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3B1B3292D B4EBC1DFC0BDBEC7BDC7C5C2C1B6BBE7BAB8B0EDBCAD E687770>
|
|
- 정길 봉
- 8 years ago
- Views:
Transcription
1 KOCCA KOCCA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 프리랜스 뮤지션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 프리랜스 뮤지션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전라남도 나주시 교육길 35 (빛가람동 351) 전화
2
3 KOCCA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 프리랜스 뮤지션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
4
5 목 차 보고서의 목적 및 구성 i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3 제1절 국내 음악산업 정의와 분류 5 1. 국내 음악산업 관련 개념 정의 5 2. 국내 음악산업 분류 6 3. 국내 음악산업 구조 7 제2절 국내 음악산업의 현황 및 시장 규모 9 1. 국내 음악산업의 매출 현황 9 2. 국내 음악산업의 수출 현황 국내 음악산업 구조 및 경쟁 현황 14 제3절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현황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 및 수출 현황 상장사 인력 현황 음악산업 상장사 재무 분석 주요 업체의 마케팅 현황 및 전략 43 제4절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현황 49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53 제1절 글로벌 음악산업 개요 글로벌 음악시장 특성별 구분 글로벌 음악산업 규모 및 전망 57 제2절 분야별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오프라인 음반 시장 디지털 음악 시장 공연 음악 시장 67 제3절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권역별 음악 시장 현황 세계 음악시장 주요 국가별 규모 상위 20개국 75 - i -
6 제4절 글로벌 음악산업 주요 이슈 디지털 음원 시장의 스트리밍 서비스 경쟁력 강화 음악시장에서도 부상하는 신흥 강국 중국 불법 다운로드 및 저작권 문제 음악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85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87 제1장 연구개요 8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대중음악 프리랜스 공연시설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94 제3절 기존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기존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기존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기존 대중음악 작업시설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기존 대중음악 교육기관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102 제2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105 제1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주요 개념 대중음악 대중음악산업 언더그라운드 음악 인디음악 프리랜서/비정규직 뮤지션 공연시설 및 공연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대중음악 교육시설 11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113 제1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정의 및 연구방법 대중음악 대중음악산업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ii -
7 4.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연구방법 116 제2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특성 120 제3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 실태조사 개요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현황 프리랜스 뮤지션 소득 및 지출 공연시설 이용 실태 작업시설 이용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 교육 실태 음악활동 만족도 및 정부 정책 평가 174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183 제1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대중음악 공연시설 대중음악 공연시설 연구방법 185 제2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대중음악 공연시설 규모 187 제3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이용 실태 공연시설 관련 정부의 지원 정책 189 제5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195 제1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대중음악 작업시설 대중음악 작업시설 연구방법 197 제2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대중음악 작업시설의 변화 지역별 대중음악 작업시설 분포 199 제3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 작업 시설 운영 실태 201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203 제1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정의 및 연구방법 205 제2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iii -
8 제7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219 제1절 조사의 요약 221 제2절 조사의 의의 224 제 III 부 대중음악산업 정책 개선방안 227 제1장 대중음악산업 정책 요구조사 229 제1절 프리랜서 뮤지션 의견 231 제2절 대중음악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대중음악 관련 전문가 심층 인터뷰 시행 대중음악산업 생태계 문제점 진단 대중음악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 음악산업진흥 정책 진단과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 259 제2장 결론 및 제언 271 제1절 프리랜서 뮤지션 지원을 통한 창작 기반 강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네트워킹 지원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수익원 창출 대중음악 뮤지션 클러스터의 핫 플레이스화 프리랜스 뮤지션의 내적 만족도 진작 정부정책 기관의 통합적 지원 및 지역별 차별화된 지원 정책 수립 275 제2절 지속가능한 대중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 정비 명확한 중장기적 정책 목표의 설정 및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 대중음악 콘텐츠 다양성과 생태계 다원성 확보를 위한 창작 기반 강화 음악산업 가치사슬의 선순환적 관계 구축 및 비즈니스 역량 강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용적 지원 정책 강화 279 [부 록] 관련 목록 및 설문지 iv -
9 표 목 차 <표 I-1> 국내 음악산업 분류 7 <표 I-2> 음악산업 매출 현황 9 <표 I-3> 음악산업 업종별 매출액 현황 10 <표 I-4> 음악산업 수출입액 12 <표 I-5>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액 현황 12 <표 I-6> 음악산업 사업체수와 업체당 평균매출액 14 <표 I-7> 음악산업 매출액 규모별 사업체 수 변화 현황 15 <표 I-8> 음악산업 전체 매출액 대비 상장사 매출액 17 <표 I-9>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 및 영업이익액 현황 18 <표 I-10> 상장사별 매출 현황 20 <표 I-11> 상장사별 영업 이익액 23 <표 I-12> 상장사별 종사자수 24 <표 I-13> 국내 음악 상장사 성장성 분석 26 <표 I-14> 국내 음악 상장사 수익성 분석 27 <표 I-15> 국내 음악 상장사 안정성 분석 28 <표 I-16> 국내 음악 상장사 생산성 분석 28 <표 I-17> 국내 음악 상장사 활동성 분석 29 <표 I-18> SM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29 <표 I-19> SM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30 <표 I-20> SM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30 <표 I-21> SM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31 <표 I-22> SM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32 <표 I-23> SM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32 <표 I-24> YG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33 <표 I-25> YG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34 <표 I-26> YG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34 <표 I-27> YG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35 <표 I-28> YG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35 <표 I-29> YG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36 <표 I-30> JYP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36 <표 I-31> JYP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37 <표 I-32> JYP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38 - v -
10 <표 I-33> JYP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38 <표 I-34> JYP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39 <표 I-35> JYP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39 <표 I-36>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매출구조 40 <표 I-37>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40 <표 I-38>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41 <표 I-39>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41 <표 I-40>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42 <표 I-41>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42 <표 I-42> SM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43 <표 I-43> SM 계열회사 43 <표 I-44> SM 엔터테인먼트 사업 부문별 매출 44 <표 I-45> YG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45 <표 I-46> YG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45 <표 I-47> JYP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47 <표 I-48> 로엔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48 <표 I-49> 온라인 음원 서비스 시장점유율 50 <표 I-50> 모바일 음악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월간 이용자 추이 51 <표 I-51>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전망( ) 58 <표 I-52> 글로벌 음악산업 규모 추이 61 <표 I-53> 세계 오프라인 음반 시장 규모 및 전망( ) 61 <표 I-54>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및 전망( ) 64 <표 I-55> 세계 디지털 음원 포맷별 시장 규모 및 비율 추이 67 <표 I-56> 세계 공연 음악 시장 규모 및 전망( ) 68 <표 I-57>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 72 <표 I-58> 2014년 글로벌 음악 상위 20개 국가 75 <표 I-59> 세계 음악시장 국가별 규모 및 전망( ) 76 <표 I-60> 미국의 주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81 <표 II-1>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배경 및 목적 92 <표 II-2> 선행 대중음악산업 관련 실태조사의 대상 및 특성 95 <표 II-3>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개요 및 특징 96 <표 II-4> 연예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개요 및 특징 97 <표 II-5> 공연예술 실태조사 개요 및 특징 98 <표 II-6> 지역별 공연시설 및 공연장 현황(2013년) 99 <표 II-7>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개요 및 특징 100 <표 II-8> 음악산업 통계조사 개요 및 특징 101 <표 II-9> 연예기획사 전수조사 개요 및 특징 vi -
11 <표 II-10>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개요 116 <표 II-11> 2013년 음악산업 지역별/업종별 종사자 현황 118 <표 II-12> 프리랜스 뮤지션 응답자 특성 125 <표 II-13>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 127 <표 II-14> 개인 버스킹/단체 버스킹/단독 공연 등 음악활동 경험 (1) 129 <표 II-15> 조인트 공연/오디션 참가/레이블 소속 등 음악활동 경험 (2) 130 <표 II-16> 업소 공연/음반 취입/행사 공연 등 음악활동 경험 (3) 131 <표 II-17>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여부 133 <표 II-18> 음악활동에 의한 월 수입금액 134 <표 II-19>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여부 136 <표 II-20> 음악활동 이외의 월 평균 수입금액 137 <표 II-21>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활동 종류 138 <표 II-22>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금액 139 <표 II-23>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내역 141 <표 II-24> 주된 음악공연 지역 및 장소 (1) 142 <표 II-25> 주된 음악공연 지역 및 장소 (2) 143 <표 II-26>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 공연 경험 및 공연 횟수 144 <표 II-27>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할 수 있는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의 충분성 146 <표 II-28>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147 <표 II-29>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 기회 획득 시 애로사항 148 <표 II-30> 50인 미만 객석 보유 공연시설 충분성 149 <표 II-31> 50인 미만 객석 보유 공연시설의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기회 제공 가능성 151 <표 II-32> 공연시설 이용상의 정부에 바라는 사항 (정책적 제언 혹은 개선사항) 152 <표 II-33> 주된 작업시설 이용 장소 및 지역 (1) 153 <표 II-34> 주된 작업시설 이용 장소 및 지역 (2) 154 <표 II-35> 주된 녹음 장소 및 지역 155 <표 II-36> 프리랜스 뮤지션의 이용 작업시설 충분성 156 <표 II-37> 작업시설 이용 시 애로사항 157 <표 II-38> 작업시설 확충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 158 <표 II-39> 국내외 음악대학 교육 이수 경험 160 <표 II-40> 국내외 학원 교육 이수 경험 161 <표 II-41> 국내외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 162 <표 II-42> 음악교육 관련 지인 도움 혹은 독학 경험 163 <표 II-43> 국내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 정도 164 <표 II-44> 국내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 정도 166 <표 II-45> 국내 레슨의 도움정도 168 <표 II-46> 지인 도움 혹은 멘토링의 도움 정도 vii -
12 <표 II-47> 독학의 교육 도움정도 172 <표 II-48> 음악 교육 이수 시 애로사항 173 <표 II-49> 대중음악 교육기관 확충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 173 <표 II-50>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 174 <표 II-51> 향후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 유지 의향 176 <표 II-52>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 추천의향 177 <표 II-53>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성공하기 위한 조건 179 <표 II-54>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 180 <표 II-55>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조사 개요 186 <표 II-56>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계자 목록 186 <표 II-57>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조사 개요 197 <표 II-58> 대중음악 교육기관 실태조사 개요 205 <표 II-59> 4년제 대학 대중음악 교육기관 207 <표 II-60> 2~3년제 대학 대중음악 교육기관 208 <표 II-61> 콘서바토리 대중음악 교육기관 208 <표 II-62> 주요 대중음악 관련대학 전공별 과목 및 교육 현황(2014년 기준) 210 <표 II-63> 학과별 진출 분야 214 <표 III-1>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정도 232 <표 III-2>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완화를 바라는 내용 233 <표 III-3>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경험 235 <표 III-4> 지원받은 공공기관 236 <표 III-5>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내용 237 <표 III-6> 음악활동 시 가장 큰 애로사항 239 <표 III-7> 프리랜스 뮤지션 지원정책 수립 시 정부의 우선적 역할 240 <표 III-8>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 242 <표 III-9> 전문가 심층 인터뷰 대상자 viii -
13 그 림 목 차 <그림 I-1>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 8 <그림 I-2> 국내 음악산업 콘텐츠 유통 구조 8 <그림 I-3> 국내 음악산업 총 매출액 현황 9 <그림 I-4>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 현황 13 <그림 I-5> 음악산업 매출액 규모별 사업체 수 현황 15 <그림 I-6>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액 변동 18 <그림 I-7>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영업이익액 변동 19 <그림 I-8>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수출액 변동 19 <그림 I-9> 국내 음악산업 기획/제작 상장사 매출 현황 21 <그림 I-10> 국내 음악산업 플랫폼/유통 상장사 매출 현황 22 <그림 I-11>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종사자수 변동 25 <그림 I-12> 국내 디지털 음악 매출 규모 49 <그림 I-13> 세계 음악산업 시장 구분 55 <그림 I-14>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성장률( ) 58 <그림 I-15> 2013년 세계 음악시장 분야별 비중 60 <그림 I-16> 세계 음악시장 분야별 규모 및 전망( ) 60 <그림 I-17> 세계 주요국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 성장률( ) 62 <그림 I-18> 음악 시장 부문별 비율 변화 추이 63 <그림 I-19> 세계 LP 앨범 판매 추이 63 <그림 I-20> 2013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64 <그림 I-21>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성장률,( ) 65 <그림 I-22> 글로벌 시장의 실연권 시장 규모 추이 68 <그림 I-23> 세계 공연 음악 시장 성장률( ) 69 <그림 I-24> 2013년 세계 공연 음악 시장 규모 70 <그림 I-25> 2013년 세계 공연 음악 시장 비중 71 <그림 I-26>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비중 변화( ) 72 <그림 I-27> 유럽 음악시장 규모 변화 추이( ) 73 <그림 I-28> 유럽 음악산업 부문별 규모 추이( ) 73 <그림 I-29> 남미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 74 <그림 I-30>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및 성장률( ) 78 <그림 I-31> 세계 디지털 음원 서비스의 비중 변화 79 <그림 I-32> 세계 유료 스트리밍 시장 매출 규모 80 - ix -
14 <그림 I-33>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성장에 기여한 상위 15개국 80 <그림 I-34> 미국 주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이용률 81 <그림 I-35> 중국 음악시장 규모 및 성장률( ) 83 <그림 I-36> 중국 음악시장의 분야별 비중 변화 예측 83 <그림 II-1> 프리랜스 뮤지션 성별 현황 120 <그림 II-2> 프리랜스 뮤지션 연령별 현황 121 <그림 II-3>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지역별 현황 121 <그림 II-4>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형태 122 <그림 II-5>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장르 122 <그림 II-6>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파트 123 <그림 II-7>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기간별 현황 123 <그림 II-8> 프리랜스 뮤지션 레이블 소속여부 124 <그림 II-9>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 126 <그림 II-10> 음악활동 형태별 활동 경험(복수응답) 128 <그림 II-11>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여부 및 수입금액 132 <그림 II-12>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여부 및 수입금액 135 <그림 II-13>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금액 138 <그림 II-14>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내역 140 <그림 II-15>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 공연 경험 및 공연 횟수 144 <그림 II-16>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의 충분성 145 <그림 II-17>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147 <그림 II-18>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의 충분성 149 <그림 II-19>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150 <그림 II-20>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충분성 156 <그림 II-21> 음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이수 혹은 활동 경험 159 <그림 II-22> 국내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정도 164 <그림 II-23> 해외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정도 165 <그림 II-24> 국내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정도 166 <그림 II-25> 해외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정도 167 <그림 II-26> 국내 레슨의 도움정도 168 <그림 II-27> 해외 개인 레슨의 도움정도 169 <그림 II-28> 지인 도움 혹은 멘토링의 도움정도 170 <그림 II-29> 독학의 교육 도움정도 171 <그림 II-30>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 174 <그림 II-31> 향후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 유지 의향 175 <그림 II-32>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 추천의향 x -
15 <그림 II-33>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성공하기 위한 조건 178 <그림 II-34>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 180 <그림 II-35> 전국 실용음악학과 대학의 지역별 분석 209 <그림 II-36> 지역별 학원 및 강사운영 현황 216 <그림 II-37> 서울지역 학원 분포도 216 <그림 II-38> 부산지역 학원 분포도 217 <그림 II-39> 광주지역 학원 분포도 218 <그림 III-1>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정도 231 <그림 III-2> 공공기관으로 부터 지원받은 경험/지원받은 기관/지원받은 내용 등 234 <그림 III-3> 음악활동 시 가장 큰 애로사항 238 <그림 III-4> 프리랜스 뮤지션 지원정책 수립 시 정부의 우선적 역할 240 <그림 III-5> 지원 수혜 정부기관 분석 xi -
16
17 보고서의 목적 및 구성 보고서의 목적 및 구성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K-POP의 급속한 성장을 바탕으로, 국내 대중음악은 국내외 시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인지도와 위상을 높여가고 있음. -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2014년 매출 4.6조 원, 수출 3.1억 달러 규모(국내 산업통계 기준) 의 전세계 음악시장 8위권(IFPI, 2015)의 음악 소비 생산 강국으로 성장 -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은 2017년까지 고성장을 기록하며 대규모 시장을 이루는 국가로 분류(PWC, 2014) 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성공 이후, 미국 음악전문지 빌보드는 K-Town 이라는 K-POP 전문 섹션을 통해 한국 가수들의 앨범을 지속적으로 소개하고 있음( w.billboard.com/articles/columns/k-town) 년 전세계 권역별 음악마켓 K-POP 쇼케이스 에서 공식 집계 참관객 1만여 명 이상, 계약상담액 200만 달러 이상 기록 - 최근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한류의 핵심적 콘텐츠이자, 우리의 문화적 표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님 하지만 이와 같은 외형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중음악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장르 음악의 균형적 성장, 실연자와 창작자의 권리 보호 등 국내 대중음악의 고질 적 문제 해결과 선순환적인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음 - 국내 음반 음원 시장의 저성장 구조 지속에 따른 수익 확보의 어려움(안정일, 2012) - 시장 수요가 검증된 일부 아이돌 음악으로의 창작 편중 가속화에 따른 아이돌 팬덤 이 외 수요와 공급 간 괴리 심화(김호영 윤태진, 2012; 이동연, 2012) - 통신사를 중심으로 한 유통 홍보 독과점과 일부 기획사 음악의 채널 독점으로 인한 중소 인디 대중음악의 소개 경로 제한 등이 맞물린 악순환(김병오, 2013; 서정민갑, 2012; 한찬희, 2011) 대중음악산업 진흥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음악산업 경쟁력의 기반 요소인 인력, 시설, 교 육기관 등에 대한 파악과 분석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데, 현재 가용한 자료는 전체 음악 산업의 현황을 조망하는데 매우 미흡한 실정임 - 현재 음악산업 관련 통계는 한국표준직업분류 자료(가수, 뮤지컬 배우 등), 공연예술실 태조사(공연장), 콘텐츠산업통계(음악산업 규모, 종사자, 사업체수 등) 등을 통해 수집되 i
18 고 있음 - 하지만 대중음악의 특성상, 상당수의 뮤지션과 음악 창작자들이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많은 민간 사설음악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으며 특별한 고용관계 없이 프리랜서로 중 소형 공연장 및 라이브클럽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현황에 대한 자료는 기존 통계에 반영되고 있지 않음 - 이들에 대한 이해 없이는 전체 대중음악시장의 현황 파악 및 진흥 정책 수립이 어려움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성숙과 우리 문화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서 그간의 선행연구나 국가 통계조사, 실태조사 등에서 파악하지 못했던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현황 및 실태 자료 축적이 시급한 실정임 - 한류의 핵심 콘텐츠이자 우리의 문화적 표상으로 대중음악산업이 지니는 중요성에 비 해, 현재 수행되는 대중음악산업 통계 조사는 전체 대중음악산업을 조망하는데 매우 미 흡한 수준임 - 특히, 국내외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경쟁력 강화 기반 요소인 기초 인력 및 인프라에 대한 실태 파악과 분석은 대중음악산업의 풀뿌리 를 형성하는 생태계 기반 구축 및 이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에 유의미하게 기여할 수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개념 정의조차 다양하고 모 호한 상태이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조사를 찾기 어려움 한편, 청년실업 및 창의인재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청소년 및 젊은 층의 프리랜스 뮤지션으 로 급격한 유입이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들의 규모나 특성에 대한 현황이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했음 - 많은 청소년, 젊은 층이 대중음악산업 진입을 위하여 인디밴드나 오디션 프로그램에 몰 려들고 있는 현실임 - 대중음악산업에 진입하는 청소년 및 젊은 층 중 다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위치에 놓 이게 되어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저력 및 토대를 키우는 순기능 요소가 되기도 하지만, 청년실업으로 연결되는 요인이기도 함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대중음악산업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기존 관련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으나 대중음악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 자원으로서의 프 리랜서 뮤지션 및 그 활동 범주에 대한 기초 현황 자료를 구축하고 그 실태를 탐색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음 -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프리랜스 뮤지션의 인구통계 학적 특성 및 활동 양태, 이들이 주로 활동하는 소규모 공연시설, 작업 제작시설, 교육 기관 등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함 ii 2014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 보고서의 목적 및 구성 - 특히, 국내 주요 거점지역(서울, 부산, 광주)을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각 지역 별 현황을 비교 검토하고자 함 -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있어서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실태 자료 구축은 처음 시도되는 것으로, 향후 대중음악산업의 발전과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임 하지만, 기존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프리랜서 창작 실연 인력 및 관련 시설(연주 공연), 교육 프로그램 현황은 그 개념 및 정의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불충분하며, 모집단을 파악 하거나 통계적인 방법론을 통해 과학적 실태 데이터를 도출하는데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 는 본질적 한계가 존재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조사의 개념적 타당성 혹은 과학적 엄밀성 확보에 앞서, 그 중요성에 비해 현실적으로 소외되어 왔던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주요 구성원들에 대 한 의미 부여와 탐색을 처음으로 시도하는 것이 대중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 립과 지속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는 촉발점으로 더욱 의미를 지닐 것으로 판단하였음 - 향후 이루어질 후속 연구 및 조사를 통해, 관련 개념과 분석 대상이 더욱 정교화되고 조사 과정이 보다 체계화되어 현실 적합도를 더욱 강화해갈 수 있기를 기대함 2. 보고서의 구성 본 보고서는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음 제I부에서는 대중음악산업 최근 현황 파악을 위해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실태 및 동향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음 - 국내 대중음악산업 현황에서는 국내 음악산업 시장 규모 및 산업 동향을 간략히 정리 하는 한편, 주요 대중음악 기획 제작사를 비롯한 대중음악관련 상장사 현황 및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 동향을 중심으로 최근 대중음악산업의 주요 흐름 변화 추세를 살펴보 았음 - 한편, 글로벌 대중음악산업 현황은 PWC(2014), IFPI(2015) 등 최신 자료를 중심으로 글로 벌 음악산업 개요, 대중음악산업 주요 분야별 동향, 권역별 국가별 동향 등을 정리하 였음 -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통계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 콘텐츠진흥원(2015)이 발간한 2014 음악산업백서 를 비롯, 본 보고서 본문(제II부 제1 장)에서 제시한 관련 통계 자료들을 참조하기 바람 제II부에서는 본 보고서의 주요 목적인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활동 관련 실 iii
20 태조사 내용을 담았음 - 조사의 개요 및 조사 절차 방법 해석의 한계 등을 밝히고,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장, 작업실, 교육시설 등 조사 대상의 개념과 분석 대상 범주를 설정하였음 -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과 관련하여 규모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음악 활동 현황, 소 득 및 지출, 공연시설 이용 실태, 작업시설 이용 실태, 뮤지션 교육 실태, 음악 활동 만 족도 등을 살펴보았음 - 아울러 기존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소규모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의 현황 및 실태를 탐색하였음 제III부에서는 프리랜서 뮤지션 대상 설문 조사 결과 및 음악산업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대중음악산업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정책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음 참고자료 김병오(2013). 한국 음악산업의 쟁점 연구: 스탑덤핑뮤직운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대중음악, 12, pp 김호영ㆍ윤태진(2012). 한국 대중문화 아이돌 시스템 작동 방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4), pp 문화체육관광부ㆍ한국콘텐츠진흥원(2015) 음악산업백서. 서정민갑(2012). 대중음악의 종다양성 확보를 위한 비주류 음악 활성화 방안들. <대중음악산업의 현 쟁점과 대안 찾기> 컨퍼런스 발제문. 안정일(2012). 음악시장 활성화를 위한 음원저작권의 합리적 가격 제도와 징수체제. <대중음악산업의 현 쟁 점과 대안 찾기> 컨퍼런스 발제문. 이동연(2012). 대중음악산업 지원체계의 새로운 대안. <대중음악산업의 현 쟁점과 대안 찾기> 컨퍼런스 발제문. 한찬희(2011). 이동통신사의 콘텐츠 상품으로 전락한 대중음악. 대중음악, 7, pp IFPI(2015).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the recorded music market in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iv 2014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1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22
23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제1절 국내 음악산업 정의와 분류 제2절 국내 음악산업 현황 및 시장 규모 제3절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현황 제4절 국내 디지털 스트리밍 음악서비스
24
25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제 1 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1) 제 1 절 국내 음악산업 정의와 분류 1. 국내 음악산업 관련 개념 정의 음악산업 음악 : 소리를 소재로 박자 선율 화성 음색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하여 사 상과 감정을 나타낸 것 음악산업 : 음악의 창작 공연 교육, 음반 음악파일 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의 제작 유통 수출 수입, 악기 음향기기 제조 및 노래연습장업 등과 이와 관련된 산업(<음악산 업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음악산업법)> 제2조, 개정) 작곡, 출판, 저작권, 공연, 매니지먼트, 음반, 방송, 광고, 영화음악 등을 포함 음원과 음반 음원 : 음 또는 음의 표현으로서 유형물에 고정시킬 수 있거나 전자적 형태로 수록할 수 있는 것 음반 : 음원이 유형물에 고정되어 재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 음반산업 일반적으로 음반산업은 음반 제조 뿐만 아니라 음악 서비스를 포괄하면서 음악산업과 유 사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음 - LP, CD, 카세트테이프 등 음반의 제작ㆍ배급ㆍ출판과 관련된 산업 총칭 - 음반 상품의 제조ㆍ판매( Record 산업) 뿐만 아니라, 레코딩된 작품의 재산권과 매니지 먼트, 그리고 공연까지 포괄하는 개념( Recording 산업)으로 확대 디지털 음악 유선 무선인터넷상에서 또는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파일형식 또는 포맷 (파일형식은 mp3, wma, ogg, asf, avi, H.264 등)으로 변환되어진 음악콘텐츠를 PC, MP3플 레이어, 헤드셋, PMP, 네비게이션 등의 디지털 음악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형태로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총칭 1) 본 장의 내용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통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재정리하였음을 밝혀둠. 5
2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공연산업 공연 콘텐츠의 기획, 제작, 공연, 유통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것으로, 공연예술에 효율성과 수익성 등 측면에서의 성과 개념을 적용한 것 - 공연산업에서의 가치사슬은 관객에게 공연을 제공하는 활동을 통해 부가가치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공연산업은 이러한 부가가치 창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일련의 활 동과 프로세스를 포괄함 - 공연가치사슬은 주활동과 지원활동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주활동은 공연의 기획, 제작 등과 같은 업무활동을 의미하며, 지원활동은 인사, 재무, 행정 그리고 시스템 개발 등 주활동을 지원하는 제반 업무를 의미(주활동은 부가가치를 직접 창출하는 부문을, 지원 활동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문을 말함) 2. 국내 음악산업 분류 국내 음악산업은 기획, 제작, 유통 형태에 따라 중분류 7개와 소분류 16개로 구성 음악제작업 : 음악 기획 및 제작업, 음반녹음시설 운영업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 음악 오디오물 출판업, 기타 오디오물 제작업 음악복제 및 배급업 : 음반 복제업, 음반 배급업 음반 도소매업 : 음반 도매업, 음반 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 인터넷/모바일 음악 서비스업, 음원 대리 중개업, 인터넷/모 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CP) 음악 공연업 : 음악공연 기획 및 제작업, 기타 음악공연 서비스업 노래연습장 운영업 : 노래연습장 운영업 위의 분류는 전반적인 콘텐츠산업의 스마트화에 따른 온라인 및 모바일 기반 음악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재검토 및 보완이 요구되고 있음 - 특히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과 음악공연 기획 및 제작업에 대한 세 분류 정교화 작업 필요 - 아울러, 글로벌 시장 데이터와의 평행적 비교가 가능한 데이터 집계 기준 정비 필요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7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 정의 음악제작업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음반복제 및 배급업 음반 도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음악 공연업 노래연습장 운영업 음악 기획 및 제작업 음반(음원) 녹음시설 운영업 음악 오디오물 출판업 기타 오디오물 제작업 음반 복제업 음반 배급업 음반 도매업 음반 소매업 인터넷/모바일 음악 서비스업 음원 대리 중개업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제공업(CP) 음반 및 음원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업체(CP제외) (음원제작 및 관련 비즈니스업을 수행하는 업체) 음반 또는 음원을 녹음할 수 있는 시설을 운영하는 사업체 음악관련 악보를 출판하는 업체 기타 오디오물을 제작하는 업체(출판관련) 음반을 복제하는 사업체 음반을 도소매업 사업체에게 배급하는 사업체 음반을 도매하는 사업체 음반을 소매하는 사업체 음원 대리 중개업체로부터 음원을 양도받아 모바일 및 인터넷으로 서 비스하는 사업체 음원권리자로부터 음원의 권리를 양도받아 온라인상으로 중개하는 사 업체 음원을 제작하여 모바일 음악 서비스 업체 및 인터넷 음악서비스 업 체에 제공하는 사업체 음악공연 기획 및 제작업 음악공연(뮤지컬, 대중음악, 클래식, 오페라, 전통공연 등)을 기획 및 제작하는 사업체 (단, 연극은 제외) 기타 음악공연 서비스업 음악공연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 (티켓발매 등) 노래연습장 운영업 <표 I-1> 국내 음악산업 분류 연주자를 두지 아니하고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또는 무영상 반주장치 등의 시설을 갖춘 사업체 3. 국내 음악산업 구조 음악산업의 구조는 음악 콘텐츠를 기획 생산하는 과정과 이 콘텐츠를 음반 디지털 음 원,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여 홍보 및 유통시킴으로써 소비자가 소비하는 과정으 로 구성됨 음악 콘텐츠는 일반 제조업과 달리 소비자들에 의한 지속적 소비와 경험을 통해 콘텐츠 의 부가가치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는 유동적인 성향을 가짐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그림 I-1> 참조) - 기획 단계 : 아티스트 발굴, 교육, 음반 기획 등의 활동을 통해 콘텐츠 특성 산출 - 생산 단계 : 아티스트 컨셉에 부합하는 곡을 선정하고 녹음하여 음반 및 음원 생산 - 콘텐츠 : 생산된 아티스트와 음반 및 음원은 음악산업의 콘텐츠에 있어 가장 기초적이 며 근원적인 산출물 - 홍보 및 유통 : 콘텐츠는 마케팅, 뮤직비디오, PR 등의 홍보 활동을 방송, 라디오, 인쇄 물, 인터넷, 신문 등에 대한 소비자와의 접촉 단계를 거쳐 온라인, 오프라인 등의 유통 수단을 통해 소비자에게 소비됨 7
2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그림 I-1>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 국내 음악산업 콘텐츠 유통 구조(<그림 I-2> 참조) - 콘텐츠는 1차적으로 음반과 디지털 음원으로 소비되며 콘텐츠의 가치가 보다 강화되어 추가적으로 공연, MD, CF 등을 통한 콘텐츠의 수익 다변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콘텐츠 의 부가가치가 강화되면 보다 다양한 관련 분야로 확산되게 됨 - 현재 국내 음악산업의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생산의 대표적인 업체들은 SM 엔터테인먼 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CJ E&M, 로엔 엔터테인먼트 등이 있으며, 이 외 기업들은 자본력 및 자체 역량의 한계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그림 I-2> 국내 음악산업 콘텐츠 유통 구조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9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제 2 절 국내 음악산업의 현황 및 시장 규모 PWC는 한국 음악시장에 대해 한국의 음악 시장은 세계적으로 가장 진보된 시장 중의 하 나이며 K-POP은 국경을 초월하는 브랜드라고 평가하고 있음(PWC, 2014) - 아시아 국가가 기록적인 음악시장 성장을 보이는 일은 아주 드문 경우임 - 특히 디지털 음악산업과 관련하여 다운로드, 모바일, 스트리밍 등 어느 하나에만 치우 치지 않은 전반적으로 건강한 시장으로 판단하고 있음 2015년 발표된 IFPI의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에 따르면 한국 시장은 2014년 기준 19.2%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의 현격한 성장률을 보이며 사상 최초로 세계 8대 시 장에 진입하였음 1. 국내 음악산업의 매출 현황 음악산업 전체 매출 현황 2013년 음악산업의 매출액은 4조 2,771억 원으로 전년대비 7.1% 증가했으며, 2011년에서 2013년까지 연평균 11.8% 증가 음악산업 총 매출 <표 I-2> 음악산업 매출 현황 2011년 2012년 2013년 전년대비 증감률(%) (단위: 억원, %) 연평균 증감률(%) 38, , , 음악산업 매출액은 최근 K-POP팝의 재점화에 따른 음원 수요 및 공연 증가에 따라 전반 적으로 상승 <그림 I-3> 국내 음악산업 총 매출액 현황 (단위: 억원) 9
3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음악산업 업종별 매출액 현황 중분류 소분류 <표 I-3> 음악산업 업종별 매출액 현황 매출액(백만원) 2011년 2012년 2013년 비중(%) 전년대비 증감률 (%) 연평균 증감률 (%) 음악 기획 및 제작업 579, , , 음악제작업 음반(음원) 녹음시설운영업 40,565 44,480 46, 소계 619, , , 음악 오디오물 음악 및 출판업 12,667 13,668 14, 오디오물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제작업 소계 13,627 14,664 15, 음반 복제업 45,233 46,529 48, 음반복제 및 음반 배급업 56,246 56,626 59, 배급업 소계 101, , , 음반 도매업 49,449 50,541 50, 음반 도소매업 음반 소매업 100, , , 소계 150, , , 인터넷/모바일 음악서비스업 714, , , 음원대리중개업 86,662 91,279 97, 온라인 음악 인터넷/모바일 유통업 음악콘텐츠제작 78,027 81,123 80, 및 제공업(CP) 소계 879, ,523 1,059, 음악공연 기획 및 제작업 488, , , 음악 공연업 기타 음악공연 서비스업 43,905 47,607 51, 소계 532, , , 중합계 2,296,726 2,483,037 2,774, 노래연습장 노래연습장 운영업 운영업 1,520,734 1,511,888 1,502, 합계 3,817,460 3,994,925 4,277, 중분류 업종별 매출액 변화 - 음악제작업 매출액 : 2013년 7,714억 원으로 전년대비 13.9% 증가, 최근 3년간 연평균 11.9% 증가 -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매출액 : 2013년 150억 원으로 전년대비 2.8% 증가, 2011년에 서 2013년까지 연평균 5.2% 증가 - 음반복제 및 배급업 매출액 : 2013년 1,078억 원으로 전년대비 4.6% 증가, 최근 3개년 연평균 3.1% 증 - 음반 도소매업 매출액 : 2013년 1,533억 원으로 전년대비 1.5% 증가, 2011년에서 2013년 까지 연평균 1.0% 증가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3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 온라인 음악 유통업 매출액 : 2013년 10,590억 원으로 전년대비 11.2% 증가했으며, 최근 3개년 연평균 9.7% 증가 - 음악 공연업 매출액 : 2013년 6,679억 원으로 전년대비 14.9% 증가했으며, 2011년에서 2013년까지 연평균 12.0% 증가 - 노래연습장 운영업 매출액 : 2013년 1조 5,024억 원으로 전년대비 0.6% 감소했고, 최근 3개년 연평균 0.6% 감소 음악공연업과 음악제작업을 중심으로 한 성장 - 중분류 중 전년대비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음악공연업으로 나타났으며 (14.9% 증가), 다음으로 음악제작업의 매출액 증가가 높았음(13.4% 증가) - 3년간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 역시 음악공연업이 12.0% 증가로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음악제작업이 11.6%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였음 소분류 업종별 매출액 변화 : 공연기획, 제작업, 인터넷/모바일 음악 서비스가 시장 선도 - 음악 공연 기획 및 제작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15.6% 증가하여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냈으며, 음악기획 및 제작업 매출액이 전년대비 13.9% 증가, 인터넷/모바일 음악서 비스업 매출액이 전년대비 13.0% 증가하여 그 뒤를 이음 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음악공연 기획 및 제 작업으로 연평균 12.4% 증가했으며, 다음으로 음악기획 및 제작업이 11.9%, 인터넷/모바 일 음악서비스업이 11.0% 증가 최근 국내 음악산업 매출 상승의 키워드 : 공연, 기획 제작, 인터넷 모바일 최근 국내 음악공연산업은 전반적인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음 - 국내 공연 매출액은 2013년 약 3,880억 원으로 전년대비 13%의 증가를 보임 - 공연 매출액의 90% 비중을 보이고 있는 콘서트와 뮤지컬의 작품 수는 2013년 10,060편 으로 지난해 대비 296편 늘어남 - 다양한 뮤지컬이 기획 제작되고 공급이 증가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짐 : 뮤지컬 부문에 서는 대형 뮤지컬을 중심으로 신작들의 경쟁이 격화되었고, 글로벌 라이선스 대형 뮤 지컬의 호응과 함께 국내외 중형 창작 뮤지컬도 양적 및 질적 성장으로 경쟁력 확보 - 국내외 한류 확대에 따라 아이돌 그룹 멤버들의 뮤지컬 데뷔로 공연시장 이용자 저 변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 음악시장은 제작 및 유통에 전문성이 요구되고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일부 업체들의 시장독점적 구조가 강화되어 왔지만, 최근 들어 인터넷과 관련된 미디어 제작 및 유통기 술의 발달로 인해 음악시장 진입이 다소 용이해짐 : 음원소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음원서비스 시장에서 기존 사업자 및 신규사업자 간 경쟁 확대 가능성 기대 11
3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2. 국내 음악산업의 수출 현황 음악산업 전체 수출 현황 2013년 음악산업 수출액은 2억 7,732만 달러로 전년대비 18.0% 증가했고, 2011년에서 2013 년까지 연평균 18.9% 증가하였음 2013년 음악산업 수입액은 1,296만 달러로 전년대비 0.2%감소, 연평균 1.7% 증가 <표 I-4> 음악산업 수출입액 (단위: 천달러,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전년대비증감률(%) 연평균증감률(%) 수출액 196, , , 수입액 12,541 12,993 12, 수출입 차액 183, , ,367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 현황 2013년 음악산업 수출액은 기존 아시아권 중심의 K팝 인지도가 유지되는 가운데, 아이돌 그룹들의 중국, 북미, 유럽, 동남아 활동 유지 및 확대를 기반으로 함 년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액은 일본이 80%로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일본 다음으로는 동남아가 13.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특히 동남아는 전년 대비 22.5%의 증가를 보여 한류의 쇠퇴 우려에 비해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음 <표 I-5>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액 현황 (단위: 천달러, %) 연도 전년대비 연평균 2011년 2012년 2013년 비중(%) 지역 증감률(%) 증감률(%) 중국 6,836 8,806 10, 일본 157, , , 동남아 25,691 31,146 38, 북미 , 유럽 4,632 4,231 4, 기타 , 합계 196, , ,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33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그림 I-4> 음악산업 지역별 수출 현황 국내 음악산업 수출의 주요 전략적 특성 국내 음악시장은 대형 음악기획사들을 중심으로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수출 성 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국내 대형음악기획사들은 다양한 음악장르와 캐릭터들을 보유한 아이돌을 통해 일본, 중국 등 아시아권에서 성과를 도출 - 아시아 시장에서의 성공세를 바탕으로 미주, 남미 등으로 영향력을 확대 중 이에 국내 아이돌 그룹은 한류 의 첨병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보다 효율적으로 글로 벌 국가에 진입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으로 진출 지역의 현지 아이돌을 발굴 육성해 왔 으며 이에 따른 중국, 태국 등의 출신들이 다수 기용되고 있음 - 음악시장에서 외국 출신 아이돌의 육성은 무엇보다 해당 진출 국가의 언어적 및 문화 적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어 긍정적인 마케팅으로 인정받고 있음 - 하지만, 최근 대형기획사 소속의 일부 아이돌 스타들이 소송을 통한 전속계약해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내외 이슈화로 글로벌 한류 이미지 하락에 영향을 미 칠 가능성이 높음 궁극적으로 한류 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현지화는 불가피하므로 국내 음악산업 성 장을 위한 공동제작 및 투자 등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외국 출신 아이돌의 육성 및 관리 를 위한 음악 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함 13
3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3. 국내 음악산업 구조 및 경쟁 현황 2013년 현재 국내 음악산업 관련 사업체는 36,863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업체당 평균 매출 액은 약 116백만원 정도로 나타남 <표 I-6> 음악산업 사업체수와 업체당 평균매출액 중분류 음악제작업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음반복제 및 배급업 음반 도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음악 공연업 노래연습장 운영업 소분류 사업체 수 2012년 매출액 업체당 평균 매출액 사업체 수 2013년 매출액 (단위: 개, 백만원) 업체당 평균 매출액 음악 기획 및 제작업 1, , , , 음반(음원) 녹음시설 운영업 , , 소계 1, , , , 음악 오디오물 출판업 44 13, , 기타 오디오물 제작업 소계 52 14, , 음반 복제업 45 46,529 1, ,330 1,028 음반 배급업 15 56,626 3, ,539 3,134 소계 ,155 1, ,869 1,634 음반 도매업 54 50, , 음반 소매업 , , 소계 , , 인터넷/모바일 음악서비스업 ,121 3, ,207 4,763 음원대리 중개업 43 91,279 2, ,694 2,571 인터넷/모바일 음악 콘텐츠 제작 및 72 81,123 1, ,186 1,293 제공업 소계 ,523 3, ,059,087 3,716 음악공연 기획 및 제작업 ,646 1, ,820 1,200 기타 음악공연 서비스업 21 47,607 2, ,080 1,548 소계 ,253 1, ,900 1,221 중합계 2,456 2,483,037 1,000 2,420 2,774,698 1,147 노래연습장 운영업 34,660 1,511, ,443 1,502, 합계 37,116 3,994, ,863 4,277,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콘텐츠산업통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35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음악시장은 부문에 따라 소규모 업체들이 경쟁에 참여하고 있는 완전 경쟁 시장의 모습 속에 일부 대형 업체들에 의해 시장이 주도되고 있는 과점적 경쟁 시장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 -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업체는 7개사이며, 이들의 매출액 총합은 3,164억 2,600만원 - 기획, 제작 및 유통 부문에 전문성이 요구되면서 일부 업체들의 시장 독점적 구조가 강 화되어 실질적인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있음 - 음악 기획 및 제작업의 경우 2013년 기준 1,116개 업체가 운영되고 있는데, 업체당 평균 매출액이 649백만원 정도이며, 82%인 912개 업체가 소규모 업체에 해당 <표 I-7> 음악산업 매출액 규모별 사업체 수 변화 현황 매출액 규모 연도 1억 원 미만 1~10억 원 미만 10~100억 원 미만 100억 원 이상 합계 2011년 35,763 1, , 년 35,139 1, , 년 32,208 4, ,863 전년대비증감률(%) 연평균증감률(%)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콘텐츠산업통계. <그림 I-5> 음악산업 매출액 규모별 사업체 수 현황 국내 음악산업의 구조적 특성 약 0.6%의 회사가 전체 산업의 43.68%의 매출액을 차지할 정도로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음 - 많은 기업들이 소자본으로 동 시장에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업계 진입 장벽이 낮아 보일 수 있지만, 극소수의 스타만이 성공하는 현실을 비추어 본다면 시장 내에서의 경 쟁 환경 진입 장벽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아야 함 15
