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ssue 2015 방송영상콘텐츠 결산 텍스트 빅데이터가 말해주는 2015년 방송 프로그램 시청 트렌드 정확하고 풍부한 시청자 반응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 개별 시청자들이 온라인과 소셜 미디어에서 생산한 리뷰 및 공유 데이터는 방송콘텐츠 이용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 이다. 올 한해 온라인상에 남겨진 텍스트 빅데이터를 통해 이용자들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트렌드를 정리했다. 김정선_SK텔레콤 부장/언론학 박사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각 산업 영역별로 매우 뜨겁다. 빅데이터를 이야기할 때 그 규모나 분석에 소요되는 수많은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쉽지만, 실용적 관점에서는 그동안 수집하여 측정하고 싶어도 기술적, 비용적 한계로 진행이 불가능했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그 안에서 인사이트를 발굴해내는데 그 가치를 둔다. 그런 맥락에서 온라인, SNS 텍스트 빅데이터의 수집, 분석을 통해 2015년의 방송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2015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주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언급된 온라인, 소셜 상의 텍스트 빅데이터를 수집했다. 1) 온라인 뉴스, 블로그, 카페, 게시판 및 유튜브 등 총 300여 개 채널에 남겨진 본문과 댓글 텍스트 데이터 및 해당 유튜브 콘텐츠 조회 수를 수집, 분석하였다. 1) 대상 프로그램은 한국콘텐츠진흥원과의 협의를 거쳐, 각 장르 카테고리별 프로그램 총 243개를 선정하였다. 지상파 프로그램의 경우, 시청률 상위 1,000개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각 장르별로 구분하였으며, PP 프로그램 중, 1% 이상 시청률을 기록한 프로그램을 추가로 포함 시켰다. 드라마의 경우, 지상파는 5%, PP는 1%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로 총 81개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단막극, 특집극 제외). 예능 프로그램은 총 112개의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특집 및 파일럿 편성 제외). 교양/시사 프로그램은 시청률 상위 20개 프로그램에 각 채널별 주요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총 41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프로그램 장르 구분은 방송사 자체 구분을 우선하였다.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은 SK텔레콤의 스마트 인사이트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Special Issue 13
온라인 버즈가 보여주는 화제의 프로그램 분석 대상이 된 프로그램들의 버즈(buzz) 총량은 총 7,089,656건이었다. 그 가운데 주요 프로그램의 버즈 점유율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드라마 81개 프로그램 대상 관련 버즈건수는 총 2,227,495건으로 10위 내에 랭크된 관련 프로그램의 버즈 비중이 37.5%였다. 112개 예능 프로그램의 관련 버즈건수는 총 4,087,260건으로 이 중 10위 내에 랭크된 관련 프로그램의 버즈비중은 45.9%였다. 시사/교양 41개 프로그램 대상 관련 버즈건수는 총 401,048건으로 이중 5위 내에 랭크된 관련 프로그램의 버즈 비중은 43.5%에 달한다.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방송되고 있지만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으는 프로그램은 비교적 소수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표1 분석 대상 프로그램 장르별 버즈건수와 상위 랭크점유비 현황 (단위 : 건) 구분 1월~10월 누적 버즈계 상위 랭크 프로그램 버즈 상위 랭크 버즈점유비율 드라마 2,227,495 834,878 (10개) 37.5% 예능 4,087,260 1,876,795 (10개) 45.9% 시사/교양 401,048 271,698 (5개) 43.5% 계 7,089,656 3,257,626 (28개) 45.9% 각 장르 카테고리별 상위에 랭크된 프로그램은 버즈 누적순위와 시청률 우선 순위에 있어 많은 격차를 보였다는 점이 또 하나의 주요한 특징이다. 가령, MBC 수목드라마 <킬미힐미>는 버즈발생 순위 1위를 차지했으나 시청률 기준으로는 평균 9.75%로 81개 드라마 프로그램 중 하위권인 38위에 머물렀다. 해당 드라마는 방송 종료 시점인 4월 이후에도 꾸준하게 버즈가 생성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KBS 일일 연속극 <가족을 지켜라>의 경우, 시청률 25.34%로 시청률 기준 드라마 장르 3위에 해당하지만, 버즈량 기준으로 보면 58위에 그쳤다. 각 카테고리 프로그램의 버즈량 vs 시청률 Top 10 순위 현황을 다음 표로 정리했다. 14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5.12-2016.01 l vol.04
