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ol. 27, No. 1, 11-21, 2014 http://dx.doi.org/10.5806/ast.2014.27.1.11 Note ( 단신 )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Jun-Bae Lee 1, Seoun-Hwa Hong 1, Dong-Ho Kim 1, In-Ae Huh 2, Yu-Jeong Huh 2, Jong-Beom Khan 1, Da-Yeon Oh 1, Keon-Young Kim 1, Young-Joon Lee 2, Soo-Hyung Lee 1 and Ho-Sang Shin 3, 1 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Okcheon-eup, Chungbuk, Korea 2 Water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yungseo-dong, Seo-gu, Incheon, Korea 3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Chung-Nam, Korea (Received December 6, 2013; Revised January 10, 2014, 0000; Accepted January 10, 2014) 금강수계퇴적물중금속류분석및상관성조사 이준배 1 홍선화 1 김동호 1 허인애 2 허유정 2 간종범 1 오다연 1 김교영 1 이영준 2 이수형 1 신호상 3, 1 국립환경과학원금강물환경연구소, 2 국립환경과학원, 3 공주대학교 (2013. 12. 6. 접수, 2014. 1. 10. 수정, 2014. 1. 10. 승인 ) Abstract: An investigation of grain size, organic compounds and metal distribution in 23 sediment samples of the Geum-River basin (Korea) was conducted in two seasons of 2012 (dry season and rainy season). The samples of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basin and investigated for concentrations of some metal and general indexes containing grain size. Concentrations of Pb, Zn, Cu, Cr, Ni, As, Cd, Hg, Al and Li have been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 and the sediments organic matter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loss on ignition, and sediments were fractionated with three different nylon sieves.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for grain size, organic material and metal concentrations,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ir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higher metal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the period of the dry season than in another season. The metal concentration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at of organic material (COD and TOC). Thereby, the high distribution of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 containing high organic compound is suggesting an interaction with organic matter. 요약 : 금강의퇴적물중에입도, 유기물그리고금속류분포를 2011년도 2계절에걸쳐조사하였다. 퇴적물시료는강어귀에서채취하여금속류와입도등일반지표항목을측정하였다. 금속류 (Pb, Zn, Cu, Cr, Ni, As, Cd, Hg, Al, Li) 는유도프라즈마분광기로측정하였고유기물은강열감량으로그리고입도는다른망크기의체를사용하여결정하였다. 서로간의상관성분석이이루어졌고피어슨상관계수를사용하여상관성을나타내었다. 분석결과건기에금속류가보다높은농도로검출되었다. 금속류의농도는유기물의함량과상관성이높았고이는금속류가유기물에용해되어높아질수있음을보여주는결과이다. Key words: sediment, geum river, metals, correlation Corresponding author Phone : +82-(0)41-850-8811 Fax : +82-(0)41-850-8810 E-mail : hshin@kongju.ac.kr 11
12 Jun-Bae Lee et al. 1. 서론 하천수퇴적물은하천수의수질과직접관련되어지속적인오염원이된다는점에서중요성을갖게되었고, 최근들어하천의퇴적물에오염현상에대한관심이높아지면서전세계적으로관련연구들이진행되어왔다. 1-3 이와같은관점에서하천의퇴적물중에금속류오염물질의분포및퇴적물의물리화학적특성과유기물함량등에대한연구의필요성이강조되어왔다. 특히퇴적물에함유된오염물질농도는퇴적물의조성광물뿐만아니라입도분포, 유기물함량등에큰영향을받는다. 특히퇴적물내의중금속농도는그퇴적물이가지는입도분포에따라큰영향을받으며, 퇴적물입자의크기감소는표면적을크게증가시키고이에따라표면전하를증가시켜퇴적물의오염물질함량증가의원인으로이해되고있다. 4-7 따라서퇴적물중에오염물질의분포, 입도분포및유기물함량은매우밀접한상관성을갖고있어국내에서도퇴적물내의중금속농도, 입도분포및유기물함량에대한조사와이들파라미터들간의상관성에대한수많은연구가진행되어왔다. 8-21 하천수퇴적물중에오염물질의분포를알기위해서는퇴적물의신뢰성있는분석법을토대로이루어져야하나사용할수있는시험법이토양오염공정시험법또는저질시험법등통일되지않은분석법을사용함으로서자료의일관성이떨어질수있는문제가발생되었다. 그러나최근국내에서수질환경에관한퇴적물분석법이하천호소등퇴적물운영계획에의해만들어졌고이에따라우리나라각수계별하천의퇴적물에대한조사연구가한가지시험법으로진행할수있게되었다. 22,23 본연구에는금강수계의하천 23 개지점퇴적물을 2012년두계절별로 ( 상반기와하반기 ) 시료채취하여 10 개금속류와유기물, 입도분석을수행하여측정항목간의상관성조사를통해오염물질의오염원을규명하고자하였다. 2. 재료및방법 2.1. 시약및표준물질 Pb, Zn, Cu, Cr, Ni, As, Cd, Hg, Al, Li는 1000 mg/ L 표준용액 (Fluka, Buchs, Switzerland) 을구입하여사용하였고염산, 질산, 아세톤및메탄올은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로부터구입하여사용하 Fig. 1. Sediment sampling sites. 