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러한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관한 실태연구는 점점 국내연구자 로 확산되었고, 새로운 자료들이 발굴되면서 점차 사실적인 실체에 접근해가기 시작하였다 4). 이러한 노력 에 의해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의 실체는 보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으



Similar documents
銀 行 勞 動 硏 究 會 新 人 事 制 度 全 部

2019 년도제 2 회경상남도지방공무원임용필기시험합격인원및합격선 합격선 : 조정점수가있는직류는총점으로표시됩니다. 직렬명 임용선발예정출원응시필기합격자기관인원인원경쟁률인원응시율인원 합격선 비고 합계 1,944 18, , % 1,765 - 간호8


jc0inb001a.HWP

회원번호 대표자 공동자 KR000****1 권 * 영 KR000****1 박 * 순 KR000****1 박 * 애 이 * 홍 KR000****2 김 * 근 하 * 희 KR000****2 박 * 순 KR000****3 최 * 정 KR000****4 박 * 희 조 * 제

赤 城 山 トレイルランニンング レース 大 会 記 録 第 10 回 赤 城 山 選 手 権 保 持 者 男 子 須 賀 暁 記 録 2:35:14 女 子 桑 原 絵 理 記 録 3:22:28 M1 ミドル 男 子 18~44 歳, 距 離 32km 総 登 高 1510m ( 注 :DNF:

<3429BFC0C1F8BCAE2E687770>

<C1DF29B1E2BCFAA1A4B0A1C1A420A8E85FB1B3BBE7BFEB20C1F6B5B5BCAD2E706466>

CT083001C

ITFGc03ÖÁ¾š

- 2 -

2013지발-가을내지1004-4


<C0CFC1A4B0FCB8AE E687770>

<C3CAC1A DC1DFB1B92E687770>

¹é¹üȸº¸ 24È£ Ãâ·Â

나하나로 5호

<B3EDB9AEC0DBBCBAB9FD2E687770>

DocHdl2OnPREPRESStmpTarget

01¸é¼öÁ¤

<표 1-2-1> 시군별 성별 외국인 주민등록인구 ( ) (단위 : 명, %) 구분 2009년 2010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외국인(계) 외국인(여) 외국인(남) 성비 전국 870, , , ,

2저널(11월호).ok :36 PM 페이지25 DK 이 높을 뿐 아니라, 아이들이 학업을 포기하고 물을 구하러 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사업은 한국남동발전 다닐 정도로 식수난이 심각한 만큼 이를 돕기 위해 나선 것 이 타당성 검토(Fea

#7단원 1(252~269)교

모두 언어와 상관없이 시국적 내용이다. 발표매체별 집필 수(K=조선어 N=일본어) 1939년 기사 등 K 文 章 3 三 千 里 2(좌담2포함) 女 性 1 作 品 1 東 亜 日 報 1 N 国 民 新 報 2 소설 K 文 章 년 기사 등 K 三 千 里 10(좌담4


1362È£ 1¸é

2013 국토조사연감 075 전국 대기오염도(SO2) 년 대기오염도(SO2) (ppm) 년 2012년

2 Journal of Disaster Prevention

ÃѼŁ1-ÃÖÁ¾Ãâ·Â¿ë2

152*220

2저널(2월호)0327.ok :40 PM 페이지23 서 품질에 혼을 담아 최고의 명품발전소 건설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또한 질의응답 시간에 여수화력 직 DK 한국동서발전 대한민국 동반성장의 새 길을 열다 원들이 효율개선, 정비편의성 향상,


제국주의로서의 근대일본자유주의

目 次 第 1 章 總 則 第 1 條 ( 商 號 )... 1 第 2 條 ( 目 的 )... 2 第 3 條 ( 所 在 地 )... 2 第 4 條 ( 公 告 方 法 )... 2 第 2 章 株 式 第 5 條 ( 授 權 資 本 )... 2 第 6 條 ( 壹 株 의 金 額 )..

0001³»Áö

41호-소비자문제연구(최종추가수정0507).hwp

석촌동백제초기적석총 石 村 洞 百 濟 初 期 積 石 塚 이도학, (서울의 백제고분) 석촌동 고분, 송파문화원, 서울 特 別 市, 石 村 洞 古 墳 群 發 掘 調 査 報 告, 고창지석묘군 高 敞 支 石 墓 群 문화재관리국,


단양군지

untitled

<C0CFBABBC1F6BFAAB1E2BEF7C0A7BEC8BCD2C1F8BBF3C1B6BBE72E687770>

5권심층-양화1리-1~172

<C7D1B1B9B5B6B8B3BFEEB5BFBBE733362E687770>

지발홍보책_도비라목차_0125


º´¹«Ã»Ã¥-»ç³ªÀÌ·Î

1 제 26 장 사회간접자본의확충

5 291

141018_m

2011년_1분기_지역경제동향_보도자료.hwp

( 단위 : 가수, %) 응답수,,-,,-,,-,,-,, 만원이상 무응답 평균 ( 만원 ) 자녀상태 < 유 자 녀 > 미 취 학 초 등 학 생 중 학 생 고 등 학 생 대 학 생 대 학 원 생 군 복 무 직 장 인 무 직 < 무 자 녀 >,,.,.,.,.,.,.,.,.

토픽 31호( ).hwp

발간등록번호대한민국의새로운중심 행복도시세종 2015 년기준 사업체조사보고서 Report of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src.xls

성인지통계

*부평구_길라잡이_내지칼라

놀이. 스포츠의 관점에서 본 화랑과 기사의 신체활동

년도경상북도지방공무원제 1 회공개경쟁임용시험 - 필기시험합격자및면접시험시행계획공고 ( ) 필기시험합격자 : 491 명 ( 명단붙임 ) 2 필기시험합격자등록및유의사항. : ( ) ~ 7. 6( ) 3 등

8표지 앉기

需給調整懇談会の投資調整―石油化学工業を中心に

120~151역사지도서3

한류동향보고서 16호.indd

40 / 延 世 醫 史 學 제11권 제1호 세브란스병원의학교 제1회 졸업생이었던 신창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의 생애에 관한 개략적인 소개가 있었지만, 1) 여전히 많은 부분이 확인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 또한 여전히 짧고 소략한 내용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복수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1)를 서로 결합하여 연속화시키는 구조로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형 고정부재(10)가, 상기 프리캐스 트 콘크리트 부재(1) 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는 내부

ad hwp


<C0BDBEC7B0FA2028BEC8B8EDB1E2292E687770>

04 Çмú_±â¼ú±â»ç

대해서 대해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느덧 交 通 放 送 은 96 年 상반기도 한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交 通 專 門 放 送 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자 모든 일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委 員 해 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께서 더욱더 사랑 그러면

ºñ»óÀå±â¾÷ ¿ì¸®»çÁÖÁ¦µµ °³¼±¹æ¾È.hwp

그렇지만 여기서 朝 鮮 思 想 通 信 이 식민본국과 피식민지 사이에 놓여 있는 재조선일본인의 어떤 존재론적 위치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민본국과 피식민지의 Contact Zone 에 위치한 재조선일본인들은 조선이라는 장소를 새로운 아이덴티티의 기

03-교통이야기

@2019 예산개요 (수정_추은주).hwp

항일 봉기와 섬멸작전의 사실탐구

8 경기도 강원도 인천 1 서울 충청남도 세종 3 대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전라북도 광주 2 전라남도 경상남도 대구 부산 27 울산 22 제주도 30

041~084 ¹®È�Çö»óÀбâ

안 산 시 보 차 례 훈 령 안산시 훈령 제 485 호 [안산시 구 사무 전결처리 규정 일부개정 규정] 안산시 훈령 제 486 호 [안산시 동 주민센터 전결사항 규정 일부개정 규

남 김 * 현 일반자금대출 전남 목포시 여 김 * 희 일반자금대출 서울 마포구 여 김 * 은 일반자금대출 서울 노원구 남 김 * 헌 일반자금대출 서울 강남구 남 김 * 문 일반자금


4-Ç×°ø¿ìÁÖÀ̾߱â¨ç(30-39)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연구위원 김 현 아 연구위원 허 윤 경 연구원 엄 근 용

현안과과제_8.14 임시공휴일 지정의 경제적 파급 영향_ hwp

연구노트

내지-교회에관한교리

¾Æµ¿ÇÐ´ë º»¹®.hwp

(012~031)223교과(교)2-1

....pdf..

