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 염직공예 장경희 ( 한서대 )
섬유분야 국가무형문화재제 14호한산모시짜기 국가무형문화재제 22호매듭장 국가무형문화재제 28호나주샛골나이 국가무형문화재제 32호곡성의돌실나이 국가무형문화재제 80호자수장 국가무형문화재제 87호명주짜기 국가무형문화재제 89호침선장 국가무형문화재제 107호누비장 국가무형문화재제 115호염색장 국가무형문화재제 119호금박장
염직분야 직조 : 한산모시짜기, 나주샛골나이, 곡성의돌실나이, 명주짜기 바느질 : 침선장, 누비장 장식 : 자수장, 염색장, 금박장 장신구 : 매듭장
직조 한산모시짜기 ( 모시풀에서실을얻어직물직조 ) 나주샛골나이 ( 목화솜에서실을얻어직물직조 ) 곡성의돌실나이 ( 삼에서실을얻어직물짜기 ) 명주짜기 ( 누에고치에서실을얻어직물짜기 )
직조 직조도구는모두동일, 제사과정만다름. 같은도구를이용, 여름에는모시, 삼베, 겨울에는무명, 명주를직조 직조과정 실을만드는제사과정 날실을거는정경과정 날실에풀을먹이는과정 베틀에서베를짜는직조과정 빨래하는정련과정
전통실만드는과정 한산모시짜기 ( 재료 : 모시풀 ) 모시수확 : 연 3~4회 초수 : 5월말 ~6월초 이수 : 7월하순 ~8월중순 삼수 : 9월상순 ~10월초
한산모시실만들기
한산모시실만들기
한산모시실만들기
나주샛골나이 ( 재료 : 목화 )
무명의제작과정재배와수확 씨앗기 솜타기 고치말기 실잣기 무명날기 베매기 무명짜기 11
씨앗기 ( 씨아틀 ) 솜타기 ( 대나무활 ) 고치말이 ( 고치말대, 말판 ) 실잣기 ( 물레 ) 배뽑기 ( 고무래 ) 12
나주샛골나이실만들기
곡성의돌실나이 ( 재료 : 삼 )
故김점순 ( 작고보유자 ) 베틀, 물레 15
곡성의돌실나이실만들기
양잠업 뽕나무를재배하여누에를쳐서고치를생산하는과정 제사업 생산된고치를원료로하여생사를생산하는과정 실써기 돌것 실내리기날실걸기풀먹이기베짜기 뽑아낸명주실끝을 물레 에건다음물레를돌려실을뽑는다 ( 잣는다 ). 물레질이끝나면 돌것 에타래실을걸어일정한속도로돌리면서 가락 에내려감는다. 가락
명주짜기 ( 재료 : 누에고치 )
부녀자들이명주길쌈 ( 명주짜기 ) 하는과정중 누에고치를끓는물에넣어실을뽑아내는과정 < 관련있는무형문화재및장인 > 중요무형문화재 제 87 호 명주짜기 (1988 년 4 월 1 일인정 ) 조옥이 (1920~ 2007) 1988 년 5 월 27 일보유자인정
왕챙이 ( 명주물레 ) 자새 ( 자애 ) 작은솥 바구니 젓가락
명주짜기실만들기
명주짜기 명주는누에고치에서풀어낸견사 ( 絹紗 ) 로짠무늬가없는평직직물 견사로만든견직물을 비단 이라고하지만견사종류와세직및무늬에따라종류다양 22
명주는뽕나무를재배하고누에를치는일부터시작 명주실은누에고치를끓는물에넣고실끝을풀어서자새 왕챙이등의기구로실켜기를해타래실을만든것 명주실로날실을날고베메기로날실에풀먹이기 도투마리에감아서베틀에올려잉아실을걸고날실끝을말코에매면 명주짜기준비를하고명주짜기. 23
직조과정 - 베날기
직조과정 - 베매기
직조과정 - 베짜기
한산모시짜기 ( 韓山모시짜기 ) 모시는오랜기간동안이용되어온직물로서일명저포 저치라고도하며, 모시나무가지를꺾어그껍질을벗긴것을재료로함 통일신라경문왕 ( 재위 861 875) 때당나라에보낸기록으로보아외국과의교역품으로이용되었음을짐작 모시풀은다년생으로뿌리쪽줄기가황갈색으로변하며, 밑의잎이시들어마를때수확 보통 1 년에 3 번정도수확하는데 6 월하순 7 월초, 8 월하순, 10 월초 10 월하순이며두번째수확한모시가품질이제일좋음 27
