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황유정 이경옥 ( 교통개발연구원, 성신여자대학교지리학과 ) 요 약 선캠브리아기의흑운모편마암으로이루어진지역은높은산지를이루며저산지는중생대쥬라기의대보화강암으로구성된다. 화강암은심하게풍화되어있으며절리의발달은불량하다. 토양은구릉지및산록에는배수가양호하거나약간불량한식질 ( 점토가 50% 이상 ) 내지식양질의적황색토와암쇄토가분포한다. 하천주변의충적지나중하류연안의충적지에서배수가불량한곳은사양질의충적토가분포한다. 이천지역은화강암의분포지역을중심으로저위평탄면이넓게분포하며경지로이용되어왔으며저위평탄면은산지전면에서부분적으로볼수있는산록완사면과소기복의구릉지이다. 하천의대부분은 1차수하천이고하계망은하계밀도가높으며전형적인수지상형태이다. 1차수하천의대부분은장마철을제외하고는건천이며하상엔모래가두껍게퇴적되어물이하상으로스며들면서흐른다. 하천주변에는넓은충적지와범람원이형성되어있다. 중부고속도로와국도등의교통망의발달과산업시설의입지가증가함에따라하천의수질이위협받고있으며구릉성경지들은시설의입지로전환될전망이다. 서 론 본조사지역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일환으로소평가단위중일부제외되었던, 대표산을중심으로실시하였다. 소권역 5-02 이천 광주지역의천덕봉 (634m), 국수봉 (427m) 일대는중부내륙에위치해있으며, 행정구역상이천시, 여주시, 광주시를포함한다. 대부분지역이중생대대보화강암이분포하고, 저위평탄면이넓게분포하여대체로산지발달이미약하다. - 1 -
황유정 이경옥 지 형 이천지역은화강암의분포지역을중심으로저위평탄면이넓게분포하며산지의발달이미약하다. 저위평탄면은산지전면에서부분적으로볼수있는산록완사면과소기복의구릉지이다. 주요하천연안을중심으로발달한충적지와충적지주변의낮은침식지로구성된다. 북서부의 600미터넘는산지를제외하고는 150~400미터의저산지가대부분이다 ( 그림 1). 높은산지는선캠브리아기의흑운모편마암으로이루어지고저산지는중생대쥬라기의대보화강암으로구성된다. 산지의고도차이는지질조건에따라지배된다. 편마암의산지는기암절벽이많고화강암산지는산정상부가매우둥근형태를띈다. 산록완사면과소기복의구릉지가넓게발달하는데, 이지역들은대부분화강암으로구성되었으며심층풍화를받았기때문에쉽게침식되어, 경사가완만해졌고기복도줄어들었다. 그림 1. 이천광주기복도 - 2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소기복의구릉지와산록완사면을침식하면서흐르는하천주변으로는넓은충적지가형성되었다. 심층풍화된화강암이넓게분포하기때문에유수에의한침식과이에따른퇴적이활발히진행되었다. 양화천과복하천연안에는넓은충적지가발달하였다. 634m의천덕봉이있는원적산은이천의북쪽에위치하며광주군과경계를이룬다. 원적산은서남쪽을향하면서정개산 (406m) 을이루고정개산은다시둔지산 (344m) 으로연결된다. 산지에는경사급변점이나타나는데급경사는 30~40 인배후산지와 1~4 인완만한사면이접하고있다. 경사가급한산지는편마암지역이며완경사지역은풍화에약한화강암지역이다. 하천의대부분은 1차수하천이고하계망은하계밀도가높으며전형적인수지상형태이다. 1차수하천의대부분은장마철을제외하고는건천이며하상에는모래가두껍게퇴적되어물이하상으로스며들면서흐른다. 하천주변에는넓은충적지와범람원이형성되어있다. 인공제방이증축된경우도있으나자연하도를유지하는경우도많다. 최근의도시인구집중과산업시설입지로인해수질이악화될우려가있다.( 그림 2) 그림 2. 이천광주하계망도 - 3 -
황유정 이경옥 지질과토양 대부분지역은중생대대보화강암이분포하며북서부의일부지역에서만선캠브리아기의흑운모편마암이나타난다. 흑운모편마암지역은높은산지를이루고편마구조를이룬다. 석영과장석의함유량이적어서암회색이며암석의주요구성광물은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칼리장석과흑운모, 각섬석, 백운모등이다. 대보화강암은변성암류를저반형태로관입하여형성되었다. 저반은마그마가지하깊은곳에서천천히식어형성된심성암체로지표에노출된화강암체가대략 200km2이상인경우이다. 화강암은심하게풍화되어낮은구릉지를형성하며구성광물은석영, 장석, 흑운모등으로이루어진다. 광물의특성상장석은회백색을띠며, 석영의투명한흰색과흑운모의검은색이합쳐지기때문에대부분회색을띤다. 대보화강암은석영, 장석, 흑운모등의조암광물들이입자상으로결합되어있다. 암석이풍화를받으며이들조암광물중장석입자가가장먼저풍화되며석영입자는원형을유지한채떨어져나온다. 이천의화강암은심하게풍화되어있어손으로만져도부서질정도이다. 저반형태로관입한화강암체의특성상절리의발달은불량하다. 토양은구릉지및산록에는배수가양호하거나약간불량한식질 ( 점토가 50% 이상 ) 내지식양질의적황색토와암쇄토가분포한다. 하천주변의충적지나중하류연안의충적지에서배수가불량한곳은사양질의충적토가분포하며, 지류하천연안의충적지에는사양질의배수가양호한회색토및적황색토가분포한다. 기 후 중부내륙에위치하여여름과겨울의특성이뚜렷한대륙성기후의성격을가진다. 이천 광주지역은중부내륙의산간지역에위치한중부내륙형기후이며한서의차가심하다. 연평균기온은 10.7 C, 1월평균기온은 -5.1 C, 8월평균기온은 25.3 C, 연평균강수량은 1,340mm 정도이며, 서리는 10월초순부터내려이듬해 4월초순에끝난다. 6~8 월에연평균강수량의 60% 가내린다. - 4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표 1. 월평균기온, 강수량및상대습도 ( 이천 ) 월 평균기온 ( C) 평균강수량 (mm) 상대습도 (%) 1월 -4.0 23.2 67.5 2월 -1.1 25.1 64.7 3월 4.7 49.6 62.6 4월 11.6 87.3 60.7 5월 16.9 98.5 64.9 6월 21.5 146.1 71.4 7월 24.6 328.3 79.3 8월 24.8 291.7 78.8 9월 19.4 158.8 76.0 10월 12.6 49.0 72.0 11월 5.2 46.4 70.8 12월 -1.3 25.4 70.1-5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 4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산정기호 : GM17 등급 I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위치시구 ( 군 ) 동 N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천덕봉 ( 사진중앙 ) 과원적산 ( 사진오른쪽봉우리 ) 정상. 두봉우리사이가군사격장으로이용되면서식생훼손이심각하고목본류식생피복이없음. 사진 - 6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B.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산정기호 : GM17 등급 :V 경기도광주시 ( 군 ) 도척면리 ( 동 ) 경위도 : E 위치시구 ( 군 ) 동 N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국수봉정상부. 경기도광주시도척면, 실촌면과이천시의경계를이루는산지임 사진 - 7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3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산정기호 : GM17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위치시구 ( 군 ) 동 N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정개산정상부. 조사지역의국수봉과천덕봉능선부중간에위치. 넋고개를통해광주시와이천시가연결됨. 정상부서사면에동원대학위치함 사진 - 8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4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 기타 ) 채석장기호 : GM27 등급 : I 경기도광주시 ( 군 ) 실촌면수양리 ( 동 ) 경위도 : E 127 23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0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 주 ) 대교에이스배후사면의채석장. 암석의채석을위해산지경관의심각한훼손진행. 사진 - 9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5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산록완사면기호 : GM04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3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8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정개산, 천덕봉, 원적산의남사면으로발달한산록완사면. 광주시쪽북사면과이천시쪽남사면의경관차이. 완경사지를이용한목장과산수유재배농장입지. 사진 - 10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6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구릉지기호 : GP02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7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9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원적산에서신대리로이어지는완사면상의개석산지. 주로목본류의식생으로피복되어구릉지사이의농경지와토지이용대조. 사진 - 11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7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저위평탄면기호 : GM08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면리 ( 동 ) 경위도 : E 위치시구 ( 군 ) 동 N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이천시가위치하고있는평탄면. 경기남부화강암대의차별침식에의해형성된구릉지와하천변의범람원으로구성. 사진 - 12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8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 4 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구릉지기호 : GP02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도봉리 ( 동 ) 경위도 : E 127 27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9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연속적으로분포하는해발 50m 이내의구릉지사이에형성된경작지. 경지율이높은이천시는구릉지와범람원이논과밭으로이용됨 사진 - 13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9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풍화층기호 : GW18 등급 : I 경기도이천시 ( 군 ) 백사면백우리 ( 동 ) 경위도 : E 127 31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9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이천시백사면백우리백우마을도로변노두. 기반암의풍화층이형성되어있음. 사진 - 14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0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풍화층기호 : GW18 등급 : I 경기도여주시 ( 군 ) 산북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5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3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경기도여주군과광주군을연결하는남이고개도로변노두. 기반암의풍화층이형성. 사진 - 15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1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풍화층기호 : GW18 등급 : I 위치 경기도광주시 ( 군 ) 도척면진우리 ( 동 ) 경위도 : E 127 20 시구 ( 군 ) 동 N 37 18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국수봉서사면의성분도장애인직업재활원주변의노두. 기반암의풍화층으로구성. 사진 - 16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2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매스무브먼트기호 : GW27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4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8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정개산등산로변의매스무브먼트로형성된사면. 기반암의침식으로형성된암편의사면이동으로형성. 사진 - 17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3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토양포행사면기호 : GW14 등급 : V 위치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4 시구 ( 군 ) 동 N 37 19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정개산등산로변의토양포행사면. 등산로변토양침식을막기위한목도의기둥이토양포행으로파괴. 사진 - 18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4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곡저평야기호 : GP03 등급 : V 경기도여주시 ( 군 ) 산북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7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3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경기도여주군산북면면소재지. 용담천상류의개석산지와곡저평야에취락이입지하고광주군을연결하는주요교통로형성. 주변산지로골프장건설. 사진 - 19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5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 4 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구릉지기호 : GP02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백사면신대리 ( 동 ) 경위도 : E 127 28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8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신대리의구릉지에형성된경작지. 완경사의남사면으로많은일사량을이용한밭작물의재배. 사진 - 20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6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포인트바기호 : GS22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8 위치시구 ( 군 ) 갈산동 N 37 17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이천시를관통하는신둔천과복하천이합류하는지점. 포인트바지형이발달. 사질의하상으로구성. 주변에이천시하수종말처리장이위치. 사진 - 21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7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기타 ( 하천습지 ) 기호 : GS37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8 위치시구 ( 군 ) 증포동 N 37 17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증포교부근의신둔천하도. 비교적시가지와인접한유로를형성하고있지만하도는자연성을유지하며, 하도양안으로풍부한습지식생이분포하고수질도양호함 사진 - 22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8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배후습지기호 : GS20 등급 : V 경기도여주시 ( 군 ) 흥천면복대리 ( 동 ) 경위도 : E 127 32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2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복하천이남한강으로합류하는지점주변의배후습지. 하천유량의증가시범람하는지역으로풍부한습지식생이분포. 사진 - 23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19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기타 ( 하구충적지 ) 기호 : GS37 등급 : V 경기도여주시 ( 군 ) 금사면금사리 ( 동 ) 경위도 : E 127 32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4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금사천이남한강으로합류하는합류부에형성된퇴적지형. 인공제방이축조된외부로는수변습지가형성되어있고, 금사면쪽으로는대규모경작지로활용. 사진 - 24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0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하천퇴적물기호 : GS28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흥천면다대리 ( 동 ) 경위도 : E 127 31 30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9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이천시흥천면다대리송말천하상. 백사면에서발원하여흥천면에서복하천으로합류하는송말천주변으로는넓은농경지가형성되어있으며, 화훼단지도인근에조성되어있다. 사진 - 25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1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천덕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하천퇴적물기호 : GS28 등급 : V 경기도이천시 ( 군 ) 백사면신대리 ( 동 ) 경위도 : E 127 27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8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신대천하상. 원적산산지에서발원하여남류한후신둔천에합류하는지류하천으로대표적인신둔천은하천의규모는작지만주변농지의주요농업용수원기능을담당. 사진 - 26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2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인공하천기호 : GS27 등급 : I 경기도이천시 ( 군 ) 신둔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2 위치시구 ( 군 ) 동 N 37 20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곤지암휴게소부근의신촌천하상. 비교적급경사를보이는신촌천의하상에는하천관리를위한계단상의보를연속적으로설치하여운영. 하도내에는다양한식생이성장. 사진 - 27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3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인공하천기호 : GS27 등급 : I 경기도이천시 ( 군 ) 호법면안평리 ( 동 ) 경위도 : E 127 25 30 위치시구 ( 군 ) 동 N 37 14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양화천의하도. 이천시마장면표교리에서발원하여복하천으로합류하는양화천의하상에는하천관리를위한수중보가설치운영. 하도내풍부한식생을사이로비교적자유곡류의형태도하천유로형성. 사진 - 28 -
이천 광주지역의지형경관 (2004)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4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인공하천기호 : GS27 등급 : I 경기도이천시 ( 군 ) 면리 ( 동 ) 경위도 : E 127 27 30 위치시구 ( 군 ) 창전동 N 37 17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중리천하도. 이천시중심시가지를흐르는대표적지류하천으로율리천과함께시가지주변부의경작지에주요용수원역할을하며복하천으로합류한다. 하도양안으로는콘크리트옹벽을이용한인공제방이축조되어있고제방위로는농기계의이동로가되는소로가형성되어있다. 사진 - 29 -
황유정 이경옥 지형경관조사표 조사자 : 황유정, 이경옥소속 : 교통개발연구원 No. 25 지역소권역이천 광주조사일자도엽명지형도평가단위 A. 국수봉 2004년 4월도엽번호 지형명칭 : 기타 ( 저수지 ) 기호 : GS37 등급 : V 경기도광주시 ( 군 ) 도척면진우리 ( 동 ) 경위도 : 위치시구 ( 군 ) 동 N 규모높이 : m 폭 : m 넓이 ( 가로 세로 ) : 특징 진우저수지. 하계망의발달이미약하고비교적하천의유량이적은광주시산지의경우중소규모의저수지를축조하여각종용수원으로이용. 사진 - 30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 천덕봉, 국수봉 - 김영동 김성희 ( 한림대학교생물학과 ) 요 약 소권역 5-2( 광주 이천 ) 의 2개평가단위에대해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을포함한식물상조사를수행하였다. 대표단위천덕봉에는 2004년 4월말부터 10월초에걸쳐채집조사활동을수행하여채집된표본을정리, 동정하였으며이번조사에서는 64과 145속 152종 3아종 17변종 3품종의관속식물의분포를확인하였다. 천덕봉의식물상을가장대표할만한지역은원적봉정상에서낙수대쪽으로내려오는계곡일대와영원사주변, 흥천면에서천덕봉으로향하는계곡주변이었다. 이지역에천덕봉식물종의약 80% 가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이천시에인접해있는이지역은원적봉과천덕봉사이의능선을따라북동쪽사면이군부대사격장으로사용되고있으며, 남서쪽사면은군부대훈련장으로사용되고있어서화재등으로인하여산림이많이훼손되어식물상이매우빈약한편이었다. 본조사에서생육하는것으로확인된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은 1등급분류군인범꼬리, 야광나무, 앵초, 조개나물, 2등급분류군인돌양지꽃, 복자기, 3등급분류군인꼬리조팝나무가대표단위인천덕봉에일부서식하는것으로밝혀졌다. 그이외의조사지역인국수봉에서는 1등급분류군인물양지꽃이조사되었다. 서 론 본조사는제2차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의일환으로경기도이천시에인접한천덕봉일대의식물상과특정식물종들의실태를파악하여국토의효율적인보존과이용에기초자료를제공하는목적하에진행되었다. 본조사지역인소권역 5-2( 광주 이천 ) 는행정구역상경기도광주시실촌면실촌리와이천시백사면소전리, 도립리등에걸쳐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을포함한식물상의조사범위는대표단위인천덕봉 (634.5m) 을중심으로서남쪽에있는국수봉 (427.7m) 를포함한다. 전체식물상과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에대한조사가함께수행된대표단위인천덕봉은행정구역상경기도광주시실촌면과이천시백사면, 흥천면, 신둔면에속하는 - 31 -
