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이에, KOTRA는 양국의 대중 투자가 증대되고 있는 현재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비즈니스 협력 모델 개발을 통한 우리기업들의 효율적인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 현황 을발 간하게 됐습니다.



Similar documents
<C3CAC1A DC1DFB1B92E687770>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토픽 31호( ).hwp

G lobal M arket Report 중국지역 수출유망품목및진출방안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3034BFEDC0CFBDC2C3B5C7CFB4C2C1DFB1B9BFECB8AEC0C7BCF6C3E2BDC3C0E52E687770>

½Å½Å-Áß±¹³»Áö.PDF

_1.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년 6 월 3 일공보 호이자료는 2015년 6월 3일 ( 조 ) 간부터취급하여주십시오. 단, 통신 / 방송 / 인터넷매체는 2015년 6월 2일 12:00 이후부터취급가능 제목 : 2013 년산업연관표 ( 연장표 ) 작성결과 20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4D F736F F D20BFF8C8ADB0ADBCBCBFA1B5FBB8A5BBEABEF7BFB5C7E2B9D7BDC3BBE7C1A12E646F63>

<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 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C0CEB1C7C0A7C3D6C1BEBAB8B0EDBCAD28BCF6C1A4BABB E687770>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3Â÷ ³»Áö »ý¸íº¸ÇèÇùȸ-¼ºÇâÁ¶»çº¸°í¼Ł-14Â÷ 2015³â.PDF


- 2 -

MRIO (25..,..).hwp

ºñÁ¤±Ô±Ù·ÎÀÇ ½ÇÅÂ¿Í °úÁ¦.hwp

태양광산업 경쟁력조사.hwp


< B3E2C0E7BCF6C1A4C0FCB8C128C8ABBAB8BFEB292E687770>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손해보험 채널별 활용분석 123 다.세부 분석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남성과 여성 모두 대면채널을 통한 가입이 90% 이상으로 월등히 높음. <표 Ⅱ-2> 손해보험 채널별 구성비 :성별 구 분 남성 여성 대면 직판 은행 0.2 1

5월전체 :7 PM 페이지14 NO.3 Acrobat PDFWriter 제 40회 발명의날 기념식 격려사 존경하는 발명인 여러분!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투자도 방지할 것입니다. 우리는 지금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국 26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목 차 Ⅰ. 조사개요 2 1. 조사목적 2 2. 조사대상 2 3. 조사방법 2 4. 조사기간 2 5. 조사사항 2 6. 조사표분류 3 7. 집계방법 3 Ⅱ 년 4/4 분기기업경기전망 4 1. 종합전망 4 2. 창원지역경기전망 5 3. 항목별전망 6 4. 업종

ÁÖ5Àϱٹ«Á¦Á¶»ç(03).hwp

(연합뉴스) 마이더스

º»ÀÛ¾÷-1

<312E B3E BFF C1D6BFE4C7B0B8F1B5BFC7E2C1B6BBE75F2E687770>

(명, 건 ) 테러공격 발생건수 테러로 인한 사망자 수

¿©¼ººÎÃÖÁ¾¼öÁ¤(0108).hwp

ºñÁ¤±ÔħÇغ¸°í¼�.hwp

**09콘텐츠산업백서_1 2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강의자료)구매단가 절감 전략 및 예상효과

요 약 생산동향 가동률및설비투자 수주동향 수익성동향 재고동향

CC hwp

Microsoft Word - 7FAB038F.doc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B3B2C0E7C7F62E687770>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pdf..

hwp

붙임2-1.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협의기관용, '13.12).hwp

¼öÃâÀÔÀºÇà ÇØ¿Ü°æÁ¦ º½È£ ³»Áö.PDF

1712 지역이슈_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역내 경제협력관계_암호화해제.hwp

출산전후근로및임금동학에관한연구 첫자녀출산과연계된경력단절및복귀를중심으로 I. 서론

µ¿ºÎ°æ¿µÀÚ-6¿ùÈ£ 8È£š

hwp


KOTRA 자료 해외시장권역별진출전략 < 유럽 >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中, ( ) ( 对外投资备案 ( 核准 ) 报告暂行办法 ) 3. ECONOMY & BUSINESS 美, (Fact Sheet) 4. FDI STATISTICS 5. FDI FOCU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Global FDI Briefing [FDI FOCUS] 아세안의외국인직접투자와경제구역 (UNCTAD) 2017 년 12 월 18 일 [ 제 139 호 ]

hwp

hwp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CR hwp

CC hwp

<C6F7C4BFBDBA3531C8A32DC6EDC1FDC1DF2E687770>

2002report hwp

09³»Áö

16-27( 통권 700 호 ) 아시아분업구조의변화와시사점 - 아세안, 생산기지로서의역할확대

C O N T E N T S 1. FDI NEWS 2. GOVERNMENT POLICIES 3. ECONOMY & BUSINESS 4. FDI STATISTICS 5. FDI FOCUS

UDI 이슈리포트제 18 호 고용없는성장과울산의대응방안 경제산업연구실김문연책임연구원 052) / < 목차 > 요약 1 Ⅰ. 연구배경및목적 2 Ⅱ. 한국경제의취업구조및취업계수 3 Ⅲ. 울산경제의고용계수 9


01업체광고1407


Y Z X Y Z X () () 1. 3

성인지통계

<B3EBC6AE322E687770>

농민공규모의변화추이 중국의산업화와동시에농민공의규모도끊임없이증가하고있다. 조사결과를근거로한추산에따르면, 2009년한해동안고향을떠나도시지역으로이주해취업한농민공의수는늘었지만, 고향주변의향진기업등에취직한농민공의수는감소한것으로나타났다. < 표 1> 과같이고향을떠나도시지역에취업한

<C8ADC0E5C7B020C0AFC5EB20C7F6B4EBC8AD28C6F2B0A1B4DC292E687770>

오토 2, 3월호 내지최종

기본소득문답2

< C8B8B0E8BFACB5B520BBEAC7D0C7F9B7C2B4DCC8B8B0E820B0E1BBEABCAD322E786C7378>

수입 - ( 품목별 ) 에너지류 (39.8%) 반도체 (7.0%) 기계류 (9.6%) 등은증가한 반면승용차 ( 14.6%) 의약품 ( 5.5%) 등은감소 ( 소비재 ) 승용차 ( 14.6%) 소고기 ( 3.1%) 등은감소했으나, 의류 (16.4%) 가전제품 (20.7%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¾Æµ¿ÇÐ´ë º»¹®.hwp

구 분

<3033BCF6C3E23230B4EBB1B9C7D1B1B9BBEAC0CFB7F9BBF3C7B0B0E6C0EFC7F6C8B22E687770>

01¸é¼öÁ¤

방한외래관광객관광객

(2016\263\342_2Q_BSI_\272\270\260\355\274\255_ hwp)


<B1B9BEEE412E687770>

<3035C1DFB1B94644C8AEB4EB49BFCDB5E5B7AFB3AAB0EDC0D6B4C2BAF1C1EEB4CFBDBAB8AEBDBAC5A92E687770>

Best of the Best Benchmark Adobe Digital Index | APAC | 2015

Transcription:

머리말 988년 홍콩을 경유하여 처음으로 중국에 첫 발을 내딛는 것을 시작으로 우리 기업들의 중국행 러시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중국은 현재 우리의 제 투 자대상국으로 정착하였습니다. 특히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금액은 해외투자의 연 4%를 차지하는 등, 중국은 우리의 해외수 출 및 투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WTO 가입 이전과 비교할 때 대 중국 투자는 양적 증가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투자동기 및 업종별 투자형태에서도 질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습 니다. 단적인 예가 그동안 중국에 대한 투자동기를 주로 임가공 위주의 생산 비용 절감에 두었으나, 년 이후에는 점차 중국 내수시장 개척형으로 옮 겨가고 있고, 또 종래 제조업 일변도의 투자에서 벗어나 점차 서비스부문의 투자가 점증하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양적 질적인 변화는 중국 진출 외국계기업에서도 마찬가지로 나 타나고 있는데, 이는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서의 외국계 기업과 선진기술 교류 및 제품 조달 판매 확대 가능성이 증가하고, 한편 이들 기업과의 적극적인 산업교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입니다. 그 대표적인 국가로, 우리나라보다 여 년 빨리 중국에 진출한 일본을 들 수 있습니다. 일본기업의 4년 해외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6.3%가 감소한 36억 8천만 달러에 그친 반면, 아시아에 대한 투자는 전체의 6.4%에 상당 한 83억 6천만 달러에 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투자 중 특히 중국에 대한 투 자가 48.7%에 달하는 등 일본기업들의 중국으로의 생산라인 이전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한 일간 성공적인 비즈니스 제휴는 양국 에 대해 새로운 상생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이에, KOTRA는 양국의 대중 투자가 증대되고 있는 현재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비즈니스 협력 모델 개발을 통한 우리기업들의 효율적인 중국 내수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 현황 을발 간하게 됐습니다. 동 자료에는 한국 및 일본의 대중국 투자현황, 중국 진출 양국 기업의 경영 실태, 중국에서의 일본 대만기업과의 제휴 현황 그리고 현지 진출기업의 사 례를 수록하여 관련 기업들이 참고토록 하였습니다. 아직 중국 진출 한 일 기업간 조달 판매 등 거래규모는 그렇게 크지는 않지만, 양국 기업들의 수요 에 부응한 원자재 부품 개발 및 교역 조건 개선 등 지속적으로 협력 모델을 연구한다면 향후 양국 기업간 교류 가능성은 증대될 것으로 보이며, 더 나아 가 양국의 전략적인 시장 개척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동 자료가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교류 증대를 꾀하고자 하는 중국 진출기업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아울러 자료 발간을 위 해 자료수집 및 원고작성에 수고해 주신 동북아팀 정도숙씨와 현지 사례 수집 을 위해 힘써 주신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다롄, 광저우무역관께도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5. 월 정보조사본부장 한준우 머리말 3

목 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대중국 투자 현황 /. 대중국 투자 특징 / 5 가. 업종별 특징 / 5 나. 지역별 특징 / 8 다. 투자규모별 특징 / 4 라. 투자 동기 변화 / 5 3. 5년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 현황 / 9 가. 기초 자료(문항 ~3) / 9 나. 일반 경영 상황(문항 ~7) / 3 다. 원부자재 조달선 구성 /4 라. 생산 및 기술 관리(문항 ~5) / 43 마. 임금 및 노무 관리(문항 ~5) / 47 바. 투자애로 사항(문항 ~6) / 5 사. 기타(문항 ~) / 55 Ⅱ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대중국 투자 현황 / 58. 5년 상반기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 65 3. 중국 진출 일본기업의 경영실태 현황 / 68 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가. 응답기업 개요 /68 나. 중국 진출 기업의 경영실태 현황 요약 / 76 ) 손익상황 / 76 ) 향후 사업계획 / 77 3) 자금조달(차입) /78 4) 중국 내 판매 / 78 5) 지적재산권 / 79 6) 원자재 조달 제조비용 / 8 7) 인사 노무 / 95 8) 중국의 WTO 가입 영향 / 96 9) 문제점 요망사항 / 97 4. 일본의 국가간 산업 제휴 현황(대만과의 산업교류를 중심으로) / 98 가. 일본의 對 대만 투자 추이 / 98 나. 일본 제품 서비스 업종의 대만 시장 진출 현황 / 5 다. 중국에서의 일 대만기업의 산업교류 현황 / Ⅲ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 현황. 한 일 기업간 산업교류 현황 / 3 가. 원부자재 부품 수입 조달 현황 / 3 나. 원부자재 납품 현황 / 34 다. 산업교류 현황 및 전망 38. 중국 진출 기업 사례 / 4 3. 시사점 /74 목차 5

<표 목차> <표 -> 한국의 연도별 대중 투자 현황 / 4 <표 -> 국가별 중국 투자 현황 / 5 <표 -3> 연도별 서비스 부문 투자비중 / 6 <표 -4> 업종별 투자 현황 / 7 <표 -5> 지역별 투자 현황 / <표 -6> 권역별 투자 비중 / 3 <표 -7>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현황 / 5 <표 -8> 중국투자의 동기 변화 / 7 <표 -> 일본의 해외투자 현황 / 59 <표 ->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 6 <표 -3> 일본의 업종별 대 중국 투자액 / 6 <표 -4> 일본의 대 아시아 제조업 투자 중 중국의 점유 비율 / 63 <표 -5> 일본의 업종별 대 중국 투자 건수 / 64 <표 -6> 진출지역 현황 / 68 <표 -7> 업종별 응답기업수 / 69 <표 -8> 기업형태 : 제조업 비제조업 / 7 <표 -9> 기업형태 : 합자기업의 일본측 출자비율 / 7 <표 -> 일본측 출자내역 / 7 <표 -> 중국측 출자내역 / 7 <표 -> 진출 목적 / 73 <표 -3>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 동향 / 8 <표 -4> 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업종별) / 83 <표 -5> 3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업종별) / 85 <표 -6> 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진출지역별) / 86 <표 -7> 3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진출지역별) / 88 <표 -8> 3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비율(기업형태별) / 89 <표 -9> 중국 내자기업으로부터 조달 비율 동향(주요 업종별) / 9 <표 ->3년 중국 내자기업으로부터 조달비율(진출지역별) / 9 <표 -> 대만 진출 일본기업의 경영 현황 / 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표 -> 년 대만 국내 승용차 판매대수 순위(상위 차종) / 6 <표 -3> 년 대만 이륜차시장 제조회사별 판매실적 / 7 <표 -4>일본 백화점업계의 대만 진출 현황 / 8 <표 -5> 대만의 국가 지역별 해외투자 현황 / <표 -6> 대만의 대중국 지역별 투자 현황 / 3 <표 -7> 5년 ~9월 대만의 대 중국 5대 투자업종 / 4 <표 -8> 대만기업의 대중 투자 목적 / 5 <표 -9> 대만기업의 일본기업과의 제휴 희망 분야 / 6 <표 -3>일본기업과의 협력 관계 구축시 이점 / 7 <표 -3> 중국 내수시장 개척을 위한 일 대만 제휴 현황 / 8 <표 -3> 자동차 관련 일 대만의 제휴 현황 / 3 <표 -33> 대만을 중국 진출 테스트 마켓으로 활용 / 7 <그림 목차> <그림 -> 최근 년간 대중국 투자 현황 / 4 <그림 -> 제조업종의 투자 비중 / 6 <그림 -3> 서비스부문 투자 추이 / 7 <그림 -4> 권역별 투자 추이 / 3 <그림 -5> 중국 진출 목적(총괄) / 6 <그림 -6> 중소기업의 중국진출 목적 / 6 <그림 -7> 대기업의 중국진출 목적 / 6 <그림 -8> 진출 지역별 분포 / 3 <그림 -9> 업종별 분포 및 중국진출 년수 / 3 <그림 -> 투자형태 / 3 <그림 -> 경영상황 / 3 <그림 -> 흑자 진입 소요기간 / 3 <그림 -3> 적자 탈출 소요 기간 / 3 목차 7

