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 무갑산 양자산 천덕봉 국수봉 - 양금철 신진호 공주대학교건설환경공학부 1. 서론 식생조사는국가의전반적인식생현황을파악하여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 자원을찾는데그목적이있다. 생태학적으로보전가치가있는식생자원이라함은희귀 성, 대표성, 전형성을포함하는것으로서자연식생, 극지의입지에남아있는유존식생, 식 생발달에오랜시간이걸리는식생유형을말한다. 한편, 본조사지역은경기도양평군, 광주시, 이천시에걸쳐있으며, 해당도엽 (1:25,000) 은양수(377063), 국수(377064), 광주(377101), 양평(377102), 노곡(377103), 이 천(377104), 용문(377111), 능서(377113), 좌항(377141), 단월(377142) 이다. 조사지역은 무갑산(581.7m) 평가단위, 양자산(670.2m) 평가단위, 천덕봉(634m) 평가단위, 국수봉(264m) 평가단위를포함하고있다. 본조사는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일환으로위해당지역을 중심으로식생현황을파악하기위함이다. 2. 조사일정및방법 2.1 조사일정 본조사지역내의조사는 2010년 3월부터시작하여 10 월까지진행하였고, 총 52일간현 장조사를실시하였으며, 현장조사전자료조사및예비조사를실시하였으며, 현장조사 후실내작업을실시하였다. 각조사일정은 < 표 1> 과같다.
< 표 1> 조사일정및조사지역일정 조사지역 조사일수 2010. 3. 5-3. 7 무갑산주변 2박 3일 2010. 5. 14-5. 15 양자산주변 1박 2일 2010. 5. 27-5. 29 천덕봉주변 2박 3일 2010. 6. 10-6. 14 경기도광주시 4박 5일 2010. 6. 17-6. 21 경기도여주시, 양평군 4박 5일 2010. 7. 1-7. 5 경기도광주시 4박 5일 2010. 7. 12-7. 13 경기도광주시 1박 2일 2010. 7. 19-7. 20 경기도광주시 1박 2일 2010. 7. 25-7. 26 경기도광주시 1박 2일 2010. 8. 3-8. 7 경기도광주시 4박 5일 2010. 8. 13-8. 16 경기도광주시, 양평군 3박 4일 2010. 9. 16-9. 19 무갑산주변 3박 4일 2010. 10. 1-10. 5 양자산주변 4박 5일 2010. 10. 7-10. 10 천덕봉주변 3박 4일 2010.10.19-10.21 국수봉주변 2박 3일 2.2 조사방법 2.2.1 식생보전등급수정, 보완, 추가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는기본적으로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결과를수정및보완 하고식재림을제외한산림지역을조사하였다. 1 제2 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결과로작성된식생보전등급도(1/25,000) 를가지고현장 에서식생보전 I, II, III, 및 IV 등급의경계를확인하였다. -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제공받은 2부의제2 차전국자연환경조사결과를가지고, 현장에서 1 부에직접경계를수정하였으며, 실내에서 0.5mm의빨간색 namepen으 로이기하였다. 수정되지않은부분은기존의색깔을그대로유지하였다. 2 식생보전등급기준에따라기존의식생보전등급이현지와상이할경우에는상관또 는식물사회학적식생조사를거쳐식생보전등급을재평가하고그경계를조정하였다. - 경계조정의최소간격은지형도상의 2 mm( 실제거리 50m) 이상으로하였다. 3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기재된식물군락이적합하지않아수정하고자할경우 에는그사유를보고서에간단히기재하였으며, 이경우에는식물군락의종류별로 1 개이상씩의식생조사표또는사진을첨부하였다. 4 보고서에수정된내용을간략히기재하였으며, 에한하여촬영하여첨부하였다. 사진은증거자료등으로필요한경우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2
3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3. 결과 3.1 식생현황 광주ㆍ이천권역의전체적인식생은자연식생으로상수리나무군락 (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Quercus acutissima-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굴참나무군 락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굴참나무- 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으로크게나눌수있으며, 식재림은밤나무식재림(Castanea creata plantation), 밤나무- 굴참나무식재림(Castanea creata-quercus variabilis plantation), 리기다소나무식재림 (Pinus rigida plantation), 리기다소나무- 상수리나무식재림(Pinus rigida-quercus acutissima plantation), 일본잎갈나무식재림(Larix leptolepis plantation) 등으로나눌수있다. 양평(377102) 지역은신갈나무군락이양자산을중심으로분포하고있으며, 양자산의동 측으로는굴참나무군락이우점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양자산의우측하부를남-북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고속도로 45 번) 의공사가진행중이며, 터널입ㆍ출구부와산림을통과 하는지역에서식생이파괴되어있는것으로나타났다. 