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December 2014, pp.210~223. 210 MUNHWAJAE Copyright 2014, National Korean Research Journal Institute of Cultural of Cultural Heritage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권혁남 a 유동완 a 이장존 b 한민수 b a 문화재보존과학센터 b 국립문화재연구소보존과학연구실 국 / 문 / 초 / 록익산미륵사지석탑에서출토된사리장엄중금제유물은사리내호, 봉영기등총 494점이다. 금제유물은대부분가공을통해제작하였으나이중금정 22점과금괴 4점은형태를가지고있지않은금괴로가공품을만들기전단계의것으로판단된다. 일반적으로금은자연상태에서산화물이아닌금속의형태로존재하므로용융, 가공과정만을통해서형태를제작할수있다. 그러나자연금의경우은, 동등불순물이포함되어있으므로연성을가지기위해서는정제가필요하다. 미륵사지석탑사리장엄에서출토된금제유물을분석하여그특성을알아보고자하였다. 분석결과순금제품과은이함유된금제품, 자연금으로추정되는금괴류로분류할수있었다. 순금으로제작된유물은사리내호, 금제고리, 금제소형구슬이며, 1wt.% 내외의동을함유하고있다. 이들유물들은두드려형태를만들기위해순금으로제작한것으로보인다. 은이함유된유물은봉영기, 족집게, 금제고리, 금정, 금괴등이며, 강도가필요한형태를제작하기위해은이함유된것으로보인다. 특히, 금정, 금괴는은, 동의분포, 형태로추정하였을때자연금으로보이나한국의자료가충분하지않아단정할수는없으며, 향후다양한지역의괴형태금제유물에대한종합적인조사가이뤄져야가능할것으로보인다. 금세공기술면에서는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은매우정교한기술을보이고있다. 또한무게분포를살펴보았을때한냥의명문이있는것의무게가 14g 내외로이를기준으로반냥, 두냥등으로무게가분포하고있다. 주제어 미륵사지석탑, 사리장엄, 금제유물, 금괴, 자연금 투고일자 : 2014. 09. 30 I 심사일자 : 2014. 10. 15 I 게재확정일자 : 2014. 10. 28
211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서론 익산미륵사지석탑에서출토된사리장엄중금속유물은처음출토시사리호등 62점으로확인되었으나사리호에서 50점, 청동합에서 396점을수습하여총 508점으로확인되었다. 이중금제유물은사리내호, 봉영기등총 494점이며, 대부분완형을이루고있다. 금제유물은대부분가공을통해제작하였으나이중금정인소형판 22점과금괴 4점은일부가형태를가지고있지않은금괴로가공품을만들기전단계의것으로판단된다. 일반적으로금은자연상태에서산화물이아닌금속의형태로존재하므로용융, 가공과정만을통해서형태를제작할수있다. 그러나자연금의경우은, 동등불순물이포함되어있으므로연성을가지기위해서는정제가필요하다. 정제된순수한금은연성이높아복잡한형태를만들기용이하기때문이다. 그러나실제정제된것인지의판단은쉽지않고국내에서는사례가없다. 본연구는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중금제유물의성분분석을통해그특성을밝히고자하였다. 특히자연금으로추정할수있는괴의형태 22점에대한분석결과를다 른유물들과비교하여특징적인것을분류하고자하였으며, 다른지역에서출토된금제유물의분석결과를비교 검토 하여제작에있어서의특이점을찾아보고자하였다. 미륵사지석탑사리장엄금제유물 미륵사지석탑의사리공내에서출토된사리장엄은사리 호, 유리판, 유리구슬등총 684 점으로확인되었으며, 이중 금속유물은사리호, 봉영기, 족집게등총 62 점으로확인되 었다 ( 표 1). 그러나사리호와청동합내의유물에대한확인 작업중사리호와청동합내에봉안된다양한크기의금제구 슬이확인되면서금속유물은총 508 점으로확인되었다. 재 질별로는사리내호등금제 494 점, 금동사리외호등금동제 2 점, 관식등은제 5 점, 청동합 6 점, 주석괴 1 점, 금분 1 점으로 나뉜다. 이중금제유물은사리공에서사리내호, 봉영기, 족 집게등 48 점, 사리외호에서사리내호, 금제소형구슬등 50 점, 청동합내에서금정등 396 점등총 494 점이출토되었다. 표 1 미륵사지석탑내출토금속유물목록 No. 유물명 세부명 수량 재질 크기 ( cm ) 비고 사리외호 1 금동 7.7 13 금제화형구슬등 48 금 지름 0.6이하 사리외호내 1 사리호 사리내호 1 금 2.6 5.9 금제화형구슬 1 금 지름 0.5 사리내호내 2 사리봉영기 사리봉영기 1 금 15.3 10.3 0.13 3 족집게 족집게 1 금 0.8 5 4 금제소형판 금정 18 금 1.5 8.3 0.1 내외 금괴 3 금 2.9 1.9, 2.8 1.4, 1.8 1.1 5 금괴 은괴 1 은 1.3 1.8 주석괴 1 주석 3.6 2.8 6 금제고리 금제고리 1 금 지름 1.5 7 금동고리 금동고리 1 금동 2.1 8 소형구슬 소형구슬 19 금 지름 0.4이하 9 관식 관식 2 은 3.7 13.4, 4 13.2 10 과대장식 과대장식 2 은 2.1 3.9, 2 13.8