Readings at Monitoring Post out of 20 Km Zone of Tokyo Electric Power Co., Inc. Fukushima Dai-ichi NPP(18:00 July 29, 2011)(Chinese/Korean)

2014학년도 수시 면접 문항

DBPIA-NURIMEDIA

학부모신문225호최종

0.筌≪럩??袁ⓓ?紐껋젾 筌


- 2 -

....(......)(1)

박광현발표.hwp

<B3B2C0E7C7F62E687770>

Transcription:

1. 머리말 2. 경남지역 기초자료의 분석과 노무동원현황 3. 경남지역 노무동원 작업장과 노무실태 4. 맺음말 일본제국주의 및 식민지배의 실체와 일제말기 조선 사회 및 조선인들의 구체적인 삶을 고찰하기 위해 서 일제에 의해 추진되고 진행된 강제동원 에 대한 조사연구는 필수적이다. 또한 강제동원 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못한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여기의 문제이며 국가와 민족을 넘 어 연대의 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미래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과거의 일이지만 현재의 중요 한 문제인 것이다. 일제에 의해 진행된 강제동원 은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기에 집중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 진행되 었다. 일제는 전쟁으로 야기된 인적, 물적 부족을 일본뿐만 아니라 식민지에서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 히 전선이 형성된 중국과 일본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식민지 조선은 전선에 영향을 미칠 아주 중요한 지 형적 조건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일제는 후방의 안정적인 지원과 지지를 위한 인적, 물적, 정신적 동원 을 위해 각종 관계법령과 관련단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그 법령과 단체를 토대로 조선인에 대한 대대적 인 강제동원 에 들어갔다. 일제에 의해 진행된 인적 동원은 크게 노무동원, 병력동원 ( 군인, 군속 ), 성동원 ( 일본군위안부 ) 으로 나눠 구분할 수 있다. 그동안 인적 동원에 관한 조사와 연구는 이 세 분야 를 구분하든지 구분하지 않든지 모두 이 범주 내에서 이루어졌다 1). 지금까지 진행된 강제동원 에 관한 조사와 연구는 사실 자체를 망각하려고 하는 현실에 대한 기억투 쟁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연구의 시작은 사실 자체를 알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계몽적 차원에 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사례발굴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어 이 방면에서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되었 다 2). 더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 강제동원 을 부인하는 일본정부의 주장을 비판하기 위한 현실적인 요 청에 따라 진행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는 징용, 징병, 위안부 등 보다 물질적, 정신적 피해가 크 고 반인륜적인 범죄로 이해되는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집중되었다. 특히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연구 가 이러한 연구풍토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 -47-

일본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러한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관한 실태연구는 점점 국내연구자 로 확산되었고, 새로운 자료들이 발굴되면서 점차 사실적인 실체에 접근해가기 시작하였다 4). 이러한 노력 에 의해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의 실체는 보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우리 앞에 다가올 수 있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기존 연구인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관한 연구는 대단히 의미 있고 소중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가 계몽적이고 현실적인 요구에 부응하여 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부분적이지만 자료 를 확보할 수 있는 조선 밖으로의 강제동원 에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강제동원의 직접적인 자료 가 부족하다 보니 식민지배정책을 밝히는 데 한정하여 일제의 노동정책, 동원정책, 동원체제에 관한 연 구 등이 압도적이었다 5). 물론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국내노무동원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제출되고 있다 6). 그러나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고 국내 지역단위에서 진행된 강제동원 의 실체는 여전 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체에 대한 접근과 연구사적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조선 내 강제동원, 즉 국내노무동원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제말기 조선 내에서 이루어진 노무동원은 일제 스스로가 밝힌 것처럼 누적 수이기 하지만 650 만 명 에 육박할 정도로 그 숫자가 조선 밖으로의 동원인 약 85 만 명보다 압도적이었다 7). 물론 이것은 전후 일 본의 공식적인 통계자료이고 이후 진행된 각종 조사에 의해 조선 밖으로의 동원을 200 만 명까지 추정하 고 있다. 그렇다고 해도 조선 내에서 이루어진 노무동원이 압도적임은 부인할 수 없다. 조선총독부는 전 시체제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고 후방의 안정과 전쟁에 대한 지원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조선 내 노 무동원에 적극적이었다. 총독부는 조선 내 노무동원을 위한 관련 법령을 제정하는 한편, 이 법령에 기초 하여 관알선 과 근로보국대 의 조직을 통해 노동력을 강제동원 하였다. 총독부에 의해 동원된 노동 력은 전쟁관련 시설물의 조성과 함께 광업, 교통운수업, 토목건축업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조선 내에서 이루어진 노무동원은 조선 전 지역에서 모두 이루어졌지만 특히 전통적인 농업지대였던 삼남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당대의 부분적인 기술 자료에서부터 일제강점기강제동원진상규 명위원회(현,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지원위원회, 이하 위원회로 줄임 ) 에 접수한 신고 건수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즉, 북선으로, 북선으로 라는 당시의 슬로건이나 위원회 신고 건수가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충청남북도 신고자들로 집중되어 있음이 이를 잘 보여준다. 따라 서 삼남지역에 대한 실태연구는 그간의 미진한 국내노무동원의 실태를 조금이나마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지역단위의 사례연구를 보완해줄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실태조차 파악하기 힘든 일제말기 경남지역 국내노무동원을 제한적이 나마 위원회에 신고 접수한 사항을 가공한 경남지역 기초자료 8) 와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 9) 의 분석과 현장조사 및 구술조사 10) 를 토대로 하여 그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시기 자료를 통해 경남지역 국내노무동원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많다. 일 단 자료의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며 현재 파악되는 자료 또한 신문의 경우 1942 년 정도에 그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정신 동원의 측면에서 실제 동원으로 넘어가는 국민징용령 11) 이후의 국내노무동원에 대한 실태를 전혀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제말기 진행된 국내노무동원에 대해서는 다른 방 -48-

