관리 31,892 7, Iko 전자주소록 29,499 8, Essential Africa 온라인포털 26,554 9, Fanaka Hybrid ERP 시스템 25,737 9, Sprint Interactive 웹개발솔루션 23,748 9, Ryanada 중소기업지원 23,520 9, Jooist SNS 중심게임 22,971 10, Weza Tele 웹개발솔루션 22,525 10, Zetu Deals 할인가계거래 22,250 10, MoDe 모바일활용부가가치서비스 22,235 10, Surelynk 아프리카비즈니스정보 21,955 10, Soko 의류거래 21,752 10, Made In Nairobi 나이로비내테크회사 21,668 10, Weddings Kenya 결혼준비서비스 21,549 10,655 주 : SR 점수는 0( 높은 )~100,000( 낮은 ) 사이에나타난점수로스타트업의웹상에서의중요도를측정하며, 웹상및 SNS 상에중요점수를바탕으로계산됨. 자료 : Startup Ranking Kenya 사이트 ( 검색일 : ). [ 그림 4-6] 케냐의스타트업기업, 액셀러레이터및인큐베이터위치도 자료 : Startup Ranking Kenya 사이트 ( 검색일 : ).

212 208 제 3 절 케냐혁신협력현황 1. 글로벌혁신협력현황가. 정부부처협력현황 케냐의국가간글로벌협력은많은부분원조로이루어져있으며건설, 농업, 교육등의분야가많지만정보통신분야도포함되어있음. 정보통신및혁신분야이외의국가간관계도이후혁신협력으로이어질가능성이매우높음 ( 미국 ) 2015년 7월오바마대통령이글로벌기업가정신정상회의참석차케냐를방문하여 170억달러규모의지원을약속한바있음 - 동아프리카물류, 지하자원개발등케냐핵심인프라사업에지원함으로써중국의對케냐정치 경제적영향력을견제하고자하는의도를내포하고있는것으로해석됨 ( 일본 ) 일본은 JICA를통해농업개발, 교육사업, 문화교류투자를집중해왔으나 2010 년이후부터는교통, 에너지, 보건등인프라개발협력사업을강화해나가고있으며, 이역시중국의동아프리카영향력강화를견제하기위하조치로해석됨 ( 중국 ) 케냐내 FDI는지속적으로증가추세에있으며, 비교적낮고안정적인추세를유지하던중국의對케냐 FDI는 2002년대선과 2006년중국후진타오 (Hu Jintao) 주석의케냐방문을계기로급증함 - ( 주요분야 ) 케냐의총 FDI는 2014년기준 9억 4,400만달러이며, 중국이 2009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인가한차관은인프라 ( 도로, 지열우물, 전기배전등 ) 분야중심으로 4억 8,000만달러로집계됨. 케냐전력및배전시스템현대화사업, 케냐전자정부, 기업간통신및협업시스템, 케냐농촌통신개발사업등정보통신인프라사업이다수포함 - ( 원조자금의구성 ) 중국은케냐의전자정부, 대학시설및훈련기관설비개선, 농촌통신개발부문등에투자를약속했고, 이를위한양허성차관 (Concessional loans) 을대폭지원. 지난 5년간케냐의주요공여국에자리매김함중국의대표적인투자형태가합작투자원조프로젝트나차관으로인프라를건설해주고자원개발권을획득하는형식인만큼 2013년기준무상원조가약 3,900만달러, 유상원조가약 4억 8천만달러정도로유상원조가 12배이상많음

21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09 < 표 4-21> 중국의對케냐유상원조프로젝트 (2009 년 7 월 ~2012 년 6 월 ) 프로젝트종류 약정년도 약정차관 2009/2010 $26,075,070 나이로비동 / 북부우회도로사업 2010/ ,567, / ,778,831 소계 $105,421,375 Nairobi-Thika 간고속도로재건 2010/ ,053, / ,052,420 소계 $102,105,746 Olkaria IV 지열우물착공사업 2010/ ,797, / ,041,936 소계 $88,838, /2010 7,483,545 케냐전력및배전시스템현대화사업 2010/ ,189, / ,178,731 소계 $71,851, / ,900,197 케냐전자정부 2010/2011 7,275, /2012 1,312,152 소계 $25,488,012 기업간통신및협업시스템 2011/ ,700,848 대학시설및훈련기관시설개선사업 2011/ ,819,870 설비조달 2009/ ,767,813 케냐농촌통신개발사업 2009/ ,992 총계 $483,049,089 자료 : 김정민외 (2015, p.274) 재인용 ( 핀란드 ) 핀란드 Finpro는 2016년하반기케냐통신회사의운용능력을강화시키기위해 8개의핀란드 ICT 회사들로구성된무역진출단을케냐에파견함 ( 영국 ) 영국정부는재생에너지프로젝트를위해 700억케냐실링을지원할것을약속함 나. 혁신기관협력현황 ( 주요대회수상을통한상금확보 ) 케냐의 FarmDrive, InukaPp, Techie App, 등는톰슨로이터아프리카, 스위스계의 Seedstars, 미국전대통령인클린터재단에서지원하는대회에서각각시상함. 또한창업관련데모프로젝트에선정되면남아공, 가나등기

214 210 타국가에창업기관들과벤처관련활동을함 - 마스터카드사는 Start Path Global Program 을통해케냐의창업활성화에기여 다. 대기업협력현황 로컬기업 (ISON) 선불카드충전을위한 Ocharge 앱은 ISON 그룹에 Oliza사합작으로만들어졌음 ( 사파리콤 ) 케냐의최대이동통신사인사파리콤 (Safaricom) 사는테크노케냐 (Tecno Kenya) 사와합작으로테크노팬텀 6(Tecno Phantom 6s) 스마트폰을출시함. 타겟고객은하이엔드스마트폰이용자를대상으로하고있음 외국기업 케냐에서는여러다국적기업들이 ICT분야에서중요한역할을하고있음 - ( 인텔 ) 인텔사는 2015년 4월부터케냐사립학교협회 (The Kenya Private School Association) 와협력을통해전자교욱 (e-learning) 활성화역할및 IT 교육제공을통해, 진로상담및수업의질을높이는데기여하고있음 - (IBM) IBM은 2012년 5월케냐정보통신부와협력의일환으로 IBM Research-Africa 연구센터를설립하여운영하고있으며, 주로공공분야, 스마트도시, 인적역량개발등을중점적으로연구를하고있음 * 우수연구원발굴을위해박사과정혹은박사후연구생을초청하여연구소에서경험을가질수있는기회를제공함 - ( 노키아 ) 노키아 (Nokia) 네트워크는 2015년 1월부터사파리콤 (Safaricom) 이추진하던 2G 및 3G 확장사업에참여하였고현대화를통한 LTE-A 네트워크개통작업개시를통해 2G, 3G, 4G 기술을위한노키아기술및장비를제공하고있음 - ( 마이크로소프트 ) 마이크로소프트사는 2015년 5월부터케냐중부지방에위치한나뉴키 (Nanyuki) 시에있는시골지역에서저가에무선인터넷 (Wi-fi) 을제공하기시작함. 이는마이크로소프트사의 4아프리카이니셔티브 (4 Africa Initiative) 의일환으로실시된프로그램이며텔레비전의백색스크린시그널을활용하여무선인터넷을제공하는것으로 4 아프리카이니셔티브를통해동지역에 15개무선인터넷접속지 (Wi-fi Hotspot) 를제공하고있음

215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11 * 또한마이크로소프트사는정보통신처와 MOU를통해 3년동안 10,000여개의중소기업에게온라인접근, 50,000여명에달하는 ICT 관련종사자를대상으로한교육실시, 2016년까지초등학교및고등학교에 120만개의컴퓨터관련기기를제공, 30,000여명규모의교사를대상으로한 ICT 관련교육을실시할것을합의함 - (Visa) 비자 (Visa) 카드사는케냐의 KCB, NIC, Cooperative Bank 등주요은행등과의협력을통해모바일결제시스템구축 - (ShowMax) 미국의유료 VOD(Video on Demand) 제공하는 ShowMax 사는케냐의최대이동통신사인사파리콤 (Safaricom) 가파트너십구축을통해케냐시장진출 - (Safetrac) 케냐의차량안전및추적기를다루는 Safetrac사는 Arvento사와파트너십을통해차량추적및관리시스템강화에속도를냄 라. 스타트업협력현황 ( 두바이 / 아랍에미레이트계회사 ) Mondo Ride는케냐내대중교통관련정보제공 ( 덴마크 ) Fuuzo는우편배달서비스임 ( 샌프란시스코 / 미국계회사 ) ShortList는구인사이트구축서비스제공 2. 한국과의혁신협력현황가. 정부의對케냐전략 ( 개요 ) 케냐는영국식민지를경험하였고, 한국과는 1964년 2월 7일에수교가이루어졌고, 여전히종족간의분쟁으로인해정치적으로다소불안정하고남수단, 소말리아등주변국가와마찰이일어날여지가있음 - ( 대사관설립 ) 한국은 1964년에케냐총영사관을대사관으로승격시켰으며, 케냐는 2007년에한국에상주대사관을설립함 - ( 국제무대에서의관계 ) 비동맹온건국가로서케냐는국제무대에서한국에대해우호적입장을취함. 한반도평화통일을위한남북한직접대화, 남북한 UN동시가입, 북한의 IAEA 핵사찰수용촉구 등한국의기본입장을지지함 - ( 주요방문 ) 1982년전두환대통령방문과 1983년미얀마사건등을계기로케냐는한국을적극적으로지지하고있으며, 1990년모이대통령의방한및 2012년양국총

216 212 리 ( 김황식국무총리, 오딩가총리 ) 교환방문등으로양국협력관계가더욱강화됨 - ( 정상회담 ) 2016 년박근혜대통령의동아프리카 3 개국순방중한 - 케냐정상회담을 계기로양국과의돈독한관계를재확인함 < 표 4-22> 한 - 케냐협정체결현황 연도 월 월 월 월 월 협정명 한 케냐무역 경제기술협정 (Agreement on Trade, Economic and Technical Cooperation bete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 한 케냐대외경제협력기금차관에관한협정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 concerning Loans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한 케냐이중과세방지협정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 for Double tax avoidance Agreement) 한 케냐투자보장협정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 for Investment Promotion and Protection Agreement) 한 케냐무상원조기본협정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enya for Framework Agreement on Grant Aid) 자료 : 김정민외 (2015, p. 202). 재인용 나. 정부부처협력현황 ( 정보통신인프라구축 ) 한국의정보통신구축경험을활용한교육연수, 컨설팅, 구축사업등실시 - ( 한국정보인증 ) 2014년 6월한국정보인증은케냐공개키기반구조 Kenya National PKI 센터 (PKI center) 설립을완료함. 동사는 2012년세계은행의 ICT 신탁기금을통해공인인증체계구축사업진행하였으며, 공개키기반구조는공인인증서발급및운용에있어중요한역할을하는기술임. 케냐는 PKI 센터구축을통해한국의인터넷진흥원 (KISA) 의역할을하는정부인증기관구축을완료하여, 전자정부, 민간분야, 보안서비스에대한기본인프라로활용될것으로보임 - ( 한국과학표준연구원 ) 한국과학표준연구원은케냐표준연구소 (Kenya Bureau of

