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ate Change Research(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Vol. 3, No. 2, 2012, pp. 89~100 89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The Change of The Average Discomfort Index from June to September during The Past 10 Years 장유정 허혜숙 * 김백조 ** 김성균 * 홍기만 * 이우균 Jang, You-Jung, Heo, Hye-Sook*, Kim, Baek-Jo*, Kim, Seong-Kyoun*, Hong, Gi-Man* and Lee, Woo-Kyun 고려대학교기후환경학과 * 기상청기상산업정책과 ** 국립기상연구소정책연구과 Dept. of Climatic Environment, Korea University, *Dept. of Meteorological Industry Policy,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Dept. of Policy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Research 요지본연구에서는한반도의 2001~2010년간여름철불쾌지수의시공간적변동을분석하여기후학적특성을지역별로살펴보고, 그결과를토대로불쾌지수를다양한사회현상의기초자료로활용할수있는가능성에관하여고찰하였다. 기상청의 60개관측지점에서측정된시간별기온과습도를이용하여그날의불쾌지수를일별로추정하였다. 추정된불쾌지수의특성을분석한결과, 여름철에는불쾌지수가불쾌감을주는수준으로지속되며, 기온과더불어꾸준히상승하는경향을보였다. 또한, 하루중에는오후 3시, 일년중에는 8월의불쾌지수가높게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강원도지역이불쾌지수가가장낮은분포를보였다. 기후변화에따른불쾌지수의변동성분석은산업및보건등다양한분야에서정책결정의기초자료로활용될수있을것이다. 키워드 : 불쾌지수, 기후변화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discomfort index for summer the during the past ten years(2001~2010) in the Korean Peninsula, and consider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discomfort index as a preliminary data for various phenomenon of society based on the analysis. Discomfort index defined as daily representative value was estimated using hourly temperature and Corresponding author : E-mail: leewk@korea.ac.kr 접수일자 : 2012. 4. 23 / 수정일자 : 2012. 5. 14(1차 ), 6. 12(2차 ) / 채택일자 : 2012. 6. 13
90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humidity data which are observed 60 weather stations manag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discomfort index in summer keeps the level at which one feels unpleasant, and the level increased steadily as temperature is rising. And discomfort index in 3 pm and on August are the highest during the day and year. Gangwon-do have shown the lowest discomfort index among the provinces. Variability analysis of discomfort index due to climate changes can be used for making polic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and public health field. Key words : Discomfort Index, Climate Change 1. 