21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No. 유물명 세부명 수량 재질 크기 ( cm ) 비고 11-1 청동합1 청동합1 1 청동 5.9 3.4 청동합2 1 청동 7.3 4 11-2 청동합2 금제고리 8 금 지름 1.8이하 청동합내 11-3 청동합3 청동합3 1 청동 6.6 3.2 청동합4 1 청동 8.3 4.6 금제구슬 355 금 지름 0.6 이하 청동합내 11-4 청동합4 금정 2 금 1.5, 1.4 청동합내 금제이식 1 금 지름 2.9 청동합내 곡옥 1 금 1.4 1.2 청동합내 청동합5 1 청동 7.1 3.8 11-5 청동합5 금제구슬 16 금 지름 0.5이하 청동합내 금괴 1 금 1.1 청동합내 청동합6 1 청동 5.9 3.4 금제고리 2 금 지름 1.5이하 청동합내 11-6 청동합6 금제구슬 8 금 지름 0.7이하 청동합내 금정 2 금 2.8 0.8, 8.9 1.2 청동합내 12 소형구슬 소형구슬 4 금 지름 0.4이하 13 금분 금분 1 금 - 계 508 금제 494점 분석방법 금제유물의성분은표면비파괴분석장비인미소부X-선형광분석기 (Micro X-ray Fluorescence Analyzer, Eagle 3-XXL, EDAX Inc., America) 를이용하였으며, 분석조건은 Rh Target 에 40kV, 500μA, Collimator size 300μm, Vacuum상태에서실시하였다. 또한일부시료는휴대용X-선형광분석기 (Portable X-ray Fluorescence Analyzer, α-4000, Innov-X Systems Inc., America) 를이용하여 Soil mode로 60초간분석하였다. 표면분석의오차를줄이기위해동일유물에대해 3~5곳을분석한후데이터의변화율을검토하여평균값을구하였고, 분석장비의정량성을판단하기위하여금 (Au) 표준시료 (Standard Sample, Gold Bullion BRM5 Disc, Royal Canadian Mint) 로각장비의오차율을측정한결과, Micro XRF 는표준데이터 (74.988wt.%) 와분석데이터 (74.33wt.%) 간의오차율이 0.87% 였으며, P-XRF 는분석데이터 (77.04wt.%) 와표준데이터간에 2.74% 의오차율이있음을확인하였다. 밀도는전자저울 (Percisa 202A) 을이용하여공기중중량과에틸알콜내중량을소숫점 3째자리까지측정하고에틸알콜비중 (0.789) 을환산하여값을구하였다. 또한에틸알콜침적시진공함침을통해공기를제거하여오차를줄였다 분석결과 미륵사지사리장엄중금제유물의성분분석결과는 < 표 2> 에, 금정, 금제고리, 금괴의무게및밀도는 < 표 3> 에나타내었다. 사리내호는높이 5.6cm, 무게 32.3g( 상부 16.6g, 하부 15.7g) 으로표면에조금기법으로여러가지문양을새겼다 ( 사진 1, 2). 밀도는 18.7(g/ cm3 ) 이며, 성분분석결과 99.24wt.% 의금 (Au) 과 0.76wt.% 의구리가검출되었다. 사리내호는금을두드려형태를제작한것으로보이며, 연성을높이기위해서순금을사용한것으로보인다. 사리봉영기는가로 15.3 cm, 세로 10.3 cm, 두께 1.3mm의크
213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기에무게는 143.6g 으로글씨를새겼으며, 성분은금에은이 10wt.% 정도함유되어있다 ( 사진 3, 4). 글씨는금속의표면을각종끌이나정을이용하여여러번두드려파내는파새김기법으로새겼으며, 조각한뒷면에는밀려나와있는것을확인할수있다. 조각후글씨내부에는붉은색안료가있는데 SEM-EDS 분석결과, 83.4wt.% 의수은 (Hg) 과 16.6wt.% 의황 (S) 이검출되어진사 (HgS) 로글씨안을채웠다는것을알수있었다. 발견당시앞면에는안료가많은부분이남아있었 으나뒷면에는대부분빠져나가없어진상태였다. 족집게는크기는 4.97 cm, 무게는 10.8g 으로외관상동에금도금을한것으로보이나조사결과밀도가 16.8g/ cm3이고성분분석결과금 : 은 : 동 = 85.20 : 14.27 : 0.53 의비율로검출되어금에은, 동이함유되어있는금제품임을알수있었다 ( 사진 5). 또한현미경관찰결과, 문양을새기면서금이밀린모양이관찰되고있다 ( 사진 6). 금정은사리공에서대형 16점, 소형 2점등 18점이발견 사진 1 사리내호 사진 2 사리내호세부 사진 3 금제사리봉영기 사진 4 봉영기글씨음각세부 사진 5 족집게 사진 6 족집게세부
