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과학회지: 제 90 권 제 2 호 2016 http://dx.doi.org/10.3904/kjm.2016.90.2.105 특 집(Special Review) - 기능성 위장관질환에 있어서 식이 및 영양요법 기능성 위장관질환에 있어서 식이 및 영양요법: 과민성 장증후군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화기내과학교실 김 정 환 Diet and Nutritional Management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Irritable Bowel Syndrome Jeong Hwa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a multifactorial disorder with the pathogenesis of abnormal gastrointestinal motility, low-grade inflammation, visceral hypersensitivity, communication in the gut-brain axis, and so on. Traditionally, IBS has been treated with dietary and lifestyle modification, fiber supplementation, pharmac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rapy. Carbohydrates have a range of foods regularly consumed including grains such as rye and wheat, vegetables, fruits, and legumes. Short-chain carbohydrates poorly absorbed exert osmotic effects in the intestinal lumen increasing its water volume, and are rapidly fermented by bacteria with consequent gas production. These effects may be the basis of the beginning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This made the use of lactose-free diets in those with lactose intolerance and of fructose-reduced diets for fructose malabsorption. All dietary poorly absorbed short-chain carbohydrates have similar and additive effects in the intestine, so a concept has been developed to regard them collectively as fermentable oligosaccharides, disaccharides, monosaccharides and polyols (FODMAPs) and to evaluate a dietary approach that restricts them all. Based on observational and comparative studies and on randomizedcontrolled trials, FODMAPs trigger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IBS. Food choice via the low FODMAP and potentially other dietary strategies is now a realistic and efficacious therapeutic approach for symptoms of IBS. In Korea, the strategy of Korean diet for Korean patients with IBS needs apposite to the Korean cases. (Korean J Med 2016;90:105-110) Keywords: Irritable bowel syndrome; Diet; FODMAP 서 론 과민성 장증후군이란? 과민성 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기질적 이상 없이 배변 습관의 변화를 동반한 복통이나 복부 불편감 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기능성 위장관질환으로, 복합적인 병 태생리 모델로서 여러 가지 원인인자가 상호작용하여 질환이 유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까지 제안되는 원인인자로 는 소화관 운동의 변화, 내장과민성, 유전적 요인, 장내 세균 총의 변화, 뇌-장관 상호 연관성,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이상 Correspondence to Jeong Hwan Kim,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20-1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30, Korea Tel: +82-2-2030-7516, Fax: +82-2-2030-8290, E-mail: sefamily@kuh.ac.kr Copyright c 2016 Th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105 -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0, No. 2, 2016 - 등 다양하며, 이러한 인자들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면서 증상 을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1]. 과민성 장증후군은 매 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미국과 영국에서는 여성이 좀 더 많 아 여성의 유병률은 7-24%, 남성은 5-19%로 보고되었으나[2,3], 우리나라의 경우에 Han 등[4]은 남자는 7.1%, 여자는 6.0%로 써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진단기준은 지난 20세기 중반 Manning, Kruis 등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고[5], 로마기준이 1989년 처음으로 도입 된 이후 2006년 3차 개정이 이루어져 로마기준 III가 발표되 었다[6]. 로마기준 III에 따르면 과민성 장증후군은 진단시점 을 기준으로 증상이 6개월 이전에 시작되었고, 지난 3개월 동안에 적어도 1개월에 3일 이상의 빈도를 보이는 복부 불 편감이나 복통이 나타나며, 1) 이와 같은 증상이 배변으로 인해 완화된 경우, 2) 이와 같은 증상과 함께 배변 횟수에 변 화가 있는 경우, 3) 이와 같은 증상과 함께 대변 형태 및 굳기 의 변화가 동반된 경우 중 두 가지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경우 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로마기준 III에 의한 아형은 배변 형 태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어, 변비형 과민성 장증후 군(IBS with constipation),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IBS with diarrhea), 혼합형 과민성 장증후군(mixed IBS) 그리고 분류 불 능형 과민성 장증후군(unsubtyped IBS)으로 분류된다.