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출 문 경기콘텐츠진흥원장 귀중 본 보고서를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2월 (주)아이알씨
제1장 조사 개요 1 1. 조사 목적 3 2. 조사의 범위 3 3.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4 4. 콘텐츠산업통계 와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비교 17 5. 모집단 확정 절차 22 6. 조사 설계 24 7. 경기도 콘텐츠산업 통계산출방법 27 8. 모집단 특성 29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37 제1절 세계 콘텐츠산업 동향 39 1. 세계 콘텐츠산업 시장규모 39 2. 세계 콘텐츠산업 장르별 시장규모 40 3. 세계 콘텐츠산업 주요 전망 43 제2절 국내 콘텐츠산업 동향 53 1.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 규모 53 2.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현황 57 3.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 현황 58 4. 국내 콘텐츠산업 주요 전망 59 제3절 국내 콘텐츠산업 정책 환경 및 전망 65 1. 2013 콘텐츠산업진흥 시행계획 65 2. 경기도 콘텐츠산업진흥 정책 67 제3장 경기도 콘텐츠산업 현황 69 제1절 경기도 콘텐츠산업 총괄 현황 71 1. 2012년 조사 결과 요약 71 2. 매출 현황(업종별, 매출규모별 분포) 75 3. 비조사 대상 부문에 대한 추정 82 4. 종사자 현황 83 5. 수출 현황 92 iv
6. 2012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예상 95 7. 2013년 이후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 예상 107 제2절 업종별 현황 111 1. 출판 111 2. 만화 119 3. 음악 123 4. 게임 127 5. 영화 131 6. 애니메이션 137 7. 방송 144 8. 광고 150 9. 캐릭터 156 10. 지식정보 162 11. 콘텐츠솔루션 168 제4장 경기도 콘텐츠산업 시군별 현황 171 제1절 시군별 현황 총괄 173 1. 시군별 현황 173 제2절 시군별 업종별 상세 현황 176 1. 시군별 매출현황 176 2. 시군별 종사자 및 수출 현황 181 제3절 주요 시군별 현황 184 1. 주요 시군 조사 결과 총괄 184 2. 5대 클러스터 현황 186 3. 기타 주요 시군별 현황 196 제5장 스마트콘텐츠 및 기능성 게임 현황 199 제1절 스마트콘텐츠 현황 201 1. 스마트콘텐츠의 정의 201 2. 국내 스마트콘텐츠 시장 규모 201 3. 경기도 스마트콘텐츠 개발 현황 202 제2절 기능성 게임 현황 210 v
1. 기능성 게임의 정의 및 분류 210 2. 기능성 게임 개발 현황 210 제6장 콘텐츠산업 지원 정책 수요 213 제1절 주요 지원정책 수요 215 제2절 인력 보강 수요 221 제3절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 225 제4절 주요 건의 사항 227 제7장 결론 229 제1절 경기도 콘텐츠산업 규모와 특성 231 1. 2012년 조사결과와 세부 특성 231 부록 1 경기도 공연, 전문디자인, 소프트웨어 산업 요약 235 부록 1-1. 공연 산업 238 부록 1-2. 전문디자인 산업 251 부록 1-3. 소프트웨어 산업 257 부록 2 주요기업편람 265 부록 3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설문지 321 vi
<표 차례> [표 1-1-1] 조사 범위 3 [표 1-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연도별 비교 4 [표 1-1-3]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2011년 기준) 분류체계 5 [표 1-1-4] 콘텐츠산업통계 및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에 따른 실태조사 분류체계 적용방안 8 [표 1-1-5] 산업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전국) 18 [표 1-1-6] 2011 전국사업체조사 콘텐츠산업 관련 업종 - 경기도 20 [표 1-1-7]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에서 제외된 업종 현황 21 [표 1-1-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내용 25 [표 1-1-9] 기준연도별 조사대상 및 조사내용 비교 26 [표 1-1-10] 모집단 및 조사율 27 [표 1-1-11] 업종별 평균매출액, 표준편자, 변동계수 28 [표 1-1-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모집단 업종별 비중 29 [표 1-1-13] 연도별 조사모집단 비교 30 [표 1-1-14] 시군별 모집단 구성 31 [표 1-1-15] 모집단 기업업력 분포 32 [표 1-1-16] 조사모집단 종사자 규모별 분포 33 [표 1-1-17] 기업 형태별 모집단 구성(2011) 34 [표 1-1-18] 사업형태별 조사모집단 구성(2011) 35 [표 2-1-1] GDP 및 콘텐츠산업규모 상위 15개국 비교 41 [표 2-1-2] 세계 콘텐츠시장 규모 43 [표 2-1-3] 클라우드 컴퓨팅의 진화와 개념 48 [표 2-1-4] 플랫폼 유형 48 [표 2-1-5] 주요 사업자별 모바일 앱스토어 현황 49 [표 2-1-6] 가입자 확보 시간 비교 50 [표 2-1-7] 2012년 대표 모바일 Application 개발사(iPad, iphone, Google Play) 51 [표 2-1-8] 2012년 대표 모바일 Application 개발사(Google Play) 51 [표 2-2-1] 2008 ~ 2011년 기준 콘텐츠산업 사업체 수 53 [표 2-2-2] 콘텐츠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54 [표 2-2-3] 2008 ~ 2011년 기준 콘텐츠산업 매출액 55 [표 2-2-4] 콘텐츠산업 지역별 매출액 56 [표 2-2-5] 2008 ~ 2011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비교 57 vii
[표 2-2-6]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수 58 [표 2-2-7]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 59 [표 2-2-8] 2012년 SNG 출시일과 1천만 다운로드 달성기간 63 [표 2-3-1] 2013 콘텐츠산업 진흥계획 65 [표 2-3-2] 경기도 종합계획(2012-2020) 중 문화 관광 부문 비전 및 목표 67 [표 2-3-3]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 콘텐츠 부문 주요 업무계획 68 [표 3-1-1] 2012년 조사결과 (2011년 기준) 총괄 72 [표 3-1-2] 경기도 콘텐츠산업 평균매출액 72 [표 3-1-3] 국내 콘텐츠산업 현황 74 [표 3-1-4] 2007 ~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 규모 75 [표 3-1-5] 2010년 기준 조사대상 기업의 매출액 77 [표 3-1-6] 신규 편입 기업의 매출 현황 77 [표 3-1-7] 연도별 성장률 및 2008-2012 CAGR 78 [표 3-1-8] 경기도 콘텐츠산업 상장업체 수 79 [표 3-1-9] 경기도 콘텐츠산업 상장사 매출 규모 80 [표 3-1-10] 100억 원 이상 기업의 매출 현황 81 [표 3-1-11] 비조사 대상 업종에 대한 추정 82 [표 3-1-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업종별 종사자 83 [표 3-1-13] 매출 구간별 종사자 현황 84 [표 3-1-14] 종사자 구간별 현황 85 [표 3-1-15] 상장기업 업종별 종사 현황 86 [표 3-1-16] 매출 100억 원 이상 기업 종사자 분포 87 [표 3-1-17] 기업업력에 따른 종사자 현황 88 [표 3-1-18] 기업형태별 종사자 현황 88 [표 3-1-19] 사업형태별 종사자 현황 88 [표 3-1-20] 산업별 종사자 구성비 89 [표 3-1-21] 경기도 콘텐츠산업 기업규모에 따른 종사자 구성 90 [표 3-1-22] 경기도 콘텐츠산업 종사자 성별 구성 90 [표 3-1-23] 경기도 콘텐츠산업 종사자 직무별 구성 91 [표 3-1-24] 경기도 콘텐츠 수출 현황 92 [표 3-1-25] 매출 구간별 콘텐츠 수출액 93 [표 3-1-26] 종사자 구간별 콘텐츠 수출액 93 [표 3-1-27] 기업업력별 수출액 94 [표 3-1-28] 기업형태별 수출액 94 [표 3-1-29] 사업형태별 수출액 94 viii
[표 3-1-30] 2012년 기준 경기도 콘텐츠산업 예상 규모 95 [표 3-1-31]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평균매출액 96 [표 3-1-32] 경기도 콘텐츠산업 상장사 매출 규모 97 [표 3-1-33] 100억 원 이상 기업의 매출 현황 98 [표 3-1-34] 2012년 기준 경기도 콘텐츠산업 업종별 종사자 99 [표 3-1-35] 매출 구간별 종사자 현황(2012) 100 [표 3-1-36] 종사자 구간별 현황(2012) 101 [표 3-1-37] 2012 상장기업 업종별 종사자 현황 102 [표 3-1-38] 2012년 매출 100억원 이상 기업 종사자 분포 103 [표 3-1-39] 기업업력별 종사자 현황(2012) 104 [표 3-1-40] 기업형태별 종사자 현황(2012) 104 [표 3-1-41] 사업형태별 종사자 현황(2012) 105 [표 3-1-42] 2012 업종별 종사자 구성 105 [표 3-1-43] 시군별 2012 예상 종사자 현황 106 [표 3-1-44] 2013 예상매출액 - 업종별 107 [표 3-1-45] 2013 예상매출액 - 매출 구간별 108 [표 3-1-46] 2013 예상매출액 - 종사자 구간별 108 [표 3-1-47] 시군별 2013 매출 예상 109 [표 3-1-48] 2015년 매출 추정 110 [표 3-2-1] 연도별 도서 발행 종수 및 부수 추이 115 [표 3-2-2] 전국 출판 산업 소분류 매출액 116 [표 3-2-3] 경기도 출판산업 소분류 매출액 117 [표 3-2-4] 경기도 내 신문사 현황(2010년 기준) 118 [표 3-2-5] 국내 만화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19 [표 3-2-6] 만화 소분류 매출액 122 [표 3-2-7] 국내 음악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23 [표 3-2-8] 음악 소분류 매출액 126 [표 3-2-9] 국내 게임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27 [표 3-2-10] 세계 게임시장 규모 추이 및 전망 128 [표 3-2-11] 앱 마켓 별 모바일 게임 Application 등록 현황 130 [표 3-2-12] 게임 소분류 매출액 130 [표 3-2-13] 국내 영화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31 [표 3-2-14] 전국 영화상영 현황 135 [표 3-2-15] 영화 소분류 매출액 136 [표 3-2-16] 국내 애니메이션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37 [표 3-2-17] 애니메이션 소분류 매출액 143 ix
[표 3-2-18] 국내 방송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44 [표 3-2-19] 디지털 TV 서비스 비교 146 [표 3-2-20] 방송 소분류 매출액 149 [표 3-2-21] 국내 광고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50 [표 3-2-22] 광고 소분류 매출액 155 [표 3-2-23] 국내 광고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56 [표 3-2-24] 캐릭터 소분류 매출액 160 [표 3-2-25] 국내 지식정보 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62 [표 3-2-26] 지식정보 소분류 매출액 167 [표 3-2-27] 국내 콘텐츠솔루션 산업 업종별 매출 현황 168 [표 3-2-28] 콘텐츠솔루션 소분류 매출액 169 [표 4-1-1] 시군별 기업수 구성 173 [표 4-1-2] 시군별 조사 총괄 현황 175 [표 4-2-1] 시군별 업종별 매출현황(1) 176 [표 4-2-2] 시군별 업종별 매출액(2) 177 [표 4-2-3] 매출 100억 원 이상 기업 지역별, 업종별 분포(1) 179 [표 4-2-4] 매출 100억원 이상 기업 지역별, 업종별 분포(2) 180 [표 4-2-5] 시군별 종사자 수 총괄 181 [표 4-2-6] 시군별 업종별 종사자 현황 182 [표 4-2-7] 시군별 콘텐츠 수출액 183 [표 4-3-1] 주요 시군 조사 결과 184 [표 4-3-2] 성남시 연도별 비교 186 [표 4-3-3] 성남시 콘텐츠산업 현황 187 [표 4-3-4] 파주시 연도별 비교 188 [표 4-3-5] 파주시 콘텐츠산업 현황 189 [표 4-3-6] 고양시 연도별 비교 190 [표 4-3-7] 고양시 콘텐츠산업 현황 191 [표 4-3-8] 안양시 연도별 비교 192 [표 4-3-9] 안양시 콘텐츠산업 현황 193 [표 4-3-10] 부천시 연도별 비교 194 [표 4-3-11] 부천시 콘텐츠산업 현황 195 [표 4-3-12] 기타 시군별 업종별 현황 196 [표 4-3-13] 2010년 및 2011년 기타 주요 시군 주요 지표 비교 198 [표 5-1-1] 스마트 콘텐츠 개발 분야 및 건수 202 x
