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보존과화학 CHEMISTRY TOPICS 1 최용석 한국알테코기술연구소강용수 한양대학교에너지공학과, kangys@hanyang.ac.kr 서론 1. 석조문화재보존처리석조문화재의보존 복원재료로써접착제는석재를접합할수있는접착력, 최소량을적용한상태에서외력을견디는최적의강도등문화재보존처리에적용할수있는기본적인물성을만족시켜야하며, 작업자의편의성이반영되어작업의효율성을극대화시켜야한다. 1) 또한주로외부에위치한석조문화재의특성상접착제의적용후사계절의변화및공기중의수분, 먼지, 오염물등의다양한환경인자로인한색상및형태변화에있어안정성을유지해야하며, 문화재에가해지는외부인자로인한물리 화학적안정성이부여되어석조문화재에대한 2차손상을최소화해야한다. 2,3) 에폭시수지는높은접착력과낮은수축특성, 그리고상온에서경화가가능하다는장점을가진제품으로서 1930 년경문화재보존에적용된이래, 1950 년대부터세계보존과학계문화재수리복원재료로광범위하게사용되어오고있다. 4~8) 에폭시수지의종류로는다양한분자량의비스페놀 A (Bisphenol A) 계올리고머, 비스페놀 F로알려진디페닐올메탄 (diphenylol methane), 비스페놀 A의아로마틱환을수소화시킨 2,2-di(4-hydroxycyclohexyl) 프로페인 (propane) 으로부터유도된올리고머, 또는페놀노볼락 (phenol novolac) 과 o-크레솔노볼락 (o-cresol novolac) 계및환경친화적인수계에폭시가개발되고있다. 9) 경화제로는 polyfunctional amine 이주로사용되고있는데, aliphatic, aromatic 또는 cycloaliphatic amine 등이석재의종류및접착특성에맞추어개발되어왔으며, 반응속도는일반적으로 aliphatic > cycloaliphatic > aromatic amine 의순서로늦어진다. 10) 이와같은에폭시수지는초창기 Bisphenol A에기초한제품이사용되었으나최근자외선, 습도등주변환경에의해황변및균열이일어나는문제점이발생하여최근에는황변현상을크게낮춘 hydrogenated Bisphenol A(HBA) 가석조문화재의수리 복원재료로써각광받고있다. 11) 석조문화재의보존처리에사용되는에폭시수지는초기에는주로시바가이기 (Ciba- Geigy) 사의다양한아랄다이트 (Araldite) 제품이사용되었으나, Bisphenol A에기초한아랄다이트는수리부분의표면이자외선, 습도등주위환경에의해황변이일어나고, 균열이발생되는등문제점이발생하여다양하고새로운에폭시수지가개발, 응용되고있다. 12,13) 우리나라는 1978 년송광사침계루보수및 1980 년실상사백장암 3층석탑접착 복원에사용된이래주로 Araldite AW106 과경화제 HY 837 가석조문화재보존처리에주로사용되었다. 14) 그러나아랄다이트접착제의문제점으로인해, 1998 년부터는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연구실과풍림산업이공동개발한 L-30, L-40 이문화재보수현장에서많이사용되고있다. 2,15) 2003 년에는석조문화재보존관리연구의일환으로상업화된금호사 ( 에폭시 KER 940, 경화제 KH 831), Bakelite 사 ( 에폭시 LER 850, LAD 727), 국도사 (ST-3000, KH 831) 및풍림사의수지를석조문화재접착제로사용하기위한특성을분석한연구 2015. 04 화학세계 13
읽기쉬운총설 가수행되었다. 16) 석조문화재에있어접합및충진작업은석조문화재보존처리건수의 90% 이상을차지하는중요한과정이며이때에폭시수지는보존 복원처리의다양한상황에맞춰적용되고있다. 3,5) 석조문화재의보존 복원과정은주변의환경, 처리전상태등을고려하여최적의접착제를선정하고, 조건에맞추어보존처리를진행해야한다. 17~19) 이에본총설에서는석조문화재접합및보수를위해 HBA 계에폭시수지에다양한경화제및첨가제를도입함으로써, 석조문화재보존 복원작업에보다안정적이고효율적일수있는새로운에폭시접착제와효과적인처리방법에대한연구결과를요약하였다. 이연구는 2006~2011 년까지국립문화재연구소의지원으로진행되었다. DETA HBA DPE TETA 본론 화학식입자크기색깔열팽창계수 탈크 (talc) Mg3Si4O10(OH)2 23μm회색빛이도는흰색 8 ppm/ 실리카 (fused silica) SiO2 12μm흰색 0.5 ppm/ 2. 에폭시접착제에폭시접착제는에폭시수지, 경화제그리고첨가제로구성되어있다. 먼저에폭시수지는에폭시그룹이두개이상있는것으로가장대표적인것이 Bisphenol A계이며, 이들을수소화시킨 hydrogenated Bisphenol A (HBA) 는황변현상이잘일어나지않아많이사용되고있다. 