21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되었고, 청동합4, 청동합6에서각 2점씩수습되어총 22점이확인되었다 ( 사진 7). 금제판의성분은금 82~92wt.%, 은 6~20wt.% 이며, 구리와철 (Fe) 이 2wt.% 내외로소량검출되었다. 밀도는대략 15~17g/ cm3를나타내었다. 무게는한냥으로보이는크기의무게가 11.6~16.1g 이고, 한냥을반으로자른것같은크기의무게가 5.7~7.6g 으로각각큰차이를보이고있다 ( 그림 1). 분석결과, 금제판들은크기, 밀도뿐아니라금과은의함량도일정하지않았다. 금한냥은금제판의무게에따라서는대략 14.2g 정도이며, 순수한금의양만을계산하였을때는대략 11.6g 분포하고있으나정확하지는않다. 금제고리는사리공에 1점, 청동합2에 8점, 청동합6에 2 점으로총 11점이출토되었다 ( 사진 8). 사리공과청동합2에서출토된금제고리는 99wt.% 이상의순도를보이고있으나청동합6에서출토된금제고리의경우금이 87.1wt.%, 은이 10.8wt.%, 동이 2.1wt.% 로다른고리에비해순도가낮은것으로나타났다. 이는밀도결과에서도나타나는데사리공과청동합2에서수습된고리는 19g/ cm3내외이나청동합6에서수습된고리는 17.2g/ cm3정도의밀도값을보이고있다. 다른특이한사항은금제고리가 3가지군으로나뉘는것이다. 6.5g 내외의 2점, 4.2g 내외의 2점그리고 3.3g 내외의 7점으로구분된다. 금제소형구슬은사리공에서 23점, 사리외호에서 48점, 내호에서 1점, 청동합4에서 355점, 청동합5에서 16점, 청동합6 에서 8점등총 451점이발견되었다 ( 사진 9). 금제소형구슬 의성분은대부분금이 99wt.% 이며, 구리가소량함유되어있다. 화형구슬은금이 98wt.% 이상이며, 접합흔적으로미루어보아반으로제작하여두개를금땜으로접합한것으로보인다. 다른유적에서출토된유물은접합흔적이매우선명하게보이는데미륵사지사리장엄에서출토된유물의접합흔적은매우정교하여일부만확인되는것이특징이다. 청동합4에서출토된금제이식은못형태로 99.75wt.% 의금과소량의구리가함유되어있다 ( 사진 10). 무게는 9.8g 으로금정, 금제고리등과의연관성은찾지못하였다. 금괴는총 4점으로사리공에서 3점, 청동합5에서 1점이수습되었다 ( 사진 11). 사리공에서수습된 3점의성분분석결과, 금의함량이 80~84wt.%, 은의함량이 13~16wt.% 이며밀도는 17g/ cm3정도이다. 금괴의무게는각각 58.2g, 28.0g, 14.1g 으로 2 : 1: 0.5의비율을보이고있어금정에서한냥을기준으로비교하면일정한패턴이될수도있다 ( 그림 2). 또한금괴의성분은금정과비슷한조성을보이나일정치않아금괴와같은용도로사용된것으로단정짓기는어렵다. 청동합5에서는형태가일정하지않은조그만금괴가한점발견되었는데이는사리공에서발견된금괴보다순도가훨씬높은 94wt.% 의금함량을보이고있다. 이외에사리공바닥에서는용도를알수없는가루가발견되었는데분석결과순금의금분으로확인되었다 ( 사진 12). 이금분은일정한형태를보이지않아다른유물에서탈락한것인지, 인위적으로넣었는지판단하기어렵다. 사진 7 금정 사진 8 금제고리
215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사진 9 금제화형구슬 사진 10 청동합내수습금제판및금제못 사진 11 금괴및은괴 사진 12 금분 표 2 금제유물의성분분석결과 유물명 성분함량 (wt.%) Au Ag Cu Sn Fe 비고 사리내호 99.24 0.76 봉영기 86.05 13.95 족집게 91.69 8.07 0.24 족집게고리 85.20 14.27 0.53 금정 ( 사리공내 1) 83.60 16.00-0.40 P-XRF 금정 ( 사리공내 2) 81.61 18.33-0.06 P-XRF 금정 ( 사리공내 3) 88.69 11.31-0.00 P-XRF 금정 ( 사리공내 4) 85.78 14.11-0.11 P-XRF 금정 ( 사리공내 5) 88.44 8.98 2.23 0.21 P-XRF 금정 ( 사리공내 6) 84.48 14.12 0.87 0.51 P-XRF 금정 ( 사리공내 7) 84.40 14.56 0.77 0.25 P-XRF
