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6~064........6..............



Similar documents
약수터2호최종2-웹용

Pharmacotherapeutics Application of New Pathogenesis on the Drug Treatment of Diabetes Young Seol Kim, M.D. Department of Endocrinology Kyung Hee Univ

<B0E6C8F1B4EBB3BBB0FAC0D3BBF3B0ADC1C E687770>

È£(ÃÖÁ¾).ps, page Normalize

歯1.PDF

1..

Microsoft PowerPoint - CNVZNGWAIYSE.pptx

A 617

May 10~ Hotel Inter-Burgo Exco, Daegu Plenary lectures From metabolic syndrome to diabetes Meta-inflammation responsible for the progression fr



< D B4D9C3CAC1A120BCD2C7C1C6AEC4DCC5C3C6AEB7BBC1EEC0C720B3EBBEC8C0C720BDC3B7C2BAB8C1A4BFA120B4EBC7D120C0AFBFEBBCBA20C6F2B0A E687770>

황지웅

전립선암발생률추정과관련요인분석 : The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II (KCPS-II)

00약제부봄호c03逞풚


노영남


012임수진

달생산이 초산모 분만시간에 미치는 영향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達 은 23) 의 丹 溪 에 최초로 기 재된 처방으로, 에 복용하면 한 다하여 난산의 예방과 및, 등에 널리 활용되어 왔다. 達 은 이 毒 하고 는 甘 苦 하여 氣, 氣 寬,, 結 의 효능이 있

<BAF1B8B8C3DFB0E8C7D0BCFAB9D7BFACBCF62D E E687770>

hwp

12이문규

기관고유연구사업결과보고

Abstract Background : Most hospitalized children will experience physical pain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Painful procedure can increase anxie

( )Jkstro011.hwp

한국성인에서초기황반변성질환과 연관된위험요인연구

(Exposure) Exposure (Exposure Assesment) EMF Unknown to mechanism Health Effect (Effect) Unknown to mechanism Behavior pattern (Micro- Environment) Re

Microsoft Word doc

Part.1 당뇨병 관리의 첫걸음, 당뇨병 알기 당뇨병이란? 당뇨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증상과 진단 당뇨병의 치료 12 Part.2 당뇨병과 식사관리 당뇨병과 올바른 식사 23 2.

1. 투자포인트: 1) 신약 개발 능력 확인, 2) 백신사업 순항, 3) 기대되는 R&D 성과 드디어 시장성 있는 신약을 개발, 글로벌 5번째 신약 출시 효과에 기대 가) 신약 개발 능력을 재확인하다 LG생명과학은 그동안의 R&D 성과를 바탕으로 212년 하반기 2~3

Lumbar spine

±èÇ¥³â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자장세기에 따른 MRI 품질관리 영상검사의 개별항목점수 실태조사 A B Fig. 1. High-contrast spatial resolution in phantom test. A. Slice 1 with three sets of hole arr

<31372DB9DABAB4C8A32E687770>

김범수

±èÀº¿µ³»Áö9-191š


005송영일

Treatment and Role of Hormaonal Replaement Therapy

ZNMMZTUCJDUV.hwp

γ

ÀÌÁÖÈñ.hwp

(Microsoft PowerPoint - S13-3_\261\350\273\363\307\366 [\310\243\310\257 \270\360\265\345])

untitled

Jkcs022(89-113).hwp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by Daily Intake of Alcohol

페링야간뇨소책자-내지-16

590호(01-11)

<3034C0D3BBF3C3E1B0E8C7D0BCFABCBCB9CCB3AA2E687770>

58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Vol. 17, No. 2, 57-64, 2013 서론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은 신기 능을 확인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신질환의 진단과 치료 및 추적관찰에 이용된다

5-03-Â÷¼¼´ëÀ¥Iš

( )Kju269.hwp

07( )p fm

Microsoft PowerPoint - NREGSWIMUSRZ.pptx

[ 영어영문학 ] 제 55 권 4 호 (2010) ( ) ( ) ( ) 1) Kyuchul Yoon, Ji-Yeon Oh & Sang-Cheol Ahn. Teaching English prosody through English poems with clon