면에서의 보충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일단 위원회에서 제공한 기초자료를 통해 개괄적이나마 살펴보고 자 한다 12). 2006 년까지 위원회에 접수된 신고를 기본으로 작성한 기초자료는 뒤에서도 살펴보겠지만 동원시기가 1943 년에서 1945 년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당시 자료로 파악할 수 없는 국민징용령 이 후의 시기를 살펴보는데 어느 정도 유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어서 개별 노무작업장에 대한 파악과 함께 당시 작업장이 있던 지역의 각종 지역 자료와 노무동원된 생존자들의 구술 및 회고 등을 통한다면 그 개략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경남지역 국내노무동원의 분석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위원회의 기초자료가 지닌 한계를 지적하지 않 을 수 없다. 우선, 이 기초자료는 경남지역의 국내노무동원 전체를 담고 있지 못하다. 주지하다시피 이 미 사망했거나 관련 사실을 가족조차 모르고 있을 경우 전혀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관련 사 실을 알고 있더라도 증빙자료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도 거의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노 무동원에 대한 이해에서 많은 사람들이 신고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학생노무동원이나 거주지 인근의 노무동원처럼 일상화되어 있던 노무동원이 거의 빠져있기 때문이다 13). 이는 일제의 전시 동원체제에서 노무동원이 일상화 보편화되었기에 이를 노무동원으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한편, 이 기초자료는 신고한 사실만을 가지고 가공한 것이기 때문에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모두 다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신고한 내용에 대한 지역 실무위원회의 심의자료를 보면 신고한 내용이 사실 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다만 심의결과가 사실로 인정되지 않은 경우는 대부분 관련 자료의 미 비가 주된 원인이다. 그렇다면 피해사실의 인정여부와는 상관없이 당사자의 기억을 통한 역사적 사실에 의 접근은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위원회의 기초자료에 대한 분석은 경남지역 국 내노무동원의 제한적인 실태를 드러내는 데 그칠 것이다. 그림 1 경남지역 노무동원지별 현황 ( 총 2,082 건 ) 먼저, 노무동원지별 현황을 살펴보면 [ 그림 1] 과 같다. 위원회 기초자료의 국내노무동원은 총 2,090 건이다. 그 중 노무작업장이 경남 이외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 8 건을 제외하면 모두 2,082 건이다. 이를 [ 그림 1] 과 같이 노무동원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부산 592 건 (28%) 과 사천 564 건 (27%) 을 필두 -49-

로 진해 326 건 (16%), 울산 121 건 (6%), 남해 100 건 (5%) 순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각 지역을 좀 더 세분화해 보면, 부산의 경우 주로 부두노역 하역작업 매립작업 등 항만시설 또는 운수작업과 군 용비행장과 관련된 분야에 대부분 동원되었다. 사천과 울산의 경우 군용비행장의 시설확충 또는 개보수 와 관련된 분야에 동원되었으며, 진해와 남해의 경우는 군부대, 군사 군수시설 등 군과 관련된 분야에 주로 동원되었다. 이를 통해 보면, 국내노무동원은 주로 태평양전쟁시기 일본군의 후방기지라는 지역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군사후방기지 또는 군수물자의 보급과 관련된 항만과 비행장, 그리고 군부대에 주로 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 그림 2] 의 노무작업장별 신고건수 현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림 2 경남지역 노무작업장별 현황 ( 총 2,082 건 ) [ 그림 2] 의 노무작업장별 신고건수를 보면, 비행장에 노무동원된 경우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일 반노무 및 잡역, 군 관련시설, 항만 운수, 각종 공사 순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군사시설 및 군용시설 에 노무동원된 경우가 가장 많다. 이를 현장별로 세분화하면, 비행장이 가장 많이 동원되었다. 이 경우 도 사천비행장, 김해비행장, 울산 삼산비행장, 진주 초전 도동비행장, 진해비행장, 부산 수영비행장 등 후방기지에 동원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군 관련 노무동원은 대단위의 군부대가 진주하고 있던 진해 와 남해에서 동원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항만과 운수분야의 노무동원은 주로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마 산 등 항구도시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기타 일반노무 및 잡역 또한 이러한 후방기지 또는 군수물자보급 과 관련된 분야에 동원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군수물자보급과 관련해서는 부산의 조선방직주 식회사를 비롯하여 각종 군수회사와 자원 확보를 위한 광산개발 등 경남지역 광산에서의 동원도 눈에 띈 다. 그리고 일반적인 노무동원으로 각종 공사에 동원된 경우가 많았는데 주로 도로공사, 철도공사, 교량 공사 등에 동원되었다. [ 그림 2] 를 통해 볼 때, 국내노무동원은 주로 원활한 전쟁수행을 위한 후방기지 라는 군사적 지리적 특성에 부합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50-

그림 3 노무동원자들의 거주지별 현황 ( 총 2,082 건 ) 계속해서, 국내노무동원이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의 조선인들을 동원하였는지를 살펴보도록 하자. 우 선 지역 내외로 나눠보면 [ 그림 3] 과 같다. [ 그림 3] 을 통해 국내노무동원은 주로 이 지역의 조선인들 이 노무동원에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남 이외의 지역으로부터 노무동원된 자들은 주로 진해, 남해 등 군부대에 징용된 사람들로 파악된다. 특히, 진해의 경우 노무동원된 조선인의 약 1/3 정도가 경남이 외 지역으로부터 강제동원된 사람들이었다. 그리고 경남이외 지역으로부터 동원된 사람들은 지리적으로 경상남도와 인접해 있고, 상대적으로 노동력 동원과 이동이 용이했던 지역인 경상북도와 전라남 북도, 충청남도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특히 경상북도는 전체의 41% 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인원을 나타내 고 있다. 충청남도와 전라남도, 전라북도 세 지역에서 동원된 인원은 비슷한 편이다. 경상북도 도내에서 는 상주군과 의성군 그리고 상주시에서 동원된 인원이 여타 다른 지역에 비해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 그림 3] 에 의하면 경남지역의 조선인이 전체의 88% 를 차지하며 압도적이다. 이들을 당시의 거주지별 로 구분해 보면, 다음 [ 그림 4] 와 같다. 그림 4 노무동원된 경남지역 조선인의 거주지별 현황 ( 총 1,838 건 ) [ 그림 4] 를 통해 볼 때 경남지역 조선인들은 경남 동부지역인 남해군, 통영군, 산청군, 거창군, 함양 군, 의령군의 순으로 노무동원이 되었다. 그 외 지역은 낮은 수준에서 거의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고 있 -51-

다. 이를 통해 경남지역 노무동원이 도시지역과 농업을 위주로 하는 농촌지역을 제외한 도서와 산간지역 의 조선인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남해군의 경우 전체의 1/3 을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임을 알 수 있다. 통영군도 또한 노무동원된 조선인들은 도서지역의 거주민 들이 주축이었다. 이미 위원회의 기초자료를 토대로 한 분석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였지만 이를 통해 일을 할 수 있는 연령대의 조선인들이 징병과 징용으로 나간 상태에서 남은 유휴 노동력은 도서와 산간 지역이었으며, 일제는 이 지역의 조선인까지도 동원하여 노무동원에 이용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림 5 경남지역 노무동원자의 연령대별 현황 ( 총 2,082 건 ) 계속해서, 노무동원된 신고자들의 연령대를 살펴보도록 하자. 이는 당시 노무동원이 어느 연령대에 집중되었는지를 통해 어떤 노동력을 주로 일제가 이용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림 5] 는 노 무동원자의 연령대별 분포도이다. 동원된 사람들은 최고 67 세로부터 최저 9 세까지 전 연령대에 걸쳐 동원되고 있다. 이는 일제가 1941 년 국민근로보국대의 연령을 14 세부터 40 세로 정한 것을 훨씬 뛰어 넘는 것으로 일제의 강제동원이 무원칙적일 뿐만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잘 보여준다. 연령 대를 중심으로 보자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대는 20 대이며 그 다음이 10 대 그리고 40 대로 나타나고 있다. 좀 더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16 세에서 21 세 ( 총 683 명, 32.8%) 에 집중되 어 있다. 따라서 국내노무동원은 징병과 징용에 들어가는 세대인 10 대 후반을 중심으로 국내노무동원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징병과 징용은 국내외 노무동원을 막론하고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 노무동원이 주로 언제 집중되었는지 그리고 노무동원의 기간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살펴보 도록 하자. 다음 [ 표 4] 는 국내노무동원 신고건수를 통해 동원연도와 동원기간을 통계 처리한 것이다. -52-

