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科學硏究第 27 輯 2017.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7, 2017, pp.1-12 1) 1920 년대시대정신을통해본여성패션의변화 - 미국의플래퍼와한국의모던걸비교를중심으로 - 배수정 전남대학교의류학과, 생활과학연구소 The Changes of Women s Fashion through Spirit of 1920 s - Comparison between American Flapper and Korean Modern Girl - Soojeong Ba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thesis is to elucidate how the ideology of 1920 could influence the women s fashions in America and Korea, and compare it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it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ashion in flapper and modern girl in light of the 1920 s ideology. The method of investigation was theoretical review along with the comparative study. As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ith the help of the technology had granted the women the chance of leasure and education, contributing to their engagement in the economic activity and lead to their pursuing the liberation and freedom. Firstly, the America flappers preferred to take the corset off and wear the short skirts. The modern girl in Korea wanted to be free from the social enforcement realized in the costumes and hair style. Secondly, the Art Deco style migh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pper and modern girl costumes in this way. Flapper look had the straight silhouette from the flat chest to the hemline with the knee length skirt. Modern girl look in Korea was interested in long length Chogori and also straight silhouettes of the midi length Chima, with suspender. The hair style was bobbed hair representing the typical style both countries, resulting in the boyish look. Thirdly, in America the flapper look was widely started among the middle class women with economic privileges, finally expanded to other ages and social status in conditions of the affluent materials and capitalism while in Korea the modern girl fashion was observed only in the limited group with the economic powers, being scarcely found in the other groups. This change of the costume in 논문접수일 : 2017. 10. 31., 심사완료일 : 2017. 12. 5., 게재확정일 : 2017. 12. 14. - 1 -