<그림 -4> 주요 흑자 요인 / 33 <그림 -5> 주요 적자 요인 / 34 <그림 -6> 비즈니스 환경 / 35 <그림 -7> 환경악화 원인 / 35 <그림 -8> 매출액 구성 국가 / 36 <그림 -9> 제3국 수출국 현황 / 36 <그림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판매 비율 / 37 <그림 -> 판매 상표 현황 / 37 <그림 ->내수판매 현황 / 38 <그림 -3>판매대상 현황 / 38 <그림 -4>유통단계 직접 관리 수준 / 39 <그림 -5> A/S 전문조직 보유 여부 / 39 <그림 -6> 유통경로 / 39 <그림 -7> 판매대금의 결제방식 / 4 <그림 -8>중국내 전문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 4 <그림 -9> 본사 이전 현황 / 4 <그림 -3>향후 비즈니스 운영 방향 / 4 <그림 -3> 경영전략 중 중요 요소 / 4 <그림 -3>원부자재 조달 비율 / 43 <그림 -33>수명주기와 생산설비 / 44 <그림 -34>연구개발(R&D) 조직 / 45 <그림 -35> 직원의 생산성 / 45 <그림 -36> 기술도입 원천 / 46 <그림 -37> 중국업계의 기술 추격 / 46 <그림 -38>자사 경쟁력 전망 / 47 <그림 -39> 임금 결정방식 / 48 <그림 -4>한국대비 중국의 임금 수준 / 49 <그림 -4> 한국대비 중국의 임금 상승률 속도 / 49 <그림 -4>노조 구성 및 노사분규 발생 여부 / 5 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그림 -43>노사 갈등 정도 / 5 <그림 -44>노사 갈등의 주요인 / 5 <그림 -45>공장 가동 전 애로사항 / 5 <그림 -46>원자재 및 부품 조달 애로사항 / 5 <그림 -47> 고용 관리상의 애로사항 / 53 <그림 -48>임금 관리상의 애로사항 / 53 <그림 -49>경영 부문별 종합 애로사항 / 54 <그림 -5>인사관리상의 애로사항 / 54 <그림 -5> 중국시장 유망분야 / 56 <그림 -5> 제조업 및 서비스업 부문의 유망 분야 / 56 <그림 -> 5년 /4분기 일본의 업종별 대중 투자 현황 / 65 <그림 -> 대만의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 99 <그림 -3> 해외에서 대만으로의 기술이전 현황 / <그림 -4> 권역별 투자 추이 / 3 <그림 3-> 대 일본 국내기업 원부자재 수입 비중 / 3 <그림 3-> 대 중국 진출 일본계 기업 원부자재 부품 조달률 / 3 <그림 3-3> 일본기업으로부터의 조달 품목 / 3 <그림 3-4> 중국 진출 일본기업으로부터 조달하는 이유 / 33 <그림 3-5> 일본기업으로부터 조달 확대 장애 요인 / 34 <그림 3-6> 중국내 납품 대상기업의 모기업 / 34 <그림 3-7> 중국 내수판매 중 일본계 기업에 대한 판매 비율 / 35 <그림 3-8> 중국내 일본계 기업에 납품하게 된 이유 / 36 <그림 3-9> 일본계 기업에 대한 판매 장애 요인 / 37 <그림 3->일본계 기업과 경쟁시 한국기업의 열세 / 37 <그림 3-> 일본계기업과의 산업교류 현황 / 38 <그림 3->일본계기업과의 산업교류 희망 또는 확대 분야 / 39 <그림 3-3>향후 한 일 기업간 산업교류 필요성 / 4 목차 9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한국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대중국 투자 현황 988년 홍콩을 경유하여 중국에 최초 진출한 한국은 중국의 대외 개방 정책 확대 실시와 한 중수교가 이루어진 99년을 기점으로 중국 진 출이 본격화되어 993년에는 실제 투자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86.8% 가 증가함 이러한 증가세는 996년까지 지속되다가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발한 997년을 기점으로 대중국 투자는 999년까지 감소세로 이어짐. 년도에는 아시아 금융위기 극복 및 한국 경제 회복 등으로 대중 투자는 다시 전년 동기 대비 9.7%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임 중국의 WTO 가입 해인 년에는 한국 업체들의 중국 투자에 대한 관망세로 소폭 감소세를 보였으나, WTO 가입 직후인 년에는 계 약액, 실제 투자금액 모두 7.3%, 64.3%의 증가세를 보이는 등 WTO 가입 효과에 따른 기대감으로 중국 진출이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함 이에 따라 년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한국의 제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했고, 4년 말 현재까지 제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음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3년에도 실제 투자금액이 전년동기 대비 53.8% 증가하는 등 대 중 국 투자가 전년도에 이어 신장세를 보임 특히 3년에는 한국 기업의 대 중국 실제 투자금액이 처음으로 억달러를 초과한 4억 7천 8백만달러를 기록함 4년 한해 실제 투자금액도 전년동기 대비 43.8% 증가한 억 5천 7백만달러를 기록함 한편, 중국 상무부가 집계한 4년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금액은 6억달러를 차지하여 지난해 4위에서 중국의 제3대 투자국으로 부 상했으나, ) 한국 수출입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같은 기간 대중투자금 액은 억여 달러에 그치고 있음 - 이와 같이 양국간의 통계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중국진출 기투 자기업이 투자법인의 영업이익 등으로 중국내 재투자한 경우, 국 내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지만 중국통계에는 포함돼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 이외에도 정상적인 루트를 통한 국내 송금이나 신청 절차 없이 중국에 투자한 경우 등이 그 요인으로 들 수 있음 5년 월 말 현재 대중국 투자 실행건수는 총 3,77건, 투자금액 은 3억 5천만달러를 기록함 ) 제위와 위를 차지한 홍콩과 버진군도의 특수한 상황(홍콩은 대중국 투자를 위한 우회 투자 기지, 버진군도는 제3국이 조세회피처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감안할 때 국가 순위를 따져 보면 한국이 명실상부한 중국의 중요한 외국인 직접투자국이라 할 수 있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

[표 -] 한국의 연도별 대중 투자 현황 (단위 : 건/천달러) 연 도 신 고 투 자 건 수 금 액 건 수 금 액 988 3,4 989 9,77 7 6,36 99 39 55,64 4 6,74 99 84,7 69 4,468 99 69 3,3 7 4,7 993 63 63,8 38 63,68 994,65 85,4 84 634,496 995 884,8,585 75 84,657 996 97,959,59 738 98,836 997 75 96,99 63 738,64 998 38 94,768 6 695,97 999 553 49,774 459 363,88 93 999,35 776 7,49,35 997,37,43 638,7,546,9,354,379,7,8 3,84,8,893,679,63,955 4,44 3,675,494,5,7,44 5(~월),835,78,36,88,9,73 총 계 5,8,746,34 3,77 3,57,85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그림 -] 최근 년간 대중국 투자 현황 (단위 : 건, 백만달러) 자료원 : 상동 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표 -] 국가별 중국 투자 현황 (단위 : 억 달러) 순위 년 년 3년 4(~월) 5(~9월) 국가 투자금액 국가 투자금액 국가 투자금액 국가 투자금액 국가 투자금액 전체 468.78 전체 57.43 전체 535.5 전체 66.3 전체 43.47 홍콩 67.7 홍콩 78.6 홍콩 77. 홍콩 89.98 홍콩 9.8 버진군도 5 버진군도 6.7 버진군도 57.77 버진군도 67.3 버진군도 7.37 3 미국 44.33 미국 54.4 일본 5.54 한국 6.48 일본 46.37 4 일본 43.48 일본 4.9 한국 44.89 일본 54.5 한국 36.5 5 대만 9.8 대만 39.7 미국 4.99 미국 39.4 미국.49 6 한국.5 한국 7. 대만 33.77 대만 3.7 싱가포르 6.3 자료원 : 중국 상무연감 및 상무부 통계 주) 금액: 실제 투자금액을 말함 대중국 투자 특징 가. 업종별 특징 5년 월 말 누계기준 우리 기업의 대 중국 투자를 업종별로 보면 총 투자 금액의 84.9%가 제조업에 대한 투자로 중국 투자의 주종을 이 루고 있음. 제조업종에서도 전자통신장비, 수송기계, 섬유의복 업종 등 순으로 투자하고 있음 제조업종별 투자 비중(실제투자금액 기준, 큰 비중 순) - 전자통신장비(4.4%) 수송기계(.%) 섬유의복(.9%) 석유화학(.%) 기계장비(8.4%) 비금속광물(6.%) 차금속 (7.%) 기타(5.5%) 음식료품(4.5%) 신발가죽(3.6%) 조립 금속(3.3%) 종이인쇄(.3%) 목재가구(.9%)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

[그림 -] 제조업종의 투자 비중 (단위 : 건, 백만달러)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반면, 도소매업, 운수창고업, 통신업, 금융보험업 등 서비스 분야에 대 한 투자는.7%에 그침 그러나 WTO 가입 전후를 비교하면 확실히 WTO 가입 후에 서비스 투 자비중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표 -3] 연도별 서비스 부문 투자비중 (단위 : 억 달러) 연도 3 4 5(~) 비중(%) 6.7 7.7 9.8 7.9 5.3 자료 : 상동 주) 상기 서비스업부문에는 도소매업, 운수창고업, 통신업, 금융보험업, 숙박음식점업, 서비스업, 부동산업 등이 포함됨 주) 비중은 실제 투자금액을 기준으로 함 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그림 -3] 서비스부문 투자 추이 (단위 : %)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표 -4] 업종별 투자 현황 (단위 : 건/천달러) 업 종 신 고 투 자 건 수 금 액 건 수 금 액 농림어업 34 33,895 95 57,98 광업 67 87,569 5 36,438 제조업,433 7,74,633,845,85,843 건설업 6 54,536 8 35,6 도소매업 743 75,95 657 558,5 운수창고업 8 75,774 73,3 통신업 3 69,7 6 94,774 금융보험업, 3,98 숙박음식점업 438 69,59 387 98,999 서비스업 8 599,8 75 65,99 부동산 67 44,88 6 3,8 기타 4,4,437 총계 5,8,746,34 3,77 3,57,85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주) 통계는 5년 월 말 누계 기준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

나. 지역별 특징 산둥성, 한국의 최대 투자대상지 5년 월 말 현재, 우리 기업은 중국 산둥성 지역에 가장 많이 투 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대중국 투자 중 산둥성의 점유율 : 건수(대중국 투자의 36.%), 금액(대중국 투자의 7.%) 이는 외국기업이 주로 상하이, 장쑤성, 저쟝성 등 창쟝( 長 江 )삼각주 지역에 투자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를 보이고 있음 - 우리 기업들이 산둥성 진출이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활발한 것은 이 지역이 전통적으로 한국과 거리가 가깝고 문화적 배경이 유사 하다는 것과 또한 988년 최초로 산둥성, 랴오닝성 투자사절단의 방한으로 일찌감치 한국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투자 분위기를 환 기시켰던 것과도 관련이 있음 특히 산둥성의 칭다오시, 옌타이시에는 우리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그 다음이 장쑤성, 베이징시, 텐진시, 랴오닝성, 상하이시 등 순으로 투 자하고 있음 장쑤성(총투자액의 7.9%) 텐진시(총투자액의 9.9%) 랴오닝성 (총투자액의 8.%) 상하이시(총투자액의 6.7%) 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권역별로는 환발해지역에 대한 투자가 가장 활발 산둥성, 베이징시가 포함된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시장규모가 크고 도소매업 등 소비 인프라 면에서 우수한 환경을 갖추고 있어, 기존 수 출목적의 우리 기업의 투자를 내수형으로 전환하기에 유리한 지역으 로 향후 우리 기업의 진출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창쟝( 長 江 )삼각주지역,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지속적 투자 증가 WTO 가입 직전 년에는 동 지역은 대중국 투자중 6.3%를 차 지했지만 년 이후부터 3% 대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또 년 이후 투자금액의 전년대비 증가율을 보면 34.9%, WTO 가입 후 년간 년, 3년에는 무려 96.4%, 8.5%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으며 4년에는 9.% 증가함 - 환발해지역 다음으로 이 지역에 우리 기업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 는 배경에는 우리 기업들이 중국을 수출거점으로서 뿐만 아니라 중국을 시장개척 대상지로서 그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 이는 중국의 내수시장의 빗장을 열기 시작한 년에 동 지역에 대한 우리기업의 투자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96.4%의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인 점을 봐도 알 수 있음 - 특히 중국정부가 4년 6월 일 부로 소매유통업 개방 확대에 관 한 외국인투자 유통부문관리방법 의 시행에 들어가면서 향후 이 지역은 중국의 소매시장 진출을 노리는 세계 다국적기업들의 각축 장이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우리 기업들의 진출도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9