217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13 Standards) 와파트너십을맺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개도국측정표준인력양성을위한초청연수 를실시함 -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13년과 2014년 원자력개발도상국정부및공공기관임직원대상원자력사업관리분야한국의지식전수 사업을통해케냐측인사를초청함 - ( 경희대학교 ) 2013년경희대학교는미래창조과학부지원사업으로케냐에종합약용식물데이터베이스구축사업을실시함 - ( 기상청 ) 2013년기상청과세계기상기구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는기상정보의과학적기초및적용을위한공동워크숍을실시하여케냐담당인사에게연수기회를제공함 - (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2년한국한국정보화진흥원 (NIA) 는나이로비에정보접근센터 (Information Access Center) 를구축함 - ( 행정자치부 ) 2014년에는행정자치부주도의정부통합데이터센터구축컨설팅사업을실시함 ( 교육 ) 과학기술과관련한교육프로그램제공및교육을위한인프라사업지원 - ( 교육부 ) 2013년교육부는케냐에 태양열을이용한인터넷학교지원사업 을통해 ICT를활용한중등교육사업을지원함 - ( 대학설립 ) 2014년 5월한국과케냐양국은한국수출입은행의대외협력기금 (EDCF) 800억원가량의지원을약속하여케냐에한국과학기술대학교 (KAIST) 와유사한과학기술원설립결정한바있음 - ( 기타 ) 이외한국정부는 ICT 전문가양성을위한연수프로그램운영및컴퓨터교육봉사단파견을실시함 ( 한 케냐정상회담 ) 2016년박근혜대통령의동아프리카 3개국순방중한 케냐정상회담을계기로경제분야에서총 20건의 MOU를체결함 - (MOU 체결 ) 전력 원자력협력 MOU, 산업무역투자및산업단지개발협력 MOU, 과학기술협력 과학기술혁신금융협력 MOU, 전자정부협력 MOU, 보건의료협력 MOU, 농촌개발금융협력 MOU 등의 7건은양국정상이임석하에서명식이열림 - ( 과학기술관련 ) 과학기술혁신금융 MOU는케냐 KAIST 건립을지원하기위한토대

218 214 를마련한것으로보여짐 < 표 4-23> 한 - 케냐간양해각서체결목록 순번 MOU 제목합의기관작성기관 1 표준및적합성평가분야협력국가기술표준원산업통상자원부 2 투자협력 KOTRA KOTRA 3 4 정보통신기술협력 (2016 년 10 월 12 일서울에서채결 ) 정보통신기술분야기관협력 ( 추후서명예정 )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창조과학부 5 정보접근센터개선한국정보화진흥원미래창조과학부 6 전자정부및전자정부협력센터설립합의행정자치부행정자치부 7 전력원자력협력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8 의약품관리쳬계관련협력심사평가원보건복지부 9 산업단지협력한국산업단지공단한국산업단지공단 10 산업기술협력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11 산업, 무역, 투자및산업단지개발협력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12 보건의료분야협력보건복지부보건복지부 13 농촌개발금융협력한국수출입은행한국수출입은행 14 국민건강보험제도협력국제보건의료재단보건복지부 15 과학기술협력미래창조과학부미래창조과학부 16 과학기술혁신금융협력한국수출입은행한국수출입은행 17 과학기술기관협력과학기술정책연구원미래창조과학부 18 경제협력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공회의소 19 건설협회간협력해외건설협회해외건설협회 20 광주과기원 - 나이로비대학연구협력광주과학기술원미래창조과학부 자료 : 정상외교경제활용포털.(2016), 저자정리. 다. 기업협력현황 ( 한국의對케냐투자현황 ) 한국은 1980 년부터 35 년동안對케냐투자금액이 9,388 천 달러에달함

219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15 < 표 4-24> 한국의對케냐투자현황 (1980~2015) 연도 1980~2015 법인구분 총 31 개지사 : 9 개 지점 : 2 개 현지법인 : 20 개 자료 : 김정민외 (2015, p.216). 재인용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신고금액 송금횟수 투자금액 70 건 26 개 21,243 천달러 89 9,388 천달러 ( 업종별한국의對케냐투자현황 ) 한국의對케냐투자주요업종은도 소매업 (21건) 과제조업 (20건) 으로전체신고건수 70건중 41건에달함 (1980~2015)( 자료 : 김정민외 (2015). p.216 재인용 ) - 전문, 과학및기술서비스업은 3건으로미미한규모 - 케냐진출한국업체들중정보통신관련기업은 LG 전자및현대자동차만있고나머지는대부분단순제조및무역업임 < 표 4-25> 케냐진출업체현황 연도 회사명 투자분야 투자금액 투자유형 1974 Safari Park Hotel 호텔업및관광업 500만달러 단독 1976 대우인터내셔널 종합무역 - 지사 1989 Goldrock Int l Ent. 제조업 ( 피혁제품 ) 120만달러 단독 1990 Sana Industries 제조업 ( 가발 ) 2백만달러 단독 1991 Crova Industries 제조업 ( 가방 ) 50만달러 단독 1995 Fursys(K) Ltd. 무역업 ( 사무용가구 ) 40만달러 단독 1999 Kenko EPZ 제조무역업 ( 연마제 ) 14만달러 단독 2001 Lee and Suh Investment 사진업 Ksh 900만 단독 2002 Alfko Luck Investment 사진업 Ksh 900만 단독 2002 Samsung Manufactures 제조업 ( 사진액자 ) Ksh 288만 단독 2003 Afko Express Lime 버스바디빌딩, 사진 Ksh 3,750만 단독 2003 Specco Company 제조업 ( 플라스틱제품 ) Ksh 1,670만 단독 2004 Sun-City Construction 제조업 ( 알루미늄조립 ) 19만달러 단독 2004 Hwan Sung Ind. 제조업 ( 주방용가구 ) 312만달러 단독 2004 Emstone Enterprises 제조업 ( 식료품가공 ) 34만달러 합작 2004 LG 전자 - - 단독 2005 Eagle Vet Kenya 제조업 ( 동물의약품 ) 17만달러 합작

220 216 연도 회사명 투자분야 투자금액 투자유형 2005 리치몬드 제조업 ( 빨대생산 ) 30만달러 단독 2011 삼성물산 종합무역 - 지사 2011 현대자동차 자동차 - 지사 2012 대한항공 항공 - 지사 2013 Afrikon 건설업 - 단독 2014 서강파일링 지열개발 - 단독 자료 : 김정민외 (2015, p.221). 재인용 ( 그외기업활동사례 ) 기술훈련및교육지원사례가있음 - ( 삼성 ) 2012년삼성전자는케냐의기술부족과관련대응을위해기술훈련학교를설립함 - ( 대교 ) 2013년 2013년 대교는메구아라지역에대교아이레벨스쿨을설립하여케냐교육분야를지원함. 교육여건이좋지않은저개발국가어린이들에게교육기회의평등을보장하기위해교육소프트웨어및하드웨어를지원 라. 연구기관협력현황 ( 한국폴리텍대학 ) 2016년 4월부터 2018년 2월까지 KOICA 사업의일환으로한국형기술직업교육훈련 (K-TVET) 을케냐국가직업훈련청에전수및케냐국가산업훈련청의중장기개발계획수립지원 ( 연세대학교 ) 연세대학교는 2016년 10월 6~26일 21일간 KOICA의일환으로케냐공무원을초청, 병원운영관리에대한연수를실시함 ( 한동대학교 ) 2008년~2011 년기간동안매년 1차례케냐의세인트폴대학교 ((St. Paul Univ) 와공동주관아프리카대학생기업가정신훈련 (Global Entrepreneurship Training) 프로그램을개최함 ( 케냐과학기술원설립 ) 2016년 5월한-케냐정상회담의후속조치로케냐과학기술원설립의총사업비 9,390만달러중 7,670만를대외경제협력기금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를통해지원될예정임

221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17 제 4 절 한국 - 케냐혁신협력모델 1. 혁신생태계비교분석 가. 협력대상국가의특성 동아프리카시장의관문으로정부차원에서의창업지원정책을추진중이나, 제반인 프라가부족하고서류처리등절차가복잡하여기업활동에애로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기회 (Opportunity) 위협 (Threat) 창업생태계구축노력 - 나이로비대학을중심으로인텔, 오라클등다국적기업과의산 학협업진행, 해외 투자자인센티브제공정책추진 - 비전 2030 에 ICT 인프라구축및 ICT 산업발전노력포함 국제법준수 - MIGA(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 와국제투자분쟁중재소를통한국제법준수 공용어로영어사용, 낮은임금 경제공동체회원국 - 동아프리카공동체 (EAC, East African Community) 및동남아프리카경제공동체 (COMES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숙련된노동인력부족 년기준중등교육취학률은 67%, 성인 (15~64 세 ) 의중등교육취학률은 15% 로 매우낮음 혁신인프라미흡 ( 인터넷보급률등 ) 현재건설중인콘자시티를중심으로미국, 일본, 중국등주요국가들의투자심화 구글, IBM 등은케냐를아프리카진출교두보로활용 기업활동시필요한서류처리지연 - 기업환경 189 개국중 136 위 - 비즈니스개시시작을위한단계수및날짜수관련항목은각각 116 위, 112 위를차지하며최하위순위 치안불안정성 - 케냐지역사회치안불안정성이높아국정비전 대목표로치안강화선정 자료 : 김정민외 (2015, p.87) 기반으로재구성 나. 협력목표 한국혁신생태계와의연계분석 ( 혁신자산부족 ) 케냐는창업생태계발전을위해노력중이며혁신을통한경제 사회문제의해결을기대. 한국기업은현지시장의불확실성및지리적거리등으로인해케냐및아프리카시장에대한접근성이낮음

222 218 ( 혁신자산보완 ) 혁신모델전파, 적정기술창업등으로한국은케냐의창업생태계를 강화시키고케냐및한국정부는창업환경제공, 정부및대기업연계사업으로한국 스타트업의진출지원 혁신자산의부족 ( 필요성 ) 혁신자산의보완 ( 협력을통한해결방안 ) 케냐 ICT 인프라부족, 창업생태계미약, 경제 사회문제 ( 빈곤, 위생, 금융등 ), 제조업육성 개발환경및창업시스템발전의필 요성, 문제해결책필요 한국 창조경제모델, ODA CSR 노하우, ICT 기술, EDCF 자금등보유 혁신모델전파, ICT 관련원조, 적정기술개발, 농업 제조 금융관련창업 모바일창업환경, 아프리카시장진출거점, 정부의혁신의지, 혁신생태계및 ICT 한국 기업 현지시장에대한정보부족및불확실 성, 지리적거리, 관련인력부족으로 접근성이낮음 현지시장접근성향상에대한요구 케냐 한국 인프라발전, ICT 인재육성 콘자테크노시티건설, 다국적기업들 입주등창업환경제공 국내혁신주체의현지네트워크, 정부간 MoU ICT 관련 ODA, 대기업추진사업연계 이를통해다음과같이각각의협력목표를도출함 협력목표도출 ( 케냐 ) 글로벌협력을통해한국의혁신모델을받아들이고자국의 ICT 시장을발전. 혁신을통한경제 사회적문제해결및농업중심의경제탈피, 도약식발전에도움 ( 한국 ) 케냐정부와의협력및국내혁신기관, 대기업과의연계사업을통해국내스타트업의안정적인케냐진입지원. 이를통해개도국시장에대한노하우축적하고케냐를아프리카진출의거점으로활용 2. 협력유형분석을통한협력모델수립 가. 협력현황 주요협력유형 ( 협력현황 ) 대부분의아프리카국가는경제발전단계별과정을거치지않고 leap-frogging ( 건너뛰기 ) 하기를원함. ICT 분야에서볼수있듯이지상전화선이거의없고유선통

223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19 신단계를거치지않고무선통신으로바로진입하고있음 - ( 협력여건의변화 ) 케냐정부는 2015년 9월에경제개발특별구역법 (SEZ) 을통과시켰으며, 10개년산업혁신추진전략을수립하여동아프리카경제허브로서사하라이남아프리카의경제를주도하려는의지가강하기때문에외국인투자기회가확대될전망 - ( 최근양국간협력방향 ) 2015년케냐산업부와한국산업연구원, KOTRA간협력으로 한국형산업단지조성을위한지식공유프로그램 (KSP) 을진행하고있음 년 5월케냐농업부대표단의한국방문을계기로양국간농업부문협력이활성화되고있음. 또한 2016년 5월박근혜대통령의케냐방문을계기로 ICT 분야의협력이강화될것으로전망됨 년에 2차로연계하여케냐내한국형산업단지조성마스터플랜을수립할예정임. 2017년중에한국의 10~20여개중소기업을현지산업단지에제조업투자진출하도록유도할예정임 주요협력주체 주요혁신협력주체는기업 ( 대기업, 중소기업등 ) 이며협력주체지원을위해정부및 KOICA, KOTRA, 수출입은행등정부기관및연구소, 대학의역할이필수적으로요구됨 나. 협력모델 ( 혁신전파형협력모델 ) 정부-민간 -대학중심으로협력을추진하고정부연계사업을기반으로현지 ICT 인프라및소비자에맞는스타트업진출지원 - ( 혁신모델전파 ) 한국의발전경험을바탕으로혁신생태계모델및창업교육프로그램전수. ICT 인재양성, ICT 제도및인프라구축노하우, 창업지원정책등을중점적으로고려 - ( 정부사업에스타트업연계 ) 정부간사업 (Government to Government, G2G), 기업- 정부간사업 (Business to Government, B2G) 등케냐정부가추진하는주요사업에국내스타트업연계하여개도국시장진입지원. ICT 관련대기업의현지사업은미미하나향후확대될경우연계진출고려 - ( 분야 ) 모바일중심의현지창업플랫폼, 농업중심의기존산업구조와제조업육성

