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531372DBFACB1B8BAB8B0EDBCAD28BBFDC5C2C1F6B5B529312E687770>



Similar documents
BTXHINECYMSR.hwp

ZRQWOSTHTGNE.hwp

옥천 일대의 지형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3) -

조경식물학 - 활엽수 계열(2) -

<BDC4BBFD32302DBCF8C3B5B1B8B7CA5FC1F8BFB5B1D42DC6EDC1FD2E687770>

조경식재학 - 식재재료(2) -

옥천 일대의 지형

옥천 일대의 지형

93261.hwp

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6, No. 1 다 (Kim et al., 2012). 여러가지생물종이어우러져구성된생물군집은종간상호작용이다양할것이므로종다양성이높은군집은구조적으로복잡할것이다

<BDC4BBFD30372DB3AAC1D6C8ADBCF85FB9DAB9AEBCF62DC6EDC1FD2E687770>

옥천 일대의 지형

93251.hwp

MUQNBKAYUVJY.hwp


도감본문(수정)~10p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수세미오이, 라벤더, 양파, 천마, 야콘, 곰보배추, 꾸지뽕, 작약, 바질, 사위질빵, 엄나무, 쑥부쟁이, 두릅, 싸리나무, 왕고들빼기, 자리공, 쇠뜨기, 산초나무, 참취, 닭의장풀, 돌나물, 피마자, 적치커리, 고수, 비트 및 레몬밤의 산야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신바이오작물보호제생물검정표준화및관리체계구축 작물보호생리활성물질소재탐색및 화

16절 백지

옥천 일대의 지형

UM PDF


R hwp

2 - [ 궁내중학교방문 (2008 년 6 월 13 일 ) ] [ 궁내중학교화단 ] [ 수리산 (2008 년 6 월 14 일 ) ] [ 수리산탐사 ] [ 덕계묘지입구 ] [ 산북동묘지관리소 ]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C FB0E6BACF20B1DDB0ADBCD2B3AAB9ABC0C720C0DABFACBBFDC5C2C0FB20B0A1C4A1BFCD20BCBCB0E8C8AD20B9E6BEC85FC3DFBFACBDC42CC1B6C7F6C1A62CB1E8B3B2C0CF2CBCD5BFB5C7D02CB1C7B5CEC7F62CB1E8B5BFC8AF2E687770>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1,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2~3 분얼본 기타화초기타화초, 초록마당, DY-042, 다년초, 꽃창포, 초장 5~50cm, 4~5 분얼본

조사보고서 완본(최종인쇄본).hwp

13-ºÎ·Ï¸ðÀ½-0312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슬라이드 1

- 2 -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이상훈 심재국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Ang Universit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Yeonin Provincial Park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2014 경영학회_브로셔 내지


차례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2015, Vol. 6, No. 4, pp DOI: * ** *** *** * ***, *, **, ***

- 2 -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CC hwp

2_11_24 김준수.hwp

< FC8AFB0E6C4A3C8AD5FC3D6C1BEBAB8B0EDBCAD2E687770>

src.xls

박선주.fm

옥천 일대의 지형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4(5) : 549~556(2011) Chen, 2002; Walther et al., 2002; Lee et al., 2009). 기후변화에따른생물계절변화연구는장기간의모니터링을통해이루어지며, 계절변화연구는최근기후변화와기

경영학회 내지 최종

(001~010)206교과-앞부속(수정)

년연구과제요약문 과제명광주광역시자연환경조사연구 -4 차년도 연구기간 사업비 47.5백만원성과산출부분정책반영 ( ), 조사연구 (0), 기술개발 ( ), 기타 ( ) 연구목적및목표 본연구는광주광역시의자연환경의현황을파악하고, 연차적으로자연환

춤추는시민을기록하다_최종본 웹용

untitled

괘상원리에 기초한 도심재개발 경관 이원관계의 해석

발간등록번호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untitled

목 차

(056 김진숙).fm

도엽별출현종 _ 통계 년전국자연환경조사 - 식물 - 박재홍 - 남원 목명과명출현종남원 (357102) 도엽특이사항영문한글영문한글학명국명 E2 SELAGINELLALES 부처손목 SELAGINELLACEAE 부처손과 Selaginella involvens 바

<342EB1E8BCBAB9CE2D2E666D>

< C2F7C6EDC1FD BDC3C7E8BFACB1B8BAB8B0EDBCAD2E687770>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연합뉴스) 마이더스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¾Æµ¿ÇÐ´ë º»¹®.hwp

2ÀåÀÛ¾÷

2011국립공원표지-수정


<C3D6BFECBCF6BBF328BFEBB0ADB5BF29202D20C3D6C1BE2E687770>

소식지수정본-1

기후변화에따른담수호수생태계변화조사 및보전에관한연구 (Ⅲ) - 기후변화에따른유해남조류발생특성연구 - 물환경연구부유역생태연구팀 Ⅲ 2012

src.xls

358051_마상_식물상_종목록.xlsx



<B9CEBCBCC1F828C8AFB0E6B1B3C0B0292E687770>

½Ç°ú¸Ó¸®¸»¸ñÂ÷ÆDZÇ(1-5)¿Ï

요 약 문 Ⅰ.제 목 산림관상자원(자생식물)의 산업화 방안 연구 Ⅱ.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자연친화적인 생활환경 및 친환경적 삶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산림관 상자원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기존에는 식물의 관상 가치와 간편한 재배방법이 관상용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11.hwp

이웅빈 A Flora of Mt. Umyeo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Yongin University Mt. Umyeon is located between Seocho-gu in Seoul and Gwacheon-si in Gyeo

슬라이드 1

1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수일고등학교 윤 상 2 [2]2018개방실험-학생2기[ 고2]-8월18일 ( 오전 )-MBL활용화학실험 구성고등학교 류 우 3 [2]2018개방실험-학생2기[

슬라이드 1

<C3D6C1BEBAB8B0EDBCAD C0CEBCE2BFEB28BCF6C1A4BFEB292E687770>

< FBDC4B9B05FC1BEB8F1B7CF2E786C73>

< C1A4C8EFB6F42E687770>

Á¦190È£(0825).hwp

(044 김진숙).fm

지구단위계획결정조서.hwp

_report.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Arctic Plants living in Ny-Ålesund and Longyearbyen, Svalbard by Yoo Kyung Lee, Gyu Lee, Eun Ju Lee 다산과학기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극 식물 Arctic Plants living in N

Transcription: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Forest Eco-Map of Korea 권태성 임종환 양희문 천정화 박찬열 이임균 가강현 이승우 박병배 최명섭 조재형 신준환 김영걸 김철민 김성호 박영석 김병우 박대식 윤충원 김성수 장민호 이우신

발 간 사 산림에는 그 바탕이 되는 암석과 토양이 여러 형상으로 놓여있고 그 사이로 물이 모여 계류를 만들어 생명의 젖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숲에는 수많은 식물과 동물, 곤충, 미생물들이 서로 복잡한 관계를 맺고 어울려 살아가고 있습니다. 숲은 우리가 이용하는 많은 물질과 맑은 물을 제공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나 재해도 줄여주지만 이러한 것들을 들여다보는 것 자체가 흥미로울 뿐 만 아니라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과 마음의 풍요로움을 더해 줍니다. 산림에 대한 기존의 정보들은 대부분 전문용어와 표로 되어 있어 전문가가 아닌 분들이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계 조사자료나 정보를 그림과 같은 시각적인 정보로 표현하여 산림의 복잡다단한 속성을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한 것이 산림생태지도입니다. 금번 보고서는 2008년에 발간된 을수동 산림생태지도, 2009년의 운문골 산림 생태지도 에 이어 2007년부터 3년간 연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 입니다. 본 책자에는 이미 발간된 2권의 연구자료에서는 지면의 제약으로 누락된 연구결과들과 아직 보고되지 않은 공동조사지인 두륜산 및 중북부, 남동부, 남서부 산림지역에 대한 연구결과를 충실히 담고 있으므로 좋은 자료가 되리라 기대합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소기의 연구성과를 거둔 참여연구진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드리며, 이 보고서가 담고 있는 여러 정보들이 많이 활용되고 나아가 향후 한 발 진전된 연구의 발판이 되기를 바랍니다. 2010년 5월 국립산림과학원장

목 차 Ⅰ. 서론 1 Ⅱ. 재료 및 방법 3 Ⅲ. 결과 및 고찰 17 1. 중부 지역 산림생태지도 작성 17 가. 기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17 나. 생물상 및 입지환경 현지조사- 23 (1) 식생분류 23 (2) 식생구조 52 (3) 척추동물 83 (4) 무척추동물 92 (5) 미생물 125 (6) 입지환경 131 다. 생태도감 및 지도 작성 141 2. 남동부 지역 산림생태지도 작성 152 가. 기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152 나. 생물상 및 입지환경 현지조사 156 (1) 식생분류 156 (2) 식생구조 189 (3) 척추동물 199 (4) 무척추동물 212 (5) 미생물 244 (6) 입지환경 250 다. 생태도감 및 지도 작성 259

3. 남서부 지역 산림생태지도 작성 267 가. 기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267 나. 생물상 및 입지환경 현지조사 270 (1) 식생분류 270 (2) 식생구조 301 (3) 척추동물 309 (4) 무척추동물 327 (5) 미생물 338 (6) 입지환경 343 다. 생태도감 및 지도 작성 354 참고문헌 367

Ⅰ. 서론 1 Ⅰ. 서론 산업혁명 이래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과 산림의 벌채는 지구온난화와 생물다양 성 감소를 야기하였고, 이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Allen 등, 2009; Kwon 등 2010; 임종환 등, 2006).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것은 대기 중 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켜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므로 현재 기후변화 대응전략의 핵심을 이룬다(IPCC 2007). 산림은 식물과 동물, 곤충, 미생물의 상호작용으로 형성 되는 복잡계로서 구조와 기능의 다양한 측면을 제대로 파악해야 산림을 온전하게 관 리하고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한 산림생태계를 일반인들이 제대로 파악하는 것 은 쉽지 않은 일이다. 산림전문가들조차도 그들의 지식은 자신의 분야에 한정되어 종 합적인 이해가 결여되기 쉽다. 산림에 대한 수많은 생태보고서가 발간되었지만 전문 용어와 표로 정리된 정보를 비전문가들이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태계 정보를 그림이나 지도 등을 이용한 시각적인 정보로 변환시켜 산림의 복잡다단한 속성을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 산림생태지도이다. 생태지도는 지자체 홍보, 자연교육, 생태계 파 악 및 관리를 위해 소수 제작된 바 있으나(예, 성남시의 생태지도), 산림을 대상으로 한 산림생태지도의 제작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지 도를 개발하고 이를 배포함으로써, 지방산림청, 지자체, 각 도의 산림환경연구소, 대 학교, 민간단체 등에서 다양한 산림생태지도를 발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목적으 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산림생태지도는 이용 빈도가 낮은 기존 산림생태보고서의 대 안일 수도 있다. 산림과학원에서는 산림생태계의 구조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산림생태계 생물다양성 조사(1991~1994), 비무장지대 생태계 조사(1996~2000, 2001~2003), 백두

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대간 생태계 조사(1997~2002)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수행으로 말미암아 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조사 방법론을 개발함과 함께 주요 산림생태계 특 성을 파악하였고, 산림생태계 보전 및 관리정책의 수립과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법 률 의 제정에도 기여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산림생태계 체계를 생태권역, 생태지 역, 생태구역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주요 식생유형 파악도 수행하였다. 그러나 아직 산림생태계에 대한 우리나라 전반에 걸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리 작업은 물론 생 물다양성 핵심지역(hotspot)과 그 구조에 대한 도면화가 되어있지 않았다. 1972년부 터 4회에 걸쳐 임상도(축척 1:25,000)가 제작되었으며, 3차 임상도부터 수치지도로 제 작되어 현재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고 있으며, 2008년부터는 1:5,000축척의 보다 상세 한 임상도를 구축 중이다(김경민 등, 2009). 그러나 임상도는 산림의 가장 기본적인 정보만을 담은 것으로 온갖 생물이 서식하는 산림의 복잡성을 표현하는 산림생태지도 와는 거리가 있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3년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2007년에는 중부지역(경기도와 강원도), 2008년에는 남동부지역(경상도), 2009년에는 남서부지역(충청도와 전라도)의 산림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지역별로 대표성이 있고 자연보존상태가 양호한 한 개의 유역을 공동조사지로 선정하여 모든 분야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여 산 림생태지도를 발간하였다. 2007년에는 오대산과 계방산의 접경지인 을수동 유역을 대 상으로 조사하여 을수동 산림생태지도 (신준환 등, 2008)를 발간하였고, 2008년에는 영남알프스의 중심산괴인 가지산과 운문산을 포함하는 운문골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운문골 산림생태지도 (권태성 등, 2009)를 발간하였다. 2009년에는 우리나라에서 상 록활엽수림이 가장 잘 보존된 두륜산을 조사하여 이를 2010년 하반기에 두륜산 산림 생태지도 로 발간할 예정이다. 그리고 종합된 결과는 영문판 산림생태지도인 Forest Eco-Map of Korea 로 발간하여 제23차 세계산림학술대회(IUFRO)에서 우리나라 산 림을 전 세계 산림학자들에게 알리는 홍보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 행본에서는 제한된 지면 때문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연구결과들이 많이 배제되 었다. 본 보고서는 2007년부터 3년간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가급적 충실히 담아 기반 자료로 이용되게 작성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3 Ⅱ. 재료 및 방법 1. 식생분류 가. 조사방법 산림군락의 식생종조성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를 대상으로 3인 1 조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지리 및 지형적 요소와 식생의 상관적 특성이 비교적 동일 한 산림군락을 대상으로 식생분석 자료를 얻기 위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 (Ellenberg, 1956; Braun-Blanquet, 1964)에 따라 지형위치, 해발고, 사면방위, 경위도, 경사도, 토양노출도, 암석노출도 등의 생육환경요소가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였으며 약 75 90개소(10m 10m)에 대하여 조사지를 선정하였다. 조사지내에 출현하는 각 종의 피도(coverage)와 개체수를 조합시킨 우점도(dominance) 계급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여 기록하였고, 생육상태는 종 개체의 집합 혹은 이산의 정도에 따른 군도(sociality) 계급 등을 측정 하였다. 나. 분석방법 (1) 상관우점종에 따른 군락분류 총 76개의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최상위층의 우점종을 중심으로 하는 상관우 점종에 따라 군락을 분류하였다. (2) 식물사회학적 식생분류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Ellenberg(1956)의 표조작법과 TWINSPAN 분석을 혼용 하여 분석하였다. 1단계는 현장에서 조사한 식생자료를 입력하는 것으로, 하나의 열 에 한 조사지의 식생조사야장에 기입된 정보를 모두 기입하고, 행에 종을 배열하여