양자산우측하단부일부는현재 벌목되어있는상태이며, 국도98 번을중심으로리기다소나무, 잣나무등이식재되어자연 수종인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등과군락을이루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이천(377104) 지역은천덕봉과원적봉을중심으로신갈나무군락이우점하여분포하고있 었으며, 천덕봉과원적봉사이의남사면의경우벌목( 사진번호: 이천E2식생10 양금철_ 벌목) 된후방치되어식생이훼손된것으로조사되었다. 천덕봉우측의상수리나무군락의경우 굴참나무군락으로변경( 사진번호: 이천E3식생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1), (2)) 되었으며, 설 봉산을중심으로과거소나무군락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으나, 본조사시신갈나무- 소나무군락( 사진번호: 이천E7식생10 양금철_ 신갈나무- 소나무군락) 및굴참나무-리기다소나 무군락( 사진번호: 이천E8식생10 양금철_ 굴참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 으로변경되었다. 또한 42번국도주변의서어나무군락은리기다소나무- 굴참나무식재림( 사진번호: 이천E7식생10 양금철_ 리기다소나무-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 굴참나무-아까시나무 군락,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식재림등으로변경된것으로조사되었다. 광주(377101) 지역은무갑산(581.7m), 관산(555m) 및해협산(527.7m) 을중심으로식생 이분포하고있으며, 이들의경우해발고도 500m이상으로주변에비해비교적높은산이
있는지역이다. 무갑산을중심으로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이분포하고있으며, 무갑 산북측의관산과해협산을중심으로역시굴참나무군락과신갈나무군락이우점하여분포 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338번지방도우측의굴참나무군락의경우굴참나무-신갈나무군 락으로변경되었으며(E5), 광주지역의경우국도및지방도를중심으로리기다소나무, 일 본잎갈나무, 밤나무등의식재수종이다수식재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노곡(377103) 지역은국수봉을중심으로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과신갈나무군락, 굴참나 무군락등이분포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그러나이지역은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시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으로조사되어금회조사시군락이변경되었다. 중부고속도로( 고속 도로 35 번) 를끼고국수봉의남측으로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당시상수리나무-리기다소 나무로조사되었으나, 본조사시굴참나무군락으로변경된것으로나타났다. 제2차전국 자연환경조사시제외되었던부분에서는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굴참나 무군락등이추가된것으로조사되었다. 3.2 수정및추가내용 국수<E8> : 굴참나무군락추가 노곡<E3> : 상수리나무추가 노곡<E6> :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 군락추가, 상수리나무-소나무군락 ->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으로변경( 사진번호: 노곡E6식생10 양금철_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 신갈나무 군락으로변경( 사진번호: 노곡E6식생10 양금철_ 신갈나무군락) 노곡<E8> :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식생조사표노곡-02와 03, 교 목층은굴참나무가피도계급 5 로우점하고있었으며, 교목층의식피율은 75~80%, 수고 8~9m 였으며, 소나무, 신갈나무등이출현하고있었다. 아교목층의식피율은 5% 로매우낮았으며, 관목층의경우식피율 30~45%, 철쭉과신갈나무가우점하 였으며, 초본층에서는그늘사초, 애기나리, 둥굴레, 산초나무, 원추리, 철쭉, 산딸 기, 삽주, 우산나물, 참취, 노루발등이출현하는것으로조사되었다), 굴참나무- 소나무군락( 식생조사표노곡-01, 교목층은굴참나무가우점하고소나무가아우점 하였으며, 식피율 75% 로나타났으며, 아교목층은산벚나무가우점하며식피율 10% 로낮게조사되었다. 관목층의경우신갈나무가우점하며식피율 40% 로비교 적높았으며, 개옻나무, 굴참나무, 노린재나무, 산벚나무, 진달래등이동반출현 하였으며, 초본층의경우 40% 의식피율을가지며, 애기나리가우점하고은방울꽃,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4
5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노루발, 둥굴레, 붓꽃, 산벚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 원추리철쭉등이출현하였 다) 추가 노곡<E9> : 상수리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식생조사표노곡 -04, 교목층의수고 8m, 식피율 80% 였으며굴참나무가피도계급 5로우점하고 있었으며, 소나무, 신갈나무등이동반출현하였으며, 아교목층에서는소나무와서 어나무가출현하고있었으며, 관목층의경우진달래가우점하며식피율 80% 로매 우높게나타났다. 