표2 드라마 버즈량 vs 시청률 Top 10 순위 방송사 버즈량 기준(건) 방송사 시청률 기준(%) 1 MBC 수목미니시리즈 <킬미힐미> 144,704 KBS2 주말연속극 <가족끼리 왜 이래> 40.23 2 KBS2 금토드라마 <프로듀사> 108,519 KBS1 일일연속극 <당신만이 내사랑> 29.51 3 MBC 수목미니시리즈 <밤을 걷는 선비> 104,444 MBC 주말특별기획 <전설의 마녀> 28.71 4 MBC 수목미니시리즈 <그녀는 예뻤다> 93,935 KBS1 일일연속극 <가족을 지켜라> 25.35 5 SBS 드라마스페셜 <냄새를 보는 소녀> 85,189 KBS2 주말연속극 <파랑새의 집> 25.30 6 KBS2 월화드라마 <학교 2015 후아유> 70,764 KBS2 주말연속극 <부탁해요 엄마> 24.38 7 tvn 금토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58,582 MBC 주말드라마 <장미빛 연인들> 23.65 8 tvn <식샤를 합시다 2> 57,326 SBS 아침연속극 <청담동 스캔들> 22.17 9 SBS 드라마스페셜 <피노키오> 55,933 KBS2 일일드라마 <달콤한 비밀> 20.29 10 MBC 수목미니시리즈 <앵그리맘> 55,482 MBC 주말드라마 <여자를 울려> 19.04 표3 예능 버즈량 vs 시청률 Top 10 순위 방송사 버즈량 기준(건) 방송사 시청률 기준(%) 1 KBS2 <뮤직뱅크> 634,267 MBC <무한도전> 13.63 2 MBC <무한도전> 255,183 KBS1 <가요무대> 13.37 3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159,993 KBS1 <전국노래자랑> 13.34 4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전> 153,329 KBS2 <개그콘서트> 12.57 5 SBS 일요일이 좋다 <런닝맨> 143,741 tvn <삼시세끼> 어촌편2 (본) 10.67 6 KBS2 해피선데이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122,309 MBC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10.15 7 JTBC <냉장고를 부탁해> 113,026 KBS2 <불후의 명곡> 9.10 8 MBC <우리 결혼했어요> 106,431 KBS1 <도전 골든벨> 8.93 9 JTBC 국경없는 청년회 <비정상회담> 99,588 SBS <아빠를 부탁해> 8.69 10 Mnet <쇼미더머니4> (본) 88,928 SBS <NEW 스타킹> 8.56 표4 시사/교양 버즈량 vs 시청률 Top 10 순위 방송사 버즈량 기준(건) 방송사 시청률 기준(%) 1 SBS <생활의 달인> 53,818 KBS1 <인간극장> 11.35 2 MBC <PD 수첩> 33,682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10.84 3 채널A <먹거리 X파일> 31,886 KBS1 <6시 내고향> 10.31 4 SBS <그것이 알고 싶다> 31,047 KBS1 <한국인의 밥상> 10.26 5 KBS1 <6시 내고향> 24,321 KBS1 시청자 칼럼 <우리 사는 세상> 10.23 6 KBS2 <다큐 3일> 23,579 SBS <TV동물농장> 9.16 7 KBS1 <아침마당> 22,376 KBS1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 8.98 8 MBC <리얼스토리 눈> 18,786 KBS1 똑똑한 <소비자 리포트> 8.67 9 SBS <TV동물농장> 16,724 MBC <리얼스토리 눈> 8.63 10 SBS <궁금한 이야기 Y> 15,479 KBS1 <남북의 창> 8.51 Special Issue 15
한편, 분석 기간 내 발생한 버즈 중 예능 프로그램 관련 비율이 58%로 가장 많은 대중의 관심과 흥미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의 경우는 31%를 기록했다. 즉, 전체 분석대상 버즈의 89%가 예능 및 드라마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련 버즈가 발생된 채널의 분포는 SNS, 블로그, 카페의 비율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 장르에 구분 없이 비슷한 현황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카페에서의 버즈 발생 비율이 32%로 미디어 소비자들은 자신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활발한 프로그램 관련 소통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SNS(트위터) 발생 버즈는 27%, 블로그에서 형성된 버즈는 25%로 나타났다. 