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재난관리플랫폼 ; 스마트재난빅보드 (Smart Big Board) Ⅰ. 서론 Foster(1980) 는이성적인대응이불가능한위기상황을대처하기위해가장필요한것이정보라고정의하였지만, 역설적으로재난과같은위기상황시에가장부족한것이또한정보이기도하다 (Alexander, 1991). 1990년대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IT) 의비약적인발전은재난관리를위한정보생성의기술적기반을구축하는전기가되었다. 이당시재난분야에서 IT의역할은정보의검색및표출, 재난모니터링및예측, 그리고재난상황모의를위한시뮬레이션으로정의되었다. 하지만, 일방향적인정보생성에치중된재난관리시스템은재난이발생했을때대응및복구를위한기관들간의정보접근및활용이원천적으로불가능하였다. 이에따라각기관들의재난대응은개별적조치 (acting as an isolated silo) 에그치는경우가대부분이었다. 전문가들은이러한문제의원인을정보의상호연계가가능한공통기반의부족과의사소통을위한기준의부재를지적하였고, 일부전문가들은재난관리를위한툴의개발은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재난관리전체단계와관련된모든기관과연계되어야한다고주장하였다. 재난관리에서정보의연계와유통의중요성이논의될시기에재난관리전단계에대한실시간적정보를제공하는측면에서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의중요성이대두되었다. 그때까지의 ICT기술은재난통신기술에집중되어있었는데 GIS와웹데이터와같은 ICT툴의적용은커뮤니티레벨에서위험영향에대한신속한정보획득가능성을확대하였다. 특히, 재난에의한피해최소화를목표로 ICT기술은조기경보시스템구축에널리적용되었다. 조기경보시스템은하나이상의 ICT 매체를병용적으로사용하는데전통적인매체 ( 라디오, 텔레비전, 전화 ) 와새로운매체 (SMS, 인터넷등 ) 를모두포함하였다. 인터넷, GIS, 리모트센싱, 위성기반통신으로대변되는 ICT의발전으로재난위험경감조치의계획수립및재난관리수행에큰도움이되었다. 특히, GIS기반의매핑시스템은재해위험취약성분석및방재능력평가의질을향상시켰고, 정책의다양한옵션의선택에있어서업무효율의제고가이루어졌다. 2013년새롭게출범한박근혜정부는지금까지의방식으로는해결할수없는우리사회가직면한새로운도전 ( 저출산, 환경, 안전문제등 ) 을극복하기위해새로운정부운영패러다임으로공개, 공유, 소통, 협력등을핵심가치로정부 3.0추진
을표방하였다. 빅데이터는이러한맞춤형정책서비스추진에필수요소로인식되게되었다. 실제로재난분야에서빅데이터의최대강점은실시간위기대응매핑으로알려져있다. 국제연합이 2012년필리핀에서발생한태풍 Pablo 의실시간상황을빅데이터분석기관인 Digital Humanitarian Network(DHN) 에의뢰한것은재난분야에서빅데이터를중심으로한 GIS기반매핑의신뢰성과효율적재난관리의가능성을보여준좋은사례라할수있다. II. 재난관리의새로운패러다임 가. 기존재난관리의문제점및개선방안현재의재난관리는경제적, 행정적, 기술적인이유에서재난정보를제한적으로만다루고있다. 더구나, 다양한경로로획득가능한재난정보가있음에도불구하고한정된정보원만을활용하고있기때문에, 통합적인재난분석과모니터링을수행하는데에는한계가있었다. < 표 1> 현재난상황실현황및개선 ( 안 ) 이러한실정을개선하고자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재난및안전사고시현장중심의모든가용한정보를이용하여현장의상황을모니터링하고분석하는스마트재난관리플랫폼 (Smart Big Board; SBB) 개발을시작하였다. 이것은재난및안전사고시현장중심의모든정보네트워크를가동하여위험상황을분석하는최첨단시스템을목표로하고있다. 특히, 재난현장에서발생하는 SNS 를실시간으로분석함으로써국민과소통하는새로운개념의플랫폼으로추진할계획이다.