both countries undertook the common significance of the free liberation of the women from the society of sexual discrimination whi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merica, the influences are widespread to the other states finally be popular in taking the clothes because of the affluent economic conditions, while in Korea, only to give the message of the ideology, being not to be popular among the most of the women, on the background of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 due to the Japanese colonialism. Key words: Sprit of the time, Flapper, Modern girl, 1920 s Fashion Ⅰ. 서론 시대정신 ( 時代精神, spirit of the time) 이란용어는한시대에지배적인지적, 정치적, 사회적동향을나타내는정신적경향을의미한다. 이용어는 18세기후반부터 19세기에걸쳐독일을중심으로등장하여독일어자이트가이스트 (Zeitgeist) 로널리알려져있다 ( 시대정신, 2017). 이연구의배경인 1920년대는 1차세계대전이후고도산업화를바탕으로근대화및소비자본주의가발달하였고, 이를바탕으로형성된풍요한삶속에서기성세대의문화를거부하고자유롭고모던한삶을추구하는시대정신이형성되었다. 이러한시대정신은유럽에서는 가르손 (garçonne), 미국에서는반항적이며독립적이고자유로운삶을추구하는 플래퍼 (flapper), 한국에서는 신여성, 모던걸 이라는신세대여성집단을형성하게되었다. 특히미국은 1차세계대전을승리로이끈주역을담당하면서그지위가 19세기에비하여크게신장하였고, 1929년경제대공황직전까지장기간에걸쳐호황을누렸다 ( 명혜진외, 2014). 이러한산업화에수반되어도시중심적이고소비지향적인사회로변화하는가운데대중은재즈 (jazz) 와춤, 스포츠에열광하고인생의쾌락을추구하는태도가윤리를대신하기시작하였다. 이러한변화에대하여저명한미국의역사학자이자하버드대학의교수였던어니스트메이 (Ernest Richard May, 1928~2009) 는 빠른속도의변화, 새로운사고, 여가선용, 섹스그리고자유분방한생활에대한강조가 1920 년대를소란스럽게만들었다 고표현하였다 ( 배민정, 2007). 이러한시대적상황하에서여성들은신장된자신의지위를표현하기에적절한복식스타일인 가르손 느룩 (garçonne look) 혹은 플래퍼룩 (flapper look) 을착용하였다. 이전의어느시대보다여성스러움이제거된스트레이트실루엣의종아리를드러내는의복과짧은헤어스타일, 깊게눌러쓴클로슈햇 (cloche hat), 붉은입술은바로이러한 20년대의자유분방한시대정신을반영한것이라고알수있다 ( 배수정외, 2016). 이러한전세계적인풍조는일본과서구의문물을접한한국의신여성인모던걸 (modern girl) 형성의기반이되었고, 대중의여성에대한인식변화에영향을미쳤다. 한국의근대화과정에서 1920년대신여성의출현은 20세기초반한국사회에서여성을둘러싼가장커다란변화중의하나였다. 이들은여성의인격과개성에대한존중, 자유연애와자유결혼, 정조에대한도전, 남녀평등과여성해방등을공공의차원에서제기하면서남성이지배하는가부장적한국사회에도전하였다 ( 김경일, 2016). 이러한신여성의주장과행동은자유와해방을위한 1920년대시대정신의집단표출로서, 이후한국사회의페미니즘과여성운동의역사에큰영향을미쳤다. 이러한점에서한국의근대사와여성사에서신여성은중요한영역을차지한다 ( 민경화, 2016). 식민지국가가처한상황에서한국의신여성은미국의신여성인플래퍼와는다양한측면에서차이를보였다. 시대적양식의차이는사회문화적배경의변화에서발생된다고볼수있고, 사회전반의생활양식으로서문화는사상, 언어, 종교, 의례, 복식, 법, 도덕등의규범, 가치등을포괄하기때문에 ( 명혜진외, 2014) 복식의변화양상을분석하는데시대정신에대한접근이필요하다고할수있다. 그러므로 1920년대시대정신을통하여한국과미국여성패션의양상을비교해보고자한다. - 2 -