21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표 2 금제유물의성분분석결과 유물명 성분함량 (wt.%) Au Ag Cu Sn Fe 비고 금정 ( 사리공내 8) 86.46 12.86 0.58 0.10 P-XRF 금정 ( 사리공내 9) 85.19 13.3 0.67 0.85 P-XRF 금정 ( 사리공내 10) 85.92 13.53 0.32 0.22 P-XRF 금정 ( 사리공내 11) 83.76 15.25 0.51 0.41 P-XRF 금정 ( 사리공내 12) 91.33 6.23 2.09 0.00 P-XRF 금정 ( 사리공내 13) 92.42 7.49-0.10 P-XRF 금정 ( 사리공내 14) 86.39 13.11-0.50 P-XRF 금정 ( 사리공내 15) 88.93 11.07-0.00 P-XRF 금정 ( 사리공내 16) 83.38 16.34-0.27 P-XRF 금정 ( 사리공내 17) 87.69 12.31-0.00 P-XRF 금정 ( 사리공내 18) 82.45 17.31-0.24 P-XRF 금정 ( 청동합4 내 1) 84.22 15.46 0.32 금정 ( 청동합4 내 2) 80.91 18.86 0.22 금정 ( 청동합6 내 1) 75.66 20.13 3.93 0.28 금정 ( 청동합6 내 2) 80.42 14.76 3.90 0.92 금제고리 ( 사리공내 ) 100.00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1) 99.20 0.80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2) 99.65 0.35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3) 99.69 0.31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4) 99.52 0.48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5) 99.52 0.48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6) 99.45 0.55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7) 99.70 0.30 금제고리 ( 청동합2 내 8) 99.03 0.97 금제고리 ( 청동합6 내 1) 87.56 11.26 1.17 P-XRF 금제고리 ( 청동합6 내 2) 86.65 10.28 3.07 P-XRF 금제구슬 ( 사리공내 ) 99.28 0.72 평균치 금제구슬 ( 사리호내 ) 99.10 0.90 평균치 금제구슬 ( 청동합4 내 ) 100.00 평균치 금제화형구슬 ( 사리공내 ) 100.00 평균치 금제화형구슬 ( 사리호내 ) 98.97 1.04 평균치 금제화형구슬 ( 청동합6 내 ) 99.53 0.47 평균치 금제이식 ( 청동합4 내 ) 99.75 0.25 금괴 ( 사리공내 1) 79.97 13.69 5.73 0.61 금괴 ( 사리공내 2) 83.15 16.85 금괴 ( 사리공내 3) 84.14 15.86 금괴 ( 청동합5 내 ) 93.73 4.92 0.66 0.19 0.49 P-XRF 금분 ( 사리공내 ) 100.00
217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표 3 금정, 금제고리, 금괴의무게및밀도 유물명 무게 (g) 밀도 (g/ cm3 ) 비고 사리공내금정1 15.00 사리공내금정2 6.70 17.23 사리공내금정3 13.60 사리공내금정4 14.90 사리공내금정5 13.20 사리공내금정6 14.20 명문 ( 앞 ) 사리공내금정7 14.10 사리공내금정8 7.10 17.14 사리공내금정9 14.20 사리공내금정10 15.50 사리공내금정11 13.50 15.70 사리공내금정12 13.20 명문 ( 앞 ) 사리공내금정13 15.10 사리공내금정14 11.60 명문 ( 앞, 뒤 ) 사리공내금정15 15.70 사리공내금정16 16.10 사리공내금정17 13.40 사리공내금정18 15.20 청동합4 내금정1 13.50 청동합 4( 둥글게말림 ) 청동합4 내금정2 7.60 청동합 4( 둥글게말림 ) 청동합6 내금정1 14.20 청동합 6( 반으로접힘 ) 청동합6 내금정2 5.70 청동합 6 사리공내금제고리 3.57 19.20 청동합2 내금제고리1 6.50 19.16 청동합2 내금제고리2 6.37 19.21 청동합2 내금제고리3 4.23 19.19 청동합2 내금제고리4 4.25 19.09 청동합2 내금제고리5 3.15 19.16 청동합2 내금제고리6 3.50 18.91 청동합2 내금제고리7 3.42 19.14 청동합2 내금제고리8 3.18 19.19 청동합6 내금제고리1 3.04 17.28 청동합6 내금제고리2 3.24 17.15 사리공내금괴1 58.20 17.07 사리공내금괴2 28.00 16.69 사리공내금괴3 14.10 17.05