였다. 초순수는 Milli-Q 장치 (Millipore Corp., Milford, MA, USA) 를사용하여제조하여사용하였다. 2.2. 시료채취금강수계의퇴적물은 2012년도 2회채취하였으며되도록우기전 후가되도록조절하였다. 1 차시료는 2012년 5월부터 6월까지시료채취하였고 2차시료는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시료채취하였다. 시료채취는 Fig. 1과같이용담댐상류와대청댐상류를포함한금강수계상류지역과금강수계국가하천인미호천과논산천지역을포함한대청댐하류지역등중권역대표지점을포함한 23 개지점에서시료채취하였다. 시료채취는퇴적물측정망운영계획의시료채취매뉴얼에따라채취하였다. 23 채취지점의하폭에따라구간을결정하고 5개소이상에서시료를채취하여골고루혼합하였다. 8 메쉬 ( 약 2 mm) 체를이용하여거른다음일정량을시료용기에담고, 남은혼합시료를 100 메쉬 ( 약 0.15 mm) 체로거른다음시료용기에담은후냉장보관하였다. 2.3. 측정장비및측정방법중금속은 ICP-MS (Perkin Elmer Elan DRC) 와수은분석장비 Hydra II AF Gold (Teledyne leeman labs) 를이용하여측정하였으며, 입도분석은 Microtra S3500 Extended wel를이용하였다. 금속류 (Pb, Zn, Cu, Cr, Ni, As, Cd, Hg, Al, Li) 10 개항목과퇴적물입도분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13 석및유기물질함량분석은 2011년도퇴적물측정망운영계획에따른매뉴얼을사용하였다. 23 가능량 ) 을측정하였고분석한값간의상관성을조사하였다. 3. 결과및고찰금강수계중시료채취가가능한 23 개지점에대한퇴적물중금속류분포및영양염류에대한화학적인자들 (COD, 총유기탄소, 총질소, 총인, 수용성인 ) 및퇴적물에대한물리적인자 ( 입도, 함수율, 완전연소 3.1. 중금속류측정결과납은상반기에 8.9~22.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15.1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8.3~19.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14.5 mg/kg이었다 (Fig. 2).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와하반기의농도가비슷하였고특 Fig. 2.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Pb, Zn, Cu, Cr, Ni) in sediment. Vol. 27, No. 1, 2014
14 Jun-Bae Lee et al. 이점으로는상반기에금남U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당진천 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아연은상반기에 29.7~139.2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72.4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57.5~124.9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90.3 mg/kg이었다 (Fig. 2).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하반기의농도가상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금남U 지점의농도가높 았으며, 하반기에는미호천 6-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구리는상반기에 5.3~33.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15.6 mg/kg이었고, 하반기에는 11.8~22.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16.7 mg/kg이었다 (Fig. 2).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하반기의농도가상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금남U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곡교천 2 지점의농도가높았다. Fig. 3.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s, Cd, Hg, Al, Li) in sediment.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15 크롬은상반기에 19.6~52.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31.9 mg/kg이었고, 하반기에는 37.6~78.6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60.8 mg/kg이었다 (Fig. 2).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하반기의농도가상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금남U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미호천6-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니켈은상반기에 6.4~17.2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10.5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9.9~20.9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16.7 mg/kg이었다 (Fig. 2).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하반기의농도가상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금남U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금강D 지점의농도가높았다. 비소는상반기에 2.7~18.4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6.1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9~2.3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1.5 mg/kg이었다 (Fig. 3).