3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고 회사 브랜드 가치를 확보한 업체로 아티스트들의 희망 자원이 집중되는 경향으로 인해 시장 내 진입장벽의 고도화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대형 사업체들은 자원 확보 측면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트레이닝, 홍보 등 체 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신인 아티스트 성공에 있어서도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임 - 최근에는 성공적으로 브랜드가 구축된 아티스트의 가치를 동 회사의 타 아티스트와의 협력을 통해 해당 아티스트로의 가치 이전, 브랜드 구축 가속화 등 소위 지렛대 전략 이 활용되고 있어 타 업체 대비 빠른 속도로 아티스트의 성장을 이끌어 내며 추가적인 경쟁우위를 구축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37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제 3 절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현황 1.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 및 수출 현황 1) 음악산업 상장사 전체 매출 및 수출 현황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 현황 국내 음악산업 14년 4분기 전체 매출액 대비 상장사 비중은 약 27.5%로 전년동기대비 1.0% 증가, 전분기대비 약 1.8%p 증가하였음 - 전체 매출액 대비 상장사 비중은 13년 2분기 이후 상승세에서 14년 1분기 하락 후 다 시 증가세로 전환됨 - 14년 2분기의 세월호 참사 등의 국내 정치사회문제의 발생에 따른 전분기대비 하락이 있었으나 3분기부터 음악 관련 지속적인 내수 및 수출증대에 기인한 상승세로 반등 <표 I-8> 음악산업 전체 매출액 대비 상장사 매출액 구 분 음악산업 전체 매출액(백만원)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액(백만원) 전체 대비 상장사비중(%) 2분기 1,091, , % 2013년 3분기 1,094, , % 4분기 1,160, , % 1분기 1,187, , % 2014년p 2분기 1,099, , % 3분기 1,155, , % 4분기 1,108, , % 출처: KOCCA(2014), 음악산업백서 / KOCCA(2014), 2014년 3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 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하지만, 일부 대형업체에 집중된 시장구조와 일본 및 중국 지역의 반한류 및 혐한 분위 기 등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잔존하고 있음 17
3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표 I-9>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 및 영업이익액 현황 (단위: 억원, %) 2012년 2013년 2014년 구분 (전년대비) (전년대비) 1분기 (전기대비) 2분기 (전기대비) 3분기 (전기대비) 4분기 (전기대비) 전년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8, , , , , , , % 18.3% -7.5% -5.4% 10.5% 2.7% 11.2% , % 2.1% -9.8% -24.5% 48.7% 34.4% 36.1% 출처: KOCCA(2014), 음악산업백서 / KOCCA(2014), 2014년 3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 산업 동향분석보고서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의 14년 4분기 매출액은 약 3,044억 원으로 전분기대비 2.7% 하락. 2012~2013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 오다가 14년 1분기 및 2분기 각각 전분기대비 6.9%, 5.4% 하락하였으며, 14년 3분기 들어 전분기대비 10.2% 상승하였으나, 4분기 들어 2.7% 하락 <그림 I-6>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매출액 변동 (단위:억원, %)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39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그림 I-7>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영업이익액 변동 (단위:억원, %)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수출 현황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의 수출은 2014년 2분기 전분기대비 42.6%의 감소폭을 보였으나 3 분기에 52.9%의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수준을 회복하였다가 4분기에 다시 4.8% 감소 <그림 I-8> 국내 음악산업 상장사 수출액 변동 (단위: 천달러, %)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 상장사 분야별 매출 및 수출 현황 본 절에서는 음악 관련 상장사들의 주력 사업 분야를 기준으로 기획/제작사와 플랫폼/유 통사로 분류하여 각각의 매출 및 수출 현황을 분석하였음 - 기획/제작사 : CJ E&M, 에스엠, JYP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유통사 : 다날, 로엔 엔터테인먼트, 소리바다, KT뮤직, 네오위즈인터넷, 캔들미디어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음반기획 및 제작 사업도 하고 있으나, 주요 매출은 멜론을 통한 유통사업이므로 플랫폼/유통사로 분류하였음 19
4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구분 CJ E&M 에스엠 JYP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다날 로엔 엔터테인먼트 소리바다 KT뮤직 네오위즈인터넷 캔들미디어 합계 <표 I-10> 상장사별 매출 현황 2012년 2013년 2014년 전년대비 전년대비 1분기 전기대비 2분기 전기대비 기획/제작사 3분기 전기대비 4분기 전기대비 4분기 전년동기 대비 (단위: 억원, 명, %) 전년대비 1, , , % 20.2% -30.7% -11.7% 6.0% -13.8% 44.1% -18.4% , , % -2.6% -26.2% -4.4% 31.5% 0.3% -6.8% 3.2% % 34.8% -32.4% 17.0% 18.8% 91.7% 80.2% 148.9% , , % 9.1% 67.3% -23.8% 15.5% 4.7% 54.2% 34.4% 플랫폼/유통사 , % 20.9% -6.7% -6.7% 2.2% 2.7% -8.7% -10.1% 1, , , % 36.5% 1.9% -0.1% 7.1% 1.3% 10.5% 24.8% % -13.6% -16.9% -7.9% -9.7% 55.5% 7.5% -9.5% % 61.9% 13.1% 17.4% -1.8% -0.1% 30.3% 69.9% % 14.7% -11.3% -1.6% 5.4% -2.6% -10.4% -5.1% % 12.1% 22.7% 14.3% 12.3% 9.0% 71.6% 37.2% , , , , , , , % 18.3% -7.5% -5.4% 10.2% 2.7% -1.0% 11.2%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기획/제작사업 상장사 매출 현황 SM 엔터테인먼트 - 14년 4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6.8% 감소했으며 전분기대비 0.3% 상승 - SM 엔터테인먼트는 기존 소속 아이돌 그룹인 동방신기, 소녀시대, 샤이니, f(x) 등과 신 인 아이돌 그룹인 EXO 등을 중심으로 내수시장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 시장 영향력 지속 및 확대하고 있으며, 12년부터 영국, 프랑스 등 유럽지역과 미국 등의 북미지역으 로 진출해 K팝의 시장다변화 추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4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 SNS 등 뉴미디어 수단 이용 극대화 및 이와 연계된 여행, 매니지먼트 등 사업다각화 모 색 및 추진 년 소녀시대의 멤버 제시카의 탈퇴, f(x)의 설리 스캔들, EXO 멤버들의 소송, 세금 및 경영 문제 등으로 인한 리스크 관리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임 YG 엔터테인먼트 - 14년 4분기 전년동기대비 54.2%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분기대비 4.7%로 상승 - YG 엔터테인먼트는 자체제작시스템을 기반으로 12년 싸이의 강남스타일 및 13년 젠틀맨 출시 및 흥행으로 대내외 인지도 제고 - 오디션 등을 통한 신인 발굴과 함께 일본과 미국 등 현지 매니지먼트사와의 협력 및 자체 사업체 설립 등으로 글로벌 진출 적극 추진 - 음반제작, 공연, 매니지먼트 등 수익모델 다변화 추진 및 다수의 성공사례로 종합엔터 테인먼트 기업역량 확보 JYP 엔터테인먼트 - 14년 누적 매출액 약 443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48.9% 증가 - 14년 4분기 전년동기대비 80.2%증가했으며 전분기대비 91.7% 상승 CJ E&M 음악부문 14년 누적 매출액의 경우 약 1,954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8.4% 감소 <그림 I-9> 국내 음악산업 기획/제작 상장사 매출 현황 (단위: 억원) 플랫폼/유통사업 상장사 매출 현황 로엔 엔터테인먼트 - 14년 매출액은 약 3,152억원으로 전년대비 24.8% 증가 - 로엔 엔터테인먼트는 11년에서 13년까지 모든 분기 음원유통 부문 브랜드인지도 및 시장점유율 1위 유지 - 멜론 등 기존 음원유통서비스를 바탕으로 모바일 환경 변화에 따른 신규 음원 소비 패 턴에 부응하는 다양한 서비스 개발 및 제공 21
4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 독립멀티라벨(Multi Label) 체제 도입 등 음반기획과 창작 부문 투자확대 및 수익 다각 화로 창작 콘텐츠 역량 확보 및 이용자 확대를 추진 중 네오위즈인터넷 - 14년 매출액의 경우 전년대비 5.1% 감소 - 네오위즈인터넷는 디지털음원유통 B2C, 디지털음원유통 B2B,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사업구조로 최근 스마트 소비환경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출시. 향후 모바일게임 등 신 규사업 진출을 통한 사업다각화 추진 <그림 I-10> 국내 음악산업 플랫폼/유통 상장사 매출 현황 (단위: 억원) 음악산업 상장사별 수출 현황 CJ E&M 음악부분 - 14년 수출액의 경우 약 1,337만 달러로 전년대비 30.6% 감소 YG 엔터테인먼트 - 14년 수출액은 8,557만 달러로 전년대비 42.8% 감소 SM 엔터테인먼트 - 14년 수출액은 7,184만 달러로 전년대비 8.1% 감소 음악 수출액은 11년 1분기부터 12년 1분기, 13년 1분기 및 4분기의 하락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14년 1분기 이후 다소 큰 폭의 등락기조를 나타내는 가 운데, 14년 4분기는 전분기대비 약간 하락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43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음악산업 상장사별 영업 이익액 14년 4분기 영업이익은 약 412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6.1% 증가했으며, 전분기대비 34.4% 상승하였음 구분 다날 로엔엔터테인먼트 CJE&M 에스엠 소리바다 KT뮤직 네오위즈인터넷 캔들미디어 JYP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합계 <표 I-11> 상장사별 영업 이익액 (단위: 억원, 명, %) 2013년 영업이익액 2014년 영업이익액 4분기 2013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4분기 2014년 (전기대비) (전년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년동기대비) (전년대비) % 20.2% 23.3% 53.8% 56.5% 136.6% 21.3% 12.4% % 24.0% 60.3% 2.8% 5.7% 29.3% 16.4% 53.8% % 79.1% 427.1% 43.7% 52.3% 301.6% 828.0% 27.4% % 27.7% 62.7% 36.2% 194.4% 24.7% 47.3% 31.9% % 220.6% 278.1% 6.6% 21.2% 30.7% 459.4% 570.7% % 466.1% % 62.9% 11.6% 18.0% % 447.7% % 201.3% 9.0% 13.1% 21.6% 4.1% 20.0% 139.5% % 109.4% 980.0% 70.5% 238.5% 72.7% 340.0% 88.3% % 45.5% 69.6% 64.5% 52.9% 552.6% 399.0% 434.5% % 3.2% 106.2% 40.9% 6.5% 8.5% 4.2% 1.1% , % 2.1% 9.8% 24.5% 48.7% 34.4% 36.1% 35.2%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3
4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2. 상장사 인력 현황 음악산업 상장사별 종사자수 현황 음악산업 상장사의 14년 4분기 종사자수는 약 1,748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8% 증가했으 며, 전분기대비 2.2% 상승 <표 I-12> 상장사별 종사자수 (단위: 명, %) 구분 다날 로엔엔터테인먼트 엠넷미디어 에스엠 소리바다 KT뮤직 네오위즈인터넷 캔들미디어 JYP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합계 2013년 종사자 2014년 영업이익액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4분기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기대비) (전년동기대비) % 1.8% 3.5% 3.4% 4.4% 6.3% % 135% 4.0% 3.1% 1.0% 23.0% % 2.2% 27.8% 1.9% 5.2% 34.3% % 2.3% 5.3% 7.2% 1.0% 16.7% % 6.9% 2.8% 8.5% 13.9% 28.4% % 2.5% 3.6% 2.3% 7.3% 16.6% % 14.6% 20.2% 2.7% 1.7% 43.9% % 1.9% 1.9% 5.6% 9.8% 14.8% % 1.0% 2.1% 2.1% 3.1% 4.1% % 15.6% 3.4% 7.5% 7.4% 38.0% 1,654 1,736 1,694 1,745 1,783 1, % 5.0% 2.4% 3.0% 2.2% 7.8%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45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그림 I-11> 13년 4분기~ 14년 4분기 음악산업 상장사 종사자수 변동 (단위:명, %) 출처: KOCCA(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K-POP을 중심으로 아시아 및 유럽 등 글로벌시장에서의 성과를 획득함에 따라, 2012년 이 전 증가세에 이어 2014년까지 대형기획사를 중심으로 높은 종사자수 증가를 기록하고 있 음 - 양적인 증가에 따라 국내 콘텐츠 산업의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특 정한 소수의 대형 기획사 중심으로 그 숫자가 늘고 있음 - 종사자들의 이직률, 근무 환경 및 대우 등 질적 요소에 관하여 향후 조사를 심화할 필 요가 있음 25
4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3. 음악산업 상장사 재무 분석 분석 대상 주요 업체로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로엔 엔 터테인먼트를 선정하였음 - 이들 업체들의 국내 음악 기획 제작, 유통 가치 사슬과 매출 및 수출 규모에서의 주도 성과 인지도 뿐 아니라, 한국거래소 및 코스닥 등 객관적이고 신뢰 높은 재무제표 자료 확보가능성을 고려하였음 - 자료의 확보 시점에 따라 본 절에서는 2014년 3분기를 기점으로 분석을 실시함 1) 상장사 전체 재무 분석 성장성 분석 음악산업 상장사 자산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비교적 큰 폭의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는 3.7%로 전년동기대비 0.3%p 하락 음악산업 상장사 투자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큰 폭의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1% 로 전년동기대비 1.1%p 하락 음악산업 상장사 사내유보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18.4%로 전 년 동기대비 6.2%p 상승 <표 I-13> 국내 음악 상장사 성장성 분석 단위(%)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산증가율 4.0% 9.3% 1.3% 6.7% 3.7% -0.3%p 성장성 투자증가율 2.2% 7.0% -0.3% 8.4% 1.1% -1.1%p 사내보유율 112.2% 110.9% 113.8% 113.4% 118.4% 6.2%p 수익성 분석 음악산업 상장사 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0.4%로 전년 동기대비 1.9%p 상승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47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음악산업 상장사 자산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전반적으로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는 2.5%로 전년동기대비 0.2%p 상승 음악산업 상장사 자본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3.3%로 전년동기대비 0.1%p 상승 음악산업 상장사 이자보상배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38.4로 전년동기대비 1.5p 하락 <표 I-14> 국내 음악 상장사 수익성 분석 단위(%)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영업이익률 8.5% 9.9% 9.6% 7.7% 10.4% 1.9%p 수익성 자산영업이익률 2.3% 2.7% 2.4% 1.7% 2.5% 0.2%p 자본영업이익률 3.2% 3.9% 3.3% 2.3% 3.3% 0.1%p 이자보상배율 p 안정성 분석 음악산업 상장사 부채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34.9%로 전년동 기 대비 5.1%p 하락 음악산업 상장사 유동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상승세이며 14년 3분기는 257.4%로 전년 동기대비 4.4%p 상승 음악산업 상장사 자기자본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상승세이며 14년 3분기는 74.1%로 전 년 동기대비 2.7%p 상승 음악산업 상장사 차입금의존도는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43%로 전 년동기대비 2.09%p 하락 27
4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표 I-15> 국내 음악 상장사 안정성 분석 단위(%)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부채비율 40.0% 44.8% 37.8% 36.9% 34.9% -5.1%p 안정성 유동비율 253.0% 224.0% 238.9% 245.1% 257.4% 4.4%p 자기자본비율 71.4% 69.1% 72.6% 73.1% 74.1% 2.7%p 차입금의존도 3.52% 3.66% 2.00% 1.48% 1.43% -2.09%p 생산성 분석 음악산업 상장사 1인 평균 매출액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전분기대비 7.0% 상승한 1억 7,000만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0.4% 감소 음악산업 상장사 자본집약도는 13년 3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등락과 함께 상승세이며 14 년 3분기는 7.2%로 전년동기대비 0.9% 상승 <표 I-16> 국내 음악 상장사 생산성 분석 (단위: 억원, %) 생산성 구분 1인당평균매출액 (전분기대비) 2013년 3분기 1.71 (20.8%) 2013년 4분기 1.86 (8.9%) 2014년 1분기 1.64 (-11.8% ) 2014년 2분기 1.59 (-3.1%) 2014년 3분기 1.70 (7.0%)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1.70 (전년동기대비)-0.4% 자본집약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49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활동성 분석 음악산업 상장사 자기자본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 들어 0.32%로 전년동기대비 0.06% 하락 음악산업 상장사 총자산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과 함께 하락기조이며 14년 3분 기는 0.24%로 전년동기대비 0.03% 하락 <표 I-17> 국내 음악 상장사 활동성 분석 단위(%)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활동성 자기자본회전율 총자산회전율 p 2) 상장사별 재무 분석 : SM 엔터테인먼트 SM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SM 엔터테인먼트의 14년 3분기누적 매출액 비중은 음반사업 30.51%(음반 24.1%, 음원 6.41%)와 매니지먼트사업 69.49%(출연료 42.41%, 매니지먼트 27.08%)로 14년 상반기 대비 음반사업 비중 다소 하락 구분 <표 I-18> SM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단위: 천원, %) 제 20기 2014년 제19기 제18기 3분기 누적(비중) 3분기(비중) 2013년(비중) 2012년(비중) 음반 및 음원사업 37,128,805(30.51%) 11,197,704(23.5%) 47,680,182(29.0%) 56,117,177(33.3%) 매니지먼트 사업 84,577,777(69.49%) 36,436,800(76.5%) 116,578,528(71.0%) 112,442,979(66.7%) 합계 121,706,582(100%) 47,634,504(100%) 164,258,711(100%) 168,560,156(100%) 29
5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SM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최근 SM 엔터테인먼트는 그간 한류시장이 급성장해 오던 것에 비해 최근 성숙 및 안정화 시점으로 들어서면서 성장성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보임 - SM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1.9%이며 전년동기대비 7.2%p 하락 - SM 엔터테인먼트의 투자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1.9%로 전년동기대비 4.1%p 하락 - SM 엔터테인먼트의 사내유보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165.8%로 전년 동기대비 2.5%p 하락 성장성 구분 에스엠 2013년 3분기 <표 I-19> SM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산증가율 5.3% 10.7% -6.1% 2.9% -1.9% -7.2%p 투자증가율 2.2% 4.2% 0.3% -1.5% -1.9% -4.1%p 사내보유율 168.3% 167.7% 171.1% 161.1% 165.8% -2.5%p SM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2014년 중반 이후 수익성이 다소 주춤하고 있음 - SM 엔터테인먼트의 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8.9%로 전년동기대비 6.7%p 하락 - SM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전반적으로 하락기조를 보이다 가 14년 3분기에 3.1%로 반등했으나 전년동기대비 1.2% 하락 - SM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기조를 보이다 가 14년 3분기에 3.9%로 반등했으나 전년동기대비 1.3% 하락 - SM 엔터테인먼트의 이자보상배율은 13년 4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기조를 보이다가 14년 3분기에 299.3%로 전년동기대비 62.1% 상승 수익성 구분 에스엠 <표 I-20> SM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영업이익률 25.6% 25.0% 12.6% 8.4% 18.9% -6.7%p 자산영업이익률 4.3% 4.2% 1.7% 1.0% 3.1% -1.2%p 자본영업이익률 5.2% 5.6% 2.0% 1.4% 3.9% -1.3%p 이자보상배율 p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5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SM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SM 엔터테인먼트의 부채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23.1%로 전년 동기 대비 3.7% 상승 SM 엔터테인먼트의 유동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다가 14년 3분기는 278.1%로 상승하였으나 전년동기대비 34.6% 하락 SM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81.2%로 전년 동기대비 2.5% 하락 SM 엔터테인먼트의 차입금 의존도는 13년 4분기 이후 소폭 상승하여 14년 3분기는 2.48%로 전년 동기대비 1.49% 상승 <표 I-21> SM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단위: %) 구분 에스엠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부채비율 19.4% 32.3% 21.4% 31.3% 23.1% 3.7%p 안정성 유동비율 312.7% 233.2% 309.9% 223.1% 278.1% -34.6%p 자기자본비율 83.7% 75.6% 82.4% 76.2% 81.2% -2.5%p 차입금의존도 0.99% 2.35% 2.50% 2.43% 2.48% 1.49%p SM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SM 엔터테인먼트의 1인평균매출액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전분기대비 22.7% 상승한 1억 6,000만 원을 기록하였으나 전년동기대비 14.7% 감소 SM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집약도는 13년 3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9.6%로 전년동기대비 1.4% 하락 31
5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생산성 구분 에스엠 1인당평균매출액 (전분기대비) <표 I-22> SM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백만원)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 6.1% -27.8% -9.2% 22.7% -14.7% 자본집약도 11.0% 11.7% 10.7% 10.5% 9.6% -1.4%p SM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SM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14년 3분기 들어 0.20%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변동 없음 SM 엔터테인먼트의 총자산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과 함께 하락기조이다가 14년 3분기는 0.17%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변동 없음 활동성 구분 에스엠 <표 I-23> SM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기자본회전율 0.20% 0.22% 0.16% 0.16% 0.20% 0.00%p 총자산회전율 0.17% 0.17% 0.13% 0.12% 0.17% 0.00%p 3) 상장사별 재무 분석 : YG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YG 엔터테인먼트의 매출은 14년 2분기 기준 전분기대비 23.8% 감소했으며, 전년동기대 비 9.3% 상승 로열티 매출과 음반/음원매출의 14년 2분기는 전분기대비 다소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으 며, 콘서트매출은 14년 2분기 기준 전분기대비 72.0% 하락 YG 엔터테인먼트의 14년 3분기누적 매출액 비중은 음반/음원 23.5%, 광고모델 11.7%, 공 연 12.4%, 로열티 37.8%, 기타 14.6% 등으로 구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53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표 I-24> YG 엔터테인먼트의 매출구조 (단위: 백만원, %) 매출 유형 제품 매출 음반 / 음원 기타 제품 콘서트공연 매출 광고모델 매출 로열티 매출 출연료 매출 기타수수료 매출 합계 품목 2013년 2014년 3분기 전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1분기 2분기 3분기 대비 (%) 3분기전년 동기대비 (%) 수출 2,598 1,917 8,901 2,094 2,783 2, 내수 5,487 3, ,848 4,323 4, 소계 8,084 5,655 23,025 5,942 7,105 7, 수출 , 내수 1,213 1,205 5,547 2,294 1,246 1, 소계 1,291 2,046 6,791 3,035 1,868 1, 수출 ,456 1,423 1,423 6, ,414 내수 1,849 5,022 14,918 3,660-1, 소계 1,728 5,022 24,374 5,083 1,424 7, 수출 1,091 1,066 3, 내수 2,584 1,884 9,211 2,230 4,338 5, 소계 3,675 2,950 12,642 2,965 4,613 6, 수출 11,320 4,282 31,798 21,797 13,855 7, 내수 , 소계 11,433 4, ,070 13,939 7, 수출 980 1, ,170 1,176 1, 내수 551 1,585 3,745 1,188 1,692 2, 소계 1,531 3,125 8,686 3,358 2,867 3, 수출 1,681 2,299 5,826 1, , 내수 , , 소계 1,939 2,837 7,158 1,411 1,615 3, 수출 17,627 11, ,211 20,878 21, 내수 12,056 14,264 50,689 13,656 12,550 16, 소계 29,683 26, ,287 43,868 33,427 38,
5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YG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YG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3.3%이며 전년동기대비 1.0% 상승 YG 엔터테인먼트의 투자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5.2%로 전년동기대비 0.5% 상승 YG 엔터테인먼트의 사내유보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160.4%로 전년 동기대비 35.9% 하락 국내 매출 및 글로벌 수출에서 모두 성장세를 이어 왔는데, 2014년 중반 국내 사정으로 인하여 다소 매출에 영향을 받았으나 이후 반등하였으며, 글로벌 진출 시장의 확장을 위 한 투자가 강화되고 있음 YG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25> YG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산증가율 2.3% 1.7% 16.9% 32.2% 3.3% 1.0% 성장성 투자증가율 4.7% 17.3% -3.4% 28.6% 5.2% 0.5% 사내보유율 196.3% 197.4% 202.5% 154.2% 160.4% -35.9% YG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YG 엔터테인먼트의 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1.9%로 전 년동기대비 9.6% 하락 YG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에 2.2%로 전년동기대비 2.7% 하락 YG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에 2.6% 로 전년동기대비 3.2% 하락 YG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26> YG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영업이익률 21.4% 15.3% 18.9% 14.6% 11.8% -9.6% 수익성 자산영업이익률 4.9% 3.0% 5.4% 2.4% 2.2% -2.7% 자본영업이익률 5.8% 3.6% 7.2% 2.9% 2.6% -3.2% 이자보상배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55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YG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YG 엔터테인먼트의 부채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9.3%로 전 년동기 대비 0.7% 상승 YG 엔터테인먼트의 유동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다가 14년 2분기 반등하여 3 분기에는 426.9%로 상승하였으나 전년동기증감률은 31.8% 하락 YG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비율은 14년 3분기 83.8%로 전년 동기대비 0.5% 하락 YG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27> YG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부채비율 18.6% 17.6% 34.0% 21.1% 19.3% 0.7%p 안정성 유동비율 474.3% 484.3% 283.1% 426.9% 442.5% -31.8%p 자기자본비율 84.3% 85.0% 74.6% 82.6% 83.8% -0.5%p 차입금의존도 YG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YG 엔터테인먼트의 1인평균매출액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전분기대비 7.5% 상승한 1억 6,800만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4.4% 감소 YG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집약도는 13년 4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세이며 14년 3분기 는 9.2%로 전년동기대비 1.5% 하락 생산성 YG 엔터테인먼트 구분 1인당평균매출액 (전분기대비) <표 I-28> YG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백만원,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 -16.6% 44.7% -26.3% 7.5% -4.4% 자본집약도 p 35
5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YG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SM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다가 14년 3분기 들어 0.27%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0.01% 하락 SM 엔터테인먼트의 총자산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과 함께 하락기조이다가 14년 3분기는 0.18%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0.05% 하락 활동성 YG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29> YG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기자본회전율 p 총자산회전율 p 4) 상장사별 재무 분석 : JYP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의 매출구조 JYP 엔터테인먼트의 매니지먼트 매출은 13년 3분기 큰 폭 하락했으나 13년 4분기 들어 큰 폭의 상승을 기록 SM, YG와는 달리, 우회상장을 위해 비의 소속사였던 제이튠엔터텐인먼트를 인수한 뒤 합 병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상장된 JYP엔터와 비상장 JYP 두 회사를 합병하면서 작년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섬 구분 <표 I-30> JYP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단위: 천원) 2014년 3분기 누적 3분기 2013년 2012년 2011년 음반 및 음원 사업 5,903,237 2,628,192 2,159,309 1,195,304 1,105,422 매니지먼트 사업 18,876,065 7,407,559 15,374,039 5,862,808 4,252,898 기타 569, , ,238 6,150,963 4,564,340 합계 25,349,105 9,900,773 17,807,586 13,209,075 9,922,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57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JYP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2.8% 상승했으며 전년동기대비 12.0%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투자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1.4%로 전년동기대비 4.8%p 하락 JYP 엔터테인먼트의 사내유보율은 13년 3분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기 는 34.4%로 전년 동기대비 35.0%p 상승 <표 I-31> JYP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단위: %) JYP 엔터테인먼트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산증가율 -9.2% 192.0% -4.7% 5.1% 2.8% 12.0%p 성장성 투자증가율 6.2% -3.0% 4.0% 5.3% 1.4% -4.8%p 사내보유율 -0.6% 32.7% 33.4% 33.6% 34.4% 35.0%p JYP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JYP 엔터테인먼트의 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7.9%로 전 년동기대비 60.1%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기조를 보였 으며, 14년 3분기에 1.1%로 전년동기대비 6.3%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 이후 소폭 등락세를 보이다가 14년 3 분기에 1.5%로 전년동기대비 11.3%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이자보상배율은 13년 4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등락세를 보이다가 14 년 3분기에 1.9%로 전년동기대비 10.3% 상승 합병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상장된 JYP엔터와 비상장 JYP 두 회사를 합병하는데 성 공하여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선 지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았으나 수익성 면에서 상승세 보임 37
5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표 I-32> JYP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단위: %) JYP 엔터테인먼트 구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영업이익률 -52.2% 9.7% 4.4% 6.1% 7.9% 60.1% 수익성 자산영업이익률 -5.2% 1.5% 0.5% 0.8% 1.1% 6.3% 자본영업이익률 -10.4% 2.3% 0.7% 1.1% 1.5% 11.9% 이자보상배율 -8.4% 2.1% 2.2 % 3.9% 1.9 % 10.3% JYP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JYP 엔터테인먼트의 부채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하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34.9%로 전년동기 대비 64.2% 하락 JYP 엔터테인먼트의 유동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다가 14년 3분기는 198.4%로 소폭 상승했으나 전년동기대비로는 200.2% 하락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상승세이며 14년 3분기는 74.1%로 상승하여 전년 동기대비 23.9%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차입금 의존도는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14년 3 분기는 7.88%로 전년 동기대비 14.22% 하락 JYP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33> JYP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부채비율 99.1% 46.4% 35.3% 38.4% 34.9% -64.2%p 안정성 유동비율 398.6% 186.9% 192.1% 181.7% 198.4% %p 자기자본비율 50.2% 68.3% 73.9% 72.2% 74.1% 23.9%p 차입금의존도 22.1% 7.7% 8.2% 7.9% 7.9% -14.2%p JYP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JYP 엔터테인먼트의 1인평균매출액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전분기대비 16.4% 상승한 1억 300만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192.0% 상승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집약도는 13년 3분기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세이며 14년 3분기 는 7.1%로 전년동기대비 3.6% 상승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59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경영 안정화에 힘쓰고 있어 향후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됨. 2014년 초중반 국내 사 정으로 인하여 매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이후 반등하여 상승세임 생산성 JYP 엔터테인먼트 구분 1인당평균매출액 (전분기대비) <표 I-34> JYP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본집약도 p JYP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JYP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다가 14년 3분기 들어 0.20%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변동 없음 JYP 엔터테인먼트의 총자산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다가 14년 3분기는 0.17%로 상승, 전년동기대비 0.05% 상승 활동성 JYP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35> JYP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기자본회전율 p 총자산회전율 p 5) 상장사별 재무 분석 : 로엔 엔터테인먼트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구조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매출액은 14년 3분기 기준 전분기대비 8.4% 증가했으며, 전년동기 대비 14.8% 증가 39
6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콘텐츠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14년 3분기 기준 전분기대비 5.0% 상승했으며, 전년동 기대비 12.9% 증가 상품 매출은 13년 2분기 이후 큰 폭의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 전분기대비 87.1% 증가 매출유형 <표 I-36>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매출구조 2013년 2014년 3분기 3분기 4분기 합계 1분기 2분기 3분기 전분기 대비 (%) (단위: 백만원, %) 3분기 전년동기대비 (%) 제품 2,699 2,263 10,507 2,332 1,662 1, % -46.0% 상품 3, ,865 2,428 2,498 4, % 40.2% 콘텐츠매출 65,823 69, ,130 69,836 70,722 74, % 12.9% 기타매출 939 1,680 5,077 2,846 2,263 3, % 238.6% 총계 72,793 74, ,579 77,443 77,143 83, % 14.8%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7.2%이며 전년동기대비 5.4%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투자증가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1.5%로 전년동기대비 2.4% 상승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사내유보율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4년 3분 기는 285.6%로 전년 동기대비 79.4% 상승 로엔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37>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산증가율 12.6% 8.2% 4.3% 7.5% 7.2% -5.4%p 성장성 투자증가율 -0.9% 19.1% 2.1% 8.4% 1.5% 2.4%p 사내보유율 206.2% 224.9% 244.7% 264.4% 285.6% 79.4%p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6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수익성 분석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19.5%로 전년동기대비 0.8%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산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부터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에 5.7% 로 반등했으나 전년동기대비 0.7%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영업이익률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에 8.2% 로 전년동기대비 1.1%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이자보상배율은 14년 3분기에 396.3% 기록 로엔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38>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성장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영업이익률 18.7% 12.9% 20.3% 19.8% 19.5% 0.8%p 수익성 자산영업이익률 6.4% 4.2% 6.4% 5.8% 5.7% -0.7%p 자본영업이익률 9.3% 6.1% 9.1% 8.3% 8.2% -1.1%p 이자보상배율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로엔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39>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안정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부채비율 45.8% 47.1% 42.3% 43.0% 43.1% -2.7%p 안정성 유동비율 253.0% 226.7% 264.3% 263.2% 268.9% 15.9%p 자기자본비율 68.6% 68.0% 70.3% 69.9% 69.9% 1.3%p 차입금의존도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부채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23.1%로 전년동기 대비 3.7% 상승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유동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하락세이다가 14년 3분기는 278.1% 로 상승하였으나 전년동기대비 34.6% 하락 41
6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비율은 13년 4분기 이후 등락세이며 14년 3분기는 81.2% 로 전년 동기대비 2.5%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차입금 의존도는 13년 4분기 이후 소폭 상승하여 14년 3분기는 2.48%로 전년 동기대비 1.49% 상승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1인 평균매출액은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14년 3 분기는 전분기대비 3.9% 상승한 2억 7,300만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2.73% 상승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본집약도는 13년 3분기 이후 등락을 보이며 14년 3분기는 9.3% 로 전년동기대비 0.2% 하락 생산성 로엔 엔터테인먼트 구분 1인당평균매출액 (전분기대비) <표 I-40>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생산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백만원,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 -5.6% -10.3% -3.9% 3.9% -15.5% 자본집약도 p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자기자본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14년 3분기 에는 0.42%로, 전년동기대비 0.08% 하락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총자산회전율은 13년 3분기 이후 하락세를 보이며 14년 3분기는 0.29%로, 전년동기대비 0.05% 하락 활동성 로엔 엔터테인먼트 구분 <표 I-41> 로엔 엔터테인먼트의 활동성 분석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단위: %) 2014년 3분기 전년동기증감 자기자본회전율 p 총자산회전율 p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63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4. 주요 업체의 마케팅 현황 및 전략 본 절에서는 음악 상장사들 중 주요 업체의 마케팅 현황 및 전략을 살펴보았음 - 분석 대상 업체로 SM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로엔 엔터테 인먼트 선정하였음 - 이들 업체들은 상기 재무 분석과 동시에 이슈 분석이 가능한 정도의 주요 기업이며, 인 지도가 높은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업체로, 마케팅 활동과 관련한 미래지향성과 유동성 및 시의적절성 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됨 1) SM 엔터테인먼트 회사개요 SM 엔터테인먼트는 메니지먼트 사업, 음반을 중심으로 방송 관련 영상콘텐츠사업 부문과 여행사업 부문으로 사업을 다각화였음 <표 I-42> SM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사업부문 회사명 매출유형 및 품목 구체적 용도 매니지먼트사업 음반매출 영상콘텐츠사업부문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주)에스엠컬처앤콘텐츠 S.M.ENTERTAINMENT JAPAN Inc.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S.M.ENTERTAINMENT JAPAN Inc. (주)에스엠컬처앤콘텐츠 (주)에스엠컬처앤콘텐츠 용역매출 오디오물 출판 및 원판 녹음업 프로그램매출 용역매출 기타매출 방송 등 음반 및 음원 제 작 등 여행사업부문 (주)에스엠컬처앤콘텐츠 일반여행업 항공권, 여행상품 등 방송 방송 기타 구 분 회사수 회 사 명 상장사 2 비상장사 10 <표 I-43> SM 계열회사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주)에스엠컬처앤콘텐츠 ( 현재) S.M.ENTERTAINMENT JAPAN Inc. DREAM MAKER ENTERTAINMENT Limited SM ENTERTAINMENT USA Inc. (주)에스엠에프앤비디벨롭먼트 (주)에스엠브랜드마케팅 (주)에스엠어뮤즈먼트 SM True Co.Ltd, (주)갈갈이패밀리엔터테인먼트 S.M.ENTERTAINMENT BEIJING CO., LTD. (주)아렐 43
6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사업 부문별 매출 SM 엔터테인먼트의 주요 사업 부문은 크게 음반과 매니지먼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소속 연예인의 출연료 및 매니지먼트 매출이 전체 매출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음 <표 I-44> SM 엔터테인먼트 사업 부문별 매출 (단위 : 천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매출액 비율(%) 음반사업 매니지먼트사업 음반/음원 용역매출 음반 음악청취용 S.M. 29,328, % 음원 음악청취용 7,800, % 소계 37,128, % 출연료 소속아티스트 51,621, % 매니지먼트 매출 32,956, % 소계 84,577, % 합계 121,706, % 마케팅 전략 국내 엔터테인먼트 문화산업의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는 SM 엔터테인먼트는 브랜드 인 지도 및 충성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음 - 특히, 슈퍼주니어는 2008년부터 2014년 9월까지 단독 콘서트 '슈퍼쇼' 월드 투어로 100회 공연, 누적관객수 135만 명을 동원 - 소속 아티스트인 강타, BoA,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샤이니, f(x), EXO, Red Velvet(레드벨벳) 등이 다양한 분야로 한류의 파급 효과를 추구하고 있음 한류 붐을 타고 사업영역을 일본, 중국, 홍콩,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프랑스, 말레이시 아, 미국, 칠레 등 전 세계로 확장하고 있으며 K-POP을 넘어 K-culture 의 확산에 기여하 고 있음 - 복합 문화공동체 를 추구하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뉴미디어를 통한 SM이 중심이 된 가 상국가(VIRTUAL NATION) 'SM TOWN' 컨셉 구축 지속적인 현지화 전략를 통해 경쟁력을 높여나가는 것에 주안점 - 기존 아이돌그룹 글로벌 시장공략을 진화시켜 지속적인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진출 국가의 작곡가 및 프로듀서 등과 협력을 통한 현지화 및 구체적인 접근 방식 시도 - 콘서트에 앞서 현지 팬들의 아이돌 춤 콘테스트 개최, 팬미팅 사전 수요 조사 결과 반 영 등 - SM True Co.Ltd는 태국의 최대 유료 TV방송 Truevision과 협약을 맺은 회사로 SM이 추 구하는 현지화 전략을 잘 보여줌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적응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65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 CD를 주축으로 MD, DVD 등 첨단 디지털 미디어가 주축을 이루다가 최근에는 인터넷, 모바일 등 신규매체유통을 통한 새로운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세계 시장에 대응하 는 전략을 추구 - 특히 디지털 시대에 따른 불법 다운로드, 복제 DVD 유통 등에 따른 저작권 침해에 대 해 적극적으로 보호하고자 정부, 업계, 소비자 등의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고 있음 - 경쟁력 있는 콘텐츠의 지속 창출을 위하여 국내외 작곡가와의 콜라보레이션을 위한 네 트워크 활용, 글로벌 플랫폼과 SNS활용을 통한 전 세계 홍보 전략 등의 계획 수립 2) YG 엔터테인먼트 YG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YG 엔터테인먼트는 메니지먼트 사업, 음반 음원 사업을 중심으로 모델, 의류, 화장품 등 패션 부문 중심으로 사업을 다각화였음 구분 회사명 사업 내용 매니지먼트사업 음반 음원 매출 <표 I-45> YG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주)와이지엔터테인먼트 YG ENTERTAINMENT JAPAN Co., Ltd. YG ENTERTAINMENT ASIA LIMITED YG ENTERTAINMENT USA INC YG BEIJING LIMITED (주)Projectree 공연 기획 음반 음원 매출 저작권 관리 모델컴퍼니 (주)YG케이플러스 모델행사대행 & 모델학원업 패션 의류 (주)베이프키즈인터내셔날 유아의류 제작 기타 (주)아트앤디자인인터내셔널 (주)와이지넥스트 화장품 제조 & 판매 MD제조 및 유통판매 YG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표 I-46> YG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구분 주권상장유무 회사수 회사명 ( 월 현재) 국내 상장 (코스닥) 4 (주)와이지엔터테인먼트 (주)와이지넥스트 (주)베이프키즈인터내셔날 (주)아트앤디자인인터내셔널 비상장 1 (주)YG케이플러스 45