다음 [ 그림 1] 에 HBA 의화학구조를나타냈으며, 중합도 n은 1~25 정도이다. 일반적으로에폭시는깨지기쉬우므로, 물성개선을위해 difunctional 혹은 multifunctional reactive agent 등을이용하며, 이중 difunctional polyglycidyl epoxide (DPE) 는점도조절을위한반응성희석제로사용된다. 경화제로는경화속도가빠른 diethylene triamine (DETA), triethylene tetramine (TETA), 경화속도가느리나내약품성, 열안정성이우수한 isophrone diamine (IPDA) 이있으며, 유연성을부여할수있는 poly- 표 1. 무기첨가제의특성 IPDA Jeffamine D-230 그림 1. 에폭시수지및경화제의화학구조 etheramine(jeffamine D-230) 등이있다. 이연구에서는 HBA 와 DPE, 빠른경화제 KFH-548(FH), 느린경화제 D-230(Jeffamine) 을사용하였으며, 이들의화학구조를 [ 그림 1] 에나타내었다. 또한새로운에폭시접착제와의비교를위해현재석조문화재에널리사용되고있는에폭시제품인 L-30( 풍림사 ) 과 Araldite AY-103/HY-956(Ciba- Geigy Ltd.) 와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첨가제로는열팽창계수및강도를조절하기위하여탈크 (talc) 혹은용융실리카 (fused silica) 를사용하였다 [ 표 1]. 에폭시접착제의정확한특성을파악하기위해에폭시수지에경화제를당량비로첨가하여교반기에서 10분동안저어준후. 각각 0, 50, 100, 150, 200 volume% 의무기첨가제 ( 탈크, 실리카 ) 를첨가하여접착제를준비하였다. 제조된접착제의기포를제거하기위하여 10분동안진공상태에서탈포작업을한후사용하였다. HBA 에폭시수지에반응성희석제인 DPE 의양에따라, 14 화학세계 2015. 04
빠른경화제 FH(KFH548, 국도화학 ) 와 Jeffamine D-230 으로부터혼합경화제를 (MH: mixed hardner, FH/D-230 (85/15 wt)) 사용하여경화거동및물성을조절하였다. 필요에따라두경화제는 30분간잘교반시켜혼합경화제 MH를제작하였다. 사용된에폭시의혼합비율을 [ 표 2] 에나타내었다. 표 2. *phr : parts per hundred resin 에폭시접착제혼합비율 (wt%) L-30/ 경화제 100 : 50 Araldite AY-103/HY-956 100 : 18 HBA/FH 100 : 25 HBA/MH (FH : D-230 = 85 : 15, wt%) 100 : 25 DPE/FH 100 : 20 DPE/MH 100 : 20 3. 접착제성능개선및처리기술개발 3.1. 열팽창계수조절을통한에폭시수지접착제안정성개선옥외에놓여있는석조문화재에적용되는에폭시수지는풍화된석재와비슷한물리적강도를가지고있어야 2차적인손상을최소화할수있다. 이와더불어다양한환경하에적용할수있는형태안정성을통해석조문화재에가해지는스트레스를최소화해야한다. 따라서형태안정성을나타내는열팽창계수를비슷하게맞추어야한다. 우리나라석조문화재에많이사용되는석재들의열팽창계수는 1-16 ppm 정도이고, 에폭시수지의평균열팽창계수는 70-80 ppm 으로큰차이를보인다 [ 표 3]. 20,21) 따라서온도변화 (ΔT) 에따른응력변화가 (Δσ) 클것으로예상되며, 이들의상관관계는아래와같이나타낼수있다. 22,23) 여기서 E는모듈러스,Δє 는변형, 그리고 α는열팽창계수이다. 이와같이석재와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차이가매우크기때문에, 석재에안정성을높이기위해서는적용될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를낮추어야한다. 즉석재와의열팽창계수의차이가크면, 온도변화에따라석재에큰응력이작용하여, 2차손상의가능성이크기때문에열팽창계수의차이를줄여주어야한다. 여기서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를줄이는데에는한계가있기때문에, 석재의일종이며, 열팽창계수가낮은탈크나실리카입자를에폭시수지에충진하여쉽게열팽창계수를낮출수있다. 예를들면, 화강암과에폭시수지의모듈러스는각각 70과 4 GPa 이고, 열팽창계수는 10.7 과 70 ppm/ 으로, 20 의온도변화가있을때에폭시가화강암에미치는응력은약 4487 KPa 이며이는석재에상당한영향을줄수있다. 따라서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는수지자체의물성은물론석재의 2차적인손상에영향을줄수있는중요한인자이다. 