김영동 김성희 해발 634.5m의산지이다. 지리적으로는북위 37 22 30 37 19 30 와동경 127 24 00 127 30 00 의사이에위치하며, 북서쪽과남동쪽사면은다소가파르고, 그이외의사면은비교적완만하다. 이지역은군부대사격연습장이있어서화재가자주발생하고, 계곡주변에조류사육농가가많아서식생이계속손상되고있는곳이다. 따라서확증표본의제시를통한본격적인식물상의조사를통해본지역의식물상변화에대한지속적인감시가필요한실정이다 조사지및조사방법 소권역 5-2( 광주 이천 ) 의대표단위인천덕봉에대해서는이지역에자리고있는관속식물을채집, 압착, 건조하여석엽표본으로제작하였으며, 그외의평가단위 ( 국수봉 ) 에서는대표단위지역에분포하지않는식물종을중심으로조사하였다. 본조사는 2004년 4월부터 10월사이에이루어졌으며, 이기간동안모두다섯차례에걸쳐방문조사하였다. 채집된식물은야외에서곧바로표본으로제작하였으며, 특정식물종에대해서는이들의생육환경, 분포현황등을비롯한생태학적정보를기록하는방법으로정밀생태조사를수행하였다. 대표단위지역의일반식물상과특정식물종의표본은종류에따라한개체혹은여러개체의중복표본을제작하여확증표본으로삼았으며이들은국립환경연구원표본관에소장되었다. 채집된표본은원색대한식물도감 ( 이, 2003),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 이, 1996), 및귀화식물도감 ( 박, 1999) 을이용해동정하였다. 식물표본목록작성시에속 (genus) 이하는알파벳순서에따라서정리하였고, 과 (family) 이상의배열은 Fuller와 Tippo의분류체계를따른원색대한식물도감 ( 이, 2003) 을참고하였으나피자식물의경우계통관계를고려하여단자엽과쌍자엽식물의순서를바꾸었다. 각평가단위에대한환경부지정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의목록작성과평가점수의계산은환경부의조사지침 ( 환경부, 2001) 을따랐다. 특히식물구계학적 5-3등급에속하는특정식물종 ( 환경부, 2001) 에대하여서는그목록을기재하였다. 표 1. 특정식물종을포함한일반식물상조사일정 조사지역 ( 고도 ) 천덕봉 (634.5m) 원적봉 (563.5m) 정계산 (433.3m) 국수봉 (427.7m) 조사일자 2004. 4. 22; 5. 14; 7.27; 8. 19; 10. 7 2004. 4. 22; 5. 14; 7.27; 8. 19; 10. 7 2004. 4. 22; 5. 14; 7.27; 8. 19; 10. 7 2004. 5. 14; 7.27; 10. 7-32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그림 1-1. 소권역 5-2( 천덕봉 ) 의식물상조사경로 (- - - - 조사경로 ) 그림 1-2. 소권역 ( 국수봉 ) 의식물상조사경로 (- - - - 조사경로 ) - 33 -
김영동 김성희 결과및고찰 1. 천덕봉 ( 대표단위 ) 의일반식물상본조사기간 (2004년 4월~2004년 10월 ) 동안주요조사지역인천덕봉을포함하는전지역에서채집된식물표본을조사한결과, 이지역에생육하는관속식물은 64과 145속 152종 3아종 17변종 3품종으로총 175분류군이있었으며, 그목록은부록 1에수록하였다. 천덕봉의식물상을가장대표할만한지역은원적봉정상에서낙수대쪽으로내려오는계곡일대와영원사주변, 흥천면에서천덕봉으로향하는계곡주변이었다. 이지역에천덕봉식물종의약 80% 가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위지역중영원사주변의계곡과원정봉에서낙수대로연결되는계곡주변에는앵초, 고사리류, 노루오줌, 참꽃마리등이많이분포하고있었고, 원적봉에서정계산에이르는능선지대에는개옻나무, 애기나리및둥굴레가군락을형성하고있었으며, 척박한지역에서식하는식물종이여러종있었다. 특이한사항은임도를따라서외래식물인돼지풀이많이분포하고있는점인데, 이는임도공사와함께유입된것으로추측된다. 2. 각지역의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본조사에서확인된식물구계학적 5등급-1등급특정식물종은표 2에제시하였다. 천덕봉을포함한소권역 5-2( 광주 이천 ) 에서 1등급에속하는 5분류군, 2등급에속하는 2 분류군과 3등급에속하는 2분류군의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이분포하는것으로밝혀졌다. 이중 7분류군은대표단위인천덕봉에서확인되었고, 나머지 2분류군은국수봉에서확인되었으며, 이들에대한평가점수는표 3-1, 2에기록되었다. 3.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의정밀생태조사조사지역전체에서발견된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중 3등급에속하는꼬리조팝나무에대해정밀조사를수행하였으며, 이에대한상세한분포및생육특성은다음과같다. 가. 꼬리조팝나무 (Ⅲ) : 영원사에서흥천면으로향하는임도왼쪽의계곡에분포하고있다. 해발 350m의혼효림지대에 3개체가불연속적으로분포하고있다. 표 2. 평가단위별식물구계학적 V-III 등급종의목록 천덕봉국수봉비고 꼬리조팝나무 (III) 출현종수 1 분류군 0 분류군 - 34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표 3-1. 소권역 5-2 의대표단위 ( 천덕봉 ) 의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및평가표 대표단위명등급구분 식물명 ( 학명 ) 평가점수 ( 각종당 ) 출현종수평가점수비고 Ⅲ 등급종꼬리조팝나무 6 1 6 Ⅱ 등급종 Ⅰ 등급종 돌양지꽃복자기 범꼬리야광나무앵초조개나물 4 2 8 2 4 6 합계 7 분류군 20 표 3-2. 소권역 5-2 의국수봉의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종및평가표 대표단위명등급구분 식물명 ( 학명 ) 평가점수 ( 각종당 ) 출현종수평가점수비고 Ⅰ 등급종물양지꽃 2 1 2 합계 1 분류군 2 참고문헌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환경부, 2001.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박수현, 1999.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구자옥외, 2002. 한국의잡초도감. 한국농업시스템학회. 서울. 윤평섭, 1989. 한국원예식물도감. 지식산업사. 서울. 국가표준식물목록 ( 산림청 ), http://152.99.197.75:9090/ - 35 -
김영동 김성희 부록 1. 이천 광주지역의소산식물목록 ( 천덕봉, 국수봉 )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Equisetaceae 속새과 Equisetum arvense L. 쇠뜨기 1107-1109 Aspleniaceae 꼬리고사리과 Asplenium trichomanes L. 차꼬리고사리 1125 Athyrium niponicum (Mett.) Hance 개고사리 1106 Aspidiaceae 면마과 Dryopteris varia (L.) Kuntze 족제비고사리 1126-1127 Salicaceae 버드나무과 Salix gracilistyla Miq. 갯버들 1243-1244 Betulaceae 자작나무과 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물오리나무 1240-1241 Fagaceae 참나무과 Quercus aliena Blume 갈참나무 1128-1130, 1242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신갈나무 1104-1105, 1110-1111 Cannabinaceae 삼과 Humulus japonicus Sieboid & Zucc. 환삼덩굴 1112, 1122-1124 Urticaceae 쐐기풀과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좀깨잎나무 1245-1246 Pilea mongolica Wedd. 모시물통이 1008, 1011 Polygonaceae 마디풀과 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범꼬리 1113-1114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이삭여뀌 1010, 1247-1248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개여뀌 1103, 1115-1116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며느리배꼽 1009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ex Nakai 고마리 1131-1133 Persicaria vulgaris Webb & Moq. 봄여뀌 1135-1136 Rumex acetosa L. 수영 1238-1239 Chenopodiaceae 명아주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명아주 1007 Amaranthaceae 비름과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쇠무릎 1249-1250 Phytolaccaceae 자리공과 Phytolacca americana L. 미국자리공 1101-1102 Caryophyllaceae 석죽과 Arenaria serpyllifolia L. 벼룩이자리 1117-1119 Cucubalus baccifer var. japonicus Miq. 덩굴별꽃 1134-36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큰개별꽃 1251-1257, 1259 Stellaria aquatica (L.) Scop. 쇠별꽃 1120-1121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Clematis apiifolia DC. 사위질빵 1096-1100, 1237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으아리 1012, 1271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Mori 할미꽃 1013 Ranunculus chinensis Bunge 젓가락나물 1137-1138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Regel & Tiling 꿩의다리 1258 Lauraceae 녹나무과 Lindera obtusiloba Blume 생강나무 1260-1261 Papaveraceae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애기똥풀 1262-1263, 1267-1268 Fumariaceae 현호색과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현호색 1002-1003 Corydalis speciosa Maxim. 산괴불주머니 1272-1273 Cruciferae 십자화과 Arabis glabra Bernh. 장대나물 1274-1275 Capsella burapastoris (L.) L.W.Medicus 냉이 1094 Cardamine flexuosa With. 황새냉이 1264-1266 Cardamine leucantha (Tausch) O.E.Schulz var. leucantha 미나리냉이 1139 Dontostemon dentatus (Bunge) Ledeb. 가는장대 1095 Draba nemorosa L. for. nemorosa 꽃다지 1235-1236 Saxifragaceae 범의귀과 Astilbe rubra Hook.f. & Thomson 노루오줌 1004-1005, 1092-1093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1140-1141 Rosaceae 장미과 Agrimonia pilosa Ledeb. 짚신나물 1014-1016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 Miq. 뱀딸기 1001 Malus baccata Borkh. 야광나무 1233-1234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1269-1270 Potentilla dickinsii Franch. & Sav. var. dickinsii 돌양지꽃 1232 Potentilla freyniana Bornm. 세잎양지꽃 1276-1277 Potentilla yokusaina Makino 민눈양지꽃 1405-1406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Wilson 벚나무 1090-1091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찔레꽃 1283-1284 Rubus crataegifolius Bunge 산딸기 1278-37 -
김영동 김성희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Rubus parvifolius L. 멍석딸기 1142-1144 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팥배나무 1285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 1231 Spiraea salicifolia L. 꼬리조팝나무 1145-1146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국수나무 1404 Fabaceae 콩과 Amorpha fruticosa L. 족제비싸리 1017 Amphicarpaea bracteata subsp. edgeworthii 새콩 1006 (Benth.) H.Ohashi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1080-1081, 1087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1286, 1288-1289 Lespedeza xnakaii T.B.Lee 꽃참싸리 1088 Pueraria lobata (Willd.) Ohwi 칡 1147-1148, 1279-1281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1290-1291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고삼 1089, 1226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1287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 광릉갈퀴 1282 Geraniaceae 쥐손이풀과 Geranium thunbergii Siebold & Zucc. 이질풀 1018-1019 Oxalidaceae 괭이밥과 Oxalis corniculata L. 괭이밥 1403 Rutaceae 운향과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 산초나무 1076-79, 1227 Euphorbiaceae 대극과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광대싸리 1292-1293 Anacardiaceae 옻나무과 Rhus tricocarpa Miq. 개옻나무 1296 Staphyleaceae 고추나무과 Staphylea bumalda DC. 고추나무 1223-1224 Aceraceae 단풍나무과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Maxim.) Wesm. 신나무 1228-1230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1149 Balsaminaceae 봉선화과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물봉선 1150, 1225 Vitaceae 포도과 Ampelopsis brevipedunculata (Maxim.) Trautv. 개머루 1294-1295 - 38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Hypericaceae 물레나물과 Hypericum ascyron L. 물레나물 1022-1024 Violaceae 제비꽃과 Viola acuminata Ledeb. 졸방제비꽃 1082-1084 Viola mandshurica W.Becker 제비꽃 1220-1222 Onagraceae 바늘꽃과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1151-1152 Elaeagnaceae 보리수나무과 Elaeagnus umbellata Thunb. 보리수나무 1020 Umbelliferae 산형과 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 Sav. 바디나물 1072-1073 Angelica grosseserrata Maxim. 신감채 1153-1154 Cornaceae 층층나무과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산수유 1212-1214 Pyrolaceae 노루발과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노루발 1085-1086 Ericaceae 진달래과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 1021 Rhododendron schippenbachii Maxim. 철쭉 1074-1075 Primulaceae 앵초과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봄맞이 1025-1028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큰까치수영 1215, 1297-1299 Primula sieboldii E.Morren 앵초 1071 Symplocaceae 노린재나무과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Nakai) Ohwi 노린재나무 1210-1211 Styracaceae 때죽나무과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쪽동백나무 1216-1217 Oleaceae 물푸레나무과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1300-1301 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 쥐똥나무 1069-1070, 1218-1219 Gentianaceae 용담과 Gentiana squarrosa Ledeb. var. squarrosa 구슬붕이 1155 Gentiana zollingeri Faw. for. zollingeri 큰구슬붕이 1065 Convilvulaceae 메꽃과 Cuscuta australis R.Br. 실새삼 1302-1303 - 39 -
김영동 김성희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Borraginaceae 지치과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꽃마리 1066-1068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Hara 참꽃마리 1199-1201 Verbenaceae 마편초과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누리장나무 1304-1305 Lamiaceae 꿀풀과 Ajuga multiflora Bunge 조개나물 1202-1204 Clinopodium chinense var. grandiflora (Maxim.) Kitag. 층층이꽃 1063-1064 Elsholtzia ciliata (Thunb.) Hyl. 향유 1029 Isodon inflexus (Thunb.) Kudo 산박하 1198, 1205-1207 Lamium amplexicaule L. 광대나물 1310-1311 Leonurus japonicus Houtt. 익모초 1306-1307 Mosla punctulata (J.F.Gmelin) Nakai 들깨풀 1197 Phlomis umbrosa Turcz. 속단 1208, 1312 Solacaceae 가지과 Solanum nigrum L. var. nigrum 까마중 1308-1309 Scrophulariaceae 현삼과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주름잎 1209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Nakai ex Beauverd 알며느리밥풀 1156-1157, 1195-1196 Siphonostegia chinensis Benth. 절국대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for. linariifolia 꼬리풀 1031 Phrymaceae 파리풀과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Hara 파리풀 1062, 1192-1194 Plantaginaceae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L. 질경이 1030, 1032-35 Rubiaceae 꼭두서니과 Galium dahuricum Turcz. 큰잎갈퀴 1158-1159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on (Wallr.) Hayek 갈퀴덩굴 1190-1191 Rubia akane Nakai 꼭두선이 1316-1317 Caprifoliaceae 인동과 Weigela subsessilis L.H.Bailey 병꽃나무 1313-1315, 1318-1320 Valerianaceae 마타리과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마타리 1036-37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뚝갈 1061 Campanulaceae 초롱꽃과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Hara 잔대 1321-40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도라지 1325-1326 Asteraceae 국화과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1043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산쑥 1322-1324 Aster ageratoides Turcz. var. 까실쑥부쟁이 1328-1329 Bidens tripartita L. 가막사리 1160-1161 Breea segeta (Willd.) Kitam. 조뱅이 1327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o 이고들빼기 1042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k & Kawano 고들빼기 1187-1188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산국 1330-1332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1333-1335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등골나물 1189 Hemistepa lyrata Bunge 지칭개 1336 Heteropappus meyendorfii (Regel & Maack) Kom. & Klob.-Alisova 개쑥부쟁이 1059-1060 Ixeridium dentatum (Thunb.) Tzvelev 씀바귀 1338-1341 Ixeris polycephala Cass. 벌씀바귀 1343-1346 Kalimeris yomena Kitam. 쑥부쟁이 1337, 1342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Kuntze) H.Hara 왕고들빼기 1038-1041, 1044 Petasites japonicum (Siebold & Zucc.) Maxim. 머위 1354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s Bailey 겹삼잎국화 1347-1348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미역취 1162 Hara var. Taraxacum coreanum Nakai 흰민들레 1185-1186 Taraxacum ohwianum Kitam. 산민들레 1058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솜방망이 1349-1350 Youngia japonica (L.) DC. 뽀리뱅이 1355-1357 Gramineae 벼과 Cleistogenes hackelii (Honda) Honda 대새풀 1351-1353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var. crusgalli 돌피 1057, 1163-1165 Eulalia speciosa (Debeaux) Kuntze 개억새 1045-1048 Hierochloe odorata (L.) P.Beauv. 향모 1183-1184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1366-1367 Setaria viridis (L.) P.Beauv. 강아지풀 1358-1359 Spodiopogon sibiricus Trin. 큰기름새 1049-1051 - 41 -