6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구분 주권상장유무 회사수 회사명 YG ENTERTAINMENT JAPAN Co., Ltd. YG ENTERTAINMENT ASIA LIMITED 국외 비상장 5 YG ENTERTAINMENT USA INC YG BEIJING LIMITED (주)Projectree 마케팅 전략 자체 제작(In-House) 시스템 - 10명 이상의 프로듀서가 상주, 음원의 녹음부터 마스터링에 이르는 전 과정을 소화할 수 있는 내부 스튜디오를 통해 모든 앨범이 회사 내에서 만들어지는 자체 제작 (In-house) 시스템 보유 - 10여명의 내부 작곡가들이 소속 가수에 최적화된 곡을 제공함으로써, 대중성 이탈 및 판매 부진과 같은 잠재된 위험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임 글로벌 시장 전략 - 별도 글로벌사업팀을 조직, 효율적으로 글로벌 사업 분야를 관리하고 있음 - 일본 내 YG 소속 아티스트들의 매니지먼트는 100% 자회사인 'YG 엔터테인먼트 재팬'에 서 담당 - 기존 아티스트별/앨범별로 일본 내 기획사들과의 단발적인 협업이 가진 폐해를 해소하 고자 2011년 7월 일본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 AVEX와의 합작을 통해 새로운 레이블인 YGEX 설립 회사 내 전문화된 공연사업팀 구성 - 콘서트(공연) 분야는 음반제품의 매출과 비슷한 비중을 보이며 매년 성장하고 있음 - 이에 내부에 전문화된 공연사업팀을 별도 설립, 직접 공연을 기획 연출하여 비용 절감 과 신속한 추진, 일관성이 있는 공연 기획을 도모하고 있음 - 현재 국내에서 엔터테인먼트 회사가 직접 공연을 기획하고 제작하는 비율은 낮은 상황 인데, 공연 뿐 아니라 공연 콘텐츠의 극장 상영, DVD, 메이킹북, 판권 판매 등 2차, 3차 부가수익으로 확장시키는 모델로 공연계에서도 영향력 있는 브랜드파워를 보유하게 되 었음 - 이 외에도 방송 판권 판매(글로벌 공중파, 일본TBS, 엠넷재팬), 현장 MD상품 판매 등으 로 공연 콘텐츠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보임 360도 사업 강화 (수익모델 다변화) - 360도 사업이란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전 방위 사업을 의미하는데, YG는 음악으로 시 작하여 출판, 게임 등에 이르기까지 각 사업부의 특성과 강점을 조합하여 다양한 콘텐 츠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히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67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 기존의 음반형 사업에서 벗어나 아티스트를 활용한 360도 사업을 강화하여 수익모델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소속 아티스트의 도서, 캐릭터 개발 수익 및 자체 제작하는 MD상품을 통해 소속 아티스트와 관련한 상품을 판매하는 공식 쇼핑몰 'YGeshop ( 운영 - SNS 서비스의 일종인 '카카오톡', '라인'과의 제휴를 통해 당사 아티스트들은 지속적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한편 라이선스 수입을 얻고 있으며, 배경화면, 벨소리, 화보 등과 더불 어 최근에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모바일 사업을 진행 중 사회공헌 캠페인을 통한 기업 이미지 제고 - 공익 캠페인[WITH]: 기업형 공익 캠페인으로 아티스트와 팬이 함께 참여하는 형식으로 이미지 제고 도모 3) JYP 엔터테인먼트 JYP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JYP 엔터테인먼트는 소속연예인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광고, 행사, 드라마출연, 공연 등)과 음반(CD),음원의 제작 및 판매와 MD 부가사업에 집중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표 I-47> JYP 엔터테인먼트 계열사 현황 구분 주권상장유무 회사수 회사명 ( 월 현재) 국내 상장 (코스닥) 1 (주)제이와이피엔터테인먼트(상장) 비상장 1 (주)제이와이피픽쳐스(비상장) [중국] 북경걸위품문화교류유한회사(비상장) 국외 비상장 3 [일본] JYP Entertainment Japan Inc.(비상장) [미국] JYP Entertainment Inc.(비상장) 마케팅 전략 JYP의 소속 가수들의 이미지 관리 : SM과 YG의 소속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건 사고 가 심각하지 않았다는 것이 회사 수익 관리면에도 도움이 되었음 2013년 JYP 엔터테인먼트가 비상장사였던 JYP를 흡수합병 - 그간 JYP는 정식으로 상장한 SM, YG와는 달리, 우회상장을 위해 비의 소속사였던 제이 튠엔터텐인먼트를 인수한 뒤 합병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상장된 JYP엔터와 비상 장 JYP로 쪼개져 있는 상태였음 - 최근 이 두 회사를 합병함으로써 흑자로 전환하게 되었음 JYP 퍼블리싱 등으로 30여 명의 작곡가를 트레이닝하여, 글로벌 대형 음반사처럼 다양한 47
6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장르를 총망라 할 수 있는 레이블을 만들 계획을 제시하고 있음 4) 로엔 엔터테인먼트 로엔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로엔 엔터테인먼트는 디지털 음원 및 음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표 I-48> 로엔 엔터테인먼트 사업분야 현황 사업구분 회사명 주요 사업 내용 디지털음원 부문, 음반 부문 디지털음원 부문, 음반 부문 로엔 엔터테인먼트 스타쉽엔터테인먼트 음반의 기획, 제작 및 판매와 매니지먼트 사업 및 온라인 음원 서비스 음반의 기획, 제작 및 매니지먼트 사업 마케팅 전략 로엔 엔터테인먼트는 11년에서 14년 3분기까지 음원유통부문, 브랜드인지도 및 시장점 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음 - 멜론 등 기존 유선인터넷 기반 음원유통서비스의 역량 강화를 기반으로 모바일 음원 등 멀티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확대 및 서비스플랫폼 구축 - 서비스 차별화가 타 산업에 비해 두드러지기 어려운 온라인 음원 서비스 시장에서, 멜 론을 통해 주요 음원 서비스 업체 중 가장 다양한 상품(요금제)을 출시하여 고객의 상 품 선택권을 다양화하는 전략 추진 - 독립 멀티라벨(Multi Label) 체제도입 등 음반기획과 창작 부문 투자증대를 통해 창작 콘텐츠 역량 확대 및 기존 수익모델과의 시너지 극대화하는 전략 추구 도매상 및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업자를 통한 기존의 오프라인 및 온라인 음원 유통을 강화하여 매출 확보에 힘쓰고 있음 - 교보 핫트랙스 등 대형 소매 매장들과 직거래를 통하여 도매 중심의 유통 구조에서 탈 피하려는 노력 강화 -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홍보 및 신속한 제품 공급 등의 적극적 마케팅 전개 - 인터넷과 케이블TV 등의 홍보매체를 통한 소비자의 성향도 다양해짐에 따라 발전 가능 성이 높은 온라인 유통을 강화하기 위해 주요 인터넷 음반 전문 사이트들과 직거래를 추진, 매출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스마트 디바이스 확산에 따른 대응 전략 - 스마트폰 시장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통신사/제조사와의 제휴 상품 및 서비스 출시 및 Co-marketing 수행을 통해 유료 음원 시장 유입 고객을 지속적으로 확대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69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 고객 세그먼트 기반의 타겟 마케팅과 다양한 신규 가입 유도 프로모션을 통해 신규 고 객 유치와 이용 기간 증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음악방송 내 PPL 등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고객 접점 선점, 스마트폰 중심의 이용패턴 을 반영한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여 고객의 잠재된 수요를 창출 제 4 절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현황 디지털 스트리밍 시장으로의 변화와 그 의미 국내 음악시장은 고속인터넷의 이용 보편화 등 음악 수요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존 소 유 의 개념에서 소비 로의 변환이 가속화되고 있음 년 멜론의 출시는 음악시장에 있어 기존의 음반 등 오프라인 위주의 시장구조에서 디지털 음원 시장으로 변화하는 시발점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스마트기기 이용 확대와 LTE 네트워크망의 확대로 음원시장에서 모바일 이용이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를 견인하였음 - PwC(2014)는 한국의 디지털 음악 매출 규모가 꾸준히 성장해 온 것과 스트리밍 소비의 증가에 주목하고 있는데, 특히 MelOn의 경우 3백만 이상의 유료가입자를 보유하고 있 어 전 세계 디지털 음악 서비스 업체 중 3위 안에 드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그림 I-12> 국내 디지털 음악 매출 규모 (단위:백만달러) 출처: PwC(2014), 재구성. 음원소비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음원서비스 시장의 기존 사업자 및 신규사업자 간 경 쟁이 확대되고 있으며, 통신사 중심의 대형자본이 투입되면서 기획 및 제작, 유통 등 가 49
7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치사슬단계에서 대기업들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추세 - 음원시장은 당초 음반시장의 침체와 불법 음원파일의 만연 등에 따른 유료화 모델이 필요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통신사 등 대형자본의 참여는 일정부분 시장의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됨 - 하지만, 통신사가 음원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과 매출 집중도가 과다하다는 문제도 동시 에 발생시키고 있음 진입이 용이한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 확대로 인한 음악 제작 및 유통 등 시장의 가치 사슬별 개방화 가속 - 미디어 제작 및 유통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악시장 진입이 비교적 용이해진 상황에서 다양한 아마추어 음악가들의 제작 및 유통 활성화는 음악산업의 건강한 산업 생태계 조성과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 모바일화가 지속되면서 대형 자본의 영향력이 음원 유통을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되므로, 음원 제작자 등 저작권 보호 및 수익배분 등의 합리적 정책 수립이 요구됨 주요 서비스 현황 국내 주요 디지털 음원 서비스는 벅스, 싸이월드 BGM, 다음뮤직, Deezer, Genie, Groovers.kr, Helume, 현대카드뮤직, 멜론, 엠넷, Monkey3, 엠피온, MUV, 네이버뮤직, 올레뮤직(KT뮤 직), 소리바다, 유튜브 등이 있음 - 멜론이 국내 음원서비스의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외 엠넷닷컴, 지니 등 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멜론의 경우 음원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결합 상품의 월정액제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 으며, 통신사의 포인트와 결합한 할인 및 무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고, 다른 기업들도 유사 상품을 서비스하고 있는 상황 <표 I-49> 온라인 음원 서비스 시장점유율 구분 멜론 엠넷닷컴 벅스 지니 소리바다 UV(Unique Visitor, 명) 6,993,046 1,823, ,886 2,874, ,537 PV(PageView, 천건) 31,254 7,098 7,699 8,975 2,539 TTS(Total Time Spent, 천분) 3,432, , , ,613 40,234 * 출처 : 코리안클릭, 2014년 7 ~ 9월 Total PC/Mobile (WEB+APP) 이용 기준 * TTS : 해당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이용자들로부터 발생된 총 체류시간 다양한 신규 스트리밍 서비스의 출현 스트리밍 형태의 다양한 음원서비스의 개발은 디지털 음원시장의 지속적 성장을 촉진할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71 제1장 국내 음악산업 동향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평가됨 아티스트 음원 수익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는 모바일 음원서비스 바이닐(Bainil) 에 대한 관심이 높음 - 음원시장에서 유통사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음원저작권자들을 중심으로 합리적인 수익 배분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음악서비스 전문회사인 큐박스가 개시한 서비스 로, 아티스트 음원 수익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 중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등장 : 밀크 와 비트 년 10월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는 360만곡에 달하는 음원을 누구나 가입 없이 무료로 들을 수 있다는 삼성전자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인 밀크 의 등장으로 유 료 콘텐츠 시장질서 훼손이라는 논란과 함께 관련 시장 경쟁 가속화 -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밀크 모바일 월간 이용자수가 2014년 11월 211만명을 기록, 월 평 균 150만명이 넘었으며, 12월에 137만명으로 주춤했지만, 삼성전자가 다시 밀크 마케팅 을 강화하면서 150만명 수준을 유지하였음 - 이처럼 밀크가 출시 4개월 만에 월 평균 150만명 이상 이용자를 확보한 데는 무료 서비 스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임 - 음원을 가볍게 듣는 이용자라면 월정액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표 I-50> 모바일 음악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월간 이용자 추이 (단위: 명) 서비스명 2014/9월 10월 11월 12월 멜론 6,002,949 8,446,326 8,545,455 5,322,508 지니뮤직 2,496,211 2,115,860 2,958,400 2,773,457 네이버뮤직 2,470,965 2,171,847 2,561,229 2,726,450 밀크 948,904 2,353,559 2,119,230 1,370,686 비트 610, ,646 1,062,727 1,094,432 - 벤처 회사가 만든 비트 역시 밀크처럼 무료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2014년 5월 1만 명에 불과했던 월간 이용자수가 12월 100만명을 넘을 정도로 급성장 - 멜론, 지니, 네이버 등 기존 음원 서비스 사업자들이 여전히 시장의 큰 축을 유지하고 있으나 밀크와 비트의 이용자수를 합치면 무료 스트리밍 역시 하나의 축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 그러나 특히, 밀크와 관련하여 삼성이라는 대자본이 국내 음원 시장 생태계를 흔들고 있다는 부정적인 평가가 존재하고 있으며, 저작권 관련 단체와의 분쟁 소지가 높음 51
7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고음질 스트리밍 서비스 - 네오위즈인터넷의 음악포털 벅스는 안드로이드 버전 앱 업데이트를 통해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 음원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시 - 또한 와이파이(Wi-Fi) 환경을 통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기를 벅스 앱 과 연결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블루투스와 비교해 음원 전송 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 화하고 훨씬 넓은 유효거리를 확보한 스피커, 스마트TV 등 DLNA 기능을 지원하고, 디 지털 노이즈를 줄여 깨끗한 소리를 전달하는 음질향상솔루션 래드손(RADSONE) 을 적 용하는 등 고음질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음 참고문헌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김은정 정우식(2014). 음악산업 비즈니스 구조분석 매출 및 재무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진호(2015). 디지털 음원 시장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27권 1호.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3 콘텐츠산업통계. 이종수 윤충한(2004). 온라인 음악의 확산이 오프라인 음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실증분석, 정보통신정 책연구. 11(4), 전병준(2005). 음원의 디지털화에 따른 음악 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7(4), 조영기(2014). 디지털 음악과 스트리밍 서비스의 성장, KOCCA 통계브리핑. 14권 3호.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음악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3년 4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음악산업편).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4년 1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4년 2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2014년 3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2014). 통계로 보는 콘텐츠 산업, 국내 공연시장의 현황과 지역별비교. 한국콘텐츠진흥원(2015). 2014년 4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기업 공시 자료> SM 엔터테인먼트 2014년 3분기 보고서. SM 엔터테인먼트 2013년 사업보고서. YG 엔터테인먼트 2014년 3분기 보고서. YG 엔터테인먼트 2013년 사업보고서. JYP 엔터테인먼트 2014년 3분기 보고서. JYP 엔터테인먼트 2013년 사업보고서. 로엔 엔터테인먼트 2014년 3분기 보고서. 로엔 엔터테인먼트 2013년 사업보고서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73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제1절 글로벌 음악산업 개요 1. 글로벌 음악시장 특성별 구분 2. 글로벌 음악산업 규모 및 전망 3. 글로벌 음악산업 주요 이슈 제2절 분야별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1. 오프라인 음반 시장 2. 디지털 음원 시장 3. 공연 시장 제3절 권역별/국가별 음악산업 동향 1. 북미 지역 2. 중남미 지역 3.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4. 아시아 태평양 지역
74
75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제 2 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제 1 절 글로벌 음악산업 개요 1. 글로벌 음악시장 특성별 구분 본 장에서는 전세계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을 Pricewarterhouse Coppers(이하 PwC)의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에서 구분하고 있는 4개 권역으로 세분 하여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을 살펴보고자 함 - 4개 권역은 1 북미 지역 2 중남미 지역 3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 4 아시 아 태평양 지역(APAC) - 세계 음악산업 성장률과 규모에 의해 다음과 같이 시장을 구분할 수 있음 <그림 I-13> 세계 음악산업 시장 구분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 PwC, Informa Telecoms & Media 55
7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저성장-대규모 시장 (lower-growth, larger-scale markets) 북미 지역 : 미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 : 일본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영국 2018년까지 시장규모 7억 5,000만 달러 이상, 연평균 성장률 2% 이하의 성장이 예측되는 저성장-대규모 시장(lower-growth, larger-scale markets) - 스위스는 공연 음악의 높은 성장률이 돋보이지만 오프라인 음반 시장 및 디지털 음원 시장 과 함께 살펴볼 때 전체적인 연평균 성장률이 0.1%에 그쳐 저성장으로 구분 - 일본과 이탈리아는 경제침체와 더불어 당분간 전반적인 음악산업의 낮은 성장세 전망 - 미국은 꾸준히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 왔지만 음악산업의 포화상태가 나타나며 다른 권 역의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정기간 저성장이 예상되는 시장 저성장-소규모 시장 (lower-growth, smaller-scale markets)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 : 홍콩,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타이완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 :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핀라드,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체코, 헝가리, 이스라엘, 폴란드, 터키,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 미레이트 중남미 지역 : 아르헨티나, 페루 2018년까지 시장규모 7억 5,000만 달러 이하, 연평균 성장률 2% 이하의 성장이 예측되는 저성장-소규모 시장(lower-growth, smaller-scale markets) - 다수의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의 국가들이 포 함된 것이 특징 - 이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디지털 음원 시장의 소비가 활성화되지 못하면서 전반적 인 음악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 고성장-소규모 시장 (higher-growth, smaller-scale markets)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 : 인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타이완, 베트남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 : 케냐, 나이지리아 중남미 지역 :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베네수엘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77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2018년까지 시장규모 7억 5,000만 달러 이하, 연평균 성장률 2% 이상의 성장이 예측되는 고성장-소규모 시장(higher-growth, smaller-scale markets) - 고성장-소규모 시장에 포함된 국가들은 오프라인 음반이나 디지털 음원 시장에 비해 주 로 공연음악 시장의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임 고성장-대규모 시장 (higher-growth, larger-scale markets) 북미 지역 : 캐나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 : 호주, 중국, 한국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EMEA) : 노르웨이, 스웨덴, 러시아 2018년까지 시장규모 7억 5,000만 달러 이상, 연평균 성장률 2% 이상의 성장이 예측되는 고성장-대규모 시장(higher-growth, larger-scale markets) - 고성장-대규모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중국과 러시아 시장의 부상 - 중국은 특히 모바일 기기의 확산에 힘입어 디지털 음원 시장의 높은 성장세가 두드러 지며, 러시아는 공연음악 시장의 높은 성장세가 나타나고 있음 -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디지털 음원 시장 중 스트리밍 서비스의 약진으로 인해 연평균 11.7%~18.3%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는 주목할 만한 지역으로 전망 2. 글로벌 음악산업 규모 및 전망 1)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전망 세계 음악시장은 최근 10여 년간 소비환경의 변화로 급격한 위축을 겪으며 마이너스 성 장을 이어와 2013년 전년 대비 0.4% 감소한 474억 1,500만 달러의 규모를 보이고 있지만 2013년을 기점으로 점차 이전 시장 규모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초기 음악시장을 선도하던 레코드판(LP)이나 CD의 실물형태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0년 초반부터 디지털 기술 환경 도래와 소비패턴의 변화로 그 시장규모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13~2018년 연평균 성장률이 8.0%를 기록하면서 전체적인 음악시장의 성장 률을 끌어내리는데 기여하였고 향후에도 지속적인 위축 예상 - 인터넷 보급과 함께 음원 사이트를 통한 MP3 파일의 공유서비스가 일반화 되면서 기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실물 음반의 판매량이 급속히 감소하였고, 또한 2002년 이후 애플의 아이튠즈(iTunes) 등 디지털 음원을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음악산업의 수익 다변화를 가져오면서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감소세는 더욱 빠르게 나 타나고 있음 57
7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표 I-51>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p CAGR 공연음악 25,509 24,583 25,540 26,170 26,696 27,262 27,900 28,630 29,487 30, 후원 5,714 5,793 5,848 5,930 6,008 6,097 6,197 6,305 6,423 6, 티켓판매 19,794 18,790 19,692 20,240 20,688 21,165 21,703 22,324 23,064 23, 음반 24,725 22,892 22,098 21,435 20,720 20,351 20,175 20,095 19,951 19, 디지털 6,508 7,260 7,757 8,719 9,432 10,180 10,905 11,544 12,020 12, 다운로드 3,782 4,677 5,055 5,743 5,986 6,258 6,520 6,755 6,891 7, 스트리밍 ,038 1,530 2,148 2,692 3,174 3,557 3,837 4, 모바일 2,219 1,925 1,664 1,447 1,298 1,230 1,212 1,233 1,292 1, 오프라인음반 18,218 15,633 14,342 12,716 11,287 10,171 9, ,931 7, 합계 50,234 47,476 47,638 47,605 47,415 47,613 48,075 48,725 49,438 50,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 연평균성장률 <그림 I-14> 세계 음악시장 규모 및 성장률, [단위 : 백만 달러, %]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하지만 디지털 음원의 매출 증가와 공연음악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은 전체 음악시장의 플러스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년 현재 디지털 음원 시장 중 스트리밍 시장의 급성장과 전체 음악시장의 약 56% 를 점유하고 있는 공연음악 시장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면서 향후 5년간 연평균 1.2%의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79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2018년에는 504억 4,600만 달러의 시장 규모 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 - 전세계적으로 IT 기기의 확산과 스마트 기기의 보급, 네트워크 환경의 조성 등 디지털 인프라의 구축이 보편화 되고, 소셜 미디어와 클라우드 환경 등에 의한 스트리밍 서비 스의 확산은 음악 소비방식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음 - 인터넷 사용자들의 약 61%가 지난 6개월간 디지털 음악 서비스를 사용한 적이 있는 것 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조사결과 등, 디지털 음원 소비의 활성화로 인해 전체 음악시장의 마이너스 성장세는 2013년부터 플러스 성장으 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됨 요컨대, 세계 음악시장은 지난 10여 년간 급격한 위축을 경험하였지만 디지털 음원의 매 출 증가와 공연음악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에 힘입어 점차 이전의 시장 규모를 회복할 것 으로 전망되고 있음 - 향후 음악시장은 디지털 음원 시장의 확대속도에 따라 지속적인 정체 또는 회복의 여 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임 - 새로운 음원 시장의 수익구조 개척이 전체 음악시장의 성장을 도모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임 59
8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제 2 절 분야별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PwC(2014)는 음악 산업을 오프라인 음반 시장, 디지털 음원 시장, 공연 음악 시장으로 구 분하고 있음 년 현재 세계 음악시장은 공연음악 시장이 56.3%의 점유율을 보이며 가장 높은 비 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음반이 23.8%, 디지털 음원이 19.9%의 비중으로 그 뒤 를 잇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그림 I-15> 2013년 세계 음악시장 분야별 비중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그림 I-16> 세계 음악시장 분야별 규모 및 전망,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IFPI(2015)는 음악산업을 물리적 음반(physical), 디지털, 실연권(performance rights), 배경음 악(synchronisation)으로 구분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81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표 I-52> 글로벌 음악산업 규모 추이 (단위: US $ Billions) 총 시장 규모 물리적 음반 디지털 실연권 배경음악 * 출처 : IFPI(2015).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PwC와 IFPI의 자료는 음악 시장의 범주 설정, 구분 단위 및 측정 방법이 상이하므로 일률 적인 비교가 어렵지만, PwC는 공연 시장이 포함된 거시적 음악 시장 설정과 향후 예측치 를 중심으로 한 미래 전망, IFPI는 세분화된 음악 서비스 데이터 파악 등 각 데이터가 가 지는 글로벌 음악시장에서의 권위와 설명력을 감안하여, 본 절에서는 양 데이터를 종합하 여 분야별 음악시장의 동향을 검토하고자 함 1. 오프라인 음반 시장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9년 전세계 음악시장의 36.3%를 차지하였으나 디지털 음원 시 장으로의 소비자 이탈과 공연음악 시장 강세로 2013년 12.5% 감소한 23.8%의 비중을 보 임(PwC, 2014) - 향후 5년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어 2018년에는 전체 음악시장의 14.7%에 불과한 점유율을 보이며 음악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매우 위축될 것으로 전망됨 <표 I-53> 세계 오프라인 음반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p CAGR 미국 4,602 3,664 3,381 2,777 2,445 2,161 1,924 1,751 1,596 1,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영국 1,707 1,447 1, 프랑스 독일 1,846 1,691 1,626 1,501 1,471 1,470 1,320 1,231 1,146 1, 중동 아프리카 일본 3,959 3,644 3,549 3,530 3,040 2,747 2,548 2,407 2,301 2, 중국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61
8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세계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전체적으로 미국, 일본, 독일, 영국의 비율적 강세가 두드러 지나, 이들 역시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어 전반적인 오프 라인 음반 시장이 점차 축소되는 추세를 보임 - 미국은 2009년 46억 200만 달러 규모의 가장 큰 오프라인 음반 시장을 가지고 있었지만 연평균 9.6%의 감소세를 보이면서 2018년 14억 8,000만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 고 있음 - 일본은 2009년 39억 5,900만 달러 규모로 세계 두 번째로 큰 오프라인 음반 시장을 나 타내고 있었으나 연평균 6.1% 감소율을 보이면서 2018년에는 22억 1,800만 달러의 규 모 전망 - 중국은 음악 시장 중 가장 작은 비율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을 가지고 있는 국가로, 오 프라인 음반 시장은 불법 복제물 유통으로 인해 더욱 침체되고, 디지털 기기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디지털 음원 시장으로의 소비자 이탈이 가속화되기 때문으로 해석됨 - 하지만, 대다수의 국가에서 오프라인 음반 시장이 축소되는 경향과 달리 프랑스의 경우 소폭이지만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 측면에서 볼 때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는 국가라는 점에서 특이성을 지님 <그림 I-17> 세계 주요국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 성장률,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국제음반산업협회(International Federation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이하 IFPI)의 <Recording Industry in Number 2014>에 따르면 CD나 레코드판과 같은 물리적 형태의 음 반판매 수입은 2014년 약 68억1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1% 감소하였으며, 글로벌 시장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전년도 49%에서 2014년 46%로 3%p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남(IFPI, 2015)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83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그림 I-18> 음악 시장 부문별 비율 변화 추이 출처 : IFPI(2015)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음반 산업계의 수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오프라인 음반 산업의 활성화도 시도될 필요가 있음 - 최근의 세계 LP 판매량 추이는 이와 관련하여 함의하는 바가 큼 - LP 레코드는 디지털화가 본격화된 2000년 이후 급감하다가, 최근 복고 열풍을 타고 2006년에 비해 판매량이 10배 상승하였음 - 단순히 상품의 기능적 특성 뿐 아니라 문화 상품이 지니는 감수성과 독특성이 상품 가 치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함 <그림 I-19> 세계 LP 앨범 판매 추이 (단위 : US $ Mills) 출처 : IFPI(2015) 63
8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2. 디지털 음악 시장 디지털 음원 시장은 스마트 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확대 및 이용자 증가로 인해 급격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 PwC(2014)에 따르면, 디지털 음원은 2009년 전 세계 음악시장의 13.0%를 차지하였으나 2013년 현재 6.9% 상승한 19.9%의 비중을 나타내고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확대에 따라 당분간 빠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2018년에는 24.8%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 망되고 있음 <표 I-54>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p CAGR 미국 2,866 3,235 3,261 3,586 3,765 3,974 4,181 4,358 4,429 4,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영국 ,018 1,-82 1,133 1,174 1, 프랑스 독일 중동 아프리카 일본 1, 중국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그림 I-20> 2013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85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주요국의 디지털 음악 시장 특성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역시 미국의 규모가 가장 크며 서비스 주도적인 특성을 나타냄 - 미국의 경우 오프라인 음반 시장이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는 가시적인 성장을 보임 년 28억 6,600만 달러의 시장 규모가 연평균 3.7%의 성장률에 힘입어 2018년 45억 2,200만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은 유 무선 네트워크의 확장을 통해 소비자들의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이 크게 향 상되면서 디지털 음원 시장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 - 애플(Apple)의 아이튠즈(iTunes) 또는 비트 뮤직(Beats Music), 구글 플레이(Google Play), 판도라(Pandora) 등 세계적인 주요 디지털 음원 공급사가 대다수 미국 기업으로 포진되 어 있어 당분간 미국의 디지털 음원 시장 장악력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그림 I-21>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성장률,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브라질, 멕시코와 같은 중남미 지역과 중동 아프리카 지역은 디지털 음원 시장 자체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볼 때 가장 큰 폭의 성장이 예상되는 지역 - 브라질 16.6%, 중동 아프리카 14.3%, 멕시코 12% 등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면서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 전망 - 스마트 단말기의 보급 증가로 인해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가 가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 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임 중국은 중국 정부의 콘텐츠 지원 정책에 힘입어 음악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특히 디지털 음원 시장의 성장이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음 65
8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 중국의 디지털 음원 시장은 2009년 4억 300만 달러의 시장 규모였으나 2018년까지 연평 균 9.6% 증가한 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디지털 음원 시장의 고성장 예상 - 중국에서 디지털 음원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는 것은 중국 엔터테인먼트 시장 이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둥 인터넷 업체들의 투자로 활성화되고 있는데, 이들 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음원 시장으로 확장을 예고하고 있고 다양한 협력 체계를 통해 영역을 확대 중이므로 향후 중국의 디지털 음원 시장의 성장은 매우 긍정적으로 전망 2013년 영국은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의 13%를 차지하면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 - 영국의 디지털 음원 시장 역시 스트리밍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내면서 2013년 현재 9억 3,5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로 보임 - 영국 역시 당분간 스트리밍 시장의 성장이 지속되면서 디지털 음원 시장의 성장세 역 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 프랑스는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 다른 주요 국가들과 달리 연평균 7.2%의 마이너스 성장 률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시장임 - 프랑스 정부의 강력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규제와 오프라인 음반에 대한 수요 증가가 나타나면서 전체적으로 디지털 음원 시장이 축소 2014년 기준으로 디지털 부문이 전체 음악 시장의 50% 이상인 국가는 총 20개국으로 전 년의 11개국에 비해 거의 두 배 증가하였음(IFPI, 2015) - 해당국과 그 비율은 다음과 같음 - 중국(87%), 중앙아메리카&캐리비안(76%), 스웨덴(73%), 노르웨이(72%), 미국(71%), 페루 (68%), 태국(63%), 덴마크(62%), 콜럼비아(62%), 인도(58%), 한국(58%), 파라과이(56%), 호 주(56%), 인도네시아(54%), 에콰도르(53%), 멕시코(53%), 캐나다(53%), 싱가폴(53%), 러시 아(51%), 뉴질랜드(50%) 디지털 음악 시장의 구성 IFPI(2015)에 따르면, 2014년 현재 다운로드, 회원제 서비스, 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등 디지털 형태의 판매 수입이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46%로 전년 대비 3% 상승한 수치이며 향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특히, 회원제 및 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여, 2014년 기준으로 각각 전체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 회원제 스트리밍 서비스 23%, 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9% 등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중이 전체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 총 32%를 차지하여 전년도 25%에서 7%P 증가(IFPI, 2015) - 유료 스트리밍 시장 확대는 주로 호주(166.1%), 덴마크(53.9%), 독일(86.8%), 이태리 (80.1%), 일본(156.6%), 멕시코(132.1%), 뉴질랜드(196.1%), 한국(46.5%), 영국(58.4%), 미국 등에서 두드러졌으며, 유튜브 등 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는 전년 대비 16.6%의 성장 을 보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87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 반면 디지털 음원 시장과 관련하여 다운로드 서비스 기반의 아이튠즈 등은 전년 대비 3% 하락한 71%의 비중을 보여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 년 기준으로 회원제 서비스를 통한 수입은 전년 대비 약 51% 증가하여 최초로 10 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유료 회원 수도 40% 정도 증가하여 전세계적으로 약 28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들이 유료 회원제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PwC, 2014) - 현재 음반 산업계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꾸준히 개발하 고 있어 현재 다국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스포티파이, 구글 플레이 등과 지역적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멜론(Melon), 무브(Muve), 케이케이박스(KKBOX) 등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서비스는 약 450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표 I-55> 세계 디지털 음원 포맷별 시장 규모 및 비율 추이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규모 US$ 비율 규모 Mill. % US$ 비율 규모 Mill. % US$ 비율 규모 Mill. % US$ 비율 규모 Mill. % US$ Mill. 비율 % 싱글 트랙 다운로드 2,183 46% 2,306 43% 2,322 39% 2,138 33% 1,904 28% 전체 앨범 다운로드 1,036 22% 1,358 25% 1,573 26% 1,690 26% 1,619 24% 기타 다운로드 99 2% 96 2% 70 1% 59 1% 54 1% 모바일 개인화 % % 394 7% 260 4% 213 3% 유료 스트리밍 319 7% 446 8% % 1,130 18% 1,570 23% 광고 기반 스트리밍 172 4% 274 5% 397 7% 462 7% 641 9% 기타 287 6% 335 6% 522 9% % % 합계 4,750 5,343 6,004 6, 출처 : IFPI(2015) 3. 공연 음악 시장 공연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음악 분야로 2013년 현재 전 체 음악 시장의 56.3%의 비중을 차지 - 향후 라이브 공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18년에는 60.5%의 점 유율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방송, 라디오, 행사장 사용 음악 등 실연권에 의한 수입은 PwC(2014)에 의하면 2013년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넘어서며 전체 판매 수입의 약 7.4%를 차지하면서 전년 대비 1.4% 상승하였으며, IFPI(2015)의 기준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체 6%를 차지하였고, 전 년 대비 8%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대체적으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낙관되고 있음 67
8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그림 I-22> 글로벌 시장의 실연권 시장 규모 추이 출처 : IFPI(2015) 세계 공연 음악 시장은 대다수의 국가에서 높은 비중과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고, 특히 미 국의 절대적 우위가 나타나는 분야임 년 86억 3,100만 달러의 규모에서 연평균 3.5%의 성장을 이어가 2018년 105억 3,300 만 달러의 규모 - 미국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과 디지털 음원 시장과 견주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는 공연 음악 시장은 대관료나 공연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라이브 공연에 대한 소 비자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꾸준한 성장 예상 <표 I-56> 세계 공연 음악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p CAGR 미국 8,631 8,039 8,441 8,717 8,867 9,055 9,293 9,601 10,002 10,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영국 2,472 2,322 2,355 2,314 2,346 2,355 2,362 2,367 2,370 2, 프랑스 1,089 1,060 1,089 1,136 1,168 1,192 1,211 1,225 1,236 1, 독일 2,505 2,311 2,372 2,379 2,411 2,445 2,480 2,516 2,552 2, 중동 아프리카 일본 ,080 1,190 1,284 1,367 1,439 1,500 1, 중국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89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그림 I-23> 세계 공연 음악 시장 성장률,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2013년 현재 미국은 88억 6,700만 달러의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공연 음악 시 장으로, 공연 음악 시장 전체의 50% 시장 점유율에 해당 - 디지털 음원 시장과 마찬가지로 공연 음악 시장에서도 단일 시장으로서 독보적 파워를 지님 - 미국의 공연 음악은 질적인 신뢰를 담보하고 다양한 소셜 마케팅에 힘입어 수요자들에 게 주요 공급 시장이 되고 있음 - 인디 밴드 활성화를 위한 지원 정책으로 더욱 다양한 장르의 공연 음악들이 제공될 것 으로 예상되어 향후 미국의 공연 음악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독일, 영국, 프랑스의 유럽 지역은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의 공연 음악 시장을 형성 년 기준, 독일은 24억 1,100만 달러 규모로 전체 시장의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 국은 23억 4,6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3%를 차지 - 유럽의 각국 지역 특색에 맞는 지역 축제로 공연 음악의 성장 견인하고 있으며, 정부의 라이브 공연 활성화 지원 정책으로 인해 공연 음악 시장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음 - 하지만 독일, 영국, 프랑스의 공연 음악은 각각 연평균 1.4%, 1.3%, 0.2%의 낮은 성장률 을 나타내고 있어 이미 활성화된 공연 음악 시장이 포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럽 빅3 국가의 공연 음악은 당분간 안정적인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은 오프라인 음반 시장 및 디지털 음원 시장에 이어 공연 음악 시 장에서도 큰 규모를 나타내고 있어 주목할 국가임 - 일본의 공연 음악은 2013년 기준 11억 9,000만 달러의 규모로 전체 7%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면서 여전히 주요 공연 음악 시장임을 입증하였으며, 연평균 5.4%의 성장률을 나 타내면서 아시아 지역의 주요 공연 시장으로 자리잡음 - 장기적인 경기 침체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악재가 이어지면서 공연 음악 시장이 다 소 위축되는 현상을 나타냈지만, 공연 음악을 즐기는 일본인의 소비 패턴이나 라이브 69
9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공연과 관련된 다양한 머천다이징 수익들이 보장되면서 일본 공연 음악은 점차 활성화 되고 있으며, 국제적 페스티벌이나 대형 공연의 및 소규모 라이브 공연 등이 지속적으 로 유지되어 일본 공연 음악의 안정적인 성장 예상을 가능하게 함 한편 공연 음악 시장의 성장률 측면에서 살펴보면 중동 아프리카 지역과 중국, 남미의 높은 성장세가 주목됨 - 중동 아프리카 지역은 연평균 7.6%의 성장세를 나타내면서 오프라인 음반 시장과 달 리 안정적인 성장을 나타내는 특색을 지니는데, 대규모 음악 축제가 지속되고 있으며 다수의 국제적인 음악 페스티벌이 예정되고 있어 향후에도 공연 음악에 대한 성장이 예견됨 - 중국은 7.4%의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중국의 공연 음악 시장은 소비자들의 생활수 준 향상과 문화 소비 지출의 중가로 2009년 1억 4,5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나타냈으 나 2018년에는 2억 6,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특히 중국은 글로벌 스타들에게 폐쇄적이던 무대를 조금씩 개방하면서 점차 월드 투어 의 대상이 되고 있어 향후 긍정적인 시장 발전이 전망됨 - 남미의 경우, 시장 자체가 크지는 않지만 실연권 시장에서 2014년 12.6%의 성장률을 보 였으며, 전체 남미 음악 시장에서 실연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17%에 이를 정도로 상대 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실연권 비중이 높은 지역임 <그림 I-24> 2013년 공연 음악 시장 규모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91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그림 I-25> 2013년 공연 음악 시장 비중 * 참고자료 : PwC(2014). 재구성 71
9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제 3 절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1. 권역별 음악 시장 현황 2013년 기준 유럽 중동 아프리카 권역 음악시장이 201억 1,100만 달러로 가장 큰 시장 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북미지역 164억 1,400만 달러, 아시아 태평양 지역 95억 3,900만 달러, 중남미 지역 13억 5,100만 달러 순으로 시장 규모를 나타냄 <표 I-57>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규모 및 전망, 권역 p 북미 17, ,355 16,383 16,414 16,549 16,784 17,124 17,476 18,022 증감율 중남미 1, ,311 1,324 1,351 1,384 1,425 1,473 1,527 1,589 증감율 유럽ㆍ중동ㆍ아프리카 21, ,373 20,057 20,111 20,192 20,321 20,472 20,632 20,837 증감율 아시아ㆍ태평양 8, ,599 9,841 9,539 9,489 9,545 9,656 9,804 9,997 증감율 합계 50, ,638 47,605 47,415 47,613 48,075 48,725 49,438 50,446 증감율 출처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단위 : 백만 달러, %] CAGR <그림 I-26> 세계 음악시장 권역별 비중 변화, 출처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93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유럽 중동 아프리카 권역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음악시장이며, 유럽의 비중이 89%로 중동 아프리카의 비중 11%에 비해 절대적 우위를 차지 유럽 중동 아프리카 권역은 유로존 위기로 인한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감소세를 보이 다가 2013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전년 대비 0.3% 증가된 201억 1,100만 달러의 규모를 보여 하락세가 둔화되고 있음 향후 5년간 성장속도는 가장 느리게 나타나지만 2018년에도 여전히 가장 큰 시장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그림 I-27> 유럽 음악시장 규모 변화 추이 ( ) (단위: Billions) 출처 : IFPI(2015) <그림 I-28> 유럽 음악산업 부문별 규모 추이( ) 배경음악 실연권 디지털 물리적 음반 출처 : IFPI(2015) 73
9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중남미 음악시장 현재 가장 작은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으나 향후 5년간 성장속도는 가장 빠를 것으로 전 망되는 시장 브라질이 전체 남미 시장의 47%를 차지하는 등 남미 권역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특히 오프라인 음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음원 시장이 높은 성장을 보이면서 2018년까지 연평균 3.3%의 성장을 보이며 15억 8,9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됨 <그림 I-29> 남미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 (단위: US $ Millions) 출처 : IFPI(2015) 북미 음악시장 세계 콘텐츠 시장을 주도해 오는 미국이 이끄는 북미 지역국은 유로존의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강력한 양적 완화 정책과 모바일 가입자 증가, 경기회복에 따른 기업 광 고비 개선 및 콘텐츠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안정적인 시장을 유지하고 있음 다만, 안정적인 공연음악 시장과 디지털 음원 시장의 빠른 성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감소로 2013년까지 정체되는 경향을 보임 향후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나 스트리밍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2018년까지 연평균 1.9%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아시아 태평양 권역 세계 최대의 CD 판매시장을 갖고 있으며 아시아 음악시장의 79% 비중을 차지하는 일본 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한국 시장 그리고 중국과 인도의 엄청난 인구로 인해 향후 최대 잠재력을 지닌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는 시장 아시아 태평양 권역 전체적으로는 시장규모가 2014년 3.6% 감소하였으나 전년도의 13.9% 감소에 비하면 감소폭이 둔화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디지털 부문의 경우 9.5%의 성장률을 보였음(IFPI, 2015)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95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일본을 제외하면 전반적인 아시아 지역의 음악 시장은 전년 대비 3.9%의 증가 추세를 보 였다는 점에서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간주할 수 있음(IFPI, 2015) 아시아 시장 전체적으로는 소비자들의 디지털 음원 시장으로 이탈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 망되면서 향후 5년간 연평균 0.9% 증가한 99억 9,700만 달러의 규모를 보이며 다소 정체 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PwC, 2014) 2. 세계 음악시장 주요 국가별 규모 상위 20개국 IFPI(2015)에 따르면, 글로벌 음악시장 상위 20개국의 시장 규모 및 특성은 다음 표에 정 리된 바와 같음 <표 I-58> 2014년 글로벌 음악 상위 20개 국가 순위 국가명 시장규모(거래규모) 시장 부문별 비율(거래규모) US $(M) 변화율 오프라인 디지털 실연권 배경음악 1 미국 % 26% 71% 0% * 4% 2 일본 2, % 78% 17% 3% 1% 3 독일 1, % 70% 22% 7% 1% 4 영국 1, % 41% 45% 12% 2% 5 프랑스 % 57% 27% 13% 3% 6 호주 % 32% 56% 9% 2% 7 캐나다 % 38% 53% 6% 2% 8 대한민국 % 38% 58% 3% 1% 9 브라질 % 41% 37% 21% 1% 10 이태리 % 51% 33% 13% 3% 11 네덜란드 % 45% 38% 16% 1% 12 스웨덴 % 15% 73% 10% 2% 13 스페인 % 47% 35% 17% 1% 14 멕시코 % 41% 53% 4% 2% 15 노르웨이 % 14% 72% 12% 2% 16 오스트리아 % 65% 22% 13% 1% 17 벨기에 % 49% 28% 22% 0% 18 스위스 % 52% 38% 9% 0% 19 중국 % 12% 87% 0% 1% 20 인도 % 31% 58% 8% 3% 합계 14, % 46% 46% 6% 2% * 미국 내 측정 방법 조정에 따른 산정 값 출처 : IFPI(2015).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 The recorded music market in