[표 5-1-2] 업종별 스마트콘텐츠 개발 건수 203 [표 5-1-3] 스마트콘텐츠 매출 규모별 개발건수 204 [표 5-1-4] 스마트콘텐츠 종사자 규모별 개발건수 204 [표 5-1-5] 분야별 스마트콘텐츠 누적 다운로드 수 204 [표 5-1-6] 업종별 스마트콘텐츠 누적 다운로드 수 205 [표 5-1-7] 매출 규모별 스마트콘텐츠 누적 다운로드 수 206 [표 5-1-8] 종사자 규모별 스마트콘텐츠 누적 다운로드 수 206 [표 5-1-9] 스마트콘텐츠 업종별 수익 207 [표 5-1-10] 스마트콘텐츠 매출 규모별 수익 207 [표 5-1-11] 스마트콘텐츠 종사자 규모별 수익 208 [표 5-1-12] 스마트콘텐츠 분야별 유통채널 현황 208 [표 5-1-13] 업종별 스마트콘텐츠 유통채널 이용 현황 209 [표 5-2-1] 기능성게임 수익 - 게임용도별 210 [표 5-2-2] 기능성게임 업종별 수익 211 [표 5-2-3] 기능성게임 매출 규모별 수익 211 [표 5-2-4] 기능성게임 종사자 규모별 수익 211 [표 6-1-1] 업종별 지원 정책 수요 215 [표 6-1-2] 매출규모별 지원 정책 수요 217 [표 6-1-3] 종사자 규모별 지원 정책 수요 219 [표 6-2-1] 업종별 인력 보강 필요 직무 221 [표 6-2-2] 인력 보강 필요 직무 - 기업규모별 221 [표 6-2-3] 인력보강 필요 직무 - 종사자 규모별 222 [표 6-2-4] 지역별 인력보강수요 223 [표 6-2-5] 업종별 인력 교육수요 224 [표 6-3-1]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 - 업종별 225 [표 6-3-2]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 - 매출 규모별 225 [표 6-3-3]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 - 종사자 규모별 226 [표 6-3-4]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정책 수요 - 지역별 226 [표 6-4-1] 주요 건의 사항 227 [표 7-1-1] 2012년 조사결과 총괄 231 [표 7-1-2] 2007~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 규모 232 [표 7-1-3] 업종별 누적 점유율 233 [표 7-1-4] 온라인/모바일 관련 매출 현황 234 xi
<그림 차례> [그림 1-1-1]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 생성과정 17 [그림 1-1-2] 전국사업체조사, 콘텐츠산업통계, 경기도콘텐츠산업실태조사 비교 19 [그림 1-1-3] 모집단 확정 절차 22 [그림 1-1-4] 조사연도별 조사모집단 비교 23 [그림 1-1-5] 2011 경기도 콘텐츠 기업 업종별 비중 29 [그림 1-1-6] 조사 기준 연도별 업종별 경기도 콘텐츠 기업 수 30 [그림 1-1-7] 응답기업 기준 기업업력 구성비(%) 32 [그림 1-1-8] 출판 및 게임 산업 기업업력 비중 비교 33 [그림 1-1-9] 종사자 규모별 모집단 구성비 33 [그림 1-1-10] 출판 및 게임 산업 기업형태 구성비 비교 34 [그림 2-1-1] 미ㆍ영ㆍ한 콘텐츠산업 분류 40 [그림 2-1-2] 디지털 단말기 출하량 45 [그림 2-1-3] 글로벌 디지털 콘텐츠 매출 비중 46 [그림 2-1-4] 유무선 브로드밴드 가입자 추이 47 [그림 2-1-5] 플랫폼 생태계 48 [그림 2-1-6] 전 세계 모바일 앱스토어 앱 다운로드 수 50 [그림 2-2-1] 국내 콘텐츠산업 규모와 성장률 55 [그림 2-2-2] 국내 콘텐츠산업의 현황과 전망 59 [그림 3-1-1] 기업당 평균매출액 vs 종사자 1인당 평균매출액 73 [그림 3-1-2] 전국 vs 경기도 콘텐츠기업 평균 매출액 74 [그림 3-1-3] 경기도 콘텐츠산업 업종별 매출 구성비(%) 76 [그림 3-1-4]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 변화 추이 76 [그림 3-1-5] 2008-2012 업종별 CAGR(%) 79 [그림 3-1-6] 경기도 콘텐츠산업 매출액 vs 경기도 콘텐츠산업 상장사 매출액 80 [그림 3-1-7] 경기도 콘텐츠산업 종사자 업종별 구성비(%) 83 [그림 3-1-8] 매출 구간별 종사자 구성비(%) 84 [그림 3-1-9]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구성비(%) 85 [그림 3-1-10] 상장기업 종사자 및 업종 내 비중 86 [그림 3-1-11] 매출 100억 원 이상 기업의 업종 내 종사자 비중(%) 87 [그림 3-1-12] 업종별 정규직, 비정규직, 프리랜서 구성비 89 [그림 3-1-13] 업종별 남녀 종사자 구성비 91 xii
[그림 3-1-14] 업종별 직무별 종사자 비중 92 [그림 3-1-15] 2012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예상매출액 업종별 구성비(%) 95 [그림 3-1-16] 기업당 평균매출액 vs 종사자 1인당 평균매출액(2012) 96 [그림 3-1-17] 2012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예상 매출액 및 상장사 예상 매출액 비교 98 [그림 3-1-1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예상매출액 및 매출 100억원 이상 기업 매출 비교 99 [그림 3-1-19] 2012년 경기도 콘텐츠산업 업종별 종사자 구성비 100 [그림 3-1-20] 2012년 매출 구간별 종사자 구성비 101 [그림 3-1-21] 2012년 종사자 규모 구간별 구성비 102 [그림 3-1-22] 2012년 상장사 종사자 현황 103 [그림 3-1-23] 2012 매출 100억원 이상 기업 업종별 종사자 구성비(%) 104 [그림 3-1-24] 2013 예상 매출액 업종별 비중(%) 107 [그림 3-1-25] 2011년 vs 2015년 매출 비교 110 [그림 3-2-1] 디지털화에 따른 출판 산업의 가치사슬 변화 111 [그림 3-2-2] 전자출판 수급 형태 112 [그림 3-2-3] 출판업(중분류, 전국) 소분류 구성비 116 [그림 3-2-4] 경기도 출판산업 소분류 매출비중 117 [그림 3-2-5] 경기도 만화산업 매출 구성비 122 [그림 3-2-6] 오프라인 음악과 디지털음악 가치사슬 비교 125 [그림 3-2-7] 경기도 음악산업 구성비 126 [그림 3-2-8] 국내 온라인/모바일 게임시장 전망 129 [그림 3-2-9] 경기도 게임산업 구성비 131 [그림 3-2-10] 경기도 영화산업 구성비 136 [그림 3-2-11] 경기도 애니메이션 소분류 매출 비중 143 [그림 3-2-12] 경기도 방송산업 구성비 149 [그림 3-2-13] 온라인 광고 산업 규모(억원) 151 [그림 3-2-14] 국내 온라인, 모바일 광고 시장 전망 154 [그림 3-2-15] 경기도 광고산업 구성비 155 [그림 3-2-16] 경기도 캐릭터산업 소분류 매출 비중 160 [그림 3-2-17] 경기도 지식정보 산업 소분류 매출 비중 167 [그림 3-2-18] 국내 콘텐츠솔루션 산업 매출 구성비 168 [그림 3-2-19] 경기도 콘텐츠솔루션 산업 구성비 169 [그림 4-1-1] 경기도 시군별 콘텐츠산업 현황 174 [그림 4-3-1] 5대 클러스터 주요 지표별 비중 184 xiii
[그림 4-3-2] 성남시 콘텐츠산업 매출액 변화 추이 186 [그림 4-3-3] 성남시 콘텐츠산업 종사자 변화 추이 187 [그림 4-3-4] 성남시 콘텐츠산업 구성비 187 [그림 4-3-5] 파주시 콘텐츠산업 매출액 변화 추이 188 [그림 4-3-6] 파주시 콘텐츠산업 종사자 변화 추이 188 [그림 4-3-7] 파주시 콘텐츠산업 업종별 매출 구성비 189 [그림 4-3-8] 고양시 콘텐츠산업 매출액 변화 추이 190 [그림 4-3-9] 고양시 콘텐츠산업 종사자 변화 추이 190 [그림 4-3-10] 고양시 콘텐츠산업 업종별 매출 구성비 191 [그림 4-3-11] 안양시 콘텐츠산업 매출액 변화 추이 192 [그림 4-3-12] 안양시 콘텐츠산업 종사자 변화 추이 192 [그림 4-3-13] 안양시 콘텐츠산업 업종별 매출 구성비 193 [그림 4-3-14] 부천시 콘텐츠산업 매출액 변화 추이 194 [그림 4-3-15] 부천시 콘텐츠산업 종사자 변화 추이 194 [그림 4-3-16] 부천시 콘텐츠산업 업종별 매출 구성비 195 [그림 5-1-1] 국내 스마트콘텐츠 시장 매출 구성 201 [그림 5-1-2] 업종별 스마트콘텐츠 개발 건수 비중(%) 203 [그림 5-1-3] 업종별 스마트콘텐츠 누적 다운로드 비중(%) 205 xiv
<보고서 이용 안내> 1. 본 보고서는 2011년 12월을 기준으로 경기도 내 콘텐츠 기업의 일반현황 등에 관한 기초 통계자료를 조사ㆍ분석한 결과임 2. 분류체계는 콘텐츠산업통계조사(문화체육관광부)의 분류체계에 따라 11개 분야(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에 속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공연, 전문디자인, 소프트웨어 부문은 산업에 대한 단계적 검토를 거친 후, 도입 여부를 결정할 예정으로 타 조사결과를 인용함 3. 본 보고서에 수록된 통계수치는 설문조사 결과 및 2차 자료인용, 무응답 대체로 이루 어짐. 매출액, 종사자 수는 설문조사, 2차 자료인용, 무응답 대체를 통해 작성되었으며, 수출액은 설문조사와 2차 자료인용으로 작성됨. 그 외 조사결과는 실태조사 결과를 그 대로 집계한 수치이며, 실태조사 응답기업 수는 2011년 기준 686개이며, 2차 자료조 사를 통해 579개 기업에 대한 주요 항목(매출액), 종사자, 수출액)에 대한 내용을 확 보하여 총 1,265개 기업을 조사함 4. 통계표에 관한 특기사항은 통계표 하단에 로서 표시하였으며 자료 출처도 명기하였음 5. 본 통계자료의 수치는 반올림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6. 통계표 중에서 사용된 부호의 뜻은 다음과 같음 0 : 0.0단위 미만, - : 해당없음, : 감소, p : 잠정치, E : 추정치 7. 통계표에 사용된 기업수 는 해당 업종의 경기도 콘텐츠기업 수를 뜻하며, 사례 수 는 복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영위업종 1개를 하나의 사례수로 간주하여 집계된 것으로 통계 내용에 따라 기업수 와 사례수 의 합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8.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2011년 기 준, 경기콘텐츠진흥원) O페이지에서 전재 또는 역재 라고 기재해야함 9. 본 보고서에 대한 문의는 경기콘텐츠진흥원 전략기획팀으로 문의바람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2. 조사의 범위 3.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4. 콘텐츠산업통계 와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비교 5. 모집단 확정 절차 6. 조사 설계 7. 경기도 콘텐츠산업 통계산출방법 8. 모집단 특성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콘텐츠산업의 최근 환경변화 및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객관성 있는 통계를 확 보함으로써 경기도 콘텐츠 육성정책의 근거자료 확보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콘텐츠 산업의 전통적 개념 및 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업종 간 경 계 또한 모호해지고 있는 실정에서 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의에 따른 통계작성을 통하여 실 증적으로 지역 내 산업을 파악하기 위해서임 지역 콘텐츠 사업자를 위한 정보제공 지역 내 신규 시장참여자나 가치사슬을 높이기 위한 전후방 사업통합을 원하는 사업자들에 게 콘텐츠 시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시장 실패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관련 기 업 간 상생기반을 마련하기 위함 자료의 신뢰성과 객관성, 일관성 제고 최근 콘텐츠산업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국단위 총량통계분석으로는 지역 단위 전략적 정책방향 수립 시 애로점 발생 정부정책의 일관성과 객관성 제고 차원에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콘텐츠산업 통계조사와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경기도 콘텐츠산업 특색을 반영하는 자료의 구축이 시급 2. 조사의 범위 [표 1-1-1] 조사 범위 구분 내용 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2011년 12월 31일 기준 경기도 내에 본사 또는 지사, 연구소, 공장, 물류기지 등을 설치하여 콘텐츠 산업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함 경기도 내 콘텐츠기업의 실태파악, 분야별 동향 분석, 지역별 현황 분석 제1장 조사 개요 3
3.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는 기본적으로 2012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 계(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를 따르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전문디자인, 소프트 웨어의 산업에 한해서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통계청)을 근간으로 함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와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 간 중복되는 부분은 콘텐츠산업통계 분류 체계의 기준을 따름 (예 : 캐릭터 디자인은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따른 시각디자인 에 포 함시키지 않고,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를 따른 캐릭터 에 포함)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 중 콘텐츠 창작ㆍ개발ㆍ생산이 아닌 도ㆍ소매, 유통, 판매만을 영위하 는 분류는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에서 제외함. 단, 온라인 및 모바일 도ㆍ소매, 유통, 판매는 포함 (예 : 인쇄업, 노래연습장업, 컴퓨터게임방운영업, 전자게임장운영업 등 제외) 전문디자인, 소프트웨어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의 분류를 도 현황에 맞게 재구성함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는 11개 대분류인 1.출판, 2.만화, 3.음악, 4.게 임, 5.영화, 6.애니메이션, 7.광고, 8.방송, 9.캐릭터, 10.지식정보, 11.콘텐츠솔루션, 12.공연 산업, 13.전문디자인, 14.소프트웨어으로 구성함 12.공연산업, 13.전문디자인업, 14.