264 축되어 있으나, 과거의 경우 결측치가 있거나 폐기물 발생 량 집계방법이 용적기준에서 중량기준으로 변경되어 자료 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또한 1995년부터 쓰레기 종 량제가 도입되어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이를 기점으로 크 게 줄어들었다. 그러므로 1996년부


59

yonsei429

975_983 특집-한규철, 정원호

DBPIA-NURIMEDIA

BSC Discussion 1


04_이근원_21~27.hwp

179

February


서론 34 2

44-4대지.07이영희532~

레이아웃 1

???? 1

현대패션의 로맨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185

<31382D322D3420BDC5B1D4C8AF5FB3EDB9AE28C3D6C1BEBABB292E687770>

VENTILATOR WAVEFORMS

슬라이드 1

untitled


COVER.HWP

이슈분석 2000 Vol.1

가볍게읽는-내지-1-2

한눈에-아세안 내지-1

kbs_thesis.hwp


Çмú´ëȸ¿Ï¼º

2012³â8¿ùÈ£˙ȸš

yonsei439_Àμâ

yonsei440_Àμâ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UMMARY About 3.2 million Korean people (10.1%) aged over 30 years or older had diabetes in Based on fasting g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6권4호-교정본(1125).hwp

레이아웃 1

<35BFCFBCBA2E687770>

16_이주용_155~163.hwp

- 2 -

( )Jksc057.hwp

11( )p fm

14.531~539(08-037).fm

08-ÀåÀμö

Transcription:

병원약사회지(2012), 제 29 권 제 1 호 J. Kor. Soc. Health-Syst. Pharm., Vol. 29, No. 1, 56 ~ 64 (2012) 회원학술보고 신기능에 따른 Sitagliptin의 처방용량 적정성 평가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Drug Use Evaluation of Sitagliptin Renal Dosing Kie Ho Sohn Pharmacy College, KyungSung University, Busan, 608-736, Korea Abstract : Sitagliptin is a new oral medication that meant to lower glucose levels via the incretin hormone system. It is recommended for initial and maintenance dosing at 100 mg daily. Downward dose adjustment i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renal fail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initial dosing of sitagliptin based o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at a teaching hospital. A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data from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base was performed. Patients were included (n=126), if they were prescribed sitagliptin three times consecutively between February 2010 and August 2010. The variables of interest were (a) the initial sitagliptin dose; and (b) the egfr, calculated for each patient using the Cockcroft-Gault formula at the time that sitagliptin was prescribed. Fifteen (11.9%) of the 126 patients received a potentially inappropriate initial dose according to product labeling regarding renal function: eleven patients were over-dosed and four patients were under-dosed. Potentially inappropriate dosing occurred in four of 114 patients with mild renal failure (4%); six of seven patients with moderate renal failure (85.7%), and five of five patients with severe renal failure (100%). In conclusion, potentially inappropriate dosing of sitagliptin based on the assessment of renal - 56 -