96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PwC(2014)에 근거한 글로벌 음악시장 상위 27개국의 시장 규모 및 전망은 다음 표에 정리된 바와 같음 <표 I-59> 세계 음악시장 국가별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국가 p CAGR 1 미국 16,099 14,938 15,083 15,080 15,077 15,190 15,398 15,709 16,027 16, 일본 5,732 5,438 5,341 5,435 5,041 7,857 4,774 4,735 4,711 4, 독일 4,577 4,270 4,323 4,267 4,316 4,330 4,326 4,323 4,318 4, 영국 4,675 4,365 4,325 4,070 4,110 4,121 4,131 4,137 4,140 4, 프랑스 1,530 1,544 1,648 1,783 1,817 1,837 1,861 1,874 1,875 1, 호주 1,279 1,228 1,298 1,369 1,427 1,495 1,545 1,580 1,599 1, 캐나다 1,358 1,253 1,272 1,303 1,338 1,359 1,385 1,415 1,449 1, 러시아 1,293 1,212 1,194 1,259 1,327 1,412 1,507 1,611 1,722 1, 이탈리아 1,135 1,108 1,094 1,062 1, 스웨덴 한국 스페인 중국 브라질 멕시코 인도 태국 터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대만 칠레 베트남 이집트 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미국 - 전 세계 음악 시장 규모의 33%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은 전년 대비 2.1% 성장(IFPI, 2015) - 회원제 서비스가 가파르게 성장한 반면, 다운로드 및 오프라인 음악 판매는 감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97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일본 - 세계에서 두 번째 큰 음악시장인 일본은 2014년 전년 대비 5.5% 감소하여 계속적인 시 장의 성장 둔화를 보이고 있으나, 2013년의 16.7% 감소에 비하면 감소폭이 다소 완화된 상태를 보임(IFPI, 2015) - 회원제 서비스가 4.9%의 성장률을 보이며 디지털 음악 분야를 견인 독일, 영국, 프랑스 - 독일은 2009년까지 영국에 뒤처져 있었으나 2012년 영국을 추월하였고, 2018년까지는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음악시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독일에 이어 영국, 프랑스가 뒤를 잇고 있는데 이들 5위권 국가가 전체 세계 시장의 75%를 차지 - 유럽 지역 국가의 경우 이미 콘텐츠 시장이 포화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5% 이하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음 - 한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등 5대 주요 시장은 공연음악 시장이 확 대되고 있어, 유럽 중심의 공연음악 시장의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음(PwC, 2014) 주목할 국가 - 한국은 19.2%의 급성장을 보이며 세계 8위의 음악시장으로 성장(IFPI, 2015) - 스페인은 2013년부터 한국시장에 뒤처지기 시작했으나, 2014년 15.2%의 성장률을 보이 면서 다시 성장세를 타고 있음(IFPI, 2015) - 중국은 현재까지 한국보다 작은 시장규모를 보이고 있으나 2015년부터 한국을 앞질러 2018년에는 세계 9위의 시장규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부상하는 신규 음악 강국으로 주목받고 있음(PwC, 2014) - 중남미 지역의 브라질, 멕시코, 칠레 등 3대 주요 시장에서는 역시 물리적 형태의 판매 수입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판매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총수입은 1.4% 정도 증 가한 것으로 나타남(PwC, 2014) 77
98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제 4 절 글로벌 음악산업 주요 이슈 1. 디지털 음원 시장의 스트리밍 서비스 경쟁력 강화 스트리밍 시장 규모 및 특성 PwC의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에 따르면 디지털 음원 시장은 2013년 현재 94억 3,200만 달러의 규모로 향후 2018년까지 5년간 꾸준히 플러스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스마트폰 보급 및 다양한 디지털 기기의 보편화로 전세계적인 음악 소비행태는 과거 오프라인에서 음반 구매로 대변되는 소유 에서 인터넷 모바일 네트워크 기반의 소비 행태로 진화 - 오프라인 음반에서 디지털 음원 시스템으로 소비 중심이 이동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디지털 음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그림 I-30> 세계 디지털 음원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출처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디지털 음원의 서비스는 크게 다운로드, 스트리밍, 모바일 서비스 세 가지로 구분 - 애플의 아이튠즈(iTunes)로 대표되는 다운로드 서비스 시장의 비중은 2013년 63%에서 2018년 57%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 높은 비중 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99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 스포티파이(Spotify), 디저(Deezer) 등과 같은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2013년 현재 22%에서 2018년 33%의 성장이 예상되면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쟁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음 <그림 I-31> 세계 디지털 음원 서비스의 비중 변화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스트리밍 서비스의 유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1 유료 스트리밍 기반 서비 스(Spotify, Google Play 등) 2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Pandora, Deezer, Rdio 등) 3 주문 형 스트리밍 서비스(YouTube, VEVO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수익구조는 가입자 구독 기반형(subscription-based)과 광고 지원 형(advertising-supported) 유형으로 구분 - 가입자 구독 기반형은 월 4.99달러 ~ 9.99달러로 무제한 음악을 청취할 수 있어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음 - 광고 지원형 역시 통신사 및 자사 미디어 기업과 제휴를 통해 수익률을 모색하고 있음 - 스포티파이(Spotify)는 버진미디어(Virgin Media) 및 보다폰(Vodafone)과의 제휴를 통해 자 사의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였으며, 통신사업자인 BT 또한 유니버셜 뮤직 (Universal Music)과 제휴를 통해 자사의 고객들에게 유니버설 앨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치열한 경쟁이 예측되면서 스트리밍 시장 전반적인 성장 폭은 점 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됨 IFP(2015)에 따르면, 전세계 유료 스트리밍 서비스의 매출은 2014년 현재 15억7천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39% 성장하였고,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의 유료 가입자 수는 2014년 현재 4,100만 명으로 2010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하는 등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음 79
100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그림 I-32> 세계 유료 스트리밍 시장 매출 규모 (단위: 백만 달러) 참고자료 : IFPI(2015).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그림 I-33>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성장에 기여한 상위 15개국 참고자료 : IFPI(2015). Recording Industry in Numbers 주요 스트리밍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의 약진은 미국을 중심으로 견인되고 있음 - 유료 및 무료를 포함한 스트리밍 서비스 성장 증가세를 밝힌 IFPI(2015)에 따르면, 미국 의 스트리밍 서비스는 2014년 전년 대비 26%의 성장을 보인데 반해, 디지털 음악 시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는 다운로드 판매는 47% 감소하였음 - 미국 내 주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의 이용률을 살펴보면 2014년 현재 스트리밍 라디오 서비스 유형에 해당하는 판도라(Pandora) 서비스가 31%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으 며, 유료 스트리밍 기반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포티파이(Spotify) 서비스가 6%, 구글 플레 이(Google Paly)가 3%의 이용률을 나타내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01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그림 I-34> 미국 주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이용률 * 참고자료 : Edison Research(2014.3),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4) <동향> 재인용 <표 I-60> 미국의 주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 Pandora Spotify itunes Radio Beats Music 출시일 2005년 7월 2008년 10월 2013년 9월 2014년 1월 수익구조 무료(광고기반) 유료(월4.99$) 무료(광고기반) 유료(월4.99$) 프리미엄(월9.99$) 무료(광고기반) 전면유료 (월 9.99$, 연 99.99$) 서비스 국가 미국, 호주, 뉴질랜드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등 57개국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서비스 예정) 미국 * 참고자료 : 각사의 홈페이지 비츠 뮤직(Beats Music) 출시 : 최근 아이튠즈(iTunes)를 바탕으로 다운로드 시장 우위를 차지하고 있던 애플이 비트뮤직 출시로 스트리밍 시장에 뛰어들면서 스트리밍 시장이 급 속히 개편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애플은 헤드폰 브랜드 비츠 바이 닥터 드레(Beats by Dr.Dre) 등으로 음향기기 시장에 서 유명한 업체인 비츠 일렉트로닉스(Beats Electronics)를 인수하여 2014년 1월 미국에서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인 비츠 뮤직(Beats Music) 출시 - 비츠 뮤직(Beats Music)은 다른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들이 광고기반의 유료 서비스를 제 공하는 것과 달리 비츠뮤직은 14일간의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 이후에는 월 9.99달러, 연간 99.99달러로 3개 단말기까지 허용되는 유료 서비스 - AT&T와의 제휴를 통해 AT&T 가입자의 경우에는 월 14.99달러로 10개의 단말과 5명의 가족들이 이용할 수 있는 패밀리 요금제 운영 - 약 2천만 곡 이상의 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웹사이트 Beatsmusic.com과 ios, 안드로이 드, Windows 등 모바일 앱을 통해서 스트리밍 서비스와 오프라인 음악 취향을 위한 다 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81
102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 전면 유료 서비스를 지향하는 만큼 이용자 기호에 맞는 최적화된 개인화된 음악 서비 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유명한 음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큐레이션 팀을 구성하여 다양하게 큐레이팅한 음원 목록을 제공하는 Highlights, 개인들의 음악 취향을 반영하여 재생 목록을 추천해 주는 Just For You, 활동 상황과 주변 환경을 키워드로 설정한 것을 바탕으로 서비스 하는 The Sentence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음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 - 빌보드 차트는 2014년 11월부터 빌보드 200 순위 집계에서 스포티파이(Spotify), 비츠 뮤 직(Beats Music), 구글 플레이(Google Play), 엑스박스 뮤직(Xbox Music) 등 음원 스트리 밍 서비스 건수도 반영하기로 결정한다고 밝히기도 하였음 - 스트리밍 서비스의 확산은 향후 특정 아티스트에 대한 반복 청취 및 음원 구매 등 충 성도 높은 이용패턴보다는 다양한 음악에 대한 패스트(fast) 소비 경향을 확산시킬 것으 로 예측되고 있음 - 유튜브 등 영상채널 및 소셜 미디어와의 결합으로 복합화된 음악 청취의 경험 또한 증 가할 것으로 보임 2. 음악시장에서도 부상하는 신흥 강국 중국 중국은 2012년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등 기반 산업의 발전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에 힘입어 2013년 중국 콘텐츠 시장의 규모가 전년 대비 14.2% 성장한 1,328억 4,2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높은 성장을 나타내고 있음 - 최근 중국 국가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콘텐츠 산업의 중요도가 부각되면서 콘텐츠 산업 의 성장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중 - 과거 높은 문화산업 진입 장벽과 낮은 저작권 보호 인식으로 다른 국가들과 비교할 수 없는 커다란 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낮은 성장률을 나타냈던 중국시장이 2000년대 이 후 강력한 콘텐츠 시장 신흥 강국으로 대두되기 시작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03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그림 I-35> 중국 음악시장 규모 및 성장률,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콘텐츠 산업의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국 음악시장은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 중 년 총 음악시장 규모는 7억 1,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2% 증가 년 10억 7,800만 달러, 연평균 8.6%의 성장세가 예상되는 음악시장의 신흥 강국으로 주목되고 있음 <그림 I-36> 중국 음악시장의 분야별 비중 변화 예측 * 참고자료 : PwC(2014).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중국 음악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디지털 음원 시장이 매우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 중국의 디지털 음원 시장은 2013년 현재 5억 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8% 상승하였으 며 2018년까지 연평균 9.6% 증가한 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83
104 제 I 부 국내외 대중음악산업 현황 - 이러한 성장 추세를 바탕으로 2013년 중국 음악시장의 디지털 음원 시장은 전체 약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8년에는 전체 74%로 증가하여 디지털 음원의 강력한 성장 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반면 오프라인 음반 시장의 비중은 2013년 약 3%로 나타났으며 2018년에는 약 1% 정도의 점유율을 나타내어 중국 시장에서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디지털 음원 시장의 성장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약화될 것으로 전망됨 년 5,200만 달러의 규모를 보이던 중국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특히 불법 복제 유통 이 활발해지면서 2013년 현재 1/2 수준에 불과한 2,100만 달러로 하락하였음 - 향후 디지털 음원 시장으로의 소비자 이탈이 가속화되면서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지속 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이며, 2018년에는 1,00만 달러 수준으로 전체 음악시장에서 1% 미만의 비중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중국에서의 디지털 음원의 스트리밍 서비스는 일부 시장의 불법 복제물에 대한 주요 대 안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중국의 스트리밍 음악시장은 제대로 시작되지 않은 상태임 - 중국의 복잡한 시장 조건과 라이센싱 문제로, 현재 스포티파이(Spotify)와 디저(Deezer) 등과 같은 세계적인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들은 아직 중국 시장에 진출하지 못하는 상 황임 - 중국의 음악시장에 있어 불법 복제는 여전히 중대한 문제이지만, 정부 규제 강화와 외 국 사업자의 투자를 계기로 점차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됨 BAT를 통한 음악 서비스 활성화 중국에서 디지털 음원 시장이 강세를 보이는 것은 중국 엔터테인먼트 시장을 움직이는 빅3 - BAT 로 불리는 3대 인터넷 업체 바이두(Baidu),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 (Tencent) 의 투자 활성화로 인한 것으로 간주됨 텐센트 - 가장 공격적인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구축하고 있는 업체로 모바일 메신저 위쳇(WeChat) 에서 6억명의 가입자를 확보하여 위쳇을 기반으로 JD 닷컴과 제휴하여 전방위로 영향력 확장 중 - 최근 게임 및 모바일 분야를 넘어 한국 내 음악, 예능 분야로 투자 확대를 모색하고 있 으며, 최근 한국 종합엔터테인먼트 업체인 IHQ를 방문해 공동투자 및 제작 등을 협의 하고 한국 연예기획사인 키이스트와 지분투자 협상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임 바이두 - 모바일 인프라의 구축과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국 등 유명 기획사들과 협력을 모색 중 - 현재 한국 SM 엔터테인먼트 및 SM C&C 등과 음원 계약을 포함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양사가 중국내 온라인 서비스 및 K-팝 온라인 커뮤니티를 공동 운영 예정으로 디지털 음원 시장에서의 영역을 강화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05 제2장 글로벌 음악산업 동향 알리바바 - 텐센트와 바이두에 비해 음원, 동영상 등 콘텐츠 분야에서 열세로 평가받던 서비스를 보완하기 위해 다각적인 인수로 적극적인 대응 중 - 최근 중국 내 종합문화엔터테인먼트사인 차이나비전을 전격 인수했으며, 지난 2013년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기업 샤미왕을 인수함에 따라 선두 기업과의 시장격차 해소를 모색하고 있음 3. 불법 다운로드 및 저작권 문제 국제음반산업협회(IFPI)의 <Digital Music Report 2015>에 따르면 전세계 유선 인터넷 사용 자의 약 20%가 불법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40억 의 이용자가 비트토렌트(BitTorrent)를 이용해 음악을 다운로드 받는 등, 여전히 음악 불법 다운로드 및 저작권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남 이와 관련, 2012년 5월~6월 주요 불법 다운로드 사이트에 대한 웹사이트 차단 제도를 도 입한 영국에서는 영국 내 비트토렌트 방문자 수가 2012년 2040만에서 2014년 4월 기준 1120만으로 45% 감소하여 웹사이트 차단 제도가 실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4. 음악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2014년 12월 발표된 EY의 보고서 <Measuring Cultural and Creative Market in the EU>에 의 하면, 음악산업이 유럽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EU 전체에 걸쳐 117만명이 음악 관련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그 가운데 핵심 음악 분야인 사운드 레코딩 및 음악 발매 분야에 44,66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650,000명은 뮤지션 및 작곡가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 보고서에 의하면, 음악산업이 253억 유로의 경제 활동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음악산업과 뮤지션 수입의 관계 년~2014년 전체 글로벌 음악 시장의 정체로 음반 회사의 판매 수익이 17% 감소하 고, 뮤지션의 수입도 평균 6%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하지만, 음악 판매 수익 대비 뮤지션의 수입은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IFPI, 2015) 음악과 관광 - 음악이 전 세계 관광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3조 달러로 추산되고 있음 - 특히 영국의 경우, 2012년 기준 650만 음악 관광객을 통해 36억 달러의 관광 수익을 얻 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음 - 미국의 오스틴은 SXSW 페스티발을 통해서 매년 16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짐 85
106
107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108
109 제1장 연구개요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 2 절 연구 범위 및 방법 제 3 절 기존 연구의 특성 및 한계
110
111 제1장 연구개요 제 1 장 연구 개요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창조경제 사회의 핵심 자산은 창의성과 콘텐츠로 집약되며, 이러한 창의성과 콘텐츠를 통해 조성된 일자리 창출, 콘텐츠 수출, 부가가치 및 부가사업 연계 등이 특정 사회와 국가의 부와 권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음.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대부분 선진국가가 창조경제 콘텐츠산업 진흥을 위 해 정책적 지원 토대를 구축하고, 콘텐츠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 중임. 특히, 최근 국내 대중음악산업은 한류의 핵심적 콘텐츠이자, 우리의 문화적 표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K-POP 애호가 증폭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청소년, 젊은 층이 대중음악산업 진입을 위하여 인디밴드나 오디션 프로그램에 몰려 들고 있는 현실임. 이러한 대중음악산업에 진입하는 청소년 및 젊은 층 중 다수는 프리랜스 뮤지션을 선택하여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저력 및 토대를 키우는 순기능 요소이기도 하지만, 청년실업을 부추기는 역기능 요인이기도 함. 한류의 핵심 콘텐츠이자 우리의 문화적 표상인 대중음악산업으로의 청소년 및 젊은 층의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급격한 유입이 지니는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들의 규모나 특성에 대한 현황이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미흡했음은 물론, 대중 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개념 정의조차 다양하고 모호한 상태임. 따라서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성숙과 우리 문화의 건강성 회복을 위해서 그간의 선행연구나 국가통계조사, 실태조사 등에서 파악하지 못했던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현황 및 실태 파악이 시급한 실정임.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이들의 공연시설, 작업 제작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현황 및 실태 파악을 통해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있어서의 프리랜스 뮤지션의 현황 자료를 구축하고 실태를 점검하여 프리랜스 뮤지션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국내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및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우선 그간의 대중음악 관련 문헌, 통계조사, 현황 및 실태조사를 살펴보고, 본 연구 관련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에 대한 현실적인 개념 정의를 통해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할 필요가 있음. 91
11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또한, 국내 주요 거점별 프리랜스 뮤지션 규모, 프리랜스 뮤지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현황 파악을 통해 향후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정책적 지원방안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표 II-1>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배경 및 목적 구분 내용 연구배경 대중음악(산업)은 한류의 핵심콘텐츠이자 우리 문화의 표상으로 특히 젊은층에서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급격히 유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중음악(산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나 특성, 공연시설, 작업시설 등의 현황이나 실태를 파악 하려는 노력이 부족 연구목적 -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정의 및 규모나 인구통계학적 특성 등의 현황 이나 실태를 파악하여 정책대상 범주를 명확화 - 거점 지역별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이 가능한 공연시설의 규모나 공연실적 등의 현황이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 - 거점 지역별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제작 및 연습이 가능한 작업시설의 규모나 이용 실적 등의 현황이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 - 거점 지역별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의 종류나 규모, 교육 프로그램 현황, 이용 실적 등의 현황이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 정확한 프리랜스 뮤지션의 현황 및 실태 파악을 통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13 제1장 연구개요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국내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및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현황 및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우선 그간의 대중음악 관련 문헌, 통계조사, 현황 및 실태조사를 살펴보고, 본 연구 관련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에 대한 개념 정의, 현황조사 및 실태조사 등을 통해 정책수립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함. 본 실태조사 연구는 대중음악 프리랜서 뮤지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현황조사와 관련 정부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음. 본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 부산, 광주 등 국내 3대 주요 거점도시로 하며 우선 대중 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 관련 모집단 규모 현황 파악을 위해 문헌연구와 개념 정의를 실시함. - 문헌연구 및 개념 정의 이후 관련 전문가들의 검증과 자문 수행 - 눈덩이 표집방법을 준용하여 관계자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모집단 규모에 대한 현황조사 실시 - 마지막으로 모집단 현황 파악 이후,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의 특성, 규모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양적 질적 조사 수행 1.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 자료를 수집하고, 대중음악 프 리랜스 뮤지션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통해 1차적으로 파악한 모집단 현황 자료에 대한 검증 실시 전문가들의 검증 및 자문 이후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관계자의 심층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눈덩이 표집조사를 준용하여 모집단 규모에 대한 현황 자료를 지속적으 로 확대 파악 및 수집, 정리하여 최종 모집단 규모를 추정하며, 추정된 모집단 규모를 바탕으로 유의할당 표본추출을 통해 관련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120명을 대상으로 특성 및 실태 관련 설문조사 실시 93
11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2. 대중음악 프리랜스 공연시설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언론 보도 자료, 관련 협회 자료, 웹 검색 등을 통한 모집단 리스트 수집 등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서울, 부산, 광주 등 현지에 거주하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및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모집단 현황에 대한 검증 실시 프리랜스 뮤지션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인터뷰, 검증 및 자문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눈덩이 표집조사를 준용하여 프리랜스 뮤지션의 목록을 수집, 정리, 업데이트 하며, 수집된 모집단 규모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계자 21명을 대상으로 특성 및 실태 관련 인터뷰 실시 3.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관련 대중음악 작업시설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작업시설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하여 작업시설에 대한 개념 정의 및 1차적 자료를 바탕으로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관련 전문가들 자문을 통해 검증 및 수정 보완함. 작업시설 관련 전문가들의 검증 및 자문 이후, 눈덩이 표집방법을 준용하여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관련 관계자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작업시설 모집단에 규모에 대한 현황 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대 파악 및 수집, 정리하여 최종 모집단 규모 추정 및 실태 파악 4.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방법 관련 대중음악 작업시설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에 대한 개념 정의 및 교육기관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하고, 교육기관에 대한 개념 정의 및 1차적 자료를 바탕으로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검증 및 수정 보완 교육기관 관련 전문가들의 검증 및 자문 이후, 눈덩이 표집방법을 준용하여 대중음악 프리 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 관련 관계자의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기관 모집단에 규모에 대한 현황 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대 파악 및 수집, 정리하여 최종 모집단 규모를 추정 및 실태 파악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15 제1장 연구개요 제 3 절 기존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그간 실시된 주요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현황 및 실태조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표 II-2> 선행 대중음악산업 관련 실태조사의 대상 및 특성 구 분 연구 조사명 조사대상 및 특성 프리랜스 뮤 지 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연예 엔터테인먼트 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 공연예술 실태조사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연예기획사 실태조사 대학 실용음악학과 현황 및 진로 관련 연구 조사 모 집 단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에 소속된 회원 조 사 대 상 각 장르별 대중예술인 2,000명 주 요 조사내용 모 집 단 조사대상 주요 조사내용 활동부문, 활동기간, 데뷔방식, 창작활동 실태, 성별, 연령, 학력, 주거지, 직업, 수입, 4대 보험 여부 등 기획사 소속 연습생 및 공중파 TV에 1편 이상 출연한 청소년 연예인 6개 기획사 소속 연습생 47명 및 청소년 연예인 (가수) 12명 등 총 59명 연습생활 환경, 계약 특성, 학습생활 환경, 청소년 연예인 활동 환경 실태 등 모 집 단 전국 944개 공연시설 조 사 대 상 주 요 조사내용 모 집 단 조 사 대 상 주 요 조사내용 모 집 단 조사대상 주 요 조사내용 전국 443개 공연시설 공연시설 기본 현황, 일반 현황, 인력 현황, 재정 현황, 공연장 규모 및 객석 현황, 공연 실적 등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한국음실연자연합협회 등 음반기획 및 제작업 사업체 지역별/업종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매출액 등 최근 2년 이내 활동 및 실적이 있는 대중음악 기획사 및 제작사로 연예제작자협회 회원사 및 비회원사 음반 기획 제작사 위주의 연예제작사협회 355개 사업체 사업자 기본정보, 기업체 운영 현황, 인력 현황, 인식조사 등 모 집 단 전국 대학 실용음악과 조 사 대 상 주 요 조사내용 전국 대학 실용음악과 담당자 혹은 재학생 전수 지역별 교육기관 현황, 교육담당자, 전공분야, 진로 등 95
11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1. 기존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그간 실시된 주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실태조사로는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연예 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 등이 있음. 문화예술인 실태조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의 <표 II-3>과 같음. <표 II-3>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개요 및 특징 문화예술인 실태조사 개요 조 사 목 적 우리나라 문화예술인의 활동여건과 활동실태를 조사하여 문화예술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모 집 단 전국 10개 분야(미술, 문학, 건축, 사진, 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대중 예술) 문화예술인 조 사 대 상 표 본 추 출 문화예술 관련 10개 분야(미술, 문학, 건축, 사진, 음악, 국악, 무용, 연극, 영화, 대 중 예술)에서 각 200명 씩 총 2,000명의 문화예술인 10개 장르별 동일할당 추출 후 16개 시도별 비례 무작위 추출 조 사 시 기 (조사주기 : 3년) 조 사 기 관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과 주 요 조 사 내 용 예술활동 특성 예술정책 수요 교과 전공 여부, 주활동 지역, 직업(예술인 이외) 여부, 취업상태, 주된 활동 분야, 활동 연한, 데뷔 방식, 연간 창작 활동 수, 활동 분야 및 활동 방식, 창작지원금 수혜여부, 창작활동 여건/만족도, 문화 예술단체 참여, 자원봉사활동, 창작활동/ 작품 배포를 위한 인터넷 활용 정도 등 문화예술정책 평가, 문화예술인 역할에 의식, 예술인 평가, 창작 활동기회, 규제 정도 등 기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주거지, 직업, 수입, 지출, 4대보험 가입 등)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승인 통계인 문화예술인 실태조사는 분야별 창작활동 실태를 파악 하기 위한 조사로 주요 10개 문화예술 장르에서 각 200명씩 동일 할당에 의한 표본 추출로 비비례 층화표집 방법(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목적 및 조사 편의상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등의 회원 리스트에 의존함. 따라서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17 제1장 연구개요 연예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의 <표 II-4>와 같음. <표 II-4> 연예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개요 및 특징 연예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개요 조사목적 국내 연예매니지먼트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합리적 개선방안을 위한 정책 수립 모 집 단 연습생과 청소년 연예인(공중파 TV에 1편 이상 출연한 연예인) 조사대상 6개 기획사 소속 47명의 연습생 (전체 연습생의 약 49% 수준) 및 5개 기획사 소속 청소년 연예인(가수) 12명 등 총 59명 표본추출 임의(편의) 표본추출 조사시기 조사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연습생활 환경 연습생 시작 시기, 준비하고 있는 활동 분야, 입문 과정, 준비 내용, 생활 만족도, 연습생 생활에 대한 부모님의 생각, 연습생으로 교육받는 내용/평균 연습시간/귀가 시간대, 연습생 생활 중 어려운 점, 개인적 별도 교육 여부, 연습생 생활후 생활태도 변화 여부 및 내용, 연습생 생활을 그만 두고 싶은 생각이 들었던 이유, 연예인 희망 이유 등 주 요 조사내용 계약 특성 학습생활 환경 연습생 계약 여부, 계약기간, 계약서 내용 인지 여부, 계약 내용 설명 여부, 회사의 강요 여부 등 등교 여부/학교에 가지 않는 이유, 연습생 이후 학교 생활 변화 여부, 학교 생활 지침 여부 및 내용, 학교 졸업에 대한 인식, 학교 공부의 의미, 평균 학습 시간, 학교 공부에 대한 생각 등 청소년 연예인 활동 환경 데뷔 기간, 데뷔 연령, 연습생 생활 기간, 데뷔 이후 교육 여부, 교육 받고 있는 내용, 청소년 가수 활동 정도, 연예활동량에 대한 생각, 연예 활동의 어려운 점 등 기타 응답자 특성 등 연예엔터테인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개선을 위한 연구의 모집단은 기획사 소속 연습생과 공중파 TV에 1편 이상 출연한 연예인으로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음. 97
11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2. 기존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그간 실시된 주요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련 실태조사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하는 국가승인 통계조사인 공연예술 실태조사가 있음. 공연예술 실태조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의 <표 II-5>와 같음. <표 II-5> 공연예술 실태조사 개요 및 특징 공연예술 실태조사 개요 조사목적 모 집 단 조사대상 표본추출 조사시기 조사기관 공연예술분야의 현황을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2012년도 조사모집단, 등록공연장 리스트 및 한국소극장협회 소속 공연장 리스트 등 전국 944개 공연시설 전국 443개 공연시설 (공공시설 : 전수조사 / 민간시설 : 표본조사 병행) 민간시설 : 층화 비례할당 추출 월 - 9월 예술경영지원센터(문화체육관광부) 주 요 조사내용 시설 기본 현황 시설 일반 현황 시설 인력 현황 시설 재정 현황 공연장 규모 및 실적 현황 기타 응답자 특성 시설명, 개관연도, 주소, 대표자명, 설립주체, 운영주체 등 회원제 운영, 입주단체 현황, 부대시설 현황 등 성별 직원 현황, 정규직별 직원 현황, 업무별 직원 현황 등 수입 현황, 지출 현황 등 공연장 수, 공연장명, 객석 현황, 가동일수, 장르별 공연실적, 관객수 등 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승인 통계인 공연예술 실태조사는 공연시설, 공연단체의 운영 실태와 공공지원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2005년부터 매년 수행되고 있음. 민간 공연시설 규모를 기준으로 100석 미만에서부터 1,500석 이상으로 7개로 재층화 비례할당 하였으며, 100석 미만인 소규모 공연장이 10.7% 수준임. <2013 공연예술실태조사>는 전국 944개의 공연시설을 모집단으로 하여 운영실태를 조사함. 944개의 전국 공연시설은 2012년 조사보다 76개 시설이 증가된 것으로, 공연 시설 내 공연장은 1,188개로 조사됨. 이 조사에서는 공연시설과 공연장을 구분하여, 공연시설은 복합시설 전체를, 공연장은 공연시설 내에 실제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으로 정의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19 제1장 연구개요 공연시설의 특성은 국립중앙극장 등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건립기금과 운영자금을 보조하는 시설, 세종문화회관 등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건립비를 지원받은 공공 공연시설, 군포문화 예술회관 등 기초 지자체 설립 시설, 양천문화회관 등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건립비를 지원하지 않은 공공 공연시설, 동숭아트센터 등 대학로 지역에 소재하는 민간 공연시설, LG아트센터 등 대학로 이외의 지역에 소재하는 민간 공연시설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함. 이들 공연시설은 대부분 등록공연장에 한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목적하는 50석 미만의 등록법상 등록 면제 공연장 및 공연장으로 등록되지 않은 라이브 카페 등을 포함하지 않음. <2013 공연예술실태조사>에 따르면 공연시설 및 공연장의 경우 수도권과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격차는 지역별 50석 미만의 등록법상 미등록 공연장 규모에서도 재연됨. <표 II-6> 지역별 공연시설 및 공연장 현황(2013년) 지역 공연시설 공연장 구분 시설 수 비중 공연장 수 비중 서 울 % % 경 기 도 % % 강 원 도 % % 충 청 북 도 % % 충 청 남 도 % % 9개도 전 라 북 도 % % 전 라 남 도 % % 경 상 북 도 % % 경 상 남 도 % % 제 주 도 % % 부 산 % % 대 구 % % 6개시 인 천 % % 광 주 % % 대 전 % % 울 산 % % 합 계 % 1, % <2013 공연예술실태조사>에서 조사된 공연시설 및 공연장의 경우 연극, 뮤지컬, 무용, 발레, 양악, 오페라, 국악 등의 공연을 위해 주로 이용되며, 대중음악 뮤지션 특히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주된 공연시설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음. 99
12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3. 기존 대중음악 작업시설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그간 실시된 주요 대중음악 작업시설 관련 현황 및 실태조사로는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중 음악산업 관련 통계조사, 연예기획사 실태조사 등이 있음. 콘텐츠산업 실태조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의 <표 II-7>과 같음. <표 II-7>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개요 및 특징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개요 조사목적 콘텐츠산업 분야의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 확보 및 콘텐츠산업 정책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 제공 모 집 단 2013년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결과 콘텐츠산업으로 분류된 사업체 및 통계청 전국사업 체조사의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콘텐츠 관련 업종 106,710개 사업체 조사대상 출판, 만화, 음악 등 전체 11개 콘텐츠산업 중 9개 산업 표본추출 전수 혹은 표본조사 조사시기 (조사주기 : 매년) 조사기관 한국콘텐츠진흥원 사업체 정보 사업체명, 대표자 관련 정보, 기업형태, 사업체 구분 등 주 요 조사내용 사업체 현황 종사자 현황 연간 총 매출액, 매출액 비중, 콘텐츠 제작건수, 콘텐츠 제작비용 등 종사자수,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별 종사자수, 성별 종사자수, 연령별 종사자수, 학력별 종사자수, 직무별 종사자수 등 기타 글로벌거래 현황, 응답자 정보 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21 제1장 연구개요 콘텐츠산업 실태조사 중 음악산업 부분의 통계조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 <표 II-8>과 같음. <표 II-8> 음악산업 통계조사 개요 및 특징 (콘텐츠산업) 음악산업 통계조사 개요 조사목적 모 집 단 조사대상 표본추출 조사시기 조사기관 음악산업 분야의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 확보 및 음악산업 정책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지표 제공 2013년 음악산업 통계조사 결과 음악산업으로 분류된 사업체 및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의 한국표준산업분류 중 음악산업 관련 업종 36,863개 사업체 음악산업 영위 사업체 : 음악제작업/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음반복제 및 배급업/음반 도소매업/온라인 음악 유통업 표본조사 (조사주기 : 매년)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체육관광부) 주 요 조사내용 사업체 정보 사업체 현황 종사자 현황 사업체명, 대표자 관련 정보, 기업형태, 사업체 구분 등 연간 총 매출액, 매출액 비중, 콘텐츠 제작건수, 콘텐츠 제작비용 등 종사자수,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별 종사자수, 성별 종사자수, 연령별 종사자수, 학력별 종사자수, 직무별 종사자수 등 기타 글로벌거래 현황, 응답자 정보 등 한국콘텐츠진흥원(문화체육관광부)의 국가승인 통계인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중 음악산업 부문 통계조사는 음악제작업,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음반복제 및 배급업, 음반 도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등의 사업체 매출액, 종사자 현황에 대한 조사이며, 음악 제작에 따른 종사자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임. 따라서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 및 이들의 작업시설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101
12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연예기획사 전수조사의 개요 및 특징은 다음의 <표 II-9>와 같음. <표 II-9> 연예기획사 전수조사 개요 및 특징 연예기획사 전수조사 조사목적 모 집 단 조사대상 표본추출 한류를 선도하고 있는 연예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 최근 2년 이내 활동 및 실적이 있는 대중음악 기획사 및 제작사로 연예제작자협회 회원사 및 비회원사 총 750개 연예기획사 음반기획제작업 중심 355개 연예기획사 전수조사 조사시기 조사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사업체 정보 창립연도 및 대표자 이름, 회사 위치 및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주소(담당자), 소셜미디어 주소, 자본금, 사업자등록번호, 상장 여부 등 주 요 조사내용 사업체 운영 소속 연예인 현황 업체의 주요사업 내용, 글로벌 지사 여부, 연간 매출 규모(국내/글로 벌), 인력 현황(지원인력/연예인 비중), 최근 2년 내 활동 실적, 최근 2 년 내 정부 사업 수행 경력, 주요 수상 경력 등 소속연예인(가수, 작곡가, 작사가, 연기가, 개그맨 등), 스태프인력(스탭, 매니저 등), 육성 중인 관련 연습생 현황(성별, 연령대, 규모 등) 기타 응답자 정보 등 문화체육관광부의 연예기획사 전수조사는 연예기획사의 지망생 대상 불법행위 방지 및 연예기획사 난립에 따른 사회문제 해소, 부적격자의 시장 진입 제한 및 퇴출 등 연예산업의 책임성 강화 등의 목적으로 실시된 조사로 연예기획사 소속 연예인 현황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 및 이들의 작업시설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4. 기존 대중음악 교육기관 관련 연구의 특성 및 한계 그간 실시된 주요 대중음악 교육기관 관련 현황 및 실태조사는 관련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 단체 등 공공기관이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주로 전수조사 형태로 실시됨. 이러한 주요 대중음악 교육기관 관련 현황 및 실태조사는 주로 지역별 대학 교육시설 현황, 교육담당자, 재학생 혹은 졸업생의 전공이나 진로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대학 교육시설에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23 제1장 연구개요 대한 조사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기관 전체 모집단 규모나 특성을 추정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이러한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 이들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에 대한 선행 연구나 현황 및 실태조사의 주요 특징은 모집단 규모 추정 및 모집단 특성에 대한 실태조사가 아닌 대중음악 사업체 현황 조사이거나, 대중음악 관련 정책 수립이나 지원을 위한 표본추출 형태의 설문조사 형식으로 본 현황 및 실태조사 연구의 주된 목적인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나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따라서 본 연구는 그간 대중음악 관련 각종 연구조사, 현황 및 실태조사, 국가 통계조사, 설문조사 등에서 누락되었던 프리랜서 뮤지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시설, 교육기관 등에 대한 모집단 파악을 위한 현황조사와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 및 프리랜서 뮤지션의 공연시설, 작업 시설, 교육기관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음. 103
124
125 제2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제 1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주요 개념
126
127 제2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제 2 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제 1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주요 개념 1. 대중음악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정의는 대중음악의 하위범주 및 직업인으로서 뮤지션의 활동 범위 등 다양한 차원을 판단해야 함. 대중음악의 개념부터 관련 학자 및 문헌마다 다양한 정의에 의존하고 있으며, 프리랜스 뮤지션의 경우 단순히 소속사의 유무 여부를 넘어 음악적 주류와 비주류, 방송을 비롯한 미디어활동 여부, 공연장소의 성격, 주요 활동 장르 등을 고려해야 함. 이를 위해 본 보고서는 대중음악을 비롯하여 언더그라운드 음악, 인디음악, 프리랜서 등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을 범주화하는데 필요한 주요 개념을 고찰하고, 그로부터 대중 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정의를 위한 속성들을 도출하고자 함. 이는 본 실태조사의 목적에 합당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을 정의 내리는데 있어 기존의 인디 뮤지션 및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의 정의, 프리랜서에 대한 일반적, 법률적 정의 등을 그대로 원용하기 어려우며, 대중음악을 둘러싼 현실과 상황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기 때문임.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다루는 대중음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으로, 대중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음악 양식의 총칭. 역사적으로 사회의 지식인과 상류층이 향유하는 예술음악이나 오랜 세월에 걸쳐 구전되어온 전통 음악과 대비되는 개념(위키백과) - 순수음악과 상반된 성격을 지닌 음악, 순수음악의 분석이 선율이나 형식의 다양성, 주제의 발전, 화성의 복잡성, 구조의 통일성과 다양성에 주목한 것이라면, 대중음악의 분석은 가락, 리듬, 음색, 가사의 요소를 강조한 양식의 음악들로 대중들의 흥미위주로 쉽게 즐겨 부르는 음악(이용규, 2010) - 많은 대중을 대상으로 작곡된 음악으로 민속음악과는 달리 특정 작곡가가 지은 것으로 대개 전문가인 경우가 많으며 구전과정을 밟지 않고 텔레비전, 라디오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됨. 즉,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대중들에게 인기를 얻은 상업적 음악. 상업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은 매스미디어를 중심으로 전달되는 주류 음악으로 정의됨(심현정, 2008). 따라서 대중음악은 댄스, 록, 포크, 힙합, 레게, 발라드, 재즈, 펑크, 하드코어, 모던 록, 인디팝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며, 시대별로 장르의 분화와 주류 장르의 부침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음. 107
12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2. 대중음악산업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다루는 대중음악산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음악산업진흥에관한법률에 의하면 음악의 창작, 공연, 교육, 음반, 음악파일, 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의 제작, 유통, 수출, 수입, 악기, 음향기기 제조, 노래연습장업 등과 이와 관련된 산업 - 한국콘텐츠진흥원(2007)은 음악산업의 범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음. 1 창작 : 작사/작곡 2 제작 : 음반제작/퍼블리싱 제작 3 유통 : 음반판매사업자, 미디어 및 통신사, 매니지먼트사, 노래연습장사업자 4 공연 : 가수 및 연주자, 공연기획사, 공연장 운영사업자 - 영국 음악산업의 경우 주요 범주와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1 창작자 (content creators) : 뮤지션, 가수, 작곡가, 작사가 2 음반(recorded music) : 음악 출판사, 레코딩 스튜디오, 온라인 음악유통사업자, 음반디자인 및 제작 3 라이브 음악 (live music) : 음악 페스티벌 기획자, 콘서트 프로모터, 에이전시, 티켓 에이전시, 공연 장 4 음악 출판(music publishing) : 음악 출판업 5 음악 단체(music societies) : 저 작권 징수단체, 음악 매니저, 음악 무역단체 6 음악 프로듀싱(music producing) : 음악 프로듀서, 레코딩 스튜디오 스태프 3. 언더그라운드 음악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다루는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언더그라운드는 방송에 나가지 않고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뮤지션을 지칭하거나, 그러한 뮤지션들을 통칭할 때 사용하는 말(위키백과) - 메인 스튜디오를 벗어나 텔레비전과 같은 매체를 통하지 않은 실험성 있는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한 비주류 음악(한나영, 2001) -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소수 매니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은 비주류 음악(심현정, 2008) - 오버그라운드의 반대개념으로서 매스미디어 등을 통해 대중들 앞에 화려하게 나타나지 않고 꾸준히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지켜가는 아티스트와 그들의 음악(심현정, 2008) - 정치, 경제, 계급적 권력에 맞선 문화적 현상을 아우르는 것으로, 하위라 지칭되는 모든 것들을 일컫는 폭넓은 개념(심현정, 2008)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특징은 1 매체가 아닌 라이브를 중심으로 클럽이나 소규모 공연장에서 공연됨 2 영세한 매니지먼트: 체계적인 매니지먼트가 없음 3 다양한 장르 추구 등으로 설명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29 제2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4. 인디음악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다루는 인디음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독립 프로덕션으로서 소규모 예산으로 활동하는 회사 또는 그곳에서 만들어낸 음악 (심현정, 2008) - 상업적인 거대 자본과 유통 시스템으로부터 독립된 음악, 대중매체를 통한 스타 시스 템을 거부하고 공연을 중심으로 활동(심현정, 2008) - 인디펜던트 음악의 줄임말로 자본과 표현방식에서 어떠한 간섭 없이 독립을 지향하 는 음악(안혜영, 2011) - 음반에 대한 기획-제작-유통-홍보에 이르는 대부분 과정을 뮤지션이 스스로 해내어 자본에 의해 움직이는 주류 음악계와 달리 인디 음악 뮤지션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을 스스로 한다는 의미(양경애, 2014) - 인디음악의 경우 펑크록, 모던록, 모던포크 등 소수 장르를 제한적으로 다루었지만, 최근에는 록 외에 팝, 힙합, 소울, 재즈, 블루스, 보사노바, 탱고, 퓨전음악 등을 비롯해 다채로운 장르를 포괄하고 있음. 마니아 중심에서 시작한 인디음악은 다양한 장르를 통해 수용층을 확대하고 대중음악 트렌드를 선도해가는 경향까지 보임으로써 주류 대증음악과 인디음악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음. 또한 인디음악은 방송 등 기존 대중 음악 시스템을 거부하고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이 역시 현재 한국 인디음악 상황에 해당되지 않음(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 언더그라운드 뮤지션이 단지 주류 방송매체에 소개되지 않는 다소 소극적인 의미를 갖는다면, 인디 뮤지션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하기 위해 독립된 장을 스스로 개척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를 가짐(안혜영, 2011). 인디씬의 범위는 1 메이저로 올라가기 위한 연습무대로서 인디씬, 2 메이저에서는 자신들의 음악을 할 수 없어 그 대안으로 인디씬을 찾는 경우, 3 메이저에서 활동하고 싶지만 실력이 떨어지거나 기타 외부 환경적인 요인이 뒷받침되지 않아 인디씬에 머무르는 경우를 포괄함. 5. 프리랜서/비정규직 뮤지션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다루는 프리랜서/비정규직 뮤지션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프리랜스(위임) 계약은 당사자 일방(위임인)이 상대방(수임인)에 대하여 사무의 처리를 위탁하고 상대방이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민법 제680조). 근로 계약 상의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명령에 따라 비자주적인 노동을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프리 랜스 계약에 있어서 수임인(프리랜서)은 자기의 재량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위임사무를 109