< 그림 1> 재난정보흐름체계개선 ( 안 ) 나. 사용자중심의새로운재난관리시스템패러다임대규모재난또는사회적이슈가되었던재난이후에많은전문가들은재난관리정책및시스템을표현하는데있어많은핵심 Keyword 들을나열하였다. 대표적인 Keyword가 Ubiquitous, Smart, Bigdata 등이다. 그렇다면, 미래의재난 Keyword는무엇일까? 우선, Ubiquitous, Bigdata 란용어는통합과연계라는표현으로 ' 개발자 중심의표현이라고판단된다. 최근정책과 R&D 추진의목표가실용화와서비스질의향상에많은관심을두고있는상황에서, 미래의재난 Keyword는분명히 사용자 중심의표현이될것이다. 저자들은금년 5월말, 2011년 3월센다이지진피해인접지역인이바라키현현청에방문했을때, 하천과, 상황실간부와담당자들이그당시상황관리를위한정책결정과제도그리고시스템에서무엇이중요한화두인지물었다. 그 Keyword에대한대답은사용자중심의 Simple' 이었다. 긴급하고위험한상황에서두꺼운매뉴얼보다얇은매뉴얼이, 복잡한시스템보다간편한시스템이훨씬더효과적이었다는것이다. 또한, 일본의로봇전문가인 AIST 부원장도지진피해지역에자원봉사자로활동하다가, 본인이가진로봇기술로피해주민들에게어떤서비스를할수있을지고민하였다. 그결과, 사용자중심의 simple' 한방식의로봇을개발하여서비스하게되었다고하였다. < 그림 2> 미래재난관리패러다임 스마트재난빅보드는사용자중심의 Simple' 을목표로하여, 각종재난정보를한화면
에가장효과적이고단순하게표출하게할것이다. III. 정부 3.0 시대의맞춤형재난서비스 이제까지의재난안전정책이정부주도로이루어졌다면, 정부 3.0 시대의재난안전관리는국민과소통하고, 민간과협력하며, 각종정보를연계하는 공유, 소통, 협력 이핵심가치가될것이다. 따라서, 스마트빅보드에서는국민과의소통을위해 SNS( 트윗 ) 을통해평상시재난에대한관심사를분석하고, 재난발생시에는재난현장에서발생하는트윗을통해재난전조를파악하고현장상황을모니터링할수있는기반을구축하였다. 재난현장의 SNS( 트윗 ) 적용가능성에대해서는 2011년강남역침수시발생했던트윗을통해새로운재난정보로써의활용가치를검증하였으며, ICT 강국인우리나라실정에효과적으로활용할수있는수단이라고판단된다. 또한, 고해상도기상정보분석을위해서민간기관인 SK 플래닛 ( 주 ) 에서추진하고있는고해상도기상정보망을이용할계획이다. SK 플래닛 ( 주 ) 는금년상반기까지서울지역에 265 개의기상관측장비를설치하여운영할예정이다. 반경 1~2km 간격으로배치한기상센서를통해보다세밀하게관측된기상정보는국지적으로발생하는집중호우나폭설, 강풍, 안개등에대한위험성평가및피해경감대응능력의향상을도모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 그림 3> 2011 년강남침수시트윗발생건수 < 그림 4> SK 플래닛 ( 주 ) 고해상도기상정보 IV. 스마트재난빅보드기능및시범모델 스마트재난빅보드는기상, CCTV, 재난이력등의다양한정보를통합하고스마트폰을기반으로하는스마트모니터링체계의도입, 트위터를중심으로하는빅데이터분석및실시간모니터링장비 ( 위성, UAV, MMS 등 ) 의활용을통하여공간적인재난상황파악을특징으로한다. 특히, SNS기반의국민참여형재난관리와각종정보의통합은대응에서복구까지의전재난관리프로세스를모니터링할수있다는점에서스마트재난빅보드의차별화된특징이라고할수있다.
