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Similar documents
567돌 한글날 기념 누구나 알아야 할 한글 이야기 10+9

Vowel ㅏ [a] ㅜ [u] ㅑ [ja] ㅠ [ju] ㅓ [ ] ㅡ [i] ㅕ [j ] ㅣ [i] ㅗ [o] ㅐ [æ] ㅛ [jo] ㅒ [jæ] ㅔ [e] ㅞ [we] ㅖ [je] ㅟ [wi] ㅘ [wa] ㅢ [ij] ㅝ [w ] ㅚ [we] ㅙ [wæ] Begin

State of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mmunities, /49

1수준

NEGRO - HANGUGO 01 - O Alfabeto Coreano.pub

글자가족 type family AG 안상수체 2012 ExtraLight AG안상수체2012 Light AG안상수체2012 Medium AG안상수체2012 Bold AG안상수체2012 ExtraBlod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Module 1 PAGE Lesson 1 Sound & Script 1 Lesson 2 Greeting & Introduction 75 Lesson 3 Describe Your Surroundings 145 Lesson 4 The Family 212 Lesson 5 P

2014_한글리플렛_A4_1001.indd

HANGUL Principles ( 한글소리발음원리 ) Lee, HoonJae 이훈재 ( 李焄宰 ) Division of Computer Information Engineering, Dongseo University, Busan, Korea hjle

Microsoft PowerPoint - kandroid_for_HI-CNU.ppt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zb 8) 자음을 zb 9) zb 10) 다음 zb 11) zb 12) zb 13) zb 14) ( 2013 년 1 학기기말고사대비 4-2. 우리말의음운체계 (01)_ 비상 ( 김 )1 2 혀의높낮이 행복했던나 3 혀의최고점의위치 4 발음할때장애의유무 5 발음할때입술의


¼øâÁö¿ª°úÇÐÀÚ¿ø

기철 : 혜영 : 기철 : 혜영 : ㄴ ㅁ ㅇ ㄴ ㅁ ㅇ ㅇ ㄴ ㅁ ㅇ

생각하기-도서관.indd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방송통신표준 KCS.KO 제정일 : 2011 년 6 월 27 일 전화기한글문자자판배열 (Arrangement of Korean Character(Hangeul) on Telephones) 방송통신위원회

Microsoft Word - transliteration.docx

#7단원 1(252~269)교

국어1권표지

01정책백서목차(1~18)

훈민정음은어떻게사용되었나? 훈민정음이창제된직후에는훈민정음을사용하는사람이별로없었다. 양반들은천하다고훈민정음쓰기를거부했고농민들은농사짓느라바빠서글을익힐겨를이없었다. 이런현실을알게된나라에서는훈민정음을널리보급하기위해관리들부터훈민정음을쓰도록했다. 하급관리들을뽑을때훈민정음으로시험을

학년 범위 담당 이름 1-2 중간대비 고 1 공통범위 중세국어한글창제의원리 / 세종어제훈민정음 국어과최강미녀 전혜진선생님 1. 국어의뿌리와줄기 < 대표문제 > 국어사의시대구분

- 2 -



....pdf..

08학술프로그램

È޴ϵåA4±â¼Û

%±¹¹®AR

2ÀåÀÛ¾÷

152*220

내지-교회에관한교리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01¸é¼öÁ¤


겨레말 브로슈어-2014

60

* pb61۲õðÀÚÀ̳ʸ

The Korean Alphabet:

ÃѼŁ1-ÃÖÁ¾Ãâ·Â¿ë2


120~151역사지도서3

5 291

핵 심 교 양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교양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

ë–¼ì‹€ìž’ë£„ì§‚ì‹Ÿì€Ł210x297(77p).pdf

**09콘텐츠산업백서_1 2

Booklet Design: Maia Kennedy Second Edition and Recorded Program 2016 Simon & Schuster, Inc. Reading Booklet 2016 Simon & Schuster, Inc. Pimsleur is a

hwp

나하나로 5호


178È£pdf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학점배분구조표(표 1-20)

³»Áö_10-6

CR hwp

*12월영상 내지<265턁

S U M M A C U M L A U D E J U N I O R 중학국어문법연습을소개합니다. 2 문법을벌써공부해야하는가? 국어의문법은변하지않고,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중학교시기에배우는문법개념들이고등학교시기에배우는개념들과이어지고, 이는수능

03 ¸ñÂ÷

소식지11월호 수정

2학년 1학기 1,2단원 1 차례 세 자리의 수 1-1 왜 몇 백을 배워야 하나요? 1-2 세 자리 수의 자릿값 알아보기와 크기 비교하기 1-3 뛰어 세기와 수 배열표에서 규칙 찾기 1단원 기본 평가 단원 창의 서술 논술형 평가 22 1단원 심화 수

Ruby 프로그래밍 5 한글 자소 처리

0.筌≪럩??袁ⓓ?紐껋젾 筌

197

Microsoft Word - Korean_solt1_module1_lesson1.doc

겨레말 브로슈어-2015

감사인사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2002report hwp

사회문화적관점에서개발주의비판하기 사회양극화와개발주의 Ÿ Ÿ Ÿ /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공개특허 (19) 대한민국특허청 (KR) (12) 공개특허공보 (A) (51) Int. Cl. 7 G06F 17/22 (21) 출원번호 (22) 출원일자 1999년09월01일 (71) 출원인한국과학기술원윤덕용 (

<B1D9B4EBB9AEC8ADC0E7BAD0B0FA20C1A637C2F720C8B8C0C7B7CF28B0F8B0B3292E687770>


SMART Podium 500 시리즈 대화형 펜 디스플레이 사용자 설명서

1. 경영대학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T hwp

¾ç¼ºÄÀ-2

The Scholars

충청북도교육청고시제 호 발간등록번호충북 충청북도교육과정각론 - 초등학교 -

슬라이드 1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도약종합 강의목표 -토익 700점이상의점수를목표로합니다. -토익점수 500점정도의학생들이 6주동안의수업으로 점향상시킵니다. 강의대상다음과같은분들에게가장적합합니다. -현재토익점수 500점에서 600점대이신분들에게가장좋습니다. -정기토익을 2-3번본적이있으신분

<694D424320B5B6C7D0C7D0C0A7C1A62031B4DCB0E820B1B9BEEE E687770>

완벽한개념정립 _ 행렬의참, 거짓 수학전문가 NAMU 선생 1. 행렬의참, 거짓개념정리 1. 교환법칙과관련한내용, 는항상성립하지만 는항상성립하지는않는다. < 참인명제 > (1),, (2) ( ) 인경우에는 가성립한다.,,, (3) 다음과같은관계식을만족하는두행렬 A,B에

<3635B1E8C1F8C7D02E485750>

<C1DF29BCF6C7D02031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핵 1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 문학과예술 역사와철학 사회와이념 선택 학점계 학년 2 학년 3 학년합계비고 14 (15) 13 (14) 27 (29) 2

Microsoft Word - KSR2012A179.doc

슬라이드 1

1446년의 훈민정음은 문자 디자인의 출발점이었다. 처음부터 한글은 활 자로 태어났다.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란 활자[type]로 글을 쓰는 행 위다[graphy]. 붓으로 고급하게 글을 쓴다는 것과 활자로 글쓰기는 그 의미가 다르다. 구텐베르크나 세종은 고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Transcription:

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국어단체연합국어문화원지음 국립국어원감수 문화체육관광부

567 돌한글날기념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펴내는글 한글의꿈, 우리의미래 올해는한글창제 570돌, 한글반포 567돌이되는해입니다. 더욱이한글날이공휴일로다시지정된첫해이기도합니다. 이런뜻깊은때에한글과한글날의의미를더욱널리알리고자한글날기념홍보책을만들게되었습니다. 한글은인류의문자가지향해야할최고의문자입니다. 한국의대표상표이자인류의소중한문화유산입니다. 이러한한글의가치와의미를함께나누는지혜가필요합니다. 이책은바로국민모두가알아야할한글상식을담았습니다. 이책은모두 19문항으로구성하였습니다. 10월 9일한글날을기리기위해 10+9 라는상징숫자를구성하였고, 거기에맞춰 19문항으로정한것입니다. 전문여론조사기관 ( 오픈서베이 ) 을통해초ㆍ중ㆍ고등학생천명과일반인천명, 모두이천명을대상으로한설문조사결과를참고로하여문항을구성하였습니다. 한글은소통과교육의문자입니다. 세종대왕은온백성이소통하고쉽게배울수있는한글을만들었습니다. 일부계층만이글을읽을수있는시대에하층민과여성을비롯하여누구나글을통해지식을얻고세상과소통할수있게문자를만든것입니다. 한글은어울림의문자입니다. 한글은자음과모음이어울리고첫소리글자와가운뎃소리글자, 끝소리글자가잘어울리는아름다운도형문자이자예술문자입니다. 한글은음악의문자입니다. 세종대왕은음악가로서기본표준음을만들 었습니다. 그리고그표준음들이서로어울리어무궁무진한소리를빚어내는이치를문자에그대로담았습니다. 한글은철학의문자입니다. 한글은음양오행의동양전통철학뿐아니라하늘과땅과사람이두루조화되는철학이담긴문자입니다. 한글은수학과과학의문자입니다. 점과원과선만으로이루어진간결한수학의문자이면서도발음기관과조음작용의과학을반영한규칙적이고체계적인문자이기도합니다. 한글은융합학문의꽃입니다. 세종대왕은음악과천문학, 언어학, 과학, 수학등거의모든학문을융합하여훈민정음을창제하였습니다. 요즘꼭필요한통합학문과문화융성의뿌리는이미훈민정음에담겨있습니다. 소통과어울림의시대에이작은책이한글의참가치와한글사랑을북돋는징검다리가되길바랍니다. 특히초ㆍ중ㆍ고등학생들이이책을통해한글사랑을더욱키워나가길바랍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유진룡 2 3