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경고증상이란 직장출혈, 체중감소, 빈혈, 50세 이상의 고령 및 대장암, 염증성 장질환, 비열대성 스프 루(nontropical sprue, celiac sprue)의 가족력을 말하는데, 과민 성 장증후군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기질적인 질환을 동반할 경우 경고증상 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경고증상이 있는 경 우에는 기질적인 질환을 찾기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 등의 적 극적이 노력이 필요하다.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 목표는 다 양한 병태생리를 고려하면서 가장 불편한 증상을 완화하여 생활의 질을 올리는 것이다. 첫째, 치료에서 중요한 점은 환 자를 정신적으로 안심시켜 주는 것이고, 둘째, 장관의 운동과 감각을 자극하는 국소인자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교정하며, 셋째,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개개인에게 어떤 증상이 우세 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으로 분 류한 아형군에 따른 치료를 할 수 있다[7]. 본고에서는 주요 영양소 및 식이에 대한 위장관의 생리적 반응과 과민성 장증 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어떤 식이요인 및 습 관이 실제로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을 호전시키고 악화를 방지하는 지 및 최근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FODMAP의 정 의, 병태생리와 저 FODMAP 식이(low FODMAP diet)의 국내 적용의 가능성과 제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식이와 과민성 장증후군 과민성 장증후군에서 주요 영양소 및 식이의 역할 음식섭취와 동시에 위장관운동은 활성화되며 각종 소화관 호르몬들이 분비되어 위장관의 운동과 감각기능 및 흡수기능 을 통합하고 조절한다. 대체로 위 및 소장에서 음식물섭취 및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고, 대장에서 수분 및 전해질이 흡수되 며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물질의 저장 및 배출이 이루어진 다[8-10]. 한 사람의 식이습관은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어 어 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어떤 특정 식품 혹은 주요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섬유질에 대한 선호는 어린 시절의 경험과 반복되는 식습관에 의한 생리적 적응일 수 있으며 어떤 특정 식품의 회피는 불내성(intolerance), 알러 지 혹은 위장관의 생리적 이상반응에 따른 위장관 증상의 발생 때문일 수 있다[11,12]. 탄수화물의 소화는 타액 아밀라아제가 분비되는 입에서 시작되고, 대체로 위, 십이지장을 거쳐 소장에서 흡수된다. 하 지만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이당류(disaccharides), 단당류 (monosaccharides), 폴리올(polyol)에 속하는 짧은 사슬을 가진 당류는 소장에서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대장 관강을 확장시키고, 신속하게 발효되어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다[13,14]. 식이섬유는 다당류(polysaccharide)로써 식물 성 음식에 주로 존재하며, 소장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다. 식이섬유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수용성 섬유(soluble fiber)와 수분을 흡수할 수 없는 불용성 섬유(insoluble fiber)로 구분된다. 수용성 섬유는 세균효소와 쉽게 뭉쳐서 점성 용액 을 만들고 빠르게 발효되어 수소가스와 메탄가스 등의 가스 를 만들며, 불용성 섬유는 대변으로써 배출되어 강한 설사제 기능을 가진다[15-17]. 락토오스(유당, lactose)의 섭취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특히 유당 불내성(lactose intolerance)은 국내에서도 드 물지 않다. 유당분해효소 결핍증이란 유당분해효소의 활성도 가 연령에 따른 정상치보다 감소된 상태를 말하는데, 영아기 의 소장내 풍부히 존재하던 유당분해효소가 이유 후부터 서 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전세계 성인 중 많은 수가 유당분해 효소 결핍증이 된다. 물론 이러한 유당분해효소 결핍증의 빈 도는 종족 간에 차이가 크게 나며, 덴마크나 스웨덴에서는 1% 정도로 낮은 반면, 동양인에서는 80-90%으로 높게 보고되고 있다[18]. 유당흡수장애는 유당의 불완전한 가수분해를 의미 하며, 반드시 유당불내성 증상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유당 불내성 증상은 유당을 섭취한 후에 경험하게 되는 복통, 설 - 106 -
- Jeong Hwan Kim.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iet - 사, 방귀와 같은 불쾌한 증상들을 말한다. 이러한 증상이 생 기는 기전은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유당이 대장에 도달하 여 삼투성 설사와 복통을 일으키거나, 대장내 세균에 의해 유 당이 발효되어 생성된 수소, 메탄 등과 같은 가스에 의해 방 귀나 배가 부글부글하는 증상이 생기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원인이 분명하고, IgG에 의해 매개되는 경우를 식이 알러지 라고 하며, 대표적인 질환이 Celiac병으로써 이는 글루텐(gluten) 을 포함한 밀에 의한 면역반응으로써 우리나라에는 드물지만 서구에서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서구에서는 Celiac 병의 임상적인 양상을 나타내지만, 면역반응의 증거가 없는 nonceliac gluten sensitivity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 다[19-21]. 지방식은 이론적으로 일시적 식도조임근 이완(transient lower esophageal sphincter relaxation)을 증가시키고, 위 배출을 억제 하며 대장운동을 증가시키는 등 소화기능에 많은 변화를 초 래할 수 있으나, 임상연구에서는 이견이 있으므로 향후 장기 간의 관찰연구 혹은 실험연구가 필요하다[22,23]. 