다만 <뮤직뱅크> 등 특정 프로그램의 경우엔 SNS를 통해 생성되고 전파된 문서의 비율이 84.5%에 달해 각 미디어를 소비하는 계층별로 채널에 대한 선호도가 다르다는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 그림1 각 프로그램 장르별 버즈 점유비 그림2 채널별 버즈 점유비 예능 드라마 뉴스 교양/시사 SNS 게시판 뉴스 블로그 카페 5% 6% 27% 32% 31% 58% 25% 12% 4% 유튜브 조회수와 버즈량의 관계 그렇다면 각 프로그램 유튜브 조회수와 버즈량의 관계는 어떠할까? 각 버즈량의 순위와 유튜브 동영상의 조회수는 시청률 순위보다는 비교적 명확한 상관성을 보인다. 특히 시사/교양 카테고리에 속한 프로그램의 경우 버즈량의 순위에 있는 프로그램 목록과 유튜브 상위 조회순의 목록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와 인지에 기반하여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고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의견을 재생산해내는 새로운 방송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16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5.12-2016.01 l vol.04
표5 드라마 순위 버즈량 vs 유튜브 조회수 Top 10 순위 유튜브 조회수 기준(건) 1 MBC 수목미니시리즈 <그녀는 예뻤다> 9,166,133 2 tvn 금토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6,628,929 3 MBC 수목미니시리즈 <킬미힐미> 4,843,860 4 SBS 드라마스페셜 <가면> 3,743,896 5 SBS 주말특별기획 <너를 사랑한 시간> 3,171,776 6 MBC 수목미니시리즈 <앵그리맘> 2,7136,22 7 SBS 월화드라마 <상류사회> 2,690,345 8 JTBC <사랑하는 은동아> 2,016,512 9 KBS2 주말연속극 <파랑새의 집> 1,947,980 10 웹드라마(TV캐스트) <도전에 반하다> 1,802,296 표6 예능 순위 버즈량 vs 유튜브 조회수 Top 10 순위 유튜브 조회수 기준(건) 1 Mnet <쇼미더머니4> 44,386,872 2 KBS2 <뮤직뱅크> 37,731,396 3 KBS2 해피선데이 <슈퍼맨이 돌아왔다, 1박 2일> 34,527,200 4 KBS2 <유희열의 스케치북> 24,549,508 5 KBS2 <불후의 명곡> 19,153,687 6 KBS2 <해피투게더> 17,285,240 7 KBS2 <연예가 중계> 8,896,993 8 JTBC <냉장고를 부탁해> 6,014,760 9 MBC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5,487,763 10 MBC <무한도전> 4,495,407 표7 시사/교양 순위 버즈량 vs 유튜브 조회수 Top 10 순위 유튜브 조회수 기준(건) 1 SBS <그것이 알고 싶다> 543,608 2 KBS2 <다큐 3일> 395,369 3 SBS <TV동물농장> 339,699 그 림 3 각 프 로 그 램 장 르별 유 튜 브 누 적 조 회수 점 유비 예능 드라마 뉴스 1% 3% 교양/시사 4 SBS <생활의 달인> 325,714 5 KBS1 <아침마당> 309,069 6 MBC <PD수첩> 165,189 7 KBS1 <6시 내고향> 110,835 8 MBC <리얼스토리 눈> 91,703 9 SBS <궁금한 이야기 Y> 74,933 10 채널A <먹거리 X파일> 21,974 35% 61% 같은 기간 유튜브 관련 콘텐츠 누적 조회수 점유비는 예능 61%, 드라마 35%로 버즈 점유율을 상회하는 높은 비율의 집중도를 보였다. Special Issue 17
버즈에 나타난 주요 키워드 다음으로는 수집된 문서를 대상으로 텍스트 어낼리틱스(Text Analytics) 기술을 적용하여 형성된 버즈 문서 내에 포함된 키워드를 살펴보았다. 각 문서 내에 포함된 문장 내 명사형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속성화한 결과, 5개의 속성 키워드 그룹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각 속성별 주요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표8 속성 요소별 빈출 키워드 속성 그룹 매력요소 미디어 소비 방송국 방송제작 영향력 출연진 프로그램 포맷 속성별 요소 키워드 출연진이나 방송요소가 주는 매력과 관련된 키워드 (예 : 연기, 매력, 얼굴, 이미지, 표정, 몸매, 연기력, 미소, 눈물, 화보, 눈빛, 외모, 예능감, 한복, 도포, 애드립, 관능미 등)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매체환경과 관련된 키워드 (예 : 온라인, 예고, 재방, 다시보기, 본방, 생중계, 인터넷, 하이라이트, 유튜브, 실시간, vod, tving, iptv, pooq, 유튜브 등) 공중파 및 케이블 방송사 관련 키워드 (예 : 방송사명, 지상파, 종편 등 채널 특성 관련 명칭) 방송프로그램 제작과 관련된 키워드 (예 : PD, 작가, 캐릭터, 첫방송, 진행, 시청률, 종영, 내용, 제작진, 제작발표회, 프로듀서, 배역, 조명, 스튜디오 