서론지구의평균기온은지난 100년 (1906~2005 년 ) 동안약 0.74 상승하였고, 높은평균기온값을나타낸가장더운해는 1995~2006년사이에집중되었다. 또한, 20세기동안해양위대기의수증기는약 5% 증가하여강수의세기와호우의빈도가지역별로점점더강해지고있다 (IPCC, 2007). 한반도의경우, 지난 20세기 (1912~2010 년 ) 동안지구온난화와도시화로인해기온은 0.18 /10년속도로상승하였고, 최근 30년 (1981 ~2010년 ) 간한반도의평균기온은과거 30년 (1971~2000년) 에비해 0.2 상승하였다. 강수량역시 3.4% 가증가하였다 ( 국립기상연구소, 2011).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대표농도경로 ) 4.5 시나리오에따르면 21세기말 (20~2099년) 에이르러한반도의평균기온은현재 (1971~2000년) 보다 3.4 상승하고강수량은현재대비 17.3% 증가하여, 지구평균기온보다 0.4, 지구평균강수량보다 12.8% 높을것으로전망된다 ( 국립기상연구소, 2011). 이러한기후변화는폭염, 홍수, 가뭄등이상기상현상발생의주요원인이되고있으며, 각종자연재해의증가, 생태계변화등을초래하고있다. 기후는사람들의건강과생활에직접또는간접적으로영향을끼친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에대한사람들의관심은날로증가하고있다. 이에각분야에서는기후변화와연계한다양한연구를 진행하고있다 (Haines and Patz, 2004). 예컨대, 보건기상분야에서는기후변화와관련하여발생한열대야와폭염이여름철사망률을증가시킴에따라온열지수, 열지수, 인지온도, 불쾌지수등과같은응용기상지수에대한많은연구를진행하였다. 기후변화와관련한많은응용기상지수중에서, 국민생활과가장밀접한관련이있으며, 각분야연구기관의관심을불러모으는기상지수로불쾌지수를꼽을수있다. 불쾌지수 (Discomfort Index, ) 는국민대다수의일상생활및건강에매우큰영향을미치는더위의체감정도를기온과습도만으로산출한생활기상지수로, 대중적으로가장많이사용되는기상지수이다. 불쾌지수는시카고대학의 E. C. Thom이 1957년에어컨에공급할이상적인전력량을연구하던중만들어낸것으로, 미국기상국에서 1959년 6월도입하여처음으로일기예보에포함하여발표하면서실용화되었다 ( 기상청홈페이지 ). 한국에서불쾌지수가처음도입된시기는 19년 7월부터이며, 기상청홈페이지를통해서비스되고있는각종생활기상지수중에서불쾌지수서비스는접속순위 1위로사람들로부터가장많은관심을받고있다 ( 김해동, 1999). 불쾌지수가사람들과각분야연구기관으로부터많은관심의대상이되고있는이유에는, 기온변화와대기중에포함된습기로인한더위가호흡기및기관지기능장애, 불쾌감유발등인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91 체에상당한영향을미치며, 범죄및교통사고발생율, 작업능률등여러현상의발생빈도원인으로작용하기때문이다 ( 국립기상연구소, 2005; Pell and Cobb, 1999; Jamason et al., 1997; 김숙희등, 1973). 또한, 인구가밀집되어있는대도시의경우인공열방출에따른열섬현상으로인해열환경이악화되며, 이에따라사망률이증가하고, 냉난방시설의과도한가동으로전력수급의문제가유발되는데, 이러한현상역시불쾌지수와밀접한관련이있다 ( 변재영, 2010; 박종길등, 2008; Ebi et al., 2004; Kunkel et al., 1999; Changnon et al., 1996). 지금까지의연구에따르면, 한반도의불쾌지수는내륙지역의경우고위도로갈수록감소하고, 남서해안과중부지방에서는해안과내륙의차이가크지않으며, 동해안지역에서최소값을나타낸다 ( 변재영, 2008). 