차례 펴내는글 첫째마당. 한글 ( 훈민정음 ) 창제이야기 1. 한글은언제만들었나요? 2. 한글을왜만들었나요? 3. 일부신하들은왜한글반대상소를올렸나요? 4. 한글을반포할때도움을준신하는누구인가요? 6 8 10 12 14 넷째마당. 한글역사이야기 14. 세종대왕이후의임금들은훈민정음을어떻게사용하였나요? 15. 조선시대에도띄어쓰기와맞춤법이있었나요? 16. 일제강점기에우리말글을어떻게지켰나요? 17. 광복후에우리말글은어떻게발전했나요? 44 46 48 50 52 둘째마당. 15세기훈민정음이야기 5. 훈민정음, 언문, 한글 등의용어는어떻게쓰였나요? 6. 훈민정음 28자를만든원리는무엇인가요? 7. 한글 ( 훈민정음 ) 을왜과학적인글자라고하나요? 16 18 20 24 다섯째마당. 세계속의한글이야기 18. 세종대왕상 은어떤상인가요? 19. 세종학당 은무엇인가요? 54 56 58 8. 훈민정음 해례본은무엇인가요? 9. 훈민정음 언해본은무엇인가요? 28 30 부록 한글날주요연표 60 셋째마당. 현대한글이야기 32 참고문헌 62 10. 한글날은왜 10 월 9 일이되었나요? 34 11. 15 세기훈민정음 28 자가운데없어진글자는무엇이며 36 왜없어졌나요? 12. 왜 ㄱ, ㄷ, ㅅ 을 기역, 디귿, 시옷 이라부르게되었나요? 38 13. 현대한글의자모로조합할수있는글자수는몇자인가요? 41 4 5

첫째 마당 한글 ( 훈민정음 ) 창제이야기 1. 한글은언제만들었나요? 2. 한글을왜만들었나요? 3. 일부신하들은왜한글반대상소를올렸나요? 4. 한글을반포할때도움을준신하는누구인가요?

1. 한글은 언제만들었나요? 내었습니다. 한글은언어학과음악, 철학등여러학문을두루잘알고사람들사이의소통을중요하게여기는세종대왕과집현전같은훌륭한연구소와세종대왕과뜻을함께하는많은인재들이있었기에창제되고반포될수있었습니다. 한글은 1443년에창제되었고, 1446년 훈민정음 이란책자가완성, 반포되면서우리는이날을한글반포기념일로삼게되었습니다. 한글창제에대한최초의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의기록입니다 조선왕조실록. 1443년음력 12월 30일자에 이달에임금 ( 세종대왕 ) 께서친히언문 ( 훈민정음 ) 28 자를만드셨으니. 라고기록되어있습니다. 훈민정음이창제된다음세종대왕과정인지를포함한집현전학사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등여덟신하는 글자훈민정음을만든취지와원리, 풀이와용례 를자세하게쓴책 훈민정음 해례본을 1446년음력 9월초에펴냈습니다. 이로써한글은세상에널리알려지게되었습니다. 이책의세종대왕서문과예의 ( 例義 ), 정인지서문은 조선왕조실록 1446년음력 9월 29일자에도실려있습니다. 정인지서문에는 계해년 (1443년) 겨울에우리전하께서정음스물여덟자를창제하여, 간략하게용례와뜻 을적은것을들어보여주시며그이름을 훈민정음 이라하셨다. 라고기록되어있습니다. 세종대왕의신하들은 훈민정음 해례본제자해에 아아, 훈민정음이만들어짐에는천지만물의이치가모두갖추어졌으니, 그신령함이여! 이는틀림없이하늘이임금 ( 세종대왕 ) 의마음을열어그솜씨를빌려주신것이로다! 라고적었습니다. 신하들의대표인정인지는 훈민정음 해례본 정인지서문 에 우리전하는하늘이내린성인으로서, 지으신법도와베푸신업적이모든왕들을뛰어넘으셨다. 라고훈민정음창제의기쁨을나타 8 9

2. 한글을 왜만들었나요? 만든것입니다. 이밖에도한글 ( 훈민정음 ) 은한자음을정확히적을수있는발음기호와 같은문자구실도할수있으니, 다목적용문자라할수있습니다. 세종대왕은한자 ( 한문 ) 를몰라자기들의의사를제대로전달하지못하는백성들이글을통해새로운지식과정보를습득해편안한삶을살도록하기위해훈민정음을만들었습니다. 세종대왕이훈민정음을만들기전에는우리말을적을문자가없어한자를빌려적었습니다. 입으로는한국말을하고, 글을쓸때는한문을쓰는이중언어생활이가장큰문제였지요. 입으로는 난책을좋아해. 라고하고, 글로는 我好冊 ( 난-좋아해-책을 ) 이라고쓰다보니불편한점이많았습니다. 그나마양반사대부들은한자를배울수있었지만, 일반백성들은한자를배우는게쉽지않았지요. 그래서세종대왕은한자를모르는백성들을위해우리말을자유롭게적을수있는훈민정음을만들게되었습니다. 한자를모르는백성들이표현하고싶은뜻이있어도한자로는소통할수없는것을가엾이여겨백성들이누구나쉽게익힐수있는문자를만든것입니다. 또한죄지은사람들의자세한사정을적은문서들이한문이나이두로되어있다보니죄인을다스리는관리들이문서를잘못이해하여그릇된판결을하는경우가많았습니다. 세종대왕은이를안타깝게여겼습니다. 어렸을때부터책을좋아했던세종대왕은성현의가르침과생활정보, 올바른생활태도등도책을통해백성들에게가르쳐주고싶어했습니다. 그런데한문으로된책은한문을익힌사대부들만읽을수있으니소용이없었습니다. 누구나쉽게익혀책을읽을수있도록배우기쉬운문자가필요했던것입니다. 그래서누구나하루아침에배워쓸수있는쉬운글자를 1449년에어떤사람이 하정승 ( 하연 ) 아, 나랏일을어지럽게망치지마라. 라고비판한한글벽서를썼다. 그한글벽서는남아있지않으며한문번역만전한다. 글씨청농문관효 조선왕조실록 1449 년 10 월 5 일자에기록된 왼쪽의한문번역내용을그당시한글로재현 한것이다. 10 11

3. 일부신하들은 왜한글반대상소를올렸나요? 히려대부분의사대부양반들이훈민정음창제와반포를반대하지않았다 는사실을짐작할수있습니다. 1444년 2월 20일최만리를비롯하여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등이언문 ( 훈민정음 ) 을반대하는상소문을올렸습니다. 훈민정음이창제된 1443년이후, 최만리외몇몇신하들이올린상소를보면이들도훈민정음의과학성에대해서는잘알고있었습니다. 상소문첫문장에신등이엎드려보건대, 언문 ( 훈민정음 ) 을만든것이매우신기하고기묘하여, 지혜를나타냄이저멀리아득한옛것으로부터나온것을알겠습니다. 라고쓰여있습니다. 그러나최만리외몇몇신하들은크게세가지의이유를들어훈민정음창제를반대하였습니다. 첫째, 훈민정음창제는중국을떠받드는사대주의에어긋나기때문에오랑캐나하는일이라고본것입니다. 세종대왕도중국을부정한것은아니었습니다. 중국의것을따를것은따르되우리의것을지켜나가자는것이지요. 둘째, 훈민정음이학문에정진하는데에오히려손해만된다는것이었습니다. 이에대해세종대왕은언문 ( 훈민정음 ) 창제가학문만을위해필요한것이아님을강조하며학문보다백성들이편안하게사용하는것이더중요하다고여겼습니다. 셋째, 억울한죄인이생기는것은죄인을다루는관리들이공정하지못한탓이지죄인들이문자를몰라서가아니라고했습니다. 이에대해세종대왕은훈민정음을통해억울한죄인을구제하고교화할수있다고보았습니다. 세종대왕은반대상소문을올린신하들을설득한후, 더철저히훈민정음반포를준비했습니다. 더욱이이러한반대상소는단한건뿐이었으니, 오 12 13

4. 한글을반포할때도움을준신하는누구인가요? 세종대왕은훈민정음을창제한뒤집현전학자들에게훈민정음해설서인훈민정음 해례본을만들도록하였습니다. 훈민정음해설서집필에참여한집현전학자는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 입니다. 정인지는훈민정음연구분야에서큰역할을맡았습니다. 1446년에는훈민정음 해례본서문을, 1447년에는 용비어천가 를지었지요. 정인지는세종대왕의서문을구체적인예를들어해설ㆍ보충하고, 해례본의편찬경위와참여자, 훈민정음창제자를밝혀놓음으로써훈민정음의진정한가치를세상에널리알렸습니다. 또한역사, 천문, 음악등에도재주가뛰어나훈민정음사업의책임자로이름을남겼습니다. 최항역시훈민정음연구분야에서공적을남겼습니다. 용비어천가의발문을쓰고 훈민정음 해례본을집필하는큰역할을맡았습니다. 역사와어학에재주가있어 고려사 동국정운 등을, 편찬할때에도주도적인역할을하였습니다. 1444년 ( 세종 26) 에는집현전교리로서 오례의주 를편찬하고 운회 를번역했습니다. 1461년 ( 세조 7) 에는양성지의잠서를한글로번역해서펴냈습니다. 신숙주는 훈민정음 해례본을집필하고 동국정운 을펴낸중요한인물입니다. 신숙주는 동국정운 머리말에서 성운 ( 글자의소리 ) 은곧훌륭한사람의길을배우는시작입니다. 이리하여우리임금 ( 세종대왕 ) 께서말소리에마음을두시고고금의모든것을두루살피시고지침이될만한훈민정음을만드시어수억년동안어리석게살아온자들을깨우치셨습니 다. 라고하였습니다. 동국정운 은이상적인중국한자음의표준을적은책인만큼그책을펴 낸것만으로도훈민정음연구에서위대한업적을남긴것이지요. 신숙주는 이두는물론중국어ㆍ일본어ㆍ몽골어ㆍ여진어에도뛰어나훈민정음및한 자음의연구와보급에큰역할을담당하였습니다. 성삼문은 훈민정음 해례본반포 1 년전인 1445 년에신숙주와함께중 국요동을여러번방문하여중국의음운학자인황찬에게중국한자음에 대한의견을구했습니다. 인물 ( 생몰연대 ) 세종대왕 1397~ 1450 정인지 1396~ 1478 최항 1409~ 1474 박팽년 1417~ 1456 신숙주 1417~ 1475 성삼문 1418~ 1456 강희안 1417~ 1464 이개 1417~ 1456 1443 47 세 48 세 35 세 27 세 27 세 26 세 27 세 27 세? 1446 50 세 51 세 38 세 30 세 30 세 29 세 30 세 30 세? 직책 임금 집현전대제학정 2 품 집현전응교정 4 품 집현전부교리종 5 품 집현전부교리종 5 품 집현전수찬정 6 품 돈녕부주부정 6 품 훈민정음 해례본완성당시 (1446 년 ) 의세종대왕과공동저자들의나이와직책 ( 강희안은 1446 년당시에는집현전학사가아니었으나나중에학사가됨.) 집현전부수찬종 6 품 이선로?~ 1453 집현전부수찬종 6 품 14 15

둘째 마당 15 세기 훈민정음이야기 5. 훈민정음, 언문, 한글 등의용어는어떻게쓰였나요? 6. 훈민정음 28자를만든원리는무엇인가요? 7. 한글 ( 훈민정음 ) 을왜과학적인글자라고하나요? 8. 훈민정음 해례본은무엇인가요? 9. 훈민정음 언해본은무엇인가요?