등)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화제성 요소 키워드 (예 : 패션, 스타일, 메이크업, 원피스, 가방, 의상, 앨범, 음원, 헤어스타일, 구두, 머리스타일, 완판, 유행어 등) 각 방송프로그램의 출연진 이름 및 주인공 명칭을 속성 키워드화 (예 : 연기자 이름, 극중 이름, 별명 등) 프로그램의 구성과 형식에 관련된 속성 키워드 (예 : 사고, 비밀, 연애, 로맨스, 사건, 거짓말, 복수, 귀신, 갈등, 웹툰, 막장, 출생, 코미디, 사극, 미스터리, 먹방, 공포, 재벌 등) 각 장르별 주요 프로그램별로 해당 속성 키워드의 점유비를 살펴 본 결과 다소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드라마의 경우 출연진과 그에 따른 영향력 속성그룹 키워드의 점유비가 각각 47.8%, 16.6%로 주인공과 그 화제성에 대한 영향도가 버즈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엔 프로그램의 구성과 형식에 관련한 포맷속성 키워드가 37.9%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속성 요인이었다. 시사/교양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포맷과 관련한 키워드가 36.9%였으나 다른 프로그램 장르와는 다르게 방송제작과 관련된 속성 키워드가 29.1%로 나타나 제작 주체의 특성 또한 소비자 계층의 담론으로 구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8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5.12-2016.01 l vol.04
표9 드라마 Top 10 (버즈 기준) 빈출 키워드 속성유형 드라마 매력요소 미디어 소비 방송국 방송제작 영향력 출연진 프로그램 포맷 KBS <프로듀사> 22,098 6,301 20,804 46,604 8,911 89,876 36,440 SBS <냄새를 보는 소녀> 13,248 5,062 14,025 25,932 2,727 139,213 37,940 SBS <피노키오> 14,255 2,366 9,989 25,655 3,960 46,325 21,280 MBC <그녀는 예뻤다> 12,651 4,175 9,110 13,159 4,741 64,740 17,340 MBC <밤을 걷는 선비> 18,746 4,354 14,514 23,096 1,096 140,882 34,492 tvn <식샤를 합시다> 8,756 3,888 7,919 15,543 3,092 36,056 22,705 MBC <앵그리맘> 11,747 2,444 11,107 20,006 2,804 42,770 22,331 tvn <오! 나의 귀신님> 10,551 2,593 5,296 12,710 1,581 45,224 15,807 MBC <킬미힐미> 26,077 6,675 13,782 31,681 6,321 98,207 39,230 KBS <학교 2015 후아유> 13,621 2,990 13,098 20,229 2,180 81,067 25,228 계 151,750 40,848 119,644 234,615 37,413 784,360 272,793 점유비 9.2% 2.5% 7.3% 14.3% 2.3% 47.8% 16.6% 표10 예능 Top 10 (버즈 기준) 빈출 키워드 속성유형 예능 매력요소 미디어 소비 방송국 방송제작 영향력 출연진 프로그램 포맷 KBS <해피선데이> 14,982 5,015 27,129 29,657 2,512 73,363 72,711 tvn <냉장고를 부탁해> 5,811 4,274 8,154 10,882 960 27,086 90,079 MBC <마이 리틀 텔레비젼> 14,660 16,039 19,385 38,164 2,572 62,299 82,623 MBC <무한도전> 16,384 11,744 29,581 44,839 4,376 98,997 134,311 KBS <뮤직뱅크> 20,784 11,739 74,423 40,777 14,611 80,163 130,919 MBC <복면가왕> 17,613 9,717 21,751 25,169 4,919 76,815 140,156 JTBC <비정상회담> 18,337 7,725 30,432 48,640 4,519 95,337 92,717 Mnet <쇼미더머니> 3,825 3,955 27,255 17,087 2,934 10,777 41,121 MBC <우리 결혼했어요> 12,596 3,869 12,081 19,298 3,512 73,102 61,923 SBS <런닝맨> 8,521 5,898 16,976 12,666 1,921 54,518 48,143 계 133,513 79,975 267,167 287,179 42,836 65,2457 89,4703 점유비 5.7% 3.4% 11.3% 11.3% 1.8% 27.7% 37.9% Special Issue 19