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각 층위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며, 우점도와 군도를 한 셀 안에 기입하여 소표(raw table)를 작성하였다. 2단계로 소표로부터 행에 배열된 종을 반복적인 수직과 수평 이 동을 통하여 식별종을 찾는 작업을 수행하여 부분표를 만들었고, 3단계로 구분표를 만들어 부분표의 과정으로부터 종 및 조사지의 모둠화를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구분표를 도출하고 다음 마지막으로 상재도표를 작성하였다. 식물종의 동정과 명명은 이창복(2003)과 산림청(2003)을 따랐다. 2. 식생구조 산림 식생군집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대상 산림의 공동조사지에 Plot sampling 방법(Brower and Zar, 1977)에 따라 조사지를 설치하여 지형 및 입지특성, 식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지는 공동조사지의 계곡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두 사면 의 계곡주변, 산복하부, 산복중부, 산복상부, 능선지역 등 지형위치에 따라 5개 지점 을 기준으로 설치하였으나, 산림상관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는 3 4 개 지점을 설치하였다. 조사지의 지리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를 이용하여 위성 좌표를 측정하였으며, 해발고, 경사도, 사면방향, 지형위치 등 지형자료와 상층울폐도, 중층울폐도, 하층피복도, 노암율(암석노출도)등 입지자료를 수집하였다. 식생조사는 교목층, 관목층, 초본층으로 구분하여 Braun-Blanquet(1964) 방법에 따 라 종을 식별하고, 피도 및 우점도를 측정하였다. 교목층의 층화가 뚜렷한 지역에서 는 교목층을 T1층, T2층, T3층 등 2~3개의 층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교목층을 구성하는 임목들에 대해서는 수고와 흉고직경을 측정하였다. 층위별 식생의 수평적ㆍ수직적 분포와 수간 및 수관의 구성을 묘사하기 위해 식생 단면도(Vegetation Profile)를 작성하였으며, 교목층을 구성하는 수종들의 상대우점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대밀도와 상대피도를 이용하여 중요치(Curtis and Mcintosh, 1951)를 산출하였 다. 공동조사지간의 식생 종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 조사지점의 출현 식생을 대상 으로 Shannon의 종다양성 지수(Shannon and Weaver, 1949)를 이용하여 평균 종다 양도를 산출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5 3. 척추동물 가. 2007년 (1) 포유류 2007년 4월 6일, 6월 30일 Sherman trap Folding LFA 덫을 각 조사지마다 약 7m 간격(보폭 기준)으로 6개씩 설치하였으며, 미끼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구운 땅콩 또는 중간 크기의 멸치를 3 4개씩 교대로 사용하였다. 설치 후 다음날 오전에 포획된 소 형포유류에 대해 종, 성별, 성숙정도, 체중, 포획된 위치 등을 파악하였다. 확인할 때 비, 추위 등으로 상태가 매우 안 좋은 경우는 사망으로 처리하였다. 주요 조사경로를 따라 관찰된 포유류 흔적의 종, 종류, 위치 등을 기록하였다. 소형포유류 조사지역은 다양한 서식지 중 하천 옆 수변림, 묵밭, 속새가 하층에 분포하는 숲, 그리고 토양 피복에 자갈이 많이 있는 초지 총 4곳을 선택하여 포획을 실시하였다. 육안 관찰 및 흔적 조사는 을수동 계곡의 비포장 도로와 등산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2) 조류 2007년 4월 6일, 5월 30일 양일에 걸쳐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쌍안경(Swarovski EL 10 x 42, 6.3 )으로 관찰된 조류의 나는 모양, 울음소리 및 육안관찰을 통하여 종을 동정하고 개체수를 산정하여 기록하였다(Bibby et al, 1997). (3) 양서 파충류 계방산 을수동의 양서 파충류의 조사는 총 4회(2007년 4월 6일, 5월 10일, 7월 19 일, 9월 24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양서류와 파충류는 그 출현 및 활동시기가 각각 다르고 번식기도 종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1차, 2차 조사는 양서류를 공동적으로 조사하였고 3차와 4차 조사는 파충류를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양서류와 파충류 모 두 날씨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매 조사 마다 대기온도, 수온, 습도, 날씨 의 환경요인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양서 파충류의 동정과 생태에 대한 것은 원홍구 (1971), 강과 윤(1975), 양서영 등(2001), 심재한(2001)의 문헌을 참고하였고, 포획된 모든 개체, 출현한 서식지와 번식지는 사진을 촬영하여 자료로 보관하였다. 각 조사 지역에서 포획된 양서류 개체들은 종명을 동정한 뒤, 개체 수와 서식지 특징 등을 기 록하였다. 또한 양서류 개체군의 크기는 그들의 은밀한 생활사 때문에 번식기 동안

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암컷이 낳는 알의 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게 개체군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세부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알의 수도 기록하였다(Heyer et al., 1994). 파충류의 조사는 세부조사지역에 정해진 구역(초지, 산사면, 밭 주변 등) 을 일정한 시간 동안 직접 뱀을 찾아서 기록을 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조사지역으로 산과 밭, 야지, 밭 주변의 산지 등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조사 시에는 주로 하천변 초지, 밭 내부의 돌무덤, 밭과 산이 연하는 연접부위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파충류 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먼저 동정한 후, 암-수의 판별이 가능한 경우, 기록하였으며, 출현한 개체수와 주변 서식지 특징 등을 기록하였다. (4) 어류 계방산의 담수어류상 조사는 4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내린천 상류지역을 대상으 로 하였다. 조사시기는 봄과 여름에 집중적이었으며 1차 조사는 4월 5-6일, 2차 조사 는 4월 19-21일, 3차 조사는 5월 8-10일, 4차 조사는 7월 24-26일에 시행되었다. 조 사방법은 내린천 상류에서 하류까지 하천을 따라 이동하면서 서식처가 다양하고 어류 가 충분히 서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을 대상으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지역들은 대부분이 내린천 상류지역이었으며 1지점만이 계방천 지점이었다. 각 조사지점은 GPS정보를 기술하였다. 내린천 상류지역은 2 3차 하천 으로 대부분 지점들의 하상구성은 동일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256mm 이상의 크기가 큰 암석이 70% 이상을 차지했고 나머지 잔자갈과 모래 등이 30%정도의 비율 로 존재하였다. 또한 수변식생은 낙엽성 관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침엽수 와 초본류의 비율은 낮았다. 아울러 조사지점이 내린천 상류부였기 때문에 소(pool) 보다는 여울(riffle)과 흐름(run)이 있는 지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질은 양호하 였으며 수온이 매우 낮고 용존산소의 비율이 높아 냉수성 어종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Ⅱ. 재료 및 방법 7 <표 1> 을수동 핵심 지역의 분류군별 조사지점 조사지 위치 고도(m) 특성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 어류 A N3748504 E12827461 573 하천, 돌무더기, 인가 지점 B N3748410 E12827518 591 C N3748206 E12828274 609 D N3748306 E12829192 673 유적식생지역 E N3746240 E12830052 733 계류지역 F N3745379 E12830151 789 화전개활지, trap G N3744503 E12828374 >1200 산림 사면지역 H N3744528 E12828296 산림 능선지역 나. 2008년 (1) 포유류 2008년 3월 20일, 2008년 7월 8 13일까지 총 2회에 걸쳐 4개 지점에서 조사하였 으며, 조사방법은 2007년과 동일하였다. (2) 조류 2008년 3월 19 21일, 6월 17 19일까지 총 2회에 걸쳐 8개 지점에서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쌍안경(Swarovski EL 10 x 42, 6.3 )으로 관찰된 조류의 나는 모양, 울음소 리 및 육안관찰을 통하여 종을 동정하고 개체수를 산정하여 기록하였다 (Bibby et al., 1997). (3) 양서 파충류 양서 파충류의 조사는 총 4회(2008년 3월 19일, 4월 4일, 6월 23일, 9월 16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2007년과 동일하였다. (4) 어류 어류는 총 6지점 2회(2008년 3월 16 21일, 6월 17 23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운문천 최상류부터 하천을 따라 이동하며, 서식처에서 투망과 족대를 이용하여 채집 을 실시하였다.

8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다. 2009년 (1) 포유류 주요 조사경로는 대흥사-북미륵암-만일암터-만일재-진불암-대흥사(3월 조사)와 매표 소입구-대둔사계곡-진불암골-진불암(6월 및 9월 조사)이다. 조사경로를 따라 도보 및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포유동물을 직접 관찰하거나, 배설물, 발자국, 서식굴 등 서식 흔적을 통하여 해남 두륜산에 서식하는 포유동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외 육안 및 서 식흔적으로 서식 유무를 확인하기 어려운 소형포유동물은 조사경로 인근에 포획조사 지 3곳을 선정, 생체포획덫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2009년 6월 24 26일, 9월 28 30일까지 총 2회에 걸쳐 3개 지점에서 조사하였으며, 소형포유류 포획을 위하여 Sherman trap Folding LFA 덫을 10m 간격으로 4x5 또는 5x6 행렬로 2일 밤 동안 설치하였다(표 2, 그림 1). 미끼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구운 땅콩을 사용하였으며, 설 치 후 2일 밤 동안 포획된 소형포유류에 대해 종, 성별, 성숙정도, 체중, 포획된 위치 등을 파악하였다. 확인할 때 기상악화로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생존 가능성이 희박 할 경우 사망으로 처리하였다. <표 2> 소형포유류 조사지의 좌표, 해발고, 설치트랩수 조사지 조사일 좌표 해발고 설치트랩수 포획조사지 1 6월24~26일 9월28~30일 N34 28 06.0 E126 37 30.4 309m 30개 포획조사지 2 9월28~30일 N34 28 02.9 E126 37 12.9 294m 20개 포획조사지 3 6월24~26일 4개 N34 29 06.0 E126 36 49.3 114m 9월28~30일 20개

Ⅱ. 재료 및 방법 9 <그림 1> 포유류상 조사 경로(3월 좌측, 6월 우측) (2) 조류 2009년 3월 27 28일, 6월 27 28일, 10월 15 16일 등 총 3회에 걸쳐 8개 지점에 서(표 3) 선조사법과 점조사법을 이용하여 쌍안경(Swarovski EL 10 x 42, 6.3 )으로 관찰된 조류의 나는 모양, 울음소리 및 육안관찰을 통하여 종을 동정하고 개체수를 산정하여 기록하였다(Bibby et al. 1997). <표 3> 8개 조류 조사 구간 A B C D E F G H 조사장소 제2장춘교- 주차장 주차장- 대둔사 대둔사 대둔사- 북미륵암 북미륵암- 만일재 만일재- 구름다리 구름다리- 진불암입구 진불암- 대둔사 거리(km) 1.5 1 0.8 1 1 1 1.7 1.8 (3) 양서 파충류 두륜산에 서식하고 있는 양서 파충류의 조사는 2009년 3월 11일 15일, 6월 23일

1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25일 총 2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양서 파충류의 조사는 2007년과 기본적으로 동일하 나, 2009년에는 매 조사에서 관찰된 양서 파충류의 출현지점은 휴대용 GPS(Vista CX, Garmin, Taiwan)를 이용하여 좌표를 기록하였다. 양서류는 세부조사지점에 위치한 계곡을 중심으로 계곡 주변부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관찰된 모든 종을 기록하 였다. 양서류의 포획은 포획망과 뜰채를 이용하였으며, 포획한 개체들은 종을 확인한 뒤, 개체수와 서식지 특징 등을 함께 기록하였다. 또한 이미 번식을 마치고 알이 부 화하여 유생이 관찰될 경우에는 유생을 동정하여 종명을 확인하였다(Heyer et al. 1994). 양서류의 조사는 이동하면서 출현한 개체들 이외에 돌과 통나무, 부엽토 등을 들추어 은신하고 있는 개체들을 찾는 방법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양서류의 조사 는 주간조사와 야간조사 모두 수행하였다. 파충류의 조사는 세부조사지역 내의 초지, 산사면, 묵정밭 주변을 일정한 시간 동안 직접 파충류를 찾아서 기록을 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조사지역으로 묵정밭과 산과 인접하는 고산지대의 밭, 야지, 밭 주변의 산지 등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조사 시에는 주로 하천변 초지, 밭 내부의 돌무덤, 밭 과 산의 연접부위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파충류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포획된 개체 는 먼저 동정한 후, 출현한 개체 수와 주변 서식지 특징 등을 기록하였다. 또한 주변 의 도로상에 차에 치인 개체들의 사체를 수거하여 추가 조사하였다. 두륜산의 양서 파충류 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5개의 세부조사지점을 선정하였다(그림 2). 세부조 사지점은 양서 파충류가 주로 출현하는 계곡과 계곡 주변, 묵정밭과 초지를 선정하 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1 <그림 2> 두륜산 양서 파충류 세부조사지점 (4) 어류 담수어류상 조사는 2009년 3월 13~14일과 6월 25일 총 2회 시행되었다. 조사지점 은 두륜산 도립공원을 관통하는 대흥사천에 4지점, 유입천 1지점(St.3) 총 5지점을 선 정하였으며, 그 위치와 GPS 자료는 표 4와 같다(그림 3). 어류의 조사는 투망(망목 7 7 mm), 족대(망목 5 5 mm)를 이용하여 가능한 조사지점 내 서식하는 모든 종 조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각 지점별로 사용이 가능한 채집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투망의 경우 지점별로 10회, 족대를 이용한 조사는 30분을 기준으로 조 사를 시행하였다. 채집된 어류의 동정은 김과 박(2002)을 따랐으며, 분류체계는 Nelson(1994)의 방법을 따랐다. 이외에도 어류의 서식환경 특성 파악을 위해 현장에 서 하상구조를 Boulder (>256mm), Cobble (64-256mm), Pebble (16-64mm), Gravel (2-16mm), Sand (<2mm)의 5가지 단계로 구분하여 일정구간 내의 하상구성을 시각 적으로 파악하여 백분율로 기록하였다.