5. 훈민정음, 언문, 한글 등의 용어는어떻게쓰였나요? 생에의해 1913 년무렵부터본격적으로쓰이게된것으로보이는데, 최남 선이이름을지었다는주장도있습니다. 1927 년에는조선어학회회원들이 한글 이라는잡지를매달발간하였고, 1928 년 11 월 11 일에조선어연구 회에서 가갸날 을 한글날 로고쳐부르며더욱널리퍼졌습니다. 훈민정음, 언문, 한글 모두 1443년에창제되고 1446년에반포된우리나라고유의문자이름입니다. 그런데그쓰임새는조금다릅니다. 조선시대에는주로 언문 ( 諺文 ) 이라는이름으로, 그이후에는 한글이라는이름으로불리었고, 특별한경우에 훈민정음 으로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주로 훈민정음 이라는이름을사용한것으로알려져있지만실제로그렇지는않습니다. 주로 언문 이라는명칭을사용하였고, 세종대왕도그러했습니다. 훈민정음 은말그대로 백성을가르치기위한바른소리 라는뜻으로주로특별한때만사용되었습니다. 언문 은보통우리고유의문자 훈민정음 의낮춤말로알려져있지만, 실제로는 전하는말이나사람들이주고받는말을그대로옮기어적을수있는문자 라는뜻입니다. 세종대왕도이이름을사용한기록이있고특별한경우에만 훈민정음 이라는이름을썼습니다. 언문 은궁중과일부양반층, 백성들사이에서널리사용되었습니다. 그런데사람들이 훈민정음 을얕잡아 언문 이라고쓰다보니낮춤말이되어버렸습니다. 1894년갑오개혁이후에도 국서 ( 國書 ), 국문 ( 國文 ) 또는조선글 로불리기도하였지만주로언문 으로불렸습니다. 한글 은 오직하나의큰글, 한나라글 이라는의미로 1910년이후에주 한글배곧죽보기 ( 조선어강습원연혁 ) 한글모죽보기 ( 국어연구학회연혁 ) 시경선생에의해널리퍼졌습니다. 특히주시경선생은 1913 년 3 월 23 일조선언문회 ( 朝鮮言文會, 지금의한글학회 ) 총회에서 배달말글몯음 을 한글배곧 ( 조선어강습원 ) 졸업장 한글모 로바꾸기로결정하였고, 1914 년 4 월에는 조선어강습원 을 한글 배곧 으로이름을바꾸었습니다. 이런흐름으로볼때 한글 은주시경선 19 18

6. 훈민정음 28 자를 만든원리는무엇인가요? 어금닛소리 ㄱ 은혀뿌리가목구멍을막는모양을본뜬것이고, 혓소리 ㄴ 은혀가윗잇몸에닿는모양을본뜬것이며, 입술소리 ㅁ 은입의모양 을본뜨고, 잇소리 ㅅ 은이의모양을본떴으며, 목구멍소리 ㅇ 은목구멍 의모양을본뜬것입니다. 그다음이글자들을바탕으로다른글자들을만들었습니다. ㄱ, ㄴ, ㅁ, 현대한글은자음 14 자, 모음 10 자모두 24 자입니다. 하지만 15 세기훈 민정음은모음 ㆍ ( 아래아 ), 자음 ㆆ ( 여린히읗 ), ㅿ ( 반시옷 ), ㆁ ( 옛이응 ) 을 더해 28 자였습니다. 다시말해훈민정음은자음 17 자, 모음 11 자로이루 어졌습니다. ㅅ, ㅇ 의소리는거세지않은소리입니다. 그런데이소리들보다입김을많이내어세게소리를내면거센소리가됩니다. 거센소리를나타내기위해획을더하여 9자를더만들었습니다. 이밖에도이체자 ㆁ, ㄹ, ㅿ 세자가더있어훈민정음의자음자는모두 17자입니다. 자음은 닿소리 라고도말하는데, 닿소리란목구멍에서숨이나올때그 숨이입안어딘가에닿으면서만들어진소리라는뜻입니다. 그 를천천히 갈래상형원리기본자가획자이체자 크게발음해보면 ㄱ 은자음이고, ㅡ 는모음임을알수있습니다. 모음소리를작게내면자음 ㄱ 의발음을느낄수있습니다. 아래그림은자음을발음할때발음기관의모양입니다. 이그림을보고오른쪽 ㄱ 표시부분을확인하면어떻게 ㄱ 이란글자가만들어졌는지알수있습니다. 이처럼자음은발음기관의모양을본떠만들었습니다. 어금닛소리 ( 아음 ) 혓소리 ( 설음 ) 입술소리 ( 순음 ) 혀뿌리가목구멍을 막는모양 혀끝이윗잇몸에닿 는모양 입의모양 잇소리 ( 치음 ) 이의모양 목구멍소리 ( 후음 ) 목구멍의모양 15 세기훈민정음자음자 17 자의제자원리 이러한자음에는다음표와같이음악 ( 오음 ) 과철학 ( 오행 ) 의원리도적용 되어있습니다. 우리입안에서닿소리가만들어지는자리는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 멍모두다섯곳입니다. 그다섯발음기관의모양을본떠만든 5 개의기본 자가바로 ㄱ, ㄴ, ㅁ, ㅅ, ㅇ 입니다. 20 21

갈래 자음 오음 입술소리 ( 순음 ) ㅁㅂㅍ 잇소리 ( 치음 ) ㅅㅈㅊ [ ㅿ ] 어금닛소리 ( 아음 ) ㄱㅋ [ ㆁ ] 혓소리 ( 설음 ) ㄴㄷㅌ [ ㄹ ] 목구멍소리 ( 후음 ) ㅇㆆㅎ 오음 ( 음악 ) 궁상각치우 양성 상형원리하늘의둥근모양 기본자 양성 초출자 합성원리 재출자 오행흙쇠나무불물 오시 ( 계절 ) 늦여름가을봄여름겨울 음성 땅의평평한모양 음성 오방 ( 방위 ) 중앙서동남북 자음 17 자에적용된음악과철학원리 중성 사람이서있는모양 15 세기훈민정음모음자 11 자의제자원리 모음은 홀소리 라고도하는데, 홀소리란목구멍에서숨이나올때입안 어디에도닿지않고혼자서나는소리라는뜻입니다. 모음의기본자역시 자음의기본자처럼모양을본떠서만들기는하였으나, 발음기관의모양을 본뜬것이아니라 하늘ㆍ땅ㆍ사람 삼재 ( 三才 ) 의모양을본뜬것입니다. 먼저하늘의둥근모양을본떠 ㆍ 를만들고, 땅의평평한모양을본떠 ㅡ 를, 사람이서있는모양을본떠 ㅣ 를만들었습니다. 모음은소리를낼 때혀의모양이각각다르고그느낌도서로다릅니다. ㆍ 는혀가오그라 들고소리가깊으며, ㅡ 는혀가조금오그라들고소리가깊지도얕지도않 으며, ㅣ 는혀가오그라들지않고소리는얕습니다. 그리고기본자 ( ㆍ, ㅡ, ㅣ ) 를한번씩합쳐,,, 의네자 를만들었습니다. ㅡ 에 ㆍ 를위아래로합쳐, 를만들고, ㅣ 에 ㆍ 를바깥쪽과안쪽에합쳐, 를만들었습니다.,,, 는 ㆍ 를두번씩합쳐만들었습니다. 이렇게해서모음 11 자를만든 것입니다. 이러한모음자는하늘 ( 양성 ) 과땅 ( 음성 ) 의음양사상과여기에사람 ( 중 성 ) 까지함께조화롭게어울리는삼조화사상을담은천지자연의문자철 학을담고있습니다. 22 23

7. 한글 ( 훈민정음 ) 을 왜과학적인글자라고하나요? 한글은천지자연의소리를발음하는원리와철학을바탕으로만든과학적인글자입니다. 수학처럼규칙적이고정확하며, 바둑판처럼체계적인것을과학이라합니다. 이러한과학은누구에게나언제어디서나합리적이어서객관적이고보편적이며실용적인데한글이바로이런특성을가지고있습니다. 인류는좀더실용적이고과학적인문자를만들고자애써왔습니다. 그래서한자와같은뜻문자나자음과모음이분리되지않는일본의음절문자보다는자음과모음이분리되어실용적인영어알파벳 ( 로마자 ) 과같은자모문자 ( 음소문자 ) 가널리쓰이고있습니다. 한글은과학성과실용성을두루갖춘문자입니다. 15세기훈민정음 28자를중심으로그근거를다섯가지로추려보면다음과같습니다. 첫째, 말소리가나오는발음기관과조음작용을정확하게관찰하고분석하여이를문자에반영했기때문에과학적입니다. 특히자음은특정발음기관에닿아나는소리이기때문에그림과같이다섯곳 ( 입술, 이, 윗잇몸에닿는혀, 목구멍을막는혀, 목구멍 ) 을본떠만들었습니다. 모음기본석자 ( ㆍ, ㅡ, ㅣ ) 는각각하늘과땅과사람을본떠만들었지만이는양성은양성끼리음성은음성끼리어울리는우리말의특성을반영하기위한전략이었습니다. 이렇게하여자연의소리나사람의말소리를가장정확하게적을수있는과학적인문자가되었습니다. 둘째, 기본자를바탕으로다른글자를만드는과정이규칙적입니다. 자음은 ㅅ-ㅈ-ㅊ 과같이획을더하는방식이규칙적이고, 모음은세개의기본자를합성하는방식이규칙적입니다. 이렇게한글은최소의문자를통해기본글자를만들어간결하고실용적입니다. 훈민정음은모두 28자이지만기본자는모음석자 ( ㆍ, ㅡ, ㅣ ), 자음다섯자 ( ㅁ, ㅅ, ㄴ, ㄱ, ㅇ ) 에불과합니다. 나머지는기본자에서규칙적으로확장된문자이므로간결한과학적특성을갖춘것입니다. 또한받침으로쓰는끝소리글자는첫소리글자를가져다써서최소의낱자로많은글자를만들수있습니다. 예를들면 각, 몸 과같은글자입니다. 만약끝소리글자를다른모양으로만들었다면글자수가너무많아쉽게배울수없었을것입니다. 셋째, 첫소리글자, 가운뎃소리글자, 끝소리글자를합쳐모아쓰는방식이규칙적이고실용적입니다. 그덕에글자를빨리읽고쓸수있습니다. 만약 한글 을 ㅎㅏㄴㄱㅡㄹ 과같이풀어썼다면쉽게이해할수없고읽는속도도느려졌을것입니다. 풀어쓸때보다모아쓸때 2.5배더빨리읽는다는실험결과도있습니다. 24 25