[ 표 4] 국내노무동원의 동원연도 및 동원기간 동원연도 동원기간 1 년 미만 1 년 이상 2 년 이상 연도별 건수 1938 년 이전 1 1 38 40 1938 년 - 1942 년 4 27 351 382 1943 년 43 132 282 457 1944 년 215 422 1 638 1945 년 348 348 합 계 611 (33%) 582 (31%) 672 (36%) 1,865 [ 표 4] 와 같이 집중적으로 동원된 시기는 1943 년 이후, 특히 1944 년과 1945 년 이 두 해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1943 년 이전 시기에는 지역에서 필요한 도로 건설과 제방공사 등에 동원되었다. 1937 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이 총력전 체제로 돌입하면서 훨씬 더 많은 인원들이 강제동원되어 군사기지와 군수 시설에서 작업을 하였다. 국민총동원과 관련하여 새로운 법령이 제정되면서 14 세 이상의 연령이면 누구 든 동원 가능하도록 했다. 따라서 1944 년과 1945 년에 집중적으로 노동력 징발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이 어린 학생들의 경우 보국대라는 이름으로 수시로 동원되다가 이 시기 상시적으로 노동력 수탈이 이루어졌음을 당시의 신문 등의 기사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동원년도와 동원기간이 파악되는 것은 현재 총 1,865 건이다. 동원기간이 1 년 미만인 경우 전체의 33% 에 해당하는 611 건이다. 1 년 이상 2 년 미만으로 동원한 경우는 전체의 31% 에 해당하는 582 건 이다. 2 년 이상 장기간 동원된 경우는 전체의 36% 로 672 건이다. 이를 통해 경남지역의 국내노무동원 이 1 년 이상 장기간 동원이 70% 에 육박할 정도로 많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자료는 피해자의 신 고 건수를 토대로 가공된 자료이기에 명백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일제말기 일상적 동원은 신 고자들의 뇌리 속에 노무동원으로 각인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신고와 보상 을 매개로 하는 위원회의 피해자 신고 접수는 최소한 1 년 이상의 장기 노무동원이 주축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일상 적 동원과 관련된 1 년 미만의 노무동원이 훨씬 더 많았으리라는 것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일제 말기가 되면 일상적 동원과 더불어 장기적인 노무동원도 상당하였다는 점에서 이 자료의 의미를 파악하 면 좋을 것이다. 한편, 1944 년 이후로 2 년 이상의 장기간 동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일본이 전쟁에 패 망하여 1945 년 8 월 15 일에 항복하기 때문이다. 인터뷰에서도 언급되지만 가족을 부양하고 가정의 생 계를 도울 수 있는 연령대의 젊은이들에 대하여 장기간 노동력을 징발하였기 때문에 남아 있는 가족들의 고통 역시 견디기 어려운 사회적 문제였다. 앞에서도 이미 언급했듯이, 경남지역 노무동원 작업장은 대체적으로 세분화하면, 비행장에 가장 많이 동원되었다. 다음으로 군 관련 노무동원으로 대단위의 군부대가 진주하고 있던 진해와 남해에서 동원된 경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어서 항만과 운수분야의 노무동원이 많았는데, 이는 주로 부산을 중심으 로 하는 마산 등 항구도시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계속해서, 군수물자보급이 많았는데, 이는 부산의 朝 鮮 -53-

紡 織 株 式 會 社 를 비롯하여 각종 군수회사와 자원 확보를 위한 광산개발 등 경남지역 광산이 주축이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노무동원으로 각종 공사에 동원된 경우가 많았는데 주로 도로공사, 철도공사, 교량공 사 등에 동원되었다 이제 구체적인 예를 통해 동원실태를 살펴보자. 1) 군용비행장 건설현장의 동원실태 경남지역 비행장 건설은 1928 년부터 시작되었다. 여의도 비행장과 함께 화물 및 여객운송을 목적으 로 1928 년 울산비행장이 임시 개장하였고 1931 년에 정식으로 비행기가 취항했다. 1936 년에는 운영 난에 봉착하자 잠시 대구비행장에 통합되었다가 1941 년 다시 중일전쟁을 위한 군용비행장으로 개조되 었다. 이 시기를 즈음하여 또 다른 군용비행장이 경남지역의 곳곳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전쟁이 한창이 던 1940 년 사천비행장, 수영비행장이 군용비행장으로 개설되었으며 진해에도 해군비행장이 설치되는 가 하면 전쟁 막바지에는 밀양의 상남비행장과 진주의 초동 도동비행장이 설치되기 위해 대단위의 노무 동원을 추진했다. 이처럼 전쟁 수행에 필요한 군사시설로 비행장 건설이 일제에 의해 추진되자 징병으로 전쟁에 가지 않는 사람들을 징용으로 동원하여 비행장 건설에 투입했다. 따라서 경남지역의 비행장 건설 은 일반적인 노무동원이 아니라 징용에 의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동원된 사람들의 연령대 는 10 대 후반이 주축이었다. 그 가운데 압도적으로 많은 동원인원을 기록했던 사천비행장을 사례로 노 무동원의 실태를 살펴보도록 하자. 사천군용비행장은 일찍이 선진항과 연계하여 군항으로 만들려고 하는 의도 속에 기획되었다가 실현되 지는 못했다 14). 마침, 중일전쟁 및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제는 이에 대비하기 위한 후방전초기지로 1940 년부터 사천평야에 군용비행장을 건설하여 한반도의 남부 지역을 방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조선 군 산하에 항공기지부대와 비행장을 수비하는 지상부대가 주둔하게 하였다 15). 사천군용비행장은 특히 1941 년부터 본격화된 국민근로보국대를 통해 대대적인 비행장 건설이 이루어 졌는데 처음에는 사천과 인근 마을의 주민들을 주기적으로 강제동원하여 건설하였다. 그렇기에 인근의 곤양면민들은 강제노역에 동원되어 노력의 대가인 임금은커녕 식사, 의복, 제반 의약품도 없이 삼엄한 감시 속에 살벌한 구타와 체벌의 고통을 당하면서 공사노역에 종사 했다고 한다 16). 이후 동원범위가 넓 어져 경남의 다른 지역으로부터 다양하게 동원되었는데 가장 많이 동원된 지역이 인근의 남해군이었다. 동원된 대부분의 노무자들은 구장이나 면서기의 지시에 따라 한 면에서 20 명 정도 함께 강제동원되었 다. 동원될 당시의 나이는 대부분 10 대 후반이었다.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는 일제말기에는 연령대에 상관없이 무차별적으로 동원되었다. 한 구술증언자의 증언에 의하면, 자신은 신체검사에 갑종판정을 받아 일본으로 갈 수밖에 없는 처지였는데 면장이 모친과 조카만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자신을 사천 비행장 공사에 보냈다고 한다. 이렇게 모여든 사람들은 각 지역별로 같은 함바 에 기숙하며 작업에 참 가하였다. 작업시간은 대체적으로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까지였으며 대부분은 흙 고르는 일을 주로 하 였다고 한다. 군용비행장이었기에 작업장의 감독은 헌병들이었으며 때문에 구타나 가혹행위가 많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17). 한편, 사천군용비행장 인근에는 일본군이 기지를 중심한 주변 4 5 km 이내의 도로변 각 요소에다가 콘크리트 造 의 아치형 엄폐호 수십 개를 축조하여 전투용 항공기의 대피는 물론 각종 군수물자를 저장해 놓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일본군의 사천기지는 연합군에 의해 공중폭격을 당할 목표가 될 뿐만 아니라 태 -54-