또한, 하계 (6~8월) 의경우, 강원북부동해안지역에해당하는속초의불쾌지수가가장낮고, 제주가가장높은값을보이며, 7~8월의경우내륙지역은지역특성과관계없이불쾌지수가대체로높게나타난다 ( 김해동, 1999). 하계에불쾌지수가높게나타나는이유는위도및고도등의지형적요인과여름철의고온다습한기단의영향때문이다 ( 강철성, 2010). 서울지역의경우, 불쾌지수최대치는오후 3시경, 최소치는오전 3시경에나타났고, 오후 9시가오전 9 시보다높은경향을보이며, 월별로 8월이최대, 9월이최소인값을나타냈다 ( 김숙희등, 1973). 한편, 폭염발생빈도에따라불쾌지수를비교한결과에서는, 폭염이나타난날은불쾌지수가대체로높게나타나는등폭염의발생여부에따라사람들이느끼는쾌적감에큰차이가나며, 지리적특성에따른상대습도의차이는불쾌감에큰영향을미친다 ( 김금지등, 2011). 불쾌지수는기온과습도만으로인간이느끼는여름철무더위의체감정도를나타낸지표로서, 산출된불쾌지수는태양복사나바람조건을포함 하지않는점에서그적정한사용에는한계점이있지만, 누구나쉽게이해할수있다는점에서대중적으로매우유용한지표가될뿐만아니라, 폭염및열대야등기상현상은물론열지수, 온열지수등생활기상지수의기초연구자료로서그활용가치가높다. 앞선많은연구들은이와같은불쾌지수의활용가치를잘드러내주고있다. 그러나불쾌지수에대한종전의연구는한정된기간과지역의관측자료를바탕으로한것이대부분이다. 또한, 불쾌지수가기온과습도라는제한된변수만을가지고산출된지표라는점에서종합기상지수로서한계성을지닌다는점을이유로불쾌지수자체에관한연구보다는다른기상지수와의비교대상으로활용하는정도에그치는경우가많다. 그러나불쾌지수는사회, 경제, 문화, 의료등인간실생활의다양한측면에이용할수있는지표로서, 단순히다른기상지수와의비교대상으로서만이아니라, 그자체에대한별도의연구가진행되어야할필요가있다. 이에따라본연구는한반도전역에걸친 60개관측소에서 10년이상관측한자료를활용하여불쾌지수를분석하여제한된지역과기간의관측자료를바탕으로한종전연구의한계를벗어나고자하였다. 또한, 시간및공간에대한불쾌지수의변화경향을분석하여기후변화에따른불쾌지수의변화정도를분석하고, 다양한사회현상을해석하고대비하는기초자료로써활용가능성과미래체감기후환경의분석자료로써활용할수있는가능성을시사받고자하였다. 2. 자료및방법한반도불쾌지수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기상청에서 2001~2010년동안 6월에서 9월에관측한기온과습도를이용하였다. 분석기간은불쾌지수가많이활용되는기간인 6~9월로한정하고, 본연구에서는이기간을여름철로정의하였다.
92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 9/5*t a, 0.(1 RH)(9/5*t a, 26) + 32 (3) Fig. 1. Meterological station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KMA). 기상청의관측지점은공동협력기상관측소를포 함하여현재 93 개이나, 1981 년부터 2010 년까지 10 년간격의장기적인추세변동에대한분석을 위해 1981 년이후 % 이상의관측자료를보유 하고있는 60 개지점을분석대상으로선정하였다 (Fig. 1). 불쾌지수는보통 Thom 이제안한식 (1) 에따 라건구온도 (Ta) 와습구온도 (Tw) 에의해산출된 다 ( 기상청, 2006). = 0.4 (Ta + Tw) + 15 (1) 여기에서온도의단위는화씨 ( F) 로, 식 (1) 을화 씨에서섭씨온도로환산하면 = 0.72 (Td + Tw) + 40.6 (2) 으로된다. 불쾌지수는식 (2) 를변형하여기온 ta ( ), 상대습도 RH(%) 로산출하기도한다. 산출결과는 3개의식모두동일하다. 여기에서는기상청에서사용하고있는식 (3) 에따라시간별기온과습도를이용하여불쾌지수를계산하였다 ( 기상청, 2006). 불쾌지수의특성분석을위해우선식 (3) 에따라매시간불쾌지수를산출하였으며, 산출된값을바탕으로그날의최고값을일값으로정하였다. 보통의경우, 각기후요소에대한표준적인상태를나타내는평균값을일값으로사용하지만, 불쾌감을일으키는시간대가일중 1회이상나타나는경우를불쾌지수현상일로정의하기위해일극값의개념을적용하여그날의최고값을일값으로취하였다. 월별, 년별통계자료는분석기간내의일자료를합계및산술평균을하여계산하였다. 불쾌지수는기온과습도의함수로공기의성질에따라그특성이변화된다. 