김영동 김성희 부록 1. 계속 Scientific Name 국명천덕봉국수봉 표본정보 (Y-D Kim, M-H Lee & S-H Kim) Cyperaceae 사초과 Carex bostrychostigma Maxim. 길뚝사초 1166 Carex leiorhyncha C.A.Mey. 산괭이사초 1360-1363 Carex maackii Maxim. 타래사초 1368-1369 Carex siderosticta Hance 대사초 1364-1365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Ohwi) Ohwi 올챙이고랭이 1167-1174 Scirpus wichurae var. asiaticus (Beetle) T.Koyama 방울고랭이 1377-1378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nis L. 닭의장풀 1370-1372, 1381-1383 Juncaceae 골풀과 Luzula capitata (Miq.) Miq. 꿩의밥 1373-1376 Liliaceae 백합과 Allium sacculiferum Maxim. 참산부추 1178 Disporum smilacinum A.Gray 애기나리 1384-1390 Hemerocallis coreana Nakai 골잎원추리 1379-1380 Liriope spicata (Thunb.) Lour. 개맥문동 1391-1393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각시둥굴레 1179-1181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용둥굴레 1053 Scilla scilloides (Lindl.) Druce 무릇 1176-1177, 1182 Smilax nipponica Miq. 선밀나물 1397-1398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Regel) Hara & 밀나물 1394-1396 T.Koyama Smilax sieboldii Miq. for. sieboldii 청가시덩굴 1401-1402 Veratrum versicolor Nakai 흰여로 1052, 1054-1055 Dioscoreaceae 마과 Dioscorea oppostifolia L. 마 1399-1400 Iridaceae 붓꽃과 Iris rossii Baker var. rossii 각시붓꽃 1175 Orchidaceae 난초과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은대난초 1056-42 -
이천 광주지역의식물상 (2004) 사진 1. 도라지 사진 2. 골잎원추리 사진 3. 큰까치수영 사진 4. 짚신나물 사진 5. 졸방제비꽃 사진 6. 큰구슬붕이 - 43 -
김영동 김성희 사진 7. 애기나리 사진 8. 무릇 사진 9. 노루오줌 사진 10. 사위질빵 - 44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박재흥 김명철 ( 고려대학교생물학과 ) 요 약 2004년도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의일환으로, 경기도이천 광주에위치한국수봉및천덕봉 (634.5m) 수계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을파악하기위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이번조사에서국수봉일대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3문 4강 10목 20과 28종이었다. 출현종을분류군별로살펴보면, 편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1종 (3.5%), 연체동물문이 1강 2목 2과 2종 (7.1%) 그리고절지동물문이 2강 7목 17과 25종 (89.2%) 이었다. 절지동물은갑각류가 1종그리고수서곤충류가 24종이었다. 수서곤충은전체출현종의 85.7% 를차지하였으며, 조사지점별로는광주시실촌면수양리지점은 1문 1강 4목 8과 10종, 광주시실촌면곤지암리지점은 1문 1강 3목 5과 6종, 광주시도척면진우리지점은 2문 3강 7목 14과 15종으로옆새우류 1종, 플라나리아류 1종그리고수서곤충류 13종이었다. 이천시신둔면용면리지점은 2문 2강 5목 7과 7종으로연체동물문 2종그리고수서곤충류 5종이었다. 또한, 천덕봉일대수계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3문 4강 10목 20과 33종이었다. 이를분류군별로살펴보면, 환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2종그리고절지동물문이 30종이었다. 지점별로살펴보면, 이천시백사면송말리지점은 3문 3강 7목 8과 11종, 여주군금사면주록리지점은 3문 3강 6목 11과 12 종, 광주시실촌면이선리지점은 1문 1강 2목 6과 10종, 그리고이천시신둔면장동리지점은 2문 2강 5목 9과 12종이었다. 조사목적 국내하천의경우농경지개간, 수중보설치, 댐건설, 골재채취및하천정비공사등과같은교란요인들과인구의집중화, 산업화, 도시화에따른오 폐수의수계내유입의증가로수질오염과생태계파괴가날로심각해지고있다. 따라서바람직한수자원및생태계의보전을위한관심과정책이절대적으로요구되는바이다. - 45 -
박재흥 김명철 하천생태계는생물적요소와비생물적요소로이루어져있다. 생물적요소는조류와대형수생식물과같은생산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및양서류와같은소비자, 그리고박테리아와곰팡이같은분해자로구성된다. 이들각영양단계는서로유기적으로복잡하게연결되어먹이망을형성한다. 먹이망에대한파악은생태계의다양성과안정성을규명하는데있어서매우중요하며, 이를위해서하천에존재하는생물상과생물군집의구조파악이우선적으로선행되어야한다. 이후이들간의상호관계에대한연구가이루어져야하천생태계의건강한정도를올바르게파악하고문제점을해결할수있다. 하천생태계를구성하는생물중에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1차소비자 (2차생산자) 또는 2차소비자로서물질의순환과에너지흐름에매우중요한역할을수행하고있다 ( 윤 1995). 또한이들은개체수가풍부하며, 이동성이적고, 종에따라수환경의변화에민감하게반응하므로하천생태계의환경을평가하는데있어서매우유용하다 (Hynes 1970, Wilhm 1972, Macan 1974, Pennak 1989, McCafferty 1981). 외국의경우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하천생태계의모니터링 (monitoring) 은이미상당한수준에있으며널리실용화되고있다 (Rosenberg and Resh 1993). 또한국내에서도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환경평가와관련된연구가활발하게진행되고있다 ( 윤등 1992a, 1992b). 따라서본조사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분포현황을파악함으로써조사하천의생태계현황을진단하고, 차후생태학적연구및생물자원보전을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며, 하천의보호와관리를위한국가및지방자치차원의정책수립에기여함을목적으로한다. 조사시기및조사지점 1. 조사시기담수무척추동물상을조사할경우최소한 1년을단위로계절별또는월별로조사를수행하는것이일반적이다. 그러나우리나라처럼여름에강우가집중되고겨울에하천이결빙되는자연조건에서는기후요인, 생물들의우화, 출현및활동시기를고려하여생물상조사를수행하는것이바람직하다. 본인등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대부분을차지하는수서곤충류의출현시기와그에따른군집의변동을고려하여 5월과 9월에집중적인조사를실시하였다. 2. 조사지점 환경부에서지정한본조사권역은경기도이천 광주를대표하는국수봉및천덕봉 - 46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634.5m) 수계이다. 조사지점은각대표산을중심으로동서남북사면에위치한수계로서, 지도상에표시된수계의규모, 유역환경등을고려하여예비조사를통해선정하였다. 각조사지점의위치는다음과같다. 가. 국수봉 G1 : 경기도광주시실촌면수양리명신촌 G2 : 경기도광주시실촌면곤지암리묵방이해양교 G3 : 경기도광주시도척면진우리우치 G4 : 경기도이천시신둔면용면리 G5 : 경기도이천시신둔면용면리용면3교 나. 천덕봉 CH1 : 경기도이천시백사면송말리송곡 CH2 : 경기도이천시백사면현방리봉황사 CH3 : 경기도여주군금사면주록리안산 CH4 : 경기도광주시실촌면이선리외선 CH5 : 경기도이천시신둔면장동리장동 CH6 : 경기도광주시실촌면신대리신대교 조사방법 1. 채집방법본조사에서는정확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파악을위하여각조사지점마다조성된미소서식처에따라수회에걸쳐 hand-net( 지름 :150-300mm, 망목 :0.5mm) 을이용하여정성채집을실시하였다. 채집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Kahle's 용액에고정하였다가 2-3일후 80% Ethanol에옮겨보존하였다 (Merritt and Cummins 1996). 2. 동정및분류수서곤충류를제외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동정은 Pennak(1989), 권 (1990), 이 (1992), 송 (1995) 등을참고하였고, 수서곤충의동정은 McCafferty(1981), Merrit and Cummins(1996), 윤 (1988,1995) 등을참고하였다. 깔따구류의경우에는 Wiederholm(1983) 의방법을이용하여외부형태, 특히체장, 체색, 구기의형태, Abdominal tubules의유무, 강모의형태등의특징을고려하여임의로분류하였다. - 47 -
박재흥 김명철 3. 수환경평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이용한수환경평가방법으로제시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ESB) 를이용하여 ( 환경부 2001) 각조사지점에대한수환경을평가하였다 ( 표 1). ESB = (Si Qi) 4 i=1 ESB: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 Qi: Environmental quality score of individual taxa ( 개별분류군에대한환경질점수 ) Si: Species frequency to i environmental quality (i 환경질에대한출현종수합 ) 표 1. ESB 의구간에따른환경질및오수생물계열평가표 환경질의평가 오수생물계열의평가 ESB 환경상태지역구분수질등급 ESB 오수생물계열 81 이상 매우양호 최우선보호수역 61-80 양호 우선보호수역 41-60 다소양호 보호수역 26-40 다소불량 개선수역 I 51 이상빈부수성 II 21-50 β- 중부수성 13-25 불량우선개선수역 III 9-20 α- 중부수성 12 이하매우불량최우선개선수역 IV-V 8 이하강부수성 결과및고찰 1. 서식환경 본조사권역인국수봉및천덕봉일대의하천은대부분수계를중심으로농경지및주택이많이조성되어있었다. 각조사지점의환경은아래와같다 ( 표 2). 참고로실제 - 48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조사지점은 11곳이었으나국수봉일대수계에서이천시신둔면용면리지점 (G4) 과천덕봉수계에서이천시백사면현방리봉황사지점 (CH2) 및광주시실촌면신대리신대교지점 (CH6) 은수량부족및하천개수공사등으로인하여조사대상에서제외하였음을밝혀둔다. 표 2. 국수봉및천덕봉일대각조사지점의환경요인 지점평균수온 하천폭저수로폭수심평균유속 ( ) (m) (m) (cm) (cm/sec) 하상 * G1 13.0 5-7 3-4 10.5-12.5 15.3 A-J G2 13.0 12-15 3-5 5-11.5 19.8 A-J G3 13.0 5-6 3-4 5.4-8 14 A-G G5 16.0 12-15 1-5 5.2-30.2 9.9 A>E CH1 14.0 13-15 10-11 17.5-19.5 4.4 A-G CH3 13.0 10-12 2-4 7.5-9 19.5 A-J CH4 16.0 6-7 3-4 8.5-11.3 19.8 A-J CH5 14.0 6-7 1-2 9.5-12 19.7 A-I 하상 * 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의작성양식을참고하였다 ( 환경부 2001). 가. G1 : 경기도광주시실촌면수양리명신촌조사지점의하천폭은 5-7m, 저수로폭은 3-4m였다. 수심은 10.5-12.5cm였으며, 평균유속은 15.3cm/sec였다. 하상은 boulder이상의재질과 pebble로구성되어있으며하천바닥의일부는암반형태 (bedrock) 를보였다. 저수호안은시멘트로처리가되어있으며초본류가무성하게형성되어있었다. 제방은자연석으로축조되어있었다. 주변은농경지와하천의연결이자유로운구조로강수시유기물의유입이예상되어진다. 유량은부족한편으로저질에부착조류나유기퇴적물은존재하지않았다. 나. G2 : 경기도광주시실촌면곤지암리해양교조사지점의하천폭은 12-15m, 저수로폭은 3-5m였다. 수심은 5-11.5cm였으며, 평균유속은 19.8cm/sec였다. 하상은 cobble과 sand가주를이루며부분적으로저질색깔이흑색과갈색을띄고있었다. 보를중심으로상류역은저수로에서제방까지초본류가대부분피복되어있었다. 물이다소흐린상태로저질에부착조류는거의없었으며유기퇴적물은약간존재하였다. 보를중심으로하류역의제방은콘크리트석벽으로축조되어있었고저수로내물이흐르지않는구간에는초본류가무성하였다. 다. G3 : 경기도광주시도척면진우리우치조사지점의하천폭은 5-6m, 저수로폭은 3-4m였다. 수심은 5.4-8cm였으며, 평균유속 - 49 -
박재흥 김명철 은 14cm/sec였다. 하상은호박돌이주를이루고작은자갈, 자갈등이불균질하게구성되어있었으며, 저수로내수량이매우적은상태였다. 하천주변은산림으로둘러싸여있었으며초본류, 관목림및교목등의식생이발달해있었다. 물이맑은상태로저질에부착조류와유기퇴적물이거의존재하지않았다. 하천제방은자연상태로수변을따라초본류, 관목류그리고교목류가피복되어있었다. 유역은논과자연식생으로구성되어있었다. 라. G5 : 경기도이천시신둔면용면리용면3교조사지점의하천폭은 12-15m, 저수로폭은 1-5m였다. 수심은 5.2-30.2cm였으며, 평균유속은 9.9cm/sec였다. 하상은작은자갈, 자갈, 호박돌등으로불균질하게구성되어있었다. 물은대체적으로맑은상태였으며저질에는많은량의부착조류와적은양의유기퇴적물이존재하였다. 하천폭크기에비해저수로폭은매우좁았고물이흐르지않는구간에는초본류가형성되어있었다. 주변은주택지와농경지로이용되고있었으며특정오염원은보이지않았다. 마. CH1 : 경기도이천시백사면송말리송곡조사지점의하천폭은 13-15m, 저수로폭은 1-2m였다. 수심은 17.5-19.5cm였으며, 평균유속은 4.4cm/sec였다. 하상은작은자갈, 호박돌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수량이매우빈약한상태로하천크기에비해물이흐르는저수로구간의폭이매우좁았다. 하천주변은농경지와주택지및축사등이산재하고있었다. 이에따른오염원의유입이많을것으로판단되어진다. 하천내저질에는부착조류및유기퇴적물이많이존재하였다. 제방을따라초본류및교목상태는양호한편이었다. 바. CH3 : 경기도여주시금사면주록리안산조사지점의하천폭은 6-7m, 저수로폭은 2-4m였다. 수심은 7.5-9cm였으며, 평균유속은 19.5cm/sec였다. 하상은대부분호박돌로되어있고자갈등이산재되어있으며물은대체적으로맑은상태였고하천유역은산림으로둘러싸여있으며부분적으로논, 밭, 주택등이산재하고있었다. 저수로에서제방까지초본류가 80% 이상을차지하며제방은돌망태로이루어져있으며초본류가무성하게식재되어있었다. 특정오염원은없는것으로추정된다. 사. CH4 : 경기도광주시실촌면이선리외선조사지점의하천폭은 6-7m, 저수로폭은 3-4m였다. 수심은 8.5-11.3cm였으며, 평균유속은 19.8cm/sec였다. 하상은모래, 호박돌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물은대체적으로맑은상태였고저질에는많은량의부착조류와유기퇴적물이존재하였다. 조사지점하류 50m에서부터하천수로공사가진행되고있었으며조사지점부터상류역은자연하천 - 50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의상태를유지하고있었다. 하천수로내에농수용파이프가위치하고있었지만특정오염원은없는것으로추정된다. 유역은산림과농경지로이루어져있었다. 아. CH5 : 경기도이천시신둔면장동리장동조사지점의하천폭은 6-7m, 저수로폭은 1-2m였다. 수심은 9.5-12cm였으며, 평균유속은 19.7cm/sec였다. 하상은모래, 호박돌등으로구성되어있으며물은대체적으로맑은상태였고제방은한쪽은콘크리트로다른한쪽은자연적제방을유지하고있었다. 주변은산림으로둘러싸여있으며하천유역은논이나밭으로이용, 또는전원주택이소재하고있었다. 부착조류는없으나유기퇴적물이소량존재하며특정오염원은없는것으로판단된다. 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분포및서식현황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본조사를통해밝혀진국수봉일대수계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3문 4강 10 목 20과 28종이었다 ( 표 3). 이를분류군별로살펴보면, 편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2종그리고절지동물문이 25종이었다. 출현종을지점별로살펴보면, G1이 10종, G2가 6 종, G3이 15종그리고 G5가 7종으로조사지점간종수의차이를보였다. G2, G5지점은빈약한출현종수를보임으로써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서식하기에는열악한환경상태로나타났다. 또한, 천덕봉일대수계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총 3문 4강 10목 20과 33종이었다 ( 표 4). 이를분류군별로살펴보면, 환형동물문이 1종, 연체동물문이 2 종그리고절지동물문이 30종이었다. 출현종을지점별로살펴보면, CH1이 11종, CH3가 12종, CH4이 10종그리고 CH5가 12종으로조사지점간종수의별다른차이를보이지않았다. - 51 -
박재흥 김명철 표 3. 국수봉일대수계에서채집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Taxa G1 G2 G3 G5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1. Gammarus sp. 옆새우속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2. Baetis KUa 꼬마하루살이 3.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4. Epeorus curvatulus 흰부채하루살이 5. Epeorus latifolium 점박이부채하루살이 6. Ecdyonurus dracon 참납작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7. Drunella aculea 뿔하루살이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8.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9.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10. Amphinemura coreana 총채민강도래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11.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12.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13. Hydropsyche KUa 줄날도래 KUa 14. Hydropsyche KUe 줄날도래 KUe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15.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16. Hydatophylax nigrovittatus 띠무늬우묵날도래 17. Neophylax ussuriensis 가시우묵날도래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 52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표 3. 계속 Taxa G1 G2 G3 G5 18. Nepa sp. 메추리장구애비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19. Orthocladiinae sp. 깃깔따구아과 sp. 20. Chironomus sp. 깔따구속 21. Cryptochironomus sp. 22. Tanypodinae sp. 늪깔따구아과 sp.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23. Simulium sp. 먹파리속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24. Tipula KUd 각다귀 KUd Family Tabanidae 등에과 25. Tabanus kinoshitai 여린황등에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Order Tricladida Family Planariidae 26. Phagocata kawakatsui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27. Semisulcospira forticosta 주름다슬기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28. Radix auricularia coreana 물달팽이 - 53 -