평양을 석권하고 일본의 沖 繩 을 휩쓴 연합군의 대 대적인 공습이나 경우에 따라 최후의 상륙목표지 점이 될 수도 있었다. 때마침 1945 년 해방 무렵 부터 미군 함재기의 내습이 잦아졌고 한 날은 미 군비행기 3 기가 사천군용비행장을 향해 기관총을 난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 때 비행장 공사에 동원된 조선인 중에 사망자도 발생하였으며 이를 기회로 동원된 조선인들은 뿔뿔이 자신의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18). 한 노무동원자에 의하면 자신 의 집이 남해군이었기 때문에 진교를 걸어서 고향 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19). 이 사건 이후 다시 일제는 강제동원으로 비행장 건설을 지속시켰으나 결국 해 방을 맞이하여 비행장을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고 말았다. 현재 일제시기에 만들어진 사천군용비행장 은 사천공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노무현장과 관련하여 남아 있는 유적은 예수마을에 있는 엄폐호 2 기이다. 이 시설물은 철근 콘크리트로 된 엄폐호이다. 입구의 높이는 4.5m, 건평은 50 평 규모의 아치 형이며, 1940 년대 초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이 인근의 조선인들을 강제동원하여 사천군용비행장을 닦 으면서 이곳에다 유류와 탄약 등을 저장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한다. 지금은 논 가장자리에 있는 1 개 와 주민들이 창고로 활용하고 있는 1 개가 남아있다. 이 외에도 사천교 위 반룡산 밑자락에 2 개가 더 있 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고 한다 20). 2) 항만 건설현장 및 하역장의 동원실태 항만 건설 및 하역노무동원과 관련해서는 경남지역의 항구도시 대부분에서 강제동원이 진행되었다. 특히 군사도시인 진해는 물론 조선의 대표적인 항구인 부산을 위시하여 마산 등은 더욱 심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전쟁 발발과 함께 대륙병참기지로서의 역할이 강화된 부산의 경우 언제든지 군사적 목적 하 에 항만의 개발과 이용이 일본군에 의해 추진되었고 그 대표적인 곳으로 赤 崎 灣 을 들 수 있다 21) 적기만의 매립은 원래 釜 山 鎭 埋 築 會 社 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인가받았던 것인데 1930 년 당시 남항매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던 조선의 매축왕 池 田 佐 忠 이 적기만 매립도 계획하고 1931 년 부산진매축회사로부 터 약 10 만 6,000 평의 매립권을 양도받아 1934 년 4 월부터 범일정으로부터 매립에 착수하여 1944 년 12 월까지 약 10 년 9 개월간 3 차에 걸쳐 매립을 진행했다 22). 1942 년에는 적기부두를 연간 60 만 톤의 물동량을 가진 부산의 보조항으로 만들려는 池 田 와 東 洋 拓 殖 株 式 會 社 의 계획에 조선군의 특별한 요청까 지 더해져 유사시 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항만이 개발되었다 23). 이 때문에 적기만은 실제 曉 부 대라는 육군 선박수송부대가 주둔하여 군수품을 취급하였다 24). 일제말기 赤 崎 灣 에 동원된 사람들은 주로 부산지역은 물론 경남 의령군, 산청군, 진주시 등에서 차출 되어 고향 마을로부터 도보로 인근의 철도역에 모여 다시 기차를 타고 부산으로 들어왔다. 이들의 연령 은 기초자료에 의하면 50 대에서 10 대까지 다양하지만 주로 10 대 후반에서 20 대의 징용된 사람들이었 다. 기초자료를 통해 보면 이들은 다양한 노역에 종사했다. 1944 년 12 월까지 매립공사가 진행되었기 때 -55-

문에 항만매립과 부수적인 매립지 정비작업에 동원된 사람도 존재하였다. 여기서 이들은 매립된 지역의 터를 닦는다든지 도로개설에 필요한 공사에 동원된다든지 당시 추진하고 있던 임항철도건설에 종사한다 든지 했으며, 어느 정도 기술이 있을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에도 종사했다. 뿐만 아니라 적기만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군수품을 취급하는 군부대가 주둔해 있었기 때문에 적의 공격에 방어할 수 있는 방 공호 건설은 물론 군수품을 적재하기 위한 군수기지 확장공사에도 종사하였다. 또한 군부대에서도 각종 작업과 하역 업무를 담당했다. 특히 군부대 업무와 관련해서는 주로 군수물자의 하역 및 운반 작업을 위 주로 했다. 이때 운반한 물자는 군량미로 이용된 콩이나 곡류 등을 비롯하여 목재 등 다양한 군수물자들 을 운반했다. 더불어 무기, 화약 등의 수송을 담당한 동원자도 있었다. 나아가 적기만 매립은 공업지로 도 계획되었기 때문에 1 차 매립 이후 각종 유류탱크는 물론 東 洋 拓 殖 株 式 會 社, 朝 鮮 米 穀 倉 庫 株 式 會 社, 朝 鮮 運 送 株 式 會 社 등 국책회사를 비롯하여 三 井 物 産 株 式 會 社, 日 本 鑛 業 株 式 會 社 등 유력 기업, 회사, 공장 등 30 여 개가 진출하였고 25) 일제말기 대부분 군수공장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에 강제동원된 이들은 이러한 군수공장에서 노역했다. 동원된 이들의 노동실태는 아침부터 저녁 7 시까지 노무에 종사해야 했으며 휴일은 없었다고 한다. 외 부와의 서신 교환은 허락되지 않았으며 숙소는 임시 거처 또는 창고를 개조한 곳에서 바닥에 가마니를 깔고 이불 하나만 덮고 생활했다. 식사는 주먹밥이 다였으며 연합군의 공습이 진행되면 노무자들은 방공 호로 대피하기도 했다고 한다 26). 해방 이후 적기만은 귀환동포들을 수용하는 곳으로 이용되었으며 한국 전쟁시기에는 피난민들의 수용소로 이용되어 7 만 명의 피난민을 수용했다 27). 3) 각종 공사현장의 동원실태 일제말기 각종 공사 현장에도 수많은 조선인들이 강제동원되었다. 제한적이지만 기초자료를 통해 보 면, 경남 각 지역의 도로 철도 터널공사를 중심으로 저수지 수도 교량 제방 배관공사 등 전쟁물자 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공사가 대부분 강제동원을 통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로공사의 경우 일제 시기 초부터 부역을 통해 지속적으로 동원한 예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것이지만 일제말기가 되면 군 용도로 등 전쟁에 필요한 도로 터널공사에 조선인들을 강제동원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궁민구제사업 등으로 건설했던 철도 특히 동해선 철도 건설을 징용을 통한 강제동원으로 건설하고자 했음도 알 수 있 다. 여기서는 진해와 창원간 도로개통을 위한 터널공사를 사례로 그 동원실태를 살펴보도록 하자. 진해지역에 현대적 도시계획에 따라 도로가 개설된 것은 1910 년대의 일이다. 중평 한들의 포구나무 가 있던 중앙지를 중심으로 8 각형의 방사선 형태로 도로가 개설되었다. 1 등도로는 도로의 폭이 20 간 ( 약 36m), 2 등도로는 15 간(약 27m), 3 등도로는 10 간(약 18m) 으로 하여 도로변의 건물은 반드시 기와집을 짓게 하고, 1 등도로의 길가로는 단층건물을 허가하지 않았다. 간선도로는 모두 1 등 도로로 하였으며 경화동은 격자로 하였다. 시외의 도로는 진해에서 창원간은 장복산맥의 중턱을 지나 안민고개 로 넘어가는 길이 1912 년에 개설되고, 부산간은 1914 년에 웅동까지 수관도로를 개설하고, 자동차도 로 개설은 태평양전쟁이 일어난 이후였다 28). 일제는 1942 년에 안민고개로 우회를 하여 마산이나 창원으로 가야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마야령 아래에 마진터널을 뚫기로 하고 착공하였다. 마진터널은 마산과 진해 쪽 양쪽에서 굴파기에 들어가 가운 데에서 연결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작업장은 마산 쪽과 진해 쪽에 각각 마련되어 있었고 양쪽은 각각 다 -56-