1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4> 어류 조사 지점의 위치 조사지점 위치 GPS 경도 위도 St.1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제2장춘교 126 36 54.3 34.29.25.2 St.2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입구 다리 126 36 51.4 34.28.35.8 St.3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대웅전 뒤 126 37 05.0 34.28.36.9 St.4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수행관 126 36 55.7 34.28.29.4 St.5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수행관 위 126 37 00.7 34.28.26.2 <그림 3> 어류 조사지점의 위치 4. 무척추동물 무척추동물은 곤충을 포함한 절족동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절족동물의 조사를 위해 전국의 300개 조사지를 선정하였다. 조사지는 위도 및 경도 0.5도의 격자 내에 7개 정도 배치하였다. 조사는 매년 100개소 가량 실시하였다. 조사 시기는 5월 중순

Ⅱ. 재료 및 방법 13 부터 9월 중순까지 절족동물의 개체수가 많고 활동이 활발한 시기에 실시하였다. 조 사지는 산림을 대상으로 30년 이상의 장령림이면서 하층식생도 비교적 발달한 지점 을 선정하였다. 조사는 함정트랩법을 사용하였는데 조사지당 10개의 함정트랩을 5m 간격으로 설치하여 10일후에 수거하였다. 보존액은 자동차부동액(환경친화성)을 사용 하였다. 공동조사지에서는 5-6개소의 조사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를 하였다. 나 비조사는 선조사법으로 실시하였는데, 정해진 조사루트를 천천히 걸어가면서 폭 10m 이내에 관찰되는 나비의 종과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나방은 유아등을 이용하여 채집 하였다. 수서곤충은 공동조사지역 내 3개의 조사지를 선정하여 방형구법(30 30cm 2, 3반복)으로 조사하였다. 5. 미생물 가. 문헌조사 버섯류와 지의류 종 조사는 이미 논문으로 발표되었거나,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발 표한 보고서에서 각 지역별 해당하는 자료를 재정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아울러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과 함께 자료를 정리하였다. 나. 현지 정량 조사 미생물의 정량조사는 식생팀이 정한 공동조사지를 중심으로 10 m x 10 m 방형구 를 3개씩 설치하여 버섯류와 지의류를 조사하였다. 2가지 분류군은 조사지 내에서 출 현종수를 조사하였고, 공동조사지 지점별 차이를 기술하였다. 다. 현지 정성 조사 버섯류와 지의류는 방형구뿐만 아니라 등산로 및 계곡을 따라서 발견되는 종을 조 사하였다. 그리고 일부 종은 샘플을 채취하여 균 분리 및 표본을 제작하여 보관하면 서 종 동정에 활용하였다. 버섯류와 지의류는 1차적으로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분 류하였고, 2차적으로 현미경적 특징과 화학물질에 의한 정색반응(color tests)에 근거 하여 분류하였다. 아울러 필요한 샘플에 대해서는 rdna의 ITS 부분의 염기서열을 분 석하였다. 실험 시료의 해부학적 특징은 광학현미경(Leica. DE/DM-RE-HC)의 1,000배율로 관 찰하였다. 멜져 시약(Melzer's reagent)으로 전분(amyloid), 비전분반응(non-amyloid)

1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을 확인하였다. rdna의 ITS 부분의 염기서열을 분석은 ITS1F/ITS4B의 primer pair를 사용하였다. 지의류의 정색반응은 표백제인 Ca(OCl) 2 와 KOH 두 가지 시약을 사용하 였다. Calcium hypochlorite는 포화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Potassium hydroxide는 10-20% 수용액으로 단순히 만들어 사용하였다. 약정에 의해 Ca(OCl) 2 는 약자로 C로 KOH는 약자로 K로 표시한다. 그리고 p-phenylenediamine(p)도 테스트 하였다. p-phenylenediamine는 5% 알콜용액으로 신선하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6. 입지환경 가. 조사지 선정 현지 입지환경 조사팀을 구성하여 을수동(2007년), 운문골(2008년), 두륜산(2009년) 공동조사지를 대상으로 생태지도 구성분야별 조사지와 가급적 일치하도록 조사지를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총괄팀에서 선정한 공동조사지(평균 3개)를 대상으로 소지형 (산정, 산복, 산록)으로 구분하여 입지토양환경 조사지를 설치하였다. 나.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산림생태지도 작성에 필요한 입지환경 기초자료의 맵핑(Mapping)을 위해 기상청의 기상관측자료(연평균기온, 연간일사량),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1:5,000 지질도(모암분 포), 수치지형도(표고, 경사, 방위 등), 임상도(토지피복도), 산림입지도(산림토양형) 등을 수집하여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 지형분석은 도엽별 TIN(Triangular Irregular Network) 자료를 생성한 후 이를 DEM(grid, 5m 해상도)으 로 생성하여 표고, 경사, 방위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습윤지수는 DEM으로부터 Fill sinks 작업을 실시하고, 지형형태를 분석한 후 물의 흐름과 누적량을 계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Multiple Flow Direction (Freeman 1991; Quinn et al. 1991)을 사용하였고, 수치도면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DEMON simulates (Costa-Cabral & Burgess 1994)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산림토양형 분포도는 기존 1/25,000 축척의 산림입지도에 일부 현지조사와 잠정 입지구획 자료를 적용하여 작성하였다. 대상지역별 입지환경 통계자 료 분석은 2007년에는 을수동이 포함된 중북부지역인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2008 년에는 운문골이 포함된 남동부지역인 경상남북도 지역, 2009년에는 두륜산이 포함된 남서부지역인 전라남북도의 산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5 다. 현지조사 입지환경 조사지를 대상으로 미세지형, 표고, 경사, 방위 등 지형적 인자와 토성, 토심, 건습도 등 토양환경 인자를 조사하였다. 이중 토양환경은 토양단면(폭 1m, 깊 이 1m)을 파서 단면상에 나타나는 토양특성을 산림입지도(1:5,000) 제작 표준매뉴얼 (이승우, 2009)에 준하여 파악하였다. A층과 B층으로 구분된 토양인자별 조사표의 양 식은 아래 표 5와 같다. <표 5> 산림토양단면 조사표 항 목 A 층 위 B 토양형 : 낙엽층두께(cm) 유효토심(cm) 토 심(cm) 토 색 / / 풍화정도 상 중 하 토 성 SL L SiL SiCL SCL CL LS S 토양단면사진 토 구 양 조 세립 입 상 홑알 떼 알 무 구 조 견과 괴 상 판상 벽 상 건습도 건조 약건 적윤 약습 석력함량 (%) < 5 5-15 15-30 30-50 50< 견밀도 (kg/cm 2 ) <0.5 0.5-1.0 1.0-2.0 2.0-3.5 3.5 < 라. 토양시료 채취 및 분석 토양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위한 토양시료는 10cm 단위의 토양깊이 또는 A층과 B 층의 층위별로 구분하여 채취하였다. 채취한 토양은 실내 풍건하여 2mm 이하로 체 별한 후 토양 물리화학성 분석에 이용하였다. 토양 phh2o(ph meter법), 유기물(건

1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식연소법-CN analyzer), 전질소(Kjeldahk법), 유효인산(Lancaster법), 양이온치환용량 (Brown 간이법), 치환성 K, Na, Ca, Mg(원자흡광도분석법), 토성(입도분석법) 등 기 초 물리화학성은 토양식물체 분석법에 준하였다(NIAST, 2000). 7. 생태지도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모든 현장조사에는 GPS를 활용하였고, 위성영상, 지형자료, 기후자료, 수치임상도, 산림입지도 등의 주제도는 모두 동일한 좌표체계 (TM 중부원점)로 전환하여 자료의 추출 또는 접합 과정을 거친 후 분석효율성 및 자 료의 특징에 따라 래스터와 벡터 형태로 저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면 경계 불일치, 지오메트리, 좌표계의 잘못된 정의 등으로 발생한 문제점들을 가능한 수정하였다. 상 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공동조사지의 지형분석을 위한 기본자료는 1:5000 수치지형도 를 기반으로 등고선 및 표고점 레이어를 추출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제작하고 지형분석 및 시각화에 이용하였다. 남한지역을 3분할하여 조사하였던 조사지역은 규모가 큰 관 계로 환경부의 USGS DEM(1초 격자)을 기반으로 도면제작에 활용하였다. 기온 및 강 수량 자료는 1970년~2000년까지 정규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지형기 후관계식을 이용하여 공간내삽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사량은 제작된 수치고도모형 을 기반으로 hemispherical viewshed algorithm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도면 제작에 사용된 중 고해상도 위성영상은 Landsat(해상도 30m), IKONOS(해상도 1m급)영상에 따라 약간의 방법적 차이는 있으나 기하보정 및 방사보정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 게 되는데 위성영상이 지형의 굴곡으로 인해 가지는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앞서 작 성된 수치고도모형을 활용하였다. 극다중분광 위성영상인 MODIS는 전국 규모의 식 생지수를 표현하기 위해 MOD13A2t product를 활용하였다. 공동조사지에서 생산된 식생,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버섯류,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분포 정보들은 조사 시 함께 획득된 좌표를 기반으로 대부분 점의 형태로 공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되었고 기존의 조사자료 및 향후 추가되는 자료와 더불어 우리나라 생물분포의 경향 을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과 및 고찰 17 Ⅲ. 결과 및 고찰 1. 중부 지역 산림생태지도 작성 가. 기반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1) 연구대상지역 1차년도인 2007년의 연구대상지인 중부지역은 경기도와 강원도를 의미한다. 또한 공동조사지는 타 지역에 비해 인적이 드물고 훼손이 적은 강원도 홍천군의 을수동 유역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 지리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생물관련정보, 입지관 련정보들을 수집하고 가공하였으며 동일한 좌표체계상에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그 지리적 범위와 행정구역상의 면적은 그림 4 및 표 6과 같다.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3년에 걸쳐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물인 전국규모의 생태지도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적인 연구목표이므로 현 단계에서는 그 기반이 되는 정보들을 수집하는 데에 중점 을 두었다. <그림 4> 연구대상지(좌: 중부지역, 우: 을수동)

