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족 2. 친족생활 생활사 성균관대학교전보영
오늘의수업내용 PART 1 성 ( 姓 ) 사용의시작과확산 PART 2 족보와친족 PART 3 친족원의종류와 친족용어의변천 PART 4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PART 5 친족범위와친족호칭 PART 6 친족집단의기능
오늘의수업내용 PART 1 성 ( 姓 ) 사용의시작과확산
1. 삼국시대지배층부터사용하기시작 성 ( 姓 ): 친족간의관계파악하기위한것으로동성친 이성친을구별하고부계친 모계친을분류할수있는기준 - 삼국시대 : 우리나라에성 ( 姓 ) 이사용된시기 ( 예 ) 고구려주몽은고씨, 백제시조온조는부여씨, 신라의시조혁거세는박씨등 - 중국의영향으로성을사용하기시작 - 왕족과귀족의전유물 (20개정도의성이존재 ) 왕이성을하사 사회적특권부여
2. 신라말부터확산되기시작한성의사용 10세기전반 ( 신라말고려초 ) 고려중기조선후기 일부특권층에한정되어사용한성 ( 姓 ) 이전국으로확산 신라왕실의지방통제력상실평민층에서성 ( 姓 ) 사용천민층에서성 ( 姓 ) 사용 1909년민적법에제정되면서누구나법적으로성 ( 姓 ) 을갖게됨 본관신라말과고려초이후전국의각지역마다여러개의성 ( 姓 ) 이있게되었는데, 고려정부는수많은지방세력들의성 ( 姓 ) 을국가차원에서정리하면서성 ( 姓 ) 마다갖고있는지역명칭은본관 ( 本貫 ) 이생겨남
3. 중국과달랐던삼국시대친족관념 - 중국 : 부계적계보관념이철저 - 삼국시대 : 부계적계보관념이어야만한것이아니라모계쪽이나처쪽의계보를잇는경우도있음 ( 예 ) 신랑왕실계보 : 박-석-김 - 삼국시대에서는지역을단위로혈연관계가강했지만모계측의계보를따르거나혼인또는거주지역의영향을받으면서친족집단자체가혈연성과함께강한지연성을지녔기때문에지연은혈연못지않게중요하게인식
오늘의수업내용 PART 2 족보와친족
1. 고려시대에만들어진족보 - 고려시대의족보 : 내외 ( 內外 ) 조상의세계 ( 世系 ) 와족파를증빙하는자료 호적 ( 戶籍 ). 호구단자 ( 戶口單子 ), 씨족 ( 氏族 ), 세계도 ( 世系圖 ), 족도, 정안 ( 政案 ), 가보 ( 家譜 ), 가첩 ( 家牒 ), 가승 ( 家乘 ) 등으로불리우는고문서형태의족보들이존재 한글가승
1. 고려시대에만들어진족보 고려시대의족보의기능 - 개인의혈통과재산이부모양변을비롯한내외조상으로부터이어지게됨 - 귀족, 공신, 고급관원의내외자손들은과거와벼슬살이를위해자신의가계와신분을증빙하는근거로작성 - 친손과외손을구별하지않는비종법적인가족제도 서류부가혼, 자녀균분제, 자녀윤회봉사의 3가지특징이조선전기의가족및상속제도와성과본관그리고족보편찬에도영향을미치고있음
2. 족보편찬의목적 - 17세기후반 : 족보편찬이급증 - 시대적배경 1 16세기이래민중의성장에따라천민층이양인으로신분이바뀌는경향이높음 2 양란으로인한신분질서의해이해짐 3 문벌의식이더높아짐 양반가문, 신흥세력등들이모두자신의세계 ( 世系 ) 와족파를새로이규합 정리