손기호 : 신기능에 따른 Sitagliptin의 처방용량 적정성 평가 function was likely to occur. Further study of the long-term safety of sitagliptin in patients not suffering from renal failure may be warranted. [Key words] Drug use evaluation, Sitagliptin 투고일자 2011. 12. 2; 심사완료일자 2011. 12. 13; 게재확정일자 2012. 1. 1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난 30여 년간 우리나라의 당뇨병으로 인한 유병 률이 5-6배 증가하였는데, 이 증가 속도는 선진국들 보다 훨씬 빨라 조만간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이 OECD 국가 중 최고수준에 이를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전체 당뇨병의 약 90~95%를 차지하고 있 는 제 2형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점진적으로 감 소되는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 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과 더불어 운동 부 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그 유병률이 증 가하고 있다.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 망막 및 신장 병 변 등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더불어 sulfonylurea, biguanide, meglitinide, thiazolidinedione, α-glucosidase inhibitors, incretin mimetic 등과 같은 적절한 약 물 선택을 통한 장기적인 혈당조절이 중요하다 2,3). Dipeptidyl peptidase IV (DPP IV) 저해제는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경구용 혈당강하제 중 가장 최근에 개발된 새로운 계열의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로서, 당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incretine 호르몬 을 불활성화 시키는 효소인 dipeptidyl peptidase IV 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3,4). 그중에서 sitagliptin phosphate는 dipeptidyl peptidase IV (DPP IV) inhibitor 계열 약물 중 최 초로 FDA의 승인(2006년 10월)을 받은 약물로 단 독요법이나, metformin이나 thiazolidinedione계 열 약물과 병용하여 처방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2008년 발매된 이후로 그 사용량이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5). Sitagliptin의 약물동태학적인 특징을 평가한 연 구에 따르면 sitagliptin은 CYP3A4에 의해서 일부 대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미미 한 수준이며, 약 79%가 미변화체인 상태로 신장을 통해서 체외로 배설된다 6, 7). 따라서 신장이 주된 배 설 경로인 sitagliptin은 사구체여과율이 낮을수록 AUC가 증가하므로 사구체여과율을 나타내는 크레 아티닌 청소율에 따라 적절한 약용량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사항 에도 이렇게 반영되어 있다. 또한 신기능에 따른 용 량조절이 필요하므로 이 약 투여 전 및 투여 후 주기 적으로 신장 기능을 평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8, 9). 그러나 최근에 simvastatin을 복용중인 만성신기 능 장애 환자에서 sitagliptin을 복용한 후 급성신 부전과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한 사례보고에서 고용 량의 sitagliptin이 신부전을 악화시킬 가능성을 제 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임상현장에서 신기능에 따 라 용량을 제대로 조정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 고있다 10, 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sitagliptin의 사용 적정성을 환자의 신기능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의약품 사용 안전관리 - 57 -

JKSHP, VOL.29, NO.1 (2012) 측면에서 그 개선 대책을 강구하는데 필요한 지견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가. 신장애 환자의 등급별 구분 및 정의 연구대상을 신기능에 따라 건강인과 신기능 장애 환자로 크게 구분하였다. 그중 신장애 환자는 크레아 티닌 청소율을 기준으로 하여 경증, 중등도, 중증으 로 각각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또한 사구체 여과 율을 반영하는 크레아티닌 청소율(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ml/min)은 Cockcroft-Gault 식을 사용하였다 12). (1) 경증의 신장애환자는 크레아티닌청소율이 50 ml/min 이상인 경우를 말하여 혈청크레아티닌 으로서 대략 남성에서는 1.7 mg/dl 이하 및 여 성에서는 1.5 mg/dl 이하에 해당한다. (2) 중등도의 신장애환자는 크레아티닌청소율이 30ml/min 이상 이면서 50 ml/min 미만인 경 우를 말하여 혈청크레아티닌으로서 대략 남성 에서는 1.7 초과 3.0 mg/dl 이하 및 여성에서 는 1.5 초과 2.5 mg/dl 이하에 해당한다. (3) 중증의 신장애환자는 크레아티닌청소율이 30 ml/min 미만인 경우를 말하여 혈청크레아티닌 으로서 대략 남성에서는 3.0 mg/dl 초과 및 여성에서는 2.5 mg/dl 초과에 해당한다. 나. 신기능 장애 등급별 적정 sitagliptin 용량 판정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품목허가사항과 Micromedex (2.0 version)을 기준으로 신장애 중증도에 따른 sitagliptin 적정 처방 용량은 각각 다음과 같이 정 의하였다 8). 1) 정상 및 경증의 신장애환자는 용량조절이 필요 하지 않으며 1일 1회 100 mg을 투여한다. 2) 중등도의 신장애환자는 1일 1회 50 mg을 투여 한다. 3) 중증의 신장애환자 또는 혈액투석을 요하는 말 기신장애환자(ESRD)는 1일 1회 25 mg을 투여 한다. 이 약은 혈액투석 시점과 관계없이 투여할 수있다. 다. 연구대상및방법 연구 대상 환자는 2010년 2월중에 서울시내에 소 재하는 1,700병상의 상급종합병원에서 sitagliptin 을 처음으로 처방받은 환자 중에서 2010년 8월말까 지 총 7개월 동안에 sitagliptin을 3회 이상 연속하 여 외래처방을 받은 환자로 하였다. 다만, 투여개시 전에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반영하는 임상검사치가 없는 환자는 제외하였고 연구 대상 환자의 전자의무 기록과 처방정보를 후향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라. 인과성 평가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 나타나는 sitagliptin 유해반응의 인과성 평가는 한국형 알고 리즘 Ver2.0을 사용하였으며 평가 점수가 6점 이상 (가능성 있음, probable)인 경우에만 인과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13). 마. 분석 및 평가 항목 연구대상 환자의 의무기록과 처방정보를 바탕으로 각각 다음과 같은 항목에 준하여 자료를 수집 평가 하였다. (1) 환자의 성별과 연령, 처방 진료과, 신장애 여부. (2) Sitagliptin의 초기용량. (3) 초기용량 투여 후에 추가로 크레아티닌 청소율 점검여부와 용량 적성성 여부. (4) Sitagliptin을 투여한 이후의 신기능 변동여부 (5) 대상 환자가 신장애 환자인 경우, 약물유해 반 응 발현여부 (6) 기타 sitagliptin과 simvastatin의 병용 환자 의 경우 약물상호작용 발현 여부 - 58 -