만약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를무기첨가제의혼합을통하여약 20 ppm/ 까지감소시킬수있다면약 703 KPa 의응력이화강암에가해지므로무기첨가물을혼합하지않은에폭시수지대비약 90% 의응력감소효과를보일수있다. 따라서무기첨가제를통한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감소는에폭시수지를이용한석조문화재의보존 복원작업이후형태안정성을향상시킬수있는중요한요소이다. 현장에서많이적용되는탈크 (8 ppm/ ) 와열팽창계수 Δσ=EΔє =EαΔT (1) 표 3. 국내석조문화재에적용된대표적석재및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 α Materials Epoxy Resin Granite Andesite Sandstone Limestone Marbl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ppm) 70-80 1.8-11.9 4.1-10.3 4.3-13.9 0.9-12.2 1.1-16.0 그림 2. 무기첨가제비율에따른 HBA 계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 2015. 04 화학세계 15
읽기쉬운총설 가매우낮은실리카 (0.5 ppm/ ) 를비교하여무기첨가물도입시의성능개선을확인하였다 [ 그림 2]. 그결과무기첨가물은첨가량이높아질수록에폭시수지복합체의열팽창계수가낮아지는것을확인하였으며, 200 % 이상은첨가할수없었다. 또한두종류의무기첨가물중실리카는탈크에비해열팽창계수를효과적으로낮추고있는데, 이는실리카자체의낮은열팽창계수가낮기때문이며, 석조문화재보존 복원에사용되는접착제에무기첨가제로적용시실리카가탈크보다수축팽창에의한 2차손상을줄여줄수있는매우효과적인무기첨가제라는것을의미한다. 조절하면서, 원하는굴곡강도를얻을수있었다. 여기서굴곡강도는 ISO 178 의방법에따라 3점굴곡시험을하였으며, UTM (Instron 5565, ISO 9001) 으로 2 mm/min 의시험속도로측정하였다. 시험편 (10 x 130 x 4 mm 3 ) 은실리콘몰드를이용하여제작하였다. 3.2. 무기첨가제에따른기계적물성변화석조문화재의재료로서사용되는접착제의물성은실제적용을위해평가되는지표로서매우중요한역할을가진다. 특히기계적물성조절및특성부여를위해접착제에첨가하는무기첨가물은그종류와함량비에따라기계적강도뿐만아니라열팽창계수도아울러조절할수있다. 예를들어접착제의강도를 γ a 그리고풍화석재의강도를 γ s 라하면, 접착제강도가풍화석재의것보다크면즉 (γ a >γ s ), 2차손상이일어날경우, 강도가상대적으로약한풍화석재에서일어나기때문에바람직하지못하다. 반대로접착제강도가풍화석재의것보다작으면 (γ a <γ s ), 시간에따라다시 2차손상이일어나도접착제부분에서일어날가능성이높기때문에처리가가역적일수있게되어매우바람직하다. 따라서접착제의강도를조절하여풍화석재의강도보다조금낮게유지하는것이가장이상적인접착제의강도라할수있다. 이와같은배경에서무기첨가제를도입하여강도조절을시도하였으며, 실제석재에접합시필요한접착강도를확인하였다. 여기서에폭시접착제의기계적특성을확인하기위해굴곡강도, 전단강도, 파괴전단강도를측정하고이를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낮은굴곡강도를갖는에폭시접착제는실제석재에처리하였을때 2차손상을최소화할수있다고기대된다. 탈크나실리카의함량에따른 L-30, Araldite AY- 103/HY-956 의굴곡강도는 HBA/FH 및 HBA/MH 와마찬가지로, 크게감소하였으며, 무기첨가제의종류에따른굴곡강도변화는크지않았다. 따라서무기첨가제의양을 그림 3. DPE 와탈크의함량에따른 HBA/MH 의굴곡강도변화 HBA/MH 에반응성희석제 DPE 와무기첨가물탈크의함량에따른굴곡강도를 [ 그림 3] 에나타내었다. 경화제나무기첨가제의종류에따른변화는크지않았고, 무기첨가제가들어갈수록굴곡강도는낮아졌으며, DPE 함량이높아질수록접착제가유연해져굴곡강도가높아지는경향을보이나, 15 phr 의 DPE 가첨가된경우굴곡강도오히려저하하였다. 따라서반응성희석제의함량이 15 phr 이상높아지면에폭시수지의강도저하가우려되기때문에, 반응성희석제를현장에적용할경우 10 phr 이내로사용하여야한다. HBA/FH 도비슷한경향을보였다. 다음으로접착특성을분석하기위하여전단강도 (shear strength) 를측정하였으며, 사용된에폭시시편을 (0.2 x 2.54 mm 2 x 1.3 cm) 스테인레스패널을사이에도포하고, UTM (Instron 5565, Instron Co. Ltd., ISO 4587) 을이용하여 2 mm/min 의속도로일정하게유지하였으며, 그결과를 [ 그림 4] 에나타냈다. 전단강도는무기첨가제의함량이증가할수록증가하였으며, L-30 및 Araldite AY-103/HY-956 에비해 HBA 를이용한접착제의전단강도가높았다. HBA 접착제의경우 16 화학세계 2015. 04