이분야의선행연구는주로 1920년대전후미국문화와역사적인관점에서접근한전봉철 (1996), 박현숙 (2007, 2008), 손정희 (2009), 황혜성 (2005) 의연구와 1920년대한국의여성사적인접근을시도한김수진의연구 (2009), 김미선의연구 (2004), 소비문화의관점에서 1920년대한국여성패션의변화를다룬김은정의연구 (2013) 등이주를이루고있다. 복식사적관점에서는명혜진, 김양수, 김정혜의모던걸과플래퍼에나타난패션의문화적양식을비교한연구 (2014) 와박혜원의플래퍼패션디자인연구 (1998), 배민정의 1920년대플래퍼룩을응용한현대패션디자인연구 (2007), 이재윤의 1920-30년대한국의이상적 신여성 이미지와패션을다룬연구 (2014) 등이있다. 그러나 1920년대당시전세계를관통한시대정신을통한패션의변화를미국과한국의신여성을중심으로비교한연구는미비한실정이므로연구의필요성이제기되었다. 따라서본연구는같은 1920년대라는시대정신을공유하지만각국가의경제적, 시대적상황에따라서다른 1920년대패션을미국과한국의신여성을중심으로비교하는것이목적이다. 연구방법은선행연구를통해 1920년대사회및문화적배경과이에수반된전반적인시대정신을분석하고, 미국의신여성인플래퍼와한국의신여성인모던걸의형성배경을알아본후, 1920년대시대정신이미국과한국두나라여성패션에어떻게반영되었는지정성적으로비교 분석한다. Ⅱ. 이론적배경 1. 1920년대시대정신기계와동력의발달이라는 18세기중엽산업의발전은생활의기반을농업중심에서공업중심의사회로변모시켰고, 이로인한도시의발달은대도시의형성과인구의집중현상을초래하였다. 이전과는다른물질중심의새로운사회경제구조를만들면서산업자본의형성으로인한신흥중산계급이성장되었고, 국가간교류가발달하여항로가번성하여창고, 항만이생겨나고, 도시를연결하는철도가생겨나게되었다. 근대화로인하여도시의계획적정비와확충이필요해짐에따라도 시화가일정한규격에맞추어진행되었고각국에서구근대양식으로보편화되는국제적인건축양식이유행하였다. 겉으로도시화가진행되는것뿐만아니라도시안에서도대중의생활양식에큰변화가있었다 ( 명혜진외, 2014). 20세기초반자동차, 축음기, 레코드, 라디오의발명은정보 시간적여유와생활의자유를대중에게부여하였다 ( 김경진 금기숙, 2011). 여성들은기계문명의발달로가사노동에서해방되어여유로운시간을갖게되었고, 이는여성의사회진출을촉진하였다. 기계문명에대한낙관주의는상품디자인에기하학적, 구축적형태를사용하거나기계구성요소를표현하는방식으로나타났다 ( 박혜원, 1998). 기계는낮은가격의생활용품을대중에게공급하여상류계층만누리는특권을일반대중들이누릴수있도록하는대중사회발달에기여하였다. 더불어기계를매개로하는인간의의사소통, 즉매스커뮤니케이션의발달이이루어져, 불특정다수의대중사회안에서문화의획일화와개인의소외가촉진되었다 ( 정호준, 2015). 대량생산으로인한물질의풍요시대에매스커뮤니케이션의발달, 기계문명의발달이대중문화의기틀을마련하였다고볼수있다. 이러한기계문명의발달로인해예술양식에있어서도변화가왔는데, 전시대의유려한곡선적인라인이특징인아르누보 (Art Nouveau) 양식이직선적이고구축적인아르데코 (Art Deco) 양식으로변화되었다. 아르데코는 1920년을전후하여 1930년대에걸쳐나타난미술양식으로, 이명칭은 1925년파리장식미술관에서개최된국제장식미술전의전람회에서유래한다 ( 이혜진 양은진, 2010). 아르데코는근대산업화의새로운재료였던철, 콘크리트, 플라스틱, 유리등을대량생산디자인에도입하여직선적이고기하학적인형태와지그재그선으로표현한예술양식을지칭한다 ( 오정수, 2011). 산업화의기치아래도시화가진행되면서아르데코양식은전통을거부한단순하면서효율적인디자인으로근대화예술을이끌었으며, 빠른기술의진보와기계문명의심미성이건축, 패션, 수공예, 미술, 영화등예술과디자인등의모든분야에영향을미쳤다. 이시기의디자이너들은대량생산체제에서기계생산을효율적으로만드는단순한구조와형태를강조하였다. 이결과점차 - 3 -
세련되고고급스러운물건을소유하는것이더이상부자의특권이아닌시대가되었다 (Duncan, 1988). 아르데코의단순한기하학적형태와다채로운색상, 장식은대량생산의체제와잘어울렸고, 여성복식도스트레이트실루엣에납작한가슴, 짧은스커트의직선적인형태로변화하였다. 이시기미국은소설가스콧피츠제럴드 (Scott Fitzgerald, 1896-1948) 가그의소설 위대한개츠비 (The Great Gatsby, 1925) 에서 재즈의시대 (The jazz age) 라명명한광란의시대였고, 번영과환락이극에이른시대였다 ( 전봉철, 1996). 근대화가본격적으로진행되어사회전반적으로부유해진상황속에서저축보다는소비가미덕인시대가되었다. 의류산업도대중생산체제로전환되고언론의발달과광고산업의발전에힘입어대중소비의한형태로자리잡게되었다. 이는더이상패션이소수계급의전유물이아니고, 중산계급여성들이도시의엘리트를위해디자인된의복을살수있게되었다는것을의미한다 ( 박현숙, 2007). 과거에상류계층이패션을주도하였다면소비자본주의의영향으로독립적인삶을추구하는중산층여성의소비력이패션에큰영향을미치게되었다. 이처럼 1920년대는소비가미덕이라는구호아래광고및판매업도크게발전하였다. 각종기업은신문, 라디오를통해서상품을선전하는데아낌없이돈을썼고국민의소비욕구를자극하기위하여끊임없이새로운유행을창조해내었다 ( 배민정, 2007). 광고업자들은여유있고소비지향적인삶을찬양하였고, 최신패션을따르는것이해방을의미한다고주장하였다 ( 박현숙, 2007). 이러한특성은 20년대전통적인여성상을거부하고변화를희망하는여성의욕구와부합되는것이었다. 경제력이있는직장여성들은편리하고세련되며활동적인의복을선호하였고이를소비할충분한경제력도있었다. 