a 의다양한발음 [e] 발음을나타내는다양한알파벳 넷째, 소리성질과문자모양이규칙적으로대응합니다. 예사소리ㄱ, ㄷ, ㅂ, ㅈ, 된소리 ㄲ, ㄸ, ㅃ, ㅉ, 거센소리 ㅋ, ㅌ, ㅍ, ㅊ 이규칙적으 fam i ly [fǽməli] gar den [gάːrdn] wa ter [wɔ ːtər, wάt-] parent [pérənt].... 가족정원물부모 aesthetic [esθetɪk] desk [desk] friend [frend] weather [weðə(r)].... 심미적책상친구날씨 로대응합니다. 한글의과학적특성은과학의최첨단분야인휴대전화에서더욱빛을발 하고있습니다. 모음자합성방식의과학을잘살린천지인 방식과자음자 가획방식의과학을잘살린나랏글 방식이그것입니다. 제품명배치도특징 소리성질과문자모양 규칙대응 천지인 모음합성원리를잘살림 다섯째, 한글자는하나의소리로, 한소리는하나의글자로대부분일치합 니다. 영어에서 a 라는글자는여러가지로소리가납니다. 하지만한글의 아는 아버지, 아리랑 과같이하나의소리로납니다. [ 아 ] 소리는ㅏ 글자로만쓰고, ㅏ 글자는 [ 아 ] 소리로만나는것입니다. 나랏글 (EZ) 자음의획더하기방식을 잘살림 26 27

8. 훈민정음 해례본은 무엇인가요? 지정되었고, 1997 년에는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등재되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발견당시표지와맨앞두장, 총네쪽이없었습니 다. 다행히이부분의내용이 < 사진 2> 와같이 조선왕조실록 에수록되어 있었기때문에간송본에서이두장을복원하였습니다. 그런데세종대왕서 문의맨마지막글자인 耳 를 < 사진 1> 과같이 矣 로잘못복원하였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훈민정음을알기쉽게풀이한책입니다. 세종대왕은 1443년에훈민정음을만들고, 1446년음력 9월상순에 훈민정음 해례본을통해백성들에게새문자훈민정음과그것을만든원리와운용방법을알렸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창제의취지와원리, 역사적의미등을비롯하여문자의다양한예시등이실려있습니다. 이책은세종대왕을비롯해집현전학사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등여덟명이함께지었습니다. 세종대왕이쓴부분을 예의편 또는 본문 또는 정음 이라부르고, 신하들이풀어쓴부분을 정음해례 또는 해례편 이라 고부릅니다. 예의편 ( 본문 ) 은세종대왕의서문과예의로, 해례편 ( 정음해 < 사진 1> 훈민정음 해례본 ( 간송본 ) 첫째장 < 사진 3> 훈민정음 해례본 ( 간송본 ) 용자례 례 ) 은 해례 와 정인지서문 으로구성되어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1 책으로전체 33 장입니다. 예의부분은장마다 14 행에매행 11 자이며, 해례부분은장마다 16 행에매행 13 자이며, 해례끝 의정인지서문은한글자를내려적고있습니다. 이처럼예의와해례사이 에행과글자수에차이가나는것은임금이작성한예의는글자의크기를 크게하고, 신하들이작성한해례부분은임금을공경한다는뜻에서글자 의크기를작게했기때문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목판본으로제작되었습니다. 세종대왕이직접펴낸 초간본은오랜세월알려지지않다가 1940 년에경상북도안동에서이용준 에의해발견되었습니다. 그책을간송전형필선생이사들여지금은간송 미술관 ( 서울성북구소재 ) 에서보관하고있으며대한민국국보제 70 호로 < 사진 2> 세종대왕서문이수록되어있는 조 선왕조실록 1446 년 9 월 29 일자기사 28 29

9. 훈민정음 언해본은 무엇인가요? 훈민정음 언해본은 훈민정음 해례본 가운데 세종대왕이 직접 쓴 서문 과 예의 부분을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것입니다.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 래된 자료로는 세조가 펴낸 것으로 정확한 제목은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 御製訓民正音) 입니다. 그러나 세종대왕이 살아 있을 때 번역ㆍ간행한 자 <사진 1> 훈민정음 언해본 첫째 장 료가 남아 있다면 그 제목은 훈민정음(訓民正音) 이었을 것입니다. 1446 년에 펴낸 훈민정음 해설서 훈민정음 해례본은 내용이 한문이라 한자(한 문)를 모르는 백성들은 읽을 수 없었습니다. 이 언해본은 세종대왕 때에 나 왔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언제 누가 번역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 언해본은 단행본으로 나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마 그것을 세종대왕 당 시 수양대군이 지은 석보상절 의 권1ㆍ2 앞부분에 붙였을 것입니다. 세 종대왕이 세상을 떠난 후, 임금으로 등극한 세조는 세종대왕이 지은 월인 천강지곡 과 그의 석보상절 을 합본한 월인석보 를 만들면서 권1ㆍ2 앞 <사진 2> 훈민정음 언해본 첫째 장 복원본 에 이 언해본을 붙여 세조 5년(1459)에 간행하였습니다. 훈민정음 언해본이 나온 때는 훈민정음이 반포된 뒤 1년 이내일 것이 며, 이 언해본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훈민정음을 깨쳐 나갔을 것이고, 그 문 자의 힘은 역사 변혁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사진 1>은 훈민정음 언해본의 첫 장을 펼쳐 놓은 것입니다. 목판으로 인쇄했으며, 반듯한 글꼴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보다 부드러운 흘림체 글 꼴로 되어 있습니다. <사진 2>는 국어사학회에서 2007년에 세종대왕 당대 의 모습으로 복원한 것이고, <사진 3>은 세종대왕 서문의 맨 끝 부분입니다. <사진 3> 훈민정음 언해본 세종대왕 서문 마지막 장 30 31

셋째 마당 현대 한글이야기 10. 한글날은왜 10월 9일이되었나요? 11. 15세기훈민정음 28자가운데없어진글자는무엇이며왜없어졌나요? 12. 왜 ㄱ, ㄷ, ㅅ 을 기역, 디귿, 시옷 이라부르게되었나요? 13. 현대한글의자모로조합할수있는글자수는몇자인가요?

10. 한글날은 왜 10 월 9 일이되었나요? 한글날은훈민정음을해설한책 훈민정음 해례본을만들어반포한것을기념하는날입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몇권을찍었는지알수없으나, 언젠가부터보이지않다가 1940년경상북도안동에서발견되었습니다. 이원본이발견되기전까지는훈민정음반포날짜를음력 9월 29일로정하고 1926년부터한 정통십일년구월상한 글날기념식을거행했습니다. 그런데 훈민정음 해례본맨뒤를보면 정 통십일년구월상한 ( 上澣 ) 이라고적혀있습니다. 정통 11 년은 1446 년을 간행날짜가적힌 훈민정음 해례본 가리키고, 상한은상순과같은말로 1일부터 10일까지를뜻하는데, 당시조선어학회에서는 1일부터 10일중어느날인지정확히알수없으므로상순의마지막날인음력 9월 10일을 훈민정음 해례본을반포한날로정했습니다. 그래서 1945년부터음력 9월 10일을양력으로바꿔 10월 9일에기념식을거행하기시작했습니다. 훈민정음성 그렇다면북한에도한글날이있을까요? 남한처럼 한글날 이라고부르지는않지만북한에서도한글창제를기념하고있습니다. 다만남한은훈민정음을반포한날을, 북한은 훈민정음창제기념일 이라하여훈민정음을창제한날을기념하고있다는점이다릅니다. 1443년음력 12월 30일자 정인지서 조선왕조실록 에 이달에임금이친히언문 28자를지으셨다. 라는기록이나옵니다. 이달에 라고했으니, 정확히 12월어느날에새문자가만들어졌는지는알수없습니다. 그래서북한은 12월의중간인 12월 15일을창제일로잡고, 그날짜를양력으로바꾸어 1월 15일을기념일로삼고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의간행사실을알린조선왕조실록 1446년음력 9월 29일자기록. 訓民正音成 이라한뒤세종대왕서문과예의, 정인지서문을수록하였다. 34 35