13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처리할 수 있음. - 일정한 집단이나 회사에 전속되지 않고 자유계약에 따라 일을 하는 사람 혹은 사람들. 특정 회사에 소속되거나 정규 급여를 받지 않고 주로 작품을 기준으로 하는 단위계약에 따라 일하는 연출자나 배우, 리포터, 작가, 작곡가 등을 지칭(강익희, 2004). 프리랜서 뮤지션 분야는 1 총괄제작, 2 세션, 3 보컬, 4 레코딩, 5 작사, 6 작편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freemusician.co.kr). 6. 공연시설 및 공연장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공연장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공연법에 의하면, 공연이란 음악 무용 연극 연예 국악 곡예 등 예술적 관람물을 실연에 의하여 공중에게 관람하도록 하는 행위. 공연장은 공연을 주된 목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설(공연법 2조5)로서, 연간 90일 이상 또는 계속하여 30일 이상 공연에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설(공연법 시행령 제1조2) - 공연장을 설치하여 운영하려는 자(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기준을 갖추어 공연장 소재지를 관할하는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함. 단, 객석 수(객석이 구분되지 아니하여 그 수를 셀 수 없는 경우에는 객석으로 사용되는 바닥의 연면적)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미달하는 공연장은 등록하지 않음(공연법제9조1). 이 단서에 따라 등록을 하지 않는 공연장의 기준은 객석수가 50석(객석이 구분되지 아니하여 그 수를 셀 수 없는 경우에는 객석으로 사용되는 바닥 연면적이 50제곱미터)에 미달되는 공연장으로 함(공연법 시행령 제8조5). - 규정에 의하여 공연장의 등록을 하거나 등록증의 기재사항의 변경을 사유로 변경등록을 하고자 하는 자는 공연장등록(변경등록)신청서에 다음 각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특별 자치도지사ㆍ시장ㆍ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제출(정보통신망에 의한 제출을 포함)하여야 함. 첨부 서류는 1 시설설치내역서, 1 시설의 평면도 및 배치도, 3 부동산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임(공연법시행규칙 제6조1). 7. 대중음악 작업시설 과거의 대중음악 작업 시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첫째는 뮤지션이 음악 활동의 준비를 위해 연습하는 연습장이고, 둘째는 실질적인 레이블 제작을 위한 시설인 녹음 시설임. 기존 문헌 및 자료에서 대중음악 작업시설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음악산업에 관한 진흥법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시설을 각각 음반 음악영상물 제작업, 노래연습장업 이라 명기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31 제2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 음악산업에 관한 진흥법 2조 8에 의하면, 음반 음악영상물제작업 이란 음반, 음악파일, 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을 기획제작하거나 복제 제작하는 영업을, 노래연습장업 이라 함 은 연주자를 두지 아니하고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또는 무영 상 반주장치 등의 시설을 갖추고 공중의 이용에 제공하는 영업을 말함. - 또한 동법 16조는 음반 음악영상물제작업 또는 음반 음악영상물배급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할 것을 명시함. 2) 동법 18조는 1 노래연습장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노래연습장 시설을 갖추어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등록하여야 함을 명시함. 현실적으로 볼 때, 대개 음반 음악파일의 기획제작은 음반기획사가 주로 담당하고, 음반의 복제제작은 음반유통사가 주로 담당하므로,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주로 사용하는 녹음실의 운영을 음반 음악영상물제작업과 동일시하기 어려움. 또한 뮤지션들이 주로 사용하는 연습실은 반주장치를 갖추지 않아도 되므로 노래연습장업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 하기도 어려움. 따라서 대중음악 뮤지션이 주로 사용하는 녹음실이나 연습실은 음악산업에 관한 진흥법에 따른 신고나 등록의 의무를 지니지 않는 사각지대에 해당한다고 보여짐. 실질적으로 녹음실과 연습실을 구분하기도 모호함. 연습실의 경우에도 다양한 장비와 녹음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음반제작이 가능한 곳이 많기 때문임. 8. 대중음악 교육시설 대중음악 교육은 다음과 같이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정리됨(Woody, 2007, pp. 34~35). - 대중음악의 학습과정은 전통적인 학교음악 교과과정과는 달리 상당한 시간동안 그들 이 연주할 양식의 음악을 듣는 데에 주력하기 때문에, 대중음악을 학습한다는 것은 결 국 연주로 이어지게 됨. - 대중음악은 예술음악의 경우와는 달리 실제 상황에 맞추어 연습하는데, 전통적인 음악 2) 음악산업에 관한 진흥법 16조는 다음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음.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고하지 아니하고 이를 할 수 있다. <개정 >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제작하는 경우 2. 법령에 따라 설립된 교육기관 또는 연수기관이 자체교육 또는 연수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경우 3. 방송법 에 따른 방송사업자가 방송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경우 4.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에 따른 공공기관이 그 사업의 홍보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작하는 경우 5. 관혼상제 또는 종교의식 등의 행사를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는 경우. 다만, 공중에게 유통하거나 시청 또는 이용에 제공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6. 그 밖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 2온라인음악서비스제공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온라 인음악서비스제공업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제1항의 규정에 따라 신고한 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제작업자와 음악영상물 음악영상파일배급업자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57조의 규정에 따른 비디오물제작업 또는 비디오물배급업의 신고를 한 것으로 본다. 4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신고의 절차 방법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 111
13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학습과정은 기본단계부터 쌓아나가는 반면 대중음악은 콘서트공연과 같은 실질적인 목표를 가지고 특정 곡을 연습한다는 특징을 가짐. - 대중음악의 학습은 동료 개인교습(peer tutoring) 또는 협동적 학습(cooperative learning) 등 주로 그룹 세팅인 경우가 많다는 특성을 지님. 또한 대중음악에 있어 즉흥 및 창의성은 매우 중요한 미학적 척도이며, 이것은 전통 음악수업방식에서는 쉽게 습득될 수 없음. 대중음악이 이러한 특징을 지님에 따라 국내에는 대중음악 뮤지션을 양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 기관이 생겨남. 특히 콘서바토리(Conservatory)의 역할이 증가되고 있음. 콘서바토리는 실기를 중심으로 음악이나 기타 예술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으로, 학부중심의 실용음악학과, 평생대학원, 실기학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 - 콘서바토리는 유럽의 예술교육 시스템으로 영국을 비롯한 유럽국가에서 200여년간 자리잡아온 예술교육 시스템. - 기존의 예술전공 대학이 이론중심에 실기교육을 더하는 교육 시스템을 갖춘 것과는 달 리, 실기 중점 교육을 통해 전문예술인 양성을 목표로 함. 또한 정규 대학에도 대중음악을 가르치는 학과가 개설되고 있음. 최근 실용음악학과가 증가하여 대중음악 뮤지션을 양성하는 역할을 담당함.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 뮤지션들의 경우, 실용음악을 전공한 전공자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음. 정규 학위 과정의 교육 시설과 더불어, 일반 실용음악 학원을 통해서 교육의 기회를 갖는 뮤지션도 많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3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정의 및 연구방법 제 2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제 3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
134
13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제 3 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정의 및 연구방법 1. 대중음악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은 예술음악, 종교음악, 전통음악 등이 아닌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상업적 음악으로 댄스, 록, 하드코어, 힙합, 포크, 발라드, 재즈, 트로트 등 기존의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를 포괄하며, 민중가요 및 광고음악은 제외함. 2. 대중음악산업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산업이란 음악산업진흥에관한법률 및 한국콘텐츠진흥원(2007) 에서 다루고 있는 음악산업 중 대중음악의 창작과 공연과 관련한 분야를 대상으로 함. 대중음악산업 분류에 있어 창작(제작)의 경우 작사가 및 작편곡가를 포함하며, 공연의 경우 공연기획사, 공연장 운영사업자 등은 제외한 가수와 연주자를 포함함. 영국 음악 산업 범주에서 구분하는 뮤지션, 가수, 작곡가, 작사가 등 창작자 혹은 제작자 영역과 관련된 산업이 이에 해당됨. 3.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이란 소속사가 있더라도 정기적 혹은 체계적 급여를 받지 않는 뮤지션, 직장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뮤지션을 의미함. 생계를 위한 다른 부 업이 있더라도 비정규직으로 본업을 대중음악 활동으로 간주하는 뮤지션은 대중음악 프 리랜스 뮤지션에 해당함. 또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은 언더그라운드 뮤지션과 밴드(방송을 비롯한 매체 활동을 하지 않는 공연 중심의 뮤지션과 밴드), 공연은 물론 인디레이블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인디뮤지션과 인디밴드를 포함하며, 공연 및 레이블 기반 매체활동 등 지속적인 대중음악 활동을 하더라도 직장인 밴드, 취미 및 동호회 활동 기반의 아마추어 뮤지션은 제외하나, 이 중 비정규직 종사자는 프리랜스 뮤지션에 포함함. 115
13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4.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언론 보도 자료, 관련 협회 자료, 웹 검색 등을 통한 모집단 리스트 수집 등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함. 1차적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 부산, 광주 등 현지에 거주하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및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모집단 현황에 대한 검증 실시함. 프리랜스 뮤지션 및 관련 전문가들의 인터뷰, 검증 및 자문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눈덩이 표집조사를 준용하여 프리랜스 뮤지션의 목록을 수집, 정리, 업데이트 함. 수집된 모집단 규모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120명을 대상으로 특성 및 실태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함. <표 II-10>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개요 구분 조사목적 조사대상 조사방법 표본추출 조사시기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개요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현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 인디밴드 협회 회원 및 웹 검색을 통해 총 852팀 추출, 이 중 총 120명 조사 면접 및 온라인 조사 병행 수집된 인디밴드 리스트에 의한 임의 추출 월 주요 조사내용 음악활동 현황 소득 및 지출 공연시설 이용 교육 관련 현황 만족도 및 평가 활동인원, 음악활동 장르, 활동기간, 활동 형태, 활동 빈도 등 음악활동 수입여부, 음악활동 이외 수입여부, 수입액, 수입형태, 지출액, 지출형태 등 공연지역, 공연장소, 공연 횟수, 공연 기회 충분성, 공연 기회 획득시 애로사항 등 각 음악 교육기관별 교육 이수 경험, 음악교육 도움여부, 음악교육시 애로사항 등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인식, 관련 정부 규제, 지원받은 경험, 음악활동 애로사항, 프리랜스 뮤지션을 위한 지원사항 등 기타 응답자 정보(성별/연령/거주지역/활동지역/학력/직업/결혼여부/4대 보험 가입 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3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제 2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1.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 현재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조사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임. 다만, 음악산업 관련 사업체 종사자에 대한 통계조사 중 음악의 제작 및 공연 관련 사업체의 종사자 현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짐. - 국내 음악산업을 비롯한 콘텐츠산업 통계조사인 <2014 콘텐츠산업통계>(한국콘텐츠 진흥원, 2014)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음악산업 종사자수는 총 77,456명으로 나타남. 음악산업 종사자 중 음악제작업 종사자수는 2,999명이며, 음악공연업 종사자수는 3,393명으로 음악제작업 및 음악공연업 총 종사자수는 6,392명이었음. - 음악제작업 및 음악공연업 총 종사자수 중 음악제작업의 정규직 종사자수는 2,649명, 비정규직 종사자수는 350명으로 정규직 대비 11.7%였으며, 음악공연업의 정규직 종사자 수는 2,860명, 비정규직 종사자는 533명으로 정규직 대비 15.7%로 음악 제작업 및 음악공연업 비정규직 종사자수는 총 883명(전체 음악제작업 및 음악공연업 종사자의 13.0%)에 불과함. - 한편, 음악산업 사업체 종사자의 지역별 현황을 보면, 전체 음악제작업과 공연업 종사자 중 서울 및 경기지역 종사자가 5,144명으로 전체 음악제작업 및 공연업 종사자의 88% 이상이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으며, 부산 지역 145명(2.5%), 광주지역 36명 (0.6%)으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지역별 음악산업 종사자 격차를 고려할 때,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 역시 수도권과 지역 간의 격차가 클 것으로 예상됨. 117
13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구 분 음악 제작업 음악오디오물 출판업/음반 복제및배급업/ 도소매업 온라인 음악 유통업 음악 공연업 노래 연습장 운영업 서 울 ,214 1,155 20,398 24, % 9 개 도 6 개 시 <표 II-11> 2013년 음악산업 지역별/업종별 종사자 현황 합계 비중 경기도 1, ,477 14, % 강원도 ,721 3, % 충청북도 ,686 1, % 충청남도 ,181 2, % 전라북도 ,522 1, % 전라남도 ,753 1, % 경상북도 ,200 3, % 경상남도 ,456 3, % 제주도 % 부 산 ,958 4, % 대 구 ,589 4, % 인 천 ,581 3, % 광 주 ,929 2, % 대 전 ,922 2, % 울 산 ,632 1, % 합 계 1, , , % 또한, 음악산업 통계조사의 비정규직 종사자의 범주에 계약직 종사자와 프리랜서가 포함되어 있고, 프리랜서라 하더라도 직무가 가수나 작곡가 등 제작이나 창작이 아닌 단순 음악 제작과정에서의 참여일 가능성이 높아 프리랜서 뮤지션의 인원을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함. 현재 인디밴드 및 뮤지션의 규모에 대해 실질적인 조사에 근거하기 추정하는 연구는 거의 없으며, 이는 실질적 조사에 의한 규모 추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조사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임. - 현재 대부분 관련 인디밴드 관련 협회 실무자 및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과 추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전체적인 규모에 대한 추정이라기보다는 서울 대학로 지역, 홍대 앞 지역 등 인디 밴드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을 중심으로 한정된 범위에서 추정이 이루어지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3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언론 보도 등의 문헌 연구,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전문가 인터뷰, 인디밴드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인원을 추정하고자 함. - 인디밴드의 경우 서울의 홍대 앞에서만 500~600개 팀이 활동 중(경향신문, ), 전체 인디씬에서 활동하는 인디밴드를 500팀 정도로 추정(이데일리, ), 1,000여개 인디밴드가 활동 중인 것으로 추정(문화체육관광부, 2012) 등의 언론 보도 자료 등이 있음. - 서울지역 대중음악 전문가들 인터뷰에 의하면, 서울에서 500~1,0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부산지역 대중음악 전문가들은 부산에서 70~1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하며, 광주지역의 대중음악 전문가들은 광주에서 30~5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Voice of Specialist 규모는 대략 500~1000팀 정도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나, 정확하게는 알기는 어려울 것이다. 주 활동장소는 홍대 주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전문가 2). EBS 스페이스 공감이 주최하는 신인발굴프로젝트 <올해의 헬로루키>에서는 2014년에만 총 573팀의 신인들이 오디션에 도전했으며, 해마다 여개의 신인 팀들이 지원을 한다. 알려진 스타 인디뮤지션 들 외에도 수많은 인디뮤지션들이 곳곳에서 음악의 길을 걷고 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가 5). 현재 부산지역에서 활동하는 뮤지션들은 2015년 상반기 활동 가능한 기준으로 최소 50여개 밴드 이상이며, 한 밴드의 평균인원은 4명으로 200여명의 뮤지션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2015년 상반이 무몽크 20주년 클럽공연에 참가하는 밴드가 50여 팀이며 이를 기준으로 추 정하였다. 이 행사에 모든 팀이 출연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20여 팀 정도를 추가하면 총 70 여 팀으로 추정중이며 총 280여명의 뮤지션이 활동 중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전문가 7). 부산지역에 100개 정도의 그룹이 있고, 주요활동무대는 부산대와 경성대 앞의 클럽들이다. 이는 그동안 부산 지역에서 밴드활동을 하면서 경험적으로 추산한 수치이다. 다른 밴드 멤버 에게 물어봐도 어림잡아 100개 정도라고 한다. 밴드 하나당 4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있다 고 보면 400명이지만, 이들이 밴드 간에 서로 중복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250명에서 300명 정도로 보면 맞을 듯하다 (전문가 9). 현재 광주에서 활동하는 인디밴드는 약 20-50여개로 추정되며, 그 중에서도 온전히 밴드활 동을 생업으로 삼아 음악에 종사하는 밴드는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전문가 18). 119
14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관련 단체 프리랜스 뮤지션 리스트 및 웹 검색 등을 통해 전국 총 852팀(밴드), 솔로 뮤지션을 포함하여 1,953명의 목록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평균 멤버수는 2.3명 으로 나타남. 언론 보도 자료, 문헌 및 웹 검색을 통한 자료 수집, 프리랜스 뮤지션 및 관련 전문가 인터뷰 및 자문 등을 통해 서울, 부산, 광주 지역의 프리랜스 전체 규모를 추정하면 다음과 같음. - 서울지역에는 900~1,2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 규모는 2,100~2,800명으로 추정됨. - 부산지역에서는 70~1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는 160~230명으로 추정됨. - 광주지역에서는 30~5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는 70~120명으로 추정됨. 2.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특성 관련 단체 목록 및 웹 검색 등을 통해 수집한 전국 총 852팀(밴드), 솔로 뮤지션을 포함한 1,953명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특성은 다음과 같음.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성별은 남성이 78.9%(1,510명), 여성이 21.1%(403명)로 조사 3) 되어, 프리랜스 뮤지션 10명 중 8명 정도가 남성이었음. <그림 II-1> 프리랜스 뮤지션 성별 현황 3) 수집한 1,953명 목록 중 성별을 알 수 없는 40명 제외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4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연령대 4) 는 20대(1996~1987년생) 184명(19.6%), 30대 (1986~1977년생) 568명(60.4%), 40대(1976~1967년생) 136명(14.5%), 50대 (1966~1957년생) 38명(4.0%), 60대(1956~1947년생) 14명(1.5%)인 것으로 나타나,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80.0%가 20 30대였음. <그림 II-2> 프리랜스 뮤지션 연령별 현황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악활동 지역별 분포는 서울 65.3%(498팀), 전국 활동 33.4%(255팀) 경상권 0.7%(5팀), 충청권 0.4%(3팀) 등으로 조사 5) 되어, 전국을 포함한다면 프리랜스 뮤지션의 활동 지역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었음. <그림 II-3>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지역별 현황 4) 수집 목록 중 출생년도가 공개된 940명에 대한 조사결과임 5) 주요 활동지역을 확인 불가능한 89팀 제외 121
14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악활동 형태는 1인 활동 51.6%(440명), 2인조 9.9%(84팀), 3인조 12.4%(106팀), 4인조 14.7%(125팀), 5인조 9.2%(78팀), 6인조 이상 2.2%(19팀)으로 나타나, 2인조 이상의 팀 혹은 밴드 형식의 프리랜스 뮤지션의 비중은 약 절반 정도(48.4%)였음. - 한편, 장르별로는 락 음악인 경우 2인조 이상의 밴드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힙합, 트로트, 포크, 재즈의 경우 1인 활동을 하는 경우가 많았음. <그림 II-4>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형태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악활동 장르별 분포는 락(어쿠스틱/메탈/모던록/펑크/인디) 40.3%(325팀), 트로트 30.5%(246팀), 랩/힙합 14.9%(120팀), 포크 3.6%(29팀), 재즈/블루스/소울 2.6%(21팀), 일렉트로닉 2.5%(20팀) 등의 순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6) 되어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주요 음악활동 장르가 락, 트로트, 랩/힙합 등이 85.7%로 특정 장르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음. - 한편, 트로트를 제외한 인디밴드들은 서울 홍대 앞, 부산 경성대 앞 등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트로트 분야의 프리랜스 뮤지션의 활동지역은 대부분 전국인 경우가 많았음. <그림 II-5>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장르 6) 장르 확인이 불가능한 46팀 제외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4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악활동 주된 파트별 분포는 연주 50.1%(952명), 보컬 31.7%(602명), 보컬+연주(싱어송라이터 포함) 18.0%(342명), 기타(DJ, 댄스 등) 0.3%(6명)인 것으로 조사 7) 됨. - 음악활동 형태가 1인 활동 51.6%, 2인조 이상의 팀 혹은 밴드 형식의 활동이 48.4%임을 고려할 때, 1 2명의 보컬 외에는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었음. <그림 II-6>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파트 프리랜스 뮤지션의 활동기간은 5년~9년(2006~2010년 데뷔) 활동한 비율이 42.3%(349팀)로 가장 많았으며, 4년 이하(2011년 이후 데뷔) 25.6%(211팀), 10년~14년(2001~2005년 데뷔) 17.2%(142팀), 15년~19년(1996~2000년 데뷔) 6.2%(51팀), 20년~24년(1991~1995년 데뷔) 3.0%(25팀), 25년 이상 (1990 이전 데뷔) 5.7%(47팀)인 것으로 조사됨. 8) - 한편,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경우 활동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가 67.9%로 이는 20 30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이 80.0%로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황과 부합 하는 것이며, 지난 10년간 젊은 대중음악 뮤지션들이 등장한 것으로도 볼 수 있음. 9) <그림 II-7>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기간별 현황 7) 음악활동 파트 확인이 불가능한 51명 제외 8) 데뷔연도 확인이 불가능한 27팀 제외 9) 주로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이기 때문에 10년 미만 활동 경력의 젊은 뮤지션들의 데이터가 과다 수집될 가능성도 존재함 123
14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 레이블 소속 비율은 프리랜스 뮤지션 54.9%(852팀 중 468팀)가 레이블에 소속되어 있어, 프리랜서 뮤지션 역시 레이블(음반회사)이라는 음악산업 시스템 을 통해 음악활동을 하는 경우가 상당한 것으로 보임. <그림 II-8> 프리랜스 뮤지션 레이블 소속여부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4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제 3 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 1. 실태조사 개요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인디밴드 협회 회원 및 웹 검색을 통해 수집된 총 852팀을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3월말까지 면접 및 온라인 조사를 병행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120명이 응답 10) 함. 실태조사에 참여한 120명의 프리랜스 뮤지션 응답자 특성은 다음과 같음. 성 연 별 령 활 동 지 역 학 력 음 악 활 동 이외 직업여부 혼 인 여 부 활동 멤버 수 활 동 기 간 <표 II-12> 프리랜스 뮤지션 응답자 특성 표본특성 응답자 수(명) 비율(%)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 이하 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 학 교 졸 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미만 년 이 상 총 수 입 11) 만원미만 만 원 미 만 만원 이상 ) 응답률은 14.1%이며, 통계 처리는 모집단에 부합하는 가중치를 넣어 결과를 산출하였음 11)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과 음악 이외 활동에 의한 수입 모두 포함 125
14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의 주요 조사내용은 단독 혹은 팀 활동 여부 및 활동인원, 음악활동 장르, 활동기간, 활동 형태, 활동 빈도 등 음악활동 현황 부분 12) 과 음악활동 수입여부, 음악활동 이외 수입여부, 수입액, 수입형태, 지출액, 지출형태 등 소득 및 지출 부분, 공연지역, 공연장소, 공연 횟수, 공연 기회 충분성, 공연 기회 획득시 애로사항 등 공연시설 이용 부분, 각 음악 교육기관별 교육 이수 경험, 음악교육 도움 여부, 음악교육시 애로사항 등 음악교육 관련 부분,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인식, 관련 정부 규제, 지원받은 경험, 음악활동 애로사항, 프리랜스 뮤지션을 위한 지원사항 등 음악활동 만족도 및 정부지원 사항 부분 등 6개 부분으로 구성됨. 2. 프리랜스 뮤지션 음악활동 현황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은 조인트 공연으로 시작했다는 응답이 28.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개인 버스킹(9.7%), 레이블/소속사 입단(9.1%), 음원/음반 취입(9.0%), 오디션 참가(7.4%), 음악 활동 할 수 있는 업소 취업(7.0%), 단독공연(6.4%), 단체 버스킹(3.4%)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기타 방법으로는 공연(8명), SNS 및 인터넷 업로드(3명), 뮤지컬 및 연극 음악(2명), 밴드 활동 및 대회 참여(2명), 아카데미 학원 활동(1명), 학교 축제(1명), 곡 제공(1명), 대학 그룹사운드(1명), 극단 활동(1명), 콘서트 편곡(1명), 교회 반주(1명), 고등 관악부(1명) 등이 있었음. <그림 II-9>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 12) 음악활동 형태 중 단독 혹은 2인 이상 활동여부, 활동 멤버수, 음악활동 장르, 데뷔연도 등의 결과는 설문조사 결과보다는 기존 수집된 852팀(1,953명) 목록의 특성 분석결과가 모집단 특성에 더욱 근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외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4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한편, 응답자 특성에 따른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초기 음악활동 시작형태로 가장 비율이 높은 조인트 공연은 남성(30.3%), 연령대가 낮을 수록(30대 31.1%, 20대 이하 33.3%), 부산 지역(37.7%), 전문대학 졸업(47.0%), 음 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는 뮤지션(35.9%), 미혼(30.4%), 활동 멤버 수가 많을수록(2인 4 인 이상 활동 33.9%, 5인 이상 활동 47.6%), 활동기간 10년 이상 (32.8%), 총수입이 적 을수록(100만원 미만 39.0%)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초기 음악활동 시작형태로 개인 버스킹은 여성(24.9%), 40세 이상 (35.6%), 부산 지역(17.6%), 고등학교 이하 졸업(19.2%),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는 뮤지션 (15.7%), 기혼(25.5%), 단독 활동(23.5%), 활동기간 5년 미만(25.2%),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16.7%)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표 II-13> 초기 음악활동 시작방법 조인트 공연 개인 버스킹 레이블 /소속사 입단 음원/ 음반 취입 오디션 참가 업소 취업 단독 공연 단체 버스킹 전 체 성 별 남 성 여 성 대 이 하 연 령 3 0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활 동 부 산 지 역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음악이외 있 다 직업여부 없 다 혼 인 기 혼 여 부 미 혼 단 독 활 동 활 동 2인-4인 활동 멤버수 5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활 동 5년-10년 미만 기 간 1 0 년 이 상 만원 미만 총수입 만원미만 만원 이상 기타 127
14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음악활동 형태별 활동 경험 현재까지 개인 버스킹, 조인트 공연, 행사 공연 등 각 음악활동 형태별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지를 살펴보면, 개인 버스킹 경험은 42.3%, 단체 버스킹 경험은 53.5%, 단독공 연 경험은 72.3%, 조인트공연 경험은 93.3%, 오디션 참가 경험은 41.8%, 레이블/소 속사 입단 경험은 50.1%, 음악활동을 할 수 있는 업소에서 활동/공연한 경험은 69.8%, 음원/음반 취입 경험은 74.9%, 행사 공연 경험은 85.0%로 나타남. <그림 II-10> 음악활동 형태별 활동 경험(복수응답) - 한편,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개인 버스킹 활동 경험은 여성(53.5%), 40세 이상 (57.1%), 광주 지역(76.1%), 고등학교 이하 졸업(62.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61.8%), 기혼(54.8%), 단독 활동(46.5%), 활동기간 5년 미만(53.0%),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53.7%)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단체 버스킹 활동 경험은 여성(56.9%), 연령대가 높을수록 (40세 이상 57.1%), 광주 지역(71.5%), 전문대학 졸업(61.2%),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66.5%), 기혼(59.3%), 단독 활동(55.3%),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58.0%),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57.6%)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단독 공연 활동 경험은 여성(76.1%), 30대(80.3%), 광주 지역 (75.4%), 고등학교 이하 졸업(78.5%),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9.2%), 기혼 (77.3%), 2인 4인 활동(80.8%),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73.8%, 10년 이상 88.2%), 총수입이 많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72.1%, 200만원 이상 92.8%) 상대적으로 많았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4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14> 개인 버스킹/단체 버스킹/단독 공연 등 음악활동 경험(1) 사례수 (명) 개인 버스킹 단체 버스킹 단독 공연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조인트 공연 활동 경험은 남성(96.3%), 40세 이상(100.0%), 부산 지역(97.9%), 고등학교 이하 졸업(97.4%),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 (95.3%), 미혼(93.3%), 2인 4인 활동(99.3%), 활동기간 10년 이상(98.9%), 총수입 200만원 이상(95.3%)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오디션 참가 활동 경험은 남성(44.3%), 30대(52.6%), 부산 지역(53.7%), 대학교 졸업(47.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47.5%), 미혼 (47.7%), 2인 4인 활동(51.6%), 활동기간 5년 미만(48.8%), 총수입이 적을수록 (100만원 200만원 미만 45.4%, 100만원 미만 47.3%) 상대적으로 많았음. 129
15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레이블/소속사 입단 경험은 남성(52.3%), 30대(60.5%), 부산 지역(63.6%), 대학교 졸업(56.3%),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59.0%), 미혼 (50.9%), 2인 4인 활동(71.2%),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55.7%, 10년 이상 59.1%), 총수입 200만원 이상(59.0%)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15> 조인트 공연/오디션 참가/레이블 소속 등 음악활동 경험(2) 사례수 (명) 조인트 공연 오디션 참가 레이블/소속사 입단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5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업소 활동/공연 경험은 남성(71.4%),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72.4%, 40세 이상 73.2%), 광주 지역(80.6%), 고등학교 이하 졸업(89.3%), 음악 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9.5%), 기혼(76.3%), 2인 4인 활동(81.7%), 활동기간 10년 이상(75.3%), 총수입 200만원 이상(76.6%)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원/음반 취입 경험은 여성(77.5%), 30대(80.3%), 서울/경기 지역(79.1%), 대학원 이상 졸업(88.4%),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86.6%), 미혼 (75.2%), 2인 4인 활동(86.2%), 활동기간이 길수록(10년 이상 83.7%),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74.1%, 100만원 미만 78.7%) 상대적으로 많았음.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행사 공연 경험은 남성(85.5%), 30대(88.2%), 광주 지역 (95.5%), 대학교 졸업(89.6%),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87.6%), 미혼(85.6%), 2인 4인 활동(93.1%), 활동기간이 길수록(10년 이상 88.2%), 총수입이 많을수록 (100만원 200만원 미만 87.1%, 200만원 이상 88.4%)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16> 업소 공연/음반 취입/행사 공연 등 음악활동 경험 (3) 구 분 사례수 업소 공연 음원/음반 취입 행사 공연 (단위 : %) (명)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성 별 남 성 여 성 대 이 하 연 령 3 0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활 동 부 산 지 역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음악이외 있 다 직업여부 없 다 혼 인 기 혼 여 부 미 혼 단 독 활 동 활 동 2인-4인 활동 멤버수 5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활 동 5년-10년 미만 기 간 1 0 년 이 상 총수입 100만원 미만 (음악+음악 만원미만 이외 활동) 200만원 이상
15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3. 프리랜스 뮤지션 소득 및 지출 음악활동에 의한 소득 및 월 소득액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10명 중 6명 정도(67.3%)가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있었으며,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없는 뮤지션은 32.7%였음. -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있는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월 평균 소득액은 10만원 미만이 29.4%, 10만원 50만원 미만이 26.3%, 50만원 100만원 미만이 15.4%, 100만원 이상이 28.9%로 나타나, 프리랜스 뮤지션의 71.1%가 월 평균 100만원 미만의 수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II-11>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여부 및 수입금액 - 프리랜스 뮤지션 중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68.6%), 30대 (75.0%), 광주 지역(76.1%), 대학원 이상 졸업(95.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 (77.0%), 기혼(73.9%), 2인 4인 활동(72.1%), 활동기간 10년 이상(79.3%),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75.0%)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5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17>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여부 사례수 (명)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있다 음악활동에 의한 수입이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5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특히, 프리랜스 뮤지션 중 음악활동에 의한 월 평균 소득액이 100만원 이상인 뮤지션은 남성(30.8%), 30대(35.1%), 부산 지역(47.0%), 대학교 졸업(33.5%), 기혼(39.5%),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2인 4인 활동 29.2%, 단독 활동 34.7%), 활동기간 10년 이상(45.5%)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18> 음악활동에 의한 월 수입금액 사례수 (명) 10만원 미만 10만원 -50만원 미만 50만원 -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5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 및 월 소득액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9명 중 7명 정도(76.9%)가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이 있었으며,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이 없는 뮤지션은 23.1%였음. -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이 있는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월 평균 소득액은 50만원 미만이 12.9%, 50만원 100만원 미만이 14.6%, 100만원 이상이 72.4%로 나타나, 프리랜스 뮤지션의 약 27.6%가 월 평균 100만원 미만의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이 있었음. <그림 II-12>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여부 및 수입금액 - 프리랜스 뮤지션 중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89.7%), 30대 (78.9%), 광주 지역(94.8%), 전문대학 졸업(88.1%),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 (90.9%), 미혼(78.5%), 활동 멤버 수가 많을수록(2인 4인 활동 78.4%, 5인 이상 활동 83.9%),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91.8%), 총수입이 많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86.5%, 200만원 이상 89.0%) 상대적으로 많았음. 한편,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소득활동은 음악활동에 의한 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비 율(67.3%)보다, 음악 활동 이외의 소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76.9%)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월 소득액도 음악활동에 의한 소득액보다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액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135
15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19>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여부 사례수 (명)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이 있다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이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5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 특히, 음악활동 이외의 월 평균 소득이 100만원 이상인 뮤지션은 남성(72.8%),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71.7%, 40세 이상 85.3%), 서울/경기 지역(74.1%), 학력이 낮을수록(전문대학 졸업 71.8%, 고등학교 이하 졸업 87.3%),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77.0%), 기혼(85.9%), 5인 이상 활동(87.9%),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 (73.3%), 총수입이 많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86.5%, 200만원 이상 92.6%)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20> 음악활동 이외의 월 평균 수입금액 사례수 (명) 50만원 미만 50만원 -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5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활동은 강의 및 레슨이 38.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회사 월급(30.8%), 아르바이트(21.8%), 개인 사업(5.1%) 등으로 나타남. <표 II-21> 음악활동 이외의 수입활동 종류 내 용 응답수(명) 비율 (%) 강의 및 레슨 회사 월급 아르바이트 개인 사업 무대 감독 영상작업 라디오 합 계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 및 지출내역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월 평균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금액을 살펴보면, 10만원 50만원 미만 지출하는 뮤지션이 54.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50만원 100만원 미만 (23.9%), 100만원 이상(16.0%) 등으로 지출하였음. <그림 II-13>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금액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5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 한편, 음악활동을 위해 월 평균 100만원 이상 지출하는 뮤지션은 남성(18.3%), 30대 (18.4%), 광주 지역(34.8%), 고등학교 이하 졸업(27.2%),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24.3%), 미혼(18.6%), 2인 4인 활동(18.7%),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14.9%, 10년 이상 21.9%), 총수입이 많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8.7%, 200만원 이상 41.9%)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22>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금액 사례수 (명) 10만원 미만 10만원 -50만원 미만 50만원 -100만원 미만 100만원 이상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6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내역은 연습실 및 합주실 대여(61.1%)에 가장 많이 지출하며, 그 다음으로 악기 구입 및 수리(52.4%), 음반 제작비(45.4%), 공연장 대여(19.2%), 레슨(8.9%) 등이었음. <그림 II-14>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내역 - 한편, 연습실 및 합주실 대여에 많은 지출하는 뮤지션은 남성(64.3%), 30대 (69.7%), 서울/경기 지역(64.1%), 대학원 이상 졸업(77.4%),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4.1%), 미혼(61.2%), 2인 4인 활동(81.7%),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64.4%, 10년 이상 70.3%), 총수입 200만원 이상(78.9%)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6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23> 음악활동을 위한 지출내역 사례수 (명) 연습실 및 합주실 대여 악기 구입 및 수리 음반 제작비 공연장 대여 레슨 기타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6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4. 공연시설 이용 실태 지역별 주된 공연장소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지역별 주된 음악공연 장소는 다음과 같음. - 서울/경기 지역의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주로 클럽, 카페, 전문 공연 시설 등, 비교적 다 양한 장소에서 공연을 하고 있었음. - 부산 및 광주 지역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주로 클럽에서 공연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응 답함 <표 II-24> 주된 음악공연 지역 및 장소 (1) 지 역 장 소 응답수 (명) 비율 (%) 클럽 홍대 홍대 일대 공연장 홍대 카페 합계 서울 일대 서울/경기 (79.2%) 서울 공연장 카페 교회 공원 개인 작업실 스튜디오 클럽 합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6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표 II-25> 주된 음악공연 지역 및 장소 (2) 지 역 장 소 응답수 (명) 비율 (%) 전국 전국 전국 무대 전국 클럽 서울/경기 (79.2%) 합계 클럽 인천 행사장 합계 서울/경기 합계 클럽 부산 부산 일대 스튜디오 부산/대구 (10.4%) 합계 공연장 대구 대학교 합계 부산/대구 합계 클럽 광주 (10.4%) 광주 공연장 대학교 시장 광주 합계 총 합 계
16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 이용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경험은 62.3%였으며, 공연 횟수는 10회 이상 공연이 28.5%로 가장 많았고, 1 2회 공연한 프리랜스 뮤지션들도 17.8%로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15>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 공연 경험 및 공연 횟수 -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 10회 이상 공연한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여성(33.9%),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26.3%, 40세 이상 51.7%), 부산 지역(34.5%), 대학교 졸업(34.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32.6%), 기혼(36.8%), 활동 멤버 수가 많을수록(단독 활동, 2인 4인 활동 각 27.1%, 5인 이상 활동 34.8%), 활동기간 10년 이상(47.3%),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35.7%)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성 별 연 활 지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표 II-26>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 공연 경험 및 공연 횟수 사례수 (명) 1-2회 3-5회 6-9회 10회 이상 공연 경험 없음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6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학 구 분 (단위 : %)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사례수 (명) 1-2회 3-5회 6-9회 10회 이상 공연 경험 없음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64.2%로 충분하다는 응답 13.9% 보다 많았음. <그림 II-16>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의 충분성 145