그림 4. DPE 와탈크의함량에따른 HBA/MH 의전단강도변화 그림 5. 탈크함량에따른에폭시수지의파괴전단강도 반응성희석제인 DPE 의함량비에따른전단강도변화를살펴보면 DPE 의함량이높아질수록전단강도는미세하게낮아지는결과를보여주며, 상용화제품과큰차이를보이지않으므로석조문화재에적용하기에큰무리가없을것으로판단된다. 3.3. 가역적보존처리를위한접착제의기계적강도석조문화재에에폭시수지를적용한부분에하중이가해졌을때문화재에손상을최소화되기위해서는에폭시에손상이우선적으로일어나석재에가해지는하중이최소화되어 2차손상일어나지않도록해야한다. 즉보존처리의가역성이필요하다. 이를확인하기위해서 KS M 3721 에의하여제작된에폭시시편을 (30 x 25 x 10 mm 3 ) 신선한석재에처리하였을때, 압축전단하중을가하여시편이파괴되는파괴전단강도 (shear strenth at break) 를 UTM (JP/AG-IS 500D, Shimazu Co.) 을사용하여측정하였다. 우선하중에의해절단된시편은크게석재가우선적으로손상된경우와에폭시가손상된시편으로구분할수있었으며, 보존처리의가역성을위해서에폭시부분이먼저손상되는것이바람직하다. 에폭시가손상된시편은주로무기첨가물의함량이높은부분에서주로발생하였으며, 이는첨가물로인해굴곡강도가낮아졌기때문이라판단된다. 석재가손상되는경우는에폭시의강도가너무높아보존처리에적당하지않다고판단되며, 적정한강도가필요하다. 따라서에폭시접착제에탈크의함량에따른파괴전단강도를측정하여, [ 그림 5] 에나타내었다. 여기서 표시는석재가우선적으로부서진시료를나타내며, 에폭시가우선적으로손상된그룹은각에폭시접착제에맞춰형태를달리하여기입하였다. 측정결과파괴전단강도는 70~156 MPa 사이에대부분분포되어있음을확인하였다. 아울러무기첨가제의함량이부피비로 100~200 % 가되면에폭시가우선적으로손상되는샘플이많아지게되며, 특히 150~200 % 구간에집중적으로형성되어있다. 에폭시가손상된파괴전단강도는최저 81에서최고 139 MPa 까지다양하게분포되어있다. 따라서접착을위해석조문화재에안정성을높일수있는에폭시접착제의무기첨가물함량은 150~ 200 % 정도이며, 적절한파괴전단강도값은 81~139 MPa 의중간값인 110 MPa 내외로결정하는것이적당하다고판단된다. 그러나이러한결과값은신선한석재를사용한경우이기때문에, 실문화재에적용할경우표면이풍화된석재의강도는더욱낮기때문에, 추가연구를통하여다양하게풍화된석재에대한결과값및추가데이터보완을통하여보다정확하게구간을설정해야한다. 3.4. 에폭시수지접착제의반응열제어를통한안정성향상일반적으로에폭시수지는경화가진행하는순간다양한물리화학적변화를가지게되며, 이러한물성은주변환경에영향을줄수있다. 열경화성에폭시수지는경화과정중반응열을방출하게되는데, 반응열이높을경우에는급 2015. 04 화학세계 17
읽기쉬운총설 격한경화속도상승에따른온도상승으로석조문화재표면의 2차손상이가속화될수도있다. 따라서경화속도를조절하여 2차손상가능성을최소화하여야한다. 경화시간에따른수지내부의온도변화곡선상에온도가최고로상승하는지점 (T peak ) 에서의시간 (t peak ) 를중심으로경화온도를분석하였다. 여기서온도측정은 50 g의에폭시수지를종이컵 ( 반지름 2.5 cm, 높이 2.5 cm) 에넣고, 에폭시수지의정중앙에서의온도를시간에따라측정하였으며, 그결과를 [ 그림 6] 에나타냈다. 다. T peak 지점에도달하는시간은 43분이며이때최대온도값은 134 이다. HBA/MH 의경우 58분에 T peak 지점에도달하며이때의온도는 100.5 이다이는 D-230 의함유에따라반응속도가낮아졌다는것을의미하며, 경화제혼합을통해에폭시수지의반응열을낮춰안정성향상이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에폭시수지접착제는 HBA 주제에 FH, MH 의도입및 DPE 의함량조절을통해다양한범위의제어가가능하며개발된에폭시수지접착제는상용화제품군과비교해보았을때낮은반응열을방출하게되기때문에손상된석재표면에적용하였을때반응열에의한손상을최소화할수있는에폭시수지접착제이다. 결론 그림 6. L-30, Araldite AY-103/HY-956, HBA/FH, HBA/HM 의경화시간에따른온도변화 이그림에서곡선상에나타나는경화온도의급격한온도상승은구간내의경화반응에의한발열이급격하게일어난다는것을의미한다. L-30 의경화온도변화를확인하면가장급격한온도변화를일으키면서반응이진행된다는점이다 (t peak = 25분, T peak = 193.5 ). 