직장여성들뿐만이아니라가사노동시간의단축으로많은여유를갖게된가정주부들도이러한현대패션의대열에합류하여패션의대중화에기여하였다. 따라서 1920년대는기계문명, 시장경제, 소비자본주의가팽배한사회적배경하에서대량생산으로촉발된값싸고현대적이며질좋은제품과생활의풍요를누리 게된여성을포함한사회적약자들이기존의억압으로부터해방되어자유분방한사고와쾌락을즐김으로써형성되었고, 이경향이모든사회, 경제, 문화적측면을관통하면서독특한시대정신을형성하였다고요약할수있다. 2. 플래퍼와모던걸의형성배경및특징 1) 플래퍼미국은 1차대전을승리로이끈주역으로국제적으로그지위가크게강화되었고, 번영을구가하는경제대국으로발전하였다. 특히 1922년부터 1927년까지 7년간장기간에걸쳐산업호황기를누렸다 ( 박혜원, 1998). 산업화에수반된경제적번영으로인해엄청난수의새로운직업이창출되었는데, 이러한직업에종사한사람들은주로중산계급으로분류되었다. 이들은도시의변호사, 교육자, 사업가, 공장장, 보험업자, 세일즈맨등다양한직종을갖게되었다 ( 박현숙, 2007). 이들중경제력이있는미혼여성은부모의간섭에서벗어나자유로운생활을하는독립적인삶을추구하였고, 대량생산의풍요로운물품들이넘치는상황에서새로운소비문화의주체가되어대중문화를이끄는역할을하기시작하였다. 플래퍼는이시기에등장한젊은여성들을지칭하는용어로성숙한여성으로성장하기전단계의젊은여성들을말한다 ( 배민정, 2007). 이들은 1920년대여성의지위가상승하면서등장한여성들로, 기존의전통적가치관을거부하고재즈음악과찰스턴 (charleston) 춤, 화려한파티와자동차의스피드에심취하는향락주의적인태도를취하였다 ( 전봉철, 1996). 이들은여성의지위가상승하면서남성에게얽매이지않는독립적인삶을추구하고자유연애를즐기는새로운여성이었다. 자유로운행동과삶에대한독립적인태도는전통을거부하는하나의현실적인표현이었다. 플래퍼는 1920년대현대사회의변화에가장민감하고적극적으로반응하였던 재즈시대의모던걸 (modern girl) 이라할수있으며, 10대후반의어린소녀들에서시작하여결국연령을초월한 신여성 을뜻하는상징적의미를가지게되었다 ( 배민정, 2007). - 4 -
미국에서플래퍼의확산에기여한것은영화와잡지였다. 당시미국인구의 1/3인 3천 5백만명이매주극장에갔고, 당시의최고스타인조앤크로포드 (Joan Crawford, 1904-1977) 는플래퍼의전형적인여성으로평가되었다. 다음으로플래퍼의확산에기여한것은 라이프 (Life) 잡지였다. 라이프지의표지모델은잡지의구독률을높여줄신선하고새로운여성이미지였고, 당시의모더니즘을함축한전형적인플래퍼의모습이선정되었다 ( 박현숙, 2008). 살찌는디저트대신허리가잘록해지는담배를피우라 는담배회사의적극적인광고에여성흡연인구는크게늘었고 ( 안혜리, 2017), 법률로강력하게재제한금주법 (National Prohibition Law, 1919-1933) 상황하에서도밀주를마시고담배와춤을즐기는파티는더욱확산되었다. 기존의전통여성상을거부하는플래퍼는 < 그림 1>, < 그림 2> 처럼무릎길이짧은스커트에실크스타킹을신고, 진한화장을하고, 담배를피우고술을마시며밤을새워춤추는파티를즐겼다 ( 손정희, 2009). 이들의향락적인생활태도와파격적인외모는기존의전통적, 도덕적가치를거부하는상징적인존재로인식되었다. < 그림 1> 찰스턴춤과재즈를즐기는플래퍼 - 미국신여성과조선신여성비교연구, p.12. < 그림 2> 담배를피우는모습의플래퍼 -http://en.wikipedia.org 2) 모던걸한국사회가근대화과정을시작한것은 19세기후반이지만자본주의경제체제의도입과함께근대적인특징이나타나기시작하는것은 20세기초라고할수있다. 1920년대일제식민지하에서일본을통해들어온시장경제가사회를이끌어가는기본원리가되었으며, 그에따른소비양식의변화, 대량생산체제는소비를촉진시키는계기가되었다 ( 박현숙, 2008). 한국의근대화과정이진행되면서근대적사고를지닌젊은지식층이형성되었고, 이들은국내에서고등교육을받거나일본이나서구에서유학을한신지식인이었다. 이들중에젊은여성층을신여성혹은모던걸이라고불렀다. 신여성은 신여성, 부인, 개벽 등여성잡지의등장과함께 1920년대중반에교육받은자유와해방을추구한근대의새로운지식인여성을뜻한다 ( 이영희, 2017). 1886년이화학당에서기독교감리교 (Methodism) 교회의선교사였던매리스크랜튼여사 (Mary F. Scranton, 1832~1909) 에의해시작된한국여성교육은기독교선교사들과황실의후원으로운영되었고, 초기에는학생모집에어려움을겪었으나이시기교육을받은여성들의수는점차증가하였다 ( 연구공간수유 + 너머, 2005). 1900년대이후한국에서활동하기시작한근대여성의대표로는최초의미국여성유학생이었던하란사 (1875- - 5 -