11. 15 세기훈민정음 28 자가운데 없어진글자는무엇이며왜없어졌나요? 1446 년훈민정음을반포할때글자수는 28 자였습니다. 지금은 24 자이 니모두네자를쓰지않고있습니다. 그글자는자음 ㆁ ( 옛이응 ), ㆆ ( 여린 히읗 ), ㅿ ( 반시옷 ), 모음 ㆍ ( 아래아 ) 입니다. ㆁ ( 옛이응 ) 은마치사과처럼꼭지가붙어있어 꼭지이응 으로부르기도 하지만 옛이응 으로부르는것이바른명칭입니다. 받침으로쓰이는경우는 ( 짐승 ), ( 백성 ) 등과같이오늘날의이응받침과소릿값이같습니 다. ㆁ ( 옛이응 ) 이받침으로쓰일때는글자의형태만 ㅇ ( 이응 ) 으로바뀌 었고, 첫소리자리에쓰일때는 그긔 > * 그어긔 > 거기 와같이글자는 ㅇ ( 이 응 ) 으로변하고발음은없어진경우도있습니다. > > 방울 과같이 ㆁ ( 옛이응 ) 이앞음절의받침으로이동하면서글자는 ㅇ ( 이응 ) 으로바뀌 고발음은그대로유지된경우도있습니다. ㆆ ( 여린히읗 ) 은 ㅎ 과같은계열의목구멍소리로 ㅎ 보다약한소리를 나타낼때쓰려고만들었지만실제로는특별기호처럼쓰였습니다. 동국정 운식한자음에서는 ( 정음 ), ( 편안 ) 과같이쓰였는데오 늘날과같이 정음, 편안 이라고발음할때 음 과 안 을목에힘을주면서 짧게발음하면 ㆆ ( 여린히읗 ) 과비슷한소리가납니다. 이밖에도 ( 할 바가 ), ( 못할놈이 ), ( 하늘의뜻 ) 과같이쓰였지만성 종시대부터사라졌습니다. 우리나라사람에게뜻을구별하는소리로잘인 식되지않다보니없어진셈입니다. ㅿ ( 반시옷 ) 은 ㅅ 의울림소리 ( 유성음 ) 로 ㅅ 보다더약한소리입니다. ㅅ 처럼발음하되혀를더낮춰 ㅅ 발음을약하게하면됩니다. 이렇게 약하게나오다보니 ( 사이 ), ( 가을 ), ( 이어 ) 같은데쓰였으나 대부분없어졌습니다. 이러한변화는임진왜란이후일어났습니다. ㆍ ( 아래아 ) 는 ㅏ 와 ㅗ 의중간음으로혀뒤쪽에서낮게나오는소리입 니다. 제주도에서는이소리가아직도 등의낱말에남아있습니 다. 15세기에는 ㅡ 와대립을이루는양성모음으로중요한역할을하였습 니다. 소리로는 16 세기부터 18 세기에걸쳐다른소리로바뀌어 > > > 마음 과같이 ㅡ 와 ㅏ 로바뀌었습니다. 드물기는하지만 > 소 매 처럼 ㅗ 로바뀐경우도있고, > 하루 와같이ㅜ 로바뀐경우도있 습니다. ㆍ 음은인접한다른모음에밀려변화된것으로볼수있습니다. ㆍ 의소리는 18 세기에이미사라졌지만표기는 1933 년한글맞춤법이제 정될때까지도쓰였습니다. 36 37

12. 왜 ㄱ, ㄷ, ㅅ 을 기역, 디귿, 시옷 이라부르게되었나요? 장합니다. 조선시대어학자최세진이당시에통용된것을기록으로남긴 것입니다. 훈몽자회 를보면자음의이름을한자로적을때 - 은, - 을 음은대응되는한자 隱 ( 은 ), 乙 ( 을 ) 로적었으나, 대응되는한자가없는 - 윽, - 읃, - 읏 은비슷한한자의음이나뜻을빌려 기역, 디귿, 시옷 으 로적은것입니다. 다시말해, 기역 은 其役 ( 기역 ) 으로, 디귿 은池末 ( 디 말 ) 로, 시옷 은時衣 ( 시의 ) 로적은것입니다. 윽 은 役 ( 부릴역 ) 으로비슷한한자음을취하도록한것입니다. 그러나 읃 의경우는뜻의음이비슷한 末 ( 끝 < 귿말 ) 에서 귿 을따오고 읏 도뜻의 음이비슷한 衣 ( 옷의 ) 에서 옷 을따와자모의명칭으로삼았습니다. 이들 명칭은다른명칭과다르기는하지만첫소리의자음과끝소리의자음을모 두보여주는방식은 니은, 리을 등의다른자음과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이런오랜전통을존중하여 기역, 디귿, 시옷 으로부르 지만, 북한에서는다른것과의일관성을좇아 기윽, 디읃, 시읏 으로명칭 을삼았습니다. 지금우리가쓰는한글자음의글자수는 14자입니다. 그자음을부르는이름가운데 ㄱ, ㄷ, ㅅ 세글자는명칭의규칙에서조금벗어나있습니다. 기윽, 디읃, 시읏 이아닌 기역, 디귿, 시옷 인것입니다. 다른자음들은모음가운데서도기본모음인 ㅣ, ㅡ 를활용해나타냅니다. 자음은혼자발음할수없고모음의도움을받아야발음할수있기때문입니다. 이렇듯두모음을통해첫소리에서나는자음과끝소리에서나는자음을동시에드러내는 니은 ( ㄴ ), 리을 ( ㄹ ) 식으로이름을붙였습니다. 그런데기역, 디귿, 시옷 만은그렇지않습니다. 한글기본자음의이름은 1527년최세진이펴낸 훈몽자회 에처음등 38 39

13. 현대한글의자모로조합할수있는 글자수는몇자인가요? 대한민국 자음 (19 자 ) 순 서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 이름 기역 쌍기역 니은 디귿 쌍디귿 리을 미음 비읍 쌍비읍 순 서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ㄸㅃㅆㅉ 시옷 쌍시옷 이응 지읒 쌍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한글은모음자를중심으로모아서씁니다. 모음자를중심으로첫소리자음과끝소리자음 ( 받침 ) 을모아서쓰는것이지요. 물론받침이없는글자도있습니다. 가로로풀어쓰는영어알파벳과다른이런특징때문에한글은가로뿐만아니라세로로도글자를배열할수있는데, 그래서바둑판처럼논리정연하게배열되는음절표가생긴것입니다. 북한 대한민국 북한 이름 기윽 니은 디읃 리을 미음 비읍 시읏 이응 지읒 치읓 그느드르므브스으즈츠크트프흐끄뜨쁘쓰쯔 모음 (21 자 ) 순 서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이 름아애야얘어에여예오와왜외요우워웨위유으의이 순 서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ㅚㅟㅢㅘㅝㅙㅞ 이 름아야어여오요우유으이애얘에예외위의와워왜웨 자음과모음의남북명칭과배열순서 키읔 티읕 피읖 히읗 된기윽 된디읃 된비읍 된시읏 된지읒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ㅏ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까 따 빠 싸 짜 ㅑ 갸 냐 댜 랴 먀 뱌 샤 야 쟈 챠 캬 탸 퍄 햐 꺄 땨 뺘 쌰 쨔 ㅓ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꺼 떠 뻐 써 쩌 ㅕ 겨 녀 뎌 려 며 벼 셔 여 져 쳐 켜 텨 펴 혀 껴 뗘 뼈 쎠 쪄 ㅗ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꼬 또 뽀 쏘 쪼 ㅛ 교 뇨 됴 료 묘 뵤 쇼 요 죠 쵸 쿄 툐 표 효 꾜 뚀 뾰 쑈 쬬 ㅜ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푸 후 꾸 뚜 뿌 쑤 쭈 ㅠ 규 뉴 듀 류 뮤 뷰 슈 유 쥬 츄 큐 튜 퓨 휴 뀨 뜌 쀼 쓔 쮸 ㅡ 그 느 드 르 므 브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 끄 뜨 쁘 쓰 쯔 ㅣ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키 티 피 히 끼 띠 삐 씨 찌 ㅐ 개 내 대 래 매 배 새 애 재 채 캐 태 패 해 깨 때 빼 쌔 째 ㅔ 게 네 데 레 메 베 세 에 제 체 케 테 페 헤 께 떼 뻬 쎄 쩨 ㅖ 계 녜 뎨 례 몌 볘 셰 예 졔 쳬 켸 톄 폐 혜 꼐 뗴 뼤 쎼 쪠 ㅒ 걔 냬 댸 럐 먜 뱨 섀 얘 쟤 챼 컈 턔 퍠 햬 꺠 떄 뺴 썌 쨰 ㅘ 과 놔 돠 롸 뫄 봐 솨 와 좌 촤 콰 톼 퐈 화 꽈 똬 뽜 쏴 쫘 ㅚ 괴 뇌 되 뢰 뫼 뵈 쇠 외 죄 최 쾨 퇴 푀 회 꾀 뙤 뾔 쐬 쬐 ㅙ 괘 놰 돼 뢔 뫠 봬 쇄 왜 좨 쵀 쾌 퇘 퐤 홰 꽤 뙈 뽸 쐐 쫴 ㅝ 궈 눠 둬 뤄 뭐 붜 숴 워 줘 춰 쿼 퉈 풔 훠 꿔 뚸 뿨 쒀 쭤 ㅟ 귀 뉘 뒤 뤼 뮈 뷔 쉬 위 쥐 취 퀴 튀 퓌 휘 뀌 뛰 쀠 쒸 쮜 ㅞ 궤 눼 뒈 뤠 뭬 붸 쉐 웨 줴 췌 퀘 퉤 풰 훼 꿰 뛔 쀄 쒜 쮀 ㅢ 긔 늬 듸 릐 믜 븨 싀 의 즤 츼 킈 틔 픠 희 끠 띄 쁴 씌 쯰 받침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 현대한글음절표 40 41