224 220 정책, 아직미흡한현지 ICT 인프라를고려한진출분야선택. 현지인프라에맞는 적정기술및현지의문제해결에대한맞춤형서비스등 [ 그림 4-7] 한 - 케냐혁신협력모델 ( 혁신주체별역할 ) 정부, 현지의한국혁신기관 (KOICA ODA, 현지 KOTRA 무역관 ), 투자자 (EDCF) 의협업을통해사업을발굴하여스타트업을위한진출경로제공 - ( 한국정부 ) 정부는협력가능한사업들에대한조사를바탕으로사업을발굴하고현지에서케냐현지에창업관련허브혹은센터구축을위한지원을함. 참여를원하는한국기업에게케냐시장현황및현지필요인력, 네트워크등필요한정보를지원하는복합적인정보제공시스템을구축 - ( 케냐정부 ) 케냐정부는한국기업들이창업을위한인프라및관련법및규제를완화하여진출에있어서어려운절차를간소화함 - ( 한국혁신기관 ) 협력주체를중심으로, KOICA ODA, EDCF, 현지 KOTRA 무역관, 대기업의 CSR 등으로진출가능추진 * (KOICA ODA) KOICA가진행하는연수사업및직업훈련 ODA 사업등을통해케냐의기관들과협력

225 제 4 장특화형 Ⅳ: 케냐 221 * (KOTRA) 시장개척단파견, 현지박람회등을통해현지투자자확보및정보공유 - ( 한국투자자 ) 협력에있어서대형인프라프로젝트구축이필요한경우 EDCF 자금으로충당 - ( 한국대기업 ) 대기업의 CSR 활동을통한현지정보및네트워크시스템구축 3. 세부협력전략 가. 산업별혁신협력 ( 중점혁신협력업종 ) 케냐의 SEZ 법 49) 발효에따른한국의비교우위투자분야로는섬 유산업, 농업, ICT 분야를들수있을것임. 더불어 2016년한 케냐정상회담을통해성사된 MOU 후속조치에초점을맞춰업종을도출하는것도필요함 (ICT산업 ) 케냐 ICT 산업은케냐경제를이끄는원동력으로보고있음. 케냐동부해안지방에케이블이설치되면서인터넷이용자수가급격히증가함 년 ICT 산업으로인해창출된가치는약 2조 8,853억원에달함 - 케냐정보통신부는 Enterprise Kenya, Presidential Digital Talent Programme 추진등을통한 ICT 중심, 특히모바일중심의창업에초점을두고있음 - 모바일금융등모바일어플리케이션분야의급속한발전이이루어질것으로보임 - 케냐는효율적투자유치, 시장확대를위해비즈니스프로세스아웃소싱산업단지조성을위한계획을수립하고있고이것이성공적으로진행되면약 2.1억달러의경제규모가확대되고, 45,000여개의일자리를창출할수잇을것으로기대하고있음 나. 유형별혁신협력 ( 한국혁신플랫폼활용 ) KOICA ODA, EDCF, 현지 KOTRA 무역관, 대기업의 CSR 등케냐와네트워크가있는한국의플랫폼활용함으로서케냐의혁신플랫폼을보완 ( 정부연계사업 ) 우리혁신모델전파및케냐 ICT 인프라구축과관련한정부간사업 (G2G), 기업-정부간사업 (B2G) 프로젝트를활용하여관련스타트업동반진출 ( 사회문제해결 ) ODA 대기업 CSR 사업등을활용하여케냐의사회문제를해결할수있는사업발굴, 이와연계한적정기술 사회적기업스타트업진출 49) 경제특별구역법 (Special Economic Zone Act, 저성장극복을위해 2014 년에케냐가내놓은법

226 222 참고문헌 [ 중국 ] [ 국내문헌 ] 구자억외4인 (2013), 중국의천인계획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마화텅외 (2016), 인터넷플러스혁명 중국의미래를결정할국가전략리포트 박태준 (2016), 중국 ICT 산업클러스터에관한분석적연구,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산업통산자원부 (2016), 2014년기준프랜차이즈산업실태조사결과오종혁 김홍원 (2015), 중국주요지역의 ICT 창업환경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5), 중국혁신형산업클러스터현황분석. 한국무역협회국제무역연구원 (2014), 인도에서자영업창업하기, BRICs INSIDE, 2014(10). 한국무역협회 (2015), 중국의혁신창업지원및청년창업동향, ICT SPOT ISSUE, 2015(3) IT 桔子 (2016), 2015 中国互联网创业投资分析报告 KIAT(2015), 중국혁신형산업클러스터구축현황분석, KIAT산업기술정책브리프, KIEP 북경사무소 ( ), 중국제조 2025 문건의내용및평가. KOTRA(2015), 중국제조 전략과시사점- [ 해외문헌 ] 中关村 (2015), 中关村国家自主创新示范区商务指南 2014, 中国时代经济出版社阿里云 (2014), 活跃度超过十年前互联网热潮, 中关村创业报告中共上海市委辦公室 (2010), 上海市實施海外高層次人才引進計劃的意見, 沪委辦发中國國家發展改革委員會 (2016), 2015 年中国大众创业万众创新发展报告上海接力 (2015), 현지기업인터뷰

227 참고문헌 223 搜狐 IT( ). 中关村扶持智能硬件企业最高支持 5000 万 腾讯研究院 (2016), 2016 互联网创新创业白皮书 新华网 ( ), 上海推出 梦想天地 企业孵化器助推创业者圆梦 [ 사이트 ] 유럽기업네트워크 (Enterprise Europe Network) 사이트, 중국국가통계국 (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 ) 사이트, 중국공상행정관리국 ( ) 사이트, 중관춘국가자주혁신시범구 ( 中关村國家自主創新示範區 ) 사이트, 중관춘창업거리사이트 ( 中关村創業大街 ), 청두시고신구사이트, Evervc.com 사이트, KOTRA 베이징무역관사이트, 搜狐財經사이트, [URL] 박재희 ( ), 플래텀. 올웨이즈 ( ), 중국창업자모임카페. 이동훈 ( ), 조선펍, 003&nNewsNumb= &nidx=16969 이인애 ( ), 해양한국, l?idxno=13316 이종실 ( ), 상하이저널. &mode=view&num=48841 丁丁 ( ), 搜狐, 陆斌 ( ), 上海頻道,

228 224 [ 프랑스 ] [ 국내문헌 ] 김병삼 (2011), 프랑스광역경쟁거점클러스터정책에서지역 R&D 재원배분현황및방법연구, 한국행정학회. 오현전 (2016), 프랑스의디지털혁신과콘텐츠스타트업육성, 마켓인사이츠,16(2). [ 해외문헌 ] Berger, S.(2016). Reforms in the French Industrial Ecosystem., Secretariat d Etat a l Enseignement Superieur et a la Recherche & Ministere de l Economie, de l Industrie et du Numerique. COFACE(2015). La France, une terre propice au developpement des start-ups. PANORAMA de COFACE. Commissariat General a l investissement(2016). Preparer La France Aux Defis De Demain. Dge., and Dgri(2016). L Innovation En France, Indicateurs De Positionnement International., Edition 2016, Ministere De L'Education Nationale, De L'Enseignement Superieur Et De La Rechercheministere De L'Economiede L'Industrie Etdu Numerique. Ezratty, O.(2016). Guide Des Startups High-Tech En France., La French Tech. INSEE(2015). Les entreprises en France., Insee References. (2016a). La France en bref, France in Figures., Insee References. (2016b). Tableaux de l economie francaise., Collection Insee References. INSEE Premiere(2016). Les creations d entreprises en 2015:net repli des immatriculations demicro-entrepreneurs. N La French Tech(2016a). Structurer Et Accelerer La Dynamique De L Ecosysteme De Start-Ups Francais., Ministre De L Economie, De L Industrie Et du Numerique & Secretaire d Etat chargee du Numerique. (2016b). Pour La Croissance Et Le Rayonnement De L Ecosysteme Numerique Francais. (2016c). Processus de labellisation -Metropole French Tech.

229 참고문헌 225 Observatoire des Pme. Pme(2015). Rapport Annuel Sur L Evolution Des Pme. Bpifrance. Olivier Ezratty(2016). Guide des Startups, High-Tech en France, La French Tech. Republique Francaise, Le Gouvernment(2015). Industire du futur, Reunir la Nouvelle France Industrielle. Dossier. Macron, E., and Lemaire(2016). Structurer Et Accelerer La Dynamique De L Ecosysteme De Start-Ups Francais. La French Tech. [ 사이트 ] 프렌치테크사이트, 한불상공회의소사이트, Bpifrance 사이트, Centre Européen d Entreprise et d Innovation 사이트, CGET 사이트, EUROSTAT 사이트, Insee 사이트, KOTRA 사이트, Pôle Emploi 사이트, Pôles de compétitivité 사이트, Prêts d honneur 사이트, Statut Jeune Entreprise Innovante 사이트, [URL] 코트라프랑스한국기업진출현황자료사이트, 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67&cdkey=101011&itemidx=10676&categor ytype=004&categoryidx=192

230 226 [ 인도네시아 ] [ 국내문헌 ] 국제개발협력위원회 (2012), 인도네시아국가협력전략. 김순우, Recent Trend in the Korea Startup Ecosystem and STEPL s Entrepreneurship Research,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창호, 2035년산업강국달성을위한인도네시아정책과 6대핵심산업군분석, 삼양지넥스. 안광진 이경석 김재훈 황종원 (2016), 인도네시아진출우리기업투자환경개선보고서, KOTRA. 엄은희 (2015), 인도네시아자동차시장분석 동남아슈퍼페이퍼통권 12호, 서울대학교아시아연구소동남아센터신흥지역연구단. 엄은희 외 7인 (2016), 제 5기동남아시아지역전문가심화과정 - 인도네시아편, 성루대학교아시아연구소. 이경석 ( ), 성장잠재력높은인도네시아핀테크시장, KOTRA 자카르타무역관이정우 (2016), 창업대중화의주역액셀러레이터, Eneterpreneurship Korea, 2016(1). 중소기업청 창업진흥원, 꿈을현실로, 글로벌창업에도전하라 : 우수창업성공사례및국가별창업정보지도. 정영규 (2003), 인도네시아산업및무역구조변화에관한연구, 한국무역학회. 특허청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 (2015), 우리기업해외진출을위한해외지식재산권보호가 이드북인도네시아, 휴먼컬처아리랑.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글로벌마켓브리핑심층분석 : 인도네시아. KIEP(2016), 스타트업허브로도약하는싱가포르, Daily 뉴스브리프, 2016(1). KOICA(2016), 혁신기술의기반의창의적가치창출프로그램참여안내서. Vivin Septiani Jatmiko(2016). 인도네시아의창업동향과창업생태계, Eneterpreneurship Korea, 2016(1).