1919), 최초의여의사박에스더 (1876-1910), 여성운동가이자교육자인차미리사 (1879-1955) 등이 1세대근대여성이었고, 이후 1920년대화가인나혜석 (1896-1948), 여류문인이자승려인김원주 ( 법명一葉, 1986-1971), 한국최초여류작가인김명순 (1896-1951), 성악가이자배우인윤심덕 (1897-1926) 으로대표되는 2세대근대여성이등장하였다. 이들은대부분당시일본에서유학한공통점이있었고, 특히나혜석은당시일본외무성관리였던남편김우영과함께 1927년무렵 1년 10개월간유럽과미국등지를여행하였다. 당시이와같은여성의해외경험은근대교육을받은신여성중에서도극히소수만이가능했었다. < 그림 3> 에제시된 1927년여행당시나혜석의코트와모피목도리, 클로슈햇으로구성된복장은미국여성의복장과거의유사한것을볼수있다 ( 김경일, 2016). 이러한여성들의변화는여성독자층을위한잡지의출간으로이어졌고, 개벽사에서 1923년출간한 신여성 의필진은나혜석, 김명순, 김원주등 2세대여성지식인이었다. 신여성이라는용어는 1926년동아일보와 1925 년조선일보에등장하기시작하였으며, 새로운관점을가진여성들 이라는긍정적인의미로사용되었다 ( 이재윤, 2014). 이들은봉건가족제도와결혼제도에대한신랄한비판과도전을통하여사회전반에걸친개혁을 < 그림 4> 담배를피우는신여성, 1920년대담배광고 -신여성, p.93. 주장함으로써여성의개성과평등에기반을둔신이상과신문명사회를건설할것을역설하였다 ( 김경일, 2016). 남성과동등한입장에서한국농촌사회의계몽을위해헌신하였고, < 그림 4> 에제시된것처럼당당하게담배를피우는 ( 연구공간수유 + 너머, 2005) 등모든생활태도와사고방식에서 1920년대서구여성과근본적인유사성을보인다. Ⅲ. 미국플래퍼와한국모던걸패션 1. 미국플래퍼패션 < 그림 3> 나혜석과김우영, 1927 -신여성, 개념과역사, p.230. 19세기말에출현한깁슨걸스타일 (Gibson girl style) 은미국의화가찰스다나깁슨 (Charles Dana Gibson, 1867-1944) 이그린초상화에서여성들이주로착용한의복스타일을말하며 (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영국빅토리아시대의복식과큰변화가없었다. 패션은여전히상류층에서주도하였으며어깨를부풀린블라우스와코르셋으로조인잘록한허리, 바닥에끌리는긴치마에사치스러운장식이많았다. 그러나 1910년대프랑스의패션디자이너폴푸아레 (Paul Poiret, 1897-1944) 가여성복식을직선적인실루엣으로디자인하여 - 6 -
여성을코르셋으로부터해방시켰고, 이후에도변화는계속되어 1920년대가브리엘샤넬 (Gabriel Chanel, 1883-1971) 이직선적이고편안한실루엣의원피스드레스 (one-piece dress) 와쓰리피스슈트 (three-piece suit) 그리고리틀블랙드레스 (little black dress) 로대표되는가르손느룩을선보였으며, 미국에서는이를플래퍼룩이라고하였다 (Lussier, 2003). 1920년대미국의플래퍼룩은 1890년대에등장한아르누보양식의깁슨걸스타일과는전혀다른스타일로, 아르데코적인단순하고직선적인스타일이특징이다 ( 명혜진외, 2014). 플래퍼룩은 < 그림 5> 와같이직선적인실루엣의납작한가슴에, 치마길이는무릎길이로짧고, 허리선은엉덩이길이로내려가있으며, 목은많이파이고짧은팔이거나소매가없는스타일이일반적이다. 이의복에살구색의실크나레이온스타킹을신었는데, 무릎아래까지말아내리거나, 코르셋을착용하지않고가슴이작게보이도록납작한브래지어를착용하였다. 이러한의복은이전시대와달리여성성을강조하기보다반대로미성숙한소년같은이미지의여성상을보여줌으로써모든면에서파격적인것이었다 ( 박현숙, 2008). 이러한플래퍼의자유로운복장은사회에서많은비난을받았으나오히려어린소녀들뿐만아니라 30대의성숙한여성에게까지도확대되어복식사에큰변화를일 으켰다. 이러한복식은당시시대정신의근저에자리한재즈와춤의시대를즐기는데적절한 움직임 과 율동 을배가시킬수있도록 < 그림 5>, < 그림 6> 처럼프린지 (fringe) 와시퀸 (sequin) 으로장식되었다. 플래퍼룩은헤어스타일에도큰변화를일으켰는데특히배우루이스브룩스 (Louise Brooks, 1906-1985) 의기하학적인짧은헤어스타일이유행하였고, 이위에 20년대중반전세계적으로유행한클로슈햇을 < 그림 7> 처럼눈썹까지깊게눌러썼다 ( 김경진 금기숙, 2011). < 그림 6> 조세핀베이커, 시퀸과프린지장식된플래퍼룩, 1926 -http://en.wikipedia.org < 그림 5> 샤넬, 시퀸과프린지장식된리틀블랙드레스 보그, 1926년 -Icons of Fashion-The 20 th Century, p.58. < 그림 7> 루이스브룩스, 헤어스타일과클로슈햇, 1926 -http://en.wikipedia.org - 7 -