지린( 吉 林 ), 헤이롱쟝( 黑 龍 江 ), 랴오닝( 寧 ) 등 동북 3성 지역은 지속적 으로 % 안팍의 점유율을 시현 한국기업의 동북 3성 투자는 년.7%, 년 8.%, 3년 8.3% 그리고 4년은.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향후 이 지역은 東 北 振 興 工 程 (동북재건사업) ) 에따른외자유치가활 성화될 것으로 보여 우리기업들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 로보임 광둥( 廣 東 ), 푸젠( 福 建 ), 하이난( 海 南 ) 등 주쟝( 珠 江 )삼각주 지역에 대한 투자는 점차 감소를 보이고 있음 중국의 WTO 가입 직전인 년 3.%, 년 6.%, 3년 3.8% 그리고 4년 4.7%로 5% 이하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주쟝( 珠 江 )삼각주 지역은 중국의 초기 개혁 개방정책이 가장 먼저 실 시된 지역으로 전통적으로 홍콩, 대만 등 화교자본의 집중 투자가 이 루어졌지만 우리기업의 진출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편임 년도 후난( 湖 南 ), 후베이( 湖 北 ), 안후이( 安 徽 ), 쟝시( 江 西 ) 등 창쟝 중류( 長 江 中 流 )지역에 대한 투자는 중국 투자의 4.6%를 차지했으나 ) 東 北 振 興 工 程 은 년 제6차 당공산당 대회에서 처음 제기된 이후 3년 8월 원 쟈바오( 溫 家 寶 )총리가 참석한 지린성 창춘 회의에서 정식 통과됨. 이 계획은 중국 정부 가 서부대개발 정책 이상으로 공을 들이고 있는데, 한마디로 동북지역을 국가의 신 성 장축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임. 즉, 상하이 중심의 창쟝( 長 江 )삼각주와 선전중심의 주쟝 ( 珠 江 )삼각주, 베이징, 텐진 지역의 환보어하이( 環 渤 海 )경제권에 이어 중국경제의 제4 의 축으로 성장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갖고 있음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WTO 가입 후 그 점유율은 점차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동 지역은 억 3만명에 달하는 거대인구의 시장잠재력을 갖추고 있고, 앞으로 중국정부가 중국 내륙지역에 노동집약적 산업 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어서 내륙지역중에서 가장 우수한 투자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이에 따라 점차 우리기업들도 중국 연해지역에 몰려 있는 투자행 태에서 벗어나 점차 방대한 내수 잠재력을 갖고 있는 중국 내륙시 장으로의 관심을 돌릴 필요가 있음 기타, 쓰촨( 四 川 ), 산시( 山 西 ), 샨시( 陝 西 ), 간쑤( 甘 肅 ) 등 중서부지역에 대한 투자는 % 미만의 극소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표 -5] 지역별 투자 현황 (단위 : 건/천 달러) 지역명 신 고 투 자 건 수 금 액 건 수 금 액 산둥성 5,89 5,695,46 4,756 3,59,48 랴오닝성,36,863,756,97,69,78 텐진시,36,899,393,87,96,796 장쑤성,5 4,3,6,,343,44 지린성,33 5,85 798 74,695 베이징시,34,8,75 93,537,38 상하이시 779,56,49 78 876,7 저쟝성 46 86,477 44 576,789 광둥성 446 793,34 396 498,667 헤이롱쟝성 4 358,88 37 5,36 허베이성 33 33,338 86 9,64 푸젠성 9,44 95 7,954 쓰촨성 57 8,45 5 56,43 자치구 57 47,874 44 44,439 안후이성 47 97,73 39 53,7 쟝시성 6 8,44 9 5, 허난성 46 9,558 34,9 후베이성 38 57,57 9 39,795 후난성 6 37,46 7,496 산시성 5,87 7 7,38 하이난성 6 69,78 4 37,954 샨시성 5,87 7 7,38 윈난성 9 8,96 8 4,947 간쑤성 7,974 6 78 구이저우성 7 7,56 5 6,94 칭하이성 총 계 5,8,746,34 3,77 3,57,85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주) 5년 월 말 현재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표 -6] 권역별 투자 비중 (단위 : %) 지 역 3 4 5(~) 環 渤 海 지역 3. 5.7 45.6 49.9 65.8 長 江 삼각주 6.3 3. 36.8 8. 3.8 東 北 3성.7 8. 8.3.9 9.4 珠 江 삼각주 3. 6. 3.8 4.7 3.4 長 江 中 流 지역 4.6.9.9.3.5 中 西 部 지역 및 기타.5.9.4.8.5 자료원 : 상동 주). 環 渤 海 지역은 베이징, 텐진, 허베이, 산둥을 포함. 長 江 삼각주는 상하이, 장쑤성, 저쟝성 등을 포함 3. 東 北 3성은 지린, 헤이롱쟝, 랴오닝성 등을 포함 4. 珠 江 삼각주는 광둥, 푸젠, 하이난 등을 포함 5. 長 江 中 流 지역은 후난, 후베이, 안후이, 쟝시를 포함 6. 中 西 部 지역 및 기타는 쓰촨, 산시, 샨시, 윈난, 간쑤, 구이저우, 칭하이, 허난 등을 포함 7. 비중은 전체 실제투자금액중 점유율을 의미 [그림 -4] 권역별 투자 추이 (단위 : 건, 백만달러) 자료원 : 상동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

다. 투자규모별 특징 건수로는 중소규모의 투자가 주류 중국 투자가 본격화된 99년 이후 한국기업의 중국 투자 규모를 보 면 중소기업의 투자가 다른 지역에 대한 투자보다 높아 5년 월 말 현재 건수로는 전체 투자의 64.5%, 금액으로는 45.9%를 차지하 고있음 이는 전 세계에 대한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누계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건수 면에서 6.3%, 액수 면에서 3.3%를 차지하고 있는 것에 비하면 비교적 높은 수치임 실제 중소기업의 중국 전체 투자금액의 점유율은 993년 7%에 달 할 정도로 현재보다 훨씬 높았음. 그러나 994년 이후 점차 감소세 를 띠다가 아시아 금융위기를 맞아 중소기업의 해외투자가 격감한 998년에는.5%까지 급감함 998년 이후 경제회복 등으로 중소기업의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년부터 5%대로 진입하고 있음 중소기업 투자 비중이 높기 때문에 한국기업의 건당 투자 금액은 만달러 이하인 99만 달러로 전체 해외투자 건당 평균투자금액인 9만 7천만달러의 절반에도 못미치고 있음 대기업이 투자총액의 절반 차지 99~5년 말 현재 누계 기준으로 볼 때 대기업의 중국 투자 총 액 비중은 전체에서 53.5%를 차지하여 중소기업 투자의 전체 점유 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표 -7]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현황 (단위 : 건수, 백만달러) 연도 투자 건수 투자 총액 대기업 중소기업 기 타 합 계 대기업 중소기업 기 타 합 계 99 4(8.) 56(9.8) (.) 7 55.(39.) 85.8(6.8).5(.) 4. 993 36(9.4) 335(87.9) (.6). 38 7.(7.3) 89.4(7.9).(.8) 63.5 994 9(.8) 76(83.9) 44(5.) 84 344.(54.) 83.9(44.8) 6.4(.) 634.3 995 9(.3) 6(8.) 57(7.6) 75 496.5(59.) 335.7(39.9) 9.(.) 84.4 996 74(.) 49(66.5) 73(3.4) 738 578.3(6.9) 35.9(34.4) 4.5(.7) 98.7 997 5(7.9) 448(7.) 33(.) 63 539.(73.) 79.3(4.3).(.7) 738.5 998 (7.6) 74(66.4) 68(6.) 6 6.3(86.4) 86.8(.5) 8.(.) 695. 999 (.4) 85(6.) 63(35.5) 459 59.4(7.3) 87.9(4.) 6.4(4.5) 363.7 4(.8) 56(7.4) (5.8) 776 494.8(69.7) 9.6(6.8) 4.9(3.5) 7.3 8(.7) 746(7.5) 79(6.7),43 94.7(46.) 35.9(47.9) 37.4(5.9) 935.7 36(.6) 938(68.) 45(9.4),379 46.3(4.9) 59.8(5.) 7.9(7.),7. 3 45(.7),53(68.7) 48(8.6),679 665.7(4.8) 868.3(53.) 97.8(6.),63.8 4 73(3.4),98(5.) 98(45.6),5 8.(36.),5.(55.).(8.8),7.3 5(~) 63(3.5) 74(4.) 3(55.5),88 94.(45.) 949.(45.4).(9.6),9.7 누계 637(4.9) 8,436(64.5) 3,996(3.6) 3,69,37.4 6,588.7(53.5) 5648.5(45.9) 77.9(5.8) (.) (.) 자료원 : 한국수출입은행 주: ( )은 합계 중 비중을 의미 율 45.9% 보다 7.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기업규모별 건당 투자금액을 보면 대기업은 건당 천 3만 달러에 달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건당 66만 9천달러, 기타의 건당 투자규모는 8만 7천달러에 그치고 있음 라. 투자 동기 변화 99년 수교 이후, 저임금 등 생산효율성 추구형 투자가 주류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

[그림 -5] 중국진출 목적(총괄) (단위 : 건, 백만달러) 자료원 :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조사(KOTRA, 4년) 한국무역협회가 993년 중국 진출 73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저임금 등 생산효율성 추구가 시장개척을 동기로 응답한 기 업에 비해 훨씬 많았음 99년 후반부터는 이러한 격차가 축소되어, 년 실시된 대한상 공회의소 설문조사에서는 노동력과 시장의 중요성에 관한 응답이 거 [그림 -6] 중소기업의 중국진출 목적 [그림 -7] 대기업의 중국진출 목적 자료원 : 상동 자료원 : 좌동 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의 대등하게 나타남 - 특히 향후 5년 후의 중국 투자목적에 관해서는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한 응답이 두 배 이상 더 많았음. 비용절감형에서 내수시장 개척형으로 변화 그러나 4년 실시된 전경련의 조사에서는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표 -8] 중국 투자의 동기 변화 연 구 조사 저임금 시 장 연도 (비율,%) (비율,%) 비 고 한국무역협회 임금 저렴 현지 시장이 73개사 설문 (995) 993 크고 유망 조사, 제조업 6.8 8.7 대한상공회의소 상대적 저임금 현지 시장 8개사 설문 (997) 996 개척 조사, 제조업, 56.6 5.6 복수응답 대한상공회의소 저임 및 저지가 중국 내수시장 46개사 설문 (998) 998 활용 개척 조사, 복수응답 43. 3.5 가능 대한상공회의소 저렴한 노동력 거대시장 7개사, 진출 () 활용한 비용 활용한 시장개척 목적에 관한 절감 질문, 복수응답 5.5 5.5 4. 3. 5년 후 활용 목적 전국경제인연합회 4 생산비 절감 중국시장 대중 투자 잠재력 7대 기업 중 4.8 4.8 54개사 KOTRA 4 중국의 저임 중국 내수시장 59개사 중 (4) 노동력 공략 693개 복수 5.8 6.8 응답 6.3 34.9 대기업의 경우 자료원 :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시사점(KIEP, 4년) 재인용 (단위 : 건수, 백만달러)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

동기가 생산비 절감 목적과 중국시장 진출 목적이 대등하게 나 타남 또한 4년 KOTRA가 한 중 수교 주년 을맞아실시한중국 진출 한국 기업 경영 실태에서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의 목적으로 내수시장 공략 (6.8%)이 저임 노동력 확보 (5.8%) 비중보다 조금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이어 원부자재 조달(3.%) 한국내 영업환경 악화(.%) 수 출환경 고려(9.5%) 등으로 나타남 - 진출 목적은 기업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중소기업은 저임 노동력(8.%) 내수시장(4.7%) 원부자 재(.7%)의 순 대기업은 내수시장(34.9%) 원부자재(8.5%) 저임 노동력 (6.3%)의 순 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3 5년 중국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 현황 5) 가. 기초 자료(문항 ~3) 설문에 응한 53개 사의 소재지별 분포는 우리 기업의 중국투자 진출 지역 분포와 대체로 일치함 산둥 34.4%, 화둥 6.3%, 화베이 7.%, 둥베이 9.%, 화난 8.7%, 내륙 4.3% 응답업체들은 9개 세부 업종별로 고른 분포를 보임 대분류 시, 경공업 6.7%, 서비스업.%, 기계.6%, 전 기전자 6.4% 응답업체의 83.%가 독자 형태로 진출함 합자(작)의 경우, 대상은 사유 및 개인기업이 주류를 이룸 5) 동 자료는 5년 8월 KOTRA 중국지역본부가 중국 진출 한국기업 53개사를 대상으 로 실시한 설문내용 분석자료를 재인용한 것임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9

진출 지역별 분포 [그림 -8] 진출 지역별 분포 5 83 4 내륙 4.3% 화난 8.7% 둥베이 9.% 산둥 34.4% 화둥 6.3% 화베이 7.% 5 54 48 36 3 6 4 7 5 靑 島 上 海 北 京 大 連 廣 州 天 律 南 京 蘇 州 成 都 式 漢 廈 門 泰 皇 島 無 錫 주) 53개 사 응답 업종별 분포 및 중국진출 년수 [그림 -8] 업종별 분포 및 중국진출 년수 경공업 6.7% 전기전자 6.7% 년 이하 5.9% 8년 이상 3.9% 기타 4.% 서비스업.% 기계.6% 3년 34.7% 5 7년 8.3% 4 5년 7.% 주) 각각 53개 사 응답(이 가운데 84.%가 중국진출 년 이상 경과) 3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그림 -] 투자 형태 합자(작) 6.8% 무응답 향진기업 5 기타(정부) 8 외자기업 4 국유기업 8 사유 개인기업 38 5 5 5 3 35 4 독자 83.% 주) 각각 57개 사 응답 : 합자(자)의 경우, 그 대상은 사유.개인기업의 비율이 44.7%로 국유기업 (.%)과 외자기업(6.5%)을 큰 폭으로 앞섬 나. 일반 경영 상황(문항 ~7) 흑자 또는 올해 흑자 전환 비율이 5.8%로 기업들의 경영 상 황이 대체로 양호함 흑자 기업의 주요 성공 요인은 기술력, 파트너, 생산비 등에 있음 향후 ~년 간 비즈니스 환경 전망은 7.7%가 긍정적 단, 노동비용 상승, 중국업체와의 경쟁, 기술경쟁력 위축 등 은 환경 악화 요인으로 지적됨 절반 이상(56.3%)의 기업이 향후 투자 확대를 계획 중임 철수를 고려하는 기업은.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