과민성 장증후군과 식이에 대한 국내 지침 2011년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 운동학회에서 발표한 과민 성 장증후군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식이요인 을 통한 과민성 장증후군 치료에 있어서 증상을 악화시키 는 음식의 제한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Grade 2C, 권고 수준: 약함, 증거 수준: 낮음) 라고 하였 다[24]. 식이습관과 생활 방식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적 절한 식이와 영양상태의 유지는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영양 결핍을 방지하고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다. 규칙적인 식사, 충분한 양의 수분섭취, 편식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섭취할 것을 우선 권고한다[24].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장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을 제 한하는 것은 대부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 의 연구가 대조군이 없어 위약효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한식이요법이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 호전에 효과 적인 치료법이라는 증거 수준은 아직 낮다. 저 FODMAP 식 이는 비교적 효과적으로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실제로 그 복용 방법이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적 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개개인에게 어떤 증상이 우세하게 나 타나는지 살펴보고,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으로 분류한 아 형군에 따른 치료를 한다. 설사 우세형 또는 통증-가스-팽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증상을 실제로 일으키거나 악화시키 는 음식물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아야 한다. 이런 환자들은 유당, 과당(fructose) 또는 소르비톨 등의 섭취로 증상이 악화 되는 경우가 흔하다[7,25,26]. 변비 우세형의 과민성 장증후군 의 경우는 정상인에 비해 섬유질섭취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 져 있으므로 섬유질섭취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섬유질섭취는 장 통과시간을 빠르게 하고 대변의 양을 증가시키며 변을 무 르게 하는 것뿐 만 아니라 장내 담즙산 농도를 저하시켜 대 장의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대장의 압력을 감소시켜 통증을 감소시킨다. 많은 양의 섬유질섭취는 복부 팽만을 유발하고, 위약과 비교하여 증상을 완화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정상 식 이보다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25,26]. 한국에서 과민성 장증후군에 미치는 식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인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호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약제의 처방이 주된 역할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많은 의 사 및 환자들이 점차 식이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 고 있다. 저 FODMAP 식이 FODMAPs는 fermentable, oligo-, di-, mono-saccharides, and polyols의 첫 글자의 약자로, 장내에서 발효되기 쉬운 올리고 당, 이당류, 단당류 그리고 폴리올을 뜻하는 약자이다(Fig. 1). 언급된 바와 같이 짧은 사슬 탄수화물은 사람의 장내에서는 쉽게 흡수되지 않아서 삼투압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장내 세균에 의해서 쉽게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 을 가지고 있다. 단당류는 탄수화물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당분의 가장 단순한 형태이다. 대표적으로 포도당, 과당, 갈 락토스가 있으며, 주로 과당이 FODMAPs에 해당한다. 사과, Figure 1. Characteristics of common fermentable, oligo-saccharides, di-saccharides, mono-saccharides, and polyols (FODMAPs). Instructional material on diet by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15). - 107 -
- 대한내과학회지: 제 90 권 제 2 호 통권 제 666 호 2016 - 포도, 수박, 배, 감, 코코아, 인스턴트 커피, 양파, 꿀에 많이 존재한다[27]. 이당류는 두 개의 단당류가 결합된 형태로 존 재하며, 락토오스, 말토오스(maltose), 슈크로스(sucrose) 등이 해당된다. 락토오스는 포도당과 갈락토스, 슈크로스(설탕)는 포도당과 과당, 말토오스(맥아당)는 포도당과 포도당이 결합 하고 있다. 이들은 가수분해에 의해서 단당류로 분해될 수 있다. 주로 우유, 요거트, 아이스크림, 치즈 등에 흔히 존재한 다[27]. 올리고당류는 3-10개 정도 단당이 결합한 짧은 형태 의 당으로 실제로 소장의 소화효소에 의해서 분해되지 않으 므로 인체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자 주 이용된다. 올리고당에는 프룩탄(fructan)과 갈락탄(galactan) 이 포함되며, 많은 종류의 식물, 예를 들면 양파, 콩, 파, 아스 파라거스, 돼지감자 등에 다량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자연에 포함된 올리고당 이외에도 전분을 세균 또는 효소로 분해하 여 짧은 사슬 탄수화물로 만든 합성 올리고당인 말토덱스트 란(maltodextrans)과 셀로덱스트란(cellodextrans)이 있다[27]. 폴 리올은 다수의 알콜기를 가지는 합성당이며, 소르비톨(sorbitol), 만니톨(mannitol), 자일리톨(xylitol), 말타톨(maltitol)이 포함되 며, 주로 식품감미료에 많이 포함되어 단맛을 낸다. 다수의 탄산음료와 과일주스, 사탕, 껌, 합성 감미료 등에 포함되어 있다[27]. FODMAPs의 병태생리는 Figure 2에 요약하였다. FODMAPs 에 해당하는 짧은 사슬 탄수화물은 소장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거나 매우 천천히 흡수된다. 