른 지역의 조선인들이 동원되어 작업을 했다고 한다. 당시 진해지역의 노무동원도 경남지역에서 상당히 많은 수준이었는데, 대부분 진해지역 내에 있는 군 부대, 군 관련시설, 진해비행장 건설에 동원되었다. 그런 까닭에 마진터널을 뚫는 작업은 진해지역이 아 닌 진해로부터 조금 떨어진 지역의 조선인들이 동원되었다. 특히 통영의 사량도에서 많은 조선인들이 강 제동원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10 대 중반이었고 학교선생님이 인솔한 것으로 봐서 보통학교 학생들이 주 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한 마을에 십 수 명씩, 수백 명이 모여 배를 타고 진해 마진터널 공사장 에 동원되었다. 터널공사에 동원된 조선인들은 터널 밑 함바 라고 하는 숙소에서 4~50 명씩 기거하면서 터널 공사에 투입되었다. 노동환경은 열악하여 노동시간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지속되었으며 식사는 거의 강냉이가 전부여서 집에서 보내준 음식이 있으면 그걸로 연명했다고 한다. 마진터널 공사는 일본 민간인 감독관이 감시 감독하는 것으로 봐서 민간인 토목회사가 터널공사를 진행시키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마산과 진해 쪽에서 각각 이루어진 공사는 겨우 한 사람 정도 지나다닐 정도의 터널을 완성하는데 그쳤 다 29). 마진터널은 일제가 패망하고 해방이 될 때까지 완공은 보지 못했다. 1949 년에 다시 착공을 하였 으나 이번에는 한국전쟁에 의해 중단되었다. 휴 전 후 진해에 市 政 이 세워진 뒤, 다시 시공을 계속 하여 1957 년 1 월 18 일에 준공을 하고 개통을 했 다. 마진터널의 높이는 4.5m, 길이는 372m, 폭은 6.5m 로 2 차선 도로로 터널의 양식은 반원형 아 치형 터널로 만들어졌다. 현재의 터널은 내부 좌 우에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나 마진터널은 가운데 조명이 설치되었다. 터널의 내부 벽면은 콘크리트 로 마감한 벽체 그대로이며, 가로 판재 모양의 거푸집 형태가 그대로 보인다. 일부 누수에 의해 군데군 데 균열이 가 있었고, 보수한 흔적도 보인다. 현재 1985 년도와 1998 년도에 각각 완공된 장복터널 (4 차선 ) 에 의해 현 도로는 이용되고 있지 않다. 4) 회사 광산 노무현장의 동원실태 일제말기 강제동원 중 특히 군수물자와 관련된 회사에 강제동원되어 노역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앞에서 살펴본 적기만의 각종 군수회사는 물론이고 기존의 방적, 방직회사를 비롯하여 금속, 화학공장 등에서도 강제동원이 이루어졌다. 대부분 군수품 제조 및 운반과 관련된 회사, 공장들이었다. 또한 전 쟁물자와 관련하여 자원약탈의 광산개발도 적극적으로 동원된 인력에 의해 진행되었다. 경남지역에도 1930 년대 이미 개발된 광산에서 일제말기가 되면 강제동원이 추진되었다. 기장군 일광면 원리 104 번지에 해방이후의 자료에서도 나타나듯이 조선 내 5 대 구리광에 포함되는 일광광산이 소재하였다 30). 일광광산은 일본의 대표적 기업이 住 友 鑛 業 株 式 會 社 의 일광탄광으로 1930 년대부터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 住 友 企 業 은 1885 년 九 州 의 庄 司 炭 을 사들이면서 탄광업에 뛰어들어 -57-

1924 년에는 北 海 道 까지 진출하였다. 이후 坂 炭 鑛 의 경영에 참여하며 1925 년 住 友 坂 炭 鑛 株 式 會 社 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27 년에는 住 友 別 子 鑛 山 株 式 會 社 를 설립하였으며, 1928 년에는 住 友 九 州 炭 鑛 株 式 會 社 를 설립하였다. 1930 년에는 住 友 坂 炭 鑛 株 式 會 社 와 住 友 九 州 炭 鑛 株 式 會 社 를 병 합하여 住 友 炭 鑛 株 式 會 社 를 설립하였고, 1937 년 에는 住 友 炭 鑛 株 式 會 社 와 住 友 別 子 鑛 山 株 式 會 社 를 병합하여 住 友 鑛 業 株 式 會 社 를 설립하고 해방이 후까지 운영하였다 31). 이처럼 주로 九 州 와 北 海 道 의 탄광에서 영업활동을 하던 住 友 가 1930 년대 말에는 조선에서도 탄광을 개발하고 채광활동에 들어갔 던 것이다. 일제시기 이 광산에서 일을 한 조선인에 따르면 1944 년 4 월 1 일 일광면 소재의 住 友 鑛 業 株 式 會 社 日 光 炭 鑛 選 鑛 場 에 사람들이 모였는데, 모두 징용되었다. 또한 그날 이후 쉬는 날도 없이 매일 주간과 야간 2 교대로 구리 채광에 동원되어 아주 고되게 일했다. 더불어 일주일에 두 세 차례씩 기장면 장안읍 의 청년훈련소로 가서 군사훈련도 받았다. 그런 와중에 이곳에서의 작업 도중에 발가락이 절단되어 현재 까지 장애로 남아 있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32). 다음으로 함안 소화광산에 대해 살펴보자. 일제 강점기 수탈행위는 마산 진전면 일대의 지역사회를 황폐화시켰다. 둔덕, 옥방, 골옥방, 금암마을 등의 여항산지 일대, 오서 리 일대 창포뒷산 등 광석이 있을 만한 곳은 이 잡듯이 찾 아 파헤쳐 제련하여 일본으로 실어 날랐다. 그 중에서 가장 피해가 극심했던 곳은 둔덕마을 주위 여항산지였는데 咸 安 鑛 業 株 式 會 社 가 세워졌기 때문이었다. 이 회사는 은과 금 을 채광하기 위하여 3,000 여 명의 광부를 고용하고도 노 동력이 부족해서 각 도에서 징발한 강제징용까지 동원하여 100 개 가까운 굴을 뚫어 산을 벌집처럼 훼손하였다. 咸 安 鑛 業 株 式 會 社 의 모회사는 昭 和 鑛 山 株 式 會 社 였다. 이 회사는 1936 년 12 월 20 일에 설립되었으 며 광업 경영 및 그것에 부대하는 일체의 사업 활동을 목적으로 했다. 회사의 대표자는 일본인 林 岩 太 郞, 회사의 중역은 일본인 千 宗 建, 河 野 年 등으로 자본금 500,000 원으로 시작하였다. 그 본점은 함경북도 경흥군에 소재를 두고 있었다 33). 1930 년대 후반 소화광산에서는 광업주와 노동자들 사이에 충돌이 벌 어졌는데 광업주가 인부들을 총, 장검으로 위협하며 휘둘러 10 여 명이 다쳤다는 내용이 실리기도 하였 다 34). -58-