231 참고문헌 227 [ 해외문헌 ] BCG(2013). Indonesia s Rising Middle-Class and Affluent Consumers D.Crew, Q.(2014). Startup Korea Roundtable, Startup Nations ASIA Meettp. Dendevin, B., Raymond, A. Z., and Peter, J. B.(2003). Mongolia Today Science, Cultur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outledgecurzon. Donna, K., Slavica S., and Mike H.(2015). 2015/16 GLOBAL REPORT. GEM. ICSB( ), Declaration of Human Entrepreneurship in Jakarta, Indonesia. Isti, R. M., Togar M. S., and Dwi L.(2015). Mapping on Entrepreneurship Policy in Indonesia. ELSEVIER. Klaus Schwab(2015).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5~2016, World Economic Forum. ORBITHR, Global Startup Spring Camp in HUBUD. BAli. Vaishali R., Eddy T., Dean T., and Tunnee S.( ). Indonesia s Rising Middle-Class and Affluent Consumer. Bcg Perspective. [ 사이트 ] 강원도수출보험료지원사이트, 경상남도해외마케팅사업지원시스템사이트, 기업마당지원사업조회사이트, 몽골국립대학소개사이트, 서울시정보소통광장사이트, 씽크토미사이트, 울산광역시사이트, 은행권청년창업재단사이트, 인도네시아투자청사이트, 인천대학교동북아국제통상학부교수진사이트, 전라북도사이트,

232 228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MART 사이트, 정책브리핑사이트, 제주전자무역지원시스템사이트, 중소기업진흥공단블로그, 중소기업청사이트, 창조경제혁신센터블로그, 코트라해외시장뉴스사이트, 퇴직전문가해외파견사업사이트, 포항시사이트, AESEAN Secretariat 사이트, Bandung Startups 사이트, Digital Strategist 사이트, Hub in Ubud 사이트, Indonesia Startups 사이트, Internet World Stats 사이트, KAIST 기술경영학부교수소개사이트, Keller Center 사이트, Korea Innovation Center Silicon Valley 사이트, Kotra K MOVE North America, =C02006 Samsung Global Innovation Center(GIC) 사이트, Statistics Indonesia(BPS) 사이트, Startup Digest 사이트, 한국기업진출현황자료 Startup Ranking Indonesia 사이트, StartX 사이트, Tentang Jakarta 스마트시티사이트, [URL]

233 참고문헌 229 강동철 ( ), 조선비즈, html 강정만 ( ), 뉴시스, 13_ &cID=10813&pID=10800 김소연 ( ), 한국대학신문, 강승혁 ( ), EBN, 강원해외마케팅지원시스템, 2016년 KOTRA 온라인수출상담회. /front/sub.jsp?group=propose&item=view&target=busisupportview&busi_support_cd=438&pa genum=1&search_section=18&search_type=a.busi_support_nm&flag=18 강툴가 ( ), 전자신문, 국민일보 ( ), &cp=nv. 곽재민 ( ), 중앙일보, 관리자 ( ), 파이낸셜타임즈, 김동홍 ( ), 브릿지경제, 김들풀 ( ), IT뉴스, 김명희 (2016a. 3. 3), 전자신문, 김명희 (2016b ), 전자신문, 김미희 ( ), 파이낸셜뉴스, 김부원 ( ), 아주경제, 김상엽 ( ), 플래텀, 김영수 ( ), 이데일리, d= &dcd=a10101&outlnkchk=y 김영우, 세계속코이카, 김용구 ( ), 국제뉴스, 73 김원배 ( ), 전자신문,

234 230 김은별 ( ), 아시아경제, 김은별 ( ), 아시아경제, 김지완 ( ), 뉴스핌, 김태완 ( ), WOW한국경제 TV, code=t &artid=a 남일희 ( ), 통신일보, 노자운 ( ), 조선비즈, html 따뜻한님블로그, 네이버블로그, 류석 ( ), 더벨, = 미래창조과학부블로그 ( ), 네이버블로그, 박상훈 ( ), 모비인사이드, rtup_3/, 박수련 ( ), 이코노미스트, 박태희 ( ), 중앙시사매거진, 박형준 ( ), 동아일보, 박희송 ( ), 이뉴스투데이, o= 방송통신위원회사이트, 2015년정보통신방송정책파견전문가모집요강, 서울신문 ( ),

235 참고문헌 231 설성인, 허욱 ( ), 조선비즈, html 성상훈 ( ), 아이뉴스 24, &oid=031&aid= &sid1=001 손요한 ( ), 플래텀, 손재권 ( ), 매일경제, 송요한 ( ), IT데일리, 신수아 ( ), 더벨, ey= 연합뉴스 ( ), HTML?input=1195m?1fe1aa70 오성업 ( ), 중소기업청, A_NEWS_32&seq=56268&mc=usr 오승섭 ( ), 아시아타임즈, 옥 철 ( ), 연합뉴스, AKR HTML 온오프믹스, 2016 스타트업글로벌협력포럼자료. 와이프아이 ( ), 네이버블로그, 우승호 ( ), 서울경제, d1=105&oid=011&aid= 유재훈 ( ), 헤럴드경제, 이명선 ( ), 자유광장, 이봉준 ( ), 메트로, 이성훈 ( ), 뉴스와이어, 이승훈 ( ), 매일경제, 서혜인 ( ), 플래텀,

236 232 손영일 ( ), 동아일보, 손진석 ( ), 조선일보, 스타트업해외진출자료. 씨세론블로그 ( ), 엄지용 ( ), Brunch, 이숙정 ( ), 국제뉴스, 25 이용성 ( ), 전자신문, 이정연 ( ), 디아이투데이, =21058 이주연 ( ), 플래텀, 이학렬 ( ), 머니투데이, &outlink=1 인니짱 ( ), 네이버블로그, 인도네시아생존기 ( ), 네이버블로그, 인천광역시창업보육센터지원사업자료. 임지은 ( ), FKI, da-468d-bef0-549f66bd6671 임혜진 ( ), 디아이투데이, 잡아라잡 ( ), 네이버블로그, 전라남도사이트, 전남도창업시책자료. eonnam 전라남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판로 / 수출지원사업자료, _n03.php 전라북도사이트, 4050 행복창업자료,

237 참고문헌 전후석 ( ), 비석세스, 정현정 (2015a ), ZDNet, madnews (2015b ), ZDNet, #imadnews 정현진 ( ), 아시아경제, 제이 ( ), 네이버블로그, 조기성 ( ), 헤럴드경제, _1 조기원 ( ), 한겨레, 조영진 ( ), 삼성블로그, 중앙시사매거진 ( ), 네이버포스트, lumeno= &memberno= &vtype=vertical 충청남도온라인수출지원시스템사이트, 사업자료. 충북글로벌마케팅시스템사이트, 사업안내 iv=if&seqno=7343 최남춘 ( ), 중부일보, = 최민지 ( ), 디지털데일리, 코뿔소 ( ), 네이버블로그, 쿨인도네시아 ( ), 포스코블로그 ( ), 플래텀 ( ), 플래텀 ( ),

238 234 플래텀 ( ), 플래텀, 하이거 ( ), 네이버블로그, 한국지식재산보호원블로그 ( ), 한국콘텐츠진흥원, 아세안경제공동체 AEC 10개국글로벌마켓브리핑, /htiger31/ 한승희 ( ), 플래텀, 허문명 ( ), 동아일보, 허우영 ( ), 디지털타임스, 홍민기 ( ), 한국일보, 황이화 ( ), 프라임경제, A categorisation of the various startups in Indonesia, -sectors/ Adminideo( ). Ideosource, ion/ AGUNGCAHAYASUMIRAT( ). Agung Cahaya Sumirat, ging-the-creative-economy-sector/ Alice Jay( ). indonesia expat, Anisa Menur A. Maulani( ). DailySocial, erce-firms-take-not / Antonia Timmerman( ). DealstreetAsia, sian-startups-allocated-76-m-micro-lending-37111/ Aulia Masna( ). AdDiction, ints-deputies/ Ayomi Amindoni( ). TheJakartaPost, 20/jokowi-arrives-jakarta-happy-with-us-visit.html

239 참고문헌 235 Bev Tan( ). e27, rward / Binus University Website, Program MAHASISWA WIRAUSAHA, contain/about%20program%20mahasiswa%20wirausaha Clement Vouillon( ). TECHCRUNCH, nto-the-french-saas-landscape/ Development of innvation cluster in Mongolia For ICT sector/role of High education system, Draper University Website, Silicon Valley Entrepreneurship programs, niversity.com/residential Ekosistem Kreatif Digital Indonesia, Enricko Lukman( ). TECHINAISA, reat-tech-city-indonesias-silicon-valley Ervina Anggraini( ). Digital News Asia, as-vision-1000-startups-2020 E8( ), 네이버블로그, E27, Echelon Indonesia 2017, Hanni Sofia Soepardi( ). Antaranews, ow-far-jokowi-has-gone-with-his-vision-of-creative-economy Indonesia Investments, Business Platform, -platform/item262 Indonesian National Innovation System Resource Center,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Indonesia startups scene, IT Asia( ). 네이버블로그, Jaime Novoa( ). techeu, 15/

240 236 Job Description of World Friends Korea-Advisor, Kementerian Perindustrian, 10 Regulasi Terbaru. Ketut Krisna Wijaya( ). TechInAsia, -funding-exploded-2015-infographic K-Global Biz( ). 다음블로그, Lina Noviandari( ). TechINAsia, Medha Basu( ). GovInsider, Mel Loh( ). BestTheNews, ch-scene-echelon-indonesia-2016-tue html Meralgear2( ). 네이버지식인, Id=409&docId=428792&qb=67Kk7LKY7Yis7J6Q7J6QIOuPme2WpQ==&enc=utf8&section =kin&rank=1&search_sort=0&spq=0&pid=sg1/jspyso8sstrh3a8sssssst &sid=dd9 z3pxgj50uod8tn7dndw%3d%3d Michael Helleman( ). MURU, sia-collaborate-startup-acceleration/ Moana Song( ). 벤처스퀘어, Nadine Freischlad( ). TECHINASIA, Nadine Freischlad( ). TECHINASIA, r-indonesias-startup-landscape-2015-infographic ORIGINAL DATA( ). 네이버블로그, Project Information document of Worldbank, SMART Government in Mongolia, nts.worldbank.org/curated/en/ /text/pid-appraisal-print-p txt Sbcblog( ). 네이버블로그, ( ). 네이버블로그,

241 참고문헌 237 SK 하이닉스블로그 ( ). Stacy Abigail Oentoro( ). 1776, -economy/ Startup Ecosystem in the UK. tem Startup Korea Roundtable 2Q 2015_USA. dtable-2q-2015usa TechBlog, indonesia start-ups, -can-leverage-incubator-program-growth The Global Economy, Indonesia: Household consumption, percent of GDP. lobaleconomy.com/indonesia/household_consumption/ Tech Investors in Indonesia. UNCTADSTAT 사이트, Vincencia NLS( ). DealstreetAsia, t-up-new-scheme-financing-for-local-startup-support-by-local-vc-40886/ Vision Maker( ). 네이버블로그, to 2015 government policy( ), GOV.UK, ent/publications/2010-to-2015-government-policy-business-enterprise/2010-to-2015-governm ent-policy-business-enterprise 7 insights of Indonesia. efined [ 케냐 ] [ 국내문헌 ] 김정민 조혜정 강지현 김유아 문수미 최병헌 (2015), 2015 아프리카국별연구시리 즈 : 케냐,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242 238 김정민 최병헌 안상진 고운환 신상겸 (2015), 2015 아프리카지역의 ICT 환경분석, 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 이진상 변웅 (2012), 동부아프리카 2개국의사회경제개발역량강화를위한협력방안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해외문헌 ] IMF(2016). Regional economic outlook. Sub-Saharan Africa. Klaus, S.(2015).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 World Economic Forum (WEF). Ministry of Industrialization and Enterprise Development(MIED)(2015). Kenya s Industrial Transformation Programme. 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of Kenya. The Kenya National ICT Masterplan. Republic of Kenya(2013). Kenya Vision 2030: Second Medium Term Plan( ). [ 사이트 ] Business Daily Africa, CIA World Factbook 사이트, Economist Intelligence Unit 사이트, Funding in Kenya, ITU ICT Eye 사이트, Kenya Angel Investors, Kenya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KNBS) 사이트, Konza City Bulletin 사이트, Startup Angels in Nairobi, Startup Ranking Kenya 사이트, UNCTAD Stat 사이트, Venture Capital for Africa 사이트,

