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152*220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652DB7AFB4D720BFECBCF6B1E2BEF720BAB8B5B5C0DAB7E E687770>





(초등용1)1~29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한류동향보고서 26호.indd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5 291

º´¹«Ã»Ã¥-»ç³ªÀÌ·Î

01.내지완완

ITFGc03ÖÁ¾š

¾ç¼ºÄÀ-2

04 Çмú_±â¼ú±â»ç

Ä¡¿ì_44p °¡À» 89È£

~

0.筌≪럩??袁ⓓ?紐껋젾 筌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3134C7D4C3E6B9FCC1A4C5C2BCF62DC6EDC1FD2E687770>


¿©¼ºÀαÇ24È£

1960 년 년 3 월 31 일, 서울신문 조간 4 면,, 30

토픽 31호( ).hwp

¼Òâ¹Ý¹®Áý¿ø°í.hwp

120~151역사지도서3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What is Critical & Creative Thinking? (Definitions and Elements) CREATIVE Thinkng is the thinking we do when we generate ideas Pose questions Imagine

ÆÞ¹÷-Æîħ¸é.PDF

레이아웃 1

<3635B1E8C1F8C7D02E485750>



197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313620BFE4BDC3C4ABBFCD20BEC6BEDFC4DA2E687770>

178È£pdf

ÃÊ2)03È£³ëº§»óiÇؼ³ÇÊ

ÃѼŁ1-ÃÖÁ¾Ãâ·Â¿ë2

어린이 비만예방 동화 연극놀이 글 김은재 그림 이 석

평생교육원 모집안내-2013학년도

많고 전화도 많다. 몸은 1,000년 전보다 진화한 것이 없는데, 처리할 일과 정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영어가 필요 없는 분야에서까지도 취 업 시험에서 영어 성적을 요구하니, 우리를 필요 이상으로 바빠지게 하는 요인이다. 문자 생활도 우리를 바빠지게 할 수 있


¿øÀü¼¼»ó-20È£c03ÖÁ¾š

**09콘텐츠산업백서_1 2

[NO_11] 의과대학 소식지_OK(P)


hwp

레이아웃 1

박광현발표.hwp

1 1 만 알아보기 1000이 10개이면 10000입니다. 이것을 또는 1만이라 쓰고 만 또는 일만이라 고 읽습니다. 9000보다 은 2 다섯 자리 수 알아보기 9900보다 보다 보다 1 큰 수입니다. ⑴ 1000

초대의 글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회원여러분 그간 안녕하셨습니까?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오면서 으스스 추위를 느끼게 하고 있습니다. 재직 중인 회원님들께서는 입시철의 업무와 강요받는 대학 변화의 회오리 속에서, 신진 회원님들께서는 우리 학계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연구에 박

2ÀåÀÛ¾÷

편집완료

2015년9월도서관웹용

문화재이야기part2

현장에서 만난 문화재 이야기 2

º»ÀÛ¾÷-1

통계내지-수정.indd

- <궁쇄연성>은 <매화낙인>의 촬영권 침해 여부 법원의 판단 베이징고급인민법원은 치옹야오 작가와 위정 작가의 각색권 및 편집저작권 침해 사건에 대해, 원심에 따라 궁쇄연성, 宫 锁 连 城 가 매화낙인, 梅 花 烙 의 각색권과 편집저작권을 침해를 했다고 판시함. 위정


6 한국문학논총 제56집 곤 의 경우는 개벽 의 강제 폐간 이후 변화된 사회 현실과 대중의 코 드에 맞춘 출판물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본 연구의 일차 과제는 별건곤 ( ~ )에 실린 역사를 소 재로 한 다양한 관련 독물( 讀 物 )을 대상으로 그

ÀÚ¿øºÀ»ç-2010°¡À»°Ü¿ï-3

23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3권 생각해야 한다는 제안이 일어나게 되었다. 예를 들면 貫 井 正 之 씨는 豊 臣 秀 吉 의 대외적 인 정복의도 전반을 검토하고 책 이름에 海 外 侵 略 이라는 문구를 채택했으며( 豊 臣 政 権 의 海 外 侵 略 과 朝 鮮 義 兵

DocHdl2OnPREPRESStmpTarget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일본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러한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관한 실태연구는 점점 국내연구자 로 확산되었고, 새로운 자료들이 발굴되면서 점차 사실적인 실체에 접근해가기 시작하였다 4). 이러한 노력 에 의해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의 실체는 보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으

내지-교회에관한교리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서강건치.hwp

10월추천dvd

....pdf..

