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가족이데올로기.hwp



Similar documents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2003report 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 pb61۲õðÀÚÀ̳ʸ

<BABBB9AE2DC7D5C3BC2E687770>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CC 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B1DDC0B6B1E2B0FCB0FAC0CEC5CDB3DDB0B3C0CEC1A4BAB82E687770>

152*220

- 2 -

hwp

ok.

트렌드29호가제본용.hwp

보건 복지 Issue & Focus 이 글은 시간에 대한 (저출산)정책적 관점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주 출산연령층(20~49세)의 경활동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시간 3) 의 차이를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 우선 가사노동시간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고, 여성의 경

10월추천dvd

04 Çмú_±â¼ú±â»ç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한국의 양심적 병역거부

041~084 ¹®È�Çö»óÀбâ

º´¹«Ã»Ã¥-»ç³ªÀÌ·Î

<35B9DAC1F6BCF62CC0CCBFECC8C62CB7F9B5BFBCAE2E687770>

01¸é¼öÁ¤

VOD시청률 조사 판매 설명회를 실시하였다. TNMS에서 제공한 VOD 시청률 자료 3) 를 통해 국내 방송에서는 시청행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플랫폼별 인기 프로그램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방영된 TV 프로그램 중 일별

0.筌≪럩??袁ⓓ?紐껋젾 筌

(초등용1)1~29

2002report hwp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DBPIA-NURIMEDIA

¾ç¼ºÄÀ-2

CC hwp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34BFF9C8A320B4DCB8E9B0EDC7D8BBF32E706466>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³»Áö_10-6

Microsoft PowerPoint - chap02-C프로그램시작하기.pptx

<5BB0EDB3ADB5B55D B3E2B4EBBAF12DB0ED312D312DC1DFB0A32DC0B6C7D5B0FAC7D02D28312E BAF2B9F0B0FA20BFF8C0DAC0C720C7FCBCBA2D D3135B9AEC7D72E687770>

나하나로 5호

178È£pdf

<C3E6B3B2B1B3C0B C8A32DC5BEC0E7BFEB28C0DBB0D4292D332E706466>

에스디엘팜플렛-최종.cdr

#7단원 1(252~269)교

01정책백서목차(1~18)


..1,2,3,

hwp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병원이왜내지최종본1

ÃѼŁ1-ÃÖÁ¾Ãâ·Â¿ë2

hwp

2015년9월도서관웹용

Microsoft PowerPoint - chap04-연산자.pptx

º»ÀÛ¾÷-1

hwp

Jkafm093.hwp


CC hwp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ense of Community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anagement Proj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Doil-Market, Siheung Cit

서울도시연구_13권4호.hwp

금강인쇄-내지-세대주의재고찰

242 외국어로서의독일어제 41 집.,.,. III.3 Y,. (2016). (2016),,,.,..., II.,,,

DocHdl2OnPREPRESStmpTarget

A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년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년 2008년

03 ¸ñÂ÷

연구노트

i4uNETWORKS_CompanyBrief_ key

Á¦190È£(0825).hwp

내지-교회에관한교리

SIGIL 완벽입문

Boström, Familienerbrecht und Testierfreiheit in Schweden und anderen skandinavischen Ländern, in: Familienerbrecht und Testierfreiheit im europäische

고등독일어브로셔내지_양도원

coverbacktong최종spread


<B9ABC1A62D31>

60

Microsoft PowerPoint - chap01-C언어개요.pptx

E (2005).hwp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아래의조건을따르는경우에한하여자유롭게 이저작물을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및방송할수있습니다. 다음과같은조건을따라야합니다 : 저작자표시. 귀하는원저작자를표시하여야합니다. 비영리. 귀하는이저작물을영리목적으로이용할

광주시향 최종22

피해자식별PDF용 0502

82-대한신경학0201

관람가, 12세 이상 관람가, 15세 이상 관람가, 청소년 관람불가, 제한상영가로 분류하 고 있고, 같은 조 제7항은 위 상영등급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은 건전한 가정생활과 아 동 및 청소년 보호에 관한 사항, 사회윤리의 존중에 관한 사항, 주제 및 내용의 폭력 성 선정

....pdf..

5 291

기본소득문답2

ad hwp

2),, 312, , 59. 3),, 7, 1996, 30.

/ MBN AD Marketing Dep. The Solution!! MBN Newsletter Feb MBN 2 - (1)

레이아웃 1


µ¶¸³Á¤½Å45È£

¾Æµ¿ÇÐ´ë º»¹®.hwp

»êÇÐ-150È£

내지(교사용) 4-6부

자유학기제-뉴스레터(6호).indd

성도

문화재이야기part2

Transcription:

TV 예능프로그램 속 한국인의 가족이데올로기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오장근 / 목포대학교 논 문 투 고 일 : 2014년 11월 29일 논문심사완료일 : 2014년 12월 26일 논문게재확정일 : 2014년 12월 28일

TV 예능프로그램 속 한국인의 가족이데올로기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오장근 / 목포대학교 1) 1. 들어가면서 미디어, 특히 대표적 영상 매체인 텔레비전은 다수의 수용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통한 즉각적 인식을 야기하는 까닭에 공동체의 이데올로기 형성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간주된다. 1) 드라마, 광고 등의 단순하고 일상적인 서사 구조는 대부분의 경우 시청자가 속한 문화의 보편적 이데올로기 틀에서 그 내용이 생산됨에 따라 이해의 용이성을 담보한다.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 도 예외는 아니다. 오락적 특성으로 인해 의외성이 강조되는 편이지만, 최 근 유행하는 가족형 예능 프로그램은 모든 연령층에게 친숙하고 현실적인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한국 사 회의 보편적 정서를 자연스럽게 주입하고 재생산하며, 동시에 이를 강화하 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결국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은 한 사회의 이 데올로기를 보편화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 이다. 이제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큰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는 MBC의 <일밤-아빠! 어디가? (이하 아빠! 어디가? )>와 KBS2 1)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이데올로기 용어는 드 트라시가 1801년 관념의 과학 의 약칭으로 도입 하면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일반적으로 특정한 집단의 정치적 신념을 뜻하지만, 여기에서는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적 시각(1957)에 의지하여 너무나 당연하여 의식할 수 없는 공동의 인식 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오장근 99

의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이하 슈퍼맨이 돌아왔다 )>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이들 육아 관련 예능 프로그램 속에 숨겨져 있는 한국 사회 의 가족이데올로기에 주목하고자 한다. 2) 이들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공적인 장소에서 일하며 가족을 경제적으로 뒷받침하는 역할을 맡아왔기에 가정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었던 아버지 가 자녀들에게 보다 의미 있는 존재가 되기를 바라는 취지 에서 기획된 프로그램으로, 가정에서의 아버지의 부재 를 극복한다는 긍정 적인 메시지가 다수의 시청자에게 설득력을 얻고 있음은 분명하다. 하지만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복지국가 담론이 활발하게 논 의되는 가운데 이 프로그램들이 전달하는 메시지와 시청자가 받아들이는 메시지가 긍정적이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의식이 이 논문의 기저에 깔 려 있다. 본 논문이 지향하는 비판의 핵심내용은 두 프로그램이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 하의 자본주의를 공고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족을 적극 이용하는 측 면이 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특정 유형의 가족 이미지를 반복 생산하는 것과 둘째, 지배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이미지의 생산이 다. 전자의 내용에서는 이 프로그램들이 정상 가족이데올로기에 입각하여 가족의 이미지를 획일화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고자 하며, 후자의 내 용에서는 이 프로그램들이 사실상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젠더 역할분담을 고착화시키는 측면을 집중 비판하고자 한다. 2) 본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선택한 예능 프로그램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MBC의 <일밤-아빠! 어디가? (이하 아빠! 어디가? )>와 KBS2의 <해피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이하 슈퍼맨이 돌아왔다 )>이다. <아빠!-어 디가?>는 2013년 9월 19일 추석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었다가 2013년 11월 3일부터 정규 방송 프 로그램으로 편성되어 2014년 11월말 현재(97회차)에 이르기까지 KBS2의 대표 예능프로그램으로 자리하 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프로그램의 2013년 방송분을 대상으로 제한하고, 이들 프로그램의 내용 속에 내재 되어 있으면서 우리에게 자연스럽게 인식되었던 한국의 가족 신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100 영상문화25

2. 분석 방법론적 틀: 바르트의 현대적 신화 이데올로기(ideology)의 사전적 의미는 사회 집단의 사상, 행동, 생활 방 법을 근본적으로 제약하고 있는 관념이나 신조의 체계, 즉 역사적ㆍ사회적 입장을 반영한 사상과 의식의 체계이다. 3) 프랑스의 철학자 알튀세르(Louis Althuser)는 이데올로기의 무의식성에 대해 역설하였다. 그는 이데올로기 는 의식과 무관한 표상들의 체계이며, 이 표상들은 이미지와 개념이라고 주 장하였다. 그리고 이 표상들은 인간의 의식이라는 매개를 거치지 않고 부과 되는 구조들이다. 4) 같은 맥락에서, 이탈리아의 정치사상가 그람시(Antonio Gramsci)는 우리의 사고체계를 구성하고 조작하며 지배하는 특정한 생활 양식과 사고방식이라는 헤게모니 를 설명한다. 그는 헤게모니를 사회 곳곳 에 자욱이 퍼져있는 보이지 않는 안개 로 표현한다. 헤게모니는 모든 곳에 존재하면서 모든 공동체 구성원에게 지배계급의 세계관과 가치관이라는 프 리즘을 끼운다. 따라서 피지배계층도 당연한 것처럼 지배계급의 가치관으 로 세상을 해석하고 행동하게 된다.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역시 유사한 맥락에서 현대의 신화 라는 개념으로 이데올로기의 기능을 설명한다. 5) 우리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도 의식하지 않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해석 틀이라는 점에서 신화는 이데올로기의 기능을 한다. 현대의 신화가 고대의 그것과 다른 점은 배후에 특정 목적을 감추고 있다는 것이다. 바르트는 현 대 부르주아 사회에서 자명성이라는 형태 너머 숨어있는 이데올로기적 작 용을 드러내기 위하여 신화를 분석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이러한 신화의 형 3) 인터넷 포털 사이트 Naver 국어사전(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38 0100) 4) 알튀세르가 정리한 이데올로기의 특징과 관련하여 Althusser, Louis. Theory, Theoretical Practice and Theoratical Formation : Ideological Struggle, 최일성,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 기 (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논 문, 2001) pp. 47-48에서 재인용 5) 이화여자대학교, 현대의 신화 (롤랑 바르트 전집 3), 동문선, 1997. 남경태 <한 눈에 읽는 현대철학> 21. 롤랑 바르트 : 신화. http://haangl1004.blog.me/70117114092 참조 오장근 101

식은 부르주아 사회의 일반 기호학이다. 본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롤랑 바르트의 현대적 신화 개념을 이용한 기 호학적 분석틀을 사용하여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 는 점을 분석, 비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이미 우리에게 잘 알 려진 바르트의 기호 분석틀인 객관적이고 1차적인 언어적 차원의 외연적 기호 의미와 상황적이고 2차적인 신화적 차원의 내포적 기호 의미를 나누 어 분석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이 논문에서 논의되는 언어적 차원의 기표 는 영상이미지와 화면에 삽입되는 문자 언어인 자막이다. 불필요한 경우 기 계적인 분석은 생략하고 신화적 체계를 완성하는 신화적 차원의 기호, 즉 내포적 기호에 집중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생산자보다 수용자의 해석에 초 점을 맞춘 바르트 기호학의 특징을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생산자의 제작 의 도도 함께 고민하였다. 3. 정상가족에 대한 신화 3.1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정상가족 이데올로기(normal-family-ideology) 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서는 수많은 이론과 연구가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포괄적으로, 특정유형의 가족생활 모델을 가장 바람직하고 도덕적인 것으로 이데올로기화한다는 의 미로 사용하였다. 6) 2013년 1월 6일부터 방영 중인 <아빠! 어디가?>에서 는 총 5가구의 가족이 등장한다. 또한 2013년 11월 3일부터 방영 중인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는 한 번의 구성원 변경은 있었으나 총 4가구의 가족이 등장한다. 이 두 프로그램을 합친 총 9가구의 가족에게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다. 6) 최일성,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 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2009, p.87 102 영상문화25

첫째, 모든 가족의 아버지가 연예인 내지 방송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 직 업을 가지고 중산층 이상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7) 둘째, 9가구의 가족 모두 법적 혼인을 통한 남녀의 결합과 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들로 구성된 혈연적 관계로 맺어진 공동체라는 점이다. 즉 유형의 측면에서 이 9가구의 가족들은 동일하다. 그런데 파일럿 프로그램인 추석특집 <슈퍼맨이 돌아왔다> 1부에서 방송 시작 부 분에 이러한 네 가족의 아버지를 두고 대한민국 대표아빠 4인 이 라는 자막을 내보낸다. 바르트의 분석틀에 따르면 이러한 가족의 이미지에서 언어적 차원의 기 표는 영상이미지, 기의는 자녀를 돌보는 여성과 남성이다. 여기서의 기호는 남녀 한 쌍의 자녀를 보살피는 모습의 당연함과 자연스러움이다. 이 기호를 기표로 두는 신화적 차원에서 기의는 남녀 간의 결합으로 완성된 혈연 공동 체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신화, 이데올로기는 남녀 간의 결합으로 완성 된 혈연적 공동체가 대표적인, 즉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가족공동체라는 것 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족 구성을 살펴볼 때, 약 10퍼센트의 가구가 한 부모 가정이다. 또한 재혼 가정, 다문화 가정, 조손 가정, 동성의 결합으로 이루 어진 가정, 입양아를 양육하는 가정 등의 유형도 있다. 한국의 가족 유형은 무자녀 가족과 1인 가족을 제외하더라도 다양한 편이며, 다양화되는 속도 또한 빠르다. 다시 말해, 남녀가 결합하여 법적 혼인관계를 이루고, 그 사이 에서 출생한 생물학적 자녀로 구성되어있는 가족의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의 아버지들은 매우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 으며, 각 가정의 소득분위도 다양하다. 그렇기 때문에 남녀의 결합과 그 사 7) <아빠! 어디가?>의 경우, 김성주는 MC이자 전 아나운서, 성동일은 탤런트이자 영화배우, 송종국은 스포츠 해설가이자 전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종혁은 탤런트이자 영화배우, 윤민수는 가수이자 음악PD이다. <슈퍼 맨이 돌아왔다>의 경우 장현성은 탤런트이자 영화배우, 추성훈은 이종 격투기 선수이자 전 유도선수, 이휘 재는 MC이자 개그맨, 타블로(본명 이선웅)는 가수이자 음악PD이다. 오장근 103

이에서 출생한 자녀들로 구성된 혈연적 관계 가 전형적 가족의 모습으로 간 주되는 시각에 대한 변화는 이미 예전부터 요구되었다. 두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가족들은 특정한 하나의 유형에 속한 4가구일 뿐이다. 그리고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출연자인 추성훈의 경우, 다문화 가정으로 평가할 수는 있지만, 8) 현재 국적과 거주지가 일본이기 때문에 대 한민국의 대표 아버지로 볼 수는 없다. 결국 대한민국 대표 아빠 4인 이라 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표현이다. 그러나 많은 시청자가 별다른 의문 없이 수용한다. 하나의 유형에 불과한 가족 형태가 전형적인 가족 이미지로 둔갑 하여 재생산되는데도 기존의 가족과 관련된 신화를 비판 없이 수용하기 때 문이다. 또한 추성훈이 혈연적으로 한국인이므로 한국 가정에 포함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다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또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는 그 본질, 즉 혈연관계 의 신화로 보다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수용된다. 특히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아버지 와 자녀 간의 혈연적 유대감은 노골적이다. 자신과 같은 질병을 앓을까봐 걱정하는 이휘재의 모습, 아들과 손녀가 많이 닮았음을 강조하는 추성훈의 아버지의 설명, 자신과 유사한 직종을 가지고 싶어 하는 아들의 모습을 보 고 걱정과 애정을 동시에 느끼는 장현성의 모습 등은 모두 닮음 이라는 내 포적 기표와 결합되는 혈연의 강조 라는 내포적 기의이다. 이렇게 외모와 성향이 유사한, 붕어빵 자녀에 대한 아버지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애정의 내포적 기호는 방송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반복되고, 9) 시청자들은 이를 긍 정적으로 해석한다. 또한 부모와 자녀 중 하나라도 없으면 가족이 완성되지 않는다는 감동적인 대사 등을 통한 특정 가족 유형에 대한 고수도 무비판적 으로 수용한다. 10) 결론적으로 아빠, 엄마 그리고 생물학적 아들과 딸 로 이루어지고 넓고 8) 추성훈은 재일교포로 일본으로 국적을 변경하였다. 그의 아내 역시 일본인이다. 그의 가족의 주소지는 일본 이다. 9) <슈퍼맨이 돌아왔다> 제2화(방영일자 2013.11.10), 제3화(방영일자 2013.11.17) 10) 추석특집 <슈퍼맨이 돌아왔다> 2부(방영일자 2013.09.20) 104 영상문화25

쾌적한 집과 많은 유아용품ㆍ장난감 이라는 내포적 기표와, 중산층 이상의 삶을 영위하는 혈연적 가족공동체의 내포적 기의를 통해, 이러한 가족이 일 반적이고 바람직한 정상가족 이라는 내포적 기호가 매우 자연스럽게 수용 되고 있다. 이는 유지되어온 가족에 대한 신화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 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결국 매주 일요일 오후 두 공영방송사에 의해 이 러한 유형에서 벗어난 가족들은 무의식적으로 기호적 공격에 노출되어 있 는 것이다. 나아가 부모와 그들을 닮은 사랑스러운 어린 자녀들의 행복한 이미지를 당연하게 여기고, 이를 닮고자 하는 수용자들은 신화로서의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의 당위성을 확인하며 그대로 시행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 3.2 좋은 아버지 의 획일화 분석 대상인 두 프로그램이 보여주는 아버지 의 이미지 또한 획일화되어 있다. 이 경우 내포적 기호는 다정다감하며, 항상 자녀를 지켜주고 자녀를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된 슈퍼맨과 같은 아버지 가 좋은 아버지라는 것이다. 이러한 내포적 기호는 두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모두 강조되지만, 특히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는 문자 언어로서 직접적으로 표현될 정도로 노 골적이다. 정규방송 4화가 대표적인 예이다. 아빠 이런 사람이야 라는 4화 의 제목은 방송 말미에서 아빠는 이런 사람이어야 한다. 는 것으로 숨겨져 있던 그 의미를 분명히 한다. 사회적, 직업적 성공보다 아버지로서의 삶이 더욱 행복하다는 취지의 자막과 해설이 여러 번 등장한다. 개인의 자아실현보다 가족에 치중하는 삶, 조금 극단적으로는 가족에 매 몰된 삶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는 사실 우리에게 익숙하다. 바로 모성 이데올로기, 모성의 신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여 성은 가사와 자녀양육을 전담하는 역할을 맡아왔다. 이러한 역할전담은 모 성 이라고 명명되어 여성과 동일시되기까지 하였다. 즉 여성의 정체성은 아 내이자 어머니여야만 했다. 근대 이후 이런 모성과 여성의 자아실현은 꾸준 오장근 105

히 대립 갈등의 구도 속에 놓였는데, 11) 이 두 프로그램에서는 그 모성이 그 대로 남성에게 전이된 양상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제 화면 속의 아버지는 부성 으로 이름만 바꾼 모성을 강요받는다. 그리고 시청자는 개인보다 가족 공동체를 우선하는 지배적 가족 이데올로기를 매개로, 감성을 자극하는 일 련의 이미지를 통해 변형된 신화를 받아들인다. 두 프로그램은 자녀를 낳아 양육하는 것이 매우 힘들지만 동시에 다른 것과 비교할 수 없는 행복임을 반복적으로 강조한다. 따라서 출산과 육아를 장려하는 이미지들로 채워진 프로그램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여기서 매우 자연스럽게 숨겨진 또 하나의 이데올로기는 개인보다 가족공동체가 우선한다는 논리이다. 페미니즘이 등장한 이래로 문제가 되 었던 여성의 자아실현과 모성의 대립 갈등 구도가 해결되기는커녕 남성에 게로까지 확장된 이미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그저 여성의 고통 분담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만 볼 수도 없다. 이 프로그램은 동시에 젠 더 이데올로기를 공고화하기 때문이다. 4. 지배적 젠더 역할분담의 신화 4.1 비일상적인 아버지의 육아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관 습적이고 지배적인 젠더 역할분담의 신화가 나타난다. 첫 번째 측면은 바로 어머니와 아버지의 역할이 정해져있다는 점이다. 두 프로그램 모두 어머니를 인위적으로 배제한 상태에서 약 48시간 동안 아버 지가 자녀를 돌보는 패턴으로 진행된다. 평소 자녀의 양육에 주도적인 역할 을 하는 아내가 사라져서 곤혹스러워하던 출연자는 서툴지만 최선을 다해 11) 김세서리아, 한국 가족에서 모성과 여성의 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자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 성철학, 제 12권, 한국여성철학회, 2009, p.47 106 영상문화25

자녀를 돌본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버지와 자녀 모두 서로에게 차츰 익숙해 진다. 그리고 아내가 돌아오면 출연자들은 한시름 놓고, 서로의 사랑과 가 족의 소중함을 확인하는 것으로 에피소드가 마무리된다. 여기서 당연하게 수용되는 신화적 차원의 기의는 아버지가 새롭게 발견한 육아의 기쁨과 아 내를 비롯한 가족의 소중함이다. 내포적 기의가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아버 지의 육아는 비일상적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이다. 예능 프로그램의 특성과도 관련된 문제지만, 화면에서 진행되는 아버지 들의 육아는 이른바 보여주기식 이벤트 이다. 아버지의 육아는 어머니를 인 위적으로 배제해야만 가능한 비일상적인 일이다. 화면에서 어머니와 함께 일상적 육아에 참여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슈 퍼맨이 돌아왔다>의 경우 영유아기의 자녀를 먹이고 입히고 잠을 재우는 등 일상적인 자녀 돌봄이 대부분이어서 더욱 인지하기 어렵지만, <아빠! 어디가?>의 경우 자녀들과 함께 일상에서 벗어나 여행을 떠나는 형식의 프 로그램이기 때문에 비일상성이 확연하게 두드러진다. 생업에 종사하는 일 반인의 경우, 특히 노동시간이 긴 한국에서 아버지가 자녀와 48시간을 계 속 함께 생활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두 프로그램에서는 종종 상당한 비용이 드는 여행을 기획하여 현실성과는 더욱 거리를 두기도 한다. 즉 이런 비일상성의 기의가 프로그램 기획 취지와는 반대로 아버지의 일상 적 육아 불가능성이라는 내포적 기호, 신화를 강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자 동적으로 젠더 이데올로기의 강화로 연결되는 것은 자명하다. 두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9가구의 가족 모두 일상적 육아는 어머니가 전 담하고 있다. 적어도 화면에서는 출연자의 여성배우자가 직장인이든 전업 주부이든 가사노동과 육아의 주체로 등장한다. 그리고 종종 육아가 이토록 힘든 일인지 몰랐던 아버지들이 아내, 어머니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이미지 를 보여준다. 이것은 결국 아버지의 육아는 일시적 비일상적, 일탈적인 것 에 불과하며 일상적 육아는 여성의 것이라는 기존의 젠더 역할분담에 대한 신화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그리고 이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게 다가온다. 오장근 107

4.2 딸과 아들의 육아ㆍ교육에서의 차별 우선, 화면에 나타나는 아버지의 딸과 아들에 대한 태도가 다르다. 두 프 로그램에서 어린 딸은 특별한 존재로 등장한다. 첫째로, 출연하는 남녀 어린이의 수부터 다르다. <슈퍼맨이 돌아왔다> 는 파일럿 프로그램일 당시 총 4가구의 가족 중 한 가족만 여자 어린이가 등장하였고, 정규 프로그램으로 변하면서 등장하는 남녀 어린이의 수를 각 각 2명씩 맞추었다. 12) 반면 <아빠! 어디가?>의 경우, 방영 이래로 5명의 어린이 중 단 1명만이 여자어린이이다. 특별한 경우 여자어린이가 추가로 등장하기는 하지만, 남자어린이가 다수인 상황은 유지된다. 13) 이렇게 여자 어린이를 과소 등장시킴으로써 여성의 희소함을 부각하는 동시에 여성은 다수의 남성이 지켜주어야 하는 존재, 연약한 존재, 주변적 존재, 예쁘고 사 랑스러운 존재의 이미지를 만든다. 이때의 내포적 기의는 희소하고 사랑스 러운 여자 어린이, 내포적 기호는 여성은 보호받아야 하는 연약한 존재이며 이는 당연하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 신화는 딸과 아버지의 관계는 전형적인 연애 로맨스 이미지 를 생산함으로써 강화된다. 등장하는 남녀 어린이 모두 전반적으로 아버지 와 잦은 스킨십을 나누는 등 애정을 과시하는 이미지가 제공된다. 세부적으 로는 아들과 아버지의 경우 보다 활동적이고 많은 대화를 나누는 이미지가 많다. 반면, 딸의 경우 아버지가 딸이 예뻐 어쩔 줄 모르고, 딸이 요구하는 사항은 뭐든지 들어주는 등의 이미지가 주로 등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미 지는 사랑에 빠진 남성 이미지 기호를 만들기 위해 미디어에서 전형적으 로 사용하는 배경음악, 화면효과, 자막 등을 이용함으로써 분명해진다. 14) 이는 딸 밖에 모르는 바보라는 의미의 이른바 딸 바보 이미지의 생산이라 12) 추석특집 파일럿 프로그램일 당시 이현우(가수 탤런트)와 그의 아들 둘이 출연했으나 정규 프로그램으로 편성되면서 이현우 가족 대신 타블로(본명 이선웅) 가족이 출연하게 되었다. 13) <아빠! 어디가?> 제33회 형제특집(방영일자 2013.08.18), 제40회 친구특집(방영일자 2013.10.06) 등 14) <슈퍼맨이 돌아왔다> 1부(방영일자 2013.11.03)을 비롯하여 두 프로그램 전반에서 빈번하게 나타난다. 108 영상문화25

는 결과를 낳고, 이에 대한 과도한 긍정이 발생한다. 이 점은 출연자들의 대 사에서도 공공연히 드러난다. <아빠! 어디가?>에서는 아들과 딸 모두 있 는 송종국이 둘을 대하는 태도가 다르다. 15) 슈퍼맨이 돌아왔다 에서는 딸을 둔 추성훈과 그의 아버지가 아들에게는 물리적 폭력을 행사할 수 있지 만 딸은 그렇지 않다는 발언을 직접적으로 한 바 있다. 16) 그리고 방송 전 반에서, 자녀가 이성에게 관심을 보이는 경우, 딸을 둔 아버지가 보다 부정 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등장한다. 이런 예시들을 통해 앞서 지적한 딸은 지켜주어야 하는 존재, 연약한 존재, 예쁘고 사랑스러운 존재 신화를 재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는 출연하는 여자 어린이들의 사랑스럽고 앙증맞은 이미지, 딸 바보 아버지의 이미지를 소비하며 신화에 공감한다. 더욱 심각한 점은 아직 사회화가 완성되지 않은 어린이에게도 관습적 젠 더 이데올로기가 신화로서 자연스럽게 학습되어있는 이미지가 등장하며 자 연스럽게 수용된다는 것이다. 이는 <아빠! 어디가?>에서 더욱 잘 나타난 다. 언어적 차원의 기호로서, 남자 어린이들은 한 명 뿐인 여자어린이를 지 켜줘야 한다. 라고 말한다. 또한 여자 어린이와 스스로를 비교하며 나는 남자니까. 라고 말하는 장면도 종종 등장한다. 17) 편집의 문제도 심각하다. 다른 어린이들보다 세수를 잘하고, 요리에 다소 익숙한 여자어린이의 이미 지를 보여주면서 천생여자 라는 자막을 삽입한다. 활동적이고 용감하게 나 서는 남자어린이의 이미지 아래에는 상남자 라는 자막을 함께 넣어 방송에 내보낸다. 18) 이것은 이미지의 소비자들이 관습적인 남자다움/남성스러움 과 여자다움/여성스러움 을 어린이에게까지 그대로 적용하여 지배적 젠더 에 대한 신화를 완성하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등장하는 미취학 남자 어린이는 나는 일을 해 15) <아빠! 어디가?> 제20회, 제21회 형제특집(방영일자 2013.05.19., 2013.05.26) 등 16) <슈퍼맨이 돌아왔다> 1부(방영일자 2013.11.03) 등 17) <아빠! 어디가?> 제1회(방영일자 2013.01.06) 등 18) <아빠! 어디가?> 제2회(방영일자 2013.01.13), 제42회(방영일자 2013.10.20) 등 오장근 109

야 하니 아내가 요리를 잘해야 한다. 고 대답한다. 19) 아직 교육시스템에 노 출된 적 없고 사회화도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은 어린이도 벌써 지배적 젠 더 이데올로기를 습득하고 있는 것이다. 출연하는 모든 어린이들의 가정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아버지는 공적 영역에서 경제적 노동을 하고 어머니 는 가사노동과 양육을 하는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학습된 것 으로 보인다. 결국 이 프로그램들은 전통적 젠더 역할의 사회적 학습화가 진행된 이미지를 보여주며 동시에 이 신화를 다시 시청자가 지배적 젠더 이 데올로기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5. 결 론 : 미디어를 통한 한국 가족이데올로기의 재생산 지금까지 아버지가 적극적으로 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텔레비전 예능 프 로그램의 MBC의 <아빠! 어디가?>와 KBS의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롤 랑 바르트의 현대의 신화 로 분석하고 비판하였다. 요약하면 이 프로그램들 은 유교적 영향을 받은 전통적 가부장제도 속의 권위적인 아버지, 공적 영 역에서의 사회적 삶과 경제활동에만 충실한 지배적 젠더 역할분담 이데올 로기 속의 아버지에서 탈피하는 아버지들의 이미지를 적극 생산한다. 동시 에 그러한 이미지의 비일상성을 강화하며 전통적 젠더 이데올로기 신화를 재생산한다. 궁극적으로 시청자는 가장 바람직하고 정상적인 가족 에 대한 해답을 프로그램에서 찾아내고 수용하면서 신화를 강화한다. 두 프로그램의 시청자 게시판을 통해 일부 시청자가 두 프로그램에 대해 딸에 비해 아들에게 지나치게 엄격한 교육방식, 일본인 가족을 한국의 가족 으로 편입시킨 것, 프로그램과 같은 아버지의 적극적 육아 참여가 환상에 불과한 것, 프로그램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통한 상대적 빈곤 강화, 국가 육 아정책 소개에 대한 부재 등에 대해서 비판의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19) 추석특집 <슈퍼맨이 돌아왔다> 2부 (방영일자 2013.09.20) 110 영상문화25

알 수 있었다. 20)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것, 희생적인 아버지와 혈연관계로 맺어진 가족 은 대다수의 시청자들에게 의문의 여지없이 자연스러운 신화 로 받아들여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더욱 위험하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두 프로그램은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미 지를 통해 가족에 대한 신화를 끊임없이 생산한다. 지배적 젠더 이데올로기 는 정상 가족 이데올로기를 위한 수단이다. 나아가 이제는 남성도 가족에 헌신해야만 한다. 좋은 아버지는 전통적 모성과 같은 정도의 희생도 기꺼 워하는 아버지다. 이토록 가족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신화가 견고한 한 국 사회에서 도출 가능한 함의는 무엇인가. 출산과 육아는 국가적 문제다. 애초에 한국에서 복지국가 담론의 큰 화두로 등장하게 된 계기도 과거에는 사적영역인 가정에서 해결했던 사안에 국가의 개입 필요성이 대두하였기 때문이다. 출산ㆍ육아는 그 중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각종 복지 정책을 약속하고 점차 시행하면서 국민들에게 출산을 장려하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보지 못하는 실정이다.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육아와 교 육에 대한 해결책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과도한 노동시간, 출산ㆍ육아휴가 제도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는 사회적 환경, 부족한 육아지원 정책, 미혼 모ㆍ미혼부에 대한 편견 등 성( 性 )과 가족에 관련된 관습적 가치관, 사교육 비 문제, 주택문제 등 사회 제반에 만연한 지배적 가치관과 경제적 문제가 출산 육아의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들은 출산ㆍ육아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방안은 암 시조차 주지 않고, 정부와 사회의 역할은 배제한 채 가족의 무조건적인 사 랑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이미지만 제공한다. 양육에 서툴러도 괜찮으며, 양육을 통해 부모도 함께 성장한다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전달하는 것도 그 이미지 생산의 일부이다. 21) 또한 자녀를 기르는 즐거움과 가족이 주는 정 20) <아빠! 어디가?> 홈페이지 시청자 의견 http://www.imbc.com/broad/tv/ent/sunday night/go_father/board. <슈퍼맨이 돌아왔다> 홈페이지 시청자 게시판. http://www. kbs.co.kr/2tv/enter/happysunday/bbs/index.html 21) 두 프로그램의 전반에 직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메시지이다. 특히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노골적으로 표 현된다. 오장근 111

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홍보함으로써 가정을 꾸리는 욕구를 심어주는데 집 중한다. 이때의 가정은 법적으로 보호받는 혼인으로 남녀 간의 육체적 결합 을 통해 자녀를 출산하는 것이라는 특정 유형만 해당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어린 국민을 양육하는 작업에 일차적으로는 여 성이, 그리고 이제 그것으로 역부족이기에 남성까지 동원되어야하는 측면 도 있다. 국가와 정부의 도움 없이 국민들이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에서 생 존하기에 용이한 까닭이다. 에스핑 안데르센(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분류에 따르면 육아와 교육 서비스를 국민 전체에게 지원하는 보편적 복지국가는 사회민주주의 복지 유형이다. 이 유형의 복지국가에서의 혜택은 국민의 소득과 관계없이 그 국가의 시민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제공된다. 현재 한국 에서도 이러한 서비스 형태의 복지정책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는 추세 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공영방송사에서 생산해내는 육아는 가정의 책임 이 미지가 활발하게 소비되는 이유는 이미지의 생산자와 수용자 모두 한국 사 회에 뿌리 깊은 가족이데올로기에 무비판적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한 현재 한국 사회의 출산ㆍ육아 문제를 기존의 가치질서로 해결하는 것이 보편적 복지국가 등 새로운 해결책의 실천보다 쉽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한 다는 의미라고 해석하였다. 계속되는 복지 정책의 시행착오를 경험하거나 목격하면서 이미지 생산자와 수용자 모두 역시 예전부터 그래온 것처럼 가 족 안에서 해결하는 것이 제일이야. 라고 여기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두 프로그램은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적 요구에 반동적으로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를 존속시키는 데 적합한 전통적 가족제도로의 회귀를 강화하는데 기 여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제작ㆍ편집 당시 이러한 정치적 의도는 없었을 수도 있다. 하지 만 바르트에 의하면 중요한 것은 저자의 의도나 목적이 아니라 텍스트다. 즉 미디어 매체를 통해 생산된 이미지를 통해 수용자가 어떻게 받아들이는 지가 문제다. 제작자ㆍ편집자의 의도가 무엇이든 현재의 한국에서 신자유 112 영상문화25

주의 경쟁 체제에 걸맞게 변형된 전통적 가족제도의 신화로 해석이 가능한 여지를 준 것에는 틀림없으므로 그런 의도가 없었다면 보다 신중했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지의 수용자인 시청자가 문제의 본질과 해결책에 대한 명확한 의식을 가지고 기존의 신화가 올바른 해결책이 될 수 있는지 비판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다. 오장근 113

참고 문헌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김세서리아, 한국 가족에서 모성과 여성의 일에 대한 철학적 고찰 : 자녀교육 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제 12권, 한국여성철학회, 2009 백선기,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4 오장근, 광장의 언어 : 지테Sitte의 시선에서 바라본 광장의 구조와 의미 이해하기, 기호학연구, 제 40집, 2014 오장근, 아담의 손가락 : 미켈란젤로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에 대한 기호학적 주석, 독어학, 제 23집, 2011 오장근, 문화콘텐츠 분석을 위한 인문학적 분석도구 : 텍스트-기호학 기반 의 문화연구를 위하여, 언어과학연구, 제 38집, 2006 오장근/김영순/백승국,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최일성,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 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Barthes, R.(1969). Rhetorik des Bildes, Der französische Struk turalismus, Hamburg, 158-166. Gøsta, E.-A.,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박형신/정헌주/이 종선 역, 복지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일신사, 2006 Gramsci, A.,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of Antonio Gramsci : notes on politics, 이상훈 역, 옥중수고, 거름, 1999 Greimas, A. J., Du sens Ⅰ, 김성도 역,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원전은 1972/83년에 출판) 114 영상문화25

국문 초록 TV 예능프로그램 속 한국인의 가족이데올로기 <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최근 유행하는 가족형 예능 프로그램은 모든 연령층에게 친숙하고 현실 적인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한 국 사회의 보편적 정서를 자연스럽게 주입하고 재생산하며, 동시에 이를 강 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결국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은 한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보편화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큰 대중적 인기를 끌고 있는 MBC의 <일밤-아빠! 어디가? (이하 아빠! 어디가? )>와 KBS2의 <해피 선데이-슈퍼맨이 돌아왔다 (이하 슈퍼맨이 돌아왔다 )>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이들 육아 관련 예능 프로그램 속에 숨겨져 있는 한국 사회의 가족이 데올로기에 주목하고자 한다. 롤랑 바르트의 현대의 신화 로 분석한 이 프 로그램들은 결국 유교적 영향을 받은 전통적 가부장제도 속의 권위적인 아 버지, 공적 영역에서의 사회적 삶과 경제활동에만 충실한 지배적 젠더 역할 분담 이데올로기 속의 아버지에서 탈피하려는 아버지들의 이미지를 적극 생산하고, 이와 동시에 그러한 이미지의 비일상성을 강화하며 전통적 젠더 이데올로기 신화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궁극적 으로 가장 바람직하고 정상적인 가족 에 대한 해답이 이들 예능프로그램에 의해 찾아내어지고 수용되면서 한국의 가족 이데올로기(가족신화)가 수용 자들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강화되고 보편화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가족 이데올로기, TV 예능프로그램, 현대의 신화, 기호학, 바르트, <아빠 어디가>, <수퍼맨이 돌아왔다> 오장근 115

Abstract Zum semiotischen Lesen der Koreanischen Familienideologie in TV Unterhaltungsprogramme Oh, Jang-Geun / Mokpo Univ. Die vorliegende Arbeit handelt davon, wie die koreanische Familienideologie in TV Unterhaltungsprogramme unter dem semiotischen Aspekt systematisch untersucht werden können. Dafür werden 2 Unterhaltungsprogramme, d.h. <Vater, wohin gehen wir?> in MBC und <Superman kommt zurück> in KBS 2, hier als die Analysegegenstände ausgewähl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also thematisiert, die narrativite Struktur, das Verlangenszeichen, und die mythische Bedeutung des TV Unterhaltungsprogrammen. Vor allem ist die koreanische Familien-Kode eine hervorragende Kennzeichung dieser Unterhaltungsprogrammen, und die ist auch als ein Grund des volkstümlichen Erfolg anzusehen, mit der diese nterhaltungsprogramme von anderen Fernsehprogrammen differrenziert wird. KeyWords : Familienideologie, TV Unterhaltungsprogramme, Mythos des Gegenwarts, Semiotik, Barthes, <Vater, wohin gehen Wir>, <Superman kommt zurück> 116 영상문화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