243 참고문헌 239 Venture Capital Funding Search, [URL] 김동호 ( ), 연합뉴스, AKR HTML?input=1195m 박종문 ( ), 영남일보, ew&newskey= African Business Central( ). 0-billion-megaprojects-photos/ Emeka Chigozie( ). AnswersAfrica, Gabriella Mulligan( ). Disrupt Africa, nment-launches-enterprise-kenya-encourage-tech-innovation/ Gabriella Mulligan( ). NewAfrican, Gregory Scruggs( ). citiscope, es-headway-its-slums Hilda Moraa Morara( ). Venture Capital for Africa, 1/starting-ict-hubs-in-africas-rural-tech-communities-research-from-kenya/ ICT Authority, Presidential Digi Talent Programme, t-program/ KOICA 사이트, 케냐병원운영관리연수자료, 6.html Lilian Ochieng( ). Daily Nation, -investment-hub-in-east-africa/-/996/ /-/ueywsuz/-/index.html Mahru( ). Mahru Aips, Mfonobong Nsehe( ). Forbes, / 015-report/&refURL=&referrer=#4c7f678963f4

244 240 Miguel Heilbron( ). Venture Capital for Africa, augural-class-graduates-from-green-pioneer-accelerator-venture-forums-in-kenya-and-south-a frica-in-june/ Okuttah Ma가 ( ). Business Daily Africa, n-firms-bag-sh4-7bn-as-africa-tech-draw-more-funding/ e35pf/ Okuttah Ma가 ( ). Daily Nation, idential-digital-talent-programme/ wfq/ Omono Eremionkhale( ). Ventures Africa, Sandra Chao-Blasto( ). Business Daily Africa, tartups-funding-from-investors/ vfvry/index.html Staff Writer( ). TECHMORAN, artup-shortlist-launching-in-kenya/) Staff Writer( ). TECHMORAN, -showmax-courts-safaricom-take-kenyan-market/) Staff Writer( ). TECHMORAN, nches-to-disrupt-kenyas-parcel-delivery-industry/) Staff Writer( ). TECHMORAN, aunch-its-flagship-high-end-tecno-phantom-6s-in-kenya/ Staff Writer( ). TECHMORAN, he-taxi-hailing-game-in-kenya-with-a-24-x-7-call-centre/ Staff Writer( ). TECHMORAN, Susan Mwenesi( ). TECHMORAN Susan Mwenesi( ). TECHMORAN, lly-integrated-operations-kenya/) Susan Mwenes(2016a ). TECHMORAN, rvento-world-class-technology-solutions-transport-sector-kenya/

245 참고문헌 241 Susan Mwenes(2016b ). TECHMORAN, perimented-until-it-found-its-amazing-holy-grail/. Susan Mwenesi(2016c ). TECHMORAN, Jackson( ) Disrupt Africa, tta/ Tom Jackson( ). Disrupt Africa, unches-incubator-awards-startups-funding/ Toby Shapshak( ). Forbes, can-tech-startups-raised-185m-in-2015/#4cb1fc5b22b7 Vanessa Kamau(2016a ). TECHMORAN, million-dollars-clinton-backed-fund-contest/ Vanessa Kamau(2016b ). TECHMORAN, nya/ Vanessa Kamau( ). TECHMORAN,

246

247 저자소개 강하연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국제관계학학사 연세대정치학석사 University of Notrhwestern 정치학박사 현정보통신정책연구원국제협력실장 김성옥 한국외대중국어학학사 복단대경제사회학석사 중국사회과학원경영학박사 현정보통신정책연구원부연구위원 박지현 서울대산업공학학사 서울대경제학석사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경제학박사 현정보통신정책연구원부연구위원 김진주 서울시립대도시사회학학사 KDI 국제개발학석사 전정보통신정책연구원연구원 최효민 서울시립대국제관계학학사 서울대정치외교학 ( 외교학 ) 석사 현정보통신정책연구원연구원 김은경 연세대경제학학사 서울대경제학석사 파리 10 대학경제학박사 현경기연구원선임연구위원 김정민 서울대경제학학사 서울대국제통상 ( 경영학 ) 석사 서울대경영학박사 현아프리카미래전략센터연구위원 박승찬 한서대대외경제무역학학사 중국대외경제무역대석사 중국칭화대박사 현중국경영연구소소장 신윤성 부산대학사 뉴욕주립대버팔로석사 University of Texas A&M 박사 한 - 인니경제협력사무국연구위원 최준환 경기대학사 경기대석사 중국절강대박사 현강릉원주대경제학과조교수 정책연구 창조경제글로벌혁신협력모델개발연구 ( 특화형모델 ) 2016 년 12 월일인쇄 2016 년 12 월일발행 발행인김도환발행처정보통신정책연구원충청북도진천군덕산면정통로 18 TEL: FAX: ~6 인쇄인성문화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활력있는경제 튼튼한재정 안정된미래 2 012 년세법개정안 기획재정부 목차 Ⅰ. 일자리창출및성장동력확충 1 고용창출지원강화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ㅇ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More information

ㅇ ㅇ

ㅇ ㅇ ㅇ ㅇ ㅇ 1 ㆍ 2 3 4 ㅇ 1 ㆍ 2 3 ㅇ 1 2 ㆍ ㅇ 1 2 3 ㆍ 4 ㆍ 5 6 ㅇ ㆍ ㆍ 1 2 ㆍ 3 4 5 ㅇ 1 2 3 ㅇ 1 2 3 ㅇ ㅇ ㅇ 붙임 7 대추진전략및 27 개세부추진과제 제 5 차국가공간정보정책기본계획 (2013~2017) 2013. 10 국토교통부 : 2013 2017 차 례 제 1 장창조사회를견인하는국가공간정보정책

More information

.............hwp

.............hwp 지방 벤처기업 활성화 방안 (IT, BT, NT를 중심으로) 머 리 말 제Ⅰ장 서론 제Ⅱ장 지방 경제와 벤처기업 제Ⅲ장 지방 벤처기업의 현황 및 문제점 제Ⅳ장 중앙정부의 지방 벤처기업 육성시책 제Ⅴ장 지방자치단체의 벤처기업 육성시책 제Ⅵ장 지방 벤처기업 육성의 정책 과제 - 표 차 례 - - 도 차 례 - 지방 벤처기업 활성화 방안 요약 지방

More information

발간사. 1978,. G-8 G-20.,..,,,

발간사. 1978,. G-8 G-20.,..,,, 중국의중소기업정책 강동수 이준엽 발간사. 1978,. G-8 G-20.,..,,,...... 2003 ..,... KDI 2007 (DRC)., 2009,. 2009 8 25 26 KDI-DRC. 2009. 2010,,,... 2009 8 KDI DRC.,,, KDI,,, . DRC Li Zhaoxi, Zhang Chenghui, Chen Quansheng.

More information

........1.hwp

........1.hwp 2000년 1,588(19.7% ) 99년 1,628(20.2% ) 2001년 77(1.0% ) 98년 980(12.2% ) 90년 이 전 1,131(16.3% ) 91~95년 1,343(16.7% ) 96~97년 1,130(14.0% ) 1200.00 1000.00 800.00 600.00 400.00 200.00 0.00 98.7

More information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목차 Ⅰ. 기본현황 Ⅱ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 증평군청 / 3185-00-201004 / WORKGROUP / Page 1 목차 Ⅰ. 기본현황 Ⅱ. 2012 년도성과평가및시사점 Ⅲ. 2013 년도비전및전략목표 Ⅳ. 전략목표별핵심과제 1. 군정성과확산을통한지역경쟁력강화 2. 지역교육환경개선및평생학습활성화 3. 건전재정및합리적예산운용 4. 청렴한공직문화및앞서가는법무행정구현 5. 참여소통을통한섬기는군정구현 Ⅴ.

More information

2003report250-9.hwp

2003report250-9.hwp 2003 연구보고서 250-9 여성의 IT 직종교육훈련후취업현황및취업연계방안 : () : () 한국여성개발원 발간사 2003 12 연구요약 1. 2. 전체정부위탁훈련기관의취업관련서비스제공정도에서, 취업정보, 취업상담, 취업알선을 적극적이며많이제공 한다가각각 76.6%, 70.3%, 65.6% 로알선기능이약간떨어지며, 취업처개척 개발 (50.0%) 이가장낮다.

More information

국가표본수기간 평균최초수익률 국가표본수기간 ( 단위 : 개, 년, %) 평균최초수익률 아르헨티나 20 1991-1994 4.4 요르단 53 1999-2008 149.0 오스트레일리아 1,562 1976-2011 21.8 한국 1,593 1980-2010 61.6 오스트리아 102 1971-2010 6.3 말레이시아 350 1980-2006 69.6 벨기에 114

More information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어렵다. 1997년우리나라 50대그룹 (586개기업 ) 에근무하는 110,096 명의과장급이상관리 - 1 - - 2 - - 3 - 행정및경영관리자 (02) 중에서경영관리자에해당되는부문이라고할수있다. 경영관리자는더세부적으로는기업고위임원 (021), 생산부서관리자 (022), 기타부서관리자 (023) 등으로세분류할수있다 (< 참고-1> 참조 ). 임원-부장-과장

More information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목재제품의종류 국내목재산업현황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 목재미래기업발굴및육성을위한 중장기사업방향제안 2017. 11. 목 차 Ⅰ. 사업개요 5 1. 사업배경및목적 5 2. 사업내용 8 Ⅱ.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9 1. 국내외산업동향 9 2. 국내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16 2.1. 목재제품의종류 16 2.2. 국내목재산업현황 19 2.3. 목재산업트렌드분석및미래시장예측 33 Ⅲ. 목재미래기업의정의및분류

More information

**09콘텐츠산업백서_1 2

**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2009.11. 3.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283-7722 / mykim@udi.re.kr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Ⅳ. 고용없는성장지속과대응방안 16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요약문. 2005 5,..,..,..,

More information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목차 < 요약 > Ⅰ. 국내은행 1 1. 대출태도 1 2. 신용위험 3 3. 대출수요 5 Ⅱ. 비은행금융기관 7 1. 대출태도 7 2. 신용위험 8 3. 대출수요 8 < 붙임 > 2015 년 1/4 분기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실시개요 2015 년 4 월 2 일공보 2015-4 2 호 이자료는 4 월 3 일조간부터취급하여 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4 월 2 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금융기관대출행태서베이결과 ( 2015 년 1/4 분기동향및 2015 년 2/4 분기전망 ) 문의처 : 금융안정국금융시스템분석부은행분석팀과장조성민, 조사역권수한 Tel : (02)

More information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한국직업자격학회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2015. 12 한국직업자격학회 o o o o o 1) SC 내에서 Sub-SC 가존재하는것이아니라 NOS, 자격개발등의개발및운영단위가 Sub-sector 로구분되어있음을의미함. o o o o o o o o o Ⅰ. 서론 1 1. 연구필요성 o o 산업별인적자원개발위원회역할및기능강화를위한중장기발전방안연구

More information

대학 연구기관發기술창업활성화방안 : 창업친화적제도설계및정책과제도출 2012. 12. 1 - 2 - 3 - 4 - 5 - 6 - 7 - 1 - 2 - 3 - 4 - 5 - 6 - / / 7 - 8 - 9 - - 10 - 11 - - 12 - 13 - - 14 -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그림 [ 1-10] 융자

More information

2015 년세법개정안 - 청년일자리와근로자재산을늘리겠습니다. -

2015 년세법개정안 - 청년일자리와근로자재산을늘리겠습니다. - 2015 년세법개정안 - 청년일자리와근로자재산을늘리겠습니다. - 목 차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Ⅰ. 경제활력강화 1 청년일자리창출지원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1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2 - < 개정이유 > < 적용시기 > - 3 -

More information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최종보고서)_v10_클린아이공시.hwp 신규투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 (요약본) 2015. 4. 지방공기업평가원 제주관광공사가부족한쇼핑인프라를보완하고, 수익을제주관광진흥에재투자하여 관광산업활성화와관광마케팅재원확보 라는양대목적달성에기여하고공기업으로서사회적책임을다하고자시내면세점사업에투자하려는의사결정에대한타당도는전반적으로볼때 긍정 으로평가할수있음 역할및필요성 대내 외환경 정책및법률 경제성기대효과

More information

13-17 [ 통권 534 호 ]

13-17 [ 통권 534 호 ] 13-17 [ 통권 534 호 ] 2013. 4. 12. 週間主要經濟指標 (4.5~4.11) Better than the Best! 차례 주요경제현안 1 창조형창업이없다! 1 주요국내외경제지표 15 본자료는기업경영인들을위해작성한국내외경제경영주요현안에대한분석자료입니다. 본보고서의내용은연구원의공식의견이아닌연구자의개인견해임을밝혀두며, 보고서인용시에는반드시출처를명기해주시기바랍니다.