일제말기 노무동원의 실태는 관련 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일제강점기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의 기초 자료를 통해 개략적이나마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첫째, 경남지역은 남한지역만을 놓고 볼 때 전 라, 충청, 경북지역과 마찬가지로 국내외 강제동원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남지역의 경우 국내노무동원율이 다른 강제동원율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국내노무동 원율보다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남지역이 지니고 있는 군사적, 지리적 특징 때문으로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경남지역은 부산, 사천, 진해, 울산, 남해 등 주로 태평양전쟁시기 일본군 의 후방기지라는 지역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군사후방기지 또는 군수물자의 보급과 관련된 항만과 비행 장, 그리고 군부대에 주로 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남지역은 징용에 의해 국내노무동원도 주로 10 대 후반이 주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겠지만, 경남지역에서 집중 적으로 동원된 시기는 1943 년 이후, 특히 1944 년과 1945 년 이 두 해에 걸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 다. 여섯째, 동원기간이 1 년 미만인 경우가 33%, 1 년 이상 2 년 미만인 경우가 31%, 2 년 이상 장기간 동원된 경우가 36% 로 대체적으로 1 년 이상의 장기 동원이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자료의 한 계는 명확하다. 일상적 동원인 1 년 미만의 동원이 신고건수에서 대대적으로 누락되었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자료의 결과는 일제말기 장기적 동원의 수가 확대되고 있는 정도에서 이해하는 것 이 역사적으로 올바를 것이다. 한편, 경남지역 노무동원 작업장은 대체적으로 세분화하면, 비행장이 가장 많이 동원되었다. 비행장 다음으로 군 관련 노무동원이 많은데 군 병참기지였던 부산, 마산 등을 비롯하여 군부대가 있었던 진해, 남해 등지에 주로 동원되었다. 계속해서, 군수물자보급과 관련된 회사동원이 많았는데, 이는 부산의 조 선방직회사를 비롯하여 각종 군수회사와 자원 확보를 위한 광산개발 등 경남지역 광산이 주축이었다. 그 리고 일반적인 노무동원으로 각종 공사에 동원된 경우가 많았는데 주로 도로공사, 철도공사, 교량공사 등에 동원되었다. 이상의 개략적인 경남지역의 국내노무동원 현황과 실태 분석에도 불구하고 그 구체적 인 모습을 조망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앞으로 보다 많은 사실 발굴과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매일신보, 동아일보, 부산일보, 조선시보, 서울신문 정부기록보존소, 조선총독부 - 노무 ( 총 19 권 ), 1938~1945 조선노무협회, 조선노무, 1941~1945( 영인본 : 녹음서방, 총 4 권, 2000) 朴 慶 植, 朝 鮮 人 强 制 連 行 の 記 錄, 未 來 社, 1965 김대상, 일제하 강제인력수탈사, 정음사, 1973 朴 慶 植, 日 本 帝 國 主 義 の 朝 鮮 支 配 上 下, 靑 木 書 店, 1973 신정식, 일제의 조선인 강제수탈사, 비봉출판사, 1982 朴 慶 植, 朝 鮮 問 題 資 料 叢 書 (1~5 卷 ), 三 一 書 房, 1983 임종국, 일본군의 조선침략사 1 2, 일월서각, 1988 鈴 木 敬 夫, 법을 통한 조선 식민지 지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9 이종학, 한국군사사서설, 서라벌군사연구소, 1990 김민영, 일제의 조선인노동력 수탈 연구, 한울아카데미, 1995-59-

한국정신대연구회, 한일간의 미청산 과제, 아세아문화사, 1997 松 本 正 德, 日 本 勞 務 管 理 史, 中 央 大 學 出 版 部, 1997 樋 口 雄 一, 戰 時 下 朝 鮮 の 農 業 生 活 誌 1939~1945, 社 會 評 論 社, 1998 樋 口 雄 一 편, 전시하조선인노무동원기초자료집 총 5 권, 綠 陰 書 房, 2000 강용권, 끌려간 사람들, 빼앗긴 사람들, 해와달, 2001 민족문제연구소편,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료총서 총 100 권, 한국학술정보 ( 주 ), 2001 곽건홍, 일제의 노동정책과 조선노동자 : 1938~1945, 신서원, 2001 정혜경, 일제말기 조선인강제연행의 역사 - 자료연구, 경인문화사, 2003 金 英 達, 朝 鮮 人 强 制 連 行 の 硏 究, 明 石 書 店, 2003 한일민족문제학회 강제연행문제연구분과, 강제연행 강제노동 연구 길라잡이, 선인, 2005 부산광역시 실무위원회,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 2005~2007 이상의, 일제하 조선의 노동정책 연구, 혜안, 2006 허수열, 조선인 노동력의 강제동원의 실태 - 조선내에서의 강제동원정책의 전개를 중심으로, 일제의 한국 식민통 치, 정음사, 1985 강경구, 전시하 일제의 농촌 노동력 수탈정책, 日 帝 末 期 파시즘과 韓 國 社 會, 청아출판사 강정숙 서현주, 일제 말기 노동력 수탈 정책, 한일간의 미청산 과제, 아세아문화사, 1997 곽건홍, 일제말기 조선에서의 전시 노동력 동원, 전국역사학대회 발표문, 2001 신주백, 일제의 교육정책과 학생의 근로동원 (1943~1945), 역사교육 78, 2001 한혜인, 조선인강제연행에서의 강제성의 한 단면, 일본어문학 10, 2001 하종문, 일본의 노동력 동원정책, 전국역사학대회 발표문, 2001 이병례, 일제하 전시체제기 노동자의 경험세계, 역사연구 11, 2002 정혜경, 일제 말 전시동원체제관련 자료 연구 - 국내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해방전후사료연구, 선인, 2002 정혜경, 일제말기 강제연행 노동력 동원의 사례 : 조선농업보국청년대,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8, 2002 안자코 유카, 총동원체제하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 정책의 전개, 한국사학보 14, 2003 이병례, 일제하 전시체제기 경성부의 노동력 동원구조, 사림 24, 2005 김윤미, 근로보국대 제도의 수립과 운용 (1938~1941),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김영민, 일제강점기 국내 노무동원에 대한 연구 : 전북지역의 사례, 한일민족문제연구 16, 2009 1) 한일민족문제학회 강제연행문제연구분과, 강제연행 강제노동 연구 길라잡이, 선인, 2005. 이 글에서 사용 하는 강제동원은 물자 등 기타 동원을 제외한 인적 동원을 지칭하는 좁은 의미임을 밝혀둔다. 2) 朴 慶 植, 朝 鮮 人 强 制 連 行 の 記 錄, 未 來 社, 1965. 3) 노동력동원에 관한 연구에서는 조선 밖으로의 동원이 거의 전부를 차지하며, 성동원에 관한 연구는 다른 동원 보다 연구 성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 한일민족문제학회 강제연행문제연구분과, 앞의 책, 2005, 219~346 483~512 쪽 ). 4) 김대상, 일제하 강제인력수탈사, 정음사, 1975 ; 김민영, 일제의 조선인노동력수탈 연구, 한울아카데미, 1995. 5) 곽건홍, 일제의 노동정책과 조선노동자, 신서원, 2001 ; 이상의, 일제하 조선의 노동정책 연구, 혜안, 2006 ; 庵 由 香,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 (1927~1945) 형성 정책,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 이송순,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경제, 선인, 2010. 6) 허수열, 조선인 노동력의 강제동원의 실태 - 조선내에서의 강제동원정책의 전개를 중심으로,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 정음사, 1985 ; 이병례, 일제하 전시체제기 경성부의 노동력 동원구조, 사림 24, 2005 ; 일 상화와 민중의 대응방식 : 제주도 주민동원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17, 2007 ; 김진영, 일제 말 강화군에 대한 인력동원의 실태와 추이 (1938-45), 경희대 사학과 석사논문, 2008 ; 이병례, 일제말기 (1937~1945) 인천지역 공업현황과 노동자 존재형태, 인천학연구 10, 2009 ; 김미현, 전시체제기 인천지역 학생 노동력 동원, 인천학연구 12, 2009 ; 김민영, 일제강점기 국내 노무동원에 대한 연구 - 전북지역의 사례, 한일 민족문제연구 16, 2009. 7) 김민영, 강제동원피해자에 대한 조사 및 인원 추정, 2003 년도 일제하 피강제동원자 등 실태조사연구 보고 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60-