2. 족보편찬의목적 - 조선시대에족보를가진다는것 = 양반의미 신분사회에서양반은사회적특권누림 반면, 상민과천민들은사회적천대와경제적부담을겪음 결과적으로, 부유한상민들은양반이되고자관직을사거나호적이나족보를위조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 족보의편찬체제 1 15세기의전반이전의보첩류 2 한국족보사상최초로편찬배포된 안동권씨성화보 를비롯한조선전기족보 3 17세기후반이후의조선후기족보류 조선시대친족제도의변화와그궤도를같이함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1) 15 세기의전반이전의보첩류 - 본인기준으로조상세계계보화한세계도본인기준자녀와내외손파계를정리한족도 본인의혈통유래추적한것 - 씨족, 세계도, 족도, 가첩류형태 - 입학, 응시, 초입사때제출하는 씨족, 또는관인의이력서인 정안 기재의자료로활용 - 당시자녀균분상속제와관련한상속범위와대체로일치 성리학자들은족보라기보다씨족지 ( 氏族誌 ) 라고봄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2) 조선전기의족보류 - 조선전기대표족보 : 15세기의 안동권씨성화보 16세기의 문화유씨보 - 중국에서는종법적친족제도아래서부계친족위주로족보가편찬되었지만조선전기의족보는처음부터자녀와사위, 내외손을동일하게실었음 - 조선전기의족보는기재내용과편찬과정에서부계씨족집단의기록인조선후기의족보나오늘날의족보와는다름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2) 조선전기의족보류 - 족보기재방식 1 아들과딸, 친손과외손이동일하게수록 안동권씨성화보 : 권씨는총수록인원 9,120중 867명에불과외손의외손으로이어지는가계가 6,7대에이르기도함 ( 예 : 서거정등권씨의외손이편집에참여 ) 2 출생순위별기재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3) 조선후기족보의체제 - 주자가례( 朱子家禮 ) 의보급에따라성리학적유교사회로전환 - 아버지의혈통을중심으로하는친족제도확립 - 여성의시집살이일반화 - 양자채택의일반화 - 장남을중심으로재산과제사의상속 외손은소략취급되거나아예사위만족보에오름 - 선남후녀방식의기재 - 오늘날의족보형식과유사
3. 조선시대족보편찬체제의변화 3) 조선후기족보의체제
4. 조선후기족보의왜곡상 - 17 세기이후 : 성보다본관에따라우열과품격의차등이있다는 의식이일반화 기성의명문거족에동화하기위하여본관을적극적으로바꾸어나감 - 특히 18 세기부터족보편찬을둘러싸고적서간또는사족 이족간의 갈등심각, 신흥세력은족보를사거나족보편찬경비를부담하면서 그집안족보에합보
4. 조선후기족보의왜곡상 - 조선후기에이르러서는성 ( 姓 ) 이없는천민층이양인화하면서성을갖게되었음에도불구하고새로운성씨출현은없었음 기존의유명성씨를선택혈연적으로아무런관련이없는성씨의족보에이름을올림셈 ( 예 : 조선초기 4,500여개성 오늘날 3,400여개불과 결과적으로, 족보는성과본관의역사를기록하고정리한것이아니라, 변화된최종적인결과만을수록 / 상당수의족보는가짜
5. 일제감정기이후의변화 - 한말과일제강점기 : 조선전기부터족보를편찬 발간했던명문거족들의 족보발간이활발, 북한지방과신흥세력들에의한족보창간도많음 - 일제시대 광복이후 : 고증없이조작되어있는것이대부분
오늘의수업내용 PART 3 친족원의종류와 친족용어의변천
1. 친족원의종류 친족이란? 가족의강한혈통주의가연장 확대되어의식되는범위 - 친족이라함은혈족을주축으로하여인척중에서긴밀한접촉을유 지하고있는사람들을지칭 - 한국인에게정신적안정을주는집단
1. 친족원의종류 기준범주내용 부모 부계친 ( 父系親 ) 모계친 ( 母系親 ) 아버지를통해서맺어진가족종족, 친족, 부당부, 모, 조부, 조모, 자, 여, 자부, 서, 손, 손녀, 형제, 자매등어머니를통해맺어진가족모족, 외척, 모당외조부, 외조모, 외숙, 외숙모, 이모, 이모부, 외종형제자매, 이종형제, 자매등