소장에서 흡수되는 정도는 사 람마다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락토오스 분해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분해되지 않은 락토오스가 모두 대장으로 이동한다. 폴리올의 경우는 개인적인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 Figure 2. Pathophysiologic mechanisms of FODMAPs. Instructional material on diet by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15). FODMAPs, fermentable, oligosaccharides, di-saccharides, mono-saccharides, and polyols. 는 당류이다[28,29]. FODMAPs은 적은 양으로도 삼투압에 의 한 수분량 변화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우리 몸에 서는 이러한 FODMAPs을 희석시킬 목적으로, 장관내 수분 분비가 증가하고 수분흡수는 감소되어 장관내 수분량이 증 가하고 위장관운동이 빨라져 설사를 유발한다. 빠르게 발효 되는 탄수화물은 장 내의 삼투압을 높인다. FODMAPs은 대 장에 살고 있는 장내 세균에게는 매우 이용하기 좋은 물질로, FODMAPs의 섭취가 증가할수록 이를 이용하는 장내 세균의 발효작용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가스(수소, 메탄, 이산화탄 소)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한 가스는 복통, 복부 팽만 감, 더부룩함(bloating)을 유발한다. 올리고당은 소화되어 흡 수되지는 않지만 장내 세균이 충분히 이용 가능한 에너지원 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상인의 경우, FODMAPs에 의해서 발 생한 장내 수분 증가와 가스 발생으로 인한 증상은 거의 나 타나지 않는 반면, 기능성 위장관질환 특히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경우는 내장과민성이나 뇌-장축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가 흔하므로, 이렇게 발생한 가스와 수분에 의해 충분히 증 상이 유발될 수 있다[29-39]. 지난 10년간의 연구를 살펴보면, 대조군과 환자군에서 증 상의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에서 시작하여 점차로 무작위 이 중맹검 교차실험으로 발전하였고, 지역도 호주에서 시작하 여 북미 및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 는 동아시아지역에서도 연구가 시작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 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최근의 표준 화연구[39]를 보면, 정상인과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 로 21일 동안 저 FODMAP 식이/전형적인 오스트레일리아식 음식을 제공 후 교차실험을 시행하여 각각의 식이에 따른 증 상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정상인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식 사에도 증상 변화가 없었으나,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는 저 FODMAP 식이 후 증상이 확연히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그 간의 연구를 종합하면, 저 FODMAP 식이와 연관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70% 이상의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가 식이의 변 화로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다. 전반적인 증상의 호전은 저 FODMAP 식이를 시작하고 7일 이내에 시작되었고, 호전된 증상은 저 FODMAP 식이를 지속하는 동안 잘 유지되었으며, 일부에서는 연구 기간 이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34-39].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저 FODMAP 식이 를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일차 치료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 장하는 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가 진행되 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비교연구가 부족하고, 연구의 대부 분이 임상적 접근이 아닌 새로운 식이를 시도하는 연구이므 - 108 -
- 김정환. 과민성 장증후군과 식이 - 나라의 경우 과민성 장증후군의 원인인자 중의 하나인 식이 요인이 서구와는 다르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리나 라에서 주로 섭취하는 음식을 통해 저 FODMAP 식이를 분류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향후 잘 고안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 하겠다. 중심 단어: 과민성 장증후군; 식이; FODMAP Figure 3. Suitable food for low FODMAP diet and high FODMAP content food to avoid. Instructional material on diet by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15). FODMAPs, fermentable, oligo-saccharides, di-saccharides, monosaccharides, and polyols. 로 실제로 임상 적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장기간의 연 구 자료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에서의 FODMAPs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식품, 식자재에 FODMAPs의 성분표시가 의 무화되어 있지 않아 FODMAPs의 포함 정도를 확인하기 어 렵고, 질환에 대한 인식의 차이 즉, 우리나라에서의 전통적 인 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호전과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약제의 처방이 주된 역할로 인식되어 있다. 