16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뮤지션은 남성 (64.7%), 40세 이상(94.6%), 서울/경기 지역(64.8%), 학력이 낮을수록(고등학교 이하 졸업 74.5%),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1.1%), 기혼(75.3%), 5인 이상 활동(75.9%), 활동기간 10년 이상(69.3%), 총수입 200만원 이상(68.4%)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27>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할 수 있는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시설의 충분성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충분 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부족 하다 매우 부족한 편이다 충분 종합 부족 100점 환산 (점) 성 별 연 활 지 학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6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의 공연기회 가능성은 원해도 어렵다는 응답이 52.4%로, 원하면 할 수 있다는 응답(34.2%)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17>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 공연 가능성이 원해도 어렵다는 뮤지션은 남성(52.5%), 40세 이상(62.4%), 서울/경기 지역(54.7%), 전문대학 졸업(68.2%),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52.6%), 미혼(54.5%),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2인 4인 활동 49.7%, 단독 활동 59.6%),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61.9%),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 미만 72.2%)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표 II-28>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사례수 (명) 원하면 언제 든지 할 수 있다 원하면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보통 이다 원해도 하기 어렵다 원해도 매우 어렵다 원하면 할 수 있다 종합 원해도 어렵다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16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구 분 (단위 : %)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사례수 (명) 원하면 언제 든지 할 수 있다 원하면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보통 이다 원해도 하기 어렵다 원해도 매우 어렵다 원하면 할 수 있다 종합 원해도 어렵다 100점 환산 (점)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에서의 공연기회를 얻는데 애로사항으로는 공연비용을 대기가 어렵다 (47.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관중 채우기가 어렵다(21.6%), 인지도가 부족하다 (7.2%), 공연장이 부족하다, 페이가 적다(각 5.2%) 등이 있었음. <표 II-29>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 기회 획득 시 애로사항 구분 사례수 (명) 공연비용을 대기가 어렵다 관중 채우기가 어렵다 인지도가 부족하다 공연장이 부족하다 페이(수익)가 적다 홍보의 어려움이 있다 스케줄 관리가 어렵다 티켓 판매가 많이 안 된다 생각보다 음향시설이 좋지 않다 관객 참여도가 부족하다 기회 자체가 부족하다 합 계 비율 (%)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6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 이용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3.2%로 충분하다는 응답(19.2%)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18>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의 충분성 -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할 수 있는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뮤지션은 여성(58.3%), 40세 이상(67.8%), 부산 지역(45.5%), 대학원 이상 졸업(63.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57.4%), 기혼(54.9%), 단독 활동(53.3%), 활동기간이 짧을수록(5년 미만 46.4%),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49.3%),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46.2%) 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표 II-30> 50인 미만 객석 보유 공연시설 충분성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충분 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부족 하다 매우 부족한 편이다 충분 종합 부족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성 별 여 성 대 이하 연 령 3 0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활 동 부 산 지 역 광 주
17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충분 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부족 하다 매우 부족한 편이다 충분 종합 부족 100점 환산 (점)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은 원하면 할 수 있다는 응답이 53.6%로 원해도 하기 어렵다는 응답(23.3%)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19>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가능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7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에서 공연을 원하면 할 수 있다는 뮤지션 응답은 남성(56.5%), 30대(60.5%), 부산 지역(68.1%), 대학교 졸업(61.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56.5%), 기혼(57.5%), 활동 멤버 수가 많을수록(2인 4인 활동 62.0%, 5인 이상 활동 66.1%),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48.8%, 10년 이상 67.6%), 총수입이 많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55.8%, 200만원 이상 60.5%)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31> 50인 미만 객석 보유 공연시설의 프리랜서 뮤지션 공연기회 제공 가능성 사례수 (명) 원하면 언제 든지 할 수 있다 원하면 어느 정도 할 수 있다 보통 이다 원해도 하기 어렵다 원해도 매우 어렵다 원하면 할 수 있다 종합 원해도 어렵다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하 대 세 이상 서울/ 경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독 활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7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 활성화를 위해 바라는 사항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공연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 바라는 사항으로는 금적적 지원이 18.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저작권 비율 등 음원수익 개선을 통한 처우개선 필요(16.5%), 공연 참여 및 장소 확충 지원(13.2%), 관객 유치 등 공연 관련 홍보 지원(12.1%), 정부차원에서 의 장비 및 프로젝트 지원(7.7%) 등이 있었음. <표 II-32> 공연시설 이용상의 정부에 바라는 사항 (정책적 제언 혹은 개선사항) 내 용 응답수 (명) 금전적 지원 저작권 비율 등 음원수익 개선을 통한 처우개선 필요 공연 참여 및 장소 확충 지원 관객 유치 등 공연 관련 홍보 지원 정부차원에서의 장비 및 프로젝트 지원 음악사업 및 공연문화 활성화 필요 음악은 공짜라는 인식 개선 음악산업의 편중 해소를 통한 뮤지션들의 장르 확대 필요 공연 페이 시스템 개선 예술계열 대학 취업 강요 지양 및 지원 확대 뮤지션 대상 예능 및 음악프로그램 등 미디어 관련 지원 아카데미를 통한 실리적 프로그램 교육 지원 클럽 자유 개방 등 공연 시장 형성 필요 체계적인 공연 신청 및 기획 플랫폼 예술분야에 대한 규제 해소 공연관련 전문인력 배치 비율 (%) 합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7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5. 작업시설 이용 실태 지역별 주된 작업시설 및 녹음시설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지역별 주된 작업시설은 다음과 같음. - 서울/경기 지역의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주로 홈스튜디오, 작업실, 홍대, 거주지 인근 합주실 등을 이용하고 있었음. - 부산 및 광주 지역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응답 비율은 매우 낮아, 특정 시설을 파악하기 에는 한계가 있음 지 역 장 소 서울/경기 (87.8%) <표 II-33> 주된 작업시설 이용 장소 및 지역 (1) 응답수 (명) 비율 (%) 홈스튜디오 합주실 작업실 서울 연습실 스튜디오 서울 일대 아카데미 교회 연습실 합계 합주실 홍대 일대 홈스튜디오 작업실 홍대 스튜디오 클럽 음악학원 연습실 공연장 합계
17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표 II-34> 주된 작업시설 이용 장소 및 지역 (2) 지 역 장 소 응답수 (명) 비율 (%) 서울/경기 (87.8%) 인천 클럽 기타 경기 홈 스튜디오 합계 서울/경기 합계 클럽 홈 스튜디오 부산 스튜디오 합주실 부산 일대 부산/대구 (8.9%) 호텔 연습실 합계 대구 홈 스튜디오 음악학원 합계 부산/대구 합계 광주 (3.3%) 광주 학교 연습실 광주 일대 광주 합계 총 합 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7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지역별 주된 녹음시설은 다음과 같음. - 서울/경기 지역의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주로 홈스튜디오, 작업실, 홍대 인근의 사설 스 튜디오 등에서 녹음하고 있었음. - 지역 프리랜스 뮤지션의 응답비율은 매우 낮았으나, 부산 지역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사설 스튜디오나 홈 스튜디오를, 광주 지역 뮤지션들은 사설 스튜디오를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 으로 보임. 지 역 장 소 서울/경기 (80.0%) 광주 (11.8%) <표 II-35> 주된 녹음 장소 및 지역 응답수 (명) 비율 (%) 스튜디오 홈 스튜디오 서울 개인 작업실 서울 일대 학교 공연장 합계 스튜디오 홍대 일대 홍대 홈 스튜디오 개인 작업실 합계 인천 홈 스튜디오 기타 인천 클럽 경기 홈 스튜디오 합계 서울/경기 합계 스튜디오 광주 학교 광주 일대 광주 합계 스튜디오 부산/대구 부산 홈 스튜디오 (8.2%) 부산 일대 합계 총 합 계
17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이용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작업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59.6%로, 충분하다는 응답 (13.2%)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20>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시설 충분성 -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작업시설이 부족하다는 뮤지션은 여성(68.2%), 40세 이상 (78.5%), 광주 지역(76.7%), 대학교 졸업(70.6%),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 (67.8%), 기혼(74.1%), 단독 활동(66.9%), 활동기간이 짧을수록(5년 10년 미만 62.1%, 5년 미만 67.8%),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63.0%)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36> 프리랜스 뮤지션의 이용 작업시설 충분성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충분 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부족 하다 매우 부족한 편이다 충분 종합 부족 100점 환산 (점) 전 체 성 별 연 령 활 동 지 역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7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충분 하다 충분한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부족 하다 매우 부족한 편이다 충분 종합 부족 100점 환산 (점)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작업시설 이용 시 애로사항으로는 제작 및 대관비용이 60.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작업 공간 및 장비 부족(14.3%), 시설 부실 문제(10.7%) 등이 있었음. <표 II-37> 작업시설 이용 시 애로사항 내 용 응답수(명) 비율(%) 제작 및 대관비용 작업 공간 및 장비 부족 시설 부실 문제 엔지니어 등 전문인력 부족 부족한 수입 생계로 인한 작업 집중 힘듦 관련 교육 지원 필요 음원 및 음반 수입의 올바른 분배 합계
17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 작업시설 확충을 위해 바라는 사항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작업시설 확충을 위해 정부에 바라는 사항으로는 정부가 운영하는 저렴한 제작 공간 필요라는 응답이 22.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저작권 문제 해결 등 음악을 통한 수익 제고 필요(18.2%), 재정 지원 필요(16.7%) 등이 있었음. <표 II-38> 작업시설 확충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개방형 응답) 내 용 응답수 (명) 비율 (%) 정부 운영 저렴한 제작 공간 필요 저작권 문제 해결 등 음악을 통한 수익 제고 필요 재정 지원 필요 정부 차원에서의 제작 등 지원 필요 제작공간 추가 필요 지방에 제작공간 추가 필요 홍보 및 공연문화 활성화 필요 현재 실태파악 관련 장비 및 기자재 확충 밴드 지원 프로젝트 작은 살롱 형태의 공연장 필요 제작 관련 전문인력 필요 홈 레코딩의 대중화 음악은 공짜라는 국민의식 없애기 방송 프로그램 확대 기업과 연계된 제작기회 필요 합 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7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6. 프리랜스 뮤지션 교육 실태 교육기관별 교육 이수 경험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음악능력 향상을 위해 국내 음악 대학, 음악 학원, 레슨 등 교육 기관별 교육 이수 경험을 살펴보면, 국내 음악 관련 대학 교육 이수 경험은 62.0%, 해외 음악 관련 대학 교육 이수 경험은 4.8%, 국내 관련 학원에서 교육 이수 경험은 65.8%, 해외 관련 학원에서 교육 이수 경험은 3.6%, 국내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은 63.6%, 해외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은 3.8%, 지인의 도움을 받거나 혹은 멘토링 활동 경험은 83.0%, 독학 경험은 93.0%로 나타남. <그림 II-21> 음악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이수 혹은 활동 경험 - 한편, 국내 음악 관련 대학에서의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남성(62.3%),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64.5%, 40세 이상 73.2%), 부산 지역(81.5%), 대학원 이상 졸업(84.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69.1%), 기혼(62.9%),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단독 활동 71.3%),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67.8%),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68.7%)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해외 음악 관련 대학에서의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10.3%), 연령대가 낮을수록 (30대 5.3%, 20대 이하 8.2%), 광주 지역(14.2%), 고등학교 이하 졸업(6.8%),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7.6%), 기혼(6.7%),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단독 활동 8.0%),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11.1%), 총수입 100만원 미만(6.9%)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159
18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39> 국내외 음악대학 교육 이수 경험 사례수 (명) 국내 음악 관련 대학 해외 음악 관련대학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국내 학원에서의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76.6%), 연령대가 높을수록 (30대 65.8%, 40세 이상 73.2%), 서울/경기 지역(71.2%), 전문대학 졸업(83.6%),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6.2%), 기혼(73.0%), 2인 4인 활동(75.6%), 활동 기간 10년 이상(74.7%),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67.1%)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해외 학원에서의 교육 이수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8.9%), 40세 이상(5.4%), 부산 지역(10.2%), 대학원 이상 졸업(15.9%),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1%), 기혼(4.5%),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단독 활동 5.7%),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 (7.1%),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5.2%)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8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40> 국내외 학원 교육 이수 경험 사례수 (명) 국내 관련 학원 해외 관련 학원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8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국내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남성(65.2%), 30대(71.0%), 부산 지역 (66.8%), 전문대학 졸업(82.2%),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9.8%), 미혼(71.1%), 2인 4인 활동(65%),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81.2%),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56.9%, 100만원미만 82.3%)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해외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8.9%), 30대(5.3%), 광주 지역 (9.7%), 대학원 이상 졸업(6.8%),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4%), 기혼(6.7%), 단독 활동(8.0%),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11.1%), 총수입 100만원 미만(5.7%)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인 여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41> 국내외 개인 레슨을 받은 경험 사례수 (명) 국내 개인 레슨 해외 개인 레슨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8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 지인의 도움 혹은 멘토링을 받은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87.3%), 연령대가 낮을 수록(30대 82.9%, 20대 이하 88.1%), 서울/경기 지역(85.9%), 전문대학 졸업 (95.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88%), 기혼(87.6%), 2인 4인 활동(85.5%), 활동기간 5년 미만(87.0%), 총수입 100만원 미만(88.1%)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 독학 경험이 있는 뮤지션은 여성(96.2%), 20대 이하(98.3%), 서울/경기 지역 (95.7%), 학력이 낮을수록(전문대학 졸업 97.7%, 고등학교 이하 졸업 100.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98.0%), 미혼(93.3%), 2인 4인 활동(95.4%), 활동 기간 10년 이상(96.6%),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93.3%)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인 여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42> 음악교육 관련 지인 도움 혹은 독학 경험 사례수 (명) 지인의 도움 혹은 멘토링 독학 있다 없다 있다 없다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18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교육기관별 음악교육의 도움정도 국내 음악대학에서의 교육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36.4%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25.6%)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22> 국내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정도 - 국내 음악대학에서의 음악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뮤지션은 여성(73.9%),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23.0%, 40세 이상 70.7%), 부산 지역(47.2%), 대학원 이상 졸업 (64.8%),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37.2%), 기혼(72.9%), 활동 멤버 수가 적을 수록(2인 4인 활동 20.8%, 단독 활동 56.2%), 활동기간이 짧을수록(5년 10년 미만 30.8%, 5년 미만 55.9%),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50.1%)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별로 거의 종합 100점 구 분 사례수 매우 약간 (단위 : %) (명) 도움 도움 중간 도움 도움 환산 도움 도움 안됨 안됨 안됨 (점) 전 체 령 동 역 <표 II-43> 국내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정도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학 력 고등학교이하졸업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8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별로 거의 종합 100점 구 분 사례수 매우 약간 (단위 : %) (명) 도움 도움 중간 도움 도움 환산 도움 도움 안됨 안됨 안됨 (점)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음악이외 직업여부 있 다 없 다 혼 여 인 부 기 혼 미 혼 활 동 멤버수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활 기 동 간 5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100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해외 음악대학에서의 음악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56.0%로 도움이 안 되었다는 응답(36.9%) 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 13). <그림 II-23> 해외 음악대학 교육의 도움정도 13) 사례수가 적어 해석에 유의를 요함 165
18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국내 음악학원에서의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37.3%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33.6%) 보다 약간 많았음. <그림 II-24> 국내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정도 - 국내 음악학원의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뮤지션은 남성(39.7%), 30대(42.0%), 서울/경기 지역(37.9%), 대학교 졸업(44.0%),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45.3%), 미혼(40.6%), 2인 4인 활동(43.0%),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39.5%),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40.2%)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44> 국내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정도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도움 종합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성 별 여 성 대 이 하 연 령 3 0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활 동 부 산 지 역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학 력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8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도움 종합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해외 음악학원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38.8%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 (53.0%) 보다 적었음. 14) <그림 II-25> 해외 음악학원 교육의 도움정도 14) 사례수가 적어 해석에 유의를 요함 167
18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국내 개인 레슨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뮤지션은 10명 중 6명 정도(65.4%)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21.5%) 보다 많았음. <그림 II-26> 국내 레슨의 도움정도 - 국내 개인 레슨이 도움이 된다는 뮤지션은 여성(79.7%), 40세 이상(71.4%), 광주 지역(86.1%), 대학교 졸업(73.3%),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2.9%), 기혼 (100.0%), 2인 4인 활동(68.8%), 활동기간 5년 미만(75.7%), 총수입 200만원 이상(79.7%)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표 II-45> 국내 레슨의 도움정도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종합 도움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전 체 성 별 연 령 활 동 지 역 학 력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8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별로 거의 종합 100점 구 분 사례수 매우 약간 (단위 : %) (명) 도움 도움 중간 도움 도움 환산 도움 도움 안됨 안됨 안됨 (점)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해외 개인 레슨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62.6%)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37.4%)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 15) <그림 II-27> 해외 개인 레슨의 도움정도 15) 사례수가 적어 해석에 유의를 요함 169
19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지인 도움 혹은 멘토링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프리랜스 뮤지션 10명 중 7명 정도(74.9%)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10.3%) 보다 많았음. <그림 II-28> 지인 도움 혹은 멘토링의 도움정도 - 지인의 도움 혹은 멘토링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뮤지션은 여성 (81.3%), 연령대가 높을수록(30대 76.2%, 40세 이상 79.5%), 서울/경기 지역 (78.7%), 고등학교 이하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각 81.4%),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7.6%), 기혼(93.4%), 단독 활동(78.4%), 활동기간이 길수록(10년 이상 78.7%),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79.4%)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46> 지인 도움 혹은 멘토링의 도움정도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도움 종합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전 체 성 별 연 령 활 동 지 역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도움 종합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독학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뮤지션은 10명 중 7명 정도(75.3%)로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5.4%) 보다 많았음. <그림 II-29> 독학의 교육 도움정도 171
19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독학이 음악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뮤지션은 여성(83%), 30대(78.3%), 광주 지역(85.7%), 학력이 낮을수록(전문대학 졸업 81.3%, 고등학교 이하 졸업 88.8%),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77.5%), 기혼(77.9%), 활동 멤버 수가 적을 수록(2인 4인 활동 79.1%, 단독 활동 80.1%),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 (78.0%), 총수입 100만원 200만원 미만(79.8%)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사례수 (명) <표 II-47> 독학의 교육 도움정도 매우 도움 별로 약간 도움 중간 도움 안됨 거의 도움 안됨 도움 종합 도움 안됨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3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한편, 다양한 음악 교육 이수 시 애로사항으로는 재정 문제라는 응답이 65.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다양한 장르 부족(11.8%), 좋은 강사 부족(10.6%) 등이 있었음. <표 II-48> 음악 교육 이수 시 애로사항 내 용 응답수(명) 비율(%) 재정 문제 다양한 장르 부족 좋은 강사 부족 시간대 문제 교육 장소 입시화 된 음악 교육 멘토의 필요성 가족의 간섭 합계 대중음악 교육기관 확충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 <표 II-49> 대중음악 교육기관 확충 관련 정부에 바라는 사항 내 용 응답수(명) 비율(%) 재정적 지원 좋은 강사 및 멘토링 시스템 필요 장학금 등 저렴한 학비 기본적인 임금 보장 및 인상 홈레코딩 등 다양한 음악교육 및 무료 교육 지원 정부운영 교육기관 설립지원 및 전문인력 배치 현재 정확한 실태파악이 필요 다양한 장르의 음악방송과 채널 신설 등을 통한 활성화 다양한 글로벌 서적 유통 필요 뮤지션 음원 수입 정상화 음악 콘텐츠 제작용 장비 지원 전문적인 프로세스를 가진 교육기관과 객관적인 평가 필요 입시 위주의 음악교육과 질 떨어지는 실용음악과 폐쇄 연예인 외 인재양성을 위한 관련학과 정원 확대 홍보 및 마케팅 필요 중등 교육기관의 음악교육 확충 글로벌 유명인사 섭외 후 정기적인 마스터 클래스 개최 악기 유통과정 청렴화 글로벌 로컬 커뮤니티 무료사용 음악시설 확충 평생 교육형태로 음악교육 발전 재창출을 위한 수익구조 개편 다양한 기회 제공 교사들의 처우개선 합계
19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7. 음악활동 만족도 및 정부 정책 평가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만족한다는 응답(23.9%) 보다 불만족한다는 응답(33.2%)이 상대적으로 많았음. <그림 II-30>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 -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해 불만인 뮤지션은 남성(34.5%), 30대(36.8%), 부산 지역(46.8%), 대학교 졸업(47.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36.1%), 미혼(37.5%), 2인 4인 활동(36.5%), 활동기간이 짧을수록(5년 10년 미만 33.4%, 5년 미만 37.4%),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 200만원 미만 40.7%, 100만원 미만(41.1%)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성 별 연 활 지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표 II-50>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에 대한 만족도 사례수 (명) 매우 만족 어느 정도 만족 중간 약간 불만족 매우 불만족 만족 종합 불만족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5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매우 만족 어느 정도 만족 중간 약간 불만족 매우 불만족 만족 종합 불만족 100점 환산 (점)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향후 활동을 계속 유지할 의향에 대해 프리랜스 뮤지션 10명 중 8명 정도(76.2%)가 계속 유지한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그만둔다는 응답은 5.9%였음. <그림 II-31> 향후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 유지 의향 175
19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향후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활동을 유지할 의향이 없는 뮤지션은 남성(6.5%), 40세 이상(10.7%), 부산 지역(7.7%), 대학교 졸업(7.7%),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10.0%), 미혼(6.3%),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단독 활동 8.2%), 활동 기간이 짧을수록(5년 미만 11.9%),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 미만 10.1%)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51> 향후 프리랜스 뮤지션 활동 유지 의향 사례수 (명) 평생 계속 할 것 이다 당분 간은 계속 할 것 이다 중간 얼마간 활동 이후 그만둘 것이다 조만간 그만둘 것이다 잘 모르 겠다 유지 종합 그만둠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7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주위 사람이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활동할 경우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추천한다는 응답은 12.4%로 추천하지 않는다는 응답(45.1%) 보다 적었음. <그림 II-32>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 추천의향 - 주위 사람이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활동하는 것에 대해 추천 의향이 없는 뮤지션은 남성(46.8%), 30대(51.3%), 서울/경기 지역(50.5%), 고등학교 이하 졸업 (53.1%),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47.0%), 미혼(52.1%), 활동 멤버 수가 많을수록(2인 4인 활동 41.9%, 5인 이상 활동 66.8%), 활동기간 5년 10년 미만(66.6%), 총수입 200만원 이상(60.5%)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성 별 연 활 지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학 력 <표 II-52> 프리랜스 뮤지션의 삶 추천의향 사례수 (명) 적극 권할 것이다 약간 권할 것이다 중간 별로 권하지 않을 것이다 절대 권하지 않을 것이다 추천 종합 비추천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19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적극 권할 것이다 약간 권할 것이다 중간 별로 권하지 않을 것이다 절대 권하지 않을 것이다 추천 종합 비추천 100점 환산 (점)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성공하기 위한 조건(중복응답)을 살펴보면 개인의 노력이라는 응답이 56.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제적 능력(42.1%), 타고난 재능(39.9%), 운(26.8%), 연고와 인간관계(23.3%) 등의 순으로 나타남. <그림 II-33>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성공하기 위한 조건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199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53> 프리랜스 뮤지션으로 성공하기 위한 조건 사례수 (명) 개인의 노력 경제적 능력 타고난 재능 운 연고와 인간관계 교육 수혜 기타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20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높다는 응답은 5.5%(약간 높은 편이다 5.5%)로 낮다는 응답(65.7%)보다 상대적으로 적었음. <그림 II-34>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 -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낮다는 뮤지션은 여성(78.0%), 연령이 낮을수록(20대 이하 76.9%), 서울/경기 지역(69.5%), 대학교 졸업(72.5%), 음악 활동 이외 직업이 있음(66.9%), 기혼(74.0%),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단독 활동 71.4%), 활동기간이 길수록(10년 이상 72.6%), 총수입 100만원 미만 (82.0%)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표 II-54>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약간 높은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낮은 편이다 매우 낮다 높음 종합 낮음 100점 환산 (점) 전 체 성 별 연 령 활 동 지 역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01 제3장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구 분 (단위 : %) 사례수 (명) 약간 높은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낮은 편이다 매우 낮다 높음 종합 낮음 100점 환산 (점) 고등학교이하졸업 학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202
203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제 2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제 3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
204
205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제 4 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1. 대중음악 공연시설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 공연시설은 최근 3년 동안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한 적이 있거나, 향후 1 2년 이내에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할 가능성이 있는 공연시설을 대상으로 하며, 공연법 상 등록 면제되는 50석 미만의 공연장 및 공연장으로 등록되지 않은 라이브 클럽이나 라이브 카페를 포함함. - 본 연구에 포함된 라이브 클럽 이란 록이나 재즈 등의 라이브 및 기타 이벤트를 실 시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관람 중심의 콘서트홀을 의미하며, 라이브 카페 란 객석 및 테이블을 갖추고 음료 및 스낵을 주문할 수 있는 바(bar) 또는 카페 형태의 사업 장에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뮤지션들이 라이브 공연을 하는 곳을 의미함. 2. 대중음악 공연시설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공연시설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관련 협회 자료, 웹 검색 등을 통한 모집단 리스트 수집 등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함. - 라이브클럽 또는 라이브카페 등을 검색어로 웹 검색을 통해 서울, 광주, 부산 지역에 위 치한 공연시설 117개 리스트 수집함. 1차적 자료를 바탕으로 언론보도 수집, 서울, 부산, 광주 등 현지에 거주하는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계자들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모집단 현황에 대한 검증 실시함. 수집된 공연시설 모집단 규모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계자 21명을 대상으로 공연시설 특성 및 실태 관련 인터뷰를 실시함. 185
20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표 II-55>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조사 개요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조사 개요 조사목적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기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이 이용하는 공연시설의 현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 문헌연구 및 웹 검색을 통해 수집한 공연시설(총 117 개소) 관계자 21명 웹 검색(검색어 : 라이브클럽, 라이브카페 등) 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 월 주 요 조사내용 공연시설 현황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 현황 정부지원 정책 공연시설 종류, 관람객수, 공연횟수 등 공연장르,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횟수, 대관일수 등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 공연시설 충분성, 공연기회 제공, 애로사항, 정 부 역할, 정부 규제정도 등 기타 응답자 정보 등 <표 II-56> 대중음악 공연시설 관계자 목록 관계자 공연시설종류 공연시설지역 1 공연/전시/영화상영 등 복합시설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2 라이브클럽 밝히지 않음 3 라이브클럽 밝히지 않음 4 순수공연시설(음악/연극/뮤지컬 등) 밝히지 않음 5 순수공연시설(음악/연극/뮤지컬 등)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6 라이브클럽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7 라이브클럽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8 라이브클럽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9 라이브클럽 밝히지 않음 10 라이브카페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11 라이브클럽 밝히지 않음 12 공연/전시/영화상영 등 복합시설 경기도 양평군 13 순수공연시설(음악/연극/뮤지컬 등)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14 공연/전시/영화상영 등 복합시설 광주 광역시 북구 용봉동 15 라이브클럽 부산 금정구 장전동 16 라이브카페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17 순수공연시설(음악/연극/뮤지컬 등)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18 공연/전시/영화상영 등 복합시설 부산 남구 대연동 19 라이브클럽 부산 금정구 장전동 20 라이브클럽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21 라이브 클럽 광주 광역시 동구 장동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07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제 2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1. 대중음악 공연시설 규모 인디밴드 등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장으로는 라이브클럽과 라이브카페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들 공연장에 대한 수치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추정되고 있는 경향임. 서울 홍대 주변에 100 여 곳의 라이브클럽과 라이브카페가 공연장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추정이 그 사례이며, 서울 이외 지역에 대해서는 부산, 대구, 광주, 전주, 제주 등 도시를 중심으로 많은 수는 아니지만 라이브클럽이 활동 중이라는 정도의 설명에 그치고 있음(문화체육관광부, 2012). 그러나, 이러한 공연시설에 추정 수치조차도 자료에 따라 큰 편차가 나타남. 위의 자료에서와 같이 홍대 앞에 100여개의 라이브클럽 등이 공연장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주장과 비슷한 시기인 2011년에 20개의 라이브클럽이 운영 중이라는 자료나(이동연, 2011), 홍대 앞에 20여개의 라이브클럽에서 인디 뮤지션이 활동한다는 기사(경향신문, ) 등이 그 사례임. 인디뮤지션 대상 인터뷰 자료에 따르면(이동연, 2011), 인디뮤지션들은 공연환경의 열악함과 클럽이나 라이브 공연장의 부족을 인디음악의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인으로 지적하였으며, 전문 라이브공연장의 설립 등 대중음악 인프라의 중요성을 지적한 바 있음. 한편,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경우 공연장을 벗어나 서울 홍대 앞, 대학로, 부산의 해운대 및 광안리 등에서 버스킹 및 거리공연을 중심으로 활동하기도 한다는 점 또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장 실태에 대한 정확한 규모 파악을 어렵게 하는 요인임. 본 연구에서는 그간의 언론 보도 등의 문헌 연구, 공연시설 관련 전문가 인터뷰, 공연 시설 관계자 인터뷰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인원을 추정함. 본 연구에서 공연 시설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인디밴드 등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장 수는 서울지역의 경우, 110~130개의 공연시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산지역은 70~90개, 광주지역은 3개 정도로 추정됨. 라이브클럽 및 라이브카페와 같은 공연시설의 경우 개업과 폐업 등 진출입의 변동이 잦고 특히 라이브카페의 경우 라이브 공연을 실제로 하고 있는지가 상호 검색만을 통해서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모집단 현황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음. 187
20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제 3 절 대중음악 공연시설 실태 1.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이용 실태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형태 프리랜스 뮤지션이 공연하는 공연시설의 유형은 라이브클럽, 공연, 전시, 영화상영 등 복합적인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는 복합시설, 음악, 연극, 뮤지컬 등 순수예술문화 공연을 올리는 순수 공연시설, 음료 및 스낵을 주문할 수 있는 카페 형태의 공간에서 라이브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라이브카페 등의 다양한 유형을 띠고 있음.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 빈도는 복합시설이나 순수 공연시설에서의 공연 횟수가 상대적 으로 적거나 거의 없었으며, 라이브 클럽이나 카페 등은 거의 매일 공연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일주일 평균 6~7회 공연한다고 응답한 공연시설은 주로 라이브클럽이었으며, 이곳에서 고정 또는 정기적으로 공연하는 팀도 많았음. 월 평균 공연 횟수가 많지 않다. Voice of Specialist 광주에서는 토요일만 공연을 한다. 뮤지션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하루만 공연을 하고, 나머지는 그냥 문을 닫는다. (전문가 10) 공연, 전시, 연극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열리고 있어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은 월 평균 2~4회 공연이 전부이다. (전문가 12) 공연시설 관계자들은 라이브 클럽이나 카페에 정기적으로 공연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이 있는 경우는 2곳 중 1곳 정도라고 추정했으며, 공연시설 소속 프리랜스 뮤지션이 있는 곳은 10곳 중 4곳 정도인 것으로 응답함. 한편, 소속 프리랜스 뮤지션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을 정기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복합시설이나 공연시설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대관료는 주중 30 60만원 정도에서 만원 정도까지 다양함. 공연시설에서 고정 또는 정기적으로 연주하는 팀이 있거나, 계약관계를 통해 소속 팀을 보유한 경우 대관 공연을 아예 하지 않고, 고정 팀 또는 소속 팀의 공연만을 올리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09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공연 관람객 수는 공연시설의 유형 및 규모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라이브클럽, 라이브 카페, 복합시설 같은 경우, 1일 평균 관람객수를 모두 50명 이하로 응답한 반면, 순수 공연시설의 경우에는 100~200명으로 응답함. 공연 수익 역시 큰 폭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부산이나 광주 등 지역의 공연장 수익이 매우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었음. 월평균 수익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Voice of Specialist 수익은 거의 없다. 서울 공연장은 뮤지션이 많아서 종일 돌아가는데, 광주는 안 된다. 이제는 포기했다. 다른 일을 해서 여기를 메우는 식이다. 나는 음악을 안 한지 오래됐고, 요즘은 목수도 하고, 기획할 일 있으면 공연기획도 한다. (전문가 10) 월평균 수익은 50만원 전 후이다. (전문가 12)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 장르의 경우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라이브카페, 라이브 클럽 등에서는 록 음악과 어쿠스틱/포크송 음악이 가장 주된 장르인 것으로 나타났고, 재즈/브루스 및 힙합, 일렉트릭, R&B/소울, 아카펠라 등의 순으로 나타남. 소수이지만 라이브 공연시설에서 하우스, 탱고/남미음악, 가스펠을 공연하는 경우도 있었음. 2. 공연시설 관련 정부의 지원 정책 공연시설 확충 필요성 공연장 관계자들은 국내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할 수 있는 50인 이상 객석 보유 공연 시설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이며,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50인 이상 객석이 있는 공연시설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회도 원하면 할 수 있다는 의견보다 원하더라도 기회가 주어지지 않을 것이다는 부정적 태도가 많았음. 이러한 객석 50인 이상의 공연시설에서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공연을 하거나, 공연 기회를 얻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유료 관객들을 불러 모으는 집객의 어려움(팬덤의 부재)과 대관료 등 비용적인 측면인 것으로 나타남. 그 외 음향시설의 열악함 등 인프라 문제, 집객과도 연결되는 홍보의 부족 문제, 뮤지션의 음악실력 및 라이브실력 부족 등 내부적 문제 등이 어려움으로 꼽혔으며, 공연장 부족, 각 팀에 맞는 전문적인 공연기획의 부재 등이 애로사항인 것으로 나타남. 189
21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 특히, 공연장 관계자들은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주된 공연시설인 50인 미만 공연시설의 충분성에 대해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의 충분성보다 더욱 부정적 의견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주로 공연하는 시설인 객석 50인 이하 공연시설(클럽이나 카페) 에서도 공연 기회를 얻기 어려움에 기인함.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공연시설 운영에 대한 애로사항으로는 인디씬의 음악이 대중성이 적기 때문에 공연 홍보 및 관객 모집이 어렵다는 점이 주된 요인임. - 집객이 어려운 공연시설의 경우, 수익성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획공연을 하지 못하고 대관 공연만으로 사업을 하거나, 이마저도 어려워 대관 사업을 못하는 등 경영악화 상태가 고착되는 경우도 있었음. Voice of Specialist 공연시설을 운영하는데 겪는 어려움은 공연에 대한 니즈 부족, 경영상태 악화 등등 밴드문화에 대한 사회적인식이 아직 연화나 연극처럼 대중성을 띠지 않아 기획공연 시 관객 모집에 어려움이 있어 다수클럽들이 거의 대관공연으로만 운영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 14) 홍대는 월세가 너무 많이 오르는 부분이 힘들다. 뮤지션 공연이 있음을 홍보해야 하는데, 재즈 장르는 장르 특성상 활성화가 잘 안 되어 있어 홍보가 어려운 점이 있다. (전문가 15) 지역 밴드들이 활성화되어있지 못하다. (전문가 16) 부산 지역 내 공연이 가능한 뮤지션 및 기타 단체 수가 적어 공연 대관 수요 및 로컬 뮤지션 공연에 대한 니즈가 적다. 공연 기획팀도 부족하며 100명 이상의 티켓 판매가 가능한 인디/로컬 공연 제작 자체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대관 사업 자체가 힘든 상황이다. (전문가 13) 경영악화 상태의 고착화로 장비와 시설에 대한 재투자가 이뤄지지 못하고 노후화되고 있다. (전문가 11) - 지역적으로는 라이브클럽이 밀집해 있는 서울 홍대지역의 경우 높은 월세, 지방의 경 우는 지역 로컬 밴드들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팬덤이 형성된 뮤지션이 부족, 각종 대형 무료공연이 난무하여 소규모 공연장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제시됨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운영에 의도치 못한 곳곳의 어려움들이 존재한다. Voice of Specialist 실제적인 어려움은 아시아 중심도시와 대형 공연장과 방송국 등에서 실시하는 무료공연과 대기업식 공연이 실시되는 횟수가 많아지면서 소규모 공연장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전문가 16) 정부에서 무료공연 등으로 도와주는 것은 클럽이나 공연장의 시장구조를 오히려 해치는 결과가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문제가 심각하다.(전문가 15)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11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시설 확충을 위해 바라는 사항 향후 보다 많은 프리랜스 뮤지션에게 공연시설에서 공연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위해서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일로 음악의 다양성을 즐길 수 있는 문화 형성, 공연장 및 아티스트 지원 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됨. - 먼저, 음악의 다양성 및 라이브 음악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콘텐츠의 측면에서 콘텐츠 기획, 프로그램 제작, 홍보 등 콘텐츠 강화 및 더 많은 관객동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 - 또한 프리랜스 뮤지션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홍보 및 유통채널이 필요한데 메 이저가 아닌 프리랜스 뮤지션이 소비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매 스미디어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 Voice of Specialist 뮤지션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인프라 구축, 공연문화 활성화 등이 필요해요. 뮤지션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앨범 제작 및 프로모션에 대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앨범 제작은 수단의 간편화로 뮤지션의 역량에 따라 환경적 장애 극복은 쉬워졌다. 그러나, 프로모션의 방법은 SNS가 강화되었으나 적정 수준 이상의 홍보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투자가 필요한 부분이 많다. 또한 중대형 기획사의 SNS 미디어 장악율도 점점 증가함에 따라 로컬 뮤지션의 입지는 더 좁아지고 있다. 1) 제작 2) 유통 3) 홍보 이 세 단계를 조금 더 현실에 맞게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 운영진과 제작 및 유통이 신속하고 다양하게 지원될 수 있는 관련 단체의 협력을 형성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구성해야 한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로컬 뮤지션들의 활동을 종합하고 산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앨범 발매 및 공연 제작을 한군데 모아 적당한 프로모션 및 프로세스를 만들어 대중에게 선보인다면 공연 문화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다양한 시도가 발생될 것이다. (전문가 13) 공연 문화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된 대중적인 매체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 음악인들이며 이쪽 일을 하는 사람들은 한 인터넷 사이트(뮬)에 편향되어있는데, 일반 대중들은 전혀 모르는 사이트다. 그들만의 그라운드에서만 활동하고 홍보하니 관객들도 뮤지션들도 제자리다. 좋은 신인 뮤지션, 좋은 음악들이 나와도 더 널리 알려지지 못하는 이유는 일반 대중들과 소통할 매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문가 14) 뮤지션을 알릴 수 있도록 메이저 장르 뿐 아니라 여러 특성장르의 음악을 하는 인디 뮤지션이 미디어 진출하는 기회가 확보되어야 한다. 방송을 통해 메이저가 아닌 뮤지션이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기회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국가차원에서 인디채널 등 창구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음악시장이 너무 아이돌 등 메이저 취향의 음악에 편향되어 있는데, 미디어에서 음악 전반적인 장르를 균형있게 다뤘으면 좋겠다. (전문가 15) 191