18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6> 연구대상지 면적 지역 면적(ha) 강원도 1,691,574.3 경기도 1,009,455.9 서울특별시 60,770.3 인천광역시 98,640.3 계 2,860,441.0 을수동지역 5,135.7 표 7은 연구대상지역에 대하여 수집, 가공 처리된 GIS 데이터베이스 목록으로서 국립산림과학원의 수치임상도 및 수치산림입지도 자료를 비롯하여 국립지리원, 환경 부 등 여러 기관에서 작성한 주제도를 모두 동일한 TM 중부원점 좌표계로 통일하고, 접합 또는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 후 분석효율성에 따라 ESRI Grid, Imagine image, 20Shape file 형태로 저장하였다. 남한전역의 생태지도 작성을 위하여 기존에 조사된 자료들의 정리를 비롯하여 신규로 조사하는 지역의 식생유형이나 소생물권유형들도 모두 지오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식생관련 자료 들은 조사방법, 조사자의 주관, 야장에 기록된 항목, 위치정확도, 스케일 등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를 표준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 중이다. 그림 5는 을수동 유역의 조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예로서 그 결과는 그림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들은 남한의 주요식생유형 분류 및 생태지도 제작의 기본 자료로 이용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자료의 양이 방대하고 식생관련정보 외에도 포유류, 조류, 어류, 곤충, 버섯류, 지의류 등 다양한 생물정보들을 계속 데이터베이스화할 예 정이어서 자료의 저장과 분류, 검색이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과정의 하나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생태학 분야 에서는 정보관리와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개념이 아직 접목되지 못하고 있다. 생태정 보를 비롯한 생태정보 메타데이타 관리방법의 기준이 제시된 바 없으며 이와 같은 생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도 전무한 실정이다. 향후 급속히 증가하는 정보 를 수집하는 단계를 넘어 다양한 분야의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얻도록 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과 및 고찰 19 <표 7> 연구대상지 데이터베이스 목록 지형, 지질 토양 기후, 기상 수문 행정 자연 환경 위성 영상 공간적규모 자료형 자료출처 비고 중부지역 (경기,강원) 집중조사지역 (을수동) 음영기복 30m x 30m 5m x 5m 래스터 USGS DEM, 수치지도 표고 30m x 30m 5m x 5m 래스터 USGS DEM, 수치지도 경사 30m x 30m 5m x 5m 래스터 USGS DEM, 수치지도 사면방위 30m x 30m 5m x 5m 래스터 USGS DEM, 수치지도 지질 1/250000 1/250000 벡터 수치지질도(지질자원 연구원) 토양형 1/25000 1/25000 벡터 수치산림입지도 암석노출 1/25000 1/25000 벡터 수치산림입지도 토성 1/25000 1/25000 벡터 수치산림입지도 토심 1/25000 1/25000 벡터 수치산림입지도 유기물 1/25000 1/25000 벡터 수치산림입지도 최고기온 1km x 1km 250m x 250m 래스터 전자기후도 월자료 최저기온 1km x 1km 250m x 250m 래스터 전자기후도 월자료 평균기온 1km x 1km 250m x 250m 래스터 전자기후도 월자료 강우량 1km x 1km 250m x 250m 래스터 전자기후도 월자료 일사량 1km x 1km 250m x 250m 래스터 전자기후도, 모형 월자료 기후변화 시나리오 27km x 27km 불가 래스터 국립기상연구소 일자료 유역 1/50000 1/5000 벡터 수자원공사, 수치지도 하천 1/50000 1/5000 벡터 수자원공사, 수치지도 행정구역 현 행정구역체계 현 행정구역체계 벡터 국토지리정보원 도로망 1/25000 1/5000 벡터 국토지리정보원 인구밀도 시군 시군 벡터 국토지리정보원 공원 불분명 벡터 국립공원관리공단 활엽수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침엽수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혼효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소나무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참나무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조림지 1/25000 1/25000 벡터 수치임상도 주요생물 1/25000 1/25000 래스터 조사자료 종분포 내삽, 추정 모형 생태지역도 1/1,000.000 불가 벡터 산림생태과 토지피복도 30m x 30m 다양 래스터 환경부,영상분류 식생지수 500m x 500m 다양 래스터 프로덕트 및 모형 엽면적지수 500m x 500m 다양 래스터 프로덕트 및 모형

2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그림 5> 을수동지역 조사자료의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예 <그림 6> 을수동지역의 주요 군락유형

Ⅲ. 결과 및 고찰 21 (2) 척추동물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출현한 척추동물의 분포도를 나타냈는데, 파충류, 양서 파충 류는 모든 종을 포함했으며 조류는 일부종(해양성 조류 제외)을 포함했다. 포유류 46 종, 조류 90종, 파충류 21종, 양서류 17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외래종도 포함하였다. 이 DB를 토대로 향후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림 7> 환경부 DB중 포유류 기록 지점 <그림 8> 환경부 DB중 조류 기록 지점 <그림 9> 환경부 DB중 양서류 기록 지점 <그림 10> 환경부 DB중 파충류 기록 지점 (3) 곤충 우리나라에서는 수많은 곤충상 조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량화 되지 않은 조사방 법, 불명확한 조사지 위치, 소수에 의한 다양한 분류군의 동정으로 인한 부정확한 동 정 등으로 자료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 확한 동정이 가능한 범위의 특정분류군에 대한 정량적인 조사가 현실적인 대안일 것 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비류, 개미류 등 지구온난화나 서식처 변화 등을 파악하기 위

2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한 지표생물로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곤충군을 중심으로 분포모델, 다 양도지도 등 개체군이나 군집의 분포특성을 표현해 줄 수 있는 생태지도를 작성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본 조사는 명확한 조사방법과 GPS에 의한 조사지의 정확한 위치선정 등 타 연구 자들에 의해 재현 가능할 수 있게 조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나중에 동일한 장소 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한다면 우리나라 곤충상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비목의 경우에는 전국 규모의 조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기존의 조사자료를 정리하고 있다(표 8). 자나방은 야간에 채집해야 하는 방법상의 약점으로 인해 나비 류나 개미류와 같이 전국을 포괄하는 조사는 불가능하나, 적정수의 조사지에 대한 조 사를 통해 조사 자료를 축적시켜 이를 기존 조사자료들과 종합하여 전체적인 전국분 포상황을 파악하였다. <표 8> 나비류와 나방류의 데이터베이스에 활용할 기존 문헌 종류 편수 문헌 사례 나비류 50 Kim, Y.S., 2002. Illustrated book of Korean butterflies in color. Kyohak Pub., Seoul. 305pp. 손재천 김성수 김병록 신유항, 1999. 경기만 내 영종도 일대의 나비목 곤충상. 韓 生 硏 誌, 4: 245-258. 朱 興 在, 1999. 濟 州 島 産 나비의 未 記 錄 種 과 追 加 種. 한국나비 학회지, 12: 39-40. 김성수 주흥재, 1999. 한국산 석물결나비와 물결나비의 분포 및 생태적 특성. 한국나비학회지, 11: 37-43. 나방류 130 Beljaev, E.V., 1996. "Winter" Geometridae (Lepidoptera) of Japan sea region. Taxonomic composition,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features, biogeographic analysis. A. I. Kurentsov's Annual Memorial Meetings 6: 33-76. (in Russian). Choi, S.W., S.S. Kim and Y.H. Shin, 1998. Systematics of the tribe Abraxini (Lepidoptera, Geometridae, Ennominae) in South Korea. Ins. Koreana 15: 41-76. Kim, S.S., 2002. Moths collected in Mt. Hallasan, Jeju island mostly at higher altitudes. Lucanus 3: 9-12. Kim, S.S. and Y.H. Shin, 1996a. Notes on eleven unrecorded and nineteen little known geometrid moths from Korea. J. Lepid. Soc. Korea 9: 15-25. Kim, S.S. and Y.H. Shin, 1996b. Review of the winter geometrid moths in Korea (Lepidoptera, Geometridae). Korean J. Entomol. 26(4): 313-333.

Ⅲ. 결과 및 고찰 23 나. 생물상 및 입지환경 현지조사 (1) 식생분류 (가) 중부지역 중부지역(경기, 강원) 주요산림 군집의 식생유형 분류를 위하여 기존 식생자료와 식생자료가 미약한 지역을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산림군집이 분포하는 조사지는 경기도 인천시 강화도 마니산,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광릉 죽엽산 (소리봉),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춘천시, 화천군 화악산,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설악산, 강원도 영월군, 정선군, 동해시, 충북 단양군 석회암지대, 강원도와 경상북도 의 경계지점 면산과 공동조사지역인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계방산과 오대산의 을수동 유역이 포함되었다(그림 11). 산 설악산 중점조사지역 계방산 석 회 암 지 대 면산 <그림 11> 중부지역 조사위치

2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1) 마니산의 식생 마니산은 소사나무군락과 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소사나무군락은 신갈나무 군과 때죽나무군으로 세분되었고, 신갈나무군은 다시 소나무소군과 덜꿩나무소군으로, 때죽나무군은 굴참나무소군과 담쟁이덩굴소군으로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 류되었다(표 9). <표 9> 마니산의 식생유형 군락 군 소군 식생단위 Ⅰ.소사나무 1. 신갈나무 A. 소나무 1 B. 덜꿩나무 2 2. 때죽나무 A. 굴참나무 3 B. 담쟁이덩굴 4 Ⅱ.쉬나무 5 군락단위의 소사나무군락은 소사나무, 생강나무, 팥배나무, 물푸레나무, 산딸나무, 대사초, 쉬나무군락은 쉬나무, 병아리꽃나무, 줄사철, 줄딸기, 장구밥나무, 명아주를 식별종 및 표징종으로 분석되었다. 소사나무군락에서 구분된 신갈나무군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진달래, 맑은대쑥, 산거울이었으며, 때죽나무군의 식별종은 때죽나무, 밤나 무, 고로쇠나무, 상수리나무, 쪽동백나무, 주름조개풀, 천남성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 군 중 소나무소군은 소나무로, 덜꿩나무소군은 덜꿩나무, 실새풀, 가는잎족제비고사 리, 고깔제비꽃, 삽주가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2) 설악산의 식생 설악산은 분비나무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분비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과 개 들쭉군락으로 구분되었고, 철쭉군락은 만주고사리군과 함박꽃나무군으로, 개들쭉군락 은 눈잣나무와 눈향나무군으로 세분되었다. 함박꽃나무군은 다시 시닥나무소군과 뽕 잎피나무소군으로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표 10).

Ⅲ. 결과 및 고찰 25 <표 10> 설악산의 식생유형 군락군 군락 군 소군 식생단위 Ⅰ.분비나무 1.철쭉 A.만주고사리 1 B.함박꽃나무 a.시닥나무 2 b.뽕잎피나무 3 2.개들쭉 C.눈잣나무 4 D.눈향나무 5 분비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분비나무, 신갈나무, 미역줄나무, 꽃개회나무, 새, 사스 래나무, 미역취, 홍괴불나무 등이었으며, 군락단위에서 철쭉군락은 철쭉, 귀룽나무, 당 단풍, 대사초, 박새, 수리취, 산꿩의다리, 개들쭉군락은 개들쭉, 고본, 눈측백, 김의털 이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철쭉군락에서 구분된 만주고사리군의 식별종은 만주고로쇠, 요강나물, 지리강활, 넓잎외잎쑥, 참나물, 큰개현삼 등이었으며, 함박꽃나무군의 식별 종은 함박꽃나무, 풀솜대, 노루오줌으로 나타났다. 개들쭉군락에서 구분된 눈잣나무군 의 식별종은 눈잣나무, 등대시호, 만주송이풀, 범꼬리, 산오이풀, 가새사스래, 월귤, 홍월귤 등이었으며, 눈향나무군의 식별종은 눈향나무, 쉬땅나무, 다람쥐꼬리, 기생꽃, 좀분버들, 매발톱나무로 나타났다. 함박꽃나무군에서 분류된 시닥나무소군의 식별종은 시닥나무, 나래박쥐나물, 인가목, 단풍취, 만주송이풀, 뱀고사리, 뽕잎피나무소군의 식 별종은 뽕잎피나무, 부게꽃나무, 산개고사리, 설악눈주목으로 분석되었다. 3) 화악산의 식생 화악산은 신갈나무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귀룽나무군락 과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고, 귀룽나무군락은 분비나무군과 거제수나무군으로 분 류되었다. 귀룽나무군락은 분비나무군과 거제수나무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비나무군 은 눈측백나무소군과 매발톱나무소군 그리고 눈측백소군과 매발톱나무소군의 식별종 이 출현하지 않는 분비나무전형소군의 3개 소군으로, 거제수나무군은 난티나무소군, 버드나무소군과 난티나무소군과 버드나무소군의 식별종이 출현하지 않는 거제수나무 전형소군의 3개 소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표 11).

2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1> 화악산의 식생유형 군 락 군 군 락 군 소 군 식생단위 Ⅰ. 신갈나무 A. 귀룽나무 1. 분비나무 a. 눈측백나무 1 b. 매발톱나무 2 c. 분비나무전형 3 2. 거제수나무 a. 난티나무 4 b. 버드나무 5 c. 거제수나무전형 6 B. 굴참나무 7 신갈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신갈나무, 당단풍, 미역줄나무, 대사초로 나타났고, 군 락단위에서 귀룽나무 군락의 식별종은 귀룽나무, 오미자, 청시닥나무, 떡버들, 물참대, 관중, 십자고사리, 고광나무, 까치박달, 피나무 등이며, 굴참나무군락의 식별종은 굴참 나무, 졸참나무, 조록싸리, 큰기름새, 개옻나무, 고사리, 물박달나무, 삽주, 맑은대쑥, 소나무, 꽃며느리밥풀 등으로 나타났다. 귀룽나무군락의 분비나무군 식별종은 분비나 무, 사스래나무, 참조팝나무, 시닥나무, 쉬땅나무, 까치고들빼기, 바위채송화, 정향나 무, 곰취, 동자꽃, 송이풀, 개시호, 선이질풀 등이었으며, 거제수나무군의 식별종은 거 제수나무, 황벽나무, 가래나무, 산수국, 전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분비나무군에서 세분 된 눈측백나무군소군은 눈측백, 다람쥐꼬리, 돌양지꽃이, 매발톱나무소군은 매발톱나 무와 구슬댕댕이가 각각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거제수나무군의 난티나무소군 식별종 은 난티나무, 복장나무, 도깨비부채이었으며, 버드나무소군의 식별종은 버드나무, 산 겨릅나무, 갯버들, 좀깨잎나무로 나타났다. 4) 광릉 죽엽산의 식생 광릉 죽엽산(소리봉)은 졸참나무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졸참나무군락군은 소나무군락과 층층나무군락으로 구분되어 총 2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표 12). <표 12> 광릉 소리봉의 식생유형 군 락 군 군 락 식생단위 Ⅰ. 졸참나무 A. 소나무 1 B. 층층나무 2