E (2005).hwp

07

연구노트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지적 재산 추진 계획 2007」의 책정에 있어서

»êÇÐ-150È£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서비스] 1. 오프닝 네트워킹 파티 (전체 공통) (1/13(월) 밤 9시) FAST TRACK ASIA와 CAMP에 대해 소개하고, 3개 코스의 전체 참가자들의 소개 및 네트워킹을 진행합니다. 2. 패스트트랙아시아 파트너 CEO들과의 네트워킹 파티 (전체 공통) (

TOEIC 12월호*

82-대한신경학0201

<312D3034C1A4BFEBBCAD2E687770>

coverbacktong최종spread

(012~031)223교과(교)2-1

朴 賢 玉 1990 Ⅱ. 미인대회의 도입과 미인 이미지 美 人 投 票 美 人 投 票 競 爭 p 智 育 德 育 體 育 3 美 人 投 票 競 爭 每 日 申 報 p 3;

DBPIA-NURIMEDIA

1930년대 조선형특수회사 조선압록강수전(주)의 연구( 경제사학회 발표논문).hwp

다문화 가정 중학생의 문식성 신장 내용

교육과학기술부 고 시 제 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조의2에 의거하 여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다음과 고시합니다. 2011년 11월 16일 교육과학기술부장관 1. 특수교육 교육과정 총론은 별책 1 과 같습니다. 2. 유

S - O I L M A G A Z I N E 2016 April Vol

논총51-06_이종국.indd

88 제2기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 제5권 다. 2) 김종필 오히라 합의에 이르는 청구권 문제의 해결에 관해서는, 한국 측이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한국 측의 요구에 근접한 금액을 일본 정부가 경제 협력 으로서 무상, 유상(정부 차관)의 방식으로 공여하는, 일본 정부가

!¾Ú³×¼öÁ¤26ÀÏ


Transcription:

최정희의 일본어에 의한 창작 활동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니가타현립대학교 야마다요시코 1 머리말 1931 년 삼천리사에 입사한 최정희는 기자로서 활동하면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고 1937 년에 흉가 로 등단했다. 그 동안 습작기에 일본어 소설 1 편을 포함해 소설 15 편을 발표했다. 일본어 소설 그늘 은 역시 습작기에 쓴 가버린 美 禮 의 번역판이다. 그후 최정희가 일본어로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 것은 필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1939 년부터이다. 글의 내용은 시국에 관련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소설에서는 1941 년에 환상 속의 병사, 1942 년에 2 월 15 일의 밤, 야국초 를 썼는데 모두 시국적인 내용이다. 같은 기간에 소설 2 편이 일본어로 번역되었다. 본고에서는 최정희의 일본어 소설 3 편과 관련 기사, 수필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식민지 말기 최정희의 창작 활동을 살펴보겠다. 2 1939 년부터 1942 년까지 집필 수와 내용의 추이 최정희가 1939 년부터 1942 년까지 발표한 글을 언어별(조선어/일본어)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소설 외 수필과 기사, 최정희가 참석한 좌담회 기사 등은 하나로 묶었다. -기사 수필 좌담- -소설- -일본어로 번역- 1939년 8/2 2/0 1940년 22/4 4/0 1 1941년 7/10 2/1 1 1942년 8/8 2/2 이것을 보면 1940 년 숫자가 많은데 여기에는 좌담회 7 건이 들어 있다. 일본어로 된 글은 새로 창간된 国 民 新 報 에 실린 어머니의 마음 -아이를 가지고 보면 (1939.5.14) 이 처음이다. 조선문인협회가 설립된 이후 1940 년에는 일본어 글이 4 건이 확인되었고 1941 년에 크게 증가했다. 京 城 日 報 에 실린 것이 많다. 삼천리 도 1940 년 7 월부터 일본어 페이지를 만들었다(발표매체별 집필 수를 아래에 적었음). 1940 년부터는 매일신보 에도 글을 쓰기 시작했으며 시국에 관한 내용이 늘어났다. 매일신보 에 실린 글은 여성지도부대 와 같은 주제 밑에서 여성 계몽을 목적으로 한 것이 많다. 그것은 애국반 결성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1942 년에는 징병제 실시가 결정됨에 따라 소년과 어머니를 소재로 한 글들이 되풀이돼서 나왔다. 소설은 1940 년부터 1942 년까지 거의 같은 수를 유지했는데 1942 년에 쓴 것은 4 편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2 1940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포함) 毎 日 新 報 3 文 章 2(좌담1포함) 女 性 3(좌담1포함) 人 文 評 論 2 家 庭 之 友 2 N 国 民 新 報 1 모던 日 本 1 緑 旗 1(좌담) 京 城 日 報 1 소설 K 文 章 2 家 庭 之 友 1 단행본수록1 1941년 기사 등 K 毎 日 新 報 5 三 千 里 1 文 章 1(좌담) N 京 城 日 報 8 三 千 里 2 소설 K 三 千 里 1 春 秋 1 N 国 民 総 力 1 1942년 기사 등 K 大 東 亜 3 毎 日 新 報 3 春 秋 1 半 島 の 光 1 N 国 民 文 学 3 京 城 日 報 2 大 東 亜 1 文 化 朝 鮮 1 緑 旗 1 (좌담) 소설 K 大 東 亜 1 野 談 1 N 国 民 文 学 1 新 時 代 1 3 3 편의 일본어 소설에서 보는 시국 대응 형식 (1) 환상 속의 병사 앞에서 말한 수필 어머니의 마음 -아이를 가지고 보면 은 저자 최정희가 일요일에 창경원이나 조선신궁에 간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시국을 느끼게 하는 내용은 아니다. 그 다음에 역시 国 民 新 報 에 실린 그럼 안녕히 (1939.12.3)는 조선문인협회가 일본인 병사들에게 보낸 위문문집 속에 들어 있다. 문인협회 이름으로 된 전언에서는 八 紘 一 宇 의 정신을 힘있게 외치고 있는 데 비해 최정희가 쓴 글은 아마 당신은 좋은 병사이시고 좋은 인간이시겠습니다 라는 애매한 내용이고 무슨 말을 써야 할지 헤매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환상 속의 병사 ( 国 民 総 力 1941.2)는 조선에 파견된 일본인 병사와 조선인 소녀의 교류를 그린 작품이다. 최정희는 1940 년 10 월에 조선문사무대 로서 양주 지원병 훈련소를 방문한 적이 있지만 병사를 소재로 한 글은 그 동안 별로 쓰지 않았다. 그리고 그럼 안녕히 가 익명의 일본인 병사에게 쓴 글인 데 비해 환상 속의 병사 는 일본인 병사 3 명과의 구체적인 교류 장면을 그린 독특한 내용이므로 그것이 저자의 체험에서 나온 이야기인지 창작인지 궁금하다. 작품 후반부에 이르면 신동아 건설, 일본정신, 지나와 조선과 일본은 신의 시대로부터 숙명적 관계 와 같은 말이 나와서 시국 소설의 면모를 보여 주지만