초본층의경우매우빈약하며굴참나무, 그늘사초, 밤나무, 잣 나무, 청미래덩굴, 큰기름새등이적은개체수로출현하고있는것으로조사되었 다), 굴참나무-소나무군락추가 광주<E2> : 상수리나무-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소나무 군락추가 광주<E5> :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 소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무군 락추가, 굴참나무군락 ->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으로변경 광주<E6> : 굴참나무-전나무군락 -> 일본잎갈나무식재림으로변경 광주<E8> : 갈참나무-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추가 양평<E1> : 신갈나무군락추가 양평<E2> : 소나무- 신갈나무군락추가, 상수리나무- 갈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 군락추가, 굴참나무-소나무군락추가 양평<E3>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소나무군락추가 양평<E4> :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추가 양평<E5> : 신갈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무 군락추가 양평<E6> :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추가 양평<E7> : 신갈나무군락추가( 식생조사표양평-03, 교목층의수고 7m, 식피율 70% 였으며, 신갈나무가우점하였고, 아교목층은없었으며, 관목층의경우식피율 50% 로철쭉이우점하며, 당단풍,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진달래, 쪽동백나무등이 출현하고있었으며, 초본층의경우식피율 5% 미만으로그늘사초, 산벚나무, 둥굴 레, 생강나무, 양지꽃, 우산나물, 은방울꽃등이출현하고있었다), 신갈나무-굴참 나무군락추가( 식생조사표양평-02, 교목층은신갈나무가우점하며굴참나무가아 우점하였으며, 팥배나무가동반출현하였으며, 식피율 80% 로나타났다. 아교목층의
경우신갈나무가우점하며식피율 20%, 관목층은신갈나무가우점하며식피율 25% 로나타났으며, 초본층의경우식피율 10% 였으며, 그늘사초, 고사리, 노린재 나무, 당단풍, 둥굴레, 붓꽃, 생강나무, 은방울꽃, 팥배나무등이동반출현하였다), 굴참나무-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 -> 신갈나무군락으로변경( 식생조사표 양평-01, 교목층의경우수고 10m, 식피율 80% 이며신갈나무가우점하고떡갈나 무, 산벚나무등이동반출현하였으며, 흉고직경(DBH) 은 19~24cm 로조사되었다. 아교목층의경우당단풍이우점하며, 산벚나무가출현하고식피율 40% 였으며, 관 목층의경우식피율 50% 로, 당단풍, 국수나무, 개암나무, 물푸레나무, 생강나무 등이출현하고있었으며, 초본층의경우식피율 65% 로애기나리, 당단풍, 우산나 물, 신갈나무, 원추리, 큰까치수영, 노린재나무, 둥굴레등이출현하는것으로조 사되었다 ) 양평<E8> : 상수리나무- 졸참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 졸참나무군락추가, 졸참나 무-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추가 양평<E9> : 소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굴참나무군 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소나무군락추가 용문<E5>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군락추가 용문<E7>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굴참나 무군락추가 이천<E1>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 무- 상수리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추가 이천<E2> : 신갈나무- 소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 신갈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군락- 벌목( 사진번호: 이천E2식생10 양금철_ 벌목) 이천<E3> : 신갈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이천<E4> : 신갈나무군락추가, 소나무-신갈나무군락 ->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 사진번호: 이천E4식생10 양금철_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2)) 으로변경, 소나무-신갈 나무군락 -> 신갈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 사진번호: 이천E4식생10 양금철_ 신갈나무 - 리기다소나무군락) 으로변경 이천<E5> : 이천<E6>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이천<E7>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신갈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6