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갑천5-1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당진천 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카드뮴은상반기에 0.11~0.43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0.27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05~0.18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0.11 mg/kg이었다 (Fig. 3).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김제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갑천5-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수은은상반기에 0.006~0.587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0.073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010~0.157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0.042 mg/kg이었다 (Fig. 3).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와하반기모두갑천 5-1지점의농도가높았다. 알루미늄은상반기에 3.48~7.32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5.5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4.33~7.77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6.3 mg/kg이었다 (Fig. 3).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하반기의농도가상반기에비해다소높게검출되었다. Table 1. Korean standards of sediments Compound Standard Combustibility 13% Organics TP 1,600 mg/kg TN 5,600 mg/kg As 93 mg/kg Cd 6.7 mg/kg Cr 270 mg/kg Heavy metals Cu 390 mg/kg Pb 530 mg/kg Zn 960 mg/kg Hg 2 mg/kg 상반기에는미호천6-1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금남지점의농도가높았다. 리튬은상반기에 20.3~106.5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고평균농도는 42.4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20.0~44.8 mg/kg의농도범위로검출되었으며평균농도는 30.1 mg/kg이었다 (Fig. 3).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동진강3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곡교천 2 지점의농도가높았다. 모든항목들이하천호소퇴적물오염평가기준미만이었다 (Table 1). 3.2. 유기물및영양염류측정결과 COD는상반기에 0.15~0.32% 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고평균농도는 0.2% 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02~0.28% 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으며평균농도는 0.1% 이었다 (Fig. 4).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논산천4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갑천5-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TOC는상반기에 0.21~0.9% 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고평균농도는 0.5% 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06~0.56% 의농도범위로평균농도는 0.2% 이었다 (Fig. 4).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와하반기모두갑천5-1 지점이높게나타났다. 총질소는상반기에 220~1070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고평균농도는 650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500~1,000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으며평균농도는 630.4 mg/kg이었다 (Fig. 4).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높 Vol. 27, No. 1, 2014
16 Jun-Bae Lee et al. Fig. 4. Chemical factor concentrations (COD, TOC, T-N, T-P, SRP). 게검출되었다. 갑천5-1 지점의농도가상반기와하반기모두높게나타났다. 총인은상반기에 220~1277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고평균농도는 598.6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30~351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으며평균농도는 191.6 mg/kg이었다 (Fig. 4).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꽤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당진천1 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갑천5-1 지점의농도가높았다. 총연소량은상반기에 1.0~14.6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고평균농도는 4.4 mg/kg이었으며, 하반기에는 0.8~4.8 mg/kg의농도범위로측정되었으며평균농도는 1.8 mg/kg이었다 (Fig. 4). 시료채취시기를비교하였을때에상반기의농도가하반기에비해꽤높게검출되었다. 상반기에는김제지점의농도가높았으며, 하반기에는웅천천2 지점의농도가높았다. 화학적인자들은상반기가하반기에비해서높은농도를나타났고장마시기의강우량으로인한유량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17 Fig. 5. Physical factors (sand, silt, clay, water content, ignition loss) in sediment. 증가가원인인것으로판단된다. 3.3. 물리적인자측정값상반기에시료채취한퇴적물의입도분포를조사한결과모래가 87% 를, 실트가 12% 그리고점토가 1% 의분포를보였고, 하반기에서는모래가 92%, 실트 8% 그리고점토는없었다 (Fig. 5). 상반기와하반기의입도분포의변화는모래부분이증가하고실트와점토부분이감소하였는데특히하반기에점토가없는것 은 Fig. 6에서와같이 8월에강우가집중되어장마기간중에이동되어소실된것으로판단된다. 그러나하류지역에위치한성동, 논산천4, 동진강3 지점은상반기에비하여하반기에모래가감소하였고실트가 2 배이상증가하여장마로인해이동하여축적된것으로판단된다. 함수율과완전연소가능량은각각상반기평균이 21.3%, 1.0%, 하반기평균이 19.8%, 0.9% 로차이를나타내지않았다 (Fig. 5). Vol. 27, No. 1, 2014