소프트웨어는 문헌조사를 통해 타 조사 결과를 인용하였고 단계적 적용을 통해 검토를 거친 후 본격 도입할 예정임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산업 분류 기준 분류수 출판 출판 출판 출판 출판 만화 만화 만화 만화 만화 음악 음악 음악 음악 음악 게임 게임 게임 게임 게임 영화 영화 영화 영화 영화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방송 방송 방송 방송 방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캐릭터 캐릭터 캐릭터 캐릭터 캐릭터 에듀테인먼트 지식정보콘텐츠 정보서비스업 지식정보 지식정보 07년 문화산업통계 분류기준 10개 대분류 39개 중분류 [표 1-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연도별 비교 문화부, 09년 문화 산업통계 분류기준 10개 대분류 47개 중분류 통계청, 콘텐츠 산업특수분류체계 10개 대분류 24개 중분류 콘텐츠솔루션 문화부 콘텐츠산업 통계 분류기준 11개 대분류 33개 중분류 콘텐츠솔루션 공연 전문디자인 소프트웨어 문화부 콘텐츠산업 통계분류기준 14개 대분류 41개 중분류 100개 소분류 4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표 1-1-3]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2011년 기준) 분류체계 파란색 글자 : 2012년 신규 추가된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출판 산업 만화 산업 음악 산업 게임 산업 영화 산업 애니메이션 산업 출판업 온라인출판 유통업 만화출판업 온라인 만화제작 유통업 음악제작업 음악 및 출판업오디오물 온라인음악유통업 음악공연업 게임 제작 및 배급업 영화 제작 및 지원, 유통업 DVD/VHS 제작 및 유통업 애니메이션제작업 애니메이션 유통 및 배급업 온라인애니메이션유통업 서적출판업 교과서 및 학습서적출판업 신문발행업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업 정기광고간행물발행업 기타인쇄물 출판업 인터넷/모바일 전자출판제작업 인터넷/모바일 전자출판서비스업 인터넷서점(만화제외) 만화출판사(만화잡지, 일일만화, 코믹스등) 일반출판사(만화부문) 인터넷/모바일만화콘텐츠제작및제공(CP) 인터넷 만화콘텐츠 서비스 모바일 만화콘텐츠 서비스 음악기획 및 제작업 음반(음원)녹음시설 운영업 음악오디오물출판업 기타오디오물 제작업 모바일음악 서비스업 인터넷음악 서비스업 음원대리중개업 인터넷/모바일 음악콘텐츠제작및 제공업(CP) 음악공연기획 및 제작업 게임 기획 및 제작업 게입배급업 영화기획 및 제작 영화수입 영화제작지원 영화배급 영화홍보 및 마케팅 영화투자조합 DVD/VHS 제작 온라인상영 애니메이션 창작 제작업 애니메이션 하청 제작업 온라인 (인터넷 모바일) 애니메이션제작업 애니메이션 유통, 배급 및 홍보업 온라인애니메이션서비스업 (인터넷,모바일) 제1장 조사 개요 5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지상파방송 지상파 방송사업자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유선방송 중계유선방송 사업자 음악유선방송 사업자 방송 산업 광고 산업 캐릭터산업 위성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 전광판방송 방송영상물제작업 인터넷영상물제공업 방송영상물배급 및 중개업 광고(종합)대행업 광고제작업 서비스업 온라인업 캐릭터제작업 캐릭터상품온라인유통업 일반위성방송 사업자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방송채널사용 사업자 전광판방송 사업자 방송영상독립제작사 인터넷방송 영상물서비스업 인터넷TV방송업 인터넷프로토콜 TV(IPTV) 방송영상물 배급업 방송영상물 중개업 기타방송영상물 서비스업 광고대행 매체대행 광고기획 전략대행 CM 영상 카피 그래픽제작 온라인제작 광고사진스튜디오 CI (Commercial Identity) 제작 마케팅 리서치 PR (Public Relations) SP (Sales Promotion) 이벤트 공간디자인 광고대행 매체대행 광고기획 전략대행 광고제작 캐릭터개발 및 라이선스업 캐릭터상품제조업 인터넷 및 모바일캐릭터 서비스업 6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e-learning기획업 e-learning업 e-learning 인터넷/모바일 제작 및 서비스업 인터넷/모바일 e-learning 제작 및 제공업(CP) 지식정보 산업 콘텐츠솔루션 산업 공연 산업 (음악공연제외) 전문디자인 산업 소프트웨어 산업 기타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제 공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 비스업 가상세계 및 가상현실업 콘텐츠솔루션업 컴퓨터그래픽스 (CG) 제작업 공연업 공연관련 서비스업 전문디자인업 시스템ㆍ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구축 및 관리업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스업 에듀테인먼트 기획 및 제작업 기타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제공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 스크린골프 시스템 기획 및 제작업 기타 가상세계 및 가상현실 기획 및 제작업 저작툴 콘텐츠보호 모바일솔루션 콘텐츠관리시스템 (CMS) 기타 컴퓨터그래픽스(CG) 제작업 공연기획 및 제작업 공연시설 운영업 공연 및 제작관련 대리업 매니저업 인테리어 디자인업 제품 디자인업 시각 디자인업 기타 전문 디자인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컴퓨터시설 관리업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스업 제1장 조사 개요 7
[표 1-1-4] 콘텐츠산업통계 및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에 따른 실태조사 분류체계 적용방안 흰색 :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기준 회색 :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속하는 분류이나 경 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에서 제외함. 콘텐츠 창작ㆍ개발ㆍ생산이 아닌 도ㆍ소매, 유통, 판매(온라인/모바일 도ㆍ소매, 유통, 판매 제외)만을 영위하는 분류 하늘색 : 한국표준산업분류(통계청) 기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서적출판업 신문 및 잡지, 교과서(학습서적), 정기간행물을 제외한 각종 서적 과 서적 성격의 팜플렛을 출판하는 사업체 교과서 및 학습 서적출판업 초등, 중등, 고등, 대학교 교과서 및 어린이 학습지 등의 서적 출 판을 하는 사업체 출판업 신문발행업 잡지 및 정기간 행물 발행업 사회전반을 다루는 것을 말하지만, 일간, 주간, 순간으로 발행(기 관지, 전문지, 일반상업지)하는 사업체 전문적인 내용 또는 일반적인 내용에 관한 주간, 순간, 월간, 연 간 등의 잡지 및 정기간행물 등을 발행하는 사업체 정기광고간행물 발행업 부동산, 중고품 등 각종 상품 거래 안내, 산업활동 안내, 구인 구 직 등에 관한 정기적인 광고간행물을 발행하는 사업체 기타인쇄물 출판업 위의 소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서적 또는 인쇄물을 출판하는 사업 체 출판 산업 인쇄업 서적 및 잡지류 도매업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하여 각종 출판물을 각종 제판술에 의하여 인쇄하는 사업체 (광고물 제외) 각종 서적 및 잡지류를 도매하는 사업체(만화 제외) 출판도소매업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 각종 서적 및 잡지류를 소매하는 사업체(만화 제외) 계약배달판매업 (신문배달판매) 신문 및 정기간행물을 배달하는 사업체 온라인출판 유통업 인터넷/모바일 전자출판제작업 인터넷/모바일 전자출판 서비스업 단행본, 간행물, 전자출판물을 별도의 뷰어 혹은 플레이어를 설치 또는 실행하여 볼 수 있도록 제작하는 사업체(e-book제작 등) 출판물을 전산화하여 제작된 전자출판물을 서비스하는 사업체 인터넷서점 (만화제외) 오프라인 서점이 아닌 인터넷상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사업체 출판임대업 서적임대 (만화제외) 각종 서적, 정기간행물, 잡지 등 인쇄기록물을 임대하는 사업체 (만화 제외) 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만화출판업 만화출판사(만화 잡지, 일일잡지, 코믹스등) 일반출판사 (만화부문) 만화잡지를 포함하여 만화도서를 전문으로 발간하는 출판사 일반 도서를 발간하는 출판사 중 만화도서(학습/교양만화 포함)를 발간하는 출판사(일반 출판사의 만화 출판) 인터넷/모바일만 화콘텐츠제작및 제공(CP) 단행본 만화, 만화잡지 등을 인터넷/모바일에 제공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사업체 온라인 만화제작 유통업 인터넷 만화콘텐츠 서비스 단행본 만화 또는 만화잡지 등이 전자출판물 형태로 제작된 콘텐 츠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는 업체 만화 산업 모바일 만화콘텐츠 서비스 단행본 만화 또는 만화잡지 등이 전자출판물 형태로 제작된 콘텐 츠를 모바일로 서비스하는 업체 만화책임대업 만화임대 (만화방, 만화카페 등) 만화방, 만화카페 등 소비자가 점포안에서 만화책을 유료로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대여하는 사업체 서적임대(대여) (만화부문) 각종만화서적, 만화잡지 등을 임대만 하는 사업체(장소제공 안됨) 만화서적 및 잡지류 도매 각종 만화서적 및 만화잡지류를 도매하는 사업체 만화도소매업 만화서적 및 잡 지류 소매 각종 만화서적 및 만화잡지류를 소매하는 사업체 인터넷서점 (만화부문) 오프라인 서점이 아닌 인터넷상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사업체 (만 화만 해당) 음악제작업 음악기획 및 제작업 음반(음원)녹음 시설 운영업 음반 및 음원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업체(CP제외) (음원제작 및 관련 비즈니스업을 수행하는 업체) 음반 또는 음원을 녹음할 수 있는 시설을 운영하는 업체 음악 산업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음악오디오물 출판업 기타오디오물 제작업 음악관련 악보를 출판하는 업체 기타 오디오물을 제작하는 업체(출판관련) 음반배급 및 복제업 음반복제업 음반배급업 음반을 복제하는 사업체 음반을 도소매업 사업체에게 배급하는 사업체 제1장 조사 개요 9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음반도매업 음반을 도매하는 사업체 음반 도소매업 음반 소매업 음반을 소매하는 사업체 인터넷 음반소매업 오프라인 음반매장이 아닌 인터넷상에서 음반을 판매하는 사업체 모바일음악 서비스업 음원대리 중개업체로부터 음원을 양도받아 모바일로 서비스하는 사업체 온라인음악 유통업 인터넷음악 서비스업 음원대리 중개업 음원대리 중개업체로부터 음원을 양도받아 인터넷으로 서비스하 는 사업체 음원저작권자로부터 음원의 권리를 양도받아 온라인 상으로 중개 하는 사업체 인터넷/모바일 음악콘텐츠제작 및 제공업(CP) 음원을 제작하여 모바일 음악서비스 업체 및 인터넷 음악서비스 업체에 제공하는 사업체 음악공연업 음악공연기획 및 제작업 기타음악공연 서비스업 음악공연(뮤지컬, 대중음악, 클래식, 오페라, 전통공연 등)을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단, 연극은 제외) 음악공연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티켓발매등) 노래연습장업 노래연습장업 연주자를 두지 아니하고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또는 무영상 반주장치 등의 시설을 갖춘 사업체 게임 제작 및 배급업 게임 기획 및 제작업 게임 배급업 게임을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 제작된 게임을 배급하는 사업체 게임 산업 게임유통업 컴퓨터게임방 운영업 전자게임장 운영업 게임기 도소매업 인터넷 또는 시디롬 등에 의한 컴퓨터 게임을 제공하는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체(PC방) 컴퓨터가 아닌 전자게임기를 갖춘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체(싱글 로케이션 포함) 게임기를 도매 또는 소매하는 사업체 게임 도소매 및 임대업 게임 소프트웨어 도소매업 게임기 임대업 게임 소프트웨어를 도매 또는 소매하는 사업체 (CD, DVD, 파일 등) 게임기를 임대하는 사업체 게임 스프트웨어 임대업 게임 소프트웨어를 임대하는 사업체 (CD, DVD, 파일 등) 10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영화기획 및 제작 일반 영화를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일반 영화/제작) 영화 제작 및 지원, 유통업 영화수입 영화제작지원 영화배급 해외 영화를 수입하는 사업체 일반 영화제작에 관련된 필름가공, 필름의 편집, 더빙, 필름검사 등 제작 후 서비스를 하는 사업체 일반 영화 배급권을 획득하고, 영화관, 방송사 및 기타 상영자에 게 배급하는 사업체 극장상영 실내 또는 야외에서 영사시설을 갖추고 영화를 상영하는 사업체 영화홍보 및 마케팅 일반 영화를 홍보 및 마케팅하는 사업체 영화 산업 영화투자조합 DVD/VHS 제작 영화제작을 위해 개인 또는 단체가 출자하여 설립한 조합 영화 DVD/VHS를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비디오 영화) DVD/VHS 도매 DVD/VHS를 도매하는 사업체 DVD/VHS 제작 및 유통업 DVD/VHS 소매 DVD/VHS 대여 DVD/VHS 상영 온라인상영 DVD/VHS를 소매하는 사업체 영화 DVD/VHS를 구입하여 대여하는 사업체(게임물 제외) DVD/VHS를 구입하여 모니터, TV, 프로젝터 등을 이용하여 비디 오물 감상실을 운영하는 사업체 인터넷/모바일을 통해 영화를 서비스하는 사업체 애니메이션 창작 제작업 창작 애니메이션 기획 및 직접 제작하는 사업체 애니메이션 제작업 애니메이션 하청 제작업 애니메이션을 외주제작, 주문제작 및 재하청하는 사업체 애니 메이션 산업 온라인 (인터넷 모바일) 애니메이션 제작업 인터넷용/모바일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사업체 애니메이션 유통 및 배급업 온라인 애니메이션 유통업 애니메이션 유통, 배급 및 홍보 온라인 애니메이션 서비스업 (인터넷,모바일) 극장용, 방송용, 홈비디오용 애니메이션을 유통, 홍보, 마케팅 및 홍보하는 사업체 애니메이션을 인터넷 및 모바일로 서비스하는 사업체(애니메이션 만 해당) 제1장 조사 개요 11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지상파방송 지상파 방송사업자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사업자 방송을 목적으로 하는 지상의 무선국을 관리 운영하며 이를 이용 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체(TV, 