무엇보다모아쓰기음절글자의장점은자음과모음을결합하여수많은음절글자를생성할수있다는점입니다. 과학적원리의실용성을보여주는장점입니다. 한글맞춤법에서는한글기본자모의수를다음과같이 24자로규정하 11,172자가운데실제쓰이는글자수는 2,500자안팎입니다. 오늘날우리나라에는말소리가없어져쓰이지않는글자가많지만, 이런글자를응용해인류의다양한말소리를적을수있습니다. 이처럼한글은잠재적실용성이뛰어난문자입니다. 고있습니다. 자음 ㄱ ( 기역 ) ㄴ ( 니은 ) ㄷ ( 디귿 ) ㄹ ( 리을 ) ㅁ ( 미음 ) ㅂ ( 비읍 ) ㅅ ( 시옷 ) ㅇ ( 이응 ) ㅈ ( 지읒 ) ㅊ ( 치읓 ) ㅋ ( 키읔 ) ㅌ ( 티읕 ) ㅍ ( 피읖 ) ㅎ ( 히읗 ) 모음 ㅏ ( 아 ) ㅑ ( 야 ) ㅓ ( 어 ) ㅕ ( 여 ) ㅗ ( 오 ) ㅛ ( 요 ) ㅜ ( 우 ) ㅠ ( 유 ) ㅡ ( 으 ) ㅣ ( 이 ) 위와같은기본 24 자외에기본자를바탕으로응용하여확장해만든글 자로는자음 5 자, 모음 11 자가더있습니다. 자음ㄲ ( 쌍기역 ) ㄸ ( 쌍디귿 ) ㅃ ( 쌍비읍 ) ㅆ ( 쌍시옷 ) ㅉ ( 쌍지읒 ) 모음ㅐ ( 애 ) ㅒ ( 얘 ) ㅔ ( 에 ) ㅖ ( 예 ) ㅘ ( 와 ) ㅙ ( 왜 ) ㅚ ( 외 ) ㅝ ( 워 ) ㅞ ( 웨 ) ㅟ ( 위 ) ㅢ ( 의 ) 위의자모를가지고계산을해봅시다. 첫소리에올수있는자음자의수는 (14자 +5자 =)19자입니다. 가운뎃소리에올수있는모음자의수는 (10 자 +11자 =)21자입니다. 끝소리에올수있는받침자음자의수는모두 27 자입니다. 받침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ㄲㅆㄳㄵㄶㄺㄻㄼㄽㄾㄿㅀㅄ 그렇다면받침없는글자수는 (19자 21자 =)399자가되고, 받침있는글자수는 (399자 27자 =)10,773자가됩니다. 이렇게나온받침없는글자수와받침있는글자수를모두합치면 11,172자가됩니다. 이러한놀라운숫자는한글의과학성때문에가능한것이고, 그만큼말소리를적을수있는영역이넓다는증거가됩니다. 42 43

넷째 마당 한글 역사이야기 14. 세종대왕이후의임금들은훈민정음을어떻게사용하였나요? 15. 조선시대에도띄어쓰기와맞춤법이있었나요? 16. 일제강점기에우리말글을어떻게지켰나요? 17. 광복후에우리말글은어떻게발전했나요?

14. 세종대왕이후의임금들은 훈민정음을어떻게사용하였나요? 세종대왕이후의임금들도훈민정음이널리사용되도록많은노력을기 울였습니다. 비록연산군이훈민정음탄압정책을폈다고는하나훈민정음 임진왜란때 (1593 년 ) 선조가포로들을회유하는훈민정음포고문 으로번역한책은제외했으니, 전면탄압을한것은아니라고생각합니다. 세조는왕자 ( 수양대군 ) 시절에훈민정음으로지은산문집인 석보상절 임금이백성에게이르는글 과세종대왕이지은 월인천강지곡 을합치고훈민정음언해본을붙여 월인석보 를펴냈습니다. 또한과거시험과그당시최고의대학인성균관의공부과목에 훈민정음 을넣어훈민정음을널리알렸습니다. 더욱이 1461년에간경도감이라는관청을세워불경을한글로번역한책을많이간행함으로써훈민정음이널리퍼지게하는데큰공헌을하였습니다. 성종은 삼강행실도 나 구급간이방 을훈민정음으로번역한책을백성들에게직접보급하였습니다. 또한승정원에훈민정음으로공문서를보내는등훈민정음보급을앞서실천하였지요. 그뿐아니라훈민정음으로적은고려가요가실린, 조선시대의음악책인 악학궤범 ( 성현외지음 ) 을펴내언어생활에많은영향을끼쳤습니다. 선조는세종대왕때부터시도한 논어언해 등사서의언해를완성하였습 너희가왜놈들에게휘둘려다닌것이너희본마음이아닌줄을과인도알고있다. 나오다가왜놈들에게붙들리면죽을것으로여기기도하고, 도리어나라의의심을받을것이두렵기도하여왜놈들속에끼어들었던것이다. 나라가 [ 너희를 ] 죽일까두려워여태껏나오지않는구나. 이제는의심하지말고서로권하여다나오너라. [ 나라가 ] 너희에게따로벌주지아니할것이다. 그뿐만아니라, 왜놈을데리고나오거나, 나올때왜놈들이하는일을자세히알아내거나, 붙잡혀갇힌조선인을많이구해내거나하는등의공이있으면평민이든천민이든가리지않고벼슬도줄것이다. 너희는더는의심하지말고빨리나오너라. ( 뒤는생략 ) 니다. 임진왜란중에는조정에서훈민정음으로방문 ( 방 ) 을쓰는등절실한 현실문제에직접훈민정음을사용하여훈민정음의가치를높였습니다. 또 만력 21 년 (1593 년 ) 9 월 일 한여러편의친필훈민정음편지를써서남기기도하였습니다. 정조는백성과의소통을위해훈민정음을공문으로아주많이사용하였 < 권이도개인소장 > 습니다. 오늘날전해지는자료중에원손시절과세손시절에직접쓴훈민 정음편지가남아있기도합니다. 46 47

15. 조선시대에도 띄어쓰기와맞춤법이있었나요? 조선시대에맞춤법이있었다는기록은없지만훈민정음을만들었을때 에는 사이 사미, 깊으니 기프니 와같이소리나는대로글자를쓰 는것이원칙이었습니다. 받침은대체로 8 개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 의자음만사용하고, ㅈ, ㅊ, ㅋ, ㅌ, ㅍ, ㅎ은받침으로쓰지않아 낯 낫, 높고 놉고 와같이썼습니다. 일반백성이문법지식이부족한상 1896년에발행한 독립신문 은우리나라최초의한글신문이면서, 본격적으로띄어쓰기를한신문입니다. 독립신문 이나오기전까지는지금과같은띄어쓰기가없었습니다. 나는밥을맛있게먹었다 와같은문장을나는밥을맛있게먹었다 와같이썼던것이지요. 이렇게붙여써도뜻전달에는큰문제가없었으므로불편을못느꼈던듯합니다. 또한종이가매우귀해종이를절약하려는의도도있었던듯합니다. 그렇다면세종대왕이훈민정음을만들었을때는어떠했을까요? 지금과같은띄어쓰기는없었지만 권점 ( 圈點 ) 이라는둥근점을찍어표시를했답 황에서당장편하게새문자를쓸수있게하기위하여소리나는대로쓰는방식을택한것입니다. 대한제국기에는한글맞춤법정리가필요하여 1907년에 국문연구소 를만들어맞춤법문제를연구한기록이있습니다. 국문연구소에서 국문연구의정안 (1909) 을만들었는데국운이기울면서공표되지못하고말았습니다. 지금우리가따르는맞춤법의근간은 1933년에정해졌습니다. 1933 년조선어학회에서는우리나라사람들이말하는법칙과그것을옮겨적는글자법칙을잘살펴합리적인한글맞춤법을만들었습니다. 니다. 용비어천가 를보면오늘날쉼표는가운데에찍는권점으로, 마침 표는오른쪽끝에찍는권점으로표시했습니다. 그러나그전통이후대에 이어지지는않았습니다. 권점으로띄어쓰기에준하는표시를 한 용비어천가 독립신문창간호 (1896. 4. 7.) 1 쪽 48 49

16. 일제강점기에 우리말글을어떻게지켰나요? 희생이있었기에광복후우리의국어교육도다시일으킬수있었습니다. 압수되었던조선어학회의사전원고는다행히되찾아보완을거쳐 1957 년 에 큰사전 (6 권 ) 이완간됩니다. 일본어가 국어 이고일본의가나문자가 국문 이었던일제강점기에우리말과우리글은수난을면치못하였습니다. 이러한현실속에서한글운동의선각자인주시경선생은우리말글을지키는길만이겨레를지키고독립을쟁취하는길임을믿고제자들을가르치는데힘을쏟았습니다. 주시경선생은제자들과 1908년에 국어연구학회 를창립하였고, 제자권덕규, 최현배, 신명균, 이병기등이 1921년에이학회의이름을 조선어연구회로바꾸고스승의한글사랑의뜻을이어갑니다. 조선어연구회는 1926 년에는 가갸날 ( 한글날 ) 을제정하여기념하고 1927년부터는동인지 한글을간행하면서한글연구와보급운동에힘을쏟다가 1931년에 조선어학회로이름을바꿉니다. 1929년에는각계를대표하는 108인이뜻을모아 조선어사전편찬회를조직하여 조선말대사전 편찬을시작하였는데, 이를위한기초작업으로조선어학회주도하에 한글마춤법통일안 (1933), 사정 ( 査定 ) 한조선어표준말모음 (1936) 이만들어졌습니다. 이후사전편찬도조선어학회가맡게되어 10여년의노력끝에 1942년사전조판을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1930년대말부터민족말살정책을펼치던일제는조선어학회를눈엣가시로알고이른바조선어학회사건 (1937) 을일으킵니다. 사전원고를압수하고회원들을함흥형무소에수감해모질게고문하여이윤재, 한징선생은옥사하고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 정태진선생등은광복을맞은후에야풀려납니다. 조선어학회는광복후 한글학회 로이름을바꾸어지금까지활동을이어오고있습니다. 조선어학회선열들의이런 북경한글강습회기념사진 (1933 년 7 월 26 일 ) 조선어학회사전편찬모습 50 51

17. 광복 후에 한국어는 전 세계에서 약 7천9백만 명이 모어로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5 우리 말글은 어떻게 발전했나요? 천만 명 이상이 모어로 사용하는 언어가 20개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어의 위상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10대 무역 대국 이 되는 등 국력이 커지면서, 표음성이 뛰어나고 익히기 쉬운 한글을 배우 는 외국인도 늘어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은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광복이 되고 1948년에 정부를 수립하면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 (1933)이 대한민국의 맞춤법으로 통용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말이 바뀌어 1970년 대부터 정부가 맞춤법 개정 작업을 시작하였는데,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기관이 필요하다는 여론에 따라 1984년에 국어연구소를 설립하여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984), 외래어 표기법 (1986), 한글 맞춤법 (1988), 표준어 그러므로 우리 모두 우리말을 더욱 품위 있게 사용하고 한글을 아름답게 가 꾸고 사랑해야겠습니다. 국어문화학교 연락처: 02-2669-9729, 9662 국어 생활 종합 상담실: (가나다 전화) 1599-9979 (온라인 가나다) http://www.korean.go.kr/09_new/minwon/qna_list.jsp 규정 (1988)을 제 개정하게 됩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은 2000년에 다 시 개정되었습니다. 국어연구소는 1991년에 국립국어연구원 으로 승격되었고, 2004년에는 국립국어원 으로 이름을 바꾸어 세종대왕 시대의 집현전과 같은 역할을 하 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국립국어원은 한글의 과학성과 실용성을 밝혀 한글 의 가치를 드높이는 연구를 하는 것은 물론 국민이 어문 규범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익히도록 이를 관리하고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표 준국어대사전 편찬, 국민의 국어 능력 증진, 공공언어 및 매체 언어 개선, 외국인과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재 개발 등 다양한 사 업을 하면서 우리 말글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은 국어문화학교 를 운영하여 어문 규범, 공문서 작성 등 국 어 생활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운영을 통해 전 국 어디에서나 요청하는 곳이 있으면 직접 가서 우리 말글에 대한 교육을 <국립국어원>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어 생활에 관한 상담을 하는 국어 생활 종합 상담실 (가나다 전화, 온라인 가나다)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52 53

다섯째 마당 세계속의 한글이야기 18. 세종대왕상 은어떤상인가요? 19. 세종학당 은무엇인가요?