18 Jun-Bae Lee et al. Fig. 6. Monthly Rainfall in Geum River (2012). 3.4. 항목별상관성비교 3.4.1. 금속류금강수계퇴적물중금속류등의상관성을조사하여 Table 2와 3에제시하였다. 납은상반기에는 12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9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아연, 크롬, 니켈, 카드뮴, 수은, 알루미늄과높은상관성을보였다. 아연은상반기에 14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9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크롬, 니켈, 카드뮴, 알루미늄항목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다. 구리는상반기 14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3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카드뮴, 수은항목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다. 상반기에는 8개금속류와상관성을보였지만하반기에서는 3개항목과음의상관성을보였다. 크롬은상반기 12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 9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아연, 니켈, 알루미늄, 카드뮴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다. 니켈은상반기 12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 9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아연, 크롬, 알루미늄, 리튬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다. Table 2.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d parameters in sediment sampled during first period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19 Table 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d parameters in sediment sampled during second period 비소는상반기 8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4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카드뮴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으며, 금속류중가장적은상관성을나타내었다. 카드뮴은상반기에는 15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10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아연, 구리, 크롬, 수은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으며, 금속류중가장많은항목과상관성을나타내었다. 수은은상반기에는 11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10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아연, 카드뮴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으며, COD, TOC, 총질소,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과상관성이있었다. 알루미늄은상반기에는 12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6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납, 아연, 크롬, 니켈과유의성있는상관성을보였다. 리튬은상반기에는 11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4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니켈은상하반기에높은상관성을보였다. 상관관계는다른항목과의관계를나타내는인자로판단되어조사하였는데대부분의중금속에서다른항목과많은상관을보였으며, 하반기보다는상반기에서상관항목이많이나타났다. 3.4.2. 유기물및영양염류금강수계퇴적물중유기물및영양염류와다른항목간의상관성을조사하여였다. COD는상반기에는 6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5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수은, TOC, 총질소, 함수율및완전연소가능량과높은상관성을보였다. TOC 항목은상반기 17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는 7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수은, COD, 총질소, 함수율및완전연소가능량과높은상관성을보였다. 상반기에서는모든금속류와상관성을보였지만, 하반기에서는수은만이상관성을나타냈다. 총질소는상반기 17 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 8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특히 COD, TOC, 함수율및완전연소가능량과높은상관성을보였다. 상반기에서는모든중금속과상관성이있었으나, 하반기에는수은과크롬만이상관성을보였다. 총인은상반기에는수은 1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으며, 하반기에서는 8개항목과상관성이있었다. 그러나상하반기공통된항목과의상관관계가나타나지않았다. SRP 항목은상반기 5개중금속항목과상관성을보였고, 하반기에는금속류리튬과높은상관성을보 Vol. 27, No. 1, 2014