현재 경영 상황 흑자 또는 올해 흑자 전환 의 비율이 5.8%로 적자 또는 올해 적 자 전환 (9.3%)을 큰 폭으로 앞서 기업들의 경영 상황이 대체로 양 호하게 조사됨 [그림 -] 경영 상황 균형 9.9% 올해 적자전환.9% 올해 흑자전환 4.7% 흑자 36.% 적자 6.4% 주) 58개 사 응답 흑자 진입 및 적자 탈출 기간 흑자 기업의 경우, 6.8%가 흑자 진입 소요 기간이 년 이내라고 응 년 43.5% [그림 -] 흑자 진입 소요 기간 년 이하 7.3% 5 6년 5.4% 년 45.5% [그림-3] 적자탈출소요기간 3 4년 6.5% 5 6년 6.% 3 4년 3.8% 6년 이상.% 년 이하 9.% 6년 이상 3.% 3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답함 적자 기업의 경우, 64.5%가 향후 적자 탈출 소요 기간을 년로 보고 있음 흑자및적자발생요인 흑자 기업들의 주요 성공 요인으로는 높은 기술력(4.6%), 좋은 파 트너(9.%), 생산비 저렴(6.%), 유통 채널 확보(.3%), 직원들의 애사심(.%), 입지선정 유효(5.4%) 등을 듬 - 그러나, 중국내 관시 (인맥 관계)를 활용했다거나 중국 정부의 지 원을 받았다는 응답은 각각 3.5%와.%로 소수에 불과함 [그림 -4] 주요 흑자 요인 기타 높은 기술력 좋은 기술력 중국정부 지원 5 5 생산비 저렴 중국내 관시 유통 채널 입지 선정 직원 애사심 주 : 65개 복수 응답 - 이는 중국이 인맥 중심의 사회라는 종래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성 공하는 기업들은 철저하게 경영에 충실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 이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3

적자 발생의 주요 요인으로는 유통 채널 미흡(.6%), 파트너의 협 력 부족(9.3%), 기술력 낙후(4.%), 입지선정 오류(.%), 중국내 관시 부족(.%) 등이 지적됨 - 현지에서 사기를 당했거나 정부와의 마찰 등은 소수 의견 [그림 -5] 주요 적자 요인 중국 정부와 마찰 기타 유통채널 미흡 5 5 파트너 협력 부족 기술력 낙후 주 : 476개 복수 응답 중국인에게 사기 중국내 관시 부족 입지선정 오류 향후 년 중국 비즈니스 환경 전망 기업들의 7.7%가 향후 년 간 중국 비즈니스 환경을 긍정적으 로보며 나빠질 것 이라는 비율은 6.3%에 그침 환경 악화를 예상한 기업(4개 사)들은 노동비용 상승, 중국업체와 의 경쟁, 기술경쟁력 위축 등을 우려하고 있음 3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그림 -6] 비지니스 환경 무응답 3.% 비슷할것 3.4% 좋아질것 47.3% 나빠질것 6.3% 주 : 53개 사 응답 [그림 -7] 환경악화 원인 중국업체와 경쟁 4.% 기술경쟁력 위축 3.% 중국법률적 제재 4.8% 54.% 노동비용상승 중국정부 지원감소 4.8% 수출장애 5.6% 기타 3.% 주 : 4개 응답 매출액의 지역별 구성과 사용 상표 매출액의 지역별 구성 가운데 어느 지역이 가장 많은가 라는 질문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5

에 중국 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4.7%로 가장 많고 이어 한국 (3.7%), 제3국 (5.6%)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8] 매출액 구성국가 한국 3.7% 중국 4.7% 주 : 489개 사 응답 제3국 5.6% 제3국 수출 중인 기업들의 지역별 시장은 북미(3.5%), 일본(9.5%), 동유럽(6.8%)의 순임 - 향후 확충할 중점 시장은 중국(6.%)과 미주(7.%) 등임 [그림 -9] 제3국 수출국 현황 북미 3.5% 기타 7.4% 중동.% 남미 5.5% 유럽 시장 5.% 유럽 6.8% 한국 시장 5.3% 아주 시장 4.% 기타 시장.6% 일본 시장 4.6% 일본 9.5% 동남아 8.4% 미주시장 7.% 중국시장 6.% 주 : 489개 사 응답 현지 판매 가운데 중국내 한국계 기업(관계사 포함)에 대한 판매 비 3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율 % 미만(47.5%) 이거나 8% 이상(3.%)인 경우가 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남 [그림 -] 중국내 한국계 기업의 판매비율 3 4 6.5% 3 6.5% 6 7 3.6% 4 5 4.8% % 미만 47.5% 5 6 5.% 7 8 3.% 8% 이상 3.% 주 : 47개사 응답 판매 시 사용 상표는 현지법인 상표(37.5%)와 국내 모기업 상표 (3.%) 등 자체 상표 비율이 69.5%로 높고 OEM 상표 부착과 중국 파트너측 상표 사용은 각각 3.%와 7.%임 [그림 -] 판매 상표 현황 중국 파트너 상표 7% 현지 법인 자체상표 37.7% OEM 상표 3.% 국내 모기업 상표 3% 주 : 456개 사 응답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7

내수판매 현황 제품의 수준(부가가치)과 관련, 내수판매를 하는 기업 가운데 84.6% 가 중고급품을 취급하고 있다고 응답(86개 사 응답)했으나 현지 브 랜드 인지도에 있어서는 6.%가 보통이거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 사됨 [그림 -] 내수 판매 현황 고급품 46.9% 모두 해당 5.4% 매우 낮음 3.5% 보통 36.9% 저급품 5.6% 약간 낮음.7% 중급품 3.% 매우 높음.3% 약간 높음 6.6% 판매 대상은 소비재(9개 사)의 경우, 도시 중산층과 부유층이 76.% 로 가장 많고 생산재(중간재, 5개 사)의 경우, 한국기업과 중국기업이 각각 43.3%와 4.4%로 압도적이며 제3국 외자기업에 대한 판매 비율은 8.8%에 그침 [그림 -3] 판매대상 현황 정부 및 기관 3.7% 기타 5.3% 농민.6% 도시 부유층 5.9% 도시 중산층 5.3% 도시 저소득층 3.% 한국기업 43.3% 기타 6.5% 제3국 외자기 업8.8% 중국기업 4.4% 3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소비재를 판매하는 9개 사의 유통단계 직접 관리 정도는 도매 (66.%)가 소매(33.9%)보다 개 가량 높게 조사됨 - A/S(애프터 서비스) 전문조직을 갖춘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 다많음 [그림 -4] 유통단계 직접 관리 수준 소비단계 33.3% [그림 -5] A/S 전문조직 보유 여부 없다 45.8% 도매단계 66.% 있다 54.% 내수판매 시의 유통 경로는 현지기업 직납(.%), 중간 대리상 (.3%), 직영매장(9.5%), 현지 유통업체와 직거래 (4.3%) 등이 주 류를 이룸 - 자체 계열의 유통업체를 보유하고 있거나, 공공입찰 등의 정부 납 품, 프랜차이즈 가맹 등의 경로는 소수 비율에 그침 [그림 -6] 유통 경로 현지 합작선 4.3% 정부 납품.7% 프랜차이즈 가맹점.3% 유통업체 보유 4.7% 위탁판매 6.6% 유통업체 거래 4.3% 기타 3.3% 직영매장 9.5% 현지기업 직납.% 중간대리상.3% 주 : 488개 복수 응답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39

판매대금의 결제 방식은 현금 또는 현금+외상 의 비율이 78.9% 로 높게 나타났으나 외상 거래에만 의존하는 비율도 8.%로 조사됨 [그림 -7] 판매대금의 결제방식 현금+외상 39.% 현금결제 39.8% 기타 3.% 외상거래 8.% 주 : 37개 사 응답 - 현지 판매를 위해 중국내 전문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하고 있 는 기업(3.9%)이 그렇지 않은 기업(69.%)의 절반에 미치지 못함 [그림 -8] 중국내 전문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있다 3.9% 없다 69.% 주: 98개사응답 중국 현지 공장 가동 후 한국 본사를 완전히 이전했다고 답한 기업이 5.%를 기록함 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 한국 본사를 유지하고 있는 85.%의 기업들은 생산+영업 조직 중국 이전, 생산조직 일부 중국 이전, 생산+영업+R&D 중국 이전, 중국내 생산설비 증설. 생산조직(%) 이전 등의 유형 로 각각 최고.9%에서 최저.%의 비율로 분포됨 [그림 -9] 본사 이전 현황 한국 본사 이전 5% 한국 본사 유지 85% 주 : 39개 사 응답 향후 중국 비즈니스 운영 방향 절반 이상이 투자 확대를 계획 중이며 철수 는.4%에 불과 [그림 -3] 향후 비즈니스 운영 방향 투자확대 56.3% 현상유지 8.8% 기 타.% 철 수.4% 중국내 타지역 이 전 7.9% 품목변경 또는 업종 전환 8.8% 주 : 54개 사 응답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4

기업들이 향후 경영전략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생산관 리 강화(6.3%), 신제품 개발(3.7%), 마케팅 강화(3.7%), 내수시장 진출(3.%), 관리인력 육성(.3%), 경영현지화 강화(.3%) 등의 순으로 조사됨 [그림 -3] 경영전략 중 중요요소 해외기업과 전략적 제휴 자동화 설비 확충 생산관리 강화 신제품 개발 마케팅 강화 연구개발 강화 내수시장 진출 해외수출 확대 관리인력 육성 수익성 제고 경영현지화 강화 주 : 965개 복수(개) 의견 다. 원부자재 조달선 구성 원부자재 조달선은 한국 (44.8%)보다 중국 (5.%)이 높게 나 타남 향후 조달선 변경 계획에서도 중국 이 가장 높게 나타남 원부자재 조달 구성 비율 현재 원부자재 조달선은 중국(5.%), 한국(44.8%), 제3국(4.%)의 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순으로 나타남 - 이는 대중국 투자기업들이 중국진출 초기의 한국산 수입 에서 벗 어나 상당 폭 현지화되었음을 의미 향후 원부자재 조달선 변경 계획과 관련, 중국 위주로 변경 응답이 5.%로 가장 높고 이어 현상 유지 (4.9%)가 많음 - 반면, 한국 위주로 변경하겠다는 응답은 3.%에 그쳐 향후 대중국 원부자재 수출 감소가 우려됨 [그림 -3] 원부자재 조달 비율 제3국 4.% 학국 44.8% 중국 위주변경 5% 한국 위주 변경 3.% 중국 5.% 주 : 43개 사 응답 현상유지 5% 제3국 위주 변경 % 라. 생산 및 기술 관리(문항 ~5) 동종 중국업체와 비교한 전반적인 경쟁력이 지속 유지될 것이라 는 비율이 3.7%에 그침 중국 이미 우위 또는 3년내 대응 비율이 6.3%로 높게 나 타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43

현지 생산제품의 수명 주기와 생산 설비 현지 생산은 한국내 수명 주기상 성숙기와 성장기인 경우가 67.7% 로 높고 쇠퇴기인 경우는.8%에 그침[47개 사] 또한, 한국에서 중고 설비를 들여가는 비율(5.6%)보다 신설비를 가져가거나(3.4%)나 중국 설비를 쓰는 경우(3.3%)가 더 많음[84 개사] - 이는 향후 한국내 유휴 설비의 효과적인 대중국 이전 방안 모색이 라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음 [그림 -33] 수명주기와 생산설비 성숙기 34.7% 제3국 수입설비 9% 기타.9% 쇠퇴기.8% 도입기.5% 성장기 33.% 한국중고 설비 5.6% 중국 설비 3.% 한국 신설비 3.4% 연구개발(R&D) 조직 중국내 제품 및 기술 연구개발 조직이 있는 기업이 38.3%에 그쳤고 R&D 인력은 중국인과 한국인을 동시에 고용하는 경우가 주류 (64.%)를 이루고 있음 4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그림 -34] 연구개발(R&D) 조직 있다 38.3% 중국+한국 연구인력 64.% 없다 6.7% 한국인 연구인력 (%) 4.8% 제3국 연구인력.% 중국인 연구인력 (%) 9.% 주 : 48개 사 응답 중국 직원의 생산성 본사 또는 동종 한국 업체와 비교한 중국 직원의 임금대비 매출 생산 성은 낮다 가 절반 이상(54.%)을 차지하나 한국보다 오히려 뛰어 나다 는 응답도 5.8%로 높게 조사됨 [그림 -35] 직원의 생산성 높다 5.8% 비슷하다.% 낮다 54.% 주 : 43개 사 응답 주요 기술도입 원천 중국진출 기업들의 기술도입 원천은 한국 모기업(67.4%), 중국 현지 연구개발(6.5%)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45

- 현지협력 및 제3국 등 기타 경로를 통한 기술도입은 6.% 수준에 그침 [그림 -36] 기술도입 원천 기타.3% 제3국 기술도입 5.% 현지 연구기관 3.% 한국 모기업 67.4% 현지 합자 파트너 6.8% 중국 현지 연구개발 6.4% 주 : 396개 사 응답 중국업계의 기술 추격 중국으로 이전한 기술이 중국 동종업계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국제 시장 에서 한국기업이 타격을 입을 가능성 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반응 (크다 및 매우 크다; 3.%) 보다는 가능성이 작거나 매우 작다 [그림 -37] 중국업계의 기술 추격 매우 작다 5.6% 매우크다 5.7% 크다 7.5 % 작다 6.5% 보통 34.6% 주 : 4개 사 응답 4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는 반응(4.%)이 높게 나타남 그러나, 동종 중국업체와 비교한 자사의 전반적인 경쟁력이 앞으로 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비율은 3.7%에 그침 - 중국 이미 우위 또는 3년내 대등 의 비율이 6.3%임 [그림 -38] 자사 경쟁력 전망 한국 계속 우위 중국 5년 후에나 대등 중국 4 5년내 대등 중국 3년내 대등 중국 년내 대등 현재 대등 중구 이미 우위 주 : 그래픽의 수치는 응답 업체 수 기준 3 6 9 5 마. 임금 및 노무 관리(문항 ~5) 기업들은 대부분 임금을 같은 업계 수준을 참고하거나 기업 독 자적으로 결정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 임금 수준은 한국보다 현저하게 낮으나 최근 임금 상승률은 한국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돼 향후 채산성 악화가 우려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47