Ⅲ. 결과 및 고찰 27 졸참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졸참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산딸나무, 팥배나무, 쪽 동백나무, 물푸레나무 등으로 나타났고, 군락단위에서 소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소나무, 진달래, 맑은대쑥, 그늘사초이며, 층층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층층나무, 풍게나무, 벌깨 덩굴, 박쥐나무, 십자고사리, 노루귀 등으로 나타났다. 5) 면산의 식생 면산은 신갈무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가래나무군락과 철 쭉군락으로 구분되어졌다(표 13). 가래나무군락은 다시 야광나무군과 복장나무군, 그 리고 이들 식별종이 출현하지 않는 가래나무전형군인 3개의 군으로 세분되어 졌으며, 철쭉군락은 시닥나무군과 노린재나무군, 진달래군, 그리고 철쭉전형군으로 세분되어 총 7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표 13> 면산의 식생유형 군 락 군 군 락 군 식생단위 Ⅰ. 신갈나무 A. 가래나무 1. 야광나무 1 2. 복장나무 2 3. 가래나무전형 3 B. 철쭉 1. 시닥나무 4 2. 노린재나무 5 3. 진달래 6 4. 철쭉전형 7 신갈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조록싸리, 생강나무 등으로 나타났고, 군락단위에서 가래나무군락의 식별종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까치박 달, 고추나무, 십자고사리, 물참대 등이며, 철쭉군락의 식별종은 철쭉, 미역줄나무로 나타났다. 가래나무군락에서 야광나무군의 식별종은 야광나무, 여우오줌, 당개지치, 궁궁이 등이며, 복장나무군은 복장나무와 난티나무가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철쭉군락 의 시닥나무군 식별종은 시닥나무, 사시나무, 터리풀, 청시닥나무로, 노린재나무군의 식별종은 노린재나무, 수리취, 밀나물, 애기나리, 비비추 등이며, 진달래군의 식별종은 진달래, 기름나물, 꼬리진달래, 산앵도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28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6) 석회암지대의 식생 석회암지대는 굴참나무군락군과 신갈나무군락군의 2개 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표 14). 굴참나무군락군은 측백나무군락과 잔솔잎사초군락으로 신갈나무군락군은 잣 나무군락과 오리나무군락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측백나무군락은 솔체꽃군과 측백나무 전형군의 2개 군으로 각각 세분되었고, 잔솔잎사초군락은 나도송이풀군과 갈기조팝나 무군으로 세분되었다. 잣나무군락은 개박달나무군과 줄딸기군으로 세분되었다. 솔체꽃 군은 고염나무소군과 솔체꽃전형소군으로 세분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표 14> 석회암지대의 식생유형 군 락 군 군 락 군 소 군 식생단위 Ⅰ. 굴참나무 A. 측백나무 1. 솔체꽃 a. 고염나무 1 b. 솔체꽃전형 2 2. 측백나무전형 3 B. 잔솔잎사초 1. 나도송이풀 4 2. 갈기조팝나무 5 Ⅱ. 신갈나무 A. 잣나무 1. 개박달나무 6 2. 줄딸기 7 B. 오리나무 8 굴참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굴참나무, 왕느릅나무, 소태나무, 노간주나무, 참갈매나 무, 분꽃나무, 돌마타리, 솔새, 붉나무 등이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신갈나 무와 당단풍나무가 나타났다. 군락단위에서 측백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측백나무, 땅비 싸리, 털갈매나무, 고삼, 털댕강나무, 노박덩굴 등이었으며, 잔솔잎사초군락의 식별종 은 잔솔잎사초와 비술나무로 나타났다. 잣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잣나무, 대사초, 천남 성, 곰딸기로 나타났으며, 오리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오리나무, 묏미나리, 동의나물, 신 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측백나무군락의 솔체꽃군의 식별종은 솔체꽃, 아구장나무, 백 선, 딱지꽃 등으로 나타났으며, 잔솔잎사초군락의 나도송이풀군은 나도송이풀, 대나 물, 자주방아풀, 뻐꾹채로, 갈기조팝나무군은 갈기조팝나무, 동강할미꽃, 대극, 줄댕강 나무, 향나무, 산철쭉으로 나타났다. 잣나무군락의 개박달나무군은 개박달나무, 산구 절초, 가는대나물, 백리향으로, 줄딸기군은 줄딸기, 딱총나무, 산국, 층층나무, 가래나

Ⅲ. 결과 및 고찰 29 무 등으로 나타났다. 솔체꽃군의 고욤나무소군은 고욤나무, 가중나무, 찔레, 느티나무, 인동덩굴, 갈참나무가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나) 을수동 유역(공동조사지)의 식생 1) 조사지 개황 ㆍ 조사시기 : 2007년 7월 ~ 2007년 10월 ㆍ 행정구역 :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 ㆍ 생태권역 : 산악권역 ㆍ 최고봉 해발고 : 1,577m ㆍ 조사지 개소 : 64개소 ㆍ 총 임분개수 : 18개 ㆍ 총 출현종수 : 378종 2) 상관 우점종에 의한 군락 분류 계방산 을수동의 상관 우점종에 따른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18개 군락으로 신갈 나무군락이 12개소, 분비나무군락이 10개소, 소나무군락이 8개소, 황철나무군락이 6개 소, 주목이 5개소, 전나무군락과 쪽버들군락이 각각 3개소, 갈매나무군락, 복장나무군 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이 각각 2개소, 황벽나무군락, 잣나무군락, 음나무군락, 사스래나 무군락, 뽕잎피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난티나무군락, 까치박달군락, 쉬땅나무군락, 가문비나무군락이 각각 1개소로 분류되었다. 3) 식생유형 및 식생단위 을수동은 신갈나무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분비나무군락 과 물푸레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표 15). 분비나무군락은 털진달래군과 주목군으로 세분되어졌으며, 물푸레나무군락은 황철나무, 소나무, 갈매나무, 물푸레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어 총 6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3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5> 을수동 식생유형 군락군 군락 군 식생단위 Ⅰ.신갈나무 1. 분비나무 A. 털진달래 1 B. 주목 2 2. 물푸레나무 A. 황철나무 3 B. 소나무 4 C. 갈매나무 5 D. 물푸레나무전형 6 4) 표징종 및 식별종 신갈나무군락군의 표징종은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미역줄나무, 대사초 등으로 나타 났고, 군락단위에서 분비나무군락의 식별종은 분비나무, 사스래나무, 꽃개회나무, 두 루미꽃, 마가목, 만병초, 나래회나무로 나타났으며, 물푸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물푸 레나무, 들메나무, 난티나무, 고광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분비나무군락 중 털진달래군 은 털진달래, 금마타리, 산앵도나무, 돌양지꽃이 주목군은 주목, 가문비나무, 다람쥐꼬 리, 부게꽃나무, 연령초가 각각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물푸레나무군락 중 황철나무군 은 황철나무, 쪽버들, 속새, 동의나물, 황벽나무로, 소나무군은 소나무, 박달나무, 진 달래, 쪽동백나무가, 갈매나무군은 갈매나무, 갈퀴꼭두서니, 세잎쥐손이풀, 어수리, 금 강제비꽃 등이 각각 식별종으로 나타났다. 5) 식생단위의 입지 및 임분특성 식생단위 1과 식생단위 2는 사면상부의 지형으로 평균해발고가 1,400m 이상이었으 며, 식생단위 1은 평균토양노출도가 11%로 6개의 식생단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생단위 3은 지형이 계곡이 대부분이었으며, 평균암석노출도가 42%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교목층 평균수고가 18m, 아교목층 평균수고가 9m, 관목층 평균수고가 3m 로 다른 식생단위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평균출현종수는 37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식생단위 5는 교목층의 평균식피율이 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목층의 평균식피율은 37%로 가장 낮았고, 초본층의 평균식피율이 93%로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식생단위 6의 평균흉고직경이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이 52cm, 15cm, 4cm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Ⅲ. 결과 및 고찰 31 <표 16> 을수동 산림식생의 상재도표 식생단위 1 2 3 4 5 6 해발(m) 1,429 1,465 842 784 1,330 1,001 경사( ) 23 22 9 28 15 24 지형 U U V L U U 암석노출도(%) 33 18 42 24 5 32 토양노출도(%) 11 3 4 4 1 1 낙엽층깊이(cm) 5 4 4 5 4 5 T1 식피율(%) 75 66 68 87 88 85 T2 식피율(%) 37 41 47 51 37 55 S 식피율(%) 59 53 50 51 39 38 H 식피율(%) 83 85 66 51 93 63 T1 수고(m) 11 10 18 17 14 20 T2 수고(m) 5 5 9 7 6 8 S 수고(m) 2 2 3 2 3 3 T1 DBH(cm) 29 45 30 36 31 52 T2 DBH(cm) 8 9 12 14 8 15 S DBH(cm) 2 2 3 2 2 4 출현종수 31 36 37 21 41 28 조사지수 6 17 20 7 9 3 1.신갈나무군락군 신갈나무 V25 III14 III+2 III12 IV25 2+5 당단풍 V23 III13 IV+3 V+3 III13 233 미역줄나무 V+2 IV+3 IV+2 II++ IV+2 1++ 대사초 V+2 IV+3 II+2 III+3 II+2 111 2. 분비나무군락 분비나무 V14 IV+5 R++ - - - 사스래나무 V12 IV15 - - I11 - 꽃개회나무 IV+3 IV+3 - - - - 두루미꽃 III+3 II+3 - - - - 마가목 V+2 V14 - I++ I22 - 만병초 II++ II+3 - - - - 나래회나무 II+1 III+2 - - I11-3. 털진달래군 털진달래 IV13 I+2 - - - - 금마타리 Vr2 I++ - I33 - - 산앵도나무 IV+2 I13 R++ I11 - - 돌양지꽃 II++ - - - - - 4. 주목군 주목 - IV+4 - - - - 가문비나무 - II14 - - - - 다람쥐꼬리 - III++ - - - - 부게꽃나무 I11 III13 I11 - - - 연령초 - II++ I+1 - I++ -

3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5. 물푸레나무군락 물푸레나무 - I11 IV+2 IV+2 IV12 212 들메나무 - - III+3 I11 II14 - 난티나무 - I11 III+5 I11 II12 111 고광나무 - I++ III+3 - II+1 1++ 물참대 - I22 IV+4 I++ II+1 1++ 오미자 - I+2 III+3 III+2 II+3 212 전나무 I11 - III+5 III+4 II+1 224 6. 황철나무군 황철나무 - - IV15 - - - 쪽버들 - - II+5 - - - 속새 - - II+2 - - - 동의나물 - - I+2 - - - 황벽나무 - - I+4 - - - 7. 소나무군 소나무 - - I45 V25 - - 박달나무 - - I+1 III15 - - 진달래 - - I+1 III12 - - 쪽동백나무 - - I+1 V+2-111 8. 갈매나무군 갈매나무 - - R++ - III24 - 갈퀴꼭두서니 - I++ - - IV++ - 세잎쥐손이풀 - - - - III+1 - 어수리 - I++ - - III+1 - 금강제비꽃 - I++ - - II+1 - 비늘고사리 - - - - II+1 - 노린재나무 - I11 - - II12 1++ 9. 수반종군 산겨릅나무 I++ I+1 III+2 II++ I++ 111 뽕잎피나무 III11 - II+5 I++ I22 2+1 노루오줌 IV+1 III+2 IIIr3 I11 IVr3 - 피나무 I22 I+1 II+2 I++ II+2 111 실새풀 V14 III+3 I+1 I++ IV14 1++ 함박꽃나무 I++ III+3 II12 II++ III12 - 도깨비부채 - II24 III+2 I++ I++ - 복장나무 - I11 II14 I11 III+2 111 관중 I11 IV+3 III+2 - III+3 122 송이풀 IV+1 V+3 I++ - III+1 122 참나물 II11 IV+1 I++ - IV+2 - 큰개별꽃 III+1 IV+2 I+1 - V12 1++ 벌깨덩굴 I++ III+1 IIr2 I11 V+1 1++ 승마 - II+1 II+1 III++ II+1 1++ 모시대 II+1 II+1 II+1 - IV+1 - 투구꽃 I++ III+1 I++ I++ IV++ - 잣나무 III15 III+1 I++ IIIr1-111