박재흥 김명철 표 4. 천덕봉일대수계에서채집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Taxa CH1 CH3 CH4 CH5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1. Gammarus sp. 옆새우속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2. Baetis KUa 꼬마하루살이 3. Baetis thermicus 꼬마하루살이 4.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5. Epeorus curvatulus 흰부채하루살이 6. Epeorus latifolium 점박이부채하루살이 7. Ecdyonurus levis 네점하루살이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8.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9. Cincticostella levanidivae 민하루살이 10. Drunella aculea 뿔하루살이 Family Leptophlebiidae 갈래하루살이과 11. Paraleptophlebia chocolata 두갈래하루살이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12. Kamimuria KUa 강도래 KUa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13. Amphinemura coreana 총채민강도래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14.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15. Hydropsyche KUb 줄날도래 KUb 16. Hydropsyche KUe 줄날도래 KUe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 54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표 4. 계속 Taxa CH1 CH3 CH4 CH5 17. Goerodes KUa 네모집날도래 KUa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alopterygidae 물잠자리 18. Calopteryx japonica 물잠자리 Family Gomphidae 부채장수잠자리과 19.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20. Sieboldius albardae 어리장수잠자리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21. Orthocladiinae sp. 깃깔따구아과 sp. 22. Cryptochironomus sp. 23. Tanypodinae sp. 늪깔따구아과 sp. 24. Diamesinae sp.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25. Tipula KUc 각다귀 KUc 26. Tipula KUd 각다귀 KUd 27. Tipula KUn 각다귀 KUn 28. Antocha KUa 명주각다귀 KUa Family Tabanidae 등에과 29. Tabanus amaenus 대만재등에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30. Potamonectes hostilis 혹외줄물방개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Hir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문질목 Family Glossiphoniidae 넙적거머리과 31. Alboglossiphonia lata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32. Physa acuta 왼돌이물달팽이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33. Semisulcospira forticosta 주름다슬기 - 55 -
박재흥 김명철 나. 분류군별및지점별구성국수봉일대의출현종을분류군별로살펴보면 ( 표 3), 편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1종 (3.5%), 연체동물문이 1강 2목 2과 2종 (7.1%) 그리고절지동물문이 2강 7목 17과 25종 (89.2%) 이었다. 절지동물은갑각류가 1종 (Gammarus sp.) 그리고수서곤충류가 24종이었다. 수서곤충은전체출현종의 85.7% 를차지하였으며, 하루살이목이 4과 7종, 잠자리목이 1과 1종, 강도래목이 2과 2종, 노린재목이 1과 1종, 파리목이 4과 7종그리고날도래목이 4과 6종이었다. 전조사지점에서출현한분류군중하루살이목, 파리목및날도래목이가장풍부한종수를보임으로써국수봉일대수계는이들이서식하기에유리한환경으로사료된다. 본조사에서나타난기능적절대우세종으로는 Baetis KUa, Baetis fuscatus, Davidius lunatus, Goerodes KUa 및 Chironomus sp. 등이었다. 이들절대우세종 (absolute species) 은향후특정종의생태적지위확보또는분산과서식처분할및생태계변화등에대한예측을가능하게한다. 국수봉의경우지점별로살펴보면 ( 표 3), G1지점은 1문 1강 4목 8과 10종이출현하였다. 수서곤충류 10종으로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2종, 잠자리목 1종, 파리목 5종그리고날도래목 2종이었다. G2지점은 1문 1강 3목 5과 6종으로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2종과파리목 2종및날도래 1종이었다. 매우빈약한종수와함께대체적으로오염에대하여내성이강한종들이출현함으로써불량한수환경상태를보여주었다. G3지점은 2문 3 강 7목 14과 15종으로옆새우류 1종, 플라나리아류 1종그리고수서곤충류 13종이었다. 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5종, 잠자리목 1종, 강도래목 2종, 날도래 3종그리고파리목 2 종이었다. 청정수역의지표종인강도래류가출현함으로써양호한수환경상태를지닌것으로추정할수있다. G5지점은 2문 2강 5목 7과 7종으로연체동물문 2종그리고수서곤충류 5종이었다. 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2종, 날도래 2종그리고노린재목 1종이었다. G2지점과마찬가지로빈약한종수와오염에내성이강한종들이출현함으로써불량한수환경상태를보여주었다. 천덕봉일대의출현종을분류군별로살펴보면 ( 표 4), 환형동물문이 1강 1목 1과 1종 (3%), 연체동물문이 1강 2목 2과 2종 (6%) 그리고절지동물문이 2강 7목 17과 30종 (91%) 이었다. 절지동물은갑각류가 1종 (Gammarus sp.) 그리고수서곤충류가 29종이었다. 수서곤충은전체출현종의 87.8% 를차지하였으며, 하루살이목이 5과 10종, 잠자리목이 2과 3종, 강도래목이 3과 3종, 딱정벌레목이 1과 1종, 파리목이 3과 9종그리고날도래목이 2과 3종이었다. 전조사지점에서출현한분류군중하루살이목, 파리목이국수봉과유사하게가장풍부한종수를보였다. 천덕봉의경우지점별로살펴보면 ( 표 4), CH1지점은 3문 3강 7목 8과 11종이출현하였다. 수서곤충류 9종으로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1종, 잠자리목 1종, 파리목 5종, 딱정벌레목 1종그리고날도래목 1종이었다. CH3지점은 3문 3강 6목 11과 12종으로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5종과강도래목 1종, 잠자리목 2종및날도래 2종이었다. 강도래의출 - 56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현및오염에내성이있는파리류는관찰되지않았으며매우양호한수계생태계를유지하고있었다. CH4지점은 1문 1강 2목 6과 10종으로하루살이목 3종, 그리고파리목 7종으로매우단순한목 (Order) 구성을보여준다. 파리류의월등한분포양상등전체적으로불건전한수환경상태를보여주었다. CH5지점은 2문 2강 5목 9과 12종으로연체동물문 1종그리고수서곤충류 11종이었다. 수서곤충은하루살이목 6종, 강도래 2종, 잠자리목 1종그리고파리목 2종이었다. 이지점또한수계생태계의상위영양단계에위치하는강도래류가출현함으로써양호한수환경상태를지닌것으로추정할수있다. 다. 수환경평가본조사권역은규모가작고수량이적은소하천들이주를이루며, 대부분의유역이농경지및전답등으로이용되고있는관계로비점오염원의수계내유입이하천수질에영향을미칠것으로추정된다. 이러한지역적환경은다양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서식하기에는다소불리한환경으로구분할수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생태점수 (ESB) 를이용하여환경질을평가한결과는아래와같다 ( 표 5). 표 5. ESB의구간에따른환경질및오수생물계열평가 지점 ESB 환경상태 지역구분 오수생물계열 G1 28 다소불량 개선수역 β-중부수성 G2 17 불량 우선개선수역 α-중부수성 G3 50 다소양호 보호수역 β-중부수성 G5 19 불량 우선개선수역 α-중부수성 CH1 24 불량 우선개선수역 α-중부수성 CH3 43 다소양호 보호수역 β-중부수성 CH4 25 불량 우선개선수역 α-중부수성 CH5 43 다소양호 보호수역 β-중부수성 국수봉의경우, G1지점은다소불량한환경상태로개선수역에해당되었으며, G2지점과 G5지점은불량한환경상태로우선개선수역에해당되었다. 반면에 G3지점은다소양호한환경상태로우선개선수역에해당되었다. 결과적으로국수봉일대수계는보호수역과개선수역이공존하는지역간일정정도의편차를보이며또한, 전반적으로직 간접적인인위적간섭이하천생태계에영향을미치고있음을보여주었다. 또한오수생물계열을평가하였을때, 모든지점이중부수성을나타내었다. 즉, 수계내로유기오염부하가지속된다는것을뜻하므로이에대한대책수립이요구된다하겠다. 천덕봉의경우, CH1지점과 CH4지점은불량한환경상태로우선개선수역에해당되었으며, CH3지점과 CH5지점은다소양호한환경상태로우선개선수역에해당되었다. 또 - 57 -
박재흥 김명철 한오수생물계열을평가하였을때, 국수봉일대와마찬가지로모든지점이중부수성을나타내었다. 두구역모두매우양호한환경상태를보인지점은없었지만 G3, CH3지점과 CH5지점은보존노력에따라양호한환경상태로접근이충분히가능하다고판단된다. 더불어, 그이외의지점에서는유기물등의오염원의유입을체계적으로방지하려는대책수립이요구된다하겠다. 다. 지표생물의검토지표생물은조사 관찰이용이한종으로그분포가극단적으로제한되어있지않아야한다. 본조사와기존의조사들을바탕으로국수봉및천덕봉일대수계에서출현한종중 12종을지표생물로서고려할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 고도청정수역 ) Amphinemura coreana 총채민강도래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Kamimuria KUa 강도래 KUa Gammarus sp. ( 청정수역 ) Phagocata sp.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Neophylax ussuriensis 가시우묵날도래 ( 오염수역 ) Orthocladiinae sp. 깃깔따구아과 sp. Tanypodinae sp. Tipula KUd 각다귀 KUd ( 고도오염수역 ) Chironomus sp. 깔따구속 Cryptochironomus sp. - 58 -
이천 광주, 태화산및그일대의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004) 참고문헌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제32권동물편 ( 연체동물 I). 문교부. 노태호, 1999. 경기도연천군일대물거미서식지의환경및생태조사보고서. pp.45-60. 송광래, 1995. 한국산거머리강 ( 환형동물문 ) 의분류.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58pp.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제30권동물편 ( 수서곤충류 ). 문교부.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262pp.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a.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의한생물학적수질평가 (I). 환경생물학회지. 10:24-39. 윤일병 공동수 유재근, 1992b.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의한생물학적수질평가 (II). 환경생물학회지. 10:40-55. 이상협, 1992. 한국산넙적거머리과 ( 거머리강 : 문질목 ) 의분류및생태. 고려대학교석사학위논문 43pp. 환경부, 2001.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Hynes, H. B. N. 1970. The Ecology of Running Waters. Liverpool Univ. Press, Liverpool, U. K. Macan, T. T. 1974. Freshwater ecology. 2nd ed. Wiley, New York. McCafferty, W. P. 1981.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Boston. 448pp. Merritt, R. W. and K. 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Dubuque, Iowa. 862pp. Pennak, R. 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3rd ed. Wiley, New York. 628pp. Rosenberg, D. M. and V. H. Resh. 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Routledge, Chapman & Hall, Inc. 488pp. Wiederholm, T.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s. Part 1-Larvae. Motala. 457pp. Wilhm, J. L. 1972. Graphic and mathematical analysis of biotic communities in polluted stream. Ann. Rev. Ent. 17:223-252. - 59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최재석 장영수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 요 약 2004년 5월부터 2004년 8월까지이천 광주일대의총 25개조사지점에서하천구조및어류상조사를실시하였으며그결과는다음과같다. 조사지역내하천들은대부분이농경지, 공장, 민가, 도로등과인접하고있었으며, 또한농업배수, 생활하수등의영향을받고있었다. 하상구조는큰돌, 작은돌, 자갈, 모래등으로구성되었으며, 하천형은 Aa형, Aa-Bb형, Bb형등다양하였다. 조사수역내에서서식이확인된어종은총 8과 31종 1,967개체였다. 고유종은각시붕어, 줄납자루, 쉬리, 긴몰개, 돌마자, 얼룩동사리등 6종 (19.35%) 으로나타났다. 출현한어종중일차담수어는 28종 (90.32%) 이었고육봉어는밀어 1종 (3.23%), 강하어도은어 1 종 (3.23%), 그리고외래어도큰입우럭 1종 (3.23%) 이었다. 우점종은피라미 (29.69%), 버들치 (28.32%), 참붕어 (6.91%), 줄몰개 (5.95%), 모래무지 (4.17%), 붕어 (3.86%), 밀어 (3.20%), 미꾸리 (2,44%) 긴몰개 (2.34%) 등이었다. 희소종은메기 (0.25%), 납자루 (0.20%), 버들매치 (0.20%), 미꾸라지 (0.20%), 쌀미꾸리 (0.15%), 쉬리 (0.10%), 점줄종개 (0.10%), 은어 (0.10%), 큰입우럭 (0.10%), 민물검정망둑 (0.05%) 등 10종 (32.26%) 이었다. 서 론 국토의효율적인관리를위한과학적자료제시와생태지도를통한자연환경에대한국민의식을제고하기위하여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부분중담수어류에대한조사를실시하였다. 또한하천수역에서식하는어류의서식상황및보전가치를파악하기위하여담수어류전종을대상으로조사한다. 본조사지역은태화산을중심으로국수봉과천덕봉등이위치하며또한 2개의평가단위로구성되어있고, 본구역에서발원하는하천은신둔천, 곤지암천, 그리고복하천의지류등이다. 이들하천들은모두경안천과한강으로유입되는하천들이다. 본지역에서시작하는하천들은대부분이농경지, 축사, 과수원그리고민가등과인접하고있다. 따라서생활하수, 농업배수, 축산폐수등의영향을일부받는실정이었다. 본조사는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일환으로남한의각하 - 60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천수역에서식하는어류의서식상황및보존가치를파악하기위하여상기한 5-2이천 광주지역에서 (2개평가단위 ) 수환경, 어류상, 각어종의개체수구성비, 우점종, 희귀종, 보호를요하는종및서식실태조사를실시하였다. 재료및방법 1. 조사기간조사기간은 2004년 5월에서 2004년 8월까지이며각조사지점에서 2회에걸쳐서현장조사를실시하였다. 1차조사 : 2004년 5월 5일~2004년 5월 16일 2차조사 : 2004년 8월 19일~2004년 8월 28일 2. 조사정점지점 1: 경기도용인시양지면정수리지점 2: 경기도광주시도척면방도리지점 3: 경기도광주시실촌면신촌리지점 4: 경기도광주시실촌면삼합리지점 5: 경기도광주시실촌면삼리실천지점 6: 경기도이천시마장면관리지점 7: 경기도이천시호법면매곡리매곡교지점 8: 경기도이천시마장면장암리지점 9: 경기도이천시마장면표교리육하교지점 10: 경기도이천시호법면서산리지점 11: 경기도이천시관교동지점 12: 경기도이천시신둔면용면리지점 13: 경기도이천시신둔면소정리근천교지점 14: 경기도이천시백사면경사리지점 15: 경기도이천시갈산동합수점지점 16: 경기도이천시백사면송말리지점 17: 경기도여주군백사면현방리지점 18: 경기도여주군흥천면복대리지점 19: 경기도여주군금사면도곡리지점 20: 경기도여주군금사면주록리 - 61 -
최재석 장영수 지점 21: 경기도여주군금사면상호리지점 22: 경기도여주군금사면금사리지점 23: 경기도여주군신북면송현리지점 24: 경기도여주군신북면용담리지점 25: 경기도여주군금사면전북리전북 ( 한강합수점 ) 3. 조사방법가. 수환경조사하천형태 ( 可兒, 1944) 와하상구조는육안으로관찰, 유폭과평균수심은줄자를사용하였다. 나. 어류채집어류의채집에는각조사정점의특징에따라각종의그물을사용하였으며사용한그물의종류와망목의크기는다음과같다. 투망 : 망목 6x6mm족대 : 망목 4x4mm 표 1. 채집도구별 code 구분 투망 족대 뜰채 권망 자망 낚시 정치망 A B C D E F G 표 2. 현존량산정을위한단위 포획도구 현존량단위 투망, 뜰채, 족대, 권망 00 개체 / 횟수 / 포획도구명 / 규격 자망, 낚시및정치망 00 개체 / 시간 / 포획도구명 / 규격 다. 어종의동정채집된어류는채집즉시현장에서 10% 포르말린용액으로고정한후실험실로운반하였다. 어종의동정은국내에서지금까지발표된검색표 ( 內田, 1939; 김, 1980, 1984, 1988; 김등, 1985; 이, 1988; 손, 1987; 정, 1977; 전, 1980, 1983, 1984, 1989; 최등, 1990; 김 강, 1993) 에의거하였으며학명의적용과어류목록의배열순서및생태구분등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서에따랐다. 라. 어류서식현황 1) 현존량파악현존량의파악은각조사정점에서의상대적인채집개체수에의거하였다. 즉각종 - 62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의현존량조사단위는개체수로국한하며포획도구를다음 code로구분하고도구에따른단위를구별하였다. 2) 현지조사표작성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서에의거해서현지조사표를작성하였다. 3) 사진촬영사진촬영은채집된어종중우세종, 희귀종, 1998년환경부지정멸종위기및보호야생동식물해당종, 천연기념물해당종을우선적으로하여 Color Slide Filim으로촬영하였다. 결과및고찰 1. 서식환경본조사에서측정또는관찰된각조사지점에서의어류의서식환경은 ( 표 3) 과같다. 이중에서수심, 유폭등은강우량에따라크게변화하므로각조사수역의상대적비교의의미가더크다. 지점 1: 곤지암천의지류인노곡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민가, 산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은시멘트또는돌석축으로이루어져있었다. 또한하천내에는 1m 높이의보가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4m, 유폭은 2-7m, 하폭은 5-7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 작은돌, 자갈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모래가보였다. 지점 2: 노곡천의지류인유정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산, 농경지, 공장, 민가등이인접하고있었다. 제방은석축제방이었으며하천내에는고마리등의수변식물이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3m, 유폭은 0.5-3m, 하폭은 6-10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자갈, 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이보였다. 지점 3: 곤지암천의지류인신촌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공장, 소도로, 민가, 농경지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은흙과돌또는시멘트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 형으로수심은 0.1-0.4m, 유폭은 1-4m, 하폭은 8-12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 작은돌, 자갈, 모래가고르게분포하였다. 지점 4: 경안천지류인곤지암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축사, 농경지, 민가등이위 - 63 -