21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18 청동합 4 무게 (g) 16 14 12 10 8 6 4 금정의무게 금정중금의무게 2 0 사리공 청동합 6 그림 1 금정및금정중금의무게분포도 70 60 금괴 무게 (g) 50 40 30 20 금제고리 금제고리및금괴의무게 금제고리및금정중금의무게 10 0 사리공청동합 2 청동합 6 그림 2 금제고리및금괴의무게분포도 고찰 일반적으로는자연상태에서채취되는금에는은이수 wt.% 에서수십 wt.% 까지함유되어있다 (R. F. Tylecote 1992). 최초에금이사용되었을때에는자연금을이용하여그대로용융, 가공하여간단한장신구를제작하여사용하였으나점차제련하여사용하게되었다고알려져있다. 또한 17세기에지어진천공개물에서는 순금에다다른금속을섞 어속여팔때는단지은만섞을수있고, 다른금속은섞이지않는다. 금안의은을제거하려면이잡금을두들겨박편으로만들어잘라서조각을내어질흙을바르거나싸서, 도가니에넣고붕사와함께녹이면은은곧흙으로흡수되고금이흘러나와순금이된다. 그다음에소량의납을이질흙과섞어다른도가니에넣어흙속의은을꺼내면추호의손실도없다. ( 凡足色金參和僞售者, 唯銀可入, 餘物無望焉 欲去銀存金, 則將其金打成薄片剪碎, 每塊以土泥裏途, 入坩堝中
219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鵬砂熔化, 其銀卽吸入土內, 讓金流出, 以成足色 然後入鉛少許, 另入坩堝內, 勾出土內銀, 亦毫厘具在也 ) 라고하였다. 미륵사지사리장엄의경우사리내호, 금제고리, 금제구슬등은순금으로제작되었으며, 천공개물과같은방법으로제련한것인지는확실하진않지만제련과정을거친금이사용된것으로보인다. 순수한금은연하고밀도가높아구조물로사용하기에는부적합하므로강도를높이기위하여은을합금하여사용하므로봉영기, 족집게는인위적으로합금한것으로판단된다. 금정과금괴의경우은이불균일하게다량함유되어있어자연금일가능성도있으나한국의비교자료가없어단정짓기는어렵다. 기존에분석된자연금의경우불순물로포함된은과동이다양한분포를보이고있다. 이들과미륵사지유물을분석한결과순금으로제작된사리내호, 금제고리, 금제구슬등은자연금에서은을제거한것은확실하나은이다량함유된봉영기, 족집게는동이 0.5wt.% 이하함유되어있고, 자연금의분석결과내에분포하고있어자연금인지합금하였는지 는판단하기어려우나순금을제작할수있는기술이있으므로순금제작후일정한강도를갖기위해합금한것으로보인다. 그러나여기서주목하고싶은것은자연금으로추정되는금괴, 금정등의동의함량이다. 금정 22점중동의함량이높은것은 3wt.% 이상이 2점, 2~3wt.% 가 2점이며, 금괴의경우 1점이 5.7wt.% 로분석되었다 ( 그림 3). 동성분의차이를알아보기위해비슷한시기다른지역에서출토된금제유물의분석결과중동에대한함유량을비교하였다. 무령왕릉의경우분석된 39점중 2.37wt.% 의금제뒤꽂이, 1.46wt.% 의과판 2점을제외하고는대부분동이 1wt.% 미만함유되어있었다 ( 최기은 2008). 또한공주금학동고분군에서출토된 2점, 천안용원리고분군에서출토된 6점은모두 1wt.% 미만의동을함유하고있었다 ( 최기은 2008). 왕궁리에서출토된금제품은 112점중 1wt.% 대 2점 ( 금선, 구슬 ), 2wt.% 이상 2점 ( 구슬, 금편 ) 등 4점을제외하고는모두 1wt.% 미만의동을함유하고있었다 ( 한송이 2006). 5~6 세기신라시대금장이식은 109 점중동의함량이 1wt.% 대 금제고리 금괴 사리내호 소형판 금제고리 소형구슬 금괴 ( 청동합 ) 족집게 봉영기 그림 3 자연금및사리장엄중금제유물의은 - 동성분분포도
22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35점, 2wt.% 대 15점, 3wt.% 대 9점, 4wt.% 대 4점으로 63점이다량의동을함유하고있다 ( 강정무 2007). 그러나금의순도 60wt.% 가주류를이루고있고, 전체적으로 30wt.% 대에서 70wt.% 대로다양하게분포하고있어비교하기는어렵다. 이들유물들과비교하였을때은은인위적으로조절할수있었으며, 제작하고자하는유물에따라다르게사용된것을알수있다. 그러나동의함량은일부에서만다량분석되고대부분의경우 1wt.% 미만이함유되고있어자연금을추정하는근거가될수도있다. 