손기호 : 신기능에 따른 Sitagliptin의 처방용량 적정성 평가 바. 자료분석방법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군, 진료과별 분포는 백분율 로 파악하였다. 또한 sitagliptin 투여 전후의 크레아 티닌 청소율(eGFR)의 변화 비교에서는 SAS(9.2 ve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하였으며 투여 전후의 크레아티닌 청소율(eGFR)의 정규분포 검정(Kolmogorov-Smirnov test)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및 고찰 가. 연구대상환자 (1) 대상 환자군의 특성 2010년 2월중에 병원 외래에서 sitagliptin을 처 음으로 처방받은 환자는 총 475명이었고 그중에서 다시 2010년 8월말까지 sitagliptin을 3회 이상 연 속하여 처방받은 환자는 모두 412명이었다. 이 가운 데 제외군에 해당하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반영하 는 임상검사치가 없는 환자를 반영한 후 최종 선정대 상에 포함된 환자 수는 총 126명이었다. 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대상 환자(n=126)가운데 남성은 71명, 여성은 55 명이었다. 연령분포를 보면 30대(만30세~39세) 1 명, 40대(만40세~49세) 22명, 50대(만50세~59세) 40명, 60대(만60세~69세) 28명, 70대(만70세~79 세) 28명, 80대(만80세~89세) 7명이었으며, 임상적 으로 노년층으로 구분되는 65세 이상 환자는 총 52 명으로, 전체 환자의 약 41%에 해당하여 만성질환자 특징인 노인 편중현상과 더불어 젊은 층으로의 이동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2) 처방 진료과별 분포 Fig. 1은 처방 진료과별 대상 환자 분포현황을 보 여 준다. 최종 대상 환자 126명 가운데 sitagliptin 을 처방받은 진료과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 치료의 주 진료과에 해당하는 내분비대사내과에서 처방받은 환자가 107명으로 대부분(85%)을 차지하였고 순화 기내과에서 처방받은 환자가 7명, 신장내과에서 처 방받은 환자가 6명, 기타 흉부외과, 가정의학과 등에 서 처방받은 환자가 모두 6명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주 진료과만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병존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다른 진료과를 방문하면서 같이 처방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정보는 주 진료 과에 한정하여 제공하여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나타 내주고있다. (3) 대상 환자의 신장애 여부 Fig. 2는 대상 환자의 신기능 장애등급별 분포현황 을 분석한 결과이다. Sitagliptin의 용량조절이 필요 한 중증의 신장애 환자는 5명, 중등도의 신장애 환자 는 7명이었으며, sitagliptin의 용량 조절이 필요 없는 경증의 신장애 환자 및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는 총 114명으로 연구 대상군의 대부분(90%)을 차지하였다. Table 1. 대상환자군의 특성(n=126) 나이/성별 남성 여성 30대 1 0 40대 14 8 50대 24 16 60대 15 13 70대 15 13 80대 2 5 Fig. 1 대상 환자군의 처방진료과별 분포현황(n=126) - 59 -