라디오) 이동 중 수신을 주목적으로 다채널을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송신 하는 방송을 행하는 지상파방송 사업체(지상파 DMB)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다채널방송을 행하기 위한 유선방송국 설비를 관리 ー운영하며 전 송 ー선로설비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체(종합유선) 유선방송 중계유선방송 사업자 지상파방송을 중계 및 송신하는 사업체(중계유선) 음악유선방송 사업자 음반, 비디오물, 게임 등에 수록된 음악을 송신하는 사업체(음악 유선) 위성방송 일반위성방송 사업자 위성이동 멀티미디어방송 사업자 인공위성의 무선설비를 소유 또는 임차하여 무선국을 관리 운영 하며 이를 이용하여 방송을 행하는 사업체 이동 중 수신을 주목적으로 다채널을 이용하여 복합적으로 송신 하는 방송을 행하는 위성방송 사업체 방송채널 사용사업 방송채널사용 사업자 지상파방송 사업자, 종합유선방송 사업자 또는 위성방송 사업자 와 특정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을 체결 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체(일반, 홈쇼핑, 데이터) 방송 산업 전광판방송 방송영상물 제작업 전광판방송 사업자 방송영상독립 제작사 상시 또는 일정기간 계속하여 전광판에 보도를 포함하는 방송프 로그램을 표출하는 사업을 행하는 사업체 재정적인 지원이나 제작 설비 등을 방송 사업자 측에 의존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TV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사업체 인터넷방송 영상물 서비스업 방송영상물을 콘텐츠화 하여 인터넷으로 서비스하는 사업체 인터넷영상물 제공업 인터넷TV 방송업 방송영상물을 인터넷으로 실시간 또는 재방송하는 사업체 인터넷 프로토콜 TV(IPTV)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서비스 사 업체 방송영상물 배급업 방송영상물 배급권을 획득하고, 방송사에 배급하는 사업체 방송영상물배급 및 중개업 방송영상물 중개업 방송영상물 저작권자, 방송사 및 방송영상물을 방영하고자하는 사업체 간에 계약이 성사되도록 조정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 체(방송영상물 중개) 기타방송 영상물 서비스업 기타 방송영상물을 서비스하는 사업체 방송영상산업 직능단체 방송영상산업 관련 업무를 영위하는 협회 및 단체 방송관련단체 방송영상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 방송영상산업 관련 인력을 양성 또는 교육시키는 기관 12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광고(종합) 대행업 광고대행 매체대행 광고기획 전략대행 광고주를 대신하여 광고물을 기획하고 이에 따라 광고물을 제작 하며, 제작된 광고물을 매체와 접촉하여 매체집행을 하는 사업체 광고활동을 계획하거나, 카피, 매체 등 종합적인 광고 캠페인의 기본방향을 수립하는 사업체 CM 영상 카피 그래픽제작 광고메시지, 광고물, 광고그래픽 등을 제작하는 사업체 광고제작업 온라인제작 광고사진 스튜디오 배너(Banner), 이벤트페이지, 웹사이트 등 각종 온라인 광고물을 제작하는 사업체 광고를 목적으로 제작된 사진촬영, 신문, 잡지, 포스터 광고 촬영 및 카탈로그 촬영을 하는 사업체 CI(Commercial Identity) 제작 기업의 상징, 마크, 로고타이프, 기업컬러 등을 제작하는 사업체 (광고문안 CI 작성) 마케팅 리서치 마케팅 활동의 기획, 수정 및 평가를 위해 내부 및 외부 정보 수 립하여 분석하는 사업체(광고산업 마케팅 리서치) PR(Public Relations)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중의 이해와 호감을 얻고자 행하는 여러 가지 활동의 업무(홍보, 행사, 행사 기획, 홍보물제작 등)를 전문으로 행하는 사업체(광고 PR) 광고 산업 서비스업 SP(Sales Promotion) 이벤트 매스컴 매체에 하는 광고가 아니라 판매에 직결한 광고를 대행하 는 사업체(DM광고, 프리미엄, 견본배포, 노벨티, 콘테스트, 소비 자교육 등), 매스컴 매체 광고 대행 제외 판매 촉진을 위한 행사의 기획 연출 제작 설계 등을 하는 사업체 (이벤트 행사 대행) 공간 디자인 전시 기획 및 제작, 전시 설치물 제작 관리, 인테리어 설계 및 시 공 등을 하는 사업체 인쇄업 인쇄 제판 브로슈어, 카탈로그, 리프렛 전단, 원색 인쇄물, 책자, 포장물 및 사보 제작 편집하는 사업체(광고물 인쇄업) 제판, 출력, 사진제판, 필름출력 제작 등의 사진, 인쇄, 제판 관련 서비스를 하는 사업체(광고물 제판업) 광고대행 광고주를 대신하여서 온라인 광고물을 기획하고 이에 따라 효과 적인 광고물을 제작하며, 제작된 광고물을 전달하기 위해 매체와 접촉하여 집행하는 사업체(온라인 광고 대행 및 대체 대행) 온라인업 매체대행 광고주나 광고대행사를 대신하여 온라인 광고지면을 구입해주는 업무를 하는 사업체 광고기획 전략대행 온라인 광고활동을 계획하거나, 카피매체 등 종합적인 광고캠페 인의 기본방향을 수립하는 사업체 광고제작 배너(Banner), 이벤트페이지, 웹사이트 등 각종 온라인 광고물을 제작하는 사업체 광고물기획 편집 영상 또는 인쇄 광고물을 편집하는 사업체(광고물 기획 및 편집) 기타 기타 (장비취급 등) 전산장비 유지 보수, 편집 장비 취급, 슬라이드 대여 등의 장비 취급 업무를 하는 사업체(광고관련 컴퓨터시스템 및 각종 장비 관리서비스) 제1장 조사 개요 1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캐릭터제작업 캐릭터 개발 및 라이선스업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에 등장하는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 의 모습을 디자인하여 라이선스를 받는 사업체(캐릭터 디자인) 캐릭터상품 제조업 캐릭터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하고 캐릭터를 포함시켜 제조 하는 사업체(캐릭터상품 제조) 캐릭터 산업 캐릭터상품 유통업 캐릭터상품 도매업 캐릭터상품 소매업 캐릭터라이선스 비용이 지불된 캐릭터상품을 도매하는 사업체(모 자, 귀걸이, 넥타이, 머리핀, 손수건, 브로치, 양말 등 포함) 캐릭터 라이선스 비용이 지불된 캐릭터 상품을 소매하는 사업체 캐릭터 놀이시설 운영업 캐릭터 놀이 시설 운영업 엔터테인먼트형 및 오리지날 캐릭터가 다수 사용된 유아 및 아동 용 놀이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체 캐릭터상품 온라인유통업 인터넷 및 모바일캐릭터 서비스업 캐릭터라이선스 비용이 지불된 캐릭터를 온라인으로 판매하거나, 서비스하는 사업체(캐릭터만 해당) e-learning 기획업 유아, 초중고, 성인 등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온라인/ 스토리지 저장형 학습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사업체(온라인 학습정 보 서비스 기획) e-learning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업 인터넷과 모바일로 온라인/스토리지 저장형 학습프로그램을 서비 스하는 사업체(온라인 학습정보 서비스 기획) e-learning업 인터넷/모바일 e-learning 제작 및 제공업 (CP) 온라인/스토리지 저장형 학습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서비스사업체 에 제공하는 사업체(CP) 지식 정보 산업 기타데이터 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게 서비스업 에듀테인먼트 기획 및 제작업 기타 데이터베 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 매개 서비스업 교육의 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고안된 학습용 게임, 멀티미디어도 감, 비디오 교재등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체(오락성을 가미한 학습정보 기획 및 제작업) 1차자료를 수집 및 조합하여 일정 포맷에 따라 가공된 정보를 컴퓨터에 수록하여 전자매체로 제공하는 사업체(인터넷 및 모바 일을 통한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캐릭터, 이러닝서비스 제외) 인터넷에서 검색, 커뮤니티, 전자메일, 블로그 등의 서비스를 통 해 금융, 생활정보, 뉴스 등 이용자 제작콘텐츠 및 디지털화된 다 양한 정보를 매개하는 사업체 스크린골프 시스템 기획 및 제작업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 가상세계 및 가상현실업 스크린골프장 운영업 기타 가상세계 및 가상현실 기획 및 제작업 스크린 골프장을 운영하는 사업체 3차원 영상 등을 통해 디지털로 가상 환경을 만들어 사용자가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와 유사한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 기타 가상세계 및 가상현실 서비스업 디지털 가상세계 콘텐츠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현실세계와 유사하 게 느낄 수 있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 14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저작툴 디지털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작도구(영상, 게임, LMS, e-learning 등)(CG 제외) 콘텐츠보호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고 유통 과정 중 발생되는 콘텐츠의 불법 사용을 추적하기 위한 솔루션 (DRM 등), 콘텐츠 보호 모바일솔루션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서비스를 위한 모든 서비스 및 플랫폼(MMS/SMS의 문자서비스, 모바일 멀티미디어 전송 관 련 서비스 및 모바일플랫폼 등) 콘텐츠 솔루션 산업 콘텐츠솔루션업 과금/결제 콘텐츠관리 시스템(CMS) 웹이나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이용 요금을 부과하고 징수 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솔루션(신용카드결제, 휴대폰 소액결제 등) 온라인 상의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생산, 유통, 삭제, 업데이트 등을 자동으로 관리해주는 솔루션 콘텐츠전송 네트워크(CDN) 네트워크에 여러 대의 캐시서버(임시저장장치)를 설치하고, CP가 제공하는 영화, 음악, 게임 등의 콘텐츠를 이 캐시서버에 미리 옮 겨놓고 수요가 있을 때, 사용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손실을 막아주는 솔루션 기타 콘텐츠 저장과 검색도구 등 디지털콘텐츠 검색, 디지털방송을 위 해 사용되는 모든 솔루션 및 웹에이젼스 등 용역 및 서비스 컴퓨터그래픽스 (CG) 제작업 컴퓨터그래픽스 (CG) 제작업 영화, 광고, 게임 등 분야의 영상 제작 과정에서 컴퓨터그래픽스 기술을 사용하여 영상을 보정 및 창작하는 사업체(Computer Graphics) 공연업 공연기획 및 제작업 공연시설 운영업 음악공연을 제외한 실연극 공연을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 영화상영관을 제외한 실연극을 공연하는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체 공연 산업 공연 및 제작 관련 대리업 음악공연을 제외한 공연관련 제작자의 주문에 따라 제작자를 대 리하여 장소 및 예약 등을 대리하는 사업체 공연관리 서비스업 매니저업 예술가, 연예인, 스포츠인 등 일반적으로 공인을 대리하고 관리하 는 사업체로 고객을 위하여 계약협상, 금전문제 관리, 경력 홍보 등을 수행하는 사업체(예술가, 연예인, 스포츠인, 모델 등 매니저) 제1장 조사 개요 15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정의 인테리어 디자인업 건축법규, 안전성, 기계 및 전기적 특성, 내부 부착물 및 가구 등 을 고려하여 사용상의 안전성, 편의성 및 미적 요소 등을 충족시 키는 실내공간구성을 기획, 설계 및 관리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이 사업체는 식당 및 호텔, 의료기관, 공공건물, 상업 및 기업건 물, 주택 등의 설계분야에서 인테리어 디자인 및 자문을 제공한 다. 실내공간과 관련하여 미적인 디자인만 제공하는 실내장식 전 문가도 포함된다. 제품의 기능, 사용, 가치 및 외관 등을 최적화 하도록 사양을 기 획 및 디자인하는 산업디자인 서비스 활동을 말한다. 이 서비스 에는 안전성, 시장성 및 생산의 효율성, 유통, 사용 및 수리 측면 등을 고려하여 제품의 재료, 공정, 작동방식, 외관, 색, 표면처리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전문 디자인 산업 전문디자인업 제품 디자인업 시각 디자인업 특정 메시지, 이미지 또는 개념을 시각적으로 전달하거나 가상현 상 등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전달 또는 표현하기 위한 시각전달 매체를 기획, 디자인 및 관리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기술적인 정확성 또는 해석기술이 요구되는 설명도 및 삽화를 제작하는 사 업체도 포함된다. 1) 기타 전문 디자인업 무대, 보석, 구두, 모피, 의류, 섬유 및 직물 디자인 등 기타 전문 디자인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시스템ㆍ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컴퓨터 및 서버 등 하드웨어에 설치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유기 적으로 작동시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ㆍ공급하는 산업활 동을 말한다. 