이를토대로미륵사지사리장엄의금제품중금괴, 금정등은성분, 형태등다른분석자료와차이가있어자연금으로추정할수도있을것으로판단된다. 그러나국내에서발견된자연금의분석자료가없고, 외국사례에서도일정한패턴이없어단정할수는없다. 또한과거금정제시동에대한조절방법이밝혀지지않아은과함께제거되었는지은과함께금내에포함되었는지는알수없다. 미륵사지사리장엄은명문에서도알수있듯이여러명이시주한것을같이넣었으므로지역이다를수있다. 따라서지역에따른자연금의성분차이가될수도있고, 지역에따른정제정도가다를수도있다. 이러한것은다양한지역의괴형태유물에대한종합적인조사가이뤄져야가능할것으로보이며, 금번조사는자연금에대한기초자료가될수있을것으로판단된다. 금의무게는과거에도귀금속으로여겨졌으므로중요한자료가될수있다. 금정의무게는완형이대략 14g 내외로 중부덕솔지수시금일냥 ( 中部德率支受施金壹兩 ) 의명문에서나타난것과같이한냥의기준인것으로보이며, 절반크기의금정이 7g 내외로반냥으로판단된다. 금괴와비교할때가장작은크기의무게가 14.1g 으로 1냥, 중간크기의무게가 28.0 으로 2냥, 가장큰크기의무게가 58.2g 으로 4냥으로보인다. 금제고리의경우 13g을한냥으로기준하였을때대략적으로 6.5g 내외의 2점은 1/2냥, 4.2g 내외의 2점은 1/3 냥, 3.3g 내외의 7점은 1/4냥으로보이고, 금정한냥기준인 14g과는약간의차이가있으나금정중금만의무게로보면어느정도일치한다. 결론 이상과같이미륵사지석탑내에서출토된사리장엄중금제유물에대한재료학적특성을살펴보았다. 미륵사지석탑사리장엄에대한수습을실시한결과, 금제사리내호등금제 494점이확인되었으며, 분석결과는크게순금제품과은이함유된금제품, 자연금으로추정되는금괴류로분류할수있었다. 순금으로제작된유물은사리내호, 금제고리, 금제소형구슬이며, 1wt.% 내외의동을함유하고있다. 이들유물들은두드려형태를만들기위해순금으로제작한것으로보인다. 은이함유된유물은봉영기, 족집게, 금제고리, 금정, 금괴등이며, 강도가필요한형태를제작하기위해은이함유된것으로보인다. 특히, 금정, 금괴는은, 동의분포, 형태로추정하였을때자연금으로보이나한국의자료가충분하지않아단정할수는없으며, 향후다양한지역의괴형태금제유물에대한종합적인조사가이뤄져야가능할것으로보인다. 금번연구는금제유물중자연금일가능성이높은유물에대해분류하고비교함으로써국내에서분석된사례가없는자연금연구의기초자료가될것으로판단된다. 금세공기술면에서는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은매우정교한기술을보이고있다. 특히금제소형구슬의접합면은크기에비해매우치밀한모습을보이고있어다른고분에서출토된유물들과는차이를보이고있다. 또한무게분포를살펴보았을때한냥의명문이있는것의무게가 14g 내외로이를기준으로반냥, 두냥등으로무게가분포하고있다.
221 Kwon Hyuk-nam 미륵사지석탑출토사리장엄금제유물의재료학적특성 참고문헌 강정무, 2007, 5~6세기신라금장이식의지역별금순도비교연구, 용인대학교석사학위논문 김형진, 2013, 어린이용품유해물질실태조사를통한휴대용XRF의저기용성에관한연구 - Pb 및 Cd을중심으로-, 금오공과 대학교박사학위논문 이난영, 1992, 한국고대금속공예연구, 일지사 이석근외, 2005, XRF 및 NMR 법에의한윤활유중의인함량비교분석연구, 한국화학연구원, Analytical Scienc & Technology, Vol.18, No.2 최기은, 2008, 비파괴분석법을활용한무령왕릉및백제지역금제품의제작특성, 공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최주譯 송응성著, 1997, 천공개물, 전통문화사 한송이, 2006, 왕궁리유적출토금제품의제작기법분석 왕궁의공방Ⅰ- 금속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R. F. Tylecote, 1992, A History of Metallurgy, The Institute of Materials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December 2014, pp.210~223. 