JKSHP, VOL.29, NO.1 (2012) Table 3. 진료과별 신기능 장애 등급에 따른 초기용량 처방현황 Fig. 2 신기능 장애 등급별 환자분포(n=126) 정상 및 경증(CrCl 50 ml/min 또는 그 이상), 중등도(CrCl 30 ml/min 이상 및 50 ml/min미만), 중증(CrCl 30 ml/min 미만) 나. Sitagliptin 초기 용량 Table 2는 최종 대상 환자 126명의 신장애 정도에 따른 초기 처방용량을 나타낸 자료이다. 신장 기능별 적정 sitagliptin용량 판정 기준에 따르면, 정상 및 경증의 신장애환자는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나 중등도의 신장애환자는 1일 1회 50 mg, 중증의 신 장애환자 또는 혈액투석을 요하는 말기 신장애환자 (ESRD)는 1일 1회 25 mg을 투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중증의 신장애 환자 5명의 경 우에는 실제 권장량보다 과용량인 50 mg으로 처방 된 환자가 1명, 100 mg으로 처방된 환자가 총 4명 으로 5명 환자 모두가 처방 량을 초과하였고, 중등도 의 신장애 환자인 경우에도 총 7명의 환자 가운데 무 려 6명(86%)의 환자가 권장용량을 초과한 100 mg 을 처방받았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처방용량 조절이 Table 2. 신기능 장애의 등급별 sitagliptin 초기 처방량 분포 중증 중등도 정상 및 경증 25mg daily 0 0 0 50mg daily 1 1 4 100mg daily 4 6 110 총(n=126) 5 7 114 정상 및 경증(CrCl 50 ml/min 또는 그 이상), 중등도(30 ml/min 이상 및 50 ml/min 미만, 중증(CrCl 30 ml/min 미만) 필요하지 않은 정상 및 경증의 환자 총 114명 가운데 4명은 오히려 50 mg을 처방받아 감량한 것으로 확 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용량조절이 필요한 중 등도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 총 12명 가운데 적절하 게 처방받은 환자는 단 1명에 불과하였고 대부분의 환자(11명)는 적정용량을 초과하여 처방하였다. 처방받은 진료과별 초기용량 적정성을 비교한 Table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료과별 신기능에 따른 초기용 량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 진료과인 내분비대사내과의 경우 총 정상 미만 용량이나 정상 초과 용량을 처방한 경우가 총 6명, 신장내과의 경우에는 총 5명, 기타과의 경우에는 총 6명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환자 대비 적정 처방 비율에서는 신장내과가 총 5명으로써 83.3%에 해당하여 주 진료과인 내분비대사내과에 비하여 상대 적으로 초과량 처방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다. 초기용량 투여후의 크레아티닌 청소율 점검과 용량조절 여부 Fig. 3은 평균 투여기간인 12개월 동안 1회 이상 크 레아티닌 청소율을 점검했는지의 여부를 보여주고 있 으며 Fig. 4는 sitagliptin 투여 시작 이후에 크레아티 닌 청소율을 점검한 총 101명의 환자 가운데 sitagliptin 용량 적정성을 나타낸 자료이다. Fig. 3에 서 나타난 바와 같이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점검한 환 자는 총 101명으로 약 80.2%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25-60 -