컴퓨터에서 특정한 업무처리를 위하여 기능 및 프로세스를 프로 그램화 하여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범용성의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특정 고객의 요구에 의하여 주문형 소프트웨어를 자문, 개발 및 공급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소프트 웨어 산업 2)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구축 및 관리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컴퓨터시설 관리업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통신기술을 통합하는 컴퓨터시 스템을 기획, 설계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이 사업체는 시스템통 합 서비스를 위하여 구성요소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발, 판매, 시스템설치, 시스템이용자 훈련을 부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 다. 고객 사업장의 컴퓨터시스템 및 자료처리시설을 관리하는 산업활 동을 말한다. 이러한 관리활동은 고객의 사업장 또는 관리 사업 체에서 온라인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관련 소프트웨 어의 설계 및 보완이 관리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스업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스업 기타 컴퓨터 관리 및 운영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활동으로 서 컴퓨터시스템에 관련한 전문적, 기술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 업활동을 말한다. 1) CI디자인(광고산업에 속함), 캐릭터디자인(캐릭터산업에 속함)은 제외함 2)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과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으로 이루어짐 16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4. 콘텐츠산업통계 와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비교 전국사업체조사(통계청) 매년 실시하는 전국사업체조사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 사업체를 조사대상으로 하는 통계조사의 모집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됨 한국표준산업분류(9차 개정) 중 농림(개인), 어업(개인), 국방, 가사서비스업, 국제 및 기타 외 국기관을 제외한 약 330만개의 사업체를 조사대상으로 함 주요 조사내용 : 사업체명, 대표자명, 소재지, 조직형태, 사업체 구분, 사업장 변동, 사업의 종 류, 종사자 수 2011년 기준 전국 사업체 조사결과 2011년 말 기준 산업별 사업체 수는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이 전년 대비 13.4%로 가장 크게 증가함 콘텐츠산업통계(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 생성과정 [그림 1-1-24] 콘텐츠산업통계 분류체계 생성과정 콘텐츠산업은 전국사업체조사에 사용된 한국표준산업분류의 J Sector에 해당하는 출판, 영 상, 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이 근간을 이루고 있음 콘텐츠산업에 포함되는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C18) 은 제조업에 포함되어 있음 콘텐츠산업에 일부 포함되는 인형, 장난감 및 오락용품 제조업(C334) 은 제조업에 포함되어 있음 서적, 잡지 및 신문도매업(G46453), 소매업(G47611) 과 음반 및 비디오물 도매업(G46461), 소매업(G47620) 게임용구, 인형 및 장난감 도매업(G46463), 소매업(G47640) 등은 유통업에 포함되어 있음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ㆍ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업 은 콘텐츠산업에 포함되지 않음 제1장 조사 개요 17
콘텐츠산업에 포함되는 광고업 은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713) 에 포함되어 있음 J Sector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 중 통신업(J61) 에 해당하는 우편업(J611) 과 전기통신업(J612) 은 콘텐츠산업에서 제외됨 산 업 [표 1-1-5] 산업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전국) (단위 : 개, 명, %) 사업체수 종사자수 구성비 2010년 2011년 증감률 2010년 2011년 증감률 구성비 2010년 2011년 합 계 3,355,470 3,469,497 3.4 100.0 100.0 17,647,028 18,211,194 3.2 100.0 A 농업, 임업 및 어업 2,354 2,434 3.4 0.1 0.1 30,418 32,279 6.1 0.2 B 광업 1,770 1,787 1.0 0.1 0.1 16,377 15,477-5.5 0.1 C 제조업 326,813 341,304 4.4 9.7 9.8 3,417,698 3,550,077 3.9 19.4 D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E 하수ㆍ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 및 환경복원업 1,499 1,554 3.7 0.0 0.0 66,267 67,705 2.2 0.4 5,402 5,882 8.9 0.2 0.2 69,132 71,741 3.8 0.4 F 건설업 96,833 103,691 7.1 2.9 3.0 1,180,659 1,084,749-8.1 6.7 G 도매 및 소매업 876,654 904,143 3.1 26.1 26.1 2,617,891 2,748,632 5.0 14.8 H 운수업 347,179 353,875 1.9 10.3 10.2 992,546 996,032 0.4 5.6 I 숙박 및 음식점업 634,500 654,112 3.1 18.9 18.9 1,766,290 1,847,691 4.6 10.0 J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26,375 29,913 13.4 0.8 0.9 468,585 487,760 4.1 2.7 K 금융 및 보험업 39,353 40,681 3.4 1.2 1.2 706,859 720,882 2.0 4.0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126,081 129,196 2.5 3.8 3.7 440,556 455,741 3.4 2.5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N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70,601 76,440 8.3 2.1 2.2 750,393 809,008 7.8 4.3 35,910 40,312 12.3 1.1 1.2 788,674 873,754 10.8 4.5 11,929 11,959 0.3 0.4 0.3 663,673 660,302-0.5 3.8 P 교육 서비스업 165,964 169,946 2.4 4.9 4.9 1,420,892 1,427,180 0.4 8.1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07,012 113,186 5.8 3.2 3.3 1,084,758 1,139,041 5.0 6.1 R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102,948 104,827 1.8 3.1 3.0 322,881 337,206 4.4 1.8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376,293 384,255 2.1 11.2 11.1 842,479 885,937 5.2 4.8 G, M, R sector는 콘텐츠산업 통계에 일부만 적용된 산업임 출처 : 통계청(2012.9), 2011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 잠정결과 1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경기도, 경기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산업통계 와 동일한 분류체계를 사용하면서, 제작 및 생산 중심의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하여 각 산업별 도소매업종과 최종 유통단계에 해당하는 업종을 제외 하여 조사함 콘텐츠의 최종유통단계 중 온라인/모바일 유통은 조사 대상에 포함되었음 [그림 1-1-25] 전국사업체조사, 콘텐츠산업통계, 경기도콘텐츠산업실태조사 비교 점선 안의 산업은 2012년 경기도 콘텐츠산업실태조사에서 제외된 산업으로 본 보고서 내에서는 관련 내용을 부록에 수록함 [그림 1-1-25]와 같이 출판 산업에서는 인쇄, 제판, 제책, 도소매, 임대업을 제외한 결과이며, 만화 산업에서는 도소매 및 임대업을 제외한 결과임. 또한 음악 산업에서는 단순복제 및 배 제1장 조사 개요 19
급, 도소매, 임대업, 노래연습장업 등이 제외된 것임. 게임 산업은 컴퓨터게임방, 전자게임장 등이 제외되었으며, 영화 산업에서는 1차 시장에서 영화상영업과 2차 시장에서 DVD, VHS 도소매, 대여, 상영업 등을 제외한 것임. 방송 산업에서는 방송관련 단체, 광고 산업에서는 광고물인쇄, 기타업 등을 제외한 것이며 콘텐츠솔루션 산업에서는 과금, CDN 관련 업종이 제외된 것임 [표 1-1-6]에서 나타난 것처럼 전국사업체조사 결과 2011년 기준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 사 분류체계에 따른 콘텐츠산업 사업체수는 3,246개에 종사자 수 32,590명에 달함 [표 1-1-6] 2011 전국사업체조사 콘텐츠산업 관련 업종 - 경기도 (단위 : 개, 명) 콘텐츠 업종 산업분류 표준산업분류 업종명 사업체수 종사자수 [경기도 전산업] 720,851 3,920,341 소계 3,246 32,590 음악, 영화, 게임 C18200 기록매체 복제업 27 382 캐릭터 C33401 인형 및 장난감 제조업 150 990 게임 C33402 영상게임기 제조업 16 164 캐릭터 C33409 기타 오락용품 제조업 30 223 출판 J58111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업 110 1,447 만화 J58112 만화 출판업 11 104 출판 J58119 기타 서적 출판업 276 2,444 출판 J58121 신문 발행업 45 811 출판 J58122 잡지 및 정기간행물 발행업 135 642 출판 J58123 정기 광고간행물 발행업 66 1,111 출판 J58190 기타 인쇄물 출판업 23 108 게임 J58211 온라인ㆍ모바일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130 2,815 게임 J58219 기타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29 248 콘텐츠솔루션 J58222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362 3,951 영화 J59111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42 459 애니메이션 J59112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44 519 광고 J59113 광고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34 512 방송 J59114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25 174 영화, 방송 J59120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관련 서비스업 15 120 영화, 방송 J59130 영화, 비디오물 및 방송프로그램 배급업 5 21 음악 J59201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33 141 음악 J59202 녹음시설 운영업 28 78 방송 J60100 라디오 방송업 4 163 방송 J60210 지상파 방송업 9 534 방송 J60221 프로그램 공급업 14 286 방송 J60222 유선방송업 36 662 방송 J60229 위성 및 기타 방송업 6 24 콘텐츠솔루션 J62010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업 488 4,090 콘텐츠솔루션 J62090 기타 정보기술 및 컴퓨터운영 관련 서비스업 55 578 지식정보 J63111 자료 처리업 23 440 지식정보 J63112 호스팅 및 관련 서비스업 15 190 지식정보 J63120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84 4,167 지식정보 J63910 뉴스 제공업 38 168 지식정보 J63991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 78 620 지식정보 J63999 그외 기타 정보 서비스업 2 2 광고 M71310 광고 대행업 173 1,184 광고 M71391 옥외 및 전시 광고업 86 317 광고 M71392 광고매체 판매업 8 29 광고 M71393 광고물 작성업 422 1,166 광고 M71399 그외 기타 광고업 69 506 일부만 포함됨 출처 : 통계청(2012.9), 2011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 잠정결과 20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제외된 업종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아래의 [표 1-1-7]과 같음 [표 1-1-7]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에서 제외된 업종 현황 업종 산업분류 업종명 사업체수 종사자수 소계 18,237 57,630 게임 R91221 전자 게임장 운영업 194 502 게임 R91222 컴퓨터 게임방 운영업 3,339 9,740 음악 R91223 노래연습장 운영업 7,371 11,986 게임 R91229 기타 오락장 운영업 711 1,709 음악, 영화 L69220 음반 및 비디오물 임대업 205 358 출판, 만화 L69291 서적 임대업 591 1,195 영화 J59141 영화관 운영업 74 2,258 영화 J59142 비디오물 감상실 운영업 191 366 출판 G46453 서적, 잡지 및 신문 도매업 490 2,747 음악,영화 G46461 음반 및 비디오물 도매업 20 126 캐릭터 G46463 장난감 및 취미용품 도매업 285 1,323 출판 G47611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 884 2,773 음악, 영화 G47620 음반 및 비디오물 소매업 59 114 게임, 캐릭터 G47640 게임용구, 인형 및 장난감 소매업 642 1,128 출판 C18111 경 인쇄업 1,111 3,637 출판 C18112 스크린 인쇄업 726 3,747 출판, 광고 C18119 기타 인쇄업 722 7,792 출판 C18121 제판 및 조판업 94 856 출판 C18122 제책업 335 4,130 출판 C18129 기타 인쇄관련 산업 193 1,143 출처 : 통계청(2012.9), 2011년 기준 전국사업체조사 잠정결과 따라서 콘텐츠산업 분류체계에 따른 경기도 내 사업체수는 21,483개, 종사자 수는 90,220명 에 달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음 제1장 조사 개요 21