22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 Copyright 201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Gold Artifacts of Sarira Reliquary inside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Site Kwon Hyuk-nam a Yoo Dong-wan a Lee Jang-jon b Han Min-su b a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b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bstract When sarira reliquary was found in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there were 494 gold artifacts, including inner gold pot, gold plate with inscription for Sarira enshrinement, etc. Most of gold artifacts were crafted, but there were 22 gold plates and 4 gold ingots, which did not have any specific shape. It was considered that they had not been crafted. Since gold exists as a metal rather than a metallic oxide in nature, in general, it can be crafted by melting and shaping. However, gold in nature has impurities so it has to be refined to have malleability. Th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gold artifacts from sarira reliquary found in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3 types of gold; pure gold artifacts, artifacts produced with silver containing gold and natural gold ingots. Inner gold pot, gold earrings and gold small beads were produced with pure gold and they contained less than 1wt.% of copper. It seemed like they were produced as pure gold to be shaped by hammering. Gold plate with inscription, tweezers, gold earrings, ingots, etc. were produced with silver containing gold as they had to be more solid. Gold ingots seemed to be natural gold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silver and copper in them, but it cannot be concluded as there are not enough information on gold ingots in Korea. The comprehensive research on gold ingots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 has to be carried out to confirm the above. Sarira Reliquary showed the very sophisticated gold craftsmanship. Gold ingots with the inscriptions, which say 1 nyang, were approximately 14g.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se ingots as standard, weights of other ingots were half nyang(7g), 2 nyang(28g), etc. Key Words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Sarira Reliquary, Gold Artifact, Gold ingot, Natural Gold Received : 2014. 09. 30 I Revised : 2014. 10. 15 I Accepted : 2014. 10. 2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47. No.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