일본인 병사가 원해서 소녀가 작은 목소리로 살짝 아리랑 노래를 가르치거나 한글을 배운 병사가 이 글자는 살아 있습니다 라고 하는 장면 등은 정서적이기도 하다. 환상 속의 병사 보다 먼저 쓴 일본어 글 중에 내선문답-친애하는 내지의 작가에게 ( 모던 日 本 朝 鮮 版 1940.8)가 있다. 이 글에서 최정희는 일본 작가들에게 서로가 모르는 데서 어떻게 이해가 생기겠습니까? 당신들이 지금까지 가지던 태도를 버려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라며 조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당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어로 쓴 글을 통해 최정희는 말 그대로의 내선일체 를 내세우면서 조선의 존재를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2) 2 월 15 일의 밤 최정희는 1940 년부터 매일신보 에도 글을 쓰게 되었다. 新 生 活 의 樹 立 과 舊 習 打 破 [3]-신식가정에까지도 미신이 남어잇다. 그리고 어린이를 좀더 존종하자! (1940.8.8) 에서는 가장만 소중히 여기고 아이를 등한시하는 습관을 고쳐야 한다고 했으며, 女 性 指 導 部 隊 -얼골 化 粧 보다도 마음 修 養 이 必 要 (1940.8.13)에서는 독서를 창례하는 것과 동시에 몸단장도 부정하지 않는다. 女 性 訓 -아름다웁게 (1941.4.20)는 아주 짧은 글이지만 거기서는 몸과 행동과 표현 모두 아름답게 살고 싶다고 썼다. 이 시기에 쓴 글은 그 밖에도 女 流 随 筆 -빨강치마를 입든날 ( 家 庭 之 友 1940.12)과 같이 여성의 몸단장이나 미 를 소재로 한 것들이 눈에 띄며, 시국에 관련된 글이라고 해도 근면이나 절약 등 일반적인 여성 계몽을 주제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일본어 수필 두 개의 이야기 ( 京 城 日 報 1941.1.5)는 비교적 내용이 갖추어진 글이다. 여기서도 역시 여자의 몸단장을 허영으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몸을 단장하는 것은 정신 차림의 한 방법이고 수단인 것 같습니다 라며 미 를 강조했다. 이어 자기는 남달리 열정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들 앞에 나가기가 어려운 성격이라서 부인회나 동회의 반장 역할을 거절했다고 썼다. 그것은 아마 애국반에 관한 이야기인 것으로 보인다. 애국반은 1940 년 말부터 결성이 강화되고 여성 반장이 늘어나고 있었다. 삼천리사는 1941 년 8 월 25 일 부민관에 각계 저명 인사들을 모아 임전대책협의회 를 개최했다. 그것을 계기로 최정희 글에 시국이 더욱 더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임전대책협의회는 곧 임전대책협력회 로 이름을 바꾸고 적극적으로 총후( 銃 後 )의 활동을 추진해 나갔다. 9 월 7 일에는 채권가두유격대 을 조직하여 모두 76 명이 서울 시내 곳곳에서 채권 판매를 실시했는데 최정희도 그 속에 끼었고 곧 그 경험을 썼다. 일본어 수필 첫가을의 편지(1) 채권을 파는 날 ( 京 城 日 報 1941.9.23)이다. 그리고 삼천리사의 사장 김동환은 같은 시기에 노동 천시 타파를 내세우고 시작된 國 民 皆 勞 運 動 에도 참여했었다. 김동환의 이러한 활동이 그와 내연관계에 있었던 최정희의 시국 협력을 촉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첫가을의 편지 에서 최정희는 자신의 생각은 이전과 똑 같지만 이전에는 열정이 부족해서 적극적인 활동을 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변명 같은 말을 했다. 그리고 작가로서 설 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이르지 못하겠다고 의미심장한 표현을 쓰면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시켰다. 일본어 소설 2 월 15 일의 밤 ( 新 時 代 1942.4)은 애국반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태평양전쟁이 시작된 후에 나온 이 소설에서는 미 가 적의 전투기를 추격 중인 비행기 로 비유된다. 그리고 애국반장이 된 주인공이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을 이야기함으로써 아내의 행동을 못마땅해하는 남편을 설득한다. 그 대목을 보면 사람들이 애국반을 우습게 여기고 활동에 안 나가기 때문에 당국의 지도가 강화되었던 그 당시 실제 상황이 그대로 주인공 말에 옮긴 것처럼 보인다. 같은 해 1 월에는 大 詔 奉 戴 日 이 제정되었고 애국반원들은 꼭 참가하여야 했었다. 그리고 최재서는 애국반을 다룬 작품에 대하여 국민문학의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 国 民 文 学 1942.3 p.14) 고 했었다. 두 개의 이야기, 첫가을의 편지, 2 월 15 일의 밤 을 비교해 보면 시국의 변화에 따라 글 내용이 미묘하게 달라지는 양상을 알 수 있다. 한국어로 쓴 여성 계몽의 글과 달리 일본어로 쓴 이들 작품에는 작가 최정희의 입장과 함께 시국의 변화에 따라가려는 자세가 잘 나타나 있다. 그후 2 월 15 일의 밤 을 바탕으로 방송소설 장미의 집 ( 대동아 1942.7)을 조선어로 썼다. (3) 야국초 야국초 ( 国 民 文 学 1942.11)는 최정희가 1940 년 10 월에 양주 지원병훈련소를 방문한 경험이 배경에 사용된 작품이다. 화자인 나 가 자기와 아들을 버린 당신 에게 그후의 생활을 보고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유부남과의 애정 관계와 아이를 둘러싼 갈등은 최정희 소설에서 되풀이돼서 다루어진 주제인데 야국초 는 그 주제에 시국이란 틀이 박혔다. 따라서 전쟁 협력의 작품임에 틀림없으면서 동시에 최정희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어느날 나 는 지원병을 동경하는 11 살 아들을 데리고 지원병훈련소를 찾아간다. 훈련소 생활은 규칙이 엄격한 데다가 식사도 제대로 못 하지만 나 는 소장의 이야기에 감화를 받아서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보게 된다. 그리고 아들을 훌륭하게 키워서 전장에 보내기로 마음을 먹은 나 는 자신과 아들의 씩씩함을 당신 에게 자랑스럽게 말하는 것으로 당신 과의 잘못한 과거를 극복하려고 한다. 태평양전쟁 시작과 징병제 실시 결정에 따라 최정희의 글은 애국반 대신 소년과 그 어머니의 역할의 중요성을 다루게 된다. 対 米 開 戦 과 婦 人 의 決 意 사욕을 청산하고 참된 전시가정생활 ( 매일신보 1941.12.12)에는 야마도 다마시이( 大 和 魂 ) 를 말하는 국민학교 3 학년 소년이 등장하는데, 그것과 똑같은 대목이 歸 還 勇 士 와 文 人 座 談 会 ( 緑 旗 1942.1)에서도 이야기된다. 그리고 名 士 徴 兵 의 感 激 을 말한다 -아이를 데리고 ( 国 民 文 学 1942.5,6) 半 島 의 徴 兵 制 와 文 化 人 (8) 御 國 의 아이의 어머니에게 ( 京 城 日 報 1942.5.19)와 강연 君 國 의 어머니 ( 대동아 1942.5)에도 군국소년 과 군국의 어머니 가 나온다.