최재석 장영수 치하고있었다. 제방은석축또는시멘트등으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3m, 유폭은 1-4m, 하폭은 4-10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암반과자갈이보였다. 지점 5: 경안천의지류인곤지암천의중류역으로시내의지점이었다. 주변에는민가, 도로, 농경지등이위치하였고, 조사지상방에약 1.5m높이의보도존재하였다. 한편우측하천에서는흙탕물이유입되고있었다. 하천형은 Bb형으로수심은 0.1-1.5m, 유폭은 20-40m, 하폭은 80-120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자갈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이보였다. 지점 6: 복하천의지류인오천천의상류역으로농경지, 민가, 도로, 공장등이위치하고있었다. 제방은돌망태와시멘트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3m, 유폭은 2-4m, 하폭은 10-15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자갈, 모래가고르게분포하였고부분적으로모래가보였다. 지점 7: 한강의지류인복하천의중상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민가, 도로등이존재하였다. 제방은돌망태로이루어져있었고하천내에는 1.5m 높이의보가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Bb형으로수심은 0.1-1.5m, 유폭은 40-50m, 하폭은 50-70m 정도였다. 하상은자갈과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과작은돌이보였다. 지점 8: 복하천의지류인장암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민가, 농경지, 산등과인접하고있었다. 또한조사지상방은복개된하천이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05-0.3m, 유폭은 0.5-3m, 하폭은 3-6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자갈과모래가보였다. 지점 9: 복하천의지류인장암천의중류수역으로민가, 농경지, 도로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공사를진행중에있었다. 또한제방은돌망태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Bb형으로수심은 0.05-0.2m, 유폭은 2-15m, 하폭은 20-30m 정도였다. 하상은자갈과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과작은돌이보였다. 지점 10: 한강의지류인복하천의중류역으로주변에는고속도로, 농경지, 민가, 도로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은흙과돌로이루어져있었다. 또한하천내에는달뿌리풀이다량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Bb 형으로수심은 0.1-1.5m, 유폭은 20-50m, 하폭은 100-150m 정도였고하상은자갈과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과작은돌이보였다. 지점 11: 복하천의지류인중리천의상류역으로생태공원내의지점이었다. 하천내에는달뿌리풀등의수변식물들이가득하였고소형저수지가하방에존재하였다. 하천형은 - 64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Aa형으로수심은 0.1-0.3m, 유폭은 0.5-2m, 하폭은 10-15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자갈, 모래가대부분이었다. 지점 12: 복하천의지류인신둔천의상류역으로조사지하방에는용면저수지가위치하고있었다. 또한주변에는민가, 밭, 산등이인접하고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05-0.3m, 유폭은 0.5-2m, 하폭은 3-6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 작은돌, 자갈이대부분이었다. 지점 13: 복하천의지류인신둔천의중류역으로흙탕물이흐르고있었다. 주변에는농경지, 도로, 민가, 공장등이위치하고있었다. 하천형은 Aa-Bb형으로수심은 0.1-0.5m, 유폭은 10-15m, 하폭은 20-30m 정도였다. 하상은자갈과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 작은돌등이보였다. 지점 14: 복하천지류인신대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산등과인접하고있었으며제방은자연제방이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05-0.2m, 유폭은 0.5-2m, 하폭은 3-5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자갈, 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이존재하였다. 지점 15: 한강의지류인복하천의중류역으로공장, 농경지, 도로, 민가등이위치하고있으며조사지상방에서는하천공사를진행중에있었다. 또한제방은시멘트블록으로되어있었다. 하천형은 Bb형으로수심은 0.1-0.7m, 유폭은 20-50m, 하폭은 100-120m 정도였고하상은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자갈과작은돌이보였다. 지점 16: 복하천의지류인송말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과수원, 농경지, 민가, 소도로등이위치하였고제방은돌망태로되어있었다. 또한하천내에 1m 정도높이의보가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3m, 유폭은 1-4m, 하폭은 6-12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자갈과모래가소량보였다. 지점 17: 복하천의지류인송말천의중류역으로주변에는비닐하우스, 농경지, 축사등이위치하고있었고, 제방은시멘트블록으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Bb형으로수심은 0.1-0.8, 유폭은 5-15m, 하폭은 35-50m 정도였다. 하상은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 작은돌, 자갈이보였다. 지점 18: 한강의지류인복하천의하류역즉본류와합수점으로주변에는농경지, 도로, 민가등이위치하고있었다. 하천형은 Bb형으로수심은 0.1-1.8m, 유폭은 40-80m, 하폭은 150-250m 정도였다. 하상은모래가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작은돌, 자갈, 큰돌등이보였다. - 65 -
최재석 장영수 지점 19: 한강의지류인계장천의상류역으로농경지, 민가, 도로등이위치하고있었고제방은돌망태제방이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5m, 유폭은 1-3m, 하폭은 4-8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 작은돌, 자갈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모래가보였다. 지점 20: 한강의지류인금사천의상류역으로조사지하방에는저수지가위치하고있었다. 또한관광지였다. 주변에는농경지, 민가, 도로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은돌망태또는석축제방이었다. 또한일부구간은자연제방을하고있었고비교적숲이우거져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5m, 유폭은 2-6m, 하폭은 6-10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 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암반과자갈이보였다. 지점 21: 금사천의지류인상호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식당이소류모로존재하나숲이하천을덮은비교적잘보존된하천이었다. 제방은시멘트와돌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5m, 유폭은 0.5-4m, 하폭은 3-6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자갈, 모래가보였다. 지점 22: 한강의지류인금사천의하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민가도로등이인접하고있었고하천내에는달뿌리풀이다량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1.2m, 하폭은 5-15m, 유폭은 40-50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암반, 자갈, 모래가보였다. 지점 23: 한강의지류인용담천의상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민가, 산등과인접하고있었다. 제방은시멘트또는흙과돌로이루어져있었고약 1.5m 높이의보도존재하였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0.4m, 유폭은 1-5m, 하폭은 6-10m 정도였다. 하상은큰돌과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자갈과암반이보였다. 지점 24: 한강의지류인용담천의중류역으로주변에는농경지, 민가, 도로등이위치하고있었고 1m 높이의보도존재하였다. 제방은돌망태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형으로수심은 0.1-1.0m, 유폭은 10-20m, 하폭은 25-35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 큰돌, 자갈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모래도보였다. 지점 25: 한강의지류인용담천의하류역즉한강합수역으로주변에는산, 농경지, 펜션, 음식점등이인접하고있었고제방은흙과돌로이루어져있었다. 하천형은 Aa-Bb 형으로수심은 0.1-1.5m, 유폭은 15-25m, 하폭은 30-50m 정도였다. 하상은작은돌이대부분이었고부분적으로큰돌과자갈, 모래가보였다. - 66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표 3. 조사지점의수환경 지점수심 (m) 유폭 (m) 하상구조하천형위치 1 0.1-0.3 0.5-3 큰돌, 작은돌, 자갈 Aa N 37 15 57.5 E 127 17 36.4 2 0.1-0.3 0.5-3 작은돌, 자갈, 모래 Aa N 37 16 53.1 E 127 19 46.0 3 0.1-0.4 1-4 큰돌, 작은돌, 자갈, 모래 Aa N 37 E 127 4 0.1-0.3 1-4 큰돌, 작은돌 Aa N 37 22 32.2 E 127 26 02.6 5 0.1-1.5 20-40 작은돌, 자갈, 모래 Bb N 37 16 21.0 E 127 21 18.1 6 0.1-0.3 2-4 작은돌, 자갈, 모래 Aa N 37 20 56.9 E 127 20 15.8 7 0.1-1.5 40-50 자갈, 모래 Aa-Bb N 37 12 56.0 E 127 23 57.4 8 0.5-0.3 0.5-3 큰돌, 작은돌 Aa N 37 16 23.9 E 127 24 09.7 9 0.05-0.2 2-15 자갈, 모래 Aa-Bb N 37 15 10.9 E 127 24 17.0 10 0.1-1.5 20-50 자갈, 모래 Aa-Bb N 37 14 11.8 E 127 28 34.9 11 0.1-0.3 0.5-2 작은돌, 자갈, 모래 Aa N 37 16 23.2 E 127 26 03.8 12 0.05-0.3 0.5-2 큰돌, 작은돌, 자갈 Aa N 37 17 46.6 E 127 21 56.5 13 0.1-0.5 10-15 자갈, 모래 Aa-Bb N 37 17 55.3 E 127 24 32.6 14 0.05-0.2 0.5-2 작은돌, 자갈, 모래 Aa N 37 20 57.5 E 127 27 34.7 15 0.1-0.7 20-50 모래 Bb N 37 16 50.1 E 127 28 34.9 16 0.1-0.3 1-4 작은돌, 큰돌 Aa N 37 20 22.6 E 127 28 30.0 17 0.1-0.8 5-15 큰돌, 작은돌, 자갈 Aa-Bb N 37 20 10.3 E 127 30 55.6 18 0.1-1.8 40-80 모래 Bb N 37 21 41.2 E 127 32 42.5 19 0.1-0.5 1-3 큰돌, 작은돌, 자갈 Aa N 37 22 31.3 E 127 29 58.6 20 0.1-0.5 2-6 큰돌, 작은돌 Aa N 37 22 19.3 E 127 28 30.4 21 0.1-0.5 0.5-4 큰돌, 작은돌 Aa N 37 24 10.0 E 127 29 01.9 22 0.1-1.2 5-15 큰돌, 작은돌 Aa N 37 24 36.5 E 127 31 27.5 23 0.1-0.4 1-5 큰돌, 작은돌 Aa N 37 22 54.1 E 127 27 07.4 24 0.1-1.0 10-20 작은돌, 큰돌, 자갈 Aa N 37 25 11.0 E 127 28 24.9 25 0.1-1.5 15-25 작은돌 Aa-Bb N 37 26 08.8 E 127 30 32.5 2. 어류의분포및서식현황가. 어류상본지역의수계는한강및경안천으로유입되는하천들이다. 본조사지역에서발원하는소지류들은곤지암천, 금사천, 용암천, 그리고복하천등이다. 조사수역내에서서식이확인된어종은총 8과 31종 1,967개체였다 ( 표 4). 이중천연기념물에속하는종은없었으며, 1998년도환경부지정멸종위기야생동 식물은없었고, 보호야생동 식물에속하는종도없었다. 환경부조사지침서에명시된희귀종에속하는종도출현하지않았다. 한편고유종은각시붕어, 줄납자루, 쉬리, 긴몰개, 돌마자, 얼룩동사리등 6종 (19.35%) 으로나타났다. 출현한어종중일차담수어는 28종 (90.32%) 이었고육봉어는밀어 1종 (3.23%), 강하어도은어 1종 (3.23%), 그리고외래어도 1종 (3.23%) 이었다. 우점종은피라미 (29.69%), 버들치 (28.32%), 참붕어 (6.91%), 줄몰개 (5.95%), - 67 -
최재석 장영수 모래무지 (4.17%), 붕어 (3.86%), 밀어 (3.20%), 미꾸리 (2,44%) 긴몰개 (2.34%) 등의순이었다. 지점별로출현종수를보면지점 1과 2에서 3종, 지점 4와 5에서 1종, 지점 5에서 16종, 지점 6에서 2종, 지점 7에서 7종, 지점 8에서 2종, 지점 9에서 3종, 지점 10에서 11종, 지점 11과 12에서 2종, 지점 13에서 5종, 지점 14에서 2종, 지점 15에서 13종, 지점 16에서 1종, 지점 17에서 14종, 지점 18에서 16종, 지점 19에서 2종지점 20에서 1 종, 지점 21에서 3종, 지점 22에서 11종, 지점 23에서 1종, 지점 24에서 3종그리고지점 25에서 11종이각각나타났다. 이와같이지점 3, 4, 16, 20, 23에서가장적은종인 1종이출현하였고, 광주시실촌면삼리실천 ( 지점 5) 에서그리고여주군흥천면복대리 ( 지점 18) 에서다른지점에비해많은종인 16종이출현하였다. 나. 각어종의개체수구성비본조사수역의총 25개의지점에서출현한 31종중비교풍부도가가장높은종은피라미 (29.69%) 였고, 다은은버들치 (28.32%), 참붕어 (6.91%), 줄몰개 (5.95%), 모래무지 (4.17%), 붕어 (3.86%), 밀어 (3.20%), 미꾸리 (2,44%) 긴몰개 (2.34%), 얼룩동사리 (1.78%), 납지리 (1.58%), 돌고기 (1.58%), 줄납자루 (1.22%), 누치 (1.17%), 떡납줄갱이 (1.07%), 종개 (1.02%), 잉어 (0.76%), 돌마자 (0.51%), 각시붕어 (0.36%), 참마자 (0.31%), 동자개 (0.31%) 등의순이었다. 이외의 10종 (32.26%) 은 0.30% 미만으로희소하게출현하였다. 다. 우점종본조사수역의우점종및아우점종등으로보면다음과같다. 용인시양지면정수리 ( 지점 1) 에서는버들치, 미꾸리가우점하였고, 미꾸라지가희소종으로출현하였다. 광주시도척면방도리 ( 지점 2) 에서는버들치와얼룩동사리가우점하였고밀어가희소종으로나타났다. 광주시실촌면신촌리 ( 지점 3) 와광주시실촌면삼합리 ( 지점 4) 에서는버들치한종만출현하였다. 광주시실촌면삼리실천 ( 지점 5) 에서는피라미와돌고기가우점하였고잉어, 참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참마자, 밀어가희소하게나타났다. 이천시마장면관리 ( 지점 6) 에서는버들치와미꾸리 2종만출현하였고, 이천시호법면매곡리매곡교 ( 지점 7) 에서는피라미와참붕어가우점하였으며, 얼룩동사리, 붕어, 줄몰개, 버들매치가희소하게나타났다. 이천시마장면장암리 ( 지점 8) 에서는버들치와미꾸리 2종만출현하였고, 이천시마장면표교리육하교 ( 지점 9) 에서도버들치와미꾸리가우점하였고붕어가희소하게나타났다. 이천시호법면서산리 ( 지점 10) 에서는피라미와줄몰개가우점하였고, 버들치, 잉어, 돌마자등이희소하게나타났다. 이천시관교동 ( 지점 11) 과이천시신둔면용면리 ( 지점 12) 에서는버들치와밀어가우점하였다. 이천시신둔면소정리근천교 ( 지점 13) 에서는붕어와참붕어가우점하였고, 버들치와돌고기가희소하게나타났다. 이천시백사면경사리 ( 지점 14) 에서는미꾸리와버들치가우점하였다. 이천시갈산동합수점 ( 지점 15) 에서는피라미와모래무지가우점하였고, 참마자, 돌마자, 동자개, 밀어등이희소종으로나타났다. 이천시백사면송말리 ( 지점 16) 에서는 - 68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버들치한종만출현하였다. 여주군백사면현방리 ( 지점 17) 에서는피라미와줄몰개가우점하였고, 버들치, 잉어, 붕어, 누치, 참마자, 미꾸라지, 얼룩동사리등이희소하게나타났다. 여주군흥천면복대리 ( 지점 18) 에서는참붕어와피라미가우점종으로나타났고, 각시붕어, 메기, 얼룩동사리, 동자개, 줄납자루등이희소하게나타났다. 여주군금사면도곡리 ( 지점 19) 에서는버들치와미꾸리 2종만출현하였고, 여주군금사면주록리 ( 지점 20) 에서는버들치 1종만나타났다. 여주군금사면상호리 ( 지점 21) 에서는버들치와쌀미꾸리가우점하였고, 미꾸리가희소하였다. 여주군금사면금사리 ( 지점 22) 에서는피라미와버들치가우점하였고, 긴몰개, 참마자, 모래무지, 쉬리, 점줄종개, 은어, 얼룩동사리, 민물검정망둑이희소종으로나타났다. 여주군신북면송현리 ( 지점 23) 에서는버들치 1종만출현하였다. 여주군신북면용담리 ( 지점 24) 에서는피라미와버들치가우점하였고, 종개가희소하게나타났다. 그리고여주군금사면전북리전북 ( 지점 25) 에서는피라미와납지리가우점종으로나타났고, 떡납줄갱이, 각시붕어, 돌마자, 종개, 큰입우럭등이희소종으로나타났다. - 69 -
최재석 장영수 표 4. 이천 광주의담수어류상 code no. 표준명 학명 / 지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잉어과 Cyprinidae 12 피라미 Zacco platypus 67 97 38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8 22 29 35 27 52 59 1 21 41 5 6 30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3 31 각시붕어 Rhodeus uyekii 3 33 납자루 Acheilognathus intermedia 4 37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38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a 42 잉어 Cyprinus carpio 1 3 43 붕어 Carassius auratus 7 4 1 7 18 4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1 19 15 4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3 4 4 52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53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4 21 56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3 11 10 58 누치 Hemibarbus labeo 59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2 6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6 11 63 버들매치 Abottina rivularis 4 6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4 2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3 1 4 3 7 18 73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2 1 79 점줄종개 Cobitis lutheri 86 종개 Nemacheilus toni 7 87 쌀미꾸리 Lefua costata 동자개과 Bagridae 88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메기과 Siluridae 94 메기 Silurus asotus 바다빙어과 Osmeridae 99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동사리과 Odontobutidae 133 얼룩동사리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9 12 3 망둥어과 Gobiidae 151 밀어 Rhinogobius brunneus 2 2 5 32 8 7 15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외래어 170 큰입우럭 Micropterus salmoides 1 종 3 3 1 1 16 2 7 2 3 11 2 2 5 2 개체수 33 33 29 351253114855 6710953 49 49 24-70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표 4. 계속 code no. 표준명 학명 / 지점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구성비 (%) 비고 잉어과 Cyprinidae 12 피라미 Zacco platypus 83 94 48 52 60 4529.69 일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6 21 1 39 32 37 35 39 21 28.32 일 30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 15 3 1.07 일 31 각시붕어 Rhodeus uyekii 1 3 0.36 일, 고 33 납자루 Acheilognathus intermedia 0.20 일 37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5 19 1.22 일, 고 38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a 8 23 1.58 일 42 잉어 Cyprinus carpio 6 1 4 0.76 일 43 붕어 Carassius auratus 26 2 11 3.86 일 4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31 5 60 5 6.91 일 48 돌고기 Pungtungia herzi 10 1.58 일 52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2 0.10 일, 고 53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37 34 21 5.95 일 56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10 11 1 2.34 일, 고 58 누치 Hemibarbus labeo 1 17 5 1.17 일 59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2 1 1 0.31 일 6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42 14 8 1 4.17 일 63 버들매치 Abottina rivularis 0.20 일 6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3 1 0.51 일, 고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4 5 1 2 2.44 일 73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1 0.20 일 79 점줄종개 Cobitis lutheri 2 0.10 일 86 종개 Nemacheilus toni 8 4 1 1.02 일 87 쌀미꾸리 Lefua costata 3 0.15 일 동자개과 Bagridae 88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2 4 0.31 일 메기과 Siluridae 94 메기 Silurus asotus 4 1 0.25 일 바다빙어과 Osmeridae 99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2 0.10 강 동사리과 Odontobutidae 133 얼룩동사리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5 1 3 2 1.78 일 망둥어과 Gobiidae 151 밀어 Rhinogobius brunneus 1 6 3.20 육 155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1 0.05 일 외래어 170 큰입우럭 Micropterus salmoides 1 0.10 외 8과 31종 13 1 14 16 2 1 3 11 1 3 11 1967개체 248 21 177222 40 32 42 109 39 85 112 일 : 일차담수어, 고 : 한반도고유종 ( 특산종 ), 육 : 육봉어, 강 : 강하어 - 71 -