식이/음식은 의사의 영역과 차이가 있다고 생 각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 한 다학제 치료에 대한 경험 부족과 지원체계의 부재가 문제 인데, 저 FODMAP 식이는 환자-식이전문가-의사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이에 대한 경험과 지원이 부족하 다. 하지만 많은 의사들이 점차 이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학회와 심포지엄을 통해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Fig. 3). 결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장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을 제 한하는 것은 대부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 의 연구가 대조군이 없어 위약효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 다. 제한식이요법이 과민성 장증후군의 증상 호전에 효과적 인 치료법이라는 증거 수준은 아직 낮다. 하지만, 저 FODMAP 식이는 비교적 효과적으로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증상 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복용 방법 이 쉽지는 않다. 따라서, 실제에서의 적용에 대해 많은 관심 이 기울여지고 있다. 식이나 조리 방법이 서구와는 다른 우리 론 REFERENCES 1. Kim JH, Sung IK. Current issues on irritable bowel syndrome: diet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142-147. 2. Drossman DA, Whitehead WE, Camilleri M. Irritable bowel syndrome: a technical review for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Gastroenterology 1997;112:2120-2137. 3. Chey WD, Olden K, Carter E, Boyle J, Drossman D, Chang L. Utility of the Rome I and Rome II criteria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in U.S. women. Am J Gastroenterol 2002; 97:2803-2811. 4. Han SH, Lee OY, Bae SC, et al.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population-based survey using the Rome II criteria. J Gastroenterol Hepatol 2006;21:1687-1692. 5. Manning AP, Thompson WG, Heaton KW, Morris AF. Towards positive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Br Med J 1978;2:653-654. 6.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2006;130:1377-1390. 7. Choi MG.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06;47:125-130. 8. Janssen P, Vanden Berghe P, Verschueren S, Lehmann A, Depoortere I, Tack J. Review article: the role of gastric motility in the control of food intake. Aliment Pharmacol Ther 2011;33:880-894. 9. Farré R, Tack J. Food and symptom generation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physiological aspects. Am J Gastroenterol 2013;108:698-706. 10. Eswaran S1, Tack J, Chey WD. Food: the forgotten factor in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 Clin North Am 2011;40:141-162. 11. Moon W, Park MI. Review: dietary factors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1-7. 12. Ong DK, Mitchell SB, Barrett JS, et al. Manipulation of dietary short chain carbohydrates alters the pattern of gas production and genesis of symptom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J Gastroenterol Hepatol 2010;25:1366-1373. 13. Shepherd SJ, Lomer MC, Gibson PR. Short-chain carbohydrates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 J Gas- - 109 -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0, No. 2, 2016 - troenterol 2013;108:707-717. 14. Barrett JS, Gearry RB, Muir JG, et al. Dietary poorly absorbed, short-chain carbohydrates increase delivery of water and fermentable substrates to the proximal colon. Aliment Pharmacol Ther 2010;31:874-882. 15. Eswaran S, Muir J, Chey WD. Fiber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13;108:718-727. 16. Heizer WD, Southern S, McGovern S. The role of diet in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adults: a narrative review. J Am Diet Assoc 2009;109:1204-1214. 17. Biesiekierski JR, Rosella O, Rose R, et al. Quantification of fructans, galacto-oligosacharides and other short-chain carbohydrates in processed grains and cereals. J Hum Nutr Diet 2011;24:154-176. 18. Chung JY, Bae SH, Choi KH, Ko JS, Seo JK. Prevalence of lactose malabsorption in children by breath hydrogen test.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2;5:62-67. 19. Boettcher E, Crowe SE. Dietary proteins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13;108:728-736. 