< 그림 5> 스마트재난빅보드메인화면 가. 기존정보의연계스마트재난빅보드는기존재난관리유관기관에서개별적으로관리 서비스하고있는정보를연계하여하나의프레임에서표출하는기능을가지고있다. 다양한유형의재난에대해신속하게관련정보에접속하여상황판단에필요한정보를참조하고최적의상황대응의사결정을하는데도움을주는데그목적이있다. 현재시범적으로구축하고있는대표적인기존재난정보로는기상청에서제공하고있는기상정보, 재난 도로용 CCTV영상, 재난감지와모니터링등특정목적을위해설치된센서정보등이있다. 나. 스마트모바일현장정보기존정보의연계메뉴가수동적이고간접적인상황정보획득수단이라면모바일현장정보메뉴는보다직접적이면서적극적인상황정보획득방법을제공한다. 상황발생시현장에파견된조사인력에의해취득된영상및텍스트정보는실시간적으로서버에전송되어상황실내에서도현장상황에대한정확하고도구체적인정보를실시간으로공유하는것이가능하다. 이는재난대응프로세스전반에대한시간적측면의업무효율을증대시키고시시각각변화하는상황전개과정에시의적절한대응을도출하는재난관리시스템의기능을강화시키는데그목적이있다. 다. 빅데이터 스마트재난빅보드에서는재난관리에활용성이높은실시간트윗정보, 과거재난 이력및원인분석결과, 위성영상, 시뮬레이션, 관련웹사이트등을빅데이터메뉴
로분류하여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재난관리의전체프로세스에대한과학적이면서도직관적인재난관리수행에도움을주고자하였다. 빅데이터메뉴는재난발생및상황전개에대한인과관계유추가가능하다는점에서기존접근방식과다른차별성이있다고할수있다. 2013년 4월발생한산대저수지붕괴사고당시중앙정부및해당지자체에서대응조치를취하기도전에이미트윗으로붕괴위험에대한위험상황전파가이루어졌던사례는스마트폰 3천만대시대의미래형재난관리의청사진을제시한좋은사례일것이다. < 그림 6> 산대저수지상황전개개요및트윗이용 라. 시범적용모델스마트재난빅보드의기능과적용성검토를위해그림5와같이 2011년 7월강남역침수피해를대상으로각구성요소를적용해보았으며, 관련정보는 GIS 상에융복합적으로표출하고분석하였다. 기상, SNS( 트윗 ) 등실시간정보가수집표출되고, 위험기준에따라재난발생가능지역을예측하며, 그지역에과거재난이력과침수예상도를표출하여상세한재난위험지역을분석한다. 또한 CCTV를통해확인점검함으로써현장중심의각종재난정보들이연계 분석 표출되어보다효과적인재난예측과대응을지원하게된다. 특히, 재난발생지역현장조사자들의스마트폰을활용한현장모니터링과상황전파를통해상황실에서재난현장의상황을보다면밀히파악하고, UAV( 무인헬기 ) 등첨단장비를이용하여접근이곤란한재난지역의모니터링을수행하게된다. 전술한바와같이스마트재난빅보드는기존의재난정보를효과적으로연계활용하고, 새로운재난정보로써 SNS( 트윗 ) 와민간재난정보를융합하여통합표출및분
석함으로써기존재난관리와는다른스마트한재난관리를지향한다. < 표 2> 2011 년강남역침수에대한스마트재난빅보드시범모델 정보표출내용기능 기상정보 Big Data 안전지도 - 실시간강우정보 ( 기상청 ) - 고해상도기상정보 (SK) - 실시간 SNS 표출및분석 * ( 11.7 월 ) 강남역일대트윗분석 - 침수흔적도 ( 10 년, 11 년등 ) - 침수예상도 (10 년, 30 년확률강우량 ) - 강우및트윗자료비교분석 강우분석 < 재난예측 > 재난 SNS 분석 < 재난예측 / 대응 > 위험지역분석 < 재난예측 / 대응 > CCTV - CCTV 정보 ( 방재청, 경찰청, 도로공사등 ) 현장 SMS ( 조사팀 ) 현장모바일영상 ( 조사팀 ) - 침수 SMS 표출및분석 * 강남침수지역 SMS 분석 - 강남지역모바일영상송수신 위험지역모니터링 < 재난대응 > 재난현장조사 < 재난대응 / 복구 > 재난현장조사 < 재난대응 / 복구 > V. 마무리 기존의재난관리방식에익숙한사람들에게는다소생소한스마트재난빅보드에대한기능과개념에대해간단히소개하였다. 아울러 ICT 기술발전과관련사회기반환경의확충, 그리고재난으로부터보다안전한삶에대한사회적요구변화에따라재난관리플랫폼의미래상에대한도전적청사진으로스마트재난빅보드를제시하였다. 재난관리를빠르게, 쉽게, 유연하게돕는다 의모토로계획했던스마트재난빅보드에대한궁극의형태는이상과기술의적절한조화속에서앞으로도지속적으로다듬어져야할것이다. 다른모든툴과마찬가지로스마트재난빅보드는필요한모든구성요소들의준비가되어있을때에최적의기능을발휘할수있다. 이를위해서시스템요소기술개발및데이터연계방안에대한실용화전략과각부처및유관기관의정보공유와표준화를위한제도적기반도함께마련해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