따라서불쾌지수특성을분석하기에앞서 2001~2010 년동안여름철기단의특성을 NCEP/NCAR 재분석자료를활용하여먼저분석하고, 연별로산출된불쾌지수의시공간적특성과비교하였다. 불쾌지수는인간이실제로느끼는더위의정도를나타내는지표로서, 일반적으로불쾌지수가높을수록많은사람들이불쾌감을느끼며, 그에따라여러사회적병리현상이더많이발생된다. 물론, 사람마다쾌감대의범위는모두다르기때문에불쾌감을느끼는정도는각기다르며, 인종, 지역에따라불쾌지수의범위가다를수있다. Table 1은기상청에서사용중인불쾌지수체감정도를나타낸자료로서불쾌지수가 이상이면모든사람이불쾌감을느끼고 75~일경우에는 50% 이상의사람들이불쾌감을느끼게된다. 본연구에서는 Table 1의체감도를활용하여불쾌지수의단계별특성을분석하였다 (http://www. kma.go.kr).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93 Table 1. The property of discomfort index range Level Range Bodily sensation Very high 100~ All the population feel the nasty heat High 75~ 50% of population feel the nasty heat Common 68~75 Indicate the nasty begin Low 0~68 All the population feel the comfort heat 3. 결과 일반적으로기온과습도가높아지면일반인이 느끼는더위에대한체감정도는높아진다. 여름 철의경우, 고온다습한북태평양기단의영향을 강하게받으면기온과습도가높아져불쾌감이 높아지게된다. 따라서연도별로고온다습한북 태평양기단의확장방향및정도를알아볼필요 가있다. 이를위해 NCEP/NCAR 의 500 hpa 고 도장의재분석자료를이용하여 2001~2010 년 기간동안의 5,8 gpm 평균장을분석하였다. 여름철중북태평양고기압이강하게확장되는 시기는 8 월이다. Fig. 2 는 2001~2010 년사이의 북태평양고기압이확장되는 8 월 5,8 gpm 의평 균고도장을나타낸자료로서설선은해당기간 동안의평균값이다. 짧은점선은 2006 년, 2007 년, 2010 년평균값으로북태평양고기압이강하게확 Fig. 2. The average distribution of the north Pacific high at August. solid : 2001~2010, short dash : 2006, 2007, 2010, dash : 2002, 2003, 2009. 장한다. 긴점선은 2002년, 2003년, 2009년의평균값으로고기압의확장이약하게나타난다. 고기압이확장하는점선의경우해당년도의불쾌지수가평균보다높게나타났고, 반대인긴점선의경우에는낮은분포를보였다. 일정기간의기후특성을분석하려면장기적인변동, 즉추세의변동을먼저파악할필요가있다. 따라서불쾌지수변동성을분석하기에앞서, 1981~2010 년동안의여름철불쾌지수와일평균기온의 10년평균값을분석하여기온변동에따른불쾌지수의변화경향을알아보았다. 일평균기온의 10년평균값은 1981~1990(19 년대 ) 22.7, 1991~2000 년 (1990년대 ) 22.8, 1991~2000 년 (2000년대) 23.1 로기후변화에따라점차상승하는경향을보인다. 불쾌지수의 10년평균값도 19년대 75.1, 1990년대 75.3, 2000년대 75.9 로기온의변화와동일하게증가하는추세를보이고있다. Fig. 3은한반도의연도별, 월별불쾌지수를나타낸것이다. 불쾌지수는연도별로차이를보이고있으나전체적으로상승하는경향을보이며, 여름철동안 이상으로불쾌감을나타내기시작하는단계를지속적으로유지하고있다. 불쾌지수가가장높았던해는 2010년으로불쾌지수가 77.4이고, 가장낮았던해는 2003년으로 74.5를나타냈다. 2002년과 2003년을제외하면여름철불쾌지수는 50% 이상이불쾌감을느끼는보통단계에속한다. 월별불쾌지수는 8월이 78.9로가장높고, 9월이 73.3으로가장낮았다. 이는김해