그런데 최정희는 야국초 보다 먼저 여명 ( 야담 1942.5)을 조선어로 썼다. 삼인칭을 사용한 여명 에는 3 명의 여학교 동창들과 각자의 아이들이 등장한다. 그 중 2 명은 인맥 ( 문장 1940.4) 의 등장인물과 이름이 동일하기 때문에 속편으로 볼 수도 있다. 인맥 은 여자 주인공의 바람기가 검열에 걸려서 단행본 발간이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이 있어서 최정희는 여명 을 쓰는 것으로 오명을 씻으려고 했을지도 모른다. 하여튼 그 2 명 여성 외에 새로 등장한 여성이 이 작품의 주인공 격이다. 남편을 잃고 혼자서 아들을 키우는 그 젊은 여성은 부민관에서 나라를 위해서 아들을 바치자 고 연설한다. 최정희는 자신의 연설 君 國 의 어머니 에서도 그것과 똑같은 말을 했었다. 결국 주인공의 용감한 행동은 친구들에게 감화를 주고 아이들 역시 군국소년의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여명 은 환상 속의 병사 와 2 월 15 일의 밤 과 비교해서 길이와 수준에 있어서 비슷해 보인다. 그리고 3 편 모두 먼저 쓴 기사와 수필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그렇다면 최정희는 왜 야국초 를 썼을까? 그 이유는 생각해 볼 만하다. 최정희의 소설에서 드물게 일인칭이 사용된 야국초 는 일본어로 썼다는 것과 시국소설이라는 것을 넘어, 그것과는 다른 문맥으로 쓰여졌다고 볼 수가 있다. 최정희가 김유영과 헤어진 후 그들의 아들은 둘 사이를 왔다갔다 했었다. 그러나 1940 년에 김유영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은 최정희한테 오게 되었다. 그때 최정희는 김동환과 내연관계에 있었고 1942 년 11 월에는 첫딸이 탄생한다. 바로 야국초 가 발표된 시기이다. 최정희에게 아들과의 이별은 그전부터 피할 수 없는 문제였고 몇 번이나 소설 주제가 되었었다. 그런데 사정이 여기까지 이르러 최정희는 일본 병사라는 손이 닿지 않는 먼 데로 아들을 보내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몰린 어머니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그림으로써 자신의 삶에 어떤 답을 찾으려고 한 것이 아닐까 한다. 결국 야국초 는 최정희만 쓸 수 있는 전쟁 협력의 소설인 것이다. 5 맺음말 이번 연구에서 최정희 글을 집필 순으로 검토하면서 글 내용이 시국의 추이에 딱 맞추어서 변화해 가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래서 최정희는 소설가이기 전에 먼저 기자였다는 것을 실감했다. 앞에서 본 名 士 徴 兵 의 感 激 을 말한다-아이를 데리고 는 저자 자신이 인터뷰를 받고 있는 장면을 그린 짧은 글인데, 작가와 저널리즘의 관계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어서 흥미롭다. 저널리즘의 역할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모르지만 어쨌든 최정희는 사회의 현실을 충실히 전하려고 했고 그 연장선으로 소설을 쓴 것 같이 보인다. 그래서 어떤 조건 밑에서도 다만 쓴다 는 행위가 본능적으로 우선되었을 것이다. 너무 충실히 시국을 그렸기 때문에 오히려 최정희 자신의 사상 같은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하겠다. 참고문헌은 일본어 페이지에 적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