노조 구성 및 노사 분규 경험 비율이 높지 않으며 노사 갈등도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단, 이와 무관하게 임금, 문화적 마찰, 복지후생 등은 갈등의 요인 임금 결정 방식 임금 수준은 동종 업계의 수준을 참고(49.7%)하거나 기업 독자적으 로 (33.%)으로 결정한다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게 조사됨 [그림 -39] 임금 결정방식 동조업계 수준참고 49.7% 단체교섭 3.7 % 국가(지역) 규정 % 독자 결정 33.% 주 : 57개 사 응답 임금 수준과 상승률 74.3%가 중국의 임금 수준이 한국보다 절반 이하라고 응답한 반면, 임금 상승률은 중국이 더 높다는 대답이 64.8%임 - 중국의 높은 임금상승률로 인해 인건비 절감을 주 목적으로 중국 4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에 진출한 기업들은 경영 압박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 [그림 -4] 한국대비 중국의 임금 수준 5 7% 7.5% 5% 이하 74.3 % 7 9% 5.% 9 %.8% % 이상.8% [그림 -4] 한국대비 중국의 임금 상승률 속도 매우 느림 3.7% 약간 느림 6.3% 매우 빠름 5.6% 비슷 5.% 약간 빠름 39.% 노조 구성 여부 및 노사 분규 여부 498개 응답기업 가운데 노동조합이 구성된 기업은 8.5%에 그치며 노사분규를 경험한 기업도 8.4%로 많지 않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49

[그림 -4] 노조 구성 및 노사분규 발생 여부 노조 구성 여부 노사 분규 발생 여부 있다 8.5% 있다 8.4% 없다 8.5% 없다 8.6% 노사 갈등 정도 노사 분규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8.3%가 노사 갈등문제가 없다고 응답함 [그림 -43] 노사 갈등 정도 매우 심각.7% 5% 이하 74.3% 약간 문제 8.% 8.3 전혀 문제없음 5.3% 노사 갈등의 주요인 (노사 분규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기업들이 생각하는 노사 갈등의 주된 요인은 임금, 문화적 마찰, 복지 후생 등 3대 요인이 6% 이상 5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을 차지함 [그림 -44] 노사 갈등의 주요인 문제없음 6.% 작업 시간 7.3% 임금 3.5% 문화적 마찰 7.5 % 복지후생.9% 해고/퇴직 9.6% 통역오류의 오해/불신 5.8% 교포/한족 갈등 3.8% 노조 호전성.9% 작업환경 6.% 주: 85개 복수 의견 바. 투자애로 사항(문항 ~6) 공장가동 이전 단계에는 중국내 복잡한 행정체계, 정보 수집 곤란 등을 겪고 있다고 응답 현지 원재료 조달시에는 품질 문제가 최대 애로사항이며 고용 측면에서는 단순 인력보다는 고급인력 구인난을 겪고 있음 경영 부문별 종합 애로사항으로는 생산코스트 상승, 고용 및 인사 관리 곤란, 원자재 및 부품 조달난 등이 있음 인사관리에서는 특히 현지 종업원의 책임의식 부족 이문제 점으로 지적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

공장 가동 이전 단계의 애로 사항 현지 공장 가동 이전 단계에 느끼는 애로 사항으로는 복잡한 행정체 계, 정보 수집의 어려움, 중국측의 잦은 태도 변화 등 3대 사항이 74.7%로 높게 나타남 [그림 -45] 공장 가동전 애로사항 정보 수집 어려움 7% 투자비 조달 6.7% 공장 시공 7.5% 파트너 선정 어려움 8.4% 합자(작)성과 갈등.9% 중국측의 잦은 태도변화 5.8% 복잡한 행정 체계 3.9% 주 : 85개 복수 의견 원자재 및 부품 현지 조달시의 애로 사항 원자재 또는 부품을 중국 현지 조달할 때 느끼는 최대의 애로 사항은 품질(59.%)과 가격(3.6%), 납기(.5%) 등임 [그림 -46] 원자재 및 부품 조달 애로사항 물량확보 6.4% 가격 조건 3.6% 기타.6% 결제 조건 6.7% 납기.5% 품질 59.% 주 : 49개 사 응답 5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고용 관리상의 애로 사항 고용 관리 측면의 최대 애로 사항은 전문직.기술직 구인난 (6.9%), 숙련공 확보난 (5.5%), 높은 이직률(7.8%) 등임 [그림 -47] 고용관리상의 애로사항 숙련공 확보 곤란 5.5% 기타.8% 전문직 기술직 구인난 6.9% 비숙련공 확보 곤란 8.% 높은 이직률 7.8% 주 : 859개 복수 의견 임금 관리상의 애로 사항 과다한 사회보험료, 높은 임금상승률, 당초 과소평가한 인건비 수준 등이 임금 관리의 3대 애로 사항으로 지적됨 [그림 -48] 임금관리상의 애로사항 업체 임금 경쟁.8% 높은 임금 상승률.5% 과다한 사회보험료.3% 업체간 임금 수준고려 (눈치)결정 3.9% 당초 인건비 예상치 과소평가 5.4% 임금결정 자주권 제약.% 과다한 수당/보조금 6.5% 과다한 준조세 8.4% 주 : 96개 복수 의견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3

경영 부문별 종합 애로 사항 경영 각 부문의 애로 사항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산 코스트 상승, 고용 및 인사관리 곤란, 원재료 조달난, 판매대금 회수 곤란, 현지금융 조달난 등이 지적됨 [그림 -49] 경영부문별 종합 애로사항 고용/인사 관리 곤란 3.5% 생산코스트 상승.3% 기타 8.9% 원자재/부품 조달난.7% 판매대금 회수곤란.56% 내수시장 진출곤란 9.4% 현지금융 조달난 9.6% 주 : 88개 복수 의견 인사관리상의 애로 사항 [그림 -5] 인사관리상의 애로사항 기타 4.8% 의사소통 곤란 5.% 책임의식 부족 35.% 협동의식 결핍 5.5% 작업능력 부족 8.8% 작업태도 안일 8.% 애사심 결핍.9% 주 : 98개 복수 의견 5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책임의식 부족, 작업태도 안일, 애사심 결핍 등3대 인사관리 애로사항으로 지적됨 사. 기타(문항 ~) 한국정부의 지원요망 사항 투자기업들이 한국 정부의 지원을 희망하는 주요 사항으로는 투자 정보 제공, 금융 지원, 기진출 기업 애로사항을 중국 측에 전달 등이 있음 향후 중국시장 유망 분야 제조업(9.7%)보다는 서비스업(66.3%)의 비중이 배 이상 높게 나 타남 지원요망 사항 비율(%) - 투자정보 제공 8.8 - 금융 지원 6.4 - 기진출 기업 애로사항, 중국측에 전달 5.9 - 상설 투자자문센터 운영.4 - 해외투자 교육과정 운영 9. - 중국 바이어 정보 제공 8.9 - 중국내 한국기업 전용공단 조성 6.6 - 대중 물류부문 개선 5.6 - 합작대상 알선 3.8 - 투자시찰단 활성화 3.6 주: 3개복수응답(총,374개의견)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5

- 이는 최근 중국내 일부 제조업 과열투자 양상 및 중국 정부의 내수 시장 중심 경제정책 전환과도 연관있는 것으로 풀이 [그림 -5] 중국시장 유망 분야 제조업 9.7% 제조업 9.7% 서비스업 66.3% 주 : 49개 사 응답 제조업은 IT 첨단산업, 자동차 및 그 부품, 전기전자, 석유화학의 순 이며 서비스업은 비즈니스 서비스, 유통업, 문화산업, 금융업 순으로 유망한 것으로 조사됨 [그림 -5] 제조업 및 서비스업 부문의 유망 분야 IT 첨단산업 4.7% 기타 6.% 석유화학.% 전기전자 6.% 비즈니스 서비스 3.8% 기타 4.% 금융업 8.% 문화산업 4.% 자동차 및 부품 4.8% 유통업 3.9% 5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Ⅱ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및 특징 대중국 투자 현황 현황 중국측의 통계에서 일본기업의 대중 투자 흐름을 보면 985년~987 년 플라자합의에 따른 엔고에 의해 투자가 급증한 시기 및 99년 ~995년 일본 경제 발달로 중국 진출이 활발했던 시기 등 두 차례의 대 중국 투자의 전성기를 보이고 있음 이어 년 월 일에 중국이 WTO에 가입하고 나서 일본의 중 국 투자는 다시 급증세를 보여 제3의 대 중국 투자 전성기를 보임 중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4년 일본의 대 중국 투자는 건수 3,454건, 계약액 9억 6천만달러, 투자액 54억 5천만달러로 전년 동 기 각각 6.%, 5%, 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5년 ~6월 대중 투자 현황을 보면 대중 투자건수,6건, 계약액 5억 7천 8백만달러, 3억 6천 9백만달러으로 건수는 8.%p 감소했지만 계약액은 7.7%, 투자액은.9% 증가함 한편, 일본의 재무성이 발간하는 대외 및 대내 직접투자 현황 자료 에 따르면 4년 한 해 일본의 대 중국 투자는 건수가 36건, 계약 5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액이 45억달러로 건수는 중국 상무성 통계의 약 /, 계약액은 절반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일본 기업의 대중국 투자도 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와 마찬 가지로 자국의 해외투자 심사를 거치지 않거나 현지에서 직접 재 투자를 하는 경우기 때문에 중국측 집계액이 일본측 통계액보다 많은 것으로 추정됨. 중국으로 이전 가속화 <표 ->에서 보듯이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4년 일본의 해외직 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6.3%가 감소한 36억 8천만달러에 그쳤으 나, 아시아에 대한 투자는 전체의 6.4%에 상당한 83억 6천만달러 에 달하고 있음.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6.9%가 증가한 수치임 - 이 중 아시아 NIEs(대만, 한국, 홍콩, 싱가포르)에 대한 투자가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 일본의 해외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 은 7.5%밖에 되지 않으나 전년에 비하면.7%가 증가한 수치임 지 역 3년 4년 건 수 금 액 구성비 건 수 금 액 구성비 증감율 미 국 98 6.5 9.3 9 4.6 3. -58. 중 국 33 9.4 8.7 36 4.7.8 38. 한 국 39.6.8 6 7.5.4 83. 싱가포르 3 3..9 3 6.3.. 홍 콩 36 3.7.4 3 4.3.8 53.7 아 시 아 6-7 59.9 7.7 66 83.6 6.4 39.5 일본의 해외 투자 총계,4 338..,733 36.8. -6.3 자료원 : 일본 재무성 [표 -] 일본의 해외투자 현황 (단위 : 건, 억달러, %)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59

4년 대만에 대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99..%가 증가한 4억 천만달러를 기록함 - 대만에 대한 투자가 급증한 이유로는 일본 기업이 자사의 중국 거 점으로 대만에 현지법인을 많이 설립하고 있기 때문임 - 대만의 투자업무처와 일본 노무라연구소의 공동 연구 조사에 따르 면 대만 진출 일본계 기업의 33.8%가 중국에 투자하고 58.3%가 중국 사업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일본의 최대 투자대상국 부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투 자는 전년 동기 대비 38.%가 증가하여 4억 7천만달러를 기록하였 는데 이는 일본의 해외투자액의.8%를 차지하는 것임 <표 ->는 중국 상무부가 일본 기업의 대중 투자의 추이를 파악한 것으로 3년에는 실제 투자금액이 전년 대비.6% 증가한 5억 5천만달러, 4년 동 7.9% 증가한 54억 5천만달러를 기록하여 대 중국 투자는 앞으로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 표 <-3>, <표 -4>, <표 -5>는 일본의 대 아시아, 중국 투자를 일 본측의 통계로 조사된 것으로, 3년 아시아 제조업에 점하는 중 국의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4%가 증가한 57.%에 달하여 최근 일본 제조기업의 중국으로의 이전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3년 대중 제조업 투자의 주역은 수송기계(제조업 투자의 34.5%), 전기( 同 7.8%), 기계( 同 4.3%)로 전체의 7%를 차지하 고있음 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연 도 건 수 계약액 투자액 건당 계약액 (만 달러) 979~85 (-).3(-) 8.3(-) 58.9 86 94(-).(-).(-) 3.4 87 3(.) 3.(4.9).(.) 65.5 88 37(9.7).8(-6.7) 5.(36.4) 8. 89 94(4. ) 4.4(57.) 3.4(-34.6) 49.7 9 34(6.) 4.6(4.5) 5.(47. ) 34.9 9 599(75.7) 8.(77.7) 5.3(6.) 35. 9,85(.3).7(67.9) 7.(34.). 93 3,888(93.) 9.6(36.4) 3.(85.9) 84.9 94 3,8(-3.5) 44.4(5.).8(57.6) 47. 95,946(-.4) 75.9(7.9) 3.(49.5) 57.6 96,74(-4.9) 5.3(-3.4) 36.8(8.3) 94.5 97,4(-9.5) 34.(-33.7) 43.3(7. 7) 4.5 98,88(-5.3) 7.(-.6) 3.6(-7.) 7.3 99,67(-.8) 5.9(-4.) 9.7(-6.).9,64(38.3) 36.8(4.) 9.(-. 7) 8.,9(5. ) 54.(47.3) 43.5(49.) 68.4,745(37.) 53.(-.9) 4.9(-8.9) 93. 3 3,54(8.5) 79.6(5.) 5.5(.6) 44.6 4 3,454(6. ) 9.6(5.) 54.5(7.9) 57.8 자료원 : 중국대외경제무역연감 각연판, 상무부 [표 -]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단위 : 건수, 백만달러)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6