More information

09³»Áö

09³»Áö CONTENTS 06 10 11 14 21 26 32 37 43 47 53 60 임금피크제 소개 1. 임금피크제 개요 2. 임금피크제 유형 3. 임금피크제 도입절차 Ⅰ 1 6 7 3) 임금피크제 도입효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① 중고령층의 고용안정성 증대 연공급 임금체계 하에서 연봉과 공헌도의 상관관계 생산성 하락에 맞추어 임금을 조정함으로써 기업은 해고의

More information

hwp

hwp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ⅲ ⅳ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ⅴ ⅵ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ⅶ ⅷ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ⅸ ⅹ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ⅹⅰ ⅹⅱ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ⅹⅲ ⅹⅳ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ⅹⅴ ⅹⅵ 지식경제와핵심역량 지식경제와핵심역량

More information

2015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혁신형중소기업지원정책의 현황및개선방안연구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경기대학교경제학과교수

2015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혁신형중소기업지원정책의 현황및개선방안연구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경기대학교경제학과교수 2015 년도연구용역보고서 혁신형중소기업지원정책의 현황및개선방안연구 - 2015. 7.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연구책임자 경기대학교경제학과교수한상범 혁신형중소기업지원정책의 현황및개선방안연구 제출문 2015. 7. Ÿ Ÿ Ÿ -

More information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최근히트상품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Global Market Report 16-035 2016 브라질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3 Ⅰ. 브라질소비시장동향및특성 4 5 1. 경제현황 2. 소비시장의특성 Ⅱ. 브라질소비시장히트상품분석 11 20 1. 최근히트상품 2. 2016 년소비시장, 이런상품을주목하라! Ⅲ. 우리기업의 4P 진출전략 27 30

More information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국내캐릭터산업현황 사업체수및종사자수 사업체 종사자 2,069 개 2,213 개 30,128 명 33,323 명 2015 년 7.0 % 10.6 % 증가증가 2016년 2015년 2016 년 매출액및부가가치액 매출액 부가가치액 11 조 662 억원 4 조 3,257 억원 10 조 807 억원 3 조 9,875 억원 2015 년 9.8 % 8.5 % 증가증가 2016년

More information

WHY JAPAN? 5 reasons to invest in JAPAN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www.investjapan.org Copyright (C) 2014 JETRO. All rights reserved. Reason Japan s Re-emergence 1 다시 성장하는 일본 아베노믹스를 통한 경제 성장으로 일본 시장은 더욱 매력적으로 변모하고

More information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BBEAC0E7BAB8C7E8C1A6B5B52E687770>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ⅰ ⅱ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ⅲ ⅳ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요약 ⅴ ⅵ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1 2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 재활 복지 ) 제 1 장서론 3 4 산재보험제도발전방안에대한연구

More information

목차 Ⅰ Ⅱ (2013)

목차 Ⅰ Ⅱ (2013) 뿌리산업실태및인력수급현황분석 목차 Ⅰ. 1 1. 1 2. 1 Ⅱ. 3 1. 3. 3. 4. 5. 5. 6. 7. 8 2. 11. 11. 12 3. 17. 17. 19. 21. 23 4. (2013) 25. 25. 27 5. 1 29 Ⅲ. 31 1. (2013) 31. 31. 33 2. (2013) 35. 35. (2014) 37 3. (2013) 39. 39.

More information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조사보회고서 온라인 P2P 대출서비스실태조사 2016. 6. 시장조사국거래조사팀 목 차 Ⅰ. 조사개요 1 1. 조사배경및목적 1 2. 조사내용및방법 2 3. 조사기간 2 4. 조사자 2 5. 기대효과 2 Ⅱ. P2P 대출일반현황 3 1. P2P 대출의개념 3 2. P2P 대출의성장배경 7 3. P2P 대출의장점과위험 8 4. P2P 대출산업최근동향 12 Ⅲ.

More information

( 1 ) ( 2 )

( 1 ) ( 2 )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 13 17) 2016 년시행계획 ( 안 ) ( 1 ) ( 2 ) 0 비전중장기 5대추진전략 국민건강 G7 선진국도약 - 2020 건강수명 75 세시대 달성 -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글로벌수준의기술개발을위한선택과집중 성과창출형 R&D 지원시스템고도화 연구생태계조성 건강산업촉진을위한제도개선 건강 R&D 투자지속적확대 보건의료 R&D

More information

1

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89 2.7 제주국제자유도시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391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D + 1.500

More information

차 례

차 례 2015 년 8 월호 제주경제동향 차 례 제주지역경제동향 ʼ15.6 124.6 124.6 0.12% 0.12%, 105.7 0.52% 105.7-0.52% ʼ15.7 4p () 79 4p 100 720 46.6% ʼ15.6 5,355M/T 19,530-24.7% -4.7%, 110.2 2.1% 108.8 3.8% 183.4 45.6% 1,071,464-7.2%

More information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 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고용노동부 16 중소기업인력양성사업이고용에미치는영향분석 요약 17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소상공인대학창업학교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시작년도 담당부처 법적근거 사업목적 대상 고용노동부인적자원개발과 고용보험법제 조및동법시행령제 조 국가기간 전략산업인력수요부족 증대직종인력양성 세이상의실업자등

More information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중점협력국대상국가협력전략 (9 개국 ) - 콜롬비아, 방글라데시, 아제르바이잔, 르완다, 볼리비아, 우간다,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파라과이 - 2016. 5. 30. 관계부처합동 중점협력국 대상 국가협력전략 ( 9 개국 ) 2 0 1 6 ᆞ 5 ᆞ 30 관계부처 합동 총목차 1. 콜롬비아국가협력전략 1 2. 방글라데시국가협력전략 38 3. 아제르바이잔국가협력전략

More information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신성장동력업종및품목분류 ( 안 ) 2009. 12. 일러두기 - 2 - 목 차 < 녹색기술산업 > 23 42-3 - 목 차 45 52 < 첨단융합산업 > 66 73 80-4 - 목 차 85 96 115 < 고부가서비스산업 > 120 124 127 129 135-5 - 녹색기술산업 - 6 - 1. 신재생에너지 1-1) 태양전지 1-2) 연료전지 1-3) 해양바이오

More information

에너지절약_수정

에너지절약_수정 Contents 산업훈장 포장 국무총리표창 삼성토탈주식회사 09 SK하이닉스(주) 93 (주)이건창호 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0 현대중공업(주) 20 KT 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24 (사)전국주부교실 대구지사부 111 한국전력공사 30 (주)부-스타 36 [단체] (주)터보맥스 115 [단체] 강원도청 119 [단체] 현대오일뱅크(주) 124 [단체]

More information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 B0E6C3D12D4A424620BBF3C8A3B1B3B7F9C7C1B7CEB1D7B7A520C8B8C0C720C0DAB7E12028C3BBB3E2BDC7BEF72928BCADBFB5C1F8292E687770> 청년실업의원인과대책 2004. 3 한국경영자총협회 < 표 1 > 한국노동시장관련주요지표의변화추이 ( 단위 : 천명, %) 1982 1987 1992 1997 1999 2003 경제활동인구 15,032 16,873 19,499 21,782 21,666 22,916 경제활동참가율 58.6 58.3 60.9 61.4 60.6 61.4 취업자 14,379 16,354

More information

2-1-3.hwp

2-1-3.hwp 증권거래소 / 금융감독원 유가증권 관리 / 감독 스폰서 설립 현금 REITs ㅇ 주주총회 ㅇ 이사회 ㅇ 감사 현금 주식 / 수익증권 투자자 (자본시장) 지분 출자 부동산 (부동산시장) 소유권 / 모기지 계약 주간사 : IPO, 증자 등 자산운용회사 관리/ 개발/ 처분 자산 관리 / 운용계약 신용평가회사 부동산정보회사 : 신용등급 : 정보제공 ㅇ 부동산 관리

More information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목 차 주요내용요약 1 Ⅰ. 서론 3 Ⅱ.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6 1. 특징 2. 시장동향및전망 Ⅲ.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17 Ⅳ.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스마트그리드산업구조 2. 스마트그리드가치사슬 3. 스마트그리드보급현황 Ⅴ.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 2012-02 2012. 1. 13 미국스마트그리드산업의 Value Chain 및정책동향 주요내용요약 서론 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주요국별스마트그리드산업정책 미국의스마트그리드산업동향 미국의스마트그리드정책동향 21세기스마트그리드산업전략 결론 작성김정욱책임연구원, 미국거점 kjwcow@kiat.or,kr +1-404-477-3288 감수조영희팀장, 국제협력기획팀 yhcho@kiat.or.kr

More information

untitled

untitled 13-28 Korea Building Expo in China 2009 www.kobuild.com NO.1 www.duckshin.com The Korea Land Daily 14-15 16 17 19 22 23 24 25 27 I CMYK 20 전 2009년 7월 16일 목요일 면 광 21 고 2009 대한민국 건설환경기술상 국토해양부

More information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KOTRA KOTRA 소규모 국별 설명회 욱일승천하는 -우리의 수출시장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중국경제 현안문제 가. 경기과열과 인플레이션 논의 2003년 중국경제가 9.1%의 고성장을 달성하는 가운데 통화량(M2) 증 가율이

More information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Contents MAY Economic ISSN http www chungnam net http 1 Economic 2 3 4 ISSN 2093 0844 Chungnam Economic Trends May 2016. 5 인재를둘러싼두뇌전쟁! 충남이인재를유인 양성하려면? 수도권으로 G o! G o! 지역내인재유출 H i g h 2013 인재와기업입지 고용 지역성장간관계 1 66 1 1 2 21 4 5 3 9 ➊ 관용성확충 ➌ 혁신지구조성및유형별인재조기경보시스템개발

More information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개관 완성차브랜드현황 협력업체 ( 부 Global Market Report 17-039 Global Market Report 태국자동차산업글로벌밸류체인 (GVC) 진출방안 방콕무역관 C O N T E N T S 목 차 요약 / 1 Ⅰ. 태국자동차산업현황 2 1. 개관 5 2. 태국자동차생산 판매 수출입현황 13 3. 우리나라의대태국자동차 부품수출현황 Ⅱ. 태국자동차산업밸류체인현황 16 1. 개관

More information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 미치는영향및정책적시사점 한국은행경기본부 목 차 < 요약 > Ⅰ. 검토배경 1 Ⅱ.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서차지하는위상 2 Ⅲ. 반도체산업이경기지역경제에미치는영향 7 Ⅳ. 최근반도체산업의여건변화 15 Ⅴ. 정책적시사점 26 < 참고 1> 반도체산업개관 30 < 참고 2> 반도체산업현황 31 i / ⅶ ii / ⅶ iii / ⅶ iv

More information

목 차 2012-5 - 7) - 6 - - 7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1 사업명 - 8 - 2 필요성및목적 - 9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0 - - 11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 12 - - 13 - 직업교육의메카, 명품신성인양성 2-1 필요성 - 14 - 2-2 목적 3 사업내용총괄 3-1 사업개요 - 15 - 직업교육의메카,

More information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요약보고서 - 화학공정소재 - 2010. 7 본요약보고서는한국산업기술진흥원주관으 로수립되고있는 2010 년도산업원천기술로 드맵의일부내용을발췌한것입니다. 산업원천기술로드맵전체내용을담은 2010 산업원천기술로드맵보고서 는오는 8월한국산업기술진흥원홈페이지 (www.kiat.or.kr) 를통해공개될예정입니다. 목 차 Ⅰ. 화학공정소재산업의정의및범위

More information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 ) 16. OECD (Frascati Manual) 48,381 (,, ), 20 보도자료 2014 년국내총 R&D 투자는 63 조 7,341 억원, 전년대비 7.48% 증가 - GDP 대비 4.29% 세계최고수준 연구개발투자강국입증 - (, ) 2014 10 30() 16. OECD(Frascati Manual) 48,381 (,, ), 2014,. * 통계법국가승인지정통계 ( 제 10501 호 ) 로서 1963 년에최초실시된이래, 매년시행하고있는전국