최재석 장영수 참고문헌 可兒藤吉, 1944. 溪流昆蟲の生態. 可兒藤吉全集, 全一卷, 思索社, 東京 : 5-17. 김익수, 1984. 한국산모래무지아과어류의계통분류학적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7: 436-448. 김익수, 1988. 한국담수산골표상목과극기상목어류의분류. 생물학연구연보 8: 83-173.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동물편 ( 담수어류 ). 교육부. pp. 133-520.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김익수, 이금영, 양서영. 1985. 한국산황어아과어류의계통분류학적연구. 한국수산학회지. 18: 381-400. 김익수. 1980. 한국산기름종개어류의계통분류와분포. 중앙대학교박사학위청구논문. pp.1-4. 內田惠太郞 (Uchida, K.), 1939. 朝鮮魚類誌. 朝鮮總督府水産試驗場報告, 6: 1-460. 이충열, 1988. 한국산동자개과어류의계통분류학적연구. 전북대박사학위논문, 전주. 田祥麟, 1980. 韓國産淡水魚의分布에關하여. 中央大學校大學院博士學位請求論文. pp. 14-49. 田祥麟, 1983. 韓國産미꾸리科魚類의分布와檢索에關하여. 祥明女大論文集, 11: 289-321. 田祥麟, 1984. 韓國産동자개科및메기科魚類의分布와檢索에關하여. 祥明女大論文集,14: 83-115. 田祥麟, 1989. 한국산황어속, 연준모치속및버들치속 ( 황어아과 ) 어류의검색과분포상명여대논문집, 23: 17-36. 田祥麟, 孫永牧, 金益秀, 楊洪準, 李忠烈, 崔忠吉, 1987. 87 자연생태계전국조사 ( 담수어류, 수서곤충 ). 환경청. pp. 29-176. 鄭文基, 1977. 韓國魚圖譜. 一志社崔基哲, 田祥麟, 金益秀, 孫永牧, 1990. 原色韓國陸水魚圖鑑. 鄕文社. - 72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 경기도용인시양지면정수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미꾸리 (72) 84.85 9.01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8 28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3 3 웅덩이, 진흙 73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2 2 웅덩이, 진흙 총 2과 3종 33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1m 높이의보가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73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2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 경기도광주시도척면방도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얼룩동사리 (133) 66.67 27.27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2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2 22 웅덩이, 돌 동사리과 Odontobutidae 133 얼룩동사리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9 9 웅덩이, 돌밑 망둥어과 Gobiidae 웅덩이, 진흙 151 밀어 Rhinogobius brunneus 2 2 총 3과 3종 33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74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3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3: 경기도광주시실촌면신촌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100.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Code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No. No.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3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9 29 웅덩이, 돌 총 1과 1종 29개체 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하천에서기름냄새가남손이기름으로인하여미끄러움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 75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4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4: 경기도광주시실촌면삼합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100.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Code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No. No.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4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5 35 웅덩이, 돌 총 1과 1종 35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축사등이위치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76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5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5: 경기도광주시실촌면삼리실촌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돌고기 (48) 53.60 10.40 큰입우럭 (170) 0.8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5 Code No. 12 30 31 33 42 43 47 48 56 59 65 72 73 133 151 종명출현개체수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비고 ( 미소환경 ) Cyprinidae Zacco platypus 45 22 67 여울, 소 Rhodeus notatus 3 3 웅덩이, 풀숲 Rhodeus uyekii 3 3 웅덩이, 풀숲 Acheilognathus intermedia 4 4 웅덩이, 풀숲 Cyprinus carpio 1 1 웅덩이, 풀숲 Carassius auratus 7 7 웅덩이, 풀숲 Pseudorasbora parva 1 1 웅덩이, 풀숲 Pungtungia herzi 12 1 13 소, 돌 Squalidus gracilis majimae 3 3 웅덩이, 풀숲 Hemibarbus longirostris 2 2 소 Microphysogobio yaluensis 1 3 4 소, 모래, 자갈 Cobitidae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1 웅덩이, 뻘 Misgurnus mizolepis 1 1 웅덩이, 뻘 Odontobutidae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8 4 12 웅덩이, 돌밑 Gobiidae Rhinogobius brunneus 2 2 여울, 돌 잉어과피라미떡납줄갱이각시붕어납자루잉어붕어참붕어돌고기긴몰개참마자돌마자미꾸리과미꾸리미꾸라지동사리과얼룩동사리망둥어과밀어외래어큰입우럭 170 Micropterus salmoides 1 1 소 총 5과 16종 125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시내지점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1.5m 정도높이의보가존재 투망 (7회사용) - 77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6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6: 경기도이천시마장면관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미꾸리 (72) 87.10 12.9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6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7 27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4 4 웅덩이, 진흙 총 2과 2종 31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78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7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7: 경기도이천시호법면매곡리매곡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참붕어 (47) 65.54 12.84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7 잉어과 Cyprinidae 12 피라미 Zacco platypus 82 15 97 여울, 소 43 붕어 Carassius auratus 2 2 4 웅덩이, 풀숲 4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7 12 19 웅덩이, 풀숲 53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4 4 56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5 6 11 웅덩이, 풀숲 6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4 2 6 소, 모래 63 버들매치 Abottina rivularis 1 3 4 동사리과 Odontobutidae 133 얼룩동사리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3 3 웅덩이, 돌밑 총 2과 7종 148개체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79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8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8: 경기도이천시마장면장암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미꾸리 (72) 94.55 5.45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8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52 52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3 3 웅덩이, 진흙 총 2 과 2 종 55 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 mm ) 조사시상방은복개된하천임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80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9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9: 경기도이천시마장면표교리육하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미꾸리 (72) 88.06 10.45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9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4 25 59 웅덩이, 돌 43 붕어 Carassius auratus 1 1 웅덩이, 풀숲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7 7 웅덩이, 진흙 총 2과 3종 67개체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제방공사중임 B( 망목 ;4x4mm) 공사를한흔적이곳곳에보임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81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10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0: 경기도이천시호법면서산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줄몰개 (53) 34.86 19.27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0 잉어과 Cyprinidae 12 피라미 Zacco platypus 31 7 38 여울, 소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1 1 웅덩이, 돌 42 잉어 Cyprinus carpio 3 3 웅덩이, 풀숲 43 붕어 Carassius auratus 5 2 7 웅덩이, 풀숲 48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4 소, 돌 53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2 19 21 웅덩이, 풀숲 56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10 10 웅덩이, 풀숲 6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11 11 소, 모래 65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2 2 소, 모래, 자갈 미꾸리과 Cobitidae 86 종개 Nemacheilus toni 7 7 여울, 돌밑 망둥어과 Gobiidae 151 밀어 Rhinogobius brunneus 5 5 여울, 돌 총 3과 11종 109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하천내달뿌리풀다량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82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1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1: 경기도이천시관교동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밀어 (153) 버들치 (20) 60.40 39.6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1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1 21 웅덩이, 돌 망둥어과 Gobiidae 153 밀어 Rhinogobius brunneus 32 32 여울, 돌 총 2과 2종 53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공원내지점 ( 생태공원 )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83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12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2: 경기도이천시신둔면용면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밀어 (153) 83.67 16.33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2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41 41 웅덩이, 돌 망둥어과 Gobiidae 153 밀어 Rhinogobius brunneus 8 8 여울, 돌 총 2과 2종 49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저수지상방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84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3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3: 경기도이천시신둔면소정리근천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붕어 (43) 참붕어 (47) 36.73 30.61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3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4 1 5 웅덩이, 돌 43 붕어 Carassius auratus 15 3 18 웅덩이, 풀숲 47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4 11 15 웅덩이, 풀숲 48 돌고기 Pungtungia herzi 4 4 소, 돌 망둥어과 Gobiidae 151 밀어 Rhinogobius brunneus 7 7 웅덩이, 진흙 총 2과 5종 49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저수지하방으로흙탕물이흐름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85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14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4: 경기도이천시백사면경사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미꾸리 (72) 버들치 (20) 75.00 25.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4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6 6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8 18 웅덩이, 진흙 총 2 과 2 종 24 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 mm ) 자연형에가까운하천임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86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5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5: 경기도이천시갈산동합수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모래무지 (61) 33.47 16.94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15 Code No. 12 20 42 43 47 53 59 61 65 88 94 133 종명출현개체수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비고 ( 미소환경 ) Cyprinidae Zacco platypus 37 46 83 여울, 소 Moroco oxycephalus 1 5 6 웅덩이, 돌 Cyprinus carpio 1 5 6 웅덩이, 풀숲 Carassius auratus 5 21 26 웅덩이, 풀숲 Pseudorasbora parva 31 31 웅덩이, 풀숲 Gnathopogon strigatus 37 37 웅덩이, 풀숲 Hemibarbus longirostris 1 1 2 소 Pseudogobio esocinus 28 14 42 소, 모래 Microphysogobio yaluensis 3 3 소, 모래, 자갈 Bagridae Pseudobagrus fulvidraco 2 2 소, 풀숲 Siluridae Silurus asotus 4 4 웅덩이, 돌밑 Odontobutidae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5 5 웅덩이, 돌밑 Gobiidae Rhinogobius brunneus 1 1 여울, 돌 잉어과피라미버들치잉어붕어참붕어줄몰개참마자모래무지돌마자동자개과동자개메기과메기동사리과얼룩동사리망둥어과밀어 151 총 5과 13종 248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조사지상방에서교각공사중임 - 87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16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6: 경기도이천시백사면경사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100.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Code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No. No.