Ⅲ. 결과 및 고찰 33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당귀 II+1 III+1 I+1 Irr I++ - 철쭉 V14 II13 R11 III23 I22 1++ 미역취 III++ III+1 I++ I++ - 2++ 산돌배나무 I11 - II+2 - III+1 211 넓은잎외잎쑥 IV+1 II+1 I++ - II+1 1++ 물개암나무 II++ II+2 I+1 II++ - 1++ 개다래 II++ I11 II+2 - I++ - 바위떡풀 III+2 I+2 I+3 - - - 까치밥나무 - II+1 I+2 - II++ - 산일엽초 IIr+ I++ II++ - - - 도라지모시대 I++ I++ I+1 - I++ 2r+ 두메고들빼기 - I++ I++ - III++ - 천남성 - II++ Rrr I++ I++ 1++ 당분취 I++ I13 I12 - II+1 - 팥배나무 II+1 - I+1 I++ II+2 - 회나무 I++ - I+1 I++ III+2 - 산거울 II+2 I22 I+1 III+2 - - 구슬댕댕이 - I+1 - I22 II+3 1++ 고로쇠나무 III+2 I11 V+3 IV+2 III12 212 짚신나물 - - III+1 - II+1 - 딱총나무 - I11 Ir2 - II++ 2++ 산딸기 - - IIr+ II++ II+1 1rr 다래 - - II13 III11-1++ 까치박달 I++ - III+4 IIIr1 I33 111 조릿대 I11 I11 R++ III14 II34 225 뫼제비꽃 - I+1 I+1 I++ - 1++ 거제수나무 - I11 I11 II11 I11 - 시닥나무 - III+2 III13 - IV+2 122 귀룽나무 - III+3 III13 I++ III+2 2+1 박새 - IV+2 Ir1 - IV+3 - 단풍취 I33 II+3 R++ I22 IV+3 - 청시닥나무 IV12 V13 I+1 - III+3 - 쉬땅나무 - I11 III12 I++ I22 - 노랑물봉선 - I++ II+1 - II+1 1++ 곰취 I++ IV+1 R++ - IV+1 - 터리풀 I++ III+3 - - V14 - 각시서덜취 I11 IIIr2 - - III+2 - 동자꽃 - II+1 R11 - IV+1 1++ 진범 - II+1 R++ - IV+1 - 개시호 II++ III+1 - - III++ 1++ 산괭이눈 - - I+1 - - - 회목나무 II11 - I+1 III+1-211 음나무 II11 I22 II+2 - - 224 노루발 I11 - I++ II++ - - 십자고사리 - II+1 II+2 II++ I++ 111

3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참취 II+1 I++ R++ - III++ - 지리강활 II++ I+1 - - II++ - 큰산꼬리풀 I++ I++ - - - - 큰개현삼 - I++ - - I++ - 고비고사리 - - - - II++ - 광릉갈퀴 - I++ - - III++ - 세잎양지꽃 I++ I++ - - II++ - 나비나물 - I++ - - II++ - 둥근털제비꽃 - - R++ I++ - - 삿갓나물 I++ III++ - - I11 - 쥐다래 - II+2 R11 - I11 - 나래박쥐나물 I++ IV+3 Ir1 - II++ - 개고사리 II++ III+2 I++ - II+1 - 눈개승마 I11 II14 - - I11 - 서덜취 - II+2 R++ I++ II++ - 붉은병꽃나무 I++ II12 R11 - I++ - 괴불나무 - II+2 R++ - I22 - 부채마 - - I++ - - - 족도리 Irr IIIr+ - - II++ - 은꿩의다리 II++ II++ R++ - II++ - 꼭두서니 I++ II++ - - II+1 - 바디나물 - II+1 R++ - Irr - 풀솜대 I++ II+1 - - IV++ - 두메취 I11 II+1 - - II++ - 말나리 - IIr1 - - IIr1 - 산박하 I11 II13 I+1 I++ V+3 3++ 물레나물 - I++ Ir+ - - - 참빗살나무 - I++ R++ - - 1++ 퉁둥굴레 - - I++ - I++ - 참나도히초미 I++ I+3 I+2 - I11 - 꿩의다리 - - R++ I++ II++ - 큰괭이밥 - - R++ - II++ 1++ 산개벚지나무 I++ I++ R++ - - - 매발톱나무 - I11 R++ - Irr - 삿갓사초 - I++ - - - - 애기괭이밥 - I++ - - - - 용담 - I++ - - - - 거북꼬리 - - R++ - II+2 - 꽃쥐손이 - I+3 - - I++ - 개암나무 - I++ - - I11 - 여로 - I11 - - II++ - 병조희풀 - - - - II++ - 까치고들빼기 I++ - - I++ - - 종덩굴 I++ I++ - - - - 새 - I33 R11 - - -

Ⅲ. 결과 및 고찰 35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노루귀 I22 I22 - - - 111 느릅나무 - - I+1 II++ - - 개면마 - - R++ - I++ - 참바위취 - - R11 - I++ - 꿩의다리아재비 I++ I+1 - - I++ - 애기나리 II++ I++ - - I++ - 백당나무 - I+1 - - I++ - 은방울꽃 - I++ - - - - 참조팝나무 - I+1 - - - - 칼잎용담 I++ Ir+ - - - - 층층나무 - II12 II13 I11 - - 두릅나무 - I++ II+1 - I++ - 멸가치 - - II+2 - II++ - 나도국수 I11 I11 I+1 - - - 뱀무 - I11 I++ - - - 미나리냉이 - - I+3 - II+1 - 가는잎쐐기풀 - - I+1 - I++ - 병꽃나무 - I11 II+1 II+1 - - 정향나무 - I++ II+2 I++ - 111 국수나무 - - I++ II+1 I++ - 참반디 - - I+1 - I++ 111 노박덩굴 - - II+1 - - - 산뽕나무 - - I+1 I22 - - 등칡 - - I13 II++ - - 머루 - - I++ - - - 갯버들 - - I+3 - - - 생강나무 - - I+2 V+2-2+2 다릅나무 - - I+1 III+1-111 고추나무 - - I+1 I22 - - 개머루 - - I++ I++ - - 꿀풀 - - I+1 - - - 민박쥐나물 - - I++ - - 1++ 싸리 - - I+3 - - - 태백제비꽃 - - R++ I++ - 1++ 가래나무 - - I++ - - - 개망초 - - I+3 - - - 개옻나무 - - I+2 - - - 노루참나물 - - I+1 - - - 달맞이꽃 - - I+1 - - - 도루박이 - - I++ - - - 미꾸리낚시 - - I++ - - - 뻐꾹채 - - I++ - - - 세잎꿩의비름 - - I++ - - - 억새 - - I12 - - - 좀도깨비사초 - - I++ - - -

3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꽃며느리밥풀 - - R++ I++ - - 혹느릅나무 - - R++ I++ - - 피나물 - - R11 - I++ - 개벚나무 - I11 R++ - - - 괭이밥 - - - - I++ 111 마타리 - - R++ - I++ - 광대수염 - - I+3 - - - 꽃황새냉이 - - I+1 - - - 두메담배풀 - - I+1 - - - 호랑버들 I11 - R11 - - - 털고사리 - - I11 - - - 개갈퀴 - - I+1 - - - 긴사상자 - - I+1 - - - 까실쑥부쟁이 - - I++ I++ - - 말털이슬 - - I++ - - - 우단일엽 - - I11 - - - 혹쐐기풀 - - I++ - - - 참회나무 - - I+2 I++ - - 파리풀 - - I+1 - - - 곰딸기 - - Ir+ - - - 물양지꽃 - - I+1 - - - 서어나무 - - I+2 I++ - - 개별꽃 - - R++ - - 1++ 긴담배풀 - - I++ - - - 놋젓가락나물 - - I++ - - - 뱀딸기 - - I++ - - - 쇠뜨기 - - I+1 - - - 수리취 - - I++ - - - 용수염 - - R++ - - 1++ 진황정 - - Rrr Irr - - 질경이 - - I++ - - - 찰피나무 - - I11 - - - 화살나무 - - I++ - - - 졸방제비꽃 - - IIr+ I++ - - 괭이사초 - - I+1 - - - 물봉선 - - I++ - - - 산쑥 - - I+3 - - - 짝자래나무 - - I+1 I++ - - 가시오갈피 - - R11 - - - 각시취 - - R++ - - - 갈퀴덩굴 - I++ - - - - 개구릿대 - - R22 - - - 개박쥐나물 - - R++ - - - 고마리 - - - - - 1++ 고사리 - - - - - 1++

Ⅲ. 결과 및 고찰 37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국화마 - - R11 - - - 궁궁이 - - R++ - - - 그늘사초 - - R++ - - - 그늘쑥 - - R++ - - - 길마가지 - I++ - - - - 김의털 - - R11 - - - 까마귀밥나무 - - R11 - - - 까치수영 - - R++ - - - 나나버리난초 - - - I++ - - 나도점나물 - - R11 - - - 나리난초 - - R++ - - - 난장이바위솔 I++ - - - - - 노루삼 - I++ - - - - 눈빛승마 - - R++ - - - 는쟁이냉이 - - R++ - - - 당개지치 - - - I11 - - 당풍취 - - - - - 1++ 댕강나무 - - R33 - - - 더덕 - - R22 - - - 등골나물 - - R++ - - - 떡버들 - I11 - - - - 뚝갈 - - Rrr - - - 마류 - - R++ - - - 매화말발도리 - - R11 - - - 물박달나무 - - R++ - - - 바위구절초 I11 - - - - - 바위취 I22 - - - - - 박쥐나무 - - R++ - - - 백작약 - I++ - - - - 뱀고사리 I11 - - - - - 벚나무류 - - R++ - - - 병아리난초 - - - I++ - - 붉은참반디 - - - - I++ - 뽕모시풀 - - - - I++ - 사위질빵 I++ - - - - - 사철쑥 - - R++ - - - 산골무꽃 - - R11 - - - 산괭이사초 - - R11 - - - 산물통이 - - R++ - - - 산벚나무 - I++ - - - - 산씀바귀 - - - - - 1++ 새며느리밥풀 - - R++ - - - 새팥 - - R++ - - - 신감채 - - R22 - - - 아구장나무 I22 - - - - -

38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6> - 계속 식생단위 1 2 3 4 야산고비 - - R++ - - - 양지꽃 - - - - Irr - 여우오줌 - - - - I++ - 오갈피 - - - - I22 - 일엽초 - - R++ - - - 작살나무 - - R++ - - - 잔대 - - R++ - - - 제비쑥 - - R++ - - - 조록싸리 - - R++ - - - 조밥나물 - - R++ - - - 졸참나무 - - R++ - - - 좀깨잎나무 - - R++ - - - 좀나도히초미 - - R++ - - - 줄풀 - - R++ - - - 쥐오줌풀 - - R++ - - - 진고사리 - - R11 - - - 참꽃마리 - - R++ - - - 청괴불나무 - - - I++ - - 촛대승마 - - R++ - - - 층층이꽃 - - R++ - - - 큰기름새 - - R11 - - - 큰수리취 - - - - I++ - 큰앵초 - I11 - - - - 큰참나물 - - - - I++ - 털대사초 - - - - - 1++ 톱풀 - - R++ - - - 하늘말나리 - - - - - 1rr 홀아비꽃대 - - - I11 - - 황고사리 - - R++ - - - 담쟁이덩굴 - - - - - - 땅비싸리 - - - - - - 맑은대쑥 - - - - - - 알록제비꽃 - - - - - - 청미래덩굴 - - - - - - 흰물봉선 - - - - - - 흰인가목 - II+3 I+1 - - - (다) 중부지역 식생 분류 종합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계방산(을수동 유역일대), 설악산, 면산, 화악산, 석회암지대 (고생대 오도비스기), 죽엽산(소리봉), 마니산 등 7개 지역을 조사 및 분석 대상지로 선정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490개 조사지에 대해 식생조사를 수행하였고 이

Ⅲ. 결과 및 고찰 39 중 식생분석용으로 482개소의 조사지가 적용되었다. 출현한 총 종수는 814종이었다. 출현종 중에서 324종은 중부지역 산림식생의 체계화를 위한 식별종 및 표징종으로 이용되었고, 그 나머지 490종은 수반종으로 나타났다. 분석절차는 조사지역별로 먼저 식생분류를 수행하여 식생단위를 추출하였으며, 각 조사지역 식별상재도표를 모아서 중부지역 전체의 산림식생을 체계화시키기 위하여 수차례에 걸쳐 식별표를 반복 분석하였으며, 우점도와 상재도를 모두 고려한 분석보 다는 상재도를 중시하여 각 조사지의 식별 상재도표를 작성한 후 중부지역 산림식생 분류의 최종결과물인 총합상재도표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중부지역의 산림식생은 신갈 나무군목(order), 소나무군단, 가래나무군락, 분비나무군단의 3개 군단(alliance), 이스라 지군집, 고욤나무군집, 솔체꽃군집 등 41개 군집(association)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식생유형은 조사지역, 조사지 지형, 해발고 등 조사지 환경 인자에 의해 대 별할 수 있었으므로 석회암지대 생태형, 중서부 산야권역 생태형, 동북부 산야권역 생태형, 계곡림 생태형, 아고산대 생태형 등 5개의 생태형(ecotype)으로도 구분할 수 있었다. 1) 신갈나무군목(표징 및 식별종군 1) 본 신갈나무군목의 표징종(character species)으로는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 나무, 대사초, 산박하가 출현하였다. 신갈나무는 총 41개 식생단위 중에서 33개 식생 단위, 당단풍나무는 30개 단위, 물푸레나무는 32개 단위, 대사초는 31개 단위, 산박하 는 28개 단위에 각각 다소 높은 상재도와 우점도를 나타내어 중부지역의 대표적인 지표종(indicator species) 및 표징종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갈나무군목은 소나무군단, 가래나무군단, 분비나무군단의 3개 군단으로 분류되었 으며, 소나무군단은 석회암지대 생태형, 중서부 산야권역 생태형, 동북부 산악권역 생 태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가래나무군단은 중부지역의 계곡림 생태형으로, 분비나 무군단은 중부지역의 아고산대 생태형으로 각각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7> 우리나라 중부지역 산림식생유형 요약표 (단위명은 임의로 적용함) 군목(order) 군단(alliance) 군집(association) 생태형(ecotype) 군락번호 신갈나무 소나무 소나무-측백나무 이스라지 1 고욤나무 2 솔체꽃 3 소나무 백리향 4 잔솔잎사초 석회암지대 5 나도송이풀 6 줄딸기 7 오리나무 8 소나무-소사나무 쉬나무 9 소사나무전형 10 개서어나무 11 비목 중서부지대 산야권역 12 담쟁이덩굴 13 소나무-갈참나무 갈참나무전형 14 풍게나무 15 소나무 꽃며느리밥풀 16 매화노루발 17 비비추 동북부지대 산악권역 18 소나무-쇠물푸레 꼬리진달래 19 쇠물푸레전형 20 가래나무 여우오줌 21 산괭이눈 22 쐐기풀 23 두메닥나무 24 명자순 계곡림 25 황철나무 26 회목나무 27 버드나무 28 한계령풀 29 분비나무 조릿대 아고산대 30 매발톱나무 31 분비나무전형 32