제작과정재배. 수확 태모시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굿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표백 잎처내고겉껍질벗기기 모시톱기 태모시 ( 모시올말리기 )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굿 28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모시짜는움 ( 통풍 ) 모시올꾸리감기 29
곡성의돌실나이 ( 谷城의돌실나이 ) 돌실 은전남곡성군석곡면을가르키는것 나이 는삼베를짜는일 ( 길쌈 ) 또는그러한기술을가진사람 삼국지 위서변진조와예전에따르면 뽕나무와누에를쳐겸포 ( 縑布합사비단 ) 를 만들었으며마포, 면포를만듦 삼베는 베 라고도불리며, 한자어로는마 마포 포라함 곡성의돌실나이는예로부터품질이우수하고섬세하여삼베의대명사로불림 전기신석기시대의유적인 궁산조개더미 에서뼈로만든바늘에실이감겨있는것출토고려시대에는중국으로수출, 문물교환의수단으로모시와함께사용조선시대에는면의재배로삼베의생산이약간줄어듦 30
삼베제작과정재배 수확 잎을훑은삼단을삼굿에넣고쪄서껍질을벗기고햇볕에말림 삼쪼개기 실을한올한올길게잇기 베한필의길이와삼베에따라몇올이들어갈지결정 풀먹이기 베짜기 31
김홍도자리짜기 김홍도길쌈 32
나주의샛골나이 ( 羅州의샛골나이 ) 노진남 나주샛골나이 : 전남나주시다시면소재지인옥당리일원에서직조되고있는전래의고운수직무명베를일컫는말 목화는식물자체를가리키는명칭으로면화 ( 綿花 ) 함 직조 : 목면 ( 木綿 ), 면포 ( 綿布 ) - 줄임목 ( 木 ) / 세목 ( 細木 ), 고양목 ( 高陽木 ) 무명이 10 새혹은 10 새모가되면세목에속하며세목은 11 새, 12 새까지생산 33
1969 년 07 월 04 일국가무형문화재 28 호지정 목화에서솜을뽑아만든무명짜기 나주샛골나이 목화솜을베틀에걸어짜낸무명은전통직물로서옷이나침구기타생활용품에사철광범위하게사용된다. 오늘날무명은기계로공장에서대량으로제작하며, 전라남도나주의샛골나이는전통적인수공예방식으로제작하는전통공예기술로서그명맥을잇고있다. 나주의 샛골 은마을이름이며, 여기에길쌈을의미하는 낳이 를합해 샛골나이 라고부르는것이다.
재료와도구 씨아틀물레베틀 1 년생초목인목화의씨앗을담고있는솜
제작과정 1. 씨앗기 2. 솜타기 씨아틀로목화의씨를뺀다음, 솜활로솜타기를한다. 솜이엉킨부분 없이잘부풀어퍼져야실을지을때굵기가고른실을만들수있다. 씨앗기솜타기고치말기실잣기베날기베매기무명짜기
3. 고치말기말판위에솜을펴놓고, 참대의말대를밖으로내밀어비비면서고치말기를한다. 4. 실잣기물레로실을뽑는과정이다. 손놀림의섬세도에의하여실의가늘기와균제도가좌우된다. 씨앗기솜타기고치말기실잣기베날기베매기무명짜기
5. 베날기 10개의실끝을 10개의구멍이뚫린고무래구멍에통과시켜한데모아날틀과걸틀을사용하여난다. 6. 베매기도투마리에감은후왕겨불을피워놓고, 날실에좁쌀풀을풀솔로먹여말린다. 씨앗기솜타기고치말기실잣기베날기베매기무명짜기
7. 무명짜기베틀로직물을짜는과정이다. 베틀로직물을짜는과정은날실개구, 씨실투입, 바디치기, 날실풀기, 직물감기등 5가지동작의반복운동에의해직물이짜여진다. 씨앗기솜타기고치말기실잣기베날기베매기무명짜기