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6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1 21 웅덩이, 돌 총 1과 1종 21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1m 높이의보가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88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7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7: 경기도이천시백사면현방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줄몰개 (53) 53.11 19.21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17 Code No. 12 20 42 43 47 53 56 58 59 61 72 73 86 종명출현개체수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비고 ( 미소환경 ) Cyprinidae Zacco platypus 77 17 94 여울, 소 Moroco oxycephalus 1 1 웅덩이, 돌 Cyprinus carpio 1 1 웅덩이, 풀숲 Carassius auratus 2 2 웅덩이, 풀숲 Pseudorasbora parva 5 5 웅덩이, 풀숲 Gnathopogon strigatus 34 34 웅덩이, 풀숲 Squalidus gracilis majimae 2 8 10 웅덩이, 풀숲 Hemibarbus labeo 1 1 웅덩이 Hemibarbus longirostris 1 1 소 Pseudogobio esocinus 9 5 14 소, 모래 Cobitidae Misgurnus anguillicaudatus 4 4 웅덩이, 뻘 Misgurnus mizolepis 1 1 웅덩이, 뻘 Nemacheilus toni 8 8 여울, 돌밑 Odontobutidae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1 1 웅덩이, 돌밑 잉어과피라미버들치잉어붕어참붕어줄몰개긴몰개누치참마자모래무지미꾸리과미꾸리미꾸라지종개동사리과얼룩동사리 133 총 3과 14종 177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축사등이위치 - 89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18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8: 경기도여주군홍천면복대리복대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참붕어 (47) 피라미 (12) 27.03 21.62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18 Code No. 12 30 31 37 38 42 43 47 53 56 58 61 72 88 94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Cyprinidae Zacco platypus 37 11 48 여울, 소 Rhodeus notatus 15 15 웅덩이, 풀숲 Rhodeus uyekii 1 1 웅덩이, 풀숲 Acheilognathus yamatsutae 5 5 웅덩이, 풀숲 Acheilognathus rhombea 8 8 웅덩이, 풀숲 Cyprinus carpio 1 3 4 웅덩이, 풀숲 Carassius auratus 5 6 11 웅덩이, 풀숲 Pseudorasbora parva 60 60 웅덩이, 풀숲 Gnathopogon strigatus 21 21 웅덩이, 풀숲 Squalidus gracilis majimae 11 11 웅덩이, 풀숲 Hemibarbus labeo 5 12 17 웅덩이 Pseudogobio esocinus 5 3 8 소, 모래 Cobitidae Misgurnus anguillicaudatus 5 5 웅덩이, 뻘 Bagridae Pseudobagrus fulvidraco 4 4 소, 풀숲 Siluridae Silurus asotus 1 1 웅덩이, 돌밑 Odontobutidae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3 3 웅덩이, 돌밑 잉어과피라미떡납줄갱이각시붕어줄납자루납지리잉어붕어참붕어줄몰개긴몰개누치모래무지미꾸리과미꾸리동자개과동자개메기과메기동사리과얼룩동사리 133 총 5과 16종 222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시내지점 B( 망목 ;4x4mm) 1.5m 정도의보가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90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19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19: 경기도여주군금사면도곡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미꾸리 (72) 97.50 2.5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19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9 39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1 1 웅덩이, 진흙 총 2과 2종 40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91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20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0: 경기도여주군금사면주록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100.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Code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No. No.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20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2 32 웅덩이, 돌 총 1과 1종 32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관광지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92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21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1: 경기도여주군금사면상호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쌀미꾸리 (87) 88.10 7.14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21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7 37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72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2 2 웅덩이, 진흙 87 쌀미꾸리 Lefua costata 3 3 웅덩이, 진흙 총 2과 3종 42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93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22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2: 경기도여주군금사면금사리금사교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버들치 (20) 47.71 32.11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22 Code No. 12 20 48 52 56 59 61 79 99 133 155 종명출현개체수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비고 ( 미소환경 ) Cyprinidae Zacco platypus 35 17 52 여울, 소 Moroco oxycephalus 35 35 웅덩이, 돌 Pungtungia herzi 6 4 10 소, 돌 Coreoleuciscus splendidus 2 2 여울 Squalidus gracilis majimae 1 1 웅덩이, 풀숲 Hemibarbus longirostris 1 1 소 Pseudogobio esocinus 1 1 소, 모래 Cobitidae Cobitis lutheri 2 2 소, 모래 Osmeridae Plecoglossus altivelis 2 2 소, 돌 Odontobutidae Odontobutis odontobutis interrupta 2 2 웅덩이, 돌밑 Gobiidae Tridentiger brevispinis 1 1 소, 돌밑 잉어과피라미버들치돌고기쉬리긴몰개참마자모래무지미꾸리과점줄종개바다빙어과은어동사리과얼룩동사리망둥어과민물검정망둑 총 5과 11종 109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94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23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3: 경기도여주군신북면송현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버들치 (20) 100.00 나. 출현어종목록 Site Code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No. No.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23 잉어과 Cyprinidae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39 39 웅덩이, 돌 총 1과 1종 39개체포획도구 code. : B 기타특기사항포획도구의규격 : B( 망목 ;4x4mm) 1.5m 보가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 분작업 ) - 95 -
최재석 장영수 조사표 24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4: 경기도여주군신북면용담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버들치 (20) 70.50 24.71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Code No.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24 잉어과 Cyprinidae 12 피라미 Zacco platypus 52 8 60 여울, 소 20 버들치 Moroco oxycephalus 21 21 웅덩이, 돌 미꾸리과 Cobitidae 86 종개 Nemacheilus toni 4 4 여울, 돌밑 총 2과 3종 85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보가존재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 96 -
이천 광주, 혜화산일대의담수어류 (2004) 조사표 25 담수어류현지조사표 조사자 : 최재석 장영수 소속 : 강원대학교생물학과 조사지점 25: 경기도이천시호법면서산리가. 특기어종목록 우점종 희귀종 보호종 도입종 피라미 (12) 납지리 (38) 40.18 20.54 큰입우럭 (170) 0.89 나. 출현어종목록 Site No. 25 Code No. 12 30 31 37 38 47 58 65 86 151 170 종명출현개체수비고 ( 미소환경 ) 표준명학명투망족대종합 잉어과피라미떡납줄갱이각시붕어줄납자루납지리참붕어누치돌마자미꾸리과종개망둥어과밀어외래어큰입우럭 Cyprinidae Zacco platypus 37 Rhodeus notatus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yamatsutae 17 Acheilognathus rhombea Pseudorasbora parva Hemibarbus labeo 5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dae Nemacheilus toni Gobiidae Rhinogobius brunneus 1 Micropterus salmoides 1 8 3 3 2 23 5 1 1 5 45 3 3 19 23 5 5 1 1 6 1 여울, 소웅덩이, 풀숲웅덩이, 풀숲웅덩이, 풀숲웅덩이, 풀숲웅덩이, 풀숲웅덩이소, 모래, 자갈 여울, 돌밑 여울, 돌 총 4과 11종 112개체 포획도구 code. : A, B 기타특기사항 포획도구의규격 : A( 망목 ;6x6mm) B( 망목 ;4x4mm) 포획횟수또는시간 : 족대 (40분작업 ) 투망 (7회사용) 소 - 97 -
최재석 장영수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SL 49mm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SL 57mm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SL 217mm 줄몰개 Gnathopogon strigatus SL 92mm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 SL 73mm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SL 197mm - 98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양서영 이무영 ( 인하대학교생물학과, 서울대학교수의과대학 ) 요 약 경기도광주시와이천시가포함되어있는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지역의국수봉과천덕봉에대한양서 파충류상을조사하였다. 현지조사는 2004년 2월부터 9월까지 7회에걸쳐실시하였으며조사결과는다음과같다. 1. 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지역의국수봉과천덕봉에서확인된양서류는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2 목 6과 6속 9종이었다. 2. 무당개구리와아무르산개구리의경우는천덕봉에서만확인이되었으며특히아무르산개구리의경우는번식기에집단산란장이확인되기도하였다. 3. 본조사지역에서는외국도입종인황소개구리는유입되지않은것으로확인되었으며, 꼬리치레도롱뇽, 고리도롱뇽, 물두꺼비, 계곡산개구리, 금개구리, 수원청개구리등도그서식이확인되지않았다. 4. 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지역에서확인된파충류는줄장지뱀, 표범장지뱀, 누룩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 1목 3과 7속 8종이었다. 5. 줄장지뱀의경우는국수봉에서만그서식이확인되었다. 6. 본조사권역의양서 파충류상은과거에비하여전반적으로그개체의수가줄어든상태임이현지주민들의탐문을통하여확인되었다. - 99 -
양서영 이무영 서 론 본조사는우리나라에서식하는동 식물의서식, 분포현황과지형경관등의조사및평가를통한전국의자연환경현황파악을위한환경부의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 로써, 양서 파충류의서식, 분포상황을파악하고, 멸종위기에처한종들과학술적으로중요한종들및사회과학적으로중요한종들에대한조사의일환이다 ( 환경부, 1998). 국토의자연환경에대한기초현황자료확보를통해체계적인자연환경보전대책추진과유전자원주권시대를대비한국가생물자원의효율적인관리체계구축하며국토의보전과개발계획수립시지침으로활용하기위한기초자료를마련하기위함이다. 이에국내에서식하는양서류및파충류의서식실태및생태적특성을파악하여생물다양성측면에서자연환경을평가하는한편, 급변하는환경파괴에의한생물상의학술및사회과학적으로중요한종들을보존하기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이천 광주지역 ( 소권역 5-02) 의국수봉과천덕봉지역을대상으로양서 파충류상을조사하였다. 본조사의대상지역인이천 광주지역은소권역 5-02지역으로천덕봉 (634m) 은경기도광주시 ( 실촌면 ) 와여주군 ( 금사면 ), 이천시 ( 신둔면 ) 등의경계에위치한산이며국수봉 (427m) 은경기도광주시도척면과실촌면에경계를이루며위치한다. 본조사권역 ( 국수봉, 천덕봉 ) 에대한양서 파충류상이환경부에의해조사된바는없으나본조사권역인경기도이천군과광주군에대한 1987년도환경청의양서 파충류의탐문조사가실시되어보고된바있다. 이조사에따르면경기도이천군에는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금개구리, 산개구리, 옴개구리, 도마뱀, 표범장지뱀, 유혈목이, 능구렁이, 실뱀, 무자치, 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이서식하는것으로탐문되었고, 광주군에는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금개구리, 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옴개구리, 도마뱀, 표범장지뱀, 유혈목이, 능구렁이, 무자치, 누룩뱀, 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이탐문된바있다. 조사방법 1. 조사지역및조사일정 1) 조사지역본일반조사권역인이천 광주지역 (5-02) 의국수봉과천덕봉의정상을기준으로주변의수환경을고려하여각평가단위산에서가까운지역의능선, 하천및민가주변등을중심으로각지역에서식하는양서류및파충류상을조사하였다. - 100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2) 조사기간및조사일정본지역의조사는 2004년 2월부터 9월까지각지역별로총 7회에걸쳐실시되었으며, 조사일정, 조사내용및주요조사대상종은 ( 표 1) 과같다. 표 1. 조사일정및시기별조사내용 조사일정 조사대상지역 조사내용및주조사대상종 2004 년 2 월 26 일 ~2 월 27 일국수봉천덕봉 2004 년 3 월 11 일 ~3 월 13 일상동 2004 년 3 월 26 일 ~3 월 28 일상동 2004 년 4 월 22 일 ~4 월 24 일상동 2004 년 5 월 8 일 ~5 월 9 일상동 2004 년 6 월 25 일 ~6 월 26 일상동 2004 년 9 월 2 일 ~9 월 3 일상동 지형조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아무르산개구리청문조사,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아무르산개구리, 청개구리참개구리, 청개구리, 옴개구리, 두꺼비,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무당개구리, 도마뱀, 장지뱀류참개구리, 청개구리, 옴개구리, 두꺼비, 무당개구리, 도마뱀, 장지뱀류및뱀류무당개구리, 청개구리, 기타양서류, 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기타파충류, 파충류확인, 관찰및청문조사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기타파충류, 파충류확인, 관찰및청문조사유혈목이, 능구렁이, 쇠살모사, 살모사, 까치살모사, 기타파충류, 파충류확인, 관찰및청문조사 2. 생물상조사및분석방법 1) 서식종확인 2개의조사대상지역산 ( 국수봉, 천덕봉 ) 들을기준으로주변수환경을고려하여지역의능선 ( 산기슭 ) 과하천및인가주변을주조사지역으로선정, 지형조사를실시하였으며각생물군의출현시기에맞추어종확인작업을총 7회에걸쳐수행하였다. 양서류의경우는활동성이증가되는이른봄부터산란시기인 3, 4월에집중적으로조사되었고도 - 101 -
양서영 이무영 롱뇽류 ( 도롱뇽, 고리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 와산개구리류 (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 참개구리류 ( 참개구리, 금개구리 ), 두꺼비류 ( 두꺼비, 물두꺼비 ) 등은성체와더불어유생과알의확인작업이동시에실시되었다. 또한번식기에는개구리류의울음소리 (mating call) 를조사분석방법의자료로사용하였다. 직접채집이어려운종들에 ( 주로파충류 ) 대하여는그지역주거농민이나주민을대상으로청문조사와함께주변계곡이나야산에서직접확인하는방법을병행하였다. 또한청문조사는각지역에거주하는주민들이 3년이내에보았거나채집한종류를현장에서청문조사를실시하였다. 이과정에서일반주민들의청문조사는과거환경처에서지급되었던양서 파충류각종들의사진과특히양서류의경우는 한국의양서류 ( 양등, 2001) 를이용하여종서식여부를확인하였다. 조사대상종의학명은강과윤 (1975), Zhao & Adler(1993), 백과심 (1999), 양등 (2001) 및 Kim 등 (2003) 을참고하였다. 각종의코드는별첨 1의종코드목록을이용하였다. 해당조사지역에거주하며청문조사에응답한주민은 ( 표 2) 와같다. 표 2. 청문조사응답자 평가단위성명성별연령주소직업 오태종남 65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수양 1 리 401 번지농업 국수봉 전병하남 85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수양 1 리 116- 산 1 번지농업 이종황남 64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수양 1 리 107 번지농업 한찬화여 64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삼합리 132 번지농업 천덕봉 이주영남 58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삼합리 135 번지농업 김명식남 56 세경기도광주시설촌면유사 1 리 48 번지농업 2) 서식종의빈도주조사지역의서식처에서직접채집또는관찰된각종의빈도는 3등급 (❶: 15개체이상, ❷:15개체미만 5개체이상, ❸: 5개체미만 ) 으로나누어표시하였고, 청문에의하여확인된종들 ( 대부분의파충류 ) 의빈도는응답자의수를기준으로판단하였다 (ꋎ: 응답자전원, ꋏ: 1/2 이상, ꋐ: 1/2 미만 ). 3) 종다양성의변화 1987년도의제2차ꡐ87 자연생태계전국조사 ( 환경청 ) 에서의경기도광주군과이천군의분포목록을기초로종다양성의변화를비교하였다. - 102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4) 생태지도작성조사대상지역에서직접관찰또는채집된종들은확인된위치를 1/25,000 지도상에환경부범례에따라종코드를이용하여표기하므로서, 조사지역별종의분포상황을한눈에볼수있는생태지도를작성하였다. 5) 도표작성조사결과의도표작성및생태지도작성시표기는환경부범례에따랐다. ( : 채집, 관찰, : 청문, : 절멸 : 유입, A: 양서류, R: 파충류 ) 조사결과및고찰 1. 출현종목록 본조사권역인이천 광주지역 ( 국수봉, 천덕봉 ) 에서채집및확인된양서류는총 2목 6과 6속 9종이며, 파충류는총 1목 3과 7속 8종으로그목록은다음과같다. Class Amphibians ( 양서綱 ) Order Caudata ( 유미目, 도롱뇽目 ) Family Hynobiidae( 도롱뇽科 ) 1. Hynobius leechii (Boulenger) 도롱뇽 Order Salientia ( 무미目, 개구리目 ) Family Bufonidae ( 두꺼비科 ) 2. Bufo gargarizans Cantor 두꺼비 Family Hylidae ( 청개구리科 ) 3. Hyla japonica Gunther 청개구리 Family Discoglossidae ( 무당개구리科 ) 4.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무당개구리 Family Microhylidae ( 맹꽁이과 ) 5. Kaloula borealis Barbour 맹꽁이 Family Ranidae ( 개구리科 ) 6. Rana nigromaculata Halowell 참개구리 7. Rana amurensis Okada 아무르산개구리 8. Rana dybowskii Gunther 북방산개구리 9 Rana rugosa Schlegel 옴개구리 - 103 -
