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December 2011, pp.172~205 Copyright201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b a a b
173 Park, Joo Sung
17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01 01
175 Park, Joo Sung
17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02 02
177 Park, Joo Sung 03 03
17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79 Park, Joo Sung
18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되며, 3절기마다 순역은 9수로 헤아린다. 또한 기반의 선 바둑판에는 가로 세로줄만 그어져 있는 것이 아니었 을 평이라 하고 선과 선 사이를 괘라고 한다. 바둑판은 네 다. 현재 바둑판의 형태와 달리 우리 고유의 바둑인 순장 모지고 정적이지만 바둑알은 둥글고 동적이다. 기국, 기 바둑에는 미리 정해진 포석을 알리는 화점이 표시되어 자의 형태와 천체 구성의 유사성을 근거로 한 것이 앞서 있었다. <그림 7>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고유의 순장바둑 언급한 천체 관측설이다. 은 네 군데 귀와 변, 그리고 중앙 한 복판에 17개의 돌을 또한 바둑알의 원형은 이를 확대 해석하면 대우주라 미리 놓고 백1, 흑2, 백3, 흑4로 바둑이 시작된다. 현대 바 할 수도 있고, 축소해석하면 소우주를 가리킨다고도 할 둑에서 포석의 비중은 절대적으로 포석을 구상하는 단계 수 있다(이승우, 1992). 이런 의미를 함축하여 문용직 에서 제한시간의 대부분을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5)은 바둑을 우주적 질서가 투사된 실체 로 규정하 순장바둑은 포석이 완벽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시작하 기도 하였다. 므로 요즘의 시각으로 보면 대국의 묘미가 나지 않는 바 둑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 선조들이 천 년 이상 이 재 래식 룰(rule)을 고집한 화점 있는 전통바둑판으로서의 전형적 면모가 바로 순장바둑판이다(그림 7, 8 참조). 순 장바둑은 포석 과정 없이 두는 대신 시작할 때부터 바로 싸움바둑이 된다. 포석이 없는 대신 중반전투에 흥미가 배가되지만 승부에 크게 연연하지 않는 바둑이다. 순장 바둑의 묘미는 얻으면 잃는 것이 있고, 잃으면 얻는 것이 있다는 조화에 있다(안영이, 2005; 이승우, 2010). 순장의 어원은 순랏길로 궁성 수비를 하는 종3품 이상의 벼슬아 치를 의미한다고 하며 논어 에 나오듯이 천원을 북극성 으로 볼 때 이를 둘러싸 지키는 순장바둑의 형태는 조선 성리학의 세계관과 맥이 맞닿아 있다고 여겨진다 (http://blog.daum.net/ kmb2274/12775736). 그림 6 바둑판과 24절기를 상징한 三元起例局 *범례 : ①④ : 24절기가 1元, ② : 순역이 1元, ③ 地가 1元으로 구성 또한 바둑은 후술 할 난가 귤중지락 등의 선도적 신선 사상과 결합하여 전승되어 왔다. 더불어 바둑은 한국과 *자료 : 適情 解說 下(1980), 오청원 등 : p.424. 그림 7 순장바둑의 기본 (자료 : 안영이, 2005, p.22.) 그림 8 순장바둑의 배치도 (자료 : http://blog.daum.net/kmb 2274/12775736)
181 Park, Joo Sung 04
18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05 06 04 07 05 06 07
183 Park, Joo Sung 08 09 08 09 10
18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아래는 운곡 원천석(1330~?) 10의 제사호도 라는 시로 서 바둑을 매우 좋아했던 운곡이 산속으로 들어가 한거 결과 및 고찰 했던 물아일여 한 탈속의 경지를 잘 묘사하고 있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한 현장 조사로 확인되거나 발굴한 題四皓圖 돌바둑판은 총 17개소에 이른다. 이 중 15개소의 돌바둑 사호도를 읊다 판은 월간 바둑 등의 기획 기사를 통해 이미 그 실체가 共入商山裏 알려진 곳이며 나머지 2개소는 본 연구의 탐문조사 및 문 상산 깊은 곳에 다 함께 들어와 헌조사 과정을 통해 새롭게 확인된 연구 사례지이다. 덧 霜 붙여 인터넷조사와 기사 등으로 확인된 북한 금강산 소 歲月深 어느 덧 세월 흘러 귀밑머리 하얗게 세어 재 만폭동 암각바둑판을 포함한 총 18개소 암각 바둑판 松陰棋一局 의 전국 분포는 그림 11과 같다. 서울 및 경기권에는 서울 소나무 그늘 아래서 바둑을 두며 방학동 암각바둑판 단 1기가 전해오며, 강원도 4기, 충청 揮斷世途心 도 5기, 전라도 5기 그리고 경상도에 3기가 분포하고 있 세상으로 향한 마음 모두 털어버렸네 다. 특히 충청북도와 전라북도는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속리산 월악산 소백산 덕유산국립공원 등을 중심 상산사호의 고사는 사호위기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으로 총 8기가 집중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총 18개소 위기도를 묘사한 한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의 돌바둑판에 대해 인터뷰와 문헌기록을 참고하여 돌 문인한사들의 성사로 여겨졌으며 아름답고 조용한 자연 바둑판의 입지 및 경관 특성 그리고 장소성과 주변의 경물 풍경과 함께 근심을 잊고 한가롭게 바둑판을 마주 대하 및 각자된 내용 등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 있는 정경이란 거의 신선의 경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그림 10>의 중국 난가산도(a)와 일본의 1. 