5. 모집단 확정 절차 가. 모집단 리스트 확보 모집단 확보 방향 조사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높이고, 조사결과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조사의 핵심을 모집단 확보라 보고 최대한 많은 수의 사전 모집단을 확보함 특히 전년도에 확보한 기업리스트에 대한 확인 작업을 우선 실시함 경기콘텐츠진흥원 보유정보 7,562개를 비롯해 유관기관, 관련 협회ㆍ단체, 시군의 협조를 받아 총 20,565개의 기업정보를 확보함 나. 모집단 확정절차 모집단 확정을 위한 검토 [그림 1-1-26] 모집단 확정 절차 확보된 사전 모집단의 구성이 다양한 자료원으로부터 확보된 것이므로 자료의 검증이 필요로 함 1단계 : 경기콘텐츠진흥원 보유정보 7,562개를 비롯해 유관기관, 관련 협회ㆍ단체, 시군의 협 조를 받아 총 20,565개의 기업정보를 확보함 2단계 : 중복업체 제거를 통하여 4,442개의 사업체를 모집단으로부터 제거 22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3단계 : 휴폐업 확인을 통하여 조사기준 시점에서 기업 활동을 영위하지 않고 있는 업체 1,396개의 업체를 제거 4단계 : 역외기업이거나, 역외로 이전한 기업을 확인하여 1,407개 사업체를 제거 5~6단계 : 콘텐츠산업 분류체계에 해당하지 않거나 복수업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체의 경 우, 주 사업 목적을 확인하고 콘텐츠 관련 사업을 영위하지 않고 있는 기업들을 제거함 (6.614개). 또한 출판 산업의 경우처럼 동일한 사업자등록번호이지만 여러 개의 브랜드를 보 유한 것으로 기업체리스트에 등재되어 있어 이를 하나로 통합하고 제거함(1,896개) 7단계 : 출판 및 게임 업종에서 등록만 해놓은 상태에서 실질적인 기업운영을 하지 않고 있 는 무실적 회사(379개)를 제거하여 1차 조사대상인 4,431개 기업을 확정함 조사과정 중에 연락처 불명, 비수신 등의 사유로 기업활동을 영위하고 있다고 판단하기 어 려운 업체를 조사 기업목록에서 제거하여 2011년 기준 2,184개의 최종 기업리스트를 확정함 [그림 1-1-27] 조사연도별 조사모집단 비교 (단위 : 개) 제1장 조사 개요 23
6. 조사 설계 조사설계 개요 본 조사는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콘텐츠기업들을 대상으로 산업 활동에 대한 실태를 파악 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함 경기도 콘텐츠산업 모집단 구축을 위한 사전작업을 통해 확인된 경기도 콘텐츠기업들을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함 2012년 실태조사에서는 경기도 시군의 협조를 받아 확보된 모집단 규모가 전년 대비 약 33.7% 늘어났으며, 조사에 참여한 응답기업도 전년 대비 47.6% 늘어남 조사 방법 산업 실태조사 전문 연구원 및 콘텐츠산업 조사 유경험자로 이루어진 실사팀이 투입되어 경 기도 콘텐츠산업 육성과 활성화에 필요한 산업기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함 응답 내용의 정확성 제고를 위하여 타계식 면접조사방식을 기본 조사방식으로 채택함 또한 조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확보된 기업들에 대한 재무정보, 고용정보 등을 사전에 조 사하는 팀을 운영함 조사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 확보를 위하여 모집단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여 접근 방 식을 달리함 전년도 상위 20% 기업 : 전수조사(면접조사를 기본으로 하되, 이메일, 팩스, 전화 조사를 병 행하여 실시) 전년도 상위 20%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과 신규기업 : 이메일, 팩스, 전화 조사 실사 운영 산업(기업)조사 분야 경험이 풍부한 실사 감독원을 전담 배치하여 조사원 및 일정관리를 체 계화함 기업 조사 경험이 풍부한 조사업체 소속 전문 면접원을 조사 대상 기업별로 전담 배치함 면접원은 기업 대상 조사 전문 면접원 중 적격자를 선발하여 교육을 실시함 조사 담당 연구원에 의한 콘텐츠 산업과 조사 배경 및 설문지 pre-test 등의 충분한 사전 교육을 실시함 면접원 관리는 일일 보고를 통해 회수 현황을 점검 및 통제함 조사 참여율 증진 방법 본 연구의 조사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통해서 조사 참여율 증대 및 Data 의 신뢰성을 강화하도록 함 응답자 개인을 대상으로 응답 사례품 증정 경기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에 배너광고 게재 및 조사 페이지에 직접 링크 : 조사대상자가 조사 목적과 조사주관기관을 직접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사업의 중요성을 홍보함 24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조사 내용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2011년 기준)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표 1-1-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내용 구분 2012년(2011년 기준) A B C D E / F G 사업체 기초정보 매출 및 사업 현황 종사자 현황 해외진출 현황 스마트콘텐츠/기능성게임 (2011) 기업운영애로사항 (2011) 사업체 명, 대표자명 홈페이지URL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기업형태, 사업형태 사업자등록번호 설립연도 이전소재지 주력업종 대표콘텐츠 회사 총 매출액 콘텐츠분야 총 매출액 콘텐츠분야 업종별 매출액 (연도별 매출액, 소분류까지) 2011년 대비 2012년 매출액 변화 전망 종사자 수(정규직/비정규직, 성별, 직무별) 인력 보강 필요 직무 교육 필요 내용 및 대상 해외 진출 여부 수출실적(수출건수, 수출액) 업종별 수출액 업종별 주수출대상국 해외진출지원을 위한 정책 참가희망 해외전시회 스마트콘텐츠 현황 (분야, 개발건수, 유통채널, 누적다운로드수, 수익, 앱명) 기능성게임 현황 (게임명, 용도, 수익) 기업운영애로사항 향후 투자 계획 기타 건의사항 2010년 기준 조사 내용과 달리 스마트콘텐츠 개발 현황 및 기능성 게임 개발 현황이 새롭 게 추가되었으며, 기업운영 상의 애로 사항 조사를 통하여 정책 수요를 역추정하였음 제1장 조사 개요 25
[표 1-1-9] 기준연도별 조사대상 및 조사내용 비교 구분 2008년 (2007년 기준) 2009년 (2008년 기준) 2010년 (2009년 기준) 2011년 (2010년 기준) 2012년 (2011년 기준) 조사 대상 경기도 내 콘텐츠기 업 700개 중 301개 경기도 내 콘텐츠기 업 788개 중 452개 경기도 내 콘텐츠기 업 852개 중 480개 경기도 내 콘텐츠기업 1,633개 중 870개 경기도 내 콘텐츠기업 2,184개 중 1,265개 표본 오차 95% 신뢰수준의 ±3.20% 95% 신뢰수준의 ±1.96% 95% 신뢰수준의 ±1.95% 95% 신뢰수준의 ±1.55% 95% 신뢰수준의 ±1.16% 조사 방법 온라인조사, 방문조사, 전화조사, 이메일 및 팩스조사 등 조사병행 분류 체계 10개 장르별 대분류 및 39개 중분류 10개 장르별 대분류 및 47개 중분류 10개 장르별 대분류 및 24개 중분류 11개 장르별 대분류 및 33개 중분류 11개 장르별 대분류 및 41개 중분류 100개 소분류 설문 항목 사업체 기초정보 재무정보,입지정보 인력현황 수출 및 투자현황 애로사항 및 정책 수요 등 사업체 기초정보 재무정보 고용현황 해외거래현황 정책수요 및 만족 도 콘텐츠관련정보 경기전망 등 사업체 기초정보 재무정보 고용현황 해외거래현황 정책수요 및 만족 도 콘텐츠관련정보 경기전망 등 사업체 기초정보 재무정보 고용현황 해외거래현황 정책수요 및 만족 도 콘텐츠관련정보 경기전망 등 사업체 기초정보, 재무정보 고용현황 해외거래현황 스마트콘텐츠개발 현황 기능성게임개발현 황 기업운영 애로사 항 분석 방법 단순 기초통계 및 모집단 대표성을 위 한 가중모형 단순 기초통계 및 모집단 추정 업종, 지역 간 비교 26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7. 경기도 콘텐츠산업 통계산출방법 본 조사는 모집단 2,184개(2011년 기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전체의 40.2%에 해당하는 유효표본 686개를 확보하였으며, 2차 자료조사를 통하여 579개 기업의 매출, 종 사자, 수출 정보를 확보함 [표 1-1-10] 모집단 및 조사율 주업종 구분 모집단 응답기업+조사기업 회수율 사례수(n) 비율(%) 사례수(n) 비율(%) 비율(%) [전체] 2,184 100.0 1,265 100.0 57.9 출판 1,131 51.8 496 39.2 43.9 만화 39 1.8 30 2.4 76.9 음악 66 3.0 30 2.4 45.5 게임 290 13.3 225 17.8 77.6 영화 115 5.3 70 5.5 60.9 애니메이션 47 2.2 39 3.1 83.0 방송 69 3.2 59 4.7 85.5 광고 107 4.9 59 4.7 55.1 캐릭터 65 3.0 48 3.8 73.8 지식정보 113 5.2 88 7.0 77.9 콘텐츠솔루션 142 6.5 121 9.6 85.2 항목 간 논리 연관성 점검 조사표 검토 시 항목 간 내용이 연계되는 경우에는 1차 실사관리자, 2차 조사관리자가 검토 하고, 연계항목 간 응답내용이 다를 경우에는 해당기업에 전화를 걸어 응답내용을 확인함 주요 조사항목(매출액, 종사자 수, 수출액)에 대해서는 총합계와 대분류, 중분류 합계 일치 여부를 확인함 항목 무응답 점검 무응답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항목이 무응답일 경우 최소 3차 이상에 걸쳐 재응답을 요청 사전에 확보한 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응답 내용의 확인 작업을 최소 3회 이상 실시함 무응답 처리 방법 자료조사를 통해 해당 값을 확보한 경우에는 2차 자료(IR자료, 상장사 자료, 중소기업현황정 보 시스템 등)를 통해 보완, 그 이외에는 각 업종, 지역 등을 기준으로 이상치를 제거한 후 업종별 평균값으로 무응답을 대체함 특히 산업별 매출 상위 20%에 해당하는 기업들에 대한 매출, 종사자 수, 수출 정보에 대한 자료를 모두 확보함으로써 조사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였으며, 무응답 추정의 최소화 를 통하여 과대추정의 위험성을 최소화함 제1장 조사 개요 27
전체 매출과 종사자 수는 추정(실태조사, 2차 자료조사, 무응답 대체)값이며, 수출액은 조사 된 값(실태조사, 2차 자료조사)을 사용함 업종별 평균 매출액과 표준편차 [표 1-1-11] 업종별 평균매출액, 표준편자, 변동계수 (단위 : 개, 백만원) 구분 2011년 콘텐츠분야 매출액(95% 신뢰수준) 기업수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 합계 [전체] 2,184 4,412.09 37,548.37 8.51 10,364,005.19 출판 1,131 1,720.75 15,258.95 8.87 2,030,489.12 만화 39 666.83 2,975.17 4.46 38,676.01 음악 66 2,270.35 6,646.18 2.93 168,006.25 게임 290 6,360.39 54,234.67 8.53 1,920,836.90 영화 115 2,029.13 14,708.87 7.25 245,524.31 애니메이션 47 903.90 3,103.60 3.43 57,849.57 방송 69 24,243.26 61,096.67 2.52 1,866,731.03 광고 107 12,269.16 101,793.87 8.30 1,484,568.67 캐릭터 65 7,228.45 34,482.38 4.77 513,219.93 지식정보 113 9,524.03 55,512.98 5.83 1,200,028.18 콘텐츠솔루션 142 5,406.94 21,406.49 3.96 838,075.22 출판 산업의 변동계수가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산업 내 업체 간의 매출액 편차 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송 산업의 변동계수가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매 출액 편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남. 이로 보아 방송 산업은 대기업의 매출액 편중 현상이 다 른 산업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남. 방송업의 상위 10%가 차지하는 매출액 : 63.52%, 전체 업종의 상위 10%가 차지하는 매출액 : 96.14% 28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8. 모집단 특성 업종별 특성 2011년 기준 조사모집단 중 출판기업이 전체의 51.8%에 해당하는 1,131개 기업체이었으며, 게임 기업이 290개, 콘텐츠솔루션기업이 142개, 영화 115개, 지식정보 113개, 광고 107개 순 으로 구성되어 있음 [표 1-1-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모집단 업종별 비중 2011년 업종 기업수 비중(%) [전체] 2,184 100 출판 1,131 51.8 만화 39 1.8 음악 66 3.0 게임 290 13.3 영화 115 5.3 애니메이션 47 2.2 방송 69 3.2 광고 107 4.9 캐릭터 65 3.0 지식정보 113 5.2 콘텐츠솔루션 142 6.5 [그림 1-1-28] 2011 경기도 콘텐츠 기업 업종별 비중 연도별 조사모집단 비교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의 모집단은 2007년 기준 700개 기업에서 2011년 기준 2,184개 기업으로 기업 수 기준 3.12배 성장하였으며, 실질적인 응답기업은 2.89배 확대되었음 제1장 조사 개요 29