손기호 : 신기능에 따른 Sitagliptin의 처방용량 적정성 평가 Fig. 3 Sitagliptin 초기용량 투여후의 크레아티닌 청 소율(eGFR) 점검여부(n=126)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ml/min Fig. 4 초기 투여 후 크레아티닌 청소율(eGFR) 점검 환자의 처방 적정성 현황(n=101) 크레아티닌 청소율(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ml/min) 명(19.8%)은 한 번도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를 하지 않았다.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한 총 101명의 환자 가운데서도 87명(86.1%)의 경우에는 크레아티닌 청소 율에 근거한 권장용량을 처방하였으나 13명(12.9%)의 경우에는 권장용량을 초과하여 처방하였고, 1명(0.9%) 의 경우에는 오히려 권장용량 미만으로 처방되었다 (Fig. 4). 더구나 용량조절이 필요한 중등도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 총 12명에 대한 용량 조절 여부를 면밀하 게 관찰한 결과(Fig. 5)에서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에 따 른 권장용량을 초과하여 처방된 환자 비율이 무려 92%(11명)로 나타나 신기능에 따른 용량조절이 제대 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Sitagliptin을 투여한 이후의 신기능 변동여부 Sitagliptin의 사용상의 주의 사항에는 신기능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신기능을 모니터링 할 것을 추천하며, 만일 신기능 장애가 발현되는 경우에는 투 여를 중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Table 4는 sitagliptin을 투여 받은 환자의 신기능 변동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 총 126명의 환자 중 투여시 작 전과 투여 6개월 후(± 1개월)의 크레아티닌 청소 율(eGFR) 측정 결과치가 있는 환자(n=54명)를 대상 으로 하여 투여 시작 전과 투여 시작 후의 egfr 수 치를 각각 비교한 자료이다. 용량 감량이 필요하지 않은 경증의 신장애 및 정상군에서 중등도 이하의 신 장애 수치로 변화된 환자 수는 모두 3명(5%)이었으 며, 이 환자의 투여전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평균 62.1 ml/min에서 투여 6개월후에는 평균 41.6 Table 4. Sitagliptin 투여후의 크레아티닌 청소율 (egfr)의 수치 변동여부 투여시점 투여 6개월후 P value Fig. 5 중등도 이상의 신장애 환자의 용량조절현황 (n=12) 중등도 이상(CrCl 50 ml/min미만) 전체환자(n=54) 신기능 중증도 변화환자(n=3) 73.3±26.6 62.1±10.4 68.4±24.9 41.6±7.7 0.010 0.001-61 -