More information

Microsoft Word - ICT Reprot

Microsoft Word - ICT Reprot 주간기술동향 2015. 4. 22. 중국의혁신창업지원및청년창업동향 * 중국의창업장려정책확대, 젊은세대의 ICT 기술기반창업도전증가 2014 년글로벌기업가정신조사 (Global Entrepreneurial Monitor: GEM) 에따르면신규사업및창업을계획하고있는중국응답자비율이 2013 년대비 4.9%p 상승, 창업에대한사회적인식과창업활동수준이높은편으로나타남

More information

2011-67 차례 - iii - 표차례 - vii - 그림차례 - xi - 요약 - i - - ii - - iii - 제 1 장서론 대구 경북지역인력수급불일치현상진단과해소방안에대한연구 1) ( ) 574 208 366 263 103 75.6 77.9 74.3 73.0 77.7 19.3 19.2 19.4 20.5 16.5 3.0 1.0 4.1

More information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태양광산업산업경쟁력조사 1 Ⅰ. 1. 52 2. 53 Ⅱ. 1. 54 2. 60 3. 64 III. 1. 71 2. 82 Ⅳ. 1. 98 2. 121 3. 132 Ⅴ. 1. 147 2. 160 3. 169 4. SWOT 181 Ⅵ. 1. 187 2. 202 3. 217 Ⅶ. 225 < 요약 > Ⅰ. 서론 II. 태양광산업의개요 III. 태양광기술개발현황

More information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B8D3B8AEB8BB5F20B8F1C2F72E687770> 발간사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발간사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목차 / 김광석 / 김적교 / 사공일 / 송희연 / 남상우 / 문팔용 / 김윤형 / 사공일ㆍ송대희 / 김수곤 / 김영봉 / 이규억 / 민재성ㆍ박재용 KDI 정책연구사례 : 지난 30 년의회고 / 황인정 / 남상우 / 양수길 / 고일동 / 김준경ㆍ조동철

More information

전력기술인 7월 내지일

전력기술인 7월 내지일 www.keea.or.kr 07 2014 Vol. 383 CONTENTS JULY 2014 02 04 08 18 20 22 24 28 32 36 38 40 42 46 48 49 58 57 65 2 Electric Engineers JULY 3 4 Electric Engineers JULY 5 6 Electric Engineers JULY 7 8 Electric

More information

ICT À¶ÇÕÃÖÁ¾

ICT À¶ÇÕÃÖÁ¾ Ver. 2012 T TA-11104-SA 4 21 21 42 65 91 103 124 140 161 187 Ver. 2012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4 Ver. 2012 Ver. 2012 5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6 Ver. 2012 Ver. 2012 7 ICT Standardization

More information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   * 이연구내용은집필자의개인의견이며한국은행의공식견해 와는무관합니다. 따라서본논문의내용을보도하거나인용 할경우에는집필자명을반드시명시하여주시기바랍니다.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과장 ( 전화 : 02-759-5548, E-mail : kwpark@bok.or.kr) ** 한국은행금융경제연구원거시경제연구실장 ( 전화 : 02-759-5438, E-mail :

More information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안 ) 2016. 3 GPS 2020 본과업은대학발전 TASK FORCE 팀에 의하여연구되었습니다. 2016. 3 경남도립거창대학 5 개년발전전략 GPS 2020 Ⅰ 1. 8 2. 8 3. 12 4. 13 5. 14 6. 16 7. 17 Ⅱ 1. 20 2. 21 3. 24 4. 25 Ⅲ 1. 28 2. 29

More information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335 2.6 대한주택보증 대한주택보증 ( 주 ) 337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 종합 경영 부문 (35) 주요 사업 부문 (35) 경영 관리 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 4.50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B +

More information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조사보고서 2009-8 구조화금융관점에서본금융위기 분석및시사점 Ⅰ. 서론 Ⅱ. 구조화금융의미시적시장구조 2 조사보고서 2009-08 요약 3 Ⅲ. 서브프라임위기의현황과분석 4 조사보고서 2009-08 Ⅳ. 서브프라임위기의원인및특징 요약 5 6 조사보고서 2009-08 Ⅴ. 금융위기의파급경로 Ⅵ. 금융위기극복을위한정책대응 요약 7 8 조사보고서 2009-08

More information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FDI FOCUS] 4 차산업혁명에따른외국인투자유치정책의재편방향 ( 산업연구원 ) 2018 년 1 월 22 일 [ 제 140 호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1. FDI NEWS 2. GOVERNMENT

More information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 목차 > 2011 년 1/4 분기지역경제동향 ( 요약 ) * 생산은광공업생산지수, 고용은취업자수이며, ( ) 의숫자는전년동분기대비증감률임 < 분기주요지역경제지표 1 > [ 전년동분기비, %] 시 도 ( 권역 1) ) 광공업생산지수 2)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3) 취업자수 10.2/4 3/4 4/4 11.1/4 p 10.2/4 3/4 4/4 11.1/4 p

More information

- ii - - iii -

- ii - - iii - - i - - ii - - iii - - iv - - 1 - - 2 - - 3 - - 4 - - 5 - 9.0 8.0 7.0 6.0 5.0 초졸이하 중졸고졸 전문대졸대학교졸이상 60.0 4.0 3.0 50.0 2.0 1.0 40.0 30.0 초졸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대학교졸이상 0.0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More information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기본방향 주요정책과제 산업별추진과제 28 차산업혁명시대 신산업창출을위한정책과제 2016. 12. 21 신산업민 관협의회 목 차. 산업의메가트렌드 1 우리의대응실태 8 우리산업의발전방향 14 1. 기본방향 14 2. 주요정책과제 16 3. 산업별추진과제 28 . 산업의메가트렌드 가산업대변혁 (Big Bang) 의시대도래 - 1 - 나 4 대메가트렌드 (3S 1P) Œ Ž (1) 스마트화 : 초연결과지능화확산

More information

STEPI STAT 지표통계 통계로보는혁신유형별기업성과 ( 특허출원부문 ) Ⅰ. 혁신유형별기업의특허출원성과 혁신유형별로기업의특허출원성과에어떤차이가있는지혁신조사결과 ( 08년) 와기업특허자료 ( 15년) 1) 를연계 활용하여비교 분석함 - 기업혁신조사제조업응답기업 (3,

STEPI STAT 지표통계 통계로보는혁신유형별기업성과 ( 특허출원부문 ) Ⅰ. 혁신유형별기업의특허출원성과 혁신유형별로기업의특허출원성과에어떤차이가있는지혁신조사결과 ( 08년) 와기업특허자료 ( 15년) 1) 를연계 활용하여비교 분석함 - 기업혁신조사제조업응답기업 (3, STEPI STAT 지표통계 통계로보는혁신유형별기업성과 ( 특허출원부문 ) Ⅰ. 혁신유형별기업의특허출원성과 혁신유형별로기업의특허출원성과에어떤차이가있는지혁신조사결과 ( 08년) 와기업특허자료 ( 15년) 1) 를연계 활용하여비교 분석함 - 기업혁신조사제조업응답기업 (3,081개사, 2007년말기준 ) 과특허정보연계기업 (1,358 개사 ) 의국내특허출원평균추이

More information

<BDC3BEC8BFEB2E706466>

<BDC3BEC8BFEB2E706466>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안산시 승인일 : 2017. 12. 15 2018 년도 기금운용계획 - 1 - - 2 - - 3 - - 4 - Ⅰ. 2018년도기금운용계획 1. 기금개요 관련법규 지방자치법제142 조 ( 재산과기금의설치) 지방자치단체기금관리기본법제8 조 ( 기금운용계획및결산) 운용방침 기금운용의성과분석을통한기금운용계획수립 기금운용의투명성및효율성제고

More information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 제 20-1 호 ) '15 ( 제 20-2 호 ) ''16 '15 년국제개발협력자체평가결과 ( 안 ) 16 년국제개발협력통합평가계획 ( 안 ) 자체평가결과반영계획이행점검결과 ( 제 20-3 호 ) 자체평가결과 2016. 2. 16. 국제개발협력평가소위원회 제 20 차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회의자료 2 0 1 6 ᆞ 2 ᆞ 16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More information

- 2 -

- 2 - 보도자료 미래부 - 부산시,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 ( 가칭 ) 설립공동협력키로 - 부산콘텐츠마켓 과함께아시아공동체의방송발전에크게기여할것 - - 1 - - 2 - - 3 - [ 붙임 1]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MOU 체결 ( 안 ) ㆍ 2 7 6 10 5-4 - 참고 1 상호협력양해각서 (MOU) ( 안 ) 아시아디지털방송아카데미설립 운영을위한 상호협력양해각서

More information

Microsoft PowerPoint - 2. 2H16_채권시장 전망_200부.pptx

Microsoft PowerPoint - 2. 2H16_채권시장 전망_200부.pptx Contents 3 2016 4 2016 5 2016 6 2016 7 2016 8 2016 9 2016 10 2016 11 2016 12 2016 13 2016 14 2016 15 2016 16 2016 17 2016 18 2016 19 2016 20 2016 21 2016 22 2016 23 2016 24 2016 25 2016 26 2016 27 2016

More information

목 차 1 3

목 차 1 3 목 차 1 3 - 1 - - 2 - < 우리나라상속 증여세율추이 > 1996 년이전 1997 년 ~1999 년 2000 년이후 < 상속세 > 5천만원이하 10% 과세구간및세율단일화 2억 5천만원 20% 1억원이하 10% 1억원이하 10% 5억 5천만원 30% 5억원이하 20% 5억 5천만원초과 40% 5억원이하 20% 10억원이하 30% < 증여세 > 10억원이하

More information

G lobal M arket Report 중국지역 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G lobal M arket Report 중국지역 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G lobal M arket Report 12-052 2012.09.03 중국지역 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C O N T E N T 목 차 Ⅰ. 중국시장개황 Ⅱ. 중국지역별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Ⅲ. 홍콩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Ⅳ. 대만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Ⅰ. 중국시장개황 1 시장특성 - 1 - 2 불황기의시장환경변화 3 진출전략 - 2 - Ⅱ. 중국지역별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More information

...... 10...hwp

...... 10...hwp THE FABULOUS DECADE: Macroeconomic Lessons from the 1990s THE CENTURY FOUNDATION The Fabulous Decade: Macroeconomic Lessons from the 1990s, by Alan S. Blinder and Janet L. Yellen. A Century Foundation

More information

ÁÖ5Àϱٹ«Á¦Á¶»ç(03).hwp

ÁÖ5Àϱٹ«Á¦Á¶»ç(03).hwp 51 49 47 49.3 44 48.9 56.5 71.7 48.4 84.6 46.1 50 105.8 110 100 90 48.3 70 50 45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30 ( ) ( ) 15.9% 15.3% 16.4% 14.7% 14.5% 11.9% 14.8% 1. 귀사의 현재 토요일

More information

Y Z X Y Z X () () 1. 3

Y Z X Y Z X () () 1. 3 1. 3. 3 4. 2. 3 5. 1 6. 3 8. 3 Y Z X Y Z X 9. 7. () () 1. 3 11. 14. 3 12. 13. 15. D 3 D D 16. 3 19. 3 17. 18. 2. 1. 1 2 3 4 2. 3. 3 4. 3 5. 1 6. 8. UN 9. 3 7. 3 Y Z X Y Z X 1. 3 14. 3 11. 12. 3 13. 3 15.