[표 -3] 일본의 업종별 대 중국 투자액 (단위 : 백만달러) 연도 업종 99 9 9 93 94 95 96 97 98 99 3 식량 9 9 9 67 3 4 84 96 8 6 3 75 섬유 7 3 33 47 88 3 4 3 7 34 74 목재 펄프 3 43 7 39 9 8 3 5 6 화학 9 96 43 87 3 9 89 65 48 44 48 철 비철 4 9 8 58 36 8 47 74 43 45 33 3 57 기계 5 9 5 9 3 48 83 89 89 39 86 3 57 353 전기 3 89 33 49 938 395 4 7 73 34 5 3 439 수송기계 9 33 83 4 384 49 4 93 89 6 94 848 기타 3 35 77 6 76 53 99 76 3 53 8 8 34 8 제조업 소계 6 39 65,377,853 3,49,84,53 8 55 77,75,44,453 농 임업 5 4 3 8 - 농 수산업 5 3 6 7 4 - 광업 7 5 5 - 건설업 7 7 6 8 89 59 65 63 3 9 44 상업 3 7 4 55 48 58 9 34 64 56 93 68 금융 보험 3 3 4 3 55 서비스업 37 88 9 7 8 54 46 76 9 5 33 3 7 수업 6 5 49 6 9 7 5 4 부동산업 9 6 65 43 4 7 73 7 35 3 3 9 4 3 기타 - - 비제조업 소계 85 3 36 69 68 88 665 447 48 78 3 67 4 64 지점 3 4 59 45 4 5 4 6 8 3 65 부동산 - - - - - - - - - - - - - - 합계 349 579,7,69,565 4,478,5,987,76 76,6,445,766 3,43 자료원 : 일본 재무성 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표 -4] 일본의 대 아시아 제조업 투자 중 중국의 점유 비율 연도 구분 95 96 97 98 99 3 대 아시아 제조업투자 8, 6,63 7,37 3,76 4,45 3,685 4,8 3,94 4,9 대중 제조업 투자 3,49,84,53 8 55 77,75,44,453 대중 제조업 투자 비율(%) 43. 7..5.5.3.9 9.7 35.7 57. 자료원 : 대외 및 대내 직접투자현황 (일본 재무성) (단위 : 건, 억달러, %)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63

연도 업종 99 9 93 94 95 96 97 98 99 3 식량 35 39 3 33 5 4 5 5 4 5 섬유 87 87 47 83 55 59 8 3 4 9 6 8 목재 펄프 5 5 3 5 5 3 화학 6 8 6 8 33 8 8 4 5 4 5 4 철 비철 3 9 38 59 3 8 9 7 8 7 기계 5 9 46 6 58 9 6 9 4 8 8 38 전기 34 57 66 94 9 4 33 5 44 44 수송기 9 9 45 4 4 5 8 8 6 39 55 기타 33 6 95 63 85 43 7 7 6 9 38 37 제조업 소계 78 38 579 558 675 33 87 8 6 89 67 7 67 농 임업 3 4 6 - 농 수산업 3 5 9 3 - 광업 3 - 건설업 4 5 4 3 3 4 5 3 8 상업 8 4 8 8 7 5 4 5 5 9 금융 보험 4 5 서비스업 35 5 38 8 5 9 4 6 7 9 운수업 7 5 6 7 3 3 부동산업 6 9 7 9 6 9 3 기타 - 비제조업 소계 63 3 7 69 88 58 69 33 5 6 33 64 지점 5 6 4 9 7 4 3 부동산 - - 합계 46 49 7 636 77 365 58 4 78 5 89 63 33 자료원 : 일본 재무성 [표 -5] 일본의 업종별 대 중국 투자건수 (단위 : 건) 6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5년 상반기 일본의 대중국 투자 현황 실제 투자액 꾸준한 증가세 유지 주요국 지역에서의 대중 투자가 감소하는 가운데 일본의 5년 상반기 대중 투자는 중국측 통계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4% 증가 한 3억 6,888만달러, 일본측의 통계(국제수지기준, 속보치)로는 전 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3,446억엔을 기록 업종별로는 5년 /4분기에만 수송기기(8억엔, 전체의 7.5% 점유), 전기기계류(9억엔, 동 3.6%), 금융 보험업(8억위엔, 동.9%), 화학업(47억엔, 동 9.%), 부동산(38억엔, 동 8.5%), 일반 기계류(억엔, 동 7.5%)업종에 억엔 이상을 투자하여 이 6개 업종에서만 전체의 69.%를 차지 특히 년부터는 일본 자동차업계의 진출에 따라 자동차부품 업 계의 중국진출이 활발해지고 있고, 또 관련 소재분야에 대한 투자도 잇다르고 있기 때문에 실제 투자액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 이됨 [그림 -] 5년 /4분기 일본의 업종별 대중 투자 현황 (단위 : 건, 백만달러) 자료원 : 재무성 통계(JETRO 중국경제 5. 월호 재인용)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65

자동차 업계 진출 활발 5년 상반기 일본 자동차업계의 대중국 투자현황을 보면, - 마쯔다는 5년 월에 % 독자의 중국 비즈니스 사업 총괄 자 회사인 마쯔다(상해)기업관리 자문회사 를설립 -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로는 덴쇼 가 5년 월 텐진( 天 津 )시에 자본금 4천 백만달러, 총 투자액 68억엔을 투입하여 카 에어컨용 열 교환기와 라디에터를 생산하는 電 裝 ( 天 津 )에어컨 부품 사를 설립함. 6년 생산 개시 예정 - 아이싱 정밀기기사는 5년 3월 허베이성 탕산( 河 北 省 唐 山 )시 에 자본금 4천 347만 5천달러, 총투자액 5억 8천 6백만달러(약 76 억엔)을 투자하여 엔진과 오토매틱 트랜스미션용의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 제품 전문 생산거점인 탕산( 唐 山 아이싱 자동차부품 회사 를 설립. 6년 월부터 생산 개시 예정 - 또한 브리지스톤은 5년 4월, 중국 시장의 급속한 자동차 보급 에 따른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금 억 5만달러를 투자 하여 광둥성 후이저우( 惠 州 )시에 트럭 버스용 래디얼 타이어 제 조 법인( 普 利 司 通 惠 州 輪 胎 )사 설립 동 사는 7년 월부터 생산할 예정이며, 9년 상반기까지 일일 생산량을 5,개로 늘릴 예정임 - 이 밖에 오무론은 5년 5월 광둥성 광저우( 廣 州 )시에 자본금,6달러를 투자, 차체 전장( 車 載 電 裝 )부품의 생산회사인 歐 姆 龍 ( 廣 州 ) 汽 車 電 子 사를 설립하여 6년 월부터 생산에 들어갈 예정 6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계약액 기준으로는 감소세를 나타냄 한편, 직접투자의 선행지표라 할 수 있는 계약기준으로 볼 때 대중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4% 감소한 5억 8천 5백만달러에 그치고 있어 향후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임 - 그 요인으로는 지금까지 대 중국 투자의 견인차였던 전기업종을 중심으로 투자가 거의 한번씩 이루어졌다는 것 3년에 발 생한 SARS를 계기로 중국 한 지역에 집중을 피하기 위한 차이 나 플러스 원(China+)전략 이 정착됐다는 것 중국내 지적 재산권 침해 심각성으로 인해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중국 투자가 신중해 지고 있다는 것을 들 수 있음 - 또한 일본계 기업중에는 5년 4월 반일 데모 등으로 인한 중국 리스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대중 투자에 신중을 기하고 있고 이러한 기업간의 우려가 계약액 기준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하 고 있는 것으로 풀이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67

3 중국 진출 일본기업의 경영실태 현황 3) 가. 응답기업 개요 현황 진출지역(유효 응답수 : 378개사) 연해지역에 354개사(93.7%), 내륙지역에 4개사(6.3%)가 진출해 있음 이 중에 상하이시 99개사(6.%), 장쑤성 6개사(6.%), 광둥성 46 개사(.%), 랴오닝성 45개사(.9%), 베이징시 4개사(.6%), 텐 진시 개사(5.6%), 산둥성 5개사(4.%), 저쟝성 4개사(3.7%) 등 8개성 직할시에서 34개사가 9.%를 차지하고 있음 [표 -6] 진출지역 현황 (단위: 개사, 구성비 %) 연해지역 내륙지역 기타, 불명 합 계 제8차( 3/) 응답기업 354(93.7) 4(6.3) (.) 379(.) 제 조 업 77(9.3) 3(7.7) ( - ) 3(.) 비제조업 77(98.7) (.3) (.3) 79(.) 제7차( /) 응답기업 38(94.3) 6(4.) 7(.7) 43(.) 자료원 : 第 8 次 日 系 企 業 アンケ ト 調 査 集 計 分 析 結 果 ( 日 中 投 資 促 進 機 構, 5. 3) 주) 내륙지역은 허난성, 안후이성, 후베이성, 쓰촨성, 충칭시, 후난성, 윈난성, 쟝시성을 말함. 그 외지역은 연해지역을 말함 주) 제8차 조사 중 기타 개사는 무응답, 제7차의 7개사 중 3개사는 홍콩, 4개사는 무응답 3) 동 조사는 일본의 日 中 投 資 促 進 機 構 가 5년 3월 발간한 第 8 次 日 系 企 業 アンケ ト집계 분석결과 에서 발췌 정리한 것임(설문 조사 실시시간 : 4년 월~ 월, 총 설문대상 기업,55개사 중 전국 9개 성, 직할시 소재의 379개사로부터 회신 받음) - 제8차 조사는 3년 말 현재 현지 진출기업의 경영상황, 제7차 조사는 년 말 기준 현지 진출기업의 경영상황에 토대해 조사한 것임 6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진출 기업의 등기상의 주소는 기타 일반지역이 3개사로 많고 다음 이 경제기술개발구로 4개사가 입주해 있음 경제기술개발구, 고신( 高 新 )기술산업개발구, 기타 개발구 등 기업들 이 입주한 중국 개발구(99개사, 기타 유효 응답기업수 89개사) 중 에서 국가급 개발구에 입주한 기업(88개사)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남 업종(유효 응답기업수 379개사) 업종을 보면 제조업이 3개사(79.%), 비제조업이 79개사(.8%) [표 -7] 업종별 응답기업수 (단위 : 개사, 구성비 %) 제조업 8차( 3.) 7차(.) 비제조업 8차( 3.) 7차(.) 전기기기 8(.4) 9(.8) 상 업 4(6.3) (5.5) 화학공업 34(9.) 34(8.4) 서 비 스 9(5.) 9(4.7) 수송용기기 3(8.) 4(6.) 운송 서비스 (3.) (.5) 섬 유 (5.8) 9(7.) 금융 보험 7(.8) 5(.) 철 강 (5.3) 5(3.7) 건 설 5(.3) (.5) 금속제품 (5.3) 3(7.4) 부 동 산 4(.) 5(.) 일반기기 9(5.) 5(6.) 기 타 주 ) 8(.) (.6) 식 료 품 6(4.) 9(4.7) 정밀기기 (3.) (3.) 요업 토석 7(.8) 3(3.) 기타 주 ) 38(.) 46(.4) 총 계 3(79.) 338(83.9) 총 계 79(.8) 65(6.) 자료원 : 상동 주) : 목재 목제품, 펄프 종이 종이가공제품, 출판 인쇄, 고무, 기타 합계를 의미 주) : 8차 비제조업 내역 - 상사 5개사 중 소매업이 3개사 - 서비스기업 9개사 중 소프트웨어 개발회사가 3개사 - 금융 보험 7개사 중 개사가 리스회사 - 비제조업 기타 8개사는 지주회사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69

로 제 7차에 비해 비제조업체의 수가 증가하고 있음 개별업종에서는 전기기기의 비율이 꾸준히 높아 응답기업 전체의.4%를 차지하고 있음 기업형태별(유효 응답 기업수 376개사) 합자 57개사(4.8%), 합작 8개사(.%), 독자 6개사(54.8%)로 7 차 설문조사 결과보다 독자기업이.6%p 상승한 반면 합자기업은 3%p 감소함 999년 이후 최근 5년 간 인가받은 기업은 6개사중 합자기업이 9 개사(5.%), 독자가 84개사(7.4%)로 최근들어 독자형태의 진출이 많은것을알수있음 [표 -8] 기업형태 : 제조업 비제조업 (단위 : 개사, 구성비%) 전 체 합 자 합 작 독 자 기 타 주 ) 제조업 8차( 3.) 98(.) 3(44.3) 7(.3) 57(5.7) (.7) 7차(.) 338(.) 84(54.4) 5(.5) 46(43.) 3(.9) 비제조업 8차( 3.) 78(.) 5(3.) (.3) 49(6.8) 3(3.8) 7차(.) 65(.) 37(56.9) (3.) 4(36.9) (3.) 합계주 ) 8차( 3.) 376(.) 57(4.8) 8(.) 6(54.8) 5(.3) 7차(.) 43(.) (54.8) 7(.7) 7(4.) 5(.) 자료원 : 상동 주) : 기타는 지점, 주재사무소를 가르킴 주) : 8차 설문조사에서 무응답은 3개사임 합자기업의 경우 일본측 출자비율이 5% 이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8.%를 차지하고 있고 7%를 넘는다고 응답한 기업이 36.9%를 차 지하는 등 일본계 기업이 지배지분을 갖고 있는 비중이 높음 7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일본측 출자비율 전 체 5% 미만 5% 5% 이상 7% 이상 제 조 업 3(.) 8(3.6) 6(9.7) 37(8.) 5(38.6) 비제조업 5(.) 3(5.) 4(6.) (4.) 7(8.) 합 계 57(.) 3(9.7) 3(9.) 38(4.) 58(36.9) 자료원 : 상동 [표 -9] 기업형태 : 합자기업의 일본측 출자비율 (단위 : 개사, 구성비 %) 경영기간(유효 응답수 349개사) 전체 평균 33.년, 제조업 평균 34.년, 비제조업 평균 7.9년 3년 이상 4년 미만이 65개사(8.6%), 4년 이상이 44개사 (4.3%)로 3년 이상이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 인가시기, 조업시기(유효 응답수 365개사, 36개사) 인가시기는 995년이 68개사(8.6%)로 가장 많음. 최근 5년간 (999~3년) 인가받은 기업 비율은 7개사(3.%)를 점하고 있음 - 이 중 비제조업 75개사 중 4개사가 최근 5년간 인가를 받았음 조업시기도 995년이 45개사(3.8%)로 가장 많음. 최근 5년간 (999~3년)에 조업한 기업 비율은 개사(3.3%)를 점하고 있음 증자 이유(유효 응답수 56개사) 증자이유 중 사업확대 3개사(83.3%), 자금부족 6개사(.7%) 를 들 수 있는데 7차 설문조사와 비교해서 자금부족 을 드는 기업 비율이 약간 증가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