JKSHP, VOL.29, NO.1 (2012) ml/min로 현저한 감소를 보여주었다(p=0.001). 경 증의 신기능 장애 및 정상 수치가 계속하여 유지된 환자 수는 42명(78%), 중등도 이하의 신장애 수치로 계속하여 유지된 환자 수는 모두 9명(17%)이었으며, 중등도 이하의 신장애에서 경증의 신기능 및 정상 수 치로 개선된 환자는 단 한명도 없었다. 더구나 전체 환자 총 54명에 대한 투여전후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변동은 평균 73.3 ml/min에서 평균 68.4 ml/min 로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0). 이상과 같이 대상 환자군 총 54명 중 5%의 환자에 해당하는 3명의 경우, 신기능 장애 등급이 중등도 이 하의 신기능 수치로 감소됨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54명의 환자의 경우에도 유의한 수치 감소를 보여주 었기 때문에 sitagliptin 투여 시 신기능에 대한 지 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마. 대상 환자가 신장애 환자인 경우, 약물유해 반 응 발현여부 대상 환자 중 용량조절이 필요한 중등도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 총 12명을 대상으로 유해반응 발현 여 부를 조사하였으나, 권장용량으로 투여한 환자나 권 장용량을 초과하여 투여한 환자 모두에서 임상적으 로 유의한 유해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 Sitagliptin과simvastatin의병용환자의약 물상호작용 발현 여부 본 연구의 대상환자군과는 별도로 2010년 2월중 1 개월 동안에 sitagliptin과 simvastatin 함유제제 (simvastatin 단독제제 및 ezetimibe와의 복합제제 포함)를 병용 처방받은 총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상호작용에 의한 유해반응의 발현여부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급성신부전이나 횡문근 융해증 뿐 아니라 기타의 유해반응도 발견하 지 못하였다. 사실 횡문근 융해증과 같은 약물유해반 응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 에 본 연구와 같은 소규모 집단에서 부작용이 나타나 지 않았다고 해서 안심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 된다 14). 아.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는 단일 병원에서 제한된 기간 동안에 처방 받은 소규모 환자군에 대한 연구로서 한계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약물유해반응을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소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했음에 도 불구하고 3명(5%)의 환자에서는 신기능 장애등급 이 1단계 아래로 떨어진 것을 발견한 것은 최근 들어 급속도로 처방량이 증가하고 있는 sitagliptin 처방 동향과 사구체 여과율을 나타내는 임상검사인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있는 환자 집단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연구가 향후 대규모 약물감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약물유해반응이나 약물 상호작 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 는데, 급성신부전이나 횡문근 무력증과 같이 매우 드 물게 발생하는 약물유해반응을 관찰하기에는 단일병 원의 단기간의 관찰로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약물 유해반응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대규모 연구가 추후 에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2010년 2월 중에 sitagliptin을 처음으로 처방받 은 한 개의 상급전문종합병원의 외래환자 중에서 2010년 8월말까지 sitagliptin을 3회 이상 연속하여 처방받은 환자가운데 처방개시 전에 사구체 여과율 을 반영하는 임상검사치가 있는 환자 총 126명의 환 자를 대상으로 sitagliptin의 신장 기능 장애 등급별 용량적정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당뇨병환자에서는 권장용량에 따라 sitagliptin을 처방하고 있었으나, 용량조절이 필요한 신장애 환자의 경우 고용량으로 처방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진료과별 부적절한 초기용량 처방 비율은 주 진 료과인 내분비대사내과 보다는 기타 과에서 처 방받은 경우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 62 -