20 Jun-Bae Lee et al. 였고 TOC, 총질소, 총인, 함수율, 완전연소가능량과상관성이있었다. 유기물및영양염류상관관계에있어서는 TOC, TN 항목이대부분의다른항목과많은상관를보였으며, TP는거의다른항목과상관이없었고, 중금속항목과마찬가지로하반기보다는상반기에서상관항목이많이나타났다. 3.4.3. 입도입도모래항목은상반기에서는중금속 7개항목과유기물및영양염류 2개항목, 실트, 점토, 완전연소가능량모든항목에서음의상관성을나타내었고, 실트, 점토, TOC, T-N, Cr, Ni, Al과는 0.5% 의높은유의성을나타냈다. 하반기에는 10 개항목에서상관성이있는것으로나타났고, 실트, 점토항목은상반기와같이음의상관을나타내었다. 상하반기걸쳐중금속 5개항목이공통된상관을보였지만하반기에는양의상관을나타내었다. 입도실트는상반기에는 10 개항목에서상관을나타났으며그중상반기에서는중금속 4개항목 (Cr, Ni, Al, Cu) 이양의상관을나타내었지만하반기에서는 6개중금속 (Pb, Zn, Cr, Ni, Cd, Al) 이음의상관을나타냈다. 입도점토항목은상반기 12 개항목에서상관을나타났으며그중상반기중금속 8개항목 (Zn, Cu, Cr, Ni, Cd, Al, Li, Pb) 에서높은상관성을나타내었지만강수량이많아점토가씻겨내려간하반기에는모든중금속들과상관성이높지않았다. 함수율항목은상하반기 8개항목에서상관을보였으며, COD, TOC, T-N 항목에서유의성있는상관을보였다. 완전연소가능량항목도함수율항목에서와같이 COD, TOC, T-N 항목에서유의성있는상관을보였다. 4. 결론본연구는금강수계의하천에서시료채취가가능한 23 개지점의퇴적물을 2012년상 하반기 2회시료채취하여금속류및영양염류및입도등 18 개항목을분석하였다. 대부분항목에서상반기퇴적물이하반기퇴적물보다농도가높았으며, 상하반기에는모든금속류에서서로간에상관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입도분석결과점토와같이입자의크기가작을수록 Pb, Zn, Cu, Cr, Ni, Cd, Al, Li의농도가높은것으로나타났으며이는입도가작아지면서비표면적이증가하여흡착력이증가하기때문으로판단된다. 4 한편총유기탄소양과총질소양이높을수록 8개모든중금속의농도가높아지는현상이나타났으며이는유기물의농도가높아지면서중금속의용해도가증가하게되어높은상관성을보이는것으로판단이된다. 이와같은현상들은우기후보다우기전에뚜렷하였으며이는상류에있던점토와유기물이우기를통해하류로이동되고평형이깨지게되어발생된것으로판단이된다. 위의결과로부터퇴적물에존재하는오염물질을분석할때에는계절적인영향이크고특히우기전후의차이가크므로이를고려한시료채취시기를결정해야할것으로판단이된다. 참고문헌 1. M. M. Clara J. Environ. Sci. Health., 44(9), 861-865 (2009). 2. T. Vitchayut, P. Preeda and W. Piyajit, J. Environ. Sci. Health, 42(8), 1029-1041 (2007). 3. N. Greece, K. Fytianos and A. Lourantou, Environ. Int., 30(1), 11-17 (2004). 4. K. Shin and S. Jun, J. Environ. Health Sci., 38(5), 424-430 (2012). 5. U. Frstner, W. Calmano, J. Schoer, Thalassia Jugosi. 12, 30-8 (1982). 6. H. Sakai, Y. Kojima and K. Saito, Wat. Res., 20, 559-67 (1986). 7. J. Bubb, M. T. Rudd and J. N. Lester, Sci. Total Environ., 102, 189-208 (1990). 8. J. E. Park, S. C. Lee, J. K. Hong and J. G. Kim, Kor. Soc. Environ. Anal., 34(5), 335-344 (2012). 9. T. W. Ahn, J. H. Jung, T. H. Kim, S. W. Kim, I. S. Choi and J. M. Oh, Kor. Soc. Environ. Anal., 34(7), 495-503 (2012). 10. J. K. Lee, S. K. Kim, J. H. Song and T. Y. Lee, Kor. Soc. Environ. Anal., 31(11), 975-982 (2009). 11. K. H. Oh, M. N. Yu and Y. C. Cho, Kor. Soc. Environ. Anal., 33(12), 975-982 (2011). 12. J. K. Kim, S. J. You and W. S. Ahn, J. Mar. Environ. Safety, 14(4), 247-256 (2008). 13. D. Y. Oh, K. K. Choi, I. A. Huh, I. S. Hwang, Y. H. Kim, J. Hur, H. S. Shin, J. E. Oh, W. S. Shin and J. H.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Measurement of metals in sediment of the Geum-River and their correlation 21 Park, Kor. Soc. Environ. Anal., 33(1), 32-38 (2011). 14. H. S. Oh, W. S. Shin, J. H. Kim, I. S. Hwang, J. Hur, H. S. Shin, J. G. Oh, I. A. Hur and Y. H. Kim, Kor. Geo-Environ. Soc., 11(5), 15-23 (2010). 15. T. S. Kim, S. K. Shin, J. K. Oh and J. E. Park, Anal. Sci. & Technol., 25(4), 242-249 (2012). 16. S. K. Park, S. S. Kim and O. S. Go, Anal. Sci. & Technol., 14(2), 140-146 (2001). 17. S. K. Park and Y. M. Yang, Anal. Sci. & Technol., 14(3), 238-243 (2001). 18. S. K. Park, K. B. Song and K. H. Jo, Anal. Sci. & Technol., 14(2), 173-179 (2001). 19. J. K. Lee, S. K. Kim, J. H. Song and T. Y. Lee, Kor. Geo-Environ. Soc., 11(1), 35-43 (2010). 20. J. K. Lee, T. Y. Ahn and J. M. Oho, Kor. Soc. Environ. Eng., 32(9), 840-850 (2010). 21. D. C. Jo, Y. M. Lee, B. K. Park and S. H. Keoun, Kor. Environ. Sci. Soc., 20(7), 845-855 (2011). 22.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Sediment Monitoring Plan (2011). 23.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Monitoring Plan (2012). Vol. 27, No. 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