7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무군락추가, 서어나무군락 ->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식재림으로변경, 서어 나무군락 -> 상수리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으로변경, 서어나무 -> 리기다소나무- 굴참나무식재림( 사진번호: 이천E7식생10 양금철_ 리기다소나무- 굴참나무군락) 으로 변경, 소나무군락 -> 신갈나무-소나무군락으로변경 이천<E8>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소나무군락 -> 굴참나무-리 기다소나무군락( 사진번호: 이천E8식생10 양금철_ 굴참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 으로 변경 능서<E1> : 상수리나무- 굴참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능서<E4>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단월<E1> : 상수리나무군락추가, 굴참나무군락추가, 소나무-갈참나무군락 -> 나 지로변경, 소나무-갈참나무군락 ->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 사진번호: 단월E1식 생10 양금철_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 으로변경, 소나무-갈참나무군락 -> 상수리 나무군락( 사진번호: 단월E1식생10 양금철_ 상수리나무군락) 으로변경 4. 요약및특이사항 4.1 요약 가. 전체조사지역에서 18 개군락이추가또는변경되었으며, 추가된군락의경우대부 분식생보전등급 III등급과 IV 등급이었으며, IV 등급의경우대부분식재림으로나타났다. 추가된군락과위치는다음 < 표 2> 와같다. 본문의수정및추가내용과 < 표2> 에나타낸 추가된군락은자연림을중심으로설명하였다. 즉자연림과식재림으로구성된군락( 예를 들면신갈나무- 밤나무군락, 상수리나무- 리기다소나무군락등) 의경우각도엽별로추가된 부분의수가많아따로표현하지않고도면에표현하는것으로대체하였다. 추가된군락 중굴참나무군락이가장많았으며(14 지역), 상수리나무군락은 11개지역에서추가되었으 며,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이 10 개지역, 신갈나무군락과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이각각 9 개지역,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이 5 개지역에서추가되었으며, 굴참나무-상수리나무군락 이 4 개지역에서추가되었으며, 소나무- 신갈나무군락, 소나무-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굴참나무군락등은 4 개지역미만에서추가된것으로조사되었다. 나. 본조사지역은대표산을중심으로식생보전등급 II 등급이었으며, 제2차전국자연환 경조사시조사되지않은지역이상당부분을차지하고있었으며, 조사제외의이유는대부 분식재림이거나영급이낮았던것으로판단된다.
4.2 특이사항 가. 본조사지역에분포하는삼림식생을우점종에의한상관으로구분하면, 상수리나무 군락,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나무-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 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 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이며, 도로와민가주변으로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 나무등이식재되어있는것으로조사되었다. 한편식재림이식재된주변의삼림의경우 하층식생은간벌로인해불안정하고, 인간의간섭이지속되어군락구조가단순화되고제 2 차전국자연환경조사시와비교할때식물종의출현역시빈약한것으로나타났다. < 표 2> 조사지역에서추가된군락과위치 도엽 위치 Pd Qm Pd Qv Qa Qal Qm Qa Pd Qa Qal Qa Qm Qa Qs Qa Qv Qm Qm Pd Qm Qs Qm Qv Qs Qm Qv Qv Pd Qv Qa Qv Qm 계 국수 E8 O 1 E3 O 1 노곡 E6 O O O 3 E8 O O O 3 E9 O O O 3 E2 O O O 3 광주 E5 O O O 3 E8 O O 2 E1 O 1 E2 O O O O 4 E3 O O 2 E4 O O 2 양평 E5 O O O 3 E6 O O O 3 E7 O O O 3 E8 O O O O 4 E9 O O O O O O 6 용문 E5 O O O 3 E7 O O O 3 E1 O O O O O 5 E2 O O O 3 E3 O O O 3 이천 E4 O 1 E5 O 1 E6 O 1 E7 O O O 3 E8 O O 2 능서 E1 O O 2 E4 O 1 단월 E1 O O 2 계 1 1 11 1 3 1 1 1 2 9 2 1 9 1 14 5 4 10 *PdQm: 소나무- 신갈나무군락, PdQv: 소나무- 굴참나무군락, Qa: 상수리나무군락, QalQm: 갈참나무 - 신갈나무군락, QaPd: 상수리나무- 소나무군락, QaQal: 상수리나무- 갈참나무군락, QaQm: 상수리나무- 신갈나무군락, QaQs: 상수리나무- 졸참나무군락, QaQv: 상수리나무- 굴참나무군락, Qm: 신갈나무군락, QmPd: 신갈나무- 소나무군락, QmQs: 신갈나무- 졸참나무군락, QmQv: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QsQm: 졸참나무- 신갈나무군락, Qv: 굴참나무군락, QvPd: 굴참나무- 소나무군락, QvQa: 굴참나무- 상수리나무군락, QvQm: 굴참나무- 신갈나무군락.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8