2. 한국모던걸패션서구에서이러한플래퍼룩이유행할동안한국에서는여전히한복의착용이일반적이었고, 1900년대말부터서양선교사들중심으로생활에불편한한복의개량이시작되었다. 서양선교사들은가슴이드러나는짧은저고리를개량하여길게하였고, 가슴을동여매는치마말기가불편하고건강에도좋지않다고판단하여서양복의간편함을본떠만든어깨허리치마를여학생들에게착용하게하였다. 한복개량은선교사들에의해서만추진된것이아니었다. 남성과신여성들역시한복개량의필요성을주장하였다 ( 박현숙, 2008). 앞서언급한 2세대신여성인김원주 (1896 1971) 는 1921년 9월 10~14일자 동아일보 에의복개량에관한자신의의견을피력하였는데, 의복개량에고려해야할점을지적하면서치마에어깨끈을달것을주장하였다 ( 박현숙, 2008). 1920년대에들어한복개량운동은더욱활발하게논의되었고신여성들은적극적으로개량운동에동참하여개량복을제시하였다. 어깨허리를달고치마폭을통으로만들어입는치마개량을시작으로저고리길이조절, 속옷간소화, 여성의장옷폐지, 옷고름대신단추를달고주머니를만드는등의개량작업을세밀하게진행하였다 ( 김은정, 2013). 이러한한복개량운동을거쳐 1920년대여학생과신여성의의복스타일은 < 그림 8> 처럼저고리길이가허 리까지내려오는긴길이에좁은소매통의손목까지오는소매형태로활동하기에편하게개량되었다. 또한치마도이전의가슴을조이는치마말기는어깨허리로바뀌어가슴의압박감이덜하였고길이는발목길이혹은무릎길이까지짧아졌다. 또한당시의변화중하나로속옷을들수있는데, 속적삼, 단속곳,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등전통적여성속옷들이사라지고, 신여성들은 사루마다 ( 猿股, sarumata) 라고하는무명으로만든반바지형태의일본식속옷과어깨허리가달린속치마를착용하였다 ( 박현숙, 2008). 한복과더불어양장도착용하였는데, 이때는단발을한경우가많았다. 신여성중에서최초로단발을한이는한남권번 ( 漢南券番 ) 소속기생출신으로나중에사회주의운동가로변신한 < 그림 9> 의강향란 (1900- ) 이었다. 강향란은단발과남장을하고나타나남학생과같이수학하겠다고선언하였는데 ( 박정애, 2008), 강향란의이러한행동은단발이단순히외모의변화를의미하는것이아니라, 1920년대한국여성이추구하는자유로운생활방식과가치관의변화를의미한다고할수있다 ( 박현숙, 2008). 당시사회는여성의단발에매우비판적이었지만곧여학생들과신여성사이에서널리받아들여져신여성의대표적인헤어스타일이되었다. 1925 년신여성잡지에게재된 < 그림 10> 과같은전세계에서유행하는단발사진은남 녀지식인들사이에서남녀평등과여성해방의차원에서꼭실행해야한다는주장 < 그림 8> 한복과양장의신여성, 1920년대 -신여성, 개념과역사, p.26. < 그림 9> 한국최초단발을한신여성, 강향란, -http://www.etoday.co.kr - 8 -
을뒷받침하고있다 ( 연구공간수유 + 너머, 2005). 특히강향란의헤어스타일과모자는앞서다룬미국플래퍼의대표적인물인루이스브룩스의헤어스타일및클로슈햇과매우유사한형태를보여준다. 또한당시의여학교에서는춤을비롯한체조등체육활동을장려하였는데, < 그림 11> 과 < 그림 12> 는 1920년대여학생들의춤혹은운동시의복장을보여준다. 서양식상의에활동에편한주름스커트혹은블루머와유 < 그림 12> 이화여전학생들의운동복, 1927 - 신여성, p.98. 사한통넓은바지를착용한모습은기존에비하여매우개방적이고활동적인여성상을보여준다고할수있다. Ⅳ. 시대정신을통해본플래퍼와모던걸의패션비교 < 그림 10> 신여성 3권 8호단발소개, 1925 -신여성, p.67. < 그림 11> 신여성잡지 4권 4호에게재된여학생무용모습 -신여성, p.98. 1920년대미국에서는여성의사회진출이활발해져경제력이생기면서사회적지위가상승함에따라여성스스로남성에얽매이지않는활동적이고자유로운복식스타일을선호하게되었다. 이런사회적배경하에서등장하게된신여성인플래퍼는부모세대의깁슨걸스타일을거부하고여성성의억압에서벗어난자유로운복식스타일을선택하였다. 코르셋을벗고활동성을증대하기위해치마길이는짧아졌다. 이전까지의깁슨걸스타일과다른과감한패션의변화는여성이남성사회로부터의독립을의미하는중요한변화였고스스로선택한플래퍼룩은젊은여성부터나이든성숙한여성까지여러연령층과다양한사회계층에전파되었다. 같은시기에한국에서도복식에변화의바람이불고있었다. 근대화로인하여많은도시의여성들이유학을다녀오거나국내에서고등교육을받은신여성층이형성되었다. 신여성사이에서의복변화가일었는데, 시작은선교사들에의한한복개량운동이었다. 고등교육을받은신여성들이이운동에적극참여하여한복개량운동은널리확산되었다. 한복의불편한점을개선하기위해저고리길이는길어졌으며치마는짧아지고활동의편리성을위해치마말기대신어깨허리를달았다. 또 - 9 -