인 9월 8일 유네스코 본부가 있는 프랑스 파리에서 시상합니다. 수상자에 18. 세종대왕상 은 게는 상금과 메달, 상장이 수여되고, 수상자들은 유네스코 본부에서 주최 어떤 상인가요? 하는 문해 포럼과 다양한 문해 관련 행사에 참여하게 됩니다. 세종대왕상의 정확한 이름은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King Sejong Literacy Prize) 입니다. 이 상은 유네스코(UNESCO)가 한글을 만든 세종 대왕의 거룩한 정신을 기리고 문해 보급에 헌신한 개인 및 단체를 격려하 기 위해 주는 상입니다. 문해 란 글을 읽고 이해한다 는 뜻입니다. 세종대 왕 문해상은 우리 정부의 요청으로 1989년에 제정되었습니다. 1990년 제 1회부터 2013년 제24회까지 총 42명(단체)의 개인 및 단체가 이 상을 받 았습니다. 이 상은 문해 사업 직접 진행, 국가 또는 지역 단위의 문해 사업 추진, 문 해 보급을 위한 언론 캠페인, 문해 관련 자료 개발 또는 학술 연구 및 조사, 청소년 대상 문해 사업 수행, 언론을 통한 문해 사업 전개 등 특히 개발 도 상국 모국어의 발전ㆍ보급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게 주어지는 상입니다. 제1회 인도부터 가나, 페루, 중국, 르완다 등 상을 받은 단체가 속한 나라 <2013년 세종대왕 문해상 시상 장면- 인도, 차드공화국의 수상 단체 대표들> 는 대륙별로 다양합니다. 세종대왕 문해상은 크게 수상 기관 공모 심사 시상 으로 진행됩니다. 각국에서 모집된 후보자를 국제심사위원단이 심사 평가하며, 유네스코 사 무총장이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자를 최종 선정합니다. 2013년 올해에는 인도 국립문맹퇴치국의 문맹 퇴치 운동인 삭샤르 바라트 미션(Saakshar Bharat Mission, 글을 읽을 수 있는 인도) 과 아프리카 차드공화국 구에라 (Guera) 지역의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The programme Mother Tongue Literacy) 이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차드공화국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 수상>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 축사> 세종대왕 문해상은 매년 세계 문해의 날(International Literacy Day) 56 57

19. 세종학당 은 무엇인가요? 세종학당 (King Sejong Institute) 은대한민국정부가지원하는, 한국어와한국문화교육기관입니다. 세종학당은케이팝, 드라마등한국의대중문화가국외에서많은인기를끌고한국기업의해외진출이확대되면서한국에대해관심을가지는외국인이증가함에따라한국어와한국문화를보급할목적으로설립되었습니다. 세종학당은 2007년 3개국 13개소로시작했으며, 2013년현재전세계 51개국에 117개소가운영되고있습니다. 국어기본법 19조 2항을근거로세종학당을총괄ㆍ관리하는기관인세종학당재단이 2012년 10월에설립되었고, 2013년 1월문화체육관광부산하공공기관으로지정되었습니다. 세종학당재단은세종학당을지정ㆍ지원하며, 누리집 누리-세종학당 (www.sejonghakdang.org) 을개설하여운영합니다. 누리-세종학당은현재 11개국언어로서비스되며 2014년부터모바일기기에서도이용이가능합니다. 누리-세종학당에서는학습자외에국외한국어교육기관의교원들이수업에활용할수있는다양한한국관련사진및동영상, 애니메이션등교육자료도무료로제공하고있습니다. 또한재단은국립국어원과함께한국어표준교육과정및교재를개발하여국외세종학당에보급하며한국어교원을양성해파견하는등세종학당의국제위상을높이기위해다양한사업을펼치고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1) 대만 (1) 세종학당지정현황 (2013 년 10 월현재 ) 10 58 59

부록한글날주요연표 1443년음력 12월 ( 세종 25년, 47세 ) 훈민정음을창제하다. 1446년음력 9월상순 ( 세종 28년, 50세 ) 훈민정음 해례본을펴내다. 1926년 11월 4일 ( 음력 9월 29일 ) 조선어연구회와신민사가함께 훈민정음해례본관련실록기록날짜인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 로선포 ( 한글반포 8회갑 =480돌 ) 하다. 1928년 11월 11일 ( 음력 9월 29일 ) 가갸날 을 한글날 로명칭을고치다. 1932년 10월 29일음력으로기념해오던 한글날 을수학전문가이명칠이환산하여이해부터양력 10월 29일에기념하다. 1934년 10월 28일음ㆍ양력의환산방법을그레고리력을기준으로이해부터 10월 28일에기념하다. 1940년경상북도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원본이발견되다.( 정확한날짜모름 ) 1945년 10월 9일조선어학회에서는 훈민정음 해례본에나온간행날짜인음력 9월상순의마지막날인음력 9월 10일을훈민정음반포일로잡아이를양력으로환산하여 1446년 10월 9일이한글반포의날임을확정하다. 1946년 10월 9일한글반포 500돌을맞이하여미군정청에서 한글날 을공휴일로정하다. 조선어학회가중심이되어성대한한글날기념식을치르다. 1981년 10월 9일 한글날 기념식이정부 ( 서울시 ) 주관으로바뀌다 (535돌). 1982년 5월 15일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 의개정에따라 한글날 기념행사에관한업무가서울시에서문화공보부주관으로바뀌다. 1990년 11월 5일대통령령제13155호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규정 이공포됨에따라한글날이공휴일에서제외되다. 1991년 2월전국국어운동대학생연합회학생들이서울탑골공원에서한글날의국경일승격을주장하며거리행진을하다. 1991년 10월 1일한글문화단체모두모임 ( 회장안호상 ) 이정부와국회에 한글날국경일제정청원서 를제출하다. 1999년 7월 9일한글단체주최로서울세종문화회관에서 한글날국경일제정공청회 를열다. 2000년 10월 2일신기남의원외 34명의국회의원이한글날국경일지정을골자로한 국경일에관한법률중개정법률안 을발의하다. 이어 11월 15일에는여야의원들이 한글날국경일추진을위한의원모임 을결성하다. 2001년 2월 5일한글단체와각계인사, 시민등 10만여명이 한글날국경일제정 범국민추진위원회 ( 위원장전택부, 본부장서정수, 사무총장이대로 ) 를결성하고 3월에홍보물첫째호를내다. 2001년 4월 10일기독교청년회관에서 한글날국경일제정추진범국민결의대회를열다. 2002년 10월 9일세종문화회관에서 한글날국경일제정촉구대회 를열다. 이자리에서 한글날을국경일로 란기록영화 ( 이봉원제작 ) 를상영하다. 2003년 4월 20일한글날국경일제정범국민추진위원회가 한글날을국경일로홍보물둘째호를내다. 2003년 9월 20일한글날국경일제정범국민추진위원회와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등시민단체들이서울여의도세종대왕동상앞에서 한글날국경일제정촉구국민대회 를열다. 2004년 7월 15일신기남의원등여야국회의원 67명이한글날을국경일로승격시키기위해 국경일에관한법률중개정법률안 을국회에공동발의하다. 2004년 11월 18일이규택의원이대표로 국경일에관한법률중개정법률안을국회에별도로발의하다. 2005년 5월한글날국경일제정범국민추진위원회가 한글날을국경일로 홍보물셋째호를만들어모든국회의원에게돌리다. 2005년 10월 5일국회문화관광위소속의원들이한글날국경일승격결의문을발표하다. 국회 한글문화세계화를위한의원모임 도한글날국경일제정촉구성명서를발표하다. 2005년 10월 9일한글단체들 ( 한글날국경일제정범국민추진위원회, 한글학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외솔회,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전국국어운동대학생동문회, 한글문화연구회, 국어문화운동본부, 한글문화연대, 한글사랑누리통신모임등 ) 이국회의장과행정자치위원장에게 2005년중에반드시 한글날국경일지정법안 이국회에서통과되게끔협조해달라는건의문을발송하다. 2005년 12월 1일행정자치위원장이한글날을국경일로지정하는법안을내기로여야가합의하다. 2005년 12월 8일국회본회의에서 한글날국경일지정법안 이만장일치로통과되다. 2006년 10월 9일한글이세상에나온지 562년만에한글날을국경일로기념하다. ( 공휴일은아님 ) 2012년 12월 28일한글날공휴일재지정법령을공포하다. 2013년 10월 9일한글날이국경일이자공휴일인첫해가되다. 60 61