양서영 이무영 Class Reptilia ( 파충綱 ) Order Squamata ( 유인目 ) Family Lacertidae ( 장지뱀科 ) 1. Takydromus wolteri Fischer 줄장지뱀 2. Eremias argus Peters 표범장지뱀 Family Colubridae ( 뱀科 ) 3. Enhydris rufodorsata (Cantor) 무자치 4.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Boie) 유혈목이 5. Elaphe dione Pallas 누룩뱀 6. Di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Cantor) 능구렁이 Family Viperidae ( 살모사科 ) 7. Agkistrodon brevicaudus Stejneger 살모사 8. Agkistrodon saxatilis Emelianov 까치살모사 2. 조사결과및출현종목록 1) 국수봉국수봉 (427m) 은경기도광주시도척면과실촌면의경계를이루며위치하는산으로비교적낮은산봉우리이다. 이른봄국수봉의서사면쪽인광주시도척면진우리로진입하는국수봉의계곡은물이매우적은편으로군데군데물이얕게고여있으며물의흐름은거의없었다. 또한실촌면수양리쪽에서국수봉북사면으로진입하는길의계곡에는물이거의메마른상태이며전원주택조성단지로서야산이대부분깎인상태로물은많이오염되어있었다. 또한과거의논들이밭작물을재배하는밭으로많이전환되어양서류의서식지가많이줄어든상황이었다. 이른봄철의조사에서는진우리의계곡에서도롱뇽의성체가산란된알들과함께적은물이흐르는계곡에서발견되었으며배발생은진행되지않은상태였다. 3월초의조사시, 실촌면수양리지역의물이있는일부의논가에서는산개구리의알들이산란되어져있었으며배발생은전혀진행되지않은상태로산란이최근에이루어진것으로확인되어북방산개구리와도롱뇽의번식시기는 3월초부터시작되는것으로추정되었다. 그러나이지역의수량이전반적으로적은편이어서이곳에서식하는양서류들에게수환경적인영향이클것으로사료된다. 청개구리와두꺼비는 6월의조사에서실촌면수양리지역에서확인되었는데청개구리의경우는나무위에서울고있는울음소리가청취되었고, 탐문한주민의집안툇마루아래에서는두꺼비가발견되어이들종이국수봉에서식함을확인하였다. 국수봉지역에서주민을대상으로양서 파충류에대한탐문조사결과양서류에는도롱뇽,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가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으나과거에비하여서식개체수가많이줄어든것으로탐문되었다. 맹꽁이의경 - 104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우는주로장마철에소리로서그서식을확인할수있다고하며참개구리는논경지의감소에따른서식처의감소로그서식이현저히줄어든것으로조사되었다. 파충류의경우는줄장지뱀, 표범장지뱀, 누룩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이서식하는것으로밝혀졌고이중표범장지뱀은다른종에비해상대적으로많이서식하는것으로확인이되었으나일반적으로대부분의파충류종들이과거에비해줄어들었는데그원인들중에는농약의과다살포와전문뱀수집가들이 (4-5년이전까지 ) 뱀그물을설치하여뱀들을포획하여간점들을들고있었다. 국수봉지역에는양서류 5속 7종과파충류 7속 8종이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3, 그림 1). 표 3. 국수봉의양서류및파충류 채집및관찰에의해직접확인된종 청문에의해서간접확인된종 코드번호 학명일반명등급평가등급 비고 A-01 Hynobius leechii 도롱뇽 ❸ 3 A-06 Bufo gargarizans 두꺼비 ❸ 1 A-08 Hyla japonica 청개구리 ❸ 3 A-10 Kaloula borealis 맹꽁이 ꋏ 1 CW, RE A-11 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 ꋎ 5 A-14 Rana rugosa 옴개구리 ꋐ 4 A-15 Rana dybowskii 북방산개구리 ❶ 2 R-27 Takydromus wolteri 줄장지뱀 ꋐ 2 R-28 Eremias argus 표범장지뱀 ꋏ 1 R-31 Elaphe dione 누룩뱀 ꋏ 3 R-32 Enhydris rufodorsata 무자치 ꋏ 2 R-33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유혈목이 ꋏ 5 R-35 Di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능구렁이 ꋏ 2 RE R-39 Agkistrodon brevicaudus 살모사 ꋎ 2 R-40 Agkistrodon saxatilis 까치살모사 ꋎ 1 계양서류 7 종, 파충류 8 종 * EW (Endangered Wildlife) : 멸종위기야생동물 ( 자연보전법시행령제 2조 ) * CW (Conserved Wildlife) : 보호야생동물 ( 자연보전법시행령제 3조 ) * R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 희귀및위기동물 ( 한국자연보존협회지정 ) 평가등급은 2000년환경부양서 파충류조사지침서에준하였다. - 105 -
양서영 이무영 도엽번호 NJ52-9-20-3 노곡 그림 1. 국수봉의양서 파충류분포상 : 채집및관찰에의해확인된종 : 청문에의해간접확인된종 A-01: 도롱뇽, A-06: 두꺼비, A-08: 청개구리, A-10: 맹꽁이, A-11: 참개구리, A-14: 옴개구리, A-15: 북방산개구리, R-27: 줄장지뱀, R-28: 표범장지뱀, R-31: 누룩뱀, R-32: 무자치, R-33: 유혈목이, R-35: 능구렁이, R-39: 살모사, R-40: 까치살모사 - 106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2) 천덕봉천덕봉 (634m) 은경기도광주시 ( 실촌면 ) 와여주군 ( 금사면 ), 이천시 ( 신둔면 ) 등의경계에위치한산이며원적봉 (563m) 이매우인접해있어서로의능선이연결되어있는산이다. 이천덕봉지역은과거산불이자주일어나능선의산림이매우황량한분위기였으며, 지역주민의말에의하면 2년전 4월 5일에불이아주크게일어나많은산림이훼손되었다고한다. 3월초의조사시에실촌면삼합리지역에서천덕봉으로진입하는곳의논가에서번식을위해산란행동들을하는수십개체의아무르산개구리들을관찰하였으며, 일부포접을당한암컷개체들이산란을하는것들도확인되어이시기가아무르산개구리의번식시기임을확인하였다. 또한같은논의떨어진장소에서는북방산개구리들이 mating call을하고있어북방산개구리의번식도시작이되고있음을알수있었으며아무르산개구리와공동산란장을사용하고있는것이확인되었다. 도롱뇽의경우는도랑의물가장자리에서산란된알이확인되었고, 청개구리는 5월의조사에서울음소리가청취되었으며옴개구리는물가돌아래에서그서식이확인되었다. 그밖의양서류와파충류는주민들의탐문을통하여조사되었다. 천덕봉지역에서주민을대상으로양서파충류에대한탐문조사결과, 양서류에는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가서식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이중참개구리와두꺼비는그수가많이줄어든것으로확인이되었으며맹꽁이의경우는장마철에비교적많은울음소리를들을수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러나전반적으로서식환경변화와서식처파괴등에의하여양서류가과거에비하여서식개체수가많이줄어든것으로탐문되었다. 파충류의경우는표범장지뱀, 누룩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이서식하는것으로밝혀졌으며파충류역시일반적으로대부분의파충류종들이과거에비해줄어들어거의눈에띄지않는것으로탐문되었다. 천덕봉지역의양서류는 6속 9종이, 파충류는 6속 7종이각각서식 분포하는것으로확인되었다 ( 표 4, 그림 2). - 107 -
양서영 이무영 표 4. 천덕봉의양서류및파충류 채집및관찰에의해직접확인된종 청문에의해서간접확인된종 코드번호 학명일반명등급 평가등급 비고 A-01 Hynobius leechii 도롱뇽 ❸ 3 A-03 Bombina orientalis 무당개구리 ꋏ 4 A-06 Bufo gargarizans 두꺼비 ꋎ 1 A-08 Hyla japonica 청개구리 ❸ 3 A-10 Kaloula borealis 맹꽁이 ꋎ 1 A-11 Rana nigromaculata 참개구리 ꋏ 5 CW, RE A-14 Rana rugosa 옴개구리 ❸ 4 A-15 Rana dybowskii 북방산개구리 ❷ 2 A-16 Rana amurensis 아무르산개구리 ❶ 2 R-28 Eremias argus 표범장지뱀 ꋎ 1 R-31 Elaphe dione 누룩뱀 ꋎ 3 R-32 Enhydris rufodorsata 무자치 ꋎ 2 R-33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유혈목이 ꋎ 5 R-35 Di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능구렁이 ꋎ 2 RE R-39 Agkistrodon brevicaudus 살모사 ꋎ 2 R-40 Agkistrodon saxatilis 까치살모사 ꋎ 1 계 양서류 9종, 파충류 7종 * EW (Endangered Wildlife) : 멸종위기야생동물 ( 자연보전법시행령제 2조 ) * CW (Conserved Wildlife) : 보호야생동물 ( 자연보전법시행령제 3조 ) * R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 희귀및위기동물 ( 한국자연보존협회지정 ) 평가등급은 2000년환경부양서 파충류조사지침서에준하였다. - 108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도엽번호 NJ52-9-20-4 이천 그림 2. 천덕봉의양서 파충류분포상 : 채집및관찰에의해확인된종 : 청문에의해간접확인된종 A-01: 도롱뇽, A-05: 무당개구리, A-06: 두꺼비, A-08: 청개구리, A-10: 맹꽁이, A-11: 참개구리, A-13: 아무르산개구리, A-14: 옴개구리, A-15: 북방산개구리, R-28: 표범장지뱀, R-31: 누룩뱀, R-32: 무자치, R-33: 유혈목이, R-35: 능구렁이, R-39: 살모사, R-40: 까치살모사 3. 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의전체현황및출현종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지역의국수봉과천덕봉에서확인된양서류는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청개구리, 맹꽁이, 참개구리, 옴개구리, 북방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 2목 6과 6속 9종이었다. 양서류중외국도입종인황소개구리는이지역에는도입되지않는것으로조사되었으며그이외의서식하는다른양서류종들은과거에비하여현저하게감소된추세를보이고있었다. 한편천덕봉의실촌면삼합리지역에서는이른봄철이번식기인북방산개구리와아무르산개구리들이공동의집단산란장을이용하고있었으며, 아무르산개구리의집단산란장이확인되기도하였다. 장마철에관찰되는맹꽁이와두꺼비의경우는과거에비해감소된종으로확인되었으나맹꽁이의경우는각지역의논가주변물웅덩이에서장마철에빈번하게울음소리를청취할수있는종으로탐문을 - 109 -
양서영 이무영 통하여확인되었다. 무당개구리와아무르산개구리는조사지역산중천덕봉지역에서만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참개구리는조사지역모두에서서식하는것으로나타났으나논경지등의감소와농약의살포로현격하게개체수가줄어든종중에하나로확인되었다. 청개구리의경우는인가주변의농경지에서여름철에우는것으로확인이되었으나이종역시과거에비해개체수가많이줄어든것으로조사되었다. 본조사지역에서는주로산간계류에서식하는계곡산개구리 (Yang et al., 2000) 와물두꺼비, 꼬리치레도롱뇽이나현재까지고리지역부근에서만서식하는것을알려진고리도롱뇽 (Kim et al., 2003), 청개구리와형태적으로유사하지만 mating call 과유전적차이가뚜렷한수원청개구리 (Kuramoto, 1980; 양등 1981, Park et al., 1996), 참개구리와자매종인금개구리 (Yang et al., 1999; 양등 2001) 등의서식은확인되지않았다. 소권역 5-02( 이천 광주 ) 에서확인된파충류는줄장지뱀, 표범장지뱀, 누룩뱀, 무자치, 유혈목이, 능구렁이, 살모사, 까치살모사등 1목 3과 7속 8종이었다. 이소권역에서의파충류상은농약의다량살포와뱀수집가들의남획및환경변화에따른서식처파괴로인해과거에비해전반적으로그서식개체수가줄어든상태임이확인되었다. 줄장지뱀의경우는국수봉지역에서만서식하는것으로탐문조사되었다. 4. 종다양성의변화최근 15여년간종다양성의변화를비교하기위하여, 본조사에서확인된국수봉과천덕봉의양서 파충류상및그서식빈도등급을 1987년에환경청에서조사된광주군과이천군의목록과비교한결과는 ( 표 5) 와같다. 과거환경청 (1987) 조사에서는본조사대상산들이위치한경기도광주군과이천군지역에서조사된양서류의경우참개구리의자매종으로알려진금개구리가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나본조사지역에는금개구리의서식환경에알맞은서식지가없었으며이종의서식도확인되지않았다. 파충류의경우에도 1987년조사에서는서식이확인된도마뱀, 구렁이, 실뱀등의서식이본조사지역인국수봉과천덕봉일대에서는확인되지않았다. 서식이확인된장지뱀류 2종중줄장지뱀의경우는국수봉지역에서만그서식이새롭게확인되었다. 무당개구리와아무르산개구리는국수봉에서는그서식이확인되지는않았으나천덕봉일대에는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특히아무르산개구리의경우는천덕봉지역에서번식시기에집단산란장이확인되기도하였다. 그러나일반적으로양서 파충류종이현재그개체수나종수에있어서과거에비하여줄어든현상을보이고있었으며이런양서 파충류상의감소현상에대한원인에는여러요인들이작용하였으리라추정되나그여러원인들중에는인간의활동에의한서식서의감소와파괴및남획, 그리고환경변화 ( 온도, 오존층파괴, 곰팡이균등 ) 등에의한요인들이작용하였을것으로사료된다. - 110 -
이천 광주, 태화산일대의양서 파충류 (2004) 표 5. 평가단위별양서 파충류분포목록과빈도및환경청의 1987 년조사결과비교 일반명學名 2004 현재조사 1987 환경청 국수봉천덕봉광주군이천군 도롱뇽 Hynobius leechii ❸ ❸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ꋏ 두꺼비 Bufo gargarizans ❸ ꋎ 청개구리 Hyla japonica ❸ ❸ 맹꽁이 Kaloula borealis ꋏ ꋎ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ꋎ ꋏ 금개구리 Rana plancyi 옴개구리 Rana rugosa ꋐ ❸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❶ ❷ 아무르산개구리 Rana amurensis ❶ 도마뱀 Leiolopisma laterale 줄장지뱀 Takydromus wolteri ꋐ 표범장지뱀 Eremias argus ꋏ ꋎ 구렁이 Elaphe schrenckii 누룩뱀 Elaphe dione ꋏ ꋎ 실뱀 Zamenis spinalis 무자치 Enhydris rufodorsata ꋏ ꋎ 유혈목이 Rhabdophis tigrinus tigrinus ꋏ ꋎ 능구렁이 Dinodon rufozomatus rufozomatus ꋏ ꋎ 살모사 Agkistrodon brevicaudus ꋎ ꋎ 까치살모사 Agkistrodon saxatilis ꋎ ꋎ 채집, 관찰 청문 절멸 유입 - 111 -
양서영 이무영 참고문헌 환경청, 1987. 87자연생태계전국조사 (IV) 제2차년도 ( 양서 파충류. 육상곤충 ). 환경청. 환경처, 1994. 특정야생동 식물화보집. 환경처, pp. 1-33. 환경부, 2000. 멸종위기야생동 식물및보호야생동 식물화보집. 한국자연보존협회, 1989. 한국의희귀및위기동식물도감. pp. 105-114. 강영선, 윤일병, 1975. 한국동식물도감, 제17권동물편 ( 양서 파충류 ). 문교부. Kim, J. B, M. S. Min and M. Matsui, 2003. A new species of lentic breeding Korean salamander of the genus Hynobius (Amphibia, Urodela). Zoological Science 20:1163-1169. Kuramoto, M., 1980. Mating calls of Treefrogs(Genus Hyla) in the Far East,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Korea. Copeia 1980: 100-108. Park S. R., S. M. Cheon, and S. Y. Yang, 1996. The classification of call types in genus yla in habitats around South Korea. Korean J. Zool. 39: 207-214. 백남극, 심재한, 1999. 뱀다리없는동물, 그진화의수수께끼. 지성사. 197 pp. 양서영, 박병상, 손홍종, 1981. 한국산청개구리속 (Genus Hyla) 의종간비교. 인하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논문집 2: 75-83. Yang, S. Y., J. B. Kim, M. S. Min, and J H. Suh, 1999.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wo Korean Pond Frog Species, Rana nigromaculata and R. plancyi (Anura, Ranidae), with a Survey of Temporal Genetic Variation in R. nigromaculata. Korean J. Biological Sciences 3(3): 275-283.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 2001. 한국의양서류 (Monograph of Korean Amphibia), 아카데미서적. pp.1-181. Yang, S. Y., J. B. Kim, M. S. Min, J H. Suh, Y. J. Kang, M, Matsui, and L. Fei, 2000. "The first record of a brown frog Rana huanrenensis (Family Ranidae) from Korea", Korean J Biological Sciences 4(1):45-50. Zhao E-M and K. Adler, 1993. Herpetology of China. Society for the study of amphibians and reptiles. New York. - 112 -
이천 광주지역의조류 백운기 백인환 ( 국립중앙과학관, 금강환경교육센터 ) 요 약 제2차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계획에의하여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이천 광주 (5-2) 의소권역에포함되는태화산일대의국수봉, 천덕봉을중심으로일대의조류분포를조사하였다. 조사지역전체에서관찰된종은총 60종이었으며, 보호종은 1종, 특정종은 18종이었다. 관찰된조류는대부분텃새와여름철새이었지만 6종의겨울철새도있었다. 지침에따라분류된보호종으로는조롱이 1종이확인되었으며특정종으로는해오라기, 황로, 중대백로, 중백로, 쇠백로, 왜가리, 원앙,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쇠뜸부기사촌, 소쩍새, 청호반새, 물총새, 파랑새, 청딱다구리, 큰오색딱다구리, 되지빠귀, 꾀꼬리의 18 종이었다. 그러나본조사에서는멸종위기종에해당하는조류는관찰되지않았다. 조사기간중관찰된천연기념물조류는붉은배새매, 황조롱이, 원앙의 3종이서식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서 론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는자연환경보전법제32조의규정에의거전국의자연환경현황을조사하여, 그결과를토대로체계적인자연환경보전대책을확립하고국가생물자원의효율적인관리체계를구축하며, 국토의보전과개발계획수립시지침으로활용할수있도록하기위함이다. 전국유지 206개권역과해안선 145개권역, 무인도서 41개권역에대한연차별조사가지속적으로실시되고있다. 특히, 내륙의이동조류및번식조류의현황을소상히파악할수있는기회이며, 자료의축적과함께국가및지역의개발계획에따른국토의자연환경보전대책수립도가능할것으로보인다. 금번조사는경기도의서남부지역에해당하는이천 광주지역에서실시되었다. 수도권역에서벗어나있지만, 남한강을따라각종위락시설및휴양시설등이기건설되어있는지역이며, 앞으로도각종도로개설 ( 중부내륙고속도로등 ) 로인하여개발압력이매우높은곳으로여겨지는곳이다. - 113 -
백운기 백인환 조사지역및방법 1. 조사지역및기간가. 조사지역이천 광주지역은 2개지역으로나누었는데, 국수봉 ( 해발고도 427m) 을중심으로한지역과천덕봉 ( 해발고도 635m) 을중심으로한지역으로구분해서조사하였다. 국수봉지역은하천을중심으로많은휴양시설이들어서있고, 중부고속도로관통지역으로서차량이동이원적봉보다상대적으로많은지역이다. 천덕봉지역은급격한산림지대로형성되어있으며, 남한강유입하천인복하천과금사저수지등의수환경도풍부한지역이다. 또한, 중소규모의공단이여러지역에분산되어있는것도특징중의하나이다. 세부적으로살펴보면, 국수봉지역은전체적으로 400m 전후의산림지역이며, 활엽수림지역이다. 경기지역이예전부터낙엽송과잣나무조림지대이기때문에능선지역의상당수가생육하고있다. 이지역의대표적인산은국수봉아래의금박산과해룡산등이있고, 하천은팔당호유입하천인노곡천, 유정천이흐른다. 대규모농경지는조성되어있지않지만, 주택, 공단등의부지이외는대부분농경지로이용되고있다. 국수봉인접지역에는중부컨트리클럽이기조성되어있다. 국수봉은혼효림지역으로참나무류가우점하며, 침엽수로는낙엽송, 잣나무, 일부리기다소나무가식재되어있다. 계곡부에이르기까지농경지가조성되어있으며, 공단및주택단지조성등으로주변지역의공사가지속적으로이루어지고있다. 천덕봉지역은급격한지형지세로남쪽지역은절벽에가까운지형적특징을가지고있다. 천덕봉을중심으로주변지역은대부분개발되어인구밀도가상당한지역이며, 중소규모의공단등이둘러싸고있다. 또한, 봉현리의경우는외곽지역이공단으로조성되고있고, 안쪽지역은펜션지구가대규모로조성중에있다. 천덕봉지역의산림도혼효림지역이지만, 침엽수조림지역이국수봉지역보다는넓게조성되어있다. 천덕봉의서남북부지역은복하천과남한강이만나며, 내륙보다는넓은농경지와개활지의특징을보이고있다. 이지역은남한강의유입하천이발달하여있는데복하천은그중양화천과대표적인하천이다. 복하천은모래사주가발달해있는등수변지역이발달해있으며대규모개활지역이다. 본조사는지형적차이에따라주요조사지역인국수봉과천덕봉을중심으로각각 3 개지역으로구분하여조사를실시하였다. 또한, 복하천과남한강유역, 유정천등은차량으로이동하면서조사를실시하였다. 조사대상종은한국에서관찰된전종 ( 아종을포함하여 402종 ) 으로하였고, 이중, 148 종을멸종위기야생종, 보호야생종, 특정종으로선정하였다. 조사방법, 조류조사표기재방법, 지도상의특정종기재방법, 개체수산정방법은김 (2002) 의제 2차환경부자연환경전국기초조사의조류분야지침서에따랐다. - 114 -
이천 광주지역의조류 (2004) 그림 1. 이천 광주의국수봉과천덕봉지역의조사경로 - 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