94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Fig. 3. The time series of the annual averaged discomfort index(2001~2010). 동 (1999) 이분석한월별불쾌지수분포결과와 비슷하다. 불쾌지수는 6~9 월모두상승하는경 향을보이고있으며, 상승추세는 8 월이다른월 에비해상대적으로크고, 7 월이작다. 월별불쾌 지수는 6 월과 9 월이보통이고, 7 월과 8 월이높은 단계에속한다. 7 월과 8 월은 6, 9 월에비해해마 다변화의폭이크게나타나고있다. 특히, 2006 년 8 월의경우 매우높음 단계로같은해 6, 7, 9 월에비해월등히높은지수값을나타냈으며, 2006 년과 2007 년의경우다른해에비해 7~8 월 간의불쾌지수변화폭이크게나타났다. 이는북 태평양고기압의영향으로그해 8 월의불쾌지수 가높았기때문이다. 불쾌지수의공간분포를살펴보기위하여남한 지역의불쾌지수월별분포도를 Fig. 4 에나타냈 다. 6 월의경우, 불쾌지수가해안지역은낮고, 내 륙지역을중심으로높게나타났으며, 남부내륙 일부지역에서 75 이상의분포를보였다 (Fig. 4(a)). 내륙지역의경우 Fig. 4(b) 와 (c) 에나타난것과 같이해안보다습도가낮음에도불구하고, 불쾌 지수가높게나타난것은태양복사로인해기온 이상승한영향으로보인다. 기온과습도가높은 7 월은장마로인한계절적 요인으로강원도를제외한전국이 75 이상의분 포를보인다. 강원도지역은다른지역에비해 위도대가높고, 대관령등고도가높은지역과 해양성기후의영향을받는지역들이많아 75 이하의낮은불쾌지수분포를보였다 (Fig. 4(d)~ (f)). 8월은위도와해발고도가높은강원산간지역을제외한한반도전역이 75 이상을나타냈으며, 다른지역에비해기온과습도가상대적으로높은전남해안, 서부경남지역, 제주지역은 이상의분포를나타냈다 (Fig. 4(g)~(i)). 9월의경우습도가내륙지역에서상대적으로높은분포를보이지만, 한반도전체적으로큰차이는없다. 다만, 남부지방으로갈수록기온이높아져제주북부일부지역만불쾌지수가 75 이상의분포를보였다 (Fig. 4(j)~(l)). 불쾌지수의일변화경향을알아보기위해시간별시계열을 Fig. 5에나타내었다. 하루 24시간중오후 2시~3시는다른시간대에비해불쾌지수가높아 ( 지수값 74.9) 50% 이상의사람들이불쾌감을느끼는단계에속했고, 오전 5시~6시는상대적으로불쾌지수값 ( 지수값.4) 이낮아쾌적한단계에속했으며, 오후 9시지수값은.6으로오전 9시지수값 71.3보다약 0.6 정도낮지만동일한단계에속했다. 일변동성도월별변화경향과마찬가지로 8월이가장높았다. 시간대별로 8월의 15시가 77.9로가장높았고, 6월 5시가 63.4로가장낮은지수값을보였다. 불쾌지수일변화의지역별분포를알아보기위해불쾌지수가가장높았던오후 3시와낮았던오전 6시의공간분포를월별로비교한결과, 오후 3시의경우에는대관령과영동지역을제외한한반도전역이높은지수분포를나타내며, 제주남부는매우높은단계의지수값을보였다. 특히, 오후 3시불쾌지수분포도는매월비슷한패턴을보이고, 월평균불쾌지수분포도와도거의유사한형태를나타내어, 시간적변화경향을반영하는것으로보인다 (Fig. 6). 오전 6시의불쾌지수분포도는 8월에제주도지역일부를제외하면전지역이보통또는낮은지수값을보였다.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95 Discomfort Index Temperature( ) Humidity(%) 85 75 65 (a) June T( ) 27 25 23 21 19 17 15 13 (b) June Hm(%) 88 84 72 68 (c) June 60 Discomfort Index Temperature( ) Humidity(%) 85 75 65 (d) July T( ) 27 25 23 21 19 17 15 13 (e) July Hm(%) 88 84 72 68 (f) July 60 Discomfort Index Temperature( ) Humidity(%) 85 75 (g) Augst 65 T( ) 27 25 23 21 19 17 15 13 (h) August Hm(%) 88 84 72 68 (i) August 60 Discomfort Index Temperature( ) Humidity(%) 85 75 65 (j) September T( ) 27 25 23 21 19 17 15 (k) September 13 Hm(%) 88 84 72 68 (l) September 60 Fig. 4. Monthly distributions of discomfort index, temperature and humidity(2001~2010).