참고문헌 누리집 국립국어원 www.korean.go.kr 국어문화운동본부 www.barunmal.com 디지털한글박물관 www.hangeulmuseum.org 세종한말글연구소 cafe.daum.net/tosagoto 세종대왕기념사업회 www.sejongkorea.org 전국국어운동대학생연합회동문회 www.hanmal.pe.kr 조선왕조실록 sillok.history.go.kr 한글학회 www.hangeul.org 한글관련영상프로그램 KBS. 세계로한글로 ( 이봉원감독. 국어정보학회제작 ). 1996. 10. 9. MBC. 천년의리더십 CEO 세종. 2005. 10. 9. MBC( 청주 ). 한글의힘 ( 청주 MBC 창사 37주년기념 ). 2007. 10. 26. MBC. 한글, 잔포르트의 이되다 ( 시사교양특집한글날특선다큐 ). 2008. 10. 9. 훈민정음 영인본이상백 (1957). 한글의起源. 통문관. 조선어학회 (1946). 訓民正音. 보진재. ( 정인승해제본 ). 한글학회 (1998). 訓民正音. 해성사. 서강대인문과학연구소 (1972). 월인석보( 月印釋譜 ) 권 1ㆍ2. 서강대학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훈민정음( 종합영인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오옥진 (2003). 訓民正音. 통문관.( 오옥진판각본 ). 조규태ㆍ정우영외 (2007가). 훈민정음언해본이본조사및정본제작연구. 국어사연구 7. 국어사학회. 조규태ㆍ정우영외 (2007나). 훈민정음언해본이본조사및정본제작연구 ( 학술연구용역사업보고서 ). 문화재청. 일반문헌 강신항 (1974ㆍ1995: 증보판 ). 譯註訓民正音 ( 문고본 ). 신구문화사. 국립국어원편 (2008). 알기쉽게풀어쓴훈민정음. 생각의나무. 권재선 (1988). 국어학발전사 합본. 우골탑. 김동소 (2003). 중세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김동진 (2010). 파란눈의한국혼헐버트. 참좋은친구. 김무림 (2004). 국어의역사. 한국문화사. 김봉좌 (2010). 조선시대유교의례관련한글문헌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석득 (2009). 우리말연구사. 태학사. 김슬옹 (2007). 28자로이룬문자혁명훈민정음. 아이세움. 김슬옹 (2011). 세종대왕과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부록입체영인. 김슬옹 (2012). 조선시대의훈민정음발달사. 역락. 김슬옹 (2012). 한글우수성, 과학성, 독창성에대한통합연구 문법교육. 16. 문법교육학회. 김슬옹 (2013). 세종, 한글로세상을바꾸다. 창비. 김윤경 (1954). 한국문자급어학사. 동국문화사. 김정수 (1990). 한글의역사와미래. 열화당. 김종택 (1976). 한글의문자론적위상-그개선점을중심으로. 간행위원회편. 한국어문논총 ( 우촌강복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 ). 김주원 (2005). 세계기록유산훈민정음 1: 우리가자랑할수있는문화유산. 대한토목학회지 299. 대한토목학회. 86~89쪽. 김주원 (2005). 세계기록유산훈민정음 4: 훈민정음해례본의구성. 대한토목학회지 302. 대한토목학회. 112~115쪽. 문효근 (1993). 훈민정음제자원리. 세종학연구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민현식 (2011). 갑자상소문의텍스트언어학적분석연구. 어문연구 151( 가을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양춘 (1998). 외국에서본한글. 한글새소식 313(9월호 ). 한글학회. 박영준ㆍ시정곤ㆍ정주리ㆍ최경봉 (2002). 우리말의수수께끼 : 역사속으로떠나는우리말여행. 김영사. 박종국 (2007). 훈민정음종합연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박창원 (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반재원ㆍ허정윤 (2007). 한글창제원리와옛글자살려쓰기 : 한글세계공용화를위한 62 63

선결과제. 역락. 방종현 (1946). 훈민정음. 진학출판협회. 백두현 (2007). 한글을중심으로본조선시대사람들의문자생활. 서강인문논총 22. 서강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백두현 (2009). 훈민정음을활용한조선시대의인민통치 진단학보. 108. 진단학회. 베르너사세 (Werner Sasse)(2005). Hangeul: Combining Traditional Philosophy and a Scientific Attitude. 제2회한글문화정보화포럼자료 (559돌한글날기념 ). 한글인터넷주소추진총연합회. 변정용 (1996). 한글의과학성. 함께여는국어교육 29( 가을호 ). 전국국어교사모임. 사재동 (2010). 훈민정음창제ㆍ실용의불교문화학적고찰. 국학연구론총 5. 택민국학연구원.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7). 세종대왕연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안병희 (2007). 훈민정음연구. 서울대출판부. 이극로 (1932). 훈민정음의독특한성음관찰 한글. 5. 조선어학회. 이극로 (1941). ㆍ 음가를밝힘 한글. 83. 조선어학회. 이기문 (2007). 한글. 한국사시민강좌 23. 일조각. 이대로 (2008). 우리말글독립운동발자취. 지식산업사. 이상규 (2011). 한글고문서연구. 경진. 이상혁 (2004). 훈민정음과국어연구. 역락. 이정호 (1972). ( 해설역주 ) 訓民正音. 한국도서관학연구회. 이정호 (1986: 개정판 ). 국문ㆍ영문해설역주훈민정음. 보진재. 이한우 (2006). 세종. 조선의표준을세우다. 해냄출판사. 이현희 (1997). 훈민정음 새국어생활. 7-4. 국립국어연구원. 이혜숙 (2005). 디자인으로서의한글과디자이너로서의세종. 국민대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임용기 (1991). 훈민정음의삼분법형성과정. 연세대대학원박사학위논문. 정우영 (2001). 訓民正音 한문본의낙장복원에대한재론. 국어국문학 129. 국어국문학회. 정우영 (2005). 훈민정음언해본의성립과원본재구. 국어국문학 139. 국어국문학회. 정희성 (1989). 수학적구조로본훈민정음의창제원리. 1989년도한글날기념학술대회논문집. 한국인지과학회ㆍ정보과학회. 정희성 (1994). 훈민정음의창제원리를위한과학이론의성립. 한글 224. 한글학회. 조규태 (2010). 번역하고풀이한훈민정음 ( 개정판 ). 한국문화사. 최기호 (2002). 신숙주의 해동제국기 에대한고찰. 한힌샘주시경연구 14ㆍ15. 한글학회. 최명재 (2011). 訓民正音의숨겨진진실. 한글정음사.( 복원본수록 ). 최영선편저 (2009). 한글창제반대상소의진실. 신정. 최용기 (2010). 한국어정책의이해. 한국문화사. 최종민 (2003). 훈민정음과세종악보의상관성연구. 상명대대학원박사학위논문. 최현배 (1982: 고친판 ). 한글갈. 정음문화사. 한재준 (1996). 훈민정음에나타난한글의디자인적특성에관한연구. 디자인학연구 17. 한국디자인학회. 한재준 (2013). 더좋은한글, 어떻게이룰것인가? 현장이원하는 새정부문화정책연속토론회 : 문화의국제기여와경쟁력강화. 4차토론회주제 1: 한글과산업자료집. 한태동 (2003). 세종대의음성학. 연세대출판부. 허경무 (2008). 한글서체의원형과미학. 묵가. 홍기문 (1946). 正音發達史 상ㆍ하합본. 서울신문사출판국. 홍윤표 (2010). 한글을어떻게배워왔을까요? 쉼표, 마침표.( 국립국어원소식지 ) 60(11 월호 ) 웹진. 국립국어원. 홍현보 (2013). 우리사전의왜곡된 언문 뜻풀이에관한연구. 한글 298. 한글학회. Bell, E. C.(1867). Visible Speech. Knowledge Resources Inc. Gelb, I. J.(1952ㆍ1963). A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im-Cho, Sek. Yen.(2001). The Korean Alphabet of 1446: expositions, OPA, the visible speech sounds, Translation with annotation, Future applicability. Humanity Books & AC Press( 아세아문화사 ). Ledyard, G. K.(1966). Translation of Hunminjeongeum-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and Hunminjeongeum haerye Explanation and Examples of The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The origin background and early history of the Korean alphabet. Thesis (Ph.D.) Univ. of California. Man, J.(2001). ALPHA BETA: How 26 Letters Shaped The Western World. John Wiley & Sons. Inc: 남경태역 (2003). 세상을바꾼문자알파벳. 예지. Sampson, G.(1985).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introduction. London: Hutchinson Publishing Group: 신상순역 (2000). 세계의문자체계. 64 65

한국문화사. Thomas, M.(2011). King Sejong the Great(1397-1450). Fifty Key Thinkers on Language and Linguistic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小倉進平 (1940). 增訂補注朝鮮語學史. 東京 : 刀江書院. 野間秀樹 (2010). ハングルの誕生 - 音から文字を創る. 平凡社 : 김진아 김기연 박수진옮김 (2011). 한글의탄생 : < 문자 > 라는기적. 돌베개. 앞표지디자인 훈민정음 28 자가운데자음 17 자로만든한글로봇 ( 김슬옹 ) 뒤표지디자인 훈민정음 28 자가운데모음 11 자로만든한글로봇 ( 김슬옹 ) 66

누구나알아야할한글이야기 10+9 발행일 : 2013년 10월 4일발행인 : 유진룡발행처 : 문화체육관광부기획 : 문화체육관광부국어정책과지음 : 국어단체연합국어문화원제작 : 피어나맵시 : 구슬기 ( 한글디자이너, 서울여자대학교미술대학조형연구소전임연구원 ) 편집 : 김성진 ( 편집기획자 ) 감수 : 국립국어원 집필위원 김슬옹 ( 한글학회연구위원, 국어단체연합국어문화원연구교수 ) 남영신 ( 국어단체연합국어문화원원장 ) 공동연구원 : 김성화 ( 한글이야기구성작가 ), 김수정 ( 세종한말글연구소연구위원 ) 자문위원 ( 가나다순 ) 정우영 ( 동국대학교국어국문 문예창작학부교수, 자문위원장 ) 성기지 ( 한글학회학술부장 ) 우경숙 ( 영문초등학교교사 ) 이건범 ( 한글문화연대대표 ) 이대로 ( 우리말우리얼대표 ) 이창덕 ( 경인교육대학교국어교육과교수, 외솔회이사 ) 이창수 ( 배달말누리 www.baedalmal.kr 운영자 ) 장미경 ( 세종학당부장 ) 조상민 ( 선정중학교교사 ) 한재준 ( 서울여자대학교시각디자인학과교수 ) 홍현보 (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연구원 ) * 비매품 ( 이자료파일은문화체육관광부자료실에서무료로내려받을수있습니다.) * 이책자의저작권은문화체육관광부에있습니다.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