기준범주내용 1. 친족원의종류 혼인관계 부계친 남편을통해서맺어진친족 남편의부계친 ( 夫系親 ) ( 父系親 ) 과중복 남편, 시부, 시모, 시조부, 자, 어, 자부, 서, 손, 손녀등 성 ( 姓 ) 처계친 ( 妻系親 ) 동성친 ( 同姓親 ) 이성친 ( 異姓親 ) 아내를통해서맺어진친족처족, 인척, 처당장인, 장모, 처조부, 처조모, 처남, 처남댁, 처형, 처제, 동서, 처질, 처질녀등부계친 ( 父系親 ) 내친 ( 內親 ) 모계친, 처계친외친 ( 外親 )
1. 친족원의종류 - 삼족 ( 三族 ): 친족 ( 종족 ) + 모족 + 처족 친족분류의기존 - 친척 : 친족 + 외척 + 인척 일족이당제 ( 一族二黨制 ) - 우리나라의친족제도를설명할때사용하는용어 - 친족을종족, 모당, 처당으로구분하여일컫는것 - 삼족 ( 三族 ) 을동등한위치에놓는것이아니라부계친족을중심으로한친족제도를표시하는것
2. 친족용어의역사적변천 1) 신라시대의 골 과 족 - 자료 : 삼국사기, 삼국유사 등의사료와각종금석문등에나타난친족용어 - 족 ( 族 ) 이란용어가대체로골 ( 骨 ) 과동의어이거나골품에밀접한관련을가지고있음 - 자손이면친손 외손구별없이모두골이될수있음 - 족은왕의아들 딸 사위 친손 외손의범위와동의어이거나이와밀접한관계가있음, 적어도신라시대의족이조선후기의부계혈연집단을가리키는것은아님
2. 친족용어의역사적변천 1) 신라시대의 골 과 족 신라시대의 골 과 족 의배경 1 아들 친손 딸 사위 외손이모두왕위를계승 2 왕위를계승한사람은아들 딸 사위 친손 외손의차별이거의없이성골또는진골이라고하였음 3 왕과왕비및이들이낳은자손이면친손 외손의구별없이모두골이됨
2. 친족용어의역사적변천 2) 고려시대의족 ( 族 ) - 자료 : 고려사, 고려사절요, 묘지등 - 족 ( 族 ): 이성 ( 異姓 ) 의친족을의미하는경우와동성 ( 同姓 ) 의친족을의미하는경우모두사용 - 종 ( 宗 ): 동성친과이성친을구별하지않은채사용
2. 친족용어의역사적변천 3) 조선시대의부계친족 - 17 세기초 : 남편과처가동등한위치에서남편의부계친과모계친 그리고처의부계친이나모계친모두를족 ( 族 ) 이라고지칭 혈족이나인척구별없이모두족 ( 族 ) 이라고지칭한것을보면 고려시대의족 ( 族 ) 의의미와동일
2. 친족용어의역사적변천 3) 조선시대의부계친족 18세기이후 : 부계친과모계친의대한용어구별 1 18세기이후에나타나는제족 ( 諸族 ) 의족 ( 族 ) 이나문족 ( 門族 ) 은부계친만을의미 18세기이후의일반입양대상자는이미부계친만으로한정 동성동본의혈연관계자는보통성족 ( 姓族 ), 동성친 ( 同姓親 ), 동종 ( 同宗 ) 이라칭하고드물게는친족이라칭함 2 모계친은흔히이성친 ( 異姓親 ) 이나외친 ( 外親 ) 이라불림 ( 예 : 외4촌 이성4촌 )
오늘의수업내용 PART 4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1) 부계친족집단형성이전의고려 조선전기사회의성격 - 족보발간이씨족성립이나발달을의미하는것은아님 고려시대와조선전기의특징 1 족보기재 - 가족보다약간넓은범위의조상과자손수록 - 아들 딸을출생순서대로남녀차별없이모두기제 - 친손과외손모두기재 - 족보는자손보의성격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1) 부계친족집단형성이전의고려 조선전기사회의성격 2 가족형태 - 서루부가혼속의영향 - 자녀균분상속제 - 아들과딸 ( 사위 ) 또는부계의조상 ( 혹은친손 ) 과모계의조상 ( 혹은외손 ) 의차별이없음 - 묘지명 : 친손과외손모두기제 - 양자 : 