따라서많은양의에폭시를사용하게될경우높은온도상승에주의해야하며, L-30 을석조문화재에적용할경우적은양을사용하거나에폭시수지를얇게펴바르는작업에적용하는것이석조문화재및에폭시수지의안정성에도움이된다. Araldite AY-103/HY-956 의경우 L-30 에비해서서히온도가상승하여 43분에 T peak 에도달하며이때최대온도값은 149.4 이다. HBA/FH 의경우 Araldite AY-103/HY-956 과비슷한경향을보여고있으나 T peak 지점은낮게측정되었다. 초기경화온도상승폭은 L-30 과 Araldite AY-103/HY-956 의사이에위치해있 석조문화재보존 복원이라는특수한환경에서적용되는에폭시접착제는다양한특성을고려하여야한다. 일반적으로석조문화재에서사용되는보존 복원재료로써에폭시접착제는장시간실외환경에서도황변현상이최소화되어야하며, 석재와비슷한열팽창계수및강도를유지해줌으로써 2차손상을최소화할수있다. 아울러에폭시수지의경화반응열에의한온도상승도최소화하고, 작업할수있는가사시간을조절하는것도매우중요하다. 우선황변억제력이뛰어난 HBA 를사용하였고, 에폭시수지의열팽창계수를석재와비슷하게하도록무기첨가제양을최적화하였다. 특히열팽창계수가아주낮은실리카 200 % ( 부피 ) 를첨가하여에폭시의열팽창계수 70 ppm/ 를 20으로내릴수있었으며, DPE 의양을변화시키면서기계적강도를조절하여, 10-15 phr 의 DPE 가우수하다는결론을얻었다. 특히기계적강도에따른손상분야에대한연구를통하여, 무기첨가제 ( 탈크혹은실리카 ) 를넣어주면, 2 차손상이우려될경우석재보다는접착제에서일어날확률이크다는결과를얻었다. 하지만이연구결과는신선한석재에대한결과이기때문에, 풍화에의하여강도가낮아진석재에대해서보다정밀하고계획된많은추가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아울러반응속도를경화제의종류를조절하여경화반응열에따른 2차손상을최소화할수있는조 18 화학세계 2015. 04
건을찾았으며, 가사시간을보통 35분에서경화제 FH와 D- 230 을 85 : 15 (wt%) 비율로혼합하여 50분으로길게하였 다. 이경우작업어렵고섬세한석조문화재의보존에큰도움이될것이라판단된다. 참고문헌 1. Y. S. Kang, Development of Consolidants and Conservation Technology for Weathered Stone Heritag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port, 2011, 16. 2. S. D. Kim, Basic Training Course for Conserv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7, 214-223. 3. S. D. Kim, E. J. Sin, J. H. Kim, J. W. Lee, Gyeongcheon-sa Ten-story Stone Pagoda Ⅰ: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port, 2006, 87-93. 4. R. G. Schmidt, J. P. Bell, Advenced in Polymer Science, 1986, 75, 33. 5. C. Selwitz, Epoxy Resins in Stone Conservation,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1992, 1-3. 6. T.M. Grounding, in: A. Pizzi, K.L. Mattal (EDs.), Handbook of Adhesive Technology, Marchel Dekker, Inc., 1994, 531 7. J. A. Ramos, N. Pagani, C. C. Riccardi, J. Borrajo, S. N. Goyanes, I. Mondragon, Polymer, 2005, 46, 3323. 8. C. Ramirez, M. R., A. Torres, L. Barral, J. Lopez, B. Montero., European Polymer Journal, 2008, 44, 3035-3045. 9. J.P. Pascault, R.J.J. Williams, Epoxy Polymers : New Materials and Innovations, WILEY-VCH, 2010, 15-27. 10. C. H. LEE, Epoxy Handbook, Kyowoo Publishing., 2009, 21-39. 