[표 1-1-13] 연도별 조사모집단 비교 구분 2009 조사 2010 조사 2011 조사 2012 조사 (2008년 기준) (2009년 기준) (2010년 기준) (2011년 기준) [전체] 788 852 1,633 2,184 출판 247 217 860 1,131 만화 21 29 32 39 음악 43 26 54 66 게임 69 77 119 290 영화 67 85 148 115 애니메이션 34 49 40 47 방송 63 69 69 69 광고 86 68 86 107 캐릭터 63 84 72 65 지식정보 95 148 61 113 콘텐츠솔루션 - - 92 142 [그림 1-1-29] 조사 기준 연도별 업종별 경기도 콘텐츠 기업 수 2010년 기준 조사와 비교하여, 게임 업종의 기업 수가 대폭 증가하였으며, 뒤를 이어 지식 정보, 콘텐츠솔루션, 출판 업종의 수가 증가하였음 영화산업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독립제작업체 및 영화제작지원업체의 휴폐업 기업수가 증 가하였고, 신규 창업기업이나 신규이전 기업 수보다 역외이전기업 수가 많아 기업 수가 감 소함 출판산업의 기업 수는 명목상으로는 계속 증가세에 있으며, 증가한 사업체 중 법인사업체가 아닌 개인사업체의 비중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편임 30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지역별 모집단 구성 지역 [표 1-1-14] 시군별 모집단 구성 (단위 : 개, %) 2010 기준 2011 기준 기업수 비중 기업수 비중 1,633 100.0 2,184 100.0 남부 소계 949 58.1 1,356 62.1 수원시 183 11.2 161 7.4 성남시 178 10.9 394 18.0 부천시 118 7.2 196 9.0 용인시 89 5.5 91 4.2 안산시 71 4.3 78 3.6 안양시 57 3.5 189 8.7 평택시 24 1.5 21 1.0 시흥시 9 0.6 10 0.5 화성시 38 2.3 27 1.2 광명시 8 0.5 24 1.1 남부 군포시 32 2.0 38 1.7 광주시 26 1.6 15 0.7 김포시 30 1.8 22 1.0 이천시 23 1.4 14 0.6 안성시 11 0.7 11 0.5 오산시 7 0.4 7 0.3 하남시 16 1.0 15 0.7 의왕시 15 0.9 13 0.6 여주군 12 0.7 8 0.4 양평군 - 0.0 14 0.6 과천시 2 0.1 8 0.4 북부 소계 684 41.9 828 37.9 고양시 349 21.4 386 17.7 남양주시 39 2.4 37 1.7 의정부시 12 0.7 35 1.6 파주시 256 15.7 315 14.4 북부 구리시 17 1.0 43 2.0 양주시 6 0.4 5 0.2 포천시 1 0.1 4 0.2 동두천시 2 0.1 1 0.0 가평군 2 0.1 1 0.0 연천군 - 0.0 1 0.0 2011년 기준 성남시가 394개 기업으로 전체의 18.0%, 고양시가 386개로 17.7%, 파주시가 14.4%, 부천시가 196개로 9.0%, 안양시가 189개로 전체의 8.7%, 수원시가 161개 기업에 7.4%를 차지하고 있음 2010년에 비해 안양시의 기업 수가 231.6% 증가한 189개, 성남시가 121.3% 증가한 394개, 부천시가 66.1% 증가한 196개로 나타남 제1장 조사 개요 31
기업 업력별 분포 업종 기업 수 [표 1-1-15] 모집단 기업업력 분포 기업 업력 (단위 : 개, %) 1-2년 3-4년 5-9년 10-19년 20년 이상 모름/무응답 수 비중 수 비중 수 비중 수 비중 수 비중 수 비중 [전체] 2,184 183 8.4 292 13.4 439 20.1 462 21.2 149 6.8 659 30.2 출판 1,131 56 5.0 119 10.5 177 15.6 196 17.3 110 9.7 473 41.8 만화 39 5 12.8 5 12.8 15 38.5 7 17.9 0 0.0 7 17.9 음악 66 1 1.5 7 10.6 9 13.6 20 30.3 2 3.0 27 40.9 게임 290 68 23.4 59 20.3 69 23.8 46 15.9 3 1.0 45 15.5 영화 115 17 14.8 14 12.2 29 25.2 20 17.4 5 4.3 30 26.1 애니메이션 47 3 6.4 8 17.0 17 36.2 10 21.3 3 6.4 6 12.8 방송 69 3 4.3 14 20.3 14 20.3 26 37.7 3 4.3 9 13.0 광고 107 7 6.5 9 8.4 26 24.3 28 26.2 3 2.8 34 31.8 캐릭터 65 2 3.1 8 12.3 12 18.5 26 40.0 11 16.9 6 9.2 지식정보 113 9 8.0 25 22.1 37 32.7 33 29.2 3 2.7 6 5.3 콘텐츠솔루션 142 12 8.5 24 16.9 34 23.9 50 35.2 6 4.2 16 11.3 응답기업 기준으로 볼 때 기업업력이 10-19년 기업이 전체의 462개 기업으로 21.2%, 5-9년 기업이 439개 기업으로 20.1%, 3-4년 기업이 292개 기업으로 13.4%으로 나타남 신생기업인 업력 1-2년 사이의 기업은 183개로 전체의 8.4%로 나타남 무응답 기업은 전체의 30.2%에 달함 [그림 1-1-30] 응답기업 기준 기업업력 구성비(%) 기업업력이 비교적 오래된 기업은 대부분 출판기업으로 나타났으며, 게임업종의 경우 3-9년 사이의 기업이 40.0%에 달해 비교적 젊은 기업들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이는 두 업종의 특성상 쉽게 창업이 가능한 공통점이 있지만 게임업종의 경우 최근에 주목 받고 있는 산업이라는 특징 때문인 것으로 보임 만화, 음악,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경우 신규 창업 회사의 수가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추후 산업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됨 32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그림 1-1-31] 출판 및 게임 산업 기업업력 비중 비교 종사자 규모별 분포 2011년 기준 대기업 기준인 종사자 300명 이상 기업은 13개 기업으로 전체의 0.6%에 불과함. 종사자 1-5명 미만 기업은 2011년 기준 1,384개 기업으로 63.4% 전체 기업의 2/3에 근접하 는 규모를 보이고 있음 종사자 10명 미만 기업 누계는 2011년 기준 1,709개, 78.3%, 2012년 기준 2,061개, 81.0%에 달함 이는 전국단위 콘텐츠산업 종사자수에 따른 구성비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음 [표 1-1-16] 조사모집단 종사자 규모별 분포 (단위 : 개, %) 종사자규모 2011년 기업수 비중 누적비중 [전체] 2,184 100.0 100.0 1-5명 미만 1,384 63.4 63.4 5-10명 미만 325 14.9 78.3 10-20명 미만 200 9.2 87.5 20-50명 미만 154 7.1 94.6 50-100명 미만 59 2.7 97.3 100-200명 미만 40 1.8 99.1 200-300명 미만 9 0.4 99.5 300명 이상 13 0.6 100.0 [그림 1-1-32] 종사자 규모별 모집단 구성비 제1장 조사 개요 33
기업형태별 모집단 구성 2011년 기준 무응답 기업을 제외한 모집단 중 법인형태의 기업이 가장 높은 구성비를 보이 고 있으며 개인사업체의 경우 출판, 게임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법인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은 콘텐츠솔루션, 방송, 지식정보, 애니메이션, 게임 순으로 나타남 개인사업체 비중이 높은 산업은 만화, 캐릭터, 출판, 영화 순으로 나타남 특히 출판과 게임 산업의 개인사업체의 상당수가 1인 사업체로 판단됨 [표 1-1-17] 기업 형태별 모집단 구성(2011) (단위 : 개, %) 업종 기업 수 기업 형태 개인사업체 회사법인 (주식, 유한, 회사외 법인 모름/무응답 합자, 합병회사) 기업수 비중 기업수 비중 기업수 비중 기업수 비중 [전체] 2,184 544 24.9 780 35.7 13 0.6 847 38.8 출판 1,131 325 28.7 213 18.8 7 0.6 586 51.8 만화 39 18 46.2 15 38.5 0 0.0 6 15.4 음악 66 12 18.2 22 33.3 0 0.0 32 48.5 게임 290 58 20.0 158 54.5 2 0.7 72 24.8 영화 115 33 28.7 39 33.9 0 0.0 43 37.4 애니메이션 47 12 25.5 27 57.4 1 2.1 7 14.9 방송 69 7 10.1 51 73.9 2 2.9 9 13.0 광고 107 31 29.0 34 31.8 0 0.0 42 39.3 캐릭터 65 26 40.0 31 47.7 0 0.0 8 12.3 지식정보 113 14 12.4 80 70.8 0 0.0 19 16.8 콘텐츠솔루션 142 8 5.6 110 77.5 1 0.7 23 16.2 [그림 1-1-33] 출판 및 게임 산업 기업형태 구성비 비교 (단위 : %) 게임 산업과 출판 산업의 회사형태의 비중이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출판 산업의 경우 1 인 개인 사업체가 다수인 것으로 보이며, 사업체 설립 시 필요한 제반 비용이 개인사업체가 적게 들어가는 이유인 것으로 판단됨 34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사업형태별 모집단 구성 무응답기업을 제외하고 경기도에 단독사업체로 기업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이 91%로, 대부분 의 기업이 단일사업장을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출판 기업의 경우 파주 출판단지에 입주한 업체들이 타 지역에서 본사를 이전하거나, 지사를 설치 하여 운영되고 있어 타 업종에 비해 지사, 공장, 연구소, 물류센터 등의 설치 사례가 높게 나타남 또한 게임 산업과 콘텐츠솔루션 산업에서도 본사를 경기도에 두고 타 지역에 지사나 공장 을 설치하여 운영하거나 타 지역에 본사를 두고 경기도에 지사, 공장, 연구소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사례의 비중이 타 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남 [표 1-1-18] 사업형태별 조사모집단 구성(2011) 사업 형태 구분 기업 단독 사업체 본사 지사, 공장, 수 연구소 물류센터 무응답 명 % 명 % 명 % 명 % 명 % [전체] 2,184 1,186 54.3 74 3.4 35 1.6 1 0.0 888 40.7 출판 1,131 481 42.5 21 1.9 16 1.4 0 0.0 613 54.2 만화 39 29 74.4 3 7.7 0 0.0 0 0.0 7 17.9 음악 66 34 51.5 0 0.0 0 0.0 0 0.0 32 48.5 게임 290 198 68.3 9 3.1 8 2.8 0 0.0 75 25.9 영화 115 67 58.3 3 2.6 1 0.9 0 0.0 44 38.3 애니메이션 47 34 72.3 4 8.5 2 4.3 0 0.0 7 14.9 방송 69 49 71.0 7 10.1 4 5.8 0 0.0 9 13.0 광고 107 60 56.1 2 1.9 0 0.0 1 0.9 44 41.1 캐릭터 65 47 72.3 7 10.8 1 1.5 0 0.0 10 15.4 지식정보 113 85 75.2 7 6.2 0 0.0 0 0.0 21 18.6 콘텐츠솔루션 142 102 71.8 11 7.7 3 2.1 0 0.0 26 18.3 무응답 사례를 제외한 사업형태별 구성을 보면 단독사업체가 91%의 비중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본사 또는 지사/공장/연구소 형태는 각각 6%, 3%에 불과함 제1장 조사 개요 35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제 1 절 세계 콘텐츠산업 동향 1. 세계 콘텐츠산업 시장규모 2. 세계 콘텐츠산업 장르별 시장규모 3. 세계 콘텐츠산업 주요 전망 제 2 절 국내 콘텐츠산업 동향 1.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 규모 2.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현황 3.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 현황 4. 국내 콘텐츠산업 주요 전망 제 3 절 국내 콘텐츠산업 정책 환경 및 전망 1. 2013 콘텐츠산업진흥 시행계획 2. 경기도 콘텐츠산업진흥 정책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제1절 세계 콘텐츠산업 동향 3) 1. 세계 콘텐츠산업 시장규모 콘텐츠산업의 정의 국내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의하면, 문화산업은 영화ㆍ비디오물, 음악ㆍ게임, 출판ㆍ인쇄물, 방송영상물, 문화재, 캐릭터 상품, 애니메이션, 디자인, 광고, 공연, 미술품, 전통 공예품, 멀티 미디어 콘텐츠 등 문화상품의 생산ㆍ유통ㆍ소비와 관련된 산업이다 라고 문화산업을 정의하 고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산업, 문화콘텐츠산업, 콘텐츠산업 등의 용어를 병행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그 의미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하게 이용되고 있음 콘텐츠산업을 지칭하는 의미는 국가별 지역별로 다소 다른 명칭과 정의를 가지고 있음 미국은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 음악, 게임, 방송, 지식정보 콘텐츠 관련 산업을 엔터테인 먼트 및 미디어 산업(Entertainment & Media Industry)으로 정의 영국은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예술 산업이 혼합된 개념인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이라는 용어로 콘텐츠산업을 정의 일본은 과거 테마파크와 슬롯머신 산업을 포함시켜 대중오락산업(Amusement Industry)이라 는 개념을 이용했으나, 최근 7년 전부터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 주요 산 업으로 지정하여 육성하고 있음. 이러한 국가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영화, 방송, 음악, 게임, 출판 등의 주요 분야는 공통되는 콘텐츠산업의 장르로 분류되고 있음 3) KOCCA(2012. 6), 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참조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39