아들이없어서양자를들이지않음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1) 부계친족집단형성이전의고려 조선전기사회의성격 조선후기의특징 1 족보기재 - 선남후녀의순서로남녀의서열차별화 - 외손의기록범위축소 2 종가사상 ( 宗家思想 ) 대두 - 아들이없는경우가계계승을위한양자들임 - 항렬자사용범위확대 3 상속 : 장남우선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2) 씨족집단의형성과대동항렬자의사용 - 족보의출현시기보다부계혈연집단으로서동족조직이형성된시기는훨씬후대 - 8촌의범위를씨족의최소단위라고한다면통제성과조직성을가진동족의출현은실제로조선후기인 16, 17세기이후 - 전반적으로외족과처족관계는약화되고부계집단이강화 조직적인동족집단형성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2) 씨족집단의형성과대동항렬자의사용 - 대동항렬자사용항렬자의사용은종족내의세대를표시함으로써종족인에있어서동배또는존속, 비속을뚜렷하게하려는취지에서나온것 종족내의질서와관련 cf) 고려시대 : 가족규모의항렬자사용
1. 씨족집단의형성과친족조직 2) 씨족집단의형성과대동항렬자의사용 - 조선후기씨족집단형성과때를같이하여전씨족에이루는대동 항렬자사용 이러한현상은부계친의집단이나조직이존재하였음을알려줌 항렬자 형제, 종형제, 재종형제등같은세대인사람의 이른두글자중같은글자를사용하는한글자
2. 부계혈연집단을나타내는용어 - 문중 ( 門中 ), 당내 ( 堂內 ), 종중 ( 宗中 ), 종족 ( 宗族 ), 종계 ( 宗契 ), 족중 ( 族中 ), 문당 ( 門黨 ) 등 이중문종과종중용어가많이사용 - 씨족 ( 氏族 ) 또는동족 ( 同族 ): 사회적으로뚜렷한조직체를갖고기능하는 친족 ( 예 ) 당내 ( 집안 ), 문종 ( 종족 ) 등 - 우리나라의경우씨족이나동족이형성된것은 17 세기전후
3. 부계친족조직 1) 당내 당내 ( 집안 ) - 고조할아버지를정점으로그자손을구성원으로하는집단 당내에포함되는친족을당내친 - 우리가자주사용하는큰집, 작은집이라는말도이당내의종가 ( 宗家 ) 와지손가 ( 支孫家 ) 를가리킬때에만사용 - 친소관계의척도인촌수도이당내안에서도적용 - 제사를함께하는범위 - 유복친의범위
3. 부계친족조직 1) 당내 제사를기준으로하는 4 종류의하위집단 부종 아버지의제사를위하여모이는자식들집단 조종 할아버지의제사를위하여모이는자손들집단 증조종 증조부의제사를위해모이는자손들집단 당내 고조부의제사를위해모이는자손들집단
3. 부계친족조직 1) 당내 당내 ( 집안 ) - 당내친의구성원은세대가바뀜에따라달라짐 오세즉천 ( 五世則遷 ) 4대봉사의대상이되지않는 5대조의위패는묘소로옮긴다는의미로, 5대조이상의조상제사는 1년에한번시제 ( 時祭 ) 로지냄 - 당내친은실제로많지않은인원으로구성되며예전에는한마을내에사는경우가많아일상생활에서서로돕고상호작용함
3. 부계친족조직 2) 문중 문중 ( 종중 ) - 시제 ( 時祭 ) 를위하여조직된집단 - 문중의초기형태는 16세기의출현, 이것이좀더조직화되고보편화된것은 17세기이후 - 조선후기로내려올수록문중의규모는점차확대 - 문중의구성원은당내와달리원칙상성과본을같이하면누구나구성원이됨 - 인원이많은관계로, 문중은유명한선조를정점으로하여그자손들이일단의파 ( 派 ) 를형성
오늘의수업내용 PART 5 친족의범위와친족호칭
1. 친족의범위 1) 친족의구분과촌수법 촌수법 - 친족간의원근을정하는계산법 - 세대원리와직계 방계원리를 4 3 2 5 4 6 각기촌수의한단위로하여상하좌우로 1 3 5 7 확대시킨것 自己 2 4 6 8 1 3 5 7 2 4 6 3 5 4