Ⅲ. 결과 및 고찰 41 <표 17> - 계속 군목(order) 군단(alliance) 군집(association) 생태형(ecotype) 군락번호 분비나무 산일엽초 아고산대 33 주목 34 갈매나무 35 요강나물 36 나래박쥐나물 37 만병초 38 개들쭉 39 눈잣나무 40 바위채송화 41 2) 소나무군단(표징 및 식별종군 2) 소나무군단은 소나무, 큰기름새, 굴참나무, 조록싸리, 맑은대쑥, 삽주, 떡갈나무 등 이 표징종으로 나타났고, 소나무-측백나무-이스라지군집, 소나무-측백나무-고욤나무군 집, 소나무-측백나무-솔체꽃군집, 소나무-백리향군집, 소나무-잔솔잎사초군집 등 총 20 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중 석회암지대에서 조사된 8개의 군집은 석회암지 대 생태형으로 포함시켰으며, 쉬나무군집, 소사나무전형군집, 개서어나무군집, 비목군 집 등 마니산에서 조사된 5개 군집과 갈참나무전형군집, 풍게나무군집 등 광릉 죽엽 산에서 조사된 2개군집은 중서부 산야권역에 포함되었다. 석회암지대 생태형에 속하는 소나무-측백나무-이스라지군집의 표징종은 이스라지, 계요등, 굴피나무, 산해박, 털댕강나무, 덩굴닭의장풀이었으며, 소나무-측백나무-고욤나 무군집의 표징종은 고욤나무, 가중나무, 복분자딸기, 느티나무, 찔레로 나타났고, 소나 무-측백나무-솔체꽃군집의 표징종은 솔체꽃, 털갈매나무, 나도바랭이새, 딱지꽃, 애기 풀, 개지치, 솔나물, 오이풀, 아구장나무, 개감수, 혹느릅나무 등이었으며, 백리향군집 의 표징종은 백리향, 가는대나물, 개박달나무로 주로 석회암지대 중에서도 자병산 정 상부의 평균표고 812m에 자라는 종이었다. 잔솔잎사초군집은 동강의 강변과 단애( 斷 崖 )가 발달한 카르스트지형에 주로 출현하는 잔솔잎사초, 산철쭉, 갈기조팝나무, 시무 나무, 동강할미꽃, 향나무, 바위구절초, 연잎꿩의다리 등이 표징종으로 나타났다. 나도 송이풀군집의 표징종은 나도송이풀, 떡조팝나무, 뻐꾹채, 구절초, 거미고사리 등이었 다. 줄딸기군집은 줄딸기, 홀아비꽃대, 곰딸기, 개미취, 산비장이 등이 표징종이었으 며, 오리나무군집은 오리나무, 동의나물, 꼬리조팝나무, 신나무, 쉽사리, 고마리 등이

4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징종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자병산 일대 고산 습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이었다. 중서부 산야권역 생태형은 쉬나무군집과 종군 17의 산딸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었 고, 쉬나무군집은 강화도 마니산의 쉬나무, 병아리꽃나무, 장구밥나무, 아까시나무, 명 아주, 도깨비바늘, 폭나무, 사철나무 등을 표징종으로 하고 있었으며, 산딸나무군락은 한반도 중부지역식생중에서도 마니산 지표종으로 나타나는 소사나무아군단과 광릉 죽 엽산에 분포하는 갈참나무아군단으로 분류할 수도 있었다. 소나무-소사나무-개서어나 무군집의 표징종은 개서어나무와 가는잎족제비고사리이었으며, 비목군집은 비목, 초피 나무, 쥐똥나무, 담쟁이덩굴군집은 담쟁이덩굴, 천선과나무, 넉줄고사리 등이 표징종 으로 각각 나타났다. 광릉지역에 주로 출현하는 소나무-갈참나무전형군집은 갈참나무, 작살나무, 서어나무, 광릉골무꽃, 광릉제비꽃, 은방울꽃 등이 표징종으로 나타나지만 풍게나무군집의 표징종은 나타나지 않았다. 풍게나무군집의 표징종은 풍게나무, 비짜 루, 속단 등이었다. 동북부 산악권역 생태형은 화악산과 면산일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꽃며느리 밥풀군집의 표징종은 꽃며느리밥풀, 산구절초, 수정난풀 등이었고, 매화노루발군집은 매화노루발, 비비추군집은 비비추, 뱀딸기 등, 소나무-쇠물푸레-꼬리진달래군집은 꼬리 진달래 기름나물을 표징종으로 하고 있었고, 이들 표징종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소나 무-쇠물푸레전형군집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단에서 종군 3의 돌마타리군락, 종군 5의 분꽃나무군락, 종군 7의 돌단풍 군락, 종군 8의 회양목군락 등 군락 수준의 종군들은 비록 본 식생분류에서 군집으로 가명칭을 붙이지 않았지만 중부지역이 아닌 한반도 전체식생분류에서 특이한 군집이 될 가능성이 있거나 식생자료의 상호비교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식별종군이라 판단되었다. 3) 가래나무군단(표징 및 식별종군 31) 가래나무군단의 표징종은 종군 31에 나타난 가래나무, 고추나무, 까치박달, 느릅나 무, 다래, 산수국, 황벽나무, 등칡, 물봉선 등이었고, 여우오줌군집, 쐐기풀군집, 두메 닥나무군집, 명자순군집, 황철나무군집, 회목나무군집, 버드나무군집, 한계령풀군집 등 9개 군집유형이 분류되었다. 군집분포지역은 화악산, 계방산, 면산으로 나타났으며 특 히 이들은 주로 계곡부에 나타나는 군집이었으므로 계곡림 생태형에 포함시켰다. 여우오줌군집의 표징종은 여우오줌, 광대수염, 모시물통이, 혹쐐기풀, 가시여뀌, 눈

Ⅲ. 결과 및 고찰 43 괴불주머니, 당개지치, 산외, 사위질빵, 꽃향유, 황고사리, 산국 등으로 주로 계곡부 교란발생지나 유수로 임관이 열려진 곳에 나타나는 종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쐐기풀 군집은 쐐기풀, 털고사리 등, 두메닥나무군집은 두메닥나무, 사시나무, 명자순군집은 명자순, 황철나무군집은 황철나무, 쪽버들, 가시오갈피, 도깨비부채, 산겨릅나무, 회목나 무군집은 회목나무, 버드나무군집은 버드나무, 좀깨잎나무, 갯버들 등, 한계령풀군집은 한계령풀, 곰비늘고사리가 각각 표징종으로 나타났다. 계곡림 생태형에 속하는 가래나무군단과 함께 동 식생단위에 높은 상재도로서 출현하 는 종은 종군 41 층층나무군락의 층층나무, 고광나무, 십자고사리, 관중, 물참대, 오미 자, 귀룽나무, 바위떡풀, 거제수나무, 난티나무, 복장나무, 전나무, 들메나무 등이었다. 4) 분비나무군단(표징 및 식별종군 43) 분비나무군단의 표징종은 종군 43에 나타난 분비나무, 사스래나무, 꽃개회나무, 마 가목, 송이풀, 시닥나무, 백당나무, 청시닥나무 등이었고, 조릿대군집, 매발톱나무군집, 분비나무전형군집, 산일엽초군집, 주목군집, 갈매나무군집, 요강나물군집, 나래박쥐나 물군집, 만병초군집, 개들쭉군집, 눈잣나무군집, 바위채송화군집 등 12개 군집유형으 로 분류되었다. 본 군집분포지역은 계방산(을수동 유역), 화악산, 설악산 등 표고가 1,000m 이상의 아고산대로 나타나 아고산대 생태형으로 명하였다. 조릿대군집은 조릿대가 표징종이었고 본 군집이 아닌 다른 식생단위에서도 우점도 와 상재도가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특히 식생분류체계에서 분비나무군단에 포함 되었지만 분비나무, 사스래나무, 꽃개회나무 등의 식별종 및 표징종이 나타나지 않았 다. 매발톱나무군집의 표징종은 매발톱나무, 어수리, 나비나물, 애기수영, 닻꽃, 댕댕 이나무, 질경이 등이었고, 산일엽초군집은 산일엽초, 금마타리, 바위취 등이, 주목군집 은 주목, 부게꽃나무, 가문비나무, 나래회나무, 다람쥐꼬리 등이, 갈매나무군집은 갈매 나무, 두메고들빼기, 진범, 산돌배나무, 동자꽃, 회나무, 금강제비꽃, 고비고사리, 구슬 댕댕이 등이, 요강나물군집은 요강나물, 이노리나무, 얼레지, 만주고로쇠, 큰개현삼 등 이 각각 표징종으로 나타났다. 나래박쥐나물군집은 나래박쥐나물, 인가목, 산마늘, 누 룩취 등이, 개들쭉군집은 개들쭉, 털진달래, 땃두릅나무, 눈측백, 덤불오리나무, 설악 눈주목 등이, 눈잣나무군집의 표징종은 눈잣나무, 월귤, 바람꽃, 홍월귤 등이, 눈향나 무군집은 눈향나무, 기생꽃 등이, 바위채송화군집은 바위채송화, 까치고들빼기 등이 각각 표징종으로 나타났다.

4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아고산대 생태형 중에서 설악산에 분포하는 군집유형은 요강나물군집, 나래박쥐나 물군집, 만병초군집, 개들쭉군집, 눈잣나무군집이었고, 개들쭉군집과 눈잣나무군집은 주로 설악산 대청봉과 중청봉 일대에 나타났으며, 눈향나무군집은 설악산에 출현하는 식별종 및 표징종에 의해 분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철쭉군락(표징 및 식별종군 42) 종군 42의 철쭉, 미역줄나무, 산앵도나무를 표징종으로 하고 있는 철쭉군락은 본 중부지역 식생분류체계에서는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중부지역식생의 분포판도를 그려 내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즉, 철쭉군락의 분포지는 주로 동북부 산악지, 계곡림 분포지, 아고산대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석회암지대의 자병산과 같은 표고가 다소 높은 산지에는 일부 출현하고 있지만 석회암지대와 마니산, 광릉 죽엽산 (소리봉)과 같은 중서부 산야권역에는 본 군락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표 18> 중부지역 총합상재도표 Ⅲ. 결과 및 고찰 45

4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8> - 계속

<표 18> - 계속 Ⅲ. 결과 및 고찰 47

48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8> - 계속

<표 18> - 계속 Ⅲ. 결과 및 고찰 49

50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8> - 계속

<표 18> - 계속 Ⅲ. 결과 및 고찰 51

52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18> - 계속 (2) 식생구조 (가) 조사지 개황 공동조사지인 을수동 유역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홍천군 내면 광원리에 속하며, 동 쪽과 남쪽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쪽 능선은 오대산의 주 봉인 비로봉(1,563m)과 호령봉(1,561m)으로 이어지며, 남쪽 능선은 남한에서 다섯 번 째로 높은 계방산(1,577m)과 연결되고, 서쪽능선에는 소계방산(1,456m)이 위치한다. 동, 서, 남쪽에 병풍 같이 높은 봉우리들이 즐비하여 복잡한 산악지형을 이루고 있으 며, 삼면의 수많은 계곡에서 유입되는 계류들은 내린천 발원지에서부터 합류되어 북 쪽으로 갈수록 수량이 증가하는 구조를 보인다. 높은 산악과 복잡한 수계가 어우러진 을수동 유역의 산림은 대부분 다양한 수종이 어우러진 온대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하나 해발 1,000m 이상의 산정에는 주목, 분비나무, 사스래나무 등 아고산 수종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공동조사지로 선정된 을수동 유역의 면적은 약 5,136ha이며, 을수동 유역의 사면에 따른 수직적 식생구조와 단면을 분석하기 위해 수계가 합류되어 내려오는 하류 지점 (조사지 1), 을수동 유역의 중간에 위치한 중상류 지점(조사지 2), 계방산 근처의 아 고산 지대(조사지 3) 등 3개소에 조사지를 설치하였다. (나) 식물상 을수동 유역의 출현 식물을 조사한 결과, 총 417종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출현 식 물 중 양치식물은 3강 1아강 3목 7과 13속 21종(3변종, 1품종), 나자식물은 1강 2목