21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정부의 공연장 지원과 관련하여 공연시설에 대한 지원 확대, 공연 인프라 확충, 클럽 업종 허가 및 규제 완화 철폐 등의 의견이 있었음. - 공연시설 인프라 확충을 위한 방법으로 정부차원에서 공동 공연장 등을 설립하는 것은 비슷한 규모의 개인 사업자들이 시장에서 상생할 수 없게 할 것이므로 정부 주체의 설립보다는 개인 사업자 공연시설 등에 지원해주는 방향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임. Voice of Specialist 공연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공연장 설립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죠~! 공연장에 근본적인 투자를 하여서 공연 후 공연실황 라이브 CD를 제작하고 동영상도 편집 가능하도록 카메라 및 기타 녹음장비에 대한 지원이 있으면 좋겠다. (전문가 16) 인디 뮤지션, 밴드의 일상적 공연 공간(소규모 라이브 하우스, 클럽)에 대한 행정 간섭이 최소화 되어야 한다. (전문가 11) 인디 뮤지션이 설 수 있는 중소규모 공연장 설립 지원이 필요하다. (전문가 17) 현재 뮤지션들이 설 수 있는 무대는 충분한데 음악하기 좋은 공연장은 부족하다. 그런데 공동 공연장 설립은 개인 사업장이 상생할 수 없으므로 반대하고, 개인 사업자에게 음향지원 등의 지원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화지구를 만드는 것에도 반대한다. 대학로도 문화지구 지정 이후 집값만 오르고 실효성이 없다. 뮤지션이나 공연장 업주 입장에서도 직접적으로 돌아가는 혜택이 없다. (전문가 15) 프리랜스 뮤지션 지원과 관련하여 뮤지션 음원수익 분배문제 해결, 지속적인 음악활동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 인큐베이팅 지원, 공연장에 지원을 통한 뮤지션에게 혜택이 가도록 하는 방법, 지자체 행사 공연에 인디 뮤지션 섭외 등을 제시함 Voice of Specialist 뮤지션들이 지속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겠죠. 뮤지션이 지속적으로 음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인큐베이팅 등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단기적으로 끝나버리는 지원 사업은 오히려 많은 부작용을 초래한다. 공연장에 뮤지션에 대한 일종의 인센티브나 예치금 같은 것을 지급하여서 공연자들이 마음껏 자신의 음악적 완성도를 높이고 계속적인 공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전문가 16) 프리랜스 뮤지션 참가 공연에 대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었으면 좋겠다. 정부나 지자체 행사 공연에 인디 뮤지션에게 더 많은 기회 부여되어야 한다. (전문가 11) 뮤지션에게 금전적 혜택을 주는 것보다 현재 음원 수익 구조 등 수익구조를 정상화하는 것이 더 선결되어야 한다. (전문가 15)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13 제4장 대중음악 공연시설 현황 및 실태 - 대중음악 관련 공연시설에 대한 정부 규제에 중 가장 우선적으로 완화되어야 하는 규제 중에서 대부분 영업장 허가 완화를 원하고 있는데, 라이브카페가 일반음식점 면허로만으로 영업장 허가가 가능한 상황에 대한 개선, 50석 내외의 라이브카페 등 영세 시설에 대해서는 신고제로 완화, 라이브클럽에 대한 법적 정의 필요 등의 의견이 있었음. 그 밖에 정부의 지원정책에 관련한 의견으로는 정부의 지원정책 추진시 이에 대한 홍보가 더 잘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과 정부의 지원정책이 더 균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음. Voice of Specialist 정부의 균형있는 지원와 정책에 대한 홍보가 있어야 해요. 전국의 다양한 기획공연에 대한 정부지원이 예전에 비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 전국의 많은 기획자들은 정부 지원을 잘 활용하는데 비해,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낮은 거 같다. 지원 정책이 있다면 그에 관한 여러 홍보를 더 다양한 채널로 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 12) 정부는 지원정책에 있어서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하고, 시장에서 선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오히려 더 지원해주어야 한다. 정부가 시장에서 상업성 있는 팀을 지원하기 보다는 오히려 지원 받을 가능성이 없는데, 공공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지원해줘야 한다. 방법에 있어서는 인프라 구축에는 어느 정도 지원을 했으므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쪽으로 지원이 되어야 한다. 장비만 구축해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자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전문가 17) 193
214
215 제5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제 2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제 3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
216
217 제5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제 5 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정의 및 연구방법 1. 대중음악 작업시설 대중음악 작업시설은 프리랜스 뮤지션이 레코딩을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스튜디오 등의 녹음실, 연습실, 합주실로 정의함. 음악산업에 관한 진흥법 16조에 따라 신고의 의무를 지고 있는 음반 음악영상물 제작업 및 신고의무 면제 대상 업자(자체교육, 연수, 방송, 공공기관 공보, 행사 기념을 목적)는 제외하며, 노래연습장업 역시 본 연구조사 대상에서 제외함. 2. 대중음악 작업시설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작업시설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언론 보도 자료, 관련 협회 자료, 웹 검색 등을 통한 모집단 리스트 수집 등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 1차적 자료와 더불어 관계자들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심층 자료 보완 작업시설 관계자들의 인터뷰, 검증 및 자문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눈덩이 표집조사를 준용하여 작업시설의 목록 수집, 정리, 업데이트 실시 <표 II-57>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조사 개요 구분 조사목적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기 주요 조사내용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조사 개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이 이용하는 작업시설의 현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 문헌연구 및 웹 검색을 통한 작업시설 100개소 및 관계자 10명 목록 자료 분석 및 관계자 인터뷰 월 작업시설 현황 작업시설 종류, 시설 규모, 이용자수, 이용횟수 등 프리랜스 뮤지션 작업장르, 프리랜스 뮤지션의 이용횟수 등 작업 현황 정부지원 정책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 작업시설 충분성, 작업기회 제공, 애로사항, 정부 역할, 정부 규제정도 등 기타 응답자 정보 등 197
21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제 2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1. 대중음악 작업시설의 변화 전통적으로 창작자가 음반을 취입하기 위해 기획사와 접촉하고, 자신의 곡을 연주해 줄 연주자(session man)를 섭외하여 데모 테입을 만들어 기획사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음. 그러나,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음반제작 과정은 과거보다 훨씬 단축되고 있음. 또한 타 콘텐츠 제작시설보다 대중음악 제작을 위한 장비 및 기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제작 시설을 위한 초기 투자 비용이 낮아졌음. - 기획사나 엔터테인먼트사에 소속되지 않은 프리랜스 뮤지션은 음반 제작이 가능한 제작 스튜디오의 임대를 통해 간단히 레이블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짐. 자신의 주택에 홈 스튜디오 시설을 갖추고 제작을 하는 뮤지션도 적지 않음. 스튜디오의 운영도 선임 엔지니어(chief engineer)와 하우스 엔지니어(house engineer) 및 보조 엔지니어 (assistant engineer), 믹서(mixer), 편집자(editor), 마스터링 엔지니어(mastering engineer) 등이 필요하나, 최근 적은 수의 전문 인력으로 가능해짐. 작업시설 종사자 규모를 보면 전반적으로 10인 미만 사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기획과 녹음을 전문으로 하는 경우에는 5인 미만 사업체가 많음.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활용하는 녹음실의 경우는 개인주택의 창고에서 만들어진 세미프로 스튜디오로부터 48트랙 장비들이 갖춰진 첨단의 프로 스튜디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함. - 스튜디오는 오케스트라나 소규모 음악 그룹 녹음실, 믹스다운(mixdown)과 편집실, MIDI 작업실, 장비보관실, 영선실, 악기 및 장비의 보관장 등의 장비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임. 최근 뮤지션들은 미디제작기술을 대부분 익히고 있고, 이에 따라 자신의 곡을 미디를 통해 연주, 녹음하고 있음. 이에 따라 자신의 곡을 연주해 줄 연주자(session man)를 섭외하고 연주하는 과정이 생략됨. - 또한 취입을 결정하고 본격적인 녹음단계에 들어갔을 때에도 세션맨의 연주에 모든 녹음을 의존하던 것에서, MIDI를 통해 기 녹음되어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프로그래밍 하는 작업으로 대체되면서 전반적으로 녹음기간이 단축하고 있음. 이는 세션맨 인력의 축소를 가져온 반면, 미디 음악 엔지니어에 대한 의존을 키움. -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근 녹음장비를 구축한 렌탈 스튜디오 및 홈스튜디오가 증가하고 있음. 렌탈스튜디오는 레이블에 소속되어 있지 않고 작곡자 및 뮤지션에게 임대하는 스튜디오로, 구축 기기 및 장비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지님. 홈스튜디오는 장비의 저가격화로 개인 혹은 소규모로 이루어진 작곡자그룹이나 뮤지션그룹에 의해 대개 아마추어 장비로 구축된 스튜디오로, 자신이 창작하거나 녹음하고자 하는 곡과 취향에 따라 적합한 기능을 가진 기기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19 제5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홈스튜디오는 자신이 선호하고 자신에게 익숙한 기기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스튜디오를 임대하여 녹음하는 경우의 시간배분의 어려움이나 녹음기간의 지체 등의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능력 이상으로 복잡한 장비가 구축된 스튜디오 (프로 스튜디오)를 이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튜디오 임대 사용료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 다는 이점을 가짐. 프리랜스 뮤지션들은 이러한 홈스튜디오 및 독립스튜디오를 선호함. 미디 기술 등 기술 발달로 음악작업에 대해 접근성이 낮아졌어요. Voice of Specialist 요즘에는 '미디'라는 기술로 누구나 쉽게 음악작업이 가능하다. 누구나 싱어송라이터 될 수 있는 거다. (전문가 1) 현재 많은 인디 뮤지션들이 컴퓨터의 발달과 미디음악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여 개인 작업실 및 가정집에서도 작곡과 녹음을 병행하고 있다. (전문가 3) 각자 집에 미디로 할 수 있는 장비가 거의 있어서 따로 음악작업을 하면서 공유한다. 그것을 밴드 연습실에서 다 같이 연습하면서 수정 작업을 한다. (전문가 2) 2. 지역별 대중음악 작업시설 분포 최근 프리랜스 뮤지션, 인디 음악 등에 대한 관심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이용하는 제작실에 관한 연구나 자료는 극히 미미한 수준임. 관련 커뮤니티 리뷰, 네이버 지도를 통한 검색 등을 통해 검색한 결과, 서울 홍대에만 약 100여 개가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서울에는 200개소 이상 있는 것으로 보이나 추정치에 불과함. - 작업 시설 분포는 지역별 편차가 심해 광주 지역의 경우, 녹음실이 거의 없다는 의견임. 그러나 제작 기술 발전에 따라 별도의 녹음실에 대한 수요도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됨. 별도의 녹음실에 대한 수요는 그리 높지 않아요. Voice of Specialist 홍대의 경우 약 100여 개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전문가 1) 광주에 녹음실은 별로 없다. 여기 뮤지션들은 녹음실에서 따로 녹음하지 않는다. 작업실에서 데모 녹음하고, 정식 작업은 서울에 가서 하는 식이다. (전문가 10) 작업 시설은 녹음실, 연습실, 합주실이라는 명칭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프리랜스 뮤지션이 제작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시설이기도 함. 199
22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작업 시설은 녹음실, 연습실, 합주실 등을 많이 이용해요. Voice of Specialist 개인 연습실이 따로 있는 경우는 많이 못 봤고, 소속사가 있는 경우 회사의 연습실을 이용 하거나, 아니면 합주실을 돈 주고 빌려 연습한다. 곡을 쓰는 사람이 주로 집에서 홀로 작업을 하고 밑그림이 그려지면 홍대 인근의 연습실에서 밴드 멤버들과 합주를 하며 곡을 완성시키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 5) 사설 합주실은 대개 드럼과 키보드 등의 악기와 마이크, 앰프 등의 설비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기타 등의 손악기를 갖고 가면 시간 당 일정 비용을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악 작업은 기본적인 작곡을 바탕으로 밴드의 합주를 통해 편곡을 하는 경우들도 있고, 멤버 중 하나가 편곡까지 완벽한 밑그림을 그려서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발전으로 한 개인이 여러 악기를 연주하거나 프로그래밍 하여 하나의 곡으로 만들어내기도 한다. (전문가 6) 보통 일반건물 지하에 합주실, 연습실, 사무실로 이루어진 공간에 간단한 방음과 장비를 설치 한 곳인데, 데모 앨범의 녹음이 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고, 1팀보단 2-3팀이 시간을 나누어 사용하면서 임대료와 운영비를 나누어 부담하는 형태로 운영한다. 혹은 1팀이 만들고 여러 팀에게 한달 사용료를 받고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공연이 없는 시간이나 요일에 라이브클럽을 연습실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부산의 민락인디트레이닝 센터는 2013년 부산문화재단이 만들었는데, 지하철 2호선 민락역 역사내에 합주실 3동, 개인 연습실 3실, 다용도실 3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1년에 두 번 공개 모집을 통해 부산에서 활동 중인 팀들을 받아서 운영한다. 또 부산의 금사락은 모 기업이 조성한 공간으로 공연장, 연습실, 녹음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2014년 경연을 통해 선발된 2팀의 밴드 음반을 제작 지원하기도 했다. (전문가 7) 본 연구에서는 작업시설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웹 검색을 통해 서울 56곳, 부산 30곳, 광주 14곳을 무작위로 추출 16) 하여 총 100곳의 작업 시설의 목록을 수집 하여 세부적 특성을 분석하였음. 또한 현황 및 실태분석 결과를 통해 관계자 인터뷰 등으로 보완 및 검증을 실시하였음. - 전국적으로는 서울 지역에 작업시설이 밀집되어 있으며, 서울 지역은 대부분 마포구(목록의 52곳 중 32곳)에 집중되어 있었고, 광진구, 서초구 등으로 설치가 많이 되어 있었음. - 부산 지역은 동래구(목록의 30곳 중 8곳)를 중심으로 밀집해 있었으며, 진구, 금정구 등의 순이었으며, 광주 지역은 북구(목록의 14곳 중 6곳)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었음. 작업 시설 한 곳 당 평균 약 3개의 소규모 부스를 보유하고 있었음. - 작업부스 기준, 서울지역은 마포구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었고, 서초구, 광진구, 종로구 등의 순이었음. - 부산지역은 진구에 작업부스가 많았으며, 동래구, 금정구, 북구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고, 광주 지역은 북구, 남구 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음. 16) 모든 작업시설 목록을 수집하지 않았으며, 분석의 편의를 위해 일부만을 수집함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21 제5장 대중음악 작업시설 현황 및 실태 제 3 절 대중음악 작업시설 실태 1. 작업 시설 운영 실태 분석 대상인 총 100개 작업 시설이 갖추고 있는 300개 부스의 유형을 살펴보면, 합주실 형태가 65.0%(195개)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연습실 형태는 34.0%(102개) 였음. - 서울 지역은 대부분 합주실 형태(약 90% 정도) 였으며, 개인연습실(약 10%) 보다 많았으며, 부산 지역은 개인연습실과 합주실의 비율이 비슷하게 존재하며, 광주 지역은 합주실보다 개인연습실이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됨. 제작 시설의 사용료 구분은 크게 시간 당 사용료, 월 사용료, 기타 등의 3가지로 구분됨. 분석 대상 시설 총 100개 중 시간 당 사용료로 운영하는 곳은 80% 정도(78개)였으며, 월 사용료로 운영하는 곳은 6개, 기타 문의를 통해 별도로 사용료를 결정하는 곳은 8개, 복합적인 사용료로 운영하는 곳은 8개로 나타남. - 10곳 중 8곳 정도(80%)의 제작시설이 시간 당 사용료로 운영되고 있는데, 부스에 따라 시간당 최저 3천원부터 최대 5만원까지의 사용료가 책정되어 있었음. 제작시설이 보유한 총 300개 부스를 기준으로 부스 당 평균 사용료는 시간당 11,952원인 것으로 조사됨. Voice of Specialist 작업시설 지역 편차 있고 사용료는 비싸서 다른 팀과 같이 구하기도 해요. 과거에는 A급 가수들의 렌탈 연습실이 시간당 10만원 정도의 고가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사설 합주실 이라는 곳에서 시간 당 일정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한다. (전문가 1) 밴드인 경우 주로 대여 연습실을 통해 주 1~2회 연습을 하는 경우가 있고, 장기 월세를 통해 작업실 겸 연습실을 겸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극히 소수의 팀이다. 본인들의 연습이 없을 경우 다른 팀에게 단기 렌탈등을 통해 월세를 줄이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전문가 3) 광주는 서울과 달리 임대료가 싸기 때문에 연습실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연습실은 지하실을 주로 사용하는데, 월 20만원 수준이면 빌릴 수 있다. 지자체 센터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용할 만한 여건이 안 된다. 왜냐하면 엔지니어들도 있어야 하고, 장비, 프로그램도 계속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데, 그게 없어서 지자체 센터를 잘 이용하지 않는다. 몇 년 전에 광주 CGI 센터가 생겼는데, 이곳은 주로 영상의 후반 작업을 하는 곳이라 밴드 녹음이 가능한 스튜디오가 없다. (전문가 10) 201
22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프리랜스 뮤지션의 작업 시설의 약 20%가 정도가 녹음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러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작업 시설은 서울에 국한된 것으로 나타남. - 부스별로는 전체 300개 부스 중 24개 부스(8%)에서 녹음이 가능하였음. 작업시설의 온라인 사이트 운영 여부를 살펴보면, 작업 시설에서 자체적인 블로그, 까페, 홈페이지 등을 운영하는 비율이 약 65% 정도였으며, 대부분 비교적 규모를 갖춘 작업 시설들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뮤지션과 직접 소통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23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정의 및 연구방법 제 2 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224
225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제 6 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제 1 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정의 및 연구방법 1. 대중음악 교육기관 대중음악에 종사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교육은 실용음악학과를 중심으로 한 대학교 및 콘서바토리, 학원, 개인교습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교육 기관인 대학교 및 콘서바토리의 교육시설을 주 교육시설로 정의하며, 개인교습 및 인가 여부가 불분명한 학원 등은 본 연구에서 제외함. 2. 대중음악 교육기관 연구방법 관련 선행 문헌연구 및 자료 수집을 통해 본 연구의 대중음악 교육기관 개념 정의를 수행한 이후 언론 보도 자료, 관련 협회 자료, 웹 검색 등을 통한 모집단 리스트 수집 등 모집단 규모 파악을 위한 1차적 자료를 수집함. 1차적 자료를 바탕으로 서울, 부산, 광주 등 현지에 거주하는 대중음악 교육기관 관계자들의 자문 및 인터뷰를 통해 모집단 현황에 대한 검증 실시함. 교육기관 관계자들의 인터뷰, 검증 및 자문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눈덩이 표집조사를 준용하 여 작업시설의 목록을 수집, 정리하였음. <표 II-58> 대중음악 교육기관 실태조사 개요 조사목적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기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이 이용하는 교육기관의 현황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자료 수집 문헌연구 및 웹 검색을 통한 교육기관 총 974개소 및 관계자 7명 목록 자료 분석 및 관계자 인터뷰 월 주요 조사내용 교육기관 현황 프리랜스 뮤지션 교육 이수 현황 정부지원 정책 교육기관 종류, 시설 규모, 이용자수, 이용횟수 등 교육 장르, 프리랜스 뮤지션의 이용횟수 등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 교육기관 충분성, 작업기회 제공, 애로사항, 정부 역할, 정부 규제정도 등 기타 응답자 정보 등 205
22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제 2 절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1.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대중음악 교육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교육시설은 대학으로, 실용음악과의 역사는 20년이 넘고, 이제는 2년제 과정이 아닌 4년제 교육기관들이 증가하고 있음. - 실제 실용음악의 경우, 대학뿐만 아니라 대학원 과정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고등학교 과정에도 실용음악교육을 하는 기관들이 존재함. - 대중음악 교육의 큰 역할을 담당하는 실용음악 전공학과들은 화성학, 시창청음, 대중음악 역사 등 음악적 기초가 되는 이론분야로 부터 국악, 클래식, 뮤지컬 등 다루는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것으로 나타남. 대중음악 교육이 가능한 전국 대학 실용음악학과, 콘저버토리(음악학교) 및 실용음악학원 등은 총 1,000곳으로 추정됨. - 전국 대학 실용음악학과는 총 73개 대학으로 서울지역에서 10개 대학, 부산지역에 5개 대학, 광주지역에 1개 대학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전국 콘서바토리는 총 21개 학교가 있으며, 서울 9개, 부산 1개, 광주지역은 없었음. - 웹 검색 및 네이버 지도 검색을 통한 결과, 실용음악학원은 총 880개 였으며, 서울 651개, 부산 131개, 광주 98개로 추정됨. 대중음악 교육은 이론적인 지식보다는 실기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실제 연주 및 공연 활동이 가능하여 실기를 기반으로 한 기술 전수, 전문가들이 개인적으로 운영하는 학원 교육, 실기를 중심으로 음악이나 기타 예술을 가르치는 교육기관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 되고 있음. -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는 정규 음악 수업보다는 주로 방과후 학교나 자기계발 활동을 통해 실용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밴드반, 기타반, 드럼반 등으로 구성됨. 대중음악 교육은 전국 실용음악, 생활음악, 포스트모던음악 등 전국의 전문대학, 4년제 대학 및 평생교육원, 예술원의 콘서바토리, 일반학원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전국 73개 대학(전문대 및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전국 전임교원은 전국 261명, 강사 910명으로 약 1,200명의 교원이 실용음악 교육을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됨. 17) 17) 2015년 1월 기준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27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표 II-59> 4년제 대학 대중음악 교육기관 지역 시/구 학교명 학과 서울 성북구 서대문구 성동구 강북구 종로구 동덕여자대학교 경기대학교 한양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상명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실용음악과 다중매체영상학부 전자디지털음악학과 실용음악학과 융합문화예술대학 현대실용음악학과 음악대학 뉴미디어작곡과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경희대학교 평택대학교 예술디자인학부 포스트 모던음악과 실용음악과 충청도 천안시 금산군 서산시 홍성군 대전 서구 단국대학교 나사렛대학교 호서대학교 백석대학교 중부대학교 한서대학교 청운대학교 목원대학교 생활음악과 신학부 음악목회학과 디지털음악과 / 기독교연예학과 공연예술과 / 기독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예술학부 영상음악과 예술학부 방송음악과 공연예술학부 재즈전공 강원도 강릉시 관동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음악과 실용음악전공 전라도 전주시 임실군 당진시 무안군 광주 광산구 군산시 남원시 전주대학교 예원예술대학교 세한대학교(대불대) 초당대학교 남부대학교 호원대학교 서남대학교 경배와 찬양학교 실용음악과(당산소재 서울교육원)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생활음악과 실용음악학부 (방배소재 서울교육원) 음악학부 경상도 부산 부산진구 사하구 대구 달서구 김천시 칠곡군 동의대학교 동아대학교 계명대학교 김천대학교 대구예술대학교 음악학과 실용음악 음악학과 실용음악 뮤직프로덕션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207
22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지역 시/구 학교명 학과 서울 서대문구 성동구 서초구 명지전문대 한양여자대학교 백석예술대학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기독실용음악 인천광역시 인천 동구 재능대학고 재즈음악과 경기도 충청도 김포시 안성시 안산시 수원시 여주시 평택시 포천시 화성시 의정부시 대전 동구 청주시 천안시 김포대학교 동아방송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여주대학교 한국재활복지대학교 국제대학교 경복대학교 수원과학대학교 신흥대학교 경민대학교 우송정보대학교 주성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생활음악과 영상음악과 실용음악과 대중음악과 실용음악과 멀티미디어음악과 실용음악전공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방송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학부 세종시 장군면 한국영상대학 실용음악과 전라도 경상도 완주군 곡성군 군산시 대구 달서구 부산 남구 영천시 창원시 <표 II-60> 2~3년제 대학 대중음악 교육기관 백제예술대학교 전남과학대학교 서해대학교 계명문화대학교 부산예술대학교 성덕대학교 창원전문대학교 실용음악학과 대중음악과 실용음악과 생활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제주도 제주시 제주한라대학교 실용음악과 <표 II-61> 콘서바토리 대중음악 교육기관 지역 시/구 학교명 학과 서울 서대문구 동작구 강남구 동작구 서대문구 서초구 서대문구 중구 추계예술대학교 평생교육원 숭실대학교 평생교육원음악원 서울종합예술원(한국콘서바토리) 비전예술신학교(프레이즈) 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백석예숙대학교 서울예술전문학교 예음신학교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실용음악학부,CCM 실용음악과 실용음악과 교회실용음악, 실용음악 실용음악과 기독실용음악학부 교회음악학부 예배음악학부 경기도 성남 신구대학 실용음악과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29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대중음악 교육기관의 지역별 분포 현황 2015년 1월 기준, 전국 실용음악학과의 지역별 분포 18) 는 경기도와 서울에 약 40%가 있었 으며, 대중음악 교육이 지역적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II-35> 전국 실용음악학과 대학의 지역별 분석 전문가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실용음악학과의 개설이 급증한 현실을 반영하듯,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 뮤지션들의 경우 실용음악을 전공한 전공자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전문 뮤지션들의 경우, 실용음악 전공자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Voice of Specialist 뮤지션들은 대부분 전공자인 경우 실용음악학과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비전공 일반대학의 경우 하도 음악 동아리 출신들이 많습니다. 청소년수련관등의 밴드동호회나 강좌를 통해 만들어지거나 중고등학교 밴드부 출신이 성인이 된 후에 활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문가 7) 1989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서울예대에 실용음악과가 생겼고, 1996년 대구예술대학 음악과에 실용음악전공이 개설되었습니다. 4년제 대학들도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전에는 대학의 음악동아리 출신이 활동을 많이 했는데, 이제는 실용음악과가 주류를 이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3) 18) 2015년 1월 기준, 전국 실용음악학과 목록 자체 분석 209
230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교육기관 교육내용 현황 국내에는 다양한 레슨기회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콘서바토리(Conservatory)의 역할이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콘서바토리는 실기를 중심으로 음악이나 기타 예술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으로, 학부중심의 실용음악학과, 평생대학원, 실기학교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 - 실용음악 전공이 주류를 이루고, 이외에도 일렉트로닉뮤직, 예술경영, 기독교실용음악, K-POP전공 등 전공이 점차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강의는 전임교원이 22.3%를 차지하고 주로 이론 중심의 강의를 수행하고 있으며, 77.7%가 강사들이 이론 외에도 실기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구분 작곡전공 일렉트로닉 뮤직 전임 교원수 강사수 개설과목 작곡세미나, 무대연주실습, 음향제작실습, 문화컨텐츠비평, 송라이팅 악기론, 음악사, 화성학, 음악분석, 지위법, 합창편곡법, 음악경영, 재즈편곡법 스타일연주법, 실용화성학, 국악장단실습, 재즈음악사, 작편곡법, 미디시퀸싱 모듈과 콘트롤러, 고급 DAW 시스템, 일렉트로닉 프로덕션, 디지털 믹싱 재즈화성법, 실용음악이론, 재즈밴드 앙상블, 재즈의 이해, 레코딩 테크닉 등 미디시퀸싱, 화성법 국악살기, 디지털실용작곡법, 디지털실용편곡법, 음악분석및형식론, 반주법, 영화음악스코어링, 디지털사운드디자인 등 5 32 레코딩믹싱, 리듬연구, 시용음악 화성학, 재즈음악사, 컴퓨터 음악, 음악분석 예술경영 3 33 예술 및 경영이론 연주전공 실용음악전공 <표 II-62> 주요 대중음악 관련대학 전공별 과목 및 교육 현황(2014년 기준) 락앙상블, 실용음악이론과 음향기초, Jazz dance, 재즈 앙상블 재즈 화성학 재즈화성학, 편곡법, 대중음악사, 사보법, 대중음악의 이해, 즉흥연주기법 리듬스타일연구, 영상음악분석, 재즈화성학, 초음향이론, MIDI & Sound 대중문화 현장의 이해, 음악편집, 보컬디렉팅, 오디션 튜토리얼, 바디트리밍, 스타기획 인성론, 방송안무, 연기와 화법, 음원제작 등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31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세부전공 전임 교원수 강사수 개설과목 실용음악전공 시창과청음, 화성학, 앙상블, 화성분석, 음향시스템, 공연기획, 작가작곡론 등 시창청음, 리듬연구, 재즈화성학, 음향학, 작사법, 고전음악사, 편곡법 음악사, 편곡법, 컴퓨터음악, 응용화성법, 작사법, 스튜디오 테크닉 재즈 화성, 디지털 레코딩, 영상음악제작, 뮤직비지니스, 즉흥연구 재즈화성학, 재즈분석법, 연구분석법, 즉흥연주기법, 실용음악 반주법 실용음악합주, 관련학합주, 기초컴퓨터음악, 발성법, 재즈화성학, 음악사 즉흥연주법, 앙상블, 재즈화성, 재즈역사, 건반화성기법, 미디편곡법 콘서트제작실습, 실용화성학, 임프로비제이션, 실용음악편곡법, 송라이팅 실용음악사, 무대연기실습, 컴퓨터음악, 재즈화성학, 드라마&광고음악실습 음악개론및사보법, 월드뮤직분석및감상, 컴퓨터음악, 재즈앙상블 등 재즈화성학, 스테이지리허설, 팝코러스, 리하미제이션, 미디어아트 등 성악전공 2 1 클래식 및 보컬위주 교육 보컬전공 뉴미디어음악 전공 보컬실기, 댄스실기, 연주실기 작곡실기, 스테이지퍼포먼스, 무대메이크업 등 실용음악리듬, 대중음악사, 반주법, 보컬테크닉, 뮤직비즈니스, 지휘법 컴퓨터음악, 재즈화성학, 대중음악사, 싱어송라이팅, 즉흥연주 기법, MIDI 실용화성, 송라이팅 기법, 팝리듬섹션, 이어트레이닝, 디지털노테이션 재즈화성학, 리듬편곡법, 가요편곡법, 재즈편곡법, 지휘법, 영상음악실기 레코딩믹싱, 실용음악화성학, 무대연출, 재즈음악사, 뮤직매니지먼트 211
23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세부전공 기타/드럼/건반/ 베이스 전공 기악전공 전임 교원수 기독교실용음악 K-POP 스타전공 3 10 강사수 개설과목 전공테크닉, Improvisation, Small Band Ensemble, 실용음악화성 재즈화성학, 실용음악사, 리듬스타일연구, 컴퓨터음악, 고전음악연구 등 컴퓨터음악, 기보법, 영상음악, 음반프로덕션, 콘서트프로덕션 Vocal making, Vocal & performance, Dance making, Digital audio workstation practice, Basic recording practice 등 가창, 음악사, 화성학, 리듬트레이닝, 컴퓨터음악, 콘서트 콰이어, 음악분석 실용화성학, 컴퓨터음악, 리듬섹션편곡법, 음반제작, 레코딩 등 가스펠 콰이어, 시창청음, 재즈 앙상블, 예배 인도법, 교회음악개론 등 음악개론, 컴퓨터음악, 화성학, 뮤직프로덕션, 실용작곡법, 즉흥연주기법 등 합계 대중음악 교육기관 실태 대중음악 대학교육 실태 현재 전국적으로 많은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 실용음악(대중음악)과를 신설하여 많은 예비 뮤지션들이 교육을 받고 있음.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미디음악 및 작곡 관련 교육도 함 께 병행하여 음악가 수가 급증하고 있음. - 기존 실용음악학과가 버클리 음악대학의 교제나 그 수준에 맞추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콘서바토리는 좀 더 현실의 음악산업 상황을 고려한 스타일의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33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전국적으로 전문교육을 받은 음악가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어요. Voice of Specialist 현재 전국적으로 많은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 실용음악(대중음악)과를 신설하여 많은 예비 뮤지션들이 교육을 받고 있으며 주로 보컬과 악기 중심으로 기반을 가지고 있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미디음악 및 작곡 관련 교육도 함께 병행하여 전문가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죠. (전문가 6) 예전처럼 록 음악이나 헤비메틀같은 강한 음악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 혼합과 편곡에 대한 감각을 교육을 통해 배우며 조금 더 개성이 강한 음악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가 3) 특이하게는 아현직업학교(현 아현산업정보학교)처럼 실용음악을 가르치는 고등학교도 있습니다. 예외적인 경우이고, 대부분 실용음악과 출신의 뮤지션들은 전문 세션 연주인으로 활동을 하거나 재즈를 전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6) 대중음악 교육 관련 교육환경의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원만도 못한 시설을 가진 대학이 있는가 하면, 이름을 낯설지만 시설 및 실기훈련이 강한 교육기관 등 각 기관별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됨. - 일부 학교에서는 클래식음악을 전공한 교수들이 실용음악을 다루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장르간 융합이나 음악의 창의성 면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학생들의 욕구와 떨어져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도 있는 것으로 분석됨. 대중음악을 하고 있고, 또 하고 싶은 인재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실습의 기회, 실전의 기회, 공연의 기회 등 다양한 기회로 나타남. 대중음악 교육기관의 문제점으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1:1개인레슨 또는 그룹레슨 등의 실기교육과 충분한 교육시간이지만, 실제 실습교육은 20분 남짓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원하는 장르의 집중적인 교육은 학교보다는 학원이나 지인들의 레슨을 통해 이루 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일부 교육기관의 경우, 학생들은 연습실을 찾기도 힘들고, 앙상블실도 적고, 기자재가 노후하거나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고, 예산의 부족으로 학생을 채우기 어려운 교육 기관들도 다수 존재하고 있었음. 213
23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Voice of Specialist 컴퓨터의 발달로 음악활동은 쉬워졌지만 금전적인 문제는 있어요. 현재 많은 인디 뮤지션들이 컴퓨터의 발달과 미디음악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여 개인 작업실 및 가정집에서도 작곡과 녹음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밴드인 경우 주로 대여 연습실을 통해 주 1~2회 연습을 하는 경우와 장기 월세를 통해 작업실 겸 연습실을 겸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극히 소수의 팀이며 본인들의 연습이 없을 경우 다른 팀에게 단기 렌탈등을 통해 월세를 줄이는 방식 으로 운영되고 있구요. (전문가 3) 레이블이 갖고 있는 자체 연습실이나 사설 합주실에서 연습을 하고, 일부는 합주실 등의 공간을 대여하여 자신들만의 공간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레이블의 자체 연습실은 그 레이블에 소속된 팀들이 자유롭게 연습을 할 수 있게 운영되며, 사설 합주실은 드럼과 키보드 등의 악기와 마이크, 앰프 등의 설비를 갖추고 있는 곳으로 기타 등의 손악기를 갖고 가면 시간 당 일정 비용을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6) 음악 작업은 기본적인 작곡을 바탕으로 밴드의 합주를 통해 편곡을 하는 경우들도 있고, 멤버 중 하나가 편곡까지 완벽한 밑그림을 그려서 하는 경우도 있죠, 또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발전 으로 한 개인이 여러 악기를 연주하거나 프로그래밍 하여 하나의 곡으로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전문가 6) 대학 교육 이후의 학과별 진출분야는 실용음악 교육의 경우, 학부 중심의 실용음악학과외에 대학에서 운영하는 평생대학원이나 음악전문 교육을 목표로 하는 실기학교 등으로 구분되며, 각 과별 진로는 다음 <표 II-63>과 같음. 19) <표 II-63> 학과별 진출 분야 학과명 보컬/ 싱어송라이터과 기악과 작곡가 음향제작과 진출분야 가수, 싱어송 라이터, 보컬디렉터, 음반 프로듀서, 뮤지컬배우 및 음악감독, 음향감독, 콘서트 연주자, 스튜디오 연주자, 음악평론가, 음악전문기자, 공연 기획자 및 음악감독, 음대교수, 음악교사, 음악 학원 운영 등 문화예술의 전 분야 전문 연주자, 스튜디오 연주자, 콘서트 연주자, 영화/드라마의 음악감독. 음반 프로듀서, 뮤지컬, 팝스 오케스트라, 음악평론가, 음악전문기자, 공연기획자 및 음악감독, 음대 교수, 음악교사, 음악학원 운영 등 문화예술의 전 분야 싱어송 라이터, 가요/드라마/영화의 작 편곡가 및 음악감독, 음반프로듀서, 광고 및 게임의 미디프로그래머 레코딩 엔지니어, 믹싱엔니어, 영화의 사운드 디자이너 및 사운드 슈퍼바이져, 대공연장의 음향 엔지니어 및 음향감독, 대학, 교회 등의 음향 엔지니어, 방송국 음향 엔지니어, 방송국 음악효과/ 음향효과 분야, 오디오 및 음향기기회사, 건축음향설계시공회사 19) 각 학교 홈페이지를 참조사여 실용음악학과 진출분야를 자체 분석한 결과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35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 교육과 관련된 것이 바로 진로,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수익창출이 가능한 직업으로 서의 음악으로 대중음악 저변이 확대되고 정확히 직업으로 자리잡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됨. - 실용음악을 공부하고 실제 음악활동을 하는 이들은 개인적인 앨범제작 등의 창작활동, 실용음악관련 회사나 단체, 밴드결성, 기획사오디션을 통한 직업가수 등으로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Voice of Specialist 전공자들의 졸업 후 진로는 다양해요. 보컬과 기악으로 구분해 보면, 기악 중심의 음악인들은 앨범을 제작하는 등의 창작활동에 관심을 갖고, 보컬전공자들은 기획사진입을 꿈꾼다. 그러나 보컬이없 는 재즈음악이나 다른 유수의 장르를 연주만의 음악으로 제작하기는 쉽지 않다. (전문가 5) 실용음악 전공자들의 졸업 후 진로를 살펴보면, 학원강사, 중고생 방과후 강사 및 쇼핑몰센터 교육 강사, 일부 대학강사 및 교수, 연극, 무용 등 음악연계관련 작업자 (작편곡 및 음악감독),미디, 노래방 작업자 (악보편집, 반주제작, 배경음악제작, 입시반주, 상업음악제작 등),연주자 활동(세션팀 및 행사 이벤트 공연팀 운영 및 참여)등 다양합니다. (전문가 7) 실용음악전공 이후, 밴드를 결성하여 공연활동 및 창작활동을 하기도 하고, 뜻이 있는 연주자들이 모여 페스티벌을 주최하는 등의 대중문화산업조성에도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보컬 전공의 경우는 기획사 오디션이나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에 진출하는 것으로 분석됨. - 그러나, 안정적 직업으로서의 불안감, 공연 기회 등 자유로운 음악활동을 할 수 없는 현실로 인해 전공과 무관한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도 다수 있는 것으로 집계됨. 지역별 대중음악 학원교육 현황 및 실태 학원은 서울지역에 50개, 부산지역에 22개, 광주지역에 20개가 운영 중이며, 학원의 수나 강사진, 운영 규모의 측면에서 서울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서울은 50개 학원에 1,282명의 강사가, 부산은 22개 학원에 311명의 강사가, 광주는 20개 학원에 245명의 강사가 강의 중 임. 215
236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그림 II-36> 지역별 학원 및 강사운영 현황 - 서울의 경우, 홍대입구, 마포, 강남 등 대중음악 뮤지션들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학원 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됨. -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밀집된 노원구, 양천구, 서초구, 강남구, 서초구, 마포구, 강서구에 50여명 이상의 학원생들이 수강하는 대형 학원이 성업 중 - 입시반을 운영하는 학원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며, 대학입시 뿐 아니라 예술고등학교 입시 및 오디션 준비반, 취미반 등 목적, 타겟, 과정별로 학원이 세분화 되어 있음. - 공통적으로 운영되는 과목은 기타, 드럼, 재즈피아노 등이며 대중가수과, 보컬레코딩과, 싱어송라이터과 등 대학 교과목에 따라 학원과정이 제공되고 있음. - 학원별로 전문분야가 있어 교회음악 등 대학 입학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 학원에서 제공됨. <그림 II-37> 서울지역 학원 분포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37 제6장 대중음악 교육기관 현황 및 실태 부산의 경우, 금정구, 수영구, 동구 등 상업지역에 대규모 학원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구별로 1~3개 정도의 소규모 학원들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레슨 과목은 재즈피아노, 드럼, 보컬, 색소폰, 트럼펫, 기타, 베이스, 작곡/미디, 우쿨렐레 등 입시준비 및 일반인이 수강할 수 있는 과목들이 모두 개설되어 있음. - 서울지역이 어린이 실용음악 과정이나 취미반 등 수강과목이 타겟별로 세분화되어있는 반면, 부산지역은 대중음악 장르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II-38> 부산지역 학원 분포도 광주 지역은 동구, 남구, 서구 등 5개구에 20개의 학원이 운영 중이며 약 245명의 강사가 강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강의과목은 부산과 마찬가지로 재즈피아노, 드럼, 보컬, 색소폰, 트럼펫, 기타, 베이스 등이 제공되고 있음. - 광산구, 북구, 남구, 동구, 서구에 각 4개의 학원이 운영 중이며, 서구의 학원규모가 상대적 으로 큰 것으로 분석됨. 217
238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그림 II-39> 광주지역 학원 분포도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39 제7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제 1 절 조사의 요약 제 2 절 조사의 의의
240
241 제7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제 7 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제 1 절 조사의 요약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규모 본 연구에서의 대중음악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상업적 음악으로 댄스, 록, 하드코어, 힙합, 포크, 발라드, 재즈, 트로트 등 기존의 다양한 대중음악 장르를 포괄함. 또한 프리 랜스 뮤지션이란 소속사가 없거나, 정기적인 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아닌 자를 의미함. 생 계를 위한 다른 부업이 있는 경우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에 해당함. 본 연구가 웹검색 및 전문가 자문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서울, 광주, 부산 3대 도시의 프 리랜스 뮤지션 규모는 약 2,300명에서 3,200명으로 추정됨. 대부분은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조사됨. - 서울지역에는 900~1,2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 규모는 2,100~2,800명으로 추정됨 - 부산지역에서는 70~10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는 160~230명으로 추정됨 - 광주지역에서는 30~50개의 인디밴드가 활동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프리랜스 뮤지션의 규모는 70~120명으로 추정됨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현황 및 실태 웹검색을 통해 수집한 총 852개 팀(1,953명)의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이 약 79%, 20, 30대가 약 80%를 차지함. 또한 절반 정도가 솔로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로 락(40.3%), 트로트 (30.5%), 랩/힙합(14.9%)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음. 활동경력은 68% 정도가 9년 이하인 것 으로 나타남. 레이블에 소속되어 있는 뮤지션은 조사대상 852팀 중 468팀(약 54.9%)이었 음 총 120인의 뮤지션이 응답한 실태조사에 의하면, 조인트 공연을 통한 데뷔 비율이 가장 높으며(28.8%), 데뷔 이후에도 조인트 공연 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남(93.3%). 행사 공연 경험도 85.0%로 높았음. 음악 활동에 의한 수입이 있는 뮤지션은 67%이지만, 수입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가 50% 이상으로 나타남. 음악활동 이외의 소득이 있는 뮤지션은 9명 중 7명 정도(76.9%)였으며, 레슨이 주 수입원으로 나타남. 이 역시 1/3이 100만원 미만의 수 익을 얻는데 그침. 221
242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뮤지션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연시설은 마포구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연습 및 녹음을 위한 제작 시설 역시 동일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특히 제작 시설은 홈스튜디오 의 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임 - 공연시설에 대해서는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64.2%,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43.2%로 나타남. 공연 기회 측면에서도 객석 50인 이상 공연시설의 공연기회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 응답(52.4%)이 객석 50인 미만 공연시 설에 대한 의견(23.3%)보다 높게 나타남. 큰 규모의 공연장 공연을 원하지만, 대관료 및 집객의 어려움 때문에 기회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듯함 - 작업시설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59.6%임 - 프리랜스 뮤지션 교육 경험의 경우, 독학 경험이 93.0%로 가장 높았음. 지인의 도움 혹 은 멘토링 경험은 83.0%, 국내 개인 레슨 경험은 63.6%, 국내 학원 교육 경험은 65.8%였음. 절반 정도는 국내 관련 대학 수학 경험을 지니고 있음. 또한 각 교육 경험 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도 독학(약 79점), 멘토링(약 77점), 개인레슨(약 67점)으로 국내 대학의 도움 정도(약 50.3점)보다 높게 평가함 개인적인 삶의 만족도는 약 46점(100점 환산), 프리랜스 뮤지션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낮 다는 응답이 66%, 주변사람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절반 정도(45.1%)였지만, 프리랜스 뮤지션을 평생 혹은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 응답은 76.2%로 높음. 또한 프리랜스 뮤지션 성공 조건이 개인의 노력(56.6%), 타고난 재능(39.9%)이라는 비중이 높게 나타남. - 프리랜스 뮤지션으로서의 직업적 사명감과 성공에 대한 건강한 인식이 형성되어 있음 을 엿볼 수 있는 부분임. 대중음악 관련 창작, 제작, 작업, 공연에 대한 정부 규제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라는 응 답이 약 49%로 높음. - 규제 완화가 필요한 분야로는 방송심의규정, 가사심의규정 등 표현의 자유에 관한 부분 이 주를 이룸. - 지원 사업 수혜 경험은 약 34%였으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수혜 경험이 높았음 - 공연/제작/교육 시설을 위한 정책 지원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가장 빈 번히 언급됨. 생계 수단의 확보는 뮤지션 애로 사항으로도 가장 빈번히 지목됨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공연 시설 현황 및 실태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장으로 주로 활용할 수 있는 50석 미만의 공연시설 규 모에 대해서는 일관된 추정치가 존재하지 않지만, 기존 자료 및 전문가 의견에 근거할 때, 서울지역의 경우, 110~130개의 공연시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산지역은 70~90 개, 광주지역은 3개 정도로 추정됨 공연 빈도는 지역별, 장르별로 편차가 크게 나타남. 매일 공연하는 곳부터 월평균 2회 공 연까지 다양함. 공연장 대관료 역시 30만원~200만원으로 편차가 크며, 평균적인 공연장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43 제7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수익도 계상하기 어려움 - 뮤지션들의 의견과 달리, 공연장 관계자들은 50석 미만 공연시설이 50석 이상보다 부족 하다는 의견이었음. - 공연 홍보 및 집객의 어려움이 공연의 장애로 지목됨. - 공공기관 및 방송사의 무료 공연이 소규모 공연장 활성화를 위축시키는 요인이라는 의 견도 있음. 공공 공연장의 확충 역시 개인 공연장과 상생할 수 없는 구조라는 지적임 공연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뮤지션의 공연 노출 확대(유통 채널 확대)가 필요하다 는 의견임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제작 시설 현황 및 실태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녹음실, 합주실, 스튜디오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으며, 간단한 작 업을 통해 뮤지션들이 작곡부터 제작까지 직접하는 추세임 홈스튜디오의 작업이 증가하면서 제작시설 규모의 추정 역시 매우 어려움. 전문가의 의 견을 종합하면 서울 홍대에만 약 100여 개가 있는 것으로 보임 - 작업 시설 분포 역시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보임. 서울지역은 마포구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음 100개 작업 시설의 분석 결과, 합주실 형태(약 65%), 시간 당 사용요금 부과 형태(약 80%)가 많았음. 부스당 요금은 시간당 최저 3천원부터 최대 5만원까지 다양하게 형성되 어 있음 - 뮤지션들은 비용 절약을 위해 공동 월세 연습실을 이용하고 경우가 많음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교육 시설 현황 및 실태 대중음악 교육이 가능한 전국 대학 실용음악학과, 콘저버토리(음악학교) 및 실용음악학원 등은 총 1,000 여 곳으로 추정됨. - 전국 대학 실용음악학과는 총 73개 대학으로 서울 10개, 부산 5개, 광주 1개 분포 - 콘서바토리는 전국 21개 학교(서울 9개, 부산 1개)가 있음 - 웹 검색을 통한 분석 결과, 실용음악학원은 총 880개로 나타남(서울 651개, 부산 131개, 광주 98개) 국내 73개 대학(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은 284명, 강사 910명 수준임 - 대학에서 대중음악을 전공한 뮤지션들이 증가 추세임 - 졸업 후에는 프리랜스 뮤지션 이외에도 학원강사, 음악산업 종사자 분야로 진출 대중음악 학원은 서울지역에 50개, 부산지역에 22개, 광주지역에 20개로 추정됨. 서울의 경우 마포구, 강남구에 밀집되어 있음 - 서울 50개 학원 강사는 총 1,282명, 부산 22개 학원 강사는 311명, 광주 20개 학원 강사는 245명 수준임 223