여성을불편하게했던많은속옷들이간소화되면서반바지형태의일본식속옷을착용하였다. 하지만미국과달리한국의신여성층은엷었고넓은계층에서의변화를이루기에는역부족이었다. 일부지식인여성들은짧은단발에서양복식을착용하였으나대부분의여학생을포함한신여성은개량된한복을착용하였다. 다만, 서구와유사하게불편한의복으로부터여성을해방하기위한변화즉, 상의가길어지고, 소매통이좁아졌으며, 치마길이가짧아져서활동에편하며, 가슴을조이던치마말기를제거하여불편한의복으로부터여성해방을주창한미국플래퍼의복식변화와맥을같이하고있는것을찾아볼수있다. 1920년대의지배적인예술양식인아르데코또한미국의플래퍼패션에많은영향을미쳤다. 아르데코의직선적인단순함은플래퍼룩에서그대로드러났는데이전의여성의곡선을강조하는깁슨걸스타일과는대조적으로의복이단순화되어가슴부터무릎길이의스커트헴라인까지직선을유지하고허리선은엉덩이까지내려왔다. 이러한단순한기하학적형태는대량생산에용이했고이생산체계에적합한복식스타일은여성들의자유와해방을갈망하는시대정신을반영한것이라고볼수있다. 이러한경향은지구반대편에있는조선의여성복식변화에도영향을미쳤는데, 이전의생활에불편한한복은저고리가길어지고치마가짧아지면서플래퍼룩과유사한실루엣으로변화하였다. 또한미국여성과마찬가지로신여성들사이에서단발과클로슈햇 이유행하였다. 당시사회에서많은비판에도불구하고단발은여학생들의상징적인헤어스타일이되었고, 비록일제식민지치하였지만여성들의자유와해방에대한갈망은미국플래퍼의기본적인시대정신과같은양상을보이고있음을확인할수있다. 1920년대미국은근대화, 도시화, 기계화를통해개인의소득이증가함으로써부의축적과더불어소비가미덕인시대가되었다. 저렴한가격으로고품질의물건을살수있어경제력을갖춘중산층의여성들은자유와해방의상징인플래퍼룩을매우적극적으로받아들였다. 각종기업들은가전제품과패션, 담배광고등을통해여성의소비욕구를자극하였고, 영화산업과잡지등의대중매체의발전은대중문화의발달을야기하였다. 이전의상류층이주도하던패션은중산층중심으로변화하였고, 플래퍼룩은경제력있는자유스러운사고의중산층여성을통해다양한계층과연령대로확산되었다. 반면한국은근대화를겪고는있었으나경제력을갖춘여성은소수에불과하였고, 사회전반적으로일제강점기의물자부족의시대였기때문에소비보다는절약이강조되는시기였다. 상업적측면에서개량된한복이보급되기보다는신여성들이농촌으로직접가농민들을교육하면서계몽의관점에서의복의간소화가보급되었다는점에미국의플래퍼룩과커다란차이가있다고할수있다. 다음의 < 표 1> 은위내용을정리한것이다. 시대정신 < 표 1> 미국플래퍼와한국모던걸패션의비교 미국 - 플래퍼 - 여권신장, 남녀평등, 여성의교육기회확대, 자유와해방 한국 - 모던걸 사회적배경 의복 헤어스타일 - 산업화를통한중산층의대두 - 경제적풍요와쾌락주의확산 - 스트레이트실루엣 - 무릎길이원피스드레스와시퀸, 프린지장식 - 단발 - 클로슈햇 - 일제식민지하의빈곤속에서농촌계몽운동확산 - 스트레이트실루엣 - 서양복 : 미국의플래퍼스타일과유사 - 개량한복 : 긴길이의저고리, 조끼허리가달린짧아진치마길이, 좁은소매통 - 단발 - 클로슈햇 ( 서양복착용시 ) - 10 -
Ⅳ. 결론 본연구에서는 1920년대미국의플래퍼와한국의신여성인모던걸패션을시대정신을바탕으로정성적으로분석하여, 1920년대를관통하는시대정신이미국과한국의신여성패션에나타난양상을비교하였다. 이와같은연구를통해얻은결론은다음과같다. 첫째, 1920년대기계문명의발달로야기된산업화, 도시화는여성의여가시간과교육의기회를증가시켜여성의사회진출이활발해졌으며, 이결과여성의교육기회와사회적지위를증가시켰다. 이로인해경제력을갖게된여성들은기존에누리지못했던자유와해방을구가하였고, 미국의신여성인플래퍼는코르셋을벗고스커트길이가짧아졌으며, 한국의신여성은속옷과치마말기를제거하여복식의불편함에서벗어남과동시에사회적인억압으로해방되는커다란변화를가져왔다. 이러한복식의변화는여성의사회적억압으로부터의해방을상징하는것이었다. 다만, 플래퍼들은풍요로운경제상황하에서자발적으로이변화를이끈것에비해한국의신여성은일제강점기라는빈곤한사회적상황하에서계몽의관점에서복식변화 ( 한복개량운동 ) 가확산되었다는차이점이있었다. 둘째, 1920년대예술양식인아르데코의직선적인단순함은플래퍼와모던걸의복의실루엣에영향을미쳤다. 플래퍼는납작한가슴에가슴부터헴라인까지직선을유지하며치마길이는무릎길이로짧아졌다. 한국의신여성들도저고리길이가길어지고어깨허리를단치마를입어직선적인실루엣을유지하였으며, 치마길이또한짧아졌다. 헤어스타일에있어서도긴머리보다는짧은단발로마치소년과같은이미지를추구하였는데, 이는미국과한국모두에서플래퍼와모던걸의대표적인헤어스타일이었다. 셋째, 미국사회의풍부한물자와자본주의사회에서의소비촉진은대중문화를발달시켰고상류층의패션이아닌중산층의대중문화가패션을주도하였다. 결국경제력을가진중산층여성들이플래퍼룩을넓은연령대와계층으로확산시키게되었다. 반면한국의여성들은교육받을기회를가진일부여성만이 1920년대를풍미한자유와해방의대열에합류할수있어모던걸패 션은사회전반적인현상이아니라일부계층의한정적인변화였던점에차이가있었다. 이와같이 1920년대의시대정신은미국과한국의여성들에게남성중심의사회에서해방된자유롭고새로운시각을부여하였고, 이는당시의복식에여성성을버리고편리함과활동성을추구하는파격적인복식변화로나타났다. 따라서이시기는복식사에서근대화와더불어여성복식또한활동적이고기능적으로변화하는중요한사회적의식변화가있었던시기로, 여성의자유와해방이라는시대정신이복식에충실히반영된좋은사례를보여준다고할수있다. 