9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참고문헌 고경식. 2003. 한국식물검색도감 - 봄, 여름, 가을, 수목- 정흥락, 양금철. 1998. 광주ㆍ양평지역의자연생태조사보고서 - 양자산과인근산지( 경기 도광주ㆍ양평) 일대의식생.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창복. 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환경부. 2006. 제3 차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6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노곡 -01 조사지역경기도용인시처인구양지면정수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440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침활혼효림도엽명노곡 (377103) 방위남서위경도 (GPS) N 37 15 35, E 127 18 5 경사 10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8 75 굴참나무 아교목층 (T2) 5 10 산벚나무 관목층 (S) 1.5 40 신갈나무 초본층 (H) 0.5 40 애기나리 우점종 DBH 최대 (14cm), 중간 (13cm), 최소 (11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굴참나무 4 신갈나무 2 애기나리 2 소나무 2 개옻나무 1 은방울꽃 1 신갈나무 1 굴참나무 + 노루발 + 노린재나무 + 둥굴레 + 밤나무 + 붓꽃 + 산벚나무 + 산벚나무 + 음나무 + 생강나무 + 진달래 + 신갈나무 + 철쭉 + 원추리 + 팥배나무 + 철쭉 + 군락명 :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아교목층 (T2) 산벚나무 1 굴참나무 + 소나무 +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10
1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구-소나무군락임상.JPG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소나무군락근경.JPG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6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노곡 -02 조사지역경기도용인시처인구양지면정수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410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노곡 (377103) 방위서남서위경도 (GPS) N 37 15 25, E 127 18 48 경사 5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8 80 굴참나무 아교목층 (T2) 5 5 굴참나무 관목층 (S) 2 45 신갈나무 초본층 (H) 0.5 15 애기나리 우점종 DBH 최대 (20cm), 중간 (16cm), 최소 (12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굴참나무 5 신갈나무 2 애기나리 1 신갈나무 1 개옻나무 1 개고사리 + 소나무 + 굴참나무 1 그늘사초 + 물푸레나무 + 남산제비꽃 + 병꽃나무 + 노루발 + 산벚나무 + 둥굴레 + 산초나무 + 말나리 + 진달래 + 맑은대쑥 + 산딸기 + 산초나무 + 삽주 + 우산나물 + 으아리 + 참취 + 군락명 : 굴참나무군락 아교목층 (T2) 굴참나무 + 신갈나무 +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12
13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근경1.JPG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근경2.JPG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6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노곡 -03 조사지역경기도용인시처인구양지면정수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395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노곡 (377103) 방위남서위경도 (GPS) N 37 15 35, E 127 18 24 경사 4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9 75 굴참나무 아교목층 (T2) 5 5 소나무 관목층 (S) 0.5 30 철쭉 초본층 (H) 0.2 5 그늘사초 우점종 DBH 최대 (25cm), 중간 (21cm), 최소 (18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굴참나무 5 철쭉 2 굴참나무 + 소나무 1 개옻나무 + 그늘사초 + 신갈나무 1 당단풍 + 둥굴레 + 산벚나무 + 산초나무 + 산초나무 + 신갈나무 + 생강나무 + 애기나리 + 진달래 + 원추리 + 쪽동백나무 + 철쭉 + 군락명 : 굴참나무군락 아교목층 (T2) 굴참나무 + 상수리나무 + 소나무 +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14
15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임상.JPG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근경.JPG
조사일자 : 2010년 10월 22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노곡 -04 조사지역경기도이천시마장면고척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329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노곡 (377103) 방위남서위경도 (GPS) N 37 17 19.35, E 127 21 51.61 경사 5 지형산정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11-15cm( 보통)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8 80 굴참나무 아교목층 (T2) 6 10 소나무 관목층 (S) 2 80 진달래 초본층 (H) 0.5 5 잣나무 우점종 DBH 최대 (18cm), 중간 (15cm), 최소 (12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굴참나무 5 진달래 2 잣나무 1 밤나무 + 개옻나무 + 굴참나무 + 소나무 + 노간주나무 + 그늘사초 + 신갈나무 + 덜꿩나무 + 밤나무 + 밤나무 + 신갈나무 + 생강나무 + 청미래덩굴 + 신갈나무 + 큰기름새 + 철쭉 + 군락명 : 굴참나무군락 아교목층 (T2) 서어나무 1 소나무 1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16