나주샛골나이노진남의작품
염색의발생과기원 식물염색 : 자연에서자라는식물의잎과꽃, 열매, 수피, 심채, 뿌리등에포함된색소를추출하여염색 동물염색 : 동물의피나즙, 보라조개 (Tyrian purple), 붉나무에기생하는벌레집오배자, 선인장에기생하는벌레등으로염색 o 염색 : 인류가탄생하여색채를자연의재해나질병으로부터피하고, 굷주림을방지하기위해신을위로하고, 악귀를피하거나외적으로부터보호하기위해주술의방법으로이용되기함 o 매염제 : 염료를끓이는과정에서잡초, 볏짚, 보릿대, 콩대의잿물을사용하여염착이잘되는것을알게되면서사용하게됨 신체를가리기위한옷을아릅답게보이기위한것에서시작 자연의색을신체게옮겨장식하고싶은의지를가지면서염색공예발전 1856 년영국의퍼킨 (William Henry Perkin), 모브 (Mauve) 라는적자색 ( 赤紫色 ) 발견 41
빅토리아여왕이퍼킨의보랏빛물감에매혹되어공주의결혼식에모브드레스를착용 1862 년만국박람회의개막식에라일락빛드레스를착용하여여성들의선망이됨 군소 ( 보라조개 ) 로부터추출하는자연보라색빅토리아여왕 42
엘리자베스 2 세 1870 1881 43
염색식물종류 50 종, 매염재와염색법에의해 100 여가지의색채를낼수있음 식물염료 : 자연식물의잎과꽃, 열매, 수피, 심채, 뿌리등에포함된색소를추출 한색만염색되는단색성염료, 매염제결합으로많은색을얻는다색성염료 단색성염료 : 직접성염료, 건염염료, 염기성염료, 화염계염료등 직접성염료 : 염료에서가용성색소를추출하여그염색에서섬유를담가, 염색하는방법으로치자, 황백, 사프란, 울금등이여기에속하며, 염료를가늘게부수어물에달여서추출해염색하는경우가대부분건염염료 : ( 환원염 ) 물에불용성이므로알칼리성환원액으로용해하여염색한후공기중에서산화발색 - 요람, 인도남, 숭람, 대청, 유구남, 보라조개등염기성염료 : 다른염료와혼합하면침전을일으키고동물성섬유에는잘염색되지만식물성섬유에는선매염 ( 先媒染 ) 을해야염색이잘됨 - 황벽, 황련등화염계염료 : 매염제에의해염색을할수있으며압척초. 봉선화. 산남. 딸기. 황화등 다색성염료 : 식물염료의대부분이속함, 매염제에의하여여러색으로변화 - 꼭두서니, 자초 ( 지치 ), 밤, 도토리, 억새, 계장초, 괴화, 복목, 옥팍, 양매, 노목, 오배자, 상수리나무, 석류, 매실나무, 떡철쭉, 감, 홍로, 호도, 소방목, 동백, 소나무, 쑥, 차, 강황 ( 가열하여추출하거나찧어바로염색하는방법 ) 44
동물계에서얻어지는염료, 코치닐, 커미즈, 보라조개, 오배자 ( 붉은나무의벌레집 ), 홥한목충 (lac dye) 등매염을사용해야하므로매염염료라함 광물성염료 : 섬유를금속염으로처리한후염색하여섬유중에불용성안료를생성하는것으로자연염료중처음흙으로바르는광물질이용 ( 유기 / 무기 ) o 무기안료 : 산화물또는황화물이며고대에는천연상태의것을갈아서동굴의벽화를그릴때사용 - 물에풀어서채색하면금방벗겨지므로찹쌀미음, 아교, 동물기름전착제를사용하였으며현대에는콩즙을이용 - 벵가라, 황토, 연단 ( 鉛丹 ), 주 ( 朱 ) 군청 ( 群靑 ) 감청 ( 紺靑 ) 등 o 유기안료 : 일반적으로수지 (Lake) 라고하며용해한염료에조제를가한후추출하여수용성이되도록한것 - 남납은남봉채라고하며요람에서색소를순수하게추출하여봉상으로굳힌것인데회화용으로사용하며원경처리, 바위음영, 소나무잎새등에이용 45