손기호 : 신기능에 따른 Sitagliptin의 처방용량 적정성 평가 (3) Sitagliptin 투여 시작 시점과 6개월 후의 크레 아티닌 청소율의 변동을 비교한 결과, 용량 조 절이 필요하지 않은 정상 및 경증의 신장애에서 용량 조절이 필요한 중등도 이하의 신장애를 나 타내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수치로 악화된 환자 가 총 3명(5%) 이었다. (4) Sitagliptin 단독 복용과 simvastatin과의 병 용에 의한 약물유해반응은 단 1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신약이 병원 내에 처방약 목록으로 등재될 경우에는 뉴스레터나 게시판, 약물 설명회 등을 통해 처방 시 주의사항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이면서도 광범위하게 제공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주기적으로 사용의 적정성을 평가하여 해 당 의료진에 피드백 하는 등의 약사에 의한 중재 활 동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15). 특히, 환자의 신 기능이나 간 기능에 따라 용량 조절이 필요한 약물인 경우, 그에 따른 용량 조정 정보를 처방조제지원시스 템에 반영함과 동시에 약사의 처방감사 기능을 집중 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생 각된다. 나아가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서 신장 애는 아주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자칫 진단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 16) 에비춰볼때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신기능 장애나 유해반응의 모니터링 을 위해서는 실마리 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약물유해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부작용의 조기발견과 조 기 조치로 환자 위해를 감시하는 안전성 감시체계의 상시가동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17). 감사의 말씀 이 논문은 2011학년도 경성대학교 신임교수정착연 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자료정리에 도움을 주신 삼성서울병원의 김선미 약사에게 감사드립니다. 참고 문헌 1) 김신곤, 최동섭 : 우리나라 당뇨병의 현황, 대한 의사협회지, 3, 791-798 (2008) 2) Ho J., Leung and A.K., Rabi D. : Hypogly cemic agents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Recent Pat Endocr Metab Immune Drug Discov,5(1), 66-73 (2011) 3) Jermendy G. : Incretin-based therapy for treati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rv Hetil, 152(48), 1931-40 (2011) 4) Ellis S.L., Moser E.G., Snell-Bergeon J.K., Rodionova A.S., Hazenfield R.M. and Garg S.K. : Effect of sitagliptin on glucose control in adult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trial, Diabet Med, 28(10), 1176-81 (2011) 5) Dhillon S. : Sitagliptin: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rugs, 70(4), 489-512 (2010) 6) Scheen A.J. : Pharmacokinetics of dipeptidylpeptidase-4 inhibitors, Diabetes Obes Metab, 12(8), 648-58 (2010) 7) Vincent S.H., Reed J.R., Bergman A.J., Elmore C.S., Zhu B., Xu S., Ebel D., Larson P., Zeng W., Chen L., Dilzer S., Lasseter K., Gottesdiener K., Wagner J.A. and Herman G.A. : Metabolism and excretion of the dipeptidyl peptidase 4 inhibitor [14C] sitagliptin in humans, Drug Metab Dispos, 35(4), 533-8 (2007) 8) Micromedex 2.0: http://www.thomsonhc.com/micromedex2/librarian/n D_T/evidencexpert/ND_PR/evidencexpert/CS/0BC61A/ND_AppProduct/e videncexpert/duplication- SHIELDSYNC/0261BA/ND_PG/evidencexpert/ND_B/evidencexpert/ND_ - 63 -

JKSHP, VOL.29, NO.1 (2012) P/evidencexpert/PFActionId/evidencexpert.DoIntegratedSearch?Sear chterm=sitagliptin 9) Bergman A.J., Cote J., Yi B., Marbury T., Swan S.K., Smith W., Gottesdiener K., Wagner J. and Herman G.A. : Effect of renal insufficiency on the pharmacokinetics of sitagliptin, a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 Diabetes Care, 30(7), 1862-4 (2007) 10) Boucher B.J. : Renal failure and rhabdomyolysis associated with sitagliptin and simvastatin use. But what about the amiodarone?, Diabet Med, 26(2), 192-3 (2009) 11) Kao D.P., Kohrt H.E. and Kugler J. : Renal failure and rhabdomyolysis associated with sitagliptin and simvastatin use, Diabet Med, 25(10), 1229-30 (2008) 12) Cockcroft D.W. and Gault M.H. : Prediction of creatinine clearance from serum creatinine, Nephron, 16(1), 31-41(1976) 13) 홍경섭, 박병주, 신상구 : 약물이상반응의 인과 성 평가를 위한 한국형 알고리즘 개발, 임상약 리학회지, 10, 129-142(2003) 14) Backes J.M., Howard P.A., Ruisinger J.F. and Moriarty P.M. : Does simvastatin cause more myotoxicity compared with other statins?, Ann Pharmacother, 43(12), 2012-20 (2009) 15) 최혜선, 양유리, 조영환, 노환성 : 병원약국의 의약정보지(newsletter)에 관 한 분 석 Analysis of Newsletter of Hospital Pharmacy, 한국병원약사회지, 15(02), 208-213 (1998) 16) Meyers J.L., Candrilli S.D. and Kovacs B. :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renal impairment in a large outpatient electronic medical records database: rates of diagnosis and antihyperglycemic medication dose adjustment,postgrad Med, 123(3), 133-43 (2011) 17) 김은영, 김선미, 정선영, 김정미, 손기호 : 실시 간 약물이상반응 감시체계 구축 및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oncurrent Computerized Surveillance System (CSS) for th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한국병원약사회지, 23(3), 179-191 (2006) - 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