17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근경.JPG 식생노곡10 양금철_ 굴참나무군락임상.JPG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5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양평 -01 조사지역경기도광주시초월읍학동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515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양평 (377102) 방위남남서위경도 (GPS) N 37 24 25, E 127 22 43 경사 15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10 80 신갈나무 아교목층 (T2) 6 40 당단풍 관목층 (S) 1.5 50 당단풍 초본층 (H) 0.4 65 애기나리 우점종 DBH 최대 (24cm), 중간 (21cm), 최소 (19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신갈나무 5 당단풍 3 애기나리 3 떡갈나무 1 국수나무 2 당단풍 2 산벚나무 1 개암나무 1 우산나물 2 물푸레나무 1 신갈나무 1 생강나무 1 원추리 1 쥐똥나무 1 큰까치수영 1 노린재나무 + 노린재나무 + 누리장나무 + 둥굴레 + 산초나무 + 떡갈나무 + 마 + 말나리 + 물푸레나무 + 붓꽃 + 산딸기 + 삽주 + 선밀나물 + 으아리 + 아교목층 (T2) 은방울꽃 + 당단풍 3 제비꽃 + 산벚나무 2 참취 + 천남성 + 군락명 : 신갈나무군락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18
19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군락근경.JPG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군락원경.JPG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5일조사기관 : 식생조사표 No 양평 -02 조사지역경기도광주시초월읍학동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480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양평 (377102) 방위남위경도 (GPS) N 37 24 45, E 127 23 31 경사 25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8 80 신갈나무 아교목층 (T2) 5.5 20 신갈나무 관목층 (S) 2.5 25 신갈나무 초본층 (H) 0.3 10 그늘사초 우점종 DBH 최대 (20cm), 중간 (18cm), 최소 (26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신갈나무 4 신갈나무 2 그늘사초 2 굴참나무 3 노린재나무 1 고사리 + 팥배나무 1 생강나무 1 노린재나무 + 쪽동백나무 1 당단풍 + 팥배나무 1 둥굴레 + 개암나무 + 붓꽃 + 개옻나무 + 생강나무 + 산벚나무 + 은방울꽃 + 팥배나무 + 군락명 :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아교목층 (T2) 신갈나무 2 졸참나무 1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20
21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임상.JPG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근경.JPG
조사일자 : 2010년 05월 15일조사기관 : No 양평 -03 조사지역경기도광주시초월읍학동리조사자양금철, 신진호 해발 610m 식생상관냉온대산지식생-낙엽활엽수림도엽명양평 (377102) 방위남서위경도 (GPS) N 37 24 50, E 127 23 57 경사 35 지형사면( 상부) 미세지형평면형 면적 10x10m2낙엽부식층 0-5cm( 매우불량) 토양암석노출 계층구분높이 (m) 식피율 (%) 우점종특기사항 교목층 (T1) 7 70 신갈나무 아교목층 (T2) - - 식생조사표 관목층 (S) 3 50 철쭉 초본층 (H) 0.3 5 그늘사초 우점종 DBH 최대 (15cm), 중간 (11cm), 최소 (7cm) 이끼층(M) 식피율 교목층 (T1) 관목층 (S) 초본층 (H) 초본층 (H) 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종명피도 신갈나무 4 철쭉 3 그늘사초 1 굴참나무 + 당단풍 + 산벚나무 + 물푸레나무 + 둥굴레 r 신갈나무 + 생강나무 r 진달래 + 양지꽃 r 쪽동백나무 + 우산나물 r 은방울꽃 r 군락명 : 신갈나무군락 아교목층 (T2) 사업명 : 2010년전국자연환경조사 군락단면도는필요할경우뒷면에스케치 2010년도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 22
23 광주 이천소권역일대의식생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군락근경2.JPG 식생양평10 양금철_ 신갈나무군락근경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