매염제 ( 媒染劑 ) 철장, 조반, 명반, 백반, 녹반, 청반, 석회 ( 고막, 굴, 조개를태운가루 ), 막걸리, 식초, 현미초, 오미자초, 오매초, 술, 단술, 미음, 아교, 콩즙, 잿물등 - 잿물 : 볏짚, 찰벼, 명아주, 콩깍지, 메밀대, 홍화대, 쪽대,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나무, 뽕나무, 소나무, 다북쑥, 따복내등 우리나라천연염료는전통적으로오방색 ( 五方色 ), 오간색 ( 五間色 ) 두종류로구성 오방색 : 다섯가지방위를대표하는색을의미중앙과사방을기본으로황색 ( 黃色 )/ 중앙, 청색 ( 靑色 )/ 동쪽, 백색 ( 白色 )/ 서쪽, 적색 ( 赤色 )/ 남쪽, 흑색 ( 黑色 )/ 북쪽을뜻함동쪽 / 청룡 ( 靑龍 ), 서쪽 / 백호 ( 白虎 ), 남쪽 / 붉을주자를쓰는주작 ( 朱雀 ), 북쪽 / 검은현자를쓰는현무 ( 玄武 ) 나무 ( 木 ) ㆍ불 ( 火 ) ㆍ땅 ( 土 ) ㆍ금속 ( 金 ) ㆍ물 ( 水 ) 의오행 ( 五行 ) 을생성 오간색 ( 오방잡색 ) : 오방색을섞어서만든가운데색. 청과황의간색에는녹 ( 綠 ), 청과백의간색에는벽 ( 碧 ), 적과백의간색에는홍 ( 紅 ), 흑과적의간색에는자 ( 紫 ), 흑과황의간색에는유황 ( 硫黃 ) 색이있음 46
한양 ( 漢陽 ) : 조선의수도 / 현서울 한강의북쪽, 북한산남쪽에위치 ( 북쪽 ) 음 산 양 ( 남쪽 ) 햇볕이있는곳남쪽 / 양, 북쪽 / 음 강은파여있어북쪽 / 양, 남쪽 / 음 양 ( 북쪽 ) 강 음 ( 남쪽 ) 해가뜨는동쪽 : 생명, 탄생의땅 해가지는서쪽 : 어둠, 죽음의땅 [ 조선시대한양 ] 서쪽 : 감옥, 처형장등형벌및죽음관련기관배치처형장 고태골 / 고태골로간다 / 골로간다 / 골로보낸다 1970 년대까지형무소, 소년원, 화장터위치 47
한양의 4 대문 : 화, 목, 토, 금, 수오행 ( 五行 ) 에따라지어짐 火북 / 동冬 숙정문 肅靖門 : 고요하고안정되어있다 - 북쪽의문 金서 / 추秋 돈의문 敦義門 : 의를돈독케한다 - 서쪽의문 土보신각 水남 / 하夏 木동 / 춘春 흥인지문 興仁之門 : 어진덕을일으킨다 - 동쪽의문 ( 동대문 ) 숭례문 崇禮門 : 예를높인다 - 남쪽의문 보신각 ( 普信閣 ) : 아침 33 번, 저녁 28 번타종 - 임진왜란이전 종루 ( 鐘樓 ) 불림 - 광해군 11 년 (1619) 종각 ( 鐘閣 ) 제작 - 고종 1895 보신각 현판 48
상생 화火 목木 상극 토土 수水 금金 < 오행상생강극표 > 49
한성부지도 ( 크기 : 45 X 45, 제작시기 : 1901 년 ) 50
영조오순어연례 - 처용무 51
염색장 ( 쪽염재료 ) 천연염료 : 식물, 광물, 동물등에서채취한원료를그대로또는약간의가공을통해만든염료 염색종류 : 쪽염색 _ 쪽이라는식물에서추출한염료를가지고옷감등을물들이는것 나주지역에서는, 팔월초순경 60~70 cm정도자란쪽을 베어항아리에넣고삭힘
염색장 ( 쪽염재료 ) 쪽을채취한뒤, 이틀뒤쪽물에굴껌질을구워만든석회를넣으면색소앙금이가라앉으면서침전쪽이생김 침전쪽에잿물을넣고다시 7~10일동안발효시키면색소와석회가분리되면서거품이생기는데, 이과정을 ' 꽃물만들기 ' 라고하고이것을염료물감으로사용
염색장 ( 쪽염 )
염색장 ( 쪽염 )
화조도, 조선 19 세기, 기메박물관 56
감사합니다.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