앞으로다양한시대의정신이복식에미친영향과그반영사례를다룸으로써복식의외형적인변화가아닌그변화의근저에자리한깊은사회적변화에대한연구로이어지기를기대해본다. 참고문헌 김경일 (2016). 신여성, 개념과역사, 서울 : 푸른역사. 김경진 금기숙 (2011). 플래퍼패션의미의식에관한연구, 복식, 61(2), 1-19. 김미선 (2004). 1920-30 년대신식화장담론이구성한신여성에관한여성주의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수진 (2009). 신여성, 근대의과잉 _ 식민지조선의신여성담론과젠더정치 : 1920-1934, 소명출판. 김은정 (2013). 1920-30 년대한국여성패션과소비문화의변화,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명혜진 김양수 김정혜 (2014). 모던걸과플래퍼에나타난패션의문화적양식비교연구, 패션과니트, 12(3), 104-113. 민경화 (2016. 5. 9). 1920년대신여성, 가부장제한국사회에도전하다, 경기신문, http://www.kgnews. 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8168 박정애 (2017. 9. 22). 한국여성인물사전 203. 강향란,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 news_print.php?idxno=1542634 박현숙 (2007). 미국신여성 ( 플래퍼 ) 의재현양상과소비자본주의, 한국여성학, 23(1), 103-130. - 11 -
박현숙 (2008). 미국신여성과조선신여성비교연구 : 복식과머리모양을중심으로, 미국사연구, 28(1), 1-50. 박혜원 (1998). 플래퍼패션디자인연구-미국재즈시대를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배민정 (2007). 1920년대플래퍼룩을응용한현대패션디자인연구,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수정 백정현 오현아 (2016). 현대패션과서양복식문화사, 서울 : 수학사. 손정희 (2009). 플래퍼와 1920년대미국문화의여성이미지 : 피츠제럴드를중심으로, 미국학논집, 41(2), 133-159. 시대정신, http://ko.wikipedia.org/wiki/%ec%8b% 9 C % E B % 8 C % 8 0 % E C % A 0 % 9 5 % E C %8B%A0 안혜리 (2017. 10. 18). 나를조종하는자는누구인가, 중앙일보. 연구공간수유 + 너머 (2005). 신여성, 서울 : 한겨레신문사. 오정수 (2011). 현대주얼리에반영된아르누보와아르데코예술양식연구,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이영희 (2017. 2. 24.). 동경과경멸사이, 그들은어떻게시대와싸웠나, 중앙 Sunday S Magazine. 이재윤 (2014). 1920-30년대한국의이상적 신여성 이미지와패션, 복식, 64(7), 172-183. 이혜진 양은진 (2010). 현대헤어디자인에나타난아르데코양식, 한국미용예술학회지, 4(2), 61-67. 전봉철, 미국문명과위대한개츠비, 부산대학교인문학연구소인문논총, 49(1), 253-270. 정호준 (2015). 기계문명과인간의관계성에관한도자표현연구, 국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패션큰사전, 서울 : 교문사. 황혜성 (2005). 위험한여성플래퍼 : 1920년대미국문화단면읽기, 한국미국사학회미국사연구, 22(1), 89-118. Alastair Duncan, (1988). Art Deco, London: Thames & Hudson. Ernest Richard May, (2017. 9. 7) http://en.wikipedia. org/wiki/ernest_may_(historian) Gerda Buxbaum. Icons of Fashion-The 20 th Century. (2005). 금기숙, 남후남, 박현신역 (2009), 20세기패션아이콘, 서울, 미술문화. Josephine Baker(2017.10.18) http://en.wikipedia.org/ wiki/charleston_(dance) Louise Brooks(2017.10.20) http://en.wikipedia.org/ wiki/louise_brooks Suzanne Lussier(2003). Art Deco Fashion, London: V&A Publishers.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