출자 내역 [표 -] 일본측 출자 내역 (단위: 개사, 구성비%) 응답 기업수 미달러 일본엔 홍콩달러 기계설비 특허 노하우 기타 364 7 8 3 45 34 4 (.) (74.7) (.3) (3.6) (.4) (9.3) (.) 주) 유효응답기업수 : 364개사, 복수응답 [표 -] 중국측 출자내역 (단위: 개사, 구성비%) 응답 인민폐 홍콩 토지사용권 기계 기타 미 달러 일본엔 기업수 (위앤) 달러 건 물 설비 76 73 53 8 83 44 4 (.) (4.5) (3.) (4.5) (.) (47.) (5.) (.3) 주) 유효응답기업수 : 76개사, 복수응답 일본측(364개사)은 미달러 7개사(74.7%), 일본엔 8개사 (.3%), 기계설비 45개사(.4%) 순으로 출자하고 있음 중국측(76개사)은 토지사용권 83개사(47.%), 인민폐 가73개 사(4.5%), 미달러 가 53개사(3.%) 순임 종업원수, 일본인 상주자수(개업시, 3년 월) 응답기업의 평균 종업수는 개업시 3.8명, 3년 월 말 시점으 로는 4.5명임 - 업종별로 보면 3년 월 말 시점으로 전기기기(평균,7.7 명), 정밀기기(평균 766.6명), 수송용기기(평균 66.6명)분야의 종 업원이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음 7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응답기업의 평균 일본인 상주자수는 개업시 3.8명, 3년 월 말 시점으로 평균 7.명이 되고 있음 - 업종별로 보면, 3년 월 말 시점으로 기타 제조업(지주기업 평균 9.명), 전기기기(평균 5.6명)업종이 평균 종업원수를 크게 웃돌고 있음 진출목적(유효 응답수 377개사, 복수응답) [표 -] 진출 목적 (단위 : 개사, 구성비%) 구 분 수출 일본 국내의 응 답 중국 내수 가공 기 거래선과 인재 활용 기업수 시장 진출 주 ) 관계유지 기 타 제8차 377 8 56 3 (3년) (.) (55.7) (34.) (4.9) (3.4) (5.8) 제7차 398 9 5 55 3 4 (년) (.) (48.) (38.) (3.8) (3.3) (6.) 주) 제8차의 수출가공은 수출가공 저렴한 노동력 확보, 수출가공 원자재 확보, 수출가공 기타 의 합계치 제7차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해서 중국 내수시장 진출 로 응답한 비 율이 증가했고 수출가공 으로 응답한 비율이 감소하여 최근 수출형 진출에서 내수형 진출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음 이번 조사에서 중국 내수시장 개척 을 진출 목적으로 응답한 기업 이 개사(55.7%), 수출가공 저렴한 노동력 이 98개사(6.), 일본 국내 기 거래선과의 관계 로 응답한 기업이 56개사(4.9%)로 나타남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3

수출가공 을 든 기업(8개사) 중에는 저렴한 노동력 확보 를 든기 업이 98개사(76.6%)로 가장 많고 원자재 확보 는 개사(7.%)임 진출 지역별로 보면 내륙지역에서는 중국 내수시장 개척 을든기 업의 비율이 7.8%로 평균 55.7% 보다 웃돌고 있고 또한 수출가공 분야에서는 저렴한 노동력 확보 보다 원자재 확보 를 드는 기업이 많음. 또한 광둥성에서는 46개사 중 개사가 일본 국내 기 거래선 과의 관계 로 응답함 업종별로 보면 출판 인쇄, 펄프 종이 종이 가공제품, 목재 목제 품, 부동산, 일반기기, 상업이 높은 비율로 중국 내수시장 진출 을 들고 있음. 한편, 섬유 업종에서는 수출 가공을 위해 진출한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남 현 소재지 진출 이유 현 소재지 진출 이유를 하드웨어적 측면, 소프트웨어적 측면, 기타 로분류응답 하드웨어적 측면 (33개사) - 외자 우대지역이기 때문에 가 9개사(58%)로 가장 많고, 교통 편이 좋다 가 35개(4.8%), 인프라가 좋다 가 3개사(37.%) 순임 - 지역별로 보면 장쑤성, 저쟝성에서는 외자우대지역 의 응답수가 7%를 넘고 있지만, 상하이시에서는 46.5%로 평균을 밑돌고 있 으며 오히려 교통이 편리하다 라고 응답한 기업이 전체의 44.9% 를차지 7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소프트웨어적 측면 (35개사) - 노동력이 싸다 가 5개사(48.3%)가 가장 많고, 현지 정부의 융 통성 있는 정책 이 3개사(4.9%), 우수한 인재 확보 가 8개 사(34.3%) 순임 - 지역별로 보면 연해지역에서는 상기의 전체 평균과 똑같은 수치이 지만 내륙지역에서는 노동력이 싸다, 원자재 조달이 편리하다 를 든 기업이 많음 - 또 장쑤성, 저쟝성은 현지 정부의 융통성있는 정책 을 든 기업이 가장 많았고 베이징, 상하이시는 우수한 인재 확보 를 든 기업이 가장 많음 - 업종별로는 제조업에서는 노동력이 싸다, 비제조업에서는 우수 한 인재를 확보하기 쉽다 로 답한 기업이 가장 많음 기타 - 시장 잠재력 이 63개사(53.%), 합작 파트너와의 관시 가 개사(39.7%) 순임 - 기업형태별로 보면 합자기업의 69.4%, 진출지역별로는 내륙지역 의 7%가 합자파트너와의 관시 로 응답함. - 또한 업종별로는 일반기기, 화학공업, 수송용기기, 정밀기기 부문 에는 합작 파트너와의 관시 가 시장 잠재력 을 웃돌고 있음 기업소득세(유효응답수 357개사) 기업소득세 적용세율에서 357개사 중 45개사(4.3%)가 5%, 83개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5

사(3.%)가 33%, 76개사(.3%)가 4%를 적용하고 있음 진출지역별로 보면 베이징시에서는 33%의 기업소득세를 적용받는 다고 응답한 기업이 55.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베이징 기업 중 절반 정도가 비제조기업으로 우대세율이 아닌 일반 세율을 적용받고 있기 때문임 - 한편, 랴오닝성, 장쑤성, 상하이시, 푸젠성, 광둥성, 충칭시, 쓰촨 성, 하이난성에서는 5% 가가장많음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5% 로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고, 비 제조업에서는 33% 로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음 등기상의 소재지별로 보면 5% 로 응답한 기업 중 경제기술개발구, 고신( 高 新 )기술개발구, 보세구에 진출한 기업이 많음. 또한 4% 에 서는 기타(일반지역), 경제기술개발구가 많고, 33% 에서는 기타(일 반지역)가 압도적으로 많음 또한 국가급 성급 이외의 시급 개발구에서도 기업소득세 5% 로 응답한 기업이 39.7%, 4% 가 34.5%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기업 중에는 국가에서 인정하지 않은 기업소득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 시정될 위험도 있음 나. 중국 진출 기업의 경영실태 현황 요약 ) 손익상황 제7차 설문조사에서는 년의 평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3%로 약간 증가했지만 이번 8차 설문조사에서는 3년의 평 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로 대폭 증가함 매출액, 이익률 모두 비제조업 부문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 음. 제조업의 수출형 내수형중에는 내수형이 높은 성장률을 보 이고 있음 자본금 경상이익률은 이익률 5% 미만의 기업이 년도에는 약4% 정도였으나 3년에는 3% 미만으로 감소했음. 투자 회수면에서 개선됐다고 할 수 있음 매출액, 경상이익, 매출액 경상이익률, 불입자본금 경상이익률 에서 예상에 못 미친다 로 응답한 기업이 제7차 조사(약 5%) 때 보다 약 %p 감소한 3.5%로 대폭 진전을 보였다고 할 수 있음 예상치와 실적과의 괴리 이유로는 외적요인으로 중국 국내 또 는 일본 등 경기 영향, 내적 요인으로서는 제품 서비스 가격경 쟁력이 약하다 는것을가장많이들고있음 ) 향후 사업계획 향후 계획으로 사업규모 확대 를 든 기업이 응답기업의 8% 이상 차지 확대 이유로는 중국 내수시장 개척 및 확대 를 든 기업이 똑같 이 8% 이상 차지 향후 업무 확대 분야로는 생산 확대 (77%), 판매 A/S 확대 (5%)를 든 기업이 제7차 설문조사 결과와 똑같이 절반을 차지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7

함. 연구개발거점 설치 (%)는 제7차 설문조사의 5%를 밑돌 고있음 3) 자금조달(차입) 차입금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56.%로 차입금이 없다 고 대답한 기업의 43.8%를 웃돔 -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종에 비해 제조업종이 차입금에 의지하 고있는비율이높음 가장 잔고가 많은 차입금의 통화 비율을 보면 미달러(4.5%)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인민폐(8.5%), 일본엔(7.6%), 기타 통화 가 (.4%)임 통화 선택의 첫 번째 이유로는 거래선과의 결제조건 통화라는 것을 가장 많이 듬 차입방법으로는 중국 국내 조달(65.%)이 중국 국외로부터의 조달 34.8)를 압도적으로 상회하고 있음. 중국 국내 조달에서는 일본계 금융기관(6.6%)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현지 금융기관 (7.8%)이며, 외자계 금융기관(7.%), 위탁대부(.6%)의 비율은 낮은 편임 4) 중국 내 판매 현지 제조법인은 자사 독자의 판매채널 구축 움직임을 지속적으 로 가속화하고 있음.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라 점차 내수시장이 7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커짐에 따라 제조법인은 마케팅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판매 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 결제조건은 외상 판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선수금의 비율 이 높아 지고 있음. 채권 회수는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로 선수금 이나 현금 거래 등 보다 직접적인 해결방법을 취하고 있음 영업지역은 현지 제조법인 소재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그 범위를 넓혀 나가고 있음. 결제조건을 선수금이나 현금거래로 정하는 한편, 판매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영업지역을 확대할 필요성 이 증가하고 있는 것임 시장확대에 따른 문제점으로는 중국 제품과의 경쟁이 치열 하 다는 응답이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등 경쟁 격화가 지속 되고 있음 - 물류수단 미확립, 시장이나 고객에 대한 정보 부족, 정책 및 규정 미정비, 모방품 범람 등 대부분의 문항에서 제7차 설문조사보다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진출 확대에 따라 새로운 불만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5) 지적재산권 일본계 기업의 약 4%가 중국에서 지적재산권 침해를 받은 적 이 있다고 응답 - 상표권, 의장권, 특허권 순으로 침해 사례가 많고 수송용 기기 에서는 의장권의 침해가 많음. 최근의 수송기기 시장에서는 디자인 부문의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79

침해 현황을 보면 판매시 손해를 보고 있다 는 기업의 비율이 많고그중6%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고 응답함 4% 이상의 기업이 지재권 침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놓지 않 고 있으며, 또한 거의 6%(58.7%)정도 기업이 자사제품에 대한 침해 대책을 취하지 않고 있는 등 대응책을 미수립하고 있는 기 업이 7차 조사결과(56.6%)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남 지적재산권 대책 비용은 연간 만엔 미만이 많음. 또한 비용은 일본의 모회사가 부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6) 원자재 조달 제조 비용 원자재의 중국내 조달비율은 전체적으로 상승 경향을 보이고 있음 - 모회사를 포함한 계열사로부터의 조달비율은 일본을 포함한 국외에서는 현상 유지 또는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는 한편, 중 국 국내에서는 계열사에 한하지 않고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남 대부분의 기업이 현지 기업으로부터 원자재를 조달하여 조달 비 용을 줄이고 있음 - 그러나 원자재 및 부품 품질 등 특수성이 있는 자재 등은 현지 에서 조달하지 않고 있음 기업의 제조 비용은 제7차 조사결과와 똑같이 원자재 점유 비 용이 높아 약 4%의 기업이 총 비용의 7%를 차지하고 있다고 응답 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비용 절감책을 위해 제 7차 조사때와 같이 종업원의 현지화, 불량 품질 개선, 원자재의 중국 국내 조달비율 향상, 재고율 감소 등 운용면에서의 개선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많음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8