8)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 경남지역 기초자료, 2006. 9)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는 위원회에 신고된 신고자의 피해사실 및 관련 증빙자료는 물론 지역단위에서 심의한 결과까지 첨부하고 있어 노무동원의 구체적인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주로 부산광 역시 실무위원회 심의자료를 참고하였다. 10)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의 용역발주에 의해 필자를 책임연구자로 하여 신은제, 이광욱, 안승광이 2007 년 기초 조사를 실시했다. 11) 정혜경, 국민징용령과 조선인 인력동원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 2008. 12) 본 자료는 일제강점하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가 2006 년까지 신고 접수한 사항을 정리한 기초자료이다. 13) 학생노무동원과 관련된 사실은 당시 신문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부산일보 1938.3.18( 석 3-1), 총 후의 임무로 눈물겨운 노력 ; 3.23( 석 2-8), 애국심의 결정 ; 4.10( 석 2-8), 폐물이용과 용비절약의 헌금 ; 부산일보 1939.6.16( 조 3-10), 하휴를 이용한 학생의 근로작업 ; 1939.6.16( 석 2-5), 경남중등학교 생도 총동원의 보국대 ; 부산일보 1939.8.3( 석 3-4), 땀과 먼지투성이의 소중한 봉사작업 ; 부산일보 1939.8.4( 석 3-4), 炎 天 下 流 汗 作 業 馬 山 高 女 校 의 勤 勞 報 國 隊, 感 激 의 生 活 제 5 학년 守 分 玲 子 ; 부산일보 1939.8.5( 석 3-5), 炎 天 下 流 汗 作 業 馬 山 高 女 校 의 勤 勞 報 國 隊 ( 中 ), 勤 勞 奉 仕 의 感 想 제 3 학년 吉 川 幸 枝 ; 부 산일보 1939.8.6( 석 6-2), 炎 天 下 流 汗 作 業 馬 山 高 女 校 의 勤 勞 報 國 隊 ( 三 ), 汗 愛 日 記 安 東 トヨ 子 ; 부산일 보 1939.8.8( 석 6-3), 炎 天 下 流 汗 作 業 馬 山 高 女 校 의 勤 勞 報 國 隊 ( 四 ), 勞 動 의 歡 喜 5 년 岡 野 はるゑ ; 부 산일보 1940.12.15( 석 2-10), 유가족의 상점에서 생도의 근로봉사 ; 부산일보 1940.12.27( 석 2-10), 부 산직업교생도의 봉사 ). 또한 일반노무동원과 관련된 사실도 빈번하지는 않지만 당시 신문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부산일보 1939.8.1( 석 3-5) ; 8.4( 석 3-6) ; 8.12( 석 7-9) ; 8.22( 석 3-7) ; 9.13( 석 3-5) ; 9.16( 석 3-2) ; 9.24( 석 2-1) ; 11.11( 석 6-5) ; 부산일보 1940.2.15( 석 3-4) ; 2.16( 석 3-5) ; 4.19( 석 3-2) ; 8.3( 석 3-2) ; 8.6( 석 2-4) ; 8.17( 석 3-10) ; 부산일보 1941.4.10( 석 3-10) ; 5.14( 석 3-2) ; 5.20( 석 3-3) ; 5.25( 석 3-5) ; 8.19( 석 2-1) ; 부산일보 1942.5.8.( 석 3)). 14) 용현조기회, 용현면향토사, 1999. 15) 사천시사편찬위원회, 사천시지, 2003. 16) 곤양향토사편찬위원회, 곤양향토지, 2004. 17) 이재술 증언 (2007 년 9 월 19 일 면담 ) 18) 강신윤 유갑정 증언 (2007 년 9 월 18 19 일 통화 ) 19) 부산광역시 실무위원회, 접수번호 : 부산 사상구 -352,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 ( 제 7-7 권 ), 2007. 20) 정동면지편찬위원회, 정동면지, 1996. 21) 적기만은 지금의 우암동과 감만동 일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일본인들은 아카사키라고 불렀다 ( 朴 元 杓, 부산변 천기, 1970, 108 쪽 ). 22) 池 田 國 司, 池 田 佐 忠 事 業 と 人 生, 1999, 152~157 쪽. 23) 朝 參 密 第 917 號 ( 조선군참모장 高 橋 坦 조선총독부재무국장 水 田 直 昌 ), 1942 24) 노기영, 일제말 부산 적기만의 매립과 임항철도 건설사업, 항도부산 22, 2006, 322 쪽. 25) 池 田 國 司, 앞의 책, 157 쪽. 26) 부산광역시 실무위원회, 접수번호 : 부산 수영구 -212,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 ( 제 4 권), 2006. 27) 노기영, 앞의 논문, 331 쪽. 28) 진해시사편찬위원회, 진해시사, 1991. 29) 탁치주 증언 (2007 년 9 월 20 일 통화 ) 30) 서울신문 1947.4.30, 군정청 재무부, 경제부흥자금 2 천만원 융자 승인 31) 미야모토 마사아키 ( 宮 本 正 明 ) 한혜인 이규수 요시자와 가요코 ( 吉 澤 佳 世 子 ) 송병권 정성일 하정용, 일 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Ⅱ, 국사편찬위원회, 2004. 32) 부산광역시 실무위원회, 접수번호 : 부산 수영구 -120, 진상규명 실무위원회 심의자료 ( 제 4 권), 2006. 33) 中 村 資 良, 朝 鮮 銀 行 會 社 組 合 要 錄, 東 時 報 社, 1937. 34) 東 亞 日 報 1938.11.9(7-1), 鑛 主, 勞 者 間 衝 突 凶 器 로 人 夫 殺 傷 -61-