1. 친족의범위 2) 친족간의관계와법적친족범위 - 우리나라는 17세기이후유교문화의영향에따라선조중심적 (ancestor-centered) 인사상에서인위적인족보를과신하고, 부계혈족 부계친만을지나치게중시 - 자기중심적 (ego-centered) 인근친관계에대한고찰을소홀 - 남편의평등, 자유사상이보편화 1991년가족법개정
1. 친족의범위 2) 친족간의관계와법적친족범위 1991 년개정이전현재 범위 특징 1 8 촌이내의부계혈족 2 4 촌이내의모계혈족 3 夫의 8 촌이내의부계혈족 4 夫의 4 촌이내의모계혈족 5 妻의부모 6 배우자 1 가부장제적종법제에기초 2 유복친의범위에근거 3 父系, 母系의차별자유, 평등, 인간의존엄성 구현이라는민주주의이념에 배치된규정 8 촌이내의혈족부계 8 촌 모계 8 촌 4 촌이내의인척부계 4 촌 배우자 처계 4 촌 남녀평등을통한인간존엄및인간해방의실현을구현함
2. 친족호칭 1) 직접면접호칭 관계지시호칭 - 친족호칭 : 친밀한감정과존중의의식표현 - 직접면접호칭 : 직접대면하여부를때사용하는호칭 ( 예 ) 형에게 형 이라고부르는것 - 관계지시호칭 : 그친족원과의관계를나타내주는호칭 ( 예 ) 다른사람에게 이사람이저의 형 입니다 라고하는것
2. 친족호칭 2) 우리나라친족호칭의특징 - 한국인의친족호칭은주로공식성이나권위, 존경의표시기능 일본친족호칭 ( 직접호칭 ) 을사용할때세대의요인보다연령이나혼인여부의신분이우선 우리나라세대의요인이다른어느요인보다강조 ( 윗세대친족원의경우이름을부르지않고친족호칭만부름 )
2. 친족호칭 2) 우리나라친족호칭의특징 - 연령이아래인사람에게친족호칭이없는대신보조호칭을사용 예 ) 종자명제 ( 從子名制 ): ' 아범 ', ' 어멈 ' 과같이 자녀의이름에그자녀와의관계를붙여부름
2. 친족호칭 2) 우리나라친족호칭의특징 - 친족호칭을선택할때에세대나연령의요인이외에계보상의지위즉종손이냐, 지손이냐가중요한결정요인 - 근친자 : 세대 ( 世代 ) 의요인이중요원친자 : 연령의요인이중요 - 동일한친족에있어서도여자 남자, 모계친 부계친, ( 여자인경우 ) 부계친 ( 父系親 ) 부계친 ( 夫系親 ), ( 남자의경우 ) 처계친 부계친 ( 父系親 ), 방계친 직계친, 미혼자 기혼자더욱존중하는가치의식이친족호칭에나타나있음
오늘의수업내용 PART 6 친족집단의기능
1 조상의제사 - 조선시대문중이담당한가장중요한기능 숭조사상의고취가그중심 2 유교적혈연질서의수립과유지 - 유교적혈연질서를수립하고유지하기위한내용에는항렬과연령의존중, 종손과문장 ( 門長 ) 에대한존경과예의, 동종간의화목, 덕업상권 ( 德業相勸 ), 과실상규 ( 過失相規 ) 등이포함
3 길흉사에상호협조하는경제적기능 - 그러나우리나라의동족은생산의집단 x 일상생활의협동이나상부상조의기능도제사보다는弱 장례에서의협조를제외하고는대부분의상호교류가형제집단이나당내집단까지의범위에한정 4 조상의사회적지위의세습 - 한국의동본 [ 同本, 貫鄕 ] 에대하여언급할때제일먼저 서로의식하는것이위세집단으로서의기능적측면
( 예 ) 과거조상의사회적인지위에관한기록인족보와그밖의문서들소중히여기기 조상과관련이있는시설의건립및보전에협동하기 같은씨족원이선거후보로나오면문중표 씨족표몰아주기
THANK YOU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당신때문에행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