Ⅲ. 결과 및 고찰 53 3과 6속 8종, 피자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5목 6과 32속 51종(10변종, 2품종), 쌍자엽 식물 중 이판화는 20목 46과 115속 222종(44변종, 4아종, 11품종), 그리고 합판화는 8목 19과 64속 115종(24변종, 1아종, 4품종)으로 분류되었다(표 19). <표 19> 을수동 관목식물 식물상 구분 1 목 과 속 종 변종 아종 품종 Ⅰ. 양치식물문(Pteridophyta) A. 석송강(Lycopsida) 1 1 1 2 B. 속새강(Sphenopsida) 1 1 1 2 C. 고사리강(Pteropsida) a. 고사리아강(Leptosporangiatae) 1 5 11 17 3 1 Ⅱ. 나자식물문(Gymnospermae) A. 구과식물강(Coniferopsida) 1 3 6 8 Ⅲ. 피자식물문(Angiospermae) 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a. 이판화아강(Archichlamydeae) 20 46 115 222 44 4 11 b. 합판화아강(Metachlamydeae) 8 19 64 115 24 1 4 B.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5 6 32 51 10 2 계 37 81 230 417 81 5 18 1 관속식물 분류체계는 원색대한식물도감(이창복, 2003)에 기초하였음 을수동에서 조사된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천마(지정번호 95), 말나리(127), 연영 초(201), 백작약(151), 가시오갈피(7), 흰인가목(172), 도깨비부채(171), 등칡(32), 금강 제비꽃(213), 태백제비꽃(212), 금마타리(153), 댕강나무(2), 꽃개회나무(190), 정향나무 (189), 만병초(167), 도라시모시대(13) 등 총 16종으로 집계되었으며, 특산식물에 속하 는 식물은 금강제비꽃, 금마타리, 댕강나무, 도라지모시대, 둥굴레, 고로쇠나무, 매자 나무, 할미밀망, 떡버들, 호랑버들, 오갈피나무, 궁궁이, 뽕잎피나무, 꽃황새냉이, 풀싸 리, 광릉갈퀴, 터리풀, 매화말발도리, 참바위취, 사스래나무, 제비꽃, 넓은잎쥐오줌풀, 병꽃나무, 산앵도나무, 고려엉겅퀴, 바위구절초, 사창분취, 참배암차즈기 등 총 29종으 로 집계되었다(표 20). 전체 출현식생 417종에서 귀화식물은 달맞이꽃, 개망초 등 2 종뿐으로 폐경지 또는 도로인접지 주변에 일부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4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20> 을수동 출현식생 목록 수종 1 과명 학명 1 비고 2 희귀식물 특산식물 귀화식물 뱀고사리 Aspleniaceae Asplenium yokoscense 개고사리 Aspleniaceae Athyrium niponicum 고사리 Aspleniaceae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황고사리 Dennstaedtiaceae Dennstaedtia wilfordii 진고사리 Dennstaedtiaceae Deparia japonica 털고사리 Dennstaedtiaceae Deparia pycnosora 산일엽초 Dennstaedtiaceae Lepisorus ussuriensis 일엽초 Dennstaedtiaceae Lepisorus thunbergianus 관중 Dryopteridaceae Dryopteris crassirhizoma 비늘고사리 Dryopteridaceae Dryopteris lacera 개면마 Dryopteridaceae Onoclea orientalis 야산고비 Dryopteridaceae Onoclea sensibilis var. interrupta 고비고사리 Hemionitidaceae Coniogramme intermedia 십자고사리 Polypodiaceae Polystichum tripteron for. tripteron 좀나도히초미 Polypodiaceae Polystichum braunii 참나도히초미 Polypodiaceae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우단일엽 Polypodiaceae Pyrrosia linearifolia 다람쥐꼬리 Lycopodiaceae Lycopodium chinense 뱀톱 Lycopodiaceae Lycopodium serratum 속새 Equisetaceae Equisetum hyemale 쇠뜨기 Equisetaceae Equisetum arvense 노간주나무 Cupressaceae Juniperus rigida 분비나무 Pinaceae Abies nephrolepis 전나무 Pinaceae Abies holophylla 일본잎갈나무 Pinaceae Larix kaempferi 가문비나무 Pinaceae Picea jezoensis 소나무 Pinaceae Pinus densiflora 잣나무 Pinaceae Pinus koraiensis 주목 Taxaceae Taxus cuspidata 병아리난초 Orchidaceae Amitostigma gracilis 은대난초 Orchidaceae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천마 Orchidaceae Gastrodia elata 나나벌이난초 Orchidaceae Liparis krameri 나리난초 Orchidaceae Liparis makinoana 국화마 Dioscoreaceae Dioscorea septemloba 단풍마 Dioscoreaceae Dioscorea quinqueloba 마 Dioscoreaceae Dioscorea batatus 부채마 Dioscoreaceae Dioscorea nipponica 비짜루 Liliaceae Asparagus schoberioides 은방울꽃 Liliaceae Convallaria keiskei 애기나리 Liliaceae Disporum smilacinum 하늘말나리 Liliaceae Lilium tsingtauense 말나리 Liliaceae Lilium distichum 두루미꽃 Liliaceae Maianthemum bifolium 삿갓나물 Liliaceae Paris verticillata 둥굴레 Liliaceae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진황정 Liliaceae Polygonatum falcatum 퉁둥굴레 Liliaceae Polygonatum inflatum

Ⅲ. 결과 및 고찰 55 <표 20> - 계속 수종 1 과명 학명 1 비고 2 희귀식물 특산식물 귀화식물 풀솜대 Liliaceae Smilacina japonica var. japonica 밀나물 Liliaceae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선밀나물 Liliaceae Smilax nipponica 청가시덩굴 Liliaceae Smilax sieboldii for. sieboldii 청미래덩굴 Liliaceae Smilax china 연영초 Liliaceae Trillium kamtschaticum 박새 Liliaceae Veratrum oxysepalum 여로 Liliaceae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새 Gramineae Arundinella hirta 실새풀 Gramineae Calamagrostis arundinacea 용수염 Gramineae Diarrhena japonica 개억새 Gramineae Eulalia speciosa 김의털 Gramineae Festuca ovina var. ovina 쌀새 Gramineae Melica onoei 억새 Gramineae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주름조개풀 Gramineae Oplismenus undulatifolius var. undulatifolius 달뿌리풀 Gramineae Phragmites japonica 조릿대 Gramineae Sasa borealis 강아지풀 Gramineae Setaria viridis var. viridis 큰기름새 Gramineae Spodipogon sibiricus 줄 Gramineae Zizania latifolia 가는잎그늘사초 Cyperaceae Carex humilis var. nana 괭이사초 Cyperaceae Carex neurocarpa 그늘사초 Cyperaceae Carex lanceolata 길뚝사초 Cyperaceae Carex bostrychostigma 대사초 Cyperaceae Carex siderosticta 산괭이사초 Cyperaceae Carex leiorhyncha 삿갓사초 Cyperaceae Carex dispalata var. dispalata 좀도깨비사초 Cyperaceae Carex idzuroei 털대사초 Cyperaceae Carex ciliatomarginata 도루박이 Cyperaceae Scirpus radicans 천남성 Araceae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가래나무 Juglandaceae Juglans mandshurica var. mandshurica for. mandshurica 갈매나무 Rhamnaceae Rhamnus davurica 짝자래나무 Rhamnaceae Rhamnus yoshinoi 개머루 Vitaceae Ampelopsis brevipedunculata 담쟁이덩굴 Vitaceae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머루 Vitaceae Vitis coignetiae 겨우살이 Loranthaceae Viscum album var. coloratum 말털이슬 Onagraceae Circaea quadrisulcata 달맞이꽃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가시여뀌 Polygonaceae Persicaria dissitiflora 개여뀌 Polygonaceae Persicaria longiseta 고마리 Polygonaceae Persicaria thunbergii 미꾸리낚시 Polygonaceae Persicaria sagittata 수영 Polygonaceae Rumex acetosa 생강나무 Lauraceae Lindera obtusiloba var. obtusiloba 함박꽃나무 Magnoliaceae Magnolia sieboldii 오미자 Schisandraceae Schisandra chinensis

56 산림생태지도 작성연구 <표 20> - 계속 수종 1 과명 학명 1 비고 2 희귀식물 특산식물 귀화식물 고로쇠나무 Aceraceae Acer pictum subsp. mono 당단풍나무 Aceraceae Acer pseudosieboldianum 복자기 Aceraceae Acer triflorum 복장나무 Aceraceae Acer mandshuricum 부게꽃나무 Aceraceae Acer ukurunduense 산겨릅나무 Aceraceae Acer tegmentosum 시닥나무 Aceraceae Acer komarovii 신나무 Aceraceae Acer tataricum subsp. ginnala 청시닥나무 Aceraceae Acer barbinerve 개옻나무 Anacardiaceae Rhus tricocarpa 붉나무 Anacardiaceae Rhus javanica 노랑물봉선 Balsaminaceae Impatiens nolitangere var. nolitangere 물봉선 Balsaminaceae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흰물봉선 Balsaminaceae Impatiens textori var. koreana 노박덩굴 Celastraceae Celastrus orbiculatus 나래회나무 Celastraceae Euonymus macropterus 참빗살나무 Celastraceae Euonymus hamiltonianus var. hamiltonianus 참회나무 Celastraceae Euonymus oxyphyllus 화살나무 Celastraceae Euonymus alatus 회나무 Celastraceae Euonymus sachalinensis 회목나무 Celastraceae Euonymus pauciflorus 회잎나무 Celastraceae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미역줄나무 Celastraceae Tripterygium regelii 고추나무 Staphyleaceae Staphylea bumalda 매자나무 Berberidaceae Berberis koreana 매발톱나무 Berberidaceae Berberis amurensis var. amurensis 꿩의다리아재비 Berberidaceae Caulophyllum robustum 백작약 Paeoniaceae Paeonia japonica 놋젓가락나물 Ranunculaceae Aconitum ciliare 진범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투구꽃 Ranunculaceae Aconitum jaluense subsp. jaluense 흰진범 Ranunculaceae Aconitum longecassidatum 노루삼 Ranunculaceae Actaea asiatica 동의나물 Ranunculaceae Caltha palustris var. palustris 눈빛승마 Ranunculaceae Cimicifuga dahurica 승마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heracleifolia 촛대승마 Ranunculaceae Cimicifuga simplex 할미밀망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병조희풀 Ranunculaceae Clematis heracleifolia 사위질빵 Ranunculaceae Clematis apiifolia 종덩굴 Ranunculaceae Clematis fusca var. violacea 노루귀 Ranunculaceae Hepatica asiatica 꿩의다리 Ranunculaceae Thalictrum aquilegifolium var. sibiricum 산꿩의다리 Ranunculaceae Thalictrum filamentosum var. tenerum 은꿩의다리 Ranunculaceae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사시나무 Salicaceae Populus davidiana 황철나무 Salicaceae Populus maximowiczii 떡버들 Salicaceae Salix hallaisanensis for. hallaisanensis 호랑버들 Salicaceae Salix caprea

Ⅲ. 결과 및 고찰 57 <표 20> - 계속 수종 1 과명 학명 1 비고 2 희귀식물 특산식물 귀화식물 갯버들 Salicaceae Salix gracilistyla 쪽버들 Salicaceae Salix maximowiczii 박쥐나무 Alangiaceae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독활 Araliaceae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두릅나무 Araliaceae Aralia elata 오갈피나무 Araliaceae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가시오갈피 Araliaceae Eleutherococcus senticosus 음나무 Araliaceae Kalopanax septemlobus 가는잎음나무 Araliaceae Kalopanax septemlobus var. maximowiczi 층층나무 Cornaceae Cornus controversa 개구릿대 Umbelliferae Angelica anomala 궁궁이 Umbelliferae Angelica polymorpha 바디나물 Umbelliferae Angelica decursiva 지리강활 Umbelliferae Angelica purpuraefolia 참당귀 Umbelliferae Angelica gigas 개시호 Umbelliferae Bupleurum longeradiatum 큰참나물 Umbelliferae Cymopterus melanotilingia 어수리 Umbelliferae Heracleum moellendorffii 긴사상자 Umbelliferae Osmorhiza aristata 묏미나리 Umbelliferae Ostericum sieboldii 신감채 Umbelliferae Ostericum grosseserratum 기름나물 Umbelliferae Peucedanum terebinthaceum 노루참나물 Umbelliferae Pimpinella gustavohegiana 참나물 Umbelliferae Pimpinella brachycarpa 붉은참반디 Umbelliferae Sanicula rubriflora 참반디 Umbelliferae Sanicula chinensis 개사상자 Umbelliferae Torilis scabra 사상자 Umbelliferae Torilis japonica 동자꽃 Caryophyllaceae Lychnis cognata 개별꽃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큰개별꽃 Caryophyllaceae Pseudostellaria palibiniana 장구채 Caryophyllaceae Silene firma 청명아주 Chenopodiaceae Chenopodium bryoniaefolium 뽕모시풀 Moraceae Fatoua villosa 산뽕나무 Moraceae Morus bombycis var. bombycis 난티나무 Ulmaceae Ulmus laciniata 느릅나무 Ulmaceae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거북꼬리 Urticaceae Boehmeria tricuspis 좀깨잎나무 Urticaceae Boehmeria spicata 혹쐐기풀 Urticaceae Laportea bulbifera 산물통이 Urticaceae Pilea japonica 가는잎쐐기풀 Urticaceae Urtica angustifolia 뽕잎피나무 Tiliaceae Tilia taquetii 찰피나무 Tiliaceae Tilia manshurica 찰피나무 Tiliaceae Tilia manshurica 피나무 Tiliaceae Tilia amurensis 꽃황새냉이 Cruciferae Cardamine amaraeformis 는쟁이냉이 Cruciferae Cardamine komarovii for. komarovii 미나리냉이 Cruciferae Cardamine leucantha var. leucant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