암각바둑판의 유형 및 입지특성 향산구로도(b)와 같이 바둑을 공통 제재 및 주제로 삼아 상호 조응하는 가운데 일종의 맥락을 유지하며, 동양 1) 돌바둑판 유형 삼국의 은일문화를 상징하는 주요 모티프로 자리잡아 왔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이후 여러 곳에서 돌바둑판이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귤중지락이 우주의 공간적 발견되었다. 이는 매우 주목되는 현상으로, 중국에서 개념을 설명했다면, 난가는 우주의 시간적 개념을 강조 한 키워드로 양자 모두 바둑이 망우청락 을 지향하는 신 <범례> 선의 도락이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선경의 경지에 이 1: 방학동 암각바둑판 2: 유상대 암각바둑판 3: 유천동 암각바둑판 4: 취석 암각바둑판 5: 사로암 암각바둑판 6: 사인암 암각바둑판 7: 선국암 암각바둑판 8: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 9: 태을동천 암각바둑판 10: 사선암 암각바둑판 11: 일사대 소일국 암각바둑판 12: 덕산 용소 암각바둑판 13: 월전 방선암 신선바위 암각 바둑판 14: 월남사지 석국 15: 소한정 석국 16: 반룡대 석국 17: 반구대 암각바둑판 18: 금강산 만폭동 암각바둑판 른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a. 柯山圖(中國 明. 張以寧) b. 香山九 圖(日本, 1823. 岳亭五岳) 그림 10 爛柯山圖와 香山九 圖 (자료 : http://go.yenching.edu.hk/chhis.htm) 그림 11 확인된 돌바둑판의 전국 분포지
185 Park, Joo Sung
18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87 Park, Joo Sung 입지와 장소 특성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 1: 방학동 암각바둑판 2: 유상대 암각바둑판 3: 유천동 암각바둑판 4: 취석 암각바둑판 5: 사로암 암각바둑판 6: 사인암 암각바둑판 7: 선국암 암각바둑판 8: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 9: 태을동천 암각바둑판 10: 사선암 암각바둑판 11: 일사대 소일국 암각바둑판 12: 덕산 용소 암각바둑판 13: 월전 방선암 신선바위 암각바둑판 14: 월남사지 석국 15: 소한정 석국 16:반룡대 석국 17: 반구대 암각바둑판 18: 금강산 만폭동 암각바둑판 사진 6 연고를 통해 확인된 18개소의 돌바둑판
18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89 Park, Joo Sung
19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91 Park, Joo Sung
19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93 Park, Joo Sung
19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1 11
195 Park, Joo Sung
19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97 Park, Joo Sung
19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12
199 Park, Joo Sung 12
20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01 Park, Joo Sung
20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03 Park, Joo Sung
20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05 Park, Joo Sung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December 2011, pp.172~205 Copyright201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 Study on the Meaning and Cultural Properties Value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Sit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a b a Park, Joo Sung Rho, Jae Hyun Sim, Woo Kyung a b Received : 2011. 08. 13 Revised : 2011. 10. 29 Accepted : 2011. 11. 11 ABSTRACT Key Words_Go-board, Sangsansaho, Nangagosa, Scenic Spots, Sinsun
INFORMATION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00 00 00 00 00 00 00
20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09 Information
21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11 Information
21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13 Information
21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4, No. 4
215 Information 00 00 00 00 00 00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