표11 시사/교양 Top 10 (버즈 기준) 빈출 키워드 속성유형 교양/시사 매력요소 미디어 소비 방송국 방송제작 영향력 출연진 프로그램 포맷 KBS <6시 내고향> 916 590 3,099 2,000 157 247 8,272 MBC <PD수첩> 1,370 1,133 8,007 15,129 166 38 7,264 SBS <그것이 알고 싶다> 3,822 3,011 10,523 19,919 620 2,617 17,445 SBS <생활의 달인> 1,495 973 4,129 4,067 583 28 15,456 SBS <TV동물농장> 2,688 1,012 5,170 5,943 431 1,765 7,436 SBS <궁금한 이야기 Y> 1,127 718 2,562 6,562 213 86 5,191 KBS <다큐 3일> 1,552 761 3,063 3,854 384 21 8,090 MBC <리얼스토리 눈> 1,882 1,081 6,958 8,166 379 300 7,411 채널A <먹거리 X파일> 787 525 2,654 5,707 237 992 13,611 KBS <아침마당> 1,968 804 5,340 5,693 321 321 7,354 계 17,607 10,608 51,505 77,040 3,491 6,711 97,530 점유비 6.7% 4.0% 19.5% 29.1% 1.3% 2.5% 36.9% 그림4 각 프로그램 장르별 빈출 키워드 점유비 (단위 : %) 50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47.8 40 37.9 36.9 30 29.1 27.7 20 10 0 9.2 5.7 6.7 2.5 3.4 4.0 7.3 11.3 19.5 14.3 12.2 2.3 1.8 1.3 매력요소 미디어소비 방송국 방송제작 영향력 출연진 프로그램 포맷 2.5 16.6 20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5.12-2016.01 l vol.04
그림5 드라마 버즈에 나타난 핵심 표현어 그림6 예능 프로그램 버즈에 나타난 핵심 표현어 그림7 시사/교양 프로그램 버즈에 나타난 핵심 표현어 Special Issue 21
한편, 각 장르별로 프로그램 버즈에 나타난 핵심 표현어 중 올 한해 독특하게 두드러진 것은 맛있다 는 단어라 할 수 있다. 특히, 예능(9위)과 교양(3위) 프로그램에서 주요한 표현어로 떠올랐다. 올 한해 방송 프로그램을 관통했던, 먹방, 쿡방 열풍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지금까지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된 2015년 방송 콘텐츠 소비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해볼 수 있다. 먼저 가구단위 시청률 순위와 버즈로 대표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화제성 순위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 부분은 현재 조사되고 있는 시청률과 관련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시켜주는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시사/교양 프로그램 카테고리를 제외하고는 tvn, JTBC 등 유료방송 PP의 약진이 프로그램 장르별로 눈에 띄었다. 화제성뿐만 아니라 유튜브를 통해 소비되는 콘텐츠 조회수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버즈의 발생 정도와 유튜브의 조회수는 시청률 결과 대비로는 상당부분 정합성을 보이므로 미디어 소비행태 관련 인지-소비-소통-공유-재소비로 이어지는 온라인 공간에서의 특징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각 프로그램 콘텐츠 관련 버즈는 그 발생 채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트위터로 대표되는 채널은 그 확산가능성으로 다른 주제 영역에서는 가장 높은 채널 점유비를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방송 콘텐츠와 관련해서는 오히려 카페에서 발생되는 버즈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그 특정 공간에서 관련 담론을 활발하게 나누는 미디어 소비 트렌드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만 각 프로그램별로 소비자 계층의 선호 채널이 다를 수 있는 개연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관련 버즈 내에 포함된 속성 키워드는 각 장르별로 특색이 분명했다. 드라마는 출연진 및 주인공과 관련된 속성요인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능은 출연진과 프로그램 포맷 구성요소가 주요 언급 요인이었다. 반면 교양과 시사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속성이 고르게 언급되면서 방송제작과 관련된 속성요인이 가장 높은 점유비를 보였다. 텍스트 빅데이터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커뮤니티, 그리고 방송 생태계 내의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다양한 채널에서 발생한 텍스트 빅데이터는 바로 이용자의 인지 구조를 대표한다. 이용자들의 선호와 관심은 말로 표현되고 그 말은 텍스트 데이터로 남아 콘텐츠 소비 트렌드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22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2015.12-2016.01 l vol.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