244 제 II 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 실태조사 제 2 절 조사의 의의 최근 댄스, 록, 하드코어, 힙합, 포크, 발라드, 재즈 등 대중음악이 핵심 한류 콘텐츠로 부 상하고 있으며, 특히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음. 프리랜스 뮤 지션은 국내 문화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대뿐만 아니라, 국내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측 면에서도 중차대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음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국내 프리랜스 뮤지 션 규모 및 음악 활동 현황을 파악하는데 있음. 구체적으로 서울, 광주 부산 세 지역에서 활동하는 프리랜스 뮤지션의 공연/작업/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의 만족도를 평가함으 로써 프리랜스 뮤지션 관련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는 국내 공연/제작/교육 시설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국내 대 중음악산업의 근간을 점검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지님 본 연구는 대중음악 프리랜스 뮤지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프리랜스 뮤지션에의 뮤지션 규모 및 활동에 대한 현장연구를 통해 뮤지션들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은 물론 거점 지역 별 프리랜스 뮤지션들의 공연시설, 제작 및 연습이 가능한 작업시설의 규모나 이용 실적 등의 현황이나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였음. 또한 거점 지역별 프리랜스 뮤지션들이 교 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기관의 종류나 규모, 교육 프로그램 현황, 이용 실적 등의 현황 및 실태파악을 통해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45 제7장 조사의 요약 및 의의 참고문헌 강익희(2004). <방송산업 비정규직의 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김강모(2012). 국내실용음악학과의교육과정분석연구,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아영(2012). 실용음악교육의 실태비교분석 및 발전방향: 실용음악계열학과의 대학을심으로, 관동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섭(2006). 버클리음악대학의 교육체계연구, 민족음악학회 문화체육관광부(2012). <음악창작소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2013). <2013 공연예술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박선영(2007). 대학 실용음악 교육프로그램의 요구와 운영 실태에 관한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박철홍(2002). 실용음악의 현황과 전망, 민족음악학회 창립제 10주년 기념 심포지엄논문집. 심현정(2008). <1980년대 한국 언더그라운드 록(Rock)음악에 관한 연구 : 그룹 들국화 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안혜영(2011). <2000년 이후 인디 레이블의 영향력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 : 한국 가요의 다양성에 관한 논의를 중점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경애(2014). <국내 인디레이블의 대중화를 위한 인디음악 활성화 방안 : 상상마당 레이블마켓 사 례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동연(2011). 인디음악의 대안적 시장 형성을 위하여. <인디음악의 미래는 있는가?:자생적인 음악시 장을 만들기 위한 대안 찾기> 토론회, 2011년 1월 19일, 상상마당 이용규(2010). <중등음악교육이 대중음악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선(2000). 실용음악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의 모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콘텐츠진흥원(2007). <음악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음악산업 구조분석과 정책과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2012). <2012 음악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한나영(2001). <90년대 후반 한국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사회 문화적 의미와 소비자 성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향신문( ), 월수입 69만원...배고픈 음악가 인디밴드 이데일리( ), 인디신의 힘,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버팀목 '성장' Woody, Robert(2007). "Popular Music in School: Remixing the Issues."Music Educators Journal 93/4, pp
246
247 제 III 부 대중음악산업 정책 개선방안
248
249 제1장 대중음악산업 정책 요구조사 제1절 프리랜서 뮤지션 의견 제2절 대중음악 전문가 의견
250
251 제1장 대중음악산업 정책 요구조사 제1장 대중음악산업 정책 요구조사 제 1 절 프리랜서 뮤지션 의견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정도 대중음악 관련 창작, 제작, 작업, 공연 등에서 정부 규제가 많다는 응답이 34.0%로 규제가 없다는 응답(17.2%) 보다 많았음. <그림 III-1>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정도 -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가 많다는 뮤지션은 남성(36.2%), 연령대가 낮을수록(20대 이하 42.1%), 부산 지역(45.5%), 전문대학 졸업(54.6%),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있을수록(37.8%), 미혼(35.5%),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2인~4인 활동 31.0%, 단독 활동 40.9%), 활동기간 5년~10년 미만(38.7%), 총수입이 적을수록(100만원~200만원 미만 31.4%, 100만원 미만 44.8%) 상대적으로 많았음. 231
252 제 III 부 대중음악산업 정책 개선방안 성 별 연 활 지 학 구 분 (단위 : %) 령 동 역 력 음악이외 직업여부 혼 여 인 부 활 동 멤버수 활 기 동 간 총수입 (음악+음악 이외 활동) <표 III-1>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정도 사례수 (명) 전혀 없다 거의 없는 편이다 보통 이다 약간 많은 편이다 매우 많다 규제 없다 종합 규제 많다 100점 환산 (점) 전 체 남 성 여 성 대 이 하 대 세 이 상 서 울 / 경 기 부 산 광 주 고등학교이하졸업 전문대학 졸업 대학교 졸업 대학원 이상 졸업 있 다 없 다 기 혼 미 혼 단 독 활 동 인-4인 활동 인 이상 활동 년 미 만 년-10년 미만 년 이 상 만원 미만 만원미만 만원 이상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253 제1장 대중음악산업 정책 요구조사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완화를 바라는 내용으로는 방송심의규정 완화라는 응답이 26.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가사 심의규정 완화(23.1%), 음원 수익 관련, 일관된 방송심의 필요, 창작자 위주의 수익분배구조(각 7.7%) 등의 응답이 제시되었음 <표 III-2> 대중음악 관련 정부 규제 완화를 바라는 내용(개방형 응답) 내 용 응답수(명) 비율(%) 방송 심의규정 완화 가사 심의규정 완화 음원 수익 관련 일관된 방송심의 필요 창작자 위주의 수익분배구조 뮤직비디오 심의 사전 심의 유통사의 횡포 버스킹 제대 행위 특정 장르에 치중된 지원 TV 출연 전문인력 배치 합 계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 받은 경험 프리랜스 뮤지션 중 공공기관으로 부터 지원받은 뮤지션은 10명 중 3명 정도 (33.6%)였으며, 지원 받은 경험이 없다는 응답은 66.4%였음. - 프리랜스 뮤지션이 지원 받은 공공기관으로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이 45.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체육관광부(33.9%), 지방자치단체(14.2%) 등으로 나타남. -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 받은 내용은 금전적 지원이 71.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시설이나 장비 관련 지원(34.7%), 교육이나 멘토링 관련 지원(7.8%) 등으로 나타남. 233
254 제 III 부 대중음악산업 정책 개선방안 <그림 III-2> 공공기관으로 부터 지원받은 경험/지원받은 기관/지원받은 내용 등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받은 프리랜스 뮤지션은 남성(38.4%), 30대(40.8%), 서울/ 경기 지역(34.9%), 대학원 이상 졸업(56.5%), 음악활동 이외 직업이 없음(39.6%), 미혼(33.9%), 활동 멤버 수가 적을수록(2인 4인 활동 33.3%, 단독 활동 40.6%), 활동기간이 길수록(5년 10년 미만 25.8%, 10년 이상 48.1%), 총수입 100만원 미만(35.2%)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음 대중음악산업 실태조사
Ⅰ 주요 이슈 및 전망 1.1. 음악산업 분석 및 전망 매출 및 수출부문 음악산업의 14년 1분기 매출규모는 약 1조 1,878억 원이며 음악 상장사 매출액 비중은 23.9% 를 차지 - 상장사 매출액 분석을 살펴보면, 14년 1분기 전년동기대비 28.3% 증가하였고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목 차 Ⅰ. 주요 이슈 및 전망 02 Ⅱ. 상장사 분석 10 Ⅲ. 실태조사 분석 25 부록1. 상장사 재무분석표 29 부록2. 상장사 매출구조 분석 36 2014. 7 Ⅰ 주요 이슈 및 전망 1.1. 음악산업 분석 및 전망 매출 및 수출부문 음악산업의 14년 1분기 매출규모는 약 1조 1,878억 원이며 음악 상장사 매출액 비중은 23.9%
More informationⅠ 주요 이슈 및 전망 1.1. 음악산업 분석 및 전망 매출 및 수출부문 14년 3분기 매출규모는 약 1조 1,555억 원이며, 음악 상장사 매출액 비중은 25.7%를 차지 - 상장사 매출액 분석은 14년 3분기 전년동기대비 6.5% 증가하였고 전분기대비 10.2% 상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목 차 Ⅰ. 주요 이슈 및 전망 02 Ⅱ. 상장사 분석 10 Ⅲ. 실태조사 분석 25 부록1. 상장사 재무분석표 30 부록2. 상장사 매출구조 분석 37 2014. 12 Ⅰ 주요 이슈 및 전망 1.1. 음악산업 분석 및 전망 매출 및 수출부문 14년 3분기 매출규모는 약 1조 1,555억 원이며, 음악 상장사 매출액 비중은 25.7%를
More information**09콘텐츠산업백서_1 2
2009 2 0 0 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M I N I S T R Y O F C U L T U R E, S P O R T S A N D T O U R I S M 2009 발간사 현재 우리 콘텐츠산업은 첨단 매체의 등장과 신기술의 개발, 미디어 환경의
More information2 3 음악산업 실태조사 음악산업 실태조사 1음악산업 실태조사 1.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개요 2. 음악업체 실태조사 분석결과
2015. 10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 3 음악산업 실태조사 음악산업 실태조사 1음악산업 실태조사 1.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개요 2. 음악업체 실태조사 분석결과 Ⅰ 음악산업 실태조사 1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개요 1.1 조사목적 각 산업별 전수조사 사업체의 응답값과 표본조사 사업체의 추정값을 합산하여 전체 콘텐츠산업 규모 를 추정하였으며,
More information<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3D6C1BEC0CEBCE2BABB2E687770>
제 4 부콘텐츠산업통계조사부문별결과 03 음악산업 < 표 4-3-1> 음악산업분류 중분류소분류분류체계정의 음악제작업 음악및오디오물출판업 음반배급및복제업 음반도소매업 온라인음악유통업 음악공연업 노래연습장운영업 음악기획및제작업 음반및음원을기획하고제작하는업체 (CP제외) 음반 ( 음원 ) 녹음시설운영업 음반또는음원을녹음할수있는시설을운영하는업체 음악오디오물출판업기타오디오물제작업
More information2012 음악산업백서 요약(최종).hwp
2012 음악산업백서 요약 2011년 및 2012년 상반기 음악산업의 주요 동향과 이슈 1. 음악 전송사용료 징수규정 개정 현황 2011년 음악 분야 신탁 3단체는 공동 연구용역을 추진하여 음악시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송 분야 사용료 징수규정 개정방향을 설정함 2012년 6월 8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한국저작권위원회의
More informationMusic Industry WHITE PAPER 국내음악산업현황 제 1 절 조사개요 1. 조사목적 본백서의국내음악산업동향의통계자료는문화체육관광부와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발간한 2013 콘텐츠산업통계 (2012 년기준 ) 1) 를기준으로재작성하여반영하였다. 20
Music Industry WHITE PAPER 2013 2013 음악산업백서 국내음악산업 제 1 장국내음악산업현황 제 2 장국내음악산업분야별동향 Music Industry WHITE PAPER 2013 01 국내음악산업현황 제 1 절 조사개요 1. 조사목적 본백서의국내음악산업동향의통계자료는문화체육관광부와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발간한 2013 콘텐츠산업통계 (2012
More information목차 3.1 음악산업전체요약 음악산업매출액현황 음악산업수출입액현황 음악산업종사자현황 음악산업부가가치액구성현황 43 표목차 < 표 3-1> 음악산업분류 1 < 표 3-2> 음악산업총괄 2 < 표 3-3> 음악산업사업체별평균매
C o n t e n t s I n d u s t r y S T A T I S T I C S 2 0 1 1 3. 음악산업 3.1 음악산업전체요약 3.2 음악산업매출액현황 3.3 음악산업수출입액현황 3.4 음악산업종사자현황 3.5 음악산업부가가치액구성현황 목차 3.1 음악산업전체요약 2 3.2 음악산업매출액현황 4 3.3 음악산업수출입액현황 20 3.4 음악산업종사자현황
More informationⅠ 주요이슈및전망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부문 14년 2분기음악산업매출규모는약 1조 991억원이며이중상장사매출액비중은 24.5%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14년 2분기전년동기대비 16.8% 증가하였고전분기대비 5.4% 하락 수출부문 14년 2분기음악
2014 년 2 분기 음악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목차 Ⅰ. 주요이슈및전망 02 Ⅱ. 상장사분석 09 Ⅲ. 실태조사분석 24 부록1. 상장사재무분석표 28 부록2. 상장사매출구조분석 35 2014. 9 Ⅰ 주요이슈및전망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부문 14년 2분기음악산업매출규모는약 1조 991억원이며이중상장사매출액비중은 24.5%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More information- i - - ii - - i - - ii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More informationCONTENTS.HWP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More informationINDUS-8.HWP
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More informationⅠ 주요이슈및전망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14년 4분기매출규모는약 1조 1,089억원이며, 음악상장사매출액비중은 27.5%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은 14년 4분기전년동기대비 1.0% 감소하였고전분기대비 2.7% 상승하였으며, CBI 분석결과 4분기
2014 년 4 분기 콘텐츠산업동향분석보고서 ( 음악산업편 ) 목차 Ⅰ. 주요이슈및전망 02 Ⅱ. 상장사분석 10 Ⅲ. 실태조사분석 25 부록1. 상장사재무분석표 30 부록2. 상장사매출구조분석 37 2015. 4 Ⅰ 주요이슈및전망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14년 4분기매출규모는약 1조 1,089억원이며, 음악상장사매출액비중은 27.5% 를차지
More informationSpecial Theme.. 6.. 5..... TV SNS 2015 Spring vol. 130 17
특집 한국스포츠산업의 전망과 과제 Special Theme 스포츠산업의 변신은 경제발전, parse@snut.ac.kr..... 16 SPORT SCIENCE Special Theme.. 6.. 5..... TV SNS 2015 Spring vol. 130 17 라틴 아메리카 5% 아시아 19% 유럽 중동아프리카 35% 세계 스포츠 시장 지역별 수입 북미 41%
More informationⅠ 주요이슈및전망 1.1. 광고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광고산업의 14년 1분기매출규모는약 2조 304억원이며광고상장사매출액비중은 35.0%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14년 1분기전년동기대비 9.1% 증가하였고전분기대비 24.6% 하락하였으며 CBI 분
2014 년 1 분기 광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목차 Ⅰ. 주요이슈및전망 02 Ⅱ. 상장사분석 05 Ⅲ. 실태조사분석 16 부록1. 상장사재무분석표 19 부록2. 상장사매출구조분석 24 2014. 7 Ⅰ 주요이슈및전망 1.1. 광고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광고산업의 14년 1분기매출규모는약 2조 304억원이며광고상장사매출액비중은 35.0%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More information세계 비지니스 정보
- i - ii - iii - iv - v - vi - vii - viii - ix - 1 - 2 - 3 - - - - - - - - - - 4 - - - - - - 5 - - - - - - - - - - - 6 - - - - - - - - - 7 - - - - 8 - 9 - 10 - - - - - - - - - - - - 11 - - - 12 - 13 -
More information....5-.......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방송 콘텐츠는 TV라는 대중매체가 지닌 즉각적 파급효과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수익 창출이라는 부분에서 영화에 비해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이 사실 이다. 그러나, 최근 드라마 이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해 내 면서 방송 콘텐츠의 수익 구조에도 큰 변화가 오고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드라마 은
More information수출및수입액현황 (2016) 6억 1,284 만달러억 1 7,045 만달러 4억 4,240 만달러 2015 년대비 15.4 % 증가 2015 년대비 11.1 % 증가 2015 년대비 1.3 % 증가 수출액 수출입차액 수입액 지역별수출액 ( 비중 ) 일본 4,129만달러
국내캐릭터산업현황 사업체수및종사자수 사업체 종사자 2,069 개 2,213 개 30,128 명 33,323 명 2015 년 7.0 % 10.6 % 증가증가 2016년 2015년 2016 년 매출액및부가가치액 매출액 부가가치액 11 조 662 억원 4 조 3,257 억원 10 조 807 억원 3 조 9,875 억원 2015 년 9.8 % 8.5 % 증가증가 2016년
More information< C0BDBEC7BBEABEF7B9E9BCAD5FBAB0BBF6C6C72E687770>
M u s i c I n d u s t r y WHITE PAPER 2 0 1 1 제 3 부 국내 외음악산업동향 제 1 장국내음악산업동향 제 1 절기업일반제 2 절산업규모제 3 절매출현황제 4 절수출입현황 제 2 장국내음악산업종사자현황 제 1 절산업규모별종사자현황제 2 절고용형태별종사자현황제 3 절학력별종사자현황제 4 절인구통계학적종사자현황 제 3 장해외음악산업현황
More information<3230313220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0CFB9DDB9E8C6F7BFEB292DC3D6C1BE2E687770>
제4부 콘텐츠 별 결과 방송 방송 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체계 정의 지상파방송 유선방송 위성방송 방송채널 사용사 인터넷영상물 제공 방송영상물 제작 지상파방송 사자 지상파이동멀티 미디어방송 사자 종합유선방송 사자 중계유선방송 사자 일반위성방송 사자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 사자 방송채널사용 사자 인터넷프로토콜TV(IPTV) 방송영상독립제작사 방송을
More informationⅠ 년 3 분기음악산업 INSIGHT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음악산업의 13년 매출규모를살펴보면, 1조 946 억원이며음악상장사매출액비중은 25.4%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13 년 에전년동기대비 17.0% 증가하였으나전분기대비
2013 년 3 분기 콘텐츠산업동향분석보고서 음악산업편 2013. 12 Ⅰ. 2013 년 3 분기음악산업 INSIGHT 1.1. 음악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음악산업의 13년 매출규모를살펴보면, 1조 946 억원이며음악상장사매출액비중은 25.4%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을살펴보면, 13 년 에전년동기대비 17.0% 증가하였으나전분기대비 20.9% 상승하였으며,
More information<C8ADC0E5C7B020C0AFC5EB20C7F6B4EBC8AD28C6F2B0A1B4DC292E687770>
총자산증가율 당기말총자산 전기말총자산 유형자산증가율 당기말유형자산 전기말유형자산 유동자산증가율 당기말유동자산 전기말유동자산 재고자산증가율 당기말재고자산 전기말재고자산 자기자본증가율 당기말자기자본 전기말자기자본 매출액증가율 당기매출액 전기매출액 총자산경상이익률 경상이익 총자산 총자산경상이익률 매출액경상이익률 총자산회전율 경상이익 총자산 경상이익 매출액 매출액
More information<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3D6C1BEC0CEBCE2BABB2E687770>
제 4 부콘텐츠산업통계조사부문별결과 05 영화산업 < 표 4-5-1> 영화산업분류 중분류소분류분류체계정의 영화제작및지원, 유통업 DVD/VHS 제작및유통업 영화기획및제작영화수입 영화제작지원 영화배급극장상영영화홍보및마케팅 DVD/VHS 제작 DVD/VHS 도매 DVD/VHS 소매 DVD/VHS 대여 DVD/VHS 상영온라인상영 일반영화를기획및제작하는사업체해외영화를수입하는사업체
More information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16. 12.1 1.3 1.3 나타났으나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 고용도 개선되는 모습 16년 기준 / 전년동월(동기) 대비 증감 1.4% 11
216년 4월 월간 문화체육관광 경제지표 경제지표 월간 동향 2 소비자동향지수 4 서비스물가지수 6 기업경기실사지수 8 1 시가총액주가지수 12 수출입동향 14 고용동향 16 산업별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추이 18 경제지표 월간 동향 문화체육관광 산업 경기는 전년도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수출부진이 소비자동향지수 16. 12.1 1.3 1.3 나타났으나
More information<C7D1B1B9BEBEBED8BECB5F 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20B5BFC7E2BAD0BCAEBAB8B0EDBCAD5FC0BDBEC7BBEABEF72E687770>
2016.10 2016 년 2 분기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 음악산업편 > 2 음악산업실태조사 3 음악산업실태조사 Ⅰ. 음악산업실태조사 1. 콘텐츠산업실태조사개요 2. 음악산업실태조사분석결과 Ⅰ 2016 년 2 분기음악산업실태조사 4 1. 콘텐츠산업실태조사개요 음악산업실태조사 1.1 조사목적 분기별콘텐츠산업실태조사 는연간조사의한계를극복하고신속하면서도정확한콘텐츠산업규모등을파악
More information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150805.hwp
15-27호 2015.08.05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 국민의 절반 동참시 1조 3,100억원의 내수 진작 효과 기대 Executive Summary 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 개 요 정부는 지난 4일 국무회의에서 침체된 국민의 사기 진작과 내수 활성화를 목적으로 오는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이에 최근
More information<32303131B3E22032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B5BFC7E2BAD0BCAEBAB8B0EDBCAD28C3D6C1BE292E687770>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011. 09 요 약 ⅰ Ⅱ. 2011년 2분기 콘텐츠업체 실태조사 분석 Ⅰ. 2011년 2분기 콘텐츠산업 추이 분석 1. 산업생산 변화 추이 3 1.1. 콘텐츠산업생산지수 변화 추이 3 1.2. 콘텐츠업체(상장사) 매출액 변화 추이 9 1.3. 콘텐츠업체(상장사) 영업이익 변화 추이20 2. 투자변화 추이 24
More informationCR2006-41.hwp
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머 리 말 2006년 12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 i - - ii - - iii - 평가 영역 1. 교육계획 2. 수업 3. 인적자원 4. 물적자원 5. 경영과 행정 6. 교육성과 평가 부문 부문 배점 비율(%) 점수(점) 영역 배점 1.1 교육목표 3 15 45점 1.2 교육과정 6 30 (9%) 2.1 수업설계 6 30 2.2
More informationCONTENTS C U B A I C U B A 8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9 C U B A 10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Part IX 11 C U B
More information<C7D1B1B9C4DCC5D9C3F7C1F8C8EFBFF82D3230313420C4DCC5D9C3F7BBEABEF7B9E9BCAD5FB3BBC1F6303830372E687770>
Content Industry WHITE PAPER 2014 5. 국내 콘텐츠산업 부문별 현황 가. 영화 2013년 영화산업의 총 매출액은 4조 6,647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전년 대비로는 6.9% 증가하고,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 10.3% 증가한 수치이다. 중분류별로 보면, 영화 제작, 지원 및 유통업 매출액은 4조 3,389억 원으로
More information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KR000****4 설 * 환 KR000****4 송 * 애 김 * 수 KR000****4
More informationad-200200004.hwp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여 성 부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결과 정리 Ⅲ. 여성복지상담소 실태조사 결과 Ⅳ. 선도보호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현황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 록 표 목 차 그 림 목 차 부 표 목 차 Ⅰ. 서 론 .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탈성매매를 위한 사회복귀지원 프로그램 연구
More information00-1표지
summary _I II_ summary _III 1 1 2 2 5 5 5 8 10 12 13 14 18 24 28 29 29 33 41 45 45 45 45 47 IV_ contents 48 48 48 49 50 51 52 55 60 60 61 62 63 63 64 64 65 65 65 69 69 69 74 76 76 77 78 _V 78 79 79 81
More information<322E20C7D1B1B9BEBEBED8BECB202D B3E22034BAD0B1E220C4DCC5D9C3F7BBEABEF720B5BFC7E2BAD0BCAEBAB8B0EDBCAD205F20C0BDBEC7BBEABEF72E687770>
2 음악산업실태조사 3 음악산업실태조사 음악산업실태조사 1. 콘텐츠산업실태조사개요 2. 음악산업실태조사분석결과 Ⅰ 음악산업실태조사 4 1. 콘텐츠산업실태조사개요 음악산업실태조사 1.1 조사목적 분기별콘텐츠산업실태조사 는연간조사의한계를극복하고신속하면서도정확한콘텐츠산업규모등을파악 궁극적으로지속적인분기별콘텐츠산업실태조사를통해데이터축적과향후시계열화를통한계절적변화파악및전망목적
More information001-015_¸ñÂ÷(02¿ù)
JAPAN Global 한국 팝음악, 즉 K-POP이 일본 내 한류 열풍의 선봉에 나섰다. 인기 걸그룹 카라가 도쿄 아카사카의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뒤 데뷔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_ 이태문 통신원 또다시 열도 뒤흔드는 한류 이번엔 K-POP 인베이전 아이돌 그룹 대활약 일본인의 일상에 뿌리내린 실세 한류 일 본에서 한류 열풍이 다시 뜨겁게
More information<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Quarterly Briefing Vol. 2017- 분기 -02 (2017.4.) 해외경제연구소 2017 년 1 분기수출실적평가 및 2 분기전망 < > 수출기업업황평가지수추이 산업별 기업규모별수출업황평가지수추이 (%) : 수출선행지수추이 1 2 2.. 3 - ㅇ 4 . 5 6 . 1 ( ) 7 1 (). 1 8 1 ( ) 1 () 9 1 () < 참고
More information발간등록번호 11-1342000-000039-01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x - - xi - - xii - - xiii - - xiv - - 1 - - 2 - - 3 -
More information대표이사 등의 확인 확 인 서 우리는 당사의 대표이사 및 신고업무담당이사로서 이 사업보고서의 기재내용에 대해 상당한 주의를 다하여 직접 확인ㆍ검토한 결과, 중요한 기재사항의 기재 또는 표시의 누락이나 허위의 기재 또는 표시가 없고, 이 사 업보고서에 표시된 기재 또는
분 기 보 고 서 (제 15 기) 사업연도 2010년 01월 01일 부터 2010년 09월 30일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0년 11월 15일 회 사 명 :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대 표 이 사 : 김 영 민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2동 521 (전 화)62400-9800 (홈페이지) http://www.smtown.com
More information(0720)대중음악 글로벌 경쟁력 세미나(토론 요약).hwp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 일시 : 2011년 7월 19일 화요일 14:30~18:20 장소 : 코엑스 318호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개회 이동욱 / 콘텐츠진흥원 전략정책본부장 인사말씀 김갑수 /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정책관 K-POP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자들의
More information경제통상 내지.PS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More information°æÁ¦Åë»ó³»Áö.PDF
CONTENTS I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II 38 39 40 41 42 43 III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IV 62 63 64 65 66 67 68 69 V
More information우루과이 내지-1
U R U G U A Y U r u g u a y 1. 2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3 U r u g u a y 2. 4 Part I Part II Part III Part IV Part V Part VI Part VII Part VIII 5 U r u g u a
More information01정책백서목차(1~18)
발간사 2008년 2월, 발전과 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출범한 새 정부는 문화정책의 목표를 품격 있는 문화국가 로 설정하고, 그간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한편 권한과 책임의 원칙에 따라 지원되고, 효율의 원리에 따라 운영될 수 있도록 과감한 변화를 도입하는 등 새로운 문화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란 국민 모두가 생활 속에서 문화적 삶과 풍요로움을
More information< C4DCC5D9C3F7BBEABEF7C5EBB0E828C0CFB9DDB9E8C6F7BFEB292DC3D6C1BE2E687770>
제 4 부콘텐츠산업통계조사산업별결과 < 표 4-2-1> 분류 중분류소분류분류체계정의 만화출판업 온라인만화제작 유통업 만화책임대업 만화도소매업 만화출판사 ( 만화잡지, 일일만화, 코믹스등 ) 만화잡지를포함하여만화도서를전문으로발간하는출판사 ( 사업체 ) 일반출판사 ( 만화부문 ) 인터넷 / 모바일만화콘텐츠제작및제공 (CP) 인터넷만화콘텐츠서비스 모바일만화콘텐츠서비스
More information<4D6963726F736F667420576F7264202D2032303132B3E22034BFF92032C1D6C2F75FB1B9B3BB20B5F0C1F6C5D020C0BDBEC7BDC3C0E5C0C720BBF5B7CEBFEE20BAAFC8AD5F6469676965636F5F313230343133>
2012 년 4 월 2 주차 동향보고서 국내 디지털 음악시장의 새로운 변화 1. Issue Summary Key summary 불법복제로 침체됐던 국내 '디지털 음악 시장'은 K-팝(pop) 한류와 스마트 기기 열풍으로 살아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그런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한국음악실연자연합회 등 음악 신탁 3 단체는 음원 가격이
More informationⅠ 주요이슈및전망 1.1. 광고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14년 4분기매출규모는약 3조 1,684억원이며, 광고상장사매출액비중은 29.2% 를차지 - 상장사매출액분석은 14년 4분기전년동기대비 3.1% 감소하였고전분기대비 22.2% 상승하였으며 CBI 분석결과 4분기
2014 년 4 분기 콘텐츠산업동향분석보고서 ( 광고산업편 ) 목차 Ⅰ. 주요이슈및전망 02 Ⅱ. 상장사분석 05 Ⅲ. 실태조사분석 17 부록1. 상장사재무분석표 21 부록2. 상장사매출구조분석 27 2015. 4 Ⅰ 주요이슈및전망 1.1. 광고산업분석및전망 매출및수출부문 14년 4분기매출규모는약 3조 1,684억원이며, 광고상장사매출액비중은 29.2% 를차지
More information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수출이나 국내 후속시장의 활성화라는 유통의 문 제는 경쟁력있는 상품과 그 상품을 팔 수 있는 시장의 존재 여부에 달려있 다. 아울러 그 유통은 국가간 시장규모의 차이와 부의 크기, 텔레비전 산업 의 하부구조에 의해 그 교류의 흐름이 영향을 받는다. 국내 프로그램의 유 통을 활성화시키는 기본조건은
More information교육학석사학위논문 중학교자유학기제를위한 음악과산업 수업설계 및지도방법에대한연구 년 월 서울대학교대학원 협동과정음악교육전공 염우정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영암군 관광종합개발계획 제6장 관광(단)지 개발계획 제7장 관광브랜드 강화사업 1. 월출산 기( 氣 )체험촌 조성사업 167 (바둑테마파크 기본 계획 변경) 2. 성기동 관광지 명소화 사업 201 3. 마한문화공원 명소화 사업 219 4. 기찬랜드 명소화 사업 240
목 차 제1장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3 2. 과업의 성격 5 3. 과업의 범위 6 4. 과업수행체계 7 제2장 지역현황분석 1. 지역 일반현황 분석 11 2. 관광환경 분석 25 3. 이미지조사 분석 45 4. 이해관계자 의견조사 분석 54 제3장 사업환경분석 1. 국내 외 관광여건분석 69 2. 관련계획 및 법규 검토 78 3. 국내 외
More informationK-IFRS,. 2013, 2014 1, 2, 3,.,.. 2
2014 4 2015. 2. 12 Investor Relations K-IFRS,. 2013, 2014 1, 2, 3,.,.. 2 1. 2. 3. 4. 5. 6. 7. : - Pro-forma - 3 1. : 1995.02 ( ) 1999 2005 2009 2013 1997 2000 2006 tv 2010 2014.10 2006.12 ( ) 2010.09 (
More information[96_RE11]LMOs(......).HWP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More information2
kakao 2018 8 Investor Relations 2 목차 3 4 전국민의카카오 41,488 41,915 42,080 42,431 42,746 43,044 43,201 43,526 43,577 2Q16 3Q16 4Q16 1Q17 2Q17 3Q17 4Q17 1Q18 2Q18 5 6 ü ü ü ü 7 8 AI Kakao I Inside Kakao I Open
More information세계 비지니스 정보
1.... 1 2. /2005... 3 3.... 6 4.... 8 5. /... 9 6....12 7. /...17 8....23 9. /...26 10....28 11....29 12....30 13. /...31 14....32 15....33 16. /...35 17....39 - i 18....43 19....46 20....51 21....53 22....56
More information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몸이란? 자 기 반 성 유 형 밀 당 유 형 유 레 카 유 형 동 양 철 학 유 형 그 리 스 자 연 철 학 유 형 춤이란? 물 아 일 체 유 형 무 아 지 경 유 형 댄 스 본 능 유 형 명 상 수 련 유 형 바 디 랭 귀 지 유 형 비 타 민 유 형 #1
More informationBest of the Best Benchmark Adobe Digital Index | APAC | 2015
v Best of the Best 벤치마크 Adobe Digital Index APAC 2015 ADOBE DIGITAL INDEX Best of the Best 벤치마크 (아시아 태평양 지역) 본 리포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있는 기업의 성과를 정리해 놓은 것입니다. 이 리포트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모바일 마케팅 모범 사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More information<C1A4C3A5BFACB1B82031312D3420C1A4BDC5C1FAC8AFC0DAC0C720C6EDB0DFC7D8BCD220B9D720C0CEBDC4B0B3BCB1C0BB20C0A7C7D120B4EBBBF3BAB020C0CEB1C720B1B3C0B020C7C1B7CEB1D7B7A520B0B3B9DF20BAB8B0EDBCAD28C7A5C1F6C0AF292E687770>
제 출 문 보건복지부장관 귀 하 이 보고서를 정신질환자의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대상별 인권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주관연구기관명 서울여자간호대학 산학협력단 연 구 책 임 자 김 경 희 연 구 원 김 계 하 문 용 훈 염 형 국 오 영 아 윤 희 상 이 명 수 홍 선 미 연 구 보 조 원 임 주 리 보 조 원 이 난 희 요
More information20061011022_1.hwp
조사 보고서 주40시간 근무제 도입 성과와 과제 실태조사 2006. 9 내 용 목 차 Ⅰ. 조사개요 1. 조사 목적 1 2. 조사의 기본설계 1 Ⅱ. 조사결과 1. 주40시간제 도입 이후의 경영성과 3 1-1.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았던 이유 4 1-2. 주40시간제 도입 성과가 좋지 않았던 이유 4 2. 주40시간제 도입 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More information*12월영상 내지<265턁
영상물등급위원회는 등급분류에 관한 문의 대표전화 : 02-2272-8560 ( ) 안은 내선번호 월간 KOREA MEDIA RATING BOARD MAGAZINE 은 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특 집 B 시상식 및 송년회 영상 칼럼 B제한상영가에 대한 소견 이 달에 만난 사람 BPC게임물
More information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발행일 : 2013년 7월 25일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2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정]--------------------------------------------
More information나하나로 5호
Vol 3, No. 1, June, 2009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KACPR) Newsletter 01 02 03 04 05 2 3 4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식 교육위원회 소식 일반인(초등학생/가족)을
More information°æÁ¦Àü¸Á-µ¼º¸.PDF
www.keri.org i ii iii iv v vi vii viii ix x xi xii xiii xiv xv 3 4 5 6 7 8 9 10 11 12 13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7 48 49 50 51 52 53
More information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2014 년도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 목차 i 목 차 iv 목차 표목차 목차 v vi 목차 목차 vii 그림목차 viii 목차 요 약 요약 1 요 약 제 1 장사업개요및조사방법 4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 * ( 15 ) 요약 5 : 6 차세대바이오그린 21 사업사업계획적정성재검토보고서 요약 7 8
More informationCC......-.........hwp
방송연구 http://www.kbc.go.kr/ 텔레비전의 폭력행위는 어떠한 상황적 맥락에서 묘사되는가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만화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해 각 인 물의 반사회적 행위 및 친사회적 행위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맥락요인들과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를 조사하였다. 맥락요인은 반사회적 행위 뿐 아니라 친사회적
More information<3132BFF93136C0CFC0DA2E687770>
1 25 51 76 79 82 84 88 2005-12-16 1 합계 음반시장 온라인음악시장 5,000 4,000 3,000 4,104 4,104 3,530 3,530 3,800 3,800 4,554 4,104 4,644 3,733 4,203 2,861 3,683 3,352 2,000 1,000 450 911 1,342 1,833 1,850 1,338 2,014
More information(강의자료)구매단가 절감 전략 및 예상효과
n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포 노무비 \ 390,000 재료비 \ 3,000,000 (\ 2,850,000) 경비 \ 410,000 재고자산 \ 500,000 (\ 350,000) 외상매입금 \ 300,000 현금 \ 300,000 매출액 \ 5,000,000 빼기 제조원가 \ 3,800,000 (\ 3,650,000) 더하기 SG&A \ 800,000 유동자산
More information<C3E6B3B2B1B3C0B0313832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11-8140242-000001-08 2013-927 2013 182 2013 182 Contents 02 16 08 10 12 18 53 25 32 63 Summer 2 0 1 3 68 40 51 57 65 72 81 90 97 103 109 94 116 123 130 140 144 148 118 154 158 163 1 2 3 4 5 8 SUMMER
More informationCONTENTS Ⅰ 2014년 4분기 및 연간 콘텐츠산업 추이 분석 1. 산업생산 변화 추이 17 1.1. 콘텐츠산업생산지수 변화 추이 17 1.2. 콘텐츠업체(상장사) 매출액 변화 추이 23 1.3. 콘텐츠업체(상장사) 영업이익 변화 추이 36 2. 투자변화 추이 40 2.1. 콘텐츠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40 2.2. 콘텐츠산업 해외투자 동향
More information(MB) 제4차 해외한류실태조사_국가별 보고서_20150319_fin_2) 조사결과 3)전체 결과.hwp
목 차 제1장 조사 개요 1 Ⅰ. 조사 목적 및 설계 1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4 Ⅰ. 주요 조사 결과 4 1. 한국 연상 이미지 4 2. 한류 대표 콘텐츠 5 3. 한국문화 관심도 6 4. 한국문화 콘텐츠 도 7 5. 한국문화 이용량 변화 8 6. 한류 용어 인지도 및 호감도 9 7. 한류 콘텐츠별 정보 채널 10 8. 한류 콘텐츠별 요인 11 (1) 한국
More information(연합뉴스) 마이더스
106 Midas 2011 06 브라질은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 개최, 고속철도 건설, 2007년 발견된 대형 심해유전 개발에 대비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움직임이 활발하다. 리오데자네이로에 건설 중인 월드컵 경기장. EPA_ 연합뉴스 수요 파급효과가 큰 SOC 시설 확충 움직임이 활발해 우 입 쿼터 할당 등의 수입 규제 강화에도 적극적이다. 리
More informationviii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변동에 따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 학의 역할 변화와 지원 정책 및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새로운 수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전문대학의 기능 확충 방안을 모색하 였다. 연구의 주요 방법과 절차 첫째, 기존 선행 연구 검토
vii 요 약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으며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 동은 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정책은 기존의 정책 방향과 내용을 유지 변화시키면서 정책을 계승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 변화 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집단과 조직, 그리고 우리의 일상에 긍정적으로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More information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수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이저작물을개작, 변형또는가공할수없습니다. 귀하는, 이저작물의재이용이나배포의경우,
More information<C7D1B1B9C4DCC5D9C3F7C1F8C8EFBFF85F C4DCC5D9C3F7BBEABEF7C5EBB0E85FB3BBC1F62033C2F72E687770>
5장. 영화산업 05 영화산업 03 콘텐츠산업통계조사산업별결과 제 1 장출판산업 제 1 절영화산업총괄 81) 제 2 장만화산업 영화산업은극장매출의증가, 디지털온라인시장및해외수출의회복세등으로인해사상최 대매출액을기록하였다. 극장관객수는 2 억 1,335 만명으로역대최다를기록하였고, 인구 1 인당평균 관람횟수도세계최고수준인 4.17 회에달하였다. 다양한한국영화의흥행성공과함께기존주요관객
More information09 강제근로의 금지 폭행의 금지 공민권 행사의 보장 38 10 중간착취의 금지 41 - 대판 2008.9.25, 2006도7660 [근로기준법위반] (쌍용자동차 취업알선 사례) 11 균등대우의 원칙 43 - 대판 2003.3.14, 2002도3883 [남녀고용평등법위
01 노동법 법원으로서의 노동관행 15 - 대판 2002.4.23, 2000다50701 [퇴직금] (한국전력공사 사례) 02 노동법과 신의성실의 원칙 17 - 대판 1994.9.30, 94다9092 [고용관계존재확인등] (대한조선공사 사례) 03 퇴직금 청구권 사전 포기 약정의 효력 19 - 대판 1998.3.27, 97다49732 [퇴직금] (아시아나 항공
More informationi ii iii iv v vi vii viii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XXXXXXXX 22 24 25 26 27 28 29 30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More informationMicrosoft Word - 2015030419435926.docx
(041510) 엔터테인먼트 Results Comment 2015.3.5 (Maintain) 매수 목표주가(원,12M) 46,000 현재주가(15/03/04,원) 34,900 상승여력 32% 영업이익(14P,십억원) 34 Consensus 영업이익(14,십억원) 39 EPS 성장률(14P,%) -89.8 MKT EPS 성장률(14F,%) -2.0 P/E(14P,x)
More information엔터테인먼트: Summary 중국 진출, 음원 가격 인상, 신인 그룹의 빠른 수익화로 레벨업 전망 에스엠의 중국 JV 설립과 음원 가격 인상으로 한 단계 레벨업 된 실적 전망 신인 아이돌그룹의 수익화가 가속화되면서 주요 아티스트들의 군입대 공백 충분히 상쇄해 나갈 것
하나금융투자 216년 리서치 전망 포럼 I 215년 11월 1일 216년 전망 엔터테인먼트/카지노 엔터테인먼트 Overweight : 한 단계 레벨 업! 카지노 Overweight : 상저하고의 흐름 Analyst 이기훈 E-mail: sacredkh@hanafn.com Tel : 3771-7722 엔터테인먼트: Summary 중국 진출, 음원 가격 인상,
More informationMicrosoft Word INTERNET-GAME-JP.docx
218 Industry Report 218.3.15 인터넷/게임 (비중확대/Maintain) 일본 탐방기: 라이프 스타일 지배력 문지현 2-3774-164 jeehyun.moon@miraeasset.com ( 십억달러 ) (%) ( 십억달러 ) (%) 16 모바일광고 (L) 1 8 모바일광고 (L) 8 PC 광고 (L) PC 광고 (L) 12 비디오광고비중
More information슬라이드 1
2015 Target 분석 - 관심사 및 라이프 성향으로 바라본 미디어 이용 행태 1 01 02 03 를 이해하는 사회 통계 를 이해하는 키워드 의 미디어 이용 행태 1. 주요 관심사 2. 직업 가치관 3. 소비 성향 4. 외모 인식 5. 인간관계 6. 여가 7. 해외여행 1. 미디어 이용 행태 2. 인터넷 이용 목적 3. 동영상 이용 4. 동영상 광고 반응
More informationHighlights
2015년 3월 5일 (041510) 다사다난한 2014년 아듀 매수 (유지) 주가 (3 월 4 일) 목표주가 34,900 원 46,000 원 (하향) 4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78억원(-7% YoY), 영업이익 68억원(-47% YoY) 기록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424억원(+12% YoY), 영업이익 50억원(+5% YoY) 예상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More informationÀ̶õ°³È²³»Áö.PDF
Islamic Republic of Iran I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0 Part I 11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2 Part I 13 I S L A M I C R E P U B L I C O F I R A N 14 II I S L A M I C R
More information<352831292E5FBBEABEF7C1DFBAD0B7F9BAB02C5FC1B6C1F7C7FCC5C25FB9D75FB5BFBAB05FBBE7BEF7C3BCBCF65FA1A4C1BEBBE7C0DABCF62E786C73>
5. 산업중분류, 조직형태 및 동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단위 : 개, 명 금정구 서1동 서2동 서3동 Geumjeong-gu Seo 1(il)-dong Seo 2(i)-dong Seo 3(sam)-dong TT전 산 업 17 763 74 873 537 1 493 859 2 482 495 1 506 15 519 35 740 520 978 815 1 666 462
More information2
2 About Honeyscreen Copyright All Right Reserved by Buzzvil 3 2013.06 2013.1 2014.03 2014.09 2014.12 2015.01 2015.04 전체 가입자 수 4 7 8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9 52.27 % 42.83 % 38.17 % 33.46 % 10 Why Honeyscreen
More informationMicrosoft Word - Industry_엔터음원_ _상단 수정
LIG Research Division Industry Analysis 2015/12/17 Analyst 지인해ㆍ02)6923-7315ㆍemalee89@ligstock.com 엔터테인먼트 ( 비중확대 ) 음원전송사용료개선방안 : 권리자 vs. 유통사 Win-Win 전략 전일음원전송사용료개선방안이발표되었습니다. 권리자배분비율증가로음원가격인상은확실시된상황이며권리자와사업자
More information대표이사확인서명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S.M. Entertainment Co., Ltd"입니다. 나. 설립일자 당사는 1995년 2월 14일에
반 기 보 고 서 (제 18 기) 사업연도 2012년 01월 01일 2012년 06월 30일 부터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12년 8월 14일 회 사 명 : (주)에스.엠.엔터테인먼트 대 표 이 사 : 김 영 민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2동 521 (전 화)6240-9800 (홈페이지) http://www.smtown.com 작
More information□ 개요
K-pop 미국시장 소비자조사 결과(요약) 2014. 12. 한국콘텐츠진흥원 미국사무소 조사 개요 목적 : 미국 내 K-pop 음악의 소비행태, 규모, 경로, 선호도 조사를 통해 향후 미주시장 진출 정책, 마케팅전략 수립에 활용 기간 : 2014. 11. 3 ~ 11. 13(11일) 방법 : 웹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조사 대상 : 미국에서 K-pop 음악 시청취
More information- 2 -
- 1 - - 2 - - - - 4 - - 5 - - 6 - - 7 - - 8 - 4) 민원담당공무원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와 함의 국민신문고가 업무와 통합된 지식경영시스템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지, 국민신문 고의 효율 알 성 제고 등 성과향상에 기여한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를 치 메 국민신문고를 접해본 중앙부처 및 지방자 였 조사를 시행하 였 해 진행하 월 다.
More information<37BFF920B1E2BEF7B0E6B1E2C1B6BBE720B0E1B0FA2E687770>
27 년 7 월기업경기조사 27 년 7 월동향과 8 월전망 27. 7 경제통계국통계조사팀 차 례 < 요약 > I. 27 년 7 월기업경기동향 1 II. 27 년 8 월기업경기전망 9 < 부록 > 1. 조사개요 15 2. 통계편 16 < 요약 > * 2,929 개업체 ( 응답 2,495 개업체 ) 를대상으로 27 년 7 월 16 일 ~ 7 월 24 일중조사 1.
More information2002report220-10.hwp
2002 연구보고서 220-10 대학평생교육원의 운영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발 간 사 연구요약 Ⅰ. 연구목적 Ⅱ. 대학평생교육원의 변화 및 외국의 성인지적 접근 Ⅲ. 대학평생교육원의 성 분석틀 Ⅳ. 국내 대학평생교육원 현황 및 프로그램 분석 Ⅴ. 조사결과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대학평생교육원의 성인지적 운영을 위한 정책 및 전략 목
More information3¿ù.PDF
창의와 열정으로 고객의 행복을 창조하는 선진일류 공기업 3 제35호 2010년 3월 고객을 위한 한결같은 마음의 공기업 중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오세요. 소중한 한분 한분에게 행복한 웃음과 건강을 드리고자 유익한 소식과 프로그램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발행처 : 중랑구시설관리공단 편집 : 창의경영추진반 주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도당길 175번지 전화 : 02-3422-4831~4
More informationLIG Company Analysis 212/11/16 3Q12 실적 Review (K-IFRS 연결기준 ) ( 단위 : 백만원, %) 구분 3Q11A 4Q11A 1Q12A 2Q12A 3Q12A(a) y-y q-q 컨센서스 LIG추정치 (b) 차이 (a/b) 매출액 1
LIG Research Center Company Analysis 212/11/16 Analyst 지인해ㆍ 2)6923-7315 ㆍ emalee89@ligstock.com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2287KQ Buy 유지 TP 86, 원유지 ) 과도한주가하락과보호예수기간완료시점을노리자 - 3Q12 실적, 시장기대치대비소폭하회하나양호한실적시현 - 기존및신인아티스트라인업과활동지속으로안정적인중장기적실적성장전망
More information이 지금의 케이팝이죠. SM은 자신들의 독특한 색깔을 SNS로 퍼뜨린 것이고, YG는 솔직히 SNS에 별로 신경 안 쓰다가 가장 이득을 봤죠. 왜냐면 그동안 서구권 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 아할 수 있는 감각을 지금 갖춰버린 것입니다. 강남스타일이 처음 뜨게 된 것이 강
서울대-중앙대-건국대 SSK 네트워킹 세미나 2012년 11월 7일 녹취록 일시: 2012년 11월 7일 (수) 오후 2시~4시 장소: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회의실 발표: 강명석(텐아시아 편집장) 사회: 김상배(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토론: 이호영(정보통신정책연구원) 강명석: 질문을 받고 답을 드리는 방식으로 얘기하겠습니다. 시작을 열어드리는 역할로서,
More information<303131342020C6EDC1FDBABB5F33BAD0B1E220B5BFC7E2BAD0BCAEBAB8B0EDBCAD2E687770>
2013년 3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2013. 12 2013년 3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 요 약 ⅰ Ⅰ. 2013년 3분기 콘텐츠산업 추이 분석 1. 산업생산 변화 추이 3 1.1. 콘텐츠산업생산지수 변화 추이 3 1.2. 콘텐츠업체(상장사) 매출액 변화 추이 11 1.3. 콘텐츠업체(상장사) 영업이익 변화 추이 26 2. 투자변화 추이 31
More information*통신1802_01-도비라및목차1~11
ISSN 25-2693 218. 2 218. 2 214 215 216 217 2.6 2.9 1.5 1.8 1.2 3.1 3.2 1.3 2.1 1.8 2.6 2.5 2.8 2.4.4 1.4.9 1.4 1.5 2.9 2.5 7.3 6.9 6.7 6.8 6.9 6.9 6.8 2.8 14 2.6 13 2.4 12 2.2 2. 11 1.8 1.6 1.4
More informationPDF_Compass_32호-v3.pdf
Design Compass는 특허청의 디자인맵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브랜드, 기술, 지식재산권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디자이너들의 입맛에 맞게 엮은 격월간 디자인 지식재산권 웹진입니다. * Design Compass는 저작이용이 허락된 서울서체(서울시)와 나눔글꼴(NHN)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2 4 5 6 7 9 10 11 편집 / 디자인맵
More information<40C1B6BBE7BFF9BAB85F35BFF9C8A328C3D6C1BE292E687770>
최근 미국 경제동향 및 향후 통화정책 전망 최근 미국 경제동향 및 향후 통화정책 전망 목 차 Ⅰ. 검토 배경 Ⅱ. 최근 미국의 경제지표 Ⅲ. 미국 통화정책 전망에 대한 시장 평가 Ⅳ. 향후 전망 및 시사점 Ⅰ 검토 배경 미국 경제지표 부진 15년도 들어 미국 주요 경제지표 실적은 혼조세 시현 - 14년도 경기회복을 견인한 소비 및 제조업 관련 지표 실적은 전반적으로
More information- i -
- i - - ii - - iii - - iv - - v - - vi - - vii - - viii - - ix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1) 상표등록에따른수수료 ( 출원료 + 등록료 ) 도한국이총 267 천원, 미국 376 천원, 일본 740 천원, 독일 434 천원,
More information<C3D6C1BEBAB8B0EDBCAD28C1A4C3A55F31313239295B315D2E687770>
정책연구 2008-31 저소득층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ow-income and strategies to overcome their poverty in GyeongGi-Province 2008. 11. 연구책임 : 김 희 연 (경기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연 구 요 약 저소득층
More information160425_연구소_이슈_태양의_후예_수출파급효과.hwp
Issue Report Vol. 2016-이슈-05 (2016. 4. 25) 해외경제연구소 드라마 태양의 후예 수출 파급 효과 1. 2. 3. 4. 5. 6. 한류 콘텐츠 산업 현황 한류 콘텐츠 수출 파급 경로 한류 콘텐츠 수출 효과 한류 콘텐츠 수출의 국민경제 파급효과 드라마 태양의 후예 수출 파급 효과 시사점 1 2 2 3 4 6 확인 : 팀 장 이재우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