More information

소준섭

소준섭 2014 년미얀마의국가경쟁력평가와정책적시사점 : 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원순구 목 차 Ⅰ. 서론 Ⅱ. 미얀마및한국의세계경쟁력지수 (GCI) 분석 1. 세계경쟁력지수의구조및측정 2. 미얀마국가경쟁력지수평가분석 3. 한국의국가경쟁력지수분석 Ⅲ. 양국의경쟁력지수 GAP 분석을통한개발협력분야모색 1. 한국과미얀마의부문별경쟁력지수 GAP 분석

More information

[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 1 - [2016년조사대상 (19곳)] 대림산업, 대한항공, 동부화재해상, ( 주 ) 두산, 롯데쇼핑, 부영주택, 삼성전자, CJ제일제당, 아시아나항공, LS니꼬동제련, LG이노텍, OCI, 이마트, GS칼텍스, KT, 포스코, 한화생명보험, 현대자동차, SK이노베이션 [ 표 1] 입사지원서의학력과출신학교정보기재란유무 - 2 - 회사명 학력기입 고등학교대학석사박사출신학교명

More information

2009 신한금융지주회사현황 Shinhan Financial Group Report Extend Your Financial Network Shinhan Financial Group Extend Your Financial Network Shinhan Financial Group Shinhan Financial Group Shinhan Financial

More information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CONTENTS 목 차 요약 / 1 Ⅰ. 이란시장동향 / 2 1. 이란시장개요 2. 주요산업현황 3. 이란의교역및투자동향 Ⅱ. 한 - 이란경제교류현황 / 10 Ⅲ. 경쟁국의이란진출현황 / 12 Ⅳ.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 / 15 Ⅴ. 對이란진출전략 / 56 1. 대이란진출전략및유의사항 2. KOTRA 의이란진출지원방안 경제제재완화대비, 對이란 10 대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More information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1. FDI NEWS 2. GOVERNMENT

More information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2011-49 경북지역일자리공시제내실화방안 차례 표차례 요약. 5.,,.,.,..,..,,. 2010 7 2011 8 244 227. 2011 6 i 2011 6 221 (www.reis.or.kr) 8 224. 23 2010 100%, 5 2011. 5 224,025 13. 33,536 8, 10,219. 21,499 1/3. 8,796 21,872,

More information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57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9230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359 총괄요약표 리더십 전략 경영 시스템 경영 성과 평가범주지표명평가방법가중치등급 리더십 전략 주요 사업 활동 경영 효율화 주요 사업 성과 고객 성과 경영 효율 성과 (1) 경영진리더십 6등급평가 3 A (2) 지배구조및윤리경영 6등급평가 4 B (3) CS

More information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2001 년 4 월전력산업구조개편과함께출범한전력거래소는전력산업의중심 기관으로서전력시장및전력계통운영, 전력수급기본계획수립지원의기능을 원활히수행하고있습니다. 전력거래소는전력자유화와함께도입된발전경쟁시장 (CBP) 을지속 적인제도개선을통해안정적으로운영하고있으며, 계통운영및수급 계획수립등전력수급안정에도최선의노력을기울이고있습니다. 이번에발간하는 2016년발전설비현황은

More information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정책효율화방안 최종보고서 2012. 7 한남대학교산학협력단 I. 서론 - 3 - - 4 - - 5 - - 6 - - 7 - 1) 본연구에서는해외진출과글로벌화의개념을혼용하기로한다. 자료에따라서는해외진출은해외직접투자만을의미하는것으로쓰이기도하지만넓은의미에서의해외진출은대체로글로벌화와그맥락을같이한다고할수있을것이다. - 8 - 2) 2010 년말현재전세계에

More information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11하예타] 교외선 인쇄본_ver3.hwp 2012 년도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교외선 ( 능곡 ~ 의정부 ) 철도사업 2012. 7. 요약 요약 제 1 장예비타당성조사의개요 1. 사업추진배경 2000 5 16, 2004 4 1,, 2006 -,, 39,., ~~, 2. 사업의추진경위및추진주체 2004. 12: (~) () - 21 (B/C=0.34). 2010. 04~2012. 02: (~) () - (B/C=0.53,

More information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2 0 1 4 년 4 / 4 분기 2014. 9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2014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별전망 7 5. 규모및유형별전망 8 6. 정부경기부양정책발표에따른영향

More information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16-27( 통권 700 호 ) 2016.07.08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본보고서에있는내용을인용또는전재하시기위해서는본연구원의허락을얻어야하며, 보고서내용에대한문의는아래와같이하여주시기바랍니다. 총괄 ( 경제연구실장 ) : 주원이사대우 (2072-6235, juwon@hri.co.kr) 경제연구실 / 동향분석팀 : : 조규림선임연구원 (2072-6240,

More information

Layout 1

Layout 1 대대대대대대대대 :Layout 1 2014-07-15 대대 1:40 Page 1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연구보고서 2013-04 http://hrd.koreatech.ac.kr 대학의기업연계형장기현장실습 (IPP) 프로그램확산방안연구 오창헌편저 지은이 오창헌 ( 한국기술교육대학교교수 ) 엄기용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부교수 )

More information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5월전체 2005.6.9 5: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개 지역지식재산센터 를 통해 발명가와 중소기업들에게 기술개발에서 선진국은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More information

2.2 한국마사회 한국마사회 95 한국마사회 97 1. 평가결과요약 평가부문 종합경영부문 (35) 주요사업부문 (35) 경영관리부문 (30) 평가지표평가방법점수등급득점 (1) 책임경영구현및공익성제고를위한최고경영진의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6 B o 3.750 (2) 이사회 감사기능의활성화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4 C o 2.000 (3) 경영혁신노력과성과 9등급평가

More information

2. 경기도사회통합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는사회복지수준과성평등수준이 OECD 34 개국중에서거의최하위수준 경기도는 인당복지비용 위 대비사회복지지출비중 위 경기도는성평등지표에서여성고용률 위 여성취업자비중 위 여성의경제활동참가율 위 q 경기도는건강증진수준은비교적양

2. 경기도사회통합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는사회복지수준과성평등수준이 OECD 34 개국중에서거의최하위수준 경기도는 인당복지비용 위 대비사회복지지출비중 위 경기도는성평등지표에서여성고용률 위 여성취업자비중 위 여성의경제활동참가율 위 q 경기도는건강증진수준은비교적양 GRI 정책이슈 2012.11.1 지표로본경기도의글로벌위상과시사점 1. 경기도경제부문의 OECD 내위상 q 경기도경제규모 : OECD 34 개국중에서 27 위로작은국가수준 경기도는경제규모 총생산액규모 위 인구규모 위 무역규모 위 그러나 인당소득 은 위로 국가에비해상대적으로낮은수준 q 경기도는기술혁신과자본형성이최고수준으로잠재적생산성이높음 경기도는 지출비중과연구인력비중

More information

수정보고서(인쇄용).hwp

수정보고서(인쇄용).hwp 발행물등록번호 : 11-1270000-000585-14 2009 법무부용역보고서 2009 국가경쟁력강화를위한외국인력유치정책방향 연구기관 _ 한국경제학회 2009. 12. 제 1 장서론 1 국가경쟁력강화를위한외국인력유치정책방향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More information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 일부변경 보고서(2009).hwp 2020 나주도시기본계획일부변경 2009 나주시 목 차 Ⅰ. 나주도시기본계획변경개요 1. 도시기본계획변경의배경및목적 1 2. 도시기본계획변경의기본원칙 2 3. 도시기본계획변경의범위 3 4. 추진절차 4 Ⅱ. 도시현황및특성 1. 도시현황및특성 5 2. 역사적 문화적특성 20 3. 도시세력권 24 4. 도시기능 25 5. 상위및관련계획검토 26 6. 개발잠재력분석

More information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외국인투자유치성과평가기준개발 2010 년도연구용역보고서 외국인투자유치의성과평가기준개발 - 2010. 10. - 이연구는국회예산정책처의연구용역사업으로수행된것으로서, 보고서의내용은연구용역사업을수행한연구자의개인의견이며, 국회예산정책처의공식견해가아님을알려드립니다. 책임연구원 국립부경대학교지역사회연구소권오혁 수신 : 대한민국국회예산정책처장귀하. 2010 10 : : : : 요약문 I. 서론 1.

More information

- -

- - 11 월월간회의 2012. 11. 5 (2 층회의실 ) 11 월월간회의자료 국립수산과학원 - - 연구기획부 추진실적 : '12. 10. 1 ~ 10. 31 1. 연구관리 지원 2. 홍보및대내 외협력 3. 수산해양정보 - 1 - 추진계획 : '12. 11. 1 ~ 11. 30 1. 연구관리 지원 2. 홍보및대 내외협력 3. 수산해양정보 - 2 - 기반연구부 추진실적

More information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 C0DAC0B2C5BDB1B820BFEEBFB520B8DEB4BABEF32D33C2F720C6EDC1FD2E687770> 과학영재의창의적탐구능력배양을위한 R&E 프로그램기획 운영핸드북 Handbook of Annual Planning and Implementing R&E Program for the Talented 2017 과학영재창의연구 (R&E) 지원센터 이핸드북은과학고와과학영재학교의연간 R&E 프로그램기획 운영을효과적으로지원하기위해개발된것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지정과학영재창의연구

More information

01정책백서목차(1~18)

01정책백서목차(1~18) 발간사 2008년 2월, 발전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출범한 새 정부는 문화정책의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로 설정하고, 그간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권한과 책임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고, 효율의 원리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과감한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란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과 풍요로움을

More information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제 2 차 (2013~2015) 어린이식생활안전관리종합계획 2012. 9 목 차 추진배경 1 주요성과와반성 3 정책과여건 11 추진체계 16 세부추진과제 21 1. 어린이기호식품안전판매환경조성 23 1-1.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지정및관리강화 26 1-2. 어린이기호식품판매환경개선 30 2. 어린이식생활안심확보를위한안전공급체계구축 39 2-1. 어린이단체급식의안전관리및품질개선

More information

MRIO (25..,..).hwp

MRIO (25..,..).hwp 공공투자사업의지역경제파급효과추정을위한 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구축및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제 Ⅰ 장문제의제기 1 제Ⅱ장다지역산업연관모형 (MRIO) 분석의추이및문제점 7 제Ⅲ장 MRIO 모형구축을위한방법론검토 17 제Ⅳ장 KDI MRIO 모형의구조및특성 37 제Ⅴ장 KDI MRIO 모형의세부구축방법 60 제Ⅵ장 KDI MRIO 모형의추정및결과 120 제Ⅶ장

More information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B8B6B1D4C7CF2DBAD0BEDFB0CBC5E4BFCF2DB1B3C1A4BFCFB7E128C0CCC8ADBFB5292DC0DBBCBAC0DAB0CBC1F5BFCF2DB8D3B8AEB8BB2DB3BBBACEB0CBC1F52E687770> 가정용 지능로봇의 기술동향 머리말 목 차 제1장 서 론 1 제2장 기술의 특징 4 제3장 가정용 로봇 산업 및 기술수요 전망 14 4장 가정용 로봇의 기술동향 27 5장 주요국의 가정용 로봇의 기술정책 분석 61 6장 국제표준화와 특허출원 동향 80 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86 참고문헌 92 표 목차 그림 목차 제1장 서 론 1. 기술동향분석의 목적 및

More information

활동내용 - 2 -

활동내용 - 2 - 대구약령시한방의료체험타운조성및운영방안연구 출장개요 출장보고 - 1 - 활동내용 - 2 - 세부내용 1) 중국의의과대학은일반적으로 5 년째로운영되는데 의과대학을졸업한학사학위소지자는집업의사자격고시에합격하면집업의사증을발급받아정식의사로활동함. - 3 - - 4 - 2) 국의대사는임상경험이 50 년이상된중의사들로 선정되면엄청난부와명예가따르고있음국의대사일부는서의사자격증을갖고있는중의사들임

More information

allinpdf.com

allinpdf.com 이책은북한에대한이해를돕기위해통일교육원에서발간한교재입니다. 각급교육기관등에서널리활용하여주시기바랍니다. 차례 Ⅰ. 북한이해의관점 Ⅱ. 북한의정치 차례 Ⅲ. 북한의대외관계 Ⅳ. 북한의경제 Ⅴ. 북한의군사 Ⅵ. 북한의교육 차례 Ⅶ. 북한의문화 예술 Ⅷ. 북한의사회 Ⅸ. 북한주민의생활 차례 Ⅹ. 북한의변화전망 제 1 절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Ⅰ. 북한이해의관점

More information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2 0 1 5 년 6 월 3 일공보 2 0 1 5-6 - 7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는 2010 년실측산업연관표를기준년표로설정하여 작성되었으며,

More information

CR2006-41.hwp

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

사행산업관련통계 2011. 6 Ⅰ 사행산업현황 정의 사행사업관련법규 사행산업규모 조세현황 기금등출연현황 업종별매출및지출구 조 업종별영업장현황 도박중독관련현황 도박중독예방 치유예산 도박중독예방 치유활동 불법사행행위신고센터현황 Ⅰ. 사행산업현황 정의 3 사행산업관련통계 사행산업관련법규 4 Ⅰ. 사행산업현황 사행산업규모 5 사행산업관련통계 6 Ⅰ. 사행산업현황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