[그림 2-1-1] 미국 영국 한국 콘텐츠산업 분류 2. 세계 콘텐츠산업 장르별 시장규모 국가별 콘텐츠산업 규모 콘텐츠산업은 20세기까지만 해도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산업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에서는 20세기 후반까지만 해도 할리우드(Hollywood) 로 대변되는 서 구의 영화, 음악, 게임 등에 의하여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이 점유되어 왔음 일본이나 유럽의 일부 국가들에서도 장르에 따라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해 왔지만 할리우드 의 세계시장 지배력에는 한참 미치지 못했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이 점차 하락하기 시작했고 중국, 인도, 브라질, 러 시아 등 신흥 경제 국가들의 성장이 세계 콘텐츠산업을 견인하고 있음. 세계 콘텐츠산업 상위 15개 국가는 세계 콘텐츠산업의 82.5%를 점유하고 있음 40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표 2-1-1] GDP 및 콘텐츠산업규모 상위 15개국 비교 (단위 : 백만달러, %) 2011년 GDP 규모 2011년 콘텐츠산업 규모 순위 국가 GDP 순위 국가 콘텐츠산업 2012-2016 GDP대비 CAGR 콘텐츠산업 세계전체 69,659,626 세계전체 1,604,583 5.7 2.3 1 미국 15,094,025 1 미국 463,863 5.2 3.1 2 중국 7,298,147 2 일본 192,796 2.8 2.6 3 일본 5,869,471 3 중국 109,059 12.0 1.9 4 독일 3,577,031 4 독일 99,342 2.7 2.8 5 프랑스 2,776,324 5 영국 83,367 3.1 3.0 6 브라질 2,492,908 6 프랑스 77,098 3.4 3.1 7 영국 2,417,570 7 이탈리아 46,099 3.1 1.9 8 이탈리아 2,198,730 8 캐나다 44,166 6.5 2.0 9 러시아 1,850,401 9 브라질 39,168 10.6 2.1 10 캐나다 1,736,869 10 한국 38,562 4.2 2.2 11 인도 1,676,143 11 호주 35,021 5.2 2.1 12 스페인 1,493,513 12 스페인 29,412 2.5 2.0 13 호주 1,488,221 13 러시아 24,140 10.1 1.6 14 멕시코 1,154,784 14 인도 21,628 14.3 1.9 15 한국 1,116,247 15 네덜란드 20,766 3.3 1.9 출처 : IMF(2012), PWC(2012), KOCCA, "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에서 재인용 세계 GDP 상위 15개국은 멕시코를 제외하고 모두 콘텐츠산업 상위 15개국 안에 랭크 특히 BRICs(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 등 신흥경제 4국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 동안 콘텐츠산업 성장률이 10%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또한 이들 국가의 GDP 대비 콘텐츠산업 비율은 2.1% 미만으로 선진국에 비해 성장 잠재력 이 높은 국가들임 2010년 세계 9위의 콘텐츠 시장 규모를 보였던 우리나라는 10.7%의 고성장을 이루어 낸 브라질 콘텐츠 시장규모에 밀려 2011년에는 세계 10위 규모의 시장을 보이고 있음 아시아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무분별하게 도입되던 서구 문화의 이질성에 대한 비판과 더불 어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아시아 각국의 정부 및 국민들의 인식도 높아지기 시작함 아시아는 21세기 중반에 GDP 기준으로 세계 경제의 50%에 육박하는 세계 경제의 중심으 로 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됨 아시아는 지역 내 국가들의 경제적인 성장과 더불어 콘텐츠산업에 있어서의 위상도 점차 높 아지고 있음 전통적으로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강국이었던 일본은 이미 세계 국가에서 자국의 콘텐츠를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41
유통시킨지 오래되었음 우리나라의 K-Pop은 이미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영화, 드라마, 게임 등도 세계 수준의 제작 능력을 인정받고 있음 경제 성장과 더불어 아시아 국가들의 콘텐츠 제작 역량 또한 커지면서 향후 아시아는 세계 콘텐츠산업의 새로운 허브로 부상하게 될 전망 콘텐츠산업은 시장에서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높은 산업이지만 콘텐츠가 시 장에서 성공할 경우 연관 산업으로 경제적 효과가 파급됨에 따라 매우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고위험-고수익(High Risk-High Return)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음 또한 각각의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콘텐츠 상품이 가진 문화적 가치는 국가 이미지와 인 지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를 비롯한 선진국과 중국, 인도 등의 신흥 개발 국가들까지 콘텐츠산업을 국가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노 력하고 있음 분야별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 2008년 불어 닥친 세계 금융위기가 2009년 세계 콘텐츠시장을 2.5% 하락시켰는데 2010년 은 하락세를 상승세로 반전시킨 한 해로 평가할 수 있음 세계 콘텐츠시장은 2011년 유럽 위기의 와중에도 2010년 4.5%에 이어 2011년에도 4.9%의 성장을 이루어 내었음. 유럽에서 시작된 금융 불안이 세계 경제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세계 콘텐츠 산업은 향후 5 년간 전체 콘텐츠 산업소비시장이 연평균 5.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세계 명목 GDP성 장률인 6.6%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신흥 국가들의 콘텐츠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비교적 안 정적인 성장이라고 할 수 있음 42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표 2-1-2] 세계 콘텐츠시장 규모 (단위 : 백억 달러, %) 2012~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6 CAGR 전체 1461.6 1501.3 1464.5 1530.2 1604.6 1690.9 1781.6 1889.9 1994.2 2120.1 5.7 영화 82.3 82.0 83.4 84.9 85.4 87.9 90.7 93.7 96.7 99.7 3.1 애니메이션 12.0 12.5 12.7 14.1 13.8 14.8 15.2 16.0 16.8 17.0 4.2 방송 383.6 397.5 393.1 425.0 446.3 474.1 497.9 535.8 560.5 602.2 6.3 게임 44.7 54.3 55.5 57.8 59.0 62.7 66.6 71.6 77.3 83.4 7.2 음악 56.8 54.2 53.2 49.3 49.9 51.1 52.8 54.8 57.1 59.7 3.7 출판 397.3 388.5 357.9 358.5 355.3 356.1 358.9 363.5 369.8 377.1 1.2 만화 6.3 6.5 6.3 6.1 6.1 6.2 6.3 6.4 6.5 6.4 0.9 광고 495.4 491.1 438.3 468.7 485.7 512.9 539.0 581.0 611.7 660.9 6.4 지식정보 419.4 441.2 442.1 465.8 508.1 545.5 586.6 627.0 672.2 719.7 7.2 캐릭터 159.5 167.9 149.8 150.6 152.9 157.6 163.0 169.5 176.7 184.2 3.8 캐릭터시장포함규모 4) 단순합계 2057.3 2095.6 1992.0 2080.8 2162.6 2268.9 2377.0 2519.1 2645.3 2810.3 - 광고제외 1562.0 1604.6 1553.7 1612.0 1676.9 1755.9 1838.0 1938.1 2033.6 2149.4 - 출처 : PWC(2012), MPAA, FCC, EPM, IFPI, ICV2, The Numbers, KOCCA(2012),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에서 재인용 분야별로 보면 2011년 세계 콘텐츠시장에서 가장 큰 성장을 이루어 낸 분야는 지식정보콘 텐츠 시장임 2011년 세계 지식정보콘텐츠 시장 규모는 5조 810억 달러 시장이며 전년 대비 9.1%의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 지식정보콘텐츠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터넷 접속 시장 자체로는 엔터테인먼 트 & 미디어 부분은 아니지만, (1)콘텐츠에 접속하는 비용이며, (2)대부분의 엔터테인먼트 & 미디어부분에서의 소비에 있어 핵심 동인임 인터넷 접속시장은 2011년 3,170억 달러로 전년대비 15.1% 성장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접 속의 보급과 유선 브로드밴드의 지속적인 보급의 영향이라 할 수 있음 향후 5년간 모바일 인터넷 가입자 수는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며 광대역 유선 인터넷 가입 자 수도 50%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3. 세계 콘텐츠산업 주요 전망 2011년 경기회복과 콘텐츠산업 세계 경제는 2009년 급격한 침체에서 2010년부터 회복국면에 접어들었으며, 2011년에도 회 복세는 이어지고 있음 세계 콘텐츠산업 소비는 2011년 전년 대비 4.9% 성장하여 전년의 4.5%에 비해서 소폭 상승함 4) 캐릭터시장은 엔터테인먼트, 패션, 스포츠, 대학 등의 라이선싱 상품(소비재 상품 매출액)의 내수시장 규모로 이들 시장규모 는 전체시장 규모에는 포함하지 않고 참고용으로 캐릭터 라이선싱 상품 매출액을 포함한 시장규모를 별도 제시함 제2장 국내외 콘텐츠산업 동향 43
특히 광고시장은 2010년 FIFA월드컵과 동계올림픽의 영향으로 2009년의 급격한 감소에서 전년대비 7.0% 성장으로 반전되었으나, 2011년에는 성장 폭은 다소 둔화되어 전년대비 3.6% 성장을 기록함 소비자/최종소비자 지출은 2010년의 1.3%에서 2011년에는 2.0%로 소폭 상승함 인터넷 접속은 2010년의 10.0%의 성장률에서 2011년에는 15.1%로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 했다. 세계 광고시장은 2011년 3.6%로 성장했고, 소비 지출 부문은 실제로 2.0% 성장 2011년 인터넷 접속시장은 15.1%로 성장하여, 콘텐츠 시장 분야 중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 다. 그 이유는 스마트 디바이스 보급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인프라에 대한 소비가 크게 증 가하면서 모바일 접속시장의 성장이 전체 인터넷 접속시장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기 때문임 2012년 이후 세계 콘텐츠시장 전망 2012년에는 다양한 경제전망이 콘텐츠 산업의 소비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됨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지역은 2012년 전년대비 3.5%의 성장세로 가장 더딘 성장을 보 일 권역으로 전망되며, 2011년의 전년대비 5.2%성장 폭보다 낮은 수준임 남미 지역은 2012년 전년대비 9.2%로 2011년의 9.5%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 으로 전망됨 아시아지역은 6.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다소 침체된 일본 시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장 들은 2012년 전년대비 약 9.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북미는 2012년 약 5.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이유는 하계 올림픽과 대선으로 인해 광고시장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임 장기적인 전망을 볼 때, 경제상황은 개선될 것이며, 향후 5년간 콘텐츠 소비는 2008~2011년 에 비해 더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나 콘텐츠 산업의 성장은 명목 GDP 성장률보 다는 낮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하며, 이러한 주요 원인은 고가의 오프라인 유통 에서 저렴한 가격의 디지털 유통 으로 전환이 지속적으로 보일 것이기 때문임 2011년 도서시장에서 보이듯, 전통적인 미디어에서 디지털 미디어로의 전환이 진행되면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최종소비자 가격은 비디지털 콘텐츠의 가격보다 비교적 낮아지기 때 문에 이러한 이유로 성장세가 저해될 것으로 전망됨 향후 5년간 전체 콘텐츠 산업소비시장이 연평균 5.7%씩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명목 GDP성 장률인 6.6%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됨 평균 성장률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다수의 국가는 중동ㆍ 아프리카, 러시아 등과 더불어 향후 5년간 두 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이는 권역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콘텐츠 소비는 경제적 영향에 민감하며, 견실한 경제적 성장세를 보이는 국가들은 콘텐츠 소비에 있어서도 큰 증가세를 보일 것임 그러나 반대로, 약세의 경제는 다른 국가들의 성장세를 저해할 것이다. 일본, 독일, 아일랜 드, 덴마크, 스페인, 그리스의 국가들의 경우, 연평균 3% 미만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하며,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호주, 네덜란드, 스위스는 연평균 3.5%미만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44 2012 경기도 콘텐츠산업 실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