중국국내조달률 중국 국내조달률은 993년 설문조사와 비교하면 상승 추세를 보이 993년 (제4차) 전기기기 996년 (제5차) 전기기기 998년 (제6차) 전기기기 999년 (제6차) 전기기기 년 (제7차) 전기기기 년 (제7차) 전기기기 년 (제8차) 전기기기 3년 (제8차) 전기기기 회답 응답수 (%) 4 (.) 3 (.) 3 (.) 7 (.) 345 (.) 84 (.) 35 (.) 84 (.) 37 (.) 87 (.) 38 (.) 89 (.) 6 (.) 6 (.) 75 (.) 68 (.) [표 -3]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 동향 (단위 : 개사, %) % 5 (36.4) 8 (6.) (9.5) 6 (8.5) 3 (9.) 9 (.7) ( 5.7) 6 (7.) 4 ( 4.4) 4 (4.6) (3.4) (.) 3 (5.) 3 (4.8) 9 (3.3) (.9) ~% 미만 (7.) 4 (3.3) 38 (6.4) (6.9) 47 (3.6) 5 (7.9) 53 (5.) 6 (9.) 38 (.) 5 (7.) 3 (9.) (.) (8.4) 8 (.9) 5 (9.) (4.7) %~ 3% 미만 8 (.9) (3.3) 48 (.7) (8.) 76 (.) (6.) 66 (8.9) (3.8) 56 (7.7) (4.) 6 (8.3) 4 (7.) 5 (9.9) 7 (7.4) 5 (8.5) 5 (.) 3%~ 5% 미만 (7.9) (6.7) (9.) 9 (.7) 4 (.6) 8 (9.5) 45 (.9) 9 (.7) 38 (.) (.6) 47 (4.3) 3 (4.6) 33 (.6) (7.7) 3 (.9) 3 (9.) 5%~ 7% 미만 (7.9) 3 (.) 7 (.6) (.5) 4 (.9) (3.) 39 (.) (.9) 33 (.4) 7 (8.) 35 (.7) (.4) 6 (.) 8 (.9) 35 (.7) (7.6) 7%~ 9% 미만 9 (6.4) (3.3) 3 (.9) 9 (.7) 43 (.5) 5 (7.9) 5 (4.6) 7 (.) 59 (8.6) 5 (8.7) 6 (8.3) (4.7) 43 (6.5) 7 (.3) 47 (7.) 8 (.8) 9%~ % 미만 8 (5.7) - (-) 6 (.) 4 (5.6) 34 (9.9) (.4) 43 (.3) 4 (4.8) 49 (5.5) 4 (4.6) 56 (7.) 7 (7.9) 48 (8.4) 7 (.3) 55 (.) 6 (8.8) % (5.7) (3.3) (8.6) - (-) 33 (9.6) (.4) 33 (9.4) (.4) 3 (9.5) - (-) 9 (8.8) - (-) 4 (9.) (.6) 3 (8.4) (.9) 자료원 : 第 8 次 日 系 企 業 アンケ ト 調 査 集 計 分 析 結 果 ( 日 中 投 資 促 進 機 構, 5. 3) %~ 3% 미만 79 (56.4) 3 (76.7) 8 (46.6) 38 (53.5) 54 (44.6) 46 (54.8) 39 (38.7) 4 (5.) 8 (34.) 4 (46.) (3.8) 36 (4.4) 87 (33.3) 8 (45.) 85 (3.9) 7 (39.7) 7~ % 39 (7.9) (6.7) 76 (3.8) 3 (8.3) (3.9) 9 (.6) 7 (36.3) 3 (7.4) 38 (43.5) 9 (33.3) 45 (44.) 9 (3.6) 5 (44.) 5 (4.) 5 (45.5) 6 (3.5) 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고있음 - <표 -3>에 보듯이 제8차 조사 기준연도인 3년에는 중국 국 내에서 7% 이상 조달 한다고 응답한 기업 비율은 45.5%로 제7 차 설문조사시의 44.%보다 약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업종별 - 응답기업이 개 회사인 업종 내 중국 국내에서 7% 이상 조달 의 비율이 높은 업종은 식료품(78.6%), 일반기기(7.%), 철강 (58.8%)이며 중국 국내에서의 조달 비율이 3% 미만 의 비율이 높은 업종은 섬유(4.9%), 전기기기(39.7%), 금속제품(37.5%)임. 전기기기는 중국 국내에서의 조달률 7% 이상 의 비율이 제7차 설문조사와 비교하면 3% 이상에서 % 이하로 떨어짐 [표 -4] 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업종별) 중국 국내로부터 조달 비율(년) 업 종 응답 기업수 응답기업수 6 (.) 제조업 47 (.) - 식료품 5 (.) - 섬유 (.) - 목재 목제품 (.) - 펄프 紙 紙 가공 (.) - 출판 4 인쇄 (.) - 화학공업 9 (.) % ~ % 미만 3 (5.) (8.4) (4.) (8.5) (.) (.) 4 (4.8) (9.4) (.) (.) (.) (.) (.) (.) (.) (6.9) ~ 3% 미만 5 (9.9) 5 (.6) (6.7) 4 (9.4) (.) (.) (5.) 6 (.7) 3~ 5% 미만 33 (.6) 33 (3.4) (6.7) 3 (4.3) (.) (.) (.) 3 (.3) 5~ 7% 미만 6 (.) 6 (.5) (6.7) 4 (9.) (.) (.) (.) 3 (.3) 7~ 9% 미만 43 (6.5) 43 (7.4) 4 (6.7) (4.8) (.) (.) (5.) 7 (4.) 9~ % 미만 48 (8.4) 44 (7.8) 5 (33.3) 3 (4.3) (.) (.) (5.) 5 (7.) % 4 (9.) 9 (7.7) 3 (.) (4.8)- (.) (.) (5.) 3 (.3)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83

84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3 (.) (.) (.) (66.7) (.) (33.3) (.) (.) (.) 5 (.) (.) (.) (.) (.) (.) (.) 4 (8.) (.) 6 (.) (6.3) (.5) 3 (8.8) (6.3) (.) (6.3) 4 (5.) 4 (5.) 4 (.) (4.3) (.) (4.3 (4.3) (4.3) (7.) 3 (.4) (4.3) 8 (.) (5.6) (.) (5.6) 3 (6.7) (.) 5 (7.85) 5 (7.8) (5.6) 6 (.) 3 (4.8) 8 (.9) 7 (7.4) (7.7) 8 (.9) 7 (.3) 7 (.3) (.6) 7 (.) (3.7) 3 (.) 3 (.) 6 (.) 3 (.) 7 (5.9) 4 (4.8) (.) 9 (.) (.) (.) 3 (33.3) (.) (.) 3 (33.3) (.) (.) (.) (4.5) (4.5) 7 (3.8) (9.) (4.5) 5 (.7) (9.) 3 (3.6) 4 (.) 3 (.4) (7.) (.) (.) (.) (.) 4 (8.6) 5 (35.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5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5.) (.) (.) (.) (.) (.) (.) (.) (.) (.) 6 (.) (.) (.) (.) (.) (.) (.) (6.7) 3 (5.) - (.) (.) (.) (.) (.) (.) (.) (.) (.) - 고무 - 요업 토석 - 철강 - 금속제품 - 일반기기 - 전기기기 - 수송용 기기 - 정밀기기 - 기타 제조업 비제조업 - 농림 어업 - 광업 - 상업 - 금융 보험 - 부동산 - 운수 통신 - 서비스 - 기타 비제조업 - 건설업 업 종 자료원 : 상동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85 응답 기업수 % ~ % 미만 ~ 3% 미만 3~ 5% 미만 5~ 7% 미만 7~ 9% 미만 9~ % 미만 % 75 (.) 9 (3.3) 5 (9.) 5 (8.5) 3 (.9) 35 (.7) 47 (7.) 55 (.) 3 (8.4) 58 (.) 7 (.7) 4 (9.3) 49 (9.) 9 (.) 35 (3.6) 46 (7.8) 5 (9.4) 8 (7.) 4 (.) (.) (.) (7.) (.) (4.3) 3 (.4) 5 (35.7) 3 (.4) (.) (4.8) 4 (9.)) 4 (9.) (9.5) 4 (9.) (9.5) 3 (4.3) (4.8) (.) (.) (.) (.) (.) (.) (.) (.) (.) (.) (.) (.) (.) (.) (.) (.) (.) (.) 4 (.) (.) (.) (5.) (.) (.) (.) (5.) (5.) 9 (.) (.) (6.9) 4 (3.8) 3 (.3) 7 (4.) 6 (.7) 5 (7.) (6.9) 3 (.) (.) (.) (66.7) (.) (.) (33.3) (.) (.) 5 (.) (.) (.) (.) (.) (.) (4.) (4.) (.) 7 (.) (5.9) (.8) 3 (7.6) (.) (5.9) (5.9) 5 (9.4) 4 (3.5) 6 (.) (6.3) 3 (8.8) (.5) (.) 3 (8.3) (.5) 3 (8.8) (.5) 8 (.) (.) (.) (.) 3 (6.7) (.) 5 (7.8) 7 (38.9) (5.6) 68 (.) (.9) (4.7) 5 (.) 3 (9.) (7.6) 8 (.8) 6 (8.8) (.9) 7 (.) (.) (7.4) 5 (8.5) 5 (8.5) 4 (4.8) 5 (8.5) 6 (.) (.) 9 (.) (.) (.) 4 (44.4) (.) (.) 3 (33.3) (.) (.) 5 (.) (8.) (4.) 7 (8.) (4.) (.) 8 (3.) 4 (6.) (8.) 7 (.) (.8) (5.9) (.8) (5.9) (.) (5.9) 5 (9.4) 5 (9.4) - (.) (.) (.) (.) (.) (.) (.) (.) (.) 중국 국내로부터 조달 비율(3년) 응답기업수 업 종 - 제조업 - 식료품 - 섬유 - 목재 목제품 - 펄프 紙 紙 가공 - 출판 인쇄 - 화학공업 - 고무 - 요업 토석 - 철강 - 금속제품 - 일반기기 - 전기기기 - 수송용 기기 - 정밀기기 - 기타 제조업 - 비제조업 - 농림어업 [표 -5] 3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업종별)

업 종 - 광업 - 건설업 - 상업 - 금융 보험 - 부동산 - 운수 통신 - 서비스 - 기타 비제조업 - (.) 3 (.) 6 (.) - (.) (.) (.) 6 (.) - (.) (.) (.) (6.7) (.) (.) (.) (6.7) (.) (.) (.) (6.7) (.) (.) (.) (.) (.) (.) (.) (6.7) (.) (.) (.) (6.7) (.) (.) (.) (6.7) (.) (.) (.) (.) (.) (.) (.) (.) (.) (.) (.) (.) (.) (.) (.) (.) (66.7) (.) (33.) (.) (.) (.) (.) (.) (.) (6.7) (.) (.) (.) (.) (33.3) (.) (.) (.) (.) 3 (5.) (.) 자료원 : 상동 지역별 - 연해지역과 내륙지역을 비교해 보면 내륙지역에서의 조달 비율이 높음 - <표 -6, 7>에서 보듯이 응답기업이 개 이상인 지역 내 중국 국내 조달률 7% 이상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지역은 베이징 시(7.3%), 저쟝성(5.%), 산둥성(5.%)지역이며, 반면 중국 국내 조달률 3% 이하 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은 광둥성 (56.3%), 상하이시(4.6%)로 나타남 [표 -6] 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진출지역별) 중국 국내로부터 조달 비율(년) 응답기업수 응답 기업수 6 (.) % 3 (5.) ~ % 미만 (8.4) ~ 3% 미만 5 (9.9) 3~ 5% 미만 33 (.6) 5~ 7% 미만 6 (.) 7~ 9% 미만 43 (6.5) 9~ % 미만 48 (8.4) % 4 (9.) 86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Ⅰ. 한국의 대중국 투자현황 및 특징 87 4 (.) 3 (5.4) (9.) 5 (.8) 3 (3.3) 4 (.) 4 (6.7) 4 (7.) 8 (7.5) (.) (.) (.) (9.5) (4.8) (9.5) 3 (4.3) 5 (33.3) 3 (8.6) 34 (.) (.) (.9) (9.4) 9 (6.5) 3 (8.8) 4 (.8) 5 (4.7) (5.9) 6 (.) (6.7) (.) (.) (33.3) (6.7) (.) (33.3) (.) 9 (.) (.) (.5) (.) (5.3) (5.3) 6 (3.6) 5 (6.3) 4 (.) 7 (.) 3 (7.6) (5.9) (5.9) 3 (7.6) (.8) 5 (9.4) (5.9) (5.9) 4 (.) (.) (7.) 4 (8.6) (7.) (7.) 3 (.4) 3 (.4) (7.) 44 (.) (4.5) 3 (6.8) 8 (8.) 6 (3.6) 7 (5.9) 8 (8.) 8 (8.) (4.5) 56 (.) 6 (.7) 6 (.7) 5 (6.8) 4 (7.) 7 (.5) 6 (.7) 8 (4.3) 4 (7.) (.) (.) (.) (8.3) 3 (5.) (8.3) 3 (5.) (6.7) (6.7) 6 (.) (.) (.) (33.3) (6.7) (.) (.) (33.3) (6.7) 3 (.) (3.) 8 (5.8) 8 (5.8) (6.5) (3.) 5 (6.) 5 (6.) (3.) (.) (.) (.) (.) (.) (. (. (.) (.) (.) (.) (.) (.) (.) (.) (.) (5.) (5.) (.) (.) (.) (.) (.) (.) (.) (5.) (5.) (.) (. (.) (.) (.) (5.) (.) (5.) (.) 6 (.) (.) (.) (6.7) (.) (6.7) (.) 3 (5.) (6.7) 6 (.) (.) (.) (6.7) (6.7) (.) 3 (5.) (.) (6.7)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해지역 내륙지역 - 랴오닝성 - 허베이성 - 베이징시 - 텐진시 - 산둥성 - 장쑤성 - 상하이시 - 저쟝성 - 푸젠성 - 광둥성 - 허난성 - 안후이성 - 후베이성 - 쓰촨성 - 충칭시 - 후난성 - 윈난성 - 쟝시성 - 하이난성 지 역 자료원 : 상동

- 쓰촨성 88 중국에서의 한 일기업간 산업교류현황 응답 기업수 % ~ % 미만 ~ 3% 미만 3~ 5% 미만 5~ 7% 미만 7~ 9% 미만 9~ % 미만 % 75 (.) 9 (3.3) 5 (9.) 5 (8.5)) 3 (.9) 35 (.7) 47 (7.) 55 (.) 3 (8.4) 55 (.) 9 (3.5) 5 (9.8) 49 (9.) 9 (.4) 33 (.9) 46 (8.) 47 (8.4) 7 (6.7) (.) (.) (.) (.) (5.) (.) (5.) 8 (4. 6 (3.) 38 (.) (.) (.6) (6.3) 7 (8.4) 6 (5.8) 5 (3.) 6 (5.8) 3 (7.9) 6 (.) (6.7) (.) (.) (33.3) (6.7) (.) (33.3) (.) 8 (.) (.) (.) (.) (5.6) (.) 3 (6.7) 7 (38.9) 3 (6.7) 7 (.) (.8) (.8) (5.9) (5.9) 4 (3.5) 5 (9.4) (5.9) (5.9) 4 (.) (.) (7.) (4.3) (4.3) (4.3) (4.3) 4 (8.6) (7.) 5 (.) (.) 6 (.) 9 (8.) 6 (.) 8 (6.) 9 (8.) (.) (4.) 6 (.) 5 (8.)) 6 (9.8) 5 (4.6) 5 (8.) 5 (8.) 3 (.3) 7 (.5) 5 (8.) (.) (.) (.) (.) 4 (33.3) (6.7) (6.7) (6.7) (6.7) 6 (.) (.) (.) (6.7) (6.7) (.) (33.3) (33.3) (.) 3 (.) (3.) 7 (.9) (3.3) (.) 3 (9.4) 5 (5.6) 6 (8.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5.) (.)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3년) 응답기업수 지 역 연해지역 내륙지역 - 랴오닝성 - 허베이성 - 베이징시 - 텐진시 - 산둥성 - 장쑤성 - 상하이시 - 저쟝성 - 푸젠성 - 광둥성 - 하이난성 - 허난성 - 안후이성 - 후베이성 [표 -7] 3년 중국 국내로부터의 조달 비율(진출지역별) 6 (.) (.) (.) (6.7) (6.7) (.) (.) 3 (5.) (6.7) 6 (.) (.) (.) (6.7) (.) (6.7) (6.7) (33.3) (6.7) (.) (.) (.) (.) (.) (.) (.) (.) (.) - 충칭시 - 후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