11. I. Y. Yoon, Y. Lee, D. Kang, J. Min, J. Won, Minyoung Kim, Y. S. Kang, S. H. Kim, J. J. Kim,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and Adhesives, 2011, 31, 119-120, (2011). 12. S. K. Choi, N. T. Lee,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003, 14, 433-439. 13. Y. S. Choi, I. S. Chae, Y. S. Kang, J. Won, J. J. Kim, S. D. Ki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1, 27(3), 433-438. 14. C. Y. Song, M. S. Han, J. J. Lee, B. K. Jeon, Conservation Studies, 2008, 29, 164-182 15. S. D. Kim, S. K. Kim, C. S. Kim, J. K. Hong, D. I. Kang, M. H. Lee, Conservation Studies, 1999, 20, 140. 16. Y. S. Kang, Development of Stone Conservation Material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port, 2010, 20-31. 17. Y. S. Choi, Y. J. Park, Y. S. Kang, J. Won, J. J. Kim, S. D. Ki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2, 28(2), 132-133 18. Y. S. Choi, J. H. Lee, Y. S. Jeong, Y. S. Kang. J. Won, J. J. Kim, S. D. Ki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2, 28(3), 266. 19. Y. S. Kang, Development of Weathering Mechanism and Conservation Techn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port, 2009, 24-26 20. K. Gilleo, The Chemistry & Physics of Underfill, NEPCON West, 1998, 1, 280-292. 21. William D. Callister, Jr. Me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Inc., 2005, A17-A20. 22. S.D. Venecanin, Durabi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conponents : Proceeding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1980, 1, 179-192. 23. I. Glavchev, Kr. Petrova, M. Ivanova, Polymer Testing, 2002, 21, 178. 이총설은 석조문화재보존처리제및처리기술개발연구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의 V. 석조문화재접착제의개발및적용안정성연구 를요약하였다. 강용수 Kang, Yong Soo 서울대학교공업화학과 (1972-1976) 한국과학원화학과석사 (1976-1978) Tufts University 화학공학박사 (1981-1986)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객원연구원 (1992-1993)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선임및책임연구원 (1986-2005) 한양대학교화학및에너지공학과교수 (2005- 현재 ) 최용석 Choi, Yong Seok 한국전통문화대학교보존과학과 (2003-2009) 국립문화재연구소문화재보존과학센터연구원 (2009) 한양대학교화학공학과석사 (2010-2012) 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연구실연구원 (2012) 한국알테코기술연구소선임연구원 (2013- 현재 ) 2015. 04 화학세계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