96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Fig. 5. Diurnal variation of discomfort index. 불쾌지수에따른발생빈도경향분석을위해 낮음, 보통, 높음, 매우높음 의단계를기준으로연도별평균발생일수를구하였다 (Fig. 7). 여름철불쾌지수발생일수는 매우높음 이 27일, 높음 과 보통 이 45일, 낮음 이 6일로나타났다. 높음 과 매우높음 발생일은연도별로점차증가하는경향을보인다. 보통 과 낮음 의경우에는점차감소하고있으나 낮음 의경우감소경향이보통보다적게나타난다. 여름철에모든사람들이불쾌감을느끼는 ' 매우높음 ' 발생일은약 1/4정도차지하며, 그중 50% 가 8월에집중되어있다. 불쾌지수가낮았던해인 2002, 2003, 2009년의경우 ' 매우높음 ' 발생일수가평균적으로 12일정도적게나타났다. 불쾌지수가상대적으로높았던해인 2010년은 ' 매우높음 ' 발생일수가평균보다 16일많은것으로나타났으나 2006년, 2007년은평균보다 1~2일정도많은발생빈도를보인다. 한편, 2006년의경우불쾌지수가높은해이나 ' 높음 ' 단계의발생빈도 ( 평균 45일 ) 가 일로다른해에비해상대적으로적게나타났다. Table 2는불쾌지수의월별평균발생일수이다. ' 매우높음 ' 단계는해당기간중월평균 6.7일나타났고, 불쾌지수가가장높은 8월이 14.5일로가장많이발생하였다. ' 높음 ' 발생일수는평균 11.2일로발생빈도가 6~9월에걸쳐전반적으로골고루분포되어있고, ' 보통 ' 과 ' 낮음 ' 의경우에는 6월과 9월에집중하여나타났다. 매우높음 단계의지역별발생빈도는 6월의경우포항을중심으로동해남부지역과경남내륙일부지역에서 2일정도나타났다. 7~8월의경우발생빈도의지역분포가 Fig. 4(a) 의불쾌지수지역분포도와비슷한패턴을띠고있다. 합천의경우 7월에는 15.3일, 8월에는 23.9일로 7월과 8 월모두다른지역과비교하여가장많은빈도수를나타냈고, 대관령은 7~8월모두 0.4일로가장적은빈도수를보였다. 9월은대관령을제외한한반도전역에 매우높음 단계가나타났고, 서귀포를중심으로제주와남해안지방에는약 5 일정도현상이나타났다 (Fig. 7). 4. 결론본연구는 Thom의불쾌지수산출식에의해시간별로계산한불쾌지수중최고값을그날의불쾌지수로정의하고, 전국 60개지점을대상으 Table 2. Monthly frequency (day) of the discomfort index Month Very High High Common Low June 0.6 10.3 17 2.1 July 9.8 13.9 6.8 0.4 August 14.5 11.3 4.9 0.3 September 1.7 9.3 16.2 2.9 Mean 6.7 11.2 11.2 1.4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97 (a) June, 1500LST (e) June, 0600LST 85 73 85 73 (b) July, 1500LST (f) July, 0600LST 85 73 85 73 125 126 127 128 129 130 (c) August, 1500LST (g) Augst, 0600LST 85 73 85 73 125 126 127 128 129 130 (d) September, 1500LST (h) September, 0600LST 85 73 85 73 Fig. 6. Monthly distribution of discomfort index at 1500LST and 0600LST.
98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Fig. 7. Annual frequency (day) of the discomfort index. very high, high, common low 로 2001~2010 년동안여름철 (6~9 월 ) 의불쾌지 수특성을분석하였다. 불쾌지수는하루중오후 3시, 일년중 8월, 분석기간중 2010년이가장높은것으로나타났다. 지역별로는중부지방보다제주및남부지방이습도가높은해안보다내륙지방이, 북태평양기단의영향으로남서풍이강하게부는서해안보다차가운동풍이부는동해안이상대적으로낮은강원도지역이가장낮은분포를보였다. 특히, 강원도지역은지리적, 지형적특성으로인하여가장낮은불쾌지수값을나타내어다른지역에비해쾌적한지역에해당됨을알수있었다. 여름철불쾌지수는 이상으로불쾌감을나타내기시작하는단계를지속적으로유지하고있으 (a) June (b) July Day 4.5 3 1.5 0 Day 22 20 18 16 14 12 10 8 6 4 2 0 (c) Augst (d) September Day 22 20 18 16 14 12 10 8 6 4 2 0 Day 5 4.5 4 3.5 3 2.5 2 1.5 1 0.5 0 Fig. 8. The monthly distributions of frequency(level : very high).
한반도의여름철불쾌지수특성분석 99 며, 연도별로얼마간의차이를보이고있으나전체적으로상승하는경향을보이고있다. 월별상승추세는 8월이다른월에비해상대적으로크게나타났으며, 고온다습한북태평양고기압의세력확장이 7월과 8월의불쾌지수에큰영향을주는것으로보인다. 여름철에모든사람들이불쾌감을느끼는날은월평균 6.7일로발생일수는점차증가하는경향을보이며, 시간별, 지역별분포는월별지역분포와비슷한패턴을나타내지만, 월평균불쾌지수의높고낮음에따라그발생횟수가증감되지는않는다. RCP 4.5 시나리오에의하면 21세기말 (20 ~2099년 ) 에는강원내륙지역을제외한한반도전역이아열대기후로변화할것으로전망된다. 이러한미래기후변화에따른극한기후의전망과함께실생활에서가장활용도가높은무더위에대한체감도연구가산업및보건등다양한분야와협력하여불쾌지수를연구한다면에너지수급과같은정책적결정에기여할수있을것이다. 또한, 향후과거기후자료를이용하여다른계절의불쾌지수를분석하고, 기후변화시나리오에따른불쾌지수전망을통해미래의냉난방조건가이드라인을제시하거나범죄발생율, 상품별유통율등현상빈도에대한객관적기초자료로활용할수있을것으로기대된다. 감사의글본연구는환경부지원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의교육및연구활동을통해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기상청홈페이지, http://www.kma.go.kr ( 검색일 : 2012.4.20) 강철성, 2010, 불쾌지수에의한남한의기후지역구분, 교육연구논총, 31권 3호, 77-94.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평가보고서대 응을위한기후변화시나리오보고서 2011. 국립기상연구소, 2005, 생명기상기술개발연구 (Ⅰ), 연구보고서. 기상청, 2006, 보건분야산업기상정보산출기술개발, 최종보고서. 김금지, 여인애, 윤성환, 2011, 주요도시의폭염및열대야가능성에관한정량적검토,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술대회, 107-110. 김숙희, 김명애, 유인순, 1973, 여름철서울지방의불쾌지수조사, 과학교육학술지, 20-22. 김해동, 1999, 우리나라의불쾌지수분포특성연구, 환경과학논집, 4권 1호, 181-192. 변재영, 2010, 인지온도를이용한여름철폭염스트레스와일사망률증가와의관련성연구 (1991~2005, 서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6 권 3호, 253-2. 변재영, 2008, 한반도 2007년여름철인지온도특성연구, 한국기상학회대기제18권제2호, 1-146. 박종길, 정우식, 김은별, 2008, 폭염이일사망자수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권 5호, 523-5. Changnon, S. A., K. E. Kunkel, and B. C. Reinke, 1996, Impact and responses to the 1995 heat wave: A call to action, Bull. Amer. Meteor. Soc., 77, 1497-1506. Ebi, K. L., T. J. Teisberg, L. S. Kalkstein, L. Robinson, and R. F. Weiher, 2004, Heat watch/ warning systems save lives: Estimated costs and benefits for Philadelphia 1995-98, Bull. Amer. Meteor. Soc., 85, 1607-1073. Haines, A., and J. A. Patz., 2004,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 J. of Amer. Med. Assoc., 291, 99-102.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Jamason, P. F., L. S. Kallstein, and P. J. Gergen, 1997, A synoptic evaluation of asthma hospital admissions in New York City, Am.
100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 J. Respir. Crit. Care. Med., 156, 1-183. Kunkel, K. E., R. A. Pielke Jr., and S. A. Changnon, 1999, Temporal fluctuation i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that cause economic and human health impacts: A review, Bull. Amer. Meteor. Soc.,, 1077-1098. Pell, J. P., and S. M. Cobbe, 1999, Seasonal variations in coronary heart disease.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92, 689-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