20. Bischoff S, Crowe SE. Gastrointestinal food allergy: new insights into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perspectives. Gastroenterology 2005;128:1089-1113. 21. Biesiekierski JR, Newnham ED, Irving PM, et al. Gluten causes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subjects without celiac disease: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m J Gastroenterol 2011;106:508-514; quiz 515. 22. Feinle-Bisset C, Azpiroz F. Dietary lipids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13;108: 737-747. 23. Kellow JE, Azpiroz F, Delvaux M, et al. Applied principles of neurogastroenterology: physiology/motility sensation. Gastroenterology 2006;130:1412-1420. 24. Kwon JG, Park KS, Park JH, et 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82-99. 25. Monsbakken KW, Vandvik PO, Farup PG. Perceived food intolerance in subjec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etiology, prevalence and consequences. Eur J Clin Nutr 2006; 60:667-672. 26. Atkinson W, Sheldon TA, Shaath N, Whorwell PJ. Food elimination based on IgG antibodie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Gut 2004;53:1459-1464. 27. Gibson PR, Shepherd SJ. Evidence-based dietary manage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The FODMAP approach. J Gastroenterol Hepatol 2010;25:252-258. 28. Halmos EP, Christophersen CT, Bird AR, Shepherd SJ, Gibson PR, Muir JG. Diets that differ in their FODMAP content alter the colonic luminal microenvironment. Gut 2015; 64:93 100. 29. Simrén M. Diet as a therapy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progress at last. Gastroenterology 2014;146:10-12. 30. Gibson PR, Muir JG. Non-nutritional effects of food: an underutilized and understudied therapeutic tool in chronic gastrointestinal diseases. J Gastroenterol Hepatol 2013;28 Suppl 4:37-40. 31. Shepherd SJ, Gibson PR. Fructose malabsorption and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guidelines for effective dietary management. J Am Diet Assoc 2006;106:1631-1639. 32. Gearry RB, Irving PM, Barrett JS, Nathan DM, Shepherd SJ, Gibson PR. Reduction of dietary poorly absorbed short chain carbohydrates (FODMAPs) improves abdom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a pilot study. J Crohns Colitis 2009;3:8-14. 33. Ostgaard H, Hausken T, Gundersen D, El-Salhy M. Diet and effects of diet management on quality of life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Mol Med Rep 2012;5:1382-1390. 34. de Roest RH, Dobbs BR, Chapman BA, et al. The low FODMAP diet improves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Int J Clin Pract 2013;67:895-903. 35. Mazzawi T, Hausken T, Gundersen D, El-Salhy M. Effects of dietary guidance on the symptoms, quality of life and habitual dietary intake of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Mol Med Rep 2013;8:845-852. 36. Wilder-Smith CH, Materna A, Wermelinger C, Schuler J. Fructose and lactose intolerance and malabsorption testing: the relationship with symptoms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liment Pharmacol Ther 2013;37:1074-1083. 37. Staudacher HM, Whelan K, Irving PM, Lomer MC. Comparison of symptom response following advice for a diet low in fermentable carbohydrates (FODMAPs) versus standard dietary advic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J Hum Nutr Diet 2011;24:487-495. 38. Staudacher HM, Lomer MC, Anderson JL, et al. Fermentable carbohydrate restriction reduces luminal bifidobacteria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J Nutr 2012;142:1510-1518. 39. Halmos EP, Power VA, Shepherd SJ, Gibson PR, Muir JG. A diet low in FODMAPs reduces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